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23

Silver Wattle Quaker Centre | “Braiding Sweetgrass” by Robin Wall Kimmerer

Silver Wattle Quaker Centre group | Facebook

For those who have not read “Braiding Sweetgrass” by Robin Wall Kimmerer can I recommend you who haven’t, give it a read. Robin is a Potawatomi woman from the Great Lakes area of the United States. The book deals with our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how so very much apart of nature we are. I personally have had a great love for nature from the earliest age as I’m sure many of you have. She points out that European culture has often neglected this relationship we have with nature, at least in the past 300 years or so. Our relationship with nature is built on what we can get out of the land, such as ownership or benefit from its assets in what ever form it takes. Instead of being caretakers we are often only interested in sucking the very life out of the earth which gives us all we need to live. I feel the indigenous world view is often the best way to see the earth if we really want to understand it on a personal level. In my family we were adopted into a Lakota and Apache family a number of decades back and within my own dna I have Ojibwa (Chippewa) ancestors, even though it is a fair way back. So the indigenous world view has been dear to my spirit since I was young. The book is a wonderful read, not “preachy” in any way and very much a thought provoking read. I often feel that within scripture, in Genesis where it says we have “dominion” over the earth, it was an unfortunate translation of what I personally feel could have been better rendered as “caretakers” of the earth. In truth it may not translate as that but it certainly would have been a whole lot better if it did! Dominion certainly has opened the flood gates to give us free reign to use it how we want, giving little thought to the consequences. I hope you all may have the chance to read this book.



10
Catherine Heywood, Peri Coleman and 8 others
11 comments
Seen by 92
Like
Comment
Send

11 comments

Most recent


Marsha Bogolin Humility and Authority

The Great Cosmic Story: Humility and Authority

The Great Cosmic Story
Spiritual Legacy of Uranda and Martin Cecil

JULY 20, 2020

Humility and Authority




Marsha Bogolin
July 12, 2020 Seoul, South Korea


A few months ago one friend overseas recommended we offer a service on humility. After Yujin’s last service on the secret of alignment, it seemed time for it. Actually it’s a topic I’ve wanted to consider for a very long time because I think the quality of humility is essential to humanity’s victory. My topic is actually Humility and Authority, because when we’re truly in alignment, they are inseparable.

When this friend recommended we consider humility, I realized it might be months till that was possible. So I thought, “I should send this person a transcript I remember well, titled Humility and Authority.” But I didn’t. Last week to my surprise I searched every index I know and did not find anything with that title. I read Uranda’s and Martin’s transcripts with similar titles, but they weren’t what I was looking for. I had such a vivid memory of this title, Humility and Authority so I kept searching. You know what I finally found? A letter Yujin wrote in 1997 on this topic. Here are a few highlights from it:

“The spirit of truth and of this program is really one of ‘authority through inner yieldedness.’ Where I have observed the finest examples of spiritual leadership, there was always simultaneously the attitude of deepest yieldedness: I of my human self can do nothing.”

At that time many were feeling the vacuum left by the death of the Emissaries’ second leader, Martin Exeter, nearly ten years before. Yujin was addressing a trend emerging then, and his letter continued:

“It is true that the false humility of remaining forever in a dependent and adoring mode must pass away if there are to be spiritual adults. AND I observe that such adulthood is obedient, tender and yielded in the finest inner way. I remember when I was a teenager, aspiring to athletic perfection and championship, that my mother, Il Sun, told me an old Korean proverb: ‘When the wheat stalk is young, it stands tall and proud. When it is rich with grain and mature, it naturally bows and is humble.’ It is interesting that she did not discourage the young aspiration but guided it to greater perspective and humility.”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takes far more than just intellectually comprehending the Laws of Being. That’s included, but it’s not enough. I’ve known some people who read the entire eighteen volumes of the Third Sacred School. There are about 400 pages in each. These are core materials of the Emissaries’ teaching, in which the Art of Living School is rooted. Some even read all of these three times, but from their actions it was obvious they didn’t really understand. There’s a very large difference between mentally grasping something and integrated understanding through many experiences of seeing how things play out.

One way I learned the inseparable nature of humility and authority was through my mentor Tom. Just two years after I met him something happened where his trust and humility taught me so much. One of the young men who became interested in the Emissaries because of Tom had gone to an Emissary seminar in another state. While he was there, an Emissary server expressed privately to him criticism of Tom. So when he returned to our small center, he no longer trusted Tom and actually left in the middle of the night without saying anything. He never came back. I happened to be in love with this young man, so I took a keen interest in this. After a while, Tom felt it wise to address this pattern of servers criticizing each other. So he wrote a letter to the four leaders recently appointed under Martin to help reduce Martin’s workload. Tom didn’t hear from any of those leaders, but some weeks later, he received a letter from Martin. In essence, Martin strongly rebuked Tom for writing about this to those four leaders, instead of handling it in a different way. What really touched me was: Tom did not have to show me that letter. I had only known him two years. But not only did he show me Martin’s letter rebuking him, he showed me his reply to Martin, which in essence was: “I bow to your larger wisdom, and I will always love you.” To me that was a wonderful example of true humility, and through it Tom lost no authority in my eyes. It actually evoked much deeper trust in me.


Something else Tom taught me was about choosing wisely. He said: “We should always realize if we knew just one more thing, we might do the exact opposite.” That implies we should frequently check whether we’re seeing things accurately. It’s not: develop an idea and refuse to look at it any other way. But continually listen to Spirit’s guidance. Through continuous attunement with Heaven we sense whether we’re in alignment. An important part of that is checking if we’re expressing true spirit, true character. If not, we adjust. That is humility, meekness. Meekness means teachable.

That’s a very different way of functioning than most people’s habits. So it takes time to retrain our minds and hearts to a new way of function. In brief, being guided by Spirit versus heart and mind. But obviously it is through heart and mind that Spirit’s guidance comes. So we must develop discernment of whether impulses are from Spirit or from externals: circumstance, reactions, habits, desires, crystallized thinking.

Another time I learned that humility and authority are inseparable when we are truly aligned was in February, 1996. It was the second day of a four-day advanced aession Yujin and I created and facilitated. We worked many months to bring this event together. At the end of the second day, we felt we had done our best. But some of the twenty people attending expressed quite a rebellious attitude and tended to dominate the atmosphere. So we felt we had failed. In deep sadness, Yujin and I went to the Little Chapel (the most sacred place on Sunrise Ranch). In front of the altar in that tiny Temple, in essence we said: “We tried, Lord, but we failed.” We acknowledged and accepted our failure, walked across the field and went home to sleep. You know what happened then? The next morning at the Sunday service with about a hundred people, there were several speakers and Yujin spoke last. With no previous preparation, what he said was so genuine and deep, it penetrated most people’s hearts, which had hardened in many in their youthful arrogance. The passionate response stirred in that service opened a new cycle: our next series of advanced sessions for long-term Emissaries. Over the next two years, we led twelve of them on three continents plus in Hawaii. They stimulated a deeper alignment. All that started with those moments in the Little Chapel, when we acknowledged our failure in humility. That humility opened a channel for a much deeper tone to sound through Yujin in that service, and it initiated a path to victory.

