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06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Contemporary Cuba): Sinan Koont: 9780813054032: Amazon.com: Books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Contemporary Cuba): Sinan Koont: 9780813054032: Amazon.com: Books

$24.95

Buy Used
$11.85




“Pushed by necessity but enabled by its existing social and educational policies, Cuba in the 1990s launched the most extensive program of urban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world. This study is to date the only book-length investigation in either English or Spanish of this important national experiment in transforming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nature of today’s dominant system of producing food.”—Al Campbell, University of Utah
As large-scale industrial agriculture comes under increasing scrutiny because of its petroleum- and petrochemical-based input costs and environmentally objectionable consequence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sustainable, local, and agro-ecological techniques in food production. Cuba was forced by historical circumstances to be one of the pioneers in the massive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After the demi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1990s, Cuba was left without access to external support needed to carry on with industrial agriculture. The economic crisis led the country to reconsider their former models of resource management. Cuba retooled its agricultural programs to focus on urban agriculture—sustainable, ecologically sound farming close to densely populated areas. Food now takes far less time to get to the people, who are now better nourished because they have easier access to whole foods. Moreover, urban farming has become a source of national pride—Cuba has one of the best urban agriculture programs in the world, with a thousand-fold increase in urban agricultural output since 1994.
 
Sinan Koont has spent the last several years researching urban agriculture in Cuba, including field work at many sustainable farms on the island. He tells the story of why and how Cuba was able to turn to urban food production on a large scale with minimal use of chemicals, petroleum, and machinery, and of the successes it achieved—along with the continuing difficulties it still faces in reducing its need for food imports.
Sinan Koont is associate professor of economics at Dickinson College.
A volume in the series Contemporary Cuba, edited by John M. Kirk

-------------------


Product details

Series: Contemporary Cuba

Paperback: 254 pages
Publishe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Reprint edition (January 17, 2017)

2 customer reviews

3.3 out of 5 stars
3.3 out of 5 stars



Showing 1-2 of 2 reviews
Top Reviews

converger

2.0 out of 5 starsAn extraordinary missed opportunitySeptember 21, 2015
Format: HardcoverVerified Purchase

A lovely if densely academic narrative about one of the poster children for sustainable, large scale, grassroots urban food production.

Otherwise, pretty much useless. I was looking for real, quantifiable, longitudinal data about what, exactly, has been accomplished. How has this changed food availability and/or quality in Havana and elsewhere? What would be everyone's food situation be if this remarkable phenomenon had never happened?How much food gets produced? What kind? What percentage of nutritional requirements are being met, for how many people? What is the seasonal flow of food and nutritional support? Is there any infrastructure for transporting food beyond neighborhoods? Is there any infrastructure for preserving food, or is it all fresh food only? How much acreage is being cultivated? What's the size distribution of garden plots? How much fertilizer goes into producing food, and what kind? Are garden soils being built up, or depleted? How is everything distributed? If money changes hands, how much do things cost, and what percentage of available income is going to buy this food? How many people do the gardening, transport, and distribution? What is the total labor input for each step in the value chain? By conventional standards, what does the cost-benefit ratio look like? Assuming that it's not great by conventional standards, what other quantifiable benefits does this phenomenon provide? Will it survive the coming transition to a capitalist economy? What has been learned from this inspiring example of urban food that can be replicated and scaled elsewhere? Nobody has really tried to answer, or even ask any of these questions (at least not outside of Cuba). This book doesn't either.

The utter failure of this dense academic text to offer any useful results, combined with its atrocious writing style (not unusually so for an academic text) and ridiculous cost makes this book a poor choice for any serious researcher. That said, there's not much in English, good or bad, about this extraordinary story. Even an awful book is probably better than nothing.
Read les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Walter D. Teague

5.0 out of 5 starsAnother important book censored by price.April 23, 2013
Format: Hardcover

I would love to read this book, more than the few free pages shown above. But even at the "savings" of $67.46, I will defer until it comes to a library near me. Oops, that isn't going to happen what with austerity and continuing US opposition to anything good said about Cuba.

This outrageous price, $75 retail, is another example of the old British tradition of censorship by price. I read somewhere that for a long time the British kept the masses safe from dangerous liberating knowledge by printing serious works in hardcover which the plebes couldn't afford. In the US today, some of the best research and scholarly works continue to be published in limited circulation (by exorbitant price) academic journals. And not only do they keep their information safe from the eyes of the rabble, but they make sure the world processor files or God forbid PDF versions, safely locked up behind copy-write laws.

Don't believe there is a de facto conspiracy to keep complex facts from the public discourse? Go Google this subject and read the vast number of ill-informed and irrational comments on the subject of Cuba on web pages across the interne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The Ecology of Care: Medicine, Agriculture, Money, and the Quiet Power of Human and Microbial Communities - Kindle edition by Didi Pershouse, Peter Donovan. Professional & Technical Kindle eBooks @ Amazon.com.



The Ecology of Care: Medicine, Agriculture, Money, and the Quiet Power of Human and Microbial Communities - Kindle edition by Didi Pershouse, Peter Donovan. Professional & Technical Kindle eBooks @ Amazon.com.



What can Cuban doctors, innovative ranchers in Saskatchewan, and the microbiome teach us about how to care for people and the Earth at the same time?


In this richly layered book, Didi Pershouse takes us on a fast-moving, sharp-witted journey through her own life: from growing up with the neurosurgeon who accidentally discovered the seat of memory in the brain, to working in a smoke-filled office at New York magazine, to her career as an innovative acupuncturist in Vermont, and on to a passion for close-knit communities, grazing cows, and soil restoration as solutions to much of what ails us.

Along the way, she unfolds a surprising new take on the story of our time: how the germ theory of disease joined with a profit-based economy, and unwittingly led to a “sterilization” of medicine, agriculture, and even our social lives. This 150-year detour has brought about the near destruction of our climate as well as a great forgetting of the power of connection.

By documenting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intelligence of the whole, Pershouse nudges us awake with a hopeful view and shows us how to reclaim the rich, “fertile” lives we are meant for.

=============================

4.9 out of 5 stars 38 customer reviews

Length: 318 pages Word Wise: Enabled Enhanced Typesetting:Enabled
Page Flip: Enabled


-----------------------

Product details

File Size: 7240 KB
Print Length: 318 pages
Publication Date: April 8, 2017


38 customer reviews

4.9 out of 5 stars
4.9 out of 5 stars
------------------------------
Showing 1-8 of 38 reviews
Top Reviews

Adam D. Sacks

5.0 out of 5 starsAn elixir for the modern ills of body, mind and spirit . . .February 5,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Didi Pershouse is a healer living and practicing in a cozy small community in rural Vermont, surrounded by the natural world and its eloquent teachings. She uses acupuncture, herbs, the aromas from the kitchen in her home/office, the community at large, the biodiverse landscape around her -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her warm listening ear - as her trove of therapeutic modalities.

Reading The Ecology of Care is like sitting in Didi's living room having a chat and a cup of tea. Her friendly, articulate and flowing writing style invites you into her panoramic overview of our health dilemmas, personal and planetary. She addresses painful subjects gently and compassionately and offers long-forgotten alternatives that are as old as the human race. She takes on the daunting task of connecting all the pieces in our fractured modern puzzle to emerge with an ecology of health that connects our frontal lobes to our gut microbes to the air we breathe, the food we eat and the places we walk. Then she travels the dots to global warming, soils, and regenerating our life-support systems. Everything is truly, literally,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Our health is no different.

As she says about hunter-gatherer healing, "It's not the list of plants that one needs, nor even the list of illnesses that each plant treats - it's the living, ongo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practitioner, the herbs, the patient, and the landscape that form a whole system of indigenous health care." Didi has woven a story of how we can re-connect to our ancient ways of health, including the health of Mother Earth.

