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24

Makkhali Gosala - Wikipedia マッカリ・ゴーサーラ Ajivika (philosophical and ascetic movement )

Makkhali Gosala - Wikipedia

Makkhali Gosal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akkhali Gosala
Makkhali Gosala
On the left: Mahakashyapa meets an Ajivika and learns of the Parinirvana[1]
Personal
ReligionFounder of Ajivika
The views of six śramaṇa in the Pāli Canon
(based on the Buddhist text Sāmaññaphala Sutta1)
Śramaṇaview (diṭṭhi)1
Pūraṇa
Kassapa
Amoralism: denies any reward or
punishment for either good or bad deeds.
Makkhali
Gośāla

(Ājīvika)
Niyativāda (Fatalism): we are powerless;
suffering is pre-destined.
Ajita
Kesakambalī

(Lokāyata)
Materialism: live happily;
with death, all is annihilated.
Pakudha
Kaccāyana
Sassatavāda (Eternalism):
Matter, pleasure, pain and the soul are eternal and
do not interact.
Nigaṇṭha
Nātaputta

(Jainism)
Restraint: be endowed with, cleansed by
and suffused with the avoidance of all evil.2
Sañjaya
Belaṭṭhiputta

(Ajñana)
Agnosticism: "I don't think so. I don't think in that
way or otherwise. I don't think not or not not."
Suspension of judgement.
Notes:1. DN 2 (Thanissaro, 1997; Walshe, 1995, pp. 91-109).
2. DN-a (Ñāṇamoli & Bodhi, 1995, pp. 1258-59, n. 585).
 

Makkhali Gosala (PāliBHS: Maskarin Gośāla; Jain Prakrit sources: Gosala Mankhaliputta) or Manthaliputra Goshalak (b. about 523 BCE) was an ascetic ajivika teacher of ancient India. He was a contemporary of Gautama Buddha, the founder of Buddhism, and of Mahavira, the last and 24th Tirthankara of Jainism.

Sources[edit]

















Details about Gosala's life are sparse. All of the available information about Gosala and about the Ājīvika movement generally comes from Buddhist and Jain sources. As Gosala's teachings appear to have been rivals of those of the Buddhist and Jain leaders of his day, this information is regarded by most scholars as being overtly influenced and coloured by sectarian hostilities.

Two primary sources describe Gosala's life and teaching: the Jain Bhagavati Sutra, and Buddhaghosa's commentary on the Buddhist Sammannaphala Sutta.[2]: 35  The Bhagavati Sutra goes into detail about the career of Makkhali Gosala and his relationship with Mahavira; the Sammannaphala Sutra itself mentions Makkhali in passing as one of six leading teachers of philosophy of the Buddha's day, and Buddhaghosa's commentary provides additional details about his life and teaching.

With regards to his early years, it is related in the Bhagavati[3] that he was born in the settlement Saravana, in the vicinity apparently of the city of Savatthi.(Shravasti, Uttar Pradesh)[4] He came of low parentage. His father was a Mankhali, i . e., a mendicant who earned his livelihood by showing a picture which he carried in his hand. Once on his wanderings Mankhali came to Saravana and failing to obtain any other shelter, he took refuge for the rainy season in the cowshed(Gosala) of a wealthy Brahman Gobahula, where his wife Bhadda brought forth a son who became famous as Gosala Mankhaliputta. When grown up, he adopted the profession of his father, that is, of a Mankhali. In his wanderings, Gosala happened to meet the young ascetic Mahavira in Nalanda.

The name 'Gosala' literally means 'cow shed', and both the Bhagavati Sutra and Buddhaghosa claim that Gosala was so named because he was born in a cow shed, his parents being unable to find more suitable lodgings in the village of Saravana.[2]: 36  The Bhagavati Sutra reports that Gosala went on to follow his father's profession, becoming a mankha. Meanwhile, Buddhaghosa claims that Gosala was born into slavery, and became a naked ascetic after fleeing from his irate master, who managed to grab hold of Gosala's garment and disrobe him as he fled.[2]: 37  While it is possible that the broad outlines of Gosala's birth story or early life are correct—that he was born into poverty in a cowshed—it may be equally likely that these versions of his early life were concocted by Buddhist and Jain partisans to bring a rival teacher into disrepute.[2]: 38 

The philosopher's true name seems to have been Maskarin, the Jaina Prakrit form of which is Mankhali and the Pāli form Makkhali. "Maskarin" is explained by Pāninī (VI.i.154) as "one who carries a bamboo staff" (maskara). A Maskarin is also known as Ekadandin. According to Patañjali (Mahābhāsya iii.96), the name indicates a School of Wanderers who were called Maskarins, not so much because they carried a bamboo staff as because they taught "Don't perform actions, don't perform actions, quietism (alone) is desirable to you". The Maskarins were thus fatalists or determinists.[5]

