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Ambedkar.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Ambedkar. Show all posts

2020/09/13

업보윤회설, 그 오해와 진실 / 박경준


[열린논단] 업보윤회설, 그 오해와 진실 / 박경준
2012년 2월 16일 열린논단
[0호] 2012년 02월 17일 (금)박경준  동국대 불교학부 교수
  

Ⅰ. 들어가는 말

불교의 ‘업과 윤회의 가르침’에 대한 곡해가 적지 않다. 가장 일반적인 곡해는 업보윤회설을 신비주의적 혹은 숙명론적 사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현대인들에게 업보윤회설은 3세윤회설로 이해된다. 예컨대, 영화 「리틀 붓다」의 내용 중에 나오는 ‘환생’이야기는, 엄밀하게 말하면 정통 윤회설의 내용과 조금 다르지만, 불교의 기본적 윤회사상으로 이해되면서 대중적으로 불교에 대한 신비주의적 이해를 확산시켜 왔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도 윤회에 관한 이야기를 종종 나눈다. 누구는 전생에 왕족이었을 것이라고 한다든가, 누구는 업장이 두터워 금생에는 고생을 많이 했지만 다음 생에는 부잣집에 태어날 것이라고 한다든가 하는 등의 대화는 모두 윤회를 전제로 한 이야기들이다. 이러한 윤회관 역시 불교를 신비주의적 또는 숙명론적 종교로 곡해하게 만들기 십상이다.

그 다음의 오해는 아마도 불교의 업설은 윤리적으로 철저한 동기론이라는 고정관념일 것이다. 불교 업설은 행위의 의도를 중시하는 윤리적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와 같이 복잡하고 디지털화된 상황에서 동기론적 윤리사상만으로는 세상을 이끌어 가기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불교 업설에 결과론적 내용은 없는 것인지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오해는 불교 업설은 개인적 차원에서만 작동하는 원리라는 편견이다. 불교 업설은 대개 개인적 차원에서 설해지지만, 사회적 차원을 배제하지 않는다. 共業의 개념이 바로 그것을 증명한다. 불교 공업설이 우리의 삶에 어떤 방향을 제시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본다.

이러한 오해들을 바로잡는 것은 올바른 불교이해를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불교의 업보윤회설은 불교적 세계관과 인생관의 바탕이 되는 근본 교리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 학계에서 ‘업과 윤회’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윤회를 변증하고 합리화하는 입장에서 행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無我와 輪廻의 모순을 ‘無我輪廻說’로 봉합하려는 경향이 있어왔다.

그러다 보니 업설과 윤회설에 대한 비판적 연구와 새로운 해석 작업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업과 윤회의 내용이나 사상사적 전개 과정보다는 업설과 윤회설의 의의에 대해 초점을 맞춰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조금은 비판적인 관점에서 또 다른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업설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은 그 하나가 될 것이다.

요즈음은 명상의 시대라 할 만큼 명상이 유행인 바, 이것은 결국 행복의 기준이 물질에서 마음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인과업보를 심리적 차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Ⅱ. 업설과 윤회설의 기본 의의

1. 올바른 인생관의 확립

불교 업설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苦와 樂, 행복과 불행, 즉 인간의 운명은 인간의 행위(karma)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을 선언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운명은, 신(절대자)의 뜻에 의해 결정되는 것도 아니고, 숙명에 의해 좌우되는 것도 아니고, 단순한 우연의 산물도 아니라고 가르친다. 그것은 오직 인간 스스로의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이다. 불교 업설은 한 마디로 인과응보의 교설로서 ‘善因善果 惡因惡果’ 또는 ‘善因樂果 惡因苦果’의 인과법칙을 주장한다. 그것은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우리 속담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 경전은 인과응보의 진리를 다음과 같이 설한다.

(무릇 사람은) 씨앗을 뿌리는 대로 그 열매를 거둔다. 善한 행위에는 선의 열매가, 惡한 행위에는 악의 열매가 맺는다. (그 사람이) 씨앗을 심어 그 사람이 (자신의) 과보를 받는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도 위와 같은 평범하고도 상식적인 진리를 외면한 채, 잘못된 세계관과 인생관에 빠져 어리석은 삶을 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우리 주변에는 인간의 역사나 개인의 운명이 어떤 절대자의 뜻이나 각본에 따라 결정된다고 믿고, 스스로 바르게 행동하고 열심히 함께 노력하기보다는 기도나 종교에 지나치게 매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휴거 등을 믿는 종말론자가 되어 건강한 삶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전생에 스스로가 지은 숙명의 힘에 의존하는 사람들도 많다.

걸핏하면 철학관을 찾고 점을 치며, 사주나 점괘가 좋지 않을 때에 자꾸 굿에 의지하다가 패가망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연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정직하고 성실하게 사는 것을 탐탁스럽게 여기지 않고 도박의 노예가 되거나 일확천금을 노리는 한탕주의에 빠지며 향락주의자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잘못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고타마 붓다가 살았던 당시의 인도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지구촌에서도 적잖이 발견된다.

인과응보를 믿는 사람들은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속담처럼, 인간의 운명은 인간 스스로의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깨달아, 세상의 지식과 인생의 지혜를 부단히 배우고, 합리적인 계획을 세우고, 부지런히 노력하고 행동하며, 겸허히 기다리고 인내한다. 이렇게 불교 업설은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인간으로 하여금 건전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근본 원리이자 기초인 것이다.

2.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

동서고금을 돌아보면, 인류 역사는 차별의 역사요 불평등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분과 계급은 물론 종교와 직업, 인종과 성별에 따른 불평등은 오랫동안 인류 역사 발전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오늘날 인류 사회에서 극단적인 노예제도는 사라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인도의 바르나-카스트제도와 같은 계급차별이 행해지고 있는 지역이 적지 않다.

지구촌 한켠에서는 ‘인간 해방’을 넘어 ‘동물 해방’을 외치고 있지만, 반면에 선진국에서도 인종 차별이 엄존하고, 문명국가에서도 남녀 차별이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학벌이라든가 출신지에 따른 차별 등의 악습이 현존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은 모든 사람이 진정한 자유를 실현하는 인류 역사의 궁극적 이상을 성취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빨리 축출되어야 한다. 불교 업설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또는 인격의 기준을 그 무엇도 아닌 오직 인간의 행위(karma) 자체에 둠으로써 불합리한 것들의 개입을 차단하고 인간 평등의 실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초기경전은 다음과 같이 설한다.

태어남에 의해 천민〔領群特〕이 되는 것도 아니고, 태어남에 의해 바라문이 되는 것도 아니다. 업에 의해 천민이 있게 되고, 업에 의해 바라문이 있게 된다.

이것은 사회적 신분이나 계급에 의해 귀천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행위와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므로 불교 교단에 들어오는 사람들도 근본적인 차별이 있을 수 없고 모두가 평등하다. 석존은 이것을 바다의 비유를 통해 다음과 같이 설한다.

마치 갠지스 강, 야수나 강, 아찌라와띠 강, 사라부 강, 마히 강과 같은 큰 강들이 바다에 모여 들면 이전의 이름을 잃고 단지 바다라는 이름을 얻는 것과 같이 四姓도 여래가 가르친 法과 律을 따라 출가하면 이전의 종성을 버리고 똑같이 釋子(석가세존의 자식)라고 불린다.

인간의 가치는 권력이나 재력, 가문이나 직업 등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 업설에 따르면, 자신의 이기적 욕망을 위해 남에게 악을 행하여 괴롭히거나 피해를 주고 무례하게 구는 사람은 가치가 없는 천한 사람이며, 부지런히 선을 행하여 나와 남을 이롭게 하고 선행을 자랑하거나 과시하지도 않으면서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은 가치 있는 귀한 사람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유롭게, 자율적으로 선 또는 악을 선택하고 행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평등하다. 따라서 불교 업설은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석존이 불교 업설에 근거하여 당시 인도 사회의 사성계급제도를 비판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3. ‘자유와 책임’의 민주주의 원리

민주주의는 인류가 일구어 낸 역사의 아름다운 꽃이다. 민주주의는 역사의 당연한 귀결이며, 국민은 국가의 주인이기에 국민 개개인의 자유와 권리는 보장되어야 하고 책임과 의무는 존중되어야 한다. 물론 다수결의 원리 때문에 민주주의는 우민 정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최선이 아니라는 비판도 있지만, 민주주의는 아직까지는 그 대안이 없는, 적어도 차선의 정치제도라 할 만하다.

일찍이 막스 베버는 불교의 업설은 영원히 사회에 대한 비판정신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인권사상의 발전에 방해가 되며, 인간의 공동의 권리라든가 공동의 의무를 문제 삼지 않으며 국가라든가 시민과 같은 개념을 발생시키지도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말은 결국 불교는 어떠한 정치적·사회적 목표를 내세우지 않으며, 동시에 민주주의와 무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분명 막스 베버의 실수라고 생각한다. 실수는 원천적으로 베버가 불교 업설을 지극히 개인적인 숙명론으로 오해한 데서 비롯된다.

여기서는 불교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해서 논할 여유는 없다. 다만 불교 업설은 ‘자유와 책임’의 원리로서 해석할 수 있다는 점만은 강조해 두고 싶다. 불교적 업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근거한 능동적·자율적인 행위라는 점에서 ‘자유’사상에 통하고, 업보는 그 누구도 어떤 방법으로도 결코 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책임’사상과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경전 가운데는 다음과 같은 석존의 가르침이 발견된다.

허공 속에서도, 바다 속에서도, 바위 틈 속에서도 피할 수 없느니라. 악업을 행한 자가 그 과보를 면할 수 있는 곳은 그 어디에도 없나니.

우리는 불교 경전에서 이러한 ‘자유와 책임’만이 아니라, 나아가 ‘권리와 의무’의 정신도 이끌어 낼 수 있다. 불교는 국가와 사회의 기원을 설명함에 있어 일종의 ‘사회계약설’을 주장한다. 이것은 개인의 권리와 함께 사회 및 국가에 대한 개인의 의무를 전제로 하지 않으면 성립할 수 없다. 업설에서 ‘자유와 책임’은 ‘권리와 의무’의 정신과 통한다. 불교 업설은 이렇게 ‘자유와 책임’, ‘권리와 의무’라는, 민주시민이 가져야 할 기본요건과 정신을 가르쳐 준다.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결코 숙명론이 아니다. 그것은 자유의지에 바탕한 도덕적 행위와 창조적 노력을 설하는, 상식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인생관을 함의한다.

Ⅲ. 불교 共業說의 사회적 의의

근대 인도에서 불교개종운동을 이끌었던 암베드까르(Bhimrao Ramji Ambedkar, 1891~1956)는 위에서 언급한 막스 베버처럼 불교의 업설을 숙명론 정도로 이해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업과 윤회의 교리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암베드까르는 인도의 불가촉천민들의 고통은 그들 스스로의 과거 업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학대와 잘못된 사회계급제도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업과 윤회의 형이상학은 현재 고통받는 사람들이 전생에서 악업을 행했기 때문에 고통을 받는 것이라고 하여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폭압적 현실사회에 면죄부를 준다고 생각하였다. 그러기에 ‘업과 윤회’의 교리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전통적인 불교의 업설에 따르면, 사람의 수명이 길고 짧은 것, 질병이 많고 적은 것, 외모가 단정하고 추한 것, 천하고 귀한 종족으로 태어나는 것,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 등의 차별은 모두 과거생의 선업이나 악업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분별업보약경(分別業報略經)󰡕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설해져 있다.

성인을 뵈옵고 기뻐하지 않으면
날 적마다 언제나 어리석어서
벙어리가 되어 말을 못하고
소경이 되어 볼 수 없으리.

낯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르고
절제 없이 말을 많이 하는 사람,
그는 업에 따라 과보를 받다가
나중에는 까마귀의 몸을 받으리.

이러한 가르침은 해석하기에 따라서 일종의 숙명론으로 곡해될 여지가 없지 않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불교의 업설은 숙명론이 아니다. 불교는 과거세의 업뿐만 아니라 현세의 업도 현실을 규정한다고 설한다. 더욱이 불교업설은 과거의 업보다는 오히려 현재의 업에 더 비중을 둔다. 󰡔대승열반경󰡕은 그것을 다음과 같이 설한다.

나의 佛法 가운데는 과거의 업도 있고 현재의 업도 있거니와 그대는 그렇지 아니하여 오직 과거의 업뿐이요 현재의 업은 없다.

