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진언종.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진언종. Show all posts

2020/10/26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김철수
2012.05.11 | 조회 10315
인쇄인쇄스크랩스크랩글꼴확대축소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14110_p132_01



신의 나라, 일본
필자가 일본에 대해 얘기할 때면 종종 하는 말이 있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한국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 속담에는 자연에 대한 신뢰와 사람에 대한 불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렇다는 말이다.
때문에 사람을 만날 때는 조심하고 조심하란 경구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엔 일본사회에서는 그 반대의 경우가 맞는 것 같다. 자연에 대한 믿음보다 사람에 대한 믿음이 강하다. 끊임없이 요동치는 화산, 지진. 자연은 언제 어디서 사고(?)를 칠지 사람들은 가늠하지 못한다. 곧 믿지 못한다. 대신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람들끼리 믿음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물론 자신이 속한 집단 내부 구성원끼리의 믿음이지만.

작년에 일본열도 동북지방에서 큰 쓰나미가 덮쳐 일본 역사에 전무한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그런데 사람들은 슬픔을 딛고 조용히 사후대처를 해 나가고 있다. 소위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다는 ‘메이와쿠 문화’라 칭송도 들으면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러한 일본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것은 무엇일까?
필자는 이를 종교에서 찾고 있다. 필자는 일본종교에 대한 여러 편의 글을 써왔다. 왜? 일본사회를 이해하는데 종교(문화)는 필수라 보기 때문이다. 종교만큼 미지의 세계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의 어떤 종교를 막론하고 거기에는 반드시 발견되는 중요한 주제가 있다. 인간은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는가라는 주제이다. 이 주제에 답할 수 없다면 그건 종교가 아닐 것이다. 섬나라인 일본에는 해외로부터 갖가지 종교가 흘러들어왔다. 자생적 종교라 믿고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종교인 신도(神道)도 그 중 하나이다. 일본인의 의식 저변에는 신도 등 갖가지 종교문화에서 구성되어진 사고방식이 흐르고 있다.


14110_p132_02


그래서 그런가. 일본사회에는 종교도 참 많다. 마치 ‘종교의 전시장’ 같다. 그러나 일본사람들에게 “당신의 종교는?” 하고 물으면 “무종교”라고 답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일본은 세계에서도 예를 찿아볼 수 없을 정도로 다종다양한 종교를 갖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여러 가지 종교들이 단지 병존하여 있는 전시장이 아니라, ‘토착적이고 외래적인 종교적, 문화적 전통들이 일본인의 고유한 신앙, 감정, 접근방식에 따라 서로 섞이고 짜인 일종의 직조물’과 같은 모습이다. 때문에 일본인들은 자신의 나라를 ‘신의 나라, 곧 수많은 가미[神, 精靈]로 가득 찬 나라’로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일본인은 종교에 이상스럽게 무관심’한 것이다. 이는 분명히 사실이다. 여러 여론조사를 보더라도, 특정 종교를 갖고 있다고 응답하는 일본인의 비율은 30% 전후에 지나지 않는다. 2005년 8월, 요미우리신문(読売新聞)이 조사한 〈종교에 관한 여론조사〉에서는 ‘종교를 믿지 않는다’ 고 답한 사람이 75%에 달했고(그러나 ‘신불神佛에 의지하고 싶은 사람’은 54%였다), ‘종교를 믿고 있다’고 답한 사람이 23%였다. 곧 ‘종교를 가진 인구’는 1979년 조사에서 34%였던 것과 비교하면 11% 감소한 것이다. 이는 근 30년 간 거의 일관된 경향을 보인다. 미국인의 91% 정도, 그리고 한국인의 50% 이상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종교를 갖고 있다’라고 응답하는 비율과 비교해 본다면, 일본인의 종교 귀속의식은 희박하다고 말할 수 있다.

현세적이며, 풍부한 종교적 생활
그러면 도대체 일본인의 종교관은 어떤 것일까?
일본사회에는 신도, 불교, 기독교, 신종교 등 각종 계통의 종교단체가 400개를 넘고, 그 활동도 사회 전체의 여러 방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은 여러 면에서 ‘종교적’인 심성과 행위를 보여준다. 경제나 정치, 문화,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종교를 제외해버리면 그 의미(meaning)가 상실되어 버릴 정도로 일본인들은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일본인들은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를 얻게 되면 유명한 신사를 찾아 참배한다. 불교의 성지인 고야산(高野山) 등에서 특정 기업의 번영을 기원하는 기업공양탑을 찾아보는 것이 어렵지 않다. 가정이나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장상이나 불단, 신단(神棚, 가미다나)들, 그리고 각종 종교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출생, 결혼, 장례식 등 각종 통과의례들.

그 뿐만이 아니다. 일본사회에서 공양(供養)의 확대현상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선조나 죽은 자에 대한 공양, 그리고 유산, 중절, 사산된 태아[水子みずご, 미즈고]에 대한 수자공양(竪子供養). 그러한 공양시설도 여기저기서 쉽게 볼 수 있다. 전국유산아(流産兒) 무연(無緣) 공양탑(生長의 家에서 1961년 건립), 오사카에 세워진 73미터나 되는 수자공양탑[辯天宗冥應寺] 등은 모두 낙태아의 위패를 제사하고, 지장(地藏)을 만들어 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쿄에는 페트(애완동물)공양탑도 있고, ‘00家愛犬之墓’라 적힌 납골당도 흔하게 찾을 수 있다. 심지어는 인형공양도 있으며, 최근 못쓰게 되어버린, 곧 생명력이 다한 게임기 공양도 있다.

14110_p132_07현대사회는 합리화 및 효율화를 지향한다. 반면에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특히 보이지 않는 음(陰)적인 세계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신세계를 찾고 있다. 이러한 마음의 갈망이나 불안감을 종교는 놓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종교를 일러 ‘위협산업’이란 말까지 들릴 정도이다. 종교가 인간 삶과 죽음을 다루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지만, 일본 여러 지역에 동물묘지[動物靈園]가 설립되어 번성하기까지 하고, 심지어 인형, 게임기의 생명까지도 다루고 있으니 말이다.

소(小)가족화 된 오늘날 개나 고양이 등이 자녀 형제와 똑같이 가족의 일원으로 다루어지고 있고, 그 대행 역할을 종교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본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본 종교의 특이성에대한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할 정도이다. 일본인들은 특정 종교에 귀속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풍부한 종교 생활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도 이를 찾아볼 수 있다.

일본인들은 에도(江戶)시대(17~19세기 중반)부터 이 세상에 태어나면 신사(神社)에 가서 신에게 출생을 알리고, 일상생활은 유교윤리에 따르다가, 죽었을 때는 불교식으로 장례를 치렀다. 대개 남자아이는 출생 후 31일째, 여자아이는 33일째, 그리고 ‘7-5-3’이라 하여 남자아이는 3, 5살, 여자아이는 3, 7살 되는 해 11월 15일 신사참배를 한다. 신사에 참배하는 것은 씨신(氏神, 우지가미: 지역공동체가 숭배하는 신)에 대한 출생신고로 씨자(氏子, 우지코: 지역공동체의 신을 모시는 구성원)의 일원이 되었음을 인정받기 위함이다. 신에게 아이의 성장을 보고하고 신의 가호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으며, 지역공동체로서는 공동체의 일원을 맞아들이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는 현재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유교적 일상생활이 근대 서구적 양식으로 바뀌어 결혼식은 교회에서 치루고 싶어할 뿐이다. 그래서 새해 첫날의 인사(初詣, 하츠모우데)는 신사에서, 결혼식은 교회에서, 장례식은 절에서 올리는 모습을 흔히 접하게 된다. 이러한 다중신앙은 일본인에게 종교란 현세를 살기 위한 하나의 방편에 불과한 것임을 보여준다. 일본인에게 진리란 현실 그 자체이며, 현실을 넘어선 이념이나 법칙이 진리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따라서 절대라든가 보편이라든가 불변성 혹은 영원성이라는 관념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지금 여기에 있는 것 모두가 그대로 진리일 뿐이며, 절대선도 절대악도 없다. 일본인의 사유방식은 이 세상에 완전히 절대적인 것은 없고 가미(神)조차 오류를 범한다. 진리의 절대성을 신봉하는 문화에서는 옳고 그름, 선과 악, 흰 것과 검은 것을 분명히 하려 든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싸울 때에도 양쪽 모두 이기고 졌다는 식의 불문율을 가지고 있다. 이런 관점이 곧 일본인이 고대로부터 형성하여온 ‘화’(和)의 관념과 통해 있다. 오갈 데 없는 섬나라에서 평화는 상이한 것들의 공존, 그것을 허용하는 관용성이 가장 현실적인 화(和)라고 보는 것이다.


신불습합(神仏習合)으로 이뤄진 신관
이런 화(和)의 정신이 종교에도 스며든 것인가?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헤이안(平安) 시대(794~1185)부터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 이전까지 신불습합(神仏習合)이 일반적이었다. 신도와 불교가 나눠지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불교사원(寺院) 내에 신사의 토리이(鳥居)가 있고, 하지만 대보살(八幡大菩薩), 신사의 신을 불(仏, 호토케)이라 부르는 사례도 있다. 일본의 대표적 근대소설가인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는 이러한 일본인의 종교관을 적절하게 지적하였다. 곧 일본은 고래로부터 ‘팔백만 신’을 숭배하는 독특한 종교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석가도 예수도 일본에 오면 여러 신들 중 하나로 취급되어 버린다. 동시에 일본인은 해외의 사상을 변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바꿔 만드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유명한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 감독이 만든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떠올려 보라. 여기에 나오는 수많은 신들, 썩음의 신, 강의 신….

유바바 : “여기는 말이야, 인간이 올 곳이 아니야. 8백만의 신령님들이 지친 몸을 달래러 오는 목욕탕이란 말이다.”

일본에서 신을 ‘가미’(カミ)라 한다. ‘가미’는 선악, 귀천, 강약, 대소 그리고 초인적이냐 아니냐 하는 구분도 의미 있지만, 그보다 어떤 의미에서든 위력 있는 존재를 뜻한다. 우주 삼라만상 가운데 위력을 발현하는 것은 무엇이든 가미가 될 수 있다. 때문에 가미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일본에는 실제로는 1천이 좀 넘는 신들이 보이고, 『고사기』에도 300개 이상의 신이 등장한다.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1730∼1801)는 신을 이렇게 정의했다.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정의이다.

“가미는 우선 옛 기록에 나타나는 하늘과 땅의 신이며, 또한 그 신들을 숭배하는 장소인 사원에 거주하는 정령들이다. 거기에 인간도 포함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 조차 없다. 그리고 조류, 짐승, 수목, 초목, 바다 같은 것도 포함된다. 옛날 관례로는 비일상적인 것, 초월적인 덕목을 지닌 것,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무엇을 막론하고 ‘가미’라고 불렀다.”

‘팔백만 신’에서 알 수 있듯, 일본에 신의 수는 무수히 많다. ‘가미’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 다수라는 뜻이다. 가장 많은 것은 천체, 산, 들, 강, 바다, 바람, 비 등 지수풍토 등을 비롯하여 새, 짐승, 벌레, 수목, 풀, 금속, 돌 등 자연현상이나 자연물에 붙여진 가미의 명칭이다. 위인, 영웅, 귀족 등이 가미로 여겨지기도 했다. 근세 말기에는 인간 자체를 가미로 모시는 이키가미(生き神) 관념까지 나타났다.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없어졌고, 신을 절대적 존재로 보지 않는 종교의 세속화와 세속의 종교화 토양이 조성되기도 했다.

일본인은 고대로부터 신과 부처들을 여러 가지로 짜 맞추면서 모셔왔다.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독점적으로 믿는 태도는 발달되지 않았다. 구미에서는 기독교도이면서 이슬람교도인 사람은 없다. 그러나 일본인은 다르다. 앞서 말했듯이, 한 집안에 불단과 신단이 동시에 모셔져 있다. 출생해서는 신사에 가고, 결혼식은 교회에서 하기를 바라며, 죽어서는 불교식 장례식을 거치는 것이 보통 일본인의 삶이다.

일본인의 생활 속에서도 이러한 종교적 행동을 볼 수 있다. 종교적 혼합이나 절충현상이 심하다. 정월에 신사를 참배하고, 춘분 추분을 중심으로 한 7일간이나 백중맞이(盆:봉. 8월 15일 조상을 제사하는 불사)에는 사찰, 크리스마스에는 교회, 때로는 신종교의 레크리에이션에 참가한다. 그래도 그들은 별로 모순을 느끼지 않는다. 여론조사 결과들을 보면 ‘종교가 없다’는 사람이 많으면서도 또 대다수는 ‘종교심은 중요하다’고 답한다. ‘무종교이지만 종교심은 중요하다.’ 어쩌면 종교가 생활 속에 파고들어 습관화되어 버려 더 이상 종교가 아니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무종교라는 의미는 교단 종교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의미로 파악될 수밖에 없다.

14110_p132_03


또 역사연구가이자 작가인 이자와 모토히코(井沢元彦)는 일본인의 무의식에는 강렬한 원령(怨霊)신앙과, 원령을 발생시키지 않는 ‘화’(和)의 신앙이 있고, 신도는 그 위에 성립했다고 지적하였다. 불교도 결국은 원령을 진혼(鎮魂)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었으며, 일본인의 독특한 ‘언령’(言霊, 우리가 내뱉는 말속에도 영이 깃들어 있어 말을 삼가야 된다는 믿음)신앙도 일본인이 무의식 내에 ‘화’(和)를 이루려는 사고구조의 한 형태가 아닌가 싶다. 이러한 원령 신앙을 우리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모노노케히메』(원령공주)라는 애니메이션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노노케’(もののけ)는 사람을 괴롭히는 사령(死靈), 원령이다. 무차별한 환경파괴로 인해 사라지는 숲의 원한이 낳은 재앙의 신 다타리 신의 저주, 그 저주를 풀기 위한 등장인물들의 노력은 일본 원령신앙의 한 단면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사회의 종교현황
14110_p132_04그러면 교단종교를 중심으로 일본사회의 종교현황을 살펴보자. 문부과학성의 종교통계조사에 의하면, 일본에서 종교 신자수는 신도계가 약 1억 580만명, 불교계가 약 8,900만명, 기독교계가 약 200만명, 그 외 약 900만명으로 합계 2억 600만명이 된다. 일본의 총인구가 1억 2천명 정도이므로 2배 정도의 신자수가 되는 것이다. 신도계와 불교계만으로도 거의 2억명이 된다. 이는 조사가 설문조사로 행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기 단체의 신자수를 많게 신고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생각해보아야 할 다른 이유도 있다. 일본에서는 신도, 불교의 신자가 대다수를 점하고 있다. 전술한 대로 오랫동안 신불습합이 행해졌기 때문이다. 메이지 초기에 신불분리(神仏分離)가 이루어진 후에도 신도와 불교 사이의 구별이 애매한 면이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신단[神棚]을 모신 가정에 불단이 있는 경우가 많고, 불교사원의 단가(檀家)인 동시에 신사의 씨자(氏子)인 가정이 많다. 이처럼 신도를 신앙하는 자와 불교에 귀의하고 있는 자를 포함하면 2억명을 넘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달리 생각하면, 신도와 불교 2개의 종교가 일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도가 불교를 흡수하여 혼연일체가 되어 토착신앙이 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다. 신도와 불교는 하나의 종교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신도
신도는 크게 나눠 신사를 중심으로 한 신사신도(神社神道), 막말(幕末) 이래 형성된 교파신도(敎派神道) 및 종교단체를 결성하지 않고 가정 및 개인이 운영하는 민속신도(民俗神道)가 있다.

