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02

우찌무라 간조

우찌무라 간조



kcm.kr/dic_view.php?nid=39953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 1861. 3.28~1930. 3.28)

 주제어 [일본] 우찌무라간조 [목사] [성서학자]

 자료출처 이후천 / 협성대 선교신학교수 성경본문

 내용

일본의 성서학자이자 전도자. 그는 무교회주의 창시자로 한국에 알려졌다. 그 이유는 제일고등중학교에서 근무하던 중 1891년 교육칙어(敎育勅語)에 대한 불경 사건으로 해직되어(1901년) 자택에서 매주 일요일 성경강의를 하고 소책자 <무교회>를 발행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무교회주의자 "김교신.함석헌.최태용은 그의 제자로 한국 무교회주의 연원이 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진정한 의미에서 그의 제자이거나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이 항목의 영역을 벋어나는 일이다.

간조의 전도이해에 보면 여섯 가지를 제시한다.



1) 의식(衣食)을 위한 전도

2) 명예를 위한 전도

3) 교회를 위한 전도

4) 나라를 위한 전도

5) 하나님을 위한 전도

6) 사람을 위한 전도.



간조는 여기서 앞의 네 가지는 사람들의 자기 자신을 위한 전도라고 본다. 그렇지만 간조는 이 가운데 다섯 번째 하나님을 위한 전도야말로, 그리고 동시에 이것이 사람을 위한 전도일 때 - 특히 물질적으로 뿐만 아니라, 마음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 하나님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간파괴와 하나님만이라는 추상성이 극복되고, 인간의 영혼을 구하게 되는 진정한 전도의 정신이 살아나며, 순수한 종교적 사업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로 보건데 간조는 단순히 무교회 주의를 주장한 것이 아니라 진정한 전도의 의미를 부각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특히 3번의 교회를 위한 전도를 말함으로 그가 무교회주의자가 아니라는 반증이 되기도 한다. 그는 무교회주의자가 아니라 다만 예수처럼 '민중의 교회'를 말하려고 했던 것이다(KCM Lee).



그에 대한 이런 일화가 전해지기도 한다.

하루는 그에게 어떤 대학생이 찾아와 심각하게 질문을 한다.

“우찌무라 선생님, 저는 성경에 나오는 모든 기적들을 믿을 수 없습니다. 예수께서 물위를 걸으셨다는 이야기, 부활하셨다는 이야기 등은 정말로 제 이성으로 도무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런 황당한 이야기나 이해할 수 없는 기적 등은 빼놓고 다른 내용으로만 성경공부를 하면 안될까요?”

그의 대답은 이러했다.

“학생, 성경에서 사람의 이성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기적들을 다 제하고 성경공부를 한다면 성경에 꼭 두 가지만 남는다네. 그것은 바로 성경의 앞과 뒤 표지뿐이지.”



간조의 생애와 회심



거의 대부분의 다른 아시아인들처럼 간조도 일본의 비그리스도교적 전통과 문화가 지배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간조는 메이지 유신(1868-1912)이 시작되기 7년 전인 1861년 3월 28일 에도(江戶)에서 아버지 우찌무라 요시유키와 어머니 우찌무라 야소(1904)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의무와 야망을 중시하는 친가의 분위기와, 양심적이고 금욕적인 외가의 가풍에서 자랐다.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다카사키 파의 하급 무사(사무라이)계급에 속하였으므로 그도 본래는 "싸울 운명"과 "충성"이 숙명이었다. 그런데 간조의 아버지는 시도 잘 쓸 정도로 유학에 조예가 깊었기 때문에 그는 어릴 때 유교교육을 받았다. 간조의 어머니는 거친 삶 속에서도 정직과 절제를 최고의 가치로 살아 온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의 자세를 그대로 물려받았다. 그녀는 고된 인생을 불평하지 않고, 말없이 남편과 4남 1녀의 자녀들을 위해 헌신하였다.



장남 간조의 교육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대학" 및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에서 시작되었지만, 신분상승을 기대했던 아버지의 소원대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여, 1873년 12세에 이르러서는 서양식 사립학교인 도쿄의 아리마 사학교 영문과에 입학한다. 13세에 간조는 도쿄의 외국어학교에 편입하였다. 간조가 편입한 해, 이 학교는 영어학만을 분리하여 도쿄 영어학교로 독립하였다. 간조는 이 학교 재학 중 질병으로 1년간 휴학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는 이 학교에서 처음으로 구약성서의 이야기에 접한다. 그는 영어 독본을 통해서 아브라함, 이삭, 야곱, 모세를 알게 된다. 이 당시 그는 친구의 권유로 외인 거류지 교회에 출석하였지만 단지 그리스도교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정도였다.



간조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게 된 계기는 16세 되는 해인 1877년 신설 삿포로 농업학교의 2기 관비생으로 입학하고 나서이다. 본래 간조가 다닌 도쿄 영어학교는 그 해 4월 도쿄대학 예비문으로 개칭되어 졸업하면 도쿄대학이 보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난한 간조로서는 장학금과 기숙사가 필요하였다. 삿포로 농업학교는 간조의 그러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었다. 그런데 간조가 입학한 이 농학교는 미국 매사추세츠 농과대학 학장이었으며 선교사적 열망으로 가득찬 윌리암 클라크(W.S. Clark: 1826-1886)가 교무주임(an assistant director)으로 1년간 초빙되어 체류하는 가운데 1기생 15명 전원을 그리스도인으로 개종시킨 상태였다. 클라크는 이미 귀국하였지만 바로 이들 남은 1기생들의 상급생으로서의 권위와 "새로운 종교에 대한 열정과 선교의 정신"은 2기생들의 그리스도교 개종을 강제적으로 행사하게 하는 압력으로 작용하였다.



간조는 이러한 학교의 분위기에 처음에는 다신교적 미신에 사로잡힌 자기정체성의 위기를 느끼고 강력히 저항하였지만, 마침내 그해 12월 1일 친구들의 잇단 서명의 동참과 "학교의 여론"에 굴복하여, 자신의 뜻이나 양심과 달리 강제로 "'예수 종교'의 문에 들어서는" 행위로서 클라크가 남긴 "예수님을 믿는 자들의 서약"에 서명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비록 간조가 자신의 그리스도교 개종이 강제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고 고백하고 있지만, 간조에게 있어서 이 사건은 오히려 자신이 기도했던 8백만 이상이나 되는 많은 신들로부터 벗어나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든 "구원의 손길"임에 틀림없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이와 같은 강제적인 세례에 따른 그의 심리적 불안이나 갈등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사건은 간조에게 결과적으로 제신들로부터 해방시킨 사건으로 기억된다. 따라서 이것은 그가 그리스도교에 입문했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마음 속 깊은 평화와 기쁨"을 동반하는 회심을 동반한 개종은 아직 아닌 것으로 보인다.



회심을 향한 한층 진일보한 상황은 그가 1878년 6월 2일 미국에서 온 감리교 선교사 미리암 콜버트 해리스(M.C. Harris)의 세례를 받으면서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신 그분의 이름을 받아들이느냐는" 질문에 "단호하게 '아멘'"이라고 대답할 때로 보여진다. 그는 이 날을 결코 잊을 수 없는 날로 고백하고 있다. 그는 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강제적인 서명을 오히려 만족스러워 하였고, 모든 신들에게 더 이상 기도를 하지 않게 된 사실에 대해서도 기쁨을 갖게 되었다. 또한 그는 스스로를 그리스도교인이라 고백하면서, 다윗과 요나단의 우정에 감동하여 요나단이라는 그리스도교적 이름을 택하기도 한다.



세례 이후 간조는 동기 6명과 함께 작은 예배공동체를 꾸리게 되는데, 이것이 후에 저 유명한 삿포로 밴드로 발전된다. 1880년 7월 상급생의 졸업을 계기로 간조는 동급생들과 함께 교회건축을 계획하지만 감리교와 성공회 교파 소속의 문제로 재정후원의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교회 분파주의의 폐해를 목격하기도 한다. 어쨌든 간조는 1881년 7월 졸업 후에도 동기들과 함께 빌린 돈으로 어느 교회에도 소속되지 않는 독립교회를 세워 예배와 전도활동에 주력하여 부흥시킨다. 이 시기 그의 열심으로 자신의 가족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는데 성공한다. 또한 그는 관비생들의 규정에 따라 삿포로에 머물며 수산업을 전공하였으므로 어업관계 공무원으로 일하는 한편으로, YMCA를 결성하여 부회장직을 맡기도 한다. 1884년 3월 28일 간조는 교회에서 개방적이고, 지적인 여성 아사다 다케를 만나 모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하였지만, 6개월만에 분명하지 않은 이유로 이혼한다. 이 이혼으로 간조는 교회로부터 비난받는다. 이 일 이후 간조는 가진 재산을 모두 팔아 도미하게 된다.



간조의 진정한 회심은 그의 미국 유학기간에 일어난다. 간조는 1884년 11월 24일 처음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고, 얼마 안 있어 필라델피아로 옮긴다. 그곳에서 간조는 1885년 약 반년 간 정신박약아 양호원의 간호인으로 근무한다. 그 해 9월 그는 1821년에 설립된 매사추세츠의 애머스트 대학(Amherst College)에 비정규생으로 3학년에 편입한다. 이 대학에서 간조는 비로소 신앙의 스승인 제 5대 총장 줄리우스 호울리 실레(J.H. Seelye)를 만나 회심을 하게 된다. 실레의 따뜻함에 감동된 간조는 그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죄의 문제로 고민하던 그에게 실레의 다음과 같은 권면이 회심을 일으킨다.



우찌무라, 너는 네 자신의 마음속만 보니까 안되는 거야. 너는 네 밖을 보아야 해. 왜 자기 성찰을 그만두고 십자가에 달려서 네 죄를 용서해 주신 예수님을 바라보지 않는가. 너는 어린 아이가 나무를 화분에 심어 놓고 그 나무의 성장을 확인하려고 매일 그 놈을 뿌리채 뽑아 보는 것과 같은 짓을 하고 있어. 왜 신과 햇볕에 맡기고 안심하고 너의 성장을 기다리지 않는가.



이것은 한 마디로 말해서 죄로부터 구원의 문제는 인간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십자가에 의한다는 것이다. 죄로 더렵혀진 인간구원의 문제로 심각하게 고뇌하던 간조에게 실레 총장의 이 말은 참된 복음의 소식이었다. 그는 죄의 문제에서 해방되었다. 간조는 이 회심의 기쁨과 감격을 1886년 3월 8일과 5월 26일의 일기에서 이렇게 적고 있다. 여기서 예수 그리스도 십자가에 의한 속죄신앙은 간조의 사상과 전도의 정신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이다.



내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날이다. 오늘처럼 그리스도의 속죄능력이 내게 분명히 드러난 적이 없다. 하나님의 아들이 십자가에 달리신 사건에서, 지금까지 나를 괴롭히던 모든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다. 그리스도께서 내 모든 빚을 해결하셨기 때문에, 나는 타락 이전에 태초의 사람이 가졌던 순결과 순진함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제 나는 하나님의 자녀이며, 예수님을 믿는 것이 나의 의무이다. 예수님 때문에 하나님은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을 주실 것이다. 하나님은 나를 당신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실 것이며, 결국에는 천국으로 나를 인도하실 것이다; 이 세상에는 악보다도 선이 훨씬 더 많다는 생각에 감명을 받았다. 새, 꽃, 태양, 공기, 이 얼마나 아름답고, 밝고, 향기로운가! 그런데 인간은 날마다 악에게 불평하고 있다. 단 한 가지만 갖추면 이 세상은 천국인데도 말이다.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는 종교다.



비정규학생 간조는 1887년 7월 이학사 학위를 받음으로 애머스트 대학을 정식으로 졸업한다. 이후 그는 코네티컷주 하트포드 신학교(Hartford Seminary)에서 신학을 공부하지만 만족하지 못하였고, 4개월만에 건강상의 이유로 중단하여, 1888년 5월 일본선교에 대한 비전을 간직한 채 귀국한다. 귀국 후 간조는 니가타 현의 교장직을 맡았지만 동양이나 일본 현자들의 가르침도 중요하며, 외국전도회 선교사의 원조를 받아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그의 부정적 입장과 선교사들의 주장이 대립하여 4개월만에 사직한다. 1889년 7월 31일에는 가정적인 여성 요코하마 가즈코와 재혼한다. 간조는 1889년 9월 2일부터 도쿄의 제일고등중학교(오늘날 도쿄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교편을 잡았는데, 여기서 영어, 지리, 역사를 가르쳤다. 그는 1891년 1월 9일 천황이 서명한 교육칙어를 봉독하는 이 학교 행사에서 그리스도교 신자로서 의무를 다하기 위해 머리를 조금 밖에 숙이지 않아 소위 "불경사건(不敬事件)"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 사건으로 또 다시 그는 2월 3일자로 면직되었고, 같은 해 4월 19일에는 그의 아내마저도 별세한다. 이때 이후로 간조는 "성서의 연구"와 같은 잡지를 출판하며, 본격적인 저술활동을 시작하여 두개의 J, 말하자면 Japan과 Jesus를 통합하려는 시도, 비전론(非戰論), 무교회주의에 대한 견해, 화석화된 기성교회와 신학에 회의하여 성서연구 중심의 그리스도교 복음 전도운동 등을 펼치며 강연과 그의 주옥같은 글들을 출판한다. 면직 이후 거의 40년간 저널리스트로서 그리고 자유로운 독립 전도자로서 그의 열정적이며, 치열했던 삶을 뒤로하고 간조는 1930년 3월 28일 아침 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마친다.



주요 저서

《홍수 이전기》, 《구약 10년》, 《우찌무라간죠전집》, 《우찌무라간죠성서주해전집》 등이 있으며 영문잡지, 영문저술도 남겼다.





