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몸-마음, 젠더, 생태, 평화 Scapbook

Spirituality, Mind-Body, Gender, Ecology, Ageing, Peace, Scrapbook (in English and Korean)

2024/03/10

Saṃsāra - Wikipedia Transmigration/reincarnation, Karmic cycle

Saṃsāra - Wikipedia


                          Saṃsāra

                          • Article
                          • Talk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ansara" redirects here. For the genus of moth, see Sansara (moth). For other uses, see Samsara (disambiguation).
                          Bhavachakra describing the cycle of saṃsāra: illustrated in the wheel are six realms of existence in which a sentient being can reincarnate, according to the rebirth doctrine of Buddhism. Yama, the god of death, is at the top of the outer rim. The outer rim shows the Twelve Nidānas doctrine.

                          Saṃsāra (Devanagari: संसार) is a Pali and Sanskrit word that means "wandering"[1][2] as well as "world," wherein the term connotes "cyclic change"[3] or, less formally, "running around in circles." 

                          Saṃsāra is referred to with terms or phrases such as 

                          transmigration/reincarnation, karmic cycle, or Punarjanman, and "cycle of aimless drifting, wandering or mundane existence".[1][4][5] 

                          When related to the theory of karma it is the cycle of death and rebirth.[1][4][6]

                          The "cyclicity of all life, matter, and existence" is a fundamental belief of most Indian religions.[4][7][8] The concept of saṃsāra has roots in the post-Vedic literature; the theory is not discussed in the Vedas themselves.[9][10]

                           It appears in developed form, but without mechanistic details, in the early Upanishads.[4][11][12] 

                          The full exposition of the saṃsāra doctrine is found in Śramaṇic movements such as early Buddhism and Jainism, as well as various schools of Hindu philosophy after about the mid-1st millennium BCE.[4][12][13] 

                          The saṃsāra doctrine is tied to the karma theory of Hinduism, and the liberation from saṃsāra has been at the core of the spiritual quest of Indian traditions, as well as their internal disagreements.[4][14][15] The liberation from saṃsāra is called Moksha, Nirvāṇa, Mukti, or Kaivalya.[4][5][16][17]

                          Etymology and terminology[edit]

                          Saṃsāra (Devanagari: संसार) means "wandering",[1][2] as well as "world" wherein the term connotes "cyclic change".[3] 

                          Saṃsāra, a fundamental concept in all Indian religions, is linked to the karma theory and refers to the belief that all living beings cyclically go through births and rebirths. The term is related to phrases such as "the cycle of successive existence", "transmigration", "karmic cycle", "the wheel of life", and "cyclicality of all life, matter, existence".[1][6][18] 

                          Many scholarly texts spell saṃsāra as samsara.[6][19]

                          According to Monier-Williams, saṃsāra is rooted in the term Saṃsṛ (संसृ), which means "to go round, revolve, pass through a succession of states, to go towards or obtain, moving in a circuit".[20] A conceptual form from this root appears in ancient texts as saṃsaraṇa, which means "going around through a succession of states, birth, rebirth of living beings and the world", without obstruction.[20] The term shortens to saṃsāra, referring to the same concept, as a "passage through successive states of mundane existence", a transmigration, metempsychosis, a circuit of living where one repeats previous states, from one body to another, a worldly life of constant change, that is rebirth, growth, decay and redeath.[5][20][21]

                          The concept is then contrasted with the concept of moksha, also known as mukti, nirvāṇa, nibbāna or kaivalya, which refers to liberation from this cycle of aimless wandering.[5][20]

                          The concept of saṃsāra developed in the post-Vedic times, and is traceable in the Samhita layers such as in sections 1.164, 4.55, 6.70 and 10.14 of the Rigveda.[11][22][23] While the idea is mentioned in the Samhita layers of the Vedas, there is lack of clear exposition there, and the idea fully develops in the early Upanishads.[24][25] Damien Keown states that the notion of "cyclic birth and death" appears around 800 BC.[26] The word saṃsāra appears, along with Moksha, in several Principal Upanishads such as in verse 1.3.7 of the Katha Upanishad,[27] verse 6.16 of the Shvetashvatara Upanishad,[28] verses 1.4 and 6.34 of the Maitri Upanishad.[29][30]

                          The word saṃsāra is related to Saṃsṛti, the latter referring to the "course of mundane existence, transmigration, flow, circuit or stream".[20]

                          Definition and rationale[edit]

                          The word literally means "wandering through, flowing on", states Stephen J. Laumakis, in the sense of "aimless and directionless wandering".[31] The concept of saṃsār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elief that the person continues to be born and reborn in various realms and forms.[32]

                          The earliest layers of Vedic text incorporate the concept of life, followed by an afterlife in heaven and hell based on cumulative virtues (merit) or vices (demerit).[33] However, the ancient Vedic Rishis challenged this idea of afterlife as simplistic, because people do not live an equally moral or immoral life. Between generally virtuous lives, some are more virtuous; while evil too has degrees, and the texts assert that it would be unfair for god Yama to judge and reward people with varying degrees of virtue or vices, in an "either or,” and disproportionate manner.[34][35][36] They introduced the idea of an afterlife in heaven or hell in proportion to one's merit, and when this runs out, one returns and is reborn.[34][13][37] This idea appears in ancient and medieval texts, as the cycle of life, death, rebirth and redeath, such as section 6:31 of the Mahabharata and section 6.10 of the Devi Bhagavata Purana.[34][18][22]

                          History[edit]

                          The historical origins of a concept of a cycle of repeated reincarnation 

                          or Punarjanman are obscure but the idea appears in texts of both India and ancient Greece during the first millennium BC.[38][39]

                          The idea of saṃsāra is hinted in the late Vedic texts such as the Rigveda, but the theory is absent.[11][40] According to Sayers, the earliest layers of the Vedic literature show ancestor worship and rites such as sraddha (offering food to the ancestors). The later Vedic texts such as the Aranyakas and the Upanishads show a different soteriology based on reincarnation, they show little concern with ancestor rites, and they begin to philosophically interpret the earlier rituals, although the idea is not fully developed yet.[24] It is in the early Upanishads where these ideas are more fully developed, but there too the discussion does not provide specific mechanistic details.[24] The detailed doctrines flower with unique characteristics, starting around the mid 1st millennium BC, in diverse traditions such as in Buddhism, Jainism and various schools of Hindu philosophy.[12]

                          [41][42][43] The evidence for who influenced whom in the ancient times, is slim and speculative, and the odds are the historic development of the Saṃsāra theories likely happened in parallel with mutual influences.[44]

                          Punarmrityu: redeath[edit]

                          While saṃsāra is usually described as rebirth and reincarnation (Punarjanman) of living beings (Jiva),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the idea over its history began with the questions on what is the true nature of human existence and whether people die only once. This led first to the concepts of Punarmṛtyu ("redeath") and Punaravṛtti ("return").[21][45][46] 

                          These early theories asserted that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involves two realities, one unchanging absolute Atman (Self) which is somehow connected to the ultimate unchanging immortal reality and bliss called Brahman,[47][48] and that the rest is the always-changing subject (body) in a phenomenal world (Maya).[49][50][51] 

                          Redeath, in the Vedic theosophical speculations, reflected the end of "blissful years spent in svarga or heaven", and it was followed by rebirth back in the phenomenal world.[52] Saṃsāra developed into a foundational theory of the nature of existence, shared by all Indian religions.[53]

                          Rebirth as a human being, states John Bowker, was then presented as a "rare opportunity to break the sequence of rebirth, thus attaining Moksha, release".[48] Each Indian spiritual tradition developed its own assumptions and paths (marga or yoga) for this spiritual release,[48] with some developing the ideas of Jivanmukti (liberation and freedom in this life),[54][55][56] while others content with Videhamukti (liberation and freedom in after-life).[57][58]

                          The First Truth

                          The first truth, suffering (Pali: dukkha; Sanskrit: duhkha),
                          is characteristic of existence in the realm of rebirth,
                          called samsara (literally “wandering”).

                          —Four Noble Truths, Donald Lopez[59][60]

                          The Sramanas traditions (Buddhism and Jainism) added novel ideas, starting about the 6th century BC.[61] They emphasized human suffering in the larger context, placing rebirth, redeath and truth of pain at the center and the start of religious life.[62] Saṃsāra was viewed by the Sramanas as a beginningless cyclical process with each birth and death as punctuations in that process,[62] and spiritual liberation as freedom from rebirth and redeath.[63] The saṃsāric rebirth and redeath ideas are discussed in these religions with various terms, such as Āgatigati in many early Pali Suttas of Buddhism.[64]

                          Evolution of ideas[edit]

                          Across different religions, different soteriology were emphasized as the saṃsāra theories evolved in respective Indian traditions.[15] 

                          For example, in their saṃsāra theories, states Obeyesekere, the Hindu traditions accepted Ātman or Self exists and asserted it to be the unchanging essence of each living being, 

                          while Buddhist traditions denied such a soul exists and developed the concept of Anattā.[53][15][65] 

                          Salvation (moksha, mukti) in the Hindu traditions was described using the concepts of Ātman (self) and Brahman (universal reality),[66] 

                          while in Buddhism it (nirvāṇa, nibbāna) was described through the concept of Anattā (no self) and Śūnyatā (emptiness).[67][68][69]

                          The Ajivika tradition combined saṃsāra with the premise that there is no free will, while the Jainism tradition accepted the concept of soul (calling it "jiva") with free will, but emphasized asceticism and cessation of action as a means of liberation from saṃsāra it calls bondage.[70][71] 

                          The various sub-traditions of Hinduism, and of Buddhism, accepted free will, avoided asceticism, accepted renunciation and monastic life, and developed their own ideas on liberation through realization of the true nature of existence.[72]

                          In Hinduism[edit]

                          Liberation/release from saṃsāra, called moksha, is considered the ultimate spiritual goal in Hinduism, but its traditions disagree on how to reach this state of eternal bliss.
                          Left: Loving devotion (Bhakti) is recommended in dualistic (Dvaita) Hindu traditions.
                          Right: Meditation (Dhyāna) is recommended in nondualistic (Advaita) Hindu traditions.

                          In Hinduism, saṃsāra is a journey of the Ātman.[73] The body dies, assert the Hindu traditions, but not the Ātman, which it assumes to be the eternal reality, indestructible, and bliss.[73] Everything and all existence is connected, cyclical, and composed of two things: the Self, or Ātman, and the body, or matter.[19] 

                          This eternal Self called Ātman never reincarnates, it does not change and cannot change in the Hindu belief.[19] In contrast, the body and personality, can change, constantly changes, is born and dies.[19] 

                          Current karma impacts the future circumstances in this life, as well as the future forms and realms of lives.[74][75] Good intent and actions lead to good future, bad intent and actions lead to bad future, in the Hindu view of life.[76] The journey of samsara allows the atman the opportunity to perform positive or negative karmas throughout each birth and make spiritual efforts to attain moksha.[77]

                          A virtuous life, actions consistent with dharma, are believed by Hindus to contribute to a better future, whether in this life or future lives.[78] The aim of spiritual pursuits, whether it be through the path of bhakti (devotion), karma (work), jñāna (knowledge), or raja (meditation) is self-liberation (moksha) from saṃsāra.[78][79]

                          The Upanishads, part of the scriptures of the Hindu traditions, primarily focus on self-liberation from saṃsāra.[80][81][82] 

                          The Bhagavad Gita discusses various paths to liberation.[73] 

                          The Upanishads, states Harold Coward, offer a "very optimistic view regarding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and the goal of human effort in these texts is a continuous journey to self-perfection and self-knowledge so as to end saṃsāra.[83]

                           The aim of spiritual quest in the Upanishadic traditions is to find the true self within and to know one's Self, a state that it believes leads to blissful state of freedom, moksha.[84]

                          Differences within the Hindu traditions[edit]

                          All Hindu traditions and Darśanas share the concept of saṃsāra, but they differ in details and what they describe the state of liberation from saṃsāra to be.[85] The saṃsāra is viewed as the cycle of rebirth in a temporal world of always changing reality or Maya (appearance, illusive), Brahman is defined as that which never changes or Sat (eternal truth, reality), and moksha as the realization of Brahman and freedom from saṃsāra.[66][86][87]

                          The dualistic devotional traditions such as Madhvacharya's Dvaita Vedanta tradition of Hinduism champion a theistic premise, assert the individual human Self and Brahman (Vishnu, Krishna) are two different realities, loving devotion to Vishnu is the means to release from saṃsāra, it is the grace of Vishnu which leads to moksha, and spiritual liberation is achievable only in after-life (videhamukti).[88] 

                          The nondualistic traditions such as Adi Shankara's Advaita Vedanta tradition of Hinduism champion a monistic premise, asserting that the individual Atman and Brahman are identical, and only ignorance, impulsiveness and inertia leads to suffering through saṃsāra. In reality they are no dualities, meditation and self-knowledge is the path to liberation, the realization that one's Ātman is identical to Brahman is moksha, and spiritual liberation is achievable in this life (jivanmukti).[69][89]

                          In Jainism[edit]

                          Main articles: Saṃsāra (Jainism) and Karma in Jainism
                          Symbolic depiction of saṃsāra at Shri Mahaveerji temple of Jainism.

