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Abhidharma.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Abhidharma. Show all posts

2020/09/08

https://www.amazon.com/kindle-dbs/entity/author/B001JXB7VI?_encoding=UTF8&node=618073011&offset=0&pageSize=12&searchAlias=stripbooks&sort=author-sidecar-rank&page=1&langFilter=default#formatSelectorHeader

https://www.amazon.com/kindle-dbs/entity/author/B001JXB7VI?_encoding=UTF8&node=618073011&offset=0&pageSize=12&searchAlias=stripbooks&sort=author-sidecar-rank&page=1&langFilter=default#formatSelectorHeader









Books By Bhikkhu Bodhi
All Formats Kindle Edition Audible Audiobook Paperback HardcoverSort by:Sort by:Popularity



In the Buddha's Words: An Anthology of Discourses from the Pali Cano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ug 10, 2005
by The Dalai Lama , Bhikkhu Bodhi , Dalai Lama
( 534 )
AUD 19.38

This landmark collection is the definitive introduction to the Buddha's teachings - in his own words. The American scholar-monk Bhikkhu Bodhi, whose voluminous translations have won widespread acclaim, here presents sel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from the Pali Canon, the earliest record of what the Buddha taught. Divided into ten thematic chapters, In the Buddha's Words reveals the full scope of the Buddha's discourses, from family life and marriage to renunciation and the path of insight. A concise, informative introduction precedes each chapter, guiding the reader towar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exts that follow.

In the Buddha's Words allows even readers unacquainted with Buddhism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the Buddha's contributions to our world heritage. Taken as a whole, these texts bear eloquent testimony to the breadth and intelligence of the Buddha's teachings, and point the way to an ancient yet ever-vital path. Students and seekers alike will find this systematic presentation indispensable.
Read less
Other Formats: Audible Audiobook , Paperback , MP3 CD
See purchase options


The Noble Eightfold Path: Way to the End of Suffering Mar 12, 2020
by Bhikkhu Bodhi
( 229 )
AUD 9.69

This book offers a clear, concise account of the Eightfold Path prescribed to uproot and eliminate the deep underlying cause of suffering—ignorance. Each step of the path is believed to cultivate wisdom through mental training, and includes an enlightened and peaceful middle path that avoids extremes. The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angles of each of the paths—right view, right intention,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are illustrated through examples from contemporary life. The work's final chapter addresses the Buddhist path and its culmination in enlightenment.
Read less
Other Formats: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aya (The Teachings of the Buddha) Jun 10, 2005
by Bhikkhu Bodhi , Bodhi
( 96 )
AUD 55.41

This volume offers a complete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aya,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the third of the four great collections in the Sutta Pitaka of the Pali Canon. The Samyutta Nikaya consists of fifty-six chapters, each governed by a unifying theme that binds together the Buddha's suttas or discourses. The chapters are organized into five major parts.

The first, The Book with Verses, is a compilation of suttas composed largely in verse. This book ranks as one of the most inspiring compilations in the Buddhist canon, showing the Buddha in his full grandeur as the peerless "teacher of gods and humans." The other four books deal in depth with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meditative structures of early Buddhism. They combine into orderly chapters all the important short discourses of the Buddha on such major topics as dependent origination, the five aggregates, the six sense bases,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the Noble Eightfold Path, and the Four Noble Truths.

Among the four large Nikayas belonging to the Pali Canon, the Samyutta Nikaya serves as the repository for the many shorter suttas of the Buddha where he discloses his radical insights into the nature of reality and his unique path to spiritual emancipation. This collection, it seems, was directed mainly at those disciples who were capable of grasping the deepest dimensions of wisdom and of clarifying them for others, and also provided guidance to meditators intent on consummating their efforts with the direct realization of the ultimate truth.

The present work begins with an insightful general introduction to the Samyutta Nikaya as a whole. Each of the five parts is also provided with its own introduction, intended to guide the reader through this vast, ocean-like collection of suttas.

To further assist the reader, the translator has provided an extensive body of notes clarifying various problems concerning both the language and the mean
Read less
Other Formats: Hardcover
See purchase options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The Teachings of the Buddha) Jun 10, 2005
by Bhikkhu Nanamoli , Bhikkhu Bodhi
( 188 )
AUD 52.64

This book offers a complete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or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one of the major collections of texts in the Pali Canon, the authorized scriptures of Theravada Buddhism. This collection--among the oldest records of the historical Buddha's original teachings--consists of 152 suttas or discourses of middle length, distinguished as such from the longer and shorter suttas of the other collections. The Majjhima Nikaya might be concisely described as the Buddhist scripture that combines the richest variety of contextual settings with the deepest and most comprehensive assortment of teachings. These teachings, which range from basic ethics to instructions in meditation and liberating insight, unfold in a fascinating procession of scenarios that show the Buddha in living dialogue with people from many different strata of ancient Indian society: with kings and princes, priests and ascetics, simple villagers and erudite philosophers. Replete with drama, reasoned argument, and illuminating parable and simile, these discourses exhibit the Buddha in the full glory of his resplendent wisdom, majestic sublimity, and compassionate humanity.

The translation is based on an original draft translation left by the English scholar-monk Bhikkhu Nanamoli, which has been edited and revised by the American monk Bhikkhu Bodhi, who provides a long introduction and helpful explanatory notes. Combining lucidity of expression with accuracy, this translation enables the Buddha to speak across twenty-five centuries in language that addresses the most pressing concerns of the contemporary reader seeking clarification of the timeless issues of truth, value, and the proper conduct of life.

Winner of the 1995 Choice Magazine Outstanding Academic Book Award, and the Tricycle Prize for Excellence in Buddhist Publishing for Dharma Discourse.
Read less
Other Formats: Audible Audiobook , Hardcover
See purchase options


The Numerical Discourses of the Buddha: A Complete Translation of the Anguttara Nikaya (The Teachings of the Buddha) Nov 13, 2012
by bhikkhu Bodhi , Bodhi
( 83 )
AUD 83.12

Like the River Ganges flowing down from the Himalayas, the entire Buddhist tradition flows down to us from the teachings and deeds of the historical Buddha, who lived and taught in India during the fifth century B.C.E. To ensure that his legacy would survive the ravages of time, his direct disciples compiled records of the Buddha's teachings soon after his passing. In the Theravada Buddhist tradition, which prevails in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these records are regarded as the definitive "word of the Buddha." Preserved in Pali, an ancient Indian language closely related to the language that the Buddha spoke, this full compilation of texts is known as the Pali Canon.

At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were the suttas (Sanskrit sutras), his discourses and dialogues. If we want to find out what the Buddha himself actually said, these are the most ancient sources available to us. The suttas were compiled into collections called "Nikayas," of which there are four, each organized according to a different principle. The Digha Nikaya consists of longer discourses; the Majjhima Nikaya of middle-length discourses; the Samyutta Nikaya of thematically connected discourses; and the Anguttara Nikaya of numerically patterned discourses.

The present volume, which continues Wisdom's famous Teachings of the Buddha series, contains a full translation of the Anguttara Nikaya. The Anguttara arranges the Buddha's discourses in accordance with a numerical scheme intended to promote retention and easy comprehension. In an age when writing was still in its infancy, thi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ensure that the disciples could grasp and replicate the structure of a teaching.
Read less
Other Formats: Hardcover
See purchase options


Great Disciples of the Buddha: Their Lives, Their Works, Their Legac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Jan 30, 2012
by Nyanaponika , Hellmuth Hecker , Bodhi
( 81 )
AUD 19.38

A perennial favorite, Great Disciples of the Buddha is now relaunched in our best-selling Teachings of the Buddha series.

Twenty-four of the Buddha's most distinguished disciples are brought to life in ten chapters of rich narration. Drawn from a wide range of authentic Pali sources, the material in these stories has never before been assembled in a single volume. Through these engaging tales, we meet all manner of human beings - rich, poor, male, female, young, old - whose unique stories are told with an eye to the details of ordinary human concerns. When read with careful attention, these stories can sharpen our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path by allowing us to contemplate the living portraits of the people who fulfilled the early Buddhist ideals of human perfection. The characters detailed include:

Sariputta
Nanda
Mahamoggallana
Mahakassapa
Ananda
Isidasi
Anuruddha
Mahakaccana
Angulimala
Visakha
and many more.
Conveniently annotated with the same system of sutta references used in each of the other series volumes, Great Disciples of the Buddha allows the reader to easily place each student in the larger picture of Buddha's life. It is a volume that no serious student of Buddhism should miss.
Read less
Other Formats: Audible Audiobook , Hardcover ,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The Philosophical Psychology of Buddhism Mar 13, 2020
by Bhikkhu Bodhi , Mahāthera Nārada
( 1 )
AUD 9.69

This modern translation of the Abhidhammattha Sangaha (Manual of Abhidhamma) offers an introduction to Buddhism's fundamental philosophical psychology. Originally written in the 11th or 12th century, the Sangaha has served as the key to wisdom held in the Abhidhamma. Concisely surveyed are Abhidhamma's central themes, including states of consciousness and mental factors, the functions and processes of the mind, the material world, dependent arising, and the methods and stages of meditation. This work presents an exact translation of the Sangaha alongside the original Pali text. A detailed, section-by-section explanatory guide and more than 40 charts and tables lead modern readers through the complexities of Adhidhamma. A detailed introduction explains the basic principles of this highly revered ancient philosophical psychology.

The Abhidhamma, the third division of the Tipitaka, is a huge collection of systematically arranged, tabulated and classified doctrines of the Buddha, representing the quintessence of his Teaching. Abhidhamma, meaning Higher or Special Teaching, is unique in its abstruseness, analytical approach, immensity of scope and conduciveness to one's liberation. In the Abhidhamma, the Buddha treats the dhamma entirely in terms of ultimate reality (paramattha sacca), analyzing every phenomenon into its ultimate constituents. All relative concepts such as person, mountain, etc. are reduced to their ultimate elements which are then precisely defined, classified and systematically arranged.

In Abhidhamma, everything is expressed in terms of khandha, five aggregates of existence; ayatana, five sensory organs and mind, and their respective sense objects; dhatu, elements; indriya, faculties; sacca, fundamental truths; and so on. Relative conceptual objects such as man, woman, etc. are resolved into ultimate components and viewed as an impersonal psycho-physical phenomenon, which is conditioned by various factors and is impermanent (anicca), suffering (dukkha) and without a permanent entity (anatta).

Having resolved all phenomena into ultimate components analytically it aims at synthesis by defining inter-relations (paccaya) between the various constituent factors.
Read less
Other Formats: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Abhidhamma Studies: Buddhist Explorations of Consciousness and Time Nov 12, 2012
by Nyanaponika , Bodhi
( 25 )
AUD 19.38

The Abhidhamma, the third great division of early Buddhist teaching, expounds a revolutionary system of philosophical psychology rooted in the twin Buddhist insights of selflessness and dependent origination. In keeping with the liberative thrust of early Buddhism, this system organizes the entire spectrum of human consciousness around the two poles of Buddhist doctrine - bondage and liberation, Samsara and Nirvana -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nal goal. It thereby maps out, with remarkable rigour and precision, the inner landscape of the mind to be crossed through the practical work of Buddhist meditation.

In this book of groundbreaking essays, Venerable Nyanaponika Thera, one of our age's foremost exponents of Theravada Buddhism, attempts to penetrate beneath the formidable face of the Abhidhamma and to make its principles intelligible to the thoughtful reader of today. His point of focus is the Consciousness Chapter of the Dhammasangani, the first treatise of the Abhidhamma Pitaka. Basing his interpretation on the detailed list of mental factors that the Abhidhamma uses as a guide to psychological analysis, he launches into bold explorations in the multiple dimensions of conditionality, the nature of consciousness, the temporality of experience, and the psychological springs of spiritual transformation. Innovative and rich in insights, this book does not merely open up new avenues in the academic study of early Buddhism. By treating the Abhidhamma as a fountainhead of inspiration for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inquiry, it demonstrates the continuing relevance of Buddhist thought to our most astute contemporary efforts to understand the elusive yet so intimate nature of the mind.
Read less
Other Formats: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Dhamma Reflections: Collected Essays of Bhikkhu Bodhi Mar 13, 2020
by Bhikkhu Bodhi
( 9 )
AUD 9.69

This volume brings together 53 essays of Bhikkhu Bodhi previously published by the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in newsletters and other publications. These essays reveal the depth and breadth of Bhikkhu Bodhi's ability to communicate the timeless teachings of the Buddha and his skillful guidance in applying the Dhamma in everyday life.
Other Formats: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Investigating the Dhamma: A Collection of Papers Mar 13, 2020
by Bhikkhu Bodhi
( 1 )
AUD 9.69

This book brings together eight essays of Bhikkhu Bodhi, five of which were earlier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nd volumes, and three not published before. Most of the essays are critical responses to various modern interpretations of the Dhamma that the author considers to be at odds with the Buddha’s teachings, in particular as transmitted and interpreted by the Theravada school of Buddhism. The other essays are in depth discussions of important Buddhist doctrinal terms.
Read less
Other Formats: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The Buddha and His Dhamma Oct 10, 2014
by Bhikkhu Bodhi
( 6 )
AUD 4.14

Two lectures on Buddhism by Bhikkhu Bodhi. The first part explores the Buddha’s mission, the second his doctrine and path.

Excerpt from the introduction— “That the Buddha’s teaching should remain perennially relevant throughout the changing eras of human history, that his message should be undimmed by the sheer passage of time, is already implicit in the title by which he is most commonly known. For the word “Buddha,” as is widely known, is not a proper name but an honorific title meaning “the Enlightened One,” “the Awakened One.” This title is given to him because he has woken up from the deep sleep of ignorance in which the rest of the world is absorbed; because he has penetrated the deepest truths about the human condition; and because he proclaims those truths with the aim of awakening others and enabling them to share his realization. Despite the shifting scenarios of history over twenty-five centuries, despite the change in world views and modes of thought from one epoch to the next, the basic truths of human life do not change. They remain constant, and are recognizable to those mature enough to reflect on them and intelligent enough to understand them. For this reason, even today in our age of jet travel, computer 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it is perfectly fitting that the One who has Awakened should speak to us in words that are just as powerful, just as cogent, just as illuminating as they were when they were first proclaimed long ago in the towns and villages of Northeast India.”
Read more
Other Formats: Paperback
See purchase options
#1 New Release

Reading the Buddha's Discourses in Pali: A Practical Guide to the Language of the Ancient Buddhist Canon Dec 8, 2020
by Bhikkhu Bodhi
AUD 47.90



Renowned scholar-monk and bestselling translator Bhikkhu Bodhi’s definitive, practical guide on how to read ancient Buddhist texts in the original language.

Bhikkhu Bodhi’s sophisticated and practical instructions on how to read the Pali of the Buddha’s discourses will acquaint students of Early Buddhism with the language and idiom of these sacred texts. Here the renowned English translator of the Pali Canon opens a window into key suttas from the Sa?yutta Nikaya, giving a literal translation of each sentence followed by a more natural English rendering, then explaining the grammatical forms involved. In this way, students can determine the meaning of each word and phrase and gain an intimate familiarity with the distinctive style of the Pali suttas—with the words, and world, of the earliest Buddhist texts.

