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1

도덕적 정서 교육의 체계화 연구 2014

000000021077.pdf

1) ‘내적 정서 측면’ 실현 조건

도덕적 정서화를 위한 내적 정서 측면의 실현 조건은 ‘도덕적 정서
능력치’, ‘정서 상태’, ‘정서 건강’이다. 첫 번째 실현 조건은‘도덕적 정서 능력치’이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정서를 연구하거나 다룰 때 정서를 개별적으로 나누어 개념화하고, 특정
한 상황에서 한 가지의 정서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초점을 두어 접근
한다. 예를 들면, 사랑, 슬픔, 기쁨, 분노, 미움 등의 정서가 특정한 상황
에서 도덕적 행동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 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남을 미워하기도 하고 사랑하기도 하며 어떤 일 때문
에 기뻐하기도 하고 슬퍼하기도 하면서 같은 시점에 연속적으로 다양한
정서를 체험한다. 사람들은 삶의 상황 속에서 정서를 경험할 때 단일 정
서만 경험하기 보다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여러 가지 정서를 경험한
다. 예를 들어, 유관순은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 만세를 부르는 동안 일
제에 대한 분노의 정서만을 느끼지는 않았을 것이다. 많은 조선인들이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했음을 보고 기쁨을 느꼈을 것이고, 동시에 일본
군의 발포로 죽어 가는 사람들을 보며 분노와 슬픔이 교차했을 것이다. 게다가 일제의 무력 진압으로 시위 도중 옆 사람들이 피살당하는 순간에
는 슬픔을 넘은 애통함과 일본군에 대한 증오가 가득했을 것이다. 아마
날아오는 총알에 대한 두려움과 그것을 이겨내려는 용기도 함께 내었을
것이다. 기쁨과 슬픔, 분노와 증오, 애통함과 절망, 두려움과 용기의 정
서가 만세 운동을 주도했던 유관순에게 복합적으로 발생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유관순의 독립운동은 가장 고귀한 도덕적 행동이다. 기쁨과 슬픔, 분
노와 증오, 애통함과 절망, 두려움과 용기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교차
하는 상황 속에서 도덕적 정서화를 이루게 한 힘은 무엇인가? 논의를 위
해 유관순의 정서를 기쁨과 슬픔, 분노와 증오, 애통함과 절망, 두려움과
용기의 여덟 가지로 한정하여 생각해보자. 이 때 이 정서 중에서 독립운
- 106 -
동이라는 도덕적 행위를 만들어 낸 것은 어느 것인가 하는 질문을 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