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30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SUCHEN DEUTSCH

Specialization in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The profile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within the MSc program 



“Sustainable International Agriculture” offers students the unique possibility to focus entirely on Organic Agriculture. 

It includes the broad range of topics from soil, crop and animal sciences, as well a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ciences. You will be asked to: Examine and assess the validity of literature from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statistics and other documents. Use state-of-the art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se ‘hard‘ and ‘soft‘ data. Apply laboratory methods, technical procedures and qualitative / quantitative approaches of data collection. Interpret and display research data. Apply your skill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and organic agriculture and agroecosystems‘ assessment.


The faculty of Organic Agricultural Sciences at Witzenhausen provides a team of professors and lectures, well-experienced in Organic Agriculture since more than 30 years. Facilities like research greenhouse, research farm of 340 ha, various laboratories and adequate IT-equipment support students within their individual study profile.



Our aim is educating young people who are going to be leaders in science, policy and development, contributing to a more resource effici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agriculture worldwide.
---
Compulsory modules

The following bridging module and four compulsory modules must be taken. Upon application, the bridging module can be skipped if past academic achievements testify the respective knowledge:

Winter Term (WiSe)
---

M.SIA.I12 Sustainable International Agriculture: basic principles and approaches (first lecture October, 30)
(Witzenhausen, Prof. Dr. Eva Schlecht )



M.SIA.P05 Organic cropping systems under temperate and (sub)tropical conditions
(Witzenhausen, Prof. Dr. P. von Fragstein)



M.SIA.P07 Soil and plant science
(Witzenhausen, Dr. H. Saucke)
Summer Term (SoSe)


M.SIA.A01 Organic livestock farming under temperate conditions
(Witzenhausen, Prof. Dr. A. Sundrum )



M.SIA.I10M Applied statistical modelling
(Witzenhausen, Prof. Bernard Ludwig)



(Click on the module name for a description of the module. Click on the coordinator’s name for a link to his/ her website.)



Mandatory modules

Four mandatory modules must be chosen (among these, at least one methodological module coded with M and one economics module with code E). Click here for a list of the mandatory modules.


Elective modules

Six elective modules are to be chosen. You can also chose elective modules from the list of so far not attended mandatory modules. Click here for the list of elective modules.




Back to profiles


================

List of Mandatory Modules

Sommersemester (SoSe):

  • M.Agr.0056 Plant breeding methodology and genetic resources 
    (Göttingen, Prof. Dr. W. Link)


  • M.SIA.A12M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tropical production systems 
    (Göttingen, Prof. Dr. E. Schlecht)


  • M.SIA.E06 International markets and marketing for organic products 
    (witzenhausen, Prof. Dr. U. Hamm)


  • M.-SIA.E14 Evaluation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policies 
    (Göttingen, Prof. Dr. M. Qaim)


  • M.SIA.E21 Rural sociology 
    (Witzenhausen, Prof. Dr. C. Neu)


  • M.SIA.I03 Food quality and organic food processing 
    (Witzenhausen, Dr. N. Busscher)


  • M.SIA.I16 Land use,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well-being 
    (Göttingen, Prof. Dr.T. Plieninger)


  • M.SIA.P01 Ecology and agroecosystems 
    (Witzenhasuen, Prof. Dr. A. Bürkert)


  • M.SIA.P06 Soil and water 
    (Witzenhausen, Prof. Dr. S. Peth)


  • M.SIA.P16M Crop Modelling for Risk Management 
    (Göttingen, Dr. R. F. Kühne)



  • =======



    List of Elective Modules


  • Summer Term (SoSe):


  • M.Agr.0053 World agricultural markets and trade 
    (Göttingen, Prof. Dr. B. Brümmer)


  • M.Agr.0124: Environmental Economics and Policy 
    (Göttingen, Prof. Dr. Wollni)


