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몸-마음, 젠더, 생태, 평화 Scapbook

Spirituality, Mind-Body, Gender, Ecology, Ageing, Peace, Scrapbook (in English and Korean)

2020/03/26

Bowel cancer (Colorectal cancer) in Australia statistics

Bowel cancer  also known as colorectal cancer

 
  1. Home
  2. Statistics

Bowel cancer (Colorectal cancer) in Australia statistics

  • A|A
The following material has been sourced from the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Colorectal cancer incorporates ICD-10 cancer codes C18 (Malignant neoplasm of colon), C19 (Malignant neoplasm of rectosigmoid junction) C20 (Malignant neoplasm of the rectum), and C26 (Malignant of other digestive organs): Incidence (C18–C20), mortality (C18–C20, C26.0)

Estimated number of new cases of colorectal cancer diagnosed in 2019

16,398 = Male icon PNG 9,069males + Female icon PNG 7,329 females


Estimated % of all new cancer cases diagnosed in 2019

11%


Estimated number of deaths from colorectal cancer in 2019

5,597 = Male icon PNG 3,009 males + Female icon PNG 2,588 females


Estimated % of all deaths from cancer in 2019

11%


Chance of surviving at least 5 years (2011–2015)

70%


People living with colorectal cancer at the end of 2014 (diagnosed in the 5 year period 2010 to 2014)

54,046


New cases

Colorectal cancer was the third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 in Australia in 2015. It is estimated that it will remain the third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 in 2019.
In 2015, there were 15,604 new cases of colorectal cancer diagnosed in Australia (8,573 males and 7,031 females). In 2019, it is estimated that 16,398 new cases of colorectal cancer will be diagnosed in Australia (9,069 males and 7,329 females). In 2019, it is estimated that the risk of an individual being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by their 85th birthday will be 1 in 14 (1 in 12 males and 1 in 17 females).
Figure 1. Estimated most common cancers diagnosed, 2019
Notes
  • Data sourced from AIHW 2018 Cancer Data in Australia, ACIM books, and Cancer in Australia 2019 report and supplementary data tables
  • More information about incidence rates for the most common cancers diagnosed can be found on the NCCI website in the ‘Cancer incidence’ section (https://ncci.canceraustralia.gov.au/diagnosis/cancer-incidence/cancer-incidence)
In 2015, the age-standardised incidence rate was 57 cases per 100,000 persons (67 for males and 49 for females). In 2019, it is estimated that the age-standardised incidence rate will reduce to 54 cases per 100,000 persons (63 for males and 46 for females). The incidence rate for colorectal cancer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age, peaking at age group 80–84.
Figure 2. Age-standardised incidence rates for colorectal cancer, 1982 to 2015, by sex
Notes
  • Data sourced from AIHW 2018 Cancer Data in Australia, ACIM books, and Cancer in Australia 2019 report and supplementary data tables
  • More information about incidence rates for colorectal cancer over time, by age, sex, Indigenous status, remoteness,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can be found on the NCCI website in the ‘Cancer incidence’ section (https://ncci.canceraustralia.gov.au/diagnosis/cancer-incidence/cancer-incidence)
The number of new cases of colorectal cancer diagnosed increased from 6,994 (3,529 males and 3,465 females) in 1982 to 15,604 in 2015. Over the same period, the age-standardised incidence rate increased steadily from 58 cases per 100,000 persons (67 for males and 52 for females) in 1982 to a peak of 66 cases per 100,000 in 2000 (81 for males and 54 for females) and 2001 (79 for males and 56 for females) before decreasing to 57 cases per 100,000 in 2015.

Deaths

In 2016, colorectal cancer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cancer death in Australia. It is estimated that it will remain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death from cancer in 2019.
In 2016, there were 5,375 deaths from colorectal cancer in Australia (2,936 males and 2,439 females). In 2019,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5,597 deaths (3,009 males and 2,588 females). In 2019, it is estimated that the risk of an individual dying from colorectal cancer by their 85th birthday will be 1 in 43 (1 in 37 males and 1 in 51 females).
Figure 3. Estimated most common causes of cancer death, 2019
Notes
  • Data sourced from AIHW 2018 Cancer Data in Australia, ACIM books, and Cancer in Australia 2019 report and supplementary data tables
  • More information about mortality rates for the most common causes of cancer death can be found on the NCCI website in the ‘Cancer mortality’ section (https://ncci.canceraustralia.gov.au/outcomes/cancer-mortality/cancer-mortality)
In 2016, the age-standardised mortality rate was 19 deaths per 100,000 persons (23 for males and 15 for females). In 2019, it is estimated that the age-standardised mortality rate will be 18 deaths per 100,000 persons (21 for males and 15 for females). The mortality rate for colorectal cancer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age.
Figure 4. Age-standardised mortality rates for colorectal cancer, 1968 to 2016, by sex
Notes
  • Data sourced from AIHW 2018 Cancer Data in Australia, ACIM books, and Cancer in Australia 2019 report and supplementary data tables
  • More information about mortality rates for colorectal cancer over time, by age, sex, Indigenous status, remoteness,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can be found on the NCCI website in the ‘Cancer mortality’ section (https://ncci.canceraustralia.gov.au/outcomes/cancer-mortality/cancer-mortality)
The number of deaths from colorectal cancer increased from 2,500 (1,218 males and 1,282 females) in 1968 to 5,375 in 2016. Over the same period, the age-standardised mortality rate decreased from 31 deaths per 100,000 persons (36 for males and 28 for females) in 1968 to 19 deaths per 100,000 in 2016.

Survival

In 2011–2015, individuals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both males and females had a 70% chance of surviving for five year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general Australian population. Between 1986–1990 and 2011–2015, five-year relative survival from colorectal cancer improved from 52% to 70%.
Figure 5. 5-year relative survival from colorectal cancer, 1986–1990 to 2011–2015, by sex
Notes
  • Data sourced from AIHW 2018 Cancer Data in Australia, ACIM books, and Cancer in Australia 2019 report and supplementary data tables
  • More information about 5-year relative survival rates for colorectal cancer over time, by age, sex, Indigenous status, remoteness,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can be found on the NCCI website in the ‘Relative survival rate’ section (https://ncci.canceraustralia.gov.au/outcomes/relative-survival-rate/5-year-relative-survival)

Prevalence

At the end of 2014, there were 13,272 people living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that year, 54,046 people living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in the previous 5 years (from 2010 to 2014) and 138,072 people living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in the previous 33 years (from 1982 to 2014).

For more information, see Colorectal cancer on the NCCI website

The National Cancer Control Indicators (NCCI) are a set of indicators across the continuum of cancer care, from Prevention and Screening through to Diagnosis, Treatment, Psychosocial care, Research and Outcomes. The NCCI website allows users to see visual representations of data on each indicator through interactive charts.
  • Last Updated
Posted by Sejin at March 26,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대장암 Bowel cancer

대장암 3기 5년 후 생존율은 60~70%, 완치율은 70% 정도다.



유상무 수술, 대장암 3기 완치율은 어느 정도일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장서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7.04.10 11:14

개그맨 유상무가 오늘(10일) 대장암 수술을 받는다/사진=JTBC '비정상회담' 캡쳐

개그맨 유상무가 오늘(10일) 대장암 수술을 받는다.

지난 7일 유상무가 대장암 3기 진단을 받고 투병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대장암은 갑상선암·위암에 이어 세 번째로 국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50세 이후 주로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40대 이하의 젊은 대장암 환자도 늘고 있다. 대장암 3기는 보통 림프절까지 암세포가 침범한 상태이며, 5년 후 생존율은 60~70%, 완치율은 70% 정도다.

전체 대장암 환자의 10~15%는 유전적 요인이 발병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비만·좌식생활·스트레스·잦은 육류섭취·흡연·음주 등이 대장암을 유발할 수 있다.



대장암의 주요 증상으로는 배변 습관의 변화·설사·변비·혈변·복통·복부팽만·피로감·복부의 혹 등이 있다. 하지만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어서 증상이 나타날 때는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장암 환자 가족력이 있거나, 변의 모양·색에 변화가 생겼다면 대장암 검진을 받아보는 게 좋다.

최근 대장암 수술의 60~70%는 복강경 수술로 이뤄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배꼽부위를 1cm 가량 절개해 카메라를 넣은 후 모니터를 보며 수술을 하는 식이다. 배를 15cm가량 절개하던 과거 수술에 비해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0/2017041001197.html
-----------

[대장암]3기 생존율 50~60%…수술·항암치료 견디면 완치율↑
[뉴시스] 입력 2017.04.09

【서울=뉴시스】강수윤 기자 = 개그맨 유상무가 대장암 3기 판정을 받고 투병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장암 5년 생존율과 완치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의학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뤄진 악성종양을 말한다. 198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암이다. 대장암은 갑상선암, 위암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꼽힌다.

대장암은 대장의 상피세포에서부터 암세포가 발생한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 이를 통칭해 대장암 또는 결장 직장암이라고 부른다. 다른 암들에 비해 다른 신체부위로 전이될 가능성이 낮은 종류의 암으로 분류된다.

대장암은 대장에서 용종(폴립)이 선종으로부터 성장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양성으로 성장하나 일부는 악성 종양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다. 대장암은 주로 대장 내시경을 통해 발견된다.

유씨가 판정받은 대장암 3기와 4기를 보통 말기라고 한다. 대장암 3기는 전이가 되지 않은 경우 대장암 4기는 전이가 된 경우다.

대장암 3기는 암세포가 점막층을 벗어나 림프절로 전이가 되며 대장 주위에 있는 장기로부터 암세포가 침투된 단계를 말한다. 3기의 경우 수술과 항암치료를 잘 견뎌내면 완치에 성공할 가능성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대장 벽면에 발생한 대장암 1기와 2기처럼 초기에 발견된 경우에는 80~90%의 생존율을 보인다. 수술만으로 치료를 하고 암을 극복한 뒤 일상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이 치료 시기를 놓친 경우 대장암 3기로 진행된다. 대장암3기와 4기처럼 말기암 환자의 경우 생존율은 60%이하로 급격히 하락되며 힘든 암치료 시간을 보내게 된다. 대장암 4기는 대장을 포함한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된 상태이므로 대장암 생존율이 5%정도로 급격하게 낮아진다.

대장암 3기의 경우 수술 요법과 항암제를 이용한 화학 요법을 병행 치료한다. 암덩어리가 심하게 커지면 대장암 4기는 화학요법을 사용해도 완치가 어렵다. 4기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치료를 병행한다.

shoon@newsis.com
Posted by Sejin at March 26,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대장암 Bowel cancer

2020/03/24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찰스 M. 셸던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찰스 M. 셸던, 조항래 (지은이) 예찬사 1982-11-01

원제
 in His Steps
290쪽
148*210mm (A5)
377g

ISBN 9788974390013

부록 CD 1장


책소개
만일 예수님이 목사라면 어떤 설교를 하실까? 때로는 자기 명예욕에 몰두하실까? 예수님이 직장인과 사업가라면 출세와 돈벌이를 목적으로 이기주의와 탐욕을 좇아 은밀한 방법으로 부정을 저지르실까? 주일 근무는 거절하실까? 예수님이 신문 잡지사 사장이라면 회사의 돈벌이 때문에 퇴폐 풍조와 음주 음란과 과대 선전 기사를 마구 게재하실까? 예수님이 출판인과 작가라면 어떤 책을 펴내실까? 예수님이 정치가라면 어떻게 하실까?"라는 질문에 대해 이 책은 침묵을 지키지 않을 것이며, 당신이 어떤 위치에 있든 당신에게도 명확한 답을 내려 줄 것이다.

