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05

** Buddhism for Today: Interpretation of the Threefold Lotus Sutra: Nikkyo Niwano

https://www.scribd.com/document/19864111/Buddhism-for-Today

Buddhism for Today: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hreefold Lotus Sutra: Nikkyo Niwano
Amazon.com: Books



Buddhism for Today: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hreefold Lotus Sutra Paperback – December 15, 1989
by Nikkyo Niwano (Author)
4.5 out of 5 stars    13 ratings
---
from AUD 22.70 
8 Used from AUD 22.70
1 New from AUD 142.26
--
This concise, readily understandable book is designed as a guide to one of the supreme scriptures of Mahayana Buddhism: the Threefold Lotus Sutra.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complete sutra in English (Kosei, 1975) was widely acclaimed, and an ever-growing audience has been created for what is certainly among the greatest of the world's religious documents.

 Like the Bible and the Koran, however, the Threefold Lotus Sutra requires explanation by a gifted teacher, and it is for this reason that Niwano has written this guide. Giving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irty-two chapters of the sutra, he not only outlines the contents but also explains the major points.
--
504 pages
Language
English
====
Bunno Kato
4.6 out of 5 stars 40
Paperback
36 offers from AUD 6.04
===
Editorial Reviews
From the Inside Flap
About the Author
Nikkyo Niwano, well-known author of such works on Buddhism as Shakyamuni Buddha and Buddhism for Today and winner of the 1979 Templeton Foundation Prize for Progress in Religion, is the founder of Rissho Kosei-kai, a lay Buddhist organization that numbers well over six million members throughout the world.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Kosei Publishing Company; Fourth Printing edition (December 15, 1989)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504 pages
===

Customer Reviews: 4.5 out of 5 stars    13 ratings
====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Threefold Lotus Kwoon
2.0 out of 5 stars same old religion problem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1, 2019
Verified Purchase
As a 40 plus year monk, I am so tired of the anglicised transliteration of Buddhism as a variation on the "faith and believe" model of Christianity and others applied to the Buddha's teaching and scholarship. It is appalling that such erudite teaching be violated to create yet another flavor of devotional manipulation and governance. 

I am very sad to have found this to be yet another transparent effort to support organised cultism

Buddhism is a single minded pursuit of scholarship to get control of one's own life and mind. Buddhism share a community of mind, not congregation. We are Bodhisattvas, helping one another to attain this mind. 

This book would have you think that BUddhism is another system of beliefs and hopeful thoughts on something like an after life. Well, news flash, the core concept of Buddhism is that everything happens here and now. No "after", no "before". No "soul", no "incarnations". No "faith", only perception. This is why enlightenment is also known as "awakening". 

If you are interested in Buddhism, please read the ample scholarship of sutras and Mahayana scholarship. I guarantee it will serve you well.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
Allan Carpenter
5.0 out of 5 stars Don't Read the Lotus Sutra Without This Book!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8, 2006
Verified Purchase
To generalize a bit, Americans, and modern people as whole, want to get "straight to the sources", and today's Buddhists are no different. Unfortunately, when western Buddhists pick up the Lotus Sutra without any preparation, they're left befuddled. It all seems so multi-leveled, symbolic, and dream-like. Where is the practical side of this sutra? How can this be the most important sutra for millions of Mahayana Buddhists?

Luckily, we have Nikkyo Niwano's enjoyable book as a guide. Niwano was the founder of the second-largest Buddhist organization in Japan, and he manages to make the Lotus Sutra accessible, understandable, and even applicable to everyday life. Having studied the sutra his entire adult life, Niwano anticipates many of the questions the reader will have when he or she encounters the Lotus Sutra. No matter what faith tradition you belong to (Buddhist or otherwise), you'll find reading this book rewarding and frequently enlightening. Although profound, this isn't a work for scholars: its a work for laypeople, practicing the dharma in everyday life.
19 people found this helpful
---
Rhonda Wilsoon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4, 2017
Verified Purchase
An excellent companion to the Lotus Sutra.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
Bonnie
5.0 out of 5 stars I like Nikkyo Niwano's interpretation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3, 2015
Verified Purchase
I like Nikkyo Niwano's interpretation, and its beautiful; however, in the spirit of true Buddha it is important that each person interprets the Lotus Sutra through their own life experience.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NR
5.0 out of 5 stars I am reading it now and this has to be ...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6, 2015
Verified Purchase
I am reading it now and this has to be the vest book on The Lotus Sutra thank you very much for this book ! Yours Truly, Neil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Gerald Aitken
5.0 out of 5 stars Good for independent Buddhist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0, 2016
Verified Purchase
Excellent for an independent Nichiren Buddhist.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pha1248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12, 2014
Verified Purchase
Very good book. It helps a lot. I strongly recommend i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
John J. Petry
5.0 out of 5 stars A good general study guide for Buddhism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16, 2010
This translation has been recently updated but the essentials remain the same. Niwano's work is a condensed version of a Japanese language multi-volume scholarly commentary of the Lotus Sutra done many years ago by priests of the Nichiren Shu lineage in Japan. I do not mean to disparage his efforts by using the term condensed as he took an extensive, extremely comprehensive scholarly work and presents the essential points in terms non-scholars can understand. If I had any criticism for this work at all it would be that it is still overly influenced by a Japanese mindset which can be sometimes difficult for a Westerner to follow. The underemphasis of women as well as the Japanese overemphasis of societal duty and ancestral worship are not truly in keeping with the Lotus Sutra or the Japanese monk, Nichiren Shonin, who provided the doctrinal underpinnings for the original work. Still it is the most comprehensive of the English language study guides on the Lotus Sutra and while the Shinju Suguru "Introduction to the Lotus Sutra" is more modern and easier to read, it is not nearly as complete as this work is. Anyone seeking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ds written in the "King of the Sutras" should buy this book and the Shinju Suguru book and use them in any study of the Lotus Sutra or they likely will be completely lost.
6 people found this helpful

=====

Nikkyō Niwano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Nikkyō Niwano
KCSG
Statue of Niwano.JPG
Statue of Niwano at Rissho Kosei-kai headquarters
President of Risshō Kōsei Kai (RKK)
Great Teacher of the One Vehicle
In office
March 5, 1939 – November 15, 1991
Assumed office
March 5, 1939
Preceded byNone, office created
Succeeded byNichiko Niwano
1st President of Risshō Kōsei Kai
Personal details
BornNovember 15, 1906
Niigata PrefectureJapan
DiedOctober 4, 1999 (aged 92)
NationalityJapanese
Spouse(s)Sai Niwano
ChildrenNichiko Niwano (son)
RelativesKosho Niwano (Granddaughter)
Known forReligious work, founder of Risshō Kōsei Kai
Awards
WebsiteRisshō Kōsei Kai

Nikkyō Niwano KCSG (庭野日敬Niwano Nikkyō, 1906–1999) was one of the founders and the first president of the Buddhist organization Risshō Kōsei Kai.

Early life[edit]

Born on November 15, 1906, to farmers, Nikkyō had a humble life in a small town. Later in his youth, he moved to Tokyo to work, where he began to study several different religions. During his studies, he attended a sermon on the Lotus Sutra and became a Buddhist.

Risshō Kōsei Kai[edit]

Mr Niwano had been actively involved with the Buddhist group Reiyūkai, and it was then that he encountered Ms. Myoko Naganuma and led her to convert to Reiyūkai. In 1938 they both attended a leaders meeting where the leadership of Reiyūkai made several comments stating that the Lotus Sutra was outdated. After discussing this matter with each other, they decided that they could not belong to an organization which held this type of view.[1] On March 5, 1938, they founded Risshō Kōsei Kai, holding the first meeting in Mr Niwano's house.

Niwano was to be the President and Naganuma to be the vice-president. As the organization grew he gave up his job as a milkman and devoted himself full-time to the ministry. He became involved in interfaith activities and helped to found the World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 in 1970. During this time he became involved in numerous religious and cultural conferences and gatherings, some of which include the Asian Conference on Religion and Peace and the 6th WCRP in Italy, where he presided over the WCRP alongside Pope John Paul II.[2] He also spoke on several occasions as the United Nations calling for world peace and the abolition of nuclear arms.

