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18

"한국의 간디" - 오강남의 함석헌 이야기 : 네이버 카페



"한국의 간디" - 오강남의 함석헌 이야기 : 네이버 카페

"한국의 간디" - 오강남의 함석헌 이야기 | 자유게시판

2018.12.16. 17:59

 soft103a(soft****)
나눔회원
https://cafe.naver.com/yooyoonjn/1597

==============

함석헌

-생명, 평화, 민주, 비폭력 등을 위해 힘쓴 ‘한국의 간디’




“하나님은 다른 데선 만날 데가 없고, 우리 마음속에, 생각하는 데서만 만날 수가 있다. 자기를 존경함은 자기 안에 하나님을 믿음이다……그것이 자기발견이다”


들어가며

다석 류영모 선생이 가장 아끼던 제자가 함석헌 선생이었고, 함석헌 선생이 가장 존경하던 스승이 류영모 선생이었다. 함석헌 선생은 다석의 1주기에 다석 선생의 제자들이 다석 선생의 집에 모였을 때 “내가 부족하지만 이만큼 된 것도 선생님이 계셨기 때문이라는 것을 잘 안다”고 했다.

두 분은 여러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대조적이었다. 우선 11살의 차이였지만 생몰 일자가 거의 같다. 똑같이 3월 13일에 출생하고 돌아가신 날도 류영모 선생님은 2월 3일 저녁, 함석헌 선생님은 2월 4일 새벽으로 몇 시간 차이일 뿐이다. 그야말로 ‘의미 있는 우연’이라고 할까? 두 분 모두 흰 두루마기를 즐겨 입으셨고, 수염을 기르셨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두 분의 근본 사상이 여러 면에서 같았다는 사실이다. 두 분 모두 2008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 철학자 대회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가로 소개되었다. 필자로서는 류영모 선생을 뵙지 못한 것이 ‘천추의 한’이라면, 함석헌 선생은 여러 번 뵙고, 1979년 캐나다 에드먼튼에 살 때 필자의 집에 유하시면서 필자가 근무하던 알버타 대학교에서 교민을 대상으로 강연도 하시고 종교학과 교수들과 대담도 하실 수 있도록 주선한 것은 더 없는 영광이라 생각된다.

대조적인 점은 류영모 선생에 비해 함석헌 선생은 키도 크시고 외모도 출중하셨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류영모 선생이 생의 후반에서 비교적 은둔적이고 금욕적인 면이 강했던 데 비해 함석헌 선생은 여러 사람과 함께 어울려 한국 민주화에 직접 참여하시는 등 사회 개혁에도 힘을 많이 쓰셨던 점이라고 볼 수 있다.신비주의 전통에서 즐겨 쓰는 용어를 빌리면 함석헌 선생은 ‘행동하는 신비주의자’라 할 수 있다.

마침 함석헌 선생이 “나는 왜 퀘이커교도가 되었는가”하는 제목의 자서전적인 글을 쓰셨는데, 그것을 토대로 그의 삶을 재구성해 본다.

그의 삶

신천 함석헌咸錫憲(1901~1989)은 (여기서부터 존칭 생략) 평안북도 황해 바닷가 용천에서 아버지 함형택과 어머니 김형도 사이의 3남2녀 중 누님 아래 둘째로 태어났다. 5세경 누님이 배우는 천자문을 옆에서 듣고 모두 외었다. 여섯 살에 기독교 계통의 사립 덕일 소학교에 입학하고 긴 댕기머리를 잘랐다. 함석헌에 의하면 전통 종교가 창조적인 생명력을 잃은 형식적 전통에 불과할 때 ‘바닷가 상놈’의 고장으로 알려진 자기 마을에 새로 들어온 기독교는 사람들에게 희망과 의욕을 넣어주었다고 한다. 그는 기독교 계통 사립 초등학교에서‘하느님과 민족’을 배울 수 있었던 것을 다행으로 여겼다.

“아홉 살 때 나라가 일본한테 아주 망하고 어른들이 예배당에서 통곡하는 것을 보았을 때 어린 마음에 크게 충격을 받았”으나 믿음으로 인해 아주 낙담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후일 함석헌은 자기가 “열세 살까지 지금 생각하기에도 순진한 기독 소년이었다”고 고백한다. 14세에 양시 공립 보통학교에 입학하고, 16세에 졸업한 다음,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이것은 나중 의사가 될 목적이었다. 공립학교에 다니면서 순진성이 많이 없어지고 과학을 배우면서 성경에 대한 의심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한다.

평양고보 2학년 17세에 한 살 아래의 황득순과 결혼했다. 3학년 때인 1919년 3·1운동에 참가했다가 학업을 중단하고 수리조합 사무원, 소학교 선생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해 11월 장남 국용이 출생하고 2년 후 장녀 은수가 태어났다. 그는 모두 2남 3녀를 두었다. 그는 이때를 회고하며 “집에서 2년 동안을 있노라니 운동 이후 폭풍처럼 일어나는 자유의 물결과 교육열 속에서 젊은 놈의 가슴이 타올라 날마다 빈둥빈둥 놀면서 썩고만 있을 수가 없었다”고 했다.

1921년 21세에 다시 학업을 계속하려고 서울로 올라왔지만 4월이라 입학 시기가 지나 어디에도 받아주는 데가 없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길가에서 집안 형 되는 함석규 목사를 만나, 그가 써주는 편지를 가지고 정주 오산학교에 가서 3학년에 편입되었다. 그해 여름이 지나고 류영모가 교장으로 부임하고, 9월 개학식 때 함석헌은 처음으로 류영모를 만나게 되었다. 함석헌에 의하면 그는 류영모의 영향으로 의사가 되겠다는 꿈을 접고 처음으로 한국이 필요로 하는 뭔가를 찾기 시작하고, 또 류영모로부터 노자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그 결과 “남을 따라 마련된 종교를 믿기보다는 좀 더 참된 믿음을 요구하는 마음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는 교회에서 이런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더욱이 교회가 ‘점점 현실에서 먼 신조주의信條主義’, 교리중심주의로 굳어지게 되자 교회에 대해 비판적이 되기 시작했다. 오산학교와 류영모의 영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함석헌은 1923년 일본 도쿄로 유학을 갔다. 그해 9월에 난 대지진으로 도쿄시의 3분 2가 타버렸다. 일본 정치가들은 민심수습책으로 한국인들이 폭동을 계획한다는 유언비어를 퍼트려 한국인 약 6천명이 학살되었다.이를 본 함석헌은 “기독교를 가지고 내 민족을 건질 수 있을까?” 번민하기 시작했다. 현실적으로는 사회주의 혁명밖에 다른 길이 없다고 생각되었지만 그렇다고 도덕을 무시하는 사회주의운동에 가담할 수도 없었다.오래 동안 기독교와 사회주의 사이에서 고민하게 되었다.

한국 형편으로는 교육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생각에서 일본 유학을 결심한 그 본래의 의도대로 1924년 지금의 교육대학에 해당하는 도쿄 고등사범학교에 들어갔다. 새로 입학한 기쁨에 교회를 찾아가다가 동갑내기1년 선배인 김교신金敎臣을 만나고, 김교신이 우치무라의 성경연구회에 나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치무라는 오산학교에서 류영모 선생에게서 이미 들어 알고 있던 인물이었다. 그 당시에는 우치무라가 생존인물인지도 몰랐는데, 김교신을 통해 그가 도쿄에 살면서 성경을 가르친다는 사실을 알고 ‘놀라움과 반가움’을 금할 수 없었다. 함석헌은 존경하는 스승 류영모가 언급한 인물이라는 사실 한 가지만으로 우치무라의 무교회 모임에 참석하기 시작했다.

그 모임에서는 별도의 예배형식이 없이 성경을 읽고 십자가에 의한 속죄를 강조하며 해석하는 것이 주된 일이었다고 한다. 여기서 함석헌은 “성경이란 이렇게 읽어 나갈 것이다” 하는 확신이 들었다. 그러면서 사회주의와 기독교 사이에서 머뭇거리던 번민에서 벗어나 ‘크리스챤으로 나갈 것’을 결심하게 되었다.

1928년 교육대학을 졸업하고 귀국, 오산학교로 돌아와 역사 선생으로 일했다. 그러나 역사 선생이 된 것을 후회하게 되었다. 역사란 것이 ‘온통 거짓말투성이’일 뿐 아니라 한국 역사가 ‘비참과 부끄럼의 연속’이어서,학생들에게 그대로 가르치자니 어린 마음에 ‘자멸감과 낙심만’ 심어줄 것 같고, 다른 사람들처럼 과장하고 꾸미려니 양심이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고민에 고민, 결국 자기에게는 세 가지 버릴 수 없는 것이 있음을 확인했다. 첫째 한민족으로서 민족적 전통을 버릴 수 없고, 둘째 하느님을 믿는 신앙을 버릴 수 없고, 셋째 영국 역사가 H. G. Wells의 The Outline of History를 읽고, 그 영향으로 받아들인 과학과 세계국가주의를 버릴 수 없었다. 이 셋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이 셋을 다 살리면서 역사 교육을 할 수는 없을까?

그러던 어느 날 어떻게 된 것인지 문득 한 생각이 떠올랐다. ‘고난의 메시야가 영광의 메시야라면, 고난의 역사는 영광의 역사가 될 수 없느냐?’하는 것이었다.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다시 용기가 나 역사 교수를 계속할 수 있었다. 말하자면 한국 역사의 keynote를 ‘고난suffering’으로 보는 역사관이 확립되고 이런 역사관에 입각해서 한국 역사를 재해석하기로 한 것이다.

그때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우치무라의 성서연구모임에 참석했던 유학생들 여섯 명이 귀국하여 성서연구모임을 만들고 ��성서조선聖書朝鮮��이라는 동인지를 발간했는데, 함석헌은 ‘고난’의 견지에서 한국 역사를 새로 조명하는 글을 연재했다. 이것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 역사��라는 명작이 되어 나왔다. 이 책은 나중��뜻으로 본 한국 역사��라는 이름의 개정판으로 나왔고, 류영모의 맏아들이 번역하여 영문판으로도 나왔다.

오산학교에 10년간 있었는데, 그때는 스스로 ‘십자가 중심 신앙에 충실한 무교회 신자’였다고 했다. 그러나 본래 교파를 싫어하여 무교회라는 것이 생겼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무교회도 하나의 교파로 굳어가는 것 같고, 또 우치무라에 대한 개인숭배 태도가 보이기도 하는 것 같아 반감을 느끼고, 더욱이 중요한 것은 자주적으로 생각을 깊이하면서 예수가 내 죄를 대신해서 죽었음을 강조하는 우치무라의 십자가 대속 신앙을 받아들일 수가 없게 되었다. 심정적으로는 무교회주의에서 떠났지만, 그것을 크게 공표하여 부산을 떨 필요를 느끼지 않아 그런대로 몇 년을 지났다.

오산에 있으면서 한국의 구원은 ‘믿음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을 통해 농촌을 살려내는 것’이라 생각하고 자기가 오산에 온 것도 이를 실천하기 위함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1936~1937년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려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점점 가혹해지자 함석헌은 죽을 지언정 이에 맞서야 한다고 하였지만 오산학교 행정자 측은 어쩔 수 없이 타협하는 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그는 평생을 바칠 마음으로 왔던 학교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1938년 봄 “눈물로 교문을 나왔다.”