Ven. Bodhi’s meticulously selected anthology of suttas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Buddha’s teachings, mirroring the four noble truths, the most concise formulation of the Buddha’s guide to liberation. Reading the Buddha’s Discourses in Pali shares with readers not only exceptional language instruction but also a nuanced study of the substance, style, and method of the early Buddhist discourses.
Read less
Other Formats: Hardcover

2020/09/07

친절한 불교학, 그리고 불교학의 리더십 - 불교닷컴

친절한 불교학, 그리고 불교학의 리더십 - 불교닷컴



친절한 불교학, 그리고 불교학의 리더십
  •  윤남진 소장
  •  승인 2010.04.21 15:17
  •  댓글 2

[서평] 윤남진(NGO리서치 소장)
『불교학과 불교』(권오민 지음, 민족사, 2009)를 읽고
 ‘소승적ː시야가 좁아 개인적 욕심에 얽매이며 옹졸한. 또는 그런 것’
‘소승적’이란 말에 대한 국어사전의 풀이다. 이 뜻풀이는 대체로 시시콜콜하게 따지는 일을 좀스러운것으로 경멸하는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그러나 ‘역사’로서의 소승(小乘)도 과연 그런가?

권오민 교수가 쓴『불교학과 불교』(민족사, 2009)는 이 질문의 일단에 대해 군더더기 없이 명쾌하게 응답하고 있다. 이 책은 ‘역사적으로 소승적인 것들’을 위한 변론이며, 모든(!) 대승적인 것의 총체적 우월성에 대한 맹목적 믿음과 그런 류의 언술들의 급소를 향한 절제된 일격이다.

더불어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만약 현실불교와 현실불교학에 대한 약간의 불만이 있고 그 불만의 뿌리는 무엇이며, 나아가 그 불만은 어떻게 극복 가능한 것인가를 찾아보고자 하는 최소한의 의지가 있다면, 과감히 우리의 사고구조나 패턴을 시급히 ‘소승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믿게 될 것이라 확신한다.

소승적인, 온전히 소승적인
왜냐하면 이 책은 한마디로 오늘의 현실불교학에 대해 다수가 느끼고 있는 알 수 없는 불만의 혐의가 ‘의심과 탐구’의 학문적 풍토가 결핍된 상황에 있는 것임을 파죽(破竹)의 문체로 주장하고, 설명하고,논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불교강원의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 자신이 전공하고 있는 인도불교학 연구의 현실에 대한 자기비판적 점검, 불타의 깨달음은 무엇인가에 대한 상투적 결론에 도전하는 경전적 증명논문 등을 통해 ‘의심과 탐구’라고 하는 ‘소승 아비달마적’ 태도가 얼마나 치열한 것인지를 확인시키고 있다.

이 책은 우리에게 ‘아비달마라고 하는 고정적·번쇄적·전문적인 훈고해석에 빠져버려 중생제도(衆生濟度)라는 불교 본래의 사명을 망각’(위키백과 한국어판의 ‘대승불교’에 대한 설명 중 일부)하였다고 하는 부파시대의 불교(학)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더불어 ‘대승불교’에 대한 막연한 선호가, 혹시 중생구제라고 하는 당위명제의 방패 뒤에 숨어 탐구의 치열성을 소실하고, ‘구호와 선전’에 안주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한 온상이 되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만들 것이다.

깨달음에 대한 여러 질문들
그렇지 않다면, 독자들이 진정한 대승예찬론자라고 한다면, 저자가 던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소승적인 방식은 물론이거니와 그것을 넘어서는 대승적인, 나아가 선적인 방식으로 명쾌하게 논증해야 할 것이다.

_무엇을 깨달아야 하는가? 왜 깨닫고자 하는가? 어떻게 깨달을 수 있는가?
_불타의 깨달음은 연기법인가, 아니면 사성제(혹은 3明)인가?
_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거짓이라면, 진실은 무엇이며, 거짓된 현실세계와의 관계는 무엇인가? 그런 진실을 어
떻게 하면 실현할(깨달을) 수 있을 것인가?
_찰나생멸하는 세계가 어떻게 인과상속의 지속적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_어떻게 진실의 무위가 허망의 유위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인가? 양자의 관계는 무엇인가?
_성문은 보살로 전향이 가능한가, 불가능한가?
_도대체 그(부파?)들 사이에 무엇이 문제였던가? 무엇이 문제였기에 그토록 오랜 세월동안, 그토록 많은 학파(종파)들과 사상들이 나타나고 사라졌던가?
_그들이 왜, 무엇 때문에 그 같은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논거를 제출하였는가?
_이른바 교상판석으로 일컬어진 문헌 비평은 수당시대는 물론이고 위진시대에도 존재하였거늘 하물며 오늘날에야 어떠해야 할 것인가?

필자는 저자가 글의 곳곳에서 위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 동시에 그에 대해 정연하게 논증한 바에 대해 열심히 읽기는 했다. 그러나 검은 것이 글씨이고 흰 것이 종이임을 알 뿐임을 통탄해야 할 형편인지라 일독을 하고 나서도 위의 질문에 답할 수준은 못된다.

이 서평을 통해 독자들이 직접 확인해 보시라 권유하는 것으로서 저자의 노고에 대해 보답할 따름이다. 다만, 필자가 이 책을 읽고 또 서평을 통해 공개적으로 일독을 권고하는 것은 저자에게 다소 ‘비학문적인 작업에 대한 공개적인 프러포즈’라는 목적이 있었으므로 그 일단에 대해 고백해야 하겠다.

친절한 불교학

권오민 교수는 이 책 제9장 <불타의 깨달음은 연기법인가?(2)>라는 논문에서 ‘다문의 성제자는 이러한 인연법(즉 연기법)과 연생법(즉 연이생법)을 바로 알고 관찰하여, ... “지금의 나(중생)는 어떠한 존재이며, 어떻게 지금 존재하게 된 것이며, .... 나는 어디서 왔으며, 죽은 후 어디로 갈 것인가?”라고 의심하지도 않는다.’라는 경설을 인용하여, 불타는 이와 같은 ‘유정의 의혹’을 제거하기 위해 12연기를 설하셨다고 설명하고 있다.

최재천 교수가 번역한『통섭』제12장(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p464)에서 에드워드 윌슨은, 고등 교육에서 교양 과목이 새로운 활력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의 특이한 열정적 활동의 의미와 목적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무엇이고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갈 것인가?’라고 쓰고 있다.

그리고 이런 주제에 대해 ‘스스로 오랫동안 무언가를 주장해온 신학’이 오히려 문제를 망쳐놓았고, 아직도 ‘석기 시대의 상식에 기반을 둔 규칙들에 저당 잡혀 있는 신학’은 이제 탐구의 문이 활짝 열린 실재 세계에 대한 위대한 노력들을 흡수 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있다.

물론 불타가 의심할 바 없이 밝게 알아 제거한 ‘유정의 의혹’과 윌슨이 제기하고 있는 ‘인간 존재의 근본 물음들’이 꼭 들어맞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불교학의 이 근본 물음들과 그에 대한 논증의 방식이 서구의 신학처럼 ‘석기 시대의 상식에 기반을 둔 규칙’들의 한계에 매이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필자는 저자의 초지일관된 주장인 ‘구호와 선전의 불교학’에 대한 경계가, 저자가 일종의 헤어나야 할 ‘주박呪縛’이라고 칭하는 것이, 현실불교학이 ‘석기 시대의 상식에 기반을 둔규칙’으로 퇴보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어떤 ‘불교학의 사명선언’처럼 들린다.

그러면서도, ‘인간 존재의 근본 물음들’을 ‘위에서 아래로 끌어내려 더 쉬운 언어로 다루어야하며, 각 조직 수준에서 과학과 인문학의 연합을 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윌슨의 이어지는 목소리가 거역할 수없는 무게로 다가온다. 권오민 교수는 ‘쉬운 불교학’에 대한 미련을 버리자고 하지만 필자는 ‘교양 수준의 불자’로서 그 주장에 백퍼센트 동의할 수 없다.

저자 스스로도 과거 경전결집에 대해 거론하면서 그것이 ‘출가수행자를 위한 기초교과서’(28쪽) 역할을 하도록 법수(法數)에 따른 정리 등 일정한 체계를 잡아 편찬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하고 있기도 한데 이는 가르치는 사람의 초심자를 위한 친절일 것이다.

또한 저자가 인도불교학의 현주소를 비판적으로 점검 하면서 ‘적어도 감이라도 잡을 수 있도록 목차와 역주가 첨부된 불교(혹은 인도철학) 제파의 불교 경론과 이에 근거한 군소리를 뺀 소상한 개론서(비록 ‘세미 학술서’일지라도)를 그들(후학)의 손에쥐어줘야 하지 않겠는가?‘하는 자탄과 다짐을 하고 있듯이, 어쩌면 우리는 ’진정으로 쉬운 불교학‘을 할 수 있는 수준에 있지 못한 것일 수도 있겠다 그래서 . 필자는 작은 제목으로 필자와 같은 교양수준의 불자에게도 ’친절한 불교학‘이었으면 하고 토를 달아본 것이다.

불교학의 리더십

끝으로 우리가 매우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 하나 있다고 본다. ‘불교학의 리더십’에 관한 문제다.

다시 말하자면 불교학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에 관한 문제다. 필자는 심오한 종교적, 철학적 제문제에 대해서 거론할 처지가 못되며 그러고 싶지도 않다. 다만 우리 사회에서 ‘불교학의 리더십’은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구축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현실적인 설계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서 저자가 제기하고 있는 다양한 물음들을 열거한 바와 같이, 여기 인류사의 위대한 유산인 주요 불교학파들의 중요 물음들이 있다. 그리고 우리 당대의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서 탐구하고자 하는 핵심적 물음들이 있다. 물론 이 물음들은 서로 일정한 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추구하는 미래 또는 다소 불확실하면서도 위험요소들을 포함하는 어떤 미래의제들이 있다.

자, 이 질문들을, 이 의제들을 어떻게 엮어갈 것인가? 이 질문들은 어로 어떤 연관성이 있을 것인가?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얼개를 먼저 탐구할 필요가 있다. 저자가 당대적인 ‘교상판석’에 대해 언급하였듯이, ‘출가수행자를 위한 기초교과서’로서의 다양한 갈래에 따른 경전 결집을 추론하듯이, 세미학술서를 언급하듯이.

어쩌면 불교와 불교학의 리더십은 팔만대장경(과거)의 물음들을 당대의 현실과 미래의 주체적 기획하에 재조직화함으로써, 현실 학문과 현실 사회에 새로운 질문을 발화시키는 촉매로서의 ‘창의발상지원시스템’을 학문적 혹은 매체(소통)적, 문화적으로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하는 문제일 수 있겠다. 불교교학적, 불교사학적, 응용불교학적 성과는 그 다음 문제다.
이런 학문적 성과가 어떻게 다양한 콘텐츠로 의미있게 생성되는가 하는 문제도 그 다음 문제일 것이다.

불교학의 상상력
필자는 종종 구글의 고급검색 초기 화면을 보면서, 그리고 그것을 통해 어떤 정보들을 검색하는 실험을 하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미래연구자들은 조만간에 정확도에서 획기적인 검색법이 구글을 통해 등장할 것이라고 한다.

검색. 그렇다 단순한 검색이다. 그러나 어떻게 해야 지금은 30%정도의 쓸모없는 정보가 동시에 끼어들어오는 불충분한 검색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구글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한번 깊이 고민해 볼만한 문제다.

검색 엔진을 고만하자는 것이 아니다. 앞서 제기한 질문(물음, 의심)의 (방법들의) 갈래와 이의 과거(불교학)-당대-미래적 연결지점들을 탐구해 보자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불교의 검색엔진이며 당대적 교상판석의 방법이 아닐까? 필자는 이 문제에 대해 불교학자와 불교인 스스로의 머리고 생각하고 가장 정확한 답을 찾아가는 방법의 얼개를 짜는 작업을 ‘소승 아비달마 불교학자’(!)인 저자에게 제안하고 싶다.

갈망하자면 올 무더운 여름방학을 통해 그 작업에 어느 정도 희망과 가능성의 싹을 보았으면 한다.

끝으로 김춘수 시인의 <꽃>이란 시의 한 대목. ‘내가 그의 이름이 불러 주기 전에는 / 그는 다만 /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 내가 그의 이름이 불러 주었을 때 /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불교학은 때로 의심과 탐구이면서도 또한 시적인 상상력이기도 하다. 불교학은 아름답다.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

댓글 2
히망슈 2010-04-24 22:43:28
근데
저 질문이란 것들도 하나같이 밥이되오? 돈이 되겠오?
 

히망슈 2010-04-24 22:41:12
법정 스님의 글을 보면 느낌으로도 오고 그 분이 머무르,ㄴ 시선에 다가 가지기도 하고
혼자 앉아 골똘히 사유했을 그 세계에도 반응해지고... 하여간 편안하게 때롤 잔잔하게
혹은 맑아지기도 같이 깨어나기도 하는 맛이 있는데요.
하여간 무슨 낱말만 잔뜩 나열하는거요??? 글 좀 쉽게 써 보아요!!!

한국불교학 그 반성과 전망 / 이혜숙 -동국대학교의 현행 교과를 중심으로 2000년

불교평론



한국불교학 그 반성과 전망 / 이혜숙

-동국대학교의 현행 교과를 중심으로

[5호] 2000년 12월 10일 (일) 이혜숙  동국대 강사





1. 들어가는 말



불교학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간간이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그 포괄적인 반성과 답에 접근해 가는 방식은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타의 종교학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는가 비교하는 입장에서도 가능할 것이고, 불교교리의 해석이 자체적으로 안내하는 것들을 따라가는 방식, 혹은 아주 경험적으로 기존의 불교교육과정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들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접근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 전문교육과정의 하나인 대학에서 전공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것들이 불교학의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고는 볼 수 없지만, 중요성 인정도(認定度)의 우선순위를 생각할 때 그것들이 비교우위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분명하다.



다시 말하면 가장 오랜 전통의 불교학 산실인 동국대학교 불교학부와 대학원의 교과들을 검토해보면 이 시점에서 한국불교학이 중요시하는 대강의 내용들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자료들을 가지고 필자는 기타의 종교학과 비교를 해보기도 하고, 불교교리에 입각한 검토, 더 나아가서는 소비자주의 불교학이라 할까, 불교인으로서 자유로이 불교를 향하여 묻고 싶은 질문들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불교학의 내용과 보완의 과제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2. 동국대 불교학의 교과목과 연구경향



우선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불교학 전공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1) 각주 1)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2000학년도 신입생 교과안내 자료.



1학년에 인도불교사,

2학년 기초교육과정에는 초기불교, 중국불교사, 종교학, 불교경전의 이해, 불교원전 강독, 계율학, 아비달마불교, 대승불교, 한국불교사(삼국), 한문불전강독,

3, 4학년 전문교육과정에는 한국불교사(고려, 조선), 중관학, 유식학, 정토학, 화엄학, 한국불교사상, 동아시아불교, 불교윤리학, 중국불교철학, 천태학, 밀교, 불교교리사, 불교사회경제론, 세계종교사, 전법교화론 등이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의 &lsquo;불교사학 전공&rsquo; &lsquo;불교교학 전공&rsquo; &lsquo;응용불교학 전공&rsquo;을 망라하여 개설된 교과목을 보면 다음과 같다.2) 각주2) http://www.dogguk.ac.kr/DGUH/에서 인용. 2000년 11월 현재.



