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몸-마음, 젠더, 생태, 평화 Scapbook

Spirituality, Mind-Body, Gender, Ecology, Ageing, Peace, Scrapbook (in English and Korean)

2024/05/15

백승종 - 예수운동과 21세기의 한국 사회 : 김근수(성서 신학자) .

백승종 - 예수운동과 21세기의 한국 사회 - 발췌 인용 글쓴이: 김근수(성서 신학자) ... 돈이 없어 예수운동에... | Facebook


백승종
Snerptodsoh3hh6i8ta369hl48h51 y3 hga2762:10Mi7tg179ll3c3 0hu ·


예수운동과 21세기의 한국 사회 - 발췌 인용
글쓴이: 김근수(성서 신학자)

... 돈이 없어 예수운동에 들어오지 못하거나, 돈이 없어 예수운동에 다니기 어렵다는 말은 없었다. 예수운동처럼 부자를 비판하고 훈계하는 종교가 인류 역사에 또 있을까. 부자들이 행세하지 못하는 종교가 예수운동이었다. 사제 계급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던 1세기 예수운동 공동체는 민주적으로 운영되었다. 공동체에서 여성의 목소리도 그리스로마 사회의 사교 모임에서보다 훨씬 컸다.
공동체에서 누구도 차별당하지 않았고, 누구도 지도층으로 거만하게 처신하지 못했다. 특별한 임무나 은사를 부탁받은 사람들이 공동체에서 지도층 행세를 하진 못했다. 공동체가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뉘거나, 사람들을 위아래로 나누고 가르는 권력 구조가 만들어지진 않았다.
그리스도교 이천년 역사에서 공동체가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평등이 실천된 유일한 시기는 1세기 예수운동이었다.
예수운동처럼 사람들이 자주 모이고 만나고 대화하는 종교는 유대교 말고 없었다. 은혜 넘치는 예배, 은사 체험과 성령 체험, 공동체에서 생기는 기적과 치유는 사람들을 새로운 세계로 이끌었다. 구약성서뿐 아니라 바울 편지들과 네 복음서를 사람들은 듣고 토론하고 연구하였다. 종교 창시자의 삶과 말씀에 대한 문헌이 그렇게 빨리 나타나고 사용된 경우는 예수운동이 고대 사회에서 유일했다. 예수운동은 책운동이요 교육운동이다.
예수운동에서 나자렛 예수라는 인물이 가장 큰 매력이었다. 사람이 되신 하느님이라는 새로운 존재, 운명론이 아니라 확실한 구원을 제공한다는 예수는 운명론에 실망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주기에 충분했다. 죽음 이후 세상이 아니라 지금 세상이 중요하다는 가르침, 우리 가까이 계신 하느님, 죽음 이후 세계까지도 설명하고 보장하는 부활 사상도 큰 매력이었다. ...
1세기 예수운동은 다양성이 제1 특징이었다. 다양성이 있었기 때문에 일치하려 애썼다. 개방, 다양성, 평등이 1세기 예수운동을 나타내는 주요 단어다.

1세기 예수운동을 자세히 돌아본 것은 21세기 한국 그리스도교에 도움을 주려는 의도에서 시작했다. ... 개방, 다양성, 평등이 1세기 예수운동을 나타내는 주요 단어라면, 21세기 한국 그리스도교는 개방, 다양성, 평등을 잘 실천하고 있는가. 21세기 한국 그리스도교는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평등이 실천되고 있는가. 공동체를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누는 권력 구조는 없는가. 공동체에서 부자들이 행세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이 차별당하지는 않는가. 공동체에서 여성들이 평등하게 존중되고 있는가. 가난한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있는가. 자유와 해방을 외치고 실천하고 있는가. 신학의 다양성이 존중되고 활발하게 토론되고 있는가. 21세기 한국 그리스도교는 1세기 예수운동과 너무나 멀리 떨어진 것은 아닐까. ...

<사족>
이상은 존경하는 신학자 김근수 소장님의 글을 발췌, 인용한 것입니다. 우리에게 삶의 의미를 늘 새롭게 깨쳐주시는 귀한 말씀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백승종 삼가.





All reactions:206소재두, 백승종 and 204 others

Author백승종

김경일 김근수 소장님의 글이 빛납니다. 반짝반짝!



배이상헌

대체로 사람들은 예수운동의 역사적 이해가 부재하여 상상력도 뒷받침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페북 독자들에 대한 노파심이지만 예수운동을 기독교와 동일시하는 난독증이 쉬울 듯 합니다.
김근수님의 일관된 글작업은 흠모할만한 합니다.



Author백승종

배이상헌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어차피 5천 만이 읽지는 않을 테고요. 1만 명만 읽어주시면 대성공이지요!


Don Kyu Kim

교수님 소개글 읽으니, 책이 더 많이 기다려집니다. 감사드립니다.


Author백승종

김규돈 하아... 우리 신부님이 그렇게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Yoon Seok

꼭 사서 읽어 보아야 겠습니다.


Author백승종

윤석 대단히 감사합니다


김근수

아이고 형니임~~~


Author백승종

김근수 감사해요, 아우님!!!




Paul Chang

교수님,
귀한 소개 글(말씀), 감사합니다.…
See more


Author백승종

Paul Chang 김근수 소장님의 저술은요.국내 신학연구는 인용이 거의 없고, 서양의 제1급 학자들만 상대합니다. 국제적 수준의 저서입니다!


Paul Chang

백승종
Yep...!
저와 친한 이정만 목사님으로부터 들었습니다.
저 역시 세계 교회가 이미 2세기에 잘못된 길로 접어들어서 2,000년의 세월이 흘러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습니다...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김근수. 한국 종교에 진보는 둘째치고, 영성이나 제대로 있나 < 민들레 광장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한국 종교에 진보는 둘째치고, 영성이나 제대로 있나 < 민들레 광장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한국 종교에 진보는 둘째치고, 영성이나 제대로 있나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장

댓글 1

키워드#진보#영성#종교#김상봉 교수#전태일#서준식#민주주의
[김근수 칼럼] 세상에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온 예수

  • 한국 정치의 파행은 영성의 부재서 비롯

  • 전태일 분신 계급의식 아닌 신앙이 견인

  • 타인의 고통에 응답 있어야 진정한 종교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장

‘철이 든 뒤에는, 이른바 진보 진영에 속한 사람으로서 평생을 살아온’ 철학자 김상봉 교수가 자기비판으로 쓴 책 <영성 없는 진보>를 내놓았다. 소제목은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생각함>이다. 세상에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온 예수처럼, 김상봉은 진보 진영에 폭탄 같은 화두를 던지고 있다. (이하 칼럼에 나오는 괄호 안의 숫자는 김상봉 교수 저서 <영성 없는 진보>의 해당 페이지임)

우리 역사 살린 것은 공동선을 위한 자기희생 덕분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다는 것은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7). 대다수 한국인은 한편에서 과도하게 정치적이지만, 다른 한편에서 한국의 정치가 위기 상황이라는 것에는 의외로 둔감하다(8). 무엇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되었기에, 아시아에서 가장 모범적인 민주주의 국가였던 한국의 민주주의가 순식간에 위기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일까?(8).

한국 정치의 파행은 영성의 부재에서 비롯된다(9). 하지만 정치와 영성이 무슨 상관이 있는가. 그 이전에 영성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영성이 정치와 어떤 식으로든 상관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왜 보수가 아니라 진보 진영의 문제인가?(9).김상봉 교수 지음 [영성 없는 진보] 책표지.

영성은 나와 전체가 하나라는 믿음을 의미한다(10). 짧게는 해방 이후, 길게는 동학 농민혁명 이래, 이 나라의 진보적 정치활동이란 ‘전체를 위한 자기희생’이었다(11). 해방 이후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만 놓고 보더라도, 독재 권력의 철권통치에도 불구하고 끝내 민주화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걸고 독재에 맞서 싸운 덕분에 가능했던 일이다(12). 우리의 역사가 돌이킬 수 없는 구렁텅이로 빠져들지 않고 의미 있는 진보의 길을 걸을 수 있었던 것은,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그 고통에 응답하고, 우리 모두의 선을 위해 자기를 희생한 사람들이 이 땅에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12).

80년대 이후 맥 끊긴 신앙과 혁명적 진보운동의 결합

한국인이라면 동학 농민혁명에서부터 광주 5.18까지 이 땅에서 정치적 실천이 종종 종교적 운동과 결합되어 있었던 것을 모르지 않을 것이다(15). 19세기 이래 다른 나라에서는 진보적 정치행위가 세속주의에 의거하고 있었던 데 반해, 이 나라에서는 종교적 신앙이 혁명적 진보운동의 토양이 되었던 것은 한국 근현대 민중운동 역사의 특별한 개성이다(16).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이 전통은 끊어진다(16).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오늘날 우리는 어디서도 나와 세계가 하나라는 믿음도, 그 믿음에 근거하여 전체를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정신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16).

이 나라의 보수 정치에는 전체의 선을 위해 자기를 희생한다는 정신 자체가 없으므로 믿음이나 영성을 거론한다는 것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는 일이다(18). 그들은 전체를 위해 자기를 희생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18). 우리가 사는 나라를 바로 우리 자신이,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옥으로 만들어, 이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집단적 자살을 향해 치닫고 있는 지금, 이성의 언어만으로는 결코 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20).

조선 왕조가 썩은 흙담처럼 무너져 가던 시절, 동학이라는 새로운 믿음의 언어가 필요했던 것처럼, 국가가 아니라 민족 자체가 소멸의 위기에 처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도 절망적 현실을 초월할 수 있는 어떤 믿음이다(20). 새로운 믿음은 우리가 지금까지 형성해온 역사의 의미를 믿음의 관점에서 해명할 때 우리에게 도래할 것이다. 그 역사는 우리가 수난과 저항과 투쟁 속에서 형성해온 우리 자신의 역사이다(118).

전태일과 서준식을 채운 것은 이념 아닌 종교적 영성

한국의 진보적 민중운동이 다시 대중적 참여를 견인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 전태일의 분신 이후라고 말할 수 있다(74-75). 그를 분신으로 이끌었던 것은 계급의식이 아니라 그리스도교적 사랑이었다(75). 전태일에게서 그 믿음은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순수한 그리스도교적 신앙이었다(77). 전태일을 전태일 되게 만든 것은 자기 개인의 가난과 고통이 아니라 세계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받아들인 것이다(75).

그에게 타인은 자기와 관계없는 타자가 아니라 ‘나의 전체의 일부’였으며, ‘나의 또다른 나’였다. 그는 배고픈 어린 여공들에게, 자신이 버스비로 써야 할 돈으로 붕어빵을 사 주고, 청계천 평화 시장에서 도봉산 기슭 집까지 걸어갔다. 차비를 털어서는 여공들의 배고픔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그는 자기의 한쪽 눈을 판 돈으로 착취 없는 공장을 만들려 했다. 그 시도조차 좌절되었을 때, 그는 자신의 몸을 불살라 어두운 세상을 밝혔다(13-14).

역사의 진보를 위한 투쟁의 가장 치열한 전선에서 싸우면서도, 지난날 안중근이나 백범 김구 같은 위대한 정신이 보여 준 영성을 가장 탁월한 전범으로 보여 준 이가 서준식이다(80). 전향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17년 간 감옥에 갇혀 있었던 유물론자에게 종교가 왜 중요한 문제였던 것일까?(81). 그가 천착한 것은 종교가 아니라 예수의 삶이었다(80). “특히 복음서 부분은 소외되고 신음하는 세상 사람들의 인간적 해방을 바라는 자가 몸에 지녀야 할 고귀한 윤리의 보고이다“라고 서준식은 옥중 서한에서 고백한다.

보수는 문제만 일으키고 해답은 내놓을 생각도 없고, 진보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지만 해답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했다고 김상봉은 말하고 싶은 것일까. 오늘날 우리가 아무리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진보운동의 변질이나 타락을 비판한다 하더라도, 불의에 대항하여 자신의 전 존재를 걸고 싸웠던 사람들과 그들의 시대에 대한 감사와 존중의 감정을 지니지 않으면 안 된다(87). 김상봉은 진보를 단순히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진보가 진정한 희망을 제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것은 아직 때 이른 말이다. 지금은 아직 밤이니, 우리는 아직 깨어 기다려야만 하리라. 머지 않아 새벽이 올 때까지”(118).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상춘재 앞에서 종교지도자 오찬 간담회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3.12. 연합뉴스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지 않는 오늘날의 한국 종교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응답이 사랑이라면(66), 한국 종교에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응답은 있는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응답이 있다면, 한국 종교는 윤석열 검찰독재 정권에 왜 저항하지 않는가. 고통받는 사람들과 일치하는 데 누구보다 앞장서야 할 종교인들이 언젠가 진보 흐름에서 거의 사라져 버렸다. 90년대 이전 한국의 진보적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종교인들은 어느새 구경꾼 신세로 추락하고 말았다.

갈릴래아 예수는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자비로웠다면, 예루살렘 예수는 억압하는 사람들에게 저항했다. 예수는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철이 든 것이다. 예수는 자비 영성에서 출발하여 저항 영성에 도달했다. 예수 영성은 자비 영성과 저항 영성이다. 자비 없이 저항 없고, 저항 없이 자비 없다.