이어서 󰡔대승열반경󰡕은 현재의 과보가 현재의 업에 연유하는 비유를 든다. 즉 어떤 나라의 한 사람이 국왕을 위해 원수를 죽이고 포상을 받는다면, 그는 현재에 선업을 짓고 현재에 즐거움의 과보를 받는 것이 된다[善因樂果]. 또한 어떤 사람이 국왕의 아들을 살해하고 그 때문에 사형에 처해진다면, 그는 현재에 악업을 짓고 현재에 괴로움의 과보를 받는 것이 된다[惡因苦果]는 비유다. 이 이야기는 비유라기보다는 구체적인 사례에 속한다고 보이며, 이 사례는 업설에 대한 신비주의적 이해에 제동을 건다. 이 사례의 내용을 살펴보면, 거기에는 업의 과보가 은밀하고 신비스러운 방식으로 드러나지 않고, 사회적 ‘법과 제도’를 통해서 공개적이고 합리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국왕의 원수를 제거하여 상을 받고, 왕자를 살해하여 사형을 받는다는 것은 ‘상벌제도’에 의한 것임이 분명하다. 이것은 현세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법과 제도를 통해 구현되는 인과업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과응보가 법과 제도를 통해서도 드러나는 것이라면, 우리는 개인적으로 선업을 쌓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다함께 올바른 법과 제도를 확립하고 그것을 바르게 집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인과응보의 법칙은 사회 정의와 무관하지 않으며, 불교 업설의 외연은 사회적 차원으로까지 확장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업설에 대한 󰡔대승열반경󰡕의 이러한 관점은 「교진여품」의 다음 가르침과도 연결된다.

일체 중생이 현재에 四大와 時節과 土地와 人民들로 인하여 고통과 안락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나는 일체 중생이 모두 과거의 本業만을 인하여 고통과 안락을 받는 것이 아니라고 설하느니라.

이 가르침은 업설에 대한 통념을 극복하고 그 이해의 지평을 넓혀 준다. 사람들의 고통과 안락의 문제를 과거의 개인적인 근본 업[本業] 뿐만 아니라 현재의 4대, 시절, 토지, 인민과 관련시켜서 바라본다. 여기서 4대와 토지는 자연 환경을, 시절은 시대 상황을, 인민은 사회 환경을 의미한다. 과거의 본업이 因이라면 자연 환경, 시대상황, 사회 환경은 緣이다. 이러한 인과 연이 결합하여 고통 또는 안락의 과[果報]를 낳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열반경』「교진여품」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연 환경, 시대 상황, 사회 환경은 모두 器世間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흥미롭다. 일반적으로 기세간은 자연 환경의 의미로 정의되지만, 사회 환경도 기세간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자연이 인간을 담는 그릇이라면 사회[또는 문화] 역시 인간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세간은 인간의 업과 무관한 것일까. 불교는 놀랍게도 기세간은 共業의 산물이라고 답한다.

‘공업(Sādhāraṇa-Karma)’이라는 용어는 대체적으로 초기 경전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부파불교시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업’은 아마도 2세기 무렵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문헌들의 가르침을 종합해 보면, 공업은 일체 중생의 집단적 또는 공동의 업으로서 자연환경[기세간]의 성립과 파괴, 그리고 상태를 규정하는 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업 사상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불교의 공업 사상은 원론적으로 현대 사회에 팽배한 개인주의를 비판한다.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것은 각자의 개인적인 不共業뿐만 아니라 공동의 공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우리의 삶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반드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공동체 의식에 바탕한 공동선의 추구가 이루어질 때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될 것이다.

예컨대 환경문제는 우리 인간의 공업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인류의 팽창주의 경제가 초래한 환경오염이나 생태계 파괴, 기후변화 등은 어떤 한 사람의 노력만으로 극복될 수 없다.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거시경제의 새로운 청사진이 제시되어야 하고 ‘절제 자본주의’와 같은 새로운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환경 위기, 생태 위기는 개인적인 경제 윤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 지구적 합의를 통한 제도적, 정책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당위성은 초기 경전의 하나인 『구라단두경(Kūṭadanta-sutta)』의 내용 중에 제시된 바 있다. 이 경의 요지는, 범죄자를 아무리 강력하게 처벌하더라도 가난하고 배고픈 사람들이 있는 한, 범죄는 근절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경제 정책이 시행되어 분배의 정의가 이루어질 때 국가는 안녕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은 빈곤을 사회악의 근본 원인으로 보면서, 사회악의 해결을 위해서 개인적 선보다도 사회적 선에 더 적극적으로 호소한다.

또한 공업 사상은 현대인에게 시민사회운동이나 NGO 활동, 공공질서 준수 등의 필요성을 역설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버스의 예를 들어 보자. 버스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승하차시 등에 우선 개인적으로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개인적인 주의만으로는 부족하다. 운전기사의 노동 환경, 버스 정비 시스템, 신호체계, 도로 사정 등의 모든 조건이 잘 갖추어져야 한다. 다른 차량들도 모두 교통질서를 잘 지키며 안전 운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에 대한 점검은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것은 시민 모두가 연대의식을 갖고 공동으로 실천해야 할 일이다. 시민사회운동의 당위성과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불교 공업설은 결국 우리에게 성숙한 시민의식을 갖고 모두의 안전을 위한 시민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묵시적으로 가르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Ⅳ. 업설의 결과론적 측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는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성격과 구조를 지니며 인간관계 또한 매우 다양한 양상이다. 현대사회는 거대한 조직에 바탕한 대형화, 대량화, 집단화의 사회로서, 그만큼 사회적 리스크도 높다. 이러한 리스크 사회에서는 윤리적 동기론에 의존할 수만은 없다. 일정 정도 윤리적 결과론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런데 불교는 흔히 ‘마음’과 ‘의지’를 중시하는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자이나교에서는 오랫동안 불교를 철저한 동기론으로 비판해 왔다. 자이나교의 한 경전[The sūtrakṛtāṅga sūtra]은, 불교의 가르침에 따른다면 만약 어떤 사람이 쌀자루를 사람인 줄 알고 쇠꼬챙이로 찔렀다면 그는 살인죄를 저지른 것이 되고, 사람을 쌀자루로 착각하여 쇠꼬챙이로 찔러 죽였더라도 그는 살인죄를 저지른 것이 아니라고 해야 한다며, 불교를 無作用論(Akriyavāda)이라고 비판한다. 과연 불교는 이처럼 극단적인 동기론일까?

결론적으로 말해서, 불교는 근본적으로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기는 하지만, 자이나교에서 비판하는 정도의 동기론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불교는 일정 정도의 결과론을 수용한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에 대해 몇 가지 근거를 밝힌다.

첫째, 故意性이 없는 행위에도 과보가 있다는 내용이 『賢愚經』에 나온다. 부처님 당시 어떤 사미승(아들)이 비구 스님(아버지)를 부축하다가 잘못하여 스님을 넘어뜨려 죽게 하였다. 그런데 여기에는 인과가 있었다. 오랜 과거생에는 죽은 비구 스님이 아들이었고 사미승은 아버지였다. 아들이 아버지를 몹시 귀찮게 하는 파리를 몽둥이로 쫓으려다 그만 아버지를 죽게 하였다는 것이다. 의도적인 살인은 아니지만 그에 상응하는 과보가 따른다는, 결과론에 해당되는 사례임이 분명하다.

둘째, 『中阿含』「思經」에서, 석존은 “만일 일부러 짓는 업이 있으면, 나는 그것은 반드시 과보를 받되, 현세에서 혹은 후세에서 받는다고 말한다. 만일 일부러 지은 업이 아니면, 나는 이것은 반드시 그 보를 받는다고는 말하지 않는다(不必受報)”라고 설한다. 이 마지막 부분의 ‘不必受報’는 문법적으로 분명히 부분부정인데도 우리말 번역에서는 “만일 일부러 지은 업이 아니면, 나는 이것은 반드시 그 과보를 받지 않는다고 말한다”라고, 완전부정으로 잘못 번역되어 있다. 하지만 부분부정으로 해석하면 불교는 동기론과 일정 정도의 결과론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된다.

셋째, 10악업 가운데 意業의 하나인 愚癡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10악업 중, 의업에 속하는 악업은 탐, 진, 치의 셋이다. 이 마지막 ‘치’가 바로 우치다. 종종 邪見이라고도 한다. 구사론의 해석에 의하면 사견은 ‘선과 악 그리고 그 업보 등에 대해 그릇되게 생각하고 심지어 무시하는 견해’이다. 우치든 사견이든, 여기에는 분명 ‘고의성’은 없다. 그런데도 이것은 악업이기에 거기에는 과보가 따르기 마련이다. 따라서 어리석음, 즉 고의성이 없는 악업에 대한 과보를 설하는 것이 되어 이것은 결국 결과론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고 하겠다.

넷째, 석존은 제자들에게 나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심하고 주의하라’고 늘 가르친다는 점이다. 석존 재세시에, 어느 날 투라난타 비구니가 실수로 디딜방아의 공이를 건드려 잠자던 아이를 죽게 했을 때, 석존은 그것이 고의가 아닌 것을 알고 바라이죄로 단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바라이죄가 아니라고 했다 해서 그것을 ‘일반적인 죄에서도 자유롭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교단 내의 행동 규범과 일반 사회의 법이 일치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석존은 투라난타에게 “그러나 남의 방아 공이를 함부로 건드리지 말아라”는 주의를 주었다.

이것은 어느 정도 ‘주의 의무’에 상응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우리의 현행 형법에서는 고의범보다는 가볍지만 과실범에게도 ‘주의 의무 위반(Verletzung der Sorgfaltspflicht)’이라는 죄목으로 처벌을 내리고 있으며, 업무상과실범에게는 더 무거운 처벌을 내리고 있는데, 이것이 석존의 뜻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Ⅴ. 인과응보의 심리적 해석

甲이 형편이 어려운 乙을 도와주었는데 을이 훗날 성공하여 갑에게 은혜를 갚았다든가, 병이 정을 구타하였는데 정에게 다시 구타당했다든가, 누군가가 도둑질하다가 붙잡혀 감옥에 갔다든가 하는 것은 모두 인과응보의 구체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의 운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개별 행위에 의한 인과응보에 의해 규정되기도 하지만, 선업이나 악업의 축적에 의해 형성된 성격과 인격에 의해 규정되기도 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전자의 경우를 기계·물리적 인과응보라 한다면 후자의 경우는 생물·화학적 인과응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木村泰賢은 전자를 업의 반동적 현현이라 부르고, 후자를 업의 능동적 현현이라 부른다. 그는 업의 능동적 현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慈善心에 의해 보시를 행한다고 하자. 이 결과로서 자기의 성격이 점점 유연하게 되고, 드디어 자선 박애의 사람, 더 나아가 절대적 愛他心의 권화인 보살로까지 재생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업의)능동적 방면의 현현이고 소위 同類因果에 속하는 것이다. …(중략)… 생각컨대 우리들의 세계는 결국 우리의 성격이 만든 것이라고 보는 것이 석존의 眞諦的 견지일 것이다.

사람의 성격과 인격은 (유전자 등에 의해) 선천적으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바뀌기도 한다. 업의 창조적 역동성과 가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업설은 숙명론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며, 이것은 불교가 아니다. 현대인들에게는 (기계물리적인)윤리학적 인과응보보다 (생물화학적인)심리학적 인과응보가 더 설득력이 있을 수 있다. 업과 윤회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미래 불교학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심리학적 해석의 하나로 양심에 입각한 인과응보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겉으로 보아, 선을 행한 사람이 그에 상응하는 과보를 받지 못하더라도, 자신의 양심에 비추어 만족하고 행복해 한다면 이 역시 인과응보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악을 행한 사람이 외견상 성공한 것처럼 보이더라도, 마음속으로 양심의 가책을 느끼며 괴로워한다면 이 역시 인과응보라 할 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사람에 따라 양심의 감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반론이 제기될 수도 있겠지만, 악을 행하고 법망을 피해 도망 다니는 죄인의 마음이 결코 평안하고 행복할 수는 없을 것이다. 상식적이고 일반론적으로 볼 때, 이러한 심리적 인과응보의 현상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근래 우리 사회에는 명상에 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종교를 떠나 직접 명상 수행하는 사람들도 꾸준한 증가 추세다. 그것은 절대 빈곤을 극복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관, 인생관이 ‘물질’에서 ‘마음’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반증이다. 사람들은 이제 마음의 평화가 행복이자 성공이고, 마음의 고통이 불행이자 실패라는 것을 깨달아 가고 있는 것이다. 최근 마음의 평화를 주제로 한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의 연작들이 계속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르고, 명상 관련 서적들이 인기를 누리는 현상이 바로 그러한 사실을 잘 말해준다. 현대인들을 교화하기 위한 방편으로도 인과업보에 대한 심리적 해석은 적절하고 유용해 보인다.

