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2

김현동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드는 식물성 단백 시대 5

(5) Facebook

<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드는 식물성 단백 시대 5 >
1. 왜 식물성 단백질 인가요 ? 식물에는 얼마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나요?
채식을 하면 맛을 떠나 영양학적으로 단백질을 취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단백질은 주로 인간의 조직 구조 뿐 아니라 형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3대 영양소 중의 하나로 꼽힌다.
아이러니 하게도 세상의 생물 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생물은 동물이 아니고 식물인 콩이다. 소고기가 20%대 돼지고기가 30%대 초반인 것에 비해 콩류는 평균 40% 좌우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콩류는 보통 단백빌 40%탄수화물, 20%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서양은 단백질을 주로 육식에서 취했다면 동양에서는 주로 식물 그중에서도 콩류에서 단백질을 취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민족의 체형이 동양에서도 큰 편에 속하는 것은 한반도를 포함한 만주 연해주가 콩의 원산지였고 이 콩을 통해 체형을 형성할수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쌀, 밀등 일반 곡류에도에도 10% 좌우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식물성 단백 시리즈를 시작하며
팬데믹과 기후위기로 건강과 지구를 지속가는 하게 유지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물성단백 식품이 이중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순콩과 바리의꿈은 고려인농업정착지원사업을 고민하다
두만강 콩을 발견하고, 청국장과 , 메주, 장류를 만들고,
GMO 문제에 눈을 뜨고 두유, 두부 등을 만들고,
유기용매 헥산분해 방식의 가공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압착콩기름을 만들고,
기후위기를 겪으며 식물성단백의 필요성을 깨닫고 우리가 할 일이 콩단백임을 자각하고 이의 생산과 문화를 연해주 동포, 연해주 해외농업,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으로 풀어 보고자 매진하고 있다.
이제 그 한축인 소비자 주체들의 식물성 단백에 과한 여러 얽힌 주제와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주제들을 함께 살펴 볼까 한다 .
1. 왜 식물성 단백질 인가요 ?
기후위기, 건강...
2.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 압착가공법과 유기용매 가공법
3. 우리는 언제부터 이런 과도한 육식 문화가 정착 되었나요 ? 어떤 계기로 ?
-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GMO 사료가 개발 보급 되면서 부터, 약 30년 전..
4. 동물성 단백질과는 어떤 비율로 취해야 하나요?
- 2:1 정도가 일단 좋다는데
5. 단백질 취하는 방식이 기후 위기와 관련이 있나요 ?
- 최소 15%이상 - 40% 까지 관련이 있다
6. 식물성 단백질 취하는 방법과 요리법 부탁 합니다.
- 쏘냐의 정원, 순콩tv (youtobe)
7. 세계적으로 식물성 단백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 두부, 콩고기, 콩단백, 템페...
8. 순콩과 바리의꿈 콩단백은 어떤 가공방식으로 만드나요?
- NonGMO 콩으로 압착해서
You and 49 others
2 shares
Like
Comment
Share

0 comments

김현동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식물성 단백 시대 3

(4) Facebook


김현동
1tfuSspon0sorSt eeJoanuumgdarygl ·
<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식물성 단백 시대 3
>

