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08

Charisma - Wikipedia

Charisma - Wikipedia

Charism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harisma (/kəˈrɪzmə/) is a personal quality of presence or charm that others find compelling.[1]

Scholars in sociologypolitical sciencepsychology, and management reserve the term for a type of leadership seen as extraordinary.[2][3] In these fields, the term "charisma" is used to describe a particular type of leader who uses "values-based, symbolic, and emotion-laden leader signaling".

In Christian theology, the term appears as charism, an endowment or extraordinary power given by the Holy Spirit.[4][5]

Etymology[edit]

The English term charisma is from the Greek χάρισμα (chárisma), which means "favor freely given" or "gift of grace".[2] The term and its plural χαρίσματα (charismata) derive from χάρις (charis), which means "grace" or indeed "charm" with which it shares the root. Some derivatives from that root (including "grace") have similar meanings to the modern sense of personality charisma, such as "filled with attractiveness or charm", "kindness", "to bestow a favor or service", or "to be favored or blessed".[6][7] Moreover, the ancient Greek dialect widely used in Roman times employed these terms without the connotations found in modern religious usage.[8] Ancient Greeks applied personality charisma to their gods; for example, attributing charm, beauty, nature, human creativity or fertility to goddesses they called Charites (Χάριτες).

Theologians and social scientists have expanded and modified the original Greek meaning into two distinct senses: personality charisma and divinely conferred charisma.

The meaning of charisma has become greatly diffused from its original divinely conferred meaning, and even from the personality charisma meaning in modern English dictionaries, which reduces to a mixture of charm and status. John Potts, who has extensively analyzed the term's history, sums up meanings beneath this diffused common usage:

Contemporary charisma maintains, however, the irreducible character ascribed to it by Weber: it retains a mysterious, elusive quality. Media commentators regularly describe charisma as the "X-factor". …The enigmatic character of charisma also suggests a connection – at least to some degree – to the earliest manifestations of charisma as a spiritual gift.[9]: 3 

History[edit]

Divinely conferred charisma[edit]

The Hebrew Bible and the Christian Bible record the development of divinely conferred charisma. In the Hebrew text the idea of charismatic leadership is generally signaled by the use of the noun hen (favor) or the verb hanan (to show favor). The Greek term for charisma (grace or favor), and its root charis (grace) replaced the Hebrew terms in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Hebrew Bible (the 3rd century BCE Septuagint). Throughout, "the paradigmatic image of the charismatic hero is the figure who has received God's favor".[10]: 1545 In other words, divinely conferred charisma[11] applied to highly revered figures.

Thus, Eastern Mediterranean Jews in the 1st century CE had notions of charis and charisma that embraced the range of meanings found in Greek culture and the spiritual meanings from the Hebrew Bible.[9]: 15  From this linguistic legacy of fused cultures, in 1 CorinthiansPaul the Apostle introduced the meaning that the Holy Spirit bestowed charism and charismata, "the gift of God's grace," upon individuals or groups. For Paul,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charisma and charis; charisma is the direct result of divine charis or grace."[9]: 36–37 [10]: 1549

In the New Testament Epistles, Paul refers to charisma or its plural charismata seven times in 1 Corinthians, written in Koine (or common) Greek around 54 CE. He elaborates on his concepts with six references in Romans (c. 56). He makes three individual references in 2 Corinthians 56, 1 Timothy, and 2 Timothy 62–67. The seventeenth and only other mention of charisma is in 1 Peter.[9]: 23, 37, 43, 45 [2][8][12]

The gospels, written in the late first century, apply divinely conferred charisma to revered figures. Examples are accounts of Jesus' baptism and of his transfiguration, in which disciples see him as radiant with light, appearing together with Moses and Elijah. Another example is Gabriel's greeting to Mary as "full of grace".[10] In these and other instances early Christians designated certain individuals as possessing "spiritual gifts", and these gifts included "the ability to penetrate the neighbour to the bottom of his heart and spirit and to recognize whether he is dominated by a good or by an evil spirit and the gift to help him to freedom from his demon".[13]

Believers characterized their revered religious figures as having "a higher perfection… a special Charisma".[13] The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hristian Church, "the old charismatic gifts and free offerings were transformed into a hierarchical sacerdotal system".[14] The focus on the institution rather than divinely inspired individuals increasingly dominated religious thought and life, and that focus went unchanged for centuries.[15]

