2021/05/08

칭의 교리 justification

 Sung Deuk Oak

Favourites  · 3tSpoahncsoreduu  · 

[초기 (목회) 선교사의 일상과 "아이고 시원하다"]

다음 지도는 1902년 3월 한 달 간 마페트( S. A. Moffett, 마포삼열) 목사가 순회 전도 여행을 하면서 이제 막 세워지기 시작한 교회들과 미조직 교회들을 방문하고 세례를 주고 학습교인을 받아들이고 사경회를 한 자취를 나타낸다. 

당시 지명과 거리를 제대로 알려면 대동여지도를 이용하는 게 최고다. 선교사들도 대동여지도나 여지도를 들고 다녔으므로...

봄과 가을에 이런 여행을 두세 번씩하고(그래서 관리하는 교회가 여러 군에 걸쳐 수십 개에서 나중에는 60~70개 정도), 겨울에는 거주하는 선교지부(station)가 있는 도시(마페트의 경우 평양)에 지내면서 도사경회를 인도하고 시내 교회 목회, 교육 등을 하고, 여름에는 장마와 질병 때문에 사역을 쉬면서 문서 작업 등을 했다.

지도에서 평양을 출발하여 1(순안)--2(순안 북창)--3(순안 자로: 그 바로 옆 자모산성이 바로 임꺽정이 한때 활동하던 본부)--4(숙안 자작: 1903년 한경직 출생지: 그는 어릴 때 마페트의 영향을 받았다)--5(숙천 성내)--6(안주)--7(숙천 사산)--8(영유 버들골) 등을 거쳐 평양으로 돌아온다.

순안북창 사경회에서 마 목사가 칭의 교리를 설명하고 이미 심판을 받고 석방되었다고 하자, 듣고 있던 한 노인은 "아이고, 시원하다"라고 외쳤다. 진리를 깨달은 이의 감격 어린 이 말에 마페트는 희열과 전율을 느꼈다.

안주에서 다시 숙천으로 내려오는 길, 청천강 을 건너는 계곡에는 해동이 되면서 온통 얼음이 떠다니며 서로 부딪혀 깨지고 녹아 내리고 있었다. 길은 온통 진흙탕이었다.

마페트가 이 무렵 심각하게 고민한 것은 선교사로서 한국학 학자가 될 것인가, 전도자로 남을 것인가였다.  성경번역자회 위원으로 두 번이나 임명받았으나, 그는 자신의 사명이 전도와 목회에 있다고 확신하고, 한국 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면서 문서 작업에 매달려 한국학 학자가 되는 것을 포기하게 된다. (그래서 그는 한국에서 40년 넘게 살았지만 변변한 저서 한 권 없다.)

그는 스스로에게 질문했다. What is my duty? What is my calling in the decidedly limited time? 주어진 이 짦은 시간 안에 꼭 해야 하는 일, 주께서 부르신 나만의 소명은 무엇인가? 다시 생각하는 하루다..

 (7년 전 글)

---

칭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칭의(稱義, 영어: justification, ) 또는 의화(義化, 의롭게 되다)는 웹스터 사전에 따르면 하나님에 의해 의로워진 행위, 과정, 상태(the act, process, or state of being justified by God)이며,[1]인간이 죄의 책임과 처벌로 부터 의롭고 자유롭게 여겨지는(made or accounted just, or free) 하나님의 행위이다.[2] ‘의롭게 됨’ 또는 ‘의롭다고 인정을 받음’을 뜻하며, 기독교 신학에서 속죄을 통해 죄의 용서와 내면적 쇄신과 동시에 죄인들이 의로워졌다고 선언받는 것이다. 개신교에서는 행위없이 의롭다함을 얻는다고 주장한다. 마르틴 루터에 의해서 칭의 개념이 명확하게 되었다.



목차

1 성경의 용어들과 의미

2 교파별 해석

2.1 개신교

3 역사적 논의

3.1 종교 개혁이전

3.2 종교 개혁이후

3.3 청교도

3.4 새 관점 논의

3.5 칭의교리 공동선언

4 같이 보기

5 참고문헌

5.1 영어문헌

5.2 독일어

6 국내 문헌

7 각주

8 외부 링크

성경의 용어들과 의미

구약성경에는 칭의(의화)대한 용어는 히츠디크(צדקה, zedaqah)로서 대부분의 경우 어떤 사람의 지위가 율법의 요구와 일치한다고 법적으로 선언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출 23:7; 신 25:1; 잠17:15; 사 5:23). 신약성경에는 명사(δικαίωσις)는 동사 디카이오(δικαιόω)의 명사형이다. 어떤사람을 의롭다고 선언하다는 의미이다(마 12:37: 눅 7: 29; 롬 3:4). 의(Righteousness, Justice)는 올바름, 표준에 대한 일치등으로 정의된다. 이 말은 성서적인 용법(用法)은,두 가지의 중요한 점에서 현금의 용법과는 다르다. 즉, 말의 의미의 범위와, 의가 그것에 의해 측량되는 규범에 한정된다. 근대의 용법에서는, 의는 윤리적인 성질에, 윤리적인 표준에의 일치에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준은 사회 또는 집단의 규범에 의존하며 상대적이다. 하지만, 성서적인 용법에서는 그 표준은, 시종 일관하여, 하나님의 의(義)이지, 사회의 규범은 아니다. 성서적 사고가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하나님 중심적인 표준에 의해 지배되어 있는 까닭에, 우리들은 하나님의 의라는데서 시작할 경우에만, 의의 개념을 이해할 수가 있다. 하나님의 의란, 먼저 하나님의 성질인 것으로서, 하나님의 올바름이라든가 신성(神聖)하심의 일이다. 주위의 제국의 신들과는 대조적으로,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자기 멋대로나 기분내키는 대로 하시지 않고 부당한 요구도 않으시며, 고집세게 행동치 않으시며 그 취급에 있어서 공평하시다. 하나님은 또 그 백성으로부터 올바른 행위를 요구하시고 그 율법에 의해 그들을 심판하실 것이다. 인간의 의는, 이같이 하여, 가장 세찬 규범에 의해 평가되고, 그 최고의 윤리적인 결정에 달한다. 둘째번으로,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의 행위이시고, 하나님께서 세계 중에 그 의를 확립하시는 방법이다. 예언자들은 하나님께서 그 백성을 변명하시고, 그들 위해 의를 수립하신다는 생각을 발전케 하고 있다. 이같이 하여 의의 윤리적 의미에, 구원적인 의미, 즉 하나님께서 그 백성 위해 성취하시는 해방, 혹은 구원이 더해진다. 셋째로,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의 행위에서 결과, 즉 그 목적의 성취이다. 이 양상(樣相)은 이 말의 종말론적 성격을 강조하고, 이스라엘의 메시야적 희망 즉 [의가 존재하는] 세계에의 동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바울이 복음을 하나님의 의의 계시로서 볼 수 있었던 것은, 그 말의 동적(動的)인 성격에 의하는 것이다. 이스라엘의 메시야로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신 것은, 하나님께서 그 백성 위해 구원을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의의 행위이다. 이것은, 윤리적 요구를 늦추는 것을 지시하지않는다. 오히려 그리스도께서 오신 것은, 산상수훈이 보여주고 있는대로 윤리적 감각이 예리해짐을 의미한다. 그것은 하나의 길의 비젼이며 그 길에 의해서만 하나님의 의헤 대한 요구가 만족되는 것이다. 인간은 그 자기 중심성 때문에, 그에게 요구되어 있는 진실한 하나님 예배와 봉사를 성취할 수가 없다. 그는 다할 수 없는 요구에서의 죄책에 의해 고통받고 그 생명의 원천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는 요구에서의 죄책에 의해 고통받고 그 생명으 원천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어 있고, 자기 중심성을 스스로 깨쳐버릴 수 없는 때문에, 씩씩하게 사는 의자가 꺾이고 만다. 하나님의 의의 성취는, 다만 하나님께서 그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해주시는 때만 가능하다. 이 일을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라는 인물에 있어서 의인(의로운자)이라고 교시 되는 것이다. 의는 이처럼 제1의적으로 하나님의 의이고, 하나님이 그 자신의 거룩하심에 적합하도록 인간에게 요구하는 일이며,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신앙을 통하여 주어지는 것이고, 이 행위의 결과, 즉, 이 의를 이웃 사람에의 사랑에 있어서 완성하시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생명이다(-Warren A. Quanbeck:Righteousness). 의로 역된 원어는 수종이나 되는데, 히브리어 명사에 있어서는 [체데크](남성형)와 [체다-카-](여성형)의 2어가 전형적이고, 남성형 117회, 여성형 155회 씌어져 있다. 이 밖에도 [공의]로 많이 역된 [미슈파-트]가 있는데, 이것은 [재판], [판결]등도 의미하는 넓은 의미의 말로서, [의]의 의미에 있어서 상기의 말과 거의 같은 뜻으로 씌어진다. 다만 [미슈파-트]가 경우에 따라서는 [체데크][체다-카-]보다 윤리적인 의미가 승한데 대해, 이것은 법적 의미가 우월하다. 그리스어 명사에 있어서는 [의]로 역된 원어가 [디카이오-마 dikaivwma](dikaioma)가 10회, [디카이오-시스 dikaivwsi"(dikaiosis)가 2회 씌어져 있다. 이것은 한마디로 구약에 있어서의 [의]의 개념의 연장으로 이해되는 것으로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또는 이에 기초한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표현한(예켄대 사랑과 같다) 관계개념이다. 이 말은 바울서신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신학적 개념인데, 기타의 문서에 있어서는 비교적 나오는 수도 적고(34회), 당시의 유대교의 사상적 공유재산과 깊이 관계되어 있다. 칭의(Justify, Justification )는 본래 법률의 용어의 하나로 재판에서 무죄로 인정되는 일을 말한다. 즉 이 말은 법률적으로는 무죄판결을 내리는 일을 의미하고 있는데, 성서에 있어서는,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에 있어서, 죄없는 올바른 자, 의로운자로서의 자격이 주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신앙)으로 말미암아 의롭다함을 얻는다는 것은, 바울의 복음신앙의 중심이고, 근본원리이다.구약 시대에는, 인간의 의는,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율법을 준수하는데 있었다. 구약에기록된 이스라엘의 역사는 모두가 율법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던 것을 보여주고 있다.인간은 율법의 요구에 바로 응답하지 못하고, 따라서 율법에 의해서는 구원얻지 못할 뿐더러, 죄의 자각(自覺)이 생길 뿐이다(롬 3:20). 이에 하나님은, 인간을 의롭다 하는 새로운 방법을 취하셨다. 그것은, 은혜로 말미암아,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의한 것으로서, 그리스도를 죄 위한 대속제물로 삼으신 것이다. 인간은 다만 이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에 의해 의롭다 함을 얻는 것이다. 이 구원의 역사(役事)에 의해, 하나님은 그 자신의 의를 관철하시고, 인간도 믿음에 의해 의롭다 함을 얻게 되었다(롬 3:21-26). 신자의 새 생활은, 모두 이 의롭다함을 얻는 은혜에 달려 있는 것이다(롬 5:1-).→의(義). 원어는 구약에서는 동사[차-다크 qd'x:(tsadaq)]의 사역태(hiph 형)의 번역으로서 [의롭다 한다]가 씌어지고, 특히 하나님의 품성에대해(사 50:8,vindicate), 또는 야웨의 종의 구원의 역사에 대해 인용되어 있다(사 53:11,to be accounted righteous). 신약에서는 [디카이오- dikaiovw (dikaioo) 의롭다함]이 수동태(dikaiou'sqai)로 씌어져, [의롭다 함을 얻는다](is justified)로 역되어 있다. 주로 그리스도에 의한 죄사함과 구원을 나타내고(롬 3:28,5:1,9,갈 1:16기타), 특히 수동형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구원이 하나님으로부터의 절대적 은혜에 의함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3]


교파별 해석

칭의론(의화론, 義化論)에 있어서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개신교 각 교파마다 현저한 차이가 있다. 루터교와 칼뱅교에서는 선행 없이 오직 믿음에 의해서만 사람이 칭의된다고 보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감리교에서는 세례를 통해 현세에서 하느님의 뜻에 맞게 산 후에야(성화) 구원이 완성된다고 본다. 신학 용어로는 가톨릭적 의화를 실효적 의화(justificatio effectiva)라 하고, 개신적 칭의를 법정적 칭의(justificatio forensis)라고 한다.


