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Engaged Buddhism.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Engaged Buddhism. Show all posts

2020/09/11

Secular Buddhism Australia: Connecting

Secular Buddhism Australia: Connecting

Secular Buddhism Australia


Adapting the Buddha's teachings to this place and time

Connecting
Blog
Links
Resources for the mind
Resources for the heart
Podcasts
Downloads

Connecting
In addition to the blog we'd like to offer a means of getting involved in the Secular Buddhist community as well as resources to help people start or maintain such groups. The opportunities to get involved will include meditation/learning groups around Australia as well as events both in Australia and internationally as they arise. If you know of other meditation groups with a secular Buddhist orientation, please let us know with the form below.



ADELAIDE

Ashtree Sangha
Where: Centre Om, 7 Compton St, Adelaide
When: meet every 2nd Sunday of the month
What: 45 minute sit, discuss the sit, then go through a text.
Contact: Anna Markey on 08 8555 2588

Our teachers

Anna Markey

Picture
Anna Markey was introduced to Buddhist practice in India in 1983.  She took teachings from a variety of Tibetan teachers and attended retreats with insight teacher, Christopher Titmuss, the same year.  She has practised insight meditation ever since.  Anna also practised for a number of years with a Zen group in the tradition of Thich Nhat Hanh, and in the Burmese Mahasi method of practice with Patrick Kearney.  For ten years she studied with Jason Siff and now works with a collective of teachers, using an experience based practice  approach in her retreats and regular groups.  Anna is interested in using this gentle and transformative approach to meditation and dharma to change one’s relationship to our inner and outer worlds.  She also is interested in teaching meditation to children.  


MELBOURNE

Where: CERES Learning Centre, Lee St, East Brunswick
When: Monday nights
Contact: http://www.melbourneinsightmeditation.org

Where: Buddhist Society of Victoria, 71-73 Darling Rd, East Malvern
When: Wednesday nights
Contact: http://www.melbourneinsightmeditation.org


SYDNEY

This link lists several insight meditation groups in the Sydney areas most of which have a reasonably secular orientation: Sydney Insight Meditators



-------

Basic meditation guidlines

For people who are new to meditation, the following guidelines can be useful.  If you already meditate, you may want to follow the practice you are used to, or you may like to give these guidelines a try:
  • Find a quiet spot to meditate where you most likely won’t be disturbed by others or by the phone.  Decide how long you are going to sit (anywhere from 10 to 40 minutes) and either set an alarm or have a clock nearby to peek at on occasion.
  • Sit in a comfortable posture, one that you feel you will not need to change for the duration of the sitting, either on a chair, a couch, a meditation mat or a cushion.  If you find you do need to move during the meditation sitting, try to move slowly and quietly into a more comfortable posture. 
  • Close your eyes and bring your attention to the touch of your hands resting one on top of the other in your lap.  But don’t hold your attention there.  Instead, allow your mind to go where it will.  If you are drawn into thoughts, feelings, memories or fantasies, let your attention go there.  Your attention may at times be drawn to sounds, bodily sensations, fragrances or odours, or your breath.  
  • When you feel that you have been away from the contact of your hands for several minutes, you can remind yourself to come back to the hands and stay there for a few seconds before allowing your mind to wander again. 
  • If you feel restless, bored, confused, discouraged, elated, sleepy, upset, anything – it is okay.  You don’t have to do anything about it or, if you choose to, you can bring your attention back to the touch of your hands.  But if you do, only stay with your hands for a little while, and then, if your mind wants to go back into the feelings or thoughts that you left, you can let it go there.  If something else draws your attention - let it. 
  • When the meditation sitting is over, take a couple of minutes to mentally recall what you can of the sitting.  You may also decide to journal your meditation sitting.  

Allowing life into meditation
Regular feedback after Ashtree Sangha monthly meeting 

In February we had a brief discussion on the benefit of allowing meditation as a time to contemplate and review the day’s events, interactions or dilemmas.

This may not be what you would expect or wish of your meditation practice but sometimes this “mulling-over’ just occurs anyway and often it can be interesting just to go with it.  Allowing one’s mind to do as it wishes can be a useful practice.  Often there’s something to be learnt or resolved… and sometimes it allows us a window into how one’s mind operates and how such thoughts and emotions are supported or how they grow.  If you like, this is the first Noble Truth.  There is Dukkha.  There is our experience

Sometimes this ‘reviewing and mulling’ occurs in the medit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daily life into a more settled state, but it may also exten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especially if there is an issue in your daily life that really does demand your attention.  Such issues can linger in some form, unless a level of resolution or change occurs.  If you journal after your meditation then you may look at the content of your replays, the emotions and ‘tone of voice’ behind them and their familiar or not so familiar qualities.  What are they all about?  What keeps things going?  A new way of working with them can evolve.  This can be where the second Noble Truth plays a part.  There are many causes and conditions for our experience, that we can see into.

I think of this as ‘allowing your life into your meditations’.  You are offering a space for wisdom or understanding to be gleaned … you are allowing a way of bringing a settled mind to something that has come back and maybe needs contemplating…you are just being more receptive to your experience.  If you stay with the stories, contemplating them and practising outcomes and scenarios, seeing them for what they are, then maybe a solution will occur.  Perhaps you will see a new way of doing something or you may do something differently next time.  By giving your experience understanding, time and space, it will bring a change.  This is the third Noble Truth…cessation.

This ‘reviewing and mulling’ can be a place where ethics is brought into your practice…where your daily life really intersects with your meditation and feeds what the Buddha considered to be the path towards liberation.  The aspects of the 8-fold path that he spoke of involve ethics, wisdom and meditation.  What may appear as an indulgent or repetitive stewing over the days previous conversations and events, can offer a good opportunity to review and therefore learn about your views, thoughts, speech, actions and aspects of livelihood.  Here we work with the fourth Noble Truth.

SO the invitation is to really be a little more forgiving and perhaps more receptive and curious with those times when your life comes into your meditation practice.

Anna Markey
March 2013


Download PDF version, 131 kB

Talks

2016 Other talks
​Download talks by Anna Markey on Dependent Arising:
Dependent Arising of Views (20160718)
Dependent Arising of Language (20160926)

2016 March Glenbarr Retreat
​Download talks by Anna Markey at this retreat:
1 Back to basics
2 You just cant go wrong
3 Mindfulness, conc and other mind states
4 How to get rid of things
2014 April Glenbarr retreat
Download talks by Anna Markey at this retreat:
Dharma in daily life
Dependant Arising and the implications
Changing our relationship with the mind
2013 September Glenbarr retreat
Download talks by Anna Markey at this retreat:
Remembering
Seeing things for what they are
Habits and the unexamined
Expectations and assumptions
December 7th, 2014

WHY RECOLLECT by Jason Siff

 There are meditation practices that may seem similar to Recollective Awareness Meditation. What most of these practices don’t have is the practice of recollecting the meditation sitting afterward, mainly because they teach that everything of value happens in the meditation sitting or in the present moment. Proponents of those meditation practices may even believe that recollecting one’s meditative experience is not constructive. In response to that belief, I have written down five reasons why I believe recollecting one’s meditation sittings is not only constructive, but also essential for developing an open (unstructured) meditation practice.

1.      When we intentionally recollect what occurred during a meditation sitting, our memory of what happened during it improves. Not only that, we can then value the kinds of positive experiences that meditation brings, such as periods of calmness, clarity, greater tolerance of difficult emotions, and insights into how the mind operates. This way of remembering positive developments in our meditation practice can create more trust and confidence in the meditative process, as well as greater recognition of these positive experiences when they arise.

2.      We make things out of our meditative experiences. That is natural. We experience a deep state of peace and turn it into an ultimate state of mind that we now want to be in all of the time. On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we feel sad, lonely, and forlorn, and then worry about slipping into depression. By recollecting our experiences in meditation and either writing them down or talking about them with a teacher (or in a group), we may become more aware of what we have made out of our experiences and be able to question these narratives. If we don’t recall the narratives that are created in meditation, then we will most likely be subject to them; but if we do recall them and look into them, then we may become interested in exploring them further and find ourselves believing in them less and less.

3.      We tend to use particular words and phrases to describe our experiences. We may be able to catch ourselves using particular labels while meditating, but for the most part, we won’t become fully aware of how much credence we give to these labels until we begin writing down our sittings. The meditation journal itself can be investigated to see how often we use certain words and phrases, and we may even notice that we have difficulty articulating some types of experience but not others. When we have more detailed descriptions of our meditative experiences in our own words, we can then know what we know about them and what we still have doubts and questions about. Until then, we are operating on the assumption that our experiences somehow match or conform to the labels we have used to categorize them. And that is not a place of self-knowledge, at least of the depth and breadth needed to comprehend what keeps certain thoughts, feelings, habits, behaviors, and intentions alive and active.

