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28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by Stephen Mitchell | Goodreads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by Stephen Mitchell | Goodreads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by Stephen Mitchell (Goodreads Author)
 4.22  ·   Rating details ·  575 ratings  ·  38 reviews


A pocket-sized gift edition of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the classic examination of the Gospels in which the accounts of Jesus' words and acts are distilled down the "essential" Gospel, minus the later additions by the early Church. (less)


Write a review
Darwin8u
Jan 03, 2020Darwin8u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religion, nonfiction, philosophy, 2020, poetry
"We can't begin to see who Jesus was until we remove the layers of interpretation which centuries have interposed between us and him, and which obscure his true face, like coat after coat of lacquer upon the vibrant colors of a masterpiece."
- Stephen Mitchell,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description
[painting by J. Kirk Richards]

I'm a big fan of Mitchell's translation (interpretations). So, I was excited to see what approach he would take with Jesus from the Gospels. The first 1/3 of this book (pp 1-97; including about 35 pages of notes) is Mitchell's introduction to the project. He draws inspiration from the Jefferson Bible (aka The Life and Morals of Jesus of Nazareth) where Thomas Jefferson cut the New Testament down to only include the saying of Jesus. Jefferson wanted nothing to get between him and Jesus. In many ways, that too is the approach of Mitchell. He uses modern biblical scholarship and textual analysis to narrow down the "authentic" Jesus from the sectarian passages, the polemical passages and myths added by the early church. One can certainly argue on the edges with what Mitchell includes or excludes, but he does make a viable case for creating a more consistent message out of the often contradictory narratives and teachings of Jesus. I tend to agree with both Jefferson and Mitchell, that "when the accretions are recognized and stripped off, Jesus surprisingly appears in all his radiance. Like the man in Bunyan's riddle, the more we throw away, the more we have."

Interestingly, the Gospel left by Mitchell is only about 25 pages (pp 101 to 126). It is followed by about 150 pages of commentary and finally an appendix of about 30 pages with writings on Jesus by Baruch Spinoza, William Blake, Ralph Waldo Emerson, Henry David Thoreau, Leo Tolstoy, Friedrich Nietzsche, George Bernard Shaw, Mohandas K. Gandhi, and Ramana Maharshi. (less)
flag1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Rachel
Dec 14, 2009Rachel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religion
I feel a kind of wistful envy toward people who have a clear image of Jesus. The images differ--wiry prophet of social justice; Son of God Incarnate, feet barely touching the dust he walked on; witty wandering sage; Buddha of the Mediterranean.

Mitchell has done his homework, reviewing what is known or conjectured about the provenance of each passage in the Gospels we have received. Scholarship informs his views, and helped his image of Jesus to develop. In the end, his image allows him to say of the reports of Jesus' life and action, "this is authentic" or "this is not authentic."

Mitchell's Jesus is a great spiritual teacher with a healing touch and a few unhealed wounds. I like him. He says things I need to learn and relearn.

But my image of Jesus, what I suppose the evangelicals mean when the speak of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is still a little foggy. Perhaps too much light in the developing darkroom of my soul. (less)
flag5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Jon
Feb 04, 2009Jon rated it it was amazing
If you have a Christian background, you may have noticed that while Jesus is an extraordinarily wise, kind, patient, and tolerant character most of the time, he will occasionally break out with some crazy stuff about people being damned to hell. That never made sense to me, and this book explains why: many of the sections that struck me as odd are actually written in a different style of Greek -- probably added at a later time by the founders of the Christian religion.

Mitchell's project is one that others -- including Thomas Jefferson -- have taken on before: to sort out the church propaganda and see what is left. Mitchell goes way beyond that, however, and cross-references his distillations with other mystic spiritual texts from around the world.

This book is really helpful for context in comparing Christianity with other systems, especially Eastern ones. (less)
flag4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Randy Cauthen
Jul 22, 2012Randy Cauthen rated it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OK, generally I really like Mitchell. I like the Gilgamesh, I like the Job, I like the Rilke. And to really do a decent job critiquing this, I'd have to go back and figure out exactly what his editing of the canon actually is.
But. He has a tendency here to say, regarding his own selection and translation, "Well what Jesus really means here is this," and this drives me nuts. Why not either re-edit to eliminate the supposedly problematic passages, or simply engage in dialogue? And the idea of a fundamental conflict with his birth family is overworked some.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Ryan Haczynski
Aug 11, 2012Ryan Haczynski rated it it was amazing
Excellent book chock full of exquisite scholarship. The edition I read is the full version, not the shorter one listed here on GoodReads. As a Religious Studies major who has always been fascinated with Formative Christianity, I found Mitchell's work to be informative and in line with many of my own thoughts on the subject. Additionally, the cross-cultural comparisons to other wisdom literature was enlightening and truly illustrate that Christianity's spiritual wisdom is not so different from other cultural expressions / understanding of the sacred. I would highly recommend this book to anyone who is interested in delving deeply into the topic while clearing away the dogmatic/doctrinal clutter that has been added to Jesus' teachings over the centuries.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Hugh
Mar 10, 2012Hugh rated it it was amazing
With the benefit of 200 years of additional biblical scholarship Stephen Mitchel recapitulates an experiment that Thomas Jefferson began while president and finished shortly thereafter - the result was known in the Jefferson family as "The Jefferson Bible." It now resides in the Library of Congress.
Mitchell is a bible scholar of note, and translates from the Greek and Hebrew texts, to create his own 'Jefferson Bible' so to speak.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Olivia
Oct 15, 2013Olivia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Favorite quotes:

"The kingdom of God will not come if you watch for it. Nor will anyone be able to say, 'It is here' or 'It is there.' For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Enter by the narrow gate. For the gate is wide and the way is easy that leads to suffering, and those who go through it are many. But the gate is narrow and the way is hard that leads to true life, and those who find it are few."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Ted
Jul 14, 2007Ted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One of the most insightful and profound looks into Jesus anywhere. The footnotes are just as interesting as the text. This is not a look at some historical Jesus in some long-ago past, but at a living, breathing believable human being. You'll find as much of yourself in this book as you will of Jesus.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im
Feb 08, 2008Jim rated it it was amazing
This is brilliant, fearless book, that makes sense of the often contradictory verbage appearing in the Gospels, clearing away the garbage left by evangelists with an angenda, to reveal the shining truth of Jesus' ministry. Jesus was probably the first person on this planet to "get it" that the spirit of God lives within us. All you need is love - "good news" indeed!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oel
Sep 23, 2020Joel rated it it was ok
Shelves: nonfiction
Two stars because it is informative about current scholarship in places. Other than that it's pretty bad. Mitchell interprets Jesus according to his own idea of universal religious truth (plenty influenced by Zen Buddhism). The fact is that Jesus was of his time and place and that's why he expressed himself the way he did. He was not part of some fantastical line of religious masters. It's often unclear whether Mitchel has left a part of the gospel out because scholars agree it is a later addition, or just because Mitchell thinks "Jesus wouldn't have said that" based on his artificially constructed Jesus. So though he does cite scholars (certain ones repeatedly), he mostly comes off like Thomas Jefferson who simply snipped the parts of Jesus he liked out of the Bible. Except even Jefferson did not presume to lecture Jesus on where he fell short of universal religious truth and how he could have expressed himself better.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Edgar Trevizo
Jan 30, 2018Edgar Trevizo rated it it was amazing
Oh, this is such a beautiful book! A precious jewel both for believers and unbelievers, and perhaps much more beautiful for the latter. It is full of poetry, enlightment, joy and hope, here on Earth. I’ve always loved Jesus’ teachings, but this work of reading them from oriental philosophy broadened my perspective and gave me a lot to meditate about and to enjoy. I higly recommend it to everyone, especially to non believer seekers of truth.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MG
Sep 26, 2018MG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2018
This is really a fresh and insightful essay about Jesus coupled with a short translation of what Stephen Mitchell considers the core or authentic teachings of Jesus. I wish in the essay Mitchell would have spent more time saying positively what he saw as the foundation of Jesus's teaching. Still, his grappling with Jesus's family background--his illegitimacy, his tension with his mother and brothers--were enlightening, as were the other topics he covered. This book is well worth perusing.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Zach
May 22, 2019Zach rated it it was amazing
310 pages with notes and commentary and an Introduction. But the meat is similar to the Logia of Yeshua: just the scenes in the Gospel where Jesus speaks directly. Only his words and actions. No filters or obstructions. 25 pages. Double spaced. With High School Kid Trying to Fatten Up His Page Count margins. Imagine that. All the strife of the world caused by people waving the Bible as justification when they should just focus on those 25 pages. Shrug. Sigh. Sigh.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Madi Eerung
Mar 12, 2018Madi Eerung rated it it was ok
Weird Freudian psychoanalysis of Jesus and Mitchell's airing of his personal drama. Did anyone else deduce from this book that his wife cheated on him? Also semi-related, did y'all know Stephen Mitchell doesn't actually know Chinese? A lot of feel-goodsy stuff in here but also some bad textual criticism.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Carol Painter
May 23, 2019Carol Painter rated it it was amazing
This is my 3rd time re-reading this...it is an amazing treatise on Christianity, and restores my own faith in the recognition of all spiritual traditions. I agree with Stephen Mitchell's separating the truth from the fables that have grown around this particular religion.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Perf
Jul 03, 2019Perf rated it it was amazing
read this 20 years ago, and keep meaning to reread. Good attempt to demystify the myths while retaining faith in the reality of the teaching.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Chris KP 
Jan 17, 2021Chris KP rated it really liked it
This book seeks to unpack Jesus' teachings in two senses. First, Mitchell--with the help of contemporary scholarship--extracts from the Gospels the teachings that were likely expounded by Jesus himself, rather than those later developed by his followers (which were likely corrupted by the incentives inherent in building a new religion, by misunderstanding of his teachings, and by time). He offers a simple, accessible translation of these core teachings.

Second, he provides analysis of this core, translated text--applying his own insights, and using both the work of academic biblical scholars and the work of great thinkers who have written on Jesus' teachings, from Gandhi, to Tolstoy, to Blake, to Jefferson. He emphasizes Eastern traditions within his own analysis, which is often illuminating, but can also seem partial insofar as Mitchell's own thought is clearly so deeply indebted to Zen practice and history. 

Do we lose something by universalizing Christian teachings so much, and finding in them only that which can be found through Zen? As someone who has already read and enjoyed Mitchell's translation of the Tao, I found the excerpts from Gandhi and Tolstoy and especially Emerson on Christianity to be more immediate, incisive, and germane to the actual text.

