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Korea Quaker.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Korea Quaker. Show all posts

2020/09/12

Secular Buddhism: Imagining the Dharma in an Uncertain World by Stephen Batchelor | Goodreads

Secular Buddhism: Imagining the Dharma in an Uncertain World by Stephen Batchelor | Goodreads

Secular Buddhism: Imagining the Dharma in an Uncertain World

 3.92  ·   Rating details ·  169 ratings  ·  27 reviews

An essential collection of Stephen Batchelor’s most probing and important work on secular Buddhism



As the practice of mindfulness permeates mainstream Western culture, more and more people are engaging in a traditional form of Buddhist meditation. However, many of these people have little interest in the religious aspects of Buddhism, and the practice occurs within secular contexts such as hospitals, schools, and the workplace. Is it possible to recover from the Buddhist teachings a vision of human flourishing that is secular rather than religious without compromising the integrity of the tradition? Is there an ethical framework that can underpin and contextualize these practices in a rapidly changing world?



In this collected volume of Stephen Batchelor’s writings on these themes, the author explores the complex implications of Buddhism’s secularization. Ranging widely—from reincarnation, religious belief, and agnosticism to the role of the arts in Buddhist practice—he offers a detailed picture of contemporary Buddhism and its attempt to find a voice in the modern world. (less)



Write a review

Shelley Schanfield

Oct 11, 2017Shelley Schanfield rated it it was amazing

Batchelor continues his exploration from other books (Buddhism without beliefs and Confession of a Buddhist atheist) on how to make the ancient system of Buddhist thought practical in the modern world. He is skilled at whittling the Buddha's teachings down to their essence and removing the 'religiosity' that sometimes obscures its utter usefulness.



In earlier books, he documents his doubts about teachings on karma and rebirth in the Tibetan and Korean monastic traditions. He touches on them here only to say that despite his doubts, he found Buddhist practices such as generosity, tolerance, compassion, and so forth, were not only compatible with his "post-modern secular worldview" but enhanced it.



A favorite quote that resonates with my own insights during meditation:

"Meditation on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for example, did not—as the Buddha insisted it would —lead me to disenchantment, dispassion, and a resolve not to be born again but to an ever -deepening awareness of life's infinitely poignant beauty..." (p. 157) (less)

flag4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Albert

May 06, 2017Albert added it

Shelves: library-borrow

Batchelor's essays were just the tonic I needed at this juncture in what was becoming a somewhat lapsing practice. I think his notion that study can be a sustaining palliative to sitting is something I needed to hear, and his framing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culture clarifies some subtleties I might have missed or forgotten along the way.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Lachlan

Jan 12, 2019Lachlan rated it really liked it

While I was perhaps a little disappointed by the brevity of this collection (~250 pages) it was wonderful to see Batchelor develop his secular vision of the Dhamma, and engaging to follow his interests and influences through interviews and research.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Stephen

Apr 10, 2018Stephen rated it it was ok

I loved his essay on Buddhism 2.0. The title seems to imply a disregard or need to cast off some of the current/past forms of Buddhism but his approach was not that, merely he suggests a framework for a secular Buddhism.



His insight in that essay is looking at the four noble truths from the traditional:



1. Existence is suffering.

2. The origin of suffering is craving.

3.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nirvana.

4. The noble eightfold path is the way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to something like



1. Embrace suffering, i.e., experience it fully

2. Let go of the grasping/craving that arises in an attempt to overcome suffering

3. Stop reacting to suffering

4. Act unconditioned by reactivity (by following the eightfold path)



There is more in that essay as well, and it is excellent.



The rest of the essays and interviews seemed uneven and though it was a series of essays and interviews, I didn't follow a thematic thread. I like Batchelor a lot and recommend maybe Buddhism Without Beliefs if you are new to him. This would be a better book later, and allow the reader to skip around to topics of interest (which he does not recommend in the intro).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Yolanda Blanch Ruiz

Jun 22, 2017Yolanda Blanch Ruiz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must-read

A must read for anyone interested in a buddhism without religion!!! A masterpiece of thought imho!!!!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Shelli

Jun 02, 2017Shelli rated it liked it

Recommends it for: Buddhists only

Shelves: nonfiction, dharma-and-general-buddhism, netgalley, to-review-or-comment, checkouts-library

Review to follow.



I received an advance electronic copy of this book via NetGalley, courtesy of publisher Yale University Press, in exchange for my honest feedback and review.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Alex Jehu

Dec 18, 2019Alex Jehu added it

6 notes & 45 highlights

It was great to read this book by Stephen Batchelor as it highlighted to me the dynamics of translating from one language into another, and the difficulties in doing this; namely in relation to capturing the full essence/meaning of a word originally written in Pali or Sanskrit. It has really made me respect the fact that 'all translation is interpretation'. I suppose Batchelor uses this reasoning (amongst others) to justify his presented version of a secular Buddhism which reconfigures the Four Truths for the Nobel and the Eightfold Path.

A rewarding aspect of reading this book was his explanation for agnosticism towards certain ideas found within Buddhism, namely reincarnation. I feel that I was committing to an 'either or' before, but now having understood the agnostic position, and how it can help one focus more on practicing Buddhist methods (namely mindfulness), I am more comfortable in loosening my grip on what reincarnation. This has brought me some relief though I sometimes have to remind myself of the agnostic attitude and that it doesn't mean I can't hope that something is true. I guess belief is faith whilst knowing is experience.

I found the later part of the book, where Batchelor goes into detail about his collage art interesting but at times felt like he should perhaps write a separate whole other book on the topic given his very apparent enthusiasm. Nevertheless, I resonated with his art in that I often like to pay attention to objects that I think the world completely overlooks. It does feel like a gift sometimes, perhaps this is because you feel like you're the only one who is doing the act of paying attention. Like being the only person on top of Everest, no one else in the entire world has your perspective in the moment you're up there. But come to think of it, we have these moments everyday without any deliberate effort I think.

I understand that Batchelors desire is to present Buddhism as a practice above anything else, and to inform people that the reincarnation ideas were a product of the time the Buddha was in and the world in which he grew up.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Bohdan Pechenyak

Jun 30, 2020Bohdan Pechenyak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philosophy, psychology, spirituality-religion

A fascinatingly relatable, for me personally, and wonderfully fresh synthesis by Stephen Batchelor, building on his previous efforts to formulate a “secular Buddhist” approach to practice and living. An attempt to modernise Buddhism, to adapt it to the challenges and needs of contemporary Western society, and, in so doing, to go back to the basic, stripped-down teachings of the Buddha. A collection of essays and articles written earlier plus several new chapters, this book examines how life, art, and meditation practices all fit seamlessly together into something he calls “Buddhism 2.0”.



Some key themes include the story of Nanavira Thera and his life in the Sri Lankan jungle, immersed in translating and adapting Buddhist texts into English; Buddhist agnosticism and it’s limits; what a mindful nation might look like; discussions of what comes “after Buddhism” - secular Buddhism? Buddhism 2.0? Something else entirely?; and how art and imagination are similar with and different from meditation practices; closing the book on the consideration of an “aesthetics of emptiness”.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Jeffrey

Jul 21, 2018Jeffrey rated it really liked it

I came into this book expecting some sort of wishy-washy, watered down form of Buddhism. This book is certainly not that. Batchelor's project here is similar to Bultmann's demythologization of Christianity. He seeks to liberate the Buddha's teaching from ancient Indian soteriology, to find the underlying "kerygma" of the Buddha. Unlike Bultmann, Batchelor's deconstruction leaves him with a functioning, valuable and reverent approach to Buddhism. One which does not reject the four Noble Truths, Conditioned Arising or the Pali Canon.



I was also pleased to find that Batchelor railed against the Western Buddhist tendency to focus on practice and reject study. Batchelo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tudying the Pali Canon, and Buddhist Philosophy. Batchelor is a scholar, and he does not fall into the trap of sentimentalism.



While I am not a Buddhist, I found this to be a great read.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Kevin

Apr 25, 2018Kevin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I think I won’t finish this. It’s fascinating, and I learned a lot about what a secular Buddhism might look like, and I like it. I’m very attracted to Buddhism. But I’ve lived my entire life in a Christian world. I think it will be more fruitful for me to begin working on what my version of a secular Christianity might look like, rather than try to jump ship to an entirely foreign practice system. I will find a way to incorporate mindfulness work into my secular Christianity, though, for sure. Maybe it will be my version of prayer? Anyone have any suggestions on where I might start reading about secular Christianity? Or maybe it’s for me to construct for myself. Weirdly, Quakerism probably comes close, especially those Quakers who do not consider themselves Christian. But right now, I’m in a position in which it’s not possible for me to attend Meeting. 😣 (less)

flagLike  · 1 comment · see review

Kevin Maness

May 11, 2018Kevin Maness rated it really liked it

Didn’t actually read the whole thing, but I did find it helpful. After a while, I started to realize that, as much as I admire Buddhism, I’ve grown up Christian, and that’s my culture, more or less. Although I’ve become increasingly secular in my understanding, I still appreciate the core values of Christianity and know that they have shaped my own defining values. I also realized the obvious: that my current placement in Quakerism is ideal because it freely borrows from the practices of Buddhism while being based in Christian mythology. It’s my ideal spiritual home. If only I could attend Meeting for Worship!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Annette

Aug 04, 2018Annette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An interesting perspective



I found much to contemplate within this book. I've never considered myself a student of any particular flavor of Buddhism because there was always one thing or another about them that didn't make sense in the worldview of my western upbringing. Mr. Bachelor has convinced me that I'm not alone. I don't particularly like the term Buddhism 2.0, but I do like his argument for change.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Dave

Feb 17, 2020Dave rated it liked it

I enjoy all of Batchelor's work, but this read more like a collection of unrelated essays than a coherent vision about the author's journey first into Buddhism and then into a secular version of it. That said, it was worthwhile to witness aspects of that journey in the individual essays, but I would only recommend this to someone who has already read and deeply enjoyed Batchelor's other work on secular Buddhism.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Kristin Topping

Jul 13, 2020Kristin Topping rated it really liked it

Overall a good read. You can feel the authors struggle to reconcile his desire for communal, spiritually-based living and his non-belief of several key tenet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faith (namely, reincarnation, karma and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from start to finish. Secular Buddhism is the way the west will be won - mindfulness through a science-based reality, and an encoded philosophy, ethics and values that has enduring for decade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Paul

Sep 15, 2018Paul rated it liked it

Shelves: buddhism, religion

Selected writings by a man who is interested in helping to define a new "Western" approach to Buddhism. He's serious, knowledgeable, and writes well, but some of his ideas give this Buddhist pause; I think there may be quite a bit of baby in the bathwater he wants to throw out. The collection ranges over a wide field and is not really unified around a single theme.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Chula Watugala

Apr 04, 2019Chula Watugala rated it it was ok

Shelves: buddhism

At one point, the author admits he cherry-picks from the Pali Canon and that is fair criticism. The problem isn't just that, it's that he misinterprets even the suttas he does pick. I appreciate anyone trying to understand the early Buddhist texts, but what he does here is intellectually dishonest.