---------------

목차


1. 고통없는 고난자

2.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3. 한 언론인의 결단

4. 비난과 위기에 부딪히면서도

5. 성령의 인도하심 따라

6. 돈과 명예에의 유혹

7. 원수는 가족 중에

8. 소외된 사람들과 더불어

9. 비리에 눈 감을 수 없었던 사람들

10. 성령의 능력에 힘입은 사람들

11. 술집 추방 운동

12. 강도 만난 자의 이웃

13. 주님의 영광을 위한 투자

14. 어느 창녀의 죽음

15. 감동적인 장례식

16. 빈민촌을 향하여

17. 주를 부인한 자

18. 건달 청년의 회심과 사랑

19. 브루스 목사가 본 제일교회

20. 브루스 목사의 갈등

21. 두 자매의 서로 다른 꿈

22. 딸의 기도를 갈망한 어머니

23. 탐욕의 종말

24. 백만장자의 바벨탑

25. 목회자의 참회와 결단

26. 빈민촌에 심은 백합꽃

27. 길을 잃은 양

28. 어둠에 떠오른 별들

29. 죽음이 있는 곳에 생명을

30. 시험대에 놓인 기독교인

31. 기독교인에게 던지는 문제
접기



추천글
권성수: 지금부터 1년 동안 매일,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란 질문을 던지면서 예수님의 발자취를 그대로 따르는 사람들이 있다면 오늘 우리 사회는 어떻게 될까? 이것이 바로 이 책의 주제이다.

맥스웰 목사님은, 가난 때문에 아내와 하나밖에 없는 자식마저 잃고 일자리도 없이 좌절과 슬픔에 잠긴 인쇄공을 만나게 된다. 이것이 맥스웰 목사님에게는 그리스도인이 실재 생활에서 믿음과 사랑으로 산다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를 물을 수밖에 없는 계기가 된다. 그 후 그 인쇄공이 요절하는 비극적인 사건 앞에서 맥스웰 목사님은,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란 질문을 던지면서 삶의 매 순간을 책임지기로 각오한다. 다음 주일 교인들에게 같은 질문으로 도전을 준다. 이에 감동된 교인 수십 명이 앞으로 1년간 그렇게 살기로 작정한다. 이런 실제적인 헌신의 삶이, 연못에 던져진 조약돌 한 알이 파문을 일으키듯 사랑의 파문을 일으킨다는 내용이 이 책의 요지다.

저자 쉘돈이 이 책 초판을 발행한 것은 1896년이었다. 이 책은 발행된 이후 판을 거듭하면서 수백만부가 팔린 베스트셀러다. 이 책이 이렇게 많이 팔리게 된 것은 이 책의 내용 자체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상적으로 볼 때 기독교가 온갖 문제들로 앓고 있는 사회에 무엇인가 구체적인 말과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기독교 사회 윤리가 대중 소설의 옷을 입고 선을 보인 때문이기도 하다.

예수를 믿는 다는 것은 모름지기 구체적인 삶을 요구한다. 삶이 없는 믿음은 야고보서에 의하면 "송장 믿음"이다. 여기서 삶이라함은 개인의 영혼의 삶만이 아니라 육신의 삶도 포함하며, 개개인의 삶만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삶도 포함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그리스도인의 삶이 영혼만을 강조하는 '유령적'삶이나, 영혼을 등한시하고 인간의 육신적인 것, 세상적인 것을 추구하는 삶으로 타락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더불어 사는 세상에서 철저하게 타락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더불어 사는 세상에서 철저하게 '나 하나'만을 고집하고 개인 구원만을 주장하는 삶과, 어떤 집단이나 사회 구원을 위해서 '나를 잃어 버리는' 개인상실의 삶으로 극단화되기도 한다.

결국 이러한 믿음은 생명이 없는 죽은 믿음이며, 구체적 삶의 열매가 없는 쭉정이 믿음인 것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삶이나, 행동없는 믿음에서 벗어나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그리스도인답게 진정으로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르는 변화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추천한다.



저자 소개

지은이: 찰스 M. 셸던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 총 37종 (모두보기)
목사이며 작가이기도 한 찰스 쉘돈은 미국 뉴욕주 웰스빌에서 태어났다. 브라운대학과 안도버신학교를 졸업하고 캔저스주 토페카에서 목회생활을, 그리고 크리스천헤럴드지의 편집장을 지내기도 했으며, 1946년 작고하기 전까지 기고편집인으로 활동했다. 특히 그는 사회사업에서 큰 활약을 했는데, 이를테면 몸소 실직한 인쇄공을 가장하여 시가지를 직접 헤매기도 했다. 이때 그는 기독교인들의 냉대와 무관심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가 자기 교회 성도들에게 낭독해주기 위해 쓴 이 책은 바로 그런 충격의 깊은 발산이라고 전한다. 이 소설은 1897년 초판 발행 이래 미국에서만도 3천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오늘날까지도 세계적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많은 독자들의 인생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접기



지은이: 조항래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 총 2종 (모두보기)
1939년 경남밀양 출생, 한국 외국어 대학 서반아어과를 중퇴했다. 육군 영어 번역관, 잡지사. 출판사 편집장을 역임했다. 옮긴책으로 <격변기의 생존경영(P.F. 드러커)>, <칼빈 성경주석(예레미아 편)>, <포 넘버원(로버트 J.링거)> 외에 다수가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지금부터 1년 동안 매순간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란 질문을 던지면서 예수님의 발자취를 그대로 따르는 사람들이 있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는 어떻게 변화될까?
이것이 바로 이 책의 주제이다.

매일매일의 생활 속에서 단지 한순간만이라도 '나는 이렇게 해야지' 하는 마음보다 과연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생활하게 된다면 이 땅의 많은 그리스도인들의 삶이, 우리 나라의 모습이, 아니 전세계가 변화되는 놀라운 역사가 일어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는 말만 일삼고 크리스천 다운 진정한 행동을 하지 않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의미 있는 경종을 울려 주는 책이다.

"만일 예수님이 목사라면 어떤 설교를 하실까?
때로는 자기 명예욕에 몰두하실까?
예수님이 직장인과 사업가라면 출세와 돈벌이를 목적으로 이기주의와 탐욕을 좇아 은밀한 방법으로 부정을 저지르실까?
주일 근무는 거절하실까?
예수님이 신문 잡지사 사장이라면 회사의 돈벌이 때문에 퇴폐 풍조와 음주 음란과 과대 선전 기사를 마구 게재하실까?
예수님이 출판인과 작가라면 어떤 책을 펴내실까?
예수님이 정치가라면 어떻게 하실까?"라는 질문에 대해
이 책은 침묵을 지키지 않을 것이며, 당신이 어떤 위치에 있든 당신에게도 명확한 답을 내려 줄 것이다.

미국의 레이몬드 시에서 한 교회를 담임한 헨리 맥스웰 목사는 신도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으며 안락한 생활을 하지만, 우연하게 실직한 한 인쇄공의 죽음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받고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야심적인 대답을 하고 그대로 실천해 나간다.
그리하여 무사안일에 빠져 있던 교인과 성직자들에게 일대 개혁과 경종을 울리게 된다는 줄거리이다.

미래의 이 나라, 더 나아가 세계를 이끌어 나갈 청소년이 책을 읽고 도전을 받아 종교적 감동과 더불어 양심의 감동을 받고, 이기적이고도 독선적인 현실 사회에서 참다운 진실한 삶의 기수가 되기를 바란다.



 kck5020 2008-07-04

내 속의 말을 다 표현할 수가 있다면.. 정말 감동적이다. 나도 그리 살자. 아멘 
공감 (1) 댓글 (0)
 


 junggani 2016-07-18

역시마찬가지로김진홍목사님께서추천해주신도서입니다.감사합니다. 
공감 (0) 댓글 (0)
 


 moxatx 2008-04-04

기독교 고전으로서 지금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도서로 생각해 볼만한 내용이다 
공감 (0) 댓글 (0)
 


 김좌형 2017-08-14

이 책은 제가 여러번 읽은 책인데, 이번에 관심가지고 도와줄 집사님, 권사님들이 계셔서 구입해서 나누어드리게 되었어요.예수 생명을 가진 자의 삶을 살아보자고요 
공감 (0) 댓글 (0)
 






마이리뷰
쓰기

구매자 (1)
전체 (4)



 이명재 2014-10-11



기독교의 추락 속에 손에 잡은 책 한 권





기독교의 위상이 날로 추락하고 있다. 누굴 탓하기 이전에 그리스도인들이 경각심을 갖고 거듭남의 각오로 임하지 않으면 교계에 희망이 없다. 이럴 즈음에 내가 이 책을 손에 잡은 것은 크나큰 축복이다. 사회복음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해 자료를 찾던 중이었다. 미국의 월터 라우센부시(Walter Rauschenbush)를 피해갈 수 없어 그에 대한 글을 읽었다. 라우센부시가 영향 받은 사람 중 찰스 M. 쉘던(Charles M. Sheldon)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쉘던은 미국의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urch) 목사이자 저술가로 어떻게 하면 대중에게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을까를 늘 생각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소설을 쓰는 것이었다.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조항래 역, 도서출판 예찬사, *이 책 제목이 눈에 거슬린다. 아무리 다중을 대상으로 하는 소설책이라고 하지만 예수님을 인성적 측면만 생각하고 정한 제목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뒤로는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로 표기하겠다. 실제로 10 종이 넘는 한국어 번역본 중 대부분이 이렇게 책 제목을 달았다)는 소설에 속하는 글이다. 원 제목은 In His Steps이고 부제(副題)가 'What Would Jesus Do?'이다. 그러니까 부제를 한글 역(譯)의 책명으로 삼은 것이다. '주님의 발자취를 따라'보다는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가 더 설득력 있는 제목이라 생각했을 법하다.



​

책의 발단 부분에 나오지만 주인공 헨리 맥스웰(Henry Maxwell) 목사가 주일 예배 때 베드로전서 2장 21절을 본문으로 '주의 발자취를 따라서'란 제목으로 설교를 한다(*벧전 2:21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입었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셨느니라" "It was to this that God called you, for christ himself suffered for you and left you an example, so that you would follow in his steps."). 이 본문이 쉘던의 소설 In His Steps에서 시종일관(始終一貫) 긴장 속에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제이기도 하다. 사회의 가치 기준이 혼란스럽고 윤리 도덕이 추락할수록 사람들은 절대적인 잣대를 요구한다.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라는 질문은 예수님처럼 살고 싶다는 설의법적 표현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미국에서 성행했던 WWSD(What Would Jesus Do?) 물결은 이것을 잘 말해 주고 있다.





올바른 신앙인으로 바로 서기 위해





오늘날도 이 소설을 쓸 때와 비슷한 가치 혼란의 시대이다. 절대 진리가 발붙일 여지가 없고 나에게 유익이 되는 것이 곧 진리라는 전도(顚倒)된 가치관이 횡행하고 있는 사회아다. 따라서 찰스 쉘던의 소설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가 독자들에게 강하게 어필할 수밖에 없는 시절이다. 그리스도인조차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보다는 안락하고 부담 없는 세속적 신앙생활을 원하는 추세이고, 실제 많은 사람들이 그쪽을 행해 달려가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아가페 사랑은 어디론지 사라지고 그리스도가 한낱 자기 필요에 의해 달았다가 떼어내는 장식물로 전락하고 말았다면 지나친 표현일까.





