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01

Teachings of Falun Gong - Wikipedia

Teachings of Falun Gong - Wikipedia:

Teachings of Falun Gong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Li Hongzhi published the Teachings of Falun Gong in ChangchunChina in 1992. They cover a wide range of topics ranging from spiritualscientific and moral to metaphysical. Since its inception, Falun Gong has been one of the fastest growing qigong (Pinyinqìgōng) schools in Chinese history.[citation needed]

The teachings of Falun Gong a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zhēn shàn  and rěn  (which translate approximately as truthfulness, benevolence, and forbearance)[1] articulated in the two main books Falun Gong[2] and Zhuan Falun.[3] Falun Gong is an introductory book that discusses qigong, introduces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nd provides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of exercises for meditation. Zhuan Falun is considered the central and most comprehensive exposition on the teachings of Falun Gong.

According to the book Falun Gong, "Fǎlún" (Buddha ) is a great, high-level cultivation way of the Buddha School (different from Buddhism), in which assimilation to the supreme nature of the universe, Zhen-Shan-Ren, is the foundation of cultivation practice."[4] In this concept, "cultivation" refers to upgrading one's xīnxìng (mind-nature) through abandoning negative attachments and assimilating oneself to "Truthfulness-Compassion-Forbearance". "Practice" refers to the five meditative exercises that are said to purify and transform one's body. Cultivation is considered essential, and the exercises are said to supplement the process of improving oneself.[5][6]

Falun Gong's conservative and moralistic views on subjects such as sexuality have attracted controversy.

Influences[edit]

See also Theoretical background and History of Falun Gong

Buddhism and Daoism[edit]

The teachings of Falun Gong makes a distinction between fojia, Buddha School, and fojiao, the religion of Buddhism [7] and also the Dao School (daojia) and the religion of Daoism (daojiao). Li Hongzhi states that there are two main systems of Xiu Lian or Cultivation practice: the "Buddha School" and the "Dao School". According to Li, Cultivation ways of the Buddha School focus on cultivation of Compassion while the Dao School lays emphasis on cultivation of Truthfulness. In Falun Gong, Truthfulness and Compassion are apparently understood to be aspects of the Cosmos's fundamental nature, Zhen-Shan-Ren, translated approximately as Truthfulness, Compassion and Forbearance, each of which are said to further unfold into Zhen-Shan-Ren. Thus, cultivation practices whether in the Buddha School or Dao School are considered a process of assimilation to this cosmic characteristic.[8] Li states that there are many cultivation ways in the Dao and Buddha schools which are unrelated to secular religions and are often handed down from Master to disciple in secret or "has always been practiced quietly, either among the populace or deep in the mountains." Li states that "These kinds of practices have their uniqueness. They need to choose a good disciple—someone with tremendous virtue who is truly capable of cultivating to an advanced level."

In the book Falun Gong, Li states that Falun Gong is Buddhist qigong and an upright cultivation wa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ligion of Buddhism,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different approaches but the same goal in cultivation.[9]

Li states that the religion of Buddhism "is a system of cultivation that Shakyamuni awakened to in India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ago when he was cultivating."[9]

In Falun Gong, as in Buddhism or Daoism, practitioners are required to gradually let go of negative attachments. According to David Ownby, the requirement in Falun Gong to abandon human attachments is not for achieving selfish ends, but "quite the contrary. Practitioners are enjoined to treat others with compassion and benevolence in order to cultivate virtue and work off karma."[10] He says that such compassion and benevolence should not be reserved to those with whom one had a prior attachment, nor should the goal be to inspire gratitude or love, but for conformity to the nature of the universe. Li also insists that practitioners do not withdraw from the world, and that they maintain interactions with non-practitioners, including "even those who are hostile to practice."[10] The point here, according to Ownby, is that before the practitioner cultivates to such a point that they are dispassionate in their compassion, the stress experienced in the secular environment "constitutes a form of suffering which will enable them to reduce their karma."[10]

Stephen Chan, writing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journal Global Society, suggests that in providing a metaphysical system which relates the life of man with the greater cosmos, Falun Gong presents a philosophy which in a sense bypasses the communist-atheist ideology of Chinese state. He suggests that this may have led to the decision of a ban made by the Chinese authorities. Chan writes that Falun Gong poses no political threat to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re is no deliberate political agenda within the Falun doctrine. He concludes that Falun Gong is banned not because of the doctrines, but simply because Falun Gong is outside of the communist apparatus.[11]

Chan draws parallels between Falun Gong and Buddhism, in saying that the two share a central doctrine on goodness and unconditional compassion towards others.[11] Chan also provides a point of differentiation between Falun Gong and Buddhism.[11] Penny writes that another one of Li Hongzhi's critiques of Buddhism is that the original form of Buddhism, Sakyamuni's Buddhism, was somehow pure, it has declined over the centurie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a degenerate priesthood, thus distorting the Buddhist Dharma.[7] Falun Gong teaches the essential elevation of good as a governing norm, where good creates the society, although in a conservative way.[11]

According to Ownby, the "moral qualities cultivators are enjoined to practice in their own lives [are] truth, compassion and forbearance", and are the three central pillars of Falun Gong. Li taught that the goal of cultivation is one of spiritual elevation, achieved by "eliminating karma—the built-up sins of past and present lives which often manifest themselves in individuals as illness—and accumulating virtue."[12] Through cultivation, Falun Gong "promised personal harmony with the very substance of the universe."[12] In line with Falun Gong's consistent allusions to Oriental traditions, Li criticized the "self-imposed limits" of modern science, and viewed traditional Chinese science as an entirely different, yet equally valid knowledge system. Yet he also borrowed from modern scientific ideas to represent part of the Falun Gong doctrine - notably by making references to atomic theory and nuclear energy.[13] By introducing scientific elements into his teachings, Li hoped to avoid Falun Gong being characterized as a traditional, superstitious belief system, and to gain a wider following among the educated.[13][14] New Zealand scholar Heather Kavan wrote that the principles of "truthfulness, compassion, forbearance" have been repeated by Falun Gong members to outsiders as a tactic for evading deeper inquiry. Kavan said that Li instructed his followers to lie about Falun Gong to outsiders.[15]

China scholar Benjamin Penny's 2005 publication The Falun Gong, Buddhism and "Buddhist qigong" points out that after the crackdown, the Chinese Buddhist Association was eager to denounce Falun Gong, and other Buddhist groups followed suit in fear of persecution.[7] He also points out that the Buddhist community's response to Falun Gong could also have been due in part to Falun Gong's rapid growth in China.[7] According to Penny, Li tells that the features of the Buddha School include the cultivation of Buddhahood and the belief in predestined relationships, which are included in the teachings of Falun Gong.[7]

Maria Chang believes that Li's teaching on the "Dharma-ending period", and his remarks about providing salvation "in the final period of the Last Havoc," are apocalyptic.[16] Penny dissuades from considering Falun Gong as one of "these genuinely apocalyptic groups", and says that Li Hongzhi's teachings ought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 "much more Buddhist notion of the cycle of the Dharma or the Buddhist law."[17]

Qigong[edit]

Qigong refers to a variety of traditional cultivation practices that involve movements or regulated breathing. Qigong may be practiced for improving health, as a medical profession, a spiritual path, or as a component of Chinese martial arts.

The term qigong was coined in the early 1950s as an alternative label to ancient spiritual disciplines rooted in Buddhism or Taoism, that promoted the belief in the supernaturalimmortality and pursuit of spiritual transcendence. The new term was constructed to avoid danger of association with ancient spiritual practices that were labeled "superstitious" and persecuted during the Maoist era.[18] In Communist China, where spirituality and religion are looked-down upon, the concept was "tolerated" because it carried with it no overt religious or spiritual elements; and millions flocked to it during China's spiritual vacuum of the 1980s and 1990s. Scholars argue that the immense popularity of qigong in China could, in part, lie in the fact that the public saw in it a way to improve and maintain health. According to Ownby, this rapidly became a social phenomenon of considerable importance.[18]

In 1992, Li Hongzhi introduced Falun Gong, along with teachings that touched upon a wide range of topics, from detailed exposition on qigong related phenomenon and cultivation practice to science and morality. In the next few years, Falun Gong quickly grew in popularity across China.[18] Falun Gong was welcomed into the state-controlled Scientific Qigong Research Association, which sponsored and helped to organize many of his activities between 1992 and 1994, including 54 large-scale lectures. In 1992 and 1993, he won government awards at the Beijing Oriental Health Expos, including the "Qigong Master most acclaimed by the Masses" and "The Award for Advancing Boundary Science."[19][20]

The content of Li Hongzhi's books include commentaries on questions discussed in China's qigong community for ages. According to Ownby, Li saw the qigong movement as "rife with false teachings and greedy and fraudulent 'masters'" and set out to rectify it. Li understood himself and Falun Gong as part of a "centuries-old tradition of cultivation," and in his texts would often attack those who taught "incorrect, deviant, or heterodox ways."[12] Qigong scholar David Palmer says Li "redefined his method as having entirely different objectives from qigong: the purpose of practice should neither be physical health nor the development of Extraordinary Powers, but to purify one's heart and attain spiritual salvation...Falun Gong no longer presented itself as a qigong method but as the Great Law or Dharma (Fa) of the universe."[21]

In one of his lectures, Li Hongzhi stated that Dafa can enable people to ascend to high levels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22]

Both its popular name, Falun Gong, and its preferred name, Falun Dafa, highlight its pract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according to Zhao.[14] Falun Gong literally means "Practice of the Law Wheel (Dharma Chakra)" which refers to a series of five meditative exercises aimed at channeling and harmonizing the qi or vital energy.[14] Theories about the flow and function of qi are basic to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health-enhancing qigong exercises. Zhao says that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ssumes "a profound interpretation of matter and spirit, body and soul," and Falun Gong "emphasizes the unity of physical and spiritual healing, in contrast to the Western distinction between medicine and religion."[14] To bring about health benefits, the physical exercises must be accompanied by moral cultivation and spiritual exercises as a way of focusing the mind. For Falun Gong, the virtues to cultivate are "truthfulness", "benevolence" and "forbearance".[14]

Falun Gong draws on oriental mysticism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riticizes self-imposed limits of modern science, and views traditional Chinese science as an entirely different, yet equally valid knowledge system. Concomitantly, says Zhao, it borrows the language of modern science in representing its cosmic laws. According to Zhao, "Falun gong is not conceptualized as a religious faith; on the contrary, its practitioners, who include doctorate holders from prestigious American universities, see it as 'a new form of science.'"[14]

Prominent Falun Gong scholar David Ownby delineates three core themes in the teachings: first, "Li presents his vision both as a return to a lost, or neglected spiritual tradition, and as a major contribution to modern science";[10] second, "Falun Gong is profoundly moral"; third, "Falun Dafa promises practitioners supernatural powers". Ownby also lists its "Chineseness" as a major part of the practice's appeal.[10]

All over China before July 1999, says Palmer, the same scene could be observed at dawn: "Hundreds of people in the parks and on the sidewalks, practising the slow-motion Falun Gong exercises to the rhythm of taped music...yellow and red Fa banners hanging from trees presented the method and its principles. In the evenings practitioners would often meet in a disciple's home to read Zhuan Falun, discuss its teachings, and exchange cultivation experiences."[21]

Cultivation[edit]

From the beginning, Li has asserted his absolute authority over the transmission of the teachings and the use of healing powers of Falun Gong: he said in Changchun that only he is possessed of these right, and any who violate are to be expelled.[23] Li said that it is a violation of Dafa to treat other people's illnesses or invite others to come to a practice point to be treated. If such that happens, then the violator is not considered by Li to be his disciple. He calls on his disciples to replace assistants who violate the commandment. Also, Li wrote in Zhuan Falun prohibiting his followers charging fees for workshops, saying that if they do so, "his dharma bodies will take away everything that they have, so that they will no longer belong to Falun Dafa, and what they teach will not be Falun Dafa."[24]

Li Hongzhi describes Falun Gong as a "high-level cultivation practice" which, in the past, "served as an intensive cultivation method that required practitioners with extremely high Xinxing (mind-nature) or great inborn quality";[25] he teaches that practice will reveal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life at different levels to those who dedicate themselves to its study. By cultivating xinxing to assimilate to the nature of the universe, and by eliminating karma though enduring tribulations and hardships, one can return to the "original, true self", and understand the truth of human life.[26] In Falun Dafa, Truthfulness (Zhen 真), Compassion (Shan 善), Forbearance (Ren 忍) is seen a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cosmos, and the process of cultivation, one of the practitioner assimilating himself to this by letting go of attachments and negative thoughts. In Zhuan Falun, Li Hongzhi says that if one assimilates oneself to the characteristic as a practitioner, then that person has attained the Tao.

Falun Gong echoes traditional Chinese beliefs that humans are connected to the universe through mind and body, according to Danny Schechter.[27] Li challenges "conventional mentalities", and sets out to unveil myths of the universe, time-space, and the human body.

Li says that raising one's xinxing is fundamental to cultivating oneself. Improving xinxing means relinquishing human attachments and notions, which prevent people from awakening. The term attachment can refer to jealousy, competitiveness, fame, showing off, pursuit of material gain, anger, lust and similar traits. In Zhuan Falun, he states that ill thoughts among everyday people must be eliminated—only then can one move up.[5]

Li argues that having material possessions itself is not a problem, but that the problem is with developing attachments to material things.[28] Ownby says that for Li Hongzhi, an attachment is "literally any desire, emotion, habit, or orientation which stands between a practitioner (or any human being for that matter) and the pursuit of truth and cultivation." At the beginning of Zhuan Falun Li says that the process of cultivation "is one of constantly giving up human attachments," such as competition, deception, and harm for even a little personal gain.

Li also says that loss and gain does not refer to the loss of money or the gain of comfort, rather the measure of how many human attachments one can lose, and how much one can enlighten in the course of cultivation practice.[28]

Ownby regards as most difficult to practice Li's requirement for practitioners to reduce the attachment to sentimentality or qing (情). In Lecture Four of Zhuan Falun Li says that human beings can be human on account of sentimentality, and they live just for it. In order to succeed in cultivation practice, sentimentality must be given up.[29] Ownby regards this as "quite Buddhist, as it is a way out of the web of human relations...and thus a step toward individual enlightenment."[10]

Ownby says that Li urges practitioners to abandon human attachments not for achieving selfish ends, but "quite the contrary. Practitioners are enjoined to treat others with compassion and benevolence in order to cultivate virtue and work off karma."[10] He says that such compassion and benevolence should not be reserved to those with whom one had a prior attachment, nor should the goal be to inspire gratitude or love; instead, it's "to conform to the nature of the universe." Li also insists that practitioners do not withdraw from the world, and that they maintain interactions with non-practitioners, including "even those who are hostile to practice."[10] The point here, according to Ownby, is that before the practitioner cultivates to such a point that they are dispassionate in their compassion, the stress experienced in the secular environment "constitutes a form of suffering which will enable them to reduce their karma."[10]

Such aforementioned statements could be traceable to the Qur'anic phrase "God loves those who purify themselves" (9:108).

A group of people practicing the fourth exercise of Falun Dafa.

Li states that to practice cultivation one must be considerate of others in all circumstances and always search within for the cause when encountering tribulations.

Zhuan Falun, the main book[edit]

The teachings of Falun Gong are encompassed in two central works: Falun Gong[30] and Zhuan Falun:[31]

  • Falun Gong is an introductory book that discusses qigong, introduces the principles of the practice, and provides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of the exercises.
  • Zhuan Falun is the main teaching and the most comprehensive work; it is an edited version of Li's nine-lecture series, 54 of which he taught across China between 1992 and 1994.

Ownby regards Falun Gong and Zhuan Falun to be largely consistent in terms of content, though he says "important differences in nuance distinguish the two.".[10] The World Book encyclopedia describes the contents of Zhuan Falun as examining "evolution, the meaning of space and time, and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32] Penny commented in 2003 "after Falun Gong's ban in mainland China in 1999, new editions of Falun Gong's books no longer contain biographies of Li. These changes seem to reflect a larger trend of Li retreating from the public eye. Since 2000 he has very rarely appeared in public, his presence almost entirely being electronic or re-routed through quotations on Falun Gong's websites.Li Hongzhi's biography were removed from Falun Gong websites some time after 2001".[33] Kavan noted in July 2008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part of the text (Zhuan Falun volume II) was not offered on-line.[34] It would seem that the missing translation was published online in June 2008 as "volume II".[35]

In a 1996 Lecture in Sydney, referring to the work Zhuan Falun, Li stated that he wrote the book to explain qigong and its ultimate goal, certain phenomena in the Qigong community, and why Qigong is spread in ordinary human society.[36]

Li says constant study will lead the practitioner to the final goal of "Consummation", or enlightenment.[5] He says that by reading Zhuan Falun repeatedly, and acting according to its principles, practitioners assimilate themselves to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e: Zhen 真, Shan 善 and Ren 忍, "Truthfulness-Compassion-Forbearance."[37]

Topics Zhuan Falun expounds on include: Zhen 真, Shan 善 Ren 忍 is the Sole Criterion to Discern Good and Bad People, Buddha School Qigong and Buddhism, Supernormal Abilities, Loss and Gain, Transformation of Karma, Upgrading Xinxing (Mind nature and moral quality),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Cultivation of Speech, The Issue of Eating Meat, The Issue of Treating Illness, Qi Gong and Physical Exercises, Enlightenment etc.

Since 1992, Li has given Falun Gong lectures that have been transcribed and posted to the internet. He emphasizes that Zhuan Falun should be viewed as the main guide for cultivation practice. In 2007 he said this recent lectures are supplementary to Zhuan Falun, and that Zhuan Falun should be studied frequently."[38]

Zhen 真, Shan 善, Ren 忍[edit]

Falun Gong states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e is Zhen 真, Shan 善 Ren 忍, or "Truthfulness-Compassion-Forbearance." In Zhuan Falun Li says that the characteristic, Zhen-Shan-Ren, is in the microscopic particles of air, rock, wood, soil, iron and steel, the human body, as well as in all matter. "In ancient times it was said that the Five Elements constitute all things and matter in the universe; they also carry this characteristic, Zhen-Shan-Ren."[37]

Ownby refers to Li's discussion of the moral universe, where "The very structure of the universe, according to Li Hongzhi, is made up of moral qualities that cultivators are enjoined to practice in their own lives: truth, compassion and forbearance. The goal of cultivation, and hence of life itself, is spiritual elevation, achieved through eliminating negative karma...and accumulating virtue."[10]

Li teaches that practitioners are to assimilate their thoughts and actions to these principles, wherein higher aspects of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and life will be revealed: "A practitioner can only understand the specific manifestation of the Buddha Fa at the level that his or her cultivation has reached, which is his or her cultivation Fruit Status and level."