교문은 나왔지만 차마 학생들을 떠날 수는 없었다. 오산에 머물면서 일요일마다 학생들을 만났다. 그렇게 2년을 보내다가, 후배 김두혁이 평양 시외에서 경영하던 덴마크식 송산농사학교를 넘겨주겠다고 하여 1940년 그리로 갔다. 가자마자 설립자가 독립 운동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검거됨에 따라 함석헌도 덩달아 감옥에 들어가게 되었다. 억울하게 1년간 옥살이를 하고 나오니 아버지도 세상을 떠나고 집안이 말이 아니었다.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데, 1942년 김교신이 ��성서조선��에 실린 「조와弔蛙」라는 우화 때문에 잡지에 관여했던 사람들이 모두 잡혀가는 사건이 터져, 다시 감옥에 들어가 1년의 옥고를 치르고 나왔다. 이 때문에 나중 독립유공자 자격으로 대전 국립묘지에 이장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출옥 후 다시 농사를 짓고 있는데, 2년 후 해방이 되었다.

함석헌은 이때까지 감옥을 네 번, 그 후로도 세 번 더 들어갔는데, 감옥에 있을 때 얻은 것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 그는 감옥을 ‘인생대학’이라 부르고, 감옥 속에서 불교 경전도 보고, 노자, 장자도 더 읽을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신비적인 체험’도 얻었다고 한다. 이런 경험을 통해 ‘모든 종교는 궁극에 있어서는 하나라는 확신’에 이를 수도 있었다. 함석헌은 감옥에서 깨달은 바를 스스로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이것은 단순히 국경선의 변동에만 그치지 않을 것이다. 인간 사회의 구조가 근본적으로 달라지려는 세계혁명의 시작이다. 세계는 한 나라가 되어야 한다. 국가관이 달라져야 한다. 대국가주의시대大國家主義時代가 지나간다. 세계관이 달라지고 종교가 달라질 것이다. 아마 지금과는 딴판인 형태를 취할 것 아닐까? 종교의 근본 진리야 변할 리 없지만 모든 시대는 그 영원한 것의 새로운 표현을 요구한다. 각 시대는 제 말씀을 가진다. 장차 오는 시대의 말씀은 무엇이며, 누가 받을까? 새 종교개혁이 있기 위해 이번도 새 학문의 풍(風)이 일어나야 하지 않을까? 그러면 역시 과거의 새로운 해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고전古典 연구가 필요하다.그 고전은 어떤 것일까? 서양 고전이 될 수는 없다. 그것은 이미 다 써먹었다. 그럼 동양 고전을 다시 음미하는 수밖에 없을 거다.막다른 골목에 든 서양문명을 건지는 길은 동양을 새로 맛보는 데서 나올 것이다.”

특히 종교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기성 종교는 국가주의와 너무 깊이 관련되었기에 낡은 문명과 함께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마치 ‘종교 없는 그리스도교’를 말한 디트리히 본회퍼나 2000년 전 예수 탄생 때 동방에서 선물이 온 것처럼 지금도 ‘동방에서 새로운 정신적 선물이 와야 한다’고 한 토마스 머튼을 읽는 기분이다.

해방 후 사람들의 강권에 의해 임시자취원회 위원장이 되고, 이어서 평안북도 임시정부 교육부장의 책임을 맡기도 했다. 반공 시위인 신의주 학생시위의 배후로 지목되어 소련군 감옥에 두 번이나 투옥되었다. 밀정이 되기를 요구하는 소련군정에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 남한으로 넘어왔다. 1947년의 일이다.

월남하여서는 무교회 친구들의 협력으로 일요 종교 강좌를 열어 1960년까지 계속하면서 말로나 글로 자신의 생각을 펼쳤다. 젊은이들 사이에 그의 사상에 공명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필자도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등 그 당시 ��사상계思想界��에 실린 그의 글들을 읽었다. 그의 생각이 일반에게 알려지면서 한국 교회는 그를 이단으로 낙인찍고, 그의 무교회 친구들도 그를 멀리하기 시작했다. 세 가지 주된 이유는 그가 십자가를 부정하고, 기도하지 않고, 너무 동양적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함석헌은 십자가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라보는’ 십자가에서 ‘몸소 지는’ 십자가를 강조한 것이고, 기도도 ‘형식과 인간끼리의 아첨에 지나지 않는’ 공중기도를 삼갈 뿐이라고 하고, 동양 종교의 ‘깊은 뜻을 알지 못하고 그저 교파적인 좁은 생각’으로 동양적인 것을 배척하는 것에는 결코 동조할 수 없었다고 한다. 결국 표층 종교에 속한 사람들이 심층 종교로 들어가는 함석헌을 이해할 수 없었던 셈이다.

그러나 이런 일로 구태여 무교회와 결별할 생각은 없었다. 무교회를 떠난 결정적 계기는 ‘중대한 사건’ 때문이었다. 그가 오산 시절부터 간디를 알고 오래 동안 간디를 좋아해 간디 연구회를 만들 정도였는데, 동지들 사이에서 간디의 아슈람 비슷한 것을 만들자는 제안에 따라 1957년 천안에 ‘씨알농장’을 만들고 젊은 몇 사람과 같이 지내게 되었다. 이때 ‘도저히 변명할 수 없는 잘못’을 저질렀다. 형세는 돌변했다. 친구들이 모두 외면하고 떠나버린 것이다. 견딜 수 없이 외로웠다. 그러면서 관념적으로 믿고 있고 감정적으로 감격하던 십자가가 본인에게도 다른 사람에게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는 그때의 심정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십자가도 거짓말이러라
아미타불도 빈말이러라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도 공연한 말 뿐이러라
내가 쟝발장이되어 보자고 기를 바득바득 쓰건만 나타나는 건 미리엘이 아니고 쟈벨 뿐인 듯이 보이더라
무너진 내 탑은 이제 아까운 생각 없건만 저 언덕 높이 우뚝우뚝 서는 돌탑들이 저물어가는 햇빛을 가리워 무서운 생각만이 든다.”

이때를 예견한 것인가? 함석헌은 1947년 월남 이후 지은 그의 시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에서도 이와 비슷한 심정이 토로하고 있다.

“만리 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놓고 갈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에도
‘저맘이야’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탔던 배 꺼지는 시간
救命袋 서로 사양하며
‘너만은 제발 살아다오’할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不義의 死刑場에서
‘다 죽여도 너희 세상 빛을 위해
저만은 살려 두거라’일러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잊지못 할 이 세상을 놓고 떠나려할 때
‘저 하나 있으니’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스승 류영모마저도 그를 공개적으로 질책하고 끝내 그를 내쳤다. 그러나 물론 그에 대한 사랑을 버린 것은 아니었다. ��다석일지��에 보면 “함은 이제 안 오려는가. 영 이별인가” 하며 탄식하는 등 7~8회에 걸쳐 제자 함석헌을 그리는 글이 나온다. 류영모는 “내게 두 벽이 있다. 동쪽 벽은 남강 이승훈 선생이고 서쪽 벽은 함석헌이다”고 할 정도였다.

심정적으로는 그럴지라도 겉으로는 스승으로부터도 버림받아 홀로 된 그에게 퀘이커가 나타났다. 퀘이커에 대해서는 오산 시절부터 들었지만 ‘좀 별난 사람들’이라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한국 전쟁 후 구호사업으로 한국을 찾은 퀘이커들을 만나 처음으로 퀘이커 신도가 된 이윤구를 통해 퀘이커를 접하게 되었다. ‘갈 곳이 없는’ 상태에서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붙드는 심정으로’ 퀘이커 모임에 나갔다. 1961년 겨울이었다. 이렇게 되어 196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 있는 퀘이커 훈련 센터인 펜들힐Pendle Hill에 가서 열 달 동안, 비슷한 성격의 영국 버밍엄에 있는 우드브루크Woodbrooke에 가서 석 달 동안 지내게 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특별히 퀘이커가 될 생각은 없었다. ‘하룻밤 뽕나무 그늘 밑에서 자고 가려는 중의 심정’이었다. 그러다가 1967년 미국 북 캐롤라이나에서 열렸던 퀘이커 세계 대회에 퀘이커 친우들이 그를 대해 주는 데 어떤 책임감 같은 것을 느껴서 결국 퀘이커 정회원이 되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의 심정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그래도 나는 여전히 ‘수평선너머’를 내다봅니다.
내가 황햇가 모래밭에서 집을 지었다 헐면서 놀 때에 내다보던 수평선,
피난 때 낙동강 가에서 잔고기 한 쌍 기르다 죽이고 울면서 내다보던 수평선,
영원의 수평선너머를 나는 지금도 내다봅니다.”

함석헌은 류영모와 달리 현실참여에 적극적이었다. 1961년 장면 정권 때 국토 건설단에 초빙되어 5·16 군사 정권이 들어오기 전까지 정신교육 담당 강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1970년에는 잡지 ��씨의 소리��를 창간하여 그의 ‘씨 사상’을 널리 펼치고 동시에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대변하기도 했는데,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정권에 의해 폐간되었다가 1988년 8년 만에 복간되었다. 군사 정권에서는 군사 독재에 맞서서1974년 윤보선, 김대중 등과 함께 민주회복국민운동본부의 고문역을 맡아 시국선언에 동참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느라 여러 차례 옥고를 치렀다. 이런 민주화 운동을 인정받아 1979년과 1985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 퀘이커 봉사회의 추천으로 노벨 평화상 후보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1989년 췌장암으로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 2월 4일 새벽 5시 28분, 87년 11개월 가까이, 날짜로 33,105일을 사시고 세상을 떠났다. 함석헌을 따르며 그의 가르침을 받은 박재순 박사에 의하면, 돌아가시기 전 산소호흡기로 생명을 연장시키려 애쓰셨다는데, 그것이 스승 류영모가 돌아가신 날에 맞추려고 그런 것이 아니었던가 생각된다고 한다. 장례식은 조문객 2 명이 오산학교 강당에 모여 오산학교장으로 치르고 경기도 연천읍 간파리 마차산에 묻혔다가, 2002년 8월 15일 독립유공자자로 건국훈장이 추서되고, 이에 따라 대전 국립 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영원한 ‘들사람’에게는 약간 의외의 조치가 아닌가 여겨지는 면도 있다.
=====




그의 가르침



함석헌은 동서고금의 정신적 전통에서 낚아낸 깊은 사상을 바탕으로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생명, 평화, 민주,비폭력 등을 위해 힘쓴 ‘행동하는 신비주의자’, 세간에서 말하는 ‘한국의 간디’라 할 수 있다. 성경에 보면, “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케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누가복음6:40) 했다. ��도마복음��이나 ��장자��에도 비슷한 말이 있다. 류영모 선생님의 제자이지만, 어느 면에서 스승이 이루지 못한 부분을 보충했다는 의미에서 ‘청출어남이청어남靑出於藍而靑於藍’의 경우라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이제 함석헌의 사상이 어떻게 세계 종교의 심층, 곧 신비주의 전통과 통하는가, 그의 가르침이 어떻게 우리가 살펴본 인류의 정신적 스승들의 사상을 통섭하고 있는가, 몇 가지 예를 들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는 경전을 ‘끊임없이 고쳐 해석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경전의 생명은 그 정신에 있으므로 늘 끊임없이 고쳐 해석하여야 한다.…… 소위 정통주의라 하여 믿음의 살고 남은 껍질인 경전의 글귀를 그대로 지키려는 가엾은 것들은 사정없는 역사의 행진에 버림을 당할 것이다. 아니다, 역사가 버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네가 스스로 역사를 버리는 것이다.”

종교적 진술을 문자적으로 이해하려는 ‘정통주의나 근본주의적’ 태도는 종교의 더욱 깊은 뜻을 이해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성경을 문자적으로 읽으면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없고, 심각하게 받아들이려면 문자적으로 읽을 수 없다”고 한 신학자 폴 틸리히의 말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경전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같다.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는 것이다.

둘째는 ‘자라나는 신앙이 되게 하라’는 것이다.

“신앙은 생장기능生長機能을 가지고 있다. 이 생장은 육체적 생명에서도 그 특성의 하나이지만, 신앙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신앙에서 신앙으로 자라나 마침내 완전한 데 이르는 것이 산 신앙이다.”


