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9

Gilbert Durand - Wikipedia The Anthropological Structures of the Imaginary

Gilbert Durand - Wikipedia

Gilbert Duran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Gilbert Durand
Gilbert Durand.jpg
Gilbert Durand
Born1 May 1921
Chambéry, France
Died7 December 2012 (aged 91)
Moye, France
Era20th-century philosophy
RegionWestern philosophy
InstitutionsGrenoble-II
Doctoral advisorGaston Bachelard
Main interests
AnthropologySymbologyDepth psychologyHistory of religion
Influences

Gilbert Durand (1 May 1921, Chambéry – 7 December 2012, Moye) was a French academic known for his work on the imaginarysymbolic anthropology[1] and mythology.[2]

According to Durand, Imagination and Reason can be complementary. He defended the status of the image, traditionally devalued in Western thought, particularly in French philosophy. He advocate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e distinguished between two regimes : Diurnal and Nocturnal, to classify symbols and archetypes.

Biography[edit]

During World War Two he joined the French Resistance in the Vercors.

He began his career by teaching philosophy in the secondary school system from 1947 to 1956 (philosophy is taught in France at high school level), and then became a university professor of Sociology and Anthropology at the University of Grenoble II.

Gilbert Durand was the co-founder — with Léon Cellier and Paul Deschamps in 1966, — and the director, of the Centre de recherche sur l'imaginaire[3] and a member of Eranos. In 1988 he found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view Les Cahiers de L'imaginaire.

He was a follower of Gaston BachelardHenry Corbin[4] and Carl Gustav Jung and the teacher of Michel Maffesoli. Gilbert Durand gained a worldwide notoriety and his Center is currently the small group of an international network of over sixty laboratories. In his most famous work,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1960), he formulated the influential concept of the anthropological trajectory (sometimes translated anthropological dialectic or anthropological course),[5] according to which there is a bijective influence between physiology and society.[6][7]

In 1984, Gilbert Durand supervised the thesis by Michel Gaucher on L'Intuition astrologique dans l'imaginaire (Université Grenoble II).

In 1991 a special colloquium organized by Michel Maffesoli was held in his honour at the prestigious Centre culturel international de Cerisy-la-Salle.

On 14 March 2007, in Chambéry, Durand was raised to the title of Commander of the Légion d'honneur, which was bestowed on him by a personality of his choice, in this case Raymond Aubrac on behalf of the President (as is customary).

Durand died on 7 December 2012.[2]

Bibliography[edit]

  •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Paris, Dunod (first edition, Paris, P.U.F., 1960).
  • Le Décor mythique de la Chartreuse de Parme, Paris, José Corti (1961)
  • L'Imagination symbolique, Paris, PUF (first édition in 1964).
  • Sciences de l’homme et tradition. Le nouvel esprit anthropologique, Paris, Albin Michel (first ed. Tête de feuille-Sirac, Paris, 1975).
  • Figures mythiques et visages de l’œuvre. De la mythocritique à la mythanalyse, Paris, Berg International, 1979.
  • L'Âme tigrée, Paris, Denoël, 1980.
  • La Foi du cordonnier, Paris, Denoël, 1984.
  • Beaux-arts et archétypes. La religion de l'art, Paris, P.U.F., 1989.
  • L’Imaginaire. Essai sur les sciences et la philosophie de l'image, Paris, Hatier, 1994.
  • Introduction à la mythodologie. Mythes et sociétés, Paris, Albin Michel, 1996.
  • Champs de l’imaginaire. Textes réunis par Danièle Chauvin, Grenoble, Ellug, 1996.
  • Les Mythes fondateurs de la franc-maçonnerie, Paris, Dervy, 2002.
  • With Simone Vierne, Le Mythe et le Mythique, Paris, Albin Michel, 1987.
  • With Sun Chaoying, Mythes, thèmes et variations, Paris, Desclée de Brouwer, 2000.
  • Imagens e Reflexos do Imaginário Português, Lisbon, Hugin Editores, 2000. New Ed. with the addition of his correspondence with Lima de Freitas, under the title: Portugal - Tesouro Oculto da Europa, Lisbon, Ésquilo, 2008.

References[edit]

  1. ^ Wouter J. Hanegraaff Esotericism and the Academy: Rejected Knowledge in Western Culture Quotation:

    the scholar of symbolic anthropology Gilbert Durand

  2. Jump up to:a b Staff (10 December 2012). "Décès de Gilbert Durand, résistant et anthropologue de l'imaginaire" (in French). Le Soir. Retrieved 11 December 2012.
  3. ^ Centre de recherche sur l'imaginaire (CRI) Archived 2012-07-21 at archive.today
  4. ^ Gilbert Durand, "La pensée d'Henry Corbin et le Temple maçonnique", Travaux de la loge nationale de recherches Villard de Hoonecourt, 3, 1981, pp. 173–182
  5. ^ Michel Maffesoli (1996) The emotional community : research arguments in The time of the tribes: the decline of individualism in mass society p. 23, 30n. Also published in Gelder, Ken (2005) The subcultures reader
  6. ^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1960) quotation:

    genèse réciproque qui oscille du geste pulsionnel à l'environnement matériel et social, et vice versa

    English translation:

    ..there is a reciprocal genesis which alternates between the drive-motivated gesture and the materi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vice versa

  7. ^ Durand (1964) L'Imagination symbolique quotation:

    Le « trajet anthropologique » peut être suivi dans le sens : physiologie -> société, ou au contraire : société -> physiologie. ... il n'ya aucun lien de cause à effet.

Further reading[edit]

  • Dominique Raynaud, Architectures comparées: essai sur la dynamique des formes, 1998, pp. 11–2.
  • Maffesoli Michel (ed.), La Galaxie de l’imaginaire. Dérive autour de l’œuvre de Gilbert Durand, Paris, Berg international, 1980.
  • Pachter Michèle, Gilbert DurandSociétés, vol. 1, no 4, juin 1985.
  • Durand Jean-Pierre & Robert Weil, Sociologie contemporaine, Paris, Vigot, 1993, pp. 212–215.
  • Godinho Helder, « Gilbert Durand » in Thomas Joël (ed.), Introduction aux méthodologies de l'imaginaire, Paris, Ellipses, 1998, pp. 140–149.
  • Cabin Philippe, Une cartographie de l’imaginaire : Entretien avec Gilbert DurandSciences humaines, janvier 1999.[1]
  • Patrice Van EerselLe retour des dieux. Entretien avec Gilbert DurandNouvelles Clés, 30, été 2001, p. 54-59.[2]
  • Bertin Georges, Pour l'Imaginaire, principes et méthodesEsprit critique, vol. 4 n°2, Février 2002[3]
  • Xiberras Martine, Pratique de l'imaginaire. Lecture de Gilbert Durand, Laval, Presses de l'Université Laval, 2002.

External links[edit]

  1. ^ Propos recueillis par PHILIPPE CABIN (2011-06-15). "Une cartographie de l'imaginaire". Scienceshumaines.com. Retrieved 2012-12-11.
  2. ^ [1] Archived January 12, 2009, at the Wayback Machine
  3. ^ [2] Archived October 12, 2008, at the Wayback Machine


Gilbert Durand
The Anthropological Structures of the Imaginary


Extracts
 This book's main page
 Boombana Home
 Catalogue

END

From the Author's Foreword
From the Translators' Foreword
From the Author's Foreword
This book, which is about to go into its twelfth edition in France, was first published thirty years ago. Translated in many languages (Italian, Portuguese, Spanish, Roumanian, Polish, Korean, Brazilian, Japanese, Chinese) it has been, through a combination of unlucky events, inaccessible until now to the English-speaking world.