Ⅵ. 윤회설의 의의

정세근은 최근 그의 저서 󰡔윤회와 반윤회 -그대는 힌두교도인가, 불교도인가?󰡕의 결론 부분에서 다음과 같이 강력하게 한국불교에 고한다.

하나, 불교를 힌두교와 구별하라. 우리 불교는 인도의 전통 힌두교와 지나치게 뒤섞여 있다. 인도철학과 불교철학은 다르다. 불교를 인도철학으로 죽이지 마라. 나아가, 불교와 자이나교를 구별하라. 윤회가 있는 불교는 자이나교와 다르지 않다.…(중략)…
넷, 윤회를 부정하라. 윤회는 힌두교의, 자이나교의 것이다. 윤회가 설명하는 것이 계급질서이고 태생의 한계이고 불가항력적인 것이라면, 그런 관념은 일찍이 버릴수록 좋다. 나도 모르는 윤회의 법칙은 거짓이다.


그는 이러한 주장에 앞서, 그의 책 제6장 ‘무아와 윤회 논쟁’에서, 윤호진, 정승석, 김진, 한자경, 최인숙, 조성택 등의 주장과 논평,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비교 분석 비판을 통해 이른바 불교의 ‘무아윤회설’에 대해서 상세하게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 결론은 “나는 이 문제를 무아윤회와 유아윤회의 입장에서 바라보기보다는 무아연기의 철칙 아래 윤회를 부정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하는 주장이다. 그는 연기를 非有非無의 中道의 입장에서 바라보지 않고, 無 또는 무아의 입장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연기설은 유무중도의 입장에서 설해진 것이므로 연기설에 근거한 무아설은 중도의 입장에서 이해해야 한다. 전체적인 불교사상의 입장에서 볼 때, ‘我’는 크게 實我(실체아, ātman), 假我, 眞我로 구분할 수 있다.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는 ‘實我가 없다’는 의미지 假我와 眞我까지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초기불교의 연기무아설은 나를 온통 부정하는 의미가 아닌 것이다. 고익진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무아설의 무아도 ‘나’는 없지만 아주 없다는 뜻이 아니다. ‘나’는 없지만 그러나 아주 없지 않다는 그러한 뜻을 담은 중도적인 무아이다. 왜 그러냐면, 그것은 연기에 입각한 연기무아설이기 때문이다. 구사론은 이러한 나를 ‘거짓 나(假我 prajñaptyātman)’라고 하고, 그러한 ‘나’는 실로는 없지만 거짓으로는 있음이 허용되며, 이러한 거짓 ‘나’의 허용은 지혜의 일부에 속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가아’의 개념을 통해 무아설과 윤회설은 모순 관계에서 벗어난다. 한자경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무아윤회는 가능하다. 가아(오온)는 존재하고, 하나의 가아가 지은 업이 남긴 업력이 다음 가아를 형성하면, 그 가아들 간의 연속성을 윤회라고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윤회는 오온(가아)과 업만으로도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무아윤회론은 바로 이 점을 밝히는 것이라고 본다.

가아의 개념을 통해 ‘무아윤회’의 난점은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가아의 윤회방식은 여전히 궁금하고 신비스러워 보인다. 그러나 어쨌든 윤회설은 불교 사상 전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수많은 전생담은 말할 것도 없고 붓다의 특별한 능력 중 하나인 宿命通 또는 宿命明 등이 그것을 증명해 준다. 해탈의 가르침도 윤회를 떠나서는 의미를 상실한다. 그러므로 윤회를 단순히 교화방편설로 보는 것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윤회’는 3세에 걸쳐서뿐만 아니라 현세에도 일어나고, 한 찰나에도 일어난다고 종종 해석되기 때문에 윤회에 대해 함부로 단정 짓는 일은 삼가야 한다.

또한 眞如의 입장에서 보면 生滅이 없지만 세속제의 범부중생에게는 死後 세계에 대한 궁금증이 있고, 특히 신체적으로나 삶에 콤플렉스가 있는 사람들은 뭔가 또 다른 삶의 기회를 얻고 싶어 하여 윤회를 믿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인들도 대개는 생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바, 윤회론은 이러한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가 있다. 윤회에 대한 확신은 자연스럽게 정신적, 도덕적, 정서적으로 상당한 긍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윤회설은 신비주의라기보다 이러한 업설에 대한 적극적 신념의 표현으로 이해해야 한다. 인간사회에서는 더러 우연적인 요소가 발생하는 것도 사실인 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3세윤회설에 대한 믿음을 통해 선을 행하고 악을 그치는 일에 더욱 힘쓰게 하기 때문이다.

Ⅶ. 나오는 말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 의의가 여간 크지 않다.
첫째,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인간의 운명은 신의 뜻이나 숙명 또는 우연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karma)로 말미암은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한다. 인간의 귀천 역시 오직 인간의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하는 바, 이것은 곧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가 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불교의 업보윤회설은 ‘자유와 책임’을 가르치며, 이것은 오늘날 민주주의 사회에서 더욱 요청되는 시민정신이라고 하겠다.

둘째, 불교의 업설은 개인적인 不共業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共業을 강조함으로써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지지대 역할을 한다. 특히 공업은 자연환경까지를 규정한다고 하는 바, 오늘날 환경 위기에 대한 인간의 공동의 노력은 물론, 그 무엇도 쉽게 체념하지 않는 도전 정신을 일깨운다.

셋째, 불교 업설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선의지를 강조하는 윤리적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지만, 결과론적 윤리 사상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글로벌 리스크 사회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불교 업설은 단선[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평면[사회]적 차원, 그리고 공간[심리]적 차원에서도 해석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심리적 인과응보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불교 업보윤회설은 이미 훌륭한 이론 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과학의 발전과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질문과 그에 대한 창조적 해석 작업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예컨대, 善과 惡의 개념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졌을 때, 업보윤회설은 어떻게 적용되는가?

유전자 과학이 첨단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윤회는 어떻게 합리화되는가? 선악의 개념은 자연이 아닌 사회적 개념인 바, 인과응보는 필연적 자연법칙이 아니라 확률적 사회법칙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 아닌가? 윤회하는 중생의 개체수는 언제나 동일한가, 아니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가? 축생의 선업과 악업의 기준은 무엇인가? 업보윤회설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더욱 진지하고 명쾌한 응답을 준비해 가야 할 것이다.

불교평론 업보윤회설, 그 오해와 진실 / 박경준

불교평론









[열린논단] 업보윤회설, 그 오해와 진실 / 박경준

2012년 2월 16일 열린논단

  동국대 불교학부 교수















Ⅰ. 들어가는 말



불교의 ‘업과 윤회의 가르침’에 대한 곡해가 적지 않다. 가장 일반적인 곡해는 업보윤회설을 신비주의적 혹은 숙명론적 사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현대인들에게 업보윤회설은 3세윤회설로 이해된다. 예컨대, 영화 「리틀 붓다」의 내용 중에 나오는 ‘환생’이야기는, 엄밀하게 말하면 정통 윤회설의 내용과 조금 다르지만, 불교의 기본적 윤회사상으로 이해되면서 대중적으로 불교에 대한 신비주의적 이해를 확산시켜 왔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도 윤회에 관한 이야기를 종종 나눈다. 누구는 전생에 왕족이었을 것이라고 한다든가, 누구는 업장이 두터워 금생에는 고생을 많이 했지만 다음 생에는 부잣집에 태어날 것이라고 한다든가 하는 등의 대화는 모두 윤회를 전제로 한 이야기들이다. 이러한 윤회관 역시 불교를 신비주의적 또는 숙명론적 종교로 곡해하게 만들기 십상이다.



그 다음의 오해는 아마도 불교의 업설은 윤리적으로 철저한 동기론이라는 고정관념일 것이다. 불교 업설은 행위의 의도를 중시하는 윤리적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와 같이 복잡하고 디지털화된 상황에서 동기론적 윤리사상만으로는 세상을 이끌어 가기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불교 업설에 결과론적 내용은 없는 것인지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오해는 불교 업설은 개인적 차원에서만 작동하는 원리라는 편견이다. 불교 업설은 대개 개인적 차원에서 설해지지만, 사회적 차원을 배제하지 않는다. 共業의 개념이 바로 그것을 증명한다. 불교 공업설이 우리의 삶에 어떤 방향을 제시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본다.



이러한 오해들을 바로잡는 것은 올바른 불교이해를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불교의 업보윤회설은 불교적 세계관과 인생관의 바탕이 되는 근본 교리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 학계에서 ‘업과 윤회’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윤회를 변증하고 합리화하는 입장에서 행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無我와 輪廻의 모순을 ‘無我輪廻說’로 봉합하려는 경향이 있어왔다.



그러다 보니 업설과 윤회설에 대한 비판적 연구와 새로운 해석 작업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업과 윤회의 내용이나 사상사적 전개 과정보다는 업설과 윤회설의 의의에 대해 초점을 맞춰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조금은 비판적인 관점에서 또 다른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업설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은 그 하나가 될 것이다.



요즈음은 명상의 시대라 할 만큼 명상이 유행인 바, 이것은 결국 행복의 기준이 물질에서 마음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인과업보를 심리적 차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Ⅱ. 업설과 윤회설의 기본 의의



1. 올바른 인생관의 확립



불교 업설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苦와 樂, 행복과 불행, 즉 인간의 운명은 인간의 행위(karma)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을 선언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운명은, 신(절대자)의 뜻에 의해 결정되는 것도 아니고, 숙명에 의해 좌우되는 것도 아니고, 단순한 우연의 산물도 아니라고 가르친다. 그것은 오직 인간 스스로의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이다. 불교 업설은 한 마디로 인과응보의 교설로서 ‘善因善果 惡因惡果’ 또는 ‘善因樂果 惡因苦果’의 인과법칙을 주장한다. 그것은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우리 속담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 경전은 인과응보의 진리를 다음과 같이 설한다.



(무릇 사람은) 씨앗을 뿌리는 대로 그 열매를 거둔다. 善한 행위에는 선의 열매가, 惡한 행위에는 악의 열매가 맺는다. (그 사람이) 씨앗을 심어 그 사람이 (자신의) 과보를 받는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도 위와 같은 평범하고도 상식적인 진리를 외면한 채, 잘못된 세계관과 인생관에 빠져 어리석은 삶을 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우리 주변에는 인간의 역사나 개인의 운명이 어떤 절대자의 뜻이나 각본에 따라 결정된다고 믿고, 스스로 바르게 행동하고 열심히 함께 노력하기보다는 기도나 종교에 지나치게 매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휴거 등을 믿는 종말론자가 되어 건강한 삶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전생에 스스로가 지은 숙명의 힘에 의존하는 사람들도 많다.



걸핏하면 철학관을 찾고 점을 치며, 사주나 점괘가 좋지 않을 때에 자꾸 굿에 의지하다가 패가망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연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정직하고 성실하게 사는 것을 탐탁스럽게 여기지 않고 도박의 노예가 되거나 일확천금을 노리는 한탕주의에 빠지며 향락주의자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잘못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고타마 붓다가 살았던 당시의 인도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지구촌에서도 적잖이 발견된다.



인과응보를 믿는 사람들은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속담처럼, 인간의 운명은 인간 스스로의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깨달아, 세상의 지식과 인생의 지혜를 부단히 배우고, 합리적인 계획을 세우고, 부지런히 노력하고 행동하며, 겸허히 기다리고 인내한다. 이렇게 불교 업설은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인간으로 하여금 건전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근본 원리이자 기초인 것이다.



2.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



동서고금을 돌아보면, 인류 역사는 차별의 역사요 불평등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분과 계급은 물론 종교와 직업, 인종과 성별에 따른 불평등은 오랫동안 인류 역사 발전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오늘날 인류 사회에서 극단적인 노예제도는 사라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인도의 바르나-카스트제도와 같은 계급차별이 행해지고 있는 지역이 적지 않다.



