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20

Ignatian Indifference - Ignatian Spirituality

Ignatian Indifference - Ignatian Spirituality



Ignatian Indifference
By Marina Berzins McCoy


Often, we think about freedom as freedom from interference from others, but St. Ignatius understood freedom differently. For him, human freedom is a freedom to grow in relationship with God and share in God’s redemptive work. This requires internal freedom or what Ignatius called “indifference.” Indifference means being detached enough from things, people, or experiences to be able either to take them up or to leave them aside, depending on whether they help us to “to praise, reverence, and serve God” (Spiritual Exercises 23). In other words, it’s the capacity to let go of what doesn’t help me to love God or love others—while staying engaged with what does.

Indifference does not mean not caring. One can be indifferent and yet be deeply passionate. In fact, since God is love and God’s redemptive work takes place through love, we cannot be indifferent in the Ignatian sense unless we love and love deeply. Each time that I became a new mother, I fell in love with my baby, in a way that led me to feel great reverence for the giftedness of this child’s existence. Contemplating the beauty of sunlight sparkling off ocean waves often leads me to a sense of wonder and praise. The delight that I feel about prayerful, mutually supportive friendships leads me to feel gratitude. But indifference means that when the baby grows up, the friend moves away, or a day at the ocean is cloudy, I can still find ways to love God and people.

This is not always easy. I have been pulled off-course often. Ignatius names attachment to wealth, health, long life, and status as obstacles. Lately I have been noticing how much the stories that we tell ourselves can limit our freedom too. For example, consider how often we think, “If only I were not sick with this illness (or received this promotion, or healed this broken relationship, or…), then I would be happy.”

But when was the last time that any of us said, “I am so happy because I have never had cancer,” or, “Because I am grateful to have a steady job, I will never complain about any of my coworkers again”? Probably we ought to practice such gratitude. As a spiritual director once emphasized to me, everything is a gift. Nothing and no one belongs to us. Every beloved person and every good creation belongs to God, including me. And there can be a kind of delightful freedom available in learning and accepting this—even if sometimes I resist!

But I suspect that gratitude alone will still not get us all the way to Ignatian indifference. For me, freedom nearly always comes from getting back to knowing that God loves me as an unrepeatable, unique creation. From that basic knowledge of being loved, two things become possible. First, I learn that I have worth apart from any of the things or people in the world that are present or absent from my life. God loves me as I am—with all my talents, quirks, and failings. I am enough for God, and God is enough for me. Second, when God’s love is at the core of my identity, then I am attentively aware that I, too, have the capacity to love, no matter where life takes me.

When we are grounded in God’s love, then we can love when our relationships are flourishing, and we can love when we feel grief. We can love when we are well or when we are ill. We can always choose to love, because we are never undertaking love alone, but always in friendship with God, who always wants to create something new and good. God’s love and friendship are the foundation of indifference.

TAGS
freedom
indifference
popular

Previous articleA Person Made of Light
Next articleI Am Not Worthy

Marina Berzins McCoy
https://graceinmidlife.wordpress.com/
Marina Berzins McCoy is a professor at Boston College, where she teaches philosophy and in the BC PULSE service learning program. She is the author of The Ignatian Guide to Forgiveness and Wounded Heroes: Vulnerability as a Virtue in Ancient Greek Philosophy. She and her husband are the parents to two young adults and live in the Boston area.

Spiritual Indifference

Spiritual Indifference




SPIRITUAL INDIFFERENCE

Intro.

1. Few things have robbed the Lord & His people as much as spiritual indifference (insensitivity).

a. Robs Christians of giving their proper attention & involvement to spiritual things in their lives.

b. "Apathy is an attitude of indifference & unconcern toward spiritual things. It generally ignores spiritual matters in order to place a greater emphasis on material things."

c. Indifference is one of the besetting sins of our age!

2. The vigor & vitality of the Christian’s life is outlined in the following: Matt. 6:33; Rom.12:1-2; Gal.2:20; Col .3:1-4.

3. A thief is among us & we must root it out & conquer it -- APATHY!



I. INDIFFERENCE ROBS CHRIST:

A. Of Souls - Lk. 19:10.

1. When one is indifference toward spiritual matters, truth will not penetrate heart - Soul lost! - Matt. 13:14-15

2. Worldliness w/ its affluence, preoccupation w/ secular things, etc., breeds spiritual indifference toward Christ & truth! Matt. 13:22

B. Of Sacrificial Servants - Lk. 9:23; Jno. 13:12-17.

1. Deny self & take up cross (difficulties of discipleship) -- Not for the uncommitted! (Lk. 8:13-14).

2. Jno. 13:12-17 - Christianity is not so you can be served - So you can serve others!

3. Lack of servants because there is an abundance of indifference!

C. Of Stalwart Soldiers - 2 Tim. 2:1-4.

1. v. 1-3 - Be strengthened in grace to teach & endure hardships of spiritual combat!

