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9

◈ 김지하의 일원상(一圓相)개벽에서 화엄(華嚴)개벽으로 : 네이버 블로그

◈ 김지하의 일원상(一圓相)개벽에서 화엄(華嚴)개벽으로 : 네이버 블로그


일원상개벽에서 화엄개벽으로 - 한울안신문





일원상개벽에서 화엄개벽으로 - 한울안신문






일원상개벽에서 화엄개벽으로

한울안신문
승인 2009.02.12 12:00
댓글 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1 김지하 (원광대 석좌교수)


세계는 대 혼돈 중이다.


생태계의 전면 파괴오염위에 극한(極寒) 극서(極暑)의 기후변화, 대 금융위기에 따른 문명변동과 시장경제의 대혼란, 그리고 촛불.


미국 국가정보위는 이 사태를 두 마디로 정리한다. ‘세계 권력과 자본의 중심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전 세계는 다극체제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것을 혼돈학에서는 ‘중심을 동반한 해체(the integrated network)’ 라고 요약한다.


중심에 위치하기 시작하는 한반도에서 당연히 내어 놓아야 할 대안을 원불교가 앞장서 제시하는 것은 무리일까?


소태산 선생은 ‘일원상 법신불(一圓相法身佛)’과 ‘처처불상 사사불공(處處佛像 事事佛供)’을 세상 구원의 혈인(血印)으로 내어 놓았다.


이것이 무엇인가?


다름아닌 현실세계의 대혼돈에 대한 대안이다. 바로 ‘화엄개벽(華嚴開闢)’이다.


다만 시대적 사회적 제약 때문에 아직 개인적 차원, 기초적 단계에 머물렀을 뿐 오늘날에는 그것의 숨은 알맹이 차원이 그야말로 활짝 화엄(華嚴)하고 개벽(開闢)할 차례라고 생각된다.


바로 이것, 드러난 차원인 ‘일원상 법신불’과 ‘처처불상 사사불공’ 을 그 숨은 차원인 ‘화엄세계’와 ‘후천개벽’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창교(創敎) 100년을 준비하는 원불교 문화운동의 방향이고 바로 그것이 오늘 전 인류가 갈망하는 ‘화엄개벽의 길’을 여는 일이 아닐까?


나는 분명 동학당이다. 수운 최제우, 해월 최시형 선생의 제자로서 천도교가 아닌 나 홀로 동학당이다.


원불교 신자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화엄개벽’이라는 목표에서는 일치한다. 더욱이 오늘 원불교 문화운동 방향 정립에 대한 제안은 교단 내부보다 교단 바깥의 동반자가 더 적당하다는 요청에 기꺼이 대답하고 있는 것이다.


나의 제안은 다음 네 가지다.


우선 익산본부가 주공(主攻)해야할 세 가지.


첫째, 사상문화운동


둘째, 경제문화운동


셋째, 예술문화운동


그리고 또 다른 한 가지는 서울교구 은덕문화원과 여성 교무단이 책임적으로 집행해야 할 넷째, 여성문화개벽정치 운동이다.






약간 보충 설명한다.


첫째, 사상문화운동.


‘일원상법신불과 개벽’의 사상을 현대적인 전 세계 ‘화엄개벽’으로 확장하는 원불교 중심의 ‘전 세계 불교 대결집’을 추진하는 일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초현대적 해석과 개벽역(開闢易)인 오역(五易 : 伏羲易·文王易·正易·燈塔易·天符易의 총괄역) 창조를 실천적으로 결합하는 관점에서 국내 전불교교단과 국외 불교학자, 승려 및 관련 생명·평화·문화혁명 지식인들의 장기적 결집을 주도적으로 조직하는 일.


둘째, 경제문화운동.


화엄경의 경제 원리인 ‘동진불염 이생상도(同塵不染 利生常道 : 티끌을 함께 뒤집어 쓰되 물들지는 않는 것이 중생을 위한 향상된 진리실천의 길)의 원칙과 소태산 경제운동 원칙인 자리이타(自利利他))’ 및 ‘생활자치(生活自治)’를 결합하여 현대경제학이 요구하고 전 민중이 갈망하는 ‘착한 경제’의 구체적 실체인 ‘호혜시장(互惠市場)’을 우선 그 첫 발자국인 저축조합의 현대형식인 ‘호혜를 위한 민중기금’부터 착수하는 일.