Today's readers, however, will find the propositions and theses here expounded far from obsolete. They have in fact been confirmed by numerous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the sciences. We pointed out these convergences in the various Prefaces added over the years to the original work, which this Foreword simply wants to summarise.

In 1969, on the occasion of the third edition, we emphasised the agreement of our 'figurative structuralism' with the position of Stéphane Lupasco who suggested the need for a change in logic if the most recent scientific data were to be understood. We saw the imaginary, more than ever, as constituting the dynamic spiritual and intellectual capital of homo sapiens. We saw imagination as the common denominator of all human thought, and an earnest study of its field as an indispensable cure to the paralysing effects of the compartmentalisation of the university 'disciplines', the 'methods' of which had become scientifically incoherent, thus creating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pluridisciplinarity. This position was resoundingly confirmed by the UNESCO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rdisciplinarity in Paris in April 1991 (proceedings published under the title Entre savoirs: l'interdisciplinarité en acte: enjeux, obstacles, perspectives, Eres, Toulouse, 1992).

In the sixth French edition in 1980, we noted that the systemic pluralism at the origin of our empirical gathering of data had been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confirmed by the progress of science over the last twenty years. We hailed the victory of the 'New Anthropological Spirit', originating in the New Scientific Spirit (celebrated in its time by my mentor, Gaston Bachelard), and the convergence with the Lupascian topic that we had adopted of ground-breaking research from very diverse scientific horizons, namely the work of historians of religion (Mircea Eliade, Georges Dumézil and Henry Corbin), that of depth psychologists (such as James Hillman), and work in the 'hard' sciences such as Bertalanffy's systemics, F. Jacob's biology, René Thom's mathematics. At the same time, our research and our theses were being confirmed and developed in the numerous Centres of Research on the Imaginary originating from the 'mother house', the CRI of Grenoble founded in 1966 (CNRS GRECO in 1981). Finally, work in ethology by people such as Spitz, Kayla and Portmann, leading up to the awarding of the Nobel Prize for Medicine (1973) to K. Lorenz, N. Tinbergen and E. von Frisch, had splendidly validated and developed the pioneering work of Russian reflexology on which our theses were based.

The Preface of the tenth edition three years later (1983) emphasised the coherence of our theories with the 'Great Change', then clearly being signalled in all sciences. Since 1979 -- the date emblematically marked by the famous Cordoba Colloquium -- the hitherto incompatible 'two readings of the universe', that of the sciences and that of other spiritual endeavours, tended to coalesce -- fusing Bachelard's two great loves: science and poetry. Scientists, like the American physicist G. Holton, discovered that the sciences, and even the most up-to-date physical sciences -- that of Einstein or Niels Bohr -- were modeled and defined in their essential directions by important 'themata' closely related to our ideas of the Imaginary's 'verbal schemata'. The different notions of space/time that we had intuited when contrasting the two 'Orders of the image', and that we had been exploring (under the heading of 'semantic basin') using as a framework moments of great socio-cultural change, were discovered anew by many scholars who attributed various names to them. The Anglo-Saxon biologists Waddington and Sheldrake called them 'causative agents' or 'chreodes', while the mathematician René Thom used the terms 'logos' and 'morphogenetic fields', and the French historian Braudel theorised the idea of well-defined 'longues durées' underpinning the events of history and 'economies/worlds' in socio-cultural spaces. In turn, the English physicist David Bohm substituted for the old idea of 'explanation', that of 'implication' closely related to the old alchemical ideas (adopted by Schelling and Jung) of the Unus Mundus. Clearly, such groupings of discoveries and conceptualisations extinguished the 'pure reason' of Aristotle, inherited by Kant. In contemporary physics space was no longer a homogeneous field of separabilities (Feynman, d'Espagnat) and time was no longer considered to be irreversible (A. Aspect, O. Costa de Beauregard, A. Sakharov). What we had defined in our book as the ambivalence of the 'anthropological dialectic' -- that is, the symmetry of causative chains originating equally in the psychological and in the socio-cultural -- was confirmed by recent scientific developments. Such a radical and profound epistemological revolution, upsetting as it does the binary logic of the 'excluded middle', necessarily subverts the bases of the old ethnocentric Western philosophy, just as had been foreseen by physicists such as F. Capra or E. Schr&otrem;dinger, and as was affirmed by Niels Bohr or R. Ruyer, or confirmed in philosophy by Edgar Morin, M. Beigbeider and J. J. Wunenberger.

The 1991 Colloquium at Cerisy-la-Salle, which brought together specialised researchers from fourteen countries, and which was devoted to our work, confirmed the continued relevance and fecundity of our analyses. There are at present approximately fifty Centres of Research on the Imaginary throughout the world. English-speaking researchers will find that the theses proposed here are receiving ever-increasing confirmation from the totality of the epistemological, logical and philosophical currents which constitute our age and its 'real presences', as George Steiner calls them. We are sure that this book will be of benefit to researchers in many fields and we hope that it will entice some of them to pursue research in the areas of mythocriticism and mythanalysis . . .

Gilbert DURAND


From the Translators' Foreword
Our decision to translate this work coincides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in the conceptualisation of the human imagination -- already a rich tradition in French philosophical thought. Our use of the word 'imaginary' in the English title acknowledges the introduction of the word and concept into English. In the latest edition of the Penguin Dictionary of Philosophy, we read the following:

Imaginary 1. adj. pertaining to the imagination; fictitious. 2. n. As a noun, the word is a recent import from the French and bears the traces of a long history of theorisation about the imaginary within French philosophy, aesthetics, literary theory, cultural anthropology and psychoanalysis.
The term has been in common use at least since the Surrealists, with reference to all kinds of imagined or invented meanings. It is a key concept in work as diverse as that of the cultural anthropologist Gilbert Durand and that of the philosopher Michele Le Doeuff. Its recent history also owes much to the work of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 and critics such as Luce Irigaray and Cornelius Castoriadis.
[...] Gilbert Durand, a disciple of Bachelard, adopts an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in order to undertake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he human imaginary.
Durand's book deals with the structure of the human imaginary, within which it establishes a typology of figures, organised structurally according to several central archetypes and focussing on man's subjective experience of space and ultimately time. Durand is a disciple of Gaston Bachelard and his work can be seen to some extent as a continuation and formalisation of the intuitions of that great French philosopher. The complex structural synthesis which Durand has evolved uses as its basis aspects of the Russian Bechterev's reflexology and Jung's notion of archetypes. It uses as material for its demonstration the Bechterevian notion of dominant human reflexes (postural, digestive, sexual) and examples taken from important world myths.

Written at the height of the Structuralist vogue, the book belongs, as its name indicates, to that tradition. It has not dated, however, because it does not leave itself open to the same criticisms -- the refusal to incorporate change and the diachronic perspective -- as does the work of certain other Structuralists. The protean nature of the image is at the heart of Durand's thought and the binary structural base he posits is dynamised at the outset by the possibilities of the ternary, which he incorporates in his model. Thus he postulates two main Orders of image, the diurnal and the nocturnal, corresponding to two general types of imagination. The Diurnal Order is characterised as diaeretic, whereas within the Nocturnal Order are to be found two subgroupings: the synthetic and the mystical. These categories are underpinned by the reflex dominants.

