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19

Paramahansa Yogananda - Wikipedia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Paramahansa Yogananda - Wikipedia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위키백과, 

파라마한사 요가난다(Paramahansa Yogananda, 본명: 무쿤다 랄 고쉬, Mukunda Lal Ghosh, 1893년 1월 5일 ~ 1952년 3월 7일)는 인도의 수도사, 요기, 구루, 인도의 자기실현 펠로우쉽(SRF) / 요고다 사탄가 협회(YSS)를 통해 명상과 크리야 요가의 가르침을 수백만 명에게 소개했고, 미국에서 그의 마지막 32년을 살았다. 벵골 요가 거장 스와미 스리 유크테스와르 기리의 주요 제자로, 그는 요가의 가르침을 서양에 전파하고, 동양과 서양의 종교 사이의 단합을 증명하고, 서양의 물질적 성장과 인도의 영성 사이의 균형을 설파하기 위해 그의 혈통에 의해 보내졌다. 미국 요가 운동, 특히 로스엔젤레스의 요가 문화에서 그의 오랜 영향력은 그를 요가 전문가들에 의해 "서양의 요가의 아버지"로 생각하도록 이끌었다.[1][2]

요가난다는 미국에 정착한 최초의 주요 인도 교사였으며, 백악관에서 열린 최초의 저명한 인도인으로 1927년 캘빈 쿨리지 대통령의 초청으로[3], 그의 초기 호평은 그를 《로스엔젤레스 타임스》에 의해 "20세기 최초의 슈퍼스타 구루"로 불리게 했다.[4] 1920년 보스턴에 도착한 그는 1925년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하기 전에 성공적인 대륙 횡단 연설 투어를 시작했다. 그 후 20년 반 동안 그는 지역적인 명성을 얻었고 그의 영향력을 전 세계로 확장시켰다. 그는 수도원을 만들고 제자들을 훈련시켰으며, 교사 여행을 떠났고, 다양한 캘리포니아 지역에 있는 그의 단체를 위해 부동산을 구입했으며, 수천 명의 크리야 요가를 설립했다.[2] 1952년까지 SRF는 인도와 미국에 100개가 넘는 센터를 가지고 있었으며,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미국의 주요 도시에 그룹을 두고 있다.[4] 그의 "평범한 생활과 높은 사고" 원칙은 그의 추종자들 사이에서 모든 배경의 사람들을 끌어당겼다.[2]

각주
 Wadhwa, Hitendra (2015년 6월 21일). “Steve Jobs's Secret to Greatness: Yogananda”. 《Inc.com》.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Meares, Hadley (2013년 8월 9일). “From Hip Hotel to Holy Home: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on Mount Washington”. 《KCET》 (영어).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Chidan; Jun 19, Rajghatta | TNN | Updated; 2019; Ist, 12:01. “In America and across the world, India reclaims its yoga heritage – Times of India”. 《The Times of India》 (영어).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Goldberg, Philip (2012년 3월 7일). “The Yogi Of The Autobiography: A Tribute To Yogananda”. 《HuffPost》 (영어).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Paramahansa Yogananda의 작품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작품 정보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 인터넷 아카이브
The lineage of Gurus with Yogananda


Paramahansa Yoganan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aramahansa Yogananda
Paramahansa Yogananda Standard Pose.jpg
Personal
Born
Mukunda Lal Ghosh

January 5, 1893[1]
DiedMarch 7, 1952 (aged 59)
Resting placeForest Lawn Memorial Park
ReligionHinduism
NationalityIndian and American
Alma materUniversity of Calcutta (B.A.)
SignatureParamahansa-Yogananda-Signature-Transparent.png
OrderSelf-Realization Fellowship Order
Founder of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PhilosophyKriya Yoga
Religious career
GuruSwami Sri Yukteswar Giri
Disciples
Literary worksBibliography
Quotation

"You are walking on the earth as in a dream. Our world is a dream within a dream; you must realize that to find God is the only goal, the only purpose, for which you are here. For Him alone you exist. Him you must find." – from the book The Divine Romance

Paramahansa Yogananda (born Mukunda Lal Ghosh; January 5, 1893 – March 7, 1952) was an Indian Hindu monkyogi and guru who introduced millions to the teachings of meditation and Kriya Yoga through his organization Self-Realization Fellowship (SRF) / Yogoda Satsanga Society (YSS) of India, and who lived his last 32 years in America. A chief disciple of the Bengali yoga guru Swami Sri Yukteswar Giri, he was sent by his lineage to spread the teachings of yoga to the West, to prove the unity between Eastern and Western religions and to preach a balance between Western material growth and Indian spirituality.[2] His long-standing influence in the American yoga movement, and especially the yoga culture of Los Angeles, led him to be considered by yoga experts as the "Father of Yoga in the West."[3][4]

Yogananda was the first major Indian teacher to settle in America, and the first prominent Indian to be hosted in the White House (by President Calvin Coolidge in 1927);[5] his early acclaim led to him being dubbed "the 20th century's first superstar guru," by the Los Angeles Times.[6] Arriving in Boston in 1920, he embarked on a successful transcontinental speaking tour before settling in Los Angeles in 1925. For the next two and a half decades, he gained local fame as well as expanded his influence worldwide: he created a monastic order and trained disciples, went on teaching-tours, bought properties for his organization in various California locales, and initiated thousands into Kriya Yoga.[4] By 1952, SRF had over 100 centers in both India and the US; today, they have groups in nearly every major American city.[6] His "plain living and high thinking" principles attracted people from all backgrounds among his followers.[4]

He published his book, Autobiography of a Yogi, in 1946, to critical and commercial acclaim; since its first publishing, it has sold over four million copies, with HarperSan Francisco listing it as one of the "100 best spiritual books of the 20th Century".[6][7] Former Apple CEO Steve Jobs had ordered 500 copies of the book for his own memorial, for each guest to be given a copy.[8] The book has been regularly reprinted and is known as "the book that changed the lives of millions."[9][10] A 2014 documentary, Awake: The Life of Yogananda, won multiple awards at film festivals around the world. His continued legacy around the world, remaining a leading figure in Western spirituality to the current day, led authors such as Philip Goldberg to consider him "the best known and most beloved of all Indian spiritual teachers who have come to the West....through the strength of his character and his skillful transmission of perennial wisdom, he showed the way for millions to transcend barriers to the liberation of the soul."[11]

Biography[edit]

Youth and discipleship[edit]

Yogananda at age six

Yogananda was born in GorakhpurUttar PradeshIndia, to a Hindu Bengali Kayastha family.[12] He was the fourth of the eight children, and second of the four sons, of Bhagabati Charan Ghosh, the Vice President of Bengal-Nagpur Railway, and Gyanprabha Devi. According to his younger brother, Sananda, from his earliest years young Mukunda's awareness and experience of the spiritual was far beyond the ordinary.[12] Since his father was a Vice-President of the Bengal Nagpur Railway, the traveling nature of his job would move his family to several cities during Yogananda's childhood, including LahoreBareilly, and Kolkata.[2] According to Autobiography of a Yogi, when he was eleven years old, his mother died, just before the betrothal of his eldest brother Ananta; she left behind for Mukunda a sacred amulet, given to her by a holy man, who told her that Mukunda was to possess it for some years, after which it would vanish into the ether from which it came. Throughout his childhood, his father would fund train-passes for his many sight-seeing trips to distant cities and pilgrimage spots, which he would often take with friends. In his youth he sought out many of India's Hindu sages and saints, including the Soham "Tiger" SwamiGandha Baba, and Mahendranath Gupta, hoping to find an illumined teacher to guide him in his spiritual quest.[2]

After finishing high school, Yogananda formally left home and joined a Mahamandal Hermitage in Varanasi; however, he soon became dissatisfied with its insistence on organizational work instead of meditation and God-perception. He began praying for guidance; in 1910, his seeking after various teachers mostly ended when, at the age of 17, he met his guruSwami Sri Yukteswar Giri.[2] At this time, his well-guarded amulet mysteriously vanished, having had served its spiritual purpose. In his autobiography, he describes his first meeting with Sri Yukteswar as a rekindling of a relationship that had lasted for many lifetimes:

"We entered a oneness of silence; words seemed the rankest superfluities. Eloquence flowed in soundless chant from heart of master to disciple. With an antenna of irrefragable insight I sensed that my guru knew God, and would lead me to Him. The obscuration of this life disappeared in a fragile dawn of prenatal memories. Dramatic tim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its cycling scenes. This was not the first sun to find me at these holy feet!"[2]

He would go on to train under Sri Yukteswar as his disciple for the next ten years (1910–1920), at his hermitages in Serampore and Puri. Later on Sri Yukteswar informed Yogananda that he had been sent to him by the great guru of their lineage, Mahavatar Babaji, for a special world purpose of yoga dissemination.[2]

After passing his Intermediate Examination in Arts from the Scottish Church College, Calcutta, in 1914, he graduated with a degree similar to a current day Bachelor of Arts or B.A. (which at the time was referred to as an A.B.), from Serampore College, the college having two entities, one as a constituent college of the Senate of Serampore College (University) and the other as an affiliated college of the University of Calcutta. This allowed him to spend time at Yukteswar's ashram in Serampore.

In July 1914, several week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he took formal vows into the monastic Swami order; Sri Yukteswar allowed him to choose his own name: Swami Yogananda Giri.[2] In 1917, Yogananda founded a school for boys in DihikaWest Bengal, that combined modern educational techniques with yoga training and spiritual ideals. A year later, the school relocated to Ranchi.[2] One of the school's first batch of pupils was his youngest brother, Bishnu Charan Ghosh, who learned yoga asanas there and in turn taught asanas to Bikram Choudhury.[13] This school would later become the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the Indian branch of Yogananda's American organization, Self-Realization Fellowship.

Teaching in America[edit]

Meditating in 1910

In 1920, while in meditation one day at his Ranchi school, Yogananda received a vision - faces of a multitude of Americans passed before his mind's eye, intimating to him that he would soon go to America. After giving charge of the school over to its faculty (and eventually to his brother disciple Swami Satyananda), he left for Calcutta; the following day he received an invitation from the American Unitarian Association to serve as India's delegate to an International Congress of Religious Liberals convening that year in Boston.[14] Seeking out his guru's advice, Sri Yukteswar advised him to go; later, while in deep prayer in his room, he received a surprise visit from Mahavatar Babaji, the Great Guru of his lineage, who told him directly that he was the one chosen by the Masters to spread Kriya Yoga to the West. Reassured and uplifted, Yogananda soon afterwards accepted the offer to go to Boston. This account became a standard feature of his lectures.

In August 1920, he left for the United States aboard the ship "The City of Sparta," on a two-month voyage that landed near Boston by late September.[15] He spoke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in early October, and was well received; later that year he founded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SRF) to disseminate worldwide his teachings on India's ancient practices and philosophy of Yoga and its tradition of meditation.[16] Yogananda spent the next four years in Boston; in the interim, he lectured and taught on the East Coast[17] and in 1924 embarked on a cross-continental speaking tour.[18] Thousands came to his lectures.[2] During this time he attracted a number of celebrity followers, including soprano Amelita Galli-Curci, tenor Vladimir Rosing and Clara Clemens Gabrilowitsch, the daughter of Mark Twain. In 1925, he established an international center for Self-Realization Fellowship in Los Angeles, California, which became the spiritual and administrative heart of his growing work.[15][19] Yogananda was the first Hindu teacher of yoga to spend a major portion of his life in America. He lived in the United States from 1920 to 1952, interrupted by an extended trip abroad in 1935–1936, and through his disciples he developed various Kriya Yoga centers around the world.

Yogananda was put on a government watch list and kept under surveillance by the FBI and the British authorities, who were concerned about the growing independence movement in India.[20] A confidential file was kept on him from 1926 to 1937 due to concern over his religious and moral practices.[21] Philip Goldberg's biography describes Yogananda as being up against a perfect storm of America's worst defects: media sensationalism, religious bigotry, ethnic stereotyping, paternalism, sexual anxiety, and brazen racism.[22]

In 1928, Yogananda received unfavorable publicity in Miami and the police chief, Leslie Quigg, prohibited Yogananda from holding any further events. Quiggs said it was not due to a personal grudge against the Swami but rather in the interest of public order and Yogananda's own safety. Quigg had received veiled threats against Yogananda.[23] According to Phil Goldberg, it turns out that Miami officials had summoned the British vice consulate to advise them on the matter ... one consulate officer said that the Miami city manager and Chief Quigg 'recognized the fact that the swami was a British subject and apparently an educated man, but unfortunately he was what is considered in this part of the country a coloured man.’ Given the South’s cultural mores, he noted, ‘the swami was in great danger of suffering bodily harm from the populace.’"[22]

Visit to India, 1935–1936[edit]

In 1935, he returned to India via ocean liner, along with two of his western students, to visit his guru Sri Yukteswar Giri and to help establish his Yogoda Satsanga work in India. While enroute, his ship detoured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he undertook visits to other living western saints like Therese Neumann, the Catholic Stigmatist of Konnersreuth, and places of spiritual significance: Assisi, Italy to honor St. Francis, the Athenian temples of Greece and prison cell of Socrates, the Holy Land of Palestine and the regions of the Ministry of Jesus, and Cairo, Egypt to view the ancient Pyramids.[2][24]

In August 1935, he arrived in India at the port of Mumbai and due to his fame in America, he was met with many photographers and journalists during his short stay at the Taj Mahal Hotel. Upon taking a train eastward and reaching the Howrah Station near Kolkata, he was met with a huge crowd and a ceremonious procession led by his brother, Bishnu Charan Ghosh, and the Maharaja of Kasimbazar. Visiting Serampore, he had an emotional reunion with his guru Sri Yukteswar, which was noted in detail by his western student C. Richard Wright.[2] During his stay in India, he saw his Ranchi boys' school become legally incorporated, and took a touring group to visit various locales: the Taj Mahal in Agra, the Chamundeshwari Temple in MysoreAllahabad for the Kumbh Mela of January 1936, and Brindaban to visit an exalted disciple of Lahiri Mahasaya, Swami Keshabananda.[2]

He also met with other various people who caught his interest: Mahatma Gandhi, whom he initiated into Kriya Yoga; woman-saint Anandamoyi Ma; Giri Bala, an elderly yogi woman who survived without eating; renowned physicist Chandrasekhara Venkata Raman, and several disciples of Sri Yukteswar's guru Lahiri Mahasaya.[2] While in India, Sri Yukteswar gave Yogananda the monastic title of Paramahansa, meaning "supreme swan" and indicating the highest spiritual attainment, which formally superseded his previous title of "swami."[25] In March 1936, upon Yogananda's return to Calcutta after visiting Brindaban, Sri Yukteswar died (or, in the yogic tradition, attained mahasamadhi)[26] at his hermitage in Puri. After conducting his guru's funeral rites, Yogananda continued to teach, conduct interviews, and meet with friends for several months, before planning to return to the US in mid-1936.

