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19

Benet Canfield - Wikipedia

Benet Canfield - Wikipedia

Benet Canfiel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Benet Canfield, also known as Father BenetBenoit of Canfield, or Benoît de Canfeld, (1562–1610), was an English Recusant and mystic. His Rule of Perfection served as a manual two or three generations of mystics.[1] For his influence on Madame AcariePierre de Bérulle, André Duval, and Vincent de Paul he has been called the "Masters of masters".[2]

Life[edit]

Benet was born William Fitch at Little Canfield in Essex, the third of four sons of his father's second marriage. Around 1579 he began studies in London, at New Inn, one of the eight Inns of Chancery, and then at Middle Temple, one of the four Inns of Court.[3] A discussion with a Dissenter convinced him that all Reformed theology was flawed (including that of his own Anglican Church).

Fitch came upon Robert Persons's "The first booke of the Christian exercise, appertayning to Resolution",[4] an important devotional work of the time, and decided to convert to Catholicism, then illegal in England. He went to study at the English Catholic college at Douai in Belgium, a major centre for English Recusants, or Catholics in exile, during the Elizabethan period. He entered the Capuchin order as a Friar in 1587 and was given the religious name of Benoît de Canfeld, "Benoît" the French form of Benedict, but in English he used the older form, Benet.[3]

Completing his theological studies in Italy, he returned to Britain around 1599 and was immediately imprisoned, where he wrote his theological allegory, Le chevalier Chrestien. He was banished to France on an appeal by Henry IV of France in the spring of 1603. He became Master of Novices at Rouen in 1608, and was well known in the French Court. Benet was a teacher of Pierre de Bérulle, founder of the French school of spirituality, and of many interested in the spiritual renewal of France.[5] Benet died in Paris on 21 November 1610.[6]

Works[edit]

In 1609, towards the end of his life, Benet published his masterpiece, Règle de perfection réduite au seul point de la volonté divine (Rule of Perfection). This work fell under the disapproval of the Church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is therefore less well-known than Holy Wisdom by his contemporary and associate Augustine Baker. Both authors deal with the subject of contemplative prayer, the deep form of prayer followed in monastic orders. Canfield was probably influenced by the Flemish mystic Jan Ruusbroec.[5]

His Way of Perfection began to circulate widely in manuscript and even more widely in unauthorised printed editions. A letter of approbation printed at the beginning of The Rule of Perfection is signed by a number of doctors of the Sorbonne, including André Duval,[3] who introduced it to Vincent de Paul. Vincent's words, "Do not tread on the heels of Providence," are taken from Canfield.[5] This treatise "The Will of God" was translated into Latin in 1625 by order of the Minister General of the Order.[7]

Benet brought out official editions of the first two parts of his work, but unfortunately not of the third, because he sensed stirrings of criticism from orthodox theologians about the boldness of his teachings on the higher levels of prayer. As a result, this third part is known only in its French and Italian translations, in which Benet had incorporated more conventional devotional elements to ensure its acceptability as an ascetical handbook. In this he failed as it was put on the Index of the Catholic Church in 1689 on the grounds that it came too close to the ideas of the Quietists who were then the subject of a major controversy, although it was not considered to be actually heretical.

The book was rediscovered by Aldous Huxley in the 1940s and summarised in his book Grey Eminence as an example of the common ground between Eastern and Western mysticism. In the 1950s he came back to the attention of Catholics with the republication of The Lives of Ange De Joyeuse and Benet Canfield (1623), given as by Jacques Brousse, but actually containing a large part of Father Benet's autobiography.

References[edit]

External links[edit]


동사섭 – DocuHut

동사섭 – DocuHut


동사섭

dongsasub.org

 

마음알기, 마음 다루기, 마음 나누기

 

사슬 중 왕초 사슬은 ‘나는 사장이다’라거나

‘나는 교사다’라거나 ‘나는 어른이다’ 등의

‘나는 ~이다’

사슬입니다.

‘~이다’ 라며 자신을 옥죄고 있는 사슬을 던져버리십시오.

 

딸기, 노을, 달님······. 자기가 새로 지은 생소한 이름표에, 처음 만난 사람들, 충남 논산 삼동원에서 동사섭 법회에 참가한 이들은 반별 모임에서도 서먹서먹한 기분을 감추지 못했다. 거울님(용타 스님) 반의 덕유산도, 흐름도, 별님도 자신의 껍질을 깨려 하지 않았다.

동사섭(同事欇)이란 스스로 실천을 통해 선업을 쌓는 보살의 수행으로 권장하는 불교의 사섭법(四攝法) 가운데 하나로, 고통 받는 중생과 희노애락을 함께하는 것을 말한다. 사섭법에는 중생이 바라는 바를 베푸는 보시섭(布施欇), 부드럽고 따뜻한 말을 하는 애어섭(愛語欇),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이행섭(利行欇), 그리고 중생의 고통을 아파하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사람의 아픔을 어루만져주는 동사섭이 있다.

먼저 ‘마음 나누기’ 시간이었다. 10여 명씩 조를 나눠 각 방에 빙 둘러 앉았다. 용타 스님은 무엇보다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게 했다. 다른 이들의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말을 가로채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말을 이어받은 사람은 앞사람이 한 말을 똑같이 되풀이하고 그의 말에 공감을 표한 뒤 자신의 의견을 낸다.

그러나 상대의 말을 가로채거나, 급히 자신의 주장에만 목소리를 높이는 대화 습관에 젖어 있던 사람들은 용타 스님이 제시하는 대화법에 적응하지 못해 금세 얼굴이 일그러지곤 했다. 더구나 용타 스님은 말을 할 때 단지 인지한 사실만을 얘기하지 말고 가슴속의 느낌까지 표현하라고 독려했다. 예를 들어 외출했다 돌아온 아버지에게 ‘오셨어요’라며 ‘사실’만을 얘기할 게 아니라 ‘아버지가 오셔서 기분 좋아요. 얼마나 보고싶었는데요’라며 마음속 느낌까지 표현할 수 있어야 마음 나누기가 된다는 것이다.

중학교 교사인 ‘고딩’과 초등학교 교사인 ‘바다새’는 속내를 드러내고 마음을 나누기가 얼마나 거북했던지 중간에 이곳을 떠나려고까지 했다.

“처음 만난 분들과 얘기하려니 쑥스럽군요.”

“처음 만난 사람들과 얘기하려니 쑥스러우시다고요. 그러시겠지요. 그런데도 처음 본 사람들도 친근하게 느낄 만큼 따뜻하신 것 같아서 제 마음이 포근해요.”

참가자들은 서서히 어색함을 털어내고 상대방의 말에 일단 공감한 뒤 자신의 느낌을 말했다. 그렇게 대화가 시작된 지 한 시간이 지나지 않아 하나둘 참가자들의 얼굴에서 변화가 감지됐다. 자기 말을 끝까지 경청해주고 공감해주는 상대에게 눈빛을 반짝이며 호감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게 말해주니 기쁩니다.”

솔직한 감정 표현이 가져다주는 훈훈한 분위기에 도취되면서 참가자들은 부부간에 ‘사랑한다’ 는 말도 한 번 하지 못하고, 가족 간에도 자신의 속마음을 전혀 표현하지 못한 채 냉랭하게 살아온 지난날을 떠올리며 안타까워했다. 대화할 때 상대방의 마음이나 말은 전혀 살피지 못한 채 일방통행식으로 자기주장만 했던 지난날을 뼈저리게 깨닫는 시간이었다. 특히 권위주의적 습성에 젖어 자신의 미세한 정서를 표현하기는커녕 오히려 감추고 부끄러워하느라 잔잔한 삶의 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상대방도 살뜰하게 대하지 못한 걸 절감했다. 처음엔 미세한 느낌까지 표현한다는 것이 어색하기 이를 데 없었지만, 그런 기분까지 숨김 없이 얘기하다 보니 어느새 비밀이 사라지고, 한이 풀리고, 생리적 부자유에서 해방되고, 마음이 밝아지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데 익숙해지자 주위 사람들에 대한 ‘감사 명상’ 시간이 주어졌다. 잠시 불만에서 벗어나 감사하는 내용을 작성해보는 것이다. 이들은 감사의 목록을 하나하나 작성해봄으로써 그동안 미워하고 원망했던 사람들도 사실은 얼마나 고마운 사람들인지 깨달으며, 어떤 사람에 대해서든 ‘마음먹기’에 따라 전혀 달리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깨달음에 따라 주위 사람들에게 잘못한 것을 사과하는 명상의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마음을 다해 용서를 빌었다.

