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24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


HOME > 논문 > 논문 상세
KCI 등재
마이페이지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An Evaluation of the Holistic Theology by Dr. Jong Sung Rhee




한국개혁신학

약어 : KRT

2015, vol.47, pp. 68-91 (24 pages)

DOI : 10.34271/krts.2015.47..68

UCI : G704-SER000009072.2015.47..001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기타기독교신학
소기천 /Ky Chun So 1


1장신대신약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종성의 신학은 통전적 신학(通傳的 神學)이라 불린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성서적인 개념인지 우선 탐구하고자 한다. 이종성은 통전적인 신학이란 가치 아래서 그의 조직신학대계 40권을 집필하였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을 완성하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본 논문은 이종성의 통전적인 신학이 성서적인 근거를 가진다는 전제하에 그가 90세 가까이 살면서 주도한 여러 분야와의 공통적 인 연구, 성서이해, 삼위일체론, 과학과 신학과 문학, 간학문적이며 간종교적인 수용, 종말론 등으로 나누어서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김명용이 자신의 신학에 대하여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통합한다’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편협하지 않고’ ‘온전하게 한다’ 등의 의미를 더 담고 있는 ‘온 신학’이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종성이 타 문명(학문, 종교)까지도 ‘기독교를 위한 준비과정’, ‘복음에 이르는 준비과정’으로 바라보고 이해하였는데, 과연 그가 생각하는 통전적 신학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이질적인 세계관의 지배를 받는 문명을 기독교 세계관이 전제된 통전적 신학을 통하여 이해하고 기독교 안으로 이끌어 올 수 있는가? 이상의 질문들은 향후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는 후학들이 풀어야 할 과제이다.


The theology of Dr. Jong Sung Rhee is called to the holistic theology. For this reason, on the one hand this article wants to survey whether the concept of his holistic theology is Biblical, first of all, or not. He did not success his holistic theology, even though he published 40 greatest volumes of his systematic theology. In spite of its incompleteness, on the other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Biblical theology and evaluates his theologies that he enterprised during his whole life almost 90 years old: co-relational studies of various fields, an Biblical understanding, Trinity theory, science and theology and literature, an acceptance of interreligious and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eschatology etc.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is article wants to evaluate on the one hand whether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alright, or not, and on the other whether the ohn theology of Myung Yong Kim is based on the Rhee’s holistic theology that ‘united’ various theological aspects, because Kim thinks that his ohn theology further contains the concepts of no one side or more holistic view. What is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the holistic theology that he thought? He understood other civilizations (even science and religion) as ‘the preliminary process for the Christianity’ or ‘the one toward the Gospel.’ And how the Christian world view can understand the other religious world view through the holistic theology and lead the other different civilizations into the Christian civilization? Those questions are the major tasks that must be solved by the scholars who success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이종성,
통전적 신학,
성서적 복음주의,
김명용,
온신학
===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관한 연구
소기천(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성서신학 교수)

한글초록
이종성의 신학은 통전적 신학(通傳的 神學)이라 불린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성서적인 개념인지 우선 탐구하고자 한다. 이종성은 통전적인 신학이란 기치 아래서 그의 조직신학대계 40권을 집필하였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을 완성하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본 논문은 이종성의 통전적인 신학이 성서적인 근거를 가진다는 전제하에 그가 90세 가까이 살 면서 주도한 여러 분야와의 공통적인 연구, 성서이해, 삼위일체론, 과학과 신학과 문학, 간학 문적이며 간종교적인 수용, 종말론 등으로 나누어서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김명용이 자신의 신학에 대하여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 이 ‘통합한다’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편협하지 않고’ ‘온전하게 한다’ 등의 의미를 더 담고 있는 ‘온 신학’이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고 있다는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도 평가하고자 한다.
이종성이 타 문명(학문, 종교)까지도 ‘기독교를 위한 준비과정’, ‘복음에 이르는 준비 과정’으로 바라보고 이해하였는데, 과연 그가 생각하는 통전적 신학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이질적인 세계관의 지배를 받는 문명을 기독교 세계관이 전제된 통전적 신학을 통하여 이해하고 기독교 안으로 이끌어 올 수 있는가? 이상의 질문들은 향후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는 후학들이 풀어야 할 과제이다.

주제어
이종성, 통전적 신학, 성서적 복음주의, 김명용, 온신학

I. 서론

본 소고는 90세에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춘계 이종성 박사(이하에서는 모든 학자들에게 직함 을 붙이지 않는다)의 통전적 신학1)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인 것이다. 교회 정치가로 서 학교행정가로서 조직신학자로서 한 평생을 살았던 이종성은 1922년 경북 의성에서 출생하 였다. 그는 일본, 미국, 독일 등에서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개혁파 정통주의, 근본주의 신학 등 2천년의 모든 기독교 신학을 공부하였다. 그가 특별히 좋아하는 신학자들은 아우구스티누 스(어거스틴이라 말하면 F학점을 주었다), 칼빈, 바르트 등 세 사람이다. 그는 영락교회 부목 사, 연세대학교 교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학감, 학장,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영남신학 대학교 총장,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한국기독교학술원 원장 등을 지냈다.
88세까지 제자들과 테니스 치기를 좋아한 이종성은 자신의 신학을 통전적 신학이라 고 스스로 명명하였다. 통전적 신학이란 '그리스-로마[그레코-로만]' 문명을 중심으로 한 서구 신학 외에 타문화권(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종교와 사상, 문화, 세계관, 가치관 등을 '복음에 이르는 준비과정' 또는 '기독교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보고 적대시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그것

1) 이종성은 자신의 통전적 신학을 유일하게 영어로 표기한 1993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Wholistic View (통전적 관점)과 the inter-connectedness(상호연관성)으로 이해하였다. 참고, 이종성, “The Wholistic View of Happiness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 40권 외국어 논문집-Anselm’s Understanding of the Death of Christ and Other』 (서울: 한국기 독교학술원, 2001), 315, 346쪽.
 
들을 성서의 말씀을 기준으로 해서 기독교 안으로 이끌어 오고자 하는 신학이다. 그가 최후로 남긴 자서전에 스스로 통전적 신학 연구에 심취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나는 현재 필생의 과제로 통전적 신학의 더 깊은 경지를 구상중에 있다. 통전적 신학 이란 다음과 같은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째, 신학의 각 분야를 단독으로 이해 하지 않고 각 분야에 공통되는 점을 모색한다. 둘째, 삼위일체론으로 신학의 각 분야 를 관통시킨다. 셋째, 우주계를 태양계로 국한할 것이 아니라 성운계까지 확대해서 이해한다. 그리고 성운계도 생명체가 있을 것으로 전제한다. 넷째, 모든 종교나 학문
을 복음에로의 준비과정(preparatio evangelica)으로 수용한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
도를 중심한 범종교계를 인정한다.2)

이러한 신학이 통전적 신학이라면 범 교단뿐만 아니라 범 종교까지 포용할 수 있는 신학이라 고 기대된다. 또한 이종성은 조직신학대계를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출판하면서 다음과 같이 통전적 신학을 구상하기도 하였다.

종말론으로 신학을 종결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종말론을 통전적 신학의 입구의 역할을 하도록 판을 짠 것이다 이러한 대원칙에 의하여 조직신학대계를 집필하게 되었다.3)

본 소고는 그가 비록 완성하지는 못하였지만, 이미 조직신학대계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서 밝 힌 이러한 통전적 신학이 성서적인지를 되묻기 위해서, 신학의 여러 분야와의 공통적 연구, 성서이해, 삼위일체론, 과학과 신학과 문학, 간학문적이며 간종교적인 수용, 종말론 등으로 나 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통전적 신학을 평가하고 김명용이 주장하는 온신학 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II. 신학의 여러 분야와의 공통적 연구

성서신학 분야에서 ‘통전적’이란 단어를 찾는다면 결코 찾을 수 없지만, 비슷한 표현이 하나 있다. 이것은 헬라어 형용사 o[loj이다. 이 단어는 마 14:35; 16:26 막 6:55 12:30; 눅 5:5
13:21 요 4:53 7:23; 19:23 행 11:26 21:31; 롬 1:8; 8:36; 딛 1:11 요일 5:19에 등장한다.
우리말은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으나, 굳이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이야기 할 때 유일하게 어울릴 수 있는 단어이다.
물론 헬라어 형용사 te,leioj란 단어도 ‘온전한’이라는 형용사이기에 유사한 의미를 가
질 수 있지만 그 뜻에 차이가 있다. ‘온전한’이란 형용사의 의미는 약 1:4a, 17, 25; 히 9:11;

2)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159쪽. 김성규는 본고를 논평하면 서 이종성이 언급한 네 번째 정의가 얼핏 보기에는 바울이 로마서에서 선포한 것으로 ‘하나님의 능력 과 신성이 모든 만물에 있다’는 말과 유사하다고 지적한다. 결국 세상의 시작은 각기 달라도 모든 끝
은 복음으로 귀착된다는 점에서 이종성이 “모든 종교나 학문을 복음에로의 준비과정(preparatio evangelica)으로” 보는 견해는 어느 정도 타당한 점이 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문장에서 “예수 그리
스도를 중심한 범종교계를 인정한다”라는 결론은 그리스도를 유일한 길로 받아들이지 않는 종교들이 많은데 그런 종교들에서 과연 그리스도의 중심성을 논하는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타당한지 의문이 제기된다. 참고, 김성규,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 『한국개혁신학 회 제38차 학술심포지엄』 자료집(2015년 5월 5일 장로회신학대학교), 113쪽.
3)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124쪽.
 
요일 4:18에 나온다. 명사형으로 쓰인 ‘온전한 것’이란 의미는 롬 12:2; 고전 13:10에 나온다. 그러나 대부분은 ‘성숙한’이란 의미의 형용사로 고전 14:20; 엡 4:13; 히 5:14에 나온다. 고전 2:6에는 성인이란 뜻으로 사용된다. 고전 2:6; 빌 3:15; 골 1:28에는 신비스런 제의와 연결되
어 나온다. 마 5:48a 19:21; 골 4:12; 약 1:4b 3:2에는 도덕적으로 완전히 발전된 개념으로 나온다. 마 5:48b에는 하나님의 완전한 성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나온다.
또한 헬라어 형용사 pa/j도 다양하게 등장하지만 다렐 구더가 이야기 하는 듯이4)
te,leioj와 마찬가지로 통전적 의미로 사용된다고 간주하기 어렵다. 다렐 구더는 pa/j도 통전적
개념으로 통용될 수 있다고 간주하면서 대표적으로 마 28:18; 요 3:16; 고후 5:19; 빌 2:9-11; 골 1:17-19 등을 꼽는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 단어는 단지 ‘모든’이라고 번 역되는 형용사에 자니지 않는다.
비록 te,leioj와 pa/j가 통전적인 의미로 사용되지 않을지라도 굳이 배격할 필요는 없
다. 어차피 o[loj도 통전적이란 의미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는 단어이기에, 전반적으로 ‘통전 적’이란 뜻을 가진 단어가 헬라어에 없기 때문에 te,leioj와 pa/j와 o[loj를 한꺼번에 아울러서 통 전적 의미를 도출해 낼 수도 있다. 그러기에 앞에서 언급한 다렐 구더는 형용사 o[loj의 명사 형으로 중성 전치사를 붙인 to.  o[lon을 “온전성, 통전성, 혹은 복음의 역동적인 중심성”5)을
뜻하는 단어로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의미는 신약성서에서 ‘보편적’이란 의미 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6) o[lon도 여전히 통전적이란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상의 논의에서 엄밀하게 말하자면 안타깝게도 통전적이란 의미의 단어가 헬라어에 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근본적인 입장에서 성서 언어적으로 신약성 서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물론 본 연구는 통전적이라는 의미의 단어가 성경에 없다는 결론 을 내리고, 그렇기 때문에 이종성은 그의 통전적 신학을 성서신학의 토대위에 세우지 못했다 고 주장할 수는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통전적이라는 단어가 성서에 없다고 해서 그 신학적 개념도 성경에 없다는 것이 타당한 논증방법인지 재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그 자신도 성서신학의 토대 위에 세우지를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그가 생존해 있을 동안에 그의 제자들에게서부터 새로운 신학적 조명을 받게 되었다.
김이태는 처음으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란 명칭보다는 ‘중심에 서는 신학’이란 개 념으로 그 특징을 설명하였다.7) 맹용길은 통전신학은 ‘통합신학’이라고 하였다.8) 김명용은 통 전적 신학을 성서적이고 교회 전통적이고 복음적인 신학을 견지하는 신학이라고 규명하였다.9) 현요한은 통전적 신학을 분석적 사고와 통전적 사고의 결과로 이해하여 혼합신학이 아니라 종 합의 과정 속에 있는 ‘창의적인 신학’이라고 평가하였다.10) 윤철호는 통전적 신학이 근대 이후 혹은 탈근대적인 상황 속에서 다양한 해석학적 방법론을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통합하는 신학 이라고 간주하였다.11) 윤철호는 한걸음 더 나아가서 기독론을 예로 들면서 귀납적 방법과 연

4) 참고, Darrell L. Guder, “통전적 선교신학을 향하여: 세계, 공동체, 이웃,” 『통전적 신학의 모색: 제
3,4회 춘계신학강좌 I』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40-41쪽.
5) Darrell L. Guder, “통전적 선교신학을 향하여: 세계, 공동체, 이웃,” 41쪽
6) Darrell L. Guder, “통전적 선교신학을 향하여: 세계, 공동체, 이웃,” 43쪽.
7) 김이태, 『중심에 서는 신학 : 김이태의 신학세계』, 고 김이태 교수 저작 출판위원회 편(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8) 맹용길, “통합신학-개요”, 『교회와 신학』 제18집(1986).
9) 김명용, “통전적 신학이란 무엇인가?”, 『통전적 신학』, 이종성 외 3인(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10) 현요한, “하나님의 평화로운 생명: 통전적 신학 형성을 위한 하나의 제안”, 『통전적 신학』, 269, 309 쪽.
 
역적 방법을 통시적 치원에서 해석학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면서 통전적 신학은 상호배타적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성 안에서 통합되는 신학이라고 규정한다.12) 이와 같 이 다양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지니고 있는 모호성을 분명 히 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어졌다.
결국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그의 제자 세대의 조직신학자들마다 처음부터 다른 접 근을 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런 특징 때문에 다양한 신학의 분야들과 협력하는 길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이종성은 조직신학자이지만, 그의 통전적 신학은 신학의 어느 한 분야 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가 남긴 말을 주목해보자.

이제부터의 신학은 인간의 논리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무제한적이고 무제약적인 넓이 와 높이와 깊이를 가지는 신학을 강구해야 한다. 즉 통전적인 신학을 강구해야 한 다.13)

이와 같은 표현은 이종성의 통전적인 신학이 다양한 신학의 분야들과 협력을 하면서 각각의 주제들을 포괄하는 신학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럼 그가 통전적 신학의 입장에서 제안한 신학들을 다음과 같이 성서 신학적 입장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III.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평가

1. 성서이해

이종성은 복음적인 성서이해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그의 신학은 ‘성서적 복음주의 신 학’이다. 1979년 11월 16일에 발표된 글에 의하면, 이런 신학적 입장은 한편으로 박형룡처럼 신학을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가르쳐주시는 거룩한 학문이라는 주장을 배격하고, 다른 한편으 로 칼빈처럼 신학을 하나님에 대한 신자들의 신념과 이해를 체계화한 것이라는 개혁교회의 신
학적 모토인 theologia semper reformanda를 받아들이는 것이다.14)
이종성이 말하는 ‘성서적’이란 의미는 하나님과 인간의 공동작품이고, 성서 밖에서는 구원에 관한 바르고 정확한 가르침을 발견할 수 없고,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는 신앙생활과 구 원의 도리에 관한 정확한 표준이라는 뜻이다.15) 여기서 그는 ‘성서가 무오하다’는 의미를 기술 하지 않는다. 이미 당시에 칼 바르트(Karl Barth)가 성서는 한편으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적 증언인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주장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오류가 있다는 주장 으로 인해서 한국 신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김명용은 1934년 5월 31일에 발표된 독일의 바르멘 신학선언을 거론하면서 성서가 오류가 있음에도 불 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논증한다.16) 성서 안에 모순과 혼란과 오류가 있다는 이런 주장 으로 인해서 한국에서 소위 축자영감설과 성서무오설에 영향을 받은 신학자들은 칼 바르트를

11) 윤철호, “통전적 기독론에 대한 해석학적 구성”, 『통전적 신학』, 167-175쪽.
12) 윤철호,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3), 54-56쪽.
13)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150쪽.
14) 이종성,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25권 소논문-종교개혁에서 현대신학까 지』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378쪽.
15) 이종성,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 379-380쪽.
16) 김명용, 『칼 바르트의 신학』 (서울: 이레서원, 2007), 97, 100, 110-111, 113, 323-325쪽.
 
자유주의 신학자라고 배격하기도 하였다.17)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김명용은 정통 주의가 지향하던 기계적 영감론을 버리고 개혁신학적 입장에서 성서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사실을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생각한 것처럼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말이 아니고,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이라”18)고 간주한다. 그러면 이종성과 김명용의 성서관에 결정적인 영향 을 미친 성서관과 관련해서 바르트가 1918년에 초판을 발행한 로마서 강해 서문에 다음과 같 은 내용이 나온다.

성서 연구에 대한 역사비평적 방법은 그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결코 피상적 인 것이 될 수 없는 지식을 제공해 주는데 관심을 갖는다. 그러나 내가 역사비평방법 과 신성한 영감론 중에서 택해야 할 궁지에 몰린다(driven)면, 나는 망설이지 않고 후자를 채택할 것이다. 영감론은 보다 넓고, 보다 길고, 보다 중요한 의 (justification) 사상을 가지고 있다.19)

이런 발언을 보면 바르트가 역사비평적 방법을 거부하고 영감론만 중시한 듯이 보이지만, 사 실은 그렇지 않다. 로마서는 역사비평 방법론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복음서와는 달리 영감론에 근거하여 충실한 교리와 실천적 내용으로 넘쳐있는 서신이다. 바르트가 한 위의 말 은 로마서에 역사비평방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영감론을 사용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놓치지 않 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이러한 바르트의 성서관이 이종성의 성서관이 된 것이다.
이종성은 복음주의에 관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유일의 구주로 믿는 기독론적 신앙과 율법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았다는 은총주의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20) 그는 위 에서 확인한 성서관에 입각하여 성서적 복음주의를 견지하면서 성서적 복음주의를 “성서를 통 해서 선포된 복음을 바르게, 정확하게, 분명하게 이해해서 그 시대 시대에 전달해주는 것이 라”21)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를 통하여 그는 1986년 2월 5일에 동경신학대학에서 행한 강 연에서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에 관해서 “성서를 하나님의 살아 있는 말씀이라고 믿는 근본적 입장에서 출발하여 성서를 통해서 말씀해 오는 하나님의 말씀을 복음적으로 또는 실존적으로
포착하여 그것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Testimonium Spiritus Sancti
internum) 의식화하는 운동이다”22)라는 입장을 가진다. 그는 이러한 입장을 통해서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이 성서를 성령의 사역에 의한 복음적 이해에까지 승화하여 그 말씀과 성령에 의해서 성도의 삶이 새로운 삶으로 창조되는 신학을 영위하게 되는 단계까지 도달하는 것을 기대한다. 결국 그의 이러한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에 대한 신념은 칼빈의 신학사상에서 받은 영향이 크다. 그는 성서적이고 복음적인 성격을 가지지 않은 근본주의 신학은 율법주의에 빠 지거나 자아 만족적 주관주의로 타락하게 될 것이며, 반대로 교회를 위하지 않는 자유주의 신 학은 탕자와 같은 신학이 된다고 한다.23) 그래서 평생 동안 칼빈의 가르침대로 경건과 학문을

17) 김명용, 『칼 바르트의 신학』 , 115, 118-119쪽.
18) 김명용, 『칼 바르트의 신학』 , 324쪽.
19) K. Barth, Der Romerbrief, tr. by Edwyn C. Hoskyne, The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1.
20) 이종성,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 381쪽.
21) 이종성,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 383쪽.
22) 이종성, “내부에서 본 한국교회”,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21권 소논문-한국교회의 현실과 이상』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244-245쪽.
23) 이종성, “내부에서 본 한국교회”,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37권 수상집-자갈밭을 기경하라』 (서 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47쪽.
 
