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22

자료실

자료실

번호분류제목글쓴이날짜조회 수
공지역사적 예수크로산의 <역사적 바울의 도전>한기연2021.06.21350
공지우리가 죽게 되었습니다: 0.3도 상승에 달린 인류의 운명 15 file한기연2021.06.12145
공지기독교연구소갤럽조사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종교 현황과 종교 인식한기연2021.05.2639
공지조직신학갈릴리신학대학원 홍정수 박사, 구원론-행복론 강의(10강)한기연2021.03.01117
공지역사적 예수크로산의 "역사적 예수의 도전" "역사적 바울의 도전" 정원진 목사 강연 1한기연2021.02.27505
공지목회정보코로나 이후 시대의 세계와 기독교 65 file한기연2020.04.17697
공지환경소식기후비상사태 선포와 기후비상내각 설치를 위한 긴급보고서 47 file한기연2020.01.111173
공지기독교윤리포괄적 차별금지법과 한국 교회 29한기연2020.01.06431
공지기독교연구소신학을 비롯한 인문학 석사, 박사 과정의 요점한기연2019.09.23523
공지환경소식점차 산소가 부족해져 숨 쉬기 어렵게 된다/ 화석연료산업 제어방법 14한기연2019.08.28294
공지역사적 예수예수의 파격적인 가르침들은 어떤 경험들에서 생겨났을까? 1한기연2019.08.01358
공지조직신학예수초청장/참새예수 - 홍정수 박사의 조직신학교실 (동영상) 6한기연2019.07.15301
공지조직신학홍정수 박사 신학특강(동영상) 1한기연2019.06.06273
공지가정사회소식식인사회의 킬링필드, 이주노동자들 착취, 중대재해기업처벌법 23한기연2019.05.11220
공지기독교윤리인류의 '마지막 싸움' / 배를 돌리자 24한기연2019.01.14266
공지가정사회소식남성, 여성 아닌 제3의 성(간성) 3한기연2019.01.11473
공지교회사웨슬리 [표준설교 정신] 이어 받은 기도문들 52개 pdf파일 file한기연2018.11.22888
공지조직신학아우슈비츠에서의 하느님의 여성적 얼굴 1 file한기연2018.08.181446
공지기독교윤리빨간 지구 - 온실가스 시한폭탄에 이미 불이 붙었다 36 file한기연2018.08.17423
공지기독교윤리벌레들의 나라, 약자들에 대한 혐오와 기독교 파시즘의 망령 39 file한기연2018.06.30493
공지가정사회소식미투의 혁명, 혁명의 미투. 남성의 탄생 8한기연2018.04.19349
공지기독교윤리<기후재앙에 대한 마지막 경고>(2010) pdf파일 9 file한기연2017.12.0410561
공지기독교윤리<기후붕괴의 현실과 전망 그리고 대책> (2012) pdf 파일 file한기연2017.11.2310718
공지기독교윤리<생태계의 위기와 기독교의 대응>(2000) pdf 파일 file한기연2017.11.1011788
공지기독교윤리기후변화와 생태신학의 과제 (2017) 30 file한기연2017.11.0412293
공지가정사회소식노령화: 남은 시간 7-8년뿐, 그 뒤엔 어떤 정책도 소용없다/ 장덕진 11 file한기연2016.04.2619314
공지역사적 예수기후변화와 대멸종 시대의 예수의 복음 5 file한기연2015.11.1219132
공지기독교윤리회칙 "찬미받으소서"의 신학적 의미와 사목 과제 15 file한기연2015.10.0621450
공지역사적 예수홍정수 박사가 말하는 예수 르네상스 (강의 동영상)한기연2015.04.0125751
공지기독교윤리세월호참사 - 앉아서 기다리면 또 다시 떼죽음뿐 133 file한기연2014.04.1838097
공지기독교윤리기후붕괴의 현실과 생태대를 향한 출애굽 - 녹색의 세계관과 생태주의 인문학 아카데미 29 file한기연2013.11.1234111
공지기독교윤리기후붕괴 시대의 교회의 역할 17 file한기연2013.08.2434656
공지역사적 예수역사적 예수와 예수 살기 / 하늘이 낸 참사람들 11 file한기연2013.03.1334525
공지기독교윤리엘리 위젤, <하나님에 대한 재판> 서평 1 file한기연2012.07.126954
공지기독교윤리크리스천 파시스트들과 한국 교회의 평화운동 자료 33한기연2012.04.2457469
