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7

Read The Tao of Gardening: 농사의 도 by Pamela Metz | Books

Read The Tao of Gardening: A Collection of Inspirations Based on Lao Tzu's Tao Te Ching Online by Pamela Metz | Books

Start reading

The Tao of Gardening: A Collection of Inspirations Based on Lao Tzu's Tao Te Ching


By Pamela Metz
177 pages
1 hour

Included in your membership!
at no additional cost

Description


Most books on gardening are read for information. Those books provide important details on the "do’s" and "don’ts" of growing things. This book, The Tao of Gardening, is to be read for inspiration. Using English translations of the classic Tao Te Ching by the Chinese sage, Lao Tzu, the author has adapted the words and concepts to the universal human activities of gardening. Rod MacIver, in Heron Dance, writes "The Tao Te Ching is a poem, a book, set of guideposts, leading to a way of being that is simple, and that is harmonious. It celebrates the workings of nature and of the universe, the cycles of life, the cycles of water. Taoism grew out of pre-dynastic China, a time when people lived close to the land. It is a philosophy more than a religion - rather than attempting to define the Great Mystery, it espouses humble acceptance, gentleness and non-interference. The Tao is about a harmony that can be more often sensed than described or understood." The Tao of Gardening then, is a way of gardening that is a journey and a way of living. It recognizes the inner and outer spiritual dimensions of the many parts that make up the whole of gardening.
==
농사의 도 - 농사짓는 이와 돌보는 이를 위한 노자의 도덕경  
파멜라 메츠 (지은이),이현주 (옮긴이)민들레2014-06-30원제 : The Tao of Gardening (2001년)

책소개

노자의 도덕경 81장을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주제로 다시 풀어 쓴 책이다. 사람살이의 근본인 농(農), 농사에서 배우고 자연에 작은 관심을 갖는 일이 진정 절실한 때이다. <농사의 도>는 땅에서 일하고, 사람을 돌보고, 자연과 우주 속에서 사는 이 근본적인 인간의 삶에 대하여 다시금 깊이 성찰하게 한다.

“예수도 노자도 사람인데 마땅히 배움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을까요? 그런데 그에 대한 정보가 두 분 모두 없으니 궁금합니다. 그분들은 과연 누구한테서 무엇을 배웠을까요?” “노자께선 아예 대놓고 직접 말씀하셨지. 사람은 땅을 배우고 땅은 하늘을 배우고 하늘은 도를 배우고 도는 자연을 배운다(道法自然)고. 사람을 가르치는 스승의 스승의 스승이 곧 자연이라는 그런 말씀인 거라.”
목차
옮긴이의 말| 축하합니다 007

1 농사의 도 2 역설과 잡초 3 가지치기 4 끝없이
5 제철 6 어머니 땅 7 생명의 순환 8 물의 소중함
9 너무 10 제 몫의 보상 11 있는 것과 없는 것
12 논밭의 색 13 돌보는 사람 14 엮음
15 옛날 농부들 16 그 사이에 17 지혜로운 농부
18 균형 19 단순함 20 농부와 농부 아닌 사람들

21 넉넉한 논밭 22 논밭에 있는 도 23 준비
24 바닥에 몸을 낮추어 25 경작 이전 26 집 안
27 착한 농부 28 꽃가루받이 29 모든 일에 때가 있다
30 자연의 힘 31 농기구들 32 보이지 않는 에너지
33 앎과 부 34 기적 35 날마다 그날의 도
36 가을걷이 37 만족 38 농사의 힘 39 명상
40 할 일과 하지 않을 일

41 겸손 42 재생산 43 침묵 44 행복 45 계획
46 위험 무릅쓰기 47 기다림 48 도를 깨우침
49 만물을 돌봄 50 마음껏 쏟아 붓기 51 자연 사랑
52 가보의 씨앗 53 논밭이 사라질 때 54 영감
55 어린 묘목 56 끈기 57 날마다 펼쳐지는 신비
58 본보기 59 기름진 논밭 60 경작

61 농부의 생애 62 논밭의 중심 63 어려움
64 바꿔주기 65 평범한 논밭 66 물길 67 논밭의 교훈
68 자연과 더불어 일하기 69 자연에 굴복함
70 농부의 가슴 71 치유와 성장 72 대용품 73 느긋함
74 무상 75 정신과 영감 76 유연함 77 너그러움
78 물의 기운 79 실수에서 배우기 80 평화
81 논밭 속에 있는 도