Takeaways:

(1) Jesus was full of love, joy, and compassion. He had a talent for communicating challenging moral concepts in simple, clear ways. I like to believe that he attracted followers through these qualities and not through fiery sermonizing or the promise of some extrinsic reward. It seems that the concept of a paradaisal afterlife, etc. was tacked on by later followers who fundamentally misunderstood his teachings. Jesus preached that the Kingdom of God was within.

(2) He did not speak of himself as THE Son of God. 
  • He did not position himself as someone who could forgive sins, though he preached forgiveness. 
  • He did not position himself as someone who would one day sit in judgement, but as someone who believed judgment itself to be a sin that came between men and God. 
  • He did not position himself as perfect, he affirmed that only God is perfect and that all, even the best men, have some sin. 
  • He was not enraged by sinners or those who questioned him, he welcomed both with maturity, grace, and love. 
  • The authors of the Gospels, especially Paul, introduced the petty, vengeful, violent, sectarian and even hateful tenor that degrades the New Testament, taking an approach that Jesus himself would've tenderly dismissed with a well-placed parable

(3) Sin literally means "mistake" in Hebrew.

(4) I was intrigued by the theory that much of Christian teaching comes from Jesus' experience as an illegitimate child in a small, traditional village in which he likely had to endure countless slights as a result of his parentage. It brings additional heft to his emphasis on forgiveness and God as "The Father."

(5) My favorite stories are those of the mustard seed, the Prodigal Son, and most especially the adulteress. The notion of warmhearted forgiveness, and joy that can bloom if we let it, is inspiring.

I worry that labels lead to dogmatic thinking, and often cloud that which they are supposed to clarify. But, I do believe the two fundamental Christian teachings that Jesus underscores, again and again in Mitchell's translation: Love God with all your heart, 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Can a person "love God" while remaining agnostic as to God's existence? The excellent commentary that Mitchell compiles at the end of the book points toward an answer. We love "God" by loving that which has been given us, by finding the miracle in each moment, by laughing in awe at the wonder of the world and our good fortune to have time in it. As Emerson writes, "The word miracle, as pronounced by Christian churches, gives a false impression; it is a monster. It is not one with the blowing clover and the falling rain."

How do we love our neighbor as our self? 
  • By bringing compassion and joy to each interaction. 
  • By showing our neighbor the way when they are led astray, and allowing them to do the same to us. 
  • By seeing suffering, and working to ameliorate it. 
  • By acknowledging and making right our sins (our mistakes), and allowing others to do the same. 
This all comes when we let go of self-centered thinking, and focus on others, finding joy with and for them. There is thus no need for rituals. Every moment we can find the love that is asked. This is what Jesus taught.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Mac
Dec 09, 2008Mac rated it liked it
I just finished this book. I thought that is was a clear, accessible, not-too-preachy book that allowed me to understand what Jesus stood for. I find that his beliefs and mine overlap in quite a few areas, with the exception of the "geneology" to his "father." The analysis was a little dry, but there were some gems of wisdom in there.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Tom
Jan 01, 2014Tom rated it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Well worth reading. Downgrade one star for the title. There is no "gospel according to Jesus" as he wrote nothing we know of. All gospels reveal the prejudice of their authors. This version is Stephen Mitchell's and he relies on many others, especially eastern mystics, to inform his presentation. Still, well worth the read and contemplation.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Liaken
May 25, 2010Liaken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poetry, spirituality
Years ago, I got this book anonymously in the mail and was fascinated with it. There were little folded papers with notes and ideas on them tucked in the pages. The text itself was beautiful. Finally, it turned out that my brother had sent it through a used book company.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Ellen
Sep 22, 2010Ellen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dnf
The introduction was a fascinating portrayal of what Jesus's world was really like and why his message of forgiveness is so central to his teachings. I'd like to go back to this one again, but since it was an interlibrary loan, I had to return it.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그들은 왜 ‘도마복음’에 흥분하는 것일까? - NEWS M

그들은 왜 ‘도마복음’에 흥분하는 것일까? - NEWS M

그들은 왜 ‘도마복음’에 흥분하는 것일까?

양재영
승인 2019.02.05 

2010년을 전후로 한국에 쏟아져 나온 ‘도마복음’ 관련 서적들은 당시 교계에 열띤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당시 ‘도마복음’ 논란의 중심에는 <예수는 없다>로 잘 알려진 오강남 교수의 <또다른 예수>(예담, 2009년)와 도올 김용옥 교수의 <도마복음 한글역주1,2,3>(통나무, 2010년) 등이 있었다.

최근 이들은 SNS와 언론을 통해 도마복음에 대한 소개와 새로운 해석을 내놓으면서 2차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오강남 교수는 자신의 SNS와 모 기독언론을 통해 도마복음 114개의 어록에 대한 소개와 재해석을 연재하고 있으며, 도올 김용옥 교수는 자신의 유투브 채널인 ‘도올TV’를 통해 <도올 김용옥 기독교 성서 이야기: 도마복음 강해>를 현재 28강까지 소개하고 있다.

도마복음 파피루스



“도마복음은 새로운 복음이다”

특히 김 교수는 도마복음 강해를 시작하기 전 ‘도마복음을 말한다’는 제목으로 한신대 명예교수 김경재 목사, 오강남 교수 등과 함께 2010년 대담한 내용을 ‘도올TV’에 소개하면서 도마복음 논쟁을 시작했다.

한신대 명예교수인 김경재 목사는 이 대담을 통해 ‘도마복음’에 대한 개신교인들의 열린 자세를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일반사람에게는 (도마복음이) 외계인의 담론으로 들릴 수 있다. 개신교는 종교개혁 이후에 경전의 종교가 되었다. 이렇게 4-5백년을 지내온 사람에게 도마복음은 외경 내지는 위경으로 평가절하 될 것이다. 경전종교에 세뇌가 되지 않은 사람에게는 열린 마음으로 풍요로운 정신적 문화의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환영할 것 같다. 두 그룹으로 나눠질 것 같다.”고 평했다.

또한, 기독교의 사회적 위기를 지적하며 호불호를 떠나 초기 말씀 어록을 읽어 볼 것도 권유했다.

그는 “한국 기독교가 최근에 일반 사회에서 신뢰를 잃고, 인기가 없는 종교가 된 것은, 기독교가 너무 딱딱한 교리적 종교로 변해버렸다는 것과 예수를 엄격한 도덕적 훈계자로 가르치든지, 삼위일체 존재 속에 넣어서 초자연적 신적 존재로 세뇌를 시키는 것에 대해서 코드가 안 맞으니까 외면하고 떠난 것이다”라며 “일단 교리나 도덕체계에 포장되기 이전에 실제적으로 역사 속에서 살았던 솔직한 예수를 만나보고 싶다면 그의 초기의 말씀 어록을 집대성한 것을 찾았으므로 호불호를 떠나 한번 읽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유투브 채널인 도올TV에서 소개한 '도마복음을 말한다'의 한장면(좌로부터 정강길 실장, 도올 김용옥 교수, 김경재 목사, 오강남 교수)


‘예수는 없다’의 오강남 교수는 ‘도마복음’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것을 주문했다.

오 교수는 “기독교에 이런 전통이 있었다는 사실에 감격했다. 도마복음에서 발견되는 예수는 공관복음에서 다루는 예수와 너무나 다르더라. 공관복음에서는 ‘나를 따르라’, ‘나의 제자가 되라’, 요한복음에서는 ‘나를 믿으라’라고 말한다. 그러나 도마복음에서는 ‘깨달아라’, ‘네 속에 있는 하나님을 찾으라’ 라고 말한다. 이건 기독교에서 듣지 못했던 새로운 복음, 새로운 예수님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도올 김용옥 교수는 도마복음이 4복음서에 선행하는 자료로 예수께서 아시아적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도올은 “도마복음 자료는 현행 4복음서의 핵심자료와 거의 중복이 되고, 114개의 말씀자료라는 것이 워낙 치밀한 구성자료를 가지고 있다. 중간 몇 개는 후대에 성립할 수 있으나, (도마복음이) 4복음서 이전 자료로서 공관복음서 저자들이 이 자료를 참고해 가면서 어떻게 변형시켜갔는가를 (제 책을 통해) 상당히 치열하게 다뤘다”라며 “도마복음에 기초해서 역사적 예수의 상을 철저하게 새로 그려야 할 필요가 있다. 그 핵심은 예수는 아시아적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분이라는 점이다. ”고 주장했다.


“위경으로 순진한 기독교 신자를 유혹하지 말라”

하지만, 이들의 주장에 대해 교계 내부에선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주류이다.

한일장신대 차정식 교수는 김용옥 교수의 ‘도마복음’에 대해 일부 학자들의 의견을 대세인 것처럼 포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차 교수는 “김씨는 도마복음이 영지주의 사상에 기초해 기존 복음서의 내용을 짜깁기한 후대의 외경문헌이 아니라 그것들 본래의 원형이라고 주장하면서 그 근거로 로빈슨, 크로산 등 서구 학자들의 의견을 내세우고 있다”라며 “도마복음이 예수의 본래적 원형을 담아내고 있다는 주장은 도올의 말대로 학계의 대세가 아니며 일부의 주장일 뿐이다. 그가 대부분 의존하고 있는 크로산을 비롯한 학자들은 북미 성서학계의 지극히 적은 일부 신약성서학자들 및 고대기독교문헌학자들이다”고 반박했다.

장신대 김철용 교수는 ‘도마복음’이 왜 정경과정에서 퇴출되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복음서가 네 권으로 형성된 것에는 ‘정경의 형성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도마복음’은 정경에서 제외됐다. 오늘날 ‘위경이라고 한다. ‘도마복음’은 왜 퇴출되었는가? 다양성만 이야기 하지 말고, 통일성도 말해야 한다. 무조건 다양하다 해서 좋은 게 아니라, 전체가 동의하고 공감할 수 있으며 역사적 예수와 초대교회 성장과정에 대한 정확한 묘사가 있을 때 다양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교계의 반발도 적지 않았다.

서울 큰나무교회 박명룡 목사는 모 기독교 매체에 실린 ‘기독교 안티에 답한다’라는 글을 통해 도올의 ‘동양적 범신론’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목사는 “그(도올)는 왜 기독교를 비판하는 것일까? 그 표면적 이유는 기독교가 너무 기득권층이 되었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올바르게 전파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그보다 심층적 이유는 그의 철학적 전제 때문이다”라며 “도올의 신관과 기독교의 신관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그는 기독교를 철저히 비판한다. 도올의 신관은 ‘동양적 범신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중국의 일원론 사상에 근거해 우주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신이고 인간을 포함한 유기체로서의 전 우주 자체가 신이라고 믿는 범신론적 신관을 가지고 있다. 도올은 이 동양적 범신론적 신관의 잣대로 기독교 신앙을 비판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들소리신문의 발행인인 조효근 목사는 “기독교의 보편적 신학에서는 오강남 교수의 이원론에 기초한 영지주의(Gnostic)적 견해와 단성론(예수는 피조물이다) 신학은 비(非)기독교 신학으로 이미 단정한지가 1천6백 여년이 지났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오강남 교수는 자기의 비교종교학 실력으로 착하고 순진한 기독교 신자를 유혹하려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경고했다.