“다른 사람을 가장 행복하게 해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상대방의 에고(이기심)를 성취시켜주는 것입니다. 사랑받고 싶고, 존경받고 싶고, 칭찬받고 싶은 마음을 충족시켜주는 것입니다. 상대의 좋은 점에 대해 ‘당신은 이런 점이 좋아요’라고 아낌 없이 칭찬하십시오.”

처음엔 칭찬하는 것과 칭찬받는 것에 몹시 어색해했지만, 안내자의 지도에 따라 돌아가며 지명한 상대에게 자신이 느낀 점을 칭찬하기 시작했다.

“큰바람님, 점잔만 빼는 대개의 여성들과 달리 정말 그 닉네임처럼 바람같이 걸림 없이 활수한 모습을 보여주니 신선하게 느껴집니다.”

“아가님은 매사에 적극적이어서 어두운 구석을 밝게 변화시키는 것 같아 보는 사람도 기분이 밝아집니다.”

‘칭찬’이 계속 되는 사이, 방 안 분위기는 놀라울 정도로 밝아지고 있었다. 칭찬의 마력이었다. 칭찬은 마음을 여는 열쇠였다. 이들은 ‘마치 마약을 먹은 기분’이라며, 그 황홀함을 숨기지 않고 고백하기도 했다. 그동안 쭈뼛쭈뼛하며 마음을 열지 않던 사람들도 모두가 자신의 긍정적인 면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자 처음의 쑥스러움은 사라지고, 어느새 얼굴이 환하게 밝아졌다.

‘칭찬 명상’을 계기로 그때까지 어색했던 분위기는 전혀 새로운 방향으로 흘러갔다. 서먹했던 감정을 극복하고 불과 이틀을 함께 보낸 다른참가자들과 칭찬을 주고받으면서 마치 백년지기처럼 마음을 열고 깊은 속내를 주고받기 시작했다.

하루 한나절씩 진행되는 용타 스님의 강의도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었다.

“삶의 목적은 무엇일까? 삶의 목적은 행복입니다. 어떻게 행복을 얻을 수 있을까요? 자기 마음을 잘 알고, 잘 다루고, 다른 사람과 그 마음을 잘 나눌 수 있으면 지고한 행복을 얻습니다. 그러면 명예와 권력과 건강과 돈은 부수적으로 얻어집니다.”

그는 행복을 얻는 방법으로 마음 알기와 마음 다루기, 마음 나누기를 제시했다.

“운명의 최대 걸림돌은 무엇입니까? 바로 자기 자신입니다. 사슬로 자기 자신을 묶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 안의 사슬을 알아야 합니다. 자기 운명을 방해하는 사슬들은 무엇입니까? 목에 깁스를 한 경화 사슬, 온갖 사념의 사슬,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음시각 사슬, 신뢰하지 못하는 불신 사슬, 남의 표정만 살피는 눈치 사슬, 자신을 떳떳이 보여주지 못하는 은폐 사슬이 행복으로 가는 길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사슬을 끊어야 합니다. 과감히 저질러야 합니다. 과거는 제치고, 미래는 저지르십시오.”

사슬을 끊는 시범을 보인 이는 놀랍게도 용타 스님 자신이었다.

“왜 촐랑대지 못합니까.”

용타 스님은 그날 밤 참가자들이 빙 둘러앉은 법당에서 ‘이곳을 중앙시장으로 생각하라’며 중앙시장 장사치 역할을 자청하고 나섰다.

“골라,골라,골라.”

남대문 시장의 좌판 상인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스님 체면일랑 훌훌 벗어던진 채 손과 다리를 맞부딪치며 ‘골라,골라’를 연발했다.

조별로 목에 깁스를 한 듯 가장 ‘촐랑대지’ 못할 것 같은 이들을 조원들이 직접 뽑았다. 과연 뽑힌 이들이 용타 스님처럼 ‘촐랑댈’ 수 있을까? 대부분 회의의 눈길을 보냈다. 그런데 의외였다. 승복을 입은 용타 스님이 장사치를 흉내 내는 모습을 보며 스스로 틀에 갇혀 남의 눈치만 살피던 사슬을 끊어버릴 용기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골라, 골라.”

드디어 그토록 자신을 옥죄던 깁스를 벗어던지고, 자신의 고정된 틀에서 탈피하고 있었다. 참가자들 모두 배꼽을 잡고 웃었다.

“사슬 중 왕초 사슬은 ‘나는 사장이다’, ‘나는 교사다’, ‘나는 어른이다’ 등의 ‘나는 ~이다’ 사슬입니다. ‘~이다’라며 자신을 옥죄고 있는 사슬을 던져 버리십시오. 화내고 싶을 때 화내지 못하게 하고, 울고 싶을 때 울지 못하게 하고, 웃고 싶을 때 웃지 못하게 하는 것이 이 사슬입니다.”

용타 스님은 자신을 가두고 있는 모든 사슬을 벗어나라고 독려했다. 더욱 과감한 행동 명상이 시작되었다. 무릎을 꿇고 둘씩 맞붙어 싸우는 개싸움이었다.

행동 명상이 가열되자 숨소리들이 거칠어지고, 맞부딪치는 고함소리가 커졌다. 수십 년 동안 잠재해 있던 분노와 한이 폭발하는 듯했다. 거친 숨소리 사이로 어디선가 한 맺힌 울음 소리가 새어 나왔다.

“울음이 나오면 마음껏 우세요. 울음을 막는 사슬도 끊어버리십시오.” 또 다른 진행자인 대화 스님의 위로에 참가자들은 사슬에 묶인 목을 놓아버렸다. 큰 강당은 온전히 울음과 하나가 되었다. 얼마나 울었을까.

참가자들이 가슴속에 있는 것을 남김없이 쏟아내는 자리가 마련됐다. 그때 강당 중앙으로 걸어 나온 이는 이혼녀의 딸로 자란 삼십대 주부, 호수였다. 마지막까지 혼신을 다해 개싸움을 하며 자신의 모든 것을 토해낸 그였다.

“내가 국민학교 5학년 때 부모님이 이혼했습니다. 아빠가 없어 항상 외로웠습니다. 엄마가 미웠습니다. 스무 살 때 남편과 결혼을 했고, 남편은 내 안에 든 흑진주를 꺼내겠다며 노력했습니다. 그런데도 나는 약한 모습을 보이면 엄마처럼 버림받을까 두려웠습니다. 그래서 남편에게조차 잘난 모습을 보여주기위해 날 포장해왔답니다. 한 번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남편에게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그때 이혼녀로 살아가는 삼십대 중반 여성인 큰바람이 앞으로 나왔다.

“저도 불가피하게 이혼했답니다. 제 딸도 훗날 여러분처럼 이렇게 깊은 상처를 안은 채 이 자리에서 저를 원망할까요? 전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그동안 먹고사느라 딸이 재롱 떠는 모습 한 번 제대로 본 적이 없답니다. 편모에 대한 편견이 이토록 무서운 사회에서 편모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먹고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아십니까? 여러분은 그 어머니의 고통을 생각해보신 적은 없나요. 그런 상황에서도 여러분을 버리지 않고 보듬고 살아온 엄마의 입장을 헤아려본 적이 있나요. 그런 엄마를 이해해주고 용서해줄 수는 없나요.”

큰바람의 호소에 강당 여기저기 훌쩍이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긴 침묵이 지나고, ‘사랑하게 된다면’이란 닉네임을 가진 이십대 후반 청년이 조용히 앞으로 걸어 나왔다. 그는 “이젠 울고 싶어도 눈물이 나지 않는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는 모든 사람으로부터 버림받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아버지는 젊은 시절 촉망받는 수재였지만, 6·25 때 할아버지가 월북한 뒤 빨갱이 자식으로 내몰리며 평생 폐인으로 살게 되었습니다. 견디다 못한 어머니는 제가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6개월씩 가출하더니, 마침내 절로 출가해버렸습니다. 새어머니가 들어왔다가는 나가고, 또 다른 여자가 들어왔다가 나가면서 집안을 돌보는 사람이 없을 때 제가 동생들까지 돌보아야 했습니다.”

현대사의 비극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그는 여전히 원한을 놓지 못하고 있음을 고백했다.

“한 번만이라도 어리광을 피워보고 싶었지만 누구 하나 제 얘기를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전 누구도 사랑할 수 없습니다.”

‘사랑하게 된다면’과 비슷한 아픔을 겪은 이가 또 있었다. 갓난아이 때 아버지가 빨갱이로 몰려 총살을 당한 뒤 어머니마저 떠나버리고 할머니 밑에서 자란 덕유산이었다. 민주화운동 때도 수사과정에서 늘 빨갱이임을 자백하라며 고문을 당했던 덕유산은 ‘사랑하게 된다면’과 밤을 하얗게 지새우며 그의 아픔을 보듬었다.