모토로 성서적 복음주의 전통을 장로회신학대학교에 뿌리를 내리도록 하였다.
이종성은 조직신학이 성서를 소재로 하고 성서의 내용과 교훈을 표준으로 한다고 말 하면서 항상 신구약성서를 중요시하며 성서신학에 의존한다.24) 그래서 성서 언어를 알아야 하 고, 성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특정 상황에서 해석되고 이해된 성서를 그대로 받아 들일 것이 아니라, 우리가 놓인 시간과 장소와 문화적 상황에 따라 새롭게 해석되고 이해되어 야한다.”25)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그의 성서관이 다소 상대적인 관점으로 들릴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극단적인 성서의 무오설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성서가 ‘신앙과 인류의 구원이라는 하나님의 뜻을 말할 때 오류가 없다’26)는 의미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 다음의 항목에서 칼빈이 추구한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의 핵심인 삼위일체론을 이종성의 통전신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2. 삼위일체론

과거에 신학이 기독론 중심으로 서구적 기성 기독교를 위한 전유물로 간주되고, 삼위일체적인 이해가 부족하며, 신학을 말하면서 인간의 신학을 더 강조하고, 신학적 정체성을 결정하는 힘 을 서구 신학이 차지하고 있다고 하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27) 그러므로 오늘날 신학에 대한 기독론적 차원과 성령론적 이해를 가질 것이 촉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하나님의 선교라 는 신학적 개념도 기독론적 관점과 성령론적 차원을 통해서 보완하게 될 때, 우리는 삼위일체 적이며 통전적인 하나님의 선교28)라는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삼위일체적인 통전적 신학은 이종성에게서 출발한다. 그는 메모에 성서적 복음주의에 입각한 삼위일체적 통전적 신 학을 구상한 내용이 있다.29) 그럼 그의 통전적 신학이 성서적인지 삼위일체론에서 살펴보자.
이종성은 칼 바르트와 마찬가지로 “성서가 삼위일체론을 직접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는 것”과 “성서가 그 교리의 가능성을 열러주는 것”30)도 사실이라고 인정한다. 곧 이종성에 의하면, 성서가 ‘한 주(Yahweh, Kyrios), 한 분의 특이한 의지자(意志者- Willer), 그리고 사 역자(Doer)’를 한 하나님으로 부르는 것을 증거한다.31) 전통적으로 아타나시우스와 아우구스

24) 이종성, “제2권 조직신학개론”,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16권 단행본집 조직신학개론 외』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199쪽.
25) 이종성, “제2권 조직신학개론”, 203쪽.
26) 이종성, “제2권 조직신학개론”, 223-224쪽.
27) 김영동, 『교회를 살리는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131-165쪽을 보라. 특히 하
나님의 선교에 관해서는 위의 책, 145-149, 163쪽을 보라.
28) ‘통전적인 선교신학’에 관해서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에서 발행된 『선교와 신학』 제7집(2001년) 의 특집논문들 중에서 손윤탁의 “성경적 선교신학과 통적적 선교관”(15-52쪽)과 안승오의 “통전적 선교 를 한국교회 예배의 역할 및 방향 연구”(173-208쪽)와 소기천의 "생명의 선교를 향한 예수의 시험이야기 새로 읽기: 통전 신학을 제안하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한국기독교학회 편, 제30권(2003): 183-209쪽 을 참고하라.
29)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마지막 쪽 화보에 나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Other God
Other Christ 통전적 신학은 이 문제를 적당하게 이해하고 평가하고 기독교의 삼위일체 신과의 관계를 밝힐 것
Other Holy Spirit

30) 이종성, “제7부 현대신학과 삼위일체론”,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7권 조직신학대계-삼위일체론
(2) 』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159쪽.
31) 이종성, “제7부 현대신학과 삼위일체론”, 165쪽.
 
티누스의 삼위일체 교리가 오늘날 삼위일체론의 표준이 된 것은 모두가 주지하는 사실이다.32) 특히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이 2세기에 영지주의 이단으로 낙인찍혔던 플로티누스 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적으로 플로티누스의 신관을 극복하였다는 사실을 중시하 며,33)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이 “플로티누스와 같은 추상적인 사상이 아니라, 실경험을 토대로 성서에서 가르치는, 살아 계시는 하나님의 신비적인 존재 양식을 완전치는 못하나 인 간 이성의 힘을 다해서 설명한, 하나의 위대한 노력의 결정체”34)로 간주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 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용어가 essentia와 substantia이
다. 삼위일체를 가리키는 두 용어가 테르툴리아누스 때부터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원 래부터 성서적 용어가 아니라 헬라철학에서 줄기차게 사용되어 왔던 ou=sia와 u`po,stasij를 라틴어로 번역한 단어들이다. 여기서 동방교회의 헬라어 삼위일체(mia, ou=sia, trei/j u`po,stasij)란 용어가 나왔다. u`po,stasij는 테르툴리아누스에 의해 라틴어 persona로 번역되 어 서방교회의 라틴어 삼위일체(Una substantia, tres personae)란 용어가 되었다.35) 그래서
삼위일체론을 논할 때 조직신학자들 사이에서 두 용어를 본체, 실체, 본질, 신성, 신적 실체, 본성 등 다양한 용어가 혼동되어 사용된다.36) 그래서 삼위일체론은 여전히 조직신학자들에 의 해 명확하게 규명이 안 되어 본질적으로 성서적인가 하는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이종성도 이 같은 사실을 중시하여 “그리스도교는 시작될 때부터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고백했다”37)고 지적한다. 그에 의하면 성서가 삼위일체론을 처 음부터 표적과 상징을 사용하여 “본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아버지 품속에 있는 독생하 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느니라.”(요 1:18)란 구절과 같이 이러한 것을 신비적인 내용으로 설명하 였다고 한다.38)
이종성은 삼위일체 신관이 구약성서의 유일신관39)과 배치되지만, 신약성서가 하나님 의 아들로서 오신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유일신관을 발견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조화를 이룬 다고 간주한다.40) 그리고 하나님의 영인 성령이 메시아로 오신 예수에게 임하여 하나님의 구 원을 이루었다고 설명한다(사 11:1-2).41) 그는 삼위가 각각 고유의 페르조나를 유지하면서 아 들은 아버지의 뜻과 목적을 같이하며, 성령은 때로는 하나님의 영이라는 이름 아래, 때로는 그리스도의 영이란 이름으로 하나님의 구속사역에 광범위하게 동참하지만, 이러한 발전사적 방법에서 ‘삼위’가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일체’에 대한 강조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42)
이종성은 통일적 방법으로 삼위일체론을 논하는데, 이것을 그가 통전적 방법이라고

32) 이종성, “제3부 초대교회의 삼위일체론 논쟁과 결과”,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6권 조직신학대계
-삼위일체론(1)』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274-275쪽.
33) 이종성, “제3부 초대교회의 삼위일체론 논쟁과 결과”, 267; 이종성, “삼위일체론(2)”,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7권 조직신학대계-삼위일체론(2)』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345쪽.
34) 이종성, “삼위일체론(2)”, 352쪽.
35) 이종성, “삼위일체론(2)”, 325-327쪽; 이종성, “제3부 초대교회의 삼위일체론 논쟁과 결과”, 238쪽; 이종성, “제4부 본체와 위격의 개념”,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6권 조직신학대계-삼위일체론(1)』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296쪽.
36) 이종성, “제7부 현대신학과 삼위일체론”, 166쪽.
37)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6권 조직신학대계-삼위일체론(1)』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159쪽.
38)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64-165쪽.
39) 이종성, “제3부 초대교회의 삼위일체론 논쟁과 결과”, 189-193쪽.
40)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67-168쪽.
41)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69쪽.
42)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70-171쪽.
 
명하지는 않았지만 가장 근접한 표현이다. 그는 제2위인 아들이신 로고스를 지혜자로 간주하 여 신구약 전반에 연결을 짓는다(잠 1:20-33; 2:1-22; 3:11-20; 7:4; 8:1-31; 사 8: 18;
63:9-11; 말 3:1; 마 3:3; 눅 1:17, 76; 3:4; 7:27; 요 1:1; 요 5:22; 17:5; 롬 9:5; 히 2:13;
요일 1:2).43) 이러한 구절을 도태로 그는 하나님이 로고스로 나타났고 신적 지혜와 동일시된 다고 결론을 짓는다(시 33:6; 솔로몬의 지혜서 1:6; 9:1-2, 7; 잠언 3:19; 8:22이하).44) 특히 아들이 하나님과 태초에 함께 계셨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음 받은 것(요 1:1-3; 히 1:1-2)을 중시하여, 그는 바울 서신에서도 삼위일체론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롬 11:36; 엡
1:10; 빌 2:6; 골 1:16).45)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이종성은 ‘삼위일체라는 용어가 성서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그 교리를 만들기에 충분한 자료가 성서에 있다’46)고 주장하면서 통전적인 시각으로 삼위일체론 을 집대성하였다. 이로써 그는 “삼위일체론을 부인한다면 그리스도의 신성이 부인될 것이고, 그리스도의 신성이 부인되면 그리스도의 구속주성이 부인될 것”47)이라고 말하면서 삼위일체론 의 불가피성을 논증한다. 그는 ‘우주와 종교와 신앙’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고 하면서 삼위 일체론을 통전적 시각으로 간주하여 삼위일체론이야말로 “가장 체험적이고, 가장 실천적이고, 가장 이론적인 그리스도교 교리”48)라고 평가하지만, 여전히 그가 논하는 삼위일체론이 충분한 성서적 논의를 거친 논리라기보다는 삼위일체론을 논한 학자들의 논의가 지닌 장단점을 평가 하고 그것에다 그 스스로 통전적 삼위일체 신학이라고 이름을 붙인 측면이 다소 강하다. 그러 면 그가 ‘신학의 중심’을 그리스도에게 두면서도49) 종교와 신앙을 우주의 범위로 넓히려는 시 도를 다음과 같이 신학과 타학문의 항목에서 논해보고자 한다.

3. 신학과 타학문

1) 과학과 신학과 문학

이종성은 과학과 신학의 연관성 속에서 통전적 신학을 논하고 싶어서 이미 서론에 언급한바 있는 우주계를 태양계로 국한할 것이 아니라 성운계까지 확대해서 이해한다. 그리고 성운계도 생명체가 있을 것으로 전제한다고 말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이 밝힌 적이 있다.

하나님은 우주적 하나님이라고 하면서도 태양계에 존재하는 존재자만을 상대하고 있 었으며, 태양계 너머에 있는 별의 세계에 대해서는 유구무언의 태도를 취함으로써 이 때까지의 신학은 자아당착에 빠진 신학이 되고 말았다.50)

주제선택: 인류문명에 관계되는 모든 문제, 즉 자연과 문화와 종교와 역사에 관한 모

43)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73쪽.
44) 이종성, “제3부 초대교회의 삼위일체론 논쟁과 결과”, 233-234쪽.
45) 이종성, “제6부 삼위일체론의 논라적 근거”,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7권 조직신학대계-삼위일체 론(2)』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56쪽.
46)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81쪽.
47)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82쪽.
48) 이종성, “제2부 성서의 가르침”, 184쪽.
49)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15권 이야기로 푸는 조직신학』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38-40쪽.
50)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150쪽.
 
든 문제. 종교관계: 범종교적 관점에서 인류구원에 관계되는 모든 문제, 태양계의 문 제만이 아니라 성운계까지도 검토한다. 범신론적 견지에서가 아니라 통전적 견지에서 야훼의 절대성을 믿는 믿음에서 모든 문제의 해답을 발견하려고 한다.51)

그는 ‘통전적 견지에서’ 이 같은 논의를 제안하고 있지만, 사실상 신학이 다른 어떤 학문보다 도 과학과 격심한 대립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도 인식하고 있다.52) 그러나 그는 ‘신학적인 깊이가 없이는 참다운 과학도 없다’53)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과학과 신학을 통전적 인 견지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종성에 의하면, 한편으로 과학은 자연계의 현상을 분석하고 실증하는 방법을 택하 지만, 다른 한편으로 신학은 어떤 현상이나 사건이 지니는 의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려 한 다.54) 또한 그는 과학이 외적인 면에서 사람을 돕지만, 신학은 내적인 면에서 돕는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55) 그래서 그는 서로가 접근하는 방법이 다르고 다루는 목적의 영역이 다르지만, 교회가 모르는 과학 지식을 신학이 존중해주고, 또 과학이 한계점에 도달할 때 신학이 그 너 머에 있는 진리를 발견하게 해준다는 사실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56)
이점에서 이종성은 인문과학으로 간주되는 신학과 문학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한 마디 한다. 곧 문학이 문제를 제기하고 인간의 실존 상태를 지적해 주는데 반하여, 신학은 제기된 문제를 해결해 준다고 본다.57) 이러한 주제는 자연스럽게 교회와 사회란 주제로 더 넓혀진다. 그래서 그는 교회가 사회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사회를 떠나서 별개의 집단생활을 해서는 안 되는 동시에, 사회는 교회 존재의 의의를 잘 이해하고 서로 협조하면 양자를 위해서 서로가 도움이 된다고 한다.58) 이러한 이해는 다음과 같이 간학문적이며 간종교적인 영역에까지 그의 통전적 신학의 지평을 넓혀주는 효과를 낳는다.

2) 간학문적이며 간종교적인 수용

이종성은 간학문적이고 간종교적인 통전적 신학을 제안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러한 발 언을 그의 신학이 얼마나 광대한지를 보여준다.

서울에 있는 학술원은 모든 종교와 철학과 문학과 과학과 의학의 견해를 충분히 이 해하고 또한 미구에 학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우주학까지도 논구의 대상으로 하는 통전적 신학의 진원지가 되고 사령탑이 되고 광원(光源)이 되기를 지향해야 한다.59)

그는 ‘통전적 신학의 진원지와 사령탑’이 되도록 한국기독교학술원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에 의하면, 신학은 양면적인 면 곧 초월적이며 현실적이고, 이상적이며 구체적이고, 신적이며 인 간적인 학문이다. 이러한 신학에 대한 이해는 그가 신학을 포괄적이고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인

51)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147-148쪽
52)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47쪽.
53)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49쪽.
54)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47쪽.
55)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48쪽.
56)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48-49쪽.
57)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50-52쪽.
58) 이종성, “제1권 평신도와 신학”, 144-147쪽.
59)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150쪽.
 
학문으로 간주하게 하였다.60) 그래서 그는 한국의 제종교가 매우 폐쇄적이고 미신적이고 비과 학적인 것과는 달리, 기독교는 매우 개방적이고 현대적이고 진취적인 것이 그 특징이라고 평 가한다.61) 이점에서 그는 과거 한국 기독교가 서양 문명과 호흡을 같이하며 보수적이며 봉건 적인 한국 사회에 신학문을 소개해주는 동시에 문화적으로 많은 개혁을 주도해왔다고 평가한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도 불교와 유교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고 전제하면서62) 한국의 기독교가 “샤머니즘과 유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한국 특유의 종교로 발전되었다.”63) 고 지적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특징이 한국 기독교가 지닌 혼합주의의 모습이 아니라, 여 러 종교의 영향으로 한국인의 정신생활이 깊이와 넓이와 길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64) 그 래서 한국인은 모든 역경을 이겨나갈 수 있다고 한다.
이상에서처럼 이종성이 과학과 신학과 문학 그리고 간학문적이며 간종교적인 수용을 언급한 것은 이미 신구약성서에도 그처럼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하고 그것을 종교적으로 수용 한 구절들도 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65) 그러면 마지막으로 기독교가 어떻게 마지막 때에 인 류가 반신적이거나 파멸하지 않고 올바른 길을 걸어가도록 도울 수 있는지 다음의 항목에서 논하고자 한다.

4. 종말론

이종성은 마지막 때를 맞이하여 신학이 파멸적인 길을 걸어가지 않고 문제를 복음적으로 해결 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추진할 사업은 신학문제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기독교가 세계문명과 역사 에 대하여 공헌할 수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창출하고, 그 문제를 기독교가 어떻게 취급하고 해결해야 할 것인지를 발견하여, 인류역사와 문명이 반신적이거나 파멸의 길을 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신학적으로 그리고 복음적으로 해결하는 길을 모색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66)

그는 창조로부터 재림까지 이어지는 역사의 한복판에 그리스도 사건을 중심으로 한 나선형적 역사관을 통전적 역사관이라는 이름을 스스로 붙인다.67) 그는 다양한 역사관의 긍정적 요소를 모두 나선형적 역사관에 흡수하여 통전적 역사관을 제안한 것이다. 곧 윤회설을 전진하는 바 퀴로 대치하고, 결정론과 운명론의 역사주관자를 인격적 주관자로 해방시키고, 이원론의 대립

60) 이종성, “제2부 현대지성인과 기독교 신앙”,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26권 소논문집-신학으로 본 문화와 철학』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132쪽.
61) 이종성, “제4부 종교다원주의와 기독교의 절대성”,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26권 소논문집-신학 으로 본 문화와 철학』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390쪽.
62) 이종성, “제1부 나의 성장과 신학 형성”,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38권 수상집- 산을 보고 바다 를 보고』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47쪽.
63) 이종성, “제2부 현대지성인과 기독교 신앙”, 171쪽.
64) 이종성, “제2부 현대지성인과 기독교 신앙”, 172쪽.
65) 바울은 사도행전 17장의 아레오바고 설교에서 당대의 과학과 문학을 논하고 범종교적인 내용도 다 소 인정한다. 참고, 소기천의 “아레오바고 설교와 보편주의”, 『하나님의 사랑과 세계선교』 (서울: 장 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1), 194-257쪽.
66)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146쪽.
67) 이종성, “제7부 역사관의 일곱 가지 유형”,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14권 조직신학대계- 종말론
(2) 』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555쪽.
 
