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4

Ecofeminism - Wikipedia

Ecofeminism - Wikipedia

Ecofemin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Ecofeminism is a branch of feminism that sees environmental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the earth, as foundational to its analysis and practice. Ecofeminist thinkers draw on the concept of gender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world.[1] The term was coined by the French writer Françoise d'Eaubonne in her book Le Féminisme ou la Mort (1974).[2][3] Ecofeminist theory asserts a feminist perspective of Green politics that calls for an egalitarian, collaborative society in which there is no one dominant group.[4] Today, there are several branches of ecofeminism, with varying approaches and analyses, including liberal ecofeminism, spiritual/cultural ecofeminism, and social/socialist ecofeminism (or materialist ecofeminism).[4] Interpretations of ecofeminism and how it might be applied to social thought include ecofeminist art, social justice and political philosophy, religion, contemporary feminism, and poetry.

Ecofeminist analysis explores the connections between women and nature in culture, religion, literature and iconography, and addresses the parallels between the oppression of nature and the oppression of women. These paralle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eeing women and nature as property, seeing men as the curators of culture and women as the curators of nature, and how men dominate women and humans dominate nature. Ecofeminism emphasizes that both women and nature must be respected.[5]

Though the scope of ecofeminist analysis is broad and dynamic,[6] American author and ecofeminist Charlene Spretnak has offered one way of categorizing ecofeminist work: 1) through the study of political theory as well as history; 2) through the belief and study of nature-based religions; 3) through environmentalism.[7]


Contents
1Overview
2Gendering Nature
3Concepts
3.1Modern Science and Ecofeminism
3.2Vegetarian Ecofeminism
3.3Materialist Ecofeminism
3.4Spiritual Ecofeminism/Cultural Ecofeminism
4Environmental movements
4.1Movements of the 1970s and 80s
5Major critiques
6Theorists
7See also
8References
9Further reading
9.1Key works
9.2Anthologies
9.3Journal articles
9.4Fiction
10Poetry
11External links
Overview[edit]

In the 1993 essay entitled "Ecofeminism: Toward Global Justice and Planetary Health" authors Greta Gaard and Lori Gruen outline what they call the "ecofeminist framework". The essay provides a wealth of data and statistics in addition to outlining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ecofeminist critique. The framework described is intended to establish ways of viewing and understanding our current global situations so that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we arrived at this point and what may be done to ameliorate the ills.

Gaard and Gruen argue that there are four sides to this framework:
The mechanistic materialist model of the universe that resulted from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the subsequent reduction of all things into mere resources to be optimized, dead inert matter to be used.
The rise of patriarchal religions and their establishment of gender hierarchies along with their denial of immanent divinity.
Self and other dualisms and the inherent power and domination ethic it entails.
Capitalism and its claimed intrinsic need for the exploitation, destruction and instrumentalization of animals, earth and people for the sole purpose of creating wealth.

They hold that these four factors have brought us to what ecofeminists see as a "separa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at is for them the root source of our planetary ills.[8]

Françoise d'Eaubonne.

Ecofeminism developed out of anarcha-feminist concerns with abolishing all forms of domination, while focusing on the oppressive nature of humanity's relationship to the natural world.[9] According to Françoise d'Eaubonne in her book Le Féminisme ou la Mort (1974), ecofeminism relates the oppression and domination of all marginalized groups (women, people of color, children, the poor) to the oppression and domination of nature (animals, land, water, air, etc.). In the book, the author argues that oppression, domination, exploitation, and colonization from the Western patriarchal society has directly caused irreversible environmental damage.[10] Françoise d'Eaubonne was an activist and organizer, and her writing encouraged the eradication of all social injustice, not just injustice against women and the environment.[10]

This tradition includes a number of influential texts including: Women and Nature (Susan Griffin 1978), The Death of Nature (Carolyn Merchant 1980) and Gyn/Ecology (Mary Daly 1978). These texts helped to propel the association between domination by man on women and the domination of culture on nature. From these texts feminist activism of the 1980s linked ideas of ecology and the environment. Movements such as the National Toxics Campaign, Mothers of East Los Angeles (MELA), and Native Americans for a Clean Environment (NACE) were led by women devoted to issues of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justice.[11] Writings in this circle discussed ecofeminism drawing from Green Party politics, peace movements, and direct action movements.[12]

Modern ecofeminism, or feminist eco-criticism, eschews such essentialism and instead focuses more on intersectional questions, such as how the nature-culture split enables the oppression of female and nonhuman bodies. It is also an activist and academic movement that sees critical connections between the exploitation of nature and the domination over women both caused by men.[citation needed]
Gendering Nature[edit]

Petra Kelly

Ecofeminist theory asserts that capitalism reflects only paternalistic and patriarchal values. This notion implies that the effects of capitalism have not benefited women and has led to a harmful split between nature and culture.[13] In the 1970s, early ecofeminists discussed that the split can only be healed by the feminine instinct for nurture and holistic knowledge of nature's processes.

Since then, several ecofeminist scholars have made the distinction that it is not because women are female or "feminine" that they relate to nature, but because of their similar states of oppression by the same male-dominant forces. The marginalization is evident in the gendered language used to describe nature, such as "Mother Earth" or "Mother Nature", and the animalized language used to describe women. Some discourses link women specifically to the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traditional social role as a nurturer and caregiver.[14] Ecofeminists following in this line of thought believe that these connections are illustrated through the coherence of socially-labeled values associated with 'femininity' such as nurturing, which are present both among women and in nature.

Alternatively, ecofeminist and activist Vandana Shiva wrote that women have a special connection to the environment through their daily interactions and that this connection has been underestimated. According to Shiva, women in subsistence economies who produce "wealth in partnership with nature, have been experts in their own right of holistic and ecological knowledge of nature's processes". She makes the point that "these alternative modes of knowing, which are oriented to the social benefits and sustenance needs are not recognized by the capitalist reductionist paradigm, because it fails to perceive the interconnectedness of nature, or the connection of women's lives, work and knowledge with the creation of wealth (23)".[15] Shiva blames this failure on the Western patriarchal perceptions of development and progress. According to Shiva, patriarchy has labeled women, nature, and other groups not growing the economy as "unproductive".[16]

Concepts[edit]
Modern Science and Ecofeminism[edit]

In Ecofeminism (1993) authors Vandana Shiva and Maria Mies ponder modern science and its acceptance as a universal and value-free system. They view the dominant stream of modern science not as objective science but as a projection of Western men's values.[17] The privilege of determining what is considered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usage has been controlled by men, and for the most part of history restricted to men. Bondi and Miles list examples including the medicalization of childbirth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plant reproduction.[17]

Bondi argues that the medicalization of childbirth has marginalized midwife knowledge and changed the natural process of childbirth into a procedure dependent on specialized technologies and appropriated expertise.[17] A common claim within ecofeminist literature is that patriarchal structures justify their dominance through binary opposition, thes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eaven/earth, mind/body, male/female, human/animal, spirit/matter, culture/nature and white/non-white. Oppression, according to them, is reinforced by assuming truth in these binaries, which factuality they challenge, and instilling them as 'marvelous to behold' through what they consider to be religious and scientific constructs.[18]
Vegetarian Ecofeminism[edit]

The application of ecofeminism to animal rights has established vegetarian ecofeminism, which asserts that "omitting the oppression of animals from feminist and ecofeminist analyses […] is inconsistent with the activist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both feminism (as a "movement to end all forms of oppression") and ecofeminism."[19] It puts into practice "the personal is political," as many ecofeminists believe that "meat-eating is a form of patriarchal domination…that suggests a link between male violence and a meat-based diet."[19] During a 1995 interview with On the Issues, Carol J. Adams stated, "Manhood is constructed in our culture in part by access to meat-eating and control of other bodies, whether it's women or animals".[20] According to Adams, "We cannot work for justice and challenge the oppression of nature without understanding that the most frequent way we interact with nature is by eating animals".[20] Vegetarian ecofeminism combines sympathy with the analysis of culture and politics to refine a system of ethics and action.[19]
Materialist Ecofeminism[edit]

Ecofeminism as materialist is another common dimension of ecofeminism. A materialist view connects some institutions such as labor, power, and property as the source of domination over women and nature. There are connections made between these subjects because of the value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21] This dimension of ecofeminism may also be referred to as "social feminism," "socialist ecofeminism," or "Marxist ecofeminism." According to Carolyn Merchant, "Social ecofeminism advocates the liberation of women through overturning economic and social hierarchies that turn all aspects of life into a market society that today even invades the womb".[4] Ecofeminism in this sense seeks to eliminate social hierarchies which favor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dominated by men) over biological and social reproduction.
Spiritual Ecofeminism/Cultural Ecofeminism[edit]

Spiritual ecofeminism is another branch of ecofeminism, and it is popular among ecofeminist authors such as Starhawk, Riane Eisler, and Carol J. Adams. Starhawk calls this an earth-based spirituality, which recognizes that the Earth is alive, and that we are an interconnected community.[22] Spiritual ecofeminism is not linked to one specific religion, but is centered around values of caring, compassion, and non-violence.[23] Often, ecofeminists refer to more ancient traditions, such as the worship of Gaia, the Goddess of nature and spirituality (also known as Mother Earth).[23] Wicca and Paganism are particularly influential to spiritual ecofeminism. Most Wicca covens demonstrate a deep respect for nature, a feminine outlook, and an aim to establish strong community values.[24]

In her book Radical Ecology, Carolyn Merchant refers to spiritual ecofeminism as "cultural ecofeminism." According to Merchant, cultural ecofeminism, "celeb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ature through the revival of ancient rituals centered on goddess worship, the moon, animals, and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4] In this sense, cultural ecofeminists tend to value intuition, an ethic of caring, and human-nature interrelationships.[4]
Environmental movements[edit]

Susan A. Mann, an eco-feminist and professor of sociological and feminist theory, considers the roles women played in these activisms to be the starter for ecofeminism in later centuries. Mann associates the beginning of ecofeminism not with feminists but with women of different race and class backgrounds who made connections among gender, race, class and environmental issues. This ideal is upheld through the notion that in activist and theory circles marginalized groups must be included in the discussion. In early environmental and women's movements, issues of varying races and classes were often separated.[25]

Beginning in the late 20th century, women worked in efforts to protect wildlife, food, air and water.[26] These efforts depended largely on new developments in the environmental movement from influential writers, such as Henry David Thoreau, Aldo Leopold, John Muir, and Rachel Carson.[27][28] Fundamental examples of women's efforts in the 20th century are the books Silent Spring by Rachel Carson and Refuge by Terry Tempest Williams.

Ecofeminist author Karren Warren lists Aldo Leopold's essay "Land Ethic" (1949) as a fundamental work to the ecofeminist conception, as Leopold was the first to pen an ethic for the land which understands all non-human parts of that community (animals, plants, land, air, water) as equal to and in a relationship with humans. This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launched the modern preservation movement and illustrated how issues can be viewed through a framework of caring.[10]

Women have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movements, specifically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beginning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continuing in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29]
Movements of the 1970s and 80s[edit]

In India, in state of Uttarakhand in 1973, women took part in the Chipko movement to protect forests from deforestation. Non-violent protest tactics were used to occupy trees so that loggers could not cut them down.[10]

Wangari Maathai

In Kenya in 1977, the Green Belt Movement was initiated by environmental and political activist Professor Wangari Maathai. It is rural tree planting program led by women, which Maathai designed to help prevent desertification in the area. The program created a 'green belt' of at least 1,000 trees around villages, and gave participants the ability to take charge in their communities. In later years, the Green Belt Movement was an advocate for informing and empowering citizens through seminars for civ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holding national leaders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and instilling agency in citizens.[30] The work of the Greenbelt Movement continues today.