‘호혜시장’은 고대 아시아 경제전통의 보석으로서 현대 경제학의 ‘칼 폴라니’이론이 구체화 하고 있어 참고할 수 있다. 그것은 ‘호혜(互惠)와 교환(交換)과 획기적 재분배(劃期的 再分配)’의 세 기능의 복합이다. 종교적 자선과 제사경제, 환경경제를 함축한 ‘개체융합’및 ‘내부공생’의 호혜, 자본주의 시장원리인 ‘자리이타’의 교환, 사회주의·공산주의의 추상적 ‘평등’을 실질적으로 ‘현실화’ 시키는 획기적 재분배의 삼 결합인 것이다.


셋째, 예술문화운동.


새시대의 새세대 세계 및 민족예술은 치유와 문명비판의 기능 없이는 성립불가능이다. 그 미학원리는 ‘신기론(神氣論-불교의 性起-緣起論)’ 과 ‘여율적 율려론(呂律的 律呂)’ 그리고 ‘흰 그늘’ 세 가지다. 이는 우선 대중적 연희예술로서는 ‘마당굿’의 ‘마당과 판’의 원리안에 함축된다. 소태산의 ‘일원상과 사은(四恩)’의 핵심성은 바로 마당굿의 ‘마당과 판’의 원칙에 그대로 일치하고 있다. 여기에 관한 나의 전문적인 글 두 편이 있다. ‘마당과 일원상’, ‘마당극에서 마당굿으로’ 가 그것이다.


마당굿을 중심으로 판소리·시나위· 풍물·민화 등 전통예술과 외래의 모든 형태의 예술문화가 화엄개벽적 미학 ‘흰 그늘’의 원리 안에서 퓨전, 크로스오버, 글로칼라이제이션과 유비쿼터스 시대를 열 것이다.






다음은 이 세 방면을 여성문화중심·여성생명정치성중심·정신개벽적 모심(侍) · 실천성중심으로 압축하는 서울교구 은덕문화원 및 원불교 여성교무단 주도의 ‘마고의 길’이라는 네 번째 별동(別動)문화운동이다.


‘마고의 길’은 또한 네 가지 내용영역 및 ‘처처불상 사사불공’과 같은 각개적 분야 등을 가진다.


첫째, ‘은덕(隱德)문화원’과 살롱 ‘마고’(麻姑)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여성성, 모성(母性)중심의 살림문화운동 즉 생명평화의 문화운동을 집중하는 일. 이 운동은 여성생명정치, 생활자치운동을 향한 여성정치가 양성으로 연결 되어야 함.


둘째 ‘여인의 평생사(女人之平生史)’를 이야기하기·듣기·논평하기·그 해결방향 찾기 집회를 지속하는 일.


셋째, ‘살림의 사회화’거의 전면화하고 있는 외식(外食)문화는 자연상태, 시장상태, 우연성과 돌발성, 기호성에 맡겨둘 일이 전혀 아니다.


7면에 계속


6면에 이어서


이것은 철저히 사회화, 객관화, 제도화해야하고 그 살림의 감시, 지휘, 감독, 집행력은 전문 인력으로 양성되고 운동으로 앙양되고 철저히 높은 사회적 보상과 풍요한 임금으로 장려 되어야 한다. 요컨대 가정 안에 유폐되어 있던 여성의 한없이 부드럽고 자상하고 자애로우며 섬세하고 깊은 성찰력과 날카로운 감각, 생명감각으로 충만한 <살림>의 기능을 ‘사회화 하고 객관화하고 제도화하자’는 것이다. 이 일은 연관된 여러 가지 사안들, 식품의 위생성, 가격, 조리과정, 유통과정, 외국식품 문제 등등 온갖 문제를 다 가져올 것이다.


이것은 작은 일이지만 여성중심으로 문명을 바꾸고 개벽하는 일이다.‘밥 한 그릇이 만사지(万事知)’가 바로 이 말이다. ‘만사지’는 ‘화엄개벽’을 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일은 여성의 포태(胞胎), 태교(胎敎), 출산(出産), 육아(育兒), 교육(敎育)등 이 세상에서 후천개벽, 화엄개벽의 제 1과제인 ‘어린이’문제의 사활적 중심사안인 것이다.


이 문제는 또한 위의 여성정치, 평생사이야기 · 듣기와 직결되어 지속적으로 홍보되고 정치 아젠다화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지막으로 여성문화운동은 화엄개벽의 선(禪)적 실천에로 그 초점이 집약된다.


화엄개벽은 그것이 아무리 광활하고 아무리 변혁적이고 아무리 대자대비한 해탈문이라 하더라도 개인의 선(禪)적 결단 없이는 허망한 말장난에 불과할 수 있다.


