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30

"한국인에겐 전쟁이 남긴 트라우마가 있다" - 오마이뉴스

"한국인에겐 전쟁이 남긴 트라우마가 있다" - 오마이뉴스

 단체 사진을 찍고 있는 대담 참석자들. 사진 왼쪽에서부터 웬 티진 소장, 조셉 거슨 박사,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정옥 대구가톨릭대 교수.
▲  단체 사진을 찍고 있는 대담 참석자들. 사진 왼쪽에서부터 웬 티진 소장, 조셉 거슨 박사,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정옥 대구가톨릭대 교수.
ⓒ 박민화

관련사진보기


"1953년에 정전이 된 이후, 지금 우리 강원도는 분단 상태에 놓여 있는 한반도 안에서도 유일한 분단도로 남아 있다. 남강원도의 인구는 155만, 북강원도의 인구는 168만이다. 그렇게 둘로 나뉘어 있는 가운데, DMZ의 2/3를 공유한 채 중무장한 군대가 양쪽에서 서로 대치하고 있다. 그래서 군사적 규제를 강하게 받고 있다. 그 바람에 경제적 발전도 가장 뒤처졌다. 한마디로 살기 어려운 지역으로 남아 있다. 올해로 정전 60주년이다. 강원도가 이제는 평화와 번영의 지역으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최문순 강원도지사

지난 6일 강원도 춘천에서 '강원DMZ국제평화생명포럼 2013'이 개최됐다. 이 포럼은 "한국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아, 분단국가 안에서도 유일하게 남·북으로 나누어져 있는 지역인 강원도에서 평화 비전을 구상하자"는 취지로 진행됐다. 이 포럼에서는 국내외에서 평화 운동을 이끄는 여러 활동가와 전문가들이 모여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이 포럼이 열리는 동안에 '강원DMZ국제평화생명포럼 2013 조직위원회'와 <오마이뉴스>는 최문순 강원도지사와 미국에서 정치와 국제안보학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조셉 거슨 박사, 그리고 중국에서 인민대학교 지속가능발전 선도연구소 소장으로 있는 웬 티진 소장 등이 참석해 함께 대담을 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ad
조셉 거슨 박사는 AFSC(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퀘이커 교도 평화운동 조직) 대표로, '2010 핵확산금지조약(NPT) 국제설계위원회' 등을 공동 설립하고, '중국 파견 미국평화활동대사'로 활동한 바 있다. 웬 티진 소장은 중국 국무부 자문위원회와 환경보호 정부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담 주제는 주로 한반도의 긴장 상태가 분단도인 강원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강원도가 해야 할 역할 등에 집중됐다. 대담은 6일 저녁 춘천 라데나 리조트 안에 있는 한 카페에서, (사)한국NGO학회 회장인 이정옥 대구가톨릭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다. 다음은 이날 대담 자리에서 오고간 대화 전문이다.

남북 관계 경색으로 일상적인 고통에 시달리는 한국인들

 이정옥 교수.
▲  이정옥 교수.
ⓒ 박민화

관련사진보기

이정옥(대구가톨릭대 교수) : "한반도는 올해 한국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았다. 정전이 된 상태로, 완전한 평화 상태는 아니다. 먼저, 이런 비정상적인 정전 상태가 60년 동안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 같은 정전 상태가 한반도에 사는 일반인들의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 말씀을 나눠보고 싶다."

웬 티진(중국 인민대학교 지속가능발전 선도연구소 소장) : "나는 수많은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연구를 진행했다. 많은 분쟁 지역을 돌아봤다. 그중에서 스페인의 바스크 지역이라든지, 북아일랜드의 벨파스트 지역, 북인도 지역, 멕시코 국경 등 이런 지역들에서는 게릴라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페루도 마찬가지로 분쟁 지역에 속해 있다. 태국 남부도 국경 분쟁에 휩싸여 있다.

그런 연구를 진행한 것은 그 지역에서 그런 분쟁이 일어나는 이유를 알아보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도 이런 폭력적인 사태들이 일어날 수 있다. 만약에 지역에서 그런 사태들이 일어나면, 그것은 그 지역 정부에 엄청난 도전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지역적인 분쟁이 일어나게 되면,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지역에 국한시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우리가 주의 깊게 들여다봐야 할 것이 있다. 특정 지역에서 분쟁이 일어나는 데는 국제적인 배경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사실을 지역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조셉 거슨(퀘이커 교도 평화운동 조직 대표) : "내가 다녀온 분쟁 지역들은 주로 중동에 있는 국가들이다. 레바논이나 팔레스타인, 북아일랜드를 꼽을 수 있다. 이런 곳에서 발생한 분쟁들은 웬 티진 교수가 지적했듯이 국제적인 측면도 있지만, 내전과 같은 측면도 있다. 물론, 분쟁이 일어나는 배경에는 다양한 상황이 존재한다.

내가 한국을 돌아본 바에 따르면, 한국에는 여전히 이산가족이 많이 남아 있다. 이산가족은 심리적이며 정신적인 상처가 여전한 것으로 알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정전 상태이고 부분적으로 전쟁 상태인, 이런 비정상적인 상태로 인해서 불안감을 떨쳐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이곳 강원도 같은 곳은 지역상 남·북이 대치하는 최전선에 있기 때문에 위기가 닥칠 때마다 그 위기가 강원도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그로 인해 강원도 주민들에게 트라우마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분단 상태에 있는 한반도에 살고 있는 까닭에 많은 남자들이 군 복무를 하고 있다. 심지어 전쟁 직후, 그러니까 전쟁이 끝났는데도 불구하고 의무징병제에 따라 군대 생활을 해야만 했다. 이것은 사회가 군사화한 결과로 봐야 한다. 정전 이후 군사화 된 사회가 도래하면서, 오늘날 이렇게 최문순 도지사처럼 민주적으로 선출된 도지사를 맞이하는 데도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다.

오늘 포럼에서 여러 차례 말한 바 있지만, 강원도는 북한과 맞닿아 있는 최접경 지역이기 때문에 당연히 경제적인 면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클린턴 행정부 말기에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굉장히 중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적이 있다. 그러나 그 직후에 부시 행정부가 들어선 뒤에는 북한과 미국 간에 이뤄진 합의가 더 이상 진전을 보지 못하고, 좌초되고 말았다. 부시 행정부는 그 이후 또 한국의 햇볕정책에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북한을 악의 축으로 지목했다. 이런 조치를 취함으로써, 북한과 미국이 국가와 국간 간의 관계가 아니라, 마치 불법적인 집단과 국가 간의 관계인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런 식의 조치들이 결국 한국민들에게 트라우마를 남겼다. 미국에서 우리가 해야 하는 일도 평화를 통해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최문순(강원도지사) : "두 분 말씀이 굉장히 정확한 부분이 있다. 트라우마가 있는 것이 맞다. 그것 때문에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많은 제약을 겪고 있는 지역이 바로 강원도다. 생활상 일상적인 불편이 뒤따른다. 여러분이 지금 앉아 있는 이 자리도 바로 38선이 지나가는 곳이다. 우리는 지금 한국전쟁 당시에 치열한 살육전이 벌어졌던 현장에 앉아 있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분쟁은 레바논이나 스페인하고는 좀 다르다. 민족이나 문화, 종교 이런 데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념이라는 우리들의 삶과는 큰 관계가 없는 비본질적이고 시대착오적인 문제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53년에 정전이 된 이후, 지금 우리 강원도는 분단 상태에 놓여 있는 한반도 안에서도 유일한 분단도로 남아 있다. 남강원도의 인구는 155만, 북강원도의 인구는 168만이다. 그렇게 둘로 나뉘어 있는 가운데, DMZ의 2/3를 공유한 채 중무장한 군대가 양쪽에서 서로 대치하고 있다. 그래서 군사적 규제를 강하게 받고 있다. 그 바람에 경제적 발전도 가장 뒤처졌다. 한마디로 살기 어려운 지역으로 남아 있다. 올해로 정전 60주년이다. 강원도가 이제는 평화와 번영의 지역으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남북 간 민간 교류, 중앙정부가 권한을 독점해서는 안 된다

이정옥 : "강원도는 그동안 도 자체적으로 북한과 꾸준히 교류와 협력을 진행해 왔다. 그런데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최근 5년여 기간 동안에는 남북강원도 양쪽 지역 간의 관계도 거의 단절되다시피 했다. 우리는 이때 교류와 협력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드리는 말씀인데, 강원도가 남북 간 교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웬 티진 소장.
▲  웬 티진 소장.
ⓒ 박민화

관련사진보기

웬 티진 : "내가 오늘 포럼에서 제안한 것이 있다. 요즘 지구온난화나 환경 보전 같은 것이 대중의 이목을 끌고 있는 주제다. 거기에 초점을 맞춰서, 생태 회랑(Eco corridor)을 건설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한국에서 시작해 북한을 거쳐서 중국까지 가는 긴 회랑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사회적인 관계도 맺게 되고, 커뮤니케이션도 실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어떤 사람이 정치적으로 '옳다, 그르다'를 말할 수 없다. 어떤 사람에게 당신은 정치적으로 잘못됐다고 말하면, 그 말을 듣고 설득을 당할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겠나? 그냥 싸우자는 얘기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이슈와 관련해서는 생태적인 문제로 접근하는 게 올바르다고 생각한다. 실제 중국에 있어서도 남부 중국과 북부 중국을 연결하는 생태 회랑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를 통해서 두 지역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사례를 볼 수 있다.

우리는 한반도에서 시작한 생태 회랑이 대륙으로 뻗어나가면서 국제적으로 많은 국가들을 연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뿐만 아니라, 북한, 러시아까지 해당이 될 수 있다. 이런 생태 회랑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투자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도 필요하고, 새로운 사회적 자본도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회적인 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런 사회적인 운동이 결국엔 정부의 목표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중국에서 사회단체가 조직됐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로 그런 사회단체가 조직이 되면, 국제적으로 한국과 북한, 중국, 러시아가 서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다. 국제적인 워크숍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그런 워크숍을 통해 국제적인 회랑으로 거듭날 수도 있다."

조셉 거슨 : "지금 여기서 논의가 되고 있는 것들이 강원도 차원에서 혹은 시민단체 차원에서 남과 북이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그리고 그런 식으로 해서 경제, 사회, 환경을 개발하는 문제를 가지고 대화를 진행해 보자는 얘기가 오고가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것들을 어디서 어떻게 이뤄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내가 보기에 이런 문제들은 국가 안보와 연관이 있다. 국가 안보라는 문제 때문에 강원도에서도 많은 곤란과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풀 것인가 하는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그래서 제안을 드리자면, 중국에 가서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유럽이나 다른 중립국 등 제3국에 있는 NGO의 협력을 받아 진행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지 간에 결정은 전적으로 한국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 가지 답만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 답이 여러 단계에서 또 여러 차원에서 있을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의 정치 상황과 문화적이고 전통적인 정서를 고려해서 한국에서 선택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최문순 : "두 분이 굉장히 핵심적인 문제를 지적한 것 같다. 지금은 남북 관계와 관련한 모든 권한을 중앙정부가 독점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 권한을 중앙정부가 독점하지 말고 시민사회, 그리고 지방 정부와 나눠 가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가안보와 직접 관련이 없는 문제, 아까 웬 티진 교수가 말한 생태 회랑을 건설하는 문제라든지 또 인도적인 차원의 민간 교류 같은 것은 민간단체나 지방 정부에서 결정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 우리의 요구다.

강원도 같은 경우 예전에는, 말라리아에 감염된 모기가 남쪽으로 넘어오기 전에 북한에서 방재하는 사업을 했었다. 그리고 또 소나무 병충해가 남쪽으로 넘어오기 전에 북한에서 방재하는 사업도 진행했는데, 지금은 그 사업들이 모두 중단됐다. 이런 비정치적이고, 또 방재사업 같이 우리가 필요로 해서 하는 사업들은 이제 서로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게 해줬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아직 그런 단계에 가 있지 않다."

