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몸-마음, 젠더, 생태, 평화 Scapbook

Spirituality, Mind-Body, Gender, Ecology, Ageing, Peace, Scrapbook (in English and Korean)

2020/09/12

불교언론-46.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 법보신문

불교언론-46.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 법보신문



46.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현진 스님 승인 2019.12.11 10:38 호수 1516 댓글 0기사공유하기

=

사마타(samatha)와 위빠사나(vipassanā)는 남방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다. 이를 북방불교에선 지(止, 사마타)와 관(觀, 위빠사나)으로 번역하고 있는데, 지관(止觀)수행은 북방불교에서도 중요한 수행법 가운데 하나이다.



지(止)란 수행함에 있어서 밖으로는 일체의 경계에 끄달리지 않고 안으로는 일체의 생각에 흔들리지 않은 채 마음을 특정의 대상에 쏟을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관(觀)이란 ‘지’의 수행을 통해 얻은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바른 지혜를 끌어내어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관찰해가는 것을 말한다. 지관수행법은 흔히 흙탕물을 가라앉혀 맑힘[止]으로써 물속을 들여다볼[觀] 수 있다는 것에 비유되기도 한다.



‘지’는 초선부터 제4선까지 색계의 4가지 선정인 사선(四禪)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욕계를 벗어나 색계에 접어들면 욕망은 사라졌지만 일상적인 사유작용은 여전히 지속되며 욕망에서 벗어났다는 희열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된 것을 초선(初禪)이라 한다. 그 다음 일상적인 사유작용도 가라앉고 집중된 마음의 상태인 삼매에 머물게 되는데, 그로 인한 희열감과 행복감은 느끼는 것이 제2선(第二禪)이다. 그리고 제3선(第三禪)에 가닿으면 모든 희열감이 사라지고 단지 평정된 마음에 머묾으로써 바른 생각과 바른 지혜를 갖출 수 있게 되며, 제4선(第四禪)에선 제3선에서 갖추어진 모든 것들이 완성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사선의 상태에 대해선 경전에 상세히 서술되어 있는데, 수행하는 이들은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자신이 어느 단계에 와있는지 점검해볼 수 있을 것이다.



‘관’은 있는 그대로를 알고서 바라보는 것인 여실지견(如實知見)을 통해 성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념처(四念處)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사념처란 수행자가 자신의 존재상황을 철저히 대상화시켜놓은 상태에서 몸[身]과 느낌[受]과 마음[心]과 법(法)으로 분류될 수 있는 존재일반이 일어나[生] 머무르다[住] 사라지는[滅] 것을 지긋이 주시함을 말한다. 수행자는 그럼으로써 모든 것은 항상하지 않다는 무상(無常)을 깨닫게 되고, 그래서 인식된 고(苦)를 바탕으로 무아(無我)를 간파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집착으로부터 벗어날[解脫]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멀찌감치 단속직원이 다가오는데 차문을 열려고 키를 찾아도 보이지 않는지 당황해서 우왕좌왕하는 친구에게 건네는 ‘아이~ 좀, 가만히 생각해봐!’라는 말, 이 말속에 지관(止觀)수행의 개요가 오롯이 담겨있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물론 천태지의 선사를 만나 복잡다단해진 지관 수행의 방법이 모두 들어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지(止, 가만히)하고서 관(觀, 생각해보다)하란 말인 셈이니 그리 터무니없는 말은 아닐 것이다.



이와 유사한 생활불교로는 원효 스님께서 한 마디 진언만 외면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하셨던 ‘나무아미타불’이 있고, 고난의 티베트 민족을 감싸 안고 있는 진언 ‘옴마니반메훔’, 그리고 일본의 일련 스님에 의해 창시되었다가 창가학회에 의해 제창된 ‘남묘호렌게꾜’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과 비교해 봐도 지관수행의 생활어인 ‘가만히 생각해보다’는 집중력을 길러주는 한 마디 진언(眞言)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수행(修行)에까지 나아가게 하는 실행력이 분명 덧대어 있다.



그렇다고 맨날 ‘가만히 생각해보라!’거나 ‘가만히 생각해보자!’를 되뇌기만 한다고 그 실행력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단순하게 가만히 생각해보는 정도에 머물지 않고, 어떻게 하면 더욱 효과적인 ‘가만히’와 ‘생각해보다’가 될 수 있을까? 궁리하다 결국엔 더 나은 분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여 사선(四禪)에 근거하고 사념처(四念處)를 행하는 지관수행에 들어설 때 생활불교는 수행불교로 올곧게 전환될 수 있다.



현진 스님 봉선사 범어연구소장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SGI, Vipassanā, 원효, 창가학회

"나도 선정 체험...'계' 지켜야 스님" - 뉴스렙

"나도 선정 체험...'계' 지켜야 스님" - 뉴스렙

"나도 선정 체험...'계' 지켜야 스님"
  •  조현성 기자
  •  승인 2018.08.07 16:11
  •  댓글 0

수행서 영미권 출판 정신과 전문의 전현수 원장 "승려 도박은 습성 탓"
"'계'를 지키니까 스님이다. 계를 지켜야 재가자와 출가자가 구분된다." 
전현수 원장(전현수정신건강의학과ㆍ사진)은 불교정신치료 기틀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 정신과 전문의이자 재가 수행자이다. 지난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미얀마 등지를 찾아 수행을 시작한 그는 두차례 출가를 하기도 했다.
전 원장은 지난 2009년과 2013년 미얀마 파욱 수행을 체험한 수기를 책으로 펴냈다. 지난 2015년 국내 출간한 <정신과 의사의 체험으로 보는 사마타와 위빠사나>이다.
이 책이 영어로 번역돼 미국 불교서적 전문출판사 위즈덤 출판사(Wisdom Publications)에서 <Samatha, Jhāna, and Vipassanā>로 최근 출간됐다.
진리 보려는 이들에 전하는 메시지
영문판에서는 세계적인 명상 지도자 파욱 사야도의 제자인 레와따 스님이 감수와 서문을 남겼다.
레와따 스님은 전 원장의 책을 "진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했다.
미국의 저명한 심리치료자인 크리스토퍼 거머는 추천사를 통해 "전 원장은 파욱 전통 수행법을 상세히 설명해 불교 경전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 책이 앞으로 더 깊고 더 진실하게 수행하도록 명상가들을 독려할 것"이라고 했다.
'청정도론' 파욱 수행으로 선정 체험
파욱 수행은 파욱 사야도가 부처님 당시의 수행법을 기록한 <청정도론>을 복원한 수행법이다. 전 원장은 7일 영문판 출판기념 기자간담회에서 "파욱 수행을 통해 색계 무색계 등 사선정을 모두 체험했다"고 밝혔다.
전 원장은 "삼매(선정)은 우리가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게 돕는 현미경과 같다"고 했다.
이어서 "수행을 하면 경전을 온전히 경험할 수 있다. 명상은 우리에게 '직접적인 앎'을 전달한다"고 했다.
정신과 전문의인 전 원장은 불교의 삼독심을 통해 정신질환이 설명된다고 했다. 삼독심이 일어나면 정신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것이 축적되면서 질환으로 발현된다는 설명이다. 전 원장은 불교명상으로 정신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승려 도박은 조건과 습성 탓
전 원장은 수행이 업인 승려들의 상습 도박에 대해 "조건과 습성이 붙은 까닭"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도박을 하는 스님들도 출가 당시에는 청정했을 것"이라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몸과 마음 관리를 잘못하게 되고, 정확한 수행법을 모르는 상태가 지속됐기 때문일 것"이라고 했다.
전 원장은 "부처님 말씀대로 올바른 수행법대로 해보니까 불교의 위대함과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고 했다.
이어서 자신이 2003년 처음 위빠사나 수행을 했지만 윤회를 볼 수 없던 답답함에 파욱 수행법을 만난 이야기, <청정도론>대로 수행을 하고 나니 경전을 오롯이 체험했음을 말했다.
선정 바르게 배우려면 '청정도론' 뿐
전 원장은 "선정을 체계적으로 바르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은 (<청정도론>을 되살린) 파욱 수행뿐"이라고 했다.
한국불교 간화선 관련, 그는 "(파욱 수행의) 선정은 마음을 하나로 모은다. 화두(간화선 수행)는 마음을 모으는 것에 의심이 하나 더 붙는다"고 했다.
이어서 "간화선을 통해 삼매는 경험하겠지만, 간화선에는 의심이 붙어 뭔가 더 있을 것 같다. 나는 간화선 수행을 안해봤기 때문에 모른다"고 했다. 전 원장은 "대승은 종교가 됐다. 건드리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도 전 원장은 "'계'를 지키니까 스님이다. 계를 지켜야 재가자와 출가자가 구분된다. 작금의 조계종 사태도 스님들이 계를 지키지 않아서 일어난 일"이라고 했다.
한편, 불광출판사는 전 원장이 영문판을 펴내면서 수정 보완한 <정신과 의사의 체험으로 보는 사마타와 위빠사나> 제2판을 오는 연말께 국내에서 출간한다.
[뉴스렙,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제보 cetana@gmail.com]
저작권자 © 뉴스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제보 newsrep21@gmail.com]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Vipassanā, 명상, 윤회

전현수 박사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영문판 발간 - 불광미디어



전현수 박사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영문판 발간 - 불광미디어



전현수 박사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영문판 발간

유권준
승인 2018.09.24



2015년 첫 발간 이후, 최근 미국 위즈덤출판사 통해 영문판 발간


명상을 통한 불교정신치료의 개척하고 있는 정신과 전문의 전현수 원장의 책 <정신과 의사의 체험으로 보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불광출판사)가 미국의 저명한 출판사 <위즈덤>을 통해 영문판으로 출간됐다.

불교학술서를 30여년 이상 출판해온 <위즈덤>은 달라이라마 아잔 차 스님들의 책을 펴내 서구에 불교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는 대표적 출판사다.

전현수 원장은 2015년 한국어판 <정신과 의사의 체험으로 보는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국내 출판에 앞서 영문번역 초고를 위즈덤에 보냈고, 그해 12월에 출판계약을 맺었으며 영문판 준비를 거쳐 최근 <Samatha, Jhāna, and Vipassanā(사마타, 선 그리고 위빠사나)>라는 제목으로 출간하게 됐다고 밝혔다.

전현수 원장의 이 책은 저자 스스로 병원문을 닫고 미얀마에서 파욱 전통수행을 직접 체험한 후 정신과 의사의 입장에서 겪은 수행과 정신 치료의 의미를 정리한 저작이다. 전 원장은 정신과 의대 재학시절 1985년 처음 불교를 접했으며 이후 불교와 정신치료의 관계를 연구하고, 직접 수행에 참여해 불교수행을 치료로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연구를 하면서 경전에 기록된 내용을 실제로 체험해보기 위해 2009년과 2013년 두차례에 걸쳐 미얀마를 방문해 수행을 한 경험을 책에 담고 있다.