“옛 전통을 자랑하는 교회는 낡아 빠진 종교다. 우리들만이 유일한 진리라고 말하는 종교는 낡아 빠진 종교이다. 신학적인 설명을 강요하기 휘해 과학을 원수처럼 생각하는 종교도 역시 낡아 빠진 종교다.”

자라지 않은 신앙은 죽은 신앙, 생명이 없는 신앙이다. 물로 세례를 받은 사람은 다시 바람(성령)으로 세례를 받고 결국에는 불로 세례를 받아야 한다는 『도마복음』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우리의 의식구조가 변화를 받아 점점 더 깊은 차원의 실재를 볼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셋째는 ‘하나님은 내 마음 속에’라는 것이다.

“하나님은 다른 데선 만날 데가 없고, 우리 마음속에, 생각하는 데서만 만날 수가 있다.
자기를 존경함은 자기 안에 하나님을 믿음이다……그것이 자기발견이다.“

내 속에 있는 하나님이 바로 나의 가장 ‘본질적인 나’라는 뜻에서 내 속에 있는 하나님이 바로 나의 참 나라 할 수 있다. 내 속에 있는 하나님을 발견하는 것이 바로 나의 참 나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런 발견을 일반적으로 일컬어 ‘깨침’이라 한다. 심층 종교에서 말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지적하고 있다.


넷째, ‘예수가 아니라 그리스도’이다.

“나는 역사적 예수를 믿는 것이 아니다. 믿는 것은 그리스도다. 그 그리스도는 영원한 그리스도가 아니면 안 된다. 그는 예수에게만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내 속에도 있다. 그 그리스도를 통하여 예수와 나는 서로 다른 인격이 아니라 하나라는 체험에 들어갈 수 있다. 그때에 비로소 그의 죽음은 나의 육체의 죽음이요, 그의 부활은 내 영의 부활이 된다. 속죄는 이렇게 해서만 성립된다.”

놀라운 통찰이다. 


예수는 자기 속에 있는 그리스도, 혹은 그리스도 의식Christ-consciousness임을 발견한 분이다. 

우리도 우리 속에 있는 그리스도를 발견하면 예수와 같은 그리스도 의식에 동참하여 그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1945년에 발견된 ��도마복음��을 비롯하여 심층 종교의 기본 가르침과 일치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사랑이 이긴다’는 가르침이다.

“평화주의가 이긴다.
인도주의가 이긴다.
사랑이 이긴다.
영원을 믿는 마음이 이긴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세계 거의 모든 종교 신비주의 심층 전통에서는 나와 하느님이 하나임을 말함과
동시에 나와 다른 이들, 다른 사물들과도 결국 일체임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말이다. “어떤 경우가 천박한 이해인가? 나는 답하노라. ‘하나의 사물을 다른 것들과 분리된 것으로 볼 때’ 라고. 그리고 어떤 경우가 이런 천박한 이해를 넘어서는 것인가? 나는 말할 수 있노라. ‘모든 것이 모든 것 안에 있음을 깨닫고 천박한 이해를 넘어섰을 때’라고.”


여섯째는 ‘너와 나는 하나’라는 가르침이다.
“나는 나 혼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남과 같이 있다. 그 남들과 관련 없이 나는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나와 남이 하나인 것을 믿어야 한다. 나·남이 떨어져 있는 한, 나는 어쩔 수 없는 상대적인 존재다. 그러므로 나·남이 없어져야 새로 난 ‘나’다. 그러므로 남이 없이, 그것이 곧 나다 하고 믿어야 한다.”

함석헌은 “내 속에 참 나가 있다”, “이 육체와 거기 붙은 모든 감각·감정은 내가 아니다”, “나의 참 나는 죽지도 않고, 늙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고 더러워지지도 않는다”고 하면서,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나와 만물이 하나임을 알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가히 사사무애事事無礙의 경지다.

일곱째는 ‘다름을 인정하라’는 것이다.

“우리의 생각이 좁아서는 안 되겠지요. 우주의 법칙, 생명의 법칙이 다원적이기 때문에 나와 달라도 하나로 되어야지요. 사람 얼굴도 똑같은 것은 없지 않아요? 생명이 본래 그런 건데, 종교와 사상에서만은 왜 나와 똑같아야 된다고 하느냐 말이야요. 생각이 좁아서 그렇지요. 다양한 생명이 자라나야겠는데……”

이사야나 아모스만이 하느님의 예언자가 아니라 동양의 공·맹, 노·장도 모두 다 하느님의 예언자다.

궁극적 실재가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파악될 수 없다는 것을 알면 말이나 문자로 표현된 것의 절대적 타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 궁극 실재에 대한 우리 인간의 견해見解는 그 타당성이 결할 수밖에 없다. 모든 견해가 이럴 진데 나의 견해만 예외적으로 절대로 옳다고 주장할 수가 없다. 자연히 다원적 사고를 인정하게 된다.거의 모든 심층 종교, 신비주의 전통에서 한결같이 주장하는 바이다.

이런 몇 가지 예만으로도 함석헌의 사상이 류영모의 사상과 마찬가지로 세계 신비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는 것을 아는 데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특히 오늘 한국의 종교들이 거의 표층 종교 일색으로 변해 있는 상태에서 이들의 가르침이 얼마나 귀중한가 하는 것을 다시 마음에 새기게 된다. 들어가는 말에서 언급한 것처럼 독일 신학자 칼 라너Karl Rahner나 도로테 죌레Dorthee Soelle가 미래의 종교는 어쩔 수 없이 심층적인 종교, 신비주의적 종교일 수밖에 없다고 했을 때 류영모·함석헌의 사상에서 미래 종교의 광맥을 보는 듯하다 하면 과장일까?*


#함석헌 #오강남 #경계너머아하 #류영모


How organic agriculture in Cuba saved its population from hunger | Nieuwsbericht | Agroberichten Buitenland



How organic agriculture in Cuba saved its population from hunger | Nieuwsbericht | Agroberichten Buitenland



How organic agriculture in Cuba saved its population from hunger

Nieuwsbericht | 10-10-2018 | 21:49


Cuba's example shows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isn't only possible, it's necessary. This country was forced to abandon its sugar monoculture and has survived thanks to organic agriculture.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left Cuba in a dire economic situation. Cuban citizens started to grow crops on their balconies whilst farmers, left with no petrol or pesticides, were forced to resort to traditional methods to feed themselves. This started a true revolution: that of organic agriculture in Cuba.
Cuba’s “special period”

Cuba is often associated with sugar. In fact, right until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is country had been its greatest exporter; cane sugar was the principal crop being cultivated, which entailed a large use of pesticides. From that year onwards the situation changed: with the disappearance of its main recipient, the Soviet market – also necessary for the importation of petrol – the Cuban economy suffered a great blow and entered what is euphemistically called the “special period”, made even worse by the tightening of the America embargo.
Were all those pesticides really necessary?

Without petrol (or money) there was no way to import food for the Cuban people. Therefore, its citizens were on the verge of famine. More and more people started growing crops on their balconies and gardens, and farmers were forced to alter their cultivation methods: they returned to ploughing fields with oxen, got closer to their customers through direct sales and used natural alternatives to pesticides. “Boats had arrived from the Soviet Union full of chemicals and fertilisers and suddenly there were no more boats from the Soviet Union, and people asked, do we need all those chemicals?,” Miguel Angel Salcines, the owner of one of Cuba’s organic farms told British daily The Guardian.
The growth of organic agriculture in Cuba

This is how organic agriculture took a hold in Cuba. Today, small plots of land – no larger than 40 hectares – are being farmed without using pesticides and all products are sold locally.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citizens’ initiatives through land concessions and the creation of a body that coordinates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This is how people have been able to feed themselves and the country managed to cut some of its dependence from imported goods. The transition hasn’t yet become definitive and the process has slowed down as the economy has improved, and we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at massive amounts of pesticides were used on many of the lands where crops are now grown organically. Nevertheless, a study that was published in Monthly Review magazine shows that from 1988 to 2007 the countr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vegetables by 145 per cent, decreasing the use of pesticides by 72 per cent.


“Organic agriculture isn’t a mirage, and the closing of half of the country’s sugar refineries represented the first step towards our food independence,” according to Fernando Funes Monzote, who has a Phd in Agronomy and is the son of one of Cuba’s greatest supporters of organic agriculture. Even though it isn’t perfect, the country’s transition towards a new agricultural model is an example to others as it shows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od security are attainable and deeply connected.

Source: https://www.havanatimes.org/
Author: Andrea Cutolo

`"文정부 農政 역대최악...소득성장 외치며 농민은 외면해"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에게 고견을 듣는다] - 디지털타임스



`"文정부 農政 역대최악...소득성장 외치며 농민은 외면해"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에게 고견을 듣는다] - 디지털타임스



"文정부 農政 역대최악...소득성장 외치며 농민은 외면해"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에게 고견을 듣는다]
이규화 기자 david@dt.co.kr | 입력: 2018-11-09 12:54


김성훈 전 농림부 장관 인터뷰. 박동욱기자 fufus@


[]에게 고견을 듣는다



김성훈 前 농림부장관



"문재인 정부의 농업정책도 이명박 박근혜 정부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아니 더 망했다고 해도 심한 말은 아닐 겁니다. 올 들어 쌀값이 앙등했다고 말합니다. '앙등'이라니요? 제발 그런 말 좀 쓰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그동안 너무 떨어졌던 가격이 정상화되는 과정일 뿐입니다. 그런데 문 정부는 생활물가 안정이라는 이름으로 정부 비축미 5만 t을 시장에 푼다고 합니다. 그것도 추수기에요. 농민들이 버럭같이 화를 내며 반대하고 나서는 것은 당연하죠. 상처에 소금 뿌리는 행위입니다. 농민들은 밥 한 공기에 500원은 고사하고 300원이라도 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150원 하다 이제는 230원 정도까지 올랐어요. 빵 하나에 1500원 하는데 말이죠. 농정이 이러니 문 정부가 하는 다른 경제정책에 대해서도 기대를 접은 지 오래됩니다."



대담 = 이규화 논설실장



우리나라 농어민은 약 240만명, 농어업 종사자는 149만 명이다. 국민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도 안 된다. '찌그러져 있던 농업'이 갑자기 올 들어 국민들의 관심 속으로 들어왔다. 쌀값 때문이다. 실제로 올 들어 쌀값은 최고 수준일 때 작년 대비 40% 가까이 오르기도 했다. 지난달 25일 현재 산지 쌀값은 19만3000원으로 최근 5년 평균가격 보다 21%나 높았다. 이를 기화로 농림축산식품부는 비축미 5만 톤을 시장에 풀겠다고 했다. 아무리 쌀 소비가 줄었다 해도 여전히 쌀은 주곡이다. 소비자들이 대체 '쌀'에 무슨 일이라도 생긴 건가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심지어 북한 석탄 반입한 배에 정부가 쌀을 실어줬다는 황당한 루머가 돌기도 했다.



답답한 마음에 농업의 현안을 꿰뚫고 있는 농정계 원로이자 거목인 김성훈 전 농림부장관을 만났다. 김 장관은 1998년 3월 김대중 정부의 첫 농림부장관에 취임해 2년 5개월 동안 농정을 책임지며 지금까지 이어지는 굵직굵직한 농업정책을 입안한 장본인이다. 평생을 농업 농촌 농민 '3農'을 위해, 3농과 함께 살고 있는 농경제학자요 농업운동가다. 지금도 아파트 옥상에 채소를 가꾸고 있는 '농부'이기도 하다. 그는 3농 정책을 고리로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정책 등에 대해서도 쓴 소리를 거침없이 쏟아냈다.



-9월 하순부터 11월 초순까지가 우리나라 국토는 가장 아름다운 시절이 아닌가 합니다. 산은 홍엽으로 물들고 들녘은 황금 캔버스로 변하거든요. 그 들녘의 아티스트가 바로 농민들입니다. 공장에서 농사를 짓는 시대인데요 말이죠.