석사과정을 위해서는,

근본불교 연구, 신라불교사 연구, 부파불교 연구, 선사상 연구, 반야사상 연구, 중국불교사 연구, 일본불교사 연구, 한국불교사상 연구, 남방불교사 연구, 서장어 불전 연구, 고려불교사 연구, 중관사상 연구, 천태사상 연구, 불전성립사 연구, 밀교사상 연구, 인도불교사 연구, 범어 불전연습, 여래장사상 연구, 대승불교 연구, 불교교단사 연구, 조선불교사 연구, 유식철학 연구, 화엄철학 연구, 대승불교성립사 연구, 정토사상 연구, 계율사상 연구, 팔리어 불전연습, 삼론학 연구, 법화사상 연구, 중국불교사상 연구, 포교학 연구, 불교사회복지학 연구, 불교서지학 연구, 비교종교학 연구, 불교사회학, 불교경제학, 종교교육학 연구, 불교윤리학 연구, 불교의 여성 연구, 불교고고학 연구가 있다.



박사과정을 위해서는,



신라불교사 특강, 근본불교 특강, 정토사상 특강, 불전성립사 특강, 반야사상 특강, 계율사상 특강, 한국불교사상 특강, 서장어 불전 특강, 삼국불교사 특강, 부파불교 특강, 천태사상 특강, 중국불교사 특강, 여래장사상 특강, 범어 불전 특강, 한국근대불교사 특강, 삼론학 특강, 대승불교 특강, 고려불교사 특강, 밀교사상 특강, 화엄철학 특강, 팔리어 불전 특강, 일본불교 특강, 중국불교사상 특강, 유식철학 특강, 조선불교사 특강, 중관사상 특강, 선사상 특강, 법화사상 특강, 불교교류사 특강, 서역불교사 특강, 인도불교사 특강, 비교종교학 특강, 불교사회학 특강, 포교학 특강, 불교사회복지학 특강, 불교서지학 특강, 불교고고학 특강, 불교예술 특강, 사원경제 특강 등 총 79여 개의 교과가 개설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들의 상하단계나 상호관련 등 그 내용을 돌아보는 것은 본고의 예정된 범위를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다만 그 이름들을 주의해 보자. 아울러 국내 기독교대학의 예를 들어 비교해볼까 하는데, 학부의 교과들보다는 대학원과정에 개설된 것들이 연구의 중심과제가 되고 그만큼 비중이 있는 것이므로 대학원 교과를 주로 살펴본다.



연세대학교 학부 신학과의 경우3) 특기할 만한 것으로서는 채플, 현대신학사, 신학실천(1)과 (2), 영어 신학원강, 실용영어, 교회와 사회, 사회윤리의 신학적 배경, 최근의 신학, 교육현장론, 목회학 등이 있다. 흔히 예상되는 신약, 구약개론 등의 기독교교과 이외에 필자의 주관적인 기준에서 앞서 소개된 교과들에 주목하는 이유는 나중에 소개하겠다. 각주3) http://www.yonsei.ac.kr의 대학 및 대학원소개 자료 인용. 2000년 10월 현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는 석사, 박사과정을 망라하여 구약학,신약학,조직신학,세계교회사,기독교윤리학,기독교교육학,종교학,실천신학의 세분된 전공 아래 개설된 과목들은 다음과 같다.



구약학 방법론, 이스라엘 역사, 구약원전, 구약학사, 이스라엘 종교, 성서 지리학, 구약과 고대근동세계, 역대기역사, 구약신약 중간사, 신약의 종말론, 신약 원전, 신약 배경사, 마가복음서 세미나, 계시록, 로마서 세미나, 신약본문 비평, 신약기독론, 신약체계론, 현대신학 동향, 신론 연구, 기독론, 초급 라틴어, 고급 라틴어, 교부신학, 중세신학사, 종교개혁사, 현대신학사, 역사방법론, 성령론 연구, 성례론 연구, 창조론 연구, 이데올로기와 기독교, 기독교 윤리학 방법론, 기독교윤리의 성서적 기초, 기독교윤리체계, 기독교 사회윤리의 연구, 기독교 개인윤리, 기독교 윤리사상사, 기독교 교육 교수학습론, 기독교교육학 연구방법론, 종교심리학, 그룹 다이나믹스, 기독교 청소년교육, 성년기 기독교교육, 교회와 커뮤니케이션, 기독교 교육과정, 기독교 교육철학, 한국종교사, 종교사회학, 종교학방법론, 구약신학, 구약고고학, 오경연구, 예언서 해석, 아람어, 이사야 연구, 예레미야 연구, 에스겔 연구, 요한복음서 세미나, 신약학사, 신약 해석학, 예수의 비유, 갈라디아서 세미나, 고린도 후서, 마태복음서 세미나, 신약고고학, 신학인식론, 인간론, 구속론, 종교철학, 한국기독교회사, 이단분파사, 현대교회사, 퓨리터니즘 연구, 상황 윤리, 신학적 윤리, 기독교와 공산주의, 기독교윤리와 정치, 신약의 윤리, 기독교교육신학, 목회상담 연구, 기독교 교육사, 종교 예술, 교회 음악, 기독교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 기독교교육의 현장론, 기독교교육 행정연구, 한국 샤머니즘, 세계종교사, 한국신흥종교, 유교 연구, 불교연구, 기독교와 타종교, 연구지도 1, 창세기 연구, 지혜문학 해석, 시편 연구, 사해 사본연구, 고대근동의 종교, 포로기와 회복기의 역사, 바울서 신해석, 공관복음서 연구, 원시공동체의 윤리, 폴틸리히 신학연구, 칼바르트 신학연구, 철학과 신학, 현대 역사신학연구, 교회론, 이레니우스와 어거스틴의 구속사 연구, 보나벤투라와 아퀴나스 연구, 단테와 마셀리우스 연구, 루터와 칼빈신학 연구, 웨슬리와 에드워즈신학 연구, 교회와 국가, 사회윤리 방법론, 현대과학기술과 인간의 가치, 세례론,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제, 민간 신앙, 종교적 언어연구, 신화학, 신명기와 신명기역사 연구, 구약 해석학, 포로기 예언자 연구, 구약외경 연구, 묵시문학 연구, 구약성서 본문비평, 신약 신학 세미나, 사도행전 연구, 히브리서 연구, 불트만 연구, 누가복음서 세미나, 계시론 연구, 삼위일체론 연구, 현대종말론 비교연구, 의인론 연구, 실존론적 신학 연구, 변증법적 신학 연구, 해석학적 신학, 최근의 신학1, 최근의 신학2, 선교신학, 현대신학 세미나1, 현대신학 세미나2, 미국 신학사, 한국신학사 연구, 에큐메닉스 세미나, 현대기독교윤리학, 현대사회와 윤리문제 세미나, 에큐메니칼 윤리, 설교학, 예배학, 기독교교육 세미나, 원시종교론, 현대문명과 종교, 신비주의 연구, 이슬람 연구, 도교 연구, 연구지도2 등 총 160 여개의 교과목이 열려 있다.



다소 지루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신학 전공의 교과목을 낱낱이 나열한 것은 그 특정 대학의 편성이 우리에게 학문적으로 모델시될 이유가 있어서는 결코 아니다.



다만 어느 점에서의 차이가 있음을 주목하고자 한다. 필자의 임의로 고딕체로 강조한 교과목들과 함께 다른 기독교대학원의 전공교과들을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의 목회지도자 과정과 평신도지도자 과정이 신학,상담,교육,선교 목회,임상목회,목회상담전문,으로 나누어져 있음을 볼 필요가 있고, 성공회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에는 기본적인 성서신학, 교회사, 조직신학, 윤리신학, 선교신학, 목회실천신학의 전공교과들 이외에 환경윤리 세미나, 의료윤리 세미나, 대중문화와 기독교 세미나, 기독교와 사회복지 세미나, 민중신학 세미나, 제3세계 신학 세미나 등을 개설하거나 개설 예정으로 있음을 본다.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에는 기독교 신학과와 목회상담학과, 기독교사회학과, 기독교문화학과 등이 있는데, 기초공통과목으로서 현대신학의 동향,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제, 현대사회와 기독교윤리가 개설되어 있다.4) 각주4) http://www.sgcs.soongsil.ac.kr 자료 인용. 2000년 10월 현재.



전공필수과목으로서는 각각 오늘날의 개혁신학, 성경신학, 영성신학, 기독교사회학, 사회사상사 혹은 현대사회학이론, 한국교회와 사회, 목회상담자의 정신건강, 상담의 이론과 실제,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등이 있다.



그 밖에 선택과목들로 특기할 것은 신학적 해석학, 생명신학, 교회성장신학, 신학자 연구, 21세기 기독교와 타종교, 과학기술과 기독교신앙, 기독교문화 신학, 영적 각성운동 연구, 가족문제와 목회상담, 청소년문제와 목회상담, 성격이론과 목회상담, 위기상담의 이론과 실제, 이상심리와 치유목회, 정신역동이론과 목회상담, 체계이론과 목회상담, 실존주의상담과 목회, 현대상담기법과 목회상담, 기독교와 생명윤리(평화, 환경, 여성), 현대문화와 종교, 기독교심리학, 사회문제와 사회조사, 한국사회연구(도시, 농촌, 산업), 사회봉사학, 교회와 사회사업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불교학부에서부터 석사, 박사과정을 거치면서 듣게 되는 과목들은 예를 들면, 학부에서는 인도불교사로, 석사과정에서는 인도불교사 연구로, 박사과정에서는 인도불교사 특강과 같은 식으로 편성되어 있다. 교과의 이름이 비슷해서 내용이 같으리라고 무조건 단정하고 비판하려는 것이 아니다. 대학원 강의는 전임교원만 할 수 있다는 규정과, 학부의 전공교과들도 전임교원들이 거의 하게 되기 때문에 같은 전공분야에서 다른 강사들에게 강의를 들어볼 기회 같은 것은 아예 기대할 수가 없다.



학부에서 박사에 이르는 전체 연구과정에서 비슷한 교과를 한 전임자가 담당함으로써 신선한 학문적 자극이나 비판을 포함한 교육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우선 외견상으로 교과이름이 근대 감각적(?)인 점이나 그 내용은 차치하고, 선택의 폭을 비교하더라도, 연세대의 경우는 석사, 박사를 망라하여 160여 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고 동국대의 경우는 80개 정도라는 것이 주목된다.



이상을 통해서 볼 때 필자로서는, 동국대학교 불교학 연구교과들과 신학대 교과목들 사이에서 중요시되는 몇 가지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불교학 교과목들의 경우, 한국의 현재를 살고 있는 불교&rsquo;로서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반영하는 면에서 미흡한 점이 크게 문제라고 생각된다. 동국대 대학원 불교학과의 교과 가운데서 오늘날을 암시 혹은 명시한 교과목은 거의 찾을 수 없고 한국을 명시한 경우에도 &lsquo;불교사를 수식하는 말일 뿐, 오늘날 한국불교 혹은 오늘날 한국불교의 현실인식과 대응 나아가오늘날 불교학 등등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삼는 연구나 교과가 소개되지 않고 있다.



둘째로는, 불교학 방법론에 관한 교과가 없다는 점이다. 혹자는, 오늘날의 모든 학부가 교양과정 수준이라고들 말하지만, 적어도 대학원 수준에 이르면 학문적 방법론이 소개되고 검토되는 것은 필수여야 하지 않은가 싶다. 방법론 연구란 학문의 초입에서 장차 그러한 연구과제와 연구도구들을 선택하게 될 이유를 밝혀주고, 중도마다 연구자의 입지를 설명하는 객관적 안내표지라고도 할 것이다.



불교학도들이 지금껏 배우고 가르쳐온 과정에 대한 평가와 반성이 쌓여 있다면 그것이 방법론 연구로 벌써 체계를 이루었을 것이라고 본다. 지금의 불교학도는 각자 학문적 목적지 말하자면 인도불교, 중국불교, 한국불교, 천태학, 화엄학 등등의 전공분야를 향해 가되, 어떤 경로로 어떤 방법으로 가고 있는지를 묻지도, 알지도 못한 채 그저 가고 있을 뿐이다.



셋째로, 고금을 막론하고 불교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교와 상호작용을 하는 환경적, 반응적 요소들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야 한다는 것이 깊게 고려되지 않는 교육과정들이다. 현재의 불교학 교과들은 주로 불교원론 자체와 그 해석 및 적용의 역사를 소개하고 있는데, 물론 그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오늘의 전반적인 상황을 포함한 조건아래서 그 해석과 적용을 가르치고 보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앞서도 말했듯이 단순히 숫자상으로 불교학 석사, 박사과정에서는 80개 교과목, 연세대 신학과의 석사, 박사과정에는 160여 개의 교과목이 크게 비교되는 것이 아니다. 내용적으로도 기독교신학과정에 불교, 유교, 이슬람, 도교, 민중신앙, 샤머니즘 등 다양한 종교 그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이념들, 문화적 특성, 문제들, 전망과 대안들을 연구케 하는 배경과 이유에 관해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넷째로, 기독교신학 교육과정에서는 윤리와 사회적 실천에 관한 내용들이 불교학과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편이다. 기독교 사회윤리, 기독교 개인윤리, 기독교 윤리체계, 기독교 윤리사상, 윤리방법론, 교회와 국가 등 이외에도 구체적인 실천을 위하여 대상인구별로, 대상문제별로 개입하는 목회상담학이 독립되다시피 하여 있다. 설교학, 예배학, 교육현장론, 상담학 등등 다양하게 세분되어, 기독교와 신학이 사회적 실천의 전문화를 지향하는 것이 느껴진다.



3. 불교교의에 의한 보완과제



거듭 강조하거니와, 현행 불교학의 교과목들과 전공분야 보완의 필요성은 서구학, 신학과의 비교에만 근거하는 주장이 아니다. 종교는, 특히 불교는 실천을 기본 조건으로 하고 있다.



불교교의의 도처에서 실천행을 강조하고 그같은 취지의 교설이 대부분이지만, 그 중에 간단하고도 체계적인 교학용어로서 신(信)-해(解)-행(行)-증(證)을 예로 들 수 있겠다.



불교학은 말하자면 불교인이 경율론(經律論) 삼장(三藏)을 주교재로 하여 계정혜(戒定慧)의 삼학(三學)을 대상목표로 삼고, 그 가르침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고(信), 이해를 참구(參究)하여(解), 배운 바를 실천으로 구현하고(行), 마침내 목표에 적중한 경지에 이르게 되는(證) 전과정이 교학의 일차적인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일차적>이라는 표현은 다름아니라 개개인의 내적인 경험과 그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의 과제를 우선 생각하는 말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는다는 것은 마음의 어떤 상태인가? 자타간에 신심의 정도는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가? 그것은 지속적인가 어떤가? 교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지적인 경험인가? 무엇이 교의의 핵심이며 교리를 어떻게 올바로 이해하였다고 보는가?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상징체계들을 충분히 이해하는가? 불교적 신앙행위의 선택을 어떻게 결정하는가? 믿음이나 이해와 그 행위 사이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검증하는가? 불교적 수용이나 경지의 증득은 어떻게 측정할까? 어떻게 입증할까?



신해행증에 관련하는 이같은 질문들이 학문으로서 불교를 풀어나갈 실마리가 된다고 본다. 예컨대 <중관사상 연구>라는 교과는, 부처님의 중도교의로부터 용수 등에 의한 신해행증의 틀을 거쳐 발달된 사상체계로 소개될 뿐만 아니라, 오늘 학습자 중심의 신해행증에 의해서 다시금 해석 수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물론 그것은 불교수행자의 입장에서와 같이 호교적(護敎的)일 수도 있고 혹은 비교종교학과 같은 객관적 시각으로 불교를 이해하는 경우일지라도 학문으로서는 기여하는 바가 있다.



