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09

이카루스의 날개에 매달려

이카루스의 날개에 매달려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됐나 /함석헌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됐나 /함석헌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됐나 - 함 석 헌

 http://www.quakerseoul.org/

A Grief Observed - Wikipedia

A Grief Observed - Wikipedia

A Grief Observe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 Grief Observed
Agriefobservedcover.jpg
First edition
Author C. S. Lewis
Country United Kingdom
Language English
Published 1961 (Faber and Faber)
Media type Paperback
Pages 160
A Grief Observed is a collection of C. S. Lewis's reflections on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following the death of his wife, Joy Davidman, in 1960.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in 1961 under the pseudonym N.W. Clerk as Lewis wished to avoid identification as the author. Though republished in 1963 after his death under his own name, the text still refers to his wife as “H” (her first name, which she rarely used, was Helen).[1] The book is compiled from the four notebooks which Lewis used to vent and explore his grief. He illustrates the everyday trials of his life without Joy and explores fundamental questions of faith and theodicy. Lewis’s step-son (Joy’s son) Douglas Gresham points out in his 1994 introduction that the indefinite article 'a' in the title makes it clear that Lewis's grief is not the quintessential grief experience at the loss of a loved one, but one individual's perspective among countless others. The book helped inspire a 1985 television movie Shadowlands, as well as a 1993 film of the same name.
Contents [hide]
1 Summary
2 Reactions
3 A Grief Observed and The Problem of Pain
4 References
5 External links
Summary[edit]
A Grief Observed explores the processes which the human brain and mind undergo over the course of grieving. The book questions the nature of grief, and whether or not returning to normalcy thereafter is even possible within the realm of human existence on earth. Based on a personal journal he kept, Lewis refers to his wife as "H" throughout this series of reflections, and reveals that she had died from cancer only three years after their marriage. The book is extremely candid, and it details the anger and bewilderment he had felt towards God after H's death, as well as his impressions of life without her. The period of his bereavement was marked by a process of moving in and out of various stages of grief and remembrance, and it becomes obvious that it heavily influenced his spirituality. In fact, Lewis ultimately comes to a revolutionary redefinition of his own characterisation of God: experiencing gratitude for having received and experienced the gift of a true love.
The book is divided into four parts, each headed with a Roman numeral, and each a collection of excerpts from his journals documenting scattered impressions and his continuously evolving state of mind.
Reactions[edit]
Lewis exhibits doubt and asks many fundamental questions of faith throughout the work. Because of his candid account of his grief and the doubts he voices, some of his admirers found it troubling. They were disinclined to believe that this Christian writer could be so close to despair. Some thought that it might be a work of fiction. Others, such as Lewis’s critics, suggested that he was wisest when he was overcome with despair.[2] When Lewis was first attempting to publish his manuscript, his literary agent, Spencer Curtis Brown, sent it to the publishing company Faber and Faber. One of the directors of the company at the time was T.S. Eliot, who found the book intensely moving.[3] Madeleine L’Engle, an American author best known for her young adult fiction, wrote a foreword for the 1989 printing of the book. In the forward, L’Engle speaks of her own grief after losing her husband and no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e makes a point similar to Douglas Gresham's— each grief is different even if they do bear similarities.[4]
A Grief Observed and The Problem of Pain[edit]
The book is often compared to another book by Lewis, The Problem of Pain, written approximately twenty years before A Grief Observed. The Problem of Pain seeks to provide theory behind the pain in the world. A Grief Observed is the reality of the theory in The Problem of Pain.[5] It was more difficult to apply the theories he posited to a pain with which he was so intimately involved. At first it is hard for Lewis to see the reason of his theories amidst the anguish of his wife's death but through the book one can see the gradual reacceptance of these theories, the reacceptance of the necessity of suffering.[2]
Lewis' difficulty is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book: "Is anything more certain than that in all those vast times and spaces, if I were allowed to search them, I should nowhere find her face, her voice, her touch? She died. She is dead. Is the word so difficult to learn?"[4] And Lewis' ultimate resolution of his dilemma is in part articulated in the book, as follows: "I will not, if I can help it, shin up either the feathery or the prickly tree. Two widely different convictions press more and more on my mind. One is that the Eternal Vet is even more inexorable and the possible operations even more painful than our severest imaginings can forebode. But the other, that 'all shall be well, and all shall be well, and all manner of thing shall be well'. "[4]


References[edit]

Jump up ^ Hooper, Walter. C.S. Lewis: A Companion and Guide. San Francisco: HarperCollins, 1996. Page 196. Print.
^ Jump up to: a b Talbot, Thomas. "A Grief Observed." The C.S. Lewis Reader's Encyclopedia. Ed. Jefferey D. Shultz, John G. West Jr.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8. Print.
Jump up ^ Hooper. Page 194.
^ Jump up to: a b c Lewis, C.S. A Grief Observed. New York: Harper & Row, 1961. Print.
Jump up ^ Walsh, Chad. The Literary Legacy of C.S. Lewis. New York: Hardcourt Brace Jovanovich, 1979. Page 238. Print.
[show] v t e
Works by C. S. Lewis
External links[edit]
A Grief Observed.(Canadian public domain edition)

알라딘: 미야모토 무사시

알라딘: 미야모토 무사시

미야모토 무사시
시바 료타로 (지은이) | 김성기 (옮긴이) | 창해 | 2005-01-24 | 원제 宮本武藏
-----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 에도 시대를 풍미한 검객이었다. 그는 혼란의 시대에 검술 하나로 이름을 얻은 범상치 않은 인물. 그는 쌍검을 사용하는 '니토류'를 개발했으며, 검술을 불교의 선을 바탕으로 한 도의 경지로 끌어올리고자 노력했다. 무사시가 직접 집필한 <오륜서>는 <손자병법>과 함께 동양의 2대 병법서로 유명하다.

일본 역사소설계의 거장 시바 료타로는 강건한 문체와 시원시원한 구성으로 무사시의 일대기를 그려나간다. 작가가 무사시의 고향을 찾아가는 장면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어린 시절과 각종 일화들, 일본 전역을 유랑하고 다닌 무사시의 족적을 냉철하게 조명하는 작가의 시선이 눈에 띈다.

작가 특유의 철저한 고증과 현장 답사가 돋보이며, 각 장면마다 각종 사진과 그림 자료들이 추가되었다.

1권

1. 성장 과정
2. 요시오카 검도장
3. 이치조 사의 결투
4. 호조인 유파
5. 별난 시합
6. 무소 곤노스케
7. 사사키 고지로
8. 제비를 베다
9. 교토에서 보낸 나날들
10. 고쿠라
11. 소귀나무
12. 결투
13. 간류지마 이야기
14. 오사카 전투
15. 호조 우지나가
16. 만년

----

무사시는 땅바닥에 머리를 부딪친 기헤에가 몸을 가누지 못하는 사이에 재빨리 몽둥이를 집어들어 그의 머리를 내리쳤다. 상대에게 숨돌릴 틈을 주면 자신이 죽을지도 모르는 것이다. 무사시는 상대의 깨진 머리에서 흰 점액이 흘러나와도 멈추지 않고 계속 내리쳤다. 이윽고 허리를 굽혀 상대가 숨이 끊어진 것을 확인한 뒤에야 겨우 동작을 멈추었다.
이런 잔인한 행동은 인간이 보일 수 있는 행동이 아니었다. 다른 뭔가에 의해 움직여진 것 같았다.
----

저자 : 시바 료타로 (司馬遼太郞)
수상 : 1959년 나오키상
최근작 : <패왕의 가문>,<료마가 간다 세트 - 전8권>,<료마가 간다 8> … 총 130종 (모두보기)
소개 :
1923년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후쿠다 사다이치(福田定一). 오사카 외국어 대학 몽고어학과를 마치고, 1959년 '올빼미의 성'으로 나오키 문학상을 받았다. 이어 1966년 발표한 <료마가 가다>로 기쿠지칸 문학상을 받았다. 1972년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 1983년 요미우리 문학상, 1984년 신초 문학상, 1987년 일본 예술상 등을 받으면서 국민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1987년 이후에는 일본 재계 최고경영자 상담역을 맡기도 했다. 1996년 생을 마쳤고, 1998년 '시바 료타로 상'이 제정되었다.

지은 책으로 <시바 료타로 전집>(전50권), <꿈꾸는 열도>, <막말의 암살자들>, <명치라는 국가>, <몽골의 초원>, <미야모토 무사시>, <세계속의 일본 일본속의 세계>', <세키가하라전투>, <소설 풍신수길>, <언덕 위의 구름>, <올빼미의 성>, <제국의 아침>, <타올라라 검>, <풍운의 성채>, <한나라 기행>, <항우와 유방>, <황제를 낚는 풍운아>, <나라 훔친 이야기> 등이 있다.
-----
총 : 14편
리뷰쓰기
----
가정법 새창으로 보기
승혜 ㅣ 2014-04-04 ㅣ 공감(0) ㅣ 댓글 (0)

어릴 적에 제가 무사시,무사시...운운하면 주변에서 빈축을 보냈지요.
마르고 허약한 여자애가 일본 최고 검객의 이름을 입에 자주 올리는 것이
어른들은 정말 가당치 않다고 생각하셨던 것같아요.
게다가 우리와 일본의 갈등은 지금도 거의 운명적인 것이니까요.

하지만 그렇게 철저한 사무라이의 생애를 어설픈 책으로나마 읽어본 체험이
어설프고 의지가 나약한 저에게는 일종의 강력한 자극이 되었어요.
목숨은 신명에 맡기고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다 해본다는 마음가짐이
한동안 정신 없이 휘몰아친 고난의 시기를 견뎌내게도 해주었구요.