3. 우리에게는 언제부터 이런 과도한 육식 문화가 형성되었나요? 어떤 계기로?
20세기 육식은 인류의 로망이었습니다. 이밥에 고기국이라는 우리 옛말이 있듯이 이의 실현을 위해 인류는 20세기를 달려 왔습니다.
GMO의 개발과 보급은 육식 문화를 확대시키는 원천이었습니다. 몬산토 등의 거대 국제 자본이 대규모로 저가의 GMO 콩과 옥수수 생산에 성공하고, 이를 식용유와 대두박으로 만들었습니다. 식용유는 인류에게 튀김 요리를 사료는 저가 육고기를 제공하는 기반이 되었고, 식용유와 고기는 다시 소비자에게 하나로 모여 각종 튀김문화를 만들면서 무한정 확대 재생산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30년 전만 해도 세계 최대의 콩 생산국이자, 자립국이었는데 지금은 세계 최대의 콩 수입국이 되었습니다. 중국은 매년 1억톤 가까운 GMO 콩을 수입하는 국가가 되었고, 한국도 100만톤의 GMO 콩을 수입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수입된 콩으로 만든 콩기름으로 길들여진 입맛은 다시 기름과 고기의 수요를 확대하게 되고 불과 30여 년 만에 상전벽해의 GMO와 육고기의 세상을 만든것입니다. 한국의 튀김 치킨 문화나 중국의 돼지고기 튀김 요리가 대표적인 이런 변화를 이끈 육식문화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구축된 육식문화는 GMO 농사 기반을 확대하게 만들었고, 지구의 땅은 무한대로 개발되며 결국 기후위기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육식으로 구하고자 하는 단백질을 식물성단백질로 바꾼다면 축산에 투입되는 사료 곡물의 15%로 가능합니다. 그만큼 경작지 개발을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이고, 기후 위기를 극복할 중요한 대인이기도 합니다.
.
.
.
.
.
.
팬데믹과 기후위기로 건강과 지구를 지속가는 하게 유지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물성단백 식품이 이중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순콩과 바리의꿈은 고려인농업정착지원사업을 고민하다
두만강 콩을 발견하고, 청국장과 , 메주, 장류를 만들고,
GMO 문제에 눈을 뜨고 두유, 두부 등을 만들고,
유기용매 헥산분해 방식의 가공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압착콩기름을 만들고,
기후위기를 겪으며 식물성단백의 필요성을 깨닫고 우리가 할 일이 콩단백임을 자각하고 이의 생산과 문화를 연해주 동포, 연해주 해외농업,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으로 풀어 보고자 매진하고 있다.
이제 그 한축인 소비자 주체들의 식물성 단백에 과한 여러 얽힌 주제와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주제들을 함께 살펴 볼까 한다 .
1. 왜 식물성 단백질 인가요 ?
기후위기, 건강...
2.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 압착가공법과 유기용매 가공법
3. 우리는 언제부터 이럼 과도한 육식 문화가 정착 되었나요 ? 어떤 계기로 ?
-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GMO 사료가 개발 보급되면서 부터. 약 30년 전..
4. 동물성 단백질과는 어떤 비율로 취해야 하나요?
- 2:1정도가 일단 좋다는데
5. 단백질 취하는 방식이 기후 위기와 관련이 있나요 ?
- 15-40% 관련이 있다.
6. 식물성 단백질 취하는 방법과 요리법 부탁합니다.
- 쏘냐의 정원, 순콩tv (youtobe)
7. 세계적으로 식물성 단백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 두부, 콩고기, 콩단백, 템페...
8. 순콩과 바리의꿈 콩단백은 어떻게 만드나요?
- NonGMO 콩으로 압착해서
#naver에서_압착콩단백_검색
#유튜브에서_쏘냐의정원
#유튜브에서_순콩rv














+2






52You and 51 others
1 comment

1 share

Like




Comment


Share


1 comment

Most relevant





Write a comment…















He Zheng

공부해 보자.