정전 이후 고립된 강원도, 국가 발전 전략에서 누락됐다

이정옥 : "강원도는 지정학적인 위치에 의해서 예로부터 대륙으로 가는 교통망의 경유지 역할을 해온 지역이다. 옛날에 한반도에서 대륙으로 가는 철도가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중단됐다. 강원도는 이 철로들을 다시 연결해 대륙으로 뻗어나가는 걸 고민 중이다. 그렇게 했을 때 그것이 이 지역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다. 그리고 강원도가 대륙으로 뻗어나가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이 생긴다면, 그 문제들은 또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겠는가?"

웬 티진 : "서울에서 DMZ를 방문했을 때, 그곳에서 인상 깊게 봤던 부분이 실제 기차 선로가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 선로가 지금도 남아 있기는 하지만 기차는 다니지 않는다는 얘기를 들었다. 나는 거기가 바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치 시베리아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교량 역할을 하듯이, 강원도도 그런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것이 하나 있다. 중국에서는 한국에 식품을 주로 수출한다. 그것 외 중국 내륙과 별다른 관계를 맺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내륙에서 생산한 잉여 생산물을 그냥 한국에 수출할 뿐이다. 그 과정에서 지금 중국 내륙의 전통 문화가 다 파괴되고 있다. 내륙 사회에서는 솔직히 얻는 게 아무것도 없다. 이 부분은 더 자세히 말하고 싶지 않다. 나는 다만 지금 세계가 변하고 있다는 걸 말하고 싶다. 산업화라는 것은 어떻게 되면, '과잉생산'이란 말로 정의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새로운 문명은 '생태 문명'으로 거듭나고 있는 중이다. 이 새로운 문명에서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적 다양성, 사회적 다양성 등이 다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다. 개발이 고도화된 나라에서는 이런 새로운 자원들이 파괴되기 일쑤이지만, 생태 문명이 싹트고 있는 곳에서는 그렇지 않다. 지역에서는 그 지역의 자원들이 모두 새로운 가치를 갖게 된다.

이것이 내가 말하는 생태 회랑이 가지고 있는 성격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지역을 기반으로 해서 이런 회랑들이 많이 생겨나야 한다. 회랑을 건설하는 데서 이뤄진 발전들은 모두 그 지역의 자산으로 남을 것이다. 회랑은 그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짧지 않다. 길게 이어지는 것이라서 시베리아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회랑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산업사회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강원도는 그동안 산업화에 낙후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문명으로 전환하는 데 좋은 자원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그 자원을 잘 활용하면, 지역끼리 얼마든지 회랑을 연결할 수 있다. 나는 강원도가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본다."

조셉 거슨 : "스웨덴의 한 교수가 유라시아를 잇는 대륙 횡단 철도에 대해 발표한 것을 본 적이 있다. 그걸 보고 새로운 상상력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한반도가 양 대국 사이에서 어떻게 상생 전략을 모색할 것인가 하는 것은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중국과 EU를 연결하는 새로운 벨트가 현실적으로 얼마나 가능할지는 조금 회의적이다."

 최문순 강원도지사.
▲  최문순 강원도지사.
ⓒ 박민화

관련사진보기

최문순 :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반도국가다. 남북으로 분담이 됨으로써 고립된 섬과도 같은 해양국가가 됐다. 그 결과 우리 강원도 같은 경우에는 아주 폐쇄된 지역이 되고 말았다. 국가 발전 전략도 주로 해양으로 나가야 되니까 저 남쪽에 치우쳐 있었다. 수출 목적으로 남쪽에 항만을 개발했다. 그쪽으로 발전이 치우쳤다. 그러면서 강원도는 국가 발전 전략에서 누락이 됐다. 그래서 우리 강원도는 어떻게든 남북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러시아와 중국으로 진출하는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대륙 국가로 가야 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TSR(시베리아횡단철도), TCR(중국횡단철도), TMR(몽골횡단철도)을 계속 주장하고 추진하고 있다. 그 철도들을 통해 화물과 관광객들을 가장 안전하고 싸게, 중국과 러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애를 쓰고 있다. 지금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모스크바까지는 철도가 연결돼 있다. 그 길이가 8088km다. 거기에 북한만 연결하게 되면, 강원도에서 모스크바까지 8500km 가량의 철도가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중국, 러시아, 몽골 등 인근 국가에 모두 이익이 된다. 우리는 또 이것으로 새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본다. 그 중간 지점에 북한이 있다. 이 문제의 핵심 역시 평화가 과제다. 평화가 지역을 발전시키고, 세계 질서를 바꾸는 데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평화 체제가 구축되면, 기존의 문제들은 모두 사라진다

이정옥 : "미국에는 한국이 육로를 통해서 중국과 러시아와 연결이 되는 것에 약간 저항하는 세력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러시아 등 3개국이 서로 유대관계를 맺는 것이 정당하다는 걸 알리고 싶다. 조셉 거슨 박사께서는 미국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

조셉 거슨 : "여러 차원에서 가능하다. 한 가지 방법으로는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다자간 대화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토론을 하게 되면, 미국에서도 이런 관계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혜택도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웬 티진 : "미국에 한국인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미국 문화도 경험하고 한국 문화도 경험했던 그런 사람들이 미국 사회와 한국 사회가 서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강원도 출신의 재미교포들을 조직해서 그들로 하여금 미국 정부에 여론을 전달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렇게 해서 미국에게 주어지는 이익을 아주 분명하게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정옥 : "중국 정부에는 한국이 도 차원에서 이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후원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그리고 이런 일과 관련해, 중국 정부뿐만 아니라 중국 내 시민사회단체와도 협력을 구하는 게 얼마나 가능한지 알고 싶다."

웬 티진 : "중국의 후원을 얻는 것은 매우 쉽다. 나는 전략적 싱크탱크의 회원으로 중국 정부에 정책 컨설턴트를 하고 있다. 리포트를 작성해 제출하기도 하는데 그 리포트는 정치가들에게도 전달된다. 일정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정책 분야 연구에서 20년을 일했다. 공식적으로 이런 논의를 끌어올 수 있는 영향력은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회랑'에 대해서 미국이나 일본이 별로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 어떻게 보면, 강원도로서는 호재다. 일본은 오래 전부터 시베리아의 천연 자원에 굉장히 많은 관심이 갖고 접근했다. 하지만 러시아에 적대적인 세력이 많아, 지금은 약간 후퇴한 상황이다.

그런 면에서 강원도가 지금 상당히 좋은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나 짚고 넘어가자면, 앞서 최 지사께서 횡단철도 이름에 몽골이나 중국 등 특정 국가 이름을 넣었는데, 그렇게 하면 또 미국이 반대할 수 있다. 국가 이름 대신에 시베리아처럼 특정 지역의 이름을 붙이면 저항이 덜하다. TCR(중국횡단철도)처럼 그림을 너무 크게 그리지 않는 게 좋겠다. 내가 '회랑'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이정옥 :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지금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렇게 고조되는 긴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리고 이런 긴장을 해소하는 데는 어떤 방법이 좋은지 묻고 싶다. 그리고 또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이 강원도민들에게 가져다줄 수 있는 혜택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눠봤으면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강원도민들에게 평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미국이 진정한 민주주의의 수호자로 거듭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묻고 싶다. 미국은 그동안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역할을 맡아 왔다. 하지만 최근에 보여준 모습은 상당히 실망스러운 것이다."

 조셉 거슨 박사.
▲  조셉 거슨 박사.
ⓒ 박민화

관련사진보기

조셉 거슨 : "지금 미국에서는 사회가 위기에 빠져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부패한 정치 시스템이 존재한다. 얼마 전에 대법원이 선거에 무한대로 돈을 쓰도록 허용함으로써 미국 민주주의에 아주 심각한 타격을 주는 결정을 내렸다. 학자들은 그것을 민주주의 게리맨더링이라고 부른다. 한마디로 미국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미국은 굉장히 다양한 지역이 한 국가를 이루고 있다. 지역은 그 지역마다 또 다양한 정치적 가치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미국 역사상 최초로 흑인이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그로 인해 억만장자와 인종주의자들이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우리는 이런 부분에 대해 저항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에는 무조건 '노'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내가 앞서 인종주의자라고 지칭했던 사람들이다. 이번에 좌우가 협력해서 시리아 폭격을 방지하려고 했던 것은 이례적인 사례다. 지금 극우주의자들이 영향력을 발휘해서 연방정부가 폐쇄되는 사태까지 이르게 됐다. 다음 선거에서는 아마도 이런 극우주의자들의 존재가 가진 힘이 미약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미국은 점점 더 민주주의 모델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쇠퇴하는 제국이다. 그리고 군사적인 긴장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자면, 지금 제일 긴장된 곳이 센카쿠 열도와 남중국해를 둘러싼 긴장이다. 그쪽에 긴장이 강화되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한반도의 긴장이 조금 완화되는 추세다. 거기에다가 지금 북한과 한국, 그리고 북한과 미국이 물밑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그것이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측면이 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정치가들에게 계속 대화를 하라고 압력을 넣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는 데서 강원도민들이 어떤 혜택을 입게 되느냐 하는 문제는 그 전에 강원도민들이 정전 상태로 인해서 어떤 피해를 입고 있는지를 아는 데서 해답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만약에 현재의 정전 협정이 항구적인 평화 체제로 바뀐다면, 정정 협정으로 인해 받고 있던 피해들이 모두 끝난다고 볼 수 있다. 경제는 계속 발전될 것이고, 이산가족은 아무런 제약 없이 상봉할 수 있게 되고, 군사력은 더 이상 증강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웬 티진 : "위기에는 주기가 있다. 앞으로는 중국이 위기를 맞이할 차례다. 중국이 위기를 맞으면 미국은 중국을 억누르기가 좀 더 쉬울 것이다. 하지만 그런 위기가 아니더라도 미국은 중국을 무너뜨릴 힘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예를 들어,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해군을 움직여 중국을 자극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중국의 일반 국민들은 왜 중국이 필리핀한테도 꼼짝 못하냐라는 식의 민족주의적인 요구를 하게 된다. 하지만 중국 지도부는 그 배경에 미국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쉽게 움직이지 못한다. 그렇게 되면 결국 중국 국민은 중국 지도부를 불신하게 된다. 미국은 중국 정부를 곤경에 빠뜨릴 수 있는 수단을 여러 가지로 가지고 있다. 지금도 마음만 먹으면 중국 하나 정도는 얼마든지 무너뜨릴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안하는 이유가 중국을 무너뜨리고 난 뒤의 결과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을 부상하는 제국이라고 하지만, 사실 중국은 부상할 생각도 없다. 미국이 부상하게 놔두지도 않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중국은 국제 문제에서 극히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만약에 중국한테 기회가 생긴다면 미중간의 군사적 긴장에 의해서가 아니라, 미국이 스스로 내부에서 큰 실수를 저지르는 경우가 될 것이다. 지금 상황에서는 국가 간에 승자와 패자를 논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그래서 나는 계속 지역 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제 국가 간의 경쟁도 의미가 없다. 지역 주도성이 강조돼야 한다. 국가 간의 관계가 너무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이제는 지역 주민이 자기 생존권을 스스로 방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누가 대신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최문순 : "남북 간의 갈등도 그렇고, 동북아시아의 갈등도 매우 복합적이다. 3중 4중의 갈등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강대국들이 직접 전쟁을 하게 될 가능성은 무척 적다고 본다. 다만 그것이 남북 대리전이 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우리에게는 역사적으로 늘 그래 왔던 경험이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되면 그만큼 국지전, 대리전이 한반도에서 일어날 가능성도 높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이럴 때 남북 관계에서 평화가 더 중요해지는 게 아닌가 한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역시 평화가 근본이라는 생각이다. 다시 한 번, 멀리서 찾아와 긴 시간 함께 포럼에 참석해주신 분들께 감사 인사를 전한다."