개신교

칭의는 프로테스탄트 기독교 교리의 근본적인 개념이다(ein Grundbegriff der protestantischen Lehre).[4]칭의는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일으키게된 핵심적인 신학 주제이며[5][6] 믿음으로 의롭함을 입는 수동태형으로 이신칭의라고 부른다.[7] 기독교 신학에서 칭의란(Justification in Christian theology), 하나님이 죄인의 상태의 인간을 의인의 상태로 옮기는 행위이며, 죄의 상태에서 의의 상태로 옮겨진 인간의 조건이 변화된 것이며, 특별히 프로테스탄트 경우에는 회개한 죄인에게 의인의 상태로 하나님이 무죄를 선언하는 행위(the act of acquittal)이다.[8] 루터는 로마서 1장에 나오는 하나님의 의 개념에서 칭의가 율법의 행위와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라는 것을 어거스틴을 통하여 확신하게 되었다(Aber ich wil bej S. Augustino bleiben, sonderlich aber bej dem herrn Christo, der do hatt das wortt der warheit).[9]


역사적 논의

종교 개혁이전과 종교 개혁이후에 이 용어의 의미는 변화를 해왔다.


종교 개혁이전

초대교회과 중세 스콜라주의의 개념이 포함된다. 로마 가톨릭의 칭의는 일시적인 면보다 과정에 치우친다. 즉, 유아세례를 받게 될 때 칭의가 시작되고, 하느님의 은혜가 주입되어(의로움의 주입) 그들의 삶의 습관과 행위에 변화가 생기며, 마지막의 칭의는 전적으로 수혜자의 행위에 의존된다. 즉, 칭의와 성화가 복합적으로 혼합된 형태로 남게 되어, 행함으로 의롭게 된다는 결론을 갖게 된다. 하지만, 신자의 행위는 결코 완전한 의를 갖지 못하고, 연옥이라는 곳에 가서 심판을 받게 되는 구원의 확신이 결여된 상태를 유지한다.[10]


종교 개혁이후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이후 칭의론은 중요한 원리였다.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얻는 이신칭의를 처음으로 주장하였다. 루터의 사상과 일치한 장 칼뱅은 칭의의 개념을 그리스도와 연합으로 본다. 그의 구원론의 핵심이 바로 그리스도와 연합이다. 종교개혁가 장 칼뱅은 그의 기독교 강요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람의 행위의 의로부터 제외되어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의를 붙잡을 때 믿음으로 의롭게 되어, 의로 옷 입고 하나님 보시기에 죄인 아니라 의인으로로 나타난다. 이것이 칭의다. 하나님께서 우리가 의로운 것처럼 그분의 총애 속으로 받아 주신다. 따라서 우리는 이 칭의가 죄의 용서와 그리스도의 의로움의 전가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한다.[11]


청교도

존 오웬은 칭의의 라틴어인 justificatio 와 justifico 의 의미가 '사람 안에 내재적으로 의롭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칭의와 성화 (기독교)를 혼동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즉, 헬라어인 '디카이오수네'를 해석하여 '법정적인'(forensic)의미로, 보다 객관적인 법정에서의 선언적 의미로 재해석하였다. 또한 의의 전가의 의미도 강조하여, '자다크'라는 의로움의 히브리어가 의롭다고 선언하다는 의미임을 주장하였다.[12]


새 관점 논의

칭의에 대한 바울의 새 관점이 영국의 E. P. 샌더스, 톰 라이트, 제임스 던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서 새롭게 해석되어 논쟁으로 부각되고 있다. 새 관점(New Perspective)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1세기 유대주의에 근거하여 바울의 서신을 해석한다. 종교 개혁가 루터와 칼뱅에 의해 주장된 이신칭의론(믿음으로 구원을 받음)을 비판하고 칭의를 미래의 완성적 종말에 강조를 한다. 구원에 있어서도 칭의의 행위적-종말론적 요소를 새롭게 주장함으로써 전통적인 개신교의 법정적 칭의라는 핵심적인 주장을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함으로써 큰 논쟁이 제기되고 있다.


칭의교리 공동선언

로마 가톨릭교회와 루터교는 1986년에 루터교-로마 가톨릭 합동위원회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몇 차례의 모임 끝에 1993년에 칭의(의화) 교리에 관한 문헌의 초안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4년에 합동선언문 초안을 작성, 1997년에 합동선언문은 완성했으나 내부 합의 등 여러가지 문제로 공식 발표가 연기됐다. 그러던 중 마침내 1999년 10월 31일 독일 아우크스부르그에서 당시 교황청 그리스도인일치촉진위원회 카시디 추기경과 루터교 세계 연맹의 크라우저 회장이 의화 교리에 관한 합동 선언문에 서명했다.[13] 그리고 2006년 7월 23일 세계감리교협의회가 여기에 동참하여 세 교파가 〈가톨릭 교회와 루터교 세계 연맹과 세계감리교협의회의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Jointed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이하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에 서명하였다.[14]


같이 보기

속죄

구원 (기독교)

구원론

영원 칭의론

참고문헌

영어문헌

Phillip Edgecumbe Hughes (1982). Faith and Works: Cranmer and Hooker on Justification. Morehouse-Barlow Co.

Robert D. Preus (1997). Justification and Rome. Concordia Academic Press.

Thomas P. Scheck (Author), Joseph T. Lienhard S.J. (Foreword), Origen and the History of Justification: The Legacy of Origen's Commentary on Romans, 2008,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Hans Küng, Justification: The Doctrine of Karl Barth and a Catholic Reflection

Tom Wright, Justification: God's Plan and Paul's Vision

독일어

Wenzel Lohff, Christian Walter: Rechtfertigung im neuzeitlichen Lebenszusammenhang. Studien zur Interpretation der Rechtfertigungslehre. Gütersloher Verlagshaus Gerd Mohn, Gütersloh 1974.

Wilfried Härle, Eilert Herms: Rechtfertigung. Das Wirklichkeitsverständnis des christlichen Glaubens. Göttingen 1980 (UTB 1016).

Johannes Brosseder: Reformatorischer Rechtfertigungsglaube und seine Kraft im ökumenischen Gespräch der Gegenwart. Ausgewählte Beiträge zur ökumenischen Theologie aus drei Jahrzehnten Christine Funk e. a. (Hg.), Frankfurt am Main 1999, ISBN 978-3-87476-347-9. (35 Beiträge)

Horst Georg Pöhlmann: Abriß der Dogmatik. Ein Kompendium. Gütersloh, 6. Aufl 2002, Kapitel X, ISBN 3-579-00051-9.

Hans-Martin Barth: Dogmatik. Evangelischer Glaube im Kontext der Weltreligionen. Ein Lehrbuch. Gütersloh 2. Aufl. 2002, S. 528–550;562-577, ISBN 3-579-05325-6.

Friedrich Hauschildt, Udo Hahn (Hrsg.): Rechtfertigung heute. Warum die zentrale Einsicht Martin Luthers zeitlos aktuell ist. Lutherisches Kirchenamt (VELKD), Hannover 2008, ISBN 978-3-9812446-0-1.

Markus Witte (Hrsg.): Gerechtigkeit, Themen der Theologie 6, UTB 3662, Mohr Siebeck, Tübingen 2012, ISBN 978-3-8252-3662-5.

국내 문헌

앨리스터 맥그래스, 하나님의 칭의론

김용주, 칭의, 루터에게 묻다

존 파이퍼, 칭의 논쟁

앨리스터 맥그래스,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이신칭의

박영돈, 톰 라이트 칭의론 다시 읽기

마이클 호턴, 칭의논쟁

박재은, 칭의, 균형 있게 이해하기

각주

 Merriam-Webster Dictioanry

 dictionary.com/

 디럭스 바이블, "의(義):Righteousness, Justice"

 "Rechtfertigungslehre"

 E. Wolf, "Die Rechtfertigungslehre als Mitte und Grenze refomatorischer Theologie," EvTh 9 (1949-50), 298-308

 Schwaz, "Luthers Rechtfertigungslehre als Eckstin der christlichen Theologie und Kirche"

 Justification CHRISTIANITY, Encyclopædia Britannica

 Justification CHRISTIANITY, Encyclopædia Britannica

 “Martin Luther, Augustinian By Richard D. Balge” (PDF). 2017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Horton, Michael Scott. (2011). 《The Christian faith : a systematic theology for pilgrims on the way》. Grand Rapids, Mich.: Zondervan. 622쪽. ISBN 978-0-310-28604-2.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11.2

 Beeke, Joel R., 1952-. 《A Puritan theology : doctrine for life》. Grand Rapids, Michigan. 496쪽. ISBN 978-1-60178-166-6.

 칭의교리 공동선언 다시보기

 “감리교·루터교·로마 가톨릭 ‘의화 교리 공동선언문’발표”. 한국일보. 2006년 7월 25일. 2017년 9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칭의연구

Thomas Kothmann: Einig in der Rechtfertigungslehre?. München 1993.

Gemeinsame Erklärung zur Rechtfertigungslehre

Kritischer Aufsatz zur Gemeinsamen Erklärung zur Rechtfertigungslehre von Bernhard Kaiser (PDF-Datei; 299 KiB)

SELK: Kritische Stellungnahme der Selbständigen Evangelisch-Lutherischen Kirche zur Gemeinsamen Erklärung zur Rechtfertigungslehre (PDF; 24 kB)

Hirtenwort von Kardinal Lehmann zur Gemeinsamen Erklärung

Aktuelle Literatur zur Rechtfertigung(slehre)

Fachartikel zur Rechtfertigung im Alten Testament in: Michaela Bauks / Klaus Koenen (Hgg.), Das wissenschaftliche Bibellexikon im Internet (WiBiLex), 2007ff.

[1] - Illustration, welche Präsuppositionen im Spiel sind, wenn christliche Theologen sich mit "Rechtfertigung" beschäftigen.

공동선언 자료

칭의교리에 대한 공동선언과 감리교회, 기독교타임즈

루터교-로마가톨릭 칭의교리 공동선언, 바로 알리기, 기독신문

칭의교리 공동선언 역사 신학적 조명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

==

In Christian theologyjustification is God's righteous act of removing the condemnation, guilt, and penalty of sin, by grace, while, at the same time, declaring the ungodly to be righteous, through faith in Christ's atoning sacrifice.

The means of justification is an area of significant difference amongst the diverse theories of atonement defended within Roman Catholic, Eastern Orthodox and Protestant theologies.[1] Justification is often seen as being the theological fault line that divided Roman Catholicism from the Lutheran and Reformed traditions of Protestantism during the Reformation.[2]

Broadly speaking, CatholicMethodist and Orthodox Christians distinguish between initial justification, which in their view ordinarily occurs at baptism (as with the Catholicism and Eastern Orthodoxy) or the New Birth (as with Methodism), and final salvation, accomplished after a lifetime of striving to do God's will (sanctification).[3][4][5]

In Catholic doctrine, righteousness is "infused", i.e., God "pours" grace into one's soul or, "fills" one with his grace more and more over time; faith as is shown through charity and good works (fides caritate formata) justifies sinners.

In Lutheran and Reformed doctrine, righteousness is imputed (λογίζομαι, "logizomai") to the inherently ungodly, by grace, through faith in the cross of Christ. Reformed Christianity teaches the concept of fiduciary faith, that is, that "faith alone suffices for justification, and that consequently the observance of the moral law is not necessary either as a prerequisite for obtaining justification or as a means for preserving it."[6] Therefore, a righteousness from God is viewed as being credited to the sinner's account through faith alone, apart from works, being based solely on the blood of Christ.

In Methodist doctrine, imputed righteousness is received during justification and imparted righteousness is communicated through sanctification.[7][8] Partaking in the means of grace (works of piety and works of mercy) are integral to sanctification,[9] as is the keeping of the moral law contained in the Ten Commandments.[10] The desired state is Christian perfection, also known as entire sanctification (the second work of grace),[11][12] described as being "habitually filled with the love of God and neighbor" and as "having the mind of Christ and walking as he walked".[13]

Yet, in Roman Catholic, Lutheran, and Reformed doctrine, as well in Methodism and Eastern Orthodoxy, anyone who has been justified will produce good works as a product of faith, just as a good tree produces good fruit.

For Lutherans, justification can be lost with the loss of faith; for Catholics, justification can be lost by mortal sin.[14][15] For Methodists (inclusive of the holiness movement), salvation can be lost with the loss of faith or through sinning (cf. conditional security).[16][17] The Reformed tradition generally holds that justification can never truly be lost; for those who have been justified, will certainly persevere to the end by faith.

Contents

New Testament[edit]

Jesus used the idea of ransom, or redemption when referring to his work on earth (Matthew 20:28Mark 10:45).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triumph over Satan and death) provide justification for believers before God. His righteousness becomes theirs, and his death becomes an offering to God in their place, to pay for all of their sins. According to Protestants this justification is by faith alone – not through good deeds – and is a gift from God through Christ. According to Catholics and Eastern Orthodox we are justified by God's grace which is a free gift but is received through baptism initially, through the faith that works for love in the continuous life of a Christian and through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if the grace of justification is lost through grave sin.

The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JDDJ), signed by both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on 31 October 1999, clearly stated that "consensus in basic truths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exists between Lutherans and Catholics."[15] In Roman Catholic and Lutheran doctrines, as expressed under section 4.7 no.37, "we confess together that good works – a Christian life lived in faith, hope and love – follow justification and are its fruits. When the justified live in Christ and act in the grace they receive, they bring forth, in biblical terms, good fruit. Since Christians struggle against sin their entire lives, this consequence of justification is also for them an obligation they must fulfill. Thus both Jesus and the apostolic Scriptures admonish Christians to bring forth the works of love."