In 1991 he stepped down as president and was succeeded by his eldest son, Nichiko Niwano. Although retired, he continued to participate in interfaith and peace activities.

Awards[edit]

In 1979 he was awarded the Templeton Foundation Prize for Progress in Religion. In 1992 he was made a Knight Commander with the Silver Star of the Order of St. Gregory the Great by the Vatican. In 1993 Mr Niwano was awarded the Interfaith Medallion from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Christians and Jews. Daniel Montgomery quotes that "no Buddhist leader in the World has become more widely known or showered with honours than him."[3]

Death and legacy[edit]

Nikkyo Niwano died on October 4, 1999. He was cremated and some of his ashes were placed in the Precious Stupa of the One Vehicle, a small stupa located on the grounds of the groups headquarters. He is remembered for his interfaith work and his calls for global peace and disarmament. While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regard him with the highest respect, some criticism occurred shortly after his death regarding the large fortune that he left behind, many claiming that this was un-Buddhist.[4]

Works[edit]

References[edit]

  1. ^ "Rissho Kosei-kai Buddhist Church of Hawaii"rkhawaii.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9-15.
  2. ^ "About Rissho Kosei-kai, a Buddhist organization"rk-world.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4-04. Retrieved 2010-02-17.
  3. ^ Montgomery, Daniel (1991). Fire in the Lotus, The Dynamic Religion of Nichiren. London : Mandala, ISBN 1852740914, page 232.
  4. ^ http://search.japantimes.co.jp/member/member.html?nn20000907b8.htm[permanent dead link]

Further reading[edit]

  • Shinozaki, Michio T. (2001). Peace and Nonviolence from a Mahayana Buddhist Perspective: Nikkyo Niwano's Thought. Buddhist-Christian Studies 21, 13-30

External links[edit]

Buddhist titles
Preceded by
None
Director General Rissho Kosei-kai
March 5, 1938–March 28, 1943
Succeeded by
Himself as President
Preceded by
none
President of Rissho Kosei-kai
March 28, 1943–November 15, 1991
Succeeded by

Namgok Lee ‘백낙청의 원불교 공부

(3) Facebook

그 동안 박 석 교수의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를 읽어 왔다.
이제 9장 건축, 10장 발산의 서양문화, 수렴의 동양문화를 남겨두고, 다른 책을 보려고 한다.
한 책만 오래 보다보니 약간은 변화를 주는 것도 좋을 것 같고, 하나를 끝내야 다른 것을 시작하게 되는 독서 습관도 좀 바꿔볼까 해서다.
===
다음에 볼 책은 ‘문명의 대전환과 후천개벽’이라는 제목의 책인데, ‘백낙청의 원불교 공부’라는 부제(副題)가 붙어 있는 책이다.
나는 백낙청 교수의 현실인식과 정치적 판단에 대해 견해가 다른 면이 많다.
총론에서는 비슷한 부분이 있는데, 각론에 가면 많이 달라지는 대표적인 경우에 속한다.
그래서 솔직히 책에 선 듯 손이 안가는 면이 있다.

이것도 내가 극복해야할 독서 습관 같아서 당분간 이 책을 보려고 한다.
독후감은 지금처럼 쓰지는 않을 생각이다.
전체를 다 보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가능하면 내 입장을 내려놓고 읽는 연습을 하려고 한다.
===
박석 교수의 책을 일단 좀 쉬면서, 여러 느낌이 있다.
===
박 교수는 도덕경에 나오는 대교약졸(大巧若拙)이라는 코드로 동서양의 고금 문명사를 회통해서 읽고 있다.
물론 이런 시도가 갖는 위험성은 있다.(저자도 후기에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다)
어떤 하나의 코드로 문명사를 일관해서 읽을 수는 없다.
그것은 또 다른 교조(敎條)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런 위험을 자각하면서 읽는다면 전체를 대관(大觀)하는 감각을 익힐 수가 있고, 각박하고 혼돈스러운 현실을 좀 더 여유있게 바라보게 하는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실과 인식에 대해서 나선형 순환으로 보이는 여러 관점의 코드들이 있다.

대교약졸의 코드로 보면
졸(拙)Ⅰ→ 교(巧) → 졸(拙) Ⅱ로 순환한다.
자연과 인간, 인간 상호 간의 관계의 변천으로 보면
무분절(無分節)Ⅰ(원시적 무분절)→ 분절(分節 문명)→ 무분절 Ⅱ(새로운 문명, 또는 超文明)로 순환한다.
인간의 인식의 깊이에서 보면
분절Ⅰ(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
무분절(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다) →
분절Ⅱ(다시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로 순환한다.
분절Ⅱ의 인식은 무분절을 통과한 것이다.

===
우리는 지금 문명전환이라는 절박한 인류사적 요구 앞에 서 있다.
그 핵심은 생활양식의 변혁이다.
축약하면 ‘단순소박한 삶’이다.

이것 역시 원시적 단순소박으로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문명을 통과하며 그것을 소화한 단순소박Ⅱ가 될 것이다.

그 이행의 동력이 자발적 자유욕구이어야 하는데, 과연 어떨지 모르겠다.
시간이 허락하지 않으면, 생태 전체주의의 어두움이나 최악의 경우 여섯 번 째 대멸종의 주인공이 인류가 될지도 모른다.
보통 사람들의 자각이 보편화되고, 자발적 자유욕구에 의해 삶의 양식이 단순소박Ⅱ로 바뀌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
5

2021/12/04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 -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 - 들여다보고 내다보는 인문학 읽기 박석 2013

알라딘: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 - 들여다보고 내다보는 인문학 읽기   



박석 (지은이)
들녘2013-11-15

616쪽

책소개

인문학자이자 명상가인 박석이 동서양의 모든 문화 영역을 비교하여 그 속에 담긴 특징들을 일목요연하게 분석하는 인문교양서이다. 저자가 동서양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는 잣대로 내세우는 것은 노자의 『도덕경』 45장에 나오는 ‘대교약졸’이라는 구절이다. 이 구절은 ‘큰 솜씨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라는 뜻으로 지금껏 그다지 크게 주목받지 못한 구절이다.

그러나 저자는 30여 년에 걸친 명상과 사색을 통해 대교약졸 속에 숨겨진 나선형적 논리구조와 여러 가지 미학적 의미들을 밝히고 이것들이야말로 서양문화와 차별되는 동양문화만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화적 코드라고 주장한다. 저자가 선보이는 ‘대교약졸의 논리와 미학’은 여느 인문학 서적에서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흥미롭고 신선한 관점을 제공한다.

저자는 ‘대교약졸’이라는 현미경을 통해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은 물론 문학, 회화, 음악, 건축 등 문화의 전 영역에 걸쳐 그 속에 담겨 있는 문화적 차이점을 예리하게 파헤치며,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이해의 폭을 선사한다. 특히 대교약졸의 관점에서 예수와 공자의 삶과 깨달음, 기독교와 유교의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나 인도불교와 중국선종의 명상과 깨달음에 담겨 있는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는 부분은 다른 책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 책만의 특징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_ ‘대교약졸’로 꿰뚫는 동서 인문학 5

1장. 대교약졸에서 문명의 코드를 발견하다
모호한 노자, 보는 만큼 보이는 도덕경 16
대교약졸, 현묘한 직관 속에 감추어진 논리 41
대교약졸은 화광동진의 깨달음에서 온 것이다 57

2장. 대교약졸에서 미학의 코드를 읽다
플라톤과는 달리 미에 관심이 없었던 노자 72
나선형적 발전을 보여주는 아름다움들 80
전체를 보아야 드러나는 아름다움들 101

3장. 거룩한 기독교와 범속한 유교
유교는 과연 종교인가? 학문에 불과한가? 120
강렬한 성스러움의 예수, 성스러움을 감춘 공자 135
대교약졸의 미학으로 바라보는 기독교와 유교 164

4장. 복잡한 인도 불교와 단순한 중국 선종
인도의 문화적 토양과 석가모니의 깨달음 186
불교, 중국에 들어와서 선종을 낳다 201
인도 종교와 중국 선종의 깨달음의 미학 224

5장. 철학: 치밀한 지적 탐구와 중후한 실천궁행
동서철학의 만남, 엇갈린 변주곡들 240
추상적/논리적 사유와 형상적·직관적 사유 263
전경미의 부각, 배경과의 조화미 288