도마복음은 1945년 12월 무함마드 알리라는 이집트 농부가 다른 몇사람과 함게 나일강 상류 나그 함마디(Nag Hammadi)라는 곳에서 땅을 파다가 토기 항아리가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곳에서 52종의 문서와 함께 발견된 것으로 예수의 열두제자 중 한 사람인 디두모스 유다 도마가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알라딘: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알라딘: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 다원적 공공 정치를 위한 철학   
폴 슈메이커 (지은이),조효제 (옮긴이)후마니타스2010-10-22원제 : From Ideologies to Public Philosophies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미리보기
정가
35,000원
판매가
31,500원 (10%, 3,500원 할인)
마일리지
1,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11
8
양탄자배송
오전 11시까지 주문하면 오후 8시 퇴근후 배송
(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1,121 
 9.3 100자평(2)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1,420원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888쪽160*235mm1687gISBN : 9788964371251
주제 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시사IN 추천도서 > 2011 올해의 책꽂이 명사 추천도..
이벤트

6월 특별 선물! 본투리드 보냉백(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달의 문장 투표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정치사상의 이해 I·II>의 폴 슈메이커가 집필하고 <인권의 풍경>의 조효제 교수가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현대 정치사상의 교본. 이 책은 오늘날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12가지 이념을 횡단 비교하고, 각 이념이 서있는 철학적 바탕과 논쟁적인 정치적 쟁점에 대해 각 이념이 취할 입장을 세밀하게 살핌으로써 이념과 이념 간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진보, 보수 논쟁이 사람들에게 피로감을 주는 것은 우리의 삶과 사회를 개선하는 좋은 정책의 산출로 이어지지 못하고 ‘대결을 위한 대결’을 이어 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정치 이념에 관하여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 이 책을 보다보면 이념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피상적이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이 책은 먼저 각 정치 이념들이 등장한 역사적 과정과 그 중심 사상에 대해 서술한다. 그리고 정치 이념의 철학적 가정을 4가지 차원(존재론, 인간론, 사회론, 인식론)으로, 정치적 원리를 7가지 차원(정치 공동체, 시민권, 사회구조, 권력의 보유자, 정부의 권위, 정의, 변화)으로 세분해 살핀다. 16장은 한국어판에 특별히 실린 보론으로, 원서가 출간된 2008년 이후 미국에서 오바마가 당선되면서 변화된 상황과, 오바마 정부를 어떤 이념 틀로 바라볼지에 대한 분석을 다루었다.
목차
옮긴이 서문 13
서론 44

1장 공공 정치철학의 구성 53

1부 정치적 대화의 참여자들
2장 19세기의 주요 정치 이념들 95
3장 20세기의 전체주의 및 다원적 정치 이념들 128
4장 현대 정치의 급진적 이념과 극단적 이념 177

2부 철학적 가정: 정치적 원리의 토대
5장 철학적 가정 1: 존재론 232
6장 철학적 가정 2: 인간론 277
7장 철학적 가정 3: 사회론 317
8장 철학적 가정 4: 인식론 350

3부 정치적 원리: 합의점과 쟁점
9장 정치적 원리 1: 정치 공동체 404
10장 정치적 원리 2: 시민권 448
11장 정치적 원리 3: 사회구조 497
12장 정치적 원리 4: 권력의 보유자 547
13장 정치적 원리 5: 정부의 권위 592
14장 정치적 원리 6: 정의 643
15장 정치적 원리 7: 변화 703
16장 한국어판 보론: 오바마의 이념과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 754

미주 776
참고문헌 820
찾아보기 841

접기
책속에서
본서는 정치 이론을 전문적으로 분석하기보다 (야심적이긴 하나) 전체적으로 개괄해 보려는 책이다. - 모찌모찌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 내의 합의는 다원주의의 핵심 특성인 잠정성tentativeness을 바탕으로 도출된다. - 모찌모찌
정부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성장만을 강조하는 조건에 대해, 권력을 가진 사람들의 이해관계에 대해, 무지하고 선입견에 가득 찬 대중의 변덕에 대해 지나치게 너그러울 때, 흔히 정치 공동체의 삶의 질은 추락하곤 한다. - 모찌모찌
정치적 삶에 해를 끼치는 행위에 맞서기 위해, 정치 공동체 내의 거주민들과 통치자들은 거버넌스를 인도해 줄 정치적 원리들을 숙고하고, 이런 원칙들과 부합하는 정치 구조와 과정을 개발하며, 적절한 정책과 방침을 제정하라는 요청을 받곤 한다. - 모찌모찌
보통 정치 공동체란 사회적 재화를 생산하고 분배하는 행위를 조율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그런 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 정부가 조직된, 영토적으로 일정하게 규정된 국가를 가리킨다. - 모찌모찌
더보기
추천글
시사인 <행복한 책꽂이> 2011 올해의 책으로 추천 - 원희룡 (제주도지사) 
정치에 대한 영원한 질문들 - 최재천 (민주당 전 국회의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0년 10월 23일자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0년 10월 23일자 새로나온 책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0년 10월 22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폴 슈메이커 (Paul Schumaker)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미국 위스콘신-매디슨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72년부터 미국 캔자스 대학의 교수로 재직해 온 원로 정치학자이다. 오랫동안 미국 정치의 체계적인 편향에 관심을 두어 왔고, 이를 토대로 다원주의 정치 이론의 재구성을 시도한 Critical Pluralism을 1991년에 출간했다. 이 책에서 슈메이커 교수는 지역 정치 공동체가 세 가지 정치 목표―정치 원칙과 정책의 융합, 책임 있는 대표성, 복합적 평등―를 달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는가를 분석했다. 그 후 규범적 정치 이론으로 관심 영역을 확장하여 1996년에 <정치사상의 이해 I·II>(Great Ideas/Grand Schemes)(공저, 오름, 2005/2007)를 출간했다. 그는 또한 2000년 부시-고어 대선 논쟁 이후 대통령 선출 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Choosing Our President: The Electoral College and Its Alternatives를 공저했다. 2008년에는 다원적 공공 정치를 주창하는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From Ideologies to Public Philosophies)을 출간하여 정치사상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는 중도 좌파의 관점에서 신자유주의의 대안을 제시하는 ‘진보적 다원주의’에 관한 저서, 그리고 정책 형성에서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도덕적 다원주의’에 관한 저서를 준비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정치사상의 이해 II>,<정치사상의 이해 Ⅰ> … 총 3종 (모두보기)
조효제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성공회대학 교수이자 베를린자유대학 초빙교수이다. 런던대학 정치외교학 학사, 옥스퍼드대학 비교사회학 석사, 런던정경대학(LSE) 사회정책학 박사이다. 한국인권학회장, 국가인권위원회 설립준비기획단 위원, 하버드대학 인권펠로, 코스타리카대학 초빙교수, 세계인권선언 70주년 유엔 본부 학술대회 기조 강연자 등을 지냈다.
저서로 《조효제 교수의 인권 오디세이》, 《인권의 지평》, 《인권의 문법》, 《인권을 찾아서》, 《Human Rights and Civic Activism in Korea》 등이 있다. 역서로 《인권사회학의 도전》, 《인권의 대전환》, 《세계인권사상사》, 《거대한 역설》, 《직접행동》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10대를 위한 민주시민 교과서, 한걸음씩 시리즈 1~10 세트 - 전10권>,<탄소 사회의 종말>,<인권의 최전선> … 총 43종 (모두보기)
Editor Blog2010년 10월 5주_ 한발 앞서 만나는 인문교양 신간 l 2010-10-25
알라딘 인문, 사회, 과학 분야에서는 '한발 앞서 만나는 인문교양 신간'이란 이벤트를 상시 진행합니다. 매주 담당 MD가 10권 이내의 책을 소개하는 공간이자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판단으로 누구보다 먼저 좋은 책을 알아보시는 독자께 조금이나마 혜택을 드리고자 마련한 자리입니다. 매주 월요일 새로운 책으로 페이지가 바뀌고 도서별 구매자 선착순 50분께 다음 ...

프레시안진보·보수 이념의 '뿌리'를 파헤치면… l 2011-03-08
이념 간의 대화폴 슈메이커의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이하 <이념>)은 무려 1000쪽 가까이 되는 방대한 책이다. 더구나 정치 철학과 정치 이론, 이데올로기에 관한 난해한 쟁점들을 다뤘다. 그런데도 이 책은 '재밌게' 읽을 수 있다.이 책에서 슈메이커는 여러 이념의 논리 구조를 딱딱하게 해부하는 대신, 다양한 정치 이념이 현대...

출판사 소개
후마니타스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리미 신청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자기 자신의 정치적 편향성을 의식할수록,
자신의 심미안과 지적 성실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정치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난다.
-조지 오웰

오늘날 인간의 운명은 정치적인 방식으로 그 의미가 제시된다.
-토마스 만

4가지 철학적 가정, 7가지 정치적 원리, 12가지 이념
비교의 관점에서 본 현대 정치사상 교본
진보-보수 논쟁이 사람들에게 피로감을 주는 것은 우리의 삶과 사회를 개선하는 좋은 정책을 산출하지 못한 채 ‘대결을 위한 대결’을 이어 가기 때문이다. 이념 간 대립을 타개하는 활로는, 먼저 이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 시작한다. 이 책은 오늘날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12가지 이념을 횡단 비교하고, 각 이념이 서있는 철학적 바탕과 논쟁적인 정치적 쟁점에 대해 각 이념이 취할 입장을 세밀하게 살핌으로써 이념과 이념 간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이념으로 전체를 설명하고 모든 문제에 해법을 내리려는 ‘신념’을 내려놓고, 여러 이념들의 장단점을 살려 공적 문제를 다루는 ‘유연함’을 선택했을 때 비로소 개인과 공동체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0. 우리는 이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옮긴이 서문에는 조효제 교수가 독자들에게 낸 퀴즈가 있다. 이념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하는 사람들조차 선뜻 답하기 쉽지 않다. 이 책을 보면 이념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피상적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시장을 선호하는 사람은 자유주의를 좋아하고, 시장을 비판하는 사람은 자유주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식의, 차라리 모른다고 하는 것이 나을 법한 방식으로 이념을 구분해 온 것은 아닌지 되묻게 한다.