나는 김상봉 책 소제목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생각함>에서 한국 종교의 위기를 생각하고, <영성 없는 진보> 책 제목에서 진보 없는 영성을 떠올린다. 한국 종교의 위기는 영성 없는 진보 때문이 아니라 진보 없는 영성 때문에 생겼다는 말이다. 지금 한국 종교에, 진보는 둘째치고, 영성이나 제대로 있기는 있을까. 내 질문은 이것이다. 한국 종교에 영성은 있는가.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非有機的生』宇野邦一著(講談社選書メチエ) 2475円 : 読売新聞

『非有機的生』宇野邦一著(講談社選書メチエ) 2475円 : 読売新聞

『非有機的生』宇野邦一著(講談社選書メチエ) 2475円
2023/07/21 05:20論:本よみうり堂
郷原佳以(仏文学者・東京大教授)

近代「生政治」への抵抗 示唆

評・郷原佳以(仏文学者・東京大教授)

◇うの・くにいち=1948年生まれ。立教大名誉教授。現代フランス文学思想。著書に『ベケットのほうへ』など。

 「有機農法」とか「有機的な組織」などというが、「有機的」とはどういうことだろうか。外的な力が加わることなく各部が緊密に連携して全体として最善に機能している状態のことだろう。そのモデルは自然の生命であり、生きた身体である。生きた身体は単なる器官の集合ではなく、各部が相互に精巧に結びついている。逆に、「非有機的」というと何が思い浮かぶだろうか。人工肥料やロボットなど、生命をもたず、自然には存在しないものだろう。だとすると、「非有機的生」とはどういうことだろうか。
『「むなしさ」の味わい方』きたやまおさむ著

[PR]

 本書は、西洋/東洋、概念/図像、精神/身体、超越/内在などの様々な二分法のうちで有機性/非有機性が人間の歴史にとって決定的な意味をもつという見通しのもと、二項の関係性についての総論と、イメージや映画などの事例に有機性と非有機性の 混淆こんこう を 見出みいだ す各論の二部から成る。表題に表れているように、著者は二項を 相容あいい れない対立として捉えるのでも、二分法を不要とするのでもなく、人間の生と営みの内に非有機化の過程が 孕はら まれていることを示してゆく。

 まず気づかされるのは、社会を構成する活動や知的な営みにおいて、人間が「有機体」モデルを理想としてきたことである。それは総体としての調和を善とするモデルだ。西洋哲学は調和を求めて合目的性(カント)や弁証法(ヘーゲル)を追求し、芸術もその枠組みで理解してきた。

 しかし実際には、人間の活動は有機的な自然を改変して自らのために利用する非有機的な介入だった。本書の序章には、「人間は全自然を自分の『非有機的身体』とする」というマルクスの定式が引かれている。人間の有機的な生を統計的に、つまり非有機的に操作しようとするのは近代の「 生政治せいせいじ 」である。

 他方で、著者がデュシャンやアルトーらをヒントに垣間見せてくれるのは、芸術作品の受容や映像技術、また性愛などには、調和的な全体性に収まらない非有機的次元が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そこに目を据えることが「生政治」への抵抗にもなると、著者は示唆しているようだ。


読書委員プロフィル
郷原 佳以( ごうはら・かい )
 1975年生まれ。仏文学者、東京大教授。著書に『文学のミニマル・イメージ』、訳書に『ヴェール』など。パリ第7大博士課程修了。
あわせて読みたい【本よみうり堂】5月19日(日曜)朝刊で紹介する予定の本
『センスの哲学』千葉雅也著
『評伝 丸山眞男 その思想と生涯』黒川みどり著
『きらん風月』永井紗耶子著


2023/07/21 05:20
논: 혼요미우리도
향원가(불문학자·도쿄대 교수)

스크랩
근대 '생정치'에 대한 저항 시사
평·향원가(불문학자·도쿄대 교수)

◇우노・쿠니이치=1948년생. 릿쿄 대명예 교수. 현대 프랑스 문학 사상. 저서에 「베켓 쪽에」등.
 「유기농법」이라든지 「유기적인 조직」등이라고 하지만, 「유기적」이란 어떤 것일까. 외부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고 각부가 긴밀하게 연계하여 전체적으로 최선으로 기능하고 있는 상태일 것이다. 그 모델은 자연의 생명이며 살아있는 몸이다. 살아있는 신체는 단순한 기관의 집합이 아니라 각부가 서로 정교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대로, 「비유기적」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를까. 인공비료나 로봇 등 생명이 없어 자연스럽게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유기적 생'이란 무엇일까.

『「무함사」를 맛보는 방법』 키타야마 오사무 저


 본서는, 서양/동양, 개념/도상, 정신/신체, 초월/내재 등의 다양한 이분법 중에서 유기성/비유기성이 인간의 역사에 있어서 결정적인 의미를 가진다는 전망 아래, 이항의 관계성에 대한 총론과 이미지와 영화 등의 사례에 유기성과 비유기성 혼란시키다안녕 을 제목미다 각 이론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목에 나타난 것처럼 저자는 이항을 호환 가능좋다 불가능한 대립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이분법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도 아니고, 인간의 생과 영업 안에 비유기화의 과정이 임신한하라 희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우선 눈치채는 것은 사회를 구성하는 활동이나 지적인 영업에서 인간이 '유기체' 모델을 이상적으로 온 것이다. 그것은 총체로서의 조화를 선으로 하는 모델이다. 서양철학은 조화를 찾아 합목성(칸트)과 변증법(헤겔)을 추구하고 예술도 그 틀에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간의 활동은 유기적인 자연을 변경하여 스스로를 위해 이용하는 비유기적인 개입이었다. 이 책의 서장에는 "인간은 전 자연을 자신의 '비유기적 신체'로 한다"는 마르크스의 정식이 그려져 있다. 인간의 유기적인 생을 통계적으로, 즉 비유기적으로 조작하려고 하는 것은 현대의 " 정치세이 세이지 이다.

 한편, 저자가 듀샨이나 알토 등을 힌트에 엿보게 해주는 것은 예술 작품의 수용과 영상 기술, 또 성애 등에는 조화적인 전체성에 맞지 않는 비유기적 차원이 있다는 것으로 있다. 거기에 눈을 잡는 것이 '생정치'에 대한 저항이 된다고 저자는 시사하고 있는 것 같다.

독서 위원 프로필
고향 하카이( 고하라・카이 )
 1975년생. 불문학자, 도쿄대 교수. 저서에 「문학의 미니멀 이미지」, 번역서에 「베일」등. 파리 제7대 박사 과정 수료.
함께 읽고 싶다.
【책 요미우리당】5월 19일(일요일) 조간에서 소개할 예정의 책
「센스의 철학」치바 마사야
"평전 마루야마 마사오 그 사상과 평생"쿠로카와 미도리 저
나가이 사야코 작, 『키라응风月』
===

===
이번 주 책장

미우라 마사시 씨의 "무생물 생명"에 대한 리뷰 = 우노 쿠니이치 지음
문화
 
책·서평
 
법원 일지에 기록됨
매일 신문
2023/7/29 도쿄 조간
유료 기사
1383자
 (코단샤 선서 메티에·2475엔)

프랑스 현대 사상의 핵심에 육박
 일본을 대표하는 프랑스 현대 사상 연구자의 반세기에 걸친 사색의 결정. 「총론」과 「각론」의 2부로 나뉘지만, 서두에 「견해도――왜 비유기성인가」, 서장 「(비)유기성에 대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주석(츄샤쿠)」가 놓여져 있습니다. 프랑스 현대사상을 논하는 것보다는 그 유의하에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자는 것이다. 특히 들루즈, 푸코, 아간벤 등에 호응한다.

 독자를 초대하기 위해 오해를 두려워하지 않고 단도 직입에 말해 버리면, 비유기적 삶이란 「죽음과 교차하는 삶」, 「죽음과 어울리는 삶」이라는 의미 이다. 그것을 비유기적 삶으로 형용하는 필연은 서두의 '표시도', 또 종장의 '질문의 틈(감기)과 분기'에 정확하게 나타나 있다.

이 기사는 유료 기사입니다. 
===

===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Philo Kalia 수운 최제우 탄신 200주년

Sejin Pak | Facebook



Sejin Pak
otnepdrsoS4l633h75875ah7f0a3f1th793tllt2i4a6a6g9umh9a5u1a50u ·
Shared with Only me




















Philo Kalia
otnepdrsoSMl633a7:875ah71ta3 1th793t50t2i4a6 6g 9m4ya5u1a50u ·


*수운 최제우 200주년

어제 동곡 뮤지엄에서 수운 최제우 탄신 200주년 콜로키움과 동학농민운동 130주년 기념전 오픈식에 참여했다. 김남수 선생과 함께 가면서 4시간 줄곧 대화가 흥을 돋웠다.

첫 발표 “모심(侍)의 동학, 들깨어 모신 ‘다시개벽’과 하는님”에서 김종길 선생(다석철학자/미술평론가)은 다석의 한글철학을 빌어 “모심은 안에 계시는 ‘검얼’이요 (그것은) 밖으로 퍼지는 ‘숨짓’이니, 한 세상 사람들이 낱낱으로 알아 안 옮기는 것이다.”(侍者內有神靈外有氣化一世之人各知不移者也)라고 풀어 한글의 힘과 맛을 마음껏 발휘했다. 한글은 일반 사람들의 실삶의 체험에서 우려져 나온 감각적 말이요 경험적 언어라는 생각이 든다.

둘째 발표 “모시고 사는 존재들의 모심”에서 유기쁨 선생(서울대사회과학연구원)은 시천주를 모든 생명으로 확산한다. 만물은 지극한 생명이 기운을 모신 존재들임을 포착해야 한다. “새소리도 시천주의 소리이다.” 양천주는 생명의 기운을 돌보기가 된다. 결국 “날마다 모시고 사는 존재들을 모심”이 문명전환의 시대에 새문명을 여는 다시개벽과 하늘모심의 뜻이다.
시천(侍天)이 외천(畏天)이나 경천(敬天)보다 훨씬 내재적이며 관계적이라는 생각은 들지만 일상어에서 ‘모신다'는 말에 겸손의 의미도 있지만, 여전히 상하관계의 뉘앙스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모심은 늘 아랫것들이 윗것을 대하는 태도와 행위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완전한 대등(對等) 관계는 아니지 않는가. 그렇다면 ‘시천’보다는 생명감각의 원천인 天과 교감하고 공명하며 공감하는 感天, 더 나아가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好天과 樂天은 어떻겠는가.
이러한 생각은 양진호 선생(철학자, 인문학교육연구소)의 세 번째 발표에서 더욱 힘을 받았다. 그는 수운의 검무(칼노래)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수운이 뭉우리돌의 정원을 지나 묘고봉(妙高峰)의 정상에 올라 칼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는 장면을 재현했다.
“용천검 날랜 칼은 일월을 희롱하고”
여기서 戲弄은 부정적인 뜻이 아니라 “서로 즐기며 놀리거나 놂”이라는 뜻이다. 특히 弄은 거문고를 탈 때 대나무로 만든 술대가 현을 노는 것을 말할 때 농현(弄絃)이라고 한다. 농현이란 거문고·가야금 등의 현악기 연주에서 음을 굴려내는 연주법이며, 즉 왼손으로 줄을 짚고 흔들어서 여러 가지 꾸밈음을 내는 기법(技法), 악기의 현과 최상으로 잘 노는 법을 말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일월을 희롱”한다는 말은, 일월을 가야금인 天의 絃으로 생각한다면 희롱천(戲弄天)이라고도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럴 때 만물과 더불어 온전하고 고스란히 신명이 나는 것이다. 김종길도 “스스로 들깨워 신나야 한다. 신나야 몬이 신을 낳는다.”라고 말한다.

기독교에 이런 가르침이 있다. 인생의 최종 목적은 “하느님을 영원히 즐기는 것이다.”(to enjoy God forever).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느님의(을) 향유”(fruitio Dei)한다는 말로 표현했다. 그래서 그런지 천국 생활이란 산드로 보티첼리의 <신비한 탄생>의 그림이나 프라 안젤리코의 <최후의 심판>에서 그려진 ‘성인들의 윤무’는 신을 향유하고 신과 함께 노는 희롱이 묘사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칼 바르트가 바흐와 모차르트의 음악을 비교하면서 한 말, “천사들이 하느님의 존전에서 (예배드릴 때에는) 바흐(Bach)를 연주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으나, 천사들이 저희들끼리 있을 때에는 모차르트를 연주한다는 것이고, 사랑의 하느님께서도 그것을 기꺼이 들을 것이다”라는 말도 모차르트 음악의 유희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놀이와 유희(Deus ludens)를 간접적으로 말한 것이다.
고대의 제천의식에는 늘 가무(歌舞)가 있었고, <삼국사기>도 화랑들은 노래와 음악으로써 서로 즐긴다(相悅以歌樂)고 되어있다. 풍류의 연장선에 있는 수운의 검무(劍舞)는 바로 ‘검춤’(神舞), 곧 무천(舞天)인 것이다. 侍天-養天-體天-舞天(하늘을 모신다 – 하늘을 기른다 – 하늘을 몸받는다 – 하늘을 춤춘다)

네 번째 발표 “나라없는 나라를 넘어 씨알들의 나라로”에서 고영직 선생(문학평론가)은 민중의 생활주의가 권정생의 <한티재하늘>에서 매우 잘 그려져 있다고 말한다. 소설 속 ‘안이순’은 간난(艱難)의 삶 속에서 한티재의 하늘을 넘어가면서 하늘이 그들의 삶 안으로 들어오고 그들은 들어온 하늘을 모신다. 그렇지만 가난하고 헐벗은 사람들인 한티재의 “삼밭골 사람들도 바람에 날려가듯이, 물결에 흘러가듯이, 그러면서도 작은 틈바구니를 비집고 올라오는 씀바귀 풀처럼 산다. 밟히면 뭉그러지고 쥐어뜯기면 뜯긴 채로 다시 촉을 틔우고 꽃피고 씨앗을 맺어 훨훨 바람에 날려보내는 씀바귀 씨같이 자손을 퍼뜨린다.”
 
