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5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 Wikipedia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 Wikipedia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AVP) is a volunteer-run conflict transformation program. Teams of trained AVP facilitators conduct experiential workshops to develop participants' abilities to resolve conflicts without resorting to manipulationcoercion, or violence. Typically, each workshop lasts 18–20 hours over a two or three-day period. The workshop events place a strong emphasis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building confidence that everyone contributes something of value to violence prevention. AVP groups and facilitators are active in communities and prisons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in many other countries.[1]

History[edit]

The project began in 1975 when inmates at Green Haven Prison in New York State asked local Quakers to help them teach incarcerated youth how to resolve conflicts nonviolently. The success of the workshops quickly spread by word of mouth, and the program took root in many State and Federal prisons throughout the country. Workshops are now offered in communities, businesses, churches, neighborhood centers, community associations, women's shelters and other locales.[2]

While particular workshops can be modified to meet the needs of a specific group, the fundamental objectives are: to encourage individual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and the consequences of their behavior, to serve as one another's community, and to find options other than fight or flight when faced with conflict. AVP asks participa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its workshops, and avoids situations where attendance is mandatory. Anyone, including a person in prison, who is willing to apply AVP principles in his or her own life, can be trained as a facilitator[3]

Organization[edit]

Throughout the world, AVP is predominantly a grassroots, voluntary organization. While there are a few paid state coordinators, the bulk of the organizing and training is done by volunteers. Although the original workshops were designed and facilitated with Quaker oversight, the project is a non-profit, non-denominational organization.[4]

Other programs that rely on certain AVP principles have been developed for use in schools, such as the Help Increase the Peace Program for youth,[5][6] and a Creativ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that used full-time staff in some California prisons as facilitators.[7] The reasons why transformations are regularly experienced in these two or three-day periods of time may includ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 for connection with others,[8] discoveries that one can influence a conflict,[9] and a combination of other factors.[10]

Organizations[edit]

International[edit]

Africa[edit]

Asia-West Pacific[edit]

Australia

Europe[edit]

Latin America[edit]

North American[edit]

See also[edit]

References[edit]

주굉스님 수필집 ‘죽창수필’ - 불교신문

道 배우는 데는 요행이나 굴욕이 없다 - 불교신문

道 배우는 데는 요행이나 굴욕이 없다
하정은 기자
승인 2014.11.13

실상사 연관스님, 10여년만에 주굉스님 수필집 ‘죽창수필’ 개정판 내
운서주굉스님 지음 / 연관스님 옮김 / 불광출판사

지리산 실상사 화엄학림 초대학장을 지낸 연관스님은 폭우가 몰아쳤던 지난 8월 어느날 원고뭉치가 담긴 USB를 가지고 불광출판사를 찾았다. 스님은 청천벽력같은 소식을 전했다. 스님이 주석하는 실상사 수월암에 낙뢰가 떨어져 아무것도 남기지 않은채 깡그리 전소됐다는 것이다.

위험천만한 불길 속에서 유일하게 살아난 USB에는 명나라 4대 고승 중 하나인 운서 주굉스님의 주옥같이 수필이 담겨 있었다. 이 수필집은 1991년 연관스님에 의해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됐다 이후 15년간 불교서적 스테디셀러로 사랑받았다.

81세에 입적한 주굉스님이 떠나기 전 자신이 살아온 80여해를 뒤돌아보며 후학들에게 꼭 전하고픈 이야기를 죽창 아래서 붓가는대로 진솔하게 풀어놓아서 책이름은 <죽창수필>이다.

명나라 4대 고승 중 하나
운서 주굉스님 ‘죽창수필’
1991년 출간하자마자 ‘화제’
2005년 절판…다듬어 개정판

당시 <죽창수필>은 청정한 삶을 살고자 하는 이들에게 인생의 참뜻과 지혜를 전하며 세상의 격류를 건너는데 튼튼한 징검돌이 될 정도로 호평이 쏟아졌었다. 2005년 여러 사정으로 절판되어 수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아쉬움을 남겼고, 연관스님은 절판 10여년만에 다시한번 우리 곁에 <죽창수필>을 내놓게 됐다. 새롭게 태어난 <죽창수필>은 어마어마한 불길에도 굴하지 않고 장엄하게 피어난 화중연화(火中蓮花)나 다름없다.

하마터면 다시는 세상에 나오지 못할 뻔했던 개정판 <죽창수필>의 서문에서 연관스님은 이같이 밝혔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삶은 무엇입니까? 놓아버려라. 죽음은 무엇입니까? 놓아버려라. 선(善)이란 무엇입니까? 놓아버려라. 악(惡)이란 무엇입니까? 놓아버려라.…갑오년 8월18일, 폭우 속에서 발절라(vajra, 벼락)는 이렇게 법을 설하였다.”

고전의 지혜가 절실하게 필요한 혼돈의 시대, 그렇게 <죽창수필>은 10년만에 다시 왔다. 개정판은 현대인들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번역의 오류와 한문투 문장을 세심하게 다듬고 주석을 대폭 보강했다.

개정판 원고 담긴 USB
지난 8월 낙뢰서 살아남아
‘화중연화’로 다시 태어난 격
수행자 구도법열이 빚어놓은
400여편 주옥같은 ‘문자사리’

주굉스님의 상세한 일대기로 시작되는 책은 깨달음과 수행에 관한 짧지만 강렬한 수필 400여편이 빼곡하게 실려 있다. 수필 ‘좋아하는 것’은 쉽고도 명쾌한 한편의 법문이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는 좋아하는 것이 있기 마련이요, 또한 그 좋아하는 것에 따라 세월을 보내고 늙음에 이르게 된다”라고 수필은 시작된다. 좋아하는 것에 맑고 탁한 것이 다를 뿐이라는 스님은 재물 모으기, 여자를 좋아하는 것, 술마시기를 좋아하는 것을 지극히 탁한 것으로 꼽았다. 맑은 것에 관한 예시는 상세하게 밝혀두었다.

“조금 맑은 것으로는 골동품과 거문고를 좋아하거나 바둑 두기를 좋아하는 것이며, 
혹은 산수(山水)를 좋아하고 시가(詩歌) 읊조리기를 좋아하는 것이며, 
또 더 나아가면 독서하기를 좋아하는 것이다. 책을 펼치면 이익이 있으므로, 모든 좋아하는 것 중에는 독서가 가장 낫다 할 것이다.” 이어 수행을 강조하며 이렇게 피력했다.

“더 나아간다면 불경(佛經) 읽기를 좋아하는 것이요, 
또 더 나아간다면 마음을 깨끗이 하기를 좋아하는 것이다. 
좋아하는 것이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데 이르면 세간이나 출세간의 좋아하는 것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 할 것이니, 점점 아름다운 경계에 들어가는 것이 마치 사탕 맛을 보듯 할 것이다.”


