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0

The Christ Of American Road : E.stanley Jones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The Christ Of American Road : E.stanley Jones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Stanley Jones An International Influence and legacy.pdf

ch136s.pdf
https://christianhistoryinstitute.org/uploaded/ch136s.pdf

Stanley Jones An International Influence and legacy.pdf




Christ of the American Road: E. Stanley Jones, India, and Civil Rights | Journal of American Studies | Cambridge Core

Christ of the American Road: E. Stanley Jones, India, and Civil Rights | Journal of American Studies | Cambridge Core



Christ of the American Road: E. Stanley Jones, India, and Civil Rights


Published online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October 2017
DAVID R. SWARTZ
Show author details

Article
Metrics
Get access
ShareCiteRights & Permissions[Opens in a new window]

Abstract


This article,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ransnational history, tracks the influence of E. Stanley Jones, a missionary to Indi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n evangelicals in the United States. It contends that global encounters pushed Jones to hold integrated ashrams, conduct evangelistic crusades, and participate in the Congress on Racial Equality. During his time abroad, he discovered that racial segregation at home hurt the causes of missions and democracy abroad. Using this Cold War logic, Jones in turn provoked American evangelicals to consider more fully questions of racial inequality.
TypeArticles
Information
Journal of American Studies , Volume 51 , Special Issue 4: Exploring the Global History of American Evangelicalism , November 2017 , pp. 1117 - 1138
DOI: https://doi.org/10.1017/S0021875816001420[Opens in a new window]
CopyrightCopyrigh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d British Association for American Studies 2017

Access optionsGet access to the full version of this content by using one of the access options below. (Log in options will check for institutional or personal access. Content may require purchase if you do not have access.)

Purchase
Buy articleUSD25Add to cart


Check access

Institutional loginLog in with Open Athens, Shibboleth, or your institutional credentialsLog in

Personal loginLog in with your Cambridge Core account or society details.Log in


References

1


For “cantankerous conservatism” see Jones, E. Stanley, A Song of Ascents: A Spiritual Autobiography (Nashville: Abingdon Press, 1958), 67 Google Scholar. On integration at Asbury see Thacker, Joseph A., Asbury College: Vision and Miracle (Nappanee, IN: Evangel Press, 1990), 202–3Google Scholar.

2


E. Stanley Jones, “Integration,” Chapel address at Asbury College, 16 Oct. 1958; Myrdal, Gunnar, An American Dilemma: The Negro Problem and Modern Democracy (New York: Harper & Brothers, 1944)Google Scholar.

3


For “breath-taking” see Jones circular letter, 28 Jan. 1959, Box 10, Folder 9, E. Stanley Jones Papers, ARC 2000-007, Asbury Theological Seminary Special Collections.

4


On the Asbury students’ visit to Sat Tal Ashram see Graham, Stephen A., Ordinary Man, Extraordinary Mission: The Life and Work of E. Stanley Jones (Nashville: Abingdon Press, 2005), 212–13Google Scholar. On “India's curse” see “India's Conscience Awakened over Untouchables,” The Journal, 8 March 1934. On the “American caste system” see “Stanley Jones Startles South,” Christian Century, 50, 15 (12 April 1933), 510 Google Scholar. Clippings of both articles are in Box 40, Folder 2, ATSSC.

5


For examples of “soul-winning” see Jones, E. Stanley, Christ of the Indian Road (New York: Abingdon Press, 1925), 84, 105Google Scholar.

6


For “Eastern travellers” see ibid., 6. For “Indian setting” see ibid., 26. For “international meddlers” see ibid., 42. For “disentangle Christ” see Jones, E. Stanley, Christ of the Mount: A Working Philosophy of Life (New York: Abingdon Press, 1931), 11 Google Scholar. For “total setting of the world” see Jones, E. Stanley, Christ of the American Road (Nashville: Abingdon-Cokesbury Press, 1944), 9 Google Scholar.

7


On the strength of communism in India see Horne, Gerald, The End of Empires: African Americans and India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2008), 189 Google Scholar. On Jones's anticommunist work at the Sat Tal Ashram and in Kerala see Jones circular letters, 18 June 1952 and 26 June 1954, Box 19, Folder 53, ATSSC.

8


For Bowles and “repeatedly zeroed in on Jim Crow” see Horne, 198. For Jones's rattlesnake analogy see E. Stanley Jones, “What Have the Churches to Offer,” no date, Box 21, Folder 10. Also see Jones, “History in the Making in India” (1946), Box 19, Folder 2, ATSSC. For “native land” see NBC radio broadcast, Feb. 17 of an unknown year, Box 33, Folder 21, ATSSC.

9


For India's “curse” see “India's Conscience Awakened over Untouchables,” The Journal, 8 March 1934, Box 40, Folder 2, ATSSC. Barbara Brady, “Just Plain Missionary,” Sunday Digest (David C. Cook), 9 Oct. 1955, Box 44, Folder 7, ATSSC. On the ashram at Travancore see Jones, Christ of the Indian Road, 243–44. On Jones's influence see Immerwahr, Daniel, “Caste or Colony? Indianizing Race in the United States,” Modern Intellectual History, 4, 2 (2007), 275–301, 290–91CrossRefGoogle Scholar. For “more Christian and more Indian” see Yates, Timothy, Christian Mission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14 Google Scholar. For Jones's poem “I Took My Lamp” and its background see Jones, Christ of the Indian Road, 164; Taylor, Richard W., “The Legacy of E. Stanley Jones,”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6 (July 1982), 102 CrossRefGoogle Scholar, in “600 Faculty/Staff: E. Stanley Jones Biographical,” Asbury University Archives. For Jones on Gandhi see Jones circular letter, 1 Oct. 1926, Box 10, Folder 6, ATSSC, underlining in original.

10


For “truly Christian and truly Indian” see Jones quoted in Taylor, 102. The description of Sat Tal comes from Dorothy Speer, “The Ashram at Sat Tal,” Woman's Missionary Friend, Nov. 1934, 367–68; “Indian Witness,” 6 June 1963, Box 40, Folder 2, ATSSC.

11


For “Indian genius and life” see Jones circular letter, 3 July 1930, Box 10, Folder 7, ATSSC. On meals at Sat Tal see Jones circular letter, 3 July 1930, Box 10, Folder 7, ATSSC. On clothing at Sat Tal see Taylor, 102; Vivian Weeks Dudley, “Indian Night: A Story of the E. Stanley Jones Ashram,” World Outlook, Feb. 1939, 52–55, 39, Box 44, Folder 3, ATSSC.

12


For “Morning of the Open Heart” see “What Is an Ashram,” Box 17, Folder 4, ATSSC. For ashram inscriptions see “Statements Appearing on the Walls at the Sat-Tal Ashram in India,” no date, Box 17, Folder 4, ATSSC. On work practices see “Beautiful Sat Tal,” no date, Box 17, Folder 4, ATSSC. For “foretaste” see “And What Is an Ashram?”, Box 44, Folder 54, ATSSC.

13


For “great summer” see Jones circular letter, 30 June 1931, Box 10, Folder 7, ATSSC. For “kingdom in miniature” see “What Is an Ashram,” Box 17, Folder 4. For “haven of brotherhood” see “The Ashram,” 1934, Box 17, Folder 4. For other reflections on Sat Tal see Jones circular letter, 3 July 1930, Box 10, Folder 7; Dorothy Speer, “The Ashram at Sat Tal,” Woman's Missionary Friend, Nov. 1934, 367–68, Box 17, Folder 4, ATSSC.

14


For a description of Jones as rooted in the “experiential piety of historic Methodism see Bill Kostlevy's 2001 biographical sketch in “E. Stanley Jones ARC 2000–007 Finding Aid,” 2012, ATSSC. For Jones's exchange with the Texas pastor see Graham, Ordinary Man, 282–83.

15


On Jones not returning to India see “Stanley Jones Barred from Return to India,” 25 April 1945, Box 40, Folder 2. E. Stanley Jones, “Why I Do Not Return to India at Present,” Box 4, Folder 1. For “caste is doomed” see Jones, “After India's Independence – What?”, Box 18, Folder 3, ATSSC. For other Protestant condemnations of “caste” see Gallagher, Buell, Color and Conscience: The Irrepressible Conflict (New York: Harper & Bros, 1946)Google Scholar; Du Bois, W. E. B., Color and Democracy: Colonies and Peace (New York: Harcourt, Brace and Co., 1945), 137 Google Scholar. On the varied use of “caste” by Indian and American activists see Immerwahr, 276, 283–85.

16


Manis, Andrew, Macon Black and White: An Unutterable Separation in the American Century (Macon, GA: Mercer University Press, 2004), 139–40Google Scholar; Horne, End of Empires, 158, 163–65; White, Walter, A Rising Wind (Garden City, NJ: Doubleday, 1945)Google Scholar.

17


For “false America” see Jones, Christ of the American Road, 75–79, 95–98. Also see E. Stanley Jones, “India's Caste System and Ours,” Christian Century, 20 Aug. 1947, 995–96, Box 19, Folder 18; “Stanley Jones Startles South,” Christian Century, 12 April 1933, Box 47, Folder 15, ATSSC.

18


For Jones's letter from Sat Tal see “An Appeal to the People of Alabama” (n.d.), Box 24, Folder 2. For “embarrassing our witness” see Jones, Christ of the Indian Road, 132–34. For “hesitant people” see “E. Stanley Jones Issues Appeal,” Box 40, Folder 8. On segregation as a national issue see Jones, Christ of the American Road, 179.

19


On Jones's efforts in Macon – and the firestorm that Jones's presence sparked – see Manis, 137–38. For more on Jones's interracial revivals see W. G. Cram, “Stanley Jones in the South,” World Outlook, June 1933, 4–6, Box 44, Folder 35; Jones, Christ of the American Road, 172; J. Maurice Trimmer, “Stanley Jones Discusses Race and Imperialism,” Box 40, Folder 4. For memories of Jones's interracial revivals see William Chafe interview of Mary Taft Smith, 11 July 1973, University of North Carolina–Greensboro Archives.