Makkhali Gosala and Mahavira[edit]

A diorama in Jain Museum, Madhuban, Giridih, depicting Gosala attacking Mahavira and his disciples

The Bhagavati Sutra states that Gosala became Mahavira's disciple three years after the start of Mahavira's asceticism, and travelled with him for the next six years.[6][2]: 40  

A commentary to the Jain Avasyaka Sutra provides details of these six years of association, many of them reflecting poorly on Gosala- another likely indication of sectarian bias.[2]: 41–45  Several incidents in the narrative show Mahavira making predictions that then come true, despite Gosala's repeated attempts to foil them. These incidents were likely included in the narrative to provide motivation for Gosala's later belief in the inevitability of fate.[2]: 40  Some of these incidents may in fact have been adapted from Ajivika sources but recast by Jaina chroniclers.[2]: 46 

Another possible adaptation of an Ajivika story is found in Mahavira's explanation of the end of the association between himself and Gosala, recorded in the Bhagavati Sutra.[2]: 48–49  On coming to a plant by the roadside, Gosala asked Mahavira what the fate of the plant and its seeds would be. Mahavira stated that the plant would grow to fruition, and the seed pods would grow into new plants. Determined to foil his master's prediction, Gosala returned to the plant at night and uprooted it. Later, a sudden rain shower caused the plant to revive and re-root itself. Upon approaching the plant again later, Gosala claimed to Mahavira that he would find his prophecy to have been foiled. Instead, it was found that the plant and its seeds had developed exactly as predicted by Mahavira. Gosala was so impressed by the reanimation of the plant that he became convinced that all living things were capable of such reanimation. The terms used in the story of the Bhagavati Sutra for reanimation mimic a technical term for reanimation of the dead that is also found elsewhere in Ajivika doctrine.[2]: 48–49  Mahavira disagreed with this thesis, and this seems to have been the cause of the separation of the two ascetics. Mahavira is, however, later depicted as having rescued Gosala from an attack by an enraged renunciant using magical powers acquired through the practice of austerities; this is claimed to motivate Gosala's pursuit of the same sort of magical powers.[2]: 49–50 

Death[edit]

A. L. Basham dates the death of Gosala in 484 BCE on the basis of Mahavamsa.[7]

In literature[edit]

Gosala appears briefly as a "cameo" character in the 1981 Gore Vidal novel Creation, a fictional account of the Persian Wars of the 5th century BCE, told from the perspective of a widely travelled Persian diplomat, Cyrus Spitama, who is depicted as the grandson of Zoroaster and boyhood friend of Xerxes I. In early adulthood, thanks to his facility with languages, Cyrus is appointed by King Darius I as the Persian ambassador to the kingdoms of India. While travelling across the Subcontinent, Cyrus stops at the city of Mathura, where he is accosted by the Jain sage, who lectures Cyrus about his views on the inevitability of fate, and his disagreements with Mahavira.[8]

'Khanti Kikatia' is a novel focused on the life of Makkhali Gosala, written by Ashwini Kumar Pankaj in the Magahi language.[9]

References[edit]

Citations[edit]

  1. ^ Marianne Yaldiz, Herbert Härtel, Along the Ancient Silk Routes: Central Asian Art from the West Berlin State Museums; an Exhibition Lent by the Museum Für Indische Kunst, Staatliche Museen Preussischer Kulturbesitz, Berlin,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2 p. 78
  2.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Basham, A.L. (2002). History and Doctrines of the Ājīvikas. Delhi,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ISBN 81-208-1204-2.
  3. ^ https://www.jainfoundation.in/JAINLIBRARY/books/agam_05_ang_05_bhagvati_vyakhya_prajnapti_sutra_part01_002130_hr.pdf
  4. ^ https://www.rarebooksocietyofindia.org/book_archive/196174216674_10153031903361675.pdf
  5. ^ Barua 1920, p. 12.
  6. ^ Dundas 2002, p. 29.
  7. ^ Kailash Chand Jain 1991, p. 75.
  8. ^ Gore Vidal, Creation: A Novel (Random House, 1981), pp.189-192
  9. ^ Ashwini Kumar Pankaj, Khanti Kikatia: A Novel based on life and thought of Makkhali Goasala (Pyara Kerketta Foundation, 2018)

Sources[edit]

External links[edit]