-----

르포형식을 빌린 무사시의 주요사건정리 새창으로 보기
transient-guest ㅣ 2013-03-10 ㅣ 공감(4) ㅣ 댓글 (2)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이 낳은 수많은 검객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겠다. 동시대를 살았던 야규집안의 신카게류나 다른 유파들만큼 인정을 받고 널리 퍼지지는 못했지만, 그것은 그의 검법이 교습을 통해 학습될 수 있는 수준이 아닌, 그 개인의 천재성에 기인한 탓으로 보느니만큼, 당시 최고의 검객이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려울 듯 싶다. 검법을 일대일의 기예를 넘어서서, 병학의 수준으로까지 끌어오렸다고도 볼 수 있는데, 요시오카 집안과의 대결이나 저 유명한 간류지마에서 사사키 고지로오와의 대결을 보면, 확실히 검술이상, 그에게는 적의 심리와 지형지물을 이용한 종합적인 병학자로서의 냄새가 나기는 한다.

한창 무술을 좋아하던 시절, 특히 검도를 하던 때에는 오륜서를 끼고 살았더랬다. 그래봤자 무슨 깨달음을 얻은건 없고, 일종의 겉멋이었지 싶다. 스토리로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유명한 판본을 여러 차례 읽은 바 있어서, 매우 익숙하게 알고 있다고 본다.

시바 료타로도 일세를 풍미한 일본의 유명한 이야기꾼이라고 하겠는데, 이 책은 소설보다는 fact를 중심으로 무사시의 검생에서 중요한 일화들을 나름대로 해석하여 풀어낸 작품이다. 소설의 요소도 분명히 있지만, 르포에 더 가까운 듯, 이 책의 무사시는 일체의 신격화나 신비화가 덜어진, 소위 'down to earth'로써, 아마도 실제에 더 가까웠을 것으로 보이는 무사시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미야모토 무사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또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책에서 한 귀절을 읽다가 드보르쟙이나 준석이, 수조같은 애들이 생각났다.
'...무사시는 의식적으로 자기 자신을 전설적인 존재로 가꾸려고 했다. 전설은 이런 기이한 행동들이 모여서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전설이 결국 당사자를 존귀한 존재로 치장해준다...'

기이한 행동이 모인다고 드보르쟙 같은 사람이 존귀한 존재가 될 리는 없겠지만, 뭐 그렇다는 것이겠지? 자신을 띄우기 위한, 이슈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기.이.한. 행동과 말을 통해 전.설.이 만들어지기는 하겠다. 기.이.한.전.설.말이다.

----

자신만의 고유한 정기 새창으로 보기
이지리더이원종 ㅣ 2012-10-07 ㅣ 공감(0) ㅣ 댓글 (0)
'료마가 간다' 의 시바 료타로가 직접 미야모토 무사시의 고햐인 오카야마 현의 미야모토 마을에 찾아가 현장 답사를 하며, 사람들로부터 증언을 듣기도 하면서 무사시의 일생을 정리했다. 전 일본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검객으로 불리는 미야모토 무사시에 대한 소설은 많이 있지만 실제 그의 모습이 어땠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통해 꽤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다.
평생 60여 차례의 시합에서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던 무사시는 그러나 생각만큼 고상한 인물은 아니었던듯 싶다. 이미 13세때 만만치 않은 검객에게 결투를 신청해 잔인하게 죽이기도 했고, 일부러 시간보다 늦게 나타나 상대를 초조하게 하는 등, 상대를 제압하기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는 느낌도 준다.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애썼고 말년에는 벼슬자리를 욕심내기도 했다는 면면은 지금껏 알고있던 이미지와는 다르다.
그의 검술은 검술 자체에만 의미를 두지 않았다. 그의 과제는 검술가로 살면서 성불하는 것이기도 했다. 일생의 결투였던 사사키 고지로와의 대결은 어이없을 정도로 순식간에 끝났지만, 그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생각을 통해 전략을 짜냈는지가 무사시의 방식을 역시 보여준다. 한 방문객이 검술 수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무사시는 이렇게 대답했다.
- (다리의 높이가 달라져도) 다리의 폭은 똑같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생각하면 당연히 건널 수 있겠지만, 두려움과 같은 잡념 때문에 건너지 못하는 겁니다. 그런 잡념을 떨치고 마음을 비우는 것이 검술 수련입니다. (147쪽)
그의 검법은 기술이라기보다는 철학이라고 했다. 고지로 역시 기술에서는 대등했을 것이다. 무사시는 벼슬을 원했으나 그를 고용하지 못 한 것은 검법을 타인에게 가르쳐주기가 어려웠던 탓도 있다. 역시 뛰어난 무사였던 효고노스케는 무사시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했다.
-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을 수 있는 것은 개구리보다 민첩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뱀에게는 고유의 정기가 있어, 단지 노려보기만 해도 개구리는 풀숲에서 정신을 잃고 꼼짝도 못하게 됩니다. 그러면 뱀은 개구리에게 다가가 삼키기만 하면 되는 겁니다. 사자가 토끼를 잡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사시는 그 뱀이나 사자와 같은 인물입니다. (235쪽)

----

전설적 존재는 무사시 해부 새창으로 보기
jiknet ㅣ 2009-01-21 ㅣ 공감(0) ㅣ 댓글 (0)
그 동안 미야모토 무사시를 다룬 소설들을 보면 무사시가 평범한 인간상은 아니었다.
물론, 한 분야에서 맹위를 떨친 인물이 평범할 수는 없는 것이 당연하지만, 검술에 맞게 그의 인품또한 도를 깨우친 스님과 유사하게 그려졌다.
검선일여라고 해서 검을 통해 선을 깨치려는 그런 모습이었는데.
막상 실체를 해부하고 보니 무사시도 출신욕과 명예욕에 사로잡힌 그저 단순한 사람일 뿐이었다. 그의 이도류도 많이 과장 된 측면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 소설들은 거의 이도류를 쓰지 않은 것은 무사사가 이도류를 사용 할 가치를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식으로 말하지만.
실제로는 자신도 그것이 미완의 검술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사용하지 않았다.
무사시에 대한 허상과 허구를 잘 파헤친 작품인 것 같다.



----
난세의 영웅, 미야모토 무사시 새창으로 보기
문화감상자JY ㅣ 2003-06-26 ㅣ 공감(3) ㅣ 댓글 (0)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는 것은 뱀이 민첩하기 때문이 아니다. 뱀은 개구리와 대면한 순간, 단지 노려보기만 한다. 그러나 이때 개구리는 정신을 잃고, 꼼짝도 못하게 된다. 이때 뱀은 개구리에게 다가가 그냥 삼키기만 한다.' 이 글은 일본의 국민작가 시바 료타로가 쓴 <미야모토 무사시>의 본문 중에 나오는 말이다. 바로 이 소설의 주인공이자 실존인물이었떤 미야모토 무사시를 설명하면서 작가는 그가 어떠한 인물이었는지, 예리한 비유로 우리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난세의 영웅들 특히, 어려운 세상에서 태어나 살아간 인물들의 이야기를 접할 때 우리들은 그 진솔함에 귀가 솔깃해진다.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도, 그 어떤시대 못지않게 난세라고 할 정도로 살아가기가 만만치만은 않은 곳이기에, 이런 이야기는 더욱 우리들에게 의미있게 다가온다. 이 책은 아무런 배경도, 후원자도 없이, 자기혼자서 떳떳이 홀로서기하여 입신한 한 로닌(떠돌이무사)의 인생여정을 통해 우리들에게 삶이란 어떠한 것이며, 또 난세를 살아가는 방법과 그 속에서의 성공이란 무엇인지를 이야기 해주고 있다.

이 책의 작가는 일본인들 사이에서 가장 존경받는 작가중 한 명이자, 최고의 인기작가이다. 이 작품도 이 같은 명성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고, 또 내용 설명은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이 책의 배경은 임진왜란 직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의 패권을 자기손에서 잃은후, 새로운 패권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장악하기 시작할 즈음인 에도막부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골서 태어나 이름없이 살던 어린 소년인 주인공이 어린시절 불우한 가정환경을 벗어나 무사(검객)로 살아나가는 인생역정이 아주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일견 평범한 역사 인물중의 한 명인 미야모토 무사시를 작가는 이책에서 다시 한 번 의미있게 바라볼수 있는 대상으로 그려 놓았다. 이 책의 주인공의 삶을 바라모며 다음과 같은 몇가지 교훈을 느낄 수가 있는데, 첫째, 그는 일개 로닌(무사)에 지나지 않은 신분이었지만, 일본 최고 무사가 되기 위해 평생 꿈꾸고 노력한점, 둘째, 에도막부시대의 난세를 살아갔으면서도 치밀한 노력과 적절한 처신을 통해서 시대의 흐름을 충분이 이용하면서 살았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사의 길을 가는 동안 최고의 검법을 갈고딱아 최고경지에 다다랐다는 것이다.