20


“Suggestions for ‘Little Ashrams’,” Box 14, Folder 15; E. Stanley Jones, “How to Set Up and Run a Little Ashram,” Box 14, Folder 15; “The United American Christian Ashrams – 1958,” Box 47, Folder 20, ATSSC. On the Green Lake ashram see Howard Whitman, “One Week with God,” Collier's, Sept. 1951, 24–25, 40, 24, copy in Box 44, Folder 18; Barbara Brady, “Just Plain Missionary,” Sunday Digest, 9 Oct. 1955, Box 44, Folder 7, ATSSC; William E. Berg, “My Spiritual Journey with Brother Stanley,” in “600 Faculty/Staff: E. Stanley Jones Biographical,” AU Archives.

21


On the North Carolina ashram see Mow, Anna B., “I Remember!” Transformation, 18, 4 (Winter 1983), 13 Google Scholar. On Dellinger see Kosek, Joseph Kip, Acts of Conscience: Christian Nonviolence and Modern American Democrac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186 CrossRefGoogle Scholar. On the transdenominational nature of the ashrams (and of Jones himself) see “Ashram Report,” Sept. 1961, Box 16, Folder 23, ATSSC. For numbers on ashrams in 1963 see Box 47, Folder 22, ATSSC. On the popularity and growth of Jones's ashrams see Preston King Sheldon, “Retreats Slated by Church Group: 25 Christian Leaders to Join with Methodist Missionary in Conducting Assemblies,” New York Times, 19 June 1954, 16.

22


For MOWM see Calling! Calling! All! Negroes! We Are Americans Too! Conference (Chicago: March on Washington Movement, 1943)Google Scholar, copy available in the Historical Society Library Pamphlet Collection, University of Wisconsin; Kapur, Sudarshan, Raising Up a Prophet: The African-American Encounter with Gandhi (Boston: Beacon Press, 1992), 114–15Google Scholar; Graham, 283; Tyson, Timothy B., Radio Free Dixie: Robert F. Williams and the Roots of Black Power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9), 28 Google Scholar; Chicago Daily Tribune, 5 July 1943; Philadelphia Tribune, 10 July 1943; “Puts Race Riot Blame on New Deal Policies,” Chicago Daily Tribune, 5 July 1943, 22. Also see Jones, E. Stanley, “Is Civil Disobedience the Answer to Jim Crow?”, Non-violent Action Newsbulletin, 2 (1943), 21 Google Scholar.

23


On Jones and CORE see James Farmer to John F. Kennedy, 26 April 1961, in Martin Luther King Jr. Papers Project. For an example of Jones's Congressional and presidential lobbying efforts see Jones to Eisenhower, 26 Dec. 1956, Box 5, Folder 5, ATSSC. For an example of Jones's call for interracial committees and federal intervention see E. Stanley Jones, “Christianity and Race,” World Outlook, April 1943, 37–39, Box 40, Folder 8, ATSSC.

24


On reenergizing missions in the mainline see E. Stanley Jones, “The Missionary Crisis,” Christian Century, 1 Nov. 1933, 1358–59; Strong, Douglas M., They Walked in the Spirit: Personal Faith and Social Action in America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7), 77–90 Google Scholar. For “way of salvation” see Florence E. Clippinger to E. Stanley Jones, 23 Jan. 1944, Box 35, Folder 38, ATSSC. For examples of Jones describing himself as evangelical see Jones circular letter, 6 July 1945, Box 10, Folder 8, ATSSC; E. Stanley Jones, to “My Dear Friend,” 30 Aug. 1943, Box 3, Folder 7, ATSSC; E. Stanley Jones Radio Talks, published by Radio Devotional League, and “The Christ of the Andean Road” pamphlet, Asbury College and Seminary, “600 Faculty/Staff: E. Stanley Jones Literary Productions,” AU Archives. For Jones and Graham see undated, unattributed biographical sketch of Jones, Box 1, Folder 3; Box 5, Folders 5 and 6, ATSSC. For Vereide see Abraham Vereide to Jones, 7 Dec. 1964, Box 7, Folder 2, ATSSC. On Jones's relationship with Kamaleson see the back cover of Jones, E. Stanley,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Nashville: Abingdon Press, 1983)Google Scholar. “Mark Hatfield Taps into the Real Power on Capitol Hill,” Christianity Today, 26 (22 Oct. 1982)Google Scholar.

25


For “personal piety and social gospel activism” see Kostlevy, “E. Stanley Jones.” For correspondence with Wesleyan institutions see Box 8, Folder 2; Box 14, Folder 3; Box 6, Folder 2; Box 7; and Box 3; Box 47, Folder 21, ATSSC. On Jones's commencement addresses see Thacker, Asbury College, 49; Box 40, Folder 9, ATSSC. For correspondence between Jones and Asbury Seminary see Will Beauchamp to Jones, 9 Sept. 1962, Box 6, Folder 5; Boxes 6–8, ATSSC.

26


On Jones and the liberal speaking circuit see Miller, Keith D., Voice of Deliverance: The Language of Martin Luther King, Jr. and Its Sources (New York: The Free Press, 1992), 68, 95Google Scholar. For “crystalline sincerity” see “Noted Missionary in City Tomorrow,” Box 13, Folder 1, ATSSC.

27


For “Christ of the Asbury Road” see “Faculty/Staff: Dr. E. Stanley Jones Day, 8 May 1942,” in “600 Faculty/Staff: E. Stanley Jones Literary Productions,” AU Archives, underlining in original. For “treatment of the Negro” see Jones to Jesse Arnup, 20 Jan. 1944, Box 4, Folder 1, ATSSC.

28


On Jones's reputation as a civil rights leader see Fellowship of Reconciliation Executive Secretary Richard L. Deats, “E. Stanley Jones: A Tribute,” Fellowship, Feb. 1973, Box 1, Folder 26, ATSSC. On Jones's accomplishments see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Volume II (Lanham, MD: Scarecrow Press, 2010), 396 Google Scholar; “Missions: Keeping Up with E. Stanley Jones,” Time, 24 Jan. 1964, 34; “E. Stanley Jones’ Name Cited for 1962 Peace Award,” New York Times, 26 Jan. 1962, 16; “E. Stanley Jones, Wrote on Religion: Methodist Missionary for 60 Years Dies at 89,” New York Times, 26 Jan. 1973, 38.

29


On Jones's 1958 reception at Asbury see Box 5, Folder 7, ATSSC. On Jones's visit to Africa see 25 Jan. 1958, circular letter, quoted in Graham, 368–69. For “real blow” see Jones to Z. T. Johnson, 20 Feb. 1959, in “600 Faculty/Staff: E. Stanley Jones Correspondence,” AU Archives.

30


“Results of Integration Questionnaire Tabulated,” Asbury Alumnus, Dec. 1958, 3; Zachary Taylor Johnson, “The Story of Asbury College”; Appendix in Vol. 3, AU Archives; 600 “Faculty/Staff: E. Stanley Jones Correspondence”; Thacker, 258–54; 202–3. On no more restrictions see Folder 7: “Asbury College Trustees Approve Full Integration,” 3 Oct. 1962, Box 100-2, AU Archives.

31


On the international dimension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see Horne, End of Empires; Borstelmann, Tim, The Cold War and the Color Line: American Race Relations in the Global Arena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Google Scholar; Dudziak, Mary, Cold War Civil Rights: Race and the Image of American Democrac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Google Scholar. On broader evangelicals see Miller, Steven, Billy Graham and the Rise of the Republican South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3–24 Google Scholar; Willis, Alan Scot, All According to God's Plan: Southern Baptist Missions and Race, 1945–1970 (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2005)Google Scholar; Newman, Mark, Getting Right with God: Southern Baptists and Desegregation, 1945–1995 (Tuscaloosa: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01)Google Scholar.

32


For “race-blind and colorblind” see http://globalchristiancenter.com/1126-english/devotionals/daily-devotions/60-seconds/33700-60-seconds-the-idols-of-yesterday. On the limits of color-blindness and the persistent individualism of postwar evangelicals see Emerson, Michael and Smith, Christian, Divided by Faith: Evangelical Religion and the Problem of Race in Americ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Google Scholar; DuPont, Carolyn, Mississippi Praying: Southern White Evangelicals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1945–1975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3)CrossRefGoogle Scholar; Wadsworth, Nancy, Ambivalent Miracles: Evangelicals and the Politics of Racial Healing (Charlottesvil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4)Google Scholar. For “potentially inequality-reducing national policies” see Emerson, Michael, People of the Dream: Multiracial Congregations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62 Google Scholar.

33


Jenkins, Philip, The Next Christendom: The Coming of Global Christian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CrossRefGoogle Scholar; Hanciles, Jehu, Beyond Christendom: Globalization, African Migr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est (Maryknoll, NY: Orbis Books, 2008)Google Scholar.

How Gandhi inspired Methodist peacemakers - Global Ministries

How Gandhi inspired Methodist peacemakers - Global Ministries

How Gandhi inspired Methodist peacemakers




By David W. Scott

May 2020 | ATLANTA

The impact of one person lies behind much of the mission of 20th century Methodist peacemakers: Mohandas K. Gandhi. The Mahatma (or “great soul”), while neither Methodist nor Christian, nonetheless influenced Methodist missionaries in India, and through them, other mission leaders around the world.Mahatma Gandhi, circa 1930s, meeting Methodist missionaries in India.
PHOTO: GENERAL COMMISSION ON ARCHIVES AND HISTORY

Gandhi was part of a broader movement that sought the end of British colonial rule of India, but his unique contribution to that movement was the philosophy of satyagraha, or “soul force,” usually referred to as nonviolent resistance. This philosophy proved appealing to Methodist missionaries who met, corresponded, and worked with Gandhi between his return to India in 1914 and his death in 1948. Satyagraha shaped Methodist involvement in peacemaking, nonviolence, anti-colonialism, civil rights in the United States and a host of other issues.
E. Stanley and Mabel (Lossing) Jones

Perhaps the Methodist missionary who was closest to Gandhi was the Rev. E. Stanley Jones. Given Jones’ interest in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ntextualizing Christianity into India,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that Jones would have found Gandhi an intriguing figure. The two, however, became quite close, and Jones wrote two of the earliest books on Gandhi,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and “Mahatma Gandhi: An Interpretation,” both first published in the U.S. by the Methodist-affiliated Abingdon Press. The Rev. Dr. Martin Luther King Jr. later read Jones’ writings as part of his introduction to Gandhi.