평소엔 과거나 상처를 숨긴 채 아무렇지 않은 척, 용감한 척 살아가지만, 많은 사람들의 가슴은 이처럼 새까맣게 타들어간다. 참가자들은 서로의 뼛속 깊은 아픔들을 보며, 모두 껴안을 수밖에 없는 아픈 존재라는 것을 실감했다.

 

갑자기 용타 스님이 일어나 건너편의 처녀 햇살을 향해 공손히 절을 했다. 스님의 돌연한 행동에 햇살은 어쩔 줄 몰라 했다. 그러나 스님의 정성스런 절은 중단되지 않았다. 마치 부처님께 올리는 듯한 지극정성의 삼배에 햇살은 눈물을 짓고 말았다. 이렇게 시작된 ‘절 명상’은 각자가 모든 사람에게 삼배씩 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삼배를 받았다.

대학 재학 시절 노동운동에 투신한 뒤 자신을 위해선 생선 한 토막 구워먹어본 적이 없을 만큼 자신을 방치한 채 살면서 자신의 가치마저 상실해 버린 큰바람은 쉰 살이 넘는 덕유산 등의 극진한 삼배를 받으며 자신을 위로하고 있었다.

“그래, 나도 가치 있는 존재야······.”

이처럼 존귀한 대우를 받아본 적도 없고, 자신이 존귀하다고 여겨본 적도 없었던 그는 마치 자기 안의 보물을 드디어 발견한 듯 가슴을 쓸어내리며 벅차오르는 감격을 억누르지 못했다.

구석에 앉아 있던 ‘사랑하게 된다면’의 눈물샘이 고장 난 것은 그때였다. 울고 싶어도 눈물이 나지 않는다던 그는 지극정성으로 자신에게 삼배를 올린 한 참가자의 품에 안겨 울고 있었다. 얼어붙었던 그의 가슴이 녹아내리고 있었다. 절을 하는 이도, 받는 이도 없었다. 부처만이 남았다.

“우리는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것, 이루어놓은 행복을 발견하지 못한 채 끝없이 새로운 욕망에 집착하고 있습니다. 이미 이루어진 것을 한번 확인해봅시다.”

안내자의 말에 따라 ‘지족(知足) 명상’이 시작됐다. 이루지 못해서 불만이었던 것을 놓아버리고, 이미 이루어지고, 채워지고, 완전한 것을 깨닫는 시간이다.

“나는 우주와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하고 신비한 초차원적 존재입니다.”

“나는 천재 예술가 천만 명이 동원해도 빚어낼 수 없는 대예술품인 몸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에겐 나를 사랑하는 아내와 딸이 있습니다.”

“난 튼튼한 다리를 갖고 있습니다.”

이미 자신이 갖고 있거나 이룬 것을 하나하나 열거했다. 잃어버렸던 재산을 다시 발견한 듯 이들은 마음의 부자가 되어갔다.

용타 스님은 직접 개발한 ‘나지사 명상’을 통해 참가자들이 불쾌한 상황에 봉착했을 때 마음을 다루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제시했다. 나지사는 ‘구나’와 ‘겠지’ , ‘감사’의 끝 글자를 합친 말이다. 어떤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랬구나’라며 상황을 객관적으로 본 다음 ‘그럴 만한 사정이 있겠지’라며 상황을 이해하고, 그나마 더 상황이 나빠지지 않은 것에 ‘감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내가 밤늦게 들어오면서 문을 ‘쾅’하고 닫았을 때 남편은 아내에게 즉각 화를 내기 일쑤다. 그때가 나지사 명상이 필요한 순간이다.

일단 “아내가 문을 ‘쾅’ 닫고 들어오는구나”라며 상황을 객관적으로 본다. 그리고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겠지”, “친구를 만난다고 했는데, 잘 사는 친구들이 잘난 체를 해서 속이 상했겠지”, “기분 나쁜 일이 있겠지” 등으로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어 “기분이 나빴을 텐데 밖에서 싸우지 않고, 잘 참고 이렇게 들어왔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화가 나서 앞도 잘 보지 않고 운전하다 교통사고가 날 수도 있었는데, 이렇게 잘 들어왔으니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라며 “그만하니 감사하다”라는 마음을 내면 불처럼 일어났던 화가 가라앉는다. 참가자들은 이런 상황을 설정해 노트에 작성하거나 조원들과 얘기를 해봄으로써 실제 마음이 평안해지는 것을 느꼈다.

용타 스님은 이제 만족스러움을 아는데 그치지 않고, 욕구마저도 넘어서라고 했다.

“사람은 욕구 덩어리로 태어납니다. 욕구가 좌절됐다고 생각하면 불행을 체험하고, 욕구가 성취됐다고 생각하면 행복을 체험합니다. 이미 성취한 것만 생각해도 행복해지지만, 욕구 자체를 놔버리면 해탈이 됩니다.”

욕구도 놓고, 사고도 놓고, 개념조차 놓고 사물을 무심하게 대하는 ‘무심 명상’의 시간이었다.

“사물을 볼 때 개념화하는 실체 사고가 무너지면 모든 번뇌가 사라집니다. 실체 사고의 핵심은 ‘나’입니다. ‘나’가 만들어지면 ‘너’가 만들어지고, ‘너’가 만들어지면 ‘그’가 만들어지고, 모든 것에 꼬리표를 붙이게 됩니다. 내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것이 나다’, ‘이것이 내 것이다’라는 생각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삼동원의 주변 경관을 무심하게 바라보도록 했지만, 말처럼 무심 명상이 쉬운 것은 아니었다. 사물을 보는 순간 ‘저건 무엇이다’라고 개념화하고, ‘예쁘다’라거나 ‘이상하게 생겼다’라고 판단하고 분별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습관이었기 때문이다.

다시 법당에 앉아 모두 눈을 감았다. 용타 스님은 자기 앞에 한잔만 마시면 곧바로 죽음에 이르는 독배가 놓여 있다 여기고, 마음으로 독배를 마시라고 했다. ‘독배 명상’이었다. 아무리 마음속으로 마시는 독배였지만, 참가자들은 쉽게 독배를 들이키지 못했다. 걸리는 게 많았던 것이다.

“무엇 하나 해놓은 게 없어 억울해서 죽을 수 없었습니다.”

“어린 딸이 가장 걸렸습니다.”

이들은 독배를 마실 수 없게 한 집착이 무엇이었는지 살핀 다음 그런 집착조차 놓고 독배를 마셨다. 그리고 우주를 유영하기 시작했다. 마음이 조금씩 조금씩 자라서 우주만큼 커졌다. 감각조차 놓아버리고 무심하게 우주와 내가 하나 되는 ‘옴나 명상’이고 ‘무아 명상’이었다.

“이 명상은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알려줍니다. 우주만큼 커진 내게 고통은 무한대분의 1이므로 고통은 0이 됩니다. 자신의 고통은 0으로 보고, 다른 사람의 고통은 무한대로 보아야 합니다.”

긴 항해의 마지막 밤, 모두가 빙 둘러앉은 가운데 용타 스님은 큰 물통 안에 물이 든 컵 하나를 넣어두고 이채로운 시연을 했다. 미국 에미서리 공동체의 대표적 긍정 명상인 ‘물컵 명상’이었다.

“물컵 속에 담긴 물은 오염되기 전 우리의 마음입니다. 하느님이 보시기에 좋은 모습입니다. 그런데 지금부터 온갖 교육이 시작됩니다.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면 안 된다’ , ‘여자가 큰 소리를 내면 안 된다’ 등 온갖 것이 주입되기 시작합니다.”

그는 잉크를 찍어 물에 타면서 맑은 물이 오염되는 모습을 시연했다. 물은 완전히 잉크색이 되어버렸다.

“그럼 이 물을 어떻게 하면 맑은 물로 되돌릴 수 있을까요?”

용타 스님이 잉크를 끄집어내기 위해 족집게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미 경계가 사라진 맑은 물과 잉크를 구분할 수는 없었다. 아무리 족집게로 잉크를 집어내려 했지만 그렇게 해서 물이 다시 깨끗해질 수 없다는 것을 모두가 절감할 즈음 그가 갑자기 옆에 놓여 있던 주전자를 들었다. 그리고는 컵 위에 맑은 물을 콸콸 부었다. 컵 속의 잉크 물은 넘쳐버렸고, 컵 속엔 순식간에 맑은 물이 들어차 있었다.

