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30

관세음보살 - 위키백과, 觀音, 성관음(聖觀音), 아발로키테슈바라, Avalokiteśvara





관세음보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세음보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세음보살
1025년경 중국(북송)에서 제작된 관세음보살 목상
1025년경 중국(북송)에서 제작된 관세음보살 목상
산스크리트어अवलोकितेश्वर 아왈로키테슈와라
중국어聖觀音
일본어聖観音しょうかんのん 쇼칸논[*]
한국어관세음보살
몽골어ᠨᠢᠳᠦ ᠪᠡᠷ
ᠦᠵᠡᠭᠴᠢ
 미그지드 잔라이식
태국어พระอวโลกิเตศวรโพธิสัตว์
티베트어སྤྱན་རས་གཟིགས་ 쩬레식
베트남어Quán Thế Âm Bồ-tát
숭배 정보
종파대승불교밀교
속성대자대비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산스크리트어अवलोकितेश्वर avalokiteśvara ‘모든 것을 내려다보시는 지배자’)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세자재보살(觀世自在菩薩),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 또는 

줄여서 관음보살이나 관음(觀音)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에서는 남해관음(南海觀音), 남해고불(南海古佛)이라고도 불린다. 모든 부처의 연민(compassion)이 구체화된 화신이며, 티베트에서는 달라이 라마를 관세음보살의 현신으로 보고 그를 받든다.

설명[편집]

셀 수 없는 항하사겁(恒河沙劫)전에, 관세음(觀世音)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셨을 때, 관세음보살에게 '듣고 생각하고 닦는 지혜[聞思修]로 삼마지(三摩地)에 들어가라'고 가르쳐주었다. '환술(幻術)처럼 듣는 성품을 훈습하여 듣는 성품을 수행하는 금강삼매[如幻聞薰聞修金剛三昧]'라고도 한다.(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여환문훈문수금강삼매는 여환삼마지, 여환삼매라고도 한다.

각 언어별 명칭[편집]

산스크리트어한국어한자비고
Aryavalokitesvara관세음보살觀世音신성한 관세음보살보살의 기본형태
Ekādaśamukha십일면관음十一面얼굴이 11개인 관세음보살모든 것을 가르침
Sahasra-bhuja Sahasra-netra천수천안千手千眼천개의 팔, 천개의 눈을 가진 관세음보살모든 것을 보고 모든 일을 도와줌
Cintāmani-cakra여의륜관음如意輪소원을 들어주는 관세음보살여의주를 가짐
Hayagrīva마두관음馬頭말의 얼굴을 가진 관세음보살화난 모습
Cundi'준제관음准提어머님을 상징하는 준제관음보살여덟개의 손이 있으며, 깨끗한 모성을 상징
Amoghapāśa불공견색관음不空羂索중생을 건져 제도
Bhrkuti
Pāndaravāsinī白衣
Parnaśabarī
Rakta Shadaksharī
Śvetabhagavatī
Udaka-śrī

관련서적[편집]

  • Alexander Studholme: The Origins of Om Manipadme Hum.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ISBN 0-7914-5389-8
  • Kuan-Yin: The Chinese Transformation of Avalokitesvara (2001) by Chün-fang Yü, ISBN-13: 978-0231120296, Columbia University Press
  • Buddha in the Crown: Avalokitesvara in the Buddhist Traditions of Sri Lanka (1999) by James P. McDermott,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119 (1): 195-

외부 링크[편집]



===

===

관세음보살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cinema.png
관세음보살
Goddess Of Mercy
감독최인현
각본신봉승
제작이우석
원작해곡
출연김정하, 유영국, 황해
촬영유재형
편집김희수
음악황문평
개봉일1978년 5월 25일
시간120분
국가한국
언어한국어

"관세음보살"(Goddess Of Mercy)은 한국에서 제작된 최인현 감독의 1978년 드라마 영화이다. 김정하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이우석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




===

성 관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hasarpana Lokesvara.jpg

성관음(聖觀音), 아발로키테슈바라(Avalokiteśvara)는 불교에서 모든 붓다후드의 연민을 내재한 보살을 말한다. 108개의 아바타라가 있으며 그 중 저명한 아바타라는 연화수보살(Padmapāṇi)이다.

이 용어의 최초의 번역은 관자재(觀自在)였다. 특히 쿠마라지바 등 일부 중국 번역가들은 관세음(觀世音)으로 번역하는 것을 선호한다. 아발로키테슈바라의 원래 형태는 15세기 산스크리트어에 나타난다.[1]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m Manipadme Hum》.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5389-8.

각주[편집]

  1.  Studholme p. 52-57.

외부 링크[편집]


===

Avalokiteśvar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Avalokiteśvara
Khasarpana Lokesvara.jpg
Avalokiteśvara holding a lotus flower. NālandāBiharIndia, 9th century CE.
Sanskritअवलोकितेश्वर
(IASTAvalokiteśvara)
Burmeseလောကနတ်
Lokanat (IPA: [lɔkənaʔ])
Chinese觀自在菩薩, 觀世音菩薩 or 觀音菩薩
(PinyinGuānzìzài PúsàGuānshìyīn Púsà or Guānyīn Púsà
(CantoneseGun1 Zi6 Zoi6 Pou4 Saat3Gun1 Sai3 Jam1 Pou4 Saat3 or Gun1 Jam1 Pou4 Saat3)
Japanese観自在菩薩かんじざいぼさつ, 観世音菩薩かんぜおんぼさつ or 観音菩薩かんのんぼさつ
(romajiKanjizai BosatsuKanzeon Bosatsu or Kannon Bosatsu)
Khmerអវលោកិតេស្វរៈ, អវលោកេស្វរៈ, លោកេស្វរៈ
(’âvôloŭkĕtésvâreă’âvôloŭkésvâreăLoŭkésvâreă)
Korean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RRGwanseeum Bosal)
Mongolianᠨᠢᠳᠦ ᠪᠡᠷ
ᠦᠵᠡᠭᠴᠢ
Thaiพระอวโลกิเตศวรโพธิสัตว์ Phra Avalokitesuan
Tibetanསྤྱན་རས་གཟིགས་

Wylie: spyan ras gzigs
THL: Chenrézik
VietnameseQuán Thế Âm Bồ Tát, 觀世音菩薩
Quán Tự Tại Bồ Tát, 觀自在菩薩
Quan Âm Bồ Tát, 觀音菩薩
Phật Bà Quan Âm, 佛婆觀音
Information
Venerated byMahayanaVajrayanaTheravadaConfucianism TaoismChinese Folk Religion
AttributesCompassion
P religion world.svg Religion portal

In BuddhismAvalokiteśvara ( Sanskrit: अवलोकितेश्वर /ˌʌvəlkɪˈtʃvərə/[1]) is bodhisattva who embodies the compassion of all Buddhas

He has 108 avatars; one notable avatar being Padmapāṇi, the one who holds the lotus (padma). This bodhisattva is variably depicted, described and portrayed in different cultures as either male or female.[2] In Tibet, he is known as Chenrezig. In ChinaTaiwan and other Chinese communities, Avalokiteśvara has evolved into the somewhat different female figure Guanyin or Guanshiyin, also known as Kannon or Kanzeon in Japan, Gwanseum in Korea and Quán Thế Âm in Vietnamese. In the Kathmandu valley, this figure is known as Jana Baha Dyah, Karunamaya or Seto Machindranath. He is known as Natha Deviyo in Sri Lanka and Lokanatha In Myanmar(Burma). In Thailand and Cambodia, he is called as Lokesvara.

Etymology[edit]

The name Avalokiteśvara combines the verbal prefix ava "down", lokita, a past participle of the verb lok "to notice, behold, observe", here used in an active sense; and finally īśvara, "lord", "ruler", "sovereign" or "master". In accordance with sandhi (Sanskrit rules of sound combination), a+īśvara becomes eśvara. Combined, the parts mean "lord who gazes down (at the world)". The word loka ("world") is absent from the name, but the phrase is implied.[3] It does appear in the Cambodian form of the name, Lokesvarak.

The earliest translation of the name Avalokiteśvara into Chinese by authors such as Xuanzang was as Guānzìzài (Chinese觀自在), not the form used in East Asian Buddhism today, Guanyin (Chinese觀音). 

It was initially thought that this was due to a lack of fluency, as Guanyin indicates the original Sanskrit form was instead Avalokitasvara, "who looked down upon sound", i.e., the cries of sentient beings who need help.[4] 

It is now understood Avalokitasvara was the original form,[5][6] and is also the origin of Guanyin "Perceiving sound, cries". This translation was favored by the tendency of some Chinese translators, notably Kumārajīva, to use the variant 觀世音 Guānshìyīn "who perceives the world's lamentations"—wherein lok was read as simultaneously meaning both "to look" and "world" (Sanskrit lokaChinesepinyinshì).[4] 

The original form Avalokitasvara appears in Sanskrit fragments of the fifth century.[7]

This earlier Sanskrit name was supplanted by the form containing the ending -īśvara "lord"; but Avalokiteśvara does not occur in Sanskrit before the seventh centur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name fits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 bodhisattva. 

The reinterpretation presenting him as an īśvara shows a strong influence of Hinduism, as the term īśvara was usually connected to the Hindu notion of Vishnu (in Vaishnavism) or Śiva (in Shaivism) as the Supreme Lord, Creator and Ruler of the world. Some attributes of such a god were transmitted to the bodhisattva, but the mainstream of those who venerated Avalokiteśvara upheld the Buddhist rejection of the doctrine of any creator god.[8]

14th Dalai Lama, at his enthronement ceremony, February 22, 1940 in Lhasa, Tibet

In Sanskrit, Avalokiteśvara is also referred to as Lokeśvara ("Lord of the World"). In Tibetan, Avalokiteśvara is Chenrézig, (Tibetanསྤྱན་རས་གཟིགས་) and is said to emanate as the Dalai Lama,[9] the Karmapa[10][11] and other high lamas. An etymology of the Tibetan name Chenrézik is spyan "eye", ras "continuity" and gzig "to look". This gives the meaning of one who always looks upon all beings (with the eye of compassion).[12]



Origin[edit]

Avalokiteśvara painting from a Sanskrit palm-leaf manuscriptIndia, 12th century.

Mahayana account[edit]

According to the Kāraṇḍavyūha Sūtra, the Sun and Moon are said to be born from Avalokiteśvara's eyes, Shiva from his brow, Brahma from his shoulders, Narayana from his heart, Sarasvati from his teeth, the winds from his mouth, the Earth from his feet, and the sky from his stomach.[13] In this text and others, such as the Longer Sukhavativyuha Sutra, Avalokiteśvara is an attendant of Amitabha.[14]

Four-armed Tibetan form of Avalokiteśvara.

Some texts which mention Avalokiteśvara include:

We come across the name Avalokiteshvara in the Avatamsaka Sutra, a Mahayana scripture that precedes the Lotus Sutra.[15] 

On account of its popularity in Japan, and as a result of the works of the earliest Western translators of Buddhist Scriptures, the Lotus, however, has long time been accepted to be the earliest literature teaching about the doctrines of Avalokiteśvara. These are found in Chapter 25 of the Lotus Sutra: Universal Gate of Bodhisattva Avalokiteśvara (Chinese觀世音菩薩普門品). This chapter is devoted to Avalokiteśvara, describing him as a compassionate bodhisattva who hears the cries of sentient beings, and who works tirelessly to help those who call upon his name. A total of 33 different manifestations of Avalokiteśvara are described, including female manifestations, all to suit the minds of various beings. The chapter consists of both a prose and a verse section. This earliest source often circulates separately as its own sutra, called the Avalokiteśvara Sūtra (Chinese觀世音經pinyinGuānshìyīn jīng), and is commonly recited or chanted at Buddhist temples in East Asia.[16]

When the Chinese monk Faxian traveled to Mathura in India around 400 CE, he wrote about monks presenting offerings to Avalokiteśvara.[17] When Xuanzang traveled to India in the 7th century, he provided eyewitness accounts of Avalokiteśvara statues being venerated by devotees from all walks of life: kings, to monks, to laypeople.[17]

Avalokiteśvara / Padmapani, Ajanta CavesIndia

In Chinese Buddhism and East Asia, Tangmi practices for the 18-armed form of Avalokiteśvara called Cundī are very popular. The popularity of Cundī is attested by the three extant translations of the Cundī Dhāraṇī Sūtra from Sanskrit to Chinese, made from the end of the sev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eighth century.[18] In late imperial China, these early esoteric traditions still thrived in Buddhist communities. Robert Gimello has also observed that in these communities, the esoteric practices of Cundī were extremely popular among both the populace and the elite.[19]

In the Tiantai school, six forms of Avalokiteśvara are defined. Each of the bodhisattva's six qualities are said to break the hindrances respectively of the six realms of existence: hell-beings, pretas, animals, humans, asuras, and devas.

And also according to prologue of Nīlakaṇṭha Dhāraṇī Sūtra, Gautama Buddha told a disciple Ānanda that Avalokiteśvara had become a Buddha from countless previous incarnations ago, alias "Wisdom of Right Dharma Tathāgata", also had Ten titles of Buddha include Tathāgata (Thus Come One), Arhat (One Worthy of Offerings), Saṃyak-saṃbuddha (One of Proper and Universal Knowledge), Vidyacaraṇa-Saṃpaṇṇa (One Perfect in Clarity and Practice), Sugata (Well Gone One), Lokavid (Unsurpassed One Who Understands the World, Anuttarā (Unsurpassed Knights), Purusa-damya-sarathi (Taming Heroes), Sastā deva-manuṣyanam (Teacher of Gods and Humans), Buddha-lokanātha or Bhagavat (World-Honored One). Because of his great compassion, because he wanted to create proper conditions for all the Bodhisattva ranks, because he wanted to bring happiness and peacefulness to sentient living beings, he became a Bodhisattva, the title of Quan Avalokiteshvara, often abiding in the Sahā world. At the same time, Avalokiteśvara is also the attendant of Amitabha Buddha, assisting Amitabha Buddha to teach the Dharma in his Pure Land.

Theravāda account[edit]

Bronze statue of Avalokiteśvara from Sri Lanka, ca. 750 CE

Veneration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has continued to the present day in Sri Lanka:

In times past both Tantrayana and Mahayana have been found in some of the Theravada countries, but today the Buddhism of Ceylon, Burma, Thailand, Laos, and Cambodia is almost exclusively Theravada, based on the Pali Canon. The only Mahayana deity that has entered the worship of ordinary Buddhists in Theravada countries is Bodhisattva Avalokitesvara. In Ceylon he is known as Natha-deva and mistaken by the majority for the Buddha yet to come, Bodhisattva Maitreya. The figure of Avalokitesvara usually is found in the shrine room near the Buddha image.[20]

In more recent times, some western-educated Theravādins have attempted to identify Nātha with Maitreya Bodhisattva; however, traditions and basic iconography (including an image of Amitābha Buddha on the front of the crown) identify Nātha as Avalokiteśvara.[21] Andrew Skilton writes:[22]

... It is clear from sculptural evidence alone that the Mahāyāna was fairly widespread throughout [Sri Lanka], although the modern account of the history of Buddhism on the island presents an unbroken and pure lineage of Theravāda. (One can only assume that similar trends were transmitted to other parts of Southeast Asia with Sri Lankan ordination lineages.) Relics of an extensive cult of Avalokiteśvara can be seen in the present-day figure of Nātha.