2. v. 4 - For many, affairs of this life are more important than the affairs of the next life!

3. Stable, resolute soldiers of the cross are in short supply! Eph. 6:10-13



II. INDIFFERENCE ROBS A CHURCH:

A. Of Its Maximum Worship Potential.

1. Indifference shows itself through neglected attendance, preparation & participation.

a. Enthusiasm to worship will be missing - Psa. 122:1.

b. Violation of God’s stated will robs your brethren & yourself of edification - Heb. 10:24-25.

c. Hinders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 Heb. 5:11-12.

2. Our interest must increase for our worship to be a blessing!

3. "I don’t get anything out of worship." - Are you putting anything in?!!

B. Of Its Maximum Work Potential.

1. cf. Giving - l Cor. 16:2.

a. We can only fund work according to funds available.

b. Little giving - Little work! - cf. 2 Cor. 9:6-8.

c. Our giving must increase!

2. cf. Individual work of spreading gospel - We must renew our zeal & fervor for sowing the seed!

3. As teachers & students of classes - Last minute thing, or priority?

C. Of Its Maximum Growth Potential - Eph. 4:14-16.

1. Growth of Christian affects growth of the body.

2. Lack of interest in personal growth directly affects church (damages it!).

3. No interest in self - No interest in others!



III. INDIFFERENCE ROBS THE CHRISTIAN:

A. Of Spiritual Interest - Acts 2:42, 46; Rom. 12:11 (cf. Eccl. 12:1).

1. Bible study, personal growth & pure living.

2. l Pet. 2:l-2 - We shouldn’t have to be rebuked before we will study, grow & live pure lives!

3. Apathetic Christian has no time left for God! (School, job, play, etc.)

B. Of A Tender Heart - Jno. 12:37-40. (cf. Non-Christians, too!)

1. Apathy is to be "without emotion."

2. To the indifference, truth makes no impact of love, reverence, honor & devotion. (Heb. 6:4-6)

3. Heb. 3:12-14 - Be warned & exhorted to avoid effect of indifference!

C. Of His Soul - cf. Col. 3:2-4.

1. v. 3-4 - Live for Christ, reign with Christ!

2. Opposite necessarily true - 2 Tim. 2:1l-13.



Conclusion

1. Spiritual indifference is sin! - Rev. 3:15-16

2. Remedy: Repent & reaffirm our priorities - Then live them! (Matt. 6:33; Rom. 12:1-2; Gal. 2:20; Col. 3:2)

What the Bible says about Spiritual Indifference

What the Bible says about Spiritual Indifference

What the Bible says about Spiritual Indifference
(From Forerunner Commentary)


Amos 4:4-5



Three cities of Israel had become religious centers and places of pilgrimage: Bethel, Gilgal and Beersheba. What is intriguing is that, even in their spiritual indifference, the Israelites loved to go to church! Since Amos indicates that their social lives may have revolved around the church, their purely social, not religious, motives may have been the problem.

This is intriguing in light of Laodiceanism. God says, "You may be coming to church regularly and enjoying it, but while you are there, you are sinning!" The scriptures are unclear about what the exact sins were. They may have been breaking the Sabbath somehow, or they may have been indifferent to the messages they heard. What their sins were makes no difference because God's judgment of their show of religion is that their hearts were not in it.



John W. Ritenbaugh
The World, the Church, and Laodiceanism


Related Topics: Beersheba | Bethel | Gilgal | Heart | Hypocrisy | Laodiceanism | Sabbath | Spiritual Indifference






Matthew 24:38-39



In these verses, Jesus describes people involved in normal activities of life: eating and drinking, marrying and giving in marriage. None of these activities are evil—in fact, they are necessary. He implies, however, that in focusing upon the everyday activities of their lives, they miss the signs, the evidence, which prove the imminence of Christ's return. The sad result is that they do not become aware until it is too late.

Laodiceanism is not a matter of laziness, but of spiritual indifference caused by giving attention to the wrong things. A Laodicean commits a subtle form of idolatry, paying undue attention to self-centered interests rather than the interests of our Lord. Setting aside those responsibilities to which he has been called, he favors activities and interests that Jesus simply describes as eating and drinking, marrying, and giving in marriage. He has chosen carnal priorities over spiritual ones.