"인류가 태어나서 200만년 300만년 흘렀습니까? 1, 2, 3, 4차 산업혁명 심지어 5차 산업혁명이 와도 먹을거리 이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고 변함이 없을 겁니다. 인공 소고기 개발에 성공하고 곧 나온다고 하지만 자연이 공급해주는 안전한 먹을거리는 기본이고 영구불변 합니다. 세종대왕께서 민유방본이요 식위민천이라는 말씀을 했습니다. 나라 근본은 백성이고 백성은 식(食)을 하늘로 여긴다. 농업의 가치는 영원할 것이고 치세의 가장 근본에서 떠날 수 없습니다. 농업 정책은 그런 사고 위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올 들어 쌀값이 많이 올랐는데요.



"이제 정상으로 돌아가는 과정입니다. 앙등이 아니에요. 현재 쌀값은 2013년 수준을 회복한 겁니다. 100g 한 공기 밥값이 300원 정도만 되도록 해달라는 게 농민들 바람입니다. 150원 하다가 이제 230원 정도 됐습니다. 빵 한 개 값에도 못 미치는 밥 값이 말이 됩니까. 제발 앙등했다는 말 좀 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최근 쌀값이 오른 것은 수급문제입니다. 쌀 생산량이 올해 감소할 것이라는 말이 돌고 공급이 주니 자연스럽게 형성된 가격이에요. 저는 문재인 정부의 농정(農政)을 불신합니다. 이 정부 들어와 쌀값 억제정책을 펴왔어요. 쌀값이 좀 뛰자 기재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정부 보유미 5만 t을 풀려고 하는데, 추수기에 시장에 푼다는 게 말이 됩니까. 정부의 비축미 방출은 보통 단경기 때인 4,5,6월에 하는 게 상식입니다. 농산물은 공급 탄력성이 떨어져 폭등폭락할 수 있어요.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인데,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서 농민들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행위입니다. 식당하는 자영업자들의 고충을 경감하기 위해 그런다는데, 그것도 문제입니다. 최저임금 무책임하게 올려놓고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에게 뭇매를 맞으니까 엄한 쌀값에 화풀이 한다는 생각을 합니다."



-최저임금 급등이 농업계에도 그렇게 영향을 많이 줍니까.



"임금 수준이라는 게 연쇄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거에요. 이미 농촌은 일손이 없어서 품삯이 7만~8만원을 넘어 10만원에 육박하는 데가 많아요. 하루 다섯 끼, 네 끼 식사를 제공하고도요. 최저임금이 오르면 농촌의 품삯도 덩달아 오릅니다. 지금 농촌에는 외국인 농업근로자들도 상당수 있는데, 이들도 내국인과 똑같은 임금체계 적용을 받아요. 문재인 정부가 들어와 최저임금을 다락같이 올려놓아 농가 생산비는 더 오르고 노동 공급은 더 줄었어요. 최저임금을 지역이나 산업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방법을 찾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지 않으면 갈수록 문제는 심각해질 겁니다."



-장관님은 진보 쪽 학자로 알려져 있는데, 현 진보좌파 정부의 당국자들이 들으면 서운해 하지 않겠습니까.



"진보도 진보 나름이지요. 어디 잘 하는 게 있어야 칭찬도 할 게 아닙니까."



-현 정부가 들어선 지 이제 1년 6개월 됐는데, 변화의 모습이 보이는지.



"문재인 정부는 총론은 있는데 각론이 없어요. 출세주의자들만 득실거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호는 왼쪽으로 넣고 핸들은 오른쪽으로 돌리고 있어요. '촛불 혁명'을 했다고 하는데, 촛불과 함께 사라져야 할 사람들이 다시 자리를 꿰차고 있어요. 소득주도성장을 한다면서 농민들 소득은 안중에도 없어요. 심지어 이명박 박근혜 정부보다도 못한 것 같아요. 박근혜 정부는 그래도 농업의 6차산업화(농업을 1차 생산, 2차 가공, 3차 서비스 및 유통하는 산업으로 키우자는 6차산업화는 김 전 장관이 농림부장관 재식 시 제안했다고 한다) 하는 시늉이라도 했어요. 그런데 이 정부는 아예 농업 아젠다가 없어요."



-정책을 이끌고 갈 마땅한 인물이 없다는 말씀인가요.



"문재인 대통령은 사라져야 할 좀비들이 다시 살아나게 하는 우를 범하고 있어요. 제2의 '노무현 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사람을 잘못 쓰고 있어요. 앞에서 아부나 하는 사람들만 많고 소신을 갖고 정책에 책임을 지는 사람이 없습니다.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제부총리가 바뀐다는데 이번에는 좀 물정을 아는 사람을 앉혀야 합니다. 농민들 뿐 아니라 자영업자와 중소 상공인들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어요. 시장과 현실을 직접 체험하고 문제를 해소할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출세주의자들은 안 됩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말처럼 좀 더 시간을 갖고 기다려보면 나아지지 않을까요.



"저는 기대를 많이 안 합니다. 문재인 정부는 이미 싹수가 노래요.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운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쌀 목표가격 인상도 농민들 현실과는 턱없이 모자랍니다. 효과도 별로 없는 일자리 예산으로 54조원을 쓰면서 왜 우리사회의 가장 취약계층인 농업과 농민에 투자하는 것은 그렇게 인색한가요?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한다는 농어업특별위원회는 아직도 설치되지 않고 있어요. 지금 우리 농촌은 멸실돼가고 있습니다. 전남만 해도 한 마을에 20호가 안 되는 농촌 마을이 40%나 됩니다. 농촌이 고령화 단계를 지나 아예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낙연 총리가 도지사를 했던 전남에서 지금 가장 심각하게 농촌마을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섬은 거의 비다시피 돼가고 있어요. 저는 이 총리에게 좀 쓴 소리를 하고 싶어요. 농업 지역의 도지사를 하면서 쌓은 노하우가 있을 텐데 왜 그런 것을 현 정부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나요. 총리는 그냥 장식물인가요. 대권 후보군으로 올라있던데, 이미지 관리만 하는 건 아닌가요?"



-총리는 사실 실권이 없지 않습니까.



"그런 말 마세요. 공직에 있는 사람은 아무리 말직이라도 국민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공직이 일신의 출세를 위한 자리가 아니에요. 다산 정약용 선생은 정조대왕에게 올린 농책(農策)에서 농이란 천하의 근본으로서 때(天時)와 땅(地利), 사람(人)이 화합해야 천지에 힘이 가득해 심고 기르는 것이 왕성하게 되는데, 사람들이 이 근본을 버리고 끝(末 )만 도모하려고 하니 논밭이 묵히고 놀고먹는 사람들만 늘어난다고 했어요. 또 농업은 태생적으로 자연현상 등의 제약을 받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농업, 농촌, 농민을 살리는 3농 정책을 펼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 3농이란 첫째, 후농(厚農)으로 수지맞는 농사가 돼야 한다는 거고 둘째, 편농(便農)으로 정부가 경지 정리, 관개 수리, 기계화 등 농사를 편하게 지을 수 있게 도와야 한다는 것이고, 셋째 상농(上農)으로 농민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농정을 맡는 공직자들을 보면 다산 선생의 철학을 찾을 수 없어요. 농정 뿐 아니라 경제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서 공직에 대한 소신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지 않아요. 총리뿐만이 아닙니다. 전남 전북 자기 고향과 지역을 망쳐놓은 사람들이 이 정부 들어 장차관을 하고 있어요. 참 안타깝습니다."






김성훈 전 농림부 장관 인터뷰. 박동욱기자 fufus@






"출세주의자만 득실… 세상물정 좀 아는 인물로 확 바꿔야"



농민은 급감하는데 지원 부처·기관은 급증… 비정상의 극치

'3農' 발목잡는 '5敵' 대오각성해야… 農協의 '귀족화'도 심각

디지털시대 농업이 살길은 친환경, 가족농 스마트팜도 필요

한국농민 부지런하고 영리… '茶山의 上農' 새겨 장점 살려야





-정부가 FTA로 피해보는 농어민을 돕기 위해 농어촌상생기금을 설치하고 기업들로부터 기금을 출연 받으려 하는데요.



"농어민을 돕는 취지는 좋습니다. 그러나 어떤 기업이 생돈을 내려고 하겠습니까. 방법이 틀렸어요. 수입할 때 징수하는 등 시장에 녹여서 기금을 만들어야지 현금을 출연하는 방식으로는 저항을 부릅니다."



-농업을 살려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식량안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산업이지만, 전체 국민총생산(GDP)에서 농업 생산은 2%도 안 됩니다. 농어민은 약 240만명이고 농어업 종사자는 149만 명인데, 여기에 무한정 재원을 투입할 순 없지 않습니까.



"현재 농민은 전체 인구의 4% 정도인데 계속 줄고 있어요. 그런데 농림축산식품부는 갈수록 비대해지고 있습니다. 산하 공공기관도 자꾸 생기고 있고 직원들도 증원되고 있어요. 농민이 주는데 왜 농민을 지원하는 부처와 기관들은 늘어나야 하나요. 반대로 줄어야 정상 아닌가요? 농업진흥청 공무원은 아마 7000명 쯤 될 겁니다. 이밖에 농어촌공사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솔직히 없어도 될 공사와 공직자가 너무 많아요. 이런데 들어가는 경상비를 농업 농촌 농민을 위한 데 쓰면 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런 일을 해야 하는데, 안 하는 건지 못하는 건지 아쉽습니다."



-우리 농업에는 5적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영부영 무책임한 농업 관련 공직자, 농업을 효율로만 보는 외꾸눈 경제학자, 손에 흙 하나 묻히지 않은 얼치기 농업경제학자, 표만 계산하는 정치권, 무조건 투쟁만 일삼는 농민단체들을 말합니다. 우리 농업 농촌 농민이 잘 되려면 이들 5적이 대오각성해야 합니다. 현재 헌법이 정한 경자유전의 원칙이 무너졌어요. 농지를 투기장화한 결과이기도 하고 정책이 뒷받침하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현재 위장된 소작농이 약 70% 가량 되는데, 물론 옛날처럼 소출의 절반을 빼앗기는 그런 소작농은 아니지만 자기 땅을 충분히 갖지 못한 농민들이 많아요. 가령 상속 받은 농지는 영농을 직접 하지 않으면 팔게 돼 있는데, 이게 높은 양도소득세 때문에 걸림돌이 되고 있어요. 이런 제도적 미비점을 정책 담당자들이 보완해야 하는데 방치하고 있어요."



-추곡수매 대행 등 정부 농업정책의 시장화를 담당하는 농협은 제 역할을 잘 하고 있나요.



"지금 농정이 잘못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농협의 귀족화' 문제입니다. 농민을 위한 조직이 농민을 대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으로 변했어요. 중앙회장은 무보수 봉사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중앙회장에 너무 권한이 집중돼있어요. 농협은 금융까지 하면서 이젠 재벌화되어가고 있습니다. 농가소득이 우리나라 평균 가계소득의 60% 정도인 3800만원 밖에 안 되는데, 이들의 평균 연봉은 그 2배나 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제 생활적페를 청산하겠다고 나섰는데, 농협은 그 첫 번째 대상이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대중 대통령 재임 시 농협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슬림화 했는데 그 이후 정권들에서는 이렇다 할 개혁이 없었어요. 농협을 농민들에게 돌려주는 일이 시급합니다."



-내일 모레가 농업인의 날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행사를 크게 여는 것 같던데요.



"제가 농림부장관 재임 시 농업인의 날의 의미를 대대적으로 강조하고 행사를 키웠어요. 11월11일은 한자로 십(十)과 일(一)을 합쳐 토(土)자가 겹치는 날에 착안해 만든 날인데, 이 날 하루 만이라도 농업의 가치를 생각하고 농업을 지키자는 취지로 생기게 됐습니다. 1998년 농업인의 날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 농업의 나아갈 길로 친환경 농업을 선포했어요. 우리 '땅심'을 회복하고 농업이 미래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농업을 새롭게 보자고 했지요."



