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3

陰陽 - Wikipedia 음과 양

陰陽 - Wikipedia

음과 양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네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음양을 나타내는 태극도

음양 은 중국 의 사상 에 가장자리를 발하고 , 모리라 만상, 우주 의 모든 사물 을 다양한 관점 에서  ( 같이)과  (인)의 두 가지 범주 로 분류하는 사상. 양과 그늘은 서로 대립하는 속성 을 가진 두가지의  이며, 만물의 생성 소멸이라고 말한 변화는 이 두기에 의해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2] [3] [4] [5] [6] [7] .

이런 음양에 근거한 사상이나 학설 을 음양사상 , 음양론 , 음양설 등이라고 하며, 오행사상 과 함께 음양오행사상 을 구성했다.

개요 편집 ]

음과 오행 사상

원초는 혼돈 ( 카오스 )의 상태라고 생각해, 이 혼돈 중에서 맑은 명백한 기, 즉 양의 기가 상승해 하늘 이 되어, 탁한 암흑의 기, 즉 그늘이 하강해  되었다. 이 2기의 작용에 의해 만물의 사상을 이해하고 또 장래까지도 예측하자는 것이 음양사상이다.

능동적 성질, 수동적 성질로 분류한다. 구체적으로는 빛·명·강·화·여름·낮·동물·남자 , 어둠·암·유·물·겨울·밤·식물·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상반되는 반면, 하나가 없으면 다른 하나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모리라 만상, 우주의 온갖 물건은, 상반되는 양과 그늘의 두기를 통해 소장 성쇠하고, 양과 그늘의 두기가 조화되어 처음으로 자연 의 질서가 유지된다.

중요한 것은 음양이원론이 이 세상의 것을 선일원화를 위해 선과 악으로 나누는 선악이원론 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양은 선이 아니며 그늘은 악이 아니다. 양은 그늘이지만 그늘은 양이 있어 처음으로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다. 어디까지나 삼라만상을 구성하는 요소 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의 전국시대 말기에 오행사상 과 일체로 다루어지게 되어 음양오행사상 이 되었다.

특징 편집 ]

음과 양이 얽혀있다
양이 있으면 그늘이 있고, 그늘이 있으면 양이 있는 것처럼, 서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자신이 이루어지는 사고방식.
음양의 제약
제휴율이라고도 음양이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작용한다. 양허하면 음허, 음허하면 양허하고, 양실하면 음실, 음실하면 양실한다.
음과 양의 밀물과 썰물
길항률이라고도 하며, 리듬 변화이다. 음양의 양적 변화입니다. 양허하면 음실, 음허하면 양실하고, 양실하면 음허, 음실하면 양허한다.
음양전화
순환율이라고도 음양의 질적인 변화이다. 양극이 되면, 무극을 거쳐 음으로 전환하고, 음극이 되면, 무극을 거쳐 양으로 전화한다.
음과 양은 분리될 수 있다
교착율이라고도 하며, 음양 각각 안에 다양한 단계의 음양이 있다. 햇볕이 잘 드는 양, 햇볕이 잘 드는 음, 음이 흐르는 음, 음이 흐르는 음.

배포 편집 ]

음과 양은 원래 날씨 와 관련된 말이며, 양은 햇빛과 히나타, 그늘은 흐림이나 그늘의 의미로서 『시경』 등의 고서에 나타난다. 춘추 좌씨전』 쇼공 원년에 하늘의 6기로서 양·음·바람·비·새·명과 있어, 여기에서 음양은 한서의 요인으로 생각되고 또 쇼공 4년에는 양·음· 바람과 비가 계절 을 특징 짓는 기후 요인으로 취급됩니다. 게다가 『관자』 유관에서는 명확하게 봄의 건조기・여름의 쾌활함・가을의 습기・겨울의 음기로서 한열의 원인이 되는 것과 동시에 사계 (4시)의 기후가 변화하는 요인으로서 취급되고 있다. 이것이 이윽고 4시의 신경을 통할 상위 개념이 되고, 심지어 만물의 생성 소멸이라고 한 변화 전반을 담당하는 개념 , 만물의 성질을 2원으로 분류하는 개념으로 승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경의 음양 편집 ]