Avalokiteśvara is popularly worshiped in Myanmar, where he is called Lokanat or lokabyuharnat, and Thailand, where he is called Lokesvara. The bodhisattva goes by many other names. In Indochina and Thailand, he is Lokesvara, "The Lord of the World." In Tibet he is Chenrezig, also spelled Spyan-ras gzigs, "With a Pitying Look." In China, the bodhisattva takes a female form and is called Guanyin (also spelled Kwan Yin, Kuanyin or Kwun Yum), "Hearing the Sounds of the World." In Japan, Guanyin is Kannon or Kanzeon; in Korea, Gwan-eum; in Vietnam, Quan Am.[23]

Wood carving of Lokanat at Shwenandaw MonasteryMandalayBurma

Modern scholarship[edit]

Avalokiteśvara is worshipped as Nātha in Sri Lanka. Tamil Buddhist tradition developed in Chola literature, such as in Buddamitra's Virasoliyam , states that the Vedic sage Agastya learnt Tamil from Avalokiteśvara. The earlier Chinese traveler Xuanzang recorded a temple dedicated to Avalokitesvara in the South Indian Mount Potalaka, a Sanskritzation of Pothigai, where Tamil Hindu tradition places Agastya having learnt the Tamil language from Shiva.[24][25][26] Avalokitesvara worship gained popularity with the growth of the Abhayagiri vihāra's Tamraparniyan Mahayana sect.

Pothigai Malai in Tamil Nadu, proposed as the original Mount Potalaka in India

Western scholars have not reached a consensus on the origin of the reverence for Avalokiteśvara. Some have suggested that Avalokiteśvara, along with many other supernatural beings in Buddhism, was a borrowing or absorption by Mahayana Buddhism of one or more deities from Hinduism, in particular Shiva or Vishnu. This seems to be based on the name Avalokiteśvara.[7]

On the basis of study of Buddhist scriptures, ancient Tamil literary sources, as well as field survey, the Japanese scholar Shu Hikosaka proposes the hypothesis that, the ancient mount Potalaka, the residence of Avalokiteśvara described in the Gaṇḍavyūha Sūtra and Xuanzang’s Great Tang Records on the Western Regions, is the real mountain Pothigai in AmbasamudramTirunelveliTamil Nadu-Kerala border.[27] Shu also says that mount Potalaka has been a sacred place for the people of South India from time immemorial. It is the traditional residence of Siddhar Agastya, at Agastya Mala. With the spread of Buddhism in the region beginning at the time of the great king Aśoka in the third century BCE, it became a holy place also for Buddhists, who gradually became dominant as a number of their hermits settled there. The local people, though, mainly remained followers of the Tamil Animist religion. The mixed Tamil-Buddhist cult culminated in the formation of the figure of Avalokiteśvara.[28]

The name Lokeśvara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at of Lokeśvararāja, the Buddha under whom Dharmakara became a monk and made forty-eight vows before becoming Amitābha.

Hindu tradition[edit]

In Hindu tradition, he has been depicted as an emanation of Shiva.[29]

Mantras and Dharanis[edit]

OṂ MAŅI PADME HǕṂ. The six syllable mantra of Avalokiteśvara written in the Tibetan alphabet.

Mahāyāna Buddhism relates Avalokiteśvara to the six-syllable mantra oṃ maṇi padme hūṃIn Tibetan Buddhism, due to his association with this mantra, one form of Avalokiteśvara is called Ṣaḍākṣarī "Lord of the Six Syllables" in Sanskrit. Recitation of this mantra while using prayer beads is the most popular religious practice in Tibetan Buddhism.[30] The connection between this famous mantra and Avalokiteśvara is docum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āraṇḍavyūhasūtra. This text is dated to around the late 4th century CE to the early 5th century CE.[31] In this sūtra, a bodhisattva is told by the Buddha that recitation of this mantra while focusing on the sound can lead to the attainment of eight hundred samādhis.[32] The Kāraṇḍavyūha Sūtra also features the first appearance of the dhāraṇī of Cundī, which occurs at the end of the sūtra text.[18] After the bodhisattva finally attains samādhi with the mantra "oṃ maṇipadme hūṃ", he is able to observe 77 koṭīs of fully enlightened buddhas replying to him in one voice with the Cundī Dhāraṇī: namaḥ saptānāṃ samyaksaṃbuddha koṭīnāṃ tadyathā, oṃ cale cule cunde svāhā.[33]

Another mantra for Avalokiteśvara commonly recited in East Asian Buddhism is Om Arolik Svaha. In Chinese, it is pronounced Ǎn ālǔlēi jì suōpóhē (唵 阿嚕勒繼 娑婆訶). In Korean, it is pronounced Om aroreuk Ge Sabaha (옴 아로늑계 사바하). In Japanese, it is pronounced On arori kya sowa ka (おん あろりきゃ そわか).

The Nīlakaṇṭha Dhāraṇī is an 82-syllable dhāraṇī for Avalokiteśvara.

Shrine to the Thousand-Hand Guanyin (Qianshou Guanyin) and Eleven-Headed Guanyin (Shiyimian Guanyin) on Mount Putuo Guanyin Dharma Realm in Zhejiang, China
Shrine to the Thousand-Hand Guanyin (Qianshou Guanyin) and Eleven-Headed Guanyin (Shiyimian Guanyin) on Mount Putuo Guanyin Dharma Realm in Zhejiang, China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edit]

One prominent Buddhist story tells of Avalokiteśvara vowing never to rest until he had freed all sentient beings from saṃsāra. Despite strenuous effort, he realizes that many unhappy beings were yet to be saved. After struggling to comprehend the needs of so many, his head splits into eleven pieces. Amitābha, seeing his plight, gives him eleven heads with which to hear the cries of the suffering. Upon hearing these cries and comprehending them, Avalokiteśvara tries to reach out to all those who needed aid, but found that his two arms shattered into pieces. Once more, Amitābha comes to his aid and invests him with a thousand arms with which to aid the suffering multitudes.[34]

The Bao'en Temple located in northwestern Sichuan has an outstanding wooden image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an example of Ming dynasty decorative sculpture.[35][36]

Tibetan Buddhist beliefs[edit]

Avalokiteśvara is an important deity in Tibetan Buddhism. He is regarded in the Vajrayana teachings as a Buddha.[37]

In Tibetan Buddhism, Tãrã came into existence from a single tear shed by Avalokiteśvara.[2] When the tear fell to the ground it created a lake, and a lotus opening in the lake revealed Tara. In another version of this story, Tara emerges from the heart of Avalokiteśvara. In either version, it is Avalokiteśvara's outpouring of compassion which manifests Tãrã as a being.[38][39][40]

Manifestations[edit]

Magnificent clay images of Amoghpasha Lokesvara flanked by Arya Tara and Bhrikuti Tara enshrined at the side wing of Vasuccha Shil Mahavihar, Guita Bahi, Patan : This set of images is popular in traditional monasteries of Kathmandu ValleyNepal.

Avalokiteśvara has an extraordinarily large number of manifestations in different forms (including wisdom goddesses (vidyaas) directly associated with him in images and texts). Some of the more commonly mentioned forms include:

SanskritMeaningDescription
ĀryāvalokiteśvaraSacred AvalokitesvaraThe root form of the Bodhisattva
EkādaśamukhaEleven FacedAdditional faces to teach all in 10 planes of existence
Sahasrabhuja SahasranetraThousand-Armed, Thousand-Eyed AvalokitesvaraVery popular form: sees and helps all
CintāmaṇicakraWish Fulfilling AvalokitesvaraHolds the wish-fulfilling jewel (cintamani) and the wheel (Chakra)
HayagrīvaHorse-necked oneWrathful form; simultaneously bodhisattva and a Wisdom King
CundīExtreme purityPortrayed with many arms
AmoghapāśaUnfailing RopeAvalokitesvara with rope and net
BhṛkutiFierce-Eyed
PāndaravāsinīWhite and Pure
Parṇaśavarī ParṇaśabarīCloaked With Leaves
RaktaṣadakṣarīSix Red Syllables
ŚvetabhagavatīWhite Lord
UdakaśrīAuspicious Water

Gallery[edit]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Avalokitesvara"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Jump up to:a b Leighton, Taigen Dan (1998). Bodhisattva Archetypes: Classic Buddhist Guides to Awakening and Their Modern Expression. New York: Penguin Arkana. pp. 158–205. ISBN 0140195564OCLC 37211178.
  3. ^ Studholme p. 52-54, 57.
  4. Jump up to:a b Pine, RedThe Heart Sutra: The Womb of the Buddhas (2004) Shoemaker 7 Hoard. ISBN 1-59376-009-4 pg 44-45
  5. ^ Lokesh Chandra (1984). "The Origin of Avalokitesvara" (PDF)Indologica Taurinensi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anskrit Studies. XIII (1985-1986): 189–1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ne 6, 2014. Retrieved 26 July 2014.
  6. ^ Mironov, N. D. (1927). "Buddhist Miscellanea".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59 (2): 241–252. doi:10.1017/S0035869X00057440JSTOR 25221116.
  7. Jump up to:a b Studholme p. 52-57.
  8. ^ Studholme p. 30-31, 37-52.
  9. ^ "From Birth to Exile". The Office of His Holiness the Dalai La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07. Retrieved 2007-10-17.
  10. ^ Martin, Michele (2003). "His Holiness the 17th Gyalwa Karmapa"Music in the Sky: The Life, Art, and Teachings of the 17th Karmapa. Karma Triyana Dharmachak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October 2007. Retrieved 2007-10-17.
  11. ^ "Glossary". Dhagpo Kundreul L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8-08. Retrieved 2007-10-17.
  12. ^ Bokar Rinpoche (1991). Chenrezig Lord of Love - Principles and Methods of Deity Meditation. San Francisco, California: Clearpoint Press. p. 15. ISBN 0-9630371-0-2.
  13.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m Manipadme Hum: A Study of the Karandavyuha Sut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39-40.
  14.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m Manipadme Hum: A Study of the Karandavyuha Sut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49-50.
  15. ^ Huntington, John (2003). The Circle of Bliss: Buddhist Meditational Art: p. 188
  16. ^ Baroni, Helen (200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p. 15
  17. Jump up to:a b Ko Kok Kiang. Guan Yin: Goddess of Compassion. 2004. p. 10
  18. Jump up to:a b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ṃ Maṇipadme Hūṃ: A Study of the Kāraṇḍavyūha Sūtra: p. 175
  19. ^ Jiang, Wu (2008).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p. 146
  20. ^ Baruah, Bibhuti. Buddhist Sects and Sectarianism. 2008. p. 137
  21. ^ "Art & Archaeology - Sri Lanka - Bodhisattva Avalokiteshvara".
  22. ^ Skilton, Andrew. A Concise History of Buddhism. 2004. p. 151
  23. ^ "Meet Avalokiteshvara, Buddhism's Bodhisattva of Infinite Compassion".
  24. ^ Iravatham Mahadevan (2003), EARLY TAMIL EPIGRAPHY, Volume 62. pp. 169
  25. ^ Kallidaikurichi Aiyah Nilakanta Sastri (1963) Development of Religion in South India - Page 15
  26. ^ Layne Ross Little (2006) Bowl Full of Sky: Story-making and the Many Lives of the Siddha Bhōgar, pp. 28
  27. ^ Hirosaka, Shu. The Potiyil Mountain in Tamil Nadu and the origin of the Avalokiteśvara cult
  28. ^ Läänemets, Märt (2006). "Bodhisattva Avalokiteśvara in the Gandavyuha Sutra"Chung-Hwa Buddhist Studies 10, 295-339. Retrieved 2009-09-12.
  29. ^ Doniger 1993, p. 243.
  30.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ṃ Maṇipadme Hūṃ: A Study of the Kāraṇḍavyūha Sūtra: p. 2
  31.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ṃ Maṇipadme Hūṃ: A Study of the Kāraṇḍavyūha sūtra: p. 17
  32. ^ Studholme, Alexander (2002). The Origins of Oṃ Maṇipadme Hūṃ: A Study of the Kāraṇḍavyūha Sūtra: p. 106
  33. ^ "Saptakoṭibuddhamātṛ Cundī Dhāraṇī Sūtra". Lapis Lazuli Texts. Retrieved 24 July 2013.
  34. ^ Venerable Shangpa Rinpoche. "Arya Avalokitesvara and the Six Syllable Mantra". Dhagpo Kagyu L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07. Retrieved 2007-10-17.
  35. ^ Guxi, Pan (2002). Chinese Architecture -- The Yuan and Ming Dynasties (English ed.). Yale University Press. pp. 245–246ISBN 0-300-09559-7.
  36. ^ Bao Ern Temple, Pingwu, Sichuan Province Archived 2012-10-15 at the Wayback Machine
  37. ^ Еше-Лодой Рипоче. Краткое объяснение сущности Ламрима. Спб.-Улан-Удэ, 2002. С. 19 (in Russian)
  38. ^ Dampa Sonam Gyaltsen (1996). The Clear Mirror: A Traditional Account of Tibet's Golden Age. Shambhala. p. 21. ISBN 978-1-55939-932-6.
  39. ^ Shaw, Miranda (2006). Buddhist Goddesses of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307ISBN 0-691-12758-1.
  40. ^ Bokar Tulku Rinpoche (1991). Chenrezig, Lord of Love: Principles and Methods of Deity Meditation. ClearPoint Press. ISBN 978-0-9630371-0-7.

Sources[edit]

External links[edit]




===

"Kwan um" means "perceive sound." Quote by Zen Master Seung Sahn

(5) Facebook




The Kwan Um School of Zen
27 Dc3ecnemobecr7t i20l71e48u ·


"Kwan um" means "perceive sound." Quote by Zen Master Seung Sahn. #zen #perceive #trueself #suffering #helping #bodhisattvaway #zmseungsahn #kwanumzen See more quotes: http://bit.ly/2EOutxd

2022/03/29

알라딘: 동시대 이후 : 시간-경험-이미지

알라딘: 동시대 이후 : 시간-경험-이미지

동시대 이후 : 시간-경험-이미지 
서동진 (지은이)현실문화A2018-03-31
---
272쪽

책소개

기억의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데 여념이 없는 지금의 시각예술을 다시 살펴보고 기억과 경험을 더욱 정확하게 비판하려는 비평적 시도다. 1990년대 문화운동의 기수였고 현재 시각예술과 자본주의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데 천착하는 서동진 계원예술대 교수는 대중매체와 예술작품들이 과거를 향한 회고에 몰두하는 것을 특유의 예리한 시선으로 포착한다.

저자는 오늘날의 시각예술을 일컫는 용어로서 ‘동시대 예술’이란 사실상 ‘시간 없는 시간’의 예술이며, 바로 이 ‘시간 없음’을 사유하지 못하는 데 기억과 경험이라는 개념이 작동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하지만 이 책은 기억, 경험, 공감 등을 일방적으로 힐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립된다고 상정되는 개념들을 더욱 선명하게 대질함으로써 기억의 편이냐 역사의 편이냐 하는 이분법을 넘어서고자 한다.

이 책에 실린 열 편의 비평문은 그 동안 저자가 음악, 영화, 미술, 사진,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곡차곡 쌓아올린 글들이다. 이들을 한 줄로 꿰어내는 고리는 바로 ‘비판’이다. 서로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을 온전하게 사유하기 위해서는 둘 모두를 동시에 비판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평이 갈수록 ‘주례사 비평’으로 간주되고 그 정반대편에서는 별점과 댓글로 작품을 평가하는 시대에 <동시대 이후 : 시간-경험-이미지>는 비평을 다시금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동시대’를 새롭게 사유하는 촉매가 될 것이다.


