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9

崔明淑 독서모임에서 퇴계 이황의 사상을 높히 평가 - 잘 납득이 가지 않는다. 와타나베 히로시

Facebook

 
과거에 이런 독서 기록을 했었구나.

독서모임에서 퇴계 이황의 사상을 높히 평가하며
서양의 여러 사상이나 종교에서 찾으려 했던 것을 멀리 갈 필요없이 여기에 다 들어 있다는 평가를 듣고 잘 납득이 가지 않는다.
퇴계는 주자가 생각하지 못한 것을 더 발전시겼다고 한다.
理를 주자는 고정적으로 보았지만 퇴계는 능동적으로 보았다고 하지만 내용을 잘 모르겠다.

[농암집 ]
조선의 명 문장가 김창협의 글 모음집.

스승 송시열과 아버지 김수항이 숙종때 아마 장희빈의 아들 세자책봉 관련이었던 것 같은데 정쟁으로 사약을 받고 죽었고 5년 후 다시 복권이 되어 수십차례 왕이 요직을 권하였지만 벼슬길은 나가지 않았다.

고전의 좋은 점.

당대 선비들의 생각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는 드라마에 그려지는 남을 모략하며 정쟁이나 일삼는 속세인이 아닌 구도자적 기상이 서린 학자들이었다. 상당히 스토익하고 삶에서도 엄격함이 있었다. 강한 일가의 결속과 학문을 통한 우정과 편지를 통한 주자학 격론 등 ...

아버지가 숙종에게 사약을 받고 죽었을 때 묘비문을 송시열에게 부탁하는데 그 편지글에는 사약을 받는 아버지 김수항의 초연한 모습과 자제들, 친인척에게 남기는 말 들이 묘사되는데 당대 선비들의 높은 수양의 정도를 보여준다. 역사에서 당시의 피비린내 나는 당파싸움과 현실과 괴리된 주자학의 세계에 혐오를 느끼는 마음이 일반적이라면 이 책은 고결하고 엄격한 선비라는 학자들이 지조를 지키는 기상찬 인간으로 다가오게 한다. 송시열 사당을 관람 할 때에도 비슷하게 느꼈었다. 농암집이란 책은 조선시대의 선비란 무엇인가를 느끼게했다.

(송시열이나 김창협은 서인의 노론계 선비들임.시대를 현실적으로 판단하여 국난을 면하게 하거나하는 점에 취약할 수 밖에 없던 점은 재고가 필요함)



===

농암집 - 조선의 학술과 문화를 평하다  | 한국고전선집
김창협 (지은이),송혁기 (옮긴이),최채기 (감수)
한국고전번역원2016-09-19



10.0 100자평(0)리뷰(1)

The Quantum Story: A History in 40 moments : Baggott:

The Quantum Story: A History in 40 moments : Baggott: Amazon.com.au: Books



The Quantum Story: A History in 40 moments Hardcover – Illustrated, 24 February 2011
by Baggott (Author)
4.4 4.4 out of 5 stars 207 ratings
Part of: Oxford Landmark Science (19 books)


Kindle
$30.36
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42.09
14 New from $42.09


The twentieth century was defined by physics. From the minds of the world's leading physicists there flowed a river of ideas that would transport mankind to the pinnacle of wonderment and to the very depths of human despair. This was a century that began with the certainties of absolute knowledge and ended with the knowledge of absolute uncertainty. It was a century in which physicists developed weapons with the capacity to destroy our reality, whilst at the same time denying us the possibility that we can ever properly comprehend it. Almost everything we think we know about the nature of our world comes from one theory of physics. This theory was discovered and refined in the first thi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went on to become quite simply the most successful theory of physics ever devised. Its concepts underpin much of the twenty-first century technology that we have learned to take for granted. But its success has come at a price, for it has at the same time completely undermined our ability to make sense of the world at the level of its most fundamental constituents.Reject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uncertainty and chance implied by quantum theory, Albert Einstein once famously declared that 'God does not play dice'. Niels Bohr claimed that anybody who is not shocked by the theory has not understood it. The charismatic American physicist Richard Feynman went further: he claimed that nobody understands it.This is quantum theory, and this book tells its story.Jim Baggott presents a celebration of this wonderful yet wholly disconcerting theory, with a history told in forty episodes -- significant moments of truth or turning points in the theory's development. From its birth in the porcelain furnaces used to study black body radiation in 1900, to the promise of stimulating new quantum phenomena to be revealed by CERN's Large Hadron Collider over a hundred years later, this is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quantum world.
===
Product description
Review
an enjoyable addition to the overall quantum story ― Chemistry World


A truly exceptional book ― CERN Courier


An accessible and informative history ― Science magazine


gripping story ― Flipside Magazine
Review
`A highly original and engaging account of the most important theory in science.' Jim Al-Khalili `Jim Baggott's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emergence of the twentieth century's most enigmatic but successful theory is a delight to read. It is clear, accessible, engaging, informative, and thorough. It illuminates an important, revolutionary era of modern science and the varied personalities behind it.' Peter Atkins `[A] wonderful histiry of the scientists and ideas behind quantum mechanics... The basic history behind the quantum revolution is well known, but no one has told it in quite such a compellingly human and thematically seamless way.' Publishers Weekly `Jim Baggott's inspired -- and inspiring -- idea of presenting the history of quantum physics in terms of 40 key moments works both an an introduction for the uninitiated and as a refresher for anyone who thinks they know the story. Even familiar stories come up fresh in these juxtapositions. Great to dip in to!' John Gribbin
From the Publisher
Jim Baggott graduated in chemistry in 1978 and completed his doctorate at Oxford three years later. He was a lecturer in chemistry at the University of Reading. He left Reading to pursue a business career, where he first worked with Shell International Petroleum Company and then as an independant business consultant and trainer. He maintains a broad interest in science, philosophy, and history, and writes on all of these subjects. His previous titles include Beyond Measure (OUP, 2004) and A Beginner's Guide to Reality (Penguin, 2005).
About the Author
Jim Baggott graduated in chemistry in 1978 and completed his doctorate at Oxford three years later. He was a lecturer in chemistry at the University of Reading. He left Reading to pursue a business career, where he first worked with Shell International Petroleum Company and then as an independant business consultant and trainer. He maintains a broad interest in science, philosophy, and history, and writes on all of these subjects. His previous titles include Beyond Measure (OUP, 2004) and A Beginner's Guide to Reality (Penguin, 2005).
==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Oxford University Press UK; Illustrated edition (24 February 2011)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496 pages
Customer Reviews: 4.4 4.4 out of 5 stars 207 ratings
===

Top review from Australia
Dr David Bednall
5.0 out of 5 stars A physics whodunnit that needs updating
Reviewed in Australia on 7 November 2016
An enthralling read of the history of quantum physics. Just needs to be updated with the discovery of a Higgs boson and gravity waves.
===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Metallurgist
5.0 out of 5 stars Entertaining and informative for the right reader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6 October 2015
Verified Purchase
This book rel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quantum mechanics, and should serve as a useful adjunct to quantum mechanics textbooks. I liked this book a lot and highly recommend it to physicists and students of physics, both those taking university courses and those seriously studying on their own. However, I do not recommend the book for those with only a very limited knowledge of physics, because while no equations are presented the book is replete with somewhat in depth discussions of some of the finer points of the subject,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chrodinger wave equation, the meaning of the uncertainty principal and on the EPR experiment. All this is best illustrated by discussing what is in this book.


What is in the book –
The book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quantum mechanics from 1900 to 2010, as depicted by 40 “moments”- critical junctures in time. These 40 moments are divided into seven parts, as follows:


Part I – Quantum of Action. This part details the origin of the idea of quanta, first developed by Max Planck in 1900. It goes on to Einstein’s application of Planck’s ideas and to additional developments, up to 1925, including the work of Heisenberg, deBroglie and Schrodinger. I found this to be a very entertaining and informative part or the book as it mixes basic ideas of physics with a bit of the biographies of the men who development them. This approach is carried out throughout the book, with some biographical information accompanying the physics discussions.


Part II – Quantum Interpretations. This part of the book discusses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of quantum mechanics and the controversies that developed, covering the period of 1925-27.


Part III – Quantum Debate – This part of the book further amplifies the debate about the meaning of quantum mechanics during the period of 1927-47. It focuses on Einstein’s reservations and his EPR thought experiment that sought to show that quantum mechanics, as it was formulated, was incomplete.


Part IV – Quantum Fields – This part of the book, covering the period of 1947-67,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quantum field theory and quantum electro-dynamics. I liked the development of Feynman’s approach and how it compared to that of Schwinger and Tomonaga. It also goes into the beginnings of the development of the quark model.


Part V – Quantum Particles – This section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model, covering 1968-2003. I found this and the preceding sections to be the most difficult when they delved into the ideas of group theory. Part IV contains a good description of the relation of symmetry to basic conservation laws, but then the author jumps to group theory and then to its application to particle physics, but without explaining very much about group theory and even less about how it is applied to the problems of describing the interior of the atom and the interior of protons, neutrons and of the particles that are observed in accelerator experiments, some of which are also found in nature due to cosmic ray collisions.


Part VI – Quantum Reality – I found the discussions of Bell’s theorem and Bell’s inequality to be excellent. I learned that there are many version of the experiments meant to investigate this inequality and determine if “reality” is local or non-local, and that there are newer types of expressions of the sort that Bell developed that are being tested. This part of the book covers the period of 1951- 2006.


Part VII – Quantum Cosmology – This part of the book deals with quantum mechanics, its application to cosmology (especially through the work of Hawking) and to attempts to develop a theory that encompasses both gravity and the standard model for particle physics. This part of the book covers these subjects from 1966-2000. There is also a brief epilogue that discusses the search for the Higgs particle up to 2010.
Read less
25 people found this helpful
===
CFortC
5.0 out of 5 stars Fascinatating story-telling - somewhat challeng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30 October 2017
Verified Purchase
Jim Baggott manages to combine a fascinating historical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quantum theory from its inception, together with a description of its main ideas to a level beyond most "popular" accounts. He has assembled in story-telling fashion the people, their ideas, their interactions and the considerable drama. The author must have combed through many hundreds of letters, journal articles, and personal accounts by the principals, as well as numerous secondary sources, contempory newspaper accounts, and also his personal contacts. The sources of the many direct quotations are annotated in a back section, and an extensive bibliography adds to the overall value of the book.


As far as the mathematics goes (referred to in other reviews on Amazon), there appears none beyond basic algebra. A couple well-known equations are spelled out (Planck's and Einstein's). All formulae appear in-line with the text (not textbook-style as numbered equations). I noticed one place where a more complicated equation was described in words. My overall impression is that Baggott has injected just the necessary equations and formulae to illuminate and streamline the text. Beyond that, Baggott's patient, highly polished prose achieves an amazing balance of working through quantum mechanics, quantum field theory, the standard model, etc. at a descriptive level while retaining the flavor and spirit of the material.


However, I would concur that this material could be pretty challenging as someone's first exposure to QM. Much better off would be the Scientific American reader, for example. On the other side of the coin, the book will broaden and considerably enliven the subject matter for someone aleady exposed to introductory QM, as for example during a first undergraduate course.


An inclusion I especially liked was the "centerfold" 16 pages of black-&-white photos featuring famous physicists and some major events. This kind of glossy-paged supplement has become somewhat rare in non-fiction books these days.


The book's story ends around 2010 with supersymmettry and string theory still in the excitement stages. I gather that a bit of the gloss has come off these since then. But such progress or evolution of thinking is to be expected in such an active field.
Read less
6 people found this helpful
===
Basel Abbara
5.0 out of 5 stars Amazing!!! (But complicated)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0 March 2021
Verified Purchase
One of the best books I have ever read.


It is incredibly concise and to the point, without useless details, while still getting a lot of information across. You cannot get bored reading this book.


The content is difficult, and I only recommend reading this if you have a particular interest in physics. You must have a brief understanding of concepts like: wave particle duality, diffraction experiments, quantum numbers,Rutherford’s gold scattering experiments, E=mc2, E=hc,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etc. it does not go into explaining the concepts enough if you are reading about them for the first time, but this is the best book ever for people interested in physics and who have an understanding of what is mentioned in the book.


It gives a great account on how everything was found, and how many of the great Physicists worked together, and on their opinions on each other’s finding‘s.


