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Transpersonal.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Transpersonal. Show all posts

2021/10/29

자아초월 심리학 히란야

자아초월 심리학



자아초월 심리학


댓글 1

심리학

2012. 2. 1.




자아초월 심리학은 종래의 심리학과 어떻게 다른 것인가? - Yukio Fujimi -





제4의 세력



자아초월 심리학은 심리학의 [제4의 세력]으로 불려지고 있다.

제1의 세력으로는 인간의 마음을 병리적 측면에서 주목한 Freud의 정신분석학이고,

제2의 세력은 인간을 생물기계론적으로 본 행동주의심리학,

제3의 세력은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에 주목하고 자기실현을 지향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이다.



자아초월의 심리학이나 초개인 심리학이라고 불리어지는 트랜스퍼스날 심리학이 이제까지의 심리학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Trans'라는 접두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① 초월하다 ② 횡단하다 라는 뜻이고,

'Personal'에는 개인이라는 의미가 있고,

'Transpersonal'을 크게 아래와 같은 두가지의 뜻으로 대별할 수 있다.



1) 자기실현(自己實現)에서 자기초월(自己超越)로



제1에는 '개인성을 수직으로 초월한다 또는 깊게한다'라는 의미에서의 영(靈)/정신성(精神性)을 주요시하는 초월이라는 의미이다. Abraham Maslow는 스스로 심리학의 제3 세력인 인본주의 심리학의 성립과 발전에 기여하고 장기간 자기실현에 관한 연구와 탐구에 종사해 오고 있다. 그러나 후에 인간의 가능성이 최대 한계화 되었을 때, 자기실현이란 범위를 초월해서 자기초월적(Transpersonal) 즉 [자기초월]이라는 체험을 거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자아초월 심리학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몇가지로 생각할 수 있지만, 한가지의 예로써는 [우주의식(宇宙意識)]과의 동일화, 생사(生死)를 포함한 모든 것에 대한 집착성의 탈동일화(脫同一化) 등이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불타가 체득한 의식을 인간의 마음에 두고 진실로 건강한 상태, 누구나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간직한 상태를 진심으로 생각하는 심리학이다. 따라서 그 관점에서 보면, 처음의 2개의 심리학을 넘어, 인본주의 심리학의 자기실현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도 마음에 있는 하나의 수준에 고착된 병, 또는 방황하는 상태가 된다. 일상생활에로의 적응, 자기실현만을 최대목표로 하는 심리학의 입장에서는 초개인적 심리학은 비현실적·과대망상적으로도 보일 수 있겠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초월(Trans)'이라는 말은 망아(忘我), 무아(無我) 등이 연상되고 그런 것에서 자아초월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은 [의심스럽다] [종교적이다] 등으로 오해되어 왔다. 그러나 초개인적 심리학의 대표적인 논객(論客)의 한 사람인 선승들이 그들의 많은 저서에서 반복 진술했듯이, 초개인적 체험은 [건전한 자아]나 [이지(理知)의 눈]의 확립을 동반하고, 그것은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망아(忘我)나 자아의 소멸에만 무게를 둔 일부의 신비사상이나 동양사상의 사고방식과 구별되고 있다.



즉, 자아초월심리학에 있어서는 이성이나 논리성의 중요성이 충분히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진술된 것처럼, 최대의 목표는 우주의식(宇宙意識)의 각성이나 자기초월(自己超越)에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상성에 근거를 두고 자아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포괄하는 형태로 초월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 서양심리학과 동양사상의 융합



건전한 자아의 확립이라는 견해는 그것을 분기점으로 하는 것이고 그것까지 자아의 틀에서 친숙한 것은 모두 [病] 혹은 [退行]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던 체험이나 현상을 자아의 확립이전(Prepersonal)과 자아초월(Transpersonal:자아의 확립이후)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정리해 고치는 것을 가능하다고 본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건강한 주체성의 확립을 위해서 정신분석, 상담, 교류분석, 자아심리학 등 전통적인 서양심리학의 성과를 충분히 받아 들이고 있다. 자아초월적 상태로의 과정을 촉진시키는 대표적인 치료는 POP(과정지향심리학), 사이코 신세시스, 네오-샤마니즘, 호흡법 등 공히 도가, 요가, 선, 티벳밀교 등의 동양의 전통사상 등이 이용되고 있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서양심리학과 동양사상 등이 서로 보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심리학의 범위를 초월해서



Transpersonal에는 두번째로 개인성을 횡단해 가는 의미로의 관계성이 넓어지고, 집단과 사회에로 관계가 넓어지는, 즉 타인이나 조직, 집단, 사회와의 협동성.연대성이란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개인 내적(內的)인[Intrapsychic.內面志向] 심리학과 관계성지향(Interpsychic) 심리학의 통합, 개인중심의 심리학과 관계성 사회성으로 개인의 관심을 돌리는 심리학의 통합으로의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 자아초월(transpersonal) 심리학이란?



제1의 심리학이론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에서부터 제 3의 심리학 이론인 인본주의, 실존주의 심리학에 걸쳐서 이제 새로운 이론인 제 4의 심리학이 초개아 심리학입니다. 사실 초개아 심리학이론은 아직까지도 완전한 개념정리가 잡혀있지 않습니다. 어쩌면 이러한 이론은 동서양의 정신적 이론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것 같은 인상도 듭니다. 가령 동양의 요가나 명상, 단전호흡의 좋은 이론까지도 내용이 들어 있고, 최근 한국에서도 한글로 번역된 '자아초월정신치료(하나의학사, 정성덕, 김익창 공역)'은 Seymour Boorstein, M.D.의 Transpersonal Psychotherapy(제 1판)를 번역하였습니다.

1996년에 나온 제 2판에는 몇 개가 더 첨가내지 삭제됐는데 그 중 주목해 볼 만한 것은 "전생퇴행치료(PAST-LIFE REGRESSION THERAPY)"가 24장에 분명히 들어있다는 것입니다. 전생퇴행치료는 항간에서 말하는 단순한 투사적 책임 회피식의 해석과는 분명 다릅니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것을 전생의 결과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며, 전생퇴행 최면치료자는 자아 초월적(초개아적) 개념과 전문적 최면분석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 이런 치료를 잘못 이해하면 마치 정신분석적 '꿈 해석'이 단순한 '꿈 해몽'처럼 되어 전혀 다른 의미가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초월심리학은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인본주의 심리학에 이어 1960년대 등장한 서구 심리학의 제 4의 조류로 일컬어지는 학문으로서 그 태동에는 칼 융이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 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1969년 교육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에이브라함 매슬로우와 정신의학자 스타니슬라브 그로프, 안소니 슈티히 등이 함께 미국에서 초개아 심리학 저널을 창간함과 아울러 1972년에는 초개아 심리학회를 창립했습니다.