목차
서문. 낌새채기로서의 비평

1부. 동시대: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
인터내셔널!: 어느 노래에 대한 역사적 반/기억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
보론 1: 차이와 반복 - 한국의 1990년대 미술

2부. 동시대: 의식과 경험 사이에서
목격-경험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자오량의 〈고소〉에 관하여
사진의 궤적 그리고 변증법적 이미지
사진이 사물이 될 때, 사진을 대하는 하나의 자세
반ANTI-비IN-미학AESTHETICS: 랑시에르의 미학주의적 기획의 한계
보론 2: “서정시와 사회”, 어게인

3부. 동시대 이후
참여라는 헛소동
포스트-스펙터클 시대의 미술의 문화적 논리: 금융자본주의 혹은 미술의 금융화

참고문헌
=====
책속에서
P. 26
무엇보다 기억 담론이 충분치 못하다고 따져야 할 이유는 그것이 역사를 비판했다는 것 자체가 아니라 외려 역사를 불철저하게 비판했다는 것에서 찾아야 한다. 객관적 사실로서의 실증주의적 역사 인식을 비판한다는 이유로 역사의 객관성을 부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역사가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에는 충분히 수긍할 점이 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들을 수집하고 검증함으로써 주관적인 기억에 의해 오염되거나 편향되지 않는 사실적 객관성을 통해 역사 서술을 하려던 실증주의적 역사 쓰기(만약 그런 것이 있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면)를 비판하려는 것이 역사의 객관성 자체를 희생시키는 것으로 비약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기억은 주관주의라는 혐의 앞에서 기억을 통한 역사 쓰기의 비판적 효과를 스스로 단념하고 말아버리기 때문이다.
- 서문: 낌새채기로서의 비평  접기
P. 58
〈인터내셔널가〉가 불렸던 장면들을 돌아볼 때, 그것은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식적인 관료기구의 노래로서 불렸을 수도 있으며, 따분한 국가적인 의례나 정치적인 행사에서 식순에 따라 불렸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인터내셔널가〉가 그러한 운명에 갇히는 것이 그 노래에 기재된 역사적 기억을, 새로운 개인이 실천한 노동과 예술의 결합이라는 흔적... 더보기
P. 83
그러므로 앞에서 말한 영화들은 1990년대를 통해 기억하기의 미학적 양식을 세공하는 작업을 시도한 것으로 여겨도 좋을지 모를 일이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를 두고 어느 관객이 자신의 블로그에서 ‘봉테일’이라고 지칭하며 1980년대를 완벽하게 재현하고 있다고 혀를 내두르며 칭찬할 때, 실은 그가 감탄한 1980년대의 풍부한 재현이란 배역들의 절묘한 80년대 풍의 의상, <수사반장> 등과 같은 당시 TV 드라마의 인용, 무엇보다 그 수사반장에 출연했던 배우들을 영화의 배역으로 기용하는(변희봉의 캐스팅), 말 그대로 혼성모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기억하기의 심미적인 양식화는 ‘1990년대를 기억하기’라는 작업을 통해 일반화된다. 그리고 이제 기억하기의 주체는 본격적으로 ‘세대화’된다. 제임슨의 말처럼 향수라는 기억하기 방식이 역사적 시대를 유행 변화와 세대라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굴절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유행과 세대라는 두 가지 방식, 즉 역사적 시대를 대상화하는 방식(유행으로서의 시간)과 주체화하는 방식(세대로서의 주체) 모두를 똑같이 찾아볼 수 있는 셈이다.
-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  접기
P. 125
〈고소〉는 십수 년의 시간 동안 북경남역 근처에서 집요하게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고 정의를 바로잡기를 원하는 이들을 기록한다. 그러나 〈고소〉가 관객에 전하는 윤리적인 효력은 불의가 자행되었고 고통을 겪은 이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얻게 되는 비판적 의식에 있지 않다. 그것은 불의 속에 있는 이들을 목격함으로써 비롯되는 충격 그 자체이다. 목격으로서의 경험은 더할 나위 없는 고통을 무릅쓰며 자신의 정의를 고집하는 이들을 목격하는 데서 비롯되는 놀라움을 가져다준다. 그리고 그런 놀라움에 이름을 붙인다면 그것은 바로 ‘윤리적 충격’일 것이다. 그러나 목격-경험으로서의 다큐멘터리가 경험에 관해 말할 수 있는 최선의 방편인가에 대해 물어보는 일은 가볍게 여길 수 없다. 십수 년의 시간을 목격-충격의 경험의 연쇄로 구성할 때, 우리는 그것이 역사적 시간을 제거하거나 억압한 채 찰나 혹은 순간의 시간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눈치 채지 않을 수 없다.
- 목격-경험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자오량의 〈고소〉에 관하여  접기
P. 147
이때 나는 앞서 인용한 박진영의 다짐을, 사진 본연의 속성에 천착하는 사진, 즉 ‘사진적인 사진’을 찾겠다는 의지를 스스로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한다는 생각에 이른다. 그는 그것을 ‘기억’이라는 이미지와 행위, 사진적 전략에서 찾고자 하는 듯이 보인다. 기억이란 바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라는 선택과 상관없기 때문이다. 기억은 재현되어야 할 대상, 그 대상을 어떤 방식으로 재현할 것인가에 대한 숱한 기술적·미학적 고려 등으로부터 사진가를 해방시켜준다(아니 그렇다고 가정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렇기에 기억의 이미지라고 말할 때 그것은 사진의 제재나 주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다른 사진, 혹은 사진의 다른 존재방식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박진영의 어법을 빌자면 그는 기억의 이미지를 통해 사진의 ‘길’을 찾는 것이다.
- 사진의 궤적 그리고 변증법적 이미지  접기
=====
서동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계원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사회학이며, 대표논문으로 「스트롱맨의 척추해부학-신자유주의와 남성성」「사악한 기계들의 윤리학 - 통신과 인륜성」 등이 있다. 자본주의의 역사적 형태와 문화/예술의 관계에 대하여 관심이 깊다. 최근에는 금융화와 물류혁명이 지각과 경험의 형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글을 쓰고 있다.
최근작 :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서경식 다시 읽기>,<가족의 재의미화 커뮤니티의 도전> … 총 4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동시대라는 시간 없는 시간을 넘어
그 이후를 사유하는 비평적 도전

기억과 역사 모두를 정확하게 비판하기 위하여

1985년 영화감독 클로드 란츠만은 〈쇼아Shoah〉라는 영화를 통해 “홀로코스트는 없었다”는 유의 수정주의적 역사 해석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다. 역사적 기록의 빈틈을 파고들며 대량학살의 역사를 지우려는 반동적 시도에 대해, 란츠만은 강제수용소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사람들을 일일이 카메라에 담으며 그들의 얼굴과 목소리를 관객과 대면시켰다. 〈쇼아〉는 역사에 대항하는 역사, 즉 반역사(대항역사)로서의 기억의 힘을 여실히 증명한 셈이다.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과 그들의 투쟁을 통해 기억의 힘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일본 정부가 그토록 집요하게 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를 삭제하려 할 때, 매주 거르지 않고 진행되는 수요집회에서 터져 나오는 생존자들의 목소리는 과거의 기억이 남아 있는 한 누구도 역사를 왜곡할 수 없을 것이라는 믿음을 더욱 강하게 한다.
그 결과 오늘날에는 기억과 경험, 공감을 강조하는 말들이 곳곳에서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객관적인 역사’란 남성의 역사, 백인의 역사, 자본가의 역사였음을 강조하는 이들은 여성의 기억, 아프리칸스의 경험, 노동자의 감각을 내세움으로써 잊히고 지워지고 사라진 소수자의 역사를 복원하려 한다. 현재 한국을 뒤흔들고 있는 미투운동 역시 같은 자장에 놓여 있다. 이를 두고 보았을 때 기억에 대한 강조는 그 자체로 정치적 올바름을 획득한 듯하다. 이제 중요한 것은 기억을 어떻게 아카이빙할 것인가에 달렸다고 강변하는 입장은 지금의 시각예술에서 더욱더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응답하라〉 시리즈와 같이 대중매체와 시각예술에서 과거 재현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데서 이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동시대 이후: 시간-경험-이미지』는 이렇게 기억의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데 여념이 없는 지금의 시각예술을 다시 살펴보고 기억과 경험을 더욱 정확하게 비판하려는 비평적 시도다. 1990년대 문화운동의 기수였고 현재 시각예술과 자본주의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데 천착하는 서동진 계원예술대 교수는 대중매체와 예술작품들이 과거를 향한 회고에 몰두하는 것을 특유의 예리한 시선으로 포착한다. 저자는 오늘날의 시각예술을 일컫는 용어로서 ‘동시대 예술’이란 사실상 ‘시간 없는 시간’의 예술이며, 바로 이 ‘시간 없음’을 사유하지 못하는 데 기억과 경험이라는 개념이 작동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하지만 이 책은 기억, 경험, 공감 등을 일방적으로 힐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립된다고 상정되는 개념들을 더욱 선명하게 대질함으로써 기억의 편이냐 역사의 편이냐 하는 이분법을 넘어서고자 한다.
이 책에 실린 열 편의 비평문은 그 동안 저자가 음악, 영화, 미술, 사진,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곡차곡 쌓아올린 글들이다. 이들을 한 줄로 꿰어내는 고리는 바로 ‘비판’이다. 서로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을 온전하게 사유하기 위해서는 둘 모두를 동시에 비판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평이 갈수록 ‘주례사 비평’으로 간주되고 그 정반대편에서는 별점과 댓글로 작품을 평가하는 시대에 『동시대 이후: 시간-경험-이미지』는 비평을 다시금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동시대’를 새롭게 사유하는 촉매가 될 것이다.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
허둥대지 않는다는 것

1부 「동시대: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에 실린 세 편의 글은 지금의 대중매체에서 재현되는 역사가 기억의 아카이브에 의지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기억의 아카이브를 넘어 역사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글인 「인터내셔널!: 어느 노래에 대한 역사적 반/기억」은 혁명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인터내셔널가〉를 다양하게 복각하는 시도를 살펴본다. 1920년대에 만들어진 전자악기 테레민으로 〈인터내셔널가〉가 연주될 때 거기서는 ‘좌파 멜랑콜리’라 할 만한 것이 나타난다. 즉 이젠 사라진 혁명을 노래를 통해 상기하면서 거기에 애틋함을 느끼며 작별을 고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내셔널가〉가 단지 향수에 그칠 수 없는 것은 이 노래에 담긴 유토피아적 주장 때문이다. 단결과 연대에 앞서 자유로운 개인을 요청하는 〈인터내셔널가〉는 그 때문에 개인들의 다양한 기억을 촉발한다. 어느 다큐멘터리에서 한 필리핀 여성이 투사였던 아버지를 회상하며 그가 불러주던 〈인터내셔널가〉가 브람스의 자장가보다 더 좋았다고 말할 때, 그 노래는 더 이상 구소련의 공식 석상에서 불리는 것과 똑같이 느껴질 수 없다. “공식적인 기억의 서사 속에 수장된 〈인터내셔널가〉보다 더 많은 함량의 역사적 기억을 갖고 있을지(65쪽)” 모르기 때문이다. 대중매체와 예술작업이 과거를 재현하는 데 충실한 지금, 노래는 역사적 총체성을 사유하고 경험하는 데 있어 피난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는 〈응답하라〉 시리즈의 성공이 보여주는 과거 재현의 전략이 1990년대라는 시간대에 치중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적극적으로 자기를 표현하는 시대, 본격적으로 소비문화가 형성된 시대로 기억되는 1990년대는 그 이전의 ‘운동권 문화’가 만개했던 1980년대와는 구분되곤 했다. 1990년대를 향한 향수는 ‘밤과 음악 사이’ 같은 레트로 펍의 등장, 그곳에서 울려 퍼지는 ‘7080 가요’, 과거의 소품을 꼼꼼하게 재현하는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저자는 〈응답하라〉 시리즈가 나오기 훨씬 전인 2000년대의 영화들에서 이미 그와 같은 경향이 나타났음을 지적한다.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과 〈괴물〉은 1980년대를 1990년대의 전사前事로서 다룬다. 저자는 당시를 연상시키는 소품과 사운드를 통해 재현된 1980년대는 1990년대 이후의 기억을 통해 재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1990년대라는 시점으로 바라본 1980년대는 ‘민중’이라는 보편적 주체가 감각적 공동체를 분열시켰던 역사를 흐리게 함으로써만 재현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1990년대는 새로운 감성을 발견한 1980년대의 음화일 뿐이며, 그와 같은 재현 전략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1부의 마지막 글인 「보론 1: 차이와 반복 - 한국의 1990년대 미술」은 1990년대 미술비평을 이끌었던 포럼 A를 돌아보는 작업이다. 1990년대를 ‘한국 동시대 미술’의 시작으로 꼽는 이들은 당시의 작업들을 하나하나 수집하고 분류하면서 ‘동시대 미술’의 상을 구축하고, 그럼으로써 당대를 사회학적 사실로 환원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역사적 분석으로서의 비평은 사라지고 만다. 비평이란 “매체이든 형식이든 전시형태나 제도이든 비평이든 모두 역사에 의해 매개되고 규정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108쪽)” 때에야 가능할 것이다.

의식과 경험 둘 중 하나를
일방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

2부 「동시대: 의식과 경험 사이에서」는 기억에 못지않게 경험에 주목하는 동시대의 예술작품들과 비평들을 살펴보면서 경험에 함몰되지 않는 비평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목격-경험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자오량의 〈고소〉에 관하여」는 중국의 독립 다큐멘터리 〈고소〉를 통해 경험을 재현하는 방식이 처한 윤리적 곤경을 따지고, 중국 독립 다큐멘터리가 관찰적 다큐멘터리에서 성찰적 다큐멘터리로 변화했다는 평가가 과연 적절한 것인지 되묻는다. 자오량 감독의 〈고소〉는 중국 중앙정부에 항의하는 고소인들을 비추지만, 이들을 단순히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감독은 의도하지 않게 고소인들의 삶에 개입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동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객 역시 영화에 이입해 윤리적인 선택을 요구받는다. 그러나 저자는 관객이 받는 윤리적 충격에만 주목할 때 “그것이 역사적 시간을 제거하거나 억압한 채 찰나 혹은 순간의 시간으로 구성하고 있음을(125쪽)” 놓칠 수 있음을 지적하며 경험에만 몰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어서 「사진의 궤적 그리고 변증법적 이미지」와 「사진이 사물이 될 때, 사진을 대하는 하나의 자세」는 각각 사진가 박진영과 염중호의 작품들을 살펴본다. 저자는 「사진의 궤적 그리고 변증법적 이미지」에서 사회적 다큐멘터리로서의 사진을 제작했던 박진영이 ‘사진 그 자체’로서의 사진으로 회귀하는 양상을 세심하게 들여다본다. 2000년대 초반 파노라마 사진 작업을 통해 당대의 인물과 공간을 사회학적으로 살피던 박진영은 3.11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을 비추면서는 사진의 물질성 자체에 천착한다.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뒤에 우연히 발견한 사진을 전시할 때, 재난 현장에서 수집한 사물들을 늘어놓고 사진을 찍을 때, 그때의 사진들은 존재만으로도 특정한 기억을 환기시킨다. 그런 점에서 박진영의 작품들은 ‘감각하게 하는 이미지’로서 동시대의 사진이 어떤 경험과 기억을 환기시키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진이 사물이 될 때, 사진을 대하는 하나의 자세」는 염중호의 〈괴물의 돌〉 전시를 살펴보면서 이미지-사진에서 사물-사진이 되어가는 동시대 사진의 추세를 다시금 확인한다. 저자는 염중호의 작품이 그 같은 추세를 그대로 따라간다기보다 오히려 이를 냉소하고 사진에서 사진 그 자체의 실체를 찾으려는 시도에 대한 농담 같은 것이라고 비평한다.
경험에 몰두하는 경향에 대한 이론적 비판은 「반ANTI-비IN-미학AESTHETICS: 랑시에르의 미학주의적 기획의 한계」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다뤄진다. 저자가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이론가는 자크 랑시에르로, 특히 그의 『해방된 관객』은 ‘비판’이라는 기획 자체를 문제제기한다는 점에서 동시대 미학의 경향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 비판에 의지하지 않는 해방의 정치가 가능하다고 믿는 랑시에르에게 있어 비판은 자신이 비판하는 세계를 넘어서지 못하는 무능을 보여줄 뿐이다. 저자에 따르면 랑시에르는 ‘해방을 통한 새로운 감각적 공동체의 노선’을 제안한다. 해방을 통한 새로운 감각적 공동체의 노선이란 정치적인 것과 미적인 것이 전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노동자와 예술가가 동일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랑시에르의 미학주의적 입장에 반해, 저자는 비판을 옹호하기 위해 프레드릭 제임슨의 ‘인지적 지도 그리기의 미학’을 다시금 소환한다. 동시대 예술이 경험에 천착하는 데 반해 인지적 지도 그리기는 인식으로서의 예술을 강조한다. 예술의 목적이 진리를 인식하는 데 있다면 비판은 필연적이다.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구조 사이의 불일치를 인식하고 둘 사이를 매개하는 것이 바로 비판이기 때문이다. 동시대 미술비평의 한가운데에서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있는 랑시에르를 향한 이론적 도전은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일 것이다.
1부에 이어 또 다른 보론인 「보론 2: “서정시와 사회”, 어게인」은 ‘세월호 이후의 글쓰기’를 주장하면서 다시금 사회를 이야기하는 듯한 문학저널리즘의 현재를 짚고 그것이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성찰한다. 저자는 ‘4.16 이후의 정동-쓰기’를 강조하는 글에 대해 비평하면서 세월호 이후의 글쓰기가 ‘세월호’라는 윤리적 충격에 대한 반응일 수밖에 없음을 수긍한다. 하지만 그처럼 충격에 사로잡힌 글쓰기는 오히려 경험 그 자체를 망각해버릴 위험에 놓인다. 그렇기에 문학은 ‘세월호 이후의 문학’을 강변하며 충격적 경험을 통해 사회를 끌어들이는 데 몰두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경험을 매개할 새로운 형식을 찾아야 할 것이다.