전현수 원장은 영문판에서 수정 보완된 내용을 한국어판에도 반영해 올해 말 <정신과 의사의 체험으로 보는 사마타와 위빠사나>2를 출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Vipassanā, 명상

Amazon.com: Samatha, Jhana, and Vipassana: Practice at the Pa-Auk Monastery: A Meditator's Experience (9781614293576): Jeon, Hyun-soo, Jun, HaNul, Revata, Sayadaw: Books

Amazon.com: Samatha, Jhana, and Vipassana: Practice at the Pa-Auk Monastery: A Meditator's Experience (9781614293576): Jeon, Hyun-soo, Jun, HaNul, Revata, Sayadaw: Books








eting
›
Alternative Medicine






Hyun-Soo Jeon
+ Follow


Samatha, Jhana, and Vipassana: Practice at the Pa-Auk Monastery: A Meditator's Experience Paperback – August 21, 2018
by Hyun-soo Jeon (Author), HaNul Jun (Translator), Sayadaw Revata (Foreword)
4.1 out of 5 stars 3 ratings

A clear and comprehensive handbook to a revered path of meditation.



This step-by-step meditator’s guide walks the reader through practices that can hold the key to unlocking new levels of concentration and insight. A student of the famed Pa-Auk Monastery and a practicing psychiatrist, Jeon Hyun-soo, MD, PhD, uses these two paths to guide the reader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 world around them. Drawing both from Jeon’s own experience with Pa-Auk Sayadaw and from the words of the Buddha, this is an authentic and practical guide to samatha, materiality, mentality, dependent origination, and vipassana





Editorial Reviews

Review
"This is a book that conveys a profound message to those who would like to know and see the truths as they really are." -- from the foreword by Sayadaw Revata

"This book is nothing short of extraordinary. With humility, clarity, and absolute fidelity to the original teachings, Dr. Jeon shares his direct experience of advanced states of absorption, along with technical details of practice, in a manner that makes the ancient texts come alive. This book will surely inspire meditators to practice more deeply and more sincerely for years to come." -- Christopher Germer, Harvard Medical School, author of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About the Author
Born 1956 in Pusan, Jeon Hyun-soo became a psychiatrist and a psychotherapy specialist after graduating from Kyung-nam High School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ceiving neuropsychiatry training at the Soon 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He attended Hanyang University Medical School where he obtained hi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He was introduced to Buddhist teachings two years after becoming a neuropsychiatry resident. After that, he met with patients and studied Buddhism concurrently, using Buddhist wisdom to aid him in treating his patients. The use of Buddhist wisdom was so effective that he detailed his experiences in his other books.

In 1990, he opened Jeon Hyeon-soo Neuropsychiatry Clinic. In 2003, he took a month off from his clinic to go to Burma to partake in vipassana training. Later that year, he gathered specialists in Buddhism, psychology, and psychiatry to study together and hold discussions. This gathering developed into the South Korean Buddhist Psychotherapy Society in 2007. In March 2009, he took a year off from therapy to practice Buddhism, travel, and write books. In March 2010, he reopened his clinic and returned to helping patients.

Dr. Jeon has authored the following books in Korean: Cry When You Want to Cry and A Psychiatrist’s Wisdom from the Buddha: Stories of Healing the Mind, A Psychiatrist’s “Guidebook for the Mind”, and collaborated in writing Value of Labor: A Buddhist Perspective, as well as translating Mark Epstein’s book Thoughts without a Thinker into Korean.

Born in the United States, HaNul Jun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2013 with a bachelor of arts in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focusing on Burmese Buddhist meditation. He is currently a PhD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with research interests in both Theravada and Mahayana Buddhist ascetic practice and their relationship to texts and doctrine, particularly the Abhidhamma. He hopes to engage in professional scholarship on Buddhism and religious asceticism upon completing his degree.

During a period of over ten years Jun has had various experiences with Buddhism and meditative practice. Having first ordained temporarily as a novice monk in Myanmar in 2002, he also underwent temporary ordination as a Korean novice at Woljeong temple in Kangwon Province in 2006, and became a fully-ordained bhikkhu for three months in Myanmar in 2013. He also travelled to Dharamsala, India, in 2007 and 2011 to study Tibetan Buddhism. He has studied vipassana meditation in the Mahasi tradition under Sayadaw U Pandita, in the Goenka tradition, in the Shwe Oo Min tradition under Sayadaw U Tejaniya, and in the Pa-Auk tradition under Sayadaw U Revata. He also practiced Korean Ganhwa Seon at a retreat at Baekdamsa Temple.

Product details

Item Weight : 14.4 ounces
Paperback : 264 pages
ISBN-10 : 1614293570
ISBN-13 : 978-1614293576
Product Dimensions : 6 x 0.7 x 9 inches
Publisher : Wisdom Publications (August 21, 2018)
Language: : English
Best-sellers rank #1,479,399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85 in Myanmar Travel Guides
#331 in Theravada Buddhism (Books)
#1,210 in Buddhist Rituals & Practice (Books)

5 star 77%
4 star 0% (0%)
0%
3 star 0% (0%)
0%
2 star 0% (0%)
0%
1 star 23%


GARY L. SMITH

5.0 out of 5 stars Great Boo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2, 2018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well worth the read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A Meditator

1.0 out of 5 stars This book is not helpful or practical for the meditator.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19, 2018

This book is a rehash of some very technical terminology from Pa Auk's book Knowing and Seeing, and was apparently written by a Korean psychiatrist.
So why was it even written? Beats me.

8 people found this helpfu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불교언론-3. 명상의 의미 - 법보신문

불교언론-3. 명상의 의미 - 법보신문



김재권의 명상심리로 풀어보는 불교교리
3. 명상의 의미

김재권 교수
승인 2018.01.16


요가·불교 ‘선정’과 기독교 ‘묵상’ 의미 혼재

일반적으로 ‘명상(冥想, Meditation)’이란 ‘마음을 가라앉혀 신에게 기도하는 것’을 비롯하여, ‘어느 한 대상에 마음을 집중시키는 것’이나 ‘마음을 가라앉혀 무심하게 되는 것’ 등 종교적·철학적 전통의 차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사실 ‘명상(冥想)’이란 말은 영어 ‘meditation’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이는 일본에서 영어 ‘meditation’을 주로 ‘명상(冥想)’으로 번역한 것을 따른 것이다.

‘meditation’ 일본서 명상 번역
과거와 현재 구분은 의미 없어
동서양 관계없이 폭 넓게 사용

어원적으로 ‘메디테이션(meditation)’은 ‘심사숙고‧묵상‧정신적·신체적 훈련’을 의미하는 라틴어 ‘meditatio’에서 유래한다. 라틴어 ‘메디타티오(meditatio)’는 점차 유럽의 기독교 문화권에서 신, 예수‧그리스도, 성모마리아 등을 마음 가운데 생생하게 떠올리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것은 불교적인 의미로는 ‘내관’이나 ‘관상’에 해당된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불교의 ‘내관(內觀)’이나 ‘선정(禪定)’ 등의 용어와 인도의 ‘요가(yoga)’라는 말이 자주 영어 ‘meditation’으로 번역된다. 그런데 이것을 다시 역수입하는 과정에서 내관 등의 용어를 채용하지 않고 명상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서구에서 명상이 도입되어 현대적으로 활용된 것은 1960대 이후의 일이다. 명상이 서구에 도입될 당시에는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은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동양전통의 명상수행 중 일어나는 깊은 선정체험을 일종의 정신분열증으로 오인하기도 했었다.

비록 명상이라는 용어는 서구적 전통에 유래하는 측면은 있지만, 수행적인 맥락에서 보면 명상의 가장 오랜 전통은 인도의 요가와 불교의 수행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요가의 정의는 ‘심작용의 지멸(citta-vṛtti-nirodha)’인데, 이는 명상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마음의 활동이나 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이나 목적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의 수행법은 이러한 요가 수행을 기반으로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된 것이다.

인간의 마음은 태어난 이후로 죽는 날까지 한시도 쉬지 않고 활동을 계속한다. 잠을 자는 동안에도 꿈을 꾸는 등 심층의식에서 미세한 의식의 활동은 멈추는 일이 없다. 이러한 의식의 활동은 업(業, karma)과 긴밀한 관련을 가진다. 특히 업은 지식과 일상적 경험의 산물로서 의식의 내면, 즉 마음의 활동과 심적 작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요가수행이나 불교명상은 의식의 내면에서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식과 경험의 산물인 업력을 깊은 삼매나 선정력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제어하고 소멸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파탄잘리의 8지칙이라는 고전요가의 수행체계 가운데 제7단계와 제8단계의 디야나(禪, dhyāna)나 사마디(三昧, samādhi)와 깊은 관련을 가진다.

특히 명상의 의미와 관련하여, 먼저 요가의 디야나는 ‘의식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시키거나 의식의 작용이 하나의 대상에 한결같이 집중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사마디는 ‘대상만이 홀로 빛나고 의식 자체는 사라진 것 같이 된 상태’를 의미한다. 흔히 불교에서 사용하는 선정(禪定)이라는 말은 이러한 요가의 디야나와 사마디의 두 단계를 합하여 지칭하는 표현이다. 사실 불교의 입장에서는 요가를 사마타(止, samatha)적인 수행으로 평하는데, 불교의 명상은 이러한 요가의 사마타에 위빠사나(觀, vipassanā)적인 수행방식을 더하여 지관겸수를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국 명상의 기본적 의미는 고전적인 해석과 현대적인 해석으로 구분하여 정리된다. 우선 고전적인 해석으로는 요가의 정의나 불교의 수행에서 유래된 것으로 요가의 수행단계를 나타내는 디야나와 사마디의 의미와 상통한다.

현대적인 해석으로는 라틴어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고요히 생각에 잠기는 것이나 고요히 생각을 가라앉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명상은 동‧서양의 전통적‧종교적 차이와는 관계없이 매우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김재권 동국대 연구교수 marineco43@hanmail.net



[1424호 / 2018년 1월 17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의식과 본질", Vipassanā, 명상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 불광미디어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 불광미디어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불광미디어
승인 2020.05.19 10:39

불교 수행의 바른길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저작·역자 이중표정가 20,000원
출간일 2020-05-18분야 불교
책정보

384쪽|판형 152mm×225mm|책등 두께 20mm

ISBN 978-89-7479-800-0 (03220)
구매사이트교보문고Yes24인터파크알라딘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상세소개
책속으로
언론사 서평
책소개 위로


존재가 갖는 모든 문제에 대한 답, 붓다의 연기법

우리는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고, 인식하면서 살아간다. 과학은 단지 보이는 것에 대해서만 이야기할 뿐, 우리가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인식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어떤 이야기도 할 수 없다. 진리는 보이는 것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모든 삶에 적용되는 것이다. 붓다는 이러한 진리를 깨닫고, 그 진리에 기초하여 생사의 세계와 열반의 세계가 있다는 것을 가르쳤다. 붓다가 어떤 진리를 어떻게 깨달았는지를 알아야 하는 까닭은 바로 우리 삶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위해서이다. 붓다가 깨달은 것은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는 연기법이다. 그리고 연기법의 사유를 통해 드러난 진리가 4성제이다. ‘연기법과 4성제’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붓다가 제시한 방법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한 석학 이중표 명예교수의 답이 바로 이 책이다. 정확한 핵심을 놓치지 않는 쉽고 간결한 강의로 정평이 나 있는 저자의 명강연을 고스란히 지면에 옮긴 이 책은, 1995년 한 방송사에서 100일 동안 진행했던 교리강좌를 바탕으로 한 최신 개정판이다.
저자소개 위로


이중표 (전남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 후 동 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위촉됐다.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 범한철학회 회장,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 신행 단체인 ‘붓다나라’를 설립하여 포교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맛지마 니까야』, 『붓다의 철학』,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불교란 무엇인가』 외 여러 책이 있으며, 역서로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등이 있다.