In France, Durand's work is well known to scholars in the areas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sociology, history of religions and anthropology.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however, because of the language barrier, his work tends to be known only to literary scholars in the area of French Studies. In translating this book into English we have sought to make this rich and fascinating work available to the full range of Anglophone scholars who could profitably read it . . .

Margaret SANKEY(E-mail)
& Judith HATTEN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질베르 뒤랑 (지은이),
진형준 (옮긴이)문학동네2007-08-31

원제 : Les Structure Anthropologiques De L'lmaginaire (1960년)
====

책소개


거대하고 종합적인 인류학의 체계를 확립한 프랑스 인문학자 질베르 뒤랑의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받는 책. 문학과 예술비평 분야를 포함해 철학, 인류학, 사회 이론, 심리학, 종교사를 모두 아우른 신인류학의 기틀을 마련한 저작이자 상상력 연구의 고전적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지은이 뒤랑은 이 책에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라는 이름으로 인간에 대한 보편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합리주의의 이름하에 평가절하 되어왔던 상상력은 바로 그러한 틀을 제공하는 인간 인식의 불변적 토대이다. 인간은 구체적 작품(표현)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으며 인간의 구체적 작품은 모두 상상력의 소산이라고 그는 강조한다.

'이미지의 낮의 체제', '이미지의 밤의 체제', '초월적 환상을 위한 요소들' 등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대의 신화로부터 현대의 예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이룩한 온갖 상상력의 산물들을 구체적으로 참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표현, 즉 광기의 표현까지도 탐사의 대상으로 삼아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상상하는 동물'로서 인간의 의미에 대한 깊이있는 탐구를 보여주는 책이다.


목차
서문<제10판&rt;


서론
"서푼짜리" 이미지
상징과 동기부여
수렴적 방법과 방법적 심리주의
인류학적 요청, 구도와 용어


제1권│이미지의 낮의 체제

제1부 시간의 얼굴들
제1장 동물의 모습을 한 상징들
제2장 밤의 형태를 한 상징들
제3장 추락의 형태를 한 상징들

제2부 홀과 검
제1장 상승의 상징들
제2장 빛나는 상징들
제3장 분리의 상징들
제4장 상상계의 낮의 체제와 분열 형태적인 구조들


제2권│이미지의 밤의 체제

제1부 하강과 잔
제1장 도치의 상징들
제2장 내면의 상징들
제3장 상상계의 신비적 구조들

제2부 은화에서 지팡이로
제1장 순환의 상징들
제2장 리듬의 구도에서 진보의 신화로
제3장 상상계의 종합적 구조와 역사의 스타일
제4장 신화와 의미화

제3권│ 초월적 환상을 위한 요소들

제1장 원형의 보편성
제2장 공간, 상사아력의 선험적 형태
제3장 완곡화의 초월적 구도론

결론

상상계의 동위적 분류도
본문에 인용된 저술들
옮기고 나서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상상계는 수동적 부대 현상이나 무화이거나 지나간 과거에 대한 헛된 성찰이 아니다. 상상력은 스스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창조적 활동임을 보여주며 이 세상을 완곡화해서 근본적으로 변화 시킨다. 그리고 그렇게 변화한 세상은 '성스러운 지성<intellectus sanctus&rt;'이 되고 가장 최선의 질서를 지니게 된다. 객관성은 우리가 갈증을 느끼는 순간들에 이정표를 세우고 그것들을 잘게 잘라놓는다. 시간은 우리가 절망적으로 갈망하는 충족의 순간을 끊임없이 지연시킨다. 반면에 상상된 공간은 매 순간 자유롭게 그리고 즉각적으로 존재의 지평과 희망을 영원 속에서 재건립한다. 상상계는 우리의 의식이 궁극적으로 의지하는 존재이며, 영혼이 살아 있는 심장이다.  접기



추천글


저자 및 역자소개
질베르 뒤랑 (Durand, Gilbert) (지은이) 

1921년에 태어나 2차 대전에 참전, 레지스탕스 운동으로 레종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47년 철학과 교수 자격, 1959년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그르노블 대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교수를 역임. 1966년 이후 사브와 대학 상상력 연구소와 <상상력 연구>지를 주관.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신화방법론 서설> 등 다수의 저술을 통해 신화 비평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작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상징적 상상력>,<신화비평과 신화분석> … 총 12종 (모두보기)


진형준 (옮긴이)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익대학교 문과대학장, 세계상상력센터 한국 지회장, 한국상상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문학평론가이자 불문학자 그리고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으로서 한국이 주빈국이던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이런 활동의 연장선에서 생각하는 힘: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시리즈를 기획하여 출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프리메이슨 비밀의 역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더보기
최근작 : <위기를 비웃어라>,<공자님의 상상력>,<상상력 혁명> … 총 178종 (모두보기)


질베르 뒤랑(지은이)의 말

우리는 역설적인게도 가스통 바슐라르의 신과학 정신과 상상계의 현상학 덕분에 바슐라르 이후의 국면에 들어오게 되었다. 우리의 이 책은 4반세기 전에 그러한 커다란 변화를 의식하지도 못하면서 그 변화를 명확히 해놓은 셈이다. 그러니 결국 '결과'가 - 이 경우 그것은 경험적인 연구였고 거의 철저하게 상상계의 조율에 입각한 것이었다 - 학문의 온갖 지평들에서 나타난 이론들이 크게 합류하게 될 것을 예비한 셈이니 여러 지평에서 나온 이론들은 나름대로의 공식, 때로는 자신만의 수학적 공식을 가지고 융, 엘리아데, 바슐라르, 그리고 나 자신의 경험적 탐구의 '원인' 역할을 한 셈인 것이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거대하고 종합적인 인류학의 체계를 확립한 프랑스 인문학자 질베르 뒤랑의 기념비적 저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이 1960년 프랑스에서 초관을 선보인 이래 거의 오십여 년 만에 드디어 우리나라에서도 출간되었다.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은 문학과 예술비평 분야를 포함해 철학, 인류학, 사회 이론, 심리학, 종교사를 모두 아우르며 신인류학의 기틀을 마련한 뒤랑의 대표적 저작이자 상상력 연구의 고전.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라는 이름으로 인간에 대한 보편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하는 이 작품은 그 내용의 난해함과 방대한 분량으로 인해, 중도에 번역자가 교체되는 등 온갖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96년 번역 출간 계약을 체결한 지 11년 만에야 비로소 빛을 보게 되었다. 국내 상상학자들의 숙원 사업이었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번역한 홍익대학교 불문과 진형준 교수는 3년여에걸친 번역, 편집 작업을 통해 선보이는 이 책에 대해 "이미지 상상력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인 모두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책을 우리가 하나 가질 수 있게 되었다"며 그 기쁨과 소회를 밝히고 있다. 접기
====
출판사 리뷰

