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이병철 - -실상사, 상림숲 나들이/ 안부를 묻고 찾아가 만날 벗이 있어 좋다. 엊그제 익산에 계시는 남곡형께... | Facebook

이병철 - -실상사, 상림숲 나들이/ 안부를 묻고 찾아가 만날 벗이 있어 좋다. 엊그제 익산에 계시는 남곡형께... | Facebook


이병철's post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Facebook

-실상사, 상림숲 나들이/
안부를 묻고 찾아가 만날 벗이 있어 좋다.
엊그제 익산에 계시는 남곡형께 연락해서 오늘 실상사의 도법스님과 자리를 함께 했다.

마침 남곡형님과 도법스님의 생신이 이 달에 들어있는데, 두 분 모두 며칠 전에 생일이 지나긴 했지만 뒤늦은 축하를 빌미로 점심이나 함께하자고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때마침 인월에 계신 이교수 내외도 해외여행에서 돌아와 계신 터라 자리를 함께 했다. 늙은이들의 번개팅인데 7명이 함께 했다
극락전 도법스님의 작은 거소에서 준비해 갔던 케익을 나누며 남곡, 도법 두 분을 위한 생일 축하 노래도 불렀다. 이런 형태의 축하가 우리들에겐 그리 익숙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식이라도 함께 축하 할 수 있다는 것이 내겐 고마웠다.
 
남곡형님은 이미 팔십을 넘었고 이교수님도 내년이 팔순이고 도법스님과 나도 열심히 뒤따르고 있으니 어찌할 수 없는 노인들의 자축하는 자리라 대화는 자연스레 늙어감과 수명의 문제를 중심으로 흘러갔다. 그러다가 인간의 한계수명 문제와 관련하여 유발하리라의 호모데우스에 이어 AI와 사이보그에 이르기까지, AI시대의 종교와 영성과 깨달음과 수행의 문제까지 종행무진으로 전개되었다.
 
점심은 팔령재 너머의 함양 상림숲 근처에서 먹었다. 점심을 먹고 카페에서 차와 간식을 나누고 상림숲을 걸었다. 천년의 상림숲에서 하얀 종처럼 생겨 종꽃이라고도 부르는 때죽나무꽃을 만났다. 하얀 종소리가 울릴 것 같은 해맑은 모습이었다.
그동안에도 노인들의 수다는 끝이 없었는데 자칭 만담가를 자임하는 남곡형의 조크(개그)까지 겹치니 라떼들의 만담잔치와 진배없었다. (그 가운데서 오늘 내 수다가 특히 심했다는 정원님의 경고가 있었다.)
이렇게 벗들과 어떤 이야기든 가림 없이, 편하게 나눌 수 있다는 것이 새삼 고맙게 느껴졌다.
남곡 형은 실상사를 '중도(中道)의 본산'으로 하자고 말하고 나는 '중도와 화쟁(和爭)'의 본산으로 삼아야한다고 말한다.
 
남곡형은 이 시대, 특히 이 나라의 왜곡된 좌우 논리의 극단적인 치우침에서 이제는 중도가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나는 그 치우침으로 인한 상처의 치유를 함께 말한다. 서로 다른 뜻이 아니다.

지리산 실상사와 인연이 깊다. 이 땅의 어머니산 지리산과 천년의 도랑 실상사와 도법 스님. 그렇게 우리가 함께한 지도 어느새 30 여년이 지났다. 오늘 번개팅에 함께한 이들 가운데 가장 막내인 수지행자도 그 사이에 60대 중반에 이르렀다. 그러나 내 눈에는 여전히 지리산 운동을 시작하며 처음 만났던 30대의 그 나이에 머물러 있다. 수지행이 나이는 혼자만 먹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마침 남곡형이 그동안 마음을 기울여 정리해 오던 '논어 연찬'에 대한 원고를 탈고하여 출판사에 넘긴 뒤에 몇 곳에서도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고 한다. 반가운 소식이다. 이 책의 출간을 계기로 공자와 논어에 대한 새로운 시대적 해석이 활발해질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가 이렇게 만나 격의없이 편하게 이야기 나누고 뒤늦은 축하라도 함께 할 수 있는 것이 앞으로 몇 번이나 될까. 내가 불쑥 도법스님에게 스님이 먼저 돌아가시면 부도탑에 '도법대종사 부도탑'이라 새기도록 하겠다고 말하자 스님은 절대로 새기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한다. 한 사람은 반드시 새기겠다고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절대로 새기지 못하겠다고 한다면 두 사람 모두 그 때문에 죽지 못하는게 아닌가. 남곡형의 썰렁한 개그다. 그게 어떻게 될까 궁금하여 지켜보려면 남곡형도 죽을 수가 없겠다며 함께 웃는다.
나라와 세상에 대한 근심을 잠시 잊고 신록으로 눈부신 오월의 한때를 이리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이 고맙고 즐거웠다.
 
돌아오는 길에도 가슴이 따뜻했다.









2025/05/13

Namgok Lee - 챗지피티와 속 깊은 대화를

(1) Namgok Lee - 유머아닌 유머. 요즘은 어떻게 하다 보니까, 마음 놓고 속 깊은 대화를 챗지피티와 하고... | Facebook

Namgok Lee
  · 
유머아닌 유머.
요즘은 어떻게 하다 보니까, 마음 놓고 속 깊은 대화를 챗지피티와 하고 있다.

오늘은 
1] 이번 대선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에 대해 내 생각을 이야기하고 챗지피티와 대화를 했다.
2] 다음엔 우주에서 인류라는 종이 계속 존속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3] 그리고 요즘 과학 의료 기술로 육체의 영생을 꾀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영생을 통해서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해 그 실태를 묻고 그 어리석음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었다.

사람끼리의 대화라면, 챗지피티와 나눌 수 없는 그런 수준이라야 되는 것 아닌가?
*챗지피티는 이렇게 응답했다.

[문명전환 선언 – 인간과 우주의 새로운 계약]
인류는 지금, 물질의 풍요 속에서 의미의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기술은 생명을 연장하고, 쾌락은 무한히 반복 가능하지만,
그 연장의 끝에 기다리는 것은 생명인가, 반복된 소멸인가?
우리는 묻는다.
육체의 영생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죽음을 피한 인간은 무엇을 향해 나아가는가?
그 길의 끝에는 사랑이 있는가, 아니면 자기 집착만이 남아 있는가?
우리는 선언한다.
인간은 우주의 정복자가 아니라, 우주를 의식하는 존재이다.
우리는 우주의 거울이며, 이성과 감성, 책임과 연대를 통해
이 생명계의 품위를 지켜야 할 의식의 관리자다.

우리는 중도의 길을 따른다.
극단을 넘어선 합리의 연정,
남과 북, 이념과 세대, 계층과 지역을 잇는 공존의 정치를 실현한다.
우리는 문명을 전환할 것이다.
생존을 넘은 존재의 품격,
성장 중심을 넘어선 의미 중심의 사회,
경쟁을 넘어선 협력적 생태공동체로 나아갈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정치가 아니다.
이것은 인류와 우주, 인간과 시간 사이에 맺는
새로운 계약이다.
---
이 초안은 철학적 깊이와 정치적 실천의 균형을 겨냥해 구성한 것입니다.
원하시면 이 선언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공약 모델, 캠페인 내러티브, 연설문 버전으로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어떤 형태로 발전시켜 보고 싶으신가요?