John W. Ritenbaugh
The World, the Church, and Laodiceanism


Related Topics: Cares of the World | Carnal Priorities | Drink | Food | Idolatry | Laodiceanism | Priorities | Self Centeredness | Spiritual Indifference | Spiritual Priorities






Revelation 3:19



"Zealous" means "earnest, enthusiastic, to seek or desire earnestly, to have an ardent love," in contrast to their spiritual indifference. God desires them to have a burning desire for Him and His way of life. Instead, Revelation 3:14-21 paints a clear picture of people who are successful by the world's standards, yet spiritually deficient. They are devoid of spiritual judgment while rich with material substance. Their problem is an internal attitude: The mechanism that drives them is neither godly nor ardent.



John W. Ritenbaugh
The World, the Church, and Laodiceanism


Related Topics: Ardent Desire | Attitude | Enthusiasm | Heart | Indifference | Laodicean | Laodicean Attitude | Laodiceanism | Spiritual Indifference | Wealth | Zeal


 

Self-denial - Wikipedia

Self-denial - Wikipedia

Self-denia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elf-denial (related but different from self-abnegation[1] or self-sacrifice) is an act of letting go of the self as with altruistic abstinence – the willingness to forgo personal pleasures or undergo personal trials in the pursuit of the increased good of another.[2] Various religions and cultures take differing views of self-denial, some considering it a positive trait and others considering it a negative one. According to some Protestants, self-denial is considered a superhuman virtue only obtainable through Jesus.[3] Some critics of self-denial suggest that self-denial can lead to self-hatred.[4][better source needed]

Positive effects[edit]

There is evidence brief periods of fasting, a denial of food, can be beneficial to health in certain situations.[5][6] Self-denial is sometimes related to inhibitory contro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the positives of which are dealt with in those articles.[7] As people grow accustomed to material goods they often experience hedonic adaptation, whereby they get used to the finer things and are less inclined to savor daily pleasures. Scarcity can lead people to focus on enjoying an experience more deeply, which increases joy.[citation needed]

Negative effects[edit]

Others argue self-denial involves avoidance and holding back of happiness and pleasurable experiences from oneself that is only damaging to other people.[8] Some argue it is a form of micro-suicide because it is threatening to an individual's physical health, emotional well-being, or personal goals.[9]

Religion and self-denial[edit]

Self-denial can constitute an important element of religious practice in various belief systems. An exemplification is the self-denial advocated by several Christian confessions where it is believed to be a means of reaching happiness and a deeper religious understanding, sometimes described as 'becoming a true follower of Christ'. The foundation of self-denial in the Christian contex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a higher God-given will, which the Christian practitioner chooses to adhere to, and prioritize over his or her own will or desires. This can in daily life be expressed by renunciation of certain physically pleasureable, yet from a religious stand-point inappropriate activities, sometimes referred to as 'desires of the flesh', which e.g. could entail certain sexual practices and over-indulgant eating or drinking. In the Christian faith, Jesus is often mentioned as a positive example of self-denial, both in relation to the deeds performed during his life, as well as the sacrifice attributed to his death.

Based on gender[edit]

Self-denial in women is linked to cultural definitions of femininity which women have internalized to such an extent that self-abnegation had become basic to women's experience.[10] Judith Plaskow observed this and argued that it was more linked to women than men because they were to follow this Christian virtue because of their detriment. Women are seen in a domestic perspective and self-denial puts all things women were once exposed to the side so they can be committed to their marriage and family. The way women are portrayed has not changed much throughout the years because the patriarchal perspective continues to be present. Through self-denial women have to sacrifice their interests and goals to satisfy not only family, but many times social norms. They are not allowed to be independent but more so are trapped to be the individual they are expected to be. However, in men, this is different.

Masculinity is linked to self-denial when put in a male perspective. Men's self-denial is both a source of men's existential alienation and part of the infrastructure of men's power.[11] When men go through self-denial it is interpreted as self-improvement as put by the book Manliness in which they emphasize self-denial as a comparison to the image of the goal of Superman in "What does not kill me makes me stronger".[12]