4.      In an open meditation practice, such as Recollective Awareness Meditation, we can slip into tranquil states that have a sleep-like or trance-like quality. When we emerge from these states, we may not be able to remember much, even though we may have felt somewhat aware of what was going on during them. Recollecting what can be easily recalled about these experiences can aid in the development of more awake and aware tranquil states. The kind of recollection that is done with these hard-to-recall experiences is to start with something that can be easily remembered. We might be able to recall if there were any images, sounds, words, thoughts, or bodily sensations; and on occasion we may even sense that there was some kind of subtle vibration, texture, or mood present during parts of the sitting. Most likely, only bits and pieces will be recollected, and that is enough.

5.      Recollecting the meditation sitting afterward is done instead of trying to do a specific meditation technique or apply a strategy. Instead of trying to do a technique to create some kind of tranquility, we allow the mind to find its own way of settling down, and then after the meditation sitting we recollect how that came about. The same holds true for other aspects of our meditation sittings, such as how we went through some difficult emotions, a long stretch of repetitive thoughts, a period of boredom, agitation, or confusion. Only by recollecting how we went through such experiences will we know the choices that were made and how they came about, thus informing us as to how the meditative process works in our meditation practice—it is not just letting go and trusting in a flow, but a complex process of navigating our dynamic and delicate inner world.

Jason Siff


New Recordings Available

Why Recollect 1-3

Insight Meditation Center Berkeley, Nov. 2014

Inner processing in meditation


Processing of psychological material is not often seen as something one does in meditation, and yet most meditators do a fair bit of internal processing of emotions, memories, and plans when they sit. With Recollective Awareness, where all of a person’s thoughts and emotions are allowed, such psychological processing occurs quite frequently, and will often lead to greater self-acceptance and new insights. But it can also lead to something that is definitely in the realm of meditation: calm, focused, and clear states of mind. It even engenders these “optimal” states of mind in the service of processing and looking more deeply into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certain psychological issues, whereas such states in more traditional forms of meditation are utilized to focus on prescribed objects of meditation or follow a set progression of deepening concentration.

In my theory of meditative processes, I sketch out a progression that some meditators may experience. It starts with how one begins a meditation sitting. In this case, it is carrying the thoughts and emotions that one experiences into the meditation sitting. There is no stopping of those thoughts and emotions in order to focus on the breath, take refuge in the Triple Gem, think thoughts of loving-kindness, or any such preparatory practice. One just adopts one’s meditation posture and allows what was going on before the sitting to continue. By doing so, one is immediately open to one’s thoughts and emotions, usually getting caught up in them. This way of orienting oneself to one’s inner world at the beginning of the sitting will naturally lead to going along with anything that beckons for attention, and will facilitate a kind and gentle way of relating to oneself, especially since there is nothing else one is supposed to be doing (such as bringing one’s attention to the breath).

Someone who is just embarking on this way of meditating may find the thoughts and emotions going on for some time in the first sitting or two, but I would caution about being discouraged by this. For there may also be times when the thinking dies down or a particular emotion subsides, and a period of being calmer and less preoccupied follows, even for just a short while. At such times, one may find one’s attention going to the breath, bodily sensations, sounds, light, images, colors, or anything else that might arise. 

At some point, one may notice that instead of getting caught up in the thoughts and emotions regarding a particular issue, one is looking at the thought and emotions and uncovering different things about it. Here is an example from a meditator’s journal: I became curious about familiar processes, the way in through awareness of tension in the body and then opening into associated conditions. What emerged was acknowledgement of desperation, a whole mode of desperation and its various associations and conditions, current and developmental. It was associated with a specific pattern of physical tension, especially across the upper back and neck and into the rib cage as well as the jaw and cheeks in the face. Then tensions in the belly that went lower in the body spreading to the buttocks and legs. Desperate about money, finances, what to do, how to develop a meditation community, buying a Christmas tree, canceling the party, work issues: a process of suppressing desperate survival emotio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world. Opening and allowing and arriving at this desperation, this fear. In the process, deepening calm and silence and much more space between thoughts and stories. Not completely dropping desperation, but much more aware of it and much calmer. 

There may not be a realization or insight at this point, but there is a way the material is getting processed so that an insight might be possible. If one looks for insights early on in processing emotional states, such as “desperation,” then one may be pushing oneself toward quickly ending the processing. But if one gives oneself time to process further in meditation (and also outside of meditation), then something that one hadn’t known or acknowledged before about oneself can come to light. The meditator’s journal continues: Seeing how other people cannot provide this security, I recognized something about the practice itself providing it, being a true home, but what about it? Doubts/curiosity/wanting to understand... sensing I wasn’t quite getting it somehow, not quite articulating it... seeing it is not a thing to understand but a trustworthy process of deepening understanding... and one shared with others. Recognizing that this is something I need to cultivate more in my life, wanting to, needing to—this emerging through questions of how to navigate current life that are both arising through the desperation and then settling deeper than the desperation where I also recognized trustworthy directions in life. This emerged in a more crystalized form after I had stopped meditating and sat down to journal the practice, for I dropped into the meditation again and there was the desperation again and it shaped in the form of the inner traumatized child.... not feeling safe at all... and the sense of myself as trustworthy adult responding, addressing my parents briefly, reprimanding them on their emotional deprivation of me in childhood, hearing “their assent” to my way of seeing them. I did not spend much time on these familiar processes that are slowly evolving over time—instead discovering how refuge is what I described above, these processes of understanding within myself and shared with others, that this is refuge, this is safety, this is the direction that needs, and, is worthy of, cultivation. 

In this kind of processing, there may be no “Ahah!” moment, but rather a gradual building up of an understanding, one that seems to arise again and gets worked on as it is applied to the issue at hand. Though spontaneous realizations or “epiphanies” may also occur, they are less frequent, and one may still have to go through a process of applying the understanding to the issue and seeing if it makes sense from various angles. Such an exploration does seem to produce a new, more refined and intelligent narrative of the issues that have been processed, one that is more firmly based on having gone through the psychological issue within one’s meditative process rather than having thought it through or having it interpreted by another person. 

Recollective Awareness meditation does help people question narratives that are faulty and dysfunctional. If that were all it did, it would be worth doing. But it also helps people find narratives that are more accurate, authentic, and beneficial. Isn’t that something meditation should be able to help us with? Isn’t that what a mature search for truth is about? Not looking for some transcendent or ultimate reality to change everything, but rather looking within at what is true about one’s psyche and what kind of life is truly beneficial. 

Jason SiffDownload PDF version, 141 kB

Control

Regular feedback after Ashtree Sangha monthly meeting 


As we spoke of our meditations in this meeting one of the topics that arose was that of control.  It’s easy to see how we assume that we should be in control of our body/mind.  This is often held up as being our aim by some teachers or traditions.  Meditation can then either become a place that accentuates our lack of control and therefore leads to disappointment, judgement or unkindness to ourselves, or becomes a battlefield to gain this control or a place where control is gained.

In being invited to let go of that wish for control, we can see that it’s easier said than done.  The drive for control can become a habit… maybe even in layers of subtlety, which may take a while to see and let go of.  Yet again, something to “Unlearn”!

However we may not be convinced that control needs to be let go of.  We are human beings with intellect and choices.  Being in control of something seems useful.  What of “right effort”?  How else do we achieve our aims?

If we go to the suttas we see that even the discussion “right effort” is framed by the Buddha as being a process of seeing what works and what doesn’t, and fostering that which seems useful and letting go of that which isn’t.  To foster that which is useful involves actually being with your experience long enough to see it as it really is, become familiar with the raw face of it… what brings it about?… what are the results?  What maintains it?  Despite the long lists given in the suttas, the invitation is to not learn these lists off by heart but to actually  notice if you experience such qualities in your meditations.  This cannot occur if you shun them.  Be with your thoughts and emotions.  Allow them to flow as they wish in order to see their dependently arisen qualities.  We often need to look back on the process after the fact, as it’s difficult to ‘be aware’ during so many of our mind states/feelings etc.  Bringing awareness to them at the time often stops or changes them.

In the Satipattana Sutta, Buddha speaks of being with your body/feelings/thought/conditioned experiences, to “the extent necessary for knowledge and remembrance”.  This phase is repeated for each foundation.  To me this invites internal discernment as opposed to ‘control’.  The ‘extent necessary’, will vary each time.

This isn’t totally a prescriptive process.  It’s a question of what’s useful or not useful for you.  You modify the process when it’s no longer useful or if it’s distressing, overwhelming, or too intense for YOU - not another person or teacher.  Experiment!  These are not rules, they are invitations.  How can we be both kind AND wise within our own experience and body/mind?  How can we see and know what is causing such distress, boredom, angst, and how it fades away?  How can we be with our experience and be at peace at the same time?  You might have different questions to these.  Use them in your practice.  This is employing curiosity, not control!  Curiosity has neither attachment nor aversion.  Control employs both.


