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윤녕 나는 왜 본질화시키는가.

(5) Facebook

나는 왜 본질화시키는가.
금년에 읽은 책 중 추천하고 싶은 책을 꼽으라면
리사 펠드먼 배럿의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콰메 아피아 앤서니의 <The Lies That Bind: Rethinking Identity>.

배럿은 인지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고, 아피아는 철학자인데 두 책 모두 심리학적 본질주의(psychological essentialism)적 생각을 비판한다.
이 사실을 알고 읽은 건 아닌데 둘 다 수잔 겔만(Susan Gelman)의 논문을 인용(“Psychological Essentialism in Childre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8 (9, September): 404-409). 다른 종교 관련 뇌과학에서도 겔만의 본질주의 논문을 인용하더라.
겔만의 2021년 미시간대 강연: https://www.youtube.com/watch?v=etTPgJHsAKw&t=1672s
겔만은 사람들이 어린 시절부터 세상을 이해할 때 사물이나 생명체에 숨겨진 본질(essence)이 있다고 믿는 경향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 본질은 직접 관찰할 수는 없지만, 사물이 그 정체성을 가지는 이유와 특정 범주(category) 안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특성을 설명한다고. “Essentialism is the view that certain categories have an underlying reality or true nature that one cannot observe directly, but that gives an object its identity, and is responsible for other similarities that category members share.”
겔만에 따르면, 어린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본질을 찾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1. 범주 간 구분: 어린이는 사물을 특정 범주로 나누고, 그 범주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보이지 않는 속성이 있다고 믿는다. 고양이와 개를 구분할 때, 단순히 외형적인 특징만이 아니라 "고양이로 만드는 어떤 본질"이 있다고 생각함.
2. 속성의 불변성: 어린이는 사물이나 생명체의 내재된 본질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새끼 고양이는 어른 고양이로 성장해도 여전히 고양이이며,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믿음.
3. 표면적 특성 이상의 믿음: 표면적으로 관찰되는 특징(모양, 소리 등) 외에, 숨겨진 이유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모양이 토끼처럼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스컹크라면 "스컹크의 본질"을 가진 것으로 간주.
겔만은 심리학적 실험을 통해 어린이가 본질주의적으로 생각하는 여러 사례를 제시한다:
1. 변형 실험: 어린이에게 토끼와 스컹크를 보여준 뒤, 스컹크가 토끼처럼 보이도록 변형되었다고 설명한다. 어린이는 "겉모습이 바뀌더라도, 스컹크는 여전히 스컹크다"라고 답하며, 본질적인 정체성이 겉모습을 초월한다고 간주한다.
2. 범주와 내재적 속성: 어린이는 표면적 특성이 달라 보이는 생물이라도 같은 범주에 속하면 공통적인 본질을 공유한다고 생각한다. 새의 모양과 색이 다르더라도, "모두 새다"는 본질적 공통점을 인식함.
3. 생물학적 본질주의: 어린이는 생물이 환경의 영향을 받아도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호랑이가 사육장에서 자라도 "야생 동물로서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4. 사회적 범주와 본질주의: 어린이는 사회적 범주(예: 성별, 인종)에 대해서도 본질주의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어린이는 "여자들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고정된 관념을 보일 수 있음. 이는 본질주의적 생각의 한 예이다.
본질주의적 생각은 어린 시절에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이는 아이들이 세상을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분류하려는 인지적 전략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는 생물학적 대상뿐 아니라, 성별, 인종, 직업 등 사회적 범주에도 적용되어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컨대, "여성은 감정적이고 남성은 이성적이다"는 믿음은 사회적 본질주의가 편견으로 작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아피아는 정체성과 문화적 본질주의를 비판한다. 그는 특정 집단(예: 인종, 민족, 성별)의 특성이 본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보는 사고방식을 문제 삼는다. 아피아는 이러한 본질주의가 정체성을 단일한 특징으로 단순화하여 개인과 집단의 다양성을 간과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정체성을 사회적 구성물로 보며, 변화 가능하고 맥락 의존적이라고 설명한다.
배럿은 뇌와 감정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비판한다. 특히, 폴 에크먼(Paul Ekman)과 같은 심리학자들이 제안한 기본 감정 이론을 비판하는데, 이 이론은 인간이 보편적인 "기본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감정은 특정한 뇌 구조나 회로에 고정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주장한다. 감정을 고정되고 보편적이며 특정한 뇌 구조와 연결된 것으로 본다. 복잡한 감정 경험을 단순화하여 인간의 개별적 경험과 문화적 맥락을 배제한다.
배럿은 population thinking이라는 다윈주의적 사고방식을 감정과 뇌 연구에 적용한다. 감정은 특정 뇌 영역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다양성), 뇌의 여러 영역이 상황에 따라 협력하여 만들어낸 가변적이고 동적인 결과이다. 감정은 생물학적 요소뿐만 아니라 문화적, 개인적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감정은 특정 뇌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뇌의 네트워크 활동에 의해 창발적으로 형성된다.
내 R서사에서 내가 숨을 어떻게 본질화시키는지, 그리고 그걸 지적당할 때까지 이해하는데 시간이 꽤나 걸린다. 겔만은 본질주의가 일반명제를 통해 전달되고 교육된다고 한다. "Generics transmit essentialism." "숨은 생명 유지를 위한 필수 행위다"라는 일반명제에서 숨을 사람의 본질로 보는 생각이 나온 셈. 어린 시절 형성된 본질주의적 생각은 자동적이고 직관적으로 죽을 때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을 듯. 본질주의가 어느 정도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시켜 판단해 결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그것이 우리의 사고를 제한하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성찰하는 건 얼마나 고된 과정인가.