81세에 입적한 주굉스님이 자신이 살아온 80여 해를 뒤돌아보며 후학들에게 꼭 전하고픈 이야기를 죽창 아래서 붓가는대로 진솔하게 풀어놓은 것이 <죽창수필>이다. 사진은 중국의 경산사 대나무숲. 불교신문 자료사진
===
‘때를 놓쳐서는 안된다’는 주제의 수필은 오늘날 승가에 가하는 일침과도 같다. “출가인은 처음 출가했을 때 반드시 마음이 용맹하니, 이때 바짝 달려들어 단숨에 공부를 마쳐야 한다. 
이 때를 놓쳐 버리면 훗날 주지가 되고 제자를 거느리며 혹은 보시가 넉넉하여 거기에 얽매여 처음 뜻을 잊고 말기 일쑤다. 설사 성인이 되었더라도 정처없이 떠돌게 된다. 수행인은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수행을 통한 결실을 노래한 ‘마음이 고요한 이익2’도 눈길이 간다. “술이나 식초 따위는 오래 갈무리할수록 더욱 좋은 맛이 나는데, 그것은 단단히 봉하고 깊이 저장하여 다른 기운이 전혀 스며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인이 말하기를, ‘20년동안 입을 다물고 아무말도 하지 않으면 그런 후에 네가 어찌 부처를 얻지 못하랴!’ 하였다. 아름답다 이 말씀이여!”


공부하는 방편과 자세를 언급한 작품은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는 일에 관해 요행을 바라거나 굴욕을 자처하는 이들에게 본보기가 될만하다.

“하루는 따뜻하고 열흘은 차듯이 게으르면서 도업을 얻는 자는 없었다. 
또한 뜻을 돈독히 하여 힘써 행하고 정성을 다하고 신명을 다 바쳐 쉬거나 물러나지 않으며, 깨달음으로 최후의 목표를 삼으면서 도업을 이루지 못한 자도 없다.…
도를 배우는 자는 오직 굳은 마음으로 정진할 따름이지, 
요행을 바랄 것도 뜻을 얻지 못할 것을 걱정할 일도 아니다. 
도를 배우는 데는 요행이나 굴욕이 없다.”

“공부는 오로지 한가지에만 마음을 쏟아야 한다”는 대목도 눈에 띈다. 
“부처님께서는 ‘마음을 한 곳에만 두면 무슨 일이건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고 하셨다. 
그러므로 마음이 두 갈래로 나눠지면 일이 하나로 돌아오지 않고, 생각이 전일하고 뜻이 돈독하면 속히 삼매를 이룰 수 있다. 참선하는 이든 염불하는 이든 이 말을 깊이 명심하라.”

서른한살 다소 늦은 나이에 무문성천(無門性天)에게 출가한 주굉스님은 소암덕보(笑巖德寶)의 법을 이었다. 법어집이 <어선어록>에 편입되어 주굉스님은 돌아가신 후에 성광이 더욱 빛났다. 역저자 연관스님은 해인사에서 출가하여 제방선원에서 선을 익히고 교를 배웠다. <금강경 간정기>, <선문단련설>, <용악집>, <학명집> 등을 번역ㆍ출간했다.

[불교신문3058호/2014년11월15일자]

분석심리학자의 동양고전 산책 – 한국융연구원

분석심리학자의 동양고전 산책 – 한국융연구원



분석심리학자의 동양고전 산책


誠(성)에 대하여 (3)


분석심리학자의 고전 산책 (8)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8) 誠(성)에 대하여 (3)On the Ch’eng of Yul-gok – 노영찬의 율곡사상론, 나가는 말 이부영 李符永Rhi, Bou-Yong, M.D. Ph.D. 그동안 우리는 신유교의 수행의 대 전제인 敬경에 대한 퇴계의 소견을 살핀 뒤에 율곡이 수행의 대 전제로 내세운 성誠에 관해 그 배경인 중용과 대학, 그리고 여러 학자들의 고찰을 중심으로 살펴왔다. 이번에는 율곡사상에 대해 작지만 알찬 연구서를 영문으로 펴낸 노영찬의 저서(Young-chan Ro, The Korean Neo-Confucianism of Yi Yulgok, State University of New […]
Facebook




성誠에 대하여(2)


분석심리학자의 고전 산책 (7)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7) 성誠에 대하여(2) – 채무송의 논거를 중심으로 On the Seong(誠) by Lee Yul Gok 이부영 李符永 Rhi, Bou-Yong, M.D. Ph.D. 중용에 대한 율곡의 입장 율곡은 중용의 성을 어떻게 받아드렸을까?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 율곡은 이렇게 말한다. 신이 살피건대 궁리가 분명하여야만 궁행할 수가 있고, 반드시 마음이 진실하여야만 비로소 진 실한 공효에 착수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성실은 궁행의 근본이 됩니다. 臣按, 窮理旣明, 可以躬行, 而必有實心, 然後乃下實功, 故誠實爲躬行之本. (율곡집 II 106, 성학집요III, […]
Facebook




성誠에 대하여(1)


분석심리학자의 고전 산책 (6)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into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6) 성誠에 대하여(1) On the Cheng(誠) by Lee Yul Gok 이 부 영 李符永 Rhi, Bou-Yong 지난 호에는 이퇴계의 경(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호 부터는 우리나라 신유학파에서 퇴계와 쌍벽을 이룬 율곡栗谷에게 성(誠)은 무엇이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심리학자로서 논평도 하겠지만 그보다도 율곡의 철학에서 수행의 핵심이 어디에 있는지 유학자와 연구자들의 주장들을 이해하고 배우는 자세로 들여다 볼 작정 이다.(저자 주) 들어가는 말 퇴계는 주자의 주경사상을 이어받았고 율곡은 […]
Facebook




경敬에 대하여(2)


분석심리학자의 동양고전 산책 (5)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5 경敬에 대하여(2) On the Gyeong(ching), Reverence by Toegye 이 부 영 李符永 Rhi, Bou-Yong 1) Kalton의 견해 이상은의 경외에 대한 소설, ‘신 앞에서와 같은 두려움’이 경의 관념 속에 포함된다는 설명은 이미 주자로부터 발언되어 퇴계에 이른 생각으로 정신집중과 세밀한 관찰과 같은 어떤 수행수단보다도 핵심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퇴계의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연구한 Michael Kalton은 경을 Mindfulness(주의를 깊이 기울임)라고 번역하여 서술했는데 경은 전통적으로는 오히려 외경 reverence이라는 뜻이라고 했다. 그는 […]
Facebook




경敬에 대하여(1)


분석심리학자의 동양고전 산책 (4)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4 경敬에 대하여(1) On the Gyeong(ching), Reverence by Toegye 이 부 영 李符永 Rhi, Bou-Yong 1. 주자, 주돈이, 정이천의 입장 경敬은 주자학에서 수행의 가장 중요한 조건중의 하나로 강조한 말이다. 주자(朱子)(1130-1200)는 성인에 이르는 학문에서 두가지의 방법을 제시했는데 그것은 거경居敬과 궁리窮理다. 거경은 ‘항상 공경히 지내는 것’(경- earnestness – Fung,Y.L. p.528)을 말하고 궁리는 물의 이치를 철저히 구명하여(格物致知)-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knowledge -(Fung,Y.L. p.385) – 만물의 원리를 깨닫는 것이다. […]
Facebook




다시 맹자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생각한다.