+1 star for the Nanavira essay that has some good original research behind it.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Charlotte

Sep 01, 2018Charlotte rated it liked it

Interesting collection of essays representing Stephen Batchelor's philosophical journey from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 (he trained as a monk for many years) to a form of secular Buddhist practice.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Clayton

May 27, 2018Clayton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Good compendium, but not the place to start



I found almost all of these essays illuminating, but I don’t think this book is the place to go to understand Batchelor’s interpretation of Buddhist thought.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Edward Taylor

Aug 07, 2019Edward Taylor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psychology, philosophy

Stephen Batchelor has always gotten my attention with his clear, concise, and human explanations of what Buddism is (a philosophy) and what it is not (a religion) (less)

2020/08/07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 Friends Journal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 Friends Journal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Reviewed by Brian Drayton

Edited by Stephen W. Angell and Pink Dandel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10 pages. $105/hardcover; $34.99/paperback; $28/eBook.Buy from QuakerBooks

This edited volume, the latest in a series of productions by the indefatigable doyens of Quaker studies, deserves a place in your meeting’s library. In the first place, it is the most truly international such volume to appear yet. By my count, the 29 authors show the expected U.S. and UK dominance (19 names), but there are also three Kenyans; two Canadians; two South Koreans; and one author each from Japan, Cuba, and Sweden. We have been telling ourselves for years that Quakerism is multi-continental, multi-ethnic, and multi-lingual, and in this book the voices start to demonstrate the diversity.

The topics covered also invite a fresh appraisal of Quakerism as it is. There is a short introductory section on the “History of Quaker Faith and Practice” that 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not only faith and practice, but also context and trends. Confusion or over-density are dangers avoided here, and although all will miss topics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mselves, given the authors’ limitations of space, the story is clear and cogent enough to provide a framework for what follows.

The second section, “Expressions of Quaker Faith,” includes broad themes that can be explored over four centuries and six continents; the challenges of selection and detail are severe. This can lead the author(s) to seek for large developmental themes, which are provocative of insight. For example, the chapter on “Seeking Peace” suggests that our original testimony_ against war_ has developed over the years into a “two-component” peace testimony. On one hand, there are the witness and action that are directed at preventing or abolishing war (conscientious objection and war tax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work aimed at removing the caus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war: a “conflict-transforming” peace testimony. Within this framework, the authors explore versions of the peace testimony around the Quaker world.

The third section, “Regional Studies,” seems to me to break new ground, with chapters rich enough to move beyond historical descriptions into addressing issues and tensions now painfully alive. For example, there is a case study of the recent struggles and reorganization of Western Yearly Meeting. There are surveys of Latin American Quakerism, Quakers in Asia–Pacific, and Friends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A lively chapter on Quakers in Africa describes major characteristics of African Quaker theology, in which we encounter Quakerism as it is lived in homes, villages, and cities. More than in the other chapters, the authors address the cultural complexity that is part of Quaker evolution in Africa, where Friends are “weaving together elements from African Traditional Religion, Christianity, and modernity.” Though I would have liked to have heard a little more about Friends in South Africa, I found this chapter rich and enjoyable.

The fourth section explores “Emerging Spiritualities,” and lifts up five facets of this topic. The discussion “Unprogrammed Quaker Spiritualities” includes the Conservative strand (smallest of the Quaker “flavors,” but one with great import for Friends of other kinds). Even within this region of Quakerdom there are varieties, and the authors use contemporary ministers to illustrate renewal of life within yearly meetings, and also interpretation of Conservative Quakerism to the wider Quaker world. The chapter then moves on to explore the spiritualities of Friends with strong ties to Buddhism and Islam, again using individual voices to give the stories life. The final reflections on the diversity of unprogrammed spiritualities places non-theistic Quakerism in that context, paving the way for a chapter on Quakers and non-theism. I found this chapter helpful in understanding some of the different areas of evolution within non-theism, as non-theist Friends have worked to interpret their own religious experience in the light of theistic Quakerism.

This chapter led me to wonder: Will the several varieties of Quakerism continue to travel apart indefinitely, until some become unrecognizable to each other?

The same question arises in another area of Quakerdom: the chapter on “Evangelical Quakerism and Global Christianity” places “Majority World Quakerism” within “Majority World Christianity,” which is evangelical in theology, community oriented, and socially engaged. It is growing energetically in the Global South, as reflected in the modern Quaker demographic at the global level. Just as in the nineteenth-century heyday of evangelical influence in Anglo-American Quakerism, contemporary Evangelical Quakerism “continue[s] to wrestle with the legacies of the Quaker tradition, and whether or not the wider Quaker communion is a meaningful point of connection.”

The chapter on convergent Friends introduces key ideas of this movement, a “hybrid Quakerism, transgressing the boundaries of established Quakerism.” In this movement “‘convergent’ is a portmanteau, a word that combines two words to create a new meaning. It is a composite of ‘conservative’ and ’emergent,’ as in ‘conver/gent.'” There is a quick overview of convergent moments in the Quaker past, before describing the emergence of post-modern convergent Quakerism, whose rise and momentum have taken advantage of blogs and social media and shaped some interesting experiments like Freedom Friends Church, Quaker Voluntary Service, and convergent Friends worship gatherings in the Pacific Northwest. The convergent movement has been productive of creativity, energy, and fresh leadership, and it sounds a powerful note of hopeful uncertainty (that is, openness to the Spirit’s guidance) that deserves to be heard more widely, and watched with love.

The final chapter looks at “Intra-Quaker Ecumenism: Women’s Reconciling Work in the Pacific Northwest and Kenya.” This work is finding fresh kinds of unity-in-plain-speaking in Quaker settings that are highly diverse and in some cases conflictual. The final sentence on the Kenyan movement is a fitting coda for the chapter as a whole: “The bonds built among women can . . . act as concrete examples others can point to as a witness to Jesus’s teaching being lived out among them.”

The blurb on the back cover of this rich volume says that it “offers a fresh, up-to-date, and accessible introduction to Quakerism.” Meanwhile, the dedication is “For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The book is not an obvious choice to hand to a newcomer to Quakerism, to my mind, because there is way more about Quaker theology than Quaker spirituality. As a result the radicalism of Quakerism in its beginnings, and even now, does not come across with much power. If this were really an “introduction to Quakerism,” I’d want more fire and spirit in there.

On the other hand, if you are a Friend of any stripe, this book will be stimulating and educative, especially if read and discussed with others. The great diversity of Quakerism is definitely on display, and treated with an appropriate and inviting seriousness. The organization and flow of topics and chapters is nicely orchestrated, and for those wanting to go further in any direction, there are abundant references and a truly serviceable index (not a thing to be taken for granted!). This volume deserves a place in your meeting’s library, and should be brought to the attention of emerging leaders.

The Australian Friend | “Living the Transformation”: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FWCC) World Gathering



The Australian Friend | “Living the Transformation”: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FWCC) World Gathering



“Living the Transformation”: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FWCC) World GatheringMarch 18, 2016/0 Comments/in 1603 March 2016 /by David Swain




Taisoo Kim Watson, Queesland Regional Meeting


Taisoo Kim Watson and Cho-Nyon Kim from Korea

I feel very honoured representing the Australian Friends and attending the FWCC Plenary program at Pisac, Peru, from 19 to 27 January 2016. And I am thankful for the funds provided by AYM and the Thanksgiving Fund. It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to manage the registration cost and airfares without this financial assistance.

The daily program was very full. I was asked to be on the Pastoral Care group, which involved rostering ourselves to be on duty in the Pastoral Care Room and also always wearing a green sash so Friends could seek help at anytime, anywhere. This was a good opportunity to meet Friends individually who dropped in for cups of tea and talk. I have made a special connection with a few Friends through Pastoral care and Choir. When there are over 300 Members from nearly 40 countries, it is not easy to make connections with all.

I was so eager to hear the news from Korean Friends, I tried to sit with them at breakfast time. Also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make some suggestions to the itinerary of Lee and Kim who will be visiting AYM in July. It was lovely to hear the Korean bamboo flute played by Kim and the three of us sang a Korean folk song.

Home Groups were decided and compulsory, but we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other groups such as Consultation. I joined as many as I could manage until I developed a terrible cough.

I chose the FWCC Constitution Review Consultation Group as I have some experience working with constitutions and also I felt strongly that some issues needed to be reviewed. One recommendation was to hold World FWCC Gathering/Plenary sessions at least once in every 12 years instead of the current practice of every 5 years. The rationale was that FWCC has to fin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to plan and organise the World Meetings, but every gathering puts FWCC in great financial hardship. There are smaller numbers of full paying Friends and growing numbers of Friends needing help. The Meeting reached a kind of unity to hold it every 10 years.

The North American Section predicted a 15% reduction in contributions to FWCC in the near future. The British Friends are able to continue to support FWCC at the current rate because of their endowment/investment, and some increase from the European and Middle Eastern Section. But as we see the numbers of this Section, we should not expect a great deal more. The registration cost for some YMs/MMs in Asia West Pacific Section was over A$2000. No Members from Japan Yearly Meeting attended. Two Korean Friends received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ir Monthly Meetings.

Our Group studying the Constitution also have acknowledged that other important works need to be done by FWCC other than organising World gathering/meetings. We will be celebrating 100 years of FWCC in 2037.