Jones also borrowed from Gandhi’s model of ashrams, or spiritual retreats, as nuclei for religious and social reform. Jones founded his own Christian ashram in Sat Tal, India, in 1930 and later expanded that beginning into an international Christian ashram movement. These ashrams were focused, in part, on promoting peace across religious and racial divides.Mabel Lossing Jones and the Rev. E. Stanley Jones, missionaries in India.
PHOTO: GENERAL COMMISSION ON ARCHIVES AND HISTORY

Jones went on to promote international peace between Japan and China in the 1930s,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efore World War II, in Burma and Korea in the late 40s and 50s, and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in the 1960s. He was nominated for the Nobel Peace Prize in 1963.

Mabel Jones, E. Stanley’s wife, was also a friend and correspondent of Gandhi’s. She and Gandhi wrote regularly about education, a significant interest of Gandhi’s and the focus of Mabel’s missionary work. The value that Gandhi placed on all people fit with Mabel Jones’ noted egalitarian approach to people of all races, nationalities, social classes and genders.
Eunice Jones Mathews and James K. Mathews

Gandhi was also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bel and E. Stanley Jones’ daughter, Eunice, and the missionary she married, the Rev. James K. Mathews. Eunice Jones served as a literary assistant and editor for 25 books of her father’s and nine of her husband’s, helping share their Gandhi-influenced

understandings of mission, Methodism and world events. James Mathews admitted in his autobiography that “these very memoirs should be titled, ‘We Did It Together.’” Throughout her life, Eunice maintained relationships with Gandhi, Martin Luther King Jr. and other world leaders and was remembered at her passing as a consistent advocate for peace.

James Mathews came to India in 1938. He traveled to E. Stanley Jones’ Sal Tal Ashram, where he met the Jones family and was introduced to Gandhi’s philosophy of nonviolence. Jones later wrote his dissertation at Columbia University about satyagraha, which was eventually published as “The Matchless Weapon: Satyagraha” in 1989. James Mathews maintained life-long friendships with Gandhi’s grandsons Raj Mohan Gandhi and Arun Gandhi.Bishop James K. and Eunice Mathews, during a session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s 2004 General Conference in Pittsburgh, in which Eunice was honored for a lifetime of service to the church.
PHOTO: MIKE DUBOSE, UMNews

Throughout his work as an executive at Global Ministries and a bishop of the church, James Mathews was significantly involved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other product of Gandhi’s influence on him. He participated in the 1963 March on Washington for Jobs and Freedom. He and fellow bishop, Charles Golden, an African American, were barred from integrating an all-white church in Jackson, Mississippi, on Easter Sunday, 1964. In 1978, Mathews participated in “The Longest Walk” on behalf of Native Americans.
Ralph T. Templin

The connection between Gandhian nonviolence, peacemaking and civil rights is also exemplified in the life of Ralph T. Templin. Templin and his wife, Lila, went to India as educational missionaries in 1925. Like the Joneses and Mathews, Gandhi’s philosophy of nonviol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mplin. Templin wrote a never-published manuscript on Gandhi, and his major published book, “Democracy and Nonviolence: The Role of the Individual in World Crisis,” clearly shows Gandhi’s influence.

Templin was expelled from India in 1940 because of his refusal to take an oath to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an expression of his sympathy with Gandhi and other Indian nationalists. Back in the United States, Templin helped found the Harlem Ashram in New York City. The ashram’s interracial community included many associated with the pacifist and civil rights movements. With others in these networks, Templin helped form Peacemakers, a pacifist organization, in 1948. His connection to Puerto Ricans in Harlem also inspired support for Puerto Rican independence.

Templin served as the head of the nonviolent School of Living in Suffern, New York. Templin later moved to Ohio, where, in 1948, he became the first white faculty member of the historically black Central State University, teaching sociology there. In 1954, Templin transferred his ministerial credentials to the Lexington Conference of the all-black Central Jurisdiction, the first white clergyperson to do so.
Walter Brooks and Mary (Rosengrant) Foley

The Rev. Walter Brooks Foley and Mary Foley arrived in India as missionaries the year after the Templins. Like their colleagues, they too met Gandhi and became involved in the Indian independence movement. In 1931, they were expelled from India because of their connections to that movement.

They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for four years before going out again as missionaries to the Philippines. There, they continued to practice Gandhian principles of nonviolence by working for peace

and against American colonialism in the Philippines and Japanese aggression in China. In part because of their resistance to Japanese militarism, they were imprison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Philippines. In prison, they continued to serve others by providing food and education. Tragically, Walter was killed, and Mary maimed by a Japanese bomb, four days after being liberated from the Japanese prison camp.

The Foley’s story has an afterword that shows the enduring impact of Gandhi on Methodist mission, even beyond those missionaries who knew him personally. The Foley’s daughter, Frances-Helen, who was two when the family left India, was one of the first Crusade Scholars after World War II. Later, Frances-Helen Foley Guest became one of the first female pastors in the Florida Annual Conference and an advocate for racial and gender equality.
A Broader Legacy

The influence of Gandhi on other Methodist peacemakers who did not know him personally, but knew those who did, is visible elsewhere. As a young adult, the Civil Rights leader James Lawson was a Methodist missionary to India for three years, after Gandhi’s death. Nonetheless, Lawson was influenced by Gandhi and deeply committed to Gandhian principles of nonviolent resistance. Martin Luther King Jr. called Lawson “the leading theorist and strategist of nonviolence in the world.”

The Rev. Dr. Richard Deats served as a missionary in the Philippines, not India. But E. Stanley Jones and others influenced by Gandhi were among his teachers and friends, and through them, Deats was introduced to Gandhi’s thought. He became heavily involved in the pacifist Fellowship of Reconciliation and was another Methodist missionary (following Jones and Mathews) who wrote a biography of Gandhi, “Mahatma Gandhi: Nonviolent Liberator.”

In that book, Deats wrote, “In my peace ministry spanning the la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 have continued to drink deeply from the well of Gandhi’s life and thought.” What was true for Richard Deats was true for The United Methodist Church as a whole.

Dr. David W. Scott is a consultant and mission theologian with Global Ministries.

E. STANLEY JONES & GANDHI — EVOLVING HUMANITY

E. STANLEY JONES & GANDHI — EVOLVING HUMANITY
E. Stanley Jones and Gandhi

 

Gandhi’s victory of non-violence over violence occurred in two of the “most unexpected places.”

One was India. The other was Afghanistan.

In both places, the radical teachings of Jesus’ “Sermon on the Mount” were understood by people whom many Western Christians might think “least qualified” in terms of being religious.

These people were Hindus and Muslims.

I specified “Western Christians” because I knew the Gandhian scholar Mathai who was an activist and Christian himself. 

Gandhi, a Hindu, saw in Jesus’ teachings a worldview powerful enough to solve a crisis Einstein, a Jew, warned world leaders was the result of an “old way of thinking” that was leading toward unparalleled catastrophe.

Badshah Khan, a Muslim warlord in Afghanistan, was attracted to Gandhi’s pacifist worldview. He saw in it a model more powerful than any army he could raise; more powerful even than the British army. He convinced members of his Pashtun tribe to lay down their weapons and join in Gandhi’s nonviolent revolution.

Khan trained 80,000 of his fellow tribesmen to serve in a disciplined “nonviolent army.” They wore red uniforms and called themselves the “Servants of God.” Gandhi credited Khan’s unique army with playing a major role in the nonviolent campaign that won freedom for India, Pakistan, and Afghanistan.

In a book titled, A Man to Match His Mountains: Badshah Khan, Nonviolent Soldier of Islam, the author, Eknath Easwaran, described why British soldiers feared Khan’s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even more than they had feared the Pashtuns’ former savagery.

Gandhi was quoted as saying:

“That such men who would have killed a human being with no more thought than they would kill a sheep or a hen, should at the bidding of one man have laid down their arms and accepted nonviolence as the superior weapon sounds almost like a fairy tale.”

Badshah Khan said:

“There is nothing surprising in a Muslim or a Pathan (Pashtun) like me subscribing to the creed of nonviolence. It is not a new creed. It was followed fourteen hundred years ago by the Prophet all the time he was in Mecca, and it has since been followed by all those who wanted to throw off an oppressor’s yoke. But we had so far forgotten it that when Ghandiji placed it before us, we thought he was sponsoring a novel creed.”

The novel creed with the way of love, compassion, and nonviolence that Jesus taught 2,000 years ago.

(Article by Ron Sider, “Pashtun Pacifists” in Timeline, a bimonthly publication of the Foundation for Global Community, May/June 2003.)
------------------------
 
Ashram is a Sanskrit word. The “a” means “away.”  “Shram” means “work.”

In July 2009, I attended a Christian Ashram that met in Lake Junaluska, NC. The purpose of being “away from work” was to connect to a different story of reality than the fast-paced, unreal story we were living out of. The different story was the slow-paced real-world story of Creation. In every civilization for more than 5,000 years, humans had been taught to live out of a make-believe mythic story of reality.

In 1940, E. Stanley Jones brought the Ashram idea from India to North America. Jones was a Christian evangelist and a missionary in India. He and Mahatma Gandhi were friends. He knew that Gandhi’s “lifelong experiments with truth” had begun in an Ashram. So did Gandhi’s “impossible dream” that he could lead a nonviolent revolution to win freedom for India from British military rule.

Gandhi was a Hindu. His “impossible dream” for a nonviolent revolution was inspired by Jesus’ Sermon on the Mount. Jesus spelled out to his followers his way of love, compassion, and forgiveness. This would be the path for all future Christians to follow. As long as they followed Jesus’ way of love, their path would connect them to the real-world story of God’s Creation. It has been the path less followed.

After Gandhi was assassinated, Jones described Gandhi’s great contribution to Christianity and his contribution to the world.

Jones explained that for centuries, Christians had avoided the challenge of Jesus’ way of love. Their excuse was that Jesus could live the way of love because he was divine. They weren’t divine so they couldn’t live the way Jesus lived. In Jones’ book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he explained that the success of Gandhi’s nonviolent revolution had demolished, forever, this excuse used by Christians. Jones wrote that Christians now had to “face (Jesus’ challenge) anew in a man very much a man—fallible, limited, originally timid, and with no special talents, except the will to act upon this level of life…” Gandhi “demonstrated…on a colossal scale (that Jesus’ way of love) is no longer idealism; it is stark realism. It has been demonstrated as clearly as a problem in geometry. It is pure science.”