Like

김현동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드는 식물성 단백 시대 2

(3) Facebook


김현동
9to JSpacanonsotiuiarifrhryedo ·



<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드는 식물성 단백 시대 2 > : 압착콩단백 샐러드
7-1 콩단백 식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각 나라와 민족마다 특징이 ..
압착 콩단백은 콩을 고압으로 압착하여 지방을 60%쯤 추출한 저지방 압착콩 플레이크를 다시 분쇄하여 콩단백 성형기를 통해 압력과 순간 온도로 모양과 재질 등을 재조직.
단백 함량 45% 좌우, 보리새싹, 강황 등 10%
이런 조직 콩단백 식품은 각나라 마다 즐기는 문화가 다양한데 , 미국에는 주로 육고기 대신의 대체육으로 , 유럽에는 샐러드 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한국형 콩단백을 추구 . 콩단백을 베이스로 기능성이 높은 한반도의 임산물. 농산물, 수산물 등을 결합하여 스넥, 과자 뿐 아니라 겅강 기능성 식재료로도 활용. 앞으로 우리사회에 어떤 식문화로 자리잡을 지는 귀추가 주목.
오늘은 2021 새로 출시 예정인 강황과 새싹보리 콩단백 베이직으로 기징 쉽게 샐러드를 즐기는 방법 소개 . 일반 배이직으로도 가능. 연해주 쏘냐의 도움을 받아 아침식사 만들면서 직직 !!
샐러드 채소세트는 요즘 마트에 많이 있으니 그걸 활용해도 좋고, 특히 단백질로 인한 포만감도 높아서 아침식사 대용으로 매우 흐뭇.
그냥 먹어도 맛난 콩과자. 맥주안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
.
팬데믹과 기후위기로 건강과 지구를 지속가는 하게 유지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물성단백 식품이 이중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순콩과 바리의꿈은 고려인농업정착지원사업을 고민하다
두만강 콩을 발견하고, 청국장과 , 메주, 장류를 만들고,
GMO 문제에 눈을 뜨고 두유, 두부 등을 만들고,
유기용매 헥산분해 방식의 가공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압착콩기름을 만들고,
기후위기를 겪으며 식물성단백의 필요성을 깨닫고 우리가 할 일이 콩단백임을 자각하고 이의 생산과 문화를 연해주 동포, 연해주 해외농업,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으로 풀어 보고자 매진하고 있다.
이제 그 한축인 소비자 주체들의 식물성 단백에 과한 여러 얽힌 주제와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주제들을 함께 살펴 볼까 한다 .
1. 왜 식물성 단백질 인가요 ?
기후위기, 건강...
2.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 압착가공법과 유기용매 가공법
3. 우리는 언제부터 이럼 과도한 육식 문화가 정착 되었나요 ? 어떤 계기로 ?
-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GMO 사료가 개발 보급되면서 부터. 약 30년 전..
4. 동물성 단백질과는 어떤 비율로 취해야 하나요?
- 2:1정도가 일단 좋다는데
5. 단백질 취하는 방식이 기후 위기와 관련이 있나요 ?
- 이번주 기사로
6. 식물성 단백질 취하는 방법과 요리법 부탁합니다.
- 쏘냐의 정원, 순콩tv (youtobe)
7. 세계적으로 식물성 단백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 두부, 콩고기, 콩단백, 템페...
8. 순콩과 바리의꿈 콩단백은 어떻게 만드나요?
- NonGMO 콩으로 압착해서
#naver에서_압착콩단백_검색
#유튜브에서_쏘냐의정원
#유튜브에서_순콩rv











0:07 / 1:12


















+2





김현동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드는 식물성 단백 시대 1

(3) Facebook

<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만드는 식물성 단백 시대 1>
5-1 동물성 단백질과 기후 위기
그런데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에서 지구촌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계산방식에 따라 적게는 14.5%, 많게는 51%에 이른다는 게 과학계의 추산이다. (그래픽 참조) 그래서 육식을 즐기는 우리 식탁, 이를 지탱하는 축산 관행을 당장 바꾸지 않는 한 지구를 구할 길이 없다는 것이다. 공장식 축산은 축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공장식 축산이 문제가 되는 이유다 ( 기사중에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식물성 단백 시리즈를 시작하며
팬데믹과 기후위기로 건강과 지구를 지속가는 하게 유지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물성단백 식품이 이중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순콩과 바리의꿈은 고려인농업정착지원사업을 고민하다
두만강 콩을 발견하고, 청국장과 , 메주, 장류를 만들고,
GMO 문제에 눈을 뜨고 두유, 두부 등을 만들고,
유기용매 헥산분해 방식의 가공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압착콩기름을 만들고,
기후위기를 겪으며 식물성단백의 필요성을 깨닫고 우리가 할 일이 콩단백임을 자각하고 이의 생산과 문화를 연해주 동포, 연해주 해외농업,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으로 풀어 보고자 매진하고 있다.
이제 그 한축인 소비자 주체들의 식물성 단백에 과한 여러 얽힌 주제와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주제들을 함께 살펴 볼까 한다 .
1. 왜 식물성 단백질 인가요 ?
기후위기, 건강...
2.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 압착가공법과 유기용매 가공법
3. 우리는 언제부터 이럼 과도한 육식 문화가 정착 되었나요 ? 어떤 계기로 ?
-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GMO 사료가 개발 보급 되면서 부터, 약 30년 전..
4. 동물성 단백질과는 어떤 비율로 취해야 하나요?
- 2:1 정도가 일단 좋다는데
5. 단백질 취하는 방식이 기후 위기와 관련이 있나요 ?
- 이번주 기사로
6. 식물성 단백질 취하는 방법과 요리법 부탁 합니다.
- 쏘냐의 정원, 순콩tv (youtobe)
7. 세계적으로 식물성 단백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 두부, 콩고기, 콩단백, 템페...
8. 순콩과 바리의꿈 콩단백은 어떤 가공방식으로 만드나요?
- NonGMO 콩으로 압착해서
“공장식 축산 시설 놔두면 새로운 팬데믹 생긴다”
MNEWS.JOINS.COM | BY 중앙일보 (JOONGANGILBO)
“공장식 축산 시설 놔두면 새로운 팬데믹 생긴다”
2009년 논픽션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에서 지구촌 공장식 축산 실태를 파헤친 데 이어 지난해 논픽션 『우리가 날씨다』에서 기후변화의 미래를 경고했다.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수산시장에서 처음 발생했다고 하.....


