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02

Halloween - Wikipedia

Halloween - Wikipedia

Etymology

The word Halloween or Hallowe'en dates to about 1745[30] and is of Christian origin.[31] The word "Hallowe'en" means "hallowed evening" or "holy evening".[32] It comes from a Scottish term for All Hallows' Eve(the evening before All Hallows' Day).[33] In Scots, the word "eve" is even, and this is contracted to e'en or een. Over time, (All) Hallow(s) E(v)en evolved into Hallowe'en. Although the phrase "All Hallows'" is found in Old English "All Hallows' Eve" is itself not seen until 1556.[33][34]

History

Gaelic and Welsh influence

An early 20th-century Irish Halloween mask displayed at the Museum of Country Life.
Today's Halloween customs are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folk customs and beliefs from the Celtic-speaking countries, some of which are believed to have paganroots.[35][36] Jack Santino, a folklorist, writes that "there was throughout Irelandan uneasy truce existing between customs and beliefs associated with Christianity and those associated with religions that were Irish before Christianity arrived".[37]Historian Nicholas Rogers, exploring the origins of Halloween, notes that while "some folklorists have detected its origins in the Roman feast of Pomona, the goddess of fruits and seeds, or in the festival of the deadcalled Parentalia, it is more typically linked to the Celtic festival of Samhain, which comes from the Old Irish for "summer's end".[35]Samhain (pronounced sah-win or sow-in) was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of the four quarter days in the medieval Gaelic calendar and was celebrated on 31 October–1 November in Ireland, Scotland and the Isle of Man.[38][39] A kindred festival was held at the same time of year by the Brittonic Celts, called Calan Gaeaf in WalesKalan Gwav in Cornwall and Kalan Goañv in Brittany; a name meaning "first day of winter". For the Celts, the day ended and began at sunset; thus the festival began on the evening before 1 November by modern reckoning.[40] Samhain and Calan Gaeaf are mentioned in some of the earliest Irish and Welsh literature. The names have been used by historians to refer to Celtic Halloween customs up until the 19th century,[41] and are still the Gaelic and Welsh names for Halloween.
Snap-Apple Night, painted by Daniel Maclise in 1833, shows people feasting and playing divination games on Halloween in Ireland.
Samhain/Calan Gaeaf marked the end of the harvest season and beginning of winter or the 'darker half' of the year.[42][43] Like Beltane/Calan Mai, it was seen as a liminal time, when the boundary between this world and the Otherworld thinned. This meant the Aos Sí (pronounced ees shee), the 'spirits' or 'fairies', could more easily come into our world and were particularly active.[44][45]Most scholars see the Aos Sí as "degraded versions of ancient gods [...] whose power remained active in the people's minds even after they had been officially replaced by later religious beliefs". The Aos Sí were both respected and feared, with individuals often invoking the protection of God when approaching their dwellings.[46][47] At Samhain, it was believed that the Aos Sí needed to be propitiated to ensure that the people and their livestock survived the winter. Offerings of food and drink, or portions of the crops, were left outside for the Aos Sí.[48][49][50] The souls of the dead were also said to revisit their homes seeking hospitality.[51] Places were set at the dinner table and by the fire to welcome them.[52] The belief that the souls of the dead return home on one night of the year and must be appeased seems to have ancient origins and is found in many cultures throughout the world.[53] In 19th century Ireland, "candles would be lit and prayersformally offered for the souls of the dead. 
After this the eating, drinking, and games would begin".[54] Throughout Ireland and Britain, the household festivities included rituals and games intended to foretell one's future, especially regarding death and marriage.[55] Apples and nuts were often used in these divination rituals. They included apple bobbing, nut roasting, scrying or mirror-gazing, pouring molten lead or egg whites into water, dream interpretation, and others.[56] Special bonfires were lit and there were rituals involving them. Their flames, smoke and ashes were deemed to have protective and cleansing powers, and were also used for divination.[41][42] In some places, torches lit from the bonfire were carried sunwise around homes and fields to protect them.[41] It is suggested that the fires were a kind of imitative or sympathetic magic – they mimicked the Sun, helping the "powers of growth" and holding back the decay and darkness of winter.[52][57][58] In Scotland, these bonfires and divination games were banned by the church elders in some parishes.[59] Later, these bonfires served to keep "away the devil".[60]
photograph
A traditional Irish Halloween turnip (rutabaga) lantern on display in the Museum of Country Life, Ireland
From at least the 16th century,[61] the festival included mumming and guising in Ireland, Scotland, the Isle of Man and Wales.[62] This involved people going house-to-house in costume (or in disguise), usually reciting verses or songs in exchange for food.[62] It may have originally been a tradition whereby people impersonated the Aos Sí, or the souls of the dead, and received offerings on their behalf, similar to the custom of souling (see below). Impersonating these beings, or wearing a disguise, was also believed to protect oneself from them.[63] It is suggested that the mummers and guisers "personify the old spirits of the winter, who demanded reward in exchange for good fortune".[64] In parts of southern Ireland, the guisers included a hobby horse. A man dressed as a Láir Bhán (white mare) led youths house-to-house reciting verses—some of which had pagan overtones—in exchange for food. If the household donated food it could expect good fortune from the 'Muck Olla'; not doing so would bring misfortune.[65] In Scotland, youths went house-to-house with masked, painted or blackened faces, often threatening to do mischief if they were not welcomed.[62] F. Marian McNeill suggests the ancient festival included people in costume representing the spirits, and that faces were marked (or blackened) with ashes taken from the sacred bonfire.[61] In parts of Wales, men went about dressed as fearsome beings called gwrachod.[62]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young people in Glamorgan and Orkney cross-dressed.[62] Elsewhere in Europe, mumming and hobby horses were part of other yearly festivals. However, in the Celtic-speaking regions they were "particularly appropriate to a night upon which supernatural beings were said to be abroad and could be imitated or warded off by human wanderers".[62]From at least the 18th century, "imitating malignant spirits" led to playing pranks in Ireland and the Scottish Highlands.[62] Wearing costumes and playing pranks at Halloween spread to England in the 20th century.[62] Traditionally, pranksters used hollowed out turnips or mangel wurzels often carved with grotesque faces as lanterns.[62] By those who made them, the lanterns were variously said to represent the spirits,[62]or were used to ward off evil spirits.[66][67] They were common in parts of Ireland and the Scottish Highlands in the 19th century,[62] as well as in Somerset (see Punkie Night). In the 20th century they spread to other parts of England and became generally known as jack-o'-lanterns.[62]

Christian influence

Today's Halloween customs are also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Christian dogma and practices derived from it. Halloween is the evening before the Christian holy days of All Hallows' Day (also known as All Saints' or Hallowmas) on 1 November and All Souls' Day on 2 November, thus giving the holiday on 31 October the full name of All Hallows' Eve(meaning the evening before All Hallows' Day).[68] Since the time of the early Church,[69] major feasts in Christianity (such as ChristmasEasterand Pentecost) had vigils which began the night before, as did the feast of All Hallows'.[70] These three days are collectively called Allhallowtideand are a time for honoring the saints and praying for the recently departed souls who have yet to reach Heaven. Commemorations of all saints and martyrs were held by several churches on various dates, mostly in springtime.[71] In 609, Pope Boniface IV re-dedicated the Pantheon in Rome to "St Mary and all martyrs" on 13 May. This was the same date as Lemuria, an ancient Roman festival of the dead, and the same date as the commemoration of all saints in Edessa in the time of Ephrem.[72]
The feast of All Hallows', on its current date in the Western Church, may be traced to Pope Gregory III's (731–741) founding of an oratory in St Peter's for the relics "of the holy apostles and of all saints, martyrs and confessors".[73][74] In 835, All Hallows' Day was officially switched to 1 November, the same date as Samhain, at the behest of Pope Gregory IV.[75] Some suggest this was due to Celtic influence, while others suggest it was a Germanic idea,[75] although it is claimed that both Germanic and Celtic-speaking peoples commemorated the dead at the beginning of winter.[76] They may have seen it as the most fitting time to do so, as it is a time of 'dying' in nature.[75][76]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change was made on the "practical grounds that Rome in summer could not accommodate the great number of pilgrims who flocked to it", and perhaps because of public health considerations regarding Roman Fever – a disease that claimed a number of lives during the sultry summers of the region.[77]
On All Hallows' Eve, Christians in some parts of the world visit cemeteries to pray and place flowers and candles on the graves of their loved ones.[78] Top photograph shows Bangladeshi Christianslighting candles on the headstone, while bottom photograph shows Lutheran Christians praying and lighting candles in front of the crucifix.
By the end of the 12th century they had become holy days of obligation across Europe and involved such traditions as ringing church bells for the souls in purgatory. In addition, "it was customary for criers dressed in black to parade the streets, ringing a bell of mournful sound and calling on all good Christians to remember the poor souls."[79]"Souling", the custom of baking and sharing soul cakes for all christened souls,[80] has been suggested as the origin of trick-or-treating.[81] The custom dates back at least as far as the 15th century[82] and was found in parts of England, Flanders, Germany and Austria.[53] Groups of poor people, often children, would go door-to-door during Allhallowtide, collecting soul cakes, in exchange for praying for the dead, especially the souls of the givers' friends and relatives.[82][83][84] Soul cakes would also be offered for the souls themselves to eat,[53] or the 'soulers' would act as their representatives.[85] As with the Lenten tradition of hot cross buns, Allhallowtide soul cakes were often marked with a cross, indicating that they were baked as alms.[86] Shakespeare mentions souling in his comedy The Two Gentlemen of Verona (1593).[87] On the custom of wearing costumes, Christian minister Prince Sorie Conteh wrote: "It was traditionally believed that the souls of the departed wandered the earth until All Saints' Day, and All Hallows' Eve provided one last chance for the dead to gain vengeance on their enemies before moving to the next world. In order to avoid being recognized by any soul that might be seeking such vengeance, people would don masks or costumes to disguise their identities".[88] It is claimed that, in the Middle Ages, churches that were too poor to display the relics of martyred saints at Allhallowtide let parishioners dress up as saints instead.[89] Some Christians observe this custom at Halloween today.[90] Lesley Bannatynebelieves this could have been a Christianization of an earlier pagan custom.[91]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arved jack-o'-lantern, a popular symbol of Halloween, originally represented the souls of the dead.[92] On Halloween, in medieval Europe, "fires [were] lit to guide these souls on their way and deflect them from haunting honest Christian folk."[93] Households in Austria, England and Ireland often had "candles burning in every room to guide the souls back to visit their earthly homes". These were known as "soul lights".[94][95][96] Many Christians in mainland Europe, especially in France, believed "that once a year, on Hallowe'en, the dead of the churchyards rose for one wild, hideous carnival" known as the danse macabre, which has often been depicted in church decoration.[97] Christopher Allmand and Rosamond McKitterick write in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that "Christians were moved by the sight of the Infant Jesus playing on his mother's knee; their hearts were touched by the Pietà; and patron saintsreassured them by their presence. But, all the while, the danse macabreurged them not to forget the end of all earthly things."[98] An article published by Christianity Today claimed that the danse macabre was enacted at village pageants and at court masques, with people "dressing up as corpses from various strata of society", and suggested this was the origin of modern-day Halloween costume parties.[99][100]
In parts of Britain, these customs came under attack during the Reformation as some Protestants berated purgatory as a "popish" doctrine incompatible with their notion of predestination. Thus, for some Nonconformist Protestants, the theology of All Hallows’ Eve was redefined; without the doctrine of purgatory, "the returning souls cannot be journeying from Purgatory on their way to Heaven, as Catholics frequently believe and assert. Instead, the so-called ghosts are thought to be in actuality evil spirits. As such they are threatening."[95] Other Protestants maintained belief in an intermediate state, known as Hades(Bosom of Abraham),[101] and continued to observe the original customs, especially souling, candlelit processions and the ringing of church bells in memory of the dead.[68][102] With regard to the evil spirits, on Halloween, "barns and homes were blessed to protect people and livestock from the effect of witches, who were believed to accompany the malignant spirits as they traveled the earth."[93] In the 19th century, in some rural parts of England, families gathered on hills on the night of All Hallows' Eve. One held a bunch of burning straw on a pitchfork while the rest knelt around him in a circle, praying for the souls of relatives and friends until the flames went out. This was known as teen'lay, derived either from the Old English tendan (to kindle) or a word related to Old Irish tenlach (hearth).[103] The rising popularity of Guy Fawkes Night (5 November) from 1605 onward, saw many Halloween traditions appropriated by that holiday instead, and Halloween's popularity waned in Britain, with the noteworthy exception of Scotland.[104] There and in Ireland, they had been celebrating Samhain and Halloween since at least the early Middle Ages, and the Scottish kirktook a more pragmatic approach to Halloween, seeing it as important to the life cycle and rites of passage of communities and thus ensuring its survival in the country.[104]
In France, some Christian families, on the night of All Hallows' Eve, prayed beside the graves of their loved ones, setting down dishes full of milk for them.[94] On Halloween, in Italy, some families left a large meal out for ghosts of their passed relatives, before they departed for church services.[105] In Spain, on this night, special pastries are baked, known as "bones of the holy" (SpanishHuesos de Santo) and put them on the graves of the churchyard, a practice that continues to this day.[106]