  • M.Forst.1521 Ecopedology of the tropics and subtropics 
    (Göttingen, Prof. Dr. E. Veldkamp)


  • M.SIA.A03M International and tropical food microbiology and hygiene
    (Göttingen, Prof. Dr. Dr. C.-P. Czerny)


  • M.SIA.A04 Livestock reproduction physiology 
    (Göttingen, Prof. Dr. C. Knorr)


  • M.SIA.A05 Aquaculture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Göttingen, Prof. Dr. G. Hörstgen-Schwark)


  • M.SIA.A07 Unconventional livestock and wildlife management,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every 2nd year)
    (Witzenhausen, Dr. C. Hülsebusch (E. Schlecht))


  • M.SIA.A08 Social-ecology in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every 2nd year) 
    (Witzenhausen, Prof. Dr. B. Kaufmann (E. Schlecht))


  • M.SIA.A13M Livestock-based sustainable land use 
    (Göttingen, Prof. Dr. E. Schlecht )


  • M.SIA.E12M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rural development economics 
    (Göttingen, Prof. Dr. M. Qaim)


  • M.SIA.E.18 Organization of food supply chains 
    (Göttingen, Prof. Dr. L. Theuvsen)


  • M.SIA E24 Topics in rural development economics 
    (Göttingen, Prof. Dr. Wollni)


  • M.SIA.E31 Strategic management 
    (Witzenhausen, Prof. Dr. C. Herzig)


  • M.SIA.E35: Institutional Ecological Economics 
    (Witzenhausen, Prof. Dr. Andreas Thiel)


  • M.SIA.E39: Critical and Collective Perspectives on the Global Food System 
    (Witzenhausen, Prof.Dr. Andreas Thiel)


  • M.SIA.I11M Free project 
    (Göttingen und Witzenhausen, alle Professorinnen und Professoren)
    Guide for students


  • M.SIA.P08 Pests and diseases of tropical crops 
    (Göttingen, Prof. Dr. S. Vidal)


  • M.SIA.P10 Tropical agro-ecosystem function 
    (Göttingen, Dr. R. F. Kühne)


  • M.SIA.P19M Experimental Techniques in Tropical Agronomy 
    (Göttingen, Prof. Dr. R. P. Rötter)


  • M.SIA.P23M Modern plant nutrition - application of molecular methods in plant nutrition research 
    (Göttingen, Jun.-Prof. Dr. M. Tränkner)


  • Winter Term (WiSe):



  • M.Agr.0127 Breeding schemes in plant and animal breeding 
    (Göttingen, Prof. Dr. H. Simianer)


  • M.Agr. 0148 Policy analysis of agri-environmental schemes 
    (Göttingen, Prof. Dr. M. Wollni) (not WiSe 2018/19)


  • M.Agr.0156: Microfinance for the Rural Poor: A Business Class
    (Göttingen, Prof. Dr. O. Mußhoff)


  • M.Forst.1512 International forest policy and economics 
    (Göttingen, Dr. C. Hubo)


  • M.Forst.1615 Forest growth and tree-based land use systems
    (Göttingen, Dr. S. Graefe)


  • M.SIA.A02M Epidemiology of international and tropical animal infectious diseases 
    (Göttingen, Prof. Dr. Dr. C.-P. Czerny)


  • M:SIA.A06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markets and challenges (every second year) 
    (Göttingen, Prof. Dr. G. Hörstgen-Schwark) not WiSe 2018/19


  • M.SIA.A11 Tropical animal husbandry systems 
    (Göttingen, Prof. Dr. E. Schlecht)


  • M.SIA.E02 Agricultural price theory 
    (Göttingen, Prof. Dr. B. Brümmer)


  • M.SIA.E13M Microeconomic theory and quantitative methods of agricultural production 
    (Göttingen, Prof. Dr. M. Qaim)


  • M.SIA.E17M Management and management accounting 
    (Witzenhausen, Prof. Dr. C. Herzig)