목차 위로


이 책을 읽는 분들께

1장 붓다의 깨달음

1 불교의 목적

2 붓다가 깨달은 진리

2장 중도(中道)

1 실천을 통한 진리의 체험

2 고락중도(苦樂中道) - 8정도(八正道)의 발견

3 유무중도(有無中道) - 존재의 실상을 깨닫는 길

3장 12입처(十二入處)

1 불교의 존재론적 입장

2 불교 해석의 새로운 모색 - 12입처란 무엇인가

3 자아와 세계의 근원 - 12입처

4 욕탐(欲貪)과 욕탐의 지멸(止滅)

5 불교의 세계관과 그 의의

6 존재란 인식된 것이다

7 존재[有, Bhāva]와 법(法, Dharma)

8 법(法, Dharma)이란 무엇인가

9 생명현상과 의식현상

4장 18계(十八界)

1 분별심[六識]의 발생

2 분별심과 지혜

3 18계의 의식상태

4 촉(觸)의 발생

5 촉과 6계(六界)의 관계

5장 5온(五蘊)

1 촉과 5온의 관계

2 5온의 발생

3 5온의 질료

4 식온(識蘊)의 성립

5 5온의 성립 순서

6 왜 5온을 버려야 하는가

7 5온의 참모습[實相]

8 5온의 종합적 이해

6장 5온과 연기설의 관계

1 5온으로 살아가는 중생의 삶

2 식(識)의 증장(增長)과 새로운 5온의 형성

3 5온의 연기(緣起) 구조

7장 12연기(十二緣起)

1 12연기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

2 3세(三世)에 걸쳐 윤회하는 모습 - 유전문(流轉門)

3 생사(生死)를 벗어나는 길 - 환멸문(還滅門)과 8정도

4 연기법(緣起法)

5 괴로움의 원인 - 집(集)

6 연기설(緣起說)의 인과관계

7 법(法)과 법계(法界)의 의미

8 무명(無明)에 휩싸인 삶 - 무명과 행(行)

9 자기 존재에 대한 애착과 취착 - 애(愛)·취(取)·유(有)

8장 9차제정(九次第定)과 8해탈(八解脫)

1 중생의 마음 따라 연기(緣起)하는 세계

2 중생의 세계를 벗어나는 길 - 9차제정

3 욕계(欲界)에서의 해탈

4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서의 해탈

9장 9차제정(九次第定)과 12연기(十二緣起)

1 왜 태어나서 죽는가

2 자신의 존재에 대한 사유 - 4선(四禪)과 12연기의 촉(觸)

3 4무색정(四無色定)과 무명(無明)의 자각

4 멸진정(滅盡定)에서 깨달은 12연기

색인
상세소개 위로


연기법(緣起法)이 붓다가 깨달은 진리라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붓다가 깨달은 진리가 ‘연기법’이라는 사실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불교에서 말하는 4성제, 8정도의 내용도 이 연기법과 하나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 그만큼 불교에서 연기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붓다는 실재하는 모든 존재를 연기법으로 이해하고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바로 ‘깨달음’이고, 이 연기법을 체득함으로써 범부 싯다르타는 비로소 깨달은 ‘붓다’가 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연기법은 무엇인가. 요약하면, ‘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하고 있으므로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라고 말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모든 존재는 수많은 인과관계 속에서 얽히고설켜 서로 의존하고 있으며, 의존 상태의 어느 한쪽이 사라지거나 무언가가 더해지면 그 존재는 변화하게 된다는 뜻이다. 여기서 변화는 태어남일 수도, 죽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기법의 체득은 책이나 인간의 이성적 사고만으로는 얻을 수 없다. 붓다의 깨달음은 사변(思辨)으로 얻은 게 아니라 철저한 수행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물임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붓다는 연기법을 체득할 수 있는 9차제정(九次第定)이라는 구체적인 수행법을 우리에게 남겼다.

바로 이 ‘연기법’과 ‘9차제정’의 핵심을 담은 책이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이다. 지난 50여 년간 불교 연구에 매진해온 저자 이중표 명예교수가 독자들에게 전하는 ‘불교 수행법과 진리’에 대한 답변이기도 하다.

연기법은 무엇이고, 어떻게 4성제, 8정도와 연결되었는지, 그리고 이를 체득하기 위한 수행법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려는 독자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왜 모든 ‘존재’를 연기법으로 인식해야 하는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체를 보거나 감정과 같은 정신 작용이 일어날 때 우리는 그 대상을 ‘존재한다, 있다’라고 말한다. 불교에서는 이 ‘있는 것’,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일반인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말을 들으면 대부분 사람들은 바로 눈앞에 있는 이것, 저것들은 뭐고, 지금 내가 느끼는 이 감정의 실체는 뭐냐며 의문을 제기한다. 정말 ‘그것들’은 실재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서 불교는 시작한다. 그리고 그 해답이 바로 ‘연기법’이다.

연기법은 모든 사물의 실상을 보여준다. 여러 사람이 다르게 본다고 할지라도 ‘꽃’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우리 생각대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나무에 꽃이 피기 전에 꽃은 존재하지 않는다. 봄에 핀 꽃은 여름이 되면 사라진다. 꽃은 어디에서 나와서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꽃은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인과관계 속에서 피어난다. 적절한 온도, 땅, 물 등이 서로 의존해서 나온 결과물이다. 그리고 또 다른 인과관계로 인해 어느 요소가 하나라도 사라지거나 더해지면, 꽃은 지게 된다.

이것을 붓다는 “이것이 있는 곳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나타날 때 저것이 나타난다”라는 말로 설명했다. 연기법을 이해하는 첫걸음과 같은 가르침이다. 이 가르침은 점차 심화화여,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방법론, 즉 깨달음을 얻는 수행법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붓다의 출가 이유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근원적인 고통에서 벗어나는 데 있었다. 많은 시행착오와 수행을 거친 끝에 붓다는 세상 모든 것이 연기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지금까지 괴로움에 고통받았던 원인은 마음속 생각작용이 끊임없이 외부의 사물을 대상으로 ‘이름’을 붙여 존재로 인식하고, 그 존재에 집착했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무명(無明)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상호 의존하고, 연기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름을 붙잡고 실체로 인식하며 애착하기 때문에 괴로워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움’이라는 이름의 감정은 없다. 연기하기 때문이다. 조건이 변화하면 미움이라는 감정도 사라지거나 변한다. 어디에 미움이 있는가. 책상, 자동차, 돈, 기쁨, 슬픔 등 이 모든 것들이 이름만 붙여진 채 존재하지 않는 허구라는 뜻이다. 그래서 붓다는 “연기를 통찰하고 체득해야만 열반에 이를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행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괴로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붓다는 말한다. “연기를 모르는 자,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것이 우리가 모든 존재를 연기법으로 인식해야 하는 이유이다.

연기법이라는 진리로 인도하는 단계적인 수행법, 9차제정(九次第定)

붓다는 9차제정이라는 선정(禪定)을 통해 연기법을 깨달았다. 불교 선정 수행은 산란한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는 ‘싸마타(samatha)’와 집중된 마음으로 법(法)을 관찰하는 ‘위빠싸나(vipassanā)’, 이렇게 두 가지를 함께 실천한다. 한문으로는 싸마타를 ‘지(止)’, 위빠싸나를 ‘관(觀)’이라고 번역한다. 이 지관 수행을 세분화하고 구체화한 것이 9차제정이다.

9차제정은 열반에 이르는 아홉 단계의 선정으로서 4선(四禪) · 4무색정(四無色定) · 멸진정(滅盡定)을 차례로 닦는 것을 뜻한다. 4선을 통해서 고락의 감정에 휩쓸리지 않는 평정한 마음을 얻고, 그 마음으로 4무색정을 닦아 멸진정에 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각각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① 초선(初禪)에서 언어가 적멸한다. ② 제2선(第二禪)에서 언어적 지각과 사유가 적멸한다. ③ 제3선(第三禪)에서 희심(喜心)이 적멸한다. ④ 제4선(第四禪)에서 출입식(出入息)이 적멸한다. ⑤ 공처(空處)에서 색상(色想)이 적멸한다. ⑥ 식처(識處)에서 공처상(空處想)이 적멸한다. ⑦ 무소유처(無所有處)에서 식처상(識處想)이 적멸한다. ⑧ 비유상비무상처(非有想非無想處)에서 무소유처상(無所有處想)이 적멸한다. ⑨ 멸진정(滅盡定)에서 무명이 멸하고 열반의 경지에 이른다.

『잡아함경』 379에 의하면(377쪽) 붓다는 이 9차제정을 세 번에 걸쳐 반복 수행했다고 한다. 첫 번째 수행에서 12연기라는 진리를 발견했고, 두 번째는 그 진리에 따라 수행했고, 세 번째는 그 진리를 성취했다.

이와 같은 세 단계의 수행을 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라고 한다. 붓다는 견도의 차원에서 9차제정을 수행하여 무명을 자각하고, 수도의 차원에서 다시 9차제정을 수행했으며, 무학도의 차원에서 9차제정을 수행한 끝에 열반을 성취한 것이다. 여기서 견도는 진리의 인식이고, 수도는 진리의 실천이며, 무학도는 진리의 성취이다.

이 중에서 수도와 무학도는 직접 실천하여 체험해야 할 내용이다. 이 내용은 어떠한 경전과 교리 책을 읽어도 행동에 옮기지 않는 한 체득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붓다의 연기법과 9차제정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했다면, 이제는 실천하는 일만 남았다. 망설일 이유는 없다.



■ 저자의 말

불교의 진정한 목적은 맹목적인 진리의 깨달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극복하고 갈등과 투쟁이 없는 행복한 세상을 이룩할 수 있는 진리의 깨달음에 있습니다. 불교의 목적은 죽어서 좋은 세상에 태어나는 것도 아니고, 자신을 잘 수양하여 성인군자가 되는 것도 아니고, 속세를 떠나 선경(仙境)을 노니는 신선이 되는 것도 아니고, 지적인 호기심으로 진리를 찾는 철학자가 되는 것도 아닙니다. 이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겪고 있는 모순과 갈등과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진리를 깨닫고, 이를 실천하여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세상을 이룩하는 것이 불교의 진정한 목적입니다.