간조의 전도이해



간조의 전도이해에 있어서 근본적인 것은 순수한 전도의 정신을 실현하는데 있다. 간조는 1894년 2월 "전도의 정신"을 출판하였는데, 그 책에서 그는 전도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유형별로 여섯 가지를 제시한 후, 그 가운데 어떤 것이 가장 순수한 전도의 정신인지를 논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이상적 전도자의 품성과 자질의 문제를 제시한다. 그 여섯 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의식(衣食)을 위한 전도; 2) 명예를 위한 전도; 3) 교회를 위한 전도; 4) 나라를 위한 전도; 5) 하나님을 위한 전도; 6) 사람을 위한 전도. 간조는 여기서 앞의 네 가지는 사람들의 자기 자신을 위한 전도라고 본다. 그렇지만 간조는 이 가운데 다섯 번째 하나님을 위한 전도야말로, 그리고 동시에 이것이 사람을 위한 전도일 때 - 특히 물질적으로 뿐만 아니라, 마음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 하나님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간파괴와 하나님만이라는 추상성이 극복되고, 인간의 영혼을 구하게 되는 진정한 전도의 정신이 살아나며, 순수한 종교적 사업이 된다고 주장한다.



나를 오해하지 말라. 나는 사람을 앞세우고 하나님을 뒤로 미루는 전도를 변호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사람에게 있어서 하나님을 예배하고, 사람을 섬김으로써 하나님을 섬기는 전도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왜 이욕을 위해서 전도하려는가. 나는 그것을 당장에 포기할 것을 권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너 자신에게 극히 불리하기 때문이다(세상이 너로 말미암아 유익을 얻지 못할 것은 뻔하다). 너는 전도계에서 명예를 얻으려는가. 그만두라 그것은 치열한 싸움터 속에서 얻으라. 또는 의회의 단에서 얻으라(군사나 정치도 전혀 공명만으로 할 것은 아니지만). 네 전도는 네가 속한 교회를 위해서냐. 걱정하지 말라. 네 종교는 곤고와 실망을 네게 가득 안겨줄 것이요, 기쁨과 성공은 없을 것이다. 나라를 위한 전도, 물러가서 정치가가 되라. 네 천직은 거기 있다. 하나님을 위한 전도, 네 하나님을 네 동포에게서 찾을 때까지 기다려라. 네가 하나님을 위한다 하면서 오히려 하나님을 거역할까 두렵다. 그에게 육정적인 쾌락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의 영혼을 구하기 위해서 네가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대로 그도 하나님의 은혜를 입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에게 하나님의 영이 거하거든 하나님께 바칠 것을 그에게 주라 [...] 이 전도에 환희와 정열이 있다. 이 전도에 박해와 다툼이 있을 수 없다. 이것이 내가 진정 전도의 정신이라 말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간조가 하나님 사랑과 인간 사랑을 동시에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간조는 하나님만을 위한 전도가 극단적으로 흐를 때 사람에 대한 "관용과 자비와 유화"가 결핍되고, 또한 하나님 없는 사람만을 위한 전도는 자신의 공명과 세상을 부정의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파악한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는 하나님 없는 인간 사랑에서 비롯된 전도는 맹목이고, 인간 없는 하나님을 위한 전도는 공허해진다. 그리고 이때 구원의 지평은 단지 영혼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고, 국가, 인류, 세계, 우주가 그 시야에 들어온다. 이처럼 우리는 간조에게서 이미 통전적 구원(Integrales Heil)의 단초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도의 정신이 구체적으로 전도의 목적과 연결될 때는 다소 추상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간조가 하나님 나라를 현세적이기보다는 타계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그는 전도의 목적이 다가올 천국시민 양성에 있다는 것에 대해 확신한다. 이때 간조는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지 않고, 그가 직접적으로 표현하듯이 내세에서 이루어지는 "천국"논리에 입각해 있다. 소위 "예수 천당, 불신 지옥"과 같은 전도 구호는 아니더라도, 그의 하나님 나라는 죽음 이후 저 너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간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리스도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 건설에 있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는 이 세상에 실현될 성질의 것은 아니었다. 그는 '하나님의 나라는 가까웠다'고 말씀하셨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너희에게 임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시진 않았다 [...] 그는 그의 나라의 건설을 미래에 기대하셨다. 그것도 이 세상의 미래가 아니다. 이 세상이 끝난 후에 올 내세에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신 것이다 [...] 앞으로 올 세계에 나타날 그의 나라의 시민을 모으고 그들을 연마하고 그들을 완성시키는 일, 그 사업이 예수의 전도의 목적이었다 [...] 한마디로 말하자면 사도들은 그들에게 맡겨진 천국의 시민 양성을 그들의 활동의 주안으로 삼은 것이다.



여기서 전도의 목적을 하나님 나라 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올바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수 전도의 목적과 사도들에게 맡겨진 사명이 저 세상의 "천국"으로서 하나님 나라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은 하나님 나라 개념의 폭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갖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예수의 하나님 나라 이해가 이 세상의 역사를 완전히 떠난 상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미 불트만이 예수의 하나님 나라 이해에 있어서 논증한 바 있다. 불트만에 의하면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현재에 침입해 있다는 것이다: "신의 나라가 이미 현재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 나라가 그 시초에 있음을 말해준다".



하지만 전도의 목적으로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러한 간조의 타계적 이해는 전도를 교세확장이나, 사회개혁 또는 국가구제, 세례, 성찬식으로 이해하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간조에 의하면 내세에 이루어지는 천국에 비하여 이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의 모든 사역과 활동은 수적 팽창을 염두에 둔 거짓되고 공허한 몸짓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회봉사로서의 전도에 종사하는 오늘날의 교회의 전도에 볼 만한 것이 없는 것도 당연한 노릇이다. 그들이 천국의 백성을 만들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그들은 이 세상의 성인이나 군자도 만들지 못한다. 그들의 사회사업이라는 것은 회칠한 무덤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옳은 전도"와 "나쁜 전도"를 구별하면서 나쁜 전도를 "교세확장을 위한 전도"로 손꼽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그는 마태복음 23장 15절과 고린도전서 1장 15절을 언급한다: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는 교인 하나를 얻기 위하여 바다와 육지를 두루 다니다가 생기면 너희보다 배나 더 지옥 자식이 되게 하는도다"; "이는 아무도 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말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 이에 비해서 옳은 전도란 "천국의 건설을 위한 전도", "영혼을 구하기 위한 전도", "자비와 사랑으로 비롯하여 자기 자신을 죽이고 종사하는 전도"이다. 간조에 의하면 여기서 옳은 전도와 나쁜 전도는 각각 그리스도의 전도와 교회의 전도에 해당되어 나뉜다. 이런 관점에서 간조는 미국 선교사들의 교회중심적인 선교모델을 강력히 비난한다. 미국 선교사들의 교회확장적인 전도는 성과를 중시함으로서 "신앙이나 도덕을 타락"시키는 "좋지 않은 태도, 천한 태도, 부끄러운 태도"라는 것이다. 따라서 간조는 자기의 제자를 만들거나 , 당파성을 갖는 것은 세상적 차원에서의 전도이해라고 본다. 더 나아가 교회를 위한 전도는 개종주의(Proselytism)와 연결되어 있고, "사랑과 평화를 세상에 가져오는 전도가 아니"라고까지 비판한다. 대신에 그리스도교 전도가 어떠해야 하는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기독교의 전도란 나의 주장을 세상에 펴고, 나의 덕으로 사람을 감화시켜서, 나의 당이나 나의 제자를 만드는 일이 아니다. 기독교의 전도란 나의 죄를 세상에 고백하고, 내가 받은 은혜를 사람들에게 증명하고, 나의 구주를 세상에 소개하여 그분의 수종자나 그분의 제자를 만드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간조에 의하면, 전도자란 "자선사업가도 아니고, 사회개혁가도 아니며, 교회설립자도 아니다". 다른 곳에서 그는 "사회사업은 사도들의 본업이 아니라 부업이었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곳에서도 간조는 전도를 자선사업과 연계시키지 않음으로써 전도는 곧 구령사업에 국한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전도는 자선사업이 아니다. 전도는 영혼을 구하는 것이지 육체를 구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가 사회개혁에 힘쓰는 것은 그리스도교를 일본에서 침체시키는 원인으로 진단한다.



심지어 그는 선교사들의 출신 성분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선교사라고 하면 자못 존귀한 것 같다. 그러나 그들의 신분을 캐보면 대개는 목사가 될 소양이 없는 사람들이다. 혹은 상점의 점원 노릇을 했거나, 공장의 직공 노릇을 했거나, 농장에서 땅이나 파던 사람들이다". 물론 그는 신분이 사람의 가치를 결정짓는 아니라고 부연하여 설명하지만 일본 사람들을 선교하는 목사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그에 해당하는 품격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전도 방법의 무용론을 주장한다. 전도는 사람의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영혼 구원 자체가 문제이기 때문이다. 복음 전파 운동을 해야 하지만 복음 자체가 운동이기 때문에 인간적인 방법의 모색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이때 전도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지 않고 순수한 복음을 증언해야 한다고 밝힌다. 그래서 전도자가 지녀야 할 성품으로 간조는 하나님의 구원을 받은 체험, 정직, 건전한 상식을 든다. 이 밖에도 전도자는 하나님에 관하여는 성서에 해박한 지식을 얻기 위해 원어로 연구할 수 있어야 하며, 사람을 알기 위해 역사와 사회학을 그리고, 만유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 과학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논한다.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전도자가 성서를 나누어주고 그 내용을 외우게 하는 것이 영성을 발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전도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도는 방법이 아니다. 생명의 빵을 공급하는 일이다. 주어야 할 빵은 없으면서 줄 방법만 제 아무리 교묘하게 꾸민다고 그것으로 사람이 구원을 받지는 못한다. 나에게 빵이 있는가, 그것이 문제다. 줄 수 있는 생명의 빵이 있다면, 나누어 주는 방법이 아무리 졸렬하더라도 나는 전도에 있어서 이미 반 이상 성공한 것이다.



또 다른 곳에서 간조는 전도방법을 논하는 것은 하나의 "선교 소동"에 불과하다고 일축한다. 왜냐하면 그에게 있어서 전도는 방법이 아니라, 진리체험의 문제이며, "영혼은 그 깊은 곳에서 서로 상통"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국사람들의 전도방법은 모금을 해야 하고, 선교지의 현지인 고위 관리와 사교를 하여 그 세력을 이용해서 교세를 확장해야 하는 방법을 택하는데, 이러한 전도 방법은 비성서적일 뿐더러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접근 통로를 막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이런 방식에 대해 간조가 회의하는 이유는 지나치게 금전 의존적이며, 정치적이고, 기계적이며, 책략적이라는 점 때문이라고 고백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간조가 부흥회를 개최해서 사람들을 불러모아 회심을 촉구하고, 세례를 베풀며 교회설립을 하는 전도방법 등을 무조건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그의 전도 방법에 대한 무게중심은 아무래도 이심전심을 중시하는 불교의 선종(禪宗)적인 태도를 가진다. 간조는 개인의 구원이 시작되면 이미 그것으로써 그 지역이 그리고 인류가 구원을 받는 것으로 간주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간조의 "농민 구제책으로서 기독교 선교"를 논하는 글 속에서 일본 농업의 지주와 소작인 제도의 문제점을 논하면서 법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을 볼 때, 그리고 그러한 것을 통한 농민 구제안을 그리스도교 전도의 방법으로 삼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서 그가 사회개혁 제도의 개혁에도 깊은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도지역 선정의 문제와 관련하여 간조는 도시보다는 농촌에서의 전도가 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아마도 이것은 그가 수산업을 전공한 것에 기인하지 않나 생각된다. 그래서 우리는 그에게서 학생보다는 농민전도에 애착을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가급적 남들이 가려고 하지 않는 지역 전도를 강조함으로서 전도지 재배치 문제와 전도 자원의 효율성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것은 서구 선교사들이 한 지역에 여러 교회출신의 선교사들을 집중시킴으로써 빚어졌던 전도의 비효율성을 간파한데서 오는 견해일 수 있다. 이 연장선상에서 간조는 이미 복음을 접한 혹은 교회를 다니고 있는 사람에게 전도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한다. 대신에 그는 무신론자나 타종교인들 그리고 정신적 방랑자들이 전도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밝힌다.



전도 주체와 관련하여 간조는 평신도들의 전도사역 참여를 지지한다. 그에 의하면 전도사역을 명예를 얻거나, 생계 수단으로 선택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전도의 효과가 부실해진다고 한다. 간조는 전도를 하기 위해서 반드시 전문적인 전도자가 될 필요는 없으며, 자신의 일상적인 직업을 통해서 얼마든지 전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에 의하면 "교회가 행한 최대의 과오는 전도자란 계급을 만든 사실이다". 이런 맥락에서 간조는 일본 전도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독립 전도"로서 이것은 외국 선교사의 자금을 빌리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상을 통해서 볼 때, 간조의 전도이해는 전통적인 교회중심적 전도개념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그는 반교파주의적 전도이해를 하고 있다. 이것은 그의 생애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교파주의의 악폐에 대한 그의 체험에서 비롯된다. 이것은 후에 그의 무교회주의로 나타난다. 그에게 있어서 무교회의 무란 교회를 무시하거나, 없애버린다는 의미에서의 무가 아니다. 그에게 있어서 무교회는 본래적인 교회를 회복하자는 것으로서 교회를 갖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 하나님을 만나는 유(有)교회이다. 그리고 마치 집이 없는 사람들을 위한 숙소에 해당한다. 천국에는 어떤 조직적인 교회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세례도 성찬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어떤 직분도 없다. 이 공동체의 중심에는 성서가 있고, 오직 믿음만이 필요하다. 말하자면 오히려 간조에게 있어서 강단을 빼앗긴 요한 웨슬리의 사역과도 같이 세계전도에 대한 비전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물론 간조는 복음과 서구화를 동일시하거나 식민지적 선교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크리스천은 하나님의 자녀이므로 세계를 자신의 활동 지역으로 삼아야 한다 [...] 크리스천의 의무 또는 책임 및 특권은 세계 전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전 세계와 더불어 구원을 받은 것이다. 그의 구주는 모든 민족의 구주이다. 그는 자기 혼자 구원을 받으려고 원하더라도 구원을 받지 못한다. 그는 자신의 구원을 완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의 가족 및 국가가 구원받기 위해서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는 또 주님과 함께 전 세계의 복음화, 모든 민족의 구원을 원하고 그러기 위해서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감리교 파의 창시자 존 웨슬리의 표어는 다음과 같은 성구였다고 한다. 즉 나의 활동 구역은 전 세계이다(The field is the World)라고. 우리는 크리스천이 되어 육대주를 하나님의 은사로 받았다고 보아 조금도 틀림이 없다.



"I for Japan;

Japan for World;

The World for Christ;

And All for God."



나는 일본을 위하여.

일본은 세계를 위하여.