Anna Markey
March 2003

(Download PDF version, 131 kB)

Teachings

buddha

Teaching 1: 'The Freedom of the Uknown' by Will James
Teaching 2: 'Simplicity' by Will James

The Freedom of the Unknown
Will James

We are all very comfortable with the familiar and a little uncomfortable with the unknown or uncertain.

We have this habitual tendency to interpret the present with the constructs we have built up from the past. We carry over our impressions and overlay them onto what is happening now, thus interfering with the natural spontaneous flow of life. In looking for the familiar there is a tendency to distort the present experience, for the ideas and concepts of the known, which are always carried over from past experience, cloud the mind and limit the openness to any new experience.

We also bring from the past experience our fears and anxieties. This inhibits and restricts our willingness to be open to new experiences. We narrow and fence ourselves into a restricted area of the familiar by imagining all the possible harmful outcomes that may arise. We are talking here about the psychological fears and anxieties, our imagining what might happen and the uncertainty that goes with that. We are not talking about the learnt survival responses that protect us from physical harm.

Facing the present moment afresh is a challenge for all of us, can we recognize the uncertainty of each and every moment and still remain open to each new experience.

All these behavioural patterns arise as some form of protection mechanism for the self, for the construct that needs continual reinforcement and affirmation. The self is inherently insecure for the very reason that it exists as a separate solid thing only in our imagination. The more fears and anxieties we have the stronger our sense of a separate self and also the more restricted and controlled we become.

Is it possible to live free of this conditioning, this construction?

We don’t need to practice extreme sports or to be constantly putting ourselves into dangerous situations, actually every situation is uncertain and at any time anything could happen.

Are we taking each moment for granted, feeling a false security that today will be just like yesterday? Can we be open to whatever arises without feeling we need to be prepared or protected by our knowledge and our concept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fear of uncertainty comes a freedom that is not imprisoned or restricted by the known and opens the unlimited possibilities of the unknown, the full expression of just this unfolding life.

top of page

Simplicity
Will James

Our modern society can appear incredibly complex and brutal and often motivated by greed. We only have to look at the recent financial crises to see this insensitivity and exploitation at work. This insensitivity, confusion and complexity is contributing to alarming levels of stress and anxiety on man as well as pressure upon society and the environment on which he depends. Young couples are trapped in mortgage and financial pressure, anxious about the security of their jobs and hence their ability to finance their loans.

For some a response to this confusion and entrapment can be to try and simplify their situation; to try and live a less complicated life. For many however this is not an option as many are slaves to the system of debt and repayment.

Many of us of a certain age are familiar with this situation; some actually remember the seventies. Many believed that by simplifying their lives they would bring about a radical change and awaken some understanding of the human condition. Simplicity however is not merely imitating others or withdrawing from society or adopting some belief however noble.
Simplicity that is fundamental and real can only come about by an inner understanding and cannot be enforced outwardly. From this inner understanding outer simplicity becomes a natural outward expression.

Life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plex, change is occurring faster and faster and the answer to this is not necessarily to withdraw from society. How to find that simplicity of mind that enables one to be more sensitive to our own needs and to the needs of others and society?

It is this inner simplicity that is so essential because simplicity creates sensitivity and receptivity. A mind that is not open, that is caught up in its own superiority and desires can never be sensitive or receptive to life. When all our attention is caught in our thoughts, anxieties, views and opinions then we are self obsessed and isolated from the world around us.

We can only be inwardly simple by being aware of the complexities that we are caught up in and consequently being aware of that which obstructs and blocks sensitivity and an open receptivity to life.

What is it that impedes our direct experience? Surely it is our accumulation of beliefs, ideas, views and fears that we cling to. We are prisoners to our ideas, our desires and our views from the past. Simplicity cannot be found unless there is a letting go or freedom from the accumulated constructions of the past.

The mind is full of past impressions and sometimes we feel that the answer is simply to get rid of all the excess mental junk. We think we need a garage sale of the mind, boxes of secondhand fears, used ideas, worn out theories etc. need to be discarded and that we need professional de – clutterers sometimes called Dharma Teachers to help us.

We could spend the rest of our lives trying to simplify our inner life and in doing so only make our minds more complex. This process would be made even more difficult because we would continue in the meantime to acquire more mental impressions.

The only answer to this dilemma is to instantly see the whole process of complication and in the very seeing free ourselves from the habit of accumulation.

When we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inner and outer world, we see that they are intimately connected.

We see the suffering, the conflict and pain that is present and by facing these truths openly and honestly, the pathways to inner simplicity open.

The Buddha understood this connection, hence the eightfold path, which focuses on giving attention to both the inner and outer areas of our life.

It is also through inner simplicity that creativity is possible. What becomes possible is a life of improvisation, where each experience is fresh and new, undistorted by the past and met with a sense of innocence and wonder.

Our problems, social, environmental, political and spiritual appear so complex that we think we need ever more complex solutions. The mind that is so full of facts borrowed from other people, a mind that clings rigidly to concepts and ideas; that mind is incapable of simple direct experience and it is through the simple direct experience that the truth is revealed and solutions are found.

A simple, unobstructed mind is free of the whole concept of becoming, free of being caught in the prison of time.

When we see our desire to become some idea of who we think we should be, we realize that this is only adding more complexity. We see it as a movement away from simplicity therefore we let go of all forms of “becoming”. Can we totally let go of trying to change ourselves for the better? For surely in trying to change there is only tension, suffering and disappointment.
The natural expression of inner simplicity is a loss of infatuation with oneself and one’s own needs and a greater sensitivity to the needs of others.

True simplicity is not something you can pursue, it is not something you can achieve or an experience you can have, but rather it is a quality of mind. Simplicity is like grace or like a flower that simply opens when the time is right.

It is a mind free of reaction, free of fear and paranoia, it is that innocent mind of wonder and love, it is always already present if we only step aside and allow it to blossom. All that is needed for this blossoming to unfold is a deep trust and the courage to face life honestly, directly and openly.

 
 
top of page

2019/10/01

오강남 -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 신비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오강남 > 연구논문 | 바보새함석헌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
- 신비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오강남 (리자이나대학교 명예교수 종교학)

들어가는 말


제가 함석헌 선생님을 뵌 것은 몇 번에 지나지 않지만 제가 받은 강력한 인상으로 인해 이런 만남들을 아직까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1963년 8월 대광 고등학교에서 시국 강연을 하실 때 수많은 청중에 끼어서 흰 두루마기를 입으신 함 선생님의 모습을 처음으로 뵈었고, 그 후 대중 강연 때 몇 번 뵌 적이 있습니다. 특히 1978년 제가 캐나다 에드먼튼에 있는 알버타 대학에서 가르칠 때 친구 김영호 교수의 주선으로 함 선생님이 알버타 대학 강당에서 교민들을 위해 강연하시고, 그 날 밤 저의 집에 묵으시고, 다음날 교수회관에서 종교학과 교수들과 대화하시던 모습은 지금도 눈에 보이는 듯합니다. 돌아가시기 얼마 전에 김영호 교수, 황필호 교수와 함께 우이동 댁으로 찾아 뵈었을 때 동경 유학시절 겪으셨던 관동지진 때의 경험을 들려주신 것도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런 몇 번의 행복한 만남에도 불구하고, 또 함 선생님의 글을 열심히 읽은 편이기는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저는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을 전문적으로나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했습니다. 작년 5월 이 모임에 참석했다가 박재순 교수님과 김성수 교수님이 저에게 이번 강연을 맡으시라고 강권하시는 바람에 전문가도 아닌 주제에 얼떨결에 수락하였다가 지난 1년 본격적으로 충분히 연구할 여유를 얻지도 못한 채 1년 내내 걱정만 하면서 시간을 다 보냈습니다. 이렇게 여러 전문 연구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비전문가로서 말씀드리는 것이 송구스러울 따름입니다. 그저 평소 제가 비교종교학을 가르치면서 관심을 가지고 있던 몇 가지 문제와 연관해서 함 선생님 사상의 종교사적 의의를 부각시켜보려고 합니다. 제가 발표를 한다기 보다 그저 말머리를 트고 여러분의 고견에서 많은 것을 배우려는 마음으로 몇 마디 말씀드리는 것이라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무엇보다 먼저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다석 류영모 선생님이나 심천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은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현재 세계의 많은 종교학자들이나 사상사 전공인들이 일본의 니시다 기타로(西田畿多郞, 1870-1940)나 스즈끼 다이세츠(鈴木大拙, 1970-1966))에 대해 이야기하고 연구하는 것을 보면서, 저는 류영모 선생님이나 함석헌 선생님에 대한 연구도 이에 못 미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몇 년 전 서울신대의 최인식 교수가 미국 종교학회에 참석했을 때 저는 그분에게 미국종교학회 연회에 함석헌 패널을 하나 만들어 함석헌 연구자들이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한 적이 있는데, 최인식 교수의 노력도 불구하고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곧 그런 일이 성사되기 빕니다.