Practice[edit]

Five Exercises of Falun Dafa.jpg

The term practice refers to the five exercises, one of which is a sitting meditation. In the book Falun Gong, Li Hongzhi explains the principles behind the exercises.[39]

He says the exercises are part of the "harmonization and perfection" in the practice, and what make it a "comprehensive mind-body cultivation system." Li says that though Falun Gong requires both cultivation and practice, cultivation of xinxing is actually more important. However, "A person who only cultivates his xinxing and does not perform the exercises of the Great Consummation Way will find the growth of his gong potency impeded and his original-body (benti) unchanged."[39]

  • The First Exercise: Buddha Showing a Thousand Hands:
This exercise involves stretching movements which are aimed at "open[ing] up all energy channels" in one's body. In Falun Gong, Li states that "beginners will be able to acquire energ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experienced practitioners can quickly improve." It is said to "break through areas where the energy is blocked, to enable energy to circulate freely and smoothly, to mobilize the energy within the body and under the skin, circulating it vigorously, and to absorb a great amount of energy from the universe." It is composed of eight movements.[39]
  • The Second Exercise: Falun Standing Stance:
This exercise is a tranquil standing meditation composed of four standing stances.[39]
  • The Third Exercise: Penetrating the Two Cosmic Extremes:
The aim of this exercise, as stated in Falun Gong, is "to penetrate the cosmic energy and mix it with the energy inside of one’s body," in order to "reach the state of 'a Pure-White Body' quickly."[39]
  • The Fourth Exercise: Falun Heavenly Circuit:
Falun Gong says the fourth exercise is "intermediate-level" and i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three sets of exercises. Li say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this exercise is "to use the rotation of Falun to rectify all the abnormal conditions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human body, the small cosmos,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energy of the whole body can circulate freely and smoothly."[39]
  • The Fifth Exercise: Strengthening Divine Powers:
The fifth exercise of intermediate-level has a set of Buddha Mudras or Buddhist Hand Gestures that precede tranquil meditation.

Teleology of practice[edit]

Falun Dafa, the fifth exercise.jpg

In Zhuan Falun Li says that human life is not created in ordinary human society, but "in the space of the universe." He says that the universe is benevolent to begin with, and "embodies the characteristic of Zhen-Shan-Ren." When a life is created, it is assimi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e. However, eventually a web of relations developed, and selfishness came about; gradually the level of beings' was lowered until, in the end, they reached this level of human beings.[40] Li says in his book that the purpose of being human is to practice cultivation and return to the "original, true self".

Ownby interprets Li's meaning as "humans were originally gods of some sort, who lost their status as life became 'complicated' (a word with more negative connotations in Chinese than in English) and they engaged in immoral behavior. Presumably, humans can redeem themselves through cultivation and regain their divine status."[10]

Li teaches maintaining virtue in everyday life, by cultivating or improving xinxing through slowly acknowledging and discarding human desires and attachments.[29][41] A practitioner must also be able to endure hardships and tribulations to reduce karma, which Li says is a negative, black substance that blocks people from enlightening to spiritual truths.[41] Its opposite, virtue, is said to be a white substance gained by doing good deeds and forbearing through hardships.[29] Li teaches that virtue may be transformed into gong, or "cultivation energy", which is said to be an everlasting, fundamental energy a human spirit possesses, and what ultimately dictates where the spirit goes after death.

Li states that an important aspect of his system is its cultivation of the Main Spirit. He says that a person is made up of a Primordial Spirit, which could be composed of one's Main Spirit and one or more Assistant Spirits.[42] Li states that the Main Spirit is the part of one's consciousness that one perceives as one's own self, and is the spirit that humans must cultivate to ascend to higher levels. A person can also have one or more Assistant spirits. Zhuan Falun says that upon death, both spirits split from the body and go their own ways. In practices that cultivate the Assistant Spirit, the Assistant Spirit will reincarnate into another body to continue cultivating, whereas the Main Spirit, which is the person themselves, will be left with nothing and upon reincarnation will not remember its past. It will be left to live locked in the human dimension, in delusion.[43] Li also teaches that practices that teach trance, mantras, and visualization, only focus on the Assistant Spirit.

Li says that his teaching offers a chance for humans to return to their original, true selves, and he calls this "salvation of all beings."[44]

Some scholars suggest that Li Hongzhi assumes the role of a supernatural entity within the teachings of Falun Gong: Maria Hsia Chang, for example, opines that "If Li Hongzhi’s disciples can become gods by engaging in Falun Gong, it stands to reason that the founder of this cultivation practice must himself be a deity."[16] However, Ian Johnson suggests that Li emphasises his teachings as simple revelations of "eternal truths", known since time immemorial but which have been corrupted over the course of time. Johnson opines that Li does not claim to be a messiah or god, but "only a wise teacher who has seen the light"[45] Li said in 2004 that it "doesn't matter if [people] believe in him or not." He hasn't said that he is a god or a Buddha, and that ordinary people can take him to be an average, common man.[46]

On science[edit]

David Ownby writes that one of Li Hongzhi's "favorite themes" of discussion involves modern science. He says that Li often "returns to the limitations of the scientific paradigm and the blind arrogance of the world scientific community", at the same time without imparting an explicitly antiscientific or antimodern message. Without the internet for example, Ownby opines, "Falun Gong most certainly would not have achieved its present form." Instead, Li's teaching is directed toward attempting to show that "Falun gong offers the sole avenue toward genuine understanding of the true meaning of the universe, which he often labels the 'Buddha Fa'."[10]

Ownby says his fieldwork demonstrates that Li's discussions of and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struck a chord with many Chinese intellectuals who took up Falun Gong practice. They say that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science "to larger cosmic structures and existential questions", Li has made science more relevant than before.[10] Li's ultimate aim in talking about science is to "illustrate the limit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so as to make space for his own vision, which transcends science and returns it to a secondary, subservient role in our understanding of cosmic and human forces." He attempts to do this with a number of strategies, Ownby says, including purported evidence from "parascientific research". This includes claims of archaeological findings from hundreds of millions of years ago which undermine the theory of evolution. Li suggests, Ownby says, that "scientific paradigms ar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bound and thus epistemologically incapable of validating their own claims to authority".[10]

Ownby says that according to Li, one of science's major shortcomings is its inability to understand the idea of multiple dimensions - that the universe exists at "many different levels simultaneously and that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consists of passing through these levels to arrive at ever more complete understandings". Li tells his disciples in Falun Buddha Fa: Lectures in the United States about the complexity of the cosmos.[47]

Ownby says that overall Li's discussion on the topic is simple, and attempts to sum up it up:

"He invokes apparent anomalies in the archaeological or geological record to call into question the authority of the scientific consensus. On the basis of that challenge...he goes on to suggest a less human-centred view of the universe composed of hierarchically linked levels...Through cultivation, humans can transcend the level into which they were born."

Ownby regards Li's arguments as unconvincing, and believes that Li is not particularly interested in scientific debate, or in those who do not believe or who doubt him: "his concern is rather to illustrate, to those who are attracted to such a message, that Falun Dafa both contains within it and transcends the modern scientific viewpoint."[10]

On race[edit]

Li Hongzhi teaches that non-citizens of a countryare promoting the mixing of the human races as part of a plan to overtake humankind.[48] Li in "Teaching the Fa at the Conference in Switzerland" says that:

"The way alien beings get human beings to shake free of the gods is to mix the races, causing human beings to become rootless people, just like the plant hybrids people make nowadays. South Americans, Central Americans, Mexicans and some people in South East Asia—all of these races have been mixed. None of this can evade the gods’ eyes. Alien beings have made rather extensive preparations for overtaking human beings."[48]

Transformation and higher dimensions[edit]

Connected with Li's discussion of cultivation practice is the idea of "supernormal abilities" and "special powers" that the adherent is supposed to develop in the course of dedicated study. These are connected to Li's teachings on apparent higher-dimensional realities, which he says exist 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 to the human dimension.[39] Li teaches that supernormal powers are a by-product of moral transcendence, and are never sought after or to be employed for selfish intentions.[10][49] He has said that there are up to 10,000 supernatural powers, though as Ownby points out, has never listed them. Some of those he has discussed include the opening of the celestial eye, "which may enable practitioners to see into other spatial dimensions and/or through walls" according to Ownby, clairvoyanceprecognitionlevitation, and "the ability to transform one kind of object into another kind of object" according to Penny, among others.[19]

Penny says the practitioner is supposed to pass through various levels until he or she reaches the state of "cultivation of a Buddha's body".

David Ownby says that Li regards his discussion of multiple dimensions as a superior approach to knowledge and understanding.[10] One of science's major shortcomings, according to Li, is its inability to detect multiple dimensions. "Li argues that the universe—and human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exists at many different levels simultaneously and that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consists of passing through these levels to arrive at ever more complete understandings." [10] In this context, transformation is both physical and intellectual. The motor behind such transformation is individual moral practice, alongside cultivation under an orthodox master.[10] Moral practice, says Ownby, is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for cultivation and enlightenment. Individual moral practice burns karma and reduces suffering, but unless the individual is committed to an orthodox cultivation regime, they will not be able to break through the various "levels" and attain enlightenment and transformation. "What is required in this instance is a master, someone who has...the power to channel the moral behaviour and intentions of the practitioner in the proper direction."[10] This leads to the oft-repeated phrase in Li's texts: "cultivation depends on oneself, gong depends on the Master" (修在自己,功在師父).

Richard Madsen, a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ys "among the Falun Dafa practitioners I have met are Chinese scientists with doctorates from prestigious American universities who claim that modern physics (for example, superstring theory) and biology (specifically the pineal gland's functioning)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ir beliefs. From their point of view, Falun Dafa is knowledge rather than religion, a new form of science rather than faith." [50]

Maria Hsia Chang regards Li's teachings on these subjects "abstruse".[16] Ownby acknowledges these as challenges to interpreting Li's message, but attempts to place Falun Gong doctrine withi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10] Penny says "there are aspects of Falun Gong doctrine that could have been understood by a cultivator in China 1000 years ago," along with some of the teachings, such as those about extraterrestrials, for example, "that could not have appeared in China before the late 1980s".[19] He says this is a "synthesis of age-old traditions and contemporary modes".[19]

Schechter reports a discussion with Falun Gong spokesman Erping Zhang on the subject, when he asked for Zhang's views on "higher consciousness" in this connection. Zhang said: "Higher consciousness is a commonly used term in Eastern cultivation [where] … one can reach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via meditation. Higher consciousness may also refer to consciousness beyond this physical dimension. Levitation is a phenomenon or a by-product of one's cultivation of mind and body."[51] The phenomenon of levitation seems also mentioned, in passing, in one of the lectures. Li explains the phenomenon of levitation as being possible because once the human body's matter, which is "related to the Earth and is composed of surface-matter particles", has undergone transformation through cultivation of human-body, "it has severed its connection to the particles in this environment, and hence is no longer restricted by cohesive forces caused by interaction of matter of this particular realm."

Karma and the cycle of rebirth[edit]

Falun Gong teaches that the spirit is locked in the cycle of rebirth, also known as samsara [52] due to the accumulation of karma.[41] This is a negative, black substance that accumulates in other dimensions lifetime after lifetime, by doing bad deeds and thinking bad thoughts. Falun Gong states that karma is the reason for suffering, and what ultimately blocks people from the truth of the univers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At the same time, is also the cause of ones continued rebirth and suffering.[41] Li says that due to accumulation of karma the human spirit upon death will reincarnate over and over again, until the karma is paid off or eliminated through cultivation, or the person is destroyed due to the bad deeds he has done.[41]

Ownby regards the concept of karma as a cornerstone to individual moral behaviour in Falun Gong, and also readily traceable to the Christian doctrine of "one reaps what one sows". Ownby says Falun Gong is differentiated by a "system of transmigration" though, "in which each organism is the reincarnation of a previous life form, its current form having been determined by karmic calculation of the moral qualities of the previous lives lived." Ownby says the seeming unfairness of manifest inequities can then be explained, at the same time allowing a space for moral behaviour in spite of them.[10] In the same vein of Li's monism, matter and spirit are one, karma is identified as a black substance which must be purged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10]

Falun Gong differs from Buddhism in its definition of the term "karma," Ownby says, in that it is taken not as a process of award and punishment, but as an exclusively negative term. The Chinese term "de" or "virtue" is reserved for what might otherwise be termed "good karma" in Buddhism. Karma is understood as the source of all suffering - what Buddhism might refer to as "bad karma" or "sinful karma". Li says that the bad things a person has done over his many lifetimes result in misfortune for ordinary people, and karmic obstacles for cultivators, along with birth, aging, sickness, and death.[10]

Ownby regards this as the basis for Falun Gong's apparent "opposition to practitioners' taking medicine when ill; they are missing an opportunity to work off karma by allowing an illness to run its course (suffering depletes karma) or to fight the illness through cultivation." Penny shares this interpretation. Since Li believes that "karma is the primary factor that causes sickness in people", Penny asks: "if disease comes from karma and karma can be eradicated through cultivation of xinxing, then what good will medicine do?"[19] Li himself states that he is not forbidding practitioners from taking medicine, maintaining that "What I'm doing is telling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ing cultivation and medicine-taking". Li also states that "An everyday person needs to take medicine when he gets sick."[53] Schechter quotes a Falun Gong student who says "It is always an individual choice whether one should take medicine or not."[51]

Controversies[edit]

Li Hongzhi's conservative moral teachings have caused some concern in the West, including his views on homosexuality, democracy and science.[54] During a lecture in Australia, for instance, Li Hongzhi said that things such as organized crime, homosexuality, and promiscuous sex, and so on are not standards of being human.[55] In light of Li's teachings on homosexuality as immoral, a nomination of Li for the Nobel Peace Prize by San Francisco legislators was withdrawn in 2001.[56][57][58] The Falun Dafa Information Center states that the group welcomes gays, lesbians, and bisexuals to the practice, that they are not accorded special treatment, and that while Falun Gong teaches that certain practices "generate more karma", this does not equate to a position statement, social stance, or regulation.[59]

In discussing the portrayal of Falun Gong as "anti-gay," Ethan Gutmann notes that Falun Gong's teachings are "essentially indistinguishable" from traditional religions such as Christianity, Islam, and Buddhism.[60] Some journalists have also expressed concern over Falun Gong's teachings on the children of interracial marriages,[61][62] and noted a belief in distinct heavens for people of different races.[63] Concern stems from a statement of Li's identifying such children as products of "a chaotic situation brought about by mankind" indicative of "the Dharma-ending period".[55] The Falun Dafa Information Center noted that this aspect of the practice's cosmology "in no way amounts to an endorsement of racial purity," adding that many Falun Gong practitioners have interracial children.[64]

Opinions among scholars differ as to whether Falun Gong contains an apocalyptic message, and if so what the consequences of that are. Li situates his teaching of Falun Gong amidst the "Dharma-ending period" (末法), described in Buddhist scriptures as an era of moral decline when the teachings of Buddhism would need to be renewed.[65][66] Richard Gunde, Assistant Director of the Center for Chinese Studies at UCLA, argues that Falun Gong is unlike western cults that fixate on death and Armageddon, but merely promises its followers a long and healthy life. "Falun Gong has a simple, innocuous ethical message," Gunde says, "and its leader, Li Hongzhi, despite his unusual, if not bizarre, statements, is in many ways simple and low key."[67]

About aliens, Li claimed that extraterrestrial aliens are actively intervening in human affairs.[68][69] Li claimed that aliens developed and introduced the technology used by humans today.[70][71] Li has denounced modern technology as part of an alien plot to undermine morality.[72] Li believes that human inventions such as mechanical flight and electronic computers were given to humans by aliens.[73]

References[edit]