책속으로 위로


부처님께서는 진리를 깨달았습니다. 그런데 진리라는 말은 너무 추상적입니다. 구체적으로 그 진리의 내용은 무엇일까요? 어떤 사람들은 부처님께서 깨달은 진리는 4성제(四聖諦)라고 이야기하고, 어떤 사람들은 연기법(緣起法)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4성제와 연기법은 서로 다른 진리가 아니라 함께 하나의 체계를 이루는 진리입니다. _22쪽

4성제는 연기법의 사유를 통해 드러난 진리입니다. 따라서 부처님께서 깨달은 진리가 연기법인가, 4성제인가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중요한 것은 ‘연기법이란 무엇이고, 4성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진리인가?’ 하는 것입니다.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이라는 이름의 이 책은 이런 물음에 대한 필자의 답변입니다. _26쪽

연기법은 인식의 대상이 아니라 실천의 대상이며, 체험의 내용입니다. 무명이 있으면 생사의 괴로움이 있다는 체험을 통해, 무명을 멸하여 생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려는 의욕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의욕을 가지고 무명을 없애는 수행을 할 때, 생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체험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체험은 일회적이어서는 안 됩니다. 지속적인 수행을 통해 생사의 괴로움이 다시는 생기지 않을 때, 열반은 성취됩니다. _37쪽

9차제정은 열반에 이르는 아홉 단계의 선정으로서 4선(四禪)·4무색정(四無色定)·멸진정(滅盡定)을 차례로 닦는 것입니다. 4선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고락의 감정에 휩쓸리지 않는 평정한 마음입니다. 따라서 이 경은 4선을 닦아 평정한 마음을 얻게 되면, 그 마음으로 4무색정을 닦아 멸진정에 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유무(有無) 2견(二見)을 떠나 중도를 깨닫게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_47쪽

연기법은 모든 사물의 실상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아무리 다르게 본다고 할지라도 ‘꽃’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듯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나무에 꽃이 피기 전에는 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봄에 핀 꽃은 여름이 되면 사라집니다. 꽃은 어디에서 나와서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요? 나무에서 나와서 땅속으로 사라지는 것일까요? 나무를 들여다보아도, 땅속을 파 보아도, 꽃은 없습니다. 꽃도 이렇게 온 곳도 없고, 간 곳도 없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허망한 것입니다. 꽃은 저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인연에 의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꽃은 공(空)입니다. 공즉시색(空卽是色), 색즉시공(色卽是空)인 것입니다. _73쪽

‘존재’는 범어로 ‘bhāva’입니다. 그리고 ‘법’은 범어로 ‘dharma’라고 합니다. 존재를 의미하는 ‘bhāva’라는 말이 있는데 부처님께서 이 말을 사용하지 않고 ‘dharma’라는 말을 사용하신 까닭은 무엇일까요? ‘존재’라는 말은 우리와는 상관없이 외부에, 즉 시간과 공간 속에 독자

적으로 있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연기법에 의해서 본다면 우리와 상관없이 외부에 존재하는 것은 인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부처님께서는 ‘존재’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_100쪽

공과 무아는 사변(思辨)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삶을 통해 체험되는 것이기 때문에 체험하지 않는 한 의심이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연기의 도리를 바르게 이해하면 의심이 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_266쪽

모든 법은 동일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항상 조건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모든 법(法)은 연기(緣起)한다’고 합니다. _285쪽

부처님께서는 연기하는 법계를 깨달음으로써 무명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리고 법계의 진리인 연기법을 중생들에게 가르쳐 주셨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가르침에 의지해서 법계의 실상을 깨닫기 위해 수행합니다.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는 이렇게 진리를 깨달은 부처님과 부처님께서 가르쳐 주신 진리와 그 진리를 믿고 따르는 불자(佛子)를 의미합니다. 중생들은 진리를 깨달은 부처님이 있고, 부처님께서 깨달아 현시한 진리가 있고, 그 진리에 따라 수행하면 누구나 부처님과 같은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자기의 생각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불법승 삼보에 대한 무지이며 무명입니다. _299~300쪽

불교의 교리를 많이 알고 이해하는 것을 불교 공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바른 불교 공부가 아닙니다.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고 해서 연기의 도리가 깨달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교리를 많이 안다고 해서 연기의 도리를 깨달을 수도 없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지관’을 통해서 연기의 도리를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깨달은 내용을 언어로 표현한 것이 불교의 교리입니다. 따라서 불교의 교리는 ‘지관’을 통해 스스로 깨달아야 하는 것이지, 언어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_324쪽

9차제정은 12연기를 깨닫는 수행법임과 동시에 행을 멸하여 생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수행법이기도 합니다. _377쪽

수도와 무학도는 여러분 스스로 실천하여 체험해야 할 내용입니다. 따라서 제가 말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제가 4념처, 8정도, 9차제정, 8해탈 등을 이야기했지만, 그것은 견도의 차원일 뿐입니다. 8정도를 실천하고 9차제정을 수행하여 연기의 도리를 깨닫고 열반을 성취하는 수도와 무학도는 여러분이 스스로 실천하여 체험할 수밖에 없습니다. _379쪽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Vipassanā, 윤회

Art of living | In Australia and NZ Vipassana meditation in Australia

Art of living |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the tradition of Sayagyi U Ba Khin as taught by S N Goenka


Art of living

Everyone seeks peace and harmony, because this is what we lack in our lives. From time to time we all experience agitation, irritation, disharmony. And when we suffer from these miseries, we don't keep them to ourselves; we often distribute them to others as well. Unhappiness permeates the atmosphere around someone who is miserable, and those who come in contact with such a person also become affected. Certainly this is not a skillful way to live.
We ought to live at peace with ourselves, and at peace with others. After all, human beings are social beings, having to live in society and deal with each other. But how are we to live peacefully? How are we to remain harmonious within, and maintain peace and harmony around us, so that others can also live peacefully and harmoniously?
In order to be relieved of our misery, we have to know the basic reason for it, the cause of the suffering. If we investigate the problem, it becomes clear that whenever we start generating any negativity or impurity in the mind, we are bound to become unhappy. A negativity in the mind, a mental defilement or impurity, cannot coexist with peace and harmony.
How do we start generating negativity? Again, by investigation, it becomes clear. We become unhappy when we find someone behaving in a way that we don't like, or when we find something happening which we don't like. Unwanted things happen and we create tension within. Wanted things do not happen, some obstacle comes in the way, and again we create tension within; we start tying knots within. And throughout life, unwanted things keep on happening, wanted things may or may not happen, and this process of reaction, of tying knots—Gordian knots—makes the entire mental and physical structure so tense, so full of negativity, that life becomes miserable.
Now,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arrange that nothing unwanted happens in life, that everything keeps on happening exactly as we desire. Either we must develop the power, or somebody else who will come to our aid must have the power, to see that unwanted things do not happen and that everything we want happens. But this is impossible. There is no one in the world whose desires are always fulfilled, in whose life everything happens according to his or her wishes, without anything unwanted happening. Things constantly occur that are contrary to our desires and wishes. So the question arises: how can we stop reacting blindly when confronted with things that we don't like? How can we stop creating tension and remain peaceful and harmonious?
In Indi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wise saintly persons of the past studied this problem—the problem of human suffering—and found a solution; if something unwanted happens and you start to react by generating anger, fear or any negativity, then, as soon as possible, you should divert your attention to something else. For example, get up, take a glass of water, start drinking—your anger won't multiply; on the other hand, it'll begin to subside. Or start counting one, two, three, four. Or start repeating a word, or a phrase, or some mantra, perhaps the name of a god or saintly person towards whom you have devotion; the mind is diverted, and to some extent you'll be free of the negativity, free of the anger.
This solution was helpful; it worked. It still works. Responding like this, the mind feels free from agitation. However, the solution works only at the conscious level. In fact, by diverting the attention you push the negativity deep into the unconscious, and there you continue to generate and multiply the same defilement. On the surface there is a layer of peace and harmony, but in the depths of the mind there is a sleeping volcano of suppressed negativity which sooner or later may erupt in a violent explosion.
Other explorers of inner truth went still further in their search and, by experiencing the reality of mind and matter within themselves, recognised that diverting the attention is only running away from the problem. Escape is no solution; you have to face the problem. Whenever negativity arises in the mind, just observe it, face it. As soon as you start to observe a mental impurity, it begins to lose its strength and slowly withers away.
A good solution; it avoids both extremes—suppression and expression. Burying the negativity in the unconscious will not eradicate it, and allowing it to manifest as unwholesome physical or vocal actions will only create more problems. But if you just observe, then the defilement passes away and you are free of it.
This sounds wonderful, but is it really practical? It's not easy to face one's own impurities. When anger arises, it so quickly overwhelms us that we don't even notice. Then, overpowered by anger, we perform physical or vocal actions which harm ourselves and others. Later, when the anger has passed, we start crying and repenting, begging pardon from this or that person or from God; “Oh, I made a mistake, please excuse me!” But the next time we are in a similar situation, we again react in the same way. This continual repenting doesn't help at all.
The difficulty is that we are not aware when negativity starts. It begins deep in the unconscious mind, and by the time it reaches the conscious level it has gained so much strength that it overwhelms us, and we cannot observe it.
Suppose that I employ a private secretary, so that whenever anger arises he says to me, “Look, anger is starting!” Since I cannot know when this anger will start, I'll need to hire three private secretaries for three shifts, around the clock! Let's say I can afford it, and anger begins to arise. At once my secretary tells me, “Oh look—anger has started!” The first thing I'll do is rebuke him, “You fool! You think you're paid to teach me?” I'm so overpowered by anger that good advice won't help.
Suppose wisdom does prevail and I don't scold him. Instead, I say, “Thank you very much. Now I must sit down and observe my anger.” Yet, is it possible? As soon as I close my eyes and try to observe anger, the object of the anger immediately comes into my mind—the person or incident which initiated the anger. Then I'm not observing the anger itself; I'm merely observing the external stimulus of that emotion. This will only serve to multiply the anger, and is therefore no solution. It is very difficult to observe any abstract negativity, abstract emotion, divorced from the external object which originally caused it to arise.
However, someone who reached the ultimate truth found a real solution. He discovered that whenever any impurity arises in the mind, physically two things start happening simultaneously. One is that the breath loses its normal rhythm. We start breathing harder whenever negativity comes into the mind. This is easy to observe. At a subtler level, a biochemical reaction starts in the body, resulting in some sensation. Every impurity will generate some sensation or the other within the body.
This presents a practical solution. An ordinary person cannot observe abstract defilements of the mind—abstract fear, anger or passion. But with proper training and practice it is very easy to observe respiration and body sensations, both of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mental defilements.
Respiration and sensations will help in two ways. First, they will be like private secretaries. As soon as a negativity arises in the mind, the breath will lose its normality; it will start shouting, “Look, something has gone wrong!” And we cannot scold the breath; we have to accept the warning. Similarly, the sensations will tell us that something has gone wrong. Then, having been warned, we can start observing the respiration, start observing the sensations, and very quickly we find that the negativity passes away.
This mental-physical phenomenon is like a coin with two sides. On one side are the thoughts and emotions arising in the mind, on the other side are the respiration and sensations in the body. Any thoughts or emotions, any mental impurities that arise manifest themselves in the breath and the sensations of that moment. Thus, by observing the respiration or the sensations, we are in fact observing mental impurities. Instead of running away from the problem, we are facing reality as it is. As a result, we discover that these impurities lose their strength; they no longer overpower us as they did in the past. If we persist, they eventually disappear altogether and we begin to live a peaceful and happy life, a life increasingly free of negativities.
In this way the technique of self-observation shows us reality in its two aspects, inner and outer. Previously we only looked outward, missing the inner truth. We always looked outside for the cause of our unhappiness; we always blamed and tried to change the reality outside. Being ignorant of the inner reality, we never understood that the cause of suffering lies within, in our own blind reactions toward pleasant and unpleasant sensations.
Now, with training, we can see the other side of the coin. We can be aware of our breathing and also of what is happening inside. Whatever it is, breath or sensation, we learn just to observe it without losing our mental balance. We stop reacting and multiplying our misery. Instead, we allow the defilements to manifest and pass away.
The more one practises this technique, the more quickly negativities will dissolve. Gradually the mind becomes free of defilements, becomes pure. A pure mind is always full of love—selfless love for all others, full of compassion for the failings and sufferings of others, full of joy at their success and happiness, full of equanimity in the face of any situation.
When one reaches this stage, the entire pattern of one's life changes.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o anything vocally or physically which will disturb the peace and happiness of others. Instead, a balanced mind not only becomes peaceful, but the surrounding atmosphere also becomes permeated with peace and harmony, and this will start affecting others, helping others too.
By learning to remain balanced in the face of everything experienced inside, one develops detachment towards all that one encounters in external situations as well. However, this detachment is not escapism or indifference to the problems of the world. Those who regularly practise Vipassana become more sensitive to the sufferings of others, and do their utmost to relieve suffering in whatever way they can—not with any agitation, but with a mind full of love, compassion and equanimity. They learn holy indifference—how to be fully committed, fully involved in helping others,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balance of mind. In this way they remain peaceful and happy, while working for the peace and happiness of others.
This is what the Buddha taught, an art of living. He never established or taught any religion, any “ism”. He never instructed those who came to him to practise any rites or rituals, any empty formalities. Instead, he taught them just to observe nature as it is, by observing the reality inside. Out of ignorance we keep reacting in ways which harm ourselves and others. But when wisdom arises—the wisdom of observing reality as it is—this habit of reacting falls away. When we cease to react blindly, then we are capable of real action—action proceeding from a balanced mind, a mind which sees and understands the truth. Such action can only be positive, creative, helpful to ourselves and to others.
What is necessary, then, is to “know thyself”—advice which every wise person has given. We must know ourselves, not just intellectually in the realm of ideas and theories, and not just emotionally or devotionally, simply accepting blindly what we have heard or read. Such knowledge is not enough. Rather, we must know reality experientially. We must experience directly the reality of this mental-physical phenomenon. This alone is what will help us be free of our suffering.
This direct experience of our own inner reality, this technique of self-observation, is what is called Vipassana meditation. In the language of India in the time of the Buddha, passana meant seeing in the ordinary way, with one's eyes open; but vipassana is observing things as they actually are, not just as they appear to be. Apparent truth has to be penetrated, until we reach the ultimate truth of the entire psycho-physical structure. When we experience this truth, then we learn to stop reacting blindly, to stop creating negativities—and naturally the old ones are gradually eradicated. We become liberated from misery and experience true happiness.
There are three steps to the training given in a meditation course. First, one must abstain from any action, physical or vocal, which disturbs the peace and harmony of others. One cannot work to liberate oneself from impurities of the mind while at the same time continuing to perform deeds of body and speech which only multiply them. Therefore, a code of morality is the essential first step of the practice. One undertakes not to kill, not to steal, not to commit sexual misconduct, not to tell lies, and not to use intoxicants. By abstaining from such actions, one allows the mind to quiet down sufficiently in order to proceed further.
The next step is to develop some mastery over this wild mind by training it to remain fixed on a single object, the breath. One tries to keep one's attention on the respiration for as long as possible. This is not a breathing exercise; one does not regulate the breath. Instead, one observes natural respiration as it is, as it comes in, as it goes out. In this way one further calms the mind so that it is no longer overpowered by intense negativities. At the same time, one is concentrating the mind, making it sharp and penetrating, capable of the work of insight.
These first two steps, living a moral life, and controlling the mind, are very necessary and beneficial in themselves, but they will lead to suppression of negativities unless one takes the third step: purifying the mind of defilements by developing insight into one's own nature. This is Vipassana; experiencing one's own reality by the systematic and dispassionate observation within oneself of the ever-changing mind-matter phenomenon manifesting itself as sensations. This is the culmination of the teaching of the Buddha, self-purification by self-observation.
It can be practised by one and all. Everyone faces the problem of suffering. It is a universal malady which requires a universal remedy, not a sectarian one. When one suffers from anger, it's not Buddhist anger, Hindu anger, or Christian anger. Anger is anger. When one becomes agitated as a result of this anger, this agitation is not Christian, or Jewish, or Muslim. The malady is universal. The remedy must also be universal.
Vipassana is such a remedy. No one will object to a code of living which respects the peace and harmony of others. No one will object to developing control over the mind. No one will object to developing insight into one's own nature, by which it is possible to free the mind of negativities. Vipassana is a universal path.
Observing reality as it is by observing the truth inside—this is knowing oneself directly and experientially. As one practises, one keeps freeing oneself from the misery of mental impurities. From the gross, external, apparent truth, one penetrates to the ultimate truth of mind and matter. Then one transcends that, and experiences a truth which is beyond mind and matter, beyond time and space, beyond the conditioned field of relativity; the truth of total liberation from all defilements, all impurities, all suffering. Whatever name one gives this ultimate truth is irrelevant, it is the final goal of everyone.
May you all experience this ultimate truth. May all people be free from misery. May they enjoy real peace, real harmony, real happiness.
MAY ALL BEINGS BE HAPPY
The above text is based upon a talk given by Mr S N Goenka in Berne, Switzerland.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Aldous Huxley, holy indifference, indifference

