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9

본질 - 위키백과, Essence

본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질(本質)은 그것이 그것으로서 있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을 말한다.

인간과 삼각형이 다른 점은 형체라든가 모습만이 아니다. 보다 더 근본적으로 묻고 설명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인간이란 무엇이냐는 질문의 해답에서 '무엇'에 해당한다. 제각기의 것이 지니는 그 무엇이다. 본체(本體)이며, 인간의 경우에는 그 정의(定義)이다. 이것은 현대의 실존과는 대립된다.

===

본질  출처 : J "Wikipedia (Wikipedia)"

네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본질 (정말,  : ουσια (ousia),substantia / essentia )이란, 어떤 것을 그것으로 하는 자성, 또는 그러한 특성으로 이루어지는 진실재 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개요 편집 ]

어떤 어떠한 대상을 율할 때 충당하는 로고스를 '무성( 성 [ 요염함 회피 ] 이라도)' 등이라고 부르며, 이 호칭을 본질로 간주하는 것이 관습이다. 그러므로 동일성 또는 유형 학종 차이는 이러한 파생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성에 의해 부가되거나 결여되어, 그것을 일으키는 (필연성의 결재) 부대적인 성향을, 우유 (성)라고 부르는다.

구어나 속어에 있어서의 광의적인 용법에 있어서, 「체재」에 대한 개념으로서의 「원현상」이나 「진수」 등 「현재의 기초가 되는 형이상적으로 해서 진정한 「성질」의 어의로서 사용되는 경향에 있다 .

대어 는 현상 .

사상사 편집 ]

중세성기 스코라학 이후로는, essentia(본질 존재)는 실존 (현실 존재 엑시스텐티아 exsistentia)의 대 개념으로 되어 왔다.

원래 아리스토텔레스 의 우시아 는 '존재하는 것'이라는 단어 구성을 가지고 있는 단어로 '정말 실재하는 것'을 의미했고, 그에게는 우선 그것은 아이디어 가 아닌 구체적인 개인이었다. 이 형상 과 질료 로 이루어지는 개체는, 술어 로서 이용될 수 있는 보편자로서의 「제2 실체」에 대비된 경우, 주어 로서 밖에 이용되지 않는 기체로서의 「제1 실체」라고 불린다. 여기에서 또, 그 개인의 소재인 「질료 퓌레」가 아니라, 그 「형상 에이드스」야말로, 물건의 진정한 실재성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했을 때, 개개의 것의 본질로서는 질료와 대비 된 형상 쪽이 제일의 실체라고 설해진다. 즉, 그에게 우시아라는  은 실체 라는 함의와 본질로서의 형상이라는 함의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이것이 라틴어 로 번역되었을 때, substantia와 essentia라는 두 개의 번역어가 이루어졌다. substantia는 우시아와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던 휴포스타시스「아래에 서 있는 것」(나중에 기독교 신학 의 문맥에서는 우시아와 휴포스타시스는 구별되게 되었다. 이 경우의 번역어는 persona)의 직역으로 기질 로서의 실체라는 관점에서의 번역어였고, essentia는 「어느 곳의 것」이라는 관점에서의 우시아의 번역어였다.

아리스토텔레스적 틀에 서는 한 양자는 구별되지 않고 번역어의 차이에 지나지 않았지만, 중세 성기 스콜라학, 구체적으로는 토마스 아퀴나스 이후, 실체 substantia와 본질 essentia는 구별되게 되었다. 다만 이때에도 근대철학과 달리 본질이 실재라는 관념론적 인 틀은 유지되었다. 존재는 본질로서 개념적으로 존재하는 실체와 본질에 현실 존재(existia)가 플러스된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로 구분된 것이다.

덧붙여 개념이 본질 존재한다( 개념 으로서 존재한다)는 것은, 단순히 문법적·형식적인 이유로 명목적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할 뿐만 아니라, 논리적 모순 없이 상정 가능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언어 부족으로 모호하거나 모순 되는 개념 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명목적 개념은 그 명사에 대응하는 실체를 갖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그 개념에 대응하는 것이 현실 존재한다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개념에서 최고 존재의 현 존재를 증명하는 실체론적 증명을 물리친 자에게는 칸트 가 있다( 순수 이성 비판 ).