상상력에 입각한 총체적 신인류학의 탄생
바슐라르가 상상력 연구의 갈릴레이라면, 뒤랑은 코페르니쿠스다!
상상력의 절대성 및 자주성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볼 때, 뒤랑은 바슐라르의 연장선상에 있다. 우리는 바슐라르를 통해, 서구 정신사에서 ‘오
류와 거짓의 원흉’으로 점 찍혀왔으며 심지어는 ‘영혼에 대한 범죄’라는 낙인까지 찍혔던 상상력이, 사실은 객관적 합리주의에 물든 영혼의 소
외를 막아주는 수호천사이며, 상상력이 이루는 세계 또한 과학의 세계만큼 현실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을
세계와 연결시키고 나아가 신의 위치에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상상력의 역동적인 힘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뒤랑은 철저히 바슐라르의 뒤를
잇고 있으나, 바슐라르의 현상학이 시의 현상학에 국한된 점, 또한 바슐라르가 과학의 축과 상상력의 축을 엄밀히 구분한 점에 불만을 품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그에 의하면 상상력과 과학의 축은 엄밀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폭넓은 상상적 기능 속에서 통합되는 것이다.
즉 과학적 진실은, 상상력이 보여주는 현실과 다른 축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인 것의 총체적 구조 속의 한 부분에 불과할 뿐인 것이
다.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은 바로 이 상상력에 입각한 총체적 인류학의 구조를 세워보겠다는 야심의, 실증적 작업의 결과이다.
뒤랑의 이런 시도는 학제 간 교류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다. 인간의 공통적 특성인 상상력을 제반 학문
들을 연결시키는 접합제로 작동시켜 동시에 모든 학문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1966년 뒤랑에 의해 창설된 그르노블의 상상
력 연구소는 처음부터 인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새로운 상상계 연구를 표방했다. 현재까지도 ‘상상계 연구소’라는 기치 아래 전 세계의 문학,
사회학, 인류학, 종교학 등 모든 분야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분야에서 상상계를
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들은 처음에는 독자적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었지만 이제는 서로 긴밀한 연락망을 구성하여 학문의 경계를 넘어
서는 거대한 상상계 연구 조직을 형성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이는 상상력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구체적이고 한정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졌
던 반면에, 최근에 들어서는 어느 한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적인 상상력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사실의 반증이기도 하다.
한국상상학회를 이끌고 있는 진형준 교수는 국내 상상학자들의 숙원 사업이었던 이 책의 번역을 마치며, 과정은 힘들었지만 이 책이 출간됨
으로써 우리도 현대인 모두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책을 하나 가질 수 있게 되었다고 그 소회를 밝혔다.
인류의 존재 안에서 찾아낸 상상계의 질서!

뒤랑은 호모사피엔스로서의 인류의 특질 자체에서 상상계의 근거를 찾는다. 다른 무엇보다 다양한 ‘몸짓’들이 인류에게 가장 근원적이라는 결론에 이른 그는,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몸짓(자세 지배반사), 영양을 섭취하기 위한 몸짓(영양 섭취 지배반사), 성적인 몸짓(짝짓기 지배반사) 등 인류의 세 가지 기본 몸짓을 정리한다.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상상계의 법칙으로 ‘분열형태 구조’ ‘신비 구조’ ‘종합 구조’라는 상상계의 기본 도식을 세운다.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에 대한 뒤랑의 탐구는 동시에 두 방향으로 행해진다. 하나는 형식적인 구조면에서의 논리라든가, 상상계가 가진 길항관계 혹은 융합관계 같은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 상상계에 존재론적인 가치와 정감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 정감적 가치는 공격적 요소라든가 융합적 통합을 추구하는 요소를 다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관점에서 뒤랑은 상상계를 커다란 두 체제로 분류한다. 뒤랑에 의하면 인간은 죽음을 의식하는 유일한 동물이다. 그리고 바
로 그 죽음에 대한 의식이 인간 상상력의 출발이다. 상상력의 낮의 체제는 죽음의 공포를 극대화하고 과장하여 결국은 죽음을 퇴치하는 상상
력의 영역이다. 그 체제에서는 근본적으로 대립의 상상력이 작동하며 영웅적 모험, 분리, 정화의 의식과 악과 괴물을 퇴치하는 전투적 무기들
이 만들어진다. 밤의 체제는 죽음의 공포의 완화를 통해 죽음을 극복하는 상상력으로 이루어진다. 신비적 구조와 종합적 구조의 둘로 나누어
지는 밤의 체제는 가치전도, 순환 등의 상상력을 통해 낮의 체제에서는 부정적인 가치가 부여되었던 것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모순되
는 것이 공존하기도 한다. 상상력의 낮의 체제는 반어법의 세계이며 모순어법의 세계이다. 뒤랑의 상상계의 구조는 이 모든 것을 다 포함한
다.

뒤랑, 웅대하고 심오한 상상계의 원형을 파헤치다!
뒤랑은 자유로움을 그 특징으로 하는 ‘상상력’과 일정한 틀을 갖춘 ‘구조’라는 개념을 결합시켜 “상상계의 구조들”이라는 개념을 만듦으로써,
인간의 상상력은 무한히 자유로운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커다란 축을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상상계의 구조들”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틀을 세우되 그것이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하는가를 동시에 고찰한다. 그는 단수의 ‘구조’가
아니라 복수의 ‘구조들’의 관계를 살핌으로써 자신이 제시한 상상계의 틀에 역동성을 부여한다. 그는 인간이 이룩한 문명의 이름으로 포유동
물로서 인간이 지닌 생물학적 특징을 지워버리는 인류학이 아니라, 인간이 지닌 모든 특질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류학을 설립하였다.
인간에 관한 한 그 어느 것도 낯설지 않다는 관점에서 설립한 인류학만이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 그는 서구적인 관점에서 설립된 기
존 인류학의 편협성을 비판하면서 객관과 주관, 역동성과 정태성, 불변적인 것과 가변적인 것을 두루 포함하고 종합하는 인류학을 설립한다.
따라서 그의 인류학적 구조들은 우리의 일상, 하찮아 보이는 우리의 행동과 사고, 더 나아가 우리의 광기까지도 그 안에 포함하는, 인간 존재
의 방대함과 섬세함을 있는 그대로 반영한다. 다시 말해 인간에 관한 모든 학문을 종합하는 구조들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뒤랑을, 지
동설을 하나의 체계로 정립한 코페르니쿠스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인류학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중심에 상상력이 있고 신화가
있는 것이다.

