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0

오마주 - 나무위키

오마주 - 나무위키

오마주

최근 수정 시각: 
다른 뜻 아이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오마주(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상세
2.1. 오마주에 대한 오해
3. 오마주를 많이 하는 작가들4. 자주 오마주의 대상이 되는 작품들

1. 개요[편집]

hommage. 프랑스어로 '존경'을 의미하는 단어.[1]

원래 중세의 기사 서임식 과정으로 주군 앞에 한 쪽 무릎을 꿇고 앉은 봉신이 두 손을 합장하고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가리키는 것(참고 그림), 즉 모시게 될 주군에게 최대한의 예우[2]를 표하는 걸 말하는 것이었다.[3]

일반적으로 타 작품의 핵심 요소나 표현 방식을 흉내내거나 인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존경'이라는 의미답게 모방을 통해 원작에 대한 존경심의 표출 그 자체가 목적이다. 단순 풍자나 개그 효과를 노리는 패러디와는 달리 딱히 개그 장면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주로 영화 등 대중문화에서 사용되지만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학계에서도 역사에 이름을 남긴 대작의 제목이나 문장 배열을 살짝 비틂으로써 해당 저서와 학자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표절, 패러디 등과 자주 비교되는데, 구분이 쉬운 편인 패러디에 비하면 오마주와 표절은 그 기준이 불명확한 편이다. 패러디는 일반적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아니면 사전에 '패러디'라고 명확히 선을 그어놓는 경우가 많지만 오마주나 표절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오마주 특성상 그 전문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알만하지만 그것에 관심이 없다면 모른다. 대중적이지 않다. 그래서 패러디에 비해 일반인들은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물론 사전적 의미로 오마주는 '원작자에 대한 존경과 존중의 의미'를 담은 것이고 표절은 '작가 본인이 쓸만해보인다는 생각만으로 사익을 위해 넣은 것'이라는 차이는 있지만 어디까지나 작가 본인의 생각만으로 따지는 것이라 작가가 우기면 뭐라 할 수가 없다. 또한 오마주의 경우 작품속에 녹아들게 하는 만큼 알아보기 힘든 경우도 많고 그런만큼 이런 부분이 언급이 되었을때 논란이 생길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 모든것이 원작자의 인정 혹은 묵인을 전제하는 것이기에, 원작자가 부정한다면 작가가 존경심을 담았던 어쨌건간에 오마주는 절대로 성립될 수 없다.

일단 한국 법 상에서는 원작자의 판단에 전적으로 맡기는 것으로 그 기준이 정해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어찌보면 당연한게, 오마주도 결국 '원작자에 대한 존중'의 의미를 담아서 비슷하게 만드는 것인지라 원작자가 그 작품 자체를 꺼리거나 거부하는 경우 표절과 전혀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쉽게만 판단되면 편하겠지만 이미 고인이 된 인물들의 작품을 인용한다거나 아니면 외국의 작품을 인용하는 등의 경우는 원작자의 판단을 구하는 방법이 상당히 까다로워지거나 아예 불가능하기 때문에 법적으로 따지는 것이 어렵다.

2. 상세[편집]

가장 확실한 오마주의 기준은 "원작자에게 오마주임을 공지하고 허락을 받았느냐"이다. 오마주 허락을 받았으면 확실히 오마주라고 칭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킬빌》은 오마주를 위해 아예 원작자에게 허락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드문 편인데, 원작자가 해당 분야의 거장인 경우가 많기에 연락 자체가 힘든 경우가 많다. 연락이 닿았다 해도 오마주에 호의적인 원작자도 있지만 회의적이거나 부정적인 원작자도 적지 않다. 그래서 보통 원작자에게 허락을 구하는 경우는 많이 찾아보기 어렵다. 오마주는 대부분 원작자의 암묵적 묵인 속에서 겨우 성립하는 그레이존인 셈이다.

하지만 오마주의 대상이 되는 원작자가 이미 사망한 고전 작품의 경우 이러한 '원작자의 인정'같은 구분법을 사용하기 어려운데, 보통 오마주라는 단어의 뜻이 본래 '존경'이기 때문에 오마주라고 인정받는 경우는 보통 세월이 인정한 거장의 작품이며 오래된 작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쿠엔틴 타란티노의 《킬빌》처럼 마니악한 B급 영화들을 인용하는 경우도 있다. 인용한 작품이 발표된 지 불과 몇 개월, 몇 년밖에 안되는데다 원작자가 눈 뜨고 살아있으며 오마주임을 공지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처음에는 별 말 없었다가 나중에서야 오마주 운운하는 것은 유행이나 인기에 편승한 표절의 변명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이비의 《유혹의 소나타》 뮤비처럼 대놓고 FF7 AC를 표절한 뒤 오마주였다고 주장해봤자 씨알도 안 먹힌다.

