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오구라 기조.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오구라 기조. Show all posts

2023/08/13

손민석 - 오구라 기조의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읽다가 던져버렸던 이유

손민석 - 오구라 기조의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읽다가 던져버렸던 이유는 그는 한국인들이 '도덕지향적'인 이유는... | Facebook

오구라 기조의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읽다가 던져버렸던 이유는 그는 한국인들이 '도덕지향적'인 이유는 본래 그랬기 때문이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한국의 행동원리>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이 책에서도 별다른 설명이 없다. 다시 말해서 '주자학'이라는 "이질적인 사유양식"이 조선왕조 하의 한반도에 유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그의 주장에는 빠져 있다. 중국에서 배태된 사유양식이 어찌하여 중국도, 일본도, 베트남도 아닌 한국에서만 유독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는가?

오구라 기조는 이질적인 문화의 접합 양식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하기보다는 한국인들이 '본래적'으로 리理 지향적이라고 하거나 지정학적인 조건을 내걸어 중국과 일본이라는 '강대국'으로부터 항시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힘으로 대항하기보다는 도덕적 언술에 의존하게 되었다는 식으로 말한다.

황당하기 그지없는 주장이다. 차라리 한국의 무속신앙체계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하여 무속적 문화지반과 주자학적 이념체계 간의 ‘선택적 친화성(selective affinity)’을 논하는 게 차라리 '과학적'인 분석일테다.

오구라의 주장대로라면 세계사에서 '지정학적 조건'으로 인해 '도덕지향적'이게 된 민족이 한둘인가? 일본 근대사 100년은 아시아에 대해서는 대외침략사였지만 서방제국주의에 대해서는 굴종의 역사였다.

지정학적 위기에 맞서 어떻게든 살아남으려 노력했던 일본인들이 도덕지향적이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독일은 또 어떤가? 그들은 19세기 비스마르크가 통일을 이룩하기 전까지만 해도 동서 양측으로부터의 침략이라는 '지정학적 조건'에 얽매여 살았다.

또한 고려왕조 때에 북방 이민족에 거듭해서 저항한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시기, 상황 등에 따라 쉴새없이 변화하는 지정학적 조건을 갖고 민족성을 설명하려 드는데서 나는 기함하게 된다.

조선왕조 500년을 놓고 2천년의 민족사를 설명하며 더군다나 그것을 현대까지 확대적용하여 설명하려는
이자의 주장에 동조하는 이들은 대체 누구인가? 나는 그자들이 더 문제라 본다.
All reactions:
소재두 and 57 others
11 comments
9 shares
Like
Comment
Share

11 comments

Most relevant

  • 소재두
    선생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 별김
    오구라 기조는 읽을 당시에도 별 인상을 못 받았고 지금은 내용도 잘 기억나지 않네요. 그래서인지 작년에 지인이 감명깊은 신간이 나왔다며 일독을 추천했는데 미루다가 결국 읽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 Like
    • Reply
    • Edited
    • 손민석
      별김 저도 한국은..의 경우에는 가물가물합니다. 
    • 혐한에 대해 비판하길래 좋게 봤다가 혐한보다 더 별로였어요

  • 양승필
    읽을 때에는 한국인들의 '인성'이 왜 그렇게 되어먹었는지 잘 풀어 설명했다는 인상이 있었는데 최범 교수(지금은 차단상태)가 그 사람의 저서에서 나오는 구절들에 상당히 공감을 표시하면서 책의 내용을 공유하고는 했죠.
    • Like
    • Reply
    • Edited
  • Son Yongjin
    인용하신 책을 읽어본 적은 없긴 한데, 그냥 혼자만의 뇌피셜로 오구라 기조의 생각과 비슷한 생각(지정학적 조건->시시비비 중시)을 갖고 있었는데, 말씀하신 거 들어보니까 아닐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ㅎ 써 주신 글 잘 봤습니다..
    • 손민석
      손용진 오히려 조선왕조는 고려왕조가 안보에 실패했다면서 쿠데타를 정당화 했거든요. 사실 조선왕조는 그런 의미에서 일종의 전시체제라 생각합니다. 그게 중간에 형해화되고 그래서 문제인건데.. 애당초 조선이 나약하다는 선입견이 없으면 그런 주장을 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 Nam Euiyoung
    날카로운 지적, 잘 읽었습니다. 일본 학자가 이렇게 한국을 연구한 결과가
    참 이상하게도 일본 국내 언론 칼럼에서 인용되면서 한국에 대한 비하와 혐한으로 이어지더군요.한국 논자들도 인용하구요.
    오구라의 논의는 역으로 일본 학자들의 "도덕"개념과 한국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좋은 자료가 되지 싶습니다.
    2
    • Like
    • Reply
    • Edited
    • 손민석
      Nam Euiyoung 네, 물론 오구라는 혐한을 비판하는 입장입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일본인들의 한국관을 분석하는 자료로 더 의미 있을 듯합니다.
      4
    • Nam Euiyoung
      손민석 오구라 교수가 혐한은 아니지만 ...... 일본 언론에 발표된 글을 보면... 결국 이런 주장을 하는구나 싶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