However, th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re often disputed among researchers.[13]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Arthur I. Waskow (1991). Seasons of our Joy: A Modern Guide to the Jewish Holidays. Boston: Beacon Press. p. 31. ISBN 0-8070-3611-0. Retrieved September 2, 2011.
  2. ^ Tina Besley; Michael A. Peters (2007). Subjectivity & Truth: Foucault, Education, and the Culture of Self. New York: Peter Lang. p. 39. ISBN 978-0-8204-8195-1. Retrieved September 2, 2011.
  3. ^ Brian Stewart Hook; Russell R. Reno (2000). Heroism and the Christian Life: Reclaiming Excellence. Louisville,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p. 2. ISBN 0-664-25812-3. Retrieved September 2, 2011.
  4. ^ David Jan Sorkin (1999). The Transformation of German Jewry, 1780-1840.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p. 4. ISBN 0-8143-2828-8. Retrieved September 2, 2011.
  5. ^ Fond G, Macgregor A, Leboyer M, Michalsen A (2013). "Fasting in mood disorders: neurobiology and effective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DF)Psychiatry Res (Review). 209 (3): 253–8. doi:10.1016/j.psychres.2012.12.018PMID 23332541S2CID 39700065.
  6. ^ Knapton, Sarah (5 June 2014). "Fasting for three days can regenerate entire immune system, study finds"Telegraph.co.uk.
  7. ^ Robin M. Kowalski; Mark R. Leary (2004). The Interface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Key Readings. Psychology Press. pp. 55 and 60. ISBN 978-1-84169-087-2.
  8. ^ Robert W. Firestone; Joyce Catlett (2009). Eth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eat Britain: Karnac Books. p. 210. ISBN 978-1-85575-605-2.
  9. ^ Robert I. Yufit; David Lester (2005). Assessment,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uicidal Behavior. New Jersey: Wiley. p. 210. ISBN 978-0-471-27264-9.
  10. ^ Darlene Fozard Weaver (2002). Self Love and Christian Eth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9. ISBN 978-0-521-52097-3.
  11. ^ Victor Seidler (1991). Recreating Sexual Politics(Routledge Revivals):Men, Feminism, and Politics. New York: Routledge. p. 37. ISBN 978-0-415-57289-7.
  12. ^ Harvey C. Mansfield (2006). Manliness. New York: Yale University Press. p. 115ISBN 978-0-300-10664-0.
  13. ^ Locker, T. K., Heesacker, M., & Baker, J. O. (January 2012). "Gender similar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spects of disordered eating and self-silencing".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3: 89–105. doi:10.1037/a0021905.