According to his autobiography, in June 1936, after having a vision of Krishna, he had a supernatural encounter with the resurrected Spirit of his guru Sri Yukteswar while in a room at the Regent Hotel in Mumbai. During the experience, in which Yogananda physically grasped and held onto his guru's solid form, Sri Yukteswar explained that he now served as a spiritual guide on a high-astral planet, and expounded truths in deep detail regarding: the astral realm, astral planets and the afterlife; the lifestyles, abilities and varying levels of freedoms of astral beings; the workings of karma; man's various super physical bodies and how he works through them, and other metaphysical topics.[2] With new wisdom and renewed from the encounter, Yogananda and his two western students left India via ocean liner from Mumbai; staying for several weeks in England, they conducted several yoga classes in London and visited historical sites, before leaving for the US in October 1936.

Return to America, 1936[edit]

In late 1936, Yogananda's ship arrived in New York harbor, passing the Statue of Liberty; he and his companions then drove in his Ford car across the continental US back to his Mount Washington, California headquarters. Rejoined with his American disciples, he continued to lecture, write, and establish churches in southern California. He took up residence at the SRF hermitage in Encinitas, California which was a surprise gift from his advanced disciple Rajarsi Janakananda.[27][28] It was at this hermitage that Yogananda wrote his famous Autobiography of a Yogi and other writings. Also, at this time he created an "enduring foundation for the spiritual and humanitarian work of Self‑Realization Fellowship/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29]

Yogananda with his autobiography, 1950

In 1946, Yogananda took advantage of a change in immigration laws and applied for citizenship. His application was approved in 1949, and he became a naturalized U.S. citizen.[22]

The last four years of his life were spent primarily in seclusion with some of his inner circle of disciples at his desert retreat in Twentynine Palms, California to finish his writings and to finish revising books, articles and lessons written previously over the years.[30] During this period he gave few interviews and public lectures. He told his close disciples, "I can do much more now to reach others with my pen."[31]

Death[edit]

In the days leading up to his death, Yogananda began hinting to his disciples that it was time for him to leave the world.[32]

On March 7, 1952, he attended a dinner for the visiting Indian Ambassador to the U.S., Binay Ranjan Sen, and his wife at the Biltmore Hotel in Los Angeles.[33] At the conclusion of the banquet, Yogananda spoke of India and America, their contributions to world peace and human progress, and their future co-operation,[34] expressing his hope for a "United World" that would combine the best qualities of "efficient America" and "spiritual India."[35] According to an eyewitness — Daya Mata, a direct disciple of Yogananda, who was head of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from 1955 to 2010[36][37] — as Yogananda ended his speech, he read from his poem My India, concluding with the words "Where Ganges, woods, Himalayan caves, and men dream God—I am hallowed; my body touched that sod."[38] "As he uttered these words, he lifted his eyes to the Kutastha center (the Ajna Chakra or "spiritual eye"), and his body slumped to the floor."[32][39] His followers said that he entered mahasamadhi;[39][40][41][42][22] the cause of death was heart failure.[43] His funeral service, with hundreds attending, was held at the SRF headquarters atop Mt. Washington in Los Angeles. Rajarsi Janakananda, who Yogananda chose to succeed him as the new president of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performed a sacred ritual releasing the body to God."[44]

According to the book Divine Interventions: True Stories of Mysteries and Miracles That Change Lives, for three weeks after his death Yogananda's body "showed no signs of physical deterioration and 'his unchanged face shone with the divine luster of incorruptibility.'" A notarized letter from Harry T. Rowe, the mortuary director, added: "The absence of any visual signs of decay … offers the most extraordinary case in our experience.... This state of perfect preservation of a body is, so far as we know from mortuary annals, an unparalleled one.... Yogananda's body was apparently in a phenomenal state of immutability.... No odor of decay emanated from his body at any time.... For these reasons we state again that the case of Paramahansa Yogananda is unique in our experience."[45] Yogananda's remains are interred at the Forest Lawn Memorial Park in the Great Mausoleum (normally closed off to visitors but Yogananda's tomb is accessible) in Glendale, California.[37]

Teachings[edit]

Giving a class in Washington, D.C.

In 1917, in India Yogananda "began his life's work with the founding of a 'how-to-live'[46] school for boys, where modern educational methods were combined with yoga training and instruction in spiritual ideals." In 1920 "he was invited to serve as India's delegate to an International Congress of Religious Liberals convening in Boston. His address to the Congress, on 'The Science of Religion,' was enthusiastically received." For the next several years he lectured and taught across the United States. His discourses taught of the "unity of 'the original teachings of Jesus Christ and the original Yoga taught by Bhagavan Krishna.'"[47]

In 1920, he founded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and in 1925 established in Los Angeles, California, USA, the international headquarters for SRF.[15][48][49] Yogananda wrote the Second Coming of Christ: The Resurrection of the Christ Within You and God Talks With Arjuna – The Bhagavad Gita to explain his belief in the harmony and oneness of original Christianity as taught by Jesus Christ and original Yoga as taught by Bhagavan Krishna; and to present that these principles of truth are the common scientific foundation of all true religions.[50]

Yogananda wrote down his Aims and Ideals for 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oda Satsanga Society:[2][51]

  • To disseminate among the nations a knowledge of definite scientific techniques for attaining direct personal experience of God.
  • To teach that the purpose of life is the evolution, through self-effort, of man's limited mortal consciousness into God Consciousness; and to this end to establish Self-Realization Fellowship temples for God-communion throughout the world, and to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temples of God in the homes and in the hearts of men.
  • To reveal the complete harmony and basic oneness of original Christianity as taught by Jesus Christ and original Yoga as taught by Bhagavan Krishna; and to show that these principles of truth are the common scientific foundation of all true religions.
  • To point out the one divine highway to which all paths of true religious beliefs eventually lead: the highway of daily, scientific, devotional meditation on God.
  • To liberate man from his threefold suffering: physical disease, mental inharmonies, and spiritual ignorance.
  • To encourage “plain living and high thinking”; and to spread a spirit of brotherhood among all peoples by teaching the eternal basis of their unity: kinship with God.
  •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mind over body, of soul over mind.
  • To overcome evil by good, sorrow by joy, cruelty by kindness, ignorance by wisdom.
  • To unite science and religion through realisation of the unity of their underlying principles.
  • To advocate cultural and spiritual understanding between East and West, and the exchange of their finest distinctive features.
  • To serve mankind as one’s larger Self.

In his published work,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Lessons, Yogananda gives "his in-depth instruction in the practice of the highest yoga science of God-realization. That ancient science is embodied in the specific principles and meditation techniques of Kriya Yoga."[30] Yogananda taught his students the need for direct experience of truth, as opposed to blind belief. He said that "The true basis of religion is not belief, but intuitive experience. Intuition is the soul's power of knowing God. To know what religion is really all about, one must know God."[2][50]

Echoing traditional Hindu teachings, he taught that the entire universe is God's cosmic motion picture, and that individuals are merely actors in the divine play who change roles through reincarnation. He taught that mankind's deep suffering is rooted in identifying too closely with one's current role, rather than with the movie's director, or God.[2]

He taught Kriya Yoga and other meditation practices to help people achieve that understanding, which he called Self-realization:[15]

Self-realization is the knowing – in body, mind, and soul – that we are one with the omnipresence of God; that we do not have to pray that it come to us, that we are not merely near it at all times, but that God's omnipresence is our omnipresence; and that we are just as much a part of Him now as we ever will be. All we have to do is improve our knowing.[52]

In his book, How you can talk with God, he claims that anyone can talk with God, if the person keeps persevering in the request to speak with God with devotion. He also claimed that God had spoken to him many times, apart from making miracles happen in his life. In the book, he claims that, "We may in a vision see a face of some divine/saintly being, or we may hear a Divine voice talking to us, and will know it is God. When our heart-call is intense, and we do not give up, God will come. It is important that we remove from our mind all doubt that God will answer."[53]

Kriya Yoga[edit]

The "science" of Kriya Yoga is the foundation of Yogananda's teachings. An ancient spiritual practice, Kriya Yoga is "union (yoga) with the Infinite through a certain action or rite (kriya). The Sanskrit root of kriya is kri, to do, to act and react." Kriya Yoga was passed down through Yogananda's spiritual lineage: Mahavatar Babaji taught the Kriya technique to Lahiri Mahasaya, who taught it to his disciple, Swami Sri Yukteswar Giri, Yogananda's Guru.[2]

Yogananda gave a general description of Kriya Yoga in his Autobiography:

"The Kriya Yogi mentally directs his life energy to revolve, upward and downward, around the six spinal centers (medullary, cervical, dorsal, lumbar, sacral, and coccygeal plexuses) which correspond to the twelve astral signs of the zodiac, the symbolic Cosmic Man. One-half-minute of revolution of energy around the sensitive spinal cord of man effects subtle progress in his evolution; that half-minute of Kriya equals one year of natural spiritual unfoldment".[2]

Sri Mrinalini Mata, the former president of SRF/YSS, said, "Kriya Yoga is so effective, so complete, because it brings God's love – the universal power through which God draws all souls back to reunion with Him – into operation in the devotee's life."[54]

Yogananda wrote in Autobiography of a Yogi that the "actual technique should be learned from an authorized Kriyaban (Kriya Yogi) of 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2]

Autobiography of a Yogi[edit]

First edition of Autobiography of a Yogi (1946)

In 1946, Yogananda published his life story, Autobiography of a Yogi.[15] It has since been translated into 45 languages. In 1999, it was designated one of the "100 Most Important Spiritual Books of the 20th Century" by a panel of spiritual authors convened by Philip Zaleski and HarperCollins publishers.[55] Autobiography of a Yogi is the most popular among Yogananda's books.[47] According to Philip Goldberg, who wrote American Veda,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which represents Yogananda's Legacy, is justified in using the slogan, "The Book that Changed the Lives of Millions." It has sold more than four million copies and counting".[56] In 2006, the publisher, Self-Realization Fellowship, honored the 60th anniversary of Autobiography of a Yogi "with a series of projects designed to promote the legacy of the man thousands of disciples still refer to as 'master'."[57]

Yogananda with Anandamayi Ma, 1935

Autobiography of a Yogi describes Yogananda's spiritual search for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encounters with notable spiritual figures such as Therese NeumannAnandamayi MaVishuddhananda ParamahansaMohandas Gandhi, Nobel laureate in literature Rabindranath Tagore, noted plant scientist Luther Burbank (the book is 'Dedicated to the Memory of Luther Burbank, An American Saint'), famous Indian scientist Sir Jagadish Chandra Bose and Nobel laureate in physics Sir C. V. Raman. One notable chapter of this book is "The Law of Miracles", where he gives scientific explanations for seemingly miraculous feats. He writes: "the word 'impossible' is becoming less prominent in man's vocabulary."[2]

The Autobiography has been an inspiration for many people including George Harrison,[58] Ravi Shankar[59] and Steve Jobs. In the 2011 book Steve Jobs: A Biography the author writes that Jobs first read the Autobiography as a teenager. He re-read it in India and later while preparing for a trip, he downloaded it onto his iPad2 and then re-read it once a year ever since.[60] India national cricket team captain, Virat Kohli said that the Autobiography influenced his life in a positive manner and also urged everyone to read it.[61][62]

Claims of bodily incorruptibility[edit]

As reported in Time on August 4, 1952, Harry T. Rowe, Los Angeles Mortuary Director of the Forest Lawn Memorial Park in Glendale, California, where Yogananda's body was received, embalmed and interred,[63] wrote in a notarized letter[2]

The absence of any visual signs of decay in the dead body of Paramahansa Yogananda offers the most extraordinary case in our experience... No physical disintegration was visible in his body even twenty days after death... No indication of mold was visible on his skin, and no visible drying up took place in the bodily tissues. This state of perfect preservation of a body is, so far as we know from mortuary annals, an unparalleled one... No odour of decay emanated from his body at any time...[64][65]

Because of two statements in Rowe's letter, some have questioned whether the term "incorruptibility" is appropriate. First, in his fourth paragraph he wrote: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health, embalming is desirable if a dead body is to be exposed for several days to public view. Embalming of the body of Paramahansa Yogananda took place twenty-four hours after his demise." In the eleventh paragraph he wrote: "On the late morning of March 26th, we observed a very slight, a barely noticeable, change – the appearance on the tip of the nose of a brown spot, about one-fourth inch in diameter. This small faint spot indicated that the process of desiccation (drying up) might finally be starting. No visible mold appeared however."[65]

Rowe continued in paragraphs fourteen and fifteen: "The physical appearance of Paramahansa Yogananda on March 27th just before the bronze cover for the casket was put into position, was the same as it was on March 7th. He looked on March 27th as fresh and unravaged by decay as he had looked on the night of his death. On March 27th there was no reason to say that his body had suffered any physical disintegration at all. For these reason we state again that the case of Paramahansa Yogananda is unique in our experience. On May 11, 1952, during a telephone conversation between an officer of Forest Lawn and an officer of Self-Realization Fellowship, the amazing story was brought out for the first time."[64]

Self-Realization Fellowship published Rowe's four-page notarized letter in its entirety in the May–June 1952 issue of its magazine Self-Realization.[66] From 1958 to the present it has been included in that organization's booklet Paramahansa Yogananda: In Memoriam.[37]

The location of Yogananda's crypt is in the Great Mausoleum, Sanctuary of Golden Slumber, Mausoleum Crypt 13857, Forest Lawn Memorial Park (Glendale).[67]

Legacy[edit]

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edit]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YSS) is a non-profit religious organization founded by Yogananda in 1917. In countries outside the Indian subcontinent it is known as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ananda's dissemination of his teachings is continued through this organization –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SRF)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YSS).[56][36] Yogananda founded the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in 1917 and then expanded it in 1920 to the United States naming it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In 1935, he legally incorporated it in the U.S. to serve as his instrument for the preservation and worldwide dissemination of his teachings.[68] Yogananda expressed this intention again in 1939 in his magazine Inner Culture for Self-Realization that he published through his organization:

Paramahansa Swami Yogananda renounced all his ownership rights in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when it was incorporated as a nonprofit religious organization under the laws of California, March 29, 1935. At that time he turned over to the Fellowship all of his rights to and income from sale of his books, writings, magazine, lectures, classes, property, automobiles and all other possessions...[69]

