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인간의 죽음
최준식 (지은이)한울(한울아카데미)
2025-07-25





미리보기
Sales Point : 445
책소개
저자가 BTN 등에서 한 강의를 바탕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쓴 것이다. 많은 죽음학 책이 죽음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 광범위하게 삶을 전체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세계의 풍부하고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죽음과 죽음을 맞이하는 자세, 주변인, 영혼, 사후세계, 카르마 법칙 등등 죽음학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알기 쉽게 논한다. 나아가 현재 우리가 사는 삶은 죽음과 사후 세계, 환생이라는 생의 전체 맥락 속에서 관조해야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목차
강의를 시작하며
PART 1 죽음 앞에서: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제1강 “우리는 왜 죽음을 공부해야 할까?”
제2강 “임종 직전에 개인이 할 일과 임종 직전에 일어나는 일에 대해”
제3강 “사별의 슬픔과 극복에 대해”
PART 2 죽음의 언저리에서: 영혼과 사후 세계로 들어가면서
제4강 “사후 세계로 들어가면서”: 영혼과 사후 세계가 존재한다는 다섯 가지 증거에 대해
제5강 “근사 체험이란 무엇인가?”: 사후 세계 연구에서 근사 체험은 왜 중요한가?
제6강 “근사 체험자들의 변화에 대해”
제7강 “사후통신이란 무엇인가”
PART 3 사후 세계에 들어와서: 사후 세계는 어떤 원리로 돌아갈까?
제8강 “영혼이란 무엇인가?”
제9강 “사후세계는 어떤 곳인가?” 1
제10강 “사후세계는 어떤 곳인가?” 2
제11강 “천당과 지옥은 정말로 존재하는 것인가?”
PART 4 환생을 준비하면서: 카르마 법칙은 어떻게 작동할까?
제12강 “인간의 환생에 대해”
제13강 “카르마 법칙에 대해”
강의를 마치며
특강 1 “한국인의 죽음관”
특강 2 “자살에 관하여”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최준식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1979년 서강대 사학과 졸업
1988년 미국 템플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졸업
1989년 종교문화연구원 설립
1992년~2021년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역임
2005년 한국죽음학회 설립
2021년~ 이화여대 명예교수
2025년 사후학 연구소 설립
관련 저서와 역서
『죽음, 또 하나의 세계』(2006)
『죽음의 미래』(2011)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2014)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2018)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카르마 강의』(2021)
『한국 사자의 서... 더보기
최근작 : <한 권으로 읽는 인간의 죽음>,<UFO 세계가 주목한 두 접촉자의 이야기>,<Beyond UFOs> … 총 13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미리보기
Sales Point : 445
책소개
저자가 BTN 등에서 한 강의를 바탕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쓴 것이다. 많은 죽음학 책이 죽음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 광범위하게 삶을 전체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세계의 풍부하고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죽음과 죽음을 맞이하는 자세, 주변인, 영혼, 사후세계, 카르마 법칙 등등 죽음학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알기 쉽게 논한다. 나아가 현재 우리가 사는 삶은 죽음과 사후 세계, 환생이라는 생의 전체 맥락 속에서 관조해야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목차
강의를 시작하며
PART 1 죽음 앞에서: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제1강 “우리는 왜 죽음을 공부해야 할까?”
제2강 “임종 직전에 개인이 할 일과 임종 직전에 일어나는 일에 대해”
제3강 “사별의 슬픔과 극복에 대해”
PART 2 죽음의 언저리에서: 영혼과 사후 세계로 들어가면서
제4강 “사후 세계로 들어가면서”: 영혼과 사후 세계가 존재한다는 다섯 가지 증거에 대해
제5강 “근사 체험이란 무엇인가?”: 사후 세계 연구에서 근사 체험은 왜 중요한가?
제6강 “근사 체험자들의 변화에 대해”
제7강 “사후통신이란 무엇인가”
PART 3 사후 세계에 들어와서: 사후 세계는 어떤 원리로 돌아갈까?
제8강 “영혼이란 무엇인가?”
제9강 “사후세계는 어떤 곳인가?” 1
제10강 “사후세계는 어떤 곳인가?” 2
제11강 “천당과 지옥은 정말로 존재하는 것인가?”
PART 4 환생을 준비하면서: 카르마 법칙은 어떻게 작동할까?
제12강 “인간의 환생에 대해”
제13강 “카르마 법칙에 대해”
강의를 마치며
특강 1 “한국인의 죽음관”
특강 2 “자살에 관하여”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최준식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1979년 서강대 사학과 졸업
1988년 미국 템플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졸업
1989년 종교문화연구원 설립
1992년~2021년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역임
2005년 한국죽음학회 설립
2021년~ 이화여대 명예교수
2025년 사후학 연구소 설립
관련 저서와 역서
『죽음, 또 하나의 세계』(2006)
『죽음의 미래』(2011)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2014)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2018)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카르마 강의』(2021)
『한국 사자의 서... 더보기

최근작 : <한 권으로 읽는 인간의 죽음>,<UFO 세계가 주목한 두 접촉자의 이야기>,<Beyond UFOs> … 총 13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는 왜 죽음을 공부해야 할까?
한국죽음학회장 최준식 교수의 죽음학 강의
“이 학문은 죽음뿐만 아니라 삶도 같이 다루는데 다른 학문보다 죽음을 더 강조하면서 인간의 삶을 조망하기 때문에 죽음학으로 불린 것입니다. 한문으로는 생사학(生死學) 혹은 사생학(死生學)이라 용어를 쓰는데 사실 이 용어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죽음이 삶을 떠나서 홀로 존재할 수 있겠습니까? 죽음을 공부하는 것도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된 삶을 살려고 하는 것 아닙니까? 흔히 삶과 죽음은 동전의 앞뒷면이라고 하는데 양자가 같이 가야 우리의 전체적인 삶이 완성되지 않겠습니까?” _ 본문에서
■ 인간만이 던지는 질문, 죽음.
인간은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자신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는, 즉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은 알지만, 죽음이 무엇인지는 알지 못하기에 두려워하고 외면하고자 한다.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두려움, 죽은 다음 어찌 될지 모르는 두려움, 사랑하는 이들과의 이별에 대한 두려움 등이 그것이다. 이 죽음이라는 근본적인 억압을 회피하고자 많은 사람들은 물질적인 삶에 몰두한다. 때로는 기이하고 광적인 일에 몰두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죽음을 극복할 수는 없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외면해 왔던 가장 중요한 질문을 던질 때인 것이다.
■ 삶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죽음과 삶이 같이 갈 때 완성된다.
죽음이라는 질문은 돌고 돌아서 지금의 삶으로 돌아온다. 죽음과 삶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아서 항상 같이 가게 되어 있다. 결국 마지막에는 지금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관한 문제인 것이다. 죽음학은 삶을 이해하고 제대로 된 삶을 추구하기 위한 학문인 것이다.
■ 풍부하고 다양한 사례와 자료 및 연구를 통해 이야기하는 죽음과 삶의 얼개.
이 책은 저자가 BTN 등에서 한 강의를 바탕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쓴 것이다. 많은 죽음학 책이 죽음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 광범위하게 삶을 전체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세계의 풍부하고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죽음과 죽음을 맞이하는 자세, 주변인, 영혼, 사후세계, 카르마 법칙 등등 죽음학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알기 쉽게 논한다. 나아가 현재 우리가 사는 삶은 죽음과 사후 세계, 환생이라는 생의 전체 맥락 속에서 관조해야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