남들이 보기에는 한 명의 무사신분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 스스로는 어느 곳에도 평생 소속되지 않고 살다간 뚜렷한 의지와 목표의 인생을 살다간 인물을 그린 이 책은, 우리 독자들에게 인생 끝까지 자기 인생 목표를 위해 쉬지않고 노력하기를 독려해주는 것 같다. 작가는 이런 메시지를 전해주려 했던 것 같다. 즉, '타인을 의식하는 목표가 아닌 나 자신만의 목표를 찾아 추구하자. 그리고 그 달성을 위해 악착같이 노력하자. 그래야만, 진정 역사에 의미있는 삶을 살수 있고, 한번뿐인 인생을 후회없이 멋지게 살다가게 되는 것이다.' 라고 말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한국의 독자들도 주인공이 살았던 시대와 비교해, 그 못지 않게 힘든 세상의 흐름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때로는 삶에 지치고, 암울한 미래의 청사진 때문에 힘들어 하기도 한다. 그럴때, '시바 료타로' 의 <미야모토 무사시> 를 한 번 읽어 보는 건 어떨까? 나약해진 마음과 약해진 우리들의 의지력에 무언가 새로운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해 줄 수 있다고 믿는다. 여러분에게 이책의 일독을 권한다.
----

철저한 고증. 새창으로 보기
4min4 ㅣ 2003-09-26 ㅣ 공감(0) ㅣ 댓글 (0)
개인적으로 시바 료타로라는 일본 작가를 좋아한다. 그의 작품을 읽으면 마치 내가 실제로 보고 있는듯 한 느낌을 준다. 그만금 그의작품은 사실성과 역사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책 또한 일본 중세기의 미야모토 무사시라는 한 무사에 대해서 자세한 이야기를 늘어놓고 있다. 그의 출생에 대해서 시작해서 그와 대결을 펼쳤던 주변 인물들에 대한이갸기도 하고있다. 아무튼 그동안 제일의 무사니 이도류니 하는 식으로 추상적으로 인식되기만 했던 무사시에 대해서 좀더 확실한 형상을 보여주는 이책은 매우 유익한 책이었다. 그동안 알려진 그의 행적들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지만 그림에 소질이 있었다는 것들과 그의 행적에 근거가 될만한 사진자료들은 정말이지 꼭 필요한 것들이었다. 앞으로도 이런 종류의 보다 사실적인 내용의 역사 소설들이 나왔으면 좋겠다.
-----

내가 느낀 무사시는... 새창으로 보기
노자 ㅣ 2003-11-06 ㅣ 공감(0) ㅣ 댓글 (0)
오래 전 시바 료타로가 지은 <몽골 기행>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그의 글에 빠졌던 기억이 떠올랐다. 게다가 미야모토 무사시의 <독행도> (지금 기억으론 정확하지 않다) 를 읽고 나서 최고 고수로서의 품위와 내공이 느껴져 어떤 사람일까 궁금했었다. 그러던 차 무사시와 료타로가 만났으니 정말 멋진 한 편의 인생 역전 드라마가 나오지 않나 기대 속에 책을 펼쳤다. 그런데 결과는 의외로 실망 쪽에 가까웠다. 왜였을까?

나는 무사시가 최고 검객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공인된 살인을 하는 과정이 잘 이해되지 않았다. 신분이 낮은 그로서는 어차피 제한된 야망을 펼칠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이름을 날리기 위해서는 목숨을 건 결투의 승자가 될 수 밖에 없는데 그 과정이 전혀 감동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는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울 수도 없었다. (전쟁이 종료됬으므로) 그는 무엇을 위해 최고의 검객이 되었던 것일까?

사실 무사시의 인생엔 극적인 드라마가 없다. 그는 평생 여자를 가까이 한 것도 아니었고 의리를 나눈 벗이나 친구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 오직 최고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상대를 죽이지 않으면 안되는 비장함만이 있을 뿐이었다.(내가 보기엔) <베가본드>라는 만화에선 오히려 드라마틱한 요소를 살려서 무사시의 일생을 그리고 있다. 그래서 오히려 만화를 보면 사나이다운 그의 냄새가 느껴진다.

지극히 건조하고 딱 있는 그만큼의 사실을 고증하여 그려낸 료타로의 무사시! 아마 다음에 다시 읽게 된다면 그 땐 지금 보지 못한 감동을 찾아내는 눈이 생기게 될까?
----

너무나 사실적인 료타료의 무사시 평가 새창으로 보기
teatime ㅣ 2003-09-28 ㅣ 공감(0) ㅣ 댓글 (0)
미야모토 무사시... 이 사람에 관련된 저서는 정말 많다...무협지 비스므레한 책에서 타케이코 이노우에가 쓴 배가본드 만화책까지.. 그리고 올해 NHK사극도 미야모토 무사시..... 각각 보는 관점이 다르고 미화의 정도가 다르다.. 그 중에서 이 책이 가장 무사시에 대한 거품을 뺀 책이 아닐까 싶다.. 현재의 모습에서 과거의 흔적을 찾아내는 정확한 고증위주의 책을 쓰는 료타로이니 만큼 무사시에 대해서 제법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나도 그의 책을 통해서 새로운 점이나 내가 잘못알고 있던 점을 정정할 수 있었다..

이책을 읽고 나서 그에 대해 깨진 환상 두 가지... 평범한 지게 로닌이지만 딴 서적에선 그가 권력에 전혀 미련이 없는 듯이 행동했던 것으로 나와 이었으나 료타로는 다르게 보았다. 또 한 가지..숙적 사사키 고지로와의 결투에 대하여 무사시가 얼마나 신경을 썼는지 그는 쓰고 있다..하필 저번주 무사시(NHK) 에서 간류지마 결투가 나왔는데 무사시는 어쩔 수 없이 결투에서 고지로를 죽이나서 그를 꺼안고 잠시 괴로워 했던 것으로 나온다..

소설이란... 드라마란 이런 것이다.. 비록 무사시에 대한 환상은 조금 금이 갔지만 내가 알고 싶은 건 사실이니까.. 역시 료타로의 저서는 남다르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NHK드라마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왜 우리나라 사극엔 대궐이 나오지 않음 이야기가 안되는 걸까.. 주인공은 늘 왕, 왕비, 신하... 맨날 왕 나온다.. 맨날 경복궁 나온다.. 우리나라엔 평민 영웅이 없는 것인가. 없진 않을텐데.. 왜 다루지 않는 걸까..

비교하는 것 같아 좀 뭐하지만... 무사시를 보면서 늘 그런 기분이 든다. 물론 무사시엔 초기 에도시대이니 만큼 도쿠까와가 나온다. 그러나 주인공인 절대 아니다.. 내년엔 에도말기의 신선조가 주인공이란다.. 왜.. 우리는 장희빈 아니면 연산군..뭐.. 이런 시리즈의 연속일까... 아쉽다.. 이건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부족이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

알라딘: 미야모토 무사시

알라딘: 미야모토 무사시

미야모토 무사시
시바 료타로 (지은이) | 김성기 (옮긴이) | 창해 | 2005-01-24 | 원제 宮本武藏
-----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 에도 시대를 풍미한 검객이었다. 그는 혼란의 시대에 검술 하나로 이름을 얻은 범상치 않은 인물. 그는 쌍검을 사용하는 '니토류'를 개발했으며, 검술을 불교의 선을 바탕으로 한 도의 경지로 끌어올리고자 노력했다. 무사시가 직접 집필한 <오륜서>는 <손자병법>과 함께 동양의 2대 병법서로 유명하다.

일본 역사소설계의 거장 시바 료타로는 강건한 문체와 시원시원한 구성으로 무사시의 일대기를 그려나간다. 작가가 무사시의 고향을 찾아가는 장면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어린 시절과 각종 일화들, 일본 전역을 유랑하고 다닌 무사시의 족적을 냉철하게 조명하는 작가의 시선이 눈에 띈다.

작가 특유의 철저한 고증과 현장 답사가 돋보이며, 각 장면마다 각종 사진과 그림 자료들이 추가되었다.

1권

1. 성장 과정
2. 요시오카 검도장
3. 이치조 사의 결투
4. 호조인 유파
5. 별난 시합
6. 무소 곤노스케
7. 사사키 고지로
8. 제비를 베다
9. 교토에서 보낸 나날들
10. 고쿠라
11. 소귀나무
12. 결투
13. 간류지마 이야기
14. 오사카 전투
15. 호조 우지나가
16. 만년

----

무사시는 땅바닥에 머리를 부딪친 기헤에가 몸을 가누지 못하는 사이에 재빨리 몽둥이를 집어들어 그의 머리를 내리쳤다. 상대에게 숨돌릴 틈을 주면 자신이 죽을지도 모르는 것이다. 무사시는 상대의 깨진 머리에서 흰 점액이 흘러나와도 멈추지 않고 계속 내리쳤다. 이윽고 허리를 굽혀 상대가 숨이 끊어진 것을 확인한 뒤에야 겨우 동작을 멈추었다.
이런 잔인한 행동은 인간이 보일 수 있는 행동이 아니었다. 다른 뭔가에 의해 움직여진 것 같았다.
----

저자 : 시바 료타로 (司馬遼太郞)
수상 : 1959년 나오키상
최근작 : <패왕의 가문>,<료마가 간다 세트 - 전8권>,<료마가 간다 8> … 총 130종 (모두보기)
소개 :
1923년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후쿠다 사다이치(福田定一). 오사카 외국어 대학 몽고어학과를 마치고, 1959년 '올빼미의 성'으로 나오키 문학상을 받았다. 이어 1966년 발표한 <료마가 가다>로 기쿠지칸 문학상을 받았다. 1972년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 1983년 요미우리 문학상, 1984년 신초 문학상, 1987년 일본 예술상 등을 받으면서 국민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1987년 이후에는 일본 재계 최고경영자 상담역을 맡기도 했다. 1996년 생을 마쳤고, 1998년 '시바 료타로 상'이 제정되었다.