                          In Jainism, the saṃsāra and karma doctrine are central to its theological foundations, as evidenced by the extensive literature on it in the major sects of Jainism, and their pioneering ideas on karma and saṃsāra from the earliest times of the Jaina tradition.[90][91] Saṃsāra in Jainism represents the worldly life characterized by continuous rebirths and suffering in various realms of existence.[92][91][93]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aṃsāra doctrine differs between the Jainism traditions and other Indian religions. For instance, in Jaina traditions, soul (jiva) is accepted as a truth, as is assumed in the Hindu traditions, but not assumed in the Buddhist traditions. However, saṃsāra or the cycle of rebirths, has a definite beginning and end in Jainism.[94]

                          Souls begin their journey in a primordial state, and exist in a state of consciousness continuum that is constantly evolving through saṃsāra.[95] Some evolve to a higher state, while some regress, a movement that is driven by karma.[96] Further, Jaina traditions believe that there exist Ābhāvya (incapable), or a class of souls that can never attain moksha (liberation).[94][97] The Ābhāvya state of soul is entered after an intentional and shockingly evil act.[98] Jainism considers souls as pluralistic each in a karma-saṃsāra cycle, and does not subscribe to Advaita style nondualism of Hinduism, or Advaya style nondualism of Buddhism.[97]

                          The Jaina theosophy, like ancient Ajivika, but unlike Hindu and Buddhist theosophies, asserts that each soul passes through 8,400,000 birth-situations, as they circle through saṃsāra.[99][100] As the soul cycles, states Padmanabh Jaini, Jainism traditions believe that it goes through five types of bodies: earth bodies, water bodies, fire bodies, air bodies and vegetable lives.[101] With all human and non-human activities, such as rainfall, agriculture, eating and even breathing, minuscule living beings are taking birth or dying, their souls are believed to be constantly changing bodies. Perturbing, harming or killing any life form, including any human being, is considered a sin in Jainism, with negative karmic effects.[102][93]

                          A liberated soul in Jainism is one who has gone beyond saṃsāra, is at the apex, is omniscient, remains there eternally, and is known as a Siddha.[103] A male human being is considered closest to the apex with the potential to achieve liberation, particularly through asceticism. Women must gain karmic merit, to be reborn as man, and only then can they achieve spiritual liberation in Jainism, particularly in the Digambara sect of Jainism;[104][105] however, this view has been historically debated within Jainism and different Jaina sects have expressed different views, particularly the Shvetambara sect that believes that women too can achieve liberation from saṃsāra.[105][106]

                          In contrast to Buddhist texts which do not expressly or unambiguously condemn injuring or killing plants and minor life forms, Jaina texts do. Jainism considers it a bad karma to injure plants and minor life forms with negative impact on a soul's saṃsāra.[107] However, some texts in Buddhism and Hinduism do caution a person from injuring all life forms, including plants and seeds.[107][108][109]

                          In Buddhism[edit]

                          Traditional Tibetan thangka showing the bhavacakra and six realms of saṃsāra in Buddhist cosmology.[110]
                          Main articles: Saṃsāra (Buddhism), Bhavacakra, and Six realms

                          Saṃsāra in Buddhism, states Jeff Wilson, is the "suffering-laden cycle of life, death, and rebirth, without beginning or end".[111] Also referred to as the wheel of existence (Bhavacakra), it is often mentioned in Buddhist texts with the term punarbhava (rebirth, re-becoming); the liberation from this cycle of existence, Nirvāṇa, is the foundation and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Buddhism.[111][112][113]

                          Saṃsāra is considered permanent in Buddhism, just like other Indian religions. Karma drives this permanent saṃsāra in Buddhist thought, states Paul Williams, and "short of attaining enlightenment, in each rebirth one is born and dies, to be reborn elsewhere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ely impersonal causal nature of one's own karma; This endless cycle of birth, rebirth, and redeath is saṃsāra".[114] 

                          The Four Noble Truths, accepted by all Buddhist traditions, are aimed at ending this saṃsāra-related re-becoming (rebirth) and associated cycles of suffering.[115][116][117]

                          Like Jainism, Buddhism developed its own saṃsāra theory, that evolved over time the mechanistic details on how the wheel of mundane existence works over the endless cycles of rebirth and redeath.[118][119] In early Buddhist traditions, saṃsāra cosmology consisted of five realms through which wheel of existence recycled.[111] This included hells (niraya), hungry ghosts (pretas), animals (tiryak), humans (manushya), and gods (devas, heavenly).[111][118][120] In latter traditions, this list grew to a list of six realms of rebirth, adding demi-gods (asuras), which were included in gods realm in earlier traditions.[111][121] The "hungry ghost, heavenly, hellish realms" respectively formulate the ritual, literary and moral spheres of many contemporary Buddhist traditions.[111][118]

                          The saṃsāra concept, in Buddhism, envisions that these six realms are interconnected, and everyone cycles life after life, and death is just a state for an afterlife, through these realms, because of a combination of ignorance, desires and purposeful karma, or ethical and unethical actions.[111][118] Nirvāṇa is typically described as the freedom from rebirth and the only alternative to suffering of saṃsāra, in Buddhism.[122][123] However, the Buddhist texts developed a more comprehensive theory of rebirth, states Steven Collins, from fears of redeath, called amata (death-free), a state which is considered synonymous with Nirvāṇa.[122][124]

                          In Sikhism[edit]

                          Sikhism incorporates the concepts of saṃsāra (sometimes spelled as Saṅsāra in Sikh texts), karma and cyclical nature of time and existence.[125][126] Founded in the 15th century, its founder Guru Nanak incorporated the cyclical concept of ancient Indian religions and the cyclical concept of time, state Cole and Sambhi.[126][127] However, states Arvind-Pal Singh Mandair,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Saṅsāra concept in Sikhism from the saṃsāra concept in many traditions within Hinduism.[125] The difference is that Sikhism firmly believes in the grace of God as the means to salvation, and its precepts encourage the bhakti of One Lord for mukti (salvation).[125][128]

                          Sikhism, like the three ancient Indian traditions, believes that body is perishable, there is a cycle of rebirth, and that there is suffering with each cycle of rebirth.[125][129] These features of Sikhism, along with its belief in Saṅsāra and the grace of God, is similar to some bhakti-oriented sub-traditions within Hinduism such as those found in Vaishnavism.[130][131] Sikhism does not believe that ascetic life, as recommended in Jainism, is the path to liberation. Rather, it cherishes social engagement and householder's life combined with devotion to the One God as Guru, to be the path of liberation from saṅsāra.[132]

                          See also[edit]

                          • Rebirth (Buddhism)
                          • Rota Fortunae
                          • Resurrection

                          References[edit]

                          Citations[edit]

                          1. ^ Jump up to:a b c d e Mark Juergensmeyer & Wade Clark Roof 2011, pp. 271–72.
                          2. ^ Jump up to:a b Lochtefeld 2002, p. 589.
                          3. ^ Jump up to:a b Klaus Klostermaier 2010, p. 604.
                          4. ^ Jump up to:a b c d e f g Bodewitz, Henk (2019). "Chapter 1 – The Hindu Doctrine of Transmigration: Its Origin and Background". In Heilijgers, Dory H.; Houben, Jan E. M.; van Kooij, Karel (eds.). Vedic Cosmology and Ethics: Selected Studies. Gonda Indological Studies. Vol. 19. Leiden and Boston: Brill Publishers. pp. 3–19. doi:10.1163/9789004400139_002. ISBN 978-90-04-40013-9. ISSN 1382-3442.
                          5. ^ Jump up to:a b c d Shirley Firth (1997). Dying, Death and Bereavement in a British Hindu Community. Peeters Publishers. pp. 106, 29–43. ISBN 978-90-6831-976-7.
                          6. ^ Jump up to:a b c Rita M. Gross (1993). Buddhism After Patriarchy: A Feminist History,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Buddh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48. ISBN 978-1-4384-0513-1.
                          7. ^ Yadav, Garima (2018), "Abortion (Hinduism)", Hinduism and Tribal Religions, Encyclopedia of Indian Religions, Springer Netherlands, pp. 1–3, doi:10.1007/978-94-024-1036-5_484-1, ISBN 978-9402410365
                          8. ^ Flood, Gavin D. (1996),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 A.M. Boyer: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Journal Asiatique, (1901), Volume 9, Issue 18, S. 451–53, 459–68
                          10. ^ Yuvraj Krishan: . Bharatiya Vidya Bhavan, 1997, ISBN 978-81-208-1233-8
                          11. ^ Jump up to:a b c A.M. Boyer (1901),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Journal Asiatique, Volume 9, Issue 18, pp. 451–53, 459–68
                          12. ^ Jump up to:a b c Stephen J. Laumakis 2008, pp. 90–99.
                          13. ^ Jump up to:a b Yuvraj Krishan (1997). The Doctrine of Karma: Its Origin and Development in Brāhmaṇical, Buddhist, and Jaina Traditions. Bharatiya Vidya Bhavan. pp. 17–27. ISBN 978-81-208-1233-8.
                          14. ^ Obeyesekere 2005, pp. 1–2, 108, 126–28.
                          15. ^ Jump up to:a b c Mark Juergensmeyer & Wade Clark Roof 2011, pp. 272–73.
                          16. ^ Michael Myers 2013, p. 36.
                          17. ^ Harold Coward 2008, p. 103.
                          18. ^ Jump up to:a b Yuvraj Krishan (1988), Is Karma Evolutionary?, Journal of Indian Council of Philosophical Research, Volume 6, pp. 24–26
                          19. ^ Jump up to:a b c d Jeaneane D. Fowler 1997, p. 10.
                          20. ^ Jump up to:a b c d e Monier Monier-Williams (1923).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040–41.
                          21. ^ Jump up to:a b Wendy Doniger (1980).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68–69. ISBN 978-0-520-03923-0.
                          22. ^ Jump up to:a b Louis de La Vallée-Poussin (1917). The way to Nirvana: six lectures on ancient Buddhism as a discipline of sal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4–29.
                          23. ^ Yuvraj Krishan (1997). The Doctrine of Karma: Its Origin and Development in Brāhmaṇical, Buddhist, and Jaina Traditions. Bharatiya Vidya Bhavan. pp. 11–15. ISBN 978-81-208-1233-8.
                          24. ^ Jump up to:a b c Stephen J. Laumakis 2008, p. 90.
                          25. ^ Dalal 2010, pp. 344, 356–57.
                          26. ^ Damien Keown 2004, p. 248.
                          27. ^ Katha Upanishad प्रथमोध्यायः/तृतीयवल्ली Archived 8 August 2020 at the Wayback Machine Wikisource
                          28. ^ Shvetashvatara Upanishad षष्ठः अध्यायः Archived 26 October 2020 at the Wayback Machine Wikisource
                          29. ^ Maitri Upanishad Archived 21 November 2020 at the Wayback Machine Wikisource, Quote: ३ चित्तमेव हि संसारम् तत्प्रयत्नेन शोधयेत्
                          30. ^ GA Jacob (1963), A concordance to the Principal Upanishads and Bhagavad Gita, Motilal Banarsidass, pp. 947–48
                          31. ^ Stephen J. Laumakis 2008, p. 97.
                          32. ^ Goa, David J.; Coward, Harold G. (21 August 2014). "Hinduism". The Canadian Encyclo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February 2014. Retrieved 31 July 2015.
                          33. ^ James Hastings; John Alexander Selbie; Louis Herbert Gray (1922).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T. & T. Clark. pp. 616–18. ISBN 9780567065124.
                          34. ^ Jump up to:a b c Jessica Frazier & Gavin Flood 2011, pp. 84–86.
                          35. ^ Kusum P. Merh (1996). Yama, the Glorious Lord of the Other World. Penguin. pp. 213–15. ISBN 978-81-246-0066-5.
                          36. ^ Anita Raina Thapan (2006). The Penguin Swami Chinmyananda Reader. Penguin Books. pp. 84–90. ISBN 978-0-14-400062-3.
                          37. ^ Patrul Rinpoche; Dalai Lama (1998). The Words of My Perfect Teacher: A Complete Translation of a Classic Introduction to Tibetan Buddhism. Rowman Altamira. pp. 95–96. ISBN 978-0-7619-9027-7.
                          38. ^ Norman C. McClelland (2010). Encyclopedia of Reincarnation and Karma. McFarland. pp. 102–03. ISBN 978-0-7864-5675-8.
                          39. ^ Clifton D. Bryant; Dennis L. Peck (2009). Encyclopedia of Death and the Human Experience. SAGE Publications. pp. 841–46. ISBN 978-1-4522-6616-9.
                          40. ^ Vallee Pussin (1917). The way to Nirvana: six lectures on ancient Buddhism as a discipline of sal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4–25.
                          41. ^ Gavin D. Flood (1996),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8780, p. 86, Quote: “The origin and doctrine of Karma and Samsara are obscure. These concepts were certainly circulating amongst sramanas, and Jainism and Buddhism developed specific and sophisticated ideas about the process of transmigration. It is very possible that the karmas and reincarnation entered the mainstream brahmanical thought from the sramana or the renouncer traditions. Ye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is no clear doctrine of transmigration in the vedic hymns, there is the idea of redeath, that a person having died in this world, might die yet again in the next.”
                          42. ^ Padmanabh S. Jaini 2001 “Collected Paper on Buddhist Studies”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1776-1, p. 51, Quote: "Yajnavalkya’s reluctance to discuss the doctrine of karma in public (...) can perhaps be explained by the assumption that it was, like that of the transmigration of Atman, of non-brahmanical origin. In view of the fact that this doctrine is emblazoned on almost every page of sramana scriptures, it is highly probable that it was derived from them."
                          43. ^ Govind Chandra Pande, (1994) Life and Thought of Sankaracarya,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1104-6, p. 135, Quote: (...) They Sramanas could have been connected with the Harappan Civilization which is itself enigmatic. It seems that some Upanishad thinkers like Yajnavalkya were acquainted with this kind [sramanic] thinking (...) and tried to incorporate these ideas of Karma, Samsara and Moksa into the traditional Vedic thought.
                          44. ^ Wendy Doniger (1980).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xvii–xviii. ISBN 978-0-520-03923-0.; Quote: "There was such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Vedism and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that it is fruitless to attempt to sort out the earlier source of many doctrines, they lived in one another's pockets, like Picasso and Braque (who were, in later years, unable to say which of them had painted certain paintings from their earlier, shared period)."
                          45. ^ Buitenen 1957, pp. 34–35.
                          46. ^ Mircea Eliade 1987, pp. 56–57.
                          47. ^ Jessica Frazier & Gavin Flood 2011, p. 18.
                          48. ^ Jump up to:a b c John Bowker 2014, pp. 84–85.
                          49. ^ Jessica Frazier & Gavin Flood 2011, pp. 18–19, 24–25.
                          50. ^ Harold Coward 2012, pp. 29–31.
                          51. ^ John Geeverghese Arapura 1986, pp. 85–88.
                          52. ^ Robert S. Ellwood; Gregory D. Alles (2007).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Infobase Publishing. pp. 406–07. ISBN 978-1-4381-1038-7.
                          53. ^ Jump up to:a b Obeyesekere 1980, pp. 139–40.
                          54. ^ Klaus Klostermaier, Mokṣa and Critical Theory, Philosophy East and West, Vol. 35, No. 1 (Jan., 1985), pp. 61–71
                          55. ^ Norman E. Thomas (April 1988), Liberation for Life: A Hindu Liberation Philosophy, Missiology, Volume 16, Number 2, pp. 149–60
                          56. ^ Gerhard Oberhammer (1994), La Délivrance dès cette vie: Jivanmukti, Collège de France, Publications de l'Institut de Civilisation Indienne. Série in-8°, Fasc. 61, Édition–Diffusion de Boccard (Paris), ISBN 978-2868030610, pp. 1–9
                          57. ^ M. von Brück (1986), Imitation or Identification?, Indian Theological Studies, Vol. 23, Issue 2, pp. 95–105
                          58. ^ Paul Deussen,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p. 356, at Google Books, pp. 356–57
                          59. ^ Four Noble Truths, Buddhist philosophy Archived 22 April 2016 at the Wayback Machine, Donald Lopez, Encyclopædia Britannica
                          60. ^ Robert E. Buswell Jr.; Donald S. Lopez J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304–05. ISBN 978-1-4008-4805-8.
                          61. ^ Michael Myers 2013, p. 79.
                          62. ^ Jump up to:a b Michael Myers 2013, pp. 79–80.
                          63. ^ Paul Williams; Anthony Tribe (2000).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Routledge. pp. 18–19, chapter 1. ISBN 0-415207002.
                          64. ^ Thomas William Rhys Davids; William Stede (1921). Pali–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pp. 94–95, Entry for Āgati. ISBN 978-81-208-1144-7.
                          65. ^ [a] Anatta Archived 10 December 2015 at the Wayback Machin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 Quote: "Anatta in Buddhism, the doctrine that there is in humans no permanent, underlying soul. The concept of anatta, or anatman, is a departure from the Hindu belief in atman (“the self”)."; [b] Steven Collins (1994), Religion and Practical Reason (Editors: Frank Reynolds, David Tracy),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22175, p. 64; "Central to Buddhist soteriology is the doctrine of not-self (Pali: anattā, Sanskrit: anātman, the opposed doctrine of ātman is central to Brahmanical thought). Put very briefly, this is the [Buddhist] doctrine that human beings have no soul, no self, no unchanging essence."; [c] Edward Roer (Translator), Shankara's Introduction, p. 2, at Google Books to Brihad Aranyaka Upanishad, pp. 2–4; [d] Katie Javanaud (2013), Is The Buddhist ‘No-Self’ Doctrine Compatible With Pursuing Nirvana? Archived 6 February 2015 at the Wayback Machine, Philosophy Now; [e] David Loy (1982),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 International Philosophical Quarterly, Volume 23, Issue 1, pp. 65–74; [f] KN Jayatilleke (2010),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ISBN 978-8120806191, pp. 246–49, from note 385 onwards;
                          66. ^ Jump up to:a b Moksha Archived 25 October 2020 at the Wayback Machine, Georgetown University
                          67. ^ Stephen J. Laumakis 2008, pp. 68–70, 125–28, 149–53, 168–76.
                          68. ^ Masao Abe; Steven Heine (1995). Buddhism and Interfaith Dialogue.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7–8, 73–78. ISBN 978-0-8248-1752-7.
                          69. ^ Jump up to:a b Loy, David (1982).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 International Philosophical Quarterly. 22 (1): 65–74. doi:10.5840/ipq19822217.
                          70. ^ Padmanabh S Jaini, George L Jart III (1980).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31–33, 228–29. ISBN 978-0-520-03923-0.
                          71. ^ Christopher Partridge (2013).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Fortress Press. pp. 245–46. ISBN 978-0-8006-9970-3.
                          72. ^ George L Jart III (1980).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31–33. ISBN 978-0-520-03923-0.
                          73. ^ Jump up to:a b c Mark Juergensmeyer & Wade Clark Roof 2011, p. 272.
                          74. ^ Mukul Goel (2008). Devotional Hinduism: Creating Impressions for God. iUniverse. p. 6. ISBN 978-0-595-50524-1.
                          75. ^ Christopher Chapple (1986), Karma and creativ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8706-251-2, pp. 60–64
                          76. ^ Jeaneane D. Fowler 1997, p. 11.
                          77. ^ Mishra, R.C (2013). Moksha and the Hindu World View. SAGE Publications. pp. 22–24.
                          78. ^ Jump up to:a b Flood, Gavin (24 August 2009). "Hindu concepts". BBC Online.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April 2014. Retrieved 31 July 2015.
                          79. ^ George D. Chryssides; Benjamin E. Zeller (2014). The Bloomsbury Companion to New Religious Movements. Bloomsbury Academic. p. 333. ISBN 978-1-4411-9829-7.
                          80. ^ Jeaneane D. Fowler 1997, pp. 111–12.
                          81. ^ Yong Choon Kim; David H. Freeman (1981). Oriental Thought: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ought of Asia. Rowman & Littlefield. pp. 15–17. ISBN 978-0-8226-0365-8.
                          82. ^ Jack Sikora (2002). Religions of India: A User Friendly and Brief Introduction to Hinduism, Buddhism, Sikhism, and the Jains. iUniverse. pp. 17–19. ISBN 978-1-4697-1731-9.
                          83. ^ Harold Coward 2008, p. 129.
                          84. ^ Harold Coward 2008, pp. 129, 130–55.
                          85. ^ Jeaneane D. Fowler 1997, pp. 10–12, 132–37.
                          86. ^ H Chaudhuri (1954), The Concept of Brahman in Hindu Philosophy, Philosophy East and West, 4(1), pp. 47–66
                          87. ^ M. Hiriyanna (1995).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pp. 24–25, 160–66. ISBN 978-81-208-1330-4.
                          88. ^ Jeaneane D. Fowler 2002, pp. 340–47, 373–75.
                          89. ^ Jeaneane D. Fowler 2002, pp. 238–40, 243–45, 249–50, 261–63, 279–84.
                          90. ^ Jaini 1980, pp. 217–36.
                          91. ^ Jump up to:a b Paul Dundas (2003). The Jains. Routledge. pp. 14–16, 102–05. ISBN 978-0415266055.
                          92. ^ Jaini 1980, pp. 226–28.
                          93. ^ Jump up to:a b Tara Sethia (2004). Ahimsā, Anekānta, and Jainism. Motilal Banarsidass. pp. 30–31. ISBN 978-81-208-2036-4.
                          94. ^ Jump up to:a b Jaini 1980, p. 226.
                          95. ^ Jaini 1980, p. 227.
                          96. ^ Jaini 1980, pp. 227–28.
                          97. ^ Jump up to:a b Paul Dundas (2003). The Jains. Routledge. pp. 104–05. ISBN 978-0415266055.
                          98. ^ Jaini 1980, p. 225.
                          99. ^ Jaini 1980, p. 228.
                          100. ^ Padmanabh S. Jaini (2000).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Motilal Banarsidass. pp. 130–31. ISBN 978-81-208-1691-6.
                          101. ^ Jaini 1980, pp. 223–24.
                          102. ^ Jaini 1980, pp. 224–25.
                          103. ^ Jaini 1980, pp. 222–23.
                          104. ^ Jeffery D Long (2013). Jainism: An Introduction. I.B. Tauris. pp. 36–37. ISBN 978-0-85773-656-7.
                          105. ^ Jump up to:a b Graham Harvey (2016). Religions in Focus: New Approaches to Tradition and Contemporary Practices. Routledge. pp. 182–83. ISBN 978-1-134-93690-8.
                          106. ^ Paul Dundas (2003). The Jains. Routledge. pp. 55–59. ISBN 978-0415266055.
                          107. ^ Jump up to:a b Lambert Schmithausen (1991), Buddhism and Nature, Studia Philologica Buddhica,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okyo Japan, pp. 6–7
                          108. ^ Rod Preece (1999), Animals and Nature: Cultural Myths, Cultural Realities, ISBN 978-0-7748-0725-8,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pp. 212–17
                          109. ^ Christopher Chapple (1990), Ecological Nonviolence and the Hindu Tradition, in Perspectives on Nonviolence, Springer, ISBN 978-1-4612-4458-5, pp. 168–77;
                            L Alsdorf (1962), Beiträge zur Geschichte von Vegetarismus und Rinderverehrung in Indi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und der Literatur, F. Steiner Wiesbaden, pp. 592–93
                          110. ^ Patrul Rinpoche; Dalai Lama (1998). The Words of My Perfect Teacher: A Complete Translation of a Classic Introduction to Tibetan Buddhism. Rowman Altamira. pp. 61–99. ISBN 978-0-7619-9027-7.
                          111. ^ Jump up to:a b c d e f g Jeff Wilson (2010). Saṃsāra and Rebirth, i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bo/9780195393521-0141. ISBN 978-0195393521.
                          112. ^ Edward Conze (2013). Buddhist Thought in India: Three Phases of Buddhist Philosophy. Routledge. p. 71. ISBN 978-1-134-54231-4., Quote: "Nirvana is the raison d’être of Buddhism, and its ultimate justification."
                          113. ^ Gethin 1998, p. 119.
                          114. ^ Williams 2002, pp. 74–75.
                          115. ^ Paul Williams, Anthony Tribe & Alexander Wynne 2012, pp. 30–42.
                          116. ^ Robert Buswell Jr. & Donald Lopez Jr. 2013, pp. 304–05.
                          117. ^ Peter Harvey (2015). Steven M. Emmanuel (ed.). A Companion to Buddhist Philosophy. John Wiley & Sons. pp. 26–44. ISBN 978-1-119-14466-3. Quote: "the first features described as painful [dukkha] in the above DCPS [Dhamma-cakka-pavatana Sutta in Vinaya Pitaka] quote are basic biological aspects of being alive, each of which can be traumatic. The dukkha of these is compounded by the rebirth perspective of Buddhism, for this involves repeated re-birth, re-aging, re-sickness, and re-death."
                          118. ^ Jump up to:a b c d Kevin Trainor (2004).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pp. 62–63. ISBN 978-0-19-517398-7.; Quote: "Buddhist doctrine holds that until they realize nirvana, beings are bound to undergo rebirth and redeath due to their having acted out of ignorance and desire, thereby producing the seeds of karma".
                          119. ^ Dalai Lama 1992, pp. xi–xii, 5–16.
                          120. ^ Robert DeCaroli (2004). Haunting the Buddha: Indian Popular Religions and the Formation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pp. 94–103. ISBN 978-0-19-803765-1.
                          121. ^ Akira Sadakata (1997). Buddhist Cosmology: Philosophy and Origins. Kōsei Publishing 佼成出版社, Tokyo. pp. 68–70. ISBN 978-4-333-01682-2.
                          122. ^ Jump up to:a b Steven Collins (2010). Nirvana: Concept, Imagery,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8. ISBN 978-0-521-88198-2.
                          123. ^ Carl B. Becker (1993). Breaking the Circle: Death and the Afterlife in Buddhism.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p. viii, 57–59. ISBN 978-0-8093-1932-9.
                          124. ^ Frank J. Hoffman (2002). Rationality and Mind in Early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pp. 103–06. ISBN 978-81-208-1927-6.
                          125. ^ Jump up to:a b c d Arvind-Pal Singh Mandair (2013). Sikh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Academic. pp. 145–46, 181, 220. ISBN 978-1-4411-5366-1.
                          126. ^ Jump up to:a b W.O. Cole; Piara Singh Sambhi (2016). Sikhism and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Springer. pp. 13–14. ISBN 978-1-349-23049-5.
                          127. ^ Arvind-Pal Singh Mandair (2013). Sikh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Academic. p. 176. ISBN 978-1-4411-5366-1.
                          128. ^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p. 68, 80. ISBN 978-81-7010-301-1.
                          129. ^ Pashaura Singh; Louis E. Fenech (2014).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231, 607. ISBN 978-0-19-100411-7.
                          130. ^ James Thrower (1999). Religion: The Classical Theori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p. 40. ISBN 978-0-87840-751-4.
                          131. ^ J. S. Grewal (2006). Religious Movements and Institutions in Medieval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pp. 394–95. ISBN 978-0-19-567703-4.
                          132. ^ Pashaura Singh; Louis E. Fenech (2014).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230–31. ISBN 978-0-19-100411-7.