시간 없는 시간을 넘어
그 이후를 사유한다는 것

3부 「동시대 이후」는 동시대 시각예술에 대한 비평에 머무르지 않고 대중문화 현상과 정치적 주체의 관계를, 또한 예술작품과 자본주의의 관계를 더욱 명민하게 탐색하고자 한다. 「참여라는 헛소동」은 ‘1000만 관객 영화’의 등장이라는 현상을 ‘영화-이후적 관람양식’의 출현과 긴밀하게 연결해 분석하는 글이다. 극장에 머무르지 않고도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볼 수 있는 지금은 영화-이후적 관람양식이 일반화된 시대라고 할 수 있다. 1000만 관객 영화 시대의 관객은 영화 전문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의 내용을 파편적으로 가늠하고 SNS에 도는 별점과 한줄평으로 영화 관람 여부를 결정한다. 동시대의 관객이 파편화된 시각적 충격에 주의를 집중할수록 영화에 관한 정보와 감각적 경험도 더 많이 만들어진다. 또한 이들은 SNS 등을 통해 유사 능동적인 참여에 몰두하고 있다. 극장에서 수동적으로 영화를 보는 관객이 오히려 그 수동성 때문에 타인의 삶을 인정할 수 있는 계기를 얻는 것과 달리, 동시대의 관객에게 그런 가능성은 훨씬 줄어들었다. 그런 점에서 영화-이후적 관람양식을 향유하는 관객은 대표의 위기, 계급정치의 몰락, 우익 포퓰리즘의 성향과 같은 오늘날의 정치적 풍경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스펙터클 시대의 미술의 문화적 논리: 금융자본주의 혹은 미술의 금융화」는 끊임없이 셀러브리티 작가가 배출되고 미술비평가가 일종의 취향제조자로 변신한 동시대 미술을 살펴보면서 그 같은 변화의 한가운데에 ‘미술의 금융화’가 있음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기업가적 도시 혹은 글로벌 시티가 확장되면서 현대의 미술관은 블록버스터 전시를 기획하는 탈근대적인 오락 시설이 되었다. 국제 비엔날레의 활성화와 갤러리의 범람이 포개지면서 기업가적 도시는 이제 세계적인 작가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미술품이 주식이나 펀드, 파생금융상품처럼 그 자체로 가치를 갖고 교환되는 자산으로 표상된다는 데 있다. 미술품을 화폐와 같이 취급하는 ‘미술의 금융화’는 금융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로서 동시대 미술 현장 곳곳에 모습을 드러낸다. 미술관/갤러리와 백화점/쇼핑몰이 서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해진 도시의 풍경과 작가들의 명사화가 이를 잘 보여준다. 그렇다면 예술의 내재적 변화와 자본주의의 역동성을 매개하는 비판이 자취를 감춘 동시대 미술에 있어, 예술로부터 어떤 정치적 행위가 가능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시금 사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를 펼치고 있는 『동시대 이후: 시간-경험-이미지』는 동시대라는 시대상과 그에 긴밀하게 얽혀 있는 기억, 경험 등의 개념을 아주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분석하는 비평적 시도다. 서로 다른 개념을 손쉽게 절충하거나 어느 한 편에 서서 다른 편을 힐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를 동시에 비판한다는 것. 그것은 변증법적 비판이 사라지다시피 한 오늘날의 비평을 갱신하고, 미학과 정치를 새롭게 매개하는 데 있어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접기

평점 분포
    10.0

     
동시대에 대하여 뼈가 있는 질문들  구매
rei55 2018-05-18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통렬한 ‘동시대‘ 담론 비판!!!  구매
미지 2020-02-22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동시대 시각문화를 다루는 뛰어난 통찰력과 비판력  구매
김소희 2019-02-16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동시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이하는 본 저서를 소개하는 팟캐스트의 대본으로 작성된, 일종의 발제문이다. 책을 읽을 때 참고할만한 리뷰가 되면 좋겠다.



<동시대 이후: 시간-경험-이미지>

 

오늘 소개해드리려는 책은 서동진 선생의 신간 <동시대 이후: 시간-경험-이미지>인데요, 아시다시피 서동진 선생은 계원예대 융합예술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계시며, 시각예술과 자본주의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고 계십니다.

 

우선 이 책을 선정하게 된 이유를 밝혀야 할 텐데요. 아시다시피 적어도 개념미술 이후의 미술에선 작가가 취하는 레퍼런스의 위상이 점차 중요해져 왔지요. 지식인 혹은 비평가로서의 예술가의 모델은 오늘날 익숙한 것이자 하나의 조건이 되었습니다. 특히 미술이 지성화 되는 이러한 변화는 사실상 꽤나 뜯어볼 점이 많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문제적인 것은 직관에 근거한 작업, 그리고 세속적인 식견과 이성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고 가정되었던, ‘천재’라는 낭만주의적 예술가의 모델이 이제 불가능해졌다는 점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그렇죠. 그러한 경향과 함께, 매체 자체의 범주 또한 무한정으로 다변화되며 ‘이벤트, 관계, 효과’ 등 비물질적 작인들이 작업의 핵심 공정이 되어왔던 변화 역시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변화들은 지금의 미술에서 외려 공기와도 같은 것이라서, 사실 충분히 결산되지 않았기에 해명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전 여기서 모두에게 익숙한 것이라고 해서 모두가 그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헤겔의 말을 떠올려 봅니다.

 

예컨대 당장 작업의 주제가 ‘노동’이라면, 어째서 특정한 노동의 측면을 재현하거나 차용하지 않으며, 실제 노동자들과 무언가 일을 진행하는 것이 ‘미술’로서 호명되는지, 도대체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선뜻 설명할 수 있을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물론 여기엔 여러 이유가 제시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선 1. 뒤샹의 레디메이드에서부터 예고되었고, 다다에 의해 심화되었던 여타의 형식 실험들과 저항이 외려 ‘예술’ 자체의 외연을 넓혔기 때문이라는- 예술내적 측면을 강조하는 주장이 있을 수 있겠고, 다음으로 2. 복제 및 전송 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예술의 존재론을 점차 비물질적인 것으로 바꾸어 왔다며- 기술적 측면을 강조하는 주장이 있을 것이고, 3. 소비자본주의의 시기에 상품자체가 무엇보다 미적인 것으로 편재하기 시작했을 때, 예술이 스스로 고정된 미적 범주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를 형해화 시켰다는 상품비판의 측면을 강조하는 주장도 있을 것입니다. 저는 이 모두가 일리 있는 설명이라 생각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설명력을 지닐 수 있는 범주는 경제(생산양식)의 변화와 문화적 변화 사이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하자면 제게 오늘날 동시대 예술의 조건은 그 자체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해명되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이번 팟캐스트에서 함께 나눠보고 싶은 것이, 바로 오늘날 동시대 예술을 지탱하는 시간성에 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서동진 선생의 저서에 대한 이야기였던 것이죠.

 

우선 책 형식에 관해 말씀드리자면, <동시대 이후>는 이런저런 지면에 실렸던 글들을 ‘시간-경험-이미지’라는 주제로 엮고, 다듬어낸 저서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이미 책을 읽었지만 여기서 그의 사유를 지탱하는 논리들이 더 궁금하다 싶으신 분은, 내년 초에 나올 <역사유물론 연습>을 기다려주시면 되겠습니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우선 서문을 제외하면 1부는 “동시대: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 2부는 “동시대: 의식과 경험 사이에서” 입니다. 3부의 ‘동시대 이후’는 그 중 책의 제목이 됩니다. 대충 감이 잡히시겠지만, 역사와 기억의 대립, 의식과 경험의 대립은 서동진 선생이 주목하는 동시대의 특징입니다. 매우 거칠게 요약하자면, 기억이 역사를 대체하고, 경험이 의식을 대체하게 된 상태가 오늘날 시간성의 특징인데, 이는 나름의 진리계기를 지님과 동시에 특유의 패착을 답보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를 서동진 선생이 자신의 논증을 통해 해명하게 되는 거지요. 따라서 이 책은 이런 시간성과 필연적으로 조응하게 되는 예술적 실천들과 그 형식의 한계를 논하는 작업이라 봐도 좋을 거 같아요. 물론 우리가 그 내용을 다 소개해드릴 순 없지요. 그 중 일부 아티클에 집중해서, 그러나 공시적으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일단 목차를 한번 읊어드리겠습니다:

서문: 낌새채기로서의 비평

1부. 동시대: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

인터네셔널!: 어느 노래에 대한 역사적 반/기억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

보론 1: 차이와 반복: 한국의 1990년대 미술

 

2부. 동시대: 의식과 경험 사이에서

목격-경험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자오량의 <고소>에 관하여

사진의 궤적 그리고 변증법적 이미지

사진이 사물이 될 때, 사진을 대하는 하나의 자세

반anti비in미학aesthetics: 랑시에르의 미학주의적 기획의 한계

보론 2: “서정시와 사회”, 어게인

 

3부. 동시대 이후

참여라는 헛소동

포스트-스펙터클 시대의 미술의 문화적 논리: 금융자본주의 혹은 미술의 금융화.

 

이 중에서 저희가 특히 더 소개해드리려는 것은 서론과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 2부의 “반-비-미학: 랑시에르의 미학주의적 기획의 한계”, 3부의 “참여라는 헛소동”입니다. 다른 글들도 좋지만, 이 글들은 특히나 예술에 충실하면서도, 예술을 규정하는 동시에 예술을 초과하는 기류들을 포착하려는 서동진 선생의 시도를 잘 집약하고 있습니다. 요컨대 여기서 각 장의 표현들은 직접적으로는 문예론과 관련된 것들이지만,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전체를 지시하는 어떤 알레고리로서 기능합니다.

 

“1990년대”는 단지 <응답하라 19땡땡 시리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대중문화(산업)이 절정을 이룬 시대이자, 소련으로 표상되던 적대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시기를 가리키며, “반-비-미학”은 단지 랑시에르적 미학주의의 대척점에 있는 미학적 기획이 아니라, 감각적인 것이 이미 인식과, 나아가 세계의 지배질서 및 사회구조와 매개되어 있는 것임을 역설하는 역사유물론적 시각을 암시하죠. “참여”는 수용미학, 관객성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관련된 맥락 너머,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동성과 비의존성에 대한 예찬’과 조응합니다. 알튀세르에 익숙한 독자라면 그가 여기서 보여주는 대상 파악의 방법론이 ‘텍스트가 언표하지 않는 것을 독해하는’ “징후적 독해”라 생각할테고, 헤겔과 루카치에 친숙한 독자라면 그가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그려보이려는 변증법적 파악을 시도하고 있음을 볼 것입니다(그리고 제 생각엔 둘 다 맞는 말입니다. 누군가는 유비 불가능한 인물들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실지도 모릅니다만, 전 개인적으로 알튀세르 역시 헤겔의 자장 속에 있었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좀 더 상술해볼까요?

 

옳게도 헤겔은 ‘본질은 현상을 통해서만 드러난다’고 썼습니다. 전체의 이념은 곧 부분들을 통해 나타나지 않는다면 공허한 추상적 보편에 머문다는 것입니다. 1860년 경의 마르크스는 ‘자본’을 사회적 관계로 파악하고, 인간을 사회적 관계의 앙상블로서 파악했죠. 자본이 사회적 관계로서 파악되었을 때,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자본은 자본주의의 각 요소를 통해 현상하지만 각 요소들의 실체적 총합으로 환원되지는 않는다는 것이고, 곧 객체이자 주체이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알튀세르는 ‘구조적 인과성’ 개념을 통해 선험적인 실체로서의 구조가 아니라 대상들의 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구조, 즉 자본주의가 각 현상들 속에서 자신의 구조를 드러내 보인다는 점을 적시했습니다. 우리는 위와 같이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의 여러 계보를 그려 볼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서동진 선생은 전체와 부분의 인과를 사고하는 특유의 전통 위에서 생산양식, 즉 경제와 전적으로 무관해 보이는 이런저런 독립된 대상들의 미적 경향들에서 자본주의의 규정성이 작동하는 방식을 탐구하죠. 그의 서술 방식은 그런 점에서 총체적이며, 구체적 보편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시선 속에선 미시사, 문화사, 일상사, 레트로-빈티지 패키지, 노스텔지어, 아카이브, 무라카미 하루키, 취향, 피해자성, 미학주의, 수평성, 차이, 다양성, 참여, 특수성, 관계미학, 장소특정성, 문화연구, ANT, 동시대, 포트폴리오, 일베, 정동, 재난, 파국, 폐허 등의 수많은 개념들과 심상들은 일순간 자본주의와 특정한 관계 안에 놓여있는 것으로서 드러나며, 탈냉전 이후 가시화 된 ‘이행의 불가능성’으로부터 파생된 효과이자 현재의 시간성을 공고히 하는 각각의 요소로서 조명됩니다. 여기서 각 요인들은 필연적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동시에 부정해야 할 것으로 제시되는데요. 이들이 맺는 관계가 기계적 인과가 아닌, 논리적 조응 관계로서 주목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마치 헤겔에게 본질과 목적이 실체로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선행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의 시선 속에서 각 대상들은 서로 독립된 만큼이나, 서로 무관하지 않으며 상호적으로 연관을 갖습니다.