“공장식 축산 시설 놔두면 새로운 팬데믹 생긴다”
[중앙선데이] 입력 2021.01.09 00:02 수정 2021.01.09 00:47 | 719호 2면 지면보기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글자 작게글자 크게
기자신준봉 기자
SNS 공유 및 댓글SNS 클릭 수107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SNS 공유 더보기

[SUNDAY 인터뷰] 미국 소설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기후변화와도 관계있다. 축산업이 연결 고리다. 고기 공급을 위한 산림 벌목이 환경위기와 코로나를 불렀다는 주장이다. 미국 소설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가 논픽션 『우리가 날씨다』 등에서 그런 주장을 했다.세상을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인간의 반성을 촉구한다. 계속해서 이런 식으로 산다면 더 이상 미래는 없다는 자연의 경고라는 지적이 과하게 들리지 않는다. 그래서 되돌아봐야 할 우리 삶의 목록 가운데 동물의 고기를 먹는 육식 문화도 들어 있다. 그렇다는 게, 미국의 중견 작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44)의 생각이다.





양계장 등 축사, 기후변화 주범
온실가스 배출량 51%나 차지

1억4300만 기후난민 발생하고
동식물 60% 멸종 등 생존 위협

아침·점심 고기 먹지 않는 등
소비자가 기업 변화 이끌어야포어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2005년 장편소설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으로 ‘1급 작가’ 이미지를 굳혔다. 아버지를 잃은 소년의 시선으로 9·11 테러를 다룬 작품이다. ‘문학 신동’이라는 수식어까지 따라붙었다.

2009년 논픽션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에서 지구촌 공장식 축산 실태를 파헤친 데 이어 지난해 논픽션 『우리가 날씨다』에서 기후변화의 미래를 경고했다. 공장식 축산이 기후변화의 주범이기 때문에 아침·점심에는 고기를 먹지 말자는 파격적인 주장을 했다. 그렇게 한다 해도 기후변화 재앙을 피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난달 초순 포어를 전화 인터뷰했다.




포어의 책들. 왼쪽부터 『우리가 날씨다』,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미국의 코로나 확산세가 심각한 것 같다. (※12월 초순 미국의 확진자 수는 연일 20만 명이 넘었다)
“내가 사는 뉴욕에서는 지난봄 앰뷸런스 소리를 항상 들을 수 있을 정도였다. 이후 상황이 좋아져 여름부터 최근까지는 안전하다고 느껴졌다. 지금은 바뀌었다. 무슨 일이 벌어질지 걱정된다.”

코로나든, 기후변화든 바이든의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의 대처가 달라지지 않겠나.
“바이든의 당선은 분명히 좋은 일이다. 확실치 않은 점은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되느냐는 거다. 세상이 좀 더 괜찮아지고 미국도 더 좋은 나라가 되겠지만 얼마나 좋아질지는 지켜봐야 한다.”
조류인플루엔자도 축사서 발생


『동물을…』에서 새로운 팬데믹 발생을 경고했다.
“특별한 얘기를 한 건 아니다. 과학자들이 늘 얘기해오던 거다. 과학자들은 새로운 팬데믹이 발생하느냐 안 하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언제 발생하느냐가 문제라고 했다. 우리가 팬데믹이 발생할 완벽한 조건들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하자 사람들이 서로 떨어져 지내야 한다고 하지 않나. 내가 문제 삼은 공장식 축산 시설에서는 정확히 반대되는 일이 벌어진다. 미친 짓이다. 이런 공장식 축산 시설에서 새로운 팬데믹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공장식 축산이 코로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건 아니지 않나.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수산시장에서 처음 발생했다고 하지 않나. 하지만 인간의 동물 고기 거래에서 발생한 게 확실하다는 점에서 이전 팬데믹들과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 조류인플루엔자나 돼지인플루엔자 모두 공장식 축산 시설에서 생겨났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다른 팬데믹처럼 치명적이지 않아 그나마 다행스럽다. 조류인플루엔자의 치사율은 50%였다. 코로나가 그 정도였다면 세상이 달라졌을 거다.”