In 1978 in New York, mother and environmentalist Lois Gibbs led her community in protest after discovering that their entire neighborhood, Love Canal, was built on top of a toxic dump site. The toxins in the ground were causing illness among children and reproductive issues among women, as well as birth defects in babies born to pregnant women exposed to the toxins. The Love Canal movement eventually led to the evacuation and relocation of nearly 800 families by the federal government.[31]

In 1980 and 1981, women organized a peaceful protest at the Pentagon. Women stood, hand in hand, demanding equal rights (including social, economic, and reproductive rights) as well as an end to militaristic actions taken by the government and exploit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and the environment). This movement is known as the Women's Pentagon Actions.[12]

In 1985, the Akwesasne Mother's Milk Project was launched by Katsi Cook. This study was funded by the government, and investigated how the higher level of contaminants in water near the Mohawk reservation impacted babies. It revealed that through breast milk, Mohawk children were being exposed to 200% more toxins than children not on the reservation. Toxins contaminate water all over the world, but to due environmental racism, certain subversive groups are exposed to a much higher amount.[32]

The Greening of Harlem Coalition is another example of an ecofeminist movement. In 1989, Bernadette Cozart founded the coali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many urban gardens around Harlem. Cozart's goal is to turn vacant lots into community gardens.[33] This is economically beneficial, and also provides a way for very urban communities to be in touch with nature and each other. The majority of people interested in this project (as noted in 1990) were women. Through these gardens, they were able to participate in and become leaders of their communities. Urban greening exists in other places as well. Beginning in 1994, a group of African-American women in Detroit have developed city gardens, and call themselves the Gardening Angels. Similar garden movements have occurred globally.[34]

The development of vegetarian ecofeminism can be traced to the mid-80s and 90s, where it first appeared in writing. However, the roots of a vegetarian ecofeminist view can be traced back further by looking at sympathy for non-humans and counterculture movements of the 1960s and 1970s.[19] At the culmination of the decade ecofeminism had spread to both coasts and articulated an intersectional analysis of women and the environment. Eventually, challenging ideas of environmental classism and racism, resisting toxic dumping and other threats to the impoverished.[35]

Vandana Shiva
Major critiques[edit]

In the 1980s and 1990s ecofeminism began to meet a lot of criticism from anti-essentialist feminism, which heavily critiqued what they viewed as essentialism. The essentialist view saw ecofeminism as reinforcing and growing patriarchal dominance and norms.[21] Through analysis done by post structural and third wave feminists it was argued that ecofeminism equated women with nature. This dichotomy is dangerous because it groups all women into one category and enforces the very societal norms that feminism is trying to break.

The major criticism of ecofeminism is that it is essentialist.[36] The ascribed essentialism appears in two main areas:
Ecofeminism demonstrates an adherence to the strict dichotomy, among others, between men and women. Some ecofeminist critiques note that the dichotomy between women and men and nature and culture creates a dualism that is too stringent and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women and men. In this sense, ecofeminism too strongly correlates the social status of women with the social status of nature, rather than the non-essentialist view that women along with nature both have masculine and feminine qualities, and that just like feminine qualities have often been seen as less worthy, nature is also seen as having lesser value than culture.[37]
Ecofeminism asserts a divergent view regarding participation in existing social structures. As opposed to radical and liberation-based feminist movements, mainstream feminism is tightly bound with hegemonic social status strives to promote equality within the existing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38] such as making it possible for women to occupy positions of power in business, industry and politics, using direct involvement as the main tactic for achieving pay equity and influence. In contrast, many ecofeminists oppose active engagement in these areas, as these are the very structures that the movement intends to dismantle.[37]

Out of this critique rose the anti-essentialist argument. Ecofeminist and author Noel Sturgeon says in an interview that what anti-essentialists are critiquing is a strategy used to mobilize large and diverse groups of both theorists and activists.[39] Additionally, ecofeminist and author Charlene Spretnak, modern ecofeminism is concerned about a variety of issues, including reproductive technology, equal pay and equal rights, taxis poisoning, Third World development, and more.[7]

Ecofeminism as it propelled into the 21st century became aware of the criticisms, and in response ecofeminists with a materialist lens began doing research and renaming the topic, i.e. queer ecologies, global feminist environmental justice, and gender and the environment.[35]

Social ecologist and feminist Janet Biehl has criticized ecofeminism for focusing too much on a mystical connection between women and nature and not enoug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women.[40] She has also stated that rather than being a forward-moving theory, ecofeminism is an anti-progressive movement for women.[40]

Rosemary Radford Ruether also critiqued this focus on mysticism over work that focuses on helping women, but argues that spirituality and activism can be combined effectively in ecofeminism.[41]

A. E. Kings has criticized ecofeminism for limiting itself to focusing only on gender and the environment, and neglecting to take an intersectional approach. Kings says that ecofeminists claim to be intersectional, however have fallen short on their commitment until recently.[42]

Feminist thought surrounding ecofeminism grew in some areas as it was criticized; vegetarian ecofeminism contributed intersectional analysis; and ecofeminisms that analyzed animal rights, labor rights and activisms as they could draw lines among oppressed groups. To some, the inclusion of non-human animals also came to be viewed as essentialist.
Theorists[edit]
Judi Bari – Bari was a principal organizer of the Earth First! movement and experienced hostility due to her womanhood.
Françoise d'Eaubonne – Called upon women to lead an ecological revolution in order to save the planet. This entailed revolutionizing gender relations and human relations with the natural world.[2]
Greta Gaard – Greta Gaard is an American ecofeminist scholar and activist. Her major contributions to the field connect ideas of queer theory, vegetarianism, and animal liberation. Her major theories include ecocriticism which works to include literary criticism and composition to inform ecofeminism and other feminist theories to address wider range of social issues within ecofeminism. She is an ecological activist and leader in the U.S. Green Party, and the Green Movement.[43]
Sallie McFague – A prominent ecofeminist theologian, McFague uses the metaphor of God's body to represent the universe at large. This metaphor values inclusive, mutualistic and interdependent relations amongst all things.[44]
Carolyn Merchant – Historian of science who taught at Berkeley for many years. Her book The Death of Nature: Women, Ecology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is a classic ecofeminist text.
Mary Mellor – UK sociologist who moved to ecofeminist ideas from an interest in cooperatives. Her books Breaking the Boundaries and Feminism and Ecology are grounded in a materialist analysis.
Maria Mies – Mies is a German social critic who has been involved in feminist work throughout Europe and India. She works particularly on the intersections of patriarchy, poverty, and the environment on a local and global scale.[41]
Val Plumwood – Val Plumwood, formerly Val Routley, was an Australian ecofeminist intellectual and activist, who was prominent in the development of radical ecosophy from the early 1970s through the remainder of the 20th century. In her works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she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mankind and the environment relating to an eco-feminist ideology.[45]
Alicia Puleo – The author of several books and articles on ecofeminism and gender inequality, Alicia Puleo has been characterized as "arguably Spain's most prominent explicator-philosopher of the worldwide movement or theoretical orientation known as ecofeminism."[46]
Rosemary Radford Ruether – Has written 36 books and over 600 articles exploring the intersections of feminism, theology, and creation care.[47]
Ariel Salleh – Australian ecofeminist with a global perspective; a founding editor of the journal Capitalism Nature Socialism; author of two books and some 200 articles examining links with deep and social ecology, green politics and eco-socialism.
Vandana Shiva – Shiva is a Philosopher, author, activist, and feminist from India.[48] She was a participant in the Chipko movement of the 1970s, which used non-violent activism to protest and prevent deforestation in the Garhwal Himalayas of Uttarakhand, India then in Uttar Pradesh.
Charlene Spretnak – Spretnak is an American writer largely known for her writing on ecology, politics and spirituality. Through these writings Spretnak has become a prominent ecofeminist. She has written many books which discuss ecological issues in terms of effects with social criticisms, including feminism. Spretnak works had a major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Party. She has also won awards based on her visions on ecology and social issues as well as feminist thinking.[49]
Starhawk – An American writer and activist Starhawk is known for her work in spiritualism and ecofeminism. She advocates for social justice in issues surrounding nature and spirit. These social justice issues fall under the scope of feminism and ecofeminism. She believes in fighting oppression through intersectionality and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eco consciousness and sexual and gender liberation.[50]
Vanessa Lemgruber – Lemgruber is a Lawyer, brazilian writer,[51] activist, and ecofeminist[52] from Brazil. She defendes[53] the Rio Doce river in Brazil and advocates for water quality and zero waste movments.[54]
Douglas Vakoch – An American ecocritic whose edited volumes include Ecofeminism and Rhetoric: Critical Perspectives on Sex, Technology, and Discourse (2011),[55] Feminist Ecocriticism: Environment, Women, and Literature (2012),[56] and (with Sam Mickey) Ecofeminism in Dialogue (2018),[57] Literature and Ecofeminism: Intersectional and International Voices (2018),[58] and Women and Nature?: Beyond Dualism in Gender, Body, and Environment (2018).[59]
Karen Warren – Warren received her B.A. in philosophy from the University of Minnesota (1970) and her Ph.D. from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Amherst in 1978. Before her long tenure at Macalester College, which began in 1985, Warren was Professor of Philosophy at St. Olaf College in the early 1980s. Warren was the Ecofeminist-Scholar-in-Residence at Murdoch University in Australia.[1] In 2003, she served as an Oxford University Round Table Scholar and as Women's Chair in Humanistic Studies at Marquette University in 2004. She has spoken widely on environmental issues, feminism,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peace studies in many international locations including Buenos Aires, Gothenburg, Helsinki, Oslo, Manitoba, Melbourne, Moscow, Perth, the U.N. Earth Summit in Rio de Janeiro (1992), and San Jose.
Laura Wright — Wright proposed Veg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See also[edit]