In the 17th century church leaders, notably in the Latin tradition, accented "individual gifts [and] particular talents imparted by God or the Holy Spirit." The 19th century brought a shift in emphasis toward individual and spiritual aspects of charisma; Protestant and some Catholic theologians narrowed the concept to superlative, out-of-the-ordinary, and virtuoso gifts. Simultaneously, the term became alienated from the much wider meaning that early Christians had attached to it.[8] Still, the narrowed term projected back to the earlier period "A systematically reflected and highly differentiated understanding of charisma was often unconsciously infused into the Scriptures and writings of the church fathers, so that these texts were no longer read through the eyes of the authors".[16]

These dialectic meanings influenced changes in Pentecostalism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charismatic movements in some mainline churches in the mid-20th century. The discussion in the 21st Century Religion section explores what charisma means in these and other religious groups.

Personality charisma[edit]

The basis for modern secular usage comes from German sociologist Max Weber. He discovered the term in the work of Rudolph Sohm, a German church historian whose 1892 Kirchenrecht[17] was immediately recognized in Germany as an epoch-making work.[2] It also stimulated a debate between Sohm and leading theologians and religion scholars, which lasted more than twenty years and stimulated a rich polemical literature.[18] That debate and literature had made charisma a popular term when Weber used it in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and in his Sociology of Religion. Perhaps because he assumed that readers already understood the idea, Weber's early writings lacked definition or explanation of the concept.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Economy and Society, he identified the term as a prime example of action he labeled "value-rational," in distinction from and opposition to action he labeled "Instrumentally rational."[19] Because he applied meanings for charisma similar to Sohm, who had affirmed the purely charismatic nature of early Christianity,[10]: 1544 Weber's charisma would have coincided with the divinely conferred charisma sense defined above in Sohm's work.

Weber introduced the personality charisma sense when he applied charisma to designate a form of authority. To explain charismatic authority he developed his classic definition:

Charisma is a certain quality of an individual personality by virtue of which he is set apart from ordinary men and treated as endowed with supernatural, superhuman, or at least specifically exceptional powers or qualities. These as such are not accessible to the ordinary person, but are regarded as of divine origin or as exemplary, and on the basis of them the individual concerned is treated as a leader.[20]: 328, 358ff 

Here Weber extends the concept of charisma beyond supernatural to superhuman and even to exceptional powers and qualities. Sociologist Paul Joosse examined Weber's famous definition, and found that:

through simple yet profoundly consequential phrases such as “are considered” and “is treated,” charisma becomes a relational, attributable, and at last a properly sociological concept.... For Weber, the locus of power is in the led, who actively (if perhaps unconsciously) invest their leaders with social authority.[2]

In other words, Weber indicates that it is followers who attribute powers to the individual, emphasizing that "the recognition on the part of those subject to authority" is decisive for the validity of charisma.[20]: 359 