14110_p132_05신사신도는 명확한 교의(教義)가 없고(교파신도계의 교단들은 명확한 교의가 있다), 엄밀한 입신(入信) 규정도 없다. 씨자(氏子)로 들어가는 것이 이에 가깝지만, 신단[神棚]을 설치하거나 신사에 기부 및 제사(祭事)에 참여하는 경우를 신자로 보는 경우도 많다. 현재 종교법인이 된 신사는 약 8만개이며, 또 종교법인으로 등록되지 않았지만 사람들의 숭경(崇敬)을 받고 있는 신사도 다수 있다. 이러한 신사에서 받들어지는 제신(祭神)은 흔히 팔백만 신이라 불리는 것처럼 실로 다양하며, 또 제신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신사 중에는 신궁, 대사 등의 명칭을 갖고 있는 신사들도 있으며, 이 중 신궁은 일본왕실과 관련된 신사이거나 역대 일본왕을 제사하는 신사이다.

교파신도계의 교단들은 신도의 종교전통 내에서 특정 조직자 창교자의 종교체험을 중심으로 교리를 만들고 신자가 형성되는 조직종교이다. 때문에 신종교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흑주교(黑住敎), 출운대사교(出雲大社敎), 부상교(扶桑敎), 어악교(御嶽敎), 신리교(神理敎), 금광교(金光敎), 천리교(天理敎) 등이다.

불교

일본의 불교는 대부분 대승(大乗)불교이다. 불교는 일본역사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현재까지도 많은 신자수를 보유하고 있다. 불교는 6세기에 일본에 전래되었다. 나라(奈良)시대(710~794)에는 ‘남도육종’(南都六宗)이라 하여 삼론종(三論宗), 성실종(成実宗), 법상종(法相宗), 구사종(倶舎宗), 율종(律宗), 화엄종(華厳宗) 등이 널리 퍼졌다. 가마쿠라(鎌倉)시대(1185~1333) 초기까지 일본불교는 8종이었다. 남도육종에 천태종, 진언종이 더해졌다. 그러나 가마쿠라 시대에 정착한 불교문화를 배경으로 호넨(法然)의 정토종, 신란(親鸞)의 정토진종, 일련(日蓮)의 일련종 등 일본인 자신에 의해 독자적인 불교가 형성되었다. 또 이 시기에 중국으로부터 임제종과 조동종도 전해졌다.
2차대전 이전에 종교단체법이 성립될 때 28종파로 정리되었지만, 2차대전 이후 종교법인령이 성립되고 정부 인가제가 시행되면서 다수의 불교 교단이 분파 독립되어 2007년 말 현재 154개의 불교종파가 존재하고 있다.

기독교
기독교의 일본 전도는 1549년 로마 가톨릭의 예수회 선교사 프란시스코 사비에르(F. Xavier)가 일본에 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7세기 초두에는 수십만 명의 신자가 있었다. 그러나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기독교를 금지하였고, 도쿠가와(德川) 막부도 철저하게 탄압을 하여 기독교도는 이후 거의 전멸하다시피 되었다. 일본에 기독교의 본격적인 재포교가 준비된 것은 막말 경(19세기 초 중반)이었다. 서구 열강이 일본의 개국을 요구하면서 선교사들도 일본열도에 상륙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기독교 신도수는 현재 세례를 기준으로 하여 공식적으로 전인구의 0.8%이다. 사비에르가 일본열도에 최초로 포교했던 직후의 시기에도 1%를 넘었었다. 현재 신자수가 1%를 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일본의 기독교 관계자는 이를 ‘1%의 벽’이라 부르고 있다. 이 비율은 구미를 중심으로 한 선진국가들과 비교하면 당연히 낮다. 또 한국 등 아시아 전체와 비교해도 이례적으로 낮은 비율이다.


14110_p132_06



그러나 신자수가 적다고 해서 기독교가 일본의 문화, 사회에 점하고 있는 위치가 낮은 것은 결코 아니다. 일본 기독교의 위상은 그 공식적인 신자수를 능가하는 위치에 있다. 일본에서 기독교는 불교에 이어 제2위의 종교이며, 기독교를 제외하고 일본의 종교를 말하기 어려운 존재이다. 기독교는 일본사회에서 문화적 사회적인 활동을 활발히 함으로써 일본 근대화의 추진동력을 만들어 주었고, 때문에 사회적으로 인정받아왔던 것이다. 다만 일본사회에서는 예로부터 명확한 입신(入信) 의례를 거쳐 종교조직의 회원이 된다는 습관이 정착되지 않은 점 등 때문에 공식적 신자수가 적게 보고되고 있을 뿐이다.

교파별로 나누어 보면, 신자수가 제일 많은 교파는 가톨릭(구교)이다. 가톨릭의 총수는 45만명 정도로 일본 총인구의 0.3%이다. 프로테스탄트(신교)의 최대교파는 일본기독교단이다. 또 프로테스탄트 중에서 복음파라 불리는 교파는 구미권의 기독교에 비해서도 성서신앙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또 특정 교회에 속하지 않고 자기 집에서 성서만을 보는 ‘무교회 운동’(지도자는 内村鑑三, 우찌무라 간산이 유명하다)도 있다. 그리스정교(일본정교회)의 신도수는 일본에서 1만명 전후로 추정되며, 또 여호와의 증인도 많은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

신종교, 일본사회의 종교 붐
지금으로부터 20년 전(1991년), ‘행복의 과학’이 돌연 일본인들의 주목을 끌었다. 이를 주도한 자는 일본인들의 동경하는 도쿄대학의 법학부 출신이었고, 그가 쓴 책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도쿄돔에서는 그의 탄생제가 거액의 비용을 들여 성황리에 치러져 이목을 집중시켰던 것이다. ‘행복의 과학’은 신종교였다. 소위 신종교가 종종 쓰는 수법인 ‘세상을 시끄럽게 하는 포교전략’으로 세상을 놀라게 한 것이다. 1990년대는 세기말적 흐름이 일본사회를 지배하면서 제4차 종교 붐이 일어난 시기였다. 일본사회에서 이러한 종교 붐 현상은 몇 차례 있었다. 제1차가 막말유신기, 제2차는 2차 대전 패전 직후, 제3차가 1970년대였고, 바로 제4차가 1990년대였던 것이다.

19세기 막말유신기, “에에쟈나이까”
19세기 일본사회에는 역사적인 거센 조류가 몰아치고 있었다. 19세기 초반부터 러시아와 영국 군함들이 통상을 요구하며 다가왔으나 막부는 쇄국을 고집해 문을 열지 않았다. 백성들의 생활은 불안했다. 1853년에는 미국의 페리제독이 군함[黑船] 네 척을 이끌고 와 개항을 요구했다. 아니 위협했다. 결국 막부는 미국의 강화 요구를 받아들여 이듬해 일미화친조약을 체결했고, 이후 일본의 문을 개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본의 정치와 경제는 혼란스러웠고 민중들의 생활은 말이 아니었다.

이 때 민중들 사이에서는 구원을 바라는 심리에서 이세신궁(伊勢神宮)에 참배하는 것이 대유행하였다. 이를 ‘오카게마이리’(お陰參り)라 한다. 이세신궁에 모신 신의 음덕을 바라는 참궁(參宮)이었다. 1830년의 오카게마이리는 약 500만명의 인파가 들끊었다. 오사카에서 이세(伊勢)에 이르는 길가에는 참궁을 위한 인파가 혼잡하였고, 그 사람들은 아마테라스 오오미가미(天照大神)의 신위(神威)를 받들어 미친 듯 “에에쟈나이까(いいじゃないか)”로 쓴다. 곧 “(세상바꿈이)좋지 아니한가”를 노래하고 춤추며 이세신궁으로 향했다. 이러한 참배물결의 큰 파도가 지나가면서, 봉건체제의 틀을 깨트리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1867년 막부는 정권을 천황에게 반납[大政奉還]했고, 조정은 천황정치의 부활을 정식 공포했다[왕정복고]. 이듬해 천황은 수도를 쿄토에서 도쿄로 옮기고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했다. 이것이 메이지유신(1868)이다. 이에 따라 신정부는 1869년에 다이묘(大名)들의 영지와 영내 백성들을 천황에게 반납하게 하고[版籍奉還], 1871년에는 종래의 번을 폐지하고 대신 전국을 현으로 나누어 중앙정부에서 관리를 파견했다[廢藩置縣]. 또한 메이지정부는 신사신도를 ‘국가의 종사(宗祠)’로 불교, 기독교와 달리 취급하여, 이세신궁을 정점으로 한 국가신도 체제를 확립하였다.
그래서 신사는 국가가 제사 및 보호 유지해야만 하는 시설이 되었다. 이러한 막말유신기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흑주교(1814), 천리교(1838), 그리고 금광교(1859) 등 많은 신종교들이 출현하였다.

20세기 세 번의 종교 붐, ‘신들의 러시아워’
20세기에는 1945년, 일본의 패망 직후와 1970년대 오일쇼크 직후, 그리고 1990년대 세기말적 분위기에서 세 번의 종교 붐 현상이 있었다.
2차 대전에서 패망한 직후 일본사회에서 국가신도가 폐지되었다. 천황 스스로가 신격(神格)을 부정(인간선언)하였고, 정교분리와 신교자유를 보장하는 신헌법이 시행되었다. 일본종교사에 미증유의 변동이 일어난 시기였다. 히도노미찌, 대본, 혼미찌, 창가교육학회(1946년에 창가학회로 개칭) 등이 조직을 재건하여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그동안 국가신도에 종속되었던 천리교와 금광교도 재출발하고 있었다. 또 생장(生長)의 가(家), 대일본관음교단(오늘날 세계구세교), 지우(璽宇, 1945), ‘무아(無我)의 춤’으로 인해 ‘춤추는 종교’로 일약 유명한 천조황대신궁교 등이 재건 재발족 개교되었다. 이처럼 전후부흥기는 여러 신종교들이 난립 경쟁 발전한 소위 ‘신들의 러시아워’ 시기였다.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는 대체적으로 평온한 시기였다. 경제적으로 낮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출호조에 힘입어 일본 국내에서 풍요의 사회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 시작된 신비 주술 붐은 소위 ‘신신종교’ 및 ‘작은 교단’의 유행현상으로 나타났다.

이전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상대적으로 많은 젊은이가 참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번화가에는 ‘파친코점보다 그 수가 많다’라고 언급될 정도로 소교단이 배출되고 얼마 안돼 신신종교로 불리워질 정도로 대교단으로 급성장하는 예도 있었다.
그리고 1990년대의 4번째 종교 붐은 세기말적 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세기말 때마다 찾아오는 종말론 이야기, 특히 노스트라다무스의 1999년 종말예언 등은 서두에 보았듯이 행복의 과학 등과 같은 신종교들을 탄생시켜 주고 있었다.

현재 일본사회에서 활동하면서 종교단체로 등록된 신종교 교단수만 보더라도 300여개가 넘고 있고, 신자수도 대략 인구의 1~2할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신종교 교단들은 각종 교육기관 및 의료기관을 설립하고 출판 문화사업 등을 전개하면서 일본사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일본의 대표적인 신종교 단체인 창가학회의 정계진출은 일본사회를 놀라게 하였고, 이 이외에도 PL, 영우회(靈友會), 입정교성회(立正校成會), 생장의 가 등의 신종교 단체가 정치와 끊임없이 관련을 맺어왔다. 또한 이러한 신종교 교단들은 일본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남미,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활발한 포교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일본식의 종교관
일전에 이름있는 한국의 기독교계 인사가 일본사회는 격조가 낮은 여러 잡신들을 모시기 때문에 벌을 받아 자연재해가 휩쓴다고 말해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일본사회, 아니 일본의 종교문화를 잘 모르고 말한 안타까운 현실이다. 일본인들은 종종 ‘풀 한포기, 나무 한 조각, 심지어 우리가 내뱉는 말[言] 한 마디에도 신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종교의식조사에서 ‘믿는 종교(교단)는 없으나 신불(神佛)을 믿고 의지하고 있다’는 일본인이 응답이 다수라는 결과도 이러한 일본인의 종교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곧 현대 일본인의 대다수는 실제로 종교의례에 참가하면서도 특정 종교조직에 대한 귀속의식은 희박하고, 스스로는 ‘무종교’(無宗教)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일본인이 신 및 불(仏)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 믿고 있지만 특정의 교단종교에 귀속하고 있지는 않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일본인의 종교관과 일본사회의 종교 실태를 보고 있노라면, 필자는 차라리 ‘일본교’(日本敎)라 부르고 싶을 때가 많다. 일본의 신사를 중심으로 한 신도신앙, 팔백만신, 일상생활을 신도 불교 기독교 등 여러 종교와 함께 살아가는 모습들, 어떤 종교가 들어와도 수용하고 녹여내는 습합(習合)신앙 등은 ‘일본교’라는 명칭을 무색치 않게 할 것 같다. 그래서 ‘일본인은 무종교라기보다 일본교라는 종교의 신도’ 라고 주장하는 편이 더 옳지 않을까 한다.




14110_p132_01.jpg (55.4KB) (0)
14110_p132_02.jpg (82.2KB) (0)
14110_p132_03.jpg (75.3KB) (0)
14110_p132_04.jpg (20KB) (0)
14110_p132_05.jpg (22.5KB) (0)
14110_p132_06.jpg (91.9KB) (0)
14110_p132_07.gif (24.3KB) (0)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수정 삭제 목록으로
 댓글 0개 | 엮인글 0개

39개(4/4페이지)
9소도신앙과 제사의식으로 본 백제의 전통신앙
고조선 이후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원시신앙은 고구려·신라·백제의 삼국시대에 규모를 갖추게 된다. 신라·고구려에 비해서 백제의 전통신앙은 지금 그 자취를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를 거치면서 패권을 상실한 백제관계 기 록은 거의 인멸되었고, 문화사상은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백제의 전통신앙은 한국 고대사회의 대표적인 사상으...
2013.07.10, 작성자:김선주, 조회수:4662
8큰 나라 백제와 고대 일본
1. 미야자키현의‘백제의 마을’을 찾아지난 5월 말, 일본 큐슈(九州) 땅 깊숙이 숨어있는 ‘백제의 마을’을 찾아가기 위해 험한 산길을 달렸 다. 큐슈 땅에서 옛‘가야’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만, ‘백제’의 흔적을 만나는 건 흔치 않는 일이다. 일본 열도에는‘백제’와 관련된 명칭을 가진 지역들이 있 다. 그러나 그 대다수는 소위 긴키(近畿)지방이라 알 려진 ...
2013.07.09, 작성자:김철수, 조회수:8034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일본인, 일본사회 그리고 종교문화 신의 나라, 일본필자가 일본에 대해 얘기할 때면 종종 하는 말이 있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한국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 속담에는 자연에 대한 신뢰와 사람에 대한 불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렇다는 말이다. 때문에 사람을 만날 때는 조심하고 조심하란 경구이다...
2012.05.11, 작성자:김철수 , 조회수:10316 [역사와 문명]
6중국의 제천祭天 문화
중국의 제천祭天 문화천제天祭란 인간과 모든 만물을 지배하는 상제에게 제를 지내는 것으로, 이 상제에게 천제를 지내는 제천문화는 동북아의 뿌리문화를 대표하는 것이다. 중국의 제천에 대한 내용은 『시경』,『서경』등의 초기 경전에도 많이 볼 수 있고, 고고자료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중국의 제천문화에 대해서 (1)천제의 기원과 그 의미 (2)중국 고대의...
2011.10.31, 작성자:김선주, 조회수:4618 [역사와 문명]
5고대 로마의 태양신 숭배와 기독교
고대 로마의 태양신 숭배와 기독교김현일 / 증산도상생문화연구소태양신 ‘솔 인빅투스’ 오늘날 우리들은 7요일을 한 주週로 하는 리듬에 맞추어 산다. 원래는 6일은 일하고 한 주의 마지막 날인 제7일은 쉬는 날로 한 것인데 최근에는 쉬는 날이 2일로 늘었다. 전반적인 생산력이 늘어 2일을 쉬어도 사회가 돌아가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일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언제...
2011.11.15, 작성자:김현일, 조회수:8946 [역사와 문명]
4유교儒敎의 신관神觀
유교儒敎의 신관神觀증산도상생문화연구소: 동양철학연구부 양 재 학楊在鶴 우리 가족은 설날과 추석을 포함하여 1년에 열 세 번 제사를 지낸다. 때로는 밥을 세 그릇씩 올리는 제사도 있다. 제삿날이 돌아오면 어머니는 음식을 마련하느라 며칠 전부터 종종 걸음하셨고, 아버지는 좋은 밤과 대추를 구하려 애쓰셨던 광경이 아련한 추억으로 떠오른다. 부모님에게서 제...
2011.10.14, 작성자:양재학, 조회수:5428 [역사와 문명]
3기독교 신앙의 핵심과 오늘의 모습(1)
이윤재 *글쓴이 이윤재는 독일 마르부르그(Marburg) 대학교에서 사회철학을 전공하고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서양철학연구부 연구위원. 인류문화를 이끌어온 바탕에는 종교가 있습니다. 종교는 인간의 삶과 죽음이라는 가장 심원한 문제를 다룹니다. 탄생도 신비요 죽음도 신비입니다. 모든 인간은 어떤 종교를 믿든 안 믿든 이...
2011.10.11, 조회수:4704 [역사와 문명]
2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역사인식
‘총론’, ‘수두시대’, ‘삼조선분립시대’를 중심으로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역사인식  김철수/ 증산도 상생문화연구소   신채호(申采浩, 1880.12.8~1936.2.21) ‘조선 역사의 대가’이자 ‘국혼’(國魂)이라 불리는 단재 신채호 선생. ‘ 역사라는 것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다’라는 명제를 내걸어 민족사관을 수립하고, 한국 근대사학의 ...
2011.06.13, 조회수:6830 [역사와 문명]
1대륙백제를 생각한다
 중국대륙에 위치한 백제의 영토는 백제가 망한 이후에 어떻게 되었을까? 흥미로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중국 사서에서 이 문제에 대한 직접적 기록을 찾기란 쉽지 않다. 단지 당나라 때 재상인 두우杜佑가 편찬한「통전通典」의 짤막한 언급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다. 백제가 당에 의해 멸망하였다는 언급 뒤에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말이 붙어 ...
2010.08.18,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조회수:7350
글쓰기처음목록 새로고침
처음페이지이전 10 페이지1234다음 10 페이지마지막페이지