  1. ^ Zhuan Falun, Li Hongzhi, free online copy of English version, draft translation edition (Feb. 2003, North America), accessed 02/13/2018
  2. ^ Falun Gong, Li Hongzhi, free online copy of English version, 7th Translation Edition, April 2016, accessed 02/13/2018
  3. ^ Zhuan Falun. Turning the Law Wheel, Li Hongzhi, free online copy of English version, draft translation edition (Feb. 2003, North America), accessed 02/13/2018
  4. ^ Chapter One, The Great Consummation Way of Falun Dafa, Li Hongzhi, November 13, 1996, retrieved July 4, 2007
  5. Jump up to:a b c Why Doesn’t Your Gong Increase With Your Practice?, Zhuan Falun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31/12/07
  6. ^ Qigong Is Cultivation Practice, Zhuan Falu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2007-12-31
  7. Jump up to:a b c d e Penny, Benjamin, "The Falun Gong, Buddhism and 'Buddhist qigong'", Asian Studies Review (March 2005) Vol 29, pp. 35–46.
  8. ^ Li Hongzhi Zhuan Falun, Third Translation Edition (Updated March, 2000) USA Internet Version retrieved June 14, 2006
  9. Jump up to:a b Falun Gong, Chapter 6.1, Li Hongzhi, 7th Translation Edition, 2016, accessed February 16, 2018
  10.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David Ownby, Falun Gong and the Future of China (2008) Oxford University Press
  11. Jump up to:a b c d Chan, Stephen, "A New Triptych for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Beyond Waltz and Beyond Lacan's Antigone, with a Note on the Falun Gong of China," Global Society, 2003, 17:2, 187–208
  12. Jump up to:a b c Ownby, David, "A History for Falun Gong: Popular Religion and the Chinese State Since the Ming Dynasty", Nova Religio, Vol. ?, pp. 223–43
  13. Jump up to:a b David Ownby, "The Falun Gong in the New World," Europea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September 2003, Vol. 2 Issue 2, p. 306
  14. Jump up to:a b c d e f Zhao, Yuezhi, "Falun Gong, Identity, and the Struggle over Meaning Inside and Outside China", pp. 209–23 in Contesting Media Power: Alternative Media in a Networked World, ed. Nick Couldry and James Curran, Rowman & Littlefield: 2003.
  15. ^ Kavan, H. (2008). "Falun Gong in the media: What can we believe?". Power and Place: Refereed Proceedings of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mmuni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 1 - 23).
  16. Jump up to:a b c Chang, Maria Hsia (2004) Falun Gong: The End of Days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10227-5
  17. ^ Radio National, Falun Gong: Cult or Culture?, produced by Chris Bullock, [1], accessed 2007-09-19.
  18. Jump up to:a b c "Falungong as a Cultural Revitalization Movement: An Historian Looks at Contemporary China." Professor David Ownby, Department of History, University of Montreal, accessed 2007-12-31
  19. Jump up to:a b c d 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Falun Gong, A lecture by Harold White Fellow, Benjamin Penny, at th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Canberra, 2001, accessed 2007-12-31
  20. ^ Clearwisdom.net, Awards and Recognitions
  21. Jump up to:a b David Palmer, Qigong Fever: Body, Science, and Utopia in China (2007),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 Teaching the Fa at the Conference in Europe
  23. ^ Palmer, David. Qigong fever: body, science, and utopia in China. New York: Columbia Press, 2007. Page 243.
  24. ^ Palmer (2007), pg 244
  25. ^ Falun Gong Cultivation Practice System
  26. ^ Zhuan Falun, Qigong is Cultivation Practice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01/02/08
  27. ^ Danny Schechter, Falun Gong's Challenge to China: Spiritual Practice or Evil Cult?, Akashic books: New York, 2001, pp. 47-50.
  28. Jump up to:a b Zhuan Falun, Loss and Gai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31/12/07
  29. Jump up to:a b c Li Hongzhi, Zhuan Falu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Lecture Four, Upgrading Xinxing, accessed 31/12/07
  30. ^ Falun Gong
  31. ^ Zhuan Falu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32. ^ Falun Gong, The World Book Encyclopaedia, 2002
  33. ^ Benjamin Penny: Life and Times of Li Hongzhi, CJO. The China Quarterly (2003), 175:643-661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S0305741003000389
  34. ^ Kavan, Heather (July 2008). "Falun Gong in the media: What can we believe?" (PDF).
  35. ^ Li Hongzhi, Zhuan Falun, Volume II Archived 2011-08-21 at the Wayback Machine, published 1996, translated June 2008, accessed 2008-06-21
  36. ^ Li Hongzhi's Lecture in Sydney
  37. Jump up to:a b Zhen Shan Ren Is The Sole Criteria For Discerning Good and Bad, Zhuan Falu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2007-12-31
  38. ^ Fa Lecture U.S. West Fa Conference, 2003/2/27, accessed 2007-12-31
  39. Jump up to:a b c d e f g Li Hongzhi, Falun Gong, Updated April 2001, accessed 2007-03-10, p 49
  40. ^ Genuinely Guiding People To High Levels, Zhuan Falu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31/12/07
  41. Jump up to:a b c d e Transformation of Karma, Zhuan Falun Lecture 4, accessed 01/01/08
  42. ^ Reverse Cultivation and Gong Borrowing, Zhuan Falun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01/02/08
  43. ^ Whoever Practices Cultivation Will Attain Gong, Zhuan Falun Archived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01/02/08
  44. ^ 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2007-12-31
  45. ^ p 212[full citation needed]
  46. ^ Li Hongzhi, Teaching the Fa at the 2004 International Fa Conference in New York, from falundafa.org, accessed 20/5
  47. ^ Li Hongzhi, Falun Buddha Fa: Lectures in the United States, 1997, accessed 21/06/08
  48. Jump up to:a b https://en.falundafa.org/eng/lectures/19980904L.html
  49. ^ Danny Schechter, Falun Gong's Challenge to China: Spiritual Practice or Evil Cult?, Akashic books: New York, 2001, p. 66
  50. ^ Richard Madsen, Understanding Falun Gong, Current History, Sept 200; 99, 638; Academic Research Library, pg. 243
  51. Jump up to:a b Danny Schechter, Falun Gong's Challenge to China: Spiritual Practice or Evil Cult?, Akashic books: New York, 2001.
  52. ^ Transcending the Five Elements and Three Realms, Zhuan FalunArchived 2011-06-09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31/12/07
  53. ^ Lectures in United States, 1997, Li Hongzhi
  54. ^ http://gb.falundafa.org/chigb/hongyin.htm#68
  55. Jump up to:a b Li Hongzhi (2011). "Lecture in Sydney"falundafa.org. Retrieved 29 October 2011.
  56. ^ Ellis, David H. "Falun Gong tries to join Chinatown Independence parade". Downtown Eexpress.
  57. ^ Ontaria Consultants on Religious Tolerance. "INTRODUCTION TO FALUN GONG & FALUN DAFA Its terminology, symbol, texts, beliefs, web sites, & books". religioustolerance.org. Retrieved 6 January 2010.
  58. ^ Lubman, Sarah [ "A Chinese Battle on U.S. Soil" in San Jose Mercury News (23 December 2001)] retrieved 14 June 2006
  59. ^ Falun Dafa Information Center, "Misconceptions: "Intolerant"?", 16 June 2008
  60. ^ Ethan Gutmann, "China's Policies Toward Spiritual Movements", though Falun Gong's attitudes to homosexuality seem more negative than many other traditional Buddhists. Congressional-Executive Commission on China Roundtable discussion, 18 June 2010.
  61. ^ Paul Vallely and Clifford Coonan (22 April 2006). "China's enemy within: The story of Falun Gong - Asia, World - The Independent"The IndependentLondonINMISSN 0951-9467OCLC 185201487. Retrieved 28 October2011.
  62. ^ Smith, Craig S. (April 30, 2000). "Rooting Out Falun Gong; China Makes War on Mysticism"New York Times.
  63. ^ Ian Johnson, A Deadly ExerciseThe Wall Street Journal, April 20, 2000
  64. ^ "FalunInfo.net - Misconceptions: 'Intolerant'?"faluninfo.net. 2011. Retrieved 29 October 2011practice
  65. ^ Susan Palmer and David Ownby, Field Notes: Falun Dafa Practitioners: A Preliminary Research Report, Nova Religio, 2000.4.1.133
  66. ^ Benjamin Penny, "Falun Gong, Prophecy and Apocalypse," East Asian History, vol. 23, pp. 149-167.
  67. ^ Gunde, Richard. Culture and customs of Chin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p. 215
  68. ^ Biema, David Van (May 10, 1999). "The Man with the Qi"TIME.
  69. ^ Warren Matthews (6 June 2012). World Religions. Cengage Learning. pp. 383–. ISBN 978-1-111-83472-2.
  70. ^ Li Hongzhi, Teaching the Fa at the Western U.S. Fa Conference, February 21 and 22, 1999, Los Angeles
  71. ^ Benjamin Penny (1 March 2012). The Religion of Falun Go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31–. ISBN 978-0-226-65502-4.
  72. ^ David A. Palmer (13 August 2013). Qigong Fever: Body, Science, and Utopia i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227–. ISBN 978-0-231-51170-4.
  73. ^ James R. Lewis; Olav Hammer (19 November 2010). Handbook of Religion and the Authority of Science. BRILL. pp. 157–. ISBN 978-90-04-18791-7.

External links[edit]

  • Listing of Falun Gong books available in PDF and DOC formats
  • Clearwisdom website (English version of Minghui.org)
  • Falun Gong. Considered an introductory exposition of the principles of Falun Gong and the concept of 'cultivation practice' along with descriptions of the exercises of Falun Gong. First published in April, 1993.
  • Nine Day Lectures on Falun Dafa. From 1992 to 1994, Li Hongzhi presented his teachings across China, the contents of which were ultimately edited and compiled into the book Zhuan Falun. The teachings entailed a one- to two-hour lecture on each of 8 to 10 consecutive days. Exercise instruction was offered thereafter. The final of these lecture series, delivered in Guangzhou, China, in 1994, were recorded live and they form a central part of Falun Gong's teachings.
  • Zhuan Falun-Turning the Law Wheel. Considered the central and most comprehensive exposition of the teachings of Falun Gong.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95.
  • Hong Yin – Grand Verses. A collection of short poems written by Li, often touching upon issues pertinent to the traditional Chinese concept of cultivation practice.
  • Lectures and Writings. Transcripts of Lectures delivered by Li and articles periodically published by him also form a central part of Falun Gong's teachings.
  • Erping Zhang on Charlie Rose

알라딘: [전자책] 공부하다 죽어라

알라딘: [전자책] 공부하다 죽어라
공부하다 죽어라 - 혜암스님의 벼락같은 화두  epub 
정찬주 (지은이),유동영 (사진)열림원2015-01-13 




책소개

4백여 군데의 암자를 순례하였으며 암자기행 전문가라고 불리는 작가 정찬주, 
30여 년간 불교 소재의 소설과 산문을 집필하여온 그가 이번에는 혜암스님이 세상에 던진 벼락같은 화두를 좇아 <공부하다 죽어라>를 발간했다. 
성철스님이 평생 정진했던 뜻을 모아 펴낸 <자기를 속이지 말라>, 
법정스님의 고결한 삶을 좇아 써내려간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에 이은 또 하나의 산문집이다.

혜암스님은 승속을 불문하고 늘 '공부하다 죽어라'라고 법문하신 분으로 유명하다. 작가 정찬주는 스님이 수행했던 산중암자를 다니면서 문득 '공부하다 죽어라'가 절 울타리 안의 단순한 법문이 아니라 우리 같은 보통사람들에게 던진 벼락같은 화두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각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해당될 거라고 했다.

이 책은 혜암스님이 정진했던 가야산, 오대산, 지리산, 태백산, 영축산 등을 가서 스님의 삶을 거울삼아 저자 정찬주가 인생을 반조해보는 틀로 써내려간 산문집이다.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 큰스님이 주로 일반 신도들을 대상으로 한 법문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혜암스님의 화두 드는 법을 설법한 글을 엿볼 수 있기도 하다.


목차
서문
지금 하는 일이 공부다

제1장 가야산 1
백 척 장대 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라
선禪이란 자기 정신으로 살고자 하는 인생 공부다
마음이란 경전은 항상 환한 빛을 발하고 있네

제2장 오대산
청산은 나를 보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라 하네
겨울을 나지 않은 인동초가 어찌 꽃을 피울 수 있으리

제3장 지리산
그대가 지금 하는 일이 바로 공부다
뜻은 처음처럼, 행동은 한결같이 하라
별은 단잠을 즐기라고 반짝이는 것이 아니다
연꽃을 보고 자비로써 중생을 보살펴라

제4장 태백산
공부하는 사람들은 가난부터 배워라

제5장 영축산
공부에 진취가 없거든 다리를 뻗고 울어라

제6장 가야산 2
부처도 내 공부 해주지 않는다

혜암스님 어록
혜암스님 행장

------------------------------
정찬주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자기다운 삶으로 자기만의 꽃을 피워낸 역사적 인물과 수행자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해온 작가 정찬주는 1983년 《한국문학》 신인상으로 작가가 된 이래, 자신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변함없이 천착하고 있다. 호는 벽록檗綠.
1953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고, 국어교사로 잠시 교단에 섰다가 《월간문학》 등에서 편집자의 삶을 시작했으며, 십수 년간 샘터사 편집자로 법정스님 책들을 만들면서 스님의 각별한 재가제자가 되었다. 법정스님에게서 받은 ‘세속에 있되 물들지 말라’는 무염無染이란 법명을 마음에 품고, 전남 화순 계당산 산자락에 산방 이불재耳佛齋를 지어 2002년부터 그곳에서 텃밭을 일구며 자연에 둘러싸여 집필에만 전념 중이다. 성철스님의 일대기를 그린 장편소설 《산은 산 물은 물》, 4백여 곳의 암자를 직접 답사하며 쓴 《암자로 가는 길》(전 3권)을 비롯하여, 이 땅에 수행자가 존재하는 의미와 우리 정신문화의 뿌리를 일깨우는 수십 권의 소설과 산문집들을 펴냈다. 장편소설 《소설 무소유》 《이순신의 7년》(전 7권) 《천강에 비친 달》 《니르바나의 미소》 《천불탑의 비밀》 《다불》 《만행》 《대백제왕》(전 2권) 《가야산 정진불》(전2권) 《야반삼경에 촛불춤을 추어라》(전 2권) 《나는 조선의 선비다》(전 3권) 등, 산문집 《법정스님의 뒷모습》 《길 끝나는 곳에 길이 있다》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 《자기를 속이지 말라》 《선방 가는 길》 《정찬주의 다인기행》 등, 동화 《마음을 담는 그릇》 《바보 동자》 등이 있다. 행원문학상, 동국문학상, 화쟁문화대상, 류주현문학상을 수상했다. 접기
수상 : 2010년 동국문학상
최근작 : <다산의 사랑>,<천강에 비친 달 (큰글자도서)>,<광주 아리랑 2> … 총 116종 (모두보기)
유동영 (사진)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졸업. 계간지 《디새집》, 『책 한 권으로도 모자랄 여자 이야기』(공저)의 글과 사진을 맡았으며, 『선방 가는 길』, 『암자로 가는 길 2』, 『정찬주의 다인기행』, 『소설 무소유』 등의 사진을 찍었고 《미디어 붓다》를 비롯한 매체에 사진을 연재 중이다.
최근작 : <책 한 권으로도 모자랄 여자이야기> … 총 2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성철스님 이야기 『자기를 속이지 말라』
법정스님 이야기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에 이어
혜암스님이 정진했던 암자를 따라가며 써내려간 이야기가 담긴
또 하나의 산문집!

“공부하다 죽어라”
― 무아를 체험하는 수행의 길

4백여 군데의 암자를 순례하였으며 암자기행 전문가라고 불리는 작가 정찬주, 30여 년간 불교 소재의 소설과 산문을 집필하여온 그가 이번에는 혜암스님이 세상에 던진 벼락같은 화두를 좇아 『공부하다 죽어라』를 발간했다. 몇 해 전 성철스님이 평생 정진했던 뜻을 모아 펴낸 『자기를 속이지 말라』, 재작년 연초 법정스님의 고결한 삶을 좇아 써내려간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에 이은 또 하나의 산문집이다.
『자기를 속이지 말라』를 통해 성철스님이 암자에서 무엇을 공부했고 어떻게 살았는가라는 질문을 화두 삼아 참다운 삶과 수행의 의미를 살펴보았다면, 『그대만의 꽃을 피워라』를 통해서는 자기다운 영혼이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주며 법정스님이 몸소 체화했던 무소유 사상의 성립부터 완성까지의 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 혜암스님의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씀을 화두 삼아 무아를 체험하는 수행의 길을 안내하려는 것이다.

혜암스님은 세상나이 82세로 2001년 12월 31일 해인사 원당암 미소굴에서 입적했다. 스님께서는 수행을 시작할 때와 입적할 때가 같았다고 전해지는데 똑같이 정진하는 자세였다고 한다. 등을 방바닥에 대지 않는 장좌불와 수행 모습이 바로 그것이다. 입적하실 때도 스님은 의자에 앉은 채 가야산을 바라보는 자세로 돌아가셨던 것이다.

참선은 살길을 찾는 공부다
이 책은 혜암스님이 정진했던 가야산, 오대산, 지리산, 태백산, 영축산 등을 가서 스님의 삶을 거울삼아 저자 정찬주가 인생을 반조해보는 틀로 써내려간 산문집으로, 2012년 9월부터 3개월간 총12회에 걸쳐 교보문고 북로그에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던 글을 모은 것이다. 여기에는 연재 당시 공개하지 않았던 혜암스님의 어록이 함께 실려 있는 바,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 큰스님이 주로 일반 신도들을 대상으로 한 법문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혜암스님의 화두 드는 법을 설법한 글을 엿볼 수 있기도 하다.

늙은 쥐가 쌀궤를 한 구멍만 뚫듯 해야 합니다. 미련한 쥐나 어린 쥐는 경험이 없기 때문에 쌀궤를 뚫을 적에 이짝에 뚫었다 저짝에 뚫었다 하는데 늙은 쥐는 쌀궤를 많이 뚫어봤기 때문에 쌀이 나오든 말든 죽어라고 한 구멍만 뚫습니다. 화두 공부도 늙은 쥐가 쌀궤 뚫듯이 해야 도가 깨달아집니다.
공부가 안 된다고 저리 따져보고 이리 따져보고 또 다른 화두로 바꾸고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한 구멍만 뚫으면서 오늘 못다 뚫으면 또 내일 뚫고 내일도 못 뚫으면 또 모레…… 조금씩 뚫더라도 자꾸 애써 뚫으면 뚫어지는 것입니다.
당장 화두가 잘 안 들리더라도 그 노력이 헛된 것은 아니니 의심하지 말고 한 근을 못 들 사람은 한 근을 들려고 애쓰고 두 근을 못 들 사람은 두 근을 들려고 애쓰는 것이 공부입니다. -혜암스님 어록 중에서

무슨 일이든 죽을 각오로 임한다면 못 이룰 일이 없다
혜암스님은 승속을 불문하고 늘 ‘공부하다 죽어라’라고 법문하신 분으로 유명하다. 작가 정찬주는 스님이 수행했던 산중암자를 다니면서 문득 ‘공부하다 죽어라’가 절 울타리 안의 단순한 법문이 아니라 우리 같은 보통사람들에게 던진 벼락같은 화두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각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해당될 거라고 했다. 다시 말해 학생은 무아를 느낄 때까지 즐겁게 공부해야 하고, 직장인은 조직 속에서 무아를 경험할 만큼 나를 비워야 하고, 우리 사회의 지도자들 역시 나를 버리는 무아 상태에서 희생하고 봉사해야 된다는 것이다. 무슨 일이든 죽을 각오로 임한다면 못 이룰 일이 없다는 얘기가 될 터이다.

혜암스님이 말씀하신 ‘공부하다 죽어라’는 직접적으로는 위법망구爲法忘軀, 진리를 구하고자 한다면 몸을 버리라는 의미이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무슨 일을 하든지 지금 자기가 집중하고 있는 일에 나라는 존재가 사라질 때까지 녹아들라는 의미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내가 자각한 바는 바로 이것이다. 우리가 지금 하는 일에 스님의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씀을 화두 삼아 무아를 체험할 수 있을 정도로 온몸을 다 바친다면 그것이 바로 수행이고 삶의 행복이 아닐까 싶다. 그 일이 자기를 위하고 남을 위한 일이라면 복덕福德까지 쌓는 일이니 얼마나 더없는 행복이고 정진인가! - 저자 서문 중에서

그대가 지금 하는 일이 공부다
혜암스님은 화두를 들고 공부하는 것이 나를 알고 인생을 아는 데 지름길이라고 말씀했다. 화두를 들고 공부하는 것을 간화선이라 일컫는다고 한다. 1998년 여름 스님을 찾아뵙고 인생의 의혹들을 물었던 기억을 떠올리며 저자는 미소굴 입구 기둥에 스님의 친필로 쓰여 있는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법문을 되새기는 가운데, 중국의 당송시대에 만개했던 간화선을 왜 오늘을 사는 우리 같은 보통사람들에게 간곡히 권유하셨는지 그 뜻을 알아야 비로소 혜암스님을 이해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혜암스님은 지나간 것에 마음을 두지 말고 지금 하는 일에만 마음을 두라면서 공부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바로 공부라고 말씀했다. 참선만이 아니라 지금 하고 있는 일에 심신을 다 바치는 것을 공부로 여겼던 혜암스님에게는 암자를 하나 짓는 것도 수행이고 정진이요, 막노동도 수행이었다. 그런 스님은 일을 할 때 혼신의 힘을 다한 나머지 밤에 잘 때는 끙끙 앓을 정도가 돼야 비로소 ‘오늘 하루 공부 잘했다’고 점수를 주었다고 한다. 혜암스님은 문수암을 지나가는 등산객들에게도 직업이 무엇이건 간에 지금 자신이 몸담고 있는 일에 목숨 바치듯 정성을 다하는 것이 참 공부라고 가르치셨다.