621호 군자(君子)의 현대적 의미는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다. 이남곡 (인문운동가) 공자의 군자(君子)론을 앞으로 몇차례 연재하려 한다. 내가 보기에는 공자가 이야기하는 ‘군자’에 대한 깊은 오해가 오랫동안 있어 왔다. 첫째는 공자는 군자와 소인을 대립적이고 고정적인 것으로 파악하지 않고, 그 다름을 인간 의식의 진화 방향에서 서술할 뿐 당위(當爲)로 강요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 스스로도 미 치지 못함을 토로할 정도로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했다. 둘째는 군자(君子)는 한자의 뜻이 의미하는 것처럼 신분계급제 사회에서 군주(君主)의 아들 즉, 귀족이나 관료 등 지배계급을 의미하는 말이었는데, 공자는 이 말의 내용을 혁명적으로 그러나 조용하게 바꿨다. 즉 신분의 귀천이 아니라, 그의 인격의 성숙이 군자의 조건이라고 바꿈으로서 신분계급을 넘어서는 사상적(제도까지 바꾸는 것은 그 시대에는 엄두를 못냈지만) 지평을 열었다. 나 스스로 진보적인 인문운동가라는 정체성을 가진 사람으로서, 10여 년 전 어떤 자리에서 ‘진보’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소개하는 것으로 말문을 열려고 한다. “오랫 동안 한국사회의 진보를 위해 헌신해 오신 두 분 선생님을 모시고, 그 동안 1년 반여 인문학 강좌라는 모임을 통해 인연을 맺어온 여러분들과 함께 ‘진보의 미래’라는 주제로 오 붓한 자리를 만들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 주제를 선택하게 된 것은 4.11 총선을 치루면서 나타난 이른바 ‘진보정당의 위 기’와 무관하지는 않습니다만, 제 개인적으로는 이런 현상이나 목전의 대선을 앞둔 진보 정 치 세력의 전략 전술적 목표를 넘어서 꼭 한번 다루어 보고 싶은 테마였습니다. 왜냐하면 요즘의 이런 실태들은 오래 전부터 객관적인 정세의 변화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 른바 진보를 표방하는 정치세력의 이데올로기와 행동양식(문화) 속에 이미 ‘쇠퇴나 위기’가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실과 맞지 않는 신념체계(이데올로기)와 그에 바탕을 둔 낡은 정서 및 행동양식, 인류의식 의 일반적 진보에도 못 미치는 권력지향적 의식 및 헤게모니를 둘러싼 진영 싸움 등은 엄밀 하게 말하면 진정한 의미에서의 진보와는 인연이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는 것은 결코 사회적 부정의나 불평등, 착취나 독재와 싸워온 한국 진보세 력의 역할을 깎아내리거나 경시하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오히려 그런 역사적 과제들을 자랑스럽게 수행해온 사람들과 조직들이 새로운 시대의 흐름을 실사구시하지 못하고, 낡은 시민제보~~!!!! 땅은 정해져 있고 인구는 계속 빠져… 답답하다 공동묘지처럼 죽은 골목… 어떤점이 억지일까 교통지옥을 당해… 억지 기사네 안해줘도 욕 해줘도 지랄 ~~ 대중들에게 줄것이 있어야. 서로에… 소통신문을 빛내는 좋은 글들을 쓰… 그냥 내버려두세요.어차피 익산시 … 스물 몇 살에 문화재 문제를 깔끔하… 소통신문 외부 기고가 참 좋네요. … 바다 소리 가족, 그 영원한 이름 딩크족으로 산다는 것! 새 오고싶은 도시의 경쟁력, ‘익산… 이데올로기와 정서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서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는 전위적 역할을 하 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하면 넘어설 수 있을까 하는 충정에서 말하는 것입니다. 사실 저는 ‘진보의 위기’라는 말 자체가 잘못 쓰이고 있다는 자각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진보는 인류의 자유와 행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세상이 변화되어 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 과정이 순탄치 않고, 수 없이 많은 희생과 투쟁을 통해서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인류는 ‘자유 확대’의 길을 걸어 왔습니다. 제가 말하는 자유는 ‘자연계의 제약으로부터 생존을 위한 물질적 자유’ ‘억압과 착취,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회적 자 유’ ‘의식을 가진 고등생명체인 인간만이 갖는 관념의 부자유로부터 해방되려고 하는 관념 계의 자유’를 포괄하는 것입니다. 저는 그런 점에서 인류는 진보의 길을 걸어 왔다고 대긍정하는 입장입니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은 과거의 좌우나 진보·보수로 나누어진 진영논리에서가 아니라 인류라는 종(種) 의 입장에서 의식(意識), 생활양식, 사회구조의 일대 변혁이 없으면 어쩌면 종(種) 자체가 소 멸하거나 문명 이전의 혼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그 동안의 자유를 위한 인류의 오래된 여정, 그리고 인간이 갖고 있는 특성에 기인하 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들 의식 속에 남아 있는, 어쩌면 아직도 지배하고 있는 오래된 진영논리로 이야기 하는 ‘진보의 위기’는 사실의 세계와는 맞지 않습니다. 특정 이데올로기나 정파의 위기를 진보의 위기로 혼동하는 착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어쩌면 진정한 진보의 출발점이 될지 모르 겠습니다. 지금의 진정한 위기라면 그것은 과거의 진영 논리가 아닌, 인류 전체의 보편적 진화에 대한 위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 위기를 넘어서 앞으로 나아가는데, 지금까지의 진보세력이 먼저 스스로를 대전환함으로 서, 새로운 시대를 개척하는데 선구적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그렇지 못하면 ‘진보’라는 이름표를 붙일 이유를 찾지 못하게 되겠지요.” “새로운 시대의 진보는 독재를 낳게 되어 있는 ‘민주집중제’의 오류에서 완전히 벗어날 뿐 아 니라, 지금과 같이 편을 갈라 결국 다수가 지배하는 불완전한 민주주의로부터 한 단계 더 나아가야 합니다. 이런 방식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데, 진보가 선두에 서야 합니다. 비록 소수당이라도 ‘조화의 정치’를 선도하는 것이 진정한 진보당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약자가 무슨 ‘조화’나 ‘상생’을 이야기하는 것은 굴종이나 예속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미래 사회의 주체라는 주인의식으로 약자의식이나 피해자의식을 넘어서 는 것이 진보정당의 도덕적 힘이 되어야하고, 그것이 결국 진보정치의 가장 큰 자산으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계급투쟁론을 비롯한 낡은 사상 이론의 주술(呪術)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계급 발생을 비롯한 계급이론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계급이 있고, 투쟁이 있습니다. 또 그 사회의 계급구조나 제도가 사람들의 의식(意 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역사를 계급투쟁의 과정이라거나 존재가 의식을 결정한다는 식으로 단순화하는 것 은 일면적인 사실을 전면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단정(斷定)하는 것으로 인간과 사회의 실 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온갖 이익에 집착하고 노동의 양극화를 낳고 있으면서도 ‘투쟁’과 ‘연대’의 빛바랜 기치를 들고 있는 일부 현실을 보면서 실사구시해야 합니다. 저는 ‘계급조화론’이 지금의 현실에서는 맞다고 봅니다. 무슨 소리냐고 펄쩍 뛰실 분들도 많겠지요. 왜냐하면 지금까지 그런 이야기는 계급적 모순 을 호도하여 투쟁을 약화시키고 지배계급의 지배를 영속화하려는 음모에서 나왔다고 생각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지금은 가장 진보적인 정당이라면 자본가까지도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에 대한 지향과 도덕적 힘을 가지고 계급조화론을 당당하게 선도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과거의 진보가 사회적·물적·제도적 진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그것이 인간의 자유 를 확대하는 바탕이었다면, 지금처럼 물질적 수준이 상당한 수준으로 진척되고, 자유민주주 의가 절차나 제도로서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린 사회에서는 ‘인간 자체의 진보’ 즉 ‘의식·문화 의 진보’가 사회적 진보를 견인하는 시대로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무슨 ‘의식(마음)이 존재를 결정한다’는 류(流)의 사고방식을 말하려는 것은 아니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이름 패스워드 다. 다만 그 상대적 비중이 달라졌다는 것을 실사구시적 입장에서 말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어떤 성현(聖賢)보다도 공자의 사상은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상상력과 영감을 주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군자(君子)의 현대적 의미는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다.