===
マッカリ・ゴーサーラ

===
맥칼리 고사라


파리 경전 에 등장하는 사문 [ 1 ] ( 육사 외도 )
사문 [1] 이론 ( 사상 ) [2]
  • 풀라나 카사파 무도덕론, 도덕부정론: 선행도 악행도 없고, 선악 어떠한 보상도 존재하지 않는다.
  • 맥칼리 고사라 ( 아지비카교 ) 운명 결정론 (숙명론): 자기의 의지에 의한 행위는 없고, 일체는 미리 결정되어 있어 정해진 기간 유전하는 정이다.
  • 아지타 케이사 캄버린 ( 순세파 ) 유물론 , 감각론 , 쾌락주의 : 사람은 4대로 이루어져 죽으면 흩어져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선악 어떠한 행위의 보상도 없다고 해, 현세의 쾌락·향악만을 설명한다.
  • 박다 카차야나 ( 상주론자 ) 요소 집합설 : 사람은 땅·물·화·바람의 4원소와 고·락·생명(영혼)의 7개의 요소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들은 불변 부동으로 상호의 영향은 없다.
  • 마하빌라 ( 자이나교 ) 상대주의, 고행주의, 요소 실재설 : 영혼은 영원불멸의 실체이며, 거지·고행생활에서 업의 더러움을 떨어뜨리고 涅槃를 목표로 한다.
  • 산자야 베라티푸타 - 불가지론 , 회의론 : 진리를 그대로 인식하고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판단의 유보.
  • 표이야기편역사





육사외도 六師外道 - 나무위키 막칼리 고살라

육사외도 - 나무위키

육사외도
최근 수정 시각: 2023-12-31 01:57:34
편집토론역사


분류 인도 계통의 종교
六師外道

1. 개요
2. 목록
2.1. 니간타 나타풋타(Nigantha Nataputta) 자이나교의 교주.
2.2. 산자야 벨랏티풋타(Sanjaya Belatthiputta)
2.3. 아지타 케사캄발린(Ajita Kesakambalin)
2.4. 막칼리 고살라(Makkhali Gosala)
2.5. 파쿠다 캇차야나(Pakudha Kaccayana)
2.6. 푸라나 캇사파(Purana Kassapa)

3.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석가모니 붓다와 동시기에 활동했던 사상가 6명과, 그들을 따르는 무리들을 뜻한다. 석가모니는 이들을 외도로 보아 경계하였다. 유교의 대립항으로 양주묵자가 있다면 불교에는 이들이 있다.

당시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에 기초하여 62견(六十二見) 또는 360종 이설(異說)이라 불리는 다양한 사상이 나타났는데, 육사외도는 그 가운데서 (불교 이외에) 가장 세력이 큰 여섯 집단이었다.

"고타마에 의하면 당시의 철학자들은 결국 해결되지 않는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문제로 논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확집(確執)에 사로잡힌 나머지 그 결과로 생각지도 않은 죄악을 범하고 있었다. 고타마는 이와 같은 논쟁은 의의(意義)가 없는 것이라 하여 논쟁에 가담하려고 하지 않았다. 따라서 나와 세계는 상주(常住)한 것인가 혹은 무상한 것인가? 나와 세계는 유한(有限)한 것인가 혹은 무한(無限)한 것인가? 신체와 영혼(靈魂)은 하나인가 혹은 별개의 것인가? 완전한 인격자는 죽은 뒤에 생존하는가 혹은 생존하지 않는 것인가? 등의 질문이 나왔을 때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고 한다(<14無記> 또는 <捨置記>). 왜 대답하지 않았는가 하면 이런 식의 형이상학적 문제의 논의는 무익한 것이어서 진실한 인식(認識, 正覺)을 가져오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 한다. 그는 하나의 입장을 고수하여 기타의 것과 다투는 일이 없었다. 그는 여러 가지의 철학설이 어느 것이나 특수한 집착에 기인한 편견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그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이 성찰(省察)하면서 내면의 적정(寂靜)한 경지에 도달하려고 하였다. 그는 자신이 진실한 바라문 또는 노력하는 사람이 되는 도리를 설파하는 것이라 표방하고 있었다. 불교는 어디까지나 인간이 생활해야 할 도리를 밝힌 것인데, 이 도(道)나 또는 규정을 법(다르마)이라고 불렀다. 불교의 실천적 인식이 최초로 당면한 문제는 인생의 고(苦)라는 것이었다. 인간은 어디에 있거나, 또 어떠한 것에 의지하더라도 고(苦)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고(苦)란 자기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불교의 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윤회를 부정하는 육사외도들의 주장을 부처가 배격한 것은 상주론(아트만 긍정=영원한 윤회), 단멸론(윤회부정) 모두 자아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되는 괴로움을 낳는 질문이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관점을 다르게 보자면 묘하게 상당히 현대적인 견해도 많다.


2. 목록[편집]

2.1. 니간타 나타풋타(Nigantha Nataputta) 자이나교의 교주.[편집]
위대한 영혼이라는 뜻의 마하비라(Mahavira)로 불렸으며, 산자야의 회의론을 극복하려고 상대주의(相對主義, anekāntavāda)적 인식론을 수립하고 이원론적 우주론을 제시했다.