Chipko movement
Cottagecore
Deep ecology
Deep Green Resistance
Ecofeminist art
Green syndicalism
Intersectionality
List of ecofeminist authors
Queer ecology
Romanticism
Social ecology
Vegan studies
Vegetarian ecofeminism
Women and the environment through history
Climate change and gender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MacGregor, Sherilyn (2006). Beyond mothering earth: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politics of care. Vancouver: UBC Press. p. 286. ISBN 978-0-7748-1201-6.
^ Jump up to:a b (Merchant, Carolyn. "Chapter 8." In Radical ecology: the search for a livable world. New York: Routledge, 1992. 184)
^ Warren, Karen (September 2002). "Karen Warren's Ecofeminism". Ethics & the Environment. 7 (2): 12–26. doi:10.2979/ETE.2002.7.2.12.
^ Jump up to:a b c d e Merchant, Carolyn (2005). "Ecofeminism". Radical Ecology. Routledge. pp. 193–221.
^ Adams, Carol (2007). Ecofeminism and the Sacred. Continuum. pp. 1–8.
^ "Ecofeminist Movements" (PDF).
^ Jump up to:a b Spretnak, Charlene. "Ecofeminism: Our Roots and Flowering." Reweaving the World: The Emergence of Feminism, edited by Irene Diamond and Gloria Ornstein, Sierra Club Books, 1990, pp. 3-14.
^ Gaard, Greta and, Gruen, Lori (1993). "Ecofeminism: Toward Global Justice and Planetary Health". Society and Nature. 2: 1–35.
^ Tuana, Nancy; Tong, Rosemarie, eds. (2018). "Anarcha Feminist and Ecological Feminist Perspectives". Feminism And Philosophy: Essential Readings In Theory,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Routledge. pp. 327–9. ISBN 0-8133-2212-X.
^ Jump up to:a b c d Warren, Karen J. (2000). Ecofeminist Philosophy: A Western Perspective on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Lanham, Maryland: Ro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ISBN 9780847692996.
^ Merchant, Carolyn (2005). Radical Ecology. Routledge. pp. 169–173.
^ Jump up to:a b Lamar, Stephanie (1991). "Ecofeminist Theory and Grassroots Politics". Hypatia. 6 (1): 28–45. doi:10.1111/j.1527-2001.1991.tb00207.x.
^ Oksala, Johanna (Spring 2018). "Feminism, Capitalism, and Ecology". Hypatia. 33 (2): 216–234. doi:10.1111/hypa.12395.
^ Stoddart, Mark; Tindall, D. B. (2011). "Ecofeminism, Hegemonic Masculinity, And Environmental Movement Participation In British Columbia, Canada, 1998-2007: "Women Always Clean Up The Mess"". Sociological Spectrum. 31 (3): 342–368. doi:10.1080/02732173.2011.557065.
^ Shiva, Vandana (1988).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London: Zed Books. ISBN 978-0-86232-823-8.
^ Shiva, Vandana. "Development as a New Project of Western Patriarchy." Reweaving the World: The Emergence of Feminism, edited by Irene Diamond and Gloria Ornstein, Sierra Club Books, 1990, pp. 189-200.
^ Jump up to:a b c (Mies, Maria, and Vandana Shiva. Ecofeminism. Halifax, N.S. : Fernwood Publications; 1993. 24.)
^ Laura Hobgood-Oster. "Ecofeminism: Historic and International Evolution" (PDF). Retrieved March 17, 2012.
^ Jump up to:a b c d Gaard, Greta Claire (2002). "Vegetarian ecofeminism: A review essay".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 23 (2): 117–146. doi:10.1353/fro.2003.0006.
^ Jump up to:a b "Do Feminists Need to Liberate Animals, Too?". Carol J. Adams. Retrieved 2019-04-30.
^ Jump up to:a b "Ecofeminism: Is the Movement Still Relevant?". Gender Across Borders.
^ Starhawk. "Power, Authority, and Mystery: Ecofeminism and Earth-based Spirituality." Reweaving the World: The Emergence of Ecofeminism, edited by Irene Diamond and Gloria Orenstein, Sierra Club Books, 1990, pp. 73-86.
^ Jump up to:a b Eisler, Riane. "The Gaia Tradition & The Partnership Future: An Ecofeminist Manifesto." Reweaving the World: The Emergence of Ecofeminism, edited by Irene Diamond and Gloria Orenstein, Sierra Club Books, 1990, pp. 23-34.
^ Merchant, Carolyn (2005). "Spiritual Ecology". Radical Ecology. Routledge. pp. 124–125.
^ Mann, Susan A (2011). "Pioneers of U.S. Ecofemin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Feminist Formations. 23 (2): 1–25. doi:10.1353/ff.2011.0028.
^ Glazebrook, Trish (Autumn 2002). "Karen Warren's Ecofeminism". Ethics & the Environment. 7 (2): 12–27. doi:10.2979/ete.2002.7.2.12.
^ Norlock, Kathryn J. (December 2011). "Building Receptivity: Leopold's Land Ethic and Critical Feminist Interpretation". Journal for the Study of Religion, Nature and Culture(Submitted manuscript). 5 (4): 491–509. doi:10.1558/jsrnc.v5i4.491.
^ Seager, Joni (Spring 2003). "Rachel Carson Died of Breast Cancer: The Coming of Age of Feminist Environmentalism".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28 (3): 945–973. doi:10.1086/345456.
^ Mann, Susan A. (2011). "Pioneers of U.S. Ecofemin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Feminist Formations. 23 (2): 1–25. doi:10.1353/ff.2011.0028. JSTOR 41301654.
^ "Our History". The Green Belt Movement. Retrieved October 8, 2016.
^ "Love Canal". Center for Health, Environment, & Justice. Retrieved October 8, 2016.
^ Doverspike, Nicole (2012). "Mother's Milk Project". English 487W Blog: West of Everything. Retrieved October 9, 2016.
^ Bernstein, Emily (1993). "Neighborhood Report: Harlem; Sowing a Future With Green in I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9, 2016.
^ Hawthorne, Susan (2002). Wild Politics: Feminism, Globalisation, Bio/diversity. Melbourne, Australia: Spinifex Press.
^ Jump up to:a b Gaard, Greta (2011). "Ecofeminism Revisited: Rejecting Essentialism and Re-Placing Species in a Material Feminist Environmentalism". Feminist Formations. 23 (2): 26–53. doi:10.1353/ff.2011.0017.
^ Gaard, Greta (Summer 2011). "Ecofeminism Revisited: Rejecting Essentialism and Re-Placing Species in a Material Feminist Environmentalism". Feminist Formations. 23 (2): 26–53. doi:10.1353/ff.2011.0017.
^ Jump up to:a b "Ecofeminism Critique". The Green Fuse.
^ hooks, bell.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Cambridge, MA: South End Press 1984
^ Michiels, Nete. "Social Movements And Feminism." Women & Environments International Magazine, no. 92/93, 2013, pp. 15-17.
^ Jump up to:a b Biehl, Janet (1991). Rethinking eco-feminist politics. Boston, Massachusetts: South End Press. ISBN 978-0-89608-392-9.
^ Jump up to:a b Ruether, Rosemary Radford (2003). Heather Eaton & Lois Ann Lorentzen (ed.). Ecofeminism and Globalization. Lanham, Boulder, New York, Toronto, Oxford: Rowman and Littlefield. pp. vii–xi. ISBN 978-0-7425-2697-6.
^ Kings, A.E. (Spring 2017). "Intersectionality and the Changing Face of Ecofeminism". Ethics and the Environment. 22: 63–87. doi:10.2979/ethicsenviro.22.1.04.
^ "Greta Gaard". www.uwrf.edu. Retrieved 2019-10-08.
^ Ralte, Lalrinawmi. The World as the Body of God Eco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with Special Reference to Tribal Women in India. Archived 2016-05-22 at the Wayback Machine, rethinkingmission.org, accessed March 24, 2012
^ Plumwood, Val (2003).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New Fetter Lane, London: Routeledge.
^ Johnson, Roberta (2013). "For a Better World: Alicia Puleo's Critical Ecofeminism". In Cibreiro, Estrella; López, Francisca (eds.). Global Issues in Contemporary Hispanic Women's Writing. Routledge. p. 107. ISBN 9780415626941. Retrieved 20 February 2019 – via Google Books.
^ LaRosa, Patricia. "Finding Aid for Rosemary Radford Ruether Papers, 1954-2002"(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1 December 2012. Retrieved 15 March2013.
^ "Who's Who of Women and the Environment". Retrieved 15 March 2013.
^ Charlene Spretnak, "The Early Years of the Green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Zelko and Brinkmann, eds., Green Parties, p. 48.
^ see Starhawk
^ https://www.amazon.com.br/Guia-ecofeminista-mulheres-direito-ecologia-ebook/dp/B08C1FNZ55/ref=sr_1_1?__mk_pt_BR=%C3%85M%C3%85%C5%BD%C3%95%C3%91&dchild=1&keywords=guia+ecofeminista&qid=1593658492&sr=8-1
^ https://medium.com/ecofeminist-talks
^https://sites.google.com/d/1xtLXhg1fJPFNUeszu6svDNtubQl3lcwM/p/1BtP5jbRogM3ZHVKVwT0-2M3bpQprHhqU/edit
^ https://www.instagram.com/ecofeminist.lab/
^ Vakoch, Douglas A (2011-01-01). Ecofeminism and rhetoric: critical perspectives on sex, technology, and discourse. New York: Berghahn Books. ISBN 9780857451873. OCLC 714734848.
^ Vakoch, Douglas A (2012-01-01). Feminist ecocriticism: environment, women, and literature. Lanham, Md.: Lexington Books. ISBN 9780739176825. OCLC 815941726.
^ Vakoch, Douglas A.; Mickey, Sam (2018). Ecofeminism in Dialogue. Lanham, MD: Lexington Books. ISBN 9781498569279. OCLC 1005695115.
^ Vakoch, Douglas A.; Mickey, Sam (2018). Literature and Ecofeminism: Intersectional and International Voices. London: Routledge. ISBN 978-0815381723. OCLC 1020319048.
^ Vakoch, Douglas; Mickey, Sam (2018). Women and Nature?: Beyond Dualism in Gender, Body, and Environment. London: Routledge. ISBN 9781138053427. OCLC 975383028.
Further reading[edit]
Key works[edit]
Ancient Futures: Learning from Ladakh, by Helena Norberg-Hodge
The Body of God by Sallie McFague
The Chalice & The Blade: Our History, Our Future, by Riane Eisler
The Death of Nature: Women, Ecology,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by Carolyn Merchant
Ecofeminism by Maria Mies and Vandana Shiva
Ecofeminism in Latin America by Mary Judith Ross
Ecofeminist Philosophy by Karen J. Warren
Environmental Culture by Val Plumwood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by Val Plumwood
Gaia & God: An Ecofeminist Theology of Earth Healing, by Rosemary Radford Ruether
Integrating Ecofeminism, Globalization, and World Religions, by Rosemary Radford Ruether
Neither Man Nor Beast by Carol J. Adams
Refuge: An Unnatural History of Family and Place by Terry Tempest Williams
The Resurgence of the Real: Body, Nature, and Place in a Hypermodern World by Charlene Spretnak
Sacred Longings: Ecofeminist theology and Globalization by Mary Grey
The Sexual Politics of Meat by Carol J. Adams
Silent Spring by Rachel Carson
The Spiral Dance by Starhawk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by Vandana Shiva
Thinking Green! Essays on Environmentalism, Feminism, and Nonviolence, by Petra Kelly
Tomorrow's Biodiversity by Vandana Shiva
Woman and Nature: The Roaring Inside Her, by Susan Griffin
Breaking the Boundaries, by Mary Mellor
Ecofeminism as Politics: nature, Marx, and the postmodern, by Ariel Salleh
Anthologies[edit]
Animals and Women: Feminist Theoretical Explorations, edited by Carol J. Adams and Josephine Donovan
Ecofeminism: Women, Animals, Nature, edited by Greta Gaard
Ecofeminism: Women, Culture, Nature, edited by Karen J. Warren with editorial assistance from Nisvan Erkal
EcoFeminism & Globalization: exploring culture, context and religion, edited by Heather Eaton & Lois Ann Lorentzen
Ecofeminism and Rhetoric: Critical Perspectives on Sex, Technology, and Discourse, edited by Douglas A. Vakoch
Ecofeminism and the Sacred, edited by Carol J. Adams
Ecofeminism in Dialogue, edited by Douglas A. Vakoch and Sam Mickey
Feminist Ecocriticism: Environment, Women, and Literature, edited by Douglas A. Vakoch
Literature and Ecofeminism: Intersectional and International Voices, edited by Douglas A. Vakoch and Sam Mickey
The Politics of Women's Spirituality: Essays on the Rise of Spiritual Power within the Feminist Movement, edited by Charlene Spretnak
Readings in Ecology and Feminist Theology, edited by Mary Heather MacKinnon and Moni McIntyre
Reclaim the Earth, edited by Leonie Caldecott & Stephanie Leland
Reweaving the World: The Emergence of Ecofeminism, edited by Irene Diamond and Gloria Feman Orenstein
Women and Nature?: Beyond Dualism in Gender, Body, and Environment, edited by Douglas A. Vakoch and Sam Mickey
Women Healing Earth: Third World Women on Ecology, Feminism, and Religion, edited by Rosemary Radford Ruether
GUIA ECOFEMINISTA - mulheres, direito, ecologia, written by Vanessa Lemgruber edited by Ape'Ku[1]



Journal articles[edit]
Gaard, Greta Claire (2011). "Ecofeminism Revisited: Rejecting Essentialism and Re-Placing Species in a Material Feminist Environmentalism". Feminist Formations. 23 (2): 26–53. doi:10.1353/ff.2011.0017.
Huggan, Graham (2004). ""Greening" Postcolonialism: Ecocritical Perspectives". MFS Modern Fiction Studies. 50 (3): 701–733. doi:10.1353/mfs.2004.0067.
Mack-Canty, Colleen (2004). "Third-Wave Feminism and the Need to Reweave the Nature/ Culture Duality". NWSA Journal. 16 (3): 154–179. doi:10.1353/nwsa.2004.0077.
MacGregor, Sherilyn (2004). "From care to citizenship: Calling ecofeminism back to politics". Ethics & the Environment. 9 (1): 56–84. doi:10.1353/een.2004.0007.
Mallory, Chaone (2013). "Locating Ecofeminism in Encounters with Food and Plac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Ethics. 26 (1): 171–189. doi:10.1007/s10806-011-9373-8.
Mann, Susan A. 2011. Pioneers of U.S. Ecofemin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Feminist Formations" 23(2): 1-25.
Wildy, Jade (2012). "The Artistic Progressions of Ecofeminism: The Changing Focus of Women in Environmental Art".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rts in Society. 6 (1): 53–65. doi:10.18848/1833-1866/cgp/v06i01/35978.
Fiction[edit]
See also: Feminist science fiction
"Clementa" by Jim Martin
A Door Into Ocean by Joan Slonczewski
Always Coming Home by Ursula K. Le Guin
Buffalo Gals, Won't You Come Out Tonight by Ursula K. Le Guin
The Fifth Sacred Thing by Starhawk
The Gate to Women's Country by Sheri S. Tepper
The Holdfast Chronicles by Suzy McKee Charnas
Native Tongue by Suzette Haden Elgin
The Parable of the Sower by Octavia Butler
Prodigal Summer by Barbara Kingsolver
Surfacing by Margaret Atwood
The Wanderground by Sally Miller Gearhart
Woman on the Edge of Time by Marge Piercy
The Kin of Ata are Waiting for You by Dorothy Bryant
Bear by Marian Engel
The Temple of My Familiar by Alice Walker
A Bengali play, "NEELKANTHA DESH" (2010), by Supratim Roy
Sultana's Dream (1905), by Begum Rokeya Sakhawat Hossain