Weber died in 1920, leaving "disordered, fragmentary manuscripts without even the guidance of a plan or table of the proposed contents". One unfinished manuscript contained his above quoted definition of charisma.[21] It took over a quarter century for his work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22] With regard to charisma, Weber's formulat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having revived the concept from its deep theological obscurity.[23] However, even with the admirable translations and prefaces of his entire works, many scholars have found Weber's formulations ambiguous. For the past half-century they have debated the meaning of many Weberian concepts, including the meaning of charisma, the role of followers, and the degree of a supernatural component.[21][24]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Stevenson, Angus; Lindberg, Christine A., eds. (2010). "charisma".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p. 292.
    • "charisma"Merriam-Webster Dictionary. Retrieved 2022-12-07.
  2. Jump up to:a b c d e Joosse, Paul (2014). "Becoming a God: Max Weber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charisma". Journal of Classical Sociology14 (3): 266–283. doi:10.1177/1468795X14536652S2CID 143606190.
  3. ^ Antonakis, John; Fenley, Marika; Liechti, Sue (2011). "Can Charisma be Taught? Tests of Two Interventions" (PDF)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10 (3): 374–396. doi:10.5465/amle.2010.0012.
  4. ^ "Spiritual gifts". A Dictionary of the Bible by W. R. F. Browning. Oxford University Press Inc. Oxford Reference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Accessed 22 June 2011.
  5. ^ "charisma"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5th ed.). HarperCollins.
  6. ^ "charism, charisma, charismata, charisms". Oxford English Dictionary. Vol. III (Second ed.). 1989. p. 41.
  7. ^ Beekes, Robert S.P. (2010).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Series. Vol. 10/1. Brill. p. 1607.
  8. Jump up to:a b c Ebertz, Michael N. (2007). "Charisma". In Betz, Hans Dieter; Browning, Don S.; Janowski, Bernd; Jüngel, Eberhard (eds.). Religion Past & Present. Vol. II. Brill. pp. 493–496.
  9. Jump up to:a b c d Potts, John (2010). A History of Charisma. Palgrave Macmillan.
  10. Jump up to:a b c d Scheper, George L. (2005). "Charisma". In Jones, Lindsay (ed.).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3 (Second ed.). Macmillan Reference.
  11. ^ Grabo, Allen; Spisak, Brian R.; Van Vugt, Mark (2017). "Charisma as signal: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charismatic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28 (4): 473–485. doi:10.1016/j.leaqua.2017.05.001.
  12. ^ Dicharry, W.F. (1967). "Charism". New Catholic Encyclopedia. Vol. III. Thomson/Gale. p. 460.
  13. Jump up to:a b Benz, Ernst Wilhelm (1986). "The Roles of Christianity".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6. p. 306.
  14. ^ Troeltsch, Ernst (1931) [1911]. The Social Teachings of the Christian Churches. Vol. 1. Translated by Wyon, Olive. Allen and Unwin. pp. 99, 109.
  15. ^ Morse, William; Morse, Mary (1985). Harper's Dictionary of Contemporary Usage. Harper and Row. p. 110.
  16. ^ Baumert, Norbert (1991). "'Charisma' – Versuch einer Sprachregelung". Philosophisch-Theologische (in German). 66: 22. Quoted in Ebertz, 2007, op. cit., p. 495
  17. ^ Sohm, Rudolf (1892). Kirchenrecht. Leipzig: Duncher & Humblot.
  18. ^ Smith, David Norman. (1998). "Faith, Reason, and Charisma: Rudolf Sohm, Max Weber, and the Theology of Grace". Sociological Inquiry68 (1): 32–60. doi:10.1111/j.1475-682X.1998.tb00453.x.
  19. ^ Weber, Max (1968). Economy and Society. Bedminster Press. pp. 24–25.
  20. Jump up to:a b Weber, Max (1947) [1924]. The Theory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Translated by Henderson, A.M.; Parsons, Talcott. Free Press.
  21. Jump up to:a b MacRae, Donald G. (1974). Max Weber. Viking. p. 101.
  22. ^ Calhoun, Craig, ed. (2002). "Weber, Max". Dictionary of the Social Sci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510–512.
  23. ^ Turner, Stephen (2003). "Charisma Reconsidered". Journal of Classical Sociology3 (5): 5–26. doi:10.1177/1468795X03003001692S2CID 220121939.
  24. ^ Hunt, Sonja M. (1984). "The Role of Leadership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Kellerman, Barbara (ed.). Leadership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Prentice-Hall. pp. 157–178.
    • Geertz, Clifford (1977). "Centers, Kings, and Charisma: Reflections on the Symbolics of Power". In Clark, Ben-David J. (ed.). Culture and Its Creato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50–171.
    • Rustow, Dankwart A. (1970). "The Study of Leadership". In Rustow, Dankwart A. (ed.). Philosophers and Kings: Studies in Leadership. Braziller. pp. 10–16.
    • Stutje, Jan Willem (2012). Charismatic Leadership and Social Movements: The Revolutionary Power of Ordinary Men and WomenISBN 978-0-85745-329-7.
      ====

[인문의 길] 인문학공동체에서 불교학교를 연 까닭은

[인문의 길] 인문학공동체에서 불교학교를 연 까닭은

[인문의 길] 인문학공동체에서 불교학교를 연 까닭은
입력2022.09.01

인문학 공동체에서 하는 공부는 이른바 문사철과 외국어가 주류입니다. 그러나 막상 공동체를 시작하고 보니 하고 싶은 것들이 많아졌습니다. 피아노 연주, 작곡, 드로잉, 연극, 집짓기, 풀과 나무, 목공, 심지어 수학이나 과학 공부 모임도 꾸리고 싶었습니다. 한 지붕 아래에서 그리스도교와 불교를 깊이 공부하는 것도 그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김종락 대안연구공동체 대표결국 신학자를 모셔 희랍어 히브리어 성서 읽기를 하는 한편 스님을 모셔 도심 속의 불교강원을 개설했지요. 성직자나 수행자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는 것들을 우리도 공부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불교강원에는 당시 조계종 불학연구소 소장이던 원철 스님을 비롯해 화엄학림 학장을 지냈던 법인 스님 등 쟁쟁한 스님들이 참여하면서 적잖은 사람들이 모여들었습니다.