‘공부하다가 죽으면 안 죽어요. 옳은 마음으로 옳은 일 하다가 죽으면 안 죽어요.’ 공부하되 ‘옳은 마음’으로 할 것을 경책하신다. 스님의 말씀은 늘 단순하고 명쾌하시다. 옳은 마음으로 공부하지 않으면 진짜 죽는다는 말씀이다. 그렇다. 무엇을 하되 대의(大義, 옳은 마음)를 잃어서는 안 된다. 수좌의 공부 끝은 중생제도로 돌아가야 하고, 세상 우리의 공부 끝은 나보다는 남을 이롭게 하는 곳으로 돌아가야 한다. -p. 212

혜암스님 약력

혜암스님은 1920년 전남 장성에서 태어나 1946년 해인사에서 인곡스님을 은사로 득도했으며 효봉스님으로부터 비구계를 받았다. 승가와 재가를 구분하지 않고 오로지 ‘공부하다 죽어라’라고 서릿발같이 독려하던 스님의 생애는 끝없는 정진뿐이었다. 해인사로 출가한 27세부터 방바닥에 눕지 않는 장좌불와 수행과 하루 한 끼만 먹는 일종식을 평생 동안 지켰다. 스님은 한국의 대표적인 선승으로서 성철스님 이후에는 종단개혁에 앞장섰다. 해인총림 방장,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등을 거쳐 조계종 제10대 종정에 추대됐으며 2001년 12월 31일 해인사 원당암 미소굴에서 법랍 56세, 세수 82세로 열반했다. 접기
평점분포    10.0
    100%
    0%
    0%
    0%
    0%
100자평 
구매자 (1)
전체 (4)
공감순 
     
선승 혜암스님 이야기...정찬주 작가는 박식한 불교지식으로 한 노승과 불가의 이야기를 담담하면서도 정갈한 필치로 글을 참 잘 쓰네요...마음이 참 편안합니다. 종교적 편견과 관계없이...좋은 책!  구매
청보리 2013-03-09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

     
내가 지금 하는 일이 공부다 새창으로 보기


 

적선지가(積善之家) 필유여경(必有餘慶),,,선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집안에 경사가 있다

대가를 바라고 복을 받으려고 도와준다는 것은 옳은 생각이 아니다 정말 선을 쌓은 우리 가정이 되고 싶다

공부잘하는 방법

잠은 네시간만 잘것, 이유없이 돌아다니지 말것, 쓸데없이 말하지 말것 ,밥많이 먹지 말것

밥 먹는것이 공부 공부는 밥 먹는 것하고 둘이 아니며 밥은 공부하기 위한 약으로만 먹으라

밥을 적게 먹으면 말도 많이 안하게 되며 적게 먹으면 기운이 넘치지 않으니까 잠도 안 온다

팔 하나 잘라버릴 각오로 공부하라

선도 악도 집착하지 않고 무심히 사는 자리가 본래자리이니 바로 그 본래 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걸림없이 사는 것이 행복한 인생이다

선이란 특별한 것이 아니라 믿음에서 바로 들어가는것이 선 수행이란 자세히 들여다보면 믿음의 순도를 높여가는 것 그방법은 빼기,,,

사람의 생명은 건강입니다 건강은 누가 만드는가 하면 마음이 만들어요 건강하고 오래 사는 운명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마음밖에는 아무것도 없어요 마음이 건강을 만들기도 하고 파괴하기도 합니다 절대로 운명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공부하다가 죽으면 안 죽어요 옳은 마음으로 옳은 일 하다가 죽으면 안 죽어요

 

 

- 접기
열정맘 2013-04-09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나에게 향한 독한 죽비 새창으로 보기
 

  언제부터인가 되는대로 살았다. 지금 아쉬운 것들을 해결하기 위해, 그리고 과거에 했지만 잘 이루지 못해 아쉬워서 그냥 했던 것들로 내 생활의 쓰레기들이 넘쳐났다. 그런 과정 속에서 나는 왜 해야 하는가라는 자성을 잃어 버렸고, 미래를 계획하는 일조차 잃었다. 그냥 길이 있으니 길을 따라 가는 그런 행인, 그게 나였다. 이런 나에게 혜암스님의 인생과 말씀을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는 매우 독한 죽비가 되어 나를 호되게 치고 말았다.
  참 시의적절하다고 해야 할까? 지금의 나에게 필요했던 그런 것들을 담고 있었다. 어느 순간 삶의 긴장 속에서 나의 마음과 의지는 녹아 버렸다. 지금의 일에 치이고 과거의 뿌연 욕망 속에서 허우적거리면서 뭘 해야 할지 모른 채 오늘을 살고 있다. 용맹정진이란 단어의 생활화가 거의 이뤄질 수 없는 정신자세의 지속, 이건 확실히 오늘의 나를 표현한 말이다. 그래서 책을 읽은 지금, 이 책이 참 고맙다.
  불교의 진미를 느끼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차별과 구별, 그리고 주관을 통해 만든 인식으로 인해 고통 받게 되는 한 개인은 사실 고해의 한가운데 있게 된다. 이것을 벗어나는 지혜를 부처께선 얻고자 그리 큰 고행을 하셨을 게다. 그래서 얻은 현묘한 불법,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한 법인가 보다. 부처님보다 불법이 앞서면서, 불법보다 스님이 앞선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 이 시대를 살면서 아무리 뛰어난 불법이라도 그것을 지금의 우리들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능력 있는 이가 없다면 부처의 가르침은 불기 1년, 그 시절에 있었던 좋은 내용이었을 뿐이다. 뛰어난 스님들이 있었기에 불법은 지금까지 내려 온 것이며 그런 분들 중 혜암스님이 계신다.
  이 책을 통해 만나게 된 고인의 뛰어난 모습은 비록 몸은 여기 없으시지만 그 분의 지혜는 지금도 여기에 있도록 하게 된다. 사람으로서 고통일 수밖에 없는 장좌불와를 통한 공부는 인간의 한계까지 가면서 공부하는 그분의 의지를 이야기한다. 책 제목인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의 다른 표현일 것이다. 그런 공부 과정에서 이 책을 읽는 본인에게 없었던 다양한 것들을 보게 된다. 의지는 있었는지, 과거에 너무 얽매이지 않았는지, 그리고 과연 죽어라 공부를 했는지… 참 부끄러운 것들이 마음 속에서 계속 생겼다. 그리고 참 아팠다.
  책 속 행간에 담긴 글 하나하나, 그리고 당신의 말씀 하나하나 역시 진미를 느끼게 한다. ‘그대가 지금 하는 일이 바로 공부다’, ‘내 마음을 모르는데 자유가 어디 있고, 성공이 어디 있을 수가 있겠습니까?’, 등의 이야기는 이 책을 읽는 동안 가슴을 설레게 했다. 또한 현기스님의 말씀이셨던 ‘왜 과거를 들먹이지요? 과거는 이미 사라지고 없는 거요’라는 문장에서 내 고민에 대한 해결책의 실마리가 보이기도 하다. 또한 이런 뛰어난 문구뿐만 아니라 이 책은 비록 스님들의 말씀을 담았지만 뛰어난 논리적 구성도 갖췄다. 삼단논법의 진국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세상을 보는 시각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구성이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는 내내,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불교에서 어떻게 구성했는지가 개인적으로 화두였다. 탈속을 통한 도를 닦음은 개인적일 수 있는 행위인데 이런 행위를 어떻게 공동체적으로 변화시킬 지가 궁금했다. 이 책은 그런 개인적인 질문에 대해 답을 해주기도 했다. 공부는 자기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고, 그 궁극의 목표는 바로 공동체라는 목표를 분명히 했다. 개인적 어설픈 지식이 호되게 질타당하게 됐다.
  좋은 내용과 좋은 사진, 이런 것들은 좋은 책이라면 반드시 갖춰야 할 것들이다. 다행히 이 책은 좋은 책의 교과서가 된 것 같다. 그로 인한 기쁨은 독자들이 누릴 것이다. 책의 목표가 독자에게 향한 것이라면 저자와 사진작가의 고행은 좋은 결과를 낳은 것이라. 책의 진미가 뚝뚝 흐르는 이 책 속을 통해 올해가 나에게 매우 좋은 시간이 될 것이란 확신이 든다. 비록 책 속의 내용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용기와 역량은 부족하지만 그래도 이 세상을 살면서 불가의 지혜를 조금이라도 얻어 지금의 나를 조금이라도 성숙시킬 수 있다면, 이 책을 읽었던 시간은 고마운 때가 된다. 그리고 혜암스님께서 비록 입적하셨지만 그 가르침으로 인해 많은 이들에게 좋은 시간과 행복을 주고 있어서 무척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 접기
novio 2014-01-08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
공감
마이페이퍼
전체 (1)

공부하다 죽어라. 할!! 공부하다 죽어라. 할!! 새창으로 보기
  

나는 아직도 꿈꾸고 있다.

 

불이 꺼지지 않는 24시간 대학 도서관.에서 공부하다 죽는 꿈을....

 

나는 아직도 심각하고 중차대한 컴플렉스. 컴플렉스가 있다.

 

근데 이걸 컴플렉스.라고 지칭해야 할까?

 

아무튼 나의 20대, 더 정확히 콕 짚어서 객관적으로 되짚어 보면 나의 대학생활.은 암흑기. 암흑기. 그 자체였다.

 

아웃사이더는 기본이고 루저이면서 은둔형 외톨이.의 전형적이 삶을 살았다.

 

아직도 그때 그시절 암흑기. 암흑기.를 생각하면 나는 자다가 벌떡 일어설 정도이다.

 

아직도 경기를 일으킨다.

 

장점이나 긍정적인 면은 아예 없었다.

 

그야말로 칠흙같은 어둠과 우울과 불안만이 나의 영혼을 잠식 했었다.

 

몰론 10년 이상 지나버린 과거.다....지금에서야 찌질하게 반추하고 되돌아본다고 해서 나는 지금 이순간 단 1도 변하고 발전하지 못 한다.

 

하지만 그렇다.

 

나의 꽃 같은 청춘을 돌리도. 나의 푸르른 청춘을 돌리도.란 말이다.

 

그때 나는 무슨 일이든. 모든 일이 암흑 잿빛 천지. 였다

 

그때는 악마의 부름만 울리는 지옥. 디스토피아.였기 때문에 어떤 일이든 모든 일이 집중할 수 가 없었다. 책에는 활자에는 더욱이 집중을 전혀 할 수 없었다.

 

그러니까 도서관에 들어가서 조용히 책을 읽고 싶어도 활자가 도저히 눈에 안 들어왔다.

 

그리고 그때 그시절은 모든 인간들과 타인들의 시선이 너무나 무섭고 두려웠다. 무심히 길을 걷다가 설령 우연히 눈이라도 마주치면 나의 가슴은 못 볼 것 보거나 죄의식.을 느끼곤 했다. 한마디로 그들의 찰나의 시선도 너무도 무서웠다. 타인에 대한 공포증이 극에 달했다.

 

그래서 24시간 대학 도서관에서 들어가서 책을 읽고 공부를 하고 싶어도 타인의 시선이 너무나도 무섭고 공포스러웠기 때문에 출입 자체를 멀리하고 요리저리 돌고 돌아서 우회하는 방향만 선택했었다.

 

조금 덧붙이자면 그때는 모든 소리들이 //// 현실 세계.에서 방출되는 모든 소리 소리들이 나의 예민한 신경을 자극했다. 그래서 대학 도서관에서 그들의 시선도 무서웠지만 덩달아 책장 넘기는 소리. 의자 끄는 소리. 헛기침 하는 소리. 복도를 이리저리 걸어가는 소리에 온 신경을 빼앗겼었다. 그러니까 애초에 집중과 집중력.은 기대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던 것이다.

 

물론 지금은 그 증상이 거의 회복되었고 나는 가히 정상적으로 생활하고 활동하고 있다. 그래서 그나마 다행이다.

 

그래서 그때 그시절이 아주 가끔 나에게 말을 건다.

 

" 내 청춘을 돌리도. 내 꽃 같은 청춘을 돌리도란 말이다. " 

 

아직도 그때 24시간 도서관에서 단 한번이라도 공부를 미친듯이 해보지 못 할 것을 뼈저리게 후회하고 있다.

 

그래서 곧잘 생생하게 상상하고 있다.

 

24시간 도서관에서 공부만 드립다 파고 있는 모습을. 그곳에서 죽어라 죽어라 공부만 하는  모습을.

 

책에 파묻혀서 죽은듯이 공부만 하는 기계이고 싶다.

 

모든 것에 격리되고 고립된 채 24시간 대학 도서관의 따스하고 안정되고 평안한 공기 속에 파묻히고 싶다.

 

그러니까 향학열. 젊은이들이 내뿜는 그런 에너지와 공기 속에서 원없이 원없이 공부만 공부만 하고 싶은거다.

 

나의 서슬퍼런 한(恨).만 지금 현생에서 극복하고 보기 좋게 깨부수고 간절한 소원.만 이루어진다면 지금 죽어도. 지금 죽어도. (농담 아니다. 진심이다....) 여한이 없다.

 

 

 

 

 

 

 

 

 

 

 

 

 

 

 

 

 

 

 

 

 

 

 

 

 

 

 

 

 

 

 

 

 

 

 

 

 

 

 

 

 

 

 

 

 

 

 

 

 

 

 

 

 

 

 

 

 

 

 

 

 

 

 

 

 

 

 

 

 

 

 

 

 

 

 

 

 

 

 

 

 

 

 

 

 

 

 

-

 

선생님은 조용히 타이르고 어루고 다그치시지 않으셨다.

 

선생님은 일갈하셨다.

 

" 언제까지 중학생으로 살꺼야! 언제까지 중학생으로만 살꺼냐고! " 

 

순간 나는 백만볼트 전기에 감전 된 것 같았다.

 

벼락이 나의 뒤통수를 세차게 강타했다.

 

전에도 듣지도 보지도 못 한 첫 경험.이었던 것이다.

 

 

 

 

 

 

 

 

 

 

 

 

 

 

 

 

 

 

 

 

 

 

 

 

 

 

 

 

 

 

 

 

 

 

 

 

 

 

 

 

 

 

 

-

 

인정하기 싫으시겠지만,

 

지금 현재는 자신이 생각하고 평소에 자신이 품고 있는 잠재의식 잠재력에 움직이고 있을 따름입니다.

 

현재까지 이룬 부와 명예.도 자신이 평소 생각한 바 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 입니다.

 

신 (神.GOD) 은 언제나 당신 편 입니다.

 

신은 언제나 당신을 보필하고 당신에게 길을 터주고 열어주고 있습니다.

 

신이 존재한다고? 미친 놈~ 구라 까고 있네~ 거짓말 하지마~ 라는 당신의 원성이 보이지 않아도 눈에 훤합니다.

 

하지만 저는 지금도 신의 숨결과 손길을 매순간 매일매일 하루하루 느낄 수 있습니다.

 

인간은 #믿는대로 #마음먹은대로 #생각하는대로 #기도하는대로 움직이고 이루어집니다.

 

지금부터라도 믿어보세요~~ Reverse~PEACE~^^~

 

 

 

 

 

 

 

 

 

 

 

 

 

 

 

 

 

 

 

 

 

 

 

 

 

 

 

 

 

 

 

 

 

 

 

 

 

 

 

 

 

 

 

 

 

 

 

 

 

 

 

 

 

 

-

 

 

  






 

 

 

 

 

 

 

 

 

 

 

 

 

 

 

우리들의 뇌는 유년기.에 정착되고 확립되는 걸까?

 

아직도 뇌과학 책을 많이 읽어보진 못 했지만....우리들의 뇌는 어렸을 때의 경험과 자극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까 사료된다.

 

유년기의 경험치와 뇌.를 모두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순간부터 나의 삶은 극적으로 변화한다.

 

유년기의 뇌가 나를 성립했다고 백 퍼 받아들이고 현재의 순간순간.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어차피 뇌.를 강하게 독하게 독하게 강렬하게 단련하는 (일본의 대지성. 다치바나 다카시.의 책 제목에서 따 왔습니다....) 자 만이 유일하게 살아남고 오래오래 살아남을 수가 있지 않을까.

 

마지막 순간까지 살아남아라. 그것만이 지상 과제이다.

 

 

 

 

 

 

 

 

 

 

 

 

 

 

 

 

 

 

 

 

 

 

 

 

 

 

 

 

 

 

 

 

 

 

 

 

 

 

 

 

 

 

 

-

 

 

 

 

 

 

 

 

 

 

 

 

 

 

 

 

 

 

 

 

 

 

 

 

- 접기
진실에다가가 2019-01-19 공감 (13)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외국인 스님들이 쓴 [공부하다 죽어라]

공부하다 죽어라 -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현각,무심,무량,명행,텐진 위용,게셰 툽텐 룬둡,파나완사,아잔 지틴드리야,텐진 데키,무진,청고 (지은이),류시화,청아 (옮긴이),이종선 (사진)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2008-01-25




 미리보기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10%, 1,400원 할인)
마일리지
7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57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Sales Point : 1,204 
 9.1 100자평(4)리뷰(18)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절판 판권 소멸 등으로 더 이상 제작, 유통 계획이 없습니다.
품절센터 의뢰
보관함 +
- 절판 확인일 : 2020-10-23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91)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2,4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50쪽204*147mm455gISBN : 9788995757741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국내도서 > 에세이 > 명상에세이
이벤트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2003년 11월부터 이듬해 가을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수록한 책.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함께 우리말로 옮겼다. 본문에는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을 곁들였다.

달라이 라마로부터 계를 받은 게셰 툽텐 룬둡, 텐진 위용, 텐진 데키와, 아잔 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아잔 지틴드리야, 스리랑카에서 계를 받은 파나완사,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 계를 받은 현각, 명행, 무심, 무량, 무진, 청고 스님. 열한 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은 자신이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지, 미지의 길에서 무엇을 발견했는지 들려준다.
목차
옮긴이들의 말 - 특별하고 행복한 사건 / 청아, 류시화

첫째날 -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들 / 현각
둘째날 -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덧없는 렌터카 / 명행
셋째날 - 나를 버리고 나를 만나다 / 텐진 위용
넷째날 - 모기는 전생에 나의 어머니 / 게셰 툽텐 룬둡
다섯째날 - 누구도 특별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 파나완사
여섯째날 - 나는 감각세계의 모든 것을 맛보았다 / 아잔 디틴드리야
일곱 째날 - 고통은 자유를 거부한 당신이 치르는 대가 / 무심
여덟 째날 - 불행은 오래 기다린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 / 텐진 데키
아홉 째날 - 왜 사는가? 오직 모를 뿐! /무량
열째날 - 나는 죽음 없는 것을 발견했다 / 무진
마지막 날 - 어떤 꽃은 봄에 피고, 어떤 꽃은 가을에 핀다 / 청고

책속에서
자유의 상태에 머문다 해도, 그 상태에 아무리 오랫동안 머물더라도, 결국 고통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태, 어떤 장소, 어느 순간에도 중단하지 말고 순간순간 명상하라.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행동하라. 매순간 앉아 있든 서 있든, 말하든 침묵하든, 그 어떤 상태, 어떤 장소에서도 중단하지 말고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 된다. - 무심