이것은 가능이나 불가능 등 양상 을 문제로 하는 장면에서 특히 문제가 되었고, 또 현대에서는 하이데거 나 실존주의에 의해 존재 한다는 것이 물건의 본질이나 속성 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목되었다. 확실히 데카르트 등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하나님은 그 완전성 가운데 존재를 포함한 것이었다. 그러나, 존재하는 것으로서만 그 본질을 생각할 수 없다( 스피노자 ), 라고 하는 것만으로는, 역시 그 자체는 현실 존재라고는 할 수 없다고의 비판이 예를 들면 칸트 등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즉, 술어로서 생각했을 때에 「존재한다」라는 술어는, 다른 술어에는 없는 특이한 위치를 차지한다.

덧붙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상술의 논의를 계승한 중세의 보편 논쟁 에 있어서는, 실재하는 것은 개인이라고 하는 입장에 단 유명론 과, 보편(형상)이야말로 실재인 실재론 이 대립했다.


===

Essenc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Essence (Latinessentia) is a polysemic term, used in philosophy and theology as a designation for the property or set of properties that make an entity or substance what it fundamentally is, and which it has by necessity, and without which it loses its identity.

 Essence is contrasted with accident: a property that the entity or substance has contingently, without which the substance can still retain its identity.

The concept originates rigorously with Aristotle (although it can also be found in Plato),[1] who used the Greek expression to ti ên einai (τὸ τί ἦν εἶναι,[2] literally meaning "the what it was to be" and corresponding to the scholastic term quiddity) or sometimes the shorter phrase to ti esti (τὸ τί ἐστι,[3] literally meaning "the what it is" and corresponding to the scholastic term haecceity) for the same idea. This phrase presented such difficulties for its Latin translators that they coined the word essentia (English "essence") to represent the whole expression. 

For Aristotle and his scholastic followers, the notion of essence is closely linked to that of definition (ὁρισμός horismos).[4]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essence has often served as a vehicle for doctrines that tend to individuate different forms of existence as well as different identity conditions for objects and properties; in this logical meaning, the concept has given a strong theoretical and common-sense basis to the whole family of logical theories based on the "possible worlds" analogy set up by Leibniz and developed in the intensional logic from Carnap to Kripke, which was later challenged by "extensionalist" philosophers such as Quine.

Etymology[edit]

The English word essence comes from Latin essentia, via French essence. The original Latin word was created purposefully, by Ancient Roman philosophers, in order to provide an adequate Latin translation for the Greek term οὐσία (ousia). Stoic philosopher Seneca (d. 65 AD) attributed creation of the word to Cicero (d. 43 BC), while rhetor Quintilian (d. 100 AD) claimed that the word was created much earlier, by writer Plautus (184 BC). Early use of the term is also attested in works of Apuleius (d. 170 AD) and Tertullian (d. 240 AD). During Late Antiquity, the term was often used in Christian theology, and through the works of Augustine (d. 430), Boethius (d. 524) and later theologians, who wrote in Medieval Latin, it became the basis for consequent creation of derived terms in many languages.[5]

Philosophy[edit]

Ontological status[edit]

In his dialogues Plato suggests that concrete beings acquire their essence through their relations to "Forms"—abstract universals logically or ontologically separate from the objects of sense perception. These Forms are often put forth as the models or paradigms of which sensible things are "copies". When used in this sense, the word form is often capitalized.[6] Sensible bodies are in constant flux and imperfect and hence, by Plato's reckoning, less real than the Forms which are eternal, unchanging and complete. Typical examples of Forms given by Plato are largeness, smallness, equality, unity, goodness, beauty and justice.

Aristotle moves the Forms of Plato to the nucleus of the individual thing, which is called ousia or substance. Essence is the ti of the thing, the to ti en einai. Essence corresponds to the ousia's definition; essence is a real and physical aspect of the ousia (Aristotle, Metaphysics, I).

According to nominalists (Roscelin of CompiègneWilliam of OckhamBernard of Chartres), universals aren't concrete entities, just voice's sounds; there are only individuals: "nam cum habeat eorum sententia nihil esse praeter individuum [...]" (Roscelin, De gener. et spec., 524). Universals are words that can to call several individuals; for example the word "homo". Therefore, a universal is reduced to a sound's emission (Roscelin, De generibus et speciebus).

John Locke distinguished between "real essences" and "nominal essences". Real essences are the thing(s) that makes a thing a thing, whereas nominal essences are our conception of what makes a thing a thing.[7]

According to Edmund Husserl essence is ideal. However, ideal means that essence is an intentional object of consciousness. Essence is interpreted as sense (E. Husserl, Ideas pertaining to a pure phenomenology and to a phenomenological philosophy, paragraphs 3 and 4).