 Regarding Gandhi’s great contribution to the world, Jones wrote, “Mahatma is God’s appeal to this age—an age drifting again to its doom. If the atomic bomb was militarism’s trump card thrown down on the table of human events, then Mahatma Gandhi is God’s trump card which he throws down on the table of events now—a table trembling with destiny. God has to play his hand skillfully, for man is free, so God cannot coerce.”

Jones concluded, “I would like my readers to see the man I see…a little man who fought a system in the framework of which I stand, has taught me more of the spirit of Christ than perhaps any other man in East or West. This book is a symbol of my gratitude…”

WE MUST DO WHATEVER HAS TO BE DONE FOR THE CHURCH TO BE REBORN

What did E. Stanley Jones mean by “the framework of the system” in which he stood? It was the system in America that motivated him to bring the Ashram from India to Christians in America. It was the system in which those of us attending the Ashram in 2009 were standing. It was the system Gandhi fought against. It was the system that is now drifting again to its doom.

The Altar Call by Danny Morris that concluded our time together in the Ashram could have been given by Jones. The Call to those of us present was to: “do whatever has to be done for the church to be reborn.” The Ashram was calling us to leave behind the rat race. Put aside our excuses. Take seriously God’s “trump card.” In 2009 the disastrous consequences of trying to teach each new generation to live out of a make-believe mythic story was clearer than ever. God’s trump card had been played skillfully. But we were still free to do as we pleased. God was not free to coerce us.

 

Danny Morris, a retired Methodist preacher and a longtime friend, delivered the Altar Call. I had met Danny in 1983, when I signed up for “his” Academy for Spiritual Formation. The Academy was one of the Upper Room missions Danny created. Now retired but “re-fired,” he and Evelyn Laycock led our Ashram.

But for Danny and me the Ashram did not end as scheduled. It had barely begun. We kept asking ourselves, what it would really take for the church to be reborn! The Altar Call had come to Danny out of the blue. Where had it come from? All we were certain of was that it would be hard for us to go back to the fast paced make-believe reality we knew was so out of sync with God’s real-world Creation.

Why couldn’t we create our own space “away from work?” Keep the Ashram going? Danny lived in Tennessee. I lived in Florida. Did that make it impossible? At one time it would have, but no more. When Gandhi launched his nonviolent revolution, his workday never ended. Yet Gandhi was never away from God. He created his own Ashram space “away from work.” Even the overwhelming nonviolent work of freeing a continent from military rule could not pull Gandhi away from God. When he was shot to death his last word as he fell was “Ram,” his word for “God.” Gandhi died “God conscious.”

TRANSFORMING OUR ADOLESCENT TRAITS TO SPIRITUAL TRAITS

Could we keep our Ashram, “space away from work,” going for a full year? There would be another Christian Ashram at Lake Junaluska in July 2010. What could two old retired, but re-fired, codgers like us hope to accomplish in a year? For one thing, Danny had in mind a book, a digital book that could be used for an on-line course. What would the course be about? Could we write about the vital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Sometimes our Ashram was on the telephone. Most of the time it was in cyberspace, linked by e-mail. What made it an Ashram? Our space “away from work” was always within reach of God.” It was always a space for earnest, searching, honest dialog.

The book Danny had in mind gradually became a reality in that space. Ironically, we got more work done than we could have imagined possible—in our space “away from work.” The space was also for prayer, meditation, reflection, and even for spending time alone. 

The book Danny called A Miniature History of Earth, was also expanding our space “away from work.” A new world seemed to open up as Danny wrote one chapter and I wrote the next. He did the theology and I did the ecology. (The book could not have been written without the help of Danny’s team, Rene Chavez on editing and Dandy Lewis working on the course and coordinating the overall project.)

The focus of the Ashram that Danny and Evelyn led was on the adolescent behavior of Peter, one of Jesus’ disciples. Peter was irresponsible. An assumption was that Peter, the loudmouthed fisherman, was a full-grown adult, somehow stuck in an adolescent stage of consciousness. The Bible tells how the Holy Spirit transformed Peter’s adolescent traits into spiritual traits. Peter was “reborn.” He became Peter, the Rock.

Another assumption was that the Holy Spirit could transform our adolescent traits into spiritual traits. Were those of us in the Ashram any different from Peter? If we lived within the framework of a mythic system, out of sync with the real-world of Creation, shouldn’t we do something about it? If we were doing nothing, could we assume we were grownups stuck in an irresponsible adolescent stage of consciousness?

One assumption led to another assumption. It was like pushing over a line of dominoes.

CONFIRMATION FROM ON HIGH

Half way through our year with our self-directed Ashram experiment, the United Methodist Council of Bishops confirmed our assumption Earth was in deep trouble, and we were the trouble makers.

The bishops 2009 Pastoral Letter began with the words: “God’s Creation is in Crisis…We have turned our backs on God and our Responsibilities…this beautiful natural world is a loving gift from God…God entrusted its care to all of us…we must begin the work of renewing creation by being renewed in our own heart and mind…we cannot help the world until we change our way of being in it…we as your bishops pledge to deepen our spiritual consciousness as just stewards of creation…and to practice dialog with those whose life experience differs dramatically from our own…”

I added the Bishop’s letter to the 7grrp Seed Bank collection of “seeds of wisdom.” I had begun collecting seeds for the “7 Generations Remembering and Reconnecting Project” in 1983 at the Academy for Spiritual Formation. “Seeds of wisdom” could be used as clues to reality test assumptions. They could be used as puzzle pieces to put together a bigger real-world story to live out of.

In 1986, the Bishops’ Council had issued another Pastoral Letter that began: “We write in Defense of Creation. We do so because creation itself is under attack. Air and water, trees and fruits and flowers, birds and fish and cattle, all children and youth, women and men live under the darkening shadows of a threatening nuclear winter…much evidence points to a runaway technological obsession that leads inexorably toward doomsday. (We are) like victims of some sort of hypnotism, like men in a dream, like lemmings headed for the sea…”

Are we really like lemmings headed for the sea?

Are we really like victims of some sort of hypnotism?

Are we really hooked on a runaway technological obsession that leads inexorably toward doomsday?

Have we really turned our backs on God and our Responsibilities? 

Can we really help the world by changing our way of being in the world?

A Miniature History of Earth is finished. It will be available soon on the following websites: spiritslaughing.com, Earth_Learning.org, and BridgesAcrossBorders.org. In the future more websites will make this book and all 7grrp Seed Bank resources available around the world. Plans are being made for an on-line course to be available in the future on BeADisciple.com.

 

Where does this leave the “Impossible Dream for the 21st Century?”

The answer to that question will be up to us.

E. Stanley Jones was right. In the 20th century Gandhi “demonstrated on a colossal scale (that Jesus’ way of love) is no longer idealism; it is stark realism.” We have no excuse if we continue to turn our backs on God and our responsibilities.

 

We really could change the world by changing our way of being in the world.

 

교회가 성폭력 대응에 철저히 실패하는 이유…"피해 회복 없이 문제 해결 없다" < 탐독의 시간 < 탐구생활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교회가 성폭력 대응에 철저히 실패하는 이유…"피해 회복 없이 문제 해결 없다" < 탐독의 시간 < 탐구생활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교회가 성폭력 대응에 철저히 실패하는 이유…"피해 회복 없이 문제 해결 없다"
[인터뷰]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IVP) 저자 김성한 대표 "안전한 교회 원하는 여성들 요구에 응답하는 게 선교적 사명"

기자명 이은혜 기자
승인 2021.06.11 

[뉴스앤조이-이은혜 기자] 교회 내 성폭력을 취재하다 보면 과거 기사를 들춰 볼 때가 있다. 안타깝게도 10년 전 20년 전 기사에서 지적하는 내용이 오늘날 나오는 이야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목회자에게 집중된 권력 구조, 폭력을 저지르고도 '불륜'이나 '실수' 정도로 빠져나가려는 뻔뻔한 가해자, 가해자를 쉽게 용서해 주는 교인들, 가해자가 명예롭게(?) 떠날 수 있도록 사임 사유를 공개하지 않는 선·후배 목회자들이 교회 성폭력을 계속 발생하게 만든다. 예나 지금이나 교회 성폭력 근절을 위한 첩경은 성폭력을 '성'폭력이 아니라 성'폭력'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교회 내 성폭력이 반복된다는 건 교회가 안전한 공간이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최근 출간한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 - 존 하워드 요더의 성폭력과 교회의 대응>(IVP) 저자 김성한 대표[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 동북아시아지부]는 이 같은 현실을 '동그란 네모'라고 표현했다.

요더(John Howard Yoder, 1927~1997)는 아나뱁티스트들에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기독교윤리학자이자 탁월한 업적을 남긴 평화신학의 대가였다. 그런 그가 수십 년간 100명에 가까운 여성에게 성폭력을 가한 사실이 밝혀졌을 때 충격은 어마어마했다. 지금도 그의 저작 인용을 놓고 사람마다 의견이 갈린다. 김성한 대표는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에서 교회 성폭력 가해자의 신학적 산물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와는 별개로, 요더가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교회가 대응에 실패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교단·학교 리더십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 문제를 단순한 성적 스캔들이 아닌 '교회 성폭력' 의제로 전환해 해결했는지 설명했다.

책을 읽으면서 공감하는 지점이 많았다. 그동안 취재하면서 느껴 온 많은 부분이 요더 사건 곳곳에 녹아 있었다. 한국교회가 요더 사건 조사를 맡았던 AMBS(Anabap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의 1970~1990년대 행보를 좇아가면 교회 성폭력 대처에 실패할 것이고, 제대로 대처하기를 원한다면 2011년 이후 사건 처리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안타깝게도 한국교회 대부분은 여전히 AMBS가 1970~1990년대에 취한 문제 해결 방식에 머물러 있다. 피해자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가해자의 명성을 걱정하고, 사건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가해자가 조용히 사라지는 방식의 미봉책을 택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IVP)을 쓴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 동북아지부 김성한 대표를 6월 10일 춘천에서 만났다. 뉴스앤조이 이은혜

김성한 대표와 6월 10일 춘천에 있는 MCC 사무실에서 만나 책과 요더, 교회 성폭력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나눴다. 김 대표는 성폭력 전문가도 아닌 자신이 이야기를 꺼내는 게 부담스럽다면서도, 이 일을 통해 한국교회가 '안전한 교회'를 바라는 우리 시대의 선교적 요구에 응답하면 좋겠다고 했다.