This is not taught in most schools and physics textbooks so this is a very interesting and intriguing book.
Read less
Customer imageCustomer image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Rosie
4.0 out of 5 stars crisp writing and some fresh insight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9 June 2011
Verified Purchase
Jim Baggott is taking on a path well travelled in this recounting of the quantum story. His mode of travel works well, concentrate on the human element, stretch the reader with the technical details and don't oversimplify.


You don't get a Guernsey telling this kind of history without really knowing your stuff, and Baggott shows that he does. For the early chapters, the explanations of quantum theory are as good as any I have read - De Broglie's dual wave-particle hypothesis, Heisenberg's matrix mechanics and Born's rationalisation of the wave function are stand-outs. The shadow of Einstein falls over all players and debate, and Baggott's explanations of the gedankenexperiments of Einstein and others enrich the story.


Baggott's rendition of the middle era of quantum theory after WWII gets a little turgid, with many layers of detail hanging a little limply without more mathematical backbone. The evolution and testing of the Standard Model was laborious in real life, so I guess the story needs to impart some of that. Again, Baggott really knows his stuff so, while this era is slow to wade through, I expect the index will provide the reader with a good reference to be reminded of an overview or context on specific points long after the back cover is closed. The modern era is well described and wide-ranging to help the reader see how topics such as string theory and supersymmetry have influenced modern quantum physics.


Baggott's writing is crisp and his insights and anecdotes are told, or retold, in a fresh style. It's a long story and worth the investment.
Read less
33 people found this helpful
===
Billy Hollis
5.0 out of 5 stars Extremely effective overview of quantum physics via its historical development - if you have some math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4 September 2015
Verified Purchase
By looking at quantum physics through the eyes of the scientists confronting it, this book does an excellent job of teasing out the counter-intuitive nature of the discipline. Starting at the very beginning with the experimental anomalies that indicated flaws in Newtonian physics, it goes through Bohr's primitive model of the atom, through Pauli's exclusion principle telling us why electron orbits "fit" the way they do, through the creation of the concept of a wave function and its meaning, the first half will help you see the conceptual challenges faced by early quantum physicists and how they solved them. Along the way, you'll hopefully pick up some of that understanding too.


The second half wasn't as compelling to me, though it was still good. It covers the rise of experimental particle physics, and how that led to our current Standard Model. The best part of the second half is the coverage of the research around Bell's inequality and how it makes "hidden variable" quantum theories untenable.


If you're really uncomfortable with math concepts, you'll struggle with some of the explanations. But if you made it through first year calculus without too much grief, you'll be fine.
If you're really uncomfortable with math concepts, you'll struggle with some of the explanations. But if you made it through first year calculus without too much grief, you'll be fine.
===




2023/10/08

알라딘:성학십도 : 열 가지 그림으로 읽는 성리학 - 이황 2011

알라딘: [전자책] 성학십도 : 열 가지 그림으로 읽는 성리학 - 청소년 철학창고 03

[eBook] 성학십도 : 열 가지 그림으로 읽는 성리학 - | 청소년 철학창고 3
이황 (지은이),최영갑 (옮긴이) 2011 

원제 : 성학십도 聖學十圖



전자책 미리 읽기

전자책정가
7,000원
Sales Point : 92

8.6 100자평(3)리뷰(4)
이 책 어때요?
종이책
9,900원 (+550원)


종이책 페이지수 : 204쪽


알라딘: 성학십도 성리학에 대한 10개의 그림과 글 퇴계 이황 2018

알라딘: [전자책] 성학십도




ePub소득공제
[eBook] 성학십도 
성리학에 대한 10개의 그림과 글
퇴계 이황 (지은이) 씨익북스 2018-12-14
정가
6,800원


약 56쪽


Religious Studies : The Making of a Discipline eBook : Walter H. Capps: Amazon.com.au: Kindle Store

Religious Studies : The Making of a Discipline eBook : Walter H. Capps: Amazon.com.au: Kindle Store

https://www.scribd.com/document/126454131/Religious-Studies-the-Making-of-a-Discipline-Walter-H-Capps

https://archive.org/details/religiousstudies0000capp




Religious Studies : The Making of a Discipline Kindle Edition
by Walter H. Capps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6 4.6 out of 5 stars 3 ratings

Kindle
$13.66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61.30
3 Used from $40.859 New from $52.92



Since its inception almost 200 years ago, the study of religion has informed, enlightened, provoked, and challenged our notions of humanity's deepest beliefs and longings. Now Walter Capps, nationally recognized for the quality and depth of his teaching, has written the first full-scale introduction to the history and methods of religious studies.

To assess the many points of view in this mature but diffuse discipline, Capps uses the idea that four basic or fundamental questions and three enduring interests have given formal structure to the study of religion:

the essence of religion

the origin of religion

descriptions of religion

the function of religion

the language of religion

comparisons of religion

the future of religious studiesIn this way Capps relates the chief insights and theories of philosophy, anthropology, phenomenology, sociology, and theology of religion, and spotlights theories from Immanuel Kant to Mircea Eliade.

His valuable text:

unites in a single narrative and conceptual framework the major methodological proposals for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

treats all the major theorists in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schools of thought, and intellectual movements

treats the whole discipline as a dynamic and evolving tradition.

Religious Studies constitutes not only an erudite introduction to the field, exhibiting vast scholarship and careful assessment, but also a bold synthetic proposal for its future.
===


Product description

From the Back Cover
Since its inception almost 200 years ago, the study of religion has informed, enlightened, provoked, and challenged our notions of humanity's deepest beliefs and longings. Now Walter Capps, nationally recognized for the quality and depth of his teaching, has written the first full-scale introduction to the history and methods of religious studies. To assess the many points of view in this mature but diffuse discipline. Capps uses the idea that four basic of fundamental questions and three enduring interests have given formal structure to the study of religion: the essence of religion; the origin of religion, descriptions of religion; the function of religion, the language of religion, comparisons of religion and, the future of religious studies. In this way Capps relates the chief insights and theories of philosophy, anthropology, phenomenology, sociology, and theology of religion, and spotlights theorists from Immanuel Kant to Mircea Eliade. His valuable text unites in a single narrative and conceptual framework the major methodological proposals for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 treats all the major theorists in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schools of thought, and intellectual movements; treats the whole discipline as a dynamic and evolving tradition. Religious Studies constitutes not only an erudite introduction to the field, exhibiting vast scholarship and careful assessment, but also a bold synthetic proposal for its future.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Product details
ASIN ‏ : ‎ B001KYEZO2
Publisher ‏ : ‎ Augsburg Fortress Publishers (1 June 1995)
Language ‏ : ‎ English
File size ‏ : ‎ 4795 KB
Text-to-Speech ‏ : ‎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 : ‎ Not Enabled
X-Ray ‏ : ‎ Not Enabled
Word Wise ‏ : ‎ Enabled
Sticky notes ‏ : ‎ Not enabled
Print length ‏ : ‎ 400 pagesCustomer Reviews:
4.6 4.6 out of 5 stars 3 ratings
====

Top reviews from Australia

There are 0 reviews and 0 ratings from Australia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Geoffrey Johnson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3 October 2016
Verified Purchase

wonderfully illuminating
Report
====
현대 종교학 담론 
월터 캡스 (지은이), 윤철원, 배국원, 김성례, 김종서, 이원규, 김재영 (옮긴이)   까치   1999-12-31
정가 20,000원
===



목차
1. 종교의 본질
2. 종교의 기원
3. 종교의 묘사
4. 종교의 기능
5. 종교언어
6. 비교종교학
7. 종교학의 미래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인명 색인

접기
밑줄긋기



41-42쪽
Cinema Paradiso
이 의미의 ‘잉여‘를 설명하기 위해서 오토가 택한 단어가 바로 **누멘적인 numinous이라는 용어이다. (‘힘차게 신들린 초인간적인 에너지와 힘‘을 뜻하는 라틴어 누멘 numen에서 나온 말이다)

누멘적인 것은 **매혹적이면서도 또한 공포를 자아내는 것으로, 만질 수 없고 볼 수도 없지만 힘있는 실재를 말한다. 누멘적인 것이란 곧 **생동감 넘치는 종교의 가장 큰 특징이 되는 **비이성적, 비합리적 요소를 가리키는 것이다.

슐라이어마허는 칸트의 공식에 대한 대안으로서 종교를 **이성 외적 기능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오토는 종교가 감정과 관계된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감정이란 종교의 진정한 근원에 대한 친근한 **유비 이상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더욱 정확히 말해서, ‘감정‘ -혹은 ‘절대의존의 감정‘마저도 -은 종교적 조건에 대한 하나의 응답일 뿐이지 종교적 조건 그 자체는 아니다. 마찬가지로, **감정은 종교를 위한 계끼가 아니라 종교에 의해 **유발되는 것에 불과하다.

오토는 슐라이어마허의 ‘감정‘ 개념이 **주관성의 범위에만 제한되어 있다고 반대했다. 슐라이어마허처럼 주장하는 것은 **미학을 개인의 자아의식의 범주에만 국한시키는 일이다. 오토는 ***감정에 수반된 주관적인 개인의식은 객관적인 신성한 실재와 공존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그는 주관적 자아 외부에 있는 실재를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누멘적인 것이라는 대체 개념을 개발한 것이다. 감정은 누멘적 경험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지만 결코 종교의 원천이나 뿌리가 될 수 없다.

====
저자 소개
지은이: 월터 캡스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현대 종교학 담론> … 총 1종 (모두보기)
예일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30여 년간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의 교수였던 미국의 종교학자이다. 일생 동안 총 14권의 종교학 책을 집필했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종교연구소 소장과 종교학협의회 회장을 지냈다. 또 미국 종교학회의 초대 회원이었고, '공공적 종교이해 위원회(Committee on the Public Understading of Religion)'의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다. 1997년 미국 종교학회의 '공공적 종교이해의 상'을 수상했다.
===
옮긴이: 윤철원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마음, 어떻게 움직이는가>,<똑똑똑 불교를 두드려 보자> … 총 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롱아일랜드에 있는 스토니브룩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석사과정에서 한국의 민간신앙, 박사과정에서 불교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불교사상의 이해> <똑똑똑 불교를 두드려보자> <종교와 과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현대의 종교 변용> <깨침과 깨달음> 등이 있다.

옮긴이: 배국원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현대종교철학의 프리즘>,<현대 종교철학의 이해> … 총 8종 (모두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미국 남침례교신학교를 졸업했다. 하버드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종교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사회복지법인 은강복지재단 이사장, 한국종교학회 이사, 문화신학회 이사, 아세아 침례교신학대학원 협의회(ABGTS) 상임이사, 한국침례신학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현대종교철학의 프리즘》 《현대 종교철학의 이해》 《Homo Fidei》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신의 역사》 《현대 종교학 담론》 《가톨릭의 역사》 등이 있다.

옮긴이: 김성례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한국 무교의 문화인류학>,<현대문화인류학>,<"근대", 여성이 가지 않은 길> … 총 9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의류학 학사학위와 인류학 석사학위를 마치고 미국으로 건너가 미주리 주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학위, 미시간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강원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한국학연구소 포스트닥,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 방문교수, 국제 저명 학술지 Journal of Korean Religions(서강대 종교연구소 발행)의 창간 편집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이다. 종교인류학, 의례 연구, 한국 무교와 샤머니즘, 여성주의 구술사, 종교와 글로벌리제이션, 냉전과 기억정치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주요 저서 <한국 종교문화 연구 100년>(공저), 청년사, 1999; <제주 4ㆍ3 연구>(공저), 역사비평사, 1999; <종교와 식민지 근대>(공저), 책과함께, 2013; <현대문화인류학>(공저), 형설, 2018. 주요 번역서 마샬 살린즈, <문화와 실용논리>, 나남, 1991; 줄리아 크레인, <문화인류학 현지조사 방법>(공역), 일조각, 1996; 피어스 비텝스키, <샤먼>(공역), 창해, 2005; 로렐 켄달, <무당, 여성, 신령들>(공역), 일조각, 2016. 주요 논문 "Chronicle of Violence, Ritual of Mourning: Cheju Shamanism in Korea"(1989); "Lamentations of the Dead: The Historical Imagery of Violence on Cheju Island, South Korea"(1989); "Shamanic Epics and Narrative Construction of Identity on Cheju Island"(2004); "The Work of Memory: Ritual Laments of the Dead and Korea's Cheju Massacre," A Companion to the Anthropology of Religion(2013).