6장. 문학: 통일된 플롯의 강렬함, 수렴된 감정의 절제미
서사와 카타르시스, 서정과 잔잔한 울림 322
발산적이고 명료한 표현, 수렴적이고 함축적인 표현 347

7장. 회화: 농염한 채색미와 담백한 여백미
사실적 묘사의 인물화, 기운생동의 산수화 378
원근과 채색의 미학, 선과 여백의 미학 400

8장. 음악: 풍성하고 감미로운 소리, 성기고 그윽한 소리
숫자에서 과학으로, 바람에서 정치로 420
화성법에 금속성 악기, 미분음에 식물성 악기 440

9장. 건축: 돌로 만든 웅장함, 나무로 만든 조화로움
영원을 갈망하는 석조건축, 조화를 꿈꾸는 목조건축 464
정원, 동서양의 미적 안목과 자연관이 녹아 있는 공간 493

10장. 발산의 서양문화, 수렴의 동양문화
발산에서 침체를 거쳐 다시 팽창한 서양문화 512
졸에서 교로, 대교약졸로 나아간 중국문화 550
새로운 대교약졸을 기대하며 581

나가는 글_ ‘나’를 잘 들여다보고 ‘세상’을 잘 내다보자 599
참고문헌 603
찾아보기 610
======
책속에서

P. 103~104 중국예술은 바로 분산적 통일미를 강조한다. 먼저 회화를 보면 서양회화가 초점투시를 위주로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하나의 그림에는 하나의 시각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중국회화는 산점투시散點透視를 추구하기 때문에 하나의 그림에 여러 개의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중국회화도 초점투시 위주의 그림들도 있다. 그러나 중국회화의 가장 중요한 영역이라고 하는 산수화에선 산점투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 폭의 그림 속에서 산을 밑에서 위로 바라보는 시각과 멀리 펼쳐진 풍경을 바라보는 시각과 산 뒤쪽의 감추어진 그윽함을 바라보는 시각이 동시에 존재할 수가 있다. 한 폭의 그림에서 여러 개의 시각이 분산되어 나타나면 시각적 통일미는 분명 찾기가 어렵고, 산만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산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이 어우러져 초점투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색다른 운치와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건축물에서도 중국은 분산적 통일미를 추구한다. 서양의 대표적인 건축물, 예컨대 성당이나 궁전들이 대개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중국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궁전이나 사원들은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있다. 이렇게 흩어져 있으면 하나로 집중된 건물에 비해 통일미가 잘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 원림건축에서는 각각 분리된 공간들의 개성을 최대한 살리는 것을 중시한다. 그러나 거시적인 안목으로 보면 흩어진 각각의 건축물들이 어우러져 나름대로의 통일미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분명 다른 차원의 통일미인 것이다.
음악 또한 마찬가지다. 서양의 오케스트라에는 반드시 지휘자가 있지만 중국 전통음악의 합주에는 한가운데 서서 전체 음악을 지휘하고 조율하는 지휘자가 없다. 각각의 악기들이 지휘자 없이 제각기 놀면서도 전체적인 호흡을 맞추는 것을 중시한다. 한 명의 지휘자가 수십 명의 단원들을 이끌어가는 오케스트라에 비해 통일미가 부족한 듯이 보일 수도 있지만, 분명 그 속에는 조화로움이 있다. 다만 집중적 통일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잘 보이지 않을 따름이다. _전체를 보아야 드러나는 아름다움들  접기

P. 116~117 사실 과학기술은 선진과 낙후가 있지만, 문화는 절대 객관적인 우열이 있을 수가 없다. 아름다움은 제각각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더욱이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어려운 것이다. 물론 동일한 집단 내에서는 아름다움에도 어느 정도의 보편적인 기준을 공유할 수 있다. 그래서 서양미학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한 칸트는 미적 판단은 취미판단에 속하기 때문에 완전한 객관성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상호 간의 타당성, 즉 공통의 타당성을 가질 수는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일 뿐,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더군다나 집단이 서로 다르다면 장자가 의문을 제기하였듯이 절대적인 기준이 있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많은 동양인들은 알게 모르게 문화의 영역에서도 서양에 비해 열등하다고 느끼는 것은 왜일까? 그것은 우리가 근대 이후 서양의 과학기술문명의 위력에 압도되어 주눅이 들어 문화 영역의 아름다움이란 영역에서도 그들이 만든 관점을 좇아가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는 주체성을 찾아야 할 때이다. 그냥 겉으로 보면 서양은 교, 동양을 졸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좀 더 깊게 보면 그 졸은 단순한 졸이 아니라 대교약졸의 졸일 수 있다. 굳이 서양에 대한 동양의 우월성을 외칠 필요는 없다. 어차피 아름다움에는 절대객관적인 기준이나 서열 따위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 자신의 장점에 대해서는 자각해야 하지 않겠는가?
화려미와 소박미, 다채미와 단순미, 농염미와 평담미, 집중된 통일미와 분산된 통일미, 전경을 부각시키는 아름다움과 배경과의 조화미, 그리고 이 전체를 아우르는 말로서 발산미와 수렴미, 이들은 서양문화와 동양문화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코드들이다. _전체를 보아야 드러나는 아름다움들  접기

P. 176~177 물론 기독교의 신에 대한 이론이 처음부터 이렇게 화려한 것은 아니다. 사실 기독교의 뿌리인 유대교의 신의 개념은 원래 아주 소박했다. 아브라함이나 이삭, 야곱 등의 족장시대의 신은 주로 엘로 불렸는데 초월적 개념은 거의 없고 부족의 번영을 약속하는 부족의 수호신 정도의 개념이었다. 족장시대의 유대의 신은 비교적 친근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그러다 모세를 거치면서 유대의 신은 크게 변모한다. 우선 엘에서 야훼로 그 이름이 바뀐다. 그리고 부족의 신에서 민족의 신으로 바뀌었고, 거기에다 계약을 통해 유대민족이 약속을 잘 지키면 주변 민족들을 내리치면서 유대민족을 축복을 주다가도 유대민족이 계약을 어기는 경우에는 가혹한 형벌을 내리는 엄격한 신으로 변모한다.
사실 유대민족의 가나안 정착기의 야훼는 전쟁의 신이었다. 유대민족은 전쟁을 치를 때는 전쟁의 신을 믿었지만, 팔레스타인에 정착한 뒤에는 농경의 신이었던 바알 신에 끌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때마다 예언자들은 바알 신을 숭배하던 자신의 민족을 질책하면서 야훼에 대한 절대 충성을 강요하곤 했다. 당시의 유대교에는 유일신이라는 개념 외에 특별한 고등 철학이나 윤리도 없었다. 사실 축의 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 유대의 야훼에 대한 개념은 참으로 단순하고 소박했다.
기원전 8세기에 축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고등 윤리와 사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야훼에 대한 개념이 점차 바뀌게 된다. 이사야, 아모스, 호세아 등 이 시기 선지자들의 입을 통해서 나타나는 야훼는 이전의 가혹하고 무자비하고 희생 제물을 즐기던 모습에서 희생 제물보다는 사회의 정의를 강조하고 무한한 사랑을 강조하는 신으로 점차 변모한다. _대교약졸의 미학으로 바라보는 기독교와 유교  접기

P. 226~227 성스러움을 부정하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단하선사丹霞禪師가 겨울철에 낙양의 혜림사慧林寺에 머물고 있을 때의 일이다. 날씨는 추운데 땔감이 없자 단하선사는 본당으로 달려가서 목불을 들고 와 쪼개어 장작불을 지폈다. 그 절의 승려가 기겁을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노발대발하면서 불제자가 어떻게 이런 일을 할 수 있냐고 따지자 단하선사는 태연하게 부지깽이를 들고는 장작 잿더미를 뒤적거리기 시작했다. 그 승려는 의아해하면서 도대체 뭘 하느냐고 물었다. 단하선사는 부처님의 사리를 찾는 중이라고 답했다. 그 승려는 어이가 없어 목불에 무슨 사리가 있느냐고 대들었다. 그러자 단하선사는 사리도 없는 목불로 불을 땠는데 왜 그렇게 호들갑을 떠느냐고 반박했다. 이에 그 승려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이 공안 속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예컨대 우상을 타파한다는 의미도 있고, 기존의 고정관념을 타파한다는 의미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역시 성스러움을 부정하는 것이다. _불교, 중국에 들어와서 선종을 낳다 