“아~하.”

모두에게 말 없는 깨우침. 어두움을 어두움으로 몰아낼 수 없고, 어두움은 긍정과 칭찬과 밝음과 맑은 물로만 없앨 수 있다는 깨침이었다. 새로운 깨침으로 한숨 곤히 잤고 났을 때 동이 트기 시작했다. 밝아지면 어둠은 저절로 물러간다는 것을 다시금 가르쳐주듯이.

 

행복마을 동사섭 - 동사섭이란?

행복마을 동사섭 - 동사섭이란?

동사섭이란-우리 모두의 지고한 행복을 찾아가는 길, 동사섭의 철학입니다.

What` Dongsasub Dongsasub in my View


사람은 탄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를 때까지 보다 높은 행복을 지향해 간다.
행복이란 「좋은 느낌 상태」를 의미한다.
좋은 느낌, 좋은 기분, 좋은 감정, 좋은 정서이다.


해탈이니 구원이니 하는 것도 그 본질은 결국 지극히 좋은 기분 상태를 말할 것이다. 쓰이기에 따라 행복의 조건까지를 포함해서 행복이라 말하기도 하겠 지만 끝내 그 본질은 느낌이다. 따라서 우리의 이상(理想)은 우리 모두의 지극한 호감정(好感情, 느낌)이다.

행복의 본질이 느낌이라는 것을 인정한다면 느낌에 대한 바람직한 신념이 선명하게 정립될 필요가 있다.이는

1. 감지하지 못할 수는 있겠지만 느낌 없는 순간이란 없고, 순간순간 ~ 만큼의 느낌이 흐르고 있을 것이니, 바로 그 느낌을 아는 것(느끼는 것, 감지하는 것, 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행복 수위를 높이기 위해 어떤 작업(행복의 조건을 구비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 느낌과 조건이라 함은 삼라만상 세상 모든 것들에 따라 다양하고 무수하다.

41여 년 동안 업그레이드되어온 동사섭수련회에서는 ‘삶의 오대원리(五大原理)’ 혹은 ‘이상공동체(理想共同體) 오요(五要)’ 라는 이름으로 극히 중요한 행복 조건 다섯 가지를 제시한다.

2021/11/18

알라딘: 보통의 깨달음 스티브 테일러 The Leap: The Psychology of Spiritual Awakening

알라딘: 보통의 깨달음


보통의 깨달음   
스티브 테일러 (지은이),추미란 (옮긴이)판미동2020-11-18
원제 : The Leap: The Psychology of Spiritual Awakening (2017년)
==
508쪽
==
책소개

깨달음은 종교인이나 구도자에게만 일어나는 특별한 일일까? 깨달았다는 영적 지도자들은 왜 잘못된 행동을 저지르는 것일까? 생태·환경운동, 채식주의, 심플라이프 등 사회적 관심과 변화는 깨달음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깨달음이 보통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라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깨달음’을 종교와 수행의 관점이 아닌 보편적인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통 사람들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깨어남 현상의 실체를 밝히는 『보통의 깨달음』이 판미동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읽고 찬사를 보내며 자신의 이름을 내건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Eckhart Tolle Edition)’으로 출간한 책이다.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영국 리즈 베켓 대학교의 심리학과 부교수이자 세계에서 가장 영향 있는 생존 영성가 100인 안에 꾸준히 선정되어 온(《MIND, BODY, SPIRIT》지 선정) 인물로, 그 자신도 영적 수행의 길을 걸어가는 동시에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병행해 왔다. 오랜 연구와 취재의 결과물이 집약된 이 책에는 깨어남을 촉발하는 원인들 / 자연적 깨어남, 단계적 깨어남, 급작스러운 깨어남 등 깨어남의 여러 형태 / 깨어날 때 우리 존재나 정신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 / 깨어난 사람의 세계관, 인간관계, 가치관, 삶의 목적 / 사기꾼 구루와 진짜 깨어난 사람의 차이점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
목차
『보통의 깨달음』을 독자들에게 소개하며 | 에크하르트 톨레 -6

들어가는 말 -14

1장 잠에 빠지다, 깨어나길 열망하다 -31
2장 다양한 문화에서 말하는 깨어남 -53
3장 자연적 깨어남, 깨어난 예술가 -83
4장 자연적 깨어남, 혼란과 통합의 과정 -113
5장 전통 안에서의 단계적 깨어남 -139
6장 전통 밖에서의 단계적 깨어남 -163
7장 급작스러운 깨어남, 혼란 끝의 변형 -191
8장 급작스러운 깨어남, 쿤달리니 각성 -229
9장 급작스러운 깨어남, 향정신성 약물이나 테크놀로지 -249
10장 깨어난 후 찾아오는 영적 위기 ?277
11장 폭풍 뒤에도 남아 있는 특성과 문제적 스승 -309
12장 깨어남의 의미: 새 세상, 새 자아 -325
13장 깨어남의 의미: 새 정신, 새 인생 -355
14장 자연적인 깨어남 상태에 있는 아이들 -389
15장 깨어남에 대한 신화들 -417
16장 집단 깨어남, 그 진화적 도약 -445

감사의 말 -478
부록 | 종교적/일반적 깨어남 특성 항목표 -479
주 -482
참고 문헌 -496
자료 -504

===
책속에서
첫문장
깨어남, 깨어나기 같은 용어를 쓸 때 어디로부터 깨어나는지를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P. 21 사실 이 책을 비롯한 내 연구들의 목적 중 하나가 깨어남 상태의 특성들을 명확히 규명해 가짜 깨달음과 진짜 깨달음을 구분하는 지표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적 지도자들에 대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자칭 구루라고 하는 자기 망상에 빠진 사람들이 나약한 신봉자들의 삶을 파괴하는 문제들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깨어난다는 것이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그런 망상에 빠진 사람 혹은 사기꾼 지도자를 좀 더 쉽게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접기
P. 28~29 이 책의 주제인 ‘그 상태’를 설명하는 데 어떤 용어를 써야 할지 오랫동안 고민해 보았다. 처음에는 ‘깨달음(enlightenment)’이라는 말을 고려해 보았지만, 나는 이 말이 늘 조금 불편했다. 원래 불교 용어 보리(bodhi)에서 나온 말인데, 그 번역이 부정확하다는 게 그 한 이유다. 19세기 불교 경전 번역가들이 보리를 깨달음이라고 번역했다. 하지만 보리는 팔리어 동사 부드흐(budh)에서 나온 말로 사실은 ‘깨어난다(to awaken)’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보리를 직역하면 ‘깨어남(awakening)’에 더 가깝다. 게다가 사람들은 깨달음을 모든 문제와 잘못이 사라져 축복만 넘치는 편안한 상태로 보고, 따라서 완벽하게 긍정적인 용어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내가 인터뷰했던 사람들 대다수가 깨달음 후에도 이런저런 문제들을 겪었음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은 듯하다.  접기
P. 281~282 깨어남은 기본적으로 ‘경험’하는 것인데, 그 상태의 개념적인 이해가 중요하다고 하면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어떤 의미에서 개념적인 이해가 깨어남에 장애가 되는 것도 사실이다. 개념이라는 것이 우리로 하여금 세상을 그 자체로 보지 못하게 하므로 결국 우리가 초월하려고 하는 게 아닌가? 흔히 지성, 관념, 믿음 같은 것들에 사로잡혀 있으면 안 된다고 하지 않는가?
사실이 그렇긴 하지만 깨어남에 대한 아주 기본에 해당하는 개념들은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지도는 길을 갈 때 방위를 찾고, 내가 어디 있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 지도는 순간의 세상을 경험하지 않고, 길 가는 내내 그것만 붙잡은 채 내가 어디를 지나왔고 어디로 가고 있나만 생각할 때 문제가 된다. 깨어난 사람이 자신이 지금 통과하고 있는(혹은 이미 통과한) 과정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거듭 의구심이 들 테고, 심지어 깨어남 상태를 억압하려 들지도 모른다.  접기
P. 323 다만 이 장에서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바로 깨어남이 상태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것이다. 깨어남은 끝이 아니라 다른 여정의 시작이다. 깨어남은 길의 끝에 도달했다는 뜻이 아니라 다른 길로 옮겨 갔다는 뜻이다. 비유를 좀 더 확장하면 그 다른 길은 좀 더 높은 산길이다. 그 길에서는 더 넓은 전망을 볼 수 있고, 풍경이 더 아름답고 더 생생하다. 시공간이 더 넓어지고 여정이 더 고요해지면서 동시에 더 신난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길은 길이라서 그곳에서도 움직임이 있고 변화가 있다. 진화의 가능성도 여전하고 (일부 구루들의 경우처럼) 퇴화의 가능성도 있다. 문제도 직면해야 한다.  접기
P. 346~347 에고는 자연과 분리되어 있는 대도시와도 같아서, 도시 밖의 자연과 그 빛을 감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깨어난 자아 체계는 대도시보다는 환경친화적인 작은 에코 타운 같아서, 섬세하고 자연을 침해하지 않으며 머릿속 수다가 만들어 내는 안개로부터 대체로 자유롭다 보니 자연과 그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우리 존재의 영적 에너지가 우리를 관통하며 자유롭게 흐른다. 우주에 편재하는 영적인 힘과 본질적으로 같은 바로 그 에너지 말이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삶은 우리에게 언제나 필요한 것만 준다. 그리고 지금은 이 책을 주고 있다. 삶이 우리에게 이 책을 안내자 삼고 친구 삼아 어려운 시대를 잘 살아 내라고 말하는 것 같다. 곳곳에 포진해 있는 통찰들, 스티브 테일러의 강점인 직설적이고 솔직하고 간명한 언어가 돋보이는 책이다.” - 에크하르트 톨레 (<NOW>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의 저자) 
“깨달음이라는 전통적 지혜와 현대의 과학적 연구가 아름답게 조우했다. 덕분에 영적 깨어남의 신비한 과정을 드디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피터 러셀 (물리학자, 저술가) 
“통찰력이 대단하고 영감으로 가득한 책이다. 전작들에서도 빛나던, 깨어남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 지식이 마침내 이 책으로 그 꽃을 피웠고, ‘인류가 곧 진화할 것이다.’라는 성명으로 그 정점을 찍었다. 깨어남에 대해 관심이 있거나 깨어남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그 흥미진진한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돋보이는 책이다. 사실 모두가 읽어야 할 훌륭한 책이다.” - 페니 사토리 
“『보통의 깨달음』에서 스티브 테일러는 영적 깨어남에 대한 급진적인 접근법을 선택했다. 이 책에 따르면 영적 깨어남은 생각보다 흔한 일이고, 종교적 전통들과 별도로 일어나며, 인간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도발적인 성명으로 가득하다. 동의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을 테지만, 이 책이 하는 말을 잊어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으로 스티브 테일러는 다시 한번 뛰어난 영성서 작가이자 영적 지도자로 우뚝 섰다. 명쾌하기 그지없는 이 책이 많은 생각과 지혜를 끌어낼 것이다.” - 스탠리 크리프너 (세이브룩대학 심리학과 교수) 
“종교 안팎에서 깨어남을 낱낱이 그리고 아름답게 탈신화했다. 재밌게 읽을 수 있고 위험한 시대에 희망을 갖게 한다.” - 클라우디오 나란조 
“이제 깨달음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아야 할 때가 왔다. 『보통의 깨달음』은 읽기 쉬운 책이며, 이미 한참 전에 나왔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책이다.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던 깨달음을 스티브 테일러가 사랑하고 걱정하는 마음으로 완벽하게 파헤쳤다.” - 로버트 K. C. 포먼 (전 뉴욕 시립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저자 및 역자소개
스티브 테일러 (Steve Taylor) (지은이) 