옮긴이: 김종서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종교사회학>,<서양인의 한국 종교 연구>,<READER IN KOREAN RELIGION> … 총 10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교수 chongsuh@snu.ac.kr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마국 캘리포니아대(산타바바라) 종교학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10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세계종교연구센터 객원학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 Berkeley) 객원학자 종교연구 편집위원장 한국 종교학회 회장 세계종교학회(LAHR) 학술위원 서양인의 한국 종교 연구(서울대출판문화원, 2010.09.05) 서양인의 한국 종교 연구(서울대출판문화원, 2007.10.20) 종교사회학(서울대출판문화원, ) 한국인의 종교관(서울대출판문화원, 2004.07.30) 현대 신종교의 이해 과학과 종교 비교종교학(역서) 현대종교학담론(역서) 외 다수

옮긴이: 이원규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종교사회학의 이해>,<한국교회의 사회학>,<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 … 총 23종 (모두보기)
감리교신학대학 졸업 미국 에모리대학 대학원 종교사회학 석사(1978), 박사(1981) 감리교신학대학 교수(1981~2013)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회장, 한국종교사회학회 회장 역임 저서 《종교의 세속화: 사회학적 관점》(1987) 《종교사회학: 이론과 실제》(1991) 《한국교회의 사회학적 이해》(1992) 《한국교회의 현실과 전망》(1994)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1998) 《한국교회 어디로 가고 있나?》(2000) 《한국 사회문제와 교회공동체》(2002) 《기독교의 위기와 희망: 종교사회학적 관점》(2003) 《인간과 종교》(2006) 《힘내라, 한국교회》(2009) 《한국교회의 위기와 희망》(2010) 《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2012) 《한국교회의 사회학》(2018) 《한국교회와 사회》(편저, 1989) 《현대 한국종교변동 연구》(공저, 1993) 《한국사회발전과 기독교의 역할》(공저, 2000) 역서 E. Brunner,《신학입문》(1972) T. Luckmann,《보이지 않는 종교》(1982) G. Baum,《종교와 소외》(1983) R. Robertson,《종교의 사회학적 이해》(1984) E. Brewer and M. Jackson,《웨슬리와 변형운동》(1988) D. Miller,《왜 그들의 교회는 성장하는가?》(2008) D. Bass,《교회의 종말》(2017)W. Capps,《현대 종교학 담론》(공역, 1999)D. Martin,《현대 세속화 이론》(공역, 2008)

옮긴이: 김재영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고전 종교심리학 운동 연구>,<보천교와 한국의 신종교>,<인격 확립의 초월성> … 총 18종 (모두보기)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카를 구스타프 융과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인간이해에 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1992)를 받았다. 강남대학교 신학대학 종교철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후 2003년부터 지금까지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종교학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국제 종교학 학술지인 Religion과 영국 종교교육학 학술지인 British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심리적’ 종교심리학의 회심이론」, 「신종교인식과 정신건강담론」, “William James and Bernard Lonergan on Religious Conversion”, “Carl Gustav Jung and Granville Stanley Hall on Religious Experience” 등이 있고, 저서로는 『종교심리학의 이해: 죽음인식의 논의를 중심으로』(2017), Religious Education in Asia: Spiritual Diversity in Globalized Times(공저, Routledge, 2020)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인간 본성의 연구』(2000), 『죽음의 부정: 프로이트의 인간 이해를 넘어서』(2008) 등이 있다.
===
구매자 (1)전체 (1)
공감순
 거북이  2013-06-07
메뉴
읽기가 만만치 않다. 많은 생각을 가지고 정독해야 한다.  
공감 (0)  댓글 (0)

원효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

원효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
원효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Wonhyo's Action of Non-Obstruction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04, vol., no.34, pp. 253-275 (23 pages)

UCI : G704-001242.2004..34.007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철학
김태오 1 ,  김병희 /Kim Byung Hee 2
1경북대학교

2강원대학교

초록

진정한 자유는 삶과 교육이 지향하는 최고의 이념이다. 원효의 무애행無碍行은 우리들로 하여금 자유인으로서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고 그 길로 활기차게 나아가길 촉구한다. 이 글에서는 무애행을 중심으로 원효의 삶을 살펴보고, 무애한 언행이 정당화 될 수 있는 근거를 찾아본 다음, 그의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를 밝혀보았다.무애행이 있기 전 원효는 남다른 발심과 정진의 수행을 쌓았고, 그 결과 큰 깨달음이 있었다. 진리를 스승 삼고 보덕, 낭지, 혜공, 대안 등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무덤에서 유심唯心의 도리를 크게 깨친 다음에도 교학에 더욱 몰두하면서 심오하고 방대한 분량의 저술을 했다. 요석 공주와 인연을 맺고, 소성거사를 자처하면서 무애가를 부르고 무애무를 추면서 본격적인 대중교화에 착수하였다. 만년에 황룡사에서『금강삼매경론』 강석을 끝내면서 제도권의 승려들 앞에서 거침없이 자찬훼타自讚毁他하기도 했다. 원효 무애행의 정당화 논리는 보살행과 대승보살계 두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원효의 무애행은 보살도인 자리행(上求菩提)과 이타행(下化衆生) 또는 선정과 지혜를 닦으면서 동시에 자비를 실천하는 보살도에서 나온 것이다. 원효의 무애행은 이미 보살의 수행단계상 성자의 지위인 초지보살로서 중생을 위한 신통묘용의 경지에서 이루어진 행동이다. 그리고 원효의 대승보살계는 계戒의 유무에 대한 집착을 벗어난 중도적 계행을 강조하며, 행동의 내면적 동기를 계율지범의 판단기준으로 삼는다. 이 경우 십중죄十重罪에 해당하는 불음계不淫戒와 자찬훼타계自讚毁他戒를 범하더라도 이기적인 계산이나 무지가 아닌 진실한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면 죄라고 할 수 없다. 이런 관점에서 원효의 무애행은 파계와 구별된다. 원효의 교육적 인간상인 보살은 자리이타自利利他를 행하고 지덕智德을 겸비한 인물이란 점에서 보살은 수기안인修己安人의 길을 가는 군자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보살의 중도는 성속불이聖俗不二의 공법수행(修空)인 점에서 현세적 도덕사회를 세우려는 군자의 중용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원효의 교육방법은 상황과 근기에 맞게 가르치는 방편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원효는 무애가와 무애무를 도입하여 심오한 진리를 쉽고도 재미있게 가르쳤다. 이러한 접근은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교육방법적 자기반성과 수업개선의 필요성을 일깨워 준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meaning of the action of non-obstructio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life of Wonhyo. In Wonhyo, the action of non-obstruction means the highest way of life which pursues genuine freedom.
His action of non-obstruction, which seems as an action of breaking Buddhist precepts, can be justified in two perspectives: the action of bodhisattva and mahayana bodhisattva precepts. In the perspective of the former, his action was conducted on the level of the first-stage bodhisattva as the status of Buddhist saint. In the perspective of the latter, his action was conducted based on mahayana bodhisattva precepts which emphasis the action getting out of formulized precepts and ruled by one's inner motive.
From the meaning of his action of non-obstruction,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can be derived. His action shows the figure of bodhisattva as the statue of education who benefits others as well as oneself.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methodology, his knowledge of using skillful means suggests educational principle according to situational condition and one's natural capacit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무애행, 자리이타. 대승보살계, 중도행, 방편지
Action of Non-Obstruction, Benefitting oneself, one benefits others, Mahayana,bodhisattva precepts, Action of middle path, Knowledge of using skillful means.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신관 허 훈