FULL DISCLOSURE: I have the good fortune of knowing Didi personally as a colleague in restoring ecosystems, and as a trained naturopathic physician I deeply appreciate her essential community healing perspective that is so often missing in the offices of medical "professionals" - including alternative practitioners who would like to do better but don't quite know how. The Ecology of Care is a thoughtful and heartfelt roadmap for our perilous times.
Read less

11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Carol Song

5.0 out of 5 starsHow to walk the earth.July 27,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So many superlatives come to mind that it is hard to settle my mind enough, to a place where it is plausible. Make no mistake. Didi saves lives and her work is non-stop and her heart is the size of Kansas. A recipe for the evolution of our way of living is absolutely necessary for us all. For those who live in cities and suburbs, it may be hard to imagine her clinic. Sitting in a comfortable chair and having acupuncture, her little doggie in your lap, and fresh vegetables from her garden when you leave is healing on so many levels. She took my hand and held me in her arms when I wept after getting a terrible cancer diagnosis. Western medicine gave me a 10% chance. Didi helped me find a 100% chance. To care about dirt, air, hearts, food sources and spirit is the walk I have chosen. This book is a wonderful how to and a whole lot of why. I would love to see this book go into every medical school in the world. Thank you Didi, for your hard work and care for so many people, and for sharing your wisdom for all to read.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Timothy ODell

5.0 out of 5 starsthe prose is nicely poetic at turns - worth looking forMarch 10,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Draws on a practitioner and citizen scientist's life experience and work to provide an integrated vision of health care, food, agriculture and climate - what they are and what they could be. If you do not yet see how all of these matters intersect, this is for you. And oh, the prose is nicely poetic at turns - worth looking for. This could become to human and environmental health what "A Sand County Almanac" is to environmentalism. Remember what Luther started with "95 Theses?" Read and consider. Carefully documented, like a scholarly publication, yet written for a a popular readership. You'll like it.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Michelle N

5.0 out of 5 starsAn Impactful Read!September 4,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 judge an impactful writer by my ability to retain what I read much after I have finished reading the last page. This book is so filled with knowledge, history, and an understanding of the whole picture, that it is constantly lingering in the background for me. Didi engages at first with her own personal story, one that so many of us can relate to when life isn't going so well. Then she weaves in her life discoveries, with factual history, and an insightful look at what we do on a daily basis, unexamined. A wholistic view of living on this planet. I have recommened it not only to my own accupucturist, but to others in the medical field as well. Kudos Didi, with a big thanks for walking the talk!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Yoyo

5.0 out of 5 starsRead it and share it with as many as you can!March 15,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Pershouse's book is a timely look at health care in our country seen in comparison to the state of our world and the health of the earth as a whole. It is full of hopeful ideas that we must urgently move towards implementing to save ourselves as well as our environment--it is not to late, but we must take action. This is an important work, with eye opening tales and we will all be better for reading it.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wami Asokananda

5.0 out of 5 starsInsightful, devasting, and hopefulOctober 6,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Have your hi-lighter at hand! There are so many eye-opening gems in this book. From Ms. Pershouse’s stories about her grandfather’s specialty of performing lobotomies to her profound insight to how everything is connected (from the soil to bacteria in our intestinal tract), I found this book guiding me on a journey to see my life and world more clearly. Seeing clearly means recognizing the troubled state of affairs we find ourselves in, and then seeing a way out of this mess. Didi has done her homework very well, and leaves us with confidence that healing is within our hand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Monica Jenkins

5.0 out of 5 starswhat will our future look like and will we even like that futureMarch 29,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This is an important addition to the ongoing discussion on what to do about Climate Change, what will our future look like and will we even like that future. Pershouse provides an indepth view of what problems are facing our existing healthcare structure and rather than just leave us in the doom and gloom provides suggestions on possible ways to move forward beyond the problems. A great read and a book I will certainly read again... and possibly a few more times beyond that. Looking forward to more by this author! Have given several as gifts to local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environmentalist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Timely. easy to read information everyone needs to hear.February 7,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A must read for anyone that cares about their own health, the health of others and the health of the planet. Beautiful written..and effortless read. Buy an extra copy for your healthcare provider.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ee all 38 reviews




Unfinished Puzzle: Cuban Agriculture: The Challenges, Lessons & Opportunities Kindle Edition
by May Ling Chan (Author), Eduardo Francisco Freyre Roach(Author)


4.0 out of 5 stars 1 customer review






Farming Cuba: Urban Agriculture From the Ground Up

Carey Clouse
4.2 out of 5 stars 3
Kindle Edition



Product details

File Size: 3341 KB
Print Length: 144 pages
Publisher: Food First Books (January 1, 2013)
Publication Date: January 1, 2013
S

1 customer review


lhnewton

4.0 out of 5 starsGood book on Cuban agricuture.September 15, 201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Haven't read all of this book, but it's a very interesting write-up of a report to the Cuban government. 
Eric Holt-
Gimenez has been active in this field from the beginning, and writes the introductio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알라딘: 내게 무해한 사람

[eBook]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지은이) | 문학동네 | 2018-07-30
공유
URL





-
종이책정가 13,500원
전자책정가 9,500원
-


ISBN 9788954652681
페이지 수 328쪽 (종이책 기준)
-



"<쇼코의 미소> 최은영 소설집"
첫 소설집 <쇼코의 미소>가 소설가 50인이 뽑은 '올해의 소설'로 선정되는 등, 그 시작만으로도 자신이 소설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가닿는 데에 성공한 소설가 최은영이 두번째 소설집을 냈다. "마음이 특별히 약해서 쉽게 부서지는 사람"들을 위한 이야기를 쓰고 싶다는 다짐에서, "인간의 어쩔 수 없는 마음, 그 마음으로 바라보며 왔다."는 단단한 다짐으로 이어지기까지, 최은영다운 일곱 편의 이야기가 기다림에 응답한다.

같은 충격을 받은 몸이어도 취약한 부분을 먼저 다치게 된다. 최은영이 들여다보는 곳은 바로 그 취약한 마음의 고리들이다. 최은영의 이야기들이 묘사하는 어떤 감정들을 기억하는 연한 마음들. 헤어지는 순간에도 '시위하듯 우는 것이 아닌' 울음소리를 내던 애인 수이(<그 여름> 中)를 기억하는 이경의 아픔. 너무 나쁘게 생각하지 말라는 친구 모래의 위로를 듣고 "너무 나쁜 사람들을 너무 나쁘다고 하지 그럼 뭐라고 얘기해?"라고 말하며 그런 내가 고의였고, 악의적인 마음을 품었음을 기억하는 마음. (<모래로 지은 집> 中) 미숙했던 지난 날의 한 순간, 그 마음의 흔들림을 최은영은 결코 외면하지 않고 정직하게 바라본다. 내 마음이 지나온 자리를 정확하게 들여다보는 그 용기가 우리의 삶이 지나온 자리를 비로소 긍정할 힘이 되어줄 것이다.
- 소설 MD 김효선 (2018.06.29)







-

eBook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최은영 소설집. 진심을 꾹꾹 눌러 담은 문장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은 소설을 쓰는 작가"(소설가 김연수), "재능 있는 작가의 탄생을 알리는 소설집"(소설가 김영하)이라는 평을 받은 강렬한 데뷔작 <쇼코의 미소> 출간 이후 2년 만에 두번째 소설집을 선보인다.

2016년 12월, 그해 나온 국내외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가 50인이 뽑은 '올해의 소설'에 선정되는 등 문단과 독자 모두에게 뜨거운 지지를 받아온 <쇼코의 미소>는 10만 부 돌파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 신인 작가의 첫 소설집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지금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러한 사실이 작가에게는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했을 터.

한 인터뷰를 통해 "소설이 더 발전하는 건 헛된 기대라고 생각하지만 지금보다 노력은 더 많이 하고 싶어요. (…) 오래 쓰는 작가가 되고 싶어요"라고 밝힌 것처럼, 이 젊은 소설가는 2년 동안 한 계절도 쉬지 않고 꾸준히 소설을 발표하며 자신을 향한 기대와 우려 섞인 시선에 '소설'로써 응답했다. 그렇게 발표한 일곱 편의 중단편소설을 다시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매만지며 퇴고한 결과물이 <내게 무해한 사람>이다.