What develops true humility in people? Probably several things. But I think owning one’s own failures is among the most important, i.e. to honestly acknowledge “I failed.” Those who hesitate to admit failure don’t really learn from their mistakes. Those who find it easy to acknowledge their failures learn quickly, and usually people find them more trustworthy. One of the reasons why I love Yujin so much is how easily he acknowledges his mistakes. I’ve noticed it’s those with the deepest understanding who are the most humble. The more you know, the more you know you don’t know.

Uranda and Martin spoke many times about failures of the past. For example, the failure that ended the First Sacred School, the First Wave of Awakening, as we call it in Korea. That was Heaven’s first movement to restore humanity to its True Identity. It unfolded through the lives of many people for over a thousand years. Imagine! All that effort, the great leaders: Abraham, Sarah, Isaac, Jacob, Rachel, Joseph, Moses, Joshua, Ruth and Naomi, Samuel, David, and Solomon—just to name a few. The challenges they faced, their victories. All that was building over a thousand years toward an important breakthrough for humanity, but it ended when true alignment was lost. There’s a wealth of vital understanding in the Emissaries on this important history, but we’ve taught almost nothing of this in Korea. Maybe the door will open for that.





If we don’t look honestly at failures, we cannot learn from them. That was Uranda and Martin’s attitude, not just reviewing and learning from large historical cycles of failure, but very small ones too. Small ones within the Emissary program, and in the choices of people. Their teaching about these failures helped us understand why things had not worked, so we could learn from previous failures. So we could be forewarned and prepared ourselves for victory instead of failure.

A classic question may be rising in your mind: “If such great men and women as these failed, what hope of victory is there for us?” Actually there’s a lot of possibility for our victory, because we can learn from the record of their experiences. As Uranda pointed out, we have the advantage of an antecedent. We can learn from their efforts, from how their choices worked or failed. More than any other time in history, such knowledge is available to help us learn and prepare for victory.

There have been failures within the current cycle of collective awakening. But does that mean victory is no longer possible? Not at all! Likely it will be different than Plan A. We’re probably at least on Plan K by now. Every person on this planet influences whether mankind will have victory or not. In very simple terms, through their living do they choose love or fear?

What point is there for humanity to survive if mankind does not learn humility? If mankind continues to plunder the earth and people for its own greed? You’ve probably seen movies portraying the kind of future mankind’s current values would produce. A world dominated by human arrogance, cruel, ugly and loveless. Horrible!

The quality of humility is so important it’s engraved into the Garden of Eden story. Our tiny human minds are not capable of judging good and evil. No matter how right we may think we are, we don’t really know if our view aligns with the larger outworking God is unfolding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So we must be humbly yielded to God’s guidance constantly. We stand in humility before God, the greater wisdom of God.


We can acknowledge failure without shame. It’s only when we’re not in True Identity that we’re reluctant to admit failure. In True Identity it’s no big deal. It’s just another opportunity for our human identity to learn and more fully integrate with Divine Identity. Earlier I mentioned meekness means teachable. Here’s something from Uranda on this:

“Man has interpreted meekness as weakness, but only the strong can be humble. Look at a weak person and you will never find humility. The weak person is afraid to be humble. He may manufacture an imitation of humility, but it will not be the genuine article. Only the strong ever dare to be humble.”

When we are truly aligned, humility and authority are inseparable. Here is something more from Uranda before I close:

“Moses was said to be the meekest man that ever lived, and yet he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forceful leaders the world has known. ‘Blessed are the meek’ who are so humble before God, so responsive to God, so completely fulfilling the Law by loving God, that the power of God works through them, giving them more force and power than human beings can possibly engender in any self-active expression. And what will happen?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That describes the channel Yujin spoke about last week, the channel that opens when we’re 100% aligned. The channel for God to act through us. The very cells of this planet resonate with that, respond to that. That’s how we inherit the earth. It comes home through us when we are truly aligned in humility and authority.

After several comments





Yujin Pak — I want to say something. Marsha, thank you so much for this service. It was truly beautiful and important in this larger cycle. When I was twenty-nine years old, in 1984, that was the first time I spoke and shared in a service with Martin, and the content and the theme of my service was passionate humility. I think it was that alignment, the drawing of that line in humility with Martin that lead to, twelve years later, continuing in the place of deepest humility, to take the next steps. For power to move through us, this is the decisive factor. Even if it seems like all has failed, and it seems like there is no way through, as we abide in that passionate humility, God will show the way. And this is what happened with Moses as he stood in front of the Red Sea, and it seemed like in fact all had failed at that time, that this would be the end. But he held true. So thank you for bringing this fundamental truth, refocalizing this in our midst.

Marsha Bogolin — Thank you. Only the strong ever dare to be humble. We are so intimately connected with all of mankind. What is shifting in us, to become truly aligned, immediately is felt by, and affects, all of humanity. So thank you all for your part in this important work.

YouTube Video


Marsha Bogolin: mbogolin@gmail.com
Yujin Pak: yujinpak@gmail.com


youtube.com/channel/UCKtqCa7xmBNbFDNnlaLdqHg
facebook.com/aolschool
aolschool.org/index.php






Yujin, Marsha and Shieun

What to Expect at a Quaker Memorial Service - QuakerSpeak

What to Expect at a Quaker Memorial Service - QuakerSpeak

What to Expect at a Quaker Memorial Service

For some people, attending a memorial service may be their first time worshiping with Quakers; for those who have joined a meeting later in life, their first time honoring a deceased Friend can be a powerful experience. But what exactly happens at a Quaker memorial—and how does it differ from funeral rites in other spiritual traditions? We spoke with several Friends who discussed the comfort they found in celebrating the life of a loved one while remaining open to the grief of their passing.

“One of the things that I would say that is very, very distinctive is the silence and reflection,” says Debbie B. Ramsey. Ample time is given not just for the family of the deceased to reflect and, if so led, share their memories, but for all in attendance. “In doing so, we become one in the departure of the person that the memorial is for.”

.

Yipyo Hong 故 유동식 선생님을 그리워하며...221021

Facebook
dtresnpooS921itt3 rtui37:oca8t1lag 0a712m b2f7e1g0554Oh012tt 

Yipyo Hong

故 유동식 선생님을 그리워하며...