《典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신관
허 훈
===

대순사상논총 제25집下
대순사상학술원, 2015, pp.177~213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신관
허훈
중앙대학교ㆍ강사
Ⅰ. 서론
Ⅱ. 신관의 대표적인 세 가지 유형
Ⅲ. 영원의 철학의 신관:포월적 유신론 Ⅳ. 대순의 상제관과 신명관:포월적 유신론
Ⅴ. 존재와 앎[신관]의 수준
Ⅵ. 결론
===
I. 서론
우리는 사실적 진리를 추구하는 ‘과학’과 삶의 의미와 지혜를 대변 하는 ‘종교’라는 2가지 거대한 펜듈럼 속에서 살아간다. 현대의 과학 과 종교는 서로를 불신하고 있지만, 또한 공존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 이 이 둘의 대립과 갈등에 대해 망각하고 있거나, 깊게 생각하지 않는 다. 그러나 우리가 보다 더 유의미한 삶을 살기 원한다면, 과학과 종 교는 결코 무시하거나 외면할 수 없는, 우리가 직면해야 할 커다란 과 제다. 그런데 과학과 종교는 서로 이질적인 내용(형이상, 형이하)을 담 고 있어서 그 둘의 조화나 융합은 쉽지 않아 보인다.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1941~), 크리스토퍼 히친스(Chris topher Eric Hitchens, 1949-2011), 대니얼 데닛(Daniel C. Dennett, 1942~), 샘 해리스(Sam Harris, 1967~) 등과 같은 과학자[과학철학 자]들 )은 최근 대중들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무신론자들 인데, 이들은 자연과학에 근거한 유물론(唯物論)의 입장에 서서 신과 종 교의 절대적 권위를 무너뜨리고 종교에 대한 과학의 승리를 선언한다. 하지만 세계적인 종교학자이자 종교비평가인 카렌 암스트롱(Karen Armstrong, 1944~)은, 이들 모두 오로지 근본주의가 만들어낸 신관(神觀)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아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들이 말하는 신은 현재 세계종교를 대표하는 기독교의(혹은 이슬 람교의) 신 개념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의 저서가 대중의 폭 넓은 지지를 받으며 널리 읽힌다는 사실은, 그 이면(裏面)을 보면 수 많은 사람들이 기존의 신 개념에 의구심을 품고 있으며 심지어 그것 에 분개(憤慨)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신[신관]의 역사’는 많은 사람들의 일반 상식과는 크게 다르다. 역사적으로 보면 무신론(無神論)은 말 그대로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기보다는 어느 특정 한 신 개념을 부정하는 입장인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었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기독교도와 무슬림도 초창기에는 다른 종교인들에게 무 신론자로 불렸다” )는 데서 찾아 볼 수 있다. 물론 초기 기독교도와 무슬림들이 “신의 실재(實在)를 부정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신 개념이 너무 이질적이라서 신성 모독적으로 보였기 때문이다.”3)
사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믿고 있는 신[신의 개념]은, 3,000년 신
의 역사 속에서 발전되어온 수많은 신 개념 중 하나에 불과 )한 것이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세상에서 전혀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살면서도 우리는 과거에도 언제나 지금 우 리와 똑같은 방식으로 신에 관해 생각했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 그렇지만 근대 이전의 사람들은 신에 관해 말하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서구에서 근대가 시작되기 전까지만 해도 기독교는 물론이고 다른 주요 종교 전통들도 신(신성)에 관해 신중하게 말을 아꼈다 )고 한다. 실제로 고 래의 ‘영원의 철학’에서는 “궁극의 실재(實在)는 몇 마디 교리로 정리 될 수 없는, 모든 것을 아우르는 완전히 초월적인 실재” )라고 보았다. 
그렇다면 ‘영원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세계 대부분의 종교적 전통 들이 공유하고 있는 세계관ㆍ인간관ㆍ윤리관’으로서, 이들 모든 종교 적 지식이나 원리들이 전제하고 있는 유일하면서도 보편적인 진리를 말한다.” ) 즉 영원의 철학은 세계의 위대한 영적 스승, 철학자, 사색 가들이 채택한 보편적인 세계관ㆍ종교관이다.
널리 알려진 바로는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이라는 용
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이는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G. W. Leibniz, 1646~1716)이다. 실제로 헉슬리(Aldous Huxley, 1894~1963)는 자신 의 저서 The Perennial Philosophy  )에서 ‘영원의 철학(philosophia perennis)’ 이라는 말을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G. W. Leibniz, 1646~
1716)가 최초로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다.10) 하지만 그 연원을 추적해 보면, 그보다 훨씬 이전 중세 때부터 이탈
리아 구약성경학자 아고스티노 스테우코(Agostino Steuco)가 자신의 저서 De perenni philosophia(1540)에서-표제에도 나와 있듯이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이후 라이프니츠가 영원의 철학을 ‘역사를 초월 해서 전승되는 형이상학적 근본진리’라는 의미로 본격적으로 사용하면 서 회자(膾炙)되기 시작하였고, 20세기에 와서는 헉슬리에 의해 영어권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려진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통합심리학자이자 세계철학자 켄 월버(Ken Wilber, 1949~)가 ‘세계의 위대한 영적 스 승, 철학자, 사색가들이 채택한 보편적인 세계관’으로 언급하고 ), 자 신의 통합사상이 이에 근거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또 다시 전(全)세계 학계와 일반 대중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  
이러한 “영원의 철학의 원리는 세계 모든 지역의 원시 종족들이 갖고 
있는 전승된 지혜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완전히 발달된 형태가 되면 모 든 고등 종교 속에 자리를 잡게 된다.” )고 한다. 소위 ‘성자(聖者)’나 ‘예언자(豫言者)’, 혹은 ‘현자(賢者)’나 ‘깨달은 자[覺者]’라고 일컬어지는 이들은 직접적으로 ‘영원의 철학’을 해명해 놓은 사람들이다.14)
따라서 그 골자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문화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 영원의 철학의 신관(神觀)이 대순사 상의 상제관[신명관]에 부합한다는 사실을 적시(摘示)하고자 한다. 먼 저, 영원의 철학과 대순사상의 신관이 기존 전통신학의 신관과 비교했 을 때 어떤 장점을 갖는가를 밝힌다. 또한 신관을 중심으로 영원의 철 학에서 철학자(성인, 현자)들이 정립한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대순의 그것에 대비시킴으로써 대순사상의 범인류적 보편성, 초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대순의 상제관[신명관]은 기존의 수 많은 신관 중의 하나가 아니라, 온 인류의 영적 스승들이나 성인ㆍ현 자, 과학자ㆍ사상가들이 보편적으로 채택해 왔던 신관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순사상이 기존 전통신학[신관]이 갖고 있던 딜레마를 해결 할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신관의 대표적인 세 가지 유형
세계 고등종교들이 갖고 있는 여러 형태의 신론(神論) 중에서 그 대표적인 것을 꼽는다면, 대체로 ‘일신론(一神論, Monotheism)’ )과 ‘범신론(汎神論, Pantheism)’ 그리고 ‘범재신론(汎在神論)’을 들 수 있 다. 여기서 초자연적 신관과 범신론적 신관, 즉 초월성을 강조하는 신 관과 내재성을 강조하는 신관이 대립각(對立角)을 세워왔다. 초월신을 옹호하면 내재신을 포기하게 되고, 범신론적 내재신을 옹호하면 초월 신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지난(至難)한 장고(長考) 끝에 최근 많은 신학자들은 제3의 길인 ‘범재신론(汎在神論)’을 내세운다. 범재신론(Pa nentheism)이란 문자 그대로 “모든 것(汎)이 하느님(theos) 안에(en) 있다(在)” )는 관념으로, 인간이 신 안에 있고, 신 역시 인간 안에 있 다는 신관이다. 
여타의 입장은 모두 ‘초월(超越)’과 ‘내재(內在)’ 중에서 양자택일(兩者擇一)할 수밖에 없는 일방성을 갖기 때문에 범재신론은 초월과 내 재를 동시에 함께 끌어안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견 범재신론은 범신 론과 유사해 보이지만, 범신론과 범재신론은 같으면서도 다르다. 또한 종래의 초월신관과는 엄연히 다르다. 범신론에서는 모든 것이 신이며, 신은 어디에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가 그대로 곧 신이라 고 한다. 그러나 범재신론은 범신론과 달리 인간과 신, 혹은 세상과 신을 분간하며, 또 분간은 하지만 유일신(唯一神)이나 유신론(有神論, Theism)처럼 신과 인간, 혹은 신과 세상이 동떨어진 개별적 존재로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신은 세상에 존재하지만, 세상의 모든 존재를 합한 것이 신은 아니며, 신은 그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범신론은 모든 것이 신(All is God)’이라는 입장이지만, 범 재신론은 ‘모든 것이 신 안에 있다(All is in God)’고 한다.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의 신’은 고전적 유신론의 하나님이었지만, 오
늘날의 신학적 경향은 ‘철학자들의 다른 신’, 즉 범재신론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17) 이것이 범재신론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의 초월성을 견지하면서도 세계 안에 내재해 있는 신성을 가장 잘 알맞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18)
이런 신학적 이론상의 범재신론이 실제적으로도 가능할까? ‘초월’과 ‘내재’의 동시성은 관념적, 당위적 측면에서 말하는 것이다. 언뜻 보기 에 그것은 불가능하다. 초월은 내재의 부정이며, 내재는 초월의 부정이 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범재신론은 신에 대한 하나의 상징이며, 우리가 신에 대하여 느끼는 심리적 감수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즉, 그것
 
17)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칼빈신학교 교수 존 쿠퍼(Cooper, John W.)는 그의 저서 철
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The Other God of the Philosophers: from Plato to the Present)에서 범재신론의 유구한 역사를 개관하고, 기독교의 전통적 신관인 고 전적 유신론과 그것을 비교하고 있다. 이 책이 범재신론의 연원과 전개를 본격적으 로 다룬 최초의 영문서적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톤에서 시작하여 알프레드 노스 화 이트헤드와 위르겐 몰트만,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필립 클레이튼, 존 폴킹혼 등과 같은 여러 현대 사상가들의 범재신론을 검토하고 있다. 이 책은 범재신론의 유구한 역사를 다룸으로써 그것이 영원의 철학의 전통에 부합하는 하나의 신관이 될 수 있 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다. “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서 범재신론 은 기독교 신플라톤주의 전통 가운데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비기독교 및 비 서구 종교 사상가들에게서도 발견된다.…이 다양성에 담긴 큰 의미는 범재신론이 세 계 종교들의 다원주의 가운데서 공통의 틀이 되었다는 것이다. 주류 지성 집단에서, 범재신론은 계몽주의에서 이신론이 획득했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국제 회의에 서 사용되는 영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범재신론은 세계 종교들 간의 대화상 주요 공용어가 되었다.”(존 쿠퍼,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김재영 옮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1, pp.349-350) 비록 쿠퍼는 고전적 초월적 유신론의 입장에 서 서 범재신론을 비판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신정론(Theodicy)에 대해서는 만족스러 운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쿠퍼는 범재신론의 다섯 가지 특징들을 확인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명시적 범재신론(explicit panentheism)과 암묵적 범재신론(implicit panentheism)의 구분, 인격적 범재신론(personnal panentheism)과 비인격적 혹은 존재의 근거 범재신론 (nonpersonnal or Ground-of-being panentheism)의 구분, 부분-전체의 범재신론 (part-whole panentheism)과 관계적 범재신론(relational panentheism), 의지적 범재 신론(voluntary panentheism)과 본성적 범재신론(natural panentheism, 자연적 범재
신론)의 구분, 그리고 고전적 (신적 결정론) 범재신론과 현대적 (협동적) 범재신론의 구분이다. 이처럼 범재신론 안에서도 다양한 입장이 존재한다는 것은 신관을 하나의 수미일관한 체계로 정립하기 어렵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18) R.멜러트, 화이트헤드의 철학과 신학, 김상일 옮김 (서울: 지식산업사, 1989), pp. 64-65. “전통신학은 항상 이점에서 애매모호하였다. 신은 초월적이고, 자존적이고, 타계적이었다.…전통신학은 신이 제 자신으로 있는 존재라고 할 때에는 초월적이라 고 했다가, 신의 은총에 관하여 말할 때에는 내재적이라고 말함으로써 입장이 애매 모호했다. 초월적 신이 내재적이 되기 위해 어떻게 그 자리를 놓을 것이며, 왜 은총 이 어떤 사건에는 미치고 다른 사건에는 미치지 않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모 호하게 남겨 둘 수밖에 없었다.” 
은 인간 스스로 신의 초월과 임재(臨在)를 동시에 체험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 그래서 “신의 심리적 초월(psychological transcendence) 및 인식론적 초월(epistemological transcendence)을 존재론적 초월 (ontological transcendence)로 오해하면 안 되는 것” )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한 영원의 철학의 입장은 무엇일까? 영원의 철학은 크게 두 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답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신(神)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이며, 다른 하나는 “나[我]는 누구인가?”라는 질 문이다.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한 성인, 현자, 영적 스승, 과학자들의 답 이 영원의 철학이다. 그런데 신을 아는 것은 모든 것을 아는 것이며, 곧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다. 왜냐하면 (영원의 철학에 따르면) 이 세상에 신 아닌 것이 없기 때문이다. ) 이렇듯 영원의 철학은 ‘신’과 ‘나’라는 존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중세의 신학자 “아우구스티
누스(Augustinus, 354~430)는 그의 고백록의 가장 유명한 구절 중 한 구절을 통해 자연세계를 연구해도 신에 관해 아무 것도 알 수 없음 을 분명히 한다.” ) 또한 방대한 신학대전을 쓴 중세 후기의 신학자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25~1274)는 “계시조차 신에 관해 말해줄 수 없었다. 사실 계시의 목적은 신의 불가지성(不可知性)을 깨 닫게 하려는 것이었다. ‘인간의 최고의 지식은 우리가 신을 알지 못한 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 
이런 불가지론(不可知論)에 대해, 영원의 철학은 “세상 속에 신이 
계시다는 (가르침은) 중요하고 현실적이며 필연적인 결론에 도달”24) 했으며 신(신성)이 내재적이면서도 초월적 존재  )라고 보았다. 다시 말해 영원의 철학은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이 양립한다는 범재신론을 지지하는 입장에 선다. 
일반적으로 서양의 신은 외재적ㆍ초월적이며, 인격적인 존재로 상정 (想定)되지만, 동양에서 말하는 불성(佛性), 도(道)와 같은 존재는 내재 적이며 비인격적 존재이다. 그러나 영지주의(靈智主義, Gnosticism)26) 의 입장에서 보면, 궁극적 실재(實在)의 의미는 동서양이 서로 다르지 않다. 즉 종교에서 말하는 궁극적 실재인 신은 도 )나 불성(佛性), 혹 은 천(天)의 의미와 다르지 않다.28) 예컨대 “유교[맹자]의 천은 영지주 의에서 말하는 신과 같은 의미이다. 맹자가 ‘인성을 알면 천을 안다’고 말한 것처럼 영지주의에서도 ‘나를 알면 신을 아는 것’”29)이라고 하였다. 
Ⅲ. 영원의 철학의 신관 : 포월적 유신론
 영원의 철학의 주된 관심은 ‘인간 정신에 내재한 심층(深層) 구 조’30)로, 인간은 자신의 깊은 내면에서 신(神)을 만나고 이를 통해 보 편적인 진리와 궁극적인 의미를 발견한다. 다시 말해 “영원의 철학은 영혼의 내부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외재하고 세상과 영혼을 넘어서는 초월적인 ‘다른 것’, 즉 ‘하늘 나라’에 존재하는 사물의 영적인 뿌리를 아는 것이 필요”31)하다고 한다. 요컨대 “영원의 철학은 사물과 생명 과 영혼이 공존하는 다면적인 세계의 본질적인 신성한 실체(實體)에 일차적인 관심을 갖는다.”32)
영원철학에 따르면 세계의 다종다양(多種多樣)한 종교들은 영원의 
철학이 제안하는 보편적인 진리가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해석
 