적 투쟁 관계를 하나님의 유일한 주권 하에 있는 두 가지 현상으로 환치시키고, 직선적 역사 관을 나선적 역사관으로 변경시키고, 중심적 과거 지향적 역사관을 전진적 미래지향적 역사관 으로 재해석하고, 중복된 역사관을 단일적 역사관으로 수정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 가 그의 유명한 나선형적 역사관인데, 이러한 나선형적 역사관은 통전적 역사관을 요청한다고 주장한다.68)
이러한 나선형적 역사관으로 본 이종성의 통전적 역사관에서 역사는 하나이며, 역사 의 유일무이한 주인은 야훼이시고, 역사의 관리자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며, 역사적 최종 목적 은 하나님의 나라이고, 구속의 역사를 보여주는 성서는 희망의 역사관으로 가득 차 있다.69) 그러므로 그는 역사가 있다면 하나밖에 없으며, 그 역사는 하나님께서 인류를 구속하기 위하 여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셔서 그의 삶과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서 하나님의 구속 역사뿐이라고 결론을 짓는다. 이런 연유로 인해서 아무리 역사가 혼란스럽고 타락되고 악한 역사가 나타날 지라도, 역사의 주인은 창조주 하나님이시요 역사를 주관하시고 통치하시는 분은 하나님 한분 밖에 계시지 않다. 역사의 마지막에 때가 차서 그리스도께서 영광가운데 재림하시면 그 때가 곧 하나님의 모든 약속이 성취되는 때요,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되는 때요, 새 하늘과 새 땅이
이루어지는 때요, 모든 성도들이 영광 가운데로(communio gloriae) 영접받는 때이다.70)
이러한 이종성의 종말론과 역사이해는 신구약성서가 보여주는 다양한 역사를 단순하 게 통합하려는 관점이 아니라 나선형적으로 관통하는 역사를 성서가 증언하는 대로 하나님께 서 주관하신다는 통전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면 이상에서 언급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에 관해서 다음의 항목을 달리하여 평 가를 해보고, 그것이 김명용의 온 신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IV.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과 김명용의 온 신학과의 관계

이종성은 이미 위에서 인용된 여러 차례 언급한 바 있는 통전적 신학을 체계화하지는 못하였 지만, 자신의 조직신학대계를 ‘통전적 방법’이라고 명명하면서 연역적 방법, 귀납적 방법, 계 시적 방법, 상관적 방법 등을 생소한 낱말인 통전적 신학 방법론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역법 과 귀납법의 통합, 계시의 단일성과 다양성, 과정적 상관관계 등을 추론하여 통전적 방법이 지니고 있는 특징들을 다음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통전적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였다. 곧 하 나님, 인간, 세계와 우주, 신학, 그리고 역사를 통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이해할 때 통전적 신학은 하나님의 통치권이 모든 존재의 차원과 공간에 미치게 된다.71)
이러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지닌 특수성은 제임스 로더가 말한 “논리적 암시나 인과론적 결정론에 의해 연역되거나 도출될 수 없는 두 개념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적 관계 성”72)을 해명하는 신학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통합시키는 행위와 과정, 곧 두 차원 혹은 두 축의 양극적 구조를 하나의 유기적 체제가 되게 함으로써

68) 이종성, “제7부 역사관의 일곱 가지 유형”, 555-556쪽.
69) 이종성, “제7부 역사관의 일곱 가지 유형”, 556-575쪽.
70) 이종성, “제7부 역사관의 일곱 가지 유형”, 574쪽.
71) 이종성, “제1부 서론”,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1권 조직신학대계- 신학서론』 (서울: 한국기독교 학술원, 2001), 65-87쪽.
72) James E. Loder,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이규민 역,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신학과 과학의 대화』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2009), 474-475.
 
양극의 관계적 연합을 이루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두 가지 상반되는 개 념이 일종의 역동적-비대칭적 관계성의 형태로 긴밀한 상관성을 가지게 되므로, 각각의 특성 과 차이가 유지되면서도 하나의 비대칭적 통전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대표적인 예 는 뫼비우스의 띠에서 그 원형을 찾을 수 있다.73) 뫼비우스의 띠는 띠의 겉과 속이 180도 회 전되어 만나고 있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면과 하나의 선만을 가진 독특한 형태의 띠로 변형되 고 있는 것처럼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상호적인 통전성과 일맥상통한다. 특히 그가 삼위일 체론을 관계적 통전성으로 설명하고자 한 것이 이런 차원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종성은 이론적으로는 관계적 통전성을 추구하였지만, 실제적으로 한국의 다 양한 신학적 입장들을 끈질긴 대화로 조율하거나 통합하여 그가 주창한 통전적 신학을 완성하 지 못하였다. 오히려 그는 지금까지 각 교단의 조직신학자들이 그러하였듯이 자신이 속한 장 로교 통합교단의 신학적 입장에 서서 자신과 다른 신학들을 포용하여 관계적 연합을 이루는데 실패하였다.
이 점에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미흡하기 때문에74) 그의 제자인 김명용은 온 신 학으로 발전시키기를 원한다. 여기서 잠시 통전적 신학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서 김명용의 온 신학과의 연관성을 지어보자.
김명용은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신학적 용어로 등장한 것이 1984년에 출판된 『그 리스도론』 에서 통전적 기독론을 주장하면서부터라고 지적한다.75) 윤철호는 통전적 신학이 절 충주의나 혼합주의가 아니라 온전성(wholeness)을 지향하는 신학이라고 평가한다.76) 이러한 평가는 다음과 같이 김명용의 온 신학을 가능하게 한다.
김명용은 온 신학을 2014년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직원 신년예배에서 처음으로 언급한 바 있다. 온 신학은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순수한 우리말로 표현한 용어이다. 김명용에 의 하면, 온 신학은 130년간 한국 신학의 결론이자 정점이다. 1985년과 2002년 두 차례에 걸쳐 서 발표된 장로회신학대학교의 대학이념과 신학교육성명서에서도 나타났듯이 ‘예수 그리스도 의 복음전파와 하나님 나라의 구현’이 통전적 신학을 한마디로 보여준다. 특히 2002년 신학교 육성명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온전히 계시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야말로 인간과 사회와 세상 을 살리는 온전한 복음이라고 천명한다.77) 일각에서 ‘스승인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갈아엎 는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가 온 신학으로 표현한 것은 단지 통전이라는 의미에 영어로 integrity의 의미 곧 통합한다는 뜻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명용은 그의 온 신학이 단지 통합한다는 측면이 아니라 온전한 신학을 형성하는 것, 즉 편협하지 않고 하나님에 관한 모든 것을 온전하게 표현하는 신학이라고 주장한다.78)

73) James E. Loder,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477, 481.
74) 윤철호, “통전적 신학 방법론-춘계 이종성의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장신논단』 제47권 제1호 (2015): 128쪽. 문병구는 본 연구를 논평하면서 이정성이 생각하는 ‘통전적 신학의 구성원리(Prinzip)’ 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진다. 참고, 문병구,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 가,” 『한국개혁신학회 제38차 학술심포지엄』 자료집(2015년 5월 5일 장로회신학대학교), 118쪽.
75) 김영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4), 37,
121. 그는 통전적 신학을 영어로 TongJun Theology라고 표기하였는데, 이미 우리말로 통전 신학이 라 표기되고 Tong Chun이라고 영어로 표기된 것은 2003년에 한국기독교 공동학회에서 발표된 소기 천의 "생명의 선교를 향한 예수의 시험이야기 새로 읽기: 통전 신학을 제안하며", 『한국기독교신학논 총』, 한국기독교학회 편, 제30권(2003): 183-209쪽에 있다.
76) 윤철호, “통전적 신학 방법론-춘계 이종성의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128.
77)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교육성명을 위한 기초문서”, 『교회와 신학』 제48호(2002):
12-19쪽.
 
김명용은 한국교회의 일각에서 교조적으로 이어온 파편 신학의 바탕위에서 얼마나 편 협한 신학이 많았는지를 지적한다. 더구나 2013년 10월에 부산에서 모였던 세계교회협의회 (WCC)를 같은 장로교 교단에서 조차 완전히 이단시하는 그릇된 가르침을 많이 보았다고 전제 한 후에, 그는 온 신학을 더 잘 이해시키는 방법으로 달을 생각 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한다. 그에 의하면, 반달은 아직 온달이 되지못한 달이다. 반달이 반쪽짜리 달이라면 온달은 온전하
고 충만한 달이다. 그러나 신약성서에서 o[loj는 ‘온전한’이란 뜻이지만,79) 요한계시록 6장 12
절은 개역개정판에서 “달은 온통 피같이 되며”라고 번역되어 있다. 이런 번역은 “온달[보름달
-필자의 주]이 피같이 되며”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온달도 결코 긍정적인 표현만은 아니다. 특 히 요한복음 19장 23절은 diV o[lou는 전치사와 함께 ‘통으로’ 혹은 ‘하나로’란 의미이다. 또한 사도행전 21장 31절의 o[lh sugcu,nnetai VIerousalh,m란 표현은 ‘온 예루살렘이 요란하다’고 번역
되어 있으나 사실은 ‘예루살렘이 아주 요란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마 4:23의 evn o[lh|
th/| Galilai,a|란 표현과 같이 신약성서에서 o[loj는 ‘온’이라고 개역개정판이 번역을 하였지만 ‘모든’이라는 의미이므로, 마태복음 4장이 사용한 이 단어는 아무리 생각해도 온 신학에 연결 되지 않는다.
아무튼 김영용에 의하면, 반쪽짜리 달과 같은 신학은 편협한 신학이기 때문에 국민에 게서 지탄을 받을 정도로 교회 간에 처참한 갈등과 싸움을 일으킨다. 이미 한국의 장로교가 통합 측을 제외하고 200여개의 장로교단으로 분열한 것이 이 같은 단면을 잘 보여준다. 그래 서 이러한 갈등을 치유하고 교회를 하나 되게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은 그에 의하면 거의 다 수가 온 신학적 정신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평가한다. 통전적 신학을 계승한 온 신학 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가 지니고 있는 궁극성에 기초하고 성령에 의해 펼쳐지고 세계 도처 에서 일어나는 성령의 놀라운 해방과 생명의 역사들에 대해 열려있는 신학이다. 그래서 그는
온 신학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라는 기독론적 차원과 하나님 나라 구현이라는 성령론적 차원이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적으로 깊이 연관되어 있는 신학이다. 온 신학은 예수 그 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온전한 복음에 기초를 두고 하나님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성령론적 신
학이다.”80)라고 선언한다. 이로써 그는 온 신학이 온전함을 추구하는 신학으로 단편적이고 파 편화된 신학을 거부하는 신학이라고 간주한다.
김명용은 자신의 온 신학을 신학적 토대 위에 세우기 위해 ‘박형룡의 근본주의 신학, 조용기의 삼중축복의 신학, 민중 신학’81) 등을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신학이라고 비판한다. 물 론 그가 한국의 다른 교단들의 신학을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신학’이라고 한 지적도 다소 한 쪽에 치우친 감이 있지만,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거론하면서 자신의 온 신학이 스승의 하나 님의 나라를 위한 신학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제자인 자신이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하려는 것 에 더 깊은 강조점을 두려는 신학이라고 강조한다.82)
김명용에 의하면, 온 신학은 폐쇄적이지 않고 열려있는 신학으로 핵심적인 통전적 신

78) 김영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 13-16, 99-102쪽.
79) 이미 각주 5번에서 언급한 바 있지만, 다른 의미를 제외하고 o[loj는 마 14:35, 16:26; 막 6:55; 눅
5:5, 13:21; 요 4:53, 7:23; 행 11:26; 롬 1:8, 8:36; 딛 1:11; 요일 5:19 등에 ‘온전한’이란 의미로
쓰인다.
80) 김영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 18, 104쪽.
81) 김명용의 온 신학과는 달리 통전적 신학을 처음으로 주창한 이종성은 민중 신학이 짓눌리고 비참한
상황 속에 처해 있는 모든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최근에 상호연관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긍정적인 평 가를 내리기도 하였다. 참고, 이종성, “The Wholistic View of Happiness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346쪽.
82) 김영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 19-40, 105-124쪽.
 
학정신에 일치하면서 비록 다른 점이 있어도 포용하고 협력해서 함께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려 는 경향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온 신학은 통합만 하는 신학이 아니고 바른 신학 의 기준위에서 잘못된 것은 고치고 중요한 것은 더욱 강조하고 새로운 정신을 첨가하면서 완 성해가는 신학이다. 그러기에 온 신학은 높은 학문적 신학을 추구하면서 성령의 활동을 바르 게 파악할 뿐 아니라 이렇게 파악된 통전적 관점으로 교회뿐만 아니라 세계역사까지도 결정적 으로 새롭게 만든다고 한다. 이 점에서 온 신학은 대화적 신학이다. 온 신학은 다양한 신학과 의 대화만이 아니라 타종교와 사상, 더 나아가 자연과학과 세계역사와도 대화를 여는 학문이 다. 다시 말해서 온 세상을 하나님의 나라로 바꾸기 위한 성령의 길이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신학이 온 신학이다.83)
김명용에 의하면, 온 신학은 삼위일체 신학의 터전위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오직 예수 만이 우리의 구주임을 믿는 온전한 복음을 강조하는 신학이며, 오직 교회에 의해서만 전파되 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를 드러내는 통전적 교회론을 지닌 신학이며, 온 세상과 온 우주를 구원하고자 하는 성령의 뜻에 복종하는 생명신학이며, 끊임없이 개혁하는 개혁신학이 다.84) 이 세상에 많은 종교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우리의 구원은 오직 예수를 통해서만 오기에 그리스도 한분만이 우리의 구세주이시다. 그러므로 예수를 모르며 타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우 리의 전도대상들이다. 그들과 담을 쌓고 대화도 거부하면 교회는 게토 화 된다.
김명용의 온 신학은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을 계승하면서도 통전적 신학이 ‘여러 가지 의 패러다임을 통합하는 신학’이라는 반면에,85) 온 신학은 다양성을 인정하고 또한 편협하고 편파적인 신학의 풍토에서 온전한 신학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종성은 통전적 ‘그리스도론’에서 기독론을 한국교회의 토양에 토착화하고 현실화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는데,86) 과연 김명용의 온 신학이 향후에 얼마나 신학적으로 확고한 모양을 갖추면서도 한국적 상황에 토착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전히 온 신학도 아직까지는 서구적인 신학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고, 이미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이 대화와 통합의 한계를 드러낸 것과 같이 한국의 다른 교단에서 뿌리 를 내리고 있는 신학적 특징들을 포용하는 면에서 다소 부족한 점이 발견된다.

V. 결론

한국에서 통전적 신학을 처음으로 주창한 학자가 이종성이다. 안타까운 것은 그가 자신의 통 전적 신학을 체계화하지 못하고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그는 비록 성서에 ‘통전적’이란 단어 가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스스로 성서적이고 복음적인 통전적 신학 을 시작하였다고 자부하면서 그 유산을 후세에 남겨주었다. 이로써 그는 후학들에게 통전적 시각에서 성서를 중심으로 한 성서적 복음주의 신학을 할 것을 촉구한다.87) 그는 비록 엉뚱하

83) 김영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 62-71, 144-152쪽.
84) 김영용,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 79, 158쪽.
85) ‘통전적 신학과 통전적 개혁신학’에 관해서 윤철호, 『현대신학과 현대 개혁신학』 (서울: 장로회신학
대학교출판부, 2003)의 제9장(245-271쪽)을 보라.
86) 이종성, “제4부 현대신학과 그리스도론”,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4권 조직신학대계- 그리스도 론』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574-575쪽; 이종성, “제3부 기독교 토착화론”, 『춘계 이종성 저 작 전집: 제27권 윤리와 토착화론』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399-442쪽. 물론 이종성은 우리 가 할 일이 복음을 토착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릇되게 채색되고 토착화된 복음을 언제든지 비토착 화하는 작업도 해야 한다고 말한다(418쪽).
87) 이종성, “제1부 한국교회의 신앙과 신학”,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22권 소논문집-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의 신학』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179-180, 279쪽. 김성규는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
 
게도 한동안 ‘나그네 신학’88)을 역설하기도 하였지만, 교회의 설교와 생활을 다시 통전적 신학 으로 심화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한국교회가 성서의 교훈을 도태로 한 기독교 문화까지 창조해야 한다고 말하였다.89)
이종성에 의하면, 통전적 신학이란 그레코-로만 문명을 계승 한 서구신학 외에 타문 화권(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태평양 등)의 종교와 사상, 문화, 세계관, 가치관 등을 복음에 이르는 준비과정 또는 기독교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보고 적대시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그것들을 성서를 기준으로 해서 기독교 안으로 이끌어 오고자 하는 신학이다. 이 점에서 김명 용의 온 신학은 그 스스로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신학’이라고 비판한 한국의 다른 교단의 신 학적 내용들을 그의 스승이 한 것처럼 비판하고 거부하였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인 다른 교단으로부터 외면을 받고 통합측 교단 내에서도 그 통전적 신학의 실체가 아직 확립되지 않았고 여전히 통전적 신학이 되기 위 한 과정 중에 있다는 비판의 소리를 극복하려면, 한국개혁신학회와 같이 범교단의 신학자들이 다 함께 모인 자리에서 더욱 활발한 신학적 논의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그 스스로 성서적 복음주의라는 이름으로 불리길 원하였지 만, ‘통전적’이란 단어 자체가 성서적 근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았기에 그의 제자 세대의 조 직신학자들이 처음부터 다른 접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통전적 신학은 다 양한 신학의 분야들과 협력하는 길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이로써 이종성은 조직신학자이지 만, 그의 조직신학대계 40권에 드러난 통전적 신학은 신학의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통전적인 신학은 다양한 신학의 분야들과 협력 을 하면서 각각의 주제들을 포괄하는 신학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다.