소금(素琴) 유동식(柳東植, 1922-2022) 선생님께서 만 100세를 사신 끝에 우리 곁을 떠나셨다. <감신학보>("복음의 토착화와 한국에서의 선교적 과제", 1962), <기독교사상>("기독교의 토착화에 대한 이해", 1963)의 두 글을 통해 한국 신학계에 토착화 신학 논쟁을 촉발시키신 분이다. '무교'(巫敎, 한국 샤머니즘)와 기독교를 고찰하신 유동식 선생님의 도발적 시도와 논쟁은, 이후 선배이신 윤성범 교수(유교와 기독교), 후배셨던 변선환 교수(불교와 기독교)의 참여까지 이끌어 내, 토착화 신학 담론을 감리교 신학의 중심에 놓으셨다. 이는 종교간 대화를 통한 화해와 평화의 모색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응답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하지만 교계, 교단에서의 거부감이나 내홍은 만만찮았고, 1992년 감리교 종교재판 사태는 그 비극을 상징하는 사건이 되었다. 고교 시절 접한 이 사건이 안긴 충격파가 없었다면 나도 신학 공부를 하지 않았을 것이다. 아무튼 유동식 선생님은 그렇게 우리 형제를 이 바닥(?)으로 이끄신 원점에 서 계신 분이시기도 하다.
군대 제대 후(2000년) 동생 홍승표 목사가 감신대 총학생회 학술부장을 할 때 유동식 교수님을 강연자로 모시고자 봉원동 자택을 찾았다. 그 때 나는 너바나( Nirvana)의 커트 코베인(Kurt D. Cobain, 1967~1994) 티셔츠를 입고 찾아 갔는데, 내심 걱정한 것이 사실이다. 학교에서 만난 한 보수적이고 권위적인 교수는 내 옷을 보고 경박스럽다거나 불교 용어가 적혀 있다고 꾸짖은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와 달리 고령의 유동식 선생님은 너무나 온화하게 환대해 주셨고, 내 티셔츠를 유심히 보시더니, "열반(涅槃, Nirvana)이라고 적혀 있구만... 아주 심오한 옷을 입고 왔어...!"라고 하시며 복장 때문에 긴장하고 있던 내 마음을 녹여 주셨다. 그리곤 쌍둥이 형제가 신학을 하게 된 계기를 물으시기에, 1992년 종교재판 이야기를 하니 한참을 서글퍼하시더니 두 사람의 사명이 크다고 격려해 주셨다. (변선환 교수와 함께 파문을 당한 홍정수 교수는 동향의 모교회 출신이기도 하다.)
젊은 학부 신학생 둘을 귀찮아하지 않고 몇 시간을 이야기 나누며 자신이 새롭게 진행 중인 ‘예술신학'에 대해 조곤조곤 말씀을 이어가셨다. 그때의 인연으로 감신대 강연회를 무사히 마치고, 연신원 옛 건물에서 개설하셨던 '예술신학' 대학원 강의도 청강했으며,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원우회 활동을 할 때에도 채플 강사로 모시는 등 만남을 이어간 것은 여간 큰 기쁨이 아닐 수 없었다.
동생 홍승표 목사는 1960년대에 유동식 선생님께서 맡으셨던 대학기독교서회 월간 신학지 <기독교사상>의 편집장으로 4년간 일하면서 그 길을 이어 받는 영광도 누렸음은, 20대에 불쑥 찾아 뵈었던 때의 그 만남을 더욱 각별한 인연으로 느끼게 한다. 홍승표 목사의 박사논문은 한일 칼 바르트 신학의 수용 과정을 고찰하기도 했는데, 그 때 일본 경유의 왜곡된 바르트 신학을 탈피해 해방 후 처음으로 허혁 등과 함께 주체적인 바르트 읽기를 시도한 분으로서 유동식 선생님을 소개하는 등, 그분의 현대 신학사 속 위상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2005년 5월 30일에는 연세대 루스채플에서 일본 도시샤사대학 신학부 모리 고이치(森孝一) 학장이 와서 '일신교에의 도전과 기독교의 책임성'(The Challenges to the Abrahamic Religions and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ity)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는데, 내 얼굴을 알아 보시고는 옆에 앉아 함께 내용을 경청하셨다. 나는 그 때 일본어를 전혀 못 알아 듣고 있는데, 일본어 강연을 전부 이해하시며 정성껏 필기를 하며 후배 학자의 주장에 경청하는 모습에 절로 존경심이 일어났다.
수년 뒤 내가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기독교인과 신도(神道) 이해"라는 주제로 연구를 하게 된 것도, 생각해 보면 유동식 선생님의 뒤를 밟아 가고픈 후학으로서의 자연스런 동경의 결과인지도 모르겠다.
교토대학에서 이 주제를 다루려 할 때, 지도교수가 처음으로 소개해 준 책이 바로 호리 이치로(堀一郎) 교수의 『민간신앙』(民間信仰)라는 책이었다. 호리 선생은 다름 아닌 유동식 교수의 도쿄대학 및 국학원대학 지도교수였던 분이었다. 종교학자 엘리아데와 절친으로 그의 책을 일본어로 옮겨 소개한 대표적 인물이기도 했다. 그렇게 호리 선생의 책을 보면서 유동식 선생님과도 연결돼 있음을 느끼곤 했다.
유동식 교수님은 교토에 오실 때면, 교토의 도시샤대학 명예교수 다케나카 마사오 (竹中正夫, 1925-2006) 선생님을 꼭 뵈었다고 한다. 다케나카 선생은 교토대와 도시샤 신학부를 마친 뒤, 1950년부터 예일대학에 유학을 가셨는데, 마침 유학시기가 겹쳐 유동식 교수와 친분을 쌓으신 모양이다.
다케나카 선생도 『료우칸(일본 승려, 문학인)을 사랑한 그리스도인』(良寛を愛したキリスト者 小倉章蔵の生涯, 1992), 『와후쿠(기모노)의 그리스도인』(和服のキリスト者 :木月道人遊行記, 2001), 『미와 진실 : 근대 일본의 미술과 기독교』(美と真実: 近代日本の美術とキリスト教, 2006) 등의 책을 펴내시면서 일본의 전통 문화 및 근현대 미술 안에 깃든 기독교적 가치를 발굴하고 해석하셨다는 점에서 유동식 선생님과 지음지교(知音之交)의 벗이었다고 평가할 만 하다. 일본 불교의 성산인 교토 히에잔(比叡山) 기슭에 위치한 일본 크리스찬 아카데미(日本クリスチャン・アカデミー) 간사이 세미나 하우스( 関西セミナーハウス)에는 다케나카 선생이 수집한 기독교 미술 작품들이 진열돼 있어 그곳을 둘러 볼 때도 늘 화폭에 빠져 계실 유동식 선생님을 떠올리곤 했었다.
유동식 선생께서 연희전문 수물과 시절 함께 다녔던 윤동주와 송몽규는 1945년 2월 너무나 일찍 별이 되었고, 도쿄 유학 시절의 스승 호리 이치로도 진작에 떠나 가셨으며, 우리 형제에게 다과를 대접해 주셔던 사모님(윤정은 전 이대 교수)도, 붕우 다케나카 마사오 선생도 모두 떠나고 없는 이승에서의 여생은 생각보다 너무 길어지신 탓에 만년은 지치지 않으셨을까 싶다.
이제는 다 훌훌 털어 내시고 그립던 분들을 다 만나며 회포 풀고 계시겠지... 나도 언젠가 때가 도래하면 다시 너바나(Nirvana) 티셔츠 꺼내 입고 유동식 선생님과 해후할 수 있기를... (산돌배)
....................................................
(*아래는 유동식 교수님께서 기독교사상 지면에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쓰신 글을 일부입니다. )
<기독교사상>2002년 1월호,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9)

무교와 한국문화 (유동식)