초월심리학이란 인간이 자신의 본성을 더 깊고 폭넓게 체험하거나 타인, 자연, “영적” 차원 등과 더 긴밀히 연결된 느낌을 갖게 되는 의식 상태나 과정에 대해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초개아란 관습적(conventional), 개아적(personal or individual), 혹은 평균적(average)인 차원을 포함한 ‘개체적 인격의 초월’을 뜻하며, 이러한 초개아적 체험에는 일상적인 에고중심의 자아의식을 초월하는 더 높고 깊은 차원의 의식상태가 개입됨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초개아심리학은 심리학의 신 개척 분야로서 아직 미국 심리학회의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반면에 1997년에 영국 심리학회는 초개아 심리학을 학문의 한 분야로서 그리고 ‘의식과 체험의 심리학’ 의 연관 분야로 공식 인정 했습니다

그 외에 서양의 눈으로 본 명상이나 무속의 치료적 의미,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에 관한 프로이드와 융의 영향과 기여, 명상 수행 중 정신병적 현상인 쿤다리니 현상의 치료, 전생퇴행, 정신병적 특징을 가진 영성출현현상에 대한 치료, 종교적 영적인 문제, 임사체험 등은 자아초월정신의학과 심리학의 교과서(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라는 책에 상당한 동서양의 이론과 함께 상세히 기술돼 있습니다.



. 행동주의 정신= 무의식 (자극, 반응)

.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 정신분석(psychoanalysis)의 정신 = 의식 + 무의식(개인적)

.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분석심리학의 정신 = 의식 + 개인적 무의식 + 집합적 무의식

. 초월(transpersonal) 심리학의 정신 = 의식 + 개인적 무의식 + 과거의 집합적 무의식+ 미래의 집합적 무의식



* 초월심리학의 목표



1) 자기치유-종래의 정신분석과 행동요법에서 질병, 장애의 치료와 행동수정

2) 자기실현-인간학적, 실존심리학과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의 잠재력의 발달과 촉진

3) 자기초월-신비주의적 종교에서 명상과 신체수련을 통한 자기초월의 의미



초개아 심리학의 목표는 이들 모두를 포괄합니다. 정리하면, 심리요법의 모델은



ㄱ. 병리를 정상적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전통적 요법

ㄴ. 존재의 의미에 답을 주는 실존적 요법

ㄷ. 깨달음과 해탈 등 실존적 차원에서 직면한 문제의 초월을 돕는 구제적 요법



지금까지 서구 심리학에서는 ㄱ, ㄴ 모델만을 중시해 왔으며, 초개아 심리학은 이들 세 가지 모델을 포괄한 입장에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종래의 심리학과 초개아적심리학이 다른 점은 신체성과 영성(spirituality)을 통합한 전체적인(holistic) 접근을 다룬다는 것입니다.

종래의 심리학은 인간에 내재하고 있는 영성의 영역은 무시해 버렸으며, 사회적응적인 인격형성 이나 자기실현적 인간문제에만 역점을 두어 인간을 부분으로만 보았고, 전인적 존재(의식+신체+ 영성)로는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종교와 과학을 상반관계가 아니라 동일한 지평에서 접근하여 우주의 근원과 생명의 기원이나 존재의 신비를 탐구하고 이해하려고 할 때, 과학의 지식과 종교적 지혜의 융합을 필요로 한다고 보는 관점을 지향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종교란 특정한 교조, 교파, 교의를 절대시하는 종교는 아니며, 각종 종교가 보여주는 자기초월의 체험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가면서 타당한 것은 모두 통합하는 입장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때 종교와 과학의 융합이라기보다는 영성과 과학의 융합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초개아 심리학이 다루는 주제들은 전통적으로 종교적, 혹은 영적(spiritual)인 이슈로 여겨졌던 초월(transcendence), 궁극적인 의미 또는 가치들과 관련된 주제를 회피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이 학문은 종래의 서구 심리학의 주류에서 잘못된 환상이나 망상으로 여겨졌던 신비체험, 초상현상체험, 계시(revelation), 개오(enlightenment), 영적위기체험, 영혼의 암흑상태, 임사체험 및 탄생과 죽음, 채널링 등의 체험이 인간의 고차원적인 성장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사랑의 체험, 감정이입, 창조성과 영감, 초개아적 예술, 변성의식 상태, 꿈 상태의 의식, 심신상관 관계, 환각체험, 원형체험, 명상의 심리학, 동서양의 종교, 비교전통 속의 수행법과 체험, 불교심리학, 생태 중심적 의식, 진아와 자아실현의 심리학, 초개아적 남여관, 심리치료의 초개아적 접근법, 의식의 진화, 초개아적 연구방법, 지식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영속적 철학 등을 다루게 됩니다.



* 다른 학문들과의 연계성



초개아 심리학은 심리학의 한 분야이기도 하지만 철학, 정신의학, 사회학, 교육학, 인류학, 역사학, 문학, 종교학, 생물학, 물리학 등의 다른 분야의 학문들도 초개아적 현상을 탐구하는 데에 각기 고유한 방식으로 기여함을 인식하고 통합적 접근법을 취합니다.