수억 겁 동안 반복해 온 수많은 습관들은 우리의 마음 상태를 나쁘게 한다. 첫날에 생선은 신선하지만, 생선을 며칠 동안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면 그 생선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굉장히 나쁜 냄새가 날 것이다.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나 체험한 것들을 내려놓지 못하면, 이것들은 자신을 오만하게 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알고 있다는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 청고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현각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의 독실한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예일대학교를 나와 하버드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1990년 숭산 스님(1927~2004)을 만나 출가했다. 출가 이후 한국 선원에서 30여 차례에 걸쳐 안거했으며, 한국 불교를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서 왔다. 화계사 국제선원장을 지내고, 2009년 독일 뮌헨에 불이선원(不二禪院)을 여는 등 유럽에 한국 불교를 전파하는데 힘써오고 있다. 대표 저서로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가 있다.
최근작 : <선의 나침반>,<부처를 쏴라>,<공부하다 죽어라> … 총 13종 (모두보기)
무심 (無心)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8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보스턴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던 시절 숭산 선사를 만났다. 미국에서 숭산 선사와 함께 4년 수행 후 출가하여 한국에서 조계종 구족계를 받았다. 1984년 정식으로 출가했고, 1986년 비구계를 받았다. 2002년 부산에서 남산 국제선원을 개원한 이래로 선원장을 맡고 있으며, 계룡산 국제선원 무상사의 주지로 가르침을 펴고 있다. 숭산 스님의 <온 세상은 한 송이 꽃>을 엮었다. 지은 책으로는 <오직 할 뿐>(공저)이 있다.
최근작 : <인과를 알면 행복한 수행자>,<공부하다 죽어라>,<오직 할 뿐> … 총 6종 (모두보기)
무량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속명은 Erik Berall. 1959년 미국에서 태어나 예일대학을 다니던 중에 숭산 스님의 법문을 듣고 불교에 귀의했다. 1983년 출가한 그는 숭산 스님의 상좌로서 세계 곳곳을 여행했고 한국에서 화계사와 수덕사 등을 거처로 삼아 참선하고 전국을 만행했다. 그는 1989년 한국을 떠나 미국으로 돌아와 달마 젠 센터주지 등을 지냈으며 한국 불교의 포교에 힘써 왔다. 1993년부터 8년 넘게 캘리포니아 주의 모하비 사막에 한국식 전통 사찰 태고사(CA 마운틴 스피릿 센터)를 직접 건립하고 노동 수행을 통해 생태와 자연을 생각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을 실천에 옮기며 수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왜 사는가>, <오직 할 뿐>(공저), <공부하다 죽어라>(공저)가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왜 사는가 1>,<왜 사는가 2> … 총 4종 (모두보기)
명행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70년 미국 버지니아 주에서 태어났다. 1992년 코넬 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했다. '삶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라는 실존적인 의문을 탐구하던 중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의 선원을 찾아가 그곳에서 행해진 숭산 스님의 법문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1993년 한국으로 와 2년 동안 영어 강사로 일했으며, 1995년 숭산 스님을 스승으로 정식 출가승이 되었다. 1997년 직지사에서 사미계를 받고, 2003년 통도사에서 비구계를 받았다. 계룡산 국제선원 무상사에 머물다가 현재는 주로 화계사에서 지내고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텐진 위용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60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리즈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마음의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와 네팔을 여행하던 중 네팔 카트만두의 코판 사원에서 불교의 가르침으리 접하고 수행을 시작했다. 1986년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계를 받았고, 1992년까지 9년 동안 불교 서적을 전문으로 펴내는 미국 위즈덤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2001년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달라이 라마의 법회를 준비했다. 1992년 이래로 스승인 키압제 조파 린포체와 함께 세계 여러 나라를 다니며 불교를 전하고 있다.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게셰 툽텐 룬둡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패션계의 전설적인 인물이며 보그 지 편집장이었던 다이애너 브릴랜드의 손자로, 어릴 때 여러 나라에서 살았기 때문에 영어와 이탈리어, 스페인어와 티베트어에 능통하다. 1973년 아시아를 여행하다가 불교에 입문했고, 1977년 뉴욕 라토 다창 사원에서 키옹라 라토 린포체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다. 그 후 달라이 라마의 사진사로 활동하다가 1985년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티베트 난민 정착지 중 한 곳인 라토 사원에서 수행했다. 티베트 불교 철학의 박사 학위 '게셰'를 획득, 1998년 이후 뉴욕 티베트 센터의 책임을 맡고 있다. 엮은 책으로 <달라이 라마의 마음 공부>가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파나완사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1년 스리랑카 만다왈라에서 태어났다. 열 살 되던 해인 1961년 파나수마나 스님을 스승으로 출가해, 1980년 라만나 니카야 종파에서 파나라타나 스님으로부터 비구계를 받았다. 1975년 스리랑카 멜라니야 대학교에서 인문학 학사 학위를 받은 후, 1986년부터 중학교 교사로 11년간, 켈라니야 대학교 인문학과 강사로 2년간 재직했다. 그 후 프랑스로 건너가 프랑스 파리 소로본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2년간 공부했다. 1995년부터는 마틴 위크라마싱게의 <무집착>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고 틱낫한의 <반야심경 강의>를 스리랑카어로 번역했다. 1998년에는 시집을 출간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아잔 지틴드리야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60년 호주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어릴 때부터 동경하던 세계 탐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와 인도, 유럽 등지를 여행했다. 1987년 영구에 머물던 중 명상과 불교의 가르침에 진지한 관심을 갖고 영국 남부의 오염되지 않은 땅에 태국 출신의 스승 아잔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1988년 8계를 받고 정식 불교도로 입문했으며, 1990년 비구니계를 받았다. 그 후 수년 동안 영국과 호주, 미국의 아마라바티 종단에서 수행 정진을 계속했고, 현재 영국의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텐진 데키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4년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생의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와 철학을 탐구하던 중에 불교와 만나게 되었다.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인도 보드가야에서 비구니계를 받았다. 그 후 8년 동안 프랑스에서 켄수르 잠파 텍촉과 함께 공부한 후, 5년 동안 인도에서 대승불교유지재단을 돕고 티베트어를 공부하며 수행 정진했다. 1999년부터는 북미, 프랑스, 남아프리카, 스페인 등 다양한 나라를 다니며 불교의 가르침을 전했다. 현재 툽텐 예쉐 스님이 세운 대표적인 불교계 재단인 대승불교유지재단의 몽골 지부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무진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영국에서 태어났다. 스위스 제네바 대학에서 심리학과 교육학을 전공해 석사 학위를 받았다. 완전히 자유로워지기 위한 길을 찾아 동서양을 여행하던 중 1976년 스라랑카에서 아난다 마이트레야 미하 나야카 테라 스님을 만나 불교에 입문했다. 그 후 한국으로 와서 수행을 계속하다가 1986년 인홍 스님을 스승으로 비구니계를 받았다. 1987년 외국인들에게 한국 불교의 참모습을 알리기 위해 원명 스님과 함께 연등국제불교회를 창설해 많은 활동을 펼쳤다. 현재 한국, 뉴질랜드, 스위스를 오가며 불교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2007년 조계종 포교상을 수상했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청고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 오리건 주 존데이에서 태어나 로키 산맥 부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사방이 사막 등 쓸쓸한 풍강으로만 이루어진 그곳에서 유일하게 세상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책읽기를 시작했으며, 이때 불교를 만났다. 워싱턴 주립 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초청 강연을 온 한마음선원장 대행 스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에 큰 변화를 느꼈다. 1993년 한국으로 와서 혜거 스님을 스승으로 출가하여 사미계를 받았다. 1998년에는 비구계를 받고 정식 승려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03년 동국대 선학과에서 조계종 초대 종정인 한암 스님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접기
최근작 : <공부하다 죽어라>
류시화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시인. 경희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시운동〉 동인으로 활동하다가 한동안 시 창작을 접고 인도, 네팔, 티베트 등지를 여행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오쇼,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바바 하리 다스, 달라이 라마, 틱낫한, 무닌드라 등 영적 스승들의 책을 번역 소개하는 한편 서울과 인도를 오가며 생활해 왔다.
1991년 첫 시집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를, 1996년 두 번째 시집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을 발표했다. 세상을 신비주의적 차원에서 바라보면서 인생의 불가사의함을 섬세한 언어로 그려 내어 모두가 공감하는 보편적 정서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2년에 출간한 제3시집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은 독특한 시적 감성과 상상력으로 삶에 대한 투명한 관조를 보여 주었다.
인도에서의 에피소드를 담은 두 권의 여행기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과 『지구별 여행자』는 단순한 기행문을 넘어 ‘인도’라는 성과 속이 공존하는 역설적인 장소를 배경으로 그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그리고 있다. 알려지지 않은 외국의 좋은 시들을 모은 잠언 시집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과 치유 시집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은 시가 주는 치유의 힘을 소개해 이 사회에 ‘치유’라는 화두를 던졌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연설문을 모은 970쪽에 이르는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는 세상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들의 지혜를 담은 대작이다. 또한 하이쿠 모음집 『한 줄도 너무 길다』,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를 출간했다.
그가 번역해 큰 반응을 불러일으킨 책들로는 『성자가 된 청소부』(바바 하리 다스),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잭 캔필드?마크 빅터 한센), 『티벳 사자의 서』(파드마삼바바), 『용서』(달라이 라마), 『인생수업』(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조화로운 삶』(헬렌 니어링·스코트 니어링), 『술 취한 코끼리 길들이기』(아잔 브라흐마),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에크하르트 톨레) 등이 있다. 2017년과 2019년에 산문집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좋은지 나쁜지 누가 아는가』를 내어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번역되었다. 우화집 『인생 우화』와 인도 우화집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를 썼으며, 인생학교에서 시 읽기 『시로 납치하다』도 쇄를 거듭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마음챙김의 시>,<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지구별 여행자> … 총 133종 (모두보기)
청아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연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물리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연구원의 길을 걷다가, 1993년 혜거 스님의 문하로 출가하여 통도사에서 사미계와 비구계를 각각 받았다. 동국대 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외래교수와 동국대학교 선학과 강사를 지냈다. 2008년 현재 대전 자광사와 수원 공소사의 주지이며, 최근 고양시 일산에 어린이 불교 도서관과 서울 경운동에 불교 영어 도서관을 개관했다. 논문으로 「불교와 현대 물리학의 세계관 비교 연구」, 「생명 복제의 불교적 이해」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이종선 (사진)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대학과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졸업 후 출판과 광고시장에서 상업사진가로 활동하다 1999년 여행을 떠났다. 여행을 중 시베리아 횡단열차 안에서 이루어진 우연한 만남으로 인해 인도로 가게 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인도에 머물며 사진 작업을 하게 되었다.
최근작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웃고 울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이 마음은 누가 만드는가?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을 졸업한 젊은 지성들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가.

국내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그 신작의 주제는 “마음공부”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를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가 조화로운삶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 등을 졸업한 서양의 젊은 지성 열한 명이 그들이 가진 외적 내적 세계를 모두 깨고 만난 구도의 길에서 나누어 주는 감동적인 강의록으로,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한국 최초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벽안의 이 수행승들은 대부분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얻지 못하고, 완전히 자유로워지기 위한 길을 찾아 마음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던 중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궁극의 문에 이르는 길을 발견한 이들이다. 달라이 라마로부터 계를 받은 게셰 툽텐 룬둡, 텐진 위용, 텐진 테키와, 아잔 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아잔 지틴드리야, 스리랑카에서에서 계를 받은 파나완사,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 계를 받은 현각, 명행, 무심, 무량, 무진, 청고 스님.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지 우리 앞에 펼쳐 보이고 있다. 산스크리스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열한 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으로 존재하는 기회를 오직 진리 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우리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고, 힘들게 하는 모든 고통의 요인은 무엇인가. 존재의 갈증은 무엇으로 풀릴 것인가. 끝없이 솟아나는 내면의 의문들은 답을 구할 수 있을까. 과연 이것들을 위해 먼저 누구에게 무엇을 물어야 할까.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공부하다 죽어라>는 우리를 그들이 만난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로 데려다 줌으로써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으로, 생생하고 감동적인 일화들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우리말로 옮겼고,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들로 본문을 장식했다. 이 법문은 불교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2003년 여름 끝 무렵부터 우리는 색다른 법회를 준비하며 그 기대로 조금 들떠 있었다. 11월부터 영어로 설법을 할 수 있는 국내외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을 우리가 있는 대전 자광사로 초청해 법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중략) 외국인 수행자라고 우리와 통하지 못할 게 없었다. 우리 모두는 진리의 길을 찾기 위해 구도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며 수행자이기 때문이다. 일 년 내내 진행된 법회는 뜻밖에도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들의 법문은 진실했으며, 종교에 몸담은 이들이 흔히 갖기 쉬운 상투성의 언어가 아닌 살아 있는 진리로 청중의 가슴에 파고들었다. 때로는 웃었고, 때로는 눈물지었으며, 법문 사이사이의 침묵은 명상의 깊이를 더해 주었다. 힘찬 손짓, 수줍은 미소, 담담한 어투, 때로는 꿈틀거리는 눈썹이 더 많은 진리를 설했다. 청중 속에는 삭발한 승려들도 있었고, 간간이 가톨릭 성자들도 있었으며, 소문을 듣고 먼 길을 온 이들도 있었다. 영어로 진행되는 법문을 알아듣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해 묵묵히 앉아 있기만 한 이들도 있었다. 한국에 와서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수행자들도 삼삼오로 찾아왔다.(중략) 사실 법회는 매우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하략)
- 옮긴이들의 말 pp.8-10 중에서

책의 내용
이 책에서 현대 사회의 다양하고 많은 문제점들을 서양과 동양 두 쪽 모두에서 경험한 열한 명의 수행자가 나누어 주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나는 무엇인가? 끊임없이 물어야 하다. 그 어떤 종교를 믿든 그것이 바로 우리가 할 일이다.
모든 것은 변한다. 이 육신도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이다. 고통은 그 변화를 막으려고 하는 데서 온다. 무상에 관해 명상하라. 우리가 생각으로 만들어 내는 이 세상은 근본적으로 무상한 것이다. 모든 생각, 모든 견해, 모든 관념들은 본질적으로 다만 무상하다. 그것들에 집착할 때, 그것이 무지이고, 고통의 원인이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파란 하늘에는 구름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온갖 변화가 일어나지만, 그 뒤에 항상 존재하는 그 무엇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 한다.
-현각

순수하고 맑아서 생과 사에 의지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 순수하고 맑은 하나는 무엇인가?
삶과 죽음은 오로지 생각에 달려 있다. 물론 어느 날 이 몸은 죽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참나’는 결코 죽지 않는다. 이 ‘참나’를 얻으면, 생과 사로부터 자유 또한 얻는 것이다. 생과 사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오로지 순간순간 깨어 있고, 순간순간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간단한 진리이지만 대단히 흥미로운 인간 상황이다. 우리는 단지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어느 날엔가는 우주로 돌아가게 될 렌터카를 만족시키기 위해 우리의 생을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만일 우리가 잠에서 깨어나 ‘참나’를 진정으로 이해한다면, 이 렌터카를 우주에게 돌려줄 때가 되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그때는 문제될 것이 아무것도 없다. 죽을 때는 죽을 뿐이다.
-명행


인간은 모두 같다. 마음 깊은 곳에서 행복을 찾고 고통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우리모두는 똑같다.
만일 늘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한다면, 언제나 고통스러워질 것이다. 왜인가?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하는 마음은 그 자체가 고통스러운 마음이기 때문이다. 더 좋은 것을 갖고 싶어서 밖을 기웃거리는 마음은 불안한 마음이고, 혼란스러운 마음이다. 모든 고통의 원인이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 외부에 대고 화를 내는 마음은 늘 고통스러우며, 늘 적을 갖게 될 것이다. 반면에 내면에 만족이 있는 마음은, 마음이 모든 것을 지니고 있음을 아는 마음은 언제나 평화롭다. 이런 마음 상태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든 집착할 것이 없음을 이해하며, 그런 사람들에게는 고통이 없다.
-텐진 위용

생명 가진 존재들은 근원적으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다. 모든 존재는 ‘조건 속에 내재된 이 고통’을 겪으며 살고 있다. 그 고통 속에서 벗어나는 길이 반드시 존재한다.
죽음의 순간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살아 있는 동안 키워 온 자비, 사랑, 만족, 마음의 평화 같은 긍정적인 것들이다. 이것들만이 죽음의 순간에 우리에게 도움을 준다. 즐거움의 순간, 즐거움의 기회, 우리가 원하는 것을 소유하는 순간에도 그 안에는 고통의 씨앗이 담겨 있다. 또한 인간 존재는 단순히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죽음을 향해 가는 과정 속에 있다. 자비는 우리를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한다. 자비는 생명 가진 존재들이 겪는 모든 고통의 근본 원인인 무지를 제거하려는 염원이다.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타인의 친절 덕분임을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을 제공해 주는 일체 존재들을 위해 자신이 무엇인가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게셰 툽텐 룬둡

그 누구도 고귀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그 누구도 천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누구나 자신의 행위에 따라 고귀하게도, 천하게도 되는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어떤 희망, 욕망 혹은 바람을 지닌 채 계속해서 앞으로 앞으로만 달려간다. 이것이 인간 삶의 방식이다. 인간은 언제나 달려가지만 최종적인 만족이란 어디에도 없다. 오직 좌절과 고뇌만이 있을 뿐이다. 어떤 소원이나 욕망을 이루면, 그것으로 끝이 나지 않는다. 우리의 욕망은 이미 그것으로부터 조금 더 앞서 간다. 우리는 또 다른 것을 얻으려고 할 것이며, 이런 악순환은 계속된다. 그것은 끝이 없다. 그때 늘 불만족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욕망의 순환 속에서 벗어나야 한다. 모든 즐거움에는 하나의 조건이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멈추어 서서 살펴보라. 멈출 때, 바로 볼 수 있다
-파나완사

가슴이 진정으로 갈망하는 자유는 진리를 아는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이다.
고통의 원인은 우리가 마음속에서 경험하는 집착과 갈망이다. 감각적 쾌락은 중독성이 있으며, 즐겁다. 그래서 우리는 다시 또다시 그곳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자꾸만 그곳으로 간다는 사실 자체가 고통이다. 금방 끝나 버리는 그 경험들로부터 쾌락을 얻기 위해 습관과 중독성을 키우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떤 측면에서는 즐거울지라도, 실제로는 그 내면에 훨씬 깊은 불만족을 불러일으킨다. 만일 평화와 기쁨을 경험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없다면, 우리는 외부에 존재하는 이런 것들에 의존하게 되고 그것들에 걸려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그 속에서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나게 되는데, 이 경험은 고통일 수밖에 없다.
-아잔 지틴드리야

어떤 상태에서도, 어떤 장소에서도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다.
자유의 상태에 머문다 해도, 그 상태에 아무리 오랫동안 머물더라도, 결국 고통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태, 어떤 장소, 어느 순간에도 중단하지 말고 순간순간 명상하라.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행동하라. 매순간 앉아 있든 서 있든, 걷든 누워 있든, 말하든 침묵하든, 그 어떤 상태, 어떤 장소에서도 중단하지 말고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 된다.
-무심

나의 행복을 바란다면, 타인을 소중히 하라. 바른 원인을 만들라.
‘이런 일이 나에게 일어나다니! 왜 내가 이런 일을 겪어야 하지?“ 하고 불평하지 말라. 어떤 원인이 있었기 때문에 그 결과가 나에게 돌아오는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려 온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처럼. 지난날 나 자신이 쌓은 업이 현재의 나를 이 상황으로 몰아넣는 것이다. 업이란 부메랑과 같다. 업이란 행위를 의미하고, 원인과 결과를 의미한다. 즉, 내가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지은 것이다. 이 업은 생의 시작부터 우리와 함께 해오고 있으며, 전생들로부터 계속되어 오고 있다. 불운한 상황이나 곤란한 환경, 고통 등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스스로 원인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텐진 데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먼저 삶의 방향이 명확해야 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모든 것이 변하고 또 변한다. 그러나 겉모습은 바뀌지만, 모든 것이 같은 본질을 지니고 있다. 이름과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면, 모든 것은 같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삶의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 이것은 곧 명상을 의미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우리의 생각 습관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갖게 한다.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
-무량

진정으로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이 순간을 산다는 것은 진정으로 깨어 있는 것이다. 현재에 있음을, 깨어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의 습관에 물들지 말라. 진정으로 새롭게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지금 당신은 살아 있다. 자유로워질 기회가 있다. 그 기회를 놓치지 말라.
-무진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과 체험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수억 겁 동안 반복해 온 수많은 습관들은 우리의 마음 상태를 나쁘게 한다. 첫날에 생선은 신선하지만, 생선을 며칠 동안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면 그 생선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굉장히 나쁜 냄새가 날 것이다.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나 체험한 것을 내려놓지 못하면, 이것들은 자신을 오만하게 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알고 있다는 생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청고 접기



===================
외국인 스님들이 쓴 [공부하다 죽어라] | 모셔온 글


공부하다 죽어라
현각, 무량 외 지음 | 청아, 류시화 옮김
조화로운 삶 2008.01.25
 
살아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해 깨달음을 이루라.

-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

 

 이 책은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법문들은 불교 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 맨 앞의 책 표지안쪽 글..-

 

 

파란 눈, 초록 눈 그리고 금발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특별한 법문을 담아놓은 책.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이 이야기하는 각기 다른  화두로 인생공부를 하지만..