특정한 시기에 여러 번 듣게 된 노래에는 강력한 인력이 있어 그 노래를 다시 듣는 것만으로도 당시의 기억이 함께 이끌려 나온다. <내게 무해한 사람>에 실린 일곱 편의 작품은 재생 버튼을 누르는 순간 잊고 있던 어떤 풍경을 우리 앞에 선명히 비추는, 한 시기에 우리를 지배했던 그런 노래 같은 소설들이다.





그 여름
601, 602
지나가는 밤
모래로 지은 집
고백
손길
아치디에서

해설│강지희(문학평론가)
끝내 울음을 참는 자의 윤리

작가의 말





첫문장
이경과 수이는 열여덟 여름에 처음 만났다. 시작은 사고였다.

그들은 오래도록 키스했다. 혀와 입술의 맛, 가끔씩 부딪치는 치아의 느낌, 작은 코에서 나오는 달콤한 숨결에 빠져서 시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조차 인지할 수 없었다. 자신의 몸이라는 것도, ‘나’라는 의식도, 너와 나의 구분도 그 순간에는 의미를 잃었다. 그럴 때 서로의 몸은 차라리 꽃잎과 물결에 가까웠다. 우리는 마시고 내쉬는 숨 그 자체일 뿐이라고 이경은 생각했다. 한없이 상승하면서도 동시에 깊이 추락하는 하나의 숨결이라고. _「그 여름」

네가 아픈 걸 내가 고스란히 느낄 수 있고, 내가 아프면 네가 우는데 어떻게 우리가 다른 사람일 수 있는 거지? 그 착각이 지금의 우리를 이렇게 형편없는 사람들로 만들었는지도 몰라요. _「그 여름」

늘 엄마를 만날 수 있었던 그때의 기다림을 윤희는 아프게 기억했다. 어른이 된 이후의 삶이란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 것들을 기다리고 또 기다려야 하는 일이었으니까. 윤희야, 온 마음으로 기뻐하며 그것을 기다린 자신을 반갑게 맞아주고 사랑해주는 것이 아니었으니까. _「지나가는 밤」






지은이 : 최은영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수상 : 2018년 한국일보문학상, 2017년 김준성문학상(21세기문학상, 이수문학상), 2017년 구상문학상 젊은작가상
최근작 : <모르그 디오라마>,<소설 보다 : 가을 2018>,<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18> … 총 34종 (모두보기)
인터뷰 : 마음의 자리, 소설의 자리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인터뷰 - 2018.07.04
소개 : 1984년 경기 광명에서 태어나 고려대 국문과에서 공부했다. 2013년 『작가세계』 신인상에 중편소설이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쇼코의 미소』가 있다. 허균문학작가상, 김준성문학상, 이해조소설문학상, 제5회, 제8회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





미숙했던 지난날의 작은 모서리를 쓰다듬는 부드러운 손길

『쇼코의 미소』의 작가 최은영 신작 소설집
2017 젊은작가상 수상작 「그 여름」 수록

진심을 꾹꾹 눌러 담은 문장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은 소설을 쓰는 작가”(소설가 김연수), “재능 있는 작가의 탄생을 알리는 소설집”(소설가 김영하)이라는 평을 받은 강렬한 데뷔작 『쇼코의 미소』 출간 이후 2년 만에 두번째 소설집을 선보인다. 2016년 12월, 그해 나온 국내외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가 50인이 뽑은 ‘올해의 소설’에 선정되는 등 문단과 독자 모두에게 뜨거운 지지를 받아온 『쇼코의 미소』는 10만 부 돌파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 신인 작가의 첫 소설집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지금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러한 사실이 작가에게는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했을 터. 한 인터뷰를 통해 “소설이 더 발전하는 건 헛된 기대라고 생각하지만 지금보다 노력은 더 많이 하고 싶어요. (…) 오래 쓰는 작가가 되고 싶어요”라고 밝힌 것처럼, 이 젊은 소설가는 2년 동안 한 계절도 쉬지 않고 꾸준히 소설을 발표하며 자신을 향한 기대와 우려 섞인 시선에 ‘소설’로써 응답했다. 그렇게 발표한 일곱 편의 중단편소설을 다시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매만지며 퇴고한 결과물이 『내게 무해한 사람』이다.
특정한 시기에 여러 번 듣게 된 노래에는 강력한 인력이 있어 그 노래를 다시 듣는 것만으로도 당시의 기억이 함께 이끌려 나온다. 『내게 무해한 사람』에 실린 일곱 편의 작품은 재생 버튼을 누르는 순간 잊고 있던 어떤 풍경을 우리 앞에 선명히 비추는, 한 시기에 우리를 지배했던 그런 노래 같은 소설들이다. 그렇게 불려 나온 풍경의 한편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히 멀어진 사람들―그 시절엔 붙어다니는 게 당연하고 자연스러웠던 친구와 연인, 자매와 친척 들―이 자리해 있고, 다른 한편에는 그런 시간의 흐름에도 마모되지 않은 마음이 박혀 있다. 아니, 더 정확히는 오해와 착각, 독선과 무지로 멀어지게 된 한 시절이 담겨 있다. 최은영은 이 미숙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인물들의 내면을 비추며, 그 안에서 거세게 일어났다 잦아드는 마음의 흔들림을 섬세하고 정직하게 써내려간다. 그리고 그들을 통해 우리는, 과거는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위치에서 끊임없이 재조정되며 다시 살아나는 것임을, 기억을 마주한다는 건 미련이나 나약함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단단한 용기에서 나오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넌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으려 하지.
그리고 그럴 수도 없을 거야. 넌 내게 무해한 사람이구나.”

시간이 흐른 뒤에야 제대로 마주하게 된 그 시절과
시간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그때의 마음
그 단단한 시간의 벽을 더듬는 사이 되살아나는
어설프고 위태로웠던 우리의 지난날

이번 소설집의 제목인 ‘내게 무해한 사람’은 “넌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으려 하지. 그리고 그럴 수도 없을 거야. 넌 내게 무해한 사람이구나”(「고백」)라는 문장에서 비롯되었다. 고등학생 때 만나 단단한 울타리 안에서 내밀한 감정을 공유하며 가까워진 미주와 진희. 미주는 진희가 타인의 감정에 예민하기 때문에 자신을 포함한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을 거라고, 진희가 어떤 사람인지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여기며 그 사실에 안도한다. 그러나 이어지는 문장은 이 안도와 행복이 얼마나 허약하고 오만한 인식 위에 세워진 것인지 드러내며 ‘내게 무해한 사람’이라는 제목의 의미를 다른 각도에서 조명한다. “미주의 행복은 진희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진희가 어떤 고통을 받고 있었는지 알지 못했으므로 미주는 그 착각의 크기만큼 행복할 수 있었다.”
그 시절 행복할 수 있었던 건 상대의 고통을 외면했기 때문이라는 자각. 지난 시절을 회상하는 인물의 목소리가 쓸쓸하게 들리다가도, 돌연 자기 자신을 몰아치듯 엄정한 태도를 획득하게 되는 건 이 때문이 아닐까. 즉 최은영의 소설에서 인물들이 과거를 불러내는 건 단순히 아름답던 그 시절을 추억하기 위함이 아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깨닫게 된 어떤 진실을 제대로 마주하기 위해서다. 지난 시절을 낭만화하지도, 자기 자신을 손쉽게 용서하지도 않아야 도달할 수 있는 이 깨달음은 이번 소설집 곳곳에서 마주할 수 있다.
소설집의 문을 여는 「그 여름」은 사랑에 빠지기 전의 삶이 가난하게 느껴질 정도로 상대에게 몰두했지만 결국 자신의 욕심과 위선으로 이별하게 된 지난 시절을 뼈아프게 되돌아보고, 「모래로 지은 집」의 화자는 이십대의 한 시절을 공유했지만 끝내 멀어져간 이들과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단순히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헤어지게 된 것이 아니라고, 그 헤어짐의 원인은 자신에게 있을지도 모른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이런 자각 앞에서도 우리는 끝내 따스함을 느끼고 위로를 건네받게 되는데, 그건 우리 모두 한 번은 어설프고 위태로웠던 그 시절을 지나왔기 때문일 것이다. 미숙함 탓에 상처를 주고받기도 했지만, 사람에게서만 받을 수 있는 위로가 있다는 것을, ‘나를 세상에 매달려 있게 해준다는 안심을 주는 존재’ 역시 그 시절 그 사람들이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 함께 성장해나갈,
우리 세대의 소설가를 갖는다는 것