I quote a part of the section Equipping FWCC:


… serving the world Quaker community, developing flexibility to face challenges while maintaining organizational integrity and sustainability, looking at meeting requirements and governance changes…

I always valued the early morning silent meeting for Worship. The program noted clearly “un-programmed Meeting for Worship”. I do not think some Friends from evangelical and programmed Quaker churches understood what Silent Meeting for Worship means. On the first morning, a Friend started to sing very energetically, and then another Friend started praying in Spanish. A Friend had translated every sentence to English. We did not have much silent time left. I changed to the Bible Study, led by Janet Scott. I have learned much from these early morning Bible studies. It was rather moving to share the Lord’s Prayer in Korean at the end of one study session.

When I was attending the AWPS gathering in India, a number of Friends expressed concern that we had very little quiet time. I have received some concerns again during this FWCC gathering: there was not enough quiet time.

It has been exciting to meet cousins and distant cousins from many places of the World. We have different ways of worshiping, in many different languages but we came together in spirit .

I feel more strongly than ever the importance of FWCC in the lives of world Quakers.

FWCC needs all our spiritual and financial support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next 20 years and longer.
Quakers around the world

For your information, I have listed the YMs and MMs and the numbers of Members. (Ref. FWCC Finding Quakers around the World, 2012)

Bolivia (22,300), Canada (1,300), Colombia (10), Costa Rica (90), Cuba (900), Dominican Republic (110), El Salvador (1,600), Guatemala (19,620), Haiti (1,000), Honduras (2,500), Jamaica (2,100), Mexico (1,400), Nicaragua (200), Peru (3,500), United States (76,360),

Albania (380), Belgium (40), Croatia (50), Czech Republic (10), Denmark (30), Estonia (10), Finland (20), France (70), Georgia (20), Germany/Austria (340), Greece (10), Hungary (4000), Ireland (1,600), Italy (20), Latvia (10), Lebanon/Palestine (70), Lithuania (10), Malta (10), Netherlands (120), Norway (150), Poland (10), Portugal (10), Romania (920), Russia (30), Serbia (50), Spain (20), Sweden (100), Switzerland (100), Ukraine (10), United Kingdom (15,800)

Congo(s) (10+3000), Ghana (10), Kenya (146,300), Madagascar (20), Nigeria (20), Rwanda (4,200), Tanzania (3,100), Uganda (5000)

Australia (1,000), Bangladesh (475), Bhutan (800), Cambodia (410), China (100), India (4,300), Indonesia (1,800), Japan (140), Korea (50), Nepal (6,000), New Zealand (660), Philippines (2,500), Singapore (10), Taiwan (5,000)
Tags: 

Abe books My Purchases

My Purchases  from Abe Books



The Universe Is a Green Dragon: A Cosmic Creation Story

Swimme Ph.D., Brian



Theological Reminiscences (Paperback)

John B Cobb Jr



Panentheism and Scientific Naturalism: Rethinking Evil, Morality, Religious Experience, Religious Pluralism, and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 (Paperback)

David Ray Griffin



World Hunger (12 Myths)



Friends in Deed: 50 years of Quaker Service Australia.

Saville, Heather.



No Future Without Forgiveness: A Personal Overview of South Africa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Tutu, Desmond



Dying for Rights: Putting North Korea's Human Rights Abuses on the Record (Hardback)

Sandra Fahy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Kubler-Ross, Dr Elisabeth



Amish Grace: How Forgiveness Transcended Tragedy

Kraybill, Donald B. and Nolt, Steven M. and Weaver?Zercher, David L.



The Liberation of Life : From the Cell to the Community

Charles Birch; Cobb, John B., Jr.



Viet Nam: Tradition and Change (Paperback)

Huu Ngoc



Report to Greco

Kazantzakes, Nikos



Sensing the Enemy

Lady Bort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Paperback)



After Sorrow: An American Among the Vietnamese

Lady Borton



Encounters with Silence

Rahner, Karl



Genuine Pretending: On the Philosophy of the Zhuangzi (Paperback)

Hans-Georg Moeller, Paul J. D'Ambrosio




Spiritual Evolution: A Scientific Defense of Faith

George Vaillant



Aging Well

Vaillant, George E.



The Cuba Reader: History, Culture, Politics (The Latin America Readers)

Show Book Description



Western Civilizations: Their History & Their Culture (Eighteenth Edition) (Vol. C)

Cole, Joshua, Symes, Carol



Western Civilizations: Their History & Their Culture (Eighteenth Edition) (Vol. A)

Cole, Joshua, Symes, Carol



Western Civilizations: Their History & Their Culture (Eighteenth Edition) (Vol. B)

Cole, Joshua, Symes, Carol



Sociology : Your Compass for a New World, First Canadian Editi

Robert Brym, John Lie, Adie Nelson, Neil Guppy, Chris McCormick



Buddhism: Introducing the Buddhist Experience



The Good Heart: A Buddhist Perspective on the Teachings of Jesus

His Holiness The Dalai Lama



Healing Emotions: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on Mindfulness, Emotions and Health



The Gethsemani Encounter: A Dialogue on the Spiritual Life by Buddhist and Christian Monastics

Mitchell, Donald W. and James A. Wiseman:



The Thoreau You Don't Know: The Father of Nature Writers on the Importance of Cities, Finance, and Fooling Around

Sullivan, Robert



The Cuba Reader: History, Culture, Politics (The Latin America Readers)



Brothers at War: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Miyoshi Jager, Sheila



Blowback, Second Edition: The Costs and Consequences of American Empire

Chalmers Johnson



North Korea: The Politics of Unconventional Wisdom

Park, Han S.


----

2020/06/09

한국신학/종교학 - 21세기의 문턱에서 民衆神學을 다시 생각한다 / 박성준



한국신학/종교학 - 21세기의 문턱에서 民衆神學을 다시 생각한다 / 박성준

“21세기의 문턱에서 民衆神學을 다시 생각한다.”
--‘民衆’ 理解의 새 지평을 모색하며--
박 성 준
1999. 11. 3


一. 문제제기


서남동은 한국민중의 ‘恨’을 그리스도교 신학의 중심 주제로 삼는 독특한 기여를 했다. 나는 ‘한’을 민중신학의 핵심 주제로 설정하는 데 대하여 서남동에게 확고한 지지를 보내왔고 그 점에 있어서 지금도 변함이 없다. 그런데 최근에 나는 민중이 ‘자기 안에 모시고 있는 한울님’(동학=崔水雲) 또는 ‘내재하는 빛’(the Light within) (퀘이커=George Fox)을 민중신학적 성찰의 중심에 놓는, 그래서 ‘한’과 더불어 또 하나의 핵심되는 주제로 삼는 민중신학의 새로운 얼개를 구상해 보게 되었다. 민중의 ‘한’이라는 하나의 핵심에 편중되면 역사창조 주체로서의 민중의 생명력(자율성, 자주성, 창조성, 자기 구원의 주체성)이라는 다른 하나의 핵심이 가려지거나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민중 안에 있는 ‘恨’은 보면서 민중이 자기 안에 모시고 있는 ‘빛’(=그리스도, 하나님)을 보지 못하면 민중의 일면 만 보고 전체를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다. 서남동이 지배자의 언어인 ‘죄’에 대해서 민중의 언어인 ‘한’을 제시한 것은 옳다. 그러나 이제는 지배자의 언어인 ‘죄’에 대해서 민중 안에 있는 ‘빛’을 제시할 차례이다. 민중의 ‘한’과 함께 ‘빛’을 보고 그 상호관계를 알아내려고 노력하면서 그 양자를 민중신학의 중심에 역동적으로 위치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남동의 신학에서 민중의 ‘한’과 ‘고난’이 민중의 ‘메시아성’으로 연결되는 통로는 그리스도의 ‘대속적 능력’이라는 기독교의 正統 敎義에 있었다. 민중의 메시아성을 이렇게 대속적 능력 쪽으로만 치우쳐 이해할 것이 아니라 민중이 자기 안에 지니고 있는 빛과 창조력에도 동시에 주목하면서 그 메시아성의 본질을 파악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안병무가 이따금 언급하며 경탄해 마지않았던 민중의 자기초월의 능력은 ‘초월’이면서 동시에 민중에게 본래 ‘내재’하는 생명력에 다름 아니다. 이제 우리는 씨(함석헌)인 민중의 속 깊이 숨겨져 있는 무궁무진한 잠재 가능성을 들여다 보아야 한다. 씨의 살아 숨쉬는 보배로운 생명력, 그 경이로운 역동성에 새삼 눈뜨고 이를 주목하고 적극적으로 평가하면서 21세기와 새 천년(the New Millenium)의 ‘새 민중신학’을 힘차게 열어가야 한다.


나는 결코 민중에 대한 美化나 낭만화(romanticize)를 찬성하지 않는다. 우리는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민중을 말해야 한다. 낭만화된 관념 속의 민중, 비현실화되고 박제화된 민중이 아니라 살아 숨쉬는 민중, 질긴 생존력으로 일상의 삶의 터전에 뿌리내린 ‘생활하는 주체’로서의 민중을 있는 그대로 다루어야 한다. 자기 속에 ‘한’을 품고 살지만 ‘빛’도 품고 살아가는 온전한 민중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나는 서남동, 안병무의 민중이해에 다음과 같은 점들을 보완하거나 새롭게 추가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첫째로, 함석헌의 민중 이해로부터 ‘씨’을 받아들이되 <ㅇ  ㄹ>의 각 요소를 적극적으로 深化 發展시킨다. 즉 <ㅇ>은 초월적인 하늘을, <  >는 내재적인 하늘을, <ㄹ>은 활동하는 생명을 나타낸다고 그가 스스로 설명해 놓은 그 각 項을 적극적으로 탐구해서 한층 더 심오하고 풍부하게 전개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우리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사상적 源泉(resources)으로서는, 한쪽으로는 東學이라는 큰 사상의 젖줄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함석헌 자신이 훗날 그 멤버가 되었던 퀘이커의 사상, 그 중에서도 특히 초기 퀘이커 사상(Early Quakerism)이라는 큰 광맥이 우리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둘째로, 민중의 목마름의 重層구조를 천착하는 것이다. 민중이 갈구해 마지않는 구원과 해방에의 타는 목마름 곧 민중의 영성은, 예컨대 민주주의와 사회정의, 日常의 안전과 편안함, 경제적 안정 등에의 갈망이라는 層位가 있는가 하면, 우정과 고독, 사랑의 아픔과 번뇌, 인간관계의 어려움에서 오는 고민 등의 層位가 있으며, 영혼의 虛飢, 생애를 통해 지속되는 인격의 성숙과 자기완성에의 渴求, 진실과 진리를 향한 목마름, 疾苦와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 등의 層位, 이렇게 複雜하고 重層的이다. 민중신학은 민중의 이 목마름을 ‘민중의 거룩한 갈망’(the holy longing of minjung) 또는 ‘민중 영성’(minjung spirituality)이라는 범주로서 다루어 볼 수 있다.