오피니언 > 칼럼 > 621호 군자(君子)의 현대적 의미는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다.

621호 군자(君子)의 현대적 의미는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다.
이남곡
(인문운동가)
공자의 군자(君子)론을 앞으로 몇차례 연재하려 한다.
내가 보기에는 공자가 이야기하는 ‘군자’에 대한 깊은 오해가 오랫동안 있어 왔다.
첫째는 공자는 군자와 소인을 대립적이고 고정적인 것으로 파악하지 않고, 그 다름을 인간
의식의 진화 방향에서 서술할 뿐 당위(當爲)로 강요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 스스로도 미
치지 못함을 토로할 정도로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했다. 
둘째는 군자(君子)는 한자의 뜻이 의미하는 것처럼 신분계급제 사회에서 군주(君主)의 아들
즉, 귀족이나 관료 등 지배계급을 의미하는 말이었는데, 공자는 이 말의 내용을 혁명적으로
그러나 조용하게 바꿨다.
즉 신분의 귀천이 아니라, 그의 인격의 성숙이 군자의 조건이라고 바꿈으로서 신분계급을
넘어서는 사상적(제도까지 바꾸는 것은 그 시대에는 엄두를 못냈지만) 지평을 열었다.
나 스스로 진보적인 인문운동가라는 정체성을 가진 사람으로서, 10여 년 전 어떤 자리에서
‘진보’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소개하는 것으로 말문을 열려고 한다.
“오랫 동안 한국사회의 진보를 위해 헌신해 오신 두 분 선생님을 모시고, 그 동안 1년 반여
인문학 강좌라는 모임을 통해 인연을 맺어온 여러분들과 함께 ‘진보의 미래’라는 주제로  오
붓한 자리를 만들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 주제를 선택하게 된 것은 4.11 총선을 치루면서 나타난 이른바 ‘진보정당의 위
기’와 무관하지는 않습니다만, 제 개인적으로는 이런 현상이나 목전의 대선을 앞둔 진보 정
치 세력의 전략 전술적 목표를 넘어서 꼭 한번 다루어 보고 싶은 테마였습니다.
왜냐하면 요즘의 이런 실태들은 오래 전부터 객관적인 정세의 변화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
른바 진보를 표방하는 정치세력의 이데올로기와  행동양식(문화) 속에 이미 ‘쇠퇴나 위기’가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실과 맞지 않는 신념체계(이데올로기)와 그에 바탕을 둔 낡은 정서 및 행동양식, 인류의식
의 일반적 진보에도 못 미치는 권력지향적 의식 및 헤게모니를 둘러싼 진영 싸움 등은 엄밀
하게 말하면 진정한 의미에서의 진보와는 인연이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는 것은 결코 사회적 부정의나 불평등, 착취나 독재와 싸워온 한국 진보세
력의 역할을 깎아내리거나 경시하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오히려 그런 역사적 과제들을
자랑스럽게 수행해온 사람들과 조직들이 새로운 시대의 흐름을 실사구시하지 못하고, 낡은
시민제보~~!!!!
땅은 정해져 있고 인구는 계속 빠져…
답답하다 공동묘지처럼 죽은 골목…
어떤점이 억지일까 교통지옥을 당해…
억지 기사네
안해줘도 욕 해줘도 지랄 ~~
대중들에게 줄것이 있어야. 서로에…
소통신문을 빛내는 좋은 글들을 쓰…
그냥 내버려두세요.어차피 익산시 …
스물 몇 살에 문화재 문제를 깔끔하…
소통신문 외부 기고가 참 좋네요. …
바다 소리
가족, 그 영원한 이름
딩크족으로 산다는 것!
오고싶은 도시의 경쟁력, ‘익산…
이데올로기와 정서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서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는 전위적 역할을 하
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하면 넘어설 수 있을까 하는 충정에서 말하는 것입니다.
사실 저는 ‘진보의 위기’라는 말 자체가 잘못 쓰이고 있다는 자각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진보는 인류의 자유와 행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세상이 변화되어 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 과정이 순탄치 않고, 수 없이 많은 희생과 투쟁을 통해서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인류는 ‘자유 확대’의 길을 걸어 왔습니다. 제가 말하는 자유는 ‘자연계의
제약으로부터 생존을 위한 물질적 자유’ ‘억압과 착취,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회적 자
유’ ‘의식을 가진 고등생명체인 인간만이 갖는 관념의 부자유로부터 해방되려고 하는 관념
계의 자유’를 포괄하는 것입니다.   
저는 그런 점에서 인류는 진보의 길을 걸어 왔다고 대긍정하는 입장입니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은 과거의 좌우나 진보·보수로 나누어진 진영논리에서가 아니라 인류라는 종(種)
의 입장에서 의식(意識), 생활양식, 사회구조의 일대 변혁이 없으면 어쩌면 종(種) 자체가 소
멸하거나 문명 이전의 혼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그 동안의 자유를 위한 인류의 오래된 여정, 그리고 인간이 갖고 있는 특성에 기인하
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들 의식 속에 남아 있는, 어쩌면 아직도 지배하고 있는 오래된 진영논리로 이야기