SRF/YSS is headquartered in Los Angeles and has grown to include more than 500 temples and centers around the world. It has members in over 175 countries including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Lake Shrine.[70] In India and surrounding countries, Paramahansa Yogananda's teachings are disseminated by YSS which has more than 100 centers, retreats, and ashrams.[36] Rajarsi Janakananda was chosen by Yogananda to become the President of SRF/YSS when he was gone.[15][71] Daya Mata, a religious leader and a direct disciple of Yogananda who was personally chosen and trained by Yogananda, was head of 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from 1955 to 2010.[16] According to Linda Johnsen, the new wave today is women, for major Indian gurus have passed on their spiritual mantle to women including Yogananda to the American-born Daya Mata[72] and then to Mrinalini Mata. Mrinalini Mata, a direct disciple of Yogananda, was the president and spiritual head of Self-Realization Fellowship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from January 9, 2011, until her death on August 3, 2017. She, too, was personally chosen and trained by Yogananda to help guide the dissemination of his teachings after his death.[36] On August 30, 2017, Brother Chidananda was elected as the next president in a unanimous vote by the SRF Board of Directors.[73] Yogananda incorporated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as a nonprofit organization and reassigned all of his property including Mt. Washington to the corporation, thereby protecting his assets.[74]

On November 15, 2017, the President of India, Ram Nath Kovind visited the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s Ranchi Ashram on its centennial anniversary in honor of the official release of the Hindi translation of Yogananda's book God Talks with Arjuna: The Bhagavad Gita.[75][76][77][78]

Commemorative stamps[edit]

A 1977 stamp of India

India released a commemorative stamp in honor of Yogananda in 1977.[79] "Department of Post issued a commemorative postage stamp on the occasion of the twenty‑fifth anniversary of Yogananda's passing in honor of his far‑reaching contributions to the spiritual upliftment of humanity. "The ideal of love for God and service to humanity found full expression in the life of Paramahansa Yogananda. Though the major part of his life was spent outside India, still he takes his place among our great saints. His work continues to grow and shine ever more brightly, drawing people everywhere on the path of the pilgrimage of the Spirit."[80][81]

A 2017 stamp of India, with the Yogoda Satsanga Sakha Math at Ranchi in the background

On March 7, 2017, the Prime Minister of India, Narendra Modi, released another commemorative postage stamp honor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82] Prime Minister Modi at Vigyan Bhawan in New Delhi appreciated Yogananda for spreading the message of India's spirituality in foreign shores. He said that though Yogananda left the shores of India to spread his message, he always remained connected with India.[83]

Direct disciples[edit]

Bibliography[edit]

See also[edit]

Notes[edit]

  1. ^ "Yogi of Yogis Sri Paramahansa Yogananda visited our city"Star of Mysore. June 20, 2017. Retrieved January 5,2018.
  2.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Autobiography of a Yogi, 1997 Anniversary Edition. Self-Realization Fellowship (Founded by Yogananda) yogananda.org
  3. ^ Wadhwa, Hitendra (June 21, 2015). "Steve Jobs's Secret to Greatness: Yogananda"Inc.com. Retrieved October 8,2019.
  4. Jump up to:a b c Meares, Hadley (August 9, 2013). "From Hip Hotel to Holy Home: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on Mount Washington"KCET. Retrieved October 8, 2019.
  5. ^ Chidan; Jun 19, Rajghatta | TNN | Updated; 2019; Ist, 12:01. "In America and across the world, India reclaims its yoga heritage – Times of India"The Times of India. Retrieved October 8, 2019.
  6. Jump up to:a b c Goldberg, Philip (March 7, 2012). "The Yogi Of The Autobiography: A Tribute To Yogananda"HuffPost. Retrieved October 8, 2019.
  7. ^ "HarperSanFrancisco, edited by Philip Zaleski 100 Best Spiritual Books of the 20th Century".
  8. ^ Segall, Laurie (September 10, 2013). "Steve Jobs' last gift"CNNMoney. Retrieved October 8, 2019.
  9. ^ Goldberg, Philip (2018). The Life of Yogananda. Hay House, Inc. ISBN 978-1-4019-5218-1
  10. ^ Bowden, Henry Warner (1993). Dictionary of American Religious Biography. Greenwood Press. ISBN 0-313-27825-3. p. 629.
  11. ^ "Yogi and the USA"The Statesman. September 9, 2018. Retrieved June 19, 2020.
  12. Jump up to:a b Sananda Lal Ghosh, (1980), Mejda, Self-Realization Fellowship, p.3
  13. ^ Newcombe, Suzanne (2017). "The Revival of Yoga in Contemporary India" (PDF)Religion. Oxford Research Encyclopedias. 1doi:10.1093/acrefore/9780199340378.013.253ISBN 9780199340378.
  14. ^ "Swami yogananda giri speaks on "the inner life". ProQuest Historical Newspapers: The Boston Globe p.9. Boston, MA. March 5, 1921.
  15. Jump up to:a b c d e f Melton, J. Gordon, Martin Baumann (2010).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ISBN 9781598842043.
  16. Jump up to:a b Hevesi, Dennis (December 3, 2010). "Sri Daya Mata, Guiding Light for U.S. Hindus, Dies at 96"New York Times. New York, NY.
  17. ^ Boston Meditation Group Historical Committee. In The Footsteps of Paramahansa Yogananda: A guidebook to the places in and around Boston associated with Yoganandaji
  18. ^ Sister Gyanamata "God Alone: The Life and Letters of a Saint" p. 11
  19. ^ Lewis Rosser, Brenda (1991). Treasures Against Time. Borrego Publications. p. Foreword p. xiii. ISBN 978-0962901607.
  20. ^ "The Best Yoga Film of 2014: Get a Sneak Peak Here"HuffPost. October 20, 2014. Retrieved May 8, 2019.
  21. ^ National Archives Catalog, Department of Commerce and Labor. Bureau of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1906–1913 and 1913-6/10/1933 (Predecessor) & 1893 – 1957. Confidential File on Swami Yogananda, Alleged Hindu Religious Leader, Whose Fraudulent and Moral Practices Rendered Him an Undesirable Alien, from 1926–1937. Series: Subject and Policy Files, 1893 – 1957.
  22. Jump up to:a b c d Goldberg, Philip (2018). The Life of Yogananda. California: Hay House, Inc. ISBN 978-1-4019-5218-1.
  23. ^ Biography of a Yogi(2017), by Anya Foxan, pg 106-108
  24. ^ Yogananda, Paramahansa (2004). The Second Coming of Christ (book) / Volume I / Jesus Temptation in the wilderness / Discourse 8 / Mattew 4:1–4. Self-Realization Fellowship. pp. 166–167. ISBN 9780876125557.
  25. ^ "Paramahansa means "supreme swan" and is a title indicating the highest spiritual attainment." Miller, p. 188.
  26. ^ Melton, J. Gordon (2011). Religious Celebrations. ABC-CLIO. p. 512. ISBN 978-1598842050.
  27. ^ Self-Realization Fellowship: Encinitas Retreat. Yogananda.org. Retrieved on March 25, 2019.
  28. ^ Self-Realization Fellowship. Encinitas Temple. Retrieved on March 25, 2019.
  29. ^ Creating Self-Realization Fellowship Lessons, Temples, Retreats and writing his Autobiography of a Yogi. yogananda.org. Retrieved on December 13, 2018.
  30. Jump up to:a b Yogananda, Paramahansa (1995). God Talks With Arjuna – The Bhagavad Gita p.xii/1130. Los Angeles, CA: Self-Realization Fellowship. ISBN 978-0-87612-030-9.
  31. ^ Mata, Mrinalini. In His Presence: Remembrances of Life With Paramahansa Yogananda (DVD). Self-Realization Fellowship. ISBN 978-0-87612-517-5.
  32. Jump up to:a b Mata, Daya (1990). Finding the Joy Within, 1st ed. Los Angeles, CA: Self-Realization Fellowship, p 256
  33. ^ Bhandari, P.L. (2013) How Not To Be A Diplomat: Adventures in the Indian Foreign Service Post-Independence. The Quince Tree Publishing. ISBN 978-0957697904
  34. ^ Kriyananda, Swami (Donald Walters) (1977). The Path: Autobiography of a Western Yogi. Ananda Publications. ISBN 978-0916124120.
  35. ^ Miller, p. 179.
  36. Jump up to:a b c d About SRF: Lineage and Leadership. yogananda.org
  37. Jump up to:a b c Self-Realization Fellowship (2001) (1986). Paramahansa Yogananda: In Memoriam: Personal Accounts of the Master's Final Days. Los Angeles, CA. ISBN 978-0-87612-170-2.
  38. ^ Mata, Daya (Spring 2002). "My Spirit Shall Live On: The Final Days of Paramahansa Yogananda". Self-Realization Magazine.
  39. Jump up to:a b "Guru's Exit – TIME"Time. August 4, 19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2, 2008. Retrieved January 17, 2008.
  40. ^ "The Life Of Yogananda: Guru, Author Of 'Autobiography of a Yogi'"Huffpost.com. Huffington Post. September 2015. Retrieved November 23, 2019.
  41. ^ "Yogananda Facts: The American Missionary"yourdictionary.com/. Your Dictionay: Biography. Retrieved November 23, 2019.
  42. ^ "A Beloved World Teacher: Final Years and Mahasamadhi"Yogananda.org. Self-Realization Fellowship. Retrieved November 23, 2019.
  43. ^ "Incorruptibility (Of dead bodies)".
  44. ^ "Hundreds Pay Tribute at Rites for Yogananda". ProQuest Historical Newspapers: Los Angeles Times. Los Angeles, CA. March 12, 1952.
  45. ^ Millman, Dan; Childers, Doug (November 4, 2000). Divine Interventions: True Stories of Mysteries and Miracles That Change Lives. Rodale. ISBN 978-1-57954-338-9.
  46. ^ Yogananda, Paramahansa (1925). "The Balanced Life - Curing Mental Abnormalities" (PDF)Yogananda Parenting. Retrieved March 26, 2021.
  47. Jump up to:a b Goldberg, Philip (2012). The Autobiography of a Yogi: A Tribute to Yogananda. Huff Post Religion.
  48. ^ Yogananda, Paramahansa (2004). The Second Coming of Christ: The Resurrection of the Christ Within You p.1566. Los Angeles, CA: Self-Realization Fellowship. ISBN 978-0-87612-555-7.
  49. ^ Kress, Michael (2001). Publishers Weekly: Meditation is the message. New York: Cahners Business Information, a division of Reed Elsevier, Inc.
  50. Jump up to:a b Watanabe, Teresa (November 12, 2004). "A Hindu's Perspective on Christ and Christianity"Los Angeles Times. Los Angeles, CA.
  51. ^ "Aims & Ideals of Self-Realization Fellowship". Retrieved February 9, 2008.
  52. ^ Yogananda, Paramahansa (2004). The Second Coming of Christ: The Resurrection of the Christ Within You p. xxi. Los Angeles, CA: Self-Realization Fellowship. ISBN 978-0-87612-555-7.
  53. ^ Paramahansa Yogananda (1998). How You Can Talk with God. Self-Realization Fellowship Publishers. ISBN 978-0-87612-168-9.
  54. ^ Mrinalini Mata (2011). Self-Realiztion Magazine: The Blessings of Kriya Yoga in Everyday Life. Los Angeles, CA: Self-Realization Fellowship.
  55. ^ "HarperCollins 100 Best Spiritual Books of the Century".
  56. Jump up to:a b Goldberg, Philip (2012). American Veda. Harmony; 1 edition (November 2, 2010): 109.
  57. ^ Sahagun, Louis (August 6, 2006). "Guru's Followers Mark Legacy of a Star's Teachings"Los Angeles Times.
  58. ^ Wright, Gary (2014). Dream Weaver: A Memoir; Music, Meditation, and My Friendship with George Harrison. TarcherPerigee.
  59. ^ O'Mahony, John (June 3, 2008). "A Hodgepodge of Hash, Yoga and LSD – Interview with Sitar giant Ravi Shankar"The Guardian. Retrieved August 14, 2017.
  60. ^ Isaacson, Walter (2011). Steve Jobs: A Biography. Simon & Schuster. ISBN 978-1-4516-4853-9.
  61. ^ "Virat Kohli reveals his source of inspiration: 'Autobiography of a Yogi' by Paramhansa Yogananda - Sports News, Firstpost"Firstpost. February 19, 2017. Retrieved October 3, 2020.
  62. ^ "Virat Kohli shares autobiography behind his success"The Indian Express. February 18, 2017. Retrieved October 3,2020.
  63. ^ "Guru's Exit"Time. August 4, 19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5, 2010.
  64. Jump up to:a b Forest Lawn Memorial-Park; Harry T. Rowe; Mortuary Director (May 16, 1952). Paramahansa Yogananda's Mortuary Report. Los Angeles, CA.
  65. Jump up to:a b Rowe, Harry T. "Paramahansa Yogananda's Mortuary Report" (PDF). Forest Lawn Memorial Park.
  66. ^ "Self-Realization Magazine". Self-Realization : Magazine Devoted to Healing of Body, Mind, and Soul. Los Angeles: Self-Realization Fellowship. 1952. ISSN 0037-1564.
  67. ^ "Paramahansa Yogananda's Crypt Location"Find a Grave.
  68. ^  Works related to SRF Articles of Incorporation 1935 at Wikisource
  69. ^ Self-Realization Fellowship (1939). Inner Culture for Self-Realization12. p. 30.
  70. ^ "Locations of SRF/YSS centers & temples". Retrieved January 16, 2021.
  71. ^ Self-Realization Fellowship (1996). Rajarsi Janakananda: A Great Western Yogi. Self-Realization Fellowship Publishers. ISBN 0-87612-019-2.
  72. ^ Sharma, Arvind (1994). Today's Women in World Religions. SUNY Press.
  73. ^ yogananda.org "Brother Chidananda Elected President and Spiritual Head of SRF/YSS". Retrieved September 3, 2017.
  74. ^ Foxan, Anya (2017). Biography of a Yogi.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0668051.
  75. ^ "President of India Ram Nath Kovind visited Ranchi". India. November 15, 2017.
  76. ^ Mishra, Sudhir Kumar (November 16, 2017). "Ashram charms First Citizen"Telegraph India.
  77. ^ "President of India Visits YSS Ranchi Ashram – God Talks With Arjuna in Hindi Is Released". yogananda.org. November 15, 2017.
  78. ^ "President, Ram Nath Kovind addresses at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in Ranchi"Amirapress.com. India. Newspoint Tv. November 16, 2017.
  79. ^ "A commemorative postage stamp on the Death Anniversary of Paramahansa Yogananda". Retrieved March 11, 2017.
  80. ^ "Indian Philatelic Stamps". January 5, 2017. Retrieved March 11, 2017.
  81. ^ "Indian Postage Stamps – 1977". January 5, 2017. Retrieved March 11, 2017.
  82. ^ "PM releases commemorative postage stamp on the occas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Yogoda Satsanga Society of India". Retrieved March 11, 2017.
  83. ^ "PM Narendra Modi releases commemorative stamp on Yogoda Satsanga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2, 2017. Retrieved March 11, 2017.