영국의 리즈 베켓 대학교에서 부교수로 학생들에게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어릴 때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경험하고 방황한 끝에, 영적 수행의 길을 걸으면서 동시에 수행과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병행해 왔다. 그의 연구는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인본주의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을 포함한 여러 학술지에 실렸고, 《가디언》, BBC와 같은 유력 매체에 특별 보도되기도 했다. 영성에 대한 통찰력과 인류를 대하는 따뜻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 있는 생존 영성가 100인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는 등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자아폭발』, 『조화로움』, 『제2의 시간』, 『잠에서 깨어나기』, 『고요한 중심(The Calm Center)』 등이 있으며, 전 세계 2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그중에서도 이 책 『보통의 깨달음』은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삶을 깨우는 데 강력한 도움을 주는 책을 직접 선정하고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에 포함되어 있다. 접기
최근작 : <마음의 숲을 걷다>,<보통의 깨달음>,<조화로움> … 총 101종 (모두보기)
===
추미란 (옮긴이) 

동국대학교와 인도 델리 대학교에서 인도 역사와 철학을 공부했다. 현재 독일에 거주하며 독어, 영어 출판 전문 기획 및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자기계발, 철학, 역사, 명상, 종교, 뉴에이지, 뇌과학, 양자역학, 사진 분야에서 40권이 넘는 책을 번역했다.
옮긴 책으로는 『나의 반려동물도 나처럼 행복할까』, 『달라이 라마의 고양이』, 『두려움과의 대화』, 『원네스』, 『자각몽, 또 다른 현실의 문』, 『당신이 플라시보다』, 『나로 살아가는 기쁨』, 『어느 날 갑자기 무기력이 찾아왔다』, 『보통의 깨달음』 등이 있다.
긴 산책, 명상, 개와 고양이, 요리, 그림, 낯선 곳으로의 여행 등 깨달음을 주는 삶의 소소한 것들을 사랑하며 살고 있다. 접기
최근작 : … 총 60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영적 지도자
에크하르트 톨레가 직접 선택한 책

“삶은 우리에게 언제나 필요한 것만 준다.
그리고 지금은 이 책을 주고 있다.”

심리학자가 말하는 깨달음에 대한 모든 것

깨달음은 종교인이나 구도자에게만 일어나는 특별한 일일까? 깨달았다는 영적 지도자들은 왜 잘못된 행동을 저지르는 것일까? 생태·환경운동, 채식주의, 심플라이프 등 사회적 관심과 변화는 깨달음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깨달음이 보통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라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깨달음’을 종교와 수행의 관점이 아닌 보편적인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통 사람들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깨어남 현상의 실체를 밝히는 『보통의 깨달음』이 판미동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읽고 찬사를 보내며 자신의 이름을 내건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Eckhart Tolle Edition)’으로 출간한 책이다.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영국 리즈 베켓 대학교의 심리학과 부교수이자 세계에서 가장 영향 있는 생존 영성가 100인 안에 꾸준히 선정되어 온(《MIND, BODY, SPIRIT》지 선정) 인물로, 그 자신도 영적 수행의 길을 걸어가는 동시에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병행해 왔다. 오랜 연구와 취재의 결과물이 집약된 이 책에는 깨어남을 촉발하는 원인들 / 자연적 깨어남, 단계적 깨어남, 급작스러운 깨어남 등 깨어남의 여러 형태 / 깨어날 때 우리 존재나 정신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 / 깨어난 사람의 세계관, 인간관계, 가치관, 삶의 목적 / 사기꾼 구루와 진짜 깨어난 사람의 차이점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깨달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 자연적/단계적/급작스러운 깨어남에 대하여

많은 사람이 깨달음은 비범한 일이고 은둔자가 되어 홀로 수십 년을 수행해야 가능한 일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깨달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만나 본 후, 영적 지식이나 훈련 없이 다양한 직업을 갖고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서도 깨달음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산후 우울증을 겪던 마리타는 남편의 분노가 폭발한 순간에 급작스러운 깨어남 현상을 경험했으며, 킴벌리도 모친 사망 후 급작스럽게 깨어났다. 서커스단에서 3년간 지극히 말을 돌보다가 깨달음을 얻은 러셀, 만성 피로 증후군으로 본의 아니게 금욕 생활을 하다가 단계적으로 깨어난 셰릴 등 수많은 사례가 이 책에 실려 있다.
주로 이들은 아무런 계기 없이 어려서부터 자연적 깨어남 상태에 있거나, 영적 수행과 유사한 일상의 활동을 통해서 단계적으로 깨어나기도 하고, 사별이나 암 진단 등의 충격적인 사건을 겪고 급작스럽게 깨어나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보통 사람들의 자연적/단계적/급작스러운 깨어남 현상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영적·종교적 전통 안에서 말하는 깨달음과 그 전통 밖에서 깨달음을 이루고 창조성을 발현했던 예술가들(월트 휘트먼, D. H. 로렌스 등), 깨어난 상태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어린아이의 마음 등을 비교 분석하며, 깨달음이 일어날 때 우리 안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세심하게 짚어 본다.