1. 우리의 마음 바탕

『한국종교와 기독교』(1965)를 낸 이후 나는 항상 하나의 과제를 지니고 다녔다. 그것은 한국인의 마음 속 깊이 자리잡고 있는 종교적 영성을 본격적으로 규명해야 한다는 일이다. 복음이 뿌리내릴 곳은 우리들의 종교적 마음 밭, 곧 영성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기독교의 토착화 문제 또는 한국신학의 형성 문제가 제대로 논의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의 영성의 구조와 특성이 규명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것은 방대한 학문적 작업이 요청되는 일이다.
나는 1962년부터 감리교신학대학에서 가르치는 일과 기독교서회 편집부장의 일을 겸임해 왔다. 하루도 여유 있는 날이 없이 한 주간을 뛰어다녀야만 했다. 이러한 속에서 본격적인 한국학을 연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하여 단기간이라도 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꿈꾸어 왔다. 그것은 유학의 길이라고 생각했다.
국제선교협의회(I. M. C.)는 1957년 가나회의에서 제3세계의 신학교육 향상을 돕기 위해 신학교육기금(T. E. F.)을 창설했다. 1964년 연세대학교 안에 설립된 연합신학대학원은 이 기금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서회는 이보다 앞서 1961년부터 T. E. F.의 원조로 신학교재 출판을 진행해 왔다. 1964년 말까지 이미 12종의 신학교재를 간행했다.
출판부장인 나는 자연히 T. E. F.와 긴밀한 관계를 가졌고, 그 책임자인 코(Shoki Coe) 박사와도 자주 만나게 되었다. 하루는 코 박사에게 내 연구계획에 대해 의논했다. 나는 동경대학에서 일년간 한국의 무교에 대해 연구할 생각이었다. 한국의 문화사와 더불어 존재해 온 우리의 무교는 우리들의 영성 또는 종교의식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 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동경대학을 택한 것은 그 곳에 민속종교 연구의 세계적 학자인 호리(堀一郞) 교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코 박사의 반응은 적극적이었다. 그 후 일이 급진전되어 호리 교수로부터는 연구 지도의 승낙을 받았고, 7월에는 T. E. F. 위원회에서 장학금 지급 통지가 왔다. 그러므로 1968년 9월부터 동경대학 문학부 대학원에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해 정월부터 「기독교사상」에 연재하기 시작한 “한국신학의 광맥” 시리즈는 이로 인해 연말까지만 쓰고 중단해야만 했다. 동경으로 떠나기 전에 3회분의 원고를 쓰느라고 진땀을 흘렸던 생각이 난다.
호리 교수를 통해 배운 것은 그의 친구인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종교현상학이다. 특히 그들의 공통관심의 대상인 샤머니즘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틀을 얻을 수 있었다.
동경대학에는 논문박사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나는 논문을 쓸 작정이었다. 호리 교수와 함께 작성한 논문의 윤곽은 “조선 샤머니즘의 역사 구조적 특질”이었다.
그 해 동경대학은 격렬한 학생운동에 휘말려 결국에는 학교 제도상의 변혁을 초래했다. 그 중의 하나가 교수들의 정년을 60세로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미 60세를 넘어선 호리 교수는 다음 해에 퇴직해야만 했다. 그리고 국학원 대학의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내가 문학박사 학위 청구 논문을 완성한 것은 1971년 말 경이다. 논문은 자연히 지도교수가 있는 국학원 대학에 제출했다.
6개월 후에 논문심사가 있었고, 학위수여식은 1972년 9월에 있었다. 이때 마침 집사람이 세익스피어 연구차 영국 엑세타 대학으로 가던 길이었으므로 동경에 들러서 학위수여식에 참여할 수 있었다.
조선 샤머니즘이란 “한국 무교(巫敎)”를 뜻한다. 그 원형은 고대 신화와 제천의례 속에 나타나 있다. 곧 천지의 주재신인 하느님과 인간이 하나가 됨으로써 신의 능력에 힘입어 인간의 꿈을 실현한다는 것이다. 꿈의 중심은 무병장수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생존적 가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신인합일의 의례는 노래와 춤에 의한 제례의식이다. 무교란 단적으로 “가무로써 강신케 하여 소원을 성취한다는 원시종교”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무교의 전승과 전개에는 세 흐름이 있어 왔다.
첫째는 단순전승이다. 외래 종교문화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옛 모습이 그대로 전승되어 가고 있다. 오늘의 민간신앙으로 알려진 무속의 흐름이 그것이다.
둘째는 종교습합적 전승이다. 대체로는 외형상 외래 종교의 형태를 유지하지만 그 안에는 무교적 요소들이 흐르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기성종교의 저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셋째는 승화적 전승이다. 외래 종교를 매개로 무교가 승화되어 새로운 형태의 종교문화를 형성한다. 예컨대, 신라의 화랑도나 근세의 동학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전개 유형을 그림으로 그려 본다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샤머니즘은 동북아시아 제 민족 사이에 공통된 종교현상이다. 그러나 각 민족마다 그들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그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한국 무교의 두드러진 특징은 노래와 춤으로써 신령을 섬기는 심미적 종교성에 있다. 따라서 퉁구스나 일본의 굿이 주로 죽은 자들을 천도하기 위한 음산한 제례인데 비해, 한국의 굿은 무악을 동반한 재수굿이나 농악을 앞세운 마을굿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승에서의 기복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민중의 오락을 겸한 명랑한 것이다.
여기에 한국 무교가 민중의 생활 속에 파고들어 삶을 부추겨 온 종교적 역할이 있다.