결국 그 결론은 매 한가지로 통하는..

 

예일대에, 하버드대까지 가셨던 현각스님께서 숭산스님의 법문을 듣고 출가의 길을 걸었듯이,

11명의 수행자 모두 엘리트 출신이며, 달라이 라마의 수계를 받은 분들도 계시기에..

회색빛의 법복이 파란눈의 외국인 수행자들에겐 아직 낯설긴하지만..

특별한 법문을 듣고 싶다면 권유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현각스님과 무량스님의 법문을 몇번 들은 적이 있어서

두 분 스님께서 엮은 줄 알고 인터넷 서점에서 샀는데.. 알고보니.. 11분의 수행자들의 법문이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우선 우리가 잘 모르는 스님들에 대해 사진과 스님 한분한분 설명이 간략하게 제공된다.

 
사실 법회는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모든 것은 변화한다. 삶의 한순간도 멈춤이 없이 흐르며, 어떤 것도 변화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만 한다. 가가의 순간을 깊이 있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사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깨어 있는 삶을 살 때 우리는 자신의 주인이 될 수 있다. 몸 안에서 몸을 관찰하고, 나낌 안에서 느낌을 관찰하고, 마음 안에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 그것이 곧 수행의 길이다.

인간의 육신은 109번째 염주알과 같다. 그 염주알이 다 닳을 때까지 공부해야 한다. 산스크리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이 열한 명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 존재의 기회를 오직 진리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의문은 더없이 진지했고, 수행은 미지의 길을 그들 앞에 열어 보였으며, 진리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고독과 두려움 의 숲을 통과해 그들은 마침내 어떤 세계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들은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를 우리 앞에 펼쳐보았다.

청아스님, 류시화님의 서문 중에서...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의 법문의 주제를 정말 간략하게 간추린 책뒷 표지.

http://blog.naver.com/cranberry82?Redirect=Log&logNo=80094986500 


아래는 [여성동아]에 실린 기사  

무량 스님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함께 한 송년회

김범수 아나운서 부부, 탤런트 이휘향,박철…



아나운서 김범수와 그의 부인 강애란씨, 사진작가 조세현, 탤런트 이휘향·박철 등이 중심이

돼 지난 2003년 결성된 무량회. 지난 2년간 종교와 상관없이 절을 찾아 법문을 듣고 미국

캘리포니아에 한국식 사찰을 짓고 있는 무량 스님을 후원해온 이들은 앞으로 한국에서 공부

하고 있는 외국인 스님들을 체계적으로 후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난 12월8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사진작가 조세현씨의 스튜디오에는 별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인물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이날은 무량 스님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무량

회’ 멤버들이 송년회를 겸해 사진 촬영을 하는 날이었다.



무량회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김범수(38)와 부인 강애란씨(49)가 중심이 돼 지난 2003년

결성된 친목 모임으로 현대자동차 최한영 사장, 모니터코리아 벤처스 한만현 대표, LG전자

권영수 부사장, 낫소 이태영 사장, 허은 대한미용성형학회장, 김기동 변호사, 경희대 도예과

장진 교수, 사진작가 조세현씨, SBS 김형민 논설위원, 탤런트 박철, 가수 싸이 어머니 김영

희씨, ‘뉴스메이커’ 유인경 편집장 등 20여 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날 송년회

에는 지난해 9월 남편 김두조씨와 사별한 탤런트 이휘향도 함께 했다. 그는 경남 합천 해인

사에서 50일간 산사생활을 하며 남편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하고 서울로 올라온 터였다.



이들이 팬임을 자처하는 무량 스님은 미국 예일대 출신의 엘리트로, 대학시절 한국 불교에

심취해 1983년 출가한 이후 화계사, 수덕사 등에서 수행을 했으며 현재는 미국 LA 인근

모하비 사막에 한국식 사찰 ‘태고사(太古寺)’를 짓고 있다. 강애란씨는 지난 2000년 무량

스님의 제자 현각 스님의 저서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읽고 감명받아 무작정 무량

스님을 찾아 LA행 비행기에 오르기도 했다.



“정확한 주소도 모르는 상태에서 물어 물어 태고사를 찾아갔어요. 당시 스님은 손수 포클레

인 등 중장비를 운전하며 8년째 절을 짓고 계셨어요. ‘좌청룡 우백호’의 한국식 풍수를 따져

건물을 짓고 뒷산의 이름도 도봉산으로 명명하셨더군요. 스님은 절을 짓는 일도 수행의 과

정이라며 매일 새벽 4시30분에 일어나 백팔배와 예불, 참선을 거르지 않으셨는데 그 모습

이 그렇게 고요하고 맑아 보일 수가 없었어요.”



이후 무량 스님의 열렬한 팬이 된 그는 남편 김범수 아나운서와 함께 무량회를 결성했다고

한다. 지난 2001년 열한 살 나이차를 극복하고 결혼, 화제를 모았던 이들 커플의 인연도 알

고 보면 무량 스님과의 인연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강애란씨는 “프랑스에서 오랫동안 공부하다가 98년 한국에 돌아왔는데 한동안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느라 몹시 힘들었다. 그래서 마음을 다스릴 겸 무작정 절을 찾아 새벽 기도를

시작했는데 그러고 나서 남편을 만났다”고 말했다.



김범수 아나운서 역시 불교와 각별한 인연이 있다. 그는 대학 입시에 실패해 방황하며

재수를 하던 시절 “‘다 내 탓이다. 이 세상 모든 일은 인과에 따라 받는 것’이라는

무량 스님의 법문을 듣고 스스로를 다잡을 수 있었다”고 한다.



“당시는 그분이 무량 스님이라는 사실을 몰랐다가 나중에 아내를 통해 알게 됐죠.

그러고 보면 아내와의 만남은 전생의 인연이었던 것 같아요. 아내는 요즘도 저를 위해 매일

새벽 기도를 하고 있어요.”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스님들을 위한 후원 모임으로 확대할 계획



그러나 무량회 멤버 모두가 불교 신자는 아니다. 독실한 크리스천인 낫소 이태영 사장은

“전도를 하기 위해 무량회에 가입했다”고 농담을 할 정도. 가톨릭 신자인 박철은 “개인적인

친분으로 참가를 하게 됐는데 절에 다녀오면 성당에 다녀온 것처럼 마음이 편안하고 잔잔해

진다”고 말했다. 기독교 신자인 장진 교수도 “처음에는 종교가 달라 가입을 망설였는데

모임 초기 모친상을 당했을 때 회원들이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두 조문을 와서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장 교수는 “모든 종교는 궁극적으로는 스스로를 다스리고 선하게 사는

방법을 터득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서로 통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사찰을 찾아 법문을 듣고 회비를 모아 무량 스님을 후원하던 무량회는 활동 영역을

넓혀 앞으로는 한국에 와 있는 외국인 스님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난 12월 초 충남 예산 수덕사에서 동안거(冬安居·스님들이 음력 10월15일부터 이듬해

1월15일까지 3개월간 외출을 금한 채 참선 수행하는 것) 중인 현각 스님을 만나고 돌아

왔다”는 강애란씨는 “한국에 와 있는 스님들의 경우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해 외국인 노동자

수준의 삶을 살고 있다. 한국 불교와 문화를 공부해서 본국에 알리려는 좋은 의도를 가지고

오신 분들이 경제적인 문제로 책조차 마음대로 읽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며 안타까워하다가

회원들과 그분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게 됐다”고 말했다.



조세현 작가의 지휘에 따라 사진 촬영을 마친 회원들은 이후 김영희씨가 운영하는 레스토랑

으로 자리를 옮겨 송년모임을 가졌다. 회원들은 연말이니만큼 마음을 담은 선물들을 교환했

는데 경북 포항에 연고가 있는 이휘향은 멸치를, 김범수 부부는 청화 스님의 저서 ‘가장 행

복한 공부’를, 김형민 논설위원은 음악 CD를 가져왔다. 또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이태영

낫소 사장은 멤버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배드민턴 라켓과 셔틀콕을 보냈다. 비싸지는 않지만

서로를 아끼는 각별한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앞으로의 계획을 두고 치열하면서도 즐겁게 이야기꽃을 피우는 가운데 무량회 송년의 밤은

저물었고 회원들은 올 때 보다 더 따듯하고 넓은 마음을 가지고 발길을 돌렸다.

[여성동아 2006.1]


 

 

책 소개

The Compass of Zen
현각

Shambhala Publications 1997.11.01
--------------

왜 사는가
무량

열림원 2004.10.08
---------------

만행
현각 | 허문영 옮김

열림원 1999.11.01
---------------
Guide to Korean Buddhist Temples 112
현각스님

Jogye Order Publishing 2002.01.01
---------------
오직 할 뿐 - 내가 만난 숭산 대선사
무심 | 무산본각 옮김

물병자리 2001.06.25
----------------
부처를 쏴라
숭산스님 저/현각스님 엮 | 양언서 옮김

김영사 2009.03.03
-----------------
마음 거울
청안,이명원 | 이명원 옮김

김영사 2009.04.24
-------------------------
꽃과 벌
청안 | 이민영 옮김

김영사 2006.12.05

헝가리 출신 청안스님
 ---------------------------
좋아요12
공유하기글 요소
========

공부하다 죽어라
미리보기 공유하기
소득공제 강력추천
공부하다 죽어라
현각 저/류시화 역 | 조화로운삶 | 2008년 01월 25일
리뷰 총점9.4 정보 더 보기/감추기 회원리뷰(21건) 
베스트 국내도서 top100 4주
구매혜택
초특가 대상도서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10% 할인)
YES포인트
700원 (5% 적립)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안내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카드/간편결제 혜택 보기/감추기
구매 시 참고사항
현재 새 상품은 구매 할 수 없습니다. 아래 상품으로 구매하거나 판매 해보세요.
eBook
9,800원이동
중고상품 (31개)
3,200원 ~이동
이 상품을 팔기더보기/감추기
예스24 단독 판매
[예스리커버]
다비드 칼리
변색 머그컵 증정
[예스리커버]
나는 기다립니다...

[예스리커버]
창 닫기
절판

수량
1
수량감소수량증가
배송비 : 무료 배송비 안내
해외배송 가능
최저가 보상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리스트에 넣기
고흐 체인 뱃지+와펜을 드립니다 
1/1AD
���ޱ������
도서정보리뷰/한줄평 (21/0)배송/반품/교환
절판 상태입니다.
이 분야 베스트셀러

내 안의 평온을 아껴주세요

정민 저

13,320원 (10% 할인)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에크하르트 톨레 저/유영일 역

11,250원 (10% 할인)


또, 먹어버렸습니다

김윤아 저

12,600원 (10% 할인)


지금 이대로 좋다

법륜 저/박정은 그림

13,320원 (10% 할인)


좋은지 나쁜지 누가 아는가

류시화 저

13,500원 (10% 할인)

더보기이동
이 분야 신상품

나는 정신장애 아들을 둔 아버지입니다

설운영 저

13,500원 (10% 할인)


안아줄게요

박지연 글그림

13,320원 (10% 할인)


내일은 괜찮아질 거야

한여름 저

10,800원 (10% 할인)


나의 눈물에 춤을 바칩니다

최보결 저

18,000원 (10% 할인)


몸을 아껴요, 마음을 가꿔요

셰르파,루나 공저

11,700원 (10% 할인)

더보기이동
품목정보
출간일 2008년 01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352쪽 | 538g | 147*204*30mm
ISBN13 9788995757741
ISBN10 8995757744
관련분류
카테고리 분류
  국내도서 > 에세이 > 명상/치유 에세이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 에세이
이 상품의 이벤트 (1개)
작은 출판사 응원 프로젝트 <중쇄를 찍게 하자!>
사은품
작은 출판사 응원 프로젝트 <중쇄를 찍게 하자!>

추천도서 포함 소설,시,에세이 2만원 이상 구매 시 '노랑 체크 에코백'을 드립니다. (YES포인트 차감)

2020년 10월 28일 ~ 2021년 02월 28일

책소개
예일 대학교에서 서양철학과 영문학을 전공한 뒤,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 석사 학위를 받은 현각스님 등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는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 등을 졸업한 서양의 젊은 지성 열한 명이 그들이 가진 외적 내적 세계를 모두 깨고 만난 구도의 길에서 나누어 주는 감동적인 강의록이다.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한국 최초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왜 세계적인 명문대를 졸업한 젊은이들이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고자 하였는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과연 무엇을 발견하였는가? 이 책은 독자들로 하여금 젊은 스님들이 만난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로 데려다줌으로써 그 해답을 제시하였다. 우리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고, 힘들게 하는 모든 고통의 요인을 설명하고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알려 주었다.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우리말로 옮겼고,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들을 함께 수록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법문은 불교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기도 했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옮긴이들의 말 / 특별하고 행복한 사건 / 청아, 류시화
첫째날 /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들 / 현각
둘째날 /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덧없는 렌터카 / 명행
셋째날 / 나를 버리고 나를 만나다 / 텐진 위용
넷째날 / 모기는 전생에 나의 어머니 / 게셰 툰텐 룬둡
다섯째날 / 누구도 특별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 파나완사
여섯째날 / 나는 감각세계의 모든 것을 맛보았다 / 아잔 지틴드리야
일곱째날 / 고통은 자유를 거부한 당신이 치르는 대가 / 무심
여덟째날 / 불행은 오래 기다린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 / 텐진 데키
아홉째날 / 왜 사는가? 오직 모를 뿐! / 무량
열째날 / 나는 죽음 없는 것을 발견했다 / 무진
마지막 날 / 어떤 꽃은 봄에 피고 어떤 꽃은 가을에 핀다 / 청고
저자 소개 (2명)
저 : 현각 (玄覺, 속명: 폴 뮨젠 Paul Munsen)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벽안의 스님. 1964년 미국 뉴저지 라웨이에서 태어났다. 예일 대학교에서 서양철학과 영문학을 전공한 뒤,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얻을 수 없었던 그는 1990년 대학원 재학 시절 숭산 스님의 설법을 듣고 1992년 출가했다. 1996년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숭산 스님을 스승으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2001년 8월 화계사에서 숭산스님으로부...
펼쳐보기
작가의 다른 상품
Open The Mind, See The Light
Open The Mind, See The Light

18,000원 (10% 할인)

 
선의 나침반
선의 나침반

16,200원 (10% 할인)

 
부처를 쏴라
부처를 쏴라

13,500원 (10% 할인)

 
오직 모를 뿐
오직 모를 뿐

13,500원 (10% 할인)

역 : 류시화 (본명:안재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시인이자 명상가. 경희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된 바 있다. 1980~1982년까지 박덕규, 이문재, 하재봉 등과 함께 시운동 동인으로 활동했으나 1983~1990년에는 창작 활동을 중단하고 구도의 길을 떠났다. 이 기간 동안 명상서적 번역 작업을 했다. 이때 『성자가 된 청소부』,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티벳 사자의 서』, 『장자, 도를 말하다』, 『마...
펼쳐보기
작가와 인터뷰(1개)
 [만나고 싶었어요!] [4월호 커버 스토리] 류시화 “덜 움츠리고 덜 비난하고 더 많이 예찬하라”
작가의 다른 상품
2020 노벨문학상 루이스 글릭 시 수록 도서 세트
2020 노벨문학상 루이스 글릭 시 수록 도서 세트

37,800원 (10% 할인)

 
마음챙김의 시
마음챙김의 시

11,700원 (10% 할인)

 
나는 나
나는 나

16,200원 (10% 할인)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

16,200원 (10% 할인)

저자 : 무량
1959년 뉴욕에서 태어나 예일 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시절 교내에서 열린 숭산 스님의 법문을 듣고 깨달음의 길을 찾아 1983년 출가했다. 그 후 숭산 스님의 상좌로서 세계 곳곳을 여행했으며, 한국에서 화계사와 수덕사를 거처 삼아 전국을 만행하였다. 1989년 미국으로 돌아간 그는 달마 선원 주지를 지내면서 한국 불교를 알리는 데 힘썼다. 1993년부터 8년 넘게 캘리포니아 주의 모하비 사막에...
펼쳐보기
더보기
만든 이 코멘트
저자, 역자, 편집자를 위한 공간입니다.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을 남겨주세요.
코멘트 쓰기
접수된 글은 확인을 거쳐 이 곳에 게재됩니다.
독자 분들의 리뷰는 리뷰 쓰기를, 책에 대한 문의는 1:1 문의를 이용해 주세요.
책 속으로
2003년 여름 끝 무렵부터 우리는 색다른 법회를 준비하며 그 기대로 조금 들떠 있었다. 11월부터 영어로 설법을 할 수 있는 국내외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을 우리가 있는 대전 자광사로 초청해 법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중략) 외국인 수행자라고 우리와 통하지 못할 게 없었다. 우리 모두는 진리의 길을 찾기 위해 구도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며 수행자이기 때문이다. 일 년 내내 진행된 법회는 뜻밖에도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들의 법문은 진실했으며, 종교에 몸담은 이들이 흔히 갖기 쉬운 상투성의 언어가 아닌 살아 있는 진리로 청중의 가슴에 파고들었다. 때로는 웃었고, 때로는 눈물지었으며, 법문 사이사이의 침묵은 명상의 깊이를 더해 주었다. 힘찬 손짓, 수줍은 미소, 담담한 어투, 때로는 꿈틀거리는 눈썹이 더 많은 진리를 설했다. 청중 속에는 삭발한 승려들도 있었고, 간간이 가톨릭 성자들도 있었으며, 소문을 듣고 먼 길을 온 이들도 있었다. 영어로 진행되는 법문을 알아듣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해 묵묵히 앉아 있기만 한 이들도 있었다. 한국에 와서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수행자들도 삼삼오로 찾아왔다.(중략) 사실 법회는 매우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하략)
--- 옮긴이의 말 중에서
접어보기
줄거리
이 책에서 현대 사회의 다양하고 많은 문제점들을 서양과 동양 두 쪽 모두에서 경험한 열한 명의 수행자가 나누어 주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나는 무엇인가? 끊임없이 물어야 하다. 그 어떤 종교를 믿든 그것이 바로 우리가 할 일이다.
모든 것은 변한다. 이 육신도 세상에 왔지만 세상으로부터 사라질 것이다. 고통은 그 변화를 막으려고 하는 데서 온다. 무상에 관해 명상하라. 우리가 생각으로 만들어 내는 이 세상은 근본적으로 무상한 것이다. 모든 생각, 모든 견해, 모든 관념들은 본질적으로 다만 무상하다. 그것들에 집착할 때, 그것이 무지이고, 고통의 원인이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파란 하늘에는 구름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온갖 변화가 일어나지만, 그 뒤에 항상 존재하는 그 무엇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 한다.
-현각

순수하고 맑아서 생과 사에 의지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 순수하고 맑은 하나는 무엇인가?
삶과 죽음은 오로지 생각에 달려 있다. 물론 어느 날 이 몸은 죽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참나’는 결코 죽지 않는다. 이 ‘참나’를 얻으면, 생과 사로부터 자유 또한 얻는 것이다. 생과 사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오로지 순간순간 깨어 있고, 순간순간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간단한 진리이지만 대단히 흥미로운 인간 상황이다. 우리는 단지 이 몸, 이 무상한 수레, 어느 날엔가는 우주로 돌아가게 될 렌터카를 만족시키기 위해 우리의 생을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만일 우리가 잠에서 깨어나 ‘참나’를 진정으로 이해한다면, 이 렌터카를 우주에게 돌려줄 때가 되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그때는 문제될 것이 아무것도 없다. 죽을 때는 죽을 뿐이다.
-명행