큰 꿈을 안고 닻을 올렸으나 문제가 없지 않았습니다. 지속성이었습니다. 유명 스님들은 생각보다 바빴고 직장인이 긴 공부를 이어가는 것 또한 예상외로 어려웠습니다. 처음 강의를 맡았던 스님들이 종단의 주요 소임을 맡으면서 교수진이 바뀌자 참여자들도 빠른 속도로 흩어졌습니다. 대책이 필요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만난 분이 명법 스님이었습니다. 해인사 국일암에서 출가한 수행자이자 운문승가대학 명성 스님에게 전강을 받은 학승, 서울대에서 학위를 받은 학자였지요. 서울대, 홍익대, 동국대에서 미학과 불교를 강의하며 전통과 현대의 소통을 꾀하고 21세기 불교의 새 역할을 모색하고 있었으니 공동체 선생으로 더할 나위 없었습니다. <유마경>을 시작으로 <미란다왕문경> <중론> <금강경> <능엄경> 등의 경전 강의를 이어갔습니다. 스님 강의의 특징은 수행을 병행하는 것이었습니다. 책을 읽고 강의를 들으며 토론하는 공부가 머리를 채우는 것이었다면 수행은 삶을 변화시키는 공부였습니다.

그래도 아쉬움은 있었습니다. 경전 공부에 매달리다 보니 나무는 보되 숲을 보기가 어려웠지요. 고심 끝에 현대어로 쓰이거나 번역된 책으로 불교 전반을 빠르고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2년 과정의 ‘명법 스님 불교학교’를 열었습니다.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로 이어지는 불교사를 통사적으로 공부하면서 불교의 다양한 수행과 실천, 이론의 발달 과정을 읽고 사유하고 토론하는 학교였습니다.

이 학교에서 중요한 것은 책상머리 이론이 아니었습니다. 국내외에서 생성된 다양한 텍스트를 접하며 스스로 사유하고 토론하고 실천하는 노력이었습니다. 목적이 이렇다 보니 스님 한 분이 강의와 학문 지도, 수행 모두를 담당하는 융합적·통전적·전인격적 공부 방식이 큰 장점으로 부각되었습니다. 1인 학교는 또한 초기불교, 중관, 유식, 천태, 화엄, 선, 티베트 불교 등등을 각각의 전통이나 이론에 따라 분리시켜 이해하는, 불교학의 분과성을 극복하기에 좋은 방법이기도 했습니다.

그사이, 서울에 머물던 스님은 화엄탑사 구미 불교대학으로, 해인사 국일암으로 수행처를 옮겼지요. 하지만 강의는 놓지 않았습니다. 매주 금요일 상경해 밤늦게까지 강의한 뒤 이튿날 산사로 복귀하는 강행군을 이어갔습니다. 이 와중에 닥친 코로나19는 큰 위기였지만 또한 기회이기도 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일반화한 온라인 강의 덕에 스님은 산사에서, 참여자는 집에서 공부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국내외 각지의 사람들이 매일 새벽 온라인으로 만나 동안거, 하안거를 진행한 것은 이전에는 상상도 못하던 일이었습니다.

공동체의 공부가 대개 그렇듯이 이 학교의 목적은 단순히 더 많은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 나은 삶이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을 읽고 토론하고 성찰하는 것입니다. 성찰은 실천까지 포함합니다. 결국 이 학교의 목적은 ‘지금, 여기’ 우리의 마음과 몸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더 나은 삶, 더 좋은 세계를 만드는 일에 나서는 겁니다.

여름이 지나고 있습니다. 명법 스님과 몇몇 분들에게 이번 가을은 제2기 불교학교를 새로 시작하며 마음을 다지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김종락 대안연구공동체 대표


Copyright ⓒ 경향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김태창과 [공공철학 대화][공공철학 이야기].

Sejin Pak - [독서생활] 김태창과 <공공철학 대화> <공공철학 이야기>. — - 2년 전에 산 책을 이제야... | Facebook

eoSodtpsrnhup2cf653ith73ft0369A9im1ru33it559l9f1h2 g493m29l9 
Shared with Public
Public


[독서생활] 김태창과 <공공철학 대화> <공공철학 이야기>.