2. 무교문화론

1973년 3월부터 나는 연세대학교 교양학부의 종교주임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박대선 총장의 주선에 의한 것이다. 정확히 20년 전에도 나는 배화여고의 종교주임으로 취임했었다. ‘종교주임’이라는 것이 나의 천직인 듯이 느껴졌다.
한 가지 새로운 경험은 내가 홀로 쓸 수 있는 교수연구실을 갖게 된 일이다. 나는 비로소 내 연구를 위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장소와 함께 여유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된 셈이다.
유신체제 하의 1975년은 어둡고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민주주의란 말을 입 밖에도 내지 못하게 한 대통령 긴급조치법에 의해 학생들과 교수들이 구속되는가 하면, 학원의 자율과 자유를 천명한 박 총장은 죄인으로 몰려 학교를 떠나야만 했다.
그러한 와중에서 나는 이상할 정도로 연구활동에 열을 올리고 있었다. 전년에 받은 대학원의 연구비 덕택으로 “한국 토착신앙과 민중의 불교 수용 형태”(「연세논총」)를 발표했고, 이에 힘입어 성곡재단으로부터 연구비를 받아 “한·일 불교 수용 형태의 비교 연구”에 몰두했다. 한편 나는 내 학위논문을 다시 보충해서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연대세 출판부)란 제호로 간행했다. 그 책의 맺는 말에서 나는 일종의 무교문화론을 폈다.
한국 문화의 깊은 암석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불교문화이다. 그 위의 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유교 문화이다. 그리고 지난 한 세기 남짓한 동안에 형성된 지표층이 있다. 곧 기독교를 동반한 서구문명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한국문화의 지층은 최소한 세 겹으로 되어 있는 셈이다.
그러나 한국문화는 단순히 세 겹의 문화층으로 된 둥근파가 아니다. 지구와 마찬가지로 한국문화의 심층부에는 지핵에 해당하는 무교가 있다. 그리고 이것이 외래 종교 문화들을 받아들여 문화지층을 형성해 왔던 것이다.
한편, 문화지층들은 무교의 지핵을 억압하고 배척해 왔다. 따라서 무교는 문화의 표면으로부터 사라져 가고 있다. 하지만 무교는 죽어 없어진 것이 아니다. 지금도 한국문화의 심층에서 여전히 그 에너지를 발휘하고 있다. 우리들의 행동 양식이나 가치체계를 적지 않게 지배하고 있다. 무교의 뜨거운 열량은 여전히 민중문화 속에 간직되어 있는 것이다. 만약 이 지열이 창조적인 열량으로 전환되기만 한다면 우리는 여기에서 새로운 문명의 창조를 꿈꿀 수도 있을 것이다.
오늘의 세계문명은 그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새로운 문명이 싹트기를 기다리고 있다. 새로운 문명의 나비는 새로운 종류의 번데기에서만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새 번데기를 무교에서 기대해 본다는 것이 무교문화론의 방향이다.
무교의 특질은 가무에 의한 제례를 통해 신화적 원초세계로 돌아가는데 있다. 그 곳은 신과 인간이, 하늘과 땅이, 삶과 죽음이 모순 없이 조화를 이루는 창조적 세계이다. 거기에서 비로소 우리는 새로운 문화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기독교의 도리는 그 동안 헬라와 로마의 아폴로적인 이성과 질서를 통해 세계 구원의 역사를 도모해 왔다. 그러나 거기에서 우리는 오늘날의 서구문화가 갖는 한계성을 보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복음의 도리를 재해석할 새로운 틀을 모색해야 한다. 그것은 디오니소스가 상징하는 자유와 황홀의 길이다. 가무강신하는 심미적 신인통합의 길이다. 곧 무교문화의 틀을 통한 복음의 재해석이다.
무교문화론은 결국 엑스타시 문화론이다. 신과 인간이 하나가 된 엑스타시 속에서 전개되는 새로운 문화이다. 삶은 거리를 두고 관망할 대상이 아니다. 삶에서 예술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삶이 곧 예술이다. 삶을 위한 종교가 아니라 삶이 곧 종교이다. 임마누엘은 삶과 자기와의 완전한 통합을 초래한다. 그리하여 자유와 기쁨의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세계가 전개되는 것이다.
서구 문명의 쓰레기를 먹고 통제와 경제개발을 외치며 일어선 유신독재체제 속에서 무교 연구에 열을 올린 것은 이러한 새로운 문화에 대한 갈망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에 공감이나 한 듯이 <한국일보>가 제정한 출판문화상은 그 해의 저작상 대상으로 내 책을 선택했다.
같은 해에 일본에서도 두 권의 책이 나왔다. 하나는 내 학위논문이 『조선의 샤머니즘』(학생사)이라는 제호로 간행되었고, 또 하나는 그간 김충일 씨가 번역해 오던 『한국종교와 기독교』(양양사)의 일어판이다.
그런데, 이 무렵에 박 정권은 비판세력을 없애기 위해 교수 재임용제라는 것을 발표했다. 명분인즉 연구실적이 없는 무능한 교수들을 제거하는 것이라 했다. 그리하여 각 대학별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심의를 했다. 교양학부의 교수들은 전공에 따라 각 대학으로 배정되었다. 그리고 아무도 탈락된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유독 신과대학만은 나를 재임용 교수 명단에서 탈락시키는 웃지 못할 사건이 있었다.

3. 무교 미술과 한국화의 뿌리

미술사의 전개는 종교적 이념의 형상화 작업에서 비롯되었다. 한국의 미술사 역시 한국의 종교문화사와 그 궤도를 같이 한다. 고대의 무교 미술은 불교미술로 이어졌고, 근세로 오면서 유교적 동양화가 전개되었으며, 현대에 와서는 기독교문화와 연계된 서구의 미술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세계의 미술사가 오늘의 한국화라는 장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화의 뿌리를 찾는다면 그것은 역시 무교 미술일 것이다.
무교 미술의 전형적인 것은 고분 벽화나 무신도, 그리고 일부 민화에서 볼 수 있다. 그 특색은 무교적인 세계관을 담고 있으며, 생동감 넘치는 곡선과 채색으로 그려졌다는 데 있다. 그 사례를 들어본다.
① 고구려의 사신도
(중략)
② 신라의 천마도
(중략)
③ 창부도
중국문화의 기준으로 보아 후진국이었던 신라는 선진 중국문화를 그대로 수용하려 하지 아니했다. 6세기에 이르러 진흥왕은 대륙문화를 매개로 전통문화를 승화시킴으로써 주체적인 민족문화를 구축해 나갔다. 그것은 화랑제도를 설치하고, 민족의 얼인 풍류도를 왕성하게 함양하는 것으로써 시작되었다.
한편 고대 원시종교로서의 무교는 민중들의 신앙형태로 전승되어 왔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무속이요, 샤머니즘이다. 가무강신하고 소원성취한다는 종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존재가 노래와 춤으로써 신령들과 교제하는 무당이다.
무당은 노래와 춤을 전문으로 하는 종교적 예술가이다. 그들이야말로 최초의 직업적 예술가였다. 이러한 무당의 수호신으로 되어 있는 것이 광대신인 창부이다. 창부는 말하자면 한국의 예술신이다.
무교의 신상은 전통적으로 그림으로써 표현한다. 현실을 뜻하는 삼차원의 입체적 신상을 만들지 아니하고 이차원적인 그림을 사용한다. 그것은 동방교회가 성상으로 이콘을 사용하는 것과도 같다.
무신도의 사용 역사는 이미 오래다. 12세기 이규보의 시문 속에도 무당들이 신당을 차린 다음 제석신이나 칠성신 등을 그려 놓고 굿을 하는 광경이 묘사되어 있다(노무편).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인 굿당으로 남아 있는 것은 인왕산 중턱에 있는 국사당이다. 그 곳에는 10여 폭의 무신도들이 걸려 있는데, 그 중 예술적으로 뛰어난 그림은 역시 <창부도>이다. 도포를 입고 빛갓을 쓴 창부가 피리를 불며 멋드러지게 춤을 추고 있다. 피리 하나만 빼고는 전체가 율동적인 곡선으로 그려져 있다. 그 생동감은 <천마도>나 <백호도>를 연상케 하며, 청·홍·황색과 흑백의 조화는 더욱더 고분 벽화의 전통을 실감케 한다.

글쓴이 / 유동식















+11






145이찬수, 이동해 and 143 others


23 comments

15 shares


Shareg
dtresnpooS921itt3 rtui37:oca8t1lag 0a712m b2f7e1g0554Oh012tt ·


Hyun-Choong Lee

학부 때 아쉽게 유교수님 수업을 들을 수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그 때는 유교수님의 책이 참 이상하다 생각했는데, 지금 와서 다시 생각하면, 참 귀한 우리 신학이었구나 싶습니다.



최문영

올려주시는 글들이 일반 성도에게는 어려울 때가 많아서 다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기독교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접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존재 자체를 몰랐던 유동식 교수님의 업적을 글을 통해 알게 되었네요. 고인이 이표, 승표 오빠에게 영향을 끼친 것처럼 후학들에게도 앞으로 큰 영향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교수님께서는 주님 곁에서 평안과 안식을 누리고 계시겠지만 더 긴 시간 함께 하지 못해 슬픔으로 마음이 많이 아플 교수님 가정 가족들의 평안과 건강을 위해 기도합니다.


Seung Pyo Hong

최문영 문영아 반가워^^; 늘 한결같은 모습에 감사하구나. 언제 때가 되면 직접 만나 회포를 풀 날이 오겠지? 그때까지 건강하고 평안하길...