저는 이 논문에서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을 세계 종교사에서 면면히 흐르는 ‘신비주의’의 맥락에서 한번 구체적으로 짚어보고 그 의의를 되새겨 보고 싶습니다. 함 선생님이 스스로를 신비주의자로 의식하셨는지, 혹은 정말로 신비주의자이셨는지, 저로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그는 천안에서 씨알농장을 경영할 때 거기 모인 사람들과 매일 새벽 여섯시에 일어나 30분씩 명상의 시간을 가졌고,1) 또 퀘이커 교도로서 적어도 매주 한 시간씩의 침묵 예배, 곧 명상을 실천한 분이었습니다.훌륭한 종교라면 그 속에 ‘신비’가 있어야 함을 말씀하셨고,2) “나는 지금도 ‘그이’가 내 속에 말씀하시는 것을 듣는다”는 말씀도 하셨습니다. 

그러나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무엇보다 그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그것이 세계 종교 전통의 심층에 보편적으로 흐르는 신비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 짧은 글에서 신비주의에 대해 약간 언급하고, 제가 언제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네 가지 관점에서 함 선생님의 사상이 어떻게 신비주의 전통들과 맞닿아 있는가를 잠시 살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 네 가지 관점이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완전히 독립된 항목들은 아니지만 편의상 그냥 네 가지 정도로 간추려 보는 것뿐입니다.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신비주의’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기 일쑤입니다. ‘신비주의’라는 말의 애매성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똑 같은 말은 아니지만 신비주의라는 말 대신 ‘영성’이라는 말이라든가, 라이프니츠가 창안한 ‘영속철학(perennial philosophy)’이라는 말을 쓰는 이도 있지만 이런 말들도 모호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3)

이런 애매함이나 모호함을 덜기 위해 독일어에서는 신비주의와 관련하여 두 가지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뜻으로서의 신비주의를 ‘Mystismus’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영매, 육체이탈, 점성술, 마술, 천리안 등 초자연 현상이나 그리스도교 부흥회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광적 흥분, 신유체험 등과 같은 것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이런 일에 관심을 보이거나 거기에 관여하는 사람을 ‘Mystizist’라 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종교의 가장 깊은 면, 인간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순수한 종교적 체험을 목표로 하는 신비주의‘Mystik’이라 하고 이와 관계되거나 이런 일을 경험하는 사람을 ‘Mystiker’라 합니다.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이 ‘신비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때 제가 말씀드리는 신비주의는 물론 후자에 속한 것입니다.

신비주의에 대한 정의로 중세 이후 많이 쓰이던 ‘cognitio Dei experimentalis’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느님을 체험적으로 인식하기’입니다. 하느님, 절대자, 궁극실재를 아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때 ‘안다’고 하는 것은 이론이나 추론이나 개념이나 논리나 교설이나 문자를 통하거나 다른 사람이 하는 권위 있는 말을 믿는 믿음을 통해서 아는 것이 아니라, 내 자신의 영적 눈이 열림을 통해, 내 자신의 내면적 깨달음을 통해, 직접적으로, 체험적으로 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실 “종교에서 이런 신비주의적 요소가 없는 종교는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라 할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4) 그래도 ‘신비주의’라는 말이 거슬린다고 생각하시면, 일단은 그것을 ‘심층 종교’나 ‘열린 종교’ 등으로 바꾸어 읽으셔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


1. 문자주의를 극복하고 신앙에서 자라가라



“경전의 생명은 그 정신에 있으므로 늘 끊임없이 고쳐 해석하여야 한다.... 소위 정통주의라 하여 믿음의 살고 남은 껍질인 경전의 글귀를 그대로 지키려는 가엾은 것들은 사정없는 역사의 행진에 버림을 당할 것이다. 아니다, 역사가 버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네가 스스로 역사를 버리는 것이다.”5)


“신앙은 생장기능(生長機能)을 가지고 있다. 이 생장은 육체적 생명에서도 그 특성의 하나이지만, 신앙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신앙에서 신앙으로 자라나 마침내 완전한 데 이르는 것이 산 신앙이다.”6)



종교적 진술을 문자적으로 이해하려는 “근본주의적 태도”는 종교의 더욱 깊은 뜻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됩니다. 이런 근본주의적 문자주의는 어느 종교에나 다 있는 일이지만 특히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7) 신학자 폴 틸리히가 적절히 지적한 것처럼, “성경을 문자적으로 읽으면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없고, 심각하게 받아들이려면 문자적으로 읽을 수 없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미국의 종교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는 신비 체험의 네 가지 특징 중 하나가 ‘말로 표현할 수 없음(ineffability)’이라고 하였습니다.8) <도덕경>1장 첫머리에 언급된 것처럼 “말로 표현한 도는 진정한 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궁극 실재나 진리는 말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말의 표피적이고 문자적인 뜻에 사로잡히지 말고 그야말로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계의 여러 신비 전통에서는 언제나 표피적인 의미와 심층적인 의미를 분간하고 표피적인 의미를 지나 심층적인 뜻을 간파하라고 가르칩니다. 가장 잘 알려진 예로 경전이나 의식 등 외부적인 것들은 결국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라고 강조하는 선불교의 가르침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여기서 특히 소개하고 싶은 것은 종교적 진술의 뜻을 좀 더 세분하여 네 가지 차원이 있다고 하는 초기 그리스도교 영지주의(Gnosticism)의 가르침입니다.9) 그리스도교 영지주의, 혹은 영지주의적 그리스도교에서는 모든 종교적 진술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차원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1) 물리적(physical, hylic, 땅) 차원,
2) 심리적(psychological, psychic, 물) 차원,
3) 영적(spiritual, pneumatic, 공기=영) 차원,
4) 신비적(mystical, gnostic, 불) 차원입니다.



첫째 차원은 종교와 별로 관계가 없는 일상적 차원입니다. 이른바 육이나 땅에 속한 사람들이 종교와 상관없이 살아가면서 눈에 보이는 데 따라 극히 표피적으로 이해하는 세상입니다. 이들이 종교에 관심을 갖고 물로 세례를 받으면 둘째 차원으로 들어가는데, 이 단계에서는 예수의 죽음, 부활, 재림 등의 종교적 진술이나 이야기를 ‘문자적’인 뜻으로 받아들이고 이런 문자적인 의미에서 일종의 심리적 기쁨이나 안위를 얻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외적 비밀(the Outer Mysteries of Christianity)’에 접한 것입니다. 여기서 나아가 영으로 세례를 받으면 예수의 죽음과 부활과 재림 등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셋째 차원의 뜻, 곧 ‘은유적(allegorical)’ 혹은 ‘신화적(mythical)’ 혹은 영적 의미를 파악한 영적 사람이 됩니다. 이들이 바로 그리스도교의 내적 비밀(the Inner Mysteries of Christianity)에 접한 사람들입니다. 이들이 더 나아가 최종적으로 불로 세례를 받으면 그리스도와 하나 됨이라는 신비 체험에 이르고, 더 이상 문자적이나 은유적이나 영적인 차원의 뜻이 필요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입니다.10)


함 선생님은 이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삶의 단계 혹은 의식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생명에는 세 단계가 있다. 맨 밑은 물질이고 그 다음은 마음이고 맨 위에 영 혹은 정신이다. 우리의 생명은 육체에서 시작하여 영에까지 자라는 것이다. 육체에는 자유가 없다. 온전히 물질에 의존한다. 영은 순전히 자유하다.