이 소설은 신앙생활을 소재로 하고 있다. 찰스 쉘던의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는 체코의 헨리크 시엔크비치(Henryk Adam Alexander Pius Sienkiewicz)가 쓴 Quo Vadis와 함께 오늘날까지 읽히고 있는 스테디셀러가 된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 책이라고 보아도 좋다. 또 예수님을 본받는 삶을 강조하는 책으로는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The Cost of Discipleship('나를 따르라'는 제목으로 출판)과 함께 이 책은 수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쳐왔다. 어떤 비평가는 본회퍼의 책은 식자층에게 그리고 쉘던의 이 소설은 다중(多衆)의 일반 그리스도인들에게 큰 도전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In His Steps의 시대 배경은 19세기 중반이다.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의 여파가 미국에도 몰아닥쳐 부(富)가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었다. 빈곤층이 양산되어 끼니와 잠자리를 걱정해야만 했다. 공간적 배경은 레이몬드(Raymond )이다.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의 삼포(三浦)처럼, 김승옥의 '무진기행'의 공간적 무대 무진(霧津)처럼 가상의 도시이다. 그곳을 중심으로 예수님 닮기(Imitation) 운동이 사람들을 통해 전개된다.





상류층 신앙인들의 기득권 내려놓기





이 책은 전부 31개의 장(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마다 다양한 캐릭터의 사람들이 등장해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중심 주인공이라고 할 만한 사람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몬드 제일교회 담임 헨리 맥스웰 목사, 건전한 기독교 언론을 추구하는 레이몬드 데일리 뉴스(Raymond Daily News) 사장 에드워드 노만(Edward Norman), 기업의 부정을 고발하며 개혁하고 한 철도회사 간부 알렉산더 파워즈(Alexander Powers), 미성(美聲)의 성악가이며 자신의 재능으로 빈민 선교 집회 찬양 사역에 헌신하는 레이첼 윈슬로우(Rachel Winslow), 많은 재산의 상속녀이며 그 재산을 사회복지 사업에 쏟아 붓는 버지니아 페이지(Virginia Page), 링컨 대학 학장이며 이후 레이몬드 시의 금주운동을 주도하는 도날드 매쉬(Donald Mash).





면면을 살펴 볼 때 사회의 상류층 사람들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든 호의호식(好衣好食)하며 살아갈 수 있는 부류의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들에게 큰 충격을 주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것도 거룩한 주일 날, 이들이 출석하는 경건해야 할 예배당에서…. 그 이름은 잭 매닝(Jack Manning), 이 사람은 인쇄공이었는데 공장 자동화의 물결이 밀려오는 과정에서 실직을 당한 노동자이다. 즉 자동식자기(自動植字機, linotype)의 도입으로 사람의 손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어 일자리를 잃고 말았다. 구직을 위해 백방으로 알아보았지만 허사였다. 그 사이 아내는 숨을 거두었고(영양실조에 의해였을 것) 아이는 동료 인쇄공의 집에 위탁해 놓고 있었다.





그 실직자가 예배 시간에 강대상 쪽으로 나와서 던진 말은 지금까지 평온하게 신앙생활을 해 오던 제일교회 성도들의 마음을 휘저어 놓고 말았다. 마치 바리새인들을 나무라던 예수님 같았다고나 할까. 그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





"아까 여러분은 '주와 함께 가려네'라고 찬송을 부르셨는데 과연 그 뜻이 무엇일까요? 예수의 행적은,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스스로 고난을 당하고 자신을 부정하면서 길 잃은 자와 고통 받는 자를 구원하려고 노력한 것이었는데 여러분도 그렇게 생각하는지요? 여러분은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른다'는 것을 어떻게 해석합니까? … 제 아내가 뉴욕 시의 한 셋방에서 마지막 숨을 몰아쉬면서 어린 딸을 함께 데려가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빌다가 숨을 거두었습니다. … 여러분,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21쪽).





산업혁명의 여파 속에 실직한 인쇄공의 죽음





믿는 자의 갈등은 여기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른다'(Following In His Steps)는 것은 무슨 뜻일까?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What Would Jesus Do?)는 앞의 말을 반복 강조한 것이다. 이런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둔 인쇄공 실직자의 장례를 치르고 맥스웰 목사는 획기적인 선언을 한다. 1년간 온전히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르는 삶을 살아가기로. 교인들의 호응도 커 약 50 여 명이 이 운동에 동참해서 사회적 약자를 보듬고 사회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일에 헌신하기로 서약한다. 위에 예거한 사람들이 그 운동의 주축들이다.





데일리 뉴스 사장 에드워드 노만은 주일에도 발행하던 신문을 쉬기로 하고 술과 담배 광고를 금지하며 흥미 본위의 기사를 게재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철도회사 간부인 알렉산더 파워즈는 자기 회사가 연방정부의 주간통상법(州間通商法)을 조직적으로 어기는 것을 고발함으로써 해직된다. 뛰어난 음성으로 고액의 연봉 제의를 뿌리친 레이첼 윈슬로우는 렉탱글 빈민 마을에 들어가 찬양으로 봉사한다. 고액 재산의 상속녀인 버지니아 페이지는 자신의 재산을 기독교 사회복지 사업에 쾌척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 정신으로 신문을 발행해 적자 경영에 빠진 데일리 뉴스에 거금을 지원한다. 지금까지 대학 교수로 자족하던 도날드 매쉬 학장도 상아탑을 벗어나 지역의 금주 운동에 뛰어 들어 지도력을 발휘한다. 이 사람들이 내걸고 실천한 슬로건은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였다.





소설은 픽션(fiction)의 영역에 속한다. 즉 허구(虛構)이다. 그러나 있을 법한 허구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찰스 M. 쉘던의 In His Step이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성경 다음 많이 팔린 책으로 기록(30개 언어로 3천만 부 이상이 판매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면서도 신학자들과 문학평론가들이 도외시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은 진리이고 진리는 허구와 공존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작가 찰스 쉘던은 복음을 보다 쉽게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소설의 방식을 택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렇다면 이 소설은 재평가의 과정을 밟을 필요가 있다. 현실 안주형 그리스도인들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교계 상황을 직시할 때 이런 형식의 글로 사람들을 예수 앞에 바로 세울 수 있다면 비판이 아니라 쌍수를 들어 환영할 일이 될 것이다.





재조명되어야 할 찰스 M. 쉘던의 소설들





쉘던의 In His Steps는 17세기 존 번연(John Bunyan)이 쓴 <천로역정(Pilgrim Progress)>과도 비교된다. 존 번연도 침례교 목사이자 작가였다. <천로역정>은 우화소설로 역대 신앙서적 중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읽혀졌다는 점도 그렇다. 찰스 쉘던은 미국 회중교회 목사였고, 교회의 대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이 소설 외에도 이것의 속편에 해당하는 Jesus is Here 등 여러 권의 소설을 출판했다. 모두 교회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적 삶을 강조한 것들이다. 쉘던은 In His Steps를 쓰기 전 직접 실직한 인쇄공으로 가장하여 다수의 그리스도인들을 만났다고 한다. 그 결과는 어땠을까. 실망을 금치 못했다. 그리스도인들로부터 말과 행동과 믿음의 불일치를 보았기 때문이다.





다시 우리의 현실을 돌아보자. 신자유주의의 풍랑 속에 세상적 윤리와 질서가 교회에 그대로 이식되어 예수님이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맘몬주의(Mammonism), 승자독식주의, 인본주의 등이 주님의 자리를 대신하려 하고 있다. 기독교인의 윤리 의식조차도 희미해져 무딜 대로 무디어진 상태다. 이럴 때, 그리스도인 모두가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과연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라고 묻는다면 우리의 신앙이 다시 살아날 수 있지 않을까. 미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목회자이자 저술가인 에이든 윌슨 토저(Aiden Wilson Tozer)는 현대의 그리스도인을 회색 지대의 그리스도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예수님처럼 사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세상 사람처럼 사는 것도 아닌 회색지대에서 위험한 줄타기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을 위한 경고의 말이다.





찰스 M. 쉘던은 이 소설의 대미를 이 땅에 이루어질 이상적 사회 건설과 함께 재림하시는 예수님의 환상을 바라보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그동안 등장했던 인물들을 총 출동시켜 맥스웰 목사가 바라고 등장인물들이 생각하고 독자들이 원하는 결말을 이끌어낸다. 해피 엔딩이다. 교회의 문간마다 성도들의 가슴마다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란 표어가 붙어 있는 것 같다. 이 땅에 천년왕국의 도래를 꿈꾸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한 마디 덧붙일 것, '고통을 다른 이에게 대신 받게 하려는 기독교는 참된 기독교가 아닙니다. 진짜 기독교인이라면 사업가든 시민이든 간에 반드시 예수님에게로 가는 희생의 행로를 따라 그 분의 발자취를 밟아가야 할 것입니다. 맥스웰 목사가 마지막 설교에서 강조한 말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으리라.





자본주의의 폐악 속에서 벗어나야 할 그리스도인





얼마간의 헌금과 몇 시간의 봉사 활동으로 그리스도인의 의무를 다 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으로 주님께서 걸어가신 고난의 길을 대신할 수는 없는 일이다. 기득권을 내 놓고 가진 것을 솔선해서 나누어야 한다. 초대교회처럼 "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주고 날마다 마음을 같이 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는"(행 2:44-46) 교회로 돌아가야 한다. 이러한 초대 교회 정신이 우리 기독교가 다시 살아나는 길이다. 쉘던이 이 소설에서 강조한 것도 바로 이것이다. 상류층 사람들이 자기 것을 빈민들에게 나눠주고 함께 하라는 것이다. 목회자도 예외일 수 없다. 이 소설의 에드워드 감독(Bishop Edward)과 나사렛 에비뉴 교회의 칼빈 브루스(Calvin Bruce) 목사처럼 자신들이 온갖 정성을 다해 사역한 교회를 내려놓고 주님이 걸어가신 고통의 길을 기꺼이 기쁨으로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쉬운 일일까. 우리와 같은 연고주의가 뿌리 깊은 교계의 상황에서.





교계가 위기를 향해 치닫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결국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달려 있다. 세속적 삶에 신앙을 편승시켜 나만을 위한 길을 갈 것인가 아니면 이 소설에서 시종 주창하고 있듯이 거룩한 주님의 발자취를 따라 갈 것인가의 갈림길에서 우리가 선택할 일만 남았다. 교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서구 기독교의 과거를 그대로 닮아가는 모습이다. 지금 유럽의 기독교는 어떤 상태인가. 외형만 덩그러니 남고 텅텅 빈 예배당,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그런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지금 이 시간부터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란 물음 앞에 모두가 무릎을 꿇어야 한다. 그래서 WWJD 운동이 이 땅에 일어나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렇게 하는데 쉘던의 이 소설이 큰 도전이 될 것이다. 일독을 권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In His Steps의 마지막 '단어'로 글을 맺는다. '아멘!'
공감 (3) 댓글 (0)
 



비로그인 2001-07-18

내가 요즘 읽는 책입니다. 이책 으로 인하여 저의 삶속에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우선 적으로 말하자연 감추려고 한 저의 개인 생활은 아니지만 어찌되었던 저의 이런 삶은 아는 사람은 하나님뿐....... 무관심 때문이겠죠,,,,,저도 여러분의 개인적인 삶을 모르는 것으로 봐서는 저또한 여러분에게 무관심한 사람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예수님이라면 이렇게 행도하시지 낳으실껄요..... 그래서 여러분에게 광고를 합니다. 무슨일일 하든지 예수라면 어떻게 하실까 하는 질문을 자신에게 하고서 행동을 하기로 어떤것보다 먼저요.. 저도 그렇게 사는 내용을 올릴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들이 예수님의 삶을 닮아 가씀.....