About the Vipassana meditation technique | Vipassana meditation in Australia

About the Vipassana meditation technique | Vipassana meditation in Australia



Vipassana meditation
  • Home
  •  
  • Vipassana
  •  
  • Courses
  •  
  • Centres
  •  
  • Course schedules
In the tradition of Sayagyi U Ba Khin as taught by S N Goenka

About the technique

Vipassana, which means to see things as they really are, is one of India's most ancient techniques of meditation. It was rediscovered by Gotama Buddha more than 2500 years ago and was taught by him as a universal remedy for universal ills, i.e., an Art Of Living.
This non-sectarian technique aims for the total eradication of mental impurities and the resultant highest happiness of full liberation. Vipassana is a way of self-transformation through self-observation. It focuses on the deep interconnection between mind and body, which can be experienced directly by disciplined attention to the physical sensations that form the life of the body, and that continuously interconnect and condition the life of the mind. It is this observation-based, self-exploratory journey to the common root of mind and body that dissolves mental impurity, resulting in a balanced mind full of love and compassion.
The scientific laws that operate one's thoughts, feelings, judgements and sensations become clear. Through direct experience, the nature of how one grows or regresses, how one produces suffering or frees oneself from suffering is understood. Life becomes characterized by increased awareness, non-delusion, self-control and peace.

The tradition

Since the time of Buddha, Vipassana has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day, by an unbroken chain of teachers. Although Indian by descent, the current teacher in this chain, Mr S N Goenka, was born and raised in Burma (Myanmar). While living there he had the good fortune to learn Vipassana from his teacher, Sayagyi U Ba Khin who was at the time a high Government official. After receiving training from his teacher for fourteen years, Mr. Goenka settled in India and began teaching Vipassana in 1969. Since then he has taught tens of thousands of people of all races and all religions in both the East and West. In 1982 he began to appoint assistant teachers to help him meet the growing demand for Vipassana courses.

The courses

The technique is taught at ten-day residential courses during which participants follow a prescribed Code of Discipline, learn the basics of the method, and practice sufficiently to experience its beneficial results.
The course requires hard, serious work. There are three steps to the training. The first step is, for the period of the course, to abstain from killing, stealing, sexual activity, speaking falsely, and intoxicants. This simple code of moral conduct serves to calm the mind, which otherwise would be too agitated to perform the task of self-observation.
The next step is to develop some mastery over the mind by learning to fix one's attention on the natural reality of the ever changing flow of breath as it enters and leaves the nostrils.
By the fourth day the mind is calmer and more focused, better able to undertake the practice of Vipassana itself: observing sensations throughout the body, understanding their nature, and developing equanimity by learning not to react to them.
Finally, on the last full day participants learn the meditation of loving kindness or goodwill towards all, in which the purity developed during the course is shared with all beings.
A short video (5.7 MB) about the observation of breath and bodily sensations in this technique can be viewed with the free QuickTime movie player.
The entire practice is actually a mental training. Just as we use physical exercises to improve our bodily health, Vipassana can be used to develop a healthy mind.
Because it has been found to be genuinely helpful, great emphasis is put on preserving the technique in its original, authentic form. It is not taught commercially, but instead is offered freely. No person involved in its teaching receives any material remuneration.
There are no charges for the courses - not even to cover the cost of food and accommodation. All expenses are met by donations from people who, having completed a course and experienced the benefits of Vipassana, wish to give others the opportunity to benefit from it also.
Of course, the results come gradually through continued practice. It is unrealistic to expect all problems to be solved in ten days. Within that time, however, the essentials of Vipassana can be learned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daily life. The more the technique is practiced, the greater the freedom from misery, and the closer the approach to the ultimate goal of full liberation. Even ten days can provide results which are vivid and obviously beneficial in everyday life.
All sincere people are welcome to join a Vipassana course to see for themselves how the technique works and to measure the benefits. All those who try it will find Vipassana to be an invaluable tool with which to achieve and share real happiness with others.
You may apply for a Vipassana meditation course by completing and submitting an application for a scheduled course.