Byung-Chul Han’s Burnout Society: Our Only Imperative is to Achieve | Philosophy Break

Byung-Chul Han’s Burnout Society: Our Only Imperative is to Achieve | Philosophy Break


Byung-Chul Han’s Burnout Society: Our Only Imperative is to Achieve
In his 2015 work Burnout Society, the philosopher Byung-Chul Han argues a cult of individual achievement has led to mass burnout and depression across society. Resisting burnout is simple, but easier said than done: we must slow down, and rediscover how to think.


Jack MadenBy Jack Maden  |  November 2023



In his short but powerful 2015 work Burnout Society, the South Korean-born, Berlin-based philosopher Byung-Chul Han suggests that modern society is gripped by an ‘imperative to achieve’ — and that mass burnout and depression is the result.



Han begins his analysis by reflecting on how the norms that govern society have changed in recent decades.

No longer do we live in a society characterized by hard institutional power, a society described by the 20th-century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as closed, brutish, oppressive — a “disciplinary world of hospitals, madhouses, prisons, barracks, and factories,” Han writes.

For, in the 21st-century, such a world has been replaced by…

a society of fitness studios, office towers, banks, airports, shopping malls, and genetic laboratories.

We are no longer the “obedience-subjects” of disciplinary society, Han claims, but the “achievement-subjects” of achievement society.

And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21st-century achievement-society we live in today has led to tremendous psychic change.

One way this changes comes out is that depression, rather than oppression, is now the sickness of the age.

For, while obedience-society was characterized by negativity, by holding people in line with ‘should’, achievement-society is characterized by positivity, and its operative word is ‘can’ — its popular plural: ‘Yes, we can.’

And it is precisely this insistent, excess positivity that creates conditions ripe for burnout and depression, Han writes:



The complaint of the depressive individual, ‘Nothing is possible,’ can only occur in a society that thinks, ‘Nothing is impossible.’

But, beyond this backdrop of excess positivity, what else is it about modern society that drives people to burn out?

Han introduces two key concepts here: hyperattention, and self-exploitation. Let’s look at each in turn.

Rather than truly contemplate, we now enter states of ‘hyperattention’
The excess positivity of modern, achievement-based society also expresses itself through excess stimuli, information, and impulses, Han says.

He compares our situation as modern humans to animals in the wild whose survival depends on scattering their attention between various stimuli. He writes:

The attitude toward time and environment known as ‘multitasking’ does not represent civilizational progress. Human beings in the late-modern society of work and information are not the only ones capable of multitasking. Rather, such an aptitude amounts to regression. Multitasking is commonplace among wild animals. It is an attentive technique indispensable for survival in the wilderness.



While eating, for instance, an animal in the wild must remain on constant alert — looking out for threats, mates, rivals, predators, and so on. Han writes:

The animal cannot immerse itself contemplatively in what it is facing because it must also process background events.

This reflects our modern mental state — a state Han labels “hyperattention”.

Hyperattention, Han tells us, is characterized by “a rash change of focus between different tasks, sources of information, and processes”, where perception becomes “fragmented and scattered.”

Perhaps we can all relate to instances of this: using our phones while watching TV, the frantic flipping between tabs on an internet browser, having a conversation with someone who isn’t really listening…

The transition to a technological achievement-society, where there is an ever greater influx of stimuli and information, is thus “bringing human society deeper and deeper into the wilderness,” Han writes:

Concern for the good life… is yielding more and more to the simple concern for survival.

In achievement-society, we are the ‘entrepreneurs’ of ourselves, and exploit ourselves in the name of productivity and achievement
Beyond hyperatten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achievement-subject is that we no longer need to be pressured into maximizing our productivity by an external power.



For, in a society where the only imperative is to achieve, no other constraints are needed. No coercion is required: having internalized the goals of optimal performance and achievement, we exploit ourselves.

As Han puts it:

[T]he disappearance of domination does not entail freedom. Instead, it makes freedom and constraint coincide. Thus, the achievement-subject gives itself over to compulsive freedom — that is, to the free constraint of maximizing achievement. Excess work and performance escalate into auto-exploitation.

We think that by turning ourselves into performance machines we are exercising our ultimate individual freedom — that it is our free choice to ‘be the best we can be’, to ‘optimize’ ourselves and achieve as much as possible — but really by doing so we rid ourselves of any freedom worth having. Han writes:

The exhausted, depressive achievement-subject grinds itself down, so to speak. It is tired, exhausted by itself, and at war with itself. Entirely incapable of stepping outward, of standing outside itself, of relying on the Other, on the world, it locks its jaws on itself; paradoxically, this leads the self to hollow and empty out. It wears out in a rat race it runs against itself.



The problem is not competition among individuals, Han says; the problem is that we are competing with ourselves. This “self-referentiality… escalates into absolute competition.” In other words:

[T]he achievement-subject competes with itself; it succumbs to the destructive compulsion to outdo itself over and over, to jump over its own shadow. This self-constraint, which poses as freedom, has deadly results.

Indeed, once we begin competing against ourselves, the race is unending. This, Han says, is what leads to burnout:

Burnout, which often precedes depression, does not point to a sovereign individual who has come to lack the power to be the ‘master of himself.’ Rather, burnout represents the pathological consequence of voluntary self-exploitation.

We thus find ourselves in a rather bizarre situation where people are seemingly voluntarily exploiting themselves and burning themselves out. As Han neatly summarizes:

Achievement society is the society of self-exploitation. The achievement-subject exploits itself until it burns out.




How has self-exploitation come about?
Han thinks self-exploitation is simply the latest stage of capitalism — f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pitalist system, it’s a much more efficient way of doing things. As Han puts it:

Auto-exploitation is more efficient than allo-exploitation [i.e. external-exploitation] because a deceptive feeling of freedom accompanies it.

Rather than being pressured to maximize our individual productivity by external forces, we now willingly expolit ourselves in the name of individual achievement.



We maximize our own performance because we feel that by doing so we are effectively exercising our individual freedom, and becoming the best version of ourselves. Han continues:

The exploiter is simultaneously the exploited. Exploitation now occurs without domination. That is what makes self-exploitation so efficient. The capitalist system is switching from allo-exploitation to auto-exploitation in order to accelerate.