지구촌 한켠에서는 ‘인간 해방’을 넘어 ‘동물 해방’을 외치고 있지만, 반면에 선진국에서도 인종 차별이 엄존하고, 문명국가에서도 남녀 차별이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학벌이라든가 출신지에 따른 차별 등의 악습이 현존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은 모든 사람이 진정한 자유를 실현하는 인류 역사의 궁극적 이상을 성취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빨리 축출되어야 한다. 불교 업설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또는 인격의 기준을 그 무엇도 아닌 오직 인간의 행위(karma) 자체에 둠으로써 불합리한 것들의 개입을 차단하고 인간 평등의 실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초기경전은 다음과 같이 설한다.



태어남에 의해 천민〔領群特〕이 되는 것도 아니고, 태어남에 의해 바라문이 되는 것도 아니다. 업에 의해 천민이 있게 되고, 업에 의해 바라문이 있게 된다.



이것은 사회적 신분이나 계급에 의해 귀천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행위와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므로 불교 교단에 들어오는 사람들도 근본적인 차별이 있을 수 없고 모두가 평등하다. 석존은 이것을 바다의 비유를 통해 다음과 같이 설한다.



마치 갠지스 강, 야수나 강, 아찌라와띠 강, 사라부 강, 마히 강과 같은 큰 강들이 바다에 모여 들면 이전의 이름을 잃고 단지 바다라는 이름을 얻는 것과 같이 四姓도 여래가 가르친 法과 律을 따라 출가하면 이전의 종성을 버리고 똑같이 釋子(석가세존의 자식)라고 불린다.



인간의 가치는 권력이나 재력, 가문이나 직업 등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 업설에 따르면, 자신의 이기적 욕망을 위해 남에게 악을 행하여 괴롭히거나 피해를 주고 무례하게 구는 사람은 가치가 없는 천한 사람이며, 부지런히 선을 행하여 나와 남을 이롭게 하고 선행을 자랑하거나 과시하지도 않으면서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은 가치 있는 귀한 사람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유롭게, 자율적으로 선 또는 악을 선택하고 행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평등하다. 따라서 불교 업설은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석존이 불교 업설에 근거하여 당시 인도 사회의 사성계급제도를 비판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3. ‘자유와 책임’의 민주주의 원리



민주주의는 인류가 일구어 낸 역사의 아름다운 꽃이다. 민주주의는 역사의 당연한 귀결이며, 국민은 국가의 주인이기에 국민 개개인의 자유와 권리는 보장되어야 하고 책임과 의무는 존중되어야 한다. 물론 다수결의 원리 때문에 민주주의는 우민 정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최선이 아니라는 비판도 있지만, 민주주의는 아직까지는 그 대안이 없는, 적어도 차선의 정치제도라 할 만하다.



일찍이 막스 베버는 불교의 업설은 영원히 사회에 대한 비판정신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인권사상의 발전에 방해가 되며, 인간의 공동의 권리라든가 공동의 의무를 문제 삼지 않으며 국가라든가 시민과 같은 개념을 발생시키지도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말은 결국 불교는 어떠한 정치적·사회적 목표를 내세우지 않으며, 동시에 민주주의와 무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분명 막스 베버의 실수라고 생각한다. 실수는 원천적으로 베버가 불교 업설을 지극히 개인적인 숙명론으로 오해한 데서 비롯된다.



여기서는 불교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해서 논할 여유는 없다. 다만 불교 업설은 ‘자유와 책임’의 원리로서 해석할 수 있다는 점만은 강조해 두고 싶다. 불교적 업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근거한 능동적·자율적인 행위라는 점에서 ‘자유’사상에 통하고, 업보는 그 누구도 어떤 방법으로도 결코 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책임’사상과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경전 가운데는 다음과 같은 석존의 가르침이 발견된다.



허공 속에서도, 바다 속에서도, 바위 틈 속에서도 피할 수 없느니라. 악업을 행한 자가 그 과보를 면할 수 있는 곳은 그 어디에도 없나니.



우리는 불교 경전에서 이러한 ‘자유와 책임’만이 아니라, 나아가 ‘권리와 의무’의 정신도 이끌어 낼 수 있다. 불교는 국가와 사회의 기원을 설명함에 있어 일종의 ‘사회계약설’을 주장한다. 이것은 개인의 권리와 함께 사회 및 국가에 대한 개인의 의무를 전제로 하지 않으면 성립할 수 없다. 업설에서 ‘자유와 책임’은 ‘권리와 의무’의 정신과 통한다. 불교 업설은 이렇게 ‘자유와 책임’, ‘권리와 의무’라는, 민주시민이 가져야 할 기본요건과 정신을 가르쳐 준다.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결코 숙명론이 아니다. 그것은 자유의지에 바탕한 도덕적 행위와 창조적 노력을 설하는, 상식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인생관을 함의한다.



Ⅲ. 불교 共業說의 사회적 의의



근대 인도에서 불교개종운동을 이끌었던 암베드까르(Bhimrao Ramji Ambedkar, 1891~1956)는 위에서 언급한 막스 베버처럼 불교의 업설을 숙명론 정도로 이해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업과 윤회의 교리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암베드까르는 인도의 불가촉천민들의 고통은 그들 스스로의 과거 업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학대와 잘못된 사회계급제도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업과 윤회의 형이상학은 현재 고통받는 사람들이 전생에서 악업을 행했기 때문에 고통을 받는 것이라고 하여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폭압적 현실사회에 면죄부를 준다고 생각하였다. 그러기에 ‘업과 윤회’의 교리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전통적인 불교의 업설에 따르면, 사람의 수명이 길고 짧은 것, 질병이 많고 적은 것, 외모가 단정하고 추한 것, 천하고 귀한 종족으로 태어나는 것,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 등의 차별은 모두 과거생의 선업이나 악업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분별업보약경(分別業報略經)��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설해져 있다.



성인을 뵈옵고 기뻐하지 않으면

날 적마다 언제나 어리석어서

벙어리가 되어 말을 못하고

소경이 되어 볼 수 없으리.



낯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르고

절제 없이 말을 많이 하는 사람,

그는 업에 따라 과보를 받다가

나중에는 까마귀의 몸을 받으리.



이러한 가르침은 해석하기에 따라서 일종의 숙명론으로 곡해될 여지가 없지 않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불교의 업설은 숙명론이 아니다. 불교는 과거세의 업뿐만 아니라 현세의 업도 현실을 규정한다고 설한다. 더욱이 불교업설은 과거의 업보다는 오히려 현재의 업에 더 비중을 둔다. ��대승열반경��은 그것을 다음과 같이 설한다.



나의 佛法 가운데는 과거의 업도 있고 현재의 업도 있거니와 그대는 그렇지 아니하여 오직 과거의 업뿐이요 현재의 업은 없다.



이어서 ��대승열반경��은 현재의 과보가 현재의 업에 연유하는 비유를 든다. 즉 어떤 나라의 한 사람이 국왕을 위해 원수를 죽이고 포상을 받는다면, 그는 현재에 선업을 짓고 현재에 즐거움의 과보를 받는 것이 된다[善因樂果]. 또한 어떤 사람이 국왕의 아들을 살해하고 그 때문에 사형에 처해진다면, 그는 현재에 악업을 짓고 현재에 괴로움의 과보를 받는 것이 된다[惡因苦果]는 비유다. 이 이야기는 비유라기보다는 구체적인 사례에 속한다고 보이며, 이 사례는 업설에 대한 신비주의적 이해에 제동을 건다. 이 사례의 내용을 살펴보면, 거기에는 업의 과보가 은밀하고 신비스러운 방식으로 드러나지 않고, 사회적 ‘법과 제도’를 통해서 공개적이고 합리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국왕의 원수를 제거하여 상을 받고, 왕자를 살해하여 사형을 받는다는 것은 ‘상벌제도’에 의한 것임이 분명하다. 이것은 현세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법과 제도를 통해 구현되는 인과업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과응보가 법과 제도를 통해서도 드러나는 것이라면, 우리는 개인적으로 선업을 쌓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다함께 올바른 법과 제도를 확립하고 그것을 바르게 집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인과응보의 법칙은 사회 정의와 무관하지 않으며, 불교 업설의 외연은 사회적 차원으로까지 확장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업설에 대한 ��대승열반경��의 이러한 관점은 「교진여품」의 다음 가르침과도 연결된다.



일체 중생이 현재에 四大와 時節과 土地와 人民들로 인하여 고통과 안락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나는 일체 중생이 모두 과거의 本業만을 인하여 고통과 안락을 받는 것이 아니라고 설하느니라.



이 가르침은 업설에 대한 통념을 극복하고 그 이해의 지평을 넓혀 준다. 사람들의 고통과 안락의 문제를 과거의 개인적인 근본 업[本業] 뿐만 아니라 현재의 4대, 시절, 토지, 인민과 관련시켜서 바라본다. 여기서 4대와 토지는 자연 환경을, 시절은 시대 상황을, 인민은 사회 환경을 의미한다. 과거의 본업이 因이라면 자연 환경, 시대상황, 사회 환경은 緣이다. 이러한 인과 연이 결합하여 고통 또는 안락의 과[果報]를 낳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열반경』「교진여품」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연 환경, 시대 상황, 사회 환경은 모두 器世間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흥미롭다. 일반적으로 기세간은 자연 환경의 의미로 정의되지만, 사회 환경도 기세간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자연이 인간을 담는 그릇이라면 사회[또는 문화] 역시 인간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세간은 인간의 업과 무관한 것일까. 불교는 놀랍게도 기세간은 共業의 산물이라고 답한다.



‘공업(Sādhāraṇa-Karma)’이라는 용어는 대체적으로 초기 경전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부파불교시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업’은 아마도 2세기 무렵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문헌들의 가르침을 종합해 보면, 공업은 일체 중생의 집단적 또는 공동의 업으로서 자연환경[기세간]의 성립과 파괴, 그리고 상태를 규정하는 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업 사상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불교의 공업 사상은 원론적으로 현대 사회에 팽배한 개인주의를 비판한다.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것은 각자의 개인적인 不共業뿐만 아니라 공동의 공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우리의 삶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반드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공동체 의식에 바탕한 공동선의 추구가 이루어질 때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될 것이다.



예컨대 환경문제는 우리 인간의 공업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인류의 팽창주의 경제가 초래한 환경오염이나 생태계 파괴, 기후변화 등은 어떤 한 사람의 노력만으로 극복될 수 없다.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거시경제의 새로운 청사진이 제시되어야 하고 ‘절제 자본주의’와 같은 새로운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환경 위기, 생태 위기는 개인적인 경제 윤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 지구적 합의를 통한 제도적, 정책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당위성은 초기 경전의 하나인 『구라단두경(Kūṭadanta-sutta)』의 내용 중에 제시된 바 있다. 이 경의 요지는, 범죄자를 아무리 강력하게 처벌하더라도 가난하고 배고픈 사람들이 있는 한, 범죄는 근절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경제 정책이 시행되어 분배의 정의가 이루어질 때 국가는 안녕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은 빈곤을 사회악의 근본 원인으로 보면서, 사회악의 해결을 위해서 개인적 선보다도 사회적 선에 더 적극적으로 호소한다.



또한 공업 사상은 현대인에게 시민사회운동이나 NGO 활동, 공공질서 준수 등의 필요성을 역설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버스의 예를 들어 보자. 버스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승하차시 등에 우선 개인적으로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개인적인 주의만으로는 부족하다. 운전기사의 노동 환경, 버스 정비 시스템, 신호체계, 도로 사정 등의 모든 조건이 잘 갖추어져야 한다. 다른 차량들도 모두 교통질서를 잘 지키며 안전 운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에 대한 점검은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것은 시민 모두가 연대의식을 갖고 공동으로 실천해야 할 일이다. 시민사회운동의 당위성과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불교 공업설은 결국 우리에게 성숙한 시민의식을 갖고 모두의 안전을 위한 시민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묵시적으로 가르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Ⅳ. 업설의 결과론적 측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는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성격과 구조를 지니며 인간관계 또한 매우 다양한 양상이다. 현대사회는 거대한 조직에 바탕한 대형화, 대량화, 집단화의 사회로서, 그만큼 사회적 리스크도 높다. 이러한 리스크 사회에서는 윤리적 동기론에 의존할 수만은 없다. 일정 정도 윤리적 결과론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런데 불교는 흔히 ‘마음’과 ‘의지’를 중시하는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자이나교에서는 오랫동안 불교를 철저한 동기론으로 비판해 왔다. 자이나교의 한 경전[The sūtrakṛtāṅga sūtra]은, 불교의 가르침에 따른다면 만약 어떤 사람이 쌀자루를 사람인 줄 알고 쇠꼬챙이로 찔렀다면 그는 살인죄를 저지른 것이 되고, 사람을 쌀자루로 착각하여 쇠꼬챙이로 찔러 죽였더라도 그는 살인죄를 저지른 것이 아니라고 해야 한다며, 불교를 無作用論(Akriyavāda)이라고 비판한다. 과연 불교는 이처럼 극단적인 동기론일까?



