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24

Render unto Caesar - Wikipedia

Render unto Caesar - Wikipedia



Render unto Caesar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Tribute Money, by Titian (1516), depicts Jesus being shown the tribute penny.
"Render unto Caesar" is the beginning of a phrase attributed to Jesus in the synoptic gospels, which reads in full, "Render unto Caesar the things that are Caesar's, and unto God the things that are God's" (Ἀπόδοτε οὖν τὰ Καίσαρος Καίσαρι καὶ τὰ τοῦ Θεοῦ τῷ Θεῷ).[Matthew 22:21]
This phrase has become a widely quoted summa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secular government, and society. The original message, coming in response to a question of whether it was lawful for Jews to pay taxes to Caesar, gives rise to multiple possible interpretations about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is desirable for Christians to submit to earthly authority.

Narrative[edit]

All three synoptic gospels state that hostile questioners tried to trap Jesus into taking an explicit and dangerous stand on whether Jews should or should not pay taxes to the Roman authorities. The accounts in Matthew 22:15–22 and Mark 12:13–17 say that the questioners were Pharisees and Herodians, while Luke 20:20–26 says only that they were "spies" sent by "teachers of the law and the chief priests".
They anticipated that Jesus would oppose the tax, as their purpose was "to hand him over to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governor".[Luke 20:20] The governor was Pilate, and he was the man responsible for the collecting of taxes in Roman Judea. Initially the questioners flattered Jesus by praising his integrity, impartiality, and devotion to truth. Then they asked him whether or not it is right for Jews to pay the taxes demanded by Caesar. In the Gospel of Mark[12:15] the additional, provocative question is asked, "Should we pay or shouldn't we?"
Jesus first called them hypocrites, and then asked one of them to produce a Roman coin that would be suitable for paying Caesar's tax. One of them showed him a Roman coin, and he asked them whose head and inscription were on it. They answered, "Caesar's," and he responded: "Render therefore unto Caesar the things which are Caesar's; and unto God the things that are God's".
The questioners were impressed. Matthew 22:22 states that they "marvelled" (ἐθαύμασαν); unable to trap him any further, and being satisfied with the answer, they went away.

Historical context[edit]

The coin[edit]

denarius featuring Tiberius. The inscription on the obverse reads Ti[berivs] Caesar Divi Avg[vsti] F[ilivs] Avgvstvs ("Caesar Augustus Tiberius, son of the Divine Augustus"), and the reverse reads Pontif[ex] Maxim[us] ("Highest Priest").
The text identifies the coin as a δηνάριον dēnarion,[1] and it is usually thought that the coin was a Roman denarius with the head of Tiberius. The coin is also called the "tribute penny." The inscription reads "Ti[berivs] Caesar Divi Avg[vsti] F[ilivs] Avgvstvs" ("Caesar Augustus Tiberius, son of the Divine Augustus"). The reverse shows a seated female, usually identified as Livia depicted as Pax.[2]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denarii were not in common circulation in Judaea during Jesus' lifetime and that the coin may have instead been an Antiochan tetradrachm bearing the head of Tiberius, with Augustus on the reverse.[3] Another suggestion often made is the denarius of Augustus with Caius and Lucius on the reverse, while coins of Julius CaesarMark Antony, and Germanicus are all considered possibilities.[4]
A similar episode occurs in the Gospel of Thomas (verse 100), but there the coin in question is gold. Importantly, in this non-canon gospel, Jesus adds, "and give me what is mine."[5]

Tax resistance in Judaea[edit]

The taxes imposed on Judaea by Rome had led to riots.[6] New Testament scholar Willard Swartley writes:
The tax denoted in the text was a specific tax… It was a poll tax, a tax instituted in A.D. 6. A census taken at that time (cf. Lk. 2:2) to determine the resources of the Jews provoked the wrath of the country. Judas of Galilee led a revolt (Acts 5:37), which was suppressed only with some difficulty. Many scholars date the origin of the Zealot party and movement to this incident.[7]
The Jewish Encyclopedia says of the Zealots:
When, in the year 5, Judas of Gamala in Galilee started his organized opposition to Rome, he was joined by one of the leaders of the Pharisees, R. Zadok, a disciple of Shammai and one of the fiery patriots and popular heroes who lived to witness the tragic end of Jerusalem… The taking of the census by Quirinus, the Roman procurator, for the purpose of taxation was regarded as a sign of Roman enslavement; and the Zealots' call for stubborn resistance to the oppressor was responded to enthusiastically.
At his trial before Pontius Pilate, Jesus was accused of promoting resistance to Caesar's tax.
Then the whole company of them arose and brought him before Pilate. 2 And they began to accuse him, saying, "We found this man misleading our nation and forbidding us to give tribute to Caesar, and saying that he himself is Christ, a king." (Luke 23:1–4)

Interpretations[edit]

Malczewski Jacek, Render unto Caesar
The passage has been much discussed in the modern context of Christianity and politics, especially on the questions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ax resistance.

Foreshadowing[edit]

When Jesus later was crucified, he was in a sense rendering unto Caesar the body that belonged to Caesar's (human, earthly) realm, while devoting his soul to God. Augustine of Hippo suggested this interpretation in his Confessions, where he writes
He himself, the only-begotten, was created to be wisdom and justice and holiness for us, and he was counted among us, and he paid the reckoning, the tribute to Caesar.[8]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edit]

Jesus responds to Pontius Pilate about the nature of his kingdom: "My kingdom is not of this world. If my kingdom were of this world, my servants would have been fighting, that I might not be delivered over to the Jews. But now (or 'as it is') my kingdom is not from the world" (John 18:36); i.e., his religious teachings were separate from earthly political activity. This reflects a traditional division in Christian thought by which state and church have separate spheres of influence.[9] This can be interpreted either a Catholic, or Thomist, way (Gelasian doctrine) or a Protestant, or Lockean, way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e Tribute Money, by Joachim Wtewael (1616)
Tertullian, in De Idololatria, interprets Jesus as saying to render "the image of Caesar, which is on the coin, to Caesar, and the image of God, which is on man, to God; so as to render to Caesar indeed money, to God yourself. Otherwise, what will be God's, if all things are Caesar's?"[10]

Theonomic answer[edit]

H. B. Clark writes, "It is a doctrine of both Mosaic and Christian law that governments are divinely ordained and derive their powers from God. In the Old Testament it is asserted that "Power belongs unto God," (Ps 62:11) that God "removes kings and sets up kings," (Dan 2:21) and that "The Most High rules in the kingdom of men, and gives it to whomever He will" (Dan 4:32). Similarly, in the New Testament, it is stated that "...there is no power but of God, the powers that be are ordained of God" (Rom 13:1).[11]
R. J. Rushdoony expands, "In early America, there was no question, whatever the form of civil government, that all legitimate authority is derived from God... Under a biblical doctrine of authority, because "the powers that be are ordained of God (Rom 13:1), all authority, whether in the home, school, state, church, or any other sphere, is subordinate authority and is under God and subject to His word." This means, first, that all obedience is subject to the prior obedience to God and his Word, for "We ought to obey God rather than men" (Acts 5:29; 4:19). Although civil obedience is commanded, it is equally apparent that the prior requirement of obedience to God must prevail."[12]

Justification for following laws[edit]

Some read the phrase "Render unto Caesar that which is Caesar's" as unambiguous at least to the extent that it commands people to respect state authority and to pay the taxes it demands of them. Paul the Apostle also states in Romans 13 that Christians are obliged to obey all earthly authorities, stating that as they were introduced by God, disobedience to them equates to disobedience to God.
In this interpretation, Jesus asked his interrogators to produce a coin in order to demonstrate to them that by using his coinage they had already admitted the de facto rule of the emperor, and that therefore they should submit to that rule.[13]
For example, one Mennonite explained why he was not a war tax resister this way:
We are against war and do not wish to aid the war effort by conscription or by paying war taxes to the government. Doing so only helps to strengthen and perpetuate the war machine. Matthew 22:21 Jesus said "Render to Caesar the things that are Caesar's; and to God the things that are God's." Romans 13:1 "Let every person be in subjection to the governing authorities. For there is no authority except from God and those which exist are established by God." If the law of the land is that everyone must pay war taxes then that is what we must do. It is the law! We should however, work and pray extremely hard to change the law. The ideal situation would be to have the law abolished. The alternative would be to have a choice of designating our portion of the war tax towards efforts of peacemaking. This route would be a more lawful, constructive, and positive effort.[14]

Respecting obligations when enjoying advantages[edit]

Some see the parable as being Jesus' message to people that if they enjoy the advantages of a state such as Caesar's, as distinct from God's authority (for instance, by using its legal tender), they can't subsequently choose to ignore the laws of such a state. Henry David Thoreau writes in Civil Disobedience:
Christ answered the Herodians according to their condition. "Show me the tribute-money," said he; – and one took a penny out of his pocket; – If you use money which has the image of Caesar on it, and which he has made current and valuable, that is, if you are men of the State, and gladly enjoy the advantages of Caesar's government, then pay him back some of his own when he demands it; "Render therefore to Caesar that which is Caesar's and to God those things which are God's" – leaving them no wiser than before as to which was which; for they did not wish to know.
Mennonite Dale Glass-Hess wrote:
It is inconceivable to me that Jesus would teach that some spheres of human activity lie outside the authority of God. Are we to heed Caesar when he says to go to war or support war-making when Jesus says in other places that we shall not kill? No! My perception of this incident is that Jesus does not answer the question about the morality of paying taxes to Caesar, but that he throws it back on the people to decide. When the Jews produce a denarius at Jesus' request, they demonstrate that they are already doing business with Caesar on Caesar's terms. I read Jesus' statement, "Give to Caesar…" as meaning "Have you incurred a debt in regard to Caesar! Then you better pay it off." The Jews had already compromised themselves. Likewise for us: we may refuse to serve Caesar as soldiers and even try to resist paying for Caesar's army. But the fact is that by our lifestyles we've run up a debt with Caesar, who has felt constrained to defend the interests that support our lifestyles. Now he wants paid back, and it's a little late to say that we don't owe anything. We've already compromised ourselves. If we're going to play Caesar's games, then we should expect to have to pay for the pleasure of their enjoyment. But if we are determined to avoid those games, then we should be able to avoid paying for them.[15]
Mohandas K. Gandhi shared this perspective. He wrote:
Jesus evaded the direct question put to him because it was a trap. He was in no way bound to answer it. He therefore asked to see the coin for taxes. And then said with withering scorn, "How can you who traffic in Caesar's coins and thus receive what to you are benefits of Caesar's rule refuse to pay taxes?" Jesus' whole preaching and practice point unmistakably to noncooperation, which necessarily includes nonpayment of taxes.[16][17][18]

Tax resistance[edit]

Mennonite pastor John K. Stoner spoke for those who interpret the parable as permitting or even encouraging tax resistance: "We are war tax resisters because we have discovered some doubt as to what belongs to Caesar and what belongs to God, and have decided to give the benefit of the doubt to God."[19]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ers[edit]