                          General and cited sources[edit]

                          • John Geeverghese Arapura (1986). Hermeneutical Essays on Vedāntic Topics.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183-7.
                          • Buitenen, J. A. B. Van (1957). "Dharma and Moksa". Philosophy East and West. 7 (1/2): 33–40. doi:10.2307/1396832. JSTOR 1396832.
                          • John Bowker (2014). God: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0895-7.
                          • Robert Buswell Jr.; Donald Lopez Jr.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4805-8.
                          • Harold Coward (2008).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The Central Sto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7336-8.
                          • Harold Coward (2012). Religious Understandings of a Good Death in Hospice Palliative Ca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1-4384-4275-4.
                          • Dalal, Roshen (2010).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SBN 978-0-14-341421-6.
                          • Dundas, Paul (2002) [1992]. The Jains (Second ed.).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26605-5.
                          • Mircea Eliade (1987).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Macmillan. ISBN 978-0-02-909480-8.
                          • Jeaneane D. Fowler (1997). Hindu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ISBN 978-1-898723-60-8.[permanent dead link]
                          • Jeaneane D. Fowler (2002).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Sussex Academic Press. ISBN 978-1-898723-93-6.[permanent dead link]
                          • Jessica Frazier; Gavin Flood (2011).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Academic. ISBN 978-0-8264-9966-0.
                          • Gethin, Rupert (1998). Foundations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92232.
                          • Jaini, Padmanabh (1980). Doniger, Wendy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3923-0.
                          • Jaini, Padmanabh S., ed. (2000).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First ed.). Delhi: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691-6.
                          • Mark Juergensmeyer; Wade Clark Roof (2011).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SAGE Publications. ISBN 978-1-4522-6656-5.
                          • Damien Keown (2004).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157917-2.
                          • Klaus Klostermaier (2010).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8011-3.
                          • Dalai Lama (1992). The Meaning of Life, translated and edited by Jeffrey Hopkins. Wisdom. ISBN 978-1459614505.
                          • Stephen J. Laumakis (2008).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46966-1.
                          • Lochtefeld, James (200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2: N-Z. Rosen Publishing. ISBN 978-0-8239-2287-1.
                          • Michael Myers (2013). Brahman: A Comparative Theology. Routledge. ISBN 978-1-136-83565-0.
                          • Obeyesekere, Gananath (1980).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3923-0.
                          • Obeyesekere, Gananath (2005).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A Cross Cultural Study.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26090.
                          • Sethia, Tara (2004), Ahiṃsā, Anekānta and Jainism,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2036-4
                          • Williams, Paul (2002). Buddhist Thought. Routledge. ISBN 0-415207010.
                          • Paul Williams; Anthony Tribe; Alexander Wynne (2012). Buddhist Thought. Routledge. ISBN 978-1-136-52088-4.

                          External links[edit]

                          • Reincarnation: A Simple Explanation
                          • The Wheel of Life, C. George Boeree, Shippensburg University
                          • The difference between Samsara and Nirvana, Minnesota State University, Mankato
                          • Saṃsāra and Rebirth, Buddhism, Oxford Bibliographies
                          • v
                          • t
                          • e
                          Indian philosophy
                          • v
                          • t
                          • e
                          Topics in Buddhism
                          • v
                          • t
                          • e
                           Hinduism  topics
                          • v
                          • t
                          • e
                           Jainism topics
                          Authority control databases: National Edit this at Wikidata
                          • Japan
                          • Czech Republic
                          Categories: 
                          • Buddhist philosophical concepts
                          • Hindu philosophical concepts
                          • Jain philosophical concepts
                          • Reincarnation
                          • Sanskrit words and phrases
                          • Sikh philosophical concepts
                          Posted by Sejin at March 10,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Samsara, 윤회

                          2024/03/09

                          GreenSpirit - Path to a New Consciousness : Van Eyk Mccain, Marian: Amazon.com.au: Books

                          GreenSpirit - Path to a New Consciousness : Van Eyk Mccain, Marian: Amazon.com.au: Books



                          Follow the author

                          Marian Van Eyk McCainMarian Van Ey…

                          GreenSpirit - Path to a New Consciousness Paperback – 30 April 2010
                          by Marian Van Eyk Mccain (Author)
                          5.0 5.0 out of 5 stars 8 ratings

                          The definitive book on 21st Century 'green spirituality' and its key role in creating a peaceful, just and sustainable world.