레즈비언 커플의 연애담(「그 여름」), 억압적인 가부장적 분위기 속에서 자라온 두 여자아이의 이야기(「601, 602」), 악착같이 싸우면서, 가끔은 서로를 이해하면서 어린 시절을 보낸 두 자매의 이야기(「지나가는 밤」) 등 『내게 무해한 사람』에는 다양한 관계, 특히 여성들의 관계가 집중적으로 그려져 있다. 여성들의 사랑, 자매간의 애증, 숙모와 조카의 연대 등 여성과 여성이, 또는 여성과 사회가 맺는 다양한 관계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따스하고 섬세한 문장들 사이사이에 가로놓인 여성문제, 계급문제, 억압적인 남성 중심적인 문화의 문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사람의 체온과 꼭 같은 온기로, 타인의 고통에도 자신의 감정에도 무감각해진 우리의 마음을 뒤흔들고 끝내 우리를 위로하는 작가 최은영. 『내게 무해한 사람』은 이런 우리에게 필요한 소설가가 등장했음을 보여주는, 앞으로도 우리와 함께 호흡해나갈 젊은 소설가가 존재함을 알려주는 귀중한 사례에 해당할 것이다.


Sallie McFague - Wikipedia, an American feminist Christian theologian,



Sallie McFague - Wikipedia



Sallie McFagu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allie McFague (1933-) is an American feminist Christian theologian, best known for her analysis of how metaphor lies at the heart of how we may speak about God. She has applied this approach in particular to ecological issues, writing extensively on care for the earth as if it were God's ‘body’.


Contents
1Biography
2The language of theology
2.1Metaphor as a way of speaking about God
3McFague’s sources of new metaphors and models
3.1God as mother
3.2Care for creation – the world as God’s body
4Analysis – the nature and activity of God in McFague’s thought

Biography[edit]

McFague was born in May 1933 in Quincy, Massachusetts, United States. She gained a Bachelor of Arts degree in English Literature in 1955 from Smith College, and a Bachelor of Divinity degree from Yale Divinity School in 1959. She then went on to gain a Master of Arts degree at Yale University in 1960 and was awarded her Ph.D. in 1964 - a revised version of her doctoral thesis being published in 1966 as Literature and the Christian Life. She received the Litt. D. from Smith College in 1977. At Yale, she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dialectical theology of Karl Barth, but gained an important new perspective from her teacher H. Richard Niebuhr, with his appreciation of liberalism's concern for experience, relativity, the symbolic imagination and the role of the affections.[1] She is deeply influenced by Gordon Kaufman. Sallie McFague is Distinguished Theologian in Residence at the Vancouver School of Theology British Columbia, Canada. She is also Theologian in Residence at Dunbar Ryerson United Church in Vancouver, British Columbia. For thirty years, she taught at the Vanderbilt University Divinity School in Nashville, TN where she was the Carpenter Professor of Theology. She is a member of the Anglican Church of Canada.[2]

The language of theology[edit]

For McFague, the language of Christian theology is necessarily a construction, a human creation, a tool to delineate as best we can the nature and limits of our understanding of God. According to McFague, what we know of God is a construction, and must be understood as interpretation: God as father, as shepherd, as friend, but not literally any of these. Though such habits of language can be useful (since, in the Western world at least, people are more used to thinking of God in personal than in abstract terms[3]), they become constricting when there is an insistence that God is always and only (or predominantly) like this.

Metaphor as a way of speaking about God[edit]

McFague remarks, ‘theology is mostly fiction’,[4] but a multiplicity of images, or metaphors, can and should enhance and enrich our models of God. Most importantly, new metaphors can help give substance to new ways of conceiving God appropriately ‘for our time’,[5] and more adequate models for the ethically urgent tasks humankind faces, principally the task of caring for an ecologically fragile planet.

McFague remarks that: ‘we construct the worlds we inhabit, but also that we forget we have done so’.[6] In this light, her work is rightly understood as about ‘helping to unmask simplistic, absolutist, notions of objectivity’ in relation to the claims language makes about God.[7] And such images are usually not neutral: in McFague's understanding (and that of many feminist theologians),
images of God are usually embedded within a particular socio-cultural and political system, such as the patriarchal one feminist theology critiques extensively - she asserts that ‘there are personal, relational models which have been suppress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because of their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3]But the 'trick' of a successful metaphor, whether in science or theology, is that it is capable of generating a model, which in turn can give life to an overarching concept or world-view, which looks like a coherent explanation of everything – looks like ‘reality’ or ‘truth’. In McFague's view, this is how the complex of ‘male’ images for God has long functioned in the Christian West – but it has done so in a way that is oppressive for all but (privileged) men. So, the notion of God as 'father', 'lord' or 'king' now seemingly unavoidably conjures up oppressive associations of ‘ownership’, obedience and dependency, and in turn dictates, consciously or otherwise, a whole complex of attitudes, responses and behaviours on the part of theistic believers.

McFague’s sources of new metaphors and models[edit]

This understanding of the shifting nature of language in relation to God underpins McFague's handling of the 'building blocks' that have long been considered foundational to accounts of belief, primarily Scripture and tradition. But neither is privileged as a source of conversation about God for McFague - both ‘fall under experience’,[8] and are, in their different ways, themselves extended metaphors of interpretation or ‘sedimentations’ of a linguistic community's interpreted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Jesus - his parables, table fellowship and healing ministry in particular - makes him a rich source of the ‘destabilising, inclusive and non-hierarchical’ metaphors Christians might profitably borrow from him as paradigmatic, a ‘foundational figure’.[9] But he is not all they need. Experience of the world, and of God's relationship to it, must add to that illustration and re-interpret it in terms and metaphors relevant to those believers, changing how they conceive of God and thus care for the earth. As McFague remarks: ‘we take what we need from Jesus using clues and hints…for an interpretation of salvation in our time’.[10]

God as mother[edit]

Though McFague does use biblical motifs, her development of them goes far beyond what they are traditionally held to convey. She uses others, such as the notion of the world as God's body, an image used by the early church but which ‘fell by the wayside’ (according to British theologian Daphne Hampson[11]), in her search for models ‘appropriate’ to our needs. She stresses that all models are partial, and are thought-experiments with shortcomings: many are needed, and need to function together.[12] Her work on God as mother, for example, stresses that God is beyond male and female, recognising twin dangers: exaggeration of the maternal qualities of the mother so as to unhelpfully essentialise God (and by transference, women as well) as caring and self-sacrificing; or juxtaposition of this image to that of father, unhelpfully emphasising the gender-based nature of both male and female images for God. Nonetheless, she sees in it other connotations, which she maintains are helpful in re-imaging God in terms of the mother metaphor.

In particular, God as mother is associated with the beginning of life, its nurture, and its fulfilment. These associations allow McFague to explore how creation of the cosmos as something ‘bodied forth’ from God preserves a much more intimate connection between creator and created than the traditional model whereby the world is created ex nihilo and sustained by a God distanced and separate from the creation. However, this same ‘mother’ who ‘bodies forth’ the cosmos cares for it with a fierce justice, which demands that all life (not just humankind) has its share of the creator's care and sustenance in a just, ecological economy where all her creatures flourish. For McFague, God is the one ‘who judges those who thwart the well-being and fulfilment of her body, our world’.[13]

Care for creation – the world as God’s body[edit]

From this metaphor develops another: the metaphor of the world (or cosmos) as God's body. McFague elaborates this metaphor at length in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The purpose of using it is to ‘cause us to see differently’, to ‘think and act as if bodies matter’, and to ‘change what we value’.[14] If we imagine the cosmos as God's body, then ‘we never meet God unembodied’.[15] This is to take God in that cosmos seriously, for ‘creation is God’s self-expression’. Equally we must take seriously our own embodiment (and that of other bodies): all that is has a common beginning and history (as McFague puts it ‘we are all made of the ashes of dead stars’[16]), and so salvation is about salvation of all earthly bodies (not just human ones) and first and foremost about living better on the earth, not in the hereafter. Elaborating further, McFague argues that sin, on this view, is a matter of offence against other parts of the ‘body’ (other species or parts of the creation) and in that sense only against God, while eschatology is about a better bodily future (‘creation is the place of salvation, salvation is the direction of creation’[17]), rather than a more disembodied spiritual one. In this metaphor, God is not a distant being but being-itself, a characterisation that has led some to suggest McFague's theology is a form of monism. She defends her views as not monist but panentheist.[18] The world seen as God's body chimes strongly with a feminist and panentheist stress on God as the source of all relationship, while McFague's understanding of sin (as essentially a failure of relationality, of letting other parts of the created order flourish free of our control) is also typically panentheist.