하나님이시라(처음에 도(道)가 이스되 도(道)가 하느님과 함게니 도(道)는 곳 하느 님이라.)”고 나와 있다. 이렇게 보면 서양 기독교의 신의 개념도 본래는 그리 간단치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어쩌면, 도가의 도의 개념과 서양의 신 개념 사이에 간극 이 훨씬 작았을지도 모른다.
28) 티모시 프리크ㆍ피더 갠디, 앞의 책, p.4.
29) 같은 책, pp.4-5. 
30) 이제 ‘심층(深層)을 보려는 경향’은 과학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넓은 의미의 경험주 의란 일반적 의미에서의 [감각적ㆍ이지적ㆍ정신적] 체험을 뜻하지만, 반면에 좁은 의 미의 경험주의에서는 감각적 체험을 뜻한다.” “본질적으로 과학 그 자체 또는 과학적 방법은 올바른 앎의 세 요건[전범(典範), 체험, 반증 가능성]으로 구성되는데, 좁은 의 미의 과학에서는 감각적 체험에만 이 세 요건의 사용을 국한시키는데 비해, 넓은 의 미의 과학에서는 직접적인 체험, 증거, 자료이면 어느 것이나 모두 앎의 세 요건을 적 용한다.” 이 넓은 의미의 과학을 ‘심층과학’이라 부른다. 졸저, 앞의 책, p.153.
31) A. Huxley, op. cit., p.viii. 32) 같은 책, p.ix.
되고 적용된 결과로 나타난 모습이다. ) 이 영원의 철학(불멸의 철학) 의 핵심에는 네 가지 기본적인 가르침이 있다.
첫째, 물질과 개인화된 의식의 현상 세계-물건과 동물과 사
람과 신들까지 포함한 세계-는 거룩한 밑바닥(Divine Ground, 신성)의 나타남이다. 모든 부분적인 실재는 그 안에서 그 존재 를 가지는 것이다. 그것을 떠나서는 모든 것이 존재할 수 없다. 둘째, 사람은 미루어 생각함으로 단순히 그 거룩한 밑바닥에 관 해서 알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그들은 또한 종잡을 수 없는 이성 보다는 높은 직접적인 직감으로 그 실존을 깨달을 수 있
다. 이 직접적인 지식이 아는 자와 알려진 것을 연합한다. 셋째, 사람은 두 가지 성격을 가진다. 현상적인 자기(ego)와 영원한 자아(Self), 그 자아는 속사람이요, 영이요, 혼속에 있는 신성의 불꽃이다. 사람은 원하기만 한다면 자신이 그 영과 하나임을 알 수 있고,따라서 그 거룩한 밑바닥은 영과 같은 성질의 것이
다.  ) 넷째, 사람의 땅 위의 살림은 오직 하나의 소원과 목적이 있을 뿐이다. 곧 자신이 자기의 자아와 하나님을 알아서 거룩한 밑바닥과 하나임을 아는 지식에 가는 것이다.35)
요컨대 ‘영원의 철학’의 사상적 기
저에는 근대 이전의 오랜 세월동안 서구 형이상학의 바탕이 된 ‘존재의 
대사슬(Great Chain of Being)’ )이 라는 개념이 놓여 있다. 존재의 사다 리에서 가장 낮은 자리에 위치한 광 물계로부터 식물, 동물, 인간, 천사, 그리고 가장 높은 차원에 있는 신(神) 에 이르기까지 모든 존재는 이 우주 에서 끝없이 이어지는 상이한 차원의 
 
 
<그림 1> 존재의 대사슬
 
하이어라키의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그림 1> ) 참조) 그래서 우주 만물은 근원적으로는 평등하고 서로 연결이 되어 있어 ‘하나’라고 할 수 있지만, 상대적인 차이ㆍ계층적 질서가 있다. 비교 종교학을 전공한 하버드대의 휴스턴 스미스(Huston Smith) 교수는 그 의 저서 잃어버린 진리(Forgotten Truth)에서 세계의 주요 종교들 을 ‘존재와 앎의 계층(존재의 대사슬)’이라고 한 구절로 요약한다. 즉 ‘존재의 대사슬’은 위대한 전승 지혜(종교)들의 공통된 세계관이다. 존 재의 대사슬은 여러 개의 동심원과 비슷하게, 각 상위 차원이 하위 차 원을 감싸고 포섭하는 ‘존재의 대둥지(존재의 대원환, Great Nest of Being)’라고 할 수 있다. 영원의 철학자들은 지난 3천여 년 동안 하이 어라키의 일반적 수준에 관해서는 거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범문화적 일치를 보인다. 
이러한 존재의 대둥지라는 존재론적 도식을 수용한다면, 더 이상 물 리학과 신학의 논쟁은 무의미한 것이 되고 만다. 왜냐하면 하위 영역 의 학문을 하는 데 있어서 상위 영역의 학문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위 영역의 학문[신학]을 하려면 하위 영역의 학문[물리학]은 필요하다. 바꿔 말하면 신학은 하위 영역의 심리학, 생물학, 물리학을 포함하기 때문에, 신학과 물리학의 논쟁은 무의미하다는 뜻이 된다. 그 러나 현실은 어떤가. 신학자들은 과학에 대해 무지하며, 어떤 신학자들 은 활자 근본주의적(=성경 근본주의) 관점에서 검증된 과학에 대해 배 타적인 자세를 취한다.  ) 또한 리처드 도킨스와 같은 생물학자들은 그 러한 근본주의적인 경향을 보이는 종교인들을 비판하면서 역(逆)으로 
영혼(soul)과 정신(spirit)의 영역에 대한 모든 것을 부정한다.39)
하지만 <그림 1>에서 보듯이 상위영역의 ‘신비주의(神秘主義, Mysti
cism)’는 하위영역의 신학이나 심리학, 생물학, 물리학을 포함하면서도 초월한다.(혹은 초월하면서도 포함한다.) 그래서 윌버가 말하는 ‘엔벨러
프먼트(envelopment[transcend and include])’라는 단어는 우리말로 
‘포월(包越)’이라고도 번역하는데 ), “모든 발달적 진화가 하위를 감싸 면서 상위로 전개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결국, 언급했듯이 “신은 세상에 엄연히 존재하지만 세상의 모든 존 재를 합한 것이 신은 아니며, 신은 그 이상”이기 때문에 신에 대한 인 식과 앎이 그토록 어려운 것이다. “범재신론이 신에 대한 하나의 상징 이며, 우리가 신에 대하여 느끼는 심리적 감수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보는 까닭도 바로 그것이다. ‘초월적’이라는 용어와 ‘내재적’이라는 용 어는 서로 상반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양립(兩立)이 어렵다고 하였다. 하지만 ‘포월(包越)’이라는 낱말은 “초월(越)하면서도 포함(包)한다”는 뜻을 갖기에, ‘내재적’이라는 용어와도 양립 가능하다.41) 이 점이 매 우 중요하다. 하지만 ‘포월’이 ‘초월’의 의미를 갖는 동시에 “하위를 감싼다”는 의미를 갖고는 있지만, 신이 만유(萬有)에 내재(內在)한다는 의미를 드러내기에는 부족하다. ) 따라서 영원의 철학의 신관은 우선 그 두드러진 특징을 강조해서 ‘포월적 유신론(包越的 有神論)’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지만, ‘내재신론(內在神論)’의 측면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기존의 ‘유신론(有神論)’ 개념은 말 그대로 신의 존재성 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신과 세상, 신과 인간을 동떨어진 개별적 존 재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41) 이러한 인식상의 어려움 때문에 실제 신의 존재 양태(신은 내재적이면서도 동시에 초월적인 존재)가 어떠한가를 떠나 일반적으로 ‘초월적 내재신(超越的 內在神)’ 혹은 ‘초월적 범신론(超越的 汎神論)’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리고 영원의 철학에 따르면 신은 ‘초월적’이라기보다는 ‘포월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학의 천주를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을 생성하는 초월적 존재며 동시에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 안에 내재되어 살고 있는 존재로 이해”하여 동학의 천주관을 ‘초월적 내재론(超越的 內在論)’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오문환, 「천주관: 영성과 창조성」, 동학의 정치철학, 모 시는사람들, 2003, p.17. 김영철, 「언어 표현 방식에서 본 초월성과 그 내재성의 원 리: 플로티노스의 ‘일자’와 수운의 신관을 중심으로」, 동학학보 27 (2013), p.21에 서 재인용.
Ⅳ. 대순의 상제관과 신명관 : 포월적 유신론
(&포월적 내재신ㆍ이신론)
동양사상은 전반적으로 인격신(人格神)을 백안시하는 경향이 있었
고, 반대로 서양사상의 전반적인 기류는 무(無)와 도(道), 리(理) 같은 개념은 비(非)인격적인 것으로 백안시하는 경향이 있었다.44) 그런데 근대의 동학(東學)사상에서는 인격신과 비인격적인 ‘기(氣)’를 양립 (兩立)시킨다. 즉 인격신을 '천주(天主)’라 불렀으며, 비인격적인 기는 ‘지기(至氣)’라고 하여 천주와 함께 거론함으로써 범재신론적인 입장 을 보이고 있다.
천도에서 ‘천주’라고 하는 것은 우주의 전체전량을 현현하고 
총섭하는 일체지신을 말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의 말로 ‘한울 님’이라고 부르게 된다.45) 그러므로 천도에서 천주라고 하는 것 은 우주만물에 내재하여 작용하며 총섭하는 ‘일체지신’이기 때 문에 우주만물은 ‘천주’ 자체의 표현인 것이다. 그런데 서도에서 말하는 천주는 이와는 달리 인격적인 유일신을 말하는 것으로 서 우리나라의 말로 ‘하나님’이라 부르게 된다. 그러므로 서도에 서 천주라고 하는 것은 우주만물의 밖에 독존하여서 우주만물 을 자유자재로 창조하고 상벌을 능사로 하는 절대유일의 인격 적인 신을 말하는 것이다.46)
 