이것이 한티재에서 바라보는 하늘, 아니 한티재의 씨알들이 모신 하늘이고 그 사람들이 노니는 하늘이 아닐까. 이런 점에서 김종길이 말하는 “땅에 하늘”과 한티재에 하늘은 서로 어울린다. 훨훨 바람을 타고 추는 씨알들의 춤속에서 솟구치는 ‘솟남’, 그 안에는 ‘들깨움’의 신명으로 새생명을 낳는다.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Ten things about Christianity that Jesus would not welcome:

Mike Shell | Facebook
Mike Shell

Quaker Universalist Fellowship
  · 
Ten things about Christianity that Jesus would not welcome:

1. That his vision for a transformed society, got twisted into an afterlife fantasy about heaven.

2. That a religion was formed to worship his name, instead of a movement to advance his message.

3. That the gospel says his death solved the problem of humankind's separation from God, instead of accepting that his life revealed the truth that there is no separation from God.

4. That the religion bearing his name was conceived by the theories and doctrines of Paul, instead of the truth Jesus lived and demonstrated.

5. That he was said to exclusively be God in the flesh, putting his example out of reach, rather than teaching that we all share in the same spirit that empowered his character and life.

6. That the religion that claims his name, teaches that his wisdom and teachings are the only legitimate way to know truth and God.

7. The idea that humankind stands condemned before God and deserving of Divine wrath and eternal conscious judgement, requiring the death of Jesus to fix it.

8. That people are waiting on Jesus to return to save the world and end suffering, rather than taking responsibility for saving the world and solving suffering ourselves.

9. That people think there is magical potency in uttering the name of Jesus, rather than accessing our own natural powers and capabilities to effect change.

10. That people have come to associate Jesus with church, theology, politics and power, rather than courage, justice, humanity, beauty and love.

—Jim Palmer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The Known Unknowns: The Unsolved Mysteries of the Cosmos eBook : Krauss, Lawrence M.: Amazon.com.au: Kindle Store

The Known Unknowns: The Unsolved Mysteries of the Cosmos eBook : Krauss, Lawrence M.: Amazon.com.au: Kindle Store



Roll over image to zoom in


Read sample


Follow the author

Lawrence M. KraussLawrence M. Krauss
Follow




The Known Unknowns: The Unsolved Mysteries of the Cosmos Kindle Edition
by Lawrence M. Krauss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3 4.3 out of 5 stars 62 ratings


Internationally known theoretical physicist and bestselling popular science writer Lawrence Krauss explores cosmology's greatest unanswered questions.

Three of the most important words in science are 'I don't know'. Not knowing implies a universe of opportunities – the possibility of discovery and surprise. Our understanding of cosmology has advanced immeasurably over the last five hundred years of modern science, yet many fundamental mysteries of existence persist. How did our Universe begin, if it even had a beginning? How big is it? What's at the bottom of a black hole? How did life on Earth arise? Are we alone? Is time travel possible?

These mysteries define the scientific forefront, the threshold of the unknown. To explore that threshold i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just how far science has progressed. In The Known Unknowns, internationally known theoretical physicist and bestselling popular science writer Lawrence Krauss explores cosmology's greatest known unknowns. Covering time, space, physical law, life and consciousness, Krauss introduces readers to the topics that will shape the state of science of the next few decades, and invites us to ponder and appreciate the universe in which we live.
Read less



Print length

241 pages
Language

Product description

Review


PRAISE FOR LAWRENCE KRAUSS:

'Brilliant and fundamental, this is the necessary book about our prime global emergency' Ian McEwan on The Physics of Climate Change.

'Lawrence Krauss is a fine physicist, a talented writer, and a scientist deeply engaged with public affairs' Lord Martin Rees, former president of the Royal Society.

'Brimming with information lucidly analysed' Richard Dawkins on The Physics of Climate Change.

'Elegant, rigorous, timely... The ideal book for anyone interested in the science of global warming' Elizabeth Kolbert on The Physics of Climate Change.

'Lucid and gripping'-- Noam Chomsky on The Physics of Climate Change
About the Author
Lawrence M. Krauss is an internationally known theoretical physicist and the author of the New York Times bestselling books, The Physics of Star Trek, A Universe from Nothing and The Physics of Climate Change. He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has received numerous awards for his research and writing. He is currently President of the Origins Project Foundation and host of the Origins Podcast with Lawrence Krauss. He tweets @LKrauss1.

Product details
ASIN ‏ : ‎ B09CHGZXD8
Publisher ‏ : ‎ Apollo; 1st edition (11 May 2023)
Language ‏ : ‎ English
File size ‏ : ‎ 4133 KB
Text-to-Speech ‏ : ‎ Enabled
Screen Reader ‏ : ‎ Supported
Enhanced typesetting ‏ : ‎ Enabled
X-Ray ‏ : ‎ Not Enabled
Word Wise ‏ : ‎ Enabled
Sticky notes ‏ : ‎ On Kindle Scribe
Print length ‏ : ‎ 241 pagesBest Sellers Rank: 183,203 in Kindle Store (See Top 100 in Kindle Store)30 in Science Essays & Commentary (Kindle Store)
33 in Theoretical & Mathematical Astronomy
41 in Cosmology (Kindle Store)Customer Reviews:
4.3 4.3 out of 5 stars 62 ratings




About the author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Follow

Lawrence M. Krauss



I was born in New York City and shortly afterward moved to Toronto, spending my childhood in Canada. I received undergraduate degrees in mathematics and physics from Carleton University in Ottawa Canada, and my Ph.D. from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 1982.

After three year a stint in the Harvard Society of Fellows, I was a professor at Yale University for eight years and then, when I was 38 I moved to become Ambrose Swasey Professor of Physics, professor of astronomy, and Chairman of the Physics Department at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ince then I have held endowed positions at a variety of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in departments ranging from physics and astronomy, to earth and space exploration.I retired from academia in 2019 at age 65 when I became President of The Origins Project Foundation, (www.originsprojectfoundation.org) and independent non-profit foundation furthering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enhancing connections between science and culture. In the same year I became host of The Origins Podcast with Lawrence M. Krauss (www.theoriginspodcast.com), where I have extended video dialogues with the most interesting people in the world.

My research focuses o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Universe. Among my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cosmology, I helped lead the search for dark matter, and proposed the existence of dark energy in 1995, three years before its observational discovery, which received the Nobel Prize in 2011.

I write regularly for national media,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er, the Wall St. Journal, The Globe and Mail, The National Post, Quillette, Prospect, and other magazines, as well as doing extensive work on radio and television and most recently in feature films.

I am strongly committed to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have helped lead the national effort to preserve sound science teaching, including the teaching of evolution, for which I was awarded the National Science Board's Award for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 also served on Barack Obama's 2008 Presidential campaign science policy committee. I was honored to be Chair of the Board of Sponsors of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from 2006-2018, and from 2010-2019 was on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I became a scientist in part because I read books by other scientists, such as Albert Einstein, George Gamow, Sir James Jeans, etc, when I was a child, and was inspired meeting various scientist-heroes including Richard Feynman and my popular writing returns the favor. One of my greatest joys is when a young person comes up to me and tells me that one of my books motivated them to become a scientist.

I believe science is not only a vital part of our culture, but is fun, and I try and convey that in my books and lectures. I am honored that Scientific American referred to me as a rare scientific public intellectual, and that all three three major US Physics Societies: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and the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have seen fit to honor me with their highest awards for research and writing.

I have now written 12 popular books on various aspects of science and culture, including the two New York Times Bestsellers, The Physics of Star Trek, and A Universe from Nothing. These two books sold over 500,000 copies in English alone and the latter was translated into 25 languages.

My last book, The Physics of Climate Change, was published in March 2021. I wrote it during the pandemic, when I was able to take time to fully immerse myself in updating my knowledge of climate science and trying to translate it into popular language. This book cuts through the confusion by succinctly presenting the underlying science of climate change. It presents the underlying science behind climate change, free of political bias, or jargon so that all readers can underst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our time, and allows laypeople to assess which climate predictions are firmest and which are more speculative . A departure from much of the focus of my previous books, it addresses a timely issue that should impact on the basis of ongoing public policy.

My newest book, The Edge of Knowledge: Unsolved Mysteries of the Cosmos (in the UK it is entitled The Known Unknowns: The Unsolved Mysteries of the Cosmos) is a roller coaster ride taking us to the limits of what we know, and more importantly, what we know we don't know about the Universe. Divided into 5 sections: Time, Space, Matter, Life, and Consciousness, it takes the greatest unsolved problems in science. It is a celebration of how far we have come in understanding the universe, while providing an invitation to the next generation of young people to take up the challenge. The Universe continues to surprise us, but it will only do that if we keep asking questions, and keep exploring it. The rewards are ultimately a better understanding of our own place in the cosmos, including where we came from, and where we are heading.

When not writing or doing research or relaxing at home with my family, I love to mountain bike, fly fish, and scuba dive.

You can find more about my research, my activities, and my opinions on my substack site Critical Mass at LawrenceKrauss.substack.com or web page lawrencemkrauss.com or on my twitter feed @Lkrauss1 or at https://wakelet.com/@LawrenceKrauss

Read less


158

Kindle Edition
$8.99$8.99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Australia

There are 0 reviews and 7 ratings from Australia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Mlangefeld62
5.0 out of 5 stars The Known Unknowns by Lawrence Kraus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9 March 2024
Verified Purchase

Book arrived when promised and I immediately realized it was the British version of a book I had already read by Lawrence Krauss called "The Edge of Knowledge". I read it anyhow and enjoyed it.
Report

Czarnykot
5.0 out of 5 stars Fascinating!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6 August 2023
Verified Purchase

A superbly well written book as are all books by Laurence M Krauss. I would be fibbing if I said I understood everything in the book, especially about particle physics. Nevertheless this book is well worth reading for anyone interested in science. The book is not just about advances in particle physics. The final chapters about “how did life get started” and is there life elsewhere in the universe, as well as on consciousness and AI are thoroughly absorbing. “The known Unknowns” is an excellent book and highly recommended.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Steven Lythe
5.0 out of 5 stars Very good read ,very specific.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3 April 2024
Verified Purchase

Suitable for technically minded.
Report

Datta
2.0 out of 5 stars Nothing new!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4 August 2023
Verified Purchase

Disclosure: Managed to read only about half the book. The book should come with a label of “ for those who have never read a pop science book”. Struggling to see the point of writing this book. Just a rehash of pretty standard stuff from popular science books in the last decade , with very little new insights , banal writing, no discernible objective or message . The reader just gets a watered down factoid compilation, with occasional historical and experimental references thrown in. Makes for thoroughly boring read.
Report

Andy Cox
5.0 out of 5 stars Highly engaging & Excellent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4 August 2023
Verified Purchase

This books covers the big ticket items in a very readable and engaging manner. Really informative and a brilliant read. It keeps you captivated from start to finish.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See more reviews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박정미 로저 스크루턴, [우리를 속인 세기의 철학자들>을 읽고

Facebook

박정미

동물농장 밖의 스퀼러들
-로저 스크루턴, <우리를 속인 세기의 철학자들>을 읽고


‘에드먼드 버크 이후로 가장 뛰어난 영국 보수주의자’라는 저자의 타이틀에 혹하여 책을 펼쳤는데, 과연 탁월했다.
서양철학의 계보를 꿰뜷고 칸트-헤겔 그 다음 마르크스에 이르러 한번 뒤집어져 비로소 시작되는 좌파철학의 핵심을 유려하게 설명해내고 있었다.
거기에 자국인 영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미국 등 나라마다 특유한 정치-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사상을 압축, 포착해내는 솜씨가 일품이었다.
하지만 저자의 뛰어난 지적역량에 못미친 나는 끝끝내 프랑스와 독일 좌파철학자들의 내적논리에 근접할 수 없었다. 하버마스, 알튀세르, 라캉, 들뢰즈, 바디우와 지젝은 어찌나 난삽하던지 인용문만 보면 멀미가 날 정도였다.
호기심과 존경심을 가지고 읽었던 처음과는 달리 두번째 읽었을 때는(라캉은 아예 건너 뛰었고) 넌더리가 났다. 특히 싸르트르와 바디우는 역겨운 감정이 들 정도로 거짓되어 보였다.
젊은시절 순진한 우리 대학생 머리 위에 거대한 권위를 가지고 군림한 거물사상가들이 단체로 두들겨 맞는 것을 구경하는 재미가 그나마 쏠쏠했지만.
 
사적유물론은 역사적으로 파산했다. 하지만 자신을 마르크시스트라고 규정한 신좌파철학자들은 말을 달리하여 지금까지도 끈질기게 살아남아 위세를 부리고 있다.

“1989년의 사건이 일어나고 얼마동안은 공산주의 기획이 무너진 것 같았고 2차세계대전 이후 동유럽의 사람들을 노예로 만든 사상을 이제는 단호하게 배척할 수 밖에 없는 증거들이 속출했다.
하지만 합리적 논증이 다시 싹틀 즈음 넌센스 기계가 굴러들어와 싹을 다 베어버렸다. 모든 것을 불확실성의 안개로 덮어버렸고 진정한 혁명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는 신념을 복구시켰다.
이 혁명은 사유의 혁명, 내적인 해방인데, 이 앞에서 어떤 합리적 논증도 살아남을 수 없다. 넌센스의 지배 아래 혁명에 대한 의심은 모두 합리적 탐구가능성과는 거리가 먼 저 깊은 곳에 묻혔고, 그런 의심은 더 이상 직접적으로 다룰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렸다."