다음으로 불교연구의 역사적 접근방법이 곧 불교사학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일정한 기간의 역사적 발전을 통해서 불교사상과 제도의 기원과 성장을 추적하고 그 기간 동안에 불교가 수행해온 힘과 역할들을 측정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흔히 고고학적 문헌학적 연구에 기초하여 과거를 재현하고 해석하는 데 필요한 자료가 수집된다.5)



초전법륜 이래 오늘에 이르도록 모든 개개인들에 의한 신해행증의 과정이 집단적 사회적으로 확대되고 시대적으로 끊임없이 이어져 불교역사를 이루므로 그로써 불교사학의 연구대상이 성립되는 것이다. 현재 <불교교학 전공><불교사학 전공>,<응용불교학 전공>의 세 분야로 나뉘어 있는 불교학 연구과정을 생각해보면, 위에서처럼 불교의 전모(全貌)인 신해행증을 하나의 분석틀로 삼아서 각기 교학과 사학전공의 과제들을 연구할 수 있다.



거기다가 <응용불교학 전공>은 신해행증의 종교현상학적, 종교사회학적 접근을 내포하게 될 것이다. 모든 종류의 경험과 마찬가지로 종교경험은 반드시 표현되고자 하는 것6)으로서, 그 표현의 집단화, 사회화를 종교현상학 혹은 종교사회학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각주 6) 김종서 역 , 앞의 책, p.122.



가장 최근의 명명을 얻은 <응용불교학 전공>에서는, 기독교의 경우 성서해석신학과 역사학 이외의 대사회윤리적 개입과 교회의 경영, 조직화, 목회상담기술, 실천신학, 각종 사회문화적 현안들에 대한 전망이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개설되고 있음을 참고해볼 수 있다.



위에 소개된 신학의 교과목들 가운데 필자가 임의로 고딕체를 사용해 강조한 것들을 다시 참고하기 바란다. 불교의 가르침을 믿고 이해하고 그대로 실행한다면 그 결과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서 어떤 현상들을 나타내게 될 것인가? 당대 불교인들의 행동양식을 분석하고 있는가? 오늘의 불교문화는 무엇인가, 그것은 불교의 어떤 교의를 믿고 이해하였음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는가? 신해행증의 총체적인 현상인 소위 불교계는 어떻게 연구되고 측정되며 해석될 수 있는가? 불교계 내부의 특징적 현상과 불교계 외부를 향한 대사회적 반영들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현대불교의 당면한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내용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축적됨으로써 후대를 위한 사료를 구축하는 길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현행 교과들은 불교의 위와 같은 현상학적, 사회학적 연구를 이끌어갈 만큼 충분히 다양하게 개설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불교계 안팎을 향한 불교인의 현재의 인식과 주장, 행동양태를 담아내고 그것을 연구, 해석해보려는 불교학 분야는 미흡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4. 불교계, 불교학계 상의성에 의한 연구과제



필자는 앞에서 불교교의가 그 어떤 종교보다도 수행의 실천성을 강조하고 본령으로 삼는다는 이해에 근거해서, 불교학의 많은 분야들이 그러한 실천의 내용을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나아가서는 불교계와 불교학계의 상호의존적 관계 즉 연기법적(緣起法的)인 상호관련을 규명하고 반영하는 연구가 불교학의 필수분야가 아닐 수 없다고 본다.



모든 현상은 예외 없이 인과(因果)의 규칙에 적용되며 상호연(相互緣)하는 법을 핵심으로 삼는 불교와 그에 관한 불교학이, 인과로서의 불교문화와 상호연하는 법계, 장(場)으로서의 사회현실을 연구대상으로 중요시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창조주의 절대의지 아래 종속되는 인간관, 세계관을 가진 여타의 종교보다도 오히려 현실연구와 해석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오늘날 불교학의 경향조차도 하나의 연구과제가 된다.



갖가지의 원리와 신념 그리고 그와 관련한 현상 사이에서 연결고리가 되는 것이 학문이 아니고 무엇인가. 구성되어진 세계에 대한 의도적인 개념(intentional conception)을 전제로 하여, 그 의도적인 세계의 원리는 주체와 객체, 인간과 사회문화적 환경이 서로의 정체성에 스며들어 상호의존적이며 상호간 어떤 측면도 다른 쪽에 대한 설명 없이는 정의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모든 인간의 주관성과 정신적 삶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도출된 의미와 자원을 이해하는 과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는 과정을 통해 수정되어진다7)는 것이다.각주 7) Richard A. Shweder, 김의철, 박영신 역, 《문화와 사고》(교육과학사, 1997), pp.79&sim;80.



이를 불교적으로 말하면 인과와 연기법의 구현이면서 객관적으로는 불교학이라고 하는 것이 초점을 두어야 할 과제들의 속성이다. 이에 관련한 사회과학적 연구이론 가운데서는 무엇보다도 체계론(Systems Theory)적 관점이 불교적 세계관에 매우 근접해 보이는데, 가장 기초적인 체계관의 하나로서 아더 케슬러(Arthur Koestler)의 &lsquo;홀론(Holon)&rsquo; 개념을 살펴보자.



그의 용어 &lsquo;홀론&rsquo;은 각 사회적 체계가 크든 작든, 단순하든 복잡하든, 하나의 부분임과 동시에 하나의 전체라는 생각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되었고, 이것이 나아가 인간사 즉 인간행동과 사회현상들의 인과망(causal network)은 일방적, 단선적 인과관계가 아니라 훨씬 복합적이며 다양한 방향성을 가진다8)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각주8) Ralph E. Anderson/Irl Carter, 장인협 외 4인 공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집문당, 1991), pp.26&sim;28.



이러한 관점은 자연과학적, 생태학적 연구에서 지지되어 왔고, 나아가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의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으로 소개되어 왔다.



소위 체계론적 연구 패러다임을 여기서 강조하는 이유는 그것이 유행하는 혹은 앞서가는 서구학의 방법론이기 때문이 아니라, 주지하다시피 불교의 연기와 화엄, 인드라망 등의 세계 개념들과 밀접하게 상통하는 관점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세계관이 불교인인 우리에게는 그다지 새로운 개념이 아니더라도, 오늘의 불교학이 현실의 그 묵은 원칙들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면 다시 한 번 더 강조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불교교학전공><불교사학전공>등에서도, 말하자면 불교 원리와 현상 사이의 상호체계적 관련성을 토대로 하는 연구와 이해가 구비되었어야 할 것이며, <응용불교학전공>에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겠다. 불교계, 불교학계는 끊임없이 상호간 환류(feedback)를 담보로 발전한다는 것이 깊이 이해되고 반영되어야 한다.



주시하는 초점의 위치에 따라서는 두 체계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전체계가 되는 여러 가지의 체계들, 예를 들면 불교계 현실과 불교학계라는 두 체계 사이에서 상호환류야말로 자기수정행태(self-correcting behavior)의 핵심이 된다. 환류에 의해서 체계들은 환경적 요동이나 내부적 기능저하로 인해서 생기는 궤도의 이탈을 배제할 수 있고, 내부적 상태와 주변상황을 알려주는 지속적 정보에 비추어서 내부적 환경을 규제함으로써 자체규제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9) 각주 9) 이용필, 《사회과학연구와 새로운 패러다임》(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p.19.



<응용불교학>과 같은 영역이 불교학의 주변학이거나 잡학(雜學)이 아니라 그 핵심으로 평가되고 인식되어야 한다는 점을 말하기 위하여, 필자는 연기법이라는 불교 근본교의와 사회체계론이라는 일반학의 관점을 동원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도 자칫하면 학문이라는 것이 실천적 삶보다 이론을 우위에 두고 행동적 삶보다 사변적 삶을 우위에 두는,10) 혹은 이론 구성을 위한 이론으로 변질하게 될 수도 있음을 기본적으로 경계한다. 각주 10) 최종욱, 〈인문과학 위기에 대한 담론분석을 위한 시론〉,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재와 미래》(학술단체협의회 편, 도서출판 푸른 솔, 1998), p.336 참고.



그러므로 기존 학문분야의 이론 틀에 의해서 미리 제한된 가운데 연역적으로만 연구과제를 선정하지 않도록, 불교 원리와 불교문화현상이 수평적으로 대등한 관계로 취급, 연구되도록, 개인적 집단적 불교인의 생활체험들이 불교학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도록, 연구자들 스스로가 개방적인 관점에로의 문제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즉 순수히 경험에 의한 질문과 담론들 가운데서도 불교학의 연구과제를 삼을 수가 있다. 오늘의 한국불교인은 자기 정체성을 어떻게 가지고 있을까?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현실을 대하며 불교적 신행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불교인의 문화는 무엇인가? 불교인 개인 혹은 집단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어떻게 정립하는가? 불교계 문화와 산업현장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 안에서 산출되는 것을 개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어떠한가? 불교시민단체들의 지향점과 역량은 어떠한가? 종단들의 정치적인 행태에 대하여 불교인의 인식은 어떠한가? 불교인으로서 과거의 반성과 미래의 전망은 어떠한가?



이같은 질문과 연구들은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묻고 답하여 <오늘의 불교>를 대내외적으로, 국제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자료로서 충실하게 결집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5. 불교학 보충 교과의 제안



여기서는 필자가 임의로 자유롭게 어떤 교과목들이 더 보충되기를 바라는지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현행의 교과목들 안에서도 부분적으로 이미 논의되고 있을 주제인지도 모르겠으나, 부분적 논의와 독립된 연구과제로 교과목을 삼는다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본다.



첫째, 불교교의의 이해와 전달에 관련하여 우리의 정황 및 문화환경을 반영하는 교과들을 생각해보자. 이러한 교과들을 더 배움으로써 불교를 수용하기에 혹은 전달하기에 더 수월한 폭넓은 언어와 사고, 상징, 개념적 도구들이 동원될 수 있다. 어떻게 하든지 세계와 인간, 현실 등을 읽는 불교 내적 개념과 불교 외적 개념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지금보다는 원활히 해야 한다고 본다.



시대를 초월한 혹은 통시대적인 개념들, 불교계 안에서조차도 통할까 말까 하는 그런 투의 교과서적인 언어와 인용들을 고집함으로써 불교를 유물처럼 만드는 불교학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해석상의 용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교리 이해의 출발선인 학습자나 연구자의 관점과 시야가 자기모순에 빠지거나 편협하지 않고 탄력적으로 작동되도록 정지작업을 돕는 교과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불교와 서양철학, 불교와 동양철학, 불교와 심리학, 불교와 정신과학, 불교와 생명 및 물리학, 불교와 자본주의, 불교와 사회주의, 불교와 민주주의, 불교와 생태환경, 불교와 과학문명, 불교와 인간행동론, 불교와 사회문제론, 불교와 시장경제론, 불교와 경영 세계화, 불교와 정보이론, 불교와 현대문화, 불교와 대중문화, 불교와 예술, 불교와 문학, 불교와 음악 등이다.



둘째, 불교학을 비롯한 인문사회학 분야의 산학협동이라는 과제를 생각해 보자. 이론의 불교학이나 과거의 경험들을 표본 채집한 보존용 전시용 불교학이 아니라 지금 살아 움직이는, 숨쉬는 불교의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학문이라는 이름 아래 오늘의 것을 잘 선정, 종합해서 내일의 학습자들이 새롭게 배우고 가르칠 내용을 남겨 주어야 할 책임이 이 시대의 불교학자에게 있다.



불교계 현장과 연계된 교과들로서는, 사찰의 경영관리 부문을 위한 종단 및 사원경영, 신도 관리와 조직화, 사원경제 생산성 연구, 불교 매스컴, 불교계 문화산업, 불교의례연구, 사찰 종무행정 실습, 사원문화의 이해(복식, 음식, 주거양태 등), 불교문화재의 관리, 사원의 건축과 조경 등이 있겠다.



불교인의 신행실천에 관련해서는 불교인 연구, 수행자론, 사회복지론, 자원봉사론, 지역사회 시민운동론(NGO), 불교 신행단체의 실제, 유식과 인지치료, 선과 정신치료, 승가와 집단지도(group work), 승가의 이해, 의사소통기술, 리더쉽 훈련, 신행단체 및 조직의 인턴쉽 등의 교육과 개발이 필요하겠다. 포교 부문을 위해서는 포교매체론, 법회 기획론, 설법 방법론, 상담의 기법, 대인관계 기술훈련, 사회문제 연구, 청소년문제 연구, 가족문제 연구, 사회조사방법론, 불교교육현장의 이해, 불교계 자원의 이해 등등을 생각해 본다.



이러한 교과명들을 보면 틀림없이 누군가는 <불교 잡탕학>이라거나 혹은 그게 무슨 학문 과제가 될 수 있느냐고 평가절하할지도 모른다. 현실적으로 지금 어떤 교과들이 개설될 수 있는지, 누가 그것을 담당할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이다. 어쨌든 불교학이 지금의 불교계 현실을 담아내는 그릇으로서의 불교학이 아니라면, 불교원론의 연구나 남겨진 자료들로 역사적 접근에 치중하는 것이라면, 결국 불교학의 현재도 미래도 결코 밝지 않을 것이다.



교과 보완과 관련한 마지막 제안은, 소비자주의 불교학이라고나 할까, 동국대학교 혹은 기타의 불교학 전공생들이 졸업하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무엇을 하면 좋을까, 무엇을 해야 할까를 미리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학문이나 교육의 목표 중에 하나는, 분명 실질적으로 그 정보와 지식으로써 장차 직업을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기도 하다.



행여라도 급속도로 변화하는 이 세상의 지식 수요와 학습자의 지적 욕구를 무시한 채, 선행 연구자 혹은 교수자로서 겨우 자기만족적으로 자기류의 정보만을 학습자에게 강제하는 일은 늘 경계되어야 할 것이다. 불교학 전공을 마치면 이론 연구자의 길만이 아니라 불교계 현장 실천가, 실무종사자가 될 수도 있고 더욱이 현재로서는 그런 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이미 불교계 언론에서 언급된 바도 있듯이11) 사찰 종무원이든, 불교계 사업장이든 소위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각주 11) <교계 전문인력난>〈불교신문〉, 제1780호, 1면(2000년 8월 29일자) 참고.



이 사회에서 불교계는 그 크기를 보더라도 방대한 현장이고, 내용상으로 보더라도 일련의 특수성이 있으므로 그에 맞는 인력이 전문교육을 통해서 길러져야 한다. 불교계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소개하고 그런 이해 위에서 장차의 일과 불교문화, 불교계를 창출하도록 안내하는 것 역시 학교의 역할이 아닐 수 없다. 불교학에 벤처 정신은 없는 것인가.



다시금 학문이란 무엇인가를 되새겨보자. 학문이 현실적인 문제들에 관하여 어떤 입장을 가져야 하는지, 현실적으로 사회변화의 속도와 방향에 관련하여 종래의 불교학은 무엇을 하였는지, 못하였는지 객관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포괄적으로 말하자면, 학문은 우리의 삶으로부터 출발하되 나아가 더 나은 삶을 목표로 추진되는 독특한 작업이라 할 것이다.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원리와 그 적용 사이에서 시간과 정력을 바쳐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찾으려는 모든 구성원들의 생명현상의 반영이 바로 학문이 아닐까? 지금 한국불교학에 불교인의 삶은 살아 있는가? <끝>



이혜숙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철학박사. 미국 Kansas 대학교 사회복지학부 visiting scholar, 이화대학교 사회복지 석사. 현재 동국대 강사, 종교사회복지연구소장. 옮긴 책으로 《불교사회복지학》 등이 있다.