세계는 그리스도를 위하여.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을 위하여.

- 우찌무라 간조 -





>> 목차고리 : 세계 > 아시아 > 동아시아 > 일본

>> 연결고리 : 일본, 목사, 성서학자

현대신학 -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 김진아

현대신학 -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 김진아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 김진아현대 신학조회 수 2077 추천 수 216 2006.06.21 17:33:36

허호익*.218.50.77http://theologia.kr/50288









①>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신앙



김진아 nebo99@naver.com

 

▲ 나의 하느님, 우리의 하느님을 고민했던 우찌무라 간조.



탈식민, 주체적 기독교를 찾기 위해 몸부림 친 믿음의 선조들. 참기독교를 고민했던 그들의 행보에서 나의 하느님, 우리의 기독교를 모색해본다. 8회에 걸쳐 만나게 될 이들에게 진한 신앙의 향기와 고민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 편집자주



“나는 하느님을 ‘나의 하느님’으로 고백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신앙인으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대한 의미를 부여한다. 삶 속에서 수없이 하나님을 부르짖어도, 신과의 ‘참 만남’이 상실된 부름은 공허한 외침일 뿐이다.



나의 하느님을 찾는 것. 그것은 단편적인 신앙을 벗어나 깊이 있는 신앙으로 가는 길에 없어서는 안 될 통과의례다. 기독교 역사를 돌아보면, 그런 고민의 과정을 거쳤던 많은 인물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찌무라 간조(1861∼1930)도 그런 인물 중의 하나다.



‘나의 하느님’, ‘나의 기독교’를 고민했던 사람. 나아가 ‘일본의 하느님’, ‘일본의 기독교’를 고민했던 그는 서구의 식민지적 기독교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본인에게 참 복음이 되는 기독교를 찾고자 애썼다.



그는 서구 일변도로 주입되는 기독교가 아니라 일본인들에게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진리를 찾고자 했다. 그것은 하느님의 진리가 서구의 것만이 아니며, 이교도로 통칭되는 다양한 민족들에게도 동일하게 현현하는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독립적인 일본적 기독교를 고민했던 우찌무라 간조와 기독교의 만남은 반강제적인 서구 기독교에 의해서였다.



기독교와의 새로운 만남



“예쁜 여자들이 노래를 부르는” 외국인 구역에 가서 구경을 하자는 친구의 제안으로 처음 기독교 예배에 참석했었던 어린 우찌무라는 5년 후 삿뽀로농업대학에 다니고 있었다. 당시 삿뽀로농업대학은 미국 메사추세츠주립 농과대학의 학장인 클라크 박사에 의해 기독교 복음이 전파된 상태였다. 클라크 박사는 학생들에게 성경을 나눠주고 복음을 전하는 데 열심이었다. 그의 이런 노력은 헛되지 않았고 당시 학교의 1기생이었던 15명의 학생 전원이 예수를 믿겠다고 서약을 했다.



우찌무라는 당시 2기생으로 학교에 입학한 상태였는데 1기 선배들은 2기 후배들을 강제적으로 개종시키려 했다. 기독교 예배의 새로움과 서구인들의 따뜻함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그였지만, 강압적으로 기독교를 요구하는 힘 앞에서 그는 강력하게 저항했다. 그도 그럴 것이 하루 4번 이상 사방의 신들에게 절하고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이름 모를 수많은 수호신들에게 기도하던 그에게 ‘하느님’이라는 존재가 요구하는 많은 엄한 규율들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것 자체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정신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었기에 강렬히 저항했지만, 결국 여론의 힘에 밀려 우찌무라는 일본의 예수를 믿겠다는 서약을 하고 말았다.



강제적인 과정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는 이미 내밀한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는 이제 많은 신들을 위한 수십 가지의 예배형식을 갖출 필요가 없었다. 단지 하느님 한 분을 위한 예배만이 필요했을 뿐이며 점차 그의 말씀이 마음을 채워가기 시작했다. 그에게도 새로운 빛이 비추기 시작한 것이었다.



[따로보기]                          우찌무라 간조의 생애



우찌무라 간조(1861∼1930)는 삿뽀로농업대학시절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고 그것을 계기로 1882년 삿뽀로독립교회를 세웠다. 이 시절 함께 신앙생활을 하던 와다세오시마 사또 등을 중심으로 서구 기독교로부터 독립된 교회활동으로 그는 일본적 기독교를 추구한 사상의 기틀을 보여주었다. 이후 1884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필라델피아에 있는 사회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실천적 활동의 중요성을 배우고 다시 애머스트 대학에서 수학, 그의 신앙관 확립에 전성기를 맞는다. 이 때는 우찌무라에게 있어 신앙적으로 가장 큰 기쁨을 맞은 시기이자, 서구 기독교에 대한 큰 회의와 반성을 하게 된 때이기도 하다. 그 곳에서 공부를 마친 우찌무라는 다시 하드포드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지만, 그는 성직이라는 특권에 대한 깊은 회의로 성직자가 되지 아니하고 중도에 신학을 포기하고 다시 귀국한다.



1888년 일본으로 귀국한 우찌무라는 그가 미국에서 보고 배웠던 신앙의 훈련을 심어주기 위해 니가다에 있는 기타고시시학관에서 후진을 양성하는 데 힘쓰지만, 곧 사임하고 도쿄에 있는 제일고등학교 교원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1891년 불행한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불경사건’이었다. 1890년에 발표되었던 천황의 절대권력의 상징인 <교육칙어> 봉독식때 정성들여 예를 다하지 않았다는 불경한 자로 몰려 교원과 학생, 넓게는 일반 여론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그는 이 일로 학교를 사직해야 했음은 물론이고 이 때부터 기독교가 천황제 중심주의와 자주 충돌하고 탄압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직장과 아내를 잃은 우찌무라는 각 지역을 전전하면서 교직에 종사하는 한편 문필가로서 활동하였다. 이 때 <구안록>을 저술했으며, 영문으로 <나는 왜 기독교인이 되었는가>라는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또 <만조보>지의 기자가 되었으며 더불어 월간지 <성서지연구>를 간행하였다. 그는 이후 독립적인 전도자로서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1921년에는 도쿄의 한복판에서 일요일마다 로마서를 강의하여 수많은 청중들이 크게 감동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당시 한국에도 그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이들이 있었는데 김교신, 함석헌, 최태용 등이다.



자립, 자주, 성서 - 우리의 교회를 세우라!



그렇게 받아들인 신앙은 학교의 동료들과 함께 모임을 이루면서 점차 깊어졌다. 그들은 함께 모여 많은 신학, 신앙서적들을 읽으며 토론하거나 신실한 기도 모임을 갖곤 했다. 그 작은 교회는 그들에게 매우 특별했는데 전적으로 민주적이어서 모든 학생들의 교회 직분이 동일했다. 그들은 그것이 철저하게 성경적이며 사도적인 관점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이들이 목사요, 신부요, 선생이자 신도였다. 그것은 우찌무라의 신앙관 형성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부분인데, 훗날 일본적 기독교를 치열하게 고민했던 우찌무라의 사상 형성의 기본이 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를 만나고 함께 신앙을 나누던 초창기부터 이미 서구의 교회 형태가 아닌 평등한 신앙공동체를 만들었던 것이다.



학교를 졸업한 이듬해인 1882년 우찌무라를 비롯한 동료들은 교회를 세울 것을 결심했다. 삿뽀로독립교회였다. 그들은 서구의 교회가 아닌 일본적 교회를 설립하고자 했고, 서구의 원조를 받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그래서 외국의 원조 없이 순수하게 일본인만의 힘으로 교회를 만들려 애썼다. 교회의 모토는 자립, 자주, 성서였다. 구조도 그들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교회는 5명의 위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운영되었는데, 일상적인 교회의 일은 그들이 함께 처리했고 그 외의 것은 언제나 투표로 처리했다. 또 교회의 회원은 의무적으로 교회를 위한 일을 해야만 했다. 빈둥거려서는 안 됐고 특별히 할 줄 아는 게 없다면 난로에 넣을 나무라도 잘라야 했다. 그들이 이처럼 다른 교회들과는 ‘차별적인’ 교회공동체를 추구했던 것은 훗날 그의 글에서 밝히고 있듯이 그것이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 교회의 구성원들은 자기들만의 독특한 체계와 원리들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독특성을 신성하게 여기고 유지하는 것이 하느님의 뜻이라고 믿었다.”



























 

▲ 그는 하느님의 뜻과 진리가 눈이 파란 서구인들에게만 해당한 것이 아니라, 피부가 검은 흑인들에게도, 또 키가 작고 노란 일본인들에게도, 나아가 모든 인류에게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신의 진리는 누구에게나 실현된다



우찌무라에게 큰 영향을 준 사건이 삿뽀로독립교회의 결성과 활동이었다면, 큰 영향을 준 사람은 뉴잉글랜드의 애머스트 대학 총장 실리 교수와의 만남이었다. 삿뽀로독립교회를 떠난 그는 많은 서적을 통해 만났던 실리 교수를 찾아가 공부를 시작했다. 그와의 인격적인 만남, 그리고 서구의 기독교를 직접 체험하게 되면서 여태껏 참된 기독교가 아닌 ‘식민적이고 우월적인’ 기독교를 만나왔음을 절감하게 된다.



“‘길들여진 코뿔소(회심한 이교도)’는 살아 있는 예다. 칠판에 그려진 예가 아니라, 최고의 현장에서 가져 온 최고의 표본이다. … 회심한 코뿔소로서 나는 선교의 서커스 사람들에게 이 문제에 대해서 좀 더 신중할 것을 권한다. 그들은 길들여진 코뿔소를 응석받이로 만들며 ‘길들여지지 않은 코뿔소(회심하지 않은 이교도)들이 길들여진 코뿔소를 모방하게 만든다. 그런 방식을 통해서 당신들의 일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면 사람들에게 기독교 선교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심어주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의 회고처럼 당시 서구 기독교는 다분히 식민주의적 선교 방식으로 기독교를 전하고 있었다. 설령 그것이 전부라 말할 수는 없어도 적어도 주류가 그러했다고는 말할 수 있으리라. 또한 기독교 국가의 우월주의는 인종, 지역, 자본주의와 맞물려 때로 제3세계들에게 폭력적이었음을 우찌무라는 직시했던 것이었다. 그는 그런 형태는 ‘참 기독교’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서구의 방식과 표현으로 획일화된 하느님은 분명히 일본인들이 만날 수 있는 하느님은 아니었다. 따라서 우찌무라에게 있어 참된 하느님을 만나는 것은 바로 가장 일본다운 모습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었으며, 하느님이 가장 기뻐하시는 일이라 생각했다.

 

▲ “기독교의 아름다움은 기독교가 하느님이 각 민족에게 주신 모든 독특한 특성을 거룩하게 만들어 준다는 데 있다. 일본도 동일한 하느님의 민족이라니 이 얼마나 복되고 격려가 되는 말씀인가!”

그의 이런 생각은 훗날 그가 표방하게 되는 무교회주의와도 직결된 사고였다. 대개 무교회주의를 ‘교회 체제를 거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상 그가 그리고 있는 무교회주의는 교회의 제도나 형식보다 성서 속에 살아 있는 복음과 만나는 것이 가장 일차적이라는 각성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가 말했던 무교회주의는 교회제도의 해체를 추구한 것이 아니라, 제도적 교회, 죽은 제도, 교리, 교권에 대항하는 비판정신에서 연유된 것이었\. 이런 사고의 저변에는 서구 기독교가 가진 교리, 형식, 직제에 관한 깊은 회의와도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유추된다. 그는 예수를 믿는 사람들의 사랑과 신앙에 의해 맺어진 모임이 곧 교회라는 것을 강하게 주장했다. 여기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무교회는 진보하여 유(有)교회가 되어지는 것이다. … 교회는 생명의 체구로서 균형을 갖추며 계속 무너지고 계속 세워지는 것이다. 무교회주의는 한편으론 결정체로 굳어버린 교회를 파괴하고 다른 한편으론 살아 있는 교회를 건설하기도 한다.”



우찌무라 간조. 그는 전생애를 통해 일본적 기독교를 위해 고민했다. 그것은 하느님의 뜻과 진리가 눈이 파란 서구인들에게만 해당한 것이 아니라, 피부가 검은 흑인들에게도, 또 키가 작고 노란 일본인들에게도, 나아가 모든 인류에게 타당한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각 민족의 특성에 맞게 실현되는 기독교가 ‘참 기독교’이며, 그것이 곧 신이 원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더불어 형식과 제도, 교리에 얽매이지 않고 성서, 나, 하느님이 끊임없이 대화할 때 기독교의 참 진리가 실현된다고 강조했다. 서구 일변도의 기독교가 중심이었던 1백여 년 전의 그 때 인류의 보편이 되시는 신의 폭넓음을 깨달은 우찌무라 간조의 통찰력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느님은 2천 년 동안 노력해서 얻은 우리의 민족적 특성이 미국과 유럽의 사상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것을 원치 않으신다. 기독교의 아름다움은 기독교가 하느님이 각 민족에게 주신 모든 독특한 특성을 거룩하게 만들어 준다는 데 있다. 일본도 동일한 하느님의 민족이라니 이 얼마나 복되고 격려가 되는 말씀인가!”



--------------------------------------------

* <주간기독교>에 연재했던 기사를 재편집, 보강하여 싣습니다.





입력 : 2006년 06월 19일


2016/11/01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 How I Became a Christian | 갓피플몰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 How I Became a Christian | 갓피플몰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How I Became a Christian)

우찌무라 간조 (역:양혜원)| 홍성사

2001.07.09 |

----



도서소개

잡신의 나라 일본에서 나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가?



내 나라, 내 문화, 내 이름…… 급기야 내 영혼까지 내줘야 했던 그 절망의 밤에 오직 성서의 빛으로 희망의 새벽을 준비하던 청년 예수들, 유영모 함석헌 김교신 안창호…… 그들에게 처음 예수의‘아름다운 민족주의’를 가르친 큰스승 우찌무라 간조. 회심을 향한 그의 머나먼 구도의 여정은 진지하고 치열한 회의(懷疑)를 지나서야 비로소 영롱한 하나님의 마음에 도달했다.