Yipyo Hong

최문영 고마워. 같이 송감에서 지낼 때 늘 진지하고 성실한 문영이 모습은 귀한 자극이 되었던 기억이 나... 지금도 여전한 그 모습이 얼마나 반갑고 소중하게 느껴지는지 모른다.




최문영

Yipyo Hong 어른이 되어서 알았습니다. 쌍둥이 오빠들이 도전적인 일을 많이 했었다는 것을요.^^ 그때의 기억들이 지금 신앙생활 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공유해주시는 일본 소식과 취미생활 그리고 거침없는 정치적인 발언들 잘 보고 있습니다.*^^* 평안과 건강을 기도합니다.~*

2022/10/22

화광동진(和光同塵) - 고사성어 - jang1338

화광동진(和光同塵) - 고사성어 - jang1338




화광동진(和光同塵)
작성자장경식|작성시간18.12.06|조회수417
=====
화광동진(和光同塵)

화광은 빛을 늦추는 일이고, 동진은 속세의 티끌에 같이 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지혜를 자랑함 없이 오히려 그 지혜를 부드럽게 하여 속세의 티끌에 동화함을 말한다. 즉 재덕을 감추고 세상과 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和 : 화할 화(口/5)
光 : 빛 광(儿/4)
同 : 한 가지 동(口/3)
塵 : 티끌 진(土/11)

출전 :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56章

불교에서 부처가 중생(衆生)을 제도(濟度)하기 위해 부처의 본색(本色)을 감추고 속세에 나타나는 것을 화광동진(和光同塵)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불교가 중국에 전해진 뒤부터 이 노자(老子)의 말을 받아들여 썼다고 보아야 한다.

이 성어는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56장에 나오는 말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으로 아는 사람은 그 앎을 말하지 않으며, 앎을 말하는 사람은 아는 사람이 아니다.
知者不言, 言者不知

진정한 앎이 있는 사람은 그 이목구비를 틀어막고 지혜의 문을 닫으며, 지혜의 날카로움을 꺾으며, 지혜로 인해 일어나는 혼란을 풀고, 지혜의 빛을 감추어 나타내지 않고(和其光), 속세의 티끌과 하나가 된다(同其塵). 이것을 '현동(玄同)'이라고 한다.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그러므로 이와 같이 현동(玄同)의 사람에 대해서는 친해질 수도 없고 멀리할 수도 없으며, 이득을 줄 수도 없고 해(害)를 줄 수도 없으며, 귀(貴)하게 할 수도 천(賤)하게 할 수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천하에서 가장 귀(貴)한 것이 된다.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為天下貴.
노자에 의하면 참으로 아는 사람은 그 빛, 자신의 지덕(知德)과 재기(才氣)를 감추고 속세와 어울린다. 화광동진(和光同塵)이라는 고사성어가 여기에서 유래됐다. 실속 없는 말이나 얕은 지식을 드러내기 좋아하는 사람을 경계하는 뜻으로 쓰인다.

화광동진의 광(光)은 어떤 개별 대상을 배타적으로 비추거나 자신을 드러내는 빛이다. 그러나 노자에 따르면 도는 그런 게 아니다.

이 세상에 배타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 그러니 자신만의 빛을 포기하고 다른 빛들과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 차이가 드러나지 않게 처신하는 게 좋다.
讀老子 / 白居易
(노자를 읽으며)
言者不如知者默
말하는 사람은 아는 사람의 침묵만 못하다고,

此語吾聞於老君
내 이 말을 노자에게 들었네.

若道老君是知者
만약 노자 역시 아는 사람이라 한다면,

緣何自著五千文
무슨 까닭에 (도덕경) 5천이나 되는 글을 지었던고.


⏹ 화광동진(和光同塵)

빛을 감추고 세속을 따른다는 뜻으로,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어울린다는 말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소중하고 자기를 중심으로 돌아가기를 원한다. 하지만 잘 알지도 못하는 분야서도 마구잡이로 일을 처리해서는 망치기 마련이다. 이럴 경우 '빈 수레가 요란하다'고 실속 없는 사람이 되지 말라고 가르친다.

다른 사람들의 수준은 자기에 비할 수 없이 낮기 때문에 자기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믿는 높은 사람들이 많을수록 사회가 시끄러운 것은 보통 사람들이 아는 이 가르침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빛을 온화하게 조화시켜(和光) 속세의 티끌과 같이 한다(同塵)는 이 성어는 자기의 지혜를 내세움이 없이 오히려 그 빛남을 줄여 세속과 함께 한다는 위의 가르침을 응축하고 있다.

불교에선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지덕과 재기를 감추고 속세에 나타나 불법으로 인도하는 것을 말할 때 이 말을 쓴다고 한다.

더 상세한 것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찾을 수 있다. 제4장 무원장(無源章)에서 도(道)는 비어 있어 아무리 쓴다고 해도 넘치지 않는다면서 이어진다.

挫其銳 解其紛.
날카로운 것을 무디게 하고 어지러움을 풀어준다.

和其光 同其塵.
그 빛을 부드럽게 하며 티끌과도 어울리게 만든다

제56장 현덕장(玄德章)에는 유명한 말이 앞선다.

知者不言 言者不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塞其兌 閉其門
감각기관을 막고 욕망의 문을 닫으며

挫其銳 解其紛
날카로움을 꺾고 어지러움을 풀며

和其光 同其塵
빛을 부드럽게 하여 티끌과 한 몸이 되어라.

그렇게 하면 현묘한 한 몸 되기, 즉 현동(玄同)이 된다고 했다.

온통 제 잘난 맛에 사는 사람들은 어쭙잖은 광채를 더욱 빛내려고 안달이다. 자그만 지위에 오르기만 해도 무소불위인양 권력을 휘두르려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벼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하여 교양이 있고 수양을 쌓은 사람일수록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다.