셋째로, 민중신학은 ‘사건’의 신학을 보완하기 위해 ‘사건’과 ‘日常’을 손의 앞뒤면 처럼 설정하여, 사건과 일상이 갖는 각각의 의미와 함께 둘 사이의 긴밀한 상호관련성을 올바르게 밝힐 필요가 있다. 민중은 1970년대, 8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연쇄적으로 분출하는 활화산 기슭에서, 또는 언제 터질지 모르게 꿈틀대는 화산맥 위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민중은 아마도 더 많은 일상의 시간을 너른 들녘을 유유히 흐르는 강물처럼 살아갈 수도 있으며 때로는 여름 한철 가뭄에 강바닥으로 스며들어 소리 없는 지하수로 흐르고 있는 지도 모른다. 땅 속으로 흐르는 지하수가 없다면 장대비가 아무리 퍼부어도 샘의 분출은 있을 수 없다. 물이 콸콸 솟는 샘은 실은 땅 속을 흐르는 저류(the underground stream)와 연결되어 그것에 의해 지탱되고(sustained) 있는 것이다. 사건과 일상의 관계도 이와 같다. 그러므로 ‘사건’의 신학에 균형을 가져다주는 ‘민중적 일상’의 신학화가 요청된다.


넷째로는, 민중 공동체 운동이다. 이거, 저 70년대, 80년대부터 귀가 아프게 들어왔던 이야기가 아닌가? 그렇다. 해 아래 새 것은 없다. 그러나 질적으로 다른 이야기가 되어야 한다. 민중이란 무엇인가? 공동체란 무엇인가? 운동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가? 근본적으로(radically) 다시 묻고, 다시 시작해야 하겠다.






二. 민중 이해의 새 지평


1. 민중신학의 先驅: 함석헌의 씨 사상


함석헌은 씨의 은유로 역사와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根幹이 되는 사람, 곧 민중을 나타내고자 했다. 민중은 씨이다. 태어난 그저 그대로인 씨, 풀씨 같은 존재. “씨이란 다른 거 아니고 자연이지요. 문명은 결국은 자연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이고(참 문명이 그럴 리가 없겠지만) 그러니깐 지금은 사람의 큰 잘못이 자연을 잊어버리고 자연에 반항하고 하는 건데, 근본의 절대적인 의지랄까 그게 곧 자연인데, 자연 속에 있는 건데----”(“씨의 소리, 씨의 사상” <씨의 소리> 76년 9월호)


씨은 이 끝에서 보면 있는 그대로인 ‘나’이고 저 끝에서 보면 하나님이라고 한다. 결국 민중 곧 씨과 하나님은 이 끝과 저 끝으로 서로 연결된, 둘이 아닌 한 <>이다.


“민중이 뭐냐? 씨이 뭐냐? 곧 나다. 나대로 있는 사람이다. 모든 옷을 벗은 사람, 곧  사람이다. 은 실(實), 참, real이다.............정말 있는 것은, 은, 한  뿐이다. 그 한 이 이 끝에서는 나로 알려져있고, 저 끝에서는 하나님, 하늘, 브라만으로 알려져 있다.”(“씨의 설음”, 함석헌 전집 제4권, 66면)


나아가, 함석헌은 씨의 속에 있는 것 곧 씨의 ‘혼’을 불러내자고 한다. 그렇게만 하면 산을 옮기고 바다를 메우는 것 같은 위대한 일을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속에 있는 것을 어떻게 불러내느냐가 문제다. 속에는 다 개인의 행위와 역사의 사건으로 영향을 입지 않는, 입힐 수 없는 혼이 잠자고 있다. 그것을 불러내기만 하면 된다...........씨 속에 잠을 자고 기다리고 있는 나라가 있다. 그것은 일할 터를 찾고 일할 거리를 기다린다. 그것을 능히 알아 불러내어 동원하면 산을 옮길 수 있고 바다를 메울 수 있을 것이다.”(“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 함석헌 전집 제4권 129면)


이와 더불어, 씨은 마땅히 ‘남의 종교’가 아닌 ‘내 종교’를 가져야 한다. “(불교와 기독교가) 다 위대한 종교지. 하지만 남의 고래등같은 기와집은 우리 초가삼간 보다 작은 집이다. 내 종교가 큰 종교지, 내 것이 되지 못한 종교...........종교의 허울이 무슨 위대한 종교일 수 있을까? 제 종교만이 큰 종교다. 제 종교를 가진 한 사람만 있어도 온 세상이 다 구원될 것이다.”(“씨의 설음”, 전집 제4권 65면)


“큰 것은 하나님이요, 큰 것은 나다. 하나님과 직접 연락된 내가 ‘한’ 곧 큰 것이요, 그 직선을 종축으로 삼으면 온 우주를 돌릴 수 있다. 그러니 나에게까지 뚫리지 못한 종교, 나와 하나님을 맞대주지 못하는 종교는 참 종교 아니다. 나의 종교가 종교다. 교도(敎徒)가 있는 것은 종교 아니다. 참 종교는 한 사람의 신자를 가질 뿐이다...........나로 하여금 하나님을 직접 만나게 하라..........아무도 이 결혼의 중간에 서지 마라.”(“씨의 설음”, 전집 제4권, 65면)


민중은 자기 속 깊이에 계신 하나님, 그 창조적인 생명과 무한한 힘의 源泉에 깊숙이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 민중 곧 씨은 자기 속의 하나님을 직접 만나야 한다. 그 하나님을 모시고 섬겨야 한다. 내 안의 하나님을 모시고 섬기기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 해답을 간절히 구하고 거기에 맞추어 각자 자기의 삶의 방향과 목적을 재정립하고 자신의 생애를 통해 이를 관철해야 한다.


씨 속에, 곧 내 속에 잠을 자고 기다리고 있는 나=하나님(‘나라’, I am.)을 일깨우고 ‘불러내자.’ 그리하여 하나 하나의 씨은 함께 새 시대, 새 나라를 바로 지금 새 천년의 시작과 함께 힘차게 열어가야 한다.






2. 퀘이커 사상과 민중신학의 만남의 가능성


퀘이커는 17세기 중엽 영국에서 일어났다. 그 시대는 종교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격동의 시대, 혁명과 변화의 시대였다. 당시 영국 국교회에서는 외적인 종교의식에 중점을 두고 있었고, 국교에 반대하는 침례파와 장로회파의 교회들은 신앙을 성경의 권위나 공식적 신조와 대체로 동일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교의식이나 신조에 염증을 느끼게 된 수많은 사람들은 교회를 떠나갔다. 혹은 개별적으로 혹은 집단적으로 사람들은 개인적 체험의 종교,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교통을 갈구하고 있었다.


죠오지 폭스(George Fox, 1624-1689)도 그런 사람들--당시 영국에서는 그들을 ‘구하는 자들’(seekers)이라고 불렀다--중의 하나였다. 어릴 적부터 그는 매사에 진지하고 성실했다. 製靴工의 徒弟, 소먹이 목동 등으로 지내는 동안 홀로 고요한 묵상에 잠기는 습관을 익혔고, 성경을 읽고 깊이 생각에 잠겼으며, 온 피조세계의 오묘하고 미세한 소리에도 예리하게 반응하곤 했다. 열 아홉 살 때에 집과 부모의 곁을 떠나 절절한 목마름으로 진리를 찾는 영적 여행(spiritual journey)에 나섰다. 4년간의 영혼을 달구는 숱한 시험과 연단 끝에 Pendle Hill이라는 작은 山頂에서 그는 드디어 진리를 깨닫고 환상(vision)을 보았다. 그때의 경험을 그는 이렇게 썼다:


“그들(성직자들)에게 걸었던 나의 모든 희망이 사라졌을 때, 그리하여 외적으로는 내가 의지할 아무 것도 없게 되었을 때, 내가 어찌 해야 할 바를 알지 못하게 되었을 때, 바로 그때 나는 한 소리를 들었다. 그 소리는, ‘오직 한 분, 그리스도 예수가 계시니, 그는 너의 처지에 맞게 말씀하신다.’(‘There is one, even Christ Jesus, that can speak to thy condition.’)라는 것이었다. 이 소리를 듣자 내 가슴은 歡喜雀躍하였다. ........ 주님을 향한 나의 갈구, 그리고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순수한 지식에의 열망은 더욱 거센 불길로 타올랐다.” (Fox, 11)


그가 얻은 다음과 같은 진리는 재래적이고 인습적인 신조들(creeds)과 날카롭게 충돌하는 것들이었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안에 하나님의 그것을 지니고 있다.”(that of God in everyone) 이것이 퀘이커 신앙의 精髓이다. 우리 각자의 깊은 속에 하나님의 씨앗(the Seed), 하나님의 영(the Spirit), 그리스도(the Christ), 내면의 빛(the inner Light)을 지니고 있다는 것, 모든 사람이 하나님께로 직접--즉 성직자나 교회의 儀式이나 어떤 다른 매개 없이-- 나아갈 수 있다는 것, 역사적인 예수가 기름부음을 받아 (신적인) “그리스도”가 되었듯이 우리도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것, 계시는 일회적인 것이 아니고 영속된다는 것(the continuing revelation). 이것이 그의 새로운 깨달음의 내용이었다. 자기 자신 속에 불타오르는 이 깨달음(revelation)을 지니고서, 죠오지 폭스는 세상를 향해서 힘차게 선포하기 시작했다. “우리 모두 회개하고 돌아섭시다. 자기자신 안에 계신 하나님을 스스로 발견하고 그러한 (즉 하나님을 모신) 존엄한 존재로서 살아갑시다.”라고.