[편집자 서평]



지금, 우찌무라 간조를 읽어야 하는 이유

-‘무교회주의’ 오명 쓴 진정한 우상 파괴자



최근 황석영의 소설 《손님》을 읽었다. 개신교 목사인 류요섭이라는 인물이 한국 전쟁 전후 시기의 피비린내 나는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는 그 이야기에서, 작가는 기독교와 맑스주의를 이 땅의 ‘손님’으로 설정했다고 말했다.



손님과 기독교



하기사 작가 황석영의 말이 아주 틀린 건 아니다. 기독교를 이 땅에 뿌린 이들이 바깥에서 들어온 손님이었으니 말이다. 다만 여전히 이 땅과 이 민족에게 기독교는 어디선지도 모르게 흘러왔다가 잠깐 머물다 다시 어디론가 떠나 버리는 손님의 정체성으로만 존재한다면, 그건 소설 속의 동족상잔 못지않게 이 민족에게는 비참한 일이 아닐까.

소설 《손님》을 다 읽고 나서, 엉뚱하게도 나의 뇌리에는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이자 기독교 지성으로 꼽히는 우찌무라 간조(內村監三)의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How I Became a Christian)》가 겹쳤다. 그것은 민속 종교의 숭배자이던 '이교도' 간조가 '손님 종교' 즉 외래 종교인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회심하는 인상적인 과정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 책의 개정 작업을 하기 전까지 그에 대해 오래 전부터 가져 온, 정보(그것은 간조에 대한 나의 거의 유일한 정보였다!)도 생각났다. 나의 '무지에서 나온 편견'은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에 쓴 김진홍 목사님의 글이 대신 잘 얘기해 준다.

“한국 교회에는 우찌무라 간조가 단지 무교회주의자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무교회주의에 대해서 우리는 교회를 해치는 바람직하지 못한 신앙 사상쯤으로만 인식합니다만, 이것은 많은 오해로 빚어진 결과에 불과합니다. 그의 무교회 운동이 지닌 속뜻은 교회다운 교회를 세워 나가자는 것이지, 교회를 허물자는 운동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다시, 우찌무라 간조를 생각한다’중에서)

그러나, 우찌무라 간조가 자신을 “세심한 관찰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한 일기를 토대로 쓴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를 편집하며 그 ‘유일한 정보’가 그릇된 편견임을 알았다, 는 진부한 고백을 할 수밖에 없다. 그게 사실이니까.

스스로 ‘항해 일지’라고 부른 일기와 함께, 기독교와 기독교 국가, 그리고 자신의 조국과 민족에 대한 간조의 고백과 사상을 만나면서, 그가 진정으로 기독교를 '손님'이 아닌 일본의 ‘원천’으로 삼으려 부단히 고민하고 애썼음을 새삼 알게 되었던 것이다.



왜 지금, 우찌무라 간조인가



사실,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는 이미 15년 전에 홍성사에서 출간한 책이다. 우찌무라 간조의 신앙 자서전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이 《나는 어떻게 크리스천이 되었는가(How I Became a Christian)》라는 이름으로 나온 것은 1986년 11월이다. 그리고 이제 그 책이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라는 새 이름의 개정판으로 다시 나온 것이다. 12쇄를 마지막으로 절판된 이 책을, 40권 분량의 간조 전집을 펴낸 일본 교문관까지 직접 날아 가서 수십 장의 사진을 고르고 사용료를 지불하면서까지 다시 펴내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 책이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읽히고 또 읽혀야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지금의 한국 교회는 세인들의 비난과 조소 속에서 휘청대고 있습니다. 병든 세상을 치유하여 새롭게 하며 바른 미래로 이끌어 가야 할 교회가 오히려 세상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얼마나 슬픈 일입니까? 이런 때에 우리의 이웃 나라 일본에서 바른 교회를 일구고,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을 세워 나가기 위해 고민하며 살았던 우찌무라 간조의 삶과 사상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은 큰 의미를 갖습니다.”

(김진홍 목사, ‘다시, 우찌무라 간조를 생각한다’ 중에서)



김진홍 목사님의 글이 아니더라도, 이미 “서구 신학의 소비 시장”이라거나 “미국 교회의 지교회”라는 비아냥을 그저 터무니없다고 비판할 수만은 없으리만큼, 한국의 기독교가 스스로 손님으로 전락한 현실을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기독교를 통해 일본의 정신이 더 성숙해지고 조국애가 승화되리라는 확신을 갖고, 성경 연구 운동을 펼치며 조국 일본의 청년들을 기독교 정신으로 길러 내고 조국을 섬기도록 가르친 그의 신앙 운동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미국의 신학교들은 특별히 미국 교회에서 일할 젊은이들을 훈련시키기 위해서 세워졌기 때문에, 미국과는 처지가 다른 나라에서 일할 사람들을 훈련시키기에는 이상적인 장소가 아니다. 우리가 씨름해야 하는 대상은 회의적인 흄이나 분석적인 바우어가 아니라, 힌두철학의 미묘함, 중국 도덕주의자들의 비종교성, 그것과 어울려서 신생 국가들의 혼란스러운 생각과 행동들이다.”(‘신학에 빠져들다’ 중에서)

이교도 회심자 간조는 기독교 신앙이 자신이 발 딛고 선 삶의 현장에 어떻게 뿌리내려야 하며, 우주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복음이 일본이라는 땅 안에서는 어떻게 생명력을 드러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고민했다. 그는 미국 유학을 떠나기 전 자신의 삿포로 농업대학 동기생들과 함께한 ‘교회’ 창립에 얽힌 기독교 선교사들의 파벌(교파) 대립을 겪으며, 참된 교회는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가 반목과 대립, 파벌과 분리에서 벗어나 참된 교회를 찾고 세우려는 노력이, 어느 교파의 교회가 아닌 하나님의 교회를 추구하는 교파적 자유함이, 무교회주의로 오해받았던 건 아닐까. 따라서 ‘판정’ 내리기 좋아하고 ‘규정’ 짓기에 익숙한 우리네 의식으로 이러한 간조의 참 교회 운동을 ‘무교회주의’로 단칼에 베어버린 것은 아닐까.

정작 간조는 온갖 ‘주의’들로부터 벗어나기를 진심으로 갈구했다.

“오, 내 영혼아, 온갖 ‘주의’들로부터 벗어날 지어다. 감리교주의건, 조합교회주의건, 다른 무슨 고상하게 들리는 주의건 간에 상관치 말고 진리를 추구하며 인간으로서 처신하고, 사람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를 바라볼지어다.”(‘신학에 빠져들다’ 중에서)

우찌무라 간조에게서 나는, 오늘날 희미해져 가는 치열하고 진지한 구도의 자세를 배운다. 그리고 기독교를 ‘손님’으로 전락시키는 서구적 겉치레를 타파하는 우상 파괴자의 모습을 만난다.

“내가 앞으로 결코 하지 않을 것 한 가지, 그것은 기독교를 유럽이나 미국의 종교라고 옹호하는 것이리라. 그러기엔 ‘가시적인 증거’가 빈약할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불멸의 영혼을 지탱해 줄 종교는 ‘겉치레’ 증거보다 훨씬 견고하고 심오한 증거 위에 놓여야 한다. 그러나 나는 한때 내 신앙을 그런 짚더미 위에 쌓았다.”



-글/옥명호(편집부)

---------------------



[가상 저자 인터뷰]



“사는 것이 곧 싸우는 것이다”



○당신의 사상과 활동은 우리 한국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식자들 사이엔 매우 저명한 인사이다. 물론 당신의 제자들인 함석헌 김교신 등이 당신의 가르침을 전하는‘전도사’로 일해 왔다. 이번에 당신의 회심과정을 소개한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를 발간했는데 우선 이 책의 배경을 설명해 달라.



- 이 책 또한 나의 중요한 전도 수단인 문서전도의 한 형태로 보면 된다. 사실 일기를 공개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책에 수록된 나의 일기는 유년 시절부터 나의 조국 일본에서 형성된 다양한 우상을 극복하고 하나님과 정면으로 만나기까지의 과정이 때론 처절하게 또 때로는 격정적 감정에 담겨 전개된다. 나는 나의 이런 고민의 세월이 기독교의 문에서 서성거리고 있을 또 다른 구도자, 또 다른 우찌무라 간조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당신이 ‘우상’이라고 표현한 그 다양한 존재에 대해 구체적으로 듣고 싶다. 사실 당신의 우상들 가운데엔 우리 나라 젊은이들의 영혼을 사로잡고 있는 것들도 있다.



- 사실 우리 나라에서 섬기는 신은 무려 800만이나 된다. 지금도 많은 젊은이들이 이 신들에게 얽매여 있다. 각 신들은 독특한 금기사항을 가지고 육체적인 복종뿐 아니라 정신적인 복종까지 요구하고 있어 젊은이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행동을 억압하고 있다.

나 또한 이런 신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야 했다. 애국심도 그 중 하나였다. 그래서 외국의 종교를 받아들인다는 게 마치 조국의 반역자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 어쨌든 이런 우상의 활동들이 한국에까지 뻗쳐 있다니 참으로 두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개종의 과정을 밟았다. 이런 회심의 과정을 통해 당신은 겉과 속 모두 철저한 변화가 있었던 것 같다. 치열한 구도자의 자세 없이 그리스도인인 양 행세하는 이들이 적지 않음을 볼 때 이 책은 우리 한국 교회에 중요한 의미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 나도 삿뽀로 농업학교 시절 학교 친구의 권유로 처음 기독교를 접했을 때는 그저 예쁜 여자들과 함께 교제하는 즐거움에 관심이 컸다. 사실 800만 이상의 신을 섬기다 오직 하나의 신을 섬김으로써 수많은 형식의 예배와 기도는 물론 독특한 금기사항들도 지킬 필요가 없으니 정신적으로도 건강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종 이후 회심에 이르기까지 나는 더 깊 은 경험과 지식, 그리고 관찰이 필요했다.

내 개인의 만족만 추구할 것이 아니라 내가 태어난 이 땅의 충성된 아들이 되기 위해서 나는 조국이란 한계를 뛰어넘어야 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이유 또한 신앙에 기초한 바른 인간이 되는 것, 그리고 그 후에 애국자가 되기 위해서였다. 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이러한 문제에 더욱 치열하게 부딪쳐야 하고 그 속에서 경험과 지식을 쌓아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4개월 만에 신학 공부를 마무리하고 조국 일본으로 돌아왔다는데…….



- 무엇보다 극심한 정신적 긴장으로 신경이 불안정했고 심각한 불면증에 시달렸다. 그러나 이를 통해 신학 공부를 포기한 것이 돌이켜볼 때 하나님의 인도였다. 미국의 신학교들은 미국 교회에서 일할 젊은이들을 길러 내는 곳이다. 우리 나라의 처지에선 맞지 않았다. 우리가 씨름해야 할 대상은 회의적인 흄이나 분석적인 바우어가 아니라 힌두 철학의 미묘함, 중국 도덕주의자들의 비종교성, 그것과 아울러 신생 국가들의 혼란스런 생각과 행동들이다. 나는 모든 신학자와 목회자들은 마땅히 자신의 조국에서 하나님의 소명을 펼쳐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 자신의 조국을 향한 하나님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 내 가족은 무사계급에 속한다. 그래서 태어날 때부터 사는 게 곧 싸우는 것이었다. 이 운명은 회심하기 전이나 회심한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내 일생을 걸고 난 싸울 것이다. 내 하나님을 위해서, 내 조국을 위해서 말이다. 난 특별한 재주가 없는 사람이다.

굳이 재주를 대라면 글쓰기뿐이다. 이것이 내 삶의 전쟁터에서 유일한 무기다. 그러기에 내 보잘것없는 저서들이지만 이를 통한 복음전도와 성서연구는 내 평생의 과제요 즐거움이 될 것이다.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의 저자 우찌무라 간조

-----

차례

서문

들어가는 말



1. 우상 숭배

2. 기독교를 소개받다

3. 우리들의 작은 교회 Ⅰ

4. 우리들의 작은 교회 Ⅱ

5. 새 교회를 세우다

6. 세상 밖으로

7. 기독교 국가의 첫인상

8. 박애주의자들 사이에서

9. 뉴잉글랜드에서의 대학 생활

10. 신학에 빠져들다

11. 귀향

----

저자소개

우치무라 간조

1861년 일본에서 태어나 1930년에 세상을 떠난 세계적인 예언자이며 또 전도자였다.그는 삿포로 농학교에서 과학과 종교를 통하여 서구문명에 접하고, 다시 4년에 걸친 미국 유학으로써 동서문화의 접목을 꾀하였다. 젊어서 자연 과학자로서의 탁월한 재능을 보였던 그는 근세 과학의 실험적 방법론을 기독교에 도입하였다. 그리하여 기독교의 신앙을 기성의 교리로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그 생애의 구체적인 사건을 모델로 삼아 실험적으로 이를 체득하였다. 우찌무라의 신앙과 사상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방대한 저서는 인간의 정신적 양식으로서 인류의 신앙 유산으로서 영원한 가치를 지닌다.

-----

저자의 다른도서



우치무라 간조의 창세기 연구

구안록 - 마음의 평안은 어떻게 얻는가?



-----

역자소개

양혜원

어린 시절을 영국에서 보내면서 초등학교 6학년 때 처음 해 본 번역이 한인교회 회지에 실린 적이 있고, 한국에 돌아와 영국에서 읽던 청소년 소설들을 번역해 보고 싶은 생각이 간혹 들기는 했지만, 번역이 직업이 될 줄은 몰랐다고 한다. 서울대학교에서 불문학을 전공하고, 93년 말부터 번역가의 길에 들어서 유진 피터슨, 헨리 나우웬, 존 스토트, 톰 라이트 등 주요 기독교 저자들의 책을 번역해 왔다. 현재 미국에서 ‘종교학과 여성학’으로 박사 과정 중에 있는데도, ‘모든 사람을 위한 기독교’ 시리즈의 가치를 높게 평가해 전체 번역을 맡아 주었다. 옮긴 책으로는 『마침내 드러난 하나님 나라』, 『유진 피터슨』, 『이 책을 먹으라』, 『그 길을 걸으라』, 『비유로 말하라』(이상 IVP), 『목회자의 영성』, 『목회자의 소명』, 『목회의 기초』(이상 포이에마), 『기독교적 숙고』, 『교회에 첫 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이상 홍성사) 등이 있다.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믿음의 글들 40

(How I Became a Christian)

우찌무라 간조 (역:양혜원) | 홍성사

2001.07.09 |

나의 성장 이야기 ::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우찌무라 간조

나의 성장 이야기 ::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우찌무라 간조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 우찌무라 간조



‘우찌무라 간조’ 그의 이름은 설교를 듣거나 혹은 지인들과 신앙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면서 종종 들었다. 일본인이며 중국에서 특별히 빈민들을 위해서 선교활동을 했다는 정도만 알았지 그의 일생에 대해서 자세한 것들을 무지했다. 그래서 우연히 도서관 서가에서 이 책을 보게 되었을 때 설레는 마음으로 재빠르게 책을 뽑아 들었다.