Abstract
A Study of the Holistic Theology by Dr. Jong Sung Rhee
Ky-Chun So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e theology of Dr. Jong Sung Rhee is called to the holistic theology. On the one hand, this article surveys whether the concept of  his holistic theology is Biblical, first of all, or not. He did not success his holistic theology, even though he published 40 greatest volumes of his systematic theology. In spite of its incompleteness,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Biblical theology and evaluates his theologies  that  he  enterprised  during  his  whole  life  almost  90  years  old: co-relational studies of various fields, an Biblical understanding, Trinity theory, science and theology and literature, an acceptance of interreligious and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eschatology etc.
As a result of this survey, on the other, this article evaluates whether the

이 ‘근원적으로 방향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완성되지 못한 것’이라고 평가한다. 참고, 김성규,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 『한국개혁신학회 제38차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015년 5월 5일 장로회신학대학교), 114쪽.
88) 이종성, “제1부 한국교회의 신앙과 신학”, 160-168쪽.
89) 이종성, “제1부 교회안에서”,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제36권 수상집- 기독교는 살아있다』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221-223쪽.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alright, or not, and whether the ohn theology of Myung Yong Kim is based on the Rhee’s holistic theology that ‘united’ various theological aspects, because Kim thinks that his ohn theology further contains the concepts of no one side or more holistic view.
What is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the holistic theology that he thought? He understood other civilizations (even science and religion) as ‘the preliminary process for the Christianity’ or ‘the one toward the Gospel.’ And how the Christian world view can understand the other religious world view through the holistic theology and lead the other different civilizations into the Christian civilization? Those questions are the major tasks that must be solved by the scholars who success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Key Words
Jong Sung Rhee, Holistic Theology, Biblical Evangelism, Myung Yong Kim, Ohn Theology

참고문헌

김명용, 『칼 바르트의 신학』 . 서울: 이레서원, 2007.
김성규,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 『한국개혁신학회 제38차 학술심포 지엄』 자료집(2015년 5월 5일 장로회신학대학교).
김영동, 『교회를 살리는 신학』 .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김이태, 『중심에 서는 신학 : 김이태의 신학세계』, 고 김이태 교수 저작 출판위원회 편. 서울: 장로회신 학대학교 출판부, 1994.
문병구, “춘계 이종성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대한 성서신학적 평가.” 『한국개혁신학회 제38차 학술심포 지엄』 자료집(2015년 5월 5일 장로회신학대학교).
맹용길, “통합신학-개요”, 『교회와 신학』 제18집(1986).
소기천, "생명의 선교를 향한 예수의 시험이야기 새로 읽기: 통전 신학을 제안하며", 『한국기독교신학논 총』. 한국기독교학회 편, 제30권(2003).
소기천, “아레오바고 설교와 보편주의”, 『하나님의 사랑과 세계선교』 .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1.
윤철호,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3.
윤철호, “통전적 신학 방법론-춘계 이종성의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장신논단』 제47권 제1호(2015). 윤철호, 『현대신학과 현대 개혁신학』 .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이종성, 『미완성의 완성』 .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이종성, 『춘계 이종성 저작 전집 40권』 . 서울: 한국기독교학술원, 2001. 이종성 외 3인, 『통전적 신학』 .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교육성명을 위한 기초문서”, 『교회와 신학』 제48호(2002).
김영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온 신학』 .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4.
Barth, K. Der Romerbrief, tr. by Edwyn C. Hoskyne, The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Guder, Darrell L. “통전적 선교신학을 향하여: 세계, 공동체, 이웃,” 『통전적 신학의 모색: 제3,4회 춘 계신학강좌 I』.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Loder, James E.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이규민 역,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신학과 과학의 대화』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2009.


===



Jong Sung Rhee, Holistic Theology, Biblical Evangelism, Myung Yong Kim, Ohn Theology

피인용 횟수
KCI3회
380 회 열람
KCI 원문 내려받기
논문 인용하기
서지정보 내보내기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3건입니다. 열기/닫기 버튼
참고문헌(19) 열기/닫기 버튼* 2022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오류신고논문누락 오류신고
인용관련 오류신고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메일 자동수집 거부
문의사항 042-869-667
===
춘계 이종 박사의 통전적 신학에 한 연 천(장 신학 신학 )
 신학 신학(通傳的 神學) 린다. 그래 본   통 신학   개 지 우 하고 한다.  통 신학   직신학 계 40 집필하 지만, 게도 그것 하지 못하 다. 그 지만 본   통 신학   근거 가진다는 하에 그가 90 살  주도한 여러 공통 , 해, 삼 , 과학과 신학과 학, 간학  간 용, 평가하고 한다.
러한 연 통하여 필 신학에 하여 신학
 ‘통합한다’는  강하 에 ‘편 하지 고’ ‘ 하게 한다’ 등 미  담고 는 ‘ 신학’ 통 신학 계승하고 다는 주장 과연 당한지도 평가하고 한다.  타 (학 , ) 지도 ‘ 독 한 과 ’, ‘복 에 는 
보고 해하 , 과연 그가 생각하는 통 신학 원리는 가? 
그리고 어떻게 신학  
통하여 해하고 는가? 향후  
신학 계승하는 후학들 할 과
다.
, 통 신학,
I. 용, 신학
고는 90 에 하나님 춘계 사( 하에 는 모든 학 들에게 직함
 붙 는다) 신학 ) 연 하고 하는 목 다. 가  학 직신학 한 평생 1922 출생하
다. 그는 본, 미 , 독 등에 주 , 신 통주 , 개 통주 , 근본주 신학 등 2천 모든 독 신학 공 하 다. 그가 특별 하는 신학 들 우 스티 스(어거스틴 말하 F학 주었다), , 트 등  사 다. 그는  목 사, 연 학 , 장 신학 학 , 학감, 학장, 한 장 장, 남신학 학 장, 웨스트민스 신학 학원 학 장, 한 독 학 원 원장 등 지냈다.
88 지 들과 니스  한  신학 신학
고 스스 하 다. 통 신학 '그리스- 마[그 코- 만]'  심 한  신학 에 타 ( 시 , 프리 등)  사상, , 계 , 가 등 '복 에 는 과 ' 는 ' 독 한 과 ' 보고 시하거나 시하지 고 그것
하는 신학 다. 그가  
에 스스 신학 연 에 심취하여 다 과 같 말하 다.
나는 재 필생 과 통 신학   경지 상 에 다. 통 신학  다 과 같 것에 주 고 다. 첫째, 신학 각  단독 해
하지 고 각 에 공통 는  모색한다. 째, 삼 체 신학 각  통시킨다. 째, 우주계 태양계 한할 것 니 운계 지 해 해한다. 그리고 운계도 생 체가  것 한다. 째, 모든 나 학
 복 에 과 (preparatio evangelica) 용한다.   그리스 도 심한 범 계 한다.2)
러한 신학 신학 단뿐만 지 포용할 는 신학
고 다. 한  직신학 계 1979 1989 지 출 하 다 과 같 통 신학 상하 도 하 다.
신학 결시키 는 것 신학 역할  
하도 짠 것 러한 하여 직신학 집필하게 었다.3)
고는 그가 하지는 못하 지만, 직신학 계에 여러 차 에 걸쳐  
 러한 통 신학 지  해 , 신학 여러  공통 연 , 해, 삼 체 , 과학과 신학과 학, 간학 간 용, 말 등 나 어 살펴보고 한다. 마지막 그 통 신학 평가하고 용 주장하는 신학
살펴보고 한다. II. 신학 여러 공통
신학 에 ‘통 ’ 단어 찾는다 결코 찾  없지만, 슷한  하나 다. 것 헬 어 용사 o[loj다.  단어는 마 14:35; 16:26 막 6:55 12:30;  5:5 
13:21 요 4:53 7:23; 19:23 행 11:26 21:31;  1:8; 8:36;  1:11 요 5:19에 등장한다. 우리말 다양하게 역  나,   통 신학  할  하게 어울릴  는 단어 다.
용사 te,leioj 단어도 ‘ 한’ 용사 사한
지만 그 에 차 다. ‘ 한’ 용사 미는 1:4a, 17, 25; 9:11; 
 
2) , 『미 』 ( 울: 장 신학 , 2012), 159쪽. 규는 본고 평하  가 얼핏 보 에는 포한 것 ‘하나님 능 과 신 모든 만 다’는 말과 사하다고 지 한다. 결 시작 도 모든  복 귀착 다는   “모든 나 학 (preparatio 
evangelica) ” 보는 견해는 어 도 타당한  다. 그러나  다 장에 “ 그리 스도 심한 범 계 한다” 는 결 그리스도 한  들 지 는 들 많 그런 들에 과연 그리스도 심 하는  통 신학 타당한지  
다. 참고, 규, “춘계 신학에 신학 평가,” 『한 신학
38차 학 심포지엄』 료집(2015 5월 5 신학 ), 113쪽.
3) , 『미 』 , 124쪽.
요 4:18에 나 다. 사 쓰 ‘ 한 것’ 미는 12:2; 고 13:10에 나 다. 그러나  ‘ 한’ 미 용사 고 14:20; 엡 4:13;  5:14에 나 다. 고 2:6에는   사용 다. 고 2:6;  3:15; 골 1:28에는 신 스런  연결 어 나 다. 마 5:48a 19:21; 골 4:12;  1:4b 3:2에는 도   개 나 다. 마 5:48b에는 하나님 한  지 하는 것 나 다.
한 헬 어 용사 pa/j도 다양하게 등장하지만 다 가  하는 듯 4)
te,leioj와 마찬가지로 통 미 사용 다고 간주하 어 다. 다 는 pa/j도 통 개 통용  다고 간주하  마 28:18; 요 3:16; 고후 5:19;  
2:9-11; 골 1:17-19 등 는다. 그러나 엄 하게 말하 , 단어는 단지 ‘모든’ 고 역 용사에 니지 는다.  te,leioj pa/j가 통 사용 격할 필요는 없
다. 어차피 o[loj도 통 드러내지 못하는 단어 에, ‘통
’  가진 단어가 헬 어에 없 에 te,leioj pa/j o[loj 한꺼 에 울러 통  미 도출해 낼 도 다. 그러 에 에 언 한 다 는 용사 o[loj 사   사 붙 to. o[lon “ , 통 ,  복 역동 심 ”5) 
하는 단어 미 여하 도 한다. 그러나 런 미는 신 에 ‘보편 ’ 미  사용   에6) o[lon도 여 통 미에 합하지 는다.
하게 말하 게도 통 단어가 헬 어에
는 없다. 그 신학 근본 장에 언어
도움 없다. 본 연 는 통 단어가 경에 없다는 결
 내리고, 그 에  그 통 신학 신학 토 에 우지 못했다 고 주장할 는 없다고 본다. 냐하 통 는 단어가 에 없다고 해 그 신학 개 도 경에 없다는 것 타당한 증 법 지 재검토가 필요하 다. 그 에  통 신학 그 신도 신학 토 에 우지 못하 에도 하고, 곧 그가 생 해  동 에 그 들에게 새 운 신학  게 었다. 태는 처  통 신학 보다는 ‘ 심에 는 신학’ 개  그 특징 하 다.7) 맹용 통 신학 ‘통합신학’ 고 하 다.8) 용 통  신학 고  통 고 복 신학 견지하는 신학 고 규 하 다.9)
요한 신학 사고 사고 결과 해하여 합신학  
는 ‘창 신학’ 고 평가하 다.10) 는 통 신학 후 
탈근 다양한 해 통해 통합하는 신학
고 간주하 다.11) 는 한걸 귀납 법과 연
 
4) 참고, Darrell L. Guder, “통 신학 향하여: 계, 공동체, 웃,” 『통 신학 모색: 
3,4 춘계신학강 I』 ( 울: 장 신학 , 2012), 40-41쪽.
5) Darrell L. Guder, “통 신학 향하여: 계, 공동체, 웃,” 41쪽 6) Darrell L. Guder, “통 신학 향하여: 계, 공동체, 웃,” 43쪽.
7) 태, 『 심에 는 신학 : 태 신학 계』, 고 태  작 출 원 편( 울: 장 신학 학 출 , 1994). 
8) 맹용 , “통합신학-개요”, 『 신학』 18집(1986).
9) 용, “통 신학 가?”, 『통 신학』, 3 ( 울: 장 신학
2004).
10) 요한, “하나님 평 운 생 : 통 신학  한 하나 ”, 『통 신학』, 269, 309 쪽.
역 법 통시 원에 해 학 해할 필요가 다고 하 통 신학 상 타 니 상 보 계 에 통합 는 신학 고 규 한다.12) 같  다양한 들 하게 개  통 신학 지니고 는 모  하고 하는 시도 어 다.
신학 직신학 들마다 처  
근 할  에 없었 , 런 특징 에 다양한 신학 들과 하는  나 갈 에 없었다.   직신학 지만, 그 통 신학 신학 어 한 
운 특징 가지고 다. 그가 남 주목해보 .
신학 고  
 높  가지는 신학 강 해 한다.  통 신학 강 해 한 다.13)
 같   통 신학 다양한 신학 들과  하 각각 주 들 포 하는 신학 할 에 없다는  보여 다. 그럼 그가 통 신학 
장에 한 신학들 과 같 신학 장에 평가하고 한다.
III. 신학에 한 평가
1.
가지고 다. 다시 말하 , 그 신학
학’ 다. 1979 11월 16 에  에 하 , 런 신학 장 한편 룡처럼 신학 하나님께 사 에게 가 쳐주시는 거룩한 학 는 주장 격하고, 다 한편
  처럼 신학 하나님에 한 신 체계 한 것 는 개
모토 theologia semper reformanda 는 것 다.14)
말하는 ‘ 미는 하나님과 공동작 고, 는 
원에 한 가 견할 없고, 하나님 는 신 과 
도리에 다.15) 여 그는 ‘ 하다’는  
하지 는다. 미 당시에  트(Karl Barth)가 는 한편 하나님 계시에 한 간 증언 동시에 하나님 말 고 주장하 도, 다 한편 가 다는 주장  해 한 신학 들 사 에  고 었 다.  하여 용 
1934 5월 31 에  독  신학 언 거 하 가 가 에도 하고 하나님 말 고 증한다.16) 에 모 과 과 가 다는 런 주장  해 한 에  축 감 과 에 향  신학 들  트 
 
11) , “통 한 해 ”, 『통 신학』, 167-175쪽.
12) , 『 는 나 냐?』 ( 울: , 2013), 54-56쪽.
13) , 『미 』 , 150쪽.
14) , “ 복 주 신학”, 『춘계  작 집: 25 - 개 에 신학 지』 ( 울: 한 독 학 원, 2001), 378쪽.
15) , “ 신학”,  379-380쪽.
16) 용, 『 신학』 ( 울: 원, 2007), 97, 100, 110-111, 113, 323-325쪽.
신학 격하 도 하 다.17) 러한 어 극복하 하여
가 지향하 리고 개 신학 장에 가 하나님 는 
사실 신학 생각한 것처럼 “하나님에 니고, 향한 
하나님 계시 ”18)고 간주한다. 그러 에 결
 미 과 해 트가 1918 에  내용 나 다. 행한 강해 에 다 과 같
연    한 역사 그 타당 가지고 다. 그것 결코 피상
없는 지식 공해 주는 갖는다. 그러나 내가 역사
과 신 택해 할 지에 몰린다(driven) , 나는 망 지 고 
채택할 것 다. 보다 고, 보다 고, 보다 요한 
(justification) 사상 가지고 다.19)
런 언 보 트가 역사 평 법 거 하고 감 만 시한 듯 보 지만, 사 실 그 지 다. 마 는 역사 평 법 필 사용해 하는 복 는 달리 감 에 근거하여 충실한 리 실천 내용 쳐 는 신 다. 트가 한  말  마 에 역사 평 법 사용하 보다는, 감 사용하여 하나님 말 놓 지 겠다는 지 보 다. 러한 트     것 다.
  그리스도   믿는 과 
닌 하나님 다는 는 견해 가지고 다. ) 그는 
에 한 에 각하여  복 주 견지하  복 주 “ 통 해 포 복 게, 하게, 하게 해해 그 시 시 에 달해주는 것
” )고 한다. 러한  통하여 그는 1986 2월 5 에 동경신학 학에 행한 강 연에  복 주 신학에 해 “ 하나님 살 는 말 고 믿는 근본 장에 출 하여  통해 말 해 는 하나님 말 복 는 실 포착하여 그것에 한 한 해  사역 통하여(Testimonium Spiritus Sancti 
internum) 식 하는 운동 다” )는 장 가진다. 그는 러한 장 통해  복 주 신학   사역에 한 복 해에 지 승 하여 그 말 과 에 해 도 삶 새 운 삶 창 는 신학 하게 는 단계 지 도달하는 것 한다. 결 그 러한  복 주 신학에 한 신  신학사상에  향 크다. 그는 고 복 격 가지지  근본주 신학 법주 에 
지거나  만 주 주 타 하게  것 ,   하지 는 주 신 학 탕 같 신학 다고 한다. ) 그래 평생 동  가 경건과 학 모토 신학 에 뿌리 내리도 다.  직신학 하고 내용과 한다고 말 하 항상 신 요시하 신학에 한다. ) 그래 언어 하 고, 한 충 한 지식 가지고 “특   그 , 우리가 놓 시간과 장 게 해 어 한다.” )고 주장한다. 러한 주장 들릴 다. 그러나 그는 극단 보다는 가 ‘신 는 하나님   말할  가 없다’   )는 간주해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 항목에   추 한  복 신학 핵심   통 신학 해하고 한다.
2. 삼
과거에 신학 독 심   독 한  간주 고, 삼 체 해가 하 , 신학 말하 간 신학  강 하고, 신학 체 결 하는 힘
  신학 차지하고 다고 하는  게 었다.27) 그러므 늘날 신학에 한 독 차원과  해 가질 것 고 다.  해 하나님 
는 신학 개 도 독 과  차원 통해 보 하게  , 우리는 삼 체  통 하나님 28)는 해에 도달할  다. 러한 삼 체 통 신학 에게 출 한다. 그는 모에  복 주 에 각한 삼 체 통 신 학 상한 내용 다.29) 그럼 그 통 신학 지 삼 체 에 살펴보 .   트 마찬가지 “ 가 삼 체 직 가 는 것 니
는 것”과 “ 가 그 리 가능 열러주는 것”30)도 사실 고 한다. 곧 에 하 , 가 ‘한 주(Yahweh, Kyrios), 한  특 한 지 (意志者- Willer), 그리고 사 역 (Doer)’ 한 하나님 는 것 증거한다.31) 통 타나시우스 우 스
30) , “ 7 신학과 삼 ”, 『춘계  작 집: 
(2)』 ( 울: 한 원, 2001), 159쪽.
31) , “ 7 신학과 삼 ”, 165쪽. 7 직신학 계-삼
리가 늘날 삼 가 주지하는 사실 다.32)
그는 스티 2 지주
지만 극복하 다는 사실 시하
,33) 스티 “플 추상 사상 , 실경험 는, 살 계시는 하나님 재 양식 는 못하나 간 다해 한, 하나 체”34) 간주한다. 
스티 체 사상에 가장 요한 용어가 essentia substantia
다. 삼 체 가리키는  용어가 리 스  동 한 미 사용 었 , 원 래  용어가 니 헬 철학에 차게 사용 어  ou=sia u`po,stasij 틴어 역한 단어들 다. 여 동 헬 어 삼 체(mia, ou=sia, trei/j
u`po,stasij) 용어가 나 다. u`po,stasij는 리 스에 해 틴어 persona 역 어  틴어 삼 체(Una substantia, tres personae) 용어가 었다.35) 그래 삼 체 할  직신학 들 사 에  용어 본체, 실체, 본질, 신 , 신 실체, 본 등 다양한 용어가 동 어 사용 다.36) 그래 삼 체 여 직신학 들에 해 하게 규  어 본질 가 하는 도 에 직 하게 다.
도  같 사실 시하여 “그리스도 는 시작   는 
체 하나님 했다”37)고 지 한다. 그에 가 삼 처  과 상징 사용하여 “본래 하나님 본 사 는 독생하 신 하나님 나타내 .”(요 1:18) 과 같 러한 것 내용 하 다고 한다.38)
 삼 체 신   신39)과 지만, 신 가 하나님  그리스도에게 견하
다고 간주한다.40) 그리고 하나님   시 신 에게 하여 하나님 원 루었다고 한다(사 11:1-2).41) 그는 삼 가 각각 고 페 나 지하 
과 목 ,  는 하나님 는  래, 는 그리스도    하나님 사역에 하게 동참하지만, 러한 법에 ‘삼 ’가 강 에도 하고 ‘ 체’에 한 강 는다고 생각한다.42)  통 하는 , 그가 통 고 
 