So, what should we do? How can we resist Burnout Society?
Han is not as detailed in his recommended solution as he is in his diagnosis, but some hints of how we might face up to ‘Burnout Society’ can be drawn together.

For one, Han thinks that the great cultural highpoints of humanity — the hallmarks of the good life — owe their existence not to hyperactivity but to deep, contemplative attention. He writes:

Culture presumes an environment in which deep attention is possible. Increasingly, such immersive reflection is being displaced by an entirely different form of attention: hyperattention.

Elsewhere, he writes that

hyperactivity represents an extremely passive form of doing, which bars the possibility of free action.



And that hyperactivity, hysterical work, and production are

The reaction to a life that has become bare and radically fleeting.

In other words, the relentless exploitation and optimization of ourselves is filling a void.

And, by hurtling into every project, by scattering our attention across multiple tasks and endless scrolling, we bar ourselves from ever finding ways to properly fill this void.

Filling the void properly requires deep, careful contemplation, Han suggests; but in a society of excess stimulation, opportunities for such thoughtfulness prove elusive. Often, thinking degrades into “mere calculation”, and the “weighing of consequences.”

To reclaim our aptitude for deep contemplation, we need to welcome boredom back into our lives. We need to slow down, resist constant stimulation, and give our psyches room to breathe.

We might sloganize such an approach as follows:

Less calculation, more contemplation
Less optimization, more leisure
Not ‘side hustles’, but cultivation
Rather than see ourselves as the fast-moving entrepreneurs of our own lives, perhaps as Nietzsche recommended we might instead style ourselves as the thoughtful, perceptive poets of our own lives.



All this of course is much easier said than done, but Han thinks accessing the good life means not yielding to the (ultimately passive) hysteria of hyperattention and maximal-production. As Nietzsche’s Zarathustra declares:

All of you who are in love with hectic work and whatever is fast, new, strange — you find it hard to bear yourselves, your diligence is escape and the will to forget yourself. If you believed more in life, you would hurl yourself less into the moment. But you do not have enough content in yourselves for waiting — not even for laziness!

Hyperattention and hyperactivity are forms of escapism that serve only endless production; they dehumanize us.

In our quest for the good life, Han thinks, slowing down, resisting constant stimulation, and rediscovering how to contemplate might be our greatest ‘achievements’ of all.

What do you make of Han’s analysis?
Is Han’s distinction between ‘disciplinary society’ and ‘achievement society’ effective?
Do you agree that depression is the sickness of a society that suffers from excess positivity?
Does the idea of ‘hyperattention’ resonate with you?
Do you see any aspects of yourself in Han’s ‘achievement-subject’?
Do you think self-exploitation is in itself a problem? Is maximizing performance a bad thing? Or is it just when it leads to burnout?
What do you make of Han’s claim that we need to rediscover the ability to contemplate? How do you think more / deeper contemplation would improve your life?
What might lie ‘beyond’ achievement society? What, instead of achievement, might be a better imperative to live by?


Learn more about Han’s Burnout Society
If you’d like to learn more about Han’s dissection of contemporary culture, his 2015 book Burnout Society is a short but illuminating read. Its first chapter, in which Han discusses pandemics, makes for rather ironic reading this side of Covid, but the remainder of the work remains as incisive and timely as ever.



The Internet’s New Favorite Philosopher | The New Yorker

The Internet’s New Favorite Philosopher | The New Yorker




The Internet’s New Favorite Philosopher
Byung-Chul Han, in treatises such as “The Burnout Society” and his latest, “The Crisis of Narration,” diagnoses the frenetic aimlessness of the digital age.
By Kyle ChaykaApril 17, 2024



Photograph by Alberto Cristofari / Contasto / Redux

Save this story


“The power to change one’s life comes from a paragraph, a lone remark,” James Salter wrote in his 1975 novel, “Light Years.” An encounter with a single “slender” line of writing, as he put it, can send a reader spinning off on a new trajectory; her life becomes divided into a before and an after the moment of reading. For Kevin Maret, an undergraduate art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Idaho, that moment came while reading “In the Swarm: Digital Prospects,” a slim monograph by the philosopher Byung-Chul Han that was first published in English by M.I.T., in 2017. In May of 2023, while scrolling Instagram, Maret encountered a video gloss on Han’s work; Maret was intrigued enough that he borrowed “In the Swarm” from his university library. Han’s writing, polemical and aphoristic, spoke to Maret’s experience of growing up on social media, and crystallized for him the lack of control he felt regarding his relationship to the Internet. In a recent conversation, Maret pointed out a few of his favorite lines: “The occupants of the digital panopticon are not prisoners. Their element is illusory freedom. They feed the digital panopticon with information by exhibiting themselves and shining a light on every part of their lives.” He told me, of the book, “The first time I read it, I read it in two hours.”

Since then, Maret has kept “In the Swarm” out on library loan and carries it with him like a talisman. “I can put this in a jacket pocket if I walk down to the coffee shop or the field by my house,” he told me. He stocked up on other books by Han: “The Transparency Society,” “Saving Beauty,” and “The Agony of Eros,” which are all written in the same pamphletary format, somewhere between manifesto and essay, and mostly run under a hundred pages. Maret is part of a growing coterie of readers who have embraced Han as a kind of sage of the Internet era. Elizabeth Nakamura, a twentysomething art-gallery associate in San Francisco, had a similar conversion experience, during the early days of pandemic lockdown, after someone in a Discord chat suggested that she check out Han’s work. She downloaded “The Agony of Eros” from Libgen, a Web site that is known for pirated e-books. (She possesses Han’s books only in PDF form, like digital samizdat.) The monograph argues that the overexposure and self-aggrandizement encouraged by social media have killed the possibility of truly erotic experience, which requires an encounter with an other. “I’m like queening out reading this,” she told me, using Gen Z slang for effusive enjoyment—fangirling. “It’s a meme but not in the funny way—in the way that it’s sort of concise and easily disseminated. I can send this to my friends who aren’t as into reading to help them think about something,” she said. Like a Sartre for the age of screens, Han puts words to our prevailing condition of not-quite-hopeless digital despair.