Ecofeminism by Vandana Shiva
Poetry[edit]
The Sea of Affliction (1987, reprinted 2010) by Rosemarie Rowley
External links[edit]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Ecofeminism

Wikiversity has learning resources about Women's Studies

Ecofeminism: Toward global justice and planetary health Feminist Greta Gaard and Lori Gruen's ecofeminist framework
ecofem.org Includes the regularly updated "Ecofeminism Bibliography"
ecofeminism.net
"An Ecology of Knowledge: Feminism, Ecology and the Science and Religion Discourse" Metanexus Institute by Lisa Stenmark
"Ecofeminism and the Democracy of Creation" by Catherine Keller (2005) ; cf. Carol P. Christ, "Ecofeminism," in Michel Weber and Will Desmond (eds.), Handbook of Whiteheadian Process Thought, Frankfurt / Lancaster, ontos verlag, 2008, pp. 87–98.
"Toward a Queer Ecofeminism" by Greta Gaard

show

v
t
e
Feminist theory


show

v
t
e
Feminism


show

v
t
e
Environmental humanities


show

v
t
e
Environmental social science


Authority control

BNF: cb12560461v (data)


^ https://www.amazon.com.br/Guia-ecofeminista-mulheres-direito-ecologia-ebook/dp/B08C1FNZ55/ref=sr_1_1?__mk_pt_BR=%C3%85M%C3%85%C5%BD%C3%95%C3%91&dchild=1&keywords=guia+ecofeminista&qid=1593658492&sr=8-1
Categories:
Ecofeminism
Environmentalism
Feminist theory
Feminism
Relational ethics
Environmental movements
Feminist movements and ideologies
Feminism and health
Feminism and history
Environmental social science concepts

생태여성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태여성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태여성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생태여성주의(프랑스어Écoféminisme독일어Ökofeminismus영어Ecofeminism한자: 生態女性主義)는 생태주의와 여성주의가 합쳐진 사상이므로, 1970년대 프랑수아즈 도본느(프랑스어Françoise d'Eaubonne)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여성해방론과 생태학 그리고 자연해방론이 주류를 이은다. 생태여성주의에서는 양성차별과 생태파괴 현상은 서구에서 나타난 이원론적 관점에서 비롯된 사회결함이라고 지적한다.[1]

개요[편집]

1970년대 전국적으로 여성 운동이 일어나는 시기에, 프랑수아즈 도본느를 포함한 일부 여성운동가들은, 사회가 생태계를 무분별하게 착취하고 무시하듯이, 여성을 생태계의 위치에 비교하여 처음으로 주장했다. 즉, 여성은 사회에서 남성들에 의해 무시되고, 억압되는 사회현상을 인간이 자연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려 하고 자연 파괴를 일삼는 사회현상과 같다고 주장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사회에서는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또한 여성은 남성들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동일시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모두 생태주의와 여성주의는 연관된 것이라 주장하였고 모호한 기존의 여성주의에 대항하여, 생태주의와 여성주의를 혼합한 사상이 나타나게 된다.[2] 기본적으로 생태여성주의는 양성에 대한 차별의식은 이원론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모든 관점에서 이원론적 관점을 배제한다. 또한, 단순한 이성이 아닌, 극단적 이성주의도 반대하며, 특히 남성주의, 가부장주의에도 반대한다.[3]

생태여성주의는 인간과 자연을 통합시켜 똑같은 권리를 누릴 존재로 인식하였다. 또한, 생태여성주의는 기존의 여성 운동과 환경 운동에 대한 수단 제시를 새롭게 제시하였는데 가령, 여성 운동은 사회적으로 남성의 권위와 거의 '똑같아질 정도'의 권위향상만으로는 만족해서는 안 되며,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완전히 없애고, 남성과 여성과의 양성평등 인식을 후대에서 널리 전할 수 있도록 여성 운동은 항상 직접적인 행동과 파격적인 권위향상을 조건으로 내걸어야 하며.[4], 환경 운동 또한, 고액의 보수를 들여 만든 친환경 사업일지라도 그것은 환경 운동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생태라는 것은 애초에 물질적인 것으로 살 수 없기 때문에 환경 자체를 보존한다는 마음가짐으로 환경 운동에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설사 그것이 미미하게 지구 생태에 영향을 주는 친환경적인 정책 및 설계일지라도, 생태 자체를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허용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이다.[5]

만약에 이러한 여성 운동이 일어나지 못할 경우 여성은 언제까지 사회적으로 남성보다 권위가 아래일 수 밖에 없으며, 환경 운동 또한 기존의 방향으로 고수하여 실행한다면, 서구권 처럼 단순한 오염물질 폐기시설 설치, 고액의 친환경설비 건설로만으로 만족하는 본질없는 환경 운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운동은 1970년대 시작으로 1990년대 부터 여성 운동의 큰 폭을 차지하고 있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적 생태여성주의[편집]

일반적인 의미의 생태여성주의는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를 의미한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적 생태여성주의의 차이점은, 전자는 생태낭만주의의 분파로써 감성적으로 자연과 여성은 합일되기 때문에 사회-문화적으로 여성이 환경 문제를 심적으로는 확실히 효과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상이며,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는, 인간과 자연의 지배관계와 남성과 여성의 지배관계를 동일시하여, 여성주의에서의 여성 해방 관점과 생태주의에서의 자연 해방 관점을 모두 수용, 일치시켜 두 문제를 동시다발적으로 풀어나가려는 사상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세리린 맥그레고 (2006). 《《Beyond mothering earth: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politics of care》》. Vancouver: UBC Press. 286쪽. ISBN 0-7748-1201-X.
  2.  벤다나 시바 (1988).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London: Zed Books. ISBN 978-0-86232-823-8.
  3.  (루라 홉굿-오스터. "《Ecofeminism: Historic and International Evolution.》" www.clas.ufl.edu/users/bron/PDF--Christianity/Hobgood-Oster--Ecofeminism-International%20Evolution.pdf (2012년 3월 17일에 쓰인 논문) )
  4.  (마리아 밀스, 벤다나 시바 공동저. 《Ecofeminism. Halifax, N.S. : Fernwood Publications》; 1993. 24.)
  5.  자넷 비흘 (1991). 《《Rethinking eco-feminist politics》》. Boston, Massachusetts: South End PressISBN 978-0-89608-392-9.

2020/11/23

페미니스트 김신명숙은 왜 '여신'에 빠졌을까 - 오마이뉴스

페미니스트 김신명숙은 왜 '여신'에 빠졌을까 - 오마이뉴스
페미니스트 김신명숙은 왜 '여신'에 빠졌을까
김신명숙의 '여신을 찾아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48777
18.06.27
이명옥(mmsarah)

김신명숙은 페미니즘 운동의 맨 앞에서 가부장제와 맞서 싸우던 전사의 이미지로 남아 있다. '군대 가산점 논란'이나 '페니스'로 상징되는 남성의 폭력적인 성 차별에 반론을 제기하며 싸움의 전방에 서 있던 모습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호주제 폐지 이후 한동안 그녀의 소식을 듣지 못했는데 다소 의외인 <여신을 찾아서>(판미동)라는 책으로 그녀의 근황을 알게 되었다.

전위적인 페미니스트가 여신학자가 되다니 의외라는 생각이 들었다. 혁명과 전위적인 사상으로 세상을 바꿔보려던 이들이 평화활동가, 생명평화 전파자, 혹은 영성 운동가가 된 것을 보면 변절이나 현실 도피 혹은 패배를 자인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 불편한 생각이 먼저 앞섰던 것처럼 이번에도 그랬다.

하지만 곧 얄팍하고 가벼운 나의 판단과 생각의 틀이 깨졌다. 그녀는 그녀가 꿈꿔온 세상을 위한 운동을 접은 것이 아니었다. 운동이 지향해야 할 근본 뿌리를 발견해 방향을 재설정하고 새로운 길을 내고 있는 중이었다.


나그네의 겉옷을 벗기는 내기를 하던 북풍과 해 이야기가 생각난 것은 그 때문이다. 전사였던 그녀가 발견한 여신과 여신영성, 여성성이 갖는 부드러움, 따뜻함, 생명 잉태와 보살핌이 생명을 살리고 지속시킨다는 것을 깨달은 페미니스트의 전환적 삶의 선택이 바로 '여신'이었다.

김신명숙은 내면의 절실한 요구에 따라 한 단계 더 진화된 방법으로 모든 생명이 존중받고 함께 하는 세상을 향한 길을 내고 있는 중이다. 그녀가 찾은 방법이 독자로서 동의되지 않는 부분도 있고, 토속적이고 원시적인 종교적 색체나 의례에 살짝 거부감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모든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양성 성향 중 억압되고, 굴절되고, 폄훼되었던 여성성을 되살려내는 것이, 생명을 살려내고 아름답게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많은 운동가가 겪었듯 저자 또한 풀리지 않는 인간 존재 의미와 페미니즘 운동의 방향성을 놓고 좌절과 고민에 빠져 있었던 것 같다. 페미니스트 여성학자인 저자가 엄마로, 딸로 살면서 충족할 수 없던 내면의 갈구를 여신영성과 여신문화를 통해 발견하고 채워나가는 과정이 <여신을 찾아서>에 진솔하게 담겨 있다.



▲ 여신을 찾아서 인류 최초의 신은 여자였다.
ⓒ 판미동

그녀는 2005년 후반 유니온 신학대학원 현경 교수가 건넨 <결국은 아름다움이 우리를 구원할 거야>를 통해 두 가지 문제를 풀 실마리를 찾았고 그것이 바로 여신이라고 고백한다.


지금까지 내 인생이 여신으로 수렴되는구나. 여신을 만나기 위해 굽이굽이 삶의 단계들. 고비들을 지나왔구나. 나도 모르게 일어나 여신을 껴안고 함께 춤추었다. 그때까지 내 삶의 두 주제,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와 페미니즘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지나온 과정 하나하나가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되고 있었다. 여신은 그 둘을 아우르는 온전한 존재였고, 내 삶은 이제 온전성을 향한 질적으로 다른 단계를 마주한 것이다. - 25쪽
책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된 '여신문화 유적 순례기'다. 첫 번째는 크레타 순례를 통해 접한 여신 문화 흔적과 개인적 체험을 담아냈다. 두 번째는 대한민국 전역, 강원도부터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남아있는 여신 문화의 흔적을 소개한다.

책에는 자궁의 상징인 동굴, 우물, 산, 여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마름모와 역삼각형, 탄생과 죽음의 순환을 상징하는 나선 무늬, 물을 상징하는 물결 무늬, 여성의 자궁을 상징하는 소머리 등 많은 상징과 남성중심 사회가 강등시킨 여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등장한다.

생명을 낳고, 보살피고, 키워내고, 치유하는 과정을 통해 생명을 이어온 모든 곳에 자리한 것이 여성성이며 여신문화다. 인류 최초의 신이 여자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생명이 여성의 자궁에서 시작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생명의 씨를 받아 키워내는 여성의 자궁, 생명을 지속시키는 물, 땅, 해와 달, 나무와 풀, 그 모든 것에 깃든 에너지를 여성성으로 보며 여신으로 받아들인 셈이다. 여성성으로 대표되는 것이 평화, 생명, 나눔, 보살핌, 치유가 여신의 속성으로 이해되는 까닭이다.

5세기경 만들어진 토우 여신상 몸통은 첨성대와 유사하다. 몸통 가운데 뚫린 구멍은 생명을 잉태하는 자궁을 상징한다고 한다. 저자는 선덕대왕 때 지은 첨성대 역시 자궁의 상징인 우물이자 여성의 몸을 본 딴 여신상이며 농사를 위해 별자리를 관측하던 곳이라는 무척 흥미로운 설명을 하고 있다.