이 책의 부제는 ‘내 영혼의 항해일지’ 이다.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그가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지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 쓴 책이다. 우찌무라 간조는 자신이 크리스천이 되면서 겪은 현상들만 나열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철학적 사고의 기회를 주려는데 목적을 두고 이 책을 썼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특히 자신에게 중요한 영향을 준 인물들의 말들과 자신이 직접 기록한 일기를 발췌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통해서 개인적으로 좀더 생생하게 그가 가진 생각의 형성 과정을 바라볼 수 있었다.



하나님을 믿게 되면서 한 가지 답답한 부분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나 스스로 뿌듯하게 생각하고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문화와 기독교에 근간을 두고 발달한 유럽, 미국의 문화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할 것 인가 하는 문제였다. 하나님을 믿게 되면서 기독교 종교 자체를 객관적으로 보는 시각보다는 받아야 들여야 하는 것으로만 생각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문제에 대해서 깊이 있게 스스로 고민해보지 않고 각각의 문화를 따로 구분해서 생각하는 미지근한 태도를 유지해왔다.



우찌무라 간조는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면서 회심을 했을 때 자국문화에 대해서 열등의식을 지녔다. 하지만 미국에 건너가서 직접 서구문화를 체험하면서 자신이 선교사로부터 듣고 또한 스스로 생각했던 기독교국가의 이미지와는 많이 다른 부조리들을 느꼈다.오히려 서구 문명에 비해 오히려 이교도국가가 순수한 기독교의 국가로 발전해갈 수 있는 희망을 가진 나라라고 그는 주장했다.



우찌무라 간조가 이렇게 자기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부분에 있어서 부끄러운 마음이 많이 들었다. ‘한 번이라도 내가 이러한 고민들을 붙잡고 주님께 지혜를 간구했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우찌무라 간조의 중심이 너무 본받고 싶었다. 그가 가진 중심됨이 무엇인지 다음의 책의 본문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조국의 한계를 뛰어넘는 경험과 지식을 배워 애국하기 위해서 외국으로 나가려는 결심을 했다. 엄숙한 이별의 시간에 나는 고개를 숙였고, 나의 영혼은 하나님 아버지와 내 조상들의 영을 향한 채 기도하며 동시에 회상하는 일종의 명상에 잠겼다.교리 선생들은 못마땅해할지도 모르지만 나는 하나님과 조국과 조상들을 사랑했고 단지 이 엄숙한 계기에 그 모두를 기억했을 뿐이다.”



“그가 아는 한 일본인은 자신에게 세례를 준 사람이 하나님이라고 대답한다. 어느 날 문득 그가 자신의 죄를 깊게 깨닫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 안에서 용서를 체험했다. 세례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자신의 주변에 세례를 줄만한 목회자가 없었다. 그 때 마침 신선한 여름비가 내렸고 그는 하나님께서 초대한다고 생각했고 비를 맞으며 경건한 자세로 흠뻑 적셨다. 모든 문제의 핵심은 그리스도이시며 사람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 방식은 서로 다르다.”



이러한 중심을 보는 그의 마음이 와 닿았다. 형식과 절차에 중요성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형식과 절차 때문에 정작 그리스도의 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 껍데기에 얽매여 있었던 나의 경험과 달리 가장 중요한 그리스도를 향한 그의 진심이 나의 마음에와 닿았을 것이라. 중요한 것을 먼저 보고 그것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서로 이해하며 대한다면 형식과 절차도 많이 없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갑자기 든다.



그리고 우찌무라 간조의 대학재학시절에 크리스천 친구들과 함께 성경에 대해서 공부하고 믿음의 조상들이 남긴 책들을 함께 읽고 그것들에 대해서 나누는 그 모임이 참 보기 좋았다. 개인적으론 청년의 시절을 보내고 있는 나에게 신선한 자극을 주었다. 주님을 주제로 모이는 모임이 얼마나 풍성하고 행복하고 축복인지 알게 되었다. 특히 재미있었던 부분은 친구들과 두 그룹을 만들어서 각각 기독교인 비기독교인의 입장을 대표해서 이야기 해보는 시간등은 참 신선했다.



우리들이 만든 작은 교회는 전적으로 민주적이어서 모든 사람들의 교회 직분이 동일했다. 우리는 이것이 철저하게 성경적이며 사도적인 관점이라고 보았다. 지도자의 역할을 돌아가면서 맡았는데, 그날의 지도자는 하루 동안 우리의 목사요, 신부여, 선생이요 심지어는 종이었다.



그리고 그의 일기 중에서 마음에 와 닿은 부분들도 많았는데 아래와 같다. 그가 쓴 일기들을 보면서 매일 매일 내가 교제하는 하나님을 일기를 통해서도 찬양할 수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이렇게 자연스럽게 습관으로 또 드러나는 게 아닐까?



어느 날 일기

기독교인의 기도는 하나님의 특별한 중재로 자신의 욕망을 채워 주기를 바라는 단순한 요청이 아니다. 그것은 참으로 영원하신 성령과의 교제를 통해서 이미 하나님의 마음 속에 가지고 계신 그 뜻을 우리로 기도하게 하는 것이다. 내 영혼이여 항상 선한 것을 의도하시는 그 분의 뜻에 그대의 뜻을 맞추어라.



어느 날 일기

주께서 나를 치신다 할지라도 나는 즐거워할 것입니다.

나는 비록 죽어도 하나님의 뜻은 확실히 이루어질 것입니다.

헌신된 영혼은 자기 자신의 성공을 기뻐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이 영화롭게 되는 것만을 기뻐합니다.



일본의 한 하급 사무라이의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란 우찌무라 간조. 그는 청년의 시기에 주님을 만나 자신의 죄인 됨을 고백하고 주님과 교제하며 여생 동안 배운 것을 실천하며 살아갔다. 그가 가진 솔직한 생각과 고민들을 읽으면서 많이 동감했고, 평소에 말로 잘 표현하지 못했던 것들을 우찌무라 간조가 속 시원하게 긁어주는 느낌을 특히 많이 받았다. 아무래도 같은 동양의 문화권에서 있었기 때문에 그가 그리스도인이 되면서 느꼈던 부분들이 나에게도 와 닿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쉽진 않겠지만 우찌무라 간조가 한 것처럼 나의 삶을 통해서 만나게 될 나의 주님에 집중하며 그를 통해 배운 것을 용기 있게 실천하며 살 수 있는 용기와 희망 그리고 위로를 이 책을 통해서 받았다.

   

참된 기독교는 무엇인가? 진리는 생명처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다. 오직 진리를 따를 때에만 진리를 알 수 있다. 쪼개고 따지고 장황하게 늘어놓는 건 오히려 진리를 진리답지 못하게 만든다. 확고하게 제 자리를 지키고 서있는 진리로 인간이 다가가면 되는 것이다.


우찌무라간조의 삶

우찌무라간조의 삶































우찌무라간조의 삶



“동양평화 외치며 전쟁하는 일본, 하나님이 불벼락 내릴 것”



부활절 아침에 ‘일본의 양심’ 우치무라 간조의 기독교 정신을 찾아서

중앙선데이

---

4일 부활절의 아침이다. 부활절은 예수가 죽은 지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났다는 날이다. 기독교 신앙은 이 믿을 수 없는 일을 믿음으로써 시작됐다. 부활 사건은 미스터리다. 그러나 신생의 역설이 담겨 있다. 죽음의 고난을 통해서만 새로운 탄생이 가능하다는 역설이다. 신생의 역설은 기독교 안에 끊임없이 자기혁신의 기운을 불어넣어 왔다. 인류 문명의 진전에도 기여했다.



일본 근대사에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1861~1930)라는 인물이 있다. 그는 신앙의 자기혁신이란 면에서, 국가의 양심 회복이란 면에서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지성이다. 제도적 교회의 독선을 경계하는 무교회 신앙을 열었고, 전쟁을 일으킨 조국에 대해 “하나님이 불벼락을 내릴 것”이라고 경고해 국가의 적으로 낙인 찍혔다. 김교신·함석헌·송두용 같은 이를 제자로 삼아 한국 지성사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선 기념우표가 나올 만큼 유명하지만 현대 한국에서 그를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마침 지난주 우치무라 선생 80주기를 맞아 중앙SUNDAY가 도쿄에서 그의 흔적을 찾는 여행� 했다. 우치무라의 끝없는 자기혁신적 신앙, 부활의 신앙을 추적했다.

----



1923년 62세 때의 우치무라 간조. 이 무렵 그는 이마이칸에서 성서 강연에 정열을 쏟았다. [ICU 제공]

도쿄 시부야역에서 걸어서 7분 정도에 있는 금속노동회관 3층 회의실. 일요일인 지난달 21일 오전 10시. 공무원을 정년퇴임한 반나이 무네오(坂內宗男·76)의 성서 강의가 한창이다. 30여 명 되는 청중 대부분은 60~70대다. 800만의 신이 산다는 일본에서 그의 강의 제목은 ‘유일한 하나님을 따르다’였다. 반나이는 출애굽기 20장 3, 4절을 읽었다. 3절은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이고 4절은 ‘너를 위해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며…’이다. 반나이는 “15년 전쟁(1931년 만주사변부터 1945년 2차대전 종전까지) 때 피침략국, 특히 한국 기독교도들의 수난에 대해 냉담했던 것, 강제로 신사참배를 하게 하는 데 가담한 것은 3절의 의무를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4절을 들어 일본의 천황제를 우상숭배라고 비판했다. 교회건물도 십자가도, 목사도 없는 무교회주의자의 성서집회는 1시간40분 만에 끝났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 모습 여전히 간직



매주 열리는 무교회주의자들의 성서집회는 132년 전인 1878년 홋카이도(北海道)의 삿포로 농업학교 기숙사에서 초기 기독교 공동체 같은 형태로 시작됐다. 당시 17세의 앳된 학생이었던 우치무라 간조는 기독교에 함께 입문한 동기생 7명과 일요일과 수요일에 모임을 가졌다. 기숙사 방에는 밀가루 통에 파란 담요를 덮은 강단이 만들어졌다. 지도자는 학생들이 돌아가며 하고 참석자들이 한마디씩 자기 얘기를 했다. 이런 집회 방식은 지금도 비슷하다.



우치무라가 일본 열도를 흔든 사건은 30세의 꽃미남 교사였던 1891년 1월에 발생했다. 도쿄 제일고등중학교 강당엔 교사 60명과 학생 1000여 명이 모였다. 단상엔 ‘일본인의 신’이었던 메이지 천황의 초상과 그가 서명한 교육칙어가 놓여 있었다. 칙어 낭독이 있은 뒤 한 사람씩 허리를 깊이 숙여 절을 했다. 셋째로 올라선 젊은 교사는 허리를 꼿꼿이 세운 채 절을 하지 않았다.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유일신 신앙인에게 천황은 그저 우상이었기 때문이다. 웅성거림은 소란으로 이어졌다. 언론은 전대미문의 이 사건을 앞다퉈 보도하면서 ‘불경사건(不敬事件)’으로 명명했다. 우치무라는 이 사건으로 학교에서 쫓겨난다. 국가와 국민의 반역자 취급을 받았다. 이후 다른 학교에 취업을 했으나 그곳서도 오래 근무하지 못했다. 불경사건의 주인공은 군국주의 정책에 대해서도 조국의 종말을 예언했다.



러일전쟁(1904~1905년)이 끝나 온 나라가 승전 분위기에 도취해 있을 때 우치무라는 “앞으로 일본은 동양평화를 위한다면서 더 큰 전쟁을 할 것이다. 그러면 가이사마(하나님)가 일본에 불벼락을 내리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1930년에 타계했지만 그 뒤 일본은 실제로 더 큰 전쟁을 벌였고, 결국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는 하늘에서 불벼락(원자폭탄)을 맞았다.



우치무라는 동양평화를 명분으로 한국침략이 당연시되던 지적 풍토에서 보기 드문 친한파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있자 ‘조선에서 일본인의 대실패’라는 글을 썼다. 1910년 한일병탄 때 그는 “나라를 잃어 슬픔에 잠긴 민족을 생각했다. 일본은 영토를 넓힘으로써 영혼을 잃었다”고 한탄했다.



직장을 잃고 우치무라는 강연과 저술로 생계를 이어갔다. 그는 도쿄 기독교 청년회를 상대로 1915, 1917, 1922년 세 차례에 걸쳐 성서 강의를 한다. ‘성서연구회’를 만들고 『성서의 연구』란 잡지를 출간했다. 김교신·송두원· 함석헌 등 한국 무교회주의 1세대들이 우치무라의 강의를 들은 것도 이때다. 우치무라는 일기에서 “나의 가르침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들은 조선인이다. 그들이 있는 것만으로도 성서연구회를 한 보람이 있다”고 썼다.



복음엔 국적 없지만 기독교인에겐 국적 있다



다시 2010년의 도쿄. 우치무라가 강연을 했던 이마이칸(今井館·이마이라는 사람이 기증한 건물)은 원래 신주쿠에 있는데 1935년 지금의 메구로구로 옮겼다. 성서강의장에는 지금도 우치무라가 사용했던 강단과 의자가 놓여 있다. 2층짜리 건물인 자료관에는 우치무라의 강연 내용과 저작물이 빼곡히 쌓여 있다. 그곳에서 전철로 40여 분가량 떨어진 우추시의 공원묘지에는 석묘로 된 우치무라의 무덤이 있다. 우치무라의 묘에서 하나 건너 이마이칸을 기증한 이마이의 무덤이 있다. 마침 춘분을 맞아 다녀간 성묘객이 두고 간 꽃이 보였다.