오늘로 몇일째 <예수라면 어떻게 할것인가> 책을 읽고 있다. 오늘로 몇일째 나의 삶에 예수라면 어떻게 할것인가 하는 질문을 하고 있다 일기 시작한 날부터 다시 뒤돌아 보겠다

화요일인가 그날 낮에 비가 억수로 왔다 점심때 병원에 갔다 회사로 가는데 어르걸인이 길에서 비를 맞으면서 구걸을 하고 있었다 예수라면 어떻게 할까 하는 질문을 했다....손을 꼭 잡아주고서 에수님 믿고 구원 받으세요 그럴까....나는 그것을 행동에 옮기지 못했다 단지 지갑에서 돈을 꺼내 그분에게 주면서 예수님믿으세요 하고고 말을 했을뿐..아쉽다,,,, 그날 저녁이었다 친구인 훈혁이가 저녁 늦게 밥을 먹자고 불렀다 나의 계획이 차질이 생기려는 순가...난 다시 질문을 했다 예수라면 어떻게 할것인가....내가 친하다고 생각하는 훈혁이에게 시간을 투자 할것이다 ,,,

나는 조금의 불만을 가지고 약속장소로 욺직였다 저녁먹는 자리에서 훈혁이의 사촌 동생이(4살)...비가오는데 박으로 나가려고 하기에 내가 막었더니 검,검,검 하는 것이다 나는 무순소리야 하고 아기를 타이르다 껌하고 말을 했다 그때 아기가 고게를 끄덕였다 .... 그순가 나는 다시 질문을 했다 예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아마 아기를 위해 껌을 사오리라....나는 시당 박으로 나가서 슈퍼를 찾았다 없었다 .....물어서 슈퍼에 가서 껌을 사다가 아기에게 주었다........

프리첼의 '하나님의GOD'
http://www.freechal.com/DBGOD/
예수 라면을 같이 드시죠............


공감 (1) 댓글 (0)
 



shine 2003-11-27

지금도 이 소설은 읽히고 있다. 소설 속의 인물들이 겪어야만 했던 현실적인 어려움들은 비단 소설 속의 일만은 아니다. 오늘도 예수라면 어떻게 하셨을까를 고민하며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가는 이들이 있다. 나도 소설 속의 인물들이 했던 고민을 다시 하고자 마음먹었다. 성령님의 인도 따라 그들처럼 승리하는 자가 되길 바라며.

2003.3.17


공감 (0) 댓글 (0)
 



수호천사 2005-12-21



말세에 세상의 막막함을 보면서 그리스도인들이 믿음으로 생활하기를 고민하기 쉬우며 그런 가운데 막막한 세상에 믿음으로 생활하신 사람을 샘플로 볼 수 있다. 바로 그분이 예수님이시다.

그 예수님도 육신을 입으신지라 연약하셨으며 피곤하셨으며 고민하셨으며 아픔을 느끼셨으나 그분이 믿음으로 생활하실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가 보내신 소명을 갖고 살아가셨기 때문이다.




오늘날도 막막하게 살아가고 있는데도 믿음으로 살아갈 수 있기란 참으로 영과 육의 갈등에 놓이며 믿음으로 살 것이냐! 죄악으로 살 것이냐! 자신과의 갈등에 놓이며 살아가가 일수이다.

때론 그리스도 안에서 생활하는 믿음의 패턴을 잃어버릴 때는 믿음으로 살아가야 하는 줄 알면서도 믿음으로 살아가지 못할 때가 많으며, 마음의 아픔을 겪으며 상대에게도 아픔을 주기도 한다.




저자가 의도하고 싶은 것은 예수님의 관점에 초점하여 예수님이 교훈하신 것에 따르며 이에 만족하며 생활해 나가는 것을 각각의 차례로 말해주고 있다. 바로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고민하는 것이다.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은 먼저 예수님 안에 있어야 한다. 예수님 안에 있는 것은 생명과 평안을 공급 받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예수님의 뜻을 좇아 살아가는 것도 이와 일반이다.




육안으로는 알 수 없으나 그리스도 영이 있느냐 없느냐로 말해준다. 마치 반석에 세운 집과 모래 세운 집이 바람과 폭풍이 몰아칠 때 알 수 있다. 그리스도 영이 없는 사람은 환경에 치우치며 힘들면 좌절하며 절망하므로 도중에 포기한다. 그리스도 영이 있는 사람은 힘들고 어려워도 예수님이 공급해 주는 생평과 평안함으로 정상을 정복한다.




종이 주인의 입장에서 주인의 일을 해야 주인의 일을 책임감 있게 할 수 있다. 만일 종이 주인의 입장보다 자신의 입장에서 주인의 일을 하면 일은 일대로 실패하며 종은 종대로 책망 받는다. 이렇듯 예수님의 입장보다 자신의 입장에서 영의 일하면 일은 실패로 자신은 아픔에 절망한다. 예수님의 입장에서 영의 일을 책임감 있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예수님의 입장에서 예수님의 일을 임무완수 할 수 있는 것이 지혜이다.
Posted by Sejin at March 24,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pilgram, 장자

Charles Sheld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For other people named Charles Sheldon, see Charles Sheldon (disambiguation).

Charles Monroe Sheldon

Born February 26, 1857

Wellsville, New York
Died February 24, 1946

Topeka, Kansas
Alma mater Phillips Academy, Andover
Known for Christian Socialism The Principle of "What Would Jesus Do?"

Notable work In His Steps


Charles Monroe Sheldon (February 26, 1857, Wellsville, New York – February 24, 1946, Topeka, Kansas) was an American Congregationalist minister and leader of the Social Gospel movement. His novel, In His Steps, introduced the principle of "What Would Jesus Do?" which articulated an approach to Christian theology that became popular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nd had a revival almost one hundred years later. The stretch of US-24 on the north side of Topeka, Kansas between US-75 and K-4 is named the "Charles Sheldon Trafficway" in his honour.[1][2]


Contents
1Education and ministry
2Novel and theological influence
3Newspaper "career"
4What Would Jesus Do?
5List of Works
5.1As Main Author
5.2As Illustrator
6References
7Further reading
8External links
Education and ministry[edit]

Sheldon was a graduate of Phillips Academy, Andover (class of 1879). He became an advocate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chool of thought known as Christian Socialism. His theological outlook focused on the practicalities of the moral life, with much less emphasis on the doctrinal traditions of personal redemption from sin in Christ. In the winter of 1896 Sheldon developed a sermon story that he read as a weekly series from the pulpit of Central Congregational Church in Topeka, Kansas.[3] The unifying theme of these sermons was based on posing the question, "what would Jesus do?" when facing moral decisions. He viewed this question as traditional within Christianity and likely drew some inspiration from William T. Stead's If Christ came to Chicago! (1893) and other earlier sources.[4]
Novel and theological influence[edit]

The theme of the sermons was later fictionalized into the novel In His Steps. The central ethos of the novel was not about personal redemption but about moral choices related to encountering circumstances of poverty and deprivation. Sheldon's theological motif reflected his socialist outlook. Sheldon's own parish work became identified with the Social Gospel.

Walter Rauschenbusch, widely viewed as the chief architect of the Social Gospel, acknowledged the importance Sheldon placed on imitating Jesus. He saw the significance of Sheldon's work in bringing home the realization that it is hard to live a Christ-like life, given the temptations of modern society. While Rauschenbusch found this awareness valuable, he saw that it did not demand what he believed was a necessary transformation of social institutions.[5] Sheldon was in touch with the concerns of middle-class America at the end of the century. He saw his role as one of communication—to introduce his congregation and the wider public to the ideas of Lyman Abbott, Richard Ely, George Herron, and Rauschenbusch. That was his intention in writing In His Steps.[5]

Of the social issues Sheldon espoused during his lifetime, the two he was most passionate about were equality and prohibition. He believed that all persons were equal and should be treated as such. He was a pioneer among Protestant ministers in welcoming blacks into a mainstream church. He was also committed to fair treatment for Jews and Catholics, and proclaimed the equality of men and women. A strong supporter of the feminist struggle for equal rights, he urged women to enter politics. He also pushed for full equality in the workplace.[6]

Sheldon was also a vegetarian who promoted compassion towards animals just as he did towards humans.[7] He even criticized circuses for their treatment of animals.[8]
Newspaper "career"[edit]

In March 1900 he became editor for a week of the Topeka Daily Capital applying the "What Would Jesus Do?" concept. In that short time, the newspaper's circulation exploded from just under 12,000 to 387,000, overwhelming the paper's Topeka printing plant causing it to print 120,000 copies each in Chicago, Illinois and New York City.[9]

After his retirement from Central Congregational Church in 1920, Sheldon edited "Christian Herald, An Illustrated News Weekly for the Home", a religious periodical, from 1920 to 1924 and continued to write articles after his final retirement in 1924.[10]
What Would Jesus Do?[edit]

In the 1990s WWJD bracelets became a popular item among young people and publishers increased sales of the public domain book In His Steps and tied it in with marketing of "What would Jesus do?" items.

A ten part mini-series produced by KTWU featured an hour-long segment "Beyond Theology: What Would Jesus Do?" which examines how this question might be considered in context of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America. The program also takes a look at the manner in which Sheldon applied the social gospel in his own life and in his community.
List of Works[edit]
As Main Author[edit]
1892: Richard Bruce, or the Life That Now Is
1893: Robert Hardy's Seven Days; a Dream and its Consequences
1893: The Twentieth Door
1894: The Crucifixion of Phillip Strong
1895: His Brother's Keeper; or Christian Stewarship
1897: In His Steps "What Would Jesus Do?"
1898: The Redemption of Freetown
1898: Malcom Kirk: A Tale Of Moral Heroism In Overcoming The World
1898: One of the Two; "Be not overcome the evil, but overcome evil with good"
1899: John King's Question Class
1899: The Miracle at Markham; How Twelve Churches Became One
1899: Lend a Hand
1899: For Christ and the Church
1900: Born to Serve: a story
1900: Edward Blake: College Student
1901: The Reformer
1903: His Mother's Prayers
1903: The Narrow Gate
1904: The Wilderness of the Upper Yukon; a hunter's explorations for wild sheep in sub-arctic mountains
1905: The Heart of the World: A Story of Christian Socialism
1906: The spirit's power: or the revival
1909: Paul Douglas-journalist
1911: The High Calling
1912: A Builder of Ships; The Story of Brander Cushing's Ambition
1914: "Jesus is Here!" Continuing the Narrative of In His Steps (What Would Jesus Do?)
1912: In His Steps; a Dramatic Adaptation of the Story (with Frank H. Lane)
1912: The Wilderness of the North Pacific Coast Islands: A Hunter's Experiences while Searching for Wapiti, Bears, and Caribou on the Larger Coast Islands of British Columbia and Alaska
1916: Howard Chase, Red Hill, Kansas
1916: Of One Blood
1917: Modern Pagans
1919: All The World
1920: Heart Stories
1921: In His Steps To-day. What would Jesus do in solving the problems of present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fe?
1921: The richest man in Kansas
1924: The everyday Bible (as editor)
1924: The Mere Man and His Problems
1925: Charles M. Sheldon: His Life Story
1925: Two Old Friends
1926: The Life of Jesus
1927: Casework Evangelism: Studies in the Art of Christian Personal Work (only Introduction)
1928: The 13th Resolution
1929: Life's Treasure Book, Past, Present, and Future
1930: The Wilderness of Denali
1941: The Golden Book of Bible Stories: Favorite Stories from the Old and New Testaments Retold for Children
As Illustrator[edit]
1886: True to the Old Flag: A Tale of the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by G. A. Henty)
1899: Won by the Sword: A Tale of the Thirty Years' War (by G.A. Henty)
1900: Under the Rebel's Reign: A Story of Egyptian Revolt (by Charles Neufeld)
1901: The Goddess of Excelsior (by Bret Harte)
1902: To Herat and Cabul, A Story of the First Afghan War (by G.A. Henty)
1905: The Queen of Shindy Flat (by Bessie Marchant)
1905: The Pilgrim's Progress: From This World to That Which Is to Come (by John Bunyan)
1907: The Yap Reporter and His Crisis (by Edward Price Bell)
1907: Riall in The Race Riots. Another Adventure of The Yap Reporter (by Edward Price Bell)
1907: The Yap Reporter on The Plains (by Edward Price Bell)
1907: Bige Hoak (by Edward Price Bell)
1907: On the Trail of the Arabs: A Story of Heroic Deeds in Africa (by Herbert Strang)
1911: The Invisible Island - A Story of the Far North of Queensland (by Alexander MacDonald)
1912: Chaloner of the Bengal Cavalry: A Tale of the Indian Mutiny (by Percival Lancaster)
1912: Under the Chinese Dragon: A Tale of Mongolia (by F.S. Brereton)
1914: In the Irish Brigade: A Tale of War in Flanders and Spain (by G.A. Henty)
1914: Edgar the Ready: A Tale of the Third Edward's Reign (by W. P. Shervill)
1915: A sturdy young Canadian (by Frederick Sadleir Brereton)
1930: Pioneers In Tropical America (by Harry Johnston)
References[edit]