32) , “ 3 쟁과 결과”, 『춘계 집: 6 직신학
-삼 (1)』 ( 울: 한 원, 2001), 274-275쪽.
33) , “ 3 쟁과 결과”, 267; , “삼 (2)”, 『춘계  작 집: 7 직신학 계-삼 (2)』 ( 울: 한 원, 2001), 345쪽.
34) , “삼 (2)”, 352쪽.
35) , “삼 체 (2)”, 325-327쪽; , “ 3  삼 체 쟁과 결과”, 238쪽; , “ 4 본체 격 개 ”, 『춘계  작 집: 6 직신학 계-삼 체 (1)』 
( 울: 한 원, 2001), 296쪽.
36) , “ 7 신학과 삼 ”, 166쪽.
37) , “ 2  가 ”, 『춘계  작 집: 6 직신학 계-삼 체 (1)』 ( 울: 한 독 학 원, 2001), 159쪽.
38) , “ 2 ”, 164-165쪽.
39) , “ 3 쟁과 결과”, 189-193쪽.
40) , “ 2 ”, 167-168쪽. 41) , “ 2 ”, 169쪽.
42) , “ 2 ”, 170-171쪽.
하지는  지만 가장 근 다. 그는 2 고스 간주하
여 신 에 연결 짓는다(잠 1:20-33; 2:1-22; 3:11-20; 7:4; 8:1-31; 사 8: 18; 
63:9-11; 말 3:1; 마 3:3; 1:17, 76; 3:4; 7:27; 요 1:1; 요 5:22; 17:5;  9:5;  2:13; 
1:2).43) 러한  도태 그는 하나님 고스 나타났고 신
다고 결 짓는다(시 33:6; 솔 몬 지 1:6; 9:1-2, 7; 잠언 3:19; 8:22 하).   ) 특 들 하나님과 태 에 함께 계 고 만 그 말미 지  것(요 1:1-3;  1:1-2) 시하여, 그는 울 신에 도 삼 체 찾  다고 말한다( 11:36; 엡 
1:10; 2:6; 골 1:16).45)
러한 통해 ‘삼 는 용어가 에는 등장하지 지만, 그 
만들 에 충 한 료가 에 다’46)고 주장하 시각
 집 하 다.  그는 “삼 체 한다 그리스도 신  것 고, 그리스도 신  그리스도 주  것” ) 고 말하 삼 체  가피 증한다. 그는 ‘우주  신 ’ ‘ 합 ’ 단한다고 하 삼 체 통 시각 간주하여 삼 체 말 “가장 체험 고, 가장 실천 고, 가장  그리스도 리” ) 고 평가하지만, 여 그가 하는 삼 체 충 한   거 리 보다는 삼 체 한 학 들 가 지닌 장단 평가 하고 그것에다 그 스스 통 삼 체 신학 고  붙  다 강하다. 그러  그가 ‘신학 심’ 그리스도에게 도 ) 신 우주 범 는 시
과 같 신학과 타학 항목에 해보고 한다.
3. 신학과 타학
1) 과학과 신학과
 과학과 신학 연 에 통 신학 하고 싶어 미 에 언 한 는 우주계 태양계 한할 것 니 운계 지 해 해한다. 그리고 운계도 
체가 한다고 말하 에 다 과 같 다.
하나님 우주 하나님 고 하 도 태양계에 재하는 재 만 상 하고 었 , 태양계 에 는 별 계에 해 는 언 태도 취함 지 신학 당착에 진 신학 고 말 다.50)
택: 는 모든 , 연과 역사에 한 모
. 계: 범 원에 는 모든 , 태양계  
만 니 운계 지도 검토한다. 범신 견지에 가 니 통 견지에 훼  믿는 믿 에 모든  해답 견하 고 한다.51)
그는 ‘통 견지에 ’  같  하고 지만, 사실상 신학 다 어떤 학 보다 도 과학과 격심한 립 보여주고 다는 사실도 식하고 다.52) 그러나 그는 ‘신학 가 없 는 참다운 과학도 없다’53)는 사실 식하고  에 과학과 신학 통
 견지에 해하고 한다.
에 하 , 한편 과학 연계 상 하고 실증하는 법 택하 지만, 다 한편 신학 어떤 상 나 사건 지니는  합 해하 한
다.54) 한 그는 과학 돕지만, 신학 돕는다는   한다.55) 그래 그는 근하는 고 다루는 목 지만, 
가 모 는 과학 지식 신학 해주고, 과학 한계 에 도달할 신학 그 
는 진리 견하게 해 다는 사실 할 필요가 다고 본다.56)
과학 간주 는 신학과 도 한 마 한다. 곧   하고 상태 해 주는 하여, 신학    해결해 다고 본다.57) 러한 주 연스럽게 진다. 그래 그는 가 사 에 해 심하거나 사 떠나 별개 집단생 는  는 동시에, 사 는    잘 해하고  가 도움 다고 한다.58) 러한 해는 다 과 같 간학 역에 지 그 신학 지평 주는 효과 낳는다.
2) 간학
간학 고 간 신학 과 같 말한다. 러한 
신학 얼마나 한지 보여 다.
울에 는 학 원 모든  철학과 학과 과학과 학 견해 충 해하고 한 미 에 학 상   는 우주학 지도  상 하는 통 신학 진원지가 고 사 탑 고 원( 源)  지향해 한다.59)
그는 ‘통 신학 진원지 사 탑’ 도 한 독 학 원 만들 도 하 다. 그에 하 , 신학 양  곧 월 실 고, 상 체 고, 신 
다. 러한 신학에 해는 그가 신학 고 다차원  
 
51) , 『미 』 , 147-148쪽 52) , “ 1 평신도 신학”, 47쪽.
53) , “ 1 평신도 신학”, 49쪽.
54) , “ 1 평신도 신학”, 47쪽.
55) , “ 1 평신도 신학”, 48쪽.
56) , “ 1 평신도 신학”, 48-49쪽.
57) , “ 1 평신도 신학”, 50-52쪽.
58) , “ 1 평신도 신학”, 144-147쪽.
59) , 『미 』 , 150쪽.
간주하게 하 다.60) 그래 그는 한 가 매우 폐쇄 고 미신
것과는 달리, 는 매우 개 고 진취 그 특징 고 평
가한다.61) 그는 과거 한
에 신학 개해주는 동시에 주도해 다고 평가한
다. 그럼에도 하고 그는 신도    장하 다고 하62)
한 독 가 “샤 니즘과   향  한 특  었다.”63) 고 지 한다. 그러나 그는 러한 특징 한 독 가 지닌 합주 모습 니 , 여 러  향 한 신생   가 다는  강 한다.64) 그 래 한 모든 역경 겨나갈  다고 한다. 
상에 처럼 과학과 신학과 학 그리고 간학  
언 한 것 미 신 에도 그처럼 다양한 목 리가 재하고 그것  용 한 들도 다는 사실과 한다.65) 그러 마지막 독 가 어떻게 마지막 에 
가 신 거나 하지 고   걸어가도 도울  는지 다 항목에 하고 한다. 
4.
마지막 하여 신학 걸어가지 해결
하는 한다고 말한 다.
추진할 사업 신학 한 것만 과 역사
에 하여 공헌할  는 가 엇 지 창출하고, 그  독 가 어떻게 취 하고 해결해 할 것 지 견하여, 역사  신 거나  
가지 게 하 하여 신학 그리고 복 해결하는 모색하는
했다.66)
그는 창 재림 지 어지는 역사 한복 에 그리스도 사건 심 한 나 역사 통 역사 는  스스 붙 다.67) 그는 다양한 역사  요 모 나 역사 에 하여 통 역사 한 것 다. 곧  진하는 퀴 하고, 결 과 운 역사주 격 주 해 시키고, 원 립
 
60) , “ 2 지 과 독 신 ”, 『춘계  작 집: 26 집-신학 본  철학』 ( 울: 한 독 학 원, 2001), 132쪽.
61) , “ 4 다원주 독 ”, 『춘계  작 집: 26 집-신학  본  철학』 ( 울: 한 독 학 원, 2001), 390쪽.
62) , “ 1 나 장과 신학 ”, 『춘계  작 집: 38 상집- 산 보고 다  보고』 ( 울: 한 독 학 원, 2001), 47쪽.
63) , “ 2 ”, 171쪽.
64) , “ 2 ”, 172쪽.
65) 울 사도행 17장 고 에 당 과학과 학 하고 범 내용도 다  한다. 참고, 천 “ 고  보편주 ”, 『하나님 사랑과 계 』 ( 울: 장 신학 학 출 , 2001), 194-257쪽. 
66) , 『미 』 , 146쪽.
67) , “ 7 역사 곱 가지 ”, 『춘계 집: 14 직신학 계-
(2)』 ( 울: 한 원, 2001), 555쪽.
  하나님 한 주 하에 가지 시키고, 직 역사  나 역사 변경시키고, 과거 지향 역사 미래지향 역사
 재해 하고, 역사 역사 한다. 러한 작업 행한 결과
가 그 한 나 역사 , 러한 나 역사 통 역사 요청한다고 주장한다.68)
러한 나 역사 역사 역사는 하나 , 역사
 한 주 훼 시고, 역사 리 는  그리스도 시 , 역사  목  하나님 나 고,  역사 보여주는 는 망 역사 가득 차 다.69) 그러므 그는 역사가 다 하나 에 없 , 그 역사는 하나님께  하 하 여  그리스도 보내 그 삶과 십 가  통해 하나님  역사뿐 고 결 짓는다. 런 연 해 리 역사가 스럽고 타 고 한 역사가 나타날 지 도, 역사 주 창 주 하나님 시요 역사 주 하시고 통 하시는  하나님 한 에 계시지 다. 역사 마지막에 가 차 그리스도께 가운 재림하시 그 가 곧 하나님 모든  취 는 요, 하나님 나 가 는 요, 새 하늘과 새  루어지는 요, 모든 도들  가운 (communio gloriae) 는 다.70)
러한  말 과 역사 해는 신 가 보여주는 다양한 역사 단 하 게 통합하 는  니 나 통하는 역사 가 증언하는  하나님께  주 하신다는 통 시각 보여주는 것 다.
그러 상에 신학에 항목 달리하여 평
해보고, 그것 신학과 어떤 는지 살펴보고 한다.
IV. 신학과 신학과
여러 차 는 통 신학 체계 하지는 못하
지만, 신 직신학 계 ‘통 법’ 고 하 연역 법, 귀납 법, 계 시 법, 상 법 등 생 한 낱말 통 신학 법 에 연결시키 하여 연역법 과 귀납법 통합, 계시 단 과 다양 , 과 상 계 등 추 하여 통 법 지니고 는 특징들 다 다 가지 역에 통 해할 것 하 다. 곧 하 나님, 간, 계 우주, 신학, 그리고 역사 통 해해 한다는 것 다. 게 해할  통 신학 하나님 통 모든 재 차원과 공간에 미 게 다.71)
러한  통 신학 지닌 특 스 가 말한 “ 시나 
과 결 에 해 연역 거나 도출  없는  개 사 에 재하는 상 계 ”72) 해 하는 신학 고 평가할  다. 그러므  통 신학 통합시키는 행 과 , 곧  차원   축 양극  하나  체 가 게 함 
 
68) , “ 7 역사 곱 가지 ”, 555-556쪽.
69) , “ 7 역사 곱 가지 ”, 556-575쪽.
70) , “ 7 역사 곱 가지 ”, 574쪽.
71) , “ 1 ”, 『춘계  작 집: 1 직신학 계- 신학 』 ( 울: 한 독 학 원, 2001), 65-87쪽.
72) James E. Loder,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규민 역, 『 계 리 독 식 : 신학과 과학 』 ( 울: 한 독 , 2009), 474-475.
양극 계 연합 루는 것 함축하고 다. 여 필요한 것  가지 상 는 개   역동 - 계 태 한 상 가지게 므 , 각각 특 과 차 가 지 도 하나  통 가질   에 러한  는 뫼 우스 에 그 원 찾  다.73) 뫼 우스 는  겉과  180도 어 만나고  에 단지 하나 과 하나 만 가진 독특한 태  변 고 는 것처럼  통 신학 상 통 과 맥상통한다. 특 그가 삼 체 계 통 하고 한 것 런 차원 고 평가할  다.
그러나  는 계 통 추 하 지만, 실 한 다 양한 신학 장들 질  하거나 통합하여 그가 주창한 통 신학 하 지 못하 다.  그는 지 지 각 단 직신학 들 그러하 듯 신 한 장  통합 단 신학 장에  신과 다 신학들 포용하여 계 연합 루는 
다.
    통 신학 에74) 그     신 학 시키 원한다. 여 잠시 통 신학에 한 평가   신학과 지어보 .
신학 신학 용어 등장한 것 1984 에 출 『그
리스도 』 에 주장하 고 지 한다.75) 는 통 신학  
충주 나 합주 가 니 (wholeness) 지향하는 신학 고 평가한다.76) 러한 평가는 다 과 같 용  신학 가능하게 한다.
신학 2014 신학 직원 신 한 
  다.  신학 신학 한 우리말 한 용어 다. 용에 
하 ,  신학 130 간 한 신학 결 다. 1985 과 2002  차 에 걸쳐   장 신학 학 학 과 신학 에 도 나타났듯 ‘ 그리스도  복 하나님 나 ’ 통 신학 한마 보여 다. 특 2002 신학   그리스도 에  계시 하나님 나 복 말 간과 사 상  살리는 한 복 고 천 한다.77) 각에 ‘스승  통 신학 갈 엎 는다.’는 에도 하고, 그가  신학 한 것 단지 통 는 미에 어 integrity 미 곧 통합한다는  강하 다. 그래 용 그  신학 단지 통합한다는  니 한 신학 하는 것,  편 하지 고 하나님에 한 모든 것 하게 하는 신학 고 주장한다.78)
 
73) James E. Loder,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477, 481.
74) , “통 신학 -춘계  신학 ”, 『장신 단』 47 1
(2015): 128쪽. 병 는 본 연 평하  생각하는 ‘통 신학 원리(Prinzip)’  엇 지 질 진다. 참고, 병 , “춘계  사 통 신학에 한 신학 평 가,” 『한 개 신학 38차 학 심포지엄』 료집(2015 5월 5 장 신학 학 ), 118쪽.
75) 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신학』 ( 울: 장 신학 , 2014), 37, 
121. 그는 통 신학 어 TongJun Theology 고 하 는 , 미 우리말 통 신학  고 Tong Chun 고 어  것 2003 에 한 독 공동학 에  
"생   향한 시험 : 통 신학 ", 『한 신학
』, 한 편, 30 (2003): 183-209쪽에 다.
76) , “통 신학 -춘계 신학 ”, 128.
77) 신학 , “장 신학 신학 ”, 『 신학』 48 (2002): 
12-19쪽.
용  한 각에  어 편 신학 탕 에 얼마나 편 한 신학 많 는지 지 한다. 나 2013 10월에 산에 모 계
(WCC) 단에 단시하는 그 다고 
한 후에, 그는  신학  잘 해시키는 법 달 생각 해 볼 필요가 다고 한다. 그에 하 , 달 직 달 지못한 달 다. 달 쪽짜리 달 달 하 고 충만한 달 다. 그러나 신 에서 o[loj는 ‘ 한’ 지만, ) 요한계시 6장 12  개역개 에 “달 통 피같 ” 고 역 어 다. 런 역 “ 달[보 달 -필 주] 피같 ” 는 다. 그 다 달도 결코  만 니다. 특  요한복 19장 23 diV o[lou는 사 함께 ‘통 ’  ‘하나 ’ 미 다. 한 사도행 21장 31 o[lh sugcu,nnetai VIerousalh,m  ‘ 루살 요 하다’고 역 어 나 사실 ‘ 루살 주 요 하게 었다’는 다. 그러나 마 4:23 evn o[lh| th/| Galilai,a| 과 같 신 에 o[loj는 ‘ ’ 고 개역개 역 하 지만 
‘모든’ 는 미 므 , 마태복 4장 사용한  단어는 리 생각해도  신학에 연결 지 는다.
용에 , 쪽짜리 달과 같 신학 한 신학 민에
지탄     간에 처참한 갈등과 싸움 킨다. 미 한 가 통합 하고 200여개 열한 것 잘 보여 다. 그래  러한 갈등 하고 하나 게 하 하는 사 그에 다 가 신학 하고 는 사 고 평가한다. 통 신학 계승한 신학  그리스도 계시가 지니고 하고 해 펼쳐지고 계 도처
에 어나는  운 해 과 생 역사들에 해 열 는 신학 다. 그래 그는  신학 “ 그리스도 복 는 독 차원과 하나님 나 는  차원 페리코 시스(perichoresis)  연 어 는 신학 다.  신학  그 리스도 통해 나타난 한 복 에  고 하나님 나 우고 하는  신 학 다.” ) 고 언한다.  그는  신학 함 추 하는 신학 단편 고 편 신학 거 하는 신학 고 간주한다.
신학 신학 해 ‘ 근본주 신학, 
용 삼 축복 신학, 민 신학’  ) 등 단편 고 편 신학 고 한다.  그가 한 다 단들 신학 ‘단편 고 편 신학’ 고 한 지 도 다 한 쪽에 우 감 지만,  통 신학 거 하 신  신학 스승 하나 님 나 한 신학에 한걸  나 가  신 하나님 나 하 는 것 에   강 는 신학 고 강 한다.82) 용에 하 ,  신학 폐쇄 지 고 열 는 신학 핵심 통 신
신에 어도 포용하고 함께 하나님
는 경향 갖고 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신학 통합만 하는 신학 니고 신학  잘못 요한 것 욱 강 하고 새 첨가하  
해가는 신학 다. 그러 에  신학 높 학 신학 추 하  동 게 할 뿐 니 게  통  뿐만 니 계역사 지도 결
게 만든다고 한다. 신학 신학 다. 신학 다양한 신학과
  사상, 연과학과 계역사 여는 학
다. 다시 말해  상 하나님 나 꾸 한   엇 지 찾 가는 신학  신학 다.83)
용에 , 신학 체 신학 하나님 직 
만 우리 주 믿는 한 복 강 하는 신학 , 직 에 해 만 는  그리스도 하나님 나 드러내는 통  지닌 신학 ,  상과  우주 원하고 하는  에 복 하는 생 신학 , 없 개 하는 개 신학
다. ) 상에 많 지만 우리 통해 에 그리스도 한 우리 시다. 그러므 믿는 사 우 리 상들 다. 그들과 담 도 거 는 게토 다. 용 신학 신학 계승하 도 통 신학 ‘여러 가지
 러다 통합하는 신학’ 는 에, ) 신학 다양 하고 한 편 하고 편 신학 토에 한 신학 추 한다. 그러나  통 ‘그리스도 ’에 독 한 토양에 토착 하고 실 해 할 것 주장하 는 , ) 과연 용  신학 향후에 얼마나 신학 고한 모양 갖추 도 한 상 에 토착  지 주목 다. 여  신학도 직 지는  신학 그 답습하고 고, 미  통 신학  통합 한계 드러낸 것과 같 한 다 단에 뿌리
 내리고 는 신학 특징들 포용하는 다.
V. 결
한 에 통 신학 처 주창한 학 가 다. 타 운 것 그가 신 통  신학 체계 하지 못하고 주님 심 다. 그는  에 ‘통 ’ 단어 가 직 사용 지는 에도 하고, 그 스스 고 복 통 신학  시작하 다고 하 그 산 후 에 남겨주었다.  그는 후학들에게 통 시각에  심 한  복 주 신학 할 것 한다. ) 그는  엉뚱하 게도 한동 ‘나그 신학’88) 역 하 도 하 지만,   생 다시 통 신학  심 하는 작업 해 한다고 하 , 한 가  훈 도태 한 독 지 창 해 한다고 말하 다.89)
, 통 신학 코- 계승 한 신학 에 타
( 시 , 프리 , 남 리 , 남태평양 등)  사상, , 계 , 가 등 복 에 는 과 는 독 한 과 보고 시하거나 시하지 고 그것들   해 독  어 고 하는 신학 다.  에 용  신학 그 스스 ‘단편 고 편 신학’ 고 한 한 다 단 신 학 내용들 그 스승 한 것처럼 하고 거 하 한계 극복하고 하는  우 울여 한다.  통 신학 다 단  고 통합 단 내에 도 그 통 신학 실체가 직 립 지 고 여 통 신학  
한 과 에 다는  리 극복하 , 한 개 신학 같 범 단 신학 들 다 함께 모 리에 욱 한 신학  지 해 할 것 다.
 통 신학 그 스스  복 주 는  리 원하 지 만, ‘통 ’ 단어 체가  근거에 해 뒷 지 에 그   직신학 들 처 다 근 할  에 없었다. 런  에 통 신학 다 양한 신학 들과 하는  나 갈 에 없다.   직신학 지 만, 그 직신학 계 40 에 드러난 통 신학 신학 어 한 에 한 지 고 운 특징 가지고 다. 그러므 그 통 신학 다양한 신학 들과 
 하 각각 하는 신학 에 없다.
Abstract
A  Study of the Holistic Theology by Dr. Jong Sung Rhee
Ky-Chun So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e theology of Dr. Jong Sung Rhee is called to the holistic theology. On the one hand, this article surveys whether the concept of  his holistic theology is Biblical, first of all, or not. He did not success his holistic theology, even though he published 40 greatest volumes of his systematic theology. In spite of its incompleteness,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Biblical theology and evaluates his theologies that he enterprised during his whole life almost 90 years old: co-relational studies of various fields, an Biblical understanding, Trinity theory, science and theology and literature, an acceptance of interreligious and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eschatology etc.
As a result of this survey, on the other, this article evaluates whether the 
 