우물인 첨성대는 스스로가 큰 자궁이다. 맨 위 정자석은 성산일출봉처럼 하늘을 향해 열려 있다. 하늘로 뚫린 구멍, 즉 하늘 자궁이다. 가운데 창구는 여체의 자궁이니 지상의 자궁이다. 결국 창구 안의 어두운 공간은 자궁 속의 자궁이자 하늘 자궁과 지상의 자궁이 만나 감응하는 곳이다. 그러니 그 힘으로 탄생시키지 못할 것은 없다. 하지 못할 일도 없다. 그곳은 신성성이 최고로 증폭된, 하늘과 땅이 아우르는 지고의 지성소다. 신라와 가야인들은 그 지고의 성소에서 건국 왕들을 탄생시켰다. – 465쪽
검파형 구멍이 뚫리고 둥근 알 모양을 한 제기 받침, 알 모양의 둥근 구슬이 달린 황금 허리띠 등은 여신의 대리자인 여제가 왕권을 신탁하고 권한을 가지고 있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한다. 고대 여신은 하늘과 땅, 인간에게 생명의 탄생과 죽음을 관장할 권한을 지닌 초월적 존재이자 생명과 치유의 에너지를 나눠주는 절대자이자 어머니같은 존재였다.

하늘 자궁에 땅 자궁, 물 자궁, 인간과 뭇 생명체의 자궁 등 천지의 자궁들을 품고 있는 검파형은 한마디로 우주 대여신을 표상한다. 단순한 지모신이 아닌 것이다. 검파형 여신상 내부에 구획된 공간들은 당시 사람들의 우주관과 세계관을 담고 있을 것이다. 검파형 여신상의 상징적 의미를 알고 나면 문득 깨닫게 된다. 마고할미, 설문대할망, 개양할미 같은 우리 여신들이 왜 그렇게 거대한 몸집을 가질 수밖에 없었는지 서술성모가 왜 하늘의 백마이자 우물의 계룡이면서 동시에 계림 숲이었는지 한눈에 다 이해가 되는 것이다. -467쪽

저자는 여신영성이나 여신문화 탐구는 여성의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 여성성인 생명존중, 치유, 보살핌은 지구별에 함께하는 모든 생명이 공생하는 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여성성은 모든 생명이 공존할 수 있는 가치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살만큼 살아보니 어머니로 생명을 낳고 기르고 보살피는 일이 갖는 의미를 깨우치게 됐다'는 저자의 고백은 찢기고 좌절하며 험난한 인생길을 헤쳐 온 모든 이들이 깨우친 진실이 아닐까. 자궁에서 나와 자궁과 같은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 모든 생명이 순환하는 길이기에.

할머니가 없었더라면 인류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을 실감한다. 생명의 가치, 돌봄의 가치를 존중하는 일, 여성성을 극대화 하고 여신의 현신인 어머니의 존재를 사랑하고 그녀가 하는 일의 가치를 인정하고 남성들도 함께하는 것이 저자가 제안하는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해법이다.

 1]번에 대하여 참고 될 글:
페미니스트 김신명숙은 왜 '여신'에 빠졌을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48777
저자는 여신영성이나 여신문화 탐구는 여성의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 여성성인 생명존중, 치유, 보살핌은 지구별에 함께하는 모든 생명이 공생하는 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여성성은 모든 생명이 공존할 수 있는 가치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제야 알겠다. 하찮은 일로 무시당해 온 여성의 일, 그 숱한 보살핌의 행위들, 밥해서 먹이고 씻기고 아플 때 돌보고 텃밭을 가꾸는 일들이 얼마나 신성하고 가치 있는 일인지를. 왜 이제는 남성들도 그 일을 배워야 하는지를." - 554쪽

덧붙이는 글 | 여신을 찾아서/ 김신명숙/ 판미동/ 19,500



여신을 찾아서

김신명숙 지음, 판미동(2018)


알라딘: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2020

알라딘: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 불교의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
 종교와젠더연구소 총서 1  
선일,고승희,김신명숙,안양규,옥복연,이미령,주수완,최명희,최우혁 (지은이),종교와젠더연구소 (엮은이)동연(와이미디어)2020-04-24
------------------------
기본정보
348쪽153*225mm512gISBN : 9788964475751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 불교의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
목차
추천의 글 _ 명법스님 / 법만스님 / 이인자 / 박병기 / 조현 / 솜분 충프람리
머리말 _ 옥복연

제1부╻경전에 나타난 마야왕비

마하마야(MahāMāyā), 그녀는 누구인가? ― 초기 경전을 중심으로 / 선일스님
I. 붓다가 될 보살을 인도한 보살은 어디에?
II. 부처님의 부모
III. 마하마야(Mahāmāyā)의 생애
1. 마하마야(Mahāmāyā)
2. 불모(佛母)로 선택받은 마하마야
3. 아살하(Āsāḷhā) 보름, 마하마야의 임신
4. 정해진 법칙, 담마따(Dhammatā)의 마하마야
5. 위사카(Visākhā) 보름, 마하마야의 출산
6. 마하마야의 죽음
7. 사후(死後)의 마하마야
IV. 붓다로 인도한 보살, 마하마야

대승경전이 들려주는 마야왕비 이야기 / 이미령
I. 붓다의 어머니를 말한다는 것
II. 마야왕비를 말하는 대승경전 세 가지
1. 지옥의 괴로움을 묻는 󰡔지장경󰡕
2. 슬픔으로 가득 찬 󰡔마하마야경󰡕
3. 구도자를 일깨우는 󰡔대방광불화엄경󰡕 속의 󰡔입법계품󰡕
III. 마야왕비, 구도자에서 선지식으로

제2부╻생애사를 통해 본 마야왕비

심리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마야왕비의 꿈 / 최명희
I. 여성적 가치관의 시대를 열다
II. 마야왕비의 꿈 해석하기
1. 마야왕비의 이름에 나타나는 심리적 상징성
2. 마야왕비의 꿈으로 나타나는 상징들
3. 코끼리의 상징
4. 하얀 코끼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5. 숫자가 나타내는 상징
6. ‘땅’은 존재의 뿌리 영역을 상징한다
7. 어머니의 상징
8. 마야왕비의 죽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III. 마야왕비, 여성 영웅의 상징

보살의 탄생과 마야(摩耶, Māyā)왕비의 죽음 / 안양규
I. 보살이 선택한 어머니 마야왕비
II. 마야왕비의 임신과 출산
1. 보살의 어머니 선택
2. 마야왕비의 수태와 태몽
3. 임신 중 마야왕비의 건강 상태
4. 마야왕비의 출산
III. 마야왕비의 죽음 원인에 관한 논의
IV. 보살의 잉태를 서원한 마야왕비

제3부╻불교문학에 나타난 마야왕비

인도 미술에 등장하는 마야왕비의 도상학 / 주수완
I. 마야왕비, 석가의 탄생을 세심하게 준비하다
II.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마야왕비의 다양한 모습들
1. 회임
2. 출산
3. 카필라성으로의 귀환(종원환성從園還城)
4. 상사점간相師占看
5. 도리천에서의 마야왕비
Ⅲ. 마야왕비의 숭고한 신앙적 위상

한국 역사 속 마야왕비 신앙 ― 인도, 일본의 사례를 포함한 여신 신앙의 관점에서 / 김신명숙
I. 한국 역사에서 주변화된 마야왕비
II. 한국 역사에 나타난 마야왕비
1. 지리산 성모와 마야왕비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마야왕비
3. 일본과 인도의 마야 신앙과 출산의 여신
4. 한국역사 속 마야 신앙 다시 보기
III. 불교 여신 혹은 여성 부처로서의 마야부인

조선시대 불교회화로 만나는 마하마야와 여성 신도들 / 고승희
I. 팔상도八相圖로 만나는 마야왕비
II. 불화로 재현된 마야왕비와 여성 불자들
1. 석가모니 생애를 그린 ‘팔상도’와 마야왕비
2. 조선시대 ‘팔상도’의 의미와 마야왕비의 묘사
3. ‘팔상도’에서 존경과 경배의 대상으로 재현된 마야왕비
4. 조선시대 불화 조성의 주체: 여성 발원자 및 시주자
III. 민중들의 존경과 경배의 대상 마야왕비

제4부╻마야왕비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마야왕비에 대한 불교여성주의적 재해석 / 옥복연
Ⅰ. 여성이 지워진 불교사에서 마야왕비 찾기
Ⅱ. 역사에서 지워진 여성 이야기의 복원
1. 여성이 지워진 역사는 미완의 역사
2. 여성의 관점으로 복구되어야 할 여성의 이야기들
3. 지워진 여성 이야기를 복원하는 방법
Ⅲ. 마야왕비를 통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극복
1. 가부장적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의 보살로
2. 부정한 몸에서 천신이 보호하는 성스러운 신전으로
3. 열등한 여성에서 대원과 지혜를 갖춘 뛰어난 스승으로
4. 불모(佛母)이자 성모(聖母)인 마하마야
Ⅳ. 마야왕비를 통해 붓다의 가르침 회복하기

가톨릭교회의 성스러운 어머니, 나자렛의 마리아
: 가톨릭교회의 성모 마리아와 마야왕비 비교 연구 / 최우혁 미리암
I. 마리아를 향하여

II. 성경 안에서 만나는 마리아
1. 마태오복음
2. 루카복음
3. 요한복음
4. 사도행전

III. 하느님의 어머니로 공경 받는 인간 여성 마리아
1. 동정녀 마리아(Beata Virgine) ― 역사적 예수의 어머니
2. 교회의 원형, 교회의 어머니 ― 처녀이신 어머니(Virgo-Mater)
3. 말씀을 품고 낳은 하느님의 어머니(Theotokos/Mater Dei)

IV. 남성 서사 안의 젠더 역할과 여성성의 모델
1. 원죄 없이 잉태되신 분(Immaculatae Conceptionis)
2. 시온의 딸, 부르심에 응답한 젊은 여성
3. 일상의 고통을 성찰하며 극복한 여성
4. 하늘에 오르신 분(Assumptio): 시공을 초월하여 현존하는 신앙의 동반자

V. 거룩한 생명의 담지자 성모 마리아

부록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페스티벌 / 성평등불교연대
1. 왜 마하마야 페스티벌인가?
2. 마하마야를 위한 헌시
3.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페스티벌 개최 현황
4. 마하마야 페스티벌을 주관하는 ‘성평등불교연대’ 소개

참고문헌

-----
책속에서

마하마야는 장차 깨달음을 성취할 보디삿따Bodhisatta에 의해 어머니로 선택되어졌다는 점이다. 어머니 마하마야는 청정한 오계를 실천함으로써 어머니로서의 청정한 몸이었고, 깨달음의 진리를 품을 수 있는 정신을 소유했다는 증거이다. 과거 수많은 생을 거듭하면서 완전히 닦은 바라밀들은 ‘정해진 법칙’(dhammatā)에 의해 선택된 불모佛母로서 자질이며 덕성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덕성들이 곧 보디삿따를 잉태하는 모태이자, 정등각자로 키워내는 자양분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마하마야는 부처님의 생모生母로서의 덕성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생명을 잉태하는 자의 모범이라 할 것이다. 즉 청정한 계행戒行으로 스스로의 행위를 절제함으로써 생명들의 자연스러운 질서를 태동시키고, 바라밀을 실천함으로써 자신과 타인, 모두를 품는 덕성을 성장시키며, 마침내 진리의 눈을 뜨게 하는 ‘위대한 어머니’의 표상인 것이다.
선일스님 _ <마하마야(MahāMāyā), 그녀는 누구인가? ― 초기 경전을 중심으로> 중에서  접기


지금 붓다의 어머니를 말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는 일일까?
그렇지 않다. 뜻밖에도 불교 경전 곳곳에는 붓다의 어머니가 등장하고 있다. 생모인 마야왕비도, 양모인 마하파자파티도. 특히 마야왕비의 경우, 붓다의 일대기를 기록하고 있는 불전에서는 그 존재감이 꽤 묵직하다. 오래전,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이루어 붓다가 되고 싶다고 발원한 이래, 붓다가 되기까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윤회를 거듭해왔는데, 그 세세생생에 마야왕비는 그의 어머니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마야왕비가 보통의 여인일 수는 없다. 그녀 역시 오래전부터 부처의 어머니가 되겠다고 다짐(발원)을 한, 또 한 사람의 구도자이다. 마야왕비가 룸비니동산에서 숫도다나왕의 아들(싯다르타)을 낳은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다루어질 것이므로, 이 글에서는 마야왕비가 중요한 인물로 나오는 「지장보살본원경」(지장경), 「마하마야경」 그리고 「대방광불화엄경」 속의 「입법계품」을 중심으로 마야왕비가 어떤 모습으로 그려지는지 하나씩 살펴보겠다.
이미령 _ <대승경전이 들려주는 마야왕비 이야기> 중에서  접기