P. 314~315 서양은 대체로 이원성을 확연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좋아한다. 심한 경우에는 둘 사이에는 아무런 교류가 있어서는 안 되고, 또한 서로 뒤섞이지 말아야 한다고 본다. 예컨대 데카르트는 정신의 작용이 자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은 있을 수 없으며, 그것을 인정하는 것은 자연을 엉망으로 만드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정신을 모독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데카르트의 관점에서 보면 동중서의 천인감응설의 영향을 받아 극심한 가뭄 때에 스스로 근신을 하고 죄수들을 풀어주었던 조선시대의 임금의 행위는 정신을 모독하는 행위이다.
데카르트는 이렇게 자연과 정신을 더욱 확연히 분리시킴으로써 정신의 특징을 더욱 뚜렷하게 부각시킬 수 있었고 동시에 자연의 특징도 더욱 확실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 즉 신이 인간의 정신에 부여한 이성적인 사유의 능력은 더욱 강조되고 아울러 어떠한 정신적인 요소도 완전히 배제된 자연의 물질성이 보장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철학자는 인간 이성의 힘을 더욱더 신뢰하고, 과학자는 신학의 간섭에서 벗어나 더욱 자유롭게 자연에 대한 탐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 _전경미의 부각, 배경과의 조화미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북스 2013년 12월 13일자 '북카페'

===
저자 및 역자소개
박석 (지은이)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상명대학교 글로벌인문학부대학 중국어권지역학전공 교수

저서: 
<두보 초기시 역해>(솔출판사, 공저), 
<동양사상과 명상>(제이앤씨), 
<대교약졸,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이는 중국문화>(들녘), 
<송대의 신유학자들은 문학을 어떻게 보았는가>(역락), 
<불가능한 누드>(들녘),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들녁), 
<의식과 본질>(위즈덤하우스), 
<한산 시선>(지식을만드는지식)

최근작 : <참선 잘하그래이>,<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하루 5분의 멈춤> … 총 21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동서양의 종교, 철학, 문학, 예술, 문화사 전체를 하나의 코드로 꿰뚫다。그리스로마- 춘추전국시대부터 21세기까지 문화와 인문의 시공간을 탐사하다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는 인문학자이자 명상가인 박석이 동서양의 모든 문화 영역을 비교하여 그 속에 담긴 특징들을 일목요연하게 분석하는 인문교양서이다. 저자가 동서양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는 잣대로 내세우는 것은 노자의 『도덕경』 45장에 나오는 ‘대교약졸大巧若拙’이라는 구절이다. 이 구절은 ‘큰 솜씨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라는 뜻으로 지금껏 그다지 크게 주목받지 못한 구절이다. 그러나 저자는 30여 년에 걸친 명상과 사색을 통해 대교약졸 속에 숨겨진 나선형적 논리구조와 여러 가지 미학적 의미들을 밝히고 이것들이야말로 서양문화와 차별되는 동양문화만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화적 코드라고 주장한다.

저자가 선보이는 ‘대교약졸의 논리와 미학’은 여느 인문학 서적에서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흥미롭고 신선한 관점을 제공한다. 저자는 ‘대교약졸’이라는 현미경을 통해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은 물론 문학, 회화, 음악, 건축 등 문화의 전 영역에 걸쳐 그 속에 담겨 있는 문화적 차이점을 예리하게 파헤치며,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이해의 폭을 선사한다. 특히 대교약졸의 관점에서 예수와 공자의 삶과 깨달음, 기독교와 유교의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나 인도불교와 중국선종의 명상과 깨달음에 담겨 있는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는 부분은 다른 책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 책만의 특징이다. 

그것은 저자가 학자인 동시에 명상가로서 오랫동안 여러 종교를 두루 섭렵하며 겪었던 다양한 종교적 체험들을 학문적으로 잘 정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동서양의 위대한 사상가들의 난해하면서도 심오한 사유체계를 아름다움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 것도 이 책만의 개성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발견되는 아름다움의 차이가 문학에서, 그리고 회화, 음악, 건축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수천 년에 걸친 서양과 동양의 문화사를 아름다움의 관점에서 그 전체적인 흐름을 압축해서 소개하고 서세동점 이후의 동양문화가 나아갈 바를 모색한다. 다루는 영역이 방대하지만 ‘대교약졸’이라는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현미경으로 분석하다 보니 동서양 문화의 특징이 손에 잡힐 듯 일목요연하게 다가온다. 게다가 무겁고 딱딱한 인문학적 용어를 지양하고 평이하고 일상적인 언어로 안내하고 있어 독자들은 그리 힘들이지 않고 동서양 문화의 깊고 풍부한 세계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동서양을 관통하는 놀라운 인문학 코드, 수렴과 발산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본 인문학적·문화적 호기심과 궁금증이 명쾌하게 해결된다
서양에서는 초월적 성스러움을 강하게 발산하는 예수가 사람들의 의식세계를 지배하였던 데 비해 동양에서는 왜 일상의 윤리를 강조하는 범속한 공자가 성인으로 추앙받았을까? 왜 서양철학은 논리와 분석을 좋아하는 데 비해 동양철학은 직관과 통찰을 좋아할까? 왜 서양사람들은 확실한 이분법을 좋아하는 데 비해 동양사람들은 두루뭉술하게 하나로 보기를 좋아할까? 서양문학에서는 서사성을 중시하는 소설과 희곡이 크게 발달한 반면 동양문학은 서정성을 중시하는 운문이 주를 이룬 이유는 무엇일까? 서양회화에는 누드가 넘쳐나는데, 왜 동양회화에서는 누드가 없을까? 서양화는 화려한 채색으로 화면을 가득 채우는데 왜 동양회에서는 수묵과 여백의 미를 더욱 중시할까? 서양음악은 화성학이 크게 발달하였는데 왜 동양음악은 화성법이나 대위법이 없는 것일까? 서양음악에는 지휘자가 필요한데 왜 동양음악에는 지휘자가 없을까? 서양 고전건축물은 왜 하나같이 주재료가 돌이고, 동양의 건축물은 나무일까?

굳이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한 번쯤 위와 같은 의문을 지녀본 적이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의문들은 서로 아무런 연관 관계 없이 산발적으로 일어난다. 그리고 별다른 뾰쪽한 답을 찾지 못해 흐지부지 묻혀버리고 만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보면 위의 모든 질문들이 사실은 하나의 미학적 코드에서 나온 것에 놀라게 된다.> 그 코드는 바로 발산과 수렴의 미학이다. 저자는 1장과 2장에서 대교약졸에 들어 있는 논리와 미학을 탐색하면서 여러 가지 아름다움들을 나열하고 그것들을 발산과 수렴으로 나눈다. 그리고 3장부터 9장까지는 이 발산과 수렴의 코드로 동서양의 종교, 철학, 문학, 회화, 음악, 건축 등의 영역을 탐색하면서 그 차이점들을 하나씩 풀어간다. 한 절씩, 한 장씩 넘어갈 때마다 아무런 연관 관계가 없어 보이던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적 현상들이 점차 하나로 꿰뚫어져 일목요연하게 이해될 뿐만 아니라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을 인문학적·문화적 궁금증과 호기심이 명쾌하게 해결된다.

10장에서는 거대 문명사적인 시각으로 동서양 문명의 흐름을 탐사한다. 각 문화 영역에서 입체적인 비교와 분석을 통해 정리된 동서양 문화를 바라보는 인식은 문명사의 이야기를 통해 한 차원 더 깊이를 더하게 된다. 그리고 단순히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의 차이를 비교하는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지금의 동아시아 문화의 현황은 어떠하고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를 꺼낸다. 600쪽이 넘는 두꺼운 책이지만, 흥미롭게 책장을 넘기면서 지적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서 문화 전체를 꿰뚫어보는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끝으로 저자는 아름다움에 대한 이 통찰들을 차분히 체화시켜 자신의 삶을 깊게 들여다보는 데에도 적용해보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를 내다보는 데 활용해보라고 권유한다. 우리가 인문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결국 자신의 삶을 성찰하기 위함이라는 단순한 진리를 이 책은 잘 일깨워준다.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순간 독자들은 하나의 아름다운 숙제를 받았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나는 내 삶의 그림을 어떤 아름다움으로 채울 것인가?”