The declaration states that several theological views on justification held by Lutherans and Catholics, though not apparently similar to each other, are in fact explaining the same "basic truths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t different angles.

An example can be cited from section 4.7 no. 38–39, "when Catholics affirm the 'meritorious' character of good works, they wish to say that, according to the biblical witness, a reward in heaven is promised to these works. Their intention is to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persons for their actions, not to contest the character of those works as gifts, or far less to deny that justification always remains the unmerited gift of grace",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a preservation of grace and a growth in grace and faith is also held by Lutherans. They do emphasize that righteousness as acceptance by God and sharing in the righteousness of Christ is always complete. At the same time, they state that there can be growth in its effects in Christian living. When they view the good works of Christians as the fruits and signs of justification and not as one's own 'merits', they nevertheless also understand eternal life in accord with the New Testament as unmerited 'reward' in the sense of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to the believer."

Suppose a brother or sister is without clothes and daily food. If one of you says to him, "Go, I wish you well; keep warm and well fed", but does nothing about his physical needs, what good is it? In the same way, faith by itself, if it is not accompanied by action, is dead. But someone will say, "You have faith; I have deeds." Show me your faith without deeds, and I will show you my faith by what I do.

D. James Kennedy explains this verse:

James is dealing with people who profess to be Christians, and yet they don't evidence the reality of their faith by their works [deeds]. Over, and over again... people will say they have faith and they don't have works, and James is saying that real faith always produces works as a result... The question is, 'A man may say that he has faith, but will that faith justify him?' If it is just a 'said' faith—no, it won't![18]

Paul[edit]

It was Paul who developed the term justification in the theology of the church. Justification is a major theme of the epistles to the Romans and to the Galatians in the New Testament, and is also given treatment in many other epistles. In Romans, Paul develops justification by first speaking of God's just wrath at sin (Romans 1:18–3:20). Justification is then presented as the solution for God's wrath (Romans 3:21–26Romans 5:1). One is said to be 'justified by faith apart from works of the Law' (Romans 3:28). Further, Paul writes of sin and justification in terms of two men, Adam and Christ (Romans 5). Through Adam, sin came into the world bringing death; through Jesus, righteousness came into the world, bringing justification unto life (Romans 5:15–17). In this connection, Paul speaks of Adam's sin being 'imputed' or 'accounted' (Greek ελλογειται) and speaks of justification as acting in analogy to sin (Romans 5:13Romans 5:18). In chapter 8, Paul connects justification with predestination and glorification (Romans 8:30). He further states that those who are justified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love of Christ (Romans 8:33–39). Several of these passages are central in the debate between Roman Catholics, and the various streams of Protestantism (while there is broad agreement on justification by faith, there is no complete doctrinal uniformity on justification among all Protestant denominations), who can understand them in quite different ways. In Galatians, Paul emphatically rejects justification by works of the Law, a rejection sparked apparently by a controversy concerning the necessity of circumcision for salvation (Galatians 2:16Galatians 5:4; see also Romans 5:1–12 and Council of Jerusalem). He also adds that the only thing that counts is the "faith [which] works by love"(Galatians 5:6).

Other New Testament writers[edit]

The Epistle to the Hebrews also takes up the theme of justification, declaring that Jesus' death is superior to the Old Testament sacrifices in that it takes away sin once for all (Hebrews 10). In Hebrews, faith in Jesus' sacrifice includes steadfast perseverance (Hebrews 10:19–31Hebrews 12:1). James discusses justification briefly but significantly,[19] declaring that a faith that is without works,[20] a fruitless faith (cf. Matthew 7:17) cannot be a justifying faith, because faith is made perfect or completed by works (James 2, especially James 2:22; see also Romans 4:11). Indeed, works are required for justification because "man is justified by works, and not by faith alone" (James 2:24), though the sense of the word justified in this passage is disputed.[21] The writer of James emphasizes the Jewish belief that faith and deeds go together. However, in James, it is possible that justification is referring to how believers are to behave as believers, not how an unbeliever becomes a believer (i.e., salvation).[22] Faith without works is counterfeit. The faith must produce good fruit as a sign lest it become the occasion for self-justification.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Parker J. Palmer, Stefan Rudnicki: 9781501221569: Amazon.com: Books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Parker J. Palmer, Stefan Rudnicki: 9781501221569: Amazon.com: Books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MP3 CD – Unabridged, January 13, 2015
by Parker J. Palmer  (Author), Stefan Rudnicki (Reader)
4.6 out of 5 stars    156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from AUD 14.45
Read with Our Free App
 
Audible Logo Audiobook
AUD 0.00
Free with your Audible trial
 
MP3 CD
AUD 19.70 
4 New from AUD 14.16

At a critical time in American life, Parker J. Palmer looks with realism and hope at how to deal with our political tensions for the sake of the common good—without the shouting, blaming, or defaming so common in our politics today.

In his newest audiobook, Parker J. Palmer builds on his own extensive experience as an inner life explorer and social change activist to examine the personal and social infrastructure of American politics. What he did for educators in The Courage to Teach he does here for citizens by looking at the dynamics of our inner lives for clues to reclaiming our civic well-being. In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he points the way to a politics rooted in the commonwealth of compassion and creativity still found among "We the People."

"Democracy," writes Palmer, "is a non-stop experiment i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ur political institutions, local communities, and the human heart—and its outcome can never be taken for granted. The experiment is endless, unless we blow up the lab, and the explosives to do the job are found within us. But so also is the heart's alchemy that can turn suffering into compassion, conflict into community, and tension into energy for creativity amid democracy's demands."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names the "habits of the heart" we need to revitalize our politics and shows how they can be formed in the everyday venues of our lives. Palmer proposes practical and hopeful methods to hold the tensions of our differences in a manner that can help restore a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Parker J. Palmer
 Follow
Biography
PARKER J. PALMER is a writer, teacher, and activist whose work speaks deeply to people in many walks of life. He is founder and Senior Partner Emeritus of the Center for Courage & Renewal. He holds a Ph.D. in sociology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as well as 13 honorary doctorates, 2 Distinguished Achievement Awards from the National Educational Press Association, and an Award of Excellence from the Associated Church Press. In 1998, the Leadership Project, a national survey of 10,000 educators, named him one of the 30 most influential senior leaders in higher education and one of the 10 key agenda-setters of the past decade. In 2010, he was given the William Rainey Harper Award (previously won by Margaret Mead, Marshall McLuhan, Paulo Freire, and Elie Wiesel). In 2011, the Utne Reader named him as one of "25 Visionaries Who Are Changing Your World.” For two decades years, the Accrediting Commission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given annual Parker J. Palmer “Courage to Teach” and “Courage to Lead” Awards to directors of exemplary medical residency programs. "Living the Questions: Essays Inspired by the Work and Life of Parker J. Palmer," was published in 2005. Born and raised in the Chicago area, he lives in Madison, Wisconsin.
 Show Less

Customer reviews
4.6 out of 5 stars


Top review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Dennis C. Roberts
4.0 out of 5 stars Parker Palmer offers wise insights in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 2016
Verified Purchase
Palmer wrote Healing… before the U.S.A. election of 2016; however, the concerns he raised have become even more evident this last year. Palmer’s view is that in order to make the Constitutional assurance of “We the People…” work, we need to speak to those beyond “our own” and we must cease to demonize those who have ideas different than ours. Examples of the struggles Abraham Lincoln faced leading up to and during the Civil War are offered throughout the book, providing contextualization that puts our own times in perspective. The rights of diverse others was a central disagreement of the Civil War and it appears that diversity has again driven a wedge between us.

Hope in our future can be recaptured by recognizing the mutual heartbreak of a government that doesn’t work and of communities divided by class and culture. “When we hold suffering in a way that opens us to greater compassion, heartbreak becomes a source of healing, deepening our empathy for others who suffer and extending our ability to reach out to them.” (p. 22) The relative stagnation of the U.S. economy is clearly a source of much of the heartbreak that many citizens share. “When material progress falters… people become more jealous of their status relative to others” (p. 64); the jealousy then results in scapegoating others instead of working to problem solving our way to a more prosperous community.

Palmer’s optimist views have contributed much food for thought for those of us committed to a creating a better and more equitable world. His views are also realistic and have been documented in communities of hope where healing is underway. Hi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analyses of these places led him to discern four stages that are key in the process – “deciding to live ‘divided no more,’ forming communities of congruence, going public with a vision, and transforming the system of punishment and reward.” (p. 189)
Read less
1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Leslie
5.0 out of 5 stars This is a Message We Need Right Now!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9, 2017
Verified Purchase
I'm recommending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to everyone I know!
It's timely exchange is healing my heart by reminding me that goodness, respect and honest two way communication are powerful tools to repair what seems to be broken.
After the bitter division in America following the presidential race I was disheartened and found no way out of the mess we had fallen into as a people.
Parker J Palmer is a kind and sensible voice that cuts right through the noise. He offers solutions that each one of us can consider & take up to reconnect with our ideals of a united and creative nation. I continue to be moved and my spirit rehabilitated in the realization that we can move toward a democracy of All the People, where the object is to evolve into a new and better country.
1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Robert Dale Leber
5.0 out of 5 stars Polarization is getting worse and wors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23, 2016
Verified Purchase
I have worried and wondered for 15 plus years about the declining skill of our elected representatives at all levels, Federal, State and local.. I have tried to visualize ways that these opposing ideologies can find common ground for dialogue. Polarization is getting worse and worse. I see no end in sight but chaos and the destruction of our nation from within. What this book is helping me realize is that you can't eliminate all differences. In fact, democracy needs differences to thrive., while "we the people" work toward identifying a common goal then being patient while we all work toward solutions for the good of all . Our present directions are going to destroy the "real democracy" that this nation was born out of and without that democracy we will not be able to survive as "we the people" were intended. We the people are contributing as much to the destruction of of government as our elected representatives. We all have a lot of work to do to turn the tide.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Darla
5.0 out of 5 stars Profoundly moving as well as quite practical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6, 2016
Verified Purchase
Spectacular and profound, this book is one that I wish everyone could read, especially in this year of political controversy. I have been inspired to open up conversation among others, starting with my own family. Truly, how can we expect politicians to engage respectfully and with decency if we cannot dialogue with our own family members and friends who may believe differently than we do? The author of this book has done a brilliant job of providing not only inspiration but practical suggestions. It is not so much about the issues, or where we are standing politically, but rather about the discussions we need to be having in our communities. I wish I could give this book 6 stars!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Healing is our goal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1, 2017
Verified Purchase
Parker Palmer is another hero of mine. A fantastic communicator with loads of kindness and courage.
I think the method of healing proposed in this book will work and for some is working already as those who have read it tend to gather for the purpose of practicing and sharing the lessons offered therein. The central message of this book is that there is room for all of us in this world, it is just a matter of gaining the courage to make the renewal requried in our time possibl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R. Meinke
5.0 out of 5 stars Loved the material selected from the writings of de Tocquevill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30, 2017
Verified Purchase
An outstanding book. Loved the material selected from the writings of de Tocqueville. Local school systems in the area get/recruit tutors from local congregations. Students in our local schools need to appreciate the dedication of our teachers, helpers in our communities, etc... We just cannot accept an average of only 4.5 years for our teachers. They need our support "to make America great again."
Helpful
Report abuse
Lauren B
5.0 out of 5 stars Roadmap for Revolutionarie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5, 2017
Verified Purchase
This book lays out a framework for moving from frustration to political change guided by your heart. Reading it is a cathartic experience in the current political climate. I hIghly recommend i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The discussion guide is great for individual reflection or a small group proces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7, 2017
Verified Purchase
Once again, Parker Palmer finds words for that which we need to hear but cannot speak ourselves.This book is exactly what is needed during these times of political turmoil, to move out of fear and chaos into a balanced, healthy view of our political system. This book reinforces that there is indeed a heart at the center of democracy, ours currently needs healing, and we are empowered to be part of that process. The discussion guide is great for individual reflection or a small group proces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
Sejin,
Sejin, start your review of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The Courage to Create a Politics Worthy of the Human Spirit

Write a review
robin friedman
Oct 04, 2019robin friedman rated it really liked it
The Politics Of The Brokenhearted

In times of national difficulty, it is both tempting and desirable to step back, reflect upon the situation, and see what might be done to make things better. The process might carry its own danger in the rush to either easy or impracticable answers. I took the opportunity offered by the Amazon Vine program to read Parker J. Palmer's new book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the Courage to Create a Politics Worthy of the Human Spirit" for the insight it might have on our national situation as witnessed by the recent budget and debt-ceiling deliberations and their aftermath. Palmer wrote his book before these events occured, but they make his examination all the more timely. Palmer (b.1939) received his PhD in Sociology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in 1970. This book was my first exposure to his work, but he is a noted writer on educational and social issues with a focus on spirituality.