1. 정치적 이성과 공적 이성을 인식론에서 발전시킨 정치 이념은?
① 신자유주의 ② 현대 자유주의
③ 마르크스주의 ④ 급진적 좌파

2. 국민국가 형성 및 존립을 정치의 선결 조건으로 간주하고, 국가적 정체성과 국가적 차원의 정책 의제를 중시하는 이념은?
① 보수주의 ② 급진적 우파
③ 공동체주의 ④ 자유주의

3. 고전적 자유주의를 계승하되 그것을 급진적으로 재구성한 이념은?
① 자유 지상주의 ② 현대 자유주의
③ 현대 보수주의 ④ 아나키즘

[정답] 1. ④ 급진적 좌파 2. ④ 자유주의 3. ① 자유 지상주의

1. 이념에서 철학으로

이념을 잘 이해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 책의 원서명은 “From Ideologies to Public Philosophies”이다. 한국어판 부제에서도 다원적 공공 정치를 이루기 위한 ‘철학’[다원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즉, 정치적 문제에 대해 이념이 아니라 철학으로 접근할 것을 권하는 셈이다. 대다수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이념을 과도하게 평가해 다른 이념을 상대적으로 덜 평가하거나 배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념만을 강조했을 때 합의를 끌어내기 어렵다. 철학과 이에 바탕을 둔 정치적 원리가 공적 논의에 기여하는 바는 여기에 있다.
경험을 통해 검토할 수 있는 정치의 일반적 지침을 말하는 정치적 원리는,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가르친다. 따라서 정치적 원리에서 모색하는 목표는 ‘주어진’ 것이라 할 수 있지만, 그 목표가 바람직한지는 정치적 관점의 저변을 이루는 철학적 가정에 의해 결정된다. 이념의 표피에서는 날을 세우더라도, 이면의 존재론·인간론·사회론·인식론적 심층에서는 넓은 차원의 공감과 이해가 가능하다.
또한 판단 기준별 횡단 비교 없이 처음부터 하나의 이념만을 살폈을 때는 보이지 않던 각 이념의 장단점은, 이 책에서처럼 (철학적 가정과 정치적 원리라는) 공통된 기준으로 이념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폈을 때 비로소 선명해진다. 어떤 공공적·정치적 문제를 다른 이념보다 더 잘 다루는 이념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이념만이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인간 삶의 개선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이념이 존재한다고 본다면, 사회문제에 대한 더 나은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이념들 사이의 대화다.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에서 공적 문제에 대해 적대적·배타적 논쟁이 있었을 뿐, 좋은 대화를 해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2. 대화의 전제, 다원주의의 인정

다음과 같이 반문할 수도 있다. 정치 이념들 사이의 대화가 무슨 소용이 있는가? 대화가 가능하기는 할까? 대화를 시도했다는 알리바이에 불과하지 않을까? 우려는 이해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정치 이념들을 이해한 후 서로 대화에 나서면 상대방의 주장에 완전히 동의하지 않더라도 그 배경을 알게 되어 상대방의 주장을 일률적으로 거부하지 않게 되며, 한층 더 정교하고 타당한 방식으로 자기주장을 제시하거나 자신의 주장을 수정·보완할 여지도 생긴다.
대화는 상대에 대한 인정을 전제한다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시민들이 모여 다양한 활동을 하는 집회장이었던 아고라 광장의 현재 모습. 현실의 권력관계를 은폐하지 않고, 대화에 참여하는 이에게 동등한 시민권을 부여하는지 여부를 통해 다원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원주의는 여기서 의미를 갖는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이론 틀은 현대 정치사상에서 다원주의가 얼마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알려 준다. (다원주의는 정치 이론에서 논쟁적인 용어이지만) 저자가 말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다원주의는 각자의 이념적 입장을 분명히 인식하면서도 모든 정치 이념들의 저변을 이루는 합의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메타 정치 이론이다. 그런 점에서 다원주의는 여러 이념들이 한데 모여 합의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원칙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다른 이념들과는 다른 지위를 갖는다. 이 책에서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이라는 말이 ‘다원주의’와 혼용되는 것도, 다원주의가 ‘그릇 이념’의 성격을 띤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그런 점에서 다원주의는 일종의 규범적인 정치 이론이다. 그러나 다원주의가 가장 명확하게 지지하는 규범이란, 대단히 추상적인 차원에 속하며, 흔히 과정 지향적이거나 절차적이다. 다원적 정치가 추구하는 목적이라는 것은, 결국 그 다원적 과정에 참여하는 이들 각자가 적용하려는 가치와, 그들이 숙의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지하는 목표가 무엇인지에 달려 있다. 민주주의는 숙의와 의사 결정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공평한 절차를 제공하며, 바로 그 때문에 민주주의가 다원주의에서 주요한 절차적 가치를 이룬다.

19세기 자유주의가 현대 자유주의를 알아볼 수 있을까?

정치 이념을 몇 마디로 과감하게 요약하거나 정리하기는 어렵다. 정치 이념이 부단한 역사적 발전과 진화를 거치고 있는 현재 진행형의 현상인 까닭이다. 그런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특정 이념 내에서, 그리고 이념들 사이에서 크나큰 변화가 일어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예를 들어, 전통적 보수주의가 현대 보수주의로 변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고, 고전적 자유주의와 현대 자유주의는 그들이 도대체 같은 뿌리의 사상인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현재 크게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다. 또한 고전적 자유주의와 현대 보수주의는 뿌리가 전혀 다름에도 오늘날 아주 가까운 관계로 발전했다. 이런 식의 역사적 변천상을 무시하고 그저 ‘보수주의’ 또는 ‘자유주의’라고 표현할 때 초래될 인식의 혼란과 폐단은 상당히 심각하다.
가령 현대 자유주의는 정부가 자유를 억압할 수 있지만 반대로 자유를 촉진할 수도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부터 고전적 자유주의에서 떨어져 나와 발전했다.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은 큰 정부가 자유를 억압하고, 자유 시장 체제와 최소한의 정부가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가장 잘 보장한다고 가정했지만, 현대 자유주의자들은 순수한 자유방임 자본주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강력한 정부뿐이며, 정부가 모든 시민에 대해 더 많은 안전, 안정된 경제 발전, 더욱 평등한 경제적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정치권력의 평등한 분산을 위한 다양한 정치 개혁과, 인종차별이나 성적 차별과 같은 각종 사회문제의 해결도 확장된 정부의 권위[권한]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처럼 이념은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념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이 형성된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이념은 ‘신념’보다 ‘유연함’이라는 말과 더 어울린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 무료 급식을 줄서서 기다리는 실업자들의 모습. 이념들은 역사적 사건에 대처하기 위해 변화를 선택하곤 하며, 이때 자신과 대립하는 이념에서 중시되던 가치를 받아들이는 극적인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3. 비교의 관점에서 본 현대 정치사상

정치 이념을 다루는 개론서는 대개 두 가지 방식을 따른다. 플라톤, 홉스, 마르크스, 롤스와 같은 독창적 사상가의 고전을 읽게 하거나, 주요 정치 이념을 포괄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다. 슈메이커의 비교 방법론은 정교하고 입체적이다. 5장에서 15장까지 정치 이념의 철학적 가정을 4가지 차원(존재론, 인간론, 사회론, 인식론)으로, 정치적 원리를 7가지 차원(정치 공동체, 시민권, 사회구조, 권력의 보유자, 정부의 권위, 정의, 변화)으로 세분해 살핀다. 철학적 가정들과 정치적 원리들을 모두 합한 11가지 판단 기준에 의거해 12가지 주요 정치 이념들을 횡단 비교함으로써 총 132개 항목에 걸쳐 정치 이념을 비교 분석한다.
각 정치 이념들이 등장한 역사적 과정과 그 중심 사상에 대해서는 2~4장에서 서술된다. 먼저 19세기와 20세기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8개의 주요 정치 이념을 소개하는데, 고전적 자유주의와 현대 자유주의를 구분하며, 전통적 보수주의와 현대 보수주의를 구분한다. 아나키즘·마르크스주의·공산주의는 서로 구분되는 별도의 이념으로 다룬다. 파시즘과 나치즘도 전체주의적 이념이라는 유사성이 있지만 둘 사이의 차이점을 고려한다. 이에 더해 현대 정치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고 있는 다양한 견해를 좌우 이념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급진적 견해와 극단적 견해로 세분해 소개한다.
16장은 한국어판에 특별히 실린 보론으로, 원서가 출간된 2008년 이후 미국에서 오바마가 당선되면서 변화된 상황과, 오바마 정부를 어떤 이념 틀로 바라볼지에 대한 분석을 다루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판은 본서의 개정판이라는 의의를 갖게 되었다.

4. 우리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정치 이념을 디자인하기

민주주의를 외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다원주의의 내용, 즉 다원주의를 구성하는 토대적 합의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신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사회에서 논의되는 이념이라면 의무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다원주의의 토대가 무엇인지를 물어야 한다. 정치 이념이 다른 사람들일지라도 모두가 동의할 만한 공통분모, 또는 모두가 반대할 공동의 적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이는 우리 사회 전체의 ‘공공성’을 어느 수준에서 정할 수 있는지와 곧바로 연결되는 질문이기도 하다.
현실 정치에서도 이런 질문은 중요하다. 시민들은 산출물을 내지 못하는 진보-보수 논쟁에서 피로를 느낀다. 다원주의의 토대 없는 진보 운동 또는 보수 운동이 유권자에 대한 호소력이라는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지, 그리고 그런 운동이 정치 공동체에 진정으로 기여할 수 있을지를 따져 봐야 한다. 기존의 여러 공공 정치철학들의 철학적 가정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또한 정치의 영원한 쟁점들에 대해 나름의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각종 정치적 원리들 가운데 적당한 것들을 취사선택하여 일정한 원칙의 테두리 안에서 통합하는 식으로, 우리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정치 이념을 재구성하여 끌어낼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은 정치 이념을 창조하는 데 기여하는 좋은 교본이다. 성실한 번역을 통해 한국 사회에 의미 있는 제언을 해온 조효제 교수가 10년간의 번역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이 책을 고른 이유이기도 하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2)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12)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2% 10대 1.3%
6.9% 20대 14.2%
9.3% 30대 15.3%
10.8% 40대 20.3%
3.7% 50대 13.8%
0.9% 60대 3.2%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
전체 (2)
공감순 
     