Existentialism[edit]

Existentialism was coined by Jean-Paul Sartre's endorsement of Martin Heidegger's statement that for human beings "existence precedes essence." In as much as "essence" is a cornerstone of all metaphysical philosophy and of Rationalism, Sartre's statement was a repudiation of the philosophical system that had come before him (and, in particular, that of HusserlHegel, and Heidegger). Instead of "is-ness" generating "actuality," he argued that existence and actuality come first, and the essence is derived afterward. For Kierkegaard, it is the individual person who is the supreme moral entity, and the personal, subjective aspects of human life that are the most important; also, for Kierkegaard all of this had religious implications.[8]

In metaphysics[edit]

"Essence," in metaphysics, is often synonymous with the soul, and some existentialists argue that individuals gain their souls and spirits after they exist, that they develop their souls and spirits during their lifetimes. For Kierkegaard, however, the emphasis was upon essence as "nature." For him, there is no such thing as "human nature" that determines how a human will behave or what a human will be. First, he or she exists, and then comes property. Jean-Paul Sartre's more materialist and skeptical existentialism furthered this existentialist tenet by flatly refuting any metaphysical essence, any soul, and arguing instead that there is merely existence, with attributes as essence.

Thus, in existentialist discourse, essence can refer to:

  • physical aspect or property;
  • the ongoing being of a person (the character or internally determined goals); or
  • the infinite inbound within the human (which can be lost, can atrophy, or can be developed into an equal part with the finite), depending upon the type of existentialist discourse.

Religion[edit]

Buddhism[edit]

Within the Madhyamaka school of Mahayana BuddhismCandrakirti identifies the self as:

an essence of things that does not depend on others; it is an intrinsic nature. The non-existence of that is selflessness.

— Bodhisattvayogacaryācatuḥśatakaṭikā 256.1.7[9]

Buddhapālita adds, while commenting on Nagārjuna's Mūlamadhyamakakārikā,

What is the reality of things just as it is? It is the absence of essence. Unskilled persons whose eye of intelligence is obscured by the darkness of delusion conceive of an essence of things and then generate attachment and hostility with regard to them.

— Buddhapālita-mula-madhyamaka-vrtti, P5242, 73.5.6-74.1.2[9]

For the Madhyamaka Buddhists, 'Emptiness' (also known as Anatta or Anatman) is the strong assertion that:

  • all phenomena are empty of any essence;
  • anti-essentialism lies at the root of Buddhist praxis; and
  • it is the innate belief in essence that is considered to be an afflictive obscuration which serves as the root of all suffering.

However, the Madhyamaka also rejects the tenets of IdealismMaterialism or Nihilism; instead, the ideas of truth or existence, along with any assertions that depend upon them, are limited to their function within the contexts and conventions that assert them, possibly somewhat akin to Relativism or Pragmatism. For the Madhyamaka, replacement paradoxes such as Ship of Theseus are answered by stating that the Ship of Theseus remains so (within the conventions that assert it) until it ceases to function as the Ship of Theseus.

In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Chapter XV examines essence itself.

Hinduism[edit]

In understanding any individual personality,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one's Swadharma (essence) and Swabhava (mental habits and conditionings of ego personality). Svabhava is the nature of a person, which is a result of his or her samskaras (impressions created in the mind due to one's interaction with the external world). These samskaras create habits and mental models and those become our nature. While there is another kind of svabhava that is a pure internal quality – smarana – we are here focusing only on the svabhava that was created due to samskaras (because to discover the pure, internal svabhava and smarana, one should become aware of one's samskaras and take control over them). Dharma is derived from the root dhr "to hold." It is that which holds an entity together. That is, Dharma is that which gives integrity to an entity and holds the core quality and identity (essence), form and function of that entity. Dharma is also defined as righteousness and duty. To do one's dharma is to be righteous, to do one's dharma is to do one's duty (express one's essence).[10]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Euthyphro by Plato"classics.mit.edu. Retrieved 12 June 2018.
  2. ^ AristotleMetaphysics, 1029b
  3. ^ Aristotle, Metaphysics, 1030a
  4. ^ S. Marc Cohen, "Aristotle's Metaphysics"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accessed 20 April 2008.
  5. ^ Brown 1996, p. 275-276.
  6. ^ "Chapter 28: Form" of The Great Ideas: A Synopticon of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Vol. II). Encyclopædia Britannica (1952), p. 526-542. This source states that Form or Idea get capitalized according to this convention when they refer "to that which is separat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hings and from the ideas in our mind."
  7. ^ "Locke on Real Essence"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8. ^ The Story of Philosophy, Bryan Magee, Dorling Kindersley Lond. 1998, ISBN 0-7513-0590-1
  9. Jump up to:a b Translations from "The Great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Path of Enlightenment", Vol. 3 by Tsong-Kha-Pa, Snow Lion Publications ISBN 1-55939-166-9
  10. ^ Prasadkaipa.com