                          Report an issue with this product


                          Print length

                          294 pages
                          Product description

                          Review
                          'GreenSpirit: Path to a New Consciousness' offers numerous healing and inspiring insights; notably, that Earth and the universe are primary divine Revelation, a truth to be transmitted to our children as early and effectively as possible. (Thomas Berry) A valuable guide to some of the deepest thinking on the connections between ecology and spirituality. Never before have so many important ideas on these subjects been assembled between the covers of a single book. (Rupert Sheldrake, Ph.D., biologist and author of A New Science of Life)
                          About the Author
                          This Book is edited by Marian Van Eyk McCain, a retired psychotherapist and health educator, is the author of six books, a freelance writer, blogger, columnist, book reviewer and Co-Editor of 'GreenSpirit Journal.' See www.elderwoman.org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John Hunt Publishing (30 April 2010)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94 pages
                          ISBN-10 ‏ : ‎ 184694290X
                          ISBN-13 ‏ : ‎ 978-1846942907
                          Dimensions ‏ : ‎ 14.38 x 1.65 x 21.84 cmCustomer Reviews:
                          5.0 5.0 out of 5 stars 8 ratings




                          About the author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Follow

                          Marian Van Eyk McCain



                          Trained first as a social worker and then as a psychologist, I worked for many years aa a psychotherapist and health educator. Now 'retired' from the workforce, I am a free-lance writer, an editor, a columnist and the author of eight books.

                          My first book 'TRANSFORMATION THROUGH MENOPAUSE' was published in New York by Bergin & Garvey in 1991. Described by one reviewer as an 'heirloom book,' it was the first to focus on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change of life,' and to reframe this important phase of women's lives as a significant rite of passage and an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It continues to make steady sales, and appears on an increasing number of recommended reading lists for mid-life women.

                          The second book, 'ELDERWOMAN: reap the wisdom, feel the power, embrace the joy,' was published by Findhorn Press in March, 2002. 'ELDERWOMAN' is not only - as the name suggests - a book about aging and personal development, it is also a reminder of the ancient and special relationship which mature women have always had with the Earth and the world of Nature. This book is about reclaiming that special relationship and living it in a way that fits the twenty-first century. It is about women re-owning their power and taking their rightful place as 'wise elders' in a culture that badly needs the benefit of their wisdom and understanding.

                          My next book, 'THE LILYPAD LIST:7 steps to the simple life'is all about living simply and sustainably - and joyfully. This is something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se days of looming environmental crisis. 'THE LILYPAD LIST' was published by Findhorn Press in 2004 and has now been translated into several languages.

                          In 2006, my first collection of short stories was published by Bean Terrace Books under the title 'APRICOT HARVEST'. And in 2009 I published my first full-length novel, 'THE BIRD MENDERS', a story of love and healing.

                          Returning to non-fiction in 2002, I edited the anthology, 'GREENSPIRIT: PATH TO A NEW CONSCIOUSNESS' published by Earth Books (an imprint and went on to produce two more books for that publishing company, both in their 'Made Easy' series. The first, on one of my favourite themes, simole living, is entitled 'DOWNSHIFING MADE EASY: How to plan for your planet-friendly future' (2011). The second, which draws upon my many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s a therapist, is 'SELF-THERAPY MADE EASY,' published in September 2012.

                          If you visit my primary website at www.elderwoman.org you can find out a whole lot more about me and my work and how to contact me. There you can also sign up for my e-zine and apply for an invitation to the social network I created especially for 'third-age' women. I have two other websites also. These are www.simpleliving.org.uk. and www.greenspirit.me.uk I hope you will visit one - or maybe even all - of them.

                          By the way, if you are interested in simple living, somewhere in the bowels of Amazon.com is the 'So You'd Like To' guide that I wrote about that topic, listing all my favourite books on the subject. It is at: http://www.amazon.com/gp/richpub/syltguides/fullview/573NMGJ9LOVR/ref=cm_pdp_sylt_title_1 (but you will have to copy and paste that into your browser window I'm afraid, as Amazon isn't allowing me to put live links on this page yet. I hope they change that rule soon!)

                          Read les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Australia

                          There are 0 reviews and 0 ratings from Australia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Piers Warren
                          5.0 out of 5 stars Wisdom...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6 August 2014
                          Verified Purchase

                          I've just finished reading GreenSpirit - Path to a new Consciousness. What a fabulous collection of thoughts and wisdom! I'm one of those, probably many, people who have felt like this all my life and wondered why so few other people feel the same but just seem locked into creating wealth for consumerism. Great to have discovered this new and growing collection of like-minded folks. Thank you Marian and all who created the book...
                          Report

                          Kathleen Martin
                          5.0 out of 5 stars GreenSpiri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0 November 2010
                          Verified Purchase

                          The introduction to this book says that "a GreenSpirit way of seeing the world...grew out of...the hunger for meaning, for a deep sense of connectedness." I felt my own hunger for meaning and connectedness being fulfilled as I wove my way through the readings. I found myself wanting to meet the various people who wrote different chapters so that I might continue the discussions they had started. Fortunately, I will be able to pursue their ideas further through the notes and references provided by the thoughtful editor. This is one of those books to which I will return again and again.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Annie Dragonfly
                          5.0 out of 5 stars An Earth-Centered Handboo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3 December 2012
                          Verified Purchase

                          This collection of essays is profound and thought-provoking and deserves a slow respectful read. It is about a movement for the future, not a religion with dogma, but a way of life that honors our precious planet as our first priority. It is a timely way to open our minds and hearts to the new attitude we will need if we are to survive - if our Earth is to survive as a living plane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Posted by Sejin at March 09,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동양포럼(142)/존엄성의 가치를 노년 철학에 적용하기(하) < 동양포럼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동양일보

                          동양포럼(142)/존엄성의 가치를 노년 철학에 적용하기(하) < 동양포럼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동양일보



                          동양포럼(142)/존엄성의 가치를 노년 철학에 적용하기(하)
                          기자명 동양일보
                          입력 2021.04.11 20:39
                          수정 2022.03.08

                          원혜영 충북대 윤리교육학과 강사


                          [동양일보]오오하시 겐지는 노년철학을 특별한 관점으로 이야기해서 주의를 끄는데, 그것은 현대 일본사회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려는 의지에 따른 것이다.

                          노년철학에 대해 말하는 그는 슈펭클러, 마키의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이 가진 생각을 나타낸다.

                          “식물은 우주와 일체로서 자기의 신체의 연장이 우주 그 자체인 것에 반해, 동물은 우주를 자기의 몸속으로 받아들여 버린다는 점에서 소우주적 존재라고 말한다. 식물은 우주와 일심동체이지만, 동물은 우주에 대해서 자폐적이다.”

                          침묵의 자세 안쪽에 완만하게 생동하는 영혼을 숨기고, 항상 하늘을 우러러 대지에 서며, 우주의 생체리듬에 조용히 몸을 맡겨 살아가는 식물의 모습에 주목한다. 그것은 직립의 모습으로 우주와 맞아떨어진다. 뇌의 폭주를 허용하지 않는다.


                          우주와 일심동체의 관계 속에 삶을 영위하려는 동물과는 다른 하나의 생명이다. 이러한 생명의 본연의 자세는 늙은 인간에게 어울린다고 한다.(오하시 겐지 위의 책, 192)

                          그는 또한 구마자와 반잔(態沢蕃山)의 팬이다. “나이 들어 가르치라”라고 하는 구마자와 반잔의 말을 좋아한다. “나이 들면 조용히 지갑을 열고 사라지라”는 한국인들의 말과는 역설적으로 다르다.

                          구마자와 반잔은 각 세대에 맞는 삶의 방식으로 “어릴 때는 배우고 청년일 때는 행동하고 나이 들면 가르쳐라”(<集義和書> 제1권)를 강조한다. 나이 든 사람이 가르쳐야 할 것은 단순히 지식에 머무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조화의 필연으로 생을 얻는 존재로서 사람들과 함께 만물을 만들고 길러야 한다. 즉 <하늘>의 조화의 움직임에 동조하고, <대지>의 삶을 영위하며 지속적인 관계를 갖고, 더 좋은 미래와 새로운 세계를 창출할 책임이 있다.

                          나이 든 인간이 삶과 이야기로 보여주고 가르쳐야 한다.(위의 책, 196) 한국사회는 노인에게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보다는 다음 세대로 자리를 양보하는 것에 방점을 둔다. 한국에서 나이 든다는 것은 자신의 위치와 지위에 미련을 두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본의 노인이 사회적인 참여에 활발하게 여지를 남겨 두는 것과는 다른 인식적 차이로 대비된다. 공동체에서 배제되는가, 아니면 그대로 일원이 되어 있는가의 차이가 있다.

                          한국과 일본 모두 근대 세계가 요구해 온 인간 모델은 “무엇을 이루었는가? 어느 정도 위대하며, 얼마나 벌었는가?”라는 행동 가치, 성과가치를 중시하는 ‘human doing’형이다.

                          이것은 세속적인 보람이나 평생 현역, 1억 총활약, 혹은 생산성 등을 강조하는 것이다. 정관(靜觀)이나 관조(觀照)의 깨달음과 관련된 명상 형태는 정반대로 주어진 생명 자체를 존중하는 존재가치인 ‘human being’형의 마음 사용법이다.

                          그저 멍하니 눈앞에 펼쳐진 자연을 바라보며, 나뭇잎이 흔드는 바람의 시원함을 느끼고 온종일 느긋하게 마음을 놀게 해주는 ‘생명’을 맛본다. 생명이 출현하는 이런 ‘무위의 시간’에 마음을 놀게 해주는 즐거움만큼 오늘날 일본 사회가 잃어버린 것은 없다.(위의 책, 200)


                          김양식의 <나이듦, 가슴 뛰는 내일>에서도 이점을 강조하고 있어서, 한일 양국이 명상 수련이 노년기에 필요하다는 관점에는 이견이 없다. 한국은 기(氣) 철학의 생사관을 가지고 있다면, 일본 고유의 생사관은 풍부한 자연환경이 낳은 자연과의 일체감과 현세 긍정적 낙천주의로 통하는 곳에는 그들만의 ‘즐거움’이 있다.

                          이 책에서 특별한 점은 인간, 여기서는 이목이 총명한 남자만 해당한다는 조건의 서술이 있었다. 하늘과 땅, 양극의 왕래는 진정한 여행자 또는 지덕이 뛰어난 남성을 조건으로 한다.

                          “움직이는 자의 몸은 가로, 뿌리내리는 자의 몸은 세로, 사람은 제대로 가로로 되어야 하며 그 반대가 세로이다”<皇極經世書>

                          새와 짐승 등 모든 동물의 몸은 타고난 가로 방향이다. 몸이 땅에 평행하므로 활동적인 동(動)이다. 초목 등 모든 식물의 몸은 타고 난 세로 방향이다. 몸은 땅에 수직으로 세우기 때문에 부동(不動)이다. 동물인 인간의 몸은 본래 수평이지만 식물처럼 수직이다.

                          인간은 만물 가운데 가장 존귀하다. 동(動, 가로)으로 부동(不動, 세로)을 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을 거스르는 인간 본성의 이기성과는 다른 관점이다.

                          프랑스 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인간의 이러한 강직한 수직 몸을 나쁜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이 인간 고유의 경직된 자아, 이기주의가 원인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이기주의가 순수 자연에서 분리된다. 그것은 지면에서 위쪽 수직으로 향한 인간의 신체가 높은 곳으로 향하는 방향을 정해졌기 때문이다” 높이로 향하는 방향은 착각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생기(生起)이며, 지워 없앨 수 없는 증언이다. “나는 할 수 있다”라는 말은 이 높이에서 나오는 것이다.(<전체성과 무한>, 김도형, 문성원, 손영창 옮김, 그린비, 2018; 위의 책, 302-303)

                          하늘로 향하는 식물 축과 대지에 귀속하는 동물 축을 겸비한 양극적인 인간 신체가 천지를 왕래한다. 이런 견해로 인해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소우주를 대우주에 한없이 개방하는 거룩한 실천을 하는 존재로 귀결하고 있다.

                          오오하시 겐지가 논하는 이 지점은 훌륭하지만, 총명한 남성에 해당한다는 부분에서는 노년 철학이 늙어가는 남성에게만 특권적 의식을 주어서 국한된 것은 아닌지 의심이 된다. 또는 지덕이 뛰어난 남자만 거론하고 있어서, 인간의 범주에 다른 인종들(여자, 아이, 지덕이 없는 노인 등등)을 포함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런 불만족스러운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당한 식견을 주고 있어 흥미로움을 떨어뜨리지는 않았다.

                          특히 노년의 시간은 속세에서 떨어져 나와서 나와 마음을 넓게 함으로써 자연을 무한히 받아들이는 ‘무위의 시간’에서 생기는 즐거움이라고 소개한다.

                          고대 유교의 천인합일 사상을 받들어 ‘천지 뜻에 순종하는’ 정관(靜觀)을 강조한다.

                          “한가함은 항상 즐거움이 많다. 바쁜 사람도 가끔 여유를 찾아 마음을 기르는 것이 좋다. 한가하고 조용한 마음이 아니면 재미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라며(<낙훈> 上) 정관과 한가함에서 생기는 재미를 말한다.

                          그것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피타고라스, 아낙사고라스, 아리스토텔레스 등이 말한 관조(觀照)를 상기시킨다. 하늘의 관조야말로 인간 삶의 목적이라고 생각한 그들처럼, 자연의 모습과 변화가 눈 앞에 펼쳐진다. 생생히 약동하는 천지를 바라보는 것이 인생의 큰 즐거움이라고 본다.(위의 책, 198-199)

                          한국에서는 코로나로 인하여 노년기의 보내는 정관 및 관조의 즐거움을 젊은 층도 누리고 있다. 일명 ‘불멍’이라고 하여 불을 피워놓고 멍하니 바라보는 시간을 즐기거나, ‘물멍’이라고 하여 수족관에 물고기를 기르면서 ‘멍!’ 때리며 바라보는 시간을 즐긴다.

                          노년기의 생활인 한가롭고 조용한 마음을 젊은이들도 누린다. 코로나를 겪은 세대는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어렵다. 비대면의 생활에 익숙해지고, 느긋하고 평온한 삶에 관심을 더 기울인다.

                          노년기에만 즐길 수 있는 시간이 코로나로 인해 젊은 사람들의 시간에서도 경험할 수 있다. 이런 확대된 양상은 예측하지 못한 것들이다.

                          인생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스웨덴학자 랄스 토르스탐(Lars Tornstam)이 제창한 “노년이 되면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합리적 세계관, 즉 물질만능주의, 개인주의, 역할기대, 사회적 평가, 사회적 배려로부터 이탈한다. 물건이나 사회적인 것에 연연하지 않는 집착 초월과 자기중심성이 감소하는 자아 초월을 거쳐, 일원론적 세계를 벗어난다.

                          ‘우주적 초월’로 이행하여 최종적으로 깊은 행복감을 맛본다고 한다. 일명 ‘노년적 초월’이라는 노인론이다. 이런 세계관은 동양권에서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도교의 생사일여(生死一如), 천인합일(天人合一), 천지만물일체설이 그것이다. 우주적 차원으로 향하면서 지상적인 자타 일체감에 심신을 맡겨 인식한다.(오하시 겐지, 위의 책, 196)

                          ‘속세에서 떨어져 나와 오감을 작동하여 달맞이꽃을 음미하고 산수를 감상하고 바람을 노래로 읊는’(오오하시 겐지, 위의 책, 198) 여유로운 생활이 노년의 시기가 아니라, 지금 전 인류에게 요구되고 있다.