“평화운동은 전체의식이 없이는 될 수 없다. 우리는 하나다 하는 자각이 모든 가치활동의 근원이 된다.... 그 의식이 없을 때 그것을 이루는 각 분자는 이기주의에 떨어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배타적이 되므로 거기는 싸움이 일어나고야 만다.”11)

저는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크리스마스와 산타크로스 이야기를 즐겨 사용합니다. 어릴 때는 내가 착한 어린이가 되면 크리스마스 이브에 산타 할아버지가 와서 벽난로 옆에 걸린 양말에 선물을 잔뜩 집어넣고 간다는 것을 문자 그대로 믿습니다. 산타 이야기는 그 아이에게 기쁨과 희망과 의미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일 년 내내 싼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위해 착한 아이가 되려고 애를 씁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기 동네에 500집이 있는데, 싼타 할아버지가 어떻게 그 많은 집에 한꺼번에 찾아와 선물을 주고 갈 수 있는가, 우리 집 굴뚝은 특별히 좁은데 그 뚱뚱한 싼타 할아버지가 어떻게 굴뚝을 타고 내려올 수 있는가, 학교에서 배운 바에 의하면 지금 오스트랄리아에는 여름이라 눈이 없다는데 어떻게 썰매를 타고 갈 수 있을까 하는 등의 의심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어느 날은 자기 아빠 엄마가 양말에 선물을 넣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아, 크리스마스는 식구들끼리 서로 사랑을 나누는 시간이구나. 나도 엄마 아빠, 동생에게 선물을 해야지.”하는 단계로 올라갑니다. 싼타 이야기의 문자적 의미를 넘어선 것입니다. 예전처럼 여전히 즐거운 마음으로 똑 같이 “징글벨, 징글벨”을 불러도 이제 자기가 싼타 할아버지에게서 선물을 받는다는 생각보다는 선물을 서로 주고받는 일이 더욱 의미있고 아름다운 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좀 더 나이가 들어 크리스마스와 싼타 이야기는 교회 교인 전부, 혹은 온 동네 사람들 전부가 다 같이 축제에 참여하여 서로 선물이나 카드를 주고받음으로 즐거움을 나누고 사회적 유대를 더욱 강화하는 기회가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좀 더 장성하면, 사실 장성한다고 다 이런 단계에 이르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더욱 성숙된 안목을 갖게 되면 크리스마스 이야기는 하느님이 땅으로 내려오시고 인간이 그를 영접한다는 천지합일의 신비적 의미를 해마다 경축하고 재연한다는 의미도 있을 수 있구나 하는 것까지 알게 됩니다.

물론 이 예화에서 싼타 이야기의 문자적 의미, 윤리적 의미, 사회공동체적 의미, 신비적 의미 등 점진적으로 심화된 의미를 알아보게 되는 과정이 영지주의에서 말하는 네 가지 발전단계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깊은 신앙이란 문자주의를 극복하고 이를 초월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는 점에서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함 선생님의 기본 가르침이 이처럼 문자주의를 극복함으로 종교의 진수에 접하라는 권고라고 생각합니다. 함 선생님은 젊은 시절부터 성서를 읽되 문자적으로 읽기를 거부하고 성서에서 그 당시 조선인들에게 성서가 줄 수 있는 더 깊은 ‘뜻’을 찾아내려고 했습니다. 성서뿐만 아니라 그의 전 생애를 통해 동서고금의 종교 문헌을 섭렵하면서 그런 문헌의 문자 뒤에 담긴 뜻을 우리에게 전하려고 했습니다. 이 말은 그가 문자주의의 제한성을 넘어서 종교적 진술이나 예식을 “상징적으로” “은유적으로” 읽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문자주의를 극복할 때 우리의 신앙은 계속 자라나 “완전한 데” 이를 수 있다고 보신 것입니다.


2. 참나를 찾으라


“하나님의 구체적인 모습이 민중이요 민중 속에 살아 있는 산 힘이 하나님이다.”
“하나님은 다른 데선 만날 데가 없고, 우리 마음속에, 생각하는 데서만 만날 수가 있다.”
“자기를 존경함은 자기 안에 하나님을 믿음이다....그것이 자기발견이다.”12)


영국 사상가로서 The Perennial Philosophy 라는 책을 쓴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는 세계 여러 종교의 신비주의 전통에서 발견되는 공통점들을 열거하면서 힌두교에서 말하는 “tat tvam asi,” 곧 범아일여(梵我一如) 개념을 첫 번째 항목으로 들었습니다.13) 헉슬리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세계 신비주의 전통들을 살펴보면 한결같이 “신이 내 속에 있다,” “가장 깊은 면에서 신과 나는 결국 하나다” 하는 생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런 신관은 신의 내재(內在)만을 주장하고 신의 초월(超越)을 무시하거나 신과 나를 전혀 구별하지 않고 양자를 완전히 동일시하는 범신론(汎神論, pantheism)과 분명히 구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신비주의 전통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입장은 나와 신을 구별하여 신의 초월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신의 내재성을 함께 수납하는 이른바 범재신론(汎在神論, panentheism)적 신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범재신론은 다른 모든 사물에서와 마찬가지로 “내 ‘속에’ 신적인 요소가 있다,” “나의 바탕은 신적인 것이다”, “나의 가장 밑 바탕은 신의 차원과 닿아 있다” 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말하자면 신의 초월과 동시에 내재를 함께 강조하는 ‘변증법적 유신론’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14) 세계 신비전통에 나타나는 이런 유형의 신관 몇 개 만 예로 들어 봅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내 속에 불성이 있다”고 하는 것을 강조하는 불교의 불성 사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 사상입니다. ‘장(garbha)’이라는 말은 ‘태반(matrix)’과 ‘태아(fetus)’라는 이중적인 뜻을 가지고 있기에 우리는 모두 생래적으로 여래 곧 부처님의 ‘씨앗’과 그 씨앗을 싹트게 할 ‘바탕’을 내장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인간이란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이 잠재적 요소를 깨닫고 성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와 덧붙여 한마디 할 수 있는 것은 부처님이 출생하자 말자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고 했다는 말을 두고서도 여기의 ‘나(我)’란 ‘고타마 싯다르다’라는 역사적 개인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내 속에 있는 불성, 혹은 ‘참나’를 가리키는 말이므로 이 참나야 말로 천상천하에서 오로지 높임을 받아 마땅한 것이라 풀이할 수 있다고 봅니다. 만약 이런 풀이가 가능하다면 예수님이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했을 때 그 ‘나’도 결국 역사적 예수를 지칭하는 것이라 보기보다 “아브라함 보다 먼저” 있었던 그리스도, 그의 바탕이 되는 신적 요소, 그의 참나를 가리키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라 봅니다.15)


물론 예수님도 직접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다”(요14:10)고 했습니다. 사도 바울도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이제 살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살고 계십니다.”(갈2:20)고 했습니다. 이런 것을 보면 그리스도교 초기부터 신성의 내재라는 신비주의적 특색을 강조하는 저류가 강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록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그리스도교 내에서 이런 신비적 흐름이 억눌리고 문자주의적 그리스도인들이 득세하는 비극이 초래되기는 했지만 이런 사상은 그리스도교 전통 속에 면면히 이어져 온 것 또한 사실입니다. 중세 가장 위대한 그리스도교 신비 사상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도 “영혼 속에는 창조되지도 않았고 창조될 수도 없는 무엇이 있다”고 했고 그 외의 많은 신비주의 그리스도 사상가들이 우리 속에 있는 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씨앗, 그리스도의 탄생 등에 대해 계속 이야기합니다. 특히 지금까지 기독교 신비 전통의 한 가닥을 이어가고 있는 퀘이커교에서는 우리 속에 있는 신적인 요소를 ‘신의 한 부분(that part of God)’ 혹은 ‘내적 빛(inner light)’이라는 말로 표현합니다.

어느 종교보다도 신의 초월을 강조하는 이슬람교에서조차 신의 내재를 동시에 역설하는 수피(Sufi) 전통이 있습니다. 그들은 신이 내 “우리의 핏줄보다도 우리에게 가까운 분”이라는 쿠란의 말을 근거로 하여 신의 내재성과 ‘신에로의 몰입’을 주장합니다. “만물 안에 내재한 그 일자(一者)를 보라”고 가르칩니다.

동양 사상 중 특히 ‘우리가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동학의 시천주(侍天主) 사상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고 봅니다.

저는 우리 속에 있는 신적 요소, 혹은 내재적 하느님 사상을 학생들에게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물론 얼마간의 무리와 오해의 위험이 있음을 알면서도, 저 나름대로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리가 ‘나’라고 할 때 제일 먼저 나를 나의 ‘몸’과 동일시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몸이 아프면 바로 ‘내가’ 아픈 것입니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나의 몸’이라고 하는 것은 나와 몸이 하나가 아니고 몸은 ‘나’라고 하는 무엇이 가지고 있는 소유물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몸을 소유하고 있는 나는 무엇인가? 마음인가? 그러나 여기서도 역시 ‘나의 마음’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마음의 소유자, 주인이 마음과 별도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영혼이 나인가? 역시 마찬가지로 ‘나의’ 영혼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영혼이 주인이 아니고 영혼을 소유하고 있는 ‘나’라고 하는 더 근본적인 주인이 따로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나의 몸도, 마음도, 영혼도 아닌 그 근본 주인, 그 소유자, 그 바탕이 무엇인가? 우리는 그것을 ‘참 나,’ 혹은 내 속에 있는 ‘신적 요소,’ ‘내 속의 하느님’이라 할 수 있지 않겠는가 하고 설명해 봅니다.