여기서 스크루턴이 '넌센스'라고 표현한 것은 조지오웰이 <동물농장>에서 지적한 바 있는 좌파의 '신어'를 말한다.
동물농장에서 동물들이 엉겹결에 반란에 성공한 직후 농장 담벼락에는 선명한 일곱계명이 새겨지게 된다.
 
"무엇이든 두 발로 걷는 것은 적이다."의 제1계명부터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의 제7계명까지 그것은 단순하고 분명했다.
하지만 일곱 계명은 지배자 돼지 나폴레옹의 독재를 통해 하나 둘 무력화되어간다. 단 하나 남은 계명마저도 다른 계명들처럼 단서를 추가함으로써 본래의 취지를 잃고 말았다.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그러나 어떤 동물은 다른 동물들보다 더 평등하다.”
이것은 이미 평등 자체를 부정하는 평등으로서 무의미한 언설이다. 신좌파는 이러한 신어의 남발로 합리적논증을 피해 혁명의 환상을 존속하게 하는데 지적역량을 쏟아부었다.
이미 혁명의 대의를 배반한 혁명은 혁명이 아니다. 과학적 입증을 실패하고 현실에서 죽은 마르크시즘을 '신어'로 치장하여 살아있다고 떠들고 숭배하고 다니는 것이 뉴레프트라는 것이다.

동물농장에서 '스퀼러'라는 돼지가 요설로 혁명을 배신했듯이 동물농장 바깥에서 스탈린, 마오독재에 부역해온 것이 신좌파사상가이다.
 
말, 신어, 새롭게 규정된 말로써 현실을 재창조하려 하는 그들의 심리적 배경에 "평범한 것과 실제적인 것에 대한 경멸이 발견되는 것은 이상하지 않다."

"신좌파의 사상가들은 정치 사회체계에 대한 비판을대체로 언어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시작한다. 권력과 지배를 최대의 정치적 현안으로 상정하고, 합의점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관계가 조정되는 현상을 광범위하게 비판한다. 좌파적 신어는 그들의 강력한 도구가 된다. 우리사회를 비웃을뿐만 아니라 온화해 보이는 표면 아래 어떤 다른 현실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그 현실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그 표면은 기만적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어떤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지에는 무심하고 파괴적 혁명만을 옹호하는 정신이다. 대안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아니 대안을 유토피아로 상정해놓고 현실의 모든 것을 부정하는 정신이다.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를 이렇게 소개한다.

"나는 언제나 부정하는 정신이다. 유를 무로 만들며, 따라서 창조의 일을 무효로 만들어버리는 정신이다."

그들은 인류의 자랑스러운 정치적유산인 권력분립, 법치주의, 선거제도를 부정하고 그 대신 일당 독재체제를 만들어서 온갖 퇴행적 폭력을 일삼은 역사를 옹호했다.

1917년 혁명당시 레닌이 제일 먼저 공표한 지령은 전횡적인 위협과 체포로부터 유일하게 국민을 보호하는 사법부, 사법고시, 법조계를 철폐하는 것이었음은 특기할만 하다.

스크루턴은 국가의 성격이 사적소유를 중심으로 한 경제체제 측면이 아니라 제도 측면에서 결정된다는 입장이다. 만일 전자로 국가의 성격을 규정하면 자본주의와 파시즘은 한편에 서고, 후자의 지점에 착목하면 마르크시즘과 파시즘은 한 편에 선다.
 
좌파들은 법과 정치를 단순한 부현상으로 격하시키고 모든 국가들을 경제적 지배구조에 기반을 둔 ‘체계’로 봄으로써, 대의정치와 전체주의적 독재 사이의 극명한 차이를 말소해버린다.
그나저나 지금도 혁명이나 프롤레타리아독재를 믿는 사람은 없겠지? 그러나 혁명의 시대는 지나갔어도 이를 추구하던 좌파의 삶의 자세는 그대로 남아있다.

제도와 절차를 경시하고 투쟁만을 능사로 아는 사고방식, 자신들만이 약자의 편에 서있고, 정의롭고 도덕적이고 깨어있다는 우월의식이 그것이다. 그리고 우파는 타도해야할 적이지 협의와 지적협력의 대상이 아니라는 생각도.
 
“일단 우익으로 분류되면 그 사람은 더 이상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사람의 의견은 논점을 벗어난 것이 되고 그 인성은 훼손되며 세상에 존재하는 것 자체가 오류라고 여기는 것이다. 열띤 토론을 벌일 상대가 아닌 피해야 할 질병으로 간주한다. 이것이 나의 경험이자 내가 아는 모든 (동유럽)반체제 인사들의 경험이다. “

스크루턴은 냉전이 한창이던 1979~1989년에 동유럽에서 반체제 대학들의 지하학술네트워크 설립을 후원했다. 이 때문에 한 때 동유럽에서 억류당하고 추방되기도 했다.

지금도 자신이 좌파라는 데서 우월감을 느끼고 만천하에 인정투쟁을 벌이며 우파지식인을 상종못할 무뢰배로 경멸하는 자칭 좌파엘리트들이 우리세대에는 얼마나 많은가.

동물농장 밖의 유럽 스퀼러들을 따라 인간본성의 취약함을 오로지 부르즈와와 자본의 탓으로 돌리며 폼 잡는 지식인들도. 스탈린과 마오를 추종한 스퀼러의 전통을 오늘에 되살려 북한의 김씨일가를 신어로 옹호하는 사람들까지도.





All reactions:27이병철, Chee-Kwan Kim and 25 others

임미옥

음모론자, 피시주의자, 패션좌파, 그리고 개저씨, 남근이성중심주의(phallogocentrisme)의 해체주의자들이 떠오릅니다. 무엇이 밀이고 무엇이 가라지일까요? 확실치 않을 땐 분열하는 자, 부정하는 자, 파괴하는 자를 조심해야겠죠. 신(로고스)은, 가라지(넌센스)가 밀(센스)을 뒤덮은 이 시대의 밭을 언제까지 보고만 계실까요?

박정미

임미옥 그 난삽한 이론을 소개하고 비판하는 와중에 스크루턴의 신앙고백이 스쳐지나가듯 나옵니다. 저는 비록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인간영혼을 꿰뚫는 종교적심성, 영성을 표현한 그 글귀는 제 안에서 선명하게 반향하더군요.
현학적인 유물론철학자들이 복잡한요설로 덮고 묻어버리려 했지만 
결코 성공하지 못한 단순하고 맑은 소리였습니다.


임미옥

박정미 그 글귀, 그 단순하고 맑은 소리가 무엇이었는지 궁금해지네요.

박정미

임미옥 아! 제가 친 그물에 걸리셨군요.ㅋㅋㅋ
자아~ 이제 기나긴 문장을 옮겨드립니다.

"그래도 소비사회에 대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에는 일말의 진리가 있다.
이 진리는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가 장식한 마르크스주의 이론들보다 훨씬 오래된 진리다.
히브리 성서 안에서부터 새겨져있는 진리로서 세기를 거쳐 지속적으로 재구성되었다.

즉, 우상에 절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본성(신성)을 저버리게 된다는 진리다.

토라(Torah)는 우리에게 인간실현의 이상을 제시해준다. 인간은 하느님의 규례의 제한을 받고 이 하느님은 어떤 우상숭배도 용인하지 않으며 우리의 절대적인 헌신을 바란다.

하느님에게로 향하면 우리는 우리의 진정한 모습, 즉 더 높은 세계에 속한 존재가 된다. 단순히 소망하는 바가 충족되는 것 이상의 실현을 경험하는 존재인 것이다.

반면,우상을 숭배하면 우리는 하등한 존재로 격하된다. 우리의 욕구가 곧 신이 되어 우리를 지배하게 되는 그런 노예의 상태다."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이병철

하나님과 무(無), 그 천(千)의 얼굴들 - 박혁순

하나님과 무(無), 그 천(千)의 얼굴들 - 예스24
>기독교(개신교)
>목회와 신학
>신학일반


하나님과 무(無), 그 천(千)의 얼굴들
대안적 신론을 위한 예비적 연구
박혁순 저 | 동연출판사 | 2024년 
판매지수 486 
기독교(개신교) top100 1주

정가 38,000원

Read more »
Posted by Sejin at May 15,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2024/05/14

Taechang Kim - MEMO 瞬間反省:老醜五態 1、貪食 2、怖顔 3、固陋 4。耽溺 5、逃死 | Facebook

(5) Taechang Kim - MEMO 瞬間反省:老醜五態 1、貪食 2、怖顔 3、固陋 4。耽溺 5、逃死 | Facebook

瞬間反省:老醜五態
 1、貪食 2、怖顔 3、固陋 4。耽溺 5、逃死

KOREAN
순간 반성 : 노추 오태 
1, 탐식 2, 무서운 얼굴 3, 고체 4.耽溺 5, 죽음을 피하다

===
탐닉, 耽溺

어떤 일을 몹시 즐겨서 거기에 빠지는 것. 
순화어는 `즐겨 빠짐'.
===
Definition of 耽溺
たんできtandeki  【 耽溺 ·酖溺 】耽溺酖 Kanji Details
(n, vs) indulgence (e.g. in alcohol, women, etc.)
勤務中なのに職員の目を盗んでインターネットに耽溺する。
Even during work, I secretly indulge my Internet addiction.

debauchery; dissipation
Words related to 耽溺
たんできせいかつtandekiseikatsu  【 耽溺生活 】耽溺生活 Kanji Details
(n) a fast (dissolute) life; a life of follies; a life given to dissolute pleasures


===

耽溺

Contents
1 Chinese
1.1 Pronunciation
1.2 Verb
2 Japanese
2.1 Pronunciation
2.2 Noun
2.3 Verb
2.3.1 Conjugation
3 Korean
3.1 Noun
Chinese
indulge; delay
 
urinate; urine; drown
trad. (耽溺) 耽 溺
simp. #(耽溺) 耽 溺
Pronunciation
Mandarin
(Pinyin): dānnì
(Zhuyin): ㄉㄢ ㄋㄧˋ
Cantonese (Jyutping): daam1 nik6
Verb
耽溺

to indulge in, to wallow in
耽溺酒色  ―  dānnì jiǔsè  ―  to indulge in sensual pursuits (wine and women)
Japanese
Kanji in this term
耽 溺
たん
Jinmeiyō でき
Grade: S
on’yomi
Pronunciation
IPA(key): [tã̠nde̞kʲi]
Noun
耽たん溺でき • (tandeki) 

indulgence
Verb
耽たん溺できする • (tandeki suru) suru (stem 耽たん溺できし (tandeki shi), past 耽たん溺できした (tandeki shita))

to indulge in
Conjugation
Conjugation of "耽溺する" (See Appendix:Japanese verbs.)
Korean
Hanja in this term
耽 溺
Noun
耽溺 • (tamnik) (hangeul 탐닉)

Hanja form? of 탐닉 (“indulgence”).
===
耽溺(たんでき) とは? 意味・読み方・使い方
ブックマークへ登録
意味
例文
慣用句
画像
たん‐でき【×耽溺/×酖溺】 の解説
[名](スル)一つのことに夢中になって、他を顧みないこと。多く不健全な遊びにおぼれることにいう。「酒色に—する」
[補説]書名別項。→耽溺
類語
ふける 溺れる(おぼれる) 凝る(こる) 惑溺(わくでき)
関連語
いかれる
たんでき【耽溺】 の解説
岩野泡鳴の小説。明治42年(1909)発表。初期自然主義文学の代表作で、主人公の作家田村義雄の愛欲におぼれる生活を描く。

カテゴリ
#文学 #明治以降の作品 #名詞
[文学]の言葉
機会 大団円 奇跡 寛容 趣向
[明治以降の作品]の言葉
平凡 帰省 心 雲 青春

===

耽溺(단 수) 이란? 의미, 읽기, 사용법
북마크에 등록
의미
예문
관용구
이미지
탄-수【×耽溺/ ×酖溺】 해설
[이름] (술) 하나의 일에 열중 하고 다른 것을 고민하지 않는 것. 많은 불건전한 놀이에 빠지는 것을 말한다. 「주색 으로—한다」
[ 보설 ] 서명별 항. → 탐정
동의어
비듬
 
익사하다
 
굳어지다
 
유혹
관련어
어떠한
탄생【耽溺】 해설
이와노 아와루 의 소설 . 메이지 42년(1909) 발표 . 초기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주인공의 작가 타무라 요시오의 애욕 에 빠지는 생활을 그린다.
===
merch community
Senketsu No Night Club - 耽​溺​は​深​く​ゆ​っ​く​り​と


===




혼자만의 시간을 탐닉하다 Paperback – January 1, 2021
Korean Edition by 프란체스카 스펙터 (Author)
원제 Alonement: How to be alone and absolutely own it (2021년)

“혼자라는 건, 무리의 일부가 아닌 나 스스로 행동할 수 있는 자유이다.” 자신과 관계 맺고자 하는 모두를 위한 이야기 1인 가구는 매년 늘어나지만, 여전히 혼자 지내는 것은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이라고 오해받는다. 홀로 무언가 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느낌보다는 부정적인 느낌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혼자만의 시간이 진정한 즐거움과 정서적인 안정을 준다면? 그리고 그것이 당신이 그토록 바라던 것이라면? 바쁘고 정신없는 일상에서 단 한 시간이라도 홀로 동떨어져 나 자신과 있을 수 있다면? 한없이 엄습해오는 외로움의 문제를 치료하거나 해결할 방법을 찾고 있다면? 그렇다면 가장 선행되어야 할 점은 ‘나라는 존재가 어떤 의미인지?’를 찾는 것이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누구인지를 알아내는 기회를 얻고 싶다면 이 책은 바로 당신을 위한 책이다. 『혼자만의 시간을 탐닉하다』는 혼자 지내는 시간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를 발견하여 우리 자신과 관계를 맺기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당신이 누구든, 어떤 인간관계를 맺고 있든, 나만의 독립 선언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저자가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출연한 소설가 알랭 드 보통, 영국의 일러스트레이터 플로렌스 기븐, 영국의 아나운서 코니 허크 등으로부터 얻은 ‘홀로살기’ 레슨으로부터 우리가 모두 혼자서도 충분하다는 것을 전한다.
===



====



Posted by Sejin at May 14,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2024/05/13

Stories of God: A New Translation : Rilke, Rainer Maria: Amazon.com.au: Books

Stories of God: A New Translation : Rilke, Rainer Maria: Amazon.com.au: Books
Books

https://archive.org/details/stories-of-god-rilke-marie/page/n19/mode/1up?view=theater

One of Rilke's best-loved prose works-in its finest English translation to date.