인간은 모두 같다. 마음 깊은 곳에서 행복을 찾고 고통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우리모두는 똑같다.
만일 늘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한다면, 언제나 고통스러워질 것이다. 왜인가? 더 갖기를 원하고 더 좋은 것을 원하는 마음은 그 자체가 고통스러운 마음이기 때문이다. 더 좋은 것을 갖고 싶어서 밖을 기웃거리는 마음은 불안한 마음이고, 혼란스러운 마음이다. 모든 고통의 원인이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 외부에 대고 화를 내는 마음은 늘 고통스러우며, 늘 적을 갖게 될 것이다. 반면에 내면에 만족이 있는 마음은, 마음이 모든 것을 지니고 있음을 아는 마음은 언제나 평화롭다. 이런 마음 상태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든 집착할 것이 없음을 이해하며, 그런 사람들에게는 고통이 없다.
-텐진 위용

생명 가진 존재들은 근원적으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다. 모든 존재는 ‘조건 속에 내재된 이 고통’을 겪으며 살고 있다. 그 고통 속에서 벗어나는 길이 반드시 존재한다.
죽음의 순간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살아 있는 동안 키워 온 자비, 사랑, 만족, 마음의 평화 같은 긍정적인 것들이다. 이것들만이 죽음의 순간에 우리에게 도움을 준다. 즐거움의 순간, 즐거움의 기회, 우리가 원하는 것을 소유하는 순간에도 그 안에는 고통의 씨앗이 담겨 있다. 또한 인간 존재는 단순히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죽음을 향해 가는 과정 속에 있다. 자비는 우리를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한다. 자비는 생명 가진 존재들이 겪는 모든 고통의 근본 원인인 무지를 제거하려는 염원이다.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타인의 친절 덕분임을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을 제공해 주는 일체 존재들을 위해 자신이 무엇인가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게셰 툽텐 룬둡

그 누구도 고귀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그 누구도 천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누구나 자신의 행위에 따라 고귀하게도, 천하게도 되는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어떤 희망, 욕망 혹은 바람을 지닌 채 계속해서 앞으로 앞으로만 달려간다. 이것이 인간 삶의 방식이다. 인간은 언제나 달려가지만 최종적인 만족이란 어디에도 없다. 오직 좌절과 고뇌만이 있을 뿐이다. 어떤 소원이나 욕망을 이루면, 그것으로 끝이 나지 않는다. 우리의 욕망은 이미 그것으로부터 조금 더 앞서 간다. 우리는 또 다른 것을 얻으려고 할 것이며, 이런 악순환은 계속된다. 그것은 끝이 없다. 그때 늘 불만족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욕망의 순환 속에서 벗어나야 한다. 모든 즐거움에는 하나의 조건이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멈추어 서서 살펴보라. 멈출 때, 바로 볼 수 있다
-파나완사

가슴이 진정으로 갈망하는 자유는 진리를 아는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이다.
고통의 원인은 우리가 마음속에서 경험하는 집착과 갈망이다. 감각적 쾌락은 중독성이 있으며, 즐겁다. 그래서 우리는 다시 또다시 그곳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자꾸만 그곳으로 간다는 사실 자체가 고통이다. 금방 끝나 버리는 그 경험들로부터 쾌락을 얻기 위해 습관과 중독성을 키우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떤 측면에서는 즐거울지라도, 실제로는 그 내면에 훨씬 깊은 불만족을 불러일으킨다. 만일 평화와 기쁨을 경험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없다면, 우리는 외부에 존재하는 이런 것들에 의존하게 되고 그것들에 걸려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그 속에서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나게 되는데, 이 경험은 고통일 수밖에 없다.
-아잔 지틴드리야

어떤 상태에서도, 어떤 장소에서도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다.
자유의 상태에 머문다 해도, 그 상태에 아무리 오랫동안 머물더라도, 결국 고통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태, 어떤 장소, 어느 순간에도 중단하지 말고 순간순간 명상하라. 일상의 작은 나를 따르지 말고, 단지 행동하라. 매순간 앉아 있든 서 있든, 걷든 누워 있든, 말하든 침묵하든, 그 어떤 상태, 어떤 장소에서도 중단하지 말고 명상하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 역시 분명해질 것이다. 그때 우리의 삶이 곧 우리의 수행이 된다.
-무심

나의 행복을 바란다면, 타인을 소중히 하라. 바른 원인을 만들라.
‘이런 일이 나에게 일어나다니! 왜 내가 이런 일을 겪어야 하지?“ 하고 불평하지 말라. 어떤 원인이 있었기 때문에 그 결과가 나에게 돌아오는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려 온 친구가 마침내 도착한 것처럼. 지난날 나 자신이 쌓은 업이 현재의 나를 이 상황으로 몰아넣는 것이다. 업이란 부메랑과 같다. 업이란 행위를 의미하고, 원인과 결과를 의미한다. 즉, 내가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지은 것이다. 이 업은 생의 시작부터 우리와 함께 해오고 있으며, 전생들로부터 계속되어 오고 있다. 불운한 상황이나 곤란한 환경, 고통 등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스스로 원인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텐진 데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먼저 삶의 방향이 명확해야 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모든 것이 변하고 또 변한다. 그러나 겉모습은 바뀌지만, 모든 것이 같은 본질을 지니고 있다. 이름과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면, 모든 것은 같다. 우리는 왜 이 세상에 살아 있는가? 무엇보다 삶의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 이것은 곧 명상을 의미한다.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내면을 보게 하고, 우리의 생각 습관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갖게 한다. 그때 우리의 마음은 평화와 자유를 얻는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
-무량

진정으로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이 순간을 산다는 것은 진정으로 깨어 있는 것이다. 현재에 있음을, 깨어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의 습관에 물들지 말라. 진정으로 새롭게 산다는 것은 과거의 경험으로 판단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옛 생각을 끄집어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유이다. 지금 당신은 살아 있다. 자유로워질 기회가 있다. 그 기회를 놓치지 말라.
-무진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과 체험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수억 겁 동안 반복해 온 수많은 습관들은 우리의 마음 상태를 나쁘게 한다. 첫날에 생선은 신선하지만, 생선을 며칠 동안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면 그 생선에서 악취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굉장히 나쁜 냄새가 날 것이다.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나 체험한 것을 내려놓지 못하면, 이것들은 자신을 오만하게 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알고 있다는 생각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것들을 내려놓는 것, 그것이 곧 마음의 수행이다.
-청고
접어보기
출판사 리뷰
웃고 울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이 마음은 누가 만드는가?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을 졸업한 젊은 지성들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가.

■ 국내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그 신작의 주제는 “마음공부”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를 담은 책 <공부하다 죽어라>가 조화로운삶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하버드, 예일, 코넬, 소르본, 제네바, 오하이오 대학 등을 졸업한 서양의 젊은 지성 열한 명이 그들이 가진 외적 내적 세계를 모두 깨고 만난 구도의 길에서 나누어 주는 감동적인 강의록으로,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한국 최초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벽안의 이 수행승들은 대부분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얻지 못하고, 완전히 자유로워지기 위한 길을 찾아 마음의 의문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던 중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궁극의 문에 이르는 길을 발견한 이들이다. 달라이 라마로부터 계를 받은 게셰 툽텐 룬둡, 텐진 위용, 텐진 테키와, 아잔 차의 제자가 설립한 아마라바티 사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아잔 지틴드리야, 스리랑카에서에서 계를 받은 파나완사,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 계를 받은 현각, 명행, 무심, 무량, 무진, 청고 스님. 그들은 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는지, 미지의 길에서 그들은 무엇을 발견했는지 우리 앞에 펼쳐 보이고 있다. 산스크리스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열한 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으로 존재하는 기회를 오직 진리 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우리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고, 힘들게 하는 모든 고통의 요인은 무엇인가. 존재의 갈증은 무엇으로 풀릴 것인가. 끝없이 솟아나는 내면의 의문들은 답을 구할 수 있을까. 과연 이것들을 위해 먼저 누구에게 무엇을 물어야 할까.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공부하다 죽어라>는 우리를 그들이 만난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로 데려다 줌으로써 그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으로, 생생하고 감동적인 일화들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자광사의 주지 청아 스님과 류시화 시인이 우리말로 옮겼고, 인도와 네팔 등을 여행하며 인간과 동물을 조화롭게 담아낸 이종선의 사진들로 본문을 장식했다. 이 법문은 불교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접어보기
회원리뷰 (21건)
매주 10건의 우수리뷰를 선정하여 YES상품권 3만원을 드립니다.
3,000원 이상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일반회원 300원, 마니아회원 600원의 YES포인트를 드립니다.
(CD/LP, DVD/Blu-ray, 패션 및 판매금지 상품, 예스24 앱스토어 상품 제외)
리뷰쓰기
21명의 YES24 회원이 평가한 평균별점

리뷰 총점9.4/ 10.0
내용 내용 점수 편집/디자인 편집/디자인 점수 정보 더 보기/감추기
별점별로 리뷰를 확인해 보세요.
평점 9.0 ~ 10점
76%
평점 7.0 ~ 8.0점
24%
평점 5.0 ~ 6.0점
0%
평점 3.0 ~ 4.0점
0%
평점 0.0 ~ 2.0점
0%
 
연령대별 평균 점수는?
10대9.020대0.030대9.040대9.050대9.0
전체 리뷰 (21)
포토 리뷰 (2)
스타블로거 리뷰 (2)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끝
 구매리뷰 최근순 | 추천순 | 별점순
불교, 깨달음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YES마니아 : 로얄 r********1 | 2014-08-08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7767168

거의 매일 술을 마시자던 지인이 있어 책을 스마트폰으로 찍어 보내주었더니, 사진만으로도 깨달음을 얻었는지... 다시는 괴롭히지 않던 기억이 있다. 다소 웃긴(?) 제목과는 달리 여러 스님들의 진솔한 이야기로 가득찬 보기드문 좋은 책이다. 외국의 스님들도 꽤 많은데 생각보다 그분들의 공부의 깊이가 커 놀라기도 했다. 아무리 스마트폰에 고개를 처박고 살아야하는 세상이라도 이런 책은 읽어줘야 한다. 영혼과 내면의 깊이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라도...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0 댓글 0접어보기
공부하는 방법....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 ********************** | 2013-10-30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7456282

나는 인류 역사상 철학, 과학, 예술 등을 통틀어 가장 위대한 것이 불교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불교는 그 심오함 때문에 어렵게 느껴진다.

또한 한국불교는 산중불교, 화두선 위주의 수행 때문에 더욱 괴리감을 준다.

 

이 책은 외국승려들 열 한명이 대전 지광사에서 영어로 설한 법문들을 간추린 것이다.

그 중에는 남방불교계열도 있고, 외국인이지만 한국불교를 배운 분도 계시다.

불법은 하나지만,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불교가 타종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포용력이 있다지만, 한국불교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재가제자는 물론, 출가인들도 이 책을 통해서 안목을 넓혔으면 좋겠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0 댓글 2접어보기
포토리뷰
공부하다 죽어라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로얄 빨**♥ | 2011-12-16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5763270

 



 

아마 최근에 떠도는 사진이겠다. 책제목만으로 (쓴)웃음을 주는 재밌는 사진이다. 마지막 책 "공부하다 죽어라"가 이 웃음의 핵심이겠지만 그 마지막 책 "공부하다 죽어라"는 왠지 이 자리에 끼어서 우습게 지나가기엔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쓴다. 앞의 책들이 (아마) 그렇고 그런 자기계발 책이라면 "공부하다 죽어라"는 예 알겠습니다 라는 답이 저절로 나올 정도로 깨달음과 가르침을 주는 좋은 책이기 때문이다. 자기계발 책들의 공부가 "세속적인 출세"를 위한 공부라면 이 책의 공부는 참 삶을 살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는 "수행"을 말하는 그런 공부다. 그러면서도 자기계발 책들하고는 완전 다르게 너무나 재미있다. 개인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읽어봤으면 하는 책이기도 하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2003년 겨울부터 이듬해 가을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여러 스님들이 벌인 법회 강연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여기까진 뭐 책이 별다르다고 할 건 없다. 하지만 그 스님들은 우리나라 스님들이 아니고 외국 스님들이다. 대부분 푸른 눈의 외국인들이 출가해서 스님이 되신 분들이고 우리나라에 계시거나 해외에서 수행하시는 분들을 초청해서 법회를 연 것이다. 내가 이 책이 나오자마자 산 이유가 현각 스님과 무량스님의 강연 내용이 담겨 있어서였다. 그 분들의 책(만행, 선의 나침반, 왜 사는가)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이다.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나와 (조금이라도)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통해 볼 수 있다면 그것은 언제나 흥미로운 일이다. 

 

현각 스님과 무량 스님 말고도 아홉 분의 다른 외국인 스님들의 강연 내용은 하나하나 보석 같고 또한 무척 재미있다. 스님들의 세속적인 약력을 말하기가 왠지 속되어 보이지만 출가하기 전에는 모두들 유명한 대학에서 공부하던 석학들이다. 하버드 대, 코넬 대, 소르본 대, 예일 대.. 삶의 참 진리를  쫓다가 머리깍고 스님이 된 서양인 석학들이 풀어내는 말씀들은 고리고리 하지도 않고 자기 지식을 뽐내지도 않는다. 진정성과 지식을 담은 삶의 얘기들은 때론 격정적으로 때론 따뜻하게 속세와 세상 사람들을 달래준다. 

 

기독교의 나라에서 출가한 스님들이 종교와 문화가 다른 곳에 와서 들려주는 이야기. 풍부한 지식과 종교적 성찰도 담겨 있는 이야기. 불교의 말씀이지만 어찌보면 그리 종교적인 내용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굳이 불자가 아니더라도 힘들도 괴롭고 아프고 또 즐겁고 두근거리는 삶을 살고 있는 중생이라면 고개를 끄덕이면서 편안하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그런 책이다. 

 

스님들의 영어 법회 강의를 그대로 받아서 한글로 옮긴 것이고, 아마 이런 법회 기획은 다시 만들기 어려울 건데 귀한 말씀을 이렇게 책으로 남겨두어서 고마울 따름이다. 내 책장에 가둬두고 두고두고 읽겠다. 이 책에 참으로 미안한 얘기지만 작년에 법사님이나 법회나 이런 패러디를 생각해낸것도 이 책에서 나온 아이디어이다. 나같은 철없는 사람에겐 패러디의 대상으로 쓰였지만 다른 많은 분들은 이 책에서 더 진지한 삶의 아이디어나 지식을 끌어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 이 책 만큼은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제목에 박수를 쳐줘도 좋다.

 




8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8 댓글 18접어보기
포토리뷰
공부하다 죽어라 - 현각, 무량 외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s*******a | 2010-04-25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2232590


 
 
살아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해 깨달음을 이루라.

-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

 
 

 
 
이 책은 2003년 11월 9일부터 그 이듬해 9월 12일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매달 둘째주 일요일에 행해진

외국인 출가 수행자 초청 영어 법회의 내용을 받아 적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법문들은 불교 TV 방송에서 수행자들과 구도자들의 깊은 관심 속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 맨 앞의 책 표지안쪽 글..-

 

 

파란 눈, 초록 눈 그리고 금발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특별한 법문을 담아놓은 책.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이 이야기하는 각기 다른  화두로 인생공부를 하지만..

결국 그 결론은 매 한가지로 통하는..

 

예일대에, 하버드대까지 가셨던 현각스님께서 숭산스님의 법문을 듣고 출가의 길을 걸었듯이,

11명의 수행자 모두 엘리트 출신이며, 달라이 라마의 수계를 받은 분들도 계시기에..

회색빛의 법복이 파란눈의 외국인 수행자들에겐 아직 낯설긴하지만..

특별한 법문을 듣고 싶다면 권유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현각스님과 무량스님의 법문을 몇번 들은 적이 있어서

두 분 스님께서 엮은 줄 알고 인터넷 서점에서 샀는데.. 알고보니.. 11분의 수행자들의 법문이었다.

 

이 책의 좋은 점은..

우선 우리가 잘 모르는 스님들에 대해 사진과 스님 한분한분 설명이 간략하게 제공된다.

 

 

 
 
 

 
 
 
사실 법회는 단순하고 조촐하게 마련되었다. 분위기는 소박했으며 자연스러웠다. 중요한 것은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가슴으로 말하는 진정성이었다. 삶에서, 또는 진리 추구의 길에서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이 진정성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는 것 역시 진리를 추구하기로 결심한 한 인간의 진정성이다. 이 얼마나 행복한 사건인가, 우리 마음이 모두 하나가 된다는 것은.

 

삶에 더 깊이 들어가고, 진정 열심히 시도하고,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모든 것은 변화한다. 삶의 한순간도 멈춤이 없이 흐르며, 어떤 것도 변화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생멸하는 이 모든 것 뒤에는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우리는 그것을 발견해야만 한다. 가가의 순간을 깊이 있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사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깨어 있는 삶을 살 때 우리는 자신의 주인이 될 수 있다. 몸 안에서 몸을 관찰하고, 나낌 안에서 느낌을 관찰하고, 마음 안에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 그것이 곧 수행의 길이다.

 

인간의 육신은 109번째 염주알과 같다. 그 염주알이 다 닳을 때까지 공부해야 한다. 산스크리트 어에서는 인간을 '둘라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여기 이 열한 명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은 매우 얻기 힘든 인간 존재의 기회를 오직 진리추구의 길에 바친 이들이다. 의문은 더없이 진지했고, 수행은 미지의 길을 그들 앞에 열어 보였으며, 진리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고독과 두려움 의 숲을 통과해 그들은 마침내 어떤 세계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들은 그 깨달음과 진리의 세계를 우리 앞에 펼쳐보았다.

 

청아스님, 류시화님의 서문 중에서...

 

 

 

 

11명의 외국인 수행자들의 법문의 주제를 정말 간략하게 간추린..

책 뒷 표지.. 참고하시길...^^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1 댓글 0접어보기
공부하다 죽어라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k****0 | 2009-10-15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1655149

공부하다 죽어라‘는 고행정진으로 참선수행에 물도해온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선승이신 혜암 스님의 평소 교훈이며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혜암스님은 근현대 불교 선맥 교량 역할을 하신 큰스님으로 스님이 37세 되던 해 1957년 오대산 사고암 토굴에서 “공부하다 죽으리라”는 발원을 세우고 영하 20도를 오르내리는 추위에도 오직 잣나무 생잎과 생콩 10알씩만을 먹으며 초인적인 용맹정진을 한 끝에 마침내 깨달음을 얻게 되셨다고 한다. 처음 이책의 제목을 보고서 느낀 생각은 요즈음 학습방법에 대하여 공부의 달인류의 제목을 달고 나온것들이 많아 또 한권의 학습방법론에 대한 책이 나왔구나 라고 생각하며, 제목도 이제는 웬많큼 특이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없으니 듣기에도 끔찍한 정도까지 극단의 표현을 하는구나라고 생각하며 이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수험생들의 끔찍한 세태에 걱정이 들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책은 2003년부터 그 이듬해 봄까지 대전 자광사에서 진행된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영어 법회 내용을 담은 것으로 인간으로 존재하는 드믄 기회를 오직 진리 추구의 길에 바친 현각, 무량 등 열한명의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의 마음 수양을 통해 인간은 현명한 삶을 살 수 있음에 대한 강의록이었다.공부하다 죽어라는 이 강의 내용은 불교적인 가르침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 있어 누구나 추구하고 갖게 되는 삶의 진정성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해결책을 제시해주었다 그 '마음'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가르침으로 그들은 유수의 외국 명문대를 졸업한 젊은 지성들로서 안락한 삶을 포기하고 스스로 삭발하고 수행승의 길을 걷기로 작정한 사람들 이었다. 고통은 집착으로부터 온다는 것과 댓가성 없는 자비의 위대함, 참성품의 발견의 중요성 등 책을 읽고 난후 인생의 참된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생각을 다시한번 하게되는 계기가 되어준 소중한 책이었다.
인간의 육신은 109번째 염주알과 같다. 그 염주알이 다 닳을때 까지 공부해야한다.