중세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 제노아의 성 캐더린(St. Catherine of Genoa)의 말: “나의 나는 하느님이다. 내 하느님 자신 이외에 다른 나를 볼 수 없다.”(My Me is God, nor do I recognize any other Me except my God Himself.)16)고 한 것은 나의 진정한 나는 결국 신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잘 표현한 것이라 여겨집니다.17)


물론 이런 이론적 설명이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이런 설명과 함께 명상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깊은 명상 속에서 우리는 나의 몸이나 감정이나 마음 상태를 관찰하는 ‘또 하나의 나’를 의식하게 됩니다. 다시 가만히 보면 나의 몸이나 감정이나 마음 상태를 관찰하는 그 또 하나의 나를 관찰하는 또 다른 관찰자를 의식합니다. 이런 식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한이 없기에 이쯤에서 일단 이렇게 나의 몸이나 감정이나 마음을 관찰하는 또 하나의 나를 의식하고, 이 또 하나의 나는 일상적이고 일차적인 나와 다른 나가 아닌가, 이 나가 하느님의 일부이든가 아직 하나님의 일부가 아니면 하나님에 가까운 나, 혹은 내 속에서 하느님과 맞닿은 부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고 말해주기도 합니다. 함 선생님도 이와 비슷하게 하나님을 만나는 것은 “시간·공간을 다 잊어버리고 내 마음을 될수록 순수하게, 잡념을 없애고”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저는 함석헌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씨알’이라는 것도 이런 관점에서 다시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18) 물론 ‘씨알’이라는 말이 때 묻지 않은 ‘맨사람,’ 근본을 잃지 않고 인위적인 것으로 덧씌워지지 않은 민중을 뜻하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씨알의 알은 하늘에서 온 것이다. 하늘은 한 얼이다. 하늘에서 와서 우리 속에 있는 것이 알이다.”19)하는 말이나 “정말 있는 것은 ‘알’ 뿐이다.... 그 한 ‘알’이 이 끝에서는 나로 알려져 있고, 저 끝에서는 하나님, 하늘, 뿌리로 알려져 있다.”20)고 한 말을 보면 적어도 씨알의 ‘알’은 우리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한 신적 요소, 혹은 신과 인간이 맞닿아 있는 경지를 일컫는 말이라 이해해도 무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몇 가지 관점에서 볼 때 함석헌 선생님의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세계 신비주의 전통 속에서도 가장 중요시되는 신인합일, 신인무애(無礙), 신과 만물의 융합, 라틴어로 ‘unio mystica’의 사상을 함의하고 있다고 하여 틀 릴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글에서 함 선생님의 이런 사상이 그리스도교적 표현으로 압축된 것 같아 인용합니다:


나는 역사적 예수를 믿는 것이 아니다. 믿는 것은 그리스도다. 그 그리스도는 영원한 그리스도가 아니면 안 된다. 그는 예수에게만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내 속에도 있다. 그 그리스도를 통하여 예수와 나는 서로 다른 인격이 아니라 하나라는 체험에 들어갈 수 있다. 그 때에 비로소 그의 죽음은 나의 육체의 죽음이요, 그의 부활은 내 영의 부활이 된다. 속죄는 이렇게 해서만 성립된다. <하나님의 발길에 채여서>


3. 우주공동체에서 평화를 체현하라


“평화주의가 이긴다.
인도주의가 이긴다.
사랑이 이긴다.
영원을 믿는 마음이 이긴다.“21)


세계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나와 하느님이 하나임을 말함과 동시에 나와 다른 이들, 다른 사물들과도 결국 일체임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가 말했습니다. “어떤 경우가 천박한 이해인가? 나는 답하노라. ‘하나의 사물을 다른 것들과 분리된 것으로 볼 때’ 라고. 그리고 어떤 경우가 이런 천박한 이해를 넘어서는 것인가? 나는 말할 수 있노라. ‘모든 것이 모든 것 안에 있음을 깨닫고 천박한 이해를 넘어섰을 때’ 라고.”22)


물론 이런 사상을 가장 극명하고 조직적으로 개진하는 사상체계는 중국 불교의 화엄종(華嚴宗)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화엄에서는 이사무애법계(理事無礙法界)사사무애법계(事事無礙法界)라는 기본 원칙을 강조합니다. 보편적 원리로서의 이(理)와 개별적 사물로서의 사(事)가 아무 거침이 없이 서로 융통한다는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 생각을 기초로 하여, 이제 모든 사물 자체가 상즉·상입(相卽相入)한다는 것까지 강조하고 있습니다. 요즘 말로 고치면 모든 사물은 상호연관, 상호의존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나와 하느님만이 하나가 아니라 나와 너, 나와 만물이, 만물과 만물이 궁극적 차원에서는 하나라는 가르침입니다. 유기체적(organic), 통전적(holistic) 세계관입니다.


함 선생님은 “내 속에 참 나가 있다,” “이 육체와 거기 붙은 모든 감각·감정은 내가 아니다,” “나의 참 나는 죽지도 않고, 늙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고 더러워지지도 않는다”고 하면서,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나와 일체가 하나임을 알아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나는 나 혼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남과 같이 있다. 그 남들과 관련 없이 나는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나와 남이 하나인 것을 믿어야 한다. 나·남이 떨어져 있는 한, 나는 어쩔 수 없는 상대적인 존재다. 그러므로 나·남이 없어져야 새로 난 ‘나’다. 그러므로 남이 없이, 그것이 곧 나다 하고 믿어야 한다. 다른 사람만 아니라, 모든 생물, 무생물까지도 다 티끌까지도 다 나임을 믿어야 한다.”23)


저는 이런 유기체적이고 통전적인 세계관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자기 뺨을 만져보라고 합니다. 거기에서 부모님을 발견하고 조부모님, 증조부모님, 나아가 수없이 많은 조상들,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했던 공기, 물, 비, 구름, 햇빛, 음식, 음식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 도구를 만든 사람들, 그들이 농사짓는데 필요했던 토양, 씨앗, 시간과 공간 등등 이런 모든 것이 지금 내 뺨에 함께 존재하는 것을 느껴보라고 합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나는 온통 나 아닌 것들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나’라는 개인은 이 모든 것과 상즉상입의 관계를 벗어나서는 존재할 수도 없고 의미도 없는 셈입니다. 저는 이렇게 온 우주가 서로 연관되었음을 깨닫는 것이 바로 ‘우주 공동체’를 새로이 발견하는 일이라 주장합니다.


이렇게 나와 너, 만물이 서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실제 삶과 무슨 연관이 있는가 반문할 수 있습니다. 사실 세계 여러 신비주의 전통에서 가르치는 것들은 단순히 논리 정연한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뜻이 아닙니다. 일견 복잡하기 그지없이 보이는 교설들도 사실은 이른바 ‘구원론적 의도(soteriological intent)’를 가진 것입니다. 헉슬리가 말한 것처럼 “진정한 신비주의자들은 이론적이면서도 동시에 실제적”입니다.24)


이런 통전적, 유기적 세계관에서 어떤 실제적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까? 여러 가지를 들 수 있겠지만, 저는 만물의 일체감에서 세계의 고통을 ‘함께 아파하는’ 자비(compassion)의 마음을 가질 수 있고, 이런 아픔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평화로운 세상의 구현을 위해 힘쓰게 된다는 점을 특히 부각하고자 합니다.


함 선생님도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평화운동이 감상적이거나 윤리적 차원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하나’라고 보는 더욱 근본적인 우주관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면서, “평화운동은 전체의식 없이는 될 수 없다. 우리는 하나다 하는 자각이 모든 가치 활동의 근원이 되어야 한다.... 그 의식이 없을 때 그것을 이루는 각 분자는 이기주의에 떨어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배타적이 되므로 거기는 싸움이 일어나고야 만다.”25) 고 한 말이나 “사랑은 하나 됨이다. 둘이면서 하나 됨이다. 둘이면서 둘인 줄을 모를 뿐 아니라, 하나면서 하나인 줄을 모를이만큼 하나여야 할 것이다.”26)고 한 그의 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하나 됨으로 남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여기고 남이 아플 때 나도 아파하는 일종의 보살 정신입니다. 틱낫한 스님이 제창한 참여불교(Engaged Buddhism) 운동처럼 올바른 세계관에 입각한 사회참여의 정신입니다. 함 선생님은 제가 보기 ‘행동하는’ 신비주의를 몸소 보이주고 실천하신 분이라 생각합니다.