Readers who enjoyed Letters to a Young Poet will cherish this enchanting work of fiction. Stories of God is a series of interconnected short stories in which Rilke offers his own unique understanding of the divine. Full of wonder and playfulness, and written in a simple, folktale style, these thirteen stories suggest, among other things, that God is present in our daily world and is seeking know humans as urgently as we have sought to know God. This new translation is the most lucid and lyrical translation of this work available in English. Rilke's German prose was unique in that he liked to use words in uncommon ways, employed obscure words, and sometimes invented words. Kohn'the translator of Shambhala's popular edition of Hermann Hesse's Siddhartha... has created a translation that is highly readable and enjoyable while remaining faithful to the German. Through this new translation, a new generation of readers will be able to appreciate the rare beauty, simplicity, and intriguing spiritual philosophy that have made this one of Rilke's most beloved prose works.


====

From other countries
kdedidit
5.0 out of 5 stars Charming, in the best sense of the wor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9 November 2013
Verified Purchase
I first read this book because it was mentioned by my favorite philosophy professor. He was not stuffy and neither is this book. It is a collection of stories that purport to be narrated to children on the nature of God and how he can be found everywhere. It is beautifully and simply written: whimsical and delightful. I am not a religious person, but this is one of my favorite books. It lifts my spirits and
gives me insight into those who are.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for anyone who believes in God and for many people who don't. I am giving it to several people on my Christmas list.
4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Mr B
5.0 out of 5 stars Stories ofGod. RM Rilke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4 August 2015
Verified Purchase
This little book is a gem, and if you happen to love Rilke, it is a brilliant gem, and has never been out of print since the 1904 edition was published. ‘Composed during the course of seven consecutive nights when the author was 23, these stories reveal a living God in the world of common things.’ These were written when he was living in Russia, and perhaps reflect both the ambience and the landscape. They are a bit like fairy tales to be told to children, full of light and darkness, of wonder and loneliness, of insight and intuition. In some, the imagery is perhaps shocking, in others, one is left feeling moved at the end, without a desire to try and work out why. Rather than try to summarise the 13 stories here, here is a flavour of Rilkean lyricism from the opening of ‘Of the one who listened to the stones’ :

‘…..What we feel as spring, God sees as a fleeting little smile passing over the earth. Earth seems to be remembering something; in summer she tells everyone about it, until she grows wiser in the great autumnal silence, through which she confides in those who are lonely. All the springs you and I have lived through, put together, still do not suffice to fill a single one of God’s seconds. A spring, for God to notice it, may not remain in trees and on the meadows, it must somehow manifest its strength in man, for then it will proceed, as it were, not within time, but rather in eternity and in God’s presence….’ These are stories, not for analysis, but for reflection, and to ‘be left alone with itself,’ for they speak for themselves. A delight.
3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P. M. Scott
5.0 out of 5 stars Provocativ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8 July 2019
Verified Purchase
Loved it. Would love to discuss with an authority on Rilke or one of the translators. Depth to plumb.
Report
David H. Rosen
5.0 out of 5 stars A POET OF THE HEAR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2 July 2018
Verified Purchase
A favorite poet.
Report
Amazon Customer
2.0 out of 5 stars Two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2 July 2015
Verified Purchase
Don't like the story.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schneffke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9 February 2015
Verified Purchase
very good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Sponsored 
Need customer service?
‹ See all details for Stories of God: A New Translation


====
Displaying 1 - 10 of 122 reviews
Profile Image for Luís.
Luís
2,088 reviews
873 followers

Follow
April 28, 2023
Here is a text that I fragmented to savor, chapter after chapter. We follow a character who tells stories about a good god. But does it exist? Does he appear in every account?
That's for the reader alone to judge. However, I, who did not follow, turned towards the religious theory; I found them charming and pushed me to think.
I would reread it more times, and many details that escaped me will return to me then.
Good reading :)
e-4

4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Emma.
Emma
115 reviews
52.7k followers

Follow
May 19, 2020
"'What has made you so kind?'
'Everything,' she said softly and warmly."
(A Story Told to the Dark)

"The gravedigger still smiled. 'It is a way of earning one's bread–and besides, I ask you, aren't most people doing the same? They bury God up there as I bury men here.' He pointed to the sky... 'Yes, that too is a great grave, in summer it is covered with wild forget-me-nots..." (A Tale of Death)

"Healthy people are so changeable...[the sick's] immobility makes him resemble things, with which indeed he fosters many intimacies; makes him, so to speak, a thing far superior to other things, a thing that listens not only with its silence but also with its rare, quiet words and with its gentle, reverent feelings." (How Old Timofei Died Singing)
classics
 
favorites
 
short-stories

3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hanaraj Rajan.
Dhanraj Rajan
472 reviews
335 followers

Follow
August 23, 2019
Admission of Truth:

I feel inadequate to review this book. For the reading experience that it offered was more than what I had expected. In fact, it was just awesome. But that is a word that explains nothing. Rilke comes to rescue me. He writes in one of the stories: "The things we experience are often inexpressible, and any one who insists on telling them nevertheless, necessarily makes mistakes--"

My Expectation and the Surprise:

I began with an expectation that it will reveal something about God. I am a religious person and the spiritual themes always pique my interest. This book offered me that. But it came with a force that I was not expecting. Do not mistake me that it hit me hard. In fact, I used the word 'force' to mean how much I was held captive by the thoughts expressed in the stories. The stories were on the surface level belong to the 'fairy tale type'. The immediate effect of the story was very much similar to the impact any fairy tale would evoke in a kid - pure joy. The story does not stop at that. It stays and the reflection it stimulates later on, are the reasons why they can be classed as spiritual treatises written by a mystic.

The themes are very much in line with Christian mysticism. God is present everywhere. The man i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is image of God is distorted in the process of many historic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e artists of every kind and every age try to reveal the original image to both man and God. Man waits for God. It is the piety that keeps man intact in this world. Without piety (search for God) man would lose the equilibrium. To attain God is the eternal satisfaction. If one attains that he will long for nothing.

The harvest was relatively small (only 140 pages) but the riches contained in it were more than expected.
favorites
 
german-lit
 
literature
 
...more

20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S..
S.
37 reviews
13 followers

Follow
May 16, 2009
Rilke reads like mouthfuls of velvet. Here his wisdom is so natural that it's as though you're looking at stars rather than type.
literature

10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Aggeliki.
Aggeliki
305 reviews

Follow
October 11, 2019
Gift for a girlfriend in a time when optimism, hope and belief in something seem like imperative concepts. Something of mine and let's move on.
It is a book par excellence for second and third (perhaps more) readings. Clearly his stories are not purely religious in nature. If you ask me, faith is a purely personal and internal matter anyway. These stories here, however, are so simple that they are universally accepted and understandable and at the same time they ask for a second pass.
Rilke's narrative leaves you with a sweetness at the end. Maybe that means he got the message he wanted across.

8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Canned Spirits.
Canned Spirits
276 reviews
163 followers

Follow
June 20, 2017
The book is called Stories from God, but the content consists of stories about God. There is God in every story in some way. The narrator tells the stories to his neighbor, to his children who ask a lot of questions about God, to the teacher, and to his neighbor who cannot walk. There are stories that get quite boring and difficult to follow at times. While questioning the existence of God, there are sometimes depictions that attribute Him to a body with hands.

5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Armin.
Armin
1,025 reviews
35 followers

Follow
April 29, 2017
A genius gets down on his knees or all fours for the sake of money and babbles about God to the little ones. Pious arts and crafts for the shelf, only for simple minds who want to read and understand something by a great poet.
dl-fds-decadence

5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Lavinia.
Lavinia
748 reviews
949 followers

Follow
August 4, 2015
How did the thimble become God

When you left the window, the evening clouds were still in the sky. They seemed to be waiting. How about telling them a story too? You propose to them. But they didn't hear me. To make them understand me and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us, I shouted: "I am, like you, an evening cloud." They also stopped and seemed to be looking at me. Then they spread their fine, bright, reddish wings towards me. This is how the evening clouds are usually greeted. They had recognized me.

"We are above the earth," they said, "more precisely above Europe, and you?" I screamed: "I see a country below..." "How is it?" they hurried to ask me. "So, like an insert mixed with things..." "That's all Europe," laughed a young man. "Maybe," you said, "but I've constantly heard that things in Europe are dead." "Of course I do," observed another with disdain. "what nonsense this would be: living things!" "Well", I insist, "mine live. So that's the difference. They can take different forms and a thing that came into the world as a sheet or as a stove has no reason to despair that tomorrow it will become something better. A plaivaz can end up once and for all, if it goes well, a stick, a mast, a fireplace or even a city gate."

"Evening cloud, you seem a bit rude to me", said the nephew who had expressed himself so little respectfully before. A dark cloud is afraid that he has somehow offended me: "I'm kind of strong", he tries to sweeten her, "I was once above a small German principality and even to this day I can't believe that it was part of Europe." They thank him and say: "From what I see, we will hardly be able to understand each other. Allow me to tell you what I saw under me recently; it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thing." "Please," agreed the wise old cloud as if on behalf of everyone. I began: "There are people in a room. You must know that I see them from above and that's why they appear to me like children; so I will say simply: children. Therefore: there are children in a room. Two, five, six, seven children. It would take too long to ask me their names. And then, the children seemed to be discussing something very heated; on this occasion, each name is given to the face, slowly, slowly. They sit like that for a while, because the most senior among them (I hear his name is Hans) says as if finishing the conversation: A little pause, then Hans also answers: < It is not mentioned anywhere. I, for my part, and because I'm a bit big, I happily leave those rascals with kites to mess with them, but, anyway, they tell us that they're fairies, dwarves, princes and monsters of all kinds the variety. > < I have an aunt >, said a little girl, < who tells me from time to time....> < Ah, what >, cuts Hans short, < aunts don't matter, they tell lies.> This bold and unchallenged statement intimidates the whole assembly. Hans continues: <And before anything else it is about the parents because they somehow have the duty to teach us these things; from the others it is more a kindness. You can't ask them for it. Do you notice what our parents do? They walk around with gloomy and angry faces, nothing goes their way, they shout and sweat and - the climax! - they are so careless that, if their world were to perish, they would not notice. They have something they call ideals. Maybe these are also a kind of small children, whom I cannot leave alone and who give them a lot of work; but then he didn't have to have us. I, children, think like this: it is sad, of course, that parents forget about us. We, however, would endure everything, if it were not a proof that the adults are fooling themselves, I give back if you can say that. We cannot stop their decay; because we, as it's high school, don't have time to have any trouble with them, and when we come back late from school, no one asks us to learn something by heart. And it hurts you when you sit and sit by the light of the lamp and your mother doesn't even understand the Pythagorean theorem. You see, that's right. The big ones are going to fool themselves more and more... damage to mushrooms, what do we have to lose? Education? They take off their hats, one in front of the other, and if a bald patch happens to show, they burst out laughing. They also know this much: to laugh.If we weren't so stubborn as to complain from time to time, there wouldn't be any success in these things either. And on top of that, I'm so conceited: I even believe something like this, that the emperor is an old man. I read in the newspapers that the king of Spain is a child - that's how it is with all kings and emperors - don't let yourself be pulled! But besides all the superfluous things, the great still have something that we cannot remain indifferent to: the Good God. I haven't really seen it on anyone - but that's exactly what I suspect. They lost him somewhere, distracted, busy and in a hurry as they are. But he is something we absolutely need. Without it, many things cannot happen, the sun cannot rise, children cannot come into the world, and bread, too, is perfect. Even if the baker takes it out, still the Good God is the one who plants and turns the big mills. For many reasons the Good God is something we need. But one thing is certain: the adults don't care about it, so we, the children, have to solve it. We are only seven children. Everyone should carry the Good God for a day and thus the whole week will be with us and we will always know for sure where he is. >

A great confusion arises here. How is this going to happen? Can you take the Good God in your hand and put it in your pocket? In relation to this, a little one told: < I was alone in the room. A small lamp was burning next to me and I was sitting in bed saying my evening prayer out loud. Something moves in my joined hands. It was soft and warm, and small like a kitten. I could not detach my hands, because the prayer had not yet ended. But I was very curious and I prayed very fast. Then, at Amin, he did so (the little one stretched out his hands and spread his fingers), but there was nothing in his hands.>

Anyone could imagine that. Even Hans doesn't know how to give any advice. Everyone was looking at him. And suddenly he said: < This is foolishness. Anything can be God. Just tell him. > He turned to the one sitting next to him, a boy with red hair. Slowly, slowly, the others were also penetrated by this truth. < But we need a small object, which you can take with you everywhere, otherwise it makes no sense. Empty your pockets!> And now very strange things appear: pieces of paper, brushes, erasers, quills, strings, pebbles, screws, whistles, chopsticks and many others that cannot be seen well from afar or from whose name escapes me. And all these things sat in the children's hands, frightened as if by the rash thought that they could become the Good God, and whichever of them was able to shine, shone to please Hans. The choice of sovai for a long time. Finally, little Resi had a thimble that she had once taken from her mother. He shone like silver and because of his beauty he became the Good God. Hans took him with him, because he started the row and all the children followed him all day and were proud of him. Only with difficulty they agreed who should wear it and then Hans, in his foresight, decided the program for the whole week, so that no more quarrels would arise.