하치가타와 태극

『이케이』의은 6개의이라고 불리는 막대로 구성되어 있는 기호이지만, 爻에는「」와「」의 2종류가 있어, 이전에 의해 각각의 속성은 양・음으로 당해 양작과 음반을 3개 겹친 팔경, 팔경을 2개 겹친 육십사경은 모리라 만상을 표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대에서는 卦의 상징과 爻의 음양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이학이 이루어졌다. 또 연결사상전에는 ' 태극 → 양의 예 → 사상 → 팔경 '이라는 생성론이 주장되고 있지만, 양의는 천지 혹은 음양, 사상은 4시, 팔경은 만물로 풀리고 있다.

송이(宋代에 흥한 이학)에서는 도서 선천의 학 이라고 불리는 도상을 이용한 상수이가 행해졌지만, 이러한 이도에서는 양은 흰색, 그늘은 검정으로 그려졌다. 남송 의 주희 는 선천도 에 의거하여 「태극→양의→사상→팔경」의 양의를 명확하게 음양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사상을 2개 겹쳐 쌓은 것으로서

  • 타이양.png태양 (오래된 태양)
  • 샤오인.png소인
  • 소양 4.png소양
  • Taiyin.png타이인(라오인)

라고 명명했다.

유니 코드 에서 음양을 나타내는 기호에는 음양어의 태극도 (  )가 붙여져 있으며, 그 코드는 U + 262f, & # 9775; 

  1. 양작(⚊)은 U+268A, ⚊
  2. 음축(⚋)은 U+268B, ⚋
  3. 태양(⚌)은 U+268C, ⚌
  4. 소음(⚍)은 U+268D, ⚍
  5. 소양(⚎)은 U+268E, ⚎
  6. 태음(⚏)은 U+268F, ⚏

이다.

「영보계법」에 있어서의 음양 편집 ]

초기의 내단경전으로 알려진 『령보반법』은 내탄의 수련법이 적혀 있다. 그 전 단계에 음양의 마음에 대한 설명이 보인다.

우선, 체내의 기의 변화를 천지 자연의 음양의 변화에 ​​적응시켜, 체내의 기가 교합하는 환경을 정돈한다. 그 때 사람의 신체와 천지가 유사 관계에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체내의 심장과 신장은 하늘과 땅에, 체내의 양의 기분은 「기」, 그늘의 기는 「액」이라고 부른다. 「액」의 이름의 유래는 양이 그늘로 변화하고, 그늘이 양으로 변화하는 곳을 물이 수증기로 변화해, 수증기가 물로 변화하는 곳에 거듭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천지 자연의 음양의 변화로서 일년의 계절의 변화가 있다. 그늘이 굳어져 양이 모에 있는 동지, 점차 양이 신장해 가고 극히 극한 여름지, 거기서 그늘이 모에, 지극히 동지가 된다. 이와 같이 자연의 변화를 음양의 기의 소장 변화로서 파악해, 그것을 인간의 체내의 「기」와 「액」의 변화와 대응시키고 있다.

마음이 왕성하지 않을 때는 두 번 있어, 하나는 용이한 화단에 상징되는 입춘, 단인의 각으로, 다른 하나는 용이한 건전에 상징되는 입동, 戌亥의 각이다.

두기를 교제시키는 단계에서는 오의 각에 땅에 해당하는 신에서 생긴 「기」가 상승하고, 하늘에 해당하는 마음의 「기」와 융합하는 것으로 양이 극히 되어, 「액」이 생긴다. 이것이 '진수'이다. 아이의 각에 진심으로 생긴 '액'이 하강하고 신장의 '액'과 융합하여 그늘이 극히 '기'가 생긴다. 이것이 '진지'이다. 이 두 가지가 단의 재료가 되는 두 배로 되어 있다 [8] .

천지인 편집 ]

삼세 의 사상이다.