그 깨달음을 근거로 그는 오늘날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Quaker는 별명이다.)로 알려진 신앙적 結社의 기치를 올렸다. 죠오지 폭스는 거듭 거듭 “예수 그리스도가 그의 백성들을 몸소 가르치시기 위해 오셨다.”(Jesus Christ is come to teach his people himself.)라고 외쳤다. 이것은 두말할 여지도 없이 ‘the Second Coming of Christ'를 선포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예수가 하시 하처에 육신적으로(physically) 재림한다는 뜻이라기보다는, 민중의 마음 속에 이미 ‘내면의 빛’, ‘씨앗’, ‘하나님의 영’이 들어있음으로 해서 이미 ‘그리스도’가 와 계신다는 것을 알리려 했던 것이다.


죠오지 폭스의 새 진리를 따라 새 사람으로 변화된(transformed) 수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삶을 통해서 그리스도가 말씀하시고 행동하신다는 것, 그리스도가 그 시대와 사회의 불의와 폭력에 도전하고 계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내면의 빛과 씨앗, 영을 통한 그리스도의 재림이란 단지 私的인 내면의 경험에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변화된 남녀들이 새 삶의 방식으로 그리스도를 따를 때, 밖으로 사회와 역사 속으로 나아가는 종말론적 운동을 뜻했다. 초기 퀘이커들(Early Friends)은 당대의 사회에 불을 지피는 불씨의 전령이었다. 그들은 만나는 모든 사람, 온갖 종교집단, 모든 사회조직에 불을 붙였다.


죠오지 폭스는 17세기 영국인이었지만 오늘의 우리들과 우리 시대를 위해서도 빛을 던져주는 사람이다. 그는 과거의 사람만이 아니라 현재의 사람이기도 하다. 그의 깊은 개인적 경험과 메시지, 그리고 초창기 퀘이커들의 묵시록적인 삶과 행동은 우리 시대의 긴박한 필요에도 절실하게 말을 걸어오는 보편적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 함석헌은 1970년대 초 미국 필라델피아 근교의 펜들 힐(Pendle Hill; A Quaker Center for Study and Contemplation)에서 퀘이커의 회원이 되었다고 한다. 그가 ‘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씨 사상을 전개한 것은 그보다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지만, 나 자신이 비교 검토해 본 바로는 그의 씨 사상의 핵심 내용은 퀘이커 사상과 酷似하다. 민중신학의 창시자 격인 서남동과 안병무에게 미친 씨 사상의 영향을 생각할 때, 민중신학과 퀘이커사상의 만남은 일찍이 이뤄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민중신학이 민중의 ‘恨’과 더불어 민중 한 사람 한 사람 속의 ‘빛’, ‘영’, ‘그리스도’에 주목할 수 있다면 주체로서의 민중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 민중을 세계와 역사의 중심에 세우는 데 새로운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3. 동학의 전통으로부터 배우기:


우리는 이제 19세기 말엽 한반도에서 출현한 동학운동, 그 중에서도 1860년-98년의 水雲 崔濟愚와 海月 崔時亨, 그리고 갑오농민혁명이 실패로 끝난 후 동학의 재건을 의도했던 甑山 姜一淳의 사상과 실천에 주목할 차례다.


동학은 19세기말, 조선의 봉건제가 한계에 도달, 근대사회로 이행되기 시작하는 세기말적인 일대 전환기에 피어난 한국사상문화종교의 꽃이고, 조선의 근대역사가 시작되는 發源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1) 동학이 창시되던 1860년 당대의 조선의 현실에 대한 수운의 인식은 개인과 사회, 국가와 세계 질서의 모든 차원에서 총체적 위기 그것이었다. 조선왕조는, 지배층의 부패와 타락, 신분제의 문란(紊亂), 도탄(塗炭)에 빠진 민중의 잦은 봉기와 사회적 혼돈과 무질서 속에서, 몰락의 길을 재촉하고 있었다. 서양세력의 동아시아 침략으로 과거의 중국 중심의 질서가 무너지고 구미제국의 근대문명이 압도해오는 가운데, 전통적 종교인 儒佛仙은 정신적 지주나 새로운 사회이념의 기능을 이미 상실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윤리와 가치규범의 붕괴, 사상의 혼돈, 민중의 정신적 방황이 극도에 달한 시대였다. 설상가상으로 당시 조선사회에는 각종 전염병이 창궐하여 민중은 불안과 공포에 떨고있었다.


절망과 암흑의 시대, 바로 그 한가운데서, 수운은 先天문화 질서의 종말과 후천개벽의 새 문화, 새 시대의 도래를 예감했다. 수운은, 동양문명의 해체와 몰락, 서양문명의 침략적 폭력성을 확인하면서, 전통적 지배이념인 朱子學을 대체할 새로운 道學을 갈구했다. 그는 前人未踏의 새 길, 동서양의 기존의 종교와 사상을 넘어서는 새로운 삶의 원리를 찾아내어 新天地, 新文明을 구현하고자 고난에 찬 구도의 길을 홀로 걸었다.


“庚申年에 이르러 전하여 오는 말을 들으니 서양사람들은 한울님을 위한다는 뜻으로 부귀는 취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천하를 쳐서 빼앗아 그들의 교회당을 세우고 그들의 교를 널리 퍼뜨린다는 것이므로, 나는 과연 어찌 그럴 수가 있을까 하는 의심을 가지게 되었느니라.”<東經大典, 前編 五>


“서양사람들은 전쟁을 하면 이기므로 쳐서 빼앗아 그들의 뜻대로 이루지 못하는 일이 없다. 이리하여 천하가 다 멸망한다면, 어찌 입술이 상하여 없어지면 이가 시려 견디기 어려운 것과 같이 되지 아니하겠는가.” <東經大典, 前編 九>





본격적인 구도의 길을 걷기 시작한지 6년째 되던 1860년 음력4월, 그의 나이 37세 때 그는 결정적인 종교적 체험을 통해 得道에 이른다. 그의 신비체험은 한울님 마음과 하나가 된 경지에서 ‘天語’를 듣게 된 것이었는데 그것은 한울님과의 사이에 문답 형식으로 여러 달 계속되었다고 한다. 그는 그 내용을 냉철히 반성 체득하면서 일년 여에 걸쳐 동학의 신관, 세계관, 인간관, 修行法 등을 글로 체계화해 나갔다. 득도한 이듬해(1861년) 6월부터 그는 布敎에 나섰다. 득도로부터 체포되기까지 불과 2년 6개월 사이에 수운은 漢文體의 <東經大典>과 한글로 된 <용담유사(龍潭遺詞)>를 저술하여 후세에 전하게 되었다.


수운의 가르침은 고통과 시련에 찬 현실을 극복하고 근본적으로 새로운 역사를 이 땅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의 씨앗을 그 시대의 민중들의 가슴에 심었다. 사방에서 그의 소문을 듣고 그의 거처인 경상북도 慶州 龍潭亭으로 찾아오는 민중들이 줄을 이었다. 그들은 수운의 가르침을 듣고 바로 그 자리에서 그를 따랐다.


1864년 3월 수운은 41세의 나이로 斬首刑에 처해졌는데, 세상을 어지럽게 한 邪術의 傀首라는 죄목이었다.


수운의 제자이자 동지였던 해월은 道統 承繼 후 殉道할 때까지 30여년 간 가시밭 길을 걸으며 조선 땅에 동학을 뿌리내리게 하는 데 헌신했다. 그는 ‘人乃天’, ‘事人如天’의 교의로써 교도들을 지도하는 한편, 지배권력의 감시와 탄압 속에서도 ‘接’조직을 확장해나가다가 1898년(72세) ‘左道亂正’의 죄목으로 스승 수운의 뒤를 따라 교수형에 처해졌다.


2) 동학의 인간 이해의 핵심은, 사람은 한울님의 신령한 본성을 몸 안에 모시고 있는 신령하고 존엄한 존재라는 데 있다. 사람이 곧 한울님, 한울사람, 섬김 받아야 할 신령한 존재이다. 사람은 자신이 이러한 존재임을 자각하게 될 때 자기 자신과 타인을 지극히 공경(敬人)하게 되고 한울님을 공경(敬天)하게 되며 한울님의 뜻을 이 세상 속에서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은 주체로서 바로 서게 된다. 즉 현재의 일상생활 속에서 그분의 뜻에 일치하는 삶을 사는 신령한 인격체가 되는 것이다. 그러한 한울사람(God's person)을 통해서만 사회와 세상의 聖化(한울나라의 실현)가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사람의 주체성은 우주 가족의 일원으로서 더 큰 생명인 우주를 어버이로서 섬기며(敬物), 우주 자연계의 질서와 조화를 이루어 相生(서로 살림)의 삶을 살아야 하는 책임적 존재이다.


동학에서는 지금까지 저 밖에 있는 신(God without)을 향해 놓았던 祭床과 位牌를 나를 향해(向我) 돌려놓도록 하는 새로운 祭祀法을 창안했다. 이것을 ‘向我設位’라고 하는데, 저 밖에 있는 초월적 신을 상정한 인류 문명 문화 樣式의 일대전환과 정신개벽을 이로써 상징한다.


또한 ‘同歸一體’라고 하여 후천개벽운동의 동반자들의 공동체, 새 인간(한울사람), 새 천지(한울나라)의 비전을 가지고 인류문명사의 새 지평을 열어가고자 하는 신령한 도덕적 주체들의 공동체를 제시한다. 이 공동체는 타종교 공동체의 전통을 존중하며 관용의 정신과 개방적 태도로써 후천개벽의 역사를 창조해나가는 길동무(道伴)들의 공동체이다. 동학에서는 특히 생활의 주인이자 新天地 창조의 주역으로서의 여성의 지위가 강조된다.


3) 강증산은 스무 살 무렵에 동학당에 들어가 활동하다가, 甲午동학혁명이 실패한 뒤, 시체가 가득 널려진 폐허의 강산을 여러 해에 걸쳐 편력했다. 그때에 그는 구천에 사무치는 울부짖음과 살을 저미고 뼈를 깎는 민중의 고통을 보았으며 민중이 그 얼마나 절실하게 생명의 회복을 바라고 있는가를 사무치게 절감했다. 따라서 간증산은 자기의 목표를 동학의 동세개벽 실패 이후의 민생의 재건과 활인(活人)에 두게 되었다.