결론적으로 말해서, 불교는 근본적으로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기는 하지만, 자이나교에서 비판하는 정도의 동기론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불교는 일정 정도의 결과론을 수용한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에 대해 몇 가지 근거를 밝힌다.



첫째, 故意性이 없는 행위에도 과보가 있다는 내용이 『賢愚經』에 나온다. 부처님 당시 어떤 사미승(아들)이 비구 스님(아버지)를 부축하다가 잘못하여 스님을 넘어뜨려 죽게 하였다. 그런데 여기에는 인과가 있었다. 오랜 과거생에는 죽은 비구 스님이 아들이었고 사미승은 아버지였다. 아들이 아버지를 몹시 귀찮게 하는 파리를 몽둥이로 쫓으려다 그만 아버지를 죽게 하였다는 것이다. 의도적인 살인은 아니지만 그에 상응하는 과보가 따른다는, 결과론에 해당되는 사례임이 분명하다.



둘째, 『中阿含』「思經」에서, 석존은 “만일 일부러 짓는 업이 있으면, 나는 그것은 반드시 과보를 받되, 현세에서 혹은 후세에서 받는다고 말한다. 만일 일부러 지은 업이 아니면, 나는 이것은 반드시 그 보를 받는다고는 말하지 않는다(不必受報)”라고 설한다. 이 마지막 부분의 ‘不必受報’는 문법적으로 분명히 부분부정인데도 우리말 번역에서는 “만일 일부러 지은 업이 아니면, 나는 이것은 반드시 그 과보를 받지 않는다고 말한다”라고, 완전부정으로 잘못 번역되어 있다. 하지만 부분부정으로 해석하면 불교는 동기론과 일정 정도의 결과론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된다.



셋째, 10악업 가운데 意業의 하나인 愚癡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10악업 중, 의업에 속하는 악업은 탐, 진, 치의 셋이다. 이 마지막 ‘치’가 바로 우치다. 종종 邪見이라고도 한다. 구사론의 해석에 의하면 사견은 ‘선과 악 그리고 그 업보 등에 대해 그릇되게 생각하고 심지어 무시하는 견해’이다. 우치든 사견이든, 여기에는 분명 ‘고의성’은 없다. 그런데도 이것은 악업이기에 거기에는 과보가 따르기 마련이다. 따라서 어리석음, 즉 고의성이 없는 악업에 대한 과보를 설하는 것이 되어 이것은 결국 결과론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고 하겠다.



넷째, 석존은 제자들에게 나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심하고 주의하라’고 늘 가르친다는 점이다. 석존 재세시에, 어느 날 투라난타 비구니가 실수로 디딜방아의 공이를 건드려 잠자던 아이를 죽게 했을 때, 석존은 그것이 고의가 아닌 것을 알고 바라이죄로 단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바라이죄가 아니라고 했다 해서 그것을 ‘일반적인 죄에서도 자유롭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교단 내의 행동 규범과 일반 사회의 법이 일치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석존은 투라난타에게 “그러나 남의 방아 공이를 함부로 건드리지 말아라”는 주의를 주었다.



이것은 어느 정도 ‘주의 의무’에 상응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우리의 현행 형법에서는 고의범보다는 가볍지만 과실범에게도 ‘주의 의무 위반(Verletzung der Sorgfaltspflicht)’이라는 죄목으로 처벌을 내리고 있으며, 업무상과실범에게는 더 무거운 처벌을 내리고 있는데, 이것이 석존의 뜻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Ⅴ. 인과응보의 심리적 해석



甲이 형편이 어려운 乙을 도와주었는데 을이 훗날 성공하여 갑에게 은혜를 갚았다든가, 병이 정을 구타하였는데 정에게 다시 구타당했다든가, 누군가가 도둑질하다가 붙잡혀 감옥에 갔다든가 하는 것은 모두 인과응보의 구체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의 운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개별 행위에 의한 인과응보에 의해 규정되기도 하지만, 선업이나 악업의 축적에 의해 형성된 성격과 인격에 의해 규정되기도 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전자의 경우를 기계·물리적 인과응보라 한다면 후자의 경우는 생물·화학적 인과응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木村泰賢은 전자를 업의 반동적 현현이라 부르고, 후자를 업의 능동적 현현이라 부른다. 그는 업의 능동적 현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慈善心에 의해 보시를 행한다고 하자. 이 결과로서 자기의 성격이 점점 유연하게 되고, 드디어 자선 박애의 사람, 더 나아가 절대적 愛他心의 권화인 보살로까지 재생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업의)능동적 방면의 현현이고 소위 同類因果에 속하는 것이다. …(중략)… 생각컨대 우리들의 세계는 결국 우리의 성격이 만든 것이라고 보는 것이 석존의 眞諦的 견지일 것이다.



사람의 성격과 인격은 (유전자 등에 의해) 선천적으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바뀌기도 한다. 업의 창조적 역동성과 가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업설은 숙명론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며, 이것은 불교가 아니다. 현대인들에게는 (기계물리적인)윤리학적 인과응보보다 (생물화학적인)심리학적 인과응보가 더 설득력이 있을 수 있다. 업과 윤회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미래 불교학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심리학적 해석의 하나로 양심에 입각한 인과응보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겉으로 보아, 선을 행한 사람이 그에 상응하는 과보를 받지 못하더라도, 자신의 양심에 비추어 만족하고 행복해 한다면 이 역시 인과응보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악을 행한 사람이 외견상 성공한 것처럼 보이더라도, 마음속으로 양심의 가책을 느끼며 괴로워한다면 이 역시 인과응보라 할 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사람에 따라 양심의 감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반론이 제기될 수도 있겠지만, 악을 행하고 법망을 피해 도망 다니는 죄인의 마음이 결코 평안하고 행복할 수는 없을 것이다. 상식적이고 일반론적으로 볼 때, 이러한 심리적 인과응보의 현상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근래 우리 사회에는 명상에 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종교를 떠나 직접 명상 수행하는 사람들도 꾸준한 증가 추세다. 그것은 절대 빈곤을 극복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관, 인생관이 ‘물질’에서 ‘마음’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반증이다. 사람들은 이제 마음의 평화가 행복이자 성공이고, 마음의 고통이 불행이자 실패라는 것을 깨달아 가고 있는 것이다. 최근 마음의 평화를 주제로 한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의 연작들이 계속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르고, 명상 관련 서적들이 인기를 누리는 현상이 바로 그러한 사실을 잘 말해준다. 현대인들을 교화하기 위한 방편으로도 인과업보에 대한 심리적 해석은 적절하고 유용해 보인다.



Ⅵ. 윤회설의 의의



정세근은 최근 그의 저서 ��윤회와 반윤회 -그대는 힌두교도인가, 불교도인가?��의 결론 부분에서 다음과 같이 강력하게 한국불교에 고한다.



하나, 불교를 힌두교와 구별하라. 우리 불교는 인도의 전통 힌두교와 지나치게 뒤섞여 있다. 인도철학과 불교철학은 다르다. 불교를 인도철학으로 죽이지 마라. 나아가, 불교와 자이나교를 구별하라. 윤회가 있는 불교는 자이나교와 다르지 않다.…(중략)…

넷, 윤회를 부정하라. 윤회는 힌두교의, 자이나교의 것이다. 윤회가 설명하는 것이 계급질서이고 태생의 한계이고 불가항력적인 것이라면, 그런 관념은 일찍이 버릴수록 좋다. 나도 모르는 윤회의 법칙은 거짓이다.



그는 이러한 주장에 앞서, 그의 책 제6장 ‘무아와 윤회 논쟁’에서, 윤호진, 정승석, 김진, 한자경, 최인숙, 조성택 등의 주장과 논평,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비교 분석 비판을 통해 이른바 불교의 ‘무아윤회설’에 대해서 상세하게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 결론은 “나는 이 문제를 무아윤회와 유아윤회의 입장에서 바라보기보다는 무아연기의 철칙 아래 윤회를 부정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하는 주장이다. 그는 연기를 非有非無의 中道의 입장에서 바라보지 않고, 無 또는 무아의 입장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연기설은 유무중도의 입장에서 설해진 것이므로 연기설에 근거한 무아설은 중도의 입장에서 이해해야 한다. 전체적인 불교사상의 입장에서 볼 때, ‘我’는 크게 實我(실체아, ātman), 假我, 眞我로 구분할 수 있다.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는 ‘實我가 없다’는 의미지 假我와 眞我까지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초기불교의 연기무아설은 나를 온통 부정하는 의미가 아닌 것이다. 고익진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무아설의 무아도 ‘나’는 없지만 아주 없다는 뜻이 아니다. ‘나’는 없지만 그러나 아주 없지 않다는 그러한 뜻을 담은 중도적인 무아이다. 왜 그러냐면, 그것은 연기에 입각한 연기무아설이기 때문이다. 구사론은 이러한 나를 ‘거짓 나(假我 prajñaptyātman)’라고 하고, 그러한 ‘나’는 실로는 없지만 거짓으로는 있음이 허용되며, 이러한 거짓 ‘나’의 허용은 지혜의 일부에 속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가아’의 개념을 통해 무아설과 윤회설은 모순 관계에서 벗어난다. 한자경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무아윤회는 가능하다. 가아(오온)는 존재하고, 하나의 가아가 지은 업이 남긴 업력이 다음 가아를 형성하면, 그 가아들 간의 연속성을 윤회라고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윤회는 오온(가아)과 업만으로도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무아윤회론은 바로 이 점을 밝히는 것이라고 본다.



가아의 개념을 통해 ‘무아윤회’의 난점은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가아의 윤회방식은 여전히 궁금하고 신비스러워 보인다. 그러나 어쨌든 윤회설은 불교 사상 전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수많은 전생담은 말할 것도 없고 붓다의 특별한 능력 중 하나인 宿命通 또는 宿命明 등이 그것을 증명해 준다. 해탈의 가르침도 윤회를 떠나서는 의미를 상실한다. 그러므로 윤회를 단순히 교화방편설로 보는 것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윤회’는 3세에 걸쳐서뿐만 아니라 현세에도 일어나고, 한 찰나에도 일어난다고 종종 해석되기 때문에 윤회에 대해 함부로 단정 짓는 일은 삼가야 한다.



또한 眞如의 입장에서 보면 生滅이 없지만 세속제의 범부중생에게는 死後 세계에 대한 궁금증이 있고, 특히 신체적으로나 삶에 콤플렉스가 있는 사람들은 뭔가 또 다른 삶의 기회를 얻고 싶어 하여 윤회를 믿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인들도 대개는 생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바, 윤회론은 이러한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가 있다. 윤회에 대한 확신은 자연스럽게 정신적, 도덕적, 정서적으로 상당한 긍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윤회설은 신비주의라기보다 이러한 업설에 대한 적극적 신념의 표현으로 이해해야 한다. 인간사회에서는 더러 우연적인 요소가 발생하는 것도 사실인 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3세윤회설에 대한 믿음을 통해 선을 행하고 악을 그치는 일에 더욱 힘쓰게 하기 때문이다.



Ⅶ. 나오는 말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 의의가 여간 크지 않다.

첫째, 불교의 업설과 윤회설은 인간의 운명은 신의 뜻이나 숙명 또는 우연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karma)로 말미암은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한다. 인간의 귀천 역시 오직 인간의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고 하는 바, 이것은 곧 인간 평등의 원리적 토대가 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불교의 업보윤회설은 ‘자유와 책임’을 가르치며, 이것은 오늘날 민주주의 사회에서 더욱 요청되는 시민정신이라고 하겠다.