As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ance developed during the 17th through 19th centuries, the resisters had to find a way to reconcile their tax resistance with the "Render unto Caesar" verse and other verses from the New Testament that encourage submission to the government. Here are a few examples:
Around 1715, a pseudonymous author, "Philalethes," published a pamphlet entitled Tribute to Cæsar, How paid by the Best Christians... in which he argued that while Christians must pay "general" taxes, a tax that is explicitly for war purposes is the equivalent to an offering on an altar to a pagan god, and this is forbidden.[20]
In 1761, Joshua Evans put it this way:
Others would term it stubbornness in me, or contrary to the doctrine of Christ, concerning rendering to Caesar his due. But as I endeavored to keep my mind in a state of humble quietude, I was favored to see through such groundless arguments; there being nothing on the subject of war, or favorable to it, to be found in that text. Although I have been willing to pay my money for the use of civil government, when legally called for; yet have I felt restrained by a conscientious motive, from paying towards the expense of killing men, women and children, or laying towns and countries waste.[21]
In 1780, Samuel Allinson circulated a letter on the subject of tax resistance, in which he insisted that what was due to Caesar was only what Caesar would not use for antichristian purposes:
…the question put to our Savior on the point was with evil intention to ensnare and render him culpable to one of the great parties or sects then existing, who differed about the payment of taxes, his answer, though conclusive, was so wisely framed that it left them still in doubt, what things belonged to Cæsar and what to God, thus he avoided giving either of them offence which he must inevitably have done by a determination that tribute indefinitely was due to Cæsar. Our first and principle obedience is due to the Almighty, even in contradiction to man, "We ought to obey God rather than men" (Acts 5:29). Hence, if tribute is demanded for a use that is antichristian, it seems right for every Christian to deny it, for Cæsar can have no title to that which opposes the Lord's command.[22]
In 1862, Joshua Maule wrote that he felt that the "Render unto Caesar" instruction was compatible with war tax resistance, as there was no reason to believe for certain that the tax referred to in that episode had any connection to war:
The words of Christ, "Render to Cæsar the things that are Cæsar's, and to God the things that are God's," have often been brought forward as evidence that He approved of paying all taxes; it being said, in connection, that Cæsar was then engaged in war. The distinction, however, is sufficiently clear: the things that were Cæsar's were, doubtless, those which appertain to the civil government; the things which belong to God are, surely, a clear and full obedience to His commands and to His laws. We know that all the precepts and commands of Christ which can be applied in reference to this subject are of one tendency, enjoining "peace on earth and good-will to men." We do not know, after all, however, what was the exact nature and use of the tribute collected in those days, nor what were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which Christians or others were then placed in regard to such things.[23]

Christian anarchist tax resisters[edit]

The Tribute Money by Gustave Dore(1866)
The less you have of Caesar's, the less you have to render to Caesar.
— Dorothy DayThe Catholic Worker
Christian anarchists do not interpret Matthew 22:21 as advocating support for taxes but as further advice to free oneself from material attachmentJacques Ellul believes the passage shows that Caesar may have rights over the fiat money he produces, but not things that are made by God, as he explains:[24]
Render unto Caesar..." in no way divides the exercise of authority into two realms....They were said in response to another matter: the payment of taxes, and the coin. The mark on the coin is that of Caesar; it is the mark of his property. Therefore give Caesar this money; it is his. It is not a question of legitimizing taxes! It means that Caesar, having created money, is its master. That's all. Let us not forget that money, for Jesus, is the domain of Mammon, a satanic domain!
Ammon Hennacy interpreted Matthew 22:21 slightly differently. He was on trial for civil disobedience and was asked by the judge to reconcile his tax resistance with Jesus' instructions. "I told him Caesar was getting too much around here and some one had to stand up for God." Elsewhere, he interpreted the story in this way:
[Jesus] was asked if He believed in paying taxes to Caesar. In those days different districts had different money and the Jews had to change their money into that of Rome, so Jesus asked, not for a Jewish coin, but for a coin with which tribute was paid, saying "Why tempt me?" Looking at the coin He asked whose image and superscription was there inscribed and was told that it was Caesar's. Those who tried to trick Him knew that if He said that taxes were to be paid to Caesar He would be attacked by the mobs who hated Caesar, and if He refused to pay taxes there would always be some traitor to turn Him in. His mission was not to fight Caesar as Barabbas had done, but it was to chase the moneychangers out of the Temple and to establish His own Church. Whether He winked as much as to say that any good Jew knew that Caesar did not deserve a thing as He said, "Render unto Caesar what is Caesar's and unto God what is God's," or not, no one knows. …Despite what anyone says each of us has to decide for himself whether to put the emphasis upon pleasing Caesar or pleasing God. We may vary in our reasons for drawing the line here or there as to how much we render unto Caesar. I make my decision when I remember that Christ said to the woman caught in sin, "Let him without sin first cast a stone at her." I remember His "Forgive seventy times seven," which means no Caesar at all with his courts, prisons and war.[25]

Versions[edit]

King James Version of the Bible:Matthew 22:15–22Mark 12:13–17Luke 20:20–26
New International Version:Matthew 22:15–22Mark 12:13–17Luke 20:20–26
The extracanonical Gospel of Thomas also has a version, which reads in the Stephen Patterson and Marvin Meyer Version 100:[26]
They showed Jesus a gold coin and said to him, "The Roman emperor's people demand taxes from us." He said to them, "Give the emperor what belongs to the emperor, give God what belongs to God, and give me what is mine."
The fragmentary Egerton Gospel in the Scholar's Version translation (found in The Complete Gospels) 3:1–6 reads:[27]
They come to him and interrogate him as a way of putting him to the test. They ask, "Teacher, Jesus, we know that you are [from God], since the things you do put you above all the prophets. Tell us, then, is it permissible to pay to rulers what is due them? Should we pay them or not?" Jesus knew what they were up to, and became indignant. Then he said to them, "Why do you pay me lip service as a teacher, but not [do] what I say? How accurately Isaiah prophesied about you when he said, 'This people honors me with their lips, but their heart stays far away from me; their worship of me is empty, [because they insist on teachings that are human] commandments […]'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Thayer's Lexiconδηνάριον
  2. ^ "Tiberius, Tribute Pen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1. Retrieved 7 September 2011.
  3. ^ Lewis, Peter E.; Bolden, Ron (2002). The Pocket Guide to Saint Paul: Coins Encountered by the Apostle on his Travels. Wakefield Press. p. 19. ISBN 1-86254-562-6.
  4. ^ Michael E. Marotta (2001). "Six Caesars of the Tribute Pen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1. Retrieved 7 September 2011.
  5. ^https://www.marquette.edu/maqom/Gospel%20of%20Thomas%20Lambdin.pdf
  6. ^ Marshall, I.H. Gospel of Luke: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p. 735; Gross, David (ed.) We Won't Pay!: A Tax Resistance ReaderISBN 1-4348-9825-3 pp. 1–7
  7. ^ Swartley, Willard M. The Christian and the Payment of Taxes Used For War 1980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06. Retrieved 22 April 2006.
  8. ^ Augustine of Hippo, Confessions, book 5, chapter 5 (Sarah Rudentranslation)
  9. ^ Spivey, Jim (Summer 1994). "Separation No Myth"Southwestern Journal of Theology36 (5). Retrieved 18 February2017.
  10. ^ from The Writings of Tertullian. vol. I, ed. by Alexander Roberts and James Donaldson (Edinburgh: T.&T. Clark, 1869) p. 164. [1]
  11. ^ Clark, H. B. (1944). Biblical Law. Portland, Oregon: Binfords & Mort. p. 51.
  12. ^ Rushdoony, R. J. (1973). The Institutes of Biblical Law. The Craig Press. p. 214.
  13. ^ Brown, John The law of Christ respecting civil obedience, especially in the payment of tribute (London: William Ball, 1839) 3rd. ed, p. 183 "It is as if our Lord had said, 'The common circulation of Caesar′s coin among you, shows that you stand in a certain relation to him as your ruler. Perform all the duties which are due to him in that relation'"
  14. ^ Sawatzky, Anne, quoted in Peachey, Titus Silence and Courage: Income Taxes, War and Mennonites 1940–1993 MCC Occasional Paper #18, August 1993, p. 34
  15. ^ in Peachey, Titus Silence and Courage: Income Taxes, War and Mennonites 1940–1993 MCC Occasional Paper #18, August 1993, p. 29
  16. ^ Gandhi, Mahatma (27 March 1930), "Render Unto Caesar"Young In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September 2012
  17. ^ The Collected Works of Mahatma Gandhi (PDF)48. 1998 [1930]. p. 483.
  18. ^ Gross, David M. (2008). We Won't Pay!: A Tax Resistance ReaderCreateSpace. p. 373. ISBN 978-1-4348-9825-8.
  19. ^ Taxpayers Who Fail to File Federal Income Tax Returns: Hearing Before the Subcommittee on Oversight of the Committee on Ways and Means, House of Representatives, One Hundred Third Congress, First Session, October 26, 1993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4. p. 154. ISBN 016044076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ugust 2012.
  20. ^ Philalethes (pseud.) "Tribute to Cæsar, How paid by the Best Christians, And to what Purpose; With Some Remarks on the late vigorous Expedition against Canada. Of Civil Government, How Inconsistent it is with the Government of Christ in his Church. Compared with the Ancient Just and Righteous Principles of the Quakers, and their Modern Practice and Doctrine. With some Notes upon the Discipline of their Church in this Province, especially at Philadelphia" (1715?) as found in Gross, David M. (ed.)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ance (2008) ISBN 978-1-4382-6015-0 pp. 23–42
  21. ^ Evans, Joshua "A Drop in the Ocean" as found in Gross, David M. (ed.)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ance (2008) ISBN 978-1-4382-6015-0 pp. 90–91
  22. ^ Allinson, Samuel "Reasons against War, and paying Taxes for its support" (1780) as found in Gross, David M. (ed.)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ance (2008) ISBN 978-1-4382-6015-0 pp. 154–71
  23. ^ Maule, Joshua "He Could Not Have the Money for That Purpose" (~1862) as found in Gross, David M. (ed.)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ance (2008) ISBN 978-1-4382-6015-0 pp. 369–78
  24. ^ "Ellul, Jacques ''Anarchism and Christianity'' p. 20"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February 2012. Retrieved 7 May 2012.
  25. ^ Hennacy, Ammon The Book of Ammon (5th printing, Feb. 1970), pp. 393–94
  26. ^ "The Gospel of Thomas. Translated by Stephen Patterson and Marvin Meyer".
  27. ^ The Complete Gospels, Robert J. Miller ed., Polebridge Press, 1992, ISBN 0944344305, pp. 409–10

External links[edit]

2020/09/22

알라딘: [전자책] 원효 : 한국불교철학의 선구적 사상가 - 살림지식총서 327

알라딘: [전자책] 원효 : 한국불교철학의 선구적 사상가 - 살림지식총서 327

알라딘: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알라딘: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알라딘: 그림으로 보는 불교 이야기

알라딘: 그림으로 보는 불교 이야기

알라딘: [전자책] 마음이 아플 땐 불교심리학

알라딘: [전자책] 마음이 아플 땐 불교심리학

알라딘: 마음이란 무엇인가

알라딘: 마음이란 무엇인가

알라딘: 지구인들을 위한 진리 탐구

알라딘: 지구인들을 위한 진리 탐구

알라딘: 불교 대인심리학

알라딘: 불교 대인심리학

불교 대인심리학 

코이케 류노스케 (지은이),최선임 (옮긴이)지식여행2010-12-10







불교 대인심리학





























































 미리보기

정가

12,800원

판매가

11,520원 (10%, 1,280원 할인)

마일리지

64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52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Sales Point : 180

 8.3 100자평(3)리뷰(1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품절 출판사/제작사 유통이 중단되어 구할 수 없습니다.