음양 성질표 편집 ]

긍정적인부정적인
기본 자연구심력원심력
밀도희박치밀
특성분열, 분리, 분산, 확산융합, 동화, 조립, 편집
추세팽창수축
모양팽창성수축성
모양작은
무게무거운가벼운
내부와 외부내부밖의
위치인테리어, 센터외부, 주변
부분상단하단
방향위, 앞아래로, 후
방향상승, 수직드롭, 레벨
높이높은낮은
세계하늘나라
동서남북동, 남서쪽, 북쪽
사계절봄, 여름가을, 겨울
낮과 밤
천체태양(일)태음월)
밝기明明慶 (빛날 희, 햇빛 광)暗冥姥 (아름다울 가, 달빛 경)
온도덥다, 여름, 덥다춥다, 춥다, 춥다
습기건조습윤
기후 풍토열대 기후, 건조한 기후한대 기후, 습윤 기후
날씨분명한
기본 입자요코전자
생물학적 특성동물식물의
상황동사: 움직이다조용한
움직임,  , 문화활발, 신속, 물리적, 사회적, 물질적불활성, 완만, 침체, 심리적, 정신적
태도 , 감수성적극적, 공격적수동적, 방어적
전투공격방어
무술단지부드러운
느낌딱딱한부드러운
숨 쉬다호기흡기
기관 구조중공 기관, 팽창성실질 기관, 응축성
신경중추신경, 교감신경말초 신경, 부교감 신경
보충 및 감소설사수리하다
생명임신주사위
차원시각우주
성별남성여성
부부남편아내
부모아버지어머니
하치츠나 변증표증, 열증, 실증백증, 한증, 허증
홀수조차
수학+ (긍정)-(부담)
장사혜택손상
인간육체(몸)정신(心)
등 복부
감정흥분한금지
다섯 기관과 여섯 기관
인간 조직근육, 내장피부, 뼈
빛과 어둠어둠
수확풍요사나운

다양한 "음양" 단어의 사용 예 편집 ]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1. ^ "신영중사전" 연구회
  2.  Deng Yu, Zhu Shuanli, Xu Peng et al Deng Yu, Zhu Shuanli, Xu Peng, New Translator with Characteristic of Wu xing Yin Yang and New English Translation,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00, 20 (12)
  3. ^ Deng Yu, Deng Yu, et al, Zang Xiang Fractal five System의 신선한 번역가,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1999
  4.  Deng Yu, Deng Yu et al, Nature with Math Physics Yin Yang, Journal of Mathematical Medicine, 1999.
  5. ^ Deng Yu et al Deng Yu et al. 음과 양의 과학적 성질과 수학적 구성, 중국 전통 의학의 기초 의학 저널 <<Chinese Journal of Basic Medicine>>1998, 2:59-61.
  6.  Deng Yu, Deng Yu, etc., TCM Fractal Sets, Journal of Mathematic Medicine <<Journal of Mathematic Medicine>>, 1999, 12(3), 264-265
  7. ^ Deng Yu, Zhu Shuanli, Xu Peng et al Deng Yu, Zhu Shuanli, Xu Peng et al., Essence and New Translator of Channels, New Interpretation and Essence of Meridians in English,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00, 20 (8 ): 615
  8. 아키오카 히데유키, 가키우치 토모유키, 카토 치에 『연탄술의 세계―불로 불사로의 길―』대수관 서점〈아지아 북스 080〉(원저 2018년 10월 1일), 122-129페이지. ISBN  9784469233209 .

관련 항목 편집 ]

음양과 십이지 조각

외부 링크 편집 ]







陰陽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陰陽を表す太極図

陰陽(いんよう・おんよう・おんみょう、拼音: yīnyáng、: yin - yang[1])とは、中国思想に端を発し、森羅万象宇宙のありとあらゆる事物をさまざまな観点から(よう)と(いん)の二つのカテゴリに分類する思想。陽と陰とは互いに対立する属性を持った二つのであり、万物の生成消滅と言った変化はこの二気によって起こるとされる[2][3][4][5][6][7] 。

このような陰陽に基づいた思想や学説陰陽思想陰陽論陰陽説などと言い、五行思想とともに陰陽五行思想を構成した。

概要[編集]