Born in 1959 in South Korea, Han originally studied metallurgy in Seoul, to placate his parents, who wanted him to take up a practical discipline. When he was twenty-two, he moved to Germany; he pledged to continue his studies but switched to philosophy, with a focus on Martin Heidegger. In 1994, he got a Ph.D. from the University of Freiburg, and then began teaching phenomenology, aesthetics, and religion, eventually landing at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He has published steadily throughout the past two decades, but has shunned interviews and has rarely travelled outside of Germany. John Thompson, the director of Polity, an independent publisher in the United Kingdom that has put out fourteen of Han’s books since 2017, told me the demand for his work has grown largely by word of mouth. “There has been this grassroots reception of Byung-Chul Han that has driven the demand, and it’s not the conventional way of major review coverage,” he said. Thompson continued, “He’s like an engine. The ideas and the books are just flowing.”


Han’s breakout work was “The Burnout Society,” originally published in German, in 2010. Nearly a decade before the writer Anne Helen Petersen tackled “millennial burnout,” Han diagnosed what he called “the violence of positivity,” deriving from “overproduction, overachievement, and overcommunication.” We are so stimulated, chiefly by the Internet, that we paradoxically cannot feel or comprehend much of anything. One of the ironies of Han’s writing is that it travels easily through the very channels that he despairs of. By condensing his ideas into brief, unadorned sentences, Han flatters the reader into almost feeling as though she has thought the thoughts herself. “The Burnout Society” and Han’s other books now star in countless YouTube explainer videos and TikTok summaries. His ideas have particularly struck a chord with readers who deal in aesthetics—artists, curators, designers, and architects—even though Han has not quite been embraced by philosophy academe. (An essay in the Los Angeles Review of Books in 2017 cautiously labelled him “as good a candidate as any for philosopher of the moment.”) His work has been translated into more than a dozen languages. According to the Spanish newspaper El País, “The Burnout Society” has sold more than a hundred thousand copies across Latin America, Korea, Spain, and Italy. A museum director in Beijing told me, “The Chinese art world is obsessed with him.” Alberto Olmos, a well-known Spanish author and critic, described Han to me as a “wonderful DJ of philosophy,” spinning together references—Barthes, Baudrillard, Benjamin—in catchy new combinations. In 2023, in an interview with Dazed Korea, the K-pop star RM, from the band BTS, recommended “The Agony of Eros,” adding, “You might find yourself deeply frustrated because the book suggests that the love we are currently experiencing is not love.”


My own first encounter with Han was “Non-things,” which I found positioned prominently in the small-press section of an independent bookstore. I was drawn by its gnomic title and the postmodern collage on its cover: a photograph of skyscrapers seen from within a city, spliced with a photo of skyscrapers shot from above, turning the buildings into a geometric abstraction. In “Non-things,” Han argues that online we encounter a glut of information—i.e., non-things—that distracts us from having experiences with objects in the world: “The digital screen determines our experience of the world and shields us from reality.” The best way to read Han is similar to the best way of reading the Bible: flip through, find an evocative line, and proceed from there. Each sentence is a microcosm of the book, and each book is a microcosm of the œuvre, thus the reader need not delve too deep to get the point. “The smartphone is a mobile labour camp in which we voluntarily intern ourselves,” Han writes in “Non-things.” Spicy! It is a koan to meditate upon, and a description that immediately makes one hate oneself for staring at a screen. I kept reading because I felt like I had to, in case Han might be able to offer me some salvation.

Han’s latest book in English translation, “The Crisis of Narration,” was published in the U.S. earlier this month. (Like comic books, the volumes seem to roll out one extended, episodic narrative; all of the Polity editions have similar cover designs, forming a coherent visual brand.) The book is about the decline of “storytelling,” which in Han’s argument is an endangered mode of establishing meaning in an age dominated by the bullet points and edited clips of content that we consume online. The book builds upon the argument of “Non-things,” but, instead of lamenting a dearth of real-life objects, Han laments our ability to narrativize our “lived moments.” “For digital platforms, data are more valuable than narratives. They do not want narrative reflection.” Is this why my life as documented on Instagram doesn’t actually add up to a unified whole, despite all the time and labor I’ve invested into curating my account? Han’s concept of “information,” the opposite of narration, which requires a kind of non-data-driven capacity for imaginati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content,” the catchall term that both describes and denatures twenty-first-century culture into so much undifferentiated mush. In “The Crisis of Narration,” Han writes, “In digital late modernity, we conceal the nakedness—the absence of meaning in our lives—by constantly posting, liking, and sharing. The nois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s supposed to ensure that life’s terrifying vacuity remains hidden.”


To that, the Internet-addled brain simply wants to respond: “Yas queen!!! Byung-Chul Han, run me over with a truck.” If you are a denizen of social media, to read Han is to feel both dragged and affirmed. His status as a kind of philosophy daddy to a younger generation is reinforced by the scant glimpses that readers get of his personal image. In photographs, he wears mainly shades of black, often with a broken-in but still elegant leather jacket and a thin scarf. His long hair is pulled back into a ponytail, and his skin glows like an influencer’s. His telegenic quality belies his isolation from the media ecosystem. He is not on social platforms; he told El País in a rare interview that he writes three sentences a day and spends most of his time caring for his plants and playing Bach and Schumann on the piano. His aura of offlineness—we craven online people might be tempted to call it a personal brand—seems to confirm that he has access to some wisdom that the rest of us lack.