^ "Statute | Kansas State Legislature". www.kslegislature.org. Retrieved 2018-11-26.
^ Service, Religion News; Press, Associated (2001-12-22). "Road Named for 'What Would Jesus Do?' Author". Los Angeles Times. ISSN 0458-3035. Retrieved 2018-11-26.
^ Sheldon, Charles M. (1897), In His Steps: "What would Jesus do?", Chicago: Advance Publishing, p. 3
^ Ferré, John P. (1988), "Charles Sheldon's moral formula", A social gospel for millions,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Popular Press, pp. 15–17
^ Jump up to:a b Burnidge, Cara L. (Spring 2009). Charles M. Sheldon and the Heart of the Social Gospel Movement (M.A.). Florida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0, 2016. Retrieved June 2, 2017.
^ Brooking, N. (2004-02-01). 1. Charles Monroe Sheldon (1857 - 1946). From "Charles M. Sheldon and the Social Gospel." Georgetown College. Retrieved on: 2010-08-07.
^ Sheldon, “The Confessions of a Vegetarian,” Independent 60 (June 21, 1906): 1458
^ Sheldon, “The Show That Would have Stunned New York,” unpublished sermon, Sheldon’s manuscript file, Kansas Historical Society.
^ The Capital-Journal's roots run deep - Topeka Capital Journal - June 1, 2003
^ Charles Monroe Sheldon/Central Congregational Church Collection
Further reading[edit]
James Smylie, "Sheldon's In His Steps: Conscience and Discipleship," Theology Today, Volume 32, number 1 (July 1975) pp. 32–45.
External links[edit]
Wikisource has original works written by or about:
Charles Sheldon


Biography portal
Christianity portal
Profile on Sheldon from the Congregational Church, Topeka, Kansas [1]
Works by Charles Sheldon at Project Gutenberg
Works by Charles Sheldon at Faded Page (Canada)
Works by or about Charles Sheldon at Internet Archive
Works by Charles Sheldon at LibriVox (public domain audiobooks)
Kansas State Historical Society archived documents on Charles Sheldon [2]
"Charles Sheldon". Find a Grave. Retrieved August 28, 2010.
Inventory of the Charles Monroe Sheldon Papers, Special Collections, University of Vermont Library
PBS Documentary "Beyond Theology: What Would Jesus Do? http://ktwu.washburn.edu/productions/WWJD-BT/
Posted by Sejin at March 24,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pilgram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 금강일보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 금강일보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금강일보
승인 2020.03.23

한남대 명예교수





[금강일보] 전 세계를 휩쓰는 역병의 시기다. 뜬금없이 온 역병으로 모든 나라, 정부, 관계 기관이나, 사람들은 다 같이 이 바이러스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온갖 노력을 다한다. 효과가 나타나는 곳도 있는 듯이 보이나 아직까지는 어디에도 안심할 만큼 사태가 깔끔하게 정리된 곳은 없다.

백신이 만들어져서 사용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까지는 서로 조심하면서, 한계가 있는 방역과 치료를 받으면서 살 수밖에 없다. 한번 나타난 바이러스는 우리와 함께 간다.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살 수밖에 없다. 어떻게 해야 할까? 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생각을 모아본다.


“교장 선생님께,

안녕하십니까? 일본 땅에서 조국의 언어로 학생들을 교육하시니 참 감사합니다. 어려움이 많겠지만 좌절하지 않고 훌륭히 나가시리라 믿습니다.

지금은 해결되어 다행입니다만, 여러 날 전 사이타마 시에서 조선학교유치원 어린이들에게 마스크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소식을 듣고 놀랐습니다. 서울과 대전에 있는 종교친우회(퀘이커) 친우들이 맘을 모아 약간의 마스크를 보내드리기로 하였습니다. 여러 날이 걸렸지만 함께 하고 도와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면 마스크 100매를 보내드립니다. 어린이들이 기쁘게 사용할 수 있으면 고맙겠습니다.

여기 보내드리는 마스크는 어린이들이 착용할 수 있도록 만든 면 마스크입니다. 잘 빨아서 함께 넣는 필터를 마스크에 맞게 잘라서 갈아 끼우면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좋아할 수 있는 약간의 장난감과 학용품을 함께 보냅니다.

사람들이 어디에서나 차별을 받지 않고 당당하게 살 수 있는 사회가 오기를 기대합니다. 특히 이번에 전 세계를 긴장시키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빠른 시간 안에 진정되어 모두가 다 정상생활을 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학교의 학생들과 선생님들과 학부모님들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빕니다.

2020년 3월 20일, 한국 종교친우회(퀘이커) 서울·대전 모임 친우들 드림”



이 편지의 사연은 이러하다. 이미 언론보도를 통하여 많이 알고 있듯이 일본의 사이타마 시에서 취약계층 사람들에게 마스크를 제공하면서 시에서 관리하는 곳이 아니라 하여 조선학교에서 운영하는 유치원은 제외되었단다. 부당하다는 여론이 많이 형성되어 곧 시정되었다고 한다. 그래도 이런 일은 어디에서도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맘에 몇몇 퀘이커 친우들이 상의하여 그 유치원에 마스크를 보내기로 하였다. 그래서 약간의 돈을 모았고, 바느질하시는 분의 협조를 얻어 면마스크 100매를 보내면서 쓴 편지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그런 사정을 듣고, 면마스크를 만들어주시던 재봉사가 당신도 참여한다는 뜻으로 수고비의 상당한 부분을 받지 않기로 하였다. 그는 작업을 하는 긴 시간 동안 참으로 행복했단다. 이런 보람 있는 일에 참여할 수 있어서 감사했고, 그 마스크를 쓸 어린이들을 생각할 때 매우 깊고 간절한 사랑과 정성이 솟아남을 경험하였단다. 그 사랑과 정성은 그가 만든 까만 마스크와 그 안에 들어갈 필터와 그것들을 하나하나 따로 포장한 그 정갈한 모습에서 금방 느낄 수가 있었다. 비록 적은 양의 마스크지만 그것을 받아 쓰게 될 어린이들과 선생들에게, 그리고 우리 사회에 따뜻한 바람이 일어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굉장히 많은 나라에서 여행이나 모임을 금지하면서, 국경을 폐쇄하다시피 하는 긴급명령을 발동하였다. 그 파동은 참으로 크다. 각종 생산활동과 경제활동이 중단되고, 온갖 종류의 국제간의 교류활동이 크게 제한을 받으면서 삶이 침체될 것은 불을 보듯이 뻔하다. 누구는 전쟁과 같은 상황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물론 얼마 동안은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게 하여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것을 좀 막거나 미루면서 치료할 수 있는 약을 만들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 전에도 마냥 이렇게 격리되고 갇힌 상태로 사람들이 살아갈 수는 없는 일이다. 바이러스가 퍼지는 힘이 좀 누그러들면 서서히 일상으로 돌아갈 것이다. 물론 그러기까지는 누구일지는 모르나 상당히 많은 희생이 따를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우리들의 삶의 한 부분이 되어 함께 살아갈 것이다. 그러나 어마어마한 범위와 깊이로 우리의 문명과정과 삶의 방향을 변화시킬 것이다.

그래서 다시 확인하고 갈 일이 있음을 본다. 짧은 시간이 지나면 상당한 위험을 떠안은 채 모든 국경은 전처럼 개방되고 경제활동을 할 것이다. 지금 세계는 촘촘한 그물망처럼 얽혀있기에 나라나 민족이나 어떤 종교집단이나 이념집단으로만 살아나갈 수가 없다. 그러므로 그것들을 초월한 공동대응이 필요하다. 전 세계를 하나의 생활공동체로 삼고 공동으로 연구하고 개발하고 무역하고 서로 도우면서 살아갈 일이다.

그런 차원에서 일단 우리나라 안에 있는 불법체류자라는 이름으로 숨어서 일하면서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이번 일에서 어떤 불이익이 없게 자국인과 꼭같이 혜택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유발 하라리가 지적하였듯이 앞으로 빠르게 삶의 방식이 달라질 것이다. 지금 긴급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일들이 일상이 될 수도 있다. 어찌 보면 문명전환의 분기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극복하는 일을 떠나서, 앞으로 있을 모든 일들을 하나의 세계로, 그러니까 각 나라들이나 지역들이나 사람들이 각자도생식이 아니라, 글로벌 차원의 일로 화평하게 공동으로 처리할 방법을 모색하는 일이다. 모든 경계를 넘어 공동으로 대응하여 사는 대동사회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모든 인간과 정부와 정책들은 그 흐름을 충실히 따르는 성숙된 모습으로 승화돼야 할 것이다.
Posted by Sejin at March 24,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김조년, 퀘이커, 한국 퀘이커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Posts (Atom)