 ‘근원 향에 가  에 지 못한 것’ 고 평가한다. 참고, 규, “춘계  사 통 신학에 한 신학 평가,” 『한 개 신학 38차 학 심포지엄』 료집
(2015 5월 5 신학 ), 114쪽.
88) , “ 1 과 신학”, 160-168쪽.
89) , “ 1 에 ”, 『춘계  작 집: 36 상집- 독 는 살 다』 ( 울: 한 독 학 원, 2001), 221-223쪽.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is alright, or not, and whether the ohn theology of Myung Yong Kim is based on the Rhee’s holistic theology that ‘united’ various theological aspects, because Kim thinks that his ohn theology further contains the concepts of no one side or more holistic view.
What is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the holistic theology that he thought? He understood other civilizations (even science and religion) as ‘the preliminary process for the Christianity’ or ‘the one toward the Gospel.’ And how the Christian world view can understand the other religious world view through the holistic theology and lead the other different civilizations into the Christian civilization? Those questions are the major tasks that must be solved by the scholars who success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 Sung Rhee.
Key Words
Jong Sung Rhee, Holistic Theology, Biblical Evangelism, Myung Yong Kim, Ohn 
Theology
참고
용, 『 신학』 . 울: 원, 2007.
규, “춘계 신학에 신학 평가.” 『한 신학 38차 학 심포
지엄』 료집(2015 5월 5 장 신학 학 ). 동, 『 살리는 신학』 . 울: 장 신학 학 출 , 2003.
태, 『 심에 는 신학 : 신학 계』, 고 작 출 편. 울: 장
, 1994.
병 , “춘계  사 통 신학에 한 신학 평가.” 『한 개 신학 38차 학 심포 지엄』 료집(2015 5월 5 장 신학 학 ). 맹용 , “통합신학-개요”, 『 신학』 18집(1986).
천, "생   향한 시험 : 통 신학 ", 『한 신학
』. 한 편, 30 (2003).
천, “ 고  보편주 ”, 『하나님 사랑과 』 . 울: 장 신학
2001. 철 , 『 는 나  하 냐?』 . 울: 한 독 , 2013. 철 , “통 신학 법 -춘계  신학 법 심 ”, 『장신 단』 47 1 (2015). 철 , 『 신학과  개 신학』 . 울: 장 신학 학 출 , 2003.
, 『미 』 . 울: 장 신학 , 2012.
, 『춘계 집 40 』 . 울: 한 원, 2001.
  3 , 『통 신학』 . 울: 장 신학 학 출 , 2004. 장 신학 학 , “장 신학 학 신학 한 ”, 『 신학』 48 (2002).
용, 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 『 신학』 . 울: 장 신학 , 2014.
Barth, K. Der Romerbrief, tr. by Edwyn C. Hoskyne, The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Guder, Darrell L. “통 신학 향하여: 계, 공동체, 웃,” 『통 신학 모색: 3,4 춘 계신학강 I』. 울: 장 신학 학 출 , 2012.
Loder, James E. The Knight’s Move: The Relational Logic of the Spirit in Theology and 
Science, 규민 역, 『 계 리 독 식 : 신학과 과학 』 ( 울: 한 독 , 2009.







춘계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에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춘계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에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춘계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에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An Inquiry into the Theology-Philosophy Relation in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Sung Rhee




장신논단

약어 : 장신논단

2016, vol.48, no.1, pp. 201-224 (24 pages)

DOI : 10.15757/kpjt.2016.48.1.008

UCI : G704-SER000002693.2016.48.1.010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조직신학
백충현 /Chung-Hyun Baik 1


1장로회신학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이종성이 제시한 통전적 신학에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를 어떻게이해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본논문은 『춘계 이종성 저작전집 40권』 및 다른 저작들 중에서 신학과 철학과의 관계를 다룬 자료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 II장에서는 첫째로서양신학에 대한 이종성의 전체적인 평가 속에서, 다음으로 서양신학사를 개관하는 이종성의 서술 속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양신학의 신관(神觀)에 대한 이종성의 분석 속에서 각각 신학과 철학이 어떠한 관계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그 다음으로 본 논문의 III장에서는 이종성이 제시하는 통전적 신학 속에서 철학이 가지는 위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그의 통전적 신학의 체계를 조망하고그의 통전적 신학의 서두(序頭)를 개관한다. 이러한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신학-철학의 관계에 대한 이종성의대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즉 이종성은 서양신학에서 신학과 철학이 “알력사” 의 관계를 노정하였다고 분석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관계 하에서 철학에 큰 영향을 받은 신학을 “비철학화(비희랍화)”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차원에서이종성이 제시하는 통전적 신학에서는 철학이 “복음에로의 준비과정”(praeparatio evangelica)이며 “신학에 봉사하는 의의”(praeparatio theologia)를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그가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서양신학에 비하여 철학을 비롯한 다른 학문들과의 상호적인 만남과 대화를 추진하는 데 더유용하고 효과적인 틀을 제시해 주기에 학문적으로 큰 의의가 있으며 중요하다.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answer a question,“How is the theology-philosophy relation understood in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Sung Rhee?”In order to do so, this paper deals with all his books and writings which are focused on the theology-philosophy relation. Particularly, Chapter II tries to examine the theology-philosophy relation, first, in his overall evaluation of western theology, and then in his descriptive survey of a history of western theology, and lastly in his analysis of an idea of God in western theology. And then Chapter III tries to investigate what is the position or status of philosophy in the holistic theology of Jong-Sung Rhe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ries to survey the whole system of his holistic theology and also the methodological preface of his holistic theology. Through this research and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an answer of Jong-Sung Rhee with regards to a question about the theology-philosophy relation. Rhee shows that western theology has been disclosing “a history of fric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and then he suggests that western theology, too heavily influenced by philosphy, should be “dephilosophized.” In this sense Rhee’s holistic theology understands that philosophy is “praeparatio evangelica”and “praeparatio theologia.” Considering these points, Rhee’s holistic theology is very significant and important, because it could provide a more useful and more effective framework for seeking a mutual meeting and dialogue with other disciplines of science than the previous western theolog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신학-철학 관계,
통전적 신학,
알력사,
비철학화,
복음에로의 준비과정

Theology-Philosophy Relation, Holistic Theology, A History of Friction, Dephilosophization, Praeparatio Evangelica

Korean theologians' deep-seated anti-missionary sentiment

Korean theologians' deep-seated anti-missionary sentiment

Services on Demand

Article
English (pdf)
Article in xml format
Article references
How to cite this article
Automatic translation

Indicators
Access statistics

Related links

Share
More

More
Permalink
HTS Theological Studies
On-line version ISSN 2072-8050
Print version ISSN 0259-9422

Herv. teol. stud. vol.76 n.1 Pretoria 2020
http://dx.doi.org/10.4102/hts.v76i1.5930


ORIGINAL RESEARCH



Korean theologians' deep-seated anti-missionary sentiment





Jae-Buhm Hwang

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Systematic Theology,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Correspondenc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 deep-seated anti-missionary sentiment of Korean theologians and church historians. Chai-Choon Kim and Jong-Sung Rhee were arguably most responsible for popularizing anti-missionary sentiment among Korean Christians. The main reason for the criticisms of both Kim and Rhee against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was the supposedly fundamentalist schism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in the 1950s, which both Kim and Rhee reasoned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ir Old Princeton theology. The theological rationale of both Kim and Rhee was the Barthian triumph frame that the Reformed Orthodoxy including the Old Princeton theology, which had been suspected of having a fundamentalist tendency, was overcome by Karl Barth's Neo-Orthodoxy. These theological anti-missionary criticisms facilitated some younger Korean church historians, especially both Kyung-Bae Min and Man-Yul Lee, to view Korean church history from an anti-missionary, Korean ethnic nationalist perspective. Min emphasizes some seemingly good but anecdotal works of individual Korean native Christians, hence resulting in depreciation of the works of the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coworkers. Following Min, Lee goes even further, praising what some individual Korean Christians did for socio-political (anti-establishment) purposes and ignoring what the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coworkers did cooperatively for their Korean churches. Those Korean theologians and church historians with quite a strong anti-missionary sentiment might have succeeded in arousing Korean Christians' ethnic nationalism, but in so doing, they have quite surely deprived Korean Christians of their critically significant and rich ecclesiastical and theological elements which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missionaries.

Keywords: Anti-missionary sentiment; American Korea missionaries; Korean theology;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Chai-Choon Kim; Jong-Sung Rhee; Kyung-Bae Min, Man-Yul Lee; Reformed Orthodoxy; Old Princeton theology.





Introduction: Korean theologians' two distinctive criticisms of the Western mission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depth understanding as well as a critique of some notable Korean theologians' apparently very negative estimation of the past Western Protestant Korea missionaries, who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in establishing Korean Protestant churches during their formative first 60 years, roughly from 1884 to 1945.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whose majority was Presbyterian and Methodist, were established and rapidly developed principally by North American Presbyterian and Methodist missionaries, all of whom might number over 2000 during the period. Thus, the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in general have been quite interested in who and what the missionaries were, and many conservative theologians have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treating their positive works. Yet the majority of somewhat liberalist Korean theologians seem to have had a considerably strong anti-missionary sentiment. So we examine why and how some notable liberalist Korean theologians have so undervalued who and what the Western missionaries were in Korea. We deal with those Korean theologians who have been very critical of the missionaries for a theological, Barthian Neo-Orthodoxy-based reason, on the one hand, and for a Korean ethnic nationalist one,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no detailed study of Korean theologians' negative assessment of the missionaries, which makes the present study necessary and useful.

Some Korean liberalist theologians, notably Rev. Chai-Choon Kim and Dr Jong-Sung Rhee, began to spread an anti-missionary sentiment against the Wester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on the basis of their Barthian theolog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which was organised in 1907 independently from the missionaries' four Western Presbyterian home churches (American North and South, Australian and Canadian), is the mother church of some tens of Korean Presbyterian denominations. The PCK's predominant leaders in its formative period, therefore, were naturally North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whose theology was a considerably conservative, Old Princeton theology. Especially significant was their doctrine of biblical inspiration and inerrancy, which profoundly influenced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bringing about their churches' rapid growth. Nevertheless, this conservatism of the PCK has been believed to have caused two critical schisms between apparently liberalist and conservative wings in the 1950s. And both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and their conservative, Old Princeton theology have been severely criticised by the PCK's liberalist wing as being the culprit for the schisms. Thus we have the two most important theologians, Rev. Chai-Choon Kim and Dr Jong-Sung Rhee, who began and fostered a theological anti-American missionary movement in Korea from a supposedly Barthian position.

Then this theological anti-missionary effort coalesced with Korean ethnic nationalism, which was based on an anti-foreigner sentiment and deeply spread especially amongst Korean anti-establishment intelligentsias.

Here, two Korean ethnic nationalist church historians, Drs Kyung-Bae Min and Man-Yul Lee, have been working effectively, drawing quite a large following. As a result, some 2000 American Korea missionaries have been regarded as imperialist and even fundamentalist, becoming 'others' for liberalist Korean theologians and Christians. In a sense, the American Korea missionaries have been expelled from their adopted home country called Korea, a tragic legacy not only for the missionaries themselves but for Korean Protestant churches, which have been deprived of their own great church history involving these missionaries. This study examines how this tragic event happened in Korea, focussing on Chai-Choon Kim and Jong-Sung Lee, who began and led this movement on a theological - allegedly Barthian - ground, as well as on Kyung-Bae Min and Man-Yul Lee, who have deepened it for Korean ethnic nationalist reasons.



Korean theologians' Barthian-based theological anti-missionary movement: Chai-Choon Kim and Jong-Sung Rhee

Chai-Choon Kim


Rev. Chai-Choon Kim (1901-1987) was surely the most responsible for the anti-Western missionary sentiment in Korea, starting it in the 1930s and making it bloom from the 1950s up to the present. He was not only absolutely critical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conservative, Old Princeton theology, which he derogatively identified with the 17th-century Reformed Orthodoxy, but he was also the most important theologian for having succeeded in replacing the Orthodoxy by a new, largely Barthian Neo-Orthodoxy. From Kim and his numerous followers, we can find an interesting, close correlation between an anti-missionary sentiment and a supposedly Barthian theology. In other words, the more Barthian a Korean theologian becomes, the more anti-missionary he or she becomes.

Rev. Chai-Choon Kim had notable educational and ecclesiastico-political reasons for his deep aversion to the conservative, Old Princeton theology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Firstly, he had an exceptional educational background for his deeply ingrained liberalist theological orientation. He grew up in the Eastern and Northern province (Hamkyungdo) of North Korea, where somewhat progressive Canadian missionaries worked. Secondly, because of this background, he avoided the Pyo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the PCK's only denominational school, where the Old Princeton theology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was predominant. Thirdly and lastly, he went to both Japan and the USA, where he could study Barthian theology as a new, modernist and liberalist theology, which seemed to have a seemingly modern and scientific outlook for him. So he might have had a kind of prophetic vision and mission for the modernist, Barthian theology, especially knowing that by the end of the 1920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itself, the bulwark of the Old Princeton (Orthodox) theology, had abandoned its own theology, adopting a new, modernist and liberalist one. Therefore, Kim tried hard to promote his modernist and liberalist theology in Korea, particularly by becoming one of the translators of the then-liberalist American Abingdon Bible Commentary1 into Korean in 1935. As a result, he was lightly disciplined by a committee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CK, which was led by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and Korean pastors. So probably having had an even deeper aversion to their Old Princeton theology, Kim became a leader in building a liberalist theological seminary (Chosun Theological Seminary, now Hanshin University) in Seoul in 1940.

The majority of Korean conservative Presbyterians, who were then even more conservative because of the turmoil of the post-liberation and Korean War period (1945-1953), did not welcome the liberalist and modernist orientation of the Chosun Seminary. As a result, Kim was expelled from the PCK and came to create a new, somewhat liberalist Presbyterian denomination, Hanguk Gidokkyo Jangrohoe (Gijang), in 1953.

Two significant elements led Kim to denounce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firstly, Kim's experiences of bitter conflicts with and eventual expulsion from the PCK, and secondly, his (since 1949) knowledge of H.R. Mackintosh's condemnation of the Reformed Orthodoxy on the basis of Barthian theology.

Firstly, it is clear that Kim's bitter battles against and consequent expulsion from the PCK caused him to depreciate the missionaries and their Reformed Orthodoxy or Old Princeton theology.2 In the early years of his conflicts with the PCK, however, he focused himself mainly on criticising the Orthodoxy itself, not yet the American Korea missionaries. This means he did not yet have enough knowledge and justification to criticise the venerated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themselves up until about 1955.

Secondly, by 1949 Kim came to know about H.R. Mackintosh's Barthian condemnation of the Reformed Orthodoxy, which became Kim's most convincing theological cause for his fights against the PCK's Orthodoxy as well as the American missionaries. From Mackintosh's book (1937), Kim got to know his Barthian triumph frame: the Reformed Orthodoxy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as defeated by the liberalism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in turn, overcome by the Neo-Orthodoxy of Karl Barth in the 20th century.

This almost fatal judgement against the Reformed Orthodoxy on the basis of the Barthian triumph frame was in fact what Kim, who had been fiercely fighting against the PCK's Orthodoxy, desperately needed. This is clearly shown in Kim's considerably grave address (Kim 1992, 1:376) in 1949 to a nation-wide gathering of young Korean Presbyterians, in which he for the first time presented the Barthian victory over the Orthodoxy, taking advantage of Mackintosh's Barthian triumph frame. Even whilst going through the terrible Korean War era (1950-1954), Kim (1955) translated Mackintosh's book into Korean, finally publishing his Korean translation of it in 1955.