  • M.SIA.E33 Responsible and sustainable food business in global contexts 
    (Witzenhausen, Prof. Dr. C. Herzig)


  • M.SIA.E34: Economic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Developing Countries 
    (Göttingen, Prof. Dr. M.Wollni)


  • M.SIA.E36: Institutions and the Food System 
    (Witzenhausen, Prof. Dr. Andreas Thiel)


  • M.SIA.E37 Agricultural policy analysis 
    (Göttingen, Dr. S. Lakner)


  • M.SIA.I02 Management of (sub-) tropical landuse systems 
    (Prag, Prof. Dr. A. Bürkert)


  • M.SIA.I06M Exercise on the quality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roducts 
    (Göttingen, Prof. Dr. E. Pawelzik)


  • M.SIA.I07 International land use systems research (every 2nd year) 
    (Excursion, Prof. Dr. E. Schlecht)


  • M.SIA.I11M Free project 
    (Göttingen und Witzenhausen, alle Professorinnen und Professoren)
    Guide for students


  • M.SIA.P21 Energetic use of agricultural crops and field forage production 
    (Witzenhausen, Prof. Dr. M. Wachendorf) (every second year - next time WiSe 2019/20)


  • M.SIA.P22 Managment of tropical plant production systems 
    (Göttingen, Prof. Dr. Reimund P. Rötter)


  • M.WiWi-VWL.0008 Development economics 1: Macro issues in economic development 
    (Göttingen, Prof. Dr. S. Klasen)





  • (Click on the module name for a description of the module. Click on the coordinator’s name for a link to his/ her website.)

    Back

    ==========

    Study plan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studyplan_org_eng2s


    Download exemplary study plan

    =========

    Exemplary study plan for the specialization in „International
    Organic Agriculture“



    Sem.
    Σ C*

    Thematic modules

    Methodic modules

    Modulee

    Module

    Module

    Module

    Module

    Module

    Module


    1.

    Σ 30 C


    Bridging
    module
    M.SIA.P07
    Soil
    and plant science


    6 C

    Compulsory
    module1
    :
    M.SIA.P05
    Organic
    cropping systems under temperate and (sub)tropical conditions
    6 C

    Compulsory
    module 2
    :
    M.SIA.I12
    Sustainable
    International Agriculture: basic principles and approaches
    6 C

    Mandatory
    module 1
    :
    M.SIA.I09
    Sustainable nutrition


    6 C





    Mandatory
    module 1
    :
    M.SIA.E05M
    Marketing research


    6 C


    2.

    Σ 30 C


    Compulsory
    module 3:
    M.SIA.A01
    Organic
    livestock farming under temperate and tropical conditions

    6 C

    Mandatory
    module 3
    :
    M.SIA.E06
    International
    markets and marketing for organic products

    6 C

    Elective
    module 1
    M.SIA.A13M
    Livestock
    based sustainable land use

    6 C

    Elective
    module 2
    :
    M.SIA.I03
    Food
    quality and organic food processing

    6 C





    Compulsory
    module 1
    :
    M.SIA.I10M
    Applied statistical modelling

    6 C


    3.

    Σ 30 C



    Elective
    module 3
    :
    M.SIA.P21
    Energetic
    use of agricultural crops and field forage production

    6 C

    Elective
    module 4
    :
    M.SIA.P13
    Agrobiodiversity
    and plant genetic resources in the tropics

    6 C

    Elective
    module 5
    :
    M.SIA.I06M
    Exercise on the quality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roducts

    6 C





    Mandatory
    module 2
    :
    M.SIA.P15M
    Methods
    and advances in plant protection

    6 C

    Elective
    module 3
    :
    M.SIA.P17M
    Nutrient
    dynamics, long-term experiments and modelling

    6 C


    4.