This arrangement turned out to be unusually well thought out. The one who had the Good God could recognize himself at a glance. Because that one walked more slowly and solemnly, and made a face as if on Sunday. For the first three days, the children did not talk about anything else. At any moment he asked someone to see the Good God and if the thimble, the sound of his high dignity, had not changed in any way, everything that was in the thimble now seemed only a modest garment for the real creature. Everything was going in order. Paul had it on Wednesday, little Anna on Thursday. Saturday arrived. The children were playing catch and were flying around the pile when Hans suddenly shouted: Everyone stopped in place. Each looked at the other. No one remembered seeing the thimble for two days. Hans counted who was in line and left: little Marie. And now, without much ado, little Marie was asked to bring out the Good God. What was there to do? The little girl rummaged through her pockets. Only now did he remember that he had received it in the morning; but now it was gone, maybe he had lost it while playing. And when the children went home, the little girl stayed in the clearing, looking. The grass was tall. Passers-by asked her twice if she had lost something. The child answered: <A thimble>, and searched. People did the same for a while, but soon they hated looking for it and one of them advised her while leaving: "You better go home, you can buy a new one." > But Marie is looking further. The clearing became more and more lonely in the twilight and the grass started to get wet. Then another passer-by arrived. He bent down and asked the child: < What are you looking for? > Now Marie answered, almost bursting into tears, but she was bold and said: < By God. > The stranger smiled, took her by the hand and she let herself go as if now everything was going well. On the way, the stranger said to him: <Look what a beautiful thimble I found today.>"

The evening clouds were still impatient. Now the old cloud, which at this time had grown to its fullest, turned to me: "Excuse me, I could know the name of the country above..." But the other clouds were hurrying laughing towards the depths of the sky and dragging the old man behind them.
2008
 
fiction
 
short-stories

4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qwerty.
qwerty
53 reviews
28 followers

Follow
December 30, 2019
What were these stories REALLY? I still haven't been able to realize after a while what it was that I read. It was definitely something new for me. It was a presentation of God in a brilliant way, perhaps one of the most brilliant writers who ever lived. They were thought-provoking stories, in a similar way to Mr. K's Stories. of the great Brecht. There is no way someone will read one without taking at least 2-3 days to think before moving on to the next. They also require full attention, if one does not read them with 100% concentration, one is not going to fully grasp the meaning one should grasp. The only thing certain, as another girl wrote, is that even the second reading is not enough. Maybe the third!
favorites

1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ely.
deli
449 reviews
268 followers

Follow
March 14, 2018
This was a relaxing, lovely and nice read.
Every chapter is a short story though the main character is always the same and we meet some characters also in other chapters. This main character tells stories about God, though not stories we are used to. In some stories God is not metioned so it's up to the reader to find him. He tells these stories to adults, saying them to retell them to children. Why? Because they are the only ones that can understand these stories, and that can see God in them. Not only children, but also artists and poets, humble, poor or sick people are those who are closer to God. And it's through children, poets and poor people that we can "meet" God.
Really lovely stories that I should reread someday.
0-czech-republic
 
ebook

4 likes
Posted by Sejin at May 13,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Posts (Atom)

Directory Page

  • Home

Blog Archive

  • ▼  2025 (556)
    • ▼  September (52)
      • 궁핍한 시대의 시인 | 김우창 전집 1 | 김우창 | 알라딘
      • Romantic Love and the Self in Early Modern Kor Lit...
      •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6) 인문주의, 인간과 삶에 대한 질문 : 이어령과...
      • Kim, K. M. (1998).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
      • Kwang-Myung Kim,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an...
      • Kim Uchang - Wikipedia
      • 21년에 걸쳐 찍었다…아흔 노학자의 일상
      • 문학이란 무엇인가?
      • 김우창 사상 안내
      • [Sejin님의 서재] : 알라딘 김우창
      • Ken Wilber and Integral Theory - Kevin R. D. Sheph...
      • Ken Wilber and Integralism; Ken Wilber and Frank V...
      • Perennial Philosophy: Aldous Huxley, Ken Wilber, a...
      • **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영어 + 한글 요약
      • 리처드 로티 - 위키백과, Richard Rorty
      • [과학산책] ‘2인칭 몰입’ 되찾을 집중력의 비밀
      • How long does it take to listen to a 1,000 words a...
      • Yuval Harari’s thought on Israel and the Palestini...
      • “로욜라의 이냐시오와 칼 라너의 ‘초월론적 경험신학’”
      • 이병철 - -튀르키예에서
      • Yuval Noah Harari on Israel, AI, and the future of...
      • Yuval Noah Harari - Wikipedia
      • 조현 - 얼마전 부르더호프 한국공동체에서 연락이 왔다.
      •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 나무위키
      • Integral theory - Wikipedia
      • Transpersonal psychology - Wikipedia
      • Ken Wilber - Wikipedia 일어 + 한역
      • Grace And Grit: Spirituality and Healing in the Li...
      • Kosmic Consciousness by Ken Wilber - Speech - Audi...
      • KEN WILBER -ISRAEL/PALESTINE NOV- 2023
      • * Brief History of Everything Audiobook Content Table
      • The Bible: A Biography : Armstrong, Karen
      •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by Ken Wilber 2 (Ch...
      •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by Ken Wilber 3 Ch...
      •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by Ken Wilber 1 (Ch...
      • The Most Unknown | 2018 Movie | 아홉 명의 과학자가 보여주는 호...
      • Being You: A New Science of Consciousness - Wikipe...
      • The Most Unknown (film) - Wikipedia
      • 내가 된다는 것 - 데이터, 사이보그,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 의식을 탐험하다 아닐 세스 ...
      • Anil Seth - Wikipedia
      • Flowers for Algernon - Wikipedia film Charly
      • 読書大全 - 世界のビジネスリーダーが読んでいる経済・哲学・歴史・科学200冊 : 堀内 勉: Ja...
      •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by Ken Wilber 0
      • Charisma in Buddhism. Piyasilo 1992h | PDF | Pali ...
      • 모든 것의 역사 | 켄 윌버 | 알라딘 + 서평
      • Spiritual evolution - Wikipedia
      • * Studying Ken Wilber《A Brief History of Everythin...
      • 과학과 신성/divine을 함께 추구하기
      • 스리 아우로빈도의 사상
      • 동학 사상과 퀘이커 사상의 비교: 내면의 신성을 향한 두 개의 길
      • [영성의 눈으로 본 동학과 다시개벽] . 김용휘(대구대 교수)
      • Casanova: A Study in Self-Portraiture - Paul, Ceda...
    • ►  August (94)
    • ►  July (139)
    • ►  June (61)
    • ►  May (30)
    • ►  April (17)
    • ►  March (83)
    • ►  February (68)
    • ►  January (12)
  • ►  2024 (1394)
    • ►  December (21)
    • ►  November (40)
    • ►  October (47)
    • ►  September (82)
    • ►  August (105)
    • ►  July (93)
    • ►  June (46)
    • ►  May (76)
    • ►  April (191)
    • ►  March (241)
    • ►  February (245)
    • ►  January (207)
  • ►  2023 (4088)
    • ►  December (154)
    • ►  November (141)
    • ►  October (313)
    • ►  September (371)
    • ►  August (552)
    • ►  July (584)
    • ►  June (523)
    • ►  May (480)
    • ►  April (341)
    • ►  March (180)
    • ►  February (212)
    • ►  January (237)
  • ►  2022 (3375)
    • ►  December (192)
    • ►  November (159)
    • ►  October (154)
    • ►  September (162)
    • ►  August (358)
    • ►  July (445)
    • ►  June (517)
    • ►  May (560)
    • ►  April (327)
    • ►  March (204)
    • ►  February (78)
    • ►  January (219)
  • ►  2021 (3270)
    • ►  December (154)
    • ►  November (223)
    • ►  October (374)
    • ►  September (316)
    • ►  August (252)
    • ►  July (286)
    • ►  June (272)
    • ►  May (302)
    • ►  April (338)
    • ►  March (316)
    • ►  February (212)
    • ►  January (225)
  • ►  2020 (2422)
    • ►  December (228)
    • ►  November (385)
    • ►  October (417)
    • ►  September (270)
    • ►  August (214)
    • ►  July (71)
    • ►  June (161)
    • ►  May (141)
    • ►  April (98)
    • ►  March (142)
    • ►  February (84)
    • ►  January (211)
  • ►  2019 (1234)
    • ►  December (85)
    • ►  November (8)
    • ►  October (98)
    • ►  September (228)
    • ►  August (50)
    • ►  July (76)
    • ►  June (52)
    • ►  May (55)
    • ►  April (111)
    • ►  March (64)
    • ►  February (152)
    • ►  January (255)
  • ►  2018 (587)
    • ►  December (157)
    • ►  November (28)
    • ►  October (22)
    • ►  September (82)
    • ►  August (59)
    • ►  July (13)
    • ►  June (40)
    • ►  May (53)
    • ►  April (48)
    • ►  March (66)
    • ►  February (18)
    • ►  January (1)
  • ►  2017 (188)
    • ►  December (14)
    • ►  November (19)
    • ►  October (4)
    • ►  September (55)
    • ►  August (11)
    • ►  July (38)
    • ►  June (1)
    • ►  April (16)
    • ►  March (11)
    • ►  February (7)
    • ►  January (12)
  • ►  2016 (987)
    • ►  December (53)
    • ►  November (111)
    • ►  October (267)
    • ►  September (70)
    • ►  August (11)
    • ►  July (41)
    • ►  June (92)
    • ►  May (153)
    • ►  April (123)
    • ►  March (66)
  • ►  2015 (6)
    • ►  August (2)
    • ►  July (3)
    • ►  February (1)
  • ►  2013 (1)
    • ►  October (1)