3. 일반대중을 위한 Transpersonal Psychology & Psychiatry와 관련된 출판물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1998) 정인석 대왕사

모든 것의 역사 A.Brief History of Everything by K.Wilber(2004) 조효남 대원출판

무경계 No Boundary by K. Wilber(2005) 김철수

<자아초월 정신치료 역서>

Transpersonal Psychotherapy(2006) by S Boorstein 정성덕 외 중앙문화사

자아초월 정신치료 사례분석집 (2005) 정성덕&Luke C.Kim

Clinical Studies in Transpersonal Psychotherapy by S. Boorstein 하나의학사

4. 신경정신 의학회지에 실린 논문 중 종교, 영성과 관련된 논문



최영민 이정호(1998), 기독교 신앙이 외래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7 1023-1033



최영민(1994), 정신과의사와 환자의 기독교 신앙이 정신과 치료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33 1343-1350



이준석 김광일(1998), 정신분열병환장의 종교 성향과 망상에 나타난 박해자, 신경정신의학 37 1034-1042



이준석 김광일(1997), 정신분열증 환자의 종교성향과 망상, 신경정신의학36 416-432



이만홍 김동화(2000), 종교적 회심 경험과 자기애성 인격성향 사이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39 825-837



이만홍 이산혁(2000), 신비체험과 해리성향과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39 691-697



하현봉 박철수(1993), 정신질환자들의 종교적 믿음, 행위 및 체험, 신경정신의학 32 913-921



이정호 김영미(1999), 명상이 정서상태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8 491-500



이정호 김영미(1997), 명상이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인식에 미치는 효과, 신경정신의학 36 723-731



정성덕 Luke C Kim (2000), 자아초월적 배경에서 본 의식의 기본구조와 심우송, 신경정신의학 39 334-350



정성덕 외 (2001), 한국판 영적 안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0 230-242



이부영 우종인(1999), 전통적 양생술의 이론적 기초연구, 신경정신의학 38 27-36



이상혁 최태규 (2005), 불안환자에서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44 690-699



최훈동 신성웅(2005), 불교의 무아사상의 정신 치료적 의의, 신경정신의학 44 754-762



이상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정신치료대상인 인간성 개발의 범주가 확대되어가거나 바뀌어 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 내용은 인격구조의 변화라 하겠습니다.



5. 영성과 인격구조



Freud는 Id(원본능), Ego(자아), Super-ego(초자아)

Platon :Three Partite of Soul ; Libidinous part(본능적인 리비도 부분)

Rational part(이성적 부분)

Spirited part(영적 부분)



6. 의식구조(Structure of Conscionsness)의 도해: Quated from K. Wilber history of everthing



보나벤쳐(Bonaventure)의 주장 : 인간은 존재자로써 3가지의 눈(眼)을 갖고 있다. 육체적 눈은 외부세계의 물질을 보는 제1의 눈, 마음의 눈은 생각, 심상, 상징 및 느낌 등의 인간내부 협의의 정신세계로 보는 제2의 눈, 그리고 묵상의 눈은 자아초월적 차원인 인간의 혼적 차원인 원형이나 현묘한 영적 계시의 인식 더 나아가서 이러한 경지를 넘어선 순수한 형태없는 의식인 자아를 벗어난 마음 혹은 신성의 세계를 보는 제3의 눈을 말한다.



7. 지금까지 정신역동적 견해와 영적 견해의 불화원인



가. Descartes(1600~1685) : 2원론 육체와 영혼

나. 정신분석과 환원주의 및 영성에 대한 정신분석적 곡해

다. 정신약물의 지나친 억제 및 부작용

라. 실험적 유희적 약물사용(환각제, 각성제 및 동물실험)

참조 : The Future of Illusion(1927),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1930) by

SIGMUND FREUD



8. 정신분석과 환원주의 -실예-



ceanic Feeling :대양감과 유아자애심리 infantile narcissism 에 대한 견해.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에 따라 어머니의 유방과 유아와의관계mother's breast & infant relation에서 유아는 전능감omnipotent을느끼게됨-이를성인이 되풀이 할때 퇴행regression된 행동으로 분석

1927년,환상의 미래 The Future of an Illusion에서 종교는 환상 religion as an illusioon 이라고 발표.

Romain Rolland ; 그의 친구 프랑스 시인, Rama Krishna 추종자, 명상가. Freud 의 의견에 동의함. 그러나 그는 종교인에게는 종교적 감상religious sentiment이있고 영원성에 대한 느낌sensation of eterniny을 추구함. 이는 어떤 경계가 없고 제한이없는 느낌 something limitless,unbounded sensation으로 대양감Oceanic Feeling이라고 제시했음.

Freud는 이를 화두 삼아 연구한 것이 문명과 이에 대한 불만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1930)에 실렸음.

퇴행결과 유아기적,무제한적 만족경험을 재실현. 그러나 싱비주의"Mysticism는 자아와 원본능ego and id의 밖았역역에서 일어나는 어떤 애매한 자기인식 obscure self-perception이라고 했음.내적 무의식과 외부세계 inner unconsciousness 와 external world 를 중계하는 자아의개념을 무한대로 확장시켜 우주를 포함. 최면적 무아상태와 황홀경 trance state and ecstasy 을 인정. 우주와 하나됨oneness with universe을 받아들임.

1938년 까지 고뇌에빠짐.struggling- 조건없는 사랑에 대한 유아적인 자애적 갈구 primitive infantile narcissistic craving 와 신비경험 mystical experience 간의 유사성과 병리현상을 구별.이를 ‘총채적으로 볼것이냐,초월로 볼것이냐’.라는 의문제기. 이에 대한 영적통로spiritual path를 제시한것은 Freud의 업적으로 평가. 이는 자아초월적문제Transpersonal Issue를 인정한 결과라고 하겠음.



9. 초월성향과 영성(Spirituality)



- 초월성향에 대하여

․ 인격기능은 기본신뢰와 주체성이 생긴 후 자아통합단계로 발전하게 됨.

․ 자아통합단계에서 자기실현이 이루어질 때 초월욕구가 병행하게 될 것으로 보았음.

․ 초월욕구(Transcendental Need)란 곧 초월성(Transcendence)으로 초월성향

(Transcendental trend)이 인성 속에 잠복해 있음을 인정한 것임.

․ 인성 내에 있는 초월성이 자연 혹은 신적 존재의 영성(spirituality)과 synergic union (상승적 결합)이 될 때 인성에 변화가 일어난다고 봄. 그 결과 f절정경험,지복감, 황홀 경 peak experience, bliss, ecstasy 등을 경험하게 됨. 이를 신비체험이라고도 함.

․ 초월성향이 곧 영성개발을 이끌어 준다고 하겠음(영성개발 : 신비체험).



10. Peak Experience나 황홀경의 경험실례들



1) alcohol user & special dance 음주와 특수 춤

2) Psychedelic Music 환각적 음악

3) Sexual orgasm 성적 오르가즘

4) 금식

5) 환각제 및 마약사용

6) 특별한 종교의식(신체자극과 명상)

7) 특수호흡법(과 호흡과 느린 호흡)

8) 그 외 의과학적 방법 및 무속적 방법



#제4심리학으로써의 자아초월심리학은 인격구조에다 영성을 수용했음.