    Σ 30 C


    Master Thesis
    & Colloquium

    30 C





    2018/12/29

    박헌권의 [유기체 사상] 21세기의 우주론,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세계관


    다른백년 기획칼럼 / 박헌권의 [유기체 사상] 21세기의 우주론,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세계관 현대철학자...

    다른백년 기획칼럼 / 박헌권의 [유기체 사상]
    21세기의 우주론,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세계관
    ---

    현대철학자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는 평소 자신의 철학을 철학과 종교와 과학을 융합한 유기체 사상philosophy of organism이라고 불렀습니다. 좀 더 자세히 그의 철학을 들여다보면 그는 자신의 과정철학을 현대의 존재론ontology으로 주창하였음과 동시에 유기체적 세계관을 새로운 우주론 cosmology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한편 우주론을 논하는 경우에 존재론을 같이 거론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우주의 근거와 작용인 및 목적인을 설명하는 우주론을 구축함에 있어서 반드시 우주의 구성원인 개별적 존재의 성격을 설명하는 존재론이 전제되어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우주는 개체들의 산술적 합이 아니라 그 이상의 속성을 발현하는 창발성을 갖는 복잡계이기때문에 단순히 대수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만, 일단 존재론이 제시하는 존재의 속성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우주론이 전개되기때문에 같이 논할 수밖에 없지않나 생각합니다.

    즉, 현대철학은 개체의 주체성과 공동체로의 귀속성과 연대성을 같이 논하지않을 수없기 때문에 존재론과 우주론을 같이 설명할 수밖에 없다할 것입니다!

    한편, 현대의 존재론은 서구의 실체론을 과감히 폐기하고 생성론(이를 과정론,사건론이라고 불러도 상관없습니다!)을 과감히 받아들여야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간단히 다시 말씀드리면 생성론은 존재는 동일성을 지닌 실체substance가 아니고 단지 시공간상의 인과적 사건의 연속적 과정을 생성하는 것이라고 보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실체론에 터잡은 우주론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확인해봅니다!

    실체론에서 상정하는 우주는 2가지 요소(1개의 원인과 1개의 조건)로 이루어져있다는 단순계를 모델로 하고있기때문에 그 인과율은 선형인과 linear causality또는 단순인과라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태양계안의 지구의 운행을 설명할 때 태양과 지구만을 변수로 고려하고 나머지 다른 행성들을 고려대상에서 배제시켜버립니다. 따라서 역학관계를 2개의 변수로 단순화시키기에 설명의 유용성은 있으나 실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이는 무지의 유용성이라는 주제로 나중에 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실체론의 가장 큰 문제는 선형인과율을 따르다보니 결정론과 목적론 또한 계서적인 지배,피지배관계를 본질로 한다할 것입니다. 이에따라 인간의 자유의지는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제1원인의 작용인과 목적인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뭇 존재는 선행원인으로부터 유래하였기 때문에 모사된 후행존재는 선행존재인 원본보다 열등하다할 수밖에 없으므로 선행원인이 제시하는 작용인과 목적인을 거부할 수가 없어 그가 제시하는 담론에 예속되는 존재가 되어버립니다.

    하여 실체론에 비롯한 우주론은 선행 제1원인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론적 세계관을 지니지않을수 밖에 없습니다!

    즉, 기계의 모든 구성요소는 기계를 작동시키는 제1원인의 지시에따라 움직이는 부품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할 것입니다. 이러한 기계론적 세계관에 의하면 강자만이 선행원인이 되어 후행원인인 약자는 그에 종속되는 계서적 질서를 받아들일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따라 니이체는 절대적인 진선미는 존재하지않으며 진리의 척도는 오로지 힘Macht, 즉 진리에의 의지밖에 없다고 도덕계보학에서 밝히고 있는데 이를 기계론적 세계관에 적용하면 오로지 제1원인의 힘에의 의지가 진리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미의 기준은 강자인 성형자본의 힘,의지가 만들었기에 결국 힘의 의지,즉 강자의 힘에 의해 현대 진리는 만들어진다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특히 실체는 서로 내재적인 생성관계가 없는 독립된 존재들이기에 자신들의 생존은 반드시 강자가 약자를 약탈하는 방식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어 결코 지배와 피지배라는 이분법적인 도식을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자아를 끊임없이 강자에 복종시키며 타자화하는 소외를 근원적으로 벗어날 수없으며 결국 강자의 일방적 지배와 약탈만 있을 뿐 강자와 약자의 순환성을 상실하게됨으로써 종국에는 호환적 생태계는 유지될 수가 없을 것입니다.