陰陽五行思想

原初は混沌カオス)の状態であると考え、この混沌の中から澄んだ明白な気、すなわち陽の気が上昇してとなり、濁った暗黒の気、すなわち陰の気が下降してとなった。この二気の働きによって万物の事象を理解し、また将来までも予測しようというのが陰陽思想である。

能動的な性質、受動的な性質に分類する。具体的には、光・明・剛・火・夏・昼・動物・男闇・暗・柔・水・冬・夜・植物・女などに分けられる。これらは相反しつつも、一方がなければもう一方も存在し得ない。森羅万象、宇宙のありとあらゆる物は、相反する陽と陰の二気によって消長盛衰し、陽と陰の二気が調和して初めて自然の秩序が保たれる。

重要な事は陰陽二元論が、この世のものを、善一元化のために善と悪に分ける善悪二元論とは異なるという事である。陽は善ではなく、陰は悪ではない。陽は陰が、陰は陽があってはじめて一つの要素となりえる。あくまで森羅万象を構成する要素に過ぎない。中国の戦国時代末期に五行思想と一体で扱われるようになり、陰陽五行思想となった。

特徴[編集]

陰陽互根
陽があれば陰があり、陰があれば陽があるように、互いが存在することで己が成り立つ考え方。
陰陽制約
提携律とも言い、陰陽が互いにバランスをとるよう作用する。陽虚すれば陰虚、陰虚すれば陽虚し、陽実すれば陰実、陰実すれば陽実する。
陰陽消長
拮抗律とも言い、リズム変化である。陰陽の量的な変化である。陽虚すれば陰実、陰虚すれば陽実し、陽実すれば陰虚、陰実すれば陽虚する。
陰陽転化
循環律とも言い、陰陽の質的な変化である。陽極まれば、無極を経て陰に転化し、陰極まれば、無極を経て陽に転化する。
陰陽可分
交錯律とも言い、陰陽それぞれの中に様々な段階の陰陽がある。陽中の陽、陽中の陰、陰中の陽、陰中の陰。

展開[編集]

陰と陽とはもともと天候と関係する言葉であり、陽は日差しや日向、陰は曇りや日陰の意味として『詩経』などの古書に表れる。『春秋左氏伝』昭公元年に天の六気として陽・陰・風・雨・晦・明とあり、ここで陰陽は寒暑の要因と考えられ、また昭公四年には陽・陰・風・雨が季節を特徴づける気候の要因として扱われている。さらに『管子』幼官では明確に春の燥気・夏の陽気・秋の湿気・冬の陰気として寒暑の原因とされるとともに四季(四時)の気候が変化する要因として扱われている。これがやがて四時の気を統轄する上位概念となり、さらには万物の生成消滅と言った変化全般を司る概念、万物の性質を二元に分類する概念へと昇華されたと考えられる。

易経における陰陽[編集]

八卦爻と太極

『易経』のは6本のと呼ばれる棒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記号であるが、爻には「」と「」の2種類あり、易伝によりそれぞれの属性は陽・陰に当てられ、陽爻と陰爻を3つ重ねた八卦、八卦を2つ重ねた六十四卦は森羅万象を表象すると考えられた。これにもとづき漢代では卦の象徴や爻の陰陽にもとづいて解釈する易学がなされた。また繋辞上伝には「太極両儀四象八卦」という生成論が唱えられているが、両儀は天地あるいは陰陽、四象は四時、八卦は万物と解されている。

宋易(宋代に興った易学)では図書先天の学と呼ばれる図像を用いた象数易が行われたが、これらの易図では陽は白、陰は黒で描かれた。南宋朱熹先天図にもとづき「太極→両儀→四象→八卦」の両儀を明確に陰陽と位置づけ、さらに四象を爻を2つ重ねたものとして

  • Taiyang.png太陽(老陽)
  • Shaoyin.png少陰
  • Shaoyang 4.png少陽
  • Taiyin.png太陰(老陰)

と名づけた。

なおUnicodeにおいて陰陽を表す記号には陰陽魚の太極図(☯)が当てられており、そのコードはU+262f、&#9775;である。また

  1. 陽爻(⚊)はU+268A、&#9866;
  2. 陰爻(⚋)はU+268B、&#9867;
  3. 太陽(⚌)はU+268C、&#9868;
  4. 少陰(⚍)はU+268D、&#9869;
  5. 少陽(⚎)はU+268E、&#9870;
  6. 太陰(⚏)はU+268F、&#9871;