                          젊은 사람들은 코로나로 인하여 노년의 시기를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알게 되었다. 고립감, 소외, 거기에 관련된 인권 및 존엄성의 가치를 알아가는 노력을 하기도 전에, 노년기의 입장에 자연스럽게 젊은이들이 자리 잡아서 이해하게 되었다.

                          인류는 코로나의 불행한 시기에 많은 것들을 다시 생각해보고 얻어가는 경험을 하게 될 줄 알았을까? 그리고 노년기에 관련된 글을 쓴 양국의 한·일 학자들은 이렇게 젊은 세대들이 노년기에 접어들지 않아도 충분하게 ‘무위의 시간’을 경험하게 될 줄 알았을까?
                          Posted by Sejin at March 09,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동양포럼(143)/ 오오하시 켄지의 로부터 배우는 삶의 방식- 동양일보

                          동양포럼(143)/ 오오하시 켄지의 로부터 배우는 삶의 방식 < 동양포럼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동양일보


                          동양포럼(143)/ 오오하시 켄지의 로부터 배우는 삶의 방식
                          기자명 동양일보   입력 2021.04.25

                          기타지마 기신(北島義信) 욧카이치대학(四日市大学) 명예교수

                          [동양일보]들어가며

                          최근 일본에서는 ‘종활(終活)’을 둘러싼 서적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 ‘종활’이란 일반적으로 ‘고령자가 죽기 전에 신변정리를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내가 아는 80이 넘은 연구자도 나에게 종활의 일환으로 고가의 <일본사상대계(日本思想大系)>(岩波書店) 전집과 <우에키 에모리 저작집(植木枝盛著作集)>전집을 선물로 주었다. 그러면서 나에게 “내가 죽으면 장례식을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진종문도(眞宗門徒)인데, 내가 정토진종(淨土眞宗) 주지였기 때문에(지금은 아들이 맡고 있음) 그렇게 부탁한 것이다. 그래서 나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제가 먼저 죽으면 어쩔 수 없지만 죽지 않는다면 부탁을 들어 드리겠습니다.” 마침 그 자리에는 내 친구 중에서 나와 같은 종파에 속하는 주지도 동석하고 있었는데, 그 역시 장례식에 협력한다는데 동의해 주었다.

                          지인의 이러한 행동도 ‘종활’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자리는 ‘기분이 우울해지는’ 이야기가 아니라 술을 주고 받으면서 신자유주의가 석권하는 일본을 어떻게 변혁시킬 것인가의 이야기로 한껏 고조되었다.

                          우리는 혼자서 이 세상에 태어나서 혼자서 성장할 수는 없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타자의 신세를 지고 있다. 현재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고독사(孤獨死)’는 본인이 아니라 사회시스템에 문제가 있다. 오늘날에 회자되는 ‘종활론’은 사회나 타자와는 아무런 유대가 없는 자기폐쇄적인 신변정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본인에게 기쁨도 없고 타자에게도 감동도 주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변정리 활동에 열을 올리는 종활은, 오오하시씨가 <노년철학하기>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쿠로사와 아키라(黒沢明) 감독의 영화 ‘살다(生きる)’(1952년)에서 시청의 원로과장의 삶의 방식과는 정반대의 것이다. 평소에 타성으로 일을 수행하던 원로 과장은 어느 날 말기암 선고를 받고 절망의 늪에 빠진다.

                          그러나 그는 갈등을 거쳐 다시 일어나고, ‘주민들로부터 강한 요청을 받으면서 각 부서를 전전하면서 불가능해졌던 공원건설’에 전력으로 힘써서, 이권에 따라 움직이는 야쿠자의 방해에도 굴하지 않고, 여러 사람들의 협력을 얻어 마침내 공원을 완성시킨다. 공원이 완성된 날 밤, 눈이 펑펑 내리는 공원에서 홀로 그네에 탄 채 만족한 표정으로 조용히 숨을 거둔다.

                          이 원로과장은 여명이 얼마 남지 않은 몸으로 지역주민의 요망인 공원건설을 실현한다는 종활(終活)을 한 것이다. 그 바탕에 있는 것은 타자와의 유대이다. 타자와의 유대에 대한 자각이 그에게 인간성을 되살아나게 했기 때문에 만족해 하면서 숨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서는 삶과 죽음은 일체화되고 있다.

                          남아프리카에는 “사람은 타자를 통해서 인간이 된다”는 격언이 있다.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타자가 필요하다. 그것은 인간이 완성자로서 이 세계에 온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원로과장의 활동은 실로 사람들의 유대 속에서 인간이 되고자 한 활동이어서 감동적인 것이다.

                          오늘날 일본의 서점에서 볼 수 있는 ‘종활’ 관련 책의 대부분은 타자와의 관계성을 끊는 시점에서 쓰고 있다. 현대 일본은 고령자(65세 이상)가 전체 인구의 21%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2007년에 이런 사회에 돌입했다고 한다. ‘종활’을 논하려면 오늘날의 사회구조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고령자에게 걸맞은 인간회복의 실현을 지향하는 세계관이나 철학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 대응한 것이 오하시 겐지씨의 <노년철학하기>이다.



                          1. 현대 일본의 고령자문제와 ‘기업사회’가 가져온 전후(戰後) 일본의 현실

                          (1) 고령자의 현실

                          일본인의 평균수명은 2017년 통계에 의하면 남성 81.09세, 여성 87.26세인데, 고령자가 되어서 생활이 행복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그들 대부분이 ‘과거로부터의 지연과 혈연이 붕괴되고, 격차사회의 진행에 따른 빈곤층의 확대’ 속에서 생활하도록 강요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연사(無緣死), 고독사(孤獨死)의 중심에 놓이는 것이 고령자이다.

                          고령자는 무연사, 고독사와 직결되는 경제적 파탄으로도 불안에 떤다. 연금생활은 아주 사소한 일에도 붕괴될 수 있다. ‘건강이 악화된 고령자가 자택에 있을 수 없게 되자, 살던 곳에서 쫒겨나 병원이나 노인시설을 전전하면서 죽을 곳을 찾아 표류하는 ‘노인표류사회’가 현실의 일본의 모습‘(19쪽)이기도 하다.

                          또한 노인의 대부분은 정년 후의 삶의 방식을 모르는 상태에서 누구와도 교류하지 않고 자택에 틀어박혀 있다. 일본에서는 2014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3천만명을 넘었다. 이 무렵부터 ’고령자가 느끼는 여러 가지 불안을 배경으로, 죽음과 대면하면서 자신의 인생을 총괄하기 위한 준비활동인 ‘종활’이 사회적 붐이 되고 있다.‘(31쪽)

                          이러한 형태의 종활에 대해서 오하시씨는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죽음에 대한 준비=종활은 주위에 폐를 끼치지 않는 배려나 확립된 개인의 자각 혹은 현대사회에서 유행하는 ‘자기책임’ 등과 같은 사회적·시대적 요청에 상응하는 일견 바람직한 경향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고령자에게 있어서는 정신에너지를 빼앗고 삶의 의욕을 저하시키는 것이 아닐까? 죽음에 다가가고 죽음을 눈앞에 두고 죽음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노인이라고는 하지만, 죽음의 준비 같은 것은 하루 이틀에 잽싸게 끝내고, 남은 많은 날들을 보다 잘 살기 위해서 삶의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삶에서 죽음을 분리시키고 죽음을 너무 의식할 필요는 없다.‘(34쪽)



                          (2)‘기업사회’가 낳은 인간의 고립화

                          그럼 이와 같은 노후의 생활고를 낳은 사회적 구조는 어떠한 것일까? 그것은 오하시씨에 의하면, ‘경제를 우선시하여 이익으로 치달은 경제체제의 운영-유지에 경도된’ 삐뚤어진 구조다.

                          전후(戰後) 일본은 ‘어디까지나 회사가 중심인 ‘회사사회’, ‘기업사회’를 형성‘해 옴으로써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대단히 높고, ‘기업의 이익에 헌신하며’ ‘회사가 생활의 모든 것’이라고 하는 회사인간이 양산되어 왔다.

                          최근에는 신자유주의에 의한 “불황 속에서의 구조조정에 의한 불안감이나 성과주의・장시간 노동이나 서비스 잔업 등에 의해 노동자의 전 인생과 전 인격이 노동에 얽매이고 있다. 그 결과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회사사회 속에서 회사정년을 맞은 사람들은 ‘버려진’ 인간이 되고, 쉽게 ‘사회적 사자(死者)’가 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오하시씨는 나카가와 케이치로(中川敬一郎)·유이 쓰네히코(由井常彦) 공편 <경영철학ㆍ경영이념(쇼와편昭和編)>(1970년)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일상적 관심사는 기업과 종업원과의 관계이고, 그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기업은 종업원에 대한 복리시설을 확대함으로써 종업원의 생활을 24시간 기업 안에 가둬 두려 한다. (그것을 통해서) 근로계급의 회사의식은 점점 강해지고 시민의식은 점점 약해진다. 그리고 그것은 당연히 자유기업체제의 축인 시민적 사회질서의 붕괴로 이어지게 되어, 현대의 대기업은 스스로 자신의 무덤을 파고 있다고 할 수 있다.”(72-73쪽)



                          회사에 대한 과잉의존이 지역사회에서의 시민들 사이의 관계만들기를 저해하고, 일본인을 시민으로 자립시키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정년 후의 인간이 살아야 할 상호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공동체가 실질적으로 거의 소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폐해를 초래한 회사주의는 실은 좋지 않은 개인주의가 기반이 되고 있다. 그 연원은 오하시씨에 의하면 ‘무사문화(武士文化)’와 ‘선불교문화’에 있다.

                          “무사(武士)는 적과 싸워 이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봉급은 번주(藩主)가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의존하거나 협력을 바라거나 할 필요도 없다. 일가(一家)는 일가로서 타인과는 무관하게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무사에게 있어서는 독립독단(獨立獨斷)이 생활의 기본자세이다. 일본인의 개인주의는 무사문화나 문사와 공존관계에 있던 선불교 등의 종교적 개인주의 하에 양성되어 왔다.”(77쪽)

                          일본이 메이지시기에 서구화가 가능했던 것은 이와 같은 개인주의와도 관계되어 있다. 일본에서의 개인주의에서는 ‘무사문화에 의해 서로가 냉담하고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 연대감은 희박하고, 좀처럼 다른 사람과 함께 하지 못하며, 고독하기 때문에 ‘과도한 군중심리’가 나와서 집단적으로 행동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이 회사사회를 만들어 내는 토양이 되고 있다. 그 결과 회사정년에 의해 노동으로부터 해방되면, 유일한 가치기준의 기반인 회사로부터 추방됨으로써 관계가 단절되어 사회적 사자(死者)가 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실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그것은 인생을 바라보는 기본시점을 “얼마나 지위가 올라갔나?” “얼마나 벌었나?”라는 ‘평가가치·업적가치의 존중’보다도 지역과의 유대와“어떻게 살 것인가?”를 질문하는 존재가치로 바꾸는 것이다. 그 가능성은 동아시아문화에 이미 존재하고 있다.



                          2.동물적 문명에서 식물적 문명으로

                          일본, 한국, 중국의 동아시아에는 예로부터 유교·불교·도교와 같은 종교적·문화적 공통점이 존재하고 있고, 자연과의 일체감, 가족이나 공동체의 유대를 중시하는 전통이 공유되어 왔다. 그런데 19세기 중엽 이래로 동아시아가 서양 근대를 세계에서 가장 과도하게 수용하고 추종해 온 탓에 ‘근대의 어둠’ 속에서 길을 잃고 만 것이다.

                          서양 근대는 오늘날 글로벌한 신자유주의의 확산 속에서 격차와 빈곤을 낳고, 지방을 붕괴시키며 인간적인 유대를 소멸시키고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과잉신앙의 폐해, 인구급감・격차사회・소자고령화(少子高齢化)・노후파산(老後破産)・경쟁사회・자살의 다발 등등, 한중일 삼국은 서양 근대의 최대 수혜자인 동시에 최악의 피해자・희생자이다.”(103쪽)

                          이처럼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가족이나 지역사회 등의 유대의 결여·분단 등’에 무감각한 강한 개인만이 성공자가 된다. 그 원천은 서양 근대에 있고, “강한 개인이 이끌어온 근대의 극적인 물질적 진보와 발전은 가족과 공동체의 붕괴를 가져왔다. … 한편 그것은 강한 개인에게 깊은 고독감을 가져온다고 하는 역설을 초래한 것이다.”(106쪽)

                          이러한 사회에서는 ‘빈곤층, 비정규직 젊은이들, 그리고 고독에 괴로워하는 노인들’은 약한 인간으로 내버려지고, 강한 개인과 약한 개인의 이분화가 진행된다.

                          오하시씨는 이러한 현실을 바꾸는 시점을 ‘강한 개인·자아의 강함’에 대한 반성과 약한 개인에 대한 자각적 회귀에서 찾는다. 그것은 ‘근대 유럽적 정신의 전형으로, 자기 부정을 모르는 비대화된 자의식과 고독 속에서 자기를 심화시키고 고양시키고 확대시키려고 하는 정신’을 축으로 한 개인에서 ‘자연과의 일체적 관계 속에서 타자와 연대하고 함께 의지하며 사는 존재’로서의 개인으로 ‘자각적으로 깨달아서 약한 자기를 사는 것’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그것은 ‘자아의식의 전환을 매개로 하여 타자(가족ㆍ공동체ㆍ사회)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주위에 의존하는 자기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강함을 지니는 존재로 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하시씨는 강한 개인과 약한 개인의 관계를 동물과 식물에 대비시킨다. 서양 근대로 상징되는 동물적 문명은 약육강식·우승열패, 신자유주의·경제지상주의를 축으로 하는 타자를 공격하고 배척하는 문명으로, 이것이 오늘날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다른 한편 식물로 상징되는 식물적 문명은 ‘하늘을 우러르고 땅에 뿌리를 두는 수직적 삶, 중력에 몸을 맡기는 정적인 지성, 우주와 공명(共鳴)하는 삶의 방식’으로, 타자와의 상호의존성과 공존을 축으로 하는 문명이다.

                          동물 중에서 인간만이 “욕망에 사로잡힌 채 지상을 기어다니는 동물적 삶의 방식, 오로지 서로 잡아먹고 서로 약탈하는 상식상탈(相食相奪)의 동물적 문명”과 동시에, 직립 자세로 상징되는“체축(體軸)을 대지에 수직으로 하고서 하늘을 향해 몸을 쭉 펴는 ‘식물의 삶’도 동시에 지닌 존재이다. 현대에 필요한 것은 동물적 문명에서 식물적 문명으로의 전환이다.

                          ‘우주의 생(生)의 리듬에 조용히 몸을 맡긴 채’ ‘뇌의 폭주를 허용하지 않고 우주와 한 몸이 된 상태에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식물적 문명은 쿠마자와 반잔(熊沢蕃山, 1619~1691)이나 안도 쇼에키(安藤昌益, 1703-1762)의 사상, 또는 동아시아의 전통사상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존재방식은 경험이 풍부한 고령자에게 걸맞다고 할 수 있다.