ⓒ 불교평론(http://www.budreview.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 출판부 - 불교신문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 출판부 - 불교신문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 출판부





승인 2006.12.06 00:00



“불문에 드는 초심자 꼭 읽어라”



불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찾는 것이 입문서나 개론서다. 불교 전반을 보여주는 개론서 중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하는 책이 동국대 출판부에서 펴낸 〈불교학 개론〉이다. 이 책은 조계종립 학교에 입학한 학생이면 누구나 배우고 수강하는 교과서다. 필수 교과서에 걸맞게 이 책은 불교에 첫 발을 디딘 사람들을 제대로 인도한다.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들이 모두 나서 편찬한 〈불교학 개론〉은 부처님의 생애, 근본교설, 아비달마교학, 대승불교, 교단의 형성과 생활, 대승사상의 전개 등 교리부분과 서론, 불교와 현대사회 등 모두 8장으로 이루어져있다.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교과서로 만들었기 때문에 입문서 보다는 내용이 어렵고 교리 설명이 자세하다. 이 때문에 불교교양대학에서도 이 책을 필수과목에 빠지지 않고 포함시킨다.



불교는 팔만사천 경전이 말하듯 내용이 광범위하고 어떤 부분은 서로 상반된 내용이 함께 들어 있기도 해 지침서가 없이 곧바로 빠져드는 것은 위험하다. 무엇보다 서양 사상 체계가 중심인 제도권 교육에 길들여진 학생들은 불교교리 설명이 쉽게 납득이 되지 않는다. 한문과 범어로 이루어진 낯선 단어들 역시 불교를 친숙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점은 〈불교학 개론〉을 접하면서도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다. 〈불교학 개론〉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느끼는 공통된 점은 ‘혼란’이다. 워낙 생경하고 낯선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우리 교육이 불교나 동양 사상에 대해 소홀한 까닭이다. 따라서 이 책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 그룹을 엮어 ‘스터디’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모르는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스승’을 모시고 공부하면 더 낫다.



종립대학 필수 교양서적으로 정평



방향 정립과 오류 수정하는 지침서



과거 학생들 사이에는 이 책을 공부하다 자주 심각한 논쟁이 벌어졌었다. 특히 가르침을 받을 스승이 없었던 일반대 출신들이 그러했다. 가령 ‘무상(無常)’을 허무주의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부처님이 말씀 하셨지만 실제는 모든 것이 변한다는 것은 허무주의에 가까운 것이 아니냐. 무아(無我)라고 하면서 윤회의 주체가 있다는 것은 서로 모순된다는 등의 날카로운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때로는 머리로는 이해가 되는데 가슴속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든지, 개념이 쉽게 와닿지 않는다는 호소도 쏟아졌다.



이러한 호소들은 불교에 처음 들어가는 진통과도 같다. 개론서가 필연적으로 감당해야할 책임이기도 하다.



이 책은 불교를 어느 정도 안다고 자부하는, 즉 중급자들도 다시 한번 읽어야할 책이다. 불교문을 열고 들어간 뒤 이곳 저곳을 다니다 보면 자신이 어느 지점을 가고 있는지, 어디에 서있는 지를 잃어버릴 때가 있다. 혹은 이해나 정보가 잘못된 것임을 모르고 믿고 있는 경우도 생긴다. 그 때 이 책은 방향을 잡아주는 나침반과 오류를 고쳐주는 지침서 역할을 할 것이다.



박부영 기자



[불교신문 2285호/ 12월9일자]

불교학개론 - YES24

불교학개론 - YES24

소득공제


불교학개론 [ 개정판 ]교양교재편찬위원회 편 |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3년 03월 10일첫번째 구매리뷰를 남겨주세요. | 판매지수 768 판매지수란? 베스트 불교 top100 9주

정가 10,000원
판매가 9,500원 (5% 할인)
출간일 2013년 03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244쪽 | 522g | 148*210*20mm


책소개

동국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교재로, 불교를 처음 접하는 이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불교입문서이다. 불교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 머물려 있는 이들에게 역사적으로 실재했던 부처님의 생애와 근본 교리에 대해 인지시키고, 정교한 불교 교리체계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아비달마 교리와 수행에 대해서, 제5장에서는 대승불교의 형성과 보살에 대해서, 제7장에서는 중관과 유식사상, 밀교사상, 천태사상과 화엄사상, 선과 정토사상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부처님의 생애

제3장. 근본교설
제4장. 아비달마 교학


제5장. 대승불교
제6장. 교단의 형성과 생활
제7장. 대승사상의 전개
제8장. 불교와 현대사회
[부록] 불교경전개설

불교학 개론 - 개정판 교양교재편찬위원회 (엮은이)동국대학교출판부2008











  • 8.0 100자평(0)리뷰(1)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4)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7,000원


    책소개
    <불교학 개론> 재개정판. 기존의 국한문혼용 불교학개론에 한글음을 달아 가독성을 높이고,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부분 수정.보완하였다. 불(佛).법(法).승(僧) 삼보(三寶)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소개를 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붓다가 깨달음을 증득하여 가르침을 전한 불법에 비중을 두고 교리의 역사적 고찰과 체계적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리의 서술에 있어서 종래의 소승과 대승을 분리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여기에서는 아함(阿含)의 교설과 초기 대승경전의 교설을 하나로 모아 근본교설로 서술하였고, 그 뒤로 부파불교(部派佛敎)를 비롯한 인도.중국의 중요한 불교사상을 소개한다.


    목차


    범례

    제1장 서론
    1. 현대문명 속의 인간
    2. 과학문명과 현대
    3. 인간해석의 두 가지 유형
    4. 불교교설의 두 가지 체계

    제2장 부처님의 생애
    1. 당시의 사상계
    2. 거룩한 탄생
    3. 태자의 번민과 출가
    4. 수행과 성도
    5. 가르침을 펴다
    6. 영원한 인류의 스승

    제3장 근본교설
    1. 교설의 특징
    2. 현실의 관찰
    3. 연기의 진리
    4. 수행과 열반

    제4장 아비달마 교학
    1. 아비달마 교학의 형성
    2. 교리의 개요
    3. 수행의 계위


    제5장 대승불교
    1. 대승불교의 일어남
    2. 반야바라밀다와 보살
    3. 보살의 길
    4. 불교의 궁극적 목적
    5. 대자대비

    제6장 교단의 형성과 생활
    1. 승가의 구성이념
    2. 생활규범
    3. 불사와 의례

    제7장 대승사상의 전개
    1. 중관과 유식사상
    2. 밀교사상
    3. 천태사상과 화엄사상
    4. 선과 정토사상

    제8장 불교와 현대사회
    1. 불교윤리의 본질
    2. 불교의 정치?경제관
    3. 불교의 평화와 협조원리
    4. 불교와 현대과학
    5. 불교와 기독교
    6. 불교윤리의 현대적 의의

    부록 불교경전개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교양교재편찬위원회 (엮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불교학개론>
    출판사 제공 책소개
    <불교학 개론>은 1988년 초판본이 발행된 이후 재쇄와 개정을 거듭해가며 불교를 공부하는 수많은 독자들의 길잡이가 되어왔다. 이 책은 동국대출판부에서 간행한 기존의 국한문혼용 불교학개론에 한글음을 달아 가독성을 높이고,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부분 수정.보완하여 재개정판을 발간하였다. 불교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물론 일반 독자들도 불교를 종합적.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훌륭한 길잡이가 되게 하였다. 불(佛).법(法).승(僧) 삼보(三寶)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소개를 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붓다가 깨달음을 증득하여 가르침[法]을 전한 불법(佛法)에 비중을 두고 교리의 역사적 고찰과 체계적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리의 서술에 있어서 종래의 소승(小乘)과 대승(大乘)을 분리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여기에서는 아함(阿含)의 교설과 초기 대승경전의 교설을 하나로 모아 근본교설로 서술하였고, 그 뒤로 부파불교(部派佛敎)를 비롯한 인도.중국의 중요한 불교사상을 소개하고, 불교가 현대사회에서 지닌 몇 가지 의의를 소개함으로써 불교의 종합적 입문 필독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접기


    북플 bookple






    쉽고 재미있는 책

    난 길거리에서 "도를 아십니까?"에 당첨되는 단골 손님이다. 그러던 어느날, 불교에 관심이 생겨- 읽게 되었다. 아무생각없이 그냥 읽어내리던.. 아무생각없이 읽어내려갈 수 있을만큼 쉽다. 종교서라 조금 어려울 걱정을 하기도 했지만_ no~ 재미있는 이야기도 곁들여 있고 좋다. 다만 오타가 조금 있어 거슬렸다.

    어차피 종교는 통합된다고 생각한다. 난- 모태신앙으로서 어린시절 천주교에 머물러 있었지만. 머리가 크고난 지금 생각해보면. 종교는 믿음이고. 믿는 사람이 하나면 결국 나의 종교는 하나이다. 꼭 불교인이 아니더라도- 종교서로서가 아니라, 학문서나 상식책으로 읽어도 좋을법하다.

Noble Eightfold Path -- Wikipedia

 Noble Eightfold Path - Wikipedia


Noble Eightfold Path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eight spoke Dharma wheel symbolizes the Noble Eightfold Path
Translations of
The Noble Eightfold Path
Sanskritआर्याष्टाङ्गमार्ग
(IASTāryāṣṭāṅgamārga)
Paliअरिय अट्ठङगिक मग्ग
(ariya aṭṭhaṅgika magga)
Bengaliঅষ্টাঙ্গিক আর্য মার্গ
(Astangik ārya mārga)
Burmeseမဂ္ဂင်ရှစ်ပါး
(IPA: [mɛʔɡɪ̀ɰ̃ ʃɪʔ pá])
Chinese八正道
(Pinyinbā zhèngdào)
Japanese八正道
(rōmajiHasshōdō)
Khmerអរិយដ្ឋង្គិកមគ្គ
(UNGEGNareyadthangkikameak)
Korean팔정도
八正道

(RRPaljeongdo)
Mongolianᠣᠦᠲᠦᠶᠲᠠᠨᠦ
ᠨᠠᠢᠮᠠᠨ
ᠭᠡᠰᠢᠭᠦᠨᠦ
ᠮᠥᠷ

Найман гишүүт хутагт мөр

(qutuγtan-u naiman gesigün-ü mör)
Sinhalaආර්ය අෂ්ටා◌ගික මාර්ගය
Tibetan
འཕགས་པའི་ལམ་ཡན་ལག་བརྒྱད་པ

(Wylie: 'phags pa’i lam yan lag brgyad pa
THL: pakpé lam yenlak gyépa
)
Tamilஉன்னத எட்டு மடங்கு பாதை
Thaiอริยมรรคมีองค์แปด
(RTGSAriya Mak Mi Ong Paet)
VietnameseBát chính đạo
八正道
Glossary of Buddhism
The Noble Eightfold Path (Paliariya aṭṭhaṅgika maggaSanskritāryāṣṭāṅgamārga)[1] is an early summary of the path of Buddhist practices leading to liberation from samsara, the painful cycle of rebirth.[2][3]
The Eightfold Path consists of eight practices: right view, right resolve, right speech, right conduct,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samadhi ('meditative absorption or union').[4] In early Buddhism, these practices started with understanding that the body-mind works in a corrupted way (right view), followed by entering the Buddhist path of self-observance, self-restraint, and cultivating kindness and compassion; and culminating in dhyana or samadhi, which reinforces these practi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body-mind.[5] In later Buddhism, insight (prajñā) became the central soteriological instrument, leading to a different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path,[5][6] in which the "goal" of the Buddhist path came to be specified as ending ignorance and rebirth.[7][8][9][3][10]
The Noble Eightfold Path is one of the principal teachings of Buddhism, taught to lead to Arhatship.[11] In the Theravada tradition, this path is also summarized as sila (morality), samadhi (meditation) and prajna (insight). In Mahayana Buddhism, this path is contrasted with the Bodhisattva path, which is believed to go beyond Arhatship to full Buddhahood.[11]
In Buddhist symbolism, the Noble Eightfold Path is often represented by means of the dharma wheel (dharmachakra), in which its eight spokes represent the eight elements of the path.

Etymology and nomenclature[edit]

The Pali term ariya aṭṭhaṅgika magga (Sanskritāryāṣṭāṅgamārga) is typically translated in English as "Noble Eightfold Path". This translation is a convention started by the early translators of Buddhist texts into English, just like ariya sacca is translated as Four Noble Truths.[12][13] However, the phrase does not mean the path is noble, rather that the path is of the noble people (Paliarya meaning 'enlightened, noble, precious people').[14] The term magga (Sanskrit: mārga) means "path", while aṭṭhaṅgika (Sanskrit: aṣṭāṅga) means "eightfold". Thus, an alternate rendering of ariya aṭṭhaṅgika magga is "eightfold path of the noble ones",[3][15][16] or "eightfold Aryan Path".[17][18][19]
All eight elements of the Path begin with the word samyañc (in Sanskrit) or sammā (in Pāli) which means "right, proper, as it ought to be, best".[17] The Buddhist texts contrast samma with its opposite miccha.[17]

The Eightfold Path[edit]

Origin[edit]

According to Indologist Tilmann Vetter, the description of the Buddhist path may initially have been as simple as the term the middle way.[5] In time, this short description was elaborated, result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eightfold path.[5] Tilmann Vetter and historian Rod Bucknell both note that longer descriptions of "the path" can be found in the early texts, which can be condensed into the eightfold path.[5][20][note 1]

The Eight Divisions[edit]

The Noble Eightfold Path of Buddhism
The eight Buddhist practices in the Noble Eightfold Path are:[23][note 2]
  1. Right View: our actions have consequences, death is not the end, and our actions and beliefs have consequences after death. The Buddha followed and taught a successful path out of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heaven and underworld/hell).[24][25][26][27][note 3] Later on, right view came to explicitly include karma and rebirth, and the importance of the Four Noble Truths, when "insight" became central to Buddhist soteriology.[28][29]
  2. Right Resolve or Intention: the giving up of home and adopting the life of a religious mendicant in order to follow the path; this concept aims at peaceful renunciation, into an environment of non-sensuality, non-ill-will (to loving kindness), away from cruelty (to compassion).[30] Such an environment aids contemplation of impermanencesuffering, and non-Self.[30]
  3. Right Speech: no lying, no rude speech, no telling one person what another says about him to cause discord or harm their relationship.[23]
  4. Right Conduct or Action: refraining from killing, stealing, sexual misconduct
  5. Right Livelihood: Gaining one's livelihood by benefiting others also not selling weapons, poisons or intoxicants
  6. Right Effort: preventing the arising of unwholesome states, and generating wholesome states, the bojjhagā (seven factors of awakening). This includes indriya-samvara, "guarding the sense-doors", restraint of the sense faculties.[31][30]
  7. Right Mindfulness (satiSatipatthanaSampajañña): "retention", being mindful of the dhammas ("teachings", "elemen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Buddhist path.[note 4] In the vipassana movementsati is interpreted as "bare attention": never be absent minded, being conscious of what one is doing; this encourages the awareness of the impermanence of body, feeling and mind, as well as to experience the five aggregates (skandhas), the five hindrances, the four True Realities and seven factors of awakening.[30]
  8. Right samadhi (PassaddhiEkaggatasampasadana): practicing four stages of dhyāna ("meditation"), which includes samadhi proper in the second stage, and reinforces the development of the bojjhagā, culminating into upekkha (equanimity) and mindfulness.[33] In the Theravada tradition and the Vipassana movement, this is interpreted as ekaggata, concentration or one-pointedness of the mind, and supplemented with Vipassana-meditation, which aims at insight.