오마주는 오마주의 대상이 가진 핵심 요소와 매력을 가져와 작품 전반에 활용한다. 예를 들어 놈놈놈은 석양의 무법자의 명백한 오마주이지 표절이나 패러디가 아니다. 패러디는 희화성 및 단편성을 띄며, 원작과 컨셉이 동떨어진 작품이라도 얼마든지 가져오고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패러디가 더 재밌어진다. 표절은 베꼈다는 사실을 비밀로 감추는 경향이 있다. 작품의 정신과 장르성을 계승하며, 작품의 영향력 밑에서 자신의 영역을 개척하는 것. 그것이 오마주이다.

또 한 가지 구별법이라면 작품이 공들여 만든 티가 나면 오마주로 인정되고 아니라면 그냥 표절로 매도당한다는 구별법도 있다. 오마주를 하는 작가가 정말 공을 들여서 오마주를 빼고서라도 작품의 완성도가 뒤지지 않도록 만든 다음에 고전명작의 명장면을 사이사이에 끼워넣는다면 오마주이고 오마주를 빼면 아무것도 안 남는 대충 만든 저질인 주제에 고전명작을 참조한 장면들로만 주목을 받으려 한다면 표절이란 것이다.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유명 캐릭터인 기동전사 건담의 샤아 같은 경우도 젝스 마키스나 라우 르 크루제 같은 경우는 오마주에 가깝다고 볼수 있지만, 단순히 빨간색이라서 세 배 정도 빠르다든가, 또 빨강에 집착하는 면모를 보인다면 패러디에 가깝다. 그리고 로빈슨 크루소와 방드르디의 경우는 패러디나 오마주라 하지 않고 주로 안티테제라고 한다. 그리고 풀 프론탈 같은 경우는 자기표절인지 그냥 표절인지 논란이 많다.[4][5]

다만 너무 과도하게 쓰이면 독이 되는 경우가 많다.[6]

네이버 웹툰 《와라!편의점》에서 꺼벙이의 오마주가 등장한다. 오마주가 무엇인지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독자들은 알아보지 못하고 그림체가 바뀌었다고 욕을 하기도 했다. 세월의 흐름이여![7]

2001년작 영화 《진주만》에서는 아예 이 단어가 등장한다. 주인공인 미 육군 항공대 조종장교 매콜리가 곡예 비행을 펼치고 불려가 상관 둘리틀 소령에게 갈굼을 당하는데, 뛰어난 비행사인 둘리틀에게 영감을 받아 따라했다며 변명하는 대사가 "An homage, sir.(오마주였습니다.)" 이에 대한 둘리틀의 대답은 "That's BULLSHIT, McCawley!(헛소리마라, 매콜리!)"그러나 그 후에 즉시 마이클 베이답게 "But it's very, very good bullshit."이란 개드립을 친다

2.1. 오마주에 대한 오해[편집]

우선 오마주-패러디-표절에 대해 크게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마주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원작자의 인정으로, 오마주의 대상이 된 원작자가 부정한다면 오마주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보통 오마주를 표방한 작품에 대해 원작자가 오마주를 직접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원작자가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고 묵인하거나 아예 존재조차 모르는 사례가 대부분이어서 간과되는 것일 뿐, 이러한 오마주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몇몇 작품의 평가란을 보면 오마주가 많은 것만으로 호평 받을 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오마주만으로는 가치가 없으며, 빌려온 것을 모티브로 삼아 다르게 재창작을 했을 때 가치가 있는 것이다. 영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혹은 의미있게 나오고, 영화 자체가 좋아야한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작품은 오마주가 넘쳐 나지만, 단지 그것만으로 극찬을 받는게 아니라 그런 요소들을 영화속에서 잘 활용하고 소화해내기 때문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반면에 매트릭스 이후 워쇼스키 자매의 오마주가 남발되는 작품들이 어떤 평을 받고 있는가?