공지조직신학하나님이 계시냐고요 / 담임선생님 예수 / 홍정수 4한기연2012.04.1189590
공지기독교윤리기후붕괴와 대멸종 시대에도 하나님은 전능하며 예수는 구세주이며 교회는 거룩한가 / 김준우 31 file한기연2011.12.1297807
공지역사적 예수동정녀 탄생을 믿는다는 것 / 김준우 12 file한기연2011.10.2362630
공지조직신학나의 종교경험 -> 나의 복음 -> 나의 신학을 일관성 있게 한 마디로 정리하기 4한기연2011.08.21125128
공지실천신학대안교회의 가능성 / 한성수 1 file한기연2011.08.02129038
공지기독교윤리핵위험 사회 치닫는 대한민국 1 73한기연2011.03.28174401
공지조직신학감리교 종교재판의 전말/ 동작동 기독교와 망월동 기독교 6 file한기연2010.11.22142128
공지역사적 예수역사적 예수 담론의 종교문화사적 의미 / 김준우 4 file한기연2010.11.14145165
공지역사적 예수신학생들에게 당부하는 말씀 7한기연2010.10.28129483
공지기독교윤리2015년까지 모든 석탄 화력발전소를 폐쇄하라! 14 file한기연2010.10.02166046
공지조직신학예수, 그는 우리에게 대속자인가 선생인가 / 홍정수 2한기연2010.04.12155649
공지조직신학생명과 평화를 여는 2010년 한국 그리스도인 선언 1한기연2010.03.29145130
공지PBS Frontline: From Jesus to Christ _ The First Christians (1) 1한기연2010.03.27150538
공지역사적 예수김기석의 종횡서해 <첫번째 바울의 복음>한기연2010.03.187017
공지역사적 예수사영리와 사생리 / 나는 왜 역사적 예수에 관심하는가? / 그분을 찾습니다 / 한인철 5한기연2010.02.24153837
공지역사적 예수예수목회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홍정수 13 file한기연2010.02.19168192
공지기독교윤리두달만에 - 북극 지역 빙하의 크기 변화 2009/9 22한기연2009.09.19182574
공지가정사회소식소득 5분위 배율 비교 25 file한기연2009.09.13183133
공지역사적 예수역사적 예수 연구 서적들 읽는 순서 추천 4 file한기연2008.12.03179389
공지기독교윤리세계/교회/신학의 물적 토대 - 신학의 출발점 9 file한기연2008.09.01180551
공지북극해의 해빙 속도와 기후변화, 한반도 가뭄과 사막화 위기 19 file한기연2008.05.14201850
공지역사적 예수교회개혁을 위한 25개 신학논제 - 김준우 5한기연2007.10.20182376
공지기독교윤리한국과 중국의 역사왜곡 - 김한규 file한기연2004.11.106817
공지실천신학목사 개(dog)론 / 축도유감 / 그 안타깝고 아쉬운 오르가즘의 하느님 / 한성수 3한기연2004.08.30146753
공지실천신학생명의 양식으로서의 성만찬/ 혼인주례자 상담체크 리스트 1 file한기연2003.09.3029605
1065환경소식기후위기 시민 의회 소집과 그린 뉴딜 2한기연2021.01.0134
1064가정사회소식한국지엠 해고노동자, 그 후한기연2020.11.1932
1063목회정보6개 교단 교인수, 2011년 대비 15.8%, 139만여 명 감소 1한기연2020.10.1279
1062가정사회소식성교육이 가장 중요한 정치교육한기연2020.09.1257
1061가정사회소식보수 개신교와 성교육한기연2020.09.1258
1060기독교연구소한국의 특수 성역 검찰 특수부의 반민주적 행태한기연2020.09.0985
1059설교 및 예화모든 죽은 자를 위한 애도 / 정경일한기연2020.08.2874
1058환경소식최종수의 버섯이야기, 야생버섯의 신비한기연2020.07.0771
1057미 대법원, 성적 지향에 따른 고용 차별은 위법한기연2020.06.1835
1056기독교윤리전쟁산업을 대변하는 미국정부 / 원익선한기연2019.11.2352
1055기독교윤리과학자들 1만 천 명 기후비상사태 선포/ 생태문명전환 프로젝트 4한기연2019.11.06102