I liked a good deal of this book especially its personal tone. Palmer tries to combine events and feelings in his life, and the way in which he reflects upon them, with our national experience as Americans. He uses throughout the figure of the "habits of the heart", the title of a book by Robert Beulah which derives from de Tocqueville's "Democracy in America". Palmer discusses his own experiences of loss, disappointment and "brokenheartedness" in his life. When these experiences occur, the spirit, or the heart can be shattered. The better course is to put the pieces together, use disappointment creatively, integrate conflicting feelings and move ahead from weakness to strength. So it is, for Palmer, in a democracy.

Palmer offers some inspiring stories to illustrate what he means. He describes meeting with members of a small African American church in rural Georgia in 1974 who showed the strength and discipline to carry on in hard times. He describes meeting a New York City cabdriver who, while navigating the city streets, explained that the attraction of his job was that it allowed him to hear and consider the varied opinions of the many different types of people who rode in his cab. He praises openness to difficulty and a willingness to accept tensions -- in the form of divergent opinions -- and work through them. Palmer also makes excellent use of historical figures. Abraham Lincoln emerges as the hero of the book for his ability to overcome his own demon of depression and for his attempt to reconcile tensions in a crisis as shown by both his First and Second Inaugural Addresses. Alexis de Tocqueville, for his diagno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American democracy also receives valuable discussion. Palmer explains his own conclusions in a few words: "We must be able to say in unison: It is in the common good to hold our political differences and the conflicts they create in a way that does not unravel the civic community on which democracy depends."

There is an excellent focus in the book on commonality and civic life, as witnessed in the use of public streets, bookstores, pubs, libraries and other places where people of different backgrounds and persuasions can meet and get to understand one another. I am writing this review, as I generally do, in a public library, largely because I share Palmer's commitment to the use of public space. Palmer also emphasizes the value of people explaining to one another the reasons why the believe what they do on important, controversial matters, based upon their own experiences without attempting to demonize someone who thinks differently. I tried to follow this good advice after reading the book, as I exchanged lengthy emails with a close friend who holds an opinion different from mine on same sex marriage. Perhaps it helped to air the reasons for one's belief and to understand those of another person.

I liked aspects of this book less well. Palmer does not always handle well his own project of openness to ideas with which he disagrees. He frequently translates his project into support for his own distinct agenda and tends to belittle those who think differently. In a passage early in the book Palmer shows awareness that he does this as he comes close to demonizing his political opponents, perhaps by reducing them to straw men ("Get me going on politicians who distort my faith tradition to win votes or on racial bigots and homophobes who want to translate their personal shadows into public policy, and this nice Quaker boy from the Midwest does a passable imitation of the Incredible Hulk") before half-heartedly catching himself and falling back. There is a good deal of cliche and half-formed ideas in this book intertwined with much that is insightful. I found, for example, Palmer all--too--quick in his uncompromising discussion and rejection of "consumerism". Although Palmer has much good to say about the need to both develop and hold one's opinions and to have a degree of modesty and humility in thinking about the opinions of others, his use of the overused term "chutzpah" distorts and distracts from his point. His discussion of American public education, I thought, made a variety of points, some good, some questionable. In places, I thought Palmer was expecting too much from ordinary citizens. Democracy, and the American political process, was made to accomodate a degree of human weakness. And some of the thinking in the book I thought wooly and undeveloped.

This is a worthwhile book to read and to think through. It has many insights but it is not a panacea, in my view,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condition of American democracy. Like much other writing, the book deserves to be read but read critically and with skepticism.

Robin Friedman (less)
flag14 likes · Like  · 2 comments · see review
Elizabeth
Aug 04, 2012Elizabeth rated it liked it
Parker Palmer has some important, insightful, and inspiring ideas about democracy, but I often found myself bored with this book, only becoming interested when he illustrated his philosophical point with a real-world example. (So this criticism may be more about my lack of attention span than Palmer's writing, but so be it.)

Nevertheless, this is worth a read: talking about everything from the decline of public spaces to partisanship to our educational system, Palmer argues that we need to strengthen our ability to "creatively hold tension" in our hearts. By enduring the tension of conflict, we can learn to sit with each others divergent ideas and come to new understandings and agreements. I particularly like the way he differentiates a broken heart from a heart that has been broken open, so much the better to let in compassion and new ideas. (less)
flag6 likes · Like  · 2 comments · see review
Michael Kruse
Feb 11, 2012Michael Kruse rated it it was ok
Shelves: christian-life, politics
I have really appreciated Parker Palmer's books over the years but this book is a profound disappointment. I quit reading at the halfway point. If you are a liberal/progressive, then I suspect you may enjoy the book. It plays very well into the meme that at core of the discord in our country are conservatives. I can't help but feel that Palmer missed an opportunity.

I know he is a Quaker pacifist. I've suspected his political views were to the left based on other writing I've seen. I have no problem with that. But his topic is "Politics Worthy of the Human Spirit." Every few pages he trots out examples of the values and misbehavior that are contrary to his aims and they are invariably those of conservative citizens (without him ever explicitly saying this.) The outrageous values and misbehavior of the left are not on his radar. And that is the problem.

We each see our opponents actions as threatening and crazy but we feel justified in our threatening and crazy behavior because we know our opponents wrong. That is how Tea Party rallies (where some park service people report that participants left venues as clean or better than when they came) can be dubbed terrible hate-filled racist mob, while the Occupy Movement with its illegal occupation of property, vandalism, defecating and urinating on police vehicles and passersby, is heralded as a wonderful expression in Democracy. (I actually think both movements are hopeful signs of our democracy, that both have their excesses.) That is how there can be obsessive anger at activists talking about death panels, while be oblivious to the President calling Congress terrorists and hostage takers, as well as the VP and leading Democrats talking about Republican desires to kill people.

The first step in restoring democracy is to resolve not to use other people's bad behavior as excuse for your own. I don't think Palmer is there. I will continue to give his "Let Your Life Speak" book to others as gifts. I still think his "The Active Life" book is one of the best books I've read. But this book simply isn't worth my time. (less)
flag4 likes · Like  · 6 comments · see review
Joyce
Feb 17, 2017Joyce rated it liked it
Shelves: inspiration
Published in 2011, this book still rings true, perhaps even more so. We Americans have been greatly divided for a long time and sadly to say, remain so today.

This book discusses how we Americans can strive to bridge that gap because: "When we forget that politics is about weaving a fabric of compassion and justice on which everyone can depend, the first to suffer are the most vulnerable among us -- our children, our elderly, our mentally ill, our poor and our homeless. As they suffer, so does the integrity of our democracy." And so, "Every time we fail to bridge our differences, we succumb to the divide-and-conquer tactics so skillfully deployed by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whose objective is to take us out of the political equation. We the People then become fearful and suspicious of each other and widen the gap further."

This book challenges us to realize that we can do something about this gap, not only by becoming politically active, but by simple acts of listening to one another, finding the common ground from which to build upon and more.

The book is well researched and direct. This book is for those who would like to help make our democracy better and trying to figure out how to work in that direction. (less)
flag5 likes · Like  · 2 comments · see review
George
Dec 08, 2019George rated it liked it
Shelves: political-and-social-critique
Important and wise but it wasn’t revelatory for me. It was a good summary of needed principles but maybe in way that felt too theoretical and abstract.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Kyra deGruy Kennedy
Apr 13, 2017Kyra deGruy Kennedy rated it it was amazing
I love Parker J Palmer SO much. This book was divine. Both practical and emotional, it completely shifted my perspective about divisiveness and how to bridge the gap between polarities. Highly recommend!
flag3 likes · Like  · 3 comments · see review
Kathrina
Jun 22, 2018Kathrina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teaching-social-justice-working-gro
Really useful.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Payson Rigsbee
Nov 12, 2020Payson Rigsbee rated it really liked it
great book, chapters were too long for me but that’s personal preference. truly loved the ‘habits of the heart’ very thought-provoking, especially for people deeply engaged in the political proc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Dnicebear
Jan 19, 2012Dnicebear rated it it was amazing
Yes! I want to be involved in democracy that stays rooted in reality while dreaming of possibility and is willing to enter the gap between the two to bring it about. Parker Palmer has encouraged me in previous books to see myself as a teacher and to let my life speak. Now, I'm with him again into this exploration into being part of "we the people" in a way that allows respect and true sharing of who we are. "Life in the company of strangers" really seems possible here, and in a way that honors the human heart. Terry Tempest Williams speaks of the heart as the "first home of democracy." Parker goes on to say: "If our hearts are large and supple enough to hold the tensions of democracy's basic questions in a life-giving way, they produce ideas and ideals that feed a living democracy. If our hearts are so small and brittle that they implode or explode under tension, they produce 'ideals' like Aryan supremacy and 'ideas' like the Nazis' 'Endlosung,' their chilling, 'final solution.'" (p. 152)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idra
Jan 02, 2017Deidra rated it really liked it
So many people say they "don't do/talk about politics" when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We all do politics every day. Our unwillingness to engage politics thoughtfully is what hinders a lot of forward movement, but some of our unwillingness comes from a lack of voices encouraging us to think differently about politics so that we can talk differently about politics. Parker J. Palmer does a great job of helping to reframe the role of politics in everyday life so that we can each be better stewards of our role as people in a political context. I wish it had been required reading before the last few US presidential election cycles. (less)

알라딘: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파커 J. 파머

알라딘: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파커 J. 파머 (지은이),김찬호 (옮긴이)
글항아리2012-03-26
원제 :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2011년)
----
책소개

미국 고등교육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미국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고 있는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의 저작이 국내에 출간되었다. 그간 인간미 넘치는 사회를 위한 내면의 노력과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해온 저자가 이번에 준비한 테마는 정치, 마음 그리고 민주주의다.

특히 이번 책은 『돈의 인문학』(문학과지성사, 2011) 『생애의 발견』(인물과사상사, 2009) 『사회를 보는 논리』(문학과지성사, 2001) 등을 통해 일상의 다양한 현장을 관찰하면서, 학문적 개념과 이론을 삶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온 사회학자 김찬호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김찬호 교수는 동료들과 함께 파커 파머가 주관하는 ‘용기와 회복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뒤 파머와의 인연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파머는 이 책이 처음 구상되는 단계에서 썼던 에세이를 김찬호 교수와 공유했고, 두 사람은 여러 차례 서신을 교환하며 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처한 정치 상황을 돌아보고, 민주주의의 위기를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게 되었다. 이러한 마음 깊은 교류의 시간을 거치면서 본 책의 국내 출간이 이뤄졌다.

====
목차

책에 대한 찬사 7

한국어판 서문 15

역자 서문 19

서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31

제1장 민주주의의 생태계 45
다양성, 긴장 그리고 민주주의 | 진실, 고통 그리고 희망 | 존 울만 이야기 |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들

제2장 저절로 시민이 된 사람의 고백 71
시민성과 공공선 | 정치에서의 신념과 의심 | 깨어져 희망으로 열린 마음 | 이야기 뒤에 있는 이야기 | 미국에서의 토크빌 | 다섯 가지 마음의 습관 | 손을 잡고 오르기

제3장 정치의 마음 99
마음과 현실 정치 | 어느 농부의 마음 | 비통함의 힘 | 두 종류의 비통함 | 마음의 병을 진단하다 |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자아

제4장 민주주의의 베틀 127
긴장을 창조적으로 끌어안으려면 | 끝없는 논쟁 | 끝없는 도전 | 싸움 아니면 도주를 넘어서 | 민주주의와 자기 초월

제5장 낯선 자들과 함께하는 삶 155
낯선 사람은 사절 | 공적인 삶의 의미 | 공적인 삶의 장소와 목적 | 민주주의에서의 공적인 권력 | 공적인 삶의 쇠퇴 | 공적인 삶을 위한 공간의 회복 | 이웃의 약속 | 공공의 삶을 상상하기

제6장 교실과 종교 공동체 195
교실과 종교 공동체의 공통점 | 공교육과 내면 탐구 | 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기 | 감춰진 커리큘럼 | 종교 공동체와 마음의 습관 | 이곳의 책임자는 누구인가 | 권력과 저녁식사 파티 | 의사결정과 상담 | 환대의 신학

제7장 근원적 민주주의를 위한 안전한 공간 239
미디어가 현실을 규정할 때 | 안으로부터 들려오는 뉴스 | 고독에서 신뢰의 서클로 | 서클의 힘 | 신뢰에서 정치적인 힘으로 | 공적인 서사의 절차 | 사이버 공간과 근원적 민주주의

제8장 쓰이지 않은 마음의 역사 275
신화 그리고 마음의 이야기 | 미국의 국가 신화 | 이미지와 현실이 충돌할 때 | 운동 그리고 마음의 역사 | 내적 해방에서 외적 변형으로 | 비극적 간극 속에서 희망을 갖고 행동하라