Directory Page

  • Home

Blog Archive

  • ▼  2025 (313)
    • ▼  July (48)
      • 똥본위화폐 : 조재원
      • 이병철 지리산 여름 연찬을 다녀오다/
      • 창조자 인간 - 가스펠투데이
      • 세계평화개념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평화인문학 2020
      • “The Nordic secret: How to Use Inner Development t...
      • The Nordic Secret: A European Story of Beauty and ...
      • Bildung: Keep Growing eBook : Andersen, Lene Rache...
      • 원마음 : 네이버 블로그
      • 송규 정산종사 원불교
      • 이병철 - -몽골생태영성순례 12, 돌아와 한·몽 연방을 생각한다
      • 이병철 몽골생태영성순례 11, 테렐지(TERELJ)국립공원/
      • Won-Buddhism :최준식 2011
      • 한국信연구소, 이신(李信) 사상 주제 학술논문 공모 < 에큐메니안
      •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 강응섭,박수영,박종식,원영상,이명권,조은식,조재형,최자웅
      • 알라딘: 검색결과 ''원영상
      • 소태산 박중빈 - 나무위키
      • ChatGPT - 원불교 공부에 좋은 방법
      • 이병철 - -몽골생태영성순례 10, 푸른아시아 몽골지부/
      • 마음 수업 - 마음공부인들의 숨은 멘토가 들려주는 마음과 운명을 바꾸는 기술 이광정
      • 알라딘: 검색결과 '권도갑' - 우리 시대의 마음공부
      • *** 대종경(大宗經) 해설: 소태산 대종사의 가르침
      • [학술] 원불교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 : 네이버블로그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간행도서
      • 소태산 평전 - 솥에서 난 성자 김형수 2016
      • The quest to understand consciousness | Antonio Da...
      • 2025 Backhouse Lecture with FWCC General Secretary...
      • 행동이 먼저이고 뇌는 그다음 변한다: 신경과학적 탐구
      • 崔明淑 신경과학자 대니얼 월퍼트 - Yahoo Search Results
      • 이병철 -몽골 생태영성순례 6,7,8,9
      • 대종경(大宗經) > 제1 서품(序品) > 1장
      • Namgok Lee | 대종경 읽기 시작했다.
      • 초고로 읽는 대종경 –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 대종경 - 나무위키
      • Namgok Lee - AI(챗지피티)는 계속 대화, 철학이나 사상
      • Gemini와 나눈 이신 박사에 관한 대화에 대한 ChatGPT의 코멘트
      • 이신은 누구이고 왜 이신 공부를 해야고 한다는 건가, - 맑시즘, 불교, 통합적 영성
      • 환상과 저항의 신학 - 이신(李信)의 슐리얼리즘 연구
      • 나는 왜 오늘도 여전히 이신(李信)에 대해서 말하려고 하는가? < 에큐메니안
      • 이병철 - 몽골생태영성순례 5, 사슴비석(鹿碑)/
      • The head of Zhen Dao Pai school - Daoist School Zh...
      • Daoist Cultivation, Book 1: Fundamental Theory and...
      • Daoism for beginners - Daoist School Zhen Dao Pai
      • Daoist Cultivation (20 book series) Vitaly Filbert...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스크랩]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한문 원문과 해석
      • Sutra of Filial Piety - Wikipedia 부모은중경
      • 한길사 - ❝한길그레이트북스 196권 다 읽었다!❞ - 어부 독자 김기택 씨
      • The Filial Piety Sutra – The Deep Kindness of Pare...
    • ►  June (60)
    • ►  May (30)
    • ►  April (16)
    • ►  March (80)
    • ►  February (67)
    • ►  January (12)
  • ►  2024 (1380)
    • ►  December (21)
    • ►  November (38)
    • ►  October (46)
    • ►  September (81)
    • ►  August (105)
    • ►  July (93)
    • ►  June (46)
    • ►  May (76)
    • ►  April (191)
    • ►  March (235)
    • ►  February (244)
    • ►  January (204)
  • ►  2023 (4078)
    • ►  December (154)
    • ►  November (138)
    • ►  October (312)
    • ►  September (370)
    • ►  August (552)
    • ►  July (582)
    • ►  June (522)
    • ►  May (478)
    • ►  April (341)
    • ►  March (180)
    • ►  February (212)
    • ►  January (237)
  • ►  2022 (3375)
    • ►  December (192)
    • ►  November (159)
    • ►  October (154)
    • ►  September (162)
    • ►  August (358)
    • ►  July (445)
    • ►  June (517)
    • ►  May (560)
    • ►  April (327)
    • ►  March (204)
    • ►  February (78)
    • ►  January (219)
  • ►  2021 (3269)
    • ►  December (154)
    • ►  November (223)
    • ►  October (373)
    • ►  September (316)
    • ►  August (252)
    • ►  July (286)
    • ►  June (272)
    • ►  May (302)
    • ►  April (338)
    • ►  March (316)
    • ►  February (212)
    • ►  January (225)
  • ►  2020 (2422)
    • ►  December (228)
    • ►  November (385)
    • ►  October (417)
    • ►  September (270)
    • ►  August (214)
    • ►  July (71)
    • ►  June (161)
    • ►  May (141)
    • ►  April (98)
    • ►  March (142)
    • ►  February (84)
    • ►  January (211)
  • ►  2019 (1234)
    • ►  December (85)
    • ►  November (8)
    • ►  October (98)
    • ►  September (228)
    • ►  August (50)
    • ►  July (76)
    • ►  June (52)
    • ►  May (55)
    • ►  April (111)
    • ►  March (64)
    • ►  February (152)
    • ►  January (255)
  • ►  2018 (587)
    • ►  December (157)
    • ►  November (28)
    • ►  October (22)
    • ►  September (82)
    • ►  August (59)
    • ►  July (13)
    • ►  June (40)
    • ►  May (53)
    • ►  April (48)
    • ►  March (66)
    • ►  February (18)
    • ►  January (1)
  • ►  2017 (188)
    • ►  December (14)
    • ►  November (19)
    • ►  October (4)
    • ►  September (55)
    • ►  August (11)
    • ►  July (38)
    • ►  June (1)
    • ►  April (16)
    • ►  March (11)
    • ►  February (7)
    • ►  January (12)
  • ►  2016 (987)
    • ►  December (53)
    • ►  November (111)
    • ►  October (267)
    • ►  September (70)
    • ►  August (11)
    • ►  July (41)
    • ►  June (92)
    • ►  May (153)
    • ►  April (123)
    • ►  March (66)
  • ►  2015 (6)
    • ►  August (2)
    • ►  July (3)
    • ►  February (1)
  • ►  2013 (1)
    • ►  October (1)