Search This Blog

Labels

  • Ibn Arabi (4)
  • ??? (1)
  • "Body keeps" (643)
  • "centering prayer" (62)
  • "contemplative life" (53)
  • "de Ropp" (2)
  • "Esoteric Christianity" (27)
  • "holy obedience" (30)
  • "inner chapters" (5)
  • "inner christianity" (4)
  • "Sejin Pak" (13)
  • "Shall We Live" (4)
  • "spiritual care" (33)
  • "spiritual practice" (298)
  • "study bible" (8)
  • "김시천 노자 강의 " (27)
  • "의식과 본질" (262)
  • "일본으로 건너간 연오랑" (5)
  • [Directory (2)
  • [spiritual journey (1)
  • [아직도 가야 할 길> 요약 (5)
  • ** (222)
  • *** (2)
  • 120 (2)
  • A.C. Graham (9)
  • Abhidharma (119)
  • Acupuncture (1)
  • adhidhamma (161)
  • AFSC (100)
  • ageing (55)
  • Ajita (3)
  • Alastair McIntosh (1)
  • Aldous Huxley (102)
  • Amartya Sen (13)
  • Ambedkar (30)
  • American (1)
  • Andrew B. Newberg (1)
  • anger (4)
  • Anil Seth (5)
  • Anne Bancroft (4)
  • Anne Marie Schimmel (16)
  • Anthony Manousos (3)
  • archetype (1)
  • Arthur Versluis (4)
  • Aurobindo (1)
  • Australia (5)
  • Australian soul (1)
  • Australian spirituality (1)
  • AVP (10)
  • Basham (4)
  • Beatrice Tinsley (10)
  • Before (4)
  • before triology (4)
  • Bessel A. van der Kolk (1)
  • Bessel Van Der Kolk (19)
  • Beyond Majority Rule (6)
  • beyul (13)
  • bhagavad gita (39)
  • Bible as literature (14)
  • Bill Devall (11)
  • biography (5)
  • body (2)
  • Body remembers (17)
  • Body Score (9)
  • bodymind (16)
  • Brain (1)
  • Brian Greene (5)
  • Brief History of Everything (8)
  • Buddha (3)
  • Buddhism (3)
  • C. S. Lewis (165)
  • calling (1)
  •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5)
  • Camino (1)
  • Care (1)
  • Carl Jung (170)
  • Carl Jung unconscious (65)
  • Cārvāka (2)
  • Change We Must (3)
  • Charlotte Kasl (11)
  • Chi (2)
  • Chikako Ozawa-de Silva (7)
  • Choan-Seng Song (6)
  • Chopra (3)
  • Chris Hedges (1)
  • Christian mysticism (3)
  • Christian pacifism (8)
  • Christian Zen (16)
  • Christianity Made in Japan (15)
  • Christopher Irsherwood (4)
  • Christopher Isherwood (9)
  • Claude Swanson (10)
  • compassion (44)
  • Confucianism (1)
  • contemplative (102)
  • Contemplative Practices (21)
  • cooperative (1)
  • Courage to Teach (1)
  • Course in Miracles (14)
  • Creel H G (10)
  • critics (4)
  • cult (5)
  • Dalai Lama (38)
  • Damasio (26)
  • Daniel Keown (1)
  • Dao (129)
  • Daoism (62)
  • dark matter (4)
  • David Bohm (73)
  • David Karchere (7)
  • David R. Hawkins (16)
  • death (9)
  • Deep Ecology (85)
  • Deepak Chopra (4)
  • deepening (50)
  • Dhammapada (85)
  • Diarmuid O'Murchu (8)
  • DISCIPLINE (3)
  • divine design (13)
  • divine ground (42)
  • Divine Light (1)
  • Doctor Zhivago (8)
  • Doctrine of the Mean (14)
  • Dogen (109)
  • Donald W. McCormick (15)
  • Donna J. Haraway (12)
  • Dorothee Solle (7)
  • Dr Wayne W Dyer (4)
  • dying (1)
  • ecology (2)
  • Ehrenreich (25)
  • Einstein (50)
  • Elton Trueblood (7)
  • emdr (24)
  • Emerson (159)
  • Émile Zola (1)
  • Emissaries (25)
  • Emissaries of Divine Light (2)
  • emotion (1)
  • emotionalism (1)
  • energy (1)
  • Engaged Buddhism (86)
  • Enneagram (11)
  • Enomiya-Lassalle (8)
  • Erwin Schrodinger (9)
  • Eternal Promise (1)
  •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12)
  • existential Jesus (5)
  • faith (50)
  • Feminism (1)
  • Fenelon (3)
  • fingarette (8)
  • Fiona Gardner (15)
  • Fit (2)
  • Forgiveness (1)
  • Francis S Collins (6)
  • Fusus Al-Hikam (1)
  • Gandhi (29)
  • gardening (1)
  • Garfield (12)
  • Garma Chang (13)
  • Gloriavale (3)
  • God (5)
  • Goddess (1)
  • Goddesses (2)
  • Great Courses (93)
  • Great World Religions (1)
  • Gretchen Rubin (5)
  • Grundtvig (61)
  • Grundtvig2 (3)
  • Gut (2)
  • gut microbiome (23)
  • Hakuin (3)
  • Hans-Georg Moeller (14)
  • happiness chemicals (1)
  • Hari Prasad Shastri (3)
  • Head & Heart Together (311)
  • Headspace (1)
  • healing (2)
  • Healing Touch (2)
  • Health (1)
  • Heinrich (9)
  • Henri Nouwen (22)
  • Heup-young Kim (2)
  • Hew Len (4)
  • Hindu (12)
  • Hinduism (69)
  •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illich (14)
  • Ho’oponopono (4)
  • Hoʻoponopono (11)
  • holy indifference (42)
  • holy spirit (99)
  • Homosexuality (8)
  • how to know god (2)
  • Huayen (102)
  • Humor (5)
  • Huston Smith (86)
  • Huxley (1)
  • Hwa Yen (101)
  • Hwa Yen Buddhism (101)
  • Hwayen (102)
  • Hyun Ju Kim (1)
  • Ibn Al-Arabi (2)
  • Ibn Arabi (133)
  • Identity (1)
  • Ikeda (7)
  • ikigai (32)
  • Ilchi (61)
  • Ilia Delio (11)
  • India (17)
  • Indian (16)
  • Indian Cultural History (4)
  • Indian materialism (2)
  • Indian philosophy (81)
  • Indian philosopy (1)
  • indifference (99)
  • indigeneous (4)
  • Inner light (1)
  • Integral theory (11)
  • integrative (2)
  • Integrative Medicine (2)
  • Interbeing (53)
  • interspirituality (4)
  • Intro 해설 (2)
  • Ishida Baigan (1)
  • Ishvara (1)
  • Islam (421)
  • Israel (1)
  • Japan Quaker (50)
  • Japanese Buddhism (3)
  • Japanese philosophy (72)
  • Jean Améry (7)
  • Jesus (1)
  • Johan Galtung (6)
  • John B Cobb Jr (24)
  • John Carroll (5)
  • John Howard Yoder (2)
  • John Lennon (24)
  • John Lie (1)
  • John O'Donohue (7)
  • John Woolman (19)
  • Joseph Goldstein (1)
  • K. M. Sen (2)
  • Kabat-Zinn (93)
  • Kang-nam Oh (50)
  • Karen Armstrong (37)
  • Karl Rahner (50)
  • Karma (17)
  • Kelly [Book] (1)
  • ken wilber (26)
  • Kenneth Boulding (50)
  • Ki (2)
  • Kohei Saito (8)
  • Komjathy (7)
  • Komjathy. Daoist Tradition (17)
  • Korea (1)
  • Korea Quaker (126)
  • Korean Buddhism (11)
  • kukai (45)
  • leading (2)
  • Lecture Mystic Traditions (12)
  • Leonard Swidler (10)
  • Lessons In Truth (12)
  • Lessons In Truth Book (13)
  • Life force (10)
  • LIght (1)
  • lokāyata (4)
  • Losing Ourselves (2)
  • Lotus Sutra (28)
  • Louis Massignon (7)
  • Luke Timothy Johnson (21)
  • M. Scott (1)
  • Marcus J Borg (10)
  • Marie De Hennezel (7)
  • Marina Schwimmer (4)
  • Mark W. Muesse (1)
  • Mary Magdalene (7)
  • materialism (2)
  • Matt Haig (3)
  • Matthieu Ricard (18)
  • Meaning (1)
  • Meaning of Life (13)
  • Medicine (2)
  • Meditation (1)
  • Meeting for Learning (26)
  • Meister Eckhart (60)
  • Mennonite (91)
  • Merton (1)
  • meta religion (3)
  • Michael Talbot (6)
  • Mieko Kamiya (4)
  • mindbody (11)
  • mindfulness (542)
  • mindfulness* (7)
  • Moana (3)
  • Mondragon (1)
  • Montgomery (5)
  • Moral action (1)
  • Mu Soeng (5)
  • Muhammad (1)
  • Mukunda Rao (11)
  • mystical (1)
  • mysticism (4)
  • Nagarjuna (4)
  • Naikan (31)
  • namarupa명색 (2)
  • name of the rose (6)
  • Namgok Lee (101)
  • Namgok Lee 이남곡 (22)
  • Namgok Leem (50)
  • Nana Veary (3)
  • Nei Gong (33)
  • Neil MacGregor (1)
  • New Thought (81)
  • Nietzsche (2)
  • Nishida Kitaro (1)
  • NK (68)
  • Noah (4)
  • Noble Strategy (51)
  • Non-Believer (1)
  • Non-Duality (1)
  • non-theism (1)
  • Non-violence (1)
  • nontheism (1)
  • nontheism nontheistic (57)
  • Nontheist Quakers (59)
  • nontheistic (1)
  • nuclear power (100)
  • Nyaya (1)
  • Os Cresson (17)
  • Osho (10)
  •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10)
  • Panentheism (1)
  • Panikkar (5)
  • Pankaj Mishra (4)
  • Paramahansa Yogananda (5)
  • Parker Palmer (60)
  • Parkere Palmer selection (14)
  • Patanjali (14)
  • Peace (14)
  • peace studies (5)
  • People of the Lie (2)
  • perennial (118)
  • perennial phil (1)
  • Perennial Philosophy (1)
  • Perennial Philosophy Bk (33)
  • PerennialSufi (19)
  • Phenomenon of Man (10)
  • Phil Gulley (17)
  • Philip Sheldrake (6)
  • Philo Kalia (1)
  • Philo Kalia 심광섭 (32)
  • Pierre Claverie (5)
  • pilgram (198)
  • Pilgrimages in Japan (1)
  • plague virus pendemic (15)
  • Pleiadian (15)
  • pneuma (48)
  • Prabhavananda (8)
  • prayer (1)
  • psyche (149)
  • qi (1)
  • Qigong (96)
  • Quaker (33)
  • Quaker Australia (1)
  • Quaker indigenous (1)
  • Quaker missionary (1)
  • Quaker retreat (133)
  • Quaker retreat projects (36)
  • Quaker studies (5)
  • Quaker Sufi (35)
  • Quaker universalism (29)
  • Quakerism (64)
  • Quakersufi (2)
  • Quantum mysticism (12)
  • Qui Gong (33)
  • Radhakrishnan (2)
  • Ramakrishna (4)
  • Real Zen for Real Life (13)
  • Rebellion (1)
  • Reincarnation (52)
  • religion (4)
  • Religions of the Axial Age (2)
  • René Girard (1)
  • Rene Guenon (16)
  • Rex Ambler (1)
  • Riane Eisler (4)
  • Richard Rohr (39)
  • Richard Smoley (7)
  • Rick Hanson (1)
  • Rinpoche (55)
  • Road less travelled (7)
  • Robert E. Buswell (13)
  • Robert Powell (10)
  • Robert Wright (42)
  • Rodney Stark (2)
  • Roger Scruton (20)
  • Romain Rolland (6)
  • Rumi (159)
  • SA (2)
  • sabda (2)
  • Śabda Brahman (1)
  • Sacred Texts (9)
  • Sallie B. King (52)
  • Samkhya (6)
  • Samsara (4)
  • Sankara (10)
  • Satish Kumar (15)
  • scandal (3)
  • Schleiermacher (7)
  • Schweitzer (8)
  • science spirituality (125)
  • Scott Jeffrey (7)
  • Scott Peck (44)
  • sefirot (8)
  • SGI (41)
  • shade (1)
  • Shankara (10)
  • Shanti Sadan (1)