두 책을 집필하면서 알게 된 가장 충격적인 사실은?
“『우리가…』보다 『동물을…』이 쓰기가 훨씬 어려웠다. 사람들이 정보를 숨겨서다. 『동물을…』의 경우 공장식 축산이 얼마나 널리 지배적인 방식인지가 놀라웠다. 사람들은 공장식 축산이 나쁘다는 점을 잘 안다. 동물과 축산 농부, 소비자의 건강은 물론 팬데믹 안전에도 나쁘다. 그런데도 미국에서 생산되는 닭고기(육계·肉鷄)의 99.9%가 공장식 축산에서 나온다는 점이 충격적이었다. 기후변화를 다룬 『우리가…』의 경우 문제의 규모에 비해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얼마나 부족한지가 놀라웠다.”

시간이 얼마나 남았길래….
“목표를 어디다 두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내가 관련 자료를 읽고 이야기를 나눈 기후과학자들 대부분이 탄소 배출 수치를 극적으로 줄여야 하는 시간이 10년쯤 남았다고 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우리가…』에는 기후변화와 축산업의 상관관계가 선명하게 정리돼 있다. 현재의 기후변화 추세는 파멸적이다.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는 파리협약 목표치를 가령 2050년까지 달성한다고 해도 해수면 상승으로 뉴욕 등 전 세계 수십 개 대도시에 사람이 살 수 없게 돼 1억4300만 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한다. 동물 종의 절반, 식물 종의 60%가 절멸 위협에 처한다. 그런데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에서 지구촌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계산방식에 따라 적게는 14.5%, 많게는 51%에 이른다는 게 과학계의 추산이다. (그래픽 참조) 그래서 육식을 즐기는 우리 식탁, 이를 지탱하는 축산 관행을 당장 바꾸지 않는 한 지구를 구할 길이 없다는 것이다. 공장식 축산은 축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공장식 축산이 문제가 되는 이유다.


공장식 축산은 어떻게 억제해야 하나.
“정부가 바뀌고, 축산 기업들의 경영 관행을 완전히 뜯어고쳐야 한다. 개인도 변해야 한다. 이런 것들이 균형을 이루지 않고서는 지구를 구할 길이 없다.”

개인의 변화가 말처럼 쉽지는 않다.
“테슬라는 현재 미국 역사상 가장 커다란 자동차 제조사다. 테슬라를 정부가 만든 게 아니다.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원하니까 그렇게 됐다. 식물성 성분인 비욘드 버거 역시 요즘 미국 시장에서 엄청나게 성공적인데 마찬가지로 소비자가 선택한 결과다. 소비자들의 선택의 힘을 저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사람들의 식습관은 이미 변하고 있다. 특히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빠르게 변한다.”
공장식 축산에 엄청난 불의 존재


식습관 변화 사례를 든다면.
“미국의 대학 캠퍼스에 가톨릭 신자보다 채식주의자가 더 많다는 통계를 본 적이 있다. 35세 이하 연령층의 25% 정도가 자신이 채식주의자라고 밝혔단다. 얼마나 정확한 자료인지 모르지만 재미있지 않나. 사람들이 스스로 채식주의자로 표현하고 싶어한다는 얘기 아닌가. 내가 대학생일 때는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채식주의자가 실제로는 더 많았다. 채식주의자를 이상한 사람 취급했기 때문에 밝히지 않아서다. 지금은 실제보다 많은 사람이 채식주의자라고 밝힌다. 더 쿨하게 보여서다.”

개인의 변화로 축산기업도 바뀌게 될까.
“내가 만난 많은 축산 농부들이 자신들은 사람들이 구입하는 것을 키운다고 말한다. 공장식 축산에는 엄청난 불의(injustice)가 존재한다. 해체(dismantle)해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이들에게 돈을 주지 않는 것이다. 그러려면 우리가 고기를 적게 먹어야 한다.”

세상에는 기후변화를 믿지 않는 회의론자도 있다. 기후변화를 믿더라도 육식을 줄이지 않으려는 사람이 대다수 아닐까. 이런 사람들은 어떻게 설득해야 하나.
“과학과 이성의 방식으로만 토론을 해서는 설득하기 어렵다. 어떤 사람이 진실을 안다고 해도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은 아주 어려울 수 있다. 의지가 약하거나 비이성적이어서가 아니라 그만큼 습관의 힘, 음식과 관련된 개인의 역사, 열망이 강력하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이 인간성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을 부인하지 않는 게 설득의 출발점이다. 한 사람의 생각을 바꾸기 어렵다는 점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게 훨씬 유익하다. 그런 다음 서로가 공유하는 가치에 호소해야 한다. 자기 자신과 아이, 타자, 미래를 위해 지구를 구하는 일 말이다.”