갑오동학혁명이 민중반란의 조직적 확대를 통해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혁파함으로써 후천개벽을 실현하려 했다면, 강증산의 실천은 하나 하나의 이름 없는 민중들의 그날 그날의 먹고, 살고, 입고(衣食住), 고통받고, 병들고, 죽고, 두려움과 굶주림과 죽임 당함으로부터 벗어나고자 몸부림치는 구체적인 삶, 곧 민중생존을 중심으로 하여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매일 매일의 自助 自活의 작은 공동체 건설과 협동생활의 조직을 통해 후천개벽을 실천해 나가는 방향이었다.(김지하 사상기행, 2권, 206-9면 참조)


그렇다면 강증산의 사상과 실천은 ‘민중적 일상’의 신학화를 꾀하려는 우리들의 작업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사람은 한울님의 신령한 본성을 몸 안에 모시고 있는 신령하고 존엄한 존재라고 하는 동학의 인간관은, 매개 사람 속의 빛, 영, 그리스도를 인정하는 퀘이커 사상과도 일맥 상통하는 바가 있다. 민중신학은 퀘이커 사상의 인간이해로부터 배움과 동시에 동학의 인간관을 민중이해에 적극 도입함으로써 민중의 대상화, 객체화를 극복하고 민중의 ‘주체화’에 진실로 기여하는 큰 길을 열 수 있을 것이다.






三. 민중적 영성론의 가능성:


1. 영어권에서도 spirituality란 말이 등장한 것은 지난 30년 어간의 일이라 한다. 이렇게 새로운 말이고 보니 한국에서는 그 용법이나 의미를 둘러싸고 적잖은 오해와 혼선이 있기 마련이었다. 처음에는 이 말이 카리스마 집회나 성령파 교회들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연유로 해서 민중신학자들은 애써 이 말을 기피했고 금기시하는 경향마저 있었다. 80년대에 들어와 남미 해방신학 쪽에서 spirituality라는 범주를 사용하여 심도있는 신학작업을 전개하는 것은 보고서야 새로운 관심과 눈으로 이 말을 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중신학 내부에서 spirituality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드문 것 같고, 여전히 개념의 혼란이 가셔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나 자신 아직 본격적인 공부가 부족하여 spirituality의 정의조차 내리기가 쉽지 않은 형편이지만, 민중적 영성론의 필요성과 가능성의 예감만은 절실하다.


2. 함석헌은 씨의 속에 있는 것 곧 씨의 ‘혼’을 불러내자고 했다. 그렇게만 하면 산을 옮기고 바다를 메우는 것 같은 위대한 일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씨의 혼’이라. 혹시 이것이 바로 민중의 영성 아닐런지? spirituality는 사람의 존재 깊은 곳에서 그 존재를 관통하고 그 존재를 떠받치고 그 존재를 推動하는 영적 힘, 에너지, 불꽃과 같은 그 무엇과 관련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만약에 그렇다면, 우리가 원하던 원치 않던 간에, 우리가 종교적이든 아니든 간에, 사람은 누구를 막론하고 spirituality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spirituality는 기독교에 고유한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보편적인 것이다. 따라서 불교인의 영성, 무신론자의 영성도 있을 수 있다.(나는 사실 감옥에서 무신론자들의 심오한 영성에 무수히 접했다.)


3. 민중이 갈구해 마지않는 구원과 해방에의 타는 목마름이 바로 민중의 영성 아닌가. 나는 앞에서, 민중신학은 민중의 이 목마름을 ‘민중의 거룩한 갈망’(the holy longing of minjung) 또는 ‘민중 영성’(minjung spirituality)이라는 범주로서 다루어 볼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민중신학이 민중의 ‘恨’이라는 범주로 다루어온 영역과 크게 겹치는(overlap) 영역이어서 민중의 恨과 민중 spirituality의 관계와 구조는 무엇인가 라는 문제제기가 가능하다.


4. spirituality는 우리의 日常과 분리될 수 없다. 우리의 욕망과 애정, 고통과 슬픔, 고독, 야심과 좌절감, 불안과 초조, 공포와 희망 등등, 이 하나 하나가 spirituality와 깊이 관련된다. 어떤 사람의 영성은 그가 자기 속의 그 영적 에너지 혹은 불꽃을 가지고 실제로 현실 속에서 무엇을 행하는가와 깊이 관련된다. 즉 spirituality는 신앙이나 종교성과 관련된 것 이상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매일 매일의 일상과 관련된 것이다. 사랑(compassion)과 자비(mercy), 평화와 화해를 간절히 구하는 마음, 참된 민주주의와 사회적 정의를 갈구하는 정치적 각성, 깨어있는 양심, 도덕적 민감성 등은 민중적 영성의 불가결한 요소들(integral elements)이다.


5. spirituality는 개인적인 것 만이 아니다. 개인적인 것임과 동시에 사회적, 공동체적인 것이다. ‘나의 영성’과 동시에 ‘우리의 영성’이 존재한다. 개인주의에 물든 사회와 그 문화(individualistic culture)에서는 하나님과의 개인적 관계에 촛점이 맞춰지기 쉽다. 그래서 개인적 영성은 자칫하면 ‘개인주의적 영성’으로 頹落할 수 있다. 개인적 영성에만 집착하거나 매몰되면 영적 개인주의와 영적 이기주의에 빠질 수 있고 영적 우상숭배의 위험에 떨어질 수 있다. 반면에 공동체적 영성의 경우에는, 개인의 영적 생활(personal spiritual life)에 기울이는 집중력이 떨어질 때, 영적 메마름과 세속화라는 또 다른 위험이 있다.


개인의 영적 체험과 공동의 영적 수련은 상호 의존적이다. 서로 보완하고 서로 북돋아 준다. 민중신학은 개인의 영적 체험 또는 개인적 영성수련과 공동체적 영성 또는 영적 공동 생활(spiritual life together)에 같은 비중을 두어 이 양자 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해야 한다.


공동체적 영성은 함께드리는 예배에서 집중적으로 표현된다. 각자가 자신의 일상생활 속에서 바친 영적 생활의 밀도는 함께 드리는 예배의 質을 좌우한다. 하나님에게 귀를 기울이는 고요한 묵상과 기도가 쌓이고 쌓여서 깊이를 더해갈 때, 개인과 공동체의 영성을 고양시켜주는 높은 질의 예배를 드릴 수가 있다.


6. 밥상(식탁)공동체는 공동체적 영성의 실천 모델이 되며 민중적 영성의 엣센스를 집약한 것이다. 민중신학은 해월의 밥 사상과 향아설위의 밥상 차리기로부터 배우면서 다음과 같이 相生의 식사예법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1)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한다. (2)원을 그리고 둘러앉는다. (3)기쁨과 감사에 넘치는 순수한 마음으로 서로 손을 잡고 잠시 묵상(또는 짧게 한마디씩 기도)한 후 함께 담소하며 서두르지 않고 즐겁고 느긋하게 식사한다. (4)설거지도 음식을 만드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참여한다. (5)음식찌꺼기는 버리지 않고 따로 모아서 거름으로 쓴다.


7. 민중적 영성은 서로 모시고 섬기는 相生의 영성이다. 그 엣센스는 겸허하게 온 마음과 정성을 다해 깊이 귀기울여 듣는 데(敬聽, mindful listening) 있다. 나의 존재의 가장 깊은 곳을 열어 놓고 하나님에게, 자연에게, 그리고 사람에게 고요히, 정성을 다해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민중신학에는 이 敬聽의 영성이 부족하지 않은가 여겨진다. 불의한 권력에 맞서서 억눌린 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증언자의 역할을 자임하다보니 민중, 씨에게 귀기울여 듣는 마음의 餘白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기독교는 ‘말하는’(preaching) 종교지 ‘듣는’(listening) 종교가 아니다. 이것은 기독교의 큰 약점의 하나다. 하나님과 자연과 사람이 관계의 그물에 얽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호의존하고 있는 이 우주와 세계 공동체 안에서 ‘敬聽의 spirituality’가 없이는 相生의 관계를 창조해나갈 수가 없다. 이제 21세기와 새 천년의 입구에서 기독교는, 그리고 민중신학은, 말하는 ‘입’으로부터 듣는 ‘귀’로의 radical한 파라다임 전환을 꾀하지 않으면 안 된다.


8. 예언자적 선포(prophetic speaking)는 중요하다. 그러나 예언자적 경청(prophetic listening)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예언자적 경청은 권력과 富에 억눌리고 빼앗겨온 자연과 민중, 곧 씨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씨에게 경청한다 함은 하나님께 경청한다는 것과 같은 말이 된다. 아무 소리도 들려오지 않는 것 같을 때, 더 깊숙이 귀를 기울여 고요히 기다려 보라. 소리 아닌 소리가 내 마음의 귀에 들려오지 않는가. 민중인 씨(들)에게 말과 설교를 가지고 가는 대신에 마음의 귀를 가지고 가본 사람은 안다. 경청하는 사람이 자신의 계획이나 용건, 판단이나 충고 따위를 완전히 접어놓고, 오로지 상대방에게 전적으로 나를 내맡기는 방법으로 귀를 기울일 때,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관계가 둘 사이에 싹튼다는 것을.


듣기에만 길들여져 있는 것으로 보였던 씨이, 그래서 자기 주견이나 이야기 거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듯이 보였던 민중이 비로소 가슴을 열고 이야기 꾸러미를 풀어놓기 시작할 때, 그(들) 자신 조차도 의식하지 못했던 놀라운 지혜와 꿈과 비전이 엉킨 실타래 풀리듯 술술 풀려 나오지 않던가. 이 새로운 관계, 새 카이로스 속에서 상처가 아물고 한풀이가 시작된다. 씨이 제 이야기에 스스로 격려를 받고 힘이 북돋아져 현재의 곤경을 박차고 일어설 수 있는 계기가 열리고 문제에 해답이 주어진다. 이것이 바로 함석헌이 말한 “씨의 혼(魂)을 불러내는” 방법이 아닐까.





四. 21세기, 새 천년기에 민중은 어떻게 살 것인가?