[통인] 평화로, 평화로 가는 길 - 이행우 평화운동가 - 월간참여사회 - 참여연대

[통인] 평화로, 평화로 가는 길 - 이행우 평화운동가 - 월간참여사회 - 참여연대

[통인] 평화로, 평화로 가는 길 - 이행우 평화운동가
 2014년 04월  2014.04.07 (14:38:32)  1945
sns_sharesns_sharesns_sharesns_sharesns_share
평화로, 평화로 가는 길
이행우 평화운동가
 

인터뷰 박정은

정리 송윤정

사진 박영록

 

 

참여사회 2014-04월호

"나는 “HERE AND NOW”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오늘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내 양심에 비춰서 양심에 따라서 하는 것이지요.
평화를 원하고 전쟁을 반대하면 그렇게 되도록 운동을 해야지요."

 

이행우 선생은 재미 평화운동가다. 퀘이커교도다. 북한이 미국, 한국과 전혀 교류가 없던 시절부터 북한 알기 운동을 지속해왔고, 그 과정에서 북한을 수십 차례 방문했다. 재미동포 운동 단체인 미주동포전국협의회NAKA를 조직하였고, 미 의회와 정책 담당자들을 상대로 평화를 위한 로비 활동을 해오고 있다. 선생의 이름이 생소한 독자가 많으리라. 막후에서 일하는 탓이다. 올해 나이 84세. 최근엔 북미 간 교류가 거의 단절된 현 상황에서도 3년째 남북미 반관반민 대화를 3년째 진행 중이다.

 

한국을 떠난 지 46년이 되셨어요. 미국에 가시게 된 계기가 있나요.

대학 들어가던 해에 한국 전쟁이 났는데, 퀘이커들이 병원을 복구하고 간호사들 교육하고 구호물자도 나눠주고 그랬어요. 그때만 하더라도 외국에서 들어온 선교사들이 굉장히 유세를 했어요. 구호물자 나눠 준다면서 좋은 집에 살고, 도둑이 많으니까 집에 철조망도 많이 치고. 근데 퀘이커들은 조금 달라. 보통 한국 사람 사는 구공탄 때는 작은 집을 빌려서 살면서 봉사활동을 하더라고요. 굉장히 감명을 받았어요. 1960년 12월 18일에 정식 퀘이커 한국 모임이 시작됐고, 이후로 나는 퀘이커 모임 계속 나갔어요. 그러던 중 68년에 미국 퀘이커 성인 교육 센터 펜들힐에서 초청이 와서 1년 동안 퀘이커 역사 공부를 했어요. 어떻게 초청이 왔는지 몰랐는데, 가서 보니 함석헌 선생이 나를 추천했다고 하더라고.

 

1년 계획으로 가셨다가 정착하신 거예요? 

퀘이커 공부 1년 하고 수학을 공부하려고 했어요. 내가 한국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쳤거든요. 그런데 수학 공부를 다 못해서 한국에 못 돌아왔어요(웃음). 펜들힐 일 년 공부하고 나니 서른여덟 살인데, 돈이 하나도 없었어요. 집에는 내가 부양해야 할 식구들이 있었어요. 수학 공부 하긴 틀린 것 같고, ‘이제 컴퓨터 시대로 간다, 컴퓨터를 공부를 해서 우선 먹고 살 도리를 하자’ 싶더라고. 그래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4개월 단기 속성으로 배웠어요. 그리고 34년 동안 컴퓨터 일로 내 생계를 유지했어요. 일흔 세 살 까지 일하고, 이제 은퇴한지 십년이 넘었지.

 

한국엔 언제 처음 들어오셨어요? 

80년에 처음으로 한국에 왔어요. 열흘 와 있는 동안 5·18이 일어났어요. MBC 방송국에 있던 조카딸을 통해 광주의 참상에 대해 들었어요. 그리고 그때 함석헌 선생님 댁에 자주 있었는데, ‘내일 몇 시에 광주 도청에 쳐들어간다’ 그 말만 하고 끊어버리는 전화가 오더라구요. 그 전화에서 이야기 한 그 시간에 딱 사건이 일어났어요. 군부 안에 사람들이 몰래 나와서 공중전화에서 알려 준 거죠. 그리고 5월 20일쯤엔가 미국 돌아가는 길에 동경에 들러서 정경모, 오재식, 박형규, 지명관을 만났어요. 만나서 광주에서 일어난 일들을 이야기했지요. 그 사람들은 일본에서 세계로 5.18을 알리는 일을 하고, 나는 미국에 가서 또 자세히 알리고 그랬어요.

 

좌우를 잇고 남북을 잇다 

 

미국에서 평화운동을 하시게 된 계기가 있나요. 

퀘이커들이 1970년대부터 북한을 열자는 운동을 했어요. 그러다가 북한이 유엔에 옵저버로 참가하게 되고, 유엔에 나와 있는 북한 사람들이 1980년 9월에 미국친우봉사회(AFSC,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대표 세 사람을 초청했어요. 미국 민간 단체에 처음으로 북한이 문을 연 거예요. 다녀온 세 사람과 저녁 먹고 얘기하다가 갑자기 퀘이커들이 좌우로 갈라진 동포 사회가 함께 운동할 수 있게 도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동포들과 미국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남북문제를 논의할 수 있도록 AFSC에서 코리아 컨퍼런스를 열었으면 좋겠다고 제안을 했어요. 그리고 1981년 5월에 필라델피아에서 첫 회의를 했어요.

 

당시 동포 사회가 갈라져 있었다고요?

선통일 후민주는 좌로, 선민주 후통일은 우로 갈라져 있었어요. 누가 회의하자 그러면 누가 오는지 물어보고, 반대편 사람이 오면 안 오고, 친구였었어도 상종을 안할 정도로 심했어요. 함석헌 선생께서 그런 걸 보시고선 1980년에 내가 한국 다녀갈 때 “이번에 가면 싸우지 말고 같이 좀 잘 해라”고 당부하신 것도 있었고, 퀘이커들이 한다고 하면 아무도 누가 하냐고 묻지 않고 함께할 것 같기도 해서 제안한 거였어요. 아니나다를까 초청인들은 다 왔어요. 성공리에 됐어요.

 

이후로 AFSC가 한국 문제에 개입하게 됐어요. 한반도 문제를 다루는 컨퍼런스를 81년, 82년, 83년 세 번 하고, <코리아 리포트>도 나오고……. 당시 미국에 한국 문제 전문가들이 거의 없었어요. 그래서 우리 역사, 군사, 정치, 분단 문제 등 분야별로 다룬 책 『투 코리아 원 퓨처』를 냈어요. 85년에 나오자마자 일본, 한국에도 번역해서 나왔어요.

 

그때부터 최근까지 계속 남한, 북한, 미국 사람들이 만나는 자리를 만들고 계신 거네요. 

나는 미련하거든. 한 번 시작하면 계속 끝까지 하는 사람이에요. 빠져 나오지도 못하고. 어디가도 앞에 나가서 연설하고 하는 건 좋아하지도 않고. 같이 만나서 얘기하는 자리 만들고 하는 건 좋아해요. 재미가 있으니까요.

 

선생님께서도 방북 하셨지요? 

그렇지. AFSC에서 처음 북한에 다녀오면서 우리도 북한 사람들을 초청했는데, 그 때 국무성에서 비자를 안 내줬어요. 그래서 AFSC 코리아 데스크 직원이 매주 목요일에 항의하러 국무성에 갔어요. 필라델피아에서 워싱턴까지 가려면 기차로 두어 시간, 국무성에 다녀오려면 하루가 다 갈 정도였지요. 이렇게 몇 달을 다녀도 북한 사람들이 못 와서 우리가 미안해하고 있었는데, 북한에서는 미국 정부가 그러더라도 우린 당신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싶으니까 다시 한 번 부르겠다, 그래서 제2차 북한 방문을 하게 됐어요. 그 방문단에 내가 들어가서 1982년에 처음 북한에 다녀온 거죠. 2주인가 열흘인가? 갔다 와서 언제 누굴 만나서 무슨 얘길 했는지 자세히 써서 AFSC에 보고 했어요. 그 때는 김정일이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라 불리던 시절인데, 내가 김정일이 어떻게 후계자가 되었냐고 물어보고 그랬어요.

 

방북 여러 번 하셨나요? 

서른 번 넘어서는 세질 않아서… 아마 사십 번 가까이 했을 거예요. 많은 사람을 만났고, 많은 곳을 가봤어요. 나같이 각계, 위에서 아래까지 만난 사람은 드물어요. 김일성하고도 밥 먹고, 실무자도 접촉 하고.

 

이후로도 계속 북한과 교류를 하셨나봐요.  

AFSC에서 북한의 집단농장과 미국의 농장이 자매결연을 맺어 교류할 수 있도록 했어요. 우리가 초청해서 이북 대학 교수들, 농업 기술자들이 미국에 다녀가고, 미국의 농업 기술자가 북한의 농장을 시찰·컨설팅 하고 필요한 것을 지원했죠. 잘 되니까 자매결연 농장을 4개로 늘리게 되었고, 또 그 후엔 다른 단체들도 북한 농장과 자매결연을 맺기 시작했어요.

 

참여사회 2014-04월호

 

한반도 평화, 미국이 관건이다 

 

1990년대엔 미주동포전국협의회(NAKA,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를 만드셨지요? 

1993년에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면서 잘 알고 지내던 한완상이 통일원 장관이 됐어요. 이 기회에 퀘이커가 남북문제 중재자 역할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퀘이커들이 월남전 종식할 때나 중국 개방할 때 중재한 경험이 있거든요. 그래서 남북에 접촉을 했어요. 그런데 한완상이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중요하다고 하더라고요. 재미동포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운동을 하는 게 맞다는 거지. 북한 쪽에서도 똑같은 얘길 해요. ‘문제는 미국이다, 미국을 움직여라’ 이렇게 된 거죠. 그래서 퀘이커 조동설, 이승만 목사, 나, 세 사람이 미국 정부 상대로 하는 운동을 하기로 합의를 했어요.

 

세 분이 NAKA를 창립하신 거예요?

우리 셋이 안 되니까 확대를 해서 10명을 모았어요. 미국은 땅덩이가 넓어서 비행기 타고 해야 하니까 10명 모으려면 3개월이 걸려요. 근데 10명도 모자라서 10명을 더 뽑아서 20명이 하자고 합의를 했어요. 20명이 모이면 또 새로 시작을 해요. 처음 하는 것 같이. 그러면 또 1년이 걸려요. 조직을 만들어 놓으면 사람이 안 와요. 조직을 만들 때 같이 해야지. 사람들을 모아서 ‘뭐 만들자’ 할 게 아니라, 그걸 만들자는 의견이 10명 모두에게서 스스로 다 나오도록 해야 해요. 그래야 이 사람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거든. 그렇게 해서 미국 전역에서 150명의 대표가 만든 단체가 NAKA, 미주동포전국협의회예요.

 

어려운 점이 있었을 것 같은데요. 

당시 국회의원 이만섭이 정부에 동포들 동향을 보고하면서 미국에 조총련 같은 단체가 생길 거 같다고 했는데, 동아일보 1면 탑에 그 기사가 나왔어요. 그게 우리 얘기였어요. 이승만, 조동설, 이행우, 이북 다녀온 빨갱이 셋이 주모자 아니냐, 이렇게 돼버린 거지. 언론에 그렇게 나오니까 모아 놓은 사람들이 우수수 떨어져 나갔어요. 내가 지금까지 통일 운동하면서 아는 사람들은 안 넣고 대학 교수, 엔지니어 이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모았었는데, 다 떨어져 나갔지. 그러고 나면 다시 모집하기가 더 힘들었어요. 1993년 5월에 시작했는데, 1994년 10월 29일에서야 창립이 됐어요.

 

1994년 국내는 박홍 총장이 주사파 발언하고 ‘주사파’ ‘빨갱이’ 이런 단어들이 횡행했던 때였어요. 지금 종북 논란처럼요. 

이승만 목사가 NCC? 회장이었어요. 그러면 백악관 조찬기도회도 나가요. 클린턴 옆에 앉아서 얘기하고. NAKA 창립총회할 적에 클린턴 대통령을 초청했더니 축사를 보내왔어요. 우리보고 빨갱이라 하면 “그럼 미국 클린턴 대통령도 빨갱이라는 거냐” 했죠.

 

NAKA에서는 어떤 일을 하고 계신가요. 