또한 흔히 작품이 다른 작품과 유사성이 있을 때 오마주-패러디-표절의 세 가지로만 딱딱 구분지으려는 경향도 가끔 있는데 그 외의 경우도 존재한다는 걸 염두에 두자. 가령 인기 작품을 벤치마킹한 미투 제품이라던가, 표절까지는 아니라도 영향을 받은 것은 명확한 아류라던가, 혹은 그냥 우연의 일치로 비슷하게 나오거나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나무위키 안에서도 오남용되는 경향이 있다. 특정 작품의 어떤 요소가 기존에 있었던 다른 작품 안의 요소와 유사한 점이 있으면 무조건 오마주했다고 하거나,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는 식으로 서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역시 우연의 일치로 비슷하게 나왔을 수도, 또는 오마주가 아닌 패러디 등일 경우도 있으며, 그 작품의 제작자가 실제로 오마주를 했는지는 그 작가를 제외하면 아무도 모르는 법이다. 따라서 단지 비슷하다는 이유만으로 오마주를 했다고 서술하는 행위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시리즈 작품이 경우 이전 시리즈의 셀프 오마주를 한다는 기묘한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같은 작가가 자신의 전작에 존경을 표한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기에 잘못된 표현이다. 한편으로 다른 제작자가 와서 후속작을 만들 때 전작의 요소들을 가져다 쓰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 역시 오마주라 표현하기엔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것보다는 후속작이고 시리즈물이기에 공통점을 보여주기 위해 당연히 넣어야 하는 요소에 가깝다. 가령 어떤 회사에서 수십 년 전에 자신들이 내놨던 제품을 복각해서 다시 내놓을 때 예전 것과 디자인을 비슷하게 한다고 해서 이걸 오마주라고 할 수는 없다. 굳이 따지자면 전통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3. 오마주를 많이 하는 작가들[편집]

좀비왕: 본인이 기획을 맡은 플루토니움에서 다른 게임의 캐릭터 다수를 오마주라는 이름으로 외관 컨셉을 다른 게임들과 비슷하게 하다 표절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후 표절을 인정하고 캐릭터 몇몇을 바꾸긴 했지만 다른 몇몇은 그대로 남아 있어 지금도 논란이 많다.[9]

4. 자주 오마주의 대상이 되는 작품들[편집]