Sources[edit]

External links[edit]


===

격의불교 - 위키백과, 격의불교(格義佛敎)

격의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격의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격의불교(格義佛敎) 또는 격의(格義)는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인 시대(魏晋時代: 220-420)에 나타났던 불교 교리 이해 방법 또는 불교 연구 방법이다.[1][2]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 경전에 기술되어 있는 사상이나 교리를 노장사상(老莊思想)이나 유교사상(儒敎思想) 등의 전통 중국 사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하고 유추함으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방법이다.[1][2]

예를 들어, 불교 경전인 《반야경(般若經)》에 나오는 "공(空)"에 대해 

노장사상의 ""(無) 개념을 적용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1] 

죽림칠현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었다.[3] 하지만, 이러한 격의불교로는 불교에 대한 참다운 이해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1]

동진(東晉: 317-420) 시대의 고승이었던 도안(道安: 312-385)은 격의불교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2] 하지만 그도 격의불교의 폐단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는데,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불교 경전을 본래의 뜻에 맞게 바르게 번역한 이후에야 비로소 극복되었다.[2]

격의와 현학[편집]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는 노장사상에 관한 학문이 성행하여 청담(淸淡)이 유행하였고 특히 노장사상과 유사한 표현 형식을 갖는 《반야경》과 《유마경》이 애독되었다.[2] 그리고 이 경전들을 노장사상과 유교의 역(易)의 사상과 대비하여 연구 토론하는 일이 성행하였다.[2] 그 결과 불교의 (空)의 의의에 관하여는 본래의 뜻으로부터 멀어진 여러 가지 중국적 해석이 다투어 생겨났다.[2] 이른바 이와 같은 철학적 격의를 특히 현학(玄學)이라 부른다.[2]

격의불교의 극복[편집]

동진(東晉: 317-420) 시대의 고승으로 초기 중국 불교를 대표하는 승려인 도안(道安: 312-385)은 격의불교의 오류를 깨닫고 이를 바로 잡으려고 노력하였다.[2] 그는 불교는 불교 자체의 입장에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도안은 그때까지 내려오던 격의불교의 오류를 반성하고 《반야경》의 여러 다른 번역본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참다운 뜻에 이르도록 노력하였다.[4] 하지만 도안도 격의불교의 폐단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2]

반야경》 등의 본의(本義)가 잘못됨이 없이 이해되기 시작한 것은 구마라습(鳩摩羅什)이 장안에 들어와 공관불교(空觀佛敎)의 경전들을 올바르게 번역하고 그 교리를 소개한 이후부터였다.[2] 하지만 철학적 측면에서 본다면 그 이후로도 중국의 불교사상은 근본적으로 격의불교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Quiddity - Definition, Meaning & Synonyms | Vocabulary.com

Quiddity - Definition, Meaning & Synonyms | Vocabulary.com



quiddity 

When a politician avoids answering a question while pretending to answer it, she often does it using quiddity, or by bringing up irrelevant and distracting points.

Quiddity is a usefully sneaky tool if you want to evade an argument or question, and it's often used by people like lawyers in court and teenagers angling for later curfews. The noun quiddity has a philosophical meaning too, "the essential nature of something," or the unique thing that makes it what it is. The Medieval Latin root, quidditas, translates literally as "whatness."