모심의 선(禪)적 실천!


그것도 여성이 그 주체로서!


더욱이 그 모심의 선 수행을 머리로서가 아닌 ‘몸’안에서 치열하게 감당하는 일은 화엄개벽과 생명평화운동의 사활적 ‘갈림길’이다.


이 몸속의 모심선, 모심의 생명평화, 모심의 화엄개벽문제는 위의 계획과 연결되면서도 독립적인 프로그램이 꼭 필요하다.


살롱‘마고’는 바로 그것을 집행한다.


‘마고의 생명평화의 길’ 연속강화가 그것이다. 한 달에 두 차례씩 1년 2개월에 걸쳐 진행한다. 원불교 은덕문화원과 여성교무단의 생명문화운동이 이 운동에 협조 연대할 필요가 있다. 강사는 본인 ‘김지하’다.

알라딘: 디지털 생태학

알라딘: 디지털 생태학













디지털 생태학
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 4
김지하 (지은이) 자음과모음(이룸) 2009-04-30

정가
13,700원
판매가
12,330원 (10% 할인) + 마일리지 680원
세액절감액
560원 (소득공제 조건 충족시)




10

100자평 0편
리뷰 1편

세일즈포인트 60

반양장본
296쪽
150*198mm
385g

ISBN 9788957074510




주제분류
신간 알림 신청

에세이 > 한국에세이


선물하기
공유하기


중고
알라딘에 팔기
중고
회원에게 팔기

중고 등록
알림 신청






이 책의 전/후속편 (총 4권)
신간 알림 신청

방콕의 네트워크 - 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 1
판매가 12,330원

촛불, 횃불, 숯불 - 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 2
판매가 12,330원

새 시대의 율려, 품바품바 들어간다 - 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 3
판매가 12,330원

디지털 생태학 - 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 4
판매가 12,330원


책소개
오랫동안 생명사상을 주창해온 김지하가 도덕적 삶의 부재가 야기한 우리 사회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촛불'이 태동한 현상을 중심으로 특유의 날카로운 시선으로 파헤친 에세이 형식의 사회비평서. <방콕의 네트워크>, <촛불, 횃불, 숯불>, <새 시대의 율려, 품바품바 들어간다>, <디지털 생태학> 총 4권으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나타난 붉은악마들의 거대하고, 단결된 응집력을 통해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폐단을 극복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 가능성은 조선 말기 동학농민운동에서 보였던, 저자의 생명사상의 모태가 되었던 '후천개벽'의 거대한 흐름을 이어온 우리 민족의 뿌리요, 이 땅의 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세대의 출현을 알리는 커다란 울림이었다.

이후 저자는 효순이 미선이 사건을 계기로 일어난 '촛불시위'를 통해 집회문화의 패러다임을 전환한 민족의 응집력에 주목했고, 이 네 권의 책을 통해 '사이버세대', '촛불세대'로 이어지는 거대한 문명사적 흐름과 우리 사회가 주목해야만 하는 시대의 역할에 대해 다소 무거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접기



목차


<방콕의 네크워크>

-소근소근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①


더보기



책속에서

6월 10일 이후 폭력의 악순환이 시작된다. 한쪽은 낡아빠진 보수 꼴통들이요, 다른 한쪽은 좌파 시위꾼들이다. 이것은 순수한 촛불을 훼손했다. 바로 이 폭력 선동자, 폭력 조장자 양쪽을 나는 ‘까쇠’라고 이름 지어 부르기로 한다. 촛불세대는 분명히 한 가지 입장만을 고수하지 않으며 다양한 사람들의 개성을 존중한다.
프랑스에서는 시민들의 평화적인 데모 때마다 복면을 쓰고 나타나 폭력 선동을 일삼아 그 결과를 난장판으로 귀결시키는 파괴자들을 가리켜 ‘Casseur, 까쇠르’라고 한다. 나는 이것을 ‘키워드’로 떠올리기로 한다. 이 키워드(촛불세대의 문화)를 통해 사태 전모를 인식하며 위험을 제거하고 비판해야 할 문제점을 순식간에 이 혁명과 인식해야 하는 것이 신세대 문화이다.
‘까쇠’는 ‘까부수는(파괴하는)’ ‘까부는(난동을 부리는)’ ‘까발리는(선동만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쇠놈(마당쇠의 쇠)을 뜻한다. ‘까쇠르’를 이제부터 ‘까쇠’로 부른다. ‘까쇠’는 정부에도 반정부 좌파에도 있다(종북전술단위). 이들의 목적은 (시민에게) 아무 이익도 없는 파괴뿐이다. 인터넷에도 있고 활자 신문에도 있다. 인터넷에는 ‘댓글알바’가 그것이고 신문에서는 ‘극우선동꾼’이다. 인식과 이 이름 부르기를 대중화시키는 것은 실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 <방콕의 네트워크> 23~24쪽 중에서