접기
책속에서
축하합니다


“예수도 노자도 사람인데 마땅히 배움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을까요? 그런데 그에 대한 정보가 두 분 모두 없으니 궁금합니다. 그분들은 과연 누구한테서 무엇을 배웠을까요?”
“사람이 사람으로 살아가는 법을 자연한테서 배우지 않았겠나?”
“자연한테서 배웠다고요? 예. 그러고 보니 ...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파멜라 메츠 (Pamela K. Metz)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노자의 도덕경 81장을 ‘농사’를 주제로 다시 풀어 쓴 『농사의 도』 외에 『배움의 도 The Tao of Learning』, 『The Creative Tao』, 『The Tao of Loss and Grief』 그밖에 여러 책을 펴냈다.
최근작 : <농사의 도>,<배움의 도> … 총 3종 (모두보기)
이현주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관옥觀玉이라고도 부르며, ‘이 아무개’ 혹은 같은 뜻의 한자 ‘무무无無’라는 필명을 쓰고 있다. 1944년 충주에서 태어나 감리교신학대학교를 졸업했다. 목사이자 동화작가이자 번역가이며, 교회와 대학 등에서 말씀도 나눈다. 동서양의 고전을 넘나드는 글들을 쓰고 있으며, 무위당无爲堂 장일순 선생과 함께 『노자 이야기』를 펴냈다. 옮긴 책으로 『지금 이 순간이 나의 집입니다』, 『너는 이미 기적이다』, 『틱낫한 기도의 힘』, 『그리스도의 계시들』 등이 있다.
최근작 : <관옥 이현주의 신약 읽기>,<관옥 이현주의 신약 읽기 (양장)>,<부모 되기, 사람 되기> … 총 269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민들레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민들레 Vol.137>,<그렇게 가족이 된다>,<민들레 Vol.136>등 총 93종
대표분야 : 교육학 10위 (브랜드 지수 107,939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노자의 도덕경 81장을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주제로
다시 풀어 쓴 『농사의 도』
돌볼 때와 내버려둘 때를 알기

“예수도 노자도 사람인데 마땅히 배움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을까요? 그런데 그에 대한 정보가 두 분 모두 없으니 궁금합니다. 그분들은 과연 누구한테서 무엇을 배웠을까요?”
“노자께선 아예 대놓고 직접 말씀하셨지. 사람은 땅을 배우고 땅은 하늘을 배우고 하늘은 도를 배우고 도는 자연을 배운다(道法自然)고. 사람을 가르치는 스승의 스승의 스승이 곧 자연이라는 그런 말씀인 거라.” - 옮긴이의 말 가운데

사람살이의 근본인 농(農), 농사에서 배우고 자연에 작은 관심을 갖는 일이 진정 절실한 때입니다. 농사짓는 사람들이 쫓겨나고 마을이 사라지는 세상에서 한 발 물러서서 세계를 논밭으로 볼 수 있다면 우리는 평화로운 환경을 금세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로부터 우리는 ‘좋은 삶’에 대한 다른 상상을 열어갈 수 있습니다. 『농사의 도』는 땅에서 일하고, 사람을 돌보고, 자연과 우주 속에서 사는 이 근본적인 인간의 삶에 대하여 다시금 깊이 성찰하게 합니다.
접기

리뷰쓰기
공감순 
     
노자를 '농사의 도'에 결부시켜본 이야기들... 새창으로 보기
별 생각 없이 책을 읽다가, 마지막 페이지가 81장으로 끝나는 걸 보고,

다시 제 8장을 펴보았다.

81장은 노자 도덕경의 장절 수라는데 생각이 미쳤던 것인데,

역시나... 상선약수의 8장은 '물의 소중함'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노자를 농사짓는 일과 비유하여 나름의 논리를 펼쳐본 것이다.

그렇지만, 이 책은 동양의 '노자' 사상의 핵심을 놓치고 있는 듯 싶기도 하다.

 

노자는 '사마천의 사기'에서 '노자한비열전'에 묶였듯, 정치 사상의 하나이다.

노자의 반대편에 선 주장은 '억지로 다스리는 법치'였던 셈이다.

노자는 '억지로 다스리지 않아도 다스려지도록 하는 무위지치'를 역설한 셈이다.

 

서양의 어휘 '자연'은 '명사적'이다.

서양의 자연은 '극복'의 대상이고, '정복'의 대상으로 보기 쉽다.

인간은 그 '자연'에 가장 해로운 존재인 셈이다.

그러나 동양의 문맥에서 '자연'은 '부사적'이다.

'자연히', '저절로', '억지로 하지 않아도 스스로' 같은 의미다.

그것은 그야말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경지를 드러내는 말이지 정복이나 분투의 대상은 아닌 셈이다.

 

노자의 '무위자연의 다스림'을 굳이 풀이하자면,

억지로 하지 않아도 저절로, 스스로 따르게 하는 다스림으로 풀어야 한다.

 

서문에서 무위당 선생과의 대화 중, '도법자연'을 '도는 자연을 배운다...'로 풀었다.

그 말이 그 말 같지만, 도법자연...이란, 자연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진리란 스스로 그러게 되는 현상...을 배우는 것이라는 말이라 생각한다.

'자연'이 스승이라고 하고 있다.

'자연'이라는 대상이 배울점이 아니라,

세상 만물의 이치는 억지로 애쓴다고 되거나 안 되지 않으니, 저절로 이뤄지도록 그렇게 살라는 말이렷다.