둘째, 불교의 업설은 개인적인 不共業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共業을 강조함으로써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지지대 역할을 한다. 특히 공업은 자연환경까지를 규정한다고 하는 바, 오늘날 환경 위기에 대한 인간의 공동의 노력은 물론, 그 무엇도 쉽게 체념하지 않는 도전 정신을 일깨운다.



셋째, 불교 업설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선의지를 강조하는 윤리적 동기론의 입장에 서 있지만, 결과론적 윤리 사상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글로벌 리스크 사회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불교 업설은 단선[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평면[사회]적 차원, 그리고 공간[심리]적 차원에서도 해석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심리적 인과응보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불교 업보윤회설은 이미 훌륭한 이론 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과학의 발전과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질문과 그에 대한 창조적 해석 작업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예컨대, 善과 惡의 개념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졌을 때, 업보윤회설은 어떻게 적용되는가?



유전자 과학이 첨단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윤회는 어떻게 합리화되는가? 선악의 개념은 자연이 아닌 사회적 개념인 바, 인과응보는 필연적 자연법칙이 아니라 확률적 사회법칙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 아닌가? 윤회하는 중생의 개체수는 언제나 동일한가, 아니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가? 축생의 선업과 악업의 기준은 무엇인가? 업보윤회설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더욱 진지하고 명쾌한 응답을 준비해 가야 할 것이다.

2020/09/12

Buddhist modernism - Wikipedia

Buddhist modernism - Wikipedia:



Buddhist modern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Buddhist modernism (also referred to as modern Buddhism,[1] modernist Buddhism[2] and Neo-Buddhism[3]) are new movements based on modern era reinterpretations of Buddhism.[4][5][6] David McMahan states that modernism in Buddhism is similar to those found in other religions. The sources of influences have variously been an engagement of Buddhist communities and teachers with the new cultures and methodologies such as "western monotheismrationalism and scientific naturalism; and Romantic expressivism".[7] The influence of monotheism has been the internalization of Buddhist gods to make it acceptable in modern West,[8] while scientific naturalism and romanticism has influenced the emphasis on current life, empirical defense, reason, psychological and health benefits.[9]
The Neo-Buddhism movements differ in their doctrines and practices from the historical, mainstream TheravadaMahayana and Vajrayana Buddhist traditions. A co-creation of Western Orientalists and reform-minded Asian Buddhists, Buddhist modernism has been a reformulation of Buddhist concepts that has de-emphasized traditional Buddhist doctrines, cosmology, rituals, monasticism, clerical hierarchy and icon worship.[10] The term came into vogue during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era studies of Asian religions, and is found in sources such as Louis de la Vallee Poussin's 1910 article.[11]
Examples of Buddhist modernism movements and traditions include Humanistic BuddhismSecular BuddhismEngaged BuddhismNavayana, the Japanese-initiated new lay organizations of Nichiren Buddhism such as Soka GakkaiGirō Seno’o’s Youth League for Revitalizing Buddhism, the Dobokai movement and its descendants such as Oneness Buddhism, the New Kadampa Tradition and the missionary activity of Tibetan Buddhist masters in the West (leading the quickly growing Buddhist movement in France), the Vipassana Movement, the Triratna Buddhist CommunityDharma Drum MountainFo Guang ShanWon Buddhismthe Great Western VehicleTzu Chi, and Juniper Foundation.

Overview[edit]

Buddhist modernism emerged during the late 19th-century and early 20th-century colonial era, as a co-creation of Western Orientalists and reform-minded Buddhists.[10][12][13] It appropriated elements of Western philosophy, psychological insights as well as themes increasingly felt to be secular and proper. It de-emphasized or denied ritual elements, cosmology, gods, icons, rebirth, karma, monasticism, clerical hierarchy and other Buddhist concepts. Instead, modernistic Buddhism has emphasized interior exploration, satisfaction in the current life, and themes such as cosmic interdependence.[10] Some advocates of Buddhist modernism claim their new interpretations to be original teachings of the Buddha, and state that the core doctrines and traditional practices found in Theravada, Mahayana and Vajrayana Buddhism are extraneous accretions that were interpolated and introduced after Buddha died. According to McMahan, Buddhism of the form found in the West today has been deeply influenced by this modernism.[10][14][12]
Buddhist Modernist traditions are reconstructions and a reformulation with emphasis on rationality, meditation, compatibility with modern science about body and mind.[15][16] In the modernistic presentations, Theravada, Mahayana and Vajrayana Buddhist practices are "detraditionalized", in that they are often presented in such a way that occludes their historical construction. Instead, Buddhist Modernists often employ an essentialized description of their tradition, where key tenets are reformulated in universal terms, and the modernistic practices significantly differ from Asian Buddhist communities with centuries-old traditions.[10][17][18]

History[edit]

The earliest western accounts of Buddhism were by 19th-century European travelers and Christian missionaries who, states Coleman, portrayed it as another "heathen religion with strange gods and exotic ceremonies", where their concern was not understanding the religion but to debunk it.[19] By mid 19th-century, European scholars gave a new picture but once again in concepts understood in the West. They described Buddhism as a "life-denying faith" that rejected all the Christian ideas such as "God, man, life, eternity"; it was an exotic Asian religion that taught nirvana, which was explained then as "annihilation of the individual". In 1879, Edwin Arnold's book The Light of Asia presented a more sympathetic account of Buddhism, in the form of the life of the Buddha, emphasizing the parallels between the Buddha and the Christ.[19] The sociopolitical developments in Europe, the rise of scientific theories such as those of Charles Darwin, in late 19th-century and early 20th-century created interest in Buddhism and other eastern religions, but it was studied in the West and those trained in Western education system with the prevalent cultural premises and modernism.[20][21][22] The first comprehensive study of Buddhist modernism in the Theravada tradition as a distinct phenomenon was published in 1966 by Heinz Bechert.[23] Bechert regarded Buddhist modernism as "modern Buddhist revivalism" in postcolonial societies like Sri Lanka. He identifi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modernism: new interpretations of early Buddhist teachings, demythologis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Buddhism as "scientific religion", social philosophy or "philosophy of optimism", emphasis on equality and democracy, "activism" and social engagement, support of Buddhist nationalism, and the revival of meditation practice.[24]

Japan: Neo-Buddhism[edit]

The term Neo-Buddhism and modernism in the context of Japanese Buddhist and Western interactions appear in late 19th-century and early 20th-century publications. For example, Andre Bellesort used the term in 1901,[25] while Louis de La Vallée-Poussin used it in a 1910 article.[11] According to James Coleman, the first presenters of a modernistic Buddhism before a Western audience were Anagarika Dharmapala and Soyen Shaku in 1893 at The World Congress of Religion. Shaku's student D.T. Suzuki was a prolific writer, fluent in English and he introduced Zen Buddhism to Westerners.[26]

"New Buddhism" and Japanese Nationalism[edit]

Scholars such as Martin Verhoeven and Robert Sharf, as well as Japanese Zen monk G. Victor Sogen Hori, have argued that the breed of Japanese Zen that was propagated by New Buddhism ideologues, such as Imakita Kosen and Soyen Shaku, was not typical of Japanese Zen during their time, nor is it typical of Japanese Zen now. Although greatly altered by the Meiji Restoration, Japanese Zen still flourishes as a monastic tradition. The Zen Tradition in Japan, aside from the New Buddhism style of it, required a great deal of time and discipline from monks that laity would have difficulty finding. Zen monks were often expected to have spent several years in intensive doctrinal study, memorizing sutras and poring over commentaries, before even entering the monastery to undergo koan practice in sanzen with the roshi.[27] The fact that Suzuki himself was able to do so as a layman was largely a result of New Buddhism.
At the onset of the Meiji period, in 1868, when Japan entered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began to industrialize and modernize at an astounding rate, Buddhism was briefly persecuted in Japan as "a corrupt, decadent, anti-social, parasitic, and superstitious creed, inimical to Japan's need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28][29] The Japanese government dedicated itself to the eradication of the tradition, which was seen as foreign, incapable of fostering the sentiments that would be vital for national, ideological cohesion. In addition to this, industrialization had taken its toll on the Buddhist establishment as well, leading to the breakdown of the parishioner system that had funded monasteries for centuries.[30] In response to this seemingly intractable state of turmoil, a group of modern Buddhist leaders emerged to argue for the Buddhist cause.[30] These leaders stood in agreement with the government persecution of Buddhism, stating that Buddhist institutions were indeed corrupted and in need of revitalization.
This Japanese movement was known as shin bukkyo, or "New Buddhism." The leaders themselves were university-educated intellectuals who had been exposed to a vast body of Western intellectual literature. The fact that what was presented to the West as Japanese Zen would be so commensurate with the Enlightenment critique of "superstitious," institutional, or ritual-based religion is due to this fact, as such ideals directly informed the creation of this new tradition. This reformulation work has roots in the writings of Eugène Burnouf in the 1840s, who expressed his liking for "the Brahmins, the Buddhists, the Zoroastrians" and a dislike for "the Jesuits" to Max Muller.[31][32] Imakita Kosen, who would become D.T. Suzuki's teacher in Zen until his death in 1892,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is movement. Largely responding to the Reformation critique of elite institutionalism, he opened Engakuji monastery to lay practitioners, which would allow students like Suzuki unprecedented access to Zen practice.
Advocates of New Buddhism, like Kosen and his successor Soyen Shaku, not only saw this movement as a defense of Buddhism against government persecution, they also saw it as a way to bring their nation into the modern world as a competitive, cultural force. Kosen himself was even employ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a "national evangelist" during the 1870s.[33] The cause of Japanese nationalism and the portrayal of Japan as a superior cultural entity on the international scene was at the heart of the Zen missionary movement. Zen would be touted as the essential Japanese religion, fully embodied by the bushido, or samurai spirit, an expression of the Japanese people in the fullest sense, in spite of the fact that this version of Zen was a recent invention in Japan that was largely based on Western philosophical ideals.
Soyen Shaku, Suzuki's teacher in Zen after Kosen's death in 1892, claimed "Religion is the only force in which the Western people know that they are inferior to the nations of the East ... Let us wed the Great Vehicle [Mahayana Buddhism] to Western thought…at Chicago next year [referring to the 1893 World Parliament of Religions] the fitting time will come.”[34] According to Martin Verhoeven, "The spiritual crisis of the West exposed its Achilles' heel to be vanquished. Though economically and technologically bested by the Western powers, Japan saw a chance to reassert its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via religion."[34]

D.T. Suzuki[edit]

For a number of reasons, several scholars have identified D.T. Suzuki—whose works were popular in the West from the 1930s onward, and particularly in the 1950s and 60s—as a "Buddhist Modernist." Suzuki's depiction of Zen Buddhism can be classified as Buddhist Modernist in that it employs all of these traits. That he was a university-educated intellectual steeped in knowledge of Western philosophy and literature allowed him to be particularly successful and persuasive in arguing his case to a Western audience. As Suzuki presented it, Zen Buddhism was a highly practical religion whose emphasis on direct experience made it particularly comparable to forms of mysticism that scholars such as William James had emphasized as the fountainhead of all religious sentiment.[35] As McMahan explains, "In his discussion of humanity and nature, Suzuki takes Zen literature out of its social, ritual, and ethical contexts and reframes it in terms of a language of metaphysics derived from German Romantic idealism, English Romanticism, and American Transcendentalism."[36] Drawing on these traditions, Suzuki presents a version of Zen that has been described by hostile critics as detraditionalized and essentialized:
Zen is the ultimate fact of all philosophy and religion. Every intellectual effort must culminate in it, or rather must start from it, if it is to bear any practical fruits. Every religious faith must spring from it if it has to prove at all efficiently and livingly workable in our active life. Therefore Zen is not necessarily the fountain of Buddhist thought and life alone; it is very much alive also in Christianity, Mohammedanism, in Taoism, and even positivistic Confucianism. What makes all these religions and philosophies vital and inspiring, keeping up their usefulness and efficiency, is due to the presence in them of what I may designate as the Zen element.[37]
Scholars such as Robert Sharf have argued that such statements also betray inklings of nationalist sentiment, common to many early Buddhist Modernists, in that they portray Zen, which Suzuki had described as representing the essence of the Japanese people, as superior to all other religions.