Search This Blog

Labels

  • Ibn Arabi (4)
  • ??? (1)
  • "Body keeps" (643)
  • "centering prayer" (62)
  • "contemplative life" (53)
  • "de Ropp" (2)
  • "Esoteric Christianity" (27)
  • "holy obedience" (30)
  • "inner chapters" (5)
  • "inner christianity" (4)
  • "Sejin Pak" (13)
  • "Shall We Live" (4)
  • "spiritual care" (33)
  • "spiritual practice" (298)
  • "study bible" (8)
  • "김시천 노자 강의 " (27)
  • "의식과 본질" (261)
  • "일본으로 건너간 연오랑" (5)
  • [Directory (2)
  • [spiritual journey (1)
  • [아직도 가야 할 길> 요약 (5)
  • ** (222)
  • *** (2)
  • 120 (2)
  • A.C. Graham (9)
  • Abhidharma (119)
  • Acupuncture (1)
  • adhidhamma (161)
  • AFSC (100)
  • ageing (55)
  • Ajita (3)
  • Alastair McIntosh (1)
  • Aldous Huxley (102)
  • Amartya Sen (13)
  • Ambedkar (30)
  • American (1)
  • Andrew B. Newberg (1)
  • anger (4)
  • Anne Bancroft (4)
  • Anne Marie Schimmel (16)
  • Anthony Manousos (3)
  • archetype (1)
  • Arthur Versluis (4)
  • Aurobindo (1)
  • Australia (5)
  • Australian soul (1)
  • Australian spirituality (1)
  • AVP (10)
  • Basham (4)
  • Beatrice Tinsley (10)
  • Before (4)
  • before triology (4)
  • Bessel A. van der Kolk (1)
  • Bessel Van Der Kolk (19)
  • Beyond Majority Rule (6)
  • beyul (13)
  • bhagavad gita (39)
  • Bible as literature (14)
  • Bill Devall (11)
  • biography (5)
  • body (2)
  • Body remembers (17)
  • Body Score (9)
  • bodymind (16)
  • Brain (1)
  • Brian Greene (5)
  • Buddha (3)
  • Buddhism (3)
  • C. S. Lewis (165)
  • calling (1)
  •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5)
  • Camino (1)
  • Care (1)
  • Carl Jung (170)
  • Carl Jung unconscious (65)
  • Cārvāka (2)
  • Change We Must (3)
  • Charlotte Kasl (11)
  • Chi (2)
  • Chikako Ozawa-de Silva (7)
  • Choan-Seng Song (6)
  • Chopra (3)
  • Chris Hedges (1)
  • Christian mysticism (3)
  • Christian pacifism (8)
  • Christian Zen (16)
  • Christianity Made in Japan (15)
  • Christopher Irsherwood (4)
  • Christopher Isherwood (9)
  • Claude Swanson (10)
  • compassion (44)
  • Confucianism (1)
  • contemplative (102)
  • Contemplative Practices (21)
  • cooperative (1)
  • Courage to Teach (1)
  • Course in Miracles (14)
  • Creel H G (10)
  • critics (4)
  • cult (5)
  • Dalai Lama (38)
  • Damasio (26)
  • Daniel Keown (1)
  • Dao (129)
  • Daoism (62)
  • dark matter (4)
  • David Bohm (73)
  • David Karchere (7)
  • David R. Hawkins (16)
  • death (9)
  • Deep Ecology (85)
  • Deepak Chopra (4)
  • deepening (50)
  • Dhammapada (85)
  • Diarmuid O'Murchu (8)
  • DISCIPLINE (3)
  • divine design (13)
  • divine ground (42)
  • Divine Light (1)
  • Doctor Zhivago (8)
  • Doctrine of the Mean (14)
  • Dogen (109)
  • Donald W. McCormick (15)
  • Donna J. Haraway (12)
  • Dorothee Solle (7)
  • Dr Wayne W Dyer (4)
  • dying (1)
  • ecology (2)
  • Ehrenreich (25)
  • Einstein (50)
  • Elton Trueblood (7)
  • emdr (24)
  • Emerson (159)
  • Émile Zola (1)
  • Emissaries (25)
  • Emissaries of Divine Light (2)
  • emotion (1)
  • emotionalism (1)
  • energy (1)
  • Engaged Buddhism (86)
  • Enneagram (11)
  • Enomiya-Lassalle (8)
  • Erwin Schrodinger (9)
  • Eternal Promise (1)
  •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12)
  • existential Jesus (5)
  • faith (50)
  • Feminism (1)
  • Fenelon (3)
  • fingarette (8)
  • Fiona Gardner (15)
  • Fit (2)
  • Francis S Collins (6)
  • Fusus Al-Hikam (1)
  • Gandhi (29)
  • gardening (1)
  • Garfield (12)
  • Garma Chang (13)
  • Gloriavale (3)
  • God (5)
  • Goddess (1)
  • Goddesses (2)
  • Great Courses (93)
  • Great World Religions (1)
  • Gretchen Rubin (5)
  • Grundtvig (61)
  • Grundtvig2 (3)
  • Gut (2)
  • gut microbiome (23)
  • Hakuin (3)
  • Hans-Georg Moeller (14)
  • happiness chemicals (1)
  • Hari Prasad Shastri (3)
  • Head & Heart Together (311)
  • Headspace (1)
  • healing (2)
  • Healing Touch (2)
  • Health (1)
  • Heinrich (9)
  • Henri Nouwen (22)
  • Heup-young Kim (2)
  • Hew Len (4)
  • Hindu (12)
  • Hinduism (69)
  •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illich (14)
  • Ho’oponopono (4)
  • Hoʻoponopono (11)
  • holy indifference (42)
  • holy spirit (99)
  • Homosexuality (8)
  • how to know god (2)
  • Huayen (102)
  • Humor (5)
  • Huston Smith (86)
  • Huxley (1)
  • Hwa Yen (101)
  • Hwa Yen Buddhism (101)
  • Hwayen (102)
  • Hyun Ju Kim (1)
  • Ibn Al-Arabi (2)
  • Ibn Arabi (133)
  • Identity (1)
  • Ikeda (7)
  • ikigai (32)
  • Ilchi (61)
  • Ilia Delio (11)
  • India (17)
  • Indian (16)
  • Indian Cultural History (4)
  • Indian materialism (2)
  • Indian philosophy (81)
  • Indian philosopy (1)
  • indifference (99)
  • indigeneous (4)
  • Inner light (1)
  • integrative (2)
  • Integrative Medicine (2)
  • Interbeing (53)
  • interspirituality (4)
  • Intro 해설 (2)
  • Ishida Baigan (1)
  • Ishvara (1)
  • Islam (420)
  • Israel (1)
  • Japan Quaker (50)
  • Japanese Buddhism (3)
  • Japanese philosophy (72)
  • Jean Améry (7)
  • Jesus (1)
  • Johan Galtung (6)
  • John B Cobb Jr (24)
  • John Carroll (5)
  • John Howard Yoder (2)
  • John Lennon (24)
  • John Lie (1)
  • John O'Donohue (7)
  • John Woolman (19)
  • Joseph Goldstein (1)
  • K. M. Sen (2)
  • Kabat-Zinn (93)
  • Kang-nam Oh (50)
  • Karen Armstrong (37)
  • Karl Rahner (50)
  • Karma (17)
  • Kelly [Book] (1)
  • ken wilber (11)
  • Kenneth Boulding (50)
  • Ki (2)
  • Kohei Saito (8)
  • Komjathy (7)
  • Komjathy. Daoist Tradition (17)
  • Korea (1)
  • Korea Quaker (126)
  • Korean Buddhism (11)
  • kukai (45)
  • leading (2)
  • Lecture Mystic Traditions (12)
  • Leonard Swidler (10)
  • Lessons In Truth (12)
  • Lessons In Truth Book (13)
  • Life force (10)
  • LIght (1)
  • lokāyata (4)
  • Losing Ourselves (2)
  • Lotus Sutra (28)
  • Louis Massignon (7)
  • Luke Timothy Johnson (21)
  • M. Scott (1)
  • Marcus J Borg (10)
  • Marie De Hennezel (7)
  • Marina Schwimmer (4)
  • Mark W. Muesse (1)
  • Mary Magdalene (7)
  • materialism (2)
  • Matt Haig (3)
  • Matthieu Ricard (18)
  • Meaning (1)
  • Meaning of Life (13)
  • Medicine (2)
  • Meditation (1)
  • Meeting for Learning (26)
  • Meister Eckhart (60)
  • Mennonite (91)
  • Merton (1)
  • meta religion (3)
  • Michael Talbot (6)
  • Mieko Kamiya (4)
  • mindbody (11)
  • mindfulness (542)
  • mindfulness* (7)
  • Moana (3)
  • Mondragon (1)
  • Montgomery (5)
  • Moral action (1)
  • Mu Soeng (5)
  • Muhammad (1)
  • Mukunda Rao (11)
  • mystical (1)
  • mysticism (4)
  • Nagarjuna (4)
  • Naikan (31)
  • namarupa명색 (2)
  • name of the rose (6)
  • Namgok Lee (101)
  • Namgok Lee 이남곡 (22)
  • Namgok Leem (50)
  • Nana Veary (3)
  • Nei Gong (33)
  • Neil MacGregor (1)
  • New Thought (81)
  • Nietzsche (2)
  • Nishida Kitaro (1)
  • NK (68)
  • Noah (4)
  • Noble Strategy (51)
  • Non-Believer (1)
  • Non-Duality (1)
  • non-theism (1)
  • Non-violence (1)
  • nontheism (1)
  • nontheism nontheistic (57)
  • Nontheist Quakers (59)
  • nontheistic (1)
  • nuclear power (100)
  • Nyaya (1)
  • Os Cresson (17)
  • Osho (10)
  •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10)
  • Panentheism (1)
  • Panikkar (5)
  • Pankaj Mishra (4)
  • Paramahansa Yogananda (5)
  • Parker Palmer (60)
  • Parkere Palmer selection (14)
  • Patanjali (14)
  • Peace (14)
  • peace studies (5)
  • People of the Lie (2)
  • perennial (118)
  • perennial phil (1)
  • Perennial Philosophy (1)
  • Perennial Philosophy Bk (33)
  • PerennialSufi (19)
  • Phenomenon of Man (10)
  • Phil Gulley (17)
  • Philip Sheldrake (6)
  • Philo Kalia (1)
  • Philo Kalia 심광섭 (32)
  • Pierre Claverie (5)
  • pilgram (198)
  • Pilgrimages in Japan (1)
  • plague virus pendemic (15)
  • Pleiadian (15)
  • pneuma (48)
  • Prabhavananda (8)
  • prayer (1)
  • psyche (149)
  • qi (1)
  • Qigong (96)
  • Quaker (33)
  • Quaker Australia (1)
  • Quaker indigenous (1)
  • Quaker missionary (1)
  • Quaker retreat (133)
  • Quaker retreat projects (36)
  • Quaker studies (5)
  • Quaker Sufi (35)
  • Quaker universalism (29)
  • Quakerism (64)
  • Quakersufi (2)
  • Quantum mysticism (12)
  • Qui Gong (33)
  • Radhakrishnan (2)
  • Ramakrishna (4)
  • Real Zen for Real Life (13)
  • Rebellion (1)
  • Reincarnation (52)
  • religion (4)
  • Religions of the Axial Age (2)
  • René Girard (1)
  • Rene Guenon (16)
  • Rex Ambler (1)
  • Riane Eisler (4)
  • Richard Rohr (39)
  • Richard Smoley (7)
  • Rick Hanson (1)
  • Rinpoche (55)
  • Road less travelled (7)
  • Robert E. Buswell (13)
  • Robert Powell (10)
  • Robert Wright (42)
  • Rodney Stark (2)
  • Roger Scruton (20)
  • Romain Rolland (6)
  • Rumi (159)
  • SA (2)
  • sabda (2)
  • Śabda Brahman (1)
  • Sacred Texts (9)
  • Sallie B. King (52)
  • Samkhya (6)
  • Samsara (4)
  • Sankara (10)
  • Satish Kumar (15)
  • scandal (3)
  • Schleiermacher (7)
  • Schweitzer (8)
  • science spirituality (125)
  • Scott Jeffrey (7)
  • Scott Peck (44)
  • sefirot (8)
  • SGI (41)
  • shade (1)
  • Shankara (10)
  • Shanti Sadan (1)