Analysis – the nature and activity of God in McFague’s thought[edit]

McFague's panentheistic theology stresses God as highly involved in the world (though distinct from it), and concerned (as seen in the life of the paradigmatic Jesus, for example) to see all of it brought to full enjoyment of the richness of life as originally intended in creation.
This is not the omnipotent, omniscient and immutable God of classical theismand neo-orthodoxy: for McFague, God is not transcendent in any sense that we can know. This has led some critics to ask whether McFague's theology leaves us with anything that may properly be called God at all. British theologian Daphne Hampson notes ‘the more I ponder this book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the less clear I am that it is theistic’.[19]

A theology where God as creator does not stand ‘over against’ the creation tends to shift the focus away from God as personal. In which Jesus is a paradigm individual rather than the unique bearer of godlikeness. The role of the Spirit is emphasised in her theology, though there is little sense in which this is uniquely the spirit of Jesus. God as Spirit is not primarily the initiator of creation, but ‘the empowering, continuing breath of life’.[20]

It follows, too, from this metaphor of God as involved in the world that traditional notions of sin and evil are discarded. God is so much part of the process of the world and its agencies’ or entities’ ‘becoming’ that it is difficult to speak of ‘natural disasters’ as sin: they are simply the chance (as viewed by human observers) trial-and-error ways in which the world develops. As McFague sees it, ‘within this enlarged perspective, we can no longer consider evil only in terms of what benefits or hurts me or my species. In a world as large, as complex, and with as many individuals and species as our planet has, the good of some will inevitably occur at the expense of others’.[21] And because the world is God's body, evil occurs in and to God as well as to us and the rest of creation.[22]

Correspondingly, the notion of the individual in need of God's salvation is anachronistic in a world ‘from’ which that individual no longer need to be saved, but rather ‘in’ which he or she need to learn how to live interrelatedly and interdependently. Redemption is downplayed, though not excluded: McFague emphasises, characteristically, that it ‘should include all dimensions of creation, not just human beings’ and that it is a fulfilment of that creation, not a rescue from it.[7] This of course brings about a radical shift in the significance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whose resurrection is primarily if not exclusively a validation of continued human embodiment. There is, too, an insistence on realised, not final, eschatology. The earth becomes the place ‘where we put down our roots’,[23] and we live with ‘the hope against hope’[24] that all will participate in the resurrection of all bodies. However, God is presently and permanently with humankind: we are ‘within the body of God whether we live or die’.[22]

Criticism[edit]

Trevor Hart, a theologian from the Barthian tradition, within which McFague herself situated her early work, claims her approach, while it seeks to develop images that resonate with ‘contemporary experiences of relatedness to God’,[25] shows her to be ‘cutting herself loose from the moorings of Scripture and tradition’ and appealing only to experience and credibility as her guides. Human constructions determine what she will say about God – her work is mere anthropologising.[26] The lack of a transcendent element to her work is criticised by David Fergusson as ‘fixed on a post-Christian trajectory’.[27]

McFague defends her approach as simply being about a refocusing, a ‘turn of the eyes of theologians away from heaven and towards the earth’.[7] She insists on a relevant theology, ‘a better portrait of Christian faith for our day’,[28] and reminds us that her approach is not intended as a blueprint, but a sketch for a change in attitude.[29]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disclosive power of such a shift in emphasis will be tested, and can successfully influence Christians’ approach to caring for the earth and all its inhabitants.

Select Bibliography[edit]

Literature and the Christian Life. Yale: Yale University Press (1966) [30]

Speaking in Parables: A Study in Metaphor and Theology.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5) [30]

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31]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7) [32]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33]

Super, Natural Christians: How we should love nature. London: SCM (1997) [34]

Life Abundant: Rethinking Theology and Economy for a Planet in Peril (Searching for a New Framework).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2000) [35]

A New Climate for Theology: God, the World and Global Warming.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2008) [36]
-------------

References[edit]

^ "Boston Collaborative Encyclopedia of Western Theology". people.bu.edu.
^ "Dr. Sallie McFague: Distinguished Theologian in Residence". vst.edu. Vancouver School of Theology. Retrieved November 21, 2015.
^ Jump up to:a b McFague, Sallie (1982) 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21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xi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3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6
^ Jump up to:a b c Article An Earthly Theological Agenda at website of The Christian Century magazine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42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36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45
^ Hampson, Daphne (1990) Theology and Feminism. Oxford: Basil Blackwell, 158
^ Article The World as God’s Body at website of The Christian Century magazine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1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viii and 17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84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44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viii and 180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47 – 55
^ Hampson, Daphne (1990) Theology and Feminism. Oxford: Basil Blackwell, 160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55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75
^ Jump up to:a b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76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211
^ McFague, Sallie (1993)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210
^ Hart, Trevor (1989) Regarding Karl Barth: Essays Toward a Reading of his Theology. Carlisle: Paternoster, 181
^ Hampson, Daphne (1990) Theology and Feminism. Oxford: Basil Blackwell, 159
^ Fergusson, David (1998) The Cosmos and the Creator. London: SPCK, 8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4
^ McFague, Sallie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22
^ Jump up to:a b McFague, Sallie (8 April 1966). "Literature and the Christian life". Yale University Press – via Amazon.
^ Mcfague, Sallie (1 January 1959). "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Augsburg Fortress – via Amazon.
^ results, search (1 August 1987). "Models of God: Theology for an Ecological, Nuclear Age". FORTRESS PRESS – via Amazon.
^ Mcfague, Sallie (25 July 2006).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Augsburg Fortress – via Amazon.
^ results, search (5 September 2000). "Super, Natural Christians: How We Should Love Nature". Augsburg Fortress Publishers – via Amazon.
^ results, search (1 November 2000). "Life Abundant (Searching for a New Framework): Rethinking Theology and Economy for a Planet in Peril". FORTRESS PRESS – via Amazon.
^ results, search (1 May 2008). "A New Climate for Theology: God, the World, and Global Warming". Fortress Press – via Amazon.

혼자 잘해주고 상처 받지 마세요 - 사소한 일에 욱한다면 확인할 3가지 - 정신의학신문-의사들이 직접 쓰는 정신 & 건강 뉴스

혼자 잘해주고 상처 받지 마세요 - 사소한 일에 욱한다면 확인할 3가지 - 정신의학신문-의사들이 직접 쓰는 정신 & 건강 뉴스





혼자 잘해주고 상처 받지 마세요 - 사소한 일에 욱한
다면 확인할 3가지
유은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승인 2019.01.04 08:59



[정신의학신문 : 유은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분노는 정신의학적으로 내가 처해진 상황이 ‘불공평’하다는 인지를 하면서 발생되는 감
정의 표현입니다.
밖으로 분노의 에너지가 향하게 되면 분노조절이 어려워지고 사소한 일에도 폭발하는
반응을 보이기 쉽습니다. 반면, 분노가 내 안으로 향하게 되면, 자기 자신을 공격하고 무
기력하게 만들면서 우울해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분노와 우울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불공평한 나의 상황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처 난 내 마음을 돌아보라는 시그널(신호)인 것입니다.
혼자 잘해주고 상처 받게 되면 사소한 일로 욱하게 되고 오히려 스스로 더 힘들어지게
됩니다. 사소한 일에 상처를 잘 받는다면 다음의 세 가지를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댓글 2 트위터 페이스북
새해를 함께 맞이하지 못한 우리의 동료에
정신과 의료진은 넥타이를 하지 않습니다.
2018년의 마지막 날, 참으로 참담한 소식을
아이들은 어떤 꿈을 꿀까? - 연령별 꿈
밤을 새우면 우울증에 도움이 된다(연구)
우리는 정신질환자 곁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새해맞이 계획과 작심삼일의 심리
섬망과 치매의 차이 - 섬망이 치매로 진행하
혼자 잘해주고 상처 받지 마세요 -