    한편 생성론에 근거한 우주론은 화이트헤드가 말했듯이 유기체적 세계관이라 할 것입니다!

    여기서의 유기체란 생명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 구성요소가 또는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가 정합적으로 꽉 짜여있으면서 상호 내재적인 생성작용을 멈추지않는 실재를 의미한다할 것입니다. 하여 세포단위의 유기체이던 우주 차원의 유기체이던 그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시공간상 분리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내재적으로 분리되지않고 생성에 같이 참여하는 존재이기때문에 모든 요소가 생성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주체로 동등하고 평등하게 참여하는 전체로서의 하나a single totality인것입니다. 하여 유기체적 세계는 단순계가 아니라 최소한 3개이상의 구성요소가 상호영향을 미치는 복잡계이기에 상호인과율 또는 복잡인과율을 따르게 됩니다. 이는 불교의 연기법과 같다할 것인데 이러한 비선형 인과는 결정론이 아닌 확률론을 따르게 되어 있어 구성요소들의 자유의지도 인과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다시말하면 구성요소는 강약,대소,선후를 불문하고 똑같은 확률적 가치를 지니기에 모두 평등한 존재로 생성에 등가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존재론적으로 보여준다할 것입니다.

    그러면 유기체 사상의 과학적 근거를 알아봅시다!

    우선 양자역학에서 찾아보면 양자얽힘quantum entanglement현상을 들 수있습니다. 이 이론은 아인쉬타인이 사물의 실재성과 국소성(분리성)을 증명하기위해 EPR패러독스라는 사고실험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는데 결국 1982년 아스팩의 실험에 의해 우주는 비국소적이고 비실재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를 양자얽힘이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하면 우주는 고정불변의 실체가 아니고 영속적으로 생성변화하는 존재라는 것임을 물론 또한 우주는 분리된 것처럼보이나 실제는 분리된 것이 아니기에 분리되었으나 분리되지않은 하나! the devided undevidedness라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밝힌 것입니다.

    또한 우주는 그 구성요소가 모두가 내재적으로 연결된 유기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이론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을 들 수있습니다.

    즉 우주의 시공간 형태는 물질의 분포가 만들고 또한 물질의 분포는 시공간의 모양이 만든다는 것으로 이는 상호연기,즉 유기체의 특징인 상호간 내재적 생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할 것입니다. 또한 극명하게 우주는 하나의 유기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이론으로는 조지 가모브 박사가 주창한 빅뱅이론이 있는데 이는 우주는 하나의 특이점singularity에서 빅뱅하였다는 것으로 우주는 유기체로서의 한 몸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나아가 복잡계 이론에 의하면 우주는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위해 항상 자기 조직화self-organization를 멈추지 않는데 그 과정에 우주의 모든 요소가 창발emergence과정이든 혼돈chaos의 과정이든 되새김feed back의 과정에 모두 구성요소가 참여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그러하기에 로렌쯔는 아마존의 나비날개짓이 카리브해에 폭풍을 만들 수도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 또한 세계 전체가 내재적으로 생성관계를 맺는 유기체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예라할 것입니다.