품절센터 의뢰

보관함 +

- 품절 확인일 : 2017-03-09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30)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1,8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252쪽152*223mm (A5신)353gISBN : 9788961091572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교양심리학

이벤트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번뇌리셋』『생각버리기 연습』 등 베스트셀러 저자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의 남을 아끼고 자신을 키우는 진정한 자아실현법이 담긴 책.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마음대로’ 반응하는 마음, 그 정체는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인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은 이러한 의문을 그동안 많은 심리학 서적이 알려주던 것과는 다른 불교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마음의 정체를 밝힌다. 또한 그는 마음의 뒷모습을 투영해봄으로써 스스로가 매어놓은 족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신을 깨닫는 방법을 제시한다.



코이케 스님은 이처럼 우리를 콤플렉스로 얼룩지게 만들어 멋대로 움직이고 현혹하고 휘두르는 마음에서 벗어나, 자아의 진실을 찾아 떠나는 여정의 길잡이가 되어준다. 또 손수 그린 귀여운 일러스트와 다양한 사례들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개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이 책은 사람의 심리를 투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에 대해 한 번쯤 고찰해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목차

I 타인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불'가능성



1. 솔직한 자신'은 실현 불가능하다

나를 받아들여 줘!

자신을 은폐 = 인기를 얻으려는 노력

사기꾼의 이미지 조작 테크닉

‘솔직한 나’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2. 자신을 망치는 '진짜 나'

그래도 역시 ‘솔직한 나’를!

‘만慢’의 번뇌, 작동개시

드러낼 수 있는 상대는 애인이나 가족 정도밖에 없다

‘진짜 나’는 탐진치貪瞋痴의 삼독三毒

아이덴티티는 ‘집착’이라는 번뇌의 도돌이표

자신이라는 ‘암흑영역’을 깎아내다



Ⅱ 잔혹한 인기 게임의 무대 뒤



1. 마켓에 의한 ‘번뇌 스트레스’로의 달콤한 유혹

연애자본주의의 허

‘인기를 모아라’라는 명령

인기 테크닉 해부

인기 테크닉은 정신병 예비군으로의 초석



2. 인기 게임에의 참가 유형

네 가지 참가 유형

‘특별함’ 침해에 대한 복수

‘특별한 한 사람’과 ‘불특정 다수’ 사이의 간극



Ⅲ ‘자기애’를 둘러싼 고뇌 메커니즘



1. 비교 자극은 멈출 수 없다

뇌 속의 이미지 고정화 작용

자기와 자기를 비교하는 마술

아승만我勝慢보다 위험한 아열만我劣慢 자극



2.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식온識蘊 : ‘인식’ 속에 자아는 있는가?

상온想蘊 : ‘기억’ 속에 자아는 있는가?

수온受蘊 : ‘자극’ 속에 자아는 있는가?

행온行蘊 : ‘충동적인 사고 반응’ 속에 자아는 있는가?

자극의 노예

무아無我를 들키지 않도록

인간에게 장착된 자극 장치와 속임 장치



3. 번뇌 상태의 사례연구

자신이라는 환각에 의한 관계의 왜곡

‘싫다 = 화’의 경우

번뇌의 간청 작용

‘좋아한다 = 욕’의 경우

만의 슬픈 사랑 이야기



4. ‘괴로움’을 해부한다

뇌 속의 변환 프로그램 정지 백신

괴로움과 쾌락의 위험한 관계

손에 넣어도 계속되는 괴로움

채찍질 프로그램

왕과 노예

괴로움과 자신의 노예 관계에서 자유로워지다

노예 상태에 있는 생명에게 자비를

뇌 속 변환 프로그램 정지의 실천

패턴 개선으로 성격 개선



Ⅳ 번뇌의 검은 막 : 무력감



1. 사회사적 무력감

세 개의 무력감

사회사적 무력감

오리지널은 없다

‘자기답게 사세요’라는 무책임

인터넷상의 친구 계약

남성도 몸을 팔지 않으면 안 된다



2. 개인사적 무력감

가족에게서 심겨진 무력감

욕과 화로 넘치는 갓난아기의 번뇌

부모에게 인기를 얻기 위한 자기 세뇌

불도식 육아 포인트

유소년기의 친구에 대한 가상연애

모두 선생님의 편애를 받고 싶어 한다

착한 아이 플레이

학급반장 기질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은 정말로 하고 싶은 것?

사이비 쿨 기질



3. 무아의 자유

숨겨진 무아의 진실

어떤 자극도 전부 괴로움

바람기 메커니즘의 사례연구

애인이 바람난 사람의 심리

바람기는 어릴 적에 경험한다

상품가치 대폭락

바람피우는 사람의 심리

바람의 착각 겨냥도

상품가치에 대한 집착을 버린다

‘자극 → 쾌락’ 변환 프로그램의 덫

변환 프로그램 정지 스위치 ‘깨달음’

경계치를 넘었을 때 변환 프로그램은 터진다

죽을 때까지 어중간해도 좋은가?

자극 게임에서의 탈출

판단기준은 ‘고’의 증감

사람을 미치게 하는 구조

무아의 자유로



후기

접기

책속에서

P. 15 ‘나에 대해 다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줘!’라는 번뇌의 충동에서 그렇게 간단히 자유로워질 수는 없을 것이다.

쿨한 척하고 있어도 소용없다. 그 증거로 이 세상을 쭈욱 둘러보면, 늙은 사람이건 젊은 사람이건 남자건 여자건 너 나 할 것 없이 모두들 ‘자기 이야기’를 상대방에게 하고 싶어서 안달이 난 것 같지 않은가?

“직장 상사가 자기가 키우는 해달을 좀 돌봐달래. 공과 사를 분별하지 못해도 정도가 있지”라며 애인에게 푸념을 늘어놓는 사람은 ‘이렇게 불합리한 대우를 받고 있는 불쌍한 나를 이해해달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어릴 때는 전쟁이 끝났을 무렵이라 무척 힘들었지. 너희처럼 평화로운 시대에 태어나 멍하니 하루하루를 술에 술 탄 듯 물에 물 탄 듯 보내는 생활과는 차원이 달랐다고.” 가끔 연장자들 입에서 나오는 이런 대사도 ‘지금은 그저 늙은이로밖에 보이지 않을지 몰라도, 너희가 모르는 옛날의 나는 갖은 고생을 다했어. 이 특별한 나를 이해하고 받아들여 줘’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너희는 나를 무시하고 받아들이지 않지만, 사실 나도 대단한 사람이야’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접기

P. 30 애인이나 가족이라는 특별한 존재에 대해서는 환각과도 비슷한 기대를 품기 쉽다. ‘이 사람이라면 나를 완전히 드러내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주지 않을까?’ 하고 기대하게 된다. 지금까지 겉모습을 꾸미고 거짓말을 해오면서 쌓인 스트레스의 양만큼, 그 반동으로 부풀어 오른 ‘진짜 나를 드러내고 싶다’는 충동이 애인이나 가족이라는 극소수의 소중한 사람들에게 집중되어 퍼부어진다. 이렇게 생각하면, 애인이나 가족이라는 더없이 소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왜곡된 감정이 끊임없이 소용돌이치는 현실도 설명이 가능하다.  접기

P. 87-88 ‘자신’의 이미지를 끊임없이 비교하는 버릇은 이미 현대인에게는 일상화되어 있다.‘오늘은 좋은 하루였어’ ‘오늘은 아무것도 못 했잖아. 으윽’이라는 것을 해석하자면, ‘유의미한 하루를 보낸 훌륭한 나’ ‘무익한 하루를 보낸 쓸모없는 나’라는 의미다. 매일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이와 같은 자기 평가로 마음을 띄웠다 가라앉혔다 하면, 만의 자극이 새겨져 조금씩 불안정한 성격이 된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코이케 류노스케 (小池龍之介)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승려 겸 작가. 1978년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교양학부에서 서양철학을 공부하고 불도에 입문해 스님이 되었다. 현재 야미구치의 쇼겐지(正現寺)와 가마쿠라의 쓰키요미지(月?寺) 주지로서 좌선과 명상을 지도.상담하고 있으며, 스님의 강좌는 대중적인 인기가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2003년부터 웹사이트 ‘출가공간(iede.cc)’를 열어 직접 그린 선(禪) 카툰과 에세이, 상담을 통해 마음 다스리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

불도에 입문하기 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돈을 버는 것의 의미, 인간관계에서 오는 상처, 일과 자아 사이의 균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했다. 그래서 그는 책을 통해 독자들이 자기 자신을 돌아보며 통쾌한 방법으로 삶과 일상, 일의 스트레스를 치유하게 한다.

한국에서만 70만 부가 판매된 베스트셀러 《생각 버리기 연습》을 비롯해 《화내지 않는 연습》, 《나를 지키는 연습》 으로 이어지는 ‘연습’ 시리즈는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았고, 이외에도 《침묵 입문》, 《부처의 말》, 《마음 공부》, 《흔들리지 않고 휘둘리지 않고 담담하게》, 《나를 버리는 연습》, 《나쁜 마음 버리기 연습》 등을 썼다. 접기

최근작 : <나를 지키는 연습>,<화내지 않는 연습>,<생각 버리기 연습> … 총 93종 (모두보기)

최선임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성신여대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에서 일본 근현대문학으로 일문학 석사를 취득했고,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고려대와 한국 미쓰비시에서 일본어를 강의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죽을 때까지 직업에서 곤란을 겪지 않는 법』 『행복을 불러들이는 아침 5시부터 습관』 『자신을 변화시킬 100가지질문』 『니체의 긍정철학』 『남자 심리학』 등이 있다.

최근작 : <12살부터 매너 노트> … 총 66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베스트셀러 저자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의

남을 아끼고 자신을 키우는 진정한 자아실현법!



도쿄대 출신 이색 청년 스님이 명쾌하게 해석한 마음의 메커니즘―

마지막 장을 넘기고 나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가 바뀐다!



“내 마음은 사실 내 것이 아니다!”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마음대로’ 반응하는 마음, 그 정체는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인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은 이러한 의문을 그동안 많은 심리학 서적이 알려주던 것과는 다른 불교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마음의 정체를 밝힌다. 또한 그는 마음의 뒷모습을 투영해봄으로써 스스로가 매어놓은 족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신을 깨닫는 방법을 제시한다.



무의식이 외치는 절절한 한마디!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주세요!”