마야왕비의 꿈은 정신의 구조와 발달의 여러 단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성 중심 시대, 의식 중심 시대는 남성 중심 사회를 이끌었다. 남성적 가치관은 외부 세계 발전을 위하여 큰 공헌을 하게 된다. 문화와 문명의 높은 성공은 이성적 힘에 대한 증명이기도 하다. 모든 자연의 이치는 음과 양이다. 그 이치를 벗어나는 일은 죽음이다. 남성적 가치관은 여성적 가치관과 함께하지 않으면 정신도, 사회도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루어 나갈 수 없다. 그러므로 이제 여성적 가치관이 내부 세계를 발전시켜야 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것은 정신세계가 가지고 있는 보편타당한 숙명이다.
최명희 _ <심리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마야왕비의 꿈> 중에서  접기


붓다의 생모인 마야Māyā왕비에 관한 체계적이고 독립적인 연구는 국내 ? 외 학계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불교 문헌 자체만 보더라도 마야왕비에 관한 내용은 대승불교 시대에 생성된 문헌에서 간헐적으로 나오고 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가톨릭교의 예수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에 비교하면 불교에서의 마야왕비는 주요한 신앙의 대상도 아니고, 긴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도 않다. 마야왕비는 붓다를 낳은 생모임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주요한 인물로 여겨지지 않은 이유는 불교의 특성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굳이 한 특성을 언급하자면 불교의 기본 성격이 인물보다는 법法을 중시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실상 붓다의 전기도 붓다의 입멸 후 수백 년이 지난 이후에야 나타난다. (중략)
불타전은 마야왕비가 건강하였으며 보살의 탄생이 허물이 아니라는 것에 머물지 않고, 더 나아가 왜 마야왕비가 일찍 목숨을 마쳤는가를 논의하였다. 이를 본 고에선 아홉 가지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마야왕비의 죽음은 자칫하면 붓다의 위대성에 오점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불타전 작가들은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해명할 수밖에 없었다.
안양규 _ <보살의 탄생과 마야(摩耶, Māyā)왕비의 죽음> 중에서  접기


그렇다면 종교적 위상을 떠나 종교미술에서의 성인의 어머니의 이미지는 어떻게 묘사되고 있을까?
가톨릭에서는 성모 마리아의 위상이 중요한 만큼 다양한 성모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수태고지’, ‘예수의 탄생’, ‘성聖 모자母子’ 그리고 ‘피에타’에 이르기까지 주로 예수의 탄생과 죽음이라는 양 끝의 과정마다 성모는 중요한 의미로서 등장하고 있다. 그밖에도 ‘가나의 혼인잔치’라는 예수 기적의 장면 중에 등장하는 경우나 혹은 ‘성모의 장례식’처럼 성모의 죽음 자체를 다룬 이야기에서도 중요한 등장인물로 그려진다.
이에 비교하자면 마야왕비도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과 관련된 이야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한다. ‘태몽을 꾸는 장면’ 그리고 ‘룸비니에서의 출산’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 이후 ‘카필라성으로의 귀환’, ‘아시타선인의 예언’ 등도 석가 출산 직후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후 7일 만에 세상을 떠나셨기 때문에 그 이후의 불전 장면에서는 마야왕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일찍 세상을 떠나 도리천에 태어난 마야왕비를 위해 석가모니께서 도리천에 올라 설법하셨다는 설화 속에 부분적으로 등장하는 정도를 추가할 수 있을 뿐이다.
이처럼 마야왕비는 직접적으로 석가모니의 생애에 출생을 제외하고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 같지만, 우선 출생 그 자체에 있어 숫도다나왕과 마야왕비는 그 덕행과 공덕으로 인하여 선택되었다는 점, 석가모니의 회임 이후 지금의 개념으로 말하자면 훌륭한 태교로 석가모니의 마지막 삶을 준비하는 데 있어 완벽한 역할을 함으로써 드러나지는 않지만 매우 적극적으로 석가의 탄생을 준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과소평가될 수 없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마야왕비가 등장하는 불교미술 작품들을 통해서 옛 불교도들이 마야왕비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중략)
이처럼 미술 속에 나타난 마야왕비의 행적을 통해 우리는 어머니로서 자신의 자식에 대한 태도, 불교에 대한 서원 그리고 부처님께서 설법을 하실 수 있도록 이끌어내는 역할을 해준다고 하는 점에서 불교사에서 마야왕비의 위상이 결코 적지 않았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주수완 _ <인도 미술에 등장하는 마야왕비의 도상학> 중에서  접기


한국 불교계에서 마야왕비의 위상은 지나치게 주변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의 성모 마리아와 비교하면 천지 차이라고 할만하다. 그런데 이러한 마야왕비의 존재감과 위상은 과거 한국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을까? 아마도 그렇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녀에 대한 역사 기록 역시 여성사나 여신의 역사 전반이 그러하듯 매우 빈약해서 그러한 추정이 조심스럽기는 하다. 하지만 마야왕비를 직접 언급하거나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사료들 그리고 같은 불교 문화권이었던 일본의 경우를 보면 그러한 추정이 억지라고 부르기는 힘들 것이다.
(중략)
여신이든 여성 부처든 마야왕비를 여성적 신성의 관점에서 재발견하는 일은 특히 현대 여성 불자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불교의 성평등적 재구성이라는 과제와 관련해 그녀의 새로운 역할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마야왕비의 출산의 여신으로서의 측면은 불교의 오래된 여성 몸에 대한 혐오, 섹슈얼리티 기피 문제를 극복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주수완 _ <인도 미술에 등장하는 마야왕비의 도상학> 중에서  접기


조선시대 불교회화에서 표현된 마야왕비는 어떤 모습일까? 또 어떤 여성들이 실재적으로 불화 조성에 적극 참여하였을까? 마야왕비의 상징성은 부처님의 생애를 이야기할 때 항상 찾아볼 수 있다. …
더욱 중요한 것은 조선시대 ‘팔상도’에서 매우 우아하고 귀족적인 풍모를 지닌 모습으로 묘사되는 마야왕비는 「석씨원류응화사적」, 「월인석보」 등 여러 문헌들과 사적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은 마야왕비가 석존의 어머니로서 뿐만이 아닌 그 당시 민중들의 염원과 힘을 규합할 수 있는 구심점 역할로 존경받고, 경배의 대상으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추게 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고승희 _ <조선시대 불교회화로 만나는 마하마야와 여성 신도들> 중에서  접기


불교에서 경전이 집필되기까지는 ‘수백 명의 비구’들이 한자리에 모여 엄격하게 심사해서 불설佛說로 승인하는 ‘결집結集’ 과정을 거친다. 즉 경전이란 비구들에 의해서 경전에 포함될 내용이 선택되고, 기록되고, 암송되어 후대로 전승되는데,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마야왕비의 이야기가 일부 초기 경전과 대승경전에 남아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한적인 자료만 봐도 이처럼 위대한 여성이 또 있을까 감탄할 정도이지만, 그녀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웃 종교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탄신일부터 승천일까지 교회의 특별한 예식으로 축일을 만들어 경배하고 있는데 비해, 붓다의 어머니인 마야왕비의 위상은 참으로 미약하기 그지없다. 불교인들이 붓다의 탄신일을 가장 중요한 행사로 여김에도 불구하고 왜 마야왕비는 지워지고, 축소되고, 또 잊히고 있을까? 지워진 마야왕비의 이야기를 어떻게 발굴해서 유용한 과거로 재해석할 수 있으며, 또 어떤 위치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이 글은 불교사에서 여성의 이야기가 왜 잊히고 있으며 지워진 여성의 역사를 어떻게 다시 회복할 것인지 등에 대해 불교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마야왕비가 단지 꼴리아국의 공주, 숫도다나대왕의 부인, 싯다르타의 어머니라는 종속적인 위치가 아니라, 불모佛母이자 성모聖母인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MahāMāyā로 위상을 정립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 불교 문화에 뿌리내리고 있는 열등하고 부정적인 여성관을 극복하고, 여성 불자들에게 여성으로서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키며, 유용한 여성의 이야기를 발굴하여 완전한 불교 역사가 새로 쓰이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옥복연 _ <마야왕비에 대한 불교여성주의적 재해석> 중에서  접기


2600여 년 전 인도에서, 인간으로 태어나서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된 석가모니 싯다르타에 의해 탄생한 종교가 불교이다. 이 싯다르타를 낳은 분이 뛰어난 여성인 마야왕비이다. 가톨릭교회의 예수그리스도는 마리아라는 성스러운 여성에게서 탄생했으니, 가톨릭이나 불교의 지도자는 여성들에게서 태어난 역사적 인물인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마리아나 마야부인은 역사적 존재인 예수와 붓다의 어머니라는 점에서도 유사하지만 단지 그들을 낳은 어머니로서 뿐만 아니라 그녀들 스스로의 삶 안에서도 위대함, 혹은 거룩함을 만날 수 있는 공통점을 간직하고 있다.
(중략)
오늘날 불교에서는 위대한 여성인 마야왕비를 경배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붓다가 도솔천에서 어머니로 선택했던 뛰어난 여성 마야를 세상에 널리 알리고, 역사 속에 살아 숨 쉬는 마야를 우리 시대에 조명하여 위대한 어머니 마야를 통해 자비와 지혜를 배우며, 경전의 왜곡된 여성상을 바로잡고 여성의 자존감을 확대하고자 함이다. 이는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마야부인을 이해하고, 그녀를 경배하고 존경하게 됨으로 여성 불자들의 정체성 확립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도움을 주는 길이 될 것이다.
불교와 그리스도교라는 각기 다른 종교를 만날 수 있게 하는 여성적 ? 모성적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인 나자렛의 마리아를 향한 공경의 역사는 역사 안에서 인간 이해의 차원이 성숙해온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제 그 첫발을 떼는 석가모니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을 향한 그리움을 종교적 신앙 안에서 키워나가는데 전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불교에서 찰나적 존재라고 하는 인간임에도 존재의 신비를 무시할 수 없는 인간을 이해하는데 위대한 어머니 마야는 하늘과 땅의 관계 안에서 신비를 간직한 존재로서 새로운 빛과 지혜를 드러낼 것이다.
최우혁 미리암 _ <가톨릭교회의 성스러운 어머니, 나자렛의 마리아: 가톨릭교회의 성모 마리아와 마야왕비 비교 연구> 중에서  접기


전 지구적으로 여성 인권이 중시되고, 성평등이 국가 정책의 기반이 되고 있는 이때, 우리는 이 땅에 마하마야를 새롭게 재해석하고 성모聖母 마야로의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다수 신도가 여성인 현실에서 마하마야의 위대함을 통해 여성의 자존감을 높이 세우고, 불교사에서 잊혀지거나 축소된 여성의 역사를 다시 발굴해서 널리 알려야 한다.
그리고 생명존중 사상과 평등사상, 비폭력 평화사상을 실천한 마하마야를 현대 불교 여성의 롤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재가 여성의 위대함을 통해 불교 내 성평등 문화를 확산시키며, 남성을 포함하여 여성들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마하마야와 같은 고귀한 품성을 적극 개발하여 깨달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성평등불교연대 _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 페스티벌> 취지문 중에서  접기
-----

추천글

우리는 이성에 기반한 추론과 공감에 기반한 배려를 통해 도덕적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다. 그런데 배려는 추론에 밀려 오랜 시간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고, 그 결과 자신의 이익을 잘 계산하는 사람을 양산해내는 비극과 마주하고 있다. 배려는 모성에서 가장 잘 드러나고, 그 모성의 상징은 주로 그리스도교의 성모 마리아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 책은 붓다의 어머니 마야왕비를 우리 시대와 사회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새로운 인식과 실천의 토대를 제공해주고 있다. 불교 윤리에 관심을 갖는 사람으로서 우선 반갑고, 널리 읽혀졌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된다. - 박병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알라딘: 김신명숙의 선택

알라딘: 김신명숙의 선택

김신명숙의 선택 - 이프 여성경험총서 2  
김신명숙 (지은이)이프(if)2007-06-26

344쪽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제
-------
책소개

<나쁜 여자가 성공한다>의 지은이 김신명숙의 ‘
보통 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통해 교감할 수 있는 쉬운 페미니즘 입문서’. 
대화체로 쓰여져 읽기 편안하며, 책 끝에는 본문에 소개한 페미니스트 32명의 생애와 사상을 간략히 소개해, 페미니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

목차
책머리에 알파 걸! 알파 우먼?

