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2016년 스와스모어 강연(Swarthmore Lecture)**인 **'아프리카에서의 퀘이커 평화 구축(Quaker peacebuilding in Africa)'**에 대한 요약 및 스크립트입니다. 이 강연은 Cécile Nyiramana와 Esther Mombo가 발표했으며, 특히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5개국(케냐, 르완다,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에서 퀘이커 신도들이 수행한 평화 구축 활동과 그 동기, 방법, 그리고 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Summary and Review (English)
The 2016 Swarthmore Lecture, 'Quaker peacebuilding in Africa,' delivered by Cécile Nyiramana and Esther Mombo, offers a powerful testimony of peace work in five East and Central African countries: Rwanda, Kenya, Burundi,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RC), and Uganda.
Summary
The lecture begins by grounding the motivation for peacebuilding in personal experience (such as Cécile Nyiramana's loss during the 1994 Rwandan genocide and Esther Mombo's family's loss during the 2007 Kenyan post-election violence) and the Quaker Christian conviction in the dignity of all human beings. It emphasizes that peace is not merely the absence of war, but includes justice, reconciliation, healing, and forgiveness.
A core part of the discussion focuses on various tools and methodologies used by Quakers in the region:
Conflict Management and Mediation.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AVP), which teaches non-violent responses to violence, capacity building, and finding the good in others.
Healing and Rebuilding Our Communities (HROC), a trauma healing program designed to bring together people from opposing sides of a conflict (like Tutsi and Hutu in Rwanda/Burundi).
Turning the Tide (TTT), a non-violence training program for social justice advocacy.
Economic Empowerment,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microcredit, is also essential for sustainable peace by addressing poverty.
The speakers also delve into the root causes of conflict, which include destructive ethnicity, poor leadership, frustrated democratization, corruption, poverty, and the poor sharing of natural resources.
Finally, the lecture critically examines the issue of sustainability, particularly the limitations of relying solely on external donor funding (project peace) which can create dependency and may not address local needs or root causes. They advocate for peace work that is internally driven and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especially the often-unacknowledged work of women.
Review
This lecture is highly valuable for its detailed, first-hand perspective on peacebuilding in a context of severe conflict. The testimonies from individuals like Cécile Nyiramana and a child soldier's caregiver (Grace Ki Chancho) add emotional depth and authenticity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strong emphasis on healing and reconciliation (HROC) as a necessary precursor to lasting peace is particularly insightful, as is the critique of the "industrialization of peace work" where foreign agendas and funding cycles can undermine sustainability. The integration of academic and activist perspectives (Esther Mombo and Cécile Nyiramana, respectively) provides a powerful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The lecture successfully achieves its goal of illuminating complex worldwide issues through local healing work, offering lessons applicable to global issues of segregation and injustice.
요약 및 평가 (한국어)
Cécile Nyiramana와 Esther Mombo가 발표한 **2016년 스와스모어 강연, '아프리카에서의 퀘이커 평화 구축'**은 르완다, 케냐,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DRC), 우간다 등 동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5개국에서 진행된 평화 활동에 대한 강력한 증언을 제공합니다.
요약
강연은 평화 구축의 동기를 개인적인 경험(르완다 집단 학살 중 Cécile Nyiramana의 상실, 2007년 케냐 선거 후 폭력 사태 중 Esther Mombo 가족의 피해)과 모든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퀘이커 기독교의 확신에서 찾으며 시작됩니다. 또한 평화가 단순한 전쟁의 부재가 아니라 정의, 화해, 치유, 용서를 포함한다고 강조합니다.
주요 내용은 이 지역 퀘이커 신도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와 방법론에 초점을 맞춥니다:
갈등 관리 및 중재.
대안 폭력 프로젝트(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AVP): 폭력에 대한 비폭력적 대응, 역량 강화, 타인에게서 선한 것을 찾도록 가르침.
공동체 치유 및 재건(Healing and Rebuilding Our Communities, HROC): 갈등 당사자(예: 르완다/부룬디의 투치족과 후투족)를 한자리에 모으는 트라우마 치유 프로그램.
조류를 바꾸기(Turning the Tide, TTT): 사회 정의 옹호를 위한 비폭력 훈련 프로그램.
경제적 역량 강화: 빈곤 문제를 해결하여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기업가 정신과 소액 대출을 통한 지원.
강연자들은 또한 파괴적인 민족성, 부실한 리더십, 좌절된 민주화 과정, 부패, 빈곤, 천연자원의 불평등한 분배 등을 포함하는 갈등의 근본 원인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성 문제, 특히 외부 기부금에만 의존하는 것(프로젝트 평화)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의존성을 야기하고 지역 사회의 요구 또는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특히 종종 간과되는 여성의 활동을 중심으로 내부적으로 주도되고 지역 공동체에 뿌리를 둔 평화 활동을 지지합니다.
평가
이 강연은 심각한 분쟁 상황에서의 평화 구축에 대한 상세하고 생생한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가 있습니다. Cécile Nyiramana와 아동 병사의 보호자(Grace Ki Chancho)와 같은 개인들의 증언은 이론적 틀에 정서적 깊이와 진정성을 더합니다. 지속적인 평화의 필수 전제로서 치유와 화해(HROC)에 대한 강력한 강조와, 외부의 의제와 자금 주기가 지속 가능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평화 활동의 산업화"에 대한 비판은 특히 통찰력이 있습니다. 학자적 관점(Esther Mombo)과 활동가적 관점(Cécile Nyiramana)의 통합은 이론과 실천의 강력한 균형을 제공합니다. 강연은 복잡한 세계적 문제를 지역적 치유 활동을 통해 조명하고, 분리 및 불의와 같은 세계적인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제시하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합니다.
이 영상은 아프리카에서의 퀘이커 평화 구축 활동에 대한 상세한 배경과 방법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Quaker peacebuilding in Africa: 2016 Swarthmore L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