4. 종교 상호간의 보완과 조화를 중시하라


“우리의 생각이 좁아서는 안 되겠지요. 우주의 법칙, 생명의 법칙이 다원적이기 때문에 나와 달라도 하나로 되어야지요. 사람 얼굴도 똑같은 것은 없지 않아요? 생명이 본래 그런 건데, 종교와 사상에서만은 왜 나와 똑 같아야 된다고 하느냐 말이야요. 생각이 좁아서 그렇지요. 다양한 생명이 자라나야겠는데....”27)

앞에서 말한 우주공동체에서의 평화운동과 궤를 같이 하는 이야기이지만 여기서 특히 종교다원주의적 자세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자기만 옳다고 하는 독선적 주장이 별로 없습니다. 앞에서 지적한 것과 마찬가지로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궁극적 실재가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파악될 수 없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말이나 문자로 표현된 것에 절대적 타당성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한 가지 예로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 사상은 궁극 실재에 대한 우리 인간의 견해(見解)는 그 타당성이 전혀 없다, ‘비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사상 체계입니다. 모든 견해가 이럴 진데 나의 견해만 예외적으로 절대로 옳다고 주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와 함께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단순한 이분법적 사고를 지양하고 사물을 더욱 깊은, 더욱 높은, 더욱 넓은, 더욱 많은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관점에서 본 한 가지 의견을 절대적이라고 주장할 수 없는 것입니다. 궁극 실재가 무한히 크면서 동시에 무한히 작다고 하는 ‘역설’의 논리가 무리 없이 수용됩니다. <장자>의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조삼모사(朝三暮四)’ 이야기 중 원숭이 훈련사의 경우처럼 양쪽을 다 보는 ‘양행(兩行)’의 태도를 보입니다. 똑 같은 커피 잔이 위에서 보면 둥글지만 앞에서 보면 네모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이런 태도를 요즘말로 바꾸면 시각주의(perspectivalis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은 어느 시각, 어느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연히 함 선생님처럼 “글쎄요”의 태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28) 하나의 시각, 하나의 관점을 절대화할 수 없고 다원적인 시각의 상대적 타당성을 인정할 뿐입니다.


이런 태도를 다종교(多宗敎) 현상에 적용하면 자연스럽게 종교 다원주의적 태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어느 한 종교의 가르침만을 절대적 진리라 주장하는 배타적 태도를 견지할 수 없게 됩니다.29) 이런 의미에서 신비주의와 종교 다원주의적 태도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 혹은 나무와 그 열매와 같은 관계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 선생님이 세계 신비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는 말은 함 선생님은 세계 종교들을 다룰 때 다원주의를 견지할 수밖에 없는 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30)


여기서 이 문제를 길게 논의하는 대신 함 선생님의 말씀 하나를 인용하고 그칩니다:


“나는 갈수록 퀘이커가 좋습니다. 좋은 이유는...‘우리 교회에 오셔요’, ‘이것 아니고는 구원 없습니다’ 식의 전도가 없고, 있다면 그저 밭고랑에 입 다물고 일하는 농부처럼 잘됐거나 못됐거나, 살림을 통해서 하는 전도가 있을 뿐입니다....그들은 자연스럽고, 속이 넓으면서도 정성스럽습니다. 누가 와도, 불교도가 오거나, 유니테리안이 오거나, 무신론자가 온다해도, 찾는 마음에서 오기만 하면 환영입니다. 그러니 좋지 않습니까?”31)


나가는 말


20세기 가장 위대한 가톨릭 신학자로 알려진 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는 21세기 그리스도교가 신비주의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되고 말 것이라 예견했습니다. 그리스도교가 신비주의적 차원으로 심화되지 않으면 망하고 만다는 뜻입니다. 어찌 그리스도교뿐이겠습니까? 저는 모든 종교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경지는 결국 신비주의적 차원이라 확신합니다.32)


물론 지금까지 이런 신비주의적 차원에 접한 종교인들은 그 숫자가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거의 모든 종교의 신도들이 문자주의적, 교리 중심적, 기복주의적, 자기중심적, 배타주의적 종교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것이 참된 종교가 이를 수 있는 구경의 경지가 아니라는 사실도 모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제 이런 비극적 사태가 개선되므로 더욱 많은 이들이 종교의 신비주의적 차원에 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독일 여성 신학자 도로테 죌레(Dorothee Soelle, 1929-2003)는 최근에 펴낸 그의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라는 책에서 신비주의 체험이 역사적으로 특수한 몇몇 사람에서만 기대할 수 있는 무엇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그것이 모든 사람에게도 보편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하며, 이른바 ‘신비주의의 민주화(democratization of mysticism)’를 주창했습니다.33) 저도 이 말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저는 이번 이 논문을 쓰기 위해 함석헌 선생님의 글을 다시 읽으면서 다시 한 번 함 선생님의 신비주의적 사상이 바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이끌 수 있는 사상이며, 함석헌 선생님이야 말로 이런 ‘신비주의의 민주화’에 앞장서신 분이었구나 하는 확신을 더욱 공고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여기에 바로 함석헌 선생님의 비교사상사적 의의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1) 김성수, <함석헌 평전> (삼인, 2001), p. 105 참조.

2) “하워드 브린튼이 퀘이커리즘을 서양에서 난 종교들 중 가장 동양적인 것을 가진 종교다 그랬는데....하여간 비슷하게 동양적인 그런 게 있는 것은 사실이오. 신비를 인정하는 거지요.” (<함석헌 전집15>p. 51), 김성수, 위의 책 p. 126에서 재인용.

3) 또 다른 분류법으로 종교의 ‘표의적(exoteric)’ 차원과 ‘밀의적(esoteric)’ 차원을 말하는 사람들이 있고, 필자도 다른 글에서는 표피적(surface) 차원 vs. 심층적(depth) 차원, 닫힌 종교 vs. 열린 종교로 분류했다. 졸저 <예수가 외면한 그 한가지 질문>(현암사, 2002), Frithjof Schuon, The Transcendent Unity of Religions (New York: Quest Books, 1984) 등 참조.

4) 필자는 이 말을 대학 시절 읽은 김하태 박사의 글에서 접하고, 그 이후 신비주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신비주의와 신비체험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 방면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William James,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ce (New York: Collier Books, 1961), Aldous Huxley, The Perennial Philosophy (New York: Harper & Row, 1944) 외에 최근의 책 John Macquarrie, Two Worlds Are Ours: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Mysticism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4), pp. 1-34 등을 참조할 수 있음.

5) 김진 엮음, <너 자신을 혁명하라: 함석헌 명상집>(오늘의 책, 2003), p. 160에서 인용.

6) <함석헌 전집 9>, p. 200.


7) 문자주의의 문제성과 해독에 대해서는 졸저 <예수는 없다>(현암사, 2001) pp. 63-115 참조. Timothy Freke & Peter Gandy, The Laughing Jesus (New York: Harmony Books, 2005)는 기독교와 이슬람의 문자주의의 해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8) 다른 세 가지 특성은 ‘얼른 지나감(transiency)’ ‘직관적(noetic quality), ‘피동성(passivity)’이라고 했다. 그의 앞의 책 참조할 것.

9) ‘Gnosticism’을 보통 ‘영지주의(靈知主義)’라고 번역하는데 필자는 이를 “깨달음주심주의”라 번역하고 싶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서 여기서는 그대로 ‘영지주의’라는 말을 사용하기로 한다. 영지주의에 대한 최근의 책으로 하버드 대학교 교수 Karen L. King이 쓴 What Is Gnosticis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그리고 일반 독자를 위해 읽기 쉽게 쓴 Richard Smoley, Forbidden Faith: The Gnostic Legacy (San Francisco: HarperSanFranscico, 2006)을 참조할 수 있다.

10) Timothy Freke & Peter Gandy, The Jesus Mysteries (New York: Three Rivers Press, 1999), pp. 127-129 참조.

11) 김진, 앞의 책, p. 74-5에서 인용. 인간의 의식 발달을 물질, 마음, 영의 세 단계, 이른바 pre-subject/object consciousness, subject/object consciousness, trans-subject/object consciousness로 분류한 예는 Ken Wilber, Up From Eden (Boston: Shambala, 1983) 등을 참조할 수 있다.

12) 각각 김진, p. 129, 172, 95에서 인용.

13) Aldous Huxley, 앞의 책, pp. 1-21 참조.

14) 이 용어는 옥스퍼드 대학교 신학자인 John Macquarrie가 채택한 용어다. 범재신론을 다루는 책으로 최고로 좋은 그의 책 In Search of Deity: An Essay in Dialectical Theism (New York: Crossroad, 1985) 참조.

15) 함 선생님도 이와 비슷한 말을 하셨다. “그러면 ‘나[自我]가 곧 나라’요, ‘나[自我]를 본 자가 아버지[民族, 世界, 하늘]을 본 것이다.’ 그 나는 새삼스러이 있을 것도 아니요 없을 것도 아니요, 보라, 여기 있다 저기 있다 할 것도 아니요, ‘아브라함이 있기 전부터 있는 나’, 참 나,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인 나다.” 김진, 앞의 책 241에서 인용.

16) Huxley, 앞의 책 p. 11에서 재인용.

17) 중세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들은 자기의 작은 자아가 없어지고 신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는 뜻에서 인간의 ‘신성화(deification)’를 자주 이야기하고 있다.