▶️ 和(화할 화)는 ❶형성문자로 惒(화)는 통자(通字), 咊(화)는 고자(古字), 訸(화)와 龢(화)는 동자(同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禾(화)와 수확한 벼를 여럿이 나누어 먹는다는(口) 뜻을 합(合)하여 '화목하다'를 뜻한다. ❷형성문자로 和자는 '화목하다'나 '온화하다'하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和자는 禾(벼 화)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禾자가 '벼'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口자가 더해진 和자는 먹고살 만하니 '화목하다'와 같은 식으로 해석하곤 한다. 그러나 갑골문에서는 龠(피리 약)자가 들어간 龢(화할 화)자가 쓰였었다. 龢자는 피리를 그린 龠자를 응용한 글자로 피리 소리가 고르게 퍼져나간다는 의미에서 '조화롭다'를 뜻했었다. 여기서 禾자는 발음역할만을 했었다. 하지만 금문에서 부터는 소리의 조화를 口자가 대신하게 되면서 지금의 和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和(화)는 (1)관악기(管樂器)의 한 가지. 모양의 생(笙)과 같이 생겼는데, 십삼관(十三管)으로 되었음 (2)합(合)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화하다(서로 뜻이 맞아 사이 좋은 상태가 되다) ②화목하다 ③온화하다 ④순하다 ⑤화해하다 ⑥같다 ⑦서로 응하다 ⑧합치다 ⑨허가하다 ⑩모이다 ⑪화답하다 ⑫양념하다 ⑬나라의 이름(일본) ⑭합계 ⑮악기(樂器)의 한 가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화합할 협(協), 화목할 목(睦),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싸움 전(戰)이다. 용례로는 다툼질을 서로 그치고 풂을 화해(和解), 서로 뜻이 맞고 정다움을 화목(和睦), 화목하여 잘 합하여 짐을 화합(和合), 시나 노래에 서로 응하여 대답함을 화답(和答), 온화하고 순함을 화순(和順), 날씨가 바람이 온화하고 맑음을 화창(和暢), 마음이 기쁘고 평안함을 화평(和平), 급박하거나 긴장된 상태를 느슨하게 함을 완화(緩和), 평온하고 화목함을 평화(平和), 서로 잘 어울림을 조화(調和), 날씨가 맑고 따뜻하며 바람이 부드러움을 온화(溫和), 교전국끼리 싸움을 그만두고 서로 화해함을 강화(講和), 서로 어울려 화목하게 됨을 융화(融和), 성질이 부드럽고 온화함을 유화(柔和), 서로 친해 화합함을 친화(親和), 화창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이란 뜻으로 따뜻한 봄날씨를 이르는 말을 화풍난양(和風暖陽), 남과 사이 좋게 지내되 義를 굽혀 좇지는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과 화목하게 지내지만 자기의 중심과 원칙을 잃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화이부동(和而不同),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부드러운 기운이 넘쳐 흐름을 이르는 말을 화기애애(和氣靄靄), 부드러운 바람이 불고 단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날씨가 고름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화풍감우(和風甘雨), 음과 양이 서로 화합하면 그 기운이 서로 어우러져 상서를 냄을 일컫는 말을 화기치상(和氣致祥),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그저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하여 일컫는 말을 부화뇌동(附和雷同),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가 다정하고 화목함을 이르는 말을 금슬상화(琴瑟相和), 서로 뜻이 맞지 않아 일어나는 충돌 또는 둘 이상의 음이 같이 울릴 때 서로 어울리지 않고 탁하게 들리는 음을 일컫는 말을 불협화음(不協和音),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 내심으로는 그렇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동이불화(同而不和), 곡이 높으면 화답하는 사람이 적다는 뜻으로 사람의 재능이 너무 높으면 따르는 무리들이 적어진다는 말을 곡고화과(曲高和寡), 국민의 화합과 나아가 인류의 화합을 지향한다는 뜻을 일컫는 말을 조민유화(兆民有和) 등에 쓰인다.

▶️ 光(빛날 광)은 ❶회의문자로 火(화; 불)와 사람 인(人=亻; 사람)部의 합자(合字)이다. 사람이 횃불을 들고 밝게 비추고 있다는 뜻이 합(合)하여 빛을 뜻한다. 또 전(轉)하여 번영하다로 되고 가차(假借)하여 광대(廣大), 광원(廣遠)의 뜻으로도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光자는 '빛'이나 '빛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光자는 儿(어진사람 인)자와 火(불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光자는 사람의 머리 위에 빛이 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光자를 보면 儿자 위로 火(불 화)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 주위가 매우 밝게 빛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光자는 '빛'이나 '비추다'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光(광)은 (1)빛 (2)화투의 스무 끗짜리 패. 모두 다섯 장임. 또는 그런 패 짝을 넷 또는 다섯을 땄을 때 상대편으로 부터 끗수를 더 받게 되는 일 (3)어른어른하게 비치고 번지르르하게 보이는 환한 윤기(潤氣). 광택(光澤) (4)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빛, 어둠을 물리치는 빛 ②세월(歲月) ③기세(氣勢), 세력(勢力), 기운(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오관(五官)으로 느껴지는 현상) ④경치(景致), 풍경(風景) ⑤명예(名譽), 영예(榮譽) ⑥문화(文化), 문물(文物) ⑦문물의 아름다움 ⑧빛깔, 번쩍거리는 빛 ⑨어른어른하게 비치는 윤기(潤氣) ⑩영화롭다 ⑪빛나다, 비치다, 비추다 ⑫크다, 넓다 ⑬멀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볕 경(景), 갤 청(晴), 빛 휘(暉), 빛 경(耿), 빛 색(色), 밝힐 천(闡),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그늘 음(陰), 흐릴 담(曇), 비 우(雨)이다. 용례로는 옛일을 되찾음이나 잃었던 나라를 되찾음을 광복(光復), 벌어진 일의 형편이나 모양을 광경(光景), 아름답고 찬란하게 빛나는 빛을 광채(光彩), 빛의 반사에 의하여 물체의 표면에 어른어른하게 번쩍이는 윤기를 광택(光澤), 아름답게 번쩍이는 빛을 광휘(光輝), 밝은 빛이나 밝고 환함을 광명(光明), 아름다운 빛이나 빛나는 기운을 광화(光華), 빛의 자극에 의하여 일어나는 감각을 광각(光覺), 발광체가 내는 빛의 강한 정도를 광도(光度),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를 광원(光源), 세상에서 인정받는 좋은 이름이나 자랑을 광명(光名), 해와 달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시간이나 세월을 광음(光陰), 다른 지방이나 나라의 명승과 풍속 등을 돌아다니며 구경하는 것을 관광(觀光), 경쟁에서 이기거나 남이 하지 못한 어려운 일을 해냈을 때의 빛나는 영예를 영광(榮光), 사람이나 사물의 어떤 방면에서 있어서의 등장이 눈부실 만큼 찬란히 빛남을 각광(脚光), 경치나 모습을 풍광(風光), 번쩍이는 빛을 섬광(閃光), 밤 또는 어둠 속에서 스스로 내는 빛을 야광(夜光), 아침의 햇빛을 신광(晨光), 등불이나 촛불의 빛을 촉광(燭光), 흐르는 물과 같이 빠른 세월을 유광(流光), 빛을 감춘다는 뜻으로 학식이나 재능을 감추고 남에게 알리지 않음을 도광(韜光), 언행이 떳떳하고 정당함을 일컫는 말을 광명정대(光明正大), 세월의 흐름은 흘러가는 물과 같이 빠름을 일컫는 말을 광음유수(光陰流水), 세월의 흐름이 화살과 같이 빠름을 일컫는 말을 광음여전(光陰如箭),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이 빠름을 일컫는 말을 광음여류(光陰如流), 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또는 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을 일컫는 말을 광풍제월(光風霽月), 때를 벗기고 닦아 광채를 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결점을 고치고 장점을 발휘하게 함을 이르는 말을 괄구마광(刮垢磨光), 흘러가는 세월의 빠름은 달려가는 말을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고 짧음을 비유하는 말을 극구광음(隙駒光陰), 눈빛이 종이의 뒤까지 꿰뚫어 본다는 뜻으로 독서의 이해력이 날카롭고 깊음을 이르는 말을 안광지배(眼光紙背), 혁혁한 빛이라는 뜻으로 성명이 세상에 빛남을 이르는 말을 혁혁지광(赫赫之光), 어둠 속에 빛이 비친다는 뜻으로 뜻밖에 일이 잘 해결됨을 이르는 말을 암중방광(暗中放光), 이전에도 그런 예가 없었고 앞으로도 또한 없을 것임을 일컫는 말을 절후광전(絶後光前) 등에 쓰인다.