 

1장, 도가도비가도... 구절을

농사의 도는 드러나 보이는 어떤 것이 아니다...라는 말과 연결지어 놓았다.

농사는 '곡식을 기르는 일'이기도 하지만,

자식 농사는 '자식을 기르는 일'이기도 하고,

나처럼 학생 농사 짓는 사람은 '아이들을 기르는 일'이기도 하다.

 

유치원 어린 아이들은 말귀를 잘 못 알아듣기도 하고, 상황 판단이 느리기도 하다.

그러니 아이인 것이다. 그런 어린 아이를 혼내는 일이야 당연지사지만,

귀싸대기를 올려붙여 아이가 날아가게 하는 일은 참 무서운 일이다.

나도 경력이 늘수록 가르치는 일은 <명시적 교육과정>처럼 드러나 보이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절실하다.

수업을 똑부러지게 잘 하고, 아이들의 잘못을 명확하게 지적하는 교사도 물론 필요하지만,

아이들이 자라는 데는 <암시적 교육과정>이 큰 역할을 한다.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쑥덕공론을 하는 속에서 자란다.

 

노자 17장은 太上 下知有之 태상 하지유지  其次 親而譽之 기차 친이예지  其次 畏之 기차 외지  其次 侮之 기차 모지 이다.

가장 높은 것... 정치 철학이니 '임금'쯤 되겠다. 지도자로 치환해도 무방하고,

이 책에서는 농사꾼으로 비유했다.

 

제일은 아랫사람이 그 있다는 걸 아는 정도...

다음은 아랫사람이 친하고 높이는 존재. 그보다 못한 건 공포의 존재... 박정희 같은...

마지막은 업수이여기는 모멸스런 존재다. 이명박근혜 시대가 그렇지 안을까?

이 책에서는

지혜로운 농부는 논밭에 자라는 것들을 억지로 키우지 않는다.

때로는 사람들이 그가 있는 줄도 모른다.

지나치게 열심히 농사에 억지를 부리는 농부는

논밭을 망칠 수 있다.

일할 때 일하다가, 물러설 때 물러서는 농부는

논밭으로 하여금 스스로 논밭이 되게 한다.

이렇게 갖다 붙인다.

앞부분은 수긍이 가지만, 뒷부분은 좀 억지다 싶기도 하다.

아이들을 위한답시고 지나치게 '열심히' 일해온 경향이 있는 나로서는, 많이 돌아볼 일이다.

 

농사의 도에서는 '놓아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것들을 놓아버림으로써 우리는 더욱 맑아진다.

만물이 저마다 제 길을 가고 있다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도를 깨우치게 된다.

너무 많이 간섭하면, 논밭에 장애물을 늘어놓는 것이다.

 

경험상, 아이들도 그렇다.

냅둬도 잘 자란다.

선행 학습을 시키고 어쩌고... 들들 볶는 것은, '알묘조장'의 우를 범하게 된다.

싹을 쏘옥~쏘옥~ 뽑아 올려주는 일은,

그 싹의 뿌리를 흔들어놓아서 시들어 죽게 만든다.

 

52장. 근본은 언제나 분명치 않다.

열매를 맛볼 때, 네가 경험하는 것은 열매의 맛, 색깔, 크기, 감촉 따위들이다.

 

사과를 맛있게 베어 먹어도, 사과 고갱이의 씨앗이 번식의 기틀이 된다.

우리가 즐기고 경험하는 것은 핵심 고갱이가 아닌 주변의 것들이다.

우리를 즐겁게하는 경험들은 모두 삶의 고갱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고갱이는 무엇인가... 그 근본을 잊지 말아야 한다.

 

농사를 짓자면 기다리고 지켜보는 것이 더 좋을 때가 있다.

어떨 때는 그냥 놔 버리는 것이 더 낫다.

그것은,

자연으로 하여금 제 길을 가게 하고

자연스런 방식으로 논밭을 일구는 것이기도 하다.

 

두 해동안 고락을 같이 하던 아이들이 졸업반이 되었다.

이제 스물이라고 술집에서 민증을 검사해도 내쫓기지 않는다.

맥주라도 한 잔 놓고 애들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아이들이 자란 것은, 부모의 관심도 아니고, 학교의 교육과정도 아니다.

아이들을 키운 것은 8할이 바람이다.

저절로 자기들끼리 비비적대면서,

상처를 입고 치유를 받으면서 그렇게 자란 것을 알게 된다.

부모나 학교는 아이들에게 상처를 덜주는 방향으로 바뀌려 노력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주려고 고민하지 말고,

아이들이 저절로 얻어가는 과정에 더 많은 것들이 녹아들도록...

아주 자연스럽게 교육과정을 덧대는일이 어른이 할 일이다.

 

불현듯, 노자를 열 권쯤 쌓아 두고 노닥거리고 싶다.

당연히 그러면 졸릴 것이다만... 그냥, 희망 사항이 그렇다.

- 접기
글샘 2015-01-15 공감(7)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