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Catherine Hogarth —The forgotten wife of Charles Dickens


The forgotten wife of Charles Dickens

Lucinda HawksleyFeatures correspondent
https://www.bbc.com/culture/article/20160519-the-forgotten-wife-of-charles-dickens

As the wife of such a star, Catherine began to be overlooked. Meanwhile, while she was as happy as her husband at first, her multiple pregnancies – from which she barely got the chance to recover before getting pregnant again – began to take their toll on her health, energy and their marriage.

Now, for more than a century, Catherine has been marginalised and misremembered as a dull, frumpy wife. Even the sole Dickens biopic ever to have been made by the film industry focused not on Catherine, but on Ellen Ternan, Dickens’s mistress (a relationship that was ultimately the reason he separated from Catherine).

But the real story of Catherine is that of a fun-loving young woman who, as the wife of an international celebrity, travelled widely and had the opportunity to see and experience things that most women of her era and social status did not. She and Charles were very keen amateur actors, for example. Catherine not only performed in shows at home, but on stage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or more than a century, Catherine has been marginalised and misremembered as a dull, frumpy wife

Another of Catherine’s achievements? Publishing a book. When I researched it, I was infuriated to discover how many people – even respected academics – have claimed that it was written by Charles.

This view is intensely patronising, implying as it does that Catherine couldn’t possibly have had the intelligence to write a book. But it is also extraordinary to claim that Charles would have willingly added to his already punishing writing schedule only to publish a book under a female pseudonym – at a time when most female authors were being forced to write under masculine pen names in order to be published.

Steve Vidler/Alamy The dining room in the Dickens’s house in London, now the Charles Dickens Museum (Credit: Steve Vidler/Alamy)Steve Vidler/Alamy
The dining room in the Dickens’s house in London, now the Charles Dickens Museum (Credit: Steve Vidler/Alamy)

 Catherine’s book is entitled What Shall We Have for Dinner? A guide for young wives more than a recipe book, it advises on household tasks and producing menus for up to 18 people. In essence, Catherine was the first Mrs Beeton – a decade and a half before the actual Mrs Beeton published her now-iconic cookbook.

Now, visitors to the Charles Dickens Museum have the chance to discover all of this – and the vibrant, witty and interesting woman who was ‘the other Dickens’.

The Other Dickens is open until 20 November 2016.

Lucinda Hawksley’s new book Charles Dickens and his Circle is published by the National Portrait Gallery in the UK and the US.

This story is a part of BBC Britain – a series focused on exploring this extraordinary island, one story at a time. Readers outside of the UK can see every BBC Britain story by heading to the Britain homepageyou also can see our latest stories by following us on Facebook and Twitter.

If you liked this story, sign up for the weekly bbc.com features newsletter, called “If You Only Read 6 Things This Week”. A handpicked selection of stories from BBC Future, Earth, Culture, Capital, Travel and Autos, delivered to your inbox every Friday.










(2) Facebook



The Vintage News

·
Follow

ooSntpdsre 0buml984Sart6mcg10eef 33ac1e9i g01i6at2iltp30i:5m ·


She bore ten children — and buried three with her own hands. She crossed oceans beside him, endured the storms of his fame and failures, and kept a turbulent household alive.
And yet Catherine Hogarth — wife of Charles Dickens — was cast aside, maligned, and erased.
Dickens, celebrated as a genius, painted her as “fat, lazy, jealous, and dull.” He aired their private anguish in public, publishing a letter that turned him into the victim. The world wept for him. Few spared a tear for her.
But who would not stumble after ten pregnancies? Who would not break beneath the grief of burying children? Catherine was no weakling. She endured with fierce resilience.
Their marriage did not collapse from her faults, but because Dickens fell for a younger actress, Ellen Ternan. Divorce was scandalous in Victorian England, so Catherine was branded the problem. Dickens even built a wall inside their home to divide her from the family.
At last, Catherine put on her hat, stepped outside, and never returned. In leaving, she lost her children, her home, her place in society.
Near the end of her life, she asked only for one thing: that Dickens’s early love letters be published — proof that she had once been cherished. Even that wish was denied.
But her story endures. Catherine Dickens was never a burden. She was a survivor.
Wayne Reed
I had never heard this before, so it does present a darker side to Charles Dickens. This is a disturbing revelation, but I often wonder why this is being so widely publicized now, unless there is also a more sinister intent to destroy or erase Charles Dicken’s legacy and contributions to literature. After all, would there be no Charles Dickens there would be no Great Expectations, no Oliver Twist, no Tale of Two Cities, no David Copperfield, and no Tiny Tim or Ebenezer Scrooge. The man’s creative genius and effort to spotlight the plight of the poor, (widely based on his own childhood hardships) should not be buried with a vengeful hatchet. I am not saying his wife’s alleged mistreatment and negligence did not happen, but I question the intent of focusing on a mostly negative image of a once great man whose literary success and contributions to Mankind cannot be denied. Any thoughts?
Helen Chadwick
Wayne Reed just because you are outstanding person in your field doesn’t make you a nice or kind person.
It just makes you a genius in that particular field … thats all !
Rosemary Hill
Wayne Reed I did know about this. I enjoy the work of Dickens but he did have a much darker side. People are indeed complex.
Joan Green
Wayne Reed This has not just been published. I heard about it years ago. A man who celebrated Christmas and family, had a dark side too. She was "fat" because she had given birth ten times. She probably became "jealous" because her husband was having an affair with younger attractive woman. Women in those day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make it on their own as they do today. She was a strong woman who dared, eventually, after years of mental cruelty, to leave her children. How heartbreaking.
Nikki Armstrong
Wayne Reed maybe her family know of her side through journals and her love letters and wants the world to know she was a good woman.
Maria Garcia
Wayne Reed interestingly..Picasso, Hemingway, Dickens and so many other greats have given so much to world literature and the Arts, but butchered and abused the hearts of those who made it possible to succeed. They presented as a Messiahs of the arts and understood the power of words, often used against their wives and lovers, while they became dispensable. I see these greats as fragments of a whole.. to keep grounded.
  • Reply
  • Edited
Eileen Wiggins
Wayne Reed I’ve known this for a long time
John Morgan
Sad if true, but what do we really know or can we rally know about the entire situation? Certainly not enough to draw any solid definite conclusions.
Kathleen Tekakwitha Meloche
Wayne Reed Perhaps, it forces us to recognize and separate a great writer from a not so great man.
Lois Guthrie Marr
Wayne Reed true, I wouldn’t take anything seriously from a blip on FBook…no reference as to where the poster(s), the Vintage News, get their info. Who are the researchers with Vintage News, etc.
Time to do some of my own research on the subject
  • Reply
  • Edited
Jade Laurich
Wayne Reed women’s stories are worthy of being told.
Richard Bono
For a writer who showed such empathy for humanity, he also had a very dark personal side.
Annie Alleyne Taylor
Those “great men” of the past often had a very dark side. The personal lives of Albert Einstein, Karl Marx, Pablo Picasso and many more reveals bullies and abusers of women. The behavior of Einstein to his first wife Mileva Maric and his insulting List of Instructions was an example of his selfish nastiness. Great man - but not a GOOD man. Ugh 😣
Jac Pd
Richard Bono He wrote about the squalor and poverty in and around the Workhouse that he saw in Chatham when he was a boy ( Oliver Twist). About the Debtors prison his father ended up in ( Little Dorrit). Also the prisoner who escaped from the prison hulks and Miss Havisham in Great expectation. However did he show empathy? Did he do anything to help these people?
Dorothy Zeiss Young
Richard Bono the son he sent to Australia is another horrible thing he did
Shammi Thorsrud
Richard Bono yes, the dark side of the moon
Laraine Elizabeth Turner
Richard Bono But why now—when the man has been centuries dead and unable to defend these accusations, which could be FALSE???
Tammy RF
Richard Bono I suppose we all do… with some notable exceptions, of course.
Steven Kirschbaum Chitwood
Richard Bonothat type are usually inveterate hypocrites.
Jenifer Gray
Richard Bono A very dark side.
Rosalyn Marhatta
Richard Bono He was abused as a child.
"Most relevant" is selected, so some replies may have been filtered out.
Maria Mbog
Similar to Albert Einstein's wife who was a very bright and educated individual she helped a lot with his work and studies yet got no recognition for all the help she gave him .....honestly these men 🙄
Ann Hennessey
Amazing woman to have 10 children. That in itself shows she was a strong woman. Makes me sad reading this. I do not understand how any man could let down the mother of his 10 children and in such a disrespectful way. RIP Catherine.
  • Reply
  • Edited
Alison Eleri Stanford
On a brighter side he took a young lover and moved in with her while supporting his wife and children in the family home. After having 10 children something tells me that she was quite relieved not to have to do her wifely duty. Dickens suffered from depression and some say he was bi-polar. Everyone has their own story. I think that he maligned her to justify leaving her for a much younger woman.
Pat MacDonald
Sadly this is still the fate of many women today 😢 but fortunately the woman of today are Educated & can support & be there for their children ! Take heart ladies & Encourage your daughters to be learnard & Strong 💪 & to never doubt themselves!
Kathy Vargyas
Catherine Hogarth's story is a powerful reminder of the challenges women faced in Victorian England.
Les Powell
Dickens was not a nice guy. What an irony considering the Christmas Carol theme.
Helen Medcraft
Age old story - woman loses her sex appeal and the man falls for younger model. They are driven by what’s in their trousers!!! 🙃
Rachael Bishop
Thankfully, the internet changes how we learn and share stories so the narrative men try to force can be challenged.
Katherine Sneve
Yes, Dickens was not a good husband.
Margaret Thomas Amani
I never liked Charles Dickens stories they were always morbid probably a reflection of his reality.
Winston Uy
It's ironic that Dickens wrote about social injustices, yet he perpetrated one against his wife. He would have made a great villain in his novels!
Janine Brill
I have known about this for years and years, he was a horrible man, but great writer!
Kat Kathleen
Charles Dickens publicly slandered and maligned her terribly even trying to keep her children away from her. She gave Dickens Love Letters to their daughter as proof he once loved her. She maintained her dignity throughout Dickens infidelity in their marriage. 
Yvonne Bernier Hatline
Dickens wrote great stories but he was arrogant
June Warriner
So sad y,et he is only remembered for his books not the brute he obviously was,
Gill Graham-Harvey
He was a great writer but awful, weak man.
Judy Ann MacMillan
Oh I feel this so much. Am never surprised to find out that geniuses were not "nice guys'
Catherine Wholey
He was horrible to her but of course the woman is blamed as was the norm in those days if there was a problem with a marriage
Annalyn Jones
There my great great grandparents .Not many men where very nice back those .women easily replaced and didn’t have rights
Favorite Yaya
Too often, devoted women that support a man, in every way, before he becomes successful or famous, are cast aside once he has achieved his goals. Times haven’t changed that much since Dickens, sadly.
Vickie Macky
Maybe one of his 10 children found out about the story and how he degraded their mother and caused her to leave her children and home and now wants revenge or maybe another chapter is opening up amongst the Dickens children to write about they’re Daddy and tell about his life style…😉or could be some of Dickens grandchildren or great grandchildren to get revenge for their mother or grandmother or great grandmother…! Life goes on
Kathleen Kastorff
He liked her enough to stay on top of her.
Ann Barcoe
I have always loved Charles Dickins work,and many a man has left their poor wife for younger model,but to treat the woman who gave him ten children the way he did was unforgivable.
Jean Claxton
What a real prick Charles Dickens’s was!
I had actually read about Catherine’s story before
  • Reply
  • Edited
Eileen Jones
Some people never change. They minimize, deflect, and blame others to feel superior. But the truth always comes to light, and their schemes will backfire.
Dale Sharpe
That is people for you. The same couple who swear their undying love for each other can quickly turn sour for many reasons. Maybe Charles had too many expectations of Catherine and too little of himself as a husband and father?
Melinda Saunders
I like Dickens’ work. So I was shocked to find out that he also tried to have her committed to ‘shut her up.’ When she was outing him. The several doctors he approached refused which says a lot about how he was regarded because it was a common result of estrangement or separation where the men would try this tactic. It’s very sad to realise there was a level of hypocrisy in his work.
Sue McLaughlin
Dickson's may have been a brilliant author but he was a very bad hunman being. I had no respect for him as a person.
Long live Catherine 's legacy.
Christine Clark
Catherine is the champion
Della Isaacs
God bless her.
Julie Alli Palmer-Blackwell
Respect for her.
As for him, there are no words.
Anne Clarkson
This is so common with men who think they are special. The scientist who was paralysed, can't remember his name, he was another genius who was selfish and vile to his wife!
Jean Holden
It’s the same today men cry the victim when it’s all there fault they change the narrative to fit their infidelities, poor Lady never stood a chance so sad !!!
Jennifer Williams
I don’t think I can ever enjoy his stories ever again.
Pamela Stapleton
He allowed contact with one daughter, must be Katie. Because In the end she asked a daughter Katie to deliver one of her rings & a message to him still professing her love, forgiving him for everything & blessing him! Poor woman 💔
Patricia Carroll
He was a jerk. This is sad.
Jennifer Sanders
He was narcissistic
Tom Fellows
Charles Dickens was a wife abuser.
Heather Weir
The most disturbing part is that Dickens tried to have Catherine committed to an asylum,using his power in a male-dominated society to paint her as unstable. He even turned their children against her, using his status as provider to isolate and control her.
Brenda Rust
Seems some men have not changed much over the centuries.
Dessislava Kolarova
He’s just another one of many artist who were as**oles in real life
Lisa Gabrielcich
I didn't know he was such a horrible person. Men could get away with so much in Victorian times. So sad.
Susan Gann
He made her have all these kids and then didn't want her cause she was chubby
Luce Law
Charles Dickens was such an a-hole.
Claire Tremblay
Dickens sounds like he was a real &&&&ens. She deserved so much better!
  • Reply
  • Edited
Corrie Luns
men do that!
Susan Farley
What a tragic story
Hendrika Buffone
Terrible guy this Dickens was.
Patricia Duke
Some men back then were horrible to their wives. But had kid after kid with them...He was one fir the books.
Darcy Harefeld
I had no idea. So Dickens was not such a good man after all. 😢 Fame and money cankers lives.
Beth Lukefahr Lewis
Pig His books are overrated and too damned long
Adrienne Obbard
Very interesting. Life was very hard for women in those days. No way out.
Lara Shargorodsky
Charles Dickens shamelessly deserted Catherine , behaved like a real despicable monster immoral and amoral in every respect , it was most appalling to read the book about the young actress, her family’s behavior and Dickens’ role in Miss Ternan’s life. Piercing….
Kathi Snook
God knows her and that is all that is truly important. Maybe Charles ended in heaven too but at least she isn’t shackled to him there.
Karen Taylor
By all counts, Dickens was a literary w@nker then 😡
  • Reply
  • Edited
Paula Hartley
What an amazing woman what a cruel evil man
Sean Davis
Good Lord! This sounds positively Dickensian.
Mary Jones
Sad just sad..
Louise Culmer
It was Dickens who decided she should move out. Only their eldest son went with her.
Sandie Robbins
It makes me want to weep how awful he was to his wife, the vicious git!!.
Jennie Hudson
I can remember going to his house when I was a child it's now a museum...his wife had a disability or was severely depressed..I rambert she birthed about 10 kids and he was having an affair with her sister
Max Headroom
U know it was going bad she didn’t get the 🛏️
Pamela Corbett
Don’t forget the obsession he had in his own home with Catherine’s seventeen-year old sister who died suddenly.
He went into a deep depression, saying he wanted to be buried with her. Poor wife.
Amanda Hill
Tale as old as time....
Chris Hopkins
She was trapped in an unhappy marriage. In those days there was no escape. Very sad that she appears to have been estranged from her children.
Katarzyna Kopytek-Portlouis
Hmm I dont like him anymore and anything he wrote
Christine Lambert
He has the word Dick in his name
Marise Smith
Shameful but typical of people who become famous x
Marcia Hill
He was so cruel.
Karen Evoy Ramstedt
An amazing woman.
Jay Burston
What a horrible heartless man. Shameless
Dewana Healy
WHAT HAPPENED TO THE LETTERS??????
Sherrod Shiveley
This is AI. Actually he took up with his wife’s sister 😢
Dara McCarty
Unfortunately , men adore young women! He was a cad!
Sonny Piccirillo
I think many of our celebrity men and politicians are evil. Power is all they want. Control. egotistical, devious and very sinister people.
  • Reply
  • Edited
Avis Marrington
So sad 😞 I'm glad I'm a woman now and not then. I see Dickens different now.
Joanna Chuza
Never liked Charles Dickens literature.
Christian Hoffman
The guy had multiple mental and physical health issues. It’s a wonder he did much at all
Belinda Burke
I love Charles dickens and read much about his early life, he’s one of my favourite authors .. I did read that he succumbed to the charms of a younger woman but never knew he treated his own wife, mother of his children with such disdain .. very sad !
Sandy Hollenbeck Bailey
Men always make excuses for wanting sex. ‘I’m a hunter.’ Ugh
Lisa Roberts Wise-Wideman
Dickens was a Dick ens
Louise Harrington
Every family has secrets.
Kala Nash
Awe poor Catherine, he was no looker himself, probably looked the same since he was 14, creepy guy. Her children loved her that’s all that matters.
Rebecca Kaler Langley
If this is true, he kept enjoying her sexually for her to have his 10 children!!! He must have been a very selfish and insecure narcissist.
Jim Leber
Behind every great man is a greater woman.
  • Reply
  • Edited
Joseph MacDonald
Looks like Lindsey Graham
Anna Carol Senger
Dickens was a CAD
Camille Claudel
a new category: literary covert malignant narcissist