2020/09/22

불교언론-한국불교종단협 “일련정종은 무허가 일본불교 종파” - 법보신문

불교언론-한국불교종단협 “일련정종은 무허가 일본불교 종파” - 법보신문



한국불교종단협 “일련정종은 무허가 일본불교 종파”

 윤태훈 인턴기자 승인 2020.09.09



9월8일 “서울시 등 등록 안됐다” 표명

한국불교, 국민건강 위해 최선 다할 것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일련정종은 한국불교 종단이 아니며, 법인 허가를 받지 않은 임의단체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가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일련정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종단협은 9월8일 “이번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일련정종은 일본불교 종파로 한국불교 종단이 아니다”며 “서울시의 법인 허가를 받지 않은 임의단체로 활동해오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일련정종이 한국불교와 정서상 맞지 않는 단체임을 강조했다. 일련정종은 일본 가마쿠라시대 인물인 일련조사(日蓮祖師)를 개조로 하는 일본불교 종파로 제국주의 시대를 거치며 국수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드러냈다. 종단협도 “일련정종은 한국불교계 정서에 맞지 않는 임의단체다. 일제강점기 군국주의 찬양과 신사참배를 합리화했다”고 지적했다.



종단협은 “한국불교계는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해 중앙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전국 2단계와 수도권 2.5단계를 준수해 전국 사찰에서 모든 법회를 비롯해 집단행사를 자제해 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지침을 준수하지 않고 영등포구 서울포교소에서 많은 인원이 모이는 법회를 진행해 확진자가 발생했다”며 “한국불교계의 노력을 훼손하고 국민의 안전을 위협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종단협은 “일련정종이 한국불교가 아님을 적극 고려해 국민과 불자들이 오해 없으시길 바란다”며 “한국불교계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도하고 정부 지침을 준수해 국민과 함께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는 조계종, 천태종, 진각종, 관음종, 태고종, 총지종, 대각종, 삼론종, 보문종, 원효종, 일붕선교종, 총화종, 대승종, 용화종, 미륵종, 본원종, 원융종, 여래종, 염불종, 조동종, 법상종, 법륜종, 정토종, 진언종, 화엄종, 법연종, 미타종, 일승종, 법화종, 불이종의 30개 종단이 회원종단으로 가입돼 있다.



윤태훈 인턴기자 yth92@beopbo.com



다음은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입장문 전문.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입장문



코로나19의 집단감염 발생 일본불교 일련정종은 한국불교가 아닙니다.



(사)한국불교종단협의회의는 이번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일련정종은 일본불교 종파로 한국불교 종단이 아님을 밝힙니다.



일련정종은 서울시의 법인 허가를 받지 않은 임의단체로 활동해오고 있으며, 본회에 가입하지 않은 종교단체로 군국주의 찬양과 신사참배 합리화 등 한국불교계 및 국민들의 정서에 부합하지 않은 단체입니다.



한국불교계는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해, 중앙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전국 2단계와 수도권 2.5단계를 준수하여 전국의 사찰에서 모든 법회와 집단행사를 자제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련정종의 서울포교당에서는 많은 인원이 모이는 법회를 진행하였고 확진자가 발행함으로써 한국불교계의 노력을 훼손하고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관련한 보도에 있어 일련정종이 한국불교가 아님을 적극 고려하여 국민과 불자들에게 오해 없도록 당부드립니다.



한국불교계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도하며, 국민과 함께할 것입니다.



불기 2564(2020)년 9월 8일



[1553호 / 2020년 9월1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2020/09/11

연기 (불교) - 위키백과, Pratītyasamutpāda dependent arising



연기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기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因: 직접적 원인)과 (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1][2][3] '연(緣: 인과 연의 통칭으로서의 원인)해서 생겨나 있다' 혹은 '타와의 관계에서 생겨나 있다'는 현상계(現象界)의 존재 형태와 그 법칙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세상에 있어서의 존재는 반드시 그것이 생겨날 원인[因]과 조건[緣]하에서 연기의 법칙에 따라서 생겨난다는 것을 말한다.[4] 


연기의 법칙, 즉 연기법(緣起法)을 원인과 결과의 법칙 또는 줄여서 인과법칙(因果法則) 혹은 인과법(因果法) 또는 인연법(因緣法)이라고도 한다.[3][5] 

엄밀히 말하면, 고대 인도에서는 인과법에 대해 여러 이론들이 있었으므로, 연기법은 고타마 붓다가 설한 인과법, 또는 불교에서 주장하는 인과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고타마 붓다는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서 연기법은 자신이나 다른 깨달은 이가 만들어낸 것이 아니며 여래가 세상에 출현하고 출현하지 않음에 관계없이 우주(법계)에 본래부터 존재하는 보편 법칙, 즉 우주적인 법칙이며, 자신은 단지 이 우주적인 법칙을 완전히 깨달은[等正覺] 후에 그것을 세상 사람들을 위해 12연기설의 형태로 세상에 드러낸 것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4][6][7]

연기관계(緣起關係)에는 유전연기(流轉緣起)과 환멸연기(還滅緣起)의 두 가지가 있다. 연기관계를 인과관계(因果關係)라고도 하는데, 
예를 들어, 불교의 근본 교의인 4성제에서 (苦) · (集)의 2제(二諦)의 관계는 괴로움이라는 결과와 괴로움을 생겨나게 하는 원인으로서의 갈애 또는 망집의 관계로서, 미혹되게 하고 괴로움을 겪게 만드는 인과관계유전연기(流轉緣起)이며, 
이에 대해 (滅) · (道)의 2제(二諦)의 관계는 모든 괴로움이 소멸된 이상의 경지인 열반증득이라는 결과와 열반증득하게 하는 원인으로서의 불교의 수행의 관계로서, 미혹을 벗어나게 하고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는 인과관계환멸연기(還滅緣起)이다.[8]

연기에 대한 불교 교의를 연기설(緣起說)이라고 한다. 
고타마 붓다12인연(十二因緣) 또는 12연기(十二緣起)의 연기설을 가르친 이래 불교 역사에는 여러 가지의 연기설이 출현하였다. 

부파불교업감연기(業感緣起), 
중관파공 사상(空思想), 
유식유가행파아뢰야연기(阿賴耶緣起),
 《대승기신론》의 진여연기(眞如緣起) 또는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화엄종법계연기(法界緣起), 

용어[편집]

연기(緣起)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티트야 삼무파다(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pratītyasamutpād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인연생기(因緣生起: 에 의지하여 생겨남, 인연따라 생겨남)의 준말이다.[1] 한역(漢譯) 경전에서는 발랄저제야삼모파다(鉢剌底帝夜參牟播陀)로 음차하여 표기한 경우도 있다.[1]

프라티트야(산스크리트어: pratītya)의 사전적인 뜻은 '의존하다'이고 
삼무파다(samutpāda)의 사전적인 뜻은 '생겨나다 · 발생하다'이다.

연기(緣起), 인연생기(因緣生起: 에 의지하여 생겨남, 인연따라 생겨남), 즉 '프라티트야 삼무파다'는 영어권에서는 dependent arising (의존하여 생겨남)[10], conditioned genesis (조건지워진 생성), dependent co-arising (의존된 상호발생)[11][12], 또는 interdependent arising (상호의존하여 생겨남)[13]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우주 법칙으로서의 연기법[편집]

12연기:
① 무명

② 행

③ 식

④ 명색

⑤ 6입

⑥ 촉

⑦ 수

⑧ 애

⑨ 취

⑩ 유

⑪ 생

⑫ 노사
vdeh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연기법(緣起法)은 자신이나 다른 깨달은 이[如來]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며 법계(우주)에 본래부터 항상 존재하는[常住] 법칙[法]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여래(如來: 문자 그대로는 '진리[如]로부터 온[來] 자' 또는 '진리와 같아진[如] 후, 즉 진리와 하나가 된[如] 후, 즉 완전히 깨달은[如] 후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세상으로 나온[來] 자'[14])들은 이 우주 법칙을 완전히 깨달은 후에 다른 이들도 자신처럼 이 우주 법칙을 완전히 깨달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그것을 12연기설 등의 형태로, 즉 아직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세상에 드러낸 것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有異比丘來詣佛所。稽首禮足。退坐一面。白佛言。


世尊。謂緣起法為世尊作。為餘人作耶。 
佛告比丘。緣起法者。非我所作。亦非餘人作。然彼如來出世及未出世。法界常住。
彼如來自覺此法。成等正覺。為諸眾生分別演說。開發顯示。
所謂此有故彼有。此起故彼起。謂緣無明行。乃至純大苦聚集。無明滅故行滅。乃至純大苦聚滅。—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한문본
이 때 어떤 비구가 고타마 붓다가 있는 곳에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서 고타마 붓다에게 물었다.



"세존이시여, 이른바 연기법(緣起法)은 당신께서 만든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깨달은 이[餘人]가 만든 것입니까?"

고타마 붓다는 그 비구에게 답하였다.

"연기법은 내가 만든 것[所作]도 아니요, 또한 다른 깨달은 이[餘人]가 만든 것[所作]도 아니다. 그러므로 연기법은 저들[彼] 여래들[如來]이 세상에 출현하거나 세상에 출현하지 않거나 항상 법계(法界)에 존재한다[常住].

저들[彼] 여래들[如來]은 이 [우주적인] 법칙[法]을 스스로 깨달아 완전한 깨달음[等正覺]을 이룬다. 그런 뒤에, 모든 중생들을 위해 [이 우주 법칙을 중생들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로] 분별해 연설하고[分別演說] [중생들에게] 드러내어 보인다[開發顯示].

말하자면, [나의 경우에는 12연기설의 형태로 이 우주 법칙을 분별해 연설하고 드러내어 보이는데, 나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말하고, '무명을 인연하여 이 있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純大苦聚, 즉 5취온]가 발생하며, 무명이 소멸하기 때문에 이 소멸하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純大苦聚, 즉 5취온]가 소멸한다'고 말한다."—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한글본

고타마 붓다가 보리수 밑에서 얻은 깨달음의 내용은 연기의 이법(理法)이라고 말해지며, 따라서 연기는 불교의 근본진리이며 불교에 의한 세계관 · 인생관을 이룬다. 나아가, 연기는 고타마 붓다의 출세 · 불출세와 무관한 진리로서 불교에만 국한되는 진리가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절대의 진리 · 보편 타당한 객관적 진리라고 하며, (法 · 다르마)이라는 낱말의 여러 가지 의미 중에는 이러한 우주 법칙 또는 우주적 진리로서의 의미도 들어있다.[4]

그러므로 "연기(緣起)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연기를 본다"라든가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부처를 본다"라고 말한다. 즉 진리로서의 연기를 올바로 보게 된다면 불교를 이해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4]
연기와 삼법인·사법인[편집]

연기의 법칙은 삼법인(三法印)이나 사법인(四法印)의 교의와 관련이 있다. 제행무상(諸行無常)에 의하면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생멸변화하고 있으며, 제법무아(諸法無我)에 의하면 존재하는 것은 타(他)와의 관계 없이 고립되어 있는 것이 하나도 없으며, 모든 것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상호 관련되어 있다. 일체개고로서 현실의 방황하는 인생도 고정된 것이 아니며 지혜에 의한 올바른 실천에 의해서 욕망을 없앰으로써 이상(理想)으로서의 열반적정(涅槃寂靜)의 경지가 실현될 수 있다.[4]

이러한 무상이며 무아인 모든 현상이 변화하고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양상은 결코 무궤도적인 것이 아니라 거기에 관계 변화(關係變化)의 법칙이 있어서 그에 따라 생멸하며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의 법칙이 연기의 법칙이다. 연기의 법칙은 전형적으로 "이것이 있으면 그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그것도 없는 것이다. 이것이 생김으로써 그것이 생기고, 이것이 멸함으로써 그것도 멸한다"라는 말로써 표현되고 있다.[4]
연기와 공·중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공 (불교)입니다.

불교, 특히 대승불교공 사상(空思想)에서는, (空)을 관조하는 것이 곧 연기(緣起)의 법칙을 보는 것이며 또한 진실한 세계인 중도(中道)의 진리에 눈을 뜨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또한 대승불교 실천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특히 대승경전 중 《반야경》(般若經)과 이에 입각하여 용수(龍樹)가 저술한 논서인 《중론》(中論)에서 명백하게 밝혀 두고 있다.[9] 《중론》 제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에는 아래와 같은 유명한 인연소생법(因緣所生法: 법 · 존재 또는 현상은 인과 연에 의해 생겨난다)의 게송이 있다.



1 諸法有定性。則無因果等諸事。如偈說。

眾因緣生法  我說即是無
亦為是假名  亦是中道義
未曾有一法  不從因緣生
是故一切法  無不是空者

眾因緣生法。我說即是空。何以故。
眾緣具足和合而物生。是物屬眾因緣故無自性。
無自性故空。空亦復空。但為引導眾生故。
以假名說。離有無二邊故名為中道。

是法無性故不得言有。亦無空故不得言無。
若法有性相。則不待眾緣而有。
若不待眾緣則無法。是故無有不空法。

각각의 법이 고정된 성품(定性)을 지니고 있다면 곧 원인과 결과 등의 모든 일이 없어질 것이다. 때문에 나는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설명한다.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법(法: 존재)이다.
나는 이것을 공하다(無)고 말한다.
그리고 또한 가명(假名)이라고도 말하며,
중도(中道)의 이치라고도 말한다.
단 하나의 법(法: 존재)도 인과 연을 따라 생겨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일체의 모든 법이 공하지 않은 것이 없다.