자이나교에서는 영혼(Jiva, 命)은 물질(Pudgala)의 업(業)에 속박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현실과 같은 비참한 상태에 빠졌다고 파악한다. 그러므로 영혼을 물질로부터 해방시켜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 고행을 제시하였다.

불살생(不殺生), 불도(不盜), 불음(不淫)을 지키며, 무소유(無所有)를 실천하였다.

2.2. 산자야 벨랏티풋타(Sanjaya Belatthiputta)[편집]
진리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회의론(懷疑論)과 불가지론(不可知論)을 주장했다.

산자야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사람 두 명이 있었으니, 바로 사리풋다목갈라나이다. 이 둘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듣고 산자야의 가르침에 회의를 느껴 다른 제자 250명과 함께 석가모니에게 귀의하였다. 산자야는 이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아 피를 토하고 죽었다고 한다.

석가모니, 마하비라 이전에는 상당한 규모의 종단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회의론과 불가지론은 하나의 생각하는 관점이 되기는 하나 고뇌하는 사람에게 명확한 답을 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불교와 자이나교에 나누어져서 흡수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3. 아지타 케사캄발린(Ajita Kesakambalin)[편집]
단멸론자이자 유물론자. 순세파(順世派, Carvaka)라고 한다. 현세의 삶이 최초이자 최후이므로 인간은 그저 즐기고 살아야 한다는 쾌락주의(快樂主義)자 였다.

물질의 구성단위를 지수화풍(地水火風) 4원소설로 보았는데 이는 불교의 생각과 같다.

아지타는 삶은 사대원소의 결합이며 죽음은 사대원소가 흩어져 무로 돌아가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사후 세계나 영혼의 존재는 완전히 부정했으며, 현세도 없고 미래세도 없다고 보았다. 윤회도 없고 선악에 따른 과보도 없으므로, 도덕을 부정하였다.

2.4. 막칼리 고살라(Makkhali Gosala)[
숙명론자. 사명외도(邪命外道).

아지비카(Ajivika) 교단의 교조이며, 자이나교와 유사한 교설을 펼쳤고 교세에 있어서도 자이나교의 니간타 나타풋타에 다음갔다. 교설은 후에 자이나교에 흡수통합되었다.

일체의 구성요소로서 12원소설(지수화풍ㆍ공ㆍ득ㆍ실ㆍ고ㆍ락ㆍ생ㆍ사ㆍ영혼)을 주장했으며,
그 가운데는 영혼도 포함되고 인간의 영혼도 하나의 원소로 파악했던 유물론자이다.

의지의 작용을 부정하고 극단적인 우연론(偶然論), 결정론을 주장했다. 
불교에서는 생사윤회를 인과와 업보에 따른 것으로 보았으나, 
막칼라 고살라는 인과와 업보를 부정하고 무인(無因) 무연(無緣)을 주장했다. 
모든 것은 이미 정해져 있어서 수행으로 해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막칼라 고살라의 주장으로는 모든 인간은 8백 40만 겁을 윤회하는 동안 저절로 고통이 없어져 스스로 해탈한다는 것이다.[1]

2.5. 파쿠다 캇차야나(Pakudha Kaccayana)[편집]
인간을 구성하는 것을 일곱 가지 요소로 보았다. 이는 지(地)수(水)화(火)풍(風)ㆍ고락(苦樂)ㆍ생명(生命)ㆍ영혼(靈魂)이다.

일곱 가지 요소는 항상 존재하는 것으로, 생명도 영원히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은 나지도 죽지도 않는 불생불멸이라고 인식했다. 그러므로 살인을 저지른다고 해도 죽이는 자도 없고, 살해되는 자도 없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칼로 인간의 목을 자른다고 해도 인간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일곱 가지 요소 사이로 칼이 지나갈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만의 실재를 인정하는 사고방식은 후세의 바이셰시카(Vaiśeṣika)로 계승 · 발전되어 갔다.

2.6. 푸라나 캇사파(Purana Kassapa)[편집]
푸라나 카파라는 노예 출신이다. 석가모니와 신통력을 겨루었으나 패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선악(善惡)의 구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마음대로 정의한 것이며 실제로 선악은 없다고 주장했다. 살생, 도둑질, 간음 등의 악행을 저질러도 인간이 임의로 정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악행을 범한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반대로 보시와 방생 같은 선행을 한다고 해도 그것 역시 인간의 관념에 따른 것이므로 선행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업(業)은 없으며 업에 의한 응보도 없고, 업보도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의 길흉화복은 인과나 운명이 아니라 단순히 우연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보았다. 일종의 무도덕주의(無道德主義) 또는 도덕 부정론(道德否定論)이라고 할 수 있다.

3. 같이 보기[편집]
석가모니
불교


[1] 특히 석가모니가 경계했던 학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