무교회주의 기독교 창시자 우치무라 간조 - 오마이뉴스



  1. 무교회주의 기독교 창시자 우치무라 간조 - 오마이뉴스



83,548명의 시민기자가 870,022개의 기사를 작성하였습니다.시민기자 가입하기
청주 2.5℃

문화
무교회주의 기독교 창시자 우치무라 간조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 전집 (전10권)
01.11.13 15:00l최종 업데이트 01.11.15 19:54l박상익(clio53)

크게l
작게l
인쇄l
URL줄이기
스크랩
13
좋은기사 원고료주기
공감1 댓글댓글달기
1.

내가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 1861-1930)의 저작을 처음 만난 것은 대학생이던 1974년의 일이었다. 그보다 1년 전부터 선배의 권유에 이끌려 어느 선교 단체에서 성경 공부를 하기 시작한 나는 당시 머리가 온통 뒤죽박죽이 되어 있는 상태였다. 기독교를 전혀 모르는 '이교도'였던 내게, 성경이 보여준 세계는 카프카의 말처럼 '머리를 마구 두들겨대는' 것이었다. 의미도 없이, 지향도 없이 바람 부는 대로 망연히 떠다니던 나의 정신은 일대 문화 충격(culture shock)을 겪은 셈이었다. 

사교적인 성격이 못되는 데다 누군들 내 고민을 이해해주랴 싶은 마음에, 도서관이나 서점을 기웃거리며 도움이 될 만한 책을 사냥하는 일에 나서게 되었다. 친구들과의 교제도 거의 끊다시피 하고, 시간이 나면 일삼아서 광화문, 종로, 청계천 일대의 서점들을 뒤지고 다녔다. 

그 날도 여느 때처럼 서점들을 드나드는 중이었다. 그러다가 종로서적에서 우연히 단행본으로 출간된 우치무라 간조의 <기독교문답>과 <나는 어떻게 크리스천이 되었는가>라는 책을 발견하고 사서 읽게 되었다. (두 책은 각각 <전집> 제1권과 제2권에도 수록되었다.) 동양인의 입장에서 이질적인 기독교를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공감의 폭이 넓어지면서 무교회주의에 강하게 끌리게 되었다. 비기독교 문명에 속한 동양인으로서 기독교로 개종을 하면서 겪었던 우치무라의 정신적 역정(歷程)이 내게도 호소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나는 우치무라와의 만남을 계기로 우리나라에도 무교회주의 모임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곧 서울 종로 2가 YMCA에서 노평구(盧平久) 선생이 주관하는 무교회 성서연구회에 참여하게 되었다. 노평구 선생은 우치무라의 제자였던 김교신(金敎臣, 1901-1945) 선생의 제자로서, 무교회주의의 제3세대 지도자에 해당하는 인물이었다. 

무교회 집회는 학문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분위기였으므로,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하던 나는 성경을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신앙과 학문의 일치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 후 대학원에서 전공을 서양사로 택하고, 논문 주제로 청교도 시인 존 밀턴을 택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였다. 무교회 집회에서 성경을 공부하고 단테, 밀턴 독서회에 참석하던 그 시절이 내게는 진정한 의미의 대학생활이었던 셈이다. 

이 무렵 <우치무라 간조 전집>(지금은 절판된 1975년 설우사 판)에 수록된 <기독교 신도의 위안>, <구안록>, <전도의 정신>, <후세에의 최대유물>, <종교좌담>(이상 <전집> 제1권), <지인론(地人論)>, <종교와 문학>, <시인 휘트먼>, <루터전(傳) 강연>(이상 <전집> 제2권), <소감>(<전집> 제3권) 등을 읽었다. 목차를 비교해보니 이번에 새로 나온 <전집>은 종전의 설우사 판과 내용상으로는 동일하되, 세로쓰기를 가로쓰기로 바꾸는 등 시대 변화에 맞춰 편집상의 수정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2.

우치무라는 <전도의 정신>에서 전도자의 자질로서 다방면의 세상 지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전도자는 우주 만물에 관한 하나님의 진리를 세상에 나타내보일 직책에 있으므로 전도자가 몰라도 좋을 지식은 이 넓은 우주에 없다는 것이다. 지식이 넓어짐에 따라 하나님을 아는 것이 더욱 깊어지고 지식이 더해짐에 따라 하나님의 뜻을 더욱 밝히 알게 된다. 

그러므로 전도자에게는 다른 누구보다도 학문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신학만을 아는 전도자는 신학생의 좋은 선생은 될 수 있을지 모르나, 목수, 미장이, 농민, 서민, 학자, 정치가 등의 지도자로서는 아무 가치도 없다는 것이다. 우치무라는 특히 다음과 같은 분야의 지식을 적극적으로 권한다. 

첫째로, 경제학과 사회학 등 사회과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전도자는 사회의 지도자이며 사회를 하나님이 정하신 진리로 이끌어가려는 것이므로 이 사회를 지배하는 원리와 법칙을 몰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둘째로, 자연과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과학은 물질의 원리와 법칙을 연구하는 것이므로 이를 배워서 하나님의 거룩한 뜻과 법칙을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 인문학, 특히 역사학을 공부해야 한다. 역사학은 인류 발달의 기록이며 하나님의 섭리를 가장 밝히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역사학은 인간성의 폭과 깊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므로 관대한 정신을 갖게 해준다. 역사학은 국민은 인류보다 작은 것이며 인류 전체의 발전은 한 국민의 발전보다 긴요한 것임을 가르쳐 준다. 그러므로 전도자는 역사학을 통해 시야를 넓힐 수 있고 인류의 연대(solidarity)를 알게 되며 서로 돕는 마음을 배울 수 있다. 

끝으로, 이상적인 전도자가 되려는 사람에게는 성서의 원어를 비롯하여, 충분한 성서 연구가 필요하다. 성서 연구 없이 전도에 나서려는 것은 수학 지식 없이 천문학을 연구하는 것처럼 터무니없는 일이다. 

요컨대 우치무라는 ‘하나님’을 알기 위해 성경을, ‘사람’을 알기 위해 역사와 사회과학을, 그리고 ‘자연’을 알기 위해 과학을 연구할 것을 주장한다. 우치무라는 이 세 가지가 합하여 트리니티(三位)를 이루며, 하나가 빠지면 다른 나머지도 충분히 이해할 수 없게 된다고 말한다. 셋이 합하여 비로소 완전하고 건전한 지식을 구비하게 된다는 것이다. 

우치무라의 이런 관점은 오늘의 한국 현실에 많은 빛을 던져준다. '지성'이니 '이성'이니 하는 말을 쓰면 우선 교역자들부터 안색이 굳어지고, 젊은 대학생들이 교회에서 학문을 거론하면 '지적 교만'이란 딱지를 붙여 백안시하기까지 하는 한국 교회는 그 '나무'에 합당한 '열매'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책임보다는 개인의 기복만을 추구하는 신앙인이 양산되고, 최소한의 기초질서마저 분별 못하는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의 '신앙'을 완장처럼 휘둘러댐으로써, 본보기가 되기는커녕 오히려 세인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

중세 말기의 타락한 카톨릭 교회를 연상케 하는 후안무치한 교회 세습이 자행되는가 하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최소한의 동정심마저 결여한 광신도들은 이슬람 근본주의 못지않은 파괴와 폭력을 자행한다. 사찰에 불을 지르고 단군상의 목을 잘라내는 직업종교가들의 엽기적 행각은 기독교 근본주의의 수많은 병폐 중 극히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다. 

3.

우치무라 간조는 무교회주의의 창시자로 불린다. 우치무라가 생각한 무교회주의는, 서양에서 수입된 교파 기독교가 아닌, 일본인의 마음속에 뿌리 내린 기독교만이 일본인을 구원할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우치무라는 독일을 구원한 기독교가 루터에게서 나오고, 영국을 구원한 기독교가 존 녹스와 밀턴에게서 나왔듯이, 일본을 구원할 기독교는 일본인에게서 나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양의 역사와 전통 속에서 왜곡, 굴절된 교파 기독교는 이질적인 전통을 가진 일본의 토양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것이 우치무라의 판단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비록 일본이 외국에서 진리의 싹을 받았을지 모르지만, 일본인의 마음 깊은 곳에서 배양되지 않은 진리를 가지고 우리 자신과 우리 동포를 구원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일본 기독교는 “일본인 특유의 관점에서 해석된 기독교의 진리”여야 하며, “어떤 외국인의 중재도 없이 하나님으로부터 일본인들이 직접 받은 기독교라야 한다”는 것이다. 

우치무라는 철저한 자립정신이야말로 기독교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라고 확신했다. 그러므로 외국 선교사들이 진정으로 일본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원한다면 먼저 일본의 기독교가 재정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치무라는 신앙생활을 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독립적인 사람이 되겠다고 결심했다. 기독교 신앙을 가졌지만 외국 선교사들의 명령에 따라 살지 않을 것이며, 외국인에게 돈을 빌려 쓰면서까지 선교 사역을 하지 않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이렇듯 독립적인 신앙을 강조한 우치무라가 개인주의를 존중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혼동한다. 그러나 이 둘은 전혀 별개의 것이다. 전자는 귀중한 것이고 후자는 비천한 것이다. 나는 개인주의는 존중하지만 이기주의는 전적으로 배척한다. 개인주의는 개인을 존중한다. 자기를 존중함과 동시에 또한 남도 존중한다. ……개인주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가져서 결코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전집> 제10권)

3년 반의 미국 유학 생활을 마치고 1888년 5월에 귀국할 때, 우치무라는 일본을 하나님의 나라로 만들기 위해 자기 민족을 섬기겠다는 고상한 야망을 품고 있었다. 우치무라는 '두 개의 J'만을 사랑한다고 말한다. 하나는 예수(Jesus)이고, 다른 하나는 일본(Japan)이었다. 그는 자신의 신앙이 중심점이 하나뿐인 '원'이 아니라, 예수와 일본이라는 두 개의 중심을 가진 '타원'이라고 주장했다. 우치무라의 '두 개의 J'는 예수의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제1계명과, '네 이웃을 네 몸 같이 사랑하라'는 제2계명을 결합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도쿄의 제일고등중학교(오늘날의 도쿄 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1891년 중대한 사건이 발생했다. 그 해 1월 9일, 천황이 서명한 교육칙어를 천황의 초상화 옆에 걸어놓고 그 앞에 경의를 표하는 의식이 거행되었는데, 우치무라는 60명의 비기독교 교사진과 천 명이 넘는 학생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양심에 따라 그 자리에 선 채 혼자 절을 하지 않았다. 우치무라의 행동에 대한 비난은 그가 재직하고 있던 제일고등중학교 학생과 교사들 사이에서 먼저 나왔다. 심지어 우치무라의 집을 습격해 돌을 던지는 사건까지 있었다. 