여러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인 법(法: 존재)을 공하다(空)고 나는 말한다. 왜 이렇게 말하는가? 여러 인과 연이 다 갖추어져서 화합하면 비로소 사물이 생겨난다. 따라서 사물은 여러 인과 연에 귀속되는 것이므로 사물 자체에는 고정된 성품(自性 · 자성)이 없기 때문이다. 고정된 성품(自性 · 자성)이 없으므로 공(空)하다. 그런데 이 공함도 또한 다시 공한데, (이렇게 공함도 다시 공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사물이 공하다고 말한 것은) 단지 중생을 인도하기 위해서 가명(假名)으로 (공하다고) 말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물이 공하다고 말하는 방편과 공함도 공하다고 말하는 방편에 의해) "있음(有)"과 "없음(無)"의 양 극단(二邊)을 벗어나기에 중도(中道)라 이름한다.

법(法: 존재)은 고정된 성품(性 · 自性 · 자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法: 존재)을 "있음(有)"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법(法: 존재)은 공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법(法: 존재)을 "없음(無)"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어떤 법(法: 존재)이 고정된 성품(性相 · 성상 · 自性 · 자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그 법은 여러 인과 연에 의존하지 않은 채 존재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기의 법칙에 어긋난다). 여러 인과 연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연기의 법칙에 어긋나므로 생겨날 수 없고, 따라서) 그 법(法: 존재)은 없는 것(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연기의 법칙에 의해 지금 존재하고 있는 것을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이러한 모순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다음을 대전제로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공하지 않은 법(즉, 연기하지 않는 존재 또는 고정된 성품을 가진 존재)이란 존재할 수 없다.


— 《중론》(中論) 4권 24장 〈관사제품〉(觀四諦品), 대정신수대장경[15]
같이 보기[편집]

십이연기
법이도리
대승기신론
연기법송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연기"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박인성 번역 (K.577, T.1564). 《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7(16-350), T.1564(3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2014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중국어)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64). 《중론(中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64,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편집]

이동:가 운허 & 동국역경원, "緣起(연기)" Archived 2015년 9월 9일 - 웨이백 머신, 《불교사전》. 2010년 12월 19일에 확인.
"緣起(연기): [1] 【범】 pratītyasamutpāda 발랄저제야삼모파다(鉢剌底帝夜參牟播陀)를 번역한 것. 인연생기(因緣生起)의 뜻. 연이 되어서 결과를 일으킴. 구사종(俱舍宗)의 업감연기(業感緣起), 유식종의 뇌야연기(賴耶緣起), 『기신론(起信論)』의 진여연기(眞如緣起), 『화엄경(華嚴經)』의 법계연기(法界緣起), 진언종(眞言宗)의 6대연기(大緣起) 등. [2] 기연설기(機緣說起)의 뜻. 중생의 지혜로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설법하는 것."
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인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동:가 권오민 2003, 106-115쪽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란 무엇인가? 그 근거는 무엇인가? 이슈바라와 같은 자재신自在神의 조작인가, 아니면 원인 없이 우연히 생겨난 것인가? 우리는 흔히 불타의 교법을 인과법 혹은 인연법이라고 한다. 모든 존재는 인연에 의해 생겨나며, 그것은 또 다른 존재에 인연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인(hetu)'이란 직접적 혹은 일차적인 원인을 말한다며, '연(pratyaya)'이란 간접적 혹은 이차적인 원인을 말한다. 말하자면 '인'이 원인이라면, '연'은 원인으로 하여금 결과를 낳게 하는 조건이다. 예컨대 싹은 씨앗으로부터 생겨나지만, 씨앗이 바로 싹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수분이나 광선 온도 등의 일정한 조건하에서만 비로소 싹을 낳게 된다. 우리들 경험의 세계가 이처럼 인연에 의해 생겨난다고 하는 것을 연기緣起라고 한다. 연기란 인연생기의 준말이다. 곧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겨나므로 저것이 생겨난다'. 이것이 연기의 공식이다. 이것은 바로 불타 깨달음의 본질이라고 한다. 그는 세계의 존재근거를 그 어떤 초월적 실재에서 구하거나 혹은 부정한 것이 아니라 이것과 저것의 관계성에서 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동:가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연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연기 緣起: 고타마가 보리수 밑에서 얻은 깨달음의 내용은 연기의 이법(理法)이라고 말해지며, 따라서 연기는 불교의 근본진리이며 불교에 의한 세계관·인생관을 이루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니, 반드시 불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고타마의 출세·불출세와 무관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절대의 진리, 보편 타당한 객관적 진리라고 하며 이것을 법이라는 말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연기(緣起)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연기를 본다"라든가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법을 보는 자는 부처를 본다"라고 말한다. 즉 진리로서의 연기를 올바로 보게 된다면 불교를 이해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연기란 어떠한 것인가. 연기란 "연(緣)해서 생겨나 있다" 혹은 "타와의 관계에서 생겨나 있다"는 현상계(現象界)의 존재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세상에 있어서의 존재는 반드시 그것이 생겨날 원인과 조건하에서 연기의 법칙에 따라서 생겨난다는 것이다. 그 연기의 법칙이란 3법인(三法印)이나 4법인(四法印)에서 도출되는 것으로서 '제행무상'에 의하면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생멸변화하고 있으며, '제법무아(諸法無我)'에 의하면 존재하는 것은 타(他)와의 관계없이 고립하고 있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모든 것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일체개고'로서 현실의 방황하는 인생도 고정된 것이 아니며 지혜에 의한 올바른 실천에 의해서 욕망을 없앰으로써 이상(理想)으로서의 '열반적정(涅槃寂靜)'의 경지가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무상이며 무앙인 모든 현상이 변화하고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양상은 결코 무궤도적인 것이 아니라 거기에 관계 변화(關係變化)의 법칙이 있어서 그에 따라 생멸하며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의 법칙이 연기의 법인 것이다. 그것은 구체적으로는 "이것이 있으면 그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그것도 없는 것이다. 이것이 생김으로써 그것이 생기고, 이것이 멸함으로써 그것도 멸한다"라는 말로써 단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김형오 (2012년 9월 26일). “51. 불법의 존재방식”. 법보신문.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9일에 확인함.
“존재는 존재자에 비하여 공과 같은 요소를 지닌다. 그렇다고 해서 존재를 아무런 작용도 없는 허무처럼 여겨서는 안된다. 존재는 공처럼 텅 비어 있으나, 허무가 아니므로 그 공은 어떤 힘을 지닌다. 그 힘을 영가대사는 인과의 작용이 있는 인과법이라고 불렀다. 이 인과법이 바로 연기법이다.”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p. T02n0099_p0085b22 - T02n0099_p0085b29. 연기법(緣起法)
"有異比丘來詣佛所。稽首禮足。退坐一面。白佛言。世尊。謂緣起法為世尊作。為餘人作耶。 佛告比丘。緣起法者。非我所作。亦非餘人作。然彼如來出世及未出世。法界常住。彼如來自覺此法。成等正覺。為諸眾生分別演說。開發顯示。所謂此有故彼有。此起故彼起。謂緣無明行。乃至純大苦聚集。無明滅故行滅。乃至純大苦聚滅。"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p. 462 / 2145. 연기법(緣起法)
"이 때 어떤 비구가 부처님 계신 곳에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른바 연기법(緣起法)은 세존께서 만든 것입니까? 다른 사람이 만든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연기법은 내가 만든 것도 아니요, 또한 다른 사람이 만든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여래가 세상에 출현하시거나 세상에 출현하시지 않거나 법계에 항상 머물러 있다. 저 여래는 이 법을 스스로 깨닫고 등정각(等正覺)을 이룬 뒤에, 모든 중생들을 위해 분별해 연설하고 드러내어 보이신다. 그것은 이른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하는 것이고, '무명을 인연하여 행이 있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가 발생하며, 무명이 소멸하기 때문에 행이 소멸하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가 소멸한다'고 하는 것이니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4성제(4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성제(4제설) 四聖諦(四諦說): 연기설(緣起說)이란 고타마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은 세계인생의 진리를 말하는데 그 연기(緣起)의 도리를 다른 사람에게도 이해시키기 위하여 조직화하고 해설한 것이 4성제 또는 4제설이다. 제(諦)라고 하는 것은 진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사성제는 인생의 근본 문제와 그 해결에 관한 4가지의 진리라는 것이다. 우선 방황하는 범부(凡夫)의 현실적인 생존은 고(苦)라고 하는 인식(認識:苦諦)은 다시 그 고가 도대체 무엇으로부터 생긴 것인가 하는 원인추구(集諦)로 향한다. 그리하여 거기에서 구명된 원인은 즉 범부가 갖는 갖가지 마음의 미혹(迷惑)·번뇌·욕망(欲望:渴愛)에 있다. 그러므로 올바른 지혜에 의해서 진리를 깨닫고 모든 욕망을 없애버리는 것(滅諦)이야 말로 우리들의 이상인 열반에 이르는 올바른 길(道諦)이라고 하는 것이 4제설의 내용이다. 4제설은 인생의 고(苦)와 낙(樂), 무지(無知)로 인한 방황과 지혜에 의한 깨달음이 인간의 마음 속에서 부정(否定)을 매개로 한 인과관계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우선 고(苦)·집(集)의 2제(諦)에 있어서 우리들이 아직 인생의 이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고뇌 많은 현실생활을 보내고 있다는 것과, 그 고뇌의 현실적인 원인·이유라는 방황의 인과관계(因果關係:流轉緣起)가 설명되고 멸(滅)·도(道)의 2제(諦)에 의해서 이미 인생의 올바른 의의·목적을 자각하여 그 이상(理想)이 무엇인가를 알고 이 이상세계에는 어떤 방법으로 도달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원인·이유라는 깨달음을 향하는 인과관계(因果關係:還滅緣起)가 설명되어 있는 것이다. 이 두 종류의 인과관계를 각각 '염(染)의 연기(緣起)'·'정(淨)의 연기'라고도 말하는데 이 양자도 서로 무관계한 것이 아니라 서로 현실과 이상, 인생의 고(苦)와 열반의 낙(樂), 번뇌에 의한 방황과 지혜에 의한 깨달음과 같이 한 개인의 마음의 표리를 이루고 서로 타의 부정에 의해서 확립되는 인과관계에 있다. 즉 고가 있는 한 낙은 없고, 방황하는 한 깨달음은 없음과 동시에 고를 없앤 것이 낙이며 방황을 떠난 것이 깨달음이라는 관계인 것이다."
이동:가 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공 空: '공허(空虛)'를 의미하는 범어 '슈냐'의 역어(譯語).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적인 교리이며 특히 대승불교에서 여러 가지로 설명되지만 허무적(虛無的)인 뜻으로 이해하는 것을 강력하게 배척하고 있다. 대체로 자기의 존재까지 포함한 모든 존재(法)는 인연(因緣)에 따라 생기(生起)한 것, 즉 연기(緣起)에서만 인정될 수 있는 것이며, 거기에는 어떠한 항상불변(恒常不變)한 자아(自我)나 실체(實體) 같은 것은 없다. 때문에 모든 것은 '공'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을 관조하는 것은 연기를 보는 것이며, 또한 진실한 세계에 눈을 뜨는 것이고, 이것은 또한 대승(大乘)에 있어서 실천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 사실은 특히 대승경전 속의 <반야경(般若經)>과 이에 입각한 용수(龍樹)의 <중론(中論)>에서 명백하게 밝혀 두고 있다."
(영어) Garfield, Jay L. "Dependent Arising and the Emptiness: Why did Nagarjuna start with Causation?" 《Philosophy East and West》 Volume 44, Number 2 April 1994
Bhikku, Thanissaro (2008). 《The Shape of Suffering: A study of Dependent Co-arising》 (PDF) (영어). Metta Forest Monastery.
Dhammananda, Ven. Mahathera. “The Origin of the World”. 《What Buddhists Believe》 (영어). Buddhatnet.net. 2010년 7월 24일에 확인함.
Edelglass, William; 외. (2009). 《Buddhist Philosophy: Essential Reading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2817-2.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여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여래 如來: 여래는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佛十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 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 가타는 '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
CBETA. T30n1564_p0033b10(00) - T30n1564_p0033b22(04)

펼치기

v
t
e
불교


펼치기

v
t
e
불교 종파


펼치기

v
t
e
불교 경전


펼치기

v
t
e
불교 논서 · 주석서


전거 통제

NDL: 00561983

분류:
불교 사상
불교 용어
연기설
---

Pratītyasamutpā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ranslations of
paṭiccasamuppāda
Englishdependent origination,
dependent arising,
interdependent co-arising,
conditioned arising,

etc.
Sanskrit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IASTpratītyasamutpāda)
Paliपटिच्चसमुप्पाद
(paṭiccasamuppāda)
Bengaliপ্রতীত্যসমুৎপাদ
(prôtityôsômutpadô)
Burmeseပဋိစ္စ သမုပ္ပါဒ်
IPA: [bədeiʔsa̰ θəmouʔpaʔ]
Chinese緣起
(Pinyinyuánqǐ)
Japanese縁起
(rōmajiengi)
Sinhalaපටිච්චසමුප්පාද
Tibetanརྟེན་ཅིང་འབྲེལ་བར་འབྱུང་བ་
(Wylie: rten cing 'brel bar
'byung ba
THL: ten-ching drelwar
jungwa
)
Thaiปฏิจจสมุปบาท
(RTGSpatitcha samupabat
VietnameseLý duyên khởi
Glossary of Buddhism

Pratītyasamutpāda (Sanskrit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pratītyasamutpādaPaliपटिच्चसमुप्पाद paṭiccasamuppāda), commonly translated as dependent origination, or dependent arising, is a key doctrine of Buddhist philosophy,[note 1] which states that all dharmas ("phenomena") arise in dependence upon other dharmas: "if this exists, that exists; if this ceases to exist, that also ceases to exist".

The principle is expressed in th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Palidvādasanidānāni, Sanskrit: dvādaśanidānāni) in Buddhism, a linear list of twelve elements from the Buddhist teachings which arise depending on the preceding link. Traditionally the list is interpreted as describing the conditional arising of rebirth in saṃsāra, and the resultant duḥkha (suffering, pain, unsatisfactoriness).[2] An alternative Theravada interpretation regards the list as describing the arising of mental formations and the resultant notion of "I" and "mine," which are the source of suffering.[3][4] Traditionally, the reversal of the causal chain is explained as leading to the annihilation of mental formations and rebirth.[2][5]

Scholars have noted inconsistencies in the list, and regard it to be a later synthesis of several older lists.[6][7][8][9][10][4] The first four links may be a mockery of the Vedic-Brahmanic cosmogony, as described in the Hymn of Creation of Veda X, 129 and the Brihadaranyaka Upanishad.[11][9][4][12][13][14] These were integrated with a branched list which describe the conditioning of mental processes,[8][10][4] akin to the five skandhas.[15] Eventually, this branched list developed into the standard twelvefold chain as a linear list.[8][16] While this list describes the processes which give rise to rebirth, it also analyzes the arising of dukkha as a psychological process, without the involvement of an atman.[10][11]

Etymology and meaning[edit]

Etymology[edit]

Pratityasamutpada (Sanskrit: 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consists of two terms:

  • pratitya: "having depended";[17] it appears in various Vedas and Upanishads, such as hymns 4.5.14, 7.68.6 of the Rigveda and 19.49.8 of Atharvaveda, in the sense of "confirmation, dependence, acknowledge origin".[18][19] The Sanskrit root of the word is prati* whose forms appear more extensively in the Vedic literature, and it means "to go towards, go back, come back, to approach" with the connotation of "observe, learn, convince oneself of the truth of anything, be certain of, believe, give credence, recognize". In other contexts, a related term pratiti* means "going towards, approaching, insight into anything".[19]
  • samutpada: "arising",[17] "rise, production, origin"[web 1] In Vedic literature, it means "spring up together, arise, come to pass, occur, effect, form, produce, originate".[20]

The term has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variously as dependent originationdependent arisinginterdependent co-arisingconditioned arising, and conditioned genesis.[21][22][note 2]

The term may also refer to the twelve nidānas, Palidvādasanidānāni, Sanskrit: dvādaśanidānāni, from dvāvaśa ("twelve") + nidānāni (plural of "nidāna", "cause, motivation, link").[quote 2] Generally speaking, in the Mahayana tradition, pratityasamutpada (Sanskrit) is used to refer to the general principle of interdependent causation, whereas in the Theravada tradition, paticcasamuppāda (Pali) is used to refer to the twelve nidānas.