☆ The 4th force of psychology

- Psychology that accept spirituality in human personality structure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1969)

① The 1st force of psychology 제 1 세력은 행동심리학.

․ Behavioral psychology

② The 2nd force of psychology 제 2 세력은 정신분석학.

․ Psychoanalysis

③ The 3rd force of psychology 제 3 세력은 인본주의심리학.

․ Humanistic psychology

④ The 4th force of psychology 제 4 세력은 영성을 추구하는 자아초월심리학.

․ Psychology that pursuits spirituality

영성대신 ‘트랜스퍼스널‘이란 용어 사용함. ․ usage of the term "transpersonal" instead "Spiritual" psychology (Maslow et al. 1968)



1. 자아초월 정신치료

자아초월 정신치료 (transpersonal psychotherapy)는 1960년대 후반 주로 정신 분석가들과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정신치료와 관련된 인간의 궁극적 건강과 행복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즉 그들은 전통적 정신치료로서는 치유적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그 한계의 극복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체험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런 체험을 위해 그들은 특히 선(禪)을 비롯한 동양적 명상에 주목하였다.

선불교(禪佛敎)에서 보는 인간의 본질은 신해지성(神解之性)의 지혜광명(智慧光明)이요, 그것을 드러내는 과정이 깨달음(각(覺))의 과정이다. 이 깨달음의 과정은 서양의 분석적 치료의 의식화 과정과는 질적인 차이를 보인다. 말하자면, 깨달음의 과정에서는 의식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무의식의 의식화보다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의식 그 자체」 를 문제삼고 관조한다.

의식화가 무엇을 의식하는 「소유」 의 개념이라면, 깨달음은 관조를 통해 인간의 본성인 지혜광명(智慧光明)을 드러내는 「존재」 의 개념이다. 지혜광명속에 「있는 그대로」 의 진여현실(眞如現實)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 진여현실이 곧 바로 자기자신이다. 이는 주체와 객체가 하나된(주객합일(主客合一)), 주체도 객체도 없어진 절대의식성의 무아(無我)상태이다. 이런 무아상태의 의식을 불가(佛家)에서는 청정의식(淸淨意識)이나 무루의식(無漏意識), 서양에서는 신비의식(mystic consciousness)이라고도 하고, 이는 번뇌의식(煩惱意識)이나 유루의식(有漏意識)의 분별성을 띈 소위 정상의식(normal consciousness)과는 구별된다.

자아초월은 무의식을 향한 자기반성적 의식(自己反省的 意識, self-reflective consciousness)을 인간 존재의 기초로 보고 무의식의 확대(expansion of unconsciousness)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아초월 심리학을 무루의식 학문 분야(consciousness disciplin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신치료적 지식이나 기법을 경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인간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이다. 그 통찰은 주로 동양적 명상을 통한 체험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자아초월 심리학과 그의 치료를 동양의 철학적 지혜(哲學的 智慧)와 서양의 과학적 지식(科學的 知識)의 효과적인 합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말하기도 한다.

이로써, 자아초월 정신치료는 지혜와 지식의 통합등 인간의 전일적 이해(全一的 理解)를 지향하고 추구하는 데 커다란 의의가 있다. (이죽내, 「자아초월 정신치료」서문 중에서)



2. 초자아 심리학의 세가지 기저 (정인석,「트랜스퍼스널 심리학」중에서)

1) 인간의 성장은 자아의 확립, 실존의 자각, 자기실현으로 지칭되는 인격=개성=퍼스낼리티의 단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웃, 공동체, 인류, 생태계, 지구, 우주와의 일체감, 동일성의 확립에 있다. 즉 자기초월의 단계에까지 도달하는데 있다.

2) 인간의 정신에는 태어날 때부터 구조적으로 자기초월의 단계에까지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잉태하고 있다.

3) 이러한 성장은 적절한 방법의 실천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3. 초자아 정신치료의 목적

1) 치료의 목적은 기존의 정신치료와 마찬가지로 증상완화 및 행동의 변화등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초개아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는 그들에게 맞는 치료과정이라면 모든 과정을 포함시킨다.

2) 그러기 위해 인간의 잠재력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용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우주나 신에 관한 것처럼 근원이 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며 인간의 정신 영역이 체험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포함한다.

3) Karma Yoga에서처럼 변화된 상태의 존재와 잠재력을 체험하기도 하며, 특정한 틀에 박힌 사고의 한계를 넘어서 우주 만물을 이해하는 것 등 즉, 치료자는 정신 역동적 과정을 통하여 작업을 해 나가는 것에 덧붙여 환자가 처한 문제들에서 벗어나 초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또한 이 과정에서 치료자는 자신과 환자 양쪽 모두가 이 치료를 위한 만남을 서로의 성장을 위한 것으로 받아들이며 환자에게 일방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김영우, 홈페이지 중에서)



4. 초자아적 최면치료

일반적인 최면기법들과 달리 초개아적 관점과 테크닉들을 사용하는 최면치료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전생퇴행요법이나 미래진행, 신비체험이나 영적인 현상에 대한 접근을 기존의 최면기법들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의식의 성장을 목적으로 한다.

(김영우, 홈페이지 중에서)

2021/10/28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 - Wikipedia [밑에 한역]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 - Wikipedia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トランスパーソナルしんりがく,英:Transpersonal psychology)とは、人間性心理学を発展させ、ヒューマンポテンシャル運動ニューエイジの人間観を取り入れた心理学で、個体的・個人的(パーソナル)なものを超える(トランス)、または通り抜けることを目指し、あるいはそうした経験を重視する[1][2][3]。1960年代アメリカで、学生運動、LSD文化、ヒンドゥー教仏教などの東洋思想の流入、ニューエイジ運動の影響を受け、行動主義心理学精神分析人間性心理学に続く新しい心理学の分野として誕生し展開した[2][4][5]

概要[編集]