-요즘 농촌에는 농지와 산지를 파헤쳐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붐이 일고 있습니다. 농외소득 보전이라는 달콤한 말로 농촌 경관을 망치고 있는데요.



"찬성하는 농민보다 반대하는 농민들이 더 많아요. 한번 설치하면 수십년을 감수해야 하는데,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이것도 결국은 농민 보다는 태양광 업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독일 같은 경우는 중앙정부나 지자체는 가만히 있고 농민들이 필요하면 자발적으로 설치하고 있는데, 독일 방식에서 배워야 합니다. 지금처럼 중앙정부가 탈원전 무마용으로 밀어붙여서는 안 됩니다."



-디지털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 농업은 어떻게 변신하고 발전해야 하나요. 농민 단체들이 반대해 스마트팜은 한발짝도 못 나아가고 있는데요.



"농업은 식량 생산 그 이상의 가치와 기능을 갖습니다. 농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본령의 식량 생산 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어요. 그것을 농업의 '다원적 공익 기능'이라고 합니다. 이 개념은 OECD 등 국제기구 등에서도 인정하고 다자간 무역협정에서 농산물은 예외를 인정받고 있어요. 농업은 먹을거리를 책임지는 국가안보적 기능, 농촌사회를 형성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기능, 가을의 황금 들녘에서 보듯 아름다운 경관으로서 기능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다면적 가치와 기능을 갖습니다. 이런 농업을 지켜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겁니다. 우리 농업이 나아갈 방향은 분명히 친환경 농업이에요. 그 중에서도 자연생태계와 공존할 수 있는 유기농의 확산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팜이 농촌의 현실을 무시하고 농민을 배제하고 추진되니까 반대하는 겁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건전한 가족농(지역공동체)를 선호하는데, 가족농이 주체가 되어 스마트팜을 하는 것은 괜찮다고 봅니다. LGCNS가 새만금에 추진하다 도중하차 했는데, 이 문제는 정부가 리더십을 발휘해 농촌 농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해결해야 합니다."



-세계적으로 인구가 늘고 있고 단위 면적당 농업생산량 증대는 한계가 있는데,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고 유기농으로만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25% 정도인데 국내 농산물 생산량도 식용으로만 쓰면 충분해요. 가공과 사료용, 공업용을 쓸 수 있는 양이 모자라 수입하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 유기농 생산으로도 식량 생산 수급을 어느 정도 맞출 수 있습니다. 유기농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기농 전환 직후 3년 이내나 그런 것이지, 4년 이후 안정화되면 생산량은 늡니다. 유기농 농법이 갈수록 발달하고 있어 친환경 유기농 농업도 충분히 국가 식량안보를 책임질 수 있다고 봐요. 그리고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농산물의 30% 이상이 유통 조리 과정과 먹다 남는 쓰레기로 버려집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oT와 드론 기술 등을 이용해 유통혁명을 일으키고 AI로 수요공급을 빈틈 없이 잘 맞추면 낭비되는 식량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겁니다."



-장관님은 GMO(유전자조작농산물) 반대 운동을 펼치고 계십니다. GMO 추방운동의 대부라도 할 수 있는데요. 아직 GMO의 유해성은 증명된 게 없지 않습니까.



"그것은 몬산토 장학생들의 주장입니다. GMO가 등장한 지 이제 20년 밖에 안 됐어요. 징후가 나타나기에는 시간이 더 지나야 합니다. 쥐에서는 이미 GMO가 해롭다는 실험결과가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봐도 GMO 농산물은 피해야 합니다. EU는 적극적으로 GMO를 관리하고 있어요. 러시아 같은 경우는 GMO를 생산하지도 수입하지도 먹지도 않습니다. GMO는 유전자를 조작해 병충해에 강하게 만든 건데, GMO 콩과 옥수수는 아무리 제초제를 뿌려도 풀만 죽지 작물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요. 유전자를 조작해 제초제 성분에 대한 내성을 키운 것인데, 그렇게 재배한 콩과 옥수수를 먹으면 그 내성이 사람에게 전이되지 않겠습니까."



-국내 GMO 농산물 유통과 사용 실태는 어떻습니까.



"국내에서는 가공식품에 GMO를 수입해 쓰고 있어요. 그런데 정말 심각한 문제는 소비자가 마트에서 GMO가 들어있는 가공식품을 가려낼 수가 없다는 겁니다. GMO 첨가 표시를 못하게 하고 있어요. 심지어 농민이나 농식품회사가 '우리 식품에는 GMO가 들어있지 않다'고 표시하는 것도 막고 있습니다. 가공식품은 복지부 산하 식약처 소관인데 식약처의 농간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어요. GMO 관련 회사들의 로비가 먹힌 것이라고 의심 할 수밖에 없어요. 국민들은 어떤 식품에 GMO가 들어가 알 권리가 있습니다. 어떤 식품에 GMO가 들어가 있는지 알아야 피할 수 있는 거 아닙니까. 저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의 식탁이 궁금해요. 혹시 GMO가 들어가 있는 식품이 있지 않을까 해서요."



-한국 농업 농촌 농민 3농의 미래를 어떻게 보시는지요.



"농업은 앞으로 자손만대로 이어질 기간산업이자 안보산업이고 생태계를 지키는 수호산업입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고 인류가 진화한다 해도 안전한 먹을거리 확보는 가장 기본 중의 기본 과제입니다. 그것을 담당하는 농업과 농촌 농민을 단순히 산업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다원적으로 접근하면 좋겠습니다. 한국 농민들은 세계 어떤 나라 농민들보다 부지런하고 영리합니다. 다산 선생이 말씀하신 것처럼 상농을 하게 되면 우리 3농은 미래가 밝을 것입니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303 Monthly Review |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Monthly Review |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REVIEW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by Christina Ergas(Mar 01, 2013)


Topics: Marxist Ecology

Places: Cuba , Latin America

Christina Ergas is a graduate student in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Oregon.

Sinan Koont,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Gainesville, FL: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11), 208 pages, $74.95, hardback.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Cuba has ignited the imagination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Cuba’s model serves as a foundation for self-sufficiency, resistance to neocolonialist development projects, innovations in agroecology, alternatives to monoculture, and a mo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Instead of turning towards austerity measures and making concessions to large international powers during a severe economic downturn, Cubans reorganized food production and worked to gain food sovereignty as a means of subsistenc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tional security.1 While these efforts may have been born of economic necessity, they are impressive as they have been developed in opposition to a corporate global food regime.

In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Sinan Koont indicates that most of the global South has lost any semblance of food sovereignty—the ability to be self-sufficient, to practice a more sustainable form of agriculture, and to direct farming toward meeting the needs of people within a country, rather than producing cash crops for export (187).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posed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and free trade agreements on the so-called third world. These policies increased the influenc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Monsanto and Cargill, in global food production. They also encouraged large-scale monocultures, whereby food production is specialized by region for international trade. These policies threatened the national food security of countries in several interrelated ways.2

First, economically vulnerable countries are subject to the vagaries of the international marketplace, fluctuating food prices, and heavily subsidized produce from the global North that undermine the ability of the former to compete. Second, in a for-profit economic system, certain crops, like sugarcane, potato, and corn, are planted to produce biofuels, primarily ethanol, instead of food for poor populations. Rich nations that can afford to buy crops for biofuels inflate market prices for food, and when droughts or floods destroy whole harvests, then scarce food still goes to the highest bidder. Third, nations that specialize in cash crops for export must import food, increasing overall insecurity and dependency on trade networks. These nations are more vulnerable to changes in the costs of petroleum, as it influences expenses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fertilizers, pesticides, and the overall price of food. In countries with higher per capita incomes, increasing food costs are an annoyance for many people but not necessarily life threatening. In countries with high rates of poverty, price increases can be devastating. All of the above problems converged during the 2007–2008 food crisis that resulted in riots in Egypt, Haiti, Indonesia, Mexico, and Bangladesh, just to name a few.

People worldwide have been affected by these policies and have fought back. Some nations have taken to task corporations like Monsanto, as in the case of India’s response to genetically modified eggplant, which involved a boycott of Monsanto’s products and demands for the erad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3 There are burgeoning local food movements, even in the United States, that despite numerous challenges attempt to produce food outside the current large-scale agricultural paradigm.4There are also international movements that are working to change agricultural policies and practices. For example, La Vía Campesina is an international movement comprised of peasants, small-scale farmers, and their allies. Their primary goals are to stop neoliberal policies that promote oligopolistic corporate control over agriculture and to promote food sovereignty.

In conjunction with these movements, Cuba has made remarkable strides toward establishing a system of food sovereignty. One of their most notable projects in this regard is their institutionalized and organized effort to expand agroecological practices, or a system of agriculture that i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Cuba has largely transformed food production in order to pursue a more sustainable path. These practices are not limited to the countryside.

Cuba is the recognized leader of urban agriculture.5 As Koont highlights, the Cuban National Group for Urban Agriculture defines urban agriculture as the production of food within the urban and peri-urban perimeter, using intensive methods,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crop-animal-environment interrelationships, and taking advantage of the urban infrastructure with its stable labor force. This results in diversified production of crops and animals throughout the year, based on sustainable practices which allow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29). In 2007, urban agriculture comprised approximately 14.6 percent of agriculture in Cuba. Almost all of urban agriculture is organic.

Cuba’s environmental protections and agricultural innovations have gained considerable recognition. The 2006 Sustainability Index Report, put together by the World Wildlife Fund by combining the United Nations Human Development Index and Ecological Footprint measures (or natural resource use per capita), contends that the only nation in the world that is living sustainably is Cuba.6 The island nation is particularly lauded for its strides in urban food production.7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the first book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this practice around the entire island.

Koont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ce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that although Cuba is not completely food self-sufficient, it is the only example the world has of a country that produces most of its food locally, employing agroecological techniques for production. Furthermore, most of the food produced is for local consumption. As a result, Cuba has one of the shortest producer-to-consumer chains in the world. In this book, Koont documents the impressive transformations that have taken place within this nation.

While Cuba imports the majority of its calories and protein,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food security and sovereignty in the area of vegetable production. In 2005, Cuba was “importing 60 percent to 70 percent of what it consumes [mostly so-called bulk foods] at an estimated cost of $1.5 billion to $2 billion annually.”8 However, urban agriculture within and around Havana accounts for 60–90 percent of the produce consumed in the city and utilizes about 87,000 acres of land.9 Cubans employ various forms of urban agriculture, including gardens, reforestation projects, and small-scale livestock operations. In 2010, 75 percent of the Cuban population lived in cities—a city is defined as such if the population is in excess of 1,000 persons.10 Thus, urban food production is the most practical and efficient means to supply the population with food.