Meaning[edit]

Conditionality[edit]

The Pratityasamutpada teachings asserts neither direct Newtonian-like causality nor a single causality. Rather, it asserts an indirect conditioned causality and a plural causality.[27][28] The "causal link" propositions in Buddhism is very different from the idea of causality that developed in Europe.[29][30] Instead, the concept of causality in Buddhism is referring to conditions created by a plurality of causes that necessarily co-originate phenomena within and across lifetimes, such as karma in one life creating conditions that lead to rebirth in a certain realm of existence for another lifetime.[31][32][33] The Pratītyasamutpāda principle asserts that the dependent origin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This is expressed in Majjhima Nikaya as "When this is, that is; This arising, that arises; When this is not, that is not; This ceasing, that ceases."[34][35]

Ontological principle[edit]

According to Peter Harvey, Pratityasamutpada is an ontological principle; that is, a theory to explain the nature and relations of being, becoming, existence and ultimate reality. Buddhism asserts that there is nothing independent, except nirvana.[22][note 3] All physical and mental states depend on and arise from other pre-existing states, and in turn from them arise other dependent states while they cease.[36] The 'dependent arisings' have a causal conditioning, and thus Pratityasamutpada is the Buddhist belief that causality is the basis of ontology, not a creator God nor the ontological Vedic concept called universal Self (Brahman) nor any other 'transcendent creative principle'.[37][38]

The Pratītyasamutpāda ontological principle in Buddhism is applied not only to explain the nature and existence of matter and empirically observed phenomenon, but also to the nature and existence of life.[39] In abstract form, it states: "That being, this comes to be; from the arising of that, this arises; that being absent, this is not; from the cessation of that, this ceases."[22] There is no ‘first cause’ from which all beings arose.[40]

Workings of the mind[edit]

Against Harvey's ontological interpretation, Eviatar Shulman argues that

dependent-origination addresses the workings of the mind alone. Dependent-origination should be understood to be no more than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the self (or better, the lack of a self). Viewing pratitya-samutpada as a description of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means investing the words of the earlier teachings with meanings derived from later Buddhist discourse."[41]

Shulman grants that there are some ontological implications that may be gleaned from dependent origination, but that at its core it is concerned with "identifying the different processes of mental conditioning and describing their relations".[41]

Noa Ronkin states that while Buddha suspends all views regarding certain metaphysical questions, he is not an anti-metaphysician: nothing in the texts suggests that metaphysical questions are completely meaningless, instead Buddha taught that sentient experience is dependently originated and that whatever is dependently originated is conditioned, impermanent, subject to change, and lacking independent selfhood.[42]

Epistemological principle[edit]

He who sees the Paṭiccasamuppāda sees the Dhamma;
He who sees the Dhamma sees the Paṭiccasamuppāda.

— Majjhima Nikaya 1.190, Translated by David Williams[43]

According to Stephen Laumakis, pratītyasamutpāda is also an epistemological principle; that is, a theory about how we gain correct and incorrect knowledge about being, becoming, existence and reality.[44] The 'dependent origination' doctrine, states Peter Harvey, "highlights the Buddhist notion that all apparently substantial entities within the world are in fact wrongly perceived. We live under the illusion that terms such as 'I', self, mountain, tree, etc. denote permanent and stable things. The doctrine teaches this is not so."[45] There is nothing permanent (anicca), nothing substantial, no unique individual self in the nature of becoming and existence (anatta), because everything is a result of "dependent origination".[35][45][46] There are no independent objects and independent subjects; according to the Pratītyasamutpāda doctrine, there is fundamental emptiness in all phenomena and experiences.[44]

Twelve Nidanas[edit]

The twelve nidānas (Palidvādasanidānāni, Sanskrit: dvādaśanidānāni) is a linear list of twelve elements from the Buddhist teachings which are pratītyasamutpāda, arising depending on the previous link. According to Shulman, "the 12 links are paticcasamuppada"; in the suttas, dependent origination refers to nothing else but the process of mental conditioning as described by the twelve nidanas.[47]

Traditionally the standard-list is interpreted as describing the conditional arising of rebirth in saṃsāra, and the resultant duḥkha (suffering, pain, unsatisfactoriness).[48][49][50][2][51][web 2]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regards the list as describing the causal arising of mental formations and the resultant duḥkha. Traditionally, the reversal of the causal chain is explained as leading to the annihilation of mental formations and rebirth.[2][5] Scholars have noted inconsistencies in the list, and regard it to be a later synthesis of several older lists.[8]

Several series[edit]

There are various Nidana lists throughout the Early Buddhist Texts and collections such as the Pali Nikayas, the most common of which is a list of Twelve Nidānas which appears in both Pali texts and Mahayana sutras such as the Salistamba Sutra. The 'dependent origination' doctrine is presented in Vinaya Pitaka 1.1–2, in abbreviated form in Samyutta Nikaya 2.1, 2.19 and 2.76.[52][53]

Dīgha Nikāya Sutta 1, the Brahmajala Sutta, verse 3.71 describes six Nidānas:

[...] [T]hey experience these feelings by repeated contact through the six sense-bases; feeling conditions craving; craving conditions clinging; clinging conditions becoming; becoming conditions birth; birth conditions aging and death, sorrow, lamentation, sadness and distress.[54][55][note 4]

Dīgha Nikāya, Sutta 14 describes ten links, and in Sutta 15 nine links are described, but without the six sense‑bases:[56]

...they experience these feelings by repeated contact through the six sense-bases; feeling conditions craving; craving conditions clinging; clinging conditions becoming; becoming conditions birth; birth conditions aging and death, sorrow, lamentation, sadness and distress.

Descriptions of the full sequence of twelve links can be found elsewhere in the Pali canon, for instance in section 12 of the Samyutta Nikaya:[57]

Now from the remainderless fading and cessation of that very ignorance comes the cessation of fabrications ... From the cessation of birth, then aging and death, sorrow, lamentation, pain, distress, & despair all cease. Such is the cessation of this entire mass of stress and suffering.

Twelve-fold chain[edit]

NidanaTraditional interpretationAlternative interpretation[3][58]Reconstructed predecessor[8]
(see also here)
Explanation
AvijjāIgnoranceIgnorance[Ignorance]SN12.2: "Not knowing suffering, not knowing the origination of suffering, not knowing the cessation of suffering, not knowing the way of practice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is is called ignorance. It leads to action, or constructing activities."[59][57]
SaṅkhāraFabrications,[57] constructing activities (any action of body, speech or mind)[59]Volitional impulses[Activities]SN 12.2: "These three are fabrications: bodily fabrications, verbal fabrications, mental fabrications. These are called fabrications."[57]
Harvey: any action, whether meritorious or harmful, and whether of body, speech or mind, creates karmic imprint on a being.[59] This includes will (cetana) and planning.[59] It leads to transmigratory consciousness.[59]
ViññāṇaRebirth consciousnessSensual consciousnessSensual consciousnessSN12.2: "These six are classes of consciousness: eye-consciousness, ear-consciousness, nose-consciousness, tongue-consciousness, body-consciousness, intellect-consciousness. This is called consciousness."[57]
Bucknell: In the Maha-nidana Sutta, which contains ten links, vijnana and nama-rupa are described as conditioning each other, creating a loop which is absent in the standard version of twelve links.[60][8]
NāmarūpaName-and-Form (mentality and corporeality)Name-and-Form (body and mind)

Sense objects

+
SN12.2: "Feeling,[note 5] perception,[note 6] intention,[note 7] contact, and attention:[note 8] This is called name.[note 9] The four great elements,[note 10] and the body dependent on the four great elements: This is called form."[note 11]
Bucknell: originally, nama-rupa referred to the six classes of sense-objects, which together with the six-senses and the six sense-consciousnesses form phassa, "contact."[8]
SaḷāyatanaSix-fold sense basesSix-fold sense basesSix-fold sense basesSN 12.2: "[T]he eye-medium, the ear-medium, the nose-medium, the tongue-medium, the body-medium, the intellect-medium."[57]
PhassaContact[61]ContactContactThe coming together of the object, the sense medium and the consciousness of that sense medium[note 12] is called contact.[note 13]
VedanāFeeling (sensation)Feeling (sensation)Feeling (sensation)Feeling or sensations are of six forms: visionhearingolfactory sensation, gustatory sensation, tactile sensation, and intellectual sensation (thought). In general, vedanā refers to the pleasant, unpleasant and/or neutral sensations that occur when our internal sense organs come into contact with external sense objects and the associated consciousness.
TaṇhāCraving ("thirst")Craving ("thirst")Craving ("thirst")SN 12.2: "These six are classes of craving: craving for forms, craving for sounds, craving for smells, craving for tastes, craving for tactile sensations, craving for ideas. This is called craving."[57]
UpādānaClinging (attachment)Clinging and grasping[3]Clinging (attachment)SN 12.2: "These four are clingings: sensual clinging,[note 14] view clinging,[note 15] practice clinging,[note 16] and self clinging."[note 17][57]
Bhava
(kammabhava)
Becoming (karmic force, similar to volitional formations),
existence[note 18]
Becoming (behavior serving craving and clinging)[3]BecomingSN 12.2: "These three are becoming: sensual becoming,[note 19] form becoming,[note 20] formless becoming."[note 21][57]
* Thanissaro Bhikkhu :"Nowhere in the suttas does he [the Buddha] define the term becoming, but a survey of how he uses the term in different contexts suggests that it means a sense of identity in a particular world of experience: your sense of what you are, focused on a particular desire, in your personal sense of the world as related to that desire."[63]
A Glossary of Pali and Buddhist Terms: "Becoming. States of being that develop first in the mind and can then be experienced as internal worlds and/or as worlds on an external level."[64]
* Bhikkhu Bodhi: "(i) the active side of life that produces rebirth into a particular mode of sentient existence, in other words rebirth-producing kamma; and (ii) the mode of sentient existence that results from such activity."[62][note 18]
* Payutto: "[T]he entire process of behavior generated to serve craving and clinging (kammabhava).[3]
JātiBirth (similar to rebirth consciousness)Birth (arising of feeling of distinct self)BirthSN 12.2: "Whatever birth, taking birth, descent, coming-to-be, coming-forth, appearance of aggregates, & acquisition of [sense] media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that is called birth."[57][note 22]
Analayo: "birth" may refer to (physical) birth; to rebirth;[note 23] and to the arising of mental phenomena.[65] The Vibhanga, the second book of the Theravada Abbidhamma, treats both rebirth and the arising of mental phenomena. In the Suttantabhajaniya it is described as rebirth, which is conditioned by becoming (bhava), and gives rise to old age and death (jarāmaraṇa) in a living being. In the Abhidhammabhajaniya it is treated as the arising of mental phenomena.[65]
Nanavira Thera: "...jati is 'birth' and not 'rebirth'. 'Rebirth' is punabbhava bhinibbatti'."[66]
JarāmaraṇaAging, death, and this entire mass of dukkhaThreats to the autonomy and position of self[3]Aging, death, etc.SN 12.2: "Whatever aging, decrepitude, brokenness, graying, wrinkling, decline of life-force, weakening of the faculties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that is called aging. Whatever deceasing, passing away, breaking up, disappearance, dying, death, completion of time, break up of the aggregates, casting off of the body, interruption in the life faculty of the various beings in this or that group of beings, that is called death."[57]

Causal chain[edit]

"Nidanas" are co-dependent events or phenomena, which act as links on a chain, conditioning and depending on each other.[51][web 2] When certain conditions are present, they give rise to subsequent conditions, which in turn give rise to other conditions.[48][49][50] Phenomena are sustained only so long as their sustaining factors remain.[67] This causal relationship is expressed in its most general form as follows:[note 24]

When this exists, that comes to be. With the arising of this, that arises. When this does not exist, that does not come to be. With the cessation of this, that ceases.

This natural law of this/that causality is independent of being discovered, just like the laws of physics.[note 25] In particular, the Buddha applied this law of causality to determine the cause of dukkha.[note 26]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enomena that sustain dukkha[57] is said to lead to nibbana, complete freedom from samsara[68]

Reversal[edit]

Traditionally, the reversal of the causal chain is explained as leading to the annihilation of mental formations and rebirth:[2][50][51][web 2] "From the remainderless fading and cessation of ignorance comes the cessation of (volitional) fabrications" et cetera.[note 27]

Transcendental Dependent Arising

The Upanisa Sutta in the Samyutta Nikaya describes the reversed order, in which the causes for enlightenment are given. This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dependent arising is referred to in Theravada exegetical literature as "transcendental dependent arising".[71][note 28] The chain in this case is:

  1. suffering (dukkha)
  2. faith (saddhā)
  3. joy (pāmojjapāmujja)
  4. rapture (pīti)
  5. tranquillity (passaddhi)
  6. happiness (sukha)
  7. concentration (samādhi)
  8. knowledge and vision of things as they are (yathābhūta-ñāna-dassana)
  9. disenchantment with worldly life (nibbidā)
  10. dispassion (virāga)
  11. freedom, release, emancipation (vimutti, a synonym for nibbana[72])
  12. knowledge of destruction of the cankers (āsava-khaye-ñāna)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nidanas[edit]

Theravāda[edit]

Within the Theravada Buddhist tradition, the twelve nidana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dependent origination.[39]

Rebirth[edit]

Three lives

The nikayas themselves do not give a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nidana series.[73] As an expository device, the commentarial tradition presented the factors as a linear sequence spanning over three lives,[74] thus shifting the theme from a single conception (and birth) to a sequence of "incarnations" (roughly speaking). The twelve nidanas were interpreted by Buddhaghosa (c. fifth century CE) of the Sri Lankan Mahavihara tradition as encompassing three successive lives, as outlined in his influential Visuddhimagga.[75][76][77] According to Buddhaghosa, the first two nidanas, namely ignorance (nescience) and motivation, relate to the previous life and forecast the destiny of the person. The third to the tenth nidanas relate to the present life, beginning with the descent of vijnana (consciousness, perception) into the womb.[note 29] The last two nidanas (birth and death) represent the future lives conditioned by the present causes.[76][78][79] Because of Buddhaghosa's vast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ravada scholasticism, this model has been very influential in the Theravada school.[77][note 30]

Arising of mental processes[edit]

Yet, the twelve nidanas have also been interpreted within the Theravada tradition as explaining the arising of psychological or phenomenological processes in the present moment. There is scriptural support for this as an explanation in the Abhidharmakosa of Vasubandhu, insofar as Vasubandu states that on occasion "the twelve parts are realized in one and the same moment".[80] Prayudh Payutto notes that in Buddhaghosa's Sammohavinodani, a commentary to the Vibhanga of the Abhidhamma Pitaka, the principle of Dependent Origination is explained as occurring entirely within the space of one mind moment.[81] According to Prayudh Payutto there is material in the Vibhanga which discusses both models, the three lifetimes model and the phenomenological mind moment model.[81][82] This thesis is also defended by Bhikkhu Buddhadasa's Paticcasamuppada: Practical Dependent Origination. In this interpretation, Birth and Death refer not to physical birth and death, but to the birth and death of our self-concept, the "emergence of the ego". According to Buddhadhasa,

...dependent arising is a phenomenon that lasts an instant; it is impermanent. Therefore, Birth and Death must be explained as phenomena within the process of dependent arising in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Right Mindfulness is lost during contacts of the Roots and surroundings. Thereafter, when vexation due to greed, anger, and ignorance is experienced, the ego has already been born. It is considered as one 'birth'".[83]

Sarvāstivāda[edit]

According to Akira Hirakawa and Paul Groner, the three-lives model, with its "embry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links dependent origination with rebirth was also promoted by the Sarvastivadin school (a north Indian branch of the Sthavira nikāya) as evidenced by the Abhidharmakosa of Vasubandhu (fl. 4th to 5th century CE).[77]

The Abhidharmakosa also outlines three other models of the twelve nidanas, that were used by the Sarvastivada schools together with the three lifetimes model:[77]

  1. Instantaneous – All 12 links are present in the same instant.
  2. Prolonged – The interdependence and causal relationship of dharmas or phenomenal events arising at different times.
  3. Serial –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twelve links arising and ceasing in continuous series of moments.