깊은 연인, 오래된 친구사이에게도 보여주지 못한 진정한 ‘나’의 모습을 보이는 게 두려워 좋은 모습 긍정적인 이미지만을 꾸미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트레스를 받고 급기야 그 관계마저 어긋나버린다. 진짜 내 모습을 보여주면 떠날까 봐 두려워하는 마음속에는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을 사랑해주세요’라는 절절한 메시지가 감춰져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 사랑받기 위해 노력한다. 상대방이 자기를 좋아해주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배려를 하고, 존중해준다.



“왜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나쁜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 것일까?”

그런데, 사이가 점점 가까워질수록 어두운 마음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다. 코이케 스님은 우리 마음은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타인과 자신을 괴롭힌다고 말한다. 갖가지 자극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실감하는 것이다. 그것은 상대방이 ‘진짜 나’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지금 모습은 진정한 내가 아니야, 진짜 나를 보여줘도 너는 나를 사랑해줄까?’ 이러한 의문을 품은 채 더욱 강한 관심과 사랑을 갈망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점점 자신의 이기심과 욕망으로 상대방을 시험에 들게 한다.

코이케 스님은 이처럼 우리를 콤플렉스로 얼룩지게 만들어 멋대로 움직이고 현혹하고 휘두르는 마음에서 벗어나, 자아의 진실을 찾아 떠나는 여정의 길잡이가 되어준다. 또 손수 그린 귀여운 일러스트와 다양한 사례들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개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사람의 심리를 투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에 대해 한 번쯤 고찰해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2)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18)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2.6%

8.3% 20대 10.3%

19.9% 30대 17.3%

17.9% 40대 10.9%

3.8% 50대 5.1%

0% 60대 3.8%

여성 남성

평점

분포

    8.3

    42.9%

    35.7%

    14.3%

    7.1%

    0%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3)

전체 (3)

공감순

   

마음의 개념,처세술이 아니라 마음의 뒷편에 있는 원리. 그 어떤 심리학 책 보다 낫다  구매

ibtech1976 2011-06-03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음이라는 자극반응 자동프로그램을 아주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아라는 환상에서 빠져나와 무아의 자유를 맘껏 누리세요!  구매

바다 2012-10-08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나이 40이 넘어도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왜 다른 사람을 상처주는지 나 자신은 왜 이렇게 고통스러운지 괴로운 나날을 보내다가 사놓고 꽂아두기만 했던 이 책을 읽고 답을 조금은 알것 같네요  구매

hong7440 2013-02-04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11)

리뷰쓰기

공감순

   

추첨 해서 책 준다고 해서,,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이 책을 사기 전에는, 제목이 '대인 심리학' 이여서, 사람을 만날때 도움이 될 핵심적인 것을 찝어 주리라 생각했다. 약간의 히키코모리 증상이 있는 나로써는 쉽게 사람을 만날 수 있는 방법을 기대했었다. 그러나, 그 부분은 크게 다뤄지지 않는 것 같다. 그리고, 이 스님이 일본 사람이여서, 일본 사람 특유의 겉을 드러내지 않는 문화를 배경으로 설명한다. 물론, 한국문화도 그러한 면이 있지만, 더 뚜렷히 나타나는 일본문화가 배경이다. 이 책의 주된 내용은, 대인심리학, 처세술이라기 보단, 불교의 근본적인 내용을 쉽고, 반복적으로 설명한다. 모든 자극이 반복이 되면, 나도 모르게 중독이 되고, 집착이 된다. 그러므로, 평상시 명상 훈련을 해서, 어떤 자극이 들어올때, 그것을 인지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를 저자는 강조한다. 인지를 하고, 알아차린다면 그것에서 벗어 날 수 있고,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한다. 항상 깨어있어야 하는데, 쉽지는 않다. 이 책과 저자의 장점은, 불교, 명상을 쉽게 간단하게 핵심을 잘 말해주고 있고, 해탈을 위한 불교책이 아닌, 일상생활과 관련이 있는 불교, 심리학 얘기를 해주고 있다. 그래서, 나도 샀고, 잘 팔리나 보다. ^^

- 접기

오아시스 2011-09-16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불교 파시즘

알라딘: 불교 파시즘

불교 파시즘 - 선(禪)은 어떻게 살육의 무기가 되었나? 

브라이언 다이젠 빅토리아 (지은이),박광순 (옮긴이)교양인2013-04-19원제 : Zen War Stories (2003년)







불교 파시즘



















































 미리보기

정가

22,000원

판매가

19,800원 (10%, 2,200원 할인)

마일리지

1,1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90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내일 수령

최근 1주 93.2%(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178

 9.5 100자평(3)리뷰(2)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452쪽152*223mm (A5신)670gISBN : 9788991799837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일본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사회사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종교사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사

시리즈

이 책의 원서/번역서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Zen War Stories (Paperback) Paperback

 Zen War Stories (Hardcover) Hardcover

이벤트



이벤트 도서 구매 시, 계간 창작과비평 2020 가을호 창비 타블로이드



9월 특별선물! 찻잔, 방석 그리고 휴식(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평화의 종교가 어떻게 전쟁 이데올로기로 변신했을까? 깨달음의 교리가 어떻게 윤리와 양심을 마비시켰을까? 미국인 승려이자 불교학자인 브라이언 다이젠 빅토리아의 책으로, 일본 파시즘과 불교가 맺은 은밀한 유착을 파헤친다.



이 책은 베일에 가려져 온 일본 군국주의와 불교의 공모를 밝히는 충격적 보고서다. 불교학자이자 오랫동안 수행한 선불교 승려인 저자는 불교의 가르침이 교묘하게 일그러져 '오남용'된 역사를 날카롭게 고발한다. 전쟁에 가담한 승려들, 불교를 신봉한 군인들의 무섭도록 생생한 목소리를 발굴하여 지울 수 없는 과오의 증거로서 제시한다. 인류 역사상 끊임없이 자행되어 온 종교와 정치의 위험한 결탁에 매서운 경종을 울린다.

목차

머리말 / 감사의 말



1부



1장 병사가 된 스님

제국 군대에 자원하다

선불교의 도덕적 맹목성



2장 군대로 간 선불교

‘총력전’과 무사

절에서 배우다

선(禪)이 군대에서 사랑받은 이유



3장 선(禪)과 암살

나가타 데쓰잔 소장 암살 사건

암살을 지지한 선의 논리



4장 천황을 숭배하는 선사

‘착한’ 지킬 박사 오모리 선사

‘나쁜’ 하이드 씨 오모리 소겐

극우파 소겐 선사의 정치적 삶



5장 서양에 선을 전파한 반유대주의 선사

전쟁의 선전 도구가 된 불교 경전

선과 반유대주의

전후 이념 투쟁의 선봉

‘이데올로기적 경찰’이 된 선



6장 중국으로 간 일본 선

만주국의 일본 불교 대표단

만주국에 세워진 일본 사찰

선과 ‘악의 평범성’



7장 살생과 무아(無我)

장군의 선 수행

생사일여(生死一如)의 깨달음

군인 정신과 집단 자살

내 목숨이 가벼우면 적의 목숨도 가볍다



2부



8장 남편이 죽은 것은 업(業) 때문이다

전사자를 추모하는 불교

살육을 정당화해 온 불교 교리

선과 파시즘의 결합



9장 어느 종군 승려의 고백

전쟁터의 《묘법연화경》

불교의 숙명론과 무책임

불살생과 살육전



10장 전범들의 피난처, 불교

승려로 변장한 장교

사형수 독방에서 찾은 아미타불

승려가 될 뻔한 히로히토 천황

‘나무아미타불’을 외는 전범들



11장 ‘황도 불교’라는 괴물

일본 정부가 두려워한 좌우익 불교

천황을 모시는 ‘황도 불교’

광신으로 간 일본 불교의 비극



맺음말 / 후기 / 주석 / 참고 문헌

옮긴이 후기 / 찾아보기



접기

추천글

일본의 군국주의와 선불교 - 이현우 (서평가,『로쟈의 인문학 서재』 저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3년 5월 3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브라이언 다이젠 빅토리아 (Brian Daizen Victoria)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 앤티오크 대학 교수. 일본 고마자와 대학에서 불교학 석사 학위를, 미국 템플 대학에서 종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에서 불교에 귀의하여 일본 최대의 선불교 종파 조동종의 인가를 받고 정식 승려가 되었다. 종교인으로서 베트남 반전 운동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하여 40여 년 동안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연구했다. 특히 자비와 평화의 종교로 여겨져 온 불교가 일본 군국주의에 동원된 이유와 배경을 분석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연구 성과를 본격적으로 정리해 출간한 첫 번째 책 《전쟁과 선(Zen at War)》(1997)으로... 더보기

최근작 : <불교 파시즘>,<전쟁과 선> … 총 6종 (모두보기)

박광순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5년에 충북 청주에서 출생했고, 청주 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했다. 범우사·기린원 등에서 편집국장 및 편집주간을 역임하고, 현재는 저술가 및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헤로도토스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갈리아 전기》, 《서구의 몰락》, 《새로운 세계사》, 《역사의 연구》, 《트로이의 부활》, 《세계를 바꾼 어느 물고기의 역사》, 《콜럼버스 항해록》, 《아틀란티스의 유산》, 《사막의 반란》,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인간의 마지막 진화, 호모 노에티쿠스》 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46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교양인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인권의 최전선>,<홉스>,<슬픔의 힘을 믿는다>등 총 99종

대표분야 : 여성학/젠더 4위 (브랜드 지수 91,702점), 심리학/정신분석학 12위 (브랜드 지수 75,190점), 역사 18위 (브랜드 지수 89,602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자비심으로 생명을 빼앗는 것보다 더 나은 보살행은 없다.”

- 승려 난텐보



선에는 특별한 교리도 철학도, 일련의 개념도 지적인 법칙도 없다. ……

선은 아나키즘이나 파시즘, 공산주의나 민주주의, 무신론이나 관념론,

혹은 어떤 정치적·경제적 독단론과도 결합할 수 있다.

- 승려 스즈키 다이세쓰 데이타로



평화의 종교가 어떻게 전쟁 이데올로기로 변신했을까?

깨달음의 교리가 어떻게 윤리와 양심을 마비시켰을까?

일본 파시즘과 불교가 맺은 은밀한 유착을 파헤친다!



집착을 버리라는 가르침에 힘입어 병사들은 자신의 목숨을 버렸다. 생(生)과 사(死)가 다르지 않기에 슬퍼할 필요가 없었다. 죽음은 그가 쌓은 업(業)에 의해 예정된 일이었고, 전사한 병사는 내세에서 다시 태어날 것이었다.

제국주의 야망이 점령한 전시의 일본에서 불교는 전쟁을 정당화하는 ‘정신적 무기’가 되었다. 이름 높은 선사들이 자진해서 군대의 나팔수로 나섰고, 극우파와 손잡고 천황 숭배를 부르짖었다. 종교의 교리와 역사가 거침없이 왜곡되고 살생을 금하는 계율은 철저히 무시당했다. 불교의 무아관(無我觀)과 생사불이론(生死不二論)이 뒤틀리고 타락하면, 군국주의 파시즘의 광기와 유착해 대량 학살과 집단 자살의 아수라로 빠져들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다.