 

서론에서 우선적으로 검토되는 것은 동시대적 서사 방식 중 가장 각광받는 아카이빙 및 기억의 위상입니다. 여기서 서동진 선생은 그 속에 이율배반이 도사리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이는 제 식대로 구부려 읽자면, 스스로 사유하기 위해 모든 재현이 허용되어야 함을 강변하는 위베르만 식의 윤리가 각광받는다는 진단이기도 할 것입니다. 즉 생생한 폭력과 날것의 고통을 기꺼이 드러내고, 그것과 대면해야한다는 성토가 있다는 거죠. 그의 주장은 기억과 재현의 정치를 급진화 할까요, 금지된 것을 성급하게 외설로 소비하게 할까요? 이렇게 말해도 좋다면- 모든 것을 기억하길 주문하는 재현의 윤리학은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는 야만이라는 아도르노의 주장, 혹은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침묵하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에 맞서 승기를 잡았습니다. 동시대에선, 손택 식으로 표현하자면, 서사는 사라지고(‘이미지는 연민하게 하지만 서사는 연대하게 한다’), 이미지가 승리를 거둔 것처럼 보입니다(‘알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통해] 스스로 상상해야한다’). 서동진 선생은 이어 모든 것을 기억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런 식의 기억이 억압하는 어떤 역사가 있음을 주장합니다. 한 구절 읽어 볼까요.

 

“아카이빙은 무엇이라도 누락되어선 안 된다는 듯이 집요하게 자료와 문서, 이미지, 흔적, 목소리 들을 추적한다.(...) 혹은 더 과격한 이는 재현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상기하면서 재현할 수 없는 것으로서의 과거, 형언할 수 없는 고통에 대한 윤리적인 예의이자 준칙으로서 과거의 고통과 외상을 상연하는 부러진 말들, 제대로 끝을 맺지 못하는 말들, 방황하는 이미지들에 높은 윤리적, 정치적 가치를 부여하기까지 한다.”p.14

 

“무엇보다 기억을 애호하는 이들은 개인적, 심리적인 기억으로 환원할 수 없는 역사적인 시간의 자율성과 물질성에 대하여 눈을 감고 만다. 장황하게 덧붙이지 않고 말하자면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에서 시간의 추상성, 경험을 초과하는 특성 등은 기억의 담론에서 빠져나간다.”p.29

 

그에 따르면 국가독점자본주의에 대한 기억, 식민지 종속 국가에서의 수탈에 관한 기억, 현실 사회주의에 대한 기억 등은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지배와 그에 대한 저항은 각각의 인격적 대면의 관계로는 환원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물론 역사는 그러한 부분들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부분들의 총합이 곧 역사는 아닌 것입니다. 서동진에게 역사란 곧 매개이자 그런 한에서 공통적인 것이고, 부분을 초과하거든요. 이때 역사는 연속적인 시간성과 관련된- 생산양식과 그것의 변화 과정 및 계기들, 구조들에 가깝습니다. 다시 말해 역사는 사건들의 삽화적 기술로 환원되지 않는, 구조화된 시간성에 대한 사유를 가리키죠. 서동진 선생에게 문제는 구조화되지 않은, 매개되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직접성에 대한 호소가 시간성과 관련된 개념에 적용되었을 때, 그 표현은 심리적 개인의 경험을 투명하게 기록할 것으로 여겨지는 ‘기억’이 된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서동진 선생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시간을 향해 눈짓을 보내는 영화나 영상 작품들 속에서 인물들의 모습 역시 상투화된다. 이들은 대개 ‘피해자’라는 인물형(그것의 다른 이름은 유태인, 디아스포라, 위안부, 성폭력 피해자 등으로 끊임없이 증대된다) 속에 고정된다.”p.17

 

이는 실제로 피해와 고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라, 왜 우리가 기억하고 상상하는 주체가 항상 끔찍한 폭력을 입은 무력한 피해자로 나타나느냐는 질문이지요. 요컨대 그는 이렇게 묻고 있는 것입니다: “피해자는 언제나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왜 하필 지금 그것은 기꺼이 재현되고 표상될 만한 것이 되었을까요? 피해자라는 주체와 투사라는 주체 사이의 시차, 간극은 무엇으로부터 연원할까요? 그 심연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기억은 여기서 대답이 아니라 문제로서 조명되며 해체의 도마 위에 올려 집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서동진 선생에게 기억은 언제나 특정한 사회체계의 시간적 연속성과 관련됩니다.

 

“기억하기는 ‘전후’前後의 의미체계와 떼어놓을 수 없다. ‘프랑스 혁명 이전과 이후’라든가 ‘광주항쟁 이전과 이후’같은 이전과 이후의 ‘가르기’ 혹은 ‘분할’은, 기억하기의 대상인 역사를 ‘변화’의 원근법 속에 자리하도록 한다.”p.18 그렇다면 사실 기억은 'periodizing', ‘시대구분’의 계기를 이미 주체의 차원에서 지니고 있는 거죠. 그렇다면 서동진 선생에게 기억은 낮은 단계의 역사라고도 부를 수 있겠습니다. 즉 주체의 차원에 기입된 역사를 가리키는 이름이 기억임에도 불구하고, 기억을 규정하는 역사, 즉 구조적 매개와 관계하지 않은 것처럼 독자적으로 역사에 맞설 때, 기억은 부당하게 실체화됩니다. 서동진 선생은 이런 상황을 가리켜 ‘선험적으로 주어진 자연(Nature)으로서의 기억’이라 표현합니다.

 

“기억은 주체의 자연인 듯 가정되며 기억의 사회적 성격을 역설한다고 하더라도, 기억의 집합적 구성을 강변한다고 하더라도 기억은 마치 자연인 것처럼 간주된다.”p.19 우리는 여기서 제 2의 본성 혹은 자연으로서의 문화에 대한 헤겔의 논변이 심리적 개인이 지닌 기억의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로서 역사 대 기억이라는 구도가 성립하게 됩니다. 이때 그가 대질시키는 역사와 기억의 각 구분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미시사, 문화사, 일상사 등의 방법론적 형식이 제기 된 후 역사학계의 내부비판을 통해 도출된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기억과 역사를 대립시키는 것은 허위적입니다. 그것은 객관에 맞서 주관을 실체화시킴으로써, 주관적인 것이 객관적인 것이고, 객관적인 것이 곧 주관적인 것이라는- 주-객 분할(인간과 자연의 분할, 개인과 공동체, 사회의 분할)의 조건으로부터 다시금 문제로 된 양자의 동일성을 보지 못하며, 따라서 지배적인 사회관계를 올바르게 비판할 수도 없습니다. 지배와 착취, 객관적인 것이 주관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전도가 구조화되어 있음을 파악하기 위해, 오히려 우리는 역사에 우위를 둔 채, 기억을 소홀히 하지 않으며, 양자의 동일성을 헤아려야 합니다. 기억이 실체화된, 경험이 사물화된 조건 속에서 암묵적으로 선언되는 것은 역사의 죽음이고, 객관적 인식 가능성에 대한 포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경험을 물화시키는 것은, 자본주의적 사회관계가 전지구적 수준에서 완성되면서, 외부의 가능성을 살펴볼 수 없게 된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되는, 그러나 불충분하기에 결국 지양될 몸짓입니다. 대충 감이 잡히시나요? 서문의 내용은 이쯤에서 갈무리하고, 1부의 “플래시백의 1990년대: 반기억의 역사와 이미지”를 훑어봅시다.

 

여기서 서동진 선생은 우선 80년대와 절연한 1990년대의 것으로 돌려진 “감성혁명, 주체의 발견”이 어째서 감성의 불모를 증거하는 지표인지, 차라리 엄격한 의미에서의 감성의 혁명은 외려 1980년대의 정치적 경험에 근거하고 있었음을 논증합니다. 그에게 으레 90년대에 따라붙는 수식들, 예컨대 “개성을 존중하는 적극적 자기표현의 증대, 기율적; 가장적인 권위에 대한 저항”은 실은 소비문화의 심화와 확장의 반영일 따름입니다. 허나 소비의 주체를 둘러싼 감성적인 것은 어떤 가치판단도 개입하지 않는 취향과 조응하는 패션에 머무르는 것입니다. 랑시에르가 옳게도 지적했듯 “감각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관계는 공동체의 분할과 적대라는 차원과 분리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서동진 선생에게 취향의 주체로서의 개인은 차라리 “자신을 주체화하는데 실패한 주체들을 부르는 다른 이름”인 것이죠. 반면 1980년대는 시, 소설, 미술, 영화, 이런 저런 극들은 취향의 동일성에 대한 비판을 통해 감각적인 것을 쟁점으로 만들었던 시기였습니다. 어쩌면 여기서 우리는 <아방가르드의 이론>의 저자 페터 뷔르거의 논의를 떠올려 볼 수도 있겠습니다. 그에 따르면 유미주의에서 자율화된 예술의 조건은 역사적 아방가르드에 이르러 대자적 수준에서 반성되지요. 그리하여 역사적 아방가르드는 예술, 감각적인 것 일반을 비판하고 파악하며 삶과 분리된 감각으로서의 예술을 삶으로 되돌려 보내려했던 시도였습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민중문예운동은 로컬의 맥락에서 아방가르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던 것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예술이 삶과 분리된 스스로의 존재조건을 반성할 수 있었고, 당대의 예술장에 전례 없는 동요를 가져다주었던 것이죠. 따라서 우리는 이제 아무리 진부해졌더라도, 민중미술이 맡았던 역사적, 미술사적 역할을 과소평가해선 안 될 것입니다. 아무튼. 제 본심을 말하고 말았네요. 저는 좋았던 옛날이 끔찍한 오늘보다 사랑스럽습니다만, 서동진 선생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서동진 선생이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과거가 풍속과 습속의 역사로 나타나는 방식의 표현의 한계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화적 기억으로 과거를 재현하는 방식의 리얼리즘이 어떤 아포리아를 담지하고 있는가하는 것이죠.

 

<응답하라> 시리즈나 <박하사탕>, <살인의 추억> 등에서 여러 오브제들과 음악 등은 매개 없이 직접적으로 그 시대를 나타낼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리고 정치적 사건들은 오락성을 제공하기 위해 축소됩니다. 여기서 서동진 선생은 제임슨을 참조하여 이러한 과거 재현의 방식엔 과거를 ‘유행의 변화와 세대’라는 특정한 준거로서 드러내는 ‘향수’가 작동함을 지적합니다. 과거에 대한 이러한 기억은 정치의 교착상태 혹은 퇴행을 암시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이때 역사는 당시에 유행하던 상품, 노래, 텔런트, 분위기의 총합으로 환원되기 때문입니다. ‘시간의 공간화’가 의미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각 대상들은 “너무나 세부적이지만 그 세밀함은 실은 상투적인 관념으로 대상화된 대상의 세밀함”이고, 따라서 추상적입니다. 사실 우리는 과거에 존재했던 오브제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서도 역사를 인식할 수 있고, 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서동진 선생은 고진의 하루키론을 언급합니다.

 

고진에게 하루키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주체가 세계를 감지하는 방식은 취미판단 이상을 넘어서지 않습니다. 인간이 대상으로서의 세계, 즉 나와 구분된 세계를 가정하고, 외부의 자연을 ‘풍경’으로서 바라 볼 수 있게 된 시점에서, 세계의 모든 객관적인 분할과 구분을 무화시키는- 인식 이전의 칸트식 초월론적 주관과,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일정한 이치추론을 요하는 경험적 주관은 서로 괴리되었고, 이점을 잘 드러낸 것이 바로 근대 문학의 특징이었습니다. 그것은 세계와 함께 있지만 결코 세계와 합일될 수 없는 문제적 개인이 출현한 시기이기도 하죠. 즉 초월론적 주관과 풍경 사이의 괴리에서 화자가 건네는 이야기가 있었던 것이죠. 하지만 하루키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주체는 어떤 사건에도 관여하지 않으며 허공에 뜬, 부유하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사실 초월론적 주관과 풍경의 분리 혹은 대립은 그 자체로 근대문학이 다루어왔던, 그리고 근대문학이 근거했던 조건이었습니다. 근대는 개인과 공동체, 인간과 자연, 인간과 세계의 분리, 소외, 부조리가 전면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이른바 활발한 교역과 과학적 세계관이 무르익어가던 네덜란드의 플랑드르 회화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풍경을 떠올려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겁니다. 허나 이러한 주관과 객관의 변증법은 가라타니 고진에 따르면 적어도 하루키에 이르러 종결됩니다. 하루키의 작품에서 경험적 주관을 규정하는 초월론적 주관과 주인공을 둘러싼 시간들은 어떤 인과나 가치를 설정할 수 없이 자기 충족적인, 대상들과 무관하게 존재합니다. 대상세계의 모든 것들을 취미판단의 범주로 소급하는 하루키의 표현에선 어떤 주장도 불완전한 단견에 불과하며, 갈등과 적대는 미세한 소음 정도가 되는 것입니다. 서동진 선생은 이러한 하루키식 진단을 인정함과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험적 주체(개별 자아)로부터 벗어난 초월론적 주체(미적 판단의 주체)는 있을 수 없음을 지적합니다. 그에게 주관의 문제는 언제나 공동성 및 집단성에 의해 매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늘날의 주체가 시간을 감각하는 방식에서 초월론적 주관이 여하의 가치판단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처럼 보일지라도, 이 또한 어떤 타자 혹은 객체로부터 매개된 결과라는 것입니다. 



문제는 그러한 초월론적 주관을 파생시킨 주요한 계기가 무엇인가 하는 것일 텐데, 그는 여기서 초월론적 주관의 배면에 자본주의의 적대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즉 미적판단으로 환원된 의식을 지니게 된 주체, 시간을 인식론적으로 객체화, 대상화시키지 못한 채, 보다 정확히는 이미 객관화 되어있는 역사를 인식하지 못한 채, 습속과 유행의 변화로 시간을 가늠하게 된 주체의 이면에는 자본주의의 부정성- 자본이 스스로를 완결 짓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과정으로서의 계급투쟁이 있다는 것입니다. 당연하게도 이데올로기는 자신을 이데올로기라 말하지 않고 자연으로 제시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객체도 인식하지 못하는- 미적판단에만 관계하는 초월론적 주관은 생산양식 속에서 굴절된 효과로서 제시된 역사적으로 특수한 사유형태, 즉 이데올로기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러한 논증에 불편함을 느끼실 분도 계시겠지만. 요컨대 가장 개인적이고 사사로운 동물적 삶을 영위하는 하루키의 주체는 이미 매개된 것입니다. 이러한 논의를 이어 서동진 선생은 결론적으로 한국의 1990년대의 감성혁명에서 나타난 과거에 대한 재현방식과 감각적인 것을 인식하게 된 주체의 혁명이란 자본주의의 효과이자 진정 감각적인 것으로부터 정치를 발견했던 1980년대에서 부정성이 제거된 반복이라 규정합니다. 이는 페터 뷔르거가 네오 아방가르드를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무의미한 반복으로 규정하며 네오 아방가르드로부터 클리셰를 식별한 것과 비슷합니다. 즉 유사한 것이 상이한 시간성 속에서 어떻게 그 고유한 급진성을 상실하는지에 대한 얘기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혹자는 서동진 선생의 주장을 뒤집어 할포스터가 뷔르거를 논지를 반대로 가져가며 외려 네오 아방가르드의 반복을 통해 완성에 이르는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이념을 제시했듯, 90년대를 80년대의 음화가 아니라 완성으로서 간주할지도 모르겠네요. 아무튼 흥미로운 논변이지요?