Yogacara[edit]

Asanga (4th century CE) groups the twelve nidanas into four groups: 1-3 cause of dharmas; 4-7 dharmas; 8-10 cause of suffering; 11-12 suffering.[84]

Tibetan Buddhism[edit]

The twelve nidanas are typically shown on the outer rim of a Bhavachakra in Buddhist artwork.[85]

The bhavachakra (SanskritPālibhavachakraTibetansrid pa'i 'khor lo)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saṃsāra (or cyclic existence). It is found on the outside walls of Tibetan Buddhist temples and monasteries in the Indo-Tibetan region, to help ordinary people understand Buddhist teachings. The Three Fires sit at the very center of the schemata in the Bhavacakra and drive the whole edifice. In Himalayan iconographic representations of the Bhavacakra such as within Tibetan Buddhism, the Three Fires are known as the Three Poisons which are often represented as the Gankyil. The Gankyil is also often represented as the hub of the Dharmacakra.

Tsongkhapa, following Asanga, explains how the twelve nidanas can be applied to one life of a single person, two lives of a single person, and three lives of a single person.[86]

Discussing the three lifetimes model, Alex Wayman states that the Theravada/Sarvāstivāda interpretation is different from the Vajrayana view, because the Vajrayana view places a bardo or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death and rebirth, which is denied by the Theravadins and Sarvastivadins. This denial necessitated placing the first two nidana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chain into the past life.[87] The Tibetan Buddhism tradition allocates the twelve nidanas differently between various lives.[88]

Development of the twelve nidanas[edit]

Synthesis of older versions[edit]

Combination of older lists[edit]

According to Frauwallner, the twelvefold chain is a combination of two lists. Originally, the Buddha explained the appearance of dukkha from tanha, "thirst," craving. This is explained and described in the second part, from tanha on forwards. Later on, under influence of concurring systems, the Buddha incorporated avijja, "ignorance," as a cause of suffering into his system. This is described in the first part, which describes the entry of vijnana into the womb, where the embryo develops.[6] Frauwallner notes that "the purely mechanical mixing of both the two parts of the causal chain is remarkable and enigmatical." Noting that "contradictory thoughts stand directly near one another in the oldest Buddhistic ideas" many times, Frauwallner explains this as a "deficiency in systematization, the inability to mix different views and principles into a great unity."[89]

According to Schumann, the twelvefold chain is a later composition by monks, consisting of three shorter lists. These lists may have encompassed nidana 1–4, 5–8, and 8-12. The progress of this composition can be traced in various steps in the canon.[90]

Lambert Schmitthausen argues that the twelve-fold list is a synthesis from three previous lists, arguing that the three lifetimes-interpretation is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this synthesis.[91][note 31]

Branched and looped version[edit]

Ancestor version

Roderick S. Bucknell analysed four versions of the twelve nidanas, to explain the existence of various versions of the pratitya-samutpada sequence. The twevefold version is the "standard version," in which vijnana refers to sensual consciousness.[note 32] According to Bucknell, the "standard version" of the twelve nidanas developed out of an ancestor version, which in turn was derived from two different versions, in which vijnana is differently explained.[8]

Branched version

In the so-called "branched version", which is not strictly linear, but connects a couple of branches, vijnana is derived from the coming together of the sense organs and the sense objects, a description which can also be found in other sutras. The three of them constitute phassa ("contact"). From there on, the list is linear. In the Sutta-nipata version, which is altogether linear, vijnana is derived from avijja ("ignorance") and Saṅkhāra ("activities" (RSB); also translated as "volitional formations").[93]

Looped version

The Mahanidana-sutta describes a "looped version," which is also further linear, in which vijnana and nama-rupa condition each other. According to Bucknell, this "looped version" is derived from the "branched version."[94] According to Bucknell, "some accounts of the looped version state explicitly that the chain of causation goes no further back than the loop.[95] The Mahanidana further explains vijnana as "consciousness that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at the moment of conception."[96] Waldron notes that vijnana here has two aspects, namely "samsaric vijnana" and "cognitive consciousness." "Samsaric vijnana" is "consciousness per se, the basic sentience necessary for all animate life," which descends into the womb at the time of conception. Cognitive consciousness is related to the senses and the sense objects. It is "samsaric vijnana" which forms, in Buddhist thought, the connection between two lives.[97] While these two aspects were largely undifferentiated in early Buddhist thought, these two aspects and their relation was explicated in later Buddhist thought, giving rise to the concept of alaya-vijñana.[98]

While the "branched version" refers directly to the six sense objects, the "looped version" and the standard version instead name it nama-rupa, which eventually was misinterpreted as "name-and-form" in the traditional sense. This created "new causal series," which made it possible to interpret the beginning of the chain as referring to rebirth, just like the end of the chain. In line with this reinterpretation, vijnana "became the consciousness that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at conception, while nama-rupa became the mind-body complex that [...] experiences contact (phassa) and so on." [99][note 33]

Bucknell further notes that the "branched version," in which nama-rupa refers to the six classes of sense-objects, corresponds with Buddhadasa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nidanas. The "looped version," in which vijnana corresponds with "rebirth consciousness," corresponds with defenders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such as Nyanatiloka.[101] According to Bucknell, the linear list, with its distortions and changed meaning for nama-rupa and vinaya, may have developed when the list came to be recited in reverse order.[102]

Commentary on Vedic cosmogeny[edit]

Wayman[13]

Alex Wayman has argued that the idea of "dependent origination" may precede the birth of the Buddha, noting that the first four causal links starting with Avidya in the Twelve Nidānas are found in the cosmic development theory of the Brihadaranyaka Upanishad and other older Vedic texts.[12][13][14] Jeffrey Hopkins notes that terms synonymous to Pratītyasamutpāda are Apekṣhasamutpāda and Prāpyasamutpāda.[103] According to Kalupahana, the concept of causality and causal efficacy where "cause produces an effect because a property or svadha (energy) is inherent in something", appears extensively in the Indian thought in the Vedic literature of the 2nd millennium BCE, such as the 10th mandala of the Rigveda and the Brahmanas layer of the Vedas.[104][note 34]

  1. sayam katam (attakatam, self causation): this theory posits that there is no external agent (God) necessary for a phenomenon, there is svadha (inner energy) in nature or beings that lead to creative evolution, the cause and the effect are in the essence of the evolute and inseparable (found in the Vedic and particularly Upanishadic proto-Hindu schools);
  2. param katam (external causation): posits that something external (God, fate, past karma or purely natural determinism) causes effects (found in materialistic schools like Charvaka, as well as fate-driven schools such as Ajivika);
  3. sayam-param katam (internal and external causation): combination of the first two theories of causation (found in some Jainism, theistic proto-Hindu schools);
  4. asayam-aparam katam (neither internal nor external causation): this theory denies direct determinism (ahetu) and posits fortuitous origination, asserting everything is a manifestation of a combination of chance (found in some proto-Hindu[clarification needed] schools).
Jurewicz

A similar resemblance has been noted by Jurewicz, who argues that the first four nidanas resemble the Hymn of Creation of RigVeda X, 129, in which avijja (ignorance) leads to kamma (desire), which is the seed of vijnana ("consciousness").[110][11] This consciousness is a "singular consciousness," (Jurewicz) "non-dual consciousness," (Gombrich) "reflexive, cognizing itself" (Gombrich).[108] When the created world, name and form, evolves, pure consciousness manifests itself in the world. It mistakenly identifies itself with name and form, losing sight of its real identity.[9] The Buddha mimicked this creation story, making clear how the entanglement with the world "drive a human being into deeper and deeper ignorance about himself."[11] According to Jurewicz, the Buddha may have picked the term nama-rupa, because "the division of consciousness into name and form has only the negative value of an act which hinders cognition."[11]

According to Gombrich, the Buddhist tradition soon lost sight of this connection with the Vedic worldview. It was aware that at this point there is the appearance of an individual person, which the Buddha referred to as the five skandhas,[108] denying a self (atman) separate from these skandhas.[109] The Buddhist tradition equated rupa with the first skandha, and nama with the other four. Yet, as Gombrich notes, samkharavijnana, and vedana also appear as separate links in the twelvefold list, so this equation can't be correct for this nidana.[110] According to Jurewizc, all twelve nidanas show similarities with the Vedic cosmogeny. They may have been invoked for educated listeners, to make the point that suffering arises in dependence on psychological processes without an atman, thereby rejecting the Vedic outlook.[11]

According to Gombrich, following Frauwallner,[note 35] the twelve-fold list is a combination of two previous lists, the second list beginning with tanha, "thirst," the cause of suffering as described in the second Noble Truth".[16] The first list consists of the first four nidanas, which parody the Vedic-Brahmanic cosmogony, as described by Jurewicz.[note 36] According to Gombrich, the two lists were combined, resulting in contradictions in its negative version.[16][note 37] Gombrich further notes that

Jurewicz's interpretation also makes it unnecessary to accept the complicated, indeed contorted, interpretation favoured by Buddhaghosa, that the chain covers three lives of the individual.[111]

Five skandhas[edit]

Boisvert

According to Mathieu Boisvert, nidana 3-10 correlate with the five skandhas.[113] Boisvert notes that sanna, "perception," is not part of the twelvefold chain, but does play a role in the prevention of the arising of the samkharas.[15] Likewise, Waldron notes that the anusaya, "underlying tendencies, are the link between the cognitive processes of phassa ("contact") and vedana (feeling), and the afflictive responses of tanha ("craving") and upadana ("grasping").[114]

Schumann

According to Schumann, the Nidanas are a later synthesis of Buddhist teachings, meant to make them more comprehensible. Comparison with the five skhandhas shows that the chain contains logical inconsistencies, which can be explained when the chain is considered to be a later elaboration.[115] This way it is explainable that nama-rupa en consciousness in the 9-fold are the beginning or start, while in the 12-fold chain they are preceded by ignorance and formations. Those can only exist when nama-rupa en consciousness are present. Schumann also proposes that the 12-fold is extended over three existences, and illustrate the succession of rebirths. While Buddhaghosa and Vasubandhu maintain a 2-8-2 schema, Schumann maintains a 3-6-3 scheme, putting the five skandhas aside the twelve nidanas.[115]

Four Noble Truths[edit]

The second and third truths in the Four Noble Truths are related to the principle of dependent origination,[116] with dependent arising elaborating the arising of suffering.[117][118] The second truth applies dependent origination in a direct order, while the third truth applies it in inverse order.[116]

Comparison of lists[edit]

Comparison of lists

Altogether the various lists combine as follows:

Sequence of stages prior to birth[edit]

According to Eisel Mazard, the twelve Nidanas are a description of "a sequence of stages prior to birth," as an "orthodox defense against any doctrine of a 'supernal self' or soul of any kind [...] excluding an un-mentioned life-force (jīva) that followers could presume to be additional to the birth of the body, the arising of consciousness, and the other aspects mentioned in the 12-links formula."[121][note 39] According to Mazard, "many later sources have digressed from the basic theme and subject-matter of the original text, knowingly or unknowingly."[121]

Karma[edit]

The notion of karma is integrated into the list of twelve nidanas, and has been extensively commented on by ancient Buddhist scholars such as Nagarjuna.[122] Karma consists of any intentional action, whether of body or speech or in mind, which can be either advantageous (merit) or disadvantageous (demerit). Both good and bad karma sustain the cycle of samsara (rebirth) and associated dukkha, and both prevent the attainment of nirvana.[123]

According to Nagarjuna, the second causal link (sankhara, motivations) and the tenth causal link (bhava, gestation) are two karmas through which sentient beings trigger seven sufferings identified in the Twelve Nidanas, and from this arises the revolving rebirth cycles.[124]

To be liberated from samsara and dukkha, asserts Buddhism, the 'dependent origination' doctrine implies that the karmic activity must cease.[123] One aspect of this 'causal link breaking' is to destroy the "deeply seated propensities, festering predilections" (asavas) which are karmic causal flow because these lead to rebirth.[123]

Sunyata (emptiness)[edit]

Madhyamaka[edit]

In the Madhyamaka philosophy, to say that an object is "empty" is synonymous with saying that it is dependently originated. Nāgārjuna equates emptiness with dependent origination in Mūlamadhyamakakārikā 24.18-19;[125]

Whatever arises dependently

Is explained as empty.
Thus dependent attribution
Is the middle way.

Since there is nothing whatever
That is not dependently existent,
For that reason there is nothing

Whatsoever that is not empty.[126]

In his analysis, svabhāva is somewhat redefined from the Sarvastivada-Vaibhāṣika interpretation to mean: inherent existence or self-characterization. Nagarjuna notably rejected the idea of dharmas containing svabhāva, meaning 'a self-sustaining, permanent, or unchanging identity.' If a dharma was inherently what-it-was from its own side, what need would there be for causes and conditions to bring that object into being? If any object was characterized by 'being-itself,' then it has no need to dependently rely on anything else. Further, such an identity or self-characterization would prevent the process of dependent origination. Inherence would prevent any kind of origination at all, for things would simply always have been, and things would always continue to be. Madhyamaka suggests that uncharacterized mere experiences—with no specific qualities—are designated by conceptual labels, and this brings them into being (See Prasaṅgika Merely Designated Causality). According to Nagarjuna, even the principle of causality itself is dependently originated, and hence it is empty.

Madhyamaka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by different traditions. In the Tibetan Gelug school, all dharmas are said to lack any 'inherent' existence, according to the Tibetan scholar Tsongkhapa in his Ocean of Reasoning.[127]

Tibetan Buddhism[edit]

In the Dzogchen tradition of Tibetan Buddhism,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s considered to be complementary to the concept of emptiness. Specifically, this tradition emphasizes the indivisibility of appearance and emptiness—also known as the relative and absolute aspects of reality:[128]

  • Appearance (relative truth) refers to the concept that all appearances are dependently originated;
  • Emptiness (absolute or ultimate truth) refers to the concept that the "nature" of all phenomena is emptiness—lacking inherent existence.

In Mipham Rinpoche's Beacon of Certainty, this relationship is explained using the metaphor of the reflection of the moon in water.[128] According to this metaphor:[128]

  • The nature of all phenomena is like the reflection of the moon in water—completely lacking inherent existence. However,
  • The appearance of the moon in the water is an expression of dependent origination—the appearance is completely dependent upon causes and conditions.

One of the founders of Tibetan Buddhism, Padmasambhava, emphasized his respect for this relationship as follows:

Though my View is as spacious as the sky,
My actions and respect for cause and effect are as fine as grains of flour.[129]

Interdependence[edit]

Hua Yen school[edit]

The Huayan school taught the doctrine of the mutual containment and interpenetration of all phenomena, as expressed in Indra's net. One thing contains all other existing things, and all existing things contain that one thing. This philosophy is based in the tradition of the great Madhyamaka scholar Nagarjuna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Avatamsaka Sutra. Regarded by D.T. Suzuki as the crowning achievement of Buddhist philosophy, the Avatamsaka Sutra elaborates in great detail on the principal of dependent origination. This sutra describes a cosmos of infinite realms upon realms, mutually containing one another.