감사의 글 303

주 307
---------------------------
책속에서

첫문장
정치란 권력을 사용하여 삶에 질서를 함께 부여하는 행위로서, 심층적으론 하나의 인간적인 기획이다.
정의를 위한 (모든) 투쟁의 핵심 요소는 잠깐 동안만이라도, 두려움에 휩싸여 있는 동안이라도 한 걸음 나서면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고 비영웅적인 행동들이 불쏘시개로 쌓여나가다가 어떤 놀라운 상황에서 격렬한 변화로 점화될 수 있다.(p. 64.) - 바스티안
국경 너머의 타자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우리(나를 포함한 하나의 우리)가 서로를 이방인으로 만들기 시작하면서, 나는 분노와 절망의 소용돌이로 빠져들었다. 우리의 차이가 우리가 가장 가치 있게 여겨온 자산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어찌하여 잊어버리게 되었는가?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두려움 그 자체뿐˝이라는 선언은 어디로 갔는가?... 더보기 - 감나무
“활력있는 공적인 삶은 민주주의의 열쇠다, 공적 영역에서 우리는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함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159쪽) - 밥헬퍼


추천글
이 책은 민주주의에 대한 우아한 축가다. 이는 단지 투표의 민주주의가 아니라, 우리를 갈라놓는 모든 것을 넘어 어떻게 함께 살 것인가에 대한 더 포괄적인 개념의 민주주의다.
- 피터 블록 (『풍부한 공동체: 가족과 이웃의 권력을 일깨우기』의 공저자) 
1965년 ‘피의 일요일’에 우리는 앨라배마 주 셀마에 위치한 에드먼드 페터스 다리에서 폭행을 당했다. 며칠 뒤 우리는 몽고메리를 향해 끊임없이 행진했다. 우리가 그 다리를 건너려고 출발한 것은 인종차별로 인한 분열을 막는 가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파커 파머는 우리에게 종용한다. 우리가 민권운동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그 다리를 함께 건널 때까지 “계속 걷고, 계속 이야기하라”고.
- 존 루이스 (미美 하원의원, 마틴 루서 킹 비폭력 평화상과 자유의 대통령 메달 수상자) 
이 책은 이 순간을 위해 탄생했다. 현명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면서 실용적이기도 한 이 책에서는 모두의 위엄과 자유를 토대로 새로운 정치를 꿈꾼다.
- 테리 템페스트 윌리엄스 (환경운동가) 
마음의 습관에 대한 파커 파머의 명료한 응시는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로 시작하여, 우리의 민주주의를 거의 인식하기 어려울 만큼 마비시켜버린 분열을 돌파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선언을 제시한다. - 빌 쇼어 (우리의 힘을 나누자 재단의 설립자) 
이 책을 덮으면서 당신은 자신이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얼마나 많은 것이 당신에게 달려 있는가를 새삼 알게 될 것이다.
- 다이애나 채프먼 월시 (웰즐리 대학 명예 총장) 
이 책은 우리의 삶을 다 함께 새로 빚어내는 데 필요한 안내서다. 마음을 그리고 우리의 자아와 민주주의의 핵심을 재발견하는 것 말이다.
- 크리스타 티펫 (저널리스트, 미국 공공 미디어의 라디오 진행자) 
파커 파머는 민주주의의 열망과 인간의 영혼을 존중하는 정치를 대변하고 있다.
- 로이 카프 (미美 하원의원) 
파머는 민주적 과정의 긴장들을 창조적이고 조심스럽게 끌어안는 정치적 대화에 대한 우리 모두의 갈망을 아름답게 풀어냈다.
- 캐리 뉴커머 (사회운동가) 
당신의 정치적인 신념에 관계없이 이 책은 우리가 서로를 만나 경청하고 존중하는 데 필요한 약이다. 이는 한 장인이 완성해낸 걸작이자 어두운 모든 장소에 빛을 비추는 원천들을 드러내는 수작이다.
- 마크 네포 (『일깨움의 책』 『마음이 볼 수 있는 한』의 저자) 
정치를 외면하는 이들에게 보내는 뜨거운 초대장 - 윤기돈 (녹색연합 사무국장)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2년 03월 24일 '200자 읽기'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12년 03월 24일자
-----
저자 및 역자소개
파커 J. 파머 (Parker J. Palmer) (지은이) 

미국 고등교육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미국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는 사회운동가. 작가이자 교사, 활동가로서 그의 가르침은 교육, 의료, 종교, 법률, 자선 사업, 정치, 사회 변혁 등에서 커다란 영감을 주고 있다. UC 버클리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워싱턴 DC에서 5년 동안 공동체 조직가로 활동했으며 성인 학습자와 구도자를 위한 ‘퀘이커 삶-배움 공동체’에서 10년간 일했다. 저서로는 《가르칠 수 있는 용기》《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역설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등이 있으며 ‘용기와 회복 센터’의 창립자다.

www.couragerenewal.org 접기
최근작 :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일.창조.돌봄의 영성>,<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 … 총 73종 (모두보기)


김찬호 (옮긴이) 

사회학을 전공하고 대학에서는 문화인류학, 사회학, 교육학 등을 강의하며, 대학 바깥에서는 부모교육, 노년의 삶, 교사의 정체성, 마을만들기 등 다양한 주제로 인문학적 글쓰기와 대중 강연을 하고 있다. 《모멸감》 《눌변》 《유머니즘》 《생애의 발견》 《돈의 인문학》 등을 썼다.
최근작 : <생애。전환。학교>,<나는 오늘도 교사이고 싶다>,<유머니즘> … 총 45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당신은,오늘날 정치 문제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는가?
정치는 여전히 권력을 잡기 위한 야바위 노름뿐이라고 생각하는가?

·정치에서 마음은 늘 중요한 동력이었다!
·링컨 대통령의 재임 시절, 오바마 대통령 당선 과정에 드러난 마음과 정치의 관계는 무엇인가
·택시기사, 공무원, 의사 등 다양한 시민과의 만남을 통해 민주주의의 위기와 미래를 말하다
·미국의 건국 신화, 9·11테러, 2011년 애리조나 투손 총격 사건까지 미국 정치사를 재조명하다
·한국의 사회학자와 미국의 사회운동가가 깊은 교류 속에 만들어낸 정치 에세이

이 책은 어떻게 출간되었는가

미국 고등교육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미국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미국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고 있는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의 저작이 국내에 출간되었다. 그간 인간미 넘치는 사회를 위한 내면의 노력과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해온 저자가 이번에 준비한 테마는 정치, 마음 그리고 민주주의다(참고로 이 책의 원제는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2011이다).
특히 이번 책은 『돈의 인문학』(문학과지성사, 2011) 『생애의 발견』(인물과사상사, 2009) 『사회를 보는 논리』(문학과지성사, 2001) 등을 통해 일상의 다양한 현장을 관찰하면서, 학문적 개념과 이론을 삶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온 사회학자 김찬호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김찬호 교수는 동료들과 함께 파커 파머가 주관하는 ‘용기와 회복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뒤 파머와의 인연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파머는 이 책이 처음 구상되는 단계에서 썼던 에세이를 김찬호 교수와 공유했고, 두 사람은 여러 차례 서신을 교환하며 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처한 정치 상황을 돌아보고, 민주주의의 위기를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게 되었다. 이러한 마음 깊은 교류의 시간을 거치면서 본 책의 국내 출간이 이뤄졌다.

책 소개

우리 사회는 왜 이 모양인가!
정치적 비통함으로 다가온 사건들

1963년 11월 22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자동차 퍼레이드 중 괴한의 총격으로 사망하는 일이 벌어진다. 저자는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백인 대학원생인 자신에게 “여러 역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누군가 물었다면 아버지, 배우, 교사, 작가 그리고 뭐든 수입이 되는 일들이었다고 말했을 것이다. 시민은 그 목록에 들어가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고백한다. 그러면서 시민이 된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를 그때서야 진중하게 생각해보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2001년 9월 11일. 예순 살이 넘은 저자는 나이가 들어 찾아오는 상실감에 낙심하면서, 사회운동가인 자신에게 미국 문화와 21세기의 삶을 읽어낼 능력이 점점 사라지고 있음을 슬퍼한다. 그 순간 9·11테러는 저자에게 엄청난 충격임과 동시에 민주주의의 위기를 진단할 중요한 사건으로 다가온다. 저자는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에서 난민이 되었다는 표현으로 미국 정치의 혼돈을 설명한다. 사람들은 정부의 언사에 휩쓸려 아무런 관련 없는 한 나라와의 전쟁을 찬성하기 시작했다. 당시 한 저널에서 인용한 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인 중 50퍼센트가 “정부는 테러리즘과 싸우기 위해 법원의 허가 없이 전화나 이메일을 모니터할 권리가 있다고 믿는다”고 답할 정도였다. 이런 분위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향해 정치인들은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매국노라고 서슴지 않고 비난했다. 저자는 이를 통해 매카시의 공산주의 마녀 사냥, 민권운동에 대한 반대, 1960년대의 각종 정치적 암살, 베트남 전쟁, 워터게이트 사건, 2000년 조지 부시와 엘 고어의 대통령 선거 결과를 두고 벌어진 와해 등 미국의 혼돈과 분열을 야기했던 역사적 사건을 떠올린다.
그리고 2011년 1월 8일. 이날은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된 지 거의 50년이 되어가는 시점이다. 애리조나 주 투손의 한 슈퍼마켓 바깥에서 어떤 사람이 총을 쏴 6명을 죽이고, 14명에게 중상을 입혔다. 그들은 애리조나의 제8선거구에서 뽑힌 하원의원 가브리엘 기퍼즈가 후원하는 “당신의 동네에서 의회를”이란 행사에 참석 중이었다. 사망자 가운데는 학교에서 학생 자치위원으로 선출되어 민주주의에 대해 더 배우고자 그 행사에 왔던 9살 크리스티나 테일러 그린이 있었다. 저자는 아주 어린 나이에 참여하는 시민이 되는 길을 잘 가고 있던 한 어린이의 죽음에서 현실 정치가 자아내는 연민의 실패, 공감과 존중의 결여를 발견하고선, 케네디 대통령이 죽었을 때 느꼈던 정치적 비통함을 다시 경험했다고 진술한다.

이 시대의 정치는 ‘분노의 정치’를 넘어선 ‘비통한 자들의 정치’가 되어야 한다

미국 현대사를 수놓은 굵직한 사건들을 직접 경험해온 저자의 연륜 속에서 솟아난 오늘날 정치 상황에 대한 진단과 대안은 이러하다.

“이 시대의 정치는 비통한 자들의 정치다. 이 표현은 정치학의 분석 용어나 정치적 조직화의 전략적인 수사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인간적 온전함의 언어에서 그 표현이 나온다. 오로지 마음만이 이해할 수 있고 마음으로만 전달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 정치에도 그러한 측면이 있는데 우리 모두가 의지하는 일상생활을 잘 다듬어가려는 핵심적이고 영원한 인간적인 노력이 그것이다. 이것은 링컨이 인간적이라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향해 상한 마음을 개방해나갈 때 실행했던 정치다.”(38쪽)

오늘날 비통한 자들의 정치가 발현되어야 할 이유를 저자는 근대성에서 비롯된 마음의 상태에서 찾는다. “무심한 상대주의, 정신을 좀먹는 냉소주의, 전통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경멸, 고통과 죽음에 대한 무관심 등이 그것이다.” 저자는 여기서 분노로 비롯된 정치적 앙심을 경계한다. 이른바 ‘분노의 정치’라고 부르는 데서 오는 ‘적의 악마화’는 오늘날 정치와 민주주의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분노는 비통함이 걸치고 있는 가면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라고 지적하면서 비통한 자들의 정치는 자신의 신념을 적에게 돌처럼 던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고통을 나누는 데서 출발한다고 말한다.