“깨달음이란 곧 ‘수면 상태로부터의 깨어남’이다”
- 깨어난 사람의 지각적/내면적/관념적/행동적 특징

이 책에서 저자는 ‘깨달음(enlightenment)’이라는 말이 그 의미가 부정확한데도 사람들은 완벽하게 긍정적인 의미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말하며, ‘깨어남(awakening)’이라는 용어를 쓰기를 제안한다. 저자에 따르면 초창기의 인류는 주변 세상과 그 신성함을 생생하게 경험했고, 자연 및 우주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약 6000년 전 인간의 에고가 점차 커져 개인적인 존재로서 자신을 경험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을 자연, 공동체, 심지어 제 몸으로부터 분리시켜 왔고, 이러한 분리감이 인류의 야만성, 억압, 갈등 등을 불러왔다. 에고에 에너지를 과도하게 집중하느라 주변 세상에 대한 지각 능력이 무뎌지고, 머릿속 수다가 곧 자신이라고 느끼며, 세상을 더 자기중심적으로 보고, 집단 정체성에 대한 갈망이 더 커지게 되었다. 이것이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하는 수면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깨어나는 것이 바로 ‘깨달음’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수면 상태에서 깨어나게 되면 자아 체계의 에고를 보호하는 데 에너지를 덜 쓰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주변을 선명하게 지각하는 데 에너지를 더 쓰게 된다. 시간에 대한 관념도 달라져 과거에 붙잡혀 있거나 미래에 매달리기보다는 현재를 중요시한다. 공간에 편재하는 영적 에너지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어 생명력의 조화를 감지하며, 모든 것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지각하게 된다. ‘내면적’으로는 머릿속 수다가 줄어들어 마음이 고요해지고,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음을 자각하였기에 공감과 자비의 감정이 풍부해진다. 안녕, 행복, 평온의 느낌이 자연스럽게 뒤따라오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줄어든다. ‘관념(인식)적’인 면에서는 집단 소속감이 사라지는 대신 내적 확실성을 갖게 되고, 우주적인 관점에서 사고하여 윤리적 배타성이 사라진다. 감사하는 마음과 호기심도 커진다. 마지막으로 ‘행동적’인 면에서는 물질을 축적하려는 욕구가 세상에 공헌하려는 욕구로 바뀌어 이타성과 사회 참여도가 높아진다. 또 끊임없이 놀 거리를 찾기보다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위 상태를 즐기게 된다. 더불어 자율적인 삶을 구축하고 더욱 단단하고 진실한 인간관계를 맺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지각적/내면적/관념적/행동적 특징들은 뚜렷하게 구분이 되기보다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깨어남은 인류의 진화적 도약이다”
- 생태·환경 운동, 채식주의, 심플라이프

저자가 말하는 영적 깨달음이란 결국 비대해진 에고가 불러온 분리와 이원화의 문제점을 되돌리고, 조화와 연결에 대한 감지 능력을 되살리는 것이다. 그동안 인류가 계발해 왔던 기술적 진보, 세상에 대한 이성적인 이해 등의 장점들을 그대로 지닌 채, 초창기 인류가 가지고 있었던 연결감을 회복하여 ‘도약(leap)’하는 것이 인류 진화의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진화적 도약은 에고의 한계를 벗어나 자신의 몸을 더 깊이 지각하고 자연 및 다른 생명과 더 깊이 교감하는 오늘날의 생태·환경 운동, 채식주의, 물질적인 삶이 아닌 단순한 삶의 추구 등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깨어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할 경우, 깨어난 사람이 스스로 억압하려 들거나 공동체에서 병자로 취급될 수 있다고 저자는 우려한다. 망상에 빠진 사이비 구루가 신봉자들을 착취하고 그 삶을 파괴하는 위험도 발생한다. 영성에 대한 통찰력과 인류를 대하는 따뜻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춘 이 책은 독자들이 깨달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스로 의식을 확장하여 삶을 깨울 수 있도록 좌표를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깨어나는 과정에서 혼란을 겪고 있거나 어두운 격변의 시기를 겪은 후 깨어날 준비가 된 사람들에게 결정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 깨어남에 대한 잘못된 신화들

1. 깨어남은 예외적이고 비범한 상태다. → 보통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나타나는데, 당사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깨어남은 오히려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상태다.

2. 깨어난 사람은 일상에서 살아갈 수 없다. → 필요할 때면 일상의 구체적인 일들로 주의를 좁힐 수 있다. 깨어난 사람이 일상을 더 잘 살아갈 가능성이 더 크다.

3. 깨어나거나 아니거나 둘 중 하나지, 중간은 없다. → 더 잠들어 있거나 더 깨어 있는 상태가 있다. 그 강도에 따라 특징이 다양하다.

4. 깨어남은 자기계발의 정점이자 끝이다. → 깨어남은 다른 여정의 시작이다. 깨어난 사람도 계속 발전한다. 다른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5. 깨어난 사람은 모든 고통과 문제에서 벗어나 늘 평온하고 행복하다. → 상대적으로 평온하지만, 늘 행복이 넘치는 삶을 사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제 막 급작스럽게 깨어난 사람의 삶은 절대 완벽하다고 할 수 없다.

6. 깨어난 사람은 절대 잘못 행동할 수 없다. → 비도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초기에는 깨어났지만, 자기도취와 권위주의에 빠져 신봉자들을 착취하는 구루들이 많다.

7. 깨어난 사람은 세속을 떠난다. 세상일에 관심을 두어 간섭하려 들지 않고 현실에 만족한다. → 깨어난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을 줄여 주거나 발전을 독려하고 싶어 하고,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

8. 깨어난 사람(혹은 신비주의자)들은 수동적·소극적이다. 종일 앉아서 명상하며 자신만의 행복한 상태에 빠져 산다. → 깨어난 사람은 에너지가 넘치고 활동적이다. 그 에너지는 예술적 창조성과 이타주의적인 활동으로 드러난다.

9. 깨어나면 세상이 환영이었음이 드러난다. → 세상이 환영이었음이 드러나는 게 아니라 우리가 봐 왔던 세상이 불완전하고 부분적인 진리만 보여 주었음을 깨닫게 된다. 깨어나면 세상은 더 실재하게 된다.

10. 깨어나면 자아가 사라진다. → 자아의 소멸이 아니라 자아의 확장이다. 자기중심적이고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세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을 갖게 된다.

11. 깨어나는 것은 노력해서 될 일이 아니다. → 물론 에고에 의한 노력은 진정한 영적 발전을 부르기 어렵고 부작용만 낳을 가능성이 크다. 옛 자아 체계에서 새 자아 체계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들어가는 ‘단계적 깨어남’에서는 영적 수행이 필요하다. 접기
===
평점분포    9.6

공감순 
     
깨달음이란 무엇일까- ‘깨달음’이라는 행위에 진정으로 내마음이 요동친적이 있을까? 삶의 저력에서부터 오는 깨달음이 궁금했다. 삶의 공간에서 그리고 내가 가지고 있는 의식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약 500페이지의 책에서 나는 깨달음을 알았다. 
민정 2020-11-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이번에 읽게 된 책도 심리학에 관한책

지금 나에게 제일 흥미 있는 주제는 심리학

심리라는게 쉬운것 같으면서도 느끼는걸 말로 표현하는 능력은 또 다르고 학문으로 공부하자니 또 다른느낌이다 하지만 이 책은 개념설명 뿐만 아니라 그에맞는 적절한 예시도 함께라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kalsk91 2020-12-06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마이리뷰] 보통의 깨달음 새창으로 보기
📚THE LEAP 보통의 깨달음 #스티브테일러 #판미동

✍깨달음은 특별하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지금껏 읽었던 명상관련책들은 지루하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보통의깨달음 이라는 제목처럼 특별하지않아서 특별한것이였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리고 책 뒷표지의 문장에서 내가 항상 의문이었던 깨달음을 얻었다는 종교인들의 상식밖의 범죄적 행동을 어느정도는 알수 있을 거라는 망설임을 ‘THE LEAP‘ 도약이라는 원제가 사상 초유의 팬데믹 사태에 재난 상황에서 멈춰있던 나를 도약시키고 싶은 본능이 책을 펼치고 읽게하는 동기였다.

🏷21p
사실 이 책을 비롯한 내 연구들의 목적 중 하나가 깨어남 상태의 특성들을 명확히 규명해 가짜 깨달음과 진짜 깨달음을 구분하는 지표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적 지도자들에 대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자칭 구루라고 하는 자기 망상에 빠진 사람들이 나약한 신봉자들의 삶을 파괴하는 문제들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깨어난다는 것이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그런 망상에 빠진 사람 혹은 사기꾼 지도자를 좀 더 쉽게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정성스러운 서문으로 저자의 소신을 엿볼수있다. 이 책을 모두 읽기 힘들다면 16페이지의 서문을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서문을 읽고나면 본문도 읽고 싶어지는 책이기는 하다^^;)

🏷92쪽
자연스럽게 깨어난 사람은 영적 지도자보다는 창조적인 예술가가 되기 쉽다. 영적 깨어남과 창조 활동, 특히 시와 그림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니까 깨어난 상태를 표현하는 데에는 시적 혹은 시각적 방식이 적합한 것이다.