 

이제 "반-비-미학:랑시에르의 미학주의적 기획의 한계"로 넘어가죠. 간혹 랑시에르가 감각과 정치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선보여온 성과를 인정하는 것과 무관하게, 이 장 전체는 랑시에르에 대한 집중적인 비판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미 감성은 인식에 매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성적 판단과 비판과 무매개적으로 존재하는 랑시에르의 실체화된 감성론은 모든 비판, 특히 칸트 이후의 비판을 수포로 돌리고자하는 부당한 퇴행이라는 것이 이 글의 요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프롤레타리아트의 밤>에서부터 <불화>, <무지한 스승>, <감성의 분할>, <해방된 관객>에 이르기까지 랑시에르의 일관된 기획은 감각적인 것의 평등, 감각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일치, 따라서 예술과 정치의 일치, 마르크스주의적 토대-상부구조론에 대한 비판, 이데올로기 비판에 대한 비판 등을 역설하고 논증하는 것이었습니다. 예컨대 랑시에르는 90년대에 쓰인 <불화>에서부터 마르크스주의와 사회과학에 대해, 정치를 사회 및 경제의 표현으로서 독해하며 정치 자체의 외부에서 우위를 점하는 ‘메타정치’라 비난한 바 있습니다. 서동진 선생은 랑시에르의 논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1. 비판은 대중의 역능을 믿지 못한다. 2. 비판은 숨겨질 것이 없이 적나라한 현실을 기만이라고 우긴다. 3. 비판은 진정한 비판의 자질을 가진 특별한 주체를 배정함으로써 부정의 주체의 이름인 ‘아무나anybody’를 부인한다. 4. 비판은 부정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을 따로 지정함으로써 즉 부정의 역사적 객관성을 맹신함으로써 부정의 근본적인 우연성, 부정의 시간인 아무 때나anytime를 질식시킨다.” 



이러한 파악 위에서 서동진 선생은 <해방된 관객>의 “비판적 사유의 재난”이라는 장을 검토 합니다. 그에 따르면 그 장에서 랑시에르의 논지는 크게 3가지로 전개됩니다:



우선 첫 번째로, 랑시에르는 페터 슬로터다이크의 ‘가난의 존재론’을 인용하며, 비판하면 할수록 비판 대상과 공모하게 되며, 자신이 상대하는 현실을 보다 공고하게 하게 된다는 역설을 논합니다. 어떤 이미지 혹은 대상을 ‘이데올로기’적이라고 비판하는 순간 비판의 주체는 자신을 진실을 감별할 수 있는 특권적인 위치에 놓으며, 현실을 불가항력적인 필연으로 설정함으로써 해방을 위한 출구를 봉쇄한다는 것이 슬로터타이크의 논지인데요. 그러나 랑시에르에게 비판 전통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여전히 비판 자체의 본질을 묻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에 머물러있는 것입니다. 



‘비판의 내재적 귀결로서의 좌파멜랑콜리’에 대한 이러한 지적 이후, 두 번째로 랑시에르는 뤽 볼탕스키와 이브 시아펠로를 인용하며 ‘사회학주의’를 비판합니다. 뤽 볼탕스키와 이브 시아펠로에 따르면, 사회(학)적 비판은 사회주의 정치의 모태가 되는 인식론으로서, 근대 특유의 문제들에 발본적으로 개입해왔으나 1960년 대 이후엔 미학적 비판에 자신의 자리를 넘겨주게 됩니다. 그리고 미학적 비판은 대략 68 이후 가시화된 새로운 자본주의(경영담론의 갱신과 함께 등장한 이러한 자본주의는 반위계적 노무관리, 노동자의 자율성, 그에 따른 성과급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의 기만적 특징을 형성하는 데에 공모했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입니다. 따라서 사회학주의의 특징은 “인간이 사회적 형세나 구조 속에 배당된 위치로부터 비롯된 입장이나 태도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주장”인데요, 이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사회적 관계와 주체의 문제를 파악할 때 역시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접근이기도 할 것입니다. 자본가를 자본의 인격화이자 대리인이라 표현하거나, 한 개인의 의식은 그가 처해있는 객관적인 물질적 사회관계에 의해 규정된다고 말할 때의 마르크스 말이죠. 그런 점에서 사회학주의는 사회적 체계에 대한 이론을 일컫는 것이기도 합니다. 허나 랑시에르에게 이러한 사회학주의는 계급과 정체성의 무질서와 균열을 두려워하는 부당한 인식론이자 선험으로서, 대중들이 스스로 알고 있음을 자처하고 정치를 조직했던 68과 같은 사건을 폄하할 수밖에 없는, 따라서 진정한 정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랑시에르는 비판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비판 이후의 비판에 조응하는 ‘식견 있는 이성의 무능력’의 두 가지 버전으로서 좌파멜랑콜리와 우파의 분노를 제시하며, 이러한 무능력한 상태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비판이 아닌 해방이라 말합니다. 이때 해방이란 ‘점유/업무와 주어진 능력’사이를 끊어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요컨대 랑시에르가 으레 ‘치안’이라 부르는, 이미 구성된 정치체 내부에서 체계적으로 위상이 부여된 역할에 충실한 상태를 벗어나, 몫 없는 자들이 몫을 가질 수 있는 계쟁의 무대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따르면 정치는 전문가들에게 주어져 있는 현실정치도 아니고, 전위에 의해 선도되는 의식화 과정도 아니며, 국가를 통치할 수 있는 권한을 대상으로 하지도 않습니다. 힘의 차이가 구조화된 모든 영역에서 어느덧, 갑자기, 불현 듯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배치의 조정이 바로 정치라는 것이죠. 이러한 랑시에르의 감각적인 것의 나눔으로서의 정치는 이데올로기 비판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서동진 선생은 여기에 제임슨을 대질시키며 논의를 이어나갑니다. 애초에 비판의 전통과 무관하게 설정된, 따라서 어떠한 인식론적 계기도 지니지 않는 랑시에르의 예술론과 달리, 제임슨은 기꺼이 세계에 대한 ‘인지적 지도’를 그리는 데에 예술의 역할이 있음을 얘기합니다. 요컨대 그에게 미적인 것은 감각적인 것의 문제를 초과하는 것으로서 비판적인 계기, 따라서 인지적 계기를 지닙니다. 알다시피 예술은 관조하는 것, 즐기는 것인 동시에 세계를 완전히 다르게 보이게 하는 것이자 무언가를 가르쳐주는 것이기도 하죠. 이런 맥락에서 예술이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을 전유하기 위해선, 감각적이면서도 초감각적인 상품, 화폐의 위상을 인정해야하고, 감각적인 것만으로는 환원되지 않는 예술의 인지적 계기를 인정해야 합니다. 단순히 예술이 감각적인 것의 분할에 머무는 것이라면, 그리하여 어떤 비판의 계기도 지니지 않는다면, 예술이 세계를 거부할 수 있는 가능성은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서동진 선생은 감각적인 것을 진즉 초과하여 작동하는- 국제적 수준의 분업의 심화와 금융의 심화로 대표되는 초국적 자본주의의 시기에 역설적으로 감각적인 것을 실체화하는 랑시에르의 작업은 필연적인, 그러나 부정적인 징후들 중 하나임을 지적하며 글을 마칩니다.

 

사실 “서정시와 사회, 어게인” 역시 꼭 소개하고 싶은 부분이었습니다. ‘닫혀있는 창문’이라 표현되기도 한 아도르노의 단자론 혹은 모나드론을 통해 ‘재난/충격/전율 이후의 예술/정치/학문’이라는 식의 우리시대에 지배적인 ‘~이후 oo’ 담론을 비판하는 것이거든요. 가볍게라도 말씀을 드리면 좋겠네요. 요컨대 서동진 선생은 여기서 역사화는 객관의 편에 있는 것, 주-객의 변증법 속에 있는 것을 통해 이뤄져야함을 역설하며, 인식 불가능한, 불가해한 충격으로 시대를 셈하는 것에 대한 비판을 개진합니다. 물론 어떤 사건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뒤바꾸는 경험이 되기도 합니다. 허나 재난과 사고에 과도하게 탐닉하는 것은 외부의 객관적인 세계에 대한 인식이 불가능해졌음을 그저 인정하는 몸짓에 머문다는 것이 그의 주장의 핵심입니다. 이러한 해석은 물론 논쟁적인데, 이는 그가 세월호를 둘러싼 감상적인 실천들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돌이켜보면 세월호 침몰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필연입니다. 여러 증거들이 이윤동기를 위한 무리한 선적과, 우파 정부의 무관심과 무능 등을 가리키고 있기에 전국민적인 분노가 집중되었고, 그만큼 정치적으로 견인할 이유는 충분한 의제였을 겁니다. 하지만 동시에 세월호 희생자들의 핸드폰 영상 복원 및 생전 메시지를 통해 중계된, 비참한 죽음의 모습은 곧 실천으로 이어지기보다 아무도 말을 잇지 못하는, 불가해한 슬픔이었습니다. 적어도 유가족들을 제외하면, 그것을 분노를 통해 생산적이고 공격적인 의제로 다듬어낸 시도는 제가 보기에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외려 많은 사람들은 무기력증과 답답함, 집단적 트라우마를 호소했습니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모르겠다는 먹먹함과 전율. 이는 필연적이지만 명백히 재난의 범주로 소급되어온 세월호 사태 자체에 내재적 귀결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예술은 직접적으로 사회를 참조하며 무매개적인, 정동적인, 따라서 주객 이전 혹은 이후의 것을 간취하려 합니다. 허나 아도르노가 가장 개인적인 형식으로서의 서정시를 언급하며, 그것이 외려 가장 사회의 흔적을 가장 많이 담고 있는 형식임을 역설했을 때, 예술은 이미 그 가장 심층적인 존재론적 토대에서부터 사회에 매개된 것으로서 제시됩니다. 따라서 예술은 직접적으로 사회를 지시하는 기표들을 간취하려는 노력 없이도 사회적인 것이 될 수 있고, 오히려 그렇게 할 때만이 예술 고유의 형식으로 사회를 없애 가질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재난 이후의 문학/미술’이라는 식의 기획을 구상할 필요도 없게 됩니다. 재난과 파국, 우발적인 사건이 발생하는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이미 객관적으로 사회 혹은 생산양식에 매개되어 있는 것이 바로 예술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주장은 서동진 선생의 논변 전체의 근간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소개를 자세히 하려다보니 너무 길어진 감이 있어서 끝까지 들어주신 분이 얼마나 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동시대 예술을 둘러싼 자연적인 조건들을 역사화하는 서동진 선생님의 작업은 제가 근래 본 비판 중 가장 정치하고 시의적입니다. 모쪼록 다들 책을 일독해보시면 좋겠고요, 오늘의 얘기가 <동시대 이후>의 주장들을 독해하는 데에 조그만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듣느라 고생하셨고요, 저희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접기
정강산 2018-06-20 공감(10)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알라딘: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서동진 (지은이)돌베개2009-11-23

432쪽

책소개

한국사회의 다양한 층위, 구체적인 맥락에서 신자유주의라는 새로운 주체 형성의 논리가 어떻게 스며들고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신자유주의를 사회, 정치, 행정, 교육, 문화 등 자본주의 사회의 전 분야를 총체적으로 조직하는 '새로운 합리성'으로 바라보고 근본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 이 책은 1980년대 산업구조조정에서부터 20년간의 흐름이 '자기계발하는 주체'라는 새로운 주체화 방식에 있음을 섬세하게 보여준다.

저자는 일상에서 강박적으로 자기계발 서적을 소비하는 개인의 모습을 지난 20년 사이 일터에서 등장한 유연하고 경영자적인 노동주체와 연결시킨다. 또 이를 다시 새로운 권력의 형태가 주조해내는 자율적인 시민의 모습과 연결시킨다. 이 '주체성의 계보학'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이론적인 탐색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새로운 자본주의는 어떤 사람을 빚어내는가

01 지식기반 경제라는 경제적 가상
1. 변화의 담론, 담론의 변화
2. 지식기반경제의 경제적 주체
3. 한국 자본주의와 그 재현의 변화

02 자기계발하는 시민
1. 신지식인, 지식기반경제의 국민주체
2. 능동적 시민이라는 인적자원
3. 국미의 통치, 자아의 통치

03 유연한 노동주체
1. 자본의 유연화에 따른 노동주체의 변화
2. 경영담론과 주체성의 관리
3. 전략경영에서 인적자원관리까지
4. 능력에서 역량으로

04 자기계발의 의지
1. 한국의 자기계발 담론
2. 나는 기업이다
3. 자기의 테크놀로지
4.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정치학

에필로그 자유라는 위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빈곤은 어쨌거나 사회적 현실이다. 빈곤을 그냥 불편이나 불행이라 부르지 않고 빈곤이라 이름 붙이는 것은 그것이 자기 삶 밖에서 들이닥친 현실임을 알린다. -8 쪽 - 제라드
그렇지만 놀랍게도 '희망 없는 빈곤' 이란 말 속에는 전연 어울리지 않는, 어울려서도 안 되는 차원이 맞붙는다. 희망이 나의 내밀한 삶의 세계에서 비롯된다면 빈곤은 경제적인 생존을 규제하는 바깥 세계의 원리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희망 없는 빈곤' 이란 말은 빈곤을 나의 책임과 자율의 세계로 떠넘기며, 빈곤을 낳은 원인을 용케 나... 더보기 - 제라드
게다가 자존하고 자립하고 자활하라는 윤리적인 다그침 속에는 네 삶 밖의 세계에 어떤 허튼 소리도 하지 말라는 위협적인 목소리가 깔려 있다. 네 스스로 힘껏 살아보라는 말 속에는 그리고 네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속삭임 속에는, 사실은 절망과 분노는 내색조차 하지 말라는 협박이 숨어 있는 셈이다. -8~9쪽 - 제라드
저자 및 역자소개
서동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계원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사회학이며, 대표논문으로 「스트롱맨의 척추해부학-신자유주의와 남성성」「사악한 기계들의 윤리학 - 통신과 인륜성」 등이 있다. 자본주의의 역사적 형태와 문화/예술의 관계에 대하여 관심이 깊다. 최근에는 금융화와 물류혁명이 지각과 경험의 형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글을 쓰고 있다.
최근작 :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서경식 다시 읽기>,<가족의 재의미화 커뮤니티의 도전> … 총 44종 (모두보기)
Editor Blog현장 MD가 뽑은 올해의 좋은 책 2009 l 2009-12-28
어느덧 시상식의 계절입니다. 연예대상, 가요대상, 연기대상 등 화려한 시상식은 차고 넘치는데, 왜 어디에도 책 관련 시상식은 없는 걸까요? 리영희 선생이 평생공로상을 받고, 카라가 축하 공연을 하는 '도서대상'을 기대하는 건 너무 무리일까요? 아쉬운 마음에 여기, 현장MD로 살았던 2009년의 기억을 남깁니다. 조금 편파적이고, 아이돌 그룹의 축하 공연도 ...