2021/07/21

생태해방신학: 구원과 정치적 생태론 (근간)

생태해방신학: 구원과 정치적 생태론 (근간)




생태해방신학



구원과 정치적 생태론





대니얼 카스티요 지음, 안재형 옮김.

신국판 384쪽.







An Ecological Theology

of Liberation



Salvation and Political Ecology



by

Daniel P. Castillo

Maryknoll, New York: Orbis Books, 2019.













1. 책 소개





구스타보 구띠에레즈가 서문을 쓴 이 책은 오늘날 세계의 가난한 이들과 지구의 생명계 전체가 봉착한 절박한 생존 위기들에 대해, 성경과 구원, 해방과 생태론, 정치경제학과 영적 실천을 함께 통합함으로써 신학적으로 매우 치열하게 응답한 역작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초래한 전 지구적인 생태계 파괴와 살인적인 기후 재난들,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해 해마다 수백 만 명씩 목숨을 잃고, 제러미 리프킨의 말처럼, 기후 파국까지 인류에게는 “면도날만큼의 시간만 남았다.” 그래서 인류의 멸종까지 위협받게 된 절박한 현실에서 저자는 어떻게 구원, 해방, 그리고 창조세계 돌보기를 연관시켜야 하는지를 묻는다. 이런 전대미문의 비상사태들에 직면하여 저자는 떼이야르 샤르댕과 토마스 베리의 “생태적 우주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성경의 가르침대로 “가난한 이들과 지구 모두에 대한 우선적 선택”을 강조하는 “정치적 생태론”을 치밀하게 전개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성경을 정치-생태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구띠에레즈의 사상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 모두를 확장시킨다. 이처럼 성경의 정치생태론적 인간 이해와 구원 역사에 비추어 인간중심주의, 구원과 삼중적 친교, 세계 체제, 약탈적 자본주의 역사와 착취적 단일경작 농업, 기술 관료적 패러다임, 생태적 빚, 인종차별주의, 제자도, 소비문화 등을 분석한다. 특히 지난 500년 동안의 프로젝트, 즉 식민지 프로젝트와 경제개발 프로젝트에 뒤이어 나타난 신자유주의 세계화 프로젝트가 주장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녹색성장)이라는 “거짓된 정치적 생태론”의 역사와 동력, 은폐 기술, 영향을 자세히 비판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칼 폴라니, 조지프 슘페터, 토마 피케티를 비롯한 여러 사회과학자들과 특히 월터 브루그만, 월터 윙크, 레오나르도 보프, 제임스 콘, 요한 뱁티스트 메츠, 캐서린 켈러 등의 신학을 검토한다. 이처럼 성경에 드러난 구원의 신비와 역사적 해방을 적극적으로 연결시키며, 또한 세계화 프로젝트에 대한 이데올로기 비판들을 근거로 신앙 공동체의 자유와 구원을 위한 생태해방영성을 발전시키고, 그리스도인들의 해방 실천을 위한 교회적 방법들을 제시한다.