  1. Definitions of quidditynoun -  the essence that makes something the kind of thing it is and makes it different from any other
  2. noun - an evasion of the point of an argument by raising irrelevant distinctions or objections
synonyms:cavil, quibble

[박석 (옮긴이)] 불가능한 누드 Impossible Nude: Chinese Art and Western Aesthetics 프랑수아 줄리앙

알라딘: [전자책] 불가능한 누드

[eBook] 불가능한 누드 
프랑수아 줄리앙 (지은이),박석 (옮긴이)들녘2020-03-17 
---
전자책정가 10,500원

책소개

동서양 비교철학 최고의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 신작으로, 누드를 매개로 동양과 서양의 미학을 분석하였다. 또한 저자의 초청으로 프랑스에 머물며 저자와 함께 동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던 박석 교수가 직접 저자의 부탁을 받아 시작한 번역으로, 이 책 자체가 동서양 학계의 합작인 셈이다.

근대 이전의 동양에서 누드모델의 존재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의 찬양을 받아오며 미술의 기초로 여겨지던 누드가 동양에서는 아예 성립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사실에서 이 책은 시작한다.


목차
역자 해제

서문
I. | II. | III. | IV. | V. | VI. | VII. | VIII. | Ⅸ. | X. | XI. | XII. | XIII. | XIV. | XV. | XVI. | XVII.

역자 후기 | 한문 해설 | 크로키 목록 | 인명 색인
===
저자 및 역자소개
프랑수아 줄리앙 (Francois Jullien) (지은이) 

프랑스의 철학자로 파리7대학 교수, 프랑스 파리국제철학대학원원장, 프랑스 중국학협회 회장, 파리7대학 현대사상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프랑스 인문과학재단 교수로 재직중이다. 줄리앙은 40여 년간 중국사유와 서양사유를 맞대면시키는 작업을 통해 중국학의 차원을 뛰어넘어 완전히 새로운 사유를 펼쳐왔다. 역사, 언어, 개념 등 모든 면에서 서로 무관하게 정립된 중국사유와 서양사유는 각각의 습벽(習癖)을 서로에게 드러냄으로써 철학을 재가동시킨다. 줄리앙은 그동안 동서양 사유의 관계를 통찰한 40여 종의 단행본을 저술했고 최근에는 이와... 더보기
최근작 : <탈합치>,<현자에게는 고정관념이 없다>,<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 총 95종 (모두보기)


박석 (옮긴이)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상명대학교 글로벌인문학부대학 중국어권지역학전공 교수
저서: <두보 초기시 역해>(솔출판사, 공저), <동양사상과 명상>(제이앤씨), <대교약졸,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이는 중국문화>(들녘), <송대의 신유학자들은 문학을 어떻게 보았는가>(역락), <불가능한 누드>(들녘),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들녁), <의식과 본질>(위즈덤하우스), <한산 시선>(지식을만드는지식)
최근작 : <참선 잘하그래이>,<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하루 5분의 멈춤> … 총 2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동서양의 예술철학을
한 권에 담아내는
놀라운 역작”
_아마존 독자평

동서양 비교철학 최고의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 신작
누드를 매개로 동양과 서양의 미학을 분석하다

전통적으로 서양 문화에서 누드는 미술의 기원이 되었지만, 중국에서는 누드가 아예 무시돼왔다. 무엇이 중국에서 누드의 발달을 억제하게 만들었는가? 이 문제는 인류학적 문제가 아니라 철학적 문제다. 동서양 철학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은 이 문제를 놓고 누드를 통해 예술과 사유 모드의 차이, 예술과 사상의 차이를 깊숙이 탐구해나간다. 저자는 이미 한계에 다다른 서양 철학에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시도로서 중국학을 공부하게 됐다고 말한다.
미술사에서 누드화를 분석한 서양 책은 많지만 왜 그토록 누드를 그렇게 중시했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진 사람은 거의 없다. 『불가능한 누드』는 서양철학자면서 동시에 프랑스 최고의 중국학자인 프랑수아 줄리앙의 독특한 경력과 꾸준한 연구가 만들어낸 걸작이다. 또한 저자의 초청으로 프랑스에 머물며 저자와 함께 동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던 박석 교수가 직접 저자의 부탁을 받아 시작한 번역으로, 이 책 자체가 동서양 학계의 합작인 셈이다.
근대 이전의 동양에서 누드모델의 존재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의 찬양을 받아오며 미술의 기초로 여겨지던 누드가 동양에서는 아예 성립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사실에서 이 책은 시작한다.
저자는 중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누드작품이라 평가받는, 명明대 후기 구영仇英의 「춘몽」을 살펴본다. 이 작품에서 신체를 감싸고 있는 옷의 선들이 굉장히 잘 표현되고 있는 데 비해 옷을 벗은 신체는 마치 포대자루를 쌓은 것처럼 밀도와 구성 모든 면에서 문제가 많음을 지적한다. 또한 빼어나게 표현하는 곤충이나 동물의 그림과 전혀 다르게 인체는 왜 잘 그리지 못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본격적으로 동서의 회화와 그 속에 담긴 철학을 풀어낸다.
중국 회화사 초기에는 인물화가 중시됐지만 후대로 갈수록 산수화가 주류를 이뤄 인물화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 게다가 중국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신분, 지위나 성격에 따라 제왕도, 종교인물화, 궁녀화 등등으로 나뉘어 ‘인물화’라는 독립적 개념 자체가 없었다.
이에 비해 서양에서는 누드를 통해 신분 지위와 무관한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있다. 즉 누드는 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작업인 것이다. 누드의 목표는 감각적 모델을 통해 불변의 이상적인 형상을 찾는 것이다. 플라톤Platon식으로 표현하면 영혼의 상승을 추구하는 행위다. 인간의 본질이라는 개념을 지지하며 누드가 일관성을 지니도록 만드는 것은 형태학인데,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의 『회화론』에서도 보듯이 해부학적 지식은 유럽의 전통에서 회화 기법의 기초로 쓰였다.