-- 민중적 삶의 양식으로서의 ‘살림 공동체’ --


공동체 운동은 개인과 민족의 생존(survival)을 위해, 우리들의 문화와 지구 자체의 존속을 위해 비상히 중요하다. 현대 사회와 현대적 생활양식은 자연적 내지 가족적 공동체를 해체한 결과이다. 현대인의 삶은 파편화되었고 공동체 감각을 잃어버렸다.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과 접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은 고립되어 있고 까닭 모르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갖고 있다. 한편 그들은 사랑받고 싶어하고 함께 살아갈 동반자를 찾고 있으며, 꿈과 理想을 서로 나눌 친구를 필요로 한다. 한마디로, 현대인은 공동체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인에게 절실히 필요한 공동체, 그 중에서도 민중적 삶의 양식으로서의 공동체는 어떤 내용, 어떤 모습의 공동체일까? 우리는 김지하가 먼저 주목해서 그의 생명사상 체계 속에서 중요하게 사용하기 시작했던, 그리고 안병무가 몹씨도 아꼈던 아름다운 우리말 ‘살림’을 붙여 ‘살림공동체’를 구상해 볼 수 있다. ‘살림’이란 무엇인가?


살림은 相生 즉 서로 살리기, 살림은 生命敬畏, 살림은 죽임의 반대, 살림은 물질의 나눔, 살림은 상호존중, 살림은 차이와 다양성의 존중, 살림은 거룩한 경청, 살림은 섬김, 살림은 그저 우리네 살림살이. 그럼 살림공동체는?


나는 살림 공동체의 살림살이를 다음의 7가지 원리로 정리해 본다.


첫째로,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균형과 조화이다.


김지하식 표현을 빌리면, “개별 인격들의 자유로운 전체인 민중”의 공동체이다.


살림 공동체 안에서는 개인의 인격과 존엄성이 존중된다. 개인의 자율성과 창조성이 진정으로 존중된다. 그러나 그 개인들이 뿔뿔이 흩어지지 않고 전체를 형성하되 그 전체가 또한 자유와 창의성이 넘치는 탄력적인 전체를 이룬다. 이 자유로운 전체인 살림 공동체 안에서는, 개인의 창의성(individual initiative)과 공동생활(corporal life)의 규율이 조화를 이루며 개인적 생활영역과 공동 생활영역이 공존하고 균형을유지한다.


둘째로, 다양성과 차이가 존중된다. 인종, 성, 피부색, 민족, 종교, 사상, 문화, 언어, 음식, 관습 등에 있어서의 차이와 다양성이 권장되고 존중된다.


셋째로, 깊은 영성적 修行(spiritual practices in depths)과 활발한 사회적 관심과 행동(social concern and action) 간의 균형이 가능하다고 믿으며 이 균형을 강조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예를 들면, 영성적 수행을 통해 사회적 불의와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착취에 의해 야기되는 고통에 대해 민감해지도록 노력하면서, 고통 당하는 사람들에게 동참하고 그들을 돕기 위해 일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배우려고 노력한다. 또한 사람들이 타인의 고통이나 지구상의 다른 種(species)의 고통을 이용해서 이익을 추구하지 못하도록 감시하며 그것을 저지하기 위해 힘쓴다.


넷째로, 일의 평등성(equality at work)을 추구한다. 공동체 내에서 일과 역할의 기능적 분화가 인정되나 신분이나 지위의 개념은 인정되지 않는다. 역할의 기능적 분화가 가져올 수 있는 공동체 성원간의 평등성의 저해 또는 약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도가 강구되며 평등성을 높이기 위한 다방면적인 노력이 경주된다.


다섯째, 공동체성원 간의 인간관계는 동학의 ‘侍’(모심)을 기본정신으로 한다. 즉 누구든지 사람을 대할 때 그 분 안에 계신 하나님을 모시는 마음과 자세로써 대한다. 이것은 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에 통하고, 베트남 출신의 스님 Thich Nhat Hanh이 강조해 마지 않는 ‘정념’(正念; ‘mindfulness’)와 일치하는 것이다.


여섯째로, 質素한 삶(plain life)을 산다. 질소한 삶이란 (1)자원과 물자를 아껴 쓰고 사치를 하지 않으며, (2)경제적 정의에 우선적 관심을 갖고 세계의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편에 서려고 노력하며, (3)기도와 묵상을 생활화한 삶의 방식을 말한다. 질소한 삶은 단순함(simplicity)을 소중히 여기고 餘白이 있는 삶을 사랑한다. 여기서 여백이라 함은, 일을 너무 많이 하거나 너무 바쁘게 살지 않고, 남을 위해 일하면서도 나 자신을 위한 시간을 알맞게 남길 줄 아는 여유를 말한다. 또한 너무 많이 말하지 않고 남이 말할 여지를 남기며 언제나 상대방에게 조용히 귀를 기울일 줄 아는 마음가짐을 말한다. 현대인의 삶의 병적 奔忙을 경계하면서 우리는 이따금 물어야 한다. “말씀이 들릴 만한 고요함이 있는가?”(Are there enough silence for the Word to be heard?)


일곱째로, 축제가 있는 공동체를 가꾼다. 축제(festival)와 祝賀(celebration)는 공동체 생활의 한 中心軸이다. 축제와 축하는 우리들에게 희망을 불어넣어 주고 생활의 시련과 고통을 감내할 수 있는 힘을 북돋아준다.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부유한 나라 사람들 보다 축제를 더 사랑한다. 부유한 나라 사람들은 축제의 감각과 기술을 상실했다. 그것은 공동체의 전통을 상실한 것과 관계가 있다. 축제는 음식을 나누는 것과 함께 공동체 성원들에게 공동체의 참 의미를 손으로 만지듯이 구체적으로 느끼게 해 준다. 축제는 생활 속에 일어나는 마찰과 사소한 분쟁의 찌꺼기를 말끔히 씻어내는 청량한 바람이 된다. 축제 속의 환희와 엑스타시(ecstasy)의 요소는 생명의 흐름이 공동체를 구성하는 모든 성원을 관통해서 흐르게 해주며 우리들의 가슴을 하나로 묶어 준다. 축제는 육체와 감각의 기쁨을 영의 기쁨에 연결시켜 주는 경이로운 시간이다. 따라서 축제는 공동체 생활에 필수적 요소이다.


살림 공동체는 대안적 문화로서의 음악, 詩, 춤, 노래, 이야기, 연극 등을 적절히 생활 속에 도입한다. 노약자나 장해자 등 누구나 쉽게 배워서 출 수 있는 춤(universal dances)을 개발하고 쉬운 춤사위에 공동체의 정신을 나타내는 소박한 말을 붙여(곡에 가사를 붙이듯이) 일하는 틈틈이 함께 추기도 한다.





五. 에필로그


나는 미국 펜실바니아주에 있는 Pendle Hill이라는
이 게시물을
엮인글 :
목록




허호익

November 26, 2005
*.218.50.53
五. 에필로그
나는 미국 펜실바니아주에 있는 Pendle Hill이라는 퀘이커의 공동체에서 지난 한해를 보냈다. 위에서 제시한 공통체像은 그 Pendle Hill을 모델로 하여 대체적인 윤곽을 그려본 것이다. 다만 Pendle Hill을 좀 더 민중적인 쪽으로 끌어당겼다고 할 수 있겠다.
살림공동체의 7가지 원리 하나 하나를, 구원과 해방을 절절히 갈망하는 민중의 가슴과 눈으로 읽으려고 노력하면서 이해하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원리들을 구체적인 공동체운동에 응용할 때에는 내가 몸담고 사는 사회현실과 자신의 문화전통, 그리고 공동체의 조건에 맞추어 창조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세계의 중심부가 아닌 아시아 대륙의 동쪽 한 주변부에 떨어진 작은 씨들의 눈이 지금 터지고 있다. 민중이라고도 불리는 이름 없는 사람들, 그들이 자신 속에 모시고 있는 하나님에 눈떠 깨어나고 있다. 그들이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의 근본이다. 씨들은 자신의 문화와 사상과 전통에 돌아가 그 토양에 튼튼히 뿌리를 내릴 것이다. 나아가 그들을 에워싼 동양과 서양의 온갖 문화, 문명, 사상, 전통들로부터 자양분을 흡수하여 그들 자신의 잠재력, 생명력을 꽃피워 나갈 것이다.
바야흐로 21세기, 새 천년의 새 문명, 새 문화, 새 인류의 도래를 예비하는 새로운 삶의 양식, 곧 ‘살림 공동체’의 창조라는 가슴 뿌듯한 과제가 아시아의 민중에게 맡겨져 있다. 이 창조에서 민중신학의 몫은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이 글이 민중신학의 새로운 전개 가능성의 단초만이라도 전달할 수 있었다면 다행이겠다.



<참고 문헌>
*Larry L. Rasmusen, ‘Earth Community Earth Ethics’, 1996, Orbis
*Ed. by Martin O'Connor, ‘Is Capitalism Sustainable?’, 1994, The Guilford Press
*Helena Norberg-Hodge, Ancient Futures, -Learning from Ladakh-, 1991, Siera Club Books. (한국어역: ‘오래된 미래’, 녹색평론사)
*Jean Vanier, ‘Community and Growth’, 1989, Paulist Press
*‘Faith and Practice’, 1997, Philadelphia Yearly Meeting
*Thomas R. Kelly, ‘A Testament of Devotion’, 1941, Harper Collins
*John Punshion, ‘Encounter with Silence’, 1996, QHS
*C. G. Jung, ‘Memories, Dreams, Reflections’, 1973, Vintage
*Douglas Gwyn, ‘The Covenant Crucified -Quakers and the Rise of Capitalism-’, 1995, Pendle Hill
*Edited and Introduced by Douglas V. Steere, ‘Quaker Spirituality, selected writings’, 1984, Paulist Press
*Patricia Loring, ‘Listening Spirituality’, 1999, Loring
*Ed. by David Cren and Eric & Helen Ebbeson, ‘Living Simply’, 1981, The Seabury Press
*Mark A. Burch, ‘Simplicity’, 1995, NSP
*Grace Kuto, ‘Harambee, African Family Circle Cookbook’, 1995, Book Partners
*Thich Nhat Hanh, ‘The Miracle of Mindfulness', 1975, Beacon Press
*Thich Nhat Hanh, ‘Living Buddha, Living Christ’, 1995, Riverhead Books
*咸錫憲全集, 1987, 한길사
*김지하전집(5), ‘생명, 이 찬란한 총체’, 1991, 동광출판사
*한글 東經大全, 1991, 동학연구원
*金芝何 思想紀行, 전2권, 1999, 실천문학사

2020/03/29

Life Flowing Through Korean Feminist Theology : The 10th WCC Assembly And Life.Justice.Peace : 네이버 블로그