인류는 코로나19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지만, 정치-산업-교육-종교계는 그 근본 원인인 생태계 파괴를 중단시킬 절박한 노력은 별로 없이 다시 코로나 이전의 일상으로 되돌아갈 준비에만 분주하며, 특히 “기후 악당” 국가인 한국의 경우, 경제성장을 전제로 하여 기후위기와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뉴딜”을 추진하기 때문에 생명계 전체의 위기를 더욱 악화시키며 각자도생에만 더욱 몰두하는 지금의 현실에서, 이 책은 신앙 공동체가 현재의 자기 파멸적 상황을 어떻게 시급하게 돌파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경적 비전과 실천 방법을 보여준다. 특히 점차 거세게 불타고 있는 지구는 우리 자녀들/손주들의 생존과 행복을 위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들 대다수는 이런 절박한 비상사태를 완화하기 위해 자신들의 생활방식을 바꾸는 일에는 매우 태만할 정도로 에고에 집착하고 있으며 집단최면에 걸려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이 책에 들어 있는 엄청나게 많은 각주들은 저자가 얼마나 필사적으로 하느님의 뜻을 실현하기 위한 신학적 돌파구를 찾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2. 저자와 역자

대니얼 카스티요(Daniel P. Castillo)는 미국 메릴랜드에 소재한 로욜라대학교의 신학 교수이다.

안재형 선생은 홍익대에서 전자계산학 석사, 총신대에서 목회학 석사, 한동대에서 응용언어학 + 번역학 석사를 받았으며,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신앙을 소개하는 작업에 관심을 갖고 있다. 돈 큐핏의 『문명의 위기와 기독교의 새로운 대서사』를 번역했다.



3. 목차

감사의 말 / 8

약어 / 11

서문 (구스타보 구띠에레즈) / 12

서론 / 15



제1부 생태해방운동 담론의 구성 / 35



1장. 생태해방신학을 향해 / 37

2장. 통합생태론 / 94



제2부 하느님의 말씀 해석 / 137



3장. 정치-생태론적 관점에서 창세기 읽기 / 139

4장. 해방의 희년 / 197



제3부 세계화되는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실천 / 259



5장. 전 지구적 비상사태의 발생과 지속 / 261

6장. 인도적인 세상 증언하기 / 336



맺음말 / 381



4. 서평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오늘날 신학의 과제를 위한 해방의 언어를 복구하여,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한 교회의 응답이 시급히 지구와 가난한 이들에게로 전환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Gustavo Gutiérrez, A Theology of Liberation: History, Politics, and Salvation 저자



“시의적절하며 돌파구를 마련한 이 책은 환경파괴와 인간의 사회적 고통이라는 전 지구적 위기들 사이의 통합적 관계를 이해하려는 이들 모두가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카스티요의 생태해방신학은 그리스도교 해방신학의 중요한 발전을 대표한다.”

― Roberto S. Goizueta, Christ Our Companion: Toward a Theological Aesthetics of Liberation 저자



“이 책은 중요하다. 광범위하며 치밀한 연구를 통해 저자는 전 지구적 비상사태 시대에 해방을 정치적 생태론과 통합시킴으로써 구원을 이해하려는 그리스도인들의 노력을 크게 발전시켰다.”

― Willis Jenkins, Ecologies of Grace: Environmental Ethics and Christian Theology 저자



“예언자적이며 깊은 사고를 통한 이 책에서 카스티요는 성경 자료들을 도발적으로 읽어내며 세계화의 지배적인 정치경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하느님의 형상에 대한 인간의 소명, 그리고 ‘동산지기의 길’을 받아들이도록 소환하는 예수의 요청을 분명히 드러낸다.”

― Mary Catherine Hilkert, University of Nortre Dame



“오늘날 가톨릭 신학에서 총체적 해방이 어떻게 통합적 생태론으로 발전하는지를 보여주는 본질적인 책이다.”

― Christiana Zenner, Just Water: Theology, Ethics, and Fresh Water Crises 저자



“교회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카스티요는 지금의 생태적 비상사태에 대해 지적으로 예리하며, 상황에 대해 정확하고, 신학적 통찰력에서 매우 깊이가 있다. 회칙 『찬미받으소서』 이후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정독해야 할 책이다.”