모두가 채식주의자가 되기는 어렵다.
“육식이나 채식 중에 하나를 선택하자는 게 아니다. 정체성을 뒤바꿀 필요는 없다. 균형을 유지하며 먹으면 된다.”

소설가로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당신이 생각하는 좋은 문장의 정의는?
“내 문장이냐, 남의 문장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내 문장이라면 내가 쓰고 싶었던 바에 충실한 문장. 남의 문장이라면, 카프카가 그런 얘기를 했는데, 읽는 이의 머릿속 얼어붙은 바다를 깨부수는 문장. 글은 때때로 그런 일을 한다.”

지난 추수감사절(2020년 11월 26일)에 칠면조 고기 안 먹었나.
“답을 알지 않나? 안 먹었다. 칠면조를 즐기지 않는 것을 즐겼다. (enjoyed not enjoying it)”
신준봉 전문기자/중앙컬처&라이프스타일랩 inform@joongang.co.kr








식물성 단백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식물성 단백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식물성 단백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식물성 단백질(植物性蛋白質)은 식물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말한다.

특성[편집]

단백질은 식물체, 동물체에 존재하며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의 형태를 식물성 단백질 식품, 동물성 단백질 식품이라 한다. 식물성 단백질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로 구성되며 기본 단위는 아미노산이다.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이 지닌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과량 섭취로 인한 건강영양문제나 높은 탄소배출량과 물사용량 등 환경 문제에서 이점을 지녀 주목받고 있다. Plant Protein, Vegetable Protein, Vegan Protein과 같이 여러 단어로 식품 소개, 다이어트 방법, 식생활 방법에 사용되고 있다.

함유 식품[편집]

로하스 식품교환표

단백질 식품으로 고기, 생선 같이 동물성 식품만을 떠오르기 쉬우나 사실 단백질은 식물성 식품과 동물성 식품에 골고루 들어있다.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한 대표 식품으로는 대두, 서리태, 강낭콩, 병아리콩, 렌틸콩 등 콩류와 콩을 가공, 발표한 콩식품(두부, 유부, 두유, 나또, 청국장, 된장, 콩가루, 콩비지 등)이 있으며, 땅콩, 호두, 아몬드, 잣 등이 견과류에도 단백질이 상당량 들어있다.[1]

식품군을 12개로 분류한 로하스 식품교환표에서는 어육류군에 해당하는 식품들을 포화지방산의 급원이 되는 동물성 식품과 불포화지방산을 공급하는 식물성 식품으로 구분하였다.[2] 식물성 단백질 식품군을 별도로 구분하였고 동물성 단백질 식품군과 비교 시 1교환단위 중량당 단백질 함량은 유사한 수준이나 포화지방산 함량이 적고, 식이섬유 함량이 높다는 특성을 보여준다.

단백질과 아미노산[편집]

식품을 통해 섭취한 단백질은 소화과정을 거쳐 가장 작은 구성 물질인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흡수되어 체내 기관, 각 조직에 이용된다.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 가능 여부에 따라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구분된다. 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충분한 양이 합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콩류(대두, 서리태, 병아리콩 등)를 비롯해 난류, 육류, 어류 등 필수 아미노산이 함유된 식품들을 통해 반드시 섭취해야 한다. 필수아미노산이 체내 부족하면 체조직 구성이 원만하지 않고 성장발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 비필수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은 반드시 음식으로만 섭취하지는 않아도 인체에서 합성이 가능하다.

필수 아미노산의 목록

단백질은 영양적 질에 따라 완전단백질과 불완전단백질로도 나뉘는데 이는 오스본(Osborne)과 멘델(Mendel)[3] 이 실시한 동물 성장실험을 근거로 하고 있다. 완전단백질은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충분히 함유하고 있어 체내 단백질 합성에 적합하며 동물의 생명유지 활동, 성장을 돕는다. 대개 완전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만 해당(젤라틴을 제외하고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식물성 단백질 식품인 대두의 글리시닌(glycinin)은 완전단백질로 꼽힌다. 불완전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이 1개 이상 결핍된 것인데, 단백질 합성(protein synthesis)을 위해서는 필요한 조직에 모든 종류의 필수아미노산이 충분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한 단백질 식품만을 오래 섭취하면 단백질 합성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못해 성장발육을 더디게 하고 근육감소를 낳게 된다. 동물성 단백질에 젤라틴(gelatin)과 식물성 단백질 중 옥수수의 제인(zein)이 해당되며 다른 단백질 식품을 함께 골고루 섭취함으로써 단백질을 보충해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체내 기능[편집]