Although Mackintosh (1937:8f.) puts emphasis on Karl Barth's triumph over the Reformed Orthodoxy and liberalism, Kim (1992, 4) stresses mainly the defects of the Orthodoxy, suggesting that the American missionaries' Orthodoxy is now certainly anachronistic and dogmatic or fundamentalist:


[I]f we may refer to such dubious entities as 'laws of history', it appears to be something like a 'law' that on any great creative movement, such as the Reformation, there should follow a period of diminished originality but of larger discursive power, in which the gains of the larger time are, so to speak, catalogued, arranged, and valued. The mine having been opened by the Reformers, it became a duty to get out the ore and smelt it. In the process traditional orthodoxy emerged - a distinct historical phenomenon, characterized by the fatal tendency to attach an absolute value to dogmatic formulas, to consider faith and assent to creed as virtually one and the same thing, to harp upon the language of confession or catechism … (p. 300f.)

So by using Mackintosh's Barthian triumph frame, Kim (1992, 3:275, 313, 354; 1992, 4:4, 42, 70, 117) himself often criticised the PCK's Orthodoxy, yet rarely attacking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up until 1955, for he knew that the missionaries were greatly respected in Korea. But it was clearly in his address to the General Assembly meeting of his Presbyterian denomination in 1956 that he began his condemnation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Whilst talking about the historical identity of his 3-year-old Presbyterian denomination (Hanguk Kidokkyo Jangrohoe), Kim relentlessly criticised not only the PCK's Orthodoxy, but also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who had fostered it in Korea. Then, Kim (1957) even heightened his condemnation of the missionaries by saying that they were 'fundamentalist' and 'indoctrinating':


The late 19th century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from Princeton Seminary and their kind came to Korea. Planting their Orthodoxy in Korea, although it was about to be defeated in America, and making a 'curtain of iron' for it, they had indoctrinated Korean Christians under their tutelage for the first fifty years. (p. 6)

Here it is plain that Kim's condemnation of the missionaries and their Orthodoxy was founded on Mackintosh's Barthian triumph frame against the 17th-century Orthodoxy, as Kim (1968) quoted him:


It was the Western [mainly American] missionaries of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who disseminated Christianity in Korea. Having brought the so-called 'Orthodox' [jeongtong] theology of the 17th century, that is, the pre-scientific age, they indoctrinated Korean Christians. They taught that their 'Orthodoxy' was in itself Christianity, and that anything else was no true Christianity but a heresy. Having forced it alon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the missionaries brought about nothing but the 'dark age' of the Middle Ages in Korea. (p. 33)

In this way, in many places, Kim (1964:32; 1965:24) regarded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as medieval pope-like dictators, who made their Korean Christians 'captive' to their absolute, Orthodox dogmas. Kim (1957) also insisted:


What the Korean church leaders learned from their missionaries for the first 50 years was nothing but their blind submission to the missionaries' indoctrinating, Orthodox teachings. There was no freedom or critique; neither anything personal, nor scientific studies [between the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students or coworkers] … [It was like] a dark age in which reason and conscience were trampled down. (p. 6)

Kim (1957:5) clearly assumed that the theology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of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was by nature 'indoctrinating' and 'fundamentalist'. Their theology, nevertheless, was not exactly the 17th-century Reformed 'Orthodoxy', as Kim labelled, but the so-called Old Princeton theology emphasising the doctrine of Biblical inspiration and inerrancy, which, by nature, had a Biblicist - and, in a sense, fundamentalist - aspect. Whether the Old Princeton theology with a Biblicist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fundamentalist is a matter of controversy. But even if it was to some degree, it worked well in pre-modern Korea, where Confucian Biblicism (Neo-Confucianism) had been working well for centuries, as Hwang (2016) made it clear in his study of Korean Biblicism. This is why the missionaries pointedly stressed the doctrine of Biblical inspiration and inerrancy, even denying the modernist historical criticism of the 1930s and beyond. Still, not seeing these positive aspects of the missionaries' Biblicist measures, Kim brutally condemned their Biblicism even as fundamentalist. Are his charges relevant? There is surely much more evidence against them than for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erican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co-workers and Christians was never as bad as Kim assumes. Numerous books and articles written by the missionaries or Koreans (Hwang 2014) revea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wholehearted, reciprocal and democratic.

Jong-Sung Rhee

Dr Jong-Sung Rhee (1922-2011) went almost the same way as Chai-Choon Kim: getting to know Karl Barth and his profound influence in Japan, deepening his knowledge of Barth in the USA and disregarding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and their Old Princeton theology from his Barthian standpoint.

As the most influential theologian of the PCK from the 1960s to the 1990s, Rhee exerted an immeasurable influence in leading the next generations to depreciate the missionaries, on the one hand, and to promote Barthian theology,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ir combined influence, Kim and Rhee succeeded in replacing the Reformed Orthodoxy (Old Princeton theology) of the missionaries by a new, Barthian theology. Rhee seems to be considerably more sophisticated and informed than Chai-Choon Kim. Although they were theological rivals, having been the top leaders of the two competing liberalist Korean Presbyterian denominations, Rhee and Kim had a common, deeply embedded presupposition, that is, the Barthian triumph frame, resulting in the far-reaching depreciation of the missionaries.

Because Rhee and Kim were critically influenced by the Barthian predominance in Japan, we will examine it shortly. A Japanese theologian suggests that it was because of the Japanese Christians' guilty feeling about their religious involvement in the Shinto Shrine worships. In Japan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Christians were forced to participate in the Shinto Shrine worships, which meant the union of church and state. So, as a Japanese theologian (ed. Furuya 1997:84) insists, they wanted a theology that could 'guarantee [the church's] independence [from the state], and the purity of Christian faith in a non-Christian milieu. This is why Karl Barth's theology was welcomed so enthusiastically'. As a result, as a Japanese theologian (Furuya 1964) attests, in Japan Barth was:


[A] kind of theological pope … Unlike the situation in America, for instance, where Barth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top theologians of this century, in Japan Barth has been regarded as the ONLY theologian. (p. 262)

It is unfortunately this Barthian dominance in Japan that deeply affected Chai-Choon Kim and Jong-Sung Rhee, as well as Dr Sung-Bum Yun, another staunch Korean Methodist Barthian. However, Rhee and Kim seldom talked about the Barthian predominance in Japan. Rhee (1993:3) said that he learned especially about the German theologians, including Karl Barth, Emil Brunner and Paul Tillich, in Japan in the late 1940s, as if Barth was one of those theologians, although he was not. Thi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as surely the Barthian supremacy in Japan that led both Rhee and Kim to accept Barth as the theological standard. It was then and there in Japan with Barth's theology that both Rhee and Kim were ready to disregard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whose Old Princeton theology seemed to be overcome by Barth's theology. Unfortunately for both Rhee and Kim, in the 1960s many Japanese theologians (ed. Furuya 1997:124-134) became aware of their captivity to Barth's theology and tried to 'break out of the "Barthian captivity"'. But Kim and Rhee scarcely let Korean theologians know about that, continuing to hold them in captivity.

Jong-Sung Rhee does not directly condemn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as Kim did, but he indirectly condemns their Reformed Orthodoxy (Old Princeton theology). However, in so doing, he succeeds in leading Korean Christians to devalue who and what the missionaries were for Korean churches. So here we pay attention to how Rhee condemns the missionaries' Orthodoxy. In denouncing the Orthodoxy, Rhee shows the following five distinct tendencies. Firstly, Rhee also profoundly takes advantage of the Barthian triumph frame that Kim did dearly. Secondly, he uses scholarly and theological sophistries. Thirdly, he overly criticises the missionaries' Calvinist theology as a corrupt form of John Calvin's. Fourthly, he condemns the Orthodoxy, even by identifying it with fundamentalism. Fifthly and lastly, he denounces the missionaries in terms of their seemingly inferior theological education for Koreans.

Firstly, as Kim did, Rhee deeply utilises the Barthian triumph frame against the Reformed Orthodoxy, which naturally leads one to depreciate who and what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were for the Korean churches. Although the PCK's largest schism between its liberalist and conservative wings was still going on in 1959, Rhee (1959:82) definitely took the liberalist position and published his first detailed theological article, which principally criticises the missionaries' Reformed Orthodoxy within the Barthian triumph frame.

Here Rhee (1959:68f. and 80) emphasises the problems of the Orthodoxy: firstly, it was an 'intellectualist Phariseesm focusing on the predetermined dogmas', and secondly, it was 'ineffective in dealing with every day's real problems'. Then Rhee (1959:81) proudly proclaims that 'it was [Karl Barth's] Neo-Orthodoxy that had restored the worth of the [Reformed] Orthodoxy, which has become like an antique'. So based on the Barthian triumph frame, Rhee emphasises that the Reformed Orthodoxy or Old Princeton theology, which the PCK's conservative wing kept along with the missionaries, is dogmatic in its negative sense, fundamentalist, anachronistic and ineffective.

Secondly, Rhee significantly uses scholarly and theological sophistries in condemning the missionaries' Reformed Orthodoxy. Although Chai-Choon Kim uses mainly H.R. Mackintosh's criticisms against the Orthodoxy, Rhee sophisticates them by adding seemingly scholarly sentences and references. For instance, Rhee (1979) says:


While Calvin understoo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ele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doctrine of grace [or salvation], the [post-Reformation] Calvinists treated it in their theological prolegomena, tending to make it a fatalist one. (p. 245)

Whether this judgement is true or not is a matter of controversy, yet with those supposedly scholarly and sophisticated sentences, it surely causes one to doubt the position of the Reformed Orthodox Calvinists.

Thirdly, Rhee (1979) excessively criticises the so-called Calvinists in the Orthodox era over against John Calvin, resulting in condemnation of the former:


While Calvin said that all doctrines are to be tested by the contents of the Bible, the Calvinists said that the doctrines rule over the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While Calvin emphasized the working of the Holy Spirit, the Calvinists did not do it, and became intellectualist; While Calvin did a lively theology, the Calvinists did a speculative one (Hyper-Calvinism). (p. 51f.)

By blaming the Calvinists for being 'intellectualist' and 'speculative', Rhee means that the Calvinists and their followers - the missionaries and the conservative wing of the PCK - are all following a corrupt form of John Calvin's theology.

Fourthly, Rhee, of course, tend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y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fundamentalism of modern America, yet in important cases, he also tends to identify the one with the other. Whilst talking about the fundamentalism of the late 19th century, Rhee (1959:69 and 80) calls it the '19th-century Orthodoxy', meaning that the one is interchangeable with the other. Rhee also often regards the Reformed Orthodoxy and the fundamentalism as the same category. For instance, Rhee (1972:38f.) arranges the four centuries of post-Reformation history on the basis of the Barthian triumph frame: the Reformed Orthodoxy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as defeated by the liberalism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in turn, overcome by the Neo-Orthodoxy of the 20th century. In this frame, fundamentalism by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is simply included in the Orthodoxy,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one with the other.

Fifthly and conclusively, Rhee (1975:27f., 1982) is often notoriously stringent in appreciating the missionaries' theological educational works for Korean Presbyterian leaders:


The missionaries lectured with their awkward and insufficient Korean. In Biblical studies, they focused themselves on Biblicist interpretation, and in systematic theology, they relied on confessions of faith. So the theological education for Korean churches was like that in a low-level Bible study school. (p. 45)

So the missionaries, Rhee believes, provided Korean students not only with an elementary theological education but also with a Biblicist - fundamentalist - and Orthodox (Old Princeton) theology.

The missionaries' theology was principally Biblicist and Orthodox (Old Princetonian), as Rhee said. But what else could they teach? Like everyone else, they were also the product of their own era - the era of the Old Princeton theology by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Neo-Orthodoxy, which is the theological standard for Rhee, came much later. Rhee is absolutely biased in judging against the missionaries from his own era's standpoint. On the other hand, the missionaries' Biblicist theology worked superbly for Korean Protestant churches' growth through the so-called Nevius Methods (self-propagation, self-support and self-government).3 In the meantime, it might have also become a cause for schisms, as Rhee believes. Yet it is clear that the churches' Korean leaders of the time, not the past missionaries, were ultimately responsible for the schisms. And ascribing the responsibility to the missionaries is an immature and uncritical way of doing theology.



Korean church historians' ethnic nationalist anti-missionary movement: Kyung-Bae Min and Man-Yul Lee

Although Chai-Choon Kim and Jong-Sung Rhee depreciated the American missionaries with their Barthian triumph frame, they influenced their junior theologians to criticise them for another, Korean ethnic nationalist reason. Korea's 1980s saw some progressive and nationalist Korean theologians who had begun to devalue who and what the Western missionaries did for Korean churches by emphasising native Korean Christians' works and suffering experiences from their Korean ethnic nationalist perspective. The theologians were, in fact, Christian representatives of those intelligentsias who wer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oncerned with or participated in the so-called democratisation movements in South Korea in the 1970s and subsequent decades. Having been sympathetic to the democratisation movements under the allegedly dictatorial leadership of President Chung-hee Park (1963-1979), they naturally had a strong tendency towards a spirited anti-establishment nationalism. Their nationalism, nevertheless, was 'ethnic nationalism', having 'a strong sense of oneness based on shared bloodline and ancestry', as Professor Gi-Wook Shin (2006:223), an authority in the field, says. The Korean ethnic nationalism (minjokjuui in Korean) was believed to be what unified decimated Koreans over against the Japanese, and it definitely includes a sturdy anti-Japanese orientation. So it was a rationale for oppressed and deprived Korean people (minjung)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as well as the ruling establishments. The Korean ethnic nationalism, however, was dormant during the post-liberation and Korean War era (1945-1953) and its following and early authoritative years of President Chung-hee Park (1954-1970), but it began to sprout in the 1970s, when democratisation movements against the president and the establishments took place amongst those anti-establishment intelligentsias.

It was in this context that some Korean progressive and nationalist theologians began to see Korean Christians as the ruled versus the Western missionaries as the rulers. And some even more progressive theologians began to popularise the now-famous Korean word minjung (ruled and deprived, low-class people or grassroots) theology. Thus, taking advantage of the anti-establishment, Korean ethnic nationalism, the progressive and nationalist theologians regarded Korean ethnic national (minjok) Christians as the unsung heroes, who, they believe, sacrificed themselves for Korea's liberation and modernisation, as some scholars (eds. H. I. Pai & R. Tangherlini 1998:160-164) made it clear. Here we examine two leading Korean church historians, Dr Kyung-Bae Min and Dr Man-Yul Lee, who clearly held that Korean ethnic nationalist philosophy, which caused them to view the missionaries very negatively.

Kyung-Bae Min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Korean church historians, Dr Kyung-Bae Min (1934-) has been arguably the first who has succeeded in rewriting the Korean church history from a Korean ethnic nationalist (minjok) standpoint, as the subtitle of his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 Churches: History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Ethnic Nationalistic Church (2017) clearly shows. In this book, Min unhesitatingly reveals his Korean ethnic nationalist position over against L. George Paik, Korea's foremost church historian and political leader, who, being his teacher, viewed church history as a mission history. Dr Paik (1929) was, in fact, the first Korean church historian, who wrote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1832-1910, in English, which was originally his PhD dissertation at Yale University in 1927. According to Min (2017), however, Paik wrote his book from the Western missionaries' standpoint, ending up depreciating what native Korean Christians did and experienced:


This history of missions in Korea, as the author [Dr Paik] acknowledges, is but a history of missions of the European and American churches in Korea. Accordingly, the majority of important historical concerns and sources are taken from the [Western] churches and authorities that have sent their missionaries to Korea. And in terms of historical sources and emotional circumstances, consideration is seldom given to Korean Christians' confessions and testimonies. (p. 19)

Min (2017:9) almost cries out that there has been no history of the Korean minjok (ethnic nationalist) church, in which 'experiences and lives of native Korean Christians are alive and waving like circulating blood'. So he ambitiously wrote his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 Churches from a Korean ethnic nationalist perspective. Min, therefore, does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Western missionaries and their works compared with native Korean Christians. However, the coming and working of some thousands of Western missionaries in the remote and pre-modern Korea was apparen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Korean Christian churches. In Min's view, nonetheless, the missionaries were nothing but a secondary and supportive agent, the main role being played by individual native Korean Christians.

Firstly, Min (2017:172-183) stresses that some of the earliest native Korean Christians such as Su-Jeong Lee (Rijutei in Japanese) and Sang-Ryun Suh did accept the Christian faith on their own even before the Western missionaries came to Korea, making a good contribution to the subsequent missions done by the missionaries.

Min (2017:431-463) also gives detailed accounts of anecdotal happenings of such leaders of Korean Christian sectarian movements as Jang-Ho Kim, Sung-Ok Byun and Yong-Do Lee, who were all against the disciplinary measures of the mainline churches, eventually founding their own sectarian churches.4 This is surely in stark contrast to the fact that he seldom gives detailed descriptions of a Western missionary or a Korean Christian, who worked for the establishment, education and care of mainline churches. In this way, Min seems to be almost obsessed with those secondary, accidental and anecdotal things, simply believing that those things were good, only because they were done by native Korean - innocent and humiliated - Christians.

Secondly, Min has a strong Korean ethnic nationalist, utopian and unrealistic view of the church that there must be one unified, Korean ethnic nationalist church, which might embrace all Protestant denominations and mission organisations. Although he treats the historic establishment of the PCK in 1907, he (Min 2017:316) deplores that since the PCK as a particular denomination had already been founded, 'the [unified] Korean ethnic nationalist church was given up'. The erection of a unified, Korean ethnic nationalist church in those turbulent and revolutionary years before and after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10 was neither possible nor necessary. On the one hand, the Western missionaries themselves belonged to their own diverse denominations with different confessions and theologies, and their Korean churches were also very different not only in size and maturity but also in theology. On the other hand, Korean Christians still had a strong tribalist and regional factionalism. In fact, Korea has been a resilient tribalist factionalism-ridden country for centuries.

But having been lost in that hollow idea of a unified ethnic nationalist church, Min does not take seriously the socio-political limi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as well as the missionaries. He also does not see the importance and magnitude of the existing churches, whether Presbyterian or Methodist. For instance, the PCK had quite a miraculous beginning and development, as an international Presbyterian polity consisting of the Korean Presbyterian leaders and the West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Furthermore, Min does not even mention the historic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Korean Methodist Church in 1930, which was also a wonderful and glorious event in Korean modern history. In this regard, Min's (2017:319) ethnic nationalist defect is clearly shown when he stresses only some minor flaws of the missionaries, whilst ignoring their great achievements of establishing, growing and caring for local churches, schools and hospitals.

Thirdly, Min (2017) devotes around half of his book to elaborate the Korean Christians' external responses to the Japanese colonialists and to social changes (especially chapters 15-19), eventually failing to see what the Korean Christians did inwardly in cooperation with their Western missionaries. Min (2017:233-256 and 316-319) surely praises Korean Christians' patriotic works rather than their religious ones, emphasising that the Korean Christians, who were innocent and powerless sufferers, fought resiliently against the evil, imperialist Japanese, although the missionaries were depoliticising Korean Christians to discourage their involvement in any political event. He thinks that what is at issue is nothing but Korean Christians' responses (persecution, on the one hand, and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to the Japanese. In so doing, however, he fails to pay enough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Korean Christians did something positive inwardly for their churches with and without their Western missionaries, a tragic result of a Korean ethnic nationalist theological position. Of course, Min (2017:419) also acknowledges the great and sacrificial works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a sense, yet he scarcely offers how they were done. Interestingly enough, he never talks about Koreans' responsibilities in losing their national sovereignty by the Japanese and in their brutal, factional and tribal conflicts in the political or ecclesiastical fields. For him, the culprits were too simply the Japanese or the foreign missionaries, not Koreans themselves.