===

평점분포    10.0
 
구매자 (1)
전체 (2)
공감순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 인문학책이 범람하는 요즘 어떤 책을 고를까 고민하다 제목을 보고 흥미로와 주저없이 구입해 읽었다. 인문학 전반에 대한 개론이 아닌 저자의 30년넘는 치열한 수행후에 깨친 깨달음을 바탕으로 `대교약졸` 한마디로 동서양의 모든 분야에 대한 명쾌한 통찰이 놀랍다.  
산야 2013-11-24 공감 (1) 
===
구매자 (1)
전체 (2)
리뷰쓰기
==
     
wow !!!

두꺼운 페이지에 망설이고 있다면 기우라고 자신있게 말하고 싶다.  
 첫 페이지를 넘기는 순간부터 물 흐르듯 술술 페이지가 넘어간다. 
동서양의 철학, 역사, 건축 등을 아우르는 저자의 엄청난 학식에 감탄하며 
단순한 지식의 나열이 아닌 그 안에 담긴 무언가(?)를 꿰뚫는 통찰력에 두 번 감탄한다. 
특히 1장의 노자의 도덕경 부분에선 무릎을 칠만큼 놀라운 '새로운 도덕경'을 만나기도 했다.   내가 접해본 인문학도서 중 최고라고 생각한다.  
icepray 2013-12-22 공감(2) 
===
     
좀 뚫린 것 같아요

인문학,동서양을 꿰뚫다’ 반쯤 읽었는데 졸리지 않고 재미있고 자꾸만 고개가 끄덕여진다
젊었을 때 나는 인문학에 대하여 별 관심이 없었으나 나이를 먹으면서 사회를 점점 알아가면서 해외여행을 다니면서 역사 철학 종교 문화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런 저런 책을 읽어도 어렴풋하고 머릿속이 정리가 안됐는데 이 책은 그 동안의 갈증을 쏴~악 풀어주고 있다. 

특히 동서양의 미학에 대하여 대교약졸의 관점으로 비교한 깊이 있는 내용들은 ‘아~~ 그래서 그렇구나’ 하는 탄성이 절로 나온다. 
+ 더보기
솔새 2013-12-05 공

===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 - 들여다보고 내다보는 인문학 읽기   



박석 (지은이)
들녘2013-11-15

616쪽

책소개

인문학자이자 명상가인 박석이 동서양의 모든 문화 영역을 비교하여 그 속에 담긴 특징들을 일목요연하게 분석하는 인문교양서이다. 저자가 동서양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는 잣대로 내세우는 것은 노자의 『도덕경』 45장에 나오는 ‘대교약졸’이라는 구절이다. 이 구절은 ‘큰 솜씨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라는 뜻으로 지금껏 그다지 크게 주목받지 못한 구절이다.

그러나 저자는 30여 년에 걸친 명상과 사색을 통해 대교약졸 속에 숨겨진 나선형적 논리구조와 여러 가지 미학적 의미들을 밝히고 이것들이야말로 서양문화와 차별되는 동양문화만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화적 코드라고 주장한다. 저자가 선보이는 ‘대교약졸의 논리와 미학’은 여느 인문학 서적에서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흥미롭고 신선한 관점을 제공한다.

저자는 ‘대교약졸’이라는 현미경을 통해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은 물론 문학, 회화, 음악, 건축 등 문화의 전 영역에 걸쳐 그 속에 담겨 있는 문화적 차이점을 예리하게 파헤치며,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이해의 폭을 선사한다. 특히 대교약졸의 관점에서 예수와 공자의 삶과 깨달음, 기독교와 유교의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나 인도불교와 중국선종의 명상과 깨달음에 담겨 있는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는 부분은 다른 책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 책만의 특징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_ ‘대교약졸’로 꿰뚫는 동서 인문학 5

1장. 대교약졸에서 문명의 코드를 발견하다
모호한 노자, 보는 만큼 보이는 도덕경 16
대교약졸, 현묘한 직관 속에 감추어진 논리 41
대교약졸은 화광동진의 깨달음에서 온 것이다 57

2장. 대교약졸에서 미학의 코드를 읽다
플라톤과는 달리 미에 관심이 없었던 노자 72
나선형적 발전을 보여주는 아름다움들 80
전체를 보아야 드러나는 아름다움들 101

3장. 거룩한 기독교와 범속한 유교
유교는 과연 종교인가? 학문에 불과한가? 120
강렬한 성스러움의 예수, 성스러움을 감춘 공자 135
대교약졸의 미학으로 바라보는 기독교와 유교 164

4장. 복잡한 인도 불교와 단순한 중국 선종
인도의 문화적 토양과 석가모니의 깨달음 186
불교, 중국에 들어와서 선종을 낳다 201
인도 종교와 중국 선종의 깨달음의 미학 224

5장. 철학: 치밀한 지적 탐구와 중후한 실천궁행
동서철학의 만남, 엇갈린 변주곡들 240
추상적/논리적 사유와 형상적·직관적 사유 263
전경미의 부각, 배경과의 조화미 288

6장. 문학: 통일된 플롯의 강렬함, 수렴된 감정의 절제미
서사와 카타르시스, 서정과 잔잔한 울림 322
발산적이고 명료한 표현, 수렴적이고 함축적인 표현 347

7장. 회화: 농염한 채색미와 담백한 여백미
사실적 묘사의 인물화, 기운생동의 산수화 378
원근과 채색의 미학, 선과 여백의 미학 400

8장. 음악: 풍성하고 감미로운 소리, 성기고 그윽한 소리
숫자에서 과학으로, 바람에서 정치로 420
화성법에 금속성 악기, 미분음에 식물성 악기 440

9장. 건축: 돌로 만든 웅장함, 나무로 만든 조화로움
영원을 갈망하는 석조건축, 조화를 꿈꾸는 목조건축 464
정원, 동서양의 미적 안목과 자연관이 녹아 있는 공간 493

10장. 발산의 서양문화, 수렴의 동양문화
발산에서 침체를 거쳐 다시 팽창한 서양문화 512
졸에서 교로, 대교약졸로 나아간 중국문화 550
새로운 대교약졸을 기대하며 581

Namgok Lee 인간 특유의 2차 본능 이 더 커지는 시대

 Namgok Lee

1t2S D0eca8em9be6r atns 07far3eh:5f2  · 
박석 교수의 책을 꾸준히 읽고 잇다.

 전에 별로 관심도 없고 잘 몰라서 빼놓고 읽었던 장(章)들을 이번에는 빠짐없이 읽어본다.

‘제7장 회화(繪畵)’을 읽다가 연상되는 생각들이 있어서 옮겨 본다.
===
‘서양화에서 사실성을 중시하는 태도가 일변하기 시작한 때는 사진기가 발명되고 난 뒤부터이다. 사진기는 1839년 루이 다게르가 최초로 발견하였는데 과학기술을 이용해 실물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내는 사진기가 점차 퍼져 나가자 회화는 새로운 길을 찾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서양 회화사에서 18세기 후기부터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상징주의 등 사실성보다는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추상성을 더 강조하는 사조가 등장하게 된 것은 바로 사진의 발견과 무관하지 않다.’
‘원근법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15세기 초의 르네상스 건축의 창시자인 브루넬레스키다. 그는 물체는 뒤로 갈수록 수학적인 법칙에 따라 작아지고, 나중에는 결국 한 점이 되어 사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실 이전의 그림에서 가로수가 늘어져 있는 길이 지평선 위의 한 점으로 사라지게 그릴 수 있는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우리가 당연시하는 것들의 역사를 거슬러가면 최초의 발견자 또는 창안자나 발명자를 만난다.
누워서 원격 리모콘으로 심지어는 말로 해도(아마 앞으로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 아마 생각하는 것만으로 작동할지도 모른다) 불이 켜지는 전기도 처음에 시작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잊혀진다. 누가 발명했는지는 큰 관심거리가 아니다.
그런데 사실 그 사람이 발견 또는 발명했다고 하지만, 그의 단독 작품이 아니다.
이미 무수한 역사와 노력의 축적들이 그 배경에 있다.
철학이나 문학이나 예술뿐만 아니라 습속이나 제도의 변화도 여러 변수의 종합적 연관 속에서 이루어진다.
나는 내가 살아 있는 동안 그토록 강고하게 보이던 가부장제의 유산인 남아(男兒)로 대(代)를 잇고, 조상에 대한 봉제사(奉祭祀) 문화가 조용히(큰 저항이나 강제나 특정 종교와 무관하게) 허물어져 가는 과정을 보았다.
아마 족보를 챙기는 문화도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다.
옛날 같으면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을 대(大) 사변(事變)들이지만, 지금은 아무렇지도 않은 평범한 일상으로 받아들여지는 일들이 많다.
지금은 물질도 풍부해지고, 민주주의라는 제도도 발전했지만, 아직도 여전히 부(富)나 권력(權力)에 대한 탐욕이 몇 천년 동안의 강한 관성으로 작동하고 있다.
아마 언젠가는 그런 것조차 기이한 옛 이야기로 들릴 날이 있을까?

