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농업에 정당한 대가 보장돼야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생명농업에 정당한 대가 보장돼야가을걷이 감사미사와 도농한마당 잔치
김수나 기자 ( ssuk316@catholicnews.co.kr )
승인 2018.11.05 15:08 | 최종수정 2018.11.12 12:16
한 해 동안 생명농업을 위해 애쓴 농민들을 생각하고 농사의 결실을 도시 소비자들과 나누는 가을걷이 감사미사 및 도농한마당 잔치가 4일 명동대성당 일대에서 열렸다.
전국 13개 교구 가톨릭농민회와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 도시생활공동체 회원들이 참여한 이날 행사에서는 풍물패의 길놀이를 시작으로 각 교구별 농산물직거래 나눔 장터, 토종씨앗 전시, 먹을거리 나눔이 펼쳐졌다.
미사에 봉헌할 농산물을 준비하며 참가자들은 올해는 봄 가뭄과 여름 폭염, 가을 폭우로 그 어느 해보다 농민들이 농사를 지으며 애를 많이 태운 가운데서도 오늘같이 소중한 결실을 볼 수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
가톨릭농민회 강기갑 부회장은 “산모가 출산할 때 고통이 크지만 기쁨도 크기 때문에 즐거워하듯, 농민들도 농사지으면서 여러 가지 시련과 눈물, 한숨, 걱정이 많지만 수확의 기쁨이 그것을 다 넘어선다”면서 “자연재해를 이겨 낸 생명농산물들이 더 없이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소비자들이 알아주었으면 좋겠다”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말했다.
그는 이어 이 행사의 규모가 해마다 커지면서 농민들에게도 큰 힘이 되어 준다면서 “수확물의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식탁에 올려 주는 것이 농민들에게는 무엇보다 큰 기쁨이고 보람”이라고 말했다.
명동대성당 앞마당에 차려진 각 교구별 우리농산물 나눔장터. ⓒ김수나 기자
감사미사에 봉헌된 올해 생명농산물. ⓒ김수나 기자
대성전 주변과 성모동산, 가톨릭회관 앞마당에서 농산물과 먹거리 나눔이 펼쳐지는 가운데 각 교구 우리농 본부 사제단, 서울대교구 유경촌 보좌주교와 사회사목국 사제단이 함께 집전한 감사미사가 봉헌됐다.
유경촌 주교는 미사에서 농민의 수고로움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농업현실에 대한 도시 신자들의 구체적 실천을 강조했다.
유 주교는 “생명농업은 농민들만의 힘으로 가능하지 않고 농산물을 소비하는 도시의 신자들이 없다면 생명농업이 유지될 수 없다”면서 “도시의 신자들이 예수의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방법은 농민들이 생명농사의 보람을 느끼고 더 이상 지치지 않도록 농민들의 정성에 화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민들은 현재 쌀값이 밥 한 공기에 200원밖에 되지 않는데, 최소한 300원은 되어야 농사를 지속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도시 노동자들에게 최저 임금 보장이 중요하듯 농민들의 수고에 정당한 대가가 보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 주교는 농촌을 살린다는 것은 도시를 포함해 우리 모두를 살리자는 운동이기에 도시 신자들이 우리농 회원에 참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의정부교구 가톨릭농민회 홍정의 회장은 “신자분들이 유기농에 대한 개념이 좀 약한 것 같고, 농민에 대한 관심도 약해 보인다”면서 “단순히 농산물을 판매한다는 의미보다는 생명 먹거리, 친환경 농업을 소비자들이 더 많이 알고 느낄 수 있는 방안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보상으로 돈을 달라는 게 아니라 소비자들이 생명농업의 큰 뜻을 알아주면 좋겠는데 요즘 소비자들은 그런 의미를 벗어나서 농약을 뿌린 농산물과 자꾸 비교하니까 가슴 아플 때도 있다”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말했다.