- 2년 전에 산 책을 이제야 읽는데, 김태창 Taechang Kim 선생이 얼마전에 페친이 되어 인물소개 부분 (130쪽)부터 읽는다.
- 완전히 매료되어 오늘 있었던 다른 계획은 포기하고 읽고 있다.
- 책값이 45,000원이라 주춤했지만, 870쪽이라는 부피만이 아니라 얼마 읽은 부분 만에서 느끼는 가치로도 충분하다.
- 한국서는 얼마나 읽힐까 궁금하다.














All reactions:22崔明淑, Taechang Kim and 20 others



Taechang Kim

박세진선생님께서 읽어 주신다니 기쁩니다. 한국에서는
특히 지난 정권기간내내 철저한 반일무드강화시책때문에 
일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책들이 경원되었었습니다. 그
동안 사두고 읽지 못하다가 최
근에 읽어 본다는 분들이 더러
계십니다.

김태창 교수의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Sejin Pak - [독서생활] 김태창 교수의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 Facebook


Sejin Pak is with Taechang Kim.
dstSonerpo5lpc7r09u8 u98li7Al4m4m242hmluflfa305ua9f4683c1m5c ·
Shared with Public



[독서생활] 김태창 교수의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 <정산 송규>와의 만남
---
이 책에 대하여 이야기하자면 우선 <공공철학>이라는 말부터 이해하여야 하는데, 그 설명이 출판사 제공 책소개에 아래와 같이 나온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
공공철학이란?
<공공철학>이란 ‘멸사봉공’(滅私奉公)으로 대변되는 전통적인 국가 중심, 제도 중심 혹은 집단 중심을 지향하는 사유 형태를 지양하고, 아울러 그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난 개인 중심, 이성 중심 혹은 자기 중심의 ‘멸공봉사’(滅公奉私)적인 성향도 견제하면서, 어떻게 하면 이 양자를 매개시키고 조화시켜서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모두 살릴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도모하고 지향하는 ‘활사개공’(活私開公)의 철학이다. 그런 의미에서 공공철학은 ‘성인’이나 ‘신’이 아닌 ‘시민’들이 스스로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시민사회에 걸맞은 21세기형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전통시대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의 사상 자원을 ‘공공성’(公共性)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일관되게 해석하고 있다. 그것도 중국과 일본과 한국에 직접 가서 그곳에서 활동하는 학자, 운동가, 시민들과 얼굴을 맞대면서, 마치 한판의 마당극을 펼치듯이 생생한 철학적 대화를 하는 가운데 철학적 담론들을 펼치고, 빚고, 쌓아가고 있다. 한 일본인 학자는 이를 “대학을 뛰쳐나온 공공인문학”이라고 명명하였다.
대화와 소통의 공동(共動=함께 움직임)의 산물
이 책의 텍스트들은 독특한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김태창은 사색을 통해 하나하나의 담론들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대담이나 방담, 토론)와 강연(질의 응답) 등을 끊임없이 전개해 가며 훈련된 기자(記錄者)로 하여금 그 과정을 치밀하게 정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초고를 다듬고 벼리어 만들어 낸 것이 바로 김태창이 전개하는 <공공철학> 시리즈의 텍스트들이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은 박제화된 담론이 아니라 생생하게 지금-여기의 호흡을 담고 있는 것들이다.
---
5권 시리즈 중 <한국> 편
이 책은 5권으로 기획된 시리즈 중에서 <한국> 편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고금의 사상가들을 전통적인 <한사상>과 현대적인 <공공성>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사상을 일본에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알리는데 힘쓴 것으로도 이름이 높다.
원효나 정약용과 같은 저명한 한국사상가는 물론이고, 한국에서조차 소홀히 되고 잊혀지고 오해받기 쉬운 최한기나 최제우, 강증산, 송규 또는 유영모나 함석헌과 같은 현대사상가, 그리고 최근에는 조선시대 국가경영의 보고인 조선왕조실록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상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현대적으로 20여 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교토포럼>과 그 소식지인 '공공적 양식인'을 통해서 꾸준히 알리고 있다. 이 책은 저자의 이러한 일련의 활동의 한 결과물이자 보고서에 해당한다.
---
목차
제1장│원효──── 41
제2장│화담 서경덕──── 91
제3장│퇴계 이황──── 141
제4장│율곡 이이──── 179
제5장│남명 조식──── 213
제6장│ 하곡 정제두──── 243
제7장│다산 정약용──── 271
제8장│혜강 최한기──── 303
제9장│수운 최제우──── 351
제10장│증산 강일순──── 385
제11장│정산 송규──── 409
제12장│다석 류영모──── 429
제13장│신천옹 함석헌──── 467
===
책머리에 
<거울로서의 역사 - 왜 오늘의 일본인이 한삶과 한마음의 공공철학 이야기를 들어야하는가?>

기록자 후기: 
<지금의 일본에서 한철학과의 대화가 요구되고 있다.