첫째, 한반도의 평화와 평화적인 통일을 우선적으로 한다. 두 번째, 재미동포들의 인권과 권익을 보호한다. 세 번째, 우리 민족의 문화를 미국에 알린다. 네 번째, 소수민족과 우릴 위해서 같이 노력한다. 이렇게 하니까 어느 목사가, “지금 통일 이런 얘기하면 사람들이 빨갱이로 몰아간다. 그러니 통일 얘기를 빼자”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첫째 항목을 네 번째에 넣는 걸로 조정했었어요.

 

뉴욕에서 만들어서 워싱턴에 갔어요. 국무성에 얘길했더니, “한국계 미국인의 목소리를 듣고 싶었는데, 당신들이 처음으로 찾아왔다. 환영한다” 그러더라고. 다음에 의회 외교위원회 사람들을 만났는데, 거기서도 “지금까지 어떤 한국계 미국인도 와서 얘기하질 않았다”그러더라고요. 그렇게 시작했어요. 1년에 두 번 NAKA 이사회를 할 때 국무성, 의회를 방문해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얘기해주고 그 사람들 얘기를 듣죠.

 

대화로 함께하는 남북미

 

2004년부터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는 국제회의를 조직하기 시작하셨지요. 

2000년대 들어와서 국회의원들을 모으면 괜찮겠다 싶었어요. 법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얘기를 하고, 그들이 행정부에 얘기할 수 있도록 하려는 거죠. 당시 미국 민주당 외교위원회 간사 바이든에게 호스트가 되어 국회의원들을 모아달라고 얘길 했어요. 북한에서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오게 하려고 했는데, 북한에서는 오려고 하는데 미국 정부에서 허가를 안해줬어요. 그래서 북한 UN대사를 찾아가서 얘길 하고 박길연, 한성렬 UN대사가 참석하기로 했어요. 그리고 남한에서는 장영달, 김재윤, 강혜숙, 선병렬, 이창복 의원이 왔어요. 미국 상하원 의원이랑 민간 유명인들도 좀 오고, 그래서 2004년 7월 20일에 한반도평화안보포럼을 열었어요. 그게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어요. 계속 하려고 했는데 미국에서 북한 사람들 비자를 안 내줘서 못했어요.

 

4년 뒤에 한반도평화포럼을 열었던데요. 

2009년에 백낙청 교수랑 몇 사람이 모여서 얘길 하다가, 워싱턴에서 회의 한 번 하자고 제안했어요. 미국 체류 등 모든 건 내가 책임지기로 했지. 그래서 온 사람이 백낙청, 오재식, 박원순, 이명숙(목사)예요. 존 케리 의원이 호스트가 돼서 9월 14일에 한반도평화포럼을 했어요.

 

2012년부터는 남북미의 정부와 민간 대표들이 함께하는 당국대화에 준하는 회의를 3년째 진행하고 계십니다. 요즘처럼 남북관계가 경색된 시기에 남북미가 함께 만나다니 놀라운 일인 것 같아요. 

남북미 의원들만 중심으로 해선 안 되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6자회담 구성에 독일도 함께 하고, 그러면 좋은 회의가 될 것 같더라고요. 그 제안을 독일 에버트재단에서 받아들였어요. 그래서 나하고 에버트재단 폴만 소장하고 프로그램을 짜기 시작했는데, 북한에서 학술회의 형식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한신대, 시라큐스 대학, 태평양세기연구소, 세 곳을 더 섭외해서 공동주최했어요. 그 첫 회의가 뉴욕에서 2012년 3월 7일부터 9일까지 한 동북아평화협력회의예요.

 

당시 회의에 함께한 사람들이 쟁쟁했어요. 그들을 한 자리에 모으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 같은데요.

일단 북한에서 안 오면 소용이 없어요. 그래서 북한 UN대사에게 얘기했죠. 평양에 연락해서 대표를 보내달라고. 존 케리는 의회에서 외교위원장을 하고 있었어요. 쭉 같이 해왔으니 이번에도 참석하기로 했죠. 그리고 또 헨리 키신저가 생각났어요. 북미 교섭할 때 헨리 키신저가 가끔 오는데, 북한 사람들이 키신저 얘기는 굉장히 경청한대요. 키신저가 중국 문제 전문가이기도 하고, 국무장관도 했고, 그가 온다면 다른 학자나 관료들과 교섭하기가 더 좋을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헨리 키신저를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을 찾아보니, 2004년 한반도평화안보포럼을 같이 했던 도날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대사가 있었어요. 그레그를 통해서 헨리 키신저에게 얘기를 했더니 성사가 됐어요. 그래서 헨리 키신저, 존 케리 위원장이 오기로 했고, 남한에선 백낙청, 손학규, 임동원이 온다고 얘기하면서 북한은 거기에 상응하는 사람을 내보내라고 했지. 리용호 외무성 부상이 왔어요. 다 해서 남한, 북한, 미국, 중국, EU, 독일, 일본, 몽골, 러시아, UN에서 참석했어요. 회의는 채텀하우스 룰?로 했어요. 그래서 내용을 발표도 못하긴 했지만. 내가 지금까지 조직한 것 중 가장 큰 회의였죠.

 

요즘 사람들은 남북은 왜 만나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만나야 문제가 풀리죠. UN에 있는 나라들이 이해관계가 있으니까 싸워요. 문제가 있을 때 퀘이커 유엔 오피스는 그 나라 사람들을 초청을 해요. 저녁이나 먹읍시다, 하고. 정치적인 얘기 안 해요. 그냥 우선 친해지고 서로 이해하자는 거죠. 그러고 나면 그 전 같으면 싸울 것도 안 싸우고 풀리지 않을 것도 풀려요. 거기서 나도 좀 배웠죠.

 

 

활동가로서, 조직가로서 

 

40년 가량 계속 이 판에서 중재를 하고 의견을 모으고 계세요. 

그러니까. 누구 말마따나 미친놈이지.

 

비결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여러 사람들을 모아서 일을 하잖아요. 그 모든 사람들이 자기 일이라고 생각하게 해야 해요. 여러 단체가 모일 때 조정은 내가 다 해도, 사실 그 단체들이 알아서 조정한 것처럼 보이도록 해야 해요. 역할을 나눌 때면 사람들이 체면 가리지 않고 서로 드러나는 역할을 하려고 해요. 그러면 회의 끝나고 나서 하나씩 따로 만나거나 전화로 얘기해요. 나는 전혀 개입한 것 같지 않고, 자기들이 자진해서 양보하고 조정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거죠.

 

사람 뿐 아니라 재정도 필요할 텐데요. 

나는 아무것도 없는 사람이에요. 그런데 프로그램이 좋으면 돈이 나와요. 2004년 한반도평화포럼 할 때, 사람은 다 조직이 됐고, 북한 사람들이 오게 하려면 돈이 필요했어요. 그래서 코리아 소사이어티를 들어오게 했어요.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 도날드 그레그와 약속을 잡고 갔더니 만나자마자 "요새 퀘이커들이 일 잘해" 하더라고요. 뜬금없이 그게 무슨 얘기야. "내가 너 퀘이커라는 거 알아. 니가 뭐 했는지 알고." 이런 소리거든요. 그 사람이 CIA 이런 것만 평생 한 사람이예요. 그래서 나도 조사한 걸 얘기했지. "당신말이야. 좋은 대학 나오고 CIA 등에서 일 잘했더라. 우리랑 만나줘서 참 고맙다”고 얘기했지. 그랬더니 두 번째로 "이게 니 아이디어냐, 바이든 아이디어냐?" 묻더라고. "우리 아이디어인데, 바이든이 받아들였다"고 했지. 그 다음에 "너 돈 있냐" 물어봐서 돈 없다고 했더니 "같이 하자" 그러더라고. 얘기가 1분 30초 만에 다 끝났어요. 그리고 회의가 성공리에 잘 됐어요. 워싱턴 포스트에 보도가 됐는데, 도날드 그레그가 사회를 봤으니 기사에 이름이 나고 그랬죠. 끝난 뒤에 통화를 하는데 도날드 그레그가 “처음엔 잘 될지 의문이었는데, 이행우와 (코리아 소사이어티) 부회장이 밀어붙여서 했다. 그런데 결국 공적은 나한테 돌아왔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내가 “이건 시작이다. 앞으로 계속 같이 하자” 그랬더니 오케이 했어요. 이후로 같이 잘 하고 있지요.

 

사람 모으는 것, 예산 만드는 것, 다 고민해서 이뤄내신 건데, 누군가 알아봐주지 않는 건 서운하지 않으세요? 

누가, 내가? 사업이 잘 끝났으면 됐지. 나는 사람들 모아서 조직해 주는 거, 그거 밖에 못해. 다른 건 못하니까. 무대 체질도 아니고, 아래에서 봐야 다 보여.

 

위에서 봐도 다 보이는데요?(웃음) 

대부분 사람들이 그걸 좋아해요. 운동 하는 사람 중 내가 만난 상당수가 직책에 대해서 굉장히 예민해요. 그리고 감투를 쓰면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자기 말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더라고요. No! 같이 일하도록 해야지! 그리고 다른 사람이 나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하는데, 그렇질 않아요. 그런 상하관계를 만드는 식으로 하면 조직이 오래 못 가요. 그리고 직책을 만들었으면 책임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서 실행을 하도록 해야 하는데, 어떤 사람은 명함부터 찍어 가지고 다니더구만요. 아니, 그걸 감투라고 생각하면서 무슨 운동을 해요? 다들 같이 좀 힘 합쳐서 직책만 생각하지 말고 해야 하는데, 그게 좀 어려운 것 같아.

 

젊은 활동가들에게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박론 어떻게 보세요?

통일이 되면 그야말로 대박이지.

 

박근혜 정부가 그냥 해보는 소리는 아닌 것 같고, 준비는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잘 되면 좋은데, 그렇게 해서 될까? 보수들이 하면 추진력 있을 수 있죠. 중국 개방도 공화당 시절에 했고. 우리가 얘기를 하면 안 들어도 박근혜 대통령이 추진하면 보수 단체들이 반대하지 않을 거거든요. 그들이 뭔가를 하면 우리가 필요한 부분을 밀어줘야 하는 건데… 그런데 지금까지 하는 거 보면, 별로 신용이 안 가요.

 

젊은 평화활동가들이 많지 않아요. 일하기 쉽지 않은 영역인데다, 통일은 멀고, 북한도 맘에 안 들고, 한국 정부도 맘에 안 들고, 빨갱이니 뭐니 하는 논란에 휩싸이기 쉽고. 게다가 평화는 너무 크고 먼 문제처럼 여겨지다보니 동기 부여가 잘 안 되는 것 같아요.

끈기있게 잘 해야지요. 혼자 하려고 하지 말고, 동지를 구해서 자꾸 넓혀가야지요. 전쟁이라는 것 여러분은 안 해봐서 모르겠지만, 전쟁 없애야 하거든요. 그럼 어떻게 전쟁을 없애느냐. 전쟁을 하지 않도록 전쟁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 해야지요. 나는 무엇보다도 통일이 돼야 한다고 봐요. 통일이 돼야만 평화가 유지되니까. 그러기 위해서는 나를 싫어하거나 나와 맞지 않는 사람까지도 같이 살아야지요.

 

근데 젊은 친구들은 전쟁을 잘 모르잖아요? 관심도 별로 없고…….

내가 놀랜 게 뭐냐면, 내가 어떤 모임에서 북한에 식량 주자니깐 안 된다 이거야. 아프리카에 굶는 사람이 많은데 아프리카를 줘야지 왜 북한에 주냐는 거야. 북한 사람들 식량 주면 군인들 먹는다고 하는데, 군인들도 먹여야지. 그러니까 잘 먹여서 빨리 친해져서 총을 안 겨누게 해야지. 왜 그 생각은 안 해.