トランスパーソナルな経験、通常の人間個人の限りある自己意識が拡大し、より大きな、より意味に満ちた現実とつながる経験や、死後の世界や宇宙空間、母胎への回帰や過去生のイメージ体験等を重視する[1][6]。宗教的もしくはスピリチュアルな経験がトランスパーソナルな問題の中心にあるとみなされることが多いが、他者、人類、生命、地球、自然への関心の拡大、共感にも関わるものである[1]。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は、従来の心理学のように個人の悩みの解決を目指すのではなく、人類共通の悩みを対象にし、ユングの言う集合的無意識を、人類の過去の記憶といえる前個的無意識と人類の未来の可能性を含む超個的無意識に分けて考える[2]

永遠の哲学」の最も新しい表出形態とも表現でき、近代オカルティズムニューエイジに大きな刺激を受けている[7]宗教学者の大田俊寛は、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は、「宇宙的存在に触れることで本当の自分に目覚める」というモチーフを共に骨子とするユング心理学の体系と、神智学的なヨーガ論を融合させたものとみることができる、としている[8]

欧米の若者の間でドラッグが大衆化し、多くの人がドラッグによる自我意識を越えた体験を実感したこと、エサレン研究所を中心とするヒューマンポテンシャル運動の発展、それまでの思想や学問、文化、近代的な個人主義の限界を越えようという若者文化で、ヒューマンポテンシャル運動とも大いに関連するニューエイジ運動の中から新たに誕生した[3][2]

正確な意味では、1901-02年にかけてアメリカの心理学者ウィリアム・ジェームズエディンバラ大学でのギフォード講義(1902年に『宗教的経験の諸相』として出版)に始まった[1]

先に人間性心理学を提唱した心理学者アブラハム・マズローは、晩年にその自己実現の理論の最上位に自己超越を置いていた[9]。また、もっとも影響力の大きい論客として、ニューエイジ思想家のケン・ウィルバーがいる[1]

宗教の思想や実践に多大な影響を受けているが、本質的に応用科学であり、宗教とは区別される[1]。信念や態度・社会行動よりは経験を重視し、心理学者はスピリチュアルな変容過程を観察するだけでなく参加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しており、この点がほかの心理学とかなり異なっている[1]。また、超心理学心霊研究と多くの関心(明晰夢転生幽体離脱臨死体験テレパシーなど)を共有するが、超常現象が現実的に存在する客観的・物理的な証拠を探すより、超常的な経験が個人の主観に与える意味やスピリチュアルな変容を促進する能力等に注目する点で異なる[1]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定義[編集]

Vichの研究によると[10]、最初の「トランスパーソナル」という言葉は、ウィリアム・ジェームズが1905-1906年にハーバード大学の授業の準備のために用意したノートに見られる。トランスパーソナル学会を設立したグロフは、ユングが言葉を作ったと説明している[11]

Lajoieとシャピロは、40の1969年から1991年までに記事になった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定義をレビューし、各定義に共通の5つの特徴を抽出した。それは(1)意識の状態、(2)至高または究極的な潜在性、(3)自我または自己の超越、(4)超越性、(5)スピリチュアルだとした[12]

ウォルシュとヴォーンによるレビューは、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が、心理学のトランスパーソナル体験や関連する現象の研究に焦点をあてていることを示し、トランスパーソナル体験やその発達の原因や影響や相関、訓練や実践を含んでいるとした[13]

歴史[編集]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を「永遠の哲学」の最も新しい表出形態であると捉えると、その源泉は近代オカルティズムおよびその影響を強く受けたニューエイジ思想にまで遡ることができ、神秘家のゲオルギィ・グルジェフアリス・ベイリーらの影響を受けている[7][1]

1960年代には欧米の若者の間で広くサイケデリック・ドラッグが使われるようになり、こうした社会変化が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発展を後押しした[1]LSDメスカリンがスピリチュアルな意識状態を促進すると考える人たちが現れ、オルダス・ハクスリーが『知覚の扉』(1954年)を出版した。精神科医のスタニスラフ・グロフは、チェコスロバキアで3000以上ものLSDの臨床研究を行い、LSDがトランスパーソナルな現実の経験を可能にすると確信した[1][3]。また、この時期に欧米ではヒンドゥー教仏教を中心とする東洋宗教や瞑想への関心が高まり、多くの欧米人が東洋宗教に、実践的かつ心理学的に洗練された技術を見出し、西洋の伝統宗教に乏しい直接的なスピリチュアル体験を可能にするものだと考え注目した[1]。こうした東洋思想はカウンターカルチャーに取り込まれ、さらにアラン・ワッツ鈴木大拙オーロビンド・ゴーシュチョギャム・トゥルンパなどの宗教者・著作家を通じて、学術的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中心となっていった[1]。最も影響が大きかったのはヒンドゥー教と仏教だが、カバラー主義、キリスト教神秘主義、グルジェフの教え、シャーマニズムスーフィズム道教神智学ウィッカといった他の宗教的神秘の教えも影響を与えた[1]

ウィリアム・ジェームズジークムント・フロイトオットー・ランクカール・グスタフ・ユングアブラハム・マズローロベルト・アサジオリ(精神分析学者でフロイトとアリス・ベイリーの弟子)は、トランスパーソナル研究へとつながる土台を用意してきた[14][15][16]

この新しい学問領域を確立する有力な動機になったものは、人間性心理学を提唱した心理学者アブラハム・マズロー至高体験に関するすでに出版されていた発表であった。マズローは、1967年サンフランシスコのユニテリアン教会で、エサレン研究所の主催で行われた「人間の潜在的能力のさらなる到達点」と題する講演を行い、その中で人間性心理学の次の段階としての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誕生を宣言した[3]。マズローの人間性心理学は、1960年代のヒューマンポテンシャル運動から育ってきたものであり、フロイトの精神分析行動主義心理学という当時の二大潮流に対する、第三の心理学として生まれたものだった[17]。マズローは、エサレン研究所での潜在能力開発実験などを通し、人間の成長が自己実現を越えた自己超越にまで広がるという予感を持っていた[3]。マズローは、LSDの臨床を通し同様の結論に達していたスタニスラフ・グロフとの出会いをきっかけに、人間性心理学を越えた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設立が必要だと考えるようになり、アンソニー・ステッチ、ジェームズ・ファディマンらの協力を得て、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誌の発刊の準備を進めた[3]。1969年にマズローは死去したが、同年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学会誌の第1号が発行され、第1回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会が開かれた[18]。一方、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は、自らの合理的、臨床的心理学を超越するものとして、東洋宗教の世界が不可欠のものとなった。[19]