전쟁을 지휘한 군 수뇌부도 불교를 적극 받아들여 ‘활용’했다. 병사들은 스님이 쓰는 공양 그릇을 본뜬 밥그릇으로 식사했다. 돌격을 앞둔 자살 특공대는 절에 가서 선을 수행하며 두려움을 잊었다. 패전 뒤 사형수가 된 전범들은 과거를 반성하는 대신 정토 왕생을 꿈꾸며 구원을 기대했다.

《불교 파시즘》은 베일에 가려져 온 일본 군국주의와 불교의 공모를 밝히는 충격적 보고서다. 불교학자이자 오랫동안 수행한 선불교 승려인 저자는 불교의 가르침이 교묘하게 일그러져 ‘오남용’된 역사를 날카롭게 고발한다. 전쟁에 가담한 승려들, 불교를 신봉한 군인들의 무섭도록 생생한 목소리를 발굴하여 지울 수 없는 과오의 증거로서 제시한다. 인류 역사상 끊임없이 자행되어 온 종교와 정치의 위험한 결탁에 매서운 경종을 울린다.



일본 불교계조차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미국인 승려의 충격적 고발



불교는 비폭력과 평화의 종교로 널리 인정받아 왔다. 왔다. ‘불살생(不殺生)’을 가장 중요한 계율로 가르치며, 기독교나 이슬람교와는 달리 종교를 내세워 전쟁을 일으킨 일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불교 파시즘》이 밝히는 20세기 일본 불교의 부끄러운 역사는 ‘평화의 종교’라는 불교의 자부심을 무색하게 만든다. 전쟁과 살인을 지지하고 나라를 위해 죽기를 권장한 어두운 과거를 일본 승려들은 오랫동안 외면해 왔다.

한국 조계종의 전신이자 베트남 반전 운동을 벌인 틱낫한 스님이 속한 임제종은, 중국 선종 5가 중 하나로서 일본 불교계에서도 손꼽히는 유력 선불교 종파다. 임제종이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제국에 협력한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사과한 것은 전쟁이 끝난 뒤 5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난 2001년. 이들이 뒤늦게 지난날의 과오를 돌아보게 된 계기를 제공한 이가 바로 그 자신도 승려인 《불교 파시즘》의 저자 브라이언 다이젠 빅토리아다. 40여 년 동안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연구한 학자이기도 한 그는 불교와 일본 군국주의의 공모를 고발하고 분석하여 서구와 일본 불교계에 큰 충격과 논쟁을 불러왔다. 임제종의 최대 분파인 묘신사파는 2001년 10월 9일에 발표한 성명에서 이 파란 눈의 승려에게 전쟁 책임 문제를 환기해준 데 감사의 뜻을 표했다. (《불교 파시즘》 407쪽 ‘후기’ 참조)



난징 대학살도, 가미카제 특공대도 불교가 뒷받침했다>



《불교 파시즘》에는 일본 불교계마저 스스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전시 불교의 타락을 보여주는 증거가 가득하다. 지금도 널리 존경받는 일본의 선사들 중에는 병사로서 전쟁에 참전하고 나서도 희생자들에 대한 죄의식을 평생 느끼지 않은 승려가 있는가 하면(36쪽), 자신이 운영하는 사찰을 군대를 위해 아낌없이 제공하고(182쪽), 천황 중심 사회를 만들기 위한 쿠데타에 가담해 몸소 칼을 쥐는 등(99쪽) 국가 폭력에 저항하기는커녕 적극 협조했던 승려들이 무수히 많다. 이러한 사례들이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 당시 일본 불교계 대부분을 지배한 경향이었음을 이 책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승려들이 저지른 만행의 배경에는 그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오용된 불교의 교리가 있었다. 자비, 깨달음, 무아(無我), 업(業), 열반, 정토 왕생, 생사일여(生死一如)와 같은 불교의 핵심 교리들이 전쟁과 살인을 옹호하기 위한 도구로 둔갑했다. 이를테면 난징 대학살을 필두로 하여 일본군이 각지에서 자행한 중국인 학살은 “그들에게서 ‘번뇌’를 없애주는 불교의 자비심의 표현”(42쪽)이라고 설명되었다. 가미카제 특공대의 자살 공격은 “개인적인 자아를 부정하고 스스로 역사의 짐을 떠맡은 영혼의 재탄생”이며 곧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한 것”(250쪽)이라고 칭송받았다. 이러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숱한 일본제국 군대 장교와 병사들이 적군을 죽이고 자신의 목숨을 버렸다. 그들은 전쟁터에서도 불경을 놓지 않은 신실한 불교도였으면서도(294쪽), 아니 오히려 그랬기 때문에 자신이 하는 일의 정당성을 추호도 의심하지 않았다.



생사일여(生死一如)의 교리에 기대 죽고 죽이다



비록 몸은 죽더라도 생사일여를 통해 국가의 영원한 삶 속에서

계속 살아가게 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을 이상으로 삼아 추구해야 한다.

- 일본제국 군대의 교육을 위한 지침서 《정신 교육 자료》(1941) 중에서



“나는 죽을 준비를 갖추고 여기 서 있다!”(244쪽)고 외치며 돌격하는 일본 병사들에 직면하여 당시 그들의 적수였던 미군은 물론이고 많은 서구 학자들이 당황했다. 일본인이 아닌 사람들의 눈에 기꺼이 죽기를 원하는 일본 병사들의 태도는 지극히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저자는 이 ‘사무라이 정신’의 배경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불교의 생사관이었다고 지적한다.



군인들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살인에 대한 양심의 가책을 지우는 데는 불교에서 말하는 생사일여, 즉 삶과 죽음은 하나라는 가르침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생사일여의 가르침은 선종 불교의 역사에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당나라 때 승려 원규가 죽음의 위협 앞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는 기록이 대표적이다. “나는 본래 태어나지 않았으니 당신이 어떻게 나를 죽일 수 있겠는가? 내 몸은 허공과 같으며, 나는 나 자신이 당신과 다르지 않다고 보는데, 당신이 어떻게 허공을 없애거나 당신 자신을 파괴할 수 있겠는가?”(247쪽) 일본 국사(國師)였던 14세기 승려 간잔 에겐은 생사관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내겐 처음부터 생사가 없었어!”라고 소리를 질렀고(227쪽), 17세기의 유명한 고승 하쿠인 에카쿠는 깨달음의 순간 “죽음은 좋은 것이고, 삶은 훨씬 더 좋은 것이다. 삶은 좋은 것이고, 죽음은 훨씬 더 좋은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210쪽)



조국을 위해 명예롭게 죽기를 권한 불교

일본제국에서 ‘전쟁의 신’으로 추앙받던 육군 장교 스기모토 고로는 생사일여의 가르침을 가슴에 새기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수많은 일본 군인 중 한 명이다. 그는 군인으로 복무하면서 10년에 가까운 오랜 시간을 절에서 수행한 선불교의 재가 제자였다. 스기모토가 중일전쟁에서 전사한 뒤 나온 그의 글 모음 《대의(大義)》는 전쟁 동안 일본에서 10만 부 넘게 팔린 베스트셀러였는데, 제국 군인과 고위 관료들은 물론 승려들에게도 높이 평가받았다. 《대의》에서 스기모토는 거듭 선불교의 생사관을 강조한다.



“선 수행을 통해 나는 자기를 제거할 수 있었다. 이 깨달음을 달성하는 일을 돕기 때문에 선은 제국 군대의 참된 정신이 된다. …… 선 수행으로 삶과 죽음이 명확해지고, 그럼으로써 삶과 죽음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선 수행으로 나는 완전히 순수해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진정한 군인이 되고 싶은 소망을 이룰 수 있다.” ― 7장 살생과 무아(無我)·226쪽에서



“선은 제국 군대의 참된 정신이 된다.”는 스기모토의 말은 육군대신 도조 히데키에 의해 실현되었다. 도조 히데키가 1941년에 공표하여 일본제국 군대의 모든 병사에게 배포한 야전 규정집 《전진훈(戰陣訓)》은 “전시의 다른 어떤 문서보다도 ‘죽기 아니면 살기’ 식의 일본 군인 정신을 잘 요약”(195쪽)해놓은 책이었다. 《전진훈》은 장병들의 필독서였을 뿐 아니라 민간에도 널리 영향을 끼쳤다. 《전진훈》을 일반 독자 대상으로 해설한 책이 여러 출판사에서 우후죽순 출간되었고(230쪽), 승려들은 불교의 생사관을 가르치는 교재로서 《전진훈》을 ‘역수입’했다.(234쪽)

선불교의 가르침을 그대로 가져온 《전진훈》을 읽고 “일본 군인(적어도 잘 세뇌된 군인)은 전쟁터에서 죽을 결심을 확고하게 했다. 일본 군인에게 유일한 문제는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 죽을 것인가, 즉 자신과 가족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고 죽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239쪽)

《전진훈》의 제2장 제8절은 다음과 같았다. “살아서 포로가 되는 치욕을 당하지 말고 죽어서 죄화(罪禍)의 오명을 남기지 말라.”(195쪽) 이 조항으로 인해 일본 군인과 민간인 수십만 명이 항복 대신 자살을 선택하고 무의미하게 죽어 갔다. 연합군이 상륙했을 때 사이판에서 벌어진 참극이 대표적 예다.



항복을 거부한 일본인들은 실전으로 단련된 해병대 병사들조차 경악하게 만든 죽음의 축제를 벌였다. 전 가족이 함께 물에 빠져 죽으러 바다 속으로 걸어 들어가거나, 수류탄을 터뜨려 죽으려고 옹송그려 모이거나, 혹은 부모들이 자식들을 먼저 내던지고 나서 함께 죽기 위해 절벽에서 뛰어내렸다. …… 살아남은 민간인들은 일본 수비대가 연합군의 상륙에 대비한 준비 작업의 일환으로 열었던, 《전진훈》의 정신에 관한 강의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 7장 살생과 무아(無我)·254쪽에서



무아(無我)의 가치관, 자살 특공대의 등을 떠밀다



우리는 누구나 생명에 매우 강하게 집착한다.

그러나 바로 그 집착을 버려야만 비로소 우리는 국가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는 고귀한 정신을 획득할 수 있다. ……

불도 실천의 핵심은 자아를 잊어버리는 것이다.