 

수십년 평화 운동을 계속 해오신 힘이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나는 “HERE AND NOW”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오늘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내 양심에 비춰서 양심에 따라서 하는 것이지요. 평화를 원하고 전쟁을 반대하면 그렇게 되도록 운동을 해야지요. 일이 잘 되고 안 되고는 문제가 아니예요. 잘 되도록 내가 최선을 다할 따름이지. 그래야 내 마음이 편하니까. 지금까지 내 평생 내가 가난하다고 느껴본 적이 한 번도 없고, 내가 부자라고 느낀 적이 한 번도 없어요. 하지만 항상 좋은 사람들과 함께 뜻있는 일을 했어요. 내가 이렇게 돌아보니까, 내가 만난 사람은 다 좋아.

Sok Hon Ham's Understanding of Taoism and Quakerism

Sok Hon Ham's Understanding of Taoism and Quakerism

함석헌과 퀘이커 사상 등에 관한 소식 나누기
1/30/2021 Sok Hon Ham's Understanding of Taoism and Quakerism
https://blog.daum.net/wadans/7788201?category=567258 2/16


===

Sok Hon Ham's Understanding of Taoism and Quakerism
by Sung Soo Kim
1994 - University of Essex

I. Biography of Sok Hon Ham (1901-1989).


"I am a man who has been 'kicked' by God, just as a boy kicks a ball in the direction he wants it to go. I have been driven and led by Him." 3

"He is a symbol of Korea's conscience throughout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in the Korean peninsula, communist totalitarianism in North Korea, and military dictatorship in South Korea."4

Sok Hon Ham was born in 1901 in a tiny district near the Yellow Sea in the farthest northwest corner of North Korea. Korea at that time was in a dire political and economic state. Between 1895 and 1910 it succumbed to a series of dreadful events: Queen Min was raped then killed by Japanese soldiers; the Korean king's desperate attempts to obtain American governmental backing for his unstable country failed; famine and plague were a constant threat to the nation's populace. What is more, the Korean peninsula suffered from the hostility and conflicts between Russia, China and Japan, all of whom coveted Korea in order to further their strategic position and national prestige in North East Asia. These countries saw Korea as a stepping stone toward expansionism. Inevitably, these expansionist movements led to the Sino-Japanese War conducted on Korean soil in 1884. The defeat of China (ruled by the Qing Dynasty) was followed by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As a result of Russia's defeat, Japan declared its intention of exercising hegemony in Korean affairs, and proceeded to increase its control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the whole of North-East Asia. Theodore Roosevelt believed that it was essential to approve Japanese ascendancy in Korea as a quid pro quo for Japan's recognition of the domination over the Philippines by the USA. This bargain between the USA and Japan was struck in the clandestine Taft-Katsura Agreement of July 1905.

Britain too, in re-negotiating the terms of the Anglo- Japanese Alliance in August 1905, recognized Japan's right to take appropriate action for the "guidance control, and protection" of Korea.5 But Britain, France and Germany also took a part in the race to wrest economic concessions from a weak Korean government, turning Korea into a happy hunting ground for concessionaires. Sok Hon Ham grew up in this colonial situation. When he was four years old (1905)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was removed by- Japan through the Unequal Treaty of 1905 (so-called "Protectorate Treaty"), and when he was nine (1910), Korea fell entirely under Japanese rule.

Sok Hon Ham grew up in a poor village. He first attended a Presbyterian school, and from his early years was influenced by Christianity. The onset of organized Protestant mission work in Korea dates from 1884, when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arrived in Korea.6 From that time, Christianity, and Protestantism in particular, exerted great influence on political and modern educational movements.7 By transmitting Western ideas of individualism and democracy, missionaries played a key role in awakening a national consciousness among the Korean population. Moreover, Korean nationalists were eager for a Western education8 and private schools, many of them founded by Protestant missionaries, made a key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in Korea. Between 1883 and 1909,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29 private schools were founded (including one private Lyceum at Kando, Chien-tao in Chinese, in Manchuria).9 These schools were founded either by Korean national leaders, who were mostly influenced by Western missionaries, or run by Western missionary themselves. Thus, Protestant private schools played a vital part in propagating nationalist thought.10

These schools not only spread Western knowledge but also acted as greenhouses for nationalist activity. Discussion, debates, oratorical contests, and campaigns of various kinds were held under educational institution sponsorship, fanning the nationalistic enthusiasm of the students. By spreading Western ideas, missionaries played a momentous part in awakening a national consciousness among the Korean people.11 That is why many Private schools were forced to close, and after the annexation, Japan's educational policy became even less favourable for Korean schools.

Protestantism was welcomed by the non-yangban (traditional aristocrats) intellectuals and by the business community, and this was particularly the case in areas of developing economic activity, such as P'yongan province (Sok Hon Ham's native region). Confucianism was less influential at P'yongan, and accounts of the distinctly favourable response to Christianity in that region link this to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social groups who did not have a vested interest in the status quo.12 Protestantism thus secured its strongest initial support in North Korea, where it was able to capitalize upon the long-standing grievances of the people of that region opposing the yangban of Seoul. Sok Hon Ham recalled why and how Christianity was more popular in P'yongan, his hometown, than in South Korea:

"I had the good fortune to study the 'new education' --- This was because Christianity, which was just beginning to be propagated in Korea, entered my village. My province, of P'yongan was known 'as Korea's 'heathen Galilee', and for centuries its 'people of low birth' had been the object of scorn and contempt. People of my village, especially, like 'Zebulun13 and Naphtali14, were referred to as the 'scum of the sea'. Thus we lived amidst scorn and shame. However, this misfortune became our fortune. Being at the bottom level of society, there was peace even among the prevailing political chaos. Just as we accepted scorn and disdain so also we were quick to accept new things and new ideas. Indeed we stood at the frontier of a new age."15

Protestantism was closely embraced not only as a religious belief but also for its political, social, enlightening and cultural archetypes and movements. In 1907 the New People's Association (Sinminhoe) was created covertly by members of the press, military men, and businessmen, most of them Protestant Christians from northwest Korea. These included the Christian nationalists, Ch'ang-ho An, Tong-hwi Yi, originator of the first Korean Communist Party in the early 1920's, and Sung-hun Yi, founder of the Osan School and Sok Hon Ham's teacher.

In 1909, the "Million Souls for Christ Campaign" was successful in bringing about mass conversions to the Protestant religion.

Against this historical background, Sok Hon Ham, as a young Christian student, was active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is Movement was a national protest aimed at focusing world attention on the oppressive colonial rule of Japan, an attempt to draw the attention of the world to the intolerance of the ruling Japanese toward the people and culture of Korea. Thus the Movement hoped to regain self-determination for Korea, just as the peoples of Europe were given self-determination by the Allied Powers. The doctrine of the Movement centered on the self-determination of nations, its motives generated by the Korean nationalist movement.

Hitherto the nationalist movement had concentrated on the activities of exiles and on hidden alliances. It had relied on education movements or religious activities. An extensive, nationwide struggle developed, aimed at recovering Korea's missing sovereignty.16 But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brutally smashed by Japanese soldiers. It is estimated that two million people took part in 1,500 demonstrations, 7,509 people were slaughtered and 15,961 wounded. 715 private houses, 47 churches, and 2 school buildings were destroyed by fire. Somewhere in the region of 46,000 were arrested, of whom almost 10,000 (including 186 women), were tried and sentenced. The largest protests were in P'yongan, Kyonggi, and Kyongsang provinces, areas which also suffered the highest casualties. People of all ages, occupations, and creeds took part.17 Among the 33 national' leaders of the Movement, no fewer than 16 were Christians, 15 followers of the Chondokyo religion (Native Korean religion), only 2 being Buddhists.18

Through his first-hand experience of this Movement, Sok Hon Ham began to acquire a degree of self- consciousness, and, as a result of his part in the March First Movement, he was forced to leave his school and return to his native village, where for two years he wasted away in mental distress. As a consequence of his experience of this Movement, he began to feel some uncertainty about the Presbyterian Church, which he had regularly attended since his childhood, and this uncertainty exacerbated his inner turmoil.19 As I have pointed out, when Christianity first entered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Christian faith helped fuel Korean nationalism. But gradually the problems inherent in such a combination became more and more apparent. In spit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s Japan consolidated its hold over Korea, the Japanese began a regime of "benevolent" and "cultural" propaganda. Correspondingly, former Korean

Christian nationalists began to accept these policies, accommodating the Japanese authorities, thereby compromising their own demands for national independence for Korea.

In 1921, having experienced doubt about Christianity for two years, Sok Hon Ham entered Osan High school. Here he met two teachers who were to have a remarkable effect on his future life. one was Sung-hun Yi, one of the leader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a Christian leader within Korea. He was the founder and principal of the Osan High school. He inspired Sok Hon Ham through his ideas of national spirit and patriotism. The other teacher was Young-mo Yu, a man of distinguished erudition in Oriental philosophy. It was he who introduced Sok Hon Ham to Lao-tzu and Chuang-tzu, as well as other Oriental classical philosophies.

Meanwhile, an interest in new social and political ideas had emerged among groups of intellectuals active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wake of the Movement, the Japanese pursued a more "generous" policy toward Korean culture, and nationalists were relatively unfettered and able to discuss social, cultural and, within limits, political topics. Hence, the diffusion of left-wing philosophy introduced fresh concepts, to the argument of the issue of Korean sovereignty.20 This phenomenon was particularly prevalent between 1920 and 1925.21 By 1922 there were 5,728 organizations of all types registered with the colonial police. They included study groups, youth leagues, labour and academic societies, tenant alliances, social clubs and religious sects.22 The Japanese police provided the following breakdown: Registered Korean Organizations, 1922; Political and intellectual 48; Academic 203; Labour 204; Youth 1,185; Church youth 639; Religious 1,742; Tenant 26; Self-improvement 235; Women's 56; Recreation/social 348; Children's 40; Industrial 470; Savings and purchasing cooperatives 53; Health 6; Anti-drinking/smoking 193; Other 280.23

In some quarters, the interest in new ideas took a revolutionary form.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rise of the Soviet Union, with its opposition to capitalism and imperialism, appeared as a protector of oppressed nations. In colonial Asia nationalism began to be linked to socialism under the guise of self-determination of nations. Lenin declared his willingness to support anti-colonial movements among the oppressed nations of the world. To some Korean nationalists the only proper policy, as a colony of Japan, was full-scale war against Japan, a war they hoped and anticipated would be assisted by the Soviet government.24 Accordingly, the "triumph" of the Russian Revolution created an escalation of ideas and hope for revolutionary change. This interest in socialism was evident among Korean intelligentsia and students within the country and in exile. Since the time that Korea had become a Japanese colony, much nationalist activity had been conducted abroad. Most exiles crossed the Yalu River into West or North Kando or into the Russian Maritime Territory, with a smaller number of emigres going to the USA. Clearly those in exile in the areas of China and Russia, maintained close links with Chinese and Russian nationalists and moved in left-wing circles. Many of these exiles believed socialism presented a solution to the dilemmas of socioeconomic reform and of national liberation. The increased interest in socialism gave rise to the formation of the Koryo (Korean) Communist Party in Shanghai in 1920. Under the guidance of Tong-hwi Yi, it obtained financial assistance from Russia. Yi and his associates were among those nationalists in Shanghai who urged armed battle and social revolution.