44) 김상일, 앞의 책, p.17.
45) “천도교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의 명칭 ‘한울님’은 1920년부터 사용하기 시작 했다”고 한다. “1959년까지는 ‘하느님’으로도 사용했는데, 그 뒤 천도교에서는 ‘한울 님’으로 통일, 지금까지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같은 책, p.66.) 그런 데 위와 같은 이해를 동학에서 최종적으로 정립한 신관이라고 할 수 있는가? 김상 일은 그의 저작 수운과 화이트헤드 제2장 「경운동 주변의 신관논쟁」(pp.59-88)에 서 이 문제를 자세히 다루고 있다. 1998년부터 있었던 천도교의 ‘인내천’ 교리와 ‘한울님’이라는 단어에 대한 동학 측의 반발과 이에 대한 천도교 측의 반론 등을 구 체적으로 소개하면서, 위의 천도교경전요해를 신관에 대한 동학(천도교)의 최종적 인 입장으로 정리하고 있다.   
46) 김월해, 천도교경전요해(天道敎經典要解): 논학문편 (서울: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1982), p.76. 
즉 천도교와 서학에서 말하는 ‘천주’의 차이는 그 개념에서 크게 다 르다. ) 위에 따르면 천도교의 ‘천주’는 한울님 자체가 진화 발전한 것 이고, 서학의 천주는 우주의 주인으로서 인격적인 신이 우주만물을 창 조했다는 창조설이다. 따라서 ‘천주(天主)’의 ‘주’ 자를 서학에서는 ‘주인 (主人)’의 ‘주’자로 해석하지만, 천도에서는 존칭하는 말로서 우리말로 ‘님’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  ) 천도교에서 천주를 우주의 전체량이라 한 것이라든지 일체지신이라고 한 것은 ‘범재신론’ 과 먼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만, 천도교는 ‘한울님’을 서양의 범신론보다 는 많이 인격화해 놓고 있다. 이것은 인격적 존칭어 ‘님’을 사용하고 있 다는 데서 알 수 있다. 수운의 이러한 신관은 서양의 기독교에서도, 그 리고 동양의 유교나 불교 그리고 도가사상에서도 모두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전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너무 비인격적이고, 후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너무 인격적이기 때문이다.49) 하지만 유교에서 말하는 리(理)는 통합적으로 태극(太極)이라고 부
르며, 이 태극이 정신적 실재임을 말할 때 ‘상제(上帝)’라고 한다.
우주를 형성하는 생성 원리로서의 태극이 자기자각성 내지 
자기지각을 가지는 정신적 실재임을 뜻할 때, 이를 ‘상제(上帝)’
라고 부른다. 즉 태극은 우주적 근원의 능동성과 활동성의 측면 을 칭하는 것이고, 상제는 그 근원의 허령불매(虛靈不昧)한 자 각성  )과 주재성의 측면을 칭하는 것이다.…이는 결국 고대에 상제로 칭하던 바로 그 존재를 신유교에서 리(理)나 태극으로 칭하는 것임을 말해 준다. ) …(또한) 인간 안에 내재된 본성인 태극이 단지 우주 발생 근거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개체 안에서 그 자신의 허령불매한 자기자각성을 발휘하면, 그 것이 바로 각자의 마음[心]이다. 따라서 태극의 발현으로서의 인간의 마음은 곧 우주 원리를 자각하는 허령불매한 상제와 근 본적으로 다른 것이 없다. ) 
전경에서도 “아무리 높은 이치도 태극(太極)과 무극(無極)의 표현 으로 나온다. 일용사물(日用事物)의 이치를 벗어나지 않는다.” )라고 하여 무극과 태극에서 우주 이치의 근원을 찾을 수 있고, 세상만물 존 재의 근원과 속성을 설명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주지하듯이 무극은 만물을 초월하는 근원적 측면으로써 파악되고 ), 태극은 만물에 내재 하는 원리적 측면으로서, 양자(兩者)는 서로 상보적(相補的)인 관계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박재현은 “대순사상에서의 신앙의 대상이신 구천상제 역 시 태극과 무극의 개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55)이 라고 하면서, “현상계를 초월(超越)해 있으면서도 현상계에 태극의 원 리를 직접 쓰셔서 천지공사를 통해 개입(介入)하시는 하느님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56)고 하였다. 이어서 “초월자(超越者), 절대자(絶對者), 일자(一者)의 논리로 파악되는 무극(無極)과 내재자(內在者), 상대 자(相對者), 다자(多者)의 논리로 파악되는 태극(太極)은 둘 다 모두 궁극적 이치 또는 존재가 가지는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며 이 양쪽 속성이 동시에 긍정57)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양쪽 속성 이 어떠한 원리로 인해 동시에 긍정될 수 있는가? 이는 매우 어려운 철학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인식의 한계가 있는 인간이 영원 히 알 수 없는 주제라고도 할 수 있을 것” )이라고 한다. 
56) 같은 글, p.465. “이는 최수운이 하느님을 감각적, 이성적으로 사유될 수 있는 기연 (其然)을 통해서도, 초감각적, 초이성적 사유의 영역인 불연(不然)을 통해서도 파악될 수 있다는 불연기연(不然其然)의 논리와도 통한다고 할 수 있다.” 
57) 주지하듯이 “漢儒의 경우 太極을 天, 元氣 등 實在(實物)의 뜻으로 해석하였었고, 그 후 王弼이 太極을 無稱之稱의 의미로 해석하여 太極을 道家의 無 개념 즉 空靈處로 해 석하였었다. 그런데 周濂溪는 無極而太極이라고 함으로써…無極이 單純 無가 아님을 또 有가 單純 實在의 개념이 아님을 암시”한다.(류인희, 주자철학과 종교철학, 서울: 범학사, 1980, p.92) 그리고 주자는 “無極而太極에 있어서 自無極而爲太極이라고 하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며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을 무형이유리(無形而有理)로 규정한다. 그리하여 류승국은 “儒學思想的 입장에서 볼 때에, 有生於無하는 生成發展論을 취하지 않으므로 無極과 太極을 둘로 보지 않고 동일한 자의 양면이라고 해석하지 않을 수 없 다”고 하였다. 류승국, 동양철학 연구 (서울: 동방학술연구원, 1988), pp.188-189.
이에 대한 대순 사상의 견해는 어떠한가? 우선, 전경(典經)에 나타 난 신적(神的) 존재(存在)는 크게 ① 신(神), ② 신명(神明), ③ 신장
(神將) ④ 정령(精靈)적인 존재들이다. ) 첫째, ‘신(神)’에는 문명신(文明神) ), 도통신(道通神) ), 황천신(黃泉
神) ), 중천신(中天神) ), 선령신(先靈
神) ), 지방신(地方神)65), 황극신(皇極
神)66), 아표신(餓莩神) ) 등이 있다.
둘째, ‘신명(神明)’은 ‘신(神)’과 뚜
렷이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그 용례는 “범위상의 차이로써, 신명은 일반적이 고 포괄적 개념인데 비하여 신은 기 능적, 세부적, 구체적으로” ) 쓰인다. 따라서 황천신이나 중천신, 선령신처 럼 사람이 죽으면 직접 그 신(神)의 위치에 서게 된다. 하지만 신명은 그 역할이나 임무가 공적(公的), 집단적인 성향을 띄기 때문에 앞의 문명신, 도통신, 황극신 등은 오히려 신명적(神明的) 성격이 훨씬 강하 다고 할 수 있다. 흔히 신명을 ‘천지신명(天地神明)’이라고 부르는데, 
“천(天)과 지(地) 사이의 모든 신적(神的) 존재(存在:spiritual benig)를 신명으로 인정하는 것” )이다. 즉 신명이라는 용어는 ‘인간’과 대칭적 으로 사용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서 다분히 인격화(人格化)된 것으로 보인다. 전경에 “천지신명이 크게 움직인 것은 오로지 그 혈성의 감 동에 인함이나…”   )와 같이 신명은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인간 의 심정을 헤아려 주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초자연적(超自然的)인 힘을 소유했기 때문이다.71)
셋째, 신명 외에 신장이 있다. 신장도 신명과 같이 사람의 성질을 지 니지만, 맡은 바 직능(職能)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신 장은 크게 우내(宇內)의 신장, 이십팔수의 신장과 주(宙)의 신장, 이십 사절의 신장으로 나눠진다.72) 이렇듯 신(神), 신명(神明), 신장(神將)이 인격성을 띠는 까닭은 무엇
인가? 언급했듯이 신(神)의 전단계가 바로 인간(人間)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순의 신명관(神明觀) 자체가 다분히 인격적(人格的)일 수밖에 없다. 이런 관점에서, 신, 신명, 신장 등이 모두 ‘인격성(人格性)’을 전 제로 한다. ) 전경에서는 “사람에게 혼과 백이 있나니 사람이 죽으 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이 되어 후손들의 제사를 받다가 사대를 넘 긴 후로 영도 되고 선도 되니라. 백은 땅으로 돌아가서 사대를 지나면 귀가 되니라.” )고 한다.(<그림 2> 참조)
그리고 우(宇ㆍ자연)안에는 정(精)이 있다. 이는 자연물이나 자연현 상과 결합한 정령(精靈)적인 존재들이다. 신이나 신명, 신장이 인격적 (人格的)인데 비해, 이 정(精)은 어떤 존재의 본질을 가리킨다. 보통 ‘정기(精氣)’라고 말할 때의 ‘기(氣)’와 같은 것이다. 주지하듯이 정기 는 이합집산(離合集散)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정기가 모여서 뭉치 면 모든 사사만물[事事物物]이 생성(生成)되고 흩어지면 소멸된다. 하 지만 대순사상에서는 그 생성소멸의 조화가 정기자체에 의하지 않고 구천상제에 따른다고 본다.75) 이상의 상제와 신(신명), 신장, 정(精) 등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그림 3> 참조)
이처럼 대순에서 말하는 신명들은 타(他) 종교에서 믿고 있는 신들 이나 하나님과 같이 인간이나 사물들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존재가 아 니다. 그리고 상제의 주관아래에 있는 신명들은 천지에 가득 차 있다. 그러므로 대순의 신명은 어느 곳에도 있기에 범재적(汎在的)이고, 어 떤 것 속에도 있기에 내재적(內在的)이다.76)
또한 윤용복은 “대순사상에서는 다양한 신명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신)의 중추(中樞), 드나드는 문, 다니는 길이라는 뜻”이라고 하면서, “말을 바꾸면 인 간은 심적(心的)존재로서 ‘신(神)’과 상통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요컨대 두 구절은 사람의 본수(本隨)를 심으로 보고 그 심이 신에 의해서 존립함으로써 인간과 신은 ‘상통’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일약하면 인간은 신적(神的) 존재”이며, “이 단정의 역(逆)은 전제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신일호, 앞의 글, pp.27-28.
75) 장병길, 앞의 책, pp.82-83. 장병길은 상제와 신(신명), 신장, 정(精) 등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전경에 보이는 신명들은 초자연적이고 독립된 개체적 존재 이어서 일반적인 사람과는 뚜렷하게 다르나,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 고 있다는 점에서 인격적이며, 강력한 힘과 자유로운 의지를 소유한다. 요컨대 모습 을 갖추어 신체나 마음에서 매우 사람을 닮고, 특히 고유명사를 가진 초인간적인 존 재가 된다. 그러하나 신명들은 이상의 세 가지 특징을 지니면서도 격위(格位)에서 상제의 그것보다는 얕다. 그리고 또 신명보다 한층 더 얕은 신장(神將)들도 있고, 자 연물이나 자연현상과 결합한 정령(精靈)적인 존재들이 있다.” 같은 책, p.76.
76) 장병길, 대순진리의 강화Ⅱ(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pp.160-161. “상제 의 주관아래 있으면서도 사람들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하나의 신명은 다른 신명의 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자기만의 능력을 가지는 독존적(獨存的)인 존재이다. …이 사실은 기독교의 유일신인 하나님이 모든 역할을 하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그 리고 설사 상제의 주관 아래에 있다고 하더라도 상제는 인간들에게 문명의 혜택을 내 리려면, 상제께서 직접 그것을 내리지 않고, 문명신을 통하게 되는 것이다.…또 지난 날에는 지방의 신명들이 자기 지방에만 머물고, 그곳에서 활동하던 것을 상제에 의해 서 자기 지방을 떠나서 다른 지방과 교류하게 되었다.” 같은 책, p.161.
있지만 그 이외에 또 다른 우주적 규범도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본다. 그런데 우주적 규범을 인식하면서 도 신의 존재를 동시에 믿고 있는 종교 들의 경우에 신들은 대부분 그 규범에 예속되어 있는데 반하여, 기독교를 비롯 한 유일신 종교들의 경우에는 그러한 우 주적 규범보다는 유일신에 의해 모든 것 이 결정된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다고 한
 