인간 정신의 원형을 찾아나선 호모사피엔스의 인류학적 도정!
이 책에서 뒤랑은 상상계는 다양한 인류학적 동기부여들을 모두 포괄하는 복수의 원형들로 구성되는 영역이므로 호모사피엔스를 연구하는
여러 학문들의 집합으로서의 인류학이 제시하는 길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인류학적 도정이라 이름붙인 이 과정은 상상계의 차원에
서 주관적·동화적 충동들과 우주적·사회적 환경으로부터 비롯되는 객관적 요청들 사이에 존재하는 끊임없는 교류 과정을 일컫는다.
뒤랑은 “상상력은 이미지들을 형성하는 능력이 아니라 지각이 제공하는 실제적 복제물들을 변형하는 역동적 힘이고, 이것은 정신적 삶 전체
의 기초가 된다”는 바슐라르의 말을 인용하면서 근원적인 범주들을 움직임의 비유에서 찾고자 했다. 또한 베흐테레프의 반사학에서 분류의
원칙과 “지배 몸짓”의 개념을 차용한다. 뒤랑은 자세 지배소, 섭취 지배소, 소화 지배소를 원동 감각적 모태로 간주하며, 그 속에서 재현들이
자연스럽게 통합된다고 가정한다. 지배반사가 표상과 원형, 상징에 이르면서 발생과 쇠퇴를 거듭하는 인류학적 도정에서 표상과 원형, 상징
을 연결해주는 것이 신화이다. 신화는 담론적 성격과 반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 그 자체로 ‘종합적인 구조’를 품는 동시에 상상계의 전 구
조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인간 상상계의 집합소이기도 하다. “신화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정복되어 낙원의 모험으로 변형된 죽음과 화해
하려는 포괄적인 노력이며 바로 그것이 모든 위대한 신화들의 궁극적 의미”라고 뒤랑은 말한다.
상상계는 반사의 순수 동화와 객관적 실재에 대한 의식의 전적인 적응 사이에서 인간 정신의 정수, 즉 죽음이라는 객관적 세계에 대항하여 생
생한 희망을 세우려는 인간 존재의 노력을 구성한다. 그러한 도정에 의해 각각의 체제에 따라 구도들과 원형들과 상징들이 쌓이고 그것들이
구조들로 조율된다. 또한 이러한 범주들은 이미지들의 동위성, 별자리와 신화적 이야기로 모양을 형성한다.
한편 그는 상징체제를 ‘낮의 체제’와 ‘밤의 체제’로 광범위하게 나누는 이분법을 채택하였다. ‘낮의 체제’에서는 객관적으로 이질화를 지향하고
주관적으로는 동질화를 지향하는 모티브가 주어진다. 한편 ‘밤의 체제’는 구별에 입각한 낮과 태양의 세계보다 논쟁적이지 않고 공격적이지
않으며 그 마음은 행복과 화해를 향해 있다.
홀과 검의 원형으로 상징되는 ‘낮의 체제’는 기본적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의 과장과 그 과장된 공포의 퇴치를 지향하는 상상력으로 이루어진
다. 그러므로 낮의 체제는 분열적이고 전투적이며 영웅적이다. 정신의 밤의 체제에서는 인간 존재가 불가피하게 가질 수밖에 없는 ‘시간의 흐
름’이라는 공포를 싸워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받아들이고 살아냄으로써 극복한다. 상승을 통해 어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친
밀한 곳으로 깊숙이 ‘하강’함으로써 평온을 되찾고자 한다. 인간은 어머니의 자궁 같은 친밀하고 따뜻한 영역에 침잠함으로써 삶과 시간의 흐
름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한다. 또한 달의 순환과 반복에서처럼 리드미컬한 시간의 무한한 반복을 강조하면서 시간을 극복한다. 이런 마음은
낮의 이미지와 밤의 형상들이 혼합되어 있는 종합적이고 극적인 우주론까지 이르게 된다.
이 책이 보여주는 인류의 위대한 상상력의 산물들은 단순히 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목록이 아니다. 그것은 상상력의 이름으로 재조명된 인간
의 모든 작품들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인간 상상력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길을 열 수 있다. 우리가 맞이한 ‘이미지 상상력의 시대’는 단순한 연대기적 시대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과 우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는 시대이다.
이미지 상상력의 시대를 일반인들은 시대적 현상의 하나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상상력을 중시하는 사회가 되었다는 것은 인간과
사회와 자연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상상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다원주의, 환경주의, 페미니즘 운동
등 현 사회의 새로운 여러 경향들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성찰하게 한다. 그리하여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은 인간과 인간의 사회들을 모두 인
간이라는 이름으로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인간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추천평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은 지식인 세계에서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프랑스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고전의 반열에 오
른 이 작품이 번역 출간됨으로써, 문학과 예술비평 분야를 포함해 철학, 인류학, 사회 이론, 심리학, 종교사 분야의 독자들은 지난
40년간 신비의 베일에 싸여 있던 이 저작을 마침내 (안타깝게도 이제야) 접할 수 있게 되었다.……『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은 한편으로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특별한 박학다식함의 종합이라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이론적 깊이와 통찰력 있는 분석이
라는 측면에서 매우 놀라운 저작이다. (1999년 영어판 출간 당시)
- 존. P. 클라크 (미국 뉴올리언스 로욜라 대학 철학과 교수)



====
평점 분포
    7.5
===
구매자 (3)
전체 (3)
공감순 
     
잡상식으로 알았던 내용들의 정리판?글쓴이의 편견도 약간 엿보임..  구매
세라피스 2009-11-03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신화의귀환을알린뒤랑의대작이다/융의사상과바슐라르의철학을집대성한작품으로상상력과신화의철학적의미를집요하게판저술이다/시적문체로이렇게방대하면서도깊은정보를완벽하게담은사례를보기힘들다/타로를연구하다가탐독하게된이책은가치를매길수없는보물이다/사대와오행을공부하는이라면심오한환희로  구매
게라심 2014-12-08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좋은 책입니다  구매
mjua2630 2007-11-13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내공이 부족한 탓인가?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사 놓은지 꽤 오래 되었다. 하루가 지루할 찰나에 꺼내어 읽었더니 나름데로 호기심이 가는 대목이 있었다. 인류의 상상력이 이미지와 결합되어져 나타나는 것을 현상학적으로 규명하여, 밤과 낮의 체계로 한것은 훌륭한 대목이다.

이 책에 대해서 이정도만 언급하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난 깊은 회의에 빠졌다. 자연속의 인간과 시간과 공간의 축적된 역사속에 살아가는 구체적인 인간상은 이 글에서 찾아본다는 사실상 힘이 들다. 작자는 상상력이야말로 인간의 존재의 실현을 이야기한다고 한다. 그러한 상상력의 근원을 정신분석적인 견해에 근거하여, 사회의 여러 현상들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한다.

내가 보기에 이렇나 저자의 작업은 혼란 스러운 시대에 인간의 존재를 상상력에서 근거하고 싶은 욕망에 근거하고 있는것 같다. 존재에 대한 의미를 자신의 내부를 깊이 파고 들어가, 데카르트의 이성적 회의를 상상적 회의로 바꾸어 놓는 것을 통하여 그 자신의 풍부한 담론을 신화와 전설들과 함께 연결하여 정당화 시킨다고 생각한다.

결국 이러한 신화적 상상력은 사람의 내부적인 심리적인 묘사로 더욱 기울어지는 것을 통하여, 탈사회적이고, 탈 역사적인 측면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는것 같다. 20세기와 21세기를 지나면서, 혼란의 시대에 사람들은 자신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환경을 벗어나서, 자신의 내부에서 그 무엇인가의 자유로운 세계를 건설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유토피아를 현실의 세계에서 구축할 수 없다는 절망감이 이러한 책들을 만들어 내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잇닿는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이 더욱 고양된다는 느낌보다는 의미가 상실되어지고, 허무가 더욱 내 마음을 깊이 물들어 버린다는 사실에 더욱 힘겹기만 하다.