Revolutionary ideas came also from Japan, which was the primary destination for Koreans studying abroad. By 1922 there were several thousand Korean students there.25

In 1923, Sok Hon Ham went to Tokyo Teachers' College to pursue his studies in history. In September of that year there occurred a great earthquake which destroyed two-thirds of the city. After the earthquake the Japanese government feared an insurrection an the part of the socialists, and it deliberately propagated a rumour that the Koreans in Japan were planning a revolt, thus instigating a massacre of more than five thousand Korean people. During this time of turbulence, Sok Hon Ham experienced his first period in prison. He was placed there by the Japanese police in order to protect "innocent Koreans" from the Japanese aggressors. Although he stayed in the prison only a single night, it left a deep impression on him.26

Social revolution was a burning issue in the tearooms and drinking houses of Tokyo, and Korean students were attracted by the inspirational speeches of the revolutionaries. The post-World War I economic slump had brought substantial economic and social difficulties and the working class and tenants of Japan grew into an organized force. Korean students in Japan had always maintained close links with one another, and at this time several revolutionary groups were formed. Among them was the Korean Self-Supporting Students' Association, the main socialist organization. Its journal, Comrade, stressed student and labourer relief and the importance of tackling the roots of class conflict. This and other groups propagated the notion of social revolution and were fascinated with anarchism as well as other revolutionary beliefs. They advocated liberty for the individual, rejected the legitimacy of any political power whatsoever, and recommended the use of terror. A particularly striking instance of this was the assassination attempt on the Japanese emperor by Yol Pak in 1923. There was also a group of Marxist theorists who pleaded that Korean sovereignty could be obtained only by removing Japanese capitalism, and to this aim they created the Choson Communist Party in 1925 and started an organized anti-Japanese battle most particularly through working class agitation.27

During this time of social unrest in Japan, Sok Han Ham's thoughts were torn between Christian ethics and the politics of socialism as the key to the salvation of Korea. But political radicalism included aspects which he could not wholly approve of. For example, he disliked the anarchists' advocacy of terror and Communism's advocacy of atheism. He thus experienced great internal conflict:

I entered a period of great agony. Could Christianity really save my people? Under the circumstances, it appeared that only a social revolution could provide the answer. But I could not bring myself to forsake my faith and join in the socialist movement which totally disregarded all sense of morality. For a long period I was in agony over the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28

In 1924, Sok Han Ham met Uchimura Kanzo (1861-1930), a Japanese religious thinker and critic, who had 'a significant formative influence on many writers and intellectual leaders of modern Japan. Sok Han Ham came under the sway of Uchimura's Non-Church Movement. This rejected the superficial formalism and hypocrisy of the church and emphasized a faith in atonement through the Cross.29 As Sok Han Ham participated in Uchimura's Bible studies, his inner conflicts, between socialism and Christianity, were gradually resolved, and he made a firm commitment to live as a true Christian. He recalled that experience: "I developed the confidence to be able to say 'This is real faith', 'This is the way the Bible must be read!'30 Consequently, he chose Christianity rather than socialism as his ideal.

In 1928, after his graduation from Tokyo Teacher's College, Sok Hon Ham returned to Korea to teach history at Osan school, a job he wanted wholeheartedly to retain for the rest of his life. In 1928 his friend, Kyo-Sin Kim, began to publish a monthly magazine, Songso Choson (Bible Korea). Between February 1934 and December 1935 work by Sok Hon Ham, Korean History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as serialized in the magazine. This was his first publication, which was later revised and re- published under the title Korean History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Queen Of Suffering.

If we examine his writings at this time, it is evident that Sok Hon Ham's thesis centered on the significance of "losers" and the role they might play in world history. He began from the premise that world history appears to justify the claims of "victors", since it is usually written by those who govern, the 'winners'. It is hard to apprehend that "losers" and ordinary people also contribute to history. Korea's national identity had been profoundly shaped by a sense of itself as a "loser" in world history. Accordingly, Sok Hon Ham highlighted the con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osers", in a paradoxical effort to generate national pride. He defined the role of Korea as the Queen of Suffering. Equating it with Christ as the Son of Suffering, he began to forge a new identity and mission for Korea:

"Herein is our mission; to bear our load of iniquity without grumbling, without evading and with determination and in seriousness. By bearing the load we can deliver ourselves and the world as well. The results of iniquity will never vanish without someone bearing their burden. For the sake of God and humanity we must bear it --- The consequences of the world's iniquities are laid on us, and if we fail in cleansing them, then there is no one else to do it. Hence, it is our mission, to which only we are equal. Neither Britain nor America can cope with it, for they are too well-off, too highly placed, to do it."31

Using his own Bibl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history, Sok Hon Ham provided the mission and vision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losers" and ordinary people everywhere. Those "losers" were able to find their own identity and position in world history, having previously failed to come to terms with either its "Suffering" or its causes.

From the 1930's, emphasis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as put largely on the processes through which society was formed. A tendency emerged that explained sequential levels of social development in terms of economic phases. Scholars of this penchant were influenced by Marxism to put a historical materialist structure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In connection with this, in 1930 Sok Hon Ham, as a nationalist and a history teacher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suspected of Marxism-Leninism. At that time, the left-wing and communist movements in Korea often interrelated with anti-Japanese movements, and the Japanese had difficulty differentiating between social revolutionaries and nationalists. Later, like the Chinese nationalists, Korean nationalists began to split, as rivalry between the traditional or "right" nationalists and the Communist nationalists grew.32 Indeed most of the nationalist Korean intelligentsia did absorb left-wing theory and were seriously preoccupied with subverting Japanese capitalist rule. Eventually Sok lion Ham stayed in Chungchu police station for a week.33 His nationalist activities continued to be seen by the Japanese as interrelated with the communist movement. Even though Bible Korea had no more than two hundred subscribers, its contents, including Sok Hon Ham's writings of Korean history, ran foul of the Japanese censor and the magazine frequently had to cease publication. In particular, copies containing the writings on Korean history were seized and often destroyed even though he had moderated his language in order to pass the censor.

In 1938, in order to suppress all Korean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e, the authorities ordered the use of the Japanese language instead of the indigenous language in all Korean schools. When Sok Hon Ham refused to carry out the decree, it led to his forced resignation from the school he loved. It was to prove his first and last regular job. Nevertheless, through a Sunday meeting, he continued to teach his beloved former-students as well as act as administrator for the Songsari farming school. But the Japanese did not approve of the content of his teaching or the style of his leadership within the farming school. The Japanese authorities saw the characteristics of Sok Hon Ham's farming school as "communistic."

Meanwhile, from 1937 Japan started an extensive assault on China and in 1941 bombed Pearl Harbor. During the war Japan conducted a so-called nationwide mobilization policy, which was enforced with extraordinary harshness within Korea. Japan launched a campaign to destroy Korean national selfhood under the motto "Japan and Korea are one Entity". As an initial phase in executing its assimilation policy, Japan prohibited all kinds of cultural practices that might be regarded as nationalistic. Not only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that of Korean history was considered dangerous. Eventually, on the basis of his previous writings of Korean history, as well as his "communistic" administration of the farming school, Sok Hon Ham was imprisoned again in 1940 at Taedong police station for one year. When he was released, he learnt of the death of his father and the destruction of his home. Furthermore, the Japanese forbade him to teach or run the farming school. Thereafter, he took up farming as a living and adopted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which he wore until the end of his life. But it was not the end of suffering for him nor was it the end of suffering for colonized Koreans.

In 1942, prominent figures i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were arrested on accusations of fomenting nationalist activity. As a result of the brutal torture to which they were subjected by the Japanese police, Yun-jae Yi and others died in prison. Sok Hon Ham and a number of his friends who had been publishing Bible Korea were again arrested. once more, he was imprisoned for a year. He says of his imprisonment during this period:

"Those were the days when Imperialist Japan was resorting to the most oppressive measures to wipe the Korean race from the face of this earth. In 1943sic34, the Japanese authorities arrested all the readers of the magazine [Bible Korea], charging us with harbouring dangerous ideas, and abolished the magazine itself. The case was dropped after we had spent one year in prison"35



Consequently, in the years up to 1945, Sok Non Ham suffered imprisonment no fewer than five times. That is why, when commenting on his life in this period he stated: "My only crime was that of being a Korean."36 He had been a constant active Korean nationalis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0, on the eve of the Second World War, the Japanese deported most of the Christian missionaries.37 By this stage, Christians in Korea were also a target of Japanese persecution for political as much as cultural reasons. In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ity, Bruce Cumings points out that Christianity took hold in Korea in a way that it did not in China or Japan.38 When Protestant missionaries entered China and Japan, they came at a time of, and in connection with, gunboat diplomacy and mercantile exploitation. But in Korea, through a mixture of fortune and astuteness, the circumstances of Protestant churches were entirely different. Unlike China and Japan, the first colonizers in Korea were not Westerners nor Western missionaries, but the more harsh colonial rulers of imperial Japan. Thus, Protestantism had the advantage of entering the old-fashioned "Hermit Kingdom", Korea, prior to other styles of modern civilization (apart from austere Japanese) taking possession within the minds of the population.39

Furthermore, the Western missionaries brought with them modern scientific and up-to-date knowledge in every field, filling a vacuum created by Korean isolation. Korea needed, and avidly desired, these new ideas if it were to move toward modernization and achieve its independence. Moreover the missionaries' were also sympathetic toward Korean nationalism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40 Because of their involvement in schooling, they developed close ties with many young, intelligent Koreans who would later become leaders of the new Korea. Thus, the missionaries backed those nationalists who resisted Japan's intrusions on Korean sovereignty. In particular, several missionaries offered direct and indirect help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respect, the coming of Christianity to Korea was different from China and Japan. This is still evident today if one compares the ratio of Christians among the populations of China, Korea and Japan. In 1990 the percentage of Christians in China and Japan were approximately one percent, whereas in South Korea it is over twenty percent an outstandingly high percentage by comparison.

Meanwhile, in 1945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not only led to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control, but also to Korea becoming once again a battlefield. This time the battle involved capitalist and communist nations (represented by the USA and USSR) in a global contest. Having been an "oppressed nation" during World War II, Korea became an "artificial barrier" marking the battle line in the Cold War; this artificial division of the country came about solely because of the Cold War. The Korean nation was divided by the victors, supposedly on a temporary basis. Consequently, South Korea came under the control of the USA and North Korea under the control of the USSR.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Christians once again became a target, but this time for the communists in North Korea. Although the number of Christian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the whole of Korea was not more than two percent in 1945, Christians were numerous and influential in certain areas, notably in P'yongyang, and had an extensive affinity with American missionaries. What is more, American sources viewed the Christian churches as the strongest force against the regimes of both the Japanese and the Communists. Various sources maintain that several Christian nationalists were jailed and Christian political activities were stamped out even in the late 1940's in North Korea.41

By the time Korea was liberated, Sok Hon Ham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leader. As he pointed out, it was an unexpected position to find him in:

"When Liberation suddenly came I found myself in a position of leadership. People had pointed at me with pride and said, 'Going to prison is his occupation', and now I was chosen to lead these very people."42

At the time the Japanese left Korea, Sok Hon Ham was still farming for his daily livelihood. When the USSR took control of North Korea, the authorities utilized the so-called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Using those who had been prominen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cluding democratic nationalists like Sok Hon Ham, they consigned to it governmental function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Soviet armed forces. Sok Hon Ham was appointed Minister of Education in this provisional government of P'yongyang province. He believed that his religious neutrality among nationalists in North Korea, led him to be appointed Minister of Education, over and above other nationalist leaders.43

Korean society in 1945 was a maelstrom of old and new classes, political groups, and left and right ideologies. on 23rd November 1945, the Sinuiju Students Revolt took place in North Korea due to the polarization of Korean politics between nationalists and communists. 5,000 nationalists protested against the Korean and Soviet backed communist policies. In one particularly bloody incident communist forces fired on a crowd of nationalist protesters. As a result, 23 nationalists died and another 27 people were seriously injured, more than 80 were arrested at the hands of the Red Army and the communist forces. The Red Army proclaimed martial law44, and Kim I1-Sung personally visited Sinuiju, seeking to mend rifts between communists and Christian nationalists.45 Although Sok Hon Ham was not a direct leader of the student revolt, his position as Minister of Education, as well as his standing as a Christian nationalist, meant he was held responsible. He was, therefore imprisoned for two months, suffering physical violence from the communist forces.

During this period of disorder, the North Korean communists and the Soviet Red Army were afraid of further revolts from the North Korean nationalists, students and intelligentsia. In order to prevent revolt, they attempted to use national leaders as secret agents and informers. Hence, on his release Sok Hon Ham was forced by the Red Army into the role of spy against his fellow citizens; reporting in detail on the movements of the Korean national and religious leaders. When he refused to follow these orders he was imprisoned once again in December 1946 for a month.46 Consequently, due to the conflicts between the communists and nationalists, not only Sok Hon Ham but several other nationalist figures were expelled from the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North Korea then proceeded to implement a policy of Communization. Inevitably, after he was released from prison in January 1947, Sok Hon Ham decided to flee to South Korea. He arrived there at dawn on March 17th 1947.47 The number of Koreans who could not endure life under Communist authoritarianism and crossed the 38th parallel into South Korea rose sharply, totaling more than 800,000 by the end of 1947 (including Donggill Kim, Byung-mu Ahn and the writer's father). The brief period, 1945-1947, saw both chaos and a political vacu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making it possible for these people to escape.