Man-Yul Lee

Man-Yul Lee (1938-) has gone quite further than Kyung-Bae Min: whilst repeating anecdotal happenings of some courageous Korean Christians, he not only consciously devaluates what the missionaries did even in cooperation with their Korean co-workers but also has a definite tendency to highlight the Korean ethnic nationalism over against the Christian faith. Like Min, Lee (2014) also criticises Dr L. George Paik's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1832-1910, regarding it as a foreign missionary-centred history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 historical studies like Paik's are based mainly on foreign sources, their historical standpoint being that of the missionaries or that of their mother churches in the West. So those studies naturally lack the responses of Korean Christians in the mission field. (p. 11)

Already having had this Korean ethnic nationalism from the 1980s, Lee (2003) even asserts that it was native Korean Christians who took the lead in bringing Christianity to Korea:


It was pioneering Koreans that brought Christianity into Korea in the 1880s, but in other countries, it was the foreign missionaries that took the initiative. Christianity came to the vicin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Manchuria and Japan, where the Bib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some Koreans voluntarily accepting Christianity, and bringing the Korean Bible into Korea, and hence causing conversions to Christianity. Many other countries first accepted the foreign missionaries, who in turn did mission works, but in the case of Korea, it was Koreans themselves that accepted and spread Christianity. (p. 115)

According to Lee (2014:110), it was not only those early pioneering Korean Christians living in Manchuria and Japan but also the Korean colporteurs (or Gospel sellers) who played a decisive role in founding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Korean churches were established and grew up by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Bible.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he colporteurs who did it'. As a matter fact, the colporteurs (about 100 persons every year from the late 1890s to the 1930s) did a great job, not merely by selling Korean Bibles and tracts, but sometimes by teaching about them. Nevertheless, their role remained subordinate not merely to the missionaries, but, more importantly, to the whole Bible study system, which worked cooperatively by both the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co-workers according to the Nevius Methods. What was at issue was not just Korean colporteurs or even pastors, but the system itself, which worked extraordinaril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co-workers, and which hence caused the Korean churches to grow explosively. Still, Lee persistently ignores the whole Bible study system, ending up stressing only secondary works done by the colporteurs.

What Lee says, however, is a distortion of the facts. Although they did quite significant works for the Korean churches, the pioneering earliest Korean Christians in foreign lands as well as the Korean colporteurs needed the missionaries to make their works effective through a nation-wide system. If those Korean Christians were left alone without any cooperation with the missionaries, they might not have become so fruitful, having no organisation and discipline at all. Lee (2014), however, does not see the cooperative aspects of both the Korean Christians and the missionaries, just emphasising the side of the Koreans, simply believing that they were good, innocent sufferers and minjung (oppressed low-class people):


The colporteurs were role models for Christians, because they were proud fathers of faith, who journeyed bearing the yoke of the Gospel on their backs. They also tried t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suffering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s well in the minjung's pains which were caused by the imperialist invasions. (p. 200)

Seeing almost everything in Korean church history from his Korean ethnic nationalism, he is insisting that ethnic Koreans are innocent and good, having fallen victim to imperial and oppressive foreign powers, including the Japanese as well as the Western missionaries.

Moreover, Lee thinks that the Christian faith for Koreans is ultimately an instrument for their Korean ethnic nationalism, which, he thinks, should be the ethical and theological standard for Korean Christians.

Whilst speaking of a short history of Korean Christians, Lee (2003:118-144) stresses that what Korean Christians mainly did were their Korean ethnic nationalist, anti-establishment activities like anti-Japanese independence or democratisation movements. It is true that Korean Protestant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ctually engaged in those anti-establishment activities, but these were still accidental and sporadic. Lee, however, does not see that what is important is not merely what Korean Christians did outwardly for some socio-political purposes, but, much more significantly, what they did inwardly within their churche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were, in fact, oases for desperate, poor and uneducated Koreans, not only because the churches performed some good nationalist or charity works, but, more decisively, because the churches themselves were the best loci, where education, modernisation and democracy were realised and provi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Western missionaries as rare experts in pre-modern Korea. However, Lee rarely sees these aspects, perhaps because he is too obsessed with his Korean ethnic nationalist ideology.



Concluding remarks

We have examined two different positions of Korean theologians' anti-missionary sentiment: the theological, Barthian-based one and the Korean ethnic nationalist one. Representing the former, Chai-Choon Kim and Jong-Sung Rhee condemned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for their Reformed Orthodoxy, or Biblicist, Old Princeton theology. They presumed that this theology was the primary culprit of the PCK's conflicts and schisms. Then, to condemn the Old Princeton theology of the missionaries and Dr Hyung-nong Park, the archrival of both Kim and Rhee, as well as to justify their own liberalist theology, Kim and Rhee took advantage of the Barthian triumph frame that the Orthodoxy and its subsequent Old Princeton theology were overcome by the Barthian Neo-Orthodoxy, even regarding it as a universal and irreversible law. Although Kim condemned the missionaries as dictatorial and indoctrinating, Rhee regarded them as fundamentalist, a tragic evaluation of those who were, in fact, their ecclesiastical and theological fathers and mothers. As the co-founders and co-builder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the missionaries and their works encompassed more than half of the whole Korean Protestant history. What will remain if we eliminate them on the basis of what Kim and Rhee have said? Kim and Rhee have deprived Korean Christians of their own rich ecclesiastical and theological history, which was created by the missionaries.

The Barthian triumph frame, which was the unshakable foundation of both Kim and Rhee, has recently been proved by Richard Muller and others to be unfounded and biased. The frame emphasises the discontinuity between John Calvin and his Orthodox successors or the so-called 'Calvinists', overly simplifying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Most of all, denying the concept of 'Calvin against the Calvinists', Muller (2003) says:


Calvin was not the sole arbiter of Reformed confessional identity in his own lifetime - and he ought not to be arbitrarily selected as the arbiter of what was Reformed in the generations following his death. (p. 8)

Therefore, provided that the Barthian frame itself is an unfounded and false thesis, the concerned assertions of Kim and Rhee must not be accepted.

Min and Lee largely succeeded in presenting their ethnic Korean nationalist view of Korean church history, but in so doing, they made some profound mistakes. Firstly, their Korean ethnic nationalism certainly includes a martyr complex or a victim mentality, as Min and Lee are crying out that Koreans were innocent, falling victim to the imperialists, who were, in fact, not only the Japanese but the foreign missionaries. Whether this kind of ethnic nationalist crying out is true, it attracted a large following, simply because it appeals emotionally to the same ethnic Koreans of whom the majority was, in fact, victim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Korean ethnic nationalist theology, therefore, has been very influential, and many Korean theologians and pastors have adopted it, naturally coming to regard the missionaries, too, as others, if not imperialists, like the Japanese.

Secondly, Min and Lee are surely against the law of cause and effect. It is undeniable that the Western missionaries in Korea were certainly the principal agents in establishing some central churches and organisations from which local churches were planted and guided. Here it is natural, necessary and never a shameful thing for Korean Christians to be followers and helpers of the missionaries. Both Min and Lee, however, seem to feel shame for Korean Christians being helpers, and they try hard to argue that they, not the missionaries, were the leading agents. The Korean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as a matter of fact, were essentially the churches that were missionised by Western Catholic and Protestant missionaries. All Korean Christians in those early days, with no exception, had direct or indirect help and guidance from the missionaries and their mother churches in the West. Nay, the powerful and living presence of historical Christianity in the West itself was the source of hope and courage for all non-Western Christians, particularly in that unstable era.

Surely, the past Western missionaries tended to have what Bonnie Sue Lewis (2004) calls 'white missionary privilege', which has an imperialist element. And we may criticise it, especially because we are living in a post-colonial, 'post-missionary' era, as Sherron Kay George (2002) says. Yet criticising the past Western missionaries is one thing, and acknowledging and succeeding what they were is another, for their faith and works are the cornerstones on which their churches have stood, as Kenneth H. Vines (2019) suggests.

Acknowledging who and what the Western missionaries were in Korea is also critical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heological nature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For example, to figure out the theolog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one must understand the theology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Korea missionaries, simply because it was they who laid the churches' ecclesiast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 Nevertheless, Min and Lee lead us to fix our attention to what native Korean Christians did externally for socio-political purposes, resulting in indifference towards the missionaries.

Thirdly, Min and Lee have no deep understanding of what a church is. What they both want to do primarily in their writings is present anecdotal narratives of what some brave Korean Christians did without the weighty help of the foreign missionaries. Min and Lee seldom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the result of cooperation between the missionaries and their Korean converts. In fact, the PCK, the single largest Protestant denomination in Korea, was the cooperative organisation of four different West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American Presbyterian North and South, Canadian and Australian) and Korean Presbyterians. Moreover, the Church as a cooperative organisation planted and organised numerous local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led them to grow, even disciplining them sometimes. Min and Lee, however, seldom consider these critical roles of the church as an organisation: they seem to think that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naturally and without any ecclesiastical polity and discipline came to form a faith community only in the name of their indefinite, ethnic nationalism.



Acknowledgements

Competing interests

The author has declared that no competing interest exists.

Author's contributions

I declare that I am the sole author of this research article.

Ethical consideration

This article followed all ethical standards for a research without direct contact with human or animal subjects.

Funding information

This research received no specific grant from any funding agency in the public, commercial, or not-for-profit sectors.

Data availability statement

Data sharing is not applicable to this article as no new data were created or analysed in this study.

Disclaimer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in this article are those of the author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official policy or position of any affiliated agency of the author.



References

Conn, H.M., 1967, 'Studies in the theolog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 historical outline, part II',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30, 175-182. [ Links ]

Eiselen, F.C. & Lewis, E. (eds.), 1929, Abingdon Bible commentary, The Abingdon Press, Nashville, TN. Korean translation: Ryu, H.-K. (ed.), 1934, Danguen Seonggyung Chuseok [one-volume Bible commentary], Sinsaengsa, Seoul. [ Links ]

Furuya, Y., 1964, 'The influence of Barth on present-day theological thought in Japan', Japan Christian Quarterly 30(4), 262-267. [ Links ]

Furuya, Y. (ed.), 1997, A history of Japanese theology, Eerdmans Publishing, Grand Rapids, MI. [ Links ]

George, S.K., 2002, 'The quest for images of missionaries in a "post-missionary" era', Missiology 30(1), 51-65. https://doi.org/10.1177/009182960203000104 [ Links ]

Hwang, J.-B., 2014, 'The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es' impact on Korea's democratis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TS Teologiese Studies/Theological Studies 70(1), Art. #2089, 7 pages. https://doi.org/10.4102/hts.v70i1.2089 [ Links ]

Hwang, J.-B., 2016, 'The Biblicism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Its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HTS Teologiese Studies/Theological Studies 72(3), a3441, 1-9. https://doi.org/10.4102/hts.v72i3.3441 [ Links ]

Kim, C.-C. (transl.), 1955, Hyundae Sinhakui Jehyung [types of modern theology], Hapdong Doseo Jusikhoesa, Seoul. [ Links ]

Kim, C.-C., 1957, 'Hanguk Sinhakdaehakui Yuksajeok Wichi [the historical place of Hanguk Theological College]', Sinhak Yunku [Theological Studies] 3, 4-9. [ Links ]

Kim, C.-C., 1964, 'Hyuksingwa Tonghapui Chulbaljeom [the starting point of the innovation and integration]',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 8(5), 32-39. [ Links ]

Kim, C.-C., 1965, 'Jeonhu Hangukgyohoe 20nyunsa Bipan [a critique of 20 years of the Korean Church after the Korean War]',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 9(8), 16-26. [ Links ]

Kim, C.-C., 1968, 'Gueonwiwa Jiseongeui Galdeung [conflicts of authority and intellect]',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 12(4), 28-34. [ Links ]

Kim, C.-C., 1992, Kim Chai-choon Jeonjip [the complete works of Chai-choon Kim], vols. 1-4, Hanshin University Press, Seoul. [ Links ]

Lee, M.-Y., 2003, 'Hanguk Gidokkyowa Minjok Undong [Korean Christianity and nationalist movements]', Hanguk Gidokkyowa Yuksa [Christianity and History in Korea] 18, 115-147. [ Links ]

Lee, M.-Y., 2014, Hanguk Gidokkyowa Minjok Eusik [Korean Christianity and nationalist consciousness], Jisik Saneopsa, Seoul. [ Links ]

Lewis, B.S., 2004, 'The dynamics and dismantling of white missionary privilege', Missiology 32(1), 37-45. [ Links ]

Mackintosh, H.R., 1937, Types of modern theology: Schleiermacher to Barth, Gilmour and Dean, London. Korean translation: Kim, C.-C. (transl.), 1955, Hyundae Sinhakui Jehyung [types of modern theology], Hapdong Doseo Jusikhoesa, Seoul. [ Links ]

Min, K.-B., 2017, Hanguk Gidok Gyohoesa: Hanguk Minjok Gyohoe Hyungseong Gwajeongsa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 churches: History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Ethnic Nationalistic Church],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 Links ]

Muller, R.A., 2003, After Calvin: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 theological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 Links ]

Pai, H. Il & Tangherlini, T.R. (eds.), 1998, Nationalism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identit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 Links ]

Paik, L.G., 1929,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1832-1910, Union Christian College Press, Pyeng Yang. [ Links ]

Rhee, J.-S., 1959, 'Hyundae Sinhakui Donghyang [trends of modern theology]', Sinhak Nondan [Theological Forum] 5, 65-85. [ Links ]

Rhee, J.-S., 1970, 'Hanguk gyohoeui Seongseo Ihae [The Korean churches' understanding of the Bible]',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 14(7), 101-109. [ Links ]

Rhee, J.-S., 1972, 'Jayuui Uisikkwa Gidokkyo Sinhak [the freedom consciousness and Christian theology]',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s] 16(8), 35-43. [ Links ]

Rhee, J.-S., 1975, 'Hanguk Kyohoeui Sinhakjeok Kwaje [the theological tasks of Korean churches]',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s] 19(8), 27-39. [ Links ]

Rhee, J.-S., 1979, 'Park Hyung-nonggwa Hanguk Jangrogyohoe [Hyung-nong Park and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Sinhak Sasang [Theological Thoughts] 25, 241-264. [ Links ]

Rhee, J.-S., 1982, 'Hanguk Sinakui Kwaje [the tasks of Korean theology]', Gidokkyo Sasang [Christian Thoughts] 26(1), 45-50. [ Links ]

Rhee, J.-S., 1993, Sinhak Seoron [prolegomena to theology], Daehan Gidokkyo Chulpansa, Seoul. [ Links ]

Shin, G.-W., 2006,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studies of the Walter H.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Kindle Locations 2830-2831), Kindle edn., p. 223,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 Links ]

Vines, K.H., 2019, 'Understanding diffusion: The role of a Western missionary in Africa', Southwestern Journal of Theology 61(2), 139-151. [ Links ]






Correspondence:
Jae-Buhm Hwang
jbhwang@kmu.ac.kr

Received: 24 Dec. 2019
Accepted: 28 Feb. 2020
Published: 15 June 2020





1. This book (eds. Eiselen & Lewis 1929:134-144; Korean translation, Ryu 1934:93-99) includes some liberalist elements like 'higher criticism' that the Old Princetonian missionaries in Korea of the time could surely regard as something dangerous and even demonic for Korean Christians.
2.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nominational conflict, see Conn (1967:175-182).
3. Rhee (1970:108) himself acknowledges Korean Christians' high view of the Bible: 'The sola scriptura spirit of the missionaries made Korean Christians root their faith in the [unchangeable] Bible that it provided them with an invincible power. Whether they were under the Japanese oppression or confused by many sectarian movement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not so much agitated, because its faith and life were based on its deep Biblical knowledge'.
4. 'Chapter 18. The Beginnings of the Korean Churches' Sectarian Movements and Union Movements'. This is in stark contrast to Min's treatment of the first President Dr Syngman Rhee, who was surely one of the most important Korean Christians who ever lived. Min does not write even a page concerning President Syngman Rhee's heroic efforts in the nation building of Korea as an independent country.


All the contents of this journal, except where otherwise noted,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
AOSIS Publishing
Postnet Suite #110, Private Bag X19, Durbanville, Cape Town, Western Cape, ZA, 7551,
Tel: +27 21 975 2602, Tel: 086 1000 381

publishing@aosis.co.za

Holistic Theology - Myung Yong Kim

Holistic Theology - Google Books

Holistic Theology
작성자: Myung Yong Kim, Chulho Youn, Yo Han Hyun, Do Hoon Kim · 2015

페이지 수:366
발행 날짜:2015년 3월
출판사: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Press
언어:영어
저자:Myung Yong Kim, Chulho Youn, Yo Han Hyun, Do Hoon Kim
번역사:Myung Yong Kim
참여자:Chulho Youn, Do Hoon Kim, Yo Han Hyun
===


Myung Yong Kim , Chulho Youn , Yo Han Hyun , Do Hoon Kim 저자(글)
비전북 · 2015년 03월 01일
목차
Preface
Preface to the Korean Edition

Chapter 1. What Is Holistic Theology?
Chapter 2. Jong Sung Rhee's Holistic Theology
Chapter 3. Holistic Ecclesiology
Chapter 4. Holistic Spiritual Theology
Chapter 5. A Hermeneutical Reconstruction of Holistic Christology
Chapter 6. The Spririt of Life as the Source of Life: A Proposal for a Holistic Pneumatology
Chapter 7. God's Peaceful Life: A Proposal for Holistic Theology
Chapter 8. A Pilgrim Seeking the Eternal Truth: The Life and Theology of Chungye Jong Sung Rhee
접기

저자(글) Myung Yong Kim

저자(글) Chulho Youn

저자
Myung Yong Kim
Myung Yong Kim
김명용은 대한민국의 목회자이며 신학교수이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교수와

Chulho Youn
대한민국 신학자
Chulho Youn
윤철호는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며 목회자이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30년동안 조직신학 교수를 역임하였고 2020년 6월에 은퇴후 명예교수로 있다.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Th.M. 학위를,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제임스 E. 윌 교수로부터 Ph.D. 학위를 받았다. 위키백과

저자(글) Yo Han Hyun

저자(글) Do Hoon Kim

통전적이란 - Google 검색

통전적이란 - Google 검색



통전적 신학 - Holistic Theology | 갓피플몰


godpeople.com
https://mall.godpeople.com › ...


Ⅱ. 통전적 영성신학을 위한 새로운 신학적 시각. Ⅲ. 그리스도교 영성 특징 ... 제 7 장 생명의 근원인 생명의 영 _현요한 /하나의 통전적인 성령론을 위한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