사소한 일
[Doctor's Mail] 아이를 이른 시기에 기관에
유가족의 숭고한 애도, '그를 증오하지
1/6/2019 혼자 잘해주고 상처 받지 마세요 - 사소한 일에 욱한다면 확인할 3가지



첫째, 같은 마음, 같은 입장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나는 상대방에게 늘 최선을 다하지만 그들은 내게 잘해주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람은 이기적이기도 하지만 상대가 같은 입장일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장과 종업
원, 상사와 부하 직원, 엄마와 자식,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서로 같은 입장일 수 없습니
다. 나와는 다른 입장이라는 것을 이해하면서 기대하는 것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신과 의사인 저를 보고 주변에서 상처 안 받을 것 같다고 하시는데, 유난히 직원들에
게 상처를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직원들이 직장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오히려 내가 돌보아 주어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하고 보살펴주
니 관계가 개선되었습니다.
직원들이 내 편이 되어주지 않는다고 섭섭하다는 생각이 들
지 않고 오히려 내가 돌봐주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지니 상처를 덜 받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자신의 욕구를 솔직하게 표현하라.
대가를 바라지도 기대하지도 말아야 합니다. 


시어머니에게 늘 김치를 해드리는 환자 분
이 있었는데 한 번은 김치를 담가 갔더니 게장을 담가오라고 하셨답니다. 허리를 다쳐
서 게장을 담글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에 나중에 허리 나빠진 탓을 하지 말고, 게장은
그냥 사가라고 했습니다.
그분이 게장 사갔을까요? 시어머니가 자기가 담근 게장과 사간 게장의 맛을 아신다고
계속 고민했습니다. 상담 끝에 “어머니 제가 명품 게장 사왔어요. 이번에만 드세요.”라
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남의 눈치 보지 말고 자기 욕구를 솔직하게 얘기해야 해야 합니다. 병이 난 후에 남
의 탓하지 말고 자신을 챙기십시오. 누구든지 각자의 짐은 각자가 져야 합니다. 자기가
되도록 할 수 있을 만큼 잘해드리는 것이 각자 자기 짐을 지는 것입니다.



세 번째, 기대가 없으면 상처도 없다.
큰 잘못이나 비난을 마주했을 때 상처 받는 것이 아니라, 내 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
나를 챙겨줄 거라고 생각했던 사람의 사소한 말을 통해 상처 받습니다.


 진료실에서 만난 워킹 맘이 있었습니다. 새로운 직원을 열심히 가르치고 챙겨주었는데
어느 날, 아이가 아파서 응급실에 다녀오느라 늦게 출근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부
하 직원이 자기를 보고는 “애기는 괜찮아요?”라고 묻지도 않고 쌩 하니 가버리자 마음이
상했습니다
. 그 직원을 볼 때마다 화가 나서 회사에 다닐 수가 없어 병원을 찾았습니다.
“그 직원은 결혼했나요?” 제가 이야기를 한참 듣고 물었습니다. 그 부하 직원은 결혼을
하지 않아 엄마가 애를 들쳐 업고 병원에 가는 것조차 상상 못 했을 것입니다
. 회사에
들어온 지 몇 달이 안 되어 일도 파악이 잘 안 되고, 상사가 왔을 때 그런 말을 해야
되는지조차 모를 수 있습니다.
제 말을 다 듣고 나니 그녀는 부하 직원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화는 누그러졌
고 부하직원을 다시 볼 자신이 생겼습니다. 상대방의 마음은 항상 내 마음 같지 않습니
다. 인간관계의 원칙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서 상대방은 나와 다르고 그 고유함을 있
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합니다. 자주 욱하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이점을 기
억하고 자신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상처를 덜 받아야 합니다.

일본 대기업 사장의 생전 장례식…고령화 사회의 ‘종활’ 바람 : 일본 : 국제 : 뉴스 : 한겨레





일본 대기업 사장의 생전 장례식…고령화 사회의 ‘종활’ 바람 : 일본 : 국제 : 뉴스 : 한겨레





일본 대기업 사장의 생전 장례식…고령화 사회의 ‘종활’ 바람



등록 :2017-11-22 16:25수정 :2017-11-22 21:20



종활의 일종인 생전 장례식으로 화제

“암 수술 불가 연명 치료 안받겠다.

생전에 감사의 마음 전하겠다” 광고

아직 이례적이지만 2010년께부터 유행





안자키 사토루 전 고마쓰 사장이 신문에 감사의 모임이라는 이름으로 낸 ‘생전 장례식’ 광고

-------------

“10월 초 몸 상태가 좋지 않아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니 예상치 못하게 담낭암이 발견됐습니다. 폐 등에 전이돼 수술은 불가능하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아직 기력이 있을 동안 여러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싶어 감사의 모임을 개최하려 합니다.”



대기업 회장의 이례적 ‘생전 장례식’이 일본 사회에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생전 장례식을 여는 이는 건설 기계로 유명한 대기업 고마쓰의 전 사장 안자키 사토루(80)다. 안자키 전 사장은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실은 광고에서 “남은 시간 삶의 질을 우선하겠다”며 “약간의 연명 효과가 있다고는 하지만 부작용 가능성이 있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제 치료는 받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1961년 고마쓰 입사 뒤 퇴임한 2005년까지 40여년 동안 신세를 진 이들 그리고 퇴임 뒤 여생을 같이 즐긴 이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도 했다. 그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사장을 역임하고 이후 회장과 고문 격인 상담역을 거쳤다. 퇴임 뒤에는 강연활동 등을 해왔다. <마이니치신문>은 대기업 사장 출신이 생전 장례식을 여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며, 인터넷에서는 인생의 마지막을 정리하기 위한 활동이라는 뜻의 ‘종활’(終活)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전했다.







안자키 사토루 전 고마쓰 사장일본에서 ‘생전 장례식’은 에도 막부 시대에도 간혹 있었다고 할 만큼 역사가 오래됐지만, 활발해진 것은 고령화 사회가 진전된 최근의 일이다. 연예인들이 이벤트 형식으로 여는 경우가 많았다. 전 적군파 의장으로 지난 14일 숨진 시오미 다카야가 2010년 연 생전 장례식도 화제를 모았다. 시오미는 여객기를 납치해 북한으로 간 1970년 ‘요도호 사건’ 등을 주도한 일로 19년을 복역한 뒤 노년에는 주차관리원으로 일하며 시민운동도 했다. 그의 생전 장례식은 오키나와 미군 기지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 자금 모금을 겸한 것이었다. 생전 장례식은 주위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목적이 크기 때문에 사후에 작더라도 다시 장례식을 여는 경우도 많다. 시오미의 경우에도 친지들을 중심으로 소규모 장례식이 열렸다.