  • Sheeran (7)
  • Shingon (51)
  • Shingon Buddhism (1)
  • Shinji Takahashi (8)
  • Shinto (12)
  • Shoko Yoneyama (4)
  • Shri Shankara (1)
  • shusaku endo (18)
  • Soil (5)
  • Song of God (9)
  • Spinoza (147)
  • spirit (1)
  • spirit possession (1)
  • spiritual gift (5)
  • spiritual practice (100)
  • Spirituality (213)
  • SQ 21 (2)
  • Starseeds (6)
  • Stephen Batchelor (48)
  • Stephen Cope (4)
  • Stephen Mitchell (1)
  • Steve Smith (5)
  • Steve Taylor (55)
  • Steven Katz. (1)
  • Subhash C. Kashyap (1)
  • Sue Hamilton (3)
  • Sufism (334)
  • Sufism and Taoism (4)
  • Sufism Intro (24)
  • Sumanasara (9)
  • Sun Myung Moon (45)
  • Swami Bhaskarananda (2)
  • Swami Mukundananda (1)
  • Swami Rama (9)
  • Swami Tadatmananda (6)
  • Swami Vivekananda (14)
  • Swedenborg (3)
  • Tae-Chang Kim (4)
  • Taechang Kim (36)
  • Tagore (32)
  • Tai Chi (2)
  • Taichi (1)
  • Tajalli (3)
  • Tao (3)
  • Tao Te Ching translation (12)
  • Taoism (148)
  • Taoism_Intro (15)
  • Teilhard de Chardin (32)
  • Tenzin Palmo (7)
  • Testament of Devotion (9)
  • Testment of Devotion (1)
  • Ṭhānissaro (13)
  • The "Philosophy of the Daodejing" (2)
  • The Body Keeps (2)
  • The Chosen TV drama (10)
  • The Courage to Teach (7)
  • The Meaning of Life (1)
  • The Razor's Edge (9)
  • The Road Less Traveled (2)
  •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1)
  • The Unity of Being (16)
  • The Way of Chuang Tzu (1)
  •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7)
  • Thich Nhat Hanh (209)
  • third Jesus (1)
  • Thomas Berry (20)
  • Thomas Kelly (1)
  • Thomas Mann (2)
  • Thomas Merton (160)
  • Thomas Moore (9)
  • Thomas R. Kelly (126)
  • Thomas Raymond Kelly (1)
  • Thomas Sowell (6)
  • Thoreau (100)
  • Tibet (1)
  • Timothy Morton (30)
  • Tolstoy (43)
  • Toshihiko Izutsu (113)
  • Toshihiko Izutsu Sufism And Taoism (50)
  • transcendentalism (63)
  • Transpersonal (61)
  • trauma (104)
  • Tuesdays with Morrie (6)
  • Tulshuk Lingpa (4)
  • U. G. Krishnamurti (19)
  • Uddalaka (3)
  • Umberto Eco (6)
  • unconscious (1)
  • unification (1)
  • unitarian (3)
  • unitive knowledge of God (64)
  • Unity (2)
  • Unity Church (2)
  • universalism (1)
  • upanishads (7)
  • Ursula K. Le Guin (1)
  • Val Plumwood (9)
  • Ved Mehta (10)
  • Vedanta (22)
  • Vicki Mackenzie (1)
  • Vipassanā (36)
  • Vivekananda Biography (4)
  • Volunteer (23)
  • volunteer (240)
  • Waḥdat al-wujūd (19)
  • Wakamatsu Eisuke (1)
  • Wayne Teasdale (4)
  • Welch Jr. (50)
  • Well (1)
  • Western Sufism (2)
  • When Nietzsche Wept (7)
  • Wherever You Go (1)
  • Wild God (2)
  • Will Durant (8)
  • Witness Lee (7)
  • Yalom (26)
  • Yamaga Sokō (1)
  • Yasuo Yuasa (19)
  • Yijing (1)
  • Yoga (93)
  • Yoga sutra (9)
  • Yoga Sutras of Patanjali (9)
  • Yuval Noah Harari (2)
  • zen (1)
  • Zen Buddhism (1)
  • Zhuangzi (5)
  • 가미야 미에코 (11)
  • 강민창 (2)
  • 강상중 (3)
  • 강유원 (1)
  • 개벽의 사상사 (1)
  • 격물궁리 (33)
  • 경의 敬義 (1)
  • 고인수 (3)
  • 공 空 (100)
  • 공 空 sunyata (12)
  • 공공철학 (78)
  • 공해 (42)
  • 관념론 (43)
  • 관음 (62)
  • 교토학파 (45)
  • 구카이 (15)
  • 국선도 (54)
  • 권근 (1)
  • 귀신사생론 (1)
  • 그룬트비 (61)
  • 근친상간 incest (3)
  • 기공 호흡법 (5)
  • 기세춘 (14)
  • 기수련 (66)
  • 기철학 (10)
  • 기측체의 (1)
  • 기치료 (41)
  • 기학 (2)
  • 길희성 (9)
  • 김동춘 (12)
  • 김복기 (1)
  • 김상일 (33)
  • 김상준 (3)
  • 김성갑 (5)
  • 김성례 (11)
  • 김성수 (45)
  • 김승혜 (17)
  • 김시천 (35)
  • 김연숙 (3)
  • 김용옥 (13)
  • 김용환 (44)
  • 김정현 (3)
  • 김조년 (61)
  • 김종건 (2)
  • 김지하 (100)
  • 김태영 (2)
  • 김태완 (3)
  • 김태창 (118)
  • 김태창 일기 (14)
  • 깊은 강 (7)
  • 깊은강 (2)
  • 깨달음 (148)
  • 나우웬 (5)
  • 남명 조식 (7)
  • 내관법 (10)
  • 노길명 (10)
  • 노자 (100)
  • 농업 (44)
  • 니시타니 케이지 (1)
  • 니체 (4)
  •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1)
  • 다산 (1)
  • 다카하시 신지 (30)
  • 단군 (2)
  • 단월드 (71)
  • 단학 (3)
  • 달라이 라마 (2)
  • 대장암 Bowel cancer (6)
  • 대종경 (1)
  • 대행스님 (6)
  • 데이비드 호킨스 (16)
  • 덴마크 (62)
  • 도덕경 (317)
  • 도마복음 (1)
  • 도법 (181)
  • 도법2 (5)
  • 도사카 준 (4)
  • 도승자 (2)
  • 도영인 (2)
  • 동경대전 (1)
  • 동양포럼 (46)
  • 동학 (2)
  • 들뢰즈 (4)
  • 로고스 (92)
  • 로카야타 (2)
  • 류경희 (9)
  • 마고 (1)
  • 마성 (8)
  • 마스노 슌묘 (6)
  • 마음공부 (124)
  • 마이스터 엑카르트 (13)
  • 만달라 (85)
  • 만달라 만다라 mandala (67)
  • 메이지의 그늘 (5)
  • 명리학 (1)
  • 명상 (787)
  • 모리시타 나오키 (4)
  • 모리오카 마사히로 (11)
  • 목민심서 (1)
  • 몸은 기억한다 (18)
  • 몸은 안다 (13)
  • 몽골생태영성순례 (5)
  • 무교 (1)
  • 무당 (133)
  • 무묘앙 (26)
  • 문선명 (66)
  • 문선명 사상 (1)
  • 문선명 통일교 (108)
  • 문수신앙 (5)
  • 문화영 (33)
  • 미생물 (103)
  • 밀의 종교 (1)
  • 밀의종교 (1)
  • 바가바드 기타 (44)
  • 박규태 (1)
  • 박길수 (1)
  • 박미라 (5)
  • 박보희 (11)
  • 박석 (36)
  • 박석 인문학 (1)
  • 박성수; 연오랑 (1)
  • 박성준 (23)
  • 박영재 (6)
  • 박재찬 (6)
  • 박진여 (13)
  • 반성과 행복 (1)
  • 백낙청-박맹수-김용옥 (6)
  • 백승종 (18)
  • 버스웰 (2)
  • 벌레 이야기 (1)
  • 법구경 (33)
  • 법륜 (48)
  • 법화경 (21)
  • 베단타 (3)
  • 보은 (1)
  • 보현TV (3)
  • 부도지 (1)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4)
  • 북한 (68)
  • 북한농업 (44)
  • 북한지리 (5)
  • 불광선인(佛光仙人) (1)
  • 불교 (2)
  • 불교와 기독교 (1)
  • 불필스님 (1)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6)
  • 빌게이츠 (5)
  • 빙의 (1)
  • 산수화(山水畵) (4)
  • 산자야 (5)
  • 삼국유사 (1)
  • 삼족오 (21)
  • 상카라 (10)
  • 상키야 (6)
  • 생명 (1)
  • 생명농업 (5)
  • 샤만 (1)
  • 샤먼 (1)
  • 샹카라 (10)
  • 서경덕 (19)
  • 서정록 (14)
  • 선과 그리스도교 (2)
  • 선도 (6)
  • 선도체험기 (2)
  • 선도회(禪道會) (3)
  • 선옥균 (2)
  • 선옥균 악옥균 (6)
  • 성덕도 (21)
  • 성령 (150)
  • 성리학 (1)
  • 성학십도 (1)
  • 세피로트 sefirot (15)
  • 소노 아야코 (4)
  • 소태산 (146)
  • 소학 (60)
  • 송규 (7)
  • 송기득 (1)
  • 송정산 (6)
  • 송천성 (6)
  • 수련문화 (24)
  • 수선재 (20)
  • 수피즘 (118)
  • 수행 (101)
  • 숭산 (21)
  • 스콧 펙 (35)
  • 스티브 테일러 (8)
  • 스피노자 (3)
  • 신기통 (5)
  • 신내림 (25)
  • 신라불교 (1)
  • 신비 종교 (1)
  • 신비주의 종교 (1)
  • 신선사상 (1)
  • 신은희 (4)
  • 심광섭 (32)
  • 심광섭 신비주의 (4)
  • 심상 (40)
  • 심중식 (9)
  • 아나밥티스트 (42)
  • 아비달마 (50)
  • 아비담마 (100)
  • 아지타 (3)
  • 아직도 가야 할 길 (14)
  • 아카마쓰 아키히코 (1)
  • 야규 마코토 (65)
  • 야기 세이이치 (1)
  • 야마기시 (12)
  • 야마기시즘 (19)
  • 양명학 (47)
  • 양생도인법 (1)
  • 어윤형 (2)
  • 에노미야 라쌀 (8)
  • 엔도 슈사쿠 (37)
  • 역경 (11)
  • 연오랑 (1)
  • 영성 (1)
  • 영성 신학 (2)
  • 영혼의 탈식민지화 (16)
  • 예술신학 (1)
  • 오강남 (71)
  • 오구라 기조 (28)
  • 오대산 (5)
  • 오비츠 료이치 (4)
  • 오카다 다카시 (8)
  • 오카다 타카시 (11)
  • 와카마쓰 에이스케 (2)
  • 와카마츠 에이스케 (2)
  • 외경 畏敬 (2)
  • 요가 (1)
  • 우리는 누구인가 (13)
  • 웃다라카 (3)
  • 원불교 (239)
  • 원자력 (42)
  • 원전 (79)
  • 원주민 영성 (2)
  • 원톄쥔 (7)
  • 원효 (254)
  • 위안부 (124)
  • 유교페미니즘 (1)
  • 유동식 (72)
  • 유사역사학 (7)
  • 유사종교 (30)
  • 유상용 (15)
  • 유지 크리슈나무르티 (22)
  • 윤정현 (13)
  • 윤홍식 (1)
  • 윤회 (67)
  • 율려 (1)
  • 은혜철학 (9)
  • 의식과 본질 (14)
  • 의식의 단계 (148)
  • 의식의 지도 (3)
  • 이기상 (28)
  • 이나모리 가즈오 (5)
  • 이나모리 카즈오 (6)
  • 이남곡 (52)
  • 이대섭 (2)
  • 이도흠 (20)
  • 이만열 (1)
  • 이명권 (5)
  • 이병철 (86)
  • 이부영 (21)
  • 이븐 아라비 (1)
  • 이슈바라 (1)
  • 이승헌 (102)
  • 이시다 바이간 (1)
  • 이시형 (8)
  • 이신(李信) (7)
  • 이은선 (43)
  • 이인우 (4)
  • 이정배 (65)
  • 이정우 (7)
  • 이종만 포럼 (6)
  • 이종철 (3)
  • 이종희 (11)
  • 이즈쓰 도시히코 (11)
  • 이즈쓰 토시히코 (1)
  • 이찬수 (111)
  • 이청준 (1)
  • 이케다 (20)
  • 이키가이 (32)
  • 이해인 (28)
  • 이행우 (17)
  • 이현주 (38)
  • 이황 (12)
  • 인도철학 (50)
  • 인류세 (57)
  • 인중무과론 (1)
  • 인중유과론 (1)
  • 일리아 델리오 (11)
  • 일본 이데올로기론 (4)
  • 일본 주자학 (1)
  • 일본 철학 (1)
  • 일본불교 (5)
  • 일본인식 (1)
  • 일본적 영성 (16)
  • 일본종교 (1)
  • 일본철학 (10)
  • 일지 (39)
  • 잃어버린 초월 (1)
  • 임건순 (10)
  • 임상 종교사 (20)
  • 임천고치(林泉高致) (7)
  • 입학도설 (1)
  • 자천의학 (5)
  • 장 아메리 (7)
  • 장내미생물군 (23)
  • 장자 (364)
  • 장태원 (2)
  • 장회익 (1)
  • 재산 (1)
  • 적의 계보학 (14)
  • 전생 (21)
  • 전창선 (2)
  • 정경희 (3)
  • 정리 (6)
  • 정산종사 (1)
  • 정세윤 Sea-Yun Pius Joung (6)
  • 정약용 (3)
  • 정웅기 (5)
  • 정창용 (2)
  • 정채현 (1)
  • 정호진 (5)
  • 조선사상사 (11)
  • 조성택 (30)
  • 조성환 (121)
  • 종교간 대화 (5)
  • 주역 역경 I Ching (122)
  • 주요섭 (18)
  • 죽음 (24)
  • 죽음 공부 (1)
  • 중용 (14)
  • 지구유학 (1)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1)
  • 지성수 (9)
  • 진언종 (51)
  • 창가학회 (45)
  • 천부경 (101)
  • 천지인 (1)
  • 천황가 (2)
  • 초기불교 (77)
  • 최민자 (29)
  • 최재목 (16)
  • 최준식 (64)
  • 최진석 (11)
  • 최한기 (82)
  • 최현민 (32)
  • 출가의 공덕 (4)
  • 츠시모토 소군 (5)
  • 침구 (48)
  • 침구학 (14)
  • 카르마 (16)
  • 카마다 토지 (9)
  • 칼 라너 (2)
  • 켄 윌버 (19)
  • 쿠바 (3)
  • 퀘이커 (197)
  • 큐바농업 (17)
  • 크리슈나무르티 (1)
  • 크릴 (8)
  • 타오 (1)
  • 탈원전 (8)
  • 태허설 (1)
  • 텅비움 (2)
  • 통불교 (11)
  • 통일교 (77)
  • 퇴계 (1)
  • 투리야 turiya (5)
  • 트라우마 (116)
  • 파커 파머 (6)
  • 팔정도 (31)
  • 폴 틸리히 (34)
  • 풍류신학 (10)
  • 플럼우드 (1)
  •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1)
  • 하늘철학 (1)
  • 하인리히 (5)
  • 한국 메노나이트 (42)
  • 한국 퀘이커 (105)
  • 한국선도 (4)
  • 한국철학 (1)
  • 한국퀘이커 (116)
  • 한스-게오르크 묄러 (1)
  • 한윤정 (99)
  • 한자경 (21)
  • 함석헌학회 (1)
  • 허우성 (26)
  • 허호익 (40)
  • 혜강 (1)
  • 호모 쿠란스 (5)
  • 홍대선 (2)
  • 홍신자 (7)
  • 홍인식 (9)
  • 화엄 (102)
  • 화엄 華嚴 (102)
  • 화쟁 (10)
  • 화쟁2 (1)
  • 화쟁기호학 (1)
  • 환단고기 (37)
  • 훈육 (3)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15)
  • グルントヴィ (40)
  • フーゴ・ラッサール (8)
  • 井筒俊彦 (59)
  • 対本宗訓 (5)
  • 希修 (150)
  • 幻(환) (2)
  • 惠崗 (1)
  • 日本思想 (1)
  • 柳生真 (1)
  • 森岡 正博 (12)
  • 湯浅 泰雄 (1)
  • 空海 (41)
  • 聖德道 (19)
  • 若松 英輔 (24)
  • 訓育 (3)
  • 高橋信次 (9)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Translate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