매스컴은 재빨리 이 사건을 취재하여 '우치무라 간조 불경사건(不敬事件)'으로 전국에 퍼뜨렸다. 우치무라의 이름은 반역자의 대명사로서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여관에서 투숙을 거부당할까봐 여행을 하는 동안에는 가명을 써야 할 정도였다. 이 와중에 우치무라는 폐렴에 걸려 죽음의 위기에까지 이르렀다가 2개월 만에 가까스로 회복은 되었으나 이미 실직자 신세였다.

그 동안 아내 가즈코(加壽子)는 박해 속에서도 잘 견디면서 우치무라를 간호했는데, 이번에는 그녀 자신이 같은 병으로 병석에 누워 그 해 4월 19일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우치무라는 직업을 잃은 직후 아내까지 잃게 되어 그 비통함이 극에 달했다. 

1893년 그는 <기독교 신도의 위안>이라는 제목의 책을 저술했다. 이른바 '불경사건'이 있은 지 2년 뒤의 일이었다. 이 책의 제 2장에는 '고향 사람들로부터 버림을 받았을 때'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제일고등중학교에서 있었던 사건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 책의 제 1장에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데, 이것은 물론 아내 가즈코의 죽음을 뜻한다. 

'불경사건은 우치무라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일본 근대사의 관점에서도 매우 큰 의미를 갖는 사건이었다. 대일본제국 헌법에서 '신성불가침'이라고 규정한 천황에 대해 한 개인이 현세를 초월하는 보편적 존재(하나님)를 근거로 천황의 신성을 부정하는 행동을 취한 것이다. 이 사건은 '인간'을 신격화하는 관행에 대해 'No!'라고 할 수 있음을 세상에 보여준 사건이자, 현세와 지상의 모든 것을 상대화 할 수 있는 절대적 진리가 엄존함을 과시한 사건이었다. 

<기독교 신도의 위안>은 '불경사건' 후 우치무라가 겪은 쓰라린 체험을 바탕으로 일궈낸 종교사상의 결정(結晶)이다. 우치무라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인간관은 이 책에서 거의 확립되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기독교 신도의 위안>을 책장이 찢어질 때까지 애독했다는 일본의 소설가 마사무네 하쿠초(正宗白鳥, 1875-1962)는 이 책을 일본 현대문학 최고의 사소설(私小說)로 평가하기도 했다. 

4.

우치무라 간조가 주관하던 성서연구회에는 당시 도쿄 고등사범학교에 다니던 조선인 유학생 김교신이 출석하고 있었다. 1901년 함흥에서 태어난 김교신은 함흥 공립농업학교에 다니던 1919년에 3.1운동에 참여한 바 있었다. 김교신은 훗날 자신이 일본 유학길에 오르면서 “불공대천(不共戴天)의 철심(鐵心)을 품고 동해를 건넜노라”고 당시의 심경을 술회하고 있다. 조국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불태웠던 김교신의 눈에 우치무라의 모습은 어떻게 비쳤을까? 

“국적(國賊)으로 전 국민의 비방 중에 매장된 지 반생여일(半生餘日)에 오히려 그 일본을 저버리지 못하는 애국자의 열혈(熱血), 이것이 무엇보다도 힘있게 나를 끌었었다. 조선에 만일 그와 같은 애국자가 출현했더면 쏟아 바쳤을 경모(敬慕)의 염(念)을 전혀 저에게 봉정(奉呈)했다.” 

김교신은 우치무라를 가리켜 “발톱 끝에서 머리털 끝까지 애국의 화신”이라고 표현했다. 김교신은 1921년 1월부터 7년 동안 우치무라 문하에서 신앙을 배웠다. 1927년 귀국한 김교신은 월간지 <성서조선>의 주필을 맡아 15년 동안 전도 활동을 했으나 이른바 '성서조선사건'으로 제158호(1942년 3월호)를 마지막으로 잡지가 일제에 의해 폐간 조치되기에 이른다.

이 사건으로 한국 및 일본에서 많은 독자들이 검거되었고, 특히 주필 김교신 및 함석헌, 송두용, 류달영, 장기려 등 13인은 서대문 형무소에서 만 1년 간 옥고를 치러야만 했다. 석방된 후 김교신은 흥남의 일본질소비료공업주식회사에서 5천 명 한국인 근로자들을 보살피다가 발진티푸스에 감염되어, 염원하던 광복을 넉 달 앞둔 1945년 4월 25일 홀연히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만 44세의 젊은 나이였다. 

'그리스도를 만난 조선의 선비'로 불리는 김교신은 죽는 날까지 신사참배는 물론, 창씨개명도 하지 않았다. '성서조선사건'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는 추호도 일제에 굴복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교신은 일본인 스승으로부터 기독교 신앙을 배웠다는 이유 때문에, 일제하 한국인 교역자들로부터 비아냥거림을 당하곤 했다. 

그러나 일제의 단말마적인 압제 하에서 천주교는 물론이고, 한국의 개신교 교단 거의 전부가 천황과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충성을 맹세했을 때, 조국과 민족 앞에 끝까지 지조를 지키며 한국 기독교의 자존심을 세운 것은 김교신을 비롯한 무교회주의자들이었다. 실로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철저한 독립 신앙을 강조한 스승 우치무라의 가르침을 생각한다면 수수께끼는 곧 풀린다. 일본 기독교가 “일본인 특유의 관점에서 해석된 기독교의 진리”여야 하며, “어떤 외국인의 중재도 없이 하나님으로부터 일본인들이 직접 받은 기독교라야 한다”고 주장한 스승의 뜻을 통찰한 김교신은, 한국 기독교가 “한국인 특유의 관점에서 해석된 기독교의 진리”여야 하며, “어떤 외국인의 중재도 없이 하나님으로부터 한국인들이 직접 받은 기독교라야 한다”고 확신했던 것이다. 

한국인의 마음 깊은 곳에 뿌리를 내리지 않은 진리로써 우리 자신과 우리 동포를 구원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김교신의 표현을 직접 빌자면, 한국인의 기독교는 '김치 냄새나는 기독교'이어야만 했던 것이다. 

우치무라는 일기장의 이곳저곳에서, 자신의 가르침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은 한국 학생들이며 일본인이 조선인에게 배울 점이 많다는 것, 그리고 자신에게 여러 해 동안 배우고 감사하며 귀국하는 조선인 학생들을 배웅하는 것만으로도 성서연구회를 해온 보람이 있다고 자랑스러워했다. 그는 일본의 독립과 자유가 귀한 만큼 한국의 독립과 자유도 귀하다고 말했다. 우치무라는 근대 일본인으로서는 보기 드문 친한파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찌무라 간조

우찌무라 간조



kcm.kr/dic_view.php?nid=39953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1861. 3.28~1930. 3.28)

 주제어 [일본] 우찌무라간조 [목사] [성서학자]

 자료출처 이후천 / 협성대 선교신학교수 성경본문

 내용

일본의 성서학자이자 전도자. 그는 무교회주의 창시자로 한국에 알려졌다. 그 이유는 제일고등중학교에서 근무하던 중 1891년 교육칙어(敎育勅語)에 대한 불경 사건으로 해직되어(1901년) 자택에서 매주 일요일 성경강의를 하고 소책자 <무교회>를 발행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무교회주의자 "김교신.함석헌.최태용은 그의 제자로 한국 무교회주의 연원이 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진정한 의미에서 그의 제자이거나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이 항목의 영역을 벋어나는 일이다.

간조의 전도이해에 보면 여섯 가지를 제시한다.



1) 의식(衣食)을 위한 전도

2) 명예를 위한 전도

3) 교회를 위한 전도

4) 나라를 위한 전도

5) 하나님을 위한 전도

6) 사람을 위한 전도.



간조는 여기서 앞의 네 가지는 사람들의 자기 자신을 위한 전도라고 본다. 그렇지만 간조는 이 가운데 다섯 번째 하나님을 위한 전도야말로, 그리고 동시에 이것이 사람을 위한 전도일 때 - 특히 물질적으로 뿐만 아니라, 마음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 하나님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간파괴와 하나님만이라는 추상성이 극복되고, 인간의 영혼을 구하게 되는 진정한 전도의 정신이 살아나며, 순수한 종교적 사업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로 보건데 간조는 단순히 무교회 주의를 주장한 것이 아니라 진정한 전도의 의미를 부각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특히 3번의 교회를 위한 전도를 말함으로 그가 무교회주의자가 아니라는 반증이 되기도 한다. 그는 무교회주의자가 아니라 다만 예수처럼 '민중의 교회'를 말하려고 했던 것이다(KCM Lee).



그에 대한 이런 일화가 전해지기도 한다.

하루는 그에게 어떤 대학생이 찾아와 심각하게 질문을 한다.

“우찌무라 선생님, 저는 성경에 나오는 모든 기적들을 믿을 수 없습니다. 예수께서 물위를 걸으셨다는 이야기, 부활하셨다는 이야기 등은 정말로 제 이성으로 도무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런 황당한 이야기나 이해할 수 없는 기적 등은 빼놓고 다른 내용으로만 성경공부를 하면 안될까요?”

그의 대답은 이러했다.

“학생, 성경에서 사람의 이성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기적들을 다 제하고 성경공부를 한다면 성경에 꼭 두 가지만 남는다네. 그것은 바로 성경의 앞과 뒤 표지뿐이지.”



간조의 생애와 회심



거의 대부분의 다른 아시아인들처럼 간조도 일본의 비그리스도교적 전통과 문화가 지배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간조는 메이지 유신(1868-1912)이 시작되기 7년 전인 1861년 3월 28일 에도(江戶)에서 아버지 우찌무라 요시유키와 어머니 우찌무라 야소(1904)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의무와 야망을 중시하는 친가의 분위기와, 양심적이고 금욕적인 외가의 가풍에서 자랐다.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다카사키 파의 하급 무사(사무라이)계급에 속하였으므로 그도 본래는 "싸울 운명"과 "충성"이 숙명이었다. 그런데 간조의 아버지는 시도 잘 쓸 정도로 유학에 조예가 깊었기 때문에 그는 어릴 때 유교교육을 받았다. 간조의 어머니는 거친 삶 속에서도 정직과 절제를 최고의 가치로 살아 온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의 자세를 그대로 물려받았다. 그녀는 고된 인생을 불평하지 않고, 말없이 남편과 4남 1녀의 자녀들을 위해 헌신하였다.



장남 간조의 교육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대학" 및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에서 시작되었지만, 신분상승을 기대했던 아버지의 소원대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여, 1873년 12세에 이르러서는 서양식 사립학교인 도쿄의 아리마 사학교 영문과에 입학한다. 13세에 간조는 도쿄의 외국어학교에 편입하였다. 간조가 편입한 해, 이 학교는 영어학만을 분리하여 도쿄 영어학교로 독립하였다. 간조는 이 학교 재학 중 질병으로 1년간 휴학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는 이 학교에서 처음으로 구약성서의 이야기에 접한다. 그는 영어 독본을 통해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 모세를 알게 된다. 이 당시 그는 친구의 권유로 외인 거류지 교회에 출석하였지만 단지 그리스도교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정도였다.



간조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게 된 계기는 16세 되는 해인 1877년 신설 삿포로 농업학교의 2기 관비생으로 입학하고 나서이다. 본래 간조가 다닌 도쿄 영어학교는 그 해 4월 도쿄대학 예비문으로 개칭되어 졸업하면 도쿄대학이 보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난한 간조로서는 장학금과 기숙사가 필요하였다. 삿포로 농업학교는 간조의 그러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었다. 그런데 간조가 입학한 이 농학교는 미국 매사추세츠 농과대학 학장이었으며 선교사적 열망으로 가득찬 윌리암 클라크(W.S. Clark: 1826-1886)가 교무주임(an assistant director)으로 1년간 초빙되어 체류하는 가운데 1기생 15명 전원을 그리스도인으로 개종시킨 상태였다. 클라크는 이미 귀국하였지만 바로 이들 남은 1기생들의 상급생으로서의 권위와 "새로운 종교에 대한 열정과 선교의 정신"은 2기생들의 그리스도교 개종을 강제적으로 행사하게 하는 압력으로 작용하였다.