✏많은 작가들과 화가들이 소개되는가운데 그림에 대한 구체적 예시가 문학작품보다 다소 아쉽게 느껴졌다.

<보통의 깨달음>을 읽다보면 📝필사하고 싶은 생각이 계속드는 책이다.
그리고 혹시 이 책을 만나신다면 속독아닌 정독을 권한다. 종교적인 것들은 잘몰라서 처음읽을때 잘안들어왔던것들이 다시 정독할때는 반갑게 읽히는 경우가 많았기에 읽는 참맛을 느끼기에는 두고두고 천천히 즐기면서 읽기를 권한다. 최근에 장기하님이 유퀴즈에 나오신걸보고 하루에 꾸준하게 몇장이던 읽다보니 다독을 하시게 된다는 것을 보고 나 또한 천천히 즐기면서 읽고 싶어졌다. 역시 좋은것은 천천히 오래오래 독서도 마찬가지다. 그래야 깨달음의 순간을 놓치지않고 발견할수 있지않을까하는 생각이든다.

#영성 #명상 #에크하르트톨레추천 #에크하르트톨레에디션 #깨달음 #깨어남 #심리학 #도서추천






- 접기
dadokdadok 2020-12-06 공감(10) 댓글(2)
Thanks to
 
공감
     
깨달음의 주체가 되는 법 새창으로 보기
보통의 깨달음
.
.
깨달음은 선택받은 이들의 선물일까. 나의 일상과 거리가 먼 단어처럼 느껴진다. 인식의 가장 강렬하고 확실한 형태로 짐작할 뿐, 내가 깨달음의 주체가 된다는 것은 결코 생각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책의 제목은 보통의 깨달음이다. 자신이 보통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면 이 책의 제목은 반신반의 속에서 기대에 대한 대답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
.
"깨달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 깨어나는 보통의 사람들, 그 마음속에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
.
깨달음에 대한 저자의 탐색과 탐구는 놀랍다. 연구자로서의 철저함과 영성지도자로서의 직관이 이 책에 담겨있기 때문이다. 
.
.
이 책의 주제인 ‘그 상태’를 설명하는 데 어떤 용어를 써야 할지 오랫동안 고민해 보았다. 처음에는 ‘깨달음(enlightenment)’이라는 말을 고려해 보았지만, 나는 이 말이 늘 조금 불편했다. 원래 불교 용어 보리(bodhi)에서 나온 말인데, 그 번역이 부정확하다는 게 그 한 이유다. 19세기 불교 경전 번역가들이 보리를 깨달음이라고 번역했다. 하지만 보리는 팔리어 동사 부드흐(budh)에서 나온 말로 사실은 ‘깨어난다(to awaken)’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보리를 직역하면 ‘깨어남(awakening)’에 더 가깝다. ㅡ28쪽
.
.
깨달음에 대해서 생각하면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떠오르게 된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설명하기 위해 동굴의 죄수들을 설정했다. 죄수는 이데아의 세계인 현상계를 확인하고, 그러니까 깨달음을 얻고 다시 동굴로 돌아와 각성하지 못한 동료들을 설득다. 그러나 그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죄수는 안타까워한다. 자신의 각성은 진리를 만났으나 타인의 무지로인해 인정되지 못하는 것이다.  죄수의 심정에만 집중하자면 그는 좌절할 것이며 고통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깨달음의 과정은 쉽게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진리를 향한 시련의 과정을 통해 인간은 성장하는 것이다.
.
.
그러한 이유로 내가 이 책에서 집중해서 읽은 부분은, 급작스러운 깨어남과 깨어남 뒤의 영적 위기이다. 삶의 절망 앞에서 의연한 태도를 보일 수 있는 힘은 깨달음 뒤의 혼란을 어떻게 수용하는지에 달렸다.
"공허함 안에 고요함이 있고 그 고요가 괜찮다고 말해주고 있음" -212쪽. 
연구자로서 풍부하게 수집된 사례중 가장 눈길을 사로 잡는 것은 그레이엄이었다. 그는 아픈 아내를 걱정하며 간호하는데 아들의 급작스러운 죽음에 아내 역시 큰 충격으로 그날 저녁 사망한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두사람을 잃었으며 자신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남편, 아버지의 자리가 사라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고요에서 평화를 만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시련이라고 느끼는 것은 마치 파도가 친 뒤 적막한 바다처럼 깨달음의 과정에서 필연적인 것일까.  그 대답에 긍정한다면 깨달음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지금의 고통을 지탱하는 힘이 되는 것이다. 
.
.
이 책의 놀라운 지점은 깨달음에 대한 탐구가 보통이라는 차원에서 우리의 일상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어려운 시대에 암담한 상황이라면 지금의 형실인식은 반드시 우리에게 어떤 깨달음을 남기기 위한 시작일 것이다. 깨달음의 과정에서 섬세하게 마음을 연구하는 저자의 치열함이 이 책으로 전해지며 독자로서 앞으로의 시련마저도 긍정하게 한다. 
.
.
에크하르트 톨레의 추천은 그런 의미에서 귀담을만 하다. “삶은 우리에게 언제나 필요한 것만 준다. 그리고 지금은 이 책을 주고 있다. 삶이 우리에게 이 책을 안내자 삼고 친구 삼아 어려운 시대를 잘 살아 내라고 말하는 것 같다. 곳곳에 포진해 있는 통찰들, 스티브 테일러의 강점인 직설적이고 솔직하고 간명한 언어가 돋보이는 책이다.”
- 접기
헬레니즘 2020-11-30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보통의 깨달음 새창으로 보기
‘보통의 깨달음’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생존 영성가 중에서 세계 100인에 든 인물이라고 한다. 외적인 행보보다 영적인 수행의 길을 걷는 점에 주목한다. 에크하르트 톨레의 에디션 중 한권이며, 서문에서 톨레의 목소리를 만날 수 있다. 신간을 자주 내지 않는 톨레가 선택한 책의 무게감이 크게 다가왔다. 저자의 사상이나 철학을 체득하거나, 종교적 덕망이나 사회적인 성취를 이룬 분들의 경험이나 말을 많이 받아들이면서 살아왔다. 성인전을 읽는 것을 좋아해서 위대한 삶을 이룬 성자들의 삶을 추앙하기도 하는 편이다. 나 자신이 삶의 모델을 찾아오던 방식에서 자신이 깨어남의 주체라는 것을 분명히 인지할 필요가 되었다.



‘보통의 깨달음’에서 저자는 깨달음이라는 말보다 깨어남이라는 말을 선호하는데, 이 책을 통해 나처럼 무엇으로부터 깨어난다는 말일까? 하는 의문과 영적전통으로 일컬어지는 종교나 구도자들이 추구하는 삶은 어떠해야하는지, 깨어난 사람에게서 드러나는 깊은 정신적 차원의 표징들, 그리고 깨어남의 단계와, 깨어날 때 일어나는 일들, 깨어난 사람의 세계관이나 인간관계, 가치관, 삶의 목적은 어떻게 실현되는지, 도가 불교 힌두교 유대교 기독교에서 깨어남을 보는 관점들, 또 거짓 구루를 알아볼 수 있는 안목을 넓히게 된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자연과의 일체감 속에서 살았지만, 수 천년 전에 조상들은 심리적으로 집단 전환을 경험한 후 수면상태에 있게 되었다. 수면은 영적으로 깊이 잠들어 있어 분리와 단절을 초래했고, 공동체성과 공감 능력의 약화로 이어졌다. 그래서 에고의 급격한 활동으로 개인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눈에 보이는 현상과 결과들로 최첨단의 물질문명을 이루어온 지금, 디지털이 주도하는 21세기 우리의 모습과 2020년의 한 해가 어떠했는지 돌아보게 된다.



지성 아래에는 잠들어 있는 수면 상태로 행복하지도 않고 기쁨도 없는 차가운 금속성의 인류가 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깨어남의 동행으로 삼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머릿속의 수다와 자신의 이미지에 몰입하는 정보를 쫓고, 자신이 만든 스토리나 관념에서 이제 벗어나야 한다고 절실하게 느낀다. 그러나 저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의 대부분을 거의 수면상태로 살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짧게도 섬광처럼 보통의 깨달음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체험하고 있다고 한다.