영화의 경우 아예 특집 기사가 나온 바도 있다.
[1] 영어로는 homage라고 표기하며, 호미지 혹은 하미지라고 읽는다. 프랑스어에서 영어로 건너온 단어인데, 영어로 건너오는 과정에서 m이 하나 빠져버렸다. 어째서 호마주가 아니라 오마주인가 하면 프랑스어에서는 어두의 H는 묵음이다.[2] 서양에서는 도구취급인 노예가 주인에게 하는 것도 아닌이상 어지간해선 신분차이가 있을지언정 하급자가 상급자 앞에 무릎을 둘 다 땅에 닿는 자세를 취하는걸 야만적이라 여겨 꺼렸다. 이 때문에 한쪽 무릎만 닿는 정도로도 서양에선 최고의 예절로 꼽혔다. 대표적으로 삼궤구고두례에 대한 조선과 서양의 인식차이가 있는데, 조선은 청나라에게 항복해야한다는 것+지나치게 상하차이를 느끼게 하는 방식에 수치를 느꼈으나 서양 사절단들은 무릎을 둘 다 땅에 닿아야한다는 것 자체로도 극도로 수치스럽거나 혐오했을 정도였다.[3] 여담으로 중세때만 해도 서임받기 위해선 무조건 피를 보여야 했는데, 칼등의 도구로 신체에 해를 입히기 보다는 좀 더 보편적으로 따귀를 쳐서 코피를 나게 하는걸 선호했기 때문에 서임식땐 주군이 기사의 따귀를 후려치는게 일반적(...)이었다. 현대에서의 창작물에서 흔히 보이는 칼을 어깨에 대는 등의 양식은 어지간해선 근세 이후에 만들어진 법식이다.[4] 해당 캐릭터가 원본이 동일 세계관 내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뜬금없이 등장하였고, 이전 캐릭터의 대사를 광고 같은 느낌으로 틈만 나면 발언하지만, 정작 캐릭터 자체의 매력이 없어서 그냥 프라팔이용 상업성 캐릭터라 느끼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오는 비판이다.[5] 위 캐릭터들도 자기 복제 논란이나 표절 논란이 있었던 걸 생각하면 오마주를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6] 예로 좋은 평가를 받은 전광초인 그리드맨의 후속편인 SSSS.GRIDMAN도 과도한 오마주로 인해 지적 받은 점이 있다. 이 작품은 특촬팬이라면 넘어가겠지만, 일반 애니 팬들은 어리둥절하거나 모르는 것들이 많기 때문. 거기다 액션 부분에서 제일 두드러지는 부분은 거대전 내내 이 오마주에 집중하느라 참신함이 느껴지지 않고, 그저 과거를 답습하기만 하여 매너리즘으로 보일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솔직히 애니 팬들은 이 애니에 나온 오마주나 메카를 무시하고 여캐만 밝힌다.[7] 참고로, 댓글 중에는 뚱딴지 아니냐는 글도 많이 보이는데, 해당 회차는 길창덕에 대한 존경심을 표하기 위해 그려진 것으로, 오마주가 확실하다. 길창덕에 대한 추모라는 말도 있는데, 만화가 올라갈 당시에 길 화백은 생존해 있었다. 사실 그림체 뿐 아니라 이야기 전개 및 개그 포인트까지 완벽하게 꺼벙이를 오마주하고 있어서 아는 사람은 척 보면 딱 안다. 김우영 화백의 뚱딴지도 길창덕 화백이 확립한 개그만화 스타일의 영향권 아래 있는 작품이라 꺼벙이와 닮은 면도 있지만, 분명히 다르다. 다만, 꺼벙이가 오래 전에 완결된 데 비해 뚱딴지는 2016년 이후에도 소년조선일보에서 계속해서 연재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들에게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오해가 생겨난 듯.[8] 안노와 친분이 있는 미야자키 하야오토미노 요시유키오시이 마모루는 오마주를 종합해서 멋진 영상을 만드는 그의 연출 실력은 인정하면서도 "안노 자신만의 것이 없다." 라고 비판하기도 했다.[9] 사실 해당 작품은 오마주냐 표절이냐의 문제보다는 기존에 체험판(데모)으로 무료로 배포한 것을 훗날 출시할 본편의 프리퀄이라는 핑계로 Steam에 거의 그대로 올려서 유료 판매하는 행위가 더 문제이다. 정작 그 본편은 출시는 커녕 개발 여부 자체가 감감무소식이다.[10] 던전 앤 드래곤의 오크의 경우 피부색이 녹색보다도 회색에 가깝고, 힘이 세긴 하지만 덩치는 인간이랑 비슷하거나 오히려 작은 

Run, Dirk, Run! Wrestling with the Willems Story – 606

キンバリー・シュミット「逃げろディルク」を読む。太宰治をパロディしたのは私だw。自分を追って溺れそうになった迫害者の命を引き返して救い、自らは捕えられて殉教したディルク・ウィレムスの物語は「ザ・殉教者の鏡」として広く知られる。しかし、ディルクの「無償の愛敵精神」は、夫のDVから逃げた妻に何を教えるか? 引き返せとでも? 夫を愛して暴力を受けろとでも? これはサバイバーでもある著者の葛藤の証しでもある。
ディルクだけが殉教者なのでも、殉教者がみなディルクのように殉教したのでもない。その当たり前の事実を、著者はヘレナ・フォン・フライブルクという1人の再洗礼派に注目して描く。彼女は(そう、ヘレナは女性である)キッツビューエル、コンスタンツ、アウグスブルクと、迫害から逃げて逃げて逃げ切って、殉教せずに死んだ。当局は「あの邪悪な女(Diese Bose Frau)」とよんで悔しがったという。『殉教者の鏡』にはもちろん載っていない。彼女の逃避もまた、ディルクの殉教と同様に語り継がれ、祝われるべきだ、こんにち私たちがあるのは、死ぬことよりも逃げることを選んだ再洗礼派のおかげなのだから、と著者は言う。
ほかにも『殉教者の鏡』には、史料としての正確性、殉教者の選定基準、殉教の経験をアイデンティティの核とすることの問題性など、困難が多い。それでも、この書物が『メノー・シモンズ全集』よりはポピュラーであることを、メノー派の1人として喜びたいと思う。
Kimberly Schmidt는 "Run Dirk"를 읽었다. 태극기를 패러디한 건 나였어 ᄏᄏᄏ. 자신을 익사할 뻔한 박해자의 목숨을 돌아서 구한 더크 윌렘스의 이야기는 '순교자의 장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Dirk의 "평판있는 사소함"은 남편의 DV를 도망친 아내에게 무엇을 가르치나요? 등을 돌리더라도? 남편을 사랑하고 학대를 당해도? 생존자와 피해자의 눈물에 대한 증언입니다.
Dirk가 순교자일 뿐만 아니라 모든 순교자가 Dirk처럼 순교한 것은 아니다. 저자는 명백한 사실을 한 재침례자 헬레나 폰 프라이부르크에 주목한다. 그녀는 (예, 헬레나는 여성입니다) 키츠부엘, 콘스탄트, 아우크스부르크와 함께 박해를 벗어나 순교하지 않고 죽었습니다. 당국은 '저 사악한 여자(디에스 보세 프라우)'가 유감이었다고 말했다. 당연히 순교자의 무덤에는 포함되지 않지. 그녀의 탈출도 더크의 불교처럼 이야기하고 축하해야 한다. 죽기보다 도망을 선택한 재침례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말한다.
역사적 정확성, 순교자 선택 기준, 불교경험을 정체성으로 삼는 문제 등 순교자들에게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래도 메노이스트로서 이 책이 ""메나우 시몬스 컬렉션""보다 더 인기가 있다는 것에 기뻐합니다. "
 