하는 ‘진보의 위기’는 사실의 세계와는 맞지 않습니다. 특정 이데올로기나 정파의 위기를
진보의 위기로 혼동하는 착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어쩌면 진정한 진보의 출발점이 될지 모르
겠습니다.
지금의 진정한 위기라면 그것은 과거의 진영 논리가 아닌, 인류 전체의 보편적 진화에 대한
위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 위기를 넘어서 앞으로 나아가는데, 지금까지의 진보세력이 먼저 스스로를 대전환함으로
서,  새로운 시대를 개척하는데 선구적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그렇지 못하면 ‘진보’라는 이름표를 붙일 이유를 찾지 못하게 되겠지요.”
“새로운 시대의 진보는 독재를 낳게 되어 있는 ‘민주집중제’의 오류에서 완전히 벗어날 뿐 아
니라, 지금과 같이 편을 갈라 결국 다수가 지배하는 불완전한 민주주의로부터 한 단계 더
나아가야 합니다. 이런 방식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데, 진보가 선두에 서야 합니다.
비록 소수당이라도 ‘조화의 정치’를 선도하는 것이 진정한 진보당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약자가 무슨 ‘조화’나 ‘상생’을 이야기하는 것은 굴종이나 예속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미래 사회의 주체라는 주인의식으로 약자의식이나 피해자의식을 넘어서
는 것이 진보정당의 도덕적 힘이 되어야하고, 그것이 결국 진보정치의 가장 큰 자산으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계급투쟁론을 비롯한 낡은 사상 이론의 주술(呪術)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계급 발생을 비롯한 계급이론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계급이 있고, 투쟁이 있습니다. 또 그 사회의 계급구조나 제도가 사람들의 의식(意
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역사를 계급투쟁의 과정이라거나 존재가 의식을 결정한다는 식으로 단순화하는 것
은 일면적인 사실을 전면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단정(斷定)하는 것으로 인간과 사회의 실
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온갖 이익에 집착하고 노동의 양극화를 낳고 있으면서도 ‘투쟁’과 ‘연대’의 빛바랜
기치를 들고 있는 일부 현실을 보면서 실사구시해야 합니다.
저는 ‘계급조화론’이 지금의 현실에서는 맞다고 봅니다.
무슨 소리냐고 펄쩍 뛰실 분들도 많겠지요. 왜냐하면 지금까지 그런 이야기는 계급적 모순
을 호도하여 투쟁을 약화시키고 지배계급의 지배를 영속화하려는 음모에서 나왔다고 생각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지금은 가장 진보적인 정당이라면 자본가까지도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에 대한
지향과 도덕적 힘을 가지고 계급조화론을 당당하게 선도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과거의 진보가 사회적·물적·제도적 진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그것이 인간의 자유
를 확대하는 바탕이었다면, 지금처럼 물질적 수준이 상당한 수준으로 진척되고, 자유민주주
의가 절차나 제도로서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린 사회에서는 ‘인간 자체의 진보’ 즉 ‘의식·문화
의 진보’가 사회적 진보를 견인하는 시대로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무슨 ‘의식(마음)이 존재를 결정한다’는 류(流)의 사고방식을 말하려는 것은 아니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이름 패스워드
다.
다만 그 상대적 비중이 달라졌다는 것을 실사구시적 입장에서 말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어떤 성현(聖賢)보다도 공자의 사상은  자유로운 인간 즉 진보적 인간이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상상력과 영감을 주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리뷰] 서드 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마흔 이후,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삶의 방식

[리뷰] 서드 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by스토리위너코치Apr 28. 2019


마흔, 40대 하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사실 제가 10대 20대 때만 해도 나와는 너무나 거리가 먼 나이, 중년의 나이였습니다. 문제는 제가 막상 마흔이 되니, 제가 가졌던 그 마흔이라는 나이에 대한 관념이 저를 힘들게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서점에서 책 한 권을 발견했습니다. <서드 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마흔 이후 인생의 2차 성장을 위한 6가지 원칙). 뻔한 자기계발서인가? 했는데 의외로 도움이 되는 책이었어요. 하버드대학 성인발달연구소에서 마흔 이후의 삶에 대한 연구를 10년 넘게 해온 윌리엄 새들러 교수가 쓴 책인데요.