More information

Copyright Disclaimer Privacy International site Old students Apply for a course
Posted by Sejin at September 12, 2020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Comments (Atom)

Directory Page

  • Home

Blog Archive

  • ▼  2025 (639)
    • ▼  October (19)
      • Amazon.co.jp: もう親を捨てるしかない 介護・葬式・遺産は、要らない (幻冬舎新書) :...
      • 下村湖人 - Wikipedia
      • 論語物語 | 著者下村湖人
      • エースと呼ばれる人は何をしているのか | 日本最大級のオーディオブック配信サービス audioboo...
      • 葬式は、要らない | 島田裕巳 0葬 あっさり死ぬ , 葬式消滅 お墓も戒名もいらない
      • Catherine Hogarth —The forgotten wife of Charles D...
      • 別冊NHK100分de名著 読書の学校 若松英輔 特別授業『自分の感受性くらい』 - 若松英輔 - ...
      • “홀로코스트에 맞선 네 여성” < 칼럼 에큐메니안
      •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 日本最大級のオーディオブック配信サービス audiobook.jp
      • 死の講義 : 橋爪 大三郎: Japanese Books
      • ふしぎなキリスト教 : 橋爪大三郎, 大澤真幸
      • Representative Men - Wikipedia Ralph Waldo Emerson
      • Representative Men of Japan (Kanzo Uchimura, 1908)
      •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이나모리 가즈오 生き方 人間として一番大切なこと
      • 카미야 미에코(神谷美恵子) 책 요약
      • 크러스너호르커이의 작품 세계
      • Jane Goodall, dogged advocate for the natural worl...
      • 魂 -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 타마시 한자(魂)가 영혼의 개념을 정의하는 방법 – Kokusai Bujin Renmei
    • ►  September (116)
    • ►  August (94)
    • ►  July (139)
    • ►  June (61)
    • ►  May (30)
    • ►  April (17)
    • ►  March (83)
    • ►  February (68)
    • ►  January (12)
  • ►  2024 (1394)
    • ►  December (21)
    • ►  November (40)
    • ►  October (47)
    • ►  September (82)
    • ►  August (105)
    • ►  July (93)
    • ►  June (46)
    • ►  May (76)
    • ►  April (191)
    • ►  March (241)
    • ►  February (245)
    • ►  January (207)
  • ►  2023 (4088)
    • ►  December (154)
    • ►  November (141)
    • ►  October (313)
    • ►  September (371)
    • ►  August (552)
    • ►  July (584)
    • ►  June (523)
    • ►  May (480)
    • ►  April (341)
    • ►  March (180)
    • ►  February (212)
    • ►  January (237)
  • ►  2022 (3375)
    • ►  December (192)
    • ►  November (159)
    • ►  October (154)
    • ►  September (162)
    • ►  August (358)
    • ►  July (445)
    • ►  June (517)
    • ►  May (560)
    • ►  April (327)
    • ►  March (204)
    • ►  February (78)
    • ►  January (219)
  • ►  2021 (3270)
    • ►  December (154)
    • ►  November (223)
    • ►  October (374)
    • ►  September (316)
    • ►  August (252)
    • ►  July (286)
    • ►  June (272)
    • ►  May (302)
    • ►  April (338)
    • ►  March (316)
    • ►  February (212)
    • ►  January (225)
  • ►  2020 (2422)
    • ►  December (228)
    • ►  November (385)
    • ►  October (417)
    • ►  September (270)
    • ►  August (214)
    • ►  July (71)
    • ►  June (161)
    • ►  May (141)
    • ►  April (98)
    • ►  March (142)
    • ►  February (84)
    • ►  January (211)
  • ►  2019 (1234)
    • ►  December (85)
    • ►  November (8)
    • ►  October (98)
    • ►  September (228)
    • ►  August (50)
    • ►  July (76)
    • ►  June (52)
    • ►  May (55)
    • ►  April (111)
    • ►  March (64)
    • ►  February (152)
    • ►  January (255)
  • ►  2018 (587)
    • ►  December (157)
    • ►  November (28)
    • ►  October (22)
    • ►  September (82)
    • ►  August (59)
    • ►  July (13)
    • ►  June (40)
    • ►  May (53)
    • ►  April (48)
    • ►  March (66)
    • ►  February (18)
    • ►  January (1)
  • ►  2017 (188)
    • ►  December (14)
    • ►  November (19)
    • ►  October (4)
    • ►  September (55)
    • ►  August (11)
    • ►  July (38)
    • ►  June (1)
    • ►  April (16)
    • ►  March (11)
    • ►  February (7)
    • ►  January (12)
  • ►  2016 (987)
    • ►  December (53)
    • ►  November (111)
    • ►  October (267)
    • ►  September (70)
    • ►  August (11)
    • ►  July (41)
    • ►  June (92)
    • ►  May (153)
    • ►  April (123)
    • ►  March (66)
  • ►  2015 (6)
    • ►  August (2)
    • ►  July (3)
    • ►  February (1)
  • ►  2013 (1)
    • ►  October (1)