    또한 현대진화론, 특히 스튜어트 카우프만은 진화를 다윈주의 (자연선택) 와 신다윈주의(돌연변이) 와는 달리 생명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보고 있으며, 특히 칼 세이건의 부인인 린 마굴리스는 공진화co-evolution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진화도 우주라는 유기체 내부의 구성요소들의 상호인과적 생성작용으로 보고있습니다.

    한편 인지과학의 제3패러다임인 체화된 인지EM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마음은 정보처리 시스템으로서 두뇌,몸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규정하는데 이는 마음이 복잡계이자 유기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한편 불교의 유식사상은 마음을 두뇌,몸과 우주의 상호작용으로 보는데 이에 따르면 우주도 정보처리시스템으로서 한 마음,즉 일심이라할 것입니다). 물론 과학은 아니지만 불교의 연기법도 우주를 유기체로 보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할 것입니다.

    그러면 단지 이론적 관점이 아니라 실천론의 입장에서 왜 유기체적 세계관을 받아들여야하는지를 살펴봅시다.

    우주가 구성요소들의 정합적인 연결망인 유기체라면 우주안의 모든 존재들은 개체로서 독립성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간의 관계성도 생득적인 조건이기에 반드시인간들은 생활세계의 공동체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자본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위한 대안으로 공동체를 제시하기도하지만 근본적으로 인간이라는 유기체는 개체성과 관계성을 중첩적 속성으로 하기때문에 온전한 삶을 위해서는 소통과 상생의 공동체를 반드시 전제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동체는 영어로 community라고 부르는데 어원을 따지면 선물을 같이 나누는 것이라고 해석하는데 이는 공동체안에서는 모든 존재가 선물이라는 의미도 있는데 유기체에서 타자는 자아의 생성에 내재적으로 이바지하기에 타자는 항상 선물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기체의 속성상 우리는 공동체를 만들지않을 수없는 것입니다)

    또한 유기체사상은 자아와 타자가 내재적 생성관계를 맺기에 자타불이라는 불교의 교리가 단순한 종교적 구호가 아니라 실상이라는 것을 밝혀줍니다(한걸음 더 나아가 유기체사상은 우주와의 합일체험을 중시하는 뭇 종교들의 신비주의의 이론적 토대가 된다할 것입니다). 하여 유기체사상은 사랑과 자비의 존재론적 근거도 되지만 사랑과 자비가 시혜적 동정이 아니라 평등성에 기초한 나눔이라는 것을 제시하며 나아가 사랑과 자비가 개체적 차원이 아니라 구조적 차원의 개혁으로까지 승격시켜야하는 근거가 된다할 것입니다.

    또한 오늘날 횡행하는 이민족,특히 난민이나 다문화가정에 대해 배척하는 태도도 실체론적 존재론에 근거한 것으로 우주의 생성에 뭇 존재가 모두 평등하게 참여하고 있다라는 사실을 알게되면 순혈주의는 설 자리가 없다할 것입니다. 하여 예맨난민과 카라반행렬은 바로 우리의 책임이기도한 것입니다.

    나아가 오늘날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본과 노동을 고정되고 불변하는 실체로 보는 실체론을 벗어나서 자본과 노동이 동등한 생산성요소라는 생성론의 입장에서 자본과 노동의 일치 또는 호환할 수있는 새로운 생산양식을 반드시 모색해야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나비효과에서 언급하였듯이 아무리 작은 행동도 되새김을 통해 엄청난 결과를 이끌어내듯이 우리의 작은 행동이 역사를 바꾸는 혁명의 단초가 될 수있다는 것입니다. 하여 니이체는 노예의 도덕에서 벗어나기위해서는 자신의 위치에 맞는 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를 키우라고 주문한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되새김에의한 창발효과는 자연법칙일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에도 적용될 수있기에 비록 지금은 초라해보일지 모르지만 지금 여기의 위치에서 참된 진리를 향한 권력의지를 강화하는데 최선을 다해야할 것입니다.

    이것이 필자가 21세기의 우주론으로 유기체사상을 제시하는 이유라할 것입니다!