- 존 하워드 요더는 아나뱁티스트, 평화신학을 논할 때 빼놓고 이야기하기 힘든 신학자로 알고 있습니다. 대표님 역시 아나뱁티스트로서, 아나뱁티스트신학을 일군 한 신학자의 성폭력을 정리해 드러내는 일이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책까지 발간하게 됐나요.

2015년경 박사과정 공부를 위해 미국에 머물고 있었는데요. 요더를 향한 문제 제기가 여기저기서 불거지고 있을 때였어요. 요더 성폭력 관련 자료가 공개되기 시작했고, 아카이브도 제가 살던 곳에서 그리 멀지 않았습니다. 그때만 해도 요더의 성폭력 문제가 어느 정도인지 잘 알려지지 않았을 때라, 마지막 과목이었던 '연구 조사 방법론'의 사례 연구 주제로 덜컥 선택하고 시작한 거죠. 책에도 언급했지만, 요더 문제를 다시 끄집어 내고, 피해자 회복을 위해 노력하던 분들 역시 마침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었기에 그분들도 인터뷰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과제를 완성하고 담당 교수에게 제출했는데요. 교수가 이걸 자기 교단 리더십과 공유해도 되겠느냐는 거예요. 교단 내 제법 큰 교회에서 성폭력 문제가 발생했는데 리더십이 어떻게 치리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요. 제 과제가 비슷한 상황에 있는 교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으니, 그냥 사라지게 하지 말고 의미 있게 사용해 보면 좋겠다고 하더군요. 그 말에 힘입어 <복음과상황>에 제가 먼저 연재 제안을 했고, 총 다섯 차례 글을 쓰게 됐어요.

그때까지만 해도 이걸 책으로까지 내는 건 무리라고 생각했죠. 일단 제 첫 책이나 마찬가지인데 이런 주제로 첫 책을 쓰고 싶지는 않았거든요.(웃음) 부담스러우니까요. 게다가 기성세대이면서 남성인 제가 성폭력 문제를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제가 어쭙잖게 하는 말이 혹시나 비슷한 일을 겪은 사람에게 '잘 알지도 못하면서 말을 보태고 있다'는 인상을 주지는 않을까 해서요.

그런 와중에 요더 성폭력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 AMBS 사라 웽어 쉥크 총장이 2019년 5월 한국을 방문했고요. 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 캐롤린 홀더리스 헤겐이 2019년 12월 한국을 방문하게 됩니다. 2015년 미국에서 관련 자료를 조사할 때, 헤겐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만날 수는 없었거든요. 제가 MCC에서 일하고 있으니까 공식 만남 일정이 잡힌 거죠. 헤겐은 고발자이면서 동시에 요더 성폭력 피해자이기도 하거든요. 한국에서 만난 낯선 사람이 가해자 얘기를 꺼내는 걸 불편하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 망설였지만, 결국 밥 먹으면서 조심스럽게 말했어요. 요더에 대해 이런 글을 썼다고요. 굉장히 반가워 하시더라고요. 이후 요더 이야기를 한참 하게 됐어요.

이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 <복음과상황>에 추가 인터뷰를 요청해 기사로 싣게 됐습니다. 그런데 인터뷰 기사에서 새롭게 보이는 게 있는 거예요. 제가 자료 읽고 관련자들 인터뷰하면서 파악했던 것과, 사건과 직접 연관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만나니까 좀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겠더라고요.

외적인 상황도 한몫했어요. 한국교회에서 비슷한 일(성폭력)이 반복되고 있었으니까요. 부담스럽고 어려운 문제라고 다들 쉬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거 아닌가 생각했고요. '실패한 교회 성폭력 치리 이야기'를 통해 배울 점이 있을 거라 생각해 결국 책으로까지 내게 됐습니다.

존 하워드 요더는 평화신학을 이야기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메노나이트가 낳은 최고의 신학자로 불려 왔다.


"요더만 피해자들에게 권력을 행사한 것이 아니었다. 메노나이트교회와 그 기관들 역시 피해자들에게 권력을 행사했다. 그들은 피해자들의 증언을 믿지 않았거나, 어쩔 수 없이 겨우 받아들였으며, 피해자들을 보호하거나 치유할 수 있었음에도 그 힘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66쪽)

- 요더의 성폭력 문제 전말이 밝혀진 건 2015년인데요. 사실 그전부터 문제 제기는 있었잖아요, 1990년대에는 교회가 공식 치리 절차를 밟기도 했고요. 당시 교회가 성폭력 가해자를 대하는 방식이 지금 한국교회에서 일어나는 일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교회 성폭력이 발생하면 왜 대다수 교인은 가해자에게 더 감정이입을 하게 될까요.

교인들이 성폭력 저지른 목사를 적극 옹호한다는 기사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 왜 저렇게까지 할까 생각해 봤는데요. 목사가 무너지면 그를 믿고 따르던 나도 무너질 거라고 생각하니까 그러는 게 아닐까 생각해요. 존경하던 목사·교수가 무너지면 그 사람뿐 아니라 나도 같이 무너지는 거죠.

이 지점에서 '교회가 무엇을 애도하고 탄식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떠올라요. 한국교회는 애도와 탄식을 낯설어해요. 교회에 모이면 기뻐해야 하고, 감사하며 찬양해야 한다고 생각하죠. 그렇다 보니 공동체 내에서 폭력을 당한 누군가가 눈물 흘리고 있는데도 돌보지 못하는 거예요. 정작 피해자는 보이지 않고, 무너지는 가해자와 함께 무너지는 나를 더 염려하는 상황이 돼 버린 것 아닐까요. 일상이 뒤집어진 피해자와 함께 공감·애도·탄식하지 못하고, 나의 일상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만 걱정하는 거죠.

예배 공간에서 애도와 탄식을 이끌어 내려는 노력이 중요한 것 같아요. 책 부록으로 2015년 3월에 요더 성폭력 피해자들과 함께 진행한 두 예배의 순서지를 넣었는데요. 어떤 예배 과정을 통해 회복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 주고 싶었어요. 한국교회 안에는 이런 고민이 없기 때문에 자꾸 가해자에게 감정이입하고 보호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 피해자와 함께 공감·애도·탄식하는 것 자체가 가해자에게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는 주장도 흔하죠. 특히 교회 성폭력 문제를 취재하다 보면, 오히려 '가해자의 가족'이 제일 큰 피해자라고 주장하며 피해자를 비난하거나, 성폭력을 공론화하는 일 자체가 교회를 공격하는 행위라며 조용히 처리하려는 모습을 공식처럼 발견할 수 있는데요.

그렇게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요더 사례를 보고 배우라고 말하고 싶어요. 꽁꽁 숨기고 비밀에 부치려 하다 보니 가해자(요더)가 죽고 나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어요. 차후 덮었던 것을 바로잡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더 큰 고통을 겪어야 했죠. 요더 성폭력 문제를 제일 처음 접했던 AMBS 말린 밀러 총장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갑자기 세상을 떠났는데요. 다들 이 문제로 혼자 끙끙 앓았던 게 극도의 스트레스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얘기해요. 지금은 숨겨서 덮고 갈 수 있을지 몰라도 절대 그렇게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아요. 언젠가는 또 다른 대가를 지불할 수밖에 없고, 훨씬 더 큰 고통이 따르게 된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있다고 봐요.


"존(요더)이 사귐을 회복하고 교회 안에서의 섬김을 허락받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더 요구해야 할까요? 도대체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징계와 '파문'을 끝내기에 합당할까요? 존은 이제 70세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그를 다시 받아들여도 괜찮지 않을까요? 조심스럽고도 충분한 논의와 진지한 검토를 거쳤기에 저는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79쪽)

- 위 인용문은 크레이빌 총장이 1997년에 쓴 편지글 일부인데요. 요더는 이미 치리를 받았기 때문에 그를 다시 받아들여도 괜찮지 않느냐는 논지입니다. 피해자의 동의 없는 공동체 회복이 가능할까요.

저는 회복적 정의를 지향하고, 이것이 우리 사회에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만병통치약이라고 보진 않아요. 회복적 정의가 말하는 정의·평화·화해는 공동체가 회복되고 피해자가 온전히 일어서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이걸 놓치면 파괴적인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어요.

크레이빌 총장은 후임 쉥크 총장과 다르게 요더 사건을 잘 몰랐기도 했고, 알았다고 해도 일단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은 것 같아요. 한 가지 더 안타까운 점은 크레이빌 총장이 저 얘기를 하고 얼마 안 가 요더가 사망했거든요. 이미 고인이 됐으니까 더 이야기할 필요성을 못 느꼈던 것 같아요. 문제는 요더가 사후에 더 유명해졌다는 거죠. 피해자들은 전혀 회복되지 못해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요더는 계속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며 위대한 신학자 대접을 받고… 지금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도 비슷하잖아요. 가해자는 계속 미디어에 등장하거나, 다른 곳에 가서라도 목회 활동을 이어 가죠. 요더 사건 같은 경우 부글부글 끓어 오르다가 2011년 어간에 수면 위로 훅 드러나게 된 거죠. 교회 성폭력은 피해자의 회복 없이 해결될 수 없다고 봐요.

책은 교회의 요더 성폭력 사건 처리가 왜 실패했고, 이후 어떤 과정을 통해 회복으로 이어졌는지 담고 있다. 뉴스앤조이 이은혜
남성 중심의 권위적 구조에서는
교회 내 성폭력 반복될 것
가장 분명하고 확실한 예방법은
'여성 리더십' 더 많아지는 것


- 교회 성폭력이 발생하면 피해자는 공개 사과와 그에 따른 처벌,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이것이 지켜지지 않고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과정에서 피해자의 요구가 과하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어요.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빼앗은 게 뭔지, 무엇을 이용해서 폭력을 저질렀는지를 제대로 짚지 않아서 그런 얘기를 한다고 봐요. 가해자는 책임져야 할 가정이 있고, 자녀가 있으니 이걸 알게 하면 안 되고, 이미 사직도 했고 주절주절 계속 얘기할 수는 있어요. 그런데 가해자는 피해자의 '신앙심'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교회에서 그렇게 중요하다고 말해 온, '돈 주고도 살 수 없는 믿음'을 이용해 범죄를 저지른 거잖아요. 너무 큰 걸 무너뜨린 거죠. 가해자가 얼마나 잘못을 했는지 자각한다면 피해자의 요구를 '과하다'고 얘기할 수 있을까요.