Liberation[edit]

Following the Noble Eightfold Path leads to liberation in the form of nirvana:[34][35]
(...) Just this noble eightfold path: right view, right aspiration,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right concentration. That is the ancient path, the ancient road, traveled by the Rightly Self-awakened Ones of former times. I followed that path. Following it, I came to direct knowledge of aging & death, direct knowledge of the origination of aging & death, direct knowledge of the cessation of aging & death, direct knowledge of the path leading to the cessation of aging & death. I followed that path. Following it, I came to direct knowledge of birth... becoming... clinging... craving... feeling... contact... the six sense media... name-&-form... consciousness, direct knowledge of the origination of consciousness, direct knowledge of the cessation of consciousness, direct knowledge of the path leading to the cessation of consciousness. I followed that path.
— The Buddha, Nagara Sutta, Samyutta Nikaya ii.124, Translated by Thanissaro Bhikkhu[36][37]

Threefold division[edit]

The Noble Eightfold Path is sometimes divided into three basic divisions, as follows:[38]
DivisionEightfold Path factors
Moral virtue[29] (Sanskrit: śīla, Pāli: sīla)3. Right speech
4. Right action
5. Right livelihood
Meditation[29] (Sanskrit and Pāli: samādhi)6. Right effort
7. Right mindfulness
8. Right concentration
Insight, wisdom (Sanskrit: prajñā, Pāli: paññā)1. Right view
2. Right resolve
This order is a later development, when discriminating insight (prajna) became central to Buddhist soteriology, and came to be regarded as the culmination of the Buddhist path.[39] Yet, Majjhima Nikaya 117, Mahācattārīsaka Sutta, describes the first seven practices as requisites for right samadhi. According to Vetter, this may have been the original soteriological practice in early Buddhism.[5]
The "Moral virtues" (Sanskrit: śīla, Pāli: sīla) group consists of three paths: right speech, right action and right livelihood.[29] The word śīla, though translated by English writers as linked to "morals or ethics", states Bhikkhu Bodhi, is in ancient and medieval Buddhist commentary tradition closer to the concept of discipline and disposition that "leads to harmony at several levels – social, psychological, karmic and contemplative". Such harmony creates an environment to pursue the meditative steps in the Noble Eightfold Path by reducing social disorder, preventing inner conflict that result from transgressions, favoring future karma-triggered movement through better rebirths, and purifying the mind.[40]
The meditation group ("samadhi") of the path progresses from moral restraints to training the mind.[41] Right effort and mindfulness calm the mind-body complex, releasing unwholesome states and habitual patterns an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wholesome states and non-automatic responses, the bojjhagā (seven factors of awakening). The practice of dhyana reinforces these developments, leading to upekkha (equanimity) and mindfulness.[33] According to the Theravada commentarial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Vipassana movement, the goal in this group of the Noble Eightfold Path is to develop clarity and insight into the nature of reality – dukkhaanicca and anatta, discard negative states and dispel avidya (ignorance), ultimately attaining nirvana.[42]
In the threefold division, prajna (insight, wisdom) is presented as the culmination of the path, whereas in the eightfold division the path starts with correct knowledge or insight, which is needed to understand why this path should be followed.[43]

Tenfold Path[edit]

In the Mahācattārīsaka Sutta[44][45] which appears in the Chinese and Pali canons, the Buddha explains that cultivation of the noble eightfold path of a learner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wo further paths of the Arahants, which are right knowledge, or insight (sammā-ñāṇa), and right liberation, or release (sammā-vimutti).[46] These two factors fall under the category of wisdom (paññā).[47]
The Noble Eightfold Path, in the Buddhist traditions, is the direct means to nirvana and brings a release from the cycle of life and death in the realms of samsara.[48][49]

Further explanation[edit]

Right view[edit]

"Right view" (samyak-dṛṣṭi / sammā-diṭṭhi) or "right understanding"[50] explicates that our actions have consequences, that death is not the end, that our actions and beliefs also have consequences after death, and that the Buddha followed and taught a successful path out of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heaven and underworld or hell).[51][25][26][27] Majjhima Nikaya 117, Mahācattārīsaka Sutta, a text from the Pāli Canon, describes the first seven practices as requisites of right samadhi, starting with right view:
Of those, right view is the forerunner [...] And what is the right view with effluents, siding with merit, resulting in acquisitions? 'There is what is given, what is offered, what is sacrificed.[note 5] There are fruits, and results of good and bad actions. There is this world and the next world. There is mother and father. There are spontaneously reborn beings; there are contemplatives and brahmans who faring rightly and practicing rightly, proclaim this world and the next after having directly known and realized it for themselves.' This is the right view with effluents, siding with merit, resulting in acquisitions.[44][52]
Later on, right view came to explicitly include karma and rebirth, and the importance of the Four Noble Truths, when "insight" became central to Buddhist soteriology.[28] This presentation of right view still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ravada Buddhism.[53]
The purpose of right view is to clear one's path from confusion, misunderstanding, and deluded thinking. It is a means to gain right understanding of reality.[54] In the interpretation of some Buddhist movements, state Religion Studies scholar George Chryssides and author Margaret Wilkins, right view is non-view: as the enlightened become aware that nothing can be expressed in fixed conceptual terms and rigid, dogmatic clinging to concepts is discarded.[54]

Theravada[edit]

Right View can be further subdivided, states translator Bhikkhu Bodhi, into mundane right view and superior or supramundane right view:[55][56]
  1. Mundane right view, knowledge of the fruits of good behavior. Having this type of view will bring merit and will support the favourable rebirth of the sentient being in the realm of samsara.
  2. Supramundane (world-transcending) right view, the understanding of karma and rebirth, as implicated in the Four Noble Truths, leading to awakening and liberation from rebirths and associated dukkha in the realms of samsara.[57][53]
According to Theravada Buddhism, mundane right view is a teaching that is suitable for lay followers, while supramundane right view, which requires a deeper understanding, is suitable for monastics. Mundane and supramundane right view involve accepting the following doctrines of Buddhism:[58][59]
  1. Karma: Every action of body, speech, and mind has karmic results, and influences the kind of future rebirths and realms a being enters into.
  2. Three marks of existence: everything, whether physical or mental, is impermanent (anicca), a source of suffering (dukkha), and lacks a self (anatta).
  3. The Four Noble Truths are a means to gaining insights and ending dukkha.

Right resolve[edit]

Right resolve (samyak-saṃkalpa / sammā-saṅkappa) can also be known as "right thought", "right intention", "right aspiration", or "right motivation".[60] In this factor, the practitioner resolves to leave home, renounce the worldly life and dedicate himself to an ascetic pursuit.[61][53] In section III.248, the Majjhima Nikaya states,
And what is right resolve? Being resolved on renunciation, on freedom from ill will, on harmlessness: This is called right resolve.[62]
Like right view, this factor has two levels. At the mundane level, the resolve includes being harmless (ahimsa) and refraining from ill will (avyabadha) to any being, as this accrues karma and leads to rebirth.[53][63] At the supramundane level, the factor includes a resolve to consider everything and everyone as impermanent, a source of suffering and without a Self.[63]

Right speech[edit]

Right speech (samyag-vāc / sammā-vācā) in most Buddhist texts is presented as four abstentions, such as in the Pali Canon thus:[44][64]
And what is right speech? Abstaining from lying, from divisive speech, from abusive speech, and from idle chatter: This is called right speech.
Instead of the usual "abstention and refraining from wrong" terminology, a few texts such as the Samaññaphala Sutta and Kevata Sutta in Digha Nikaya explain this virtue in an active sense, after stating it in the form of an abstention.[65] For example, Samaññaphala Sutta states that a part of a monk's virtue is that "he abstains from false speech. He speaks the truth, holds to the truth, is firm, reliable, no deceiver of the world."[65] Similarly, the virtue of abstaining from divisive speech is explained as delighting in creating concord.[65] The virtue of abstaining from abusive speech is explained in this Sutta to include affectionate and polite speech that is pleasing to people. The virtue of abstaining from idle chatter is explained as speaking what is connected with the Dhamma goal of his liberation.[65][53]
In the Abhaya-raja-kumara Sutta, the Buddha explains the virtue of right speech in different scenarios, based on its truth value, utility value and emotive content.[66][67] The Tathagata, states Abhaya Sutta, never speaks anything that is unfactual or factual, untrue or true, disagreeable or agreeable, if that is unbeneficial and unconnected to his goals.[67][68] Further, adds Abhaya Sutta, the Tathagata speaks the factual, the true, if in case it is disagreeable and unendearing, only if it is beneficial to his goals, but with a sense of proper time.[67][69] Additionally, adds Abhaya Sutta, the Tathagata, only speaks with a sense of proper time even when what he speaks is the factual, the true, the agreeable, the endearing and what is beneficial to his goals.[67][68][70]
The Buddha thus explains right speech in the Pali Canon, according to Ganeri, as never speaking something that is not beneficial; and, only speaking what is true and beneficial, "when the circumstances are right, whether they are welcome or not".[70]

Right action[edit]

Right action (samyak-karmānta / sammā-kammanta) is like right speech, expressed as abstentions but in terms of bodily action. In the Pali Canon, this path factor is stated as:
And what is right action? Abstaining from killing, abstaining from stealing, abstaining from sexual misconduct. This is called right action.[71]
The prohibition on killing precept in Buddhist scriptures applies to all living beings, states Christopher Gowans, not just human beings.[72] Bhikkhu Bodhi agrees, clarifying that the more accurate rendering of the Pali canon is a prohibition on "taking life of any sentient being", which includes human beings, animals, birds, insects but excludes plants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ed sentient beings. Further, adds Bodhi, this precept refers to intentional killing, as well as any form of intentional harming or torturing any sentient being. This moral virtue in early Buddhist texts, both in context of harm or killing of animals and human beings, is similar to ahimsa precepts found in the texts particularly of Jainism as well as of Hinduism,[73][74] and has been a subject of significant debate in various Buddhist traditions.
The prohibition on stealing in the Pali Canon is an abstention from intentionally taking what is not voluntarily offered by the person to whom that property belongs. This includes, states Bhikkhu Bodhi, taking by stealth, by force, by fraud or by deceit. Both the intention and the act matters, as this precept is grounded on the impact on one's karma.
The prohibition on sexual misconduct in the Noble Eightfold Path, states Tilmann Vetter, refers to "not performing sexual acts".[75] This virtue is more generically explained in the Cunda Kammaraputta Sutta, which teaches that one must abstain from all sensual misconduct, including getting sexually involved with someone unmarried (anyone protected by parents or by guardians or by siblings), and someone married (protected by husband), and someone betrothed to another person, and female convicts or by dhamma.[76]
For monastics, the abstention from sensual misconduct means strict celibacy, states Christopher Gowans, while for lay Buddhists this prohibits adultery as well as other forms of sensual misconduct.[77][78][79] Later Buddhist texts, states Bhikkhu Bodhi, state that the prohibition on sexual conduct for lay Buddhists includes any sexual involvement with someone married, a girl or woman protected by her parents or relatives, and someone prohibited by dhamma conventions (such as relatives, nuns and others).

Right livelihood[edit]

Right livelihood (samyag-ājīva / sammā-ājīva) precept is mentioned in many early Buddhist texts, such as the Mahācattārīsaka Sutta in Majjhima Nikaya as follows:[44]
"And what is right livelihood? Right livelihood, I tell you, is of two sorts: There is right livelihood with effluents, siding with merit, resulting in acquisitions; there is right livelihood that is noble, without effluents, transcendent, a factor of the path.
"And what is the right livelihood with effluents, siding with merit, resulting in acquisitions? There is the case where a disciple of the noble ones abandons wrong livelihood and maintains his life with right livelihood. This is the right livelihood with effluents, siding with merit, resulting in acquisitions.
"And what is the right livelihood that is noble, without effluents, transcendent, a factor of the path? The abstaining, desisting, abstinence, avoidance of wrong livelihood in one developing the noble path whose mind is noble, whose mind is without effluents, who is fully possessed of the noble path. (...)
The early canonical texts state right livelihood as avoiding and abstaining from wrong livelihood. This virtue is further explained in Buddhist texts, states Vetter, as "living from begging, but not accepting everything and not possessing more than is strictly necessary".[75] For lay Buddhists, states Harvey, this precept requires that the livelihood avoid causing suffering to sentient beings by cheating them, or harming or killing them in any way.[30]
The Anguttara Nikaya III.208, states Harvey, asserts that the right livelihood does not trade in weapons, living beings, meat, alcoholic drink or poison.[30][80] The same text, in section V.177, asserts that this applies to lay Buddhists.[81] This has meant, states Harvey, that raising and trading cattle livestock for slaughter is a breach of "right livelihood" precept in the Buddhist tradition, and Buddhist countries lack the mass slaughter houses found in Western countries.[82]

Right effort[edit]

Right effort (samyag-vyāyāma / sammā-vāyāma) is preventing the arising of unwholesome states, and the generation of wholesome states. This includes indriya-samvara, "guarding the sense-doors", restraint of the sense faculties.[31] Right effort is presented in the Pali Canon, such as the Sacca-vibhanga Sutta, as follows:[64][71]
And what is right effort?
Here the monk arouses his will, puts forth effort, generates energy, exerts his mind, and strives to prevent the arising of evil and unwholesome mental states that have not yet arisen.
He arouses his will... and strives to eliminate evil and unwholesome mental states that have already arisen. He arouses his will... and strives to generate wholesome mental states that have not yet arisen.
He arouses his will, puts forth effort, generates energy, exerts his mind, and strives to maintain wholesome mental states that have already arisen, to keep them free of delusion, to develop, increase, cultivate, and perfect them.
This is called right effort.
The unwholesome states (akusala) are described in the Buddhist texts, as those relating to thoughts, emotions, intentions, and these include pancanivarana (five hindrances) – sensual thoughts, doubts about the path, restlessness, drowsiness, and ill will of any kind.[75] Of these, the Buddhist traditions consider sensual thoughts and ill will needing more right effort. Sensual desire that must be eliminated by effort includes anything related to sights, sounds, smells, tastes and touch. This is to be done by restraint of the sense faculties (indriya-samvara). Ill will that must be eliminated by effort includes any form of aversion including hatred, anger, resentment towards anything or anyone.