But South Korea also was in the midst of a problematic situation. Since 1945, as noted, the USA occupied South Korea as a buffer in the Cold War. The political field of South Korea saw close attachments between the USA military officials and the former pro-Japanese Korean officials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 This close affinity sprang from a shared anti-communism aimed at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Bruce Cumings showed how the irony of this unholy alliance struck even the Japanese-trained Korean officers themselves. on several occasions, Reamer Argo, an American military officer, asked Hyang-gun Yi, a pro-Japanese Korean, to help in building the Constabulary in the South. Yi often refused, mentioning, "How can those who served in the Japanese Army participate in building a Korean army?" Argo replied, "If experienced men like yourself do not participate, who will?"48 What is more, in 1946 when General Hodge, Commander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interviewed Sok-won Kim, another pro-Japanese Korean, Hodge said this:

"The Constabulary is going well now, --- it will become the national army --- You have had your experience in the Japanese military, but now you must have a new beginning in a democratic military."49

With such a political background, as soon as Sok Hon Ham escaped from North Korea to "democratic" and pro- Japanese South Korea, he established the Sunday Religious Lectures. Using these lectures he presented his thoughts, and embarked on a period of prolific writing. As a result of these activities, he gained many sympathizers and became widely revered as an inspired teacher. In particular, his influence among the intelligentsia and students strengthened. Donggill Kim and Byung-mu Ahn both met him at this time, and fell under his influence. They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him until the end of his life.

However, at the same time, Sok Hon Ham was criticised by doctrinaire church leaders. They recognized his views both as being too Oriental and as too universalistic. As a result, church leaders labeled him a "heretic" and shunned him. Sok Hon Ham's Universalist views were influenced by H.G.Wells' The Outline History of the World, and later consolidated by Teilhard de Chardin's book, The Phenomenon of Man. Teilhard constantly tried to create a synthesis between his Christian vision and the evolutionary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science. He saw the universe becoming increasingly "hominized", humanity increasingly converging or moving toward the "superior pole" of all evolution, which Teilhard calls the "Omega Point."50 Sok Hon Ham wa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eilhard's poly-dimensional view of the world and universe.51 It was an ironic coincidence that the originality of Teilhard's theories also brought reservations and objections from withi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from the Jesuit order, of which he was a member.

Immediately following the Korean War (1953), Sok Hon Ham had an opportunity to meet British52 and American Quakers at Kunsan Friends' Service Unit working in the Provincial Hospital and for refugee's in South Korea. He was deeply interested by the humanitarian activities of these Western Quakers, and it was this attraction to their humanitarianism and pacifism that was to lead eventually to his becoming a member of the Society of Friends (Quakers) in 1967.



From 1956 Sok Hon Ham began to write his various thoughts on politics and religions in the monthly magazine, Sasang-gye (Thinking World). The venality and oppression produced by the ruling Liberal Party in South Korea under the rule of Christian president Syngman Rhee was intolerable. In particular, in 1958 South and North Korea became satellite stat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A and the USSR, through which the Cold War was waged by proxy. At this time, Sok Hon Ham criticized Syngman Rhee's corrupt policies through the Sasang-gye magazine under the title of "People Should Think for a Living". We can examine what he actually wrote:

"It can be said that Koreans are freed from Japan, but there is no freeing in any actual feeling. A worse tragedy nowadays is that Koreans have two commanders [the USA and Russia) to serve instead of one [Japan]. Obedient to Japanese subjugation, at least families could remain together and people could come and go openly. Today parents and children are separated in the divided North and South. Where is liberation? Where is freedom? South Korea labels the North as Russia and China's puppet and to North Korea the South is the USA's puppet. There are only puppets and no country. Koreans do not have a country."53

Such criticisms were so "offensive" to the Syngman Rhee regime that they determined to imprison him. Consequently, in 1958, at the age of 57, he was imprisoned again for twenty days, ironically this time he had not been put in prison by the Japanese or the Soviets, but by his fellow countrymen. Therefore, he became a political "refugee" even in his own "liberated" and "democratic" country. But his only "crime" was his candid remarks in regard to the post-war disarray, corruption and escalating enm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1960, the April Revolution led to the collapse of the First Republic, and through Syngman Rhee's resignation Koreans enjoyed a renewal of freedom, liberty, and optimism which had not existed since the liberation from Japan. But the following year in May 1961, the military coup of General Park took place. Although at the start of this coup, General Park had announced his junta to be a temporary administration, by 1963, he imposed an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He became president and remained in that position for 18 years until his assassination. During his regime, General Park brought strict censorship of the press and suppressed civil rights. Correspondingly, from 1961 onward Korean politics can be summarised as a series of military dictatorships with constant protests from its civilians. Sok Hon Ham straightforwardly criticized the illegitimacy of the military coup through the monthly magazine Sasang-gye and later through his magazine, Voice of the Ssi-Al (People). Below is one example of the critical writings of Sok Hon Ham during the military junta period:

"Dear Chunghee Park, Forgive me for not addressing you as the Chairman of the Supreme National Reconstruction54 or the General of the Army. I would rather address you as Dear Chunghee Park, a man with conscience and reasoning. You and your military colleagues have made many mistakes. First of all, the military coup was wrong. Probably your motive and aim to correct the national destiny was right, but the means were wrong. When the means are wrong, aims lose their meaning. You have no revolutionary theory. You rose up believing only in swords. You cannot gain the confidence of the people by military power alone. The biggest mistake of all is that you have not kept your declared promises given at the time of the coup. People were astonished when they heard that the military would govern for two years. However, now that the two years are coming to an end, instead of stepping down, you are thinking of a new political party and you are running for the President's seat, thus utterly disappointing the people."55

To help promote democracy, Sok Hon Ham established the monthly magazine, Voice of the Ssi-Al in 1970. This became the eye of the storm for democracy in Korea and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is magazine, his followers were able to express widely their ideas on Korean society, becoming social leaders and leading figures of public thought in the nation. The Voice of the Ssi-Al sold out all over South Korea and provided optimism to a disappointed Korean people and their vision for democracy.

Furthermore, whenever possible, Sok Hon Ham spoke out fearlessly against General Park's dictatorial regime and its injustices through public speeches and writings. Side by side he established regular public study groups of the Bible, Quakerism, Lao-tzu and Chuang-tzu. Through these teaching groups he emphasized the awareness of social justice in Protestantism, and the free spirit of humanity in the philosophy of Lao-tzu and Chuang-tzu.

In order to understand the range of Sok Hon Ham's appeal, it is necessary only to look at the editors of Voice of the Ssi-Al. Among them were the eminent Donggill Kim, former popular academic in history who has published over 64 books on the criticism of politics, religion and social issues, and is currently a statesman and Leader of the Opposition Party (Shin-min-tang). Pob Chong, a Buddhist monk, who published several books on his meditations, and had an established reputation among the various Korean intelligentsia. Yong-Chun Kim, a scientist and former-professor of Koryo (Korea) University,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lub of Rome Conference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natural science in Korea. He was one of Korea's experts in the field of organic chemistry. Kon-ho Song, who worked at the Tong-A Newspaper Company as a leading journalist and as chief editor until he was dismissed by General Park. Although he did not have any religious background, he had worked under Sok Hon Ham's leadership for the Voice of the Ssi-Al. There was also a lawyer, Tae-Yong Yi, who was the first female doctor of law in Korea. She wrote most of Sok Hon Ham's human rights declaration draft and was an enthusiastic Christian. The very different religious and non-religious peoples that Sok Hon Ham chose were welded together by his broad vision and inspiration.

While conducting the interviews for this thesis I was amazed by the wide spectrum of his followers. For example, when I met Dr.Ki-ryo Chang in Pusan, I felt he was a very traditional Presbyterian. Although, he has a respected reputation because of his charitable works, and is a very intelligent man, his mind was uncomplicated and as pure as a child's. He believed in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on the contrary, when I had interviews with Dr.Byung-mu Ahn, the founder of the Minjung theology56, I felt his views were remarkably progressive, in a certain way somewhat radical. Even today many Korean churches still do not accept Byung-Mu Ahn's innovative Minjung theology. Both these men are controversial figures; one most conservative, one most progressive. The above illustrates how widely polemic religious views were fused under the influence of Sok Hon Ham.

More remarkable is the impact of Sok Hon Ham on the very different political groups in Korea. When Sok Hon Ham died,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Tae-woo Roh, proposed a Public Funeral for him. Previously, this same president had asked Sok Hon Ham to be the Chief of the Seoul Peace Olympiad to represent the Korean people. Ideologically, the President Tae-woo Roh is right wing. on the other hand, as a striking radical-leftist, Rev.Ik-Hwan Mun, was also a well known admirer of Sok Hon Ham.

In 1989 under Tae-woo Roh's Presidency, Rev. Ik-Hwan Mun visited North Korea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ere he met the leader of North Korea, Kim II-Sung. on his return to South Korea, Rev. Mun was arrested and placed in prison. I regard the relationship between Rev.Mun and President Roh as two extremes. They stood for opposed political lines, but their differences melted when confronted by Sok Hon Ham's broadness. This reflects Sok Hon Ham's religious Universalism, embracing various religions, dissimilar peoples and extremely different political groups.

One can maintain that humankind cannot live without vision, Sok Hon Ham showed his vision to the downhearted Korean people during the 'dark age' of Korea's history. Sok Hon Ham was only briefly a politician in an established government as Minister of Education in P'yongyang. In an undemocratic country, political democracy is a fundamental precondition for the evolution of society, the economy, culture and the arts. Equally, without the freedom of the press, one cannot imagine the freedom of expression, or the freedom of speech. In this respect, Sok Hon Ham acted as a political activist, and was clearly a force for democracy in Korea in establishing free, forward-looking papers with liberal and thought-inspiring articles. That is why, 'during the 1970's and throughout the 1980's, he rose as a symbolic figure for the democratic movements in Korea. The Chief of the Han Kyou Re Newspaper company, Kon-ho Song, remembered Sok Hon Ham's fearless activity during the period of General Park's "reign of terror":

"At that time, no one dared speak or write anything against the dictatorial Chunghee Park's regime. No journalist, or professor, or any member of the intelligentsia dared to comment on the arbitrary power of General Park. only Sok Hon Ham criticised Park's injustice and the illegitimacy of his regime. I still wonder, how Sok Hon Ham did that without any fear?"57

In 1976,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e following news:

"Leading Seoul Dissidents Ask Resignation of President Park. SEOUL, South Korea, March 2.sic58 A group of South Korea's most prominent political dissidents have issued a statement here asking the Government to rescind the emergency decree and restore all political freedoms that have been restricted under the 1972 Constitution. Signed and circulated by 12 political and religious figures, the statement asked that President Park Chung Hee resign and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they termed his dictatorial control. Among the signers were former President Yun Po Sun; Kim Dae Jung, the presidential candidate who ran against President park in 1971; and Ham Sok Hon, a civil rights leader."59

For this act, the seventy-five-year-old Sok Hon Ham received an eight-year prison sentence. However, due to pressure from the West on president Park's Government, he was placed instead under house arrest. Finally, in October 1979, Park was assassinated by his secretary, thereby bringing an end to 18 years of military dictatorship. Sok Hon Ham was once again released. In spite of that, within seven months a second military coup took place, this time led by General Doo-Hwan Chun. Sok Hon Ham was placed under house arrest again, and his magazine Voice of the Ssi-Al was shut down.