    ㅡ따로 또 같이!

    ----------------------------------------------------

    박헌권 : 수십 년간 시민운동의 경험을 통하여 얻은 성찰을 토대로 동서양을 아우르는 철학과 종교 그리고 과학의 융합을 통하여 21세기의 새로운 존재론과 우주론을 추구하고자 한다.

    2018/12/28

    북한정보포털 | 통합검색 결과 - 유기농법 (전체 43건)



    북한정보포털 | 통합검색 결과




    통합 검색 결과 : 유기농법 (전체 43건)
    정확도순 최신순


    동향 (11)더보기

    전체(11)
    정치(4)
    군사(0)
    경제(6)
    사회(1)
    교육·문화(0)

    北, 경제분야 성과 독려 및 선전o “농업생산을 획기적으로 늘이기 위해 유기농법 및 선진영농 방법과 기술을 적극 받아들여야 한다’며 ‘유기농법 장려를 위한 과업’으로 ‘△유기질비료(흙보산비료 등) 증산, △고리형 순환생산체계 확립, △유기농법 도입성과 확대’ 강조(3.16,조선중앙통신․노동신문/유기농법을 적극 장려하자) o 개성시 ...

    김일성, 서해안지역 협동농장 현지지도6월3일 협동농장과 3월3일 농장에서는 당의 주체농법을 철저히 관철하여 올해 예년에 보기 드문 대풍작을 이룩하였음. 여러 가지 농기계들의 생산을 다그치고, 그 이용률을 백방으로 높이기 ... 농촌경리의 우월성을 더욱 높게 발휘하게 될 것임. 과일수학고를 높이기 위해 화학비료와 함께 유기광물질의 비료를 많이 주어야 하며, 도시에서 여러 가지 거름을 생산하여 보내주는 한편 농장에서도 ...

    3.13 미곡협동농장 현지지도김 위원장은 새해 영농전투에 진입한 사리원시 3중3대혁명붉은기 미곡협동농장을 방문,유기농법을 비롯한 새로운 영농방법과 영농기술을 적극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 또한, 농업전선은 인민생활향상을 위한 투쟁에서 주공전선이라고 하시면서 전국, 전민이 농사에 계속 총 역량을 집중하여 농업생산에서 획기적인 전환을 일으켜야 한다고 강조 * 수행 : 최용해(황해북도 당 책임비서), ...

    테마 (1)

    [북한언론 주요논조] 2017.08.08. 북한방송 주요내용대남동향 o [민화협 대변인 성명(8.7)] 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 발언(중·러가 제재에 합의한 것이 의미가 있다, 핵무기개발과 관련한 자금조달 통로를 차단하는데 실효적인 의미가 있다 등)에 대해 ‘상전의 환심을 사보려는 친미사대매국의 극치’라며 ‘망발을 줴쳐댈수록 처절한 대...

    외부자료 (31)더보기

    전체(31)
    정치(18)
    군사(0)
    경제(7)
    사회(3)
    교육·문화(3)


    외부자료 31건이 검색되었습니다

    北, 평양서 유기농 국제회의 개최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4/07/23/0511000000AKR20140723146200014.HTML연합뉴스 | 2014.07.23북한이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IFOAM)과 공동으로 유기농업 발전을 위한 국제회의를 개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중앙통신은 ... 알려주는 것이 이번 강습의 목적"이라며 "북한의 실정에 부합되는 유기농법 체계를 완성하는 데 기여할 생각"이라고 중앙통신에 밝혔다.북한이 ...

    유럽연합, 대북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51만 달러 지원http://www.voakorea.com/content/article/2817514.htmlVOA(미국의소리) | 2015.06.13... 사업을 시작했습니다.이 단체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사업은 유기농법을 널리 보급해 북한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 웹사이트에 따르면 유럽연합 원조개발협력청은 지난해 12월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의 북한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45만 유로 미화 51만 ...