링컨 대통령의 우울증 극복기에서 발견한 정치적 긴장감을 끌어안는다는 것의 중요성

이 책에서 저자가 유난히 강조하는 것은 정치적 긴장감을 끌어안는 행위다. 파머가 미국의 정치적 혼돈과 훼손된 민주주의의 가치로 우울증을 겪고 있을 때 만난 책 한 권이 있었는데, 바로 조슈아 솅크가 쓴 『링컨의 멜랑콜리』였다. 미국의 16대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의 우울증 기행을 면밀하게 파헤친 이 책에서, 저자는 링컨이 자신에게 찾아온 우울함의 어두운 내면과 현실 그리고 보다 밝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당위 사이에서 줄곧 씨름해온 과정을 인상적으로 받아들인다. 저자는 링컨의 사례를 비유로 들며, 오늘날 정치 문제를 둘러싼 현실과 당위 사이에서 정치는 자신을 곤란하게 만들 것인가, 혹은 스스로의 삶을 개선할 기회인가라는 순간의 선택 그 자체를 회피하려는 사람들의 마음을 분석한다. 그러나 파머는 사람들을 꾸짖거나 비난하려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가 정치와 시민의 관계 속에서 발견한 것은 정치가 상처에 대해 무관심하며, 이로 인해 정치에 낙담한 사람들은 점점 정치 세계에서 내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자신감을 상실하고, 내 요구를 담은 정치적 발언을 시도하면 다른 사람의 언어 공격에 의해 더 나쁜 일에 시달릴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빠졌다는 점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당선 과정에는 비통한 자들이 모여 만든 공적 서사가 있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정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 것인가. 파머는 우리의 일상에서 무척 간단하지만 용기를 필요로 하는, ‘정치적 갈등을 둘러싼 이야기하기의 공간 창조’를 제안한다. 이 공간은 정치 문제에서 이견을 가진 사람과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마음 그 자체의 가능성이자, 그 마음을 실현시킬 물리적 장소를 뜻하기도 한다. 여기서 파머의 제안이 흔한 자기계발식 치유법이 강조하는 자기 책임의 측면과 다른 것은 당면한 정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대와 협력이 개입된 공공적 프로그램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는 이 프로그램의 역사적 성공 사례를 테네시 주에 위치한 ‘하이랜더 연구와 교육 센터’의 흔들의자 모임에서 찾았다. 과거 ‘하이랜더 민족학교’라 불렸던 이곳은 인종차별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 상황과 비폭력적 사회 변화를 위한 이론, 전략, 전술을 연구하던 장소였다.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는 마틴 루서 킹과 로자 파크스는 바로 이 흔들의자 모임 출신이었으며, 파머는 이들이 추구했던 이야기하기의 노력을 조명하며, 사람들이 정치 문제에서 서로 이야기하는 행위를 안일하고 낭만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을 경계한다.
저자는 이와 유사한 사례로 2008년 오바마 캠프의 선거 전략에 나타난 ‘공적 서사’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오바마 캠프의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일환인 이것은 하버드대 교수이자 커뮤니티 조직가 마셜 간츠가 만들었다. 프로그램에서 강조하는 것은 사람들을 정치에 참여시키는 건 단순한 이익 추구가 아니라 가치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간츠는 이 가치 실현의 절차를 ‘공적인 서사’라고 불렀다. 공화당, 민주당의 양당 구도 속에서 양산되는 실망스러운 정치 행태, 갈수록 커가는 소수 세력의 부富 독점 등으로 인해 깊어가는 분열 구도 속에서 사람들은 “나 혼자만 그렇게 무기력하고, 고립되어 있고, 희망이 없다고 느끼는 것”인가라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 여기서 공적 서사 프로그램은 이런 어려운 시간을 기회로 삼아 나의 아픔을 정치적 행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함께 이야기하기의 과정을 마련한다. 저자는 물론 책에서 오바마 캠프의 이 프로그램이 오바마가 당선될 수 있던 제1의 요소라고 과신하지 않는다. 다만 이 프로그램을 통해 민주주의를 사실상 포기했고 투표도 거의 하지 않던 젊은이들과 유색인종들이 투표장으로 향했던 지점은 서로가 이야기함으로써 만들어가는 공공적 희망의 모색에 기반을 두었던 것임을 강변한다.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 보드리야르의 『아메리카』……
그 계보를 잇는 새로운 정치적 삶을 향한 신미국 기행의 시작

이 책의 장점은 미국 현대사의 굴곡을 몸소 체험한 저자의 시각과 미국 전역을 다니며 다양한 문화를 시민들의 일상에서 관찰했던 풍부한 경험담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가장 긴박한 시사 동향은 택시기사에게 물어보라는 흔한 말은 비단 우리만의 경험은 아니며 거리의 심층 관찰자로 불리는 파커 파머의 경험담에서도 접할 수 있는 대목이다(제5장 「낯선 사람들과 함께하는 삶」참고). 파커 파머는 다양한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 민주주의의 위기와 미래를 진단하며 사람들이 정치에 대해 희망을 품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기록해두었다. 이런 과정은 마치 1831년~1832년, 유럽 국가의 구태의연한 정치 체제에 회의를 느끼고 새로운 차원을 모색하던 토크빌이 미국을 여행하던 순간을 연상케 한다. 파머는 이 책에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나온 ‘마음의 습관’이라는 개념에 착안해 오늘날 상처받은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한 새로운 마음의 습관을 제안한다. 아울러 오늘날 미국 사회와 견주어 미국의 건국 신화에 숨겨진 허상을 비판하면서도, 그 신화의 근본정신에 깔려 있는 건국자와 민중의 열망에 대해 찬사하는 파머의 양가적 시선은 1970~1980년대 미국을 여행하며 그 현대성에 대한 냉소와 찬사를 동시에 표출했던 장 보드리야르의 『아메리카』를 떠올리게도 한다.

파커 파머가 한국 사회에 건네는 제언
숨 가쁜 속도로 휘몰아치는 정치 뉴스에 저항하라!
다른 의견은 민주주의의 위대한 선물이다!

“이 책에서는 민주주의를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두 가지를 기억해줄 것을 간청합니다. 첫째, 이른바 정치 뉴스를 숨 가쁜 속도로 광범위하게 보여줌으로써 결국 우리의 무력감을 자아내는 대중매체에 우리가 저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이 책에서 핵심적으로 담고 있는 두 번째 간청으로 이어집니다. 우리 국민은 많은 쟁점에서 언제나 이견을 드러내야 할 것입니다. 동의하지 않을 자유는 민주주의의 위대한 선물 가운데 하나이자, 그 위대한 힘 가운데 하나입니다.”
-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16, 17쪽)

파머는 미국 사회 내 정치, 경제, 교육, 언론, 종교 등을 전면적으로 비판하면서도 특히 7장 「근원적 민주주의를 위한 안전한 공간」에서 오늘날 대세가 되어버린 인터넷과 SNS가 정치와 맺는 관계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의 저술 과정을 공개하면서 페이스북을 통한 정치적 견해의 동의와 마찰이라는 긴장감을 주목하고, 디지털 민주주의라고 일컫는 사람들의 웹 기반 정치 담화가 갖는 한계를 지적한다. 그는 디지털 미디어 덕분에 많은 사람이 정치적 견해와 정보의 생산자가 된다는 것은 민주주의에 보탬이 되지만, 스스로 정보의 소비자로서 읽은 내용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다른 자료들과 비교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디지털 미디어는 민주주의에 전혀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 견해는 한국 사회에서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가 정치에 개입하는 가능성을 주목하기 시작한 시선에 견주어 참고할 만하다.
아울러 그는 ‘다른 의견’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특히 6장 「교실과 종교 공동체」에서는 교회 목회자를 비롯해 종교 지도자라는 권위 안에서 수직적으로 행해지는 인생의 아픔에 대한 고백 문화를 예리하게 비판한다. 파머는 교육자이자 종교 연구가로서 삶의 아픔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공개되는 교회라는 공간에서 종교 지도자의 권위에 주눅들어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세심하게 고찰한다. 이러한 과정과 더불어 취업 중심의 교실 내 학습 분위기 속에서, 진정한 인문학적 가치를 추구하는 데 필요한 주체적, 비판적 사유가 깃든 커리큘럼이 사라질까 우려한다. 이렇듯 자신의 일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일상생활의 장소들은 파머가 강조하는 이견이 접촉하는 정치적 긴장감을 끌어안는 중요한 지점이 된다.
파커 파머는 이 지점을 통해 사람들이 오늘날 정치 세계를 개선하고자 가져야 할 마음의 습관으로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을 제안한다. 여기서 “뻔뻔스러움이란 나에게 표출할 의견이 있고 그것을 발언한 권리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 그리고 “겸손함이란 내가 아는 진리가 언제나 부분적이고 전혀 진리가 아닐 수도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 두 마음의 습관을 통해 우리는 원하는 민주주의의 비전을 지금 당장 이룰 수 있을까. 확신할 수 없다. 다만 우리는 냉소주의와 이상주의라는 극한된 두 가치관 속에서 계속 유혹을 받을 것이다. 파머는 이럴수록 ‘효율적’이라는 말과 거리를 두자고 제안한다. 그의 표현을 따르자면, 민주주의는 끝없는 실험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 정치제도, 지역사회와 결사체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 지니는 강점과 약점 속에서 쉬지 않고 이뤄지는 실험이다. 그 성과는 결코 당연시될 수 없다.
우리가 그 실험실을 폭파시켜버리지 않는다면 민주주의의 실험은 끝없이 진행된다.”(43쪽)
---------------------------------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내가 남긴 글
img
정치라는 것이 모든 사람을 위한 연민과 정의의 직물을 짜는 것이라는 점을 잊어버릴 때, 우리 가운데 가장 취약한 이들이 맨 먼저 고통을 받는다. 그들이 고통을 겪을 때 우리 민주주의의 성실성도 고통을 겪는다.

인간의 마음은 민주주의의 첫 번째 집이다.
거기에서 우리는 묻는다. 우리는 공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만이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살아 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 있게, 끊임없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동료 시민을 신뢰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는가?

- 테리 템페스트 윌리엄스 <관여>


˝ 세월호 참사여파로 인한 소비위축이 올해 전체 경제 성장률의 발목을 잡을것으로 예상한다.˝

˝ 세월호가 살아나는 경기에 영향을 크게 줘서는 안되는데, 2분기 경제 성장률이 얼마나 떨어질지 걱정이다.˝

아이들이 바닷속에 있고, 온 나라가 정신적 공황에 빠져있을 때 정부와 경제 전문가는 이렇게 말한다.

비통한 사람들의 눈물이 대한민국에 흘러 넘치고 있을 때 정치는 그들을 외면했다.

고통받는 타인을 향해 마음이 열릴 때 폭력대신 생명력을 불러 일으키고, 민주주의의 인프라는 지속할 수 있다.

지금 한국사회가 고민하고 바라봐야 할 시점.

민주주의를 염려하고 절망해 본 당신에게 이 책을 권합니다

나와같다면 2018-05-04 공감 (26) 댓글 (7)
img
====

오랜 세월 이 나라에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없었다. 오직 소수의 권력자와 자본가와 지식인들을 위한 정치,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만 있었다. 그리고 4년 전 오늘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비통한 울음소리가 들릴 때마다 어떤 사람들은 시끄럽다, 그만하라 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함께 울었다. 더 이상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는 없어져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그 결과 정권이 바뀌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다시 시작되었다. 



미국의 정치학자 파커 J. 파머의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대립과 분열의 정치를 극복하고 화해와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는 방안으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를 제시한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란 쉽게 말해 '마음을 다친 사람, 상처 입은 사람을 위한 정치'다. 정치적 입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들을 화해시키고 통합하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비통함'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르기 어렵다. 사랑하는 가족을 잃었을 때, 큰 사고를 당하거나 병에 걸렸을 때, 직장에서 해고되거나 생계의 위협을 받을 때, 불합리한 차별이나 편견에 부딪힐 때, 사람은 누구나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슬픔과 아픔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런 상황에 놓인 사람을 보면 연민을 느끼고 도와주고 싶은 감정이 드는 것도 '인간이라면' 당연하다. 



문제는 인간이라면 마땅히 느껴야 할 연민이나 동정을 조금도 느끼지 못하는 몰인정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우리는 그 예를 '너무 많이' 안다). 저자는 현대인들이 타인의 슬픔이나 아픔에 공감하는 마음을 잃거나 무관심한 이유로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를 든다. 모든 것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고 그에 따라 판단하는 소비주의는, 세월호 사고로 인해 사망한 사람들의 목숨보다 사고 처리에 드는 세금이나 유족들에게 주어지는 보험금에 주목한 당시 일부 언론의 행태에 잘 드러난다. 또한 당시 정부가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에게 사과하기는커녕 유가족을 정부에 반항하는 반동분자 취급한 것은 희생양 만들기의 전형적인 예다.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가 반복되면 사람들은 자연히 정치에 대한 관심을 잃거나 정치 혐오에 빠진다. 인간관계와 시민 공동체는 금세 무너진다. 



자아와 세계의 관한 지식을 온 마음으로 붙든다면 마음은 때로 상실, 실패, 좌절, 배신, 또는 죽음 등으로 인해 부서질 것이다. 그때 당신 안에 그리고 당신 주변의 세계에 무엇이 일어나는가는 당신의 마음이 어떻게 부서지는가에 달려있다. 만일 그것이 수천 개의 조각으로 부서져 흩어진다면 결국에는 분노, 우울, 이탈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경험이 지닌 복합성과 모순을 끌어 앉을 위대한 능력으로 깨져서 열린다면, 그 결과는 새로운 삶으로 이어질 것이다. 마음은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 준다. (57쪽) 



저자는 민주주의 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는 결국 화해와 통합이며, 화해와 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서 가장 많이 눈물 흘리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결코 '그들'과 화해하거나 통합할 마음이 없지만, 그들과 화해하고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비통한 자들에 대한 연민과 공감이라는 사실에는 동의한다. 만약 그들이 지금이라도 잘못했다고, 미안하다고 사과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다고 죽은 사람들이 살아서 돌아오는 기적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살아도 사는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의 무너진 마음을 조금이나마 어루만지고 위로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월호 4주기인 오늘. 어떤 언론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정치 이용은 할 만큼 하지 않았나'라는 사설을 실었고, 어떤 정당은 추도식에 참석하는 성의조차 보이지 않았다. 이 나라에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제대로 자리 잡을 날은 아직 요원하다.