                          3. 노년철학의 의의

                          “항상 하늘을 우러르고 대지에 서 있으며, 우주의 생(生)의 리듬에 몸을 맡긴 채 산다”는 것은 동아시아문화에서는 우주와 자연의 창조(造化)에 참여하는 삶의 방식을 의미한다. 우주의 ‘조화에 참여하고 이것을 도움과 동시에, 조화의 지배와 그 필연에 살고’, ‘보다 나은 미래와 새로운 세계를 창출하는 것’이 인간 미래의 삶의 방식이다.

                          “어려서 배우고 장성해서 행동하고 늙어서 가르친다”고 한 쿠마자와 반잔의 말은 “삶의 방식이나 말을 통해 비인간적 현실을 변혁하는 여정을 보여주라”고 하는 고령자에 대한 요청일 것이다. 이와 같은 조화참여 모델은 쿠마자와 반잔, 안도 쇼에키에게 있어서는 농업이다.

                          “농업이란 천지자연의 활동에 인간이 힘을 빌려주어 벼를 기르는 동물과 식물의 공명장(共鳴場)으로 존재한다. 하늘과 대지와 인간이 함께 힘을 합쳐 수행하는 공동작업으로, 인간의 조화참여의 기본모델이 되는 것이다.”(162쪽)

                          이와 같이 천지조화에 참여하는 주체자는 성인으로 여겨지는데, 성인이란 ‘호오(好惡)가 없는 마음=인(仁)을 자각한 사람’으로, 현대적으로는 ‘민중’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이 해야 할 일은 민중의 한 사람으로서 이러한 기본시점에 서서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오늘날의 격차사회를 인간적 사회에서 어떻게 전환시켜 나갈 것인가를 가르치는 일이다.

                          오하시씨는 노년기의 삶의 방식에 대해서 쿠마자와 반잔의 사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는데, 그것은 동시에 오하시 자신이 제기하는 노년철학이기도 한다.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늙어감에 따라, 혹은 죽음의 문턱에서 다음 세대를 위해 좋은 내일을 전망하고, 다른 사람과 힘을 합쳐 행복한 미래, 새로운 세계를 창출하는 작업에 참여하는 정열을 결코 잃어서는 안 된다. 사회적 실천에 종사하지 못하고, 내적인 정신의 차원에 머물렀다고 해도 정신의 방향성만은 항상 그것을 유지해야 한다.”(169쪽)

                          오하시씨가 서술하고 있듯이, “이것은 동시에 나이든 사람이 다음 세대의 젊은이들에게 말이나 행동으로 가르치는 철학이 된다.”

                          노인은 체력도 쇠퇴하고 주위의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는 약한 개인이다. 따라서 노년철학은“가족과 주위의 도움을 받거나 폐를 끼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는, 좀 비참하지만 약한 자신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하면 도움과 폐에 보답하는 존재가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사상과 가르침이다(211쪽). 노년자(老年者)는 동아시아의 문화사상으로서의 조화참여(造化參與)를 사람들에게 말함으로써 비로소 “도움과 폐에 보답하는 존재”가 될 수 있다.



                          4. 오오하시씨의 노년철학을 어떻게 활용할까?

                          (1)강한 개인에서 약한 개인으로의 전환

                          전후(戰後) 일본에서는 강한 개인이 회사사회를 지탱해 왔다. 그것이 진전되는 가운데 인간의 관계성을 기르는 지역공동체는 파괴되고, 시민사회도 성장하지 못했다. 오늘날의 일본인이 타자와의 관계성을 단절시키고 자기책임으로 몰아넣는 현실의 근원에는 이러한 사회구조가 있다. 그 피해를 정면으로 받고 있는 것이 사회적 약자로서의 노인이다.

                          이러한 현실을 바꿔나가는데 공헌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약자로서의 노인세대이다. 오하시씨는 사회적 약자로서의 노인을 약한 개인으로 이해한다. 강한 개인으로 상징되는 것이 ‘욕망에 사로잡힌 채 지상을 기어다니는’ 동물로, 이것이 현대문명의 모습이다.

                          오하시씨는 동아시아에 사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하늘을 우러르고 땅에 뿌리를 내리는 수직적 식물적 생명・문명을 중시하고, 동물적 생명・동물문명의 일극(一極) 지배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내재하는 동물적인 것과 식물적인 것의 상관〮공존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보다 나은 인류문명의 미래가 열린다고 제안하고 있다.

                          현실변혁의 주체자를 약한 개인으로 이해하는 시점은 결코 아무 것도 못한다는 자포자기의 입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식물적 삶으로 비유되는 약한 개인은 대지에 뿌리를 내리고 하늘을 우러르며 수직적으로 사는 것을 통해서 외부성으로서의 태자인 천(天)〮자연(自然)에 몸을 맡긴다. 그것을 통해서 자기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고 자타동일(自他同一), 상호관계성 속에 자기를 위치지울 수 있다. 이것은 신란(親鸞, 1173-1263)이 만년에 도달한 ‘자연법이(自然法爾)’ 사상으로 이어진다.

                          신란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연(自然)에서 자(自)는‘저절로’라는 의미로 불도(佛道) 수행자의 자기중심적 사려분별에 의한 것은 아니다. ‘연(然)’은 진실에 눈을 뜨게 하는 외부성의 작용, 모든 것은 무수한 상호관계성 하에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것도 자기중심적인 자기의 사려분별에 의한 것은 아니다.”

                          ‘법이(法爾)’란 인간에게 의식변혁을 하게 하는 외부성으로서의 아미타불의 영성의 작용을 의미한다. 이 작용에 의해서 자기중심주의는 포기되고 자연과 상호관계에 있는 삶의 방식이 생겨난다. 이렇게 해서 약한 개인은 자각적인 주체적 개인, 타자와 연대할 수 있는 ‘유연한’ 개인으로 전환된다. 이것은 모든 인간에게 동등하게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대립하고 있던 동물적 삶은 연대하는 존재로 전환되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형태로 식물적 삶이 동물적 삶과 교차될 때 생활의 기반이 되는 공동체는 부활하고, 서구형 근대와는 다른 근대가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개인이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타자와의 상호관계성에 기초한 연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대의 장이 공동체이다. 공동체에서 사람들이 연대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뿌리내린 토착문화가 필요하고, 이 문화가 연대의 유대가 된다. 일본에서는 15세기 중엽에 신란(親鸞)의 평등사상을 구체화한, 도시의 자치공동체로서의 지나이쵸(寺内町), 농촌 자치공동체로서의 소손(惣村)이 생겨났다. 여기에서 우리는 서구 근대와는 다른‘토착적 근대’의 구체적인 사례를 볼 수 있다.



                          (2)약한 개인과 현실변혁

                          내가 살고 있는 욧카이치시(四日市市)의 토미다(富田) 지역에서는 지역공동체의 재생을 꾀하기 위해 60년간 중단되어 있던 토착문화로서의 ‘무시오쿠리행사’(虫送り行事=해충퇴치행사)를 지역 노인들이 2008년에 부활시켰다.

                          이 행사는 벼를 갉아먹는 해충을 횃불로 퇴치하는 행사로, 해충을 지역 밖으로 쫓아내는 것이 목적이지만, 미처 피하지 못하고 횃불에 타 죽는 해충도 있다. 그래서 이 행사에서는 지역의 토미다불교회(富田佛敎會)서 희생자를 추도하는 법회(해충공양)가 행해진다.

                          무시오쿠리행사에는 “농업생산물을 많이 수확하고 싶으니까 해충들을 죽여도 상관하지 않는다”고 하는 농민의 마음 속에 스며있는 자기중심주의를 되묻고, 무시오쿠리를 인연으로 하여 인간과 자연의 공생(상생)을 생각한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자손을 남기기 위해서는 벼를 먹지 않으면 안 되는‘약자로서의 해충’의 입장에 서면 해충의 행위는 단순하게 부정할 수 없다. 이 행사를 통해서 “나만 좋으면 된다”고 하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공동체의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묻고, 그로부터 지역공동체가 인간화되는 방법을 가르치는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다.

                          이 지역은 신란(親鸞)의 정토진종(浄土眞宗)이 500년 전부터 뿌리내리고 있고, 인구의 80%가 정토진종 신자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타자와의 공생(상생)관은 침투하기 쉽다. 이 행사에는 공동체의 전 구성원이 참여하고, 어린이들이 연장자로부터 횃불 만드는 법을 배움으로써 연장자에 대한 존경심이 생겨나고, 손수 만든 횃불을 부모와 함께 불을 붙여 행렬함으로써 가족의 유대가 강화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행사에서 맨 앞에 서는 것은 70세 이상의 노인들이다. 지역의 삼세대가 교류하는 이 행사는 올해로 14년째를 맞이하는데, 지역자치회의 협력도 있고 해서 총 500명 가까운 주민이 참가하고 있고, 이 활동을 통해서 지역공동체의 유대는 강화되고 있다.



                          맺으며

                          오하시씨의 노년철학의 매력은 노인을 자기책임으로 몰아넣는 사회적 현실의 근간에 있는 서양 근대의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동아시아의 토착사상과 문화를 축으로 그것을 극복하려고 하는 또 하나의‘근대’(토착적 근대)의 제기와, 그것의 실천자로 노년자(老年者)를 위치지우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 제안은 결코 탁상공론이 아니라 지역공동체을 재구축하는데 있어서도 현실을 변혁하는 힘이 되고 있다. 오하시씨의 제안은 일본과 공통되는 풍부한 토착문화를 지닌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나는 믿는다.

                          번역: 조성환
                          Posted by Sejin at March 09, 2024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Comments (Atom)

                          Directory Page

                          • Home

                          Blog Archive

                          • ▼  2025 (671)
                            • ▼  November (5)
                              • 決定版 からだの教養12ヵ月 | 若林理砂 |本 | 通販 | Amazon
                              • 寝る・食う・動く 子どもの養生習慣60 - 若林理砂 - ブックライブ
                              • シン・養生論 | 五木寛之 audiobook.jp
                              • 養生こよみ - 若林理砂 - 電子書籍ブックライブ
                              • 논어를 연찬하다 | 이남곡 | 알라딘
                            • ►  October (46)
                            • ►  September (116)
                            • ►  August (94)
                            • ►  July (139)
                            • ►  June (61)
                            • ►  May (30)
                            • ►  April (17)
                            • ►  March (83)
                            • ►  February (68)
                            • ►  January (12)
                          • ►  2024 (1394)
                            • ►  December (21)
                            • ►  November (40)
                            • ►  October (47)
                            • ►  September (82)
                            • ►  August (105)
                            • ►  July (93)
                            • ►  June (46)
                            • ►  May (76)
                            • ►  April (191)
                            • ►  March (241)
                            • ►  February (245)
                            • ►  January (207)
                          • ►  2023 (4088)
                            • ►  December (154)
                            • ►  November (141)
                            • ►  October (313)
                            • ►  September (371)
                            • ►  August (552)
                            • ►  July (584)
                            • ►  June (523)
                            • ►  May (480)
                            • ►  April (341)
                            • ►  March (180)
                            • ►  February (212)
                            • ►  January (237)
                          • ►  2022 (3375)
                            • ►  December (192)
                            • ►  November (159)
                            • ►  October (154)
                            • ►  September (162)
                            • ►  August (358)
                            • ►  July (445)
                            • ►  June (517)
                            • ►  May (560)
                            • ►  April (327)
                            • ►  March (204)
                            • ►  February (78)
                            • ►  January (219)
                          • ►  2021 (3270)
                            • ►  December (154)
                            • ►  November (223)
                            • ►  October (374)
                            • ►  September (316)
                            • ►  August (252)
                            • ►  July (286)
                            • ►  June (272)
                            • ►  May (302)
                            • ►  April (338)
                            • ►  March (316)
                            • ►  February (212)
                            • ►  January (225)
                          • ►  2020 (2422)
                            • ►  December (228)
                            • ►  November (385)
                            • ►  October (417)
                            • ►  September (270)
                            • ►  August (214)
                            • ►  July (71)
                            • ►  June (161)
                            • ►  May (141)
                            • ►  April (98)
                            • ►  March (142)
                            • ►  February (84)
                            • ►  January (211)
                          • ►  2019 (1234)
                            • ►  December (85)
                            • ►  November (8)
                            • ►  October (98)
                            • ►  September (228)
                            • ►  August (50)
                            • ►  July (76)
                            • ►  June (52)
                            • ►  May (55)
                            • ►  April (111)
                            • ►  March (64)
                            • ►  February (152)
                            • ►  January (255)
                          • ►  2018 (587)
                            • ►  December (157)
                            • ►  November (28)
                            • ►  October (22)
                            • ►  September (82)
                            • ►  August (59)
                            • ►  July (13)
                            • ►  June (40)
                            • ►  May (53)
                            • ►  April (48)
                            • ►  March (66)
                            • ►  February (18)
                            • ►  January (1)
                          • ►  2017 (188)
                            • ►  December (14)
                            • ►  November (19)
                            • ►  October (4)
                            • ►  September (55)
                            • ►  August (11)
                            • ►  July (38)
                            • ►  June (1)
                            • ►  April (16)
                            • ►  March (11)
                            • ►  February (7)
                            • ►  January (12)
                          • ►  2016 (987)
                            • ►  December (53)
                            • ►  November (111)
                            • ►  October (267)
                            • ►  September (70)
                            • ►  August (11)
                            • ►  July (41)
                            • ►  June (92)
                            • ►  May (153)
                            • ►  April (123)
                            • ►  March (66)
                          • ►  2015 (6)
                            • ►  August (2)
                            • ►  July (3)
                            • ►  February (1)
                          • ►  2013 (1)
                            • ►  October (1)