である。

『霊宝畢法』における陰陽[編集]

初期の内丹経典として知られている『霊宝畢法』は内丹の修練法が書かれている。その前段階に陰陽の気についての記述がみられる。

まず、体内の気の変化を天地自然の陰陽の変化に順応させて、体内の気が交合する環境を整える。その際、人の身体と天地が相似関係にあると考えられている。たとえば、体内の心臓と腎臓は天と地に、体内の陽の気は「気」、陰の気は「液」と呼ぶ。「液」の名の由来は陽が陰に変化し、陰が陽に変化するさまを水が水蒸気に変化し、水蒸気が水に変化するさまに重ねたからだという。

天地自然の陰陽の変化として、一年の季節の変化がある。陰が極まって陽が萌す冬至、次第に陽が伸長していき極まった夏至、そこで陰が萌し、極まって冬至となる。このように自然の変化を陰陽の気の消長変化として捉え、それを人間の体内の「気」と「液」の変化と対応させている。

気が旺盛でないときは二度あり、一つは易の艮卦に象徴される立春、丑寅の刻で、もう一つは易の乾卦に象徴される立冬、戌亥の刻である。

二気を交わらせる段階では、午の刻に地にあたる腎から生じた「気」が上昇し、天にあたる心の「気」と融合することで陽が極まり、「液」が生じる。これが「真水」である。子の刻に心から生じた「液」が下降し、腎の「液」と融合して陰が極まって「気」が生じる。これが「真気」である。この二つが丹の材料となる二気とされている[8]

天地人[編集]

三才の思想である。

陰陽性質表[編集]

基本的性質求心力遠心力
密度希薄緻密
特性分裂、分離、分散、拡散融合、同化、集合、編成
傾向膨張収縮
形状膨張性収縮性
外形大きい小さい
重量重い軽い
内外内側外側
位置内部、中心外部、周辺
部分上部下部
向き上、前下、後
方向上昇、垂直下降、水平
高さ高い低い
天地
東西南北東、南西、北
春夏秋冬春、夏秋、冬
昼夜
天体太陽(日)太陰(月)
光度明るい(光明、日光)暗い(晦冥、月光)
温度熱、暑、暖冷、寒、涼
湿度乾燥湿潤
気候風土熱帯気候、乾燥帯気候寒帯気候、湿潤気候
天気
素粒子陽子電子
生物特性動物的植物的
状況
動き、仕事文化活発、敏速、物理的、社会的、物質的不活発、緩慢、沈滞、心理的、精神的
態度感性積極的、攻撃的消極的、防御的
戦闘攻撃防御
武術
感触堅硬柔軟
呼吸呼気吸気
器官構造中空器官、膨張性実質器官、凝縮性
神経中枢神経、交感神経末梢神経、副交感神経
補瀉
次元時間空間
性別男性女性
夫婦
八綱弁証表証、熱証、実証裏証、寒証、虚証
奇数偶数
数学+(正)-(負)
商売利益損害
人間肉体(体)精神(心)
背腹
感情興奮抑制
五臓六腑
人体組織筋肉、内臓皮膚、骨
光闇
収穫豊穣凶荒

様々な「陰陽」の語の使用例[編集]

脚注[編集]