- 접기
minority 2008-05-31 공감(10) 댓글(0)
Thanks to
 
공감













깨달음의 교학적 의미 / 김성철 < 논단 < 기사본문 - 불교평론

깨달음의 교학적 의미 / 김성철 < 논단 < 기사본문 - 불교평론



깨달음의 교학적 의미 / 김성철
기자명 김성철
입력 2008.12.07


1. 들어가는 말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한다. 在家者든 出家者든 깨달음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신행생활을 한다. 그런데 막상 ‘무엇이 깨달음이냐?’고 물을 경우 우리는 당황하게 된다. 과거 러시아의 大 불교학자 Stcherbatsky조차, ‘불교라는 종교가 근본적으로 무엇을 가르치는지, 또 그 철학이 무엇인지 여전히 오리무중에 있다’고 토로할 정도였으니, 일반 불자들이 느끼는 혼란은 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현재 전 세계 불교권은 남방상좌부의 소승불교권(Hīnayāna)과 동아시아의 대승불교권(Mahāyāna), 그리고 티베트의 금강승불교권(Vajrayāna)으로 삼분된다. 인도불교의 전파시기에 의거하여 이 세 지역의 불교권을 비교하면, 소승불교권의 경우 서력 기원 전의 인도불교가 전파되었고, 대승불교권에는 서력 기원 후부터 8세기까지 대승활동기의 인도불교가 전파되었으며, 금강승불교권에는 8세기 이후 13세기까지 금강승 전성기의 인도불교가 전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중 소승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아라한이 되는 것이고, 대승과 금강승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부처가 되는 것이다.

대승불교권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 불자들 대부분은 선불교에 의거해 신행생활을 해 왔다. 그런데 선불교가 불교인 이상, 그 궁극적 목표 역시 불교적이어야 할 것이다. 대승을 능가하는 최상승이라고 자부하는 선불교에서 추구하는 깨달음이란 ‘자신이 본래 부처임을 아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소승과 대승과 금강승의 교학에 비추어 볼 경우 자신이 본래 부처임을 알게 된 禪僧의 정체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규정해야 할 것인가? 아라한인가, 아니면 부처인가? 아니면 제3의 누구인가? 앞으로 최상승인 선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의미 역시 교학적 견지에서 명확히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런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기 위해, 소승과 대승, 그리고 금강승의 교학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의미를 비교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2. 소승의 깨달음

소승불교의 수행자는 아라한을 지향한다. 아라한이란 모든 번뇌가 소진되어 다시는 윤회의 세계에 태어나지 않게 된 최고의 성자를 말한다. 아라한果를 얻은 수행자는 일률적으로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나의 삶은 이미 다했으며 청정한 행은 이미 세웠노라. 할 일을 다 했으니 내생에 다시 삶을 받지 않을 것을 스스로 아노라.

戒行을 어기지 않고 살며, 수행을 통해 모든 번뇌가 소진된 아라한은 결코 내생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 계행이 완성될 경우 三界 중 欲界의 정상에 태어날 수 있다. 그러나 계행만으로 아라한과를 얻을 수는 없다. 계행과 함께 좌선이 겸수되어야 한다. 계행을 갖춘 수행자의 마음은 좌선을 통해 욕계를 초월하여 色界의 初禪, 2禪, 3禪, 4禪의 상태로 향상하게 된다.

그리고 제4선의 상태에서 연기의 지혜를 추구할 때, 비로소 아라한과가 열려 有餘依涅槃에 들게 되며, 육신의 죽음과 함께 오는 無餘依涅槃 역시 제4선에서 이루어진다. 색계 제4선에 윤회로부터의 탈출구가 있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계정혜 삼학이라고 부른다.

수행자는 지계행 이후에 선정을 닦고 선정 이후에 지혜를 닦아야 한다. 그리고 최종적인 혜학의 단계는 철정한 계행과 제4선의 선정력에 의해 뒤받침되고 있다. 제4선의 경지에서 계, 정, 혜 3학이 竝修될 때 모든 번뇌가 정화되어 깨달음을 얻는다. 그 결과 아라한은 자신이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自知不受後有).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혹이 생길 수 있다. 불전에서는 ‘如來는 死後에 존재하는가, 아닌가?’라는 문제가 無記答으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깨달은 자의 사후에 대해 부처님은 답을 하지 않는 반면, 깨달은 자인 아라한은 ‘내생의 삶을 받지 않는다’(不受後有)고 선언한다.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잡아함경󰡕에서는 焰摩迦(Yamaka) 비구의 일화를 통해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염마가라는 이름의 비구가 ‘번뇌가 모두 사라진 아라한은 열반한 이후 존재하지 않는다(漏盡阿羅漢身壞命終更無所有)’고 주장하자 많은 비구들이 염마가를 ‘惡邪見의 비구’라고 말하며 이를 사리불에게 이른다. 그 때 사리불은 염마가를 별도로 부른 후 비유를 들어 타이르고 있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산이 많은 한 장자가 하인을 구하는데, 장자에게 원한을 가진 사람이 하인으로 가장하고 들어와 온 정성을 기울여 일을 하여 장자의 신임을 얻게 된다. 그래서 하인을 좋아하게 된 주인이 방심하게 되자, 하인은 장자를 칼로 찌르고 달아난다. 장자가 하인의 정성이 거짓임을 알 경우에는 결코 방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윤회하는 세속의 진상에 무지하여 세속에 집착하는 사람에게는 먼저 세속이 마치 원한을 가진 하인과 같이 자신을 해치는 것임을 가르쳐야 한다. 그럴 경우 세속에 대해 집착하지 않게 되어 스스로 열반을 자각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부자를 속인 하인은 윤회의 세계인 세속을 비유한 것이고, 부자는 어리석은 비구승들을 비유한 것이다. 삶에 대한 집착이 남아 있는 어리석은 비구승이나 일반인들은 세속적 삶이 자신을 해치는 것인 줄 모른다. 마치 부자가 지극 정성의 하인으로 가장한 사람이 사실은 자신을 해치는 자객으로 돌변할 것을 모르듯이 …. 부자에게 그 하인의 음모를 알려 주어도 부자는 이를 곧이 들으려 하지 않는다. 그 하인이 당장 자신에게 큰 행복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인인 부자가 방심한 틈을 타서 하인으로 가장한 자객은 부자를 해치게 된다.

우리의 삶 역시 이와 마찬가지다.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지금 이곳은 행복한 곳으로 착각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행복해 보여도 이곳은 무상한 윤회의 세계일 뿐이며, 윤회의 세계에서 그나마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바다 밑을 헤엄치던 눈 먼 거북이가 숨을 쉬기 위해 물 위로 얼굴을 내밀다가 우연히 그 곳에 떠 있던 널빤지의 구멍에 목이 끼게 되는 정도의 확률’을 갖는 참으로 희귀한 일이다.

지금 전 인류의 대부분은 내생에 인간으로 태어나지 못하고 축생 이하의 세계에 태어나게 된다. 우리가 다시 인간의 몸을 받는 것은 수만 년, 수억 년 후의 일이다. 그 때까지 우리 대부분은 축생이나, 아귀, 지옥의 삶을 살아야 한다. 이렇게 윤회의 진상, 윤회의 고통을 정확히 자각할 경우, 내생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 열반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임을 자각하게 된다.

열반 후 어딘가에 존재하든 않든 문제가 안 된다. 다시는 태어나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생각만 가득하다. 이런 자각이 든 자에게 ‘無로서의 열반’은 행복으로 다가오지만, 아직 세속에 대한 집착이 남아 있는 사람들은 열반 후 사라진다는 말을 들을 경우 공포심을 느끼게 된다.