Hide Translation
 
Rate this translation
May be an image of book
Like
Comment







Run, Dirk, Run! Wrestling with the Willems Story – 606




606
Politics, culture, family and more. From a (mostly) Mennonite perspective.Skip to content
Home
About
About us
Contact
Twitter
Facebook
Google+
GitHub
WordPress.com

MARCH 26, 2018REBECCA
Run, Dirk, Run! Wrestling with the Willems Story



All month, Sixoh6 has asked some of the smartest women we know to share their work about other women in honor of Women’s History Month. Today, we are joined by Kimberly D. Schmidt, full professor of history at Eastern Mennonite University and director of the Washington Community Scholars’ Center.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Amish and Mennonite women’s social history and women’s histories of the Southern Cheyenne, and she teaches about local multicultural history, the histories of social movements, and the lived experience of poverty in Washington, DC. She is the author of Magpie’s Blanket, which was a finalist for a Women Writing the West WILLA Literary Award, historical fiction category, and Strangers at Home: Amish and Mennonite Women in History.

Today, she shares with a sermon she preached at Hyattsville Mennonite Church in Hyattsville, Maryland, on January 21, 2018. Readers may want to briefly review Leviticus 24: 17-20 and Matthew 5:38-42, both of which deal with the “eye for an eye” teaching of the Hebrew Bible.

*****
He’s everywhere. Pick up just about any Mennonite publication, online or print, and I’ll bet my grandmother’s sacred zwiebach recipe that Dirk Willems makes his ubiquitous appearance. As historian James C. Juhnke wrote, his image can be found “on church banners, Sunday School curriculum publications, church bulletins, conference brochures, periodical mastheads, newspapers, books, and even on the label for a [failed] Mennonite beer.” Apparently, he also inspires Tom and Jerry cartoon knock-offs and dog sweaters.[1]

There’s Dirk, skinny from being imprisoned and eating nothing but watery gruel, descending with knotted rags from his jail cell window and skimming across a frozen pond, escaping a certain death when his pursuer, a well-fed and hapless member of the local brute squad, falls through the ice.

So, what does Dirk do?

That’s right–Dirk turns, reaches back and hauls his would be captor from the icy currents. For his selfless heroism he is promptly re-jailed, tortured, tried and sentenced to be burned at the stake at dawn.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Dirk Willem’s story, as told in Martyr’s Mirror. Dirk is on the left, having turned back to reach his arms out to his would-be captor, who has fallen through the ice. Three men look on from the bank.

Now, that’s as far as most people get. Did you know that the pyre refused to burn? The wind was too strong and kept blowing out the “lingering fire,” leaving Dirk burned from the waist down but alive. Thieleman J. van Braght, the sixteenth-century author of the Martyrs Mirror, wrote that Dirk cried out in agony at least seventy times before the constable in charge implored the nearby executioner to find a way to quickly and mercifully dispatch Dirk.

Mennonites are people of the book. Our sixteenth-century Anabaptist Reformation was fueled not only by missionary zeal and disgust with indulgences and the corruption of the Catholic Church at that time, but by the printed page. Many early Anabaptist leaders were writers, printers, booksellers and theologians. We are named after Menno Simons, who chronicled our beliefs in non-resistance, but I think it’s fair to say that, more than Menno, Dirk captures our imaginations. Dirk is our “most popular martyr,” according to an recent article in Mennonite World Review, and his story has endured on the printed page in the Martyrs Mirror.