Search This Blog

Labels

  • Ibn Arabi (4)
  • ??? (1)
  • "Body keeps" (643)
  • "centering prayer" (62)
  • "contemplative life" (53)
  • "de Ropp" (2)
  • "Esoteric Christianity" (27)
  • "holy obedience" (30)
  • "inner chapters" (5)
  • "inner christianity" (4)
  • "Sejin Pak" (13)
  • "Shall We Live" (4)
  • "spiritual care" (33)
  • "spiritual practice" (298)
  • "study bible" (8)
  • "김시천 노자 강의 " (27)
  • "의식과 본질" (262)
  • "일본으로 건너간 연오랑" (5)
  • [Directory (2)
  • [spiritual journey (1)
  • [아직도 가야 할 길> 요약 (5)
  • ** (222)
  • *** (2)
  • 120 (2)
  • A.C. Graham (9)
  • Abhidharma (119)
  • Acupuncture (1)
  • adhidhamma (161)
  • AFSC (100)
  • ageing (55)
  • Ajita (3)
  • Alastair McIntosh (1)
  • Aldous Huxley (102)
  • Amartya Sen (13)
  • Ambedkar (30)
  • American (1)
  • Andrew B. Newberg (1)
  • anger (4)
  • Anil Seth (5)
  • Anne Bancroft (4)
  • Anne Marie Schimmel (16)
  • Anthony Manousos (3)
  • archetype (1)
  • Arthur Versluis (4)
  • Aurobindo (1)
  • Australia (5)
  • Australian soul (1)
  • Australian spirituality (1)
  • AVP (10)
  • Basham (4)
  • Beatrice Tinsley (10)
  • Before (4)
  • before triology (4)
  • Bessel A. van der Kolk (1)
  • Bessel Van Der Kolk (19)
  • Beyond Majority Rule (6)
  • beyul (13)
  • bhagavad gita (39)
  • Bible as literature (14)
  • Bill Devall (11)
  • biography (5)
  • body (2)
  • Body remembers (17)
  • Body Score (9)
  • bodymind (16)
  • Brain (1)
  • Brian Greene (5)
  • Brief History of Everything (8)
  • Buddha (3)
  • Buddhism (3)
  • C. S. Lewis (165)
  • calling (1)
  •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5)
  • Camino (1)
  • Care (1)
  • Carl Jung (170)
  • Carl Jung unconscious (65)
  • Cārvāka (2)
  • Change We Must (3)
  • Charlotte Kasl (11)
  • Chi (2)
  • Chikako Ozawa-de Silva (7)
  • Choan-Seng Song (6)
  • Chopra (3)
  • Chris Hedges (1)
  • Christian mysticism (3)
  • Christian pacifism (8)
  • Christian Zen (16)
  • Christianity Made in Japan (15)
  • Christopher Irsherwood (4)
  • Christopher Isherwood (9)
  • Claude Swanson (10)
  • compassion (44)
  • Confucianism (1)
  • contemplative (102)
  • Contemplative Practices (21)
  • cooperative (1)
  • Courage to Teach (1)
  • Course in Miracles (14)
  • Creel H G (10)
  • critics (4)
  • cult (5)
  • Dalai Lama (38)
  • Damasio (26)
  • Daniel Keown (1)
  • Dao (129)
  • Daoism (62)
  • dark matter (4)
  • David Bohm (73)
  • David Karchere (7)
  • David R. Hawkins (16)
  • death (9)
  • Deep Ecology (85)
  • Deepak Chopra (4)
  • deepening (50)
  • Dhammapada (85)
  • Diarmuid O'Murchu (8)
  • DISCIPLINE (3)
  • divine design (13)
  • divine ground (42)
  • Divine Light (1)
  • Doctor Zhivago (8)
  • Doctrine of the Mean (14)
  • Dogen (109)
  • Donald W. McCormick (15)
  • Donna J. Haraway (12)
  • Dorothee Solle (7)
  • Dr Wayne W Dyer (4)
  • dying (1)
  • ecology (2)
  • Ehrenreich (25)
  • Einstein (50)
  • Elton Trueblood (7)
  • emdr (24)
  • Emerson (159)
  • Émile Zola (1)
  • Emissaries (25)
  • Emissaries of Divine Light (2)
  • emotion (1)
  • emotionalism (1)
  • energy (1)
  • Engaged Buddhism (86)
  • Enneagram (11)
  • Enomiya-Lassalle (8)
  • Erwin Schrodinger (9)
  • Eternal Promise (1)
  •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12)
  • existential Jesus (5)
  • faith (50)
  • Feminism (1)
  • Fenelon (3)
  • fingarette (8)
  • Fiona Gardner (15)
  • Fit (2)
  • Forgiveness (1)
  • Francis S Collins (6)
  • Fusus Al-Hikam (1)
  • Gandhi (29)
  • gardening (1)
  • Garfield (12)
  • Garma Chang (13)
  • Gloriavale (3)
  • God (5)
  • Goddess (1)
  • Goddesses (2)
  • Great Courses (93)
  • Great World Religions (1)
  • Gretchen Rubin (5)
  • Grundtvig (61)
  • Grundtvig2 (3)
  • Gut (2)
  • gut microbiome (23)
  • Hakuin (3)
  • Hans-Georg Moeller (14)
  • happiness chemicals (1)
  • Hari Prasad Shastri (3)
  • Head & Heart Together (311)
  • Headspace (1)
  • healing (2)
  • Healing Touch (2)
  • Health (1)
  • Heinrich (9)
  • Henri Nouwen (22)
  • Heup-young Kim (2)
  • Hew Len (4)
  • Hindu (12)
  • Hinduism (69)
  •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illich (14)
  • Ho’oponopono (4)
  • Hoʻoponopono (11)
  • holy indifference (42)
  • holy spirit (99)
  • Homosexuality (8)
  • how to know god (2)
  • Huayen (102)
  • Humor (5)
  • Huston Smith (86)
  • Huxley (1)
  • Hwa Yen (101)
  • Hwa Yen Buddhism (101)
  • Hwayen (102)
  • Hyun Ju Kim (1)
  • Ibn Al-Arabi (2)
  • Ibn Arabi (133)
  • Identity (1)
  • Ikeda (7)
  • ikigai (32)
  • Ilchi (61)
  • Ilia Delio (11)
  • India (17)
  • Indian (16)
  • Indian Cultural History (4)
  • Indian materialism (2)
  • Indian philosophy (81)
  • Indian philosopy (1)
  • indifference (99)
  • indigeneous (4)
  • Inner light (1)
  • Integral theory (11)
  • integrative (2)
  • Integrative Medicine (2)
  • Interbeing (53)
  • interspirituality (4)
  • Intro 해설 (2)
  • Ishida Baigan (1)
  • Ishvara (1)
  • Islam (421)
  • Israel (1)
  • J Quaker (3)
  • Japan Quaker (50)
  • Japanese Buddhism (3)
  • Japanese philosophy (72)
  • Jean Améry (7)
  • Jesus (1)
  • Johan Galtung (6)
  • John B Cobb Jr (24)
  • John Carroll (5)
  • John Howard Yoder (2)
  • John Lennon (24)
  • John Lie (1)
  • John O'Donohue (7)
  • John Woolman (19)
  • Joseph Goldstein (1)
  • K. M. Sen (2)
  • Kabat-Zinn (93)
  • Kamiya Mieko (9)
  • Kang-nam Oh (50)
  • Karen Armstrong (37)
  • Karl Rahner (50)
  • Karma (17)
  • Kelly [Book] (1)
  • ken wilber (26)
  • Kenneth Boulding (50)
  • Ki (2)
  • Kohei Saito (8)
  • Komjathy (7)
  • Komjathy. Daoist Tradition (17)
  • Korea (1)
  • Korea Quaker (126)
  • Korean Buddhism (11)
  • kukai (45)
  • leading (2)
  • Lecture Mystic Traditions (12)
  • Leonard Swidler (10)
  • Lessons In Truth (12)
  • Lessons In Truth Book (13)
  • Life force (10)
  • LIght (1)
  • lokāyata (4)
  • Losing Ourselves (2)
  • Lotus Sutra (28)
  • Louis Massignon (7)
  • Luke Timothy Johnson (21)
  • M. Scott (1)
  • Marcus J Borg (10)
  • Marie De Hennezel (7)
  • Marina Schwimmer (4)
  • Mark Mullins (18)
  • Mark W. Muesse (1)
  • Mary Baker (12)
  • Mary Baker Eddy (39)
  • Mary Magdalene (7)
  • materialism (2)
  • Matt Haig (3)
  • Matthieu Ricard (18)
  • Meaning (1)
  • Meaning of Life (13)
  • Medicine (2)
  • Meditation (1)
  • Meeting for Learning (26)
  • Meister Eckhart (60)
  • Mennonite (91)
  • Merton (1)
  • meta religion (3)
  • Michael Talbot (6)
  • Mieko Kamiya (4)
  • mindbody (11)
  • mindfulness (542)
  • mindfulness* (7)
  • Moana (3)
  • Mondragon (1)
  • Montgomery (5)
  • Moral action (1)
  • Mu Soeng (5)
  • Muhammad (1)
  • Mukunda Rao (11)
  • mystical (1)
  • mysticism (4)
  • Nagarjuna (4)
  • Naikan (31)
  • namarupa명색 (2)
  • name of the rose (6)
  • Namgok Lee (101)
  • Namgok Lee 이남곡 (22)
  • Namgok Leem (50)
  • Nana Veary (3)
  • Nei Gong (33)
  • Neil MacGregor (1)
  • New Thought (81)
  • Nietzsche (2)
  • Nishida Kitaro (1)
  • NK (68)
  • Noah (4)
  • Noble Strategy (51)
  • Non-Believer (1)
  • Non-Duality (1)
  • non-theism (1)
  • Non-violence (1)
  • nontheism (1)
  • nontheism nontheistic (57)
  • Nontheist Quakers (59)
  • nontheistic (1)
  • nuclear power (100)
  • Nyaya (1)
  • Os Cresson (17)
  • Osho (10)
  •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10)
  • Panentheism (1)
  • Panikkar (5)
  • Pankaj Mishra (4)
  • Paramahansa Yogananda (5)
  • Parker Palmer (60)
  • Parkere Palmer selection (14)
  • Patanjali (14)
  • Peace (14)
  • peace studies (5)
  • People of the Lie (2)
  • perennial (118)
  • perennial phil (1)
  • Perennial Philosophy (1)
  • Perennial Philosophy Bk (33)
  • PerennialSufi (19)
  • Phenomenon of Man (10)
  • Phil Gulley (17)
  • Philip Sheldrake (6)
  • Philo Kalia (1)
  • Philo Kalia 심광섭 (32)
  • Pierre Claverie (5)
  • pilgram (198)
  • Pilgrimages in Japan (1)
  • plague virus pendemic (15)
  • Pleiadian (15)
  • pneuma (48)
  • Prabhavananda (8)
  • prayer (1)
  • psyche (149)
  • qi (1)
  • Qigong (96)
  • Quaker (33)
  • Quaker Australia (1)
  • Quaker indigenous (1)
  • Quaker missionary (1)
  • Quaker retreat (133)
  • Quaker retreat projects (36)
  • Quaker studies (5)
  • Quaker Sufi (35)
  • Quaker universalism (29)
  • Quakerism (64)
  • Quakersufi (2)
  • Quantum mysticism (12)
  • Qui Gong (33)
  • Radhakrishnan (2)
  • Ramakrishna (4)
  • Real Zen for Real Life (13)
  • Rebellion (1)
  • reiki (32)
  • Reincarnation (52)
  • religion (4)
  • Religions of the Axial Age (2)
  • René Girard (1)
  • Rene Guenon (16)
  • Rex Ambler (1)
  • Riane Eisler (4)
  • Richard Rohr (39)
  • Richard Smoley (7)
  • Rick Hanson (1)
  • Rinpoche (55)
  • Road less travelled (7)
  • Robert E. Buswell (13)
  • Robert Powell (10)
  • Robert Wright (42)
  • Rodney Stark (2)
  • Roger Scruton (20)
  • Romain Rolland (6)
  • Rumi (159)
  • SA (2)
  • sabda (2)
  • Śabda Brahman (1)
  • Sacred Texts (9)
  • Sallie B. King (52)
  • Samkhya (6)
  • Samsara (4)
  • Sankara (10)
  • Satish Kumar (15)
  • scandal (3)
  • Schleiermacher (7)
  • Schweitzer (8)
  • science spirituality (125)
  • Scott Jeffrey (7)
  • Scott Peck (44)
  • sefirot (8)
  • SGI (41)
  • shade (1)