During the period of the battle for democracy in Korea, Sok Hon Ham was nominated for the Nobel Peace Prize twice, in 1979 and 1985 by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In 1963 he received the First Wol-Nam Press Prize from Sasang-gye magazine, and in 1987 he also received the First In-Chon Press Prize from the Tong-A Newspaper Company. The latter was in recognition of the contribution from the Voice of the Ssi-Al to the freedom of the Press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two military coups. A professor Po-Sok Chung argued that:

"Although Sok Hon Ham was not a professional journalist, during the era of the military dictatorships, he active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freedom of the press in Korea as a freelance journalist."60

In 1988, due to massive demonstrations and protests, General Doo-Hwan Chun reluctantly resigned from the presidency. on the eve of the International Seoul Olympiad, Sok Hon Ham rose from his hospital bed to convene the Seoul Assembly for a peaceful Olympiad. As the Head of the Seoul Peace Olympiad he represented the Korean people. This organization drew up a declaration calling for world peace which was signed by more than six hundred prominent citizens, including Nobel Peace Prize winners and world leaders.61 Four months later, on February 4, 1989, he finished his journey of suffering at the Seoul University hospital.





Seoul Monthly Meeting Introduction (by Bae Hyun-Duck)

Seoul Monthly Meeting Introduction

Seoul Monthly Meeting Introduction
Seoul Monthly Meeting Introduction
(by Bae Hyun-Duck)
Seoul Monthly Meeting Profile

The Seoul Monthly Meeting was founded in the late 1950's by a group of Koreans who became interested in Quakerism from
encountering the relief and medical work done by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US) and Friends Service Council (GB)
following the Korean War.

With the assistance of American Quaker families living in Seoul, the group met regularly for unprogrammed worship, and
eventually this meeting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 Monthly Meting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under the care of the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FWCC 10 Meeting - August 3-6, 1967).
In recent years, about 10~20 people attend the Seoul Monthly Meeting on a regular basis.
We lack members who are from the younger generation as young people seldom come to join us for Quaker worship.
These days, after worship every Sunday, we study Quaker practice by reading and discussing Howard Brinton’s work.

Meeting Activities
Seoul Monthly Meeting has been active in providing support for various relief works.
In 2013 we raised funds to help the typhoon disaster victims in the Philippines.
In 2014 we supported the construction of anti-naval base container house in Jeju Island, helped plant trees and assisted children
in North Korea, and raised money for the Vietnamese Agent Orange victims from the Vietnam War.
Oh Chul-geun, one of our meeting members has been very active in the anti-naval base protest movement in Jeju Island. And
Seoul Monthly Meeting has given full support to him both spiritually and financially as he engaged in sambo-il-bae or threesteps-one-prostration march for over 560 days in Gangjeong village on Jeju Island where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tructing
a massive naval base against the wishes of the residents. In support of the villagers resisting the naval base construction, Oh
Chul-geun intends to continue the 5 hours-a-day march for 1,000 days. People are against the naval base because it will create
higher tension and may become a flashpoint for a major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USA and China, endanger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Together with Oh Chul-geun, our meeting will continue to support the work for peace in Jeju.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give this brief introduction of the Seoul Monthly Meeting.


부처님은 죽이라고 했는가 : 박노자의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 칼럼 : 한겨레21

부처님은 죽이라고 했는가 : 박노자의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 칼럼 : 한겨레21


부처님은 죽이라고 했는가

불교적 신념이 강한 내가 한국 종단의 ‘신도’가 되길 거부하는 이유 …교리를 왜곡해가면서 전쟁 이데올로기를 생산해온 동아시아 종단의 치부

▣ 박노자 오슬로 국립대 교수·한국학

한 가지 고백을 하자면 나의 내면적 신앙이 어떻게 돼도 어떤 조직적 종교의 신도로 칭하지 않으려 한다. 종교 조직을 멀리할 이유 중 하나는 전쟁이라는 야만의 극치에 대한 종교들의 무력함에 따르는 환멸이다. 유럽과 달리 동아시아 지역은 역사적으로 ‘종교전쟁’을 해본 일은 없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 국가가 자행하는 전쟁 행위에 대한 종교 집단들의 협력은 구미 지역에 비해 훨씬 가시적이었다.



△ 샤쿠 소엔(왼쪽)은 메이지 시대 선불교의 최고 고승이자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근대 학문을 배운 개화 인사였다. 그는 ‘기독교 국가 러시아’와의 전쟁을 적극 지지했다.

물론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제동을 걸지 못한 구미 지역의 주류 교단들에 면죄부를 줄 일은 없지만, 구미 지역에서 전쟁을 일관되게 반대하는 비주류 교단들마저 놀랍게도 동아시아에서는 전쟁의 협력자로 돌변하곤 했다.

일본 퀘이커의 변절

예컨대 구미에서 병역거부·반전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아온 퀘이커들을 생각해보자. 1894년에 청일전쟁이 발발하자 거의 모든 일본인 퀘이커들은 ‘하나님의 사랑’보다 ‘국가와 천황에의 보은’을 앞세워 ‘전쟁 지지’와 ‘적극적인 협력’을 밝혔다. 결국 일본 퀘이커들은 세계 퀘이커 공동체와 일시적으로 관계를 끊어야 했다. 또한 일본인 퀘이커로서 가장 유명했던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1862~1933) 박사는 1898년에 영문으로 일본 무사도의 찬양론을 쓰는 등 군국 일본의 대외 홍보에 일익을 담당하게 됐다. 여호와의 증인 등 극소수만 제외하고는 퀘이커와 같은 정통 평화 교단들마저도 병역 거부를 선언하지 못한 게 근대 동아시아의 현실이다. 성경책에서 “시저의 것은 시저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에게 돌리라”고 나오지 않았던가? 서구를 따라잡으려고 ‘국민 총동원’을 상시적으로 실시하는 후발 근대화 사회에서, 내가 살인자가 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하나님이 아닌 시저의 것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동아시아 기독교는 그나마 러일전쟁을 비판한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1861~1930)나 베트남 전쟁을 반대한 그 제자 함석헌(1901~89) 같은 위인들을 자랑할 수 있다. 서구에서 지금도 ‘전쟁 반대의 종교’로 인식되는 나의 신앙, 즉 불교는 과연 어떤가? 지난 백수십 년 동안 일본·한국의 불교 교단사를 보면,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합리화하는 차원을 넘어 아예 전쟁을 더 적극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불교의 교리를 왜곡해가면서 종교적 전쟁 이데올로기를 생산해온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민초들에게 가장 영향력이 커 정권에 이용가치가 높았던 정토진종(淨土眞宗)의 오타니파(大谷派)라는 한 교파의 지도자는 청일전쟁이 발발하자 “국민으로서 당연히 용감하게 싸워야 하지만 특히 우리 신도로서 국가에의 충성이 부처님의 절대 진리에 상응되는 세속적인 진리라는 점을 자각하여 국은(國恩)을 갚는 데에 마음을 다 바치라”는 교시까지 내렸다. 그 지도자를 비롯한 오타니파의 성직자들이 ‘국가의 은혜’를 갚느라고 전선에 빈번히 왕래하면서 ‘군인 위안 방문’을 했고 병사의 사기를 고취하는 전쟁 선전의 책자도 만들어 배포했다. “전장에서 쓰러지면 곧 정토 왕생된다”는 것을 병사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전사자를 위한 추도회까지 현지에서 열곤 했다. 그런데 그들을 비롯한 불교의 여러 교파들이 부처님의 교리를 총알받이들을 전장에 보내기 위한 정신적인 마약으로 변조하면서까지 열을 올렸음에도, 일본의 상류사회로부터 “기독교인에 비해 전쟁 협조를 덜 열심히 했다”고 빈축을 샀다.



△ 동아시아 기독교는 그나마 러일전쟁을 비판한 우치무라 간조(오른쪽)가 있어서 다행이었다.

외래 계통의 소수파로서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인정받아야 했던 그 당시의 일본 기독교인들의 ‘전쟁열’이 어느 정도였는지 상상이 가는 이야기다.

한 사람을 죽여 많은 중생을 살려라?

청일전쟁 때만 해도 일본의 종군 승려들은 전사자 추도회를 할 때 중국 병사들의 유해까지 함께 장례 치르는 등 ‘적병’에 대한 나름의 ‘예우’를 해주었다. 하지만 ‘기독교 국가 러시아’를 상대로 한 러일전쟁에서는 불교계 석학 이노우에 엔료(井上圓了·1858~1919)의 말대로 “부처님의 원수”였던 러시아에 대한 적대심은 광풍 그 자체였다. 주요 종단들이 징병 대상자에 대한 격려와 군영의 위문 방문, 군승 파견을 한 것은 물론, 병사들과 함께 최전선에서 참전했던 군승들이 “적들을 무수히 죽여버렸다”고 불교 언론에서 자랑할 정도였다. 선불교의 주요 종단인 임제종(臨濟宗)의 최고 고승 중 한 명으로 꼽히고, 미국에서 포교에 큰 역할을 맡았던 샤쿠 소엔(??宗演·1860~1919) 스님의 이야기도 충격적이다. 종군 포교사로 파견 중이던 그는 불교에 긍정적이었던 톨스토이가 “교전 중의 양국 대표자로서 반전운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하자 “공생이 불가능한 존재들 사이의 융화에 도달하자면 전쟁과 살인이 필수적”이라고 대답했다. 승려에게 참전은커녕 칼 찬 사람에의 설법까지 엄금하는 불교의 계율을 생각해본다면, 속인 톨스토이의 제안에 “노”를 외쳐대는 ‘고승’의 모습은 괴이하게만 보인다.



△ 화폐 개혁 전 5천원권에는 니토베의 얼굴이 들어 있었다.

이미 그때에 불교계는 대량살인을 ‘일살다생’(一殺多生)이라 불렀다. 한 사람을 죽임으로써 많은 중생을 살린다는 편하기 짝이 없는 논리다. “저 해로운 벌레를 죽임으로써 아시아 평화를 도달케 하는 우리 병사”들을 “보살행의 수행자”라 칭하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 이르러서는 “천황 폐하는 여래와 같은 존재이기에 그가 명하는 전쟁이란 크나큰 자비의 실천”이라는 주장으로 진일보했다.

일본 불교에 거의 편입된 식민지 조선의 주류 불교계도 마찬가지였다. 1945년 이후에 동국대학교의 초대 총장을 역임한 친일 불교의 거두 권상로(1879~1965). 그는 전쟁 때의 명령이 바로 “성전에 임하는 병사의 계율”이라든가 “완벽한 지혜를 얻은 자는 이 세상의 모든 중생을 죽여도 지옥에 떨어지지 않으니 전선에서 살인을 해도 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라는 식의 망발을 계속했다.

동국대 초대 총장 권상로의 발언

오늘날의 한국 주류 불교 종단은 메이지 시대 이후의 일본 불교의 군사주의를 그대로 담은 식민지 말기의 ‘호국을 위한 살생 허용’의 논리를 비판 없이 받아들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그 종단의 신도증을 받는 것이 마음에 걸리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아무리 불교적 신념이 강해도 말이다. 아니, 불교적 신념이 강하기에 마음에 걸린다고 말하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 최고 효과의 묘약을 잘못 이용하면 최악의 독약이 되듯이, 가장 고매한 종교의 교리 체계에서 비폭력·반전에 관한 부분을 빼버리면 결국 대중을 국가의 총알받이로 만드는 최강의 마취제로 변하고 만다.



△ 니토베 이나조는 전쟁에 관한 한 ‘예수님의 제자’가 아닌 ‘천황폐하의 선량한 신민’으로서의 입장을 택했다.






과연 지금 대한민국의 불교·기독교는 평화의 성현 붓다와 예수의 가르침을 각각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가?



**** ‘박노자의 동아시아 남녀’는 이번호부터 ’박노자의 동아시아 근현대 탐험’으로 문패를 바꿉니다. 글의 소재를 동아시아 근현대로 확장해 독자 여러분의 역사적 안목을 더욱 높여 드리려고 합니다. 지속적인 성원 부탁드립니다.



참고 문헌:

1. <논집 일본불교사 8: 메이지 시대>, 이케다 에이(池田英俊) 외 엮음, 도쿄: 유잔가구(雄山閣)출판, 1987, 225~269쪽.

2. , Notto R. Thel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7, 169~174쪽.

3. , Brian Victoria, Weatherhill, 1997.

4. <친일불교론> 상·하, 임혜봉, 민족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