===
공공철학 시리즈
01 교토포럼에서 이루어진 공공철학 대화
02 중국에서 중국인들과 나눈 공공철학 대화
03 일본에서 일본인들과 나눈 공공철학 대화
04 한국에서 한국인들과 나눈 공공철학 대화
05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本書)
===
세진:
 
이 공공철학 시리즈는 일어로는 20권이 나왔는데, 한국어로는 5권이 나올 기획이 되어있으나, 2권 (3,5) 만 나왔고, 내가 이 두권을 샀다. 제5권이 한국편인데, 한국(철학)사상사처럼 쓰여있다. 다른 한국철학사와 다르다면 이 책에서는 철학사상 만이 아니라 각 인물의 삶이 <공공철학하기>에 어떻게 관계되었는지의 설명이 있다. 12 인물이 나오는데 처음부터 읽지 않고 제일 들어보지 못한 인물인 <정산 송규 (1900-1962)>에 대하여 부터 읽었다. 원불교 창시자 박중빈 다음에 두번째 "종사"가 된 분이라고 한다. 박중빈에 대하여는 과거에 읽어본 적이 있는데, <정산 송규>, 또는 <송규>, <송정산>이란 이름은 처음들어본다. 책에 나오는 다른 인물에 비해 가장 짧게 16쪽으로 나온다.
 
- 호기심을 가지고 읽었는데 나에게는 놀란만한 인물과 사상이다. 이전에 (소태산) 박중빈에 대한 글과 평전을 읽었는데 이번에 <정산 송규>에 대해 읽은데서 얻은 만큼의 강한 인상은 얻지 못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인물이 달라서 일 수도 있고, 또 이 글은 저자가 일본인에게 한국의 인물과 사상을 소개하느라고 <(서양인이 아닌 동아시아인) 외국인>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써저서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원불교의 창시자 박중빈의 단계에서는 <물질은 개벽되었으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슬로건을 내걸은 생활불교운동이 나왔다.송정산은 박중민의 사상을 본받으며 한층 발전시켜 <상동상호>로 부터 <보은상생>에 이르는 상생사상을 강조했다고 한다.

- 첫째로 다른 종교들은 근본을 추구해보면 같은 도를 설하고 있다며, 종교간 존중과 대화를 위한 논리기반을 제시하려고 했다. 그것을 <공공하는> 대화적 시점이라고 한다.
 
둘째로 모든 인종이나 생령이 <근본적으로는 같은 기로 결합>되어있다고 <천지를 부모로 삼고 우주를 일가로 하는> 입장에서 바라보자고 한다. 민족이나 국가중시보다 인류애 실현을 위한 <세계주의>와 <우주만물 공동체>에 대한 <보은>의 마음으로 보답하자고 한다.
 
셋째로 <개인간 집단간 민족간의 한이나 맺힌 강정이 해소된 새로운 세계>, 새로운 시대, 즉 <후천개벽>을 이루자는 이야기이다. 그것은 <상화를 통한 상생에로의 대전환>의 기도인데 그 방법으로 <보은공동체의 공동구축>이 필요하다고 한다.
 
- 현재 한국에서는 평화운동을 한다는 사람들이 <반미> <반일>, 반 <토외>, 반윤, 등을 외치는데, 송정산이 말하는 상생의 세계에서는 생각과 의견이 다른 모든 그룹과 함께 일하여 한단계 더 높은 곳에서 화합을 이루어야한다고 한다. 나는 물론 이글을 읽기 전부터 그런 식으로 생각하고 있기는 했으니 더 이론화되어있는 이 사상을 설명하는 김태창의 이 글을 만난 것은 방가운 일이다.
---
- 사진 2: 송정산
- 사진 3: 이 책은 일본에서의 강연을 글로 옮기고, 그것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라서 일어로는 책이 없는 듯하다.



All reactions:19崔明淑, Sung-Deuk Oak and 17 others

崔明淑
Sung-Deuk Oak
Soon Ae Choi
Paul Dongwon Goh
Hyuk Bom Kwon
유상용
임덕수
박길수
Insu Bae
이재봉
Jongrak Kim
Kyungnam Kim
Gs Yoo
주용현
Joy Ricci
Gokin Moo-Young
Hidetoshi Takenaka
민속원
Minchang Francis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