누드가 완전히 무시돼온 중국 예술

누드의 부재, 곧 ‘불가능한 누드’에 의해 정체성이 확립되다
중국에서는 해부학 자체에 대해 관심이 전혀 없었다. 중국인들은 형태학보다는 경락을 중심으로 하는 기의 순환체계에 더 많은 관심을 지녔다. 그리고 그 기운은 인체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와 소통하는 것이다.
구영이 옷의 선을 중시했던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산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기맥이 있다고 여겨 산맥山脈이라 부른다. 사람이나 산은 모두 기운의 흐름이고 그래서 서로 교류할 수 있다고 여기는 셈이며, 가시적인 형태를 통해 그 너머에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찾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저자는 누드야말로 감각적 형태를 통해 원형의 형상을 찾는 행위라고 규정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형상과 질료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으며, 이는 이 세계를 존재라는 개념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유와 무에 대한 명확한 구분도 없고, 유와 무는 하나의 과정에 불과하다.
중국의 회화는 서양처럼 정지된 형상, 존재의 본질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만물의 변화 속에 감추어져 있는 이理와 기氣를 표현하고 싶어한다. 중국 화가들이 인체보다는 바위나 대나무를 더 좋아했던 이유는, 뚜렷한 형태를 지닌 바위나 대나무로써 이와 기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동파蘇東坡나 예찬倪瓚이 그린 바위는 구체적이고 뚜렷한 형상을 지닌 바위가 아니라 소용돌이치는 기운 속에 있거나 유와 무의 경계가 흐려진 상태에 있는 바위들로서 노자老子가 말한 큰 형상은 형태가 없다는 구절과 잘 어울린다.
역자 박석은 그럼에도, 이와 같은 작업이 결국은 서구인의 시각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우리 스스로의 관점에서 동과 서를 바라보려는 노력 또한 잊지 말아야 하며, 단순히 우리의 정체성을 찾거나 동서의 차이를 비교하는 작업에 그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동과 서를 넘어서 시대를 설명할 새로운 틀을 모색할 수 있는 단초를 독자들에게 제시할 것이다. 접기

===

100자평
   
《전략 》의 저자 책이라서 읽게되었다. 왜 서양에서는 누드를 가지는 문화적선택을 하고 중국에서는 누드를 문화적선택에서 불가한 대상으로 하였는가라는 물음으로 시작하여 누드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있다.
내용은 별개로 하여 책구성 자체만보면 불필요할만큼 수록된 부차적 자료에 아쉬움이 많다  구매
독서중 2019-03-18 공감 (3) 댓글 (0)