분석심리학자의 동양고전 산책 3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3 다시 맹자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생각한다. Mencius’ ‘the Great Morale’ revisited 이 부 영 李符永 Rhi, Bou-Yong I 중국철학사를 쓴 풍우란은 말한다: “공자는 인의를 규정하였으나 왜 인간이 인의를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고. 이 질문에 대답을 주고자 한 것이 맹자의 성선설이라고 했다.(풍 106) “맹자는 성 그자체에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다른 요소들도 있는데 그 요소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면 악으로 이끌어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러나 맹자에 […]
Facebook




맹자의 사단과 성선설 (2) 맹자와 자기실현


분석심리학자의 동양 고전 산책 2.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2 맹자孟子의 사단四端과 성선설性善說 (2) The Four Beginnings and the Mencius ethical doctrines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2) 맹자와 자기실현 Mencius on Self – actualization 이 부 영 李符永 Rhi, Bou-Yong, M.D.Ph.D. 우산 牛山의 비유 “사람들은 저 벌거숭이 산을 보고 우산에는 옛날 부터 수목이 없던 것 처럼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어찌 그것이 산의 본성일까보냐” 맹자의 말이다. 우산 牛山의 비유에는 겉모습을 보고 본성을 판단하지 말라는 교훈이 […]
Facebook




맹자의 사단과 성선설 (1)


분석심리학자의 동양 고전 산책 1. Analytical psychologists stroll through the forest of the eastern classics 1 맹자孟子의 사단四端과 성선설性善說 (1) The Four Beginnings and the Mencius ethical doctrines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1) 이 부 영 李符永 Rhi, Bou-Yong, M.D.Ph.D. 4단 四端에 대하여 맹자가 말했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남의 슬픔을 그대로 차마 보아넘기지 못하는 측은한 마음( 不忍人之心 )이 있다.” 맹자의 사단론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제 어린이가 우물에 빠지게 되었다 하자. 그것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깜짝 놀라는 동시에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일어날 […]
Facebook

분석가 수련요강 – 한국융연구원

분석가 수련요강 – 한국융연구원


분석가 수련요강
분석가 수련 규정 (2007. 8. 15. 국제 분석심리학회 공인)
1.목적

C.G. 융의 분석심리학을 바르게 터득하고 인간의 심성과 그의 고통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깊이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의 자기 통찰을 도울 수 있는 능력과 자세를 갖춘, 국제적 으로 손색이 없는 융 학파의 분석가를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수련 입문 신청 자격

대학 석사이상 또는 대등한 경력을 갖춘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으로 분석심리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갖추었으며, 한국 융연구원 수련위원회가 인정한 교육분석가로부터 최소 50시간 이상의 개인분석을 받은 뒤, 본인의 심성과 자질, 분석 수련에 대한 의식적 무의식적 동기를 고려한 후 지원할 수 있다.

3. 입문 신청 절차

융학파 분석가로부터 추천을 받은 입문 신청자가 본원이 정한 서류를 매년 10월 말일까지 본원 사무국에 제출하면 입문 심사 소위원회에서 서류 심사 및 개별 면담 후 심사결과를 수련위원회에 보고하고, 수련 위원회는 심의 후 입문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시행세칙 1. 참조)

4. 수련 교육과정

예비 수련과정과 전문 수련과정의 두 단계로 나누어 실시된다. 각 단계마다 시험에 통과하고 세미나 소 논문과 분석심리학 분야의 수료 논문이 수리되어야 한다.
교육 방식은 교육 및 지도분석, 임상실습, 분석사례토의 등 분석심리학설의 경험을 통한 학습과 소집단 토론을 주로 하는 세미나, 중 집단 웍샵, 특강 등 이론적 학습의 두 가지가 있다.

가. 예비수련 과정

1) 교육 목표

융 학파 분석가가 되기 위한 기초 단계의 수련으로서 분석심리학 및 이에 관련된 기초 이론을 습득하여 장차 전문 수련 과정으로 진입하기에 충분한 자기 인식의 기본 자세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교육 종류와 내용

(1) 교육 종류

(가) 교육분석 (교육분석가에 의한 수련자 자신의 분석)
(나) 세미나, 워크샵, 특강

(2) 교육 내용

(가) 분석심리학의 기초 이론 (나) 꿈의 심리학
(다) 콤플렉스론 및 연상검사 (라) 정신 신경증의 학설 비교
(마) 정신병리학의 기초 (바) 비교 종교사
(사) 원시 민족의 심리학 (아) 신화와 민담의 심리학
(자) 분석상의 윤리

3) 예비 수련과정 수료시험

(1) 응시 자격 조건(시행 세칙 2 참조)

(가) 교육분석 : 입문 이후 최소한 150시간 이상
(나) 본원 정규교육 6학기 이상 참여
(다) 세미나 논문 2편 ① 상징논문 1편, 민담논문 1편 (세미나 발표)
② 단어연상 검사 (100단어) 보고서 1편
(라)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경험(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정신의료 사회복지사로서 본원 이사회에서 승인한 경우 제외)*
본원 수련위원회가 인정하는 정신건강의학과 병. 의원에서 300시간의 임
상실습 이수.

(2) 응시 자격 신청 및 심의 절차 :

예비수련자가 수련평가 소위원회에 응시 원서와 상징 및 단어 연상 검사에 관한 논문을 제출하면, 수련평가 소위원회는 수련자의 능력을 여러 측면에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수련위원회(상임이사회)에 보고하고 수련위원회는 이를 참조하고 심의하여 시험 자격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3) 수료와 수료자의 자격

수련위원회의 최종 사정을 통과하면 예비과정 수료가 인정되며 전문수련 과정으로 들어갈 자격을 얻는다.

※ 예비수련 과정 수료만으로는 독자적으로 다른 사람을 분석할 수 없다. 만약 예비 수련 과정 수료 후에 임의로 분석가 행세를 할 경우에 수련위원회는 예비수련 과정 수료 자격을 박탈 할 수 있다.

나) 전문 수련 과정

1) 교육 목표

분석심리학의 기초 단계 수련을 바탕으로 분석심리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터득하고 분석심리학의 이론을 무의식의 분석 과정에서 바르게 적용 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과 자세를 갖추는 데 있다.