Charles Pidgeon, a doctoral student in the University of Oxford’s English faculty, who studies literature about the Internet, described Han’s work as “kind of old-fashioned humanism: What are you taking from this? Something that should reorient your relationship to the world and to your own life.” But he added that Han’s digestible grand pronouncements don’t always hold up to close scrutiny. “There are a lot of things you can pick holes at,” Pidgeon told me. He pointed to “The Burnout Society” ’s argument that humanity has shifted from an “immunological society,” characterized by barriers, to a “neuronal society,” characterized by boundlessness and frictionless circulation. Of course, the COVID pandemic signalled an extreme return to an immunologically organized world, which had not really gone away. “The kind of reductive clarity which is so important to how his writing functions is also part of the risk of it going very wrong,” Pidgeon said.

In “The Crisis of Narration” especially, Han runs the risk of speaking with too much curmudgeonly distance from his subject matter. He rightly observes “the present hype around narratives,” which might include the mania for “storytelling” in corporate marketing or the rampant popularity of TED talks. He argues that, though “stories” is a buzzword, we have lost a true, deeper capacity for narrative meaning-making. (Here he evokes the archetypal “fire around which humans gather to tell each other stories.”) He describes posting on social media as “pornographic self-presentation or self-promotion”—which is fair enough. There is little in his writing, however, to acknowledge that digital spaces can also produce meaningful experiences, an oversight that, at this point in the twenty-first century, seems almost quaint. We don’t read Han for a holistic orthodoxy; it’s hard to blame a sixty-something-year-old for not grasping TikTok’s paradoxical way of fostering both exploitative and emancipatory forms of expression. But he overlooks the way that social media enables self-narrativization, the construction and projection of a personal identity, with a freedom that was never possible in the top-down hierarchy of traditional media. For many people, the Internet is the new campfire.

One has to wonder what Han makes of the way that his own ideas have flourished in the Internet information economy, within the avalanche of non-things. When we read about the Internet, we so often crave an answer or a solution: Is a technology good or bad? How can we escape it? Han is not in the business of offering solutions or bullet-pointed life hacks, but online his writing can be readily turned into convenient, digestible lessons. (One TikTok caption: “Byung-Chul Han and self optimization #capitalism #marxism #therapy.”) Han’s books “critique excess digital consumption but are also compatible with it,” Pidgeon told me. They can be used as “another fashionable or modish set of thoughts to be pushed through S.E.O. and imbibed in little chunks by people,” he added. “That’s the real trap of it. You can never be outside of the system that you’re trying to talk about.” But Han’s ardent, almost brutalist style is also designed to speak for itself, and in that sense it resists digital culture’s way of forcing a person to stand in for his creative output. Part of Han’s revelation to readers is that they do not have to be a persona. If Han posted his own TikTok videos, most commenters would probably just ask what brand of leather jacket he was wearing. (Honestly, I want to know that, too.) Perhaps we should take his writing as an incitement to live our own offline lives instead. Until we put his ideas into practice, though, his writing offers an aspirational symbol to tote around, to flip through, to explain to our friends. As Maret, the University of Idaho student, put it, “The Han Hive is activated.” ♦

"자폐 가진 형은 제게 문화인류학 이해시켜준 스승이죠"

"자폐 가진 형은 제게 문화인류학 이해시켜준 스승이죠"


"자폐 가진 형은 제게 문화인류학 이해시켜준 스승이죠"
구은서2025. 7. 29.
<야생의 실종> 저자 이노세 고헤이 인터뷰


<야생의 실종> 저자 이노세 고헤이가 지난 28일 서울 북촌 김영사 사옥에서 진행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집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김영사 제공

"이 책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관계에 대한 책일 뿐 아니라 모든 '차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야생의 실종> 저자 이노세 고헤이 교수는 지난 28일 서울 북촌 김영사 사옥에서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이해와 소통은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5월 한국에 책이 출간된 이후 처음 방한한 이노세 교수는 이날 북토크 행사에서 한국 독자들을 만났다.

이노세 교수는 메이지가쿠인대 교양교육센터에서 문화인류학과 자원봉사학을 연구하고 있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99년부터 장애인들이 지역과 호흡하며 농사를 짓는 '미누마 논 복지농원' 활동에 참여해왔다.

그의 책 <야생의 실종>은 '우리는 이해하기 힘든 타자와 공존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 이노세 교수는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며 장애인과의 관계뿐 아니라 말 못하는 어린아이를 대하는 일, 부모님이나 배우자, 직장동료와의 관계를 되돌아본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자는 지적 장애와 자폐증이 있는 형 료타의 '싯소'를 겪으며 장애와 비장애를 가르는 경계와 그를 뛰어넘는 공존에 대해 고찰한다. '싯소'는 일본어에서 '실종(失踪)' 또는 '질주(疾走)'를 의미하는 발음으로, 저자는 두 의미를 모두 담아 히라가나로 표기했다. 형은 말 없이 집을 나가버려 경찰이나 이웃, 가족의 도움으로 집에 돌아오곤 한다. 이노세 교수는 형의 '싯소'를 장애와 비장애, 정상과 비정상을 가르는 선을 뛰어넘는 질주로 이해한다.

료타는 현재 장애인 시설이 아닌 셰어하우스에서 방문 도우미의 지원을 받으며 살아간다. 이노세 교수는 "일본에서도 장애인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부모 집에서 지내거나 시설에 갇혀 생활하는 게 보편적"이라며 "이럴 경우 사회와의 관계가 막혀버릴 수 있다"고 했다.

물론 료타가 사회와 연결되는 시도가 언제나 낭만적인 건 아니다. 형이 '싯소' 후 집에 돌아왔을 때 가족들은 그의 무릎에 상처가 생겼다는 걸 알아차린다.