  • Shankara (10)
  • Shanti Sadan (1)
  • Sheeran (7)
  • Shingon (51)
  • Shingon Buddhism (1)
  • Shinji Takahashi (8)
  • Shinto (12)
  • Shoko Yoneyama (4)
  • Shri Shankara (1)
  • shusaku endo (18)
  • Soil (5)
  • Song of God (9)
  • Spinoza (147)
  • spirit (1)
  • spirit possession (1)
  • spiritual gift (5)
  • spiritual practice (100)
  • Spirituality (213)
  • SQ 21 (2)
  • Starseeds (6)
  • Stefan Zweig (59)
  • Stephen Batchelor (48)
  • Stephen Cope (4)
  • Stephen Mitchell (1)
  • Steve Smith (5)
  • Steve Taylor (55)
  • Steven Katz. (1)
  • Subhash C. Kashyap (1)
  • Sue Hamilton (3)
  • Sufism (334)
  • Sufism and Taoism (4)
  • Sufism Intro (24)
  • Sumanasara (9)
  • Sun Myung Moon (45)
  • Swami Bhaskarananda (2)
  • Swami Mukundananda (1)
  • Swami Rama (9)
  • Swami Tadatmananda (6)
  • Swami Vivekananda (14)
  • Swedenborg (3)
  • Tae-Chang Kim (4)
  • Taechang Kim (36)
  • Tagore (32)
  • Tai Chi (2)
  • Taichi (1)
  • Tajalli (3)
  • Tao (3)
  • Tao Te Ching translation (12)
  • Taoism (148)
  • Taoism_Intro (15)
  • Teilhard de Chardin (32)
  • Tenzin Palmo (7)
  • Testament of Devotion (9)
  • Testment of Devotion (1)
  • Ṭhānissaro (13)
  • The "Philosophy of the Daodejing" (2)
  • The Body Keeps (2)
  • The Chosen TV drama (10)
  • The Courage to Teach (7)
  • The Meaning of Life (1)
  • The Razor's Edge (9)
  • The Road Less Traveled (2)
  •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1)
  • The Unity of Being (16)
  • The Way of Chuang Tzu (1)
  •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7)
  • Thich Nhat Hanh (210)
  • third Jesus (1)
  • Thomas Berry (20)
  • Thomas Kelly (1)
  • Thomas Mann (2)
  • Thomas Merton (160)
  • Thomas Moore (9)
  • Thomas R. Kelly (126)
  • Thomas Raymond Kelly (1)
  • Thomas Sowell (6)
  • Thoreau (100)
  • Tibet (1)
  • Timothy Morton (30)
  • Tolstoy (43)
  • Toshihiko Izutsu (113)
  • Toshihiko Izutsu Sufism And Taoism (50)
  • transcendentalism (63)
  • Transpersonal (61)
  • trauma (104)
  • Tuesdays with Morrie (6)
  • Tulshuk Lingpa (4)
  • U. G. Krishnamurti (19)
  • Uddalaka (3)
  • Umberto Eco (6)
  • unconscious (1)
  • unification (1)
  • unitarian (3)
  • unitive knowledge of God (64)
  • Unity (2)
  • Unity Church (2)
  • universalism (1)
  • upanishads (7)
  • Ursula K. Le Guin (1)
  • Val Plumwood (9)
  • Ved Mehta (10)
  • Vedanta (22)
  • Vicki Mackenzie (1)
  • Vipassanā (36)
  • Vivekananda Biography (4)
  • Volunteer (23)
  • volunteer (240)
  • Waḥdat al-wujūd (19)
  • Wahiduddin (5)
  • Wakamatsu Eisuke (1)
  • Wayne Teasdale (4)
  • Welch Jr. (50)
  • Well (1)
  • Western Sufism (2)
  • When Nietzsche Wept (7)
  • Wherever You Go (1)
  • Wild God (2)
  • Will Durant (8)
  • Witness Lee (7)
  • Yalom (26)
  • Yamaga Sokō (1)
  • Yasuo Yuasa (20)
  • Yijing (1)
  • Yoga (93)
  • Yoga sutra (9)
  • Yoga Sutras of Patanjali (9)
  • Yuval Noah Harari (2)
  • zen (1)
  • Zen Buddhism (1)
  • Zhuangzi (5)
  • 가미야 미에코 (11)
  • 강민창 (2)
  • 강상중 (3)
  • 강유원 (1)
  • 개벽의 사상사 (1)
  • 격물궁리 (33)
  • 경의 敬義 (1)
  • 고인수 (3)
  • 공 空 (100)
  • 공 空 sunyata (12)
  • 공공철학 (78)
  • 공해 (42)
  • 관념론 (43)
  • 관음 (62)
  • 교토학파 (45)
  • 구카이 (15)
  • 국선도 (54)
  • 권근 (1)
  • 귀신사생론 (1)
  • 그룬트비 (61)
  • 근친상간 incest (3)
  • 기공 호흡법 (5)
  • 기세춘 (14)
  • 기수련 (66)
  • 기철학 (10)
  • 기측체의 (1)
  • 기치료 (41)
  • 기학 (2)
  • 길희성 (9)
  • 김동춘 (12)
  • 김복기 (1)
  • 김상일 (33)
  • 김상준 (3)
  • 김성갑 (5)
  • 김성례 (11)
  • 김성수 (45)
  • 김승혜 (17)
  • 김시천 (35)
  • 김연숙 (3)
  • 김영민 (12)
  • 김용옥 (13)
  • 김용환 (44)
  • 김정현 (3)
  • 김조년 (62)
  • 김종건 (3)
  • 김지하 (100)
  • 김태영 (2)
  • 김태완 (3)
  • 김태창 (118)
  • 김태창 일기 (14)
  • 깊은 강 (7)
  • 깊은강 (2)
  • 깨달음 (148)
  • 나우웬 (5)
  • 남명 조식 (7)
  • 내관법 (10)
  • 노길명 (10)
  • 노자 (100)
  • 농업 (44)
  • 니시타니 케이지 (1)
  • 니체 (4)
  •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1)
  • 다산 (1)
  • 다카하시 신지 (30)
  • 단군 (2)
  • 단월드 (71)
  • 단학 (3)
  • 달라이 라마 (2)
  • 대장암 Bowel cancer (6)
  • 대종경 (1)
  • 대행스님 (6)
  • 데이비드 호킨스 (16)
  • 덴마크 (62)
  • 도덕경 (317)
  • 도마복음 (1)
  • 도법 (181)
  • 도법2 (5)
  • 도사카 준 (4)
  • 도승자 (2)
  • 도영인 (2)
  • 동경대전 (1)
  • 동양포럼 (46)
  • 동학 (2)
  • 들뢰즈 (4)
  • 러시아적 (3)
  • 로고스 (92)
  • 로카야타 (2)
  • 류경희 (9)
  • 마고 (1)
  • 마성 (8)
  • 마스노 슌묘 (6)
  • 마음공부 (124)
  • 마이스터 엑카르트 (13)
  • 만달라 (85)
  • 만달라 만다라 mandala (67)
  • 메이지의 그늘 (5)
  • 명리학 (1)
  • 명상 (787)
  • 모리시타 나오키 (4)
  • 모리오카 마사히로 (11)
  • 목민심서 (1)
  • 몸은 기억한다 (18)
  • 몸은 안다 (13)
  • 몽골생태영성순례 (5)
  • 무교 (1)
  • 무당 (133)
  • 무묘앙 (26)
  • 문선명 (66)
  • 문선명 사상 (1)
  • 문선명 통일교 (108)
  • 문수신앙 (5)
  • 문화영 (33)
  • 미생물 (103)
  • 밀의 종교 (1)
  • 밀의종교 (1)
  • 바가바드 기타 (44)
  • 박규태 (1)
  • 박길수 (1)
  • 박미라 (5)
  • 박보희 (11)
  • 박석 (36)
  • 박석 인문학 (1)
  • 박성수; 연오랑 (1)
  • 박성준 (23)
  • 박영재 (6)
  • 박재찬 (6)
  • 박정미 (4)
  • 박진여 (13)
  • 반성과 행복 (1)
  • 백낙청-박맹수-김용옥 (6)
  • 백승종 (18)
  • 버스웰 (2)
  • 벌레 이야기 (1)
  • 법구경 (33)
  • 법륜 (48)
  • 법화경 (21)
  • 베단타 (3)
  • 보은 (1)
  • 보현TV (3)
  • 부도지 (1)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4)
  • 북한 (68)
  • 북한농업 (44)
  • 북한지리 (5)
  • 불광선인(佛光仙人) (1)
  • 불교 (2)
  • 불교와 기독교 (1)
  • 불필스님 (1)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6)
  • 빌게이츠 (5)
  • 빙의 (1)
  • 산수화(山水畵) (4)
  • 산자야 (5)
  • 삼국유사 (1)
  • 삼족오 (21)
  • 상카라 (10)
  • 상키야 (6)
  • 생명 (1)
  • 생명농업 (5)
  • 샤만 (1)
  • 샤먼 (1)
  • 샹카라 (10)
  • 서경덕 (19)
  • 서정록 (14)
  • 선과 그리스도교 (2)
  • 선도 (6)
  • 선도체험기 (2)
  • 선도회(禪道會) (3)
  • 선옥균 (2)
  • 선옥균 악옥균 (6)
  • 성덕도 (21)
  • 성령 (150)
  • 성리학 (1)
  • 성학십도 (1)
  • 세피로트 sefirot (15)
  • 소노 아야코 (4)
  • 소태산 (148)
  • 소학 (60)
  • 송규 (7)
  • 송기득 (1)
  • 송정산 (6)
  • 송천성 (6)
  • 수련문화 (24)
  • 수선재 (20)
  • 수피즘 (118)
  • 수행 (101)
  • 숭산 (21)
  • 슈테판 츠바이크 (34)
  • 스콧 펙 (35)
  • 스티브 테일러 (8)
  • 스피노자 (3)
  • 신기통 (5)
  • 신내림 (25)
  • 신라불교 (1)
  • 신비 종교 (1)
  • 신비주의 종교 (1)
  • 신선사상 (1)
  • 신은희 (4)
  • 심광섭 (32)
  • 심광섭 신비주의 (4)
  • 심상 (40)
  • 심중식 (9)
  • 아나밥티스트 (42)
  • 아비달마 (50)
  • 아비담마 (100)
  • 아지타 (3)
  • 아직도 가야 할 길 (14)
  • 아카마쓰 아키히코 (1)
  • 야규 마코토 (66)
  • 야기 세이이치 (1)
  • 야마기시 (12)
  • 야마기시즘 (19)
  • 양명학 (47)
  • 양생도인법 (1)
  • 어윤형 (2)
  • 에노미야 라쌀 (8)
  • 엔도 슈사쿠 (37)
  • 역경 (11)
  • 연오랑 (1)
  • 영성 (1)
  • 영성 신학 (2)
  • 영혼의 탈식민지화 (16)
  • 예술신학 (1)
  • 오강남 (71)
  • 오구라 기조 (28)
  • 오대산 (5)
  • 오비츠 료이치 (4)
  • 오카다 다카시 (8)
  • 오카다 타카시 (11)
  • 와카마쓰 에이스케 (2)
  • 와카마츠 에이스케 (2)
  • 외경 畏敬 (2)
  • 요가 (1)
  • 우리는 누구인가 (13)
  • 웃다라카 (3)
  • 원불교 (239)
  • 원자력 (42)
  • 원전 (79)
  • 원주민 영성 (2)
  • 원톄쥔 (7)
  • 원효 (254)
  • 위안부 (124)
  • 유교페미니즘 (1)
  • 유동식 (72)
  • 유사역사학 (7)
  • 유사종교 (30)
  • 유상용 (15)
  • 유지 크리슈나무르티 (22)
  • 윤정현 (13)
  • 윤홍식 (1)
  • 윤회 (67)
  • 율려 (1)
  • 은혜철학 (9)
  • 의식과 본질 (14)
  • 의식의 단계 (149)
  • 의식의 지도 (3)
  • 이기상 (28)
  • 이나모리 가즈오 (5)
  • 이나모리 카즈오 (6)
  • 이남곡 (52)
  • 이대섭 (2)
  • 이도흠 (20)
  • 이만열 (1)
  • 이명권 (5)
  • 이병철 (86)
  • 이부영 (21)
  • 이븐 아라비 (1)
  • 이슈바라 (1)
  • 이승헌 (102)
  • 이시다 바이간 (1)
  • 이시형 (8)
  • 이신(李信) (7)
  • 이은선 (43)
  • 이인우 (4)
  • 이정배 (65)
  • 이정우 (7)
  • 이종만 포럼 (6)
  • 이종철 (3)
  • 이종희 (11)
  • 이즈쓰 도시히코 (98)
  • 이즈쓰 토시히코 (1)
  • 이찬수 (111)
  • 이청준 (1)
  • 이케다 (20)
  • 이키가이 (32)
  • 이해인 (28)
  • 이행우 (17)
  • 이현주 (38)
  • 이황 (12)
  • 인도철학 (50)
  • 인류세 (57)
  • 인중무과론 (1)
  • 인중유과론 (1)
  • 일리아 델리오 (11)
  • 일본 이데올로기론 (4)
  • 일본 주자학 (1)
  • 일본 철학 (1)
  • 일본불교 (5)
  • 일본인식 (1)
  • 일본적 영성 (16)
  • 일본종교 (1)
  • 일본철학 (10)
  • 일지 (39)
  • 잃어버린 초월 (1)
  • 임건순 (10)
  • 임상 종교사 (20)
  • 임천고치(林泉高致) (7)
  • 입학도설 (1)
  • 자천의학 (5)
  • 장 아메리 (7)
  • 장내미생물군 (23)
  • 장자 (364)
  • 장태원 (2)
  • 장회익 (1)
  • 재산 (1)
  • 적의 계보학 (14)
  • 전생 (21)
  • 전창선 (2)
  • 정경희 (3)
  • 정리 (6)
  • 정산종사 (1)
  • 정세윤 Sea-Yun Pius Joung (6)
  • 정약용 (3)
  • 정웅기 (5)
  • 정창용 (2)
  • 정채현 (1)
  • 정호진 (5)
  • 조선사상사 (11)
  • 조성택 (30)
  • 조성환 (121)
  • 종교간 대화 (5)
  • 주역 역경 I Ching (122)
  • 주요섭 (18)
  • 죽음 (24)
  • 죽음 공부 (1)
  • 중용 (14)
  • 지구유학 (1)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1)
  • 지성수 (9)
  • 진언종 (51)
  • 창가학회 (45)
  • 천부경 (101)
  • 천지인 (1)
  • 천황가 (2)
  • 초기불교 (77)
  • 최민자 (29)
  • 최재목 (16)
  • 최준식 (64)
  • 최진석 (11)
  • 최한기 (82)
  • 최현민 (32)
  • 출가의 공덕 (4)
  • 츠시모토 소군 (5)
  • 침구 (48)
  • 침구학 (14)
  • 카르마 (16)
  • 카마다 토지 (9)
  • 카미야 미에코 (10)
  • 칼 라너 (2)
  • 켄 윌버 (19)
  • 쿠바 (3)
  • 퀘이커 (197)
  • 큐바농업 (17)
  • 크리슈나무르티 (1)
  • 크릴 (8)
  • 타오 (1)
  • 탈원전 (8)
  • 태허설 (1)
  • 텅비움 (2)
  • 통불교 (11)
  • 통일교 (77)
  • 퇴계 (1)
  • 투리야 turiya (5)
  • 트라우마 (116)
  • 파커 파머 (6)
  • 팔정도 (31)
  • 폴 틸리히 (34)
  • 풍류신학 (10)
  • 플럼우드 (1)
  •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1)
  • 하늘철학 (1)
  • 하인리히 (5)
  • 한국 메노나이트 (42)
  • 한국 퀘이커 (105)
  • 한국선도 (4)
  • 한국철학 (1)
  • 한국퀘이커 (116)
  • 한스-게오르크 묄러 (1)
  • 한윤정 (99)
  • 한자경 (21)
  • 함석헌학회 (1)
  • 허우성 (26)
  • 허호익 (40)
  • 혜강 (1)
  • 호모 쿠란스 (5)
  • 홍대선 (2)
  • 홍신자 (7)
  • 홍인식 (9)
  • 화엄 (102)
  • 화엄 華嚴 (102)
  • 화쟁 (10)
  • 화쟁2 (1)
  • 화쟁기호학 (1)
  • 환단고기 (37)
  • 훈육 (3)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15)
  • グルントヴィ (40)
  • フーゴ・ラッサール (8)
  • 不倫 (8)
  • 井筒俊彦 (87)
  • 対本宗訓 (5)
  • 希修 (150)
  • 幻(환) (2)
  • 惠崗 (1)
  • 日本思想 (1)
  • 柳生真 (1)
  • 森岡 正博 (12)
  • 湯浅 泰雄 (1)
  • 神谷美恵子 (16)
  • 空海 (41)
  • 聖德道 (19)
  • 若松 英輔 (24)
  • 訓育 (3)
  • 高橋信次 (9)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Translate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