2) 교육 종류와 내용

(1) 교육 종류

(가) 교육분석
(나) 지도분석 (수련자가 본원이 지정한 지도분석가의 지도하에 피분석자와
실시하는 분석작업)
(다) 지도분석가에 의한 수련자의 지도로 분석사례에 대한 개인지도
(라) 수련자의 분석 사례에 관한 분석가 주재하의 소집단 토의
(마) 세미나, 워크샵, 특강
(바) 분석심리학 분야 연구
(사) (해당자*에 국한)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실습 * 3)-(1)-(라) 참조

(2) 교육 내용

(가) 분석심리학의 이론(개성화 과정과 상징을 중심으로)
(나) 꿈의 심리학과 실제 해석
(다) 신화와 민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라) 회화 및 무의식의 상(像)에 관한 이해
(마) 임상 정신의학(진단, 감별 진단, 정신의학적 치료의 기초)
(바) 개별적 분석 사례의 고찰
(사) 분석심리학 분야 학술 논문의 작성

3) 전문 수련 과정 수료시험 요강

(1) 응시 자격 신청조건 (시행 세칙 2와 3 참조)

(가) 교육 분석 : 예비과정 입문 이후 총 300시간 이상. 단 전문과정 수련 기간
중 최소한 150시간 이상이어야 함.
(나) 지도분석 : 500시간 이상
지도분석가의 지도 : 100시간 이상
(다) 세미나 등 본원 정규 교육 전문과정 진입 후 6학기 이상 참여
(라) 민담 세미나에서 발표한 뒤, 신화. 민담의 해석에 관한 논문 1편
(50쪽 이상)(시행 세칙 2 참조)
(마)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실습(해당자 * 3)-(1)-(라) 참조)
예비과정의 실습(6개월에 총 300시간)에 더하여 수련위원회가 인정하는
정신과 병. 의원에서 6개월에 해당하는 기간 총 300시간의 정신과 임상
실습을 더 이수 해야한다. 실습 내용은 정신병리, 진단, 감별 진단, 정신의
학적 치료의 기초. 임상 실습은 전문과정 수료시험 신청 전에 완료되어야
한다.
(바) 장기 분석사례 2례, 단기 3례에 관한 보고서(시행세칙 3 참조)
(사) 최소한 40회 이상의 소집단 토의 참가
(아) 수료 논문은 분석가의 지도하에 분석심리학 분야의 논문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수준)을 응시 자격 신청 전에 제출하고 수련위원회에서 수리 되
어야 한다.

(2) 응시 자격 신청 및 심의 절차 :

수료논문이 통과된 뒤에 전문과정 수련자가 수련 평가 소위원회에 응시 원서와 교육 및 지도분석, 개인 및 집단지도 회수에 관한 소정의 증빙서류, 민담세미나 논문 1편, 분석사례 보고서를 제출하면 수련평가 소위원회는 이를 여러각도로 심사하여 그 결과를 수련위원회에 보고하고 수련위원회는 이를 참조하고 심의하여 시험자격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5. 전문과정 수료 및 분석가 자격

(1) 수련위원회의 최종 심사에 통과하면 본원의 수료증이 수여됨과 함께 융 학
파 분석가의 자격이 인증된다.
(2) 본원 수료자는 한국융분석가협회(KAJA) 정회원과 국제 분석심리학회
(IAAP) 정회원의 자격을 갖는다.
(3) 본원 수료자는 융 학파 분석가로서의 상응한 책임과 권한을 가진다. 다만 분
석가로서의 상담 활동은 해당국의 국내법에 따른다.
(4) 전문과정 수료 이전에는 독립된 융 학파 분석가를 표방 할 수 없다.

6. 윤리규정

본원 수련과정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는 본원 윤리규정에 따라 윤리위원회가 이를 처리한다. 윤리규정과 윤리위원회는 한국융분석가협회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7. 수련교육 관련 위원회

본원의 수련위원회와 입문 심사 소위원회, 수련평가 소위원회등의 위원은 한국융분석가협회의 규정에 따라 선출된 위원으로 한다.

8. 기타 수련관계 부칙 및 안내

1) 국제 분석심리학회 공인 또는 이와 대등한 해외 융 연구기관에서 수련을 받은
사람이 본원 분석가 수련을 받게 되었을 경우에는 수련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교육 조건의 일부 조정이 가능하다.
2) 자세한 응시자격 조건, 지원 절차 등은 한국 융 연구원 분석가 수련 규정시행
세칙을 참조 한다.

분석가 수련 관련 위원회

1. 수련 위원회

위 원 장 : 이부영
부위원장 : 박 신(수련이사)
위 원 : 이죽내, 이보섭, 서동혁, 이문성, 이도희, 이나미, 김계희

1) 입문 심사 소위원회
서동혁(위원장), 박 신, 이문성(위원)

2) 수련 평가 소위원회
박 신(위원장), 이도희, 이나미(위원), 이상익(간사)

2. 윤리 위원회
이죽내(위원장), 이보섭(위원), 서동혁(총무)

3. 교육 및 지도분석가 (상임교수)
이부영, 이죽내, 이보섭, 서동혁, 박 신, 이문성, 이도희, 이나미, 심상영, 김계희,
김정택, 김성민, 강철중, 박상학, 김진숙, 한상익, 박효인, 이광자, 박영선

이상 2020. 3. 1. 현재.