<그림 3> 포월적ㆍ내재적 관계
다. 그러나 “대순사상에서 상제는 그러 한 우주적 규범[도수]도 초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으며,  ) 상제께서 삼계의 대권을 쥐고 있는 지고적(至高的)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그 관 할 아래 있는 신명에게도 예를 다한다(갖춘다)고 하는 특징도 있다.”79) 고 지적한다.
이렇듯 대순사상의 신 관념에는 궁극적 실재의 인격적 요소가 비인 격적 요소보다 우위에 있다.80) 그러면서도 비인격적 실재로서의 천지 의  도수를 인정한다. 다만, 상제는 상제의 권능으로 천지도수를 재배 치한다는 특이성을 지닌다. 이런 점은 지금까지의 여느 다른 종교에서 는 찾아 볼 수 없는 대순 신관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다시 말해 ‘천지공사(天地公事)’와 ‘운수(運數)’가 함께 언급된다. 
신원일이 개벽공사를 빨리 행하시기를 상제께 간청하니라. 상
제께서 “인사는 기회가 있으며 천시는 때가 있으니 그 기회와 때를 기다릴 것이니 이제 기회와 천시를 억지로 쓰면 그것은 천 하에 재화를 끼치게 될 뿐이며 억조의 생명을 억지로 앗아가는 일이 되리라. 어찌 차마 행할 바이냐”고 말씀하셨으되 원일이 “방금 천하가 무도하여 선악을 분별하기 어려우니 속히 이를 잔 멸하고 후천의 새 운수를 열어 주시는 것이 옳을까 하나이다”고 말하면서 간청하니 상제께서 심히 괴로워 하셨도다. )  
 이와 같은 상황은 기존의 초월적 유신론의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 려운 것이다. 이 경우에 상제는 초월적 존재인가? 아니면 내재적 존재 인가? 엄밀히 말하면 ‘초월적(超越的)’이면서도 ‘내재적(內在的)’이고, 또 한 ‘이신론적(理神論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신론(理神論, deism)이란 신이 “천지창조의 주체이기는 하지만 창조행위 후에는 인 간세계에 대한 자의적 개입을 중지하고 ), 자연에 내재하는 합리적 법 에 의해서만 우주를 통치하는 것” )으로서의 신에 대한 신앙을 의미하 는 용어다. 그 이전의-인간의 공과(功過)를 따지며 상벌(賞罰)을 주고 널리 만물의 섭리를 지배한다는-인격신(人格神)에 대한 신앙에 반(反) 하는 것이다.  
물론 상제께서는 천지 화생(化生) 후(後) 일체의 개입[천지공정을 수 행(遂行)]을 중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대순의 신관은 이신론적이 면서도 초월적인 것이다. 초월적인 신[상제]의 인세(人世)에의 강세(降
世)와 천시(天時)에 따른 천지공사(개벽공사)의 수행은 일찍이 그 어떤 종교의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 바로 이런 점에서 대순 의 신관[상제관]은 그 이전의 어떤 신관과도 비교할 수 없는 특이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영원의 철학의 신관을 ‘포월적 유신론’으로 규정지었지만, 대순의 신관은 기존의 유신론이나 초월신론이 포괄할 수 없는 ‘이신론(理神論, included deism)’적 측면 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 이로써 대순의 신관은 초월적ㆍ인격적이 며 동시에 내재적ㆍ범신적이고, 또 범재적, 이신론적이라고 할 수 있기 에, 기존의 대표적인 신관을 모두 아우른다는 특징을 갖는다.
Ⅴ. 존재와 앎[신관]의 수준
고대의 모든 종교들은 영원의 철학을 바탕으로 삼고 있었다. 영원
의 철학은 “모든 인간, 물건, 경험 하나하나가 이 세계보다 오래가는 신성한 실재(實在)를 복제한 것” )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그 신성한 실재를 복제한 인간과 사물, 경험은 무엇이 어떻게 서로 다른 것일까? 윌버에 따르면 “전승 지혜 )에서의 영원의 철학적 핵심은 인식론적 다원주의의 존재의 대사슬과 그 사슬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확신 에 있다.(모든 실재는 등급화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실재에 대한 인 지(認知)도 그렇다.) 즉, 존재와 앎 모두에 수준이 있다는 것”  )이다.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미 1백여 년 전 그의 저작 종교적 체 험의 다양성에서 우리의 일상 의식이라는 것이 아주 특별한 의식 상 태라는 것을 강조한 바 있다. 우리가 매일 겪는 일상의식과는 다른 의 식상태를 변성의식이라고 부른다. 그는 종교인들은 때때로 특별한 방 식으로 진리를 보며, 신비적 정신상태의 경험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 고 깨닫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종교인들은 한결같지는 않지만 때때로 특별한 방식으로 진리
를 본다고 주장해왔다. 그 방식은 신비주의라고 알려져 있다. … 내가 어떤 정신상태를 신비적인 것으로 분류할 때 사용하는 표시 중 가장 편리한 것은 부정적인 것이다. 이 정신상태의 주 체는 즉각적으로 그러한 신비상태를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 경험에 대한 타당한 보고가 말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말 한다. 이것은 신비적 정신상태의 특징이 직접적으로 경험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부터 기인한다.…어느 누구도 이러한 신비적 상태의 특질이나 가치 속에 있는 그 어떤 감정도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사람에게 명확하게 깨닫게 할 수는 없다.90) 영원의 철학 또는 위대한 전승 지혜의 전체적인 요점을 추려 본다
면, ‘마음의 눈(심안)’을 넘어서는 영의 눈(영안)에 의해 드러나는 발 달의 더 높은 양태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합리성’ 을 넘어서는 ‘정관[명상]’에 의해 드러나는 발달의 더 높은 양태가 있 다는 것이다. ) 합리성을 넘어서는 정관[명상]에 의해 드러나는 신의 모습이란 어떤 것일까? 
인류 역사상의 위대한 성인과 현자들에 따르면, 신은 시공(時空)과 
물질 영역을 초월한다. 그들은 신의 존재를 일정한 시간이나 공간, 가 시적인 물질 영역에서 찾지 않는다. 신을 발견하려면, 심오한 개인적 체험을 통해 가능한데, 과학에서조차 아직 탐구하지 못한 마음속 깊은 곳을 탐색해야 한다. ) “신과 결합하는 앎은 ‘망령된 견해를 쉬는’ 사 람에게만 가능” )하기 때문이다. 즉 신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무한하고 초월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접근법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간 자신의 유한성을 극복해 나가고 신에 대한 인식을 확대해 나가려면 최소한 자기 자신과의 대화(혹은 자신이 믿는 신과의 대화)를 다양하게 시도해야만 한다. ) 신ㆍ천국ㆍ 지옥ㆍ악마ㆍ육체도 그 자체의 존재와 그대 내면에서의 나타남이 아니 라면, 그대 안에서나 그대에 의해 인식될 수 없기 때문이다. ) 화이트 헤드의 용어로, “사실체(actual entities)는 사실체가 느끼는 바로 그것 이다.(An actual entity is what it feels)” ) 때문에 “실재의 본질은 분명한 영적 지각을 통해서 알려져야” ) 한다. 학식이 높은 사람을 통 해서는 알 수 없다. 
분명한 영적 지각에 의해 실재의 본질이 인식된다는 점에서 보면, “의식 수준에 따라서 어떤 영적인(명상적인, 변형된) 의식의 상태를 해 석할 것”98)이라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윌버는 이 의식의 수준을 무 지개 색깔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라고 한다. 또 이것은 여러 전통적인 지혜들에 있어서 공통으로 경험하는 사실99)임을 강조한다. 
만약에 어떤 사람이 하얗게 밝게 빛나는 구름을 보는 절정 체험을 했다고 하자. 그 구름이 어떤 때는 사람 모습처럼 또는 빛으로 된 존재처럼 나타나기도 하고, 자기가 그 빛 속으로 들 어가는 것 같은 느낌과 함께 무한한 사랑과 끝없는 환희를 느 꼈다고 해 보자. 그런데 그 사람이 개신교인(改新敎人)이라면 … 그는 분명히 기독교 용어를 사용해서 이 체험을 설명할 것 이다. 이 사람은 무엇을 볼 수 있을까?
만약 그가 (색깔의) 레드 높이에 있다면 그는 물위를 걸을 수 있고, 죽었다가 살아나고, 물을 포도주로 바꾸고, 빵과 물고기의 숫자를 늘렸던 마법적인 예수를 볼 것이다. 엠버 높이에 있다면 영원한 법을 주는 자, 신화와 교리를 믿고 선택한 백성들에게 내린 율법과 계명과 언약을 따르는 사람 그리고 단 하나의 진 실한 책(성경)을 믿는 사람을 온전히 구원하는 자로서의 예수를 볼 것이다. 오렌지 높이에 있다면 이 사람은 보편적인 박애주의 자, 그러면서도 신적인 존재, 세계중심적인 사랑과 도덕을 가르 치는 자, 하늘에서 뿐만 아니라 이 땅에서도 이번 생애에 어느 정도 구원을 가져다주는 자로서의 예수를 볼 것이다. 그린 높이 에 있다면 이 사람이 보게 될 예수의 모습은 많은 이들 중에 하나, 똑 같이 타당한 여러 영적인 스승들 가운데 하나일 것이 다. … 만약에 이 사람이 터콰이즈(청록색) 높이로 올라가면 예 수를 당신과 나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완전히 접근할 수 있는 동일한 그리스도-의식의 한 현시(顯示)로 볼 것이다. … 바이올
 
다.” (같은 책, p.128.) 따라서 “영원의 철학자가 말하듯이 “신이 스스로 나타나고 그대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라, 어떤 외적 증거를 통해 신을 찾거나 알고자 한다면, 지금이든 나중이든 결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같은 책, p.130)
98) Ken Wilber, The Integral Vis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the Revolutionary Integral Approach to Life, Go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Boston: Shambhala, 2007), p.142.
99) 같은 책, p.114.
렛(보랏빛)과 울트라바이올렛(자외선) 높이에서는 그리스도-의 식을 초월적이고 무한한 것의 상징, 자아 없는 참자아의 상징, 예수와 당신과 내 안에 있는[범신론적, 내재적-필자 註] 신적인 의식의 상징, 모든 것을 완전히 포용하는 빛과 사랑의 상징, 시 간의 흐름과 스스로 축소된 사랑 없는 에고의 죽음을 넘어 부 활한 생명의 상징, 죽음과 고통과 공간과 시간과 눈물과 두려움 을 넘어가는 운명이 있음을 드러낸 존재의 상징으로 볼 것이
 
다. )(<그림 4> 참조)
요컨대 ‘하나님 왕국에 도달한다’는 말의 실제적인 뜻 울트라 바이올렛
은 ‘더 높은 의식 수준에 오른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영 적으로 매우 중요한데, 왜냐하면 우리 자신의 의식이 변 화하면 거기에 따라 하나님[神觀]도 변하기 때문이
다. ) 이를 테면 영지주의자들이 보기에 예수는 보통       그린 사람들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그는 인류 역사상 등
      오렌지 장했던 많은 빛의 스승들 중의 한 사람이다. 다만 그는 신과 하나됨의 길로 안내하는 안내자였을 뿐이다.  ) 그       엠버
럼에도 불구하고 소위 ‘거듭남을 체험했다’고 하는 근본
       레드
주의자(원리주의)들과 복음주의자들의 경우 자기중심적이
 