소아(小我)의 생각을 없애버릴 때, 우리는 참된 일본 시민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 승려 오모리 젠카이



“사랑하는 우리 조국에 미천한 나 자신을 바치는 공적을 세우며 영광을 누려야 한다.”(244쪽) 러일전쟁에 참전한 유명한 군인 사쿠라이 다다요시 대위의 회고록에 나오는 구절이다. 저자는 ‘미천한 나 자신을 바치는’ 것에서 불교의 핵심 교리인 무아를 발견한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뒤 최초로 설파한 가르침인 무아는 무사(無私), 대아(大我), 몰아(沒我), 망아(忘我), 멸사(滅私)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불변하는 실체로서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의 가치관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일본 군인의 생사관에서 또 다른 뿌리를 구성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자아가 존재하지 않으면 태어남이 삶의 시작을 나타내지 않는 것과 같이 죽음이 삶의 끝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246쪽)



실제로 무아 개념은 일본제국 군인들이 직접 남긴 목소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해군 소위 요시다 미쓰루는 자살 사명을 띤 전함 야마토 호에 타고 출격하기 직전 일기에 “무아 상태에서 필살의 투지도 기를 것이다.”라고 썼다. 육군 장군 가와베 마사카즈는 《전진훈》을 평가하며 “《전진훈》은 일심동체인 육군과 해군 전체가 생사를 초월해 몰아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명확히 설명했다.”고 칭찬했다. ― 7장 살생과 무아(無我)·245쪽에서



내 목숨이 가벼우면 적의 목숨도 가볍다

생사일여와 무아의 가르침이 오남용된 탓에 희생된 것은 일본인의 목숨만이 아니었다. 난징 대학살에 참가했던 병사 아즈마 시로는 자신이 저지른 강간과 약탈을 회고하면서 이렇게 고백한다. “내 생명이 중요하지 않으면 어쩔 수 없이 적의 생명은 훨씬 덜 중요해진다. …… 이런 철학으로 인해 우리는 적군을 경시했고, 이것은 결국 포로들의 대량 살해와 학대로 이어졌다.”(263쪽)

일본 군인에게 ‘명예롭게’ 죽는 것이 군인으로서 가장 큰 영광이라면, 살아서 포로로 잡히는 것은 가장 큰 치욕이었다. 일본 군인들은 전쟁터에서 명예롭게 죽지 못한 포로들을 경멸했고, 따라서 그들을 죽이는 것을 망설이지 않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본군이 죽인 포로 숫자를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이 죽인 포로 숫자와 비교해보면 저자의 주장은 한층 설득력을 더한다.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에 잡혔다고 보고된 254,473명의 미군과 영국군 포로 가운데서 단지 4퍼센트(9,348명)만이 그들을 잡은 사람들의 손에 죽었다. 이 숫자는 일본의 앵글로아메리카인 포로 중 살아남지 못한 27퍼센트(132,134명 중 35,756명)와 사뭇 비교된다. 이와 같은 숫자를 고려할 때, 체념하고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인 일본 군인들이 살고 싶어 하는 연합군 포로들의 생명을 존중하거나 그런 문제에 마음을 쓸 수 있었을지 여부도 생각해봐야 한다. ― 7장 살생과 무아(無我)·262쪽에서

남편이 죽은 것은 업(業)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전장에서 죽거나, 인생의 이른 시기에 과부가 되거나,

혹은 아버지의 얼굴도 보지 못한 채 고아가 되는 것은 우연일 뿐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단 한 발의 탄환도 적으로부터 우연히 날아오는 일은 없다.

그것은 명백히 업의 작용이다.

- 승려 도모마쓰 엔타이



불교에서 나온 생사일여와 무아의 가르침을 무기 삼아 병사들이 기꺼이 죽음으로 달려갔다면, 또 다른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업의 교리는 혈육을 잃은 병사들의 유가족을 위로했다.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지 며칠 지나지 않은 1941년 12월 25일, 승려 도모마쓰 엔타이는 《유족 독본(遺族讀本)》이라는 소책자를 출간했다. “그의 죽음은 누구의 탓도 아니고, 또 누구의 잘못도 아니었다. 일어난 일에 책임질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저 죽는 것이 그의 업이었을 뿐이기 때문이다.”(284쪽)라고 그는 썼다. 이러한 가르침은 일본의 사회 지도자들이 전쟁 책임을 회피하는 데도 크게 공헌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오늘날에도 세상 사람들은 독일인과 달리 일본 국민 전체가 자신들의 전쟁 책임에 정면으로 대처하는 데 그토록 어려워하는 이유를 이해하려고 애쓰고 있다. 적어도 그 이유의 일부는 “그 누구의 탓도 아니고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엔타이 스님 같은 사람들에 의해 정식화된 업의 교리에서 찾아야 한다. …… 사회의 개인들이 치르는 대가는 자업자득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일관된 업의 작용’ 앞에서 일본 지도자들의 전쟁 책임을 어떻게 밝혀낼 수 있겠는가? ― 8장 남편이 죽은 것은 업(業) 때문이다·285쪽에서



가족의 죽음이 자업자득이라면 당연히 슬퍼할 필요도 없다. 승려 야마다 레이린은 여기에 더해 윤회 사상에서 힌트를 얻어 유가족에게 희망을 주려고 했다. “‘천황 폐하 만세!’ 하고 외치며 죽은 장교와 사병들의 충성스럽고 용맹하며 고귀하고 영웅적인 정신은 바로 여기 이 나라에 다시 태어날 것이다.”(279쪽)



열반의 경지에 이르면 슬프지 않다

한편 종군 승려로 복무했던 나카가와 소엔은 슬퍼해서는 안 된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저 슬퍼하기만 해서는 아무 성과도 거두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애통함은 자기 중심주의의 산물이므로 모든 깨달은 정신과 마음은 그것을 멀리해야 한다.”(278쪽) 승려 도모마쓰 엔타이는 저서 《유족 독본》에서 슬픔을 초월하고 깨달음을 얻어 열반의 경지에 다다른 유가족을 소개했다. 그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모든 일에 감사했으며, 천황의 인자한 자비심에 대한 존경심이 넘쳐흘렀다. 엔타이 스님은 이들을 본받아야 한다며 전사자의 유족들에게 다음과 같이 권고했다.



사랑하는 사람을 2, 3년 전에 잃고도 방금 여기에서 이야기한 전사자 유족들과 똑같은 상태에 이른 사람들이 이 나라 곳곳에 존재한다고 나는 확신한다. 그들에게서 바로 최근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의 모범을 발견한다. 게다가 그들은 이 나라의 모든 국민에게 말없이 교훈을 보여주었다. 모든 유족이 가능한 한 빨리 이런 마지막 단계에 이르길 기원한다. ― 8장 남편이 죽은 것은 업(業) 때문이다·287쪽에서



극락 왕생을 꿈꾼 A급 전범들



이 손수건의 상표는 영어로 대포를 의미하는 ‘캐넌(Cannon)’입니다.

하지만 일본어로 발음하면 정확히 ‘간논(관음觀音)’을 의미합니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내가 관세음보살님이 친절하게도

손수건의 형태로 모습을 바꾸셨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 도조 히데키, 사형을 앞두고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일본제국과 불교의 친밀한 관계는 끊어지지 않았다. 전범이 되어 사형으로 전쟁 책임에 대한 죗값을 치르게 된 일본 군 수뇌부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또다시 불교를 통해 씻어냈다. A급 전범인 도조 히데키와 관동군 사령관 도이하라 겐지는 사형 선고를 받은 뒤 정토종으로 개종했다. 정토종에서는 누구든지 깊은 신앙심을 갖고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기만 하면 서방 정토에 다시 태어나게 된다고 가르친다. “불교는 …… 과거에 얼마나 ‘사악했든’ 간에 개인적인 구원을 추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약속해주었다.”(353쪽)



처형되는 순간에는 어떤 경전도 필요 없다고 언급한 뒤에 도조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필요한 것은 오로지 ‘나무아미타불’ 하고 염불하는 것뿐입니다. 길 끝에 이르렀을 때는 ‘나무아미타불’밖에 없습니다. 사람은 생사를 초월해야 합니다.” 처형의 순간이 다가오자 도조가 이렇게 소리쳤다고 신쇼 스님은 전한다. “천황 폐하 만세!” 그러고 나서 도조는 사형 집행실로 걸어갔다. 그는 1948년 12월 23일 자정 1분 후에 교수대 계단을 올라갔다. 사람들의 귀에 들린 그의 마지막 말은 ‘나무아미타불’이었다. ― 10장 전범들의 피난처, 불교·330쪽에서



승려가 될 뻔한 히로히토 천황

전범으로 기소된 적은 없지만 전쟁에 책임이 있음이 명확한 히로히토 천황 역시 패전 이후 불교에서 피난처를 찾는 처지에 놓였다. 1945년 1월, 패전이 몇 달 남지 않았을 때 총리대신 고노에 후미마로는 천황을 승려로 만들자는 놀라운 계획을 내놓았다. 천황이 일본의 전통 신앙 신도에서 ‘살아 있는 신(現人神)’으로 모시는 존재임을 고려하면 믿기 힘든 이야기다. 고노에의 다음과 같은 발언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연합군도 승려가 되신 천황 폐하를 괴롭히진 않을 것입니다.”(347쪽) 히로히토가 전범으로 기소되지 않을 수 있도록, 그리고 황실 제도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짜낸 기상천외한 계책이었다.

고노에의 계획이 실행되었다면 히로히토는 불교를 진흥했던 9세기 우다 천황이 세운 닌나사의 주지 스님이 되었을 것이다. 연합국은 히로히토에게 전쟁 책임을 묻지 않았고 결국 고노에의 계획은 불발로 끝났지만, 이러한 계획은 실제로 실행 직전까지 갔으며 닌나사의 원래 주지 스님은 흔쾌히 주지 자리를 내놓았다. 불교가 정치에 동원된 또 하나의 사례다.



불교의 계율은 인간의 생명을 빼앗은 죄를 범했다면 누구든지 승가에서 쫓아내라고 요구하는데도 닌나사 주지였던 오카모토 지코 스님은 이 계율을 신경 쓰지 않았다. 주지직에서 물러나기로 동의할 때 지코 스님은 단지 불교가 국가에 복종하는 전통을 따랐을 뿐이었다. 그 전통은 닌나사의 경우에 이미 1천 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 10장 전범들의 피난처, 불교·348쪽에서



도덕적 판단을 포기한 승려들



선에는 특별한 교리도 철학도, 일련의 개념도 지적인 법칙도 없다. ……

그래서 선은 그 직관적인 가르침이 방해받지 않는 한 거의 모든 철학과 도덕론에 극히 유연하게 적응한다.

선은 아나키즘이나 파시즘, 공산주의나 민주주의, 무신론이나 관념론,

혹은 어떤 정치적·경제적 독단론과도 결합할 수 있다.

- 승려 스즈키 다이세쓰 데이타로



선불교의 가르침에 따르면 깨달은 사람들은 삶과 죽음뿐 아니라 선과 악을 포함한 모든 이원성(二元性)을 초월한다. “깨달은 존재들은, 불교의 계율이 깨닫지 못한 사람들에게 명하는 도덕적인 제약의 지배를 더는 받지 않는다.”(43쪽) 서구에 선불교를 처음으로 전파한 승려 스즈키 다이세쓰 데이타로의 다음과 같은 말에서 선불교의 이러한 특성이 뚜렷이 드러난다.