여러 이념의 역사, 철학, 쟁점 등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교과서 같은 책. 극단의 위험을 누르고 공공 정치철학을 만들자는 저자의 목소리가 우리 사회에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구매
킹킹킹 2014-03-04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마이리뷰]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새창으로 보기
저자는 역사적으로 일단 판정이 난 전체주의 이념과 일부 극단주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정치 이념들이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의 지붕 아래에 모일 수 있다고 가정한다. 더 나아가 이 이념들이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을 공유할 때 정치의 영원한 쟁점을 놓고 일종의 거대한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은 어떤 이념을 신봉하든 그것이 편의적이고 기회주의적인 동기가 아니라 확고한 철학에 기반을 둔 신념이어야 하고, 자신이 믿는 이념이 정치 공동체의 전체 선익에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p29)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은 그런 ‘이익‘ 추구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모든 정치 이념들이 최소한의 토대적인 공공성에 대해서 동의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즉, 나의 직접적인 이익과 관계없이, 또는 나의 직접적인 이익이 단기적으로 침해받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사회 공동체의 정상적인 구성원이라면 동의해야만 하는 합의의 영역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p29)

정치의 영원한 질문에 관한 합의점들을 모두 한자리에 모아 보면 다원적 공공 정치철학 pluralist public philosophy이 되며, 이것이야말로 오늘날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정치를 인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철학이라고 제안하고 싶다.(p48)
- 접기
겨울호랑이 2019-10-08 공감(34)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평화와 평화들 평화다원주의와 평화인문학 이찬수

알라딘: 평화와 평화들
평화와 평화들 - 평화다원주의와 평화인문학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교실 1  
이찬수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16-05-28

책소개


평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다르다 보니 갈등이 싹트고 이러한 갈등은 때로 폭력으로 둔갑하기도 한다. 저자는 개인 또는 집단이 각자 정의 내리고 필요로 하고 이해하는 평화가 제각각인 것을 긍정하고 이를 조화롭게 다져나가고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밝힌다. 이 책은 평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다양성이 갈등이 아니라 조화로 나아가도록 하는 탄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저자는 인문학자로서 평화인문학의 여섯 가지 실천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비평화적 구조와 상황 속에서 받은 상처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해명이다. 둘째는 비평화 내지 폭력으로 인한 타자의 아픔에 대한 공감능력의 심화이다. 셋째는 성찰과 소통 능력의 강화를 통한 윤리적 실천, 넷째는 폭력 축소를 위한 평화학자로서의 윤리적 책임이다. 다섯째, 오랜 갈등으로 인한 상처와 증오, 분노를 치유하는 데 기여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학문적 시도가 미래의 평화질서와 현실적 형화공동체를 구상하고 만들어 내는 데 밑그림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 평화문맹의 시대 - 평화인식론과 평화다원주의
- 평화인문학을 위하여

Ⅰ부 평화 개념의 해체와 재구성

제1장 평화라는 말의 심층
- 개념의 바닥까지 내려가라 - 평화 규정에 평화는 없다
- 정의로 평화를 설명할 수 있을까 - 주어는 술어에 종속된다
- 평화는 술어다
- 주어와 술어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제2장 평화와 평화들, 인식의 다양성과 평화다원주의
- 평화는 복수다 - 평화다원주의
- 자기중심적 평화주의 - 평화들 사이의 문
- 평화를 위한 덜 폭력적 수단

제3장 평화는 폭력을 줄이는 과정
- 사회적 비도덕성의 이유 - 폭력으로 폭력을 줄이기
- 평화는 폭력을 줄이는 과정 - 폭력을 줄이는 동력, 공감
- 활사개공의 평화 - 공존과 비빔밥 평화
- 참여적 객관화

Ⅱ부 인간적인 평화와 평화인문학의 길

제1장 동서양의 평화론
- 평화의 개념화 과정 - 정의의 구현과 대동사회

제2장 인간다움을 위한 학문
- 휴머니티스, 서양의 지성적 인문주의 - 人文學, 동양의 도덕적 인문주의
- 아프리카적 인간성, ‘우분투’

제3장 인문학의 저자와 독자
- 전문가주의의 위험성 - 쉽고 깊은 글쓰기
- 삶에 대한 비평 - 평화인문학의 복합성

제4장 평화인문학의 실천적 과제
- 상처의 원인에 대한 해명 - 아픔에 대한 공감력의 심화
- 비판적 성찰과 공감적 실천 - 폭력 축소를 위한 윤리적 개입
- 증오의 치유와 학문의 구도성 - 다원적 평화공동체의 구상

제5장 녹색평화와 목적론적 평화인문학
- 목적론적 평화인문학 - 녹색으로서의 평화인문학
- 한반도발 평화인문학

접기
책속에서
P. 12 진먼다오(金門島)는 중국 대륙과는 불과 2km, 대만 본섬과는 200km 이상 떨어져 있지만 대만에 속한 섬이다. 1958년 8월 23일부터 10월 5일 사이에만 당시 중공군이 무려 47만 발에 이르는 포탄을 이곳에 쏟아붓고도, 결국 중화민국군과의 전쟁에서 패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중공군은 1978년까지 이곳에 포탄을 퍼부었다. 그때 떨어진 엄청난 탄피들이 지금은 주방용 칼로 변신하고 있다. 전쟁이라는 가공할 폭력을 넘어 평화를 이루어 갈 수 있을까. 살상용 탄피를 모아 음식을 조리하는 칼을 만들어 내는 진먼다오의 칼 공장은 이러한 물음에 희망적으로 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접기
P. 29 이슬람에서『꾸란』의 의미를 ‘읽기’로 해석하는 것도 혁명은 언어와 개념의 바닥까지 내려간 곳에서 시작된다는 뜻이다. 일본의 사상가 사사키 아타루(佐?木中)가 혁명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읽기, 쓰기라고 밝힌 바 있거니와 평화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의 기초도 ‘평화’라는 언어, 기존의 개념 혹은 관념의 바닥까지 뚫고 들어가는 시도와 함께 다져지고 형성된다.  접기
P. 73~74 자신이 원하는 것을 남에게도 해주려고 할 때, 남도 그것을 원하는지 살필 수 있어야 한다. 만일 이러한 상호성을 의식하지 않은 채 나의 사랑을 너에게 일방적으로 적용하다 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사랑도 폭력이 될 수 있다. 남한이 바라는 것을 북한도 바라는지 생각해야 하는 것도 같은 이치다. 상대가 나의 희망과 기대에 맞춰 줄 것을 바랄 수는 있지만, 어떻든 지나치면 폭력이 된다. 이른바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상호성을 의식하며 서로의 바람을 수용하면서 평화의 기초가 형성된다는 말이다.  접기
P. 97~98 ‘우리’는 개체들 하나하나가 살아나면서도 공통성의 공유를 통해 승화된 공동주체이다. 밥, 나물, 채소, 고기, 갖은 양념들이 저마다 굳어진 자기동일성에 머물지 않고, 상호 수용과 조화를 통해 개별적 자기정체성을 뛰어넘을 때, 맛있는 비빔밥이 되는 이치와 같다. 비빔밥은 ‘우리’의 존재원리를 비유적으로 설명해 준다. ‘우리’에는 우리를 구성하는 개체들과 이들이 같이할 공통의 그 무엇이 담겨 있다. 이 책의 주제와 연결 짓자면 그것은 평화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찬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니시타니 케이지(西谷啓治)의 불교철학과 칼 라너(Karl Rahner)의 철학적 신학을 비교하며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학교 교수, (일본)WCRP평화연구소 객원연구원, 코세이가쿠린 객원교수, 난잔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학교 대우교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를 지냈고, 한국문화신학회 회장으로 일했으며, 한국평화종교학회 부회장, 인권연대 운영위원 등으로 봉사하고 있다.
그동안 종교학, 죽음학, 평화학 등과 관련해 77권의 단행본(공저/역서 포함)과 88편의 논... 더보기
최근작 : <통일로 가는 보훈>,<보훈의 여러 가지 얼굴>,<사회는 왜 아픈가> … 총 5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많은 이들이 평화를 원하지만 우리 사회가, 더 나아가 이 세계가 평화로웠던 적은 없다. 왜일까? 자신이 원하는 평화가 무엇인지 잘 모르기 때문일 수도 있고, 평화롭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개인이나 집단이 원하는 평화는 저마다 다른 양상을 띠고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렇듯 평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다르다 보니 갈등이 싹트고 이러한 갈등은 때로 폭력으로 둔갑하기도 한다. 저자는 개인 또는 집단이 각자 정의 내리고 필요로 하고 이해하는 평화가 제각각인 것을 긍정하고 이를 조화롭게 다져나가고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밝힌다. 이 책은 평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다양성이 갈등이 아니라 조화로 나아가도록 하는 탄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면서 이 땅에 평화인문학의 포문을 여는 데 일조하고 있다.

평화의 바닥까지 내려가다

종교개혁을 이끈 루터는 당시 권력화한 교회 제도의 근거가 무엇인지 그 바닥까지 들어가 보는 과정에서 성서의 언어와 맞닥뜨렸다. 그는 성서를 몇 번이고 읽고 또 읽으면서 기존 관념을 꿰뚫어 그 바닥으로 나아갔고 결국 세계 질서를 전복시키는 동력을 그곳에서 찾아냈다. 저자는 스스로 인문학자임을 자각하면서 평화란 대체 무엇인가 하는 과제를 안고 기존 경계를 넘어 가능한 한 그 바닥까지 천착해 들어갔다. 하지만 저자는 평화에 대해 명확히 개념 짓는 그 어떤 규정도 발견하지 못했고 평화를 설명하기 위해 결국 폭력의 문제를 다뤄야 하는 악순환에 빠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평화에 대한 서술은 가능하며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평화인문학의 존재이유이자 이를 연구하는 인문학자들의 영원한 숙제라는 것이다.

평화는 단수형이 아니라 복수형이다

저자는 평화의 개념을 찾는 과정에서 평화는 단수형이 아니라 복수형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인간은 서로 다른 환경과 지평 속에서 상이한 해석의 틀을 지닌 채 살아왔고 어쩔 수 없이 평화에 대해서도 저마다의 방식으로 보고 해석한다는 것이다. 모두가 평화를 이야기하지만 그 의도와 내용과 지향점은 다르다. 저자는 사람들이 다양하게 경험하는 평화들을 모두 긍정한다. 또한 이들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조화시켜 나가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평화는 일방적일 수 없으며, 쌍방적이고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평화 경험이 다른 사람의 평화 경험과 공유되고 평화 연구가 학제적으로 융합되는 것에서 평화는 싹튼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공유되고 교류하지 않는 평화란 없다는 것이다.