출판사 소개
돌베개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능호관 이인상 연보>,<동물 너머>,<트랜스젠더 이슈>등 총 617종
대표분야 : 역사 4위 (브랜드 지수 751,834점), 음악이야기 4위 (브랜드 지수 23,571점), 한국사회비평/칼럼 8위 (브랜드 지수 53,956점)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20) 읽고 있어요 (2) 읽었어요 (29)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5% 10대 0.1%
10.8% 20대 11.7%
16.5% 30대 19.2%
14.5% 40대 15.4%
3.6% 50대 5.9%
0.6% 60대 1.2%
여성 남성
평점 분포
    8.7
    44.4%
    44.4%
    11.1%
    0%
    0%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5)
전체 (6)
공감순 
     
탁월한 문제제기에 비해 본문내용이 추상적.자기계발 주체에 대한 역사화가 필요.  구매
nautes 2011-09-06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책 자체는 좀 질리지만 그 화두의 선택과 진지함은 굳!  구매
nickle 2010-01-17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여전히 "민주화 기획"의 이데올로기에 갇힌 진보진영에 일독을 권함  구매
wonder 2010-05-04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대딩 필독서  구매
LineIDsecondto0 2014-12-14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끊임없는 `자기계발의 압력`을 느껴본 사람이라면 본문의 내용이 더 와닿을 것 같습니다. 자유를 포기할 수 없지만 자유가 위선적으로 포장되는 현실에 대한 저자의 문제제기도 흥미롭고요.  구매
blue923 2014-04-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3)
전체 (5)
리뷰쓰기
공감순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2 새창으로 보기 구매
저자는 지난 20년간 한국 자본주의의 변화 과정에서 형성된 권력의 주체화의 논리, 즉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형성은 아이러니하게도 동시에 기존의 규율사회를 비판하고 자유를 꿈꾸는 주체의 자기형성의 논리와 겹쳐져 있다고 지적한다. 자기계발에의 의지라는 것은 결국, 보다 나은 자기가 되고픈 인간 본연의 소망, 그리고 비상과 해방에 대한 인간의 본연적 욕구와 같은 것들이 권력의 자장 속에서 마름질 당하고 가공된 형태라는 것이다. 인간 본연의 진보적 희망과 자유에의 소망이 매번 권력의 전략에 포섭되어 변질되고 마는 것이라면, 차라리 애초에 그런 꿈 자체를 포기해야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저자는 자유를 지지할 것인가 거부할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자유에 대한 새로운 물음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우리가 오늘날 누리고 있는 이 자유가 어떤 종류의 자유인가 매번 날카롭게 질문해야 한다. 질문은 사유이고, 사유는 곧 새로운 자유의 가능성이다. 새로운 자유란 어떤 자유인가. 그것은 권력의 전략에 포섭되어 관리되는 자유, 순응적으로 변질된 자유, 기껏 자기계발의 자유 따위가 아니다. 그것은 권력관계로부터의 호명이 불가능한 자유, 관리되고 대상화되기를 거부하는 자유, 외부를 사유하는 자유, 탈주하는 자유다. 새로운 자유의 정치학을 꿈 꿀 것! 이 책이 마지막으로 전하는 메시지는 바로 이것이다. 

가슴벅찬 소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조언은 사실상 환자한테 불치병 선고 해놓고 미안해서 보약 한 첩 다려주는 거랑 다를 게 뭔가. 저자의 제안에 따라 아무리 세계의 자명성에 질문을 던지고, 해방된 자유, 탈주하는 자유를 열심히 사유해봤자 그가 쓴 책 전체를 관류하는 푸코식 통치이론의 논리에 따르면 그 또한 결국에는 통치 권력의 전략에 포섭되어 너무나 단정한 모습으로 그리고 또한 너무나 기형적인 모습으로 변형되고 말 것이 아닌가. 그것이 권력의 역학 관계를 벗어날 길 없는 개체의 운명이 아니겠는가.  

어쩌면 수유너머가 기성의 체제와 관계를 맺어가는 방식 역시 그러한 한 전형은 아닐까. 예를 들어 수유너머의 일시적 구성원이었던 나의 경우, 수유너머를 늘 남산에 있는 무릉도원 쯤으로 여기곤 하지 않았던가. 가슴이 턱 막힐 때마다 무릉도원에 잠깐 다녀가 오금이 저려오는 온갖 자유와 희망의 메시지로 목을 축이고 나서, 자극적인 관념들로 샤워를 하고 나서, 다시 속세로 귀환해서는 마치 별세계에서 한바탕 꿈꾸다 돌아온 듯 이전과 다름 없는 태도로 일상을 살아가지 않았던가.

그곳에서의 공부는 나의 구체적인 삶을 전혀 바꾸지 못했다. 그러니까 그곳에서 나의 공부는, 배움을 주셨던 선생님들의 기대와는 전혀 상관없이, 나에게는 그저 출구 없는 일상에 작은 위안을 주는, 그런 신기루 같은 공부였지 않았나. 그렇다면 함부로 말해서 나 같은 이들에게 자기위안용 혹은 자기장식용 지식을 판매하는 것이 결국에는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수유너머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이 역시 그곳 선생님들의 기대(내지는 최초에 그곳 선생님들이 꿈꾸었던 자유의 정치학)와는 전혀 상관없는 결과가 아니겠는가.  

이 책 비롯, 푸코의 통치권력이론의 영향을 받아 씌어진 글을 읽고 있으면 마치 공황장애에라도 빠진 듯한 기분이 된다. 끔찍할 정도로 조화롭고 치밀한 자기 완결적 시스템. 거기에는 예상치 못한 반전도, 불순한 종자들의 혁명도, 우연의 장난질도, 그 어떤 우발성도 들어설 여지가 없는 것이다. 푸코가 그려내는 세계는 마치 한치의 허점이나 틈새도 보이지 않는, 영원히 붕괴되지 않는, 견고한 성채 같다. 거기서 느껴지는 것은 오로지 도저한 슬픔이다. 푸코가 말년에 주창한 자기윤리라는 것은, 결국에는 어찌할 수 없는, 그러나 너무나 비루한 자구책이 아니었을까. 우리는 얼마나 경악하고 얼마나 절망한 끝에야 비로소 호쾌하게 웃는 능동적 니힐리스트가 될 수 있을까. 아니, 그 이전에 이 견고한 성채 안에서 우리는 과연 냉소를 멈출 수나 있을까.  

- 접기
수양 2010-11-10 공감(4) 댓글(0)
Thanks to
 
공감
     
신자유주의가 만든 자기계발하는 주체들 새창으로 보기
젊은이들이 쉴 줄 모릅니다. 방학(放學)이면 말 그대로 좀 쉬어야 하죠. 그동안 공부 부지런히 했으니 잠깐이나마 목을 돌리면서 마음에 빈칸 하나쯤을 남겨두어야 하는데, 요새 젊은이들에겐 이딴 소리를 했다간 세상물정 모른다며 따가운 눈총받기 십상입니다. 요즘 세상이 어떤 줄 알아요? 전쟁이에요. 총성 없는 전쟁!

 

그렇습니다. 젊은이들은 방학 때 더 바쁩니다. 계절 학기를 통해 조금 떨어지는 학점들을 끌어올리거나 인턴으로서 새로운 경험을 해보거나 기업에서 좋아라 하는 자격증을 따거나 새벽에 영어학원에 다니면서 스펙을 쌓아야 하니까요. 느긋함이란 말은 박물관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골동품이 되었습니다. 회계사란 전문자격증을 딴 대학생은 이렇게 털어놓습니다.

 

“한 친구가 회계사 자격증을 땄어요. 그게 가장 큰 동기가 되었어요. 돌아다니는 걸 좋아해서 제가 앉아서 공부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안 했어요. 고시는 나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친구가 회계사 시험에 붙으니, 친구들에게 뒤쳐지는 느낌이 드는 거예요. 안 되겠다 싶었죠. 뭔가를 시작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 저에게 가장 중요했던 건 나중에 제가 뭘 하고 싶으냐가 아니라 당장 뭘 하는 거였어요. 크게 봐서 제가 뭘 할 거니까 이게 필요하다는 게 아니라 이거 따면 어떤 기회가 생기고 뭔가를 얻게 되겠지, 이렇게 생각을 했죠. 나중에 뭘 하려는 과정으로서 자격증을 준비한 게 아니라 일단 뭘 해야 했고 해야 될 게 필요했어요”

 

그렇습니다. 이젠 뭔가를 하지 않으면 암만 뛰어나고 스펙이 빵빵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조마조마한 시대입니다. 뭘 하고 있어야만 조금이나마 마음이 놓입니다. 한 손엔 자기계발서적을 꼭 쥐고 부채삼아 자기 안의 일렁거림을 달래려 하지만, 가슴 한복판의 불길은 좀처럼 수그러들 줄 모릅니다. 이러한 불안을 장작삼아 사람들은 이곳저곳을 뜨겁게 뛰어다닙니다.

 

이른바 ‘자기계발하는 주체’들이죠. 이제 자기계발하지 않는다면 멍텅구리가 되는 형편입니다. 너나할 거 없이 죄다 자기계발을 뇌까리며 허리띠를 조릅니다. 이젠 깍쟁이보다도 제 앞가림 못하는 사람을 더 거북해하고, 가난이나 차별 때문에 쓰러진 사람에게 “너가 못났기 때문”이라고 손가락질하는 현실이죠. 어느 때보다 물질이 넘치는 시대를 살지만 어떻게 된 게 사람들은 더 헉헉거리고 툭하면 악다구니를 벌입니다.

 

이런 현실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돌베개. 2009]는 아주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이 책은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매우 촘촘히 밝힙니다.

 

글쓴이는 자본주의가 자기계발하는 주체를 만들어냈다고 여러 자료를 통해 보여줍니다. 자본주의는 주체를 지배하지 않고 주체를 ‘통해’ 지배하니까요. 그러니까 옛날 권력들은 사람들을 손아귀에 넣고 주무르려고 했다면 이젠 통치이성으로서 지배합니다. 오늘날엔 단순히 어떤 권력자가 주먹으로써 지배하지 않고 자본주의가 ‘자유로써’ 지배합니다. 언제나 권력은 자유를 통해 작동하니까요.

 

결국 권력은 지배받는 주체에게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그것은 주체성을 형성하고 그 주체가 자신의 삶에 작용하는 방식을 규정함으로써 주체를 ‘멀리에서’at distance 지배한다. 신자유주의는 바로 그런 지배대상으로서의 주체를 빚어낸다.

 

그러므로 개인들은 어떤 의미에선 자유롭습니다. 자신이 땀 흘린 만큼 보상을 받는다고 믿으면서 누가 시키지 않아도 어련히 자기계발을 하고 자신의 욕망대로 움직이며 살죠. 그런데 야릇하게도 자유를 쫓으면 쫓을수록 삶은 갈팡질팡 더 흔들리고 땀에 흠뻑 젖은 등줄기는 하루도 편치 않습니다. 가만 되돌아봅니다. 나는 정말 자유롭게 생각하며 살고 있는 것일까?

 

그렇다고 자기계발하는 자유가 허깨비이자 쇠사슬이라면서 사람들이 매트릭스에 갇혀있는 꼭두각시라고 빈정거리지 않습니다. 이 자유가 거짓이니 벗어던지자고 할 수도 없습니다. 대신, 오늘날의 자유가 어떠한지 짚어보면서 자유가 지닌 아찔함을 알리며 ‘새로운’ 자유의 정치학을 일구자고 얘기하네요. 여태껏 몸소 채찍질을 하면서 달려왔다면 이젠 자신을 후려치던 ‘자유’를 어디에 써야할지 고민하자고 합니다. 참 자유는 참 사유를 거쳐서만 태어나니까요.

- 접기
좋은책 2010-06-30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자유의 의지? 그렇다면 그 다음은...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일단 푸코를 잘 모르니 푸코를 통해서 이해하는 것은 포기! (푸코 없이 이해해도 큰 차이는 없는 거 같음. 호기심은 다음 기회에 풀어 보고...)

일단 책이 너무 지리하다. 그렇게 지리 안해도 좋은 글을 쓸 수도 있을텐데...

하지만 문제의 요지는 매우 신선했다.
왜 노동자들은 분기탱천해서 이 현실을 뒤집어 없는 혁명에 나서지 않는 것일까??
왜 사람들은 무기력하게 이명박이를 찍었을까?

모 위 두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과정의 한 주제는 될 거 같다.

"자유를 추구하면 추구 할수록 더 많은 선택을 발휘하면 발휘할수록 더 많은 재량을 발휘하면 할수록, 자유와는 반대 방향으로 치닫는다는 느낌이 우리를 휩싼다. 따라서 이제 자유를 향한 열망은 자유에의 환멸로 반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면서도 자유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저자네요.

근데 부르조아지도 자유를 갈구 했다. 프로레타리아의 자유는? 부르주아 자유와 프로레타리아의 자유는 무엇이 다른가?  그것은 당연 '연대'이다

저자의 프로시안의 인터뷰 기사를 보면서 유감인 것은 '이제 자유가 아니라 평등으로'와 비슷한 이야기를 한 기억이 있는데 이 때도 느낀 것이지만 '자유와 평등'이라는 컨텍스트에 매몰되면 문제의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 프로레타리아는 부르조아와의 평등을 요구했나? 노동자의 "연대"는 단지 권력 탈취의 도구, 수단일 뿐인가? 그렇지 않다.

자유가 아니라, 아니 평등도 아니라, '연대'여야 한다.

유적존재로서의 인간이 사람다와 지는데도 바로 이 연대요,
자유를 잉태하는 것도 바로 이 협동과 단결, 공동체 인 것이다.

나는 저자(혹시 이진경 씨나 수유공간 너머에 속한 분들도)가 이런 문제를 '자유의 의지~' 책을 쓰듯이 깊이 연구해 보면 좋겠다 싶다. 그 철저함이라면 아마 또다른 역작이,,, 바로 혁명의 '주체화'의 해법을 얻지 않을까...

물론 그러려면 서양의 '근대성'의 텍스트, '자유와 평등'이라는 컨택스트로 부터 튀어 나와야 하지 않을까 싶긴 한데... 푸코에 그렇게 의지하지 않고도 진리를 찾아갈 수 있지 않을까..
남의 말을 인용하는 것은 참조가 되긴 하나 그 자체가 새로운 진실을 말해 주지는 않을테니까...

하여튼 저자의 다음 작품이 출간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접기
nickle 2010-01-17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신자유주의만이 춤추는 대한민국 새창으로 보기 구매
전체적으로 푸코의 담론개념을 통하여 현 자본주의와 한국 사회에서의 주요 노동과 관련된 경제사회적 담론을 분석하고, 역시 푸코의 통치성과 주체성 개념에 입각한 주체와 미시권력적 구조 개념을 통하여 위의 각종의 담론과 분석을 구체화한다.  전체적인 분석내용 노동조합의 무력화화  스스로 역량기계가 되어 자신이 소속한 기업과 그러한 정책을 가꿔내는 국가에 봉사하는 주체의 모습을 여실히 드러내 주었다. 사실 온 사회가 이렇게 자기계발하는 주체로 구성되면 어떠한 비판도 들어설 수 없는 무색할 현재의 지경에 대한 이해에 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저자도 계속 강조하고 있듯이 그러한 주체의 변신과 기획 그리고 그 노력은 주체 자신을 위한 것인가? 라는 메시지는 우리에게 현재의 사태믈 비판해야 한다는 강조점을 짝고 있다.

또한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은 전통적 맑스적 관점이라기 보다는 네그리를 위시로 한 포스트자본주의 비판에 근거하여 분석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러한 포스트자본주의적 비판의 강조가 본 글의 주제는 물론 아니다.  요는 담론중심주의적 비판에 관한 문제인데. 자본의 담론을 수용하는 노동자체 정치력의 우위가 가능하기 어렵기에 담론에서의 승부, 가치논쟁에서의 주도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담론 중심의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은 생각임.

또한 신자유주의자들의 전유물이 된 자유에 관한 문제인데.

같이 이 책을 읽은 친구중엔 자유란 원래 허구적 가치이며, 내용이 없는 순수 형식적 결정불가능성으로 그에 대한 가치를 담는 담론은 그 자체가 보수담론의 범주를 너머설 수 없다고 까지 얘기하는데, 덧붙여, 라캉식의 나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일 수 밖에 없는 자유의 구조적 한계까지 생각해 보면 자유 자체에 대한 관찰은 그 자체가 신자유주의의 토양이란 점이 이해되는데, 



에필로그에서의 저자의 주장을 살펴보면, 

새로운 자유의 이미지의 고안의 필요성 역점. 376  그리고

우리는 자유를 통해 지배와 관리의 규칙과 의무, 규범을 의문시하고 현실에 관해 새로운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결코 자유로부터 물러나서는 않된다. 자신의 행위를 생각할 대상으로 삼고, 행위를 둘러싼 의미와 조건, 목적 같은 것을 의문시하는 것이 사유라고 한다면, 사유란 곧 자유이다.