[脚注の使い方]
  1. ^ 『新英和中辞典』研究社
  2. ^ Deng Yu, Zhu Shuanli, Xu Peng et al邓宇,朱栓立,徐彭,New Translator with Characteristic of Wu xing Yin Yang五行阴阳的特征与新英译,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中国中西医结合杂志,2000, 20 (12)
  3. ^ Deng Yu邓宇,等; Fresh Translator of Zang Xiang Fractal five System藏象分形五系统的新英译,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中国中西医结合杂志; 1999
  4. ^ Deng Yu邓宇等,Nature with Math Physics Yin Yang数理阴阳与实质, Journal of Mathematical Medicine数理医药学杂志, 1999年。
  5. ^ Deng Yu et al邓宇等, 阴阳的科学本质及数理化建构,Chinese Journal of basic medicine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中国中医基础医学杂志>>1998,2:59-61.
  6. ^ Deng Yu邓宇等,TCM Fractal Sets中医分形集,Journal of Mathematical Medicine<<数理医药学杂志>> ,1999,12(3),264-265
  7. ^ Deng Yu, Zhu Shuanli, Xu Peng et al邓宇,朱栓立,徐彭等,Essence and New Translator of Channels经络英文新释译与实质,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中国中西医结合杂志,2000,20(8):615
  8. ^ 秋岡英行、垣内智之、加藤千恵 『煉丹術の世界―不老不死への道―』大修館書店〈あじあブックス080〉 (原著2018年10月1日)、122-129頁。ISBN 9784469233209

関連項目[編集]

陰陽と十二支の彫刻

外部リンク[編集]

음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양론에서 넘어옴)

Yin and Yang symbol.svg

음양(陰陽, "dark-bright" 또는 "negative-positive")은 동양의 철학적 사고의 틀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모든 환경을 음양을 가지고 해석했다. 각각 음()과 양()으로 표기하며 세상의 만물이 음 혹은 양으로 나뉘며, 양분된 개념이지만 음양의 공존과 조화를 통해 세상이 유지된다고 생각했다.

유래[편집]

그 시초가 어느 때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유가의 시조인 공자의 말에 "학(學)하고 사(思)하지 않으면 곧 망(罔)하고 사(思)하고 학(學)하지 않으면 곧 태(殆)한다" (남에게서 배우기만 하고 스스로 사색하지 않는다면 정당한 인식을 얻을 수는 없다. 혼자 사색만 하고 남에게서 배우지 않으면 독단에 빠지고 만다)는 것이나, 또 도가의 시조라고 하는 노자(老子)의 도는 "독립하여 개(改)치 않고 주행하여 태(殆)치 않는다" "도는 독립적 존재이며 동시에 보편적 존재이다"라고 한 것과 같이 대구적(對句的)인 설명 방법으로 사물의 본질과 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설명법은 고대부터 이미 보인다. 대구적 설명 방법으로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하는 사고방식이 사물을 상대적으로 파악하려는 방법이 습성화되어, 음양사상으로 귀결되었듯이 상대적으로 사물을 파악하려고 하는 사고방식은, 중국 고대인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음양은 춘추전국 시대의 제자백가 중 음양가를 이루며 하나의 사상으로 성숙하였고, 송대의 주자가 성리학을 통해서 유학과 음양을 결합시켰다고 여겨진다.

보통 음양을 도가의 개념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본래 노자의 저서(《도덕경》 또는 덕도경)에서는 음양이 언급되지 않았으며, 단지 천(), 도(), 유(), 무()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아마 후세에 음양과 접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노자 도덕경의 덕편 42장엔 음양이 언급되어 있다.(萬物負陰而抱陽) 다만 도덕경에서의 음양이 후대 음양가의 음양만큼 추상화된 개념인가에 대해선 이론의 여지가 많다.

음양사상[편집]

우주나 인간 사회의 현상은 하늘에 대해서는 땅이 있고, 해에 대해서는 달, 남에 대해서는 여, 기수에 대해서는 우수, 강에 대해서는 유(柔)가 있는 것과 같이 서로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그것을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환원시켜 플러스와 마이너스 교체 또는 소장(消長)의 변화에 의하여 우주 현상 및 인간 사회의 현상을 해석하려는 것이 음양사상이다.

이 음양사상은 상대적으로 사물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과학사상으로서도 우수하고 또한, 철학적이다. 음양사상을 근간으로 인간 사회의 현상을 예측하고 판단하려고 한 것이 바로 '역(易)'의 생각하는 방법이다.

한의학과 음양[편집]

한의학의 음양은 한의학의 기본적인 틀이다. 도가와 달리 초기부터 음양이 핵심 개념이었다. 가장 오래되었다는 한의학 문헌 《황제내경》에서도 이미 음양이 사고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를 알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