평화를 위해 평화인문학이 해야 할 일

인간의 삶 전반이 더 인간다워질 수 있도록 하려는 학문이 평화인문학이다. 저자는 인문학자로서 평화인문학의 여섯 가지 실천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비평화적 구조와 상황 속에서 받은 상처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해명이다. 둘째는 비평화 내지 폭력으로 인한 타자의 아픔에 대한 공감능력의 심화이다. 셋째는 성찰과 소통 능력의 강화를 통한 윤리적 실천, 넷째는 폭력 축소를 위한 평화학자로서의 윤리적 책임이다. 다섯째, 오랜 갈등으로 인한 상처와 증오, 분노를 치유하는 데 기여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학문적 시도가 미래의 평화질서와 현실적 형화공동체를 구상하고 만들어 내는 데 밑그림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평화로울 수 없는 한반도적 상황에서 평화는 결코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 것임을,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바닥까지 내려가 치열하게 고민하고 실천해야 주어지는 것임을 이 책을 통해 조용히 웅변하고 있다. 접기

2021/06/27

Jubilee (biblical) - Wikipedia

Jubilee (biblical) - Wikipedia

Jubilee (biblica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Israeli stamp commemorating the Jewish National Fund and quoting Leviticus 25:23: "The land must not be sold permanently…"

The Jubilee (Hebrewיובל‎ yōḇel; Yiddishyoyvl) is the year at the end of seven cycles of shmita (Sabbatical years) and, according to biblical regulations, had a special imp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land in the Land of Israel. According to the Book of Leviticus, Hebrew slaves and prisoners would be freed, debts would be forgiven, and the mercies of Yahweh would be particularly manifest.

Rabbinic literature mentions a dispute between the Sages and Rabbi Yehuda over whether it was the 49th year (the last year of seven sabbatical cycles, referred to as the Sabbath's Sabbath), or whether it was the following (50th) year.[1] The Jubilee ("Year of Release") deals largely with land, property, and property rights.

The biblical rules concerning Sabbatical years are still observed by many religious Jews in Israel, but the regulations for the Jubilee year have not been observed for many centuries. According to the Torah, observance of Jubilee only applies when the Jewish people live in the land of Israel according to their tribes. Thus, with the exile of the tribes of ReubenGad, and Manasseh (about 600 BCE), Jubilee has not been applicable.[2]

Etymology[edit source]

The Septuagint used the phrase "a trumpet-blast of liberty" (ἀφέσεως σημασία apheseôs sêmasia), and the Vulgate used the Latin iobeleus; the English term Jubilee derives from the Latin term.

Early modern biblical scholars believed that the Latin term derived from the Hebrew term yobel, used in the Masoretic Text, which in turn derived from yobhel, meaning ram;[3] the Jubilee year was announced by a blast on a shofar, an instrument made from a ram's horn, during that year's Yom Kippur.[4]

An alternative etymology for the English and Latin terms notes that the Latin verb iūbilō, "shout for joy," predates the Vulgate, and proposes that instead the Latin jubilo (meaning shout, from Proto-Italic *), as well as Middle Irish ilach (victory cry), English yowl, and Ancient Greek iuzō (ἰύζω: shout), derived from a Proto-Indo-European root *yu- (shout for joy).[5] In this interpretation, the Hebrew term is either a borrowing from an Indo-European language, or an independent word with no etymological relation to the Latin word.

Origin and purpose[edit source]

The Levites sound the trumpet of Jubilee (1873 illustration)

Leviticus 25:8–13 states:

You shall count off seven Sabbaths of years, seven times seven years; and there shall be to you the days of seven Sabbaths of years, even forty-nine years. Then you shall sound the loud trumpet on the tenth day of the seventh month. On the Day of Atonement you shall sound the trumpet throughout all your land. You shall make the fiftieth year holy, and proclaim liberty throughout the land to all its inhabitants. It shall be a jubilee to you; and each of you shall return to his own property, and each of you shall return to his family. That fiftieth year shall be a jubilee to you. In it you shall not sow, neither reap that which grows of itself, nor gather from the undressed vines. For it is a jubilee; it shall be holy to you. You shall eat of its increase out of the field. In this Year of Jubilee each of you shall return to his property. (WEB)

Ancient Near Eastern societies regularly declared noncommercial debts void, typically at the coronation of a new king or at the king’s order.[6] Biblical scholars once argued that the Jubilee was an obvious development of the Sabbatical year.[7] Rather than waiting for the 50th or 49th year, the Deuteronomic Code requires that Hebrew slaves be liberated during their 7th year of service,[8] as does the Covenant Code,[9] which some textual scholars regard as pre-dating the Holiness code;[10] the Book of Ezekiel, which some textual scholars also regard as earlier than the Holiness Code, refers to a year of liberty (שנת דרור), during which property is returned to the original owner (or their heirs),[11] (earlier written mentioning in Sum: ama-gi, ama-ar-gi, 'return to the mother') but the word דרור is used by Jeremiah to describe the release of slaves during the Sabbatical year,[12] which various scholars take to imply that Ezekiel must have been referring to the sabbatical year.[7] Scholars suspect that the transfer of these regulations to 49th or 50th year was a deliberate attempt to parallel the fact that Shavuot is 50 days after Passover, and follows seven weeks of harvest;[7] this parallel is regarded as significant in Kabbalah.[13]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hypothesis, originally proposed by Julius Wellhausen, the Biblical chapters that contain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chapters 25 and 27 of Leviticus) were part of the so-called "P" or Priestly Code that Wellhausen believed represented the las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Israel's religion.[14] Wellhausen dated those chapters to a lat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though many modern proponents of the Documentary Hypothesis have arrived at different datings.

Wellhausen's theory that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was written in th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specifically after the time of Ezekiel, has always been challenged by scholars who have maintained the traditional position of Judaism and Christianity for the Mosaic authorship of Leviticus. Recently, however, the theories of Wellhausen and others who date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to the exilic period or later have also been challenged by scholars who generally do not have a conservative view of the Bible. Yehezekel Kaufmann has argued that the book of Ezekiel quotes from the Sabbatical and Jubilee legislation of the Book of Leviticus, which must have been in existence before Ezekiel's writings.[15] This argument has been expanded by Risa Levitt Kohn. Kohn examined in detail the 97 terms and phrases that are shared between Ezekiel and the Priestly Code.[16][17] She concludes:

In each of these examples, the direction of influence moves from P to Ezekiel. A term or expression with a positive connotation in P takes on a negative overtone in Ezekiel. Ezekiel parodies P language by using terms antithetically.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imagine that the Priestly Writer would have composed Israelite history by transforming images of Israel's apostasy and subsequent downfall from Ezekiel into images conveying the exceptional covenant and uniqu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YHWH. Indeed,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 Priestly Writer could have turned Ezekiel's land of exile (ארץ מגוריהם) into Israel's land of promise, Israel's enemies (קהל עמים) in to a sign of fecundity, or Israel's abundant sin (במאד מאד) into a sign of YHWH's covenant. It is, however, plausible that Ezekiel, writing in exile, re-evaluated P's portrayal of Israel's uniqueness, cynically inverting these images so that what was once a "pleasing fragrance to YHWH" symbolizes impiety and irreverence.[18]

John Bergsma provides a further argument against an exilic or post-exilic date for the codifying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saying that the Sitz im Leben (life situation) of the exilic or post-exilic period is not at all addressed by this legislation.

Finally, if the only purpose of the jubilee legislation was to serve as a pretext for the return of the exiles' lands, certainly much simpler laws than the jubilee could have been written and ascribed to Moses. All that would be necessary is a short statement mandating the return of property to any Israelite who returned after being exiled. In point of fact, precisely such brief, pointed laws are extant in the Mesopotamian codes, for example, the code of Hammurabi §27 and the Laws of Eshnuna §29. But on the contrary, the jubilee legislation never addresses the situation of exile. The only form of land alienation addressed in the text is sale by owner. If the priesthood in the early Persian period really wanted a legal pretext for the return of lost lands, they would surely have written themselves a law that directly addressed their situation.[19]

Bergsma therefore points out the incongruity of Wellhausen's ascribing an exilic or post-exilic date to the Jubilee and Sabbatical-year legislation, since this would conflict with the Sitz im Leben of Israel during, and after, the exile. In addition, Bergsma shows that the problem that this legislation was addressing was a problem recognized by the kings of Babylon in the second millennium BC, which naturall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much earlier date of codification. These Babylonian kings (to whom could be added Ammi-Saduqa[20]) occasionally issued decrees for the cancellation of debts and/or the return of the people to the lands they had sold. Such "clean slate" decrees were intended to redress the tendency of debtors, in ancient societies, to become hopelessly in debt to their creditors, thus accumulating most of the arable land into the control of a wealthy few. The decrees were issued sporadically. Economist Michael Hudson maintains that the Biblical legislation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 years addressed the same problems encountered by these Babylonian kings, but the Biblical formulation of the laws presented a significant advance in justice and the rights of the people. This was due to the "clean slates" now being codified into law, rather than relying on the whim of the king. Furthermore, the regular rhythm of the Sabbatical and Jubilee years meant that everyone would know when the next release was due, thereby giving fairness and equity to both creditor and debtor.[21][22] Hudson therefore maintains that not only was the Levitical legislation a significant advance over the prior attempts to deal with indebtedness, but this legislation was also eminently practical, in contradiction to many Biblical interpreters who are not economists and who have labeled it "utopian".