지은 책으로 <시바 료타로 전집>(전50권), <꿈꾸는 열도>, <막말의 암살자들>, <명치라는 국가>, <몽골의 초원>, <미야모토 무사시>, <세계속의 일본 일본속의 세계>', <세키가하라전투>, <소설 풍신수길>, <언덕 위의 구름>, <올빼미의 성>, <제국의 아침>, <타올라라 검>, <풍운의 성채>, <한나라 기행>, <항우와 유방>, <황제를 낚는 풍운아>, <나라 훔친 이야기> 등이 있다.
-----
총 : 14편
리뷰쓰기
----
가정법 새창으로 보기
승혜 ㅣ 2014-04-04 ㅣ 공감(0) ㅣ 댓글 (0)

어릴 적에 제가 무사시,무사시...운운하면 주변에서 빈축을 보냈지요.
마르고 허약한 여자애가 일본 최고 검객의 이름을 입에 자주 올리는 것이
어른들은 정말 가당치 않다고 생각하셨던 것같아요.
게다가 우리와 일본의 갈등은 지금도 거의 운명적인 것이니까요.

하지만 그렇게 철저한 사무라이의 생애를 어설픈 책으로나마 읽어본 체험이
어설프고 의지가 나약한 저에게는 일종의 강력한 자극이 되었어요.
목숨은 신명에 맡기고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다 해본다는 마음가짐이
한동안 정신 없이 휘몰아친 고난의 시기를 견뎌내게도 해주었구요.

-----

르포형식을 빌린 무사시의 주요사건정리 새창으로 보기
transient-guest ㅣ 2013-03-10 ㅣ 공감(4) ㅣ 댓글 (2)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이 낳은 수많은 검객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겠다. 동시대를 살았던 야규집안의 신카게류나 다른 유파들만큼 인정을 받고 널리 퍼지지는 못했지만, 그것은 그의 검법이 교습을 통해 학습될 수 있는 수준이 아닌, 그 개인의 천재성에 기인한 탓으로 보느니만큼, 당시 최고의 검객이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려울 듯 싶다. 검법을 일대일의 기예를 넘어서서, 병학의 수준으로까지 끌어오렸다고도 볼 수 있는데, 요시오카 집안과의 대결이나 저 유명한 간류지마에서 사사키 고지로오와의 대결을 보면, 확실히 검술이상, 그에게는 적의 심리와 지형지물을 이용한 종합적인 병학자로서의 냄새가 나기는 한다.

한창 무술을 좋아하던 시절, 특히 검도를 하던 때에는 오륜서를 끼고 살았더랬다. 그래봤자 무슨 깨달음을 얻은건 없고, 일종의 겉멋이었지 싶다. 스토리로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유명한 판본을 여러 차례 읽은 바 있어서, 매우 익숙하게 알고 있다고 본다.

시바 료타로도 일세를 풍미한 일본의 유명한 이야기꾼이라고 하겠는데, 이 책은 소설보다는 fact를 중심으로 무사시의 검생에서 중요한 일화들을 나름대로 해석하여 풀어낸 작품이다. 소설의 요소도 분명히 있지만, 르포에 더 가까운 듯, 이 책의 무사시는 일체의 신격화나 신비화가 덜어진, 소위 'down to earth'로써, 아마도 실제에 더 가까웠을 것으로 보이는 무사시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미야모토 무사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또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책에서 한 귀절을 읽다가 드보르쟙이나 준석이, 수조같은 애들이 생각났다.
'...무사시는 의식적으로 자기 자신을 전설적인 존재로 가꾸려고 했다. 전설은 이런 기이한 행동들이 모여서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전설이 결국 당사자를 존귀한 존재로 치장해준다...'

기이한 행동이 모인다고 드보르쟙 같은 사람이 존귀한 존재가 될 리는 없겠지만, 뭐 그렇다는 것이겠지? 자신을 띄우기 위한, 이슈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기.이.한. 행동과 말을 통해 전.설.이 만들어지기는 하겠다. 기.이.한.전.설.말이다.

----

자신만의 고유한 정기 새창으로 보기
이지리더이원종 ㅣ 2012-10-07 ㅣ 공감(0) ㅣ 댓글 (0)
'료마가 간다' 의 시바 료타로가 직접 미야모토 무사시의 고햐인 오카야마 현의 미야모토 마을에 찾아가 현장 답사를 하며, 사람들로부터 증언을 듣기도 하면서 무사시의 일생을 정리했다. 전 일본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검객으로 불리는 미야모토 무사시에 대한 소설은 많이 있지만 실제 그의 모습이 어땠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통해 꽤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다.
평생 60여 차례의 시합에서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던 무사시는 그러나 생각만큼 고상한 인물은 아니었던듯 싶다. 이미 13세때 만만치 않은 검객에게 결투를 신청해 잔인하게 죽이기도 했고, 일부러 시간보다 늦게 나타나 상대를 초조하게 하는 등, 상대를 제압하기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는 느낌도 준다.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애썼고 말년에는 벼슬자리를 욕심내기도 했다는 면면은 지금껏 알고있던 이미지와는 다르다.
그의 검술은 검술 자체에만 의미를 두지 않았다. 그의 과제는 검술가로 살면서 성불하는 것이기도 했다. 일생의 결투였던 사사키 고지로와의 대결은 어이없을 정도로 순식간에 끝났지만, 그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생각을 통해 전략을 짜냈는지가 무사시의 방식을 역시 보여준다. 한 방문객이 검술 수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무사시는 이렇게 대답했다.
- (다리의 높이가 달라져도) 다리의 폭은 똑같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생각하면 당연히 건널 수 있겠지만, 두려움과 같은 잡념 때문에 건너지 못하는 겁니다. 그런 잡념을 떨치고 마음을 비우는 것이 검술 수련입니다. (147쪽)
그의 검법은 기술이라기보다는 철학이라고 했다. 고지로 역시 기술에서는 대등했을 것이다. 무사시는 벼슬을 원했으나 그를 고용하지 못 한 것은 검법을 타인에게 가르쳐주기가 어려웠던 탓도 있다. 역시 뛰어난 무사였던 효고노스케는 무사시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했다.
-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을 수 있는 것은 개구리보다 민첩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뱀에게는 고유의 정기가 있어, 단지 노려보기만 해도 개구리는 풀숲에서 정신을 잃고 꼼짝도 못하게 됩니다. 그러면 뱀은 개구리에게 다가가 삼키기만 하면 되는 겁니다. 사자가 토끼를 잡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사시는 그 뱀이나 사자와 같은 인물입니다. (235쪽)

----

전설적 존재는 무사시 해부 새창으로 보기
jiknet ㅣ 2009-01-21 ㅣ 공감(0) ㅣ 댓글 (0)
그 동안 미야모토 무사시를 다룬 소설들을 보면 무사시가 평범한 인간상은 아니었다.
물론, 한 분야에서 맹위를 떨친 인물이 평범할 수는 없는 것이 당연하지만, 검술에 맞게 그의 인품또한 도를 깨우친 스님과 유사하게 그려졌다.
검선일여라고 해서 검을 통해 선을 깨치려는 그런 모습이었는데.
막상 실체를 해부하고 보니 무사시도 출신욕과 명예욕에 사로잡힌 그저 단순한 사람일 뿐이었다. 그의 이도류도 많이 과장 된 측면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 소설들은 거의 이도류를 쓰지 않은 것은 무사사가 이도류를 사용 할 가치를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식으로 말하지만.
실제로는 자신도 그것이 미완의 검술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사용하지 않았다.
무사시에 대한 허상과 허구를 잘 파헤친 작품인 것 같다.



----
난세의 영웅, 미야모토 무사시 새창으로 보기
문화감상자JY ㅣ 2003-06-26 ㅣ 공감(3) ㅣ 댓글 (0)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는 것은 뱀이 민첩하기 때문이 아니다. 뱀은 개구리와 대면한 순간, 단지 노려보기만 한다. 그러나 이때 개구리는 정신을 잃고, 꼼짝도 못하게 된다. 이때 뱀은 개구리에게 다가가 그냥 삼키기만 한다.' 이 글은 일본의 국민작가 시바 료타로가 쓴 <미야모토 무사시>의 본문 중에 나오는 말이다. 바로 이 소설의 주인공이자 실존인물이었떤 미야모토 무사시를 설명하면서 작가는 그가 어떠한 인물이었는지, 예리한 비유로 우리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난세의 영웅들 특히, 어려운 세상에서 태어나 살아간 인물들의 이야기를 접할 때 우리들은 그 진솔함에 귀가 솔깃해진다.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도, 그 어떤시대 못지않게 난세라고 할 정도로 살아가기가 만만치만은 않은 곳이기에, 이런 이야기는 더욱 우리들에게 의미있게 다가온다. 이 책은 아무런 배경도, 후원자도 없이, 자기혼자서 떳떳이 홀로서기하여 입신한 한 로닌(떠돌이무사)의 인생여정을 통해 우리들에게 삶이란 어떠한 것이며, 또 난세를 살아가는 방법과 그 속에서의 성공이란 무엇인지를 이야기 해주고 있다.

이 책의 작가는 일본인들 사이에서 가장 존경받는 작가중 한 명이자, 최고의 인기작가이다. 이 작품도 이 같은 명성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고, 또 내용 설명은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이 책의 배경은 임진왜란 직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의 패권을 자기손에서 잃은후, 새로운 패권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장악하기 시작할 즈음인 에도막부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골서 태어나 이름없이 살던 어린 소년인 주인공이 어린시절 불우한 가정환경을 벗어나 무사(검객)로 살아나가는 인생역정이 아주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일견 평범한 역사 인물중의 한 명인 미야모토 무사시를 작가는 이책에서 다시 한 번 의미있게 바라볼수 있는 대상으로 그려 놓았다. 이 책의 주인공의 삶을 바라모며 다음과 같은 몇가지 교훈을 느낄 수가 있는데, 첫째, 그는 일개 로닌(무사)에 지나지 않은 신분이었지만, 일본 최고 무사가 되기 위해 평생 꿈꾸고 노력한점, 둘째, 에도막부시대의 난세를 살아갔으면서도 치밀한 노력과 적절한 처신을 통해서 시대의 흐름을 충분이 이용하면서 살았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사의 길을 가는 동안 최고의 검법을 갈고딱아 최고경지에 다다랐다는 것이다.