2025/10/17

読書の学校 若松英輔 特別授業『自分の感受性くらい』 - 若松英輔 - 小説・無料試し読みなら、電子書籍・コミックストア ブックライブ

別冊NHK100分de名著 読書の学校 若松英輔 特別授業『自分の感受性くらい』 - 若松英輔 - 小説・無料試し読みなら、電子書籍・コミックストア ブックライブ




別冊NHK100分de名著 読書の学校 若松英輔 特別授業『自分の感受性くらい』
若松英輔
770円 (税込)





3pt

4.5


10件



なぜ人には詩が必要なのか? 国民的詩人・茨木のり子が遺した素朴な詩は、なぜ日本人の心に響くのか? 「詩」を感じることができれば、言葉は人生を支える糧となる。詩と出会う大切さを知ることで、自分を励ますための言葉が見つかる一冊。

はじめに──これから詩を書こうとする君たちへ

第1講 詩とは何か
第2講 感受性とは何か
第3講 生きるとは何か
第4講 言葉とは何か
今すぐ購入
カートに入れる
フォローする
ブラウザ試し読み


アプリ試し読みはこちら

詳しい情報を見る


閲覧環境



別冊NHK100分de名著 読書の学校 若松英輔 特別授業『自分の感受性くらい』 のユーザーレビュー

4.5
Rated 4.5 stars out of 5

\ レビュー投稿でポイントプレゼント /※購入済みの作品が対象となりますレビューを書く

感情タグBEST3
#深い#感動する#エモい



Posted by ブクログ



若松英輔さんが東京の豊島岡女子学園中学校を訪れた授業。

詩の読み方が変わる授業です。
テキストは茨木のり子さんの詩。

若松さんは私たちにも詩を書いてみようと勧めています。

・書きさえすれば詩との関係はすぐによくなる。
・詩を読んで詩を書く。書いたらまた読む。それを繰り返す。そしてできるなら詩をめぐって信頼できる人と、たくさん話をするとよい。
・詩を書くことは「答え」を探すことではなく「問い」を見出すこと。必要なのは「答え」ではなく「応え」「手応え」のような実感。
・本当の「問い」と出会うことができればその「問い」がみなさんを人生の深みへと導いてくれる。
・困難はさまざまな思索と工夫を私たちに求めてくる。そこに真の創造性が宿る。詩を深く味わうための近道は詩を書くこと。
・詩を書くことには真剣に真摯に書くことが求められる。誰かに褒められようと思って書くと、本当に必要な言葉に出会うことができない。
・心でつむがれた詩には必ず、今日の一語がある。今日しか見つけることのできない言葉。この今日の一語を見つけることが詩を読むということ。


私に詩が書けるとは全く思えないけれど、この授業を受けた生徒たちは皆「詩を書いてみたい」と感想を綴っています。私も詩という形でなくとも何らかの形で「問い」を探すために書いてみないとこの本を読んだ意味はないかもしれないと思いました。


若松英輔さんが生徒の感想に宛てた詩より一篇を抜粋。


「黄金の手紙」
目で 文字を追うのではなく
こころで コトバを読む
そのとき 詩は
彼方の世界から送られた
黄金の手紙になる

02023年02月20日
Posted by ブクログ


詩とは何か、感受性とは何か、生きるとは何か、言葉とは何か。茨木のり子の詩と向き合いながら、若松さんがそれらの問いに彼の言葉で応えようとする。だから響く。中学校の生徒を前にしての講義を文章化したもので、読み手にも語りかけるような優しい言葉たち。読みやすいが内容は深い。巻末には生徒たちの感想。真摯で飾らない言葉にホッとする。その一つ一つに若松さんから詩が贈られていて、とても素敵なテキストでした。

02022年08月12日
Posted by ブクログ


思わず手帳を開いて五行詩を書いてみました。自分との対話、言葉にならない言葉を読み取る心耳、心眼という言葉も印象に残りました。茨木のり子さんは元々好きな詩人ですが、若松さんは、違った角度での捉え方をたくさん示してくださりより深く理解できました。

02021年09月05日
Posted by ブクログ


中学生対象の読書の学校を本に纏めてあるものだが、対象年齢は、限定されるものではなく、詩とは何か、生きるとは何かを問う、深淵なる自己との旅を応援してくれる一冊でした。

若松秀輔さんの人生観は、自分の中に1番良い先生が眠っている、必要な言葉は自分の中にあるというもので、中学生、読者に、コトバ、詩を読み書く事で、自分と向き合うことを提案されていました。
生きることに誠実になり、より深く自分と向き合うことに、詩が助けになるよ、ということで、読み終わると言葉を紡ぎたくなります。

02021年08月09日
Posted by ブクログ

自分の人生を支えていく言葉を、どこからか見つけるだけでなく、自分で手作りしてもよいのだなという発見があった。気恥ずかしいと思いつつも詩を書き始めたくなる。誰に見せるわけでもなく自分のために。
02019年11月30日


レビューをもっと見る
すべてのレビューを見る(10)

2025/10/15

“홀로코스트에 맞선 네 여성” < 칼럼 에큐메니안

“홀로코스트에 맞선 네 여성” < 칼럼 <  에큐메니안

“홀로코스트에 맞선 네 여성”

레이첼 펠데이 브레너, ⟪홀로코스트에 맞선 네 여성: 에디트 슈타인, 시몬 베유, 안네 프랑크, 에티 힐레슘⟫, 김준우 옮김 (한국기독교연구소, 2025)

시작하며

이 책은 저항조차 할 수 없었던 나치의 폭정에 대해 나름의 방식으로 저항했던 4명의 유대인 여성들의 삶과 생각에 관한 저술이다. 이 글을 썼던 저자 역시 미국에서 활동한 히브리 문학 교수로서 유대인 여성이다. 50세에 아우슈비츠 가스실에서 죽었던 에디트 슈타인(53세), 런던에서 곡기를 끊고 아사했던 여성 철학자 시몬 베이유(34세), 네덜란드의 한 수용소에서 병과 굶주림으로 죽었던 안네 프랑크(15세), 그리고 역시 아우슈비츠에서 죽음을 맞은 에티 힐레슘(29세)이 그들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히틀러의 폭정에 맞서 자서전 및 일기의 방식으로 묵시록을 남긴데 있다. 이들 모두는 유럽에 동화된 유대인으로서 나치 출현 이전까지는 ‘유대인’이란 정체성(자의식) 없이 살았던 존재들이었다. 이들이 남긴 글들- 슈타인의 <유대인 가족의 삶>, 베유의 <영적 자서전>, 프랑크의 <일기>, 힐레슘의 <일기>- 모두는 당시 유럽에서 통용되던 보편적 휴매니즘에 근거했다. 정도 차가 있겠으나 기독교에 대한 친화성도 이들 모두에게 중요했다. 기독교가 유럽 계몽주의의 지평을 확대, 재탄생 시킨 종교라는 확신도 이들 몫이었다.