Regulations[edit source]

The biblical regulations concerning the Jubilee year appear in Leviticus 25. According to these regulations, the Jubilee was to be sounded once 49 years had been counted,[23] raising an ambiguity over whether the Jubilee was within the 49th year, or followed it as an intercalation in the 7-year sabbatical cycles; scholars and classical rabbinical sources are divided on the question.[7][13]

The biblical requirement is that the Jubilee year was to be treated like a Sabbatical year, with the land lying fallow, but also required the compulsory return of all property to its original owners or their heirs, except the houses of laymen within walled cities, in addition to the manumission of all Israelite indentured servants.[13]

The biblical regulations state that the land was to rest a "Sabbath" when the Children of Israel came to the land God was giving them Israel.[24] The Seder Olam Rabbah (second century AD), stated that this verse meant that the counting was not to start until after the Israelites had gained control of Canaan, which the Seder Olam, based upon received tradition, placed at 14 years after their entry into the land.[25] This interpretation has been largely adopted in later rabbinic scholarship. One reason for this interpretation of the Levitical text was that if counting started before the land was completely conquered, it would require the Israelites to return the land to the Canaanites within 50 years; similar nationalistic concerns about the impact of the Jubilee on land ownership have been raised by Zionist settlers.[13]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e Jubilee law effectively banned sale of land as fee simple, and instead land could only be leased for no more than 50 years. The biblical regulations go on to specify that the price of land had to be proportional to how many years remained before the Jubilee, with land being cheaper the closer it is to the Jubilee.[26]

Length of the Jubilee cycle[edit source]

Since the 49th year was already a sabbatical year, the land was required to be left fallow during it, but if the 50th year also had to be kept fallow, as the Jubilee, then no new crops would be available for two years, and only the summer fruits would be available for the following year, creating a much greater risk of starvation overall;[7] Judah the Prince contended that the jubilee year was identical with the sabbatical 49th year.[27] However, the majority of classical rabbis believed that the biblical phrase hallow the fiftieth year,[28] together with the biblical promise that there would be three years worth of fruit in the sixth year,[29] implies that the jubilee year was the 50th year.[13] The opinion of the Geonim, and generally of later authorities, was that prior to the Babylonian captivity the Jubilee was the intercalation of the 50th year, but after the captivity ended the Jubilee was essentially ignored, except for the blast of the shofar, and coincided with the sabbatical 49th year;[13] the reason was that the Jubilee was only to be observed when the Jews controlled all of Canaan, including the territories of Reuben and Gad and the eastern half-tribe of Manasseh.

The length of the Jubilee cycle continues to be of interest to modern scholarship, as does the question of the practicality of the legislation, and whether it was ever put into effect on a nationwide basis. Regarding the length of the cycle, three significant scholarly studies devoted to the Jubilee and Sabbatical years agree that it was 49 years, while disagreeing somewha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other issues involved. These major studies were those of Benedict Zuckermann,[30] Robert North,[31] and Jean-François Lefebvre.[32] The reasons given by these authors to support a 49-year cycle are both textual (examining all relevant Biblical texts) and practical.

Calendrical document 4Q319 from the Dead Sea Scrolls "represents a calendrical system based on the weekly rotation of the twenty-four priestly courses during a six-year period and constructed into six consecutive Jubilees, i.e. 294 years.".[33]

Textu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edit source]

An example of the textual argument is given by North in his comparison of Leviticus 23:15–16 with Leviticus 25:8–11. The first passage establishes the timing, in days, for the Festival of Weeks (Shavuot), while the second prescribes the timing, in years, for the Jubilee.[34] In the first passage, the start of counting for the Festival of Weeks is said to be "the day after the Sabbath" (mimaharat ha-shabatLeviticus 23:15), and is to end "the day after the seventh Sabbath" (mimaharat ha-shabat ha-sheviyitLeviticus 23:16). These seven weeks would constitute 49 days in most modern methods of reckoning. Nevertheless, verse 16 says that they are to be reckoned as 50 days. This method of reckoning (sometimes called "inclusive numbering") is fairly common in Scripture; for example, the Feast of Tabernacles is to last for seven days (Leviticus 23:34–36), but the last day is called the eighth day (v. 36). North found this comparison between Leviticus 23 (Feast of Weeks) and Leviticus 25 (Jubilees) to be "the strongest possible support for the forty-ninth year"[34] as the Jubilee year. His conclusion that the Jubilee was identical with the seventh Sabbatical year was followed by Lefebvre, for this as well as additional reasons.[35]

The consideration that the Jubilee was identical with the seventh Sabbatical year solves the various practical problems, as also addressed by these authors. If the Jubilee were separate from, and following the seventh Sabbatical year, then there would be two fallow years in succession. Lefebvre points out, however, that there is no support in Scripture for two voluntary fallow years in succession, even though some have misinterpreted Leviticus 25:21–22 as if this refers to a Jubilee year following a Sabbatical year, which is not the sense of the passage. Lefebvre shows that this cannot be the case because planting is mentioned for the eighth year; it is the year after a Sabbath, a year in which planting and harvesting resume.[36] Another practical problem that would occur if the Jubilee cycle were 50 years is that, after the first cycle,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would be out of phase unless the seventh Sabbatical cycle was stretched to eight years. But Scripture gives no instructions for making such an adjustment. Instead, it is assumed that the two cycles will always be in phase so that the shofar can be sounded in the seventh year of the seventh Sabbatical cycle.[37]

In contrast, the consideration that the Jubilee year is an intercalated year separate and distinct from the Sabbatical cycles resolves an issue of the requirement for observation of the Torah of both Leviticus 25:3 and Leviticus 25:11. For in the former passage, the command is that sowing and pruning must occur for 6 consecutive years, whereas in the latter, the command is to neither sow, nor reap nor gather from untended vines in the Jubilee year. If the Jubilee year is the 50th year as confirmed by Leviticus 25:10–11, it must necessarily be a separate year from the first 49 years comprising the whole of the first seven Sabbatical cycles. Therefore it cannot be identical with the seventh Sabbatical year, as 49 does not equal 50. Were the Jubilee year to be considered identical with year 1 of the following Sabbatical cycle, the requirement of observing 6 consecutive years of sowing and pruning could not be observed as only 5 years would therefore be available for sowing and reaping, not the specified six as Leviticus 25:3 requires. A lot of the misunderstanding comes from not carefully reading the original Hebrew text. There was no requirement in the Law to observe 6 consecutive years of sowing. The command stated that you may sow for 6 years but in the 7th year the land must observe a sabbath rest. It would be a double negative to command the land to be sowed for 6 years in cases of famine and war.

Historical considerations[edit source]

Although not cited by these authors, two historical arguments also argue for a 49-year cycle. The first is that the Samaritans celebrated a 49-year cycle.[38] Although the Samaritans stopped counting for the Jubilee some hundreds of years ago,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an effort is underway to determine the date when counting ceased in order to resume. The counting will again be according to a 49-year cycle.[39] A second historical argument has been presented to the effect that the two instances of a Jubilee mentioned in the Babylonian Talmud (tractates Arakin 12a and Megillah 14b) appear to be proper historical remembrances, because the known calculation methods of rabbinic scholarship were incapable of correctly calculating the dates of the Jubilees mentioned.[40] Rabbinic (Talmudic) scholarship always assumed non-accession reckoning for kings, whereby the first partial year of a king was double-counted both for him and as the last year of the deceased king. This reckoning would give 47 years from the Jubilee mentioned in the 18th year of Josiah (Megillah 14b) to the Jubilee that took place 14 years after Jerusalem fell to the Babylonians (Arakin 12a), whereas the correct difference was 49 years (623 BC to 574 BC). This has been presented as additional evidence that the cycle was 49 years, and further that the cycles were being measured until the last Jubilee in the days of Ezekiel, when the stipulations of the Jubilee year, long neglected except in the counting of the priests, could no longer be observed because the people were captive in a foreign land.[41]

The date when counting began[edit source]

The Seder Olam Rabbah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as a long-term calendrical system, and attempted at various places to fit the Sabbatical and Jubilee years into its chronological scheme. As mentioned above, the Seder Olam put forth the idea that the counting for these cycles was deferred until 14 years after entry into the land. The reasons for this are given in Seder Olam chapter 11. In Joshua chapter 14, Caleb mentions that he was 40 years old when he was sent out as a spy in the second year of the 40-year wilderness journey, and his present age was 85,[42] which meant he received his inheritance seven years after entering Canaan. Rabbi Jose assumed that everyone else received their inheritance when Caleb did, or had already received it, so that the allotment of the land to the tribes was finished at this time. Because the division of the land took seven years, the conquest that followed must also have taken seven years. "One has to say that 14 years Israel spent at Gilgal, seven when they were conquering and seven when they were distributing." Then, after putting up the Tabernacle at Shiloh, "At that moment, they started to count years for tithes, Sabbatical years, and Jubilee years."[43]

Another explanation has been offered for Rabbi Jose's postponement of counting until 14 years had elapsed. In this same chapter 11 of the Seder Olam, Rabbi Jose stated (for unknown reasons) that Israel's time in its land must have lasted an integral number of Jubilee periods. If this were true, one of those periods should have ended at the beginning of the exile in 587 BC. Yet Rabbi Jose also believed that Ezekiel 40:1 marked the beginning of the seventeenth Jubilee, and this was 14 years after the city fell. In other words, the Jubilee came 14 years too late, according to the idea that the time in the land must comprise an integral number of Jubilee cycles. Rodger Young proposes that the knowledge of when a genuine Jubilee was due was the real reason for the supposition of a delay before the start of counting:

The reason for the fourteen-year delay in Seder ‘Olam 11 is that Rabbi Yose (primary author of the Seder ‘Olam) had the idée fixe that the total time that Israel spent in its land must come out to an exact number of Jubilee cycles. If that had been the case, then we should have expected that 587 BC, when the exile began, would have been at the end of a Jubilee period. However, Rabbi Yose cited Ezek 40:1 as designating the time of the seventeenth Jubilee, and since he knew this was fourteen years after the city fell, he presumed that counting had been delayed for fourteen years so that he could account for the fourteen years between the fall of the city and the observance of the seventeenth Jubilee. He also mentioned the previous Jubilee, in the time of Josiah. As much as he would have liked to put these last two Jubilees fourteen years earlier in order to be consistent with his idée fixe, Rabbi Yose could not do it because he knew these were historical dates, not dates that came from his own calculation.[44]

An alternative account is that counting started at the entry into the land. This follows from a straightforward reading of the relevant text in Leviticus:

The LORD then spoke to Moses at Mount Sinai, saying, "Speak to the sons of Israel, and say to them, 'When you come into the land which I shall give you, then the land shall have a sabbath to the LORD. Six years you shall sow your field, and six years you shall prune your vineyard and gather in its crop, but during the seventh year the land shall have a sabbath rest, a sabbath to the LORD ... You are also to count off seven sabbaths of years for yourself, seven times seven years, so that you have the time of the seven sabbaths of years, namely, forty-nine years. You shall then sound a ram's horn abroad on the tenth day of the seventh month; on the day of atonement you shall sound a horn all through your land. You shall thus consecrate the fiftieth year and proclaim a release through the land to all its inhabitants. It shall be a jubilee for you (Leviticus 25:1–4, 8–10, NASB).