선은 영혼의 불멸이나 정의, 신성한 길, 혹은 윤리적인 행동과 관련해 …… 언쟁을 벌일 필요가 없으며, 단지 한 사람이 도달한 결론이 합리적이든 비합리적이든 그 결론을 가슴에 품고 전진하라고 촉구할 뿐이다. 철학은 지적인 정신을 지니고 안전하게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선은 행동하고 싶어 한다. 그리고 일단 결심을 하면 가장 효과적인 행동은 뒤돌아보지 않고 계속 전진하는 것이다. . ― 3장 선(禪)과 암살·80쪽에서



초국가주의 암살 조직 혈맹단을 지휘한 승려 이노우에 닛쇼는 이러한 가르침을 충실히 실천에 옮겼다. 깨달음을 얻고 나서 그는 “선과 악의 특정한 개념에 집착하거나,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370쪽)는 진리에 다다랐다. 천황을 중심에 둔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혁명 수단으로 암살을 택하는 데 이노우에는 한 점 주저함이 없었다. 암살을 택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이노우에는 불교의 자비심을 내세웠다. “우리의 목표는 다른 사람들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자멸하는 것이었다. …… 자멸하는 과정에서 희생자들이 생긴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것이 우리 혁명의 근본적인 원리였다. 큰 자비심이 우리 혁명의 기본 정신이었다.”(377쪽)

체포되어 재판받을 때도 이노우에는 “나는 행동할 때 주로 불교 사상의 인도를 받았다.”(380쪽)고 당당히 선언했다. 일찍이 그의 스승이었던 승려 야마모토 겐포가 제자를 위해 법정으로 달려왔다. 이후 임제종의 최대 분파 묘신사파의 관장으로 선출된 고승인 그는 이노우에를 다음과 같이 적극 변호했다.



“불교의 모든 조각상은 부처의 정신을 나타내는데,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의 조각상 외에 칼을 쥐고 있지 않은 불교 조각상은 없다. 어린이들의 보호자인 지장보살조차 전쟁의 승리자로 나타날 때는 손에 창을 들고 있다. 따라서 참된 인간성의 완성에 기반을 둔 불교는, 사회의 화합을 해치려 하는 사람이 있으면 선량한 사람이라도 죽일 수밖에 없다.” ― 11장 ‘황도 불교’라는 괴물·383쪽에서



선도 악도 없는 절대적 영역

살인자 제자를 변호한 승려는 한 명이 아니다. 역시 천황 숭배자였던 군인 아이자와 사부로는 천황의 직접 통치를 신속하게 실현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여겼던 상관 나가타 데쓰잔 소장을 칼로 찔러 암살했다. 군법회의에 회부된 아이자와가 암살을 실행에 옮길 때 자신의 심리 상태를 설명한 “나는 절대적인 영역에 있었다. 그래서 긍정도 부정도, 선도 악도 없었다.”(74쪽)는 증언에서 이원성의 초월에 대한 선불교의 가르침의 영향을 다시 한 번 엿볼 수 있다. 그는 유명한 사찰 린노사에서 수 년 동안 수행한 속가 제자였다.

제자를 변호하기 위해 린노사의 주지 스님인 후쿠사다 무가이가 법정에 나왔다. 저자는 “무가이 선사는 자기 제자의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 깊이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80쪽)고 지적한다. 무가이는 “그의 행동이 옳으냐 그르냐를 따지기에 앞서, 나는 그가 행동하기 전에 되풀이해서 그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하며 “나만은 그가 어째서 그렇게 행동했는지 충분히 이해한다.”고 호소했다. 또 제자의 ‘확고부동한 불굴의 신념’과 더불어 그의 ‘숭고한 정신’을 기꺼이 칭찬했다.(76쪽)



‘황도 불교’라는 괴물



우주의 창조와 진화의 자비로운 근원은 태양의 여신에게서 찾아야 한다.

일본 정신이 일본 불교의 특질이라면

일본 불교도들이 절대적으로 헌신할 대상은 태양의 여신임에 틀림없다.

- 일본 사법성의 극비 문서 《불교와 사회운동》 중에서



전시 일본 정부가 배태한 기형아 ‘황도 불교’는 정치에 종속된 종교가 다다를 수 있는 나락의 끝을 보여준다. 1939년 일본 사법성은 ‘불교와 사회운동’이라는 제목의 극비 문서를 발행했다. 이 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수록된 ‘일본 불교 개혁의 필요성’이라는 장에는, “불교도들은 여러 부처와 보살의 본질로서 천황을 숭배해야 한다.”(392쪽)는 주장이 버젓이 실려 있다. 저자는 일본 정부의 공식 승인을 받은 문서에 수록된 이 글이 “현재 입수할 수 있는 어떤 자료보다도 일본 정부가 불교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뿐만 아니라 불교에 무엇을 기대했는지까지 진실에 가깝게 설명해준다.”(385쪽)고 설명한다. 이 문서의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다.



불교의 이상은 종파 없이 전체가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다. 게다가 일본에서 불교의 지도 원리는 우리 조국을 구원하는 것이다. 황도 불교의 미래는 일본 정신의 고양을 생각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불교의 종파들은 다툼을 중단하고, 일본 정신이라는 진리이면서 동시에 우리 국민의 공통된 조상인 태양의 여신을 주요 숭배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이 현대 불교가 실제로 준수해야 할 사항이다. ― 11장 ‘황도 불교’라는 괴물·388쪽에서



이 광신적 글을 쓴 검사 오가타 히로시는 결코 불교 교리에 무지한 사람이 아니었다. 이것이 이 글의 가장 섬뜩한 측면일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는 일본에 전래되기 이전의 대승불교뿐 아니라 인도에서 설파된 불교 초기의 가르침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오가타가 지닌 불교 지식은 그가 당시 민족에 기반을 둔 국가주의적이고 광적인 신앙을 받아들이고 장려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396쪽)

실제로 일본 불교가 숭배 대상을 태양의 여신으로 통일하는 일이 벌어지지는 않았으나, 천황 숭배를 독려한 승려는 적지 않았다. ‘전쟁의 신’ 스기모토 고로 중좌의 스승이기도 한 승려 야마모토 에키주는 “일본 국민의 신앙은 천황 폐하에 중심을 두어야 하는 신앙이다.”라고 말한 바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시 일본 제도권 불교의 모든 지도자들이 공유한 것이었다.(397쪽) 또한 제도권 불교는 실제로 ‘황도 불교’라는 문구를 서슴없이 채택하기도 했다. 정토진종의 니시혼간사파는 “정토진종에는 천황제 국체에 대한 복종을 지지하지 않는 가르침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398쪽)



학살을 정당화한 종교의 오래된 역사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정부 당국의 합법적인 비호를 받는

살인에는 종교적인 용품과 의식(儀式)이 함께했다.

사람들은 전쟁터에 나간 뒤 기도와 축복과 주문(呪文) 속에서 죽음에 이른다.

- 사회학자 피터 버거



전쟁과 살인을 지지한 불교의 어두운 역사는 과연 20세기 초 일본에 한정된 것일까? 불교도이자 승려로서 저자는 “전시 일본 불교 지도자들이 이런 시도를 처음 한 승려도 아니고, 또 마지막도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287쪽)라고 말한다.



불교 교리가 정말 ‘왜곡되어 있다면’, 그러한 왜곡은 불교의 역사에서 수많은 유사한 사례 중 하나일 뿐이고, 또 1천 년도 더 된 과거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남아 있다. 이것을 부정한다면 불교가 다른 세계 종교들과 마찬가지로 대량 학살을 부추기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정당화해 왔다는 불편한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다. ― 8장 남편이 죽은 것은 업(業) 때문이다·289쪽에서



1,500년 전 중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수나라 문제는 “자신과 자신의 아버지가 중요한 전투에서 이긴 장소마다 사찰을 지음으로써 군사 작전을 전개하는 데서 불교 승려들의 정신적인 협력을 얻었다. 그는 이 사찰들에 거주하는 승려에게 죽은 병사들의 영혼을 기리는 위령제를 지내라고 명함으로써 아직 살아 있는 병사들에게 장차 전쟁터에서 죽으면 그들의 영혼도 돌봄을 받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주었다.”(288쪽)

오늘날에도 아시아 여러 나라의 불교 지도자들이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불교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리랑카 신할리족의 불교 지도자들은 “승가와 불교의 가르침을 지키기 위해, 불교의 기본 교리에 어긋날지언정 ‘타인’에게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합리화함으로써”(289쪽) 비불교도인 소수의 타밀족에게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용인했다.



종교의 이름으로 벌어져 온 ‘성전(聖戰)’

불교의 범위를 넘어 생각해봐도 다르지 않다. “모든 종교가 한두 번쯤 ‘성전’이나 ‘지하드’, ‘정의로운 전쟁’ 등으로 불리는 것에 참여한 것이 역사적 사실이다.”(399쪽) 기독교는 11~13세기 십자군 전쟁을 일으켰고 나치의 유대인 학살에 침묵을 지켰다. 1980년대 이란과 이라크는 이슬람교의 이름으로 종교적 ‘성전’을 벌였다.

저자의 궁극적 관심사는 “전 세계 여러 종교의 사려 깊은 신자들이 자신들의 국가가 시작한 전쟁과 자신들의 신앙 사이에 존재하는 역사적 관계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400쪽) 하는 데 있다. 《불교 파시즘》이 고발하는 일본제국 군대와 승려들의 유착은 바로 이러한 반성과 성찰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역사적 사례다. 앞으로 또 다시 벌어질지 모를 ‘성전’을 막기 위해, 저자는 불교를 포함한 전 세계의 모든 종교에 민족적 정체성이나 국가적 정체성 혹은 종교적 정체성을 초월하는 “좀 더 보편적이거나 세계적인 윤리”(405쪽)를 구축할 것을 촉구한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7)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10)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2.6% 20대 6.1%

4.4% 30대 12.3%

6.1% 40대 26.3%

6.1% 50대 29.8%

0% 60대 6.1%

여성 남성

평점

분포

    9.5

    75.0%

    25.0%

    0%

    0%

    0%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3)

공감순

   

그게 어디 불교뿐이던가... 인류역사에서 종교들이 저지른 살인 등의 악행은 전쟁 등 다른 모든 범죄의 희생자들보다 많았고 그짓은 지금도 진행중이다. 세계화된 종교들은 오히려 갈등을 조장했고 뻔뻔해지게 죄의식을 사해주는 뽕이기도 하며 사실 제국주의의 침략과 전혀 다를 바 없지 않은가?

알라딘(최란)은 댓글농단을 멈춰라 2020-01-23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자비를 말하는 종교가 속세의 권력에 영합했을 때 얼마나 추악하고 잔인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

바스티안 2018-05-13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인간은 어차피 죽는다. 그러니 전쟁터에서 적을 죽인다고 죄가 되지 않는다. 마음껏 죽여라.˝ 2차 대전 당시, 중국으로 떠나는 일본군 병사들에게 어느 일본의 유명한 승려가 한 말이라고 한다. 인명 경시와 허무주의가 일본 제국주의를 부추긴 셈이다.

가람 2013-08-27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2)

리뷰쓰기

공감순

   

종교는 어떻게 살인 무기가 되었나? 새창으로 보기

기원전 6세기에 태어난 석가모니 붓다의 말이 쓰여진《법구경》130절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모든 것은 폭력을 두려워하고 평화로운 삶을 사랑한다. 이 이치를 자기 몸에 견주어 남을 죽이거나 죽게 하지 말라." 그 외에 다른 경전을 봐도 불교에서 살생을 금지하는 계율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가르침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불교의 무아관과 생사불이론은 왜곡되어 전쟁 이데올로기로 변했습니다. 저자 브라이언 다이젠 빅토리아는, 일본의 군국주의와 불교 간의 유착관계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가 보여주는 것은, 불교가 다른 세계 종교들과 마찬가지로 대량 학살을 부추기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정당화해 왔다는 불편한 현실입니다.