学術的な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会が設立されて以降、変性意識状態や瞑想の生理学的、心理学的効果などの幅広い研究が進んだ[1]

1996年には、イギリス心理学会が専門的な心理学会として初めて、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を専門的な学術区分として承認している[1]

代表的な心理学者[編集]

代表的な心理学者としては、イタリア人でサイコシンセシス(精神統合)のロベルト・アサジオリ人間性心理学でも知られ、至高体験にも焦点をあてたアブラハム・マズロー、LSDの臨床研究を行いLSD禁止後にホロトロピック・ブレスワークを開発した精神科医のスタニスラフ・グロフなどが上げられる。ヒンドゥー教・仏教の影響を強く受けたニューエイジ思想家・哲学者のケン・ウィルバーは、学術的トランスパーソナル運動で最も影響力があり、賛否両論ある論客だった[1]。彼は後年、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から距離を取るようになり、自身の思想を「統合的」と好んで形容し、インテグラル思想と呼んでいる[1][20]

批判[編集]

ウォルシュとヴォーンは、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定義の多くは、暗黙の過程や前提があると批判した[13]

主な研究機関[編集]

日本国内にも、大学等で研究する研究者は存在する。

  • 相模女子大学

大学院レベルで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を専攻できる大学。

  • Sofia University(旧 Th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US)
  • John F. Kennedy University (US)
  •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US)
  • Saybrook Institute (US)
  • Naropa University (US)
  •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UK)

出典・脚注[編集]

  1.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Michael Daniels 執筆『現代世界宗教事典—現代の新宗教、セクト、代替スピリチュアリティ』クリストファー・パートリッジ英語版 編、井上順孝 監訳、井上順孝・井上まどか・冨澤かな・宮坂清 訳、悠書館、2009年。
  2. a b c d 友久久雄「悩みに対する宗教的・心理的アプローチに関する研究 : 大学生の悩みとその解決方法」『龍谷大学仏教文化研究所紀要』第51巻、龍谷大学佛教文化研究所、2012年、 1-9頁、 NAID 110009676634
  3. a b c d e f 村川治彦「アメリカにおけるニューエージ運動の源流とその特徴(前半) (PDF) 」 『ホリスティック教育研究』第7巻、日本ホリスティック教育協会、2004年、 47-58頁、 NAID 40007461925
  4. ^ 小田利勝「行動発達概論 (PDF) 」、神戸大学。
  5. ^ 三谷嘉明・古屋健「高齢期におけるスピリチュアリテイの発達」『名古屋女子大学紀要 人文・社会編』第52号、名古屋女子大学、2006年、 1-13頁、 NAID 120005696019
  6. ^ 三省堂 大辞林 第三版
  7. a b 浅井雅志「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一源泉としてのグルジェフ 日本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精神医学会 第 14 回学術大会プログラム 基調講演 (PDF) 」、日本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精神医学会、2013年。
  8. ^ 大田俊寛『オウム真理教の精神史―ロマン主義・全体主義・原理主義』春秋社、2011年、85頁。
  9. ^ アブラハム・マズロー、(編集)ロジャー・N・ウォルシュ、フランシス ヴォーン、(訳編)吉福伸逸「メタ動機:価値ある生き方の生物学的基盤」『トランスパーソナル宣言-自我を超えて』上野圭一訳、春秋社、1986年、225-244頁。ISBN 978-4393360033 BEYOND EGO, 1980.
  10. ^ Vich, M.A. (1988) "Some historical sources of the term "transpers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 (2) 107-110
  11. ^ ジョン・ホーガン「第9章神の精神科医」『科学を捨て、神秘へと向かう理性』竹内薫訳、徳間書店、2004年、229-255頁。ISBN 4-19-861950-6Rational mysticism, 2003.
  12. ^ Lajoie, D. H. & Shapiro, S. I. "Definition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first twenty-three year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Vol. 24, 1992
  13. a b Walsh, R. & Vaughan, F. "On transpersonal definition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5 (2) 125-182, 1993
  14. ^ Cowley, Au-Deane S. & Derezotes, David.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10437797, Winter, Vol. 30, Issue 1, 1994
  15. ^ Miller, John J. "Book review: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Psychiatric Services April 01, 1998
  16. ^ Davis, John. "An overview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Humanistic Psychologist, 31:2-3, 6-21, 2003
  17. ^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の現状と限界/果たして理論は禅を超えられるのか? 青山正明論、1999年。
  18. ^ 岡野守也『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青土社、2000年、増補新版、83頁。ISBN 978-4791758265
  19. ^ 玉川信明『和尚の超宗教的世界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との相関関係』社会評論社、2001年、10頁。ISBN 4-7845-1413-9
  20. ^ Wilber, K. (2000). Waves, streams, states, and self-A Summary of my psychological model (Or, outline of an integral psychology). http://wilber.shambhala.com/html/books/psych_model/psych_model8.cfm/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




Transpersonal 심리학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네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Transpersonal 심리학 (Transpersonal psychology)은 인간성 심리학 을 발전시켜 인간 잠재력 운동 및 뉴 에이지 의 인간관을 도입 한 심리학으로 개인적 및 개인적 (개인적) )을 넘는 (트랜스), 또는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거나 그러한 경험을 중시한다 [1] [2] [3] . 1960년대 미국에서 학생운동, LSD 문화, 힌두교 와 불교 등 동양사상의 유입, 뉴에이지운동의 영향을 받아 행동주의심리학 , 정신분석 , 인간성심리학 에 이어 새로운 심리학 분야로 탄생하여 전개한 [2] [4] [5] .

개요 편집 ]

트랜스퍼스널한 경험, 통상의 인간 개인의 한계 있는 자기 의식이 확대해, 보다 큰, 보다 의미가 가득한 현실과 연결되는 경험이나, 사후의 세계나 우주 공간, 모태에의 회귀나 과거생의 이미지 체험 등 을 중시한다 [1] [6] . 종교적 또는 영적 경험이 트랜스퍼소널 문제의 중심에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타인, 인류, 생명, 지구, 자연에 대한 관심의 확대, 공감에도 관여하는 것이다 [1] . 트랜스퍼스 심리학은, 종래의 심리학과 같이 개인의 고민의 해결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 공통의 고민을 대상으로 해, 융이 말하는 집합적 무의식 을, 인류의 과거의 기억이라고 할 수 있는 전개적 무의식과 인류의 미래의 가능성을 포함한 초개적 무의식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2] .