생전 장례식 자체는 아직 이례적이지만, 2010년께부터 유행한 ‘종활’은 비즈니스로까지 발전했다. 일본은 65살 이상 고령자 비율이 27.7%를 차지하는 고령사회인데다가 출산율은 낮아서, 고령자들이 장례식부터 유산 정리까지 스스로 준비해 놓아야 주위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생전에 미리 장례식 비용을 치르는 장례식 생전 계약이 증가하고 있다. 생전에 묘를 미리 사놓는 경우도 많고, 물품 정리 대행 사업도 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종활 사업 시장 규모를 연간 1조엔(약 10조원)대로 추산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820214.html#csidx5885d51b5c1fd4ea45fa7f8c5be3fbd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 edited by Fernando Funes ... [et al.].
---
Author: Fernando Funes; Asociación Cubana de Técnicos Agricolas y Forestales.; Universidad Agraria de La Habana. Centro de Estudios de Agricultura Sostenible.
---
Subjects: Sustainable agriculture -- Cuba; Organic farming -- Cuba; Sustainable development -- Cuba
Creation Date: c2002
---
Description:
Prologue :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agroecology in Cuba / Miguel Altieri --

Introduction : lessons of Cuban resistance / Peter Rosset and Martin Bourque --
Ch. 1.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in Cuba / Fernando Funes --
Ch. 2. Cuban agriculture before 1990 / Armando Nova --
Ch. 3. Cuban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 Marcos Nieto and Ricardo Delgado --
Ch. 4. Transforming the Cuban countryside : property, markets, and technological change / Lucy Martin --
Ch. 5. Social organization and sustainability of small farm agriculture in Cuba / Mavis D. Álvarez --
Ch. 6. Agroecological education and training / Luis Garcia -- 


Ch. 7. Ecological pest management / Nilda Pérez and Luis L. Vázquez --
Ch. 8. Intercropping in Cuba / Antonio Casanova, Adrián Hernández, and Pedro L. Quintero --
Ch. 9. Mechanization, animal traction, and sustainable agriculture / Arcadio Ríos and Félix Ponce --
Ch. 10. Advances in organic soil management / Eolia Treto ... [et al.] --

Ch. 11. The integration of crops and livestock / Marta Monzote, Eulogio Muñoz, and Fernando Funes-Monzote -- 


Ch. 12. Green medicine : an option of richness / Mercedes Garcia --
Ch. 13.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 Nelso Companioni ... [et al.] --
Ch. 14. "Cultivo popular" : small-scale rice production / Miguel Socorro, Luis Alemán, and Salvador Sánchez --
Ch. 15. Sugarcane and sustainability in Cuba / Rafael Suárez Rivacoba and Rafael B. Morín --
Ch. 16. Case studies : the mixed experiences of two new cooperatives / Niurka Pérez and Dayma Echevarría --
Epilogue : the unique pathway of Cuban development / Richard Levins.
---
Translated from the Spanish.
"Co-published with ACTAF (Asociación Cubana de Técnicos Agrícolas y Forestales) and CEAS (Centro de Estudios de Agricultura Sostenible, Universidad Agraria de La Habana)"
Uniform Title: Transformando el campo Cubano. English.
Publisher: Oakland, Calif. : Food First Books
Format: xx, 307 p. : ill., map ; 23 cm..
Language: English
----

Description

This is a story of resistance against all odds, of Cuba’s remarkable recovery from a food crisis brought on by the collapse of trade relations with the former Socialist Bloc and the tightening of the US trade embargo. Unable to import either food or materials needed for conventional agriculture, Cuba turned inward to self-reliance. Sustainable agriculture, organic farming, urban gardens, smaller farms, animal traction, and biological pest control are all part of the new Cuban agriculture. In this book, Cuban authors offer details of these remarkable achievements to serve as guideposts toward healthier,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elf-reliant farming.

Cuba’s remarkable recovery from a food crisis brought on by the collapse of trade relations with the former Socialist Bloc and the tightening of the US trade embargo came about by the use of sustainable agriculture, organic farming, urban gardens, smaller farms, animal traction, and biological pest control. I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Cuban authors offer details—for the first time in English—of these remarkable achievements, to serve as guideposts toward healthier,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elf-reliant farming.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is the story of Cuba’s achievements in the use sustainable agriculture, organic farming, urban gardens, smaller farms, animal traction, and biological pest control to feed the country.

Paperback: 340 pages, illustrated, ISBN 0-935028-87-0
--------
Praise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To understand Cuban agricultural development we must first look at the richness of detail in this volume. Then we have to step back and squint to capture the truly novel pathway of development that Cuba is pioneering. And then once again we have to focus in on the details, and glimps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Cuba is creating something truly new and hopeful for all of humanity. ”

—from the epilogue by Professor Richard Levins, Harvard University School of Public Health
---
“The Cuban experience has demonstrated that the adoption of agroecological methods can bring about productive and economic benefits in a socially equitable manner. The advances achieved by Cuba…offer a valuable set of lessons for the millions of people throughout the world who are committed to a truly sustainable agriculture.”

—from the prologue by Professor Miguel Altieri, Environmental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3회리, Paik Yonjae and 1 other

2 comments

Like



오강남의 폴 틸리히 이야기



지성인들을 위한 사도 - 오강남의 폴 틸리히 이야기 : 네이버 카페

지성인들을 위한 사도 - 오강남의 폴 틸리히 이야기 | 자유게시판
 2019.01.04. 17:45
 soft103a(soft****)
나눔회원
https://cafe.naver.com/yooyoonjn/1612

폴 틸리히Paul Tillich(1886~1965년)

-종교의 '깊이'를 역설했던 조직신학자, 지성인들을 위한 사도
“모든 종교의 심층에는 종교 자체의 중요성을 잃어버리게 하는 경지가 있다”

==================

들어가며


1963년 영국의 성공회 신부 John A. T. Robinson이 쓴 <신에게 솔직히>라는 책에서 20세기 기독교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로 루돌프 불트만, 디트리히 본회퍼와 함께 폴 틸리히를 꼽았다. 1990년대 미국 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신학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신학자로 틸리히를 꼽았다. 필자의 경우도 성서 이해나 해석학 분야에서는 불트만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신학 사상에 있어서는 틸리히의 영향이 가히 절대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였다.

대학교 저학년 때 사촌형의 책꽂이에 꽂힌 틸리히의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을 펼쳐보았다. 하얀 것은 종이고 까만 것은 글자라는 사실 이외에는 전혀 알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세월이 흘러 대학원 학생이 되었을 때 틸리히의 사상에 매료되기 시작했다. 내가 틸리히를 좋아하는 것을 본 어느 선배가 "틸리히를 읽고 눈물을 흘리며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이 있나?"하는 투로 나를 나무랐다. 나는 "틸리히 때문에 기독교를 떠나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하는 말로 대답했다. 사도 바울이 '이방인들을 위한 사도'였다면 틸리히는 실로 '지성인들을 위한 사도'였다.


캐나다에서 유학하며 불교를 전공할 때도 틸리히가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틸리히 때문에 불교 사상을 더욱 친근하게, 더욱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이 글을 쓰기 위해 유튜브에서 틸리히가 생전에 했던 두 시간 분량의 인터뷰를 다시 보았다. ‘과연’이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틸리히의 삶

틸리히는 1886년 8월 20일 독일 동부의 조그마한 도시 슈타르체델Starzeddel에서 보수적인 루터교 목사였던 아버지와 자유주의적이었던 어머니 사이의 첫째로 태어났다. 밑으로 두 여동생이 있었다. 틸리히가 네 살 때 아버지의 임지인 인구 3천 명의 쇤플리스Schönfliess로 옮겨가 거기서 초등학교를 다니고, 열두 살 때 혼자서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로 가 한국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김나지움에 다녔다. 기숙사에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성경을 읽고, 그러면서도 학교에서 가르치는 인문주의적 사상에 매료되기도 했다. 1900년 아버지가 다시 베를린으로 옮김에 따라 틸리히도 15세에 베를린에 있는 학교로 옮기고 3년 후 18세에 졸업했다. 그가 17세 때 어머니가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틸리히는 1904년 베를린 대학에 입학했다가 곧 튀빙겐 대학으로 옮기고, 1905~1907년에는 할레 대학에 다닌 후, 1911년 브레슬라우 대학에서 셸링Schelling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1912년 할레 대학에서 역시 셸링 연구로 신학 전문직 학위를 취득, 루터교 목사로 안수도 받았다. 그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준 사상가들은 셸링 외에 니체, 헤겔, 키르케고르, 하이데거 등이었다. 1914년 9월 결혼한데 이어 10월부터 4년간 1차 세계대전 군목으로 복무해 제1급 십자훈장도 받았다. 제대 후 1919년에서 1924년까지 베를린 대학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1924년부터 2년간 마르부르크 대학 신학 교수로 있으면서 그의 『조직신학』 체계의 틀을 잡았다. 그 이후 드레스덴, 라이프치히,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가르쳤다.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가르치는 동안 전국을 다니며 한 그의 강연이 나치 운동과 갈등을 빚게 됐고, 1933년 히틀러가 정권을 잡자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 그 후 라인홀드 니버의 초청으로 미국 뉴욕에 있는 유니온 신학대학원으로 옮겼다.