References[edit]

External links[edit]

알라딘: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The Gnostic Gospels

알라딘: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일레인 페이절스 (지은이),하연희 (옮긴이)루비박스2006-05-15원제 : The Gnostic Gospels (1980년)

책소개

1945년 이집트 나그함마디에서는 한 농부가 붉은 토기 안에 담긴 고문서 뭉치를 발견한다. 우여곡절 끝에 학자들이 손에 넣은 그 문서에는 초기 기독교의 한 분파인 영지주의(그노시즘)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 첫 줄부터 내용이 심상치 않다. "이는 살아 계신 예수께서 이르시고, 그의 쌍둥이 형제 유다 도마가 기록한 비밀의 말씀이다."

이것이 지금 '나그함마디 문서'라고 불리는 복음서(외경)들이다. 이 중 도마, 마리아, 빌립, 바돌로매 복음서 등에 등장하는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의 연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예수의 최고의 사도였다"는 내용은 소설 <다 빈치 코드>에도 등장할 정도로 유력한 설이 되기도 했다.

종교학자인 지은이가 이들 문서를 자세히 분석, 영지주의 분파의 교리를 재구성한 것이다. 이단으로 박해받은 만큼 우주의 기원에 대한 유사 철학적 서술, 신화, 마법, 신비의식의 지침들까지 등장, 초기 기독교의 정통 교리에 정면으로 도전한 그들의 담론이 생생이 드러난다.

창조의 문제, 남녀 성 담론, 예수의 부활 등의 문제에서 영지주의가 정통 기독교와 해석을 어떻게 달리하는지 살펴보고, 이들이 박해 끝에 사라진 과정을 추적한다. 여기서 지은이는 이들이 교리상의 갈등보다는 기득권을 세우려는 정통파 세력에 의해 정치적으로 밀려난 면이 상당히 강하다고 말한다.

결과적으로 승자가 정통이 되고 패자가 이단이 되는 기독교 내의 역사적/정치적 면모를 통해 종교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제안한다. 1980년 전미비평가협회상과 전미도서상을 수상한 저작이다. 2008년 표지는 바뀌었으나 기존에 출간한 책과 같은 책이다.


목차
감사의 글
들어가는 글

1. 그리스도의 부활에 관한 논란 - 역사적 사건인가, 상징인가
2. “하나의 하나님, 하나의 주교” - 유일신교의 정치학
3.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 어머니
4. 그리스도의 수난 및 기독교도 박해
5. 누구의 교회가 ‘진정한 교회’인가
6. 하나님의 지식: 영지

마치는 글
참고문헌
================
책속에서

역사학자의 임무는 특정 집단의 옹호가 아니요, 증거의 탐구이다. (...) 종교적 권위의 근원은 무엇인가? 기독교인들에게는 더 구체적으로 질문해 볼 수도 있겠다. '자기 자신의 경험의 권위와 성서, 의식, 성직자의 권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나그함마디 부근 절벽에서 파피루스가 가득 든 항아리를 발견했던 마호메트 알리는 당시 안에 금이 들어 있지 않아 잔뜩 실망했다. 그는 자신의 우연한 발견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상상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나그함마디 문헌들이 그보다 천 년 일찍 발견되었다면 이단의 글이라는 이유로 모두 소멸되었을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켜켜이 쌓아온 문화적 경험을 바탕으로 인류가 새로운 견해를 정립하게 되었던 20세기까지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는 이 문헌들을 단순히 '광기와 모독'의 산물로 보지 않고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즉, 1세기 기독교인들이 경험했던 바를 되새기며, 소위 정통파 기독교 전통을 대신할 수 있는 강력한 대안으로 바라보게 된 것이다. 그들이 정면으로 제기했던 문제들에 우리가 이제야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한 것이다. - 본문 230~231쪽에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일레인 페이절스 (Elaine Pagels) (지은이) 

프린스턴 대학 해링튼 스피어 페인 칼리지 종교학과 교수이다. 1970년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콜럼비아 대학 버나드 칼리지의 종교학과 교수직을 역임했다.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각종 문헌 편집 작업에 참여한 바 있으며, 지은 책으로 <요한복음의 영지주의적 해석 (The Johannine Gospel in Gnostic Exegesis)>, <영지주의자 바울: 바울 서한의 영지주의적 해석 (The Gnostic Paul: Gnostic Exegesis of the Pauline Letter)>, <아담, 이브, 그리고 뱀 ... 더보기
최근작 : <아담, 이브, 뱀>,<믿음을 넘어서>,<사탄의 탄생> … 총 54종 (모두보기)


하연희 (옮긴이) 
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했다.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너무 무서워서 잠 못 드는 공학 이야기』, 『어느 노과학자의 마지막 강의』, 『프랑스 아이들은 왜 말대꾸를 하지 않을까?』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 『뜯어먹는 영어일기』가 있다.
최근작 : … 총 29종 (모두보기)

===


일레인 페이절스(지은이)의 말
나그함마디 문서를 이미 천년의 역사를 지닌 정통파 기독교 문헌과 비교해보면, 정치와 종교가 기독교 발전에 있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수의 육체 부활과 같은 정통파 교리에 어떤 정치적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지, 부활에 관한 영지주의자들의 의견은 그와 어떻게 대립되는지 발견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기독교의 기원을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
평점 분포     9.3
구매자 (2)
전체 (2)
공감순 
     
기원후 150년경 기독교와 불교의 교류가 있었을 것이다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불교는 인도 북부 지방에서 대승불교로 발전하고 불교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는 같은 시기 근동에서 영지주의로 태어난다 이것은 한 독자의 가설에 불과하지만 아니라고 하기엔 두 종교의 사상이 너무나 비슷하다  구매
北斗七星 2018-02-02 공감 (3) 댓글 (0)
==
     
영지주의 너무 신비적인 가? 아직도 많은 것을 발혀지지 않았다.  구매
거북이 2011-09-01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구매자 (3)
전체 (9)
===
     
네 안의 것을 네가 낳으면

이 책의 서술방식은 영지적 가르침에 대한 해석이나 정의를 정언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 ‘기성대중종교로서의 기독교’와 ‘영지주의’를 대조함으로서 그 차이와 영지주의 가르침의 특성에 조금씩 다가서도록 해줍니다.

 그렇기에 상투적인 인용이지만 (기성기독교와 영지주의의 대립을 소재로 전개되는) ‘서술방식’이란 ‘손가락’ 때문에 (진정한 주제인) ‘영지gnosis’라는 ‘달’을 보지 못하고 책장을 덮는 분들은 없으실 것입니다.

 영지주의에 문외한이었던 저로서도 하나님에 대한 영지주의의 정의, 예수의 부활에 대한 영지적 접근, 영지주의에서 바라보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 영지 획득의 사명과 목적에 대한 그들의 인식등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생뚱맞은 말이지만 영지주의와 불교(선불교,유식학,중관학파,밀교) 가르침과의 근사성 近似性이라면 누군가가 둘다 같은 원류의 교조를 갖는 동일 종교라고 한다해도 틀린 말이 아니라 여겨질 정도였습니다. 언젠가 이에 대한 연구도 있지 않을까 싶더군요. 불교와 그노시즘이라는 주제의 연구 말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영지에 대한 호기심을 주체 못하고 <<제 2의 성서 아포크리파 -신약시대>>를 읽기도 하였습니다만, 영지주의 텍스트가 더 목마르시다면 그 책(아포크리파) 내의 토마스복음과 기타 문헌란에 수록된 3종류의 영지주의 문헌들도 추천드립니다.

- 접기
이하라 2018-04-01 공감(12) 댓글(0)
=====
     
영지주의자들, 그들이 선택받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빈치코드, 천사와 악마와 같은 책을 보면, 정통 카톨릭과 이들로부터 탄압을 받은 종교 단체(템플 기사단, 일루미나티 등)의 이야기가 나온다. 비밀스러운 종교 단체 또는 거대 종교에 대항하는 비밀 조직에 대한 이야기는 오랫동안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이는 음모론이 계속 사람들을 통해 전해지는 것과 같다.

일레인 페이절스는 예전에 서평 글에서 보고 기억해둔 학자였는데 우연히 도서관에서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권위를 중요시하지 않았으며, -비록 전부는 아니지만- 여성과 남성에 대해 대등한 관점을 유지했던 영지주의자들은 어찌보면 예수의 뜻에 더 가까웠을지도 모른다. (카톨릭/기독교 신자가 아닌) 나는 정통 카톨릭의 순기능 보다는 역기능에 더 주목하고 있어왔고, 마리아 복음서와 같이 여성이 초기 카톨릭의 성립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을 알리는 문서들이 영지주의자들의 문서로 분류되기도 해서, 카톨릭의 대안적 요소로 영지주의자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보다 올바르다고 해서 사회의 핵심 혹은 주도 세력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2000년 전의 종교계도 마찬가지였나보다. 

이 책은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다량의 영지주의 문서의 내용을 설명하며, 카톨릭이 정치적/사회적 종교 조직을 어떻게 형성하였는지를 쉽게 설명하고 있다. 1945년에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복음서(나그함마디 복음서)는 카톨릭이 철저하게 배제시키고 불살라 없애려 했기에 카톨릭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철저하게 대비되는 내용이 다수를 이룬다.  

“예를 들어 <진리 복음서>는 뱀의 시각에서 에덴 동산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영지주의 문헌마다 신성한 지혜의 본원으로 묘사되는 뱀은 아담과 이브를 설득하여 선악과를 나누어 먹도록 만든다. 그러나 ‘하느님’은 그들이 행여 지혜를 얻게 될까 시기하여 열매를 먹으면 죽음으로 이어진다는 엄포를 놓고, 마침내 아담과 이브가 지혜를 얻자 낙원에서 추방해 버린다”(p15)

뱀과 여성이 카톨릭에서는 죄많은 존재로 나오지만 영지주의에서는 그렇지 않다. 특히 영지주의 문헌에서 여성은 카톨릭과 달리 매우 예수에 가깝고, 가르침을 적극적으로 전파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 반면 베드로에 대한 묘사는 그렇지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카톨릭은 영지주의 문헌을 없애려 온갖 노력을 기울였을지 모른다. 하느님 아버지라는 기도문에서 늘 가졌던 의문, 왜 하느님이 아버지인가?에 대한 이유는 여성을 철저히 종교의 외부로 몰아내려했던 초기 카톨릭의 정치/사회적 노력의 결실이 아닐까 싶다.

“정통파 유대교도들과 기독교도들은 인간과 조물주 사이에 좁힐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신은 인간과 완전히 동떨어진 존재이다. 그러나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복음서의 저자들 중에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에게 있어 스스로에 대한 지식은 곧 신에 대한 지식이며, 자아와 창조주는 동일하다”(p19)

영지주의자들은 죄나 회개, 순교보다는 지식에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은 자는 예수와 동등해진다고 한다. 카톨릭에서 보기엔 기겁할 내용이긴 하다. 믿는 자들 사이에도 조직과 서열을 두었는데, 예수와 인간 사이의 벽을 허무는 내용은 얼마나 위험한가. 그래서 초기 카톨릭은 모든 영지주의 책을 불사르려 했다. 진의 시황제와 비슷하다… 한국도 조선조에 그들의 권위에 위해가 되는 책을 불사르려 했다. 권력자들 사이에 “반대되는 책을 불살라라”하는 교지나 칙훈이 전해지는 건 아닐까?

개인의 수행을 통한 지식/앎에의 도달이라는 점에서 영지주의는 불교와 관련성이 있다. 종교라는 것이 인간 사회에서 발생되는 것이므로, 주변의 종교나 사회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소아시아 지역과 같이 아시아에 가까운 지역이나 아프리카에서 영지주의가 발달한 것은 이러한 맥락과 같을 것이다. 
 

그럼, 카톨릭은 왜 영지주의를 배제했는가?

카톨릭은 베드로를 권위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는 “예수의 부활”을 처음 목도한 자가 베드로라는 카톨릭 정전(신약성경)의 내용에 기초하고, 그 결과 베드로가 교회의 정당한 지도자가 된다. 이는 후일 카톨릭의 조직을 세우는 기초가 된다고 한다.

“이러한 이론(즉, 모든 권위는 오직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직접 보고 겪은 열두 제자로부터 나오며, 앞으로 누구도 다시는 그러한 경험을 할 수 없으리라는 이론)은 공동체의 정치적 구조에 있어 엄청난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로, 독일 학자 칼 홀이 지적했던 바와 같이, 이 이론은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권위를 지닌 소수의 사람들만이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제한하고 있다. 둘째로, 오직 사도들만이 그들을 계승할 후대 지도자들을 임명할 수 있다고 암시하고 있다.”(p48)

그러나 영지주의자들은 부활을 다르게 보고, 이를 영적인 사건으로 본다. 육체로서의 부활이라기 보다는 영적으로 그러한 것을 감지했다는 것이다. 즉 환상에서 본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환상은 아니며, 영적인 자각, 성숙을 통해 인지하게 된 사건이라고 한다. 마리아 복음서에서는 성경의 마가/요한 복음에서의 내용과 일치하게 마리아가 예수의 복음을 최초로 인식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p49 참조). 부활을 영적 사건으로, 그리고 예수와의 만남이 동시대가 아니라 시대를 넘어서도 가능하다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에, 사도의 권위는 영지주의에서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 결과, 영지주의자들은 사도들에게 최고의 권위를 부여하지 않았고, 카톨릭의 근간이었던 주교 제도에도 복종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면, 영지주의자들은 왜 카톨릭과 같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게 된 것일까? 카톨릭은 공개적인 가르침에 집중을 한 반면, 영지주의자들은 일부, 그러니까 지식을 전수받을 만한 사람에게 지식을 나누어 주는 방식을 택했다. 통찰력 있는 자들이 깨달음을 통해 전수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영지주의의 영향력을 축소시켰다.

“후대의 누구도 사도들이 그러했듯 그리스도의 살아 생전과 부활의 순간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각자 사도들이 세운 로마의 교회 및 주교들의 권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중략) 정통파 교회로부터 권위를 부여받은 성직자들이나 그들의 가르침은 영지주의자들에게 통하지 않았다. 그들은 ‘영지’를 부여받은 사람은 모두 교회의 가르침을 뛰어넘으며 교회의 계급적 권위를 초월한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부활에 대한 논쟁이, 기독교 운동을 제도적 종교로 자리잡게 만드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음이 입증되었다. 