현대는 개체 중심의 융합입니다. 촛불은 인터넷을 하는 친구들로부터 시작됐고, 이들은 저마다 홍길동입니다. 거기에 가서 김지하가 이리로 가자고 하면 ‘너나 가라’고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세대가 잘못된 것입니까. 아닙니다. 지금까지 공동체, 국가, 민족으로 묶어놓았던 것에서 해방되기 시작하면서 개체성이 튀어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진화론도 크게 바뀌었습니다. 종 전체 중심의 진화가 아니라 개체가 먼저 나오고 있습니다. 천 개의 다른 개체들이 자기 안에 있는 하나의 큰 우주적 달을 전부 다 자기 스타일로 나름 나름 자기조직화하는 게 현대적 진화입니다. 바로 촛불들이 그렇습니다. 지금의 아이들이 사는 스타일은 우리 시대와는 다릅니다. 그게 월인천강입니다. 그래서 지금 이 바로 화엄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불교는 자신을 가져야 합니다. 후천개벽 모양으로 커다란 개혁을 한번 해야 합니다. 불교는 얼마든지 할 수 있고, 모든 것을 다 끌어안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불교가 갖는 원래의 큰 잠재력을 누가 현실에 맞게 뽑아내느냐 하는 것입니다. - <새 시대의 율려, 품바품바 들어간다> 209쪽 중에서


촛불!
촛불이다.
촛불은 제사다. ‘붉은악마’의 거칠고 불타는 생명력, 그 축제에 비하면 보드랍고 고즈넉한 영적 사건, 즉 제사요 음 陰이요 그늘이요, ‘밤에 켜는 제사로서의 촛불’이니 바로 ‘흰 그늘’이다.
촛불은 바슐라르의 물질신비주의의 영감의 원천이다. 촛불은 유럽 문화의 골수인 기독교신비의 중핵 ‘파스카 부활, Pascha’의 상징이다. ‘자기를 태워 빛을 발하는 예수 희생 제사’의 상징이다. 그것은 ‘넘어감’ 즉, ‘통과’의 의례다.
‘붉은악마와 촛불.’
마침내 현대 한국 민중의 새 세대 문화의 신비는 꼴을 갖춘다. 태극, 또는 ‘태극궁궁’의 음양통합이 나타난다. 붉은악마 ‘치우’의 숭고함과 ‘촛불’의 심오함이, 치우의 생명력(外有氣化)과 촛불의 무의식(內有神靈)이 통합된다.
아, 촛불!
나는 한동안 긴 침묵 속에서 혹시라도 내 생애와 촛불이 지닌 공유의 지점이 있었는지를 생각해본다. - <디지털 생태학> 43쪽 중에서
접기




저자 소개

지은이: 김지하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흰 그늘>,<우주생명학>,<중심의 괴로움> … 총 89종 (모두보기)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났다. 1966년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등 시 5편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으로는 ≪황토≫(1970), ≪타는 목마름으로≫(1982), ≪남(南)≫(1984), ≪살림≫(1987) , ≪애린 1·2≫(1987), ≪검은 산 하얀 방≫(1987), ≪이 가문 날에 비구름≫(1988), ≪나의 어머니≫(1988), ≪별밭을 우러르며≫(1989), ≪중심의 괴로움≫(1994), ≪화개≫(2002), ≪유목과 은둔≫(2004), ≪비단길≫(2006), ≪새벽강≫(2006), ≪못난 시들≫(2009), ≪시김새≫(2012) 등이 있다. 저서로는 ≪산문집 ‘밥’≫(1984), ≪남녘땅 뱃노래≫(1987), ≪흰 그늘의 길 1, 2, 3≫(2003), ≪생명학 1, 2≫(2003), ≪김지하의 화두≫ (2003), ≪탈춤의 민족미학≫(2004), ≪생명과 평화의 길≫(2005), ≪디지털 생태학≫(2009) 등이 있다.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 로터스 특별상(1975), 국제시인회의 위대한 시인상(1981), 크라이스키 인권상(1981), 이산문학상(1993), 정지용문학상(2002), 만해문학상(2002), 대산문학상(2002), 공초문학상(2003), 영랑시문학상(2010) 등을 수상했다. 현재 건국대학교 석좌교수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촛불세대’가 보여준 우리 민족의 가능성에 주목하라!