    유럽연합, 북한 유기농법 전수에 5억여원 지원http://www.yonhapnews.co.kr/northkorea/2015/06/12/1801000000AKR20150612042000014.HTML연합뉴스 | 2015.06.12... EU 웹사이트 등에 따르면 원조개발협력청은 지난해 12월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IFOAM)의 '북한 유기농법 전수사업'에 51만 ... 목적으로 하는 사업은 북한의 농장 관리자·관리·전문가 대상의 유기농법 교육, 농법 교육방법 개발, 시범농장 공동 운영 등을 골자로 ...


    --------------
    유럽연합, 북한 유기농법 전수에 5억여원 지원
    송고시간 | 2015-06-12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유럽연합(EU)이 북한에서 진행중인 민간단체의 유기농법 전수사업에 미화 51만달러(5억6천여만원)를 지원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2일 보도했다.

    EU 웹사이트 등에 따르면 원조개발협력청은 지난해 12월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IFOAM)의 '북한 유기농법 전수사업'에 51만 달러를 지원했다.

    IFOAM은 지원 자금으로 향후 4년간 북한에서 유기농법 기술을 전수할 예정이다.


    북한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은 북한의 농장 관리자·관리·전문가 대상의 유기농법 교육, 농법 교육방법 개발, 시범농장 공동 운영 등을 골자로 한다.

    독일에 본부를 둔 IFOAM은 116개 국가 750여개 단체가 가입한 세계 최대 규모의 유기농업 운동 단체로, 2012년부터 북한에 유기농업 기술을 전수하는 사업을 벌여오고 있다.

    유럽연합, 대북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51만 달러 지원



    유럽연합, 대북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51만 달러 지원




    유럽연합, 대북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51만 달러 지원
    2015.6.12

    김현진

    평양 외곽 칠곡채소농장에서 농부가 배추밭에 거름을 주고 있다.
    공유











    유럽연합이 북한에서 진행 중인 민간단체의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45만 유로, 미화 51만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IFOAM)은 이 자금으로 앞으로 4년 간 유기농법 기술을 전수할 예정입니다. 김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이 올해 초 북한에서 유기농법 전수 2단계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단체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사업은 유기농법을 널리 보급해 북한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북한 농장 관리자들과 정부 관리, 전문가들에게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유기농법 기술을 전수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유기농법을 전수하기 위한 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시범농장을 같이 운영해 나가며 필요한 기술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평양국제새기술경제정보센터 (PIINTEC)’의 유기농업 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이 기술이 지방에까지 잘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평양국제새기술경제정보센터는 북한 내 유기농법 관련 활동을 총괄하고 있으며, 북한에서 유일하게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에 가입했습니다.

    웹사이트에 따르면 사업에 필요한 예산은 지난해 말 유럽연합으로부터 승인 받았습니다.

    유럽연합 웹사이트에 따르면 유럽연합 원조개발협력청은 지난해 12월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의 북한 유기농법 전수 사업에 45만 유로 미화 51만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은 120개 나라에서 815 개 단체가 가입한 세계 최대 규모의 유기농업 운동단체입니다.

    독일 본에 본부를 둔 이 단체는 지난 2012년부터 북한에서 유기농업 기술을 전수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유기농법 전수 1단계 사업은 북한 농업 관계자들에게 강습회 등을 통해 유기농법을 소개하고, 해외 유기농법 전문가들과 교류를 통해 선진 유기농 기술을 익히게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사업의 일환으로 북한 농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강습회를 열어 유기농 이론과 선진적인 영농관리방법 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또 북한 농업 관계자들을 중국과 독일 등 해외에 초청해 선진 유기농법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일본 내 친북단체인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2013년 5월 “유기농법의 선진기술 도입을 위해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과 합동으로 평양과 지방에서 처음으로 강습회가 열렸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VOA 뉴스 김현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