염마가(Yamaka)의 주장을 비판했던 비구들 역시 세속에 대한 집착이 강했던 자들이라고 볼 수 있다. 여래나 아라한이 死後 어딘가 있는지(有), 아니면 아예 사라지는지(無) 여부에 대해 물을 경우, 세속에 대해 집착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無)로 답할 것이 아니라, 먼저 세속의 고통에 대해 가르쳐야 한다. 왜냐하면 세속의 진상인 無常, 苦, 空, 無我의 진리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아라한 死後의 無’는 공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무로서의 열반은 고성제를 자각하지 못한 세속인들에게 더 큰 괴로움과 절망으로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무상, 고, 공, 무아의 苦聖諦를 徹見한 사람에게 ‘아라한 사후의 無’는 평화와 安穩으로 다가온다. 삶을 대하는 태도가 어떠한가에 따라 ‘아라한 死後의 無’에 대한 태도가 이렇게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소승 아라한을 지향할 경우 세속이 모두 고통임을 철저히 체득하는 수행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야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열반을 희구하며 진심으로 정진할 수 있는 것이다.

소승불교에서 추구하는 아라한이 될 경우 우리는 내생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수행자는 탐욕(貪), 분노(瞋), 어리석음(癡), 교만한 마음(慢), 불교에 대한 의심(疑), 자신의 몸이 있다는 생각(有身見), 인생에 끝이 있다거나 없다는 생각(邊執見), 이런 생각들을 자신의 인생관으로 삼는 것(見取見), 잘못된 종교의식을 옳다고 보는 생각(戒禁取見), 인과에 대한 부정(邪見)등의 번뇌들을 하나하나 끊어야 한다. 이와 같은 번뇌가 남아 있는 한 내생에 그 번뇌가 초래하는 삶을 다시 받게 되기 때문이다. 내생에 다시 태어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모든 번뇌가 사라진 위대한 성자, 즉 아라한에게만 가능한 축복이다.

3. 대승의 깨달음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성불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성불은 무엇일까? 소승에서 말하는 아라한이 된다는 것과 부처가 된다는 것은 어떻게 다를까? 아라한이라는 호칭은 부처에게도 부여된다. 교진여 등 다섯 비구를 교화한 후 부처님께서는 이 세상에 여섯 명의 아라한이 있다고 선언하셨다. 그러면 아라한과 부처는 같은 것일까, 아니면 다른 것일까? 󰡔대지도론󰡕에서는 부처와 천신과 二乘의 차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부처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갖추고 있다. 첫째는 대공덕의 신통력이고 둘째는 모든 번뇌의 소멸된 지극히 청정한 마음이다. 천신들의 경우 복덕의 신통력이 있기는 하지만, 모든 번뇌를 소멸하지 못했기에 그 마음이 청정하지 못하다. 또, 마음이 청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통력도 역시 적다.

그리고 성문과 벽지불은 비록 번뇌를 소멸하여 그 마음이 청정하지만, 복덕이 약하기 때문에 그 세력 역시 적다. 부처는 두 가지를 완전히 갖추었기 때문에, 누구든 이기지만, 다른 자들은 모든 자를 이기지 못한다.

아라한은 그 마음이 청정하다는 점에서 천신과 구별되지만, 마음의 청정과 복덕의 세력이 부처에 못 미친다. 아라한은 모든 번뇌를 끊어 깨닫긴 했어도 전생의 習으로 인해 번뇌의 기운이 남아 있다. 사리불에게는 진에의 습기가 남아 있고, 난타에게는 음욕의 습기가 남아 있으며, 필릉가파차에게는 교만의 습기가 남아 있다고 󰡔대지도론󰡕에서는 각각의 例話를 들어 설명한다.

성문과 연각의 이승과 부처 모두 색계 제4선에서 깨달음에 든다. 그리고 깨달음에 들기까지, 초야, 중야, 후야에 걸쳐 숙명통과 천안통과 누진통이 차례로 열리게 된다. 그런데 이런 三明의 힘에서도 아라한은 부처와 차별된다. 󰡔대지도론󰡕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러한 三明은 대아라한과 벽지불도 획득한다.
문: 그렇다면 부처와 무슨 차이가 있는가?
답: 이들은 비록 三明을 획득했지만 그 밝기가 완전하지 못하다. 그러나 부처는 완전하다. 이것이 차이점이다.
문: 어째서 완전하지 못하다는 것인가?
답: 아라한과 벽지불들의 숙명지는 자신에 대해서든 타인에 대해서든 완벽하지 못하다. 전생 하나만 아는 아라한도 있고, 2생, 3생, 10생, 천겁, 만겁 내지 팔만겁까지 아는 아라한도 있지만 이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알지 못한다. 그래서 천안통이 완전하지 못하다.

그렇다면 이렇게 아라한과 차별되는 부처의 복덕과 지혜는 어떻게 얻어진 것일까? 󰡔대지도론󰡕이나 󰡔성유식론󰡕 등 대승논서는 물론이고 󰡔구사론󰡕이나 󰡔아비달마대비바사론󰡕 등 소승 논서에서도 부처와 아라한을 구별하며, 부처의 복덕과 지혜는 3아승기겁의 수행을 통해 축적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아승기(asaṃkhya)란 無數, 또는 無量으로 번역되며 인도에서 사용되는 숫자 단위 중 가장 큰 단위이다. 세 번의 아승기겁 각각에서의 보살행은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첫 번째 아승기겁 동안에는 자신이 부처가 될 것인지, 부처가 되지 않을 것인지 스스로 알지 못한다. 두 번째 아승기 동안에는 자신이 부처가 될 것이라고 알긴 하지만, 그것을 발설하지 않는다. 세 번째 아승기 동안에는 자신이 부처가 될 것을 알뿐만 아니라 그것을 공공연히 발설함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3 아승기겁의 보살행이 끝나면, 100겁에 걸쳐 三十二相의 과보를 초래하는 공덕을 짓게 된다. 부처가 삼십이상으로 몸을 장엄하는 이유는 사람들에게 청정한 믿음을 일으키고, 비단 지혜와 선정 등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면에서 가장 뛰어난 분임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성불을 위해 우리는, 초발심 이후 3아승기 100겁의 보살행을 닦아야 한다. 이는 대소승 논서의 공통된 가르침이다. 󰡔성유식론󰡕에서는 초지 보살이 되기 이전에 제1 아승기겁의 수행을 완성하고 초지에서 제7지까지 향상하는 기간이 제2 아승기겁이며, 제7지에서 제10지까지가 제3 아승기겁에 해당한다고 설명한다.
이렇게 무량한 세월 동안 수행해야만 가능할 수 있는 성불을 지향하며 윤회의 세계 속에서 살아갈 경우, 3아승기겁의 보살행 기간 동안 수많은 중생을 제도할 수 있으며, 성불한 이후에도 그 공덕의 힘으로 수많은 중생을 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라한과의 경우, 鈍根機는 최소 3생의 수행, 利根機는 최대 60겁의 수행만 하면 성취된다. 부처가 되든 아라한이 되든 대열반의 의미는 마찬가지다. 대열반에 든 자는 다시는 윤회의 세계에 들어오지 않는다.