"정말 교회의 미래를 걱정한다면 이 기울어진 구조부터 바꾸어야 한다. 교단의 신학적 입장과 전통 때문에 교회 내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보수적인 태도를 취한다 하더라도, 리더십은 성폭력 사건을 예방하고 피해자 중심의 해결을 위한 투명하고 구체적인 제도와 방안을 제시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리고 가장 분명하고 확실한 방법은 여성 리더십이 그 구조와 조직에 더 많아지는 것이다." (123쪽)

- 후임 사라 웽어 쉥크 총장은 여성이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보시나요.

쉥크 총장이 '여성'인 게 전부는 아니겠으나, 그때 쉥크 총장이 있었다는 건 이 사건 해결에 매우 결정적이었어요. 이미 요더 문제가 곳곳에서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었거든요. 피해자들과 지지 그룹은 요더 문제를 더 언급하지 않고 갈 수 있느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었고, AMBS 학생들은 요더를 '평화신학자'라고 할 수 있는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죠. 쉥크가 아니었다면 이걸 누가 받아 낼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쉥크 총장은 고발에 앞장선 피해자였던 캐롤린 홀더리스 헤겐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요더 성폭력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라는 걸 직감해요. 헤겐도 처음에는 AMBS 사람들을 만나지 않으려고 하다가 여성 총장이 여성들끼리만 보자고 하니까 가게 됐거든요. 굉장히 작은 부분인 것 같지만 결정적인 지점이에요. 우리가 성폭력 문제를 다루는 위원회를 구성할 때, 이런 부분을 담아낼 수 있는 감수성이 있는지, 교회 내에 피해자의 문제 제기를 듣고 공감하고 정의로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여성들이 준비돼 있는지, 세세한 부분까지 구조화·제도화돼 있는지 고민해야 교회 성폭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아무리 신고해도 이를 조사하고 치리하는 사람들이 다 남성 목회자들이면 뭐가 달라질까 하는 의문이 남는 거죠.

또 한 가지, 쉥크 총장은 이걸 예수님 이야기로 연결 지었어요. 메노나이트에서 요더는 너무 거대한 인물인데, 그 때문에 계속 가려지는 목소리를 어떻게 들을 것인가 고민한 거죠. 쉥크 총장은 이걸 복음서가 들려주는 예수님 이야기와 같은 맥락으로 봤어요. 예수님은 길 가다 멈춰서 당시 힘 있는 권력자들이 무시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들의 '스토리'를 중심부로 가져오시잖아요. 이처럼 소외되고 배제된 목소리를 듣는 일은 복음과 맞붙어 있죠. 뒤집어 생각하면 그들의 목소리를 가리고 누르려고 하는 일은 반복음적인 게 되는 거예요. 쉥크 총장은 그런 면에서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이 탁월했던 것 같아요.

생명을 주는 교회가 될 것인가, 생명이 끊어진 물웅덩이 같은 교회가 될 것인가. 뉴스앤조이 이은혜


"교회 안에서 일어난 성폭력을 언제까지 '은밀하고 은혜롭게 덮어야' 하겠는가. 요더와 메노나이트교회 지도자들이 가졌던 순진하기까지 한 교회론과 '은혜로운' 접근 방식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악화시키는 데 일조했다. 모름지기 '성경적 성교육'을 비롯해 모든 성교육은 성폭력이 일어나지 않는 안전한 공간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금이라도 한국 교계가 교회 내 성폭력 근절이라는 더 큰 의제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안전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않은 교회의 미래는 더욱 어두워질 것이다. 교회를 성폭력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공간으로 만드는 것은 세상의 절반이 묻고 있는 질문에 대한 교회의 가장 분명한 대답일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선교적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125~126쪽)

- 요즘 교회 성폭력 사건에 대한 교단의 대처 방식을 보면 정말 피해자의 아픔에 공감해서 움직인다기보다, '세상에 알려지면 욕먹을 게 뻔하니까 빨리 처리하자'는 것처럼 보일 때가 많습니다. 구조적 문제를 들여다보지 않으면 재발할 위험이 큰데도, 그런 부분까지는 고려하지 않는데요.

요더 성폭력 피해자인 캐롤린 홀더리스 헤겐은 교회 안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여성을 도울지 연구하고 이를 교회에 적용하는 '시스터 케어' 사역을 해요. <공동체를 위한 시스터 케어 리더십>(대장간)이라는 책도 있는데요. 한국교회가 배울 수 있는 점이 있지 않을까 싶어요. 큰 제도를 개선하고 구조를 만드는 일과 동시에, 피해자를 도울 수 있는 '사람'을 훈련하고 세우기 위해서도 마땅히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미투', '위드유'는 결코 교회를 망가뜨리는 도전이 아니라 오히려 교회가 답해야 할 '선교적 질문'인 거죠. 이 시대 절반 이상 되는 사람이 '교회가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고 요구하는데 이걸 '권위에 대한 도전', '교회를 무너뜨리는 공격'으로 받아들이면 완전 헛다리를 짚는 거죠.

지금 우리 시대 여성들은 '교회가 여성에게 안전한 공간인가', '교회는 여성이 힘을 얻고 회복되고 살아나는 공간인가' 묻고 있어요. 이런 선교적 질문을 교회가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건 '우린 당신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니 오지 마세요'라고 얘기하는 것과 같아요. 이건 교회가 교회 됨을 부인하는 것이고, 교회가 해야 할 선교적 사명을 다하지 않겠다는 거죠.


"완전한 교회는 없다. 우리는 모두 연약하여 실패한다. 그러나 그 연약함이 약자들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도구가 될 수는 없으며, 되어서도 안 된다. 쉥크의 고백과 같이, '우리는 교회의 성스러운 신뢰를 지키는 데 실패했습니다. 우리는 복음의 진리에 대해 알고 있는 대로 행하는 일에 실패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께 잘못을 저질렀습니다'라며 우리의 실패를 인정하고 서로에게 잘못을 고백하고 사죄할 때, 비로소 회복되고 화해할 기회를 얻게 된다. 교회는 그런 곳이어야 한다."(129쪽)

- 교회 성폭력은 결국 교회가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라는 '교회론'과도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축적된 사건들이 가리키는 지점이 있는 것 같아요. 이것을 성 문제로만 볼 게 아니라 절대화한 권력, 구조의 불균형 문제를 함께 짚어야 하는 거죠. 교회 성폭력이 가리키는 근본적인 방향이 있다고 생각해요. 요더, 전병욱(홍대새교회) 등 유명 목회자들의 성범죄가 '스캔들'로만 끝나선 안 돼요. 일련의 사건과 이를 올바로 대처하는 데 실패해 온 교회의 모습에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발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쉥크 총장이나 당시 총회장이었던 어빙 스투츠만 등은 이 문제를 구조적 차원까지 확대하는 걸로 의제를 전환했어요. 요더만 처리하고 끝내는 게 아니라 학교·교단 차원으로 넓혀서 '왜 실패했는지',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정리해 성명으로 발표했죠. 교회 성폭력에서 시작한 문제지만 다시 선교적 질문으로 연결된다고 생각해요. '교회는 이 문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재구성해서 재발 방지하는 구조까지 만들 것인가.' 이 질문에 응답해야 한다고 봅니다.

김성한 대표는 교회 성폭력 문제로 힘들어하고 있는 이들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했다. 뉴스앤조이 이은혜

- 어떤 분들이 이 책을 읽으면 좋을까요.

요더 사건의 실체를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은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대장간)를 읽으면 되고요. 이 책은 교회가 어떻게 반응했고, 그 반응은 왜 실패했으며 종국엔 회복과 화해가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포커스를 맞췄어요.

이 책을 준비하면서 주변의 20~30대 여성들에게 초고를 보내고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과거 제가 몸담았던 선교 단체에서도 성폭력 문제가 있었거든요. 그 일이 일어나기 전, 성 윤리 규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국 간사들과 함께한 공청회에서 요더와 관련한 내용을 발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피드백 주신 분이 그때 얘길 해 주시더라고요. 제가 한 그 발제가 사건을 공론화하는 하나의 계기가 됐다고요. 격려가 많이 됐어요. 돌아보면 충분하지 못한 것 같아 자책했는데 그렇게라도 이야기를 꺼낸 것이 누군가에게는 용기 낼 수 있는 계기가 된 거죠. 이 책 역시 교회 성폭력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분에게 가닿아 작은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어느 정도 구조를 바꿀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분들, 하지만 어떻게 바꿔야 할지 전혀 모르겠는 분들이 읽으시면 좋겠어요. 저는 '교회는 성폭력에서 안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에 반대할 사람은 없다고 생각해요. 바꾸기는 해야겠는데 뭘, 어떻게 바꿔야 할지 몰라 막막한 남성 목사님들이 이 책을 읽고 구체적인 제도 변화까지 상상해 볼 수 있으면 좋겠어요.
청어람ARMC(오수경 대표)는 6월 18일 오후 8시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IVP) 북 토크를 온라인으로 연다. '교회는 왜 성폭력 문제 앞에서 번번이 실패하는가'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북 토크에는 저자 김성한 대표와 감리교여성지도력개발원 이은재 연구원이 참석해 이야기 나눌 예정이다.(생중계 바로 가기)

2021/08/09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by E. Stanley Jones | Goodreads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by E. Stanley Jones | Goodreads

Paperback, 160 pages
Published February 1st 1993 by Abingdon Pr (first published December 1983)
Original Title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Abingdon Classics)

Nov 11, 2012Angela Sun rated it really liked it
Well written with first hand accounts of Ghandi; complete biography of the spiritual leader from stories in his youth through his death. Inspirational.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Feb 03, 2020Monisha rated it it was amazing
An amazing look at the father of the Indian nation. An insight into Gandhi, as a leader and as a person. This book gives in detail the principles followed by the great leader of India
flagLike · see review



Apr 07, 2020Jonathan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A powerful account of the man and his ideas from a lifelong friend and admirer (and even self-professed follower of Gandhi's principles and teaching). An easy read that is a must among the corpus surrounding one of the greatest men to ever live. (less)

Gandhi Quotes Showing 1-1 of 1
“The opponent strikes you on your cheek, and you strike him on the heart by your amazing spiritual audacity in turning the other cheek. You wrest the offensive from him by refusing to take his weapons, by keeping your own, and by striking him in his conscience from a higher level. He hits you physically, and you hit him spiritually.”