수련자용 필독 및 참고문헌 – 한국융연구원

수련자용 필독 및 참고문헌 – 한국융연구원

수련자용 필독 및 참고문헌
1. 분석심리학의 기초 : Fundamentals of Analytical Psychology 
1-1 기본 관점과 개념 Basic Standpoint and Concept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이부영(1998) : 분석심리학 – C.G. Jung의 인간심성론 (제 3판), 일조각, 서울.
이부영(1999) : 분석심리학의 탐구 ① 그림자, 한길사, 서울.
이부영(2001) : “ ② 아니마, 아니무스, 한길사, 서울.
이부영(2002) : “ ③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야훼, A.(이부영개역)(2012) : C.G. 융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 (Jaffé A.(ed) : Memories, Dreams, Reflections of C.G.Jung, Collins, 1971.)
M.-L. 폰 프란츠(이부영역)(2016) : C.G. 융, 우리시대 그의 신화, 한국융연구원, 서울.
Von Franz, M.-L. : C.G. Jung : His Myth in our Time. London, Hodder & Stoughton, 1975.
융, C.G.(이부영외 역)(2013) : 인간과 상징, 집문당, 서울, 중 특히 제 1장, 융 : 무의식에의 접근, 제 3장 폰 프란츠 : 개성화과정.
(C.G. Jung(ed.)(1964) Man and His Symbols, Aldus, London)
C.G. 융 기본저작집(한국융연구원 역) 제 1권(2001),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출판사, 서울.
〃 〃 제 2권(2002),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 〃 .제 3권(2004), 인격과 전이, 솔출판사, 서울.
〃 〃 .제 4권(2008),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출판사, 서울.
〃 〃 제 5권(2002),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출판사, 서울.
〃 〃 .제 6권(2004),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출판사, 서울.
〃 〃 .제 7권(2005), 상징과 리비도, 솔출판사, 서울.
C.G. 융 기본저작집(한국융연구원 역) 제 8권(2006), 영웅과 모성 원형, 솔출판사, 서울.
〃 〃 제 9권(2004), 인간과 문화, 솔출판사, 서울.
Jung, C.G. : Two Essays in Analytical Psychology. C.W. 7.
Jung, C.G. : Psychological Types. C.W. 6, 특히 제10장 과 제11장.(일부 기본저작집 제 1권)
Jung, C.G. :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C.W. 8.(일부 기본저작집 제 2권)
Jung, C.G. :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C.W. 9 I.
(일부 기본저작집 제 2권)
Jung, C.G. : Aion. C.W. 9 ii, Chaps. 1 – 4.
Jung, C.G. : Freud and Jung; Contrasts, (in) Jung C.W. 4, pp. 333-342.
Jung, C.G. : Symbols of Transformation. C.W. 5.(기본저작집 제 7, 8권)
Von Franz, M.-L. : “The Inferior Function”, in Jung’s Typology, by M.-L. von Franz and J. Hillman. Spring Publications, 1971.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Harding, E. : The Way of All Women. London, Rider, 1971.
(M. 에스더 하딩(김유빈역)(2019) : C.G. 융과 여성의 심리, 달을 긷는 우물, 서울)
Harding, E. : Woman’s Mysteries. Putnam’s Sons, 1971.
Jung, Emma : Animus and Anima. Analytical Psychology Club of New York, 1957.
Neumann, E : The Origins and History of Consciousness. Pantheon, 1954, Princeton Univ. Press, Princeton, 1966.
Neumann, E. : The Great Mother. Pantheon, 1963.
Von Franz, M.-L. : Projection and Re-Collection in Jungian Psychology.
C.G. 융(이부영개역)(2013) : 현대의 신화, 솔, 서울.
C.G. Jung(1958) Ein Moderner Mythus, Rascher, Zürich.
이부영(2014) : 분석심리학 이야기, 집문당, 서울.
1-2 타학파의 학설 : Other School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메다르 보스(이죽내역)(2003) : 정신분석과 현존재분석, 하나의학사, 서울.
이죽내(1987) : Transpersonal Psychotherapy와 분석심리학, 대화 1(2), pp. 14-28
이죽내(1986) : 분석심리학과 현존재분석, 주요개념의 일 대비고, 심성연구1(1), pp. 45-70
Ellenberger, H.F. : The Discovery of the Unconscious, 특히 Chaps. 6-9 (on Piaget, Freud, Adler and Jung). Basic Books, 1970 ; Allen Lane, 1970.
Ansbacher. H. and R.(ed.) :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 Basic Books, 1956; or Harper Torchbook, 1974.
Binswanger, L. : Being in the World : Selected Papers. Harper & Row, 1968.
Freud, S. : A General Introduction to Psychoanalysis. C.W. XV, pp.3-12 (프로이트(임홍빈․홍혜경역) : 정신분석서론, 프로이트전집 1권, 열린책들, 서울,1997, pp.15-28)
Freud, S. : Psychoanalysis and Psychiatry. C.W. XVI, pp.243-256 (프로이트(임홍빈․홍혜경역) : 정신분석과 정신의학, 프로이트전집 2권, 열린 책들, 서울,1997, pp.347-365)
Freud, S. : The Unconscious. C.W. XIV, pp. 159-209 (프로이트(윤희기역) : 무의식에 관하여, 프로이트전집 13권, 열린책들, 서울, 1997, pp.155-217)
Freud, S. : The Ego and the Id. C.W. XIX, 제2장, pp.19-27 (프로이트(박찬부역) : 자아와 이드, 프로이트전집 14권, 열린책들, 서울, 1997, pp. 93-102)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Maslow, A. :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Van Nostrand, 1968.
Frey-Rohn, L. : From Freud to Jung. C.P. Putnam’s, Sons 1974.
Brown, J. A. C. : Freud and the Post-Freudians, Penguin Books, London, 1964.
이죽내(1988) : 분석심리학과 현존재분석에서의 자기, 정신치료, 2(2), pp. 51-55
2. 연상검사와 콤플렉스론 : The Association Experiment and Theory of Complexes
1) 연상검사 : Association Experiment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Jung, C.G. : Experimental Researches, C.W. 2, Princeton Univ. Press, Princeton, Part I. Studies in word association Part Ⅱ. Psychophysical researches.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C.G.Jung의 인간심성론(제 3판), 일조각, 서울. (제2장 연상검사와 콤플렉스론)중 연상검사
이부영, 서국희(1995) : C.G. Jung 단어연상검사의 한국형 축약수정안 제작을 위한 연구, 심성연구 10(1.2), pp. 1-102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Riklin, F. : Jung’s Association Test and Dream Interpretation, in : Jung and Projective Techniques, Journl. Proj. Techniques 3, 1955.