1.나 여자 불안하게 떠도는 이방인
‘나 만의 방’은 어디에
너는 네 몸이고 그 몸의 주인은 네가 아니다
내 인생이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요?
사적인 여자, 공적인 남자
나는 왜 이렇게 못났나요?
남자의 말, 여자의 침묵

2.사랑 그 축복 속의 함정들
남자의 권력이 섹시하다
자신부터 먼저 사랑하라
사랑은 승인받는 게 아니다
이상적인 남자가 아니라 이상적인 관계를!
냉정하게, 두려움 없이

3.성, 외모 하나이지 않은 오르가즘을 찾아서
순결은 없다!
질 오르가즘의 신화
포르노는 음란물이 아니다
성폭력, 섹스와 폭력 사이의 혼돈
낙태, 죄 없는 자 돌을 던져라
여성의 몸 안에서 하는 자위
아름다움의 성정치
‘나만의 아름다움’을 믿어라

4.결혼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여!
개를 살까? 결혼을 할까?
결혼식장엔 결혼이 없다
시끄러운 결혼식을 두려워말라
평등하고 행복한 결혼을 위한 혼전계약서
주부혁명을 선포하라
세상의 변화를 꿈꾸는 주부, 살리미
가사노동의 정치
고부관계의 민주화
동거, 강한 여자의 선택
이혼, 자유와 고통의 이중주
두 배로 행복한 재혼 만들기

5.직업 '남편'은 잊어라
여자 일/ 남자 일, 차별의 매트릭스
남성 가장 이데올로기를 버려라
성희롱, 감정노동
'평생의 일'을 생각하라
여성적 가치가 미래의 힘이다
여자의 적은 여자?
여우를 위한 정치

6.엄마 되기 해방된 엄마 행복한 아이
모성, 축복과 부담 사이
노동시간을 줄여라
빼앗긴 모성을 찾아서
처녀가 애 낳은 회사

남자에게
32개의 도전

-----
책속에서
만약 미혼모라는 멍에 없이 누구나 원하는 대로 아이를 낳을 수 있고 미혼부에게도 양육의 책임이 법적으로 부과된다면, 모든 아기가 똑같이 축복받으며 이 세상에 태어날 수 있다면, 또한 육아가 여성에게만 전담돼 여성들에게 자기 삶의 포기를 요구하지 않는 사회라면, 중요한 공적 의제 혹은 공적 영역에서 아이를 ‘지워버리지’ 않는다면, 그리하여 모든 아이들이 태어난 사회경제적 조건에 상관없이 행복하게 클 수 있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면 님은 아마 지금 행복한 임신부로서 출산일을 기다리고 있지 않을까 합니다.-p127 중에서

여자들이 차별을 극복하고 동등한 대접을 받기 위해서는 ‘여자의 적은 여자’라는 통념이 깨져야 합니다. ‘남자 애인’ 못지 않게 ‘여자 친구’도 여자의 인생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필요하다면 남자들이 정치적 동성애로 결속돼 있듯 ‘정치적 레즈비언’이 돼보는 것도 좋고요.-p259 중에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신명숙 (지은이) 

가부장제 문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적 신성이 되살아나야 한다는 신념으로 여신학)Goddess Stdies)분야를 홀로 개척하고 있는 연구자이자 대학강사. 2013년 국내 최초의 여신학 분야 박사논문을 썼다. 이후 여성적 신성의 관점에서 한국 여성관음의 역사를 추적해 이 책을 출간하게 됐다.
2018년 5월 출간한 『여신을 찾아서』(판미동)를 통해 여신의 역사, 여신문화, 여신순례 등을 한국사회에 소개했다. 과거 강력했던 한국여신의 역사를 회복하는 일을 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다. 여신이 신앙의 중심에 있었을 때 여성 역시 존중되었고, 성과 계층 모두에서 평등한 사회가 유지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접기

최근작 :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여성관음의 탄생>,<여신을 찾아서> … 총 8종 (모두보기)
----
김신명숙(지은이)의 말
알파 걸들의 앞에는 알파 우먼으로 향하는 거침없는 직선코스가 아니라 가부장제라는 오래된 미로가 놓여 있습니다. 여성들은 대개 길잡이도, 지도도 없이 이 미로 속을 헤매다 길을 잃기 십상이지요. 그 제도가 일상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면서 님들을 움직이고 있는지 이제 본격적인 얘기를 시작해 볼까요?
----
평점 분포
    8.3
마이리뷰
구매자 (3)
전체 (15)
----
     
'사랑하는 언니'가 들려주는 따뜻한 이야기

인생은 끊임없는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사소한 물건 하나 구입하는 것에서부터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선택이 그물처럼 얽혀 개인의 역사가 만들어진다.

어떤 선택이 옳은 선택인지, 후회가 남지 않을 선택인지 미리 알 수 있는 사람은 현명하거나 운이 좋은 사람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토록 현명한 사람이 되기를 갈구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지금 이 길이 나에게 최선인가' 하는 문제는 언제나 현재진행형으로 우리 앞을 가로막고 있다.

<김신명숙의 선택>은 여자들의 이야기다. 페미니즘에 관심 없는 사람일지라도 주체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읽어두면 좋을 책이다. 심리치유에세이라고 하면 좋을까? 우리의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삶을 돌아보게 된다. 책은 하나의 문제를 놓고 상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혜안을 가져다 줄 것이다.

막 대학원에 입학한 여성의 남자친구는 복학생에다 결혼은 남의 일로 여기는 사람이라 낙태는 자연스레 이루어졌다. 그 후 마음에 남은 상처를 치유할 길 없어 보이는 여성은 살아있는 생명을 자신의 의지로 죽게 했다는 죄책감과 피임을 제대로 못한, 적극적으로 거절하지 못한 데 대한 상처가 컸다. 남자친구도 미안해 하지만 자신이 겪는 고통의 10분의 1도 공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만약 남자들이 피임에 대해 철저한 공동책임 의식을 갖고 여자가 원하지 않는 성관계는 포기할 줄 아는 양식을 가졌다면, 폭력적 섹스가 사라지고 성행위의 주도권을 '임신하는 몸'을 가진 여자들이 가지고 있다면, 공식적 발표만으로도 한 해 34만여 건에 이른다는 낙태는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을 겁니다.

…누구도 '순결을 지키지 못해 낙태를 자초했다'는 식으로 당신을 힐난할 권리도 이유도 없다는 겁니다. 성인인 님은 성적 자기결정권을 가진 자유로운 주체니까요. 오히려 시대착오적 순결 이데올로기가 여자들로 하여금 '성 경험이 많은 여자'로 몰릴까봐 철저한 피임 준비나 요구를 못하게 해 원치 않는 임신을 부르는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지 않은가요? - 126쪽

세상에 원하지 않는 임신으로 낙태를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연신 눈물을 흘리고 있을 여성을 생각하니 마음이 아프다. 다시 되돌릴 수 있다면 좋을텐데.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사랑의 결실로 세상에 태어나야 할 아기가 축복은커녕 뱃속에서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참혹한 일이 한 해 그토록 많이 일어나고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엄마와 아이는 물론, 남성에게도 슬픈 일이지만 가장 고통받는 사람은 수술을 받는 당사자일 것이다. 제대로 된 성교육과 그릇된 가치관에서 벗어나는 일만이 더 이상 낙태로 인해 몸과 마음이 고통 받는 사람들을 만들지 않을 유일한 방법이다. 낳지 않을 아이라면 만들지 않아야 한다. 생명을 두고 실수 어쩌고 하는 일은 정말이지 무책임한 말이 아닐 수 없다.

결혼이 부담스럽고 두렵다?

오래 사귀어 온 남자친구가 있고 내년이면 서른이라 결혼 얘기가 구체적으로 오가지만 결혼하기 두려운 여성이 있다. 결혼 후 있을 아이문제, 시가문제, 가사노동 문제 등이 여성에게 훨씬 더 큰 부담으로 던져질 거라 생각하니 머리가 복잡하다는 여성의 고민은 결혼 전 대부분의 여성이 생각하는 일이다.

저자는 평등하고 행복한 결혼을 위해 혼전계약서를 함께 만들어 보라고 권한다. 사실 결혼 전에 혼수를 보러 다니느라 분주하게 보낼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행복한 결혼생활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혼전계약서에는 주택 공동명의 등 재산관리나 수입관리에서부터 가사와 육아, 일상생활을 꾸리는 문제, 시가와 처가 관계 문제, 성생활 문제 등 결혼생활에서 직면하는 모든 문제들에 대한 부부 간의 합의내용을 담을 수 있습니다. 혹시 이혼하게 될 경우 어떤 원칙에 따라 재산이나 아이 문제 등을 정리할 것인지, 또 폭행이나 속이기, 외도 등 불상사가 발생했을 경우 어떤 대가를 치르기로 할 것인지 등도 덧붙일 수 있습니다. - 176쪽

저자는 '계약서에 담는 항목이 꼼꼼할수록 남자친구 뿐 아니라 스스로도 어떤 결혼생활을 기대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을 것이며, 둘의 입장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관계인지 아닌지도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이라 했다.

그런 논의들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난 후에도 결혼이 두렵다면 저자는 잠시 결혼을 미루라고 권한다. '시야가 흐릴 때는 굳이 앞으로 나가기보다 눈을 감고 쉬는 편이 낫다'고 남자친구의 재촉에 쫓기지 말고 자신의 느낌과 판단을 존중하라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사랑과 성, 결혼과 직업, 엄마 되기에 걸쳐 많은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고, 마지막 부분에는 본문에 소개된 페미니스트 32명의 생애와 사상이 간략히 소개되어 있다.

이 땅의 모든 여성들이 여성으로 태어나 차별받지 않고 주체적으로 행복하게 설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은 태어났다. 걷잡을 수 없는 불행 속에 있다고 생각하기보다 자신의 의지로 척박한 땅을 개척하는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인생을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책은 여성들에게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교재로 남성들도 함께 읽으면 좋을 책이다.
- 접기
연잎차 2007-07-14 공감(8) 댓글(2)
----
     
별로 편하지 않은 친구..

정직하게 나는 에세이류를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서른도 채 못된 사람들의 성공일기를 읽다보면 괜스레 내 낯이 붉어지는 듯 하다. 그래도 김용택의 사람도 좋았고, 빌브라이튼의 재미있는 세상도 괜찮았다. 요는 공명에 있는 거 같다. 나와 같이 눈을 맞추고 다정히 이야기해주는 에세이류는 어떤 소설보다 기억에 오래 남는다.

여성주의 책은 많이 읽어보지는 않았고, 빈약한 독서경험에 몇몇 소설책들이 더있지만 현경님의 책들과 페미니즘의 도전, 이갈리아의 딸들 정도가 생각난다. 모두 다 꽤나 흥미롭게 읽었고, 페미니즘의 도전은 열권을 사서 주변에 강제로 읽히기도 했으며, 이갈리아의 딸들은 대학때 세미나를 했으니 꽤나 꼼꼼히 여러번 읽었으니 기억이 난다.

자 서설이 길었지만 여기 김신명숙의 선택이 있다. 서평신청을 해서 공짜로 받았는데, 너무 좋았다는 평가를 내어놓을 수 없어 참 내 마음도 아쉽다. 그래서 변병조가 길어졌고, 한편으로 조심스럽다. 처음 두단락을 읽고는 솔직히 그만 읽고 싶었다. 이 책은 이러저러한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저자가 대답해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의 고민에 대해 대답해주고 있는 이 사랑하는 언니는 내 주변에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언니이기 보다는 저 멀리 라디오 DJ 같은 느낌이다.

물론 이 책에서 제시하는 나를 사랑하고, 나의 인생 설계를 기반으로 가정과 사회생활을 조직해야 하며, 자매애로 연대해야 한다는 구구절절 맞는 말씀이다. 몇몇은 여성주의자가 아니라도 말할 수 있고, 몇몇은 여성주의 시각이기는 하나 저 멀리 뜬 구름을 잡는 듯 하다. 그리고 나머지는 꽤나 익순한 논리들이다. 좀 더 논쟁적이었으면 좋았을텐데..