자유를 동원함으로써 사회적 삶을 관리하고 조절하며, 나아가 개인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주체화해야 할 것인가를 강제하는 것이 자유의 정치학이라며, 그런 자유의 동원을 다시 문제화함으로써 자유가 지닌 위험을 알리고 비판하는 것도 역시 자유의 정치학이어야 한다.



등의 정리주장을 보면, 저자 서동진 역시 자유라는 모든이가 사랑하는 이 언표를 버리고 싶지는 않은 것 같다. 왜냐 이 단어를 사랑하고 이 언표를 절대시하는 많은 대중들을 설득하기 위하여 우리는 자유를 새롭게 가공하여 원하는 사회를 실용적으로 앞당길 이유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나도 이 책을 다시 살펴 보면 에필로그가 박사논문 취득을 위한 어정쩡한 타협적 정리를 했을 수 있다는 앞의 친구 얘기가 과감한 설득력을 갖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기에 이 책이 자유주의 사회적 한계를 꼼꼼히 정리한 훌륭한 책일 수 까지 있겠지만.....

자유라는 언표의 위력을 저자도 포기하긴 어려움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간의 자기계발적 자유와  향후의 반 자기계발적 자유....





- 접기
hymn 2014-07-19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신자유주의 대한민국에서 꼭 읽어봐야 할 도서.!! 특히 우리 20대들 새창으로 보기
제라드 2010-09-17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TTB 리뷰
전체 (3)
상품정보 복사
(일과 조직에서의) 권한과 책임
Thanks to
뜨인돌 2012-06-26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 기계냐 동물이냐
Thanks to
빙과 2010-02-28
하지만 자기계발의 영역에서도 담론투쟁이 필요하지 않을까?
Thanks to
hanyhy 2010-01-31
마이페이퍼
전체 (18)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우울사회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새창으로 보기
이번주 주간경향(968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한병철의 <피로사회>(문학과지성사, 2012)를 간추리고 간단한 독후감을 보탰다. '피로사회'란 말의 의미가 선입견과는 다르기에 주의해서 읽어야 한다. 우리가 '성과사회'에서 자발적인 자기착취를 통해 느끼는 피로감은 '피로사회'가 아닌 '피로한 사회'의 피로감이다('피로한 사회'는 저자의 용어가 아니다). 혹은 '피곤사회'라고 할까?..

 

 

 

주간경향(12. 03. 27)스스로를 착취하는 ‘성과사회’

 

‘독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문화비평가 중 한 사람’의 저작이 소개됐다. 뜻밖에도 재독 한국인 철학자 한병철의 <피로사회>다. 작년에 먼저 나온 <권력이란 무엇인가>(문학과지성사)를 통해서 처음 소개된 저자는 한국에서 금속공학을 공부하고 독일로 건너가 철학으로 박사학위와 교수 자격을 취득한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 독일에서 2010년에 출간된 <피로사회>는 그의 대표작으로 주요 언론의 호평을 받으며 베스트셀러가 됐고 ‘피로사회’란 말은 독일에서 아예 상용어가 됐다. 무엇이 그러한 반향을 불러온 것인가.

 

Müdigkeitsgesellschaft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독일의 독자들이 “성과사회의 주체가 스스로를 착취하고 있으며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라는 이 책의 테제에 주목하고 공감한 것으로 본다. 과거 규율사회가 타자 착취 사회였다면 신자유주적 자본주의는 자기 착취 사회다. 이 새로운 21세기 사회를 그는 ‘성과사회’라고 부른다. 규율사회와 산업사회에 대한 분석과 철학으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발적 착취가 이루어지는 성과사회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 저자의 문제의식이다.

 

규율사회의 지배적 공간이 병원과 정신병자 수용소, 감옥, 병영, 공장 등이었다면 성과사회는 피트니스 클럽, 오피스빌딩, 은행, 공항, 쇼핑몰, 유전자 실험실 등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배적 공간의 변화는 사회 구성원들 또한 변모시킨다. 이들은 더 이상 ‘복종적 주체’가 아니라 ‘성과주체’로서 각자가 ‘자기 자신을 경영하는 기업가’이다. 곧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자기경영’이 성과사회의 패러다임이다. 규율사회가 부정성의 사회로서 여전히 ‘~해서는 안 된다’라는 금지를 통해 사회를 규제하고자 한다면 성과사회는 긍정성을 동력으로 한다.

 

‘나는 해야만 한다’는 당위가 아니라 ‘나는 할 수 있다’는 능력이 성과사회를 이끄는 긍정의 도식이다. 물론 핵심은 이러한 성과주체가 복종적 주체보다 더 빠르고 더 생산적이라는 점이다. 성과주체는 분명 외적인 지배와 착취로부터 자유롭다. 그는 자신의 주인이면서 주권자이다. 하지만 그는 이 자유를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서 ‘강제하는 자유’ 또는 ‘자유로운 강제’에 내맡긴다. 그리하여 성과 제고를 위한 과다한 노동은 자기 착취로까지 치닫게 된다. 자기 자신이 착취자이면서 동시에 피착취자인 처지가 되는 것이다. 이렇듯 자유에서 새로운 강제가 발생한다는 게 자유의 역설이고 변증법이다.  

 

물론 성과사회에 대한 진단과 성과주체의 발견이 전적으로 새로운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는 이미 서동진의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돌베개)를 통해서 ‘자기계발하는 주체’가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탄생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읽을 수 있었다. ‘자유의 의지’가 곧 자기를 구속하는 ‘자기계발의 의지’로 전화된다는 게 저자의 문제의식이었다. 그때 자유의 의지가 갖는 부정적 역설은 성과주체가 맞닥뜨리게 되는 자기 착취의 역설과 다르지 않다.

 

<피로사회>가 ‘문화비평’으로서 갖는 강점은 사회적 진단을 병리학적 시각을 통해서 조명한다는 데 있다. 저자는 지난 20세기를 안과 밖, 친구와 적, 나와 남 사이의 경계 구분을 문제 삼았던 ‘면역학적 시대’로 규정한다. 면역학적 행동의 본질은 공격과 방어이며 이 패러다임은 철저하게 냉전의 어휘와 군사적인 장치를 통해 기술될 수 있었다. 반면에 오늘날 이질성과 타자성은 점점 지워지고 있다. 오히려 21세기의 병리학적 상황을 지배하고 있는 건 우울증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경계성성격장애, 소진증후군 등과 같은 신경성질환들이다. 가령 우울증은 오늘날 성과주체가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물론 그러한 한탄은 아무것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믿는 사회에서만 가능하다. 곧 자발적 착취의 병리적 결과로서의 우울증은 긍정성 과잉사회에 고유한 질병이다. 우리는 이 ‘우울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저자는 탈진의 피로와는 대조되는 무위의 피로, ‘근본적 피로’를 대안으로 암시한다. 그것은 모든 목적 지향적 행위에서 해방되는 ‘막간의 시간’을 가능케 하는 피로다. 성과사회 이후에 도래할 ‘오순절-사회’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피로사회’다.

 

12. 03. 21.

- 접기
로쟈 2012-03-21 공감 (94)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마음의 사회학과 진정성의 운명 새창으로 보기
사회학자이자 문학평론가인(문학사회학자라고 해야 하나?) 김홍중 교수의 <마음의 사회학>(문학동네, 2009)이 출간됐다. 엊그제 산 책인데, 어제 한 송년모임에서 우연히 저자와 몇 마디 나눌 기회가 있었다. 서문만 읽은 상태라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진 못했는데, 그런 기회가 있을 줄 알았다면 몇 개 장 정도는 미리 읽어볼 걸 그랬다. 오늘자 한겨레에 책에 대한 리뷰가 실렸기에 옮겨놓는다. 주로 첫 장인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의 내용을 따라가고 있는 듯싶다.   한겨레(... + 더보기
로쟈 2009-12-19 공감 (34) 댓글 (6)
Thanks to
 
공감
 
찜하기
삶의 출렁거림을 잴 수 없는 이론은 검정색이자 경색이다 새창으로 보기
1. 자유도 그날그날을 살고, 민주주의도 살아날뛰는 것이고, 노동이라는 것도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이라면, 삶의 출렁거림을 잴 수 없는 이론은 검정색이자 경색이다.   2.  형평이라는 지렛대가 없다면 민주주의도 자유도 신위에 모셔져 풀려날 길이 없다. 모시기만 할 뿐 삶은 형편없이 헛바람처럼 날려 살아진다. 단 한 사람, 그 삶들의 인력은 없다.  삶의 척력만, 사람은 사람을 기대지 않는다. 형평의 중력이라는 숨골이 제 기능을 못해 한 걸음도 제대로 걸을 수 없다. 공평은 노동에서, 일자... + 더보기
여울 2015-01-07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 새창으로 보기
                음. 원래 공부를 '독고다이'로 해온 편인데, 이번 학기에는 마음이 맞는 사람들끼리, 또 공부의 열의가 있는 사람들끼리 '감정사회학'이라는 테마로 모임을 가져볼까 생각 중이다. 사실 김홍중 선생의 책 <마음의 사회학>을 읽으면서, 마음을 어떻게 사회학적으로 이론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나는 이것이 매체 연구에서의 어떤 전환을 야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 더보기
얼그레이효과 2010-08-30 공감 (11) 댓글 (4)
Thanks to
 
공감
 
찜하기
[사기계발] 영원한 사기극, 평생 자기계발해봐라 새창으로 보기
 평소 자기계발서는 책으로 치지도 않는다. 예전에 누군가 올해 독서 목표가 100권이라고 했는데 읽는 책이 전부 자기계발서였다. 그에 대한 내 판단은 책을 한권도 읽지 않았다였다.

 

자기계발서를 부정하는 이유가 있다. 얼마전 출간된 '거대한 사기극'이라는 제목처럼 이건 사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기계발을 해봐야 성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주 쉬운 가정을 해 보자.

 

일을 하고 싶은 100명이 있다. 하지만 일자리는 80개다. 그리고 거기서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1%라면 1명만이 성공한다
그 100명이 똑같은 자기계발서를 읽는다. 자기계발서에 나온데로 일년 365일 노력한다. 아무리 노력을 해봐야 20명은 일자리를 얻을 수 없고, 일하고 있는 79명은 성공할 수 없다. 내가 자기계발서를 싫어하고 책으로 치지도 않는 이유이다.

 





어쩌다 한번씩 기획회의라는 잡지를 읽곤하는데 재미있는 꼭지가 있었다. '자기계발 다시읽기' 자기계발서를 단순히 터부시 하기만 했는데 자기계발서를 문화적으로 접근한 방법이 흥미로웠다. 생각해보니 '거대한 사기극'은 기획회의에 연재되었던 내용이 책으로 엮여저 나온 것이다.

 

생각해보니 2009년에 한국상황과 자기계발을 연구한 책이 출간되었다.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신문에서 소개글을 읽고는 바로 구매했던 책이다.

 

기획회의 352호는 특집으로 '굿바이 자기계발'을 실었다. 이 참에 사기계발이라는 이름으로 독서를 기획했다.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는 민주화 이후 자기계발하는 주체가 생겨났다는 점에 주목한다. 구조조정의 상시화와 지식기반사회라는 사회환경속에서 개인을 평가하는 관리기법들이 태어나고, 각 개인들은 알아서 자기계발을 하는 사회가 된 것이다. 책은 사회적 환경과 더불어 실제적으로 기업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영관리기법들을 다루고 있어 관심이 간다. 다만 쉽게 읽기에는 조금 부담이 될 것 같다.

 

<자기계발의 덫>은 '성공하는 사람들의 8가지 습관'이라는 책으로 유명한 스티븐 코비가 정작 육아문제로 고민하는 자기 딸에게는 계획도구를 전혀 사용하지 말고, 벽에 걸린 시계가 아닌 마음이 하고 싶은데로 하라는 충고를 하는데, 이는 자신이 주장해 온 계획도구들을 자신은 전혀 사용하지 않는 모순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계획도구로 많은 이의 돈을 긁어모았으면서 정작 자신은 그렇지 못한... 이 책은 아마도 이렇게 미국에서 유명한 자기계발저자들을 파헤치지 않을까 싶다.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는 IT종사자, 문화산업종사자들 처럼 열정으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처한 현실에 주목한다. 그러면서도 자기계발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 국가와 기업이 아니라 개인이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발상은 성공과 실패의 책임을 모두 개인에게 전가시키는 탁월한 전략이었다."

 

              

 

 그리고 <긍정의 배신>은 바바라 애런라이크 배신3부작(노동의배신, 희망의 배신)과 같이 읽을 생각이다. 긍정의 배신은 다음과 같이 소개된다. "저자 바버라 에런라이크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밝은 면만 보고, 너 자신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라'는 긍정주의의 메시지가 불편한 사회 현실을 외면하고 저마다 자신의 쳇바퀴에만 열중하게 만드는 신자유주의의 매트릭스로 작용하고 있음을 신랄하게 파헤친다.
유방암 경험에서 시작해 시중에 넘쳐나는 자기계발서의 메시지, 초대형 교회의 모순적인 설교, 동기 유발 강사들과 기업들의 커넥션, 그리고 세계를 재난에 빠뜨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까지 차근차근 더듬어 가며 '긍정주의'의 실체를 우리에게 전하는 저자의 시각은 날카로우면서도 시종 유쾌하고 재치 있다. " 특히 긍정주의가 가져온 문제점을 밝히는 점이 관심을 갖게하는 대목이다.

              

 

- 접기

20220327 시간은 더 없다 Yujin Pak

 시간은 더 없다 Yujin Pak

20220327 시간은 더 없다 Yujin Pak

26 viewsMar 28, 2022

2022/03/28

なぜ日本では認知症有病率・発症率が増加しているのか?왜 일본에서는 치매 유병률·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가?

なぜ日本では認知症有病率・発症率が増加しているのか?
왜 일본에서는 치매 유병률·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가? 
주임 연구원 타카스기 토모

목차 
Ⅰ. 소개 
II. 세계 고령화에 관한 통계 데이터 
Ⅲ. 선진국의 치매 유병률·발병률의 경향
IV.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Ⅴ. 결론 

결국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매 고령자의 급증이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구미 국가에서는 지난 수십 년간 치매의 유병률이 20%~60%, 발병률이 20%~40% 하락했다는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치매의 유병률·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서양 국가의 치매 유병률 및 발병률 저하 요인으로는 질병 관리 개선, 건강 행동 추진 등 생물학적 요인을 들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사회경제적인 요인, 지적활동, 환경요인과 치매 위험과의 연관도 확인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뇨병의 증가, 서양풍의 식사 형식의 확대, 운동 습관의 부족 등 생물학적 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급속한 고령화·장수의 영향,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사회경제적 상황의 급격한 변화와 같은 인구동태 및 시대·역사적 배경의 관점에서 치매 리스크의 요인을 확인했다. . 

  • 마지막으로 일본에서는 치매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는 사회적 고립에 빠져 있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 대책으로서 지역 사회 참여가 치매 리스크를 낮추는 것을 시사한 연구를 소개했다. 
  • 일본에서도 질병관리 및 건강행동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공중위생정책을 추진하고 생물학적 요인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또, 연령이 젊은 고령자일수록, 학력 등의 사회 경제적 상황이 향상되고 있는 것, 취업 등 고령자의 사회 참가가 늘어나는 것이 상정되는 것 등, 사회 요인의 향상이 생각되고, 앞으로 일본에서도 치매의 발병률이 떨어질 가능성은 있다. 
  • 과제가 되고 있는 사회적 고립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참여를 늘리는 대처를 추진하는 것이 기대되며, 국가·지역 수준의 사회정책으로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
《도표 8》친구·동료·사회적인 그룹의 사람들과 보낸 시간이 거의 없다·전혀 없는 사람의 비율(OECD21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