기독교인들은 모두 원칙적으로 오직 그리스도 혹은 하나님만이 궁극적인 영적 권위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오늘날 누가 그 권위를 행사할 것인가가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중략) (영지주의자들) 그들은 개개인의 경험만이 진리의 궁극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하며, 간접적으로 전달된 증언과 전통-영지주의 전통까지도!- 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했다. (중략) 이 이론을 거부했던 사람들(카톨릭)은 후대의 모든 기독교인들이 사도의 증언을 심지어 스스로의 경험보다 더 신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략) 사회적 질서의 관점에서 보자면, 부활에 대한 정통파(카톨릭)의 가르침은 전혀 다른 권위를 낳았다. 즉 하나님에게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특정 계급에 속한 사람들의 권위를 거쳐야만 하는 계급 제도가 생겨난 것이다.” (p67-70)

결국, 영지주의는 신자들에게 믿음 뿐만 아니라 고민과 내면의 성장을 요구했지만, 카톨릭은 믿음만을 요구했다. 어떤 고민이 아니라, 권위를 따르고 받아들이면 되도록. 그래서 성경에서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믿음으로 받아드릴 수 있도록. 어찌보면 단순하고 이해가지 않지만, 인간은 그리 논리적이지도, 내면의 성장만을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었다. 과거도 그랬고, 현재도 그렇다.

카톨릭은 초기에 종교의 조직적 기틀을 잡기 위해 사도들의 절대적 권위를 내세울 수 있도록 했다. 그러는 과정에서 여성은 배제되었고, 사도-주교-평신도와 같은 계층적인 구조가 탄생하게 되었다. 영지주의는 그러지 못했다. 모든 영지주의가 여성을 동등하게 본 것은 아니지만, 카톨릭에서 매우 낮추어졌으나 마리아 복음서 등의 영지주의 문헌에서는 예수의 의지를 가장 잘 이해한, 베드로보다 더 높은(?) 자가 마리아라는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베드로의 권위를 못살리는 인물이라 카톨릭에서 그렇게 음해했을 가능성도 많다.

그렇다면, 이토록 여성을 하대하고, 신자들 간의 계층을 두었던 카톨릭은 어떻게 교세를 확장하였고, 여성과 평등을 고려하였던 영지주의는 어떻게 역사의 뒤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했던 것일까? 왜 초기의 예수를 믿던 자들은 –내 생각에는- 보다 예수의 뜻에 가까운 영지주의보다 카톨릭을 선택했던 것일까? 조직이 없어서? 베드로 이후의 주교들이 가지는 카리스마가 없어서?
 

종교가 형성되는 시기의 정치적, 사회적 긴장관계와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사람들의 성향은무시하기 어렵다. 이 책의 저자는 초기 기독교에서는 많은 여성들이 주교로, 사제로 참여했지만 200년을 지나며 이런 경향이 사라졌다고 한다. 로마에서조차도 여성들은 운동 경기에 참여하고 전쟁에도 참여했다. 그리스/소아시아나 이집트 지역 역시 높은 수준의 여성 해방과 여성의 참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유대교 공동체의 여자들은 공공장소에서 행하는 예배, 교육, 사회 및 정치 활동에의 참여가 용납되지 않았다.”(p116)

저자는 초기의 여성 참여가 200년을 전후로 여성 배제로 바뀐 카톨릭의 특성은 마리아로 인해 베드로의 권위 잠식을 우려한 카톨릭의 두려움, 헬레니즘화 된 유대인들의 반여성적 태도의 흡수, 영지주의와 구별짓기 위한 반여성의 태도 등 복합적 요인을 이야기하고 있다. 아울러, 나는 게르만 족으로의 종교 전파도 영향을 가지지 않았나 싶다. 게르만 족은 대체적으로 가부장적 성격이 강했고, 여성을 비하하는 관습이 있었다. 유대인과 게르만족의 여성 비하 관습과 영지주의/마리아로부터 베드로와 주교의 정통성을 쌓기 위한 움직임이 결국, 초기 기독교의 모습을 벗어나(더욱 엄밀히 말하면, 예수의 가르침을 벗어나) 반여성인 모습을 띄며 가톨릭은 정치화되었다.

그리스정교회보다 로마카톨릭이 더 여성을 강하게 억압했던 것을 볼 때, 확실히 그 지역 사람들의 관습이 중요함을 깨닫는다. 비잔틴 제국에서는 여성의 지위가 서유럽의 그것 보다 높았으며, 왕위계승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아무래도 비잔틴 제국은 소아시아,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과의 교류가 잦았기 때문이리라.

조직을 만드는 과정에서 카톨릭은 믿음을 단순화 시켜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반면 영지주의자들은 부름을 받은 대다수 중에서 선택은 소수가 된다는 판단하에, 신자들 사이에도 영지 능력의 유무를 구별했다.

“정통파 지도자들은 이러한-영지주의자들의- 종교적 엘리트 의식을 거부하고, 대신 보편적 교회를 건설하려 애썼다. 모든 사람들에게 교회를 개방하겠다는 의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그들은 자신들의 조직 체계에 복종하겠다는 사람이면 누구든 신분, 인종, 문화 학력에 관계없이 환영했다. 주교들은 조직 체계의 핵심 3요소인 교리, 의식, 교계제도 중 어느 한가지라도 의구심을 품는 자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영지주의 교인들은 세가지 모두에 이의를 제기하였던 것이다. 정통파 지도자들은 영지주의를 억압함으로써 자신들의 조직 체계를 공고히 하며, 모든 교인들을 가까스로 하나의 교회 안에 몰아넣을 수 있었다. 그들은 교역자와 평신도 사이에만 구분을 두었을 뿐, 교인들을 1등급, 2등급 등으로 구분하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았으며, 또한 교리의 준수, 의식에의 참여, 사제 및 주교에 대한 복종을 거부하는 자들을 엄중히 처단했다. 이러한 체계를 거부하고 독자적인 종파를 구축하려 했던 영지주의 교회는 약 200~300년 후 사라지고 말았다” (p188-189)

역설적으로 주교의 권위는 인정하지 않았으나 영지라는 높은 수준을 요구했던 영지주의는 주교의 권위를 인정하고, 그 권위에 복종을 하면 신자로 인정했던 카톨릭을 넘을 수 없었다.

당시 사람들은 뭘 몰라서 권위에의 맹종으로 카톨릭을 택했던 것이 아닐 것이다. 영지주의는 인간의 내면적 성숙이 반드시 필요함을 주장했다. 영지를 얻기 위해서는 고독한 수행과 자아 발견이라는 길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정통파 기독교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 속에 융화가 되기 쉽게 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덕’을 설명하였으며, 고민하지 않아도 사도/주교의 권위와 말을 따르면 되도록 했다. 초기에는 로마와 반목하였으나, 이후 통치자와 길을 함께하는 정통파 기독교는 권위가 핵심인 종교였다. 그리고 이러한 권위는 종교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마음의 평화’에 사람들이 보다 가깝게 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카톨릭은 인간을 알았던 것이다. 그래서 조직도 만들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앞으로도 많이 고민해야 할 지점이 아닐까 한다.

카톨릭/기독교 신자가 아니지만 이 종교에는 관심이 많다. 그 이유는 일견 불합리해 보임에도 많은 사람들이 경전의 모든 말들을 자구 그대로 믿고 있고, 그러한 불합리성을 권위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종교의 가르침 보다는 이 종교의 움직임이 늘 궁금했다. 영지주의의 문헌이 사실인지 아닌지, 혹은 성경의 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 등에 대한 진위는 학자들의 몫일 것이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그 카톨릭/기독교가 어떻게 사람들을 모아서 조직화 시켰으며, 어떻게 권력에 가까이 갔으며, 어떻게 대중적인 믿음(특히 여성과 낮은 계급을 차별하였고, 비유럽인들에게 제국/식민주의의 고통을 가했음에도 불구하고!)을 유지하는 가이다.

영지주의의 실패 사례는 역설적으로 대중이 정치에 깊이 관여할 수 있는 요즘 주목해야 한다. 영지주의자들은 지식을 중요시 여기고, 다수에 대한 지식의 전파 보다는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 사이의 지식 전달을 중요시 했다. 일반 민중들이 카톨릭을 선택한 것은, 영지주의자가 민중을 껴안을 수 있는 기본 토대를 갖추었음에도, 외부에 보여지는 모습은 그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외부의 모습이 타인에 의해 덧칠된 것이었던, 내부의 고집으로 그렇게 보여졌던, 대중과 함께 살 수 밖에 없는 민주주의에서는 반드시 고민하고 점검해봐야 하는 부분이 아닐까 한다. 지식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보다 많이 녹아내고 사람들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참된 지식이 아닐까?

** 덧붙여, 관련 종교의 신자들을 비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정치적,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이 종교의 역기능은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는 물론 불교와 이슬람교 역시 마찬가지이다. 평신도들의 선한 마음과 예수, 그리고, 선한 의지와 행동의 성직자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 2천년간의 역사를 바라보면, 오로지 선하게 모든 지역의, 모든 계급의, 모든 성별의 인간을 위한 훌륭한 종교라고는 도저히 부를 수 없다는 것은 모두 인정할 것이다.

** 잘 쓰여진 책이다. 영지주의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아쉬운 점은 읽는 도중에 ‘첫째’라는 말이 나오는데 ‘둘째’나 ‘셋째’가 안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 ‘둘째’는 나오는데 앞을 뒤져봐도 연관되는 ‘첫째’가 없는 경우가 있다. 그 점이 글을 읽는데 가끔 걸리긴 했다.
- 접기
쟈니 2010-01-31 공감(6) 댓글(5)

비로그인 2010-02-01 0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뱀에 대한 다른 시각을 가졌기에 정통이라 하는 쪽에선 영지주의자들을 악마숭배자들이라고도 하더군요. 실낙원을 보면 뱀은 사탄이 모습을 바꾸어 나타난 것이고 사탄은 타락한 천사 루시퍼이니 뱀=사탄=루시퍼가 되겠네요.

루시퍼의 뜻이 계명성, 금성, 빛을 가져(품은)오는 자 라고 하니 그 빛은 영지주의에서 말하는 영지가 될 것 같고요. 그리스신화에선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 주었으니 다시 정리하면 뱀=사탄=루시퍼=프로메테우스가 되겠네요. 그렇다면 인간은 신이 만들고 악마가 기른 것일까요? 악마란 체제/신의 말씀에 순응하지 않는 것을 인격화한 것 같아요.

전 이책을 즐겨찾기 해 놓고 세월아 네월아 했는데 이렇게 정리해주셔서 정말 잘 읽었어요.

쟈니 2010-02-01 09:22   좋아요  0 | URL
뱀은 지혜이고, 이브는 그 지혜로 아담을 이끈 자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 책에는 사실 제가 적은 것보다 훨씬 많은 내용들이 있어요. 다양한 문헌의 내용과 이에 대한 여러 학자의 의견.
영지주의자들은 성경의 '하나님'이 아닌 더 높은 하나님이 있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세 까지도 그리스 신화에 대해 카톨릭은 매우 적대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그리스 정교회는 그 지역적 특성 때문에 보다 열린 시각 같구요.



====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일레인 페이절스...

그녀의 이름만으로 산 책이다.
그런데.. 할 말이 떠오르질 않는다.
지금은 글을 쓰는 이 행위조차도 잘 되지가 않는다.
아무튼 그녀는 좀 더 애정어린 시선으로 영지주의를 다뤘고,
다룸에 있어서도 누구보다 능숙하다.
덕분에 내 위치를 좀 더 소상히 알게 되었는데,
일전에는 분명 내 모습 속에 반영된 영지주의가 크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나니,
나는 발렌티누스파의 영지주의적 입장을 80%정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영지주의에 있어 파벌은 상당히 중요하다.-

어쨌든,
그녀는 사회학적 시선으로 이 주제를 다뤘고,
충실히 책을 써내려간 바, 글은 매우 만족스럽다.
다만, 우리가 이것을 가지고 혼란스러워 할 것인가.. 아닌가...가 관건이다.



- 접기
Yaa 2006-12-07 공감(3) 댓글(0)
======
     
사회/정치적인 시각으로 바라본 영지주의 새창으로 보기
  이 책은 일레인 페이겔스가 영지주의와 정통 기독교의 관계를 사회/정치적인 사간으로 바라본 책이다. 영지주의가 무언지 궁금한 사람이라면 마땅히 읽어야 할 개론서이다. 그녀의 글쓰기는 가히 놀랍다. 마치 소설을 읽는 것처럼 이 책은 술술 읽힌다. 영지주의가 무엇인지 진정으로 궁금하다면 이 책과 함께, <<이것이 영지주의다>>라는 책을 꼭 같이 읽기를 추천한다.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가 담지 못한 내용이 <<이것이 영지주의다>>에 가득 담겨 있기 때문이다.
musn12 2006-12-12 공감(3) 댓글(0)
====
     
영지주의를 통해 기독교의 기원을 탐구하다 

세계적인 성서학자이자 신약성경의 역사, 초기 기독교 교회사, 성경 사본학의 거장인 바트 어만이 쓴 <잃어버린 기독교의 비밀>은 20세기 중반에 발굴된 나그함마디 문서 등의 다양한 외경서들을 꼼꼼하게 살피면서 초기 기독교의 다양성을 폭넓게 서술한 책이다.
 
그는 이 책에서 오늘날 정통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기독교가 어떻게 다양한 기독교들과 겨뤘으며, 어떻게 승리하게 되었는지를 밝힌다. 초기의 다양한 기독교들 가운데는 에비온파, 마르시온파, 영지주의파가 주요하게 언급되는데, 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영지주의파다.
 
영지주의가 대체 어떤 것이었기에 정통파 기독교와 자웅을 겨뤘던 것일까. 바트 어만의 책에서도 그 해답은 어느 정도 제시되고 있지만, 아무래도 부족한 감이 없지 않다. 그런 사람들에게 일레인 페이절스가 쓴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는 단비와 같은 존재다. 명쾌하고 깔끔한 서술에 흥미롭기까지 하다.
 
그 흥미로움은 1945년 12월 이집트 남부 지방의 한 농부에 의한 놀라운 고고학적 발견에 관한 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저자는 직접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이 영지주의 문서들에 접근해 파피루스에 쓰인 필사본 원본의 일부를 옮겨 쓰는 작업에도 참여했고, 편집 작업에도 참여한 바 있기 때문에 이 문서들에 대한 느낌을 매우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영지주의의 핵심 문서들이 포함된 나그함마디 문서를 정통파 기독교 문서와 비교해보면, 정치와 종교가 기독교의 발전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견해다. 저자는 이를 통해 기독교의 기원을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초기 기독교 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논란을 재조명함으로써 기독교에 대한 본질적 질문, 종교적 권위의 근원에 대한 질문을 다시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지주의에 대한 탐구는 오래된 그 질문, 그러나 오랫동안 억압되어 온 그 질문을 다시 던져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준다.
 