These transformations did not suddenly materialize. Koont provides a useful overview of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contributed to changes in food production in Cuba. After the 1959 revolution and the subsequent imposition of the U.S. embargo, Cuba became reliant on the Soviet Union. Cubans used large-scale, industrial, monoculture to produce sugar, which was exchanged for Soviet petroleum and currency. The economy was largely tied to high-yield sugar production. In a vicious cycle, this type of agriculture required importing agrochemical fertilizers, pesticides, herbicides, and oil to run heavy machinery. In 1989, three times more arable land in Cuba was utilized to produce sugar for export than food for national consumption. Most of the Cuban diet came from imported food.11

When the Soviet Union collapsed in the early 1990s, Cubans and their economy suffered greatly. Cubans no longer had access to the inputs required to maintain large-scale agriculture, given how dependent such agriculture is on oil. To make matters worse, the end of trade between the Soviet Bloc and Cuba resulted in a loss of access to food, which reduced Cubans’ protein intake by 30 percent.12The system of agriculture that was in place was not sustainable or organized for self-sufficiency. Cubans refer to the ensuing period of resource scarcity as the Special Period in Peace Time. This period included shortages of food, fuel, and medicine. Faced with food scarcity and malnutrition, Cubans had to revamp their food production systems, which included collectively producing a variety of crops in the most efficient manner possible. Additionally, the necessary mission of Cuban politicians, ecologists, farmers, scientists, biologists, and farm workers was to mend the ecological cycles of interdependence that large-scale, exploitative agriculture destroyed.13

In spite of these hardships, Cuban society was equipped to contend with the ensuing crisis, given the country’s specific commitments and agroecological projects that were already in operation. The Cuban government and leadership work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re-direct food production and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an extensive urban agricultural project. Governmental policies, following the 1959 revolution, that prioritized extending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rved as a springboard for these new agricultural projects. First,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established organizations to address social problems and concerns. These organizations served as supply and distribution networks for food and centers for research that examined farmers’ traditional knowledg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at taught agroecological practices, distrib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evaluation of existing programs and operations. Second, the government prioritized human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us, the Cuban government invested in human capital by making education more widely available and accessible at all levels. Making use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investing in the Cuban people made the agroecological transition possible dur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1990s.

Koont examines how the early agroecological projects, prior to the Special Period, served as a basis for futu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in Cuba. Science is publicly owned and directed toward furthering human development, rather than capital accumulation. Cuba had the human resources to address food scarcity, given that they had 11 percent of the scientists in Latin America. Scientists we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agroecolog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ecological synergisms, utilizing biodiversity and biological pest control. These efforts were focused on diminishing the need for inputs such as artifici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Other projects included integrating animals into rotational grazing systems with crops and diversifying with polycultures. Cubans also began recycling sugarcane waste as cattle feed; the cows, in turn, excrete waste that is applied to soil as fertilizer, thereby restoring ecological interdependence. By combining manure with worm castings, Cubans were able to fertilize most of their crops organically without having to import fertilizer from long distances. Their experimentation also included creating urban organopónicos, which were constructed four years before the Soviet collapse. Organopónicos are raised beds of organic materials confined in rectangular walls where plants are grown in areas with poor soil quality. Additionally, personal household plots had long existed within urban areas.14 Altogether these experiments and projects served as the foundation to pursue greater self-sufficiency, a system of urban agriculture, and a more sustainable form of food production.

The pursuit of food sovereignty has yielded many benefits.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food production, employment, environmental recovery and protection, and community building. Perhaps the most impressive strides are in the area of food security. In the early 1990s, during the Special Period, Cubans’ caloric intake decreased to approximately 1,863 calories a day. In the midst of food scarcity, Cuba ramped up food production. Between 1994 and 2006, Cubans increased urban output by a thousand fold,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78 percent a year. In 2001, Cubans cultivated 18,591 hectares of urban land; in 2006, 52,389 hectares were cultivat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caloric intake for the population averaged 3,356 calories a day in 2005. During the economic crisis, unemployment sharply increased. However, the creation of extensive urban agricultural programs, which included centers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provided new jobs that subsumed 7 percent of the workforce and provided good wages.

Urban agriculture and reforestation projects also constituted important gains for the environment. Shifting food production away from reliance on fossil fuels and petrochemicals is better for human health and reduces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associated with food production. Urban reforestation projects provide sinks for air pollution and help beautify cities. Finally, local production of food decreases food miles. It also requires both local producers and consumers. Therefore, community members get to know each other and are responsible for each other throug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food.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a detailed documentation of the agroecological transformation in Cuba. Koont delivers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chanics of urban agriculture. He highlights the enabling factors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which are the government’s creation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ir investment in human capital. He also provides an assessment of the results from urban agriculture. The results he discusses are gains made in food production, increased employment, environmental recovery and protection, and community building.

However, the majority of the book reads like a dry technical manual or guide to urban agriculture, something akin to official Cuban government documents. There are many bulleted lists throughout each chapter that outline types of crops grown, strategies, key features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collaborating organizations, evaluation criteria, tons of produce in each province, program objectives, and the lists go on. While the book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regarding process, extent, technology, education, and evaluation surrounding urban agriculture in Cuba, it does little in the way of setting up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horoughly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Cuba’s model of urban agriculture for the world. The introduction and the final chapter of the book are the two chapters that touch on Cuba’s relevance and implications. In addition, Koont offers minimal critical analysis of the challenges that Cubans still face in their quest for food sovereignty.

Despite these shortcomings, Koont provides a much-needed detailed account of the strides made in Cuban urban agriculture. Cuba’s example has clear implications for food sovereignty and security for the rest of the world. With the very real threat of climate change, potential energy crises, market fluctuations, worldwide droughts, or othe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y force nations to relocalize food production, this example can serve as a template for future food sovereignty. We can continue to learn from Cuba as they generate new technologies and innovations in organic urban agriculture into the future. In addition, the Cuban example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potential for a society’s resilience and is worth investigating not just for their innovations, but for inspiration.

Notes
  1. Koont defines food sovereignty as “the right of each people to define their own policies concerning agriculture, to protect and regulate their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markets with the aim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decide to what extent they want to be self-sufficient in food, and to prevent their domestic markets from being inundated with subsidized products from other countries. The emphasis is on local, ecologically sustainable production of culturally appropriate, wholesome, and nutritive foods. Thus conceived, food sovereignty incorporates the concept of food security (adequate food supplies to meet the population’s needs) and even overlaps with national security” (187). Also see Daniel Whittel and Orlando Rey Santos, “Protecting Cuba’s Environment: Efforts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Environmental Laws and Policies in Cuba,” Cuban Studies 37 (2006): 73–103.
  2.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od security exists when all people, at all times, have physical and economic access to sufficient, safe and nutritious food to meet their dietary needs and food preferences for an active and healthy life.” Se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Summit: Rome Declaration on World Food Security,” November 13, 1996, http://fao.org.
  3. India Blocks Sale of Monsanto GM Crop,” February 10, 2010, http://democracynow.org.
  4. Christina Ergas, “A Model of Sustainable Living: Collective Identity in an Urban Ecovillag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23, no. 1 (2010): 32–54; Kathleen Masterson, “U.S. Sees More Female Farmers Cropping Up,” National Public Radio, March 30, 2011, http://npr.org.
  5.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Shifting Perspectives on Urban Agriculture in Havana, Cuba,” in Luc J. A. Mougeot, ed., Agropolis: The Soci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of Urban Agriculture (Sterling, VA: Earthscan an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IDRC, 2005), 153–186.
  6. Chris Hails, Jonathon Loh, and Steven Goldfinger, Living Planet Report 2006 (Gland, Switzerland: WWF–World Wide Fund For Nature, 2006).
  7. Nelso Companioni, et. al.,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in Fernando Funes, et. al., eds.,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Oakland, CA: Food First Books, 2002), 220–236;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Rebecca Clausen, “Healing the Rift: Metabolic Restoration in Cuban Agriculture,” Monthly Review 59, no. 2 (2007): 40–52; Diana Raby, “Why Cuba Still Matters,” Monthly Review 60, no. 8 (2009): 1–13;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Monthly Review60, no. 8 (2009): 11–20.
  8. Cuba Reports Food Output Up 8.7 Percent in 2011,” February 16, 2012, http://reuters.com.
  9. Nelso Companioni, et. al.,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Diana Raby, “Why Cuba Still Matters.”
  10. Oficina Nacional de Estadisticas (ONE) República de Cuba. “3.7 – Población Residente y Densidad de Población por Provincias, Según Zonas Urbana y Rural,” 2011, http://one.cu, accessed April 11, 2012.
  11. Also see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12. Peter Rosset, “Cuba: A Successful Case Study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 Fred Magdoff, John Bellamy Foster, and Frederick Buttel, eds., Hungry for Profit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000), 203–213.
  13. Also see Rebecca Clausen, “Healing the Rift.”
  14. Ibid.
  15.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2013, Volume 64, Issue 10 (March)
Connect


Subscribe to the

1710 Organic or starve: can Cuba's new farming model provide food security? | Environment | The Guardian



Organic or starve: can Cuba's new farming model provide food security? | Environment | The Guardian




Organic or starve: can Cuba's new farming model provide food security?


Once it grew only sugar and was heavy handed with fertilizers and pesticides, now Cuba is in the grip of a small-scale organic farming revolution


Roger Atwood

Sat 28 Oct 2017
 
Organic farmer Miguel Angel Salcines inspects vegetable planting beds at the 25-hectare Alamar farm. Photograph: Roger Atwood


In the town of Hershey, 40 miles east of Havana, you can see the past and the future of Cuban farming, side by side.

The abandoned hulk of the Camilo Cienfuegos sugar plant, shut along with 70 other cane refineries in 2002, towers over the town. But in the lush hills and grasslands around Hershey, fields of cassava, corn, beans, and vegetables are a sign that there is life after sugar.

Once owned by the famous Pennsylvania chocolate maker, the Cienfuegos plant supplied the sugar that sweetened Hershey’s candy bars. After the 1959 revolution, it was nationalised by Fidel Castro’s government and became property of the state, its sugar shipped to the Soviet Union and allies.

As the world’s largest sugar exporter, Cuba relied on pesticides and fertilisers and heavy mechanisation to produce up to 8.4m tonnes of sugar – its peak harvest, in 1990 – nearly all of it exported to the Communist bloc.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eliminated Cuba’s preferential market and, coupled with a tightening of the US trade embargo, sent the Cuban economy into an extended coma. The sugar industry muddled along for another decade until the government ordered the closure of 71 of the island’s 156 sugar refineries. Places that had depended on sugar for a century became ghost towns.

The trains that once carried Hershey’s sugar to port sit idly on the tracks, apparently abandoned. Old timers rest under a tree reminiscing and drinking rum from a bottle. Yoanki Valdés lives across the street from the carcass of the plant where, for 30 years, he went to work every morning at the sound of the 7am whistle. He was dedicated to the job, received training in industrial engineering in Czechoslovakia and had risen to the position of foreman by the time he heard the news: the plant was closing. A week later it was shut.


“The most normal thing for everyone was to work in the sugar plant. Sugar gave work and a way of life,” said his son, also named Yoanki. Yet the two men don’t sound bitter. They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e closure: sagging prices, inefficiencies, dependence on a single, distant market, and the continued refusal of the United States to restore Cuba’s sugar quota long after the ostensible reason for revoking it – the alliance with the Soviet Union – was gone.
Part of the abandoned sugar refinery in the Cuban town of Hershey. Photograph: Roger Atwood

In the wake of the Soviet collapse, Cuba lost 80% of its international trade in under three years. The result was severe food shortages. Castro dubbed it “the special period in peacetime,” a euphemism for what many Cubans describe as one of the worst traumas of their lives. It dragged on for five years, but its psychological effects lasted much longer.
Advertisement


One woman I met remembered people fainting in the street from hunger. An artist remembered regular rations for children, but, for adults like himself, an endless diet of sugar water. Another stressed years of blackouts and boredom, relieved only by lots of marijuana. An agronomist described to me the death of hundreds of thousands of farm animals due to the loss of imported feed. “We came very close to starvation,” he said.

Out of the special period came a resolve that it must never happen again, and so Cuba’s food-focused farming movement was born.

“The way people thought about food and agriculture changed drastically with the special period,” said Miguel Angel Salcines, who runs a 25-acre organic farm in the outlying Havana district of Alamar, which started in those years. “Boats had arrived from the Soviet Union full of chemicals and fertilisers and suddenly there were no more boats from the Soviet Union, and people asked, do we need all those chemicals?”

The farm fields around Hershey don’t employ many people, but they sell their produce to local cooperatives so residents can buy them to supplement their meagre monthly rations of state-produced or imported food. In the revolutionary heyday, all this farmland was used to cultivate sugar.