‘모심(侍)’, 창조적 ‘진화’ 그리고 ‘개벽’
생명사상가 김지하가 내놓은 또 하나의 화두

『소곤소곤 김지하의 세상이야기 인생이야기』(전 4권)는 오랫동안 생명사상을 주창해온 저자가 도덕적 삶의 부재가 야기한 우리 사회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촛불’이 태동한 현상을 중심으로 그 특유의 날카로운 시선을 가지고 파헤친 에세이 형식의 사회비평서이다.
이 책은 저자가 집필한 이전의 저작물들에 비해, 좀더 쉽게 쓰려고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 묻어 있다. 저자는 책 곳곳에서 현재 자신이 쓰고 있는 글이 지나치게 어렵지는 않은지, 현재 하고 있는 강연이 대중들에게 보다 쉽게 전달될 수는 없는지에 대해 스스로에게 되묻는 일을 반복한다. 그 만큼 저자는 이 책이 가진 사회적 메시지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이 땅의 위기를 극복할 유일한 방법이 바로 2002년 한일 월드컵과 촛불시위를 주도했던 대중 스스로에게 있음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나타난 붉은악마들의 거대하고, 단결된 응집력을 통해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폐단을 극복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 가능성은 조선 말기 동학농민운동에서 보였던, 저자의 생명사상의 모태가 되었던 ‘후천개벽’의 거대한 흐름을 이어온 우리 민족의 뿌리요, 이 땅의 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세대의 출현을 알리는 커다란 울림이었다.
이후 저자는 효순이 미선이 사건을 계기로 일어난 ‘촛불시위’를 통해 집회문화의 패러다임을 전환한 민족의 응집력에 주목했고, 이 네 권의 책을 통해 ‘사이버세대’, ‘촛불세대’로 이어지는 거대한 문명사적 흐름과 우리 사회가 주목해야만 하는 시대의 역할에 대해 다소 무거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

새로운 세대의 등장 ‘방콕의 네트워크’

2002년 6월 월드컵 축구대회 때에 청소년, 여성, 서민 일반이 주축인 붉은악마 응원팀에게 한 신문기자가 물었다.
“당신들 붉은악마세대의 별명을 무어라 부르는 게 좋겠는가?”
“방콕의 네트워크라고 불러다오.”
“무슨 뜻인가?”
“방콕은 제 방에 혼자서 콕 박혀 사는 세대를 말하고, 네트워크는
저희들 맘 맞는 컴퓨터세대끼리의 소규모 연락망을 말한다. 또 다른 표현을 쓴다면 ‘밀실의 연대’라고도 하겠다.”
-『방콕의 네트워크』 서문 중

2002년 붉은악마의 등장은 저자가 지난 20여 년 동안 주목해온 ‘후천개벽’의 시대를 여는 하나의 신호탄이었다. 한 달여 동안 한반도를 온통 붉은 함성으로 뒤흔든 7백만 명의 붉은악마가 보여준 우리 민족의 응집력은 실로 놀라운 것이었다. 하지만 저자는 이들을 지켜보면서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이벤트성의 행사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임을 깨달았다. 도전과 열정 그리고 관용을 동시에 보여주며 한반도 곳곳을 온통 붉은 물결로 뒤덮어 세계를 놀라게 했던 붉은악마세대는, 이후 촛불세대로 이어지며 다시 한 번 전 세계를 놀라게 할 하나의 가능성을 이어가고 있다.
그들은 ‘개체-융합’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온라인?오프라인 화백을 중심으로 각각의 네티즌 개체들이 그 안에 나름의 질서를 형성, 전체적 융합을 품고 있다. 동학은 각자가 그것을 자기스타일 대로 자각하는 것을 가리켜 ‘모심(侍)’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 ‘모심’을 곧 창조적 ‘진화’라고 부르고 그 진화의 극단적인 절정을 ‘개벽’이라고 한다. 그래서 저자는 촛불세대가 보여준 하나의 가능성을 ‘화엄개벽’이라 명명한다. 저자 자신의 사상적 모태인 ‘동학’의 후천개벽 시대가 바로 이들, ‘밀실의 네트워크’를 이루는 새로운 세대에 의해 이루어지리라는 확신을 가지게 된 것이다.