간조는 이러한 학교의 분위기에 처음에는 다신교적 미신에 사로잡힌 자기정체성의 위기를 느끼고 강력히 저항하였지만, 마침내 그해 12월 1일 친구들의 잇단 서명의 동참과 "학교의 여론"에 굴복하여, 자신의 뜻이나 양심과 달리 강제로 "'예수 종교'의 문에 들어서는" 행위로서 클라크가 남긴 "예수님을 믿는 자들의 서약"에 서명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비록 간조가 자신의 그리스도교 개종이 강제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고 고백하고 있지만, 간조에게 있어서 이 사건은 오히려 자신이 기도했던 8백만 이상이나 되는 많은 신들로부터 벗어나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든 "구원의 손길"임에 틀림없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이와 같은 강제적인 세례에 따른 그의 심리적 불안이나 갈등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사건은 간조에게 결과적으로 제신들로부터 해방시킨 사건으로 기억된다. 따라서 이것은 그가 그리스도교에 입문했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마음 속 깊은 평화와 기쁨"을 동반하는 회심을 동반한 개종은 아직 아닌 것으로 보인다.



회심을 향한 한층 진일보한 상황은 그가 1878년 6월 2일 미국에서 온 감리교 선교사 미리암 콜버트 해리스(M.C. Harris)의 세례를 받으면서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신 그분의 이름을 받아들이느냐는" 질문에 "단호하게 '아멘'"이라고 대답할 때로 보여진다. 그는 이 날을 결코 잊을 수 없는 날로 고백하고 있다. 그는 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강제적인 서명을 오히려 만족스러워 하였고, 모든 신들에게 더 이상 기도를 하지 않게 된 사실에 대해서도 기쁨을 갖게 되었다. 또한 그는 스스로를 그리스도교인이라 고백하면서, 다윗과 요나단의 우정에 감동하여 요나단이라는 그리스도교적 이름을 택하기도 한다.



세례 이후 간조는 동기 6명과 함께 작은 예배공동체를 꾸리게 되는데, 이것이 후에 저 유명한 삿포로 밴드로 발전된다. 1880년 7월 상급생의 졸업을 계기로 간조는 동급생들과 함께 교회건축을 계획하지만 감리교와 성공회 교파 소속의 문제로 재정후원의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교회 분파주의의 폐해를 목격하기도 한다. 어쨌든 간조는 1881년 7월 졸업 후에도 동기들과 함께 빌린 돈으로 어느 교회에도 소속되지 않는 독립교회를 세워 예배와 전도활동에 주력하여 부흥시킨다. 이 시기 그의 열심으로 자신의 가족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는데 성공한다. 또한 그는 관비생들의 규정에 따라 삿포로에 머물며 수산업을 전공하였으므로 어업관계 공무원으로 일하는 한편으로, YMCA를 결성하여 부회장직을 맡기도 한다. 1884년 3월 28일 간조는 교회에서 개방적이고, 지적인 여성 아사다 다케를 만나 모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하였지만, 6개월만에 분명하지 않은 이유로 이혼한다. 이 이혼으로 간조는 교회로부터 비난받는다. 이 일 이후 간조는 가진 재산을 모두 팔아 도미하게 된다.



간조의 진정한 회심은 그의 미국 유학기간에 일어난다. 간조는 1884년 11월 24일 처음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고, 얼마 안 있어 필라델피아로 옮긴다. 그곳에서 간조는 1885년 약 반년 간 정신박약아 양호원의 간호인으로 근무한다. 그 해 9월 그는 1821년에 설립된 매사추세츠의 애머스트 대학(Amherst College)에 비정규생으로 3학년에 편입한다. 이 대학에서 간조는 비로소 신앙의 스승인 제 5대 총장 줄리우스 호울리 실레(J.H. Seelye)를 만나 회심을 하게 된다. 실레의 따뜻함에 감동된 간조는 그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죄의 문제로 고민하던 그에게 실레의 다음과 같은 권면이 회심을 일으킨다.



우찌무라, 너는 네 자신의 마음속만 보니까 안되는 거야. 너는 네 밖을 보아야 해. 왜 자기 성찰을 그만두고 십자가에 달려서 네 죄를 용서해 주신 예수님을 바라보지 않는가. 너는 어린 아이가 나무를 화분에 심어 놓고 그 나무의 성장을 확인하려고 매일 그 놈을 뿌리채 뽑아 보는 것과 같은 짓을 하고 있어. 왜 신과 햇볕에 맡기고 안심하고 너의 성장을 기다리지 않는가.



이것은 한 마디로 말해서 죄로부터 구원의 문제는 인간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십자가에 의한다는 것이다. 죄로 더렵혀진 인간구원의 문제로 심각하게 고뇌하던 간조에게 실레 총장의 이 말은 참된 복음의 소식이었다. 그는 죄의 문제에서 해방되었다. 간조는 이 회심의 기쁨과 감격을 1886년 3월 8일과 5월 26일의 일기에서 이렇게 적고 있다. 여기서 예수 그리스도 십자가에 의한 속죄신앙은 간조의 사상과 전도의 정신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이다.



내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날이다. 오늘처럼 그리스도의 속죄능력이 내게 분명히 드러난 적이 없다. 하나님의 아들이 십자가에 달리신 사건에서, 지금까지 나를 괴롭히던 모든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다. 그리스도께서 내 모든 빚을 해결하셨기 때문에, 나는 타락 이전에 태초의 사람이 가졌던 순결과 순진함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제 나는 하나님의 자녀이며, 예수님을 믿는 것이 나의 의무이다. 예수님 때문에 하나님은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을 주실 것이다. 하나님은 나를 당신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실 것이며, 결국에는 천국으로 나를 인도하실 것이다; 이 세상에는 악보다도 선이 훨씬 더 많다는 생각에 감명을 받았다. 새, 꽃, 태양, 공기, 이 얼마나 아름답고, 밝고, 향기로운가! 그런데 인간은 날마다 악에게 불평하고 있다. 단 한 가지만 갖추면 이 세상은 천국인데도 말이다.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는 종교다.



비정규학생 간조는 1887년 7월 이학사 학위를 받음으로 애머스트 대학을 정식으로 졸업한다. 이후 그는 코네티컷주 하트포드 신학교(Hartford Seminary)에서 신학을 공부하지만 만족하지 못하였고, 4개월만에 건강상의 이유로 중단하여, 1888년 5월 일본선교에 대한 비전을 간직한 채 귀국한다. 귀국 후 간조는 니가타 현의 교장직을 맡았지만 동양이나 일본 현자들의 가르침도 중요하며, 외국전도회 선교사의 원조를 받아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그의 부정적 입장과 선교사들의 주장이 대립하여 4개월만에 사직한다. 1889년 7월 31일에는 가정적인 여성 요코하마 가즈코와 재혼한다. 간조는 1889년 9월 2일부터 도쿄의 제일고등중학교(오늘날 도쿄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교편을 잡았는데, 여기서 영어, 지리, 역사를 가르쳤다. 그는 1891년 1월 9일 천황이 서명한 교육칙어를 봉독하는 이 학교 행사에서 그리스도교 신자로서 의무를 다하기 위해 머리를 조금 밖에 숙이지 않아 소위 "불경사건(不敬事件)"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 사건으로 또 다시 그는 2월 3일자로 면직되었고, 같은 해 4월 19일에는 그의 아내마저도 별세한다. 이때 이후로 간조는 "성서의 연구"와 같은 잡지를 출판하며, 본격적인 저술활동을 시작하여 두개의 J, 말하자면 Japan과 Jesus를 통합하려는 시도, 비전론(非戰論), 무교회주의에 대한 견해, 화석화된 기성교회와 신학에 회의하여 성서연구 중심의 그리스도교 복음 전도운동 등을 펼치며 강연과 그의 주옥같은 글들을 출판한다. 면직 이후 거의 40년간 저널리스트로서 그리고 자유로운 독립 전도자로서 그의 열정적이며, 치열했던 삶을 뒤로하고 간조는 1930년 3월 28일 아침 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마친다.



주요 저서

《홍수 이전기》, 《구약 10년》, 《우찌무라간죠전집》, 《우찌무라간죠성서주해전집》 등이 있으며 영문잡지, 영문저술도 남겼다.





간조의 전도이해



간조의 전도이해에 있어서 근본적인 것은 순수한 전도의 정신을 실현하는데 있다. 간조는 1894년 2월 "전도의 정신"을 출판하였는데, 그 책에서 그는 전도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유형별로 여섯 가지를 제시한 후, 그 가운데 어떤 것이 가장 순수한 전도의 정신인지를 논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이상적 전도자의 품성과 자질의 문제를 제시한다. 그 여섯 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의식(衣食)을 위한 전도; 2) 명예를 위한 전도; 3) 교회를 위한 전도; 4) 나라를 위한 전도; 5) 하나님을 위한 전도; 6) 사람을 위한 전도. 간조는 여기서 앞의 네 가지는 사람들의 자기 자신을 위한 전도라고 본다. 그렇지만 간조는 이 가운데 다섯 번째 하나님을 위한 전도야말로, 그리고 동시에 이것이 사람을 위한 전도일 때 - 특히 물질적으로 뿐만 아니라, 마음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 하나님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간파괴와 하나님만이라는 추상성이 극복되고, 인간의 영혼을 구하게 되는 진정한 전도의 정신이 살아나며, 순수한 종교적 사업이 된다고 주장한다.



나를 오해하지 말라. 나는 사람을 앞세우고 하나님을 뒤로 미루는 전도를 변호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사람에게 있어서 하나님을 예배하고, 사람을 섬김으로써 하나님을 섬기는 전도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왜 이욕을 위해서 전도하려는가. 나는 그것을 당장에 포기할 것을 권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너 자신에게 극히 불리하기 때문이다(세상이 너로 말미암아 유익을 얻지 못할 것은 뻔하다). 너는 전도계에서 명예를 얻으려는가. 그만두라 그것은 치열한 싸움터 속에서 얻으라. 또는 의회의 단에서 얻으라(군사나 정치도 전혀 공명만으로 할 것은 아니지만). 네 전도는 네가 속한 교회를 위해서냐. 걱정하지 말라. 네 종교는 곤고와 실망을 네게 가득 안겨줄 것이요, 기쁨과 성공은 없을 것이다. 나라를 위한 전도, 물러가서 정치가가 되라. 네 천직은 거기 있다. 하나님을 위한 전도, 네 하나님을 네 동포에게서 찾을 때까지 기다려라. 네가 하나님을 위한다 하면서 오히려 하나님을 거역할까 두렵다. 그에게 육정적인 쾌락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의 영혼을 구하기 위해서 네가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대로 그도 하나님의 은혜를 입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에게 하나님의 영이 거하거든 하나님께 바칠 것을 그에게 주라 [...] 이 전도에 환희와 정열이 있다. 이 전도에 박해와 다툼이 있을 수 없다. 이것이 내가 진정 전도의 정신이라 말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간조가 하나님 사랑과 인간 사랑을 동시에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간조는 하나님만을 위한 전도가 극단적으로 흐를 때 사람에 대한 "관용과 자비와 유화"가 결핍되고, 또한 하나님 없는 사람만을 위한 전도는 자신의 공명과 세상을 부정의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파악한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는 하나님 없는 인간 사랑에서 비롯된 전도는 맹목이고, 인간 없는 하나님을 위한 전도는 공허해진다. 그리고 이때 구원의 지평은 단지 영혼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고, 국가, 인류, 세계, 우주가 그 시야에 들어온다. 이처럼 우리는 간조에게서 이미 통전적 구원(Integrales Heil)의 단초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도의 정신이 구체적으로 전도의 목적과 연결될 때는 다소 추상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간조가 하나님 나라를 현세적이기보다는 타계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그는 전도의 목적이 다가올 천국시민 양성에 있다는 것에 대해 확신한다. 이때 간조는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지 않고, 그가 직접적으로 표현하듯이 내세에서 이루어지는 "천국"논리에 입각해 있다. 소위 "예수 천당, 불신 지옥"과 같은 전도 구호는 아니더라도, 그의 하나님 나라는 죽음 이후 저 너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간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리스도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 건설에 있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는 이 세상에 실현될 성질의 것은 아니었다. 그는 '하나님의 나라는 가까웠다'고 말씀하셨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너희에게 임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시진 않았다 [...] 그는 그의 나라의 건설을 미래에 기대하셨다. 그것도 이 세상의 미래가 아니다. 이 세상이 끝난 후에 올 내세에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신 것이다 [...] 앞으로 올 세계에 나타날 그의 나라의 시민을 모으고 그들을 연마하고 그들을 완성시키는 일, 그 사업이 예수의 전도의 목적이었다 [...] 한마디로 말하자면 사도들은 그들에게 맡겨진 천국의 시민 양성을 그들의 활동의 주안으로 삼은 것이다.