다행히 인류가 지금의 위기를 잘 넘기고, 자유와 행복을 확대하는 길을 갈 수 있다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본다. 
또 실제로 동물 일반의 자기중심성을 벗어나는 의식의 확장이 위기를 넘어서는 길이기도 하다.

 단지 그것이 자유로워지는 길이라는 것을 아직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큰 과제이긴하지만.
그런데 아직은 너무 견고해보이고, 지금 우리의 현실을 보면 참담한 기분이 들 때도 있지만, 그토록 강고하던 남아(男兒)로 대(代)를 잇는 습속과 문화가 사라지는 것처럼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다.
아마도 부(富)나 권력(權力)보다는 명예욕(名譽慾)은 좀 더 오래갈지 모르지만, 그것마저 별 의미가 없어지게 될 것이다.

‘모든 것의 연관’ 속에서 이런 변화들이 일어날 것이다.

부, 권력, 명예는 자기중심적인 1차본능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들이다.

이 1차적 본능보다 인간 특유의 2차 본능(숭고지향성, 어떤 사람들은 佛性이라부르고 어떤 사람들은 靈性이라 부르는)이 더 커지는 시대‘모든 것의 연관’ 속에서 바라보게 된다.

새벽의 독서 단상이다.
---
5 comments
이계표
모든 것과의 연관❗
연기론적인 사고입니다.👏
 · Reply · 2 d · Edited
이계표
전래의 토착적 영성과 서구의 근대적 이성과의 관계를 개벽세상이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 Reply · 2 d
崔明淑
나이 든 사람들에게 2차 본능은 비교적 추구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정말로? 글쎄요. 2차 본능을 추구하려면 상당히 구도자적으로 살고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 Reply · 2 d
Namgok Lee
崔明淑 오히려 신세대에게서 자연스럽게 이행할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요?
결혼이나 가족제도의 변화처럼.
 · Reply · 2 d
崔明淑
Namgok Lee 가치전환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겠군요.
 · Reply · 2 d

구로사와 아키라의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박수민의 오독의 라이브러리] 구로사와 아키라의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박수민의 오독의 라이브러리]
[박수민의 오독의 라이브러리] 구로사와 아키라의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2016-11-17
글 : 박수민 (영화감독)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요즘 밤마다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 나라 국정을 농단한 무당 일족과 그 꼭두각시(들) 때문에? 세계의 경찰인 크고 아름다운 나라의 대선 결과로 도래할지 모르는 미래의 아포칼립스가 묘하게 기대되어서? 트위터에는 또 누구의 배꼽 아래 세치에 존재하지 않는 인격의 폭로가 이어질까 궁금하여서? 아니다. 난 그저 언제나 도대체 영화란 무엇이며 나아가 현실이란 무엇인가를 암중모색할 뿐이다. 사실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일들. 어차피 다 잘 안 될 테니까.

과거에 나는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몇편을 보고 서둘러 감동하여 그의 이름 옆에 ‘=’표시를 하고 ‘휴머니즘’이라 적어 눙치는 걸 좋아했다. 하지만 함부로 그러기 이전에 구로사와는 최고의 액션영화감독이었음을 상기해야 한다. 그의 영화 속 인물들은 항상 분명하게 움직인다. 배우의 행위를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부터가 영화에선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모른다. 그의 영화엔 휙휙 움직이고 땀 뻘뻘 흘리며 눈빛을 번쩍이는 것이 정확하게 찍혀 있다. 배우의 눈을 반짝거리게 하려고 항상 거울을 썼다는 이야기는 늘 잊히지 않는 거장의 팁이다. 그의 영화들에서 미장센이란 대체로 모래와 바람과 안개와 비와 수풀과 인마(人馬)였다. 그 모든 계획과 통제가 너무나 대단하지만 그의 영화는 기본적으로 ‘하드보일드’다. 하드보일드는 스타일로 보이지만 사실은 태도다. 영화는 물론 문학과 만화까지, 서사를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이 하드보일드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서사를 다루는 법임을 깨닫는 날이 온다. 구로사와가 만든 흑백의 하드보일드를 보고 있으면 스크린의 검은 입자가 먹처럼 흘러나와 관객의 폐 속으로 그 흑색이 스며들 것만 같다. 구로사와 아키라는 이 비정한 서사로 결말에 휴머니즘을 향하지 않고 끝내 철저한 절망을 그린 적이 있다. <거미집의 성>(1957)이 그러한 형식미로는 일품이며, <천국과 지옥>(1963)도 가슴을 치지만, 최고 정점은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1960)라고 생각한다. 이 영화는 1959년에 그가 설립한 ‘구로사와 프로’의 첫 작품이었다. 제작 전반을 장악할 수 있게 되자, 가장 어두운 작품을 만들어낸 것이다(다음 작품이 초특급 엔터테인먼트 <요짐보>(1961)였던 건 당연한 수순이었을 것이다).
복수는 실패로 돌아가고


영화는 주택공사 부회장 딸의 거창한 결혼식 풍경에서 시작한다. 신부가 발을 헛디디며 <결혼행진곡>이 중간에 ‘탁’ 끊기고, 식장에 배달된 기묘한 디자인의 케이크를 본 사회자가 나이프를 ‘딱’ 떨어트린다. 단절. 이상한 결혼식이 끝나고 난 후, 뇌물 스캔들과 관련한 비리 공무원과 건설주를 향한 누군가의 복수에 가까운 압박이 시작된다. 그 누군가는 5년 전 뇌물 스캔들을 잠재우기 위해 강제로 투신자살‘당한’ 후루야의 숨겨진 아들, 비리의 주체인 이와부치(모리 마사유키) 부회장의 딸 요시코(가가와 교코)와 방금 결혼식을 올린 신랑 니시(미후네 도시로)다.

부패권력에 대항한 주인공의 대담한 복수극은 현실의 소시민인 관객을 사로잡는다. 관객은 주인공이 이겨서 비리가 속 시원히 까발려지리란 희망을 품고 영화를 본다. 나 역시 이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 짙은 눈썹의 호남 미후네 도시로가 질 거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다. 원한을 품은 채 결혼식을 치렀지만 니시는 요시코를 진심으로 사랑한다. 원수의 딸을 품에 안은 주인공을 보면서 예의 구로사와식 휴머니즘, 희망과 용서가 더해질 거라는 예측까지 했더랬다. 이와부치의 오른팔 모리야마(시무라 다카시)부장을 붙잡아 가두는 곳은 패전의 흔적이 남아 있는 을씨년스러운 폐허다. 폐허 위에 서 있는 니시의 모습은 전쟁을 벌이고 부패한 시스템을 구축한 윗세대에 당당히 도전하여 죄를 묻는다는 의미로 보였다.

그러나 정의로운 청년들이 휘파람 불며 전진하던 통쾌한 비리척결 복수극은 절정에서 뚝 끊긴다. 단절. 주인공은 갑자기 어디로 사라졌는지 없고 그가 몰고 갔던 자동차가 길 위에 널브러진 참혹한 잔해로 스쳐 지나간다. 남편과 아버지를 찾아온 요시코와 그녀의 오빠 앞에서 니시의 동료는 울부짖는다. “우리는 실패했다! 우리는 너희를 결코 이길 수가 없었다!” 나는 영화를 보다가 정말이지 깜짝 놀랐다. 6년 전의 극장에서, 관객의 “헉!” 소리를 들었다.