남들이 보기에는 한 명의 무사신분에 지나지 않았지만, 그 스스로는 어느 곳에도 평생 소속되지 않고 살다간 뚜렷한 의지와 목표의 인생을 살다간 인물을 그린 이 책은, 우리 독자들에게 인생 끝까지 자기 인생 목표를 위해 쉬지않고 노력하기를 독려해주는 것 같다. 작가는 이런 메시지를 전해주려 했던 것 같다. 즉, '타인을 의식하는 목표가 아닌 나 자신만의 목표를 찾아 추구하자. 그리고 그 달성을 위해 악착같이 노력하자. 그래야만, 진정 역사에 의미있는 삶을 살수 있고, 한번뿐인 인생을 후회없이 멋지게 살다가게 되는 것이다.' 라고 말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한국의 독자들도 주인공이 살았던 시대와 비교해, 그 못지 않게 힘든 세상의 흐름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때로는 삶에 지치고, 암울한 미래의 청사진 때문에 힘들어 하기도 한다. 그럴때, '시바 료타로' 의 <미야모토 무사시> 를 한 번 읽어 보는 건 어떨까? 나약해진 마음과 약해진 우리들의 의지력에 무언가 새로운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해 줄 수 있다고 믿는다. 여러분에게 이책의 일독을 권한다.
----

철저한 고증. 새창으로 보기
4min4 ㅣ 2003-09-26 ㅣ 공감(0) ㅣ 댓글 (0)
개인적으로 시바 료타로라는 일본 작가를 좋아한다. 그의 작품을 읽으면 마치 내가 실제로 보고 있는듯 한 느낌을 준다. 그만금 그의작품은 사실성과 역사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책 또한 일본 중세기의 미야모토 무사시라는 한 무사에 대해서 자세한 이야기를 늘어놓고 있다. 그의 출생에 대해서 시작해서 그와 대결을 펼쳤던 주변 인물들에 대한이갸기도 하고있다. 아무튼 그동안 제일의 무사니 이도류니 하는 식으로 추상적으로 인식되기만 했던 무사시에 대해서 좀더 확실한 형상을 보여주는 이책은 매우 유익한 책이었다. 그동안 알려진 그의 행적들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지만 그림에 소질이 있었다는 것들과 그의 행적에 근거가 될만한 사진자료들은 정말이지 꼭 필요한 것들이었다. 앞으로도 이런 종류의 보다 사실적인 내용의 역사 소설들이 나왔으면 좋겠다.
-----

내가 느낀 무사시는... 새창으로 보기
노자 ㅣ 2003-11-06 ㅣ 공감(0) ㅣ 댓글 (0)
오래 전 시바 료타로가 지은 <몽골 기행>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그의 글에 빠졌던 기억이 떠올랐다. 게다가 미야모토 무사시의 <독행도> (지금 기억으론 정확하지 않다) 를 읽고 나서 최고 고수로서의 품위와 내공이 느껴져 어떤 사람일까 궁금했었다. 그러던 차 무사시와 료타로가 만났으니 정말 멋진 한 편의 인생 역전 드라마가 나오지 않나 기대 속에 책을 펼쳤다. 그런데 결과는 의외로 실망 쪽에 가까웠다. 왜였을까?

나는 무사시가 최고 검객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공인된 살인을 하는 과정이 잘 이해되지 않았다. 신분이 낮은 그로서는 어차피 제한된 야망을 펼칠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이름을 날리기 위해서는 목숨을 건 결투의 승자가 될 수 밖에 없는데 그 과정이 전혀 감동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는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울 수도 없었다. (전쟁이 종료됬으므로) 그는 무엇을 위해 최고의 검객이 되었던 것일까?

사실 무사시의 인생엔 극적인 드라마가 없다. 그는 평생 여자를 가까이 한 것도 아니었고 의리를 나눈 벗이나 친구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 오직 최고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상대를 죽이지 않으면 안되는 비장함만이 있을 뿐이었다.(내가 보기엔) <베가본드>라는 만화에선 오히려 드라마틱한 요소를 살려서 무사시의 일생을 그리고 있다. 그래서 오히려 만화를 보면 사나이다운 그의 냄새가 느껴진다.

지극히 건조하고 딱 있는 그만큼의 사실을 고증하여 그려낸 료타로의 무사시! 아마 다음에 다시 읽게 된다면 그 땐 지금 보지 못한 감동을 찾아내는 눈이 생기게 될까?
----

너무나 사실적인 료타료의 무사시 평가 새창으로 보기
teatime ㅣ 2003-09-28 ㅣ 공감(0) ㅣ 댓글 (0)
미야모토 무사시... 이 사람에 관련된 저서는 정말 많다...무협지 비스므레한 책에서 타케이코 이노우에가 쓴 배가본드 만화책까지.. 그리고 올해 NHK사극도 미야모토 무사시..... 각각 보는 관점이 다르고 미화의 정도가 다르다.. 그 중에서 이 책이 가장 무사시에 대한 거품을 뺀 책이 아닐까 싶다.. 현재의 모습에서 과거의 흔적을 찾아내는 정확한 고증위주의 책을 쓰는 료타로이니 만큼 무사시에 대해서 제법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나도 그의 책을 통해서 새로운 점이나 내가 잘못알고 있던 점을 정정할 수 있었다..

이책을 읽고 나서 그에 대해 깨진 환상 두 가지... 평범한 지게 로닌이지만 딴 서적에선 그가 권력에 전혀 미련이 없는 듯이 행동했던 것으로 나와 이었으나 료타로는 다르게 보았다. 또 한 가지..숙적 사사키 고지로와의 결투에 대하여 무사시가 얼마나 신경을 썼는지 그는 쓰고 있다..하필 저번주 무사시(NHK) 에서 간류지마 결투가 나왔는데 무사시는 어쩔 수 없이 결투에서 고지로를 죽이나서 그를 꺼안고 잠시 괴로워 했던 것으로 나온다..

소설이란... 드라마란 이런 것이다.. 비록 무사시에 대한 환상은 조금 금이 갔지만 내가 알고 싶은 건 사실이니까.. 역시 료타로의 저서는 남다르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NHK드라마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왜 우리나라 사극엔 대궐이 나오지 않음 이야기가 안되는 걸까.. 주인공은 늘 왕, 왕비, 신하... 맨날 왕 나온다.. 맨날 경복궁 나온다.. 우리나라엔 평민 영웅이 없는 것인가. 없진 않을텐데.. 왜 다루지 않는 걸까..

비교하는 것 같아 좀 뭐하지만... 무사시를 보면서 늘 그런 기분이 든다. 물론 무사시엔 초기 에도시대이니 만큼 도쿠까와가 나온다. 그러나 주인공인 절대 아니다.. 내년엔 에도말기의 신선조가 주인공이란다.. 왜.. 우리는 장희빈 아니면 연산군..뭐.. 이런 시리즈의 연속일까... 아쉽다.. 이건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부족이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

바람의 검, 신선조

바람의 검, 신선조

바람의 검,신선조-아버지의 모습

다양한 시선

바람의 검,신선조-아버지의 모습
http://simsulbo.egloos.com/1256402




지난 번 "라스트 사무라이"에 대한 영화평을 하면서 꼭 한 번 비교해서 이야기를 해야겠다고 생각한 영화가 있습니다. "바람의 검, 신선조"라는 일본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제목만 보면 사무라이 활극같이 보이지만 실제론 눈물나는 감동드라마입니다. 물론 사실적인 칼싸움 장면도 나오지만 영화는 무명의 한 시골 출신 사무라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영화의 시대적 배경은 "라스트 사무라이"와 비슷합니다. 오랜 기간의 막부통치가 끝나고 덴노(天皇)에게 실권이 넘어가던 시기를 배경으로 합니다. 당시 막부의 지시를 따르는 신선조(新選組:수도의 치안을 담당한 국가경찰조직)에 모리오카 출신의 요시무라 칸이치로(나카이 키이치)가 들어옵니다. 순박한 외모와 달리 그는 뛰어난 칼솜씨를 가지고 있습니다. 칸이치로의 사무라이 답지 못한 언행에 비위가 상한 신선조 최고의 검객 사이토 하지메(사토 코이치)는 요시무라 칸이치로를 꿰어 내 죽이려 하지만 놀라운 칼솜씨로 막아냅니다. 어쩔 수 없이 사이토는 요시무라를 더 두고 보기로 하는데 요시무라가 하는 짓이 점입가경입니다. 비굴하다 싶을 정도로 굽신거리기도 하고 돈에 강한 집착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칼솜씨 하나만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습니다.

그러던 중 신선조에도 위기가 닥칩니다. 막부가 마침내 덴노에게 권력을 내 주고 반란자의 위치에 서게 됩니다. 신선조의 많은 무사가 덴노편으로 가 버립니다. 사이토는 밀정 및 암살을 위해 거짓으로 신선조를 떠나 덴노편에 가담합니다. 그런데 평소 돈에 매우 집착하던 요시무라는 뜻밖으로 두 배의 급료보장에도 불구하고 신선조를 떠나지 않습니다. 비록 돈에 집착하고 다소 비굴한 듯 보이지만 요시무라는 진정한 사무라이였던 겁니다. 사이토는 요시무라의 묘한 매력에 끌립니다.