여기서 전도의 목적을 하나님 나라 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수 전도의 목적과 사도들에게 맡겨진 사명이 저 세상의 "천국"으로서 하나님 나라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은 하나님 나라 개념의 폭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갖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예수의 하나님 나라 이해가 이 세상의 역사를 완전히 떠난 상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미 불트만이 예수의 하나님 나라 이해에 있어서 논증한 바 있다. 불트만에 의하면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현재에 침입해 있다는 것이다: "신의 나라가 이미 현재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 나라가 그 시초에 있음을 말해준다".



하지만 전도의 목적으로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러한 간조의 타계적 이해는 전도를 교세확장이나, 사회개혁 또는 국가구제, 세례, 성찬식으로 이해하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간조에 의하면 내세에 이루어지는 천국에 비하여 이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의 모든 사역과 활동은 수적 팽창을 염두에 둔 거짓되고 공허한 몸짓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회봉사로서의 전도에 종사하는 오늘날의 교회의 전도에 볼 만한 것이 없는 것도 당연한 노릇이다. 그들이 천국의 백성을 만들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그들은 이 세상의 성인이나 군자도 만들지 못한다. 그들의 사회사업이라는 것은 회칠한 무덤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옳은 전도"와 "나쁜 전도"를 구별하면서 나쁜 전도를 "교세확장을 위한 전도"로 손꼽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그는 마태복음 23장 15절과 고린도전서 1장 15절을 언급한다: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는 교인 하나를 얻기 위하여 바다와 육지를 두루 다니다가 생기면 너희보다 배나 더 지옥 자식이 되게 하는도다"; "이는 아무도 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말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 이에 비해서 옳은 전도란 "천국의 건설을 위한 전도", "영혼을 구하기 위한 전도", "자비와 사랑으로 비롯하여 자기 자신을 죽이고 종사하는 전도"이다. 간조에 의하면 여기서 옳은 전도와 나쁜 전도는 각각 그리스도의 전도와 교회의 전도에 해당되어 나뉜다. 이런 관점에서 간조는 미국 선교사들의 교회중심적인 선교모델을 강력히 비난한다. 미국 선교사들의 교회확장적인 전도는 성과를 중시함으로서 "신앙이나 도덕을 타락"시키는 "좋지 않은 태도, 천한 태도, 부끄러운 태도"라는 것이다. 따라서 간조는 자기의 제자를 만들거나 , 당파성을 갖는 것은 세상적 차원에서의 전도이해라고 본다. 더 나아가 교회를 위한 전도는 개종주의(Proselytism)와 연결되어 있고, "사랑과 평화를 세상에 가져오는 전도가 아니"라고까지 비판한다. 대신에 그리스도교 전도가 어떠해야 하는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기독교의 전도란 나의 주장을 세상에 펴고, 나의 덕으로 사람을 감화시켜서, 나의 당이나 나의 제자를 만드는 일이 아니다. 기독교의 전도란 나의 죄를 세상에 고백하고, 내가 받은 은혜를 사람들에게 증명하고, 나의 구주를 세상에 소개하여 그분의 수종자나 그분의 제자를 만드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간조에 의하면, 전도자란 "자선사업가도 아니고, 사회개혁가도 아니며, 교회설립자도 아니다". 다른 곳에서 그는 "사회사업은 사도들의 본업이 아니라 부업이었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곳에서도 간조는 전도를 자선사업과 연계시키지 않음으로써 전도는 곧 구령사업에 국한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전도는 자선사업이 아니다. 전도는 영혼을 구하는 것이지 육체를 구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가 사회개혁에 힘쓰는 것은 그리스도교를 일본에서 침체시키는 원인으로 진단한다.



심지어 그는 선교사들의 출신 성분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선교사라고 하면 자못 존귀한 것 같다. 그러나 그들의 신분을 캐보면 대개는 목사가 될 소양이 없는 사람들이다. 혹은 상점의 점원 노릇을 했거나, 공장의 직공 노릇을 했거나, 농장에서 땅이나 파던 사람들이다". 물론 그는 신분이 사람의 가치를 결정짓는 아니라고 부연하여 설명하지만 일본 사람들을 선교하는 목사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그에 해당하는 품격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전도 방법의 무용론을 주장한다. 전도는 사람의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영혼 구원 자체가 문제이기 때문이다. 복음 전파 운동을 해야 하지만 복음 자체가 운동이기 때문에 인간적인 방법의 모색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이때 전도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지 않고 순수한 복음을 증언해야 한다고 밝힌다. 그래서 전도자가 지녀야 할 성품으로 간조는 하나님의 구원을 받은 체험, 정직, 건전한 상식을 든다. 이 밖에도 전도자는 하나님에 관하여는 성서에 해박한 지식을 얻기 위해 원어로 연구할 수 있어야 하며, 사람을 알기 위해 역사와 사회학을 그리고, 만유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 과학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논한다.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전도자가 성서를 나누어주고 그 내용을 외우게 하는 것이 영성을 발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전도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도는 방법이 아니다. 생명의 빵을 공급하는 일이다. 주어야 할 빵은 없으면서 줄 방법만 제 아무리 교묘하게 꾸민다고 그것으로 사람이 구원을 받지는 못한다. 나에게 빵이 있는가, 그것이 문제다. 줄 수 있는 생명의 빵이 있다면, 나누어 주는 방법이 아무리 졸렬하더라도 나는 전도에 있어서 이미 반 이상 성공한 것이다.



또 다른 곳에서 간조는 전도방법을 논하는 것은 하나의 "선교 소동"에 불과하다고 일축한다. 왜냐하면 그에게 있어서 전도는 방법이 아니라, 진리체험의 문제이며, "영혼은 그 깊은 곳에서 서로 상통"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국사람들의 전도방법은 모금을 해야 하고, 선교지의 현지인 고위 관리와 사교를 하여 그 세력을 이용해서 교세를 확장해야 하는 방법을 택하는데, 이러한 전도 방법은 비성서적일 뿐더러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접근 통로를 막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이런 방식에 대해 간조가 회의하는 이유는 지나치게 금전 의존적이며, 정치적이고, 기계적이며, 책략적이라는 점 때문이라고 고백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간조가 부흥회를 개최해서 사람들을 불러모아 회심을 촉구하고, 세례를 베풀며 교회설립을 하는 전도방법 등을 무조건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그의 전도 방법에 대한 무게중심은 아무래도 이심전심을 중시하는 불교의 선종(禪宗)적인 태도를 가진다. 간조는 개인의 구원이 시작되면 이미 그것으로써 그 지역이 그리고 인류가 구원을 받는 것으로 간주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간조의 "농민 구제책으로서 기독교 선교"를 논하는 글 속에서 일본 농업의 지주와 소작인 제도의 문제점을 논하면서 법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을 볼 때, 그리고 그러한 것을 통한 농민 구제안을 그리스도교 전도의 방법으로 삼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서 그가 사회개혁 제도의 개혁에도 깊은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도지역 선정의 문제와 관련하여 간조는 도시보다는 농촌에서의 전도가 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아마도 이것은 그가 수산업을 전공한 것에 기인하지 않나 생각된다. 그래서 우리는 그에게서 학생보다는 농민전도에 애착을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가급적 남들이 가려고 하지 않는 지역 전도를 강조함으로서 전도지 재배치 문제와 전도 자원의 효율성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것은 서구 선교사들이 한 지역에 여러 교회출신의 선교사들을 집중시킴으로써 빚어졌던 전도의 비효율성을 간파한데서 오는 견해일 수 있다. 이 연장선상에서 간조는 이미 복음을 접한 혹은 교회를 다니고 있는 사람에게 전도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한다. 대신에 그는 무신론자나 타종교인들 그리고 정신적 방랑자들이 전도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밝힌다.



전도 주체와 관련하여 간조는 평신도들의 전도사역 참여를 지지한다. 그에 의하면 전도사역을 명예를 얻거나, 생계 수단으로 선택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전도의 효과가 부실해진다고 한다. 간조는 전도를 하기 위해서 반드시 전문적인 전도자가 될 필요는 없으며, 자신의 일상적인 직업을 통해서 얼마든지 전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에 의하면 "교회가 행한 최대의 과오는 전도자란 계급을 만든 사실이다". 이런 맥락에서 간조는 일본 전도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독립 전도"로서 이것은 외국 선교사의 자금을 빌리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상을 통해서 볼 때, 간조의 전도이해는 전통적인 교회중심적 전도개념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그는 반교파주의적 전도이해를 하고 있다. 이것은 그의 생애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교파주의의 악폐에 대한 그의 체험에서 비롯된다. 이것은 후에 그의 무교회주의로 나타난다. 그에게 있어서 무교회의 무란 교회를 무시하거나, 없애버린다는 의미에서의 무가 아니다. 그에게 있어서 무교회는 본래적인 교회를 회복하자는 것으로서 교회를 갖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 하나님을 만나는 유(有)교회이다. 그리고 마치 집이 없는 사람들을 위한 숙소에 해당한다. 천국에는 어떤 조직적인 교회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세례도 성찬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어떤 직분도 없다. 이 공동체의 중심에는 성서가 있고, 오직 믿음만이 필요하다. 말하자면 오히려 간조에게 있어서 강단을 빼앗긴 요한 웨슬리의 사역과도 같이 세계전도에 대한 비전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물론 간조는 복음과 서구화를 동일시하거나 식민지적 선교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크리스천은 하나님의 자녀이므로 세계를 자신의 활동 지역으로 삼아야 한다 [...] 크리스천의 의무 또는 책임 및 특권은 세계 전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전 세계와 더불어 구원을 받은 것이다. 그의 구주는 모든 민족의 구주이다. 그는 자기 혼자 구원을 받으려고 원하더라도 구원을 받지 못한다. 그는 자신의 구원을 완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의 가족 및 국가가 구원받기 위해서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는 또 주님과 함께 전 세계의 복음화, 모든 민족의 구원을 원하고 그러기 위해서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감리교 파의 창시자 존 웨슬리의 표어는 다음과 같은 성구였다고 한다. 즉 나의 활동 구역은 전 세계이다(The field is the World)라고. 우리는 크리스천이 되어 육대주를 하나님의 은사로 받았다고 보아 조금도 틀림이 없다.



"I for Japan;

Japan for World;

The World for Christ;

And All for God."



나는 일본을 위하여.

일본은 세계를 위하여.

세계는 그리스도를 위하여.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을 위하여.