1933년 47세의 나이에 새롭게 영어를 배우고, 그 이후 모든 저작을 영어로만 하기로 결심했다. 처음에는 영어가 서툴러 고생을 했지만, 영어로 말하거나 글을 쓸 경우 독일어보다 쉽고 부드럽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1933년 종교철학을 가르치기 시작, 1955년까지 유니온 신학대학원에서 ‘철학적 신학 교수’로 알려졌고, 그 가까이 있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도 방문 교수로 철학 강의를 할 정도로 명강의를 했다. 그가 유니온 대학에 있을 때 영어로 쓴 『프로테스탄트 시대』 등의 논문 모음집, 『흔들리는 터전』 등의 설교 모음집, 특히 그의 대표작인 『조직신학』 제1권 등의 저작으로 크게 명성을 떨쳤다. 이에 힘입어 1953년에는 영예로운 스코틀랜드 기포드 강연 강사로 초대되고, 1955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으로 초빙되어 강의에 구애받지 않는 최우대 특별 교수가 되었다. 1962년까지 하버드에 있으면서 『조직신학』 제2권과 그 유명한 『신앙의 역동성』 등을 출판하였다.

1962년 시카고 대학으로 옮겨가 2년 동안 그 당시 시카고 대학 종교학의 대가 미르체아 엘리아데와 공동 세미나를 이끌면서 그와 학문적 교분을 두텁게 했다. 여기서 『조직신학』 제3권이 완성되었다. 1965년 10월 12일 저녁 시카고 대학 종교사학회에서 그의 동료들의 요청으로 ‘조직신학자를 위한 종교학의 의의’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거기서 그는 그가 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그의 조직신학을 동양 종교를 포함하여 세계종교들의 통찰과 대화하면서 다시 쓰고 싶다는 그의 염원을 말하고, 이런 식으로 세계종교의 맥락 속에서 쓰이어지는 신학이 “신학의 미래를 위한 나의 희망”이라고 했다. 강연이 끝나고 오랫동안 박수가 그치지 않았다. 그러나 다음 날 새벽 4시에 심장마비를 일으킨 그는 그 후 10일 만인 10월 22일 79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그의 유해는 미국 인디애나주 뉴하모니에 있는 폴 틸리히 공원에 안치되었다. 조지아 하크니스는 틸리히를 두고, “미국 철학을 위해 화이트헤드가 있었다면 미국 신학을 위해 틸리히가 있다”는 말로 틸리히의 신학적 공헌을 찬양했다.


그의 가르침

틸리히는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재해석하는데 일생을 바친 신학자였다. 그에게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가르침은 모두 ‘상징symbol’이었다. 그의 주저인 『조직신학』 목차만 보아도 ‘타락의 상징’, ‘그리스도의 상징’, ‘십자가의 상징’, ‘천국의 상징’ 등등의 용어가 등장한다. 타락, 그리스도, 십자가, 천국 등의 개념이 그 자체로 진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상징은 “그 자체를 넘어서는 다른 무엇을 가리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상징적인 개념들을 대할 때 우리는 그런 것들 자체에 정신을 빼앗기지 말고, 그것들이 가리키는 그 너머에 있는 의미를 찾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불교적 용어로 하면 이런 상징들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그는 오늘 우리가 처한 ‘상황’을 무시하고 어느 한때 인간의 필요에 부응하여 주어진 ‘과거’의 해석 자체를 붙들고 있겠다는 미국의 근본주의적 태도나 유럽의 정통주의적 자세는 ‘과거의 정황’에서 형성된 특수 해석 자체를 절대화하려 한다는 의미에서 ‘악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리스도교의 메시지를 각 세대를 위해 그때그때 새롭게 해석하는 이른바 ‘응답하는 신학’으로서의 신학적 소임을 망각한 신학은 신학의 역할을 방기한 것이라는 뜻이다. 틸리히의 경우 그리스도교 상징을 해석하는 틀은 주로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이었다.

그는 성경이나 그리스도교의 메시지에 나오는 이런 상징들을 무조건 문자적으로 받아들이려는 것은 무의미하고 무모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성경을 심각하게 읽으려면 문자적으로 읽을 수 없고, 문자적으로 읽으면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하였다. 틸리히가 영향을 받은 루돌프 불트만이 ‘비신화화’라는 용어로 신화의 재해석을 강조했다면 틸리히는 그 용어가 신화를 없애야 한다는 말로 오해될 소지가 있으므로 그 대신 ‘비문자화deliteralization’라는 용어를 사용한 셈이다. 신화나 상징은 호두가 깨어져야 그 속살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깨어져야’ 그 깊은 의미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른바 “깨어진 신화broken myths”여야 신화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한 셈이라는 뜻이다.

틸리히에 의하면, 종교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궁극 관심ultimate concern’이다. 그 궁극 관심의 대상은 결국 궁극적인 것, 곧 신이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신’이라는 말도 상징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고 한다. 우리는 우리가 쓰는 ‘신’이라는 말 너머에 있는 궁극 실재로서의 신을 경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그는 ‘신의 상징으로서의 신God as the symbol of God’이라든가 ‘신 너머에 있는 신God beyond God, God above God’이라는 말을 즐겨 사용한다. 그는 궁극 실재로서의 신은 ‘상징적으로’ 표현하지 않고는 표현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틸리히는 물론 이런 상징들을 두고 ‘겨우 상징일 뿐인가?’ 하는 말을 하면 안 된다고 한다. 종교적 상징은 우리를 궁극 실재로 이끌어주는 필수 불가결의 신성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궁극 실재로서의 신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틸리히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마찬가지로 신God과 신성Godhead을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신은 우리의 구체적인 일상 경험에서 이해된 대로의 신이고 신성은 언어나 상징체계 너머에서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궁극 실재라고 보았다. 이런 궁극 실재는 ‘하나의 존재a being’일 수가 없다. 궁극 실재가 ‘하나의 존재’라면 우리가 아무리 ‘위대하다’, ‘전능하다’, ‘전지하다’ 등의 현란한 수식어를 붙인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른 존재들 중의 하나a being among others’로서 여전히 존재의 차원에 머물 수밖에 없고, 그런 의미에서 다른 존재와 특별하게 다르다고 할 수도 없다.

절대적이고 ‘조건 지워지지 않는’ 궁극 실재로서의 신은, ‘존재 자체Being-itself’라 하든가 ‘존재의 힘the Power of Being’ 혹은 ‘존재의 근거the Ground of Being’라 보아야 한다고 했다. 존재 자체 혹은 존재의 바탕으로서의 신은 ‘존재와 비존재’, ‘본질과 실존’ 등의 분별을 넘어서기 때문에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상식적으로 믿고 있는 신은 결국 우상숭배나 미신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 셈이다. ‘존재의 근거’라는 용어는 가히 화엄 불교에서 말하는 ‘법계法界․dharmadhātu’를 연상하게 하는 말이다.

틸리히는 스스로를 ‘경계인a man on the boundary’이라 하였다. 1960년 일본을 방문해서는 불교 사찰을 방문하고 선불교 스님들과 대화하면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때 받은 감명을 1961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행한 『그리스도교와 세계종교들과의 만남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the World Religions』이라는 강연을 통해 발표하고 그 후 작은 책자로 출판했다. 여기서 그는 그리스도교에서 말하는 ‘하느님의 나라’와 불교에서 가르치는 니르바나를 비교하고, 종교 간의 관계는 ‘개종conversion’이 아니라 ‘대화dialogue’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역설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명언으로 끝을 맺었다.


<모든 종교의 심층에는 종교 자체의 중요성을 잃어버리게 하는 경지가 있다. >

그는 시카고에서 한 마지막 강연에서도 비슷한 말을 되풀이했다. 틸리히는 신학자였지만, 이처럼 모든 종교의 심층을 꿰뚫어보고 우리를 그리로 인도한다는 의미에서 생각하는 모든 종교인들을 위한 스승이라 하여도 지나칠 것이 없으리라.*




댓글 3 |
등록순 | 조회수 598 | 좋아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