키치 2018-04-16 공감 (14) 댓글 (0)
img

큰기대없이 펼쳤다가 몇페이지를 채 넘기지않아 오랫동안 내가 읽고싶어했던 그런 종류의 책임을 알게됐다. 매일같이 처참한 뉴스들을 받아내며 일상이 휘청거리는 지금같은때, 우리에게 필요한건 결국 단련된 마음이다. 깊은 민주주의를 공부한 느낌. 우리나라에서도 시와 유머의 정치가 피어나길..

마니아 읽고 싶어요 (57) 읽고 있어요 (25) 읽었어요 (84) 
-----------------------------
평점 분포     9.2
구매자 (12)
전체 (26)
공감순 
     
큰기대없이 펼쳤다가 몇페이지를 채 넘기지않아 오랫동안 내가 읽고싶어했던 그런 종류의 책임을 알게됐다. 매일같이 처참한 뉴스들을 받아내며 일상이 휘청거리는 지금같은때, 우리에게 필요한건 결국 단련된 마음이다. 깊은 민주주의를 공부한 느낌. 우리나라에서도 시와 유머의 정치가 피어나길..  구매
농담같은오늘 2017-01-20 공감 (16) 댓글 (0)
Thanks to
 
공감
     
너무 번역이 이상하여 보는내내 힘들더군요, 저만 그런건지 의견 들어보고 싶습니다.  구매
cyh_lse 2018-04-02 공감 (10) 댓글 (2)
Thanks to
 
공감
     
한 사회가 권위주의적 통치체제로 흘러가기 시작할때 가장먼저 차단되는 장소는 공적인 삶이 영위되는 곳들이다. ...p156..
동료 시민들이(ㅎㅎㅎ) 이책을 많이들 봐줬으면 좋겠습니다.
공감가는 내용도 많고,배울점도 많습니다.생각하는 사람이 되게 하는책!!

 구매
대아재산책 2018-04-19 공감 (9) 댓글 (0)
Thanks to
 
공감
     
이번 달 독서동아리 토론도서라 구입. 작금의 개인주의와 냉소주의를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할 수 있을지를 한번이라도 고민해보았다면,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책이다.  구매
드림모노로그 2014-07-08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과거와 같이 혁명을 통해 급진적으로 세상을 바꿀 수 없는 오늘날. 우리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지켜나갈 것인지 고심한 저자의 고뇌가 느껴진다. 파편화된 개개인을 다시금 아울러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중점을 둔다. 진부한 이야기지만 매우 설득력있게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구매
책수집가 2016-03-29 공감 (8) 댓글 (0)
Thanks to

===

삶으로서의 민주주의

권위주의적 통치체제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체포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 한 사람들은 길거리에 모일 수 없습니다. 결사적인 삶은 권력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공적인 삶이 영위되는 곳은 차단됩니다. 진짜 목소리를 내는 시위는 불법으로 선언되고 강제로 종식되며, 그들이 쫓겨난 무대는 엉터리 정치 집회로 채워집니다. 그러나 구성원 모두가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색을 사용하라고 명령하는 흑백사회를 거부하고, 총천연색 사회를 만들고자 한 사람들은 언제나 어느곳에서나 존재했습니다. 우리 땅에서 일어났었던 6월 항쟁 역시 그 중 하나였을 것입니다. 항쟁의 순간, 비통해하는 사람들 속에 분명히 민주주의는 존재했고, 그래서 우리는 민주화 운동이라고 부릅니다.

민주화 운동이 만들어낸 87년 체제로 인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지만, 중요한 것은 이름이 아닙니다. 민주주의가 절차적 수준에서 제도화되었지만, 그것이 권위주의적 유산의 청산을 의미하는 것은, 또한 영구한 민주주의 사회임을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파커 J. 파머는 민주주의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무엇이 아니라, 우리가 해야 할 무엇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민주주의 국가임을 자처하면서 민주주의적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이름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북한과 다를 바 없습니다. 피터 버거의 말처럼, 모든 상대주의에는 절대의 재래를 기다리는 광신이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불편합니다. 사람들 간에 긴장을 불러일으키도록 의도된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민주주의는 낯선 자와 만나고, 자신과 다른 의견에 대립하라고 말합니다. 자신이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믿음이 허물어지는것을 지켜봐야 합니다. 남들 눈에 교만하고 이기적으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런 긴장관계는 분명한 스트레스의 일종입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긴장을 버티지 못하고, 에리히 프롬의 말처럼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전문가들, 권위자의 말을 맹신하고, 복종함으로서 자유를 포기하는 대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많은 유명 인사들, 정치인들과 관리들은 사람들이 가진 민주주의에 대한 두려움을 이용합니다. 그들은 타자에 대한 두려음을 조장하고, 절대적 가치를 외치며 자신의 부와 권력을 획득합니다.


의심이 없는 한 민주주의도 없다. 절대적인 진리가 모든 형태의 전제정치의 핵심인 것처럼. 제도적 저항, 다당제, 대안 세력, 민주정치 체제의 핵심에 의심이 없다면 무엇이 있겠는가? 의심이 최종적이고 절대적으로 침묵한다면, 민주주의 그 자체가 종말에 이를 것이다. 더 이상 논쟁할 것이 아무것도 없는데 민주주의가 뭐가 필요한가? -《의심에 대한 옹호》p.170

그러나 우리는 민주주의를 포기할 수는 없습니다. 피터 린더트는 독재적 방식은 일시적으로는 효율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많은 부작용을 낳으며, 민주주의는 단기적으로는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훨씬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역사적으로 증명되었다고 지적한바 있습니다. 동의하지 않는 시민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가피한 긴장을 창조적인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 민주주의가 가진 특별함입니다. 절대 권력자가 모든것을 진두지휘하며 명료하게 계획하는 것보다, 국회의원끼리 대립하고, 정부부처간에 견제하는 긴장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발전이야말로 아마르티아 센이 말한 진정한 발전, 자유로서의 발전입니다.

달리지 않는 자전거는 옆으로 넘어지는 것처럼, 민주주의 역시 계속 행동함으로서 유지됩니다. 민주주의는 헌법이 있다고 해서 생기는 것도,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단순히 선출직 공무원을 통해 국가를 운영하는것만으로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파커 J. 파머는 민주주의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선 마음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 마음은 자아의 핵심이며, 근원적인 앎의 방식들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가장 핵심적 층위에서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긴장과 불확실성을 끌어안음으로서 민주주의적 행동을 습관으로 발현하는 시민은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 비통함을 느낄 수 있고, 정치로서의 민주주의를 이끌거나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으로 정치를 바라보면 우리는 그것을 전진하고 대항하는 체스 게임, 권력을 잡기 위한 야바위 노름, 서로 비난만 해대는 두더지 잡기 게임으로 보는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제대로 이해한다면 정치는 절대로 게임이 아니다. 그것은 공동체를 창조하기 위한 오래되고 고귀한 인간적인 노력이다. - p.41

민주주의적 마음의 습관을 지닌 시민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교실, 직장 또는 다른 자발적 결사체를 통해 교육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가정에서, 학교에서, 성인이 된 이후에 다양한 단체를 통해 민주주의적 가치, 갈등과 불확실성을 교육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아이는 부모의 권위에 저항하지 못합니다. 학교에서 학생은 선생의 권위에 의견을 내지 못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른들이 구성한 사소한 문제 이외의 사안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 능력이 없는 듯 취급됩니다. 대학생들은 충실한 정보로 가득 찬 민주적 가치에 관한 과목을 수강할 수는 있지만, 교사가 그 정보를 받아쓰게 하고 학생들이 그것을 달달 외워 시험에 적도록 한다면, 그들은 민주적인 가치를 배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독재의 추종자로 살아남는 것을 배우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를 성장시킨 교육은 우리를 사회의 배우가 아니라 관객의 일원으로 취급하며, 그 결과 어른이 되어서도 정치를 그저 관람할 뿐입니다.

손을 들어 질문하는것조차 꺼리는 사회에서, 갈등관계를 유발해 차이를 토론하고, 유머를 활용하고, 갈등을 타협할 수 있는 시민을 만들어내는 것을 바랄 수 없습니다. 낯선 자들과 함께하는 경험을 얻지 못한다면, 언제까지고 타자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일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행동해야 합니다. 거리에서, 술집에서, 광장에서 낯선 사람들이 모여 타자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사회적 연대감을 높이고, 공공적 책임을 외치는 것은 민주주의적 행동이며, 민주주의의 회복입니다. 국가의 펀더멘털은 단순히 엄청난 양의 금괴나 외환보유량만으로 평가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돈을 쌓고 계속해서 신제품을 생산하더라도, 그것은 확실한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파커 J. 파머는 가장 든든하고 확실한 국가의 자산은, 정부의 의견에 반발하고, 다른 사람과 의견 갈등을 벌이며, 불공정과 우둔함을 절대로 방관하지 않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실현하는 시민에 있다고 말합니다.

- 접기
착선 2016-03-04 공감(22) 댓글(0)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울음 소리가 그치는 날까지 

오랜 세월 이 나라에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없었다. 오직 소수의 권력자와 자본가와 지식인들을 위한 정치,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만 있었다. 그리고 4년 전 오늘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비통한 울음소리가 들릴 때마다 어떤 사람들은 시끄럽다, 그만하라 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함께 울었다. 더 이상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는 없어져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그 결과 정권이 바뀌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다시 시작되었다. 



미국의 정치학자 파커 J. 파머의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대립과 분열의 정치를 극복하고 화해와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는 방안으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를 제시한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란 쉽게 말해 '마음을 다친 사람, 상처 입은 사람을 위한 정치'다. 정치적 입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들을 화해시키고 통합하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비통함'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르기 어렵다. 사랑하는 가족을 잃었을 때, 큰 사고를 당하거나 병에 걸렸을 때, 직장에서 해고되거나 생계의 위협을 받을 때, 불합리한 차별이나 편견에 부딪힐 때, 사람은 누구나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슬픔과 아픔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런 상황에 놓인 사람을 보면 연민을 느끼고 도와주고 싶은 감정이 드는 것도 '인간이라면' 당연하다. 



문제는 인간이라면 마땅히 느껴야 할 연민이나 동정을 조금도 느끼지 못하는 몰인정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우리는 그 예를 '너무 많이' 안다). 저자는 현대인들이 타인의 슬픔이나 아픔에 공감하는 마음을 잃거나 무관심한 이유로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를 든다. 모든 것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고 그에 따라 판단하는 소비주의는, 세월호 사고로 인해 사망한 사람들의 목숨보다 사고 처리에 드는 세금이나 유족들에게 주어지는 보험금에 주목한 당시 일부 언론의 행태에 잘 드러난다. 또한 당시 정부가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에게 사과하기는커녕 유가족을 정부에 반항하는 반동분자 취급한 것은 희생양 만들기의 전형적인 예다.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가 반복되면 사람들은 자연히 정치에 대한 관심을 잃거나 정치 혐오에 빠진다. 인간관계와 시민 공동체는 금세 무너진다. 



자아와 세계의 관한 지식을 온 마음으로 붙든다면 마음은 때로 상실, 실패, 좌절, 배신, 또는 죽음 등으로 인해 부서질 것이다. 그때 당신 안에 그리고 당신 주변의 세계에 무엇이 일어나는가는 당신의 마음이 어떻게 부서지는가에 달려있다. 만일 그것이 수천 개의 조각으로 부서져 흩어진다면 결국에는 분노, 우울, 이탈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경험이 지닌 복합성과 모순을 끌어 앉을 위대한 능력으로 깨져서 열린다면, 그 결과는 새로운 삶으로 이어질 것이다. 마음은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 준다. (57쪽) 



저자는 민주주의 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는 결국 화해와 통합이며, 화해와 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서 가장 많이 눈물 흘리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결코 '그들'과 화해하거나 통합할 마음이 없지만, 그들과 화해하고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비통한 자들에 대한 연민과 공감이라는 사실에는 동의한다. 만약 그들이 지금이라도 잘못했다고, 미안하다고 사과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다고 죽은 사람들이 살아서 돌아오는 기적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살아도 사는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의 무너진 마음을 조금이나마 어루만지고 위로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월호 4주기인 오늘. 어떤 언론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정치 이용은 할 만큼 하지 않았나'라는 사설을 실었고, 어떤 정당은 추도식에 참석하는 성의조차 보이지 않았다. 이 나라에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제대로 자리 잡을 날은 아직 요원하다.