Cuba has never been able to feed itself. It currently imports 60-80% of the food it consumes, at a cost of about $2bn a year. Two-thirds of its corn is imported and a similar amount of its rice, the latter mainly from Vietnam and Brazil. At markets around the country, sacks of rice can be seen piled to the rafters. Cubans love bread, but wheat doesn’t grow well in the tropical climate, so that has to be imported as well — mostly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in an exception to the Cold War-era trade embargo, sells food to Cuba for cash.
Manioc crops (foreground) and fruit trees (rear) thrive at an organic farm in Pinar del R’o province, western Cuba. Photograph: Roger Atwood
Advertisement


In response to this dependency, officials are promoting small, local farms as one way – perhaps the only way – for the country to finally start feeding itself. Although it has happened gradually, the shift to smaller, often organic farming marks a radical change from the monocrop sugarcane economy that ruled Cuba for a century. Small-scale farming is receiving the blessing of once-sceptical agricultural officials who set food priorities in this tightly controlled society.

Urban farming, with its backlot gardens and rooftop chicken coops, took hold in Havana and other Cuban cities in the early 1990s. That movement, also promoted by the government, brought greenery and fresh vegetables to Cuba’s dilapidated inner cities. However, while tourists love to visit them, urban farms have had little impact on Cuba’s overall farm output.

The new organic movement is different. Its goal is high yields in rural settings, with an eye toward a reliable, systematic output of staple crops at farms that are close to consumers and usually smaller than 40 hectares (100 acres) or so. Rather than a reaction to a crisis, the current push into organics is planned and promoted on the ruins of the industrial sugar economy.

“Organic farming does not bring the kind of large yields that will solve all our problems. But it solves many of our problems, and it is starting to become important,” said Juan José León, an official a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Ecological farming arose as a response to a reality that smacked us,” he continued. That reality was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y were difficult years. We had to produce food somehow, somewhere.”

Tall, lean and bald as the farmer with the pitchfork in American Gothic, Agustín Pimentel takes a knife and cuts open one of his organic pineapples. It’s the size of a grapefruit, and its meat is a heavenly mix of sweetness and tart.

“It’s sad that the immense majority of farmers in Cuba still use pesticides and chemical fertilisers. They’re poison, and they enter our food,” says Pimentel, who raises 45 different crops on four hectares in an isolated valley in western Cuba. He’s proud of the fact he never uses chemicals of any kind. Yet he’s not sure his farm could ever gain certification as organic. The land, in Pinar del Río province, was once planted with tobacco, which has a reputation for high reliance on pesticides. Chemical residues from other crops wash in from neighbouring farms with the rain.
FacebookTwitterPinterest Organic farmer Agusti’n Pimentel uses a machete to slice open a coconut on his organic farm in a remote valley in western Cuba. Photograph: Roger Atwood

Pimentel is part of a small, intensely committed movement of organic farmers on this tropical island of red soil and royal palms. Numbering from 40,000 to a quarter of a million, depending on whom you ask. What exactly is meant by “organic” is not clear. Standards are not always known or consistently followed. But this movement of farmers sees locally grown, non-industrial farming as a vital part of the solution to Cuba’s chronic food shortages. Many of them see organic farming as nothing less than the future of Cuba’s socialist revolution; others see the potential for exports to European and eventually US markets.
Advertisement


Miguel Angel Salcines hopes that former US president Barack Obama’s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presages the day when Cuba can export high-quality organic crops to American supermarkets, though the tough talk from Obama’s successor Donald Trump may make that a distant prospect. American consumers would welcome the quality and variety of Cuban organics, he says, and Cuba needs the cash. “I would love to export my mint leaves to Miami so they could put them in their mojitos. I’m sure they grow mint there, too, but it’s not the same,” said Salcines, half-jokingly.

For now, vegetables for domestic consumption are the mainstays of Cuban organics. Those crops are almost the only area of farm production that has grown in Cuba, by about 15% in the last decade to 5.3m tonnes, according to official figures released in June.

The central government issued farm titles to 223,917 people in the three years up to April, covering nearly 2m hectares, said León. They’re not ownership titles – 79% of Cuba’s land is owned by the state – but they give the holder the right to till the land in perpetuity. They’re not all necessarily organic. But nearly all are small, family farms, and each one marks a sharp break from the way Cuba conducted its agriculture in the sugar heyday.

Much of the impetus for small-scale farming has come from the Programme for Local Agricultural Innovation (Pial). The initiative started around 2002 as a way of getting organic farming beyond urban plots in favour of larger-scale, locally-geared agriculture to relieve food shortages and bringing fresh produce and meats to Cuban tables. It’s a very Cuban mix of organisation, idealism and state direction, with help from sympathetic foreigners. Pial is regulated by Cuba’s agriculture ministry but funded largely by European and Canadian foundations. Its founder, Humberto Ríos Labrada, won the Goldman environmental prize in 2010.

Pial has helped small, organic farmers share knowledge, get good-quality seeds and connect with buyers, said Sandra Miranda, a biochemist and one of the programme’s designers. But Pial’s main achievement, she said, was to show farmers that organic production was no locavore foodie fad. It was, rather, Cuba’s food future.

Today about 250 farm cooperatives across Cuba are enrolled in the programme, Miranda said, or about 50,000 farmers. Each cooperative can include anywhere from half a dozen to hundreds of small farms.
Man and beasts prepare soil for planting at the Alamar organic farm in Havana. Cuban agriculture was highly mechanised during the alliance with the Soviet Union. Photograph: Roger Atwood
Advertisement


The organic farmers among them face the kinds of barriers that organic farmers face everywhere. They get lower yields and hence less money for their crops and livestock. Pimentel gives his pigs strictly organic fodder, but, he said, “even giving them organic feed all their lives, I’m still going to get the same price per kilo as if I’d stuffed them with chemicals.” His smaller-than-average cassava roots and pineapples regularly fetch a lower price from the cooperatives than his neighbours’ chemically-enhanced varieties.

About half the farmers involved in Pial are fully organic, said Miranda. Those that aren’t will fumigate some crops such as garlic and cabbage, but the non-fumigated ones typically form the bulk of their production. More and more are phasing out chemicals – even though, Miranda acknowledged, “their motivation for pursuing organic farming was economic, not environmental, because people could not obtain chemical inputs at any price.”

The gains in organic farming, though tentative and tough to quantify, stand in contrast to the dismal performance of Cuban agriculture overall. New government figures show that efforts to increase food production have made little progress, despite repeated calls from president Raúl Castro to boost production, smooth out inefficiencies, and reduce food imports. Cuba produced 2.4bn eggs last year, for example, nearly unchanged since 2011 and still insufficient to change the monthly ration of five eggs per person.

Farm yields are pathetically low, despite Cuba having possibly the richest soil of any tropical country in the world, said Pedro Sanchez, an agronomist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who was raised on a farm in Cuba and returns regularly. “They’re raising one tonne per acre of corn. It’s ridiculous,” he said.

Cuba’s slow shift toward organic farming owes much of its inspiration and technical knowhow to one family, the Funes clan of Havana. Fernando Funes Aguilar and his wife Marta Monzote, who died in 2007, spoke and wrote passionately about the damage that indiscriminate use of chemical inputs and the sugar monoculture were doing to Cuba’s ecology and food supply. A committed revolutionary who speaks proudly of his service with Cuban forces in Angola, Funes Aguilar nonetheless argued in favour of sustainable farming – industrial-scale compost heaps instead of boatloads of imported fertiliser, rotating crops instead of year-round sugar cane. His warnings won a vindication of sorts with the 1990s collapse.

“The mentality here used to be tha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feeding ourselves was to use more chemical inputs. That had to change for the movement toward agro-ecology to take root,” said Funes Aguilar, 76, in his modest apartment in Havana. He believes organic or nearly-organic farming now accounts for about 20% of Cuba’s total output, up from close to zero only a decade ago. He sees organic farming as not just Cuba’s best hope for avoiding mass starvation again, but a route to gaining its deepest – and repeatedly frustrated – dream of lasting independence.
Workers tend to crop seedlings under a protective nylon film at the Alamar organic farm, in an outlying Havana neighbourhood, Cuba. Photograph: Roger Atwood

His son, Fernando Funes Monzote, is a scholar-farmer with a doctorate in agronomy from Wageningen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He runs an eight hectare organic farm about 20km west of Havana called Finca Marta, named after his mother. The land was practically abandoned when Funes Monzote started farming here in 2011. After some lean years, the place is booming with crops including corn, avocados, mangoes and radishes. Every few days, the younger Funes loads up his Lada sedan with sacks of arugula, carrots and other produce and sells it to restaurants all over Havana. You need special licenses to sell privately in Cuba, and Funes has them.

“Organic farming is not a mirage, and closing one half of the sugar refineries was the first step toward our food independence,” says the younger Funes, wearing a straw hat and boots as he plants endive seedlings. While his father stresses the sins of Cuba’s agricultural past, seeing sugar dependence as one of the revolution’s wrong turns, the son looks instead at the promise and shortcomings of Cuba’s current, messy organic boom. He rails against farmers who falsely claim to be organic, sprinkling chemicals on crops while passing themselves off as organic to cooperatives and restaurants.

“I don’t think Cuba actually needs to produce more food. It needs to make better use of what it already produces and waste less,” he says.

“It pisses me off when people talk about Cuba as if we’re some organic utopia,” says farmworker Maikel Márquez. When he’s not spreading manure over fields or pruning fruit trees on Funes’s farm, he’s studying agronomy at the National Agriculture University of Havana. He’s part of the first generation of entirely organic Cuban farmers. “People from abroad see us as this paradise of sustainable farming but we’re not. We’re coming out of a very bad model of agriculture, to something better.”

•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the Food & Environment Reporting Network, a nonprofit investigative news organisation based in the US.

Monthly Review |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Monthly Review |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Cuban Urban Agriculture as a Strategy for Food Sovereignty