그럼에도 책은 장애 문제를 사회로부터 단절시키는 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멈추는 일이야말로 큰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짚는다. 책에서 언급하는 쓰쿠이야마유리엔 사건이 이를 보여준다. 이 사건은 2016년 장애인 시설에서 일하던 20대 남성이 입소자 19명을 흉기로 살해하고 26명에게 중상을 입힌 장애인 혐오범죄다. 범인은 '의사소통이 안 되는 사람은 살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야생의 실종>의 주인공 이노세 료타. 저자 이노세 고헤이 교수는 인터뷰 중 "이번 방한에 형 료타와 동행하지 못해 아쉽다"며 노트북을 열고 형의 사진을 보여줬다. 김영사 제공

사회와 연결되려는 노력은 료타와 가족들에게 '저항'의 성격을 갖는다. 이노세 교수의 부모는 중학교 졸업여행 비디오 속 료타가 동네 친구들과 어울리며 즐겁게 웃는 모습을 보고 양호학교(일본의 특수학교) 대신에 같은 지역의 고등학교 진학을 결심한다. 살고 있는 지역의 정시제 고등학교(야간학교)에 진학하는 데에는 6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이노세 교수는 "형이 고등학교에 입학할 무렵 양호학교 의무제도라는 게 생겼다"며 "학교에 갈 수 없던 장애아동들을 위한 양호학교를 만들자고 시작됐는데, 일반학교에 다니던 장애아도 멀리 떨어진 양호학교로 옮기도록 하면서 반대운동이 일었다"고 설명했다. "젊어서 학생운동을 했던 저희 아버지는 '료타가 작은 몸으로 책가방을 메고 학교로 가는 모습은 마치 내가 시위를 진압하는 기동대랑 맞서 싸우던 모습 같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책은 형의 발자취를 좇으며 문화인류학의 다양한 주제를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문화인류학자 주앙 비엘이 1997년 브라질 정신장애인 격리시설을 조사한 일화,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등이 언급된다. 이노세 교수는 "이 책을 쓰는 과정에서 형은 연구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제게 인류학 이론을 이해시켜준 선생님이었다"며 "인류학 이론이 깊어지면서 제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 많았는데, 가까운 존재인 형을 통해 그제야 이해했다"고 말했다.

문화인류학자로서 그의 최근 연구 주제는 '안피나무(산닥나무)'다. 일본 전통종이 화지의 재료로 쓰이는 이 나무는 인위적 재배가 불가능해 자연에서 채집해야 한다. 이노세 교수는 "고치현에서 안피나무 재배를 시도 중인 노인들 중에는 어려서 만주에 끌려갔던 사람 등 일본 정부가 역사에 남기고 싶지 않은 경험을 한 분들이 있다"며 "안피나무로 만든 종이는 3000년 간다고 얘기하는데, 그분들의 기억도 안피나무로 연결해 기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여러 차례 '연결'이라는 단어를 강조했다. '연결'은 <야생의 실종>의 주제이자 성취다. 책이 나온 뒤 NHK에서 이노세 교수 가족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로 제작했는데, 이 방송을 본 어느 교사가 '차이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학생들과 수업을 진행한 것. 이 소식을 메일로 전해준 건 교사와 교류하던 특수학교의 학부모로, 다큐멘터리에도 등장하는 인물이다. 이노세 교수는 "우연이 겹쳐 비장애인 아이들이 장애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책을 쓸 때는 상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여러 독자와 연결될 수 있어 기뻤다"고 했다.

이노세 교수는 책 말미에 이렇게 적었다. "내가 형과 함께 쓴 이 이야기가 당신이 살아온 생생한 경험과 한순간에 겹치기를 바란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

야생의 실종 - 세계와 세계를 잇는 인류학의 질주
이노세 고헤이 (지은이),박동섭 (옮긴이)김영사2025-05-14
























미리보기



책소개
코로나19의 공포가 전 세계를 휩쓸던 2021년 3월의 봄날 새벽, 자폐증과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던 형은 마스크도 쓰지 않고, 달빛 아래 활짝 핀 벚꽃 사이로 질주했다. 그리고 사라졌다. 경찰은 그것을 ‘실종’이라 불렀다.

나는 형이 집을 나간 이유를 추측해보지만, 그 추측은 번번이 어긋나버린다. 내가 형의 발자취를 더듬으면서 간신히 깨닫는 것은, 형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행위는 당연하게도 늘 실패로 끝난다는 사실, 나는 결코 형을 이해할 수도 대변할 수도 없다는 사실이다. 또한, 그럼에도 이 세상의 다른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듯 함께 살아갈 수 있다는 사실이다. 형과 나는 각자의 방식으로 감지한 다른 세계를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형은 ‘실종’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단절된 세계를 가로지르는 ‘질주’였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 실종 혹은 질주 전에

1. 침묵과 목소리
싸우지 않는 것, ‘싯소’하는 것
3월 하순 오전 2시 반에 달려나가다
현대의 야만인, 카타리나의 마음가짐
묵도와 외침1
묵도와 외침2

2. 감귤의 달림
어긋남과 절충
몇몇 죽음과 함께
몇몇 죽음과
대면과 원격
여름귤의 싯소
증여의 교훈

3. 세계를 착란하고 세계를 구축하기
자원봉사의 시작
보름달과 블루임펄스 혹은 우리의 축제에 관하여
노선도의 착란1
노선도의 착란2
트레인 트레인