식물성 식품에 함유된 단백질이 체내에서 기여하는 활동을 보면 인체 근육, 세포막, 피부, 결체조직, 뼈 등 체조직을 형성한다. 성장기 어린이, 청소년 또는 질환 등으로 체조직 소실을 겪은 사람 경우 충분하게 섭취할 필요가 있다.[4][5][6]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생명유지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1g당 4kcal 에너지를 생산하나 체내 단백질 분해과정에서 탈아미노반응으로 아미노산에서 분리된 아미노기(-NH2)가 암모니아로 전환되고, 요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에너지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보다는 효율이 낮은 에너지원이 된다.

섭취한 음식의 소화과정에 촉매 역할을 하는 소화효소를 비롯해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등을 합성한다. 또한 일부 아미노산이나 펩타이드 형태, 단백질 형태로 부터 다양한 호르몬을 합성해 특정한 기관, 세포로부터 분비되며 체내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혈액 내에서 지방성분인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지단백질을 구성한다. 또한 혈장단백질인 알부민이나 글로불린은 혈액내 영양소를 필요한 조직으로 운반하며, 세포막에서는 Na+-K+폄프를 형성하여 물질을 세포 내외로 운반한다.

면역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항체의 구성 성분이 되어 바이러스, 세균 등의 항원으로부터 방어하는 체내 면역 기능에 관여한다. 포도당 신생합성을 통해 혈당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적혈구, 뇌, 신경조직에 포도당을 제공하게 한다. 장기간의 굶주림 시 또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는 다이어트 지속 시 인체에서는 체단백질 분해가 시작되며 아미노산으로부터 포도당을 만드는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이 일어난다.

체내 수분평형에 기여한다. 알부민, 글로불린 그리고 글로불린에 속하는 피브리노겐(fibrinogen)은 혈액의 수분평형에 중요한 혈장의 단백질이다. 혈압의 변화에 따라 혈액내 수분이 혈관을 빠져나가 조직세포로 이동하며, 혈장의 삼투압에 의해 수분은 다시 혈관내 혈액으로 되돌아 옴으로써 혈관내, 조직세포간에 수분평형이 이루어진다.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알부민 등 혈장내 단백질이 부족하게 되면 삼투압이 감소해 조직세포로 이동한 수분이 되돌아 오지못하면서 해당 부위에 부종이 발생하게 되는데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얼굴이 붓는 월상안(moon face) 현상이 그 예이다.

아미노산은 산, 염기로 모두 작용할 수 있는 양쪽성 이온(zwitterion)이다. 이는 아미노산의 화학적 구조가 염기성기인 아미노기(-NH2)와 산성기인 카르복실기(-COOH)를 갖고 있기 때문이며, 단백질은 수소이온(H+)을 주고 받으면서 pH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산-염기평형 활동에 기여하게 된다.

식물성 단백질 식품[편집]

건강과 영양[편집]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현대인에게 만연한 만성질환을 예방, 관리하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소고기, 갈비, 삼겹살, 오징어, 새우 등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성 단백질 식품 비중이 큰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하면 비만과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뇌혈관계 질환, 위, 대장 등 소화기계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동물성 단백질에는 황 함유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대사 시 산성 대사산물이 많이 생성된다.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 체내에서는 뼈에 축적된 칼슘을 용해하여 배설하는 반응이 일어나고 골질량 감소가 지속되면 골다공증 발병 위험도 커진다. 반면에 대두, 나또, 두부 등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이 지닌 콜레스테롤 과잉 섭취 걱정이 없고 포화지방산이 적다. 대신 질환 예방과 생명유지 활동에 중요한 필수지방산을 포함해 불포화지방산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다. 또한 식이섬유소와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물질인 이소플라본(isoflavone)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혈청 콜레스테롤 배설 작용을 통해 비만, 혈관계질환을 관리하고 정장활동을 도우며, 항암과 면역 등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밖에 동물성 단백질 식품의 위험성으로 지적되는  성장호르몬, 항생제 등 축산에 사용되는 유해 약제로 부터 안심할 수 있다는 게 식물성 단밸질 식품의 이점으로 언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 식품인 콩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과 비교할 때 우열을 가릴 수 없을만큼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서 질적 가치가 높다. 콩은 단백질소화흡수율이 높으며 이를 보정해 아미노산 가치를 부여한 평가인 PDCAAS[7] 결과는 1.0으로 쇠고기(0.92)보다도 높다.[8] PDCAAS는 단백질의 아미노산가를 100으로 나누고 소화흡수율을 곱한 값으로 0과 1 사이 값으로 표현된다.