The Talmud states that the people of Israel counted 17 Jubilees from the time they entered the Land of Canaan until their exile at the destruction of the First Temple.[45] If counting is measured back 17 cycles from Ezekiel's Jubilee (Ezekiel 40:1)[46] that began in Tishri of 574 BC, based on Thiele's computation,[47] the first year of the first cycle would have been 1406 BC. According to the religious calendar that started the year in Nisan, and in accordance with Joshua 5:10 that places the entry in the land in Nisan, Nisan of 1406 BC is the month and year when counting started. But 1406 BC is the year of entry into the land that is traditionally derived by another method, namely taking Thiele's date of 931/930 BC for the start of the divided kingdom after Solomon's death, in conjunction with 1 Kings 6:1 (Solomon's fourth year was 480th year of Exodus-era), to derive the date of the Exodus in 1446 BC.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ate of the Exodus and entry into Canaan from the Jubilee cycles is independent of the method of deriving these dates from 1 Kings 6:1, yet the two methods agree.[48]

The Jubilee in Jewish tradition[edit source]

A different approach is taken in the Talmud (Arakhin 12a–b) which, like Seder Olam, assigns only 410 years to the First Temple,[49] preceded by 480 years from the exodus to its building by Solomon (1 Kings 6:1) in 832 BC (by the rabbinic accounting) and its destruction in 422 BC. The Talmud (Arakhin 12b) accounts for 40 years of wandering in the wilderness, and 7 years taken to conquer the land of Canaan and 7 years to divide the land among the tribes, putting the first Jubilee cycle precisely 54 years after the exodus (i.e. in 1258 BC), and saying that the people of Israel counted 17 Jubilees from the time they entered the Land of Canaan until their departure, and that the last Jubilee occurred 14 years after the First Temple's destruction (i.e. in 408 BC).[50][51] Talmudic exegete, Rashi, explains in the Talmud (Arakhin 12b) that the year of the First Temple's destruction (422 BC) was actually the 36th year in the Jubilee cycle, and that fourteen years later (408 BC) would have been the next Jubilee.[52] This time span, taken together (from 1258 BC to 408 BC), accrues to 850 years, during which time the people counted seventeen Jubilees.

The historian Josephus, however, had a different tradition, writing in his work Antiquities (10.8.5) that the First Temple stood 470 years,[53] which would, of necessity, offset the number of Jubilee cycles. Moreover, Josephus' reckoning of the timeline of events does not always align with Seder Olam, the book on which rabbinic tradition is so dependent. The discrepancies between Josephus and Seder Olam have led some scholars to think that the dates prescribed in Seder Olam are only approximations, as Josephus brings down supportive evidence by making use of two basic epochs, the Olympiad era counting and the Seleucid era counting, drawn principally from other writers, to verify the historicity of many of these event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in the general span of years, there is not necessarily disagreement between Josephus and Seder Olam when Josephus refers to dates of Sabbatical years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as the time-frame for these dates overlap those mentioned in Seder Olam (chapter 30) for the GrecianHasmonean, and Herodian periods.

Theological significance[edit source]

The text of the Book of Leviticus argues that the Jubilee existed because the land was the possession of Yahweh, and its current occupiers were merely aliens or tenants, and therefore the land should not be sold forever.[54] Midrashic sources argue that the Jubilee was created to preserve the original division of land between the Israelite tribes,[55] as evidenced by the rabbinical tradition that the Jubilee should not be imposed until the Israelites were in control of Canaan.[13] Leviticus also states that the Israelites were the servants of Yahweh,[56] which classical rabbis took as justification for the manumission of Israelite slaves at the Jubilee, using the argument that no man should have two masters, and thus, as the servants of Yahweh, the Israelites should not also be the servants of men.[55]

A further theological insight afforded by the Jubilee cycles is explained in Andrew Steinmann's monograph on Biblical chronology. Steinmann has an extended discussion of the evidence for various pre-exilic Sabbatical years, and how they all occurred an integral number of seven-year periods before Ezekiel’s Jubilee (see the Historical Sabbatical Years article). He also notes that the date of the entry into the land implied by Ezekiel's Jubilee (the seventeenth) is in exact agreement with the date calculated from 1 Kings 6:1 and Joshua 5:6. These chronological considerations are usually neglected in discussions of the legislation for the Jubilee and Sabbatical years, but Steinmann stresses their theological importance as follows:

This illustrates one of the principles stated in the preface to the present book: that some historical insights will remain obscured until the chronology of the period under discussion is determined properly.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provide such historical insight. But they do more: they also offer theological insights on such important matters as the date and historicity of the Exodus and the origin of the Book of Leviticus. If, as has been argued, the times of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were known all the time that Israel was in its land, and, further, that the only adequate explanation that has yet been given for Ezekiel’s Jubilee being the seventeenth Jubilee is that the counting for these cycles actually started 832 years earlier, in 1406 BC, then it is logical to conclude the Lev 25–27, the texts that charter the Sabbatical years and the Jubilees, were in existence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BC.[57]

See also[edit source]

References[edit source]

  1. ^ Babylonian Talmud (Rosh Hashanah9a). MaimonidesMishne Torah (Hil. Shmita ve-Yovel 10:7), in this case,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Sages that the Jubilee is to be reckoned in the 50th year during the Seven-year cycle, with the new Seven-year cycle beginning afresh in the 51st year. This opinion agrees with that of Philo of Alexandria, who wrote in the chapter, On the Virtues (ch. XIX, vs. 100), "In this fiftieth year (Jubilee), all the ordinances which are given relating to the seventh year are repeated, and some of greater magnitude are likewise added, for instance, a resumption of a man's own possessions which he may have yielded up to others through unexpected necessity; for the law does not permit any one permanently to retain possession of the property of others, but blockades and stops up the roads to covetousness for the sake of checking desire, that treacherous passion, that cause of all evils; and, therefore, it has not permitted that the owners should be for ever deprived of their original property, as that would be punishing them for their poverty, for which we ought not to be punished, but undoubtedly to be pitied" (End Quote)
  2. ^ Yovel | Yovel | Jubilee Year
  3. ^ Dictionary - AlHaTorah.org
  4. ^ Leviticus 25:9
  5. ^ Mallory, J. P. and Adams, D. Q.(2006).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9668-2, p. 363.
  6. ^ Graeber. DavidDebt: The First 5000 Years. 2011.
  7. Jump up to:a b c d e Cheyne and Black, Encyclopedia Biblica
  8. ^ Deuteronomy 15:12
  9. ^ Exodus 21:2–6
  10. ^ Richard Elliott FriedmanWho wrote the Bible?
  11. ^ Ezekiel 46:17
  12. ^ Jeremiah 34:14–15
  13. Jump up to:a b c d e f g Jewish Encyclopedia
  14. ^ Julius Wellhausen, Prolegomena to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New York: Meridian Books, 1957) 117–120. Originally published as 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 (Berlin, 1882; Eng. trans., 1885; 5th German edition, 1899; first published in 1878 as Geschichte Israels).
  15. ^ Yehezekel Kaufmann, The Religion of Israel from its Beginning to the Babylonian Exile (trans. M. Greenberg; New York: Schocken Books, 1972) 433–435.
  16. ^ Kohn 2002a, p. 30–85.
  17. ^ Kohn 2002b.
  18. ^ Kohn 2002a, p. 84–85.
  19. ^ John Sietze Bergsma, The Jubilee from Leviticus to Qumran: A History of Interpretation (Leiden/Boston: Brill, 2007) 77. Italics are in the original.
  20. ^ James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526–528.
  21. ^ Hudson, Michael (1993). The Lost Tradition of Biblical Debt Cancellations (PDF). Henry George School of Social Science. pp. 35–37. CiteSeerX 10.1.1.472.9913OCLC 32072064.
  22. ^ Hudson 1999, p. 30–31.
  23. ^ Leviticus 25:8
  24. ^ Leviticus 25:2
  25. ^ Seder Olam Rabbah, chapter 11.
  26. ^ Leviticus 25:14–17
  27. ^ Talmudic tractate Rosh Hashanah 9a
  28. ^ Leviticus 25:10
  29. ^ Leviticus 25:21
  30. ^ Benedict Zuckermann, Treatise on the Sabbatical Cycle and the Jubilee, trans. A Löwy; (New York: Hermon, 1974); originally published as "Ueber Sabbatjahrcyclus und Jobelperiode," in Jarhesbericht des jüdisch-theologischen Seminars "Fraenckelscher Stiftung" (Breslau, 1857).
  31. ^ North (1954)
  32. ^ Lefebvre (2003)
  33. ^ Geza Vermes, "The Complete Dead Sea Scrolls in English" (ISBN 0-14-027807-9), Calendric Signs (Otot) pp. 352–356.
  34. Jump up to:a b North (1954), p. 131
  35. ^ Lefebvre (2003), pp. 159–160
  36. ^ Lefebvre (2003), p. 159
  37. ^ Lefebvre (2003), pp. 159, 163
  38. ^ A. Neubauer, Chronique Samairitaine(1873), 3, 8 ff., cited in Encyclopaedia Judaica (Jerusalem, Keter, 1972), 14.579.
  39. ^ Young (2006), p. 78, n. 14
  40. ^ Young (2006), pp. 76-77
  41. ^ Young (2006)
  42. ^ Joshua 14:7,10
  43. ^ Seder Olam chapter 11, translation by Heinrich W. Guggenheimer, Seder Olam: The Rabbinic View of Biblical Chronology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2005).
  44. ^ Young (2007), p. 178, n. 36
  45. ^ Babylonian Talmud (Arakhin 12b); cf. MaimonidesR. Moses b, Maimon Responsa (vol. 2), ed. Jehoshua Blau, Rubin Mass Ltd. Publishers, Jerusalem 1989, responsum # 389
  46. ^ A verse explained by rabbinic exegetes to be referring to a Jubilee, which fell 14 years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47. ^ Young (2007), pp. 173–174
  48. ^ Young (2007), p. 174
  49. ^ Jerusalem Talmud (Megillah 18a); Babylonian Talmud (Megillah 11b-12a)
  50. ^ Babylonian TalmudArakhin 12b; Maimonides (1989). Jehoshua Blau (ed.). R. Moses b. Maimon Responsa(in Hebrew). 2. Jerusalem: Meḳitse nirdamim / Rubin Mass Ltd. pp. 666-668 (responsum #389). OCLC 78411726.
  51. ^ This last Jubilee, which happened 14 years after the First Temple's destruction, is taken from a verse in Ezekiel 40:1, explained by rabbinic exegetes to be referring to a Jubilee, and which fell out 14 years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52. ^ RashiArakhin 12b, s.v. צא מהן שבע שכיבשו וכו
  53. ^ Josephus, Antiquities 10.8.5 (10.144)
  54. ^ Leviticus 25:23
  55. Jump up to:a b Sifra, Behar Sinai, 7:1
  56. ^ Leviticus 25:55
  57. ^ Andrew E. Steinmann, From Abraham to Paul: A Biblical Chronology (St. Louis: Concordia, 2011) 53.

Bibliography[edit source]

External links[edi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