First published in 1660, the “Martyrs Mirror has functioned, and continues to function, as a measure of Christian faithfulness,” writes religious historian, David L. Weaver Zercher in his 2016 book, Martyrs Mirror: A Social History. He continued, “van Braght’s book has proven enduring, in part, because of his emphasis on “apostolic succession” — the idea that a small group of believers preserved the true gospel (characterized by nonresistance and adult baptism) in an unbroken line since the days of Christ. Thus, whoever claims ownership over Martyrs Mirror can also portray themselves as Jesus’ rightful heirs.”

Historian Ben Goossen in a review of Zercher’s book added, “Put differently, martyr tales are always about power, especially the power to induce social and theological conformity [emphasis mine].”

Dirk’s Martyrs Mirror story, defines Anabaptist-identifying people. In his article on Dirk, Juhnke cites “a missionary” who claimed that, “This story is quite possibly the most potent illustration in the Mennonite subconscious.”

I agree: Except for the Jesus story, it is the most defining narrative of our collective identity.

In the 1990s and early 2000s a number of essays were published in the Mennonite press about the relevance of the Dirk Willems story to Mennonite identity today. From what I found the authors all agreed that Dirk Willems should be celebrated, unconditionally. The Willems story, more than any other in the Martyrs Mirror, induces social and theological conformity in Mennonite churches.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Dirk Willems warns Mennonites not to expect to be rewarded for good works–a sharp contradiction to the American gospel of success.”

–He teaches us to have compassion for the enemy.

–He teaches us about self-sacrificial love.

–He teaches us about dying for our beliefs.

–He teaches us how to follow Jesus’s words and “turn the other cheek.”

There is much to applaud about the Dirk Willems narrative.

But, there are problems:

In 1997, I gave a paper at the symposium “Mennonite and Jewish Ethnic Identity in America,” held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At the conference were a number of adult children and grandchildren of Holocaust survivors and also Mennonite scholars and community people. When the aforementioned Juhnke told the Dirk Willems story, the Jews in the audience erupted with surprised laughter. They asked, “Why on earth would you go back to rescue your captor? Jews would never rescue Nazis. How stupid can you get?” The Mennos in the audience were dumbfounded. I’ve never forgotten the Jewish reaction to our most highly revered story.

Why has the Jewish reaction to Dirk Willems remained so powerful for me? Probably because of its relevance to my life, both personally and politically.

Mennonite women suffering from abuse and harassment and who are encouraged to embody the Dirk Willems story face a double bind: First, they must rescue their abusers. Second, they must submit to their abusers. I would go so far as to argue that rescuing an abuser is an act of submission. Victims must, as Goossen wrote, adhere to the martyr story as it induces social and theological conformity. To decide not to go back, to not reach back and rescue your captor goes against our primary theological identity. It is something most of us are not willing to challenge.

How many times did I go back and try to “rescue” an abusive husband? I still wonder at how blind I was. During our courtship,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to his court records, his run-ins with police, his lack of boundaries with female friends, and his belligerent behavior at parties and with waiters, shop owners, and those who are hired to serve in businesses where the “customer is always right.” These confrontations during courtship escalated in marriage to fits of anger, violent rages directed not only at others but also at me and our children,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buse. By the end of our marriage, when I had finally given up hope in redemption, I remember thinking, “Don’t go back. Don’t pull him out of the water again. Just let him drown.”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The Dirk Willems story taken with no criticism, no thoughtful analysis, and no alternate narratives can hold people in abusive, trapped places, especially when relational power dynamics are skewed.

The struggle I had with rescuing my now ex-husband resulted in revictimization.[2]

I knew that pulling him out of the water would result in once again having to protect myself and my children from his violence.

I knew that pulling him out of the water resulted in codependency. I stayed with him in spite of his unhealthy behaviors and supported him at the cost of my own mental,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Pulling him out of the water was not a healthy choice.

Pulling him out of the water resulted in years of shame and silence.

I don’t doubt that the Willems story holds powerful truths for many, but with this sermon I am issuing a clarion call. We’ve taken it too far.