- 우찌무라 간조 -





>> 목차고리 : 세계 > 아시아 > 동아시아 > 일본

>> 연결고리 : 일본, 목사, 성서학자

현대신학 -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 김진아

현대신학 -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 김진아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 김진아현대 신학조회 수 2077 추천 수 216 2006.06.21 17:33:36

허호익*.218.50.77http://theologia.kr/50288









①>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김진아 nebo99@naver.com

 

▲ 나의 하느님, 우리의 하느님을 고민했던 우찌무라 간조.



탈식민, 주체적 기독교를 찾기 위해 몸부림 친 믿음의 선조들. 참기독교를 고민했던 그들의 행보에서 나의 하느님, 우리의 기독교를 모색해본다. 8회에 걸쳐 만나게 될 이들에게 진한 신앙의 향기와 고민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 편집자주



“나는 하느님을 ‘나의 하느님’으로 고백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신앙인으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대한 의미를 부여한다. 삶 속에서 수없이 하나님을 부르짖어도, 신과의 ‘참 만남’이 상실된 부름은 공허한 외침일 뿐이다.



나의 하느님을 찾는 것. 그것은 단편적인 신앙을 벗어나 깊이 있는 신앙으로 가는 길에 없어서는 안 될 통과의례다. 기독교 역사를 돌아보면, 그런 고민의 과정을 거쳤던 많은 인물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찌무라 간조(1861∼1930)도 그런 인물 중의 하나다.



‘나의 하느님’, ‘나의 기독교’를 고민했던 사람. 나아가 ‘일본의 하느님’, ‘일본의 기독교’를 고민했던 그는 서구의 식민지적 기독교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본인에게 참 복음이 되는 기독교를 찾고자 애썼다.



그는 서구 일변도로 주입되는 기독교가 아니라 일본인들에게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진리를 찾고자 했다. 그것은 하느님의 진리가 서구의 것만이 아니며, 이교도로 통칭되는 다양한 민족들에게도 동일하게 현현하는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독립적인 일본적 기독교를 고민했던 우찌무라 간조와 기독교의 만남은 반강제적인 서구 기독교에 의해서였다.



기독교와의 새로운 만남



“예쁜 여자들이 노래를 부르는” 외국인 구역에 가서 구경을 하자는 친구의 제안으로 처음 기독교 예배에 참석했었던 어린 우찌무라는 5년 후 삿뽀로농업대학에 다니고 있었다. 당시 삿뽀로농업대학은 미국 메사추세츠주립 농과대학의 학장인 클라크 박사에 의해 기독교 복음이 전파된 상태였다. 클라크 박사는 학생들에게 성경을 나눠주고 복음을 전하는 데 열심이었다. 그의 이런 노력은 헛되지 않았고 당시 학교의 1기생이었던 15명의 학생 전원이 예수를 믿겠다고 서약을 했다.



우찌무라는 당시 2기생으로 학교에 입학한 상태였는데 1기 선배들은 2기 후배들을 강제적으로 개종시키려 했다. 기독교 예배의 새로움과 서구인들의 따뜻함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그였지만, 강압적으로 기독교를 요구하는 힘 앞에서 그는 강력하게 저항했다. 그도 그럴 것이 하루 4번 이상 사방의 신들에게 절하고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이름 모를 수많은 수호신들에게 기도하던 그에게 ‘하느님’이라는 존재가 요구하는 많은 엄한 규율들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것 자체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정신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었기에 강렬히 저항했지만, 결국 여론의 힘에 밀려 우찌무라는 일본의 예수를 믿겠다는 서약을 하고 말았다.



강제적인 과정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는 이미 내밀한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는 이제 많은 신들을 위한 수십 가지의 예배형식을 갖출 필요가 없었다. 단지 하느님 한 분을 위한 예배만이 필요했을 뿐이며 점차 그의 말씀이 마음을 채워가기 시작했다. 그에게도 새로운 빛이 비추기 시작한 것이었다.



[따로보기]                          우찌무라 간조의 생애



우찌무라 간조(1861∼1930)는 삿뽀로농업대학시절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고 그것을 계기로 1882년 삿뽀로독립교회를 세웠다. 이 시절 함께 신앙생활을 하던 와다세오시마 사또 등을 중심으로 서구 기독교로부터 독립된 교회활동으로 그는 일본적 기독교를 추구한 사상의 기틀을 보여주었다. 이후 1884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필라델피아에 있는 사회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실천적 활동의 중요성을 배우고 다시 애머스트 대학에서 수학, 그의 신앙관 확립에 전성기를 맞는다. 이 때는 우찌무라에게 있어 신앙적으로 가장 큰 기쁨을 맞은 시기이자, 서구 기독교에 대한 큰 회의와 반성을 하게 된 때이기도 하다. 그 곳에서 공부를 마친 우찌무라는 다시 하드포드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지만, 그는 성직이라는 특권에 대한 깊은 회의로 성직자가 되지 아니하고 중도에 신학을 포기하고 다시 귀국한다.



1888년 일본으로 귀국한 우찌무라는 그가 미국에서 보고 배웠던 신앙의 훈련을 심어주기 위해 니가다에 있는 기타고시시학관에서 후진을 양성하는 데 힘쓰지만, 곧 사임하고 도쿄에 있는 제일고등학교 교원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1891년 불행한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불경사건’이었다. 1890년에 발표되었던 천황의 절대권력의 상징인 <교육칙어> 봉독식때 정성들여 예를 다하지 않았다는 불경한 자로 몰려 교원과 학생, 넓게는 일반 여론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그는 이 일로 학교를 사직해야 했음은 물론이고 이 때부터 기독교가 천황제 중심주의와 자주 충돌하고 탄압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직장과 아내를 잃은 우찌무라는 각 지역을 전전하면서 교직에 종사하는 한편 문필가로서 활동하였다. 이 때 <구안록>을 저술했으며, 영문으로 <나는 왜 기독교인이 되었는가>라는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또 <만조보>지의 기자가 되었으며 더불어 월간지 <성서지연구>를 간행하였다. 그는 이후 독립적인 전도자로서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1921년에는 도쿄의 한복판에서 일요일마다 로마서를 강의하여 수많은 청중들이 크게 감동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당시 한국에도 그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이들이 있었는데 김교신, 함석헌, 최태용 등이다.



자립, 자주, 성서 - 우리의 교회를 세우라!



그렇게 받아들인 신앙은 학교의 동료들과 함께 모임을 이루면서 점차 깊어졌다. 그들은 함께 모여 많은 신학, 신앙서적들을 읽으며 토론하거나 신실한 기도 모임을 갖곤 했다. 그 작은 교회는 그들에게 매우 특별했는데 전적으로 민주적이어서 모든 학생들의 교회 직분이 동일했다. 그들은 그것이 철저하게 성경적이며 사도적인 관점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이들이 목사요, 신부요, 선생이자 신도였다. 그것은 우찌무라의 신앙관 형성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부분인데, 훗날 일본적 기독교를 치열하게 고민했던 우찌무라의 사상 형성의 기본이 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를 만나고 함께 신앙을 나누던 초창기부터 이미 서구의 교회 형태가 아닌 평등한 신앙공동체를 만들었던 것이다.



학교를 졸업한 이듬해인 1882년 우찌무라를 비롯한 동료들은 교회를 세울 것을 결심했다. 삿뽀로독립교회였다. 그들은 서구의 교회가 아닌 일본적 교회를 설립하고자 했고, 서구의 원조를 받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그래서 외국의 원조 없이 순수하게 일본인만의 힘으로 교회를 만들려 애썼다. 교회의 모토는 자립, 자주, 성서였다. 구조도 그들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교회는 5명의 위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운영되었는데, 일상적인 교회의 일은 그들이 함께 처리했고 그 외의 것은 언제나 투표로 처리했다. 또 교회의 회원은 의무적으로 교회를 위한 일을 해야만 했다. 빈둥거려서는 안 됐고 특별히 할 줄 아는 게 없다면 난로에 넣을 나무라도 잘라야 했다. 그들이 이처럼 다른 교회들과는 ‘차별적인’ 교회공동체를 추구했던 것은 훗날 그의 글에서 밝히고 있듯이 그것이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 교회의 구성원들은 자기들만의 독특한 체계와 원리들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독특성을 신성하게 여기고 유지하는 것이 하느님의 뜻이라고 믿었다.”



























 

▲ 그는 하느님의 뜻과 진리가 눈이 파란 서구인들에게만 해당한 것이 아니라, 피부가 검은 흑인들에게도, 또 키가 작고 노란 일본인들에게도, 나아가 모든 인류에게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신의 진리는 누구에게나 실현된다



우찌무라에게 큰 영향을 준 사건이 삿뽀로독립교회의 결성과 활동이었다면, 큰 영향을 준 사람은 뉴잉글랜드의 애머스트 대학 총장 실리 교수와의 만남이었다. 삿뽀로독립교회를 떠난 그는 많은 서적을 통해 만났던 실리 교수를 찾아가 공부를 시작했다. 그와의 인격적인 만남, 그리고 서구의 기독교를 직접 체험하게 되면서 여태껏 참된 기독교가 아닌 ‘식민적이고 우월적인’ 기독교를 만나왔음을 절감하게 된다.



“‘길들여진 코뿔소(회심한 이교도)’는 살아 있는 예다. 칠판에 그려진 예가 아니라, 최고의 현장에서 가져 온 최고의 표본이다. … 회심한 코뿔소로서 나는 선교의 서커스 사람들에게 이 문제에 대해서 좀 더 신중할 것을 권한다. 그들은 길들여진 코뿔소를 응석받이로 만들며 ‘길들여지지 않은 코뿔소(회심하지 않은 이교도)들이 길들여진 코뿔소를 모방하게 만든다. 그런 방식을 통해서 당신들의 일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면 사람들에게 기독교 선교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심어주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의 회고처럼 당시 서구 기독교는 다분히 식민주의적 선교 방식으로 기독교를 전하고 있었다. 설령 그것이 전부라 말할 수는 없어도 적어도 주류가 그러했다고는 말할 수 있으리라. 또한 기독교 국가의 우월주의는 인종, 지역, 자본주의와 맞물려 때로 제3세계들에게 폭력적이었음을 우찌무라는 직시했던 것이었다. 그는 그런 형태는 ‘참 기독교’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서구의 방식과 표현으로 획일화된 하느님은 분명히 일본인들이 만날 수 있는 하느님은 아니었다. 따라서 우찌무라에게 있어 참된 하느님을 만나는 것은 바로 가장 일본다운 모습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었으며, 하느님이 가장 기뻐하시는 일이라 생각했다.

 

▲ “기독교의 아름다움은 기독교가 하느님이 각 민족에게 주신 모든 독특한 특성을 거룩하게 만들어 준다는 데 있다. 일본도 동일한 하느님의 민족이라니 이 얼마나 복되고 격려가 되는 말씀인가!”

그의 이런 생각은 훗날 그가 표방하게 되는 무교회주의와도 직결된 사고였다. 대개 무교회주의를 ‘교회 체제를 거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상 그가 그리고 있는 무교회주의는 교회의 제도나 형식보다 성서 속에 살아 있는 복음과 만나는 것이 가장 일차적이라는 각성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가 말했던 무교회주의는 교회제도의 해체를 추구한 것이 아니라, 제도적 교회, 죽은 제도, 교리, 교권에 대항하는 비판정신에서 연유된 것이었\. 이런 사고의 저변에는 서구 기독교가 가진 교리, 형식, 직제에 관한 깊은 회의와도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유추된다. 그는 예수를 믿는 사람들의 사랑과 신앙에 의해 맺어진 모임이 곧 교회라는 것을 강하게 주장했다. 여기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무교회는 진보하여 유(有)교회가 되어지는 것이다. … 교회는 생명의 체구로서 균형을 갖추며 계속 무너지고 계속 세워지는 것이다. 무교회주의는 한편으론 결정체로 굳어버린 교회를 파괴하고 다른 한편으론 살아 있는 교회를 건설하기도 한다.”