- 접기
키치 2018-04-16 공감(14) 댓글(0)
===
     
우리의 봄은 어디메쯤 오고 있는 것인가

 2012년 레지스탕스였던 스테판 에셀은 《분노하라》에서 민주주의의 최대의 적은 무관심이며 이 무관심의 표현 자체는 인간을 이루는 기본 요소를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 분노하라' 한 단어가 그토록 강렬한 것인지 그때 처음 알았었다.   분노의 표출은 참여로만 증명될 수 있다고 하였던가. 그때 그 책을 읽었을 때만 해도 비장한 결의를 다지며 주먹을 불끈쥐고는 했으나  세월이 흘러가면서 감동은 시간의 썰물에 휩쓸려가 버렸다. 정치란 것이 그런 것 같다. 울분이 쌓이다가도 먹고 사는 일에 잠시 잊고 살아도 괜찮다는 변명을 하게 되는 것.

 

작년 고인이 되신 노장 스테판 에셀보다는 젊은 편에 속하지만, 지혜와 연륜이 바탕이 된 정치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책이다. 미국 현대사를 수놓았던 굵직한 사건들을 온 몸으로 겪었던 사회운동가이자 교육학자인 파머의 아홉번째 책으로 행간에 뿌려져 있는 '민주주의'의 통찰은 온몸에 전율을 느끼게 할만큼 강렬하다.  

 

이 시대의 정치는 ‘분노의 정치’를 넘어선 ‘비통한 자들의 정치’가 되어야 한다.

 

스테판 에셀은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분노하라’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파커J.파머는 ‘비통하라’라는 주문을 한다. 이 비통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시대의 정치는 비통한 자 the brokenhearted [직역을 하자면 마음이 부서진 자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의 정치다. 이 표현은 정치학의 분석 용어나 정치적 조직화의 전략적인 수사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인간적 온전함의 언어에서 그 표현이 나온다. 오로지 마음만이 이해할 수 있고 마음으로만 전달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
마음이 부서진 자, 저자는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분노' 의 단계를 넘어서 현 민주주의가 잃어가고 있는 '공화'라는 개념의 민주주의의 회복이 바로 이 '비통'이라는 마음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의 물결로 위협당하고 있는 개인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합리성과 덕성은 민주주의를 이루는 핵심개념이다.  '무한경쟁의 논리'를 표방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광풍은 자본의 비호아래 빈부 간의 극심한 격차를 가져왔다.  민주주의는 긴장을 끌어안기 위한 제도이다.  저자는 신자유주의가 표방하고 있는 '소비주의'와 민주주의의 거짓 치료제 역할을 하고 있는 '희생양만들기'를 경계하라한다. 이 두가지를 경계하며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마음의 역동을 다룰 줄 아는 건강한 자아를 지니라고 한다. 이러한  건강한 자아를 지닐 수 있는 근원은 우리 사회를 '비통한'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주어진다. 

 

 저자가 건강한 자아를 위해 권하는 다섯 가지 습관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는 이 안에서 모두 함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 우리는 다름의 가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3, 우리는 생명을 북돋는 방식으로 긴장을 끌어안는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

4, 우리는 개인적인 견해와 주체성에 대한 의식을 가져야 한다.

5, 우리는 공동체를 창조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 때 민주주의가 지닌 기본이념을 향한 노력은 공론의 장이 될 수 있다. 조용한 논쟁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모순과 갈등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바로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파머는 이 지점을 통해 사람들이 오늘날 정치 세계를 개선하고자 가져야 할 마음의 습관으로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을 제안한다. 나에게 표출할 의견이 있고 그것을 발언한 권리가 있음을 아는 것이 뻔뻔스러움이고 내가 아는 진리가 언제나 부분적이고 전혀 진리가 아닐 수도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은 겸손함이다. 이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은 '찢어진 민주주의의 직물을 다시 짜기 위한' 마음이다. 깨어있는 시민의 참 뜻은 바로 이렇게 자신의 견해와 생각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과 함께하는 공화주의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무심한 상대주의, 정신을 좀먹는 냉소주의, 전통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경멸, 고통과 죽음에 대한 무관심, 자신과 의견이 다르면 배척과 따돌림을 불사하지 않는 극단주의자들이 넘쳐나고 있는 현실의 정치문화에서 말할 수 없는 비통함을 느끼고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보길 권한다. 비통함의 틈새에서 발견하는 희망이란 , 비록 작을지라도 그 작은 힘이 역사의 물레방아를 돌리는 힘이라는 것을 믿게 된다. 세상의 중심에는 쓰이지 않는 역사가 있다. 그리고 그 쓰이지 않는 역사는 작은 냇물이 모여서 만드는 강물처럼 유구하다.

 

정치가 해야 할 일은 자연의 위대한 원리처럼, 사회의 가장 낮고 그늘진 곳, 빼앗기고 궁핍한 곳, 내팽개쳐지고 억눌리고 무시된 곳에 소생과 부활의 봄을 가져다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도정일 교수의 말은 그래서 더 둔중한 울림으로 남는다. 우리의 봄은 어디메쯤 오고 있는 것인가.  

 

우리는 공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으로써가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살아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있게, 끊임없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동료 시민을 신뢰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는가?

- 접기
드림모노로그 2014-09-11 공감(9) 댓글(0)
====
     
'비극적 간극'을 견디며 살아간다는 것

우리는 공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으로써가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의견보다는 관심을 줄 수 있는가? 살아 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 있게, 끊임없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동료 시민을 신뢰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는가?
                                                                             

본문 3장 ‘정치의 마음’에서


연일 통합진보당 사태가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통상적 의미에서 진보의 가치는 정치적 도덕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편에서 세상의 프레임을 보다 민주적이고 정의롭게 조정해나가는 데 있다. 따라서 반칙을 일삼는 개인 혹은 집단이 더 많은 이익을 얻는다는 우리 사회의 굳어진 속물적 통념을 깨뜨리고, 부정과 비리를 비판하고 고발할 때 진보세력은 존재 의미를 획득한다. 거기에 더해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구조가 진보세력의 활동을 장악하고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인 바람 내지는 믿음이 있다. 한국 정치사가 보여준 구태를 벗어던지기 희망하는 것이다. 통합진보당 사태가 모든 이들에게 충격을 안겨준 것은 바로 이러한 상식적 수준의 진보에 대한 믿음을 산산조각 냈기 때문이다. 독점적 세력의 권력 장악이라든가 선거조작과 그에 대한 진상조사를 저지하려는 폭력행사 등은 우리가 그간 질리도록 경험한 천박한 불의함 아니던가.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이러한 정치적 사태에 ‘비통함을 느끼는(heartbroken)’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영감을 준다. 일종의 정치학적 멘토라고 하면 적당할지 모르겠다. 대부분의 정치학이 사회적 구조와 작동원리를 설명하면서 민주주의라는 목표에 도달할 이론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면 이 책은 그와는 정반대에서 시작한다. 바로 인간의 마음(가짐)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언뜻 김홍중의 『마음의 사회학』(문학동네, 2009)이 떠오르기도 한다. 김홍중이 80년대 한국을 경험한 ‘살아남은 자의 슬픔’에서 논의를 시작한다면, 이 책은 9․11테러 사건 이후 벌어진 미국의 패권적 정치에 대한 통탄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데, 두 책 모두 정치가 야기한 대중의 우울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무엇이 우리를 비통하게 하는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가. 이 책은 ‘완전한 민주주의’라는 목표달성에서 그 해법을 찾기보다는 그것을 이뤄가려는 과정에서 실마리를 풀어간다.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한 평화라든가 민주주의는 환상이며 오히려 그것을 성취하는 과정에서의 긴장과 저항을 어떻게 풀어가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그 정치적 긴장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비폭력주의를 제시한다는 점이다. 정치행위의 과정이자 목표라고도 할 수 있는 비폭력주의는 어찌 보면 가장 지독한 방법론이다. 위에 인용한 것처럼 다른 입장을 가진 정치세력과의 투쟁에서 어떤 시련을 겪더라도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나 맞설 수 있어야 하나 그것은 방어적 폭력마저 허용하지 않기에 집요하고 무섭다. 비폭력주의가 근본주의적 종교의 색채를 띠기도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민주주의를 향한 싸움에서의 일상적 집요함을 요구한다고 하겠는데, 이 책이 말하는 것처럼 그러하기에 민주주의가 위대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것이 항시적으로 “비극적 간극”(298쪽)을 견뎌야 하는 것이라면 더욱더 그렇다. 이 책에 따르면 희망은 유토피아 속에 있는 것이 아닌 듯하다. 오히려 비참함을 찢고 일어서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이 희망 같다. 마찬가지로 정치가든 시민이든 참담한 정치적 현실을 딛고 다시 공동선을 향해 움직이려 할 때 우울한 무력감은 극복될 수 있지 않을까. 무한하게 반복되는 비극을 상수로서 받아들여야 하지만 희망 역시 여전히, 상수가 아닐까.
2012. 5. 31 작성


- 접기
꿀 2014-04-29 공감(7) 댓글(0)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민주주의를 위한 기초 체력 기르기

국민들의 반대 여론에도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강행되고 있고, 대선 때의 공약 중 지켜진 것은 거의 없다. 시위나 서명 운동에 참여하면서 목소리를 내어 봐도 국정에는 전혀 반영되는 것 같지 않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무엇을 한다 해도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민주주의가 힘을 잃어가는 지금의 상황 앞에서 우리는 비통해질 수밖에 없다.

미국의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의 저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이 시대의 정치가 ‘비통한 자들의 정치’라고 이야기한다. 지금 한국의 정치 상황이 우리를 비통하게 하는 것처럼, 민주주의 정신은 쇠퇴하고 국민들이나 정치인들이나 사사로운 이익에 골몰하는 미국의 정치 상황은 파머를 비통하게 한다. 지금의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어느 시대, 어느 곳에나 현실과 가능성 사이에는 절대 좁혀지지 않는 간극이 존재한다. 그 비극적 간극 앞에서 우리는 ‘비통한 자들’이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저자는 우리가 비통한 자가 될 때, 우리 자신과 세상의 고통을 끌어안으면서 마음을 열게 된다고 말한다. 그는 비통함으로 인해 열린 마음들 안에서 병든 민주주의를 치유할 잠재력을 발견한다. 저자는 병든 민주주의를 치유하기 위해 민주주의에서의 마음의 역할로 눈을 돌린 것이다.

마음은 정치와는 상관없는,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저자는 민주주의에서의 마음의 역할에 주목했을까?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고, 서로의 차이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나치가 유대인이라는 희생양을 통해 독일 사회 안의 긴장을 종식시켰던 것처럼 강제로 긴장을 종식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긴장을 종식시키기 위한 제도가 아니라 긴장을 끌어안기 위한 제도이다. 민주주의는 긴장을 끌어안고 그 안에서 서로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며, 끊임없이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간다. 그렇기에 비통함으로 인해 열린 마음으로, 긴장을 창조적으로 끌어안는 마음의 습관이 민주주의의 토대를 재건할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가 말하는 마음의 습관은 개인의 내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우리에게 자신만의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 나아오라고 이야기한다. 거리나 지역 공동체 같은 공적인 영역으로 나와,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과 긴장을 넘어 타인과 만나고 대화할 때 우리는 다양성과 활력을 얻을 수 있다. 교실이나 종교 공동체처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공동체에서도 마음의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공동체에서는 교사나 종교 지도자 같은 전문가나 지도자에게 의사결정을 맡기고 의존하기 쉽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느리더라도, 의사 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긴장들을 견뎌내면서 합의를 추진한다면, 생각지 못한 훌륭한 해결책과 깊은 연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내면을 이야기하는 것에 따르는 긴장을 끌어안고 내면적 성찰을 공동체에서 공유할 때, 그 성찰은 더 심화되고 힘을 얻어 사회 변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음의 습관들을 통해 이루어낸 정치적 실천이 ‘비통한 자들의 정치’인 것이다.

이 책이 말하는 ‘마음의 습관’이 지금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는 거대하고 복잡한 문제들에 비해 작은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정치 문제가 너무 거대하고 복잡하며 우리와 동떨어진 것이라고 생각될 때 우리가 위축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우리의 생활 가까이에 있는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큰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마음의 습관’이 우리가 당면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에서 벗어나 민주주의를 위한 기초 체력을 회복하려 할 때, ‘마음의 습관’은 좋은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 ‘마음의 습관’이 변화를 일으키기에는 너무 사소한 것이라고 생각될 때, 우리는 저자가 인용했던 미국의 역사학자 하워드 진의 말을 다시 떠올려 볼 수 있다.

정의를 위한 (모든) 투쟁의 핵심 요소는 잠깐 동안만이라도, 두려움에 휩싸여 있는 동안이라도 한 걸음 나서면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고 비영웅적인 행동들이 불쏘시개로 쌓여나가다가 어떤 놀라운 상황에서 격렬한 변화로 점화될 수 있다.(p. 64.)

정의를 위한 (모든) 투쟁의 핵심 요소는 잠깐 동안만이라도, 두려움에 휩싸여 있는 동안이라도 한 걸음 나서면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고 비영웅적인 행동들이 불쏘시개로 쌓여나가다가 어떤 놀라운 상황에서 격렬한 변화로 점화될 수 있다.(p. 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