  • Sheeran (7)
  • Shingon (51)
  • Shingon Buddhism (1)
  • Shinji Takahashi (8)
  • Shinto (12)
  • Shoko Yoneyama (4)
  • Shri Shankara (1)
  • shusaku endo (18)
  • Soil (5)
  • Song of God (9)
  • Spinoza (147)
  • spirit (1)
  • spirit possession (1)
  • spiritual gift (5)
  • spiritual practice (100)
  • Spirituality (213)
  • SQ 21 (2)
  • Starseeds (6)
  • Stefan Zweig (59)
  • Stephen Batchelor (48)
  • Stephen Cope (4)
  • Stephen Mitchell (1)
  • Steve Smith (5)
  • Steve Taylor (55)
  • Steven Katz. (1)
  • Subhash C. Kashyap (1)
  • Sue Hamilton (3)
  • Sufism (334)
  • Sufism and Taoism (4)
  • Sufism Intro (24)
  • Sumanasara (9)
  • Sun Myung Moon (45)
  • Swami Bhaskarananda (2)
  • Swami Mukundananda (1)
  • Swami Rama (9)
  • Swami Tadatmananda (6)
  • Swami Vivekananda (14)
  • Swedenborg (3)
  • Tae-Chang Kim (4)
  • Taechang Kim (36)
  • Tagore (32)
  • Tai Chi (2)
  • Taichi (1)
  • Tajalli (3)
  • Tao (3)
  • Tao Te Ching translation (12)
  • Taoism (148)
  • Taoism_Intro (15)
  • Teilhard de Chardin (32)
  • Tenzin Palmo (7)
  • Testament of Devotion (9)
  • Testment of Devotion (1)
  • Ṭhānissaro (13)
  • The "Philosophy of the Daodejing" (2)
  • The Body Keeps (2)
  • The Chosen TV drama (10)
  • The Courage to Teach (7)
  • The Meaning of Life (1)
  • The Razor's Edge (9)
  • The Road Less Traveled (2)
  •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1)
  • The Unity of Being (16)
  • The Way of Chuang Tzu (1)
  •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7)
  • Thich Nhat Hanh (210)
  • third Jesus (1)
  • Thomas Berry (20)
  • Thomas Kelly (1)
  • Thomas Mann (2)
  • Thomas Merton (160)
  • Thomas Moore (9)
  • Thomas R. Kelly (126)
  • Thomas Raymond Kelly (1)
  • Thomas Sowell (6)
  • Thoreau (100)
  • Tibet (1)
  • Timothy Morton (30)
  • Tolstoy (43)
  • Toshihiko Izutsu (113)
  • Toshihiko Izutsu Sufism And Taoism (50)
  • transcendentalism (63)
  • Transpersonal (61)
  • trauma (104)
  • Tuesdays with Morrie (6)
  • Tulshuk Lingpa (4)
  • U. G. Krishnamurti (19)
  • Uddalaka (3)
  • Umberto Eco (6)
  • unconscious (1)
  • unification (1)
  • unitarian (3)
  • unitive knowledge of God (64)
  • Unity (2)
  • Unity Church (2)
  • universalism (1)
  • upanishads (7)
  • Ursula K. Le Guin (1)
  • Val Plumwood (9)
  • Ved Mehta (10)
  • Vedanta (22)
  • Vicki Mackenzie (1)
  • Vipassanā (36)
  • Vivekananda Biography (4)
  • Volunteer (23)
  • volunteer (240)
  • Waḥdat al-wujūd (19)
  • Wahiduddin (5)
  • Wakamatsu Eisuke (1)
  • Wayne Teasdale (4)
  • Welch Jr. (50)
  • Well (1)
  • Western Sufism (2)
  • When Nietzsche Wept (7)
  • Wherever You Go (1)
  • Wild God (2)
  • Will Durant (8)
  • Witness Lee (7)
  • Yalom (26)
  • Yamaga Sokō (1)
  • Yasuo Yuasa (20)
  • Yijing (1)
  • Yoga (93)
  • Yoga sutra (9)
  • Yoga Sutras of Patanjali (9)
  • Yuval Noah Harari (2)
  • zen (1)
  • Zen Buddhism (1)
  • Zhuangzi (5)
  • 가미야 미에코 (11)
  • 강민창 (2)
  • 강상중 (3)
  • 강유원 (1)
  • 개벽의 사상사 (1)
  • 격물궁리 (33)
  • 경의 敬義 (1)
  • 고인수 (3)
  • 공 空 (100)
  • 공 空 sunyata (12)
  • 공공철학 (78)
  • 공해 (42)
  • 관념론 (43)
  • 관음 (62)
  • 교토학파 (45)
  • 구카이 (15)
  • 국선도 (54)
  • 권근 (1)
  • 귀신사생론 (1)
  • 그룬트비 (61)
  • 근친상간 incest (3)
  • 기공 호흡법 (5)
  • 기세춘 (14)
  • 기수련 (66)
  • 기철학 (10)
  • 기측체의 (1)
  • 기치료 (41)
  • 기학 (2)
  • 길희성 (9)
  • 김동춘 (12)
  • 김복기 (1)
  • 김상일 (33)
  • 김상준 (3)
  • 김성갑 (5)
  • 김성례 (11)
  • 김성수 (45)
  • 김승혜 (17)
  • 김시천 (35)
  • 김연숙 (3)
  • 김영민 (12)
  • 김용옥 (13)
  • 김용환 (44)
  • 김정현 (3)
  • 김조년 (62)
  • 김종건 (3)
  • 김지하 (100)
  • 김태영 (2)
  • 김태완 (3)
  • 김태창 (118)
  • 김태창 일기 (14)
  • 깊은 강 (7)
  • 깊은강 (2)
  • 깨달음 (148)
  • 나우웬 (5)
  • 남명 조식 (7)
  • 내관법 (10)
  • 노길명 (10)
  • 노자 (100)
  • 농업 (44)
  • 니시타니 케이지 (1)
  • 니체 (4)
  •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1)
  • 다산 (1)
  • 다카하시 신지 (30)
  • 단군 (2)
  • 단월드 (71)
  • 단학 (3)
  • 달라이 라마 (2)
  • 대장암 Bowel cancer (6)
  • 대종경 (1)
  • 대행스님 (6)
  • 데이비드 호킨스 (16)
  • 덴마크 (62)
  • 도덕경 (317)
  • 도마복음 (1)
  • 도법 (181)
  • 도법2 (5)
  • 도사카 준 (4)
  • 도승자 (2)
  • 도영인 (2)
  • 동경대전 (1)
  • 동양포럼 (46)
  • 동학 (2)
  • 들뢰즈 (4)
  • 러시아적 (3)
  • 로고스 (92)
  • 로카야타 (2)
  • 류경희 (9)
  • 마고 (1)
  • 마성 (8)
  • 마스노 슌묘 (6)
  • 마음공부 (124)
  • 마이스터 엑카르트 (13)
  • 만달라 (85)
  • 만달라 만다라 mandala (67)
  • 메이지의 그늘 (5)
  • 명리학 (1)
  • 명상 (787)
  • 모리시타 나오키 (4)
  • 모리오카 마사히로 (11)
  • 목민심서 (1)
  • 몸은 기억한다 (18)
  • 몸은 안다 (13)
  • 몽골생태영성순례 (5)
  • 무교 (1)
  • 무당 (133)
  • 무묘앙 (26)
  • 문선명 (66)
  • 문선명 사상 (1)
  • 문선명 통일교 (108)
  • 문수신앙 (5)
  • 문화영 (33)
  • 미생물 (103)
  • 밀의 종교 (1)
  • 밀의종교 (1)
  • 바가바드 기타 (44)
  • 박규태 (1)
  • 박길수 (1)
  • 박미라 (5)
  • 박보희 (11)
  • 박석 (36)
  • 박석 인문학 (1)
  • 박성수; 연오랑 (1)
  • 박성준 (23)
  • 박영재 (6)
  • 박재찬 (6)
  • 박정미 (4)
  • 박진여 (13)
  • 반성과 행복 (1)
  • 백낙청-박맹수-김용옥 (6)
  • 백승종 (18)
  • 버스웰 (2)
  • 벌레 이야기 (1)
  • 법구경 (33)
  • 법륜 (48)
  • 법화경 (21)
  • 베단타 (3)
  • 보은 (1)
  • 보현TV (3)
  • 부도지 (1)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4)
  • 북한 (68)
  • 북한농업 (44)
  • 북한지리 (5)
  • 불광선인(佛光仙人) (1)
  • 불교 (2)
  • 불교와 기독교 (1)
  • 불필스님 (1)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6)
  • 빌게이츠 (5)
  • 빙의 (1)
  • 산수화(山水畵) (4)
  • 산자야 (5)
  • 삼국유사 (1)
  • 삼족오 (21)
  • 상카라 (10)
  • 상키야 (6)
  • 생명 (1)
  • 생명농업 (5)
  • 샤만 (1)
  • 샤먼 (1)
  • 샹카라 (10)
  • 서경덕 (19)
  • 서정록 (14)
  • 선과 그리스도교 (2)
  • 선도 (6)
  • 선도체험기 (2)
  • 선도회(禪道會) (3)
  • 선옥균 (2)
  • 선옥균 악옥균 (6)
  • 성덕도 (21)
  • 성령 (150)
  • 성리학 (1)
  • 성학십도 (1)
  • 세피로트 sefirot (15)
  • 소노 아야코 (4)
  • 소태산 (148)
  • 소학 (60)
  • 송규 (7)
  • 송기득 (1)
  • 송정산 (6)
  • 송천성 (6)
  • 수련문화 (24)
  • 수선재 (20)
  • 수피즘 (118)
  • 수행 (101)
  • 숭산 (21)
  • 슈테판 츠바이크 (34)
  • 스콧 펙 (35)
  • 스티브 테일러 (8)
  • 스피노자 (3)
  • 신기통 (5)
  • 신내림 (25)
  • 신라불교 (1)
  • 신비 종교 (1)
  • 신비주의 종교 (1)
  • 신선사상 (1)
  • 신은희 (4)
  • 심광섭 (32)
  • 심광섭 신비주의 (4)
  • 심상 (40)
  • 심중식 (9)
  • 아나밥티스트 (42)
  • 아비달마 (50)
  • 아비담마 (100)
  • 아지타 (3)
  • 아직도 가야 할 길 (14)
  • 아카마쓰 아키히코 (1)
  • 야규 마코토 (66)
  • 야기 세이이치 (1)
  • 야마기시 (12)
  • 야마기시즘 (19)
  • 양명학 (47)
  • 양생도인법 (1)
  • 어윤형 (2)
  • 에노미야 라쌀 (8)
  • 엔도 슈사쿠 (37)
  • 역경 (11)
  • 연오랑 (1)
  • 영성 (1)
  • 영성 신학 (2)
  • 영혼의 탈식민지화 (16)
  • 예술신학 (1)
  • 오강남 (71)
  • 오구라 기조 (28)
  • 오대산 (5)
  • 오비츠 료이치 (4)
  • 오카다 다카시 (8)
  • 오카다 타카시 (11)
  • 와카마쓰 에이스케 (2)
  • 와카마츠 에이스케 (2)
  • 외경 畏敬 (2)
  • 요가 (1)
  • 우리는 누구인가 (13)
  • 웃다라카 (3)
  • 원불교 (239)
  • 원자력 (42)
  • 원전 (79)
  • 원주민 영성 (2)
  • 원톄쥔 (7)
  • 원효 (254)
  • 위안부 (124)
  • 유교페미니즘 (1)
  • 유동식 (72)
  • 유사역사학 (7)
  • 유사종교 (30)
  • 유상용 (15)
  • 유지 크리슈나무르티 (22)
  • 윤정현 (13)
  • 윤홍식 (1)
  • 윤회 (67)
  • 율려 (1)
  • 은혜철학 (9)
  • 의식과 본질 (14)
  • 의식의 단계 (149)
  • 의식의 지도 (3)
  • 이기상 (28)
  • 이나모리 가즈오 (5)
  • 이나모리 카즈오 (6)
  • 이남곡 (52)
  • 이대섭 (2)
  • 이도흠 (20)
  • 이만열 (1)
  • 이명권 (5)
  • 이병철 (86)
  • 이부영 (21)
  • 이븐 아라비 (1)
  • 이슈바라 (1)
  • 이승헌 (102)
  • 이시다 바이간 (1)
  • 이시형 (8)
  • 이신(李信) (7)
  • 이은선 (43)
  • 이인우 (4)
  • 이정배 (65)
  • 이정우 (7)
  • 이종만 포럼 (6)
  • 이종철 (3)
  • 이종희 (11)
  • 이즈쓰 도시히코 (98)
  • 이즈쓰 토시히코 (1)
  • 이찬수 (111)
  • 이청준 (1)
  • 이케다 (20)
  • 이키가이 (32)
  • 이해인 (28)
  • 이행우 (17)
  • 이현주 (38)
  • 이황 (12)
  • 인도철학 (50)
  • 인류세 (57)
  • 인중무과론 (1)
  • 인중유과론 (1)
  • 일리아 델리오 (11)
  • 일본 이데올로기론 (4)
  • 일본 주자학 (1)
  • 일본 철학 (1)
  • 일본불교 (5)
  • 일본인식 (1)
  • 일본적 영성 (16)
  • 일본종교 (1)
  • 일본철학 (10)
  • 일지 (39)
  • 잃어버린 초월 (1)
  • 임건순 (10)
  • 임상 종교사 (20)
  • 임천고치(林泉高致) (7)
  • 입학도설 (1)
  • 자천의학 (5)
  • 장 아메리 (7)
  • 장내미생물군 (23)
  • 장자 (364)
  • 장태원 (2)
  • 장회익 (1)
  • 재산 (1)
  • 적의 계보학 (14)
  • 전생 (21)
  • 전창선 (2)
  • 정경희 (3)
  • 정리 (6)
  • 정산종사 (1)
  • 정세윤 Sea-Yun Pius Joung (6)
  • 정약용 (3)
  • 정웅기 (5)
  • 정창용 (2)
  • 정채현 (1)
  • 정호진 (5)
  • 조선사상사 (11)
  • 조성택 (30)
  • 조성환 (121)
  • 종교간 대화 (5)
  • 주역 역경 I Ching (122)
  • 주요섭 (18)
  • 죽음 (24)
  • 죽음 공부 (1)
  • 중용 (14)
  • 지구유학 (1)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1)
  • 지성수 (9)
  • 진언종 (51)
  • 창가학회 (45)
  • 천부경 (101)
  • 천지인 (1)
  • 천황가 (2)
  • 초기불교 (77)
  • 최민자 (29)
  • 최재목 (16)
  • 최준식 (64)
  • 최진석 (11)
  • 최한기 (82)
  • 최현민 (32)
  • 출가의 공덕 (4)
  • 츠시모토 소군 (5)
  • 침구 (48)
  • 침구학 (14)
  • 카르마 (16)
  • 카마다 토지 (9)
  • 칼 라너 (2)
  • 켄 윌버 (19)
  • 쿠바 (3)
  • 퀘이커 (197)
  • 큐바농업 (17)
  • 크리슈나무르티 (1)
  • 크릴 (8)
  • 타오 (1)
  • 탈원전 (8)
  • 태허설 (1)
  • 텅비움 (2)
  • 통불교 (11)
  • 통일교 (77)
  • 퇴계 (1)
  • 투리야 turiya (5)
  • 트라우마 (116)
  • 파커 파머 (6)
  • 팔정도 (31)
  • 폴 틸리히 (34)
  • 풍류신학 (10)
  • 플럼우드 (1)
  •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1)
  • 하늘철학 (1)
  • 하인리히 (5)
  • 한국 메노나이트 (42)
  • 한국 퀘이커 (105)
  • 한국선도 (4)
  • 한국철학 (1)
  • 한국퀘이커 (116)
  • 한스-게오르크 묄러 (1)
  • 한윤정 (99)
  • 한자경 (21)
  • 함석헌학회 (1)
  • 허우성 (26)
  • 허호익 (40)
  • 혜강 (1)
  • 호모 쿠란스 (5)
  • 홍대선 (2)
  • 홍신자 (7)
  • 홍인식 (9)
  • 화엄 (102)
  • 화엄 華嚴 (102)
  • 화쟁 (10)
  • 화쟁2 (1)
  • 화쟁기호학 (1)
  • 환단고기 (37)
  • 훈육 (3)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15)
  • グルントヴィ (40)
  • フーゴ・ラッサール (8)
  • 不倫 (8)
  • 井筒俊彦 (87)
  • 対本宗訓 (5)
  • 希修 (150)
  • 幻(환) (2)
  • 惠崗 (1)
  • 日本思想 (1)
  • 柳生真 (1)
  • 森岡 正博 (12)
  • 湯浅 泰雄 (1)
  • 空海 (41)
  • 聖德道 (19)
  • 若松 英輔 (24)
  • 訓育 (3)
  • 高橋信次 (9)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Translate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