I am not the first to express skepticism. Writing in 1992, Melvin Goering wrote, “Th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social context of Mennonites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re so different from the world of Dirk Willems, a comparison raises doubts whether the martyr stories can provide guidance for the 21st century.” In 2002, Ross L. Bender introduced class when he questioned how wealthy BMW Mennonites could possibly identify with a sixteenth-century outcast. With this essay I am introducing gender as yet another dynamic and analytical tool. How does the Willems story change when gender is introduced?[3]

As an abused wife, I could not be helped by Willems. I needed an alternate narrative, one that pushed me across that frozen river and shouted at me to keep running.

Lest some of my audience sitting comfortably in pews think, “Well, that’s just one woman,” let me remind you of the #MeToo Movement, now bringing down men in high places.

Let me remind you of Roy Moore’s alleged sexual abuse of teen-aged girls, which thankfully cost him an election, if nothing else.

Let me remind you of the women’s marches held across the country and around the world.

And, let me remind you of the legions of women who came forward to finally level charges at the celebrated Mennonite theologian, John Howard Yoder. In this case, the personal has become unabashedly and powerfully political. In these cases, Dirk is a woman and Dirk needs to run. Run, Dirk, Run.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Probably because of the Groper-in-Chief’s presence in the White House, so-called women’s issues, sexual harassment, and abuse of power are in the headlines. I say “so-called women’s issues” because the great majority of perpetrators are men. Women are predominantly the victims of these crimes and men are the abusers so why are these called “women’s issues?” Seems to me abusive men are the ones with the issues.

So how can we as a community respond to the overuse of Willems?

I suggest we come up with alternate narratives.

Here’s one:

Helena Von Freyburg, another early Anabaptist leader, ran.[4] She was a noble woman in Kitzbühel, in present-day Austria, under fire from Hapsburg authorities during the Anabaptist Reformation. When her position, title, connections, marriage to a powerful man, and personal wealth couldn’t protect her, she did not submit. She did not rescue. She ran, first to Constanze, in present-day Switzerland, then to Augsburg, in present-day Germany. In all three locations, KitzbühelKitzbühel, Constanze, and Augsburg she formed congregations, testified, and used her considerable resources to protect her fellow fleeing Anabaptist refugees. She did not submit to authorities. In fact, she outwitted them on several occasions. The Swiss authorities were so frustrated with her that they called her “die bose Freybergerin,” (the evil Freybergerin): A “nasty woman” of her day.

At one point the ecclesiastical leaders of Kitzbühel said they would allow her back into the city without imprisonment if she would renounce her faith, publicly, and on Sunday morning during church services. It was thought that her public renunciation would severely damage the local Anabaptist cause. She agreed to this plan. But, then she must have thought better of it. She contacted a low level Vicar and gave her testimony in private. There was no public recantation. Soon she was back to her usual habits of harboring Anabaptist refugees in her castle, hosting church services, planning debates between theological luminaries, and teaching and praying with locals. Much to the frustration of the Hapsburgs, the congregation began to grow again. Auch meine gute. Diese Bose Frau–that evil woman! Eventually the pressure became too great and she fled from Kitzbühel. She died in Augsburg. She was one of just a handful of early leaders to die a peaceful death. In Helena’s case, Dirk was a woman and she kept on running.

Helena’s story presents an alternative narrative, one in which the would-be martyr outwits authorities and escapes. Her escape should be just as celebrated as Dirk’s martyrdom. After all, are not Mennonites also people of the road? Until settling in North America we were a migratory people. Stories that didn’t make it into the Martyrs Mirror but that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our families include sliding through hidden trap doors in barns to escape the Täuferjäger, the anabaptist hunters.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Helena’s story also presents an equally powerful, moral narrative where a woman takes smart, life-affirming action. She escapes oppression and actively builds and leads a strong supportive community.[5]

Another response to Dirk’s overuse is to come up with alternate visions of Dirk.

If Dirk becomes a woman, he can also become group of people. What if Dirk is not alone? What if that ubiquitous lithograph from the Martyr’s Mirror pictures a group of people, standing on the ice, pulling the jailer out of the water but also blocking him from reaching Dirk. The jailer is confronted. Dirk gets away. Dirk doesn’t get burned.

This second response involves more community involvement. I know from personal experience that in some cases you can’t keep turning the other cheek in Christian love and expect the situation to change. Someone other than the victim needs to call the perpetrator out. Someone other than the victim needs to box him in. Someone other than the victim needs to come up with accountability measures. The victim shouldn’t have to be the only one doing all the rescuing.