― Mary Doak, Divine Harmony: Seeking Community in a Broken World 저자








5. 책 속으로



(12쪽) 오늘날 세계는 생태학적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특히 세계의 가난한 이들이 이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이 비상사태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의 생계와 목숨을 위협하고, 불의와 소외가 짓누르는 무게로 이미 허덕이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큰 압력을 행사한다. 이것이 생태해방신학의 중심 질문을 야기한다. “구원과 해방과 창조세계 돌보기(the care of creation)는 무슨 관련이 있는가?” 구원과 해방과 창조세계 돌보기의 관계에 대한 이런 질문은 교회가 세상과 연대하여 오늘날 시급히 씨름해야 할 문제이다.



(21쪽) 편집자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2021년 6월 현재 420ppm이며, 매년 평균 2.3ppm씩 증가한다. 현재 지구 평균온도는 산업혁명 이전보다 섭씨 1.2도 상승했고, 10년마다 0.2도씩 상승하기 때문에, 파리협약의 제한 목표인 1.5도 상승은 2036년이다. 그러나 세계기상기구[WMO]는 450ppm에 도달할 2036년에 섭씨 2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1.5도 상승까지 탄소 예산은 7년 남았다. (섭씨 1.5도 상승하면 산호초의 70〜90%가 죽지만, 2도 상승하면 99%가 죽게 된다).



(23쪽) 편집자주: 섭씨 1도 오를수록 옥수수는 수확량이 17%씩 줄어든다. Lester Brown, The Great Transition (New York, NY: W. W. Norton, 2015), 6쪽. 벼는 개화기 때 한 시간 이상 섭씨 35도 이상에 노출되면 수분에 문제가 생겨 흉작이 된다. 미국의 안보 전문가들은 가뭄으로 인해 2020년대부터 미국 중부와 멕시코 남부의 많은 지역에서 농업이 “실질적으로 붕괴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 Gwynne Dyer, Climate Wars: The Fight for Survival as the World Overheats (Oxford: Oneworld Publications, 2010), 47, 159쪽. 그래서 나오미 오레스케스 교수는 2040년대에는 “북반구 대도시들에서 식량폭동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Naomi Oreskes and Erik M. Conway, The Collapse of Western Civilization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25쪽. 한편 2019년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45.8%, 곡물자급률은 21%이며, 쌀 자급률은 90%이다(농축유통신문, 2021년 3월 30일). 농촌경제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인해 2050년 쌀 자급률이 47.3%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영남일보, 2015년 5월 2일).



(28쪽) 편집자주: 자본주의 종주국 미국에서조차 2019년 5월 갤럽조사에서 미국인 43%가 사회주의 형태를 요구하며, 18-24세 연령층에서는 61%가 사회주의를 긍정적으로 볼 정도로 새로운 체제에 대한 욕구가 분출하고 있다. Fareed Zakaria, Ten Lessons for a Post-Pandemic World (New York, NY: W. W. Norton & Co., 2020), 57쪽; William I. Robinson, The Global Police State (London: Pluto Press, 2020), 132쪽.