책은 술술 잘 읽히며, 군가산제나 포르노에 대한 글은 꽤나 흥미롭게 읽었고, 마지막에 여성주의자들을 쭉 정리해줘서 여성주의운동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점은 참 좋았다.

덜컹이는 전철 안에서, 짧은 토막 독서용으로 괜찮을 듯 싶다.

- 접기
무해한모리군 2008-09-23 공감(1) 댓글(1)
-----
     
페미니즘 입문서

우리나라 작가가 쓴 페미니즘 입문서로 돋보이는 책이다.

 

책의 구성은 여성들이 겪는 일상 문제들에 대해

상담해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그 일상의 문제들을 개인의 것으로 함몰시키지 않고

페미니즘 이론을 쉽게 끌여들여 설명함으로써

나의 문제가 나만의 것이 아닌,

여성 모두가 가부장제의 사회 현실로 인해 겪게 되는 것이라는 점을 일깨우며

보다 정치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여성억압의 역사와 현실과

이를 직시하고 개선하면서 새로운 세상, 전복된 가치체계를 꿈꾸는

페미니즘의 시각에 대해 눈뜨게 되는 것이다.  

페미니즘이 결코 '이즘'에 끝나는 것이 아니며

우리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라는 걸 직시하게 한 점은

그간 논리적으로 확고하게 무장한 채로 실천 영역에서 활발히 활동해온

작가의 역량의 산물이라 생각된다.

 

또한 일상에서 겪게되는 여성들의 고민과 그에 대한 해답을 통해 

페미니즘의 주요 논제를 빠짐없이 다루고 있는 점이

무엇보다 훌륭하다.

 

책 말미에는 유명한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의 생애와 저작들을 소개하며

스스로 더 깊은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안내해 주고 있다. 

 

작가의 열정과 능력이 잘 버무려진 책이다.

 

(단 한 가지 아쉬운 건 제목.. 제목을 붙인 이유야 알겠지만 시선을 끄는 맛이 너무 없다.

많은 이들에게 읽히려면....^^

작가의 유명세를 빌리고 싶었겠지만 책 표지에 작가의 사진을 꼭 넣어야 했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

제목과 표지 디자인을 달리 했다면 책이 지닌 무게에 더 어울렸을 것 같다) 

- 접기
아라비스 2007-08-07 공감(1) 댓글(1)
-----
     
김신명숙의 선택 새창으로 보기
사랑하는 언니가....

  여성으로 오늘을 살아내는 사람들의 주체자로서의 나와 사랑과 성, 외모, 결혼, 직업고민등을 가진 고민  상담자에게 사랑하는 언니의 따뜻한 위로와 힘을 주는 안아줌 형식을 취하고 있는 이 책은  어떤 이들에겐 반감이 생기는 책이 될것이고 또 어떤 이들에겐 깊은 공감과 위로와 힘이 생길 것이고, 어떤 이들에게는 반감과 공감의 경계에서 고민스러워 하는 책이 될 성 싶다.

  며칠전 티비 예능오락 프로에서 남자 연예인들이 아내와 다툼.싸움 후에 화해를 청하는 자신의 방법에 대해 말하는것을 본적이 있는데 출연자중 한 사람이 자신은 싸움이 있은 후에 아무렇지 않게 더 일상적으로 아내에게 농담과 우스개를 던지면 스르륵 풀려지더라는 말 을 하는 것이었다. 출연자중 여자 출연자가 없는 이유에서 일까 다른 출연자들 모두 공감하며 자신들의 사례를 쏟아내며 꼭 그 방법이 화를 푸는 적절한 방법인양 말을 하는게 아닌가. 물론 그리 흐지부지 아무일 없듯이 넘어가지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 남자들이 모르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화가 풀어지고 마음이 풀어진것이라고 보여질 지 모르나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과 사과나 이해가 없다면 아내들의 마음 속에 이번에도 차곡 차곡 쌓인다는 것을 말이다.

당신은 얼렁 뚱땅 넘어가졌을지 모르나 내게는 결코 다 풀리지 않았기에 앙금처럼 남아 어느 순간에고 불쑥 튀어나와 다시 나를 분노에 휩싸이게 할지도 모른다는 그런 말이다.

이런 일례만 보더라도 부부싸움은 그날 밤에 잠자리로 푼다 하는 남자들의 어리석은 생각은 쉽사리 고쳐지지 않을것이고, 평등을 비웃으며 다름과 차이는 인정하지 않는 그것들에 화가 남도 사실이다.

 

성차별을 겪지 않고 가정에서도 커왔고 별달리 사회에서도 느끼지 못한다는 여성들 또한 존재하니 오히려 뿌리 깊은 차별과 당연시 속에서 성차별을 당하고도 그것이 차별인지 깨닫지 못하게끔 악습과 인습 속에서 살고 있는것이 아닐까.

어린아들의 바지춤을 내리고 길거리나 식당 어디를 가리지 않고 보란듯이 자랑스럽고 사랑이 뚝뚝 떨어지는 눈으로 사내아이 소변을 보게 하는 엄마들을 무수히 많이 봐왔는데 그런 행동들이 어릴적 부터 남성 성기에 우월감을 느끼게 하고 마초증후군을 무의식 속에 심어주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그런 행동을 시키는것 역시 여성이라는것이기도 하겠다.

대중교통들에서 너무도 당연하게 다리를 쫘악 벌리고 지나치게 당당한 얼굴로 앉은 남자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자신들은 남자이고 남자이기 때문에 신체 구조상 다리를 벌릴 수 밖에 없다 라는 변명을 하면서, 이건 마치 자기들 다리 사이에 2.5톤짜리가 있는것도 아니면서 무슨 대단 한 것이 있기라도 한듯 무의식 속에서도 타인에게 불쾌와 불편을 안겨준다. 그러고 보자면 여자들은 다리를 모아 앉는 것이 여성다움의 상징이며 여성의 신체 구조 때문이란 말인가. 타인에게 불쾌와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함이며 인간으로서의 예의라는 것을 몰라서 그러는 것일까. 여성들도 다리 벌리고 아무렇게나 앉으면 당연히 편하다. 그러지 않는 것은 그것이 예의 이기 때문인것이다.

 

여성 페미니스트들이 비난 받는 이유중에 하나는 분명 잘못 된 것임에도 당연시 되어온 많은 것들을 같은 여성들이 외려 나대는 여자 잘난척 하는 여자로 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런 것들이 좋은게 좋은거지 하는 식으로 포기 하고 재고조차 하지 않는데서 기인하는 것일 지도 모른다.

자신에 대해 주체적이고 능동적이며 자신을 존중하고 잘못된 일임에도 당연시 되어온 많은 것들에 포기 하지 않으며 극복해가는 것이 페미니즘이라면 과연 이것이 비단 여성만을 위한 것이며 잘난척 하는 여자란 비난을 받아야하는 것이란 말인가.

경계가 모호하고 구분이 명확 하지 않으며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고 정답이 없기때문에 페미니스트들이 폄하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나 역시 그런 경계들의 언저리를 지나고 있을 뿐 명확하지 않고 정답을 알지 못한다.

 

그런 중에 이 책은 그 경계를 구분지어주지도 명확히 해주지는 못했지만 지쳐 있는 마음이 아픈 여성들에게 위로는 될 수 있을 듯 하다.

힘내라. 당신은 소중하다. 당신의 외모에 자신감을 가져라. 스스로에 주체성을 가지고 능동적이며 포기 하지 말아라. 변하기 위해 노력해라. 당당해져라.자부심을 가져라. 권리를 알고 주장하라...(등등..)

는 식의 수없이 들어온 말들과 상투적인 권고가 아닐 수 없음에 아쉬움이 남는것도 사실이다.

책의 본문보다도 뒷부분의 32명의 페미니스트들의 생애와 업적을 읽는 중의 즐거움이 컸다. 세밀하지 못하다 미리 양해를 구하긴 했음에도 아쉬운 생각이 든다.

 

마지막으로 정리하자면,

나도 고치고 너도 고치고 우리다 고치면 좋은 세상 오지 않겠느냐 이말씀이다
- 접기
햇빛 2008-09-23 공감(1) 댓글(0)
-----
     
김신명숙의 선택 : 언니의 충고과 격려 새창으로 보기
 여성학. 이란 말을 들으면 매우 앞서가는 진보적인 사람이라는 느낌과 동시에 현실과 동떨어지게 이상을 말하는 지나친 현실주의자라는 양가감정이 든다. 이시대를 살고있는 젊은 세대인  20대의 여성인 내가 느끼는 것도 이러한데 좀 더 나이든 기성세대들은 오죽할까. 솔직히 읽기 전에는 큰 기대하지 않았다. 더욱이 이런 책이 주는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식의 명령조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세상에 흠없고 한계없는 사람이 없는데 얼굴도 모르는 독자들에게 단지 저자라는 이유로 해라조를 쓰는 책은 정말이지 그 내용을 떠나서 꼴불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은 달랐다. 아주 조심스럽게 제가 여러분의 언니가 될께요. 라는 문장을 읽고 솔직히 좀 어이없었다고나 할까. 표지의 자신감있는 모습이며 제목이 주는 강렬함과는 달리 마치 대화하는 듯 쓰여진 내용들은 따뜻하게 느껴졌다. 오히려 술술 쉽게 잘 읽는데 도움이 되었다. 어쩌면 나 또한 나보다 오래살고 나를 이해해주는 언니가 필요한 건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 책이 그렇게 따뜻하게 느껴진걸까?

 본인은 여자다. 그래서 여자에 대해 많이 알고 이 세상이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불합리하다는 그 사실을 잘 느끼고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나는 생물학적인 여자이기 이전에 사회에 의해 키워진 여자인지라 내가 당하고 불합리하다고 생각해야 하는 것들을 나도 모르게 참고 있었다. 그것이 나는 놀라웠다. 내가 이렇게 무지할 줄이야. 바보같다는 생각과 지금이라도 다른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안도감이 든다.

 사실 현실을 바꾸기란, 특히 한사람의 힘으로 바꾸기란 힘든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이런 생각을 하면 변화가 오지 않겠는가. 책을 읽으면서 정말 세상은 남자에겐 편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실하게 들었다.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생각하고 행동하면 그것이 규칙이 되고 진리가 된다. 그렇다면 왜 여자들은 그렇게 할 수 없는걸까?

 나는 요즘 '섹스 앤더 시티'라는 드라마를 본다. 거기엔 정말 이상적인 싱글 여성들이 4명 나오는데 그녀들은 자기 주장이 확실하고 사랑 앞에서도 당당하다. 물론 세부적인 내용에 들어가게 되면 조금 달라지지만 적어도 큰 틀은 그러하다. 이런 드라마에 여자들이 열광하며, 그리고 현실도 이러길 꿈꾼다. 그럼 현실을 그렇게 바꿀 순 없을까? 난 가장 놀라운 점은 성적인 자유다. 드라마 속 그녀들이 성적인 자유를 누린다면 우리도 누려야 하는거 아닌가. 아니, 성적 물란이 사회를 혼란 시킨다면 이건 남자에게도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것 아닌가. 왜 여자들에게만 순결과 정조를 지켜야 한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어야 한다고 책은 말한다. 

 무언가 거대하게 변화를 꿈꾸지는 않는다. 우리가 함께 사는 세상이니 서로 조금 이해를 하고 생각을 바꾸자는 말이다. 누가 누구에게 져주자는 말이 아니다. 니가 누린다면 나도 누려야 한다.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이 책의 장점은 마치 상담하는 듯 쓰여져 있다. 마음이 따뜻해진다고 할까. 마음을 다친 여성들의 상처를 보듬어 주고, 당신들의 탓이 아니라고 말해주는 것 만으로도 나의, 여성으로써의 나를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인정해 주는 글쓴이의 말들은 정말 가슴 깊은 곳에서 감동을 준다. 여성이라면 한 번 쯤은 이런 사람을 원하게 될 때가 있다. 엄마든, 언니든. 더욱이 전문적으로 여성의 권익에 대해 공부한 사람이라면 더욱 신뢰를 준다.
 나는 사실 그렇게 차별받으면서 커 왔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하지만 거기엔 내가 모르는 무언의 차별이 존재할 것이다. 그것을 찾아서 알리는 게 어쩜 글쓴이가 바라는 바인지도 모른다.
- 접기
권선희 2008-10-03 공감(1) 댓글(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