묘비명은 “I for Japan; Japan for the World; The World for Christ; And all for God. (나는 일본을 위해, 일본은 세계를 위해, 세계는 그리스도를 위해,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을 위해)”라고 쓰여 있었다. 69세에 세상을 떴지만 묘비명은 20대 미국 유학 시절에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한다. 유학을 떠나기 전 삿포로 농학교 졸업식에서 우치무라는 친구들과 함께 평생을 두 개의 ‘J’에 바칠 것을 서약하는 의식을 가졌다. 두 개의 J는 예수(Jesus)와 일본(Japan)이었다. 젊은 시절 우치무라 선생의 영향을 받은 김진홍 두레교회 목사는 ‘두 개의 J’에 대해 “선생이 복음에는 국적이 없지만 크리스천에겐 조국이 있다는 인식에 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신과 일본, 일본과 세계, 세계와 예수, 예수와 하나님을 일체화하는 무교회신앙은 가장 개인주의적이면서도 가장 민족적이며 가장 개방적인 독특한 가치관을 성립시켰다. 이런 가치관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과학주의가 충돌 없이 조화하는 독특한 세계관을 형성했다. 사회주의에 대한 우치무라의 입장은 단호했다. 그는 ‘사회주의’란 제목의 글에서 “기독교와 흡사하면서 가장 다른 것이 사회주의다. 성서에서 말하는 소위 불법이 숨은 자이다. 불평과 완강과 파괴의 사상만이 있다”고 했다. 사회주의자들의 본성이 제국주의자와 똑같이 싸움을 좋아하는 체질이라는 주장도 했다.



우치무라가 한 번 성서 강의를 하면 300~400명이 몰려 들었고, 강의가 끝난 뒤에도 그 숙연한 깨달음에서 헤어나지 못해 오랫동안 자리를 뜨지 못했다고 한다. 그렇게 형성된 제자들은 전후 일본 재건의 주역으로 성장했다. 도쿄대 총장 야나이하라 다다오(矢內原忠雄)는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정부를 비판하다 학교에서 쫓겨났다. 야나이하라 말고도 도쿄대 총장 2명, 문부대신(교육부 장관) 5명이 우치무라의 제자 그룹에서 배출됐다.



우치무라 정신의 향기는 문필에서 느껴진다. 간결하면서 의표를 찌르는 언어들이다. 기성관념과 제도신앙에 젖은 사람들을 찔끔찔끔 놀라게 하는 말들이 많다. “하나님, 나는 당신에게 나와 내 집을 축복해 주십사고 기도하지 않습니다. 나를 당신의 것으로 써주십사고 기도합니다. 우리에게 좋은 것을 주십사고 기도하지 않습니다.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을 바치게 해주십사고 기도합니다.”



우치무라는 세상을 회피하는 나약한 인간형은 아니다. 그 반대다. “세상을 피하려고 하지 말라. 세상을 이겨야 한다. 환경이 개선되길 기도하지 말라. 마음이 개선되길 기도하라. 고통이 사라지기를 바라지 말라. 은총이 더하기를 바라라. 밖으로 부유해지고 흥하기를 바라지 말라. 안으로 기뻐하고 즐거운 자가 되어야 한다.” “사람은 희망의 동물이다. 앞을 바라봄이 자연스러우며 뒤를 돌아다 봄은 부자연스럽다. 희망은 건전하며, 회고는 불건전하다. 죄를 잊어 버리고, 병을 잊어 버리고, 실패를 잊어 버리고, 원한을 잊어 버리고, 하나님과 생명과 성공과 사랑을 향하여 나아갈 뿐.”

관념성을 떨치고 실용적 삶을 촉구하는 글들도 많다. “인간의 가치는 그의 ‘지금’의 가치다. 그의 과거의 가치가 아니다. 그가 과거에 선인이었다 해도 ‘지금’ 악인이라면 그는 악인이다. 그가 과거에 악인이었어도 ‘지금’ 선인이면 그는 선인이다. 그의 가치는 그의 ‘지금’의 가치다. 우리는 그의 과거를 따져 그의 가치를 정하지 않는다.”



우치무라의 출생과 교육, 회심은 흥미진진하다.

우치무라는 “나의 아버지는 훌륭한 유교학자였고, 공자의 기록과 말씀을 거의 대부분 암기하셨다 ”고 회고했다. 우치무라는 유교적 전통이 있는 사무라이 가정에서 자라면서 일본의 신사마다 있는 수없이 많은 신을 믿었다. 그는 신마다 다른 금기나 규칙을 지키기 위해 애썼고 그것이 날마다 늘어나고 모든 규칙을 지켜 신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지경이 돼갔다. 우치무라는 그즈음 “드디어 구원의 손길이 나타났다”고 『나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가』에서 적었다. 16세 때 삿포로 농업학교에서 만난 유일신 하나님이 구원의 손길이었다는 것이다.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인 뒤 그의 발언은 소박했다. “새로운 믿음의 실용적인 유익은 금방 드러났다. 내가 믿어왔던 800만 이상의 많은 신을 버림으로써 (금기나 규칙들은) 전부 쓸모없는 것들이 돼 버렸다.”



삿포로 농업학교 학생들을 기독교 세계로 이끈 건 미국 매사추세츠 농업대학 학장 출신으로 이 학교에서 8개월간 교무주임으로 근무하던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W S Clark) 교수다. 클라크 교수는 이 학교 1기생 16명을 모두 개종시켰고, 이 1기생들이 2기생인 우치무라를 전도했다. 클라크 교수는 귀국할 때 하얀 눈길 위를 말을 타고 학교를 떠났다. 그때 작별 인사로 클라크 교수가 남긴 말은 아시아에서 매우 유명한 말이 되었다.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Boys be ambitious!)” 이 장면을 형상화한 큰 유화 그림이 지금도 홋카이도 도청 2층 기념관에 걸려 있다.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o in Modern Japan (The Past and Present Book Series) (9780198754251): Oleg Benesch: Books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o in Modern Japan (The Past and Present Book Series) (9780198754251): Oleg Benesch: Books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ō in Modern Japan
Oleg Benesch
----
The Past and Present Book Series

The only book-length academic study of bushidō, an important subject for anyone with an interest in Japan
Provides an overview of modern Japanese history through the lens of a single concept
Offers a long-awaited re-evaluation of some of the longest-standing myths about Japanese thought and culture
The first book in English to take a historical approach to a subject that has traditionally been dealt with primarily on a philosophical level
Combines a variety of approaches and sources to provide a comprehensive history of a concept
------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1: Backgrounds
2: First Explanations of Bushidō in the Meiji Era
3: The Early Bushidō Boom, 1894-1905
4: The Late Bushidō Boom, 1905-1914
5: The End of the Bushidō Boom
6: The Showa Bushidō Resurgence
7: Bushidō in Postwar Japan
Conclusions and Considerations
Select Bibliography
----
Description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way of the samurai' - bushidō - which is popularly viewed as a defining element of the Japanese national character and even the 'soul of Japan'. Rather than a continuation of ancient traditions, however, bushidō developed from a search for identity during Japan's modernizati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former samurai class were widely viewed as a relic of a bygone age in the 1880s, and the first significant discussions of bushidō at the end of the decade were strongly influenced by contemporary European ideals of gentlemen and chivalry. At the same time, Japanese thinkers increasingly looked to their own traditions in search of sources of national identity, and this process accelerated as national confidence grew with military victories over China and Russia.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considers the people, events, and writings that drove the rapid growth of bushidō, which came to emphasize martial virtues and absolute loyalty to the empero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ushidō became a core subject in civilian and military education, and was a key ideological pillar supporting the imperial state until its collapse in 1945. The close identification of bushidō with Japanese militarism meant that it was rejected immediately after the war, but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bushidō were soon revived by both Japanese and foreign commentators seeking to explain Japan's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volume further explores the factors behind the resurgence of bushidō, which has proven resilient through 130 years of dramatic social, political, -
-----


Review
Review from previous edition: "Benesch's history of bushido as an invented tradition with an ideological character delivers on the title's promise. Students of intellectual history will appreciate the example of an idea created, branded as tradition, and then variously applied by multiple
ideological positions. Modernists will benefit from Benesch's explanation of the Imperialist appropriation of bushido as a tool for militarization of the population through World War II. And Japan specialists are finally armed with a full argument against bushido's historicity."

--Nathan H. Ledbetter, Journal of Military History
L

"Benesch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haul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bushido. He demonstrates great expertise in presenting the various texts and their roles in the discourse ... this book is a highly gripping read and provides a well-informed contribution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powerful influence of invented traditions."

--Julian Plenefisch, H-Soz-u-Kult [translation]
-----
About the Author

Oleg Benesch is Anniversary Research Lecturer in History, specializing in the history of early modern and modern Japan. Before arriving at the University of York, Dr Benesch was Past & Present Fellow at the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at the University of London. He has spent almost six years living and researching in Japan, including two years each at Hitotsubashi University and Reitaku University in Tokyo. Dr Benesch's publications and teaching interests cover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Japanese intellectual, religious, and social history,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as well as the transnational history of modern East Asia. He has presented his research findings at academic conferences and invited lectures throughout East Asia, Europe, North America, and Australia.
-----
Top Customer Reviews

5.0 out of 5 starsThis book is the most accurate, nuanced, and well researched examination of Bushido available
By Corydharma on December 14, 2014
Format: Hardcover
A remarkable piece of scholarship: this book is the most accurate, nuanced, and well researched examination of Bushido available. It clearly shows how the concept of Bushido has changed chronologically, rightly noting how nationalists, popular culture, and a lack of critical scholarship all affected how Bushido was portrayed and understood.

For the curious martial artists, amateur philosophers, and Japanese history buffs, this book will swipe the rug out from under you when you find out the truth about Bushido's history. It is an academic work though, so expect it to challenge you. It's not the kind of book you casually read before you go to bed. If you're looking for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Samurai and their beliefs that's good but a lot easier to read you should get "When Buddhists Attack: The Curious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the Marial Arts" by Jeffery Mann instead of this book.

For the academics and those who are serious about cultivating a deeper understanding the way of the warrior: you need to read this book. If you can't afford it, call your library have them buy it. It's really good.
-----
5.0 out of 5 starsThis book does an incredible job of laying out the progression and growth of this concept as it has evolved and changed througho
By Matthew K. on January 31, 2015
Format: Kindle Edition
The concept of "bushido" and the samurai as it has been transmitted into the modern era is largely a construct of Imperial Japanese Military propaganda. This book does an incredible job of laying out the progression and growth of this concept as it has evolved and changed throughout the modern era and is highly recommended for anyone with an interest in Japanese history or the martial arts.
Commen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

"Benesch's history of bushidō as an invented tradition with an ideological character delivers on the title's promise. Students of intellectual history will appreciate the example of an idea created, branded as tradition, and then variously applied by multiple ideological positions. Modernists will benefit from Benesch's explanation of the Imperialist appropriation of bushidō as a tool for militarization of the population through World War II. And Japan specialists are finally armed with a full argument against bushidō's historicity." - Nathan H. Ledbetter, Journal of Military History

"Benesch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haul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bushidō. He demonstrates great expertise in presenting the various texts and their roles in the discourse ... this book is a highly gripping read and provides a well-informed contribution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powerful influence of invented traditions." - Julian Plenefisch, H-Soz-u-Kult [translation]

"Benesch has provided us with a valuable history of modern Japan through the lens of a particularly resilient ideology. It will be of great interest to students of Japanese history, not to mention to anyone concerned with the intellectual history of invented modern traditions." - Constantine N. Vaporis, American Historical Review

"Oleg Benesch's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is a seminal, scrupulously researched work that teems with ideas. Its content is profoundly relevant to current political developments in Japan, as questions about the Constitution and the nation's identity come to the fore ... an essential guide to this crucial aspect of Japan's intellectual history." - Damian Flanagan, The Japan Times

Nitobe "The Japanese nation : its land, its people, and its life, with special consideration to it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Full text of "The Japanese nation : its land, its people, and its life, with special consideration to it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CHAPTER IX



JAPAN AS COLONISER



HISTORY has repeatedly shown ''how wide

the limits stand between a splendid and

a happy land." As with individuals, so with

nations, greatness and happiness lie, alas ! too often

at opposite poles. What belongs to the one may

be shared by the other; but, as a rule, he who

plucks the flower must forego the fruit. Falsely

or truly (it is not now my purpose to discuss the

moral or political issues involved in colonial enter-

prise), modem nations vie with one another to

express their greatness and splendour in territorial

expansion, or else in ethnic colonisation.



With the acquisition of the small island of For-

mosa in 1895, Japan joined the ranks of colonial

powers. Since then, she has added the southern

half of the island of Saghalien by the treaty of

Portsmouth in 1905 and the kingdom of Korea,

now officially called Chdsen, by annexation in 191 1.

Besides these territories, Japan holds the small

province of Kwang-tung in the Liao Timg penin-

sula, as well as a long and narrow strip of land



231;







232 THe Japanese Nation



along the South Manchurian railroad. These

last two were leased from China in continuation of

the contract which that nation had made with

Russia before the war.



In recounting what Japan has done as a colo-

niser, I shall for several reasons devote my time to

a review of what she has achieved in Formosa. In

the first place, because it is the first, and may be

called the only colony with which' we have had

experience of any length ; in the second place, be-

cause it has served the purpose of educating us

in the art of colonisation ; and in the third place,

because the administration of this island forms

a precedent for the government of later acquisi-

tions. To these three reasons may be appended

one other — ^namely, that I can speak of Formosa

from a long and personal connection with it ; and

to me the last is here the strongest and the best

reason.



Before proceeding further, let us refresh our

memory regarding geography.



Scattered over a wide surface of the globe are

about a dozen places christened with the Portu-

guese term Formosa — * ' Beautiful. ' * It is needless

to add that the word is of Latin origin, despite the

fact that it is not to be found in the ancient or in

the mediaeval list of nomina geographica. Among

the modem places bearing the name, some are so

small that many gazetteers do not condescend to

notice their existence.



There is an immense territory of the name of







Japan as Coloniser 233



Formosa covering 42,000 square miles, in the

north of Argentine. Then there is a Httle town

of the same name on the north-eastern coast of

Brazil, as well as one o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Africa. Among the group of the Bissagos

islands, is a Formosa. In the interior of Europe,

too, on the Russian border, near the Danube, is a

village of the same name. On a map of Asia, we

find Mount Formosa, Formosa River, Formosa

Strait, Formosa Banks, etc. On the American

continent, in Bruce County, Ontario, there is a

settlement called Formosa. In the slightly modi-

fied form of Formoso, there is a banking and post

village in Kansas (Jewell Co.), and in the still more

modified Spanish form of Hermosa, one meets with

the same name in New Mexico (Sierra Co.), in

South Dakota (Custer Co.), and in California.