슈타인은 현상학자 훗설의 제자로서 가톨릭 수녀로 살았고, 베유는 기독교 신비주의자가 되었으며, 힐레슘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심취한 적이 있었다. 그럴수록 이들은 자신도 알지-의식하지- 못했던 유대인 정체성과 심하게 갈등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 저자는 나치의 비인간화에 대한 이들 저항이 기독교 휴매니즘 차원에서인지, 유대인 희생자로서인지, 아니면 기독교와 유대교 모두의 관점에서 비롯한 것인지를 묻고 답하고자 했다.

주지하듯 이들은 히틀러 폭정에서 이들은 인종적/종교적 정체성 위기를 새삼 겪을 수밖에 없었고 그러면서도 세상을 사랑하려는 영적 투쟁, 하느님이 사라진 현실에서 믿음을 위한 투쟁을 통해 인류에 새길을 냈던 존재들이었다. 여기서 저자는 여성으로서의 이들 자의식이 이런 저항에 어찌 작용했는가도 여실히 살피고자 했다. 물론 이들에 공통점만 있지 않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슈타인과 베유의 여정을 대비시켰고 힐레슘의 하느님 사유의 독특함을 부각했다. 

1.

일찍이 한나 아렌트는 ‘우리가 어느 정도까지 세상에 대한 의무를 걸머지고 살아야 하는가?’를 물었다. 이 책은 이 질문에 대한 네 여성 간의 공통분모가 있으나 저마다 다른 답을 알려준다. 파괴된 세상 속에서 도덕적, 영적 회복에 대한 기대와 책임을 버리지 않은 이유에 대한 분석이다. 앞서 말했듯이 이들은 유대인 공동체와의 종교적, 민족적 연결고리를 끊고 살았던 유대인이었다. 서유럽 정신세계에 온전히 동화된 까닭이다.

당시 유럽은 유대인 개인에게는 모든 것을 허락했으나 민족으로서 유대인에게는 일체를 불허했다. 그 시절 유대인들이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과 무관하게 살던 배경이다. 유럽 정신에 근거하여 이들 네 여성은 역사가 만든 불안과 좌절을 자기 내면의 성장 기회로 삼고자 하였다. 테러에 굴복 내지 도피하지 않고 계몽된 인간으로 살아보겠다는, 나아가 시대를 구원하겠다는 의무감을 드러냈다. 집단의 폭력에 대해 개인의 도덕적 행위로 저항하는 차원에서다.

하지만 이런 서구 정신은 나치의 출현에 속수무책이었고 무력했다. 성서의 묵시가 그렇듯이 저항할 수조차 없는 파괴의 논리에 맞서는 비논리적 저항을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자신에게서 비롯한 도덕적 의식 대신 저자는 타인의 초월성에 대한 발견에서 그 가능성을 보았다. 후술하겠으나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비판한 프랑스 철학자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의 시각에서 이들의 저항 의식의 본질을 분석, 평가한 것이다. “주체성의 매듭은 나를 향한 타자의 움직임에 개의치 않고 내가 타자에게로 가는데 있다.” 여기서 저자는 특히 힐레슘의 경우를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실현시킨 범례로 여겼던바 이 역시 후술하겠다.

2.

사실 레비나스 개념으로 이들 정황을 서술하는 일이 적합한지 살짝 의문이다. 하지만 일단 저자의 논리를 따라가 보겠다. 그가 인용하는 레비나스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동료애는 타인과 타인의 상황으로 들어가는 것으로서 이는 자기 자신의 초월이다”. 저자는 슈타인과 프랑크에게서 상호주체적 경험에 근거한 공감 능력을 봤고 베유에게선 타인의 고통을 전적으로 자신에게 부과하는 자기 포기를 포착했다. 고통하는 타자에 대한 이타적 연민으로 상황에 저항코자 한 것이다. 힐레슘의 경우도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무제약적 책임이 핵심이다. 실제로 수용소 탈출의 기회가 있었음에도 그녀는 타자의 고통이 눈에 밟혀 그 기회를 포기할 정도였다. 이렇듯 자신의 욕망을 철저하게 비울 때 저항이 가능할 것이란 믿음이 그녀들의 공통 감이었다.

하지만 저자는 베유의 경우 나치 박해의 희생자들을 제대로 경험한 적이 없었다고 누차 적시했다. ‘희생양 제안’에 근거하여 묵시적인 현실 고통과 하느님의 화해를 개인 차원의 희생 속에서 찾았을 뿐이다. 인간 고통 물음을 보편적 하느님 물음과 연계시킨 것에 의미를 두었다. 여하튼 이 책의 주인공 네 사람에게 유대인 정체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말했듯이 족보상 유대인이었지만 서구에 동화된 존재로 살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유대인 종족학살을 목도 하면서도 기독교를 매도하지 않았고 오히려 자끄 마르탱의 말대로 반유대주의와 반기독교적인 것을 더불어 생각했다.

하지만 홀로코스트 상황에서 유대인의 하느님도 기독교의 하느님도 무력했다. 베유가 고민했듯이 하느님 이해가 도전받게 된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이들 네 사람의 유대인 정체성 인식 여부다. 수녀였던 슈타인의 경우 유대인과 기독인의 정체성을 함께 지녔고 베유는 프랑스 시민이자 기독교인의 정체성만을 유지했으며 힐레슘과 프랑크의 경우 유대인 희생자들과 자신들을 동일시해나가는 점진적 방식으로 유대적 정체성을 수용했다고 저자는 생각했다. 여기서 힐레슘이 유대, 기독교적 신관을 넘어 자연으로까지 의미를 확장, 보편화시켰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베유의 연장선상에서 힐레슘이 각별한 이유이다.

3.

그럼에도 이 책에서 끊임없이 대조되는 인물은 슈타인과 베유이다. 전자는 가톨릭 수녀로의 개종 이후 유대인 정체성을 수용했고 후자는 유대교와의 단절을 선포하고 프랑스 시민으로, 기독교 신비주의자로 남기를 원했던 까닭이다. 슈타인이 독일과 유대인 모두를 위한 구원에 관심했던 반면, 베유는 유대인이 세계사 속에 범한 죄악사를 잊지 않았다. 그들 존재가 기독교 영성과 함께 할 수 없음을 강변했다. “나의 전통은 그리스도교 전통, 프랑스 전통, 그리스 전통뿐이지 히브리 전통은 내게 낯설다.” 슈타인이 기독교인이지만 유대인의 운명을 자신이 져야 할 십자가로 인식, 수용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하지만 베이유가 기독교 세례를 받지 않은 사실을 중히 봐야 한다. 세례가 반유대인의 징표로서 생존의 유효한 도구가 될 수도 있겠지만 그는 교회보호를 스스로 거부했다. 교회와 유대교의 역사적, 계시적 연결성을 부정한 결과였다. 그녀는 기독교가 계시와 무관한 여타 종교들을 무시하는 일에도 저항했다. 이런 생각을 주류 기독교인들은 거부하겠으나 오히려 그녀에게 이것은 자유를 좀먹는 ‘철학적 난관’이라 여겼다. 유대교의 선형적 역사관이 전체주의, 자본주의, 식민제국주의, 종족주의의 근본 원인이란 점도 베이유를 불편하게 했다.

이렇듯 유대의 종교, 역사적 유산에 대한 그녀의 비난은 기독교 공동체 구성원 되는 일-세례-에 방해가 되었다. 하여 자신을 철저하게 해체 시키는 방식으로 하느님과의 재결합(재창조)을 이루고자 했다. 자기소멸에 이르기까지 주어진 자율성을 다시 하느님에게 되돌리고자 한 것이다. 그리스도 안의 새 피조물이란 말을 자기 존재 전체의 상실과 소멸이란 말과 같은 뜻이라 봤다. 가장 피폐한 자가 될 때 비로소 하느님과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한 까닭이다.

여기서 저자는 베유가 홀로코스트 유대인 고난에 대해 침묵한 결정적 이유를 찾았다. 감각과 욕망을 소멸시키는 인간 고통에 대한 미화 내지 과한 의미 부여를 문제 삼은 것이다. 육체 부정이 유대인 정체성 부정으로 이어졌고 마지막 부분에서 재론할 주제로서 여성성의 부정으로 귀결되었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물론 저자는 이를 긍정적으로 살피기도 했다. 폭군적 지배에 굴복하기보다 세상에 대한 반역자 혹은 신비주의자로서 스스로 세상과의 단절을 통한 저항을 선택한 존재로서 베이유를 의미화했다. 그렇지만 이런 존재 방식은 자신의 과거 자아(유대인)를 거듭 인정하면서도 자기실현을 지속했던 슈타인과 대조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4.

그렇다면 프랑크와 힐레슘의 경우는 어떠한가? 정체성과 하느님을 찾는 일에 관해서 이들은 어떻게 다른 것인가? 이들 두 여인은 ‘재앙의 유대인’이란 정체성을 수용했다. 민족과 자신의 운명을 같게 본 것이다. 이들 역시 동화된 유대인이었지만 유대인 정체성을 간과치 않았다. “하느님은 결코 우리 민족을 버린 적이 없었다. 시대를 거쳐 항상 유대인이었고 그 모든 시대를 거쳐 유대인은 고통을 받아야 했다.”(프랑크).

힐레슘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유대인 박해사를 수용하며 유대교와의 연대를 강조한 것이다. 이런 전제하에서 그들은 공히 ‘티쿤 올람’(Tikkun Olam)이란 말로 자신들 역할과 사명을 선포했다. 유대인 대량 학살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세상을 고쳐 보겠다는, 무의미함을 떨쳐 내겠다는 열망이 바로 ‘티쿤 올람’의 뜻이다.

어렸지만 프랑크는 모든 유대인이 박해받는 상황에서 자신만의 안전에 죄책감을 느꼈다. 자기 죽음이 불가피했으나 절망을 극복하는 일에 최선을 다했다. 치욕스런 피해자 입장을 스스로 거부할 용기를 <일기>에 적어 놓았다.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내면의 면역체계를 갖출 목적에서였다. 글을 통하여 새로운 현실을 상상, 창조할 수 있는 인식패턴을 갖추고자 함이었다. 묵시적 종말의 무력감을 내면의 힘으로 극복하길 바라서였다. 이를 위해 프랑크는 오로지 현재에만 집중했다.