Meier, C. A. : The Unconscious in its Empirical Manifestations. Boston, Sigo Press, 1984.
Kast, V. : Das Assoziationsexperiment in der therapeutischen Praxis, Bonz Verlag, 1980.
이 철, 이부영(1976) : 한국 대학생에 대한 연상검사의 예비적 연구, 신경 정신의학 15(1), pp. 65-77.
이수철, 이부영(1979) : 정신분열증 환자의 연상검사, 신경정신의학 21(3), pp. 22-37.
손봉기(1979) : 한국농촌주민의 연상검사에 대한 예비적 검사, 신경정신 의학, 18(1) : 22-37
2) 콤플렉스 이론 : Theory of Complexe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Jung, C. G. : The Tavistock Lectures.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Analytical Psychology. C.W. 18.
Jung, C. G. : A Review of Complex Theory (1948), Collected Works Vol. 8, pp.92-104, Princeton Univ. Press, N.J.,1973 (일부 C.G. 융기본저작집 1권, 정신요법의 기본 문제의 ‘콤플렉스학설의 개요’)
Jung, C. G. : On Psychic Energy (1948), Collected Works Vol. 8, pp.3-68, Princeton Univ. Press, N. J., 1973.
Jung, C. G. :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Belief in Spirits. C.W. 8.
Jung, C. G. : Psychogenesis of Mental Disease C.W. 3, The Psychology of Dementia Praecox.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C.G. Jung의 인간심성론(제 3판), 일조각, 서울.
(제2장 연상검사와 콤플렉스론)
이부영(1987) : Jung의 모성상과 모성콤플렉스론, 심성연구 2(2): pp.73-88.
3. 꿈의 심리학과 해석 : Psychology and Interpretation of Dream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융, C. G.(이부영외 역)(2013) : 인간과 상징,(융과 폰 프란츠의 글), 집문당, 서울. (Jung, C. G. : Approaching the Unconscious, Von Franz M.-L. Individuation Process (in) Man and His Symbols, Jung, C.G.(ed), New York, 1968, London : Aldus, 1964.
Jung, C. G. : The Practical Use of Dream-Analysis. C.W.16.(C.G. 융 기본저작집 1권)
Jaffé, A(ed.)(1972) : Memories, Dreams, Reflections of C.G.Jung (융이 자기 자신의 꿈에 관해 논의한 부분) A. 야훼(이부영역)(2012) C. G. 융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Jung, C. G. : Symbols and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C.W. 18.
Jung, C. G. : General Aspects of Dream Psychology. C.W. 8.(C.G. 융 기본저작집 1권)
Jung, C. G. : On the Nature of Dreams. C.W. 8.(C.G. 융 기본저작집 1권)
보아(박현순, 이창인 공역)(2004) 융학파의 꿈 해석, 학지사, 서울.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C.G. Jung의 인간심성론(제 3판), 일조각, 서울. (제5장 꿈의 해석)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Jung, C. G. : Dream Analysis Seminar, 1928-30.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84.
Jung, C. G. : Individual Dream Symbolism in Relation to Alchemy. C.W. 12.
Jung, C. G. (Trnsl. Ernst Falzeder, Tony Woolfson) : Children’s Dreams: Notes from the Seminar Given in 1936-194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4. 그림해석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graphic products from the unconsciou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Jung, C. G.(1977) : A Study i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C.W. 9/1, pp290-354; Concerning Mandala Symbolik, ibid., pp.355-384, C.G. Jung(1976) Zur Empirie des individuationsprozesses, G. W. 9/1. pp.311-372, über.
Jung, C. G.(1978) : The Philosophical Tree, C.W.13(Alchemical Studies), pp.253-349, 그림 p.57ff A1-A10, Fig.1-32, Bollingen Foundation, New York. Mandala Symbolik ibid., pp.373-414, walter verlag, Olten.
융 C. G.(이부영역) : 현대의 신화에서 그림(E. 야코비, 이qm탕기, P. 비르크호이저 등)
J. Jacobi : Vom Bilderreich der Seele, Olten, Walter-Verlag, 1992.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C.G. Jung의 인간심성론(제 3판), 일조각, pp.293-303 <그림분석>
압트, 테오도르(이유경역)(2008): 융 심리학적 그림 해석, 분석심리학 연구소.
Birkhäuser
5. ‘신경증‘의 이론과 학파간의 비교 Comparative Theories of Neurosi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Jung, C. G. :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On Psychic Energy : part 3. Fundamental concepts of the libido theory,1928, C.W. 8.
C.G. Jung : Practice of Psychotherapy, C.W. 16.
야훼(이부영역)(2012) :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pp.136-169 : 제5장 정신과 의학적활동, pp.189-216, 제 6장 지그문트 프로이트, (Jaffé A.(ed) : Memories, Dreams, Reflections of C.G.Jung, Collins, 1971.)
특집「정신신경증」의 심리역동- 학파간 비교, 심성연구 14(2), 1999, pp. 37-95.
Freud, S. :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1920). C.W. 18.
Ellenberger, H. F. : The Discovery of the Unconscious. New York, Basic Books, 1970.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Neumann, E. : The Child. New York, Putnam, 1973. The Origins and History of Consciousness.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54.
Franz, M.-L. v. : The Problem of the Puer Aeternus. New York, Spring Publ., 1970.
Frey-Rohn, L. : From Freud to Jung. Part G : Neurosis and Dream. I : Neurosis as a Problem of Drive or Personality, New York, Putnam, 1974.
C. 권장도서 : Further Recommendations