― E. Stanley Jones, Gandhi: Portrayal of a Friend

서구 종교의 사기성과 망상을 깨부순 사람, 동학 수운 최제우 | 도올 김용옥 동경대전


서구 종교의 사기성과 망상을 깨부순 사람, 동학 수운 최제우 | 도올 김용옥 동경대전
17,731 viewsAug 4, 2021

681

26

SHARE

SAVE


조현TV 휴심정
44.5K subscribers

도올 김용옥(73)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가 사고를 쳤다. 30대에 그 좋다는 정규직 교수직을 때려치우고 학교 밖에 나선 이래 강경 발언으로 사고를 친게 한두번이 아니지만, 이번에 친 사고는 다르다.

‘너무도 많은 난관이 나를 기다리고 있고, 너무도 많은 터무니없는 편견들과 싸워야한다. 혼자 알고 혼자 뒈지는 것이 낫지, 내가 뭔 첨병이라고 이 어지러운 전쟁터, 이 지루한 지옥의 여로를 걸어갈 것이냐? 이 싸움을 해본들 나에게 돌아오는 것은 잡설 욕지거리밖에는 없을 것이다.’

'동경대전'(통나무 펴냄) 1,2권은  도올이 지구의 문명을 이 지경으로 만든, 이분법의 서구적 신관과  한판 씨름에 나선 책이다. 이 책은 근대 한민족을 깨운 동학의 1대 교조 수운 최제우(1824~1864)가 쓴 경전을 해설한 ‘도올판 동경대전’이다. 그가 성경,사서삼경,불경,노자를 비롯한 수많은 동서양사상을 강연하고 책을 펴냈으면서도 이번 '동경대전'을 ‘제 인생의 결정체’라고 한데서 그 결기가 보인다. 

그가 동경대전초판목활자본을 손에 쥐고, ‘우리 민족의 바이블 원전을 찾았다’며 기쁨에 들떠 잠든 그날밤 집안에서 피비린내 나는 사고를 당한데서도 이 작업이 처음부터 쉽지않았음을 말해준다.

도올과 오랜 인연이 있던 조현을 만나 도올은 한민족의 피맺은 절규를 담아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도올김용옥 #동경대전 #수운최제우
서구 종교의 사기성과 망상을 깨부순 사람, 동학 수운 최제우 | 도올 김용옥 동경대전
17,731 viewsAug 4, 2021

681

26

SHARE

SAVE


조현TV 휴심정
44.5K subscribers

도올 김용옥(73) 전 고려대 철학과 교수가 사고를 쳤다. 30대에 그 좋다는 정규직 교수직을 때려치우고 학교 밖에 나선 이래 강경 발언으로 사고를 친게 한두번이 아니지만, 이번에 친 사고는 다르다.

‘너무도 많은 난관이 나를 기다리고 있고, 너무도 많은 터무니없는 편견들과 싸워야한다. 혼자 알고 혼자 뒈지는 것이 낫지, 내가 뭔 첨병이라고 이 어지러운 전쟁터, 이 지루한 지옥의 여로를 걸어갈 것이냐? 이 싸움을 해본들 나에게 돌아오는 것은 잡설 욕지거리밖에는 없을 것이다.’

'동경대전'(통나무 펴냄) 1,2권은  도올이 지구의 문명을 이 지경으로 만든, 이분법의 서구적 신관과  한판 씨름에 나선 책이다. 이 책은 근대 한민족을 깨운 동학의 1대 교조 수운 최제우(1824~1864)가 쓴 경전을 해설한 ‘도올판 동경대전’이다. 그가 성경,사서삼경,불경,노자를 비롯한 수많은 동서양사상을 강연하고 책을 펴냈으면서도 이번 '동경대전'을 ‘제 인생의 결정체’라고 한데서 그 결기가 보인다. 

그가 동경대전초판목활자본을 손에 쥐고, ‘우리 민족의 바이블 원전을 찾았다’며 기쁨에 들떠 잠든 그날밤 집안에서 피비린내 나는 사고를 당한데서도 이 작업이 처음부터 쉽지않았음을 말해준다.

도올과 오랜 인연이 있던 조현을 만나 도올은 한민족의 피맺은 절규를 담아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도올김용옥 #동경대전 #수운최제우
----------------------------
힐링&명상 콘텐츠 | 휴심정 http://www.hani.co.kr/arti/well/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 논설위원

한겨레신문 30년차 기자로 20년째 종교명상 전문기자로 활동 중. 

40여년간 참선명상을 했고, 다양한 종교수행수도와 심리·치유 프로그램 체험. 
히말라야·인도·네팔·티베트·동남아시아 성지와 수도처, 유럽·미주·남미 수도원 순례. 

저서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누리꾼의 인문 책 1위(2000년),  ‘우린 다르게 살기로 했다’가 중앙일보, 교보문고 올해의 책(2018년)에 선정. 그 밖에 ‘울림’ ‘은둔’ ‘하늘이 감춘 땅’ ‘인도 오지기행’ ‘그리스인생학교’ 등의 저서가 있다.

깨달음·명상·심리·공동체 관련해 서울대병원, 정신과의사모임, YMCA, 플라톤아카데미, 서울시청, 문화관광부 등에서 강연하며, 인도 순례와 티베트 순례모임, 치유모임 등을 이끌었다.

마음은 여의주.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은 받아들이는 평온을, 마땅히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는 용기를!’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19:32
NOW PLAYING
도올 김용옥 | '신은 죽었다'는 니체보다 차원높은 수운 최제우의 신관(神觀)
조현TV 휴심정
483 views
2 hours ago
New


6:02:16
NOW PLAYING
6 Hours Chopin | Classical Music for Studying, Concentration, Relaxation
HALIDONMUSIC
3.3M views
3 years ago


44:17
NOW PLAYING
강신주 철학자가 말하는 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철학의 대전환 [고인사이드(Go! Inside) 4회]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61K views
1 week ago


1:20:56
NOW PLAYING
도올선생 특강 ㅣ 특유의 격정적이고 직설적인 서산대사 이야기
BTN조이
24K views
1 week ago


52:16
NOW PLAYING
[GMC 풀강연] 삶에 꼭 이유가 있어야 하나 - 고미숙 작가
그랜드마스터클래스
353K views
1 year ago


8:10:00
NOW PLAYING
8hours raining drop sounds from roof to the forest for your relaxing, meditation, study and sleep
Hello Korea
1.4M views
1 year ago


8:12:11
NOW PLAYING
"I wish the time would stop" Us in the Dream - Happy Sleep Music
Music Drawing
2.4M views
4 months ago


6:00:22
NOW PLAYING
Relaxing Flute Music 6 Hour, Native American Flute, Focus Music, Zen, Study Music, Sleep Music ☯2169
Yellow Brick Cinema - Relaxing Music
5.9M views
6 years ago


31:29
NOW PLAYING
정민 교수 |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의 차이 | 연암 박지원의 사상
조현TV 휴심정
6.2K views
1 week ago


3:57:34
NOW PLAYING
4 Hours Classical Music for Sleeping
HALIDONMUSIC
3.6M views
1 year ago


47:26
NOW PLAYING
[도올김용옥] 노자 69 동학을 "한다" - 도대체 동학이 뭐냐? - 고조선의 노자를 21세기에 부활시킨 사람이 ❤️ 수운
도올TV
82K views
6 months ago


6:00:22
NOW PLAYING
Relaxing Guitar Music, Calm Music, Study Music, Guitar Music, Meditation Music, Sleep, Study, ☯2787
Yellow Brick Cinema - Relaxing Music
6.5M views
5 years ago


21:35
NOW PLAYING
도올 김용옥 | 배우 윤여정과 홍상수 감독 영화에 출연했던 과거 이야기 | 동경대전의 의미 | 한민족 정체성
조현TV 휴심정
24K views
3 days ago
New


3:12:07
NOW PLAYING
The Best of Chopin
HALIDONMUSIC
14M views
1 year ago


35:02
NOW PLAYING
정민 교수 | 유학의 외피를 쓰고 선교한 천주교의 전략 | 칠극
조현TV 휴심정
4.3K views
3 weeks ago


12:00:00
NOW PLAYING
SLEEP FAST AND DEEP - MUSIC TO SLEEP IN LESS THAN 10 SECONDS - SLEEP MUSIC
Idyllic Melody
52K views
2 weeks ago


39:56
NOW PLAYING
상대방을 무시하지마라! 원인이 되어 돌아오게 된다. 인과의 법칙 [법상스님의 오늘도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23회]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60K views
2 weeks ago


59:07
NOW PLAYING
붓다 빅 퀘스천 15, 김태형 소장, 자신감보다 자존감이 필요한 사회
불광미디어
42K views
1 month ago


7:21:05
NOW PLAYING
"In the rain" Romantic sleep music - Were you a dream..
Music Drawing
6.9M views
7 months ago


52:23
NOW PLAYING
욕망과 거리두기 | 소유 아닌 자유로, 욕망의 프레임을 바꾸자 | 고미숙 고전평론가
조현TV 휴심정
189K views
7 months ago

57 Comments
Sejin Lifeforce 生命
Add a public comment...
리리
Pinned by 조현TV 휴심정
리리
4 days ago (edited)
오래전부터 늘 유일의 절대신을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나는 그런데 절대신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는 사람이 많아 의아했습니다. 내가 이상한건가, 신을 믿어보려 일부러 노력한 적도 있는데 도저희 받아들여지지  않는 부분이 있어 포기했어요. 이런 의문이 도올샘의 영상들을 보며 시원하게 해소되는 느낌입니다. 내가 가졌던 찝찝함의 근원을 찾은 느낌. 우리의 높은 정신문화에 대한 자부심도 함께 생겼구요. 동경대전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수준 높은 문제 의식의 대담을 이끌수 있는 분은 대한민국에 조현 기자님밖에 없는것 같아요.