Thus, in Europe, Asia, Africa, North and South

America are found Formosas. But the Formosa

which is the subject of my discourse, is, I suppose,

the best known of them all. It is an island, lying

a short distance off the eastern coast of China. Its

area is 14,000 square miles, being about 240 miles

in length, with the Tropic of Cancer crossing

through its centre. Of volcanic formation, ranges

of slaty and schistose mountains, mainly of the

Tertiary age, run through its length, some of their

peaks towering as high as 1 3,000 feet. The eastern

coast is rocky and steep, affording very few landing

places ; but the western coast consists of flat, fertile,

alluvial plains, where are raised rice, sugar cane,







234 THe Japanese Nation



tea, ramie, bananas, oranges, and sweet potatoes.

Among the mountains grow gigantic trees of

various kinds, the most important being camphor

and hinoki {Thuya ohtusa,)



The island is as beautiful as it is fertile. The

Portuguese navigators, as they sailed along the

eastern coast, were so charmed by its precipitous

but wooded moimtains, its fantastic rocks and

the foaming billows which dash against them, that

they put down in their log-book their favorite

name of "Ihla Formosa." From the other side,

the Chinese, who can quite easily reach the western

coast in their junks — the distance from Foochow

to a Formosan port is only a little over a himdred

miles — were struck with its beauty, as from their

anchorage they saw hillsides inhabited and culti-

vated, and they called it Taiwan, the "Terraced

Bay," which is still the official designation of the

island. The Japanese, too, had long known of it,

and in times past venturesome spirits used to

frequent it, but in later days only the poetical

name "Takasago" (The High Sandy Tract)

remained, suggesting in popular fancy a land of

lotus-eaters.



Our knowledge of Takasago was as fanciful as

the account given of the island by that famous

literary impostor, George Psalmanazar. A French-

man by birth (bom about 1679), he was taken from

Holland to England by the chaplain of a Scotch

regiment, and was there received with much curi-

osity and honour because of his well-maintained







Japan as Coloniser 235



pretension of being a native of Formosa. His

amusing treatise on A History and Description of

the Island of Formosa off the Coast of China, pub-

lished in London in 1704, still remains an amazing

document of fabrication. The man evidently

showed no lack of intellectual ingenuity when he

constructed an entire linguistic system including

grammar and vocabulary. It is only to be ex-

pected that his description did not tally with facts.

Our acquaintance with Formosa, however, was

not much better. But it came quite forcibly and

unpleasantly upon us in 1874, when the report

spread that the savages of Southern Formosa had

slaughtered some Japanese sailors who were

wrecked on its coast. China at that time held

sway over the island. For the murder of her sub-

jects, Japan demanded satisfaction of China, but,

as the Celestial Government evaded responsibility,

we sent an army to the island itself. It is inter-

esting to notice that a number of American officers

at first joined in this expedition ; but, being warned

by their Government to observe strict neutrality,

they reluctantly left our service. After subju-

gating the hostile tribe, our army left the island,

China in the meantime offering to pay for damages.

Our interest in Formosa then ceased, and nothing

was done towards its conquest or even towards

securing its trade.



More than twenty years later, when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came to an end, For-

mosa was most imexpectedly brought into promi-







236 TKe Japanese Nation



nence. When Japan proposed that China should

cede the island, we were not at all sure that the

suggestion would be regarded with favour. But

the Chinese plenipotentiary, Li Hung-Chang, took

up the proposition, as though it were wise on the

part of his coiintry to be freed from an encum-

brance, and he even commiserated Japan for

acquiring it. He pointed out that the island was

not amenable to good government: (i) that brig-

andage could never be exterminated ; (2) that the

practice of smoking opium was too deep-rooted

and wide-spread among the people to eradicate;

(3) that the climate was not salubrious; and (4)

that the presence of head-hunting tribes was a

constant menace to economic development. The

island, somewhat like Sicily, had, in the course

of its history, been subject to the flags of various

nations. Holland, Spain, and China ruled it at

different times; a Hungarian nobleman once

dominated it; and at one time Japanese pirates

had practically usurped supreme power over it.

In 1884, the French under the celebrated Admiral

Courbet planted the tricolor on its shores, where

it waved for eight months. Such instability in

government is enough to demoralise any people;

but among the inhabitants themselves there were

elements which put law and order to naught.



If these were the main causes of chronic misrule

or absence of any rule in Formosa, let us see what

Japan has done.



In accordance with the stipulation of the treaty







Japan as Coloniser 237



of Shimonoseki, one of our generals, Count Kaba-

yama, was dispatched as Governor-General of

Formosa. In that capacity, he was about to land

on the island with a large army, when he was met

by the Chinese plenipotentiary at the port of

Kelung, and in an interview which took place on

board the steamer Yokohama Maru, the 17th of

April, 1895, it was arranged that a landing should

be effected without opposition. This marked the

first occupation of the island by our troops.

There were at that time some Imperial Chinese

soldiers still remaining in the island, and they

were ordered to disarm and leave the country.

Many did so, but a few remained to oppose our

advance; there were also a few patriots who did

not feel ready to accept our terms — ^not prepared

to accept alien rule, — and these either went from

the island or took up arms against us. The so-

called patriots proclaimed a republic, one of the

very few republics ever started in Asia. Tang

Ching-Stmg was elected president. The republic

of Formosa lasted three weeks, during which

mobocracy and deviltry in all its forms reigned su-

preme, leaving behind no evidence of its existence

other than some postage stamps valuable for

collectors ! At this time the professional brigands

took advantage of the general disturbance to ply

their trade. Peaceful citizens suffered more from the

hands of their own coiuitrymen — that is, from

Chinese troops and brigands — than they did from

us. Evidence of this lies in the fact that, as our







238 THe Japanese Nation



army approached the different towns, it was every-

where received with open arms as a deHverer from

robbery and slaughter. As for Tang Ching-Sung,

he fled to China, as did also some of the wealthiest

inhabitants, although many of these, learning of

the security enjoyed imder Japanese rule, have

since returned.



Though the island was pacified, no one knew

what would happen next. We did not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people. Very few Japanese

could speak Formosan, and fewer Formosans

could speak Japanese. There was naturally

mutual distrust and suspicion. The bandits

abounded everywhere. Under these conditions

military rule was the only form of government that

could be adopted until better assurance could be

obtained of the disposition of the people. To

carry out a military regime, it was calculated

that some ten million yen (five million dollars)

wciild be needed yearly. Out of this necessary

sum only three million yen could be obtained in

the island by taxation and from other sources of

revenue. The balance had to be defrayed by

the Imperial, that is by the Japanese, exchequer.

Now, in those years, an annual appropriation of

six or seven million yen, to be spent in an island

far from home, with no immediate prospect of

return, was a heavy burden for the rather limited

finances of Japan. We know how land values are

rising everywhere. Even in Africa, England had

to pay very much more than she expected she







Japan as Coloniser 239



would have to, in getting land in the south ; and I

think Italy has by this time found Tripoli rather

more expensive than she at first anticipated.. A

colony that looks at a distance like the goose that

lays the golden egg, on nearer approach, and

especially when you have to pay the bills, often

proves to be a white elephant. So among us,

impatient people, infatuated with gloire politique,

who had expected great things and great benefits

to come from Formosa, began to clamoiu* for

greater thrift, and some of the very best pub-

licists went even so far as to propose that the

island should be sold back to China or to some

other Power. To remedy this state of affairs, in

the course of some thirty months governors were

changed no less than three times.



The first Governor- General was Coimt Kaba-

yama, known as a hero of the Chino- Japanese

War; the second was no less a man than Prince

Katsura, of international fame as our Prime-

Minister during the war with Russia; and the

third was General Nogi, of Port Arthur renown.

Finding that the country could ill afford such

a luxury as a colony, the Parliament of Japan cut

down its appropriation of six or seven million

yen payable from the national treasury by about

one-third, thus reducing the subsidy to only four

millions. Now who wotdd accept a position

held by such a galaxy of talents, but now reduced

financially to two-thirds of its former prestige?

Only a man of imboimded resource, of keen per-







240 THe Japanese Nation



ception and quick decision — or else only a second

or third-rate man — ^would accept such a place.

Japan is forever to be congratulated on finding the

right man at the right time for the right place.

Viscoimt Kodama, who, as a member of the Gen-

eral Staff, had made a study of the Formosan prob-

lem, was ready to accept the governorship and the

task of putting to rights the bankrupt housekeep-

ing of the colony. I am afraid that this name, so

well known among us, is much less familiar in

America. Perhaps you can best remember it, if I

tell you that he was the real brains of the Russo-

Japanese War. In the choice of his assistant, the

civil governor, he made the discovery, as he called

it, of a man who proved himself a true right hand,

and who in efficiency actually exceeded his most

sanguine expectations. I refer to Baron Goto,

who in the last cabinet held the post of Minister of

Communications and was President of the Railway

Board. Until he was made civil governor of

Formosa imder Kodama, he had been known as

an expert on hygiene, having been a physician.

The advent of these two men in Formosa marked

a new era in our colonial administration. Upon

entering their new duties early in 1898, the first

thing they did was to bring about a practical sus-

pension of military rule; at least, it was made sub-

servient to civil administration. Military rule is

apt to become harsh, and to the Chinese especially,

who are not accustomed to respect the army, it is

doubly harsh.







Japan as Coloniser 241



Kodama and Goto, to whom English colonial

service was an inspiring example, surprised the

official world by a summary discharge of over one

thousand public servants of high and low degree.

They collected about them men known and tried

for their knowledge and integrity. They used

often to say: "It is the man who rules and not red

tape." In an old and well-settled country "red

tape*" may be convenient, but in a new colony

great latitude of power and initiative must be left

to individual men. I emphasise this point because

these men, I mean the Governor-General and the

civil governor, attributed their success largely to

the selection and use of right men.



When General Kodama went to Formosa, he

found brigandage still rampant, and with military

rule in abeyance there was some likelihood of its

becoming worse. To offset this, the constabiilary

department was organised and made efficient by

proper care in choosing men for the police and by

educating them in the rudiments of law and in-

dustries, to prepare them for their difficult and deli-

cate tasks. Exceedingly arduous are their callings,

for these policemen are required not only to repre-*

sent law and order but are expected to be teachers

as well. They keep account, for instance, of every

resident of the island, and they watch over every

man and woman who smokes opium; they must

become acquainted with children of school-age

and know which children go to school and which

do not. Our Formosan police are expected to



16 —







a^ TKe Japanese Nation



instruct the people how to take care of themselves,

especially in regard to pests and about disinfection.

They perform many duties that would scarcely

be required even of the Trooper Police of Australia.

They often live in villages where there are no

Japanese other than the members of their own

famines. Of course, they must know the Formosan

language and speak it.



Now, imder civil administration, armies Were

not mobiUsed against brigands, and if there was

any trouble, it was the policemen who had to go

cope with the situation. The brigands were first

invited to subject themselves to law, and if they

surrendered their arms, they were assured not only

of protection but of means of subsistence. Not a

few leaders took the hint and were given special

privileges. Those who resisted to the end were

necessarily treated as disturbers and as criminals.

Twelve years ago the brigands were so powerful

that the capital of Formosa, Taihoku (Taipeh),

was assaulted by them ; but in the last ten years we

have scarcely heard of them. I went to Taihoku

ten years ago, and, whenever I went a few miles out

of the city, half-a-dozen policemen armed with

rifles used to accompany me for my protection.

For the last five or six years a young girl could

travel unmolested from one end of the island to

the other — of course, outside of savage or abo-

riginal districts, of which I shall speak later.



Thus, what Li Hung-Chang said in the con-

ference of Shimonoseki turned out to be of little







Japan as Coloniser 243



consequence. According to him, brigandage was

something inherent in the social structure of For-

mosa. He said it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uprooted in the island; yet here is Formosa to-day

with not a trace of it. That is one of the first

things which was accomplished by Japan as a

coloniser.



Then, another great evil in the island, to which

Li Hung-Chang alluded, was the smoking of

opium. When the island was taken over, this

subject was much discussed by our people. Some

said opium-smoking must be summarily and

unconditionally abolished by law. Others said:

**No, no, let it alone; it is something from which

the Chinese cannot free themselves; let them

smoke and smoke themselves to death." What

took Baron Goto for the first time to Formosa was

the mission of studying this question from a medi-

cal standpoint, and the plan he drew up was for

the gradual suppression of the evil. The modus

operandi was the control of the production by the

Government; because, if the Government mono-

polises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opium,

it can restrict the quantity as well as improve the

quality so as to make it less harmful. Smuggling

was watched and punished. A long list of all

those who were addicted to this habit was com-

piled, and only those who were confirmed smokers

were given permission to buy the drug. Children

and those who had never smoked were not

allowed to buy, much less to begin the use of,







244 THe Japanese Nation



opium, and strict surveillance was instituted by

the police, who, as I mentioned before, know

every man in the villages to which they are

appointed. The annual returns made of confirmed

smokers and of the quantity consumed in the

island, show a distinct and gradual decrease. In

1900 those addicted to the habit numbered in

round figures 170,000, or 6.3 per cent, of the

population. As the older smokers die off, younger

ones do not come to take their place ; so there is a

constant diminution. In five years the number

decreased to 130,000 or 3.5 per cent, of the popu-

lation. We think this is the only right way to

deal with this vice. It may interest you, perhaps,

to know that American commissioners from the

Philippine Islands came to study our system, and

that they expressed much satisfaction with its

results. Thus, the second evil which Li Hung-

Chang said was ineradicable in Formosa, has been

greatly weakened and seems destined to disappear.



What man has built up, man can destroy.

The artificial habit of opium-smoking can be

discouraged by law. But there are formidable

natural enemies which confront the sound eco-

nomic development of the island. I mean its sani-

tary disadvantages, especially some prevalent

forms of disease — above all, malaria and bubonic

plague and tropical dysentery.



What money and the spirit of enterprise have

undertaken has so often been largely nullified by a

small mosquito. There are no less than eight







Japan as Coloniser 245



kinds of Anopheles, responsible yearly for at least

twenty per cent, of all cases of sickness, many of

which end in death.