영화를 보실 분들을 위해서 그 외의 자세한 스토리는 더 이상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이 부분에서 영화는 역사적 사실 보다는 한 아버지의 삶에 초점을 맞춥니다. 요시무라는 시골 번의 검술선생을 하던 하급무사지만 뛰어난 검술과 무사로서의 자부심을 가진 사람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번에 기근이 들어 도저히 가족을 먹여살릴 수가 없어서 신선조로 들어간 것이었습니다. 그가 그토록 돈에 집착했던 이유가 여기 있었던 겁니다. 그의 희망은 오로지 가족과 함께 고향에서 행복하게 사는 겁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그는 때론 비굴함도 감수할 수 있었던 것이죠.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목숨을 건 아버지의 모습은 눈물겹습니다. 그는 겉으로 보기엔 순박하고 비굴해 보이지만 사무라이로서의 긍지를 저버리진 않습니다. 자신은 굶으면서도 동료들은 먹이는 인간적인 사람이지만 최후의 순간엔 혼자 칼을 들고 적진으로 뛰어드는 용기를 가진 사람입니다.

이 영화의 원작은 아사다 지로의 소설이라고 합니다. 아사다 지로는 "러브레터"와 "철도원" 우리나라 영화 "파이란"의 원작자입니다. 이 사람의 소설은 하나 같이 감동휴먼 드라마입니다. 애잔한 과거의 추억을 소재로 인간적인 주인공들의 얘기가 감동적으로 펼쳐집니다. 이 영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제목만 보고 사무라이 활극을 기대한 사람은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따뜻한 이야기를 보며 잔잔한 감동을 맛보고 싶은 분이라면 만족하실 겁니다. 덤으로 마지막 사무라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무라이 정신이 무엇인가를 엿볼 수도 있고 말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영화 속에 나오는 사이토 하지메는 실존인물이라고 합니다.

Bushido - Wikipedia

Bushido - Wikipedia
Bushido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is article is about the Japanese concept of chivalry. For other uses, see Bushido (disambiguation).
-----
This article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February 2011)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
Japanese samurai in armor, 1860s. Photograph by Felice Beato
Bushido (武士道?, "the way (or the moral) of the warrior") is a Japanese term for the samurai way of life, loosely analogous to the concept of chivalry in Europe. Just like the knights of Europe, the samurai had a code to live by that was also based in a moral way of life.
The "way" itself originates from the samurai moral values, most commonly stressing some combination of frugality, loyalty, martial arts mastery, and honor until death. Born from Neo-Confucianism during times of peace in Tokugawa Japan and following Confucian texts, Bushido was also influenced by Shinto and Zen Buddhism, allowing the violent existence of the samurai to be tempered by wisdom and serenity. Bushidō developed between the 16th and 20th centuries, debated by pundits who believed they were building on a legacy dating back to the 10th century, although some scholars have noted that the term bushidō itself is "rarely attested in premodern literature".[1]

Under the Tokugawa Shogunate, some aspects of warrior values became formalized into Japanese feudal law.[2]
The word was first used in Japan during the 17th century in Kōyō Gunkan.[3][4][5] It came into common usage in Japan and the West after the 1899 publication of Nitobe Inazō's Bushido: The Soul of Japan.[6]
In Bushido (1899), Nitobe wrote:
[…] Bushidō, then, is the code of moral principles which the samurai were required or instructed to observe […] More frequently it is a code unuttered and unwritten […] It was an organic growth of decades and centuries of military career. In order to become a samurai this code has to be mastered.

Nitobe was not the first to document Japanese chivalry in this way. In Feudal and Modern Japan (1896), historian Arthur May Knapp wrote: "The samurai of thirty years ago had behind him a thousand years of training in the law of honor, obedience, duty, and self-sacrifice.... It was not needed to create or establish them. As a child he had but to be instructed, as indeed he was from his earliest years, in the etiquette of self-immolation."[7]

Contents [hide]
1 Historical development of Bushido
1.1 Early history to 11th century
1.2 13th to 16th centuries
1.3 17th to 19th centuries
1.4 19th to 21st centuries

2 Tenets
2.1 Eight virtues of Bushidō (as envisioned by Nitobe Inazo)
2.2 Associated virtues

3 Modern translations

4 Major figures associated with Bushidō
4.1 Fictional characters

5 See also
6 References
7 External links and further reading
------
Historical development of Bushido[edit]

This section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May 2010)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Early history to 11th century[edit]
Main article: Bushido literature

Bushidō in Gyo-Kaisho style Kanji. Inscription contains 7 tenets of Bushido.
The Kojiki is Japan's oldest extant book. Written in 721, it contains passages about Yamato Takeru, the son of the Emperor Keikō. It provides an indication of early Japanese military values and literary self-image, including references to the use and admiration of the sword by Japanese warriors.
This early concept is further found in the Shoku Nihongi, an early history of Japan written in 797. The chapter covering the year 721 is notable for an early use of the term "bushi" (武士?) (albeit read as "mononofu" at the time) and a reference to the educated warrior-poet ideal. The Chinese term bushi had entered the Japanese vocabulary with the general introduction of Chinese literature, supplementing the indigenous terms tsuwamono and mononofu. It is also the usage for public placement exams.
An early reference to saburau—a verb meaning to wait upon or to accompany a person of high rank—appears in Kokin Wakashū, the first imperial anthology of poems published in the early 10th century. By the end of the 12th century, saburai ("retainer") had become largely synonymous with bushi, 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iddle and upper echelons of the warrior class.
Although many of the early literary works of Japan contain the image of the warrior, the term "bushidō" does not appear in early texts like the Kojiki. Warrior ideals and conduct may be illustrated, but the term did not appear in text until the Tokugawa period (1600-1868).[8]

13th to 16th centuries[edit]
From the literature of the 13th to 16th centuries, there exists an abundance of references to military ideals, although none of these should be viewed as early versions of bushido per se. Carl Steenstrup noted that 13th and 14th century writings (gunki monogatari) "portrayed the bushi in their natural element, war, eulogizing such virtues as reckless bravery, fierce family pride, and selfless, at times senseless devotion of master and man".
Compiled over the course of three centuries, beginning in the 1180s, the Heike Monogatari depicts a highly fictionalized and idealized story of a struggle between two warrior clans, the Minamoto and Taira, at the end of the 12th century—a conflict known as the Genpei War. Clearly depicted throughout the Heike Monogatari is the ideal of the cultivated warrior. The warriors in the Heike Monogatari served as models for the educated warriors of later generations, although the ideals depicted by them were assumed to be beyond reach. Nevertheless, during the early modern era, these ideals were vigorously pursued in the upper echelons of warrior society and recommended as the proper form of the Japanese man of arms.
Other examples of the evolution in the Bushidō literature of the 13th to 16th centuries included the Japanese:

Takeda Shingen, by artist Utagawa Kuniyoshi
The Message Of Master Gokurakuji - Hojo Shigetoki (1198–1261)
The Chikubasho - Shiba Yoshimasa (1350–1410)
The Regulations Of Imagawa Ryoshun - Imagawa Sadayo (1325–1420)
The Seventeen Articles Of Asakura Toshikage - Asakura Toshikage (1428–1481)
The Twenty-One Precepts Of Hōjō Sōun - Hojo Nagauji (1432–1519)
The Recorded Words Of Asakura Soteki - Asakura Norikage (1474–1555)
The Iwamizudera Monogatari - Takeda Shingen (1521–1573)
Opinions In Ninety-Nine Articles - Takeda Nobushige (1525–1561)
Lord Nabeshima's Wall Inscriptions - Nabeshima Naoshige (1538–1618)
The Last Statement of Torii Mototada - Torii Mototada (1539–1600)
The Precepts of Kato Kiyomasa - Kato Kiyomasa (1562–1611)
Notes On Regulations - Kuroda Nagamasa (1568–1623)
The sayings of Sengoku-period retainers and warlords such as Kato Kiyomasa and Nabeshima Naoshige were generally recorded or passed down to posterity around the turn of the 16th century when Japan had entered a period of relative peace. In a handbook addressed to "all samurai, regardless of rank", Kato states:
"If a man does not investigate into the matter of Bushido daily, it will be difficult for him to die a brave and manly death. Thus, it is essential to engrave this business of the warrior into one's mind well."
Kato was a ferocious warrior who banned even recitation of poetry, stating:
"One should put forth great effort in matters of learning. One should read books concerning military matters, and direct his attention exclusively to the virtues of loyalty and filial piety....Having been born into the house of a warrior, one's intentions should be to grasp the long and the short swords and to die."[9]
Naoshige says similarly, that it is shameful for any man to die without having risked his life in battle, regardless of rank, and that "Bushidō is in being crazy to die. Fifty or more could not kill one such a man". However, Naoshige also suggests that "everyone should personally know exertion as it is known in the lower classes".[9]

17th to 19th centuries[edit]