India: Navayana[edit]

Neo-Buddhist movement was founded by the Indian Dalit leader B. R. Ambedkar in the 1950s.[38][39] Ambedkar held a press conference on October 13, 1956, announcing his rejection of Theravada and Mahayana vehicles, as well as of Hinduism.[40][41] He then adopted Navayana Buddhism, and converted between 500,000 and 600,000 Dalits to his Neo-Buddhism movement.[40][42] All the elements of religious modernism, state Christopher Queen and Sallie King, may be found in Ambedkar Buddhism where his The Buddha and His Dhamma abandons the traditional precepts and practices, then adopts science, activism and social reforms as a form of Engaged Buddhism.[43] Ambedkar's formulation of Buddhism is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ism, states Skaria, given his synthesis of the ideas of modern Karl Marx into the structure of ideas by the ancient Buddha.[44]
According to Ambedkar, several of the core beliefs and doctrines of traditional Buddhist traditions such as Four Noble Truths and Anatta as flawed and pessimistic, may have been inserted into the Buddhist scriptures by wrong headed Buddhist monks of a later era. Thes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Buddha's teachings in Ambedkar's view.[45][46] Other foundational concepts of Buddhism such as Karma and Rebirth were considered by Ambedkar as superstitions.[45]
Navayana abandons practices and precepts such as the institution of monk after renunciation, ideas such as karma, rebirth in afterlife, samsara, meditation, nirvana and Four Noble Truths considered to be foundational in the Buddhist traditions.[47] Ambedkar's Neo-Buddhism rejected these ideas and re-interpreted the Buddha's religion in terms of class struggle and social equality.[46][45][48]
Ambedkar called his version of Buddhism Navayana or Neo-Buddhism.[49] His book, The Buddha and His Dhamma is the holy book of Navayana followers.[50] According to Junghare, for the followers of Navyana, Ambedkar has become a deity and he is worshipped in its practice.[51]

West: Naturalized Buddhism[edit]

Other forms of Neo-Buddhism are found outside Asia, particularly in European nations.[52] According to Bernard Faure – a professor of Religious Studies with a focus on Buddhism, Neo-Buddhism in the forms found in the West is a modernist restatement, a form of spiritual response to anxieties of individuals and the modern world that is not grounded in its ancient ideas, but "a sort of impersonal flavorless or odorless spirituality". It is a re-adaptation, a kind of Buddhism "a la carte", that understands the needs and then is reformulated to fill a void in the West, rather than reflect the ancient canons and secondary literature of Buddhism.[53]
Some Western interpreters of Buddhism have proposed the term "naturalized Buddhism" for few of these movements. It is devoid of rebirth, karma, nirvana, realms of existence, and other concepts of Buddhism, with doctrine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reformulated and restated in modernistic terms.[5][54][note 1] This "deflated secular Buddhism" stresses compassion, impermanence, causality, selfless persons, no Bodhisattvas, no nirvana, no rebirth, and a naturalists approach to well-being of oneself and others.[56] Meditation and spiritual practices such as Vipassana, or its variants, centered around self-development remain a part of the Western Neo-Buddhist movements. According to James Coleman, the focus of most vipassana students in the west "is mainly on meditation practice and a kind of down-to-earth psychological wisdom."[57][note 2]
For many western Buddhists, the rebirth doctrine in the Four Noble Truths teaching is a problematic notion.[58][59][60][web 1][note 3] According to Lamb, "Certain forms of modern western Buddhism [...] see it as purely mythical and thus a dispensable notion."[60] Westerners find "the ideas of karma and rebirth puzzling", states Damien Keown – a professor of Buddhist Ethics. It may not be necessary to believe in some of the core Buddhist doctrines to be a Buddhist, though most Buddhists in Asia do accept these traditional teachings and seek better rebirth.[61][note 4] The rebirth, karma, realms of existence and cyclic universe doctrines underpin the Four Noble Truths in Buddhism.[61] It is possible to reinterpret the Buddhist doctrine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states Keown, since the final goal and the answer to the problem of suffering is nirvana and not rebirth.[61]
According to Konik,
Since the fundamental problems underlying early Indian Buddhism and contemporary western Buddhism are not the same, the validity of applying the set of solutions developed by the first to the situation of the second becomes a question of great importance. Simply putting an end to rebirth would not necessarily strike the western Buddhist as the ultimate answer, as it certainly was for early Indian Buddhists.[58]
Traditional Buddhist scholars disagree with these modernist Western interpretations. Bhikkhu Bodhi, for example, states that rebirth is an integral part of the Buddhist teachings as found in the sutras, despite the problems that "modernist interpreters of Buddhism" seem to have with it.[web 1][note 5] Thanissaro Bhikkhu, as another example, rejects the "modern argument" that "one can still obtain all the results of the practice without having to accept the possibility of rebirth." He states, "rebirth has always been a central teaching in the Buddhist tradition."[web 2][note 6][note 7]
According to Owen Flanagan, the Dalai Lama states that "Buddhists believe in rebirth" and that this belief has been common among his followers. However, the Dalai Lama's belief in rebirth, adds Flanagan, is not the same as belief in reincarnation, because rebirth in Buddhism is envisioned as happening without an assumption of an "atman, self, soul", rather through a "consciousness conceived along the anatman lines".[65][note 8] The doctrine of rebirth is considered mandatory in Tibetan Buddhism, and across many Buddhist sects.[67] According to Melford Spiro, the reinterpretations of Buddhism that discard rebirth undermine the Four Noble Truths, for it does not address the existential question for the Buddhist as to "why live? why not commit suicide, hasten the end of dukkha in current life by ending life". In traditional Buddhism, rebirth continues the dukkha and the path to cessation of dukkha isn't suicide, but the fourth reality of the Four Noble Truths.[56]
According to Christopher Gowans, for "most ordinary Buddhists, today as well as in the past, their basic moral orientation is governed by belief in karma and rebirth".[68] Buddhist morality hinges on the hope of well being in this lifetime or in future rebirth, with nirvana (enlightenment) a project for a future lifetime. A denial of karma and rebirth undermines their history, moral orientation and religious foundations.[68] However, adds Gowans, many Western followers and people interested in exploring Buddhism are skeptical and object to the belief in karma and rebirth foundational to the Four Noble Truths.[68][note 9]
The "naturalized Buddhism", according to Gowans, is a radical revision to traditional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and it attacks the structure behind the hopes, needs and rationalization of the realities of human life to traditional Buddhists in East, Southeast and South Asia.[5]

Other New Buddhisms[edit]

According to Burkhard Scherer – a professor of Comparative Religion, the novel interpretations are a new, separate Buddhist sectarian lineage and Shambhala International "has to be described as New Buddhism (Coleman) or, better still, Neo-Buddhism".[69]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ccording to Burkhard Scherer, the fast growing Diamond Way Buddhism started by Hannah and Ole Nydahl is a Neo-orthoprax Buddhism movement..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Nydahl and his 600 dharma centers worldwide have made it the largest convert movement in Eastern Europe, but its interpretations of Tibetan Buddhism and tantric meditation techniques have been criticized by both traditional Buddhists and non-Buddhists.[70][71]
Others have used "New Buddhism" to describe or publish manifesto of socially Engaged Buddhism. For example, David Brazier published his "manifesto of the New Buddhism" in 2001, wherein he calls for radical shift of focus from monasticism and traditional Buddhist doctrines to radically novel interpretations that engaged with the secular world. According to Brazier, the traditional Buddhist traditions such as Theravada and Mahayana have been "instrument of state policy for subduing rather than liberating the population", and have become paths of "individual salvation rather than address the roots of world disease".[72]

Lopez's concept of "modern Buddhism"[edit]

Donald S. Lopez Jr. uses the term "Modern Buddhism" to describe the entirety of Buddhist modernist traditions, which he suggests "has developed into a kind of transnational Buddhist sect", "an international Buddhism that transcends cultural and national boundaries, creating...a cosmopolitan network of intellectuals, writing most often in English". This "sect" is rooted neither in geography nor in traditional schools but is the modern aspect of a variety of Buddhist schools in different locations. Moreover, it has its own cosmopolitan lineage and canonical "scriptures," mainly the works of popular and semischolarly authors—figures from the formative years of modern Buddhism, including Soyen Shaku, Dwight Goddard, D. T. Suzuki, and Alexandra David-Neel, as well as more recent figures like Shunryu SuzukiSangharakshitaAlan WattsThich Nhat HanhChögyam Trungpa, and the Fourteenth Dalai Lama."[73]

See also[edit]

Notes[edit]

  1. ^ According to Owen Flanagan, the proportion of people in North America that believe in heaven is about the same as the proportion of East and Southeast Asia who believe in rebirth. But, 'rebirth' is considered superstitious by many in the West while 'heaven' is not, adds Flanagan, though a reflective naturalistic approach demands that both 'heaven' and 'rebirth' be equally questioned".[55] According to Donald S. Lopez, Buddhist movements in the West have reconstructed a "Scientific Buddha" and a "modern Buddhism" unknown in Asia, "one that may never have existed there before the late 19th-century".[6]
  2. ^ According to Coleman, the goal in Theravada Buddhism "is to uproot the desires and defilements in order to attain nibbana (nirvana in Sanskrit) and win liberation from the otherwise endless round of death and rebirth. But few Western Vipassana teachers pay much attention to the more metaphysical aspects of such concepts as rebirth and nibbana, and of course very few of their students are celibate monks. Their focus is mainly on meditation practice and a kind of down-to-earth psychological wisdom. "As a result," one respected Vipassana teacher writes, "many more Americans of European descent refer to themselves as Vipassana students rather than as students of Theravada Buddhism."[57]
  3. ^ See also:
    James FordThe Karma and Rebirth Debate Within Contemporary Western Buddhism: Some Links to Follow
  4. ^ Vast majority of Buddhist lay people, states Kevin Trainor, have historically pursued Buddhist rituals and practices motivated with rebirth into Deva realm.[62] Fowler and others concur with Trainor, stating that better rebirth, not nirvana, has been the primary focus of a vast majority of lay Buddhists. This they attempt through merit accumulation and good kamma.[63][64]
  5. ^ Bhikkhu Bodhi: "Newcomers to Buddhism are usually impressed by the clarity, directness, and earthy practicality of the Dhamma as embodied in such basic teachings as the Four Noble Truths, the Noble Eightfold Path, and the threefold training. These teachings, as clear as day-light, are accessible to any serious seeker looking for a way beyond suffering. When, however, these seekers encounter the doctrine of rebirth, they often balk, convinced it just doesn't make sense. At this point, they suspect that the teaching has swerved off course, tumbling from the grand highway of reason into wistfulness and speculation. Even modernist interpreters of Buddhism seem to have trouble taking the rebirth teaching seriously. Some dismiss it as just a piece of cultural baggage, "ancient Indian metaphysics," that the Buddha retained in deference to the world view of his age. Others interpret it as a metaphor for the change of mental states, with the realms of rebirth seen as symbols for psychological archetypes. A few critics even question the authenticity of the texts on rebirth, arguing that they must be interpolations.
    A quick glance at the Pali suttas would show that none of these claims has much substance. The teaching of rebirth crops up almost everywhere in the Canon, and is so closely bound to a host of other doctrines that to remove it would virtually reduce the Dhamma to tatters. Moreover, when the suttas speak about rebirth into the five realms — the hells, the animal world, the spirit realm, the human world, and the heavens — they never hint that these terms are meant symbolically. To the contrary, they even say that rebirth occurs "with the breakup of the body, after death," which clearly implies they intend the idea of rebirth to be taken quite literally."[web 1]
  6. ^ Thanissaro Bhikkhu: "A second modern argument against accepting the canonical accounts of what's known in awakening — and in particular, the knowledge of rebirth achieved in awakening — is that one can still obtain all the results of the practice without having to accept the possibility of rebirth. After all, all the factors leading to suffering are all immediately present to awareness, so there should be no need, when trying to abandon them, to accept any premises about where they may or may not lead in the future.
    This objection, however, ignores the role of appropriate attention on the path. As we noted above, one of its roles is to examine and abandon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one's views on the metaphysics of personal identity. Unless you're willing to step back from your own views — such as those concerning what a person is, and why that makes rebirth impossible — and subject them to this sort of examination, there's something lacking in your path. You'll remain entangled in the questions of inappropriate attention, which will prevent you from actually identifying and abandoning the causes of suffering and achieving the full results of the practice.