4. 성급한 포옹
아버지와 염소 아저씨
잠자는 아버지
전도転倒의 다음
실종/질주
선회와 싯소
제비 신화

5. 봄과 아수라
이야기 끝에

맺는 말: 토끼처럼 넓은 초원을
옮긴이의 말
미주
참고문헌
접기


책속에서


P. 26 “익명의 ‘무책임한 인간’이 아니라 ‘고유명을 가진 자기만의 죽음을 맞이하는 한 인간 존재’로서 그 사람을 감지할 때, 비로소 우리는 단죄한 그 사람과 나만의 죽음/대체 불가능한 죽음에 직면한 사람끼리 겨우 연결될 수 있음을 자각하게 된다.”
P. 110 “2020년 봄,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대학 캠퍼스에 학생들이 오지 못하게 되면서 온라인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온라인 수업’과의 대비로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가 ‘대면 수업’이라는 말이다. 그 말에 나는 계속 위화감이 든다.”
P. 137 “야마나시 씨의 여름귤 배달 투어도 단순히 여름귤만이 배달되는 것은 아니다. 그곳에는 음식 대접이 있고 연회가 있으며 옛날이야기와 세상 이야기가 있다. 야마나시 씨와 여름귤의 내방에 맞추어, 근처에 있는 사람들이 모여든다. 받은 많은 여름귤은 자신과 연결된 사람들에게 다시 건네진다. (…) 여름귤을 많은 사람이 먹음으로써 여름귤을 통해, 여름귤을 키우는 노동도, 여름귤이 자라는 산도 이어진다.” 접기
P. 187 “지하철의 규칙성은 사람들의 행동을 규제함으로써 그에 따르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만들어낸다. 사람들은 그것에 따름으로써 쾌적한 이동을 할 수 있고, 그 쾌적한 이동을 통해 자기다운 삶을 만들어낸다. 거기에서 벗어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압력이나 비난에 노출되는 위험과 동전의 양면 같은 관계다. 형의 여행은 상식적인 이동의 이미지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와 내 주위 사람들을 열광시켰다. 형의 여행은 부정적인 힘에 노출되는 것과 종이 한 장 차이이기도 하다.” 접기
P. 244 “사가미댐 건설 순직자 추도회에서 댐 건설로 희생된 희생자와 쓰쿠이야마유리엔에서 살상당한 사람들에게 바치는 묵도의 침묵 속에서, 형은 “아—”라고 외쳤다. 소리 지르는 것을 멈추려고 하던 나는, 때로는 외칠 수 있는데, 소리치지 않는 자신을 깨달았다. 마찬가지로 나는 형이 없어진 것을 실종으로 정리하려고 했다. 하지만, 형의 행선지를 알았을 때, 질주할 수 있는데도, 질주하지 않는 나 자신이 질책당하고 있는 것처럼 느꼈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서로를 알면 알수록’ 좋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강력한 믿음은 너무 단순한 것이 아닐까? 이 책은 ‘타자를 이해하는 것’에 관한 뿌리 깊은 무지를 흔들고 일깨워준다.”
- 박동섭

“우리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과 마주한다. 말로는 닿을 수 없는 형의 흔들리는 세계, 그곳에 우리의 희망이 있다.”
- 마츠무라 케이이치로 (문화인류학자)

“감각적으로 사고하며 질주하는 그와 내면의 야생에 마취된 우리. 그와 우리 사이에 있는 것은 단절이 아니라 연속이며 서로 중첩된 존재임을 상기시킨다.”
- 테라오 사호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 한겨레 2025년 5월 16일자 '책과 생각'
문화일보
- 문화일보 2025년 5월 16일자 '이 책'
조선일보
- 조선일보 2025년 5월 17일자 '한줄읽기'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25년 5월 15일자 '책과 삶'



저자 및 역자소개
이노세 고헤이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오사카대학교 인간과학부를 졸업하고, 도쿄대학교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에서 석사 과정 및 사회인류학 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도쿄도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메이지가쿠인대학교 교양교육센터의 교수이자 같은 대학의 자원봉사센터를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화인류학, 자원봉사학 등이며, 농업, 모닥불 피우기 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99년부터 장애인 간 상호 교류, 지역과의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미누마 논 복지농원 활동에 참여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치면서 장애, 복지, 자원봉사, 환경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마을과 개발》, 《분해자들》, 《자원봉사가 뭐야?》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야생의 실종> … 총 2종 (모두보기)

박동섭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독립연구자. 사상가와 철학자의 언어를 대중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하고 알리고자 애쓰고 있다. 세계에서 유일한 우치다 다쓰루 연구자를 자처하며 『우치다 선생에게 배우는 법』과 『우치다 다쓰루』를 썼다. 이외 『심리학의 저편으로』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동사로 살다』 『레프 비고츠키』 등의 저서를 쓰고, 『무지의 즐거움』 『우치다 선생이 읽는 법』 『도서관에는 사람이 없는 편이 좋다』 『단단한 삶』 『야생의 실종』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근작 : <심리학의 저편으로>,<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큰글자책]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 총 84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김영사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다른 우주의 문법>,<메리 제인의 모험>,<세상은 아름다운 난제로 가득하다>등 총 1,804종
대표분야 : 요리만화 1위 (브랜드 지수 380,651점), 사회/역사/철학 1위 (브랜드 지수 787,282점), 과학 2위 (브랜드 지수 897,495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장애와 소통을 넘어서 외부의 타자가 아니라
내면의 타자를 대면하는 사유와 깨달음의 기록

일본의 문화인류학자인 이노세 고헤이는 갑자기 집을 나가버린 자폐와 지적 장애를 가진 형을 쫓으면서 이 사건이 단순한 실종이 아니라 어떤 가능성을 향한 질주임을 깨닫는다. 저자는 이 경험을 ‘싯소しっそう’, 즉 질주이자 실종이라 명명한다(일본어에서 실종疾走과 질주失踪는 발음이 같은데 이를 히라가나로 표기한 것). 

《야생의 실종》(원제:野生のしっそう)은 그 ‘싯소’에 관한 이야기다. 삶과 몸, 세계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질문 속에서, 존재와 타자 그리고 세계의 관계를 사유하는 한 인류학자의 실존적 탐구이다.