산스크리스트어에서는 인간을‘둘리밤’이라고 표현한다. 그것은 ‘매우 얻기 힘든 드문 기회‘라는 뜻이다. (본문중에서)



살아 있는 것은 어느것이나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모든 것은 덧없으니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해 깨닳음을 이루라.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1 댓글 0
--------------------------

이명훈 주역의 원형리정 해석

(4) Facebook





이명훈
Favourites · 25 JtShSulpohyn gds2soref0gdguo19ue ·


드디어 올 게 왔다. 나도 내 이름으로 논문이란 걸 써보는구나. 작은 석사논문이지만 나름 산 하나를 넘은 것 같아서 기분 좋다. 이젠 졸업이다.

---

『周易』의 元亨利貞 해석 방향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Direction of Won, Hyung, Li, Jeong by 『Zhouyi』

이명훈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동양학과 국내석사) 2019
초록
『周易』은 고대 동양의 경전으로서 가장 깊이 있는 사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또한 가장 해석이 난해하여 향유하기 어려운 내용이다. 『周易』의 해석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周易』에 나오는 元亨利貞 네 글자의 해석이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周易』의 卦辭와 爻辭의 해석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단어에 해당하는 元亨利貞의 뜻을 밝히고 그 의미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실제적 활용과 해석을 고찰하고자 한다.
元亨利貞은 『周易』 本經의 卦辭와 爻辭를 지은 성인이 卦意와 爻意를 드러내어 더욱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사용한 핵심 특수...

Abstract
『Zhouyi』, a scripture in the ancient Asia, is known to have the deepest idea but is difficult to be translated and understood. One of the reasons to translate 『Zhouyi』 is to be difficult to interpret Won, Hyung, Li, Jeong on the scripture. This paper was written to find out the meaning of Won, Hyung...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 1
1. 연구목적 ···································································································· 1
2. 선행연구 분석 ···························································································· 3
3. 연구범위와 방법 ························································································· 6

=========

고사성어(故事成語) 원형리정(元亨利貞)
양지
2008. 2. 28. 02:13댓글수0공감수0
원형리정(元亨利貞)

 

元 : 으뜸 원 / 亨 : 형통할 형 / 利 : 이로울 리 / 貞 : 곧을 정

【뜻】주역(周易)의 건괘(乾卦)의 네 가지 덕.

 사덕(四德). 곧 천도(天道)의 네 가지 원리를 이르는 말로,

사물의 근본 원리나 도리를 뜻함. 원(元)은 만물의 시작인 봄․인(仁), 형(亨)은 여름․예(禮),

이(利)는 가을․의(義), 정(貞)은 겨울․지(智)를 뜻함.

 

【해설】

'원형리정'이란, 주역(周易)에서 말하는 천도의 네 덕(德)을 말한다.

'원(元)'은 봄으로 만물의 시초, '형(亨)'은 여름으로 만물의 성장,

'이(利)'는 가을로 만물의 결실, '정(貞)'은 겨울로 만물을 거두어 쉬는 것을 말한다.

'원(元)'은 천지인(天地人) 삼재가 문을 열고 밖으로 나오는 봄의 뜻이 들어 있다.

맨 위의 획은 하늘을 그 밑의 획은 땅을 상징하고,

좌우로 나뉜 아래의 획은 좌양우음의 씨앗으로 땅속에서 뿌리가 움직여 밖으로 나오려는

모습이다.

'형(亨)'은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여름을 뜻한다.

위의 '亠'은 줄기를 땅위로 뻗는 상이며,

중간의 입구(口)는 호흡하고 먹고 배설하는 모든 생명활동이 입의 작용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뜻하고, 아래의 了(마칠 료)는 잘 자라서 생장활동을 마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利)'는 오곡백과가 무르익어 추수하는 가을의 뜻이 들어 있다.

왼편의 禾(벼 화)는 초목의 열매가 익어 고개 숙인 모습으로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벼를 뜻하고,

오른편의 '刂'(칼 도)는 낫으로 벼를 베어 거둔다는 뜻이다.

'정(貞)'은 만물이 땅속에 숨는 추운 겨울의 뜻이 들어 있다.

위의 卜(점 복)은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조그맣게 달라붙은 것이고,

 아래의 貝(조개 패)는 종자인 음양(八)의 씨눈(目)을 가리키므로

엄동설한에 땅 밑에 움츠려 씨눈을 간직함을 뜻한다.

겨울의 혹한 속에 씨눈이 나오면 얼어죽게 마련이다.

여성의 정절(貞節)과 정조(貞操)를 강조하는 것도 견고하게 자신을 지켜야 한다는 뜻에서이다.

그러므로 원(元)은 따스한 봄,

형(亨)은 더운 여름의 장, 리(利)는 서늘한 가을, 정(貞)은 추운 겨울로서,

원형리정(元亨利貞)은 곧 생장염장(生長斂藏)의 순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





허성욱칼럼
왜 사상체질인가?
작성자 허성욱한의원 15-10-06 13:28 조회803회 댓글0건




왜 사상의학이라 하는가?

이제마 선생은 〈동의수세보원〉의 저자(著者) 이면서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창시자이다. 선생은 체질의학(體質醫學)의 창시자(創始者)이기 이전에 유학자(儒學者)로서 역학자(易學者)이셨다.
사상(四象)은 역학적(易學的) 용어로서 주역(周易)에서 가져온 용어이다.
역학(易學)은 주역(周易)을 근거로 한 학문체계로서 우주(宇宙)와 인간(人間)의 본체(本體)과 생성변화(生成變化)를 연구한 학문이다.

이제마선생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역학(易學)의 사상적(四象的) 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거의 모든 문장(文章)이 사상적(四象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인간과 사물의 본질적인 구조(構造)와 생성변화(生成變化)가 사상(四象)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주역(周易)의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의 계사(繫辭)에서는 천도(天道)와 지도(地道)의 존재구조를 “건(乾)은 원(元)코 형(亨)코 리(利)코 정(貞)하니라” “곤(坤)은 원(元)코 형(亨)코 리(利) 빈마지정(牝馬之貞)이니 군자(君子)의 유유왕(有攸往)이니라”라고 하여 천도(天道)와 지도(地道)를 원형리정(元亨利貞)의 사상(四象)의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이를 인도(人道)와 연계하여 “문언(文言)왈 원자(元者)는 선지장야(善之長也)오, 형자(亨者)는 가지회야(嘉之會也)오, 리자(利者)는 의지화야(義之和也)오, 정자(貞者)는 사지간야(事之幹也)니, 군자(君子) 체인(體仁)이 족이장인(足以長人)이며, 가회(嘉會) 족이합례(足以合禮)며, 이물(利物)이 족이화의(足以和義)며, 정고(貞固)이 족이간사(足以幹事)니 군자(君子) 행차사덕자(行次四德者)라 고(故)로 왈(曰) 원형리정(元亨利貞)이라하여”
인도(人道)도 仁禮義智의 四德의 四象的 구조로 되어있다고 하였다.

이는 천(天).지(地).인(人) 삼재지도(三才之道))가 원형리정(元亨利貞)과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상적(四象的) 구조로 되어 있음을 역리(易理)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모든 존재(存在)나 존재(存在)원리는 천지인삼재(天地人三才)에 포함되므로, 인간생명과 인체에 관한 의학원리 또한 사상적(四象的) 구조로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주역(周易)에서는 사상(四象)에 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시고(是故)로 역유태극(易有太極)하니 시생양의(是生兩義)하고 양의(兩儀)생사상(生四象)하고 사상(四象)이 생팔괘(生八卦)하니 팔괘정길흉(八卦定吉凶)하고 길흉이생대업(吉凶生大業)하나니라”<주역 계사상 11편>

四象이란 본질적인 존재(存在)가 네 가지로 상징화(象徵化) 되어 드러난 것이다. 즉 본질적인 존재가 음양(陰陽)작용에 의해 생성변화하면서 그 작용의 대소(大小)에 의해 본질적인 존재(存在)를 태양(太陽). 소양(少陽). 태음(太陰). 소음(少陰)의 네 가지로 분류되어 드러나는 존재(存在)원리이며, 모든 만물과 현상은 이러한 네 가지 象 중의 한곳에 포함되어지는 것이다.--김만산의 <주역의 입장에서 본 사상의학 원리(1)>

이러한 역학(易學)의 본질적 원리와 변화를 바탕으로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창안하였으며, 사상적(四象的) 구조에 의해 사상의학(四象醫學)이라 명명(命名)되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은 절대적으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자연의 여러가지 동식물이나 초근목피. 또는 광물질들을 약으로 쓸 수 있는 것은 지구상에서 동일한 환경을 영향을 받기때문에 가능하다.

아주 추운곳에서 사는 나무나 풀 등은 아주 열이 많은 성질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추운곳의 햇빛이 들지 않는 음지에서 사는 인삼은 아주 열이 많고 양적인 기운이 강해 사람이 복용하면 몸이 따스해지고 인체의 운동성이나 기능이 빨라지게하는 성질이 있으며,
아주 더운 지방의 사막에 사는 선인장이나 열대식물은 그 환경이 열이 많고 건조하므로 열대식물은 차고 습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열이 많아 성격이 급하고 건장하면서 건조한 성향의 사람에게 약으로 복용하면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처럼 식물은 그 환경의 영향하에서 그 성격이나 특징이 정해지며 그러한 환경과 그 환경하의 식물의 성질을 이용해서 한약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 환경은 주로 자연이나 태양에 의해 결정되며 식물이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며, 식물은 그 환경에 순응해서 살아갈 뿐, 자기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없다.

그러면 인간은 어떠할까?
인간의 환경은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환경의 끊임없는 변화속에서 살아간다. 하지만 인간이 식물과 다른 것은 인간은 자신의 생각을 갖고 움직일 수 있으며, 식물보다는 훨씬 능동적으로 자신을 삶터를 개척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인간이 정신을 갖고 있으므로 인해 식물과 여타 동물보다는 훨씬 정신적으로 우수한 존재이기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식물이 한곳에 정착하여 태양만을 바라보고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 처럼 동물이나 인간도 자신이 생각하며 스스로 환경에 적응하며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것과 같이 태양이라는 존재가 없으면 우리인간의 환경도 송두리째 그 터전이 파괴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

변치않는 태양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은 엄청나다. 태양이 있으므로 인해 우주와 지구에는 온기가 있으며 계절을 변화를 통해 우리의 모든 환경을 만들어 준다.

인간의 일생은 어떠한가?
인간의 일생은 1년의 연속이다. 일년씩 나이를 먹음으로서 일생이 이루어지고 수명이 대부분 80-90세에 일생을 마치게 된다.
이러한 인간의 일생은 일년일년의 반복으로 만들어 지며 이러한 1년 1년은 봄.여름.가을.겨울의 계절 즉 춘하추동으로 반복된다. 즉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환경속에서 평생을 지내게 된다.

이는 자연환경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이나 4계절 즉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동일하게 절대적이다.

왜 자연환경이 4계절을 통해 식물이나 인간이 영향을 받도록 만들어 졌을까? 이는 만물의 생성과 완성을 반복시키고 또 1년이라는 완성을 통해 10년 이나 100년 1000년 10000년이라는 더 큰 완성을 목표로 자연이나 태양계가 행군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가장 작은 단위인 1년의 4계절(춘하추동)을 구성하는 4요소를 가장 기본 단위로 하고 이 4가지 요소를 기본으로 인간의 완성, 지구의 완성, 태양계의 완성, 우주의 완성으로 향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구성이 4(춘하추동 즉 생장수장)를 바탕으로하여 완성으로 나아가는 기본적인 틀로 파악하였다.

그 완성은 육체와 정신을 통합한 완성이며 인간이나 자연. 우주라는 인격체의 역사라는 수양을 통한 정신적인 성숙을 말한다.

이제마는 하늘이 주는 법칙적인 4계절을 기본 구도로 체질의학을 구상했다.
그리고 그는 자연을 바탕으로 한 끊임없는 선현들의 도의 세계를 인간의 생성이유와 치료에 접목하여 치료의학으로 발전시켰다.

즉 자연의 풀뿌리나 잎 줄기 나무 열매 등이 있는 초근목피를 약으로 쓸 수 있는 이유는 동일한 4계절의 변화속에서 만들어지는 생명체는 동일한 4개의 기운으로 만들어 지므로 그 만들어진 기운이 반대인 식물을 약으로 쓸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였다.

즉 태음인 태양인 소음인 소양인체질에서 태음인은 태음의 기운이고,태양인은 태양의 기운이고, 소음인은 소음의 기운이고, 소양인은 소양의 기운이므로 태양인에게는 태음의 기운이 있는 약제를 치료약으로 쓸 수 있고, 태음인에게는 태양의 기운이 있는 약제를 약으로 쓸 수 있고, 소음인에게는 소양의 기운이 있는 약제를 치료약으로 쓸 수 있고, 소양인에게는 소음의 기운이 있는 약제를 치료약으로 쓸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면 태음의 기운은 어떠한 것이고, 태양의 기운은 어떠한 것이며, 소음의 기운은 어떠한 것이고, 소양의 기운은 어떠한 것인가? 여기에 대한 것은 각론에서 상세히 설명하려하므로 여기에서는 략하기로 한다.

이제마 선생을 체질의학을 4체질로 나누어 체질의학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체질의학에서 인체의 생리병리와 정신과 육체의 구조를 어떻게 연결하여 인간을 설명하고 치료에 대해 한약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일생을 통하여 연구하고 실행하셨던 분이다.
http://www.harmony8.co.kr/bbs/board.php?bo_table=col&wr_id=26&sst=wr_datetime&sod=desc&sop=and&page=1&ckattempt=1
====
https://obbaya.com/16

2/1/2021 주역용어해설 (1) 원형리정(元亨利貞) :: obbaya.com
https://obbaya.com/16 2/10

2010. 2. 1. 13:41
주역용어해설 (1) 원형리정(元亨利貞) 간상(赶上)/보충(補充)2010. 2. 1. 13:41


원형리정에 대한 해석은 참으로 다양하다. 주요한 해석을 간추려보면,

1. 크게(元) 형통하리니(亨) 끝까지(貞) 이롭다(利).
2. 크게(元) 형통하려면(亨) 곧아야(貞) 이롭다(利).
3. 크게(元) 형통하리니(亨) 이롭다는(利) 점괘이다(貞)
4. 크고(元) 형통하고(亨) 이롭고(利) 곧다(貞)
5. 시작되고(元) 자라나고(亨) 이루어지고(利) 완성(貞)된다.
6. 태어나(元) 자라고(亨) 열매맺고(利) 소멸한다(貞)

으뜸 원(元)은 ①첫째 ②시작 ③크다 ④근본, 근원 등으로 사용되는 글자이다.
주역 전체에서 원(元)은 보조적으로 쓰이기에, 원(元)은 형(亨)을 수식하는 말로 풀이하여
'원형/리정'을 분리하는 입장이 위 1,2,3번의 해석이다.
원(元)은 "원길(元吉)"처럼 다른말과 결합하여 쓰이는 것이며,
이로울 리(利)는 '대인을 만나봄이 이롭다'는 리견대인(利見大人)처럼

주역의 다양한 효사에서 다른 말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그래서 리정(利貞) 역시 함께 붙어서 의미를 가지는 말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정(貞) 역시 "정길(貞吉)"처럼 떨어져 쓰이지는 않는다는 것도 '원형/리정'을 나누는 근거로 든다.
반면, 괘사(卦辭)는 문왕이 만들었고 효사(爻辭)는 주공이 만들었기에,
괘사와 효사가 문법적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고 단정할 수 없고,
괘사와 효사는 후대에 첨삭, 수정, 가공되었던 부분도 많으므로,
처음부터 끝까지 논리성과 통일성을 갖추고 있을 것을 기대할 수도 없다고 한다.
따라서 문맥에 맞게 적절하게 해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원형리정(元亨利貞)은 괘사(卦辭)의 나오는 경우에는
독자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조화스럽고 어울린다고 한다.
위의 4,5,6번의 해석은 '원/형/리/정'을 각각 독자성을 가진 의미로 풀이하는 입장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위 5,6번의 해석론을 기준으로 풀었다.
일반적으로는 각각 독립적이고 평등한 레벨로 본다.
예컨대, 원(元)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중에서 봄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사견으로는 원(元)은 단지 근원(根原)이며, 정(貞)도 단지 마침(죽음)이라고 생각한다.
그림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견으로는 원(元)과 정(貞)은 고정이고 변함이 없기에,
주역은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성장 즉, 형(亨)에 집중하여 얘기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성장(亨)하는가에 따라 결실(利)이 다르다는 이야기이며,
따라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 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존경하는 공자께서 어떤 사람이었는지 내가 정확하게 알 수 있을까?
현재의 사람도 그의 마음속으로 들어갈 수 없기에 알 수가 없는데,
수천년전의 사람을 어떻게 안다고 할 수 있으며 장담할 수 있을까?
진실은 공자는 나쁜 사람이었고, 사람들이 꾸미고 각색한 사람이라고 해도,
속았다며 공자를 미워하지는 않을 것이다.
공자의 이미지를 존경하는 것이지, 공자의 행적이 진실이라고 확신해서 존경하는 것은 아닌 까닭이다.
존경할 만 하다면 소설 속의 인물도 존경할 수 있다.

주역은 점 치는 책은 아닌가? 점 치는 책은 맞는 것 같다. 그러나 점만 치는 책은 아닌 것 같다.
점을 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안목이 생기게 하여, 점을 쳐서 묻는 일을 줄이게 만드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진실은? 아직은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내게는 진실이 중요하지 않다.
느끼고 깨닫는 것이 있어 소중히 생각하는 책이며, 그래서 내 생각을 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은 책일 뿐이다

EBS 인문학 특강 : 최진석 교수의 '현대철학자, 노자' / 최진석

EBS 인문학 특강 : 최진석 교수의 '현대철학자, 노자' / 최진석


최진석최진석 교수의 '현대철학자, 노자'

공유하기
384,764views


노자와 《도덕경》을 화두로 삼아, 인류의 생각과 철학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피는 것부터 시작하여, 개인의 삶을 바꾸는 차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회와 국가를 변혁하는 데 노자의 사상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CURRICULUM
구독
1인문학의 위기, 인문학은 생존이다
2‘생각하는 힘’이 만든 역사
3공자의 덕, 노자의 도
4공자철학과 노자철학
5공자의 도와 노자의 도의 비교
6노자 도덕경1장
7동양철학과 서양철학
8노자 도덕경
9노자 도덕경
10노자 도덕경
11노자 도덕경
12노자 도덕경
13노자 도덕경
14노자 도덕경 종청리

최진석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삶의 지혜와 인문학적 통찰을 담은 강연 및 저술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중국 흑룡강대학교를 거쳐 북경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나는 누구인가』,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인간이 그리는 무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