미사에서 유경촌 주교는 농민의 수고에 정당한 대가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수나 기자
가톨릭회관 앞마당에 차려진 먹을거리 마당에서 음식을 준비하는 모습. ⓒ김수나 기자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2019/02/13
09 당당뉴스 [전석호의 생명농업 특강]
당당뉴스
|
|
|
허미영 한국의 생명농업운동에 미친 정농회의 영향
NAVER Academic > 한국의 생명농업운동에 미친 정농회의 영향
한국의 생명농업운동에 미친 정농회의 영향
The Effects of Right Farming Association on Bio-Agricultural Movement in KoreaAuthor허미영Affiliation신라대학교Journal
담론 201
view optionspp.27-58 ISSN 1225-0333Publisher한국사회역사학회 in 2009Cited Count1Partners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 NRF
FreeNRFPaid한국학술정보Library Links꽃동네대학교 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settingsCategorySocial Sciences > Sociology , Social Sciences >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Keywords정농회, 생명농업운동, 문화정체성운동, 대안문화, 발전적변화, Right Farming Association, RFA, Bio-Agricultural Movement, Cultural Identity Movement, Alternative Culture, Developmental Change, Right Farming Association(RFA)
Abstract
Contents
References
Cited Articles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유기농업에서 정통성을 지켜온 정농회의 활동을 생명농업운동, 특히 신사회운동의 일환인 문화정체성운동으로 규정하였다. 정농회는 기존의 주류농업방식에 저항하며 성경에 기초한 이웃사랑을 강령으로 채택한 독특한 농민단체이다. 정농회원으로서의 자부심이 높으며, 새로운 농업방식을 추구하고, 다른 농민단체와 추구하는 가치도 다르다. 또한 교육과 출판을 통하여 회원들의 의식교육 및 대안농업의 보급과 확산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농업방식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대안적인 공동체문화를 형성하는데 진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인적자원의 확보를 통한 세대교체 및 정농생협의 정상화를 통한 유통 활성화문제 등 향후 발전적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fines the activities of Right Farming Association(RFA), which has acquainted itself with organic farming-bio agricultural movement. It views those activities of RFA as a cultural identity movement, which is related to New Social Movements(NSM). RFA opposes the existing mainstream farming methods and pursues new farming methods. RFA is a unique, self-generated farmers` association which selected loving neighbors, the teaching from the Bible, as main principles. It`s pursuing values are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farming associations and takes pride in being part of RFA. It also takes advanced views toward not only farming methods but also building up community alternative culture in areas. It tries to raise awareness among the members through the spread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ve farming by publica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RFA finds solutions to a shift in generations by securing workforce and to activation of distribution by normalization of Jungnong-Coop to improve in the near future.
Contents
목차
한국의 생명농업운동에 미친 정농회의 영향 / 허미영 1
■ 국문요약 1
I. 문제제기 1
II. 이론적 논의 3
1. 신사회운동으로서의 생명농업운동 3
2. 문화적 정체성 이론의 적용 5
3. 연구방법 6
III. 정농회의 정체 지향적 특성 7
1. 정농회의 조직 7
2. 정농회의 이념 9
3. 정체 지향적 생명농업운동 10
4. 정농회원들의 조직참여와 만족도 13
IV. 정농회의 사회적 역할과 그 영향 16
1. 정농교육을 통한 생명농업운동의 확산 16
2. 지역중심의 대안공동체의 리더 17
3. 출판운동을 통한 대안문화의 확산 21
V. 정농회 생명농업운동의 전망 22
1. 정농이념지향과 현실과의 갈등 22
2. 정농생협의 활성화를 통한 유통지원 23
3. 정체성 담보와 지회활성화 24
VI/V. 결론 26
참고문헌 27
- Abstract - 31
References 44
1.
2003. "제28차 총회에 즈음하여."『정농소식』59. 1-3.
강대인.
2.
새로운 사회운동과 포스트모더니즘
(1995) 김병서 한국사회학
Sociology cited 0 times
3.
신사회운동의 제도화와 급진화 : 영국의 도로건설반대운동을 대상으로
(2000) 김성국 한국사회학
Sociology cited 6 times
4.
2006. "내생명이 다하는 날까지 농부이고 싶다."『 21세기와 정농정신』, 서울: 정농회. 30-35.
김수찬.
5.
1997. "한국의 유기농민단체 정농회에 관한 사례연구." International Farm Management 11(2). 767-781.
김종무.
6.
1999. "청년 정농인에게 고함."『정농회보』 21. 12-24.
김종북.
7.
2000. "예수 그리스도(정농)에 미친 사람."『정농회보』22. 52-60.
김준권.
8.
한국의 농업 위기와 대안농업 : 팔당생명살림을 중심으로
(2008) 김철규 et al. 농촌사회
Sociology cited 0 times
9.
한살림의 친환경농산물 그린마케팅 추진실태와 시사점
(2007) 김 호 한국유기농업학회지
Agriculture cited 0 times
10.
생협 생산자의 존재형태와 대안농산물체계의 모색 : 두레생협 생산자회를 중심으로
(2006) 김흥주 농촌사회
Sociology cited 0 times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