29


이수현
이수현
1 day ago (edited)
마지막에 하신 말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공동체를 바르게  만들어 가고  대자연에 경외심을 가지고 살자 !.
모든 인간이 이런 마음으로 산다면  ....  
동학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책을 사보고 싶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3

조현TV 휴심정

Jasonhenry Kim
Jasonhenry Kim
3 days ago
신이라고 표현하는 생명체는 직접적인 경험과 체험없이는 이해할수도 알수도 없는 존재입니다 죽고나서야 그 의미를 바로 알게됩니다 분명한건 모든 생명체가  신이라는 사실입니다 수운선생께서는 이점을 깨달으신 겁니다.

5

조현TV 휴심정

조현TV 휴심정
조현TV 휴심정
3 days ago
Jasonhenry Kim님,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1


예스리나
예스리나
4 days ago
동영상 잘 보았습니다!
그동안 조선의 유학 하면 부정적으로만 생각하고 유학적 사유에 대해서 관심 갖지  않은 것이 부끄럽습니다
당장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도올 선생님과 조현 기자님 감사합니다!

6

조현TV 휴심정

조현TV 휴심정
조현TV 휴심정
3 days ago
예스리나님, 공부심 응원합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astor Y
Castor Y
4 days ago
하나님과의 대화인가 하는 책에 하나님에게 인류에게 하고 싶은 단 한문장이 뭐냐라고 물었더니, 하나님이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너희는 나를 완전히 잘 못 알고 있다".  인간이 신을 자기 마음대로 무르고 만들어서 자신의 권력의 뒷배로 만들지 않았나 합니다.  진정한 신의 모습은 유일신을 가르치는 종교에서는 찾기 힘들것 같습니다.

9

조현TV 휴심정

임동건
임동건
17 minutes ago
민족종교 천도교내용을 공부함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1

조현TV 휴심정

김혜명
김혜명
4 days ago
요즘
도올선생님의  강의를
자주 들을 수 있어 좋습니다

4

조현TV 휴심정

김대영
김대영
3 days ago
홍익인간 대동세상 인내천 이 속에 흐르는 것은 인류에 대한 보편적인 사랑
이런 철학으로 만들어진 나라가 있었는 지요?
최제우라는 위대한 성인도 이 바탕에서 나왔을 것입니다.

5

조현TV 휴심정

송상덕
송상덕
4 days ago
20세기와21세기를 잇는 사상가 도올 선생님이 
대한에 계셔서 좋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7

조현TV 휴심정

양씨형
양씨형
5 days ago
영상 항상 感謝합니다

7

조현TV 휴심정

강봉석강봉석
강봉석강봉석
4 days ago
고맙습니다!!!

6

조현TV 휴심정

김명균
김명균
2 days ago
오늘도 유익한 내용 잘 보고 갑니다 도올선생님의 학자로서의 객관적사유의 접근은 가히 신뢰가 갑니다 우리국민들은 도올선생님의 진정한 진가를 알고 많이들 깨우쳤음 좋겠네요

1

조현TV 휴심정

남승희
남승희
3 days ago
잘  보고 듣었어요.
동학는 네가 내다 라고 할 수 있는 상응성 이라고 할 수 있어요.

2

조현TV 휴심정

신재수
신재수
3 days ago
잘봤습니다..^^

4

조현TV 휴심정

촌놈
촌놈
5 days ago (edited)
수운 최제우
"나는 상제를 만난 게 아니라
무극대도를 만났다!"

그리고 이 무극대도에, 우리 민족사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인격성(님화)을 부여하였다. 즉 '하늘'에 '님'을 붙여 '하늘님'으로!

공자의  '괴력난신'을 경계하라는 말씀과 연결되는 대목이고 이 하나의 예만 보더라도 수운의 사상 속에는 전통 유학의 기본원리가 녹아있다.

주자의 '귀신장'을 예를 들어 귀신을 설명한 대목도 흥미진진하다. 즉 "돌아갈 귀", "펼칠 신" 즉 펼쳐져서 돌아가는 생명력을 귀신이라고 한다. 삼라만상의 배후에서 생명력을 부여하는 창조적 힘, 바로 이것이 귀신이며 우리는 이것을 꿰뚫어볼 줄 알아야 한다는 것!
이 같은 논리하에 수운은 서구 종교의 사기성과 망상을 깨부셨다는 것! 

황교안에게 대선출마하라고 계시한 데 이어 최재형(전 감사원장)에게도 대선출마하라고 계시했으며, 또 전광훈 목사에게도 수시로 계시를 한다는 그들의 하나님을 골이 비었다고 믿겠는가.

아무튼 수운의 발상도 비범하지만, 도올이기에 그 비범성을 읽어낼 수 있었다고 본다. 도올의 통찰에 경의를 표한다. 

유려한 솜씨로 도올 선생님의 탁월한 사유를 끌어내 주신 조현 기자님의 유능함에 큰 박수를 보냅니다.

도올 선생님!
여름 잘 보내십시오.

23

조현TV 휴심정

김경필
김경필
4 days ago
감사합니다

3

조현TV 휴심정

김옥영
김옥영
4 days ago
종교의 틀로 사기칠 수 없는 세상
똑똑한 사람들이 너무 많아
틀 속에 갇힌 종교인들이여
어서나와 하나가 되자

10

조현TV 휴심정

민주화
민주화
5 days ago
늘상 감사합니다 ㅎㅎ  건강하세요

6

조현TV 휴심정

Katia Jeong
Katia Jeong
4 days ago (edited)
'종교에 사기성을 대동한다. 
교주를 신격화하는 망상을 깨쳤다.'
최 수운 선생님의 사상을  이해하려면 아직 멀었으나 Xn인 저도 이부분에서는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특정인을  무당을 만들고
복채를 싸다 바치고...
미숙한 종교인들의 행태이지요!

조 현 tv를 보며 많은 것을 느낍니다
게다가 수준 높은 구독자들의 댓글을 보는 것 또한 빼놓을 수가 없는 일입니다
같은 대담을 듣고 각자가 어떻게 다르게 느끼는 지?
한국인과의 소통이 별로 없는 외국의 외딴 곳에서 사는 저에게는 이 일도 귀하게 느껴지니 
조 현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

11

조현TV 휴심정

ak Nam
ak Nam
5 days ago
참 재밌습니다 ^^

9

조현TV 휴심정

서오
서오
4 days ago
저장 하고픈  페이집니다
김제에 "귀신사"가 있습니다
진정한 귀신~~을 모른다
귀신을 고스트로 ㅋㅋ


조현TV 휴심정

백은
백은
5 days ago
도울선생님 조현기자님
수고많으셨습니다💙💙🙏🙏

8

조현TV 휴심정

도기운
도기운
4 days ago
종교믿는사람들이 자신분수를모르고,자기가믿는종교만,옳다고말함.역사논리,과학논리,종교논리등등을,이용하거나, 연구하여,자기종교만이 진리라고
만들려고 하고있음.
사람의생각과정신자체가,완전무결한것이아님은생각않함.봉사가그림감상하는것과같은것임.1분뒤의일도모르는것이사람임.본다,듣는다,안다,생각한다하지만,한계가있는것일뿐임.부모나사회나,학교,경험한것외에는,모르는것이사람의수준임.이수준의사람이,우주만물의이치를,이런것이라고,말하는것은,자신의생각으로는,이생각이 옳은것같다는것일뿐임.
종교가다르거나,같은종교를믿어도,교리해석이,다르면,싸우고죽인것이 사람임.
싸우고죽이는짓이,종교가르침과반대되는짓임.이런짓을하는 하는것을,오만,자만,교만이라함.
사람에게는 전부오만,자만이있음.
오만과자만을 다르게표현하면,
어리석음,우둔함이라함.우주만물의이치는,사람이,현재사용하고있는,생각과정신으로,알수있거나,판단되는것이아님.승려,신부,목사,교수,과학자,학자,재벌,지구인누구든알수없는것임.종교책,과학책,역사책등등,지구의모든책은,우주만물의이치가,이런것이라고,가르치거나,연구중인것에불과한것임.종교서적과지구의모든책은,비유하면,등불이나나침판이나,지도같은것일뿐임.등불,나침판,지도를알거나,소유했다고,우주만물이치를,사람이알수있는것은아님.
우주만물의이치는,사람의생각과정신으로,알게되거나,판단되는것이아님.이것을 수준높은 현명한사람들은 이렇게가르쳤음.
우주만물의이치는,사람의생각과말과행동,정신을 떠나있다고 가르쳤음.그러나,우둔하고,오만한 지구인들은,내생각,내말,내판단만옳다고,사람들에게 말하고있음.
말을듣지않으면,싸우거나,겉이나속으로화를내거나,적대시하는것이사람수준임.이세상에 종교전쟁,이념과사상전쟁이 생기는원인은 사람의오만이원인임,역사에증거도있음.사람,지구인이,자신스스로의 오만을 멈추지않거나,오만버리는 노력을않하면,자신과남에게
고통과심각한문제,전쟁의원인이됨.세균도못보는 눈,한치앞도못보는수준이,내생각,내말옳다고,설치는방송을보니
과학문명이발달될수록,위험은커지는것을보여줌.그리고끝없는욕심으로 돈과물질의 만족까지할려고,설치는꼴은.
정신수준은볼것없이 저질이고,물질,돈만가치있다고
경쟁이정당화되니,이것또한 심각한문제의 원인임.
내일 세계의 종말이 온다해도
우주만물의 이치를 아는수준의존재들은,걱정도없고,말로떠들려고하지도 않을것임.
사람들이,자기생각에갇혀 알아듣지못하니

2

조현TV 휴심정

J Kim
J Kim
1 day ago
동학이 방법.


조현TV 휴심정

최선식
최선식
4 days ago (edited)
지구상 의 모든 종교의 뿌리는 한가지인데 창조주를 알아가고 내가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를 아는것이 도입니다.
그뿌리는  우리나라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여지는 이유가 불교 경전에 나오는  산스크리스트어가 우리 말로 해석이된다는것이지요. 그냥 흘러나오는 말을 그대로 쓰여져 있다는것입니다.
몸의 단전에 호흡으로 기를 쌓게되면 넘치게 되면서 많은것은 알수있는데 불경.성경.천부경 모든것이 다 내몸에 일어나는 현상을 우회적으로 표현것임을 알게됩니다.
우리의몸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다아는것이 해인삼매입니다.
지식으로 지혜를 얻을수는 없습니다.
지혜는 몸으로 체득하는 것이라고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