단백질 급원식품의 단백질 질평가

PDCAAS = (아미노산가/100) X 단백질 소화흡수율(%)

지구환경[편집]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확보하는 지속가능한(sustainable)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축산업이 성장하고 세계적으로 육류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소모되는 자원,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스톡홀름 국제물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Water Institute, SIWI)에서는 물 사용량의 70%가 농축산업에 쓰이며 대부분이 육류 생산에 소비된다고 지적했다.[9]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NFAO)에서는 축산업에 사용되는 토지, 가축을 먹일 곡물사료에 사용되는 경작지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가축사육, 축산으로 인한 탄소배출과 메탄 이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를 경고하고 있다[10] 소고기 1kg 생산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약 40,000리터로 콩 1kg 생산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20배에 달하며, 탄소배출 등 지구온난화 영향도 더 낮다. 따라서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서 동물성 식품보다 식물성 식품을 이용하는 것은 지구환경측면에서 가치가 있다.[11]

식품 생산과 물 사용량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공장식축산환경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 대한 대체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동물보호 운동단체, 시민 단체, 다양한 협회에서 캠페인, 보고를 통해 동물복지(Animal welfare), 케이지프리(Cage free)가 확대되고 있다. 건강상, 동물보호 등 다양한 이념을 이유로 채식위주의 식생활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 대한 대체가 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에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원료로한 대체육(Meat alternative), Plant-based seafood 등을 개발하고 있다. Impossible Foods[12]는 콩과식물 등에서 추출한 붉은색의 palnt blood(질소고정식물로 부터 heme개발)를 사용해 실제 고기패티처럼 고기맛과 'blood'가 흐른 듯한 식물성 burger prototypes을 개발하였다. New Wave Foods[13]는 Plant protein 혼합물과 새우가 먹는 동일한 조류(Red algae의 micro algae)가 갑각류와 유사한 색깔, 풍미, 특성, 영양가를 만들게 됨을 발견하여 이를 적용한 Plant Shrimp 개발하였다.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두부는 해외에서 식물성 고기로 이용되고 있으며 콩, 두부, 밀 등을 원료로한 대체육제품이 조금씩 생산되고 있으며 실제 고기를 대체하기에 좋은 단백질 급원 식품이 되므로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각주[편집]

  1.  [ 당뇨병 식품교환표 활용지침. 대한당뇨병학회. 2020. ISBN 978-89-93084-13-9 ]
  2.  [ 영양균형식단 작성을 위한 식품교환표와 식사구성안 개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3(5): 411-423, 2018]
  3.  [ 오스본(Osborne)과 멘델(Mendel)이 1914년과 1940년 진행한 동물 성장실험이다. 생쥐의 성장에 필요한 10종의 필수 아미노산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 중 하나라도 없으면 성장이 지연됨을 주장하였다. (Robin Hur, Food Reform: Our Desperate Need, Heidelberg Publishers, 1975) ]
  4.  [ 영양소대사의 이해를 돕는 고급영양학, 교문사, 2016]
  5.  [ 21세기 영양학, 교문사, 2011 ]
  6.  [21세기 영양학원리, 교문사, 2011]
  7.  [ 단백질 질평가 방법에 하나인 소화율을 고려한 아미노산가(Protein Digestibility Corrected Amino Acid Score, PDCAAS)는 소화율 및 체내이용률의 보완을 위해 FAO/WHO에서 제시한 것으로 식품의 아미노산 조성과 단백질의 소화율을 반영한다 ]
  8.  [ Protein - Which is Best?.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03(3), 118-130, 2014 ]
  9.  [ DEVELOPMENT: Food Security Requires New Approach to Water. Inter Press Service(IPS) news. May 23 2008 ]
  10.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5차 평가 종합보고서.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UNFAO). 2014]
  11.  [ 식사혁명 - 더 나은 밥상, 세상을 바꾸다. MID. 2019 ]
  12.  [ Impossible Foods(2011설립, 미국): https://impossiblefoods.com]
  13.  [ New Wave Foods(2015설립, 미국): https://www.newwavefood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