일본의 불교는 일본에서 군국주의가 태동하던 순간부터 함께였습니다. 일본 불교는 정부의 지원을 받는, 사실상 국가 종교의 위치에 있었습니다. 때문에 일본 선불교는 오랫동안 국가를 위해 이데올로기적인 경찰 역할을 해 왔습니다. 국가의 모습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불교의 모습도 국가가 요구하는 형태로 변화했습니다. 일본의 선불교는, 깨달은 사람들은 선악뿐만 아니라 생사도 포함해 모든 이원성을 초월한다는, 8세기 중국의 선불교에서 유행했던 도덕률 폐기론자들의 주장을 물려받았습니다. 선불교는 상관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과 죽음도 불사하는 의무감이라는 미덕을 강조했고, 폭력을 성스러운 의미로 가득 채우면서 문화적 당위 명제로 만들었습니다. 선불교의 권위자 스즈키는 선 특유의 직관적인 이해 방식으로 인해 거의 모든 철학과 도덕론에 극히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선은 영혼의 불멸이나 정의, 신성한 길, 혹은 윤리적인 행동과 관련해 그들과 언쟁을 벌일 필요가 없으며, 단지 한 사람이 도달한 결론이 합리적이든 비합리적이든 그 결론을 가슴에 품고 전진하라고 촉구할 뿐이다. 선은 행동을 하고 싶어 한다. 그리고 일단 결심을 하면 가장 효과적인 행동은 뒤돌아보지 않고 계속 전진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선은 진실로 사무라이 무사의 종교다. - 스즈키

스즈키 선사의 말처럼, 일본은 뒤돌아보지 않고 군국주의로 전진했습니다. 그리고 일본에서 메이지 시대 말기 이래 아나키즘이나 공산주의 등을 상대로 한 이데올로기 투쟁에서 제도권 불교의 지도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군국주의로의 전환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일본의 군국주의는 국내에서든 국외에서든 근본적으로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전체주의 사회를 만들어내려는 반동적인 운동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의 주류 지식인들과 종교인들은 반공의 깃발 아래 마르크스주의를 거부하고 국가주의를 받아들였습니다. 다른 나라의 군국주의처럼 일본의 군국주의의 성장도 군 내부의 반대를 포함한 국내의 반발을 억압하며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암살 사건들에 대해서 불교계는 지지를 보였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불교의 교리는 일본 군국주의의 목적과 동일시되어야 했고, 제도권 불교 지도자들은 대승불교의 계율을 왜곡해서 퍼뜨렸습니다.





조동선종의 총무원장이자 소지사의 주지였던 세키젠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평화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이상이다. 평화는 인간 최고의 이상이다. 일본은 평화를 사랑한다. 우리는 평화와 근본적인 평등을 주장하면서도 우리가 속해 있는 국가를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가 만일 인류에 대한 사랑 때문에 국가를 잊는다면 진정한 평화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만일 우리가 조국에 대한 의무를 잊어버린다면 우리가 인류에 대한 사랑을 주장하는 방식에 관계없이 진정한 평화를 얻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전쟁에 참여하기는 해도 언제나 일본의 전쟁은 평화의 전쟁이다." -《전쟁과 선》p.125

선불교 교리의 몇몇 주요 측면은 일본 군인 정신의 중심부에 있었습니다. 그중 주요한 것은 바로 생사일여의 깨달음이였습니다. 생과 사는 동일하며, 생명에 대한 집착을 버림으로서 국가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는 고귀한 정신을 획득할 수 있다는 선의 생사관은 곧 군인들 뿐만 아니라 일본 국민 전체의 생사관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군인들의 목적이 살아남아서 고국에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전장에서 죽는 것이라는 이 사고방식은 군 지휘관들에겐 매력적인 사상이였습니다. 군인들은 자신의 목숨을 가볍게 여겼기 때문에, 적의 목숨도 가볍게 여겼습니다. 이는 난징대학살 등 민간인 대규모 학살극으로 이어졌고, 일본군의 경우 다른 나라보다 압도적인 비율로 적군 포로를 많이 죽였다는 데서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군은 포로가 되는 비율이 2차대전 국가들 중에서 매우 낮았는데, 포로가 되기 전에 단체로 자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차 대전의 막바지에 패색이 짙어질 무렵의 일본은 국가 전체가 대량 자살을 통한 나라의 구원이라는 이미지에 휩싸여 있었습니다. 불교가 제공하는 무아의 이데올로기는, 자살 특공대라는 현상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했습니다. 이런 성향은 군인뿐 아니라 일본의 민간인들에게도 있었습니다. 일본의 군사 지도자들은 수백만 명의 민간인들을 전투에 소집함으로써 고의적으로 일본인들을 죽음으로 인도했습니다. 이런 행위는 정치적 엘리트의 자기 중심주의를 내포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꺼이 일본 국민의 압도적 다수를 희생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지도자들은 불교의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생사관을 국민들에게 강요함으로써 연합군에 죽음으로서 맞서 싸우라고 지시했지만, 막상 천황과 그의 최측근, 대본영의 군 참모들은 약 6~7천명의 조선인 강제 노역자들을 동원해 만든 거대한 방공 터널 속에서 전쟁이 종료될 때까지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





대담하게 적을 죽이고 적의 것을 훔치고 약탈하는 것과 전법에 따라 정복할 때까지 그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다 하는 것은 기독교도의 행위고 사랑의 행위다. 이런 일들은 하느님께서 행하시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 마르틴 루터

불교 지도자들은 일본의 군국주의에 사상적 바탕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직접 군국주의에 뛰어들어 행동하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일본 식민지에 대한 불교 전도 사업인데, 일본의 주요 불교도들은 중국과 아시아 나머지 지역의 불교는 후진적이고 수동적이며 사회적 요구에 무관심한 반면에, 일본 불교는 능동적이고 사회 참여적이며 과학적이기 때문에 일본 불교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참된 불교라고 생각했습니다. 때문에 일본의 참된 불교를 아시아의 민족들, 심지어 서양인에게까지 전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식민지 곳곳에 전파된 일본의 불교 사원은 그 지역의 일본군들에게 든든한 사상적 뒷받침이 되었습니다. 불교 지도자들은 전쟁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함으로써 전후 일본에서 좌익 정당이 성장하지 못하게 막았습니다. 이들은 우익 단체의 기반이 됨으로써 애국심을 고취하고, 일본이 전쟁당시 잔혹 행위를 저지른 것이나 침략 전쟁에 참여했다고 암시하는 것을 모두 교과서에서 제거하려 했습니다.



일본의 불교계가 보여준 이 역사적인 사례들은 종교가 어떻게 군국주의 파시즘의 광기와 유착해 대량 학살과 집단 자살의 혼돈으로 빠져들게 되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불행한 사례가 특별한 사례는 아닙니다. 역사적으로도 이런 사례는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본 불교의 형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에 먼저 있었습니다. 근대 일본불교의 구조적 특징은 사실 불교의 전래 당시의 모습 그대로였는데, 신성 왕권에 강력히 집중된 국가를 건설하는 원인으로 기능했던 정치,종교적 이데올로기로서 유용한 호국불교의 모습인 것입니다. 일본에서 나타나는 불교의 국가에 대한 복속은 한국 불교의 모방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군국주의에 휩쓸린 일본 불교의 지도자들은 동양과 서양의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그들도 자신들이 속한 사회와 시대의 가치관과 편견에 손쉽게 사로잡혔습니다. 그들은 스스로 깨달았다고 주장하지만, 오히려 너무 평범한 행동을 보여줬습니다. 수백만 명을 죽음으로 이르게 한 것은 바로 승려들의 그 평범한 악 이었습니다.



종교학자 마틴 마티는 종교 옹호자들은 대개 종교에 뒤따를 수 있거나, 종교가 만들어낼 수 있는 골칫거리를 축소하며, 진리 추구를 기본적인 주제로서 소중히 여기려 한다면, 신문이나 텔레비전 방송에 계속 등장하는 종교의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종교의 많은 형태와 표현 때문에 사람이 사람을 죽이게 된다는, 목숨을 빼앗는다는 특징입니다. 안타깝게도 적어도 현대사에서 다수의 종교 지도자들이 마티의 지적이 옳다는 것을 입증하는 데 전력을 다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저자는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는 성전이라는 형태의 살육을 이해하고, 줄이기 위해선 종교학자들의 힘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말합니다. 역사학자, 사회학자, 인류학자, 심리학자, 정치학자, 경제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과 관심이 있어야 종교가 수 천년동안 외쳐왔지만 한번도 지켜지지 않았던 것, 보편적이고 세계적인 윤리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 접기

착선 2013-12-10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종교가 폭력을 부추길 때 새창으로 보기

신의 뜻을 따른다는 명분으로 종교가 폭력을 부추길 때가 있다. 기독교의 십자군 전쟁과 마녀사냥, 이슬람교의 일부 근본주의자들의 테러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런데 자비를 강조하는 종교인 불교마저도 부처의 뜻이라는 명분으로 폭력을 부추긴 적이 있었다. 이 책은 일본 군국주의에 영합해 전쟁과 폭력을 정당화하고 부추겼던 일본 선불교의 어두운 역사를 폭로한다.







자비를 강조하고 살생을 금지하는 불교와 살생을 할 수밖에 없는 군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 저자는 중세시대에 일본의 무사와 병사들이 선불교의 금욕적이고 극기심을 키우는 수행 방법이 의지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 선불교를 가까이 하면서 둘이 깊은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군국주의가 일본을 지배하기 이전인 17세기에 이미 선사 다쿠안 소호가 "치켜든 칼에도, 칼을 휘두르는 사람에게도 자신의 의지는 없고 텅 비어 있다"며, 선불교의 교리를 교묘히 이용해 무사들의 살생을 정당화했었다.







저자는 이어서 일본 선불교가 세계대전 기간 동안 어떻게 일본 군국주의에 영합해 전쟁과 폭력을 정당화해 왔는지를 낱낱이 폭로한다. 자원입대해 다른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적군들을 죽인 제자와, "부처님께서 사회의 화합을 깨뜨리는 자를 죽이는 것은 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셨다."며 제자의 입대를 말리기는커녕 격려한 스승 선사도 있었다. 세계대전 당시 선불교의 지도자들은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선불교의 교리를 천황과 국가를 위해서는 기꺼이 자아를 버릴 수 있다는 방식으로 해석해, 일본의 수많은 군인들과 민간인들을 전쟁에서 자기 목숨을 버리도록 몰아갔다. 교리를 교묘하게 해석하며 살생과 폭력을 정당화하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선사들의 모습은 독자들의 치를 떨리게 한다.







후기에서 저자는 뒤늦게 자신들의 과오를 인정하고 사과하는 일본 선불교 지도자들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것이 선불교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첫 단계라고 말한다. 일본 선불교 승려로서 일본 선불교의 지도자들의 과오들을 폭로하고 고쳐나가길 바라는 저자의 용기와 객관성은 이 책의 가치를 더한다.



- 접기

바스티안 2018-05-13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