Thich Nhat Hanh[edit]

Thich Nhat Hanh states, "Pratitya samutpada is sometimes called the teaching of cause and effect, but that can be misleading, because we usually think of cause and effect as separate entities, with cause always preceding effect, and one cause leading to one effect.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Interdependent Co-Arising, cause and effect co-arise (samutpada) and everything is a result of multiple causes and conditions... In the sutras, this image is given: "Three cut reeds can stand only by leaning on one another. If you take one away, the other two will fall." In Buddhist texts, one cause is never enough to bring about an effect. A cause must, at the same time, be an effect, and every effect must also be the cause of something else. This is the basis, states Hanh, for the idea that there is no first and only cause, something that does not itself need a cause.[34]

Tibetan Buddhism[edit]

Sogyal Rinpoche states all things, when seen and understood in their true relation, are not independent but interdependent with all other things. A tree, for example, cannot be isolated from anything else. It has no independent existence, states Rinpoche.[130]

Comparison with western philosophy[edit]

Jay L. Garfield states that Mulamadhyamikakarika uses the causal rel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ality, and of our relation to it. This attempt is similar to the use of causation by Hume, Kant, and Schopenhauer as they present their arguments. Nagarjuna uses causation to present his arguments on how one individualizes objects, orders one's experience of the world, and understands agency in the world.[24]

The concept of pratītyasamutpāda has also been compared to Western metaphysics, the study of reality. Schilbrack states that the doctrine of interdependent origination seems to fit the definition of a metaphysical teaching, by questioning whether there is anything at all.[131] Hoffman disagrees, and asserts that pratītyasamutpāda should not be considered a metaphysical doctrine in the strictest sense, since it does not confirm nor deny specific entities or realities.[quote 3]

Pyrrhonism[edit]

The Hellenistic philosophy of Pyrrhonism parallels the Buddhist view of dependent origination, as it does in many other matters.[133][134][135] Aulus Gellius in Attic Nights described the Pyrrhonist view which corresponds with the Buddhist view of dependent origination as follows:

...[Pyrrhonists] say that appearances, which they call φαντασίαι, are produced from all objects, not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objects themselves, bu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mind or body of those to whom these appearances come. Therefore they call absolutely all things that affect men's sense τὰ πρός τι (i.e., "things relative to something else.") This expression means that there is nothing at all that is self-dependent or which has its own power and nature, but that absolutely all things have "reference to something else" and seem to be such as their is appearance is while they are seen, and such as they are formed by our senses, to whom they come, not by the things themselves, from which they have proceeded.[136]

Similarly, the ancient Anonymous Commentary on Plato's Theaetetus says, with a notable parallel with the terms from the Heart Sutra (i.e., "in emptiness there is no form, no sensation, no discrimination, no conditioning, and no awareness. There is no eye, no ear, no nose, no tongue, no body, no mind. There is no form, no sound, no smell, no taste, no texture, no phenomenon. There is no eye-element and so on up to no mind-element and also up to no element of mental awareness."[137]):

The Pyrrhonists say that everything is relative in a different sense, according to which nothing is in itself, but everything is viewed relative to other things. Neither colour nor shape nor sound nor taste nor smells nor textures nor any other object of perception has an intrinsic character....[138]

See also[edit]

Notes[edit]

  1. ^ The Pratītyasamutpāda doctrine, states Mathieu Boisvert, is a fundamental tenet of Buddhism and it may be considered as "the common denominator of all the Buddhist traditions throughout the world, whether Theravada, Mahayana or Vajrayana".[1]
  2. ^ The term pratītyasamutpāda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s conditioned arising,[22] conditioned genesis,[23] dependent arising,[24][quote 1] dependent co-arising,[26] or dependent origination[web 2]
  3. ^ Harvey: "This [doctrine] states the principle of conditionality, that all things, mental and physical, arise and exist due to the presence of certain conditions, and cease once their conditions are removed: nothing (except Nibbana) is independent. The doctrine thus complements the teaching that no permanent, independent self can be found."[22]
  4. ^ Brahmajala Sutta, verse 3.71. This is identified as the first reference in the Canon in footnote 88 for Sutta 1, verse 3.71's footnotes.
  5. ^ Here it refers to the function of the mind that cognizes feeling.
  6. ^ This is the faculty of the mind that names (recognizes) a feeling as pleasurable, unpleasurable or neutral, depending on what was its original tendency.
  7. ^ This is the faculty of the mind where volitions ari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volition is noted again in the same sequence as a cause of consciousness.
  8. ^ This is the faculty of the mind that can penetrate something, analyze, and objectively observe.
  9. ^ i.e. mentality or mind.
  10. ^ The earth (property of solidity), water (property of liquity), wind (property of motion, energy and gaseousness), fire (property of heat and cold). See also Mahabhuta. In other places in the Pali Canon (DN 33, MN 140 and SN 27.9) we also see two additional elements - the space property and the consciousness property. Space refers to the idea of space that is occupied by any of the other four elements. For example any physical object occupies space and even though that space is not a property of that object itself, the amount of space it occupies is a property of that object and is therefore a derived property of the elements.
  11. ^ i.e. corporeality or body.
  12. ^ Eye-consciousness, ear-consciousness, nose-consciousness, tongue-consciousness, skin-consciousness and mind-consciousness
  13. ^ Mahasi Sayadaw: "...To give another example, it is just like the case of a person in a room who sees many things when he opens the window and looks through it. If it is asked, 'Who is it that sees? Is it the window or the person that actually sees?' the answer is, 'The window does not possess the ability to see; it is only the person who sees.' If it is again asked, 'Will the person be able to see things on the outside without the window (if he is confined to a room without the window or with the window closed)?' the answer will be, 'It is not possible to see things through the wall without the window. One can only see through the window.' Similarly, in the case of seeing, there are two separate realities of the eye and seeing. (So the eye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see without the eye-consciousness. The eye-consciousness itself cannot see anything without the organ.) The eye is not seeing, nor is seeing the eye, yet there cannot be an act of seeing without the eye. In reality, seeing comes into being depending on the eye. It is now evident that in the body there are only two distinct elements of materiality (eye) and mentality (eye-consciousness) at every moment of seeing. There is also a third element of materiality — the visual object. Without the visual object there is nothing to be seen..."[61]
  14. ^ Enjoyment and clinging for music, beauty, sexuality, health, etc.
  15. ^ Clinging for notions and beliefs such as in God, or other cosmological beliefs, political views, economic views, one's own superiority, either due to caste, sex, race, etc., views regarding how things should be, views on being a perfectionist, disciplinarian, libertarian etc.
  16. ^ Clinging for rituals, dressing, rules of cleansing the body etc.
  17. ^ That there is a self consisting of form and is finite, or a self consisting of form but infinite, or a self that is formless but finite, or a self that is formless and infinite.
  18. Jump up to:a b Bhikkhu Bodhi: "Bhava, in MLDB, was translated “being.” In seeking an alternative, I had first experimented with “becoming,” but when the shortcomings in this choice were pointed out to me I decided to return to “existence,” used in my earlier translations. Bhava, however, is not “existence” in the sense of the most universal ontological category, that which is shared by everything from the dishes in the kitchen sink to the numbers in a mathematical equation. Existence in the latter sense is covered by the verb atthi and the abstract noun atthitā. Bhava is concrete sentient existence in one of the three realms of existence posited by Buddhist cosmology, a span of life beginning with conception and ending in death. In the formula of dependent origination it is understood to mean both (i) the active side of life that produces rebirth into a particular mode of sentient existence, in other words rebirth-producing kamma; and (ii) the mode of sentient existence that results from such activity."[62]
  19. ^ getting attracted, mesmerized, disgusted
  20. ^ growing older, tall, healthy, weak, becoming a parent or spouse, rich, etc.
  21. ^ annihilation, destruction, suicide, loss of a position etc.
  22. ^ Birth is any coming-to-be or coming-forth. It refers not just to birth at the beginning of a lifetime, but to birth as new person, acquisition of a new status or position etc.
  23. ^ Since without birth no aging, death, or any of the sorrows and disappointments of life would occur, birth is a requisite cause for dukkha. Thus, the complete cessation of dukkha must imply that there is no further birth for the enlightened.
  24. ^ The general formula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discourses in the Pali CanonMN 79, MN 115, SN12.21, SN 12.22, SN 12.37, SN 12.41, SN 12.49, SN 12.50, SN 12.61, SN 12.62, SN 55.28, AN 10.92, Ud. 1.1 (first two lines), Ud. 1.2 (last two lines), Ud. 1.3, Nd2, Patis.
  25. ^ "Whether or not there is the arising of Tathagatas, this property stands — this regularity of the Dhamma, this orderliness of the Dhamma, this this/that conditionality." SN 12.20
  26. ^ Most Suttas follow the order from ignorance to dukkha. But SN 12.20 views this as a teaching of the requisite conditions for sustaining dukkha, which is its main application.
  27. Jump up to:a b Compare Grzegorz Polak, who argues that the four upassanā, the "four bases of mindfulness," have been misunderstood by the developing Buddhist tradition, including Theravada, to refer to four different foundations. According to Polak, the four upassanā do not refer to four different foundations, but to the awareness of four different aspects of raising sati, mindfulness:[69]
    • the six sense-bases which one needs to be aware of (kāyānupassanā);
    • contemplation on vedanās, which arise with the contact between the senses and their objects (vedanānupassanā);
    • the altered states of mind to which this practice leads (cittānupassanā);
    • the development from the five hindrances to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dhammānupassanā).
  28. ^ Bhikkhu Bodhi: "In addition to giving a clear, explicit account of the conditional structure of the liberative progression, this sutta has the further advantage of bringing the supramundane form of dependent arising into immediate connection with its familiar samsaric counterpart. By making this connection it brings into prominence the comprehensive character of the principle of conditionality — its ability to support and explain both the process of compulsive involvement which is the origin of suffering and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which leads to deliverance from suffering. Thereby it reveals dependent arising to be the key to the unity and coherence of the Buddha's teaching.[70]
  29. ^ According to Keown, the first five nidanas of the present life relate to one's present destiny, and condition the present life's existence. The next three dependent originations, namely craving, indulgence and gestation foster the fruits of the present destiny.[76]
  30. ^ "Nyanatiloka, for his part in this controversy, sets himself up as the defender of the commentarial tradition that extends the 12-links from a description of a single incarnation into a description of the causes and effects of reincarnation in three separate lifetimes. [...] While I regard the three-lifetimes interpretation (supported by Nyanatiloka) as incorrect, it deserves some credit for remaining thematically related to the original meaning of the primary source text (whereas many modern interpretations have digressed wildly from it). In a lecture on this subject, Nyanatiloka repeatedly refers to the subject-matter of the 12-links discussed as something transpiring inside the womb, also using the term “prenatal”. ..." [1]
  31. ^ Shulman refers to Schmitthausen (2000), Zur Zwolfgliedrigen Formel des Entstehens in Abhangigkeit, in Horin: Vergleichende Studien zur Japanischen Kultur, 7
  32. ^ Bucknell: "vinnana: 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eye, ear, nose tongue, body, and mind (mano)"[92]
  33. ^ Bucknell: "These observations by Watsuji, Yinshun, and Reat indicate that nama-rupa, far from signifying "mind-and-body" or something similar, is a collective term for the six types of sense object."[100]
  34. ^ The pre-Buddhist Vedic era theories on causality mention four types of causality, all of which Buddhism rejected.[105][106] The four Vedic era causality theories in vogue were:[105][106]
  35. ^ Frauwallner (1973),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 1
  36. ^ Jurewicz (2000), Playing with fire: the pratityasamutpada from the perspective of Vedic thought. Journal of the Pali Text Society, XXVI, 77-104.
  37. ^ Gombrich: "The six senses, and thence, via 'contact' and 'feeling', to thirst." It is quite plausible, however, that someone failed to notice that once the first four links became part of the chain, its negative version meant that in order to abolish ignorance one first had to abolish consciousness!"[16]
  38. ^ Boisvert correlates vijnana in the twelve nidanas sequence; in the five skandhas, vijnana comes last.[112]
  39. ^ Mazard: "[T]he 12-links formula is unambiguously an ancient tract that was originally written on the subject of the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the embryo, as a sequence of stages prior to birth; in examining the primary source text, this is as blatant today as it was over two thousand years ago, despite some very interesting misinterpretations that have arisen in the centuries in-between [...] In the Mahānidāna [sutta]’s brief gloss on the term nāmarūpa [...] we have a very explicit reminder that the subject-matter being described in this sequence of stages is the development of the embryo [...] it is indisputably clear that we are reading about something that may (or may not) enter into (okkamissatha) the mother’s womb (mātukucchismiŋ) [...] [T]he passage is wildly incongruent with attempts of many other interpreters to render the whole doctrine in more abstract terms (variously psychological or metaphysical).[121]

Quotes[edit]

  1. ^ The Dalai Lama explains: "In Sanskrit the word for dependent-arising is pratityasamutpada. The word pratitya has three different meanings–meeting, relying, and depending–but all three, in terms of their basic import, mean dependence. Samutpada means arising. Hence, the meaning of pratityasamutpada is that which arises in dependence upon conditions, in reliance upon conditions, through the force of conditions."[25]
  2. ^ The Nalanda Translation Committee states: "Pratitya-samutpada is the technical name for the Buddha’s teaching on cause and effect, in which he demonstrated how all situations arise through the coming together of various factors. In the hinayana, it refers in particular to the twelve nidānas, or links in the chain of samsaric becoming."[web 3]
  3. ^ Hoffman states: "Suffice it to emphasize that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is not a metaphysical doctrine,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affirm or deny some super-sensible entities or realities; rather, it is a proposition arrived at through an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world of phenomena ..."[132]

References[edit]