Right mindfulness[edit]

In the vipassana movement, mindfulness (samyak-smṛti / sammā-sati) is interpreted as "bare attention": never be absent minded, being conscious of what one is doing. Yet, originally it has the meaning of "retention", being mindful of the dhammas ("teachings", "mind objec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Buddhist path. The Brahmins had used the word to refer to remembering the Vedas, a usage close to its everyday meaning, "memory". The Buddha appropriated sati to mean remember the meditation object, and this meaning at first may have applied mainly to the cultivation of deeply absorbed, secluded states of mind. Over time sati evolved beyond the simple yogic imperative, remember the object, and came to signify remember to attend, opening onto an ever wider field during the breath "frame". In practice, it enables two important forms of progress. First, it repeatedly "yokes" the yogi to the present moment, lessening identification with mentally fabricated scenarios involving past and future. Second, he keeps attention in the neighborhood of the body, an arena in which any reactivity in the form of afflictive volitions—clinging—will usually be reflected.[83] According to Frauwallner, mindfulness was a means to prevent the arising of craving, which resulted simply from contact between the senses and their objects. According to Frauwallner this may have been the Buddha's original idea.[32] According to Trainor, mindfulness aids one not to crave and cling to any transitory state or thing, by complete and constant awareness of phenomena as impermanent, suffering and without self.[42]
The Satipatthana Sutta describes the contemplation of four domains, namely body, feelings, mind and phenomena.[note 6] The Satipatthana Sutta is regarded by the Vipassana movement as the quintessential text on Buddhist meditation, taking cues from it on "bare attention" and the contemplation on the observed phenomena as dukkhaanatta and anicca.[84][85][note 7][note 8] According to Grzegorz Polak, the four upassanā have been misunderstood by the developing Buddhist tradition, including Theravada, to refer to four different foundations. According to Polak, the four upassanā do not refer to four different foundations of which one should be aware, but are an alternate description of the jhanas, describing how the samskharas are tranquilized:[87]
Rupert Gethin notes that the contemporary Vipassana movement interprets the Satipatthana Sutta as "describing a pure form of insight (vipassanā) meditation" for which samatha (calm) and jhāna are not necessary. Yet, in pre-sectarian Buddhism, the establishment of mindfulness was placed before the practice of the jhanas, and associated with the abandonment of the five hindrances and the entry into the first jhana.[22][note 10]
The dhyāna-scheme describes mindfulness also as appearing in the third and fourth dhyana, after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mind.[39][note 11] Gombrich and Wynne note that, while the second jhana denotes a state of absorption, in the third and fourth jhana one comes out of this absorption, being mindfully awareness of objects while being indifferent to them.[note 12] According to Gombrich, "the later tradition has falsified the jhana by classifying them as the quintessence of the concentrated, calming kind of meditation, ignoring the other – and indeed higher – element.

Right concentration[edit]

Samadhi[edit]

Samadhi (samyak-samādhi / sammā-samādhi) is a common practice in Indian religions. The term samadhi derives from the root sam-a-dha, which means 'to collect' or 'bring together',[citation needed] and thus it is often translated as 'concentration' or 'unification of mind'. In the early Buddhist texts, samadhi is also associated with the term "samatha" (calm abiding).[citation needed] In the suttas, samadhi is defined as one-pointedness of mind (Cittass'ekaggatā).[88] Buddhagosa defines samadhi as "the centering of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concomitants evenly and rightly on a single object...the state in virtue of which consciousness and its concomitants remain evenly and rightly on a single object, undistracted and unscattered."[89]
According to Bhikkhu Bodhi, the right concentration factor is reaching a one-pointedness of mind and unifying all mental factors, but it is not the same as "a gourmet sitting down to a meal, or a soldier on the battlefield" who also experience one-pointed concentration. The difference is that the latter have a one-pointed object in focus with complete awareness directed to that object – the meal or the target, respectively. In contrast, right concentration meditative factor in Buddhism is a state of awareness without any object or subject, and ultimately unto nothingness and emptiness.

Practice[edit]

Bronkhorst notes that neither the Four Noble Truths nor the Noble Eightfold Path discourse provide details of right samadhi.[90] The explanation is to be found in the Canonical texts of Buddhism, in several Suttas, such as the following in Saccavibhanga Sutta:[64][71]
And what is right concentration?
[i] Here, the monk, detached from sense-desires, detached from unwholesome states, enters and remains in the first jhana (level of concentration, Sanskrit: dhyāna), in which there is applied and sustained thinking, together with joy and pleasure born of detachment;
[ii] And through the subsiding of applied and sustained thinking, with the gaining of inner stillness and oneness of mind, he enters and remains in the second jhana, which is without applied and sustained thinking, and in which there are joy and pleasure born of concentration;
[iii] And through the fading of joy, he remains equanimous, mindful and aware, and he experiences in his body the pleasure of which the Noble Ones say: "equanimous, mindful and dwelling in pleasure", and thus he enters and remains in the third jhana;
[iv] And through the giving up of pleasure and pain, and through the previous disappearance of happiness and sadness, he enters and remains in the fourth jhana, which is without pleasure and pain, and in which there is pure equanimity and mindfulness.
This is called right concentration.[71][91]
Bronkhorst has questioned the historicity and chronology of the description of the four jhanas. Bronkhorst states that this path may be similar to what the Buddha taught, but the details and the form of the description of the jhanas in particular, and possibly other factors, is likely the work of later scholasticism.[92][93] Bronkhorst notes that description of the third jhana cannot have been formulated by the Buddha, since it includes the phrase "Noble Ones say", quoting earlier Buddhists, indicating it was formulated by later Buddhists.[92] It is likely that later Buddhist scholars incorporated this, then attributed the details and the path, particularly the insights at the time of liberation, to have been discovered by the Buddha.[92]

Mindfulness[edit]

Although often translated as "concentration", as in the limiting of the attention of the mind on one object, in the fourth dhyana "equanimity and mindfulness remain",[94] and the practice of concentration-meditation may well have been incorporated from non-Buddhist traditions.[95] Vetter notes that samadhi consists of the four stages of dhyana meditation, but
...to put it more accurately, the first dhyana seems to provide, after some time, a state of strong concentration, from which the other stages come forth; the second stage is called samadhija.[39]
Gombrich and Wynne note that, while the second jhana denotes a state of absorption, in the third and fourth jhana one comes out of this absorption, being mindfully awareness of objects while being indifferent to it.[note 13] According to Gombrich, "the later tradition has falsified the jhana by classifying them as the quintessence of the concentrated, calming kind of meditation, ignoring the other – and indeed higher – element.

Practice[edit]

Order of practice[edit]

Vetter notes that originally the path culminated in the practice of dhyana/samadhi as the core soteriological practice.[5] According to the Pali and Chinese canon, the samadhi state (right concentration) is dependent on the development of preceding path factors:[44][96][97] quote|The Blessed One said: "Now what, monks, is noble right concentration with its supports and requisite conditions? Any singleness of mind equipped with these seven factors – right view, right resolve,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and right mindfulness – is called noble right concentration with its supports and requisite conditions.|Maha-cattarisaka Sutta
According to the discourses, right view, right resolve,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and right mindfulness are used as the support and requisite conditions for the practice of right concentration. Understanding of the right view is the preliminary role, and is also the forerunner of the entire Noble Eightfold Path.[44][98]
According to the modern Theravada monk and scholar Walpola Rahula, the divisions of the noble eightfold path "are to be developed more or less simultaneously, as far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each individual. They are all linked together and each helps the cultivation of the others."[99] Bhikkhu Bodhi explains that these factors are not sequential, but components, and "with a certain degree of progress all eight factors can be present simultaneously, each supporting the others. However, until that point is reached, some sequence in the unfolding of the path is inevitable."[100]
The stage in the Path where there is no more learning in Yogachara Abhidharma, state Buswell and Gimello, is identical to Nirvana or Buddhahood, the ultimate goal in Buddhism.[101][102]

Gender[edit]

According to Bernard Faure, the ancient and medieval Buddhist texts and traditions, like other religions, were almost always unfavorable or discriminatory against women,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pursue Noble Eightfold Path, attain Buddhahood and nirvana.[103][104] This issue of presumptions about the "female religious experience" is found in Indian texts, in translations into non-Indian languages, and in regional non-Indian commentaries written in East Asian kingdoms such as those in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103] Yet, like other Indian religions, exceptions and veneration of females is found in Indian Buddhist texts, and female Buddhist deities are likewise described in positive terms and with reverence. Nevertheless, females are seen as polluted with menstruation, sexual intercourse, death and childbirth. Rebirth as a woman is seen in the Buddhist texts as a result of part of past karma, and inferior than that of a man.[103]
In some Chinese and Japanese Buddhist texts, the status of female deities are not presented positively, unlike the Indian tradition, states Faure.[103] In the Huangshinu dui Jingang (Woman Huang explicates the Diamond Sutra), a woman admonishes her husband about he slaughtering animals, who attacks her gender and her past karma, due to the belief that women are further from enlightenment as the common man is further from enlightenment to a monk, or an ant to a mouse.[105][106] Similar discriminatory presumptions are found in other Buddhist texts such as the Blood Bowl Sutra and the Longer Sukhāvatīvyūha Sūtra.[103][105] In the Five Obstacles theory[note 14] of Buddhism, a woman is required to attain rebirth as a man before she can adequately pursue the Eightfold Path and reach perfect Buddhahood. The Lotus Sutra similarly presents the story of the Dragon King's daughter, who desires to achieve perfect enlightenment. The Sutra states that, "Her female organs vanished, the male organs became visible, then she appeared as a bodhisattva".[109]
Gender discrimination worsened during the medieval era in various sub-traditions of Buddhism that independently developed regionally, such as in Japan.[110]
Some scholars, such as Kenneth Doo Young Lee, interpret the Lotus Sutra to imply that "women were capable of gaining salvation", either after they first turned into a man, or being reborn in Pure Land realm after following the Path.[111] Peter Harvey lists many Sutras that suggest "having faded out the mind-set of a woman and developed the mind-set of a man, he was born in his present male form", and who then proceeds to follow the Path and became an Arahant.[112] Among Mahayana texts, there is a sutra dedicated to the concept of how a person might be born as a woman. The traditional assertion is that women are more prone to harboring feelings of greed, hatred and delusion than a man. The Buddha responds to this assumption by teaching the method of moral development through which a woman can achieve rebirth as a man.[113]
According to Wei-Yi Cheng, the Pali Canon is silent about women's inferior karma, but have statements and stories that mention the Eightfold Path while advocating female subordination.[114] For example, a goddess reborn in the heavenly realm asserts:
When I was born a human being among men I was a daughter-in-law in a wealthy family. I was without anger, obedient to my husband, diligent on the Observance (days). When I was born a human being, young and innocent, with a mind of faith, I delighted my lord. By day and by night I acted to please. Of old (...). On the fourteenth, fifteenth and eighth (days) of the bright fortnight and on a special day of the fortnight well connected with the eightfold (precepts) I observed the Observance day with a mind of faith, was one who was faring according to Dhamma with zeal in my heart...
— Vimanavatthu III.3.31, Wei-Yi Cheng[114]
Such examples, states Wei-Yi Cheng, include conflating statements about spiritual practice (Eightfold Path, Dhamma) and "obedience to my husband" and "by day and by night I acted to please", thus implying unquestioned obedience of male authority and female subjugation.[114] Such statements are not isolated, but common, such as in section II.13 of the Petavatthu which teaches that a woman had to "put away the thoughts of a woman" as she pursued the Path and this merit obtained her a better rebirth; the Jataka stories of the Pali Canon have numerous such stories, as do the Chinese Sutta that assert "undesirability of womanhood".[114] Modern Buddhist nuns have applied Buddhist doctrines such as Pratītyasamutpāda to explain their disagreement with women's inferior karma in past lives as implied in Samyutta Nikaya 13, states Wei-Yi Cheng, while asserting that the Path can be practiced by either gender and "both men and women can become arhant".[115]

Cognitive psychology[edit]

The noble eightfold path has been compared to cognitive psychology, wherein states Gil Fronsdal, the right view factor can be interpreted to mean how one's mind views the world, and how that leads to patterns of thought, intention and actions.[116] In contrast, Peter Randall states that it is the seventh factor or right mindfulness that may be thought in terms of cognitive psychology, wherein the change in thought and behavior are linked.[117]

See also[edit]

Notes[edit]

  1. ^ One of those longer sequences, from the CulaHatthipadopama-sutta, the "Lesser Discourse on the Simile of the Elephant's Footprints", is as follows:[21]
    1. Dhammalsaddhalpabbajja: A layman hears a Buddha teach the Dhamma, comes to have faith in him, and decides to take ordination as a monk;
    2. sila: He adopts the moral precepts;
    3. indriyasamvara: He practises "guarding the six sense-doors";
    4. sati-sampajanna: He practises mindfulness and self-possession (actually described as mindfulness of the body, kāyānussatti);
    5. jhana 1: He finds an isolated spot in which to meditate, purifies his mind of the hindrances (nwarana), and attains the first rupa-jhana;
    6. jhana 2: He attains the second jhana;
    7. jhana 3: He attains the third jhana;
    8. jhana 4: He attains the fourth jhana;
    9. pubbenivasanussati-nana: he recollects his many former existences in samsara;
    10. sattanam cutupapata-nana: he observes the death and rebirth of beings according to their karmas;
    11. dsavakkhaya-nana: He brings about the destruction of the dsavas (cankers), and attains a profound realization of (as opposed to mere knowledge about) the four noble truths;
    12. vimutti: He perceives that he is now liberated, that he has done what was to be done.
    A similar sequence can be found in the Sāmaññaphala-sutta.[22]
  2. ^ See also Majjhima Nikaya 44, Culavedalla Sutta
  3. ^ Quotes:
    * Vetter: "Compare AN 10.17.10 (Nal. ed. IV p. 320,26): "He has the right views (sammiiditthiko hotz), he does not see things in a wrong way: that which is given exists, that which is sacrificed exists, that which in poured (into the fire) exists, the fruit, i.e. retribution for good and evil actions, exists, the world, here, exists, the other world exists, the mother exists, the father exists, beings who appear (spontaneously) exist, in the world ascetics and brahmans exist who have gone and followed the right path and who describe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from their own experience and realization."
    * Wei-hsün Fu and Wawrytko: "In the Theravada Buddhist Canon, many episodes appear where the Buddha emphasizes that accepting the reality of an afterlife is a part of having the Right View, the initial wisdom that one must have in pursuit of [...]"[26]
  4. ^ According to Frauwallner, mindfulness was a means to prevent the arising of craving, which resulted simply from contact between the senses and their objects; this may have been the Buddha's original idea;[32] compare BuddhadasaHeartwood of the Bodhi-tree, on Pratītyasamutpāda; and Grzegorz Polak (2011), Reexamining Jhana: Towards a Critical Reconstruction of Early Buddhist Soteriology, p.153-156, 196–197.
  5. ^ Vetter translates it as "offering into the fire".[52]
  6. ^ The formula is repeated in other sutras, for example the Sacca-vibhanga Sutta (MN 141): "And what is right mindfulness?
    Here the monk remains contemplating the body as body, resolute, aware and mindful, having put aside worldly desire and sadness;
    he remains contemplating feelings as feelings;
    he remains contemplating mental states as mental states;
    he remains contemplating mental objects as mental objects, resolute, aware and mindful, having put aside worldly desire and sadness;
    This is called right mindfulness."[64][71]
  7. ^ From The Way of Mindfulness, The Satipatthana Sutta and Its Commentary, Soma Thera (1998),
    (...)
    For the dull-witted man of the theorizing type [ditthi carita] it is convenient to see consciousness [citta] in the fairly simple way it is set forth in this discourse, by way of impermanence [aniccata], and by way of such divisions as mind-with-lust [saragadi vasena], in order to reject the notion of permanence [nicca sañña] in regard to consciousness. Consciousness is a special condition [visesa karana] for the wrong view due to a basic belief in permanence [niccanti abhinivesa vatthutaya ditthiya]. The contemplation on consciousness, the Third Arousing of Mindfulness, is the Path to Purity of this type of man.[86]
    For the keen-witted man of the theorizing type it is convenient to see mental objects or things [dhamma], according to the manifold way set forth in this discourse, by way of perception, sense-impression and so forth [nivaranadi vasena], in order to reject the notion of a soul [atta sañña] in regard to mental things. Mental things are special conditions for the wrong view due to a basic belief in a soul [attanti abhinivesa vatthutaya ditthiya]. For this type of man the contemplation on mental objects, the Fourth Arousing of Mindfulness, is the Path to Purity.[86]
    (...)
  8. ^ Vetter and Bronkhorst note that the path starts with right view, which includes insight into aniccadukkha and anatta.
  9. ^ Note how kāyānupassanāvedanānupassanā, and cittānupassanā, resemble the five skandhas and the chain of causation as described in the middle part of Pratītyasamutpāda; while dhammānupassanā refers to mindfulness as retention, calling into mind the beneficial dhammas which are applied to analyse phenomena, and counter the arising of disturbing thoughts and emotions.
  10. ^ Gethin: "The sutta is often read today as describing a pure form of insight (vipassanā) meditation that bypasses calm (samatha) meditation and the four absorptions (jhāna), as outli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uddhist path found, for example, in the Sāmaññaphala-sutta [...] The earlier tradition, however, seems not to have always read it this way, associating accomplishment in the exercise of establishing mindfulness with abandoning of the five hindrancesand the first absorption."[22]
  11. ^ Original publication: Gombrich, Richard (2007). Religious Experience in Early Buddhism. OCHS Library.
  12. ^ Original publication: Gombrich, Richard (2007). Religious Experience in Early Buddhism. OCHS Library.
  13. ^ Original publication: Gombrich, Richard (2007). Religious Experience in Early Buddhism. OCHS Library.
  14. ^ The Lotus Sutra, for example, asserts "A woman's body is filthy, it is not a Dharma-receptacle. How can you attain unexcelled bodhi?... Also a woman's body even then has five obstacles.[107][108]