Here I turn to the work of Marty Langelan, a community safety expert who teaches anti-harassment workshops throughout our region.

Good men must recognize that this is men’s issue. Good men must step up. Women confronting abusive men on their own are rarely successful without male allies. I don’t think I am being anti-feminist to recognize the gender imbalance still present in our society and to call on men to help do the rescuing. Until our culture shifts, and I think it’s shifting now, women need men to help do the heavy lifting.

Not just women but men, too, must confront the chasing, abusive men and call them out to change their behavior. They must be willing to take risks and run out onto the river and over that frozen ice. They must risk drowning to support the victims. If they stay on shore, they remain silent bystanders, they perpetuate the power imbalance and embolden and validate the abusers. And, Dirk gets burned once again. Abusers and bullies look to other men for validation. When this stops, they will stop.

I’m tired of watching women burn. I’m tired of being burned.

Langelan writes, “We all have a moral imperative to take action — individually as [active] bystanders and collectively as a community. It’s our responsibility to provide escape routes, resources, and a community moral framework that frees the oppressed (and does not burden the victims with the duty to rescue their oppressors).” [6]

I ask that we change our images and pictures of Dirk to include a host of people on the ice. Not just two men, but women and men, shielding Dirk, hauling the jailor from the ice, calling into account. Protecting and rescuing. The community, women and men, need to stand with Dirk.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But until that happens, until our culture truly shifts and victims, be they men or women, aren’t alone on that ice, I say:

Run, Helena, Run!

Run, Kim, Run!

Run, Dirk, Run!

Amen.

****

[1] Artist Ian Hubert created several drawings for Tongue Screws and Testimonies: Poems, Stories, and Essays Inspired by the Martyrs Mirror. Kirsten Eve Beachy, ed. (Scottdale, PA: Herald Press, 2010). This one, “Views from a Pond: Dirk–Cat and Mouse” serves as the frontispiece for the chapter, “Enemies”:



Below, your dog can now share the good news of Dirk Willems!

[2]After I wrote this sermon, I read Stephanie Krehbiel’s essay “Staying Alive: How Martyrdom Made Me a Warrior” in which she wrote that because of the Martyrs Mirror she “associated Mennonite-ness with victimization.” In Tongue Screws and Testimonies: Poems, Stories, Essays Inspired by the Martyrs Mirror, Kirsten Eve Beachy, ed. (Scottdale, PA: Herald Press, 2010): 133-44.

[3]Ross L. Bender, “Writing for Mennos, or not” in Tongue Screws, op cite, 260-1. See also, Melvin Goering in “Dying to be Pure: The Martyr Story.” I may be the first to explore the limits of martyr narratives in terms of gender and abuse dynamics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4]For biographical information on Helena Von Freyberg see C. Arnold Snyder and Linda Huebert Hecht, eds. Profiles of Anabaptist Women: Sixteenth Century Reforming Pioneers. (Waterloo, ONT: Wilfrid Laurier Press, 1996).

[5]Marty Langelan, email correspondence with author, January 22, 2018.

[6] Ibid.

Advertisements

REPORT THIS AD

Share this:
Twitter
Facebook


UNCATEGORIZED


Published by Rebecca

I blog about higher education with a focus on online education, equity, and justice. In addition to my scholarship on higher ed, my research addresses hate, religion, politics, and the law in the contemporary US. My PhD in American studies has allowed me to teach courses in sociology, history, anthropology, and women's and gender studies. I'm currently in academic administration, where my work focuses on supporting faculty for sustainable, just teaching during the time of COVID. View all posts by Rebecca

화자 - 나무위키

화자 - 나무위키

1. 話者[편집]
話者 / Narrator
말하는 이[1]

이야기를 하는 사람. 일상생활에서 말을 하는 사람이란 뜻도 있고, 문학에서 말하는 사람이라는 뜻도 있다. 문학에서는 말하는 사람이 있다. 말하는 사람이 없다면 이야기는 성립할 수 없다. 따라서 화자는 이야기의 필수적인 요건이다.

주로 시에서의 말하는 이를 '시적 화자' 또는 그대로 '화자'라고 하고, 소설의 화자는 '서술자'라고 한다.

또한 ㅇㅇ국어 사용자를 'ㅇㅇ국어 화자'라고도 말한다. 예를 들면 한국어 화자, 중국어 화자 등.

반대말은 듣는 사람이라는 뜻인 청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