Freud, A. : The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ce. London, Hogarth Press, 1954.
Horney, K. : Neurosis and Human Growth. New York, Norton, 1950.
Kernberg, O. :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Aronson, 1975.
Klein, M. : Envy and Gratitude and Other Works, 1946-1963. New York, Dell, 1977.
Kohut, H. :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 U.P., 1977.
Frankl, V. E. : The Will to Meaning, New American Library, New York, 1969.
Frankl, V. E. : Man’s Search for Meaning, A Touchstone Books, New York, 1959. (프랑클(역) : 죽음의 수용소)
Sullivan, H. S. : The Psychiatric Interview, W. W. Norton & Co., New York, 1970.
Sullivan, H. S. :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W.W. Norton & Co., New York, 1953.
Horney, K. : Self Analysis, Rontledge & Kegan Paul, New York, 1970.
6. 정신병리학 및 임상정신의학의 기초 Psychopathology and Basics of Psychiatry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 –C.G.Jung의 인간심성론(제 3판), 일조각, 서울, 제 6장 정신병리
야훼(이부영역)(2012) : C.G. 융의 꿈, 회상, 그리고 사상, <정신의학적 활동>
C. G. Jung : On the Importance of the Unconscious in Psychopathology. C.W. 3. pp. 203-210.
C. G. Jung : On the Problem of Psychogenesis in Mental disease, C.W. 3, pp. 211- 225. (일부 기본저작집 1권<정신분열증>)
C. G. Jung : On the Psychogenesis of Schizophrenia, C. W. 3, pp. 233-249.
C. G. Jung : Recent Thought on Schizophrenia, C.W. 3, pp. 250-255.
H.K. Fierz(1981) : Jungian Psychiatry, Daimon Verlag, Einsiedeln.
Freedman, R. M., Kaplan, H. J., Sadock, B. J. : Modern Synopsis of Comprehensive Text Book of Psychiatry/Williams & Wilkins, 최신판.
ICD-10 : (이부영외 역) 정신 및 형태장애, 세계보건기구, 일조각, 1994.
Des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rlington, 2013.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Jaspers, K. : General Psychopathology . Univ. of Chicago, 1972. (일부 實存과虛無(李奎浩 역)(1974), 야스페르스 精神病學總論(이부영역), 太極出版社, 서울) 칼 야스퍼스(송지영외2인역)(2014) : 정신병리학총론 1~4권, 아카넷, 서울.
쿠르트 슈나이더(이부영, 한오수 공역)(1996) : 임상정신병리학(제14판), 일조각,서울. (Schneider, K. : Clinical Psychopathology. Grune & Stratton, 1992.)
이부영 : 종교와 정신병리, 사목 34, 1974, pp.63-70.
이부영. 서경란 : 한국에서의 빙의현상, 그 심리학적 정신병리학적 측면-증례분석을 중심으로, 심성연구 9(1, 2); pp.1-42.
7. 비교종교사 : Comparative History of Religion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C. G. Jung : Collected Work 11, Psychology and Religion, West and East,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1977. (일부 C.G. 융 기본저작집 제 4권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이부영(2011) :분석심리학-C.G.Jung의 인간심성론(제 3판),일조각, 서울. 제8장 분석심리학과 종교
C.G. 융 기본저작집(솔출판) 9권중 논문 : 양심의 심리학.
C.G. 융 기본저작집 4권(솔출판) :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체. 게. 융(이부영역)(1980) : 분석심리학에서의 선과 악, 현대사상전집, 삼성 출판, 서울. (융 : 현대의 신화 외, 부록)
이죽내(2005) : 융 심리학과 동양사상, 하나의학사, 서울.
이부영 : 분석심리학의 탐구 ① : 『그림자』, pp.257-298, <그림자와 종교사상 >, 한길사, 서울.
“ ② : 『아니마, 아니무스』, pp.281-311, <전통 종교 사상과 여성성>, ”
“ ③ : 『자기와 자기실현』, pp. 267-304, <전통종교문화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무속과 전체성의 상징, 논어와 퇴계 천명신도, 불교사상, 십우도에 나타난 자기실현 과정>, ”
Rhi, B.Y : The phenomenology and psychology of Korean shamanism, Netherlands, Kluewer Academic Publishers, 1993, pp. 253-268.
Mircea Eliade : A History of Religious Ideas. Vols. 1-3. University of Chicago. 1978-1985.
M. Eliade : Shamanism, Pantheon Bodes, New York, 1970.
이부영(2012) :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서울.
Otto, R. : The Idea of the Holy, Oxford, 1958,
Schaer, H. : Religion and the Cure of Souls in Jung’s Psychology. Pantheon, 1950.
White, V. : Soul and Psyche. London, 1960.
이부영(2012) : 노자와 융 – 노자 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길사, 서울.
이기영(1998) : 불교개론강의(상․하), 한국불교연구원, 서울.
이기영(1998) : 원효사상, 원음각, 1967.
하인리히 침머(1946) : 인도의 신화와 예술, 평단문화사, 서울.(Zimmer H. : Myth and Symbols in Indian Art and Civilization.(ed. J. Campbell), Princeton Univ. Press, Princeton. 1946.)
馮友蘭 : 中國哲學小史 (Fung Yu-Lan : 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Mcmillan Co., New York, 1948.)
Chang Chung-Yuan : Crcativity and Taoism, Harpes Colophm Books, New York, 1963.
Evans­Wentz, W.Y. :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Oxford, 1957.
윤사순(1980) : 퇴계철학의 연구, 고려대 출판부, 서울.
류승국(1983) : 동양철학연구, 근역서제, 서울.
이준호(역)(1973) : 율곡의 사상, 현암사, 서울.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구약성서
신약성서
논어(The Analects of Confucius (transl, Arthur Waley), Vintage Books, New York, 1989.) 논어(차주환 역)(1984), 을유문화사, 서울.
대학1 중용(이동환 역해)(1969), 현암사, 서울.
이기영(역)(1993) : 한국의 불교사상-원효․의상․지눌, 삼성출판사, 서울.
이기영(2001) : 원효사상 연구 Ⅱ, 한국불교연구원, 서울.
White, V. : God and Unconscious, Spring Publications, Dallas, 1982.
전두하(1967) : 존재와 이기理氣- 하이데거와 율곡의 비교연구-, 선명출판사, 서울.
이죽내. 김상현(2003) :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노자사상의 수도, 심성연구 29 : 18(2) 59-74.
이종호. 이죽내(1988) : 「중용」에 나타난 심성론의 분석심리학적 연구 3(1) : 1-30.
서동혁(1998) : 유식 30송에 나타난 아라야식과 마나스식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 심성연구, 13(2): 67-106.
이문성(2017) : 선불교와 분석심리학의 만남, 집문당, 서울.
이부영(1989) : 논어의 인격론 시고 – 분석심리학의 입장에서, 심성연구 4(2) : 115-153.
이보섭(2001) : 융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내림굿의 상징적의미, 25:39-97.
Blakney, R.B.(transl), Meister Eckhart : A Modern Translation, Harper Torch books, New York, 1941.
Rudolph, K. : Gnosis, The Nature & History of Gnosticism.
D. T. Suzuki : Zen Buddhism, Donbleday Anchor Books, New York, 1975.
A. Watt : Tao, Penguin Books, New York, 1975.
Radhakrishnan : The Bhagavadgita, George Allen & Unwin, 1976.
Jaspers K : Socrates, Buddha Confucius, Jesus, A Harvest Books, New York, 1957.
馮友蘭 中國哲學史 (I. II) (Fung Yu- Lan :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Princeton Univ. Press. Princeton, 1973.)
8. 원시민족의 심성 : Psychology of the Primitives and Ethnology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Jung, C. G. : “Archaic Man” and ” Mind and Earth”, in C.W. 10.
Jung, C. G. : ”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Belief in Spirits”, in C.W. 8.
Radin, P. : The Trickster. (With Commentaries by K. Kerényi and C.G. Jung). New York, 1962. Schocken, 1972 pb.
Eliade, M. : Shamanism. New York/London, 1964.
Levi-Strauss, C. : Structural Anthropology. New York, 1963.
Van Gennep, A. : Rites of Passage. London : Routledge & Kegan, 1965.
이광규(1980) : 문화인류학 개론, 일조각, 서울.
이부영(2012) :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원시질병관, 치병의식)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Lewis, I. M. : Ecstatic Religion. Pelican, 1978.
레비 슈트로스(안정남 역)(1990): 야생의 사고, KBS사업단, 서울.(Levi-Strauss, C. : The Savage Mind. London, Meidenfeld & Nicolson, 1966.)
Malinowski, B. : Magic, Science, and Religion. Doubleday, 1954.
Hsu, F. L. K. : Psychological Anthropology, Schenkman Publishing Co., Cambridge, 1972.
C. 권장도서 : Further Recommendations