조직의 비리가 밝혀질 뻔했던 일련의 사태를 완벽히 진압하는데 성공한 이와부치 부회장은 언론 앞에서 뻔뻔한 기자회견을 마치고 자신의 거대한 집무실로 돌아온다. 그의 유일한 가족인 아들과 딸 요시코는 ‘우리는 당신 같은 자와 살 수 없다’는 말을 남기고 떠난다. 자식들을 붙잡으려던 이와부치는 그 대신 요란하게 울리는 전화를 받는다. 이와부치는 부회장이었으니까 전화 저편의 권력자는 회장이거나 혹은 그보다 더 높은 곳에서 지시를 내리는 자일 것이다. 그러니까 진짜 ‘실세’다. 괴물 뒤에는 언제나 더 거대한 괴물이 있다. 이와부치가 전화를 받는 모습은 예의 높은 사람의 전화를 받는 우리의 부모들이나 직장 상사들의 모습과 똑같다. “예, 예, 그렇습니다. 걱정하지 마십시오, 전부 잘 해결되었습니다. 그동안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그럼 안녕히 주무십시오… 아! 지금 오전이지요. 제가 철야를 한 나머지 착각했던 모양입니다. 그럼 전화 끊겠습니다. 안녕히….” 관객의 눈앞에 연신 굽실거리는 악인은 날밤을 새웠지만, 거대한 권력과 그를 지탱하는 철저한 구조 속 미지의 악인은 간밤에 편히 잘 잤다.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제일 나쁜 놈은 병든 조직

영화에는 이런 대사도 나온다. “공무원은 사람이 아니라고! 놈들은 상사와 조직을 위해서는 무엇이든 하는 종자들이야!” 생전 공무원과 행정을 싫어했던 구로사와는 그의 영화에서 관료주의에 대한 비판을 숨긴 적이 없다. 그가 이상적이라고 믿은 상하 주종 관계는 오히려 봉건적인, <호랑이 꼬리를 밟은 사나이들>(1945)에 나오는 주군과 무사의 모습이다. 아군과 적군마저 예의를 다하는 세계에서 적진을 넘기 위해 승려로 변장한 무사는 짐꾼으로 위장한 주군을 몽둥이로 두들겨팬다. 위기를 넘긴 무사가 주군 앞에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자, 주군 역시 무릎을 꿇으며 그를 일으켜 세운다. 적장이 보내온 술로 한바탕 술판을 벌이며 영화 내내 냉정하고 침착했던 무사는 칼을 놓고 말술을 들이켜더니 노래까지 부른다. 맞아, 뮤지컬영화였다.

관료주의는 민주주의와 함께 국가나 조직 같은 거대한 무언가를 어쨌든 굴러가게 만드는, 인류의 인기 발명품 중 하나다. 나 역시 조직과 구조 안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다. 상사에게 기안을 올리고 결재를 받아 뭔가 일이 진행되게 만드는 과정은 분명히 쾌감을 준다. 상사에 대한 충성심이 주군에 대한 무사의 도리처럼 느껴져 뭔가 근사해 보일 때도 있다. 상하관계에서는 상사에 대한 부하의 인간적인 존경이 업무에 대한 열정으로 이어져 이상한 시너지 효과를 낸다. 한번 만나본 적도 없이 그 존재와 지위만 아는 높은 사람의 전화를 받았을 뿐인데 전화기를 붙들고 온몸을 덜덜 떨어본 적도 있다. 권위와 공포는 인간을 매혹시켜 자발적인 노예로 만든다. 과거 파시즘과 나치즘은 조직과 행정을 통해 빛을 발했다. 더러운 일이지만 상관을 위해, ‘조국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이다. 구로사와의 가장 어두운 비전인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는 조직과 행정이라는 거대한 시스템이 권력의 지속을 위해 존재하는 한 언제나 유효한 텍스트다. 구로사와는 이 통렬한 비판을 위해 철저하게 실패하는 결말을 만들고 뚝심 있게 밀어붙였다. 그 절망의 외침은 50년이 넘은 지금의 현실에도 제대로 먹힌다.

언제나 정말로 두려운 것은 권력자가 아니라, 그 권력을 구조로서 지탱해주는 조직과 행정이다. 오직 위를 향한 충성으로 아래는 밟아도 결코 위로는 항명하지 않는 조직은 병든 조직이다. 그런 조직에서는 청렴과 창의가 절대로 공존할 수 없다. 나는 항상 맨 위에 있는 한 사람보다 그를 떠받치고 있는 자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뭔가를 계산하고 이익을 얻는 미지의 배후자들이 두려웠고, 걱정은 작금의 현실이 되어 진행 중이다. 너무 격이 낮아서 악당 축에도 못 낄 비선 실세와 인간적 내면이 언제 어디로 사라졌는지 모르겠는 허수아비 왕보다 그 밑의 충신들이 진정한 악당이다. 이 황당한 세계를 걱정해봤자 분명 잘 안 될 거다. 그렇지만, 광장에는 나가야지. 나쁜 놈들도 잠이 안 와서 내내 끙끙거리는 소리를 듣고 싶으니까.

Namgok Lee 박석 책 음악의 정치적 사회적 효용성



===
Namgok Lee
2 h  · 
새벽의 독서 산책
박석 지음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에서
---
<공자는 음악에 지대한 관심과 소질이 있었다. 그는 고대의 순임금이 만들었다는 소(韶) 음악을 듣고 아름다운 음률에 석달 동안 고기맛을 잊어버릴 정도였다.
공자가 음악을 좋아했던 것은 물론 개인적인 취향도 있었겠지만 음악의 정치적 사회적 효용성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고대 중국 음악 이론을 집대성한 ⌈예기⌉의 ⌊악기⌋편에서는 예(禮)와 악(樂)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악(樂)이란 동화하는 것이요, 
  • 예(禮)란 차별하는 것이다. 
동화되는 즉 서로 친하게 되고, 차별하는 즉 서로 공경하게 된다. 
악(樂)이 앞지르게 되면 넘쳐흐르게 되고, 예(禮)가 앞지르게 되면 소원하게 된다.
성정에 화합하고 용모를 가꾸는 것은 예악(禮樂)의 일이다. 

이라고 하는 것은 하늘과 땅의 조화로움이고 
라고 하는 것은 하늘과 땅의 질서다. 
조화로우므로 만물이 모두 화육되고 질서가 있으므로 만물이 모두 구별된다.‘

고대 중국에서 예의 본질은 사회계층과 신분에 놓인 질서의 확립이다. 
그리고 그 질서란 차별적인 것이다. 
이렇게 차별적인 질서가 확립될 때 사회는 안정된다. 

그러나 차별성을 강조할 때 사람과 사람 사이는 소원해지고 사회는 삭막해진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樂)이 필요한 것이다. 악(樂)의 본질은 서로 동화되는 것이다. 그래서 서로 가까워진다.
예란 천지의 질서이고 악이란 천지의 조화로움이라고 강조한다.

공자는 일찍이 순임금의 음악을 들으면서 아름다움과 선함이 극진하다고 했다. 
그러나 무왕이 만든 음악을 듣고는 아름다움은 극진하지만 선함은 극진하지 않다고 평했다. 
미(美)와 선(善)이 하나가 되는 것을 최고의 이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정치적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는 예가 우선이고 악은 예를 보조하는 수단이지만, 
개인 수양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조금 다르다. 

공자는 ‘논어’에서 “시에서 일으키고, 예에서 세우고, 악에서 완성한다(興於詩 立於禮 成於樂)”라는 말을 했다. 
  • 시를 통하여 도의적 감흥을 일으키고 
  • 예를 통하여 인류의 규범을 세우고 
  • 마지막으로 악을 통하여 인격도야를 완성한다는 뜻이다. 