References[edit]

  1. ^ Brekke, Torkel. "The Religious Motivation of the Early Buddhis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Vol. 67, No. 4 (Dec. 1999), p. 860
  2. ^ Gethin 1998, pp. 81–83.
  3. Jump up to:a b c Anderson 2013, pp. 64–65.
  4. ^ Vetter 1988, pp. 11–14.
  5. Jump up to:a b c d e f g Vetter 1988.
  6. ^ Bronkhorst 1993.
  7. ^ Raju 1985, pp. 147–51.
  8. ^ Eliot 2014, pp. 39–41.
  9. ^ Harvey 2016, p. 253–55.
  10. ^ Williams, Tribe & Wynne 2012, p. 52.
  11. Jump up to:a b Harvey, Peter (2000).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 foundations, values and issue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pp. 123–24. ISBN 0-521-55394-6.
  12. ^ Williams 2002, p. 41.
  13. ^ Buswell & Lopez 2003, p. 66.
  14. ^ Williams 2002, p. 52.
  15. ^ Buswell 2004, p. 296.
  16. ^ Khenchen Thrangu Rinpoche (2007). Everyday Consciousness and Primordial Awareness. Snow Lion. p. 80. ISBN 978-1-55939-973-9.
  17. Jump up to:a b c Thomas William Rhys Davids; William Stede (1921). Pali-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pp. 695–96. ISBN 978-81-208-1144-7.
  18. ^ Mkhas-grub Dge-legs-dpal-bzaṅ-po; José Ignacio Cabezón (1992). A Dose of Emptiness: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sTong thun chen mo of mKhas grub dGe legs dpal bzan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214. ISBN 978-0-7914-0729-5.
  19. ^ Chögyam Trungpa (2010). The Heart of the Buddha. Shambhala Publications. p. 119. ISBN 978-0-8348-2125-5.
  20. ^ Bucknell 1984.
  21. ^ Bucknell 1984, p. 11-12.
  22. Jump up to:a b c Gethin, Rupert, Sayings of the Buddha: New Translations from the Pali Nikayas (Oxford World's Classics), 2008, p. 142.
  23. Jump up to:a b Vetter 1988, p. 12-13.
  24. ^ Vetter 1988, p. 12; 77–79.
  25. Jump up to:a b Velez de Cea 2013, p. 54.
  26. Jump up to:a b c Wei-hsün Fu & Wawrytko 1994, p. 194.
  27. Jump up to:a b Victor Gunasekara, The Pāyāsi Sutta: A Commentary and Analysis
  28. Jump up to:a b Vetter 1988, p. 77.
  29. Jump up to:a b c d Harvey 2013, p. 83-84.
  30. Jump up to:a b c d e f Harvey 2013, p. 83.
  31. Jump up to:a b Analayo (2013), Satipatthana, Windhorse Publications: "... sense-restraint, which in fact constitues an aspect of right effort."
  32. Jump up to:a b Williams 2000, p. 45.
  33. Jump up to:a b Polak 2011.
  34. ^ Lopez 2009, p. 136-137.
  35. ^ Stephen J. Laumakis (2008).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50–151. ISBN 978-1-139-46966-1.
  36. ^ Thanissaro Bhikkhu. "Nagara Sutta". Access to Insight. Retrieved 6 May2008.
  37. ^ "Samyukta Agama, sutra no. 287, Taisho vol 2, p. 80". Cbe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08. Retrieved 27 October 2008.
  38. ^ Prebish 2000, p. 40.
  39. Jump up to:a b c Vetter 1988, p. 13.
  40. ^ Spiro 1982, p. 44-48.
  41. ^ Spiro 1982, p. 44-53.
  42. Jump up to:a b Kevin Trainor (2004).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p. 74. ISBN 978-0-19-517398-7.
  43. ^ Anderson 2013.
  44. Jump up to:a b c d e f Thanissaro Bhikkhu. "Maha-cattarisaka Sutta". Access to Insight. Retrieved 6 May 2008.
  45. ^ "Taisho Tripitaka Vol. 2, No. 99, Sutra 785". Cbe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08. Retrieved 28 October 2008.
  46. ^ Choong 2000, p. 141.
  47. ^ Fuller 2005, p. 55-56.
  48. ^ Lopez 1995, p. 159.
  49. ^ Hirakawa 1990, p. 41.
  50. ^ Gunaratana 2001, p. 11.
  51. ^ Vetter 1988, pp. 12, 77–79.
  52. Jump up to:a b Vetter 1988, p. 12 with footnote 4.
  53. Jump up to:a b c d e Harvey 2013, pp. 83–84.
  54. Jump up to:a b George Chryssides; Margaret Wilkins (2006). A Reader in New Religious Movements. A&C Black. pp. 248–49. ISBN 978-0-8264-6167-4.
  55. ^ Bhikkhu Bodhi.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Access to Insight. Retrieved 10 July 2010.
  56. ^ Fuller 2005, p. 56.
  57. ^ Bhikkhu Bodhi (2005). In the Buddha's Words: An Anthology of Discourses from the Pali Canon. Wisdom Publications. pp. 147, 446 with note 9. ISBN 978-0-86171-996-9.
  58. ^ Richard Gombrich 2009, pp. 27–28, 103–09.
  59. ^ Keown 2000, pp. 59, 96–97.
  60. ^ Ajahn Brahm. "Word of the Buddha".
  61. ^ Vetter 1988, pp. 12–13.
  62. ^ Thanissaro Bhikkhu (2005). "Saccavibhanga Sutta". Access to Insight.
  63. Jump up to:a b Damien Keown; Charles S. Prebish (2013). Encyclopedia of Buddhism. Routledge. p. 333. ISBN 978-1-136-98588-1.
  64. Jump up to:a b c d Thanissaro Bhikkhu. "Saccavibhanga Sutta". Access to Insight. Retrieved 6 May 2008.
  65. Jump up to:a b c d Thanissaro Bhikkhu (1997). "Samaññaphala Sutta". Access to Insight.
  66. ^ Kalupahana 1992, p. 105.
  67. Jump up to:a b c d Thanissaro Bhikkhu. "Abhaya Sutta". Access to Insight. Retrieved 6 May 2008.
  68. Jump up to:a b Kalupahana 1992, pp. 50–52.
  69. ^ Kalupahana 1992, p. 50-52.
  70. Jump up to:a b J Ganeri (2007). The Concealed Art of the Soul: Theories of Self and Practices of Truth in Indian Ethics and Episte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pp. 47–48. ISBN 978-0-19-920241-6.
  71. Jump up to:a b c d e Roderick Bucknell; Chris Kang (2013). The Meditative Way: Reading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Buddhist Meditation. Routledge. pp. 12–13. ISBN 978-1-136-80408-3.
  72. ^ Christopher Gowans (2004). Philosophy of the Buddha: An Introduction. Routledge. pp. 177–78. ISBN 978-1-134-46973-4.
  73. ^ Purusottama Bilimoria; Joseph Prabhu; Renuka M. Sharma (2007). Indian Ethics: Classical traditions and contemporary challenges. Ashgate Publishing. pp. 311–24. ISBN 978-0-7546-3301-3.
  74. ^ John Arapura (2003). K. R. Sundararajan & Bithika Mukerji (ed.). Hindu Spirituality: Postclassical and Modern. Motilal Banarsidass. pp. 392–417. ISBN 978-81-208-1937-5.
  75. Jump up to:a b c Vetter 1988, p. 12.
  76. ^ Thanissaro Bhikkhu. "Cunda Kammaraputta Sutta". Access to Insight. Retrieved 6 May 2008.
  77. ^ Christopher Gowans (2015). Steven M. Emmanuel (ed.).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John Wiley & Sons. p. 440. ISBN 978-1-119-14466-3.
  78. ^ Andrew Powell (1989). Living Buddh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24. ISBN 978-0-520-20410-2.
  79. ^ David L. Weddle (2010). Miracles: Wonder and Meaning in World Religions. New York University Press. p. 118. ISBN 978-0-8147-9483-8.
  80. ^ Rahula 2007, p. 53.
  81. ^ Martine Batchelor (2014). The Spirit of the Buddha. Yale University Press. p. 59. ISBN 978-0-300-17500-4.; Quote: These five trades, O monks, should not be taken up by a lay follower: trading with weapons, trading in living beings, trading in meat, trading in intoxicants, trading in poison."
  82. ^ Harvey 2013, pp. 273–74.
  83. ^ "Did the Buddha Teach Satipatthāna?". Retrieved 30 April 2020.
  84. ^ J. Mark G. Williams; Jon Kabat-Zinn (2013). Mindfulness: Diverse Perspectives on Its Meaning, Origins and Applications. Routledge. pp. 21–27. ISBN 978-1-317-98514-3.
  85. ^ Thera 2013.
  86. Jump up to:a b Bodhi, Bhikkhu; Thera, Soma (1998). "The Way of Mindfulness: The Satipatthana Sutta and Its Commentary". Retrieved 27 May 2016.
  87. ^ Polak 2011, pp. 153–56, 196–97.
  88. ^ Henepola Gunaratana (1995), The Jhanas in Theravada Buddhist Meditation
  89. ^ Visudimagga 84–85[full citation needed]
  90. ^ Johannes Bronkhorst (2009). Buddhist Teaching in India. Simon and Schuster. pp. 10–17. ISBN 978-0-86171-566-4.
  91. ^ Johannes Bronkhorst (2009). Buddhist Teaching in India. Simon and Schuster. pp. 16–17. ISBN 978-0-86171-566-4.
  92. Jump up to:a b c Johannes Bronkhorst (2009). Buddhist Teaching in India. Simon and Schuster. pp. 17–19. ISBN 978-0-86171-566-4.
  93. ^ Oliver Freiberger (2006). Asceticism and Its Critics: Historical Accounts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249–51. ISBN 978-0-19-971901-3.
  94. ^ Bronkhorst 1993, p. 63.
  95. ^ Bronkhorst 1993, pp. 53–70.
  96. ^ "Madhyama Agama, Taisho Tripitaka Vol. 1, No. 26, sutra 31 (分別聖諦經第十一)". Cbe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08. Retrieved 28 October 2008.
  97. ^ "unknown"Taisho Tripitaka. Cbeta. 1 (32): 8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08. Retrieved 28 October 2008.
  98. ^ "Madhyama Agama, Taisho Tripitaka Vol. 1, No. 26, sutra 189 (中阿含雙品 聖道經第三)". Cbe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08. Retrieved 27 October 2008.
  99. ^ Rahula 46
  100. ^ Bhikkhu Bodhi.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p. 14. Retrieved 6 May 2008.
  101. ^ Buswell & Gimello 1994, p. 204.
  102. ^ Rinpoche Karma-raṅ-byuṅ-kun-khyab-phrin-las (1986). The Dharma: That Illuminates All Beings Impartially Like the Light of the Sun and Mo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32–33. ISBN 978-0-88706-156-1.; Quote: "There are various ways of examining the Complete Path. For example, we can speak of Five Paths constituting its different levels: the Path of Accumulation, the Path of Application, the Path of Seeing, the Path of Meditation and the Path of No More Learning, or Buddhahood."
  103. Jump up to:a b c d e Bernard Faure (2009). The Power of Denial: Buddhism, Purity, and Gen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53–54, 67–70, 78–81, 99–106. ISBN 978-0-691-09171-6.
  104. ^ Gwilym Beckerlegge (2001). The World Religions Reader. Routledge. pp. 365–70. ISBN 978-0-415-24749-8.
  105. Jump up to:a b R. Alan Cole (1994). Mothers and Sons in Chinese Buddh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203–04. ISBN 978-0-8047-6510-7.
  106. ^ Wm. Theodore de Bary; Richard Lufrano (2010).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Volume 2: From 1600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18–20. ISBN 978-0-231-51799-7.
  107. ^ Gene Reeves (2002). A Buddhist kaleidoscope: essays on the Lotus Sutra. Kosei. pp. 363, 447–i48, 475. ISBN 978-4-333-01918-2.
  108. ^ Gwilym Beckerlegge (2001). The World Religions Reader. Routledge. pp. 369–70. ISBN 978-0-415-24749-8.
  109. ^ Bernard Faure (2009). The Power of Denial: Buddhism, Purity, and Gen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99–100. ISBN 978-0-691-09171-6.
  110. ^ Bernard Faure (2009). The Power of Denial: Buddhism, Purity, and Gen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12–16. ISBN 978-0-691-09171-6.
  111. ^ Kenneth Doo Young Lee (2012). Prince and the Monk, The: Shotoku Worship in Shinran's Buddh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93–94. ISBN 978-0-7914-8046-5.
  112. ^ Peter Harvey (2000).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Foundations, Values and Iss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68–70. ISBN 978-0-521-55640-8.
  113. ^ Peter Harvey (2000).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Foundations, Values and Iss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71–72. ISBN 978-0-521-55640-8.
  114. Jump up to:a b c d Wei-Yi Cheng (2007). Buddhist Nuns in Taiwan and Sri Lanka: A Critique of the Feminist Perspective. Routledge. pp. 58–60. ISBN 978-1-134-16811-8.
  115. ^ Wei-Yi Cheng (2007). Buddhist Nuns in Taiwan and Sri Lanka: A Critique of the Feminist Perspective. Routledge. pp. 63–64. ISBN 978-1-134-16811-8.
  116. ^ Gil Fronsdal (5 December 2006). The Dhammapada: A New Translation of the Buddhist Classic with Annotations.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9780834823808. Retrieved 14 July 2009.
  117. ^ Peter Randall (2013). The Psychology of Feeling Sorry: The Weight of the Soul. Routledge. pp. 206–208. ISBN 978-1-136-17026-3.

Sources[edit]

Primary sources
Secondary sources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