                          Search This Blog

                          Labels

                          • Ibn Arabi (4)
                          • ??? (1)
                          • "Body keeps" (643)
                          • "centering prayer" (62)
                          • "contemplative life" (53)
                          • "de Ropp" (2)
                          • "Esoteric Christianity" (27)
                          • "holy obedience" (30)
                          • "inner chapters" (5)
                          • "inner christianity" (4)
                          • "Sejin Pak" (13)
                          • "Shall We Live" (4)
                          • "spiritual care" (33)
                          • "spiritual practice" (298)
                          • "study bible" (8)
                          • "김시천 노자 강의 " (27)
                          • "의식과 본질" (262)
                          • "일본으로 건너간 연오랑" (5)
                          • [Directory (2)
                          • [spiritual journey (1)
                          • [아직도 가야 할 길> 요약 (5)
                          • ** (222)
                          • *** (2)
                          • 120 (2)
                          • A.C. Graham (9)
                          • Abhidharma (119)
                          • Acupuncture (1)
                          • adhidhamma (161)
                          • AFSC (100)
                          • ageing (55)
                          • Ajita (3)
                          • Alastair McIntosh (1)
                          • Aldous Huxley (102)
                          • Amartya Sen (13)
                          • Ambedkar (30)
                          • American (1)
                          • Andrew B. Newberg (1)
                          • anger (4)
                          • Anil Seth (5)
                          • Anne Bancroft (4)
                          • Anne Marie Schimmel (16)
                          • Anthony Manousos (3)
                          • archetype (1)
                          • Arthur Versluis (4)
                          • Aurobindo (1)
                          • Australia (5)
                          • Australian soul (1)
                          • Australian spirituality (1)
                          • AVP (10)
                          • Basham (4)
                          • Beatrice Tinsley (10)
                          • Before (4)
                          • before triology (4)
                          • Bessel A. van der Kolk (1)
                          • Bessel Van Der Kolk (19)
                          • Beyond Majority Rule (6)
                          • beyul (13)
                          • bhagavad gita (39)
                          • Bible as literature (14)
                          • Bill Devall (11)
                          • biography (5)
                          • body (2)
                          • Body remembers (17)
                          • Body Score (9)
                          • bodymind (16)
                          • Brain (1)
                          • Brian Greene (5)
                          • Brief History of Everything (8)
                          • Buddha (3)
                          • Buddhism (3)
                          • C. S. Lewis (165)
                          • calling (1)
                          •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5)
                          • Camino (1)
                          • Care (1)
                          • Carl Jung (170)
                          • Carl Jung unconscious (65)
                          • Cārvāka (2)
                          • Change We Must (3)
                          • Charlotte Kasl (11)
                          • Chi (2)
                          • Chikako Ozawa-de Silva (7)
                          • Choan-Seng Song (6)
                          • Chopra (3)
                          • Chris Hedges (1)
                          • Christian mysticism (3)
                          • Christian pacifism (8)
                          • Christian Zen (16)
                          • Christianity Made in Japan (15)
                          • Christopher Irsherwood (4)
                          • Christopher Isherwood (9)
                          • Claude Swanson (10)
                          • compassion (44)
                          • Confucianism (1)
                          • contemplative (102)
                          • Contemplative Practices (21)
                          • cooperative (1)
                          • Courage to Teach (1)
                          • Course in Miracles (14)
                          • Creel H G (10)
                          • critics (4)
                          • cult (5)
                          • Dalai Lama (38)
                          • Damasio (26)
                          • Daniel Keown (1)
                          • Dao (129)
                          • Daoism (62)
                          • dark matter (4)
                          • David Bohm (73)
                          • David Karchere (7)
                          • David R. Hawkins (16)
                          • death (9)
                          • Deep Ecology (85)
                          • Deepak Chopra (4)
                          • deepening (50)
                          • Dhammapada (85)
                          • Diarmuid O'Murchu (8)
                          • DISCIPLINE (3)
                          • divine design (13)
                          • divine ground (42)
                          • Divine Light (1)
                          • Doctor Zhivago (8)
                          • Doctrine of the Mean (14)
                          • Dogen (109)
                          • Donald W. McCormick (15)
                          • Donna J. Haraway (12)
                          • Dorothee Solle (7)
                          • Dr Wayne W Dyer (4)
                          • dying (1)
                          • ecology (2)
                          • Ehrenreich (25)
                          • Einstein (50)
                          • Elton Trueblood (7)
                          • emdr (24)
                          • Emerson (159)
                          • Émile Zola (1)
                          • Emissaries (25)
                          • Emissaries of Divine Light (2)
                          • emotion (1)
                          • emotionalism (1)
                          • energy (1)
                          • Engaged Buddhism (86)
                          • Enneagram (11)
                          • Enomiya-Lassalle (8)
                          • Erwin Schrodinger (9)
                          • Eternal Promise (1)
                          •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12)
                          • existential Jesus (5)
                          • faith (50)
                          • Feminism (1)
                          • Fenelon (3)
                          • fingarette (8)
                          • Fiona Gardner (15)
                          • Fit (2)
                          • Forgiveness (1)
                          • Francis S Collins (6)
                          • Fusus Al-Hikam (1)
                          • Gandhi (29)
                          • gardening (1)
                          • Garfield (12)
                          • Garma Chang (13)
                          • Gloriavale (3)
                          • God (5)
                          • Goddess (1)
                          • Goddesses (2)
                          • Great Courses (93)
                          • Great World Religions (1)
                          • Gretchen Rubin (5)
                          • Grundtvig (61)
                          • Grundtvig2 (3)
                          • Gut (2)
                          • gut microbiome (23)
                          • Hakuin (3)
                          • Hans-Georg Moeller (14)
                          • happiness chemicals (1)
                          • Hari Prasad Shastri (3)
                          • Head & Heart Together (311)
                          • Headspace (1)
                          • healing (2)
                          • Healing Touch (2)
                          • Health (1)
                          • Heinrich (9)
                          • Henri Nouwen (22)
                          • Heup-young Kim (2)
                          • Hew Len (4)
                          • Hindu (12)
                          • Hinduism (69)
                          •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illich (14)
                          • Ho’oponopono (4)
                          • Hoʻoponopono (11)
                          • holy indifference (42)
                          • holy spirit (99)
                          • Homosexuality (8)
                          • how to know god (2)
                          • Huayen (102)
                          • Humor (5)
                          • Huston Smith (86)
                          • Huxley (1)
                          • Hwa Yen (101)
                          • Hwa Yen Buddhism (101)
                          • Hwayen (102)
                          • Hyun Ju Kim (1)
                          • Ibn Al-Arabi (2)
                          • Ibn Arabi (133)
                          • Identity (1)
                          • Ikeda (7)
                          • ikigai (32)
                          • Ilchi (61)
                          • Ilia Delio (11)
                          • India (17)
                          • Indian (16)
                          • Indian Cultural History (4)
                          • Indian materialism (2)
                          • Indian philosophy (81)
                          • Indian philosopy (1)
                          • indifference (99)
                          • indigeneous (4)
                          • Inner light (1)
                          • Integral theory (11)
                          • integrative (2)
                          • Integrative Medicine (2)
                          • Interbeing (53)
                          • interspirituality (4)
                          • Intro 해설 (2)
                          • Ishida Baigan (1)
                          • Ishvara (1)
                          • Islam (421)
                          • Israel (1)
                          • J Quaker (3)
                          • Japan Quaker (50)
                          • Japanese Buddhism (3)
                          • Japanese philosophy (72)
                          • Jean Améry (7)
                          • Jesus (1)
                          • Johan Galtung (6)
                          • John B Cobb Jr (24)
                          • John Carroll (5)
                          • John Howard Yoder (2)
                          • John Lennon (24)
                          • John Lie (1)
                          • John O'Donohue (7)
                          • John Woolman (19)
                          • Joseph Goldstein (1)
                          • K. M. Sen (2)
                          • Kabat-Zinn (93)
                          • Kamiya Mieko (9)
                          • Kang-nam Oh (50)
                          • Karen Armstrong (37)
                          • Karl Rahner (50)
                          • Karma (17)
                          • Kelly [Book] (1)
                          • ken wilber (26)
                          • Kenneth Boulding (50)
                          • Ki (2)
                          • Kohei Saito (8)
                          • Komjathy (7)
                          • Komjathy. Daoist Tradition (17)
                          • Korea (1)
                          • Korea Quaker (126)
                          • Korean Buddhism (11)
                          • kukai (45)
                          • leading (2)
                          • Lecture Mystic Traditions (12)
                          • Leonard Swidler (10)
                          • Lessons In Truth (12)
                          • Lessons In Truth Book (13)
                          • Life force (10)
                          • LIght (1)
                          • lokāyata (4)
                          • Losing Ourselves (2)
                          • Lotus Sutra (28)
                          • Louis Massignon (7)
                          • Luke Timothy Johnson (21)
                          • M. Scott (1)
                          • Marcus J Borg (10)
                          • Marie De Hennezel (7)
                          • Marina Schwimmer (4)
                          • Mark Mullins (18)
                          • Mark W. Muesse (1)
                          • Mary Baker (12)
                          • Mary Baker Eddy (39)
                          • Mary Magdalene (7)
                          • materialism (2)
                          • Matt Haig (3)
                          • Matthieu Ricard (18)
                          • Meaning (1)
                          • Meaning of Life (13)
                          • Medicine (2)
                          • Meditation (1)
                          • Meeting for Learning (26)
                          • Meister Eckhart (60)
                          • Mennonite (91)
                          • Merton (1)
                          • meta religion (3)
                          • Michael Talbot (6)
                          • Mieko Kamiya (4)
                          • mindbody (11)
                          • mindfulness (542)
                          • mindfulness* (7)
                          • Moana (3)
                          • Mondragon (1)
                          • Montgomery (5)
                          • Moral action (1)
                          • Mu Soeng (5)
                          • Muhammad (1)
                          • Mukunda Rao (11)
                          • mystical (1)
                          • mysticism (4)
                          • Nagarjuna (4)
                          • Naikan (31)
                          • namarupa명색 (2)
                          • name of the rose (6)
                          • Namgok Lee (101)
                          • Namgok Lee 이남곡 (22)
                          • Namgok Leem (50)
                          • Nana Veary (3)
                          • Nei Gong (33)
                          • Neil MacGregor (1)
                          • New Thought (81)
                          • Nietzsche (2)
                          • Nishida Kitaro (1)
                          • NK (68)
                          • Noah (4)
                          • Noble Strategy (51)
                          • Non-Believer (1)
                          • Non-Duality (1)
                          • non-theism (1)
                          • Non-violence (1)
                          • nontheism (1)
                          • nontheism nontheistic (57)
                          • Nontheist Quakers (59)
                          • nontheistic (1)
                          • nuclear power (100)
                          • Nyaya (1)
                          • Os Cresson (17)
                          • Osho (10)
                          •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10)
                          • Panentheism (1)
                          • Panikkar (5)
                          • Pankaj Mishra (4)
                          • Paramahansa Yogananda (5)
                          • Parker Palmer (60)
                          • Parkere Palmer selection (14)
                          • Patanjali (14)
                          • Peace (14)
                          • peace studies (5)
                          • People of the Lie (2)
                          • perennial (118)
                          • perennial phil (1)
                          • Perennial Philosophy (1)
                          • Perennial Philosophy Bk (33)
                          • PerennialSufi (19)
                          • Phenomenon of Man (10)
                          • Phil Gulley (17)
                          • Philip Sheldrake (6)
                          • Philo Kalia (1)
                          • Philo Kalia 심광섭 (32)
                          • Pierre Claverie (5)
                          • pilgram (198)
                          • Pilgrimages in Japan (1)
                          • plague virus pendemic (15)
                          • Pleiadian (15)
                          • pneuma (48)
                          • Prabhavananda (8)
                          • prayer (1)
                          • psyche (149)
                          • qi (1)
                          • Qigong (96)
                          • Quaker (33)
                          • Quaker Australia (1)
                          • Quaker indigenous (1)
                          • Quaker missionary (1)
                          • Quaker retreat (133)
                          • Quaker retreat projects (36)
                          • Quaker studies (5)
                          • Quaker Sufi (35)
                          • Quaker universalism (29)
                          • Quakerism (64)
                          • Quakersufi (2)
                          • Quantum mysticism (12)
                          • Qui Gong (33)
                          • Radhakrishnan (2)
                          • Ramakrishna (4)
                          • Real Zen for Real Life (13)
                          • Rebellion (1)
                          • reiki (32)
                          • Reincarnation (52)
                          • religion (4)
                          • Religions of the Axial Age (2)
                          • René Girard (1)
                          • Rene Guenon (16)
                          • Rex Ambler (1)
                          • Riane Eisler (4)
                          • Richard Rohr (39)
                          • Richard Smoley (7)
                          • Rick Hanson (1)
                          • Rinpoche (55)
                          • Road less travelled (7)
                          • Robert E. Buswell (13)
                          • Robert Powell (10)
                          • Robert Wright (42)
                          • Rodney Stark (2)
                          • Roger Scruton (20)
                          • Romain Rolland (6)
                          • Rumi (159)
                          • SA (2)
                          • sabda (2)
                          • Śabda Brahman (1)
                          • Sacred Texts (9)
                          • Sallie B. King (52)
                          • Samkhya (6)
                          • Samsara (4)
                          • Sankara (10)
                          • Satish Kumar (15)
                          • scandal (3)
                          • Schleiermacher (7)
                          • Schweitzer (8)
                          • science spirituality (125)
                          • Scott Jeffrey (7)
                          • Scott Peck (44)
                          • sefirot (8)
                          • SGI (41)
                          • shade (1)
                          • Shankara (10)
                          • Shanti Sadan (1)
                          • Sheeran (7)
                          • Shingon (51)
                          • Shingon Buddhism (1)
                          • Shinji Takahashi (8)
                          • Shinto (12)
                          • Shoko Yoneyama (4)
                          • Shri Shankara (1)
                          • shusaku endo (18)
                          • Soil (5)
                          • Song of God (9)
                          • Spinoza (147)
                          • spirit (1)
                          • spirit possession (1)
                          • spiritual gift (5)
                          • spiritual practice (100)
                          • Spirituality (213)
                          • SQ 21 (2)
                          • Starseeds (6)
                          • Stefan Zweig (59)
                          • Stephen Batchelor (48)
                          • Stephen Cope (4)
                          • Stephen Mitchell (1)
                          • Steve Smith (5)
                          • Steve Taylor (55)
                          • Steven Katz. (1)
                          • Subhash C. Kashyap (1)
                          • Sue Hamilton (3)
                          • Sufism (334)
                          • Sufism and Taoism (4)
                          • Sufism Intro (24)
                          • Sumanasara (9)