블레이크, 렘브란트,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니체 등. 영지주의를 의식했건 의식하지 못했건 제도화된 정통파 교회에 의문을 제기하고 순응을 거부했던 사람들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다. 그리고 이러한 의문과 거부는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아니 의문과 거부는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최근에 흥미로운 기사거리가 하나 있었다. 로마 교황청이 '신성모독'을 저지른 존 레넌을 42년만에 용서해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존 레넌은 교황청을 용서해 주었을까? 죽은 자는 말이 없다.

- 접기
aganipe 2008-12-11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영지주의(gnosticism)와 이단 - 현대종교

영지주의(gnosticism)와 이단 - 현대종교

영지주의(gnosticism)와 이단
페이스북
정동섭 교수 mrmad@hdjongkyo.co.kr
2018.02.22 11:28 입력

편집자 주: 이 글은 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 제6차 총회에서 정동섭 교수가 발표한 논문 내용이다.

 
  영지주의(gnosticism)와 이단
▲본지 편집자문위원 
  사이비종교피해대책연맹 총재 
  가족관계연구소장; Ph.D.

  

  

신약성경에서는 그리스도인을 가장 미혹하는 신앙의 양태를 영육이원론의 영지주의로 지목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임하심을 부인하는 자라. 이것이 미혹하는 자요 적그리스도라”고 하였다(요이1:7).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예수는 신화다]나 [다빈치 코드] 등은 모두 영지주의의 현대적 부활이라는 성격이 농후하다. 뉴에이지운동의 범신론적 성격도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허호익, 2016).

  

영지주의란 영적 지식(gnosis)을 추종하는 동방 종교와 희랍철학과 신지학(theosophy), 그리고 그리스도교 신앙의 혼합형태로 주후 80년부터 150년 사이에 초대교회와 경쟁했던 가장 강력하고 위협적인 운동이었다. 영지주의는 엄격한 의미로 보면 종교도 아니고 순수하고 단순한 철학도 아니었으며 일종의 밀의적인 민중신앙이다. 영지주의(靈知主義)는 교회사 최초로 출현한 이단 가운데 하나다. 영지주의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하나는 기독교 이전부터 존재해온 영지적인 사고와 개념 또는 분위기를 지닌 종교운동을 가리키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2세기에 널리 유포되었던 기독교 이단 종파를 가리키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영지주의는 기본적으로 “특별한 지식을 통한 영혼의 우주적 구속을 가르친 사상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이성호, 2012).

  

영지주의는 무엇이며, 어떻게 일어나서, 누가 무엇을 주장했는가? 당시 교회는 영지주의에 어떻게 대처했으며 왜 이단으로 간주했는가? 현재 한국에는 어떤 영지주의 이단이 활동하고 있는가? 이단은 정통을 전제로 한다. 정통은 기원적이고 이단은 반영적이다. 기독교는 절대적 진리를 표방하고 심오하고 놀라운 만큼 신비스러운 메시지를 선포했다. 처음부터 기독교는 구원과 영생이 믿음으로 말미암고 그 믿음이 그리스도 나사렛 예수 즉, 역사적 개인(인격)이신 분에 대한 것을 믿은 것을 의미했다. 그분의 생애, 죽음, 부활, 그리고 재림하신다는 의미는 각 기독교인에게 생사를 걸 만큼 중요한 진리였다(브라운, 2001). 정통은 일반적으로 우선순위를 역사에 두지만, 이단은 지식적 이해에 둔다. 그래서 정통은 신학자들 가운데 보다 신학적이지 못하고 보다 역사적인 마음을 가지게 하지만, 이단은 보다 신학적이고, 보다 철학적이고, 보다 추상적이다. 골로새서와 요한일서는 영지주의와 가현설주의(decetism)에 대한 항거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대교주의와 율법주의와 함께 영지주의는 초대교회의 위협적 이단으로서, 믿음과 관련하여 지식을 과대평가하였다.

  

20세기 전반까지 이레니우스(Irenaeus), 터틀리안(Tertullian), 히폴리토스(Hippolytos), 에페타니우스(Epithanius)와 같은 이단전문가들(heresiologists)은 영지주의자(Gnostics)에 대한 일차적 정보원이었다. 이들은 영지주의자들이 성경의 의미를 조작하고 왜곡하여 기독교를 오도하는 것에 대해 격렬하게 비난하였다. 그들은 특히 창세기와 요한복음, 그리고 바울서신을 자기들 목적을 위해 왜곡하였다. 이레니우스(Irenaeus)와 같은 교부는 영지주의와 기독교의 종교적 혼합을 교회에 대한 공공연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영지주의자들의 성경해석을 왕의 아름다운 그림을 분해하여 여우의 그림으로 짜 맞추는 것에 비유하였다.우리는 영지주의라 부르는 사상이 고대세계를 휩쓸었던 극단적, 철학적, 영적 경향의 한쪽 측면일 뿐임을 알아야 한다(브라운, 2001). 영지주의가 일어났던 때는 사도들이 이미 세상을 떠나고 사도들의 신앙을 계승한 초대교회의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교회가 어렵사리 자리를 잡아가던 상황이었다. 교회에 침투한 영지주의 사상으로 인하여 초대교회는 크게 몸살을 앓게 되었다. 초대교회 속으로 침투한 영지주의는 ‘영지주의 이단’을 형성하여 교회의 참 복음을 심각하게 위협하였다.

  

초대 교회 당시 교회에 가장 큰 해악을 끼친 대표적인 이단들은 영지주의, 마르시온주의, 그리고 몬타누스주의이다. 여기에 대하여 교회는 신앙의 준칙을 확립하고, 감독의 사도권을 교회 내에 정착시키고, 정경을 확정함으로 응전하였다. 초대교회는 이단의 공격에 대하여 정경화, 신조화, 직분의 확립을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지켰다. 이단은 기본적으로 성경의 본질적인 가르침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을 더하거나, 그것에서 본질적인 교리를 빼는 것을 의미한다(계22:18-9). 영지주의와 몬타누스주의(신령한 예언)는 전자에 해당하고, 마르시온주의자들(구약적 요소를 제거)은 후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리멘트(Clement, 150-215)가 남긴 기록에 의하면, 영지주의의 창시자는 시몬 마구스(Simon Margus)라는 인물이다. 시몬 마구스는 사도행전 8장 9~13절에서 등장하는 마술사 시몬과 동일인물이며, 그는 마술을 행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재주를 부렸고, 많은 인기를 얻자 자신이 사람의 형태로 나타난 신이라고 주장하며 사람들이 자신을 경배하도록 만들었다. 시몬은 자신이 겉으로는 사람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하나님이라고 가르쳤다.  


영지주의와 정통 기독교는 거의 동시대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이성호, 2012). 영지주의 사상이 교회에 침투하여 초기 기독교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이단 세력이 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흔적을 성경에서 찾을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버가모에 있는 교회에 보내신 편지의 내용 중에 “니골라 당의 교훈을 지키는 자들이 있도다”(계 2:15)라는 내용이 있다. 이것이 초대교회에 침투한 영지주의와 관련된 흔적이다. ‘니골라당’(Nicolaitans)이라는 말은 초기 영지주의의 지도자 니콜라스(Nicolas)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니콜라스는 안디옥 출신으로서, 사도들에게서 신앙을 전수받고 집사의 직분을 받았으나 결국 이단의 길로 빠지고 말았다.

성경 외의 문헌에서도 니골라당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다. 순교자 저스틴(Justin Martyr, 165년 순교)이 Trailians에게 보내는 편지의 내용 중에 “니골라당을 멀리하십시오. 어리석은 자들입니다. 그들은 쾌락을 사랑하지만 중상적인 혀를 놀립니다”라고 말하는 내용이 나타난다. 초대교회의 대표적인 변증가 이레니우스(Irenaeus, 125–202)가 저술한 책「Adversus Haereses」에도 다음과 같이 영지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니골라당은 사도들에 의해 집사직을 처음으로 받은 자 니콜라스를 추종하는 자들이다. 그들은 무절제적인 방종한 삶을 살고 있다. 이런 자들의 특징에 대해서 요한계시록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영지주의라 부르는 사상은 고대세계를 휩쓸었던 극단적, 철학적, 영적 경향의 한쪽 측면이라 할 수 있는데, 영적 형태로서 20세기의 실존주의를 닮았다고 할 수 있다(브라운, 2001). Mary Baker Eddy(1821-1910)의 '크리스천 사이언스‘(Christian Science)는 현대판 영지주의이다. 역사가 소크라테스 (Socrates the historian, 5 BC.)가 남긴 기록에서도 초대교회가 영지주의로 인하여 어려움을 당했다고 기술되어 있다. 소크라테스는 사도 요한이 성경에 남긴 다음의 말씀이 그 당시 교회에 침투한 영지주의 이단 사상을 물리치기 위해 했던 말이라고 기술하였다.
 

“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시험하라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니라. 하나님의 영은 이것으로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이제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요일4:1-3)

1. 기독교 영지주의

1945년 이집트 나그함마디 지방에서 영지주의 문서가 대량 발견됨으로써 영지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처음에는 영지주의가 초기 기독교 내에서 발생한 하나의 기독교 이단사상이었다고 여겨졌으나, 최근에 간행된 활발한 연구결과에 의해 영지주의는 기독교 밖에서 시작되어 고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교회에 침투한 영지주의 사상으로 인하여 초대교회는 크게 몸살을 앓게 되었다. 초대교회 속으로 침투한 영지주의는 교회의 참 복음을 심각하게 위협하였다.교회사에서 영지주의가 문제된 것은 2세기 이후였다. 영지주의는 어디에서 유래한 것인가? 영지주의의 뿌리는 무엇인가?
 

⑴동양 종교 유래설이다. 조로아스터교, 신비종교, 점성술, 마술 등 동양종교에서 그 뿌리를 찾는다. ⑵헬라사상 유래설이다. 기독교 신앙이 신플라톤 철학의 흙탕물로 오염되었다고 보는 견해다. 동방종교인 불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Edward Conze). ⑶유대교 유래설이다. 유대교의 금욕적이고 묵시적인 종파 에세네파의 이원론적 세계관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⑷기독교 내부 유래설이다. 기독교 내부의 이단적 사상에서 유래했거나 1-2세기에 번창한 기독교의 한 형태라는 것이다. ⑸고대종교 및 사상의 혼합설이다. 기독교 전파과정을 통해 일어난 일종의 혼합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기독교 이전부터 존재했던 종교혼합주의가 기독교 안에 침투해 복음을 변질시키려 했던 것으로 본다. 기독교로 개종하는 과정에서 페르시아의 이원론, 동양의 신비종교, 헬라 철학, 유대교 사상 등 여러 요소가 기독교 교훈에 혼입되어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이 기독교 영지주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지주의 사상이 교회에 침투하여 초기 기독교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이단 세력이 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흔적을 우리는 성경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버가모교회에 보내신 편지의 내용 중에 “니골라당의 교훈을 지키는 자들이 있도다”(계2:15)라는 내용이 있다. 이것은 초대교회에 침투한 영지주의와 관련된 흔적이다(정이철). ‘니골라당’(Nicolaitans)이라는 말은 초기 영지주의 지도자 니콜라스(Nicolas)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니콜라스는 안디옥 출신으로, 사도들에게서 신앙을 전수받고 집사의 직분을 받았으나 결국 이단의 길로 빠졌던 사람이다. 

영지주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 안에 신성이 공유되고 있다고 여기는 현대의 뉴에이지 운동의 원형이었다. 한국인들이 기독교에 개종할 때 무속신앙과 기독교 신앙을 혼합한 것과 비슷하다 할 것이다.


2. 영지주의의 일반적 특징

영지주의는 지식을 의미하는 헬라어 Gnosis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 지식이 아니라 신비적 합일을 통한 앎을 의미한다. 영지주의는 그 성격상 밀의적인 혼합종교이므로 그 교리와 제도와 의식이 너무나 다양하여 한 마디로 규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영지주의 자체는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공통된 일반적 특징을 몇 가지 간추려보자.

⑴영육이원론(dualism): 모든 영지주의는 이원론에 기초에 두고 있는데, 영의 세계와 물질의 세계, 영혼과 육체는 서로 존재론적으로 대립의 관계에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영육 이원론은 영혼은 선하고 육체는 악하다는 선악 이원론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존재론적 윤리적 이원론이 그대로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에 적용된다. 영지주의자들은 인간이 고통을 당하고 죽는 까닭은 인간이 이 악한 물질세계에서 악한 육신을 입고 살아가기 때문이라고 본다. 육신은 악하기 때문에 육신을 사랑해서는 안 된다. 인간 육신을 적대시하고 천시하는 영지주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극단적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극단적인 금욕주의로서 일체의 육식과 결혼을 금한다. 둘째, 이와는 정반대로 육신은 전혀 쓸모없는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짓을 해도 상관없다는 윤리적 방탕주의(반율법주의)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신앙적 고행이나 금욕은 구원에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허호익, 2016). 영지주의에 의하면, 구원은 영적 각성을 통해 인간의 영혼이 육신의 굴레에서 해방되어 영적 본향으로 귀향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육체적 죽음과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에 대한 믿음을 통해 죄사함을 받아 영육간에 구원을 얻는다는 기독교의 구원론을 조잡한 것으로 배척한다. 영적 세계로의 귀환이라는 신화론적 구원론에 집착한다.


⑵육체의 감옥에 유폐된 영혼. 영지주의에 따르면, 인간은 원래 천상의 영적 존재였다. 천상의 영적 존재였던 인간은 자신 안에 있던 ‘신적 불꽃’을 상실하고 지상의 물질세계로 추방되어 고통과 죽음의 운명을 지닌 육신의 감옥에 유폐되었다. 그래서 이들은 육신을 영혼의 감옥이라고 보았다. 사람은 자신의 추방과 유폐의 과정조차 망각한 채 살아가고 있다고 가르친다. ⑶구원은 영적 깨달음에서 온다. 구원은 영적 지식의 각성에 의해 이뤄진다. 영적인 인간임을 망각하고 살아가는 육체의 감옥에 갇힌 인간이 자신이 영적 존재라는 각성에 이르게 되어야 구원을 얻는다. 영적 각성은 영적 지식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영지를 중시한다. 영지, 영적 비밀에 대한 지식을 중시한 것이 영지주의의 가장 큰 특징이다. 지성적이며 과학적인 지식이 아니고 직관적이며 직접적인 지식, 신적인 것에 참여함으로 얻는 영적인 지식을 말한다. 합일의 지식이며 구원의 직접적인 경험이다. 자신의 현재 상태로부터 해방과 구원을 성취하는 자기인식(깨달음)의 행위이다.