영원의 철학」의 가장 새로운 표출 형태라고도 표현할 수 있어, 현대 오컬티즘 이나 뉴에이지 에 큰 자극을 받고 있다 [7] . 종교학자인 오타 토시히로 는,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은, 「우주적 존재에 접하는 것으로 진정한 자신에게 일어난다」라고 하는 모티프를 함께 골자로 하는 융 심리학 의 체계와, 신지학 적인 요가 론을 융합시켜 라고 볼 수 있다, 하고 있다 [8] .

서양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드래그가 대중화하고, 많은 사람들이 드래그에 의한 자아의식을 넘은 체험을 실감한 것, 에 살렌 연구소 를 중심으로 하는 휴먼 포텐셜 운동 의 발전, 지금까지의 사상이나 학문, 문화, 현대적인 개인주의의 한계를 넘으려는 젊은이 문화에서 휴먼 포텐셜 운동과도 매우 관련된 뉴에이지 운동 속에서 새롭게 탄생했다 [3] [2] .

정확한 의미에서는 1901-02년에 걸쳐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 의 에든버러 대학 에서의 기포드 강의 (1902년에 『종교적 경험의 제상』으로서 출판)에 시작되었다 [1] .

먼저 인간성 심리학 을 제창한 심리학자 아브라함 머슬로우 는, 만년에 그 자기 실현 의 이론의 최상위에 자기 초월을 두고 있었다 [9] . 또, 가장 영향력이 큰 논객으로서, 뉴에이지 사상가의 켄 윌버 가 있다 [1] .

종교의 사상이나 실천에 큰 영향을 받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응용 과학이며, 종교와는 구별된다 [1] . 신념이나 태도·사회 행동보다는 경험을 중시하고, 심리학자는 영적 변용 과정을 관찰할 뿐만 아니라 참가해야 한다고 하고 있으며, 이 점이 다른 심리학과 상당히 다르다 [1] . 또한 초심리학 이나 심령연구 와 많은 관심( 명수몽 , 환생 , 유체이탈 , 임사체험 , 텔레파시 등)을 공유하지만 초상현상 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객관적·물리적인 증거를 찾는다 보다 초상적인 경험이 개인의 주관에 주는 의미나 영적 변화를 촉진하는 능력 등에 주목하는 점에서 다르다 [1] .

Transpersonal 심리학의 정의 편집 ]

Vich의 연구에 따르면 [10] , 최초의 "트랜스퍼스널"이라는 말은, 윌리엄 제임스가 1905-1906년에 하버드 대학의 수업 준비를 위해 준비한 노트에서 볼 수 있다. 트랜스퍼스널 학회를 설립한 그로프는, 융이 말을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11] .

Lajoie와 샤필로는 40의 1969년에서 1991년까지 기사가 된 transpersonal 심리학의 정의를 검토하고 각 정의에 공통된 다섯 가지 특징을 추출했다. 그것은 (1) 의식의 상태, (2) 최고 또는 궁극적 인 잠재성, (3) 자아 또는 자기의 초월, (4) 초월성, (5) 영적이라고했다 [12] .

월시와 본에 의한 검토는 트랜스퍼스 심리학이 심리학의 트랜스퍼스널 체험이나 관련 현상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트랜스퍼소널 체험이나 그 발달의 원인이나 영향이나 상관, 훈련이나 실천을 포함한다고 했다 [13] .

역사 편집 ]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을 '영원한 철학'의 가장 새로운 표출 형태라고 파악하면, 그 원천은 근대 오컬티즘과 그 영향을 강하게 받은 뉴에이지 사상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 신비가의 게오르기 구르제프 와 앨리스 베일리 등의 영향을 받고 있다 [7] [1] .

1960년대에는 서양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널리 사이키델릭 드래그 가 사용되게 되었고, 이러한 사회 변화가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의 발전을 뒷받침했다 [1] . LSD 와 메스칼린 이 영적 의식상태를 촉진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타나 올더스 헉슬리 가 '지각의 문'(1954년)을 출판했다. 정신과 의사 스태니슬라프 그로프 는 체코 슬로바키아에서 3000 개 이상의 LSD에 대한 임상 연구를 실시하여 LSD가 트랜스퍼 홀 현실 경험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1] [3] . 또한이 시기에 서구에서는 힌두교 와 불교 를 중심으로 한 동양 종교와 명상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많은 서양인들이 동양 종교에 실천적이고 심리학적으로 세련된 기술을 찾아 서양의 전통 종교가 부족한 직접적인 영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주목했다 [1] . 이러한 동양 사상은 카운터 문화 에 받아 들여져 , 앨런 와츠 , 스즈키 오오조 , 오 로빈드 고슈 , 조갬 투룸파등의 종교자·저작가를 통해, 학술적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의 중심이 되어 갔다 [1] . 가장 영향이 컸던 것은 힌두교와 불교이지만, 카바라 주의, 기독교 신비주의 구르 지에프의 가르침, 샤머니즘 , 수피즘 , 도교 , 신지학 , 위카 같은 다른 종교적 신비의 가르침도 영향을 미쳤다 [1 ] .

윌리엄 제임스 , 지크문트 프로이트 , 오토 랭크 , 칼 구스타프 융 , 아브라함 머슬  , 로버트 아사디올리 (정신 분석 학자로 프로이트와 앨리스 베일리의 제자)는 트랜스퍼소널 연구로 이어지는 토대를 마련해 한 [14] [15] [16] .