우찌무라 간조. 그는 전생애를 통해 일본적 기독교를 위해 고민했다. 그것은 하느님의 뜻과 진리가 눈이 파란 서구인들에게만 해당한 것이 아니라, 피부가 검은 흑인들에게도, 또 키가 작고 노란 일본인들에게도, 나아가 모든 인류에게 타당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각 민족의 특성에 맞게 실현되는 기독교가 ‘참 기독교’이며, 그것이 곧 신이 원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더불어 형식과 제도, 교리에 얽매이지 않고 성서, 나, 하느님이 끊임없이 대화할 때 기독교의 참 진리가 실현된다고 강조했다. 서구 일변도의 기독교가 중심이었던 1백여 년 전의 그 때 인류의 보편이 되시는 신의 폭넓음을 깨달은 우찌무라 간조의 통찰력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느님은 2천 년 동안 노력해서 얻은 우리의 민족적 특성이 미국과 유럽의 사상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것을 원치 않으신다. 기독교의 아름다움은 기독교가 하느님이 각 민족에게 주신 모든 독특한 특성을 거룩하게 만들어 준다는 데 있다. 일본도 동일한 하느님의 민족이라니 이 얼마나 복되고 격려가 되는 말씀인가!”



--------------------------------------------

* <주간기독교>에 연재했던 기사를 재편집, 보강하여 싣습니다.





입력 : 2006년 06월 19일


2016/11/01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 How I Became a Christian | 갓피플몰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 How I Became a Christian | 갓피플몰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How I Became a Christian)

우찌무라 간조 (역:양혜원)| 홍성사

2001.07.09 |

----



도서소개

잡신의 나라 일본에서 나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가?



내 나라, 내 문화, 내 이름…… 급기야 내 영혼까지 내줘야 했던 그 절망의 밤에 오직 성서의 빛으로 희망의 새벽을 준비하던 청년 예수들, 유영모 함석헌 김교신 안창호…… 그들에게 처음 예수의‘아름다운 민족주의’를 가르친 큰스승 우찌무라 간조. 회심을 향한 그의 머나먼 구도의 여정은 진지하고 치열한 회의(懷疑)를 지나서야 비로소 영롱한 하나님의 마음에 도달했다.





[편집자 서평]



지금, 우찌무라 간조를 읽어야 하는 이유

-‘무교회주의’ 오명 쓴 진정한 우상 파괴자



최근 황석영의 소설 《손님》을 읽었다. 개신교 목사인 류요섭이라는 인물이 한국 전쟁 전후 시기의 피비린내 나는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는 그 이야기에서, 작가는 기독교와 맑스주의를 이 땅의 ‘손님’으로 설정했다고 말했다.



손님과 기독교



하기사 작가 황석영의 말이 아주 틀린 건 아니다. 기독교를 이 땅에 뿌린 이들이 바깥에서 들어온 손님이었으니 말이다. 다만 여전히 이 땅과 이 민족에게 기독교는 어디선지도 모르게 흘러왔다가 잠깐 머물다 다시 어디론가 떠나 버리는 손님의 정체성으로만 존재한다면, 그건 소설 속의 동족상잔 못지않게 이 민족에게는 비참한 일이 아닐까.

소설 《손님》을 다 읽고 나서, 엉뚱하게도 나의 뇌리에는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이자 기독교 지성으로 꼽히는 우찌무라 간조(內村監三)의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How I Became a Christian)》가 겹쳤다. 그것은 민속 종교의 숭배자이던 '이교도' 간조가 '손님 종교' 즉 외래 종교인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회심하는 인상적인 과정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 책의 개정 작업을 하기 전까지 그에 대해 오래 전부터 가져 온, 정보(그것은 간조에 대한 나의 거의 유일한 정보였다!)도 생각났다. 나의 '무지에서 나온 편견'은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에 쓴 김진홍 목사님의 글이 대신 잘 얘기해 준다.

“한국 교회에는 우찌무라 간조가 단지 무교회주의자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무교회주의에 대해서 우리는 교회를 해치는 바람직하지 못한 신앙 사상쯤으로만 인식합니다만, 이것은 많은 오해로 빚어진 결과에 불과합니다. 그의 무교회 운동이 지닌 속뜻은 교회다운 교회를 세워 나가자는 것이지, 교회를 허물자는 운동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다시, 우찌무라 간조를 생각한다’중에서)

그러나, 우찌무라 간조가 자신을 “세심한 관찰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한 일기를 토대로 쓴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를 편집하며 그 ‘유일한 정보’가 그릇된 편견임을 알았다, 는 진부한 고백을 할 수밖에 없다. 그게 사실이니까.

스스로 ‘항해 일지’라고 부른 일기와 함께, 기독교와 기독교 국가, 그리고 자신의 조국과 민족에 대한 간조의 고백과 사상을 만나면서, 그가 진정으로 기독교를 '손님'이 아닌 일본의 ‘원천’으로 삼으려 부단히 고민하고 애썼음을 새삼 알게 되었던 것이다.



왜 지금, 우찌무라 간조인가



사실,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는 이미 15년 전에 홍성사에서 출간한 책이다. 우찌무라 간조의 신앙 자서전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이 《나는 어떻게 크리스천이 되었는가(How I Became a Christian)》라는 이름으로 나온 것은 1986년 11월이다. 그리고 이제 그 책이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라는 새 이름의 개정판으로 다시 나온 것이다. 12쇄를 마지막으로 절판된 이 책을, 40권 분량의 간조 전집을 펴낸 일본 교문관까지 직접 날아 가서 수십 장의 사진을 고르고 사용료를 지불하면서까지 다시 펴내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 책이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읽히고 또 읽혀야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지금의 한국 교회는 세인들의 비난과 조소 속에서 휘청대고 있습니다. 병든 세상을 치유하여 새롭게 하며 바른 미래로 이끌어 가야 할 교회가 오히려 세상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얼마나 슬픈 일입니까? 이런 때에 우리의 이웃 나라 일본에서 바른 교회를 일구고,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을 세워 나가기 위해 고민하며 살았던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사상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은 큰 의미를 갖습니다.”

(김진홍 목사, ‘다시, 우찌무라 간조를 생각한다’ 중에서)



김진홍 목사님의 글이 아니더라도, 이미 “서구 신학의 소비 시장”이라거나 “미국 교회의 지교회”라는 비아냥을 그저 터무니없다고 비판할 수만은 없으리만큼, 한국의 기독교가 스스로 손님으로 전락한 현실을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기독교를 통해 일본의 정신이 더 성숙해지고 조국애가 승화되리라는 확신을 갖고, 성경 연구 운동을 펼치며 조국 일본의 청년들을 기독교 정신으로 길러 내고 조국을 섬기도록 가르친 그의 신앙 운동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미국의 신학교들은 특별히 미국 교회에서 일할 젊은이들을 훈련시키기 위해서 세워졌기 때문에, 미국과는 처지가 다른 나라에서 일할 사람들을 훈련시키기에는 이상적인 장소가 아니다. 우리가 씨름해야 하는 대상은 회의적인 흄이나 분석적인 바우어가 아니라, 힌두철학의 미묘함, 중국 도덕주의자들의 비종교성, 그것과 어울려서 신생 국가들의 혼란스러운 생각과 행동들이다.”(‘신학에 빠져들다’ 중에서)

이교도 회심자 간조는 기독교 신앙이 자신이 발 딛고 선 삶의 현장에 어떻게 뿌리내려야 하며, 우주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복음이 일본이라는 땅 안에서는 어떻게 생명력을 드러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고민했다. 그는 미국 유학을 떠나기 전 자신의 삿포로 농업대학 동기생들과 함께한 ‘교회’ 창립에 얽힌 기독교 선교사들의 파벌(교파) 대립을 겪으며, 참된 교회는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가 반목과 대립, 파벌과 분리에서 벗어나 참된 교회를 찾고 세우려는 노력이, 어느 교파의 교회가 아닌 하나님의 교회를 추구하는 교파적 자유함이, 무교회주의로 오해받았던 건 아닐까. 따라서 ‘판정’ 내리기 좋아하고 ‘규정’ 짓기에 익숙한 우리네 의식으로 이러한 간조의 참 교회 운동을 ‘무교회주의’로 단칼에 베어버린 것은 아닐까.

정작 간조는 온갖 ‘주의’들로부터 벗어나기를 진심으로 갈구했다.

“오, 내 영혼아, 온갖 ‘주의’들로부터 벗어날 지어다. 감리교주의건, 조합교회주의건, 다른 무슨 고상하게 들리는 주의건 간에 상관치 말고 진리를 추구하며 인간으로서 처신하고, 사람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를 바라볼지어다.”(‘신학에 빠져들다’ 중에서)

우찌무라 간조에게서 나는, 오늘날 희미해져 가는 치열하고 진지한 구도의 자세를 배운다. 그리고 기독교를 ‘손님’으로 전락시키는 서구적 겉치레를 타파하는 우상 파괴자의 모습을 만난다.

“내가 앞으로 결코 하지 않을 것 한 가지, 그것은 기독교를 유럽이나 미국의 종교라고 옹호하는 것이리라. 그러기엔 ‘가시적인 증거’가 빈약할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불멸의 영혼을 지탱해 줄 종교는 ‘겉치레’ 증거보다 훨씬 견고하고 심오한 증거 위에 놓여야 한다. 그러나 나는 한때 내 신앙을 그런 짚더미 위에 쌓았다.”



-글/옥명호(편집부)

---------------------



[가상 저자 인터뷰]



“사는 것이 곧 싸우는 것이다”



○당신의 사상과 활동은 우리 한국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식자들 사이엔 매우 저명한 인사이다. 물론 당신의 제자들인 함석헌 김교신 등이 당신의 가르침을 전하는‘전도사’로 일해 왔다. 이번에 당신의 회심과정을 소개한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를 발간했는데 우선 이 책의 배경을 설명해 달라.



- 이 책 또한 나의 중요한 전도 수단인 문서전도의 한 형태로 보면 된다. 사실 일기를 공개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책에 수록된 나의 일기는 유년 시절부터 나의 조국 일본에서 형성된 다양한 우상을 극복하고 하나님과 정면으로 만나기까지의 과정이 때론 처절하게 또 때로는 격정적 감정에 담겨 전개된다. 나는 나의 이런 고민의 세월이 기독교의 문에서 서성거리고 있을 또 다른 구도자, 또 다른 우찌무라 간조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당신이 ‘우상’이라고 표현한 그 다양한 존재에 대해 구체적으로 듣고 싶다. 사실 당신의 우상들 가운데엔 우리 나라 젊은이들의 영혼을 사로잡고 있는 것들도 있다.



- 사실 우리 나라에서 섬기는 신은 무려 800만이나 된다. 지금도 많은 젊은이들이 이 신들에게 얽매여 있다. 각 신들은 독특한 금기사항을 가지고 육체적인 복종뿐 아니라 정신적인 복종까지 요구하고 있어 젊은이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행동을 억압하고 있다.

나 또한 이런 신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야 했다. 애국심도 그 중 하나였다. 그래서 외국의 종교를 받아들인다는 게 마치 조국의 반역자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 어쨌든 이런 우상의 활동들이 한국에까지 뻗쳐 있다니 참으로 두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개종의 과정을 밟았다. 이런 회심의 과정을 통해 당신은 겉과 속 모두 철저한 변화가 있었던 것 같다. 치열한 구도자의 자세 없이 그리스도인인 양 행세하는 이들이 적지 않음을 볼 때 이 책은 우리 한국 교회에 중요한 의미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 나도 삿뽀로 농업학교 시절 학교 친구의 권유로 처음 기독교를 접했을 때는 그저 예쁜 여자들과 함께 교제하는 즐거움에 관심이 컸다. 사실 800만 이상의 신을 섬기다 오직 하나의 신을 섬김으로써 수많은 형식의 예배와 기도는 물론 독특한 금기사항들도 지킬 필요가 없으니 정신적으로도 건강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종 이후 회심에 이르기까지 나는 더 깊 은 경험과 지식, 그리고 관찰이 필요했다.