영지주의 이원론은 구원론과 밀접한 연관을 갖게 된다. 우리의 영혼은 물질(육체)에 갇혀 있다. 따라서 이 영혼이 육체에서 해방되는 것이 진정한 구원이다. 이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참다운 지식이 필요하다. 우리 식으로 표현하면 득도(깨달음)를 해야 구원을 얻는 것이다. 영지주의에 따르면(지방교회와 구원파가 영지주의다), 진정한 구원은 우리의 믿음이나 행함이 아니라 참지식의 소유 여부에 달려 있다. 그 결과 영지주의자들은 윤리에 대해 부정적이고 소극적이었다. 그들은 율법에서의 해방과 양심의 해방을 강조한다. 이 지식은 특별한 사람들에 의해서 비밀스럽게 전수된다고 주장하였다.영지주의는 신비적 지식을 통해 구원을 성취하려 한 종교운동이다. 영지주의는 상징적인 의식, 신비적인 예식, 무술적인 형식의 가르침을 도입하여 사변적 우주론을 대중화했다. 우주론적 신화, 헬라와 동양의 이교적 철학사상, 기독교의 진리를 융합한 대중운동이었다.
 

⑷영지주의는 분파가 다양하다. 기독교인, 유대교인, 이교도들이 각각 영지주의의 다양한 그룹과 분파를 형성하고 있었다. 2세기에 들어와서는 영지주의와 기독교 신앙이 혼합되어 기독교적 영지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기독교 영지주의자가 바로 마르시온(Marcion)이었다. 그 가르침의 단순성과 기독교와의 유사성 때문에 많은 추종자를 얻게 되었다. 154년에 로마를 방문했던 주교 폴리갑은 마르키온을 만나 토론한 다음, “나는 네가 확실히 사탄의 맏자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단죄하였다. 이때 반영지주의 신학자로 활약한 것이 바로 이레니우스와 터툴리안이었다. ⑸반(反)권위적, 반(反)성직계급적이다. 영지주의자들은 권위주의와 성직계급제도를 거부했다. 영지주의자들이 말하는 구원은 ‘신적 불꽃’을 지니고 있는 극소수의 사람에게 국한된다는 점에서 선민적 운명론이며, 은밀한 비밀이라는 점에서 밀교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영지주의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 불만계층에도 많은 매력과 호소력이 있었다.


3. 영지주의의 교리


영지주의자들은 자신들만이 신과 인간과 구원에 관한 “완전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영지주의의 다양한 견해를 단순화하거나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지만, 공통적 특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⑴이원론: 영적인 세계와 물질적인 세계를 철저히 구분하는 이원론적인 사고다. 플라톤의 이원론적 세계관에 의하면, 물질의 영역은 물리적 세계의 영역이다. 불완전하며, 일시적이고 그림자와 같은 것이다. 정신의 영역은 ‘이데아’의 영역, 영구성, 완전성, 사실성의 영역이다. 정신의 영역이 물질의 영역보다 우위를 차지한다. 정신은 진흙으로 된 육체 안에 갇혀 있으며 거기서 해방되기를 갈구하고 있다. 종교적 이원론에는 절대적 이원론과 완화된 이원론이 있다. 전자는 두 가지 원리가 영원한 싸움을 계속하는 것으로 본다. 후자는 선의 원리가 종국에는 악의 원리를 멸할 것이라 주장한다.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와 헬라의 플라톤 철학의 영향에 기인한다. 플라톤의 이원론은 존재의 영역을 구분하는 형이상학적 이원론이다. 정신적이며 영원한 관념의 세계와 일시적이며 물질적인 감각의 세계가 있다는 것이다. 전자는 참으로 존재하는 실재이며, 후자는 존재의 상실을 의미하고 그림자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물질을 악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영지주의, 특히 금욕주의 영지파의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물질과 영, 천상적인 것과 지상적인 것을 이원화시키는 것이 영지주의의 일반적 특징이다. 이분법적 사고의 틀에 따라 인간을 영적인 인간과 혼적인 인간으로 분리하기도 한다.
 

⑵하나님: 다신론적 신관을 견지했다. 그들은 미지의 하나님(unknown God)과 데미우르고스를 구분했다. 마르키온이 창조주와 구속주, 또는 구약의 하나님과 신약의 하나님, 율법과 복음의 하나님을 구별하고, 후자를 영지주의 하나님으로 간주한 반면, 전자를 유대인의 하나님으로 취급했다. 영지주의는 일반적으로 두 하나님을 전제로 하는 이원론적 신관을 견지했다. 이는 이원론적 세계관의 산물이었다. 영지주의를 관통하는 한 가지 공통점은 참 하나님은 창조주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신화적 사고와 헬라 철학에 기초하고 있다. 플라톤은 “세상은 무로부터 창조된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재료를 변형한 것”이라고 했다. 피조된 세계는 악하다고 보았다. 영지주의 하나님은 인격적인 분이 아니라 무감각한 비인격의 하나님이다(근광현, 2003). 영지주의 세계관에서는 ‘모나드’라고 하는 우주의 궁극적 ‘신성’이 존재하며, 이것으로부터 하위의 신들이 ‘발출’되었다고 본다. 영지주의에서는 우주의 궁극적 실재인 ‘신성’으로부터 방출되어 나온 하위의 신적인 존재들을 ‘아이온’이라고 하며, 기독교의 하나님도 여기에 해당된다고 여긴다. 이레니우스는 영지주의의 초월신관을 가리켜 하나님의 절대성과 전지성, 그리고 전능성을 훼손하고 있는 잘못된 신관이라고 비판했다. 사도 요한이 성경에 남긴 다음의 말씀은 초대교회에 침투한 영지주의 이단을 물리치기 위해 했던 말로 이해되고 있다:
 

“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시험하라.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니라. 하나님의 영은 이것으로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이제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요일4:1-3).
 

⑶인간: 영지주의는 인간이해에 있어서도 교회의 전통적인 교훈이나 성서해석과 입장을 전적으로 달리한다. 특히 인간의 기원과 타락문제에 있어 이해를 달리했다. ①하나님의 인간창조를 부정한다. 창세기의 인간창조 이야기를 신화나 알레고리로 이해하고 그들 자체의 창조신화를 제시했다. 천상의 세계에 거주하던 영적 존재가 어떤 치명적 사건으로 인해 세계로 떨어져 육신을 입게 된 것에서 인간이 기원했다고 본다. ②인간구성에 대한 3분설적인 이해다. 영지주의는 인간을 육, 혼, 영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육과 혼은 물질세계에 속하는 반면, 영은 신적 본질에 속한다. 인간에게는 참 하나님에게 속하는 부분, 즉 신적 불꽃이 있다. 그것이 육과 혼과 더불어 인간을 구성하는 영이라는 것이다. 인간을 세 부분으로 보는 3분설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3분설은 2분설과 더불어 정통교회도 받아들이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3분설의 자의적인 적용이다. 아담과 하와는 실제 육체를 가진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기질과 영적 기질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아담은 인간의 마음과 정서 영역인 혼을 대변하고, 하와는 인간의 신적 기원을 알고 있는 영을 대변한다는 것이다. 3분설을 인간계층의 분류에도 적용했다. 이교도를 육적 인간에, 유대교와 기독교도를 혼적 인간에, 그리고 참된 기독교인, 즉 영지주의자는 영적 인간에 속한다고 보았다.

 

그리스도는 인간의 구원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복음을 통해 계시하셨다고 가르쳤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구원은 그 내용에 있어서 전인적인 구원이 아니라 영혼만의 구원이다. 성경에는 창조주와 피조물의 구분이 엄격하다. 신과의 합일은 영적인 삶의 목표가 아니다. 인간의 영과 하나님의 영이 하나가 되어 God-man이 되면 서로를 구분하거나 차이점을 밝힐 수 없게 된다(Watchman Nee)는 것은 성경적인 사상이 아니다. 워치만니에 따르면, 인간은 세 부분, 즉 속사람(영), 겉 사람(혼) 그리고 제일 바깥의 사람(육체)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상 사람들은 겉 사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정서도 지적 사고도 하나님이 소유한 성품과 동일하지 않다. 오직 영만이 하나님과 관계한다. 영이 해방되기 위해서는 자아 또는 혼은 깨어져야만 한다. 그리스도의 영과 하나님의 영은 혼합되어야 한다. 이는 성경적 주장이 아니다. 워치만니(Watchman Nee)의 사상적 제자 권신찬은 “지성이나 감정이나 의지로써 영이신 하나님과 접하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③인간영혼의 선재설이다. 인간의 영은 육체를 입고 세상에 오기 전부터 천상세계에서 영적 존재로 선재했다고 주장한다. ④인간의 타락에 대한 신화적 해석을 한다. 에덴동산의 이야기는 인간의 타락을 증거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영지를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말해준다고 본다. 뱀이 하와에게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도록 유혹하여 그를 타락시킨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를 각성하게 했으며 하와와 아담이 그 열매를 먹음으로써 얻은 것이 영지라는 것이다. 영지주의는 하와를 아담보다 우월한 존재로 간주한다. 영지를 얻은 최초의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영지주의는 인간의 기원이나 본성과 타락에 관한 성경의 증언을 부정했으며, 역사적 사실을 신화로 취급하여 교회의 가르침과 배치되는 인간관을 제시하였다.

 

현대의 영지주의: 대부분 영지주의자는 이원론자들이다. 이들은 물질과 육체는 본래 악한 것으로 보았으므로 성육신을 부정했고 영혼만은 순결하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다. 삼분설을 따르는 이들 가운데 영지주의자들이 많은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영지주의자들은 성육신한 예수와 그의 고난과 죽음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래서 사도 요한은 “미혹하는 자가 세상에 많이 나왔나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심을 부인하는 자라. 이런 자가 미혹하는 자요 적그리스도이니”(요이 1:7)라고 말하며 영지주의자들의 활동을 경계하고 있다.“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분별하라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라. 이로써 너희가 하나님의 영을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지금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요일4:1-3).

 

현대판 영지주의 신천지. 오늘날에도 영지주의 이단이 있다. 자기들만 갖고 있는 영적 비밀을 깨달아야 구원받는다고 유혹하는 신천지가 대표적인 경우다. 교주 이만희가 자칭 보혜사이기 때문에 성경의 비밀스러운 영적 지식을 알려주고 풀어줄 수 있다고 한다. 신천지는 하나님의 뜻을 알아야만 믿을 수 있고, 믿은 후 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지신행). 성경의 비유와 계시록의 감추어진 비밀스러운 지식을 아는 사람만이 구원받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혜사는 진리의 영으로서 성령님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단 교주들은 자신을 보혜사, 동방의 감람나무, 이슬성신, 약속된 목자, 사도 요한격 목자, 즉 이긴 자, 만왕의 왕, 만유에 대주재, 총회장 등으로 신격화한다. 

 

영지주의 이단 구원파. 정통 교회는 모두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고 회개하여 예수님을 영접하고 신뢰해야 구원받는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박옥수는 『죄사함, 거듭납의 비밀』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포교활동을 벌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회개하면 죄가 씻어진다는 말이 성경 어디에 있는가? 회개해서 죄를 씻는 것도 성경적인 방법이 아니다.”(『죄 사함 거듭남의 비밀 2』p.50 기쁜소식사)라고 강조한다. 성경은 분명히 “회개하여…죄 사함을 받으라”(행2:38)고 말씀하고 있다. 박옥수는 의지적 회개가 없이 자신의 죄가 사해진 것을 “의지와 관계없이 수동적으로”깨달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영지주의적 이단사상으로 많은 이들을 미혹하고 있다. 정통 교회는 예수를 믿어 의롭다함을 받은 후에도 성품은 여전히 사함 받은 죄인이라고 가르치나, (우리는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다) 박옥수는 신분과 성품이 한꺼번에 의인이 되었다고 가르친다.

 

기독교는 회개로 시작하여 회개로 끝나는 종교이다. 그러나 신학적으로 무지한 박옥수는 죄 사함을 깨달음으로만 의인이 된다는 교리를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우리는 의롭다고 여기심을 받은 것이지 의인이 되는 것이 아니다. 크리스천은 신분상 의인이지만, 성품상으로는 여전히 죄성을 가지고 있는 죄인이다. 바울은 구원을 받은 지 여러 해가 지난 후에도 자신을 죄인의 괴수라고 고백하지 않았던가?(딤전1:15) “죄사함, 거듭남의 비밀”을 깨달으면 구원받는다고 미혹하는 박옥수 집단도 대표적인 영지주의 이단이다. 구원파는 매우 성경적인 듯 보이지만 신학적 오류에 빠진 집단이다. 신구원파라고도 불리는 기쁜소식선교회(박옥수)는 죄사함의 복음을 깨닫고 거듭납과 죄사함을 받으면 다시는 죄를 짓지 않는 의인이 된다고 주장하여 사람들에게 거짓된 위안을 주고 있다(최태영).

 

신인합일: 기독교 영지주의는 신자들이 ‘영적인 지식’(깨달음)과 ‘영적인 안내자’(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자신 안에 잠재된 신성이 되살아나서 우주의 궁극적 신성과 일치됨을 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지주의 기독교에서는 신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신인합일의 경지’에 도달한다고 착각하게 된다. 만일 인간이 정말 신인합일의 경지에 이른다면, 더 이상 하나님께 기도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기도는 땅에 있는 피조물인 인간이 초월자이시며 절대자 하나님으로부터 은혜와 도우심을 받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은혜를 주시기 위해 기도를 가르치셨다. 그러나 영지주의에서는 신자들이 “깨달음”과 영적인 세계에서 내려오는 순간적인 ‘영적인 섬광’(spark)을 통해 자기 안에 내재된 신성이 각성하여 자신도 신성에 참여하게 되었으므로 굳이 다른 신에게 기도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구원파가 구원받은 신자들에게 더 이상 기도가 필요 없다고 가르치는 것은 영지주의 사상에 비롯된 것이다(정이철, 영지주의와 구원파 교리, 2014).

 

⑷그리스도: 이와 같은 잘못된 타락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대한 왜곡으로 이어졌다.

①삼위일체 하나님의 부정이다. 영지주의는 그리스도를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로 믿지 않고 천상적인 존재인 에온 중 하나로 간주한다. 그리스도는 물질적인 세계로부터 해방되는 길을 제시하기 위해 세상에 왔다고 가르쳤다. ②성육신 교리의 부정이다. 그리스도는 육체를 입고 이 세상에 올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육체는 하나님의 의지의 산물이 아니다. 물질과 육체는 참 하나님의 계시를 나타내는 중보자의 역할을 감당할 수 없다고 보았다. 