18) ‘씨알’의 다중적 의미와 씨알 사상의 ‘바탕생각’에 대해서는 김경재, “21세기 씨알사상과 그 운동”(http://soombat.org) 참조. 함 선생님은 ‘씨알’이란 말이 류영모 선생님이 <大學> 첫머리에 나오는 “大學之道在明明德 在親[新]民 在止於至善”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한 배움의 길은 속알 밝힘에 있으며, 씨알 어뵘에 있으며, 된데 머무름에 있나니라.”고 한 데서 나왔다고 했다. 김용준, <내가 본 함석헌> (아카넷, 206), pp. 193-194, 이정배, “함석헌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 속에 나타난 ‘민족’ 개념의 신학적 성찰” ) 씨알사상연구회 2006년 5월 월례발표회 논문, p. 11.

19) 김진, p. 115.

20) <함석헌 전집 3> “씨알의 설움”

21) 김진, p. 135.

22) Huxley, 앞의 책, p. 57에서 인용.

23) 김진, p. 84.

24) Huxley, 앞의 책 p. 5.

25) 김진, pp. 74-75.

26) 같은 책, p. 202.

27) 김성수, 179-180 재인용.

28) 필자가 함 선생님과 개인적으로 대화하면서 제일 먼저 느낀 것이 “글쎄요”라는 말을 아주 많이 하신다는 사실이었다. 이 사실을 <도덕경> 45장 “완전한 웅변은 눌변으로 보입니다(大辯若訥)”라는 구절을 해석하면서 언급한 적이 있다. 도에 입각한 말은 판에 박힌 이분법적 달변이 아니라 여러 관점을 동시에 보기 때문에 ‘글쎄요’가 나오지 않을 수 없다고 풀이한 것이다. 졸저 <도덕경>(현암사, 1995), p. 197.

29) 종교간의 관계에 대한 상이한 태도를 논의하는 책으로 Paul F. Knitter, Introducing Theologies of Religions (Maryknoll: Orbis Books, 2002) 참조. 여기에서 Knitter는 네 가지 기본태도를 논하는 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남의 종교를 내 종교로 대체해야 한다는 대체론(Replacement model), 2) 남의 종교의 모자람을 채워주어야 한다는 충족론(Fulfillment model), 3) 서로의 공통점을 찾자고 하는 상호론(Mutuality model), 4) 서로의 다름을 그대로 인정하고 그 다름에서 배우자고 하는 수용론(Acceptance mode).

30) 신비주의와 종교다원주의와의 관계, 특히 그리스도교와 불교가 신비주의에서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졸저, <불교, 이웃종교로 읽다>(현암사, 2006), pp. 340-355 참조. 함 선생님의 다원주의적 태도를 좀 더 상세하게 다룬 것으로 김성수, 앞의 책, pp. 179-185를 참조할 수 있다.

31) <함석헌 전집 8> pp. 377-378. 김성수, 앞의 책, pp. 130-131에서 재인용.

32) 종교를 분류할 때 힌두교, 불교, 그리스도교, 유대교, 이슬람 등 각각의 전통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런 종교 전통 중에서 그 심천을 기준으로 하여 표의적 종교와 밀의적 종교로 나눈 슈온의 분류법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Schuon, 앞의 책 참조할 것.

33)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p. 11.

====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오강남
작성자 바보새 
15-09-20
====

2019/07/18

Socially Engaged Buddhism. King, Sallie B. 2018

Socially Engaged Buddhism. King, Sallie B.(ed) (2009)
---



===
1 Introduction
2 Philosophy and Ethics
3 Spirituality
4 War and Peace
5 Economics
6 Ecology
7 Human Rights and Criminal Justice
8 Challenging Tradition
9 Conclusion
----------
Socially Engaged Buddhism is an introduction to the contemporary movement of Buddhists, East and West, who actively engage with the problems of the world―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on the basis of Buddhist ideas, values, and spirituality. Sallie B. King, one of North America’s foremost experts on the subject, identifies in accessible language the philosophical and ethical thinking behind the movement and examines how key principles such as karma, the Four Noble Truths, interdependence, nonharmfulness, and nonjudgmentalism relate to social engagement.
Many people believe that Buddhists focus exclusively on spiritual attainment. Professor King examines why Engaged Buddhists involve themselves with the problems of the world and how they reconcile this involvement with the Buddhist teaching of nonattachment from worldly things. Engaged Buddhists, she answers, point out that because the root of human suffering is in the mind, not the world, the pursuit of enlightenment does not require a turning away from the world. Working to reduce suffering in humans, living things, and the planet is integral to spiritual practice and leads to selflessness and compassion.
Socially Engaged Buddhism is a sustained reflection on social action as a form of spirituality expressed in acts of compassion, grassroots empowerment, nonjudgmentalism, and nonviolence. It offers an inspiring example of how one might work for solutions to the troubles that threaten the peace and well being of our planet and its people.

---


July 4, 2018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 found this book to be wonderful and informative. Engaged Buddhism is simply putting Buddhist principles into practice in the world at large. Most people think that Buddhism is just about getting enlightened and feeling calm and serene. But there is more to it than that. It's not just about working on your inner self. It is about showing compassion to all beings by working to eliminate suffering both here and abroad to both humans and animals. The Buddha told us we are all interconnected and depend on multiple factors just to exist. For example, without the sun, the air, the soil, our parents, our communities, etc we would not be here. We are "interdependent" as Thich Nhat Hahn would say. So what happens to one effects all in one way or another. Therefore it is our duty to reach out and help all who are suffering. That is engaged Buddhism in a nutshell.
As a Buddhist myself I found this book engaging and well thought out. It is a must read for anyone who wants to know how to use your Buddhist values to make a difference in the world.
---
rated it it was amazing
It's hard to imagine a better book to read if you have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oes Buddhism contribute to solving societal problems ranging from poverty to the ecological downfall? What are the obstacles (and of course, the leverage) that Buddhist tradition, texts, and ideology present to Buddhists who want to tackle issues such as women's rights and the Indian caste system? Who are the socially engaged Buddhists of recent times and what have they done in their respective societies and fields of interest?

It's really interesting to see a religion at work in the real world of suffering, hunger, poverty, oppression, etc. and to observe its internal struggle to free itself from some of its limitations.
---
평화와 행복을 위한 불교지성들의 위대한 도전 - 아시아의 참여불교
샐리 킹,크리스토퍼 퀸 (지은이),박경준 (옮긴이)참여불교재가연대2003-06-01






603쪽
160*230mm
1146g
ISBN : 9788995433003


목차


제1장 서문: 참여불교의 기원과 양상

제2장 암베드까르 박사와 불교적 해방에 대한 해석학

제3장 TBMSG,현대 인도에서의 담마혁명

제4장 아리야라뜨네와 사르보다야 슈라마다나 운동

제5장 붓다다사 비구 : 공의 시각으로 일관된 그의 삶과 사상

제6장 사회재건을 위한 술락 시바락사의 불교비전

제7장 아시아의 여성불교인과 비구니 교단

제8장 티베트 해방운동 속에 담긴 불교의 원리

제9장 틱닛한과 '베트남 통일불교회':중도주의운동

제10장 창가학회: 조화롭고 평화로운 사회의 창고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샐리 킹 (Sallie b.king)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평화와 행복을 위한 불교지성들의 위대한 도전>


최근작 : <평화와 행복을 위한 불교지성들의 위대한 도전>

크리스토퍼 퀸 (christopher s.queen)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평화와 행복을 위한 불교지성들의 위대한 도전>


최근작 : <평화와 행복을 위한 불교지성들의 위대한 도전>

박경준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원시불교의 사회·경제사상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군법사를 역임하였고 불교문화연구원 연구원, 인하대학교 등의 강사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역서로는 <민중불교의 탐구>, <문화의 진보에 대한 철학적 성찰>, <원시불교사상론>, <불교사회경제학>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대승경전관 정립을 위한 시론>, <불교의 노동관 소고> 등이 있다.


최근작 :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불교사회경제사상>,<다비와 사리> … 총 5종 (모두보기)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 삶의 예술로서의 응용실천불교학 ㅣ 프라즈냐 총서 44
박경준 (지은이) | 운주사 | 2019년 2월
37,000원 → 33,300원 (10%할인), 마일리지 1,850점 (5% 적립)
(1) | 세일즈포인트 : 56




불교사회경제사상
박경준 (지은이) |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0년 11월
20,000원 → 19,000원 (5%할인), 마일리지 1,000점 (5% 적립)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 불교로부터의 제언
이노우에 신이치 (지은이), 박경준 (옮긴이) | 우리출판사(서울출판) | 2008년 10월
10,000원 → 9,000원 (10%할인), 마일리지 500점 (5% 적립)
(1) | 세일즈포인트 : 48
절판
BOOK

Socially engaged Buddhism / Sallie B. King.c2009

Sallie B. 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