악은 예보다 한 차원 높은 것으로 유가적 수양의 마지막 단계에 필요한 도구이다>
===
독후 느낌

봉건군주제의 신분계급사회에서 발전한 고대 중국의 예와 악에 대한 사고의 한계에서 공자는 자유롭지 못하다.
어쩔 수 없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신분계급에 바탕을 둔 차별적인 질서(禮)를 옹호하는 것으로 비춰지는 공자를 변호할 생각은 전혀 없다.
나도 그런 생각을 오랫 동안 해왔었다. 그리고 60이 훌쩍 지나서 비로소 논어를 접했다.
그리고 논어 속에서 그 시대의 한계와 그 속에서도 보편적 이상을 추구하며 고뇌한 한 사람을 발견한 느낌이 들었었다.

예禮를 차별적 질서로 보지 않고, 신분계급제를 넘어서  
인간이 추구해야할 본연(本然)의 아름다운 질서로 보려고 한 흔적이 논어에는 많이 나온다.

나에게는 그런 면이 보여오다 보니까 아마도 유가(儒家) 일반의 해석과는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아마 내 주관적 해석도 많을 것이다. 단지 인류의 선각자로서 그 원석(原石)을 찾고 싶은 마음이 강한 것은 사실이다.
예(禮)보다 악(樂)을 상위로 본 것 또한 단지 수양의 최고 단계로서가 아니라, 차별적 질서 속에서 보편적 이상을 추구한 공자의 고뇌의 일단이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되는 것은 너무 공자를 변호하려는 것이 아닐까? 

이제 공자의 팬에서 벗어날 때도 되었는데. 
늦게 배운 도둑이 날 새는 줄 모른다더니. ㅎㅎㅎ
---

Namgok Lee 공자의 군자론 - 인격의 성숙이 군자의 조건

(17) Facebook



========
Namgok Lee
87Yiesterdaypo n808sao5t 0a6:it5a4ed  ·
 
새벽 독서하려 앉는데,

문득 논어 첫 장의 글귀가  다가온다.

“학이시습지불역열호 (學而時習之不亦說乎;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기쁘지 아니한가!)
유붕자원방래불역낙호(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벗이 있어 먼곳에서 찾아오니 즐겁지 아니한가!)
인부지이불온불역군자호(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남이 몰라주어도 노여움이 일어나지 않으니 군자가 아닌가!)“

시습(時習); 깨달아도 체득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너무 조바심하거나 스스로를 몰아세우지 말라. 그저 때때로 익혀라. 그래야 즐겁다.
자원(自遠); 사람에게는 적당한 거리, 따뜻한 거리가 필요하다. 물리적(공간)인 거리도 필요하지만, 심리적인 거리도 중요하다
집착(執着)은 원한이나 미움으로 변할 가능성을 늘 안고 있다.
군자(君子); 자유롭고 자주적인 인간. 다른 사람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아야 평화(不慍)를 즐길 수 있다.
이 첫 장을 꿰뚫는 테마는 ‘기쁨(說,樂)과 평화(不慍)’
11 comments
====
11 comments
윤차차로
즐거움, 평화.
지금 삶의 목적입니다.
 · Reply · 1 d
구정회
즐거움 說 樂=말씀說 × 즐길樂
(說 =기뻐할 열 說)○
즐겁게, 좋게 ,말하고, ×
(기쁘고 즐거움 은 )
평화 (平和)=(아닐不 , 성낼 온)
성내지 아니함.
이렇게 이해가 됩니다 .
 · Reply · 1 d · Edited
Namgok Lee
說은 기쁠 悅과 같은 의미로 쓰인답니다. 여기서는 말씀 열이 아니라 기쁠 열로 읽습니다.
인부지이불온불역군자호(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의 慍은 ‘성내다 노여워하다’라는 뜻으로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움이 없으니 군자가 아닌가!’하는 뜻으로 읽습니다.
 · Reply · 1 d
구정회
열 說(기뻐할) 낙 樂(즐기다 )=기쁘고 즐거운
기쁘고 즐거움.
평화 =불不 온 성낼 온
성, 화, 내지 아니함
예~.
 · Reply · 1 d · Edited
주병애
병원에서 결과 기다리며 읽고 있는데 울림이 오네요 고맙습니다
 · Reply · 1 d
Namgok Lee
주병애 좋은 결과 바랍니다.
 · Reply · 23 h
박정미
논어를 기쁨과 평화의 복음으로 보니 전혀 다르게 느껴집니다^^
 · Reply · 23 h
Namgok Lee
복음까지는 아니구요. ㅎㅎ
요즘 ‘공자의 변명’이라는 제호로 익산의 소통신문이라는 주간지에 월 1회 칼럼을 싣고 있습니다.
다음호에 게재할 원고 서두입니다.
“공자의 군자(君子)론을 앞으로 몇차례 연재하려 한다.
내가 보기에는 공자의 군자론에 대한 깊은 오해가 오랫동안 있어 왔다.
첫째는 군자와 소인을 대립적이고 고정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인데, 공자 스스로는 인간의 진화 방향에 대해서 이야기할 뿐 스스로도 군자라는 인간상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둘째는 군자(君子)는 한자의 뜻이 의미하는 것처럼 신분계급제 사회에서 군주(君主)의 아들 즉, 귀족이나 관료 등 지배계급을 의미하는 말이었는데, 공자는 이 말의 내용을 혁명적으로 그러나 조용하게 바꿨다.
즉 신분의 귀천이 아니라, 그의 인격의 성숙이 군자의 조건이라고 바꿈으로서 신분계급을 넘어서는 사상적(제도까지는 엄두를 못냈지만) 지평을 열었다.“
 · Reply · 23 h
박정미
이남곡 제가 미숙해서 그런지 몰라도 유교경전은 당위의 명령체계로만 다가왔는데 새로운 감흥을 던져주시는 글이라 생각합니다. 아! 군자가 이런 사람이라면 나도 해볼 수 있겠다. 이렇게 하면 바르고 훌륭한 사람이 되기 전에 좀 더 기쁘고 평화로운 삶을 살 수 있겠다. 그런 생각의 단초를 잡았습니다.
선생님. 훌륭한 사람 말고 행복한 사람 쪽으로 군자를 더 밝혀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Reply · 23 h
Namgok Lee
박정미 맞습니다.
내가 유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한 적이 없는 사람이어서 그렇게 보여왔는지 모르겠지만, 공자가 당위의 윤리나 도덕으로 읽히지 않았습니다.
당위로 보는 것은 오히려 공자의 진면목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읽혀서, 그런 생각의 단편들을 마침 주간지의 요청이 있어서 써보고 있습니다.
특히 군자론에서 박선생의 요구(ㅎㅎ)를 최대한 반영해 보겠습니다. ㅎㅎ
 · Reply · 22 h
박정미
이남곡 기대합니다!^^


Namgok Lee 피타고라스 - 우주의 조화

 Namgok Lee 피타고라스 - 우주의 조화


오늘 읽은 내용 가운데 피타고라스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나는 그저 ‘피타고라스 정리’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놀랍다.

<서양 음악의 뿌리는 피타고라스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음악의 가장 기초가 되는 음정을 확립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수학자로 널리 알려진 피타고라스는 사실 종교와 과학의 경계선에 서있던 사람이엇다. 그는 오르페우스를 숭배하는 신비주의적인 색채가 짙은 종교의 교주였다.
그는 인간의 영혼은 육체의 소멸과 함께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정화를 통해 우주의 순수한 정신과 하나가 될 때까지 하나의 육신에서 다른 육신으로 윤회한다고 믿었다. 그리고 윤회의 과정에서 꼭 사람의 몸만 받아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동물의 몸을 입을 수도 있다고 했다. 이런 윤회설은 힌두교나 불교의 윤회설과 상당히 근접해 있다.
(중략)
오늘날 서양과학의 뿌리로 여겨지는 수학도 피타고라스에게는 종교적 수도의 한 방편이었다.
그는 과학자의 마음으로 수를 탐구한 것이 아니라 우주의 신비를 참구하는 구도자의 마음으로 수를 탐구했다. 그에게 수는 숨겨진 우주의 마음이자 비밀이었다. 그는 바로 수의 비밀을 통해 우주의 조화를 발견했다.
그래서 우주의 조화는 수의 비례에 따라 유지된다고 여겼다. 오르페우스교의 신봉자인 동시에 수학자였던 그가 수와 음악 사이의 비밀을 탐구한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천체의 음악, 즉 별이 돌아가면서 내는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신비한 능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수의 비례를 연구하여 서양 음정학을 확립했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