이 새로운 학문 영역을 확립하는 유력한 동기가 된 것은 인간성 심리학 을 제창한 심리학자 아브라함 머슬로 의 최고 체험 에 관한 이미 출판된 발표였다. 머슬로우 는 1967년 샌프란시스코의 유니테리안 교회 에서 에살렌 연구소의 주최에서 행해진 「인간의 잠재적 능력의 추가 도달점」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실시해, 그 중에서 인간성 심리학의 다음 단계로서의 트랜스퍼스 심리학의 탄생을 선언했다 [3] . 머슬로의 인간성 심리학은 1960년대의 휴먼 포텐셜 운동 에서 성장해 온 것으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과 행동주의 심리학 이라는 당시의 2대 조류에 대한, 제3의 심리학으로서 태어난 것이었다 [17] . 머슬로우는 에살렌 연구소에서의 잠재 능력 개발 실험 등을 통해 인간의 성장이 자기 실현을 넘은 자기 초월까지 퍼진다는 예감을 가지고 있었다 [3] . 머슬로우는 LSD의 임상을 통해 비슷한 결론에 이르고 있던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와의 만남을 계기로 인간성 심리학을 넘은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어 앤서니 스티치 , 제임스 파디만 등의 협력을 얻어,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지의 발간의 준비를 진행했다 [3]1969년에 머슬로우는 사망했지만, 같은 해 트랜스퍼스 심리학회지의 제1호가 발행되어 제1회 트랜스퍼소널 심리학회가 열렸다 [18] . 한편,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은, 스스로의 합리적, 임상적 심리학을 초월하는 것으로서, 동양 종교의 세계가 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19]

학술적인 트랜스퍼스 심리학회가 설립된 이후 변성의식상태 나 명상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효과 등의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1] .

1996년에는, 영국 심리학회가 전문적인 심리학회로서 처음으로,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을 전문적인 학술 구분으로서 승인하고 있다 [1] .

대표적인 심리학자 편집 ]

대표적인 심리학자로는 이탈리아 인에서 사이코신세시스 (정신통합)의 로베르토 아사디올리 , 인간성 심리학 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최고 체험 에도 초점을 맞춘 아브라함 머슬로 , LSD의 임상 연구를 실시하여 LSD 금지 나중에 홀로트로픽 브레스워크 를 개발한 정신과 의사의 스타니슬라프 그로프 등이 올라간다 . 힌두교·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뉴에이지 사상가·철학자의 켄 윌버 는, 학술적 트랜스퍼소널 운동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어, 찬반양론 있는 논객이었다 [1] . 그는 후년,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으로부터 거리를 취하게 되어, 자신의 사상을 「통합적」이라고 선호하고 형용해, 인테그랄 사상이라고 부르고 있다 [1] [20] .

비판 편집 ]

월시와 본은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의 정의의 대부분은 암묵적인 과정이나 전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13] .

주요 연구 기관 편집 ]

일본 국내에도 대학 등에서 연구하는 연구자는 존재한다.

  • 사가미 여자 대학

대학원 레벨에서 트랜스퍼소널 심리학을 전공할 수 있는 대학.

  • Sofia University(구 Th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US)
  • John F. Kennedy University (US)
  •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US)
  • Saybrook Institute (US)
  • Naropa University (US)
  •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UK)

출처・각주 편집 ]

  1. r Michael Daniels 글쓰기 『현대 세계 종교 사전—현대의 신종교, 섹트, 대체 영성』크리스토퍼 퍼트리지 영어판 ) 편, 이노우에 순효 감역, 이노우에 준효·이노우에 마도카·후가사와 카나·미야자카 청역, 유서관, 2009년.
  2. d 토모히사 히사오 「고민에 대한 종교적·심리적 어프로치에 관한 연구: 대학생의 고민과 그 해결방법」 1-9 페이지, NAID  110009676634 .
  3. f 무라카와 치히코 “ 미국에서의 뉴에이지 운동의 원류와 그 특징(전반) PDF ) ” 『홀리스틱 교육 연구』 제7권, 일본 홀리스틱 교육 협회, 2004년 , NAID 40007461925 . 
  4. 오다 토모카츠 「행동 발달 개론 PDF )」, 고베 대학.
  5. 미타니 가메이·후루야 켄 “ 고령기에 있어서의 스피리츄어 리테이의 발달 ” “나고야 여자 대학 기요 인문·사회편” 제52호, 나고야 여자 대학, 2006년, 1-13페이지, NAID 120005696019 . 
  6. ↑ 삼성당 대사림 제3판
  7. b 아사이 마사시 「트랜스퍼스널 심리학의 일원천으로서의 구르제프 일본 트랜스퍼스널 심리학・정신의학회 제14회 학술대회 프로그램 기조 강연 PDF )」 .
  8. 대전 슌 히로시앵무리 진리교의 정신사 ―로만주의・전체주의・원리주의』춘추사 , 2011년, 85페이지.
  9. 아브라함 매즐로, (편집) 로저 N 월시, 프란시스 본, (역편) 요시후쿠 신이치 「메타 동기 : 가치있는 삶의 생물학적 기반」 「트랜스퍼스널 선언-자아를 넘어」 , 춘추사, 1986, 225-244 페이지. ISBN 978-4393360033 .   BEYOND EGO , 1980.
  10.  Vich, MA (1988) "Some historical sources of the term "transpers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 20 (2) 107-110
  11. ↑ 존 호건 「제9장 신의 정신과의」 「과학을 버리고, 신비로 향하는 이성」 타케우치 가오루, 토쿠마 서점, 2004년, 229-255쪽. ISBN 4-19-861950-6 .  Rational mysticism , 2003.
  12.  Lajoie, DH & Shapiro, SI "Definition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first twenty-three year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 Vol. 24, 1992
  13. ↑ b Walsh, R. & Vaughan, F. "On transpersonal definition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 25 (2) 125-182, 1993
  14.  Cowley, Au-Deane S. & Derezotes, David.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10437797, Winter, Vol. 30, Issue 1, 1994
  15.  Miller, John J. "Book review: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Psychiatric Services April 01, 1998
  16.  Davis, John. "An overview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Humanistic Psychologist , 31:2-3, 6-21, 2003
  17. ↑ 트랜스퍼스 심리학의 현상과 한계/과연 이론은 선을 넘을 수 있을까? 아오야마 마사아키 론, 1999년.
  18. ↑ 오카노 모모야『트랜스퍼스널 심리학』청도사, 2000년, 증보 신판, 83페이지. ISBN 978-4791758265 . 
  19. ^ 타마가와 노부아키 「와상의 초종교적 세계 트랜스퍼소널 심리학과의 상관관계」사회평론사, 2001년, 10페이지. ISBN 4-7845-1413-9 .
  20.  Wilber, K. (2000). Waves, streams, states, and self-A Summary of my psychological model (Or, outline of an integral psychology). http://wilber.shambhala.com/html/books/psych_model/ psych_model8.cfm/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