===
중국고전읽기와 통하는 중국미술읽기

프랑수아 줄리앙 의 책을 새로 접했다. <불가능한 누드>다. 이 책은 <무미예찬> 과 함께 중국미술비평의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중국고전도 그렇지만, 중국미술도 오늘날 시선으로 한눈에 그 아름다움을 다 잡기는 쉽지 않은데, 이는 동아시아 문화는 형이상학을 위한 추상영역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점을 말로 풀어 적당히 설명해내기는 쉽지 않은데, 우리가 현대한국인이기때문이다. 그래서 당연시하고 익숙하지만, 그 원래 맥락을 모르는 지점들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말하자면, 서양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어느정도 추상적인 가치관들을 여러 과정을 통해 수용했고, 동아시아 책읽기 전통도 낯설지 않기 때문에, 알면서도 모르고, 모르면서 익숙한 점들이 많다. 예를 하나 들면 과거나 현대 중국인 저자들의 고전읽기나 인물전기에서 흔히 보게되는, 관련 문헌이나 주석을 거의 빠짐없이 읽어내 해석하고 글을 쓰기때문에 생기는 경향이 그렇다. 필력도 느껴지고 정보도 어느정도 주지만, 뭔가 겉돌고 있는 느낌이 있다. 이런 글쓰기도 나름의 장점과 시선을 갖고 있지만, 우리 현대인이 갖는 의문점이나 의문을 해결해주는 방향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양의 문제도 있다. 중국고전과 이를 설명해줄 서양고전에 둘다 정통하고 어느 선까지 능통해야 할 수 있기도 하다. 이 두 문화에 정통하기는, 언듯, 동아시아 문화권에 있던 사람이 서양고전문화에 진입하는 것이, 서양문화권에 있는 사람이 동아시아 고전문화에 진입하는 것보다 쉬울거 같지만, 서양문화를 동양문화로 설명하기는 정말 어려울거 같다. 정량화하고 계량화하는 객관적 관점은 서양문화의 전통인 거 같다.

<불가능한 누드>는 중국전통미술과 서양전통미술을 '누드'라는 키워드를 놓고 다양한 관점에서 다룬다. 그래서 처음에는 목차가 없는게 아쉬웠지만, 로마문자로 숫자로만 챕터를 해놓은 것이 읽다보면 이해가 간다.

그래서 예를 들면손자병법같은 고전읽기와는 다소 결이 다르다. 똑같이 동아시아 문화와 서양문화를 대비하기는 하지만, 비교적 읽어 내는 순서가 예상되는 고전읽기와는 다른 미술읽기다.

서양문화가 누드를 어떻게 중요하게 다루는지를 얘기하면서, 고대중국이 왜 누드에 관심이 없었는지 다 방면으로 보여준다.

3장에서 중국 회화사를 일부 다룬다. 당연히 <중국화론유편>이 계속해서 인용된다.

4장에서 해부학적 지식과 누드 사이의 관련을 다룬다.

5장에서 '형상'에 초점을 맞춘 서양문화를 설명한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로티노스를 인용한다. 형상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정지'에 집중하게 됨을 얘기한다.

6장에서 사람그리기와 바위그리기를 같은 선상에서 설명하는 중국그림을 언급한다. 형상에 중요한 요소인 경계에 주목하지 않는 중국미술을 설명한다.
...

이런 식으로 서양과 동아시아를 오가면서 설명해낼 수 있는 것들을 소개하고, 그 관련의 깊이를 만들어 낸다. 다 읽고나서도 저자가 못한 얘기들이 당연히 더 있겠구나 생각이 들고, 두 문화의 차이를 어느정도 미술영역에서 설명해냈다는게 대단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프랑수아 줄리앵의 책 중 그림에 관련됐을 싶은 다른 책들도 매우 궁금하다.
===
François Jullien
Follow
Impossible Nude: Chinese Art and Western Aesthetics 
Hardcover – 15 November 2006
by Francois Jullien (Author), Maev de la Guardia (Author), & 1 more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Hardcover
— 
The undraped human form is ubiquitous in Western art and even appears in the art of India and Japan. Only in China, François Jullien argues, is the nude completely absent. In this enthralling extended essay, he explores the different conceptions of the human body that underlie this provocative disparity. Contrasting nakedness (which implies a diminished state) with nudity (which represents a complete presence), Jullien explores the traditional European vision of the nude as a fixed point of fusion where form joins truth. He then shows that the absence of the nude in Chinese art evinces an understanding of the human body as changeable and transitory. Viewed in light of each other, these differing concepts allow for a new way of thinking about form, the ideal, and beauty, enabling us to delve deeper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ideas that lie at its roots. Beautifully illustrated and gracefully translated into English for the first time, The Impossible Nude will fascinate anyone interested in art history, Chinese art, or aesthetics.

Read less
Print length
152 pages
Language
English
Publish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ublication date
15 November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