Life Flowing Through Korean Feminist Theology : The 10th WCC Assembly And Life.Justice.Peace : 네이버 블로그



2013년


Life Flowing Through Korean Feminist Theology : The 10th WCC Assembly And Life.Justice.Peace
도서출판 동연 북클럽 ・ 2019. 1. 20. 14:38
URL 복사 이웃추가




▶ 인터넷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64472194&orderClick=LAG&Kc=

▶ 알라딘 http://aladin.kr/p/viKL



지은이: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출간일: 2013년 10월 27일

분 야: 종교/기독교 신앙

판 형: 신국판(150*220) 반양장

쪽 수: 224쪽

정 가: 10,000원

ISBN 978-89-6447-219-4





『Life Flowing Through Korean Feminist Theology』 를 내면서…



도서출판 동연은 2013년 10월 30일에 부산에서 개막된 제10차 세계교회협의회 총회를 맞이하여 한국여신학자협의회(Korean Associsation of Women Theologians)가 세계교회를 향하여 한국여성신학의 저력을 알리고자 저술한 영문저서 『Life Flowing through Korean Feminist Theology』(한국여성신학을 통하여 흐르는 생명)를 출판했다. 이 책은 Life(생명), Justice(정의), Peace(평화)의 세 주제에 대하여 한국여성신학계의 거목들이 영문으로 저술한 논문집으로서, 오늘날 세계적 신학으로서 발돋음하고 있는 한국신학으로서의 한국여성신학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 성서의 여성신학적 메타포, 한국민중신학의 핵심주제 및 생명, 생태, 평화윤리와 창조적으로 결합된 한국여성신학의 주요 테마들을 이 책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한국여신학자협의회 회장 이은선 교수는 이 책에서 다음과 같이 선포한다. “The members of KAWT believe that the Spirit invites us to this stark call to bring life, justice and peace in the world, and we pray now this little book can contribute to this great work.”



차례



Foreword ⁞ Un-Sunn Lee

Preface to Life Flowing through Korean Feminist Theology ⁞ Eun-Joo Lee

A Statement upon the 10th WCC Assembly Issued by KAWT



Ⅰ. Life



Korean Feminist Spirituality of the Life-Giving-Mind-and Heart of Heaven and Earth and the Future of Christian Spirituality: Korean Feminist Understanding of Life, Justice, and Peace

⁞ Un-Sunn Lee


Creating a Culture of Reconciliation and Life through Hanpuri and Hanmaji: A Feminist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Miyalhalmi Dance in the Bongsan Talchum ⁞ Young-Sil Choi

A Process Feminist Theological Awareness for Life-Giving-Healing ⁞ Jin-Sook Kwon



Ⅱ. Justice



Blessed are the Troublemakers ⁞ Yani Yoo

Biblical Justice and Women’s Ordination in Korea ⁞ So-Jung Yoon

Justice and Peace of Immigrant Women in Korea ⁞ Myung-Ok Sung



Ⅲ. Peac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Feminist Theology in Global Age ⁞ Ae-Young Kim

The Current State of Sexual Violence in Korea ⁞ Boon-Yi Kwak

Peace-Spirit Rising in Gangjeong ⁞ Eun-Joo Lee

A Brief Herstory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저자 소개



- Un-sunn, Lee

Un-sunn Lee is professor of Asian studies and philosophy of educ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Her major works are feminist tranversal studies i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Former Co-representative and present Executive Chair of Theology Committe of KAWT, President of Korean Christian Faculty Association.



- Young Sil, Choi

She received Her Ph. D. from Ewha Womans University in Seoul, Korea. She i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Theology, Sungkonghoe University of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New Testament hermeneutics by Feminist aspect. She is a co-representative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 Jin Sook, Kwon

Jin Sook Kwon is a lecturer at Ewha Womans University, a clinical supervisor at Ewha Pastoral Counseling Center and Soul Friend Pastoral Counseling Center, and serves as as a associate pastor at Chung Dong First Methodist Church English Ministry in Seoul, Korea in Seoul, Korea.



- Yani, Yoo

Yani Yoo is a lecturer at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in Seoul, Korea, and an associate pastor at Chun Sung Church. She also serves as an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Korea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a director of steering committee of East-West Theology Forum, and a member of Faith and Order Committee of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of Korea

- Sojung, Yoon

Sojung Yoon is presently adjunct professor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an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 Myung Ok, Sung

Ordained pastor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Former General Secretary of Women Ministers’ Association in PCK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Center of Gwangju in Gyunggi-do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 Ae Young, Kim

Ph.D. Prof. of the Department of Theology, Hanshin University, Korea. Major fields: systematic and feminist theology. Executive member and former Co-representative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Ordained Minister of PROK.



- Boon Yi, Kwak

Served as professor of Hansung Theological Seminary for 12 years Current Executive Director Ssial Women' Association, Affiliated Feminist Counseling Center for women victims of sexual abuse and domestic violence.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Member of Religious Society of Seoul Friends Meeting (Quaker)



- Eun Joo, Lee

Eun Joo Lee is a lecturer at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ordained pastor working at Yeoul church since 2011. She is also a member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and vice-executive of Theology Committee.







본문 속으로



Korean feminist theologians have been looking forward to the time when “justice and peace will kiss each other (Psalm 85, 10),” while struggling with a multifaceted darkness of Koreanpeninsular ingrained in national division, economic crisis, and patriarchal oppression. As we were asked to host the 10th Assembly, we hear it as an opportunity to share stories of Korean women. And thus we have hastened to publish a book authored by KAWT’s members who address here diverse dimensions of Korean women’s life experience not only in a state of manysided oppressions and pains, but also in a state of life empowered by Jesus’ inexorably liberating act…. It means that KAWT has not limited its theological and spiritual boundaries too narrowly since Korean context unceasingly reveals the unknown dimensions of oppression and liberation. There have been three topics of discussion and activity distinctively appeared within thirty years of KAWT: reunification and postcolonial movement, solidarity with the margins, and solidarity with a multiplicity of feminist movem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culturepolitics. And all of these have been done according to our own feminist perspective - liberating, inclusive, ecumenical, and indigenous

<From the Prefa






2020/02/04

13 Korean government honours Quaker | The Friend

Korean government honours Quaker | The Friend



Korean government honours Quaker

Posthumous award for John Cornes
Jean Cornes, ambassador Suk-hwan Park and Ruth Homer at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 Photo: Photo courtesy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A Quaker who worked for the Friends Service Unit after the Korean War has been honour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loyd Schmoe Quakers in Korea



Floyd Schmoe


Related Articles
Quakers in Korea

Floyd Schmoe

1895 - 2001

A sixth generation Quaker, Floyd Schmoe was born in Kansas but lived most of his life in the Pacific Northwest of the USA. He was both a forest ecologist and a marine biologist. In the course of relief work carried out in six separate wars, he was shot at, but never carried a gun.

In 1917, he was studying forestry at Seattle University when the US entered the First World War. Schmoe applied to the newly formed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AFSC) for alternative service in Europe. He briefly joined a Red Cross ambulance unit as a stretcher bearer, then spent fourteen months building pre-fab homes and converting army barracks to house war refugees.

Returning to the US, he completed his studies and was hired as a park ranger at Mount Rainier in Washington State. He wrote a regular newsletter describing the wildlife and flora, and in 1924 became the park’s first full time naturalist.

In 1928, he joined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as an instructor in forest biology, while at the same time pursuing a master’s degree in marine biology.

At the outbreak of the Second World War, he organised demonstrations against American involvement in the war and worked with the AFSC to help Jewish refugees fleeing Nazi occupied Europe. After 1942, he became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plight of Japanese Americans interned following the attack on Pearl Harbor. He gave up his academic career to head a new regional office of the AFSC. 

 One of his first projects was to help Japanese American students to transfer to schools further east where they were allowed to continue their education. He and his staff worked alongside other church leaders inside the internment camps and also acted to protect the property of those interned. His work led to an FBI investigation, which labelled Schmoe a ‘rabid pacifist.’

Schmoe particularly abhorred the dropping of the first atomic bomb on Hiroshima, calling it "an atrocity, even in warfare." Believing that building new houses for those whose homes had been bombed was a more meaningful response than any apology, he tried to persuade the AFSC to sponsor a house-building project. When that failed, he set about organising his own project, Houses for Hiroshima.

Finding it difficult to get permission to work in Japan, he moved initially to Hawaii, where he ran an AFSC programme to provide food and clothing to Japan. In 1948, he visited Japan for the first time, reviewing the devastation in Hiroshima and bringing with him 250 goats to provide milk for hospitals and orphanages.

Having raised several thousand dollars from friends and family, Schmoe and his wife brought building materials, food and medical supplies to Hiroshima in 1948, and with the help of local volunteers and craftsmen, built houses for four homeless families. Over the next four years, Schmoe helped build twenty houses in Hiroshima and a further twelve in Nagasaki, housing almost a hundred families.

In 1953, Schmoe heard about the refugee crisis in Korea resulting from the war there. He sailed from Japan, bringing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 expertise, and set up Houses for Korea. Between 1953 and 1956, Houses for Korea worked with local people to build homes, secure water supplies, repair roads, and build and run a free medical clinic in Kyonggi Province.

In 1956, following the nationalisation of the Suez Canal, 4000 families from Port Said in Egypt were displaced, some of whom were resettled in the Sinai Desert. Schmoe organised Wells for Egypt, raising money for plants and a pump for a well, and helping to plant an orchard.

After 17 years working largely as an unpaid volunteer, Schmoe retired in 1959 to write. In 1987, at the age of 92, he began work with colleagues, clearing land at the University of Seattle to create a Peace Park. The next year, he travelled to Tashkent in Uzbekistan to help build a peace park there, before going on to Japan to receive a Peace Award from the Hiroshima Peace Centre. Schmoe used his award money to fund the completion of Seattle Peace Park, which opened on Hiroshima Day, 6th August 1990.

Schmoe died in 2001, aged 105.
Print this article




Further Reading and Credits
EXTERNAL LINKS

1997 Seattle Times article about Floyd Schmoe, then aged 101
Essay by Kit Oldham, on HistoryLink.org, including audio interview with Floyd Schmoe

Image reproduced by kind permission of the copyright holders Washington State Historical Society. It can be found at http://columbia.washingtonhistory.org/magazine/articles/2009/0209/0209-a4.aspx For non commercial use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