                          • Sun Myung Moon (45)
                          • Swami Bhaskarananda (2)
                          • Swami Mukundananda (1)
                          • Swami Rama (9)
                          • Swami Tadatmananda (6)
                          • Swami Vivekananda (14)
                          • Swedenborg (3)
                          • Tae-Chang Kim (4)
                          • Taechang Kim (36)
                          • Tagore (32)
                          • Tai Chi (2)
                          • Taichi (1)
                          • Tajalli (3)
                          • Tao (3)
                          • Tao Te Ching translation (12)
                          • Taoism (148)
                          • Taoism_Intro (15)
                          • Teilhard de Chardin (32)
                          • Tenzin Palmo (7)
                          • Testament of Devotion (9)
                          • Testment of Devotion (1)
                          • Ṭhānissaro (13)
                          • The "Philosophy of the Daodejing" (2)
                          • The Body Keeps (2)
                          • The Chosen TV drama (10)
                          • The Courage to Teach (7)
                          • The Meaning of Life (1)
                          • The Razor's Edge (9)
                          • The Road Less Traveled (2)
                          •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1)
                          • The Unity of Being (16)
                          • The Way of Chuang Tzu (1)
                          •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7)
                          • Thich Nhat Hanh (210)
                          • third Jesus (1)
                          • Thomas Berry (20)
                          • Thomas Kelly (1)
                          • Thomas Mann (2)
                          • Thomas Merton (160)
                          • Thomas Moore (9)
                          • Thomas R. Kelly (126)
                          • Thomas Raymond Kelly (1)
                          • Thomas Sowell (6)
                          • Thoreau (100)
                          • Tibet (1)
                          • Timothy Morton (30)
                          • Tolstoy (43)
                          • Toshihiko Izutsu (113)
                          • Toshihiko Izutsu Sufism And Taoism (50)
                          • transcendentalism (63)
                          • Transpersonal (61)
                          • trauma (104)
                          • Tuesdays with Morrie (6)
                          • Tulshuk Lingpa (4)
                          • U. G. Krishnamurti (19)
                          • Uddalaka (3)
                          • Umberto Eco (6)
                          • unconscious (1)
                          • unification (1)
                          • unitarian (3)
                          • unitive knowledge of God (64)
                          • Unity (2)
                          • Unity Church (2)
                          • universalism (1)
                          • upanishads (7)
                          • Ursula K. Le Guin (1)
                          • Val Plumwood (9)
                          • Ved Mehta (10)
                          • Vedanta (22)
                          • Vicki Mackenzie (1)
                          • Vipassanā (36)
                          • Vivekananda Biography (4)
                          • Volunteer (23)
                          • volunteer (240)
                          • Waḥdat al-wujūd (19)
                          • Wahiduddin (5)
                          • Wakamatsu Eisuke (1)
                          • Wayne Teasdale (4)
                          • Welch Jr. (50)
                          • Well (1)
                          • Western Sufism (2)
                          • When Nietzsche Wept (7)
                          • Wherever You Go (1)
                          • Wild God (2)
                          • Will Durant (8)
                          • Witness Lee (7)
                          • Yalom (26)
                          • Yamaga Sokō (1)
                          • Yasuo Yuasa (20)
                          • Yijing (1)
                          • Yoga (93)
                          • Yoga sutra (9)
                          • Yoga Sutras of Patanjali (9)
                          • Yuval Noah Harari (2)
                          • zen (1)
                          • Zen Buddhism (1)
                          • Zhuangzi (5)
                          • 가미야 미에코 (11)
                          • 강민창 (2)
                          • 강상중 (3)
                          • 강유원 (1)
                          • 개벽의 사상사 (1)
                          • 격물궁리 (33)
                          • 경의 敬義 (1)
                          • 고인수 (3)
                          • 공 空 (100)
                          • 공 空 sunyata (12)
                          • 공공철학 (78)
                          • 공해 (42)
                          • 관념론 (43)
                          • 관음 (62)
                          • 교토학파 (45)
                          • 구카이 (15)
                          • 국선도 (54)
                          • 권근 (1)
                          • 귀신사생론 (1)
                          • 그룬트비 (61)
                          • 근친상간 incest (3)
                          • 기공 호흡법 (5)
                          • 기세춘 (14)
                          • 기수련 (66)
                          • 기철학 (10)
                          • 기측체의 (1)
                          • 기치료 (41)
                          • 기학 (2)
                          • 길희성 (9)
                          • 김동춘 (12)
                          • 김복기 (1)
                          • 김상일 (33)
                          • 김상준 (3)
                          • 김성갑 (5)
                          • 김성례 (11)
                          • 김성수 (45)
                          • 김승혜 (17)
                          • 김시천 (35)
                          • 김연숙 (3)
                          • 김영민 (12)
                          • 김용옥 (13)
                          • 김용환 (44)
                          • 김정현 (3)
                          • 김조년 (62)
                          • 김종건 (3)
                          • 김지하 (100)
                          • 김태영 (2)
                          • 김태완 (3)
                          • 김태창 (118)
                          • 김태창 일기 (14)
                          • 깊은 강 (7)
                          • 깊은강 (2)
                          • 깨달음 (148)
                          • 나우웬 (5)
                          • 남명 조식 (7)
                          • 내관법 (10)
                          • 노길명 (10)
                          • 노자 (100)
                          • 농업 (44)
                          • 니시타니 케이지 (1)
                          • 니체 (4)
                          •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1)
                          • 다산 (1)
                          • 다카하시 신지 (30)
                          • 단군 (2)
                          • 단월드 (71)
                          • 단학 (3)
                          • 달라이 라마 (2)
                          • 대장암 Bowel cancer (6)
                          • 대종경 (1)
                          • 대행스님 (6)
                          • 데이비드 호킨스 (16)
                          • 덴마크 (62)
                          • 도덕경 (317)
                          • 도마복음 (1)
                          • 도법 (181)
                          • 도법2 (5)
                          • 도사카 준 (4)
                          • 도승자 (2)
                          • 도영인 (2)
                          • 동경대전 (1)
                          • 동양포럼 (46)
                          • 동학 (2)
                          • 들뢰즈 (4)
                          • 러시아적 (3)
                          • 로고스 (92)
                          • 로카야타 (2)
                          • 류경희 (9)
                          • 마고 (1)
                          • 마성 (8)
                          • 마스노 슌묘 (6)
                          • 마음공부 (124)
                          • 마이스터 엑카르트 (13)
                          • 만달라 (85)
                          • 만달라 만다라 mandala (67)
                          • 메이지의 그늘 (5)
                          • 명리학 (1)
                          • 명상 (787)
                          • 모리시타 나오키 (4)
                          • 모리오카 마사히로 (11)
                          • 목민심서 (1)
                          • 몸은 기억한다 (18)
                          • 몸은 안다 (13)
                          • 몽골생태영성순례 (5)
                          • 무교 (1)
                          • 무당 (133)
                          • 무묘앙 (26)
                          • 문선명 (66)
                          • 문선명 사상 (1)
                          • 문선명 통일교 (108)
                          • 문수신앙 (5)
                          • 문화영 (33)
                          • 미생물 (103)
                          • 밀의 종교 (1)
                          • 밀의종교 (1)
                          • 바가바드 기타 (44)
                          • 박규태 (1)
                          • 박길수 (1)
                          • 박미라 (5)
                          • 박보희 (11)
                          • 박석 (36)
                          • 박석 인문학 (1)
                          • 박성수; 연오랑 (1)
                          • 박성준 (23)
                          • 박영재 (6)
                          • 박재찬 (6)
                          • 박정미 (4)
                          • 박진여 (13)
                          • 반성과 행복 (1)
                          • 백낙청-박맹수-김용옥 (6)
                          • 백승종 (18)
                          • 버스웰 (2)
                          • 벌레 이야기 (1)
                          • 법구경 (33)
                          • 법륜 (48)
                          • 법화경 (21)
                          • 베단타 (3)
                          • 보은 (1)
                          • 보현TV (3)
                          • 부도지 (1)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4)
                          • 북한 (68)
                          • 북한농업 (44)
                          • 북한지리 (5)
                          • 불광선인(佛光仙人) (1)
                          • 불교 (2)
                          • 불교와 기독교 (1)
                          • 불필스님 (1)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6)
                          • 빌게이츠 (5)
                          • 빙의 (1)
                          • 산수화(山水畵) (4)
                          • 산자야 (5)
                          • 삼국유사 (1)
                          • 삼족오 (21)
                          • 상카라 (10)
                          • 상키야 (6)
                          • 생명 (1)
                          • 생명농업 (5)
                          • 샤만 (1)
                          • 샤먼 (1)
                          • 샹카라 (10)
                          • 서경덕 (19)
                          • 서정록 (14)
                          • 선과 그리스도교 (2)
                          • 선도 (6)
                          • 선도체험기 (2)
                          • 선도회(禪道會) (3)
                          • 선옥균 (2)
                          • 선옥균 악옥균 (6)
                          • 성덕도 (21)
                          • 성령 (150)
                          • 성리학 (1)
                          • 성학십도 (1)
                          • 세피로트 sefirot (15)
                          • 소노 아야코 (4)
                          • 소태산 (148)
                          • 소학 (60)
                          • 송규 (7)
                          • 송기득 (1)
                          • 송정산 (6)
                          • 송천성 (6)
                          • 수련문화 (24)
                          • 수선재 (20)
                          • 수피즘 (118)
                          • 수행 (101)
                          • 숭산 (21)
                          • 슈테판 츠바이크 (34)
                          • 스콧 펙 (35)
                          • 스티브 테일러 (8)
                          • 스피노자 (3)
                          • 신기통 (5)
                          • 신내림 (25)
                          • 신라불교 (1)
                          • 신비 종교 (1)
                          • 신비주의 종교 (1)
                          • 신선사상 (1)
                          • 신은희 (4)
                          • 심광섭 (32)
                          • 심광섭 신비주의 (4)
                          • 심상 (40)
                          • 심중식 (9)
                          • 아나밥티스트 (42)
                          • 아비달마 (50)
                          • 아비담마 (100)
                          • 아지타 (3)
                          • 아직도 가야 할 길 (14)
                          • 아카마쓰 아키히코 (1)
                          • 야규 마코토 (66)
                          • 야기 세이이치 (1)
                          • 야마기시 (12)
                          • 야마기시즘 (19)
                          • 양명학 (47)
                          • 양생도인법 (1)
                          • 어윤형 (2)
                          • 에노미야 라쌀 (8)
                          • 엔도 슈사쿠 (37)
                          • 역경 (11)
                          • 연오랑 (1)
                          • 영성 (1)
                          • 영성 신학 (2)
                          • 영혼의 탈식민지화 (16)
                          • 예술신학 (1)
                          • 오강남 (71)
                          • 오구라 기조 (28)
                          • 오대산 (5)
                          • 오비츠 료이치 (4)
                          • 오카다 다카시 (8)
                          • 오카다 타카시 (11)
                          • 와카마쓰 에이스케 (2)
                          • 와카마츠 에이스케 (2)
                          • 외경 畏敬 (2)
                          • 요가 (1)
                          • 우리는 누구인가 (13)
                          • 웃다라카 (3)
                          • 원불교 (239)
                          • 원자력 (42)
                          • 원전 (79)
                          • 원주민 영성 (2)
                          • 원톄쥔 (7)
                          • 원효 (254)
                          • 위안부 (124)
                          • 유교페미니즘 (1)
                          • 유동식 (72)
                          • 유사역사학 (7)
                          • 유사종교 (30)
                          • 유상용 (15)
                          • 유지 크리슈나무르티 (22)
                          • 윤정현 (13)
                          • 윤홍식 (1)
                          • 윤회 (67)
                          • 율려 (1)
                          • 은혜철학 (9)
                          • 의식과 본질 (14)
                          • 의식의 단계 (149)
                          • 의식의 지도 (3)
                          • 이기상 (28)
                          • 이나모리 가즈오 (5)
                          • 이나모리 카즈오 (6)
                          • 이남곡 (52)
                          • 이대섭 (2)
                          • 이도흠 (20)
                          • 이만열 (1)
                          • 이명권 (5)
                          • 이병철 (86)
                          • 이부영 (21)
                          • 이븐 아라비 (1)
                          • 이슈바라 (1)
                          • 이승헌 (102)
                          • 이시다 바이간 (1)
                          • 이시형 (8)
                          • 이신(李信) (7)
                          • 이은선 (43)
                          • 이인우 (4)
                          • 이정배 (65)
                          • 이정우 (7)
                          • 이종만 포럼 (6)
                          • 이종철 (3)
                          • 이종희 (11)
                          • 이즈쓰 도시히코 (98)
                          • 이즈쓰 토시히코 (1)
                          • 이찬수 (111)
                          • 이청준 (1)
                          • 이케다 (20)
                          • 이키가이 (32)
                          • 이해인 (28)
                          • 이행우 (17)
                          • 이현주 (38)
                          • 이황 (12)
                          • 인도철학 (50)
                          • 인류세 (57)
                          • 인중무과론 (1)
                          • 인중유과론 (1)
                          • 일리아 델리오 (11)
                          • 일본 이데올로기론 (4)
                          • 일본 주자학 (1)
                          • 일본 철학 (1)
                          • 일본불교 (5)
                          • 일본인식 (1)
                          • 일본적 영성 (16)
                          • 일본종교 (1)
                          • 일본철학 (10)
                          • 일지 (39)
                          • 잃어버린 초월 (1)
                          • 임건순 (10)
                          • 임상 종교사 (20)
                          • 임천고치(林泉高致) (7)
                          • 입학도설 (1)
                          • 자천의학 (5)
                          • 장 아메리 (7)
                          • 장내미생물군 (23)
                          • 장자 (364)
                          • 장태원 (2)
                          • 장회익 (1)
                          • 재산 (1)
                          • 적의 계보학 (14)
                          • 전생 (21)
                          • 전창선 (2)
                          • 정경희 (3)
                          • 정리 (6)
                          • 정산종사 (1)
                          • 정세윤 Sea-Yun Pius Joung (6)
                          • 정약용 (3)
                          • 정웅기 (5)
                          • 정창용 (2)
                          • 정채현 (1)
                          • 정호진 (5)
                          • 조선사상사 (11)
                          • 조성택 (30)
                          • 조성환 (121)
                          • 종교간 대화 (5)
                          • 주역 역경 I Ching (122)
                          • 주요섭 (18)
                          • 죽음 (31)
                          • 죽음 공부 (9)
                          • 중용 (14)
                          • 지구유학 (1)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1)
                          • 지성수 (9)
                          • 진언종 (51)
                          • 창가학회 (45)
                          • 천부경 (101)
                          • 천지인 (1)
                          • 천황가 (2)
                          • 초기불교 (77)
                          • 최민자 (29)
                          • 최재목 (16)
                          • 최준식 (68)
                          • 최진석 (11)
                          • 최한기 (82)
                          • 최현민 (32)
                          • 출가의 공덕 (4)
                          • 츠시모토 소군 (5)
                          • 침구 (48)
                          • 침구학 (14)
                          • 카르마 (16)
                          • 카마다 토지 (9)
                          • 카미야 미에코 (10)
                          • 칼 라너 (2)
                          • 켄 윌버 (19)
                          • 쿠바 (3)
                          • 퀘이커 (197)
                          • 큐바농업 (17)
                          • 크리슈나무르티 (1)
                          • 크릴 (8)
                          • 타오 (1)
                          • 탈원전 (8)
                          • 태허설 (1)
                          • 텅비움 (2)
                          • 통불교 (11)
                          • 통일교 (77)
                          • 퇴계 (1)
                          • 투리야 turiya (5)
                          • 트라우마 (116)
                          • 파커 파머 (6)
                          • 팔정도 (31)
                          • 폴 틸리히 (34)
                          • 풍류신학 (10)
                          • 플럼우드 (1)
                          •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1)
                          • 하늘철학 (1)
                          • 하인리히 (5)
                          • 한국 메노나이트 (42)
                          • 한국 퀘이커 (105)
                          • 한국선도 (4)
                          • 한국철학 (1)
                          • 한국퀘이커 (116)
                          • 한스-게오르크 묄러 (1)
                          • 한윤정 (99)
                          • 한자경 (21)
                          • 함석헌학회 (1)
                          • 허우성 (26)
                          • 허호익 (40)
                          • 혜강 (1)
                          • 호모 쿠란스 (5)
                          • 홍대선 (2)
                          • 홍신자 (7)
                          • 홍인식 (9)
                          • 화엄 (102)
                          • 화엄 華嚴 (102)
                          • 화쟁 (10)
                          • 화쟁2 (1)
                          • 화쟁기호학 (1)
                          • 환단고기 (37)
                          • 훈육 (3)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15)
                          • グルントヴィ (40)
                          • フーゴ・ラッサール (8)
                          • 不倫 (8)
                          • 井筒俊彦 (87)
                          • 対本宗訓 (5)
                          • 希修 (150)
                          • 幻(환) (2)
                          • 惠崗 (1)
                          • 日本思想 (1)
                          • 柳生真 (1)
                          • 森岡 正博 (12)
                          • 湯浅 泰雄 (1)
                          • 神谷美恵子 (16)
                          • 空海 (41)
                          • 聖德道 (19)
                          • 若松 英輔 (24)
                          • 訓育 (3)
                          • 高橋信次 (9)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Translate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