Chiefly owing, directly or indirectly, to malaria,

the population of Formosa has never been very

great. It appears that in pre-Japanese days, the

population of the island was recruited by immi-

grants from China. Only lately is the birth-rate

slowly showing a net increase over and above the

death-rate. The mortality from malaria has been

roughly estimated at three-and-a-half per thou-

sand of population. Among the Japanese, this

rate is diminishing, but not among the Chinese.

The fact that new-comers from Japan are so easily

attacked, is the greatest drawback to colonising the

island. Sugar-mills, for want of sufficient labour,

have imported Japanese; but usually one-third of

them cannot be depended upon — that is to say,

the efficiency of labour maybe said to be diminished

by one-third on account of malaria. When I

went to Panama last winter, nothing commanded

my respect for the American work conducted there

more than Colonel Goethals's system of sanitation.

As I meditated upon the careful detail of medical

supervision in the Canal Zone, I natiurally com-

pared the results with the situation in Formosa,

and thought if we could afford to spend as much

money as the Canal Commission does, if Taiwan

were smaller in size, if it could be brought imder

military administration, and if there were no rice-

fields — then we[might succeed better in our crusade







246 THe Japanese Nation



against the insect. Even under present conditions

every effort is made to drive out malaria; and in

the meantime an army of scientists is advancing

against the Anopheles in biological, physiological,

and chemical columns, with clearly visible results.

In the barracks outside of Taihoku, there is little

malaria. In the town itself, the improved drain-

age — a sewerage system having been constructed

of the stones of which, in Chinese days, the city

walls were built — has evidently contributed toward

the same end. So, also, has the good water supply,

which has taken the place of wells and cisterns.

Then, too, new building regulations enforce better

ventilation and access to sunlight. In the prin-

cipal cities, large portions of the town have been

entirely rebuilt. I have heard it said by medical

men that if the Japanese coming to Taiwan make

their domicile in the capital (Taihoku) and remain

there, they are quite free from malaria. Other

cities, notably Taingtn in the south, are making

sanitary improvements, so that they will probably

show a similar immunity within a few years. As

for the island at large, owing to the fact that

irrigation is the very life of rice-culture, there

are necessarily unlimited breeding-places for mos-

quitoes. Consequently, general hygienic progress,

such as Dr. Boyce describes with just pride in

writing of the West Indies, will not be so easy to

accomplish in Formosa.



Smallpox and cholera have been practically

eliminated from the list of prevalent diseases.







Japan as Coloniser 247



With the bubonic plague, the Government has had

a pretty hard fight. Dr. Takaki, who has been

chief of sanitation for some years, has devoted his

energy and scientific knowledge to the eradication

of it by every possible means, so that there has

been a steady and regular decrease of pest since

1906.



To give an idea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sway of the Black Death, I will state in round

numbers the death-rates for the following years :



1905 4>5oo



1906 3,350



1907 3.250



1908 2,700



1909 1.300



1910 1,030



191 1 20



Though we still suffer from its sporadic appear-

ance, we have every promise of its near extinction.

At present, the most troublesome disease is trop-

ical dysentery, which, if not usually fatal, is ex-

tremely persistent and enervating.



Allow me to insert here a remark about the

rinderpest. Some ten years ago, its ravages were

so great that we feared we might lose all our water

buffaloes and bullocks ; but, thanks to vigilance and

inoculation, we have for the last five years .been

having only a few hundred deaths annually,

whereas they used to be counted by thousands.







34^ THe Japanese Nation



Thus the third great impediment which Li

Hung-Chang thought would prohibit progress in

Taiwaji is being steadily overcome, and now I

reach the fourth and last obstruction, — ^namely

the presence of head-hunting tribes, allied to the

head-hunters of Borneo made familiar by the pen

of Professor Haddon. These Malay people are

the oldest known inhabitants of the island. That

they are not autochthonous is evident from the

tradition, current among many tribes, that their an-

cestors arrived in a boat from some distant quar-

ter. At present they number about one hundred

and fifteen thousand. They are in a very primitive

state of social life. The only art with which they

are acquainted is agriculture, and that of a very

rude sort — ^what in Europe is called spade-culture,

or what scientific men dub "Hack-Kultur"

(hoe culture), as opposed to agriculture proper, — a

kind of farming which Mr. Morgan in his Primi-

live Society first explained as a precursor of real

agriculture, in which the plough is used. They

raise upland rice, millet, peas, beans, and some

common vegetables, such as pumpkins and rad-

ishes. They do not know the art of fertilising

land, and they look upon manuring as an act of

contamination.



They have scarcely any clothing; a few tribes

wear none. Their houses are usually built of

wood and bamboo and are roofed with slate or

straw. Scrupulously clean in their personal habits,

bathing frequently, they keep their huts very







Japan as Coloniser 249



neat. In character, they are brave and fierce

wlien roused to ire ; otherwise, friendly and child-

like. They must have occupied the alluvial

plains of the coast in years gone by, but were

driven upward by the Chinese immigrants, Hakkas

and Haklos,*until they now dwell among almost

inaccessible heights.



What concerns us most nearly in their manner

of life, is their much venerated custom of conse-

crating any auspicious occasion by obtaining a

human head. If there is a wedding in prospect,

the young man cannot marry unless he brings in

a head, and the susceptibility of the human heart

being much the same in savagery as in civilisation,

this is a tremendous spur to head-himting. A

funeral cannot be observed without a head.

Indeed all celebrations of any importance must be

graced with it. Where a bouquet would be used

by you, a grim human head, freshly cut, is the

essential decoration at their banquet. More-

over, a man's courage is tested by the number of

heads he takes, and respect for him grows with his

achievements. Thus the gruesome objects adorn

the so-called skull-shelf, for the same reason that

lions* and stags' heads are the pride of a gentle-

man's hall. One sometimes comes across a hut,

near which is placed a tier of shelves ornamented

with heads in all stages of decay — the trophies of

some brave head-hunter !



The district where they roam is marked off by

outposts, which I shall soon describe. Like the







250 TKe Japanese Nation



"Forbidden Territory" or boma in British East

Africa, no one is allowed to enter the "Savage

Boundary" without permit from the authorities.

The importance of this decree will be obvious if I

state that its area covers more than half of the

island, and when the savages want a htad, they steal

down, hide themselves among the underbrush or

among the branches of trees, and shoot the first

unlucky man who passes by. I was told of one sav-

age who had his rifle so placed on a support that

he could shoot any person who happened to walk

past a certain fixed distance and at a certain

height. There he waited for days for somebody

to come within range ; and he succeeded in getting

a head ! With such people it is practically impos-

sible to do anything. We have made repeated

attempts to subjugate them; but so far we have

not succeeded in doing as much damage to them as

they have done to us.



During Chinese ascendency the Government

built a line of military posts, somewhat like the

irocha, of which one still sees remains in Cuba.

But after we had tried different methods, we came

at last to the use of electrically charged wire fences.

At a safe distance from savage assaults, generally

along the ridge of mountain ranges, posts about

five feet high are planted at intervals of six or seven

feet, and on them are strung four strong wires.

On each side of the fence a space of some thirty

feet or so is cleared of brush, so that any one

approaching may be detected at once. All along







Japan as Coloniser 251



the fence are block-houses, perhaps three, four or

five in a mile, guarded by armed sentinels (usually

Chinese trained as police), who are semi-volun-

teer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fence

is that the lowest wire has a strong electric current

running through it. Such a wire fence stretches a

distance of some three hundred miles. It costs

thousands of dollars to keep it in order; yet every

year we extend some miles farther into the savage

district, so that their dominion is being more and

more restricted to the tops of the mountains.

When they are practically caged, we make over-

tures to them. We say, *'If you come down and

don't indulge in head-hunting, we will welcome

you as brothers," — because they are brothers.

These Malay tribes resemble the Japanese more

than they do the Chinese, and they themselves

say of the Japanese that we are their kin and

that the Chinese are their enemies. Because the

Chinese wear queues, they think that their heads

are especially made to be hunted. And now every

year, as I say, we are getting better control over

them by constantly advancing the fence, and

owing to the fact that they are in want of salt, cut

off as they are from the sea. Then we say, "We

will give you salt if you will come down and give up

your weapons.'* Thus tribe after tribe has recog-

nised our power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salt, and has submitted itself to Japanese rule.

Here I may say, to the credit of these primitive

men, that when once their promise of good be-







252 THe Japanese Nation



haviour is made, it is kept. When they submit

themselves, we build them houses, give them

agricultural tools and implements, give them

land, and let them continue their means of live-

lihood in peace.



Thus I have dwelt in a very sketchy manner

on the four points to which Li Hung-Chang, in

the conference at Shimonoseki, alluded as great

obstacles in the way of governing Formosa. What,

now, is the result? At first we could not manage

the colony with the money that we could raise in

the island ; every year we had to get some subsidy

from the national treasury. It was thought

that such a subsidy would be necessary un-

til 1 910. But by the development of Formosan

industries — the better cultivation of rice, the im-

proved production of Oolong tea, for which you

are the best customer, the control of the camphor

industry (for nearly all the camphor that you use,

if not artificial, is produced in Formosa), the suc-

cessful encouragement of cane culture, which has

increased the output of sugar sixfold in the last ten

years — by developing these industries, we can get

money enough in the island to do all the work

that is needed to be done there. An accurate

cadastral survey made landed property secure,

enhanced its value, and added indirectly to its tax-

paying capacity. The consumption tax placed on

sugar alone brings in more than one-third of the

public revenue. The growth of Formosa's foreign

trade has been such that the customs now return







Japan as Coloniser 253



no mean sum. The administration of the Island

has been so successful that it attained financial

independence two years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term fixed for it.



There still remains much to be done. Irrigation

work, for instance, is being carried out on a large

scale. Then, there is the improvement of the

harbours. Both in the north, at Kelung, and in

the south, at Takao, commodious and deep har-

bours are now being constructed or improved. We

have built a railroad from one end of the island

to the other, but there is demand for further ex-

tention. Schools and hospitals are to be met with

in every village and town, but more are needed.

In all these things we think that we have succeeded

quite well, especially when we compare our colony

of Formosa with the experiments that other nations

are making.



In giving this very rough sketch, I have only

tried to show the general Hnes of policy pursued in

the development of Formosa. Though the colony

was at first thought to be a luxury, it is now a

necessity to us. And the example that we have

set for ourselves will be followed in our other

colonies.



I may say that the general principle of our colo-

nial policy in Formosa was, first of all, the defence

of the island. Much is said about our increased

navy. Some people in America think that we are

enlarging our navy prompted by a dubious motive ;

but with the acquisition of Formosa, of the island







254 THe Japanese Nation



of Saghalien, and of Korea, our coast -line has been

greatly increased, and still the augmentation of

our fleet is not sufficient for the proper defence

of all our shores.



The second principle is the protection of prop-

erty and life, and the dissemination of legal in-

stitutions — the rudimentary functions of a well

ordered state. People unaccustomed to the pro-

tection of law feel as though it were despotism.

But they will soon find that, after all, good govern-

ment and good laws are the safeguard of social

well-being, and we have to teach in Korea as well

as in Formosa, what government is and what laws

are.



You read now and then in the newspapers of

arrests in Korea, and forthwith Japan is charged

with being a cruel master. Let the world remem-

ber that a change of masters is rarely made without

friction. It takes some time for a people to know

that a jural state means enforcement of justice,

and that this does not imply encroachment upon

personal liberty, which under the old regime

Korean courtiers identified with royal favour.

Without law, no real liberty is conceivable, and

lawlessness must suffer its own consequences.



Then the third point is the protection of health.

I have spoken to you of what we have done in

Formosa. A similar policy will be pursued in

Korea. In an interview with Prince Ito in Seoul,

when I said that the population in Korea had not

increased in the last hundred years and that per-







Japan as Coloniser 255



haps the Korean race was destined to disappear,

he replied: "Well, I am not sure. I wish to see

whether good laws will increase the fecundity of

the Korean people.'*



The fourth consideration is the encouragement

of industries and means of communication. In

Formosa we have seen how much the Government

has done to improve the quality as well as the

quantity of rice, salt, camphor, and sugar. Nearly

all the improvements in these industries have

been initiated or suggested by the Government.

As to means of communication, the prefectures vie

with each other in building new roads or in making

old ones better.



The fifth point in our policy is that of educa-

tion. In Formosa we have just reached the stage

where we are taking up educational problems seri-

ously. We could not do it sooner, because our

idea was first of all to give to our new fellow-sub-

jects something that would satisfy their hunger

and thirst ; their bodies had to be nourished before

their minds. Now that economic conditions are

so much better, schools are being started in all the

villages.



These, then, are some of the broad lines of

colonial policy which we have practised with good

results in Taiwan, and which will be carried out in

Chosen. In writing of the Japanese rule in For-

mosa, Mr. MacKay, the British consul there, con-

cludes his article by expressing two doubts: one

in regard to the commingling of races, Japanese







256 TKe Japanese Nation



and Formosans; the other, in regard to the Jap-

anisation of the Formosans. He seems to doubt

whether either will take place. As far as the

Japanese are concerned, they do not trouble

themselves about these questions, any more than

do the English in their colonies. I think assimi-

lation will be found easier in Korea, for the reason

that the Korean race is very much allied to our

own. In Formosa, assimilation will be out of the

question for long years to come, and we shall not

try to force it. We put no pressure upon the

people to effect assimilation or Japanisation.. Our

idea is to provide a Japanese milieu, so to speak,

and if the Formosans adapt themselves to our

ways of their own accord, well and good. Social

usages must not be laid upon an unwilling people.

An ancient saying has it : " He who flees must not be

pursued, but he who comes must not be repulsed."

If the Formosans or the Koreans approach us in 

customs and manners, we will not repulse them. 

We will receive them with open arms and we

will hold them as our brothers; but if they do

not desire to adopt our way of living, we will not

pursue them. We leave their customs and man-

ners just as they are disposed to have them, as

long as they are law-abiding. Our principle is 

firmness in government and freedom in society.

Firmness in government is something which they

did not have before, and that is what we offer to

them. If they look upon it as they used to look

upon cx)urt intrigue and family vendetta, they







Japan as Coloniser 257



must leam at their own cost what modem nomoc-

racy means. At the same time, Japan must know

that the secret of colonial success is justice sea-

soned with mercy. Should she fail to recognise

this ancient truth, she will but add another illus-

tration of the poet's words cited at the beginning

of this chapter.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