(33-34쪽) 제3부 “세계화되는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실천”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오늘날의 “세계 체제”(global system, 『찬미받으소서』, 111항)라고 부른 것의 구조와 동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 마지막 부분에서는 현재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 제자도의 요구사항을 살펴본다. 5장 “전 지구적 비상사태의 발생과 지속”은 『찬미받으소서』에서 언급된 다양한 차원의 세계 체제를 살펴보고, 특히 기술 관료적 패러다임, 생태적 빚, 소비문화 등이 이 체제를 형성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적 근대화 개념이 세계화 프로젝트의 구조와 동력을 정당화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면서, (환경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윈-윈”하는 시나리오에 대한 전망에 뿌리내린 지속가능한 개발 형태가 지구와 가난한 이들의 탄식에 적절히 응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5장에서는 또한 신자유주의 세계화 프로젝트―나의 경우엔 세계 체제와 같은 것이다―가 결국 장기적으로 세계적인 형평성(equity)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의 좀더 가능성이 높은 결과는 현재 구조화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세계적인 불균형이 종적으로 증가하는 것이고, 초부유층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춘 억압적인 정치 세력이 부상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43-44쪽) 생태적 우주론 담론에서 이야기하는 “우주 이야기”는 복잡화(물질이 생명이 되고, 생명이 더 복잡한 형태의 생명이 되는)가 우주 역사의 불가피하고 자연스런 목적인 것으로 기술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고등생물은 우주의 진화 과정을 통해 이들보다 먼저 존재했던 하등생물의 멸종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가차 없이 등장한다. 따라서 지구상의 생명의 경우, 대량멸종을 포함해 생물종 전체에 걸쳐 경험하게 되는 고통과 이루 말할 수 없는 비극은 이들의 비극을 통해 고등생물이 출현하게 된다는 설명으로 퉁쳐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우주 역사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역사의 승리를 기뻐하는 승리주의자의 의견이 된다.



(67쪽) 그러므로 죄로부터 구원받아 그리스도교 신앙의 삶에 참여하게 되는 드라마는 세상으로부터 나가는 것이 아니라 세상으로 향하는 것이다. 우리가 ‘우리를 위해(pro nobis)’ 일하시는 하느님을 만나는 것은 결국 세상 속에서다.



(101쪽) 그리스도의 마음은 예수의 하느님 통치 선포, 실행, 구현 등을 통해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고, 하느님의 “가장 잊혀진 자들에 대한 매우 생생하며 따끈따끈한 기억”을 드러낸다. 구띠에레즈가 강조하는 것처럼, 우리가 하느님의 뜻에 자신을 더 깊이 열수록 성령은 우리를 역사 속 해방 작업으로 더욱 이끈다. 그는 이렇게 썼다. “하느님을 아는 것은 정의를 행하는 것이다.



(109쪽) 구띠에레즈의 개념은 역사적 현실의 신학적 차원이 (교회 공동체의 매개를 통해) 문화적/심리적 차원과 사회구조적 차원에 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이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구띠에레즈에게 그리스도교 계시와 복음을 선포하고 시행하는 교회 공동체는 총체적 해방 과정의 핵심이다.



(119쪽) 따라서 교황은 자신의 시대 징조 읽기를 통해 통합생태론을 실현하려면 현재의 세계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형태를 벗어나는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 다시 말해 프란치스코 교황은 세계 체제가 세상에 대해 하느님이 바라시는 것과 반대로 구성된 방식을 꾸준히 비판한다.



(125쪽) 성령은 역사 속에서 인간을 죄로부터 해방시키고 죄가 왜곡한 삼중의 친교를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마찬가지로 인간은 세상이라는 동산을 일구고 돌보는 일로 돌아감으로써 역사 속에서 성령의 사역에 동참한다. 따라서 인간을 하느님의 뜻에 좀더 깊게 개방하는 과정인 자기비움의 과정은 인간을 가난한 이들과의 연대뿐만 아니라 지구와의 연대로도 인도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카인과 아벨 이야기 해석을 통해서 볼 때 구원은 죄로부터의 해방이자 하느님, 이웃, 지구와의 친교라고 정의할 수 있다.



(133쪽) 통합생태론이, 신앙의 실천을 통해 살아낸 그리스도교 전통과 이런 식으로 건설적으로 재구성됨으로써, 교회 공동체는 역사적 현실의 왜곡된 문화적/심리적, 사회구조적 형태를 비판함과 동시에 하느님의 말씀에 뿌리내린 대안적 가치체계에 근거한 새로운 생활방식을 선포하고 일으킬 수 있다.



(172쪽) 창세기 원역사의 첫째와 둘째 이야기 덩어리 사이의 유사성은 중요한 통찰을 보여준다. 즉 하느님은 세상이 하느님의 지혜에 따라 번성하기를 바라시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그 평화를 깨고 세상의 생명을 위협하는 지혜를 추구한다.