깨어나는 경험에는 각각의 강도가 있어서 저, 중, 고강도의 깨달음이 있는데, 낮은 깨어남은 나의 컴퓨터의 복구 솔루션처럼 원래의 자아로 빨리 돌아가지만, 영구적인 깨달음은 옛 자아구조가 사라져서 그 자리에 더 확장한 강력한 새 자아가 들어서서 근본적인 전환을 이룬다고 한다. 이것은 매우 심오하고 놀랍다. 모든 것에 연결되어 있고,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강렬한 알아차림과 자비의 인간이 된다. 내가 그토록 열망하며 바래왔던 이 놀라운 전환은 깊은 잠에서 깨어남이고 불완전함이나 단절이 없다. 종교도 아니고 종교 밖도 아니다. 가장 유심히 본 것은 오랜 수면에서 깨어난 인간의 마음은 공감과 자비심 그 자체이고 이타적인 삶을 살아간다. 현재를 중요시하고, 생명력의 조화를 감지하며, 모든 것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지각하게 된다. 마음이 고요해지고, 삶의 평온과 행복이 자연스럽게 뒤따라온다.



‘저자가 말하는 영적 깨달음이란 에고가 불러온 분리와 이원화의 문제점을 되돌리고, 조화와 연결에 대한 감지 능력을 되살리는 것이다. 초기 인류가 가지고 있었던 연결감을 회복하여 ‘도약(leap)’하는 것이 인류 진화의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진화적 도약은 에고의 한계를 벗어나 자신의 몸을 더 깊이 지각하고 자연 및 다른 생명과 더 깊이 교감하는 오늘날의 생태·환경 운동, 채식주의, 물질적인 삶이 아닌 단순한 삶의 추구 등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인류의 의식은 바로 나 자신의 의식의 상승과 연관이 있어, 내면의 어둠이나 무지에서 벗어나 보다 자유로운 사람이 되고 싶어 이 책을 읽었다. 스스로 통찰력과 바른 지향을 가져서 내면의 지혜를 갖추는데 무척 필요한 책이고, ​삶의 준거가 되어준다. 2021년에는 잠깐이라는 틈새를 조금씩 넓혀가는 보통의 깨달음을 확장하면서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접기
flower 2020-12-26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보통의 깨달음 - 우리 의식의 성장에 관한 지침서 새창으로 보기
'깨닫는'것은 특별한 일일까요? 은둔자가 되어 명상과 수련을 해야 가능한 일일까요? 보통은 그렇게 생각하지만 스티브 테일러 저자는 드문 일이 아님을 밝히고 있습니다. 깨달음은 현자들만이 아니라 동서양 할 것 없이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임을 증명합니다.



깨달음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영국 심리학자 스티브 테일러의 <보통의 깨달음>. 이 책은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선정한 삶을 깨우는데 강력한 도움을 주는 책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에 포함되기도 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보통의 깨달음>은 깨어남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그 의식적 전환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깨달음의 과정을 지나온 사람 혹은 위기, 상실, 정신적 격변의 시기를 거친 후 깨달을 준비가 된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제목처럼 그 어떤 종교적·영적 믿음도 갖고 있지 않던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보통의 직업을 가진, 수행이라곤 해 본 적도 없는 사람들 말이죠. 그래서 저자는 깨달음의 상태를 어떤 특정한 마음/정신 상태로만 바라보기 시작합니다. 굳이 영적·종교적 용어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문제는 영적·종교적 배경이 없는 사람에게 그런 일이 일어나 미리 준비된 해석의 틀이 없을 경우, 매우 혼란스러워한다는 점입니다. 누구는 깨닫고 누구는 깨닫지 못하고, 깨달은 사람의 심리는 정확히 어떻게 변하는지, 깨달은 사람의 세상은 보통 사람의 그것과 정말 다른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 <보통의 깨달음>에서 그것을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깨달음'이라는 용어보다는 '깨어남'이 더 정확한 의미라고 짚어줍니다. 깨달음이라는 용어로 접할 때는 모든 문제와 잘못이 사라져 축복만 넘치는 편안한 상태로 너무나도 긍정적인 용어로 보는 경향이 크다고 말이죠.











<보통의 깨달음>의 깨달음은 '깨어나기(awakening)'를 의미합니다. 더 넓고 더 깊고 더 열린 알아차림을 암시하면서도 '깨달음'에 비하면 그 즉시 문제없는 상태를 뜻하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영적'이라는 말도 비범하고 비현실적인 용어여서 매우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깨어남'을 어렵게 생각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이 책은 일반적인 언어로 일반적인 알아차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신경 쓴 책입니다.



깨어난 상태의 특성들을 이해하게 되면, 일반적인 잠자는 상태와 어떻게 다른지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정신의 변화, 경험의 변화는 삶이 더 충만해지고, 더 많은 의미로 가득하고, 더 짜릿해집니다. 그리고 이런 내면의 전환은 삶의 대대적인 변화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세상에 긍정적으로 공헌하고 싶어 하는 방향으로요.



전통적인 종교에서는 깨어남 상태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 상태에 도달하는 데 어떤 방법들을 제시하는지 먼저 살펴봅니다. 명상 같은 수련법들이 여기에 등장합니다. 하지만 영적 전통들 밖에서 자연적, 단계적, 급작스럽게 깨어난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가 우리에겐 필요합니다. 단계적 깨어남을 경험한 사례에서는 독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경우도 있습니다. 본의 아니게 외상 후 급작스러운 깨어남을 경험한 경우도 있습니다.



깨어남에 대한 신화들이 왜 틀렸는지, 우리 주변에서 깨어나는 보통의 사람들의 마음속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현대의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알려주는 책 <보통의 깨달음>. 깨어남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면 깨어남을 경험할 때 겪는 혼란들을 일부나마 없앨 수 있고, 깨어남이 우리 삶에 보다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좌표를 조절할 수 있을 겁니다.



무엇보다 인류의 진화적 도약을 위한 깨어남이 우리가 그토록 바라는 온전한 삶을 이야기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실감하게 하는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수면 상태와의 비교를 통해 깨어남의 의미를 쉽게 설명하는 책이어서 읽는 데 큰 어려움은 없는 책입니다.​




- 접기
인디캣 2020-12-31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깨달음은 주위에 있다. 새창으로 보기




우리는 깨달음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 뭔가 종교와 관련되어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그러나 깨달음은 일상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깨달음은 강도에 따라 선명한 지각에서부터 영적인 에너지를 인지하는 수준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상에서도 깨달음은 일어난다.

깨달음은 기존의 자아 체계를 부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자아를 확립시키는 과정이다.

시각의 변화~새로운 정체성의 확립까지 그 양상은 다양하다.



깨달음이 생기는 이유는 에고 때문이다.

자신이라는 에고는 통합적인 시선에서 자기중심적인 시선을 부른다.

청소년기에 들어 에고가 커지기 시작하면 우리의 관심과 에너지는 에고로 쏠린다.

그래서 어린 아이 때처럼 선명한 감각과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다.

에고에 많은 에너지가 쓰여서 지각과 인지, 인식에 쓸 에너지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에고에게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명상이 기본이다. 

일상에서 깨달음은 단계적으로 또는 급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행동, 정화 또는 정제, 무욕, 봉사, 명상을 행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자신을 비난하거나 헐뜯지 않아야 하며: 윤리적 행동

머릿 속에서 들리는 부정적인 생각의 흐름을 잡을 줄 알아야 하며: 정화 또는 정제

물질적인 탐욕으로 부터 관심을 없애야 한다.:무욕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이입(봉사)를 행해야 하며 명상도 해야 좋다.

그러나 개인마다 깨달음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깨달음을 얻으면 사람이 어떻게 변하는가?

감사함과 행복함이 증가하며, 걱정과 불안이 줄어든다.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느끼며 평온한 마음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었다고 무적인 것은 아니다.

깨달음은 새로운 자아 정체성의 확립이다. 기존의 자아 덤미가 남아있을 수 있다.

여전히 자신을 향한 비난과 헐뜯음이 존재하며 인생이 순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깨달았기에 기존 삶과 맞지 않아서 문제가 생긴다. 주위에 이해해줄 사람도 없다. 

깨달아서 좋은 점은 좀 더 통합적이고 생생한 지각을 느낄 수 있으며,

새로운 시각/정체정으로 살아서 문제를 더 잘 해결한다는 것이다.



깨달음은 생소하다. 종교에만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깨달음은 보통의 일상에서도 일어난다. 

우리는 많이 접하지 않았기에, 깨달은 상태인지도 몰라서 깨달음을 모를 뿐이다.

- 접기
서충칠 2020-12-06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