Christina Ergas is a graduate student in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Oregon.
Sinan Koont,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Gainesville, FL: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11), 208 pages, $74.95, hardback.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Cuba has ignited the imagination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Cuba’s model serves as a foundation for self-sufficiency, resistance to neocolonialist development projects, innovations in agroecology, alternatives to monoculture, and a mo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ciety. Instead of turning towards austerity measures and making concessions to large international powers during a severe economic downturn, Cubans reorganized food production and worked to gain food sovereignty as a means of subsistenc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tional security.1 While these efforts may have been born of economic necessity, they are impressive as they have been developed in opposition to a corporate global food regime.
In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Sinan Koont indicates that most of the global South has lost any semblance of food sovereignty—the ability to be self-sufficient, to practice a more sustainable form of agriculture, and to direct farming toward meeting the needs of people within a country, rather than producing cash crops for export (187).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posed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and free trade agreements on the so-called third world. These policies increased the influenc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Monsanto and Cargill, in global food production. They also encouraged large-scale monocultures, whereby food production is specialized by region for international trade. These policies threatened the national food security of countries in several interrelated ways.2
First, economically vulnerable countries are subject to the vagaries of the international marketplace, fluctuating food prices, and heavily subsidized produce from the global North that undermine the ability of the former to compete. Second, in a for-profit economic system, certain crops, like sugarcane, potato, and corn, are planted to produce biofuels, primarily ethanol, instead of food for poor populations. Rich nations that can afford to buy crops for biofuels inflate market prices for food, and when droughts or floods destroy whole harvests, then scarce food still goes to the highest bidder. Third, nations that specialize in cash crops for export must import food, increasing overall insecurity and dependency on trade networks. These nations are more vulnerable to changes in the costs of petroleum, as it influences expenses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fertilizers, pesticides, and the overall price of food. In countries with higher per capita incomes, increasing food costs are an annoyance for many people but not necessarily life threatening. In countries with high rates of poverty, price increases can be devastating. All of the above problems converged during the 2007–2008 food crisis that resulted in riots in Egypt, Haiti, Indonesia, Mexico, and Bangladesh, just to name a few.
People worldwide have been affected by these policies and have fought back. Some nations have taken to task corporations like Monsanto, as in the case of India’s response to genetically modified eggplant, which involved a boycott of Monsanto’s products and demands for the erad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3 There are burgeoning local food movements, even in the United States, that despite numerous challenges attempt to produce food outside the current large-scale agricultural paradigm.4There are also international movements that are working to change agricultural policies and practices. For example, La Vía Campesina is an international movement comprised of peasants, small-scale farmers, and their allies. Their primary goals are to stop neoliberal policies that promote oligopolistic corporate control over agriculture and to promote food sovereignty.
In conjunction with these movements, Cuba has made remarkable strides toward establishing a system of food sovereignty. One of their most notable projects in this regard is their institutionalized and organized effort to expand agroecological practices, or a system of agriculture that i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Cuba has largely transformed food production in order to pursue a more sustainable path. These practices are not limited to the countryside.
Cuba is the recognized leader of urban agriculture.5 As Koont highlights, the Cuban National Group for Urban Agriculture defines urban agriculture as the production of food within the urban and peri-urban perimeter, using intensive methods,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crop-animal-environment interrelationships, and taking advantage of the urban infrastructure with its stable labor force. This results in diversified production of crops and animals throughout the year, based on sustainable practices which allow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29). In 2007, urban agriculture comprised approximately 14.6 percent of agriculture in Cuba. Almost all of urban agriculture is organic.
Cuba’s environmental protections and agricultural innovations have gained considerable recognition. The 2006 Sustainability Index Report, put together by the World Wildlife Fund by combining the United Nations Human Development Index and Ecological Footprint measures (or natural resource use per capita), contends that the only nation in the world that is living sustainably is Cuba.6 The island nation is particularly lauded for its strides in urban food production.7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the first book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this practice around the entire island.
Koont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ce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that although Cuba is not completely food self-sufficient, it is the only example the world has of a country that produces most of its food locally, employing agroecological techniques for production. Furthermore, most of the food produced is for local consumption. As a result, Cuba has one of the shortest producer-to-consumer chains in the world. In this book, Koont documents the impressive transformations that have taken place within this nation.
While Cuba imports the majority of its calories and protein,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food security and sovereignty in the area of vegetable production. In 2005, Cuba was “importing 60 percent to 70 percent of what it consumes [mostly so-called bulk foods] at an estimated cost of $1.5 billion to $2 billion annually.”8 However, urban agriculture within and around Havana accounts for 60–90 percent of the produce consumed in the city and utilizes about 87,000 acres of land.9 Cubans employ various forms of urban agriculture, including gardens, reforestation projects, and small-scale livestock operations. In 2010, 75 percent of the Cuban population lived in cities—a city is defined as such if the population is in excess of 1,000 persons.10 Thus, urban food production is the most practical and efficient means to supply the population with food.
These transformations did not suddenly materialize. Koont provides a useful overview of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contributed to changes in food production in Cuba. After the 1959 revolution and the subsequent imposition of the U.S. embargo, Cuba became reliant on the Soviet Union. Cubans used large-scale, industrial, monoculture to produce sugar, which was exchanged for Soviet petroleum and currency. The economy was largely tied to high-yield sugar production. In a vicious cycle, this type of agriculture required importing agrochemical fertilizers, pesticides, herbicides, and oil to run heavy machinery. In 1989, three times more arable land in Cuba was utilized to produce sugar for export than food for national consumption. Most of the Cuban diet came from imported food.11
When the Soviet Union collapsed in the early 1990s, Cubans and their economy suffered greatly. Cubans no longer had access to the inputs required to maintain large-scale agriculture, given how dependent such agriculture is on oil. To make matters worse, the end of trade between the Soviet Bloc and Cuba resulted in a loss of access to food, which reduced Cubans’ protein intake by 30 percent.12The system of agriculture that was in place was not sustainable or organized for self-sufficiency. Cubans refer to the ensuing period of resource scarcity as the Special Period in Peace Time. This period included shortages of food, fuel, and medicine. Faced with food scarcity and malnutrition, Cubans had to revamp their food production systems, which included collectively producing a variety of crops in the most efficient manner possible. Additionally, the necessary mission of Cuban politicians, ecologists, farmers, scientists, biologists, and farm workers was to mend the ecological cycles of interdependence that large-scale, exploitative agriculture destroyed.13
In spite of these hardships, Cuban society was equipped to contend with the ensuing crisis, given the country’s specific commitments and agroecological projects that were already in operation. The Cuban government and leadership work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re-direct food production and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an extensive urban agricultural project. Governmental policies, following the 1959 revolution, that prioritized extending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rved as a springboard for these new agricultural projects. First,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established organizations to address social problems and concerns. These organizations served as supply and distribution networks for food and centers for research that examined farmers’ traditional knowledg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at taught agroecological practices, distrib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evaluation of existing programs and operations. Second, the government prioritized human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us, the Cuban government invested in human capital by making education more widely available and accessible at all levels. Making use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investing in the Cuban people made the agroecological transition possible dur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early 1990s.
Koont examines how the early agroecological projects, prior to the Special Period, served as a basis for futu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in Cuba. Science is publicly owned and directed toward furthering human development, rather than capital accumulation. Cuba had the human resources to address food scarcity, given that they had 11 percent of the scientists in Latin America. Scientists we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agroecolog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ecological synergisms, utilizing biodiversity and biological pest control. These efforts were focused on diminishing the need for inputs such as artifici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Other projects included integrating animals into rotational grazing systems with crops and diversifying with polycultures. Cubans also began recycling sugarcane waste as cattle feed; the cows, in turn, excrete waste that is applied to soil as fertilizer, thereby restoring ecological interdependence. By combining manure with worm castings, Cubans were able to fertilize most of their crops organically without having to import fertilizer from long distances. Their experimentation also included creating urban organopónicos, which were constructed four years before the Soviet collapse. Organopónicos are raised beds of organic materials confined in rectangular walls where plants are grown in areas with poor soil quality. Additionally, personal household plots had long existed within urban areas.14 Altogether these experiments and projects served as the foundation to pursue greater self-sufficiency, a system of urban agriculture, and a more sustainable form of food production.
The pursuit of food sovereignty has yielded many benefits.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food production, employment, environmental recovery and protection, and community building. Perhaps the most impressive strides are in the area of food security. In the early 1990s, during the Special Period, Cubans’ caloric intake decreased to approximately 1,863 calories a day. In the midst of food scarcity, Cuba ramped up food production. Between 1994 and 2006, Cubans increased urban output by a thousand fold,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78 percent a year. In 2001, Cubans cultivated 18,591 hectares of urban land; in 2006, 52,389 hectares were cultivat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caloric intake for the population averaged 3,356 calories a day in 2005. During the economic crisis, unemployment sharply increased. However, the creation of extensive urban agricultural programs, which included centers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provided new jobs that subsumed 7 percent of the workforce and provided good wages.
Urban agriculture and reforestation projects also constituted important gains for the environment. Shifting food production away from reliance on fossil fuels and petrochemicals is better for human health and reduces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associated with food production. Urban reforestation projects provide sinks for air pollution and help beautify cities. Finally, local production of food decreases food miles. It also requires both local producers and consumers. Therefore, community members get to know each other and are responsible for each other throug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food.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is a detailed documentation of the agroecological transformation in Cuba. Koont delivers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chanics of urban agriculture. He highlights the enabling factors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which are the government’s creation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ir investment in human capital. He also provides an assessment of the results from urban agriculture. The results he discusses are gains made in food production, increased employment, environmental recovery and protection, and community building.
However, the majority of the book reads like a dry technical manual or guide to urban agriculture, something akin to official Cuban government documents. There are many bulleted lists throughout each chapter that outline types of crops grown, strategies, key features of urban agriculture in Cuba, collaborating organizations, evaluation criteria, tons of produce in each province, program objectives, and the lists go on. While the book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regarding process, extent, technology, education, and evaluation surrounding urban agriculture in Cuba, it does little in the way of setting up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horoughly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Cuba’s model of urban agriculture for the world. The introduction and the final chapter of the book are the two chapters that touch on Cuba’s relevance and implications. In addition, Koont offers minimal critical analysis of the challenges that Cubans still face in their quest for food sovereignty.
Despite these shortcomings, Koont provides a much-needed detailed account of the strides made in Cuban urban agriculture. Cuba’s example has clear implications for food sovereignty and security for the rest of the world. With the very real threat of climate change, potential energy crises, market fluctuations, worldwide droughts, or othe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y force nations to relocalize food production, this example can serve as a template for future food sovereignty. We can continue to learn from Cuba as they generate new technologies and innovations in organic urban agriculture into the future. In addition, the Cuban example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potential for a society’s resilience and is worth investigating not just for their innovations, but for inspiration.

Notes

  1.  Koont defines food sovereignty as “the right of each people to define their own policies concerning agriculture, to protect and regulate their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markets with the aim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decide to what extent they want to be self-sufficient in food, and to prevent their domestic markets from being inundated with subsidized products from other countries. The emphasis is on local, ecologically sustainable production of culturally appropriate, wholesome, and nutritive foods. Thus conceived, food sovereignty incorporates the concept of food security (adequate food supplies to meet the population’s needs) and even overlaps with national security” (187). Also see Daniel Whittel and Orlando Rey Santos, “Protecting Cuba’s Environment: Efforts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Environmental Laws and Policies in Cuba,” Cuban Studies 37 (2006): 73–103.
  2.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od security exists when all people, at all times, have physical and economic access to sufficient, safe and nutritious food to meet their dietary needs and food preferences for an active and healthy life.” Se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Summit: Rome Declaration on World Food Security,” November 13, 1996, http://fao.org.
  3.  “India Blocks Sale of Monsanto GM Crop,” February 10, 2010, http://democracynow.org.
  4.  Christina Ergas, “A Model of Sustainable Living: Collective Identity in an Urban Ecovillag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23, no. 1 (2010): 32–54; Kathleen Masterson, “U.S. Sees More Female Farmers Cropping Up,” National Public Radio, March 30, 2011, http://npr.org.
  5.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Shifting Perspectives on Urban Agriculture in Havana, Cuba,” in Luc J. A. Mougeot, ed., Agropolis: The Soci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of Urban Agriculture (Sterling, VA: Earthscan an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IDRC, 2005), 153–186.
  6.  Chris Hails, Jonathon Loh, and Steven Goldfinger, Living Planet Report 2006 (Gland, Switzerland: WWF–World Wide Fund For Nature, 2006).
  7.  Nelso Companioni, et. al.,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in Fernando Funes, et. al., eds.,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Oakland, CA: Food First Books, 2002), 220–236;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Rebecca Clausen, “Healing the Rift: Metabolic Restoration in Cuban Agriculture,” Monthly Review 59, no. 2 (2007): 40–52; Diana Raby, “Why Cuba Still Matters,” Monthly Review 60, no. 8 (2009): 1–13;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Monthly Review60, no. 8 (2009): 11–20.
  8.  “Cuba Reports Food Output Up 8.7 Percent in 2011,” February 16, 2012, http://reuters.com.
  9.  Nelso Companioni, et. al., “The Growth of Urban Agriculture”;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Diana Raby, “Why Cuba Still Matters.”
  10.  Oficina Nacional de Estadisticas (ONE) República de Cuba. “3.7 – Población Residente y Densidad de Población por Provincias, Según Zonas Urbana y Rural,” 2011, http://one.cu, accessed April 11, 2012.
  11.  Also see Sinan Koont, “The Urban Agriculture of Havana.”
  12.  Peter Rosset, “Cuba: A Successful Case Study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 Fred Magdoff, John Bellamy Foster, and Frederick Buttel, eds., Hungry for Profit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000), 203–213.
  13.  Also see Rebecca Clausen, “Healing the Rift.”
  14.  Ibid.
  15.  Adriana Premat, “Moving Between the Plan and the 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