Malinowski, B. : Sex and Repression in Savage Society. London, Routledge & Kegan, 1960.
Mead, M. : Coming of Age in Samoa. Morrow, 1971.
Radin, P. : Primitive Religion : Its Nature and Origin. New York, 1937.
Radcliffe-Brown, A.R. : Studies in Structure and Function in Primitive Society. London, 1949.
Frazer, J.G. : The Golden Bough. 13 vols. MacMillan, 1936.
Hastings, J. (ed.) :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4th ed. 12 vols. T. & T. Clark, 1955.
9. 신화․민담의 심리학과 해석 Psychology and interpretation of Myths and Fairy Tales
A. 기본적으로 꼭 읽어야 할 문헌 : Basic Readings

Jung, C. G. & Kerényi, K.(1978) : Essays on a Science of Mythology. Bollingen Series XXII. (Introduction to a Science of Mythology. London : Routledge and Kegan Paul, 1951). Princeton Univ. Press.
Jung, C. G. : The Phenomenology of the Spirit in Fairy Tales. (in) C.W. 9i.
Jung, C. G. : On the Psychology of the Trickster Figure. (in) C.W. 9i.
Jung, C. G. : The Spirit Mercurius. (in) C.W. 13.
Von Franz, M.-L. : Introduc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Spring Publ., 1970.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이부영, 이광자역),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하나의 서론, 한국융연구원, 서울)
Von Franz, M.-L. : Problems of the Feminine in Fairy Tales. Spring Publ., 1972.
Von Franz, M.-L. : Shadow and Evil in Fairy Tales. Spring Publ., 1974.
Von Franz, M.-L. : Individuation in Fairy Tales. Spring Publ., 1977.
Von Franz, M.-L. : Patterns of Creativity Mirrored in Creation Myths. Spring, 1972.
폰 프란츠, M.-L.(홍숙기역)(2017) : 영원한 소년과 창조성, 한국융연구원, 서울.
폰 프란츠, M.-L.(김현진역)(2017) : 창조신화, 한국융연구원, 서울.
Von Franz, M.-L. :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Golden Ass’ of Apuleius. Spring, 1970, 1980. 폰 프란츠, M.-L.(이도희역)(2020), 황금당나귀, 한국융연구원, 서울.
Zimmer, H. : Myths and Symbols in Indian Art and Civilization. Washington, 1946.
이부영(1995)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서울.
이부영 분석심리학의 탐구 ③ : 『자기와 자기실현』, pp.245-266, <신화와 민담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B. 추가로 읽을 만한 중요한 문헌 : Important Additional Readings

Jung, E. & von Franz, M.-L. : The Grail Legend. Putnam’s, 1970.
Sanders, N. K.(Transl.) : The Epic of Gilgamesh. London, 1971.
이유경(2004): 원형과 신화, 이끌리오, 파주.
Neumann, E. : Amor and Psyche :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Feminine. Bollingen, 1956.
Sibylle Birkhäuser : The Mother, Archetypal Image in Fairy Tales.
C. 권장도서 : Further Recommendations

Kerényi, K. : Archetypal Images in Greek Religion (Monograph Series) :Vol. I: Prometheus. Vol.II: Dionysos. Vol. III: Asklepios. Vol. IV: Eleusis. Vol. V: Zeus and Hera. Bollingen Series LXV. Pantheon, 1963.
Kerényi, K. : Hermes, Guide of Souls. Spring, 1976.
Kerényi, K. : Athena, Virgin and Mother in Greek Religion. Spring, 1978.
Kerényi, K. : Goddesses of Sun and Moon. Spring, 1979.
Radin, P. : The Trickster : A study in American Indian mythology, with commentaries by K. Kerényi and C.G. Jung. New York: Schocken, 1972.
D. 참기본참고도서 (신화․민담자료집, 민담학 및 신화학 문헌, 신화상징사전)

Budge, E. A. W. : The Gods of the Egyptians. 2 vols. New York, 1964.
Campbell, J. : The Way of the Animal Powers. Vol. 1 : Historical Atlas of World Mythology. San Francisco, Harper & Row, 1983.
Chevalier, J. (ed.) : Dictionnaire des symboles. Paris, Laffont, ed. rev. et corr. 1982.
Frazer, J. G. : The Golden Bough. 12 vols. Macmillan, 1936.
Funk and Wagnalls : Standard Dictionary of Folklore, Mythology and Legend. New York, 1972.
Grzimek’s : Animal Encyclopedia. 14 vols.
Hastings, J., ed. :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13 vols. T. & T. Clark, Edinburgh, 1955.
Jobes, G. : Dictionary of mythology, folklore and symbols. 2 vols. New York, Scarecrow Press, 1962.
Larousse : Encylopedia of Mythology. Prometheus, 1959.
Thompson, S. : Motif-Index of Folk Literature. Rev. ed. Indiana Univ., 1955.
Brothers Grimm : The Complete Grimm’s Fairy Tale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75. (김열규역)
Selections from several volumes : Oxford Myths and Legends Series (volumes on English, Irish, Scottish, Chinese, Indian, African, West Indian). Russian Fairy Tales. London, Sheldon Press, 1976.
Campbell, J :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Bollingen Series XVII, Princeton Univ. Press, 2nd ed., 1968.
Davidson, H.R.E. :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Pinguin, 1975.
Kerényi, K. : The Gods of the Greeks. Thames & Hudson, London, 1959.
Thompson, S. : The Folktale. New York, 1951.
김열규 외(1982) : 민담학개론, 일조각, 서울.
김열규 (1971) : 한국의 신화, 서울.
장주근 : 한국의 신화, 성문각, 1952, 서울.
조희웅(1983) : 한국설화의 유형적연구, 한국연구원, 서울.
최진원 : 한국신화고석, 성균관대 대중문화연구원,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한국 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임석제(1987) : 한국구전설화 10권, 평민사, 서울.
원가(전인초․김선자역)(1998) : 중국신화전설 I, 민음사, 서울.
Enzyklopädie des Märchens, Bd.1-15, De Gruyter, Berlin.
Handwörterbuch ders deutschen Aberglaubens, De Gruyter, Berlin.
Facebook더

초심자를 위한 독서안내 – 한국융연구원

초심자를 위한 독서안내 – 한국융연구원

초심자를 위한 독서안내

분석심리학에 관한 독서안내 (국내문헌)

초보자가 읽을만한 책

  1. 이부영(2014) : 분석심리학 이야기, 집문당, 서울.

기본적으로 여러 번 자세히 읽어야 할 교과서 

  1.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C.G.Jung의 인간심성론-(제3판), 일조각, 서울.
  2. Von Franz M-L(이부영 역)(2016) : C.G. 융 -우리 시대 그의 신화, 한국융연구원, 서울.

분석심리학을 더 넓고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책  

  1. 이부영(1999)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1부 : 그림자 –우리 마음 속의 어두운 반려자, 한길사, 서울.
  2. 이부영(2001)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2부 : 아니마·아니무스 –남성 속의 여성, 여성 속의 남성, 한길사, 서울.
  3. 이부영(2002) : 분석심리학의 탐구 제3부 :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4. 이부영(1995)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서울

참고로 크게 도움이 될 번역서

  1. Jung CG(이부영 외 역)(2013) : 인간과 상징(제2판), 개역판, 집문당, 서울.
    특히 제1장 융의< 무의식에의 접근>,제3장 폰 프란츠의<개성화 과정>
  2. Jaffé A(이부영 역)(2012) : C.G. Jung의 회상,꿈 그리고 사상, 개역판, 집문당, 서울.
  3. Jung CG(이부영 역)(2013) : 현대의 신화 – 하늘에서 보이는 것 등에 관하여(개정증보판), 솔출판사, 서울.
  4. Von Franz M-L(홍숙기 역)(2017) : 영원한 소년과 창조성, 한국융연구원, 서울.
  5. Von Franz M-L(한오수 역)(2017) : 꿈과 죽음 – 죽어가는 사람의 꿈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한국융연구원, 서울.

꼭 읽어야 할 번역서

  1. Jung CG(한국융연구원 번역위원회 역)(2001) : C.G. 융기본저작집 제1권-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 출판사, 서울, 및 C.G. 융기본저작집 전 9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