하지만 어찌 이것만으로 세상을 구할 수 있겠는가? 자신을 지탱할 수는 있어도 희생자들을 도울 수 없는 현실과 마주했다. 종래의 하느님 이해와의 씨름이 여기서 비롯했다. 섭리하는 하느님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현 상황을 해결할 신은 부재했다. 그 대신 프랑크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존감을 유지, 존속시키는 하느님을 소환했다. 일종의 계몽주의적 보편적인 신론을 요청했다고 볼 수 있겠다.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 믿음의 근거는 자연이었다. 하느님은 역사 속에서는 부재하나 자연 속에서는 언제든 현존하기 때문이다. 구약성서 속 욥기가 적시하듯 말이다. 우리 각자를 치유하고 긍정하는 하느님을 프랑크는 자연 속에서 만난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유대인의 하느님과는 전혀 달랐다.

프랑크가 상상을 통해 자연 속에서 구원의 힘을 찾았다면 힐레슘의 경우 내면으로 침잠했다. 묵시적 종말 상황에서 그녀는 타자를 도울 수 있는 길을 간구한 것이다. 여기서 힐레슘은 하느님 이해의 대 전환을 이뤘다. 자신을 구할 수 없는 하느님을 찾기보다 세상에 남겨진 그 흔적을 보호하기 위해서 하느님을 돕고 보호하겠다고 발상을 전환시킨 것이다. “당신은 우리를 도울 수 없으나 우리는 마지막까지 당신을 도울 것이며 당신 거처를 방어하겠습니다.” 인간을 강하게 이끌어 가는 하느님 대신 고통받는 이들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한 하느님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제 그는 신으로 남기 위해서 고난받는 개인에 의해 보호받아야 할 존재가 되었다. 지구적 재앙을 막아주는 하느님은 결단코 없다. 오히려 하느님 생존 문제는 우리 인간 개개인의 손에 달려있을 뿐이다. 하느님의 현존은 공포와 절망에서 벗어난 개개인의 자기 초월에서 드러난다. 하느님의 발견이 곧 나에게 달려있다는 뜻이다. 그럴수록 고난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능력이 필요한바, 이를 위해 이들 4명의 여성은 모두 자전적 글쓰기에 몰두했다.

5.

그렇다면 자전적 글쓰기가 저항을 어찌 가능케 했을까? 글쓰기가 어떻게 신을 대신할 용기를 인간에게 부여했는가를 살펴야 할 것이다. 저마다 상이했겠으나 언어 및 말의 힘을 믿었을 것으로 본다. 믿을 ‘신’자가 인간의 언어를 뜻하는 한자어인 것을 떠올려도 좋겠다. “말로 표현하는 것은 단지 그 의미뿐 아니라 타인에게 도달하는 행위도 포함한다. 포함하는 사람은 말한 것의 의미 속으로 사라지지 않고 말 자체와 함께 침묵의 존재로 남는다. 언어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의 비폭력적 사회유대이다.”(에디스 위스코그로드).

저자에 따르면 자전적 글쓰기는 개인과 집단 주체성 간의 상호 의존성 회복을 목적한다. 작가 자신이 탈주체화될 수 없다는 사실을 각인시킨다는 것이다. 아렌트의 말대로 ‘인간은 말과 행동으로 우리 자신을 인간 세상에 밀어 넣으며 살기’때문이다. 따라서 글쓰기는 비인간화 폭정에 대한 저항인 셈이다. 침묵을 강요당한 사람의 글쓰기는 현대판 묵시록이라 말해도 좋다. 물론 프랑크나 힐레슘처럼 글쓰기가 자기 성장을 위한 것일 수 있겠지만 이에 더해 슈타인의 경우에서 보듯 적대적인 타락한 세상에 흔적이(을) 될(남길)수도 있는 법이다. 그렇다면 이들 여성에게 있어서 글쓰기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좀 더 부언해 볼 필요가 있겠다.

6.

이들 글쓰기의 공통점과 차이는 무엇일까? 슈타인의 자서전 <유대인 가족의 삶>은 가톨릭 수녀로서의 정체설 박탈이란 곤경에서 비롯했다. 유대인에 대한 증오를 불식시킬 목적에서 썼다. 카톨릭에로의 개종 이야기를 의도적으로 생략했다. 당시 상황에서 개종이 유대인들에 대한 관용을 호소했던 자신의 의도를 난파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럴수록 그녀는 기독교인 됨의 정체성을 억눌러야만 했다. 그만큼 슈타인의 글쓰기 목적은 분명했던 것이다. 반면 베유는 유대교와의 절연은 물론 기독교를 비역사적으로, 즉 신비적으로 이해했고 영적 자아를 추구하는 글을 썼다. 유대교는 물론 제도로서의 기독교와 반목한 결과이다.

이처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세상 공포에 맞서 구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세상과 소통했던 슈타인과 베유와 달리 프랑크와 힐레슘의 글에는 내면적 목소리가 담겼다. 당시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언어가 없었음에도 그런 끔찍함을 표현해내려는 내적 욕망을 드러냈다. 세계와의 환상적 대화, 홀로코스트 현실에서 하느님을 찾는 탐색을 시작한 것이다. 저자는 이를 묵시 종말론적 파괴의 모방적 재현이라 일컬었다. 즉 이들의 글쓰기는 희생자를 침묵-죽음 의식-으로 몰아넣는 시련과 맞서는 용기이자 위로였다. 언어의 소통력과 해방적 기능으로 인함이다.

힐레슘은 ‘한 줄의 시가 떠오르기’를 언제든 소망했다. 비현실적 현실을 기록할 목적에서다. 시인을 죽음의 수용소에서 가장 필요한 존재라 생각했다. 힐레슘에게 언어는 종종 망치에 비유되었다. 벼리고 두들겨서 이야기를 만들고 생명이 끓어오르는 증언을 탄생시켜야 하는 까닭이다. 이처럼 홀로코스트에 대한 이들의 대응은 그들 세계관과 이념에 따라 저마다 달랐다. 이에 더해 저자는 이들의 젠더의식이 저항의 양식을 달리 만들었다는 사실도 찾아냈다.

7.

짐작하듯 이들 피해자 여성들의 젠더의식은 제각각이었다. 여성성을 도덕적 개혁의 동력으로 여겼던 슈타인, 여성성에 대한 부정에 무게를 실은 베유, 여성의 독립성을 강조한 프랑크 그리고 선험적 한계성을 인정하면서도 넘고자 했던 힐레슘에게서 각자의 독특성을 엿볼 수 있다. 나중 두 여성의 경우, 유대인이 먼저였고 여성성은 부차적으로 이해되었다. 이렇듯 젠더의 정체성 문제가 홀로코스트 유대인 참사에 대한 다른 반응을 낳았다. 거듭 말하지만 슈타인은 자신을 유대인 여성으로 확신했고 베유는 유대인 부정과 연계시켜 여성의 열등성(?)을 주장했으며 프랑크와 힐레슘은 자신의 여성성을 지속적으로 극복하며 개방적 존재가 되고자 했다.

여기서 슈타인과 베유의 경우를 다시금 대비시킬 수 있다. 앞사람은 유대인 여성의 자기 내러티브를 강조했던 반면 뒷사람은 사회주의자로서 유대인과 여성 정체성 모두를 거부하며 노동자 계급을 위해 헌신했다. 전자는 남녀의 구별에도 불구하고 상호 보완적 차원에서의 평등성을 주장했고 후자는 남녀의 본질적 차이를 말하며 젠더 불평등, 곧 여성성에 내재한 선천적 조건의 열등함을 적시했다. 슈타인의 경우 여성에 대한 현실적 불평등을 에덴 질서의 왜곡이라 보지만 베이유는 이것을 성별 간의 생물학적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여겼다.

따라서 저자에겐 유대인 고난에 대한 베유의 침묵과 여성의 사회적 억압과 착취에 대한 침묵이 다르지 않게 보였다. 베유의 경우 그리스도 본질-고난의 신비주의-에 집중한 나머지 여성성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성성의 포기를 통해서 남성 영역으로 인정되는 성스러움- 신비적 일치-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베유가 온전히 동의할지는 모르겠다. 베유에게서 여성혐오와 유대인 혐오가 상호 교차, 연결된 사실은 인정하겠지만 ‘남성성’을 여성의 자기파괴(부정)와 일치시키는 논리에는 동의하고 싶지 않다. 여성 속의 내재적 가치들이 세상을 구원하고 속량한다는 슈타인과의 대별을 목적하여 과장된 표현인 듯하여 추후 다시 살필 주제로 남겨둔다. 베유의 반역사적인 신비주의적 기독교의 이해도 보편적 차원에서 부각할 이유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저자도 마지막 장에 이르러 베유 사유에 대한 긍정성을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8.

저자는 유대인 4명의 여성을 예외 없이 각기 다른 방식이지만 홀로코스트 상황에서  정서적 성숙을 이룬 존재로 서술했다. 여기서 인용하는 책이 프로이드의 《문명 속의 불안》이었다. 문화적 발전이 어떤 것인지를 논하는 책이다. 공동체를 교란, 파괴하는 인간 공격성과 자기파괴 본능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기능의 유무가 문화발전을 정의하는 척도라고 했다. 이 점에서 베유는 지나칠 만큼 이에 부합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진정한 사람은 죽은 자가 되는 것, 소유의 욕망이 없는 상태로 이해하며, 그래야 거리를 두고 사물을 사랑할 수 있다고 강변했다.

일체 욕망을 부정하는 베유를 보며 없이 계신 하느님을 말한 다석이 생각났다. 사물을 보고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인간에게 요청한 까닭이다. 베유와 다석 사상을 비교할 수 있는 여지를 이후 생각, 서술할 것을 작정한다. 이에 견줄 때 슈타인의 경우 자기부정 기제보다는 상호주관성이 강조되었다. 힐레슘과 프랑크 역시 슈타인의 선상에서 여성이 세상의 구원자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결국 이들 모두는 인류의 미래가 여성성과 연루될 것이란 사실을 확신한 것이다. 여성들의 방식으로 언표 불가능한 현실과 맞서 저항의 힘을 드러낸 까닭이다. 단지 베유의 경우 여전히 토론할 여지를 남겼다. 여성을 섹슈얼리티에 의존적 존재로 묘사했으니 말이다.

이 책 끝부분에서 저자는 인류가 묵시 종말적 해체과정에 직면했을 때 어떤 힘이 인간성을 지켜줄 것인지를 재차 질문한다. 이것은 신이 사라진 세계에서 자신과 세상에 대한 믿음의 문제이다. 존재하지 말아야 하나 존재하는 반(Anti)세계적 상황에서 들려지는 소리란 과연 어떤 것인가? 마땅히 있어야 할 믿음에 헌신하는 행위가 가능할 것인가?