대승불교에서 지향하는 성불이란 이렇게 至難한 일이며, 그 동기는 모든 생명에 대한 무한한 자비심이다. 물론 오늘날에도 전생에 3아승기 100겁의 수행을 모두 마치고, 현생에 성불하는 수행자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 그는 태어날 때부터 三十二相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무량한 세월 동안 무량한 공덕을 쌓아야 한다.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조바심 내며 기다려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성불이라는 목표는 지워버린 채, 항상 깨달음을 추구하며 수행하고(상구보리), 항상 남을 도우며 살아갈 때(하화중생), 미래세에 언젠가 성불의 과보가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해 수억 겁에 걸친 무한한 과정적 신행을 통해 귀결되는 것이 대승불교의 깨달음, 즉 성불이다. 그리고 이렇게 久遠劫 이후의 목표를 지향하며 살아가는 것이 대승불교의 보살이다. 여기서 우리는 자문해 보아야 한다. 나는 그럴 자신이 있는가?

4. 금강승의 깨달음

밀교 또는 ‘불교 Tantrism’으로 불리는 금강승은 크게 보아 대승에 속한다. 대승과 마찬가지로 성불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승과 차별되는 점은 ‘3아승기 100겁’이라는 보살행의 기간을 현생의 1생으로 단축시킨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성불의 기간을 단축하는 이유는 보다 빨리 더 많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이다.

3아승기겁 동안 무량한 공덕을 쌓아야 부처가 될 수 있는데, 어떻게 하면 그 기간을 1생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까? 부처가 된다는 것은 부처의 몸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부처의 몸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부처는 法身과 報身과 化身의 三身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 몸을 모두 성숙시켜야 한다.

법신은 空性과 無我에 대한 조망을 통해 성숙한다. 그러나 법신만 성숙시킬 경우 소승 아라한이 될 뿐이다. 그래서 금강승의 수행에서는 보신과 화신의 성숙을 목표로 삼는다. 보신은 일반적 공덕을 지음으로써 성숙한다.

그리고 금강승에서는 이렇게 ‘3아승기 100겁’ 동안 지어야 할 공덕들을 현생에 농축적으로 짓는 수행을 하게 되는데, 그 요점은 자신의 몸(身)과 말(口)과 마음(意)의 三業을 부처의 身口意 三業에 그대로 일치시키는 것이다. 수행의 결과인 부처의 모습이 그대로 수행 수단으로 사용된다. 대승은 보살행의 因을 통해 불과를 얻기에 因乘이라고 부르며, 금강승은 수행의 結果인 부처의 보신과 화신을 수행의 因으로 삼기 때문에 果乘이라고 불린다.

大日如來를 主尊을 삼아 觀想하며 손(身)으로는 手印(mudra)을 짓고, 입(口)으로 진언(mantra)를 암송하며, 만다라(maṇḍala)를 보며 마음(意)으로는 자신이 부처로 출현하는 모습(生起次第)을 관상하기도 하고 자신의 몸을 부처의 몸으로 성숙시키기도 한다.(究竟次第). 이런 수행을 통해 우리의 육체는 급격히 化身으로 성숙하고, 우리의 영혼(= 中陰身)은 신속히 報身으로 성숙하게 된다. 금강승에서 卽身成佛을 기치로 내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Ratnakaraśanti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공성에 대해서만 명상할 경우 성불은 무량겁이 걸린다. 반대로 佛尊修行(deity yoga)만 할 경우 성불은 완전치 못하다. 공성에 대한 명상과 불존에 대한 명상을 겸할 때 성불의 시기는 단축된다

여기서 말하는 불존수행(deity yoga)이란, 자신을 부처와 동일시함으로써 자신의 영혼을 부처의 보신으로, 또 자신의 육체를 부처의 화신으로 성숙시키는 수행이다. 그런데 이러한 금강승의 수행은 누구에게나 허용되는 것이 아니다.

달라이라마가 이끄는 티베트 겔룩파의 경우 󰡔보리도차제론󰡕 체계에 의거해, 不淨觀과 慈悲觀이 철저히 완성되고, 止觀 수행을 통해 공성에 대한 조망을 어느 정도 갖춘 수행자에 한해 금강승을 수행할 자격을 부여한다. 금강승의 수행에 들어가기 전에 수행자는 먼저, 세속에 대한 욕심을 버리게 하는 부정관을 닦고, 수많은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마음을 키우기 위해 자비관을 닦아야 한다. 그 후 三昧力도 훈련하고 공성을 파악하는 논리적 사고도 훈련해야 한다.

금강승의 수행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그 마음이 철저히 보살을 닮아 있어야 한다. 아직 세속적 음욕이나 재물욕, 명예욕이 남아 있고, 질투심과 분노심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며, 선정력이 깊지 못하고, 공성에 대한 지혜를 갖추지 못한 자에게 금강승의 수행은 금지된다. 藥이 오히려 毒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살로서의 마음이 철저히 갖추어진 수행자는 10만 번의 오체투지를 하고, 자신이 金剛薩陀(Vajrasattva)로 된 모습을 명상하며 100자 진언을 10만 번 암송하여 업장을 정화하며, 쌀과 보석 등의 공양물들을 만달라 판 위에 올려 쌓고 허물기를 되풀이하며 기도문을 10만 번 암송한다.

그 후 금강승 수행으로 이끌어 줄 스승과 자신이 하나가 됨을 관상하며 스승에게 귀의하는 기도문을 암송하는 구루요가(guru yoga) 儀式을 치른다. 이런 모든 의식을 마쳐야 비로소 금강승, 즉 밀교 수행에 들어갈 자격이 부여된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불교의식을 치르는 것은 보살로서 살아가며 3아승기 겁에 걸쳐 지어야 할 공덕을 농축하여 현생에 짓기 위해서이다.

3아승기겁에 걸쳐 부처님께 절을 올리고 공양을 바쳐야 하는 대승 보살의 수행과 비교할 경우 10만 번의 오체투지, 10만 번의 진언암송, 10만 번의 공양기도는 그 양이 너무 적다고 하겠다. 이러한 금강승의 교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철저한 믿음이 티베트 불교인들의 자발적이고 강력한 신행활동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4. 맺는 말

지금까지 소승의 깨달음과 대승의 깨달음 그리고 금강승의 깨달음을 비교해 보았다. 소승 수행자의 경우 아라한을 지향하고, 대승과 금강승 수행자의 경우 부처를 목표로 삼는다. 금강승의 경우 3아승기겁 수행 후의 성불을 현생의 ‘즉신성불’로 단축시킨다는 점에서 대승과 차별된다.

그러나 이 삼자에 공통되는 것은 아라한이 되든 부처가 되든 내세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내세에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들기 위해서는 윤회하는 세속의 고통에 대한 철저한 자각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自問해 보아야 한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속담에 공감하는 우리들 중 다시는 태어나지 싶지 않을 정도로 苦聖諦, 즉 一切皆苦를 깊이 자각한 사람이 몇이나 되는가?’라고 …. ‘지금 위빠싸나 등 소승수행에 전념하고 있는 불자들 중 내생에 다시 태어나지 않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이 몇이나 되는가?’라고 ….

또, 모든 중생에 대한 자비심을 갖춘 수행자의 마음에는 ‘나만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을 다시 태어나지 않게 도와야겠다’는 마음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다시 다음과 같이 自問해 보아야 한다: ‘현재 대승 또는 금강승의 수행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 중에 다른 모든 중생을 다시 태어나지 않게 하겠다는 자비심을 가진 사람이 몇이나 되는가?’라고 ….
선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 역시 위와 같은 조망 하에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선승의 깨달음은 아라한의 깨달음인지, 부처의 깨달음인지, 아니면 제3의 무엇인지 ….


김성철
서울대 치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동국대 인도철학과 석박사과정 졸업. 철학박사.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