거나 자기 종족(種族) 중심적인 입장에서 자신들의 상태 앎[신관]의 수준(<그림 4> 의식과)를 해석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오직 예수만이 하나의 참된 길이다. 더 욱 더 나쁜 것은 그들에게는 확실한 사랑의 상태 체험이라는 것이 실제 적으로는 자신들의 자기 종족 중심적인 성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는 
사실이다.103)
이처럼 “모든 지식은 궁극적으로 체험에 바탕을 두어야” ) 하지
만, 의식 수준에 따라서 그 체험을 설명하게 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며, 이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원의 철학은 “이론에서 실제로, 유일 한 신에 대한 추론적인 지식에서 직접적인 친밀함으로 나아간다면, 일
신교(一神敎)란 독단적인 마음(singleness of heart)에만 존재할 수 있다” )고 한다. 즉 “앎이란 아는 자 안에서 아는 자의 형식(mode) 에 따라 존재한다. 인식자의 정신이 다중적(多重的)이면 직접적인 경 험을 통해 그가 알게 되는 우주는 다신적(多神的)”  )이라고 한다. 앎이란 인식자의 정신적 수준에 따라 그 습득하는 내용이 달라진다. 사실상 체험에는 감각적 체험, 이지적 체험(심적, 정신적 체험), 영적 체험이 있다. 바꿔 말하면 미세한 사물에서 거대한 우주에 이르기까 지, 그리고 개인의 의식에서 종교적 영성에 이르는 영역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세 가지의 눈이 있다. 그 세 가지 눈이란 육체적인 감각이나 과학기술을 통해 사물을 인지하는 ‘감각의 눈’, 이성과 논리로 대상을 인식하는 ‘이성의 눈’, 수행이나 명상으로 종교적인 영역을 체험하는 ‘관조의 눈’이 그것이다. 그래서 육신의 눈(육안)에 의해 알려진 증거 가 있고, 마음의 눈(심안)에 의해 알려진 증거가 있고, 관조의 눈(영 안)에 의해 알게 된 증거가 있는 것이다.107)
물론, 하나의 대상을 알기 위해서 세 가지 다른 눈은 적절하게 균
형을 이뤄야 한다. ) 그러나 우리에게 심층적(深層的)인 깨달음을 던지는 공안(公案)은 분명 (특히 현대인들이 굳게 닫고 있는) 관조의 눈에 담겨 있다. 따라서 이 세상의 진실을 바라보는데 있어서는 관조 의 눈이 절대적이며 수련이나 수도, 명상 등으로 종교적인 영역을 체 험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다시 말해 영원의 철학의 일차적인 관심은 세계의 본질적인 하나의 
신성한 실체(實體)에 있지만, 이 실체는 “일정한 조건들, 즉 사랑을 행 하고 마음을 순후하게 하고 정신을 고요하게 침묵시키기로 스스로 선 택한 사람들[=수련(discipline)]에 의해서만 직접적이고도 즉각적으로 포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근대 이전의 사람들은 신이 인간의 생각을 초월하며 오직 헌신적(獻身的)인 실천(實踐)을 통해서 만 신을 알 수 있다” )고 믿었다. 하지만 수련(discipline)이나 수도 (修道)의 중요성을 실감하지 못하는 많은 현대인들은 (삶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신성한 실재(實在)와 합일(合一)할 수 있는 중 요한 경험의 기회를 잃고 있다. 
Ⅵ. 결론 
세계의 고등종교들이 갖고 있는 대표적인 신관으로는 유일신론과 
범신론, 그리고 범재신론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초월신관을 옹호하 면 내재신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반대로 내재신을 옹호하면 초월신 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빠진다. 그래서 전통신학은 대체로 초월적 유신론의 입장에서 신(신성)을 설명하려 했으나, ‘신의 은총[내 재적]’에 관해서는 마땅한 해명을 하지 못하고 항상 애매모호한 입장 에 설 수밖에 없었다. 이에 최근에는 많은 신학자들이 ‘초월’과 ‘내재’ 를 동시에 끌어안는 범재신론의 입장을 지지한다. 언급했듯이, 범재신 론은 “인간이 신 안에 있고, 신 역시 인간 안에 있다”는 신관으로서 신의 초월과 내재의 동시성을 가장 잘 알맞게 설명할 수 있다는 특징 과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초월은 곧 내재의 부정이며, 내재는 곧 초 월의 부정이기 때문에 범재신론은 이론적(理論的)으로나 실제적(實際的)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범재신론은 “신에 대한 하나 의 상징”일 뿐이며, “우리가 신에 대하여 느끼는 심리적 감수성을 표 현한 것”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영원의 철학에서는 ‘엔벨러프먼트(envelopment, 우리말로 ‘포월 (包越)’이라고도 번역)’라는 개념을 통해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이 양립 가 능하다고 본다. 즉 ‘포월(包越)’이라는 낱말은 “초월(越)하면서도 포함(包) 한다”는 뜻을 갖기에, ‘초월성’과 ‘내재성’이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포월’ 개념은 영원의 철학의 사상적 토대가 되는 ‘존재의 대둥지(존재의 대사슬)’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알려진 바대로 영원의 철학자들은 지난 3천여 년 동안 대둥지의(여러 차원의 하이어라키의) 일반적 수준에 관해서는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대순사상 역시 이러한 존재의 대둥지와 일치하는 세계관을 보이고 있으므로 대순사상의 신 관(상제관, 신명관)은 영원의 철학의 그것과 일치함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영원의 철학의 신관은 그 두드러진 특징을 함축한다면 ‘포월적 유신론(包越的 有神論)’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대순의 신관 역시 ‘포월적 유신론’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요컨대, 영원의 철 학의 견지(見地)에서 대순의 ‘상제(관)’는 ‘포월신(관)’이다. 하지만 대 순의 신관에는 (특정 개념의 규정이 갖는 한계 때문에 표현하지 못하 는) 내재신론(內在神論)이나 이신론적(理神論的) 측면 또한 강하게 나 타내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로 영원의 철학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교, 불교, 도교를 
망라하는 세계의 위대한 전승(傳承) 지혜의 핵심이며, 여러 위대한 사 상가, 철학자, 과학자들의 사고(思考)의 중핵(中核)을 차지한다. 따라 서 영원의 철학은 성인ㆍ현자들이 이미 검증했던 공통된 세계관인 까 닭에 해체될 수 없는 진리로 일컬어지고 있다. 따라서 영원의 철학을 부정하는 것은 인류가 수천년 동안 축적해 온 지적(知的) 자산(資産) 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영원의 철학의 결론은 세상 속에 신(신성)이 계시기에 내재적이지만 동시에 초월적 존재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최종 목표, 그의 존재의 목적은 내재적이면서도 초월적인 신성을 사랑하고 알며 그것과 결합하는 것” )이다. 하지만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그것은 수련(修鍊)에 의해서만 포착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타(他)종교와 달리 실천수행을 필수(必修)로 하는 대순사상은 현 시대 에 절대성을 갖는다. 
【참고문헌】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4.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금인숙, 신비주의, 파주: 살림, 2007. 김상일, 수운과 화이트헤드, 서울: 지식산업사, 2008.
김영철, 「언어 표현 방식에서 본 초월성과 그 내재성의 원리 : 플로티노 스의 ‘일자’와 수운의 신관을 중심으로」, 동학학보 27, 2013.
김월해, 천도교경전요해(天道敎經典要解): 논학문편, 서울: 천도교중 앙총부출판부, 1982.
노길명, 「동학의 천주사상: 그리스도교 사상과의 관련성 여부를 중심으 로」, 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 제17차 심포지움 주제논문, 1995. 디팩 초프라ㆍ레너드 믈로디노프, 세계관의 전쟁: 과학과 영성, 승자 는 누구인가?, 류운 옮김, 파주: 문학동네, 2013. 디팩 초프라, 제3의 예수, 이용 옮김, 서울: 송정문화사, 2009. 류승국, 동양철학 연구, 서울: 동방학술연구원, 1988. 류인희, 주자철학과 종교철학, 서울: 범학사, 1980.
민영진, 「처음에도가이스되」, 오강남ㆍ성소은 엮음, 종교너머, 아하, 서울: 판미동, 2013. 박재현, 「대순사상에서의 무극과 태극 그리고 대순의 의미 고찰」, 대 순사상논총 22, 2014. 
신일호, 「신명에 대한 소고」, 대순논집, 서울: 대순진리회출판부, 1992.
R. 멜러트, 화이트헤드의 철학과 신학, 김상일 옮김, 서울: 지식산업 사, 1989. 아서 O. 러브죠이, 존재의 대연쇄, 차하순 옮김, 서울: 탐구당, 1994. 앨도우스 헉슬리, 「불멸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 씨알의 소리
31, 1974. 오강남, 예수는 없다: 기독교 뒤집어 읽기, 서울: 현암사, 2011. 올더스 헉슬리, 영원의 철학, 조옥경 옮김, 파주: 김영사, 2014. 윤용복, 「대순진리회 신관념의 특성」, 대순사상논총 21, 2013. 윤재근, 「대순사상의 신명관: 전경을 중심으로」, 대순회보 13, 1989.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김재영 옮김, 파주: 한길사, 1999. 이은봉, 종교세계의 초대, 서울: 지학사, 1985. 이현경, 확률의 과학, 양자역학, 파주: 김영사, 2006.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7. 장병길, 대순진리의 강화Ⅱ,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장영란, 위대한 어머니 여신: 사라진 여신들의 역사, 파주: 살림, 2007. 
존 웰우드 편저, 동양의 명상과 서양의 심리학, 박희준 옮김, 서울: 범양사출판부, 1994.
존 쿠퍼,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신과 세계의 관계, 그 치 열한 논쟁사, 김재영 옮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1. 카렌 암스트롱, 신을 위한 변론: 우리가 잃어버린 종교의 참의미를 찾아서, 정준형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10. 켄 윌버, 감각과 영혼의 만남, 조효남 옮김, 고양: 범양사, 2007. _______, 켄 윌버의 일기, 김명권ㆍ민회준 옮김, 서울: 학지사, 2011. 티모시 프리크ㆍ피더 갠디, 웃고 있는 예수: 종교의 거짓말과 철학적 지혜, 유승종 옮김, 서울: 어문학사, 2009. 
피터 러셀, 과학에서 신으로, 김유미 옮김, 서울: 북하우스, 2007.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7.
한국철학회편, 한국철학사(하권), 서울: 동명사, 1987.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허훈, 영원한 철학, 서울: 울력, 2013. 
황필호, 종교철학에세이,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2.
A. Huxley, The Perennial Philosophy, New York: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1990.
Ken Wilber, The Integral Vis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the Revolutionary Integral Approach to Life, Go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Boston: Shambhala, 2007.
▪Abstract▪
View of the God in Daesoon Thoughts viewed from 
Perennial Philosophy
Hoon Heo
Chungang University
We live in two giant pendulum in called ‘science’ and ‘religion’. But science and religion are contained in disparat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ose two is not easy to achieve convergence. But if you accept the ontological scheme of Great Chain of Being(存在의 大連鎖) in the Perennial philosophy(永遠의 哲學), Debat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is meaningless
‘Great Nest of Being(存在의 대둥지, Great Chain of Being)’ is similar to the multiple concentric circles, there are different dimension that the each top level to subsume surrounding the lower level. For example, upper zone ‘Mysticism(神秘主義)’ includes but transcends(or transcends but includes.) the sub-region theology, psychology, biology and physics.
The Perennial philosophy is the great spiritual teachers of the world, philosophers and thinkers have adopted a common worldview, a religious views. Philosophers of the perennial philosophy seem to match the cross-cultural almost unanimous about the general level of the 'Great Nest of Being' for the past 3,000 years.
The perennial philosophy made the conclusion that God exists in the world. Several types of view of God existing religions in the world have ‘Monotheism(一神論)’, ‘Pantheism(汎神論)’ and ‘Panentheism (汎在神論)’. Although traditionally the God of the philosophers is the classical Theism, theological trends of today it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Panentheism. Panentheism see that god is immanent and transcendent. also Daesoon Thoughts is the position of the Panentheism. so this paper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view of God of the perennial philosophy is precisely consistent with the view of God of Daesoon Thoughts.
Wilber says ‘envelopment [transcend and include]’. The word translates as ‘powol(包越)’ in Korean. ‘Powol(包越)’ means that all the developmental evolution is to surround the sub-region developed into the higher realms.
View of the God in the perennial philosophy is ‘powol theism(包越的 有神論)’. but ‘powol immanent God(包越的 內在神論)’ rather than building regulations as ‘powol theism(包越的 有神論)’. It would have to be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it. Because in the existing ‘theism(有神論)’ the god and humans are thought to exist apart. 
However, Daesoon Thoughts are deemed to also recognize another universal laws. also Sangje(上帝, the Supreme God) is recognized as a cosmic existence that transcends the laws. This point,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esoon Thoughts, In other religions can not be found. 
Therefore, More specifically represent(More accurately represent), 
Sangje of the Daesoon Thoughts can be described as ‘powol theism’ or ‘transcendental and included deism(包越的 理神論)’. Importantly, The idea of God can be captured directly by the discipline. In this sense, In terms of the other religions have no discipline law, the practice [discipline] of the Daesoon Thoughts required in the present age. It has the absoluteness.
Key words : View of God(神觀), Theism(有神論), Pantheism(汎神論), Panentheism(汎在神論), powol theism(包越的 有神論), transcendental and included deism(包越的 理神論)
◎ 투    고    일 : 2015년  5월 31일
◎ 심  사  기  간 : 2015년  7월 24일~8월 5일
◎ 게 재 확 정 일 : 2015년 10월 30일


하경숙 - *뇌 속에 살고 있는 해태 - 어윤형 전창선 공저 [음양이 뭐지?>에서

하경숙 - *뇌 속에 살고 있는 해태 법(法)이란 무엇일까요? 법이란 물이 흘러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법의... | Facebook:

*뇌 속에 살고 있는 해태
법(法)이란 무엇일까요?
법이란 물이 흘러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법의 본글자는 '灋'자입니다.
여기서 '馬'자는 '해태 자입니다.
해태란 동북 변방에 있는 동물로서 뿔이 하나 있으며 소를 닮은 짐승이라고 합니다. 옛날에는 죄를 지었다고 여겨지는 자는 이 짐승이 뿔로 받아서 그 죄의 유무를 알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해태는 '불'을 다스리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또 화재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神獸)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경복궁 정문 앞에 관악산이 멀리 내다보이는 정남쪽을 향하여 서 있습니다. 풍수지리적으로 보아 관악산은 화기(火氣)가 많은 산이기 때문에 그 화기를 막기 위해 해태상을 세웠다고 전해집니다.
불을 다스리는 것은 물밖에 없습니다.
즉 '해태'란 수신(水神)인 것입니다.

'법'이란, 난마처럼 흩어져 있던 화기에 의해 저질러지기 쉬운 죄악을 모두 거두어 아래로 흘러가는 물과 같은 것으로, 세상을 바르게 통일하는 것입니다.
인체에서도 마찬가지로 법에 의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간의 손끝, 발긑 등 말초 부위는 화기에 의해 형성되는데 '말초적'이라는 표현을 통해 감각적이고 육체적인 욕망을 대변합니다. 그렇지만 그러한 말초적 욕구는 다 수용될 수 없는 것이며, 한 바다인 뇌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통제가 일어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뇌는 거대한 신경 다발로 물로 비유하면 바다와도 같습니다. 또한 의식과 판단이 일어나는 곳으로 몸의 모든 욕구는 뇌의 심판에 의해 결정되어집니다.
손끝, 발끝의 신경지류(神經支流)는 남방(南方)의 화기(火氣)에 의해 난마처럼 흩어져 제각기 주장을 펴치며 멋대로 하려고 하나 해태가 살고 있는 뇌에서 그 주장들을 거두어 법(法)대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어윤형 전창선 공저 <음양이 뭐지?>에서









All reactions:99



Like




Comment


Share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