내 개인의 만족만 추구할 것이 아니라 내가 태어난 이 땅의 충성된 아들이 되기 위해서 나는 조국이란 한계를 뛰어넘어야 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이유 또한 신앙에 기초한 바른 인간이 되는 것, 그리고 그 후에 애국자가 되기 위해서였다. 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이러한 문제에 더욱 치열하게 부딪쳐야 하고 그 속에서 경험과 지식을 쌓아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4개월 만에 신학 공부를 마무리하고 조국 일본으로 돌아왔다는데…….



- 무엇보다 극심한 정신적 긴장으로 신경이 불안정했고 심각한 불면증에 시달렸다. 그러나 이를 통해 신학 공부를 포기한 것이 돌이켜볼 때 하나님의 인도였다. 미국의 신학교들은 미국 교회에서 일할 젊은이들을 길러 내는 곳이다. 우리 나라의 처지에선 맞지 않았다. 우리가 씨름해야 할 대상은 회의적인 흄이나 분석적인 바우어가 아니라 힌두 철학의 미묘함, 중국 도덕주의자들의 비종교성, 그것과 아울러 신생 국가들의 혼란스런 생각과 행동들이다. 나는 모든 신학자와 목회자들은 마땅히 자신의 조국에서 하나님의 소명을 펼쳐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 자신의 조국을 향한 하나님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 내 가족은 무사계급에 속한다. 그래서 태어날 때부터 사는 게 곧 싸우는 것이었다. 이 운명은 회심하기 전이나 회심한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내 일생을 걸고 난 싸울 것이다. 내 하나님을 위해서, 내 조국을 위해서 말이다. 난 특별한 재주가 없는 사람이다.

굳이 재주를 대라면 글쓰기뿐이다. 이것이 내 삶의 전쟁터에서 유일한 무기다. 그러기에 내 보잘것없는 저서들이지만 이를 통한 복음전도와 성서연구는 내 평생의 과제요 즐거움이 될 것이다.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의 저자 우찌무라 간조

-----

차례

서문

들어가는 말



1. 우상 숭배

2. 기독교를 소개받다

3. 우리들의 작은 교회 Ⅰ

4. 우리들의 작은 교회 Ⅱ

5. 새 교회를 세우다

6. 세상 밖으로

7. 기독교 국가의 첫인상

8. 박애주의자들 사이에서

9. 뉴잉글랜드에서의 대학 생활

10. 신학에 빠져들다

11. 귀향

----

저자소개

우치무라 간조

1861년 일본에서 태어나 1930년에 세상을 떠난 세계적인 예언자이며 또 전도자였다.그는 삿포로 농학교에서 과학과 종교를 통하여 서구문명에 접하고, 다시 4년에 걸친 미국 유학으로써 동서문화의 접목을 꾀하였다. 젊어서 자연 과학자로서의 탁월한 재능을 보였던 그는 근세 과학의 실험적 방법론을 기독교에 도입하였다. 그리하여 기독교의 신앙을 기성의 교리로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그 생애의 구체적인 사건을 모델로 삼아 실험적으로 이를 체득하였다. 우찌무라의 신앙과 사상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방대한 저서는 인간의 정신적 양식으로서 인류의 신앙 유산으로서 영원한 가치를 지닌다.

-----

저자의 다른도서



우치무라 간조의 창세기 연구

구안록 - 마음의 평안은 어떻게 얻는가?



-----

역자소개

양혜원

어린 시절을 영국에서 보내면서 초등학교 6학년 때 처음 해 본 번역이 한인교회 회지에 실린 적이 있고, 한국에 돌아와 영국에서 읽던 청소년 소설들을 번역해 보고 싶은 생각이 간혹 들기는 했지만, 번역이 직업이 될 줄은 몰랐다고 한다. 서울대학교에서 불문학을 전공하고, 93년 말부터 번역가의 길에 들어서 유진 피터슨, 헨리 나우웬, 존 스토트, 톰 라이트 등 주요 기독교 저자들의 책을 번역해 왔다. 현재 미국에서 ‘종교학과 여성학’으로 박사 과정 중에 있는데도, ‘모든 사람을 위한 기독교’ 시리즈의 가치를 높게 평가해 전체 번역을 맡아 주었다. 옮긴 책으로는 『마침내 드러난 하나님 나라』, 『유진 피터슨』, 『이 책을 먹으라』, 『그 길을 걸으라』, 『비유로 말하라』(이상 IVP), 『목회자의 영성』, 『목회자의 소명』, 『목회의 기초』(이상 포이에마), 『기독교적 숙고』, 『교회에 첫 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이상 홍성사) 등이 있다.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How I Became a Christian)

우찌무라 간조 (역:양혜원) | 홍성사

2001.07.09 |

나의 성장 이야기 ::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우찌무라 간조

나의 성장 이야기 ::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우찌무라 간조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우찌무라 간조



‘우찌무라 간조’ 그의 이름은 설교를 듣거나 혹은 지인들과 신앙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면서 종종 들었다. 일본인이며 중국에서 특별히 빈민들을 위해서 선교활동을 했다는 정도만 알았지 그의 일생에 대해서 자세한 것들을 무지했다. 그래서 우연히 도서관 서가에서 이 책을 보게 되었을 때 설레는 마음으로 재빠르게 책을 뽑아 들었다.



이 책의 부제는 ‘내 영혼의 항해일지’ 이다.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그가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지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 쓴 책이다. 우찌무라 간조는 자신이 크리스천이 되면서 겪은 현상들만 나열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철학적 사고의 기회를 주려는데 목적을 두고 이 책을 썼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특히 자신에게 중요한 영향을 준 인물들의 말들과 자신이 직접 기록한 일기를 발췌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통해서 개인적으로 좀더 생생하게 그가 가진 생각의 형성 과정을 바라볼 수 있었다.



하나님을 믿게 되면서 한 가지 답답한 부분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나 스스로 뿌듯하게 생각하고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문화와 기독교에 근간을 두고 발달한 유럽, 미국의 문화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할 것 인가 하는 문제였다. 하나님을 믿게 되면서 기독교 종교 자체를 객관적으로 보는 시각보다는 받아야 들여야 하는 것으로만 생각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문제에 대해서 깊이 있게 스스로 고민해보지 않고 각각의 문화를 따로 구분해서 생각하는 미지근한 태도를 유지해왔다.



우찌무라 간조는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면서 회심을 했을 때 자국문화에 대해서 열등의식을 지녔다. 하지만 미국에 건너가서 직접 서구문화를 체험하면서 자신이 선교사로부터 듣고 또한 스스로 생각했던 기독교국가의 이미지와는 많이 다른 부조리들을 느꼈다.오히려 서구 문명에 비해 오히려 이교도국가가 순수한 기독교의 국가로 발전해갈 수 있는 희망을 가진 나라라고 그는 주장했다.



우찌무라 간조가 이렇게 자기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부분에 있어서 부끄러운 마음이 많이 들었다. ‘한 번이라도 내가 이러한 고민들을 붙잡고 주님께 지혜를 간구했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우찌무라 간조의 중심이 너무 본받고 싶었다. 그가 가진 중심됨이 무엇인지 다음의 책의 본문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조국의 한계를 뛰어넘는 경험과 지식을 배워 애국하기 위해서 외국으로 나가려는 결심을 했다. 엄숙한 이별의 시간에 나는 고개를 숙였고, 나의 영혼은 하나님 아버지와 내 조상들의 영을 향한 채 기도하며 동시에 회상하는 일종의 명상에 잠겼다.교리 선생들은 못마땅해할지도 모르지만 나는 하나님과 조국과 조상들을 사랑했고 단지 이 엄숙한 계기에 그 모두를 기억했을 뿐이다.”



“그가 아는 한 일본인은 자신에게 세례를 준 사람이 하나님이라고 대답한다. 어느 날 문득 그가 자신의 죄를 깊게 깨닫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 안에서 용서를 체험했다. 세례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자신의 주변에 세례를 줄만한 목회자가 없었다. 그 때 마침 신선한 여름비가 내렸고 그는 하나님께서 초대한다고 생각했고 비를 맞으며 경건한 자세로 흠뻑 적셨다. 모든 문제의 핵심은 그리스도이시며 사람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 방식은 서로 다르다.”



이러한 중심을 보는 그의 마음이 와 닿았다. 형식과 절차에 중요성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형식과 절차 때문에 정작 그리스도의 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 껍데기에 얽매여 있었던 나의 경험과 달리 가장 중요한 그리스도를 향한 그의 진심이 나의 마음에와 닿았을 것이라. 중요한 것을 먼저 보고 그것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서로 이해하며 대한다면 형식과 절차도 많이 없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갑자기 든다.



그리고 우찌무라 간조의 대학재학시절에 크리스천 친구들과 함께 성경에 대해서 공부하고 믿음의 조상들이 남긴 책들을 함께 읽고 그것들에 대해서 나누는 그 모임이 참 보기 좋았다. 개인적으론 청년의 시절을 보내고 있는 나에게 신선한 자극을 주었다. 주님을 주제로 모이는 모임이 얼마나 풍성하고 행복하고 축복인지 알게 되었다. 특히 재미있었던 부분은 친구들과 두 그룹을 만들어서 각각 기독교인 비기독교인의 입장을 대표해서 이야기 해보는 시간등은 참 신선했다.



우리들이 만든 작은 교회는 전적으로 민주적이어서 모든 사람들의 교회 직분이 동일했다. 우리는 이것이 철저하게 성경적이며 사도적인 관점이라고 보았다. 지도자의 역할을 돌아가면서 맡았는데, 그날의 지도자는 하루 동안 우리의 목사요, 신부여, 선생이요 심지어는 종이었다.



그리고 그의 일기 중에서 마음에 와 닿은 부분들도 많았는데 아래와 같다. 그가 쓴 일기들을 보면서 매일 매일 내가 교제하는 하나님을 일기를 통해서도 찬양할 수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이렇게 자연스럽게 습관으로 또 드러나는 게 아닐까?



어느 날 일기

기독교인의 기도는 하나님의 특별한 중재로 자신의 욕망을 채워 주기를 바라는 단순한 요청이 아니다. 그것은 참으로 영원하신 성령과의 교제를 통해서 이미 하나님의 마음 속에 가지고 계신 그 뜻을 우리로 기도하게 하는 것이다. 내 영혼이여 항상 선한 것을 의도하시는 그 분의 뜻에 그대의 뜻을 맞추어라.



어느 날 일기

주께서 나를 치신다 할지라도 나는 즐거워할 것입니다.

나는 비록 죽어도 하나님의 뜻은 확실히 이루어질 것입니다.

헌신된 영혼은 자기 자신의 성공을 기뻐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이 영화롭게 되는 것만을 기뻐합니다.



일본의 한 하급 사무라이의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란 우찌무라 간조. 그는 청년의 시기에 주님을 만나 자신의 죄인 됨을 고백하고 주님과 교제하며 여생 동안 배운 것을 실천하며 살아갔다. 그가 가진 솔직한 생각과 고민들을 읽으면서 많이 동감했고, 평소에 말로 잘 표현하지 못했던 것들을 우찌무라 간조가 속 시원하게 긁어주는 느낌을 특히 많이 받았다. 아무래도 같은 동양의 문화권에서 있었기 때문에 그가 그리스도인이 되면서 느꼈던 부분들이 나에게도 와 닿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쉽진 않겠지만 우찌무라 간조가 한 것처럼 나의 삶을 통해서 만나게 될 나의 주님에 집중하며 그를 통해 배운 것을 용기 있게 실천하며 살 수 있는 용기와 희망 그리고 위로를 이 책을 통해서 받았다.

   

참된 기독교는 무엇인가? 진리는 생명처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다. 오직 진리를 따를 때에만 진리를 알 수 있다. 쪼개고 따지고 장황하게 늘어놓는 건 오히려 진리를 진리답지 못하게 만든다. 확고하게 제 자리를 지키고 서있는 진리로 인간이 다가가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