저자는 이런 행위를 광기, 유대인의 언어로 ‘미친 미드라쉬’(mad Midrash)라고 불렀다. 바로 이 책의 주인공들은 자신만의 글쓰기를 통해 이런 광기를 드러냈고 그렇게 살았던 존재였다. 이 책이 제시하는 결론 역시 이에 근거하고 있다. 이들의 광기는 세계와의 대화를 지속시키는 힘이었고, 레비나스적 방식으로 타인에 초점을 둔 저항- 타자의 고난을 돕는 일이 존재에의 용기가 되었다는 차원에서-을 실현했으며 ‘돌봄’ 혹은 관계 속에서 자아를 정의하는 ‘연결 짓는’ 여성의 특별한 능력이 홀로코스트 상황에서 큰 힘을 발휘했다는 것이다. 죽음의 수용소에서 물 한 모금, 빵 한 조각 나누는 행위는 평상시의 (남성적)정의보다 수백, 수천 배의 중요성을 지니는 까닭이다. 여성들은 역사적 지평에서 하느님이 실종되었으나 인간으로서 존재하려는 용기를 결단코 포기하지 않았다. 베이유의 경우 그가 자기 해체를 통해 신에 도달하려 했던 것도 이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최종 결론은 ‘연약한 하느님’을 말한 힐레슘의 견해에서 빌어왔다. 그녀는 지금껏 우리가 믿고 알던 ‘전능한 신’의 실종을 선포했다. 인류에 대한 책임은 이제 전적으로 인간 자신의 몫이 되었음을 선언한 것이다. 홀로코스트를 멈춰 세울 책임을 인간의 책무라 하였다. 하느님이 우리를 책임지지 못하기에 우리가 그를 책임져야 한다고 소리쳤다. 이것이 홀로코스트 정황에서 자신 속의 신적 불꽃인 인간성을 포기하지 않는 저항의 유산이다.

저자는 이런 신관을 몰트만의 《십자가에 달리신 하느님》개념으로 조망했으나 정작 힐레슘의 경우 삼위일체 교리의 틀을 훌쩍 넘어섰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신의 실종 상황을 다양한 방식으로- 심지어 ‘It(자연)’로 까지- 자유롭게 언급하는 그녀의 신관은 기독교 서구의 어떤 언어로도 수용키 어렵다. 저자는 홀로코스트 이후의 서구를 유대교의 ‘미드라쉬’와 레비나스의 ‘타자로서의 초월 철학’ 나아가 삼위일체 틀을 지닌 ‘십자가 신학’으로 변증코자 하나 충분치 않다. 동아시아의 유산인 공과, 무, 태극 등의 사유가 더 적실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점에서 필자는 기독교 서구는 공(空)을 몰랐다고 비판해 왔다.

짧은 마무리

20세기 신학은 홀로코스트와 JPIC 이후 달라졌고 더 크게 변화되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회자되었다. 전자는 신의 죽음을 선포했고 후자는 분배 정의와 핵무기 그리고 생태계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독교 구원(정신)을 말할 수 없다고 봤던 탓이다. 홀로코스트 이후 근 1세기가 지났고 ‘시간이 촉박하다’는 명제하에 시작된 JPIC 논의도 근 40년이 지났음에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오히려 세상은 사실적 종말의 위기로 치닫고 있고 이 와중에 극우 기독교가 출현하여 세상을 더한층 혼돈을 부추겨 파괴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이 책이 한국어로 번역 출간된 의미가 크다. 하느님을 돕는 인간의 출현을 선포했기 때문이다. 연약한 하느님을 도와 자신의 인간성을 지키고 세상과 지속적인 대화를 지속하고 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불가피한 삶을 선택하지 않고 타자의 고통 속에서 존재의 용기를 얻는 저항의 정신을 일깨운 것이다.

박찬욱 감독의 <어쩔 수 없다>는 이 점에서 득보다는 해가 큰 영화가 아닐 수 없다. 취업을 통한 가정의 안정을 지키고자 가상 경쟁자를 죽이는 과정을 블랙 코메디로 꾸민 이 영화가 한국을 대표할 수 없다. 최악의 상황에서 인간성을 지키고 언어로 자신을 타자에게 밀어 넣었던 여성들의 삶을 알게 된 것이 고맙지 아니한가? 자신을 포기하는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하느님과의 일치를 꾀하는 여성성의 능력에도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앞서도 말했듯이 서구 신학은 여기까지가 한계인 듯싶다. 한 세기가 지났으나 여전히 답보상태인 까닭이다. 자신을 노이무공한 존재로 드러내며 인간을 부르고 있는 무위이화의 신, 일하는 한울님의 발견을 필자가 강조하는 이유이다. 인간 세로 전락한 홀로세의 치유와 구원이 여기서 비롯할 것이라 믿는다. 이 책을 번역한 김준우 박사님께 감사를 드리며 지인들에게 정독을 권하고 싶다. 필자는 이 책을 동양적 사유로의 전환을 촉발하는 매개라 생각하며 추석 연휴 동안 열심히 읽었다

이정배(顯藏[현장]


2025/10/13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 著者 橋爪大三郎 2022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 日本最大級のオーディオブック配信サービス audiobook.jp









聴き放題対象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著者橋爪大三郎

出版社 VOOX
ナレーター橋爪大三郎

再生時間 00:56:52

添付資料 なし

聴き放題配信開始日 2022/9/22

トラック数 6


作品紹介
死んだらどうなるのか。誰もが一度は死について考えたことはあるだろう。死んだら、他の人や動物に生まれ変わる、自然の中に還る、または完全に消滅するなどなど。しかし、大抵の場合、考えれば考えるほど恐怖が増したり、納得する回答が見つからず考え続けるのを諦めてしまいがちであるのではないか。社会学者の橋爪先生は、死を考える目的はよりよく生きるためだと主張する。死に纏わる色々な考え方を知ることで、より深みと奥行きのある生き方を実感できる。本タイトルでは、科学でも解明し難い死について、宗教社会学的視点から解説すると同時に、死を怖がらず冷静に捉えるにはどうしたらいいかについて考える。

VOOXは、1話10分全6話で、ベストセラー本やビジネス書などの著者が自身の声で語る「学び」の音声メディアです。現在80タイトル、400本以上のコンテンツを配信中です。
トラック

#タイトル再生時間
1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第1話 00:07:46
2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第2話 00:10:55
3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第3話 00:11:04
4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第4話 00:09:13
5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第5話 00:07:48
6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第6話 00:10:06



ジャンル文芸・落語 > その他エンタメ

死の講義 : 橋爪 大三郎: Japanese Books

Amazon.co.jp: 死の講義 : 橋爪 大三郎: Japanese Books










死の講義 Tankobon Hardcover – September 30, 2020
by 橋爪 大三郎 (Author)
4.2 4.2 out of 5 stars (193)


読売新聞書評面(2023/2/5)掲載で大きな話題!
(評者西成活裕氏・東京大学教授)
【「人生を変える本」として、売れています!! 】

佐藤優氏推薦「よく生きるためには死を知ることが必要だ。」

山口周氏推薦「宗教の本質は死生観に出る。死を考えることで生を考えることができる。」

病理医ヤンデル氏絶賛「とんでもない本だった。 語彙が消失するほどよかった。」

【書評、メディア情報】
「NewsPicks」著者インタビュー掲載(「The Prophet」2020/11/13-11/15)。

「朝日新聞社 ウェブメディア telling, 2020/10/28」書評掲載。「中学生でも読めるように、わかりやすく書きます」と宣言されているように、めちゃくちゃわかりやすい。ばくっと思っていた世界中の宗教の概念が、すーっとしみわたってくる。(「本という贅沢」)

とんでもない本だった、あっというまに読んでしまったが長いこと手元に置いておいたほうがいいかもしれない。死のことを、数々の宗教を踏み台にして考える。うーむこの本からいろいろはじめられる。(病理医ヤンデル(@Dr_yandel) twitterより転載)。

現代の知の達人がコロナの時代に贈る必読書。
「死」とは何か。世界の大宗教、キリスト教、イスラム教、ユダヤ教などの一神教はもちろん、ヒンドゥー教、仏教、儒教、神道など、それぞれの宗教は、人間は死んだらどうなるか、についてしっかりした考え方をもっている。本書は、現代の知の達人であり、宗教社会学の第一人者である著者が、各宗教の「死」についての考え方を、鮮やかに説明するコロナの時代の必読書。
===========
生き物はそもそも、すべて死ぬのです。しかし、生き物は、死ぬそのときまで、死ぬと思っていません(たぶん)。人間は違います。うんと小さい子は別として、ちょっと知恵がつくと、みんな死ぬらしい、自分も死ぬだろう、と思うようになります。
では、死んだらどうなるとわかっているのでしょうか。(中略)そう、複雑な社会には宗教というものができるのです。いくつも宗教がある。それは、死んだらどうなるか、の考え方がいくつもあるということです。
これまで人類に大きな影響を与えた宗教は、キリスト教、イスラム教、ヒンドゥー教、儒教、仏教、の五つです。それぞれ、人間は死んだらどうなるか、についてしっかりした考え方をもっています。
そこでこの本では、これらの宗教が、人間は死んだらどうなると考えているのか、詳しく追いかけることにします。(本書の「はじめに」より)
===========
死んだらどうなるのか、死んでみるまでわからない。だから、死んだらどうなるのかは、自分が自由に決めていい。宗教の数だけ、人びとの考え方の数だけ、死んだらどうなるのか、の答えがある。そのどれにも大事な生き方が詰まっており、人生の知恵がこめられている。

コロナ禍で「死」をこれまで以上に身近に感じている多くの人々に読んでほしい一冊。


288 pages
Language

Japanese




This item: 死の講義
¥1,870
57 pt (3%)
+


世界がわかる宗教社会学入門 (ちくま文庫 は 34-1)
¥902
28 pt (3%)
+


世界は宗教で動いてる (光文社未来ライブラリー Mハ 1-1)
¥880
27 pt (3%)
Total price: ¥3,652
Total Points:112pt


Add all 3 to Cart

Some of these items ship sooner than the others.
Show details




Customers who viewed this item also viewed
Page 1 of 15

Previous set of slides



ふしぎなキリスト教 (講談社現代新書 2100)

橋爪 大三郎
4.3 out of 5 stars 400
Paperback Shinsho
¥1,000

Get it as soon as Monday, Oct 27



世界がわかる宗教社会学入門 (ちくま文庫 は 34-1)

橋爪 大三郎
4.4 out of 5 stars 88
Paperback Bunko
¥902

28pt (3%)¥1,900 shipping

Only 10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死」とは何か イェール大学で23年連続の人気講義 完全翻訳版

シェリー・ケーガン
4.2 out of 5 stars 379
Tankobon Hardcover
¥3,465

104pt (3%)¥2,802 shipping

Only 17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誰も教えてくれなかった「死」の哲学入門

内藤 理恵子
3.7 out of 5 stars 49
Tankobon Softcover
¥1,980

60pt (3%)¥2,089 shipping

Only 6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Next set of slides



What do customers buy after viewing this item?
Page 1 of 3
Previous set of slides


Most purchasedin this set of products

ふしぎなキリスト教 (講談社…

橋爪 大三郎
4.3 out of 5 stars 400
Paperback Shinsho
¥1,000
Get it as soon as Monday, Oct 27


Highest ratedin this set of products

鎌倉仏教革命: 法然・道元・…

橋爪大三郎
5.0 out of 5 stars 3
Tankobon Hardcover
¥4,400
44 pt (1%)¥2,147 shipping

Only 5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Lowest Pricein this set of products

死の壁 (新潮新書)

養老 孟司
4.2 out of 5 stars 652
Paperback Shinsho
¥836
26 pt (3%)¥1,920 shipping



世界がわかる宗教社会学入門…

橋爪 大三郎
4.4 out of 5 stars 88
Paperback Bunko
¥902
28 pt (3%)¥1,900 shipping

Only 10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Next set of slides






Product description

About the Author
橋爪大三郎(はしづめ・だいさぶろう)。1948年生まれ。社会学者。東京大学大学院社会学研究科博士課程単位取得退学。東京工業大学名誉教授。著書に『はじめての構造主義』『はじめての言語ゲーム』(ともに講談社現代新書)、社会学者・大澤真幸氏との共著に、『ふしぎなキリスト教』(新書大賞2012を受賞)などがある。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ダイヤモンド社 (September 30, 2020)
Publication date ‏ : ‎ September 30, 2020
Language ‏ : ‎ Japanese
Tankobon Hardcover ‏ : ‎ 288 pages
ISBN-10 ‏ : ‎ 4478111197
ISBN-13 ‏ : ‎ 978-4478111192
Dimensions ‏ : ‎ 5.43 x 1.06 x 7.68 inches
Amazon Bestseller: #74,614 in Japanese Books (See Top 100 in Japanese Books)#10 in Comparative Religion (Japanese Books)
#47 in Theology (Japanese Books)
#147 in Introduction to Religion
Customer Reviews:
4.2 4.2 out of 5 stars (193)