    In addition, the terms of appropriate attention — the four noble truths — are not concerned simply with events arising and passing away in the present moment. They also focus on the causal connections among those events, connections that occur both in the immediate present and over time. If you limit your focus solely to connections in the present while ignoring those over time, you can't fully comprehend the ways in which craving causes suffering: not only by latching on to the four kinds of nutriment, but also giving rise to the four kinds of nutriment as well.[web 2]
  7. ^ Konik further notes:
    No doubt, according to the early Indian Buddhist tradition, the Buddha's great discovery, as condensed in his experience of nirvana, involved the remembrance of his many former existences, presupposing as fact the reality of a never-ending process of rebirth as a source of deep anxiety, and an acceptance of the Buddha's overcoming of that fate as ultimate liberation.[58]
  8. ^ The Dalai Lama himself is regarded to be an incarnation of the thirteen previous Dalai Lamas, who are all manifestations of Avalokitasvara.[66]
  9. ^ Gowans groups the objections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objection can be called "consistency objection", which asks if "there is no self (atman, soul), then what is reborn and how does karma work?". The second objection can be called "naturalism objection", which asks "can rebirth be scientifically proven, what evidence is there that rebirth happens". The third objection can be called "morality objection", which asks "why presume that an infant born with an illness, is because of karma in previous life" as seems implied by Majjhima Nikāya section 3.204 for example. Gowans provides a summary of prevailing answers, clarifications and explanations proffered by practicing Buddhists.[68]

References[edit]

  1. ^ Lopez (2002), p. 10
  2. ^ Prebish/Baumann, 2002
  3. ^ H. L. Seneviratne (1999). The Work of King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5–27. ISBN 978-0-226-74866-5.
  4. ^ David L. McMahan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p. 5–7, 32–33, 43–52. ISBN 978-0-19-988478-0.
  5. Jump up to:a b c Christopher W. Gowans (2014). Buddhist Mor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Routledge. pp. 18–23, 91–94. ISBN 978-1-317-65935-8.
  6. Jump up to:a b Donald S. Lopez (2012). The Scientific Buddha: His Short and Happy Life. Yale University Press. pp. 39–43, 57–60, 74–76, 122–124. ISBN 978-0-300-15913-4.
  7. ^ McMahan 2008, pp. 6-10
  8. ^ McMahan 2008, p. 54
  9. ^ McMahan 2008, p. 63-68, 85-99, 114–116, 177, 250-251
  10. Jump up to:a b c d e McMahan, David L. (2010),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bo/9780195393521-0041
  11. Jump up to:a b de la Vallee Poussin, Louis (1910). "VI. Buddhist Notes: Vedanta and Buddhism"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1): 129–140. doi:10.1017/s0035869x00081697., Quote: "A historical study of Neo-Buddhism would be very interesting, as an episode of the intellectual conquest of the East by the West and vice versa."
  12. Jump up to:a b Donald S. Lopez (1995). Curators of the Buddha: The Study of Buddhism Under Colonial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5–17, 46–47, 112–119. ISBN 978-0-226-49309-1.
  13. ^ Heinz Bechert; Hellmuth Hecker; Duy Tu Vu (1966). Buddhismus, Staat und Gesellschaft in den Ländern des Theravāda-Buddhismus. Metzner.
  14. ^ Lopez, Jr. 2008.
  15. ^ McMahan 2008, pp. 63–68, 85–99, 114–116, 176–177, 250-253.
  16. ^ J.J. Clarke (2002).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Routledge. pp. 100–104, 212–220. ISBN 978-1-134-78474-5.
  17. ^ Stephen C. Berkwitz (2006). Buddhism in World Cultures: Comparative Perspectives. ABC-CLIO. pp. 101–102, 179–183, 245, 268–270. ISBN 978-1-85109-782-1.
  18. ^ Christopher W. Gowans (2014). Buddhist Mor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Routledge. pp. 18–23, 78–94. ISBN 978-1-317-65935-8.
  19. Jump up to:a b Coleman 2002, pp. 55-56.
  20. ^ Coleman 2002, pp. 56-58, 72-87.
  21. ^ David L. McMahan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p. 6–24. ISBN 978-0-19-988478-0.
  22. ^ David L. McMahan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pp. 32–33, 43–52, 62, 84–90. ISBN 978-0-19-988478-0.
  23. ^ Heinz Bechert; Hellmuth Hecker; Duy Tu Vu (1966). Buddhismus, Staat und Gesellschaft in den Ländern des Theravāda-Buddhismus. Metzner. pp. 60–68.
  24. ^ Webb 2005, p. 213.
  25. ^ Andre Ballesort (1901). The Living Age. Littell, Son and Company. p. 424.
  26. ^ Coleman 2002, pp. 7-9, 57-60.
  27. ^ Satō 1973.
  28. ^ Sharf 1993, p. 3
  29. ^ Josephson 2006
  30. Jump up to:a b Sharf 1993, p. 4
  31. ^ Tomoko Masuzawa (2012). The Invention of World Religions: Or, How European Universalism Was Preserved in the Language of Plural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25–126, 294. ISBN 978-0-226-92262-1.
  32. ^ Donald S. Lopez; Peggy McCracken (2014). In Search of the Christian Buddha: How an Asian Sage Became a Medieval Saint. W. W. Norton & Company. pp. 188–191. ISBN 978-0-393-08915-8.
  33. ^ Sharf 1993, p. 7
  34. Jump up to:a b Verhoeven 1998), p. 217
  35. ^ James 1902.
  36. ^ McMahan 2008,p. 125
  37. ^ Suzuki 1996, 129.
  38. ^ Gary Tartakov (2003). Rowena Robinson (ed.). Religious Conversion in India: Modes, Motivations, and Meanings. Oxford University Press. pp. 192–213. ISBN 978-0-19-566329-7.
  39. ^ Christopher Queen (2015). Steven M. Emmanuel (ed.).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John Wiley & Sons. pp. 524–525. ISBN 978-1-119-14466-3.
  40. Jump up to:a b Christopher Queen (2015). Steven M. Emmanuel (ed.).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John Wiley & Sons. pp. 524–529. ISBN 978-1-119-14466-3.
  41. ^ Skaria, A (2015). "Ambedkar, Marx and the Buddhist Question"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Taylor & Francis. 38 (3): 450–452. doi:10.1080/00856401.2015.1049726., Quote: "Here [Navayana Buddhism] there is not only a criticism of religion (most of all, Hinduism, but also prior traditions of Buddhism), but also of secularism, and that criticism is articulated moreover as a religion."
  42. ^ Robert E. Buswell Jr.; Donald S. Lopez J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34. ISBN 978-1-4008-4805-8.
  43. ^ Christopher S. Queen; Sallie B. King (1996). Engaged Buddhism: Buddhist Liberation Movements in As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65–66. ISBN 978-0-7914-2843-6.
  44. ^ Skaria, A. (2015). "Ambedkar, Marx and the Buddhist Question"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Taylor & Francis. 38 (3): 450–465. doi:10.1080/00856401.2015.1049726.
  45. Jump up to:a b c Damien Keown; Charles S. Prebish (2013). Encyclopedia of Buddhism. Routledge. pp. 24–26. ISBN 978-1-136-98588-1.
  46. Jump up to:a b Eleanor Zelliot (2015). Knut A. Jacobsen (ed.).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India. Taylor & Francis. pp. 13, 361–370. ISBN 978-1-317-40357-9.
  47. ^ Damien Keown; Charles S. Prebish (2013). Encyclopedia of Buddhism. Routledge. p. 25. ISBN 978-1-136-98588-1., Quote: "(...)The Buddhism upon which he settled and about which he wrote in The Buddha and His Dhamma was, in many respects, unlike any form of Buddhism that had hitherto arisen within the tradition. Gone, for instance, were the doctrines of karma and rebirth, the traditional emphasis on renunciation of the world,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the experience of enlightenment. Gone too were any teachings that implied the existence of a trans-empirical realm (...). Most jarring, perhaps, especially among more traditional Buddhists, was the absence of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mbedkar regarded as the invention of wrong-headed monks".
  48. ^ Anne M. Blackburn (1993), Religion, Kinship and Buddhism: Ambedkar's Vision of a Moral Community,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6 (1), 1-22
  49. ^ Christopher S. Queen (2000). Engaged Buddhism in the West. Wisdom Publications. p. 23. ISBN 978-0-86171-159-8.
  50. ^ Christopher Queen (2015). Steven M. Emmanuel (ed.).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John Wiley & Sons. pp. 524–531. ISBN 978-1-119-14466-3.
  51. ^ I.Y. Junghare (1988), Dr. Ambedkar: The Hero of the Mahars, Ex-Untouchables of India, Asian Folklore Studies, Vol. 47, No. 1, (1988), pp. 93-121, "(...) the new literature of the Mahars and their making of the Ambedkar deity for their new religion, Neo-Buddhism. (...) Song five is clearly representative of the Mahar community's respect and devotion for Ambedkar. He has become their God and they worship him as the singer sings: "We worship Bhima, too." (...) In the last song, Dr. Ambedkar is raised from a deity to a supreme deity. He is omnipresent, omnipotent, and omniscient."
  52. ^ Pace, Enzo (2007). "A peculiar pluralism". Journal of Modern Italian Studies. Taylor and Francis. 12 (1): 86–100. doi:10.1080/13545710601132979.
  53. ^ Bernard Faure (2011). Unmasking Buddhism. John Wiley & Sons. pp. 139–141. ISBN 978-1-4443-5661-8.
  54. ^ Stephen R. Prothero (1996). The White Buddhist: the Asian odyssey of Henry Steel Olcott. Indiana University Press. p. 128., Quote: "In addition to a restatement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Five Precepts for lay Buddhists, the fourteen propositions included: an affirmation of religious tolerance and of the evolution of the universe, a rejection of supernaturalism, heaven or hell, and superstition, and an emphasis on education and the use of reason."
  55. ^ Owen Flanagan (2011). The Bodhisattva's Brain: Buddhism Naturalized. MIT Press. pp. 2–3, 68–70, 79–80. ISBN 978-0-262-29723-3.
  56. Jump up to:a b Melford E. Spiro (1982). Buddhism and Society: A Great Tradition and Its Burmese Vicissitud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39–42. ISBN 978-0-520-04672-6.
  57. Jump up to:a b Coleman 2002, p. 110.
  58. Jump up to:a b c Konik 2009, p. ix.
  59. ^ Hayes 2013, p. 172.
  60. Jump up to:a b Lamb 2001, p. 258.
  61. Jump up to:a b c Damien Keown (2009). Buddhism. Sterling Publishing. pp. 60–63, 74–85, 185–187. ISBN 978-1-4027-6883-5.
  62. ^ Trainor 2004, p. 62.
  63. ^ Merv Fowler (1999). Buddh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p. 65. ISBN 978-1-898723-66-0.Quote: "For a vast majority of Buddhists in Theravadin countries, however, the order of monks is seen by lay Buddhists as a means of gaining the most merit in the hope of accumulating good karma for a better rebirth."
  64. ^ Christopher Gowans (2004). Philosophy of the Buddha: An Introduction. Routledge. p. 169. ISBN 978-1-134-46973-4.
  65. ^ Flanagan 2014, pp. 233-234 with note 1.
  66. ^ Chitkara 1998, p. 39.
  67. ^ Flanagan 2014, pp. 234-235 with note 5.
  68. Jump up to:a b c d Christopher W. Gowans (2014). Buddhist Mor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Routledge. pp. 18–23, 76–88. ISBN 978-1-317-65935-8.
  69. ^ Scherer, Burkhard (2012). "Globalizing Tibetan Buddhism: modernism and neo-orthodoxy in contemporary Karma bKa' brgyud organizations". Contemporary Buddhism. Taylor & Francis. 13 (1): 125–137. doi:10.1080/14639947.2012.669282.
  70. ^ B Scherer (2014), Conversion, Devotion and (Trans-)Mission: Understanding Ole Nydahl, in Todd Lewis (ed.) Buddhists: Understanding Buddhism Through the Lives of Practitioners, Blackwell Wiley, London, pp. 96-106
  71. ^ B Scherer (2017). Eugene V. Gallagher (ed.). Visioning New and Minority Religions: Projecting the future. Routledge. pp. 156–164. ISBN 978-1-4724-6588-7.
  72. ^ David Brazier (2002). The New Buddhism. Palgrave Macmillan. pp. xii, 249–250. ISBN 978-0-312-29518-9.
  73. ^ Mcmahan (2008, p.9) citing Lopez (2002)

Bibliography[edit]

Further reading[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