  1. ^ Mathieu Boisvert (1995). The Five Aggregates: Understanding Theravada Psychology and Soteriology.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pp. 6–7. ISBN 978-0-88920-257-3.
  2. Jump up to:a b c d e Harvey 2015, p. 50-59.
  3. Jump up to:a b c d e f Payutto, Dependent Origination: the Buddhist Law of Causality
  4. Jump up to:a b c d Jones 2009.
  5. Jump up to:a b Robert E. Buswell Jr.; Donald S. Lopez J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583. ISBN 978-1-4008-4805-8.
  6. Jump up to:a b Frauwallner 1973, p. 167-168.
  7. ^ Schumann 1997.
  8. Jump up to:a b c d e f g h i Bucknell 1999.
  9. Jump up to:a b c d e f g h Gombrich 2009.
  10. Jump up to:a b c Shulman 2007.
  11.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Jurewicz 2000.
  12. Jump up to:a b Wayman 1984, p. 173 with note 16.
  13. Jump up to:a b c Wayman 1990, p. 256.
  14. Jump up to:a b Wayman 1971.
  15. Jump up to:a b Boisvert 1995.
  16. Jump up to:a b c d Gombrich 2009, p. 138.
  17. Jump up to:a b Hopkins 1983, p. 163.
  18. ^ ऋग्वेद: सूक्तं ७.६८, Rigveda 7.68.6, Wikisource; Quote: उत त्यद्वां जुरते अश्विना भूच्च्यवानाय प्रतीत्यं हविर्दे । अधि यद्वर्प इतऊति धत्थः ॥६॥
  19. Jump up to:a b Monier Monier-Williams (1872).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p. 623.
  20. ^ Monier Monier-Williams (1872).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p. 1078.
  21. ^ Lopez 2001, p. 29, Quote: "Dependent origination has two meanings in Buddhist thought. The first refers to the twelvefold sequence of causation... The second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 is a more general one, the notion that everything comes into existence in dependence on something else. It is this second meaning that Nagarjuna equates with emptiness and the middle way.".
  22. Jump up to:a b c d e Harvey 1990, p. 54.
  23. ^ Walpola Rahula 2007, Kindle Locations 791-809.
  24. Jump up to:a b Garfield 1994.
  25. ^ Dalai Lama 1992, p. 35.
  26. ^ Bhikkhu Thanissaro 2008.
  27. ^ Gethin 1998, p. 153.
  28. ^ Ben-Ami Scharfstein (1998). A Comparative History of World Philosophy: From the Upanishads to Ka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512–514. ISBN 978-0-7914-3683-7.
  29. ^ Guy Debrock (2012). Paul B. Scheurer (ed.). Newton's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Legacy. G. Debrock. Springer. pp. 376 with note 12. ISBN 978-94-009-2809-1.
  30. ^ Gethin 1998, pp. 153-155.
  31. ^ David J. Kalupahana (1975).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54–60. ISBN 978-0-8248-0298-1.
  32. ^ Genjun Sasaki (1986). Linguistic Approach to Buddhist Thought. Motilal Banarsidass. pp. 67–69. ISBN 978-81-208-0038-0.
  33. ^ Gethin 1998, pp. 151-152.
  34. Jump up to:a b Thich Nhat Hanh 1999, pp. 221-222.
  35. Jump up to:a b Gary Storhoff (2010). American Buddhism as a Way of Lif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74–76. ISBN 978-1-4384-3095-9.
  36. ^ Bowker 1997.
  37. ^ Williams 2002, p. 64, Quote: In the Mahatanhasankhaya Sutta the Buddha [stresses] that things originate in dependence upon causal conditioning, and this emphasis on causality describes the central feature of Buddhist ontology. All elements of samsara exist in some sense or another relative to their causes and conditions..
  38. ^ Robert Neville (2004). Jeremiah Hackett (ed.). Philosophy of Religion for a New Century: Essays in Honor of Eugene Thomas Long. Jerald Wallulis. Springer. p. 257. ISBN 978-1-4020-2073-5., Quote: "[Buddhism's ontological hypotheses] that nothing in reality has its own-being and that all phenomena reduce to the relativities of pratitya samutpada. The Buddhist ontological hypothesese deny that there is any ontologically ultimate object such a God, Brahman, the Dao, or any transcendent creative source or principle."
  39. Jump up to:a b Gethin 1998, p. 141.
  40. ^ Robert S. Ellwood; Gregory D. Alles (2007).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Infobase Publishing. p. 64. ISBN 978-1-4381-1038-7.
  41. Jump up to:a b Shulman, E; Early Meanings of Dependent-Origination, J Indian Philos (2008) 36:297–317 DOI 10.1007/s10781-007-9030-8,http://www.ahandfulofleaves.org/documents/Early%20Meanings%20of%20Dependent%20Origination_Shulman_JIP_2008.pdf
  42. ^ Ronkin 2009.
  43. ^ Williams, David M. (1974).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Terms in the Paticcasamuppada". Numen. BRILL Academic. 21 (1): 35–63. doi:10.2307/3269713JSTOR 3269713.
  44. Jump up to:a b Stephen J. Laumakis (2008).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13–115. ISBN 978-1-139-46966-1.
  45. Jump up to:a b Peter Harvey (2001). Buddhism. Bloomsbury Academic. pp. 242–244. ISBN 978-1-4411-4726-4.
  46. ^ Ray Billington (2002). Understanding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pp. 58–59. ISBN 978-1-134-79348-8.
  47. ^ Shulman 2007, p. 307.
  48. Jump up to:a b Peter Harvey (2012).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71–72. ISBN 978-0-521-85942-4.
  49. Jump up to:a b Marco Pallis (2003). A Buddhist Spectrum. World Wisdom. p. 180. ISBN 978-0-941532-40-2.
  50. Jump up to:a b c Steven M. Emmanuel (2015).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John Wiley. p. 60. ISBN 978-1-119-14466-3.
  51. Jump up to:a b c Ian Charles Harris (1991). The Continuity of Madhyamaka and Yogācāra in Indian Mahāyāna Buddhism. BRILL Academic. pp. 135–137. ISBN 978-90-04-09448-2.
  52. ^ James McDermott (1980).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67 with note 2. ISBN 978-0-520-03923-0.
  53. ^ Williams, David M. (1974).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Terms in the Paticcasamuppada". Numen. BRILL Academic. 21 (1): 35–63. doi:10.2307/3269713JSTOR 3269713.
  54. ^ Walshe (1996), page 497.
  55. ^ Walshe, Maurice (1996). The Long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Dīgha Nikāya (3. [Aufl.] ed.). Boston: Wisdom Publications. p. 656. ISBN 978-0-86171-103-1.
  56. ^ Walshe 1996, page 202.
  57.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Samyutta Nikaya 12.2, Paticca-samuppada-vibhanga Sutta: Analysis of Dependent Co-arising
  58. ^ BUddhadasu, Paticcasamuppada: Practical dependent Origination
  59. Jump up to:a b c d e Harvey 2015, p. 52-53.
  60. ^ DN 15, Maha-nidana Sutta: The Great Causes Discourse
  61. Jump up to:a b Ven. Mahasi Sayadaw, Satipatthana Vipassana, 1995,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The Wheel Publication No. 370/371
  62. Jump up to:a b Bhikkhu Bodhi (2000), General introduction [to the Samyutta Nikaya], Wisdom Publications, p.52-53
  63. ^ Thanissaro Bhikkhu, AN 3.76: Bhava Sutta: Becoming (1), note 1
  64. ^ accesstoinsight.org, A Glossary of Pali and Buddhist Terms: bhava
  65. Jump up to:a b Analayo 2008, p. 93-94.
  66. ^ Nanavira Thera, A note on paticcasamuppadda. In: Clearing the Path, p.20
  67. ^ Thera, Nyanaponika (2006). The Four Nutriments of Life: An Anthology of Buddhist Text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The Wheel Publication No. 105.
  68. ^ Bodhi, Bhikku. Transcendental Dependent ArisingA Translation and Exposition of the Upanisa Sutta, The Wheel 277/278.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69. ^ Polak 2011.
  70. Jump up to:a b Bhikkhu Bodhi. Transcendental Dependent Arising. A Translation and Exposition of the Upanisa Sutta. 1995
  71. ^ Bhikkhu Bodhi, "Transcendental Dependent Arising: A Translation and Exposition of the Upanisa Sutta." [2].
  72. ^ Paul Williams, Buddhism: The early Buddhist schools and doctrinal history ; Theravāda doctrine. Taylor & Francis, 2005, page 147.
  73. ^ Bhikkhu Bodhi, In the Buddha's Words. Wisdom Publications, 2005, page 313.
  74. ^ Bhikkhu Bodhi, In the Buddha's Words. Wisdom Publications, 2005, page 314.
  75. ^ Grant Olson (Translator) (1995). Buddhadhamma: Natural Laws and Values for Lif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12–115, 171–172 with footnote 86. ISBN 978-0-7914-2631-9.
  76. Jump up to:a b c Damien Keown; Charles S. Prebish (2013). Encyclopedia of Buddhism. Routledge. pp. 269–270. ISBN 978-1-136-98588-1.
  77. Jump up to:a b c d Hirakawa; Groner,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page 178
  78. ^ Buddhaghosa; Bhikkhu Nanamoli (Translator) (1991). The Path of Purification.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pp. 607–608, 794. ISBN 978-955-24-0023-0.
  79. ^ Mathieu Boisvert (1995). The Five Aggregates: Understanding Theravada Psychology and Soteriology.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pp. 9–11. ISBN 978-0-88920-257-3.
  80. ^ Abhidharmakosa, by Vasubandhu. Translated by Leo Pruden, Vol. II, pgs 404-405.
  81. Jump up to:a b Ven. Prayudh Payutto, Dependent Origination: the Buddhist Law of Conditionality, http://www.dhammatalks.net/Books3/Payutto_Bhikkhu_Dependent_Origination.htm#C5
  82. ^ Jackson (2003), Buddhadasa. Theravada Buddhism and Modernist Reform in Thailand, p.90-91
  83. ^ Buddhadhasa, Paticcasamuppada: Practical Dependent Origination, http://www.dhammatalks.net/Books6/Bhikkhu_Buddhadasa_Paticcasamuppada.htm
  84. ^ Wayman 1990, p. 173.
  85. ^ Samuel Brandon (1965). History, Time, and Deity: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ption of Time in Religious Thought and Practic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p. 100–101.
  86. ^ Alex Wayman (1984). Buddhist Insight: Essays. Motilal Banarsidass. pp. 180–187. ISBN 978-81-208-0675-7.
  87. ^ Alex Wayman (1984). Buddhist Insight: Essays. Motilal Banarsidass. pp. 186–187. ISBN 978-81-208-0675-7.
  88. ^ Alex Wayman (1984). Buddhist Insight: Essays. Motilal Banarsidass. pp. 184–186. ISBN 978-81-208-0675-7.
  89. ^ Frauwallner 1973, p. 168.
  90. ^ Schumann 1997, p. 92.
  91. ^ Shulman 2008, p. 305, note 19.
  92. ^ Bucknell 1999, p. 313.
  93. ^ Bucknell 1999, p. 335.
  94. ^ Bucknell 1999, p. 315, 333.
  95. ^ Bucknell 1999, p. 316.
  96. ^ Bucknell 1999, p. 317.
  97. ^ Walfron 2004, p. 20.
  98. ^ Walfron 2004, p. 20-21.
  99. ^ Bucknell 1999, p. 339.
  100. ^ Bucknell, p. 325.
  101. ^ Bucknell 1999, p. 327-328, note 46.
  102. ^ Bucknell 1999, p. 332.
  103. ^ Jeffrey Hopkins (2014). Meditation on Emptiness. Wisdom Publications. pp. 148–149. ISBN 978-0-86171-705-7.
  104. ^ David J. Kalupahana (1975).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6–7. ISBN 978-0-8248-0298-1.
  105. Jump up to:a b Florin G. Sutton. Existence and Enlightenment in the Lankavatara-Sutra: A Study in the Ontology and the Epistemology of the Yogacar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270–271. ISBN 978-1-4384-2162-9.
  106. Jump up to:a b David J. Kalupahana (1975).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1–53. ISBN 978-0-8248-0298-1.
  107. Jump up to:a b Gombrich 2009, p. 134.
  108. Jump up to:a b c d e f g Gombrich 2009, p. 135.
  109. Jump up to:a b Jones 2009, p. 255.
  110. Jump up to:a b c Gombrich 2009, p. 135-136.
  111. ^ Gombrich 2009, p. 142.
  112. ^ Boisvert 1995, p. 149, note 1.
  113. Jump up to:a b Boisvert 1995, p. 147-150.
  114. ^ Waldron 2004, p. 34.
  115. Jump up to:a b Schumann 1974.
  116. Jump up to:a b Ian Charles Harris (1991). The Continuity of Madhyamaka and Yogācāra in Indian Mahāyāna Buddhism. BRILL Academic. pp. 135–138. ISBN 978-90-04-09448-2.
  117. Jump up to:a b Frauwallner 1973.
  118. ^ Gethin 1998, p. 74, Quote: Dependent arising, states Rupert Gethin, is "to be understood as in certain respects an elaboration of the truth of the origin of suffering.".
  119. ^ accesstoinsight, DN15, Maha-nidana Sutta: The Great Causes Discourse
  120. ^ Waldron 2004, p. 34-35.
  121. Jump up to:a b c Eisel Mazard, Unpopular facts about one of buddhist philosophys most popular doctrines
  122. ^ Ray Billington (2002). Understanding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pp. 57–58, 73–74 note 1. ISBN 978-1-134-79348-8.
  123. Jump up to:a b c Dan Lusthaus (2014).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Yogaca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Routledge. pp. 124–127. ISBN 978-1-317-97342-3.
  124. ^ Alex Wayman (1984). Buddhist Insight: Essays. Motilal Banarsidass. pp. 179–181. ISBN 978-81-208-0675-7.
  125. ^ Mabja Tsondru 2011, p. 67-71, 447-477.
  126. ^ Geshe Sonam Rinchen 2006, p. 21.
  127. ^ "Mula by Jay Garfield" (PDF).
  128. Jump up to:a b c Anyen Rinpoche 2012, pp. 58-59.
  129. ^ Sogyal Rinpoche 2009, p. 169.
  130. ^ Sogyal Rinpoche 2009, Kindle Locations 849-863.
  131. ^ Schilbrack 2002.
  132. ^ Hoffman 1996, p. 177.
  133. ^ Adrian Kuzminski, Pyrrhonism: How the Ancient Greeks Reinvented Buddhism2008
  134. ^ Thomas McEvilley,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2002 chapter 17
  135. ^ Matthew Neale Madhyamaka and Pyrrhonism 2014
  136. ^ Aulus Gellius Attic Nights Book XI Chapter 5 Sections 6-7 https://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Gellius/11*.html
  137. ^ Thomas McEvilley,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2002 chapter 16
  138. ^ George Boys-Stones Anonymous Commentary on Plato's Theaetetushttps://www.academia.edu/6394469/Anonymous_commentary_on_Platos_Theaetetus 2019 p 21

Sources[edit]

Printed sources[edit]

Web-sources[edit]

  1. ^ spokensanskrit.de, samutpada
  2. Jump up to:a b c d Encyclopædia Britannica. "Buddhism (religion),"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474042/paticca-samuppada. Accessed 25 February 2011.
  3. ^ Nalanda Translation Committee, Dependent Arising/Tendrel

Further reading[edit]

Theravada
  • Walpola Rahula (1974), What the Buddha Taught
  • Ajahn Sucitto (2010). Turning the Wheel of Truth: Commentary on the Buddha's First Teaching. Shambhala. (pages 61–76)
  • Jackson, Peter A. (2003), Buddhadasa. Theravada Buddhism and Modernist reform in Thailand, Silkworm Books
Tibetan Buddhism
  • Chogyam Trungpa (1972). "Karma and Rebirth: The Twelve Nidanas, by Chogyam Trungpa Rinpoche." Karma and the Twelve Nidanas, A Sourcebook for the Shambhala School of Buddhist Studies. Vajradhatu Publications.
  • Dalai Lama (1992). The Meaning of Life, translated and edited by Jeffrey Hopkins, Boston: Wisdom.
  • Geshe Sonam Rinchen (2006). How Karma Works: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Snow Lion
  • Khandro Rinpoche (2003). This Precious Life. Shambala
  • Thrangu Rinpoche (2001).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Origination. Nama Buddha Publications.
Scholarly
  • Frauwallner, Erich (1973), "Chapter 5. The Buddha and the Jin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the Veda and of the epic. The Buddha and the Jina. The Sāmkhya and the classical Yoga-system, Motilal Banarsidass
  • Bucknell, Roderick S. (1999), "Conditioned Arising Evolves: Variation and Change in Textual Accounts of the Paticca-samupadda Doctrine", Journal of the Internatop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Volume 22, Number 2
  • Jurewicz, Joanna (2000), "Playing with Fire: The pratityasamutpada from the perspective of Vedic thought", Journal of the Pali Text Society 26 (2000) Pp. 77-103
  • Shulman, Eviatar (2008), "Early Meanings of Dependent-Originatio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36: 297–317, doi:10.1007/s10781-007-9030-8 Check date values in: |year= / |date= mismatch (help)
  • Gombrich, Richard (2009), "Chaper 9. Causation and non-random process", What the Buddha Thought, Equinox
  • Jones, Dhivan Thomas (2009), "New Light on the Twelve Nidanas", Contemporary Buddhism10 (2)

External links[edit]

Suttas
Comment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