 

가현설(docetism): 외견상으로 사람으로 보인 것뿐이지, 실제로 육신을 입은 것이 아니라는 이론이다. 사도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지 않는 영에 대해 언급한 것(요일4:2-3)은 가현설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가현설은 물질은 악하며 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는 헬라사상에 근거하여 예수님이 육체를 가졌을 경우, 그의 신성에 손상이 갈 것이라는 우려에서 나온 주장이었다. 그렇지만 그것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무의미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단으로 정죄 받게 되었다. 1세기 말 케린투스(Cerintus)는 그리스도와 예수를 구별하고, 그리스도의 신성은 단순히 인간성과 일시적 병존상태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예수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로 태어난 인간이었던 반면, 그리스도는 세례받을 때 그에게 내려온 신적 존재였다.”

 

③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은 환상이다. 그리스도의 몸은 진정한 의미의 육체일 수 없고 육체의 모습을 가진 것처럼 보였을 뿐이다.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그리스도가 아니고 인간 예수였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은 실제 일어난 것이 아니라 환상에 불과한 것이다. 가현설적 기독론(docetism)을 주장하였다. 영지주의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몸은 진정한 육체일 수 없고 단지 육체의 모습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나님인 동시에 완전한 사람이었다. ④부활한 그리스도의 육체적 실재의 부정이다.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이나 육체적 부활과 같은 정통교회의 일반적 신앙을 소박한 오해로 간주하며, 그리스도의 부활은 상징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⑸구원: 영지주의는 구원이 지식(깨달음)에 의해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①구원은 영의 해방과 귀환이다. 영지주의에 따르면, 구원은 물질적인 것과 연합됨으로 육체 속에 갇혀 이 세상에서 데미우르고스와 그 세력들의 지배 아래 있는 영이 해방되어 본래의 거처, 천상계로 귀환하는 것이다. ②구원을 지식을 통해 성취된다. 영지주의는 구원이 예수의 희생적 죽음이나 예수를 믿음으로 얻을 수 있는 게 아닌 영지, 즉 세계와 에온들과 참 하나님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소유함으로 이뤄진다고 보았다. 이들은 믿음과 관련하여 지식을 과대평가한다. 엘리트를 위해 보다 높은 지식 즉, 비밀적인 지식이 요청된다고 주장한다(브라운, 2001). 구원파는 예수 그리스도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죄를 사해주셨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라고 이해한다. 박옥수는 “죄사함, 거듭남의 비밀”을 깨닫는 것이 구원이라고 가르친다. 박옥수는 정통 교회에서 하는 모든 것이 헛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바로 회개와 믿음이라고 주장한다. 의지적인 회개와 믿음이 빠진 깨달음에 의한 구원을 전하기 때문에 한국교회는 구원파를 영지주의적 이단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에 영향을 받은 류광수 다락방도 죄인임을 인정하고 이를 통회하는 회개에 대한 강조를 하지 않고 다만 예수를 구주로 믿을 때 원죄와 자범죄가 다 용서받는다고 주장하고 있을 뿐이다. 이단전문가들은 다락방이 지방교회의 삼분설과 박옥수의 깨달음, 그리고 김기동의 귀신론이 혼합된 영지주의 이단이라고 분별하고 있다.

 

③인간계층에 따라 구원의 가능성이 좌우된다. 최하층인 육적 인간, 즉 이교도들은 어느 경우에도 구원을 얻을 수 없는 멸망 받을 인간이다. 중간층 혼적 인간은 신앙을 가졌으나 영지를 가지고 있지 못한 유대교인과 기독교인들로 이들은 구원받을 수도 있고 멸망할 수도 있는 인간이다. 최고층 영적 인간은 참된 기독교인으로 영지로 구원을 얻은 인간이다. 영적 인간은 구원에 이르기 위해 예수의 교훈을 파악해 깨닫기만 하면 된다.

 

도덕, 윤리, 죄를 초월하는 영지주의


유병언, 박옥수, 이요한의 구원파가 인간의 구원을 ‘영의 구원’, ‘혼의 구원’, ‘육의 구원’으로 나누어서 설명하는 것이나, 구원받은 이후 육신으로 짓는 죄가 더 이상 죄가 아니라고 가르치는 것도 영지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정통 기독교 신앙은 인간이 영혼과 육체로 구성되었다고 보지만, 영지주의는 인간이 영, 정신(혼), 육체, 세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본다. 구원파도 인간을 ‘영적인 인간’(Pneumatics), ‘정신적인 인간’(Psychics), ‘육체적인 인간’(Hylics)으로 구분하는데, 영지주의 사상과 매우 유사한 부분이다. 영지주의는 자신들이 속하여 있는 영적인 인간 부류가 구원을 얻을 가능성이 가장 높고, ‘영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인들은 ‘정신적인 인간’으로 분류하면서 이들도 구원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육체적인 인간’부류는 영적인 지식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구원에 이르지 못한다고 가르친다.

 

구원파가 신자들이 ‘구원에 관한 깨달음’을 통해 거듭난 이후 어떤 죄를 범하더라도 영혼과는 무관하고 더 이상 죄가 아니라는 구원파의 가르치는 것도 영지주의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영지주의 사상은 악한 물질세계 속에 속박되어 있는 자신의 신성에 대해 무지, 무감각한 상태에서 살던 사람에게 ‘영적인 깨달음’, 또는 신성을 일깨우는 ‘순간적인 섬광’이 임하면 궁극적 영적 실체와 일치되어 진다고 한다. 기독교 속으로 들어온 영지주의 이단은 ‘영적 안내자’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신인합일’의 길로 들어선다고 가르친다. 인간이 신인합일의 경지에 들어서면 육체와 물질세계로부터 완전하게 초월하고, 악한 물질세계로부터 더 이상 영향받지 않는다는 이론적인 주장이 성립된다. 

 

그러므로 영지주의에서는 영적인 지식을 얻어 신성의 세계를 향하는 해탈한 인간에게는 더 이상 인간 세계의 도덕과 윤리가 중요하지 않다고 가르친다. 영적 지식을 통해 물질세계의 운명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영적 지식을 통하여 구원받은 사람의 영혼은 이미 물질세계로부터 벗어났기 때문에 그 사람의 육신이 무슨 일을 할지라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이론도 성립된다. 그래서 영지주의 사상에 빠진 사람들에게서는 각종의 쾌락과 방종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극도의 금욕생활이 나타나기도 했다. 구원받은 후로는 완전해졌고, 육체로 범하는 죄가 더 이상 영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구원파의 가르침은 영지주의에서 유래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4. 반영지주의 교부들


영지주의의 주요교리는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중대한 문제를 야기했다. 그들의 창조론, 구원론, 신론, 기독론은 기독교 신앙의 근본을 부정하거나 위협했다. 물질세계를 영원한 하나님의 창조물이 아니라 저급한 존재에 의해 이루어진 잘못된 결과로 간주하는 창조론은 물질세계를 긍정하는 유대기독교 신앙을 정면으로 도전하였다. 영지주의는 믿음이 아닌 지식에 의해 구원을 얻으며, 육체적인 몸의 구원과 부활을 부정했다. 최초로 영지주의를 논박한 사람은 저스틴(Justin)이었다. 마르키온에 대해 귀신들에게 영향을 받은 자들로 간주했으며, 시몬 마구누스(행8장)의 교리를 사악하고 기만적인 것으로 경멸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반(反)이단 문서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이레니우스의 <이단논박>이다. 그는 전통과 성경의 권위에 근거하여 이단들을 논박했다.

 

터톨리안(Tertullian, 150-220)은 서구신학의 기초를 놓았던 라틴교부였다.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을 부정하는 영지파들을 신랄하게 책망하고 비판하였다. 클레멘트(Clement, 150-216)는 “모순되기 때문에 나는 믿는다”라거나 기독교인은 진리를 추구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며 단순한 믿음을 넘어서 ‘참된 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고 논박하였다. 오리겐(Origen, 186-254)은 단순한 신앙에 반대하고 올바른 성경해석을 통한 지식을 높이 평가했다.

 

현교(顯敎)와 밀교(密敎)


종교는 크게 현교와 밀교로 구분된다. 현교는 교리와 제도와 의식이 모두 공개되어 있고 의사결정이 민주적이고 예산과 결산이 투명하게 공개된다. 반면에 밀교는 교리와 제도와 의식의 일부는 외부자에게 공개되고 그 일부는 내부자들에게만 공개되는 이중구조를 지니고 있다. 영지주의는 밀교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단 사이비는 대부분 밀교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대체로 집회 참석조차 공개되어 있지 않고 교리와 의식과 제도가 숨겨져 있다. 그리고 자기들만의 감춰진 비밀을 알고 있다고 주장하고 그 내용을 비공개적으로 은밀하게 가르친다. 신천지 교인들은 자신의 신분을 철저히 숨기고 심지어 전도방법과 같은 내부유인물이나 분서의 유출도 철저히 금하고 있다. 밀교는 비민주적으로 운영되며, 재정관리가 불투명 하는 등 교리와 제도와 의식이 이중적이다. 이러한 표리부동의 ‘비밀단체체제’는 밀교적 성격을 띠는 이단사이비집단의 전형적 특징이라 하겠다. 신천지는 현대판 영지주의 집단으로서 교리와 제도와 의식의 일부가 외부인들에게는 철저하게 감추어져 있는 밀교의 성격이 강하다.

 

신천지는 기성교회에는 구원이 없다고 구원관을 완전히 뒤집어놓고, 신천지 12지파에 속해야 신천지 예수교장막성전에 등록되며 144,000명에 녹명되고 이들만이 구원과 영생을 받게 된다고 믿고 시인하게 한다. 6개월간의 성경공부를 마칠 즈음에 지금까지 배운 계시의 실상이 바로 마지막 때의 메시아요 보혜사인 이만희를 통해서 밝힌 구원의 진리임을 이야기한다. 신천지 집회는 신천지 교인에게 발급되는 ID카드를 소지한 자에게만 허용된다. 보편적인 교회는 교회의 일치와 가정의 화합을 위해서 바른 교훈을 전하는데, 현대판 영지주의 밀교인 신천지는 신앙의 이름으로 가정의 해체와 교회의 분열을 부추기고 있다.

 

한국의 영지주의


교회사적으로 거의 모든 이단은 자신들만 바른 복음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가장하고 공교회를 혼란시켰다. 영지주의자들이 그랬고 몬타니즘이 그랬으며 근래 한국교회의 문선명, 박태선, 이만희, 박옥수의 죄사함, 거듭남의 비밀, 이장림의 10월 28일 재림론도 이 점에서 예외는 아니다. 그래서 이들은 “그리스도의 비밀”이나 “구원의 비밀”이라는 말을 즐겨 사용하였다. 이것은 류광수 다락방 전도운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류광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 가운데 무슨 “비밀”무슨 “비밀”이니 하는 말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복음의 비밀”, “구원의 비밀”, “전도의 비밀”,  “일꾼 키우는 비밀”, “그리스도의 비밀”등과 같은 말이다. 류광수는 자기 또는 자기를 추종하는 자들만 “그리스도의 비밀”을 깨달아 알고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이것은 초대교회의 영지주의자들이 자신들만의 비밀스러운 지식 그노시스(gnosis)를 갖고 있다고 호도한 것이나, 문선명, 박태선, 이만희, 안상홍 등 사이비나 이단들이 천국행을 보장받은 집단인 것처럼 기성교회를 미혹했던 현상과 별다를 바가 없다.

 

한편 “현대 국학과 뇌과학의 창시자”로 자처하는 “대선사 일지 이승헌”은 1985년 단학선원을 설립하고 2002년 이를 단월드로 개명하였다. 이승헌의 단학은 신일합일의 천화사상과 종교혼합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이승헌은 “진정한 ‘나’는 우리 내면에 있는 순수한 영혼의 불꽃, 바로 ‘神性’이다”고 주장하고, “모든 인간의 참 의미와 삶의 참 목적은 이 신성을 깨닫는 데 있다”라고 강조하였다. 단학을 통해 인간의 완성이 이뤄지는데, 인간완성의 3단계는 육체의 완성, 정신의 완성, 천지인 조화의 완성인데, 이 마지막 단계가 천화라고 한다. 이승헌에 의하면, 단학수련을 통해 신성을 밝히 깨닫는 것이 구원의 길이라고 한다. “단학수련을 통해서 우주의 신성과 여러분의 신성이 만나는 순간이 깨달음이요 구원”이라는 것이다. 이승헌의 신선도는 신일합일을 통해 구원을 얻을 뿐 아니라 영생에 이르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단월드는 영지주의가 한국에서 신흥종교의 옷을 입고 재현된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영지주의는 신비적 지식을 통해 구원을 성취하려 한 종교운동이었다. 교회는 영지주의를 논박하는 과정을 통해 신앙신조와 권위체계를 확립하게 되었다. 영지파의 비의(secret teaching)를 논박하는 과정에서 신약정경, 사도적인 전통, 사도적 권위가 정립되었다. 영지주의 도전으로 신학활동이 촉진되었다. 따라서 많은 반영지주의 교부들이 배출되어 올바른 신론, 기독론, 인간론이 확립되었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가 진정한 인간인 동시에 진정한 하나님임을 분명히 할 수 있었다. 영지주의는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이단의 모습으로 재현되고 있다. 혼합주의의 문제점과 위험성을 우리에게 지적해주는 동시에 초기 기독교 교부들이 생존을 걸고 확립한 성서적 기독교 진리를 잘 보존하고 가꾸어야 할 것을 우리에게 교훈하고 있다.

 

참고문헌

근광현. [기독교 이단 길라잡이]. 누가, 2003.

노영상. “왜 생명신학인가,”제1회 한국교회 생명신학포럼, 2017).

목창균. <이단논쟁>. 두란노, 2016.

레날드 맥컬리 ․ 제롬 바즈. <인간, 하나님의 형상>. 홍치모 역. IVP, 1992.

박용규. “류광수 다락방 연구보고서,”[종교와 진리]. 2017년 6월호.

이성호. “이단의 출현과 교회의 응전,”<개혁신학과 교회>, 교려신학대학원, 2012.

정동섭. [구원파를 왜 이단이라 하는가]. 죠이선교회, 2010.

정이철. “세월호 사건으로 다시 살펴보는 구원파: 정상적인 기업정신이 없는 이단집단에 의한 예고된 참변,”[바른 신앙]. 2014.

해롤드 브라운. [교회사 안에 나타난 이단과 정통]. 라은성 역. 그리심, 2001.

허호익. [한국의 이단 기독교: 주요이단의 계보와 교리 비판]. 동연,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