Miyamoto Musashi killing a giant creature, from The Book of Five Rings
Japan enjoyed a period of relative peace during the Tokugawa period from 1600 to the mid-19th century, also called the early modern or the "Edo". During this period, the samurai clas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policing and administration of the country under the Tokugawa shogunate. The bushidō literature of this time contains much thought relevant to a warrior class seeking more general application of martial principles and experience in peacetime, as well as reflection on the land's long history of war. The literature of this time includes:
The Last Statement of Torii Mototada (1539–1600)
Kuroda Nagamasa (1568–1623)
Nabeshima Naoshige (1538–1618)
Budo Shoshinshu (武道初心集) by Taira Shigesuke, Daidōji Yūzan (1639–1730)
Hagakure as related by Yamamoto Tsunetomo to Tsuramoto Tashiro.
Bugei Juhappan (武芸十八般)
A Book of Five Rings by Miyamoto Musashi
The Hagakure contains many sayings attributed to Sengoku-period retainer Nabeshima Naoshige (1537–1619) regarding Bushidō related philosophy early in the 18th century by Yamamoto Tsunetomo (1659–1719), a former retainer to Naoshige's grandson, Nabeshima Mitsushige. The Hagakure was compiled in the early 18th century, but was kept as a kind of "secret teaching" of the Nabeshima clan until was the end of the Tokugawa era (1867).[10] His saying, "I have found the way of the warrior is death", was a summation of the focus on honor and reputation over all else that bushido codified.[11]
Tokugawa-era rōnin scholar and strategist Yamaga Sokō (1622–1685) wrote extensively on matters relating to bushidō, bukyō (a "warrior's creed"), and a more general shido, a "way of gentlemen" intended for application to all stations of society. Sokō attempts to codify a kind of "universal bushidō" with a special emphasis on "pure" Confucian values, (rejecting the mystical influences of Tao and Buddhism in Neo-Confucian orthodoxy), while at the same time calling for recognition of the singular and divine nature of Japan and Japanese culture. These radical concepts—including ultimate devotion to the Emperor, regardless of rank or clan—put him at odds with the reigning shogunate. He was exiled to the Akō domain, (the future setting of the 47 Rōnin incident), and his works were not widely read until the rise of nation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aging Tsunetomo's interpretation of bushidō is perhaps more illustrative of the philosophy refined by his unique station and experience, at once dutiful and defiant, ultimately incompatible with the mores and laws of an emerging civil society. Of the 47, Rōnin—to this day, generally regarded as exemplars of bushido—Tsunetomo felt they were remiss in hatching such a wily, delayed plot for revenge, and had been over-concerned with the success of their undertaking. Instead, Tsunetomo felt true samurai should act without hesitation to fulfill their duties, without regard for success or failure.
This romantic sentiment is of course expressed by warriors down through history, though it may run counter to the art of war itself. This ambivalence is found in the heart of bushidō, and perhaps all such "warrior codes". Some combination of traditional bushidō's organic contradictions and more "universal" or "progressive" formulations (like those of Yamaga Soko) would inform Japan's disastrous military ambitions in the 20th century.

19th to 21st centuries[edit]

Recent scholarship in both Japan and abroad has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the samurai class and the bushidō theories that developed in modern Japan. Bushidō in the prewar period was often emperor-centered and placed much greater value on the virtues of loyalty and self-sacrifice than did many Tokugawa-era interpretations.[12] Bushidō was used as a propaganda tool by the government and military, who doctored it to suit their needs.[13] Scholars of Japanese history agree that the bushidō that spread throughout modern Japan was not simply a continuation of earlier traditions.
More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modern bushidō discourse originated in the 1880s as a response to foreign stimuli, such as the English concept of "gentlemanship", by Japanese with considerable exposure to Western culture. Nitobe Inazo's bushidō interpretations followed a similar trajectory, although he was following earlier trends. This relatively pacifistic bushidō was then hijacked and adapted by militarists and the government from the early 1900s onward as nationalism increased around the time of the Russo-Japanese War.[14]
The junshi suicide of General Nogi Maresuke and his wife on the death of Emperor Meiji occasioned both praise, as an example to the decaying morals of Japan, and criticism, explicitly declaring that the spirit of bushido thus exemplified should not be revived.[15]
During pre-World War II and World War II Shōwa Japan, bushido was pressed into use for militarism,[16] to present war as purifying, and death a duty.[17] This was presented as revitalizing traditional values and "transcending the modern".[18] Bushido would provide a spiritual shield to let soldiers fight to the end.[19] As the war turned, the spirit of bushido was invoked to urge that all depended on the firm and united soul of the nation.[20] When the Battle of Attu was lost, attempts were made to make the more than two thousand Japanese deaths an inspirational epic for the fighting spirit of the nation.[21] Arguments that the plans for the Battle of Leyte Gulf, involving all Japanese ships, would expose Japan to serious danger if they failed, were countered with the plea that the Navy be permitted to "bloom as flowers of death".[22] The first proposals of organized suicide attacks met resistance because while bushido called for a warrior to be always aware of death, but not to view it as the sole end, but the desperate straits brought about acceptance.[23] Such attacks were acclaimed as the true spirit of bushido.[24]
Denials of mistreatment of prisoners of war declared that they were being well-treated by virtue of bushido generosity.[25] Broadcast interviews with prisoners were also described as being not propaganda but out of sympathy with the enemy, such sympathy as only bushido could inspire.[26]
The famous writer Yukio Mishima was outspoken in his by-then anachronistic commitment to bushido in the 1960s, until his ritual suicide by seppuku after a failed coup d'état in November 1970.

Tenets[edit]

Bushidō expanded and formalized the earlier code of the samurai, and stressed frugality, loyalty, mastery of martial arts, and honor to the death. Under the bushidō ideal, if a samurai failed to uphold his honor he could only regain it by performing seppuku (ritual suicide).
In an excerpt from his book Samurai: The World of the Warrior,[27] historian Stephen Turnbull describes the role of seppuku in feudal Japan:
In the world of the warrior, seppuku was a deed of bravery that was admirable in a samurai who knew he was defeated, disgraced, or mortally wounded. It meant that he could end his days with his transgressions wiped away and with his reputation not merely intact but actually enhanced. The cutting of the abdomen released the samurai’s spirit in the most dramatic fashion, but it was an extremely painful and unpleasant way to die, and sometimes the samurai who was performing the act asked a loyal comrade to cut off his head at the moment of agony.
Bushidō varied dramatically over time, and across the geographic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the samurai, who represented somewhere between 5% and 10% of the Japanese population.[28] The first Meiji-era censu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ounted 1,282,000 members of the "high samurai", allowed to ride a horse, and 492,000 members of the "low samurai", allowed to wear two swords but not to ride a horse, in a country of about 25 million.[29]
Some versions of Bushidō include compassion for those of lower station, and for the preservation of one's name.[9] Early bushidō literature further enforces the requirement to conduct oneself with calmness, fairness, justice, and propriety.[9]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e way of the warrior is clearly articulated, one being a natural partner to the other.[9]
Other pundits pontificating on the warrior philosophy covered methods of raising children, appearance, and grooming, but all of this may be seen as part of one's constant preparation for death—to die a good death with one's honor intact, the ultimate aim in a life lived according to bushidō. Indeed, a "good death" is its own reward, and by no means assurance of "future rewards" in the afterlife. Some samurai, though certainly not all (e.g., Amakusa Shiro), have throughout history held such aims or beliefs in disdain, or expressed the awareness that their station—as it involves killing—precludes such reward, especially in Buddhism. Japanese beliefs surrounding the Samurai and the afterlife are complex and often contradictory, while the soul of a noble warrior suffering in hell or as a lingering spirit occasionally appears in Japanese art and literature, so does the idea of a warrior being reborn upon a lotus throne in paradise[30]

Eight virtues of Bushidō (as envisioned by Nitobe Inazo)[edit]

[31] The Bushidō code is typified by eight virtues:
Righteousness, Integrity (義 gi?)
Be acutely honest throughout your dealings with all people. Believe in justice, not from other people, but from yourself. To the true warrior, all points of view are deeply considered regarding honestly, justice and integrity. Warriors make a full commitment to their decisions.
Heroic Courage (勇 yū?)
Hiding like a turtle in a shell is not living at all. A true warrior must have heroic courage. It is absolutely risky. It is living life completely, fully and wonderfully. Heroic courage is not blind. It is intelligent and strong.
Benevolence, Compassion (仁 jin?)
Through intense training and hard work the true warrior becomes quick and strong. They are not as most people. They develop a power that must be used for good. They have compassion. They help their fellow man at every opportunity. If an opportunity does not arise, they go out of their way to find one.
Respect (礼 rei?)
True warriors have no reason to be cruel. They do not need to prove their strength. Warriors are not only respected for their strength in battle, but also by their dealings with others. The true strength of a warrior becomes apparent during difficult times.
Honesty and Sincerity (誠 makoto?)
When warriors say that they will perform an action, it is as good as done. Nothing will stop them from completing what they say they will do. They do not have to 'give their word'. They do not have to 'promise'. Speaking and doing are the same action.
Honour (名誉 meiyo?)
Warriors have only one judge of honor and character, and this is themselves. Decisions they make and how these decisions are carried out is a reflection of whom they truly are. You cannot hide from yourself.
Duty and Loyalty (忠義 chūgi?)
Warriors are responsible for everything that they have done and everything that they have said, and all of the consequences that follow. They are immensely loyal to all of those in their care. To everyone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y remain fiercely true.
Self-Control (自制 jisei?)
Associated virtues[edit]
Filial piety (孝 kō?)
Wisdom (智 chi?)
Fraternal Respect (悌 tei?)
-----
Modern translations[edit]
Modern Western translation of documents related to Bushidō began in the 1970s with Carl Steenstrup, who performed research into the ethical codes of famous Samurai clans including Hōjō Sōun and Imagawa Sadayo.[32]
Primary research into Bushidō was later conducted by William Scott Wilson in his 1982 text Ideals of the Samurai: Writings of Japanese Warriors. The writings span hundreds of years, family lineage, geography, social class and writing style—yet share a common set of values. Wilson's work also examined the earliest Japanese writings in the 8th century: the Kojiki, Shoku Nihongi, the Kokin Wakashū, Konjaku Monogatari, and the Heike Monogatari, as well as the Chinese Classics (the Analects, the Great Learning,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Mencius).
In May 2008, Thomas Cleary translated a collection of 22 writings on Bushido by warriors, scholars, political advisers, and educators, spanning 500 years from the 14th to the 19th centuries. Titled Training the Samurai Mind: A Bushido Sourcebook, it gave an insider's view of the samurai world: "the mor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warrior, the ethical standards they were meant to uphold, their training in both martial arts and strategy, and the enormous role that the traditions of Shinto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ad in influencing samurai ideals".