‘생명과 평화의 길’을 이끄는 새로운 리더 ‘촛불세대’

저자는 지금 우리사회에 일고 있는 인류 문명사 대전환의 미묘한 흐름을 일부 김항의 『정역』에서 집어내고 있다. 바로 후천개벽의 과정을 나타내는 ‘기위친정(己位親政)’, ‘십일일언(十一一言)’, ‘십오일언(十五一言)’ 세 마디가 그것이다.
‘기위’는 ‘맨 꼴지’를, ‘친정’은 ‘임금의 직접정치’를 의미한다. 결국 ‘기위친정’이 의미하는 바는 개벽이 시작되면 세상에서 가장 천대받던 소외계층이 임금처럼 우주정치를 담당하게 되는 큰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는 뜻이다. 불교의 ‘중생이 곧 부처’, 예수복음에서의 ‘모퉁이 돌이 머릿돌이 된다’라는 의미와 상통한다.
‘십일일언’과 ‘십오일언’은 이제껏 정치에서 제외되었던 20살 미만의 학생들과 젊은 여성들이 우리 사회의 중추 세력으로 떠오를 것이며, 기존의 정치인이나 지식인 종교 지도자들은 정치 전면에서 한 발 물러서 교육, 문화, 종교 본연의 임무에 몰두하면서 음으로 이들을 돕게 된다는 말이다.
120여 년 전 김일부가 『정역』을 통해 주창했던 ‘후천개벽의 시대’가 2002년 월드컵 당시 막강한 응집력을 보여주었던 붉은악마나 효순이 미선이 사건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운동을 통해 나타났던 ‘촛불시위’라는 새로운 개념의 시민사회운동의 태동으로 ‘촛불세대’라는 민족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새로운 세대의 등장으로 이어진 것이다.

사회적 대통합을 통한 문명사의 대전환
촛불이 던지는 우리 사회의 희망메시지

붉은악마로부터 이어진 ‘촛불세대’의 등장은 사회적 대통합을 통한 인류 문명사 대전환을 이루는 하나의 거대한 흐름으로 이어졌다. 저자가 남은 시간을 오직 ‘촛불’ 연구를 위해 바치겠다고 할 만큼 ‘촛불세대’가 가진 가능성은 우리 민족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유일한 희망임을 스스로 고백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쓸쓸한 대중들은 물론, 청소년, 젊은 여성 그리고 아이를 데리고 광장에 나온 ‘유모차 부대’에 이르기까지 ‘촛불’이 던지는 희망메시지에 반응하여 스스로 이 땅의 주인임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는 결국 불교, 가톨릭, 기독교 등 종파 간의 통합과 시민사회의 대통합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거대한 물결을 이루고야 말았다. 그동안 잠들어 있는 수많은 가능성들이 ‘촛불’이 던지는 메시지와 의미를 중심으로 하나의 거대한 ‘통합’을 이끌어낸 것이다.
이제 저자는 그들이 만들어낸 하나의 거대한 힘을 가능성에서 멈추지 말고 민중 스스로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2002년 월드컵과 촛불시위의 눈부신 현장들이 바로 그들이 공부해야 할, 구체적인 힘으로 만들어야 할 과제임을 밝힌다.
이제 이 땅의 위기는 그들 스스로 가지고 있는 가능성의 발현 여부에 따라 크게 변할 것임을 기대하며 저자는 희망이 가득 찬 가슴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갈 것이다.
접기


0
100자평

1
리뷰

0
마이페이퍼


읽고 싶어요 0명
읽고 있어요 0명
읽었어요 1명



구매자 분포




0% 10대

0%


3.6% 20대

0%


14.3% 30대

21.4%


7.1% 40대

32.1%


0% 50대

14.3%


3.6% 60대

3.6%
여성 남성



100자평
게시물 운영 원칙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현재 0/280byte (한글 140자 이내)
스포일러 포함
등록

구매자 (0)
전체 (0)

등록된 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쓰기

구매자 (0)
전체 (1)



승혜 2010-01-15



아나로그 시대의 사람들에게



디지털은 알 듯도 모를 듯도 한 개념이죠.



그 탓인지 디지로그란 용어도 나왔구요.ㅎㅎ



정말 세상이 어찌나 빨리 변화하는지



두 발 다 벗고 마구 뛰어도



따라잡기가 쉽지 않답니다.



김지하라는 저자를 모를 분은 별로 없어요.



반드시 정가 이상의 배움을 누리실 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