이제 쇠퇴를 시작하는 나이, 인생의 착륙을 준비해야 하는 나이…. 윌리엄 교수는 마흔 이후의 나이에 갖는 세상의 고정관념에 반문을 제기합니다.




그 계기는 아프리카에서 잠시 연구 생활을 했을 때 만난 아프리카인들 때문이었습니다. 대학생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마흔이었던 아프리카인, 자전거 하이킹에 앞장선 65세의 건장한 사람… 수십 년이나 오랫동안 젊음을 유지하며 활기 넘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며,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에 의문을 갖게 된 것이지요.




미국에서 만난 마흔 이후의 사람들이 그들보다 훨씬 빨리 늙는 경향을 보인 이유는, 그동안 젊음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나이 듦에 대해 낡은 개념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나이가 들면 쇠퇴한다고 배웠기 때문에 그것을 당연시 받아들이고 충분히 가능한 2차 성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지요.


그림= 2차 성장 곡선. 책 <서드 에이지, 마흔 이후 30년>에서




윌리엄 교수는 40대 이상의 수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하면서, 이 나이 때는 청년기 때 이뤄지는 1차 성장과 달리, 깊이 있는 2차 성장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2차 성장을 할 때의 곡선은 이런 모양이라는 건데요.




40대가 되면 하강곡선을 그린다는 고정관념과 달리, 절정기에 도달하기 전 새로운 방향으로 발을 떼어놓는 형식으로 성장 곡선을 그립니다. 인생의 후반기에 예정된 통상적인 하강은 새로운 상승 곡선으로 대체되는 거지요. 검게 칠해진 부분은 <창조적 불확실성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서로 상반되는 감정으로 혼란을 느낄 수 있다는 건데요.

내가 이룬 것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면서도, 다른 길로 가보고 싶은 갈망

성취감과 상실감, 자신감과 회의, 체념과 희망의 감정….

새로운 성장에 대한 욕구를 느껴도 미래를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최선인지 확신을 갖지 못하기도 하고, 다시 상승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실수나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이 시간은 필수라는 것입니다.




이 부분이 굉장히 공감이 갔어요.

마흔 즈음…. 뭔가를 새롭게 시작해보고 싶은 욕구도 있지만, 한편으로 그러한 시도 때문에 그동안 내가 쌓아놓은 것을 잃을 거 같은 두려움도 있었습니다. 감정의 혼란을 느끼는 것이 이 시기에는 당연하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좀 더 용기가 생겼습니다.






나이 듦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체념하며 산다
Vs 좀 더 창조적이고 활기찬 삶을 만들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한다







40대 이후 삶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는 전적으로 나의 태도에 달려 있습니다. 100세 시대라고 불릴 만큼 수명이 연장된 시대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지는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이 전통적인 성역할 관념 못지않게 인위적인 것이라고 말합니다. 깨어 있는 사람들이 남성과 여성을 구별짓는 전통적인 관념들을 타파해갔듯, 이제 사회가 중년의 개인을 규정하려는 영향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도를 그려나가야 하는 시점이라는 겁니다.




이 책에서는 새로운 지도를 그려나가며 마흔 이후 인생의 최고 전성기를 맞고 있는 이들에게서 발견한 6가지 삶의 원칙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6가지 원칙들이 다 유용하게 느껴져서, 앞으로 하나씩 소개해보겠습니다.



나와 함께 나이 들어가자!
가장 좋을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
인생의 후반, 그것을 위해 인생의 전반이 존재하나니.
_ 랍비 벤 에즈라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 중에서)







관련 글

- 인생의 2차 성장을 위한 원칙 (5)- 성찰을 바탕으로 과감하게 실행하기

- 인생의 2차 성장을 위한 원칙 (4)– 배려할 대상의 확장과 통합

- 인생의 2차 성장을 위한 원칙 (3) – 현실적 낙관주의 갖기

- 인생의 2차 성장을 위한 원칙 (2)- 일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기


- 인생의 2차 성장을 위한 원칙 (1)- 정체성 확립하기


- 중년의 위기는 거짓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