어린 시절, 저자는 형이 ‘장애인’으로 분류되는 순간을 경험한다. 자폐와 지적 장애라는 진단이 붙고, 형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특수학교로 보내야 하는 제약이 생긴다. 형은 ‘보통의 형’이 아닌 ‘돌봄이 필요한 존재’로 바뀌며, 저자와 형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절단선이 생긴다. 세상이 형을 장애인이라 부르기 시작했을 때, 저자는 그것이 세상이 타자를 다루는 방식의 단면임을 어렴풋이 깨닫는다.
사회와 규범이 만들어낸 분리의 선을 인식하면서부터 저자는 형을 주제로 장애인류학 연구를 시작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학문적 시선조차 형과 자신 사이를 가르는 절단선을 지우지 못한다는 걸 알게 된다.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 문화인류학의 ‘거리두기’로는 가장 가까우면서도 이해할 수 없는 형이라는 타자의 존재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결국 저자는 객관적 시선을 유지하는 대신 실종된 형을 뒤쫓는 여정을 그대로 기록하기 시작한다.
《야생의 실종》은 인류학에서 상정하는 ‘외부의 타자’가 아니라, 가장 가까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적 경험과 사유의 기록이다. 학문적 거리두기나 객관적 분석 대신 저자는 동생으로서 형을 쫓으면서 형과 형이 살아가는 세계를 경험하고 사유한다.

이성과 구조에서 경험과 감각으로,
세계를 가로지르는 야생과의 동행

인류학의 고전 《야생의 사고》에서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원시부족에게도 서구문명과 동등한 체계화된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야생의 실종》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간다. 이노세 고헤이는 야생의 ‘구조’가 아닌, 개별적 존재의 고유한 진동을 사유의 시작점으로 삼는다. 형의 질주와 외침, 묵언들은 분석 가능한 ‘구조’가 아니라, 해석을 거부하는 몸의 ‘신호’이자 감각이 된다. 구조가 아닌 개인의 경험, 분류가 아닌 접촉, 해석이 아닌 동행을 통해 형이 살아가는 세계와 연결될 수 있다. 종국적으로 우리가 ‘타자’라고 부르는 존재와 ‘이해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어떻게 함께 살 수 있을지를 모색한다.
책에는 코로나 팬데믹에서 도쿄올림픽과 패럴림픽, 장애인 복지시설에서의 집단 살상 사건까지, 일본 사회를 뒤흔든 다양한 사건들이 등장한다. 세계의 공고한 구조를 상징하는 이 사건들이 형의 ‘싯소’와 맞물려 저자의 일상에 균열을 일으키고, 비로소 저자는 그동안 몰랐던 사회가 만들어놓은 경계선들을 발견하게 된다. 형이 마스크 없이 거리로 뛰쳐나가는 ‘실종’은 사회에서는 한 장애인의 방역수칙 위반 문제에 불과하지만, ‘질주’로 인식하는 순간 그 행동은 사회가 규정한 정상성과 통제의 체제를 뒤흔드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책은 세 개의 선을 따라 전개된다. 첫 번째는 형의 실종과 질주라는 ‘현실의 선’, 두 번째는 그것을 따라가며 사유하는 저자의 ‘인식의 선’, 세 번째는 그 모든 것의 배경이 되는 사회와 국가가 만들어내는 ‘구조의 선’이다. 저자는 이 선들이 만나는 접점을 따라가며, 우리가 인지하지 못했던 일상 속 선들과 세계의 단절을 발견하고, 단절된 세계들을 다시 잇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 사유는 장애를 넘어 가족과의 관계, 그리고 늙음으로 확장된다. 노쇠는 장애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타자성을 드러낸다. 어린 시절 신축 단지였던 본가가 이제는 개보수가 절실한 낡은 구축이 되어버리듯, 아버지는 점점 움직임이 느려지고, 낯설어지고,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해지면서 점점 타자가 된다. 저자는 형과 아버지의 동거를 통해 전통적인 가족의 부활을 기대해 보지만 그런 기대조차도 형과 아버지를 타자화시킨 자신의 헛된 바람이었음을 깨닫는다.

“완전히 이해할 수 없기에
우리는 함께 살아갈 수 있다”

우리는 타자를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이해를 통해 함께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 설명을 통해, 공감을 통해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여긴다. 하지만 이런 생각에는 타자를 완벽히 이해할 수 있다는 오만이 깃들어 있다. 《야생의 실종》은 그 믿음을 단호하게 깨버린다. 이해했다는 착각,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은 관계의 전제가 아니라, 관계를 가로막는 장애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시행착오 끝에, 형을 그 자체로 하나의 세계, 고유한 질서, 감각의 언어로 받아들인다. 그런 의미에서 공존은 완전한 이해의 결과가 아니라 불완전한 연결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이다. 저자는 끝내 형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것이 자폐인 형과 문화인류학자 동생이 함께 살아갈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우리는 어쩌면 서로를 결코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함께 살아갈 수 있다. 공존할 수 있다. 마침내 ‘싯소’한 형을 발견하고 함께 돌아오는 저자의 여정처럼.
단절된 시대, 서로가 서로를 이해할 수 없게 된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야생의 실종》은 마지막으로 묻는다.
“우리는 정말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 우리는 연결될 수 있을까?”
그 질문이 닿는 곳에서 서로의 세계는 다시 연결될 것이다. 



===

종이책구매자au********|2025.09.28|신고/차단
10
/집중돼요
"우리 각자는 타자와 어떤 식으로 대면하며 공존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책
0답글 0
종이책구매자so*******|2025.08.03|신고/차단
10
/쉬웠어요
외부의 타자를 향한 윤리에 기반한 공감각적 이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내부의 타자에 내재한 생성과 분열로서의 무의식적 윤리와 그 포월적 이해에 다다릅니다. 존재할 수 없고 인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무의식적 윤리와 포월적 이해를 내부 타자의 해방과 연대의 힘으로 상정하는 것은, 주체와 객체, 존재와 비존재, 선험과 경험 등을 가로지르는 객체적 실존의 탈형이상학적 탈주의 잠재성을 부각하기 위해섭니다. 내외부의 타자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은 그 어떤 것도 이해 가능하게 열려있음을 내포하며, 차이의 형이상학을 넘어 간극의 실재적 상호 연결과 극복의 가꿔나감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레비나스의 해석학적 실재 비판이 연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