▶️ 同(한가지 동)은 ❶회의문자로 仝(동)이 고자(古字)이다. 여러 사람(멀경 部)의 말(口)이 하나(一)로 모인다는 뜻이 합(合)하여 같다를 뜻한다. 혹은 凡(범)은 모든 것을 종합하는 일과 口(구)는 사람의 입이라는 뜻을 합(合)하여 사람의 모든 말이 맞다는 데서 같다 라고도 한다. ❷회의문자로 同자는 '한 가지'나 '같다', '함께'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同자는 凡(무릇 범)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凡자는 큰 그릇을 그린 것으로 '무릇'이나 '모두'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모두'라는 뜻을 가진 凡자에 口자를 더한 同자는 ‘모두가 말을 하다’ 즉, '이야기를 함께 나누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모임에서는 누구나 할 것 없이 자신이 원하는 발언을 제시할 수 있다. 그래서 同자는 '함께'나 '같다', '무리'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同(동)은 (1)한자어(漢字語) 명사(名詞) 앞에 쓰이어 같은 한 그 따위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한가지 ②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③함께(=同) ④그 ⑤전한 바와 같은 ⑥같다 ⑦같이하다 ⑧합치다 ⑨균일하게 하다 ⑩화합하다 ⑪모이다 ⑫회동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한 일(一), 한가지 공(共),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다를 이/리(異),무리 등(等)이다. 용례로는 같은 시간이나 시기를 동시(同時), 같은 곳에서 같은 일을 보는 사람을 동료(同僚), 같은 의견이나 의사를 동의(同意), 한 나라 또는 한 민족에 속하는 백성을 동포(同胞), 같은 문자를 동자(同字), 함께 참가하는 것을 동참(同參), 아우나 손아래 누이를 동생(同生), 의견이나 견해에 있어 같이 생각함을 동감(同感), 같은 시기나 같은 무렵을 동기(同期), 주장이나 목적이 서로 같은 사람을 동지(同志), 데리고 함께 다님을 동반(同伴), 여러 사람이 일을 같이 함을 공동(共同), 여럿이 어울려서 하나를 이룸을 합동(合同), 이것과 저것을 구별하지 못하고 뒤섞어서 보거나 생각함을 혼동(混同), 일정한 목적으로 여러 사람이 한데 모임을 회동(會同), 조금 차이는 있을지라도 대체로 같음을 대동(大同), 힘과 마음을 함께 합함을 협동(協同), 서로 같지 않음을 부동(不同), 같은 병자끼리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불쌍히 여겨 동정하고 서로 도운다는 말을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침상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을 동상이몽(同床異夢),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 같이 고생하고 같이 즐긴다는 말을 동고동락(同苦同樂),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조건이라면 좀 더 낫고 편리한 것을 택한다는 말을 동가홍상(同價紅裳),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간다는 뜻으로 원수끼리도 공동의 목적을 위해서는 같은 배를 타고 서로 협조하게 된다는 말을 동주제강(同舟濟江), 같은 배에 탄 사람이 배가 전복될 때 서로 힘을 모아 구조한다는 뜻으로 이해 관계가 같은 사람은 알거나 모르거나 간에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을 동주상구(同舟相救), 동족끼리 서로 싸우고 죽임을 일컫는 말을 동족상잔(同族相殘), 같은 소리는 서로 응대한다는 뜻으로 의견을 같이하면 자연히 서로 통하여 친해진다는 말을 동성상응(同聲相應), 발음은 같으나 글자가 다름 또는 그 글자를 이르는 말을 동음이자(同音異字), 기풍과 뜻을 같이하는 사람은 서로 동류를 찾아 모인다는 말을 동기상구(同氣相求), 같은 성에다 같은 관향이나 성도 같고 본도 같음을 일컫는 말을 동성동본(同姓同本),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같은 의견의 사람끼리 한패가 되고 다른 의견의 사람은 물리친다는 말을 동당벌이(同黨伐異),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 자매를 일컫는 말을 동근연지(同根連枝),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 내심으로는 그렇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동이불화(同而不和), 같은 목표를 위해 일치단결된 마음을 이르는 말을 동심동덕(同心同德), 같은 업은 이해 관계로 인하여 서로 원수가 되기 쉽다는 말을 동업상구(同業相仇), 이름은 같으나 사람이 다름 또는 그러한 사람을 일컫는 말을 동명이인(同名異人) 등에 쓰인다.

▶️ 塵(티끌 진)은 회의문자로 본디 글자 鹿(록; 사슴)이 떼지어 달릴 때 흙먼지가 일어나는 모양을 뜻하고, 바뀌어 먼지의 뜻이 되었다. 그래서 塵(진)은 십진(十進) 급수(級數)의 단위(單位)의 하나. 사(沙)의 만분의 일. 애(埃)의 열 곱절의 뜻으로 ①티끌 ②때, 시간(時間) ③유업 ④소수의 이름 ⑤더럽히다 ⑥묵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티끌 많은 세상을 진세(塵世), 티끌 세계 또는 이 세계를 진계(塵界), 티끌 세상을 진경(塵境), 티끌의 세계를 진환(塵寰), 세상의 속된 것을 진애(塵埃), 티끌과 흙을 진토(塵土), 속된 마음이나 평범한 생각을 진금(塵襟), 속되고 비루함을 진루(塵陋), 자신의 말이나 행동이 상대방을 더럽힌다는 뜻으로 상대방에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을 진혼(塵溷), 속세의 명예와 이익을 생각하는 마음을 진념(塵念), 속세의 어지러운 일이나 세상의 속된 일을 진사(塵事), 지저분한 속된 세상을 진속(塵俗), 티끌을 분진(粉塵), 바람이 불어 햇빛에 벌겋게 일어나는 티끌을 홍진(紅塵), 연기처럼 자욱하게 일어나는 모래 섞인 흙먼지를 사진(沙塵), 바람과 티끌으로 세상에 일어나는 어지러운 일을 풍진(風塵),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막음을 방진(防塵), 속세의 티끌로 세상의 여러 가지 번잡한 사물을 속진(俗塵), 공기 중에 떠도는 먼지를 걷어 없애는 일을 수진(受塵), 썩 작은 티끌이나 먼지 또는 썩 작고 아주 변변하지 못한 물건을 미진(微塵), 차가 달려간 뒤에 일어나는 먼지를 차진(車塵), 세속을 벗어남을 출진(出塵), 더러운 먼지를 오진(汚塵), 티끌 모아 태산으로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모이면 큰 것이 될 수 있다는 뜻의 속담을 진합태산(塵合太山), 먼지를 밥이라 하고 진흙을 국이라 하는 어린아이의 소꿉장난이라는 뜻으로 실제로는 아무 소용없는 일을 이르는 말을 진반도갱(塵飯塗羹), 밥 짓는 시루를 오래 쓰지 아니하여 먼지가 앉았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함을 이르는 말을 증중생진(甑中生塵),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을 이르는 말을 누진취영(鏤塵吹影), 가슴에 먼지가 생긴다는 뜻으로 사람을 잊지 않고 생각은 오래 하면서 만나지 못함을 일컫는 말을 흉중생진(胸中生塵), 늙바탕에 겪는 세상의 어지러움이나 온갖 곤란을 백수풍진(白首風塵), 바람 앞의 티끌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무상함을 이르는 말을 풍전지진(風前之塵)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