(325쪽) 편집자주: 극단적 빈곤에 처한 인구는 1990년 19억 명에서 2018년 6억 5천만 명으로 감소했지만, “최근의 여러 연구들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앞으로 몇 년 동안 7천만〜4억 3천만 명이 다시 극단적 빈곤에 처해질 것으로 예상한다.”(Fareed Zakaria, Ten Lessons For A Post-Pandemic World, New York, NY: W. W. Norton & Company, 2020, 151, 154쪽).



(359쪽) 요한 밥티스트 메츠는 역사의 희생자들의 운명에 대한 책임(responsibility for the fate of history’s victims)을 인식하고 수용함으로써 인간의 정체성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메츠가 이런 주장을 내세우게 된 것은 현대성의 주체(그리고 그 탈현대적 후계자)가 고질적인 숙명론(fatalism)을 특징으로 한다는 자신의 견해 때문이다. 이러한 숙명론은 역사의 유산과 계속되는 사회 형태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지라는 명령에서 인간을 사면해 주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사면의 결과 인간은 “무관심 숭배(the cult of apathy)”와 “비정치적인 삶(the apolitical life)”으로 쉽게 물러난다.



(384쪽) 지구와 가난한 이들의 울부짖음은 그리스도, 즉 마지막 아담을 따르고자 하는 이들에게 지배를 위한 칼과 방패를 동산지기의 보습과 낫으로 바꾸는 일에 더 온전히 헌신할 것을 요구하며, 또한 땅과 땅에서 나오는 모든 것과의 연대로 더 깊이 들어갈 것을 요구한다. 이런 구체적인 행동 하나가 그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신학보다 더욱 가치가 있다.


An Ecological Theology of Liberation: Salvation and Political Ecology (Ecology and Justice): Castillo, Daniel P.

An Ecological Theology of Liberation: Salvation and Political Ecology (Ecology and Justice): Castillo, Daniel P.: 9781626983212: Amazon.com: Books



Editorial Reviews
Review
"With trenchant insight, this book recovers the language of liberation for the task of theology today, demonstrating how the church's response to God's call demands an urgent conversion to the earth and to the poor." --Gustavo Gutiérrez, author, A Theology of Liberation: History, Politics, and Salvation

"This timely, groundbreaking work should be read by anyon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the integral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crises of environmental devastation and human social suffering. Castillo's ecological theology of liberation represents a major advance in the ongoing development of Christian theologies of liberation." --Roberto S. Goizueta, author, Christ Our Companion: Toward a Theological Aesthetics of Liberation

"This is an important book. Ambitious in scope and careful in research, Castillo develops an ecologically integrated account of liberation that significantly advances Christian efforts to understand salvation in a time of planetary crises." --Willis Jenkins, author, Ecologies of Grace: Environmental Ethics and Christian Theology
About the Author
Daniel P. Castillo is assistant professor of theology at Loyola University Maryland. His work, which focuses on the confluence of liberation theology and ecological theology, has appeared in a number of journals including Theological Studies, Political Theology, and Scriptura.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Orbis (June 15, 2019)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56 pages
===
An Ecological Theology of Liberation: Salvation and Political Ecology
(Ecology & Justice)
by Daniel P. Castillo, Gustavo Gutiérrez (Foreword)
 3.75  ·  Rating details ·  4 ratings  ·  1 review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alvation, human liberation, and care for creation? Extending the ideas presented in Gustavo Gutierrez's A Theology of Liberation, Daniel Castillo embraces a green liberation theology that recognizes the need for political and ideological paradigm shifts in relation to globalization. (less)

COMMUNITY REVIEWS
Showing 1-20
 Average rating3.75  ·  Rating details ·  4 ratings  ·  1 review


Write a review
Dawson Cole
Jun 27, 2020Dawson Cole rated it really liked it
this was one of the! hardest! books! i've! ever! read! but incredibly insightful to a topic I knew absolutely nothing about (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