----
Major figures associated with Bushidō[edit]

Asano Naganori
Imagawa Ryōshun
Katō Kiyomasa
Sakanoue no Tamuramaro
Tadakatsu Honda
Tokugawa Ieyasu
Torii Mototada
Sasaki Kojirō
Saigō Takamori
Yamaga Sokō
Yamamoto Tsunetomo
Yamaoka Tesshū
Yukio Mishima
Hijikata Toshizō
Miyamoto Musashi
----
Fictional characters[edit]

Spike Spiegel
Ogami Ittō
Samurai Jack
Roronoa Zoro
Auron
Cyan Garamonde
Miyamoto Usagi
Kenshin Himura
Jubei Yagyu
---
See also[edit]
Budō
Hagakure
Hana wa sakuragi, hito wa bushi
Shudō
Japanese martial arts
The Unfettered Mind
Zen
Zen at War
---
References[edit]
Jump up ^ "The Zen of Japanese Nationalism", by Robert H. Shart, in Curators of the Buddha, edited by Donald Lopez, p. 111

Jump up ^ Japanese Feudal Laws John Carey Hall, The Tokugawa Legislation (Yokohama, 1910), pp. 286-319 Archived October 21, 2012, at the Wayback Machine.

Jump up ^ Willcock, Hiroko (2008). The Japanese Political Thought of Uchimura Kanzō (1861-1930): Synthesizing Bushidō,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Liberalism. Edwin Mellen Press. ISBN 077345151X. Koyo gunkan is the earliest comprehensive extant work that provides a notion of Bushido as a samurai ethos and the value system of the samurai tradition.

Jump up ^ Ikegami, Eiko, The Taming of the Samurai,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p. 278

Jump up ^ Kasaya, Kazuhiko (2014). 武士道 第一章 武士道という語の登場 [Bushido Chapter I Appearance of the word Bushido] (in Japanese). NTT publishing. p. 7. ISBN 4757143222.

Jump up ^ Friday, Karl F. "Bushidō or Bull? A Medieval Historian's Perspective on the Imperial Army and the Japanese Warrior Tradition" The History Teacher, Vol. 27, No. 3 (May, 1994), pp. 340

Jump up ^ Arthur May Knapp (1896). "Feudal and Modern Japan". Retrieved 2010-01-02.[dead link]

Jump up ^ "The Zen of Japanese Nationalism," by Robert H. Sharf, in Curators of the Buddha, edited by Donald Lopez, p. 111

^ Jump up to: a b c d e William Scott Wilson, Ideals of the Samurai: Writings of Japanese Warriors (Kodansha, 1982) ISBN 0-89750-081-4

Jump up ^ "The Samurai Series: The Book of Five Rings, Hagakure -The Way of the Samurai & Bushido - The Soul of Japan" ELPN Press (November, 2006) ISBN 1-934255-01-7

Jump up ^ Meirion and Susie Harries, Soldiers of the Sun: The Rise and Fall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p 7 ISBN 0-394-56935-0

Jump up ^ Eiko Ikegami. The Taming of the Samurai: Honorific Individualism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Jump up ^ Karl Friday. Bushidō or Bull? A Medieval Historian's Perspective on the Imperial Army and the Japanese Warrior Tradition. The History Teacher, Volume 27, Number 3, May 1994, pages 339-349.[1]

Jump up ^ Oleg Benesch.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o in Modern Japa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ISBN 0198706626, ISBN 9780198706625

Jump up ^ Herbert P. Bix,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p 42-3 ISBN 0-06-019314-X

Jump up ^ "No Surrender: Background History"
Jump up ^ David Powers, "Japan: No Surrender in World War Two"
Jump up ^ John W. Dower, War Without Mercy: Race & Power in the Pacific War p1 ISBN 0-394-50030-X
Jump up ^ Richard Overy, Why the Allies Won p 6 ISBN 0-393-03925-0
Jump up ^ Edwin P. Hoyt, Japan's War, p 334 ISBN 0-07-030612-5
Jump up ^ John Toland, The Rising Sun: The Declin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1936-1945 p 444 Random House New York 1970
Jump up ^ John Toland, The Rising Sun: The Declin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1936-1945 p 539 Random House New York 1970
Jump up ^ Edwin P. Hoyt, Japan's War, p 356 ISBN 0-07-030612-5
Jump up ^ Edwin P. Hoyt, Japan's War, p 360 ISBN 0-07-030612-5
Jump up ^ Edwin P. Hoyt, Japan's War, p 256 ISBN 0-07-030612-5
Jump up ^ Edwin P. Hoyt, Japan's War, p 257 ISBN 0-07-030612-5
Jump up ^ excerpt from Samurai: The World of the Warrior by Stephen Turnbull

Jump up ^ Cleary, Thomas Training the Samurai Mind: A Bushido Sourcebook Shambhala (May, 2008) ISBN 1-59030-572-8

Jump up ^ Mikiso Hane Modern Japan: A Historical Survey, Third Edition Westview Press (January, 2001) ISBN 0-8133-3756-9

Jump up ^ Zeami Motokiyo "Atsumori"
Jump up ^ Bushido: The Soul of Japan
Jump up ^ Monumenta Nipponica

External links and further reading[edit]

Oleg Benesch.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o in Modern Japa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ISBN 0198706626, ISBN 9780198706625

易經道 Yijing Dao, 鳴鶴在陰 Calling crane in the shade, Biroco - The Art of Doing Nothing, 2002-2012, 馬夏 Ma, Xia, et. al., [2]
"Bushido Arcade" a Contemporary translation of the Bushido [3]
William Scott Wilson, Ideals of the Samurai: Writings of Japanese Warriors (Kodansha, 1982) ISBN 0-89750-081-4
Training the Samurai Mind: A Bushido Sourcebook by Thomas Cleary 288 pages Shambhala (May 13, 2008) ISBN 1-59030-572-8 ISBN 978-1590305720
Katsumata Shizuo with Martin Collcutt, "The Development of Sengoku Law," in Hall, Nagahara, and Yamamura (eds.), Japan Before Tokugawa: Political Consolidation and Economic Growth (1981), chapter 3.
K. A. Grossberg & N. Kanamoto 1981, The Laws of the Muromachi Bakufu: Kemmu Shikimoku (1336) and Muromachi Bakufu Tsuikaho, MN Monographs (Sophia UP)
Hall, John C. "Japanese Feudal Laws: the Magisterial Code of the Hojo Power Holders (1232) ."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2nd ser. 34 (1906)
"Japanese Feudal laws: The Ashikaga Code."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1st ser. 36 (1908):
John Allyn, "Forty-Seven Ronin Story" ISBN 0-8048-0196-7
Imagawa Ryoshun, The Regulations of Imagawa Ryoshun (1412 A.D.) Imagawa_Ryoshun
Algernon Bertram Freeman-Mitford, 1st Baron Redesdale, Final_Statement_of_the_47_Ronin (1701 A.D.)
The Message Of Master Gokurakuji — Hōjō Shigetoki (1198A.D.-1261A.D.) Hojo_shigetoki
Sunset of the Samurai--The True Story of Saigo Takamori Military History Magazine
Onoda, Hiroo, No Surrender: My Thirty-Year War. Trans. Charles S. Terry. (New York, Kodansha International Ltd, 1974) ISBN 1-55750-663-9

An interview with William Scott Wilson about Bushidō
Bushidō Website: a good definition of bushidō, including The Samurai Creed
The website of William Scott Wilson A 2005 recipi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s Japan’s Foreign Minister’s Commendation, William Scott Wilson was honored for his research on Samurai and Bushidō.
Hojo Shigetoki (1198-1261)and His Role in the History of Political and Ethical Ideas in Japan by Carl Steenstrup; Curzon Press (1979)ISBN 0-7007-0132-X
A History of Law in Japan Until 1868 by Carl Steenstrup; Brill Academic Publishers;second edition (1996) ISBN 90-04-10453-4
Bushido — The Soul of Japan by Inazo Nitobe (1905) (ISBN 0-8048-3413-X)
Budoshoshinshu - The Code of The Warrior by Daidōji Yūzan (ISBN 0-89750-096-2)
Hagakure-The Book of the Samurai By Tsunetomo Yamamoto (ISBN 4-7700-1106-7 paperback, ISBN 4-7700-2916-0 hardcover)
Go Rin No Sho - Miyamoto Musashi (1645) (ISBN 4-7700-2801-6 hardback, ISBN 4-7700-2844-X hardback Japan only)
The Unfettered Mind - Writings of the Zen Master to the Sword master by Takuan Sōhō (Musashi's mentor) (ISBN 0-87011-851-X)
The Religion of the Samurai (1913 original text), by Kaiten Nukariya, 2007 reprint by ELPN Press ISBN 0-9773400-7-4
Tales of Old Japan by Algernon Bertram Freeman-Mitford (1871) reprinted 1910
Sakujiro Yokoyama's Account of a Samurai Sword Duel
Death Before Dishonor By Masaru Fujimoto — Special to The Japan Times: Dec. 15, 2002
Osprey, "Elite and Warrior Series" Assorted. [4]
Stephen Turnbull, "Samurai Warfare" (London, 1996), Cassell & Co ISBN 1-85409-280-4
Lee Teng-hui, former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China, "武士道解題 做人的根本 蕭志強譯" in Chinese,前衛, "「武士道」解題―ノーブレス・オブリージュとは" in Japanese,小学館,(2003), ISBN 4-09-3873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