About the author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Follow

橋爪 大三郎

==

죽음 강의
by다리 손톱 오사부로
Format: Paperback Change
Write a review
How are ratings calculated?
See All Buying Options
Search customer reviews
===

하시모토
5.0 out of 5 stars 신속한 대응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24, 202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문장력이 친절하고 정중하게 표시해 주셔서 매우 읽기 쉬웠다.
=
madams_lunch
4.0 out of 5 stars 아무것도 믿지 않는 사람이야말로 읽으면 좋다.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6, 2022
Verified Purchase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 나는 무슨 종인지, 자신을 전혀 모르는 것은 한심하다고 생각하고 읽어 보았습니다.
본서는 「중학생이라도 알 수 있도록 쓰여 있다」라는 것. 부끄럽지만, 그 정도로 나에게는 딱 좋다. 매우 이해가 진행되었습니다.
“나는 무종교다”라고 말하는 사람을 잘 듣지만, 그것도 하나의 믿음이라고 알았다. 재미 있습니다. "아무것도 믿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을 믿고 있다는 것인가. 이 책을 통해 한 번 이해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7 people found this helpful
===

리뷰
5.0 out of 5 stars 살기 어려움을 가진 모든 사람에게
Reviewed in Japan on March 11, 2021
Verified Purchase
취활을 앞둔 학생이지만, 사춘기 무렵부터 계속 살기 어려움에 시달려 왔습니다.
원인은 단 하나, "자신이 없다"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계속한 결과, 자살을 생각해, 「죽으면 어떻게 된다」라고 검색했는데, 이쪽의 책을 만났습니다.


믿음을 가지는 것과 자신감을 갖는 것은 믿는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과학의 발전에 따라 종교와 신화가 경시되어 온 결과, 사람은 「믿는다」라는 감각을 잊어버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그러므로 자신감이 없고(=자신을 믿지 못하고) 고통받는 것입니다.


이하, 본서를 읽고, 대학에서 강의를 받은 신화학과도 관련시켜, 「자신」에 대해 생각한 것입니다.


자신감이란 무엇인가?


자신감, 즉 자신을 믿는 것은 자신을 (다른 사람을 좋아하게 하는 것처럼) 좋아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은 (다른 사람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자신의 삶을 "믿는다"는 태도 그 자체.


"믿는다"는 상대적,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절대적, 주관적인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지 여부는 문제가 아닙니다. 오히려, 정당성을 (다른 사람에 의해/본인에 의해) 의심되었을 때야말로, "믿는 것"이 ​​시험된다.
씹어 깨고 말하면…
「믿는다」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올바른」이라는 개념 그 자체가 상대적인 것, 이원론적인 것(즉 「잘못되어 있다」라고 하는 상대하는 개념에 의해서 처음으로 성립한다)니까. 그러므로 '올바른' 혹은 '잘못됐다', '선한' 혹은 '나쁜'이라는 차원(이원론적 세계관)이 아니라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고) 그런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것이 '믿는다'는 것이다. 받아들인다고 하는 것은, 「이것으로 좋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를 받는다는 것이다.


왜 '믿는' 것이 중요합니까?
그것은, 자신의 삶의 방식을 「그런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 즉, 자신감이 있다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자기 긍정감의 낮음이나 자신감 없이 고민하는 사람, 혹은 본래의 의미가 아닌 자신감을 가진(즉 우월감에 잠긴다) 사람이 많은 것은 상대주의적 사회(2원론적 세계)(선악, 우열 , 정오라고 하는 질서 위에 이루어져 있다)(즉 인간사회 그 자체)로 살아가기 위해서 필요한 마음의 작용인 「믿는다」의 방법을 잊어 버리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그 배경에는 말할 필요도 없이 과학의 발전에 따른 종교·신화의 배척이 있다.
앞으로 과학은 점점 더 발전할 것입니다 (적어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그러므로 과학이 발전을 계속하는 현대사회에 살기 때문에 '종교' '신화'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종교」 「신화」 그 자체에 가치가 있다(혹은 없다)라든지, 과학적·윤리적(즉 상식적)에 옳다든가 틀렸다든가, 그러한 이야기는 아니다. 그렇지 않고, 그러한 2원론적 세계관과는 다른 세계관이 있어, 「믿는다」의 방법을 거기서 배울 필요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것은 바로 지금을 살기 위해. 이 현대 사회를 살아나기 위하여, 이다.


한마디로 ...
현대에서 종교와 신화를 배우는 것은 정오를 검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믿는"것을 배우기 위해서이다.
자신감이 없거나, 열등감에 시달리거나, 살기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일수록, 종교나 신화(=인간의 「믿는다」마음의 일 자체)를 배우면 좋은 것이 아닐까.
※결코, 컬트 종교(특정인(들의)의 이익을 위해 신자를 세뇌하고, 신자에게는 그 자리에서 치유의 치유를 줄 뿐이라는 의미에서)에 빠지기 때문에 등이 아니다. 종교에 대해 배우는 과정에서 "믿는다"는 것은 무엇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다소 어려워지지만 믿거나 믿지 않는지는 결국 아무래도 좋다. "믿는다"는 마음의 상태가 어떠한 것인지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이하, 보충) 종교에 대해


☆종교=죽으면 어떻게 될까=어떻게 살까. (여기가 본서의 포인트입니다)


무종교(아무런 신앙도 가지지 않는 것)도 어떤 의미, 무종교라는 종교이다.
※이 경우의 무종교와는, 무자각, 혹은 「종교에 대해서 생각한 적이 없다」의 것과는 마치 다르다. 그것은 삶의 방식에 대해 생각한 적이없는 것과 동의어입니다.


(특정) 믿음을 가지는 (혹은 가지지 않는다)라고 결정하는 것은, 삶의 방법을 선택해, 결정한다고 하는 것.
그러므로 종교는 그 자신의 의지에 의해 선택되어야 한다. (=신교의 자유)
그 사람의 인생을 어떻게 사는지는 본인의 자유여야 하기 때문에. 왜냐하면, 다른 누구의 것도 아닌, 그 사람의 인생(=소유물)이니까.


메모 쓰기 같은 것이므로, 정리가 없어서 죄송합니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만성적인 살기 어려움에 고민하는 사람에게이 책이 도착하도록.
11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주전자 아버지
3.0 out of 5 stars 이해하기 쉬운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3, 202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이해하기 쉽습니다만, 내용은 재독해 보지 않으면 왠지 모릅니다만, 머리의 정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5 people found this helpful
===
yok
5.0 out of 5 stars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요점
Reviewed in Japan on August 22, 202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지금까지 죽음에 관련되어 있어도, 사람 각각의 생각이 있어 만명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 책에서 종교의 측면에서 죽음을 이해하는 참고가 되었습니다. 하나님과 부처님, 불교의 차이도 지금까지 이해할 수 없었지만 머리 속이 깔끔한 것 같아요. 흥미롭게 읽을 수있었습니다.
6 people found this helpful
===
Inoo Tanaka / 다나카 이노부
4.0 out of 5 stars 죽으면 절대로 떨어뜨리라는 약속 어음의 각 종교별 해설!
Reviewed in Japan on August 8, 2022
Format: Paperback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사는 사람을 '다스맨', 인간은 반드시 죽는다는 전제조건을 의식하고 남은 인생을 제대로 살아가는 것을 '현 존재(다자인)'로 정의했다. 본서는 하시모토 오사부로씨가 다자인처럼 더 잘 살기 때문에 인생의 질을 높이기 위해 쓴 죽음에 대한 해설책이다.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를 정리하고 종교와 비추면 다음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다른 인간이나 동물로 다시 태어나는(인도의 종교)
2)다른 세계에서 영원히 살아가는(일신교
) 3)바로 옆에서 자손을
지켜보는( 일본
의 종교)
6) 완전하게 소멸한다(자연과학, 유물론)


 일신교로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종말론의 해설로부터, 기독교는 부활하기 때문에 인간의 행동이 변한다고 하고, 죽어도 부활하기 때문에, 벌을 도망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나님의 주장이 완전하기 위해서는 인간은 부활해야 한다고 한다. 이슬람교는 현세와 내세를 원인과 결과로 하는 관계로부터 현세의 전항을 촉구한다. 이것은 해설되지 않았지만 이슬람교의 큰 특징이다. 인도는 이슬람교와 비슷하지만 현세의 범위에서 원인이 있고 결과가 있다고 인과론으로 생각한다. 카스트제를 뒤에서 지지하는 것이 카스트제로, 윤회가 없다고 생각하는 초기 불교와, 소승 불교의 윤회가 계속되는 생각, 윤회를 넘는 대승 불교, 일본의 정토교의 워프해 극락 정토에 갈 수 있다고 하는 생각, 선종의 좌선이 부처라는 생각, 중국의 생각, 일본의 고사기 황천의 나라의 생각, 히라타 아츠시가 발명한 죽으면 영령이 된다는 생각이 막부 말기의 관군, 메이지의 육군에 연결되었다는 비교론이 이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느 쪽이든 하나의 죽음에 대한 생각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어느 쪽인가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선택을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현재는 마르크스주의가 퇴조하고 포스트모던이 주류가 되었다. 포스트모던의 본질은 상대주의이기 때문에 세상은 건강하지 않다. 상대주의는 사람들의 발을 끌어당기고 당신의 삶은 아무 근거도 없다고 한다. 상대주의야말로 아무런 근거도 없고, 거기에서 아무것도 태어나지 않는다. 죽음으로부터 진지하게 사는 가치를 복권하자고 한 것이 본서의 테마일 것이다.


 모리 아츠시는 죽음과 종교의 관계를 '의미의 변용'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살아있는 동안은 어쨌든, 죽으면 절대로 떨어뜨리겠다는 약속 어음, 그런 내기를 하는 것은 누구일 것이다


 . 그러나 이들은 절대로 그렇게 된다는 약속어음을 발행한 창시자가 있다는 것이다. 그 창시자가 발행한 약속어음을 받을지 어떨지, 아니면 언제나 니코니코 현금 지불을 신조로 하는 6)의 선택으로부터 스스로가 창조한 '밈'을 남긴다는 생각도 있다. 종교를 대전제로 하지 않아도 더 잘 사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이다.
1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뿔 류스케
5.0 out of 5 stars 종교는 죽음을 생각하는 두드리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7, 2025
Format: Paperback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읽고, 죽음을 앞두고 움직이지 않았던 소크라테스처럼 살고 싶었던 것이, 제가 본서를 손에 잡는 계기가 되었다. 사후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어떻게 살면 좋은가에 대해 자신의 대답을 내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내용을 계기로 자신의 존재에 대해 생각해 보았지만, 그것이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되었다. 생각한 뒤, 나는 일신교의 창조신이 존재하고, 자신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이 책은 여러 종교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리고 독자의 취향에 맞는 것을 하나 선택하고, 그것을 두드리고 죽음을 생각하라고 강요한다. 여기에서 죽음은 종교와 관계 깊다는 것을 알았다. 확실히 죽음에 직면했을 때 죽음을 순조롭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자신은 그 종교의 가르침을 지키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으면야. 소크라테스도 ​​자신의 신을 믿고 그 명령에 따라 살았다.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언제 인생이 끝나도 좋게 살 것이다. 이것이 진짜 교양이다"라고.


나는, 사후에는 영구의 무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적도 있지만, 그 생각이라면 삶의 방법이 적당해져, 죽음을 앞으로 하면 따뜻하게 해 버린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사후에는 부활하고 마지막 심판을 받아 하나님의 나라에서 영원히 살기 위해 교리를 지키면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이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기독교에 대해 더 알고 싶었다.


다만 이 책은 특정 종교의 신앙을 촉구하는 것은 아니다. "죽으면 어떻게 될지 스스로 결정하라"고 저자는 말한다. 신경이 쓰이는 종교를 선택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를 스스로 생각하는 두드리는 대 선택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나의 경우, 심판에 걸려, 만약 무죄라면 정말로 하나님의 나라에서 영원히 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 스스로 결론 붙이는 것을 권고되고 있다. 결국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스타트라인에 세웠을 뿐이었지만, 확실히 스텝 업이었다.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kei-toshie
5.0 out of 5 stars 자신은 죽고 싶다(언제 죽어도 좋다)라고 생각하는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10, 2020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저는 지금 81세입니다. 나에게는 어렸을 때부터 자신이 믿는 불교 등은 없었습니다. 어렸을 때는 잘 병을 들고 입퇴원을 반복하고 있었습니다만, 그 때 「이제 죽어도 좋다!」라고 생각한 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게다가, 육체적으로는 튼튼하고, 호놀룰루 마라톤이나 국내의 마라톤에도 잘(70세까지) 나와 있었습니다. 그것이 78세가 되었을 때, 몸의 자유가 없어져, 마라톤 커녕, 보통으로 걷는 일도 할 수 없게 되어, 양어깨, 양 무릎, 양발, 양 허리가 아프고, 2년간 여러가지 약을 마셨습니다만, 전혀 원래대로는 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기억력도 없어져, 잊어버리기도 격렬해져, 회사를 퇴직 후 60세부터 곳곳에서 강연 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만, 78세가 된 어느 때, 모 여자대에서 「쇼와의 전쟁」의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 루즈벨트나 히틀러, 스탈린 등의 이름이 곧 나오지 않아, 여대생. 그 이후, 부탁받아도 공식적인 장소에서의 강연을 모두 중지했습니다. 신형 코로나의 영향도 있어, 지금은 「스테이・홈」을 실행하고 있어, 재미는 저녁때에 좋아하는 술(맥주, 일본술, 와인, 위스키 등등)을 마실 정도입니다. 독서도 78세까지는 (영서도 포함) 잘 읽었습니다만, 지금은 독해력도 없어져, 읽는 기력도 없어졌습니다. 체력, 지력 모두 없어지고 있는 것은 식욕(술음력) 정도입니다. 따라서 사는 힘도 희망도 없어져 언제 죽어도 좋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57 people found this helpful
===
라디오 좋아
2.0 out of 5 stars 역사적인 국가와 종교가 어떻게 죽음을 포착하는지 쉽게 설명하고 있지만 더 이상의 지식은 없다.
Reviewed in Japan on May 2, 2021
Verified Purchase
죽으면 어떻게 될지 스스로 결정하라는 부제에 매료되어 구입했습니다.


도입 이후는 역사상의 국가나 각 종교가 어떻게 죽음이나 사후의 모습을 파악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어 흥미로운 것이지만, 최종적으로 그 생각을 베이스로 자신의 사생관을 결정해 보자는 정리로 끝났습니다.
이 책의 당초의 목적은 달성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강의라기보다는 정리 사이트와 같은 자료를 제시해 끝나,에 가까운 인상을 느꼈습니다. 어느 정도의 독서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알고 있는 일도 많아, 신선한 시점의 제시도 비교적 적게 생각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페어인 정보의 제시와도 퍼질 수는 있습니다만, 이것들을 근거로 한 논의가 후반에 전개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던 나는 어깨 워터마크를 먹었다고 하는 것이 솔직한 곳입니다.


스타트 지점으로서는 좋을지도 모릅니다만, 강의라고 할 수 있는 레벨에 이르고 있는지는 의문에 생각했습니다.
18 people found this helpful
===
동지
5.0 out of 5 stars 죽음을 생각하는 중요성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0, 2020
Verified Purchase
여러가지 사생관이 넘치는 현대에 있어서, 어떻게 자신의 신념을 가지고 자신의 인생을 살아나갈 수 있을까? 다양한 사생관 자체가 각각 풍부한 창조력의 선물. 그것을 맛보면서 자신의 사생관을 창조하자.
16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자신의 삶"을 더 잘 살기위한 좋은 손길입니다.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30, 2020
타이틀에 흥미를 가지고 구입했습니다만
타이틀 이상의 깊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많은 사람은, 죽은 뒤 어떻게 될까라고 묻는다면
────────────────────
인간은 죽으면, 부처가 된다
・사후는 삼도의 강을 건너, 그 세상에 가는
・불상으로서의 계명 를 기록한 위패를 불단에 모시고 기도하는
죽은 사람도, 오봉에는 그 세상에서 돌아온다
───────────────────
대체로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이것은 불교, 혹은 신도의 기본적인 생각이 아닐까.


그러나 이것은 불교와 신도와 물론 일신교와 완전히 다르다.
당연히 불교의 뿌리에 가까운 인도나 중국의 생각과도 다르다.
세계적으로 보면 매우 소수파의 이단적인 사고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목적은
"자신이 더 잘 살기 위해 죽음에 대한 자신의 사고방식을 확실히 결정한다" 그를 위한
손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납득해 자신의 사고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궁리로서
세계의 아마타의 「사후」의 사고방식(종교를 포함해)을,
같은 레벨로 정리해, 비교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후」에 대해서, 막연히 불안을 안고 멈추지 않고,
스스로 생각해, 진행해 나가기 위한 단서는 십이분에 손에 들어갑니다.


꼭 한번 읽는 것이 좋습니다.
1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로비나
5.0 out of 5 stars 종교는 삶과 죽음의 팁과 인생의 지혜의 보고
Reviewed in Japan on April 10, 2021
죽으면 어떻게 될지, 죽어 볼
때까지 아무도 모른다.


그렇다면 스스로 자유롭게 「죽으면 이렇게 된다」라고 결정하고
그렇게 살면 그대로
죽은 것이 된다.


방법으로서 세계의 종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발판으로 하면
죽음을 깊이 생각하고
죽음과 풍부하게 붙어 갈 수 있다.
종교의 수만큼 「죽으면 어떻게 될까」의
대답이 있어, 그 어느 것에도
삶의 힌트가 막혀 있다.
인생의 지혜가 담겨 있다.
그것은 선인으로부터 큰 선물.


종교에 대한 시야가 훨씬 퍼졌다.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T.Yamamoto
5.0 out of 5 stars 이로 정연한 죽음의 정리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9, 2020
Format: Paperback
각 종교에서 본 죽음에 대한 생각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었다.
특히 후반의 일본인에 관한 기술은 매우 흥미롭고, 학교의 수업에서 가르쳐 주었으면 하는 정도의 내용이었다.
어려운 말은 전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지만, 「중학생이라도 알 수 있다」라고 하면 조금 말할지도 모르고, 「(역사나 종교에 흥미가 있는) 중학생」이라고 하면 보다 정확하다고 느꼈다.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후루카와 스미다가와 타마가와
5.0 out of 5 stars 일본인은 이중으로 죽는다.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5, 2021
Format: Paperback
세계의 주요 종교를 망라하는 레인지의 넓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르는 것만 말해지고 있다는 밀도의 진함, 본질을 모으는 깊이에 놀랐다. "인간은 부활한다. 이것을 믿는 것이 기독교의 핵심이다." 세계 어느 병행세계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인은, 전통적인 불교의 죽음과 국가 신도의 죽음을, 이중으로 죽는다」라고 하는 것은, 전혀 몰랐던 것, 생각이 이르지 않았던 것으로, 매우 중요한 것을 배웠다.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사랑51
5.0 out of 5 stars 종교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좋은 계기가 되는 입문서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8, 2020
Verified Purchase
지금까지 인류에 큰 영향을 준 종교인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유교, 불교 플러스 일본 신도의 종교관과 사생관을 비교, 검토하기 위한 입문서입니다.


강의 형식으로 알기 쉬워지고 있으므로, 읽기 쉽습니다.


중학생 이상이라면 충분히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알기 쉬움이 저자의 다리 손톱 오사부로씨의 이번 저서의 취지이기도 합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종교관과 사생관의 선택을 강요합니다. 왜냐하면 하나 종교관과 사생관을 선택하는 것이 인생(가치)을 선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하나를 선택하면 다양한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결론 (나중에)은 죽음에 대한 각오입니다. 예전에는 죽음이 가까이있었습니다. 지금은 풍요롭고 죽음의 존재가 희박해졌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수명이 늘어나든지 풍성해도 사람은 죽음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죽음에 대한 각오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서양의 메멘토모리(죽음을 생각해)나 일본의 중세의 문학 「방장기」나 「도연초」에 있던 사생관이 크게 손상되는 것이, 현대의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신과 죽음을 완전히 무시해 왔습니다.


종교가 남아 있어야 하는 구미조차도 자본주의가 발전함에 따라 하나님의 존재가 희박해지고 있습니다.


하라리 씨가 세계적 베스트셀러 '사피엔스 전사'에서 말한 것처럼 하나님과 신화야말로 인류의 가장 큰 발명이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하나님을 전혀 믿지 않는 나라가 어떻게 되는지 장대한 실험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는 수십년에서 수백년에 걸쳐서도 하나님의 존재를 어떻게 일본으로 부활시키는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도 이 책은 종교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좋은 계기가 되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3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카를로스
5.0 out of 5 stars 종교는 의식이나 신 부탁 때만이 아니다.
Reviewed in Japan on April 17, 202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언제 죽어도 좋게 사는다>


 죽음은 살아있는 도중에 온다. 그것이 끝인, 도중인데. 언제 끝나도 좋게 사는다. 이것을 각오라고 한다. 스스로 결정하고 그렇게 살면 그대로 죽은 것이 된다.


 옛날에는 사람이 잘 죽었다. 사무라이는 칼을 꽂았다. 여자는 목숨을 걸고 아이를 낳았다.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다고 각오하고 있었다. 지금은 별로 죽지 않기 때문에 사람은 방심하고 있다. 그 순간이 가까이 다가온 뒤 죽음에 대해 생각해도 혼란스러울 뿐이다.


 인간은 탄소, 수소, 유전자, 단백질의 조합으로 세상에서 태어났다. 이윽고 죽음을 맞이해, 이 세계로부터 없어져 버린다. 그것은 우주가 이렇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 세계에서 태어나 이 우주의 신기한 일단에 접한 것을 감사하면서 우주의 신비를 몸에 맡기고 이 세계로 이별하자.
 인간은 죽으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원래의 아미노산이나 탄소로 돌아가 우주에 녹아 버린다. 그래서 좋다. <
………………………………………………………  ​종교를 하나 선택하지 않으면 종교를 모른다. 그 종교뿐만 아니라 어떤 종교도 모른다. 어느 종교를 선택하더라도 결국은 같은 것이다. 인류의 가장 큰 지적재산인 종교를 모르는 채로 살아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세계를 만든 신은 세계를 부수는  기독교, 이슬람교 등 일신교의 대전제는 이 세계는 하나님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우연은 모두 필연(신의 의지)이 된다. 세계의 본연의 자세가 필연이라면, 자신의 신념대로 살아갈 수 있다. 세계는 하나님의 것. 신은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신은 세계를 끊을 수 있다. 자신의 물건이니까. 그리고 시간이 오면, 세계를 끊을 것이다. 이윽고 종말이 온다. 세계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일본의 신은 죽는  이자나미의 죽음의 이야기로는, 신도 죽어 버린다. 일신교의 신은 죽지 않는다. 일본의 신들은 원래 산, 강, 바다, 새, 짐승, 태양과 달과 같은 일본의 자연이다. 자연이기 때문에 자연의 정에 따라 죽기도 한다. 하나님은 죽을 수 있다는 것은 하나님이 이미 죽었을지도 모른다.  신사에 사과한 후의 이익률은 높지 않지만,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기도는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돈한다. 감사의 마음도 솟아나온다.  일본의 신은 죽는다. 하나님이 그러니까, “하나님이 인간을 죽음으로부터 지켜주지 않는다”. 죽음의 앞에, 신은 무력하다. 하나님도 죽음의 귀찮음을 두려워한다. 인간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자신만의 사고방식과 힘으로 죽음에 맞서 가야 한다. 이것이 일본인의 원체험이다. ◆불교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불교는 철저한 합리주의(인과론)이다. 영혼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원령도 없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진리를 깨면 부처가 된다. 죽으면 부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신들을 모시는 신도와 진리를 느끼는 불교. 원래 서로 아무런 관계도 없다.  사람은 고뇌가 없으면 진리를 깨우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진리를 깨운 뒤 고다마는 보통 인간으로서 평생을 보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읽는 밤
5.0 out of 5 stars 재미 있습니다. 죽기 전의 악이 떠오르는가?
Reviewed in Japan on September 6, 202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우주와 자신을 일치시키는 우주 방정식이 재미 있습니다. 단지 그것을 삐걱 거리는 것 같은 "무한 집합과 진부분 집합"의 설명은 지금 하나 모릅니다. 지식인의 죽음을 앞둔 악몽 같은 핑계는 더 ​​이상 좋고 내리지 않습니다. 동대를 나와 고급 관료가 되면 거짓말은 되지 않지만, 오마화해 과장이나 변명은 100이나 200은 나온다고 합니다. 관료의 무모성 믿음이 저자는 관료가 아니지만 사람을 나누는 엘리트 의식이 저자를 특징 짓고 있습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자신의 삶"을 더 잘 살기위한 좋은 손길입니다.
Reviewed in Japan on November 30, 2020
타이틀에 흥미를 가지고 구입했습니다만
타이틀 이상의 깊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많은 사람은, 죽은 뒤 어떻게 될까라고 묻는다면
────────────────────
인간은 죽으면, 부처가 된다
・사후는 삼도의 강을 건너, 그 세상에 가는
・불상으로서의 계명 를 기록한 위패를 불단에 모시고 기도하는
죽은 사람도, 오봉에는 그 세상에서 돌아온다
───────────────────
대체로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이것은 불교, 혹은 신도의 기본적인 생각이 아닐까.


그러나 이것은 불교와 신도와 물론 일신교와 완전히 다르다.
당연히 불교의 뿌리에 가까운 인도나 중국의 생각과도 다르다.
세계적으로 보면 매우 소수파의 이단적인 사고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목적은
"자신이 더 잘 살기 위해 죽음에 대한 자신의 사고방식을 확실히 결정한다" 그를 위한
손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납득해 자신의 사고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궁리로서
세계의 아마타의 「사후」의 사고방식(종교를 포함해)을,
같은 레벨로 정리해, 비교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후」에 대해서, 막연히 불안을 안고 멈추지 않고,
스스로 생각해, 진행해 나가기 위한 단서는 십이분에 손에 들어갑니다.


꼭 한번 읽는 것이 좋습니다.
1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로비나
5.0 out of 5 stars 종교는 삶과 죽음의 팁과 인생의 지혜의 보고
Reviewed in Japan on April 10, 2021
죽으면 어떻게 될지, 죽어 볼
때까지 아무도 모른다.


그렇다면 스스로 자유롭게 「죽으면 이렇게 된다」라고 결정하고
그렇게 살면 그대로
죽은 것이 된다.


방법으로서 세계의 종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발판으로 하면
죽음을 깊이 생각하고
죽음과 풍부하게 붙어 갈 수 있다.
종교의 수만큼 「죽으면 어떻게 될까」의
대답이 있어, 그 어느 것에도
삶의 힌트가 막혀 있다.
인생의 지혜가 담겨 있다.
그것은 선인으로부터 큰 선물.


종교에 대한 시야가 훨씬 퍼졌다.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T.Yamamoto
5.0 out of 5 stars 이로 정연한 죽음의 정리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9, 2020
Format: Paperback
각 종교에서 본 죽음에 대한 생각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었다.
특히 후반의 일본인에 관한 기술은 매우 흥미롭고, 학교의 수업에서 가르쳐 주었으면 하는 정도의 내용이었다.
어려운 말은 전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지만, 「중학생이라도 알 수 있다」라고 하면 조금 말할지도 모르고, 「(역사나 종교에 흥미가 있는) 중학생」이라고 하면 보다 정확하다고 느꼈다.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후루카와 스미다가와 타마가와
5.0 out of 5 stars 일본인은 이중으로 죽는다.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5, 2021
Format: Paperback
세계의 주요 종교를 망라하는 레인지의 넓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르는 것만 말해지고 있다는 밀도의 진함, 본질을 모으는 깊이에 놀랐다. "인간은 부활한다. 이것을 믿는 것이 기독교의 핵심이다." 세계 어느 병행세계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인은, 전통적인 불교의 죽음과 국가 신도의 죽음을, 이중으로 죽는다」라고 하는 것은, 전혀 몰랐던 것, 생각이 이르지 않았던 것으로, 매우 중요한 것을 배웠다.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사랑51
5.0 out of 5 stars 종교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좋은 계기가 되는 입문서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8, 2020
Verified Purchase
지금까지 인류에 큰 영향을 준 종교인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유교, 불교 플러스 일본 신도의 종교관과 사생관을 비교, 검토하기 위한 입문서입니다.


강의 형식으로 알기 쉬워지고 있으므로, 읽기 쉽습니다.


중학생 이상이라면 충분히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알기 쉬움이 저자의 다리 손톱 오사부로씨의 이번 저서의 취지이기도 합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종교관과 사생관의 선택을 강요합니다. 왜냐하면 하나 종교관과 사생관을 선택하는 것이 인생(가치)을 선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하나를 선택하면 다양한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결론 (나중에)은 죽음에 대한 각오입니다. 예전에는 죽음이 가까이있었습니다. 지금은 풍요롭고 죽음의 존재가 희박해졌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수명이 늘어나든지 풍성해도 사람은 죽음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죽음에 대한 각오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서양의 메멘토모리(죽음을 생각해)나 일본의 중세의 문학 「방장기」나 「도연초」에 있던 사생관이 크게 손상되는 것이, 현대의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신과 죽음을 완전히 무시해 왔습니다.


종교가 남아 있어야 하는 구미조차도 자본주의가 발전함에 따라 하나님의 존재가 희박해지고 있습니다.


하라리 씨가 세계적 베스트셀러 '사피엔스 전사'에서 말한 것처럼 하나님과 신화야말로 인류의 가장 큰 발명이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하나님을 전혀 믿지 않는 나라가 어떻게 되는지 장대한 실험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는 수십년에서 수백년에 걸쳐서도 하나님의 존재를 어떻게 일본으로 부활시키는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도 이 책은 종교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좋은 계기가 되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3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카를로스
5.0 out of 5 stars 종교는 의식이나 신 부탁 때만이 아니다.
Reviewed in Japan on April 17, 202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언제 죽어도 좋게 사는다>


 죽음은 살아있는 도중에 온다. 그것이 끝인, 도중인데. 언제 끝나도 좋게 사는다. 이것을 각오라고 한다. 스스로 결정하고 그렇게 살면 그대로 죽은 것이 된다.


 옛날에는 사람이 잘 죽었다. 사무라이는 칼을 꽂았다. 여자는 목숨을 걸고 아이를 낳았다.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다고 각오하고 있었다. 지금은 별로 죽지 않기 때문에 사람은 방심하고 있다. 그 순간이 가까이 다가온 뒤 죽음에 대해 생각해도 혼란스러울 뿐이다.


 인간은 탄소, 수소, 유전자, 단백질의 조합으로 세상에서 태어났다. 이윽고 죽음을 맞이해, 이 세계로부터 없어져 버린다. 그것은 우주가 이렇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 세계에서 태어나 이 우주의 신기한 일단에 접한 것을 감사하면서 우주의 신비를 몸에 맡기고 이 세계로 이별하자.
 인간은 죽으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원래의 아미노산이나 탄소로 돌아가 우주에 녹아 버린다. 그래서 좋다. <
………………………………………………………  ​종교를 하나 선택하지 않으면 종교를 모른다. 그 종교뿐만 아니라 어떤 종교도 모른다. 어느 종교를 선택하더라도 결국은 같은 것이다. 인류의 가장 큰 지적재산인 종교를 모르는 채로 살아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세계를 만든 신은 세계를 부수는  기독교, 이슬람교 등 일신교의 대전제는 이 세계는 하나님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우연은 모두 필연(신의 의지)이 된다. 세계의 본연의 자세가 필연이라면, 자신의 신념대로 살아갈 수 있다. 세계는 하나님의 것. 신은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신은 세계를 끊을 수 있다. 자신의 물건이니까. 그리고 시간이 오면, 세계를 끊을 것이다. 이윽고 종말이 온다. 세계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일본의 신은 죽는  이자나미의 죽음의 이야기로는, 신도 죽어 버린다. 일신교의 신은 죽지 않는다. 일본의 신들은 원래 산, 강, 바다, 새, 짐승, 태양과 달과 같은 일본의 자연이다. 자연이기 때문에 자연의 정에 따라 죽기도 한다. 하나님은 죽을 수 있다는 것은 하나님이 이미 죽었을지도 모른다.  신사에 사과한 후의 이익률은 높지 않지만,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기도는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돈한다. 감사의 마음도 솟아나온다.  일본의 신은 죽는다. 하나님이 그러니까, “하나님이 인간을 죽음으로부터 지켜주지 않는다”. 죽음의 앞에, 신은 무력하다. 하나님도 죽음의 귀찮음을 두려워한다. 인간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자신만의 사고방식과 힘으로 죽음에 맞서 가야 한다. 이것이 일본인의 원체험이다. ◆불교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불교는 철저한 합리주의(인과론)이다. 영혼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원령도 없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진리를 깨면 부처가 된다. 죽으면 부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신들을 모시는 신도와 진리를 느끼는 불교. 원래 서로 아무런 관계도 없다.  사람은 고뇌가 없으면 진리를 깨우려고 생각하지 않는다. 진리를 깨운 뒤 고다마는 보통 인간으로서 평생을 보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읽는 밤
5.0 out of 5 stars 재미 있습니다. 죽기 전의 악이 떠오르는가?
Reviewed in Japan on September 6, 202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우주와 자신을 일치시키는 우주 방정식이 재미 있습니다. 단지 그것을 삐걱 거리는 것 같은 "무한 집합과 진부분 집합"의 설명은 지금 하나 모릅니다. 지식인의 죽음을 앞둔 악몽 같은 핑계는 더 ​​이상 좋고 내리지 않습니다. 동대를 나와 고급 관료가 되면 거짓말은 되지 않지만, 오마화해 과장이나 변명은 100이나 200은 나온다고 합니다. 관료의 무모성 믿음